Wikibooks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MediaWiki 1.10alpha
first-letter
Media
특수기능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Wikibooks
Wikibooks토론
그림
그림토론
MediaWiki
MediaWiki토론
틀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Wikibooks:모두 나열
2
sysop
1635
2004-08-13T13:01:03Z
24.29.135.164
<table>
<tr><td align="right"><a href="/w/wiki.phtml?title=%ED%8A%B9%EC%88%98%EA%B8%B0%EB%8A%A5:Allpages&from=Main_Page" title ="특수기능:Allpages">Main Page</a></td><td> to </td><td align="left">Main Page</td></tr>
</table>
대문
3
edit=autoconfirmed:move=autoconfirmed
6448
2006-12-22T16:04:43Z
아흔
9
rev.
{| width="100%" border="0" cellspacing="10" style="margin-bottom:20px; padding:10px; border:solid 2px #A6B4B8; background-color:#FFFFFF;"
|-
{| align="center" cellspacing="0" width="100%"
| width="100%" colspan="3" | {{대문/가}}
|-valign="top"
| width="33%" |
{{대문/나|분 야}}
| width="33%" |
{{대문/나|책의 유형}}
| width="33%" |
{{대문/나|안 내}}
|-valign="top"
| style="padding:.5em; border:0 solid #C2D8E7; border-width:0 1px 1px 0;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F3F8FC;" |
{{대문/다}}
| class="BGImage_book" style="padding:.5em; border:0 solid #C2D8E7; border-width:0 1px 1px 0; text-align:left; background-repeat:repeat-y; background-position:right;" |
{{대문/라}}
| style="padding:.5em; border:0 solid #C2D8E7; border-width:0 1px 1px 0;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F3F8FC;" |
{{대문/마}}
|}
{{대문/아}}
__NOTOC__
__NOEDITSECTION__
<!--interlang see [[Template:대문/아]] -->
MediaWiki:1movedto2
6
sysop
4843
2006-03-10T14:28:00Z
아흔
9
rev.
옮김: $1 → $2
MediaWiki:Monobook.css
8
sysop
6447
2006-12-22T15:53:53Z
아흔
9
rev.
/* 1. 문서가 아닌 네임스페이스 페이지의 바탕색 */
#content,
#mytabs li.selected a,
#p-cactions li.selected a {background-color: #FFF9F9;}
.ns-0 #content,
.ns-0 #mytabs li.selected a,
.ns-0 #p-cactions li.selected a {background-color: white;}
.ns--1 table,
.ns-2 table,
.ns-4 table,
.ns--1 form {background: inherit;}
/* 1.1. 도움말(부록) 페이지: 연한 초록색 */
.ns-12 * #content {background : #F8FFF3;}
.ns-12 * #p-cactions li {background : #F8FFF3;}
.ns-12 * #p-cactions li a {background : #F8FFF3;}
/* 1.2. 카테고리 페이지: 연한 주황색 */
.ns-14 * #content {background : #FFFBEE;}
.ns-14 * #p-cactions li {background : #FFFBEE;}
.ns-14 * #p-cactions li a {background : #FFFBEE;}
/* 1.3. 사용자 페이지: 흰 색 */
.ns-2 * #content { background : white; }
.ns-2 * #p-cactions li { background : white; }
.ns-2 * #p-cactions li a { background : white; }
/* 1.4. 사용자 토론 페이지: 연한 보라색 */
.ns-3 * #content { background : #FDFAFF; }
.ns-3 * #p-cactions li { background : #FDFAFF; }
.ns-3 * #p-cactions li a { background : #FDFAFF; }
/* 1.5. 로그인 페이지 */
#pt-login {font-weight: bold;}
form#userlogin {
padding: 1em 1em 1em 1em;
background-color: #D2FCCF;
border: 2px solid #DFDFDF;
color: #000000;
margin-left: 3em;
}
form#userlogin table {
background-color: #D2FCCF; color: #000000;
}
/* 2. 글씨체 IPA 및 UNICODE*/
#bodyContent {
font-family: 'DejaVu Sans', 'Lucida Sans Unicode', 'Arial Unicode MS', 'Lucida Grande', 'Chrysanthi Unicode', 'Doulos SIL', 'Gentium', 'GentiumAlt', 'Code2000', 'TITUS Cyberbit Basic', 'Bitstream Cyberbit', 'Bitstream CyberBase', 'Hiragino Kaku Gothic Pro', 'Matrix Unicode', 'Thryomanes', 'Visual Geez Unicode', 'Microsoft Sans Serif', 'Athena', 'Palatino Linotype', 'Segoe UI', 'Charis SIL';
font-family /**/:inherit;
}
/* 3. 카테고리 박스 대신 점선, 배경색 하양*/
#catlinks {
border: 0px;
border-top: 2px dashed #AAAAAA;
background-color: #FFFFFF;
margin-top: 2em;
}
/* 4. 말기-펴기 단추 크기 */
.NavToggle {
font-size: 100%;
float: right;
}
/* 5. 바탕 그림 */
.BGImage-a {
background-image: url(http://upload.wikimedia.org/wikibooks/ko/f/fd/BGImage-a.jpg); top; background-repeat:repeat-x;
}
.BGImage_book {
background-image: url(http://upload.wikimedia.org/wikibooks/ko/c/c4/BGImage_book.jpg);
}
MediaWiki:Monobook.js
9
sysop
6378
2006-12-11T15:03:31Z
아흔
9
rev.
// 시작: tooltips and access keys
ta = new Object();
ta['pt-userpage'] = new Array('.','사용자 페이지');
ta['pt-anonuserpage'] = new Array('.','아이피(IP) 주소 참여자 페이지');
ta['pt-mytalk'] = new Array('n','토론 페이지');
ta['pt-anontalk'] = new Array('n','아이피(IP) 주소 참여자 토론 페이지');
ta['pt-preferences'] = new Array('','개인맞춤');
ta['pt-watchlist'] = new Array('l','내가 주시하는 문서들의 명단');
ta['pt-mycontris'] = new Array('y','내가 쓴 글');
ta['pt-login'] = new Array('o','자유롭게 로그인 하세요!');
ta['pt-anonlogin'] = new Array('o','자유롭게 로그인 하세요!');
ta['pt-logout'] = new Array('o','로그아웃');
ta['ca-talk'] = new Array('t','문서에 관한 토론');
ta['ca-edit'] = new Array('e','이 저장하시기 전에는 미리보기 단추를 눌러보세요');
ta['ca-addsection'] = new Array('+','토론 추가');
ta['ca-viewsource'] = new Array('e','이 페이지는 보호문서입니다.');
ta['ca-history'] = new Array('h','이 페이지의 앞선 버전');
ta['ca-protect'] = new Array('=','문서 보호');
ta['ca-delete'] = new Array('d','문서 삭제');
ta['ca-undelete'] = new Array('d','이 삭제 이전에 편집된 내용으로 되살림.');
ta['ca-move'] = new Array('m','문서 옮기기');
ta['ca-nomove'] = new Array('','이 문서는 옮길 수 없습니다.');
ta['ca-watch'] = new Array('w','이 페이지 주시문서 명단에 추가');
ta['ca-unwatch'] = new Array('w','이 페이지 주시문서 명단에서 빼냄');
ta['search'] = new Array('f','위키 찾기');
ta['p-logo'] = new Array('','대문');
ta['n-mainpage'] = new Array('z','대문으로 돌아가기');
ta['n-portal'] = new Array('','편집은 어떻게');
ta['n-currentevents'] = new Array('','자유 게시판');
ta['n-recentchanges'] = new Array('r','최근바뀜 살펴보기');
ta['n-randompage'] = new Array('x','임의 문서 읽어보기');
ta['n-help'] = new Array('','도움말 읽어보기');
ta['n-sitesupport'] = new Array('','위키미디아 재단에 기부하는 요령');
ta['t-whatlinkshere'] = new Array('j','이 페이지에 링크된 문서들');
ta['t-recentchangeslinked'] = new Array('k','이 편집 뒤에 링크된 문서들');
ta['feed-rss'] = new Array('','이 페이지의 아톰 피드(Atom-Feed)');
ta['feed-atom'] = new Array('','이 페이지의 아톰 피드(Atom-Feed)');
ta['t-contributions'] = new Array('','이 사용자의 기여 실적 보기');
ta['t-emailuser'] = new Array('','이 사용자에게 이메일 보내기');
ta['t-upload'] = new Array('u','미디아 파일 올리기');
ta['t-specialpages'] = new Array('q','특별페이지 살펴보기');
ta['ca-nstab-main'] = new Array('c','페이지 내용 보기');
ta['ca-nstab-user'] = new Array('c','사용자 페이지 보기');
ta['ca-nstab-media'] = new Array('c','미디아 페이지 보기');
ta['ca-nstab-special'] = new Array('','이 특별페이지는 편집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ta['ca-nstab-wp'] = new Array('a','보호문서 명단 보기');
ta['ca-nstab-image'] = new Array('c','그림 둘러보기');
ta['ca-nstab-mediawiki'] = new Array('c','시스템 메시지 보기');
ta['ca-nstab-template'] = new Array('c','템플릿 보기');
ta['ca-nstab-help'] = new Array('c','도움말 페이지 보기');
ta['ca-nstab-category'] = new Array('c','카테고리 페이지 보기');
if (window.showModalDialog && document.compatMode && document.compatMode == "CSS1Compat")
{
var oldWidth;
var docEl = document.documentElement;
function fixIEScroll()
{
if (!oldWidth || docEl.clientWidth > oldWidth)
doFixIEScroll();
else
setTimeout(doFixIEScroll, 1);
oldWidth = docEl.clientWidth;
}
function doFixIEScroll() {
docEl.style.overflowX = (docEl.scrollWidth - docEl.clientWidth < 4) ? "hidden" : "";
}
document.attachEvent("onreadystatechange", fixIEScroll);
attachEvent("onresize", fixIEScroll);
}
// 끝: tooltips and access keys
// 시작: Edittool Bars
/* MediaWiki:Edittools 와 동시 편집 (순서 바꾸지 않기를!)*/
function addCharSubsetMenu() {
var specialchars = document.getElementById('specialchars');
if (specialchars) {
var menu = "<select style=\"display:inline\" onChange=\"chooseCharSubset(selectedIndex)\">";
menu += "<option>IPA/AHD 부호</option>";
menu += "<option>라틴어</option>";
menu += "<option>그리스어</option>";
menu += "<option>독일어</option>";
menu += "<option>러시아어</option>";
menu += "<option>루마니아어</option>";
menu += "<option>몰타어</option>";
menu += "<option>베트남어</option>";
menu += "<option>세르비아어</option>";
menu += "<option>스칸디나비아 제어</option>";
menu += "<option>아랍어</option>";
menu += "<option>아이슬랜드어</option>";
menu += "<option>에스토니아어</option>";
menu += "<option>에스파냐어</option>";
menu += "<option>에스페란토</option>";
menu += "<option>중국어 병음</option>";
menu += "<option>체코어</option>";
menu += "<option>카탈란어</option>";
menu += "<option>터키어</option>";
menu += "<option>포르투갈어</option>";
menu += "<option>폴란드어</option>";
menu += "<option>프랑스어</option>";
menu += "<option>하와이어</option>";
menu += "<option>히브리어</option>";
menu += "</select>";
specialchars.innerHTML = menu + specialchars.innerHTML;
chooseCharSubset(0);
}
}
/* 특수 문자 선택 */
function chooseCharSubset(s) {
var l = document.getElementById('specialchars').getElementsByTagName('p');
for (var i = 0; i < l.length ; i++) {
l[i].style.display = i == s ? 'inline' : 'none';
l[i].style.visibility = i == s ? 'visible' : 'hidden';
}
}
/* 특정 위키에 적용 */
function customizeWiktionary() {
addCharSubsetMenu();
}
if (window.addEventListener) window.addEventListener("load",customizeWiktionary,false);
else if (window.attachEvent) window.attachEvent("onload",customizeWiktionary);
if (window.addEventListener) window.addEventListener("load",customizeWiktionary,false);
else if (window.attachEvent) window.attachEvent("onload",customizeWiktionary);
// 끝: Edittool Bars
// 시작 Enable multiple onload functions
if (!window.aOnloadFunctions) {
var aOnloadFunctions = new Array();
}
window.onload = function() {
if (window.aOnloadFunctions) {
for (var _i=0; _i<aOnloadFunctions.length; _i++) {
aOnloadFunctions[_i]();
}
}
}
// 끝: Enable multiple onload functions
// 시작: Dynamic Navigation Bars (말고 펴는 살피기칸 de에서 따옴)
document.write('<style type="text/css">.NavContent, .NavPic {display: none;}<\/style>');
var NavigationBarHide = '‹ ▲ ›';
var NavigationBarShow = '‹ ▼ ›';
/* NavigationBarShowDefault = 0; 처음 말은 상태
NavigationBarShowDefault = 1; 변환값이 1보다 크면 말은 상태 */
var NavigationBarShowDefault = 0;
/* 변환값: indexNavigationBar */
function toggleNavigationBar(indexNavigationBar)
{
var NavToggle = document.getElementById("NavToggle" + indexNavigationBar);
var NavFrame = document.getElementById("NavFrame" + indexNavigationBar);
if (!NavFrame || !NavToggle) {
return false;
}
/* 편 상태 */
if (NavToggle.firstChild.data == NavigationBarHide) {
for (
var NavChild = NavFrame.firstChild;
NavChild != null;
NavChild = NavChild.nextSibling
) {
if (NavChild.className == 'NavPic') {
NavChild.style.display = 'none';
}
if (NavChild.className == 'NavContent') {
NavChild.style.display = 'none';
}
if (NavChild.className == 'NavToggle') {
NavChild.firstChild.data = NavigationBarShow;
}
}
/* 말은 상태 */
} else if (NavToggle.firstChild.data == NavigationBarShow) {
for (
var NavChild = NavFrame.firstChild;
NavChild != null;
NavChild = NavChild.nextSibling
) {
if (NavChild.className == 'NavPic') {
NavChild.style.display = 'block';
}
if (NavChild.className == 'NavContent') {
NavChild.style.display = 'block';
}
if (NavChild.className == 'NavToggle') {
NavChild.firstChild.data = NavigationBarHide;
}
}
}
}
/* 펴기-말기 단추 */
function createNavigationBarToggleButton()
{
var indexNavigationBar = 0;
for(
var i=0;
NavFrame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div")[i];
i++
) {
if (NavFrame.className == "NavFrame") {
indexNavigationBar++;
var NavToggle = document.createElement("a");
NavToggle.className = 'NavToggle';
NavToggle.setAttribute('id', 'NavToggle' + indexNavigationBar);
NavToggle.setAttribute('href', 'javascript:toggleNavigationBar(' + indexNavigationBar + ');');
var NavToggleText = document.createTextNode(NavigationBarHide);
NavToggle.appendChild(NavToggleText);
NavFrame.insertBefore(
NavToggle,
NavFrame.firstChild
);
NavFrame.setAttribute('id', 'NavFrame' + indexNavigationBar);
}
}
if (NavigationBarShowDefault < indexNavigationBar) {
for(
var i=1;
i<=indexNavigationBar;
i++
) {
toggleNavigationBar(i);
}
}
}
hookEvent("load", createNavigationBarToggleButton);
// 끝: Dynamic Navigation Bars
MediaWiki:Aboutpage
11
sysop
1642
2005-04-29T08:01:44Z
아흔
9
rev.
{{ns:4}}:위키책 안내
MediaWiki:Accmailtext
18
sysop
1649
2005-04-27T16:25:23Z
아흔
9
rev.
'$1'의 암호(Password) $2 에게 보냄.
MediaWiki:Accmailtitle
19
sysop
1650
2005-04-27T16:24:22Z
아흔
9
transl.
암호(Password) 보냄.
MediaWiki:Acct creation throttle hit
20
sysop
1651
2005-04-27T16:27:57Z
아흔
9
transl.
사용자께서는 이미 등록 이름 $1 을(를) 갖고 있습니다. 같은 이름으로 더이상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MediaWiki:Actioncomplete
21
sysop
1652
2005-04-27T16:30:17Z
아흔
9
transl.
일 끝마침!
MediaWiki:Addedwatch
22
sysop
1653
2005-04-25T17:43:45Z
아흔
9
revised
문서 주시
MediaWiki:Addedwatchtext
23
sysop
1654
2005-04-27T16:34:03Z
아흔
9
rev.
"$1" 문서와 문서에 딸린 토론을
<a href="{{localurle:Special:Watchlist}}"> 주시 문서</a>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a href="{{localurle:Special:Recentchanges}}">최근 바뀜</a>에는 굵은 글씨로 나타나게 됩니다.</p>
<p>주시 문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주시 문서 해제"라는 링크를 누르시면 됩니다.
MediaWiki:Addgroup
24
sysop
1655
2005-04-27T16:34:58Z
아흔
9
transl.
그룹(Group) 추가
MediaWiki:Administrators
26
sysop
5654
2006-07-13T07:00:06Z
아흔
9
revert, because someone translated it in global-ko-PHP wrong.
{{ns:4}}:관리자
MediaWiki:Allarticles
29
sysop
1660
2005-04-25T17:44:50Z
아흔
9
transl.
모든 문서
MediaWiki:Alllogstext
30
sysop
1661
2005-04-28T06:46:56Z
아흔
9
transl.
올리기, 삭제, 보호, 차단 그리고 관리자 일지를 조합하여 화면에 제시.
일지 유형, 사용자 이름 혹은 관련 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보이기 칸을 아래로 펼쳐 보세요.
MediaWiki:Allmessages
31
sysop
4581
2006-01-25T15:14:40Z
아흔
9
rev.
시스템 메시지
MediaWiki:AllmessagesnotsupportedDB
32
sysop
1663
2005-04-28T06:33:46Z
아흔
9
transl.
알림: 데이타베이스 메시지와 연결이 안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 메시지를 쓸 수가 없습니다.
MediaWiki:AllmessagesnotsupportedUI
33
sysop
1664
2005-04-28T06:36:44Z
아흔
9
transl.
참여자가 현재 쓰고 있는 언어 <b>$1</b>은(는) 이 사이트의 시스템메시지에 의해 원조되지 않습니다.
MediaWiki:Allmessagestext
34
sysop
4841
2006-03-10T14:23:35Z
아흔
9
rev.
다음은 미디아위키 소프트웨어가 쓰고 있는 시스템 메시지입니다. 이 메시지는 오로지 관리자만이 고칠 수 있습니다.
MediaWiki:Allpages
35
sysop
6058
2006-09-28T16:48:46Z
아흔
9
retransl.
모든 문서들
MediaWiki:Allpagesformtext1
36
sysop
1667
2005-04-28T06:40:10Z
아흔
9
transl.
다음 페이지부터 화면에 보이기 시작: $1
MediaWiki:Allpagesformtext2
37
sysop
1668
2005-04-26T17:57:59Z
아흔
9
transl.
네임스페이스 선택: $1 $2
MediaWiki:Allpagesnamespace
38
sysop
1669
2005-04-26T17:56:52Z
아흔
9
transl.
모든 문서 ($1 네임스페이스)
MediaWiki:Allpagesnext
39
sysop
1670
2005-04-25T17:53:54Z
아흔
9
transl.
다음
MediaWiki:Allpagesprev
40
sysop
1671
2005-04-25T17:54:33Z
아흔
9
transl.
앞쪽
MediaWiki:Allpagessubmit
41
sysop
1672
2005-04-27T16:37:16Z
아흔
9
transl.
가기
MediaWiki:Alphaindexline
42
sysop
1673
2005-04-27T16:37:52Z
아흔
9
transl.
$1 에서 $2 까지
MediaWiki:Alreadyloggedin
43
sysop
1674
2005-04-27T16:39:35Z
아흔
9
rev.
<font color=blue>사용자 $1 께서는 지금 로그인하고 계십니다.</font><br />
MediaWiki:Alreadyrolled
44
sysop
1675
2005-04-28T06:54:47Z
아흔
9
transl.
사용자 [[User:$2|$2]]에 의해 [[$1]]을(를) 마지막으로 한 편집으로 되돌리기(rollback)가 불가능합니다.<br />
([[User talk:$2|사용자토론]]); 누군가가 이 페이지를 이미 편집하였거나 되돌렸습니다.<br />
마지막 편집을 한 사용자: [[User:$3|$3]] ([[User talk:$3|사용자토론]]).
MediaWiki:Ancientpages
45
sysop
3689
2005-08-02T09:42:29Z
아흔
9
rev.
오래된 페이지들
MediaWiki:And
46
sysop
1677
2005-04-27T16:40:22Z
아흔
9
transl.
그리고
MediaWiki:Anontalk
47
sysop
1678
2005-04-25T17:58:23Z
아흔
9
transl.
이 아이피 참여자에 대한 토론
MediaWiki:Anontalkpagetext
48
sysop
1679
2005-04-27T16:51:01Z
아흔
9
transl.
----이 페이지는 사용자 등록을 하고 있지 않은 익명자의 토론페이지입니다. 이와 같은 익명 참여자의 신원은 언제나 아이피(IP) 주소로 공개됩니다. 아이피 주소는 여러 다른 참여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만일 불필요하게 어떤 사항이 본인에게 빗대어 지적된다고 느끼신다면 [[Special:Userlogin|로그인]]을 하여서 익명 참여자가 갖는 혼란을 피하시기 바랍니다.
MediaWiki:Anonymous
49
sysop
1680
2005-04-25T17:59:31Z
아흔
9
transl.
위키책의 익명 사용자
MediaWiki:Article
52
sysop
1683
2005-04-25T18:00:04Z
아흔
9
transl.
문서 내용
MediaWiki:Articleexists
53
sysop
1684
2005-04-28T06:57:05Z
아흔
9
rev.
문서의 제목이 이미 존재하거나 혹은 문서의 제목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제목을 바꾸시기 바랍니다.
MediaWiki:Articlenamespace
54
sysop
1685
2005-04-25T18:00:41Z
아흔
9
transl.
(문서)
MediaWiki:Articlepage
55
sysop
1686
2005-04-25T18:01:08Z
아흔
9
transl.
문서 내용 보기
MediaWiki:Asksql
56
sysop
1687
2005-04-28T06:57:38Z
아흔
9
transl.
SQL 퀘리
MediaWiki:Asksqlpheading
57
sysop
1688
2005-04-28T06:59:05Z
아흔
9
transl.
SQL 문의 수준(level)
MediaWiki:Autoblocker
61
sysop
4848
2006-03-10T14:38:06Z
아흔
9
rev.
참여자의 아이피(IP) 주소는 "$1" 와 동일한 주소를 갖고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접속 차단되었습니다.<br />접속 차단 이유: "$2".
MediaWiki:Badarticleerror
62
sysop
1693
2005-04-25T18:02:19Z
아흔
9
transl.
지금 이 문서에 하고자 하는 일은 실행이 불가합니다.
MediaWiki:Badfilename
63
sysop
1694
2005-04-25T18:03:08Z
아흔
9
rev.
그림 이름이 "$1"(으)로 바뀌었습니다.
MediaWiki:Badfiletype
64
sysop
1695
2005-04-27T16:57:31Z
아흔
9
rev.
".$1" 파일은 올리지 않기를 권장합니다.
MediaWiki:Badipaddress
65
sysop
1696
2005-04-27T16:58:58Z
아흔
9
transl.
아이피(IP) 주소 잘못 이루어졌음.
MediaWiki:Badquery
66
sysop
1697
2005-04-25T18:04:35Z
아흔
9
rev.
부정확한 퀘리 낱말
MediaWiki:Badquerytext
67
sysop
5657
2006-07-13T07:10:54Z
아흔
9
rev.
물은 것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
이는 아마 묻는 말이 세 글자보다 적은 까닭일 수 있으며 혹은 낱말을 잘못 썼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시도하여 보세요.
MediaWiki:Badtitle
69
sysop
1700
2005-04-25T18:05:25Z
아흔
9
transl.
나쁜 제목
MediaWiki:Badtitletext
70
sysop
1701
2005-04-28T07:02:28Z
아흔
9
transl.
문의한 페이지 제목이 틀리거나, 비어 있거나 혹은 인터언어링크 또는 인터위키의 제목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MediaWiki:Blanknamespace
71
sysop
4595
2006-01-25T15:43:09Z
아흔
9
transl.
(문서)
MediaWiki:Blockedtext
73
sysop
4866
2006-03-22T16:55:53Z
아흔
9
rev.
참여자의 아이피(IP) 주소는 $1 에 의해 접속 차단되었습니다.
*[[{{SITENAME}}:접속 차단|접속 차단]]에 관한 의문 사항은 관리자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접속 차단 이유: $2
MediaWiki:Blockedtitle
74
sysop
4840
2006-03-10T14:22:54Z
아흔
9
rev.
참여자 접속 차단.
MediaWiki:Blockip
75
sysop
4842
2006-03-10T14:25:17Z
아흔
9
rev.
접속 차단된 아이피(IP):
MediaWiki:Blockipsuccesssub
76
sysop
4839
2006-03-10T14:22:18Z
아흔
9
rev.
접속 차단 완료.
MediaWiki:Blockipsuccesstext
77
sysop
4838
2006-03-10T14:21:52Z
아흔
9
rev.
아이피(IP) 주소 "$1" 접속 차단 되었음.
*[[Special:Ipblocklist|접속 차단 IP 명단]]
MediaWiki:Blockiptext
78
sysop
4837
2006-03-10T14:20:47Z
아흔
9
transl.
다음의 서식으로 아이피 주소 또는 등록 사용자를 접속 차단시키면 이를 해제시키기가 어렵습니다.
등록 사용자를 접속 차단을 시킬 때에는 언제나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시기 바랍니다. 이 근거는 접속 금지에 대한 시비가 있을 때 좋은 참고 자료가 됩니다. 가령 [[위키낱말사전:반달행위|반달행위]]는 접속 차단의 대표적인 근거로 손꼽을 수 있습니다.
접속 차단 시간 또는 기간은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영어로 이를테면 "5 hours" 또는 7 days"라고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Special:Ipblocklist|접속 차단 아이피 주소 명단]]
*[{{SERVER}}{{localurl:{{ns:Special}}:Ipblocklist|action=unblock}} 접속 차단 해제]
MediaWiki:Blocklink
79
sysop
5658
2006-07-13T07:12:30Z
아흔
9
transl.
접속 차단
MediaWiki:Blocklistline
80
sysop
6310
2006-11-22T14:50:29Z
아흔
9
rev.
$1,$2에 의해 $3 차단</br>$4
MediaWiki:Blocklogentry
81
sysop
4835
2006-03-10T14:19:31Z
아흔
9
transl.
* 접속 차단: [[$1]] ([[Spezial:Contributions/$1|기여 실적]])
* 차단 기간: '''$2'''
MediaWiki:Blocklogpage
82
sysop
4836
2006-03-10T14:20:01Z
아흔
9
rev.
접속 차단 일지(Block_log)
MediaWiki:Blocklogtext
83
sysop
4834
2006-03-10T14:18:56Z
아흔
9
rev.
이 페이지는 참여자의 접속 차단 및 해제 사항을 기록한 일지입니다. 자동적으로 접속 차단된 아이피 주소는 별도로 기록되지 않았습니다.<br /> 최근의 접속 차단자: [[Special:Ipblocklist|접속 차단 된 아이피(IP) 명단]]
MediaWiki:Blockpheading
84
sysop
1715
2005-04-28T07:09:44Z
아흔
9
transl.
접근금지 수준(block level)
MediaWiki:Bold sample
85
sysop
1716
2005-04-25T18:07:27Z
아흔
9
transl.
굵은 글씨
MediaWiki:Bold tip
86
sysop
1717
2005-04-25T18:08:07Z
아흔
9
transl.
굵은 글씨
MediaWiki:Booksources
87
sysop
1718
2005-04-25T18:08:52Z
아흔
9
rev.
책의 출처
MediaWiki:Booksourcetext
88
sysop
1719
2005-06-23T15:43:18Z
아흔
9
rev.
아래에는 새책이나 헌책을 파는 인터넷 웹사이트입니다. 그 곳에서 여러분이 관심을 갖고 있는 책의
정보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SITENAME}}은 아래의 웹사이트와 어떤 상업적 이해관계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MediaWiki:Brokenredirects
89
sysop
3693
2005-08-02T09:52:19Z
아흔
9
rev.
넘겨주기 중단
MediaWiki:Brokenredirectstext
90
sysop
1721
2005-04-25T18:10:51Z
아흔
9
transl.
문서 넘겨받는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MediaWiki:Bugreports
91
sysop
1722
2005-04-25T18:11:20Z
아흔
9
rev.
오류보고서
MediaWiki:Bugreportspage
92
sysop
1723
2005-04-25T18:12:04Z
아흔
9
rev.
{{ns:4}}:페이지에 오류 발견
MediaWiki:Cachederror
100
sysop
3737
2005-08-24T08:02:40Z
아흔
9
transl.
다음은 살펴보시고자 하는 문서들입니다. 때에 따라서는 아직 집계되지 않은 문서들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MediaWiki:Cannotdelete
102
sysop
1733
2005-04-28T07:36:39Z
아흔
9
transl.
특별한 이 페이지 혹은 그림은 삭제할 수 없습니다.
MediaWiki:Cantrollback
103
sysop
1734
2005-04-28T07:37:56Z
아흔
9
transl
편집을 되돌릴 수 없습니다: 마지막 기여자가 이 페이지의 편집자입니다.
MediaWiki:Categories
104
sysop
1735
2005-04-25T18:12:59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
MediaWiki:Categoriespagetext
105
sysop
1736
2005-04-25T18:14:43Z
아흔
9
transl.
다음의 카테고리들은 이미 존재합니다.
MediaWiki:Category
106
sysop
1737
2005-04-25T18:13:41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
MediaWiki:Category header
107
sysop
1738
2005-04-25T18:15:30Z
아흔
9
Articles in category
"$1" 카테고리가 붙여진 문서들
MediaWiki:Categoryarticlecount
108
sysop
1739
2005-05-02T18:33:08Z
아흔
9
rev.
합계: $1개 문서
MediaWiki:Categoryarticlecount1
109
sysop
1740
2005-05-02T18:34:15Z
아흔
9
rev.
합계: $1개 문서
MediaWiki:Changepassword
110
sysop
1741
2005-04-27T17:23:14Z
아흔
9
rev.
암호(Password) 바꾸기
MediaWiki:Changes
111
sysop
1742
2005-05-06T12:58:08Z
아흔
9
rev.
비교
MediaWiki:Clearyourcache
112
sysop
6382
2006-12-11T15:07:25Z
아흔
9
rev.
<div style="padding:1em; border:0px solid #AAAAAA; border-width:0 1px 1px 0; background-color:#F2F2F2;">
참여자께서 편집을 한 후 바뀐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브라우저의 캐시를 비워야 합니다. 캐시를 비우기 위한 단축키는 참여자께서 쓰고 있는 브라우저에 따라 다음과 같습니다.<br/>
* '''Mozilla : Ctrl-R'''
* '''IE / Opera : Ctrl-F5'''
* '''Safari : Cmd-R'''
* '''Konqueror : Ctrl-R'''
</div>
MediaWiki:Columns
113
sysop
1744
2005-04-25T18:20:08Z
아흔
9
rev.
칸
MediaWiki:Compareselectedversions
114
sysop
1745
2005-04-25T18:21:16Z
아흔
9
transl.
해당 문서 역사 비교
MediaWiki:Confirm
115
sysop
1746
2005-04-25T18:21:30Z
아흔
9
transl.
확인
MediaWiki:Confirmcheck
116
sysop
1747
2005-04-25T18:22:22Z
아흔
9
transl.
이 문서의 삭제를 확인함.
MediaWiki:Confirmdelete
117
sysop
1748
2005-04-25T18:23:03Z
아흔
9
transl.
삭제 확인
MediaWiki:Confirmdeletetext
118
sysop
6315
2006-11-22T15:30:59Z
아흔
9
rev.
관리자께서는 지금 문서 혹은 그림과 함께 이에 딸린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를 삭제시키려는 중입니다. 이 일은 위키책의 [[Wikibooks:문서삭제 지침|삭제 지침]]에 따르며 또한 삭제로 인하여 빚어지는 결과를 관리자께서 잘 알고 있다는 조건 밑에 처리되어야 합니다.
MediaWiki:Confirmprotect
119
sysop
3504
2005-07-08T15:56:28Z
아흔
9
transl.
문서보호 확인
MediaWiki:Confirmprotecttext
120
sysop
3505
2005-07-08T15:57:42Z
아흔
9
transl.
이 페이지가 보호되는 것을 진정으로 원하십니까?
MediaWiki:Confirmunprotect
121
sysop
3506
2005-07-08T15:58:41Z
아흔
9
transl.
문서 보호 해제 확인
MediaWiki:Confirmunprotecttext
122
sysop
3507
2005-07-08T16:00:13Z
아흔
9
transl.
이 페이지가 문서보호에서 해제되는 것을 진정으로 원하십니까?
MediaWiki:Contribslink
125
sysop
3738
2005-08-24T08:03:46Z
아흔
9
transl.
기여
MediaWiki:Copyright
128
sysop
5362
2006-05-27T07:37:59Z
아흔
9
rev.
<div style="text-align:center">저작권은 $1에 준용</div>
MediaWiki:Copyrightpage
129
sysop
5680
2006-08-22T17:19:42Z
아흔
9
restore
{{ns:4}}:저작권
MediaWiki:Copyrightwarning
131
sysop
5324
2006-05-27T06:56:39Z
아흔
9
rev.
{| id="editpage-copywarn-copywarn" style="margin-top:.5em; :border:2px solid #D0AAAA; background:#FAFAFA;"
|-
| style="padding:.2em 1em 0 1em;font-size:85%;" | '''저장하시기 전에...'''
:{{SITENAME}}에 수록된 내용은 <b>GNU 자유문서 사용허가서 ([[Wikibooks:GNU FDL|GNU FDL]])</b>의 규준에 따라서 출판 배포될 수 있습니다. <b>[[Wikibooks:저작권|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내용은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수록하지 않기를 당부합니다.</b>
|}
MediaWiki:Copyrightwarning2
132
sysop
4864
2006-03-22T16:52:58Z
아흔
9
rev.
{| id="editpage-copywarn-copywarn" style="margin-top:.5em; :border:2px solid #D0AAAA; background:#FAFAFA;"
|-
| style="padding:.2em 1em 0 1em;font-size:85%;" | '''저장하시기 전에...'''
:{{SITENAME}}에 수록된 내용은 <b>GNU 자유문서 사용허가서 ([[Wikibooks:GNU FDL|GNU FDL]])</b>의 규준에 따라서 출판 배포될 수 있습니다. <b>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내용은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수록하지 않기를 당부합니다.</b>($1 참조)
|}
MediaWiki:Couldntremove
133
sysop
1764
2005-04-25T18:30:33Z
아흔
9
transl.
'''$1'''은(는) 옮기기가 불가능합니다.
MediaWiki:Createaccount
134
sysop
1765
2005-04-25T18:32:02Z
아흔
9
rev.
사용자 등록
MediaWiki:Createaccountmail
135
sysop
1766
2005-04-25T18:33:07Z
아흔
9
rev.
이메일 주소
MediaWiki:Currentevents
139
sysop
4524
2006-01-19T18:11:09Z
아흔
9
rev.
게시판
MediaWiki:Currentevents-url
140
sysop
4525
2006-01-19T18:11:55Z
아흔
9
rev.
Wikibooks:게시판
MediaWiki:Currentrev
141
sysop
1772
2005-04-25T18:36:02Z
아흔
9
rev.
현재 교정
MediaWiki:Currentrevisionlink
142
sysop
1773
2005-04-25T18:36:27Z
아흔
9
transl.
현재 교정 보기
MediaWiki:Data
143
sysop
1774
2005-04-25T18:37:03Z
아흔
9
transl.
자료 (데이타)
MediaWiki:Databaseerror
144
sysop
1775
2005-04-25T18:37:40Z
아흔
9
transl.
데이타베이스 오차
MediaWiki:Dateformat
145
sysop
1776
2005-04-25T18:38:38Z
아흔
9
transl.
날짜 포맷
MediaWiki:Deadendpages
148
sysop
1779
2005-04-26T18:06:32Z
아흔
9
transl.
오래동안 방치된 문서
MediaWiki:Defemailsubject
154
sysop
1785
2005-04-25T18:39:39Z
아흔
9
transl.
{{SITENAME}} 이메일
MediaWiki:Delete
155
sysop
1786
2005-04-25T18:40:10Z
아흔
9
transl.
삭제
MediaWiki:Deletecomment
156
sysop
1787
2005-04-25T18:40:47Z
아흔
9
transl.
삭제 이유
MediaWiki:Deletedarticle
157
sysop
1788
2005-04-25T18:41:30Z
아흔
9
삭제
"$1" 삭제시킴
MediaWiki:Deletedrevision
158
sysop
1789
2005-04-25T18:42:50Z
아흔
9
transl.
$1의 삭제된 과거
MediaWiki:Deletedtext
159
sysop
6311
2006-11-22T14:54:27Z
아흔
9
rev.
'''"$1"''' 삭제 되었음.<br/>
최근에 삭제된 기록: $2.
MediaWiki:Deleteimg
160
sysop
1791
2005-04-25T18:43:34Z
아흔
9
rev.
그림 삭제
MediaWiki:Deleteimgcompletely
161
sysop
1792
2005-04-25T18:44:09Z
아흔
9
rev.
그림 삭제
MediaWiki:Deletepage
162
sysop
1793
2005-04-25T18:44:44Z
아흔
9
transl.
페이지 삭제
MediaWiki:Deletepheading
163
sysop
1794
2005-04-25T18:46:27Z
아흔
9
transl.
삭제 Level
MediaWiki:Deletesub
164
sysop
1795
2005-04-25T18:47:02Z
아흔
9
transl.
(삭제 "$1")
MediaWiki:Deletethispage
165
sysop
1796
2005-04-25T18:47:29Z
아흔
9
rev.
페이지 삭제
MediaWiki:Deletionlog
166
sysop
1797
2005-04-27T17:27:07Z
아흔
9
transl.
삭제일지
MediaWiki:Dellogpage
167
sysop
1798
2005-04-27T17:27:40Z
아흔
9
transl.
삭제일지
MediaWiki:Dellogpagetext
168
sysop
1799
2005-04-27T17:30:10Z
아흔
9
transl.
아래에는 최근에 삭제된 기록입니다.
기재 시간은 서버의 시간(UTC)에 따름.
<ul>
</ul>
MediaWiki:Difference
172
sysop
1803
2005-04-25T18:48:27Z
아흔
9
rev.
(교정 버전 차이)
MediaWiki:Disambiguations
173
sysop
1804
2005-04-25T18:49:13Z
아흔
9
transl.
동음이의 문서
MediaWiki:Disambiguationspage
174
sysop
1805
2005-04-28T07:41:14Z
아흔
9
rev.
{{ns:4}}: 동음이의 문서
MediaWiki:Disclaimerpage
176
sysop
1807
2005-04-28T07:41:54Z
아흔
9
rev.
{{ns:4}}:일반 유의사항
MediaWiki:Disclaimers
177
sysop
4966
2006-04-12T15:23:59Z
아흔
9
rev.
유의사항</div>
MediaWiki:Doubleredirects
178
sysop
1809
2005-04-25T18:52:07Z
아흔
9
transl.
넘겨주기 반복
MediaWiki:Edit
180
sysop
1811
2005-04-25T18:52:40Z
아흔
9
transl.
편집
MediaWiki:Editcomment
181
sysop
1812
2005-04-25T18:53:47Z
아흔
9
transl.
편집에 붙여진 글: "<i>$1</i>".
MediaWiki:Editconflict
182
sysop
6107
2006-10-23T07:34:10Z
아흔
9
revert
고치기 충돌: $1
MediaWiki:Editcurrent
183
sysop
1814
2005-04-25T18:54:30Z
아흔
9
rev.
현재 버전의 문서 편집
MediaWiki:Edithelppage
186
sysop
5681
2006-08-22T17:20:35Z
아흔
9
restore
{{ns:4}}:문서_편집_방법
MediaWiki:Editing
187
sysop
1818
2005-04-25T19:03:17Z
아흔
9
rev.
$1 고쳐쓰기
MediaWiki:Editingcomment
188
sysop
1819
2005-04-25T18:56:37Z
아흔
9
transl.
편집 $1 (덧붙이는 글)
MediaWiki:Editingold
189
sysop
1820
2005-04-25T18:59:06Z
아흔
9
rev.
<strong>경고: 지금 옛날 버전에 담긴 문서의 내용을 고치고 있습니다.<br/>
지금 여기서 저장을 하게 될 경우, 옛날 버전으로 문서의 내용이 되돌려집니다.</strong>
MediaWiki:Editingsection
190
sysop
1821
2005-04-27T17:31:08Z
아흔
9
transl.
편집 $1 (문단)
MediaWiki:Editsection
191
sysop
3510
2005-07-08T16:03:58Z
아흔
9
rev.
+/-
MediaWiki:Editthispage
192
sysop
1823
2005-04-25T19:02:39Z
아흔
9
rev.
고쳐쓰기
MediaWiki:Editusergroup
193
sysop
1824
2005-04-26T18:39:19Z
아흔
9
transl.
User Groups 편집
MediaWiki:Emailflag
194
sysop
1825
2005-04-26T18:36:23Z
아흔
9
rev.
다른 사용자로부터 이메일 거부
MediaWiki:Emailforlost
195
sysop
1826
2005-04-26T18:37:30Z
아흔
9
rev.
암호를 잊었을 때에는 이메일로 새 암호를 요청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MediaWiki:Emailmessage
197
sysop
1828
2005-04-26T18:38:30Z
아흔
9
rev.
이메일 내용
MediaWiki:Emailpage
198
sysop
1829
2005-04-25T19:01:28Z
아흔
9
rev.
이메일 쓰기
MediaWiki:Emailpagetext
199
sysop
1830
2005-06-23T15:36:40Z
아흔
9
rev.
만일 이 사용자가 개인맞춤에서 자신의 올바른 이메일 주소를 써 넣었다면, 참여자께서는 아래의 편집창에서 그(녀)에게 이메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수신자가 답을 할 수 있도록 발신자의 이메일 주소는 이메일에 따라 붙습니다.
:가끔 이메일을 받고 보내는 데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MediaWiki:Emailsent
201
sysop
1832
2005-04-26T18:35:35Z
아흔
9
rev
이메일 보냄
MediaWiki:Emailsenttext
202
sysop
1833
2005-04-26T18:09:11Z
아흔
9
rev.
이메일 보냈습니다.
MediaWiki:Emailuser
205
sysop
1836
2005-04-28T07:44:58Z
아흔
9
rev.
이메일 이 사용자에게
MediaWiki:Error
208
sysop
1839
2005-04-26T18:10:48Z
아흔
9
transl.
오류
MediaWiki:Exbeforeblank
210
sysop
1841
2005-04-26T18:12:33Z
아흔
9
transl.
문서가 비워지기 전의 내용:
MediaWiki:Exblank
211
sysop
1842
2005-04-27T17:32:40Z
아흔
9
rev.
문서 비어 있음
MediaWiki:Excontent
212
sysop
1843
2005-04-26T18:11:57Z
아흔
9
transl.
문서에 담긴 내용:
MediaWiki:Explainconflict
213
sysop
1844
2005-04-27T17:38:16Z
아흔
9
rev.
문서가 편집되는 과정에서 아마 다른 참여자가 동시에 편집을 하였습니다.<br />
위쪽이 바뀐 현재 문서이고, 아래쪽이 참여자가 편집한 내용입니다.
참여자께서 만일 편집 내용을 저장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편집 내용을 따로 복사하여 다시 편집창을 열어 복사한 내용을 저장하시기 바랍니다. 지금 저장하시면 <b>오직</b> 위쪽에 있는 내용만 저장됩니다.<p>
MediaWiki:Export
214
sysop
1845
2005-04-26T18:14:09Z
아흔
9
transl.
문서 수출
MediaWiki:Exportcuronly
215
sysop
1846
2005-04-26T18:15:55Z
아흔
9
전체 문서역사 빼고 현재 교정된 것만 포함
MediaWiki:Extlink sample
217
sysop
3519
2005-07-08T16:20:28Z
아흔
9
rev.
http://ko.Wiktionary.org/대문 링크 제목
MediaWiki:Extlink tip
218
sysop
1849
2005-04-26T18:17:59Z
아흔
9
transl.
외부링크 (언제나 http://웹사이트 주소)
MediaWiki:Faq
219
sysop
1850
2005-04-28T07:49:05Z
아흔
9
rev.
FAQ
MediaWiki:Faqpage
220
sysop
1851
2005-04-28T07:49:46Z
아흔
9
rev.
{{ns:4}}:잦은 질문과 답(FAQ)
MediaWiki:Filecopyerror
224
sysop
1855
2005-04-26T18:18:51Z
아흔
9
transl.
"$1"를 "$2"로 복사 불가능.
MediaWiki:Filedeleteerror
225
sysop
1856
2005-04-26T18:19:49Z
아흔
9
transl.
"$1" 삭제 불가능.
MediaWiki:Filedesc
226
sysop
5359
2006-05-27T07:31:02Z
아흔
9
rev.
짧은 설명
MediaWiki:Fileexists
227
sysop
1858
2005-04-26T18:23:33Z
아흔
9
transl.
이 파일 제목은 이미 존재하고 있습니다. 제목 바꾸는데 확신이 없으시면, 한번 $1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MediaWiki:Filemissing
228
sysop
1859
2005-04-26T18:20:34Z
아흔
9
transl.
문서 사라짐
MediaWiki:Filenotfound
230
sysop
1861
2005-04-26T18:24:20Z
아흔
9
transl.
파일 "$1" 찾을 수 없음.
MediaWiki:Filerenameerror
231
sysop
1862
2005-04-26T18:25:20Z
아흔
9
transl.
문서제목 "$1"을(를) "$2" (으)로 바꿀 수 없음.
MediaWiki:Filesource
232
sysop
1863
2005-04-25T19:04:48Z
아흔
9
transl.
출처
MediaWiki:Filestatus
233
sysop
1864
2005-04-25T19:05:23Z
아흔
9
transl.
저작권 상태
MediaWiki:Fileuploaded
234
sysop
1865
2005-06-23T15:20:06Z
아흔
9
rev.
"$1" 올라갔습니다!<br/>
참여자께서 자료를 올리면서 자료에 관한 정보를 기재하지 않았다면,
미디아 자료에 딸린 페이지 ($2)에서 자료의 출처와 [[Wikibooks:저작권|저작권]]에 관한 사항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MediaWiki:Formerror
235
sysop
1866
2005-06-23T15:45:10Z
아흔
9
rev.
허용되어 있지 않은 파일 형태!
MediaWiki:Getimagelist
238
sysop
6383
2006-12-11T15:07:56Z
아흔
9
rev.
올려진 그림들 찾음
MediaWiki:Guesstimezone
241
sysop
1872
2005-04-28T07:53:00Z
아흔
9
transl.
브라우저에서 채워넣기
MediaWiki:Headline sample
242
sysop
3690
2005-08-02T09:44:30Z
아흔
9
rev.
머리 문단
MediaWiki:Headline tip
243
sysop
1874
2005-04-26T18:30:28Z
아흔
9
transl.
두번째로 큰 문단
MediaWiki:Helppage
245
sysop
5679
2006-08-22T17:17:53Z
아흔
9
restore
{{ns:4}}:도움말
MediaWiki:Hidetoc
247
sysop
1878
2005-04-25T19:06:05Z
아흔
9
transl.
숨기기
MediaWiki:Histlegend
249
sysop
4865
2006-03-22T16:54:29Z
아흔
9
rev.
{| width="100%" id="histlegend" style="border:2px solid #DFDFDF; margin-top:1em; margin-bottom:1em; padding:.3em 3em .3em .3em; background-color:#FFFFF3; font-size:85%; clear:both"
|-
| width="50%" style="vertical-align:top" |
* [[{{SITENAME}}:문서역사|문서 역사]]
* (현재) : 현재 문서 내용과 차이
* (이전) : 앞 선 문서 내용과 차이
| style="vertical-align:top;" |
* 날자와 시간 : 고쳐진 때
* 사용자 이름 또는 아이피 주소: 고친 사람
* 잔글 : 사소한 편집
|}
MediaWiki:History short
252
sysop
1883
2005-04-25T19:06:23Z
아흔
9
transl.
문서역사
MediaWiki:Historywarning
253
sysop
6316
2006-11-22T15:33:48Z
아흔
9
rev.
경고: 지금 삭제하고자 하는 문서 또는 그림은 편집 과정을 기록한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MediaWiki:Hr tip
254
sysop
1885
2005-04-27T17:39:33Z
아흔
9
rev
밑줄치기 (사용절제)
MediaWiki:Illegalfilename
256
sysop
1887
2005-04-26T18:33:41Z
아흔
9
transl.
파일 제목 "$1"은 페이지 제목으로 허용되지 않는 표식을 갖고 있습니다. 파일 제목을 바꾸어 다시 올리기를 하여 주십시요.
MediaWiki:Image sample
259
sysop
5350
2006-05-27T07:20:45Z
아흔
9
rev.
MediaWiki:Image tip
260
sysop
1891
2005-04-25T19:09:06Z
아흔
9
transl.
끼워진 그림
MediaWiki:Imagelinks
261
sysop
1892
2005-04-25T19:09:49Z
아흔
9
rev.
그림의 링크
MediaWiki:Imagelist
262
sysop
4523
2006-01-19T18:03:15Z
아흔
9
rev.
올려진 그림들
MediaWiki:Imagelisttext
263
sysop
6384
2006-12-11T15:08:27Z
아흔
9
rev.
$2순으로 정리된 $1개의 그림입니다.
MediaWiki:Imagemaxsize
264
sysop
5348
2006-05-27T07:19:09Z
아흔
9
transl.
그림 페이지에서 보는 그림 크기 제한:
MediaWiki:Imagepage
265
sysop
1896
2005-04-26T18:34:21Z
아흔
9
transl.
그림 페이지 보기
MediaWiki:Imagereverted
266
sysop
1897
2005-04-26T18:44:52Z
아흔
9
transl.
그림을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기 성공.
MediaWiki:Imgdelete
267
sysop
3524
2005-07-08T16:27:12Z
아흔
9
rev.
삭제
MediaWiki:Imgdesc
268
sysop
5347
2006-05-27T07:18:26Z
아흔
9
rev.
그림 설명
MediaWiki:Imghistlegend
269
sysop
1900
2005-04-28T08:19:23Z
아흔
9
rev.
설명: (현재) = 현재의 그림: (지움) = 옛 버전 지움: (돌림) = 옛 버전으로 되돌림<br />
올린 날짜별 그림을 보시려면 날짜를 누르세요.
MediaWiki:Imglegend
271
sysop
1902
2005-04-26T18:45:40Z
아흔
9
rev.
설명: (설명) = 그림의 설명을 보입니다/고칩니다.
MediaWiki:Import
272
sysop
1903
2005-04-26T18:34:47Z
아흔
9
transl.
수입 문서
MediaWiki:Importfailed
273
sysop
1904
2005-04-26T18:46:29Z
아흔
9
transl.
문서 수입 실패: $1
MediaWiki:Importnotext
275
sysop
1906
2005-04-26T18:47:46Z
아흔
9
transl.
문서 비어 있음
MediaWiki:Importsuccess
276
sysop
1907
2005-04-26T18:48:15Z
아흔
9
transl.
문서 수입 성공!
MediaWiki:Info short
278
sysop
1909
2005-04-26T18:48:50Z
아흔
9
transl.
안내
MediaWiki:Infosubtitle
281
sysop
1912
2005-04-28T07:54:41Z
아흔
9
transl.
페이지에 관한 정보
MediaWiki:Internalerror
282
sysop
1913
2005-04-27T17:40:20Z
아흔
9
transl.
내부 오류
MediaWiki:Intl
283
sysop
1914
2005-04-26T18:49:25Z
아흔
9
transl.
인터언어 링크
MediaWiki:Ip range invalid
284
sysop
1915
2005-04-26T18:50:55Z
아흔
9
transl.
유효하지 않은 아이피(IP) 범위.
MediaWiki:Ipaddress
285
sysop
1916
2005-04-26T18:51:41Z
아흔
9
transl.
아이피 (IP) 주소
MediaWiki:Ipb expiry invalid
286
sysop
4831
2006-03-10T14:16:49Z
아흔
9
rev.
차단 기간 부적절.
MediaWiki:Ipbexpiry
287
sysop
4830
2006-03-10T14:16:21Z
아흔
9
rev.
차단 기간
MediaWiki:Ipblocklist
288
sysop
6105
2006-10-23T07:31:52Z
아흔
9
rev.
접속 차단된 IP 및 사용자 명단
MediaWiki:Ipbreason
289
sysop
1920
2005-04-27T17:41:38Z
아흔
9
transl.
이유
MediaWiki:Ipbsubmit
290
sysop
4826
2006-03-10T14:13:55Z
아흔
9
rev.
이 주소 접속 차단
MediaWiki:Ipusubmit
291
sysop
4825
2006-03-10T14:13:19Z
아흔
9
rev.
이 주소 접속 차단 해제
MediaWiki:Ipusuccess
292
sysop
4824
2006-03-10T14:12:53Z
아흔
9
rev.
아이피 주소(IP) "$1" 접속 차단 해제시킴.
MediaWiki:Italic sample
295
sysop
1926
2005-04-25T19:11:53Z
아흔
9
transl.
누은 글씨
MediaWiki:Italic tip
296
sysop
1927
2005-04-25T19:11:13Z
아흔
9
transl.
누은 글씨
MediaWiki:Iteminvalidname
297
sysop
1928
2005-04-27T17:43:01Z
아흔
9
transl.
'$1' 문제 발생, 제목 부적합 ...
MediaWiki:Largefile
304
sysop
1935
2005-04-28T07:58:06Z
아흔
9
rev.
그림 용량이 100 KByte를 넘지않도록 하여 주세요.
MediaWiki:Lastmodified
306
sysop
5361
2006-05-27T07:36:08Z
아흔
9
rev.
<div style="text-align:center">이 페이지의 최근 수정 날자: $1</div>
MediaWiki:Lastmodifiedby
307
sysop
1938
2005-04-26T18:57:45Z
아흔
9
transl.
이 문서는 $2에 의해서 마지막으로 $1 바뀌었습니다.
MediaWiki:Link sample
309
sysop
1940
2005-04-25T19:13:30Z
아흔
9
transl.
링크제목
MediaWiki:Link tip
310
sysop
1941
2005-04-27T17:43:53Z
아흔
9
transl.
내부에 링크하기
MediaWiki:Linklistsub
311
sysop
1942
2005-04-27T17:44:52Z
아흔
9
rev.
(링크 목록)
MediaWiki:Linkshere
312
sysop
1943
2005-04-25T19:14:57Z
아흔
9
rev.
링크된 문서들
MediaWiki:Linkstoimage
313
sysop
1944
2005-04-25T19:16:19Z
아흔
9
rev.
그림을 담고 있는 링크된 문서들:
MediaWiki:Listadmins
315
sysop
1946
2005-04-25T19:14:24Z
아흔
9
transl.
관리자 명단
MediaWiki:Listform
316
sysop
1947
2005-04-28T07:59:08Z
아흔
9
rev.
명단
MediaWiki:Listusers
318
sysop
6060
2006-09-28T16:52:51Z
아흔
9
rev.
등록 사용자들
MediaWiki:Loadingrev
320
sysop
1951
2005-04-28T08:00:05Z
아흔
9
rev.
버전 차이를 받고 있습니다.
MediaWiki:Lockbtn
322
sysop
1953
2005-04-28T08:05:11Z
아흔
9
rev.
데이타베이스 폐쇄
MediaWiki:Lockconfirm
323
sysop
1954
2005-04-28T08:04:17Z
아흔
9
transl.
데이타베이스를 폐쇄하기를 바랍니다.
MediaWiki:Lockdb
324
sysop
1955
2005-04-28T08:04:45Z
아흔
9
rev.
데이타베이스 폐쇄
MediaWiki:Lockdbsuccesssub
325
sysop
1956
2005-04-28T08:05:51Z
아흔
9
transl.
데이타베이스 폐쇄 성공
MediaWiki:Log
329
sysop
1960
2005-04-28T08:06:34Z
아흔
9
transl.
일지(Logs)
MediaWiki:Login
330
sysop
1961
2005-04-25T19:17:31Z
아흔
9
rev.
로그인
MediaWiki:Loginend
331
sysop
4598
2006-01-25T15:46:56Z
아흔
9
clear
MediaWiki:Loginerror
332
sysop
1963
2005-04-26T19:00:12Z
아흔
9
rev.
로그인 오류
MediaWiki:Loginpagetitle
333
sysop
1964
2005-04-25T19:18:09Z
아흔
9
rev.
로그인
MediaWiki:Loginproblem
334
sysop
1965
2005-04-26T19:00:58Z
아흔
9
rev.
<b>로그인에 문제가 있습니다.</b><br />다시 해 보세요!
MediaWiki:Loginprompt
335
sysop
1966
2005-04-26T19:04:20Z
아흔
9
transl.
{{SITENAME}}에 로그인 하기 위해서는 쿠키를 설치하게 됩니다.
MediaWiki:Loginreqtext
336
sysop
1967
2005-04-27T17:46:42Z
아흔
9
transl.
페이지를 보기 위해서는 [[special:Userlogin|로그인]]하셔야 합니다.
MediaWiki:Loginreqtitle
337
sysop
1968
2005-04-26T19:02:24Z
아흔
9
transl.
로그인을 하셔야 합니다.
MediaWiki:Loginsuccess
338
sysop
1969
2005-04-27T17:48:03Z
아흔
9
rev.
"$1" {{SITENAME}}에 로그인 성공.
MediaWiki:Loginsuccesstitle
339
sysop
1970
2005-04-25T19:18:52Z
아흔
9
rev.
로그인 성공
MediaWiki:Logout
340
sysop
1971
2005-04-26T19:01:26Z
아흔
9
transl.
로그아웃
MediaWiki:Logouttext
341
sysop
6313
2006-11-22T15:13:39Z
아흔
9
rev.
<div style="margin-top:20px; border:0px solid #AAAAAA; border-width:0 1px 1px 0; text-align:center; font-size:110%; background-color:#F2F2F2; padding:.5em: ">
'''{{SITENAME}}에서 로그아웃하였습니다.'''
사용자 이름으로 편집을 원하신다면 다시 [[Special:Userlogin|로그인]]을 하셔야 합니다.
</div>
MediaWiki:Logouttitle
342
sysop
1973
2005-04-27T17:48:37Z
아흔
9
rev.
로그아웃
MediaWiki:Lonelypages
343
sysop
6061
2006-09-28T16:53:29Z
아흔
9
retransl.
외톨이 문서들
MediaWiki:Longpages
344
sysop
6068
2006-09-28T16:58:38Z
아흔
9
rev.
내용이 긴 문서들
MediaWiki:Longpagewarning
345
sysop
1976
2005-06-16T19:07:03Z
아흔
9
transl.
<b>주의: 이 문서의 용량은 $1 킬로바이트입니다.</b><br/>
참여자가 쓰고 계시는 브라우저에 따라서는 문서 용량이 32 킬로바이트 이상일 경우에 문서 저장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참여자께서 문서를 여럿으로 나누어 편집하시기를 권장합니다.
MediaWiki:Mailerror
346
sysop
1977
2005-04-26T19:05:38Z
아흔
9
transl.
이메일 전송에 오류: $1
MediaWiki:Mailmypassword
347
sysop
1978
2005-04-27T17:53:59Z
아흔
9
rev.
새암호(Password)를 이메일로 보냅니다.
MediaWiki:Mailnologin
348
sysop
1979
2005-04-27T17:54:39Z
아흔
9
rev.
이메일 주소 없음.
MediaWiki:Mailnologintext
349
sysop
4713
2006-02-16T17:25:16Z
아흔
9
rev.
다른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서는
# {{SITENAME}}에 [[Special:Userlogin|로그인]]하고 있어야 하며
# [[Special:Preferences|개인맞춤]]에서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써넣었을 때에만 가능합니다.
MediaWiki:Maintenance
353
sysop
1984
2005-04-28T08:21:21Z
아흔
9
transl.
대기하는 문서
MediaWiki:Makesysop
356
sysop
6103
2006-10-23T07:30:54Z
아흔
9
rev.
관리자(Admin)로 만듬.
MediaWiki:Makesysopfail
357
sysop
6102
2006-10-23T07:30:28Z
아흔
9
rev.
사용자 '''$1'''(을)를 관리자로 만들 수 없습니다. 혹시 이름을 맞게 썼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
MediaWiki:Makesysopok
359
sysop
6101
2006-10-23T07:29:31Z
아흔
9
rev.
사용자 '''$1'''(을)를 관리자로 만들었습니다!
MediaWiki:Makesysopsubmit
360
sysop
6100
2006-10-23T07:29:04Z
아흔
9
rev.
이 사용자를 관리자로 만들기.
MediaWiki:Makesysoptext
361
sysop
6099
2006-10-23T07:28:35Z
아흔
9
rev.
아래는 사무 관리자(bureaucrat)가 사용자를 일반 관리자(administrator)로 만들 수 있는 서식입니다. 빈 칸에 사용자 이름을 써넣은 다음 단추를 누르시면 됩니다.
MediaWiki:Makesysoptitle
362
sysop
6098
2006-10-23T07:28:00Z
아흔
9
rev.
사용자를 일반 관리자(admin)으로 만들기
MediaWiki:Matchtotals
370
sysop
2001
2005-06-23T15:47:48Z
아흔
9
rev.
* ''''$1''''의 제목이 수록된 문서: $2 편
* ''''$1''''의 내용을 담고있는 문서: $3 편
MediaWiki:Math lexing error
376
sysop
2007
2005-04-27T18:01:17Z
아흔
9
transl.
수치 잘못 씀
MediaWiki:Math sample
378
sysop
2009
2005-04-28T08:23:46Z
아흔
9
transl.
수학 공식을 여기에 써넣으세요.
MediaWiki:Math syntax error
379
sysop
2010
2005-04-27T18:00:39Z
아흔
9
transl.
공식 잘못 씀
MediaWiki:Math tip
380
sysop
2011
2005-04-27T17:59:24Z
아흔
9
transl.
수학공식 쓰기(LaTeX)
MediaWiki:Math unknown error
381
sysop
2012
2005-04-27T18:02:30Z
아흔
9
transl.
오류 원인 불명
MediaWiki:Math unknown function
382
sysop
2013
2005-04-28T08:24:36Z
아흔
9
transl.
모르는 기능
MediaWiki:Media tip
386
sysop
2017
2005-04-27T18:03:24Z
아흔
9
transl.
미디아 파일 링크하기
MediaWiki:Minlength
387
sysop
2018
2005-06-23T15:50:49Z
아흔
9
rev.
파일의 이름은 반드시 두 글자 이상이어야 합니다.
MediaWiki:Minoreditletter
389
sysop
2020
2005-04-25T19:20:30Z
아흔
9
rev.
잔글
MediaWiki:Mispeelings
390
sysop
2021
2005-04-28T08:25:24Z
아흔
9
transl.
철자가 틀린 페이지들
MediaWiki:Mispeelingspage
391
sysop
2022
2005-04-28T08:26:55Z
아흔
9
transl.
철자 오류 제시
MediaWiki:Moredotdotdot
399
sysop
2030
2005-04-28T08:27:40Z
아흔
9
transl.
다음...
MediaWiki:Move
400
sysop
2031
2005-04-25T19:21:03Z
아흔
9
transl.
문서 옮기기
MediaWiki:Movearticle
401
sysop
6062
2006-09-28T16:54:16Z
아흔
9
retransl.
문서 옮기기
MediaWiki:Movenologin
403
sysop
2034
2005-04-26T19:06:49Z
아흔
9
rev.
로그아웃 중
MediaWiki:Movenologintext
404
sysop
2035
2005-06-16T18:57:55Z
아흔
9
rev.
{{SITENAME}}에 로그인 하고 있을 때에만 문서를 옮길 수 있습니다.
MediaWiki:Movepage
405
sysop
6347
2006-11-22T16:06:37Z
아흔
9
rev.
문서 옮기기
MediaWiki:Movepagebtn
406
sysop
6063
2006-09-28T16:54:38Z
아흔
9
retransl.
옮기기
MediaWiki:Movepagetalktext
407
sysop
2038
2005-06-16T19:16:43Z
아흔
9
transl.
딸린 토론 문서는 아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동적으로 문서와 함께 옮겨집니다.
* 서로 다른 네임스페이스로 문서를 옮길 경우,
* 옮기고자 하는 문서의 새 이름에 토론 페이지가 비어 있지 않을 경우,
* 아래의 확인칸을 누르지 않을 경우.
위의 경우에서 만일 토론 페이지가 같이 옮겨지지 않았을 경우, 그러나 같이 옮기고자 원하다면 참여자께서 문서 옮기기를 손수 하셔야 합니다.
MediaWiki:Movepagetext
408
sysop
4723
2006-02-16T18:09:50Z
아흔
9
rev.
아래의 '새로운 제목' 칸에 문서의 새 이름을 쓰시기 바랍니다.</br>
만일 문서가 [[{{SITENAME}}:문서역사|역사]]를 갖고 있다면 함께 옮겨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br>
* <font color="red">'''주의: '''</font> 본인이 쓰지 않은 문서를 마음대로 옮기거나 또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문서 옮기기는 자제하여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 도움말:
** [[{{SITENAME}}: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
** [[{{SITENAME}}:문서 넘겨주기|문서 넘겨주기]]
MediaWiki:Movetalk
409
sysop
6064
2006-09-28T16:55:08Z
아흔
9
retransl.
딸린 토론도 함께 옮깁니다.
MediaWiki:Movethispage
410
sysop
6065
2006-09-28T16:55:28Z
아흔
9
retransl.
문서 옮기기
MediaWiki:Mycontris
417
sysop
2048
2005-04-25T19:21:50Z
아흔
9
transl.
내가 쓴 글
MediaWiki:Mypage
418
sysop
2049
2005-04-27T18:05:06Z
아흔
9
rev.
사용자페이지
MediaWiki:Mytalk
419
sysop
2050
2005-04-25T19:22:24Z
아흔
9
rev.
사용자토론
MediaWiki:Navigation
420
sysop
3533
2005-07-08T16:41:37Z
아흔
9
transl.
둘러보기
MediaWiki:Newarticletext
424
sysop
6385
2006-12-11T15:14:01Z
아흔
9
rev.
{| cellspacing="6px" style="vertical-align:top; border:2px solid #DFDFDF;"
|-
| <div style="border:1px solid #FCAB37; padding:1em; background-color:#FFFFFF">
참여자께서는 지금 새 글을 쓰시려는 중입니다.</br>
쓰고자 하는 주제가 '''책'''을 쓰는 데 적합한지 그리고 참여자가 지닌 지식이 과연 책을 쓰는 데 충분한지 숙고하신 후 편집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자질구레하고 조잡한 내용, 어설프게 베낀 내용을 담은 문서는 발견 즉시 삭제대상으로 취급됩니다.
</div>
|}
MediaWiki:Newbies
425
sysop
2056
2005-04-28T08:28:44Z
아흔
9
transl.
초보자
MediaWiki:Newimages
426
sysop
4821
2006-03-10T14:10:42Z
아흔
9
rev.
그림 전시실
MediaWiki:Newmessages
427
sysop
2058
2005-06-30T09:46:02Z
아흔
9
rev.
보내온 $1 있으니 사용자 토론페이지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MediaWiki:Newmessageslink
428
sysop
5321
2006-05-27T06:54:01Z
아흔
9
rev.
토론 글
MediaWiki:Newpage
429
sysop
4822
2006-03-10T14:11:05Z
아흔
9
rev.
새 문서
MediaWiki:Newpageletter
430
sysop
2061
2005-04-25T19:23:27Z
아흔
9
rev.
새글
MediaWiki:Newpages
431
sysop
4823
2006-03-10T14:11:27Z
아흔
9
rev.
새 문서
MediaWiki:Newpassword
432
sysop
2063
2005-04-28T08:34:49Z
아흔
9
rev.
새 암호(Password)
MediaWiki:Newtitle
433
sysop
2064
2005-04-28T08:34:28Z
아흔
9
rev.
새로운 제목
MediaWiki:Newusersonly
434
sysop
2065
2005-04-28T08:29:57Z
아흔
9
rev.
(처음으로 등록하는 분만)
MediaWiki:Newwindow
435
sysop
2066
2005-04-28T08:30:41Z
아흔
9
transl.
(새 창을 열어서)
MediaWiki:Nextdiff
437
sysop
2068
2005-04-27T18:42:58Z
아흔
9
transl.
뒷 버전으로 →
MediaWiki:Nextpage
439
sysop
2070
2005-04-27T18:43:45Z
아흔
9
transl.
다음 페이지($1)
MediaWiki:Nextrevision
440
sysop
2071
2005-04-27T18:44:11Z
아흔
9
transl.
최근 버전→
MediaWiki:Nlinks
441
sysop
2072
2005-04-26T19:08:26Z
아흔
9
rev.
링크 수: $1
MediaWiki:Noarticletext
443
sysop
2074
2005-04-27T18:45:22Z
아흔
9
rev.
(문서 비어 있음)
MediaWiki:Noconnect
445
sysop
3534
2005-07-08T16:44:04Z
아흔
9
transl.
미안합니다! 위키에 약간의 기술적 문제가 생겨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결을 시킬 수가 없습니다. <br />
$1
MediaWiki:Nocontribs
446
sysop
2077
2005-04-27T18:10:06Z
아흔
9
rev.
이 참여자는 기여실적이 없습니다.
MediaWiki:Nocookieslogin
447
sysop
4505
2006-01-19T17:36:48Z
아흔
9
transl.
{{SITENAME}}에 로그인 하기 위해서는 쿠키를 설치하게 됩니다. 참여자께서 지금 웹브라우저에 쿠키 사용 금지를 시켜놓았습니다. 쿠기 사용 허가를 하신 후, 다시 로그인 하시기 바랍니다.
MediaWiki:Nocookiesnew
448
sysop
4711
2006-02-16T17:14:44Z
아흔
9
transl.
사용자 등록 페이지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만들어진 사용자 이름으로 지금 로그인을 하실 수 없습니다. {{SITENAME}}는 사용자가 로그인 하기 위해서는 쿠키를 설치합니다. 사용자께서는 쓰시고 있는 웹브라우저에게 쿠키를 설치 못하도록 하여 놓았습니다. 쿠기 설치를 허용시키신 후, 다시 로그인 하시기 바랍니다.
MediaWiki:Noemail
453
sysop
2084
2005-04-27T18:11:57Z
아흔
9
rev.
사용자 이름 "$1" (으)로 등록된 이메일 주소가 없습니다.
MediaWiki:Noemailtext
454
sysop
2085
2005-04-27T18:14:22Z
아흔
9
rev.
사용자는 이메일 수취를 거부하는 개인맞춤을 하여 놓았거나, 혹은 기재한 이메일 주소가 올바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MediaWiki:Noemailtitle
455
sysop
2086
2005-04-27T18:15:05Z
아흔
9
rev.
수취된 이메일 없음.
MediaWiki:Nogomatch
456
sysop
4592
2006-01-25T15:41:01Z
아흔
9
rev.
찾고자 하는 제목 "$1"과(와) 꼭 맞는 문서가 없습니다. 다른 제목 또는 문구로 다시 찾아보세요.
MediaWiki:Noimages
458
sysop
3536
2005-07-08T16:47:10Z
아흔
9
transl.
올려진 그림 없음.
MediaWiki:Nolinkshere
459
sysop
2090
2005-04-26T19:09:09Z
아흔
9
rev.
링크된 문서 없음
MediaWiki:Nolinkstoimage
460
sysop
2091
2005-04-26T19:10:04Z
아흔
9
rev.
이 그림에 링크된 문서 없음
MediaWiki:Noname
461
sysop
2092
2005-04-27T18:15:49Z
아흔
9
rev.
사용자 이름이 틀립니다.
MediaWiki:Nosuchaction
465
sysop
3537
2005-07-08T16:48:11Z
아흔
9
rev.
그와 같은 일은 처리할 수 없습니다.
MediaWiki:Nosuchactiontext
466
sysop
2097
2005-06-16T19:00:21Z
아흔
9
rev.
{{SITENAME}}에는 URL로 주어진 일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
MediaWiki:Nosuchspecialpage
467
sysop
6392
2006-12-11T15:23:57Z
아흔
9
rev.
처리하고자 하는 일을 담은 특별페이지가 없습니다.
MediaWiki:Nosuchuser
468
sysop
2099
2005-06-23T15:57:16Z
아흔
9
rev.
"$1" 이름은 현재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br/>
등록 이름 또는 암호를 잘못 치셨다면 다시 로그인을 시도하세요. <br/>
만일 참여자께서 등록을 아직 하지 않으셨다면, 첫등록자을 위한 칸을 함께 채워서 로그인 하시기 바랍니다.
MediaWiki:Nosuchusershort
469
sysop
2100
2005-06-30T09:39:12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1"(은)는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철자를 맞게 썼는지 확인해 보세요.
MediaWiki:Notargettext
472
sysop
4591
2006-01-25T15:38:09Z
아흔
9
rev.
처리 하고자 하는 일과 관련된 문서나 또는 사용자를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MediaWiki:Notextmatches
475
sysop
2106
2005-06-30T09:36:57Z
아흔
9
rev.
찾고자 하는 낱말을 담고 있는 문서가 없습니다.
MediaWiki:Notloggedin
477
sysop
2108
2005-04-28T08:40:41Z
아흔
9
transl.
로그인하고 있지 않음
MediaWiki:Nowatchlist
480
sysop
2111
2005-04-26T19:10:51Z
아흔
9
rev.
주시문서 없음
MediaWiki:Nowiki sample
481
sysop
4643
2006-01-28T03:12:34Z
아흔
9
transl.
들어갈 내용
MediaWiki:Nowiki tip
482
sysop
2113
2005-04-27T18:17:31Z
아흔
9
transl.
위키 포맷 무시
MediaWiki:Nstab-category
483
sysop
2114
2005-04-28T08:41:44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
MediaWiki:Nstab-help
484
sysop
2115
2005-04-28T08:42:13Z
아흔
9
transl.
도움말
MediaWiki:Nstab-image
485
sysop
2116
2005-04-28T08:42:42Z
아흔
9
transl.
그림
MediaWiki:Nstab-main
486
sysop
2117
2005-04-28T08:43:03Z
아흔
9
transl.
문서
MediaWiki:Nstab-media
487
sysop
5664
2006-07-13T07:19:31Z
아흔
9
rev.
미디어
MediaWiki:Nstab-mediawiki
488
sysop
2119
2005-04-28T08:43:57Z
아흔
9
transl.
메시지
MediaWiki:Nstab-special
489
sysop
2120
2005-04-28T08:44:18Z
아흔
9
transl.
특별
MediaWiki:Nstab-template
490
sysop
2121
2005-04-28T08:44:41Z
아흔
9
transl.
템플릿
MediaWiki:Nstab-user
491
sysop
2122
2005-04-28T08:45:10Z
아흔
9
transl.
사용자 페이지
MediaWiki:Nstab-wp
492
sysop
2123
2005-04-28T08:46:43Z
아흔
9
transl.
Wikibooks
MediaWiki:Orig
503
sysop
2134
2005-04-28T08:48:28Z
아흔
9
transl.
오리지널
MediaWiki:Othercontribs
505
sysop
2136
2005-04-28T08:49:41Z
아흔
9
transl.
$1의 저서를 토대로
MediaWiki:Pagemovedtext
509
sysop
6349
2006-11-22T16:08:31Z
아흔
9
rev.
'[[$1]]'(을)를 '[[$2]]'(으)로 옮겼습니다.
MediaWiki:Passwordremindertext
511
sysop
2142
2005-04-28T08:54:00Z
아흔
9
rev.
누군가가 (IP 주소 $1) 새 {{SITENAME}} 암호를 보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사용자 "$2"의 암호는 이제 "$3" 입니다. 새로이 로그인 하셔서 암호를 바꾸시기 바랍니다.
MediaWiki:Passwordsent
513
sysop
2144
2005-04-27T18:20:41Z
아흔
9
rev.
"$1"의 새암호(Password)를 이메일로 보냈습니다.
새암호로 로그인 하시기 바랍니다.
MediaWiki:Perfcached
514
sysop
4820
2006-03-10T14:10:14Z
아흔
9
rev.
다음은 캐시에 들어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뽑은 자료입니다. 때문에 최신 통계 자료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몇 일 뒤에 다시 한 번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MediaWiki:Perfdisabled
515
sysop
5666
2006-07-13T07:22:26Z
아흔
9
clear, because uncertain
MediaWiki:Portal
519
sysop
2150
2005-04-25T19:24:28Z
아흔
9
transl.
편집실
MediaWiki:Portal-url
520
sysop
2151
2005-06-17T18:45:08Z
아흔
9
rev.
Wikibooks: 편집실
MediaWiki:Postcomment
521
sysop
2152
2005-04-26T19:11:47Z
아흔
9
transl.
토론 덧붙이기
MediaWiki:Powersearchtext
524
sysop
3539
2005-07-08T16:52:51Z
아흔
9
transl.
이름틀(namespace)로 찾기 :<br />
$1<br />
$2 넘겨진 문서들 찾기 $3 $9
MediaWiki:Preferences
525
sysop
5345
2006-05-27T07:16:32Z
아흔
9
rev.
개인 맞춤
MediaWiki:Prefs-misc
527
sysop
3748
2005-08-24T08:25:21Z
아흔
9
transl.
기타
MediaWiki:Prefs-personal
528
sysop
2159
2005-04-27T18:47:03Z
아흔
9
transl.
사용자 정보
MediaWiki:Prefs-rc
529
sysop
2160
2005-04-27T18:47:55Z
아흔
9
transl.
최근바뀜과 토막글 보이기:
MediaWiki:Prefslogintext
530
sysop
2161
2005-04-26T19:14:52Z
아흔
9
rev.
사용자 이름 "$1" 확인되었습니다.
등록된 ID 번호는 $2입니다.
MediaWiki:Prefsnologin
531
sysop
2162
2005-04-26T19:15:30Z
아흔
9
rev.
로그아웃 중.
MediaWiki:Prefsnologintext
532
sysop
3688
2005-07-29T11:15:46Z
아흔
9
rev.
[[Special:Userlogin|로그인]]하고 있을 때에만 '개인맞춤'을 하실 수 있습니다.
MediaWiki:Previousdiff
537
sysop
2168
2005-04-27T18:27:53Z
아흔
9
transl.
← 앞 버전으로
MediaWiki:Previousrevision
538
sysop
2169
2005-04-27T18:29:38Z
아흔
9
transl.
←옛 버전
MediaWiki:Printsubtitle
541
sysop
2172
2005-06-17T18:54:57Z
아흔
9
rev.
(http://www.ko.wikibooks.org에서)
MediaWiki:Protect
542
sysop
2173
2005-06-17T18:38:59Z
아흔
9
transl.
문서보호
MediaWiki:Protectcomment
543
sysop
3541
2005-07-08T16:54:21Z
아흔
9
transl.
문서 보호시키는 이유
MediaWiki:Protectedarticle
544
sysop
3542
2005-07-08T16:54:49Z
아흔
9
transl.
보호시킴 "[[$1]]"
MediaWiki:Protectedpage
545
sysop
3552
2005-07-08T17:23:17Z
아흔
9
rev.
보호시킨 문서
MediaWiki:Protectedpagewarning
546
sysop
4708
2006-02-16T16:54:37Z
아흔
9
rev.
<div style="border: 2px solid red; margin-top: 1em; padding: 1em;">
주의: 이 페이지는 보호된 문서이기 때문에 오직 관리자만이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br/>참고: [[Wikibooks:보호문서|보호문서 도움말]]
</div>
MediaWiki:Protectedtext
547
sysop
2178
2005-06-28T09:13:33Z
아흔
9
transl.
이 페이지는 자유 편집에서 제외된 문서입니다.<br/>위키책에서 문서를 보호 시키는 이유는 [[{{SITENAME}}:보호문서|보호문서]] 도움말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참여자께서는 물론 문서의 원문을 살펴보거나 또는 복사를 하실 수 있습니다.
MediaWiki:Protectlogpage
548
sysop
2179
2005-04-28T08:55:03Z
아흔
9
transl.
보호문서 일지
MediaWiki:Protectlogtext
549
sysop
2180
2005-06-28T09:22:34Z
아흔
9
transl.
아래에는 보호되어 있거나 보호에서 해제된 문서들입니다.<br/>
문서를 보호시키는 이유는 [[{{SITENAME}}:보호문서|여기]]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MediaWiki:Protectmoveonly
550
sysop
6350
2006-11-22T16:09:39Z
아흔
9
rev.
문서 옮기기 규제
MediaWiki:Protectreason
552
sysop
2183
2005-04-28T08:55:29Z
아흔
9
transl.
(이유)
MediaWiki:Protectsub
553
sysop
2184
2005-04-28T08:56:03Z
아흔
9
transl.
(보호시킴 "$1")
MediaWiki:Proxyblockreason
556
sysop
6391
2006-12-11T15:17:34Z
아흔
9
revert in english
Your IP address has been blocked because it is an open proxy. Please contact your Internet service provider or tech support and inform them of this serious security problem.
MediaWiki:Randompage
570
sysop
2201
2005-04-26T19:16:40Z
아흔
9
rev.
임의 문서로
MediaWiki:Rclinks
574
sysop
6375
2006-12-11T14:56:07Z
아흔
9
rev.
<div style="margin-top:-1em; border:1px solid #DFDFDF; padding:.5em 1em .4em 1em; background-color:#FFF;">
지난 $2일 동안에 걸쳐 바뀐 일들 보이기: $1
<div style="background-color:#F3F3F3;">$3</div></div>
MediaWiki:Rclistfrom
575
sysop
4814
2006-03-10T14:03:11Z
아흔
9
rev.
<small>$1 이후 고쳐진 문서들</small>
MediaWiki:Rcliu
576
sysop
4817
2006-03-10T14:05:10Z
아흔
9
transl.
; $1 로그인 된 사용자에 의한 편집
MediaWiki:Rclsub
578
sysop
3543
2005-07-08T16:56:53Z
아흔
9
rev.
(링크가 된 '$1')
MediaWiki:Rcnote
579
sysop
6376
2006-12-11T14:58:30Z
아흔
9
rev.
{| clear="all" cellpadding="6px" class="plainlinks" style="border:1px solid #DFDFDF; background-color:#FFFFFF;"
|-
| 다음은 $3까지 '''$2'''일 동안에 걸쳐 한국어 위키책에서 이루어진 편집, [http://ko.wikibooks.org/w/index.php?title=Special%3ALog&type=move&user=&page= 옮기기], [http://ko.wikibooks.org/w/index.php?title=Special%3ALog&type=delete&user=&page= 삭제], [http://ko.wikibooks.org/w/index.php?title=Special%3ALog&type=block&user=&page= 접속 차단], [http://ko.wikibooks.org/w/index.php?title=Special%3ALog&type=newusers&user=&page= 사용자 등록] 따위의 '''$1'''가지 일들입니다.
|}
MediaWiki:Rcnotefrom
580
sysop
2211
2005-04-28T10:02:03Z
아흔
9
transl.
아래에는 <b>$2</b> 이래로 바뀐 문서들입니다 (<b>$1</b>까지 보임).
MediaWiki:Readonly
583
sysop
2214
2005-04-26T19:17:26Z
아흔
9
transl.
데이타베이스 잠김
MediaWiki:Readonlytext
584
sysop
3544
2005-07-08T17:04:18Z
아흔
9
transl.
새글을 쓰거나 또는 다른 편집을 할 수 없도록 데이타베이스가 현재 잠겼습니다. 아마 데이타베이스의 상시 점검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점검이 끝나면 정상으로 돌아가리라 봅니다. 데이타베이스를 잠그도록 요청한 관리자가 이 설명과 함께 여러분의 양해를 구합니다:
$1
MediaWiki:Readonlywarning
585
sysop
3545
2005-07-08T17:09:16Z
아흔
9
transl.
<strong>주의: 데이타베이스가 점검을 위하여 잠겼습니다. 때문에 참여자께서 편집한 내용을 지금 저장시킬 수 없습니다. 편집한 문서의 내용을 복사하여 참여자의 컴퓨터에 임시로 저장시키신 후, 나중에 위키책에 저장시키시기를 권장합니다.</strong>
MediaWiki:Recentchanges-url
587
sysop
2218
2005-06-17T18:59:49Z
아흔
9
rev.
Special:Recentchanges
MediaWiki:Recentchangescount
588
sysop
3756
2005-08-24T08:39:47Z
아흔
9
rev.
최근바뀜의 수효
MediaWiki:Recentchangeslinked
589
sysop
2220
2005-04-27T18:32:58Z
아흔
9
rev.
재링크된 문서
MediaWiki:Recentchangestext
590
sysop
4810
2006-03-01T18:53:28Z
아흔
9
rev.
<div id="recentchangestable" style="margin-bottom:.5em;">
<div style="text-align:center; color:#64013B; font-weight:bold;">
오늘까지 수록된 글: {{NUMBEROFARTICLES}} !
</div>
{| style="background-color: #FFFFFF; width: 100%;"
|-
|
<div style="padding: .3em 0 .3em 0;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 #DFDFDF; text-align:center;">살펴보기</div>
{| width="100%" style="font-size:85%"
| colspan="2" style="text-align:left;" |
|-
| align="right" | '''[[Wikibooks:도움말|도움말]] :'''
| align="left" | [[Wikibooks:FAQ|FAQ]] -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유형]]''' -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 안내]]''' - '''[[Wikibooks:새글 쓰기|새글 쓰기]]'''
|-
| align="right" | '''문서 살펴보기 :'''
| align="left" | [[Special:Newpages|새로 올라온 글]] - [[Special:Deadendpages|오래동안 방치된 글]] - [[Special:Prefixindex|색인]]
|}
<!-- section of Interlanguages -->
[[bg:Специални:Recentchanges|bg]]
[[ca:Especial:Recentchanges|ca]]
[[da:Speciel:Recentchanges|da]]
[[de:Spezial:Recentchanges|de]]
[[en:Special:Recentchanges|en]]
[[eo:Speciala:Recentchanges|eo]]
[[es:Especial:Recentchanges|es]]
[[et:Eri:Recentchanges|et]]
[[fa:%D9%88%DB%8C%DA%98%D9%87:Recentchanges|fa]]
[[fi:Toiminnot:Recentchanges|fi]]
[[fr:Special:Recentchanges|fr]]
[[he:מיוחד:Recentchanges|he]]
[[hu:Speciális:Recentchanges|hu]]
[[is:Special:Recentchanges|is]]
[[it:Speciale:Recentchanges|it]]
[[ja:%E7%89%B9%E5%88%A5:Recentchanges|ja]]
[[nl:Speciaal:Recentchanges|nl]]
[[no:Spesial:Recentchanges|no]]
[[pl:Specjalna:Recentchanges|pl]]
[[pt:Especial:Recentchanges|pt]]
[[ro:Special:Recentchanges|ro]]
[[ru:Special:Recentchanges|ru]]
[[se:Special:Recentchanges|sa]]
[[sl:Posebno:Recentchanges|sl]]
[[sr:Посебно:Recentchanges|sr]]
[[sv:Special:Recentchanges|sv]]
[[vi:Special:Recentchanges|vi]]
[[zh:Special:Recentchanges|zh]]
MediaWiki:Remembermypassword
592
sysop
2223
2005-04-27T18:34:30Z
아흔
9
rev.
로그인하고 있는 동안 암호(Password) 기억시킴.
MediaWiki:Removechecked
593
sysop
2224
2005-06-17T18:30:33Z
아흔
9
rev.
주시문서 명단에서 빼냄
MediaWiki:Removedwatch
594
sysop
2225
2005-04-26T19:20:24Z
아흔
9
rev.
주시 해제
MediaWiki:Removedwatchtext
595
sysop
2226
2005-04-27T18:35:11Z
아흔
9
rev.
"$1" 주시문서에서 해제.
MediaWiki:Removingchecked
596
sysop
2227
2005-06-17T18:28:32Z
아흔
9
transl.
주시문서 명단에서 빼냄...
MediaWiki:Retypenew
602
sysop
2233
2005-06-17T18:25:28Z
아흔
9
rev.
암호(password) 반복
MediaWiki:Reuploaddesc
604
sysop
2235
2005-06-17T18:24:24Z
아흔
9
rev.
'올리기'로 돌아감
MediaWiki:Reverted
605
sysop
2236
2005-06-17T18:23:38Z
아흔
9
transl.
앞의 버전으로 환원시킴
MediaWiki:Revertpage
607
sysop
4816
2006-03-10T14:04:37Z
아흔
9
rev.
$2의 편집을 무효시키고, $1의 편집으로 되돌림
MediaWiki:Revhistory
608
sysop
5336
2006-05-27T07:07:36Z
아흔
9
rev.
바뀐 역사
MediaWiki:Revisionasof
609
sysop
5335
2006-05-27T07:07:15Z
아흔
9
rev.
$1 버전
MediaWiki:Revisionasofwithlink
610
sysop
5334
2006-05-27T07:06:39Z
아흔
9
transl.
'$1' 의 개정; $2<br />$3 | $4
MediaWiki:Rollback
615
sysop
2246
2005-06-17T18:20:21Z
아흔
9
transl.
되돌리기(Roll back) 편집
MediaWiki:Rollback short
616
sysop
6109
2006-10-23T07:35:41Z
아흔
9
rev.
되돌리기(Rollback)
MediaWiki:Rollbackfailed
617
sysop
2248
2005-06-17T18:18:39Z
아흔
9
transl.
되돌리기(Rollback) 실패
MediaWiki:Rollbacklink
618
sysop
6110
2006-10-23T07:36:16Z
아흔
9
rev.
되돌리기(Rollback)
MediaWiki:Savedprefs
622
sysop
2253
2005-06-17T18:17:22Z
아흔
9
rev.
변경 사항을 저장하였습니다.
MediaWiki:Search
627
sysop
3551
2005-07-08T17:21:53Z
아흔
9
rev.
찾아보기
MediaWiki:Searchdisabled
628
sysop
2259
2005-06-17T18:16:23Z
아흔
9
transl.
<p style="margin: 1.5em 2em 1em">{{SITENAME}} 찾기는 기술상의 문제로 현재 불가능합니다. 검색 사이트 '구글'에서 찾기를 시도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span style="font-size: 89%; display: block; margin-left: .2em">{{SITENAME}}의 색인이 아마 오래되었을 수도 있습니다.</span></p>
MediaWiki:Searchquery
629
sysop
2260
2005-06-17T18:12:33Z
아흔
9
rev.
찾는 말: "$1"
MediaWiki:Searchresults
630
sysop
6356
2006-11-22T16:17:23Z
아흔
9
rev.
찾아본 결과
MediaWiki:Searchresulttext
632
sysop
2263
2005-06-17T18:11:54Z
아흔
9
rev.
찾기의 도움말은 [[{{SITENAME}}:찾기]]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MediaWiki:Selflinks
637
sysop
4519
2006-01-19T17:58:25Z
아흔
9
transl.
스스로에게 링크된 페이지들
MediaWiki:Selflinkstext
638
sysop
4608
2006-01-25T15:59:01Z
아흔
9
transl.
다음은 불필요하게 스스로에게 링크된 페이지들입니다.
MediaWiki:Servertime
642
sysop
3750
2005-08-24T08:29:02Z
아흔
9
rev.
서버 시간
MediaWiki:Setbureaucratflag
645
sysop
6097
2006-10-23T07:27:20Z
아흔
9
reset in en
Set bureaucrat flag
MediaWiki:Sharedupload
646
sysop
4815
2006-03-10T14:04:02Z
아흔
9
rev.
<br style="clear:both;" />
{| width="100%" cellpadding="4" cellspacing="4" style="border:2px solid #DFDFDF; background-color:#FEFBE8"
|-
| [[Image:Commons-logo.svg|40px|]]
|위에 보고 계시는 미디아 자료는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에 수록된 자료입니다. <br />자료의 출처와 [[{{SITENAME}}:저작권|저작권]]에 관한 세부 사항은 위키미디아 공용에 수록된 [[Commons:Image:{{PAGENAME}}|자료 설명]]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MediaWiki:Shortpages
647
sysop
6067
2006-09-28T16:58:04Z
아흔
9
rev.
내용이 짧은 문서들
MediaWiki:Showbigimage
649
sysop
2280
2005-06-17T18:07:50Z
아흔
9
transl.
그림의 크기를 최대로 하여 보기 ($1x$2, $3 KB)
MediaWiki:Showhideminor
650
sysop
4813
2006-03-10T14:02:19Z
아흔
9
rev.
잔글 $1 | 등록 사용자 $3 | 살펴본 페이지 $4 | 자신의 편집 $5 | 로봇 $2
MediaWiki:Showingresultsnum
652
sysop
3728
2005-08-23T11:37:31Z
아흔
9
rev.
<b>$3</b> 밑으로 가면서 #<b>$2</b>(에)서 시작하여 보이기.
MediaWiki:Showtoc
655
sysop
2286
2005-04-27T18:52:20Z
아흔
9
transl.
보이기
MediaWiki:Sig tip
656
sysop
2287
2005-04-27T18:52:59Z
아흔
9
transl.
자기 사인하기
MediaWiki:Sitesettings-wgWhitelistEdit
690
sysop
2321
2005-06-17T18:05:15Z
아흔
9
rev.
편집을 하기 위해서는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MediaWiki:Sitestats
692
sysop
2323
2005-06-20T18:30:00Z
아흔
9
rev.
위키책 수록 문서 통계
MediaWiki:Sitestatstext
693
sysop
5319
2006-05-27T06:52:41Z
아흔
9
rev.
<div style="padding:0.5em 1em 0.5em 1em; border: 2px solid #DFDFDF; background-color:#F8F8FF;">
{{SITENAME}}에 수록된 문서는 현재 <b>$1</b>편 입니다.
* 이 통계 숫자는 본 문서와 여기에 딸린 '토론 페이지', '[[{{SITENAME}}:문서 넘겨주기|넘겨준 문서]]' 그리고 네임스페이스가 붙은 문서들을 모두 포함하여 계산되었습니다.
* 낱말을 풀이한 문서의 수효는 <b>$2</b>편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 현재까지 수정 혹은 편집은 <b>$4</b>번 되었습니다 (평균 수정율: <b>$5</b>).
</div>
MediaWiki:Sitesubtitle
694
sysop
2325
2005-04-26T19:22:23Z
아흔
9
rev.
자유로운 생각과 배움
MediaWiki:Sitesupport
695
sysop
3752
2005-08-24T08:32:56Z
아흔
9
rev.
기부 안내
MediaWiki:Sitesupport-url
696
sysop
2327
2005-04-30T10:40:05Z
아흔
9
transl.
Wikimedia:기부안내
MediaWiki:Skin
700
sysop
5330
2006-05-27T07:04:33Z
아흔
9
rev.
화면 꼴(Skin)
MediaWiki:Spamprotectiontext
702
sysop
4710
2006-02-16T17:04:07Z
아흔
9
transl.
지금 저장시키려고 하는 페이지는 스팸 검색기에 의해 잠겼습니다. 이는 아마 페이지에 외부로 링크된 웹사이트가 수록되어 있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MediaWiki:Specialpage
706
sysop
2337
2005-04-28T09:01:23Z
아흔
9
transl.
특별 페이지
MediaWiki:Specialpages
707
sysop
2338
2005-04-26T19:23:10Z
아흔
9
rev.
특별 페이지
MediaWiki:Spheading
708
sysop
2339
2005-04-26T19:24:24Z
아흔
9
rev.
특별 페이지
MediaWiki:Stubthreshold
713
sysop
2344
2005-06-17T18:01:28Z
아흔
9
rev.
짧은 문서들 골라 보이기
MediaWiki:Subcategories
714
sysop
2345
2005-05-02T18:25:51Z
아흔
9
transl.
아래 카테고리들
MediaWiki:Subcategorycount
715
sysop
2346
2005-05-02T18:35:10Z
아흔
9
rev.
합계: $1개 문서
MediaWiki:Subcategorycount1
716
sysop
2347
2005-05-02T18:36:04Z
아흔
9
transl.
합계: $1개 문서
MediaWiki:Summary
720
sysop
3755
2005-08-24T08:34:50Z
아흔
9
rev.
간추린 내용
MediaWiki:Sysoptext
722
sysop
2353
2005-06-17T17:55:46Z
아흔
9
rev.
이 일은 "관리자"만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읽어보기: $1.
MediaWiki:Sysoptitle
723
sysop
2354
2005-06-17T17:54:49Z
아흔
9
rev.
관리자 권한 필요
MediaWiki:Tagline
725
sysop
2356
2005-06-17T17:54:08Z
아흔
9
rev.
{{SITENAME}}, 위키책
MediaWiki:Talk
726
sysop
2357
2005-04-27T18:54:53Z
아흔
9
transl.
토론
MediaWiki:Talkexists
727
sysop
2358
2005-06-17T17:53:24Z
아흔
9
transl.
문서옮기기를 성공적으로 끝냈습니다. 그러나 옮겨진 페이지에 이미 토론 페이지가 딸려있기 때문에 토론 페이지를 같이 옮길 수 없었습니다. 토론 페이지를 새로운 페이지로 옮기고자 한다면 손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MediaWiki:Talkpagemoved
729
sysop
6389
2006-12-11T15:16:27Z
아흔
9
rev.
토론 페이지도 함께 옮겼습니다.
MediaWiki:Talkpagenotmoved
730
sysop
6388
2006-12-11T15:16:01Z
아흔
9
rev.
토론 페이지는 함께 옮기지 못하였습니다.
MediaWiki:Templatesused
732
sysop
2363
2005-04-28T09:03:30Z
아흔
9
transl.
이 페이지에 붙여진 템플릿:
MediaWiki:Textboxsize
733
sysop
2364
2005-06-17T17:49:16Z
아흔
9
rev.
편집창 크기
MediaWiki:Thisisdeleted
735
sysop
6387
2006-12-11T15:15:34Z
아흔
9
rev.
삭제된 페이지 '$1'(을)를 살펴보거나 혹은 되살리기.
MediaWiki:Timezonelegend
738
sysop
2369
2005-04-28T09:03:55Z
아흔
9
transl.
시간대
MediaWiki:Timezonetext
740
sysop
6386
2006-12-11T15:15:13Z
아흔
9
rev.
참여자가 현재 살고 있는 곳의 시간과 서버의 시간(UTC)의 차이:
MediaWiki:Toc
742
sysop
2373
2005-04-27T18:55:59Z
아흔
9
transl.
차례
MediaWiki:Tog-editondblclick
743
sysop
5328
2006-05-27T07:03:31Z
아흔
9
rev.
더블 클릭으로 편집창 열기 (자바스크립트)
MediaWiki:Tog-editsectiononrightclick
745
sysop
5327
2006-05-27T07:02:27Z
아흔
9
rev.
문단 별 편집<sup>(+/-)</sup> 허용 (자바스크립트)
MediaWiki:Tog-editwidth
746
sysop
2377
2005-04-27T18:56:59Z
아흔
9
rev.
편집창 너비 최대
MediaWiki:Tog-highlightbroken
748
sysop
2379
2005-04-28T09:05:14Z
아흔
9
transl.
빈 주제 돋보이기
MediaWiki:Tog-hover
749
sysop
2380
2005-04-28T09:06:24Z
아흔
9
transl.
위키 내부링크 보이기
MediaWiki:Tog-justify
750
sysop
2381
2005-04-28T09:12:26Z
아흔
9
rev.
문장 좌우 정렬
MediaWiki:Tog-minordefault
751
sysop
2382
2005-04-28T09:14:00Z
아흔
9
transl.
모든 편집을 잔글로 체크
MediaWiki:Tog-nocache
752
sysop
2383
2005-04-28T09:15:06Z
아흔
9
transl.
페이지 캐쉬 막음
MediaWiki:Tog-numberheadings
753
sysop
2384
2005-04-28T09:16:12Z
아흔
9
rev.
자동으로 문단 번호 붙임
MediaWiki:Tog-previewonfirst
754
sysop
2385
2005-04-28T09:20:24Z
아흔
9
rev.
첫편집에서 '미리보기' 제시
MediaWiki:Tog-previewontop
755
sysop
2386
2005-04-28T09:20:02Z
아흔
9
transl.
편집창 뒤가 아니라 앞에서 '미리보기' 제시
MediaWiki:Tog-rememberpassword
756
sysop
2387
2005-04-28T09:07:56Z
아흔
9
rev.
로그인 못박아 하기
MediaWiki:Tog-showtoc
757
sysop
2388
2005-04-28T09:10:00Z
아흔
9
transl.
차례 내용 보이기<br />(문단이 셋 이상인 경우)
MediaWiki:Tog-showtoolbar
758
sysop
2389
2005-04-28T09:08:44Z
아흔
9
transl.
편집 단추판 보이기
MediaWiki:Tog-underline
759
sysop
2390
2005-04-28T09:10:32Z
아흔
9
transl.
링크에 밑줄
MediaWiki:Toolbox
762
sysop
3549
2005-07-08T17:20:50Z
아흔
9
transl.
살펴보기
MediaWiki:Tooltip-compareselectedversions
763
sysop
3757
2005-08-24T08:44:19Z
아흔
9
transl.
이 페이지의 앞뒤 버전의 틀린 점 비교. [alt-v]
MediaWiki:Tooltip-minoredit
764
sysop
3759
2005-08-24T08:45:04Z
아흔
9
transl.
잔글 편집으로 표시 [alt-i]
MediaWiki:Tooltip-preview
765
sysop
3760
2005-08-24T08:46:16Z
아흔
9
transl.
저장하기 전에 고친 내용을 한 번 '미리보기'로 살펴보시기를...[alt-p]
MediaWiki:Tooltip-save
766
sysop
3761
2005-08-24T08:46:53Z
아흔
9
transl.
고친 내용 저장 [alt-s]
MediaWiki:Tooltip-search
767
sysop
3762
2005-08-24T08:47:44Z
아흔
9
transl.
찾기 {{SITENAME}} [alt-f]
MediaWiki:Ucnote
770
sysop
6130
2006-10-23T07:53:39Z
아흔
9
rev.
이 사용자가 '''$2'''일 동안에 편집한 '''$1''' 문서들:
MediaWiki:Uctop
771
sysop
3764
2005-08-24T08:48:56Z
아흔
9
rev.
(최신)
MediaWiki:Unblockip
772
sysop
4845
2006-03-10T14:35:02Z
아흔
9
rev.
IP 주소 접속 차단 해제
MediaWiki:Unblocklink
774
sysop
4846
2006-03-10T14:35:34Z
아흔
9
rev.
접속 차단 해제
MediaWiki:Unblocklogentry
775
sysop
4847
2006-03-10T14:36:03Z
아흔
9
rev.
"$1" 접속 차단 해제시킴.
MediaWiki:Uncategorizedcategories
776
sysop
2407
2005-04-28T09:25:29Z
아흔
9
rev.
카테고리가 안넣어진 카테고리들
MediaWiki:Uncategorizedpages
777
sysop
2408
2005-04-28T09:24:50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가 붙지 않은 페이지들
MediaWiki:Undelete
778
sysop
3765
2005-08-24T08:49:27Z
아흔
9
transl.
삭제 문서 되살리기
MediaWiki:Undeletebtn
781
sysop
6557
2007-01-03T15:59:51Z
아흔
9
rev.
되살림
MediaWiki:Undeletedarticle
782
sysop
6558
2007-01-03T16:00:37Z
아흔
9
rev.
"[[$1]]" 되살림
MediaWiki:Undeletedrevisions
783
sysop
6561
2007-01-03T16:04:02Z
아흔
9
rev.
버전 '$1'개를 되살렸습니다.
MediaWiki:Undeletedtext
784
sysop
4682
2006-02-03T14:41:01Z
아흔
9
transl.
문서 [[$1]]은(는) 성공적으로 복구시켰습니다.</br>
삭제와 복구에 관한 기록은 [[{{SITENAME}}:Deletion_log]]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MediaWiki:Undeletehistory
785
sysop
6563
2007-01-03T16:07:46Z
아흔
9
rev.
문서를 되살리면 이에 딸린 모든 역사가 함께 되살려집니다. 되살리려는 문서가 이미 삭제된 후에 같은 이름으로 문서가 만들어졌다면, 되살리려고 하는 버전들은 문서의 지난 역사에 첨가됩니다.
MediaWiki:Undeletepage
786
sysop
3766
2005-08-24T08:50:30Z
아흔
9
transl.
삭제된 문서들 보기와 되살리기
MediaWiki:Undeletepagetext
787
sysop
3767
2005-08-24T08:51:15Z
아흔
9
transl.
아래에는 삭제된 문서들로서 임시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아직 되살리기가 가능합니다. 임시 보존 문서는 정기적으로 청소됩니다.
MediaWiki:Unprotect
797
sysop
6564
2007-01-03T16:08:35Z
아흔
9
rev.
보호 해제
MediaWiki:Unprotectcomment
798
sysop
6565
2007-01-03T16:09:13Z
아흔
9
rev.
보호 해제 시키는 이유
MediaWiki:Unprotectedarticle
799
sysop
2430
2005-04-28T09:29:13Z
아흔
9
transl.
보호에서 해제 $1
MediaWiki:Unprotectsub
800
sysop
2431
2005-04-28T09:29:43Z
아흔
9
transl.
(보호에서 해제 "$1")
MediaWiki:Unusedimages
802
sysop
5325
2006-05-27T06:58:38Z
아흔
9
rev.
쓰이지 않는 그림들
MediaWiki:Unusedimagestext
803
sysop
2434
2005-06-17T17:43:59Z
아흔
9
rev.
다음의 그림들 가운데에는 더러 다른 언어의 {{SITENAME}}에서 사용하고 있는 그림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MediaWiki:Unwatch
804
sysop
2435
2005-04-27T18:59:07Z
아흔
9
transl.
주시해제
MediaWiki:Unwatchthispage
805
sysop
2436
2005-04-26T19:25:33Z
아흔
9
rev.
주시 해제
MediaWiki:Uploadcorrupt
809
sysop
2440
2005-04-28T09:34:04Z
아흔
9
transl.
이 파일은 훼손되었거나 올리기에 적절하지 못한 파일종류입니다. 한 번 파일을 살펴보신 후, 다시 올리기를 하시기 바랍니다.
MediaWiki:Uploaddisabled
810
sysop
2441
2005-04-28T09:31:33Z
아흔
9
transl.
유감스럽게도 올리기가 불가능합니다.
MediaWiki:Uploadlogpagetext
818
sysop
3553
2005-07-08T17:26:05Z
아흔
9
rev.
올려진 그림들입니다.
시간은 서버의 시간을 기준(UTC)으로 하였습니다.
<ul>
</ul>
MediaWiki:Uploadnologin
819
sysop
2450
2005-06-17T17:41:01Z
아흔
9
rev.
로그인 하고 있지 않습니다.
MediaWiki:Uploadnologintext
820
sysop
2451
2005-06-28T09:07:19Z
아흔
9
rev.
{{SITENAME}}에 [[{{SITENAME}}:그림 올리기|파일을 올리기]] 위해서는 [[Special:Userlogin|로그인]]을 하셔야만 합니다.
MediaWiki:Uploadtext
821
sysop
6056
2006-09-28T16:46:04Z
아흔
9
rev.
{| cellspacing="6px" style="vertical-align:top; border:2px solid #DFDFDF;"
|-
| <div style="border:1px solid #FCAB37; padding:.5em;background-color:#FFFFFF">
한국어 위키책에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그림이나 음향 파일은 '''[http://commons.wikimedia.org/wiki/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에서 올리시기를 권장합니다. 특히 음향 파일(*.ogg)은 반드시 공용에서 올리기를 부탁합니다. 불필요하게 한국어 위키책에 올려지는 파일은 아무런 토론없이 곧바로 삭제됩니다.
그림이나 다른 미디아 파일을 위키미디어 서버에 올리는(upload) 요령은 [[Wikibooks:그림 올리기|여기]]를 참고하세요
|}
MediaWiki:Userexists
827
sysop
2458
2005-04-27T19:00:39Z
아흔
9
rev.
사용자 이름이 이미 등록되어 있습니다. 다른 이름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MediaWiki:Userlevels-user-editname
841
sysop
2472
2005-06-17T17:35:51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기입:
MediaWiki:Userlogin
842
sysop
2473
2005-04-26T19:26:55Z
아흔
9
rev.
로그인
MediaWiki:Userlogout
843
sysop
2474
2005-04-26T19:26:16Z
아흔
9
rev.
로그아웃
MediaWiki:Usermailererror
844
sysop
2475
2005-06-17T17:35:16Z
아흔
9
transl.
메일을 보내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MediaWiki:Userpage
845
sysop
2476
2005-06-17T17:34:13Z
아흔
9
transl.
사용자 페이지 보기
MediaWiki:Userstatstext
848
sysop
2479
2005-06-20T18:28:10Z
아흔
9
rev.
<div style="padding:0.5em 1em 0.5em 1em; border: 2px solid #DFDFDF; background-color:#F8F8FF;">
* 위키책에 등록된 사용자는 {{CURRENTYEAR}}년 {{CURRENTMONTHNAME}} {{CURRENTDAY}}일 현재 모두 <b>$1</b>명입니다.
* $3는 <b>$2</b>명입니다.
</div>
MediaWiki:Val version
867
sysop
2498
2005-04-28T10:08:35Z
아흔
9
transl.
버전(Version)
MediaWiki:Version
876
sysop
3771
2005-08-24T09:02:52Z
아흔
9
rev.
미디어위키 버전
MediaWiki:Viewsource
879
sysop
3772
2005-08-24T09:03:48Z
아흔
9
rev.
문서 내용 보기
MediaWiki:Viewtalkpage
880
sysop
2511
2005-04-28T09:52:19Z
아흔
9
transl.
토론 보기
MediaWiki:Wantedpages
881
sysop
6072
2006-09-28T17:01:34Z
아흔
9
retransl.
필요한 문서들
MediaWiki:Watch
882
sysop
2513
2005-04-27T19:02:01Z
아흔
9
transl.
문서주시
MediaWiki:Watchdetails
883
sysop
6073
2006-09-28T17:02:49Z
아흔
9
retransl.
* 토론 페이지를 제외하고 '''$1''' 개의 문서를 사용자께서는 주시하고 있습니다.
** [[Special:Watchlist/edit|주시하고 있는 모든 문서 보기]]
** [[Special:Watchlist/clear|주시 문서 해제]]
MediaWiki:Watcheditlist
884
sysop
6074
2006-09-28T17:03:32Z
아흔
9
rev.
다음은 사용자께서 주시하고 있는 문서들입니다.
더 이상 주시하기를 원하지 않는 문서들은 왼쪽에 있는 칸에 체크를 한 후, 아래의 주시 문서 제거 단추를 누르시면 됩니다.
MediaWiki:Watchlist
885
sysop
3773
2005-08-24T09:04:59Z
아흔
9
rev.
주시 문서들
MediaWiki:Watchlistcontains
886
sysop
2517
2005-04-28T09:51:23Z
아흔
9
transl.
전체 주시 문서는 $1 입니다.
MediaWiki:Watchnologin
891
sysop
2522
2005-04-28T09:36:33Z
아흔
9
rev.
로그아웃 중.
MediaWiki:Watchnologintext
892
sysop
2523
2005-04-28T09:49:58Z
아흔
9
rev.
<a href="{{localurle:Special:Userlogin}}"> 로그인</a>하고 있을 때에만
주시문서들을 볼 수 있습니다.
MediaWiki:Watchthis
893
sysop
2524
2005-04-28T09:37:26Z
아흔
9
transl.
이 문서 주시
MediaWiki:Watchthispage
894
sysop
2525
2005-04-27T19:05:13Z
아흔
9
transl.
이 문서 주시
MediaWiki:Welcomecreation
896
sysop
6379
2006-12-11T15:05:32Z
아흔
9
rev.
<div style="margin-top:100px; padding:2em; border:0px solid #AAAAAA; border-width:0 1px 1px 0; font-size:110%; background-color:#FEFFFA;">
</br></br><center><font color="blue" size="+2">'''환영합니다!'''</font></center></br>
사용자 이름 ''''$1''''(으)로 [[Wikibooks:위키책 안내|한국어 위키책]]에 이제 등록이 되었습니다.<br/>한국어 위키책의 발전에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리며,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Wikibooks:FAQ|FAQ]]와 [[Wikibooks:도움말|도움말]]을 읽어 보세요.
</div>
MediaWiki:Whatlinkshere
897
sysop
2528
2005-04-26T19:27:44Z
아흔
9
rev.
링크된 문서
MediaWiki:Whitelistedittext
900
sysop
2531
2005-04-28T09:48:02Z
아흔
9
transl.
문서 편집을 위해서는 [[Special:Userlogin|로그인]]을 하셔야만 합니다.
MediaWiki:Whitelistedittitle
901
sysop
2532
2005-04-28T09:38:20Z
아흔
9
transl.
편집을 위해서는 로그인하셔야 합니다.
MediaWiki:Youremail
912
sysop
4652
2006-01-28T03:36:47Z
아흔
9
rev.
이메일(기입 자유)
MediaWiki:Yourname
914
sysop
2545
2005-04-28T09:38:49Z
아흔
9
rev.
사용자 이름
MediaWiki:Yournick
915
sysop
2546
2005-04-28T09:39:52Z
아흔
9
rev.
다른 이름(서명용)
MediaWiki:Yourpassword
916
sysop
2547
2005-04-28T09:40:24Z
아흔
9
rev.
암호(Password)
MediaWiki:Yourpasswordagain
917
sysop
2548
2005-04-28T09:40:52Z
아흔
9
rev.
암호 반복
MediaWiki:Yourrealname
918
sysop
2549
2005-04-28T09:41:29Z
아흔
9
transl.
진짜 이름*
MediaWiki:Yourtext
919
sysop
2550
2005-04-28T09:43:38Z
아흔
9
rev.
사용자 글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
932
6094
2006-10-23T07:24:20Z
아흔
9
rev.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은 미국 플로리다 주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 공익 재단입니다.
== 재단의 설립 ==
재단의 주요 운영체로서는 위키백과(Wikipedia)와 위키낱말사전(Wiktionary)을 들 수 있습니다. 위키미디아재단의 설립은 2003년 6월 20일에 위키피디아의 설립자인 [http://en.wikipedia.org/wiki/User:Jimbo_Wales Jimmy Wales]에 의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위키미디아라는 명칭은 미국의 작가이며 Disinfopedia의 운영자인 Sheldon Rampton에 의해 제안되어 채택되었습니다.
== 재단의 설립 목적과 프로젝트들 ==
재단 설립의 목적은 정보자료의 자유개방을 촉진 발전시키는 데에 있습니다. 특히 위키 이념에 따라 추진 중인 프로젝트들을 일반 대중에게 알리고, 여기에 담긴 내용을 자유로이 개방시켜 관심을 가진 모든 사람들이 이를 보충하고 증가시키는 것을 재단 설립의 중요한 목적의 하나로 손 꼽을 수 있습니다. 재단은 또한 이미 폐쇄된 [http://www.nupedia.com 누피디아]의 사무처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재단의 관리 밑에 추진 중인 자매 프로젝트들의 전체 명단은 [http://ko.wikibooks.org/wiki/%ED%8A%B9%EC%88%98%EA%B8%B0%EB%8A%A5:SiteMatrix 여기]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재단의 운영 ==
Jimmy Wales는 재단 설립과 더불어 위키백과, 위키낱말사전 그리고 누피디아의 재무권을 위키미디아에 전수시켰으며, 프로젝트와 관련된 [http://en.wikipedia.org/wiki/Bomis Bomis]에 의해 취득된 모든 저작권 역시 위키미디아에 전수시켰습니다. 이 밖에 위키백과의 데이터를 관장하는 대형컴퓨터 일체도 재단에 소속되었습니다.
위키미디아 재단은 비영리 재단이기 때문에 재단의 관리와 운영은 참여자들의 기부금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Jimmy Wales에 의하면 위키미디아의 온갖 데이터의 교환, 전력소비에 사용되는 비용은 앞으로 Bomis가 감당하게 될 것이며, 재단의 설립은 또한 보다 많은 기부금을 모으는데 기여할 것이며, 이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속한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조치가 조만간 있을 것이라 기대되고 있습니다.
=== 재단의 관리자 위원회 ===
위키미디아 재단의 관리위원회는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가운데 2년을 임기로 하는 관리자 대표 위원 2명은 [http://meta.wikipedia.org/wiki/Board_of_Trustees 관리자 대표단 선거]에 의해 선출됩니다.
2005년 현재 위원회의 구성 인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짐보 웰스(Jimbo Wales), 재단의 설립자, 종신회원
*[[:m:User:Anthere|플로랭스 니바르 드부아르]] (Florence Nibart-Devouard, 가명 앙테르), 위키미디아 재단 부회장
*[[:m:User:Eloquence|에릭 묄러]] (Erik Möller, 가명 "Eloquence", "Xirzon"), 실무위원, 위키미디아 재단 부회장
*마이클 데비스(Michael Davis), 재정위원
*팀 셀(Tim Shell)
== 링크보기 ==
* [http://wikimediafoundation.org/wiki/%EB%8C%80%EB%AC%B8 위키미디아 홈페이지]
* [http://wikimediafoundation.org/wiki/Fundraising 기부 안내]
[[Category:위키책]]
Wikibooks:모래상자
933
5132
2006-05-07T12:23:57Z
220.121.51.68
/* 위키참고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 위키참고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HTML 태그]]
Wikibooks:도움말
934
edit=sysop:move=sysop
6547
2007-01-03T15:53:12Z
아흔
9
rev.
{| width="100%"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FDD784; border-bottom:2px solid #EDA304; border-right:2px solid #EDA304; background-color:#FFF"
|-
| width="%40" style="valign:top; padding:2em;" | 한국어 위키책에 관해서 자세히 알고싶으신 참여자께서는 주제에 따라 나누어 모아 놓은 아래의 도움말을 읽어보세요.<br/><br/>
* [[#소개와 첫 방문자를 위한 안내|'''소개와 첫 방문자를 위한 안내''']]
* [[#낱말 편집을 위한 도움말|'''편집을 위한 도움말''']]
* [[#기술적 문제점에 대한 안내|'''기술적 문제점에 대한 안내''']]
* [[#저작권 문제|'''저작권 문제''']]
* '''[[Wikibooks:도움말 색인|도움말 색인]]'''
| stlye="float:right; valign:top;" | [[그림:Icon-03.jpg|90px]]
|}
{| width="100%" cellspacing="8px" cellpadding="8px"
|-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BDE2A1; border-bottom:2px solid #7AB801; border-right:2px solid #7AB801;" width="50%" align=left |
{{headline2|소개와 첫 방문자를 위한 안내}}
*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 안내]]
* [[Wikibooks:FAQ|잦은 질문과 답(FAQ)]]
* [[Wikibooks:위키책에서 착각하는 점|위키책에서 착각하는 점]]
* [[Wikibooks:위키백과에서 들른 참여자를 위하여|위키백과에서 들른 참여자를 위하여]]
* [[Wikibooks: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
* [[Wikibooks:개인맞춤|개인맞춤]]
* [[Wikibooks:자유게시판|자유게시판]]
{{headline2|편집을 위한 도움말}}
<div class="BGImage_favicon" style="background-repeat:no-repeat; background-position:150px 120px; background-color:#FFF;">
* [[Wikibooks:첫걸음|첫걸음]] - 처음 편집하는 참여자를 위하여
* [[Wikibooks:편집에 들어가기 전에|편집에 들어가기 전에]] - 편집에 임하는 기본 자세
* [[Wikibooks:용어 및 문장 부호|용어 및 문장 부호]]
* [[Wikibooks:고쳐쓰기에 주의할 점|고쳐쓰기에 주의할 점]]
* [[Wikibooks:편집 도움말|편집 도움말]] - 편집에 관한 세부적인 설명
** [[Wikibooks:제목 선택하기|제목 선택하기]]
** [[Wikibooks:새문서 만들기|새문서 만들기]]
** [[Wikibooks:문단 나누기|문단 나누기]]
** [[Wikibooks:문서 제목 붙여 나누기|문서 제목 붙여 나누기]]
* [[Wikibooks:위키책 서평|위키책 서평]]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9FC9F3; border-bottom:2px solid #015DB8; border-right:2px solid #015DB8;" |
{{headline2|기술적 문제점에 대한 안내}}
* [[Wikibooks:네임스페이스|네임스페이스]] (Namespace)
* [[Wikibooks:카테고리|카테고리 붙이기]] (Category)
* [[Wikibooks:템플릿|템플릿 만들기]] (Template)
* [[Wikibooks:내용 되살리기|내용 되살리기]] (Restore a page)
*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 (Move or rename a page)
* [[Wikibooks:문서 넘겨주기|문서 넘겨주기]] (Redirect a page)
* [[Wikibooks:보호문서|보호문서]] (Protected pages)
* [[Wikibooks:문서삭제 지침|문서삭제 지침]] (Deletion policy)
** [[Wikibooks:삭제 대상|삭제 대상 문서]]
* [[Wikibooks:복수 사용자 등록|복수 사용자 등록]] (Sock puppet)
*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 (Vandalism)
** [[Wikibooks:접속 차단|접속 차단]] (Block)
** [[Wikibooks:반달행위/IP-list|반달행위/IP-list]]
* [[Wikibooks:관리자|관리자]] (Adminship)
** [[Wikibooks:관리자/문제|관리자/문제]]
{{headline2|저작권 문제}}
* [[Wikibooks:저작권|저작권]] (Copyright)
** [[Wikibooks:GNU FDL|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GNU FDL)
** [[Wikibooks:GNU GPL|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NU GPL)
** [[Wikibooks:퍼블릭 도메인|퍼블릭 도메인]] (Public Domain)
** [[Wikibooks:공정사용|공정사용]] (Fair Use)
|}
__NOTOC__
[[Category:위키책]]
Wikibooks:FAQ
935
2557
2005-05-10T18:54:52Z
아흔
9
교정
{{위키책_도움말}}
== [[Wikibooks:FAQ/소개|FAQ/소개]] ==
* [[Wikibooks:FAQ/소개#위키책(Wikibooks)이란 무엇인가?|위키책(Wikibooks)이란 무엇인가?]]
* [[Wikibooks:FAQ/소개#위키책은 누구의 소유인가?|위키책은 누구의 소유인가?]]
* [[Wikibooks:FAQ/소개#위키책은 누구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는가?|위키책은 누구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는가?]]
* [[Wikibooks:FAQ/소개#위키책 문서의 내용은 누가 책임지는가?|위키책 문서의 내용은 누가 책임지는가?]]
* [[Wikibooks:FAQ/소개#위키책을 어떻게 널리 알릴수 있는가?|위키책을 어떻게 널리 알릴수 있는가?]]
== [[Wikibooks:FAQ/구조|FAQ/구조]]==
* [[Wikibooks:FAQ/구조#로그인은 왜 하는가?|로그인은 왜 하는가?]]
* [[Wikibooks:FAQ/구조#사용자 이름은?|사용자 이름은?]]
* [[Wikibooks:FAQ/구조#개인맞춤이란?|개인맞춤이란?]]
* [[Wikibooks:FAQ/구조#사용자 페이지란 무엇인가?|사용자 페이지란 무엇인가?]]
* [[Wikibooks:FAQ/구조#토론 페이지란 무엇인가?|토론 페이지란 무엇인가?]]
* [[Wikibooks:FAQ/구조#최근바뀜이란 무엇인가?|최근바뀜이란 무엇인가?]]
* [[Wikibooks:FAQ/구조#주시문서란 무엇인가?|주시문서란 무엇인가?]]
* [[Wikibooks:FAQ/구조#내가 쓴 글이란?|내가 쓴 글이란?]]
* [[Wikibooks:FAQ/구조#문서역사를 왜 살펴보는가?|문서역사를 왜 살펴보는가?]]
* [[Wikibooks:FAQ/구조#그림 및 음악은 어떻게 올리는가?|그림 및 음악은 어떻게 올리는가?]]
* [[Wikibooks:편집창|편집창]]
__NOTOC__
[[Category:위키책]]
틀:대문/아
941
6438
2006-12-22T15:14:27Z
아흔
9
rev.
[[Image:Wikimedia-logo.png|20px|]]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재단]]''' (Wikimedia Foundation)의 자매 프로젝트들
{| width="100%" class="plainlinks" cellspacing="10px" style="border:2px solid #DFDFDF; padding:1em;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FCFCFC;"
| [[그림:Wikipedia-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pedia.org/wiki/대문 '''위키백과''']<br />Wikipedia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위키낱말사전:대문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source.org/wiki/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Commons-logo.svg|center|35px|<nowiki></nowiki>]]
| [http://commons.wikimedia.org/wiki/ '''위키미디어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media-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Meta-Wiki
| [[그림:Wikiquote-logo.sv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 Section of InterLang -->
[[ar:]]
[[ang:]]
[[bg:]]
[[ca:]]
[[cs:]]
[[cv:]]
[[cy:]]
[[da:]]
[[de:]]
[[dk:]]
[[el:]]
[[en:]]
[[eo:]]
[[es:]]
[[et:]]
[[fa:]]
[[fr:]]
[[gl:]]
[[he:]]
[[hu:]]
[[ia:]]
[[id:]]
[[ie:]]
[[is:]]
[[it:]]
[[ja:]]
[[ku:]]
[[la:]]
[[lt:]]
[[mk:]]
[[na:]]
[[nl:]]
[[no:]]
[[pl:]]
[[pt:]]
[[ro:]]
[[ru:]]
[[simple:]]
[[sk:]]
[[sl:]]
[[sq:]]
[[sr:]]
[[su:]]
[[fi:]]
[[sv:]]
[[ta:]]
[[th:]]
[[tr:]]
[[tt:]]
[[uk:]]
[[vi:]]
[[zh:]]
집합
944
4746
2006-02-21T04:50:22Z
사형제 파이팅
52
== 집합 ==
===집합이란?===
어떤 조건과 성질로 규정되어 있는 것들의 모임을 '집합(set)'이라 하고,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의 것을 집합의 '요소'또는 '원'이라고 부른다. 집합A가 수의 집합이라고 할 때는, 요소를 수로 볼 수 있으며, A가 기하학적 대상일 때는 요소를 점으로 볼 수도 있다. a가 집합A의 요소일 때, 'a는 A에 속한다', 'a는 A에 포함된다', 'A는 a를 포함한다' 등으로 말하고, 기호로는 a∈A로 쓴다. 집합은 어떤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그대상을 명확히 구별할수있을때만 집합이라고 한다.
예:
*3보다 크고 10보다 작은 자연수의 모임(O)
*키가 작은사람의 모임(x)
거시 경제학
961
2562
2005-04-24T03:58:06Z
24.126.14.159
/* 비례세 정액세가 존재할 때 */
== 분석대상과 특징 ==
거시경제학의 분석대상 : GNP, 실업율, 물가수준 등
거시경제학의 분석의 특징 : 소득수준, 물가수준, 경제성장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를 총체적으로 분석한다.
== 국민소득론 ==
단순한 소득순환모형(2부문 모형) : 기업(생산자, 요소수입자), 가계(소비자, 요소공급자)
국민소득 = 소비 + 저축
정부부문 도입(3부문 모형) : 기업, 가계, 정부
국민소득 = 소비 + 저축 + 조세
해외부문도입(4부문 모형) : 기업, 가계, 정부, 수입 수출
소득 = 소비 + 투자지출 + 정부지출 + (수출 - 수입)
누출과 주입
누출 : 저축, 조세, 수입
주입 : 투자, 정부지출, 수출
== 국민총생산 ==
===국민총생산(GNP) ===
==== 개념 및 성질 ====
국민총생산(GNP) : 일정기간 동안에 일국의 국민에 의해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총가치의 합계이다.
일정기간 : 통상 1년 단위
일국의 국민 : 해당국적을 가진 모든 주체들과 그들이 소유자원에 의하여 생산된 재화와 용역
최종생산물 : 경제주체에 의하여 최종용도에 사용되어지는 생산물을 의미한다.
평가방법에 따른 분류
명목GNP = (당해 연도의 최종생산물) x (당해 연도의 시장가격)
실질GNP = (당해 연도의 최종생산물) x (기준연도의 시장가격)
GNP디플레이터 = (명목GNP) / (실질GNP) x 100
실제GNP : 한 나라 경제가 실제 생산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이다.
잠재적GNP : 한 나라 경제에 존재하는 생산자원을 모두 고용하였을 경우 생산하게 되는 모든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를 의미하며 완전고용 GNP라고 한다.
GNP 갭 = 잠재적GNP - 실제GNP
GNP와 압솝션(Absorption)
압솝션 = GNP + 수입 - 수출
===기타 국민소득지표 ===
국내총생산(GDP) : 일정기간 동안에 한 나라의 국경 안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
국민순생산(NNP) : 국민총생산 - 감가상각비
국민소득(NI) : 생산요소소득의 합계
개인소득(PI) : 개인에게 직접 돌아오는 소득
PI = NI - 법인세 - 사내유보이윤 - 사회보장부담금 + 이전지출
개인가처분소득(PDI) : 개인이 직접 처분할 수 있는 소득
PDI = PI - 개인소득 = 민간소비지출 + 개인저축
=== 유용성과 한계 ===
GNP의 유용성 : 생산수준, 고용수준, 물가와 같은방향
GNP의 한계
추계상의 문제
후생지표로서의 문제
새로운 후생지표
순경제 후생지표
신국민계정
고전학파와 케인즈의 국민소득결정이론
고전학파의 모형
기본 견해
정부의 비개입주의를 제창
가정
세이의 법칙(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의 지배를 받는다.
모든가격(물가, 임금, 이자율 등)이 상하 양방향으로 완전신축적이다.
어떠한 시장에서도 수요 공급행위에 화폐환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노동시장은 완전고용시장이고 이에 따라 노동시장에서 결정되는 고용량은 균형고용량이 된다.
균형국민소득의 결정과정 및 그 특징
단기 결정과정 : (균형고용량) = (완전고용량) 즉 공급요인만으로 균형국민소득이 결정된다.
장기 결정과정
자본량↑-- 생산함수↑-- 균형국민소득↑
기술진보 -- 생산함수↑-- 균형국민소득↑
인구↑-- 노동공급곡선←-- 균형노동량↑-- 균형국민소득↑
여가선호↑-- 노동공급곡선→ -- 균형노동량↓-- 균형국민소득↓
케인즈의 이론
배경 : 적극적인 정부개입
기본가정
세이의 법칙을 부정한다.
감가상각이나 기업저축은 없다.
소비는 소득의 증가함수이며, 한계소비성향(MPC)은 0과 1사이이다.
독립투자만이 존재한다.
소비수요
C = a + bY (a>0, 0
저축함수
S = -a + (1-b)Y
투자수요
독립투자(I) : 소득이나 이자율과는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투자 -- I = I¸
유발투자(I) : 소비지출의 증가가 기업의 투자를 유발 -- I = I(Y)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케인즈의 단순원리
총수요 : 유효수요
C = a + bY
I = I¸
Yd = C + I = a + bY + I¸
총공급 : 생산국민소득(Ys)
S = -a + (1-b)Y
Ys = C + S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지 않을 때
Y2 > C + I -- 재고증가 -- 산출량감소
Y1 < C + I -- 재고감소 -- 산출량증가
Ye = C + I -- 재고불변 -- 산출량 불변
==정부부문의 도입된 경우 ==
Y = C + I + G (G : 정부지출)
==해외부문의 추가된경우 ==
무역균형( X - M = 0 )
무역흑자( X - M > 0 ) -- 국민소득 증가 -- 고용증가
무역적자( X - M < 0 ) -- 국민소득 감소 -- 고용감소
==고전학파와 케인즈의 비교 ==
===국민소득결정이론의 응용 ===
====절약의 역설 ====
개인 절약(저축증가) -- 총수요 감소 -- 국민소득의 감소 -- 총저축의 감소
유발투자가 없는 경우(독립투자만 있는 경우) : 개별경제주체의 저축증대는 국민경제 전체의 저축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감소된 국민소득수준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중만 높인 결과가 된다.
유발투자가 있는 경우 : 저축의 증대는 유발투자가 없는 경우 보다 국민소득수준은 더 많이 감소하고, 국민경제 전체의 저축수준도 원래의 저축수준보다 더 적어진다.
절약역설의 의미
투자기회가 부족하여 저축이 바로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만 성립된다.
개도국에서는 저축은 미덕이 된다.
고전학파 : 저축이 미덕이다 즉 저축 --> 투자
인플래이션 갭과 디플래이션 갭
디플래이션 갭 = (완전고용 균형국민소득을 달성하는 총수요) - (현재의 총수요)
인플래이션 갭 = (현재의 총수요) - (완전고용 균형국민소득을 달성하는 총수요)
디플래이션 갭 : 경기침체, 실업과 유휴설비가 존재
인플래이션 갭 : 생산물의 가격 상승
균형국민소득의 변동 - 승수이론
승수의 개념
정의 : 승수 = (균형국민소득 증가분) / (독립지출 증가분)
==가정 ==
===경제가 불완전 고용상태 ===
물가수준이 일정 -- 명목국민소득의 증가 = 실질국민소득의 증가
소비함수가 안정적이다. (한계소비성향은 일정하다)
생산물시장만의 분석대상으로 한다.
승수의 도출(단순모형 : 가계와 기업)
△A많큼 투자증가 -- c △A많큼 소비(C : 한계소비성향) -- 승수 △Y/△A = 1 / (1-c)
==여러가지 승수모형 ==
===정부부문 도입 ===
====정액세만 존재할 때 ====
정부지출승수 : dY/dG = 1 / (1-c)
조세승수 : dY/dT = -c / (1-c)
투자승수 : dY/dI = 1 / (1-c)
====비례세 정액세가 존재할 때 ====
정부지출승수 : dY/dG = 1 / {1-c(1-t)}
조세승수 : /dT = -c / {1-c(1-t)}
투자승수 : dY/dI = 1 / {1-c(1-t)}
====균형재정승수(균형예산승수) ====
dY/dG + dY/dT = 1 / (1-c) + (-c) / (1-c) = 1
====해외부문 도입 ====
정부지출승수 : dY/dG = 1 / {1-c(1-t)+m}
조세승수 : dY/dT = -c / {1-c(1-t)+m}
투자승수 : dY/dI = 1 / {1-c(1-t)+m}
==승수의 평가 ==
===승수의 효과 ===
분자가 1인 경우 : 유효수요의 변동으로 인한 국민소득의 변동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분자가 1이 아닐 경우 : 유효수용의 변동으로 인한 국민소득의 변동효과가 느리게 나타난다.
분모에 (-)부호로 주어지는 것은 유효수요를 확장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분모에 (+)부호로 주어지는 것은 유효수요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승수 효과가 작아진다.
===승수모형의 한계 ===
한계소비성향이 안정적이지 않다면 승수효과를 확정적으로 표시할 수 없다.
공급측에 애로가 있다면 승수효과는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독립지출이 증가하였을 때 기업의 의도된 재고가 감소하면 승수효과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승수효과를 유발시키는데 필요한 투자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승수과정이 촉발될 수 없다.
경제모형을 분석할 때 승수효과는 경제의 움직임을 명확히 보여주는 장점이 있으나 실제로 복잡한 경제현실에 적용될 때에는 한계점을 지니게 된다.
프랑스어 입문
966
6294
2006-11-19T07:29:08Z
221.149.100.183
/* 3장.단어 */
{{재편집}}
== 1장.발음 ==
* [[프랑스어입문/발음|프랑스어의 발음]]
* [[프랑스어입문/모음발음|프랑스어의 모음발음]]
== 2장.시제 ==
=== 프랑스어의 현재 시제 ===
* [[프랑스어입문/현재 시제|프랑스어의 현재 시제]]
=== 과거 ===
* [[프랑스어입문/반과거 시제|프랑스어의 반과거 시제]]
* [[프랑스어입문/단순과거와 전과거|프랑스어의 단순과거와 전과거]]
== 3장.단어 ==
* [[프랑스어입문/자주 쓰이는 불어|자주 쓰이는 불어]]
프랑스어입문/발음
967
3831
2005-09-06T17:31:06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계속|입문서|프랑스어입문|발음|모음발음|입문서}}
== 알파벳 ==
a (아)
b (베) - v 와 발음틀림 - 두 입술을 붙이고 발음을 함
c (쎄)
d (데)
e (으)
f (에프)
g (제)
h (아쉬)
i (이)
j (지)
k (까)
l (엘)
m (엠)
n (엔)
o (오)
p (뻬)
q (뀌)
r (에르)
s (에스)
t (떼)
u (위)
v (베) - b와 발음 틀림 - 윗니를 아랫입술과 마주쳐 소리내는 방식
w (두블르베)
x (익스)
y (이그렉)
z (제드)
== 발음 ==
a - (ㅏ)
b - (ㅂ)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마주쳐 발음함
c - (ㅋ) 또는 (ㅆ)
d - (ㄷ)
e - (ㅡ)
f - (ㅍ) 윗니와 아랫입술을 마주쳐 발음함
g - (ㅈ)또는 (ㄱ)
h - (발음없음) - 묵음 또는 유성음으로 분류됨
i - (ㅣ)
j - (ㅈ)
k - (ㅋ)
l - (ㄹ)
m - (ㅁ)
n - (ㄴ)
o - (ㅗ)
p - (ㅍ)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마주쳐 발음함
q - (ㅋ) 보통 철자법상 q 뒤에는 u가 항상 따라옴
r - (ㄹ과 ㅎ의 중간발음) 목젖을 떤다고 함(가래끓는 소리) - 젤 어려운 발음중 하나!
s - (ㅅ)
t - (ㄸ) 또는 때에 따라서 (ㅆ)
u - (ㅟ) - (오) 모양을 하고 (이)를 발음하면 비슷하게 나옴
v - (ㅂ) 윗니와 아랫입술을 마주쳐 발음함
w - (ㅂ)
x - (ㅋ)과 (ㅅ)의 연음 (예) Xavier - (크자비에)
y - (ㅣ)
z - (ㅈ)
au - (ㅗ)
an, am - (앙)
eu - (ㅚ)
on - (옹)
un - (엉)
ai - (ㅔ)
끝에 붙는 자음은 무음일 경우가 많다.
== 발음부호 ==
* 악상떼귀(accent aigu: ´)는 언제나 <e> 위에 붙으며 닫힌 음 [e] 을 나타낸다: école (학교)
** 예외: 열린음 [є] 을 나타내는 경우: événement (사건)
* 악상 그라브 (accent grave: `)는 언제나 <e> 위에 붙으며 열린 음 [є] 을 나타낸다: père (아버지)
** 악상 시르콩플렉스 (accent circonflex: ^)는 a, e, i, o, u 위에 붙을 수 있으며 강조된 장음 나타내며, 때로는 발음 변천에 따라서 뒤에 붙은 's' 가 생략된 것을 암시하기도 한다: âme (영혼), bête (어리석은), île (섬), bientôt (빨리), flûte (플류트)
발음 부호가 아닌 같은 낱말을 구별하기 위한 표시로서:
:à (전치사: ...로) - a (avoir 동사의 3인칭 단수)
:où (의문대명사: 어디) - ou (접속사: 혹은)
:dû (과거분사: 빚진) - du (de + le)
:sûr (형용사: 확실한) - sur (전치사: ... 위에)
[[Category:입문서]]
[[Category:언어]]
통신공학
968
2565
2005-03-10T04:17:45Z
24.160.121.119
우선 첫 글이라 틀만 잡습니다.
= 하드웨어 =
= 소프트웨어 =
== 통신 네트워크 ==
=== 기초 ===
* [[OSI 7 Layer]]
지수함수
975
2568
2005-04-07T01:50:26Z
147.46.240.94
== Headline text ==
프랑스어입문/현재 시제
976
6297
2006-11-19T07:41:14Z
221.149.100.183
{{재편집}}
프랑스어는 영어와 상당히 비슷해서 어느 정도의 영어 실력이 있으면 프랑스어를 어렵게 느끼지 않는다고 합니다. 프랑스어 학습의 첫 장애물은 동사 변화 (conjugaison) 이라고 할 수 있는데 어느 언어나 마찬가지로 여유를 가지고 어느 정도의 시간을 통해 배우면 자연스럽게 습득이 됩니다. (라틴어의 동사 변화를 생각해보면 위안이 될까요?)
이 글에서는 프랑스어의 현재 시제가 언제 쓰이며 동사 현재형의 동사 변화와 발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현재 시제의 설명을 읽기 전에 설명 아래에 나오는 현재 시제의 동사 변화를 알면 프랑스어 예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참고로 동사 변화에 나오는 인칭 대명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je = I 나
*tu = you 너
*il = he 그
*elle = she 그녀
*nous = we 우리
*vous = you 너희들
*ils = (남성) 그들
*elles = (여성) 그들
== 현재 (PRESENT) ==
*'''불어의 현재형은 사실이나 현재에 일어나고 있는 사건을 나타내며 영어의 현재형과 현재 진행형에 해당합니다.'''
J'écris une lettre (I am writing a letter) 나는 편지를 쓰고 있다
그리고 'être en train de + 동사 원형' 의 형태로 진행형을 강조하기도 합니다.
Je suis en train d'écrire une lettre
'être en train de' 는 문자 그대로 'be in train of' 입니다. 여기서의 train 은 원래의 의미인 '기차' 에서 '진행' 이라는 은유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 영어와 마찬가지로 과거의 일을 서술하기도 합니다.'''
또는 'venir de + 동사 원형' (문자 그대로 'come from') 의 형태로 방금 일어난 일을 표현합니다.
Je viens de le voir (I have just seen him) 나는 그를 방금 봤다
또는 depuis 'since' 를 사용해서 과거에 시작해서 현재에도 진행되는 일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J'habite dans cette maison depuis quatre ans (I have been living in this house for four years) 나는 이 집에 4년 살고 있다
(영어의 현재 완료 진행형)
*''' 현재형은 미래의 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보통 'aller (가다) + 동사 원형' 의 형태를 사용합니다.'''
*''' 회화에서 현재형은 명령형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Tu arrêtes de crier! (You stop shouting!) 너 그만 소리쳐!
명령형을 쓰면 arrête de crier 가 됩니다.
=== 프랑스어의 3가지 규칙동사 ===
프랑스어에는 세 가지의 규칙 동사가 있습니다. 각각의 동사 원형이 -er, -ir, -re 로 끝나는데 현재 시제의 동사 변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er 로 끝나는 동사 : -e, -es, -e, -ons, -ez, -ent====
*e.g. donner 주다
*je donne 나는 준다
*tu donnes 너는 준다
*il/elle donne 그/그녀는 준다
*nous donnons 우리는 준다
*vous donnez 너희들은 준다
*ils/elles donnent 그들은 준다
er 는 보통 è + r 로 발음하지만 여기서의 동사 원형 어미 -er 은 예외적으로 é 로 발음합니다. donne 의 -e 는 발음하지 않고 donnes 의 -es 는 발음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ons 는 비음 o 로 발음하고 -ez 는 é 로 발음하며 -ent 는 발음하지 않습니다.
==== -ir 로 끝나는 동사 : -is, -is, -it, -issons, -issez, -issent ====
*e.g. finir 끝내다
*je finis 나는 끝낸다
*tu finis 너는 끝낸다
*il/elle finit 그/그녀는 끝낸다
*nous finissons 우리는 끝낸다
*vous finissez 너희들은 끝낸다
*ils/elles finissent 그들은 끝낸다
동사 원형 어미 -ir 는 i + r 으로 발음합니다. -is, -it 는 묵음이고 ss 는 항상 영어 possible 의 ss 처럼 발음합니다.
==== -re 로 끝나는 동사 : -s, -s, -, -ons, -ez, -ent ====
*e.g. vendre 팔다
*je vends 나는 판다
*tu vends 너는 판다
*il/elle vend 그/그녀는 판다
*nous vendons 우리는 판다
*vous vendez 너희들은 판다
*ils/elles vendent 그들은 판다
vends 의 어미 -s 는 발음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vends 의 -d- 도 묵음입니다) 복수 어미 -ons, -ez, -ent 는 -er 로 끝나는 동사의 복수 어미와 같습니다.
참고로 현재형 동사 parler '말하다' 그리고 comprendre '이해해다' 로 아주 간단한 문장을 만들어보겠습니다.
* Parlez-vous anglais?
**(Do you speak English?) 영어 하세요?
* Parles-tu francais?
**(Do you speak French?) 프랑스어 해요?
참고로 프랑스어에서 의문문을 만드는 하나의 방법은 위와 같이 주어와 동사의 순서를 바꾸는 것이입니다. vous 는 (독일어의 Sie 처럼) 문법적으로 tu 의 복수이기도 하지만 존칭을 나타냅니다.
* Oui, je comprends un peu.
**(Yes I understand a little) 네 조금 이해합니다.
* Je suis désolé mais je ne comprends pas.
**(I am sorry but I don't understand) 미안하지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Je ne parle pas le français.
**(I don't speak French) 저는 프랑스어를 못합니다.
* Je ne parle pas l'anglais.
**(I don't speak English) 저는 영어를 못합니다.
참고로 동사 앞뒤에 ne ... pas 를 쓰면 부정이 됩니다. 그리고 le 또는 l' 는 남성 관사입니다.
프랑스어입문/반과거 시제
978
6304
2006-11-20T13:56:35Z
221.149.100.183
/* 반과거 (IMPERFECT) */
{{재편집}}
프랑스어는 영어와 상당히 비슷해서 어느 정도의 영어 실력이 있으면 프랑스어를 어렵게 느끼지 않는다고 합니다. 프랑스어 학습의 첫 장애물은 동사 변화 (conjugaison) 이라고 할 수 있는데 어느 언어나 마찬가지로 여유를 가지고 어느 정도의 시간을 통해 배우면 자연스럽게 습득이 됩니다. (라틴어의 동사 변화를 생각해보면 위안이 될까요?)
이 글에서는 프랑스어의 반과거 시제가 언제 쓰이며 반과거 시제의 규칙 동사 변화를 알아보고 동사 어미를 어떻게 발음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동사 변화에 나오는 인칭 대명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je = I 나
*tu = you 너
*il = he 그
*elle = she 그녀
*nous = we 우리
*vous = you 너희들
*ils = (남성) 그들
*elles = (여성) 그들
== 반과거 (IMPERFECT) ==
* 반과거 시제는 영어로 imperfect 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과거에 완료되지 않은 진행중인 사건을 표현합니다. 그러므로 그 사건의 시작과 끝이 언제였는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영어의 과거 진행형에 해당합니다. 과거의 완료된 사건을 표현하는 복합 과거 시제와 구분됩니다.
**Il parlait d'autre chose
***(He was talking about something else) 그는 다른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
**Il était très mal assis
***(He was sitting uncomfortably) 그는 불안하게 앉아있었다
**C'était un dromadaire et il était très propre
프랑스어의 반과거 시제는 종종 영어 과거 시제에 해당합니다.
**Il avait envie de pleurer
***(He wanted to cry) 그는 울고 싶었다
* 반과거 시제는 습관이나 과거의 반복적인 일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Je mangeais une pomme
***(I ate/was eating/used to eat an apple) 나는 사과를 먹었다/먹고 있었다/먹고는 했다 (상황에 따라 의미가 결정됩니다)
**Il faisait cela chaque jour
***(He would do it every day) 그는 매일 그것을 하곤 했다
* 반과거 시제는 이야기에 더욱 큰 영향을 끼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Albert Camus mourait accidentellement en 1960
***(Albert Camus died accidentally in 1960) 카뮈는 1960년에 사고로 죽었다
* depuis 'since' 와 함께 과거에 시작해서 진행중인 사건을 나타냅니다. 영어의 과거 완료 진행형에 해당합니다.
**Depuis une heure trois quarts un gros monsieur parlait
***(A fat gentleman had been talking for an hour and three quarts) 어떤 뚱뚱한 신사가 1 시간 45 분 동안 이야기하고 있었다 (과거에 진행중인 사건)
전에 언급한 현재형의 depuis 와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Il parle depuis une heure
**(He has been talking for an hour) 그는 한 시간 동안 이야기하고 있다 (말하는 시점까지 지속됨)
----
이제 -er, -ir, -re 로 끝나는 규칙 동사의 반과거 시제의 동사 변화를 알아보겠습니다.
-er 로 끝나는 규칙 동사 : -ais, -ais, -ait, -ions, -iez, -aient
*e.g. donner 주다
*je donnais 나는 주었다
*tu donnais 너는 주었다
*il/elle donnait 그/그녀는 주었다
*nous donnions 우리는 주었다
*vous donniez 너희들은 주었다
*ils/elles donnaient 그들은 주었다
-ais, -ait, -aient 는 모두 è 로 발음합니다. -ions, -iez 의 경우에는 i 를 영어 yes 의 y 로 발음하고 -ons, -ez 를 현재형에서처럼 각각 비음 o 그리고 é 로 발음합니다.
-ir 로 끝나는 규칙 동사 : -issais, -issais, -issait, -issions, -issiez, -issaient
*e.g. finir 끝내다
*je finissais 나는 끝냈다
*tu finissais 너는 끝냈다
*il/elle finissait 그/그녀는 끝냈다
*nous finissions 우리는 끝냈다
*vous finissiez 너희들은 끝냈다
*ils/elles finissaient 그들은 끝냈다
-re 로 끝나는 규칙 동사 : -ais, -ais, -ait, -ions, -iez, -aient
*e.g. vendre 팔다
*je vendais 나는 팔았다
*tu vendais 너는 팔았다
*il/elle vendait 그/그녀는 팔았다
*nous vendions 우리는 팔았다
*vous vendiez 너희들은 팔았다
*ils/elles vendaient 그들은 팔았다
프랑스어입문/단순과거와 전과거
979
6298
2006-11-19T10:04:26Z
221.149.100.183
{{재편집}}
이 글에서는 프랑스어의 단순 과거 & 전과거 시제와 그 규칙 동사 변화를 알아보고 동사 어미를 어떻게 발음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단순 과거 (PASSÉ SIMPLE)와 전과거 (PASSÉ ANTÉRIEUR) ==
단순 과거 & 전과거 시제는 의미상으로 복합 과거 & 대과거 시제와 같습니다. 복합 과거와 마찬가지로 단순 과거는 과거에 완료된 사건을 표현하고 전과거는 복합 과거와 마찬가지로 어떤 과거의 시점보다 이전의 사건을 표현합니다. 차이점은 전에 말했듯이 스타일에 있습니다. 단순 과거와 전과거는 일상 회화에서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주로 연설이나 글 같은 격식적인 상황에서 그리고 소설과 이야기책에서 쓰입니다.
또한 때때로 단순 과거와 복합 과거가 같이 쓰이기도 하는데 그런 경우에 단순 과거는 현재와 즉각적인 연관이 없는 과거의 완료된 사건을 표현하고 복합 과거는 현재에 영향이 나타나고 있는 과거의 완료된 사건을 표현합니다.
단순 과거의 2인칭 단/복수는 (주어가 tu, vous 인 경우) 아주 드물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tu 와 vous 는 직접적인 대화에서 쓰이는데 그러면 복합 과거 (passé composé) 가 쓰이기 때문입니다.
=== -er 로 끝나는 규칙 동사 : -ai, -as, -a, -âmes, - âtes, -èrent ===
*e.g. donner 주다
*je donnai
*tu donnas
*il/elle donna
*nous donnâmes
*vous donnâtes
*ils/elles donnèrent
=== -ir 로 끝나는 동사 : -is, -is, -it, -îmes, -îtes, -irent===
*e.g. finir 끝내다
*je finis
*tu finis
*il/elle finit
*nous finîmes
*vous finîtes
*ils/elles finirent
=== -re 로 끝나는 동사 : -is, -is, -it, -îmes, -îtes, -îrent===
*e.g. vendre 팔다
*je vendis
*tu vendis
*il/elle vendit
*nous vendîmes
*vous vendîtes
*ils/elles vendirent
전과거 시제의 문법적인 형태는 'être/avoir 의 단순 과거형 + 과거 분사' 입니다. 대과거 시제의 조동사가 반과거형인 사실과 일맥상통합니다.
----
그렇다면 être 와 avoir 의 단순 과거형을 알아보겠습니다.
==être 단순 과거==
*je fus
*tu fus
*il/elle fut
*nous fûmus
*vous fûtes
*ils/elles furent
== avoir 단순 과거==
*j'eus
*tu eus
*il/elle eut
*nous eûmes
*vous eûtes
*ils/elles eurent
----
다음은 복합 과거 시제 문장을 단순 과거로 바꾸는 연습입니다.
*Je suis allé à Rome.
*Elle a fini d'écrire sa lettre.
*Ils sont venus me chercher.
*Il a été charmant avec les dames.
*J'ai parlé très fort.
*Elles ont eu grand peur.
*Ils ont aperçu le Président.
*Elle a dit que c'était impossible.
해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J'allai à Rome.
*Elle finit d'écrire sa lettre.
*Ils vinrent me chercher.
*Il fut charmant acev les dames.
*Je parlai très fort.
*Elles eurent grand peur.
*Ils aperçurent le Président.
*Elle dit que c'était impossible.
프랑스어입문/모음발음
980
6295
2006-11-19T07:34:46Z
221.149.100.183
{{재편집}}
영어에 비해서 프랑스어는 발음이 매우 규칙적입니다. 물론 그 규칙이 적지 않기 때문에 발음 체계를 익히는데 시간과 노력이 걸리지만 다 배우고 나면 프랑스어를 발음하는데 거의 문제가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 단모음 a, e, i, o, u, y ==
* a - 한국어 '아' 와 비슷한데 소리가 약간 입 앞쪽에서 나는 소리입니다.
** la, ma, sa, ta, patte, plat, amour
* e - 영어 about 의 a 또는 한국어 '어' 와 '으' 의 사잇소리와 비슷합니다. 발음 기호 /ə/ 에 해당합니다.
** le, me, se, te, premier (첫 번째 e)
* i - 한국어 '이' 와 비슷한 소리입니다. 영어 see 의 장모음 i 보다 약간 짧습니다.
**ici, vie, il, Miami, ski
* o - 한국어 '오' 와 비슷한데 두 가지의 발음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입술이 둥근 정도와 길이로 따지는데 첫 번째는 입술을 많이 둥글게 하고 약간 긴 소리입니다.
**mot, rose, pot, vidéo
**두 번째는 첫 번째 보다 입술을 덜 둥글게 그리고 더 짧게 발음합니다. 영국 영어 pot 의 o 발음과 비슷합니다.
**or, alors, port, mort, homme
* u - '우' 를 발음할 때처럼 입술을 둥글게 하고 '이' 를 발음하면 나타나는 소리입니다. 보통 한글로 '위' 라고 적는데 이것은 발음할 때 입술이 둥글지 않고 평평해지므로 전혀 다른 소리입니다. 한국어와 표준 영어에는 이와 같은 발음이 없습니다.
**du, tu, su, vu, nu, rue, vetu
* y - 위의 모음 i 와 같습니다.
**cycle, bicyclette, cyclone
**한가지 알아둘 점은 i 와 y 는 그 뒤에 모음이 오면 영어 yes 의 y 와 같이 발음이 된다는 것입니다.
**pied, ayant, mayonnaise, il y a, yod
== 강세 부호가 있는 모음 à, â, é, è, ê, ë, î, ï, ô, û, ù ==
é, ù, â, ë 위에 있는 강세 부호를 각각 accent aigu, accent grave, accent circonflexe, accent tréma 라고 합니다.
* à - a 와 똑같이 발음되고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쓰입니다. 예를 들어서 à (at, to) 와 a (has) 그리고 là (there) la (the) 등이 있습니다.
**à, là, çà et là, déjà-vu, là-bas, holà, deçà et delà
* â - a 보다 입의 뒷쪽에서 발음됩니다. 영국 영어 car 의 r 발음 없는 ar 와 비슷합니다. 몇몇 단어들은 과거에 모음 뒤에 s 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accent circonflexe 를 붙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hâte (haste), pâte (paste) 가 있습니다.
**pâte, âge, château, câble, hâte
* é - 한국어 '에' 와 발음이 비슷합니다. 혀의 위치를 '이' 를 발음할 때처럼 약간 올린 상태에서 '에' 발음을 합니다. 한국어나 표준 영어에는 이와 같은 발음이 없습니다.
**bébé, café, allé, été
* è - 한국어 '애' 또는 영어 egg 의 e 와 발음이 비슷합니다. 턱과 혀를 내리고 '애' 발음을 하면 됩니다. 한국어의 '에' 그리고 '애' 는 é 그리고 è 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므로 ('에' 와 '애' 의 구분을 하는 사람이라도) 연습을 해서 정확히 발음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mère, père, frère, très, près
* ê - 위의 모음 è 와 같습니다. â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몇몇 단어들은 과거에 모음 뒤에 s 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accent circonflexe 를 붙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forêt (forest) 가 있습니다.
**prêt, dépêche, bête, fête, tête
* ë - 위의 모음 è 와 발음이 같습니다. accent tréma 는 두 개의 모음이 붙어있을 때 두 번째 모음 위에 붙어서 그 두 모음을 분리해서 발음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기능을 합니다.
**Citroën, Noël, Israël
* î - 위의 모음 i 와 발음이 같습니다. â 와 ê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몇몇 단어들은 과거에 모음 뒤에 s 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accent circonflexe 를 붙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île (isle) 이 있습니다.
**fît, huître, îlot
* ï - 위의 모음 i 와 발음이 같습니다. ë 의 경우와 같이 accent tréma 는 두 개의 모음이 붙어있을 때 두 번째 모음 위에 붙어서 그 두 모음을 분리해서 발음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기능을 합니다.
**coïncidence, maïs, Moïse, mosaïque, naïf
* ô - o 의 두 가지 발음 중에서 입술이 많이 둥글고 소리가 긴 '오' 발음입니다. â, ê, î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몇몇 단어들은 과거에 모음 뒤에 s 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accent circonflexe 를 붙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hôtel (hostel) 이 있습니다.
**diplôme, dôme, cône, allô, l’hôte
* û - 위의 모음 u 와 같습니다. 주로 철자가 같고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sûr (sure) 와 sur (on) 가 있습니다.
**sûr, dû
* ù - 한국어 '우' 와 비슷하며 ù 를 가진 단어는 où (where) 하나뿐입니다. ou (or) 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농구
981
6042
2006-09-22T16:41:51Z
아흔
9
contents frame
{{차례|문단=
* [[농구/기본기술|농구의 기본기술]]
* [[농구/기본용어|농궁의 기본용어]]
* [[농구/슛|농구의 슛]]
* [[농구/드리볼|농구의 드리블]]
* [[농구/리바운드|농구의 리바운드]]
}}
농구/기본기술
982
2575
2005-04-16T21:58:34Z
220.79.45.155
== 슛 ==
슛의 경우 오른손 잡이는 오른 다리를 앞으로 내면서 바스켓을 향해 위치를 잡는다. 왼다리는 뒤로 빼고 체중이 오른쪽 발끝에 오도록 한다. 무릎은 약간 구부리고 상체는 똑바로 세워 시선은 볼과 손 사이로 바스켓을 주시한다. 동시에 왼손으로는 볼의 옆면을 지지하면서 오른손은 손가락을 넓게 펴서 볼의 뒤로 가져간다. 이 때 오른팔의 팔 꿈치는 바스켓을 향하도록 해야 하며 볼은 눈 높이나 그보다 약간 더 높은 위치로 가져간다. 슛을 할 때에는 무릎을 펴는 동시에 왼손을 볼에서 떼고 오른팔을 얼굴 윗쪽으로 완전히 펴면서 손목을 앞으로 숙이면 손가락 끝으로부터 볼이 떨어져 나가면서 백 스핀이 생기게 된다.
== 패스 ==
패스는 일반적으로 볼 받는 이의 허리와 어깨 사이, 즉 볼 받는 사람의 가슴 정도의 높이를 겨냥해서 수비자로부터 떨어진 몸 쪽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그러나 수비 선수가 볼을 잡은 공격 선수를 밀착해서 수비하거나 공격 선수를 향해 달려 나오며 수비할 때는 허리보다 높은 위치나 낮은 위치로 패스를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움직이고 있는 선수에게 패스할 때에는 움직임을 머뭇거리지 않게 하도록 선수의 몸 앞 쪽으로 볼을 패스해야 한다. 훌륭한 패스는 판단력, 현혹, 넓은 시야, 속력, 그리고 정확성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 드리블 ==
드리블은 리바운드 볼을 잡은 후 상대를 피해 볼을 밖으로 빼낼 때, 속공의 시작과 진행을 위해, 가깝게 접근하는 상대 수비로부터 빠져 나올 때, 득점을 위해 골대를 향해 돌진할 때(drive in), 한 공격적인 플레이를 짜 맞출 때 (set offense)사용된다. 드리블의 종류에는 컨트롤 오어 로우(Control or Low) 낮은 드리블은 수비자가 접근해서 볼을 빼앗으려 할 때와 밀집된 장소에서 빠져 나올 때, 그리고 득점 시도의 실패후 공격 밸런스의 재조정을 위하여 기다릴 때 사용되고 스피드 오어 하이(Speed or High)높은 드리블은 수비자가 접근해 있지 않고 속공을 위하여 빠르게 전진해야만 할 경우에만 사용된다. 그외 정면으로 날카롭게 방향을 전환하는 크로스오버 드리블(Crossover) 와 체인지 오브 페이스(Change of Pace), 비하인드 더 백(Behind the Back), 리버스(Reverse)드리블 등이있다.
농구/기본용어
983
2576
2005-04-16T22:00:46Z
220.79.45.155
*디펜스- 방어, 수비 하는것
*드리블- 볼을 바닥에 튀기면서 움직이는것
*레이업 슛- 달리면서 하는 슛
*리바운드 - 골인되지 않고 튀어나온 볼을 잡아낸는 것
*맨투맨 디펜스 - 5명의 디펜스가 각각 1대 1로 상대를 막는것 .대인방어.
*바이얼레이션- 퍼스널 파울, 테크니컬 파을 이외의 반칙. 워킹, 더블 드리블, 사이드 라인 등등.
*스크린 아웃 - 리바운드하기 위해서 자리를 잡는 것
*블로킹 - 상대의 슛을 막아내는 것
*워킹 바이얼레이션 - 볼을 가지고 3 보 이상 스텝을 밟는 것. 또는 피벗 푸트가 바닥과 떨어지는 것
*차징 - 퍼스널 파울의 하나. 무리하게 나아가 상대와 부딪히는 것
*체인지 오브 페이스 - 페이스를 바꾸는 것.
*페인트 - 상대를 속이는 것
*프리드로우 - 프리드로우 라인 뒤에서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던지는 슛
*헬프 - 디펜스 측이 서로 도와 오펜스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것
*건 앤 런 - 빠르게 공격 하는 것. 재빨리 공을 갖고 들어가 시간을 주지않고 슛을 던지는 플레이
*골 텐딩 - 슛이 정점에 이른 다음 떨어지는 공을 링위에서 쳐낼때 골로 인정되는 규칙. "바스켓 인터페어" 라고도 함
*노룩패스 - 상대 수비를 속이기 위해 다른 방향을 응시하고 패스하는 고난도의 플레이를 말함.
*더블팀 - 2명이 볼을 가진 한 선수를 집중수비 하는것. 3명일때는 트리플 팀
*더블클러치 - 2중 점프슛. 공중에서 두 번 슛 동작을 취하는 것
*롤 오프 - 스크린 플레이에서 스크리너가 백턴을 해 자신의 수비를 제어하면서 골방향으로 달리는 플레이
*루즈볼 - 어느 편 선수도 볼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의 볼
*매치업 - 맨투맨 디펜스에서 상대팀 선수와 1:1로 맞붙는 상대
*박스원 - 상대의 슈터나 특정 선수 1명을 집중마크하고 나머지는 지역방어형태를 취하는 수비
*박스아웃 - 리바운드를 먼저 잡기위해 페인트존 밖으로 상대선수를 최대한 밀어내는 행위.
*백업 - 주전선수가 벤치에서 쉬고 있는 동안 코트에 나와 짧은 시간동안 그 역할을 수행하는 후보선수.
*뱅크슛 - 백보드에 볼을 한 번 맞춰서 링에 넣는 슛
*버저비터 - 쿼터마다 혹은 게임종료 부저소리와 동시에 성공시키는 슛
*볼핸드링 - 볼컨트롤 능력과 거의 같은 뜻
*세이프티맨- 리바운드에 뛰어들지 않고 속공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백코트로 돌아오는 선수
*스위치 - 스크린 플레이때 수비가 마크맨을 바꾸는 것
*스크린 플레이 - 자기편의 선수가 공격을 원활이 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 주는 플레이 예를 들어 공격시 숫터가 숫을 할 때 다 른 선수는 수비자가 그 숫터를 수비하지 못하도록 몸으로 수비수를 막아준다.
*아웃 오브 바운드 - 사이드와 앤드라인 밖에서 공을 던져 넣는것을 말함.
*아이솔레이션 - 1on 1에 뛰어난 선수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수 있도록 남은 선수들이 위크사이드(볼이 없는 지역)에 뭉치는것.
*에어볼 - 링에도 정확히 맞지 않은 불완전한 슛
*엘리웁 - 두 선수가 고공 패스를 연결시켜 공중에서 덩크나 레이업을 성공시키는 고난도의 플레이
*올코트프레스 - 전면강압수비로 상대팀의 프론트코트에서부터 밀착수비하는 형태.
*올라운드플레이어 - 2개이상의 포지션을 수행해 내는 선수
*크로스오버 - 볼을 다리사이로 교차시키면서 드리블 하는 것
*턴오버 - 공격수의 실책을 총칭하는 용어.상대수비수에게 스틸을 당했거나 패스미스로 공격권을 빼앗겼을 때 턴 오버를 범했다고 말함.
*테크니컬파울 - 비신사적인 행위(과격한 행동, 심판 판정 불복등)를 했을 때 주어지는 벌칙으로 상대팀에 자유투 1개가 주어짐.
*트리플더블 - 한경기에서 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중 3개부문에서 2자리수 이상의 숫자를 기록하는 것을 말함. 2개부문에서 2자리수 이상의 성적을 기록하면 더블-더불이라고 하며, 4개부문에서 2자리수 이상의 성적을 기록하면 쿼드러플 더블이라고 함.
*팁 인 - 오펜스 리바운드에서 손끝으로 살짝 밀어넣는 슛
*페이드어웨이 - 상대의 블로킹을 피해몸을 뒤로 젖히면서 패스나 슛을 하는 플레이
*페인트존 - 골밑 근처에 색을 칠해 놓은 장방형의 지역을 말함.
*피벗 - 한발을 축으로 다른 발을 바꿔 몸의 방향을 바꾸는 것
*픽앤롤 - 스크린 플레이후 스크린을 건 선수가 골 방향으로 움직일때 볼을 패스하는 플레이.
*훅슛 - 몸은 움직이지 않고, 손목 스냅만을 이용하여 짧은 거리에서 하는 슛
영어의 미래시제
986
2577
2005-04-19T09:02:47Z
220.121.51.122
사실 문법적으로 따져보면 영어에 미래 시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조동사 will 그리고 shall 가 미래 시제를 나타내지 않느냐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사실 will 과 shall 은 현재 시제이고 의미상으로 미래를 표현하는 것뿐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문법적으로 완전한 미래 시제를 가진 프랑스어와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je mange 'I eat'
tu manges 'you eat'
il/elle mange 'he/she eats'
je mangerai?'I will eat'
tu mangeras 'you will eat'
il/elle manger 'he/she will eat'
마찬가지로 'have 현재형/과거형 + 과거분사' 의 형태를 가지는 현재/과거완료도 문법적으로 완전한 시제라고 할 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영어의 시제는 현재형과 과거형만 존재합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대부분의 언어에서 현재형은 미래를 나타내기도 하므로 엄밀하게 말해서 영어에서는 past (과거 시제) 그리고 non-past (과거가 아닌 시제) 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시제가 반드시 문법적으로 독립적일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넘어가서 영어에서 미래의 사건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보겠는데 다음과 같은가장 많이 쓰이는 4 가지가 있습니다.
== 현재형 ==
현재형은 미래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것은 한국어에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할 것은 없습니다. 아래의 예제에서와 같이 주로 공공 장소에서의 일정에서 쓰입니다.
The train arrives at six
기치가 6 시에 도착한다
The show starts in ten minutes
10 분 안에 쇼가 시작한다
The museum opens at half ten tomorrow morning
박물관은 내일 아침 10시 반에 연다
== be going to ... ==
(1) be going to ... 는 말 그대로 '... 하는 것으로 가고 있다' > '... 하려고 한다' 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미리 계획한 일을 말할 때 쓰입니다.
I am going to do some shopping this afternoon
나는 오후에 쇼핑할꺼야
He is going to eat out with his girlfrend tonight
그는 오늘 저녁에 여자친구와 외식을 한다
(2) 이러한 의미에서 확장해서 상황으로 보아서 어떠한 일이 일어날 것이 눈에 보일 때 be going to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 think it is going to rain today
(하늘에 비구름을 보면서) 오늘 비가 오겠는데
Korea is going to win
(축구 경기에서 10분을 남겨두고 한국이 3:1 로 이기고 있는 상태에서) 한국이 이길 것이다
== 현재 진행형 ==
위의 be going to 와 함께 현재 진행형도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주로 확실하게 결정된 계획이나 약속을 나타낼 때 사용하기 때문에 be going to 보다 더 강한 의미를 가집니다.
그 이유는 미래를 표현하는 현재 진행형을 말 그대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미래의 어느 시점에 그것을 하는 중이다'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미래를 표현하는 현재형' 을 생각해보면 비슷한 맥락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미래를 나타내는 현재 진행형을 사용할 때에는 미래 시간 표현이나 문맥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 하는 중이다' 와 혼동이 오게됩니다.
He is leaving tomorrow
그는 내일 떠난다
She is taking six modules next term
그녀는 다음 학기에 6 과목을 듣는다
I am meeting a friend of mine next Monday
다음주 월요일에 나는 친구를 만난다
== will ==
will 그리고 shall 은 각각 고대 영어 willan 에서 왔습니다. 원래 willan 은 wish to do '... 하고 싶다'의 의미를 가졌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뜻이 확장되어서 지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예측 :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측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It will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것이다
That will be quite difficult
그것은 좀 어려울 것이다
She will come soon
그녀는 곧 올 것이다
(참고로 마지막 문장 경우 will be -ing 형태도 자주 쓰입니다. 따라서 she will be coming soon 처럼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will 의 원래 의미가 '의지/소망' 이므로 주어가 1인칭 (I 또는 we)
인 경우 예측의 의미로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자신이 하고 싶으면 하면 되기 때문에 예측할 것이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문장 앞에 I think 를 붙이면 가능합니다.
I think I will be there on time
나는 제 시간에 그 곳에 도착할 것이다
(2) 의지 : 주어가 1인칭일 경우에 will 을 사용하면 하고 싶다는 의지/소망을 나타나게 되는데 두 가지의 상황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어떤 것을 하겠다고 갑자기 결정하는 경우입니다.
* Who wants to take this stuff to her house?
누가 이것을 그녀의 집에 가져갈래? I will do it! 내가 할래!
* The telephone's ringing 전화왔어
I'll get it 내가 받을께
* I will be back in five 5분 안에 올께
두 번째는 약속같은 강한 의지를 나타내는 경우입니다.
I promise that I will remember you
내가 너를 기억하겠다고 약속해
I will love you forever
너를 영원히 사랑해
주어가 1인칭이 아닌 경우에는 말하는 사람의 확신이 담겨있습니다.
I am in trouble now
나에게 문제가 생겼어
Try to talk to mum about it - she will help you
엄마에게 물어보면 도와주실꺼야
지금까지의 will 의 의미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말하는 사람의 확신/의지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예측도 주관적인 확신을 내포하고 있고 즉각적인 결정이나 약속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will 의 본질적인 의미만 파악하고 있으면 개개의 사항을 암기할 필요가 없습니다.
==shall==
shall 은 미국 영어에서는 거의 멸종 (?) 되었고 영국에서 많지 않은 사람이 사용합니다. 혹시 관심있는 분들을 위하여 현대에 가장 많이 쓰이는 의미를 적어보았습니다.
* 무언가를 물어볼 때 쓰이며 주어는 1인칭입니다.
Shall we go?
우리 갈까요?
Shall I come with you?
내가 같이 갈까요?
What shall bring my laptop?
내 노트북을 가져올까요?
* 주로 1인칭 주어와 함께 쓰이며 예측/의도를 나타내는데. will 과 바꿔 쓸 수 있습니다.
I shall be twenty tomorrow
내일 나는 스무 살이 된다
I shall look forward to seeing you
당신을 만나기를 기대합니다 (공손한 표현)
This is what I shall describe in Chapter 2
이것은 2 장에서 설명될 것이다 (주로 글에서 쓰임)
* 법률 & 규칙에서 허가/불가를 나타낼 때 쓰입니다.
* 소설 같은 글에서 '...할지어다' 같은 예언적인 문장에서 쓰입니다.
----
위의 현재형, 현재 진행형, be going to, will 을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 이것들을 바로 알고 쓸 줄 알면 미래를 표현하는데 거의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영어 학습자들이 하는 will 만을 쓰는 경향이 있는데 약간의 다양성 (?) 이 있으면 좋지 않을까요?
축구
990
6624
2007-01-08T06:13:30Z
210.124.3.72
{{차례|문단=
* [[축구/슈팅|축구의 슈팅]]
* [[축구/킥|축구의 킥]]
* [[축구/트래핑|축구의 트래핑]]
* [[축구/축구용어|축구의 포지션]]
}}
축구/킥
991
2580
2005-05-18T15:17:10Z
아흔
9
restore
==원리 ==
===킥(kick)===
축구에서 킥은 선수가 공을 차는 것을 의미한다. 선수가 킥을 할 때 디딤발과 차는발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 즉, 디딤발을 어떻게 놓느냐에 따라 공의 방향, 높이, 좌우의 각도 등이 결정되고, 또한 차는발의 부위에 따라서 킥의 종류가 달라진다.
=== 킥의 요령===
발끝의 방향이 공이 날아가는 방향이고, 발의 중앙과 공의 중앙이 일직선이 되게 하고, 발과 공의 간격은 주먹 하나를 넣었다 빼었다 할 수 있을 정도로 해서 찬다.
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차는발의 발목이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선수의 시선은 반드시 공을 주시하고, 디딤발의 무릎은 자연스럽게 구부려야 한다.
=== 공을 잘 차려면===
# 공을 받는 부분을 확실하게 고정한다.
# 공을 잡을 때의 발목 각도는 킥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발목에 힘을 넣어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 킥을 할 때의 발의 스윙은 발목 지지점을 흔드는 것이 아니라 무릎을 지지점으로 하여 흔들도록 한다.
== 종류 ==
===공을 차는 발의 부위에 따른 분류===
* 인스텝 킥(instep kick) : 발등으로 공을 차는 킥으로, 스피드가 있는 공을 차거나 멀리 찰 때 주로 사용한다.
* 인프런트 킥(infront kick) : 발등 안쪽을 이용하여 차는 킥으로 공을 높게 차올리고 싶을 때나 공에 커브가 생기도록 할 때 사용한다.
* 아웃프런트 킥(outfront kick) : 인프런트 킥과 반대 방향의 새끼발가락 부분으로 공을 차는 킥이다. 인프런트 킥과 마찬가지로 공을 높게 띄워서 차고 싶을 때나 공에 커브를 줄 때 사용하지만 공을 멀리 날릴 수는 없다.
* 인사이드 킥(inside kick) : 발 안쪽으로 공을 차는 킥으로 공을 정확하게 차고 싶을 때 사용한다.
* 아웃사이드 킥(outside kick) : 발 바깥쪽으로 공을 차는 킥으로 가까이에서 공을 빨리 차고 싶을 때 사용한다.
* 토 킥(toe kick) : 발끝으로 공을 차는 킥으로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상대방과 경쟁하면서 공을 재빠르게 차려고 할 때 유용한 슛 기술이다.
* 힐 킥(heel kick) : 발뒤꿈치로 공을 차는 킥으로 선수 자신의 몸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공을 차기 때문에 의표를 찌르는 패스나 슛을 할 때 주로 사용한다.
=== 공을 차는 타이밍에 따른 분류 ===
* 발리 킥(volley kick) : 공중에 떠 있는 공을 차는 킥.
* 하프 발리 킥(half volley kick) : 공이 지면에서 튀어오른 순간에 공을 차는 킥.
=== 공을 차는 자세에 따른 분류 ===
* 사이드 발리 킥(side volley kick) : 몸을 옆으로 길게 하여 차는 킥.
* 점프 발리 킥(jump volley kick) : 몸을 옆으로 길게 하여 공중에서 차는 킥으로 몸의 옆으로 오는 허리 높이 정도의 공을 정지시키지 않고 그대로 차고 싶을 때 사용한다.
* 오버헤드 킥(overhead kick) : 공중에 몸을 띄워서 머리 너머로 차는 킥으로 공격수가 골을 등 뒤로 하여 높게 올린 공을 슛할 때 사용한다.
우즈베크어
992
5197
2006-05-08T16:30:27Z
아흔
9
링크 교정
== 우즈베크어 문법 ==
=== 문법 (ЎЗБЕК ТИЛИ ҚОИДАЛАРИ) ===
* [[/문법/기초준비|기초준비]]
* [[/문법/인칭|인칭]]
* [[/문법/동사|동사]]
* [[/문법/명사|명사-형용사-부사]]
* [[/문법/보조어|보조어]]
===문법사전===
* [[/문법사전/접사와 어미|접사와 어미]] (ЎЗБЕК ТИЛИ АФИКСЛАРИ ВА ҚЎШИМЧАЛАРИ)
* [[/문법사전/보조어|보조어]] (ЎЗБЕК ТИЛИ ЁРДАМЧИ СЎЗЛАРИ)
* [[/문법사전/동사|동사]] (ЎЗБЕК ТИЛИ ФЕЪЛЛАРИ)
== 우즈베크어 어휘 ==
* [[/어휘/주제별|주제별 사전]]
* [[/어휘/회화|회화모음]]
== 참고문헌 ==
* 문법서
** 김효정. 우즈벡어 문법. 도서출판 펴내기. 1996.
** Усмонова М., Азларов Э., Шарипов Ғ. Ўзбек тили: университетлар ва педагогика институтларининг рус группалари учун қўлланма. Тошкент «Ўқитувчи». 1981. 우스마노바 M., 아즐라로브 E., 샤리포브 Gh. 우즈베크어: 종합대학 및 교육대학의 러시아어 그룹을 위한 지침서. 타슈켄트: 도서출판 «스승». 1981
** Азизов А.А. Сопоставительная грамматика русского и узбекского языков: морфология (краткий очерк). Тошкен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ебно-педагогическ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УзССР». 1960. 아지조브 A.A., 러시아어-우즈베크어 대조 문법: 형태론 (개론). 타슈켄트 «우즈베크 공화국 국립 학습-교육 출판사». 1960.
* 학습서
** Khayrulla Ismatulla. Modern Literary Uzbek I. (Edited by Walter Feldman, Department of Asian and Middle Eastern Stud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Indian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Inner Asian Studies. Bloomington, Indiana 1995.
** Юлдашев Р. Изучаем узбексий язык: пособие для курсов по изучению узбекского языка (издание второе, переработанное). Тошкент «Ўқитувчи». 1996. 율다셰브 R. 우즈베크어를 배웁시다: 우즈베크어 학습 과정을 위한 교재 (2판, 개정판). 타슈켄트: 도서출판 «스승». 1996.
** Киссен И.А., Рахматуллаев Ш.У. Узбекский язык для взрослых (самоучитель). Ташкент «Ўқитувчи». 1990. 키쎈 I.A., 라흐마툴라예브 Sh. U. 어른들을 위한 우즈베크어 (자습서). 타슈켄트: 도서출판 «스승». 1990.
* 일반사전
** Uzbek-English Dictionary. Waterson N.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 Узбекско-русский словарь. под редакцией С.Ф.Акабирова, З.М.Магруфова, А.Т.Ходжаханова. главный редактор А.К.Боровков. Москв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словарей». 1959. 우즈베크어-러시아어 사전. 아카비로브 S.F., 마그루포브 Z.M., 호자호노브 A.T. 감수. 대표감수자 보로브코브 A.K. 모스크바 «국립 외국어 사전 출판사». 1959
** Узбекско-русский учебный словарь. Ходжиев А.П., Ким С.Л., Миркурбанов Н.М., Мухамеджанова Г.Р. Ташкент «Ўқитувчи». 1995. 우즈베크어-러시아어 사전. 호지예브 A.P., 김 S.L., 미르쿠르바노브 N.M., 무하메자노바 G.R. 타슈켄트: 도서출판 «스승». 1995.
* 동사 구문 사전
** Фёдоров В.А., Алиев Ғ.А. Ўзбек-рус-инглиз-немис тиллари бошқарувига доир луғат-справочник. Ўзвекистон ССР Халқ маълими министрлиги масбиқлаган. Тошкент «Ўқитувчи». 1989. 표도로브 V.A., 알리예브 Gh.A. 우즈베크어-노어-영어-독어 용법에 관한 사전형 안내서. 타슈켄트: 도서출판 «스승». 1989.
* 주제별 사전
** Маҳмудов Н., Тўхлиев Б. Ўзбек тилини ўрганамиз: расмли луғат. Тошкент «Ўқитувчи». 1991. 마흐무도브 N., 토흘리예브 B. 우즈베크어를 배웁시다: 그림 사전. 타슈켄트: 도서출판 «스승». 1991.
** Тихонов А.Н., Хатамов Н.Т., Емельянова С.А., Тихонова М.Ю. Русско-узбекский темат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Ташкент «Ўқитувчи». 1975. 티호노브 A.N., 하타모브 N.T., 에멜랴노바 S.A., 티호노바 M.Yu. 러시아어-우즈베크어 주제별 사전. 타슈켄트: 도서출판 «스승». 1975
* 빈도수 사전
** Киссен И.А. Словарь наиболее употребительных слов современного узбек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высокочастотная лексика подъязыка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прозы). Ташкент «Ўқитувчи». 1972. 키쎈 I.A. 현대 우즈베크어 문어의 최빈 상용어 사전 (산문 문학 작품의 고빈도 어휘). 타슈켄트: 도서출판 «스승». 1972.
우즈베크어/문법/인칭
993
5199
2006-05-08T16:32:42Z
아흔
9
링크 교정
= 우즈베크어 문법 =
== 인칭 ==
=== [[/둘러보기|둘러보기]]===
* 학교문법
* 존대와 복수
* 이, 그, 저
* 의문과 대답
* 복수 {лар}
* 대명사의 사용
* 정리
* '너'와 ‘сен’
=== [[/인칭접사|인칭접사]] ===
* 대명사형 인칭접사1 (명사에 결합)/(동사에 결합)
* 대명사형 인칭접사2 (동사에 결합)
* 소유접사 (명사에 결합) / (동사에 결합)
* 소유접사형 인칭접사 (동사에 결합)
=== [[/대명사|대명사]] (Олмош)===
* 인칭대명사 (Кишилик олмошлари)
* 지시대명사 (Кўрсатиш олмошлари)
* 재귀대명사 (Ўлик олмошлари)
* 의문대명사 (Сроқ олмошлари)
* 한정대명사 (Блгилаш олмошлари)
* 부정대명사 (Блишсизлик олмошлари)
* 비한정대명사 (Гумон олмошлари)
우즈베크어/문법/인칭/둘러보기
994
5198
2006-05-08T16:31:43Z
아흔
9
링크 교정
= 인칭 =
== 둘러보기 ==
인칭은 언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우즈벡어는 여러가지 면에서 한국어와 유사하지만, 인칭에 관련된 문법요소들이 나타나는 구체적인 방식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 학교문법 ===
우즈벡어 문법책에는 대부분 다음과 같은 인칭 도표로 시작을 한다. 그러나 이것은 러시아어 문법에 우즈벡어를 배치한 것으로 실제 우즈벡어 사용되는 방식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rules=all style="width: 300pt;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darkgry;" cellpadding=4
! !! 단수 !! 복수
|-----
| 1인칭
| мен
| биз
|-----
| 2인칭
| сен
| сиз
|-----
! 3인칭
| у
| улар
|}
=== 존대와 복수 ===
위의 학교문법의 인칭표의 문제는 존대와 복수를 적절하게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우즈벡어에는 한국어에 ‘우리’와‘우리들’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биз’도 있고 ‘бизлар’도 있다. 특히, ‘сиз’의 경우에는 2인칭 복수 표현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실제 일상생활에서는 복수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сизлар’라고 말해야 한다. 그냥 ‘сиз’라고만 말할 때는 존대 2인칭 표현이 된다.
실제로 우즈벡어에서 사용되는 인칭표현들을 정리하여 한국어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rules=all style="width: 300pt;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darkgry;" cellpadding=4
!
! 단수
! 복수
|-
! 1인칭
| мен (=나/저)
| биз/бизлар (=우리/우리들)
|-
! rowspan="2" | 2인칭
| сен (=너)
| сенлар (=너희들)
|-
| сиз (=~님)
| сизлар (=~님들)
|-
! rowspan="3" align="center" | 3인칭
| бу (=이)
| булар
|-
| у (=그/저)
| улар
|-
| шу (=그/이)
| шулар
|}
=== 이, 그, 저 ===
3인칭 대명사의 경우도 한국어와 유사하다. 한국어에 ‘이, 그, 저’라는 지시대명사가 있고, 영어의 ‘he’를 번역할 때 ‘그’라고 번역하는 듯이, 우즈벡어도 ‘бу, у, шу’ 세가지 지시대명사가 있고 영어의 ‘he’를 번역하자면 ‘у’가 된다.
한국어와 차이가 있다면 한국어에서는 회화에서 ‘그’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항상 ‘그 사람, 걔(=그 아이), 그 친구, 그 남자, 그 여자, 그 분’ 또는 ‘그 것’으로 사용하는데 비해 우즈벡어에서는 단순히 ‘у’를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다. 우즈벡어에서 명사 없이 ‘бу, у, шу’를 사용하면 사람을 가리킬 수도 있고 동물이나 사물을 가리킬 수도 있다. 한국어에는 3인칭에 대한 존대말이 있기 때문에 ‘그 친구가 왔어요’, ‘그 분이 오셨어요’ 처럼 구별해서 말하기 위해 항상 명사와 함께 ‘이, 그, 저’를 사용한다. 하지만, 우즈벡어에는 3인칭에 대한 존대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бу, у, шу’라고 간단하게 가리킬 수 있고 우리는 이것을 ‘그 분’인지 ‘걔’인지, ‘그 것’인지 상황에 따라 이해를 해야한다.
=== 의문과 대답 ===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말을 생각해 보면 2인칭에 대해서 말할 때는 보통 질문이 되고, 1인칭에 대해서 말할 대답이 된다. 그리고, 2인칭에 대해서 말할 때는 우즈벡어에서도 반드시 존대법이 필요하다. 우즈벡어로 대화하는 것에 익숙해 지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짝을 지어 한국어와 비교하며 연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rules=all style="width: 300pt;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darkgry;" cellpadding=4
!
!
! colspan=2 |의문
! colspan=2 |대답
|-
! rowspan="2" | 단수
! 비존대
|сен? || 너?
| мен || 나
|-
! 존대
| сиз? || ~님?
| мен || 저
|-
! rowspan="2" | 복수
! 비존대
| сенлар? || 너희들?
| биз/бизлар || 우리/우리들
|-
! 존대
| сизлар? || ~님-들
| биз/бизлар || 저희/저희들
|}
=== 복수 {лар} ===
우즈벡어의 {лар}는 한국어의 {들}과 비슷하다. 차이가 있다면, {лар}는 항상 동사 뒤에 붙여서 주어(행위자)가 복수라는 것을 나타내고, 한국어의 {들}은 항상 동사 앞쪽에 붙어서 주어(행위자)가 복수임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Нимага келди'''лар'''инг? 무슨 일로'''들''' 왔니?
*Нимага келдингиз'''лар'''? 어떻게'''들''' 오셨습니까?
*Ёрдам берасанми? 도와 줄 거니?
*Ёрдам берасан'''лар'''ми? 도와'''들''' 줄 거니?
*Ёрдам берасизми? 도와 주실 거예요?
*Ёрдам берасиз'''лар'''ми? 도와'''들''' 주실 거예요?
=== 대명사 사용 ===
우리가 보통 ‘어디 가니?’라고 물어 보고 특별히 강조를 할 경우에만 ‘너 어디 가니?’라고 물어보듯이 우즈벡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대명사 없이
* Қаерга кетаяп'''сан'''?
이라고 물어보고 특별히 강조할 경우에만
* '''Сен''' қаерга кетаяп'''сан'''?
이라고 물어본다. 즉, 3인칭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너’와 ‘나’에 관한 이야기일 때는 특별한 목적이 없는한 대명사 ‘сен’ 또는 ‘мен’을 사용하면 어색하다.
=== 정리 ===
이제 대명사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스럽고 평범한 ‘너’와 ‘나’에 관한 대화를 존대말/반말, 복수/단수에 따라 짝을 지어 연습을 하면 다음과 같다.
{|rules=all style="width: 500pt;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darkgry;" cellpadding=4
! !! !! 의문 !! 대답
|-
! rowspan=2 | 단수
! 비존대
|
{|
| (Сен) қаерга кетаяп'''сан'''?
|-
| (너) 어디 가는 거니?
|}
| rowspan=2 |
{|
|(Мен) институтга кетаяп'''ман'''.
|-
| (나) 학교에 가는 거야.
|-
| (저) 학교에 가는 거예요.
|}
|-
! 존대
|
{|
| (Сиз) қаерга кетаяп'''сиз'''?
|-
| (~님) 어디 가시는 거예요?
|}
|-
! rowspan=2 | 복수
! 비존대
|
{|
| (Сенлар) қаерга кетаяп'''санлар'''?
|-
| (너희들) 어디들 가는 거니?
|}
| rowspan=2 |
{|
| (Биз(лар)) институтга кетаяп'''миз'''.
|-
| (우리들) 학교에 가는 거야.
|-
| (저희들) 학교에 가는 거예요.
|}
|-
! 존대
|
{|
| (Сизлар) қаерга кетаяп'''сизлар'''?
|-
|| (~님) 어디들 가시는 거예요?
|}
|}
=== '너'와 ‘сен’ ===
한국어에서는 존대말이 ‘나’로 말하는지 ‘저’로 말하는지에 따라 달라지지만, 우즈벡어에서는 ‘сен’으로 말하는지 ‘сиз’로 말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즉, 한국어는 자신을 어떻게 가리키는지에 따라 달라지고 우즈벡어에서는 상대편을 어떻게 가리키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한국어의 존대말을 살펴보면 우리는 상당히 복잡한 유형을 상황에 따라 잘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1. (~님) 어디 가세요? / (저는) 집에 가요.
2. (~님) 어디 가요? / (저는) 집에 가요.
3. (~님) 어디 가요? / (나는) 집에 가요.
4. (~) 어디 가? / (나는) 집에 가.
5. (너) 어디 가니? / (나는) 집에 가.
우즈벡어에는 위의 (5)에서 쓰인 ‘너’와 같은 반말이 없다. 한국인은 흔히 ‘сен’을 ‘너’와 같은 정도의 반말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위에서 (5)번에 해당하는 반말로 느끼는 것이다. 그러나, 존대의 정도로 보았을 때 우즈벡어로 ‘сиз’라고 말하는 상황은 우리가 ‘저’라고 말하는 상황인 (1-2)와 유사하고 ‘сен’이라고 말하는 상황은 우리가 ‘나’라고 말하는 (3-5)와 비슷하다.
한국어에서 ‘나’는 존대가 아니기는 하지만 ‘너’처럼 완전히 반말은 아니다. 예를들어, 우리는 나이 많은 선생님에게는 ‘어디 가요?’, ‘난 잘 모르겠는데요’ 같은 방식으로 말하지 않고 반드시 ‘어디 가세요?’, ‘저는 잘 모르겠는데요’라고 말한다. 하지만, 나이가 같은데 아직 말을 놓지 않아 존대말을 하는 경우나 학교에서 나이 차이가 많이 나지 않은 선배와 이야기할 때는 ‘형, 어디 가요?’, ‘난 안 갈 건데요’ 등의 방식으로 자주 말한다.
우즈벡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로 ‘сен’이라고 말하는 상황은 우리가 '나'를 사용하는 상황과 비슷하다. 우리가 처음 보는 사이라고 해도 나이가 비슷하거나 어리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님 ~하세요?'라고 말하지 않고 '~님 ~해요?'라고 말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과 마찬가지로 우즈벡어에서도 'сен'이라고 말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래서, 우즈벡어로 말할 때는 나이가 비슷한 경우 격식을 차리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또는 나이 많은 사람이 처음 만나는 젊은 사람에게 말할 때 ‘сен’을 자주 사용한다. 이런 경우에 ‘сен’을 한국어의 ‘너’와 같은 반말이라고 오해하여 우즈벡 사람들이 예의없이 반말을 한다고 기분 나빠할 필요없다.
농구/슛
998
4578
2006-01-23T10:28:43Z
61.75.203.254
/* Tip in Shoot */
==Lay up Shoot==
레이 업 슛은 러닝 슛이라고도 하며 달려 오던 속도와 탄력을 이용하여 최대한 높이 점프한 상태에서 백 보오드나 배스킷에 올려 놓듯이 볼을 놓는 슛으로서 다른 슛에 비해 쉽고 성공률이 가장 높은 슛이다. 레이 업 슛의 실시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달려오던 속도를 순간적으로 점프하는 탄력으로 바꾸어 뛰어 오를 수 있는 것과, 점프한 후 슛을 할 때 손목과 손가락의 스냅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슛이 되도록 하는 점이다. 레이 업 슛은 농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기초적인 기술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므로 초보자때부터 올바른 자세를 습득하는 것이 좋다.
==Set Shoot==
세트 슛은 주로 바스켓 외곽에서 사용되는 슛을 말한다. 미들 슛이나 외곽 슛이라고도 한다. 세트 슛에는 원 핸드 슛과 투 핸드 슛으로 나뉘는데 남성들은 주로 원 핸드 슛을 이용하고 여성은 투 핸드 슛을 이용한다. 원 핸드 슛의 경우 오른손 잡이는 오른 다리를 앞으로 내면서 바스켓을 향해 위치를 잡는다. 왼다리는 뒤로 빼고 체중이 오른쪽 발끝에 오도록 한다. 무릎은 약간 구부리고 상체는 똑바로 세워 시선은 볼과 손 사이로 바스켓을 주시한다. 동시에 왼손으로는 볼의 옆면을 지지하면서 오른손은 손가락을 넓게 펴서 볼의 뒤로 가져간다. 이 때 오른팔의 팔꿈치는 바스켓을 향하도록 해야 하며 볼은 눈 높이나 그 보다 약간 더 높은 위치로 가져간다. 슛을 할 때에는 무릎을 펴는 동시에 왼손을 볼에서 떼고 오른팔을 얼굴 윗쪽으로 완전히 펴면서 손목을 앞으로 숙이면 손가락 끝으로부터 볼이 떨어져 나가면서 백 스핀이 생기게 된다. 몸 전체가 위로 솟았다가 떨어질 때에는 수비자에게 떨어지거나 기대게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Jump Shoot==
점프 슛은 용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농구 경기에 있어서 가장 많이 쓰이는 슛이다. 이 슛은 원 핸드 슛과 공통점이 많지만 공중에 점프해 있는 동안 시간이 연장되므로 원 핸드 슛보다 고난도의 기술이며 다양하게 사용된다. 점프 슛의 방법은 볼을 잡고 빠른 동작으로 스톱해서 무릎을 구부렸다가 발 끝에 힘을 주어 점프하면서 동시에 볼을 머리위쪽으로 가져간다. 바닥에서 발이 떨어진 직후 볼을 지지하는 손은 떼어 버리고 슛하는 손을 머리 위로 오게 한다. 점프가 최고점에 다다르면 팔꿈치를 펴면서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볼을 바스켓쪽으로 날아가게 하면 된다. 이때 공중동작은 몸 전체가 곧게 펴져 있어야 하며 팔은 슛한 방향으로 계속 플로우 드로우하면서 시선은 링의 가장자리를 향해야 한다.
무릎을 약간 구부리며 눈과 몸을 바스켓으로 향하고
볼을 머리 위에 올려 놓고
몸의 밸런스를 유지하며 수직으로 점프한 다음
점프의 정점에서 손가락과 손목의 힘으로 볼을 부드럽게 던지고
플로우 드로우을 한다.
==Fade-Way Jump Shoot==
페이드웨이 점프 슛은 일반적인 점프 슛의 변형으로 바스켓에 접근하여 슛을 시도한다는 일반 원칙을 역 이용한 슛의 한 방법이다. 페이드웨이 점프 슛은 첫째 몸을 뒤로 젖혀 점프하기 때문에 수비자로부터 블록킹 당할 우려가 없으며 둘째 이 슛을 수비하려면 슈터의 앞으로 몸을 기울여 점프해야 하므로 신체 접촉이 일어나 파울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주의할 점은 거리가 멀수록 바디 밸런스와 컨트롤이 어려워 슛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먼 거리에서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
==Hook Shoot==
이 슛은 바스켓을 등지고 볼을 받은 선수(주로 장신자)들이 골대 가까이에서 상대의 블록킹을 피해 사용하는 슛(자신보다 큰 수비수의 블록킹을 피하기위해 유용한 슛)이다. 슛의 방법은 훅 패스와 같은 형태로 수비자로부터 한 스텝 멀리 밟은 다음 몸 밖으로 볼을 내밀어 던지는데 어깨를 중심삼아 원을 그려 볼이 머리 위에 다다랐을때 손목 스냅으로 볼을 날려 보내는 것이다.
==Tip in Shoot==
슛한 볼이 바스켓이나 백 보오드를 맞고 튀어 나오는 것을 점프하여 한 손이나 두 손으로 볼을 튀겨 올리듯이 재빠르게 슛하는 방법이다. 주로 장신 선수가 바스켓 근처에서 자주 사용하며 점프의 최고점에서 팔을 쭉 펴서 손목의 스냅과 손가락의 탄력을 이용하여 튀겨 올리듯이 밀어 올리는 슛이다. 팁 인 슛을 잘 하려면 정확한 타이밍과 적당한 리바운드 위치의 확보가 중요하며 공중에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주의할 점은 볼이 골대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완전히 벗어났다고 인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슛을 했을 경우 골의 인정이 안된다.
우즈베크어/문법/인칭/인칭접사
999
2588
2005-04-24T09:44:50Z
147.46.3.45
/* 명사에 결합하는 경우 */
우즈베크어/문법/인칭/인칭접사
= 인칭접사 =
==인칭접사의 유형==
인칭접사는 그 형태에 따라 크게 '''대명사형'''과 '''소유접사형'''으로 나뉜다. 그리고, 각각은 무엇과 결합하느냐에 따라 약간 형태가 달라지는 두가지 모습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칭접사는 형태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대명사형
** 대명사형 인칭접사1
*** 명사, 형용사, 부사에 결합하여 서술적 용법
*** 동사의 형동사 활용형 {-ган}에 결합하는 서술적 인칭접사
** 대명사형 인칭접사2
*** 동사의 부동사 활용형 {-а}, {-иб}에 결합하는 인칭접사
* 소유접사형
** 소유접사
*** 명사에 결합하여 소유관계 표현
*** 동사의 동명사 활용형 {-ган, -иш, -ги}에 결합하는 인칭접사
** 소유접사형 인칭접사
***동사의 과거어미 {-ди}, 조건어미 {-са}에 결합하는 인칭접사
한 형태가 명사에 결합할 수도 있고 동사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를 함께 묶어놓았기 때문에 복잡하게 생각될 수도 있다. 명사와 동사를 각각 나누어서 생각해 보는 것이 편할 수도 있다.
===명사에 결합하는 경우===
# 서술어로 사용되는 경우 --> 대명사형1
#* 예) 나는 한국사람이다, 너는 우즈벡사람이다, 그 사람은 카자흐사람이다
# 소유관계가 표현되는 경우 --> 소유접사형1
#* 예) 내 책, 네 책, 그 사람 책
* Мен студент'''ман'''.
* 나는 학생이다.
* Бу менинг китоб'''им'''.
* 이것은 나의 책이다.
===동사에 결합하는 경우===
동사에 인칭접사가 붙는 경우는 위 4가지가 모두 가능하다. 동사가 어떤 형태로 활용하고 있는가에 따라 쓰이는 인칭접사가 달라진다.
{|
! !! !! 대명사형1 !! !! 대명사형2 !! !! 소유접사형1 !! !! 소유접사형2
|-
! 1인칭
| қил-ган || -ман || қил-а || -ман || қил-иш || -им || қил-ди || -м
|-
! 2인칭
| || -сан || || -сан || || -инг || || -нг
|-
! 3인칭
| || || || -ди || || -и || ||
|-
! 1인칭
| || -миз || || -миз || || -имиз || || -к
|-
! 2인칭
| || -сиз || || -сиз || || -ингиз || || -нгиз
|-
! 3인칭
| ||-(лар) || || -ди(лар) || || -(лар)и || || -(лар)
|-
!
! 형용사형 !! !! 부사형 !! !! 명사형 !! !! !!
|}
자세한 내용은 동사편에서 다시 다루게 될 것이다.
== 대명사형 인칭접사1 (명사에 결합) ==
명사, 형용사, 부사등에 결합하여 서술적 역할을 하는 대명사형 인칭접사.
우즈벡어에서는 현재 시제에서는 ‘이다’ 동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과거나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에는‘이다’ 동사가 사용된다. 따라서, 한국어로 번역하는 경우 ‘이다/있다’를 넣어서 번역해야한다.
{| border=1
! 주어 !! 명사-형용사-부사 !! (부정) || 인칭접사
|-
|
{|
| мен
|-
| сен
|-
| у
|-
| биз
|-
| сиз
|-
| улар
|}
|
{|
| студент
|-
| касал
|-
| уй'''да'''
|-
| саккиз ёш'''да'''
|-
| Корея'''дан'''
|}
|
{|
| (эмас)
|}
|
{|
| -ман
|-
| -сан
|-
| -
|-
| -миз
|-
| -сиз
|-
|(-лар)
|}
|}
===쓰임에 따른 예===
# 명사에 결합
#* Мен студентман. Мен студент эмасман.
#* 나 대학생이야. 나 대학생 아니야.
# 형용사에 결합
#* Мен касалман. Мен касал эмасман
#* 나 아파. 나 안 아파.
# 장소에 격표지 {-да}를 불여서 ' ~에 있다'는 의미
#* Мен уйдаман. Мен ўйда эмасман.
#* 나 집이야. 나 집 아니야. (전화통화에서)
#* Укам уйда. Укам ўйда эмас.
#* 동생 집에 있어. 동생 집에 없어.
# 나이에 격표지 {-да}를 붙여서
#* Мен ўттиз ёшдаман. Мен ўттиз ёшда эмасман.
#* 나 서른살이야. 나 서른살 아니야.
# 장소에 격표지 {-дан}를 붙여서 출신지를 나타낸다.
#* Мен Кореяданман.
#* 나 한국에서(=나 한국 사람이다)
#* Мен Тошкентданман.
#* 나 타슈켄트에서(=나 타슈켄트 출신이다)
===의문과 대답===
{| width=300
! 의문 !! 대답
|-
| -мисан? || -ман
|-
| -сизми? || -ман
|-
| -ми? || -
|-
|}
{| width=500pt
| Сен студент'''мисан'''? || Ҳа, мен студент'''ман'''.
|-
| 너 대학생이니? || 응, 나 대학생이야.
|-
| Сиз студент'''сизми'''? || 예, 저 대학생이에요.
|-
| (~님) 대학생이세요? ||
|}
{| width=500pt
| У студент'''ми'''? || Ҳа, у студент.
|-
| 그 사람 학생이야? || 응, 그 사람 학생이야.
|-
| 그 사람 학생에요? || 예, 그 사람 학생이에요.
|-
|}
예를들어, 전화를 할 때 다음과 같은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다.
{| width=500pt
| Сен уйда'''мисан'''? || Йўқ, мен уйда эмас'''ман'''. Мен кўчада'''ман'''.
|-
| 너 집이니? || 아니, 나 집 아니야. 나 밖이야.
|-
| Сиз уйда'''сизми'''? || 아니요. 저 집 아니에요. 저 밖이에요.
|-
| (~님) 집이세요? ||
|}
{| width=500pt
|-
| У уйда'''ми'''? || Йўқ, у уйда эмас.
|-
| 걔 집에 있어? || 응, 걔 집에 있어.
|-
| (~님) 집에 계세요? || 네, (~님) 집에 계세요.
|-
|}
{| width=500pt
|-
| Сен неча ёшда'''сан'''? || Мен йигирма беш ёшда'''ман'''.
|-
| 너 몇 살이니? || 나 스물 다섯살이야.
|-
| Сиз неча ёшда'''сиз'''? || 저 스물 다섯살이에요.
|-
| (~님) 몇 살이세요?
|-
|}
{| width=500pt
|-
| У неча ёшда? || У ўн саккиз ёшда.
|-
| 그 사람 몇살? || 그 사람 열 일곱살.
|-
|}
==대명사형 인칭접사1: (동사에 결합)==
동사의 활용형 {-ган, -ар, -моқчи, -моқда} 뒤에 결합한다.
{| border=1
! 주어 !! 서술어 !! 인칭접사
|-
|
{|
| мен
|-
| сен
|-
| у
|-
| биз
|-
| сиз
|-
| улар
|}
|
{|
| ўқи-'''ган'''
|-
| топ-'''ар'''
|-
| бор-'''моқчи'''
|-
| кўрсат-'''моқда'''
|}
|
{|
| -ман
|-
| -сан
|-
| -
|-
| -миз
|-
| -сиз
|-
|(-лар)
|}
|}
* мен кўрганманми? биз кўрганмизми?
* сен кўрганмисан? сиз кўрганмисиз?
* сен кўргансанми? сиз кўргансизми?
* у кўрганми? улар кўрганмилар?(ларми?)
* мен бормоқчиманми? биз бормоқчимизми?
* сен бормоқчимисан? сиз бормоқчисизми?
* у бормоқчими? улар бормоқчиларми? (милар?)
==대명사형 인칭접사2 (동사에 결합)==
동사의 활용형 {-а, -иб, -яп} 뒤에 결합한다.
{| border=1
! 주어 !! 서술어 !! 인칭접사
|-
|
{|
| мен
|-
| сен
|-
| у
|-
| биз
|-
| сиз
|-
| улар
|}
|
{|
| бор-'''а'''
|-
| ёт-'''иб'''
|-
| ўқи-'''яп'''
|}
|
{|
| -ман
|-
| -сан
|-
| -ди
|-
| -миз
|-
| -сиз
|-
| -дилар
|}
|}
3인칭의 경우 인칭접사의 앞음절이 유성음이면 {ди}, 무성음이면 {ти}가 된다.
* у ўқияпти улар ўқияитилар
* у боради улар борадилар
* мен бораманми? биз борамизми?
* сен борасанми? сиз борасизми?
* у борадими? улар борадиларми?
== 소유접사 (명사에 결합) ==
명사에 결합하여 소유를 나타내는 소유접사
{| border = 1
! 명사 !! 소유접사
|-
| китоб
|
{|
| -(и)м
|-
| -(и)нг
|-
| -(с)и
|-
| -(и)миз
|-
| -(и)нгиз
|-
| -(с)и, -(лар)и
|}
|}
==소유접사 (동사에 결합)==
{| border = 1
! 주어 !! 동사 !! 인칭접사 !! 부정
|-
|
{|
| мен
|-
| сен
|-
| у
|-
| биз
|-
| сиз
|-
| улар
|}
|
{|
| унут-'''ган'''
|}
|
{|
| -им
|-
| -инг
|-
| -и
|-
| -имиз
|-
| -ингиз
|-
| -лари
|}
|
{|
| '''йўқ'''
|}
|}
{| border = 1
! 주어 !! 동사 !! 인칭접사 !! 보조어 !! (부정)
|-
|
{|
| мен
|-
| сен
|-
| у
|-
| биз
|-
| сиз
|-
| улар
|}
|
{|
| бор-'''иш'''
|-
| ўқи-'''ш'''
|}
|
{|
| -им
|-
| -инг
|-
| -и
|-
| -имиз
|-
| -ингиз
|-
| -лари
|}
|
{|
| '''керак'''
|-
| '''зарур'''
|-
| '''лозим'''
|-
| '''мумкин'''
|}
|
{|
| (эмас)
|}
|}
{| border = 1
! 주어 !! 동사 !! 인칭접사 !! 조동사
|-
|
{|
| мен
|-
| сен
|-
| у
|-
| биз
|-
| сиз
|-
| улар
|}
|
{|
| чўмил-'''ги'''
|}
|
{|
| -м
|-
| -нг
|-
| -си
|-
| -миз
|-
| -нгиз
|-
| -си
|}
|
{|
| '''келди'''
|}
|}
==소유접사형 인칭접사 (동사에 결합)==
이 접사들은 약간 변형된 형태로 동사의 준명사법 형태에 결합하여 인칭접사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동사의 체계를 참조한 후 다음 내용을 보시오.
의문 접사 {-ми}와 함께 쓰일 때
{| border = 1
! 주어 !! 동사 !! 인칭접사 !! 부정
|-
|
{|
| мен
|-
| сен
|-
| у
|-
| биз
|-
| сиз
|-
| улар
|}
|
{|
| кўр-'''ди'''
|-
| кечик-'''са'''
|}
|
{|
| -м
|-
| -нг
|-
| -
|-
| -к
|-
| -нгиз
|-
| -лар
|}
|
{|
| '''келди'''
|}
|}
* мен кўрдимми? биз кўрдикми?
* сен кўрдингми? сиз курдингизми?
* у кўрдими? улар кўрдиларми?
우즈베크어/문법/인칭/대명사
1000
2589
2005-04-24T09:57:20Z
147.46.3.45
우즈베크어/문법/인칭/대명사
= 대명사(Олмош) =
== 인칭대명사(Кишилик олмошлари) ==
*мен биз, бизлар
*сен сенлар
*сиз сизлар
sg. pl.
1st men biz(lar)
2st nor. sen senlar
2st hon. siz sizlar
== 지시대명사(Кўрсатиш олмошлари) ==
* у улар ‘그/저’ 시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대상 ‘그/저’
* бу булар ‘이’ 가까운 대상
* шу шулар ‘이/그’ 가까이 있는 것. 대화 중에 이미 언급된, 다른 것들과 구별된 대상.
* ўша ўшалар ‘그’ 화자에게 알려진 이미 언급된, 시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대상 ‘그’
sg. pl.
u ular
bu bular
shu shular
o'sha o'shlar
* мана ‘여기’
* мана бу ‘여기 이’
* ана ‘저기’
* ана у ‘저기 저’, ана шу '이'(이미 말한 것)
== 재귀대명사(Ўлик олмошлари) ==
* ўз ‘자기, 자신’
* ўзим, ўзинг, ўзи
== 의문대명사(Сроқ олмошлари) ==
* ким? 누구?
*нима? 무엇?/무슨?
*қандай? 어떤?/어떻게?
*қанақа? 어떤?/어떻게?
*қайси? 어느?
*қачон? 언제?
*қанча? 얼마?/얼마나?
*неча? 몇?
*нечта? 몇개?
*нечанчи? 몇번째?
== 한정대명사(Блгилаш олмошлари) ==
*ҳар 각
*ҳар ким 모두 (각자)
*ҳар нима
*ҳамма 모든/모두
*барча
*баъзи
*ҳар ким
*ҳар бир
*ҳар қайси
== 부정대명사(Блишсизлик олмошлари) ==
*ҳеч ким 아무도
*ҳеч нима 아무것도
*ҳеч қачон 절대로
*ҳеч қайси 어느~도
*ҳеч қаерда 아무데도
*ҳеч қандай 어떤~도
== 비한정대명사(Гумон олмошлари) ==
1) {-дир}
*кимдир
*нимадир
*қандайдир
*қанчадир
2) алла-
*аллаким
*алланима
*аллақандай
*аллақанча
*аллақайси
*алланечук
3) бир
*бир неча
*бир қанча
*бир нима
*бир нарса
*қайси бир, баъзи бир
우즈베크어/문법/동사
1001
2590
2005-04-24T11:58:15Z
Slomo
14
=우즈베크어 문법=
==동사==
===[[/둘러보기|둘러보기]]===
* 동사의 어미 결합 체계
** 준명사법의 활용
** 파생
* 인칭접사에 따른 유형
**대명사형1
**대명사형2
**소유접사1
**소유접사2
* 용법
===[[/어미|어미와 접사]]===
* 인칭접사
* 준명사법
** 부사형 (Равишдош)
** 형용사형 (Сифатдош)
** 명사형 (Ҳаракат номи)
** 복합형
* 직설법
* 명령-기원법
* 조건법
* 부정형
* 파생접사
** 태
** 동사화 접사
** 동사를 다른 품사로: 부사형, 형용사형, 명사형, 조동사적
===[[/수식|명사 수식 기능]]===
* 관형형어미
* {-аётган}과 {-адиган}의 의미 차이
* турмоқ, ётмоқ, юрмоқ, ўтирмоқ의 경우
* ‘이다’, ‘되다’ 동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
===[[/직설법|직설법]] (Аниқлик майли): 서술적-종결적 용법===
*기본시제
*복합시제: 조동사 бўл-
*복합시제: 조동사 эди-
*복합시제: 인용적 불확실함 {-кан}, {-миш}
*복합시제: 불확실함 {-dir}
*부정형 {-ма}와의 결합관계
*복합시제: 접사화된 조동사
*명사형 이용
===[[/시제|직설법 시제범주 정리]] (Феълларнинг замон категорияси)===
*과거
*현재
*미래
*불확실함
*불확실함/인용적
===[[/명령법|명령-기원법]] (Буйруқ-истак майли)===
*명령법2인칭
*명령법1인칭
*명령법3인칭
===[[/조건법|조건법]] (шарт майли)===
*연결적 용법: 조건절
*종결적 용법
*한국어-우즈베크어 비교
===[[/인용|인용]] (Кўчирма гап ва ўзлаштирма гап)===
*접속절
*간접화법
===[[/복합문|복합문]] (Қўшма гап)===
*부사적 용법
*복합문
===[[]]э(моқ) ‘이다/있다’, бўлмоқ ‘되다’===
===[[/어휘론]]===
*복합동사 (Қўшма феъл)
** 명사 + 동사
** 부사 + 동사
** 동사 + 동사
** 합성동사
** 현재분사 + 조동사
** 과거분사 + 조동사
*동사의 태 (Феъл нисбатлари)
*동사 형성 (Феълларнинг ясалиши): 동사를 만드는 방법
*동사파생어휘: 동사에서 다른 품사를 만드는 방법
우즈베크어/문법/동사/둘러보기
1002
2591
2005-04-26T07:16:22Z
147.46.186.173
/* 둘러보기 */
=둘러보기=
темир хотин '강철 여자'이라는 우즈벡 연극이 있다. 소련 시절의 집단농장을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이다. 여자들은 집안일도 하고 농장일도 하느라고 너무나 힘들기 짝이 없다. 여자들의 일을 덜어 주기 위해 로보트를 만들게 된다. 그런데, 결국 로보트는 그 일을 다 해내지 못하고 망가져 버린다는 이야기이다. 여자들은 강철로 만든 로보트보다 강하다고 해서 '강철 여자'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이 연극에는 이런 대사가 나온다.
*механизациялаштирилмаганлигидандирда!
아마도 우즈벡어에서 사용되는 단어 중 가장 긴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것은 사전에 표제어로 올라가는 '단어'의 형태는 아니다. 이렇게 긴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우즈벡어가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여러 어미와 접사가 동사 뒤에 연달아 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mexanizaciya-lashtir -il -ma -gan-lig-i -dan-dir -da!
기계화 -시키 -어지 -지 않 -은-것 -때문-이겠-지!
'기계화되지 않았기 때문이겠지!'
여기서는 우즈벡어 동사의 문법 체계를 가장 대표적인 문법요소만을 예로 들어 가며 설명할 것이다.
우즈벡어 동사의 사용을 이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칭접사를 이해해야 한다. 한국어와는 달리 우즈벡어는 동사 뒤에 인칭접사가 사용되기 때문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인칭접사는 크게 대명사형과 소유접사형이 있고 각각 두 가지 변이가 존재한다.
우즈벡어는 동사어간에 접사가 결합하여 준명사법을 만든다. 준명사법이란 부사형, 형용사형, 명사형을 말한다. 그리고 이 형태에 이어서 인칭접사가 결합한다. 한국어로 예를 들어 보이면 다음과 같다.
*부사형: -아, -게, -지, -고, -나, -다
**읽어 보세요,
**밥 좀 먹게 조용히 해,
**읽지 마,
**읽고 싶어,
**가나 봐요,
**읽다 말았어요.
*형용사형: -은, 을
**이 책 읽은 사람
**이 책 읽을 사람
**그 책 읽는 사람
**그 책 읽던 사람
*명사형: -음, 기
**읽기 싫어요
**그럴 수는 없음이야!
*접속법: -냐, -다, -자, -라, -려
**어디 가느냐고 묻더라
**읽는다고 그랬어
**다 잘 살자고 하는 일이야
**너 먹으라고 사 왔어
**겨울에 입으려고 샀어.
==동사의 어미 결합 체계==
우즈벡어도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동사 뒤에 다양한 접사와 어미가 순서대로 결합하여 여러가지 문법적 의미를 표현한다. 하나의 대표적인 예를 들어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동사어근-태-부정-준명사법-인칭
**мен бу ишни бит-каз-ма-ган-ман
**나 이 일 끝나-이-(안)-은-(나) = 나 이 일 안 끝낸 (거야)
동사어근 -태 -부정 -준명사법 -인칭접사
men bu ishni bit -kaz -ma -gan -man
나 이 일을 끝나 -이 -안 -은 -(나)
**бит- 끝나-
**бит-каз- 끝나-이- 끝내-
**бит-каз-ма- 안-끝나-이- 안 끝내-
**бит-каз-ма-ган 안-끝나-이-은 안 끝낸
**бит-каз-ма-ган-ман 안-끝나-이-은-나 나 안 끝낸
bit- 끝나-
bit-kaz- 끝나-이- => 끝내-
bit-kaz-ma- 끝나-이-안 => 안 끝내-
bit-kaz-ma-gan 끝나-이-안-은 => 안 끝낸
bit-kaz-ma-gan-man 끝나-이-안-은-나 => 나 안 끝낸 거야/저 안 끝낸 거예요
===준명사법의 활용===
#형용사형/부사형+서술적인칭접사
#*мен эртага кет-а-ман
#*나 내일 떠나-아-나 = 나 내일 떠나
#*ўқи-ган-ман
#*읽-은-나 = 나 읽은 (거야/적 있어)
#명사형+소유접사+격표지/후치사/형식어
#*ўқи-ган-им-да
#*읽-은-(나)-에 = 나 읽은 때에 (내가 읽었을 때)
#*ўқи-ган-им учун
#*읽-은-(나) 때문 = 나 읽은 거 때문 (내가 읽었기 때문에)
#*ўқи-иш-им керак
#*읽-기-(나) 필요 = 나 오기 필요 (나 읽어야 돼)
#부사형+조동사
#*ёз-иб бер-а-ман
#*쓰-고 주-어-나 = 써 줄께.
#*ёз-а бил-а-ман
#*쓰-어 알-아-(나) = 쓸 줄 알아
===파생===
*명사/형용사/부사-동사화접사
우즈벡어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구성된 동사가 상당히 많다. 한국어에서는 ‘말하다, 생각하다, 사랑하다, 일하다, 공부하다’ 등의 <명사+ ‘하다’> 구성이 널리 쓰이는 것처럼 우즈벡어에도 이러한 <명사 + қилмоқ> 구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는 파생이 아니라 숙어적 표현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한국어의 ‘하다’ 구성으로 표현되는 어휘의 우즈벡어 대응어의 상당수는 동사화 접사 {-ла-}를 통한 파생어가 차지하고 있다.
**иш-ла-моқ
**일-하-
**бош-ла-моқ
**시작-하-
명사-동사화접사-태파생접사-부정접사-준명사법-인칭
==인칭접사에 따른 유형==
이제 인칭접사의 4가지 유형과 각각이 결합하는 가장 대표적인 형태를 알아 보면 다음과 같다.
대명사형1 대명사형2 소유접사1 소유접사2
қил-ган -ман қил-а -ман қил-иш -им қил-ди -м
-сан -сан -инг -нг
-ди -и
-миз -миз -имиз -к
-сиз -сиз -ингиз -нгиз
-(лар) -ди(лар) -(лар)и -(лар)
형용사 부사 명사
===대명사형1===
대명사형 인칭접사1은 명사, 형용사, 경우에 따라 부사에, 그리고 ‘있다’를 나타내는 경우의 {-да}와 출신지를 나타내는 {-дан}에 결합하는 것이다.
Мен студентман ‘나 학생이야’
Мен касалман ‘나 아파’
Мен уйдаман ‘나 집에’ (나 집이야; 나 집에 있어)
Мен Кореяданман ‘난 한국에서’ (한국 출신이다)
이 인칭형태는 널리 쓰인다. 동사의 형용사형에 결합할 수도 있고, 동사의 명사형에 {-да}가 결합한 형태에 쓰일 수도 있다. 이 인칭접사가 결합할 수 있다. 동사접사 {-ган}은 동사어간에 결합하여 과거시제의 형용사형을 만든다. 우즈벡어에서 형용사는 명사에 매우 가까운 범주이므로 한국어식으로 형용사와 명사가 구분되지 않는다. 접사 {-ган}은 한국어로는 {-은}에 대응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은 것}에 대응하기도 한다.
{-ган}이 형용사형이기 때문에 이 접사 위에는 대명사형 인칭접사1이 결합한다.
қилган ‘한’
Мен бу китобни ўқиганман. 나 이 책 읽은-나
나 이 책 읽은 거야. 나 이 책 읽은 적 있어.
===대명사형2===
대명사형 인칭접사2는 대명사형 인칭접사1과 매우 유사하며 3인칭에서만 차이가 난다. 이 인칭형태는 동사의 부사형 두가지 현재 (동시사건) 부사형 {-а} ‘-아, -며’와 과거 (완료사건) 부사형 {-иб}‘-고(서), -아(서)’에만 결합하고 다른 범주에는 결합하지 않는다.
қила ‘하며, 해’
Мен эртага Кореяга кетаман.
나 내일 한국에 가.
===소유접사1===
소유 인칭접사1은 명사에 결합하여 소유를 나타내는 접사이다
китобим 내 책
이 인칭형태는 동사의 명사형에 결합할 수 있다. 접사 {-иш}는 동사어간에 결합하여 명사형을 만든다. 한국어로는 {-기}에 해당한다.
қилиш ‘하기’
қилишим керак. ‘하기 필요’ (나 해야 돼)
===소유접사2===
소유 인칭접사2은 소유 인칭접사1과 유사하지만 3인칭과 1인칭 복수에서 차이가 난다. 이 접사는 다른 범주에는 결합하지 않고 단 두가지 형태 과거의 {-ди} ‘-았-’과 조건의 {-са} ‘-면’에만 결합한다.
Қачон кел-ди-нгиз?
언제 오 -았-(시-요) = 언제 오셨어요?
==기본 어미 12개==
=== 유형 ===
이제 동사어간에 결합하는 접사들을 인칭의 측면에서 다음처럼 6가지 종류로 구별해 알아 보자.
* 인칭접사가 결합하는 경우
** 대명사형 인칭접사(1)이 결합하는 관형형어미: {-ган}, {-ар}
** 대명사형 인칭접사(2)가 결합하는 부사형어미: {-иб}, {-а}
** 소유접사가 결하는 명사형어미: {-иш}, {-ги}
** 소유접사형 인칭접사가 결합하는 서술형어미: {-ди}, {-са}
* 인칭의 개념이 없는 부사화 어미: {-гач}, {-гани}
* 인칭이 자체에 표현된 명령-기원법 어미: {-ай}, {-инг}
* 인칭접사가 결합하는 경우
대명사형1 대명사형2 소유접사1 소유접사2
-ман -ман -(и)м -м
-сан -сан -(и)нг -нг
-ди -(с)и
-миз -миз -(и)миз -к
-сиз -сиз -(и)нгиз -нгиз
-(лар) -ди(лар) -(лар)и -(лар)
형용사형 부사형 명사형
-ган-ман
-ар-ман -а-ман
-иб-ман -иш-им
-ги-м -ди-м
-са-м
인칭접사와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이는 경우
명사 수식절
ўқиган бола 부사절
ўқиб бераман 명사/명사절
ўқиш
севги
Pronominal Pronominal Possessive Possessive
sg. 1st -man -man -(i)m -m
2nd -san -san -(i)ng -ng
3rd - -di -(s)i -
pl. 1st -miz -miz -(i)miz -k
2st -siz -siz -(i)ngiz -ngiz
3st -(lar) -di(lar) -(lar)i -(lar)
(1) adjectival (2) adverbial (3) nominal (4) verbal
qil-gan-man qil-a-man qil-ish-im qil-di-m
qil-ar-man qil-ib-man qil-gi-m qil-sa-m
qil-gan bola qil-ib beraman o'qi-sh
sev-gi
* 인칭접사가 결합하지 않는 어미
항상 연결적으로만 쓰이는 부사형 (인칭이 없음. 인칭 접사 결합 안 함)
-гач
-гани
* 명령 기원법 (인칭이 내부적으로 포함되어 있음)
-ай
-инг
-ган, -ар는 형용사형이므로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ган은 명사적 기능도 있어서 -иш, -ги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즈벡어에서는 명사와 형용사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
-а, -иб은 부사형이므로 부사절, 또는 보조동사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иш, -ги는 명사형이므로 파생명사도 존재한다.
==={-ган/-кан/-қан} ‘은 (거)’ 과거===
*서술적 용법
**Мен чой ичганман.
**나 차 마신 거 = 나 차 마셨어.
**Мен кинога бормаганман.
**나 영화관에 안 간 거 = 나 영화관 간 거 아니야
**(영화관이 아니라 다른 곳에 갔음) 또는 나 영화관에 간 적 없어.
**Мен ҳеч қачон кинога бормаганман.
**난 절대로 영화관에 간 적 없어.
**한번도 간 적 없어
*연결적 용법
{-ган}의 경우에는 영어의 ‘-ing’형이 분사일 수도 있고 동명사일 수도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형용사적 역할, 명사적 역할 두가지 역할을 한다. 이 접사가 명사적 역할을 할 경우에 소유접사가 결합가능하고 이럴 때 다양한 종속적을 만들어 낸다. 자세한 내용은 연결적 용법에 관한 설명 참조.
**ўқиганимни ‘내가 읽는 것’
**ўқиганимда ‘내가 읽었을 때’
**ўқиганим учун ‘내가 읽었기 때문에’
*수식 용법
**ўқиган одам ‘읽은 사람’
**ўқиган китобим ‘(내가) 읽은 책’
**ўқилган китоб ‘읽혀진 책’ – 중고 책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и)б} ‘-아 있-’===
*서술적 용법
# 들은 이야기 {-대}
#* У Кореяга келибди.
#* 그 사람 한국에 왔대.
#* Мен Кореяга борибманми?
#* 내가 한국에 갔다구?, 내가 한국에 갔대?
# 생각을 묻는 말
#* Озибманми, қорайибманми?
#* 내가 살이 빠진 거냐? 늙은 거냐?
#* Мен озибманми?
#* 나 살빠졌냐? (상대방의 생각을 물음. ‘나 살 빠진 것 같냐?’)
#* cf) мен оздимми? 나 살 빠졌어?
# 꿈에 본 것일 때 {-더-}
#* Мен унинг уйига келибман.
#* 내가 그 사람 집에 갔더라. (꿈에 본 것)
# 서다, 앉다, 눕다’ 등의 동사와 함께 ‘-아 있-’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турмоқ, ўтирмоқ, ётмоқ
#* Мен турибман.
#* 나 서 있어.
#* Орқасига қараса, у турибди
#* 뒤를 보니, 그 사람이 서 있다.
# 우즈벡어 {-(и)б}이 한국어의 {-어 있-}이 쓰이는 곳에 모두 쓰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열려 있다, 닫혀 있다; 살아 있다, 죽어 있다’와 같은 경우에는 이 접사를 사용할 수 없다.
#* очиқ ‘열려있는/열렸음’
#* ёпиқ ‘닫혀있는/닫혔음’
*연결적 용법
이 때 선행절과 후행절의 주어는 항상 같은 사람이어야 한다.
**Сен бу китобни ўқиб у ҳақида менга айтиб бер.
**너 그 책 읽고 그것에 대해서 나한테 이야기해 줘.
**Чой ичиб бўлиб суҳбатни давом этдик.
**차 마시고 나서 이야기 계속 했다.
**ўтириб ёзаяпди.
**앉아서 쓰고 있다.
**кулиб гапиряпди.
**웃으며 이야기하고 있다.
**тежаб ишлатяпди.
**아껴서 사용하고 있다.
**Ўқитувчи болани мақтаб гапиряпди.
**선생님 아이를 칭찬하며 이야기하고 있다.
*조동사 구성
** мен ёзган шеъримни ўқиб бераман.
** 내가 쓴 시 읽어 줄게.
** унга қўнғироқ қилиб кўр.
** 걔한테 전화 해 봐.
==={-(и)ш} ‘-기’===
*보조어와 함께
**Ҳозир ишлашим керак.
**지금 일하기 필요 = 지금 일해야 돼요.
*파생 명사
**югуриш ‘달리기’
**ўқиш ‘읽기, 독서, 공부’
**экиш ‘심기’
**кино кўриш ‘영화 관람’
==={-ди} ‘-았-’과거===
*단순과거
**Мен чой ичдим.
**나 차 마셨어.
**Мен кинога бормадим.
**난 영화관에 안 갔어 (어떤 이유때문에)
**Мен бу гал Кореяга бормадим.
**나 이번에 한국에 안 갔어.
*비교: {-ди}와 {-ган}
**Мен ҳеч қачон Кореяга бормаганман.
**나 한번도 한국에 간 적 없어.
**Мен бу гал Кореяга бормадим.
**나 이번에 한국에 안 갔어.
==={-(а)р} ‘-을’ 미래===
*서술적 용법
미래를 표현. 일반적으로 불확실함을 표현. ‘-을 것이다’라는 의미에 해당. 한국어의 경우 옛날말에 미래추측을 표현하는 ‘-리라’에 해당하기도 함.
**Меҳнат роҳатга келтирар 노동은 즐거움으로 인도할
**노동은 즐거움으로 인도하리라.
**Балки, у бир нарса айтар
**아마 그 사람 뭔가 이야기할
**Балки, у эртага келади.
**아마 그 사람 내일 올 거야.
**Бу ишни эртага қиларсан.
**이 일 내일 해라.
*수식 용법
**қилар ишни қилиб қўидинг
**할 일을 해 버렸냐 (미래에 할 일을 벌써 해버렸다. 아이가 어떤 일을 했을 때 부모님이 어른이 되면 할 일을 어린애가 벌써 해버렸다는 의미로)
**келар одам келар
**올 사람 올 (= 올 사람은 오겠지)
==={-а/-й} ‘-아’ 현재-미래===
*서술적 용법
현재의 지속적, 반복적인 행위 또는 확실한 미래를 의미. 한국어의 ‘-아’에 해당한다.
**Ер қуёш атрофида айланди.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아.
**Мен кинога бораман.
**나 영화관에 가 (갈거야)
*연결적 용법
**연결적 용법으로 쓰이기 위해서는 항상 두번 연달아 사용되어야 한다.
**У ўйлай-ўйлай уйдан чиқиб кетди.
**그 사람은 생각하며 생각하며 집에서 나갔다
**Кула-кула ичагим ёрилай деди.
**웃다-웃다 배가 터지겠었어요.
*조동사 구성
**Мен ўзбек тилида хат ёза оламан.
**나 우즈벡어로 편지 쓸 수 있다
==={-ги-ки/-қи} ‘기’===
*보조어와 함께
**Бу китобни ўқигим келди.
**이 책 읽고 싶었어요.
**Бу китобни ўқигим келаяпди.
**이 책 읽고 싶어요.
*파생명사
**севги ‘사랑’, кулги ‘웃음’, уйқу ‘잠’
==={-са} 조건===
==={-гач/-кач/-қач} ‘-고(서), -아(서)’===
*후행 ‘-고서’
**Эргаш келгач, биз дарс тайёрлашга ўтирдик.
**에르가시 오고서 우리는 수업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유 ‘-아서’
**한국어의 ‘-아서’와 마찬가지로 이유를 나타내는 의미가 있다.
**Ёмғир ёққач, ҳовлидан уйга кирдик.
**비가 와서, 들에서 집으로 들어갔다
**Укам ўқишдан келавермагач, хавотир олдик.
**동생 학교에서 안와서, 걱정했다
**Ручка топилмагач, қаламда ёздим.
**펜 못 찾아서, 연필로 썼어요.
*<참고> -дан кейин/сўнг ‘-은 후에’
==={-гани/-кани/-қани} {-(으)러}===
이 때 선행절과 후행절의 행위자는 같은 사람이어야 한다.
후행절에는 반드시 이동동사(?)만 올 수 있다.
*이동동사의 경우. 한국어의 {-(으)러}에 해당
접사 {-гани}는 한국어의 {-(으)러}와 마찬가지로 이동동사와 함께 쓰이는 목적 표현이다.
бормоқ ‘가다/다니다’, келмоқ ‘오다’, кетмоқ ‘가다/떠나다’, кирмоқ ‘들다’, чиқмоқ ‘나다’
**Эркин ўқигани келди. ‘에르킨 공부하러 왔다’
**Вали чой олгани кетди. ‘왈리 차 사러 나갔다’
*한국어로 {-(으)려고}에 해당하는 경우
한국어의 {-(으)러}와는 달리 우즈벡어의 {-гани}는 이동동사 이외에 ўтирмоқ ‘앉다’, турмоқ ‘서다’, ётмоқ ‘눕다’ 동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Жамол китоб ўқигани ўтирди.
**자몰은 책을 읽으려고 앉았다.
*비교
**кўргани келди
**кўришга келди
**кўриш учун келди
==={-ай} ===
이 접사는1인칭 단수 명령-기원법에 해당한다. 의문문으로 쓰일 경우에 한국어의 {-을까?}로 번역될 수 있다.
**Ёрдам берайми?
**도와 드릴까요?
**Кула-кула ичагим ёрилай деди.
**웃다-웃다 배가 터져라 했어요. (배가 터져라 웃었어요)
**Қорним очидан ўлай деяпман.
**배고파서 죽어라 했어요. (배고파 죽겠어요)
==={-инг}===
이 접사는 2인칭 존대 명령-기원법에 해당한다.
**Ёрдам беринг. 도와 주세요
==유용한 표현==
여기서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현들을 모아 보았다.
*현재 (요즘) -아요 -а
*현재 (지금) -아요 -аяп
*과거: -았어요 -ди
**Қачон келдингиз? 언제 오셨어요?
**Кеча келдим. 어제 왔어요.
*미래: -아요/-을 거예요 -а
**Қачон кетасиз? 언제 가세요?
**Эртага кетаман. 두 시에 가요.
*-(으)ㄹ까요?/-(으)세요 -айми?/-инг!
**도와 드릴까요? Ёрдам берайми?
**도와 주세요! Ёрдам беринг!
*-고 싶어요 -гим келаяпти
*-을 수 있어요 (능력) -а олмоқ
*-을 수 있어요 (상황) -иш мумкин
*-야 돼요 -иш керак
*-아도 돼요 -са бўлади
*-아도 돼요? -иш мумкинми?
*-고(서), -아(서) -иб
*-아도 -са, ҳам
*-으면 -са
축구/슈팅
1003
6428
2006-12-16T04:43:38Z
121.133.89.120
==요령==
슛을 하기 전에 골키퍼를 잘 보고, 골키퍼의 손이 닿기 가장 힘든 부분을 겨냥해 강하고 정확하게 슈팅합니다. 보통 패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슛을 합니다.
슛이 가능한 거리는 일반인 축구 매니아 기준으로 20~30m 정도이며, 슛이 가능한 각도는 패널티 에어리어 부근 양 코너에서 각각 근접한 쪽의 골포스트를 연결한 각도로 45도 정도입니다.
슛의 목표를 정할 때에는 골키퍼나 상대팀 선수의 정면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측에서 슛을 할 경우는 좌측 골포스트에 가깝게, 좌측에서 하는 슛일 경우는 우측 골포스트에 가까운 곳을 노리면 성공 확률이 높아 집니다.
물론 여러요소(공을 찬 부위, 공을 찬 강도 세기 등)에 따라서 거리와 각도는 크게 문제가 되어 보이지 않습니다.
==종류==
=== 인스텝 슛(instep shoot) ===
발등 전체에 볼을 대고 차는 동작으로 자기의 힘을 가장 공에 잘 전달해 주기 위해 사용합니다. 방법은 발등을 펴고 신발 끈을 매는 부분의 면으로 공을 찹니다.
=== 인사이드 슛(inside shoot) ===
발 안쪽을 이용해 공을 차는 동작으로 실패 확률이 낮아 페널티 킥이나 프리킥을 직접 슛으로 연결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방법은 디딤발과 차는발의 각도을 90도로 유지하고, 차는 발을 앞으로 밀어내듯이 자연스럽게 찹니다.
=== 인프런트 슛(infront shoot) ===
엄지발가락 안쪽 부분을 이용해 공을 차는 동작으로 프리킥을 수비벽의 키를 넘겨 직접 슛으로 연결할 때, 페널티 킥에 인사이드 슛보다 강한 슛이 필요로 할 때 주로 씁니다. 방법은 공에서부터 비스듬히 서서 곡선으로 달려 들어갑니다.
MediaWiki:Allmessagescurrent
1004
2593
2005-04-28T06:29:21Z
아흔
9
rev.
현재 메시지 내용
MediaWiki:Allmessagesdefault
1005
2594
2005-04-28T06:29:56Z
아흔
9
rev.
고정 메시지 내용
MediaWiki:Allmessagesname
1006
5356
2006-05-27T07:25:43Z
아흔
9
rev.
메시지 이름
우즈베크어/문법/기초준비
1007
2596
2005-04-26T07:40:15Z
Slomo
14
=우즈베크어 문법 (ЎЗБЕК ТИЛИ ҚОИДАЛАРИ)=
== 준비 ==
* [[/문자와 발음|문자와 발음]]
* 기초어휘
* 기초문법
* 품사
우즈베크어/문법/기초준비/문자와 발음
1008
2597
2005-04-26T08:02:30Z
Slomo
14
/* 개정 라틴 문자 */
=문자와 발음=
==끼릴 문자==
끼릴 문자와 그에 대응하는 새로운 라틴 문자를 표로 정리하였다. 일대일 대응을 하도록 문자를 개정하지 않았고 사전 배열 순서도 바뀌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А а A a
Б б B b
В в V v
Г г G g
Д д D d
Е е E e Ye ye (어두에서)
Ё ё --- Yo yo
Ж ж J j
З з Z z
И и I i
Й й Y y
К к K k
Л л L l
М м M m
Н н N n
О о O o
П п P p
Р р R r
С с S s
Т т T t
У у U u
Ф ф F f
Х х X x
Ц ц ---
Ч ч Ch ch
Ш ш Sh sh
ъ ---
ь ---
Э э --- E e (어두에서만 사용된다)
Ю ю --- Yu yu
Я я --- Ya ya
Ў ў O' o'
Қ қ Q q
Ғ ғ G' g'
Ҳ ҳ H h
==개정 라틴 문자 ==
새로운 라틴 문자는 2000년부터 공공기관에서 시범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여 2005년부터는 의무적으로 사용된다. 라틴 문자의 사전 배열 순서는 다음과 같다.
A a
B b
D d
E e
F f
G g
H h
I i
J j
K k
L l
M m
N n
O o
P p
Q q
R r
S s
T t
U u
V v
X x
Y y
Z z
O' o'
G' g'
Sh sh
Ch ch
Ng ng
MediaWiki:Undo
1013
2600
2005-04-28T09:27:18Z
아흔
9
transl.
복구
MediaWiki:Tooltip-watch
1014
3763
2005-08-24T08:48:09Z
아흔
9
rev.
주시문서 명단에 추가 [alt-w]
틀:위키책 도움말
1015
2602
2005-06-25T09:59:05Z
A-heun
22
rev.
<br style="clear:both;"/>
{|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padding:0.3em; float:right; margin-left:1em; border:1px solid #dfdfdf;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background:#f4f4ff; font-size:95%; line-height:13pt; text-align:center;"
|- bgcolor="#ffffff"
| [[그림:Icon-03.jpg|75px|]]
|- bgcolor="#633394"
! <font color="#ffffff">[[Wikibooks:도움말|도움말 보기]]</font>
|- bgcolor="#f4f4ff"
| [[Wikibooks:FAQ|잦은 질문과 답(FAQ)]]
|- bgcolor="#dfdfdf"
| [[Wikibooks:위키책에서 착각하는 점|위키책에서 착각하는 점]]
|- bgcolor="#f4f4ff"
| [[Wikibooks:편집에 들어가기 전에|편집을 앞두고...]]
|- bgcolor="#dfdfdf"
| [[Wikibooks:편집 도움말|편집 도움말]]
|- bgcolor="#f4f4ff"
| [[Wikibooks:자유게시판|자유게시판]]
|- bgcolor="#dfdfdf"
| [[Wikibooks:도움말 색인|도움말 색인]]
|}
그림:Icon-03.jpg
1016
2603
2005-04-28T11:39:02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Wikibooks:첫걸음
1017
2604
2005-05-11T19:16:28Z
아흔
9
rev.
<- [[Wikibooks:도움말|도움말]]
----
위키책에서 첫걸음을 띄기 위해서 우선 아래의 목록표에 열거한 사항을 한번 주의깊게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혹은 곧바로 위키책의 연습장인 모래상자로 가셔서 글쓰는 법을 여러모로 연습 해 보신다면, 편집에 필요한 여러가지 기본사항을 익히시게 될 것입니다.</font>
'''간단한 문장 고치기'''
{| border="1" width="100%" cellpadding="2" cellspacing="2" style="border-collapse:collapse; line-height:15pt; font-size:90%;"
| width="10%" align="center" style="background: #f0fff0; " | '''순서'''
| width="45%" style="background: #fffff0; text-align:center" | '''해보기'''
| width="45%" style="background: #eeefff; text-align:center" | '''결과'''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f0fff0;"|
'''하나'''
| style="background: #fffff0;"|
새로운 위키책 창을 열기위해 → [http://ko.wikibooks.org/wiki/대문 여기] 누르세요. 그리고 [[Wikibooks:모래상자|모래상자]] 누르세요. (모래상자 창을 열어 놓으시고, 계속 이 도움말을 읽으면서 연습하세요).
| style="background: #eeefff;"|
모래상자 창이 열림니다. 아마 연습장에 이미 다른 분들이 연습한 온갖 글들을 발견 하실 것입니다.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f0fff0;"|
'''둘'''
| style="background: #fffff0;"|
왼쪽에 또는 하단에 있는 '''문서고치기'''를 누르세요.
| style="background: #eeefff;"|
모래상자의 '''[[Wikibooks:편집창|편집창]]'''이 열림니다. 이 편집창에 수록된 내용을 이제 수정, 추가 또는 삭제 하실 수 있습니다.<br>
편집창 위에 아마 기능단추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기능단추는 문장 포맷을 위해 필요한 태그를 대신해 줍니다. 열어 놓으신 모래상자 창에서 한 번 연습해 보시면 각 단추가 가진 기능을 쉽게 이해하실 것입니다.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f0fff0;"|
'''셋'''
| style="background: #fffff0;"|
<b>1. </b>굵은 글씨 포맷 해보세요(왼쪽에서 1번째 단추).<br>
<b>2. </b>문단 나누기를 해 보세요 (왼쪽에서 5번째 단추).<br>
<b>3. </b>제목을 링크 시켜 보세요(왼쪽에서 3 혹은 4번째 단추).
| style="background: #eeefff;"|
해당되는 단추를 눌르셨다면, 지금 모래상자에서 편집 하시는 글줄에 이상한 부호가 첨가 되었을 것입니다.<pre><nowiki>
1. ''' xxx ''' 굵은 글씨
2. == xxx == 두번째로 큰문단
3. [[ xxx ]] 링크</nowiki></pre>
* <div style="line-height:14pt; font-size:95%">포맷에 관해 더 알고 싶으시면 [[Wikibooks:포맷하는 요령|포맷하는 요령]]을 읽어보세요.</div>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f0fff0;"|
'''넷'''
| style="background: #fffff0;"|
하신 포맷을 보시기 위해서는 편집창 아래에 있는 '''미리보기'''를 누르세요.
미리보기는 물론 문서가 원하는 대로 편집이 되었나 확인하기 위하여 언제든지 눌러 보실 수 있습니다.
| style="background: #eeefff;"|
이제 편집한 문서를 윗쪽 화면에서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br>미리보기를 하신 후, 문서를 계속 편집하고자 하신다면 아래쪽 화면의 편집창에서 작성을 계속하시고, 보신 결과에 만족하셨다면 다음을 읽어 주세요.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f0fff0;"|
'''다섯'''
| style="background: #fffff0;"|
편집을 끝내시려면<br>
*<b>저장</b>을 누르시거나
*<b>취소</b>를 누르세요.
저장을 하실 경우 <b>바꾼내용 간추리기</b>에 짧게 편집의 성격을 기재하세요, 그리고 편집 내용이 간단한 것에 국한 된 것이라면, <b>사소한 편집</b>을 눌러 주세요.
| style="background: #eeefff;"|
저장을 하시면 편집과정에서 변경된 사항이 저장 된 후, 편집창이 닫힘니다.
취소를 하신다면 물론 현재의 문서에 변경이 전혀 되지 않습니다.
|}
[[Category:위키책]]
그림:Wiki buttons.jpg
1018
2605
2005-04-28T12:00:43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Wikibooks:편집창
1019
2606
2005-05-11T17:06:50Z
아흔
9
rev.
{{위키책_도움말}}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에서 글을 쓰기 위해 여는 창을 알기 쉽게 '''편집창'''이라고 부릅니다. 이 편집창을 통하여 참여자께서는 인터넷에서 온라인으로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의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되어 문서의 편집에 관련된 모든 변경사항을 여기에서 처리하실 수 있습니다. 이 편집창은 아주 원시적인 문서 편집기와 비교해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여러분들이 편집창에서 하실 수 있는 것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가령 포맷을 하면서 직접 볼 수 있는 이른바 'WYSIWYG' 기능이나, 낱말 찿기 또는 바꾸기 등은 위키책 편집창에서 기대하실 수 없습니다 (포맷에 관해서는 [[Wikibooks:포맷하는 요령|포맷하는 요령]]을 참고 하세요).
# 편집창을 열기 위해서는 '''문서고치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 편집창을 열게되면 편집창 위에 여러가지 단추가 있는 것을 보게 되실 것입니다. 이 단추는 간단한 HTML 태그를 대신합니다.
{| border="1" cellspacing="0" style="margin-left:3em;"
! bgcolor="#dfdfdf" | 위키책 편집창의 구조
|-
|[[그림:wiki_buttons.jpg]]
|}
# 편집창을 열으신 후, 만일 기존의 문서에 수정을 가하셨을 경우에는 '''저장'''하시기 전에 언제나 '''미리보기'''를 하여 모든 것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간혹 열려진 문서의 편집창에서 편집을 하실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해당되는 문서가 [[Wikibooks:보호문서|보호문서]]라는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 여러분들이 등록된 사용자라면 '''개인맞춤'''이라는 페이지에서 나름대로의 편의와 취향에 따라 편집창의 구조를 조정하실 수 있습니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편집 도움말
1020
2607
2005-06-30T10:02:46Z
아흔
9
추가
{{위키책_도움말}}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편집에 들어가기 전에|편집에 들어가기 전에]]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고쳐쓰기에 주의할 점|고쳐쓰기에 주의할 점]]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편집창|위키책 편집창]]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제목 선택하기|제목 선택하기]]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새문서 만들기|새문서 만들기]]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문단 나누기|문단 나누기]]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문서 제목 붙여 나누기|문서 제목 붙여 나누기]]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포맷하는 요령|포맷하는 요령]]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링크하는 요령|링크시키는 요령]]
:[[그림:Icon-09a.jpg|20px|]] [[Wikibooks:그림 올리기|그림 올리기]]
[[Category:위키책]]
Wikibooks:문단 나누기
1021
3487
2005-07-04T09:40:57Z
아흔
9
rev.
<- [[Wikibooks:편집 도움말|편집 도움말]]
== 문단 나누기 ==
이 장에서는 문서를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편집해 가는 요령을 살펴보기로 합시다. 참여자께서 분량이 많은 글을 쓰고자 할 경우나 혹은 주제의 내용이 광범위 할 경우에는 문단을 나누어 글을 쓰므로서 독자가 문서의 내용을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습니다.
{| border="1" width="100%"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border-collapse:collapse; font-size:90%;"
! width="30%" style="background: #fffff0;line-height:18pt" | 부호
! width="70%" style="background: #eeefff;line-height:18pt" | 결과
|-
| style="background: #fffff0;"|
:<code>= 1 단 =</code>
:<code>== 2 단 ==</code>
:<code>=== 3 단 ===</code>
:<code>==== 4 단 ====</code>
:<code>===== 5 단 =====</code>
:<code>====== 6 단 ======</code>
| style="background: #eeefff;"|
= 1 단 =
== 2 단 ==
=== 3단 ===
* 순서에 따라 목차 또는 문단이 나누어짐과 동시에 글씨의 크기도 이에 따라 맞추어지며 6단 까지 문단나누기가 가능합니다. (3단 이후는 화면상 구분이 없음).
:[[그림:Icon-04.png|20px|]] 해당 부호 <b><code>=</code></b> 는 <b>언제나 새 줄의 첫머리에</b> 공간없이 쓰시기 바랍니다.
|-
| style="background: #fffff0;"|
:<code>* 순서표식</code>
:<code>** 순서표식</code>
:<code>*** 순서표식</code>
| style="background: #eeefff;"|
* 순서표식 <code>(*)</code>
** 순서표식 <code>(**)</code>
*** 순서표식 <code>(***)</code>
:[[그림:Icon-04.png|20px|]] 해당 부호 <code>*</code> 는 <b>언제나 새 줄의 첫머리에</b> 공간없이 쓰시기 바랍니다.
|-
| style="background: #fffff0;"|
:<code># 번호 붙임</code>
:<code>## 번호 붙임</code>
:<code>## 번호 붙임</code>
:<code># 번호 붙임</code>
:<code># 번호 붙임</code>
:<code>## 번호 붙임</code>
:<code>### 번호 붙임</code>
:<code>### 번호 붙임</code>
:<code>### 번호 붙임</code>
| style="background: #eeefff;"|
# 번호 붙임
## 번호 붙임
## 번호 붙임
# 번호 붙임
# 번호 붙임
## 번호 붙임
### 번호 붙임
### 번호 붙임
### 번호 붙임
:[[그림:Icon-04.png|20px|]] 해당 부호 <code>#</code> 는 <b>언제나 새 줄의 첫머리에</b> 공간없이 쓰시기 바랍니다.
|-
| style="background: #fffff0;"|
:<code>: 표식없이 단계별로</code>
:<code>:: 표식없이 단계별로</code>
:<code>::: 표식없이 단계별로</code>
| style="background: #eeefff;"|
: 표식없이 단계별로
:: 표식없이 단계별로
::: 표식없이 단계별로
:[[그림:Icon-04.png|20px|]] 해당 부호 <code>:</code> 는 <b>언제나 새 줄의 첫머리에</b> 공간없이 쓰시기 바랍니다.
|-
| style="background: #fffff0;"|
:<code>; 주제 : 다음 줄에 곧바로 쪽 들어가면서</code>
| style="background: #eeefff;"|
:;주제 : 다음 줄에 곧바로 쪽 들어가면서
:[[그림:Icon-04.png|20px|]] 세미콜론<b>(;)</b> 과 콜론<b>(:)</b> 의 순서에 유의.
|-
| style="background: #fffff0;"|
:<code>* 문단 부호를 섞어서</code>
:<code>*# 문단 부호를 섞어서</code>
:<code>*:: 문단 부호를 섞어서</code>
| style="background: #eeefff;"|
* 문단 부호를 섞어서
*# 문단 부호를 섞어서
*:: 문단 부호를 섞어서
|}
__NOTOC__
[[Category:위키책]]
그림:Icon-04.png
1022
2609
2005-04-28T12:08:25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Wikibooks:포맷하는 요령
1023
3488
2005-07-04T09:43:51Z
아흔
9
rev.
'''<- [[Wikibooks:편집 도움말|편집 도움말]]'''
== 포맷하는 요령 ==
이 장에서는 위키책에서 어떻게 글씨를 포맷하는지 살펴보기로 합니다.
{| border="1" width="100%"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border-collapse:collapse; font-size:90%;"
| width="30%"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ff0;line-height:18pt" | '''글씨모양'''
| width="60%"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eeefff;line-height:18pt" | '''위키, HTML 태그'''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b>굵은글씨 xxx </b></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위키태그: <nowiki>''' xxx '''</nowiki></pre>
* 굵은글씨를 위한 '''위키태그'''는 [[Wikibooks:편집창|편집창]] 위에 있는 첫번째 단추를 누르시면 됩니다.
<pre>HTML 태그: <nowiki><b> xxx </b> 또는 <strong> xxx </strong></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i>누은글씨 xxx </i></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위키태그: <nowiki>'' xxx ''</nowiki></pre>
* 누은글씨를 위한 '''위키태그'''는 [[Wikibooks:편집창|편집창]] 위에 있는 두번째 단추를 누르시면 됩니다.
<pre>HTML 태그: <nowiki><i> xxx </i> 또는 <em> xxx </em> </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b><i>굵고 누은글씨 xxx </i></b></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위키태그: <nowiki>''''' xxx '''''</nowiki></pre>
<pre>HTML 태그: <nowiki><b><i> xxx </i></b></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small>작은 글씨 xxx </small></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HTML 태그: <nowiki><small> xxx </small></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big>큰 글씨 xxx </big></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HTML 태그: <nowiki><big> xxx </big></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올려쓰기<b><sup> xxx </sup></b></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HTML 태그: <nowiki><sup> xxx </sup></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내려쓰기<b><sub> xxx </sub></b></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HTML 태그: <nowiki><sub> xxx </sub></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가운데 맞추기 xxx </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HTML 태그: <nowiki><center> xxx </center></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u>밑줄치기 xxx </u></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HTML 태그: <nowiki><u> xxx </u></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strike>빗줄치기 xxx </strike></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HTML 태그: <nowiki><strike> xxx </strike></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선 긋기</center>
----
| style="background: #eeefff;"|
<pre>위키태그: <nowiki>----</nowiki></pre>
* 선 긋기를 위한 '''위키태그'''는 [[Wikibooks:편집창|편집창]] 위에 있는 오른쪽 마지막 단추를 누르시면 됩니다.
<pre>HTML 태그: <nowiki><hr></nowiki></pre>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줄 띄우기</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HTML 태그: <nowiki></br> 혹은 <p></nowiki></pre>
* <nowiki></br></nowiki>은 줄을 단순히 바꾸는 것이며, <nowiki><p></nowiki>는 줄을 바꾸면서 한 줄을 띄우게 됩니다.
* 태그를 쓰지 않을 경우 줄을 바꾸기 위해서는 그냥 한 줄을 비워두시면 됩니다. 엔터만을 치면 줄이 바꾸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염두에 두세요.
|-
| style="background: #fffff0;"|
<center>코멘트 하기</center>
| style="background: #eeefff;"|
<pre>HTML 태그: <nowiki><!-- 코멘트 내용 --></nowiki></pre>
* 코멘트는 문서 안에 기록은 되지만 화면상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때문에 다른 참여자가 문서를 편집하게 될 때 비로소 코멘트를 읽게 되므로 몇몇 주의 사항을 코멘트에 써넣을 수 있습니다.
|}
[[Category:위키책]]
Wikibooks:링크하는 요령
1024
3489
2005-07-04T09:55:59Z
아흔
9
rev.
'''<- [[Wikibooks:편집 도움말|편집 도움말]]'''
== 위키책에서 링크시키는 요령 ==
링크의 의미는 낱말이 가진 혹은 독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적시 적소에서 볼 수 있게하는 데에 있습니다. 링크된 낱말에 관한 문서가 이미 존재하면 푸른 색으로 밑줄이 그어져 나타나며, 그렇치 않을 경우 붉은 색으로 밑줄이 그어져 나타납니다.
=== 위키책의 내부로 링크시키기 ===
{| border="1" width="100%" cellpadding="2" cellspacing="2" style="border-collapse:collapse;"
| width="30%" style="background: #fffeee; line-height:18pt; text-align:center;" | '''해보기'''
| width="60%" style="background: #eeefff; line-height:18pt; text-align:center;" | '''결과'''
|-
| style="background: #fffeee;"|
<pre><nowiki>[[한국어 입문]]</nowiki></pre>
| style="background: #eeefff;"|
[[한국어 입문]]
:간단하고 흔히 사용하게 되는 내부 링크로서, 링크하고자 하는 단어 앞 뒤로 <b>꺾은 이중괄호</b> '''<code>[[ ]]</code>'''를 붙이면 됩니다.
|-
| style="background: #fffeee;" |
<pre><nowiki>[[한국어 입문|국어 입문]]</nowiki></pre>
| style="background: #eeefff;" |
[[한국어 입문|국어 입문]]
:이미 존재하는 문서명 다음에 작대기 <code>"|"</code> 를 붙인 후 다른 이름 쓰시면, 예에서 보듯이 "한국어 입문"이라는 낱말에 관한 문서가 다만 '''화면상'''에 "국어 입문 "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어 나타납니다. 이렇게 하므로서 '''화면상 링크되는 낱말'''을 문장내용에 따라 적절히 바꿀 수 있습니다.
|-
| style="background: #fffeee;" |
<pre><nowiki>[[한국사 입문#한국의 경제|한국의 경제]]</nowiki></pre>
<pre><nowiki>[[한국사 입문#한국의 경제|한국의 경제문제]]</nowiki></pre>
| style="background: #eeefff;" |
[[한국사 입문#한국의 경제|한국의 경제]]
[[한국사 입문#한국의 경제|한국의 경제문제]]
:'''#'''는 "한국사 입문"이라는 제목의 문서에 포함된 문단들 가운데에서 "한국의 경제"라는 문단을 찾아가도록 합니다. 해당 문단 다음에 붙인 작대기 <code>"|"</code> 뒤에는 바로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화면상으로 대리 이름'''을 쓸 수 있습니다 (옆의 예에서 한국의 경제 대신 한국의 경제문제).
|-
| style="background: #fffeee;" |
<pre><nowiki>[[:en:Korean]]</nowiki></pre>
| style="background: #eeefff;" |
[[:en:Korean]]
: 다른 언어 위키책을 표시하는 부호의 앞뒤로 콜론을 붙인 다음 그곳에 수록된 문서의 제목을 쓰시면 해당 언어의 위키책에 수록되어 있는 문서로 링크됩니다 (예에서 영어 위키책에 수록된 'Korean'). 이 종류의 링크는 이른바 위키미디아의 인터링크라고 볼 수 있습니다.
* <small>낱말 마지막에 작대기 <code>|</code> 를 쓰시면 그 앞의 낱말만 화면에 나타납니다.</small>
|}
=== 위키책에서 외부로 링크시키기 ===
외부로 링크시키기란 외부의 웹 사이트로 링크시킨다는 것을 뜻합니다.
<p>
{| border="1" cellpadding="2" cellspacing="2" style="border-collapse:collapse;"
| width="30%" style="background: #fffeee; text-align:center;" | '''해보기'''
| width="60%" style="background: #eeefff; text-align:center;" | '''결과'''
|-
| style="background: #fffeee;" |
<pre><nowiki>[http://www.ko.wikibooks.org/wiki 한국어 위키책]
http://www.ko.wikibooks.org</nowiki></pre>
| style="background: #eeefff;" |
[http://www.ko.wikibooks.org/wiki 한국어 위키책]<br>
http://www.ko.wikibooks.org
:[[그림:Icon-04.png|20px|]] 외부로 링크시킬 경우에는 내부 링크와는 달리 <b>꺾은 홑괄호</b> '''<code>[ ]</code>'''가 사용되며 해당 웹 사이트에 별도로 이름을 붙일 경우 빈 칸 하나를 두셔야 합니다 (예컨데 '''한국어 위키책'''이라는 단어 앞에 빈 칸).<br>또한 정확한 웹사이트의 주소를 직접 쓰셔도 외부로 링크를 시킬 수 있습니다.
|}
[[Category:위키책]]
Wikibooks:고쳐쓰기에 주의할 점
1026
2613
2005-06-25T09:34:53Z
A-heun
22
rev.
__TOC__
{{위키책_도움말}}
위키책에 수록된 글은 원칙적으로 참여자가 언제나 고칠 수 있습니다. 참여자께서 수록된 문서를 고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언제나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지워서는 안되는 부분 ===
위키책에 수록된 글은 특별한 구실을 하는 몇몇 가지 표식들을 담고 있을 수 있으며, 참여자께서는 이들을 지우시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Wikibooks:인터위키언어링크|인터위키언어링크]]: 다른 위키백과와 연결시키는 링크
* [[Wikibooks:템플릿|템플릿]]을 나타내는 <nowiki>{{ }}</nowiki> 표식은 지우시지 않기 바랍니다.
* 도표나 그림틀 혹은 [[Wikibooks:문단 나누기|문단 나누기]] 태그 및 [[Wikibooks:포맷하는 요령|포맷]]이 무슨 뜻인지 참여자께서 정확히 모르실 경우에는 지우시지 않기 바랍니다.
=== 고치기에 주의할 부분 ===
* [[Wikibooks:링크하는 요령|이미 링크]]되어 있는 제목은 일방적으로 고치시지 않기를 바랍니다. 참여자께서 보다 알맞다고 여겨지는 제목이 생각나시면 언제나 해당 문서의 토론 페이지에서 의견 교환을 거쳐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를 옮기거나]] [[Wikibooks:문서 넘겨주기|넘겨주는 방법]]을 찾기 바랍니다.
=== 내용 고치기에 따른 바른 자세 ===
* 참여자께서는 문서의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언제나 기여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반면에 참여자께서는 위키책이 위키백과와는 조금 다르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다시 말해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들은 대개 문서를 편집에 기여한 참여자가 한 사람인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는 '''책'''의 일관성 유지와 편집자의 의도를 고려한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때문에 참여자께서는 문서의 내용을 임의로 수정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참여자께서 문서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교정하고자 할 때에는 언제나 해당 문서에 딸린 토론 페이지에서 미리 문서를 쓴 편집자와 상의를 하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만일 문서가 오랫동안 방치되었거나 편집자와 토론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Wikibooks:관리자|관리자]]와 상의하기기 바랍니다.
** 아이피 참여자에 의해 쓰여진 문서는 이 권장사항에서 제외됩니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
1027
2614
2005-05-10T19:17:57Z
아흔
9
교정
{{위키책_도움말}}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나 자유로이 참여하여 글을 쓰고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들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보충할 수 있습니다.
위키책에 낯이 아직 설은 참여자나 혹은 위키책과 비슷한 웹사이트에서 작고 큰 경험을 갖고 계신 분께서는 아래의 몇몇 가지 점을 읽어 보시면서 한국어 위키책에서 특히 참여자들 사이에 지켜야 할 예의와 말씨를 익히시기를 권장합니다. 이는 위키책 [[Wikibooks:지미 웰스|설립자 짐보]]가 모든 위키인들에게 신뢰와 경의를 갖고 위키미디아 프로젝트에 참여해 주기를 [http://meta.wikimedia.org/wiki/Translation_requests/NL-1/Ko: 당부하는 말]에 귀를 기울이는 일입니다.
위키책에는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누구나 자유로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참여자가 누구이며 그리고 무엇을 업으로 삼고 있는지 대개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어떤 참여자가 새글을 쓰거나 수록된 문서를 수정할 경우에는 위키책에서는 [[Wikibooks:관리자|관리자]] 및 오래 동안 활동하고 있는 사용자가 이를 언제나 검토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를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참여자가 쓴 글이 객관성이 결여되었거나 [[Wikibooks:저작권|저작권]]에 위반이 되는 사항은 곧바로 수정되거나 삭제됩니다. 이에 따른 이유는 언제나 해당 문서의 토론페이지나 혹은 [[Template:저작권 위반|저작권 위반]]이라는 경고문을 통해 게시됩니다. 여기에 물론 참여자께서 해당 문서의 토론페이지에 자신의 엇갈린 의견이나 질문을 하실 수 있습니다.
# 말씨는 언제나 '''존대말'''을 쓰시기 바랍니다.
# 토론 페이지에 의견을 쓰신 후에는 언제나 토론자의 '''서명'''과 '''날자'''를 남겨서 토론 상대자가 익명인과 토론하지 않도록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 서명은 [[Wikibooks:편집창|편집창]] 위에 있는 단추 가운데 오른쪽 끝에서 두번째 단추를 누르면 저절로 찍히게 되는 부호 "<font color="blue"><nowiki> - - ~ ~ ~ ~</nowiki></font>"가 자신의 서명과 날짜를 대신하여 줍니다.
# 자신의 이견이나 질문은 언제나 짧고 '''주제에 국한'''하여 주시기 바라며, 주제와 관련이 없는 개인적인 판단은 삼가하시기 당부합니다.
# 질문이나 이견을 쓰신 후에는 토론 상대자의 답변을 기다리는 '''인내'''를 갖기를 부탁드립니다 (위키책의 참여자들은 위키책의 편집일을 직업으로 삼고 있지 않습니다).
# 자신이 쓴 글이 수정 혹은 삭제되었다고 하여서 기분이 상하여 토론의 주제에서 벗어나 토론 상대자를 '''헐뜯는 행위'''는 하지 않도록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특히 토론 상대자의 사용자 이름을 지칭하게 될 경우에는, 상대자와 얼굴을 마주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이용하여 상대자의 '''인격에 흠이 가는 낱말'''은 절대로 쓰지 않기를 부탁드립니다.
# 토론에서 참여자가 질문을 할 수 있듯이 참여자는 토론 상대자로부터 역시 질문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언제 공손히 질문하며 그리고 질문에 대답을 하므로써 '''말싸움'''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념하시기를 당부합니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반달행위
1028
edit=sysop:move=sysop
6553
2007-01-03T15:56:41Z
아흔
9
보호시킴 "[[Wikibooks:반달행위]]": basic [edit=sysop:move=sysop]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에는 누구나 자유로이 참여하여 어떤 주제에 관하여 글을 쓸 수 있는 곳입니다. 이 자유를 잘못 이해하거나 혹은 못된 심사로 아이피(IP) 참여자 그리고 심지어 등록된 사용자가 위키책에 올려진 문서의 내용을 훼손하거나 엉뚱한 제목으로 문서를 만들어 낙서를 하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이와 같은 행위를 위키책에서는 유럽 중세시대의 민족이동 당시에 악평이 자자하던 반달족의 야만적 행위에 비유하여 반달행위(Vandalism)라고 일컫고 있습니다.
== 반달행위의 유형 ==
* 스팸 끼우는 행위
* 내용을 부분적으로 혹은 모두 지우는 행위
* 내용을 고의로 왜곡시키는 행위
* 아이들 처럼 낙서를 하는 행위
* 욕을 써넣는 행위
* 문서의 내용과 무관한 선전 광고를 일삼는 행위
* 불쾌감을 주는 그림을 올리는 행위
* 사용자 페이지에 비방하는 글을 써넣는 행위
*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와 [[Wikibooks:문서 넘겨주기|문서 넘겨주기]]를 악용하여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를 왜곡 또는 말소시키는 행위
== 반달행위에 따른 조치 ==
* [[Wikibooks:반달행위/IP-list|반달행위/IP-list]]
* [[Wikibooks:접속 차단|접속 차단]]
* [[Special:Ipblocklist|접속 차단된 IP]]
[[Category:위키책]]
그림:Icon-01.jpg
1030
2617
2005-04-28T12:47:27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Wikibooks:위키책 입문서
1031
4982
2006-04-25T13:40:30Z
220.121.51.68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입문서]]'''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언어'''{{추가|입/언어}}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문학'''{{추가|입/문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수학'''{{추가|입/수학}}
|-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언어}}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문학}}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수학}}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철학'''{{추가|입/철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신학'''{{추가|입/신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물리'''{{추가|입/물리}}
|-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철학}}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신학}}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물리}}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심리'''{{추가|입/심리}}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역사'''{{추가|입/역사}}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화학'''{{추가|입/화학}}
|-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심리}}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역사}}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화학}}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정치'''{{추가|입/정치}}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경제'''{{추가|입/경제}}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생물'''{{추가|입/생물}}
|-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정치}}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경제}}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입/생물}}
</div>
|}
[[Category:입문서]]
* [[PDA]]
Wikibooks:위키책 참고서
1032
4204
2005-11-28T12:00:38Z
218.39.107.55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참고서]]'''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언어'''{{추가|참/언어}}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문학'''{{추가|참/문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수학'''{{추가|참/수학}}
|-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언어}}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문학}}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수학}}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철학'''{{추가|참/철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신학'''{{추가|참/신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물리'''{{추가|참/물리}}
|-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철학}}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신학}}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물리}}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심리'''{{추가|참/심리}}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역사'''{{추가|참/역사}}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화학'''{{추가|참/화학}}
|-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심리}}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역사}}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화학}}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법학'''{{추가|참/법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경제'''{{추가|참/경제}}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생물'''{{추가|참/생물}}
|-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법학}}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경제}}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생물}}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정치'''{{추가|참/정치}}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문화'''{{추가|참/문화}}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의학'''{{추가|참/의학}}
|-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정치}}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문화}}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의학}}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전산학'''{{추가|참/전산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전기전자공학'''{{추가|참/전기전자공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기계공학'''{{추가|참/기계공학}}
|-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전산학}}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전기전자공학}}
</div>
| style="background:#F4F4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참/기계공학}}
</div>
|}
[[Category:참고서]]
Wikibooks:위키책 해석서
1033
3598
2005-07-18T09:16:59Z
아흔
9
rev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해석서]]'''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문학'''{{추가|해/문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철학'''{{추가|해/철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신학'''{{추가|해/신학}}
|-
| style="background:#F6F6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해/문학}}
</div>
| style="background:#F6F6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해/철학}}
</div>
| style="background:#F6F6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해/신학}}
</div>
|}
[[Category:해석서]]
Wikibooks:위키책 주석서
1034
3600
2005-07-18T09:19:24Z
아흔
9
rev.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주석서]]'''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문학'''{{추가|주/문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철학'''{{추가|주/철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신학'''{{추가|주/신학}}
|-
| style="background:#F6F6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주/문학}}
</div>
| style="background:#F6F6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주/철학}}
</div>
| style="background:#F6F6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주/신학}}
</div>
|}
[[Category:주석서]]
Wikibooks:위키책 비평서
1035
3602
2005-07-18T09:20:43Z
아흔
9
rev.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비평서]]'''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시'''{{추가|비/시}}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소설'''{{추가|비/소설}}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연극'''{{추가|비/연극}}
|-
| style="background:#F7F7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 {{비/시}}
</div>
| style="background:#F7F7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비/소설}}
</div>
| style="background:#F7F7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비/연극}}
</div>
|}
[[Category:비평서]]
Wikibooks:위키책 감상문
1036
3603
2005-07-18T09:22:59Z
아흔
9
rev.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감상문]]'''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문학'''{{추가|감/문학}}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미술'''{{추가|감/미술}}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음악'''{{추가|감/음악}}
|-
| style="background:#F8F8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감/문학}}
</div>
| style="background:#F8F8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감/미술}}
</div>
| style="background:#F8F8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감/음악}}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영화'''{{추가|감/영화}}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건축'''{{추가|감/건축}}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여행'''{{추가|감/여행}}
|-
| style="background:#F8F8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감/영화}}
</div>
| style="background:#F8F8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감/건축}}
</div>
| style="background:#F8F8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감/여행}}
</div>
|}
[[Category:감상문]]
Wikibooks:위키책 전기
1037
3608
2005-07-18T09:27:51Z
아흔
9
rev.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전기]]'''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문학자'''{{추가|전/문학자}}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철학자'''{{추가|전/철학자}}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과학자'''{{추가|전/과학자}}
|-
| style="background:#F7F7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전/문학자}}
</div>
| style="background:#F7F7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전/철학자}}
</div>
| style="background:#F7F7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전/과학자}}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예술가'''{{추가|전/예술가}}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정치가'''{{추가|전/정치가}}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기타'''{{추가|전/기타}}
|-
| style="background:#F7F7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전/예술가}}
</div>
| style="background:#F7F7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전/정치가}}
</div>
| style="background:#F7F7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전/기타}}
</div>
|}
[[Category:전기]]
Wikibooks:위키책 참고문헌
1038
2625
2005-04-28T13:58:45Z
아흔
9
set
<!-- Bibliography -->
== 인문 사회 분야 ==
== 자연 분야 ==
== 예술 분야 ==
== 기타 ==
[[Category:참고문헌]]
Wikibooks:위키책 유형
1039
6415
2006-12-11T22:28:14Z
38.113.90.254
/* 요리 */
== [[Wikibooks:위키책 입문서|위키책 입문서]] ==
[[그림:Icon-11.png|float|left|30px|]]
* 위키책 입문서는 여러 학문 및 일반 상식의 분야에 관해서 전반적으로 소개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언어나 문학을 예로 들었을 때, 한국어입문이란 한글이 가진 언어적 특성 및 국문법을 소개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봅니다. 따라서 한글의 언어학적 연구 결과나 특별한 문제점은 한국어 개론이나 혹은 다른 특별한 주제를 제목으로 책을 꾸며나가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문학의 경우 역시 한국문학입문서는 한국문학의 특정 분야를 낱낱이 설명하기 보다는 오히려 한국문학의 전반적인 소개, 이를테면 간추린 문학사, 문학의 흐름, 장르 등을 설명하는 것이 입문서에 적절하리라 보입니다.
== [[Wikibooks:위키책 참고서|위키책 참고서]] ==
[[그림:Icon-11.png|float|left|30px|]]
* 참고서는 입문서보다는 보다 풍부하고 전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하리라 여겨집니다. 여기에 해당되는 책의 제목으로서는 '개론서'를 손꼽을 수 있으며 또한 학문의 세부 분야 및 다른 전문적인 지식을 내용으로 하는 글을 참여자께서는 편집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입문서나 다른 위키책 유형에 비슷한 제목이 이미 있다고 할지라도 참여자께서 쓰고자하는 분야의 참고서를 다른 제목으로 삼아 쓰실 수 있습니다. 다만 주의 할 점은 다른 비슷한 제목을 가진 문서를 미리 읽어보신 후, 관련된 주제를 보다 깊이 있고 독창적으로 쓰실 의향이 있을 때에 편집에 임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Wikibooks:위키책 해석서|위키책 해석서]] ==
== [[Wikibooks:위키책 주석서|위키책 주석서]] ==
== [[Wikibooks:위키책 비평서|위키책 비평서]] ==
== [[Wikibooks:위키책 감상문|위키책 감상문]] ==
[[그림:Icon-11.png|float|left|30px|]]
* 감상문에 들어가는 책으로서는 우선 수필을 손꼽을 수 있습니다. 참여자께서 감명깊게 읽고 혹은 본 책이나 예술 작품에 관한 글은 흔히 독후감이라고 일컬을 수 있지만, 위키책에서 참여자께서 써주시기를 권장하는 감상문은 단순한 개인적인 감명이나 소감의 서술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몇몇 사항을 보충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감상문의 대상이 되는 책이나 미술, 음악, 영화 작품의 전반적인 소개, 다시 말해, 집필 및 출판 또는 제작에 관련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해당 감상문의 대상이 되는 작품의 작자 그리고 제작 및 생성 과정 또는 배경에 관한 소개를 감상문의 본문 앞에 기록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해당 감상문의 대상이 되는 작품의 참고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기록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Wikibooks:위키책 전기|위키책 전기]] ==
[[그림:Icon-11.png|float|left|30px|]]
* 위키책에서 편집을 권장하는 전기는 어떤 인물의의 단순한 약력 소개가 아닙니다. 참여자께서는 쓰고자 하는 인물의 약력 소개를 벗어나 해당 인물의 성장과 발달 그리고 사망하기까지의 과정을 그 인물이 살았던 시대와 역사적 배경 그리고 인물의 가계, 교육 과정,친교 관계 등을 바탕으로 될 수 있는대로 정확하고 상세하게 전기를 써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참여자께서 충분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정리하는 사전 작업이 필요하며 적지 않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 참여자께서 간단히 인물의 약력이나 간추린 생애에 관해서 짧게 글을 쓰고자 하실 경우에는 [[w:ko:대문|위키백과]]에서 하여 주시기를 당부합니다.
== [[Wikibooks:위키책 컴퓨터|위키책 컴퓨터]] ==
== [[Wikibooks:위키책 스포츠|위키책 스포츠]] ==
== [[Wikibooks:위키책 가정|위키책 가정]] ==
=== 요리 ===
[[그림:Icon-09.jpg|float|left|30px|]]
* 위키책 요리서에는 모든 종류의 음식에 관해서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참여자께서 전문 요리사가 아니라 할지라도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여러 가지 간편한 요리에서 비롯하여 전문 요리사들에 의해 추천된 한국 및 외국의 요리 등에 관해서 글을 써서 기여하므로서 다양 요리책이 편찬되게 됩니다. 글의 촛점은 물론 조리법의 설명에 있으며, 참여자께서 알고계시거나 혹은 요리책에서 읽은 조리 방법을 참고로 하여 글을 쓰시면 됩니다. 모든 요리책에서 볼 수 있듯이 요리에 관한 글은 두가지 사항을 필수적으로 담고 담고 있어야 합니다.
** 요리에 쓰이는 재료와 수량
** 조리 방법
이 두가지 사항 이외에 참여자께서는 물론 식단차리는 법을 덧붙일 수 있으며, 해당 요리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면 요리의 본고장이나 유래 그리고 어떻게 먹는지를 또한 덧붙일 수 있습니다. 한 걸음 더나아가서 해당 요리의 사진을 끼우셔서 요리책의 면모를 돋보이게 하실 수 있습니다.
* 위키책 요리에서는 요리에 필요한 재료를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게끔 [[Template:요리 재료틀|요리 재료틀]]을 마련해 놓고 있습니다.
=== 건강 ===
=== 생활 ===
* 이 분야에는 참여자께서 일상생활에서 겪고 보는 여러 상식적이고 유익한 정보를 쓰실 수 있습니다. 다만 참여자께서는 근거 있고 정확한 정보를 써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위키어린이백과사전]](Wikijunior) ==
위키백과사전은 어린이에게는 적합하지 않고 어려운 백과사전입니다. 그러므로 위키어린이백과사전으로 어린이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씁시다.
__NOTOC__
[[Category:위키책]]
Wikibooks:위키책 안내
1040
2627
2005-06-03T11:10:01Z
아흔
9
rev.
'''위키책(Wikibooks)'''은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모든 사람들이 자유로이 쓸 수 있는 정보자료와 학문 및 기타 유익한 인터넷 서적을 편찬하는 데 있습니다.
위키책 프로젝트가 고안되어 첫 발을 내디딘 이래 참여자가 늘어남에 따라서 위키미디아의 다른 성공적인 프로젝트들을 모범으로 삼아 위키책 역시 여러 언어로 독자적인 대문을 열어 적극적으로 프로젝트를 육성 발전시키게 된 것입니다.
한국어 위키책은 다른 한국어 위키미디아 프로젝트들처럼 ([http://ko.wikipedia.org/wiki 위키백과], [http://ko.wiktionary.org/wiki 위키낱말사전] ...) 한국에 널리 알려진 편이 아니기 때문에 참여자가 현재 그리 많지 않지만 나름대로 다른 언어 위키프로젝트에 뒤지지 않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참여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현재 위키책에서는 편집을 권장하는 책의 유형은 [[Wikibooks:위키책 유형|여기]]를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Category:위키책]]
분류:위키책
1041
2628
2005-04-29T07:29:37Z
아흔
9
rev.
<div class="toccolours" style="border-width:1px 2px 2px 1px; font-size:110%; background-color:#EFEDFA; text-align:center;">
'''Wikibooks의 일반 카테고리:'''
</div>
Wikibooks:일반 유의사항
1042
2629
2005-04-29T08:03:44Z
아흔
9
<div class="toccolours"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padding:1em; border-width:1px 2px 2px 1px; background:#F4F4F4;">
<big>'''위키책에 관한 일반적 유의사항'''</big>
#위키책에 수록된 자료는 자신의 책임하에 사용된다.
#위키책은 의료에 관한 권고를 하지않는다.
#위키책은 법적 의견을 표명하지 않는다.
#위키책은 참여자의 의견과 상반되는 내용을 담고 있을 수도 있다.
</div>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은 온라인에 의해 내용이 개방되는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재단]] 한 프로젝트이다. 즉 개인이나 단체가 인간 상식의 증보를 위해 자발적으로 위키책에 참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WWW 브러우저의 사용이 가능한 사람은 누구나 위키책에 글을 쓸 수 있으며 또한 수록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 수록된 개별 분야에 관한 어떠한 글도 전문가에 의해 반드시 검토되지 않는다. 때문에 참여자에게 어떤 주제에 대해서도 완벽하고 정확한 혹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고 볼 수 없다.
*그렇다고 하여서 여러분께서 위키책에서 가치있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위키책은 다만 여기에 수록된 정보의 타당성에 대해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히는 바이다. 여기에 수록된 정보는 어느 사람에 의해서든지 조만간 수정, 훼손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수정자의 의견이 여러분이 관심을 갖고 정보를 얻고자 하는 특정 분야의 지적 수준에 부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위키책은 문서의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버전을 선택하고 추천하는데에 노력하고 있지만, 거듭 말하지만 여기에 대한 보증은 없다. [[특수기능:Recentchanges|최근 바뀜]]에서 여러분께서는 문서변경 사항을 추적할 수 있지만, 심지어 여기에도 여러분이 보기 바로 조금 전에 문서가 가차없이 바꾸어졌을 수 있다.
*작가, 참여자, 후원자, 관리자 혹은 위키책과 관련된 어떠한 사람도 부정확 또는 자유분방한 정보에 관해 그리고 이 웹사이트에 포함 또는 링크된 정보를 여러분들이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갖지 않는다. 여기에 제공되는 정보가 자유로이 그리고 무료로 제공 된다는 것을 여러분께서는 재삼 인식하여야 한다. 그리고 여러분과 이 사이트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간에는 어떠한 종류의 동의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사이트가 등록된 서버의 소유자, 위키책의 개별 참여자, 관리자 혹은 이 프로젝트 또는 자매 프로젝트와 관련된 어느 사람도 여러분의 직접적 항의로부터 유보된다. 여러분은 이 사이트로 부터 어떠한 것이든 [[:w:GNU FDL|GNU FDL]]의 규정에 따라 국한적으로 복사할 수 있으며 이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따른 어떠한 계약 또는 특별계약의 보증이 위키책 편으로부터 혹은 어떤 중개인, 회원, 조정인이나 다른 사용자쪽으로부터 수반되지 않는다.
*위키책에 사용 또는 인용된 등록상표, 서어비스표식, 조합표식, 디자인권, 개별권 혹은 이와 유사한 권리등은 해당 소유자의 재산에 속한다. [[Wikibooks:저작권|저작권]]의 보호를 받고 있을 수도 있는 이와 같은 종류의 유동 재산은 위키책의 문서의 원작자가 'GNU FDL'의 규정에 따라 고려한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한 내용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여러분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위키책 그리고 위키미디아 사이트는 이와 같은 어떠한 권리도 사이트에 수용하거나 주지시키지 않으며, 위키책은 보호된 자료의 여타의 사용에 관한 어떤 권리에 대한 보증을 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한 동산 재산의 사용은 전적으로 여러분 자신의 책임하에 있다.
*만일 여러분께서 특별한 조언이 필요할 경우 (이를테면 의료, 법, 경제), 이 분야의 전문가를 찿기를 권장하는 바이다.
*위키책에 수록된 정보는 여러분이 지금 이 유의사항을 읽고 계시는 국가의 법에 저촉이 될 수도 있다. 여러분의 국가의 법은 미국의 법이나 혹은 'UN Charter'의 원칙에 따른 언론자유의 보장을 넓은 의미에서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위키책에는 여러분이 이 넷트에 링크하므로서 혹은 여기에 포함된 어떤 정보를 사용하므로서 있을 수도 있는 법적 위반에 대해 책임을 갖지 않는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저작권
1043
3478
2005-07-04T08:57:35Z
아흔
9
rev.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에 수록된 문서 내용의 복사 및 배포 그리고 자유로운 편집은 자유 소프트 웨어 재단에서 펴낸 [[Wikibooks:GNU FDL|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GNU FDL''')의 규준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는 무슨 목적으로 이것을 사용하든지에 상관 없이 어떤 특정한 저작권자의 허가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물론 사용자께서는 'GNU FDL'에 명시된 규준을 따라야 합니다.
'''GNU FDL'''는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의 법적 상황에 따라 구상되고 법적 인정을 받은 허가서(Licence)입니다. 위키책은 이 허가서를 바탕으로 추진되는 프로젝트입니다 (읽어보기: [[Wikibooks:일반 유의사항|일반 유의사항]]). 그러나 위키책은 수록된 문서의 사용에 관한 자체적인 몇몇 지침을 세워놓고 있습니다. 사용자께서 저작권 문제에 불확실한 점이 있다면 될 수 있는대로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의 규정을 우선적으로 참고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사용자께서 무엇보다도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재단]]의 관리 밑에 있는 위키책(Wikibooks)의 이름, 등록상표 그리고 로고 따위는 자유문서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읽어보기: [[Meta:Wikimedia trademarks|위키미디아 등록상표]])
== 읽어보기 ==
* [[Wikibooks:GNU FDL|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GNU FDL)
* [[Wikibooks:GNU GPL|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NU GPL)
* [[Wikibooks:퍼블릭 도메인|퍼블릭 도메인]] (Public Domain)
* [[Wikibooks:공정사용|공정사용]] (Fair Use)
[[Category:위키책]]
그림:Icon-07.jpg
1044
2631
2005-04-30T08:35:19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Wikibooks:위키책에서 착각하는 점
1045
edit=sysop:move=sysop
6555
2007-01-03T15:57:19Z
아흔
9
보호시킴 "[[Wikibooks:위키책에서 착각하는 점]]": basic [edit=sysop:move=sysop]
{| width="100%" cellspacing="10px" cellpadding="20px" style="text-indent:20px;"
|-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9FC9F3; border-bottom:2px solid #015DB8; border-right:2px solid #015DB8;" |
{{headline2|한국어 위키책은 전문 분야를 넓게 다루는 곳입니다.}}
참여자께서 학문의 어떤 전문 용어나 또는 상식적인 작은 주제, 낱말풀이, 자료, 인용문 따위에 관심이 있으시면 아래의 한국어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들 가운데 혹시 참여자의 관심 분야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w:ko:대문|한국어 위키백과]]
* [[:wikt:ko:위키낱말사전:대문|한국어 위키낱말사전]]
* [[:s:ko:대문|한국어 위키 자료집]]
* [[:q:ko:대문|한국어 위키 인용집]]
{{headline2|한국어 위키책은 다른 책을 베끼지 않습니다}}
참여자께서는 어떤 주제로 책을 쓰실 때에는 미리 계획을 세워 참고 자료를 찾아 알찬 내용으로 글을 쓰셔야 합니다. 참고하는 책의 내용을 고스란히 베껴 이 곳에 써넣는 무책임하고 성의없는 편집은 한국어 위키책에서 반기지 않습니다.
{{headline2|한국어 위키책은 지나친 사적 의견을 발표하는 곳이 아닙니다.}}
참여자께서는 가령 [[Wikibooks:위키책 감상문|위키책 감상문]]이나 [[Wikibooks:위키책 비평서|위키책 비평서]]에서 더러 개인적인 의견을 표명하실 수 있지만, 근거없는 사실이나 지나친 사적인 감정 표현은 삼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문서의 내용은 될 수 있는대로 객관성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의문의 여지가 있는 부분은 토론을 거쳐 해결점을 찾고 이에 따른 모든 절차는 기록 보존되어야 합니다.
{{headline2|한국어 위키책은 참여자의 개인 메모장이나 낙서장이 아닙니다.}}
여러분께서는 자유로이 위키책에 참여하실 수 있는 반면에 어떤 책을 쓰실 때에는 언제나 [[Wikibooks:편집에 들어가기 전에|편집에 앞서서]] 성의껏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글을 써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headline2|한국어 위키책은 대화 광장이 아닙니다.}}
참여자께서 심심풀이로 어떤 주제를 두고 대화를 하고 싶을 때에는 다른 웹사이트를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headline2|한국어 위키책은 참여자에게 개인 홈페이지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참여자께서 [[Special:Userlogin|등록]]을 하므로서 얻게되는 사용자 페이지는 언제나 위키책과 관련하여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eadline2|한국어 위키책은 선전이나 광고를 위한 장소가 아닙니다}}
참여자께서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어떤 문구나 또는 개인의 허영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글을 문서에 삽입시키지 않도록 부탁드립니다.
* 문서 끝에 자기 사인을 남기는 우스운 실수는 하지 않도록 부탁드립니다.
|}
__NOTOC__
[[Category:위키책]]
Wikibooks:위키책 스포츠
1047
2633
2005-07-02T07:04:48Z
A-heun
22
rev.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스포츠]]'''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육상'''{{추가|체/육상}}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구기'''{{추가|체/구기}}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수상경기'''{{추가|체/수경}}
|-
| style="background:#FCF8F0;"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체/육상}}
</div>
| style="background:#FCF8F0;"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체/구기}}
</div>
| style="background:#FCF8F0;"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체/수경}}
</div>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한국민속경기'''{{추가|체/민속}}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투기'''{{추가|체/투기}}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머리싸움'''{{추가|체/머리}}
|-
| style="background:#FCF8F0;"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체/민속}}
</div>
| style="background:#FCF8F0;"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체/투기}}
</div>
| style="background:#FCF8F0;"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체/머리}}
</div>
|}
[[Category:스포츠]]
Wikibooks:위키책 가정
1048
3612
2005-07-18T09:32:43Z
아흔
9
rev.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가정]]'''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요리'''{{추가|가/요리}}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건강'''{{추가|가/건강}}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생활지혜'''{{추가|가/생활}}
|-
| style="background:#FCF8F0;"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가/요리}}
</div>
| style="background:#FCF8F0;"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가/건강}}
</div>
| style="background:#FCF8F0;"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가/생활}}
</div>
|}
[[Category:가정]]
분류:위키책 유형
1049
2635
2005-05-06T12:31:50Z
아흔
9
rev.
<div class="toccolours" style="border-width:1px 2px 2px 1px; font-size:110%; background-color:#EFEDFA; text-align:center;">
'''Wikibooks의 유형에 따른 중심 카테고리들:'''
</div>
분류:전기
1050
2636
2005-05-02T18:13:22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위키책 유형]]
분류:입문서
1051
2637
2005-05-02T18:16:40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위키책 유형]]
분류:해석서
1052
2638
2005-05-02T18:22:27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위키책 유형]]
분류:스포츠
1053
2639
2005-05-02T18:30:25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위키책 유형]]
분류:요리
1054
2640
2005-07-02T07:35:02Z
A-heun
22
rev.
[[Category:가정]]
플로베르 전기
1055
3791
2005-09-02T15:41:43Z
아흔
9
계속
== 머리말 ==
== 제 1장 플로베르 가문과 가족 ==
플로베르의 선조의 고향은 레지용 샹파뉴-아르덴느(Champagne-Ardenne)의 샹파뉴(Champagne)지방으로 알려져 있다. 플로베르 가문이 바이킹족의 후손이라고 하는 전기작가들이 더러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만한 기록은 없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확인 할 수 있는 기록에 의하면 귀스타프의 아버지 니콜라 플로베르(Nicolas Flobert)는 프랑스 왕정시대에 왕정파에 동조 하였으며 1794년 2월 27일 국가 모독죄로 강제노동형을 받고 후에 사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귀스타프의 어머니는 안느 쥐스틴 카롤린 플뢰리오(Anne Justine Caroline Fleuriot) 1793년 9월 7일 치즈 생산지로 유명한 퐁 레베크(Pont-L'Evêque)에서 태어났다. 출산 후휴증으로 그녀의 어머니가 사망한 후, 카롤린은 9세가 될 때까지 홀아버지 밑에서 자란 후, 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나자 루앙에 살고 있는 친척집에 입양되었다.
귀스타프는 이미 국민학교 시절에 글을 쓰는데 흥미를 가져 누이 동생 카롤린 그리고 학교 친구들과 더불어 스스로 쓴 연극을 집에서 상연하곤 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귀스타프는 1833년 루앙의 왕립 기숙사학교(Collège Royal)에서 중등학교를 입학하였다. 이 학교에서 어린 시절의 문학에 대한 관심은 문학잡지 "Art et Progrès"를 만들어 창작활동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반면 귀스타프는 다른 학과 공부에 크게 관심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 쓰여진 몇몇 습작들이 오늘날까지 남아 전해지고 있으며, 이 가운데 "La fiancée et la tombe"와 "Matteo Falcone"를 손꼽을 수 있다. 그리고 1838년에 쓴 "Mémoires d'un fou" (바보의 회고록)은 바로 사춘기에 귀스타브가 겪은 체험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귀스타브의 청소년시절을 이해하는데 많은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 시기의 체험들 가운데 주목할만한 사건은 1836년 여름방학에 트루빌(Trouville)의 해안에서 우연히 알게된 엘리사 푸코(Elisa Foucaul 또는 Schlesinger)라는 여인으로부터 받은 이성에 대한 미묘한 감정을 들 수 있다.
== 제 2장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출생과 유년기 ==
== 제 3장 청년 플로베르와 간질병 ==
== 제 4장 보바리 부인 ==
== 제 5장 플로베르의 연인들 ==
== 제 6장 플로베르의 교우관계 ==
== 제 7장 플로베르의 작품세계 ==
== 제 8장 플로베르 관계 문헌 ==
* Herbert Lottman, Flaubert. Une biographie, Paris 1989.
[[Category:전기]]
니체 전기
1056
3614
2005-07-18T10:23:39Z
아흔
9
계속 씀
[[그림:Nietzsche1.jpg|thumb|프리드리히 니체, 1882년]]
== 프리드리히 니체의 가족 ==
프리드리히 니체 (Friedrich Nietzsche)는 생존 당시 뿐만 아니라 그의 나후에 흔히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와 ' 반 그리스도인'을 쓴 철학자로 일반 사람들에 널리 알려져 있다. 니체의 사상이나 그의 책을 두루 읽어보지 않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이 두 책의 제목에서 니체의 철학을 신비적 혹은 종교 비판적인 것으로 짐작하게 된다. 철학자가 꾸려간 삶이 물론 그 철학자가 내세운 사상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러나 한 철학자가 걸어간 삶을 추적하여 봄으로서 때에 따라서는 그 철학자의 사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니체의 경우 그의 사상 형성과 발전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준 여러 요인들, 이를테면 가족관계, 교육과정 그리고 우정 및 사제관계등을 살펴봄으로서 그의 삶과 사상을 이해하는데 적지않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니체는 18세기에 북동유럽에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한 게르만 민족의 신흥 군주국인 프로이센의 시민으로서 1844년 10월 15일에 작센 지방의 뢱켄(Röcken)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니체의 고향은 지리적으로 볼 때 종교개혁의 중심지방에 속하며 또한 독일 고전주의의 발상지인 바이마르와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니체(Nietzsche)'라는 성씨는 대대로 루터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이었다. 오늘날 그리 흔치 않은 'Nietzsche'라는 성은 16-17세기에 작센 지방에서 흔한 성으로 기록되고 있다. 'Nietzsche'라는 성씨는 아마 어원적으로 'Nikolaus'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보이며, 작센이 주변 슬라브족 국가들과 잦은 왕래를 통하여 아마 그곳에서 Nikolaus가 'Nicki' (발음 Nitsch)로 발음된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어원학자들은 추측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니체 자신은 더러 니체 가문의 조상이 폴란드의 귀족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니체가 사망한 후 니체의 외사촌인 막스 욀러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니체 가문은 16세기 이래 작센 지방에 뿌리를 내리고 살던 독일사람으로 밝혀졌다.
니체의 아버지 그리고 어머니 쪽의 증조부까지의 족보를 살펴보면 자주 목사들을 발견하게 된다.
Christoph Nietzsche ━━┬━━ Herold
(1675-1739) ┃
┃ Christoph Friedrich Krause
┃ (1740-1783)
┃ ┃
Friedrich August ━━┬━━ Erdmudht Krause
Ludwig Nietzsche ┃
(1756-1826) ┃ David Ernst Oehler
┃ ┃
Karl Ludwig Nietzsche ━━┬━━ Franziska Oehler
┃
┏━━━━━━━━━━━━┬━━━━━┻━━━━━━┓
Friedrich Wilhelm Nietzsche Elisabeth Nietzsche Jeseph Nietzsche
니체의 할아버지와 그리고 아버지는 바로 목사였다. 그의 아버지 칼 루드비히 니체(Carl Ludwig Nietzsche, 1813년 - 1849년)는 31세가 된던 해에 역시의 목사의 딸인 18살 된 처녀 프란찌스카 욀러(Franziska Oehler, 1826년 - 1897년)를 아내로 맞이 하였다. 니체의 아버지는 아들의 이름을 원래 프리드리히 빌헬름 (Friedrich Wilhelm)이라 지어 주었으나, 후에 니체는 빌헬름이라는 가운데 이름을 쓰지 않게된다. 니체의 아버지는 니체가 4살이 되던 해에 급작스럽게 뇌연화증으로 사망하였다. 니체 아버지의 병을 둘러싸고 더러 학자들 간에는 니체가 후에 겪게되는 심한 두통과 정신질환이 어떤 연관을 추측하기도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없다.
1850년에 니체의 2살이 채 안된 어린 동생이 잇달아 사망하게 되자 니체의 어머니는 니체보다 2살이 어린 누이 엘리자베트와 니체를 데리고 뢱켄을 떠나 친정인 나움부르크(Naumburg)로 이사를 하게된다.
== 니체의 교육과정 ==
== 니체의 질병 ==
=== 근시 ===
=== 만성 두통 ===
=== 정신병 ===
== 니체의 인척 및 교우관계 ==
=== 리햐르트와 코지마 바그너 ===
=== 루 살로메 ===
=== 누이 엘리자베트 ===
== 학문활동 ==
== 니체와 기독교 ==
== 참고서적 ==
[[Category:전기]]
분류:주석서
1058
2644
2005-05-04T08:41:13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위키책 유형]]
분류:비평서
1059
2645
2005-05-04T08:44:50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위키책 유형]]
분류:감상문
1060
2646
2005-05-04T08:47:23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위키책 유형]]
틀:삭제대상
1063
edit=sysop:move=sysop
6571
2007-01-03T16:29:20Z
아흔
9
보호시킴 "[[틀:삭제대상]]": basic [edit=sysop:move=sysop]
<includeonly>
<p clear="all">
<div id="basicbox" style="padding:1em; background-clor:transparent">
[[그림:Icon-04.png|float|left|]] 이 문서는 현재 [[Wikibooks:삭제 대상|삭제 대상]]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참여자께서 이에 따른 어떤 의견이 있으시다면 빠른 시일 안에 [[Wikibooks:삭제 대상|여기]]에 밝혀주시기 바랍니다.<br/>{{{이유}}}
</div>
</includeonly>
Wikibooks:삭제 대상
1064
6572
2007-01-03T16:35:00Z
아흔
9
rev.
{{삭제대상/headline}}
=== ===
[[Category:위키책]]
Wikibooks:문서삭제 지침
1065
edit=sysop:move=sysop
6552
2007-01-03T15:56:24Z
아흔
9
보호시킴 "[[Wikibooks:문서삭제 지침]]": basic [edit=sysop:move=sysop]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는 누구나 자유로이 편집할 수 있는 반면에 한 번 수록된 문서는 함부로 삭제시킬 수가 없습니다. 다시 말해 참여자께서 어떤 문서의 내용 전체를 지운다고 하여서 그 문서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만일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로 문서가 지워진 경우는 문서의 내용을 이전 상태로 [[Wikibooks:내용 되살리기|간단히 복구]]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가지 이유로 때에 따라서 문서를 삭제시킬 필요성이 있습니다. 문서의 삭제는 언제나 [[Wikibooks:관리자|관리자]]에 의해 실행됩니다. 참여자께서는 한국어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의 질적의 향상을 위하여 터무니 없는 글이나 혹은 어지럽게 장난친 문서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서슴없이 이를 [[Wikibooks:삭제 대상|삭제 대상]]에 그 이유와 함께 기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삭제요청된 문서는 관리자가 검토를 하여 삭제시키거나 혹은 다른 사용자의 의견을 수렴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위키책에서 취하고 있는 문서 삭제에 관한 지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삭제 대상이 되는 문서 ==
#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가 없는 비어 있는 문서
# 문서역사가 없는 [[Wikibooks:저작권|저작권]]에 저촉된 문서
# 국어사전처럼 낱말을 한 두줄로 풀이한 문서
#* 위키낱말사전으로 옮기거나 삭제
# 법조문이나 참고 자료의 원문을 옮겨 적은 문서
#* 위키자료집으로 옮기거나 삭제
# 잘못 넘겨진(Redirect) 문서
# 잘못된 네임스페이스
#* 잘못되거나 쓰이지 않는 네임스페이스
#* 잘못되거나 쓰이지 않는 카테고리
#* 잘못되거나 쓰이지 않는 템플릿
=== 관리자가 신속히 삭제할 수 있는 문서 ===
# 장난치거나 낙서하여 '''새로 생긴''' 문서
#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로 '''새로 생긴''' 문서
=== 삭제 요청된 문서에 관한 의견 수렴 ===
# 중복된 문서
# 넘겨진(Redirect) 문서
== 관리자가 유념해야 할 점 ==
* 의견 수렴에 따른 판단
* 삭제 이유 명시
=== 삭제 문서 되살리기 ===
* 실수로 삭제된 문서는 관리자가 재검토하여 되살릴 수 있습니다.
* 등록된 사용자가 삭제 문서 되살리기를 요청 하였을 경우에는 관리자는 이유를 검토하여 타당할 경우 삭제된 문서를 되살릴 수 있습니다.
== 읽어보기 ==
* [[Wikibooks:삭제 대상|삭제 대상 문서]]
[[Category:위키책]]
Wikibooks:문서역사
1066
6404
2006-12-11T16:05:46Z
아흔
9
rev.
{| width="100%"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F0F0EF; border-bottom:2px solid #AAAAAA; border-right:2px solid #AAAAAA; background-color:#FFF"
|-
| style="valign:top; padding:2em;" | 한국어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는 다른 모든 위키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언제나 '''문서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문서역사란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가 '언제', '무엇'이 '누구'에 의해 편집되었는지를 기록하여 보존하는 일지입니다. 위의 세 가지 사항과 더불어 편집자가 [[Wikibooks:편집 내용 간추리기|내용 간추리기]]에 쓴 짧은 글 또한 문서역사에 남게 됩니다. 참여자께서는 어떤 문서의 역사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보고 있는 문서의 위에 있는 <font color="blue">문서역사</font> 또는 최근 바뀜에서 <font color="blue">역사</font>를 누르시면 됩니다.
* '''[[#문서역사 살펴보기|문서 역사 살펴보기]]'''
* '''[[#문서역사를 살펴보는 이유|문서역사를 살펴보는 이유]]
** '''[[#GNU FDL에 따른 저작권 문제|GNU FDL에 따른 저작권 문제]]'''
** '''[[#편집 내용 되살리기|편집 내용 되살리기]]'''
* '''[[#문서역사와 관련된 주의사항|문서역사와 관련된 주의사항]]'''
|}
{| width="100%" cellspacing="8px" cellpadding="8px"
|-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9FC9F3; border-bottom:2px solid #015DB8; border-right:2px solid #015DB8;" |
{{위키책_도움말}}
{{headline2|문서역사 살펴보기}}
문서역사 기록은 언제나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 width="70%" border=0 style="background:#f8f6f6; font-size:80%;"
| width="10%" | <u>(현재)</u>
| width="10%" | <u>(이전)</u>
| width="40%" | <u>xxxx년 xx월 xx일 (월) 00:00</u>
| width="15%" | <u>참여자</u>
| width="25%" | (간추린 내용)
|-
| <u>(현재)</u>
| <u>(이전)</u>
| <u>xxxx년 xx월 xx일 (화) 00:00</u>
| <u>참여자</u>
| (간추린 내용)
|-
| <u>(현재)</u>
| <u>(이전)</u>
| <u>xxxx년 xx월 xx일 (수) 00:00</u>
| <u>참여자</u>
| width="15%" | (간추린 내용)
|}
첫째번 <u>(현재)</u>와 둘째번 <u>(이전)</u> 링크를 누르시면 전과 후에 바뀐 문서의 내용을 낱낱이 비교하여 살펴보실 수 있으며, 세번째 날짜 링크를 누르시면 네번째에 기록된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내용을 화면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headline2|문서역사를 살펴보는 이유}}
===[[Wikibooks:GNU FDL|GNU FDL]]에 따른 저작권 문제 ===
한국어 위키책은 저작권과 관련하여 우선 [[Wikibooks:GNU FDL|GNU FDL]]의 지침에 따르고 있습니다. 한국어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의 내용은 문서역사를 통해서 누구에 의해 언제 어떻게 편집되었는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작권과 관련된 문제점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편집 내용 되살리기 ===
한국어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는 대부분 자유 편집이 허용되어 있습니다. 문서역사에 기록된 낱낱의 편집 사항은 때로는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에 의해 문서가 지워지거나 엉뚱하게 고쳐졌을 때 [[Wikibooks:내용 되살리기|이전 내용으로 되돌릴 때]] 쓰이게 됩니다.
{{headline2|문서역사와 관련된 주의사항}}
등록된 사용자가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를 할 때에는 옮기고자 하는 문서가 갖고 있는 문서역사를 반드시 함께 옮겨야만 합니다. 고의로 또는 다른 사용자의 눈을 교묘하게 피하여 이를 어기는 행위는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로 간주됩니다.
특히 관리자가 문서를 [[Wikibooks:문서삭제 지침|삭제시킬 때]]에는 삭제시키고자 하는 문서의 역사를 함께 삭제시켜도 이상이 없는 지 신중을 기하여야 합니다. 또한 삭제된 문서를 되살릴 때에는 문서역사가 왜곡되거나 말소되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__NOTOC__
[[Category:위키책]]
세네카 서한집
1067
3631
2005-07-21T12:01:10Z
아흔
9
rev.
== 머리말 ==
== 서한집의 집필시기 ==
== 서한집의 성격 ==
== 서한 해석 ==
{| border=0 valign=top
|-
# [[세네카 서한집/1|삶과 시간]]
# [[세네카 서한집/2|어떻게 독서를 할 것인가]]
# [[세네카 서한집/3|우정]]
# [[세네카 서한집/4|진리 탐구와 죽음의 문제]]
# [[세네카 서한집/5|철학자의 삶]]
# [[세네카 서한집/6|인간의 내면 세계]]
# [[세네카 서한집/7|대중과 오락]]
# [[세네카 서한집/8|철학자와 꾸려가는 삶]]
# [[세네카 서한집/9|친구를 찾는 까닭은]]
# [[세네카 서한집/10|고독]]
# [[세네카 서한집/11|얼굴을 붉히고서]]
# [[세네카 서한집/12|나이가 들어가면서]]
# [[세네카 서한집/13|불행을 초연히 받아들이는 것은]]
# [[세네카 서한집/14|삶에서 값진 것은]]
# [[세네카 서한집/15|참된 겅강은]]
# [[세네카 서한집/16|철학의 유용성]]
# [[세네카 서한집/17|자족한 현자]]
# [[세네카 서한집/18|현자와 유락]]
# [[세네카 서한집/19|한가함과 여유]]
# [[세네카 서한집/20|철학의 과제]]
# [[세네카 서한집/21|가식과 참]]
# [[세네카 서한집/22|공직에서 사퇴]]
# [[세네카 서한집/23|참된 친구]]
# [[세네카 서한집/24|불행과 죽음]]
# [[세네카 서한집/25|사람을 바르게 이끌기]]
# [[세네카 서한집/26|노령과 죽음]]
# [[세네카 서한집/27|착함이란]]
# [[세네카 서한집/28|여행의 무의미]]
# [[세네카 서한집/29|친구를 위해 해야 할 일]]
# [[세네카 서한집/30|죽음의 공포를 극복하는 길]]
# [[세네카 서한집/31|진리 탐구에 대하여]]
# [[세네카 서한집/32|소박한 삶]]
# [[세네카 서한집/33|철학자의 명언]]
# [[세네카 서한집/34|깨달음의 길에 선 루킬리우스]]
# [[세네카 서한집/35|우정의 본질]]
# [[세네카 서한집/36|대중의 의견을 초연히 받아 넘기기]]
# [[세네카 서한집/37|사람이 갖추어야 할 참된 자세]]
# [[세네카 서한집/38|사람을 옳게 다루는 법]]
# [[세네카 서한집/39|배움의 길]]
# [[세네카 서한집/40|철학적 담화]]
# [[세네카 서한집/41|우리 안에 있는 신]]
# [[세네카 서한집/42|사람의 내면적 가치]]
# [[세네카 서한집/43|떳떳이 세상에 나서는 길]]
# [[세네카 서한집/44|진정한 높은 사람]]
# [[세네카 서한집/45|철학의 과제]]
# [[세네카 서한집/46|루킬리우스의 일상사]]
# [[세네카 서한집/47|노예를 바르게 다루는 길]]
# [[세네카 서한집/48|교활한 사람에 대처하는 길]]
# [[세네카 서한집/49|시간을 소중히 해야 하는 까닭은]]
# [[세네카 서한집/50|스스로를 깨닫는 길]]
# [[세네카 서한집/51|훈계]]
# [[세네카 서한집/52|참되고 올바른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 [[세네카 서한집/53|멀미에 대하여]]
# [[세네카 서한집/54|죽음에 대한 명상]]
# [[세네카 서한집/55|바티아의 집]]
# [[세네카 서한집/56|바이아이에서의 삶]]
# [[세네카 서한집/57|나폴리의 동굴]]
# [[세네카 서한집/58|플라톤 철학]]
# [[세네카 서한집/59|친구들이 필요한 이유]]
# [[세네카 서한집/60|쓸데 없는 소망]]
# [[세네카 서한집/61|살고 죽는 길을 익히기]]
# [[세네카 서한집/62|주어진 임무 수행과 학문 연마]]
# [[세네카 서한집/63|친구의 죽음에 임하여]]
# [[세네카 서한집/64|퀸투스 섹스티우스와 철학]]
# [[세네카 서한집/65|원인과 질료]]
# [[세네카 서한집/66|참됨과 올바름]]
# [[세네카 서한집/67|무엇을 소망하여야 하는가]]
# [[세네카 서한집/68|현자와 여유]]
# [[세네카 서한집/69|바쁘고 고달픈 삶]]
|}
== 참고문헌 ==
=== 원전 ===
* L. Annaei Senecae opera quae supersunt, edd. E. Hermes et C. Hosius et A. Gercke et O. Hense, Lipsiae 1906 - 1917.
* Sénèque. Lettres à Lucilius, ed. Fr. Préchac, trad. H. Noblot, 4 toms., Paris 1945-1962.
* L. Annaei Senecae ad Lucilium Epistulae morales, ed. L. D. Reynolds, 2vols., Oxonii 1965.
[[Category:철학]]
틀:세네카 서한집
1068
3787
2005-09-02T14:27:21Z
아흔
9
rev.
<br style="clear: both;" />
{| cellpadding="2" cellspacing="2" style="width:160px; float:right; padding:5px; background-color:#FFFFFF; border:1px solid #AAAA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text-align:center;"
| [[그림:Icon-6a.png|float|left|30px|]] [[세네카 서한집/{{{1}}}|서한{{{1}}}]] || [[세네카 서한집/{{{2}}}|서한{{{2}}}]]
|}
세네카 서한집/1
1069
3620
2005-07-21T10:35:02Z
아흔
9
계속 씀
{{세네카 서한집|1|2}}
=== 삶과 시간 ===
{{주석틀|장=<big>1</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Ita fac, mi Lucili, vindica te tibi, et tempus quod adhuc aut auferebatur aut subripiebatur aut excidebat collige et serva. Persuade tibi hoc sic esse ut scribo: quaedam tempora eripiuntur nobis, quaedam subducuntur, quaedam effluunt. Turpissima tamen est iactura quae per neglegentiam fit. Et si volueris attendere, magna pars vitae elabitur male agentibus, maxima nihil agentibus, tota vita aliud agentibus. '''2''' Quem mihi dabis qui aliquod pretium tempori ponat, qui diem aestimet, qui intellegat se cotidie mori? In hoc enim fallimur, quod mortem prospicimus: magna pars eius iam praeterit; quidquid aetatis retro est mors tenet. Fac ergo, mi Lucili, quod facere te scribis, omnes horas complectere; sic fiet ut minus ex crastino pendeas, si hodierno manum inieceris. '''3''' Dum differtur vita transcurrit. Omnia, Lucili, aliena sunt, tempus tantum nostrum est; in huius rei unius fugacis ac lubricae possessionem natura nos misit, ex qua expellit quicumque vult. Et tanta stultitia mortalium est ut quae minima et vilissima sunt, certe reparabilia, imputari sibi cum impetravere patiantur, nemo se iudicet quicquam debere qui tempus accepit, cum interim hoc unum est quod ne gratus quidem potest reddere. '''4''' Interrogabis fortasse quid ego faciam qui tibi ista praecipio. Fatebor ingenue: quod apud luxuriosum sed diligentem evenit, ratio mihi constat impensae. Non possum dicere nihil perdere, sed quid perdam et quare et quemadmodum dicam; causas paupertatis meae reddam. Sed evenit mihi quod plerisque non suo vitio ad inopiam redactis: omnes ignoscunt, nemo succurrit. '''5''' Quid ergo est? non puto pauperem cui quantulumcumque superest sat est; tu tamen malo serves tua, et bono tempore incipies. Nam ut visum est maioribus nostris, 'sera parsimonia in fundo est'; non enim tantum minimum in imo sed pessimum remanet.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세네카의 첫 서한은 "삶과 사람에게 주어진 시간"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사람에게 주어진 시간의 유한성을 지적하면서 세네카는 우리의 유한한 삶을 유용하게 쓰도록 언제나 노력하기를 당부하고 있다.
}}
[[Category:세네카 서한]]
분류:세네카 서한
1070
2656
2005-05-04T10:42:48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해석서]]
세네카 서한집/2
1071
3625
2005-07-21T11:25:55Z
아흔
9
rev.
{{세네카 서한집|1|3}}
=== 어떻게 독서를 할 것인가 ===
{{주석틀|장=<big>2</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Ex iis quae mihi scribis et ex iis quae audio bonam spem de te concipio: non discurris nec locorum mutationibus inquietaris. Aegri animi ista iactatio est: primum argumentum compositae mentis existimo posse consistere et secum morari. '''2''' Illud autem vide, ne ista lectio auctorum multorum et omnis generis voluminum habeat aliquid vagum et instabile. Certis ingeniis immorari et innutriri oportet, si velis aliquid trahere quod in animo fideliter sedeat. Nusquam est qui ubique est. Vitam in peregrinatione exigentibus hoc evenit, ut multa hospitia habeant, nullas amicitias; idem accidat necesse est iis qui nullius se ingenio familiariter applicant sed omnia cursim et properantes transmittunt. '''3''' Non prodest cibus nec corpori accedit qui statim sumptus emittitur; nihil aeque sanitatem impedit quam remediorum crebra mutatio; non venit vulnus ad cicatricem in quo medicamenta temptantur; non convalescit planta quae saepe transfertur; nihil tam utile est ut in transitu prosit. Distringit librorum multitudo; itaque cum legere non possis quantum habueris, satis est habere quantum legas. '''4''' 'Sed modo' inquis 'hunc librum evolvere volo, modo illum.' Fastidientis stomachi est multa degustare; quae ubi varia sunt et diversa, inquinant non alunt. Probatos itaque semper lege, et si quando ad alios deverti libuerit, ad priores redi. Aliquid cotidie adversus paupertatem, aliquid adversus mortem auxili compara, nec minus adversus ceteras pestes; et cum multa percurreris, unum excerpe quod illo die concoquas. '''5''' Hoc ipse quoque facio; ex pluribus quae legi aliquid apprehendo. Hodiernum hoc est quod apud Epicurum nanctus sum - soleo enim et in aliena castra transire, non tamquam transfuga, sed tamquam explorator -: 'honesta' inquit 'res est laeta paupertas'. '''6''' Illa vero non est paupertas, si laeta est; non qui parum habet, sed qui plus cupit, pauper est. Quid enim refert quantum illi in arca, quantum in horreis iaceat, quantum pascat aut feneret, si alieno imminet, si non acquisita sed acquirenda computat? Quis sit divitiarum modus quaeris? primus habere quod necesse est, proximus quod sat est. Vale. ''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
1072
3628
2005-07-21T11:27:40Z
아흔
9
rev.
{{세네카 서한집|2|4}}
=== 우정 ===
{{주석틀|장=<big>3</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Epistulas ad me perferendas tradidisti, ut scribis, amico tuo; deinde admones me ne omnia cum eo ad te pertinentia communicem, quia non soleas ne ipse quidem id facere: ita eadem epistula illum et dixisti amicum et negasti. Itaque si proprio illo verbo quasi publico usus es et sic illum amicum vocasti quomodo omnes candidatos 'bonos viros' dicimus, quomodo obvios, si nomen non succurrit, 'dominos' salutamus, hac abierit. [2] Sed si aliquem amicum existimas cui non tantundem credis quantum tibi, vehementer erras et non satis nosti vim verae amicitiae. Tu vero omnia cum amico delibera, sed de ipso prius: post amicitiam credendum est, ante amicitiam iudicandum. Isti vero praepostero officia permiscent qui, contra praecepta Theophrasti, cum amaverunt iudicant, et non amant cum iudicaverunt. Diu cogita an tibi in amicitiam aliquis recipiendus sit. Cum placuerit fieri, toto illum pectore admitte; tam audaciter cum illo loquere quam tecum. [3] Tu quidem ita vive ut nihil tibi committas nisi quod committere etiam inimico tuo possis; sed quia interveniunt quaedam quae consuetudo fecit arcana, cum amico omnes curas, omnes cogitationes tuas misce. Fidelem si putaveris, facies; nam quidam fallere docuerunt dum timent falli, et illi ius peccandi suspicando fecerunt. Quid est quare ego ulla verba coram amico meo retraham? quid est quare me coram illo non putem solum? [4] Quidam quae tantum amicis committenda sunt obviis narrant, et in quaslibet aures quidquid illos urit exonerant; quidam rursus etiam carissimorum conscientiam reformidant et, si possent, ne sibi quidem credituri interius premunt omne secretum. Neutrum faciendum est; utrumque enim vitium est, et omnibus credere et nulli, sed alterum honestius dixerim vitium, alterum tutius. [5] Sic utrosque reprehendas, et eos qui semper inquieti sunt, et eos qui semper quiescunt. Nam illa tumultu gaudens non est industria sed exagitatae mentis concursatio, et haec non est quies quae motum omnem molestiam iudicat, sed dissolutio et languor. [6] Itaque hoc quod apud Pomponium legi animo mandabitur: 'quidam adeo in latebras refugerunt ut putent in turbido esse quidquid in luce est'. Inter se ista miscenda sunt: et quiescenti agendum et agenti quiescendum est. Cum rerum natura delibera: illa dicet tibi et diem fecisse se et noctem. Vale. ''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
1073
3629
2005-07-21T11:30:35Z
아흔
9
rev.
{{세네카 서한집|3|5}}
=== 진리 탐구와 죽음의 문제 ===
{{주석틀|장=4|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Persevera ut coepisti et quantum potes propera, quo diutius frui emendato animo et composito possis. Frueris quidem etiam dum emendas, etiam dum componis: alia tamen illa voluptas est quae percipitur ex contemplatione mentis ab omni labe purae et splendidae. '''2''' Tenes utique memoria quantum senseris gaudium cum praetexta posita sumpsisti virilem togam et in forum deductus es: maius expecta cum puerilem animum deposueris et te in viros philosophia transscripserit. Adhuc enim non pueritia sed, quod est gravius, puerilitas remanet; et hoc quidem peior est, quod auctoritatem habemus senum, vitia puerorum, nec puerorum tantum sed infantum: illi levia, hi falsa formidant, nos utraque. '''3''' Profice modo: intelleges quaedam ideo minus timenda quia multum metus afferunt. Nullum malum magnum quod extremum est. Mors ad te venit: timenda erat si tecum esse posset: necesse est aut non perveniat aut transeat. '''4''' 'Difficile est' inquis 'animum perducere ad contemptionem animae.' Non vides quam ex frivolis causis contemnatur? Alius ante amicae fores laqueo pependit, alius se praecipitavit e tecto ne dominum stomachantem diutius audiret, alius ne reduceretur e fuga ferrum adegit in viscera: non putas virtutem hoc effecturam quod efficit nimia formido? Nulli potest secura vita contingere qui de producenda nimis cogitat, qui inter magna bona multos consules numerat. '''5''' Hoc cotidie meditare, ut possis aequo animo vitam relinquere, quam multi sic complectuntur et tenent quomodo qui aqua torrente rapiuntur spinas et aspera. Plerique inter mortis metum et vitae tormenta miseri fluctuantur et vivere nolunt, mori nesciunt. '''6''' Fac itaque tibi iucundam vitam omnem pro illa sollicitudinem deponendo. Nullum bonum adiuvat habentem nisi ad cuius amissionem praeparatus est animus; nullius autem rei facilior amissio est quam quae desiderari amissa non potest. Ergo adversus haec quae incidere possunt etiam potentissimis adhortare te et indura. '''7''' De Pompei capite pupillus et spado tulere sententiam, de Crasso crudelis et insolens Parthus; Gaius Caesar iussit Lepidum Dextro tribuno praebere cervicem, ipse Chaereae praestitit; neminem eo fortuna provexit ut non tantum illi minaretur quantum permiserat. Noli huic tranquillitati confidere: momento mare evertitur; eodem die ubi luserunt navigia sorbentur. '''8''' Cogita posse et latronem et hostem admovere iugulo tuo gladium; ut potestas maior absit, nemo non servus habet in te vitae necisque arbitrium. Ita dico: quisquis vitam suam contempsit tuae dominus est. Recognosce exempla eorum qui domesticis insidiis perierunt, aut aperta vi aut dolo: intelleges non pauciores servorum ira cecidisse quam regum. Quid ad te itaque quam potens sit quem times, cum id propter quod times nemo non possit? '''9''' At si forte in manus hostium incideris, victor te duci iubebit - eo nempe quo duceris. Quid te ipse decipis et hoc nunc primum quod olim patiebaris intellegis? Ita dico: ex quo natus es, duceris. Haec et eiusmodi versanda in animo sunt si volumus ultimam illam horam placidi exspectare cuius metus omnes alias inquietas facit.
'''10''' Sed ut finem epistulae imponam, accipe quod mihi hodierno die placuit - et hoc quoque ex alienis hortulis sumptum est: 'magnae divitiae sunt lege naturae composita paupertas'. Lex autem illa naturae scis quos nobis terminos statuat? Non esurire, non sitire, non algere. Ut famem sitimque depellas non est necesse superbis assidere liminibus nec supercilium grave et contumeliosam etiam humanitatem pati, non est necesse maria temptare nec sequi castra: parabile est quod natura desiderat et appositum. '''11''' Ad supervacua sudatur; illa sunt quae togam conterunt, quae nos senescere sub tentorio cogunt, quae in aliena litora impingunt: ad manum est quod sat est. Cui cum paupertate bene convenit dives est.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
1074
3630
2005-07-21T11:33:03Z
아흔
9
rev.
{{세네카 서한집|4|6}}
=== 철학자의 삶 ===
{{주석틀|장=5|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Quod pertinaciter studes et omnibus omissis hoc unum agis, ut te meliorem cotidie facias, et probo et gaudeo, nec tantum hortor ut perseveres sed etiam rogo. Illud autem te admoneo, ne eorum more qui non proficere sed conspici cupiunt facias aliqua quae in habitu tuo aut genere vitae notabilia sint; '''2''' asperum cultum et intonsum caput et neglegentiorem barbam et indictum argento odium et cubile humi positum et quidquid aliud ambitionem perversa via sequitur evita. Satis ipsum nomen philosophiae, etiam si modeste tractetur, invidiosum est: quid si nos hominum consuetudini coeperimus excerpere? Intus omnia dissimilia sint, frons populo nostra conveniat. '''3''' Non splendeat toga, ne sordeat quidem; non habeamus argentum in quod solidi auri caelatura descenderit, sed non putemus frugalitatis indicium auro argentoque caruisse. Id agamus ut meliorem vitam sequamur quam vulgus, non ut contrariam: alioquin quos emendari volumus fugamus a nobis et avertimus; illud quoque efficimus, ut nihil imitari velint nostri, dum timent ne imitanda sint omnia. '''4''' Hoc primum philosophia promittit, sensum communem, humanitatem et congregationem; a qua professione dissimilitudo nos separabit. Videamus ne ista per quae admirationem parare volumus ridicula et odiosa sint. Nempe propositum nostrum est secundum naturam vivere: hoc contra naturam est, torquere corpus suum et faciles odisse munditias et squalorem appetere et cibis non tantum vilibus uti sed taetris et horridis. '''5''' Quemadmodum desiderare delicatas res luxuriae est, ita usitatas et non magno parabiles fugere dementiae. Frugalitatem exigit philosophia, non poenam; potest autem esse non incompta frugalitas. Hic mihi modus placet: temperetur vita inter bonos mores et publicos; suspiciant omnes vitam nostram sed agnoscant. '''6''' 'Quid ergo? eadem faciemus quae ceteri? nihil inter nos et illos intererit?' Plurimum: dissimiles esse nos vulgo sciat qui inspexerit propius; qui domum intraverit nos potius miretur quam supellectilem nostram. Magnus ille est qui fictilibus sic utitur quemadmodum argento, nec ille minor est qui sic argento utitur quemadmodum fictilibus; infirmi animi est pati non posse divitias.
'''7''' Sed ut huius quoque diei lucellum tecum communicem, apud Hecatonem nostrum inveni cupiditatum finem etiam ad timoris remedia proficere. 'Desines' inquit 'timere, si sperare desieris.' Dices, 'quomodo ista tam diversa pariter sunt?' Ita est, mi Lucili: cum videantur dissidere, coniuncta sunt. Quemadmodum eadem catena et custodiam et militem copulat, sic ista quae tam dissimilia sunt pariter incedunt: spem metus sequitur. '''8''' Nec miror ista sic ire: utrumque pendentis animi est, utrumque futuri exspectatione solliciti. Maxima autem utriusque causa est quod non ad praesentia aptamur sed cogitationes in longinqua praemittimus; itaque providentia, maximum bonum condicionis humanae, in malum versa est. '''9''' Ferae pericula quae vident fugiunt, cum effugere, securae sunt: nos et venturo torquemur et praeterito. Multa bona nostra nobis nocent; timoris enim tormentum memoria reducit, providentia anticipat; nemo tantum praesentibus miser est.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
1075
3776
2005-08-24T11:34:58Z
A-heun
22
cont.
{{세네카 서한집|5|7}}
=== 인간의 내면 세계 ===
{{주석틀|장=<big>6</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1''' Intellego, Lucili, non emendari me tantum sed transfigurari; nec hoc promitto iam aut spero, nihil in me superesse quod mutandum sit. Quidni multa habeam quae debeant colligi, quae extenuari, quae attolli? Et hoc ipsum argumentum est in melius translati animi, quod vitia sua quae adhuc ignorabat videt; quibusdam aegris gratulatio fit cum ipsi aegros se esse senserunt. '''2''' Cuperem itaque tecum communicare tam subitam mutationem mei; tunc amicitiae nostrae certiorem fiduciam habere coepissem, illius verae quam non spes, non timor, non utilitatis suae cura divellit, illius cum qua homines moriuntur, pro qua moriuntur. '''3''' Multos tibi dabo qui non amico sed amicitia caruerint: hoc non potest accidere cum animos in societatem honesta cupiendi par voluntas trahit. Quidni non possit? sciunt enim ipsos omnia habere communia, et quidem magis adversa.
'''4''' Concipere animo non potes quantum momenti afferri mihi singulos dies videam. 'Mitte' inquis 'et nobis ista quae tam efficacia expertus es.' Ego vero omnia in te cupio transfundere, et in hoc aliquid gaudeo discere, ut doceam; nec me ulla res delectabit, licet sit eximia et salutaris, quam mihi uni sciturus sum. Si cum hac exceptione detur sapientia, ut illam inclusam teneam nec enuntiem, reiciam: nullius boni sine socio iucunda possessio est. '''5''' Mittam itaque ipsos tibi libros, et ne multum operae impendas dum passim profutura sectaris, imponam notas, ut ad ipsa protinus quae probo et miror accedas. Plus tamen tibi et viva vox et convictus quam oratio proderit; in rem praesentem venias oportet, primum quia homines amplius oculis quam auribus credunt, deinde quia longum iter est per praecepta, breve et efficax per exempla. '''6''' Zenonem Cleanthes non expressisset, si tantummodo audisset: vitae eius interfuit, secreta perspexit, observavit illum, an ex formula sua viveret. Platon et Aristoteles et omnis in diversum itura sapientium turba plus ex moribus quam ex verbis Socratis traxit; Metrodorum et Hermarchum et Polyaenum magnos viros non schola Epicuri sed contubernium fecit. Nec in hoc te accerso tantum, ut proficias, sed ut prosis; plurimum enim alter alteri conferemus. '''7''' Interim quoniam diurnam tibi mercedulam debeo, quid me hodie apud Hecatonem delectaverit dicam. 'Quaeris' inquit 'quid profecerim? amicus esse mihi coepi.' Multum profecit: numquam erit solus. Scito esse hunc amicum omnibus.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7
1076
3777
2005-08-24T11:38:40Z
A-heun
22
cont.
{{세네카 서한집|6|8}}
=== 대중과 오락 ===
{{주석틀|장=<big>7</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1''' Quid tibi vitandum praecipue existimes quaeris? turbam. Nondum illi tuto committeris. Ego certe confitebor imbecillitatem meam: numquam mores quos extuli refero; aliquid ex eo quod composui turbatur, aliquid ex iis quae fugavi redit. Quod aegris evenit quos longa imbecillitas usque eo affecit ut nusquam sine offensa proferantur, hoc accidit nobis quorum animi ex longo morbo reficiuntur. '''2''' Inimica est multorum conversatio: nemo non aliquod nobis vitium aut commendat aut imprimit aut nescientibus allinit. Utique quo maior est populus cui miscemur, hoc periculi plus est. Nihil vero tam damnosum bonis moribus quam in aliquo spectaculo desidere; tunc enim per voluptatem facilius vitia subrepunt. '''3''' Quid me existimas dicere? avarior redeo, ambitiosior, luxuriosior? immo vero crudelior et inhumanior, quia inter homines fui. Casu in meridianum spectaculum incidi, lusus exspectans et sales et aliquid laxamenti quo hominum oculi ab humano cruore acquiescant. Contra est: quidquid ante pugnatum est misericordia fuit; nunc omissis nugis mera homicidia sunt. Nihil habent quo tegantur; ad ictum totis corporibus ex positi numquam frustra manum mittunt. '''4''' Hoc plerique ordinariis paribus et postulaticiis praeferunt. Quidni praeferant? non galea, non scuto repellitur ferrum. Quo munimenta? quo artes? omnia ista mortis morae sunt. Mane leonibus et ursis homines, meridie spectatoribus suis obiciuntur. Interfectores interfecturis iubent obici et victorem in aliam detinent caedem; exitus pugnantium mors est. Ferro et igne res geritur. '''5''' Haec fiunt dum vacat harena. 'Sed latrocinium fecit aliquis, occidit hominem.' Quid ergo? quia occidit, ille meruit ut hoc pateretur: tu quid meruisti miser ut hoc spectes? 'Occide, verbera, ure! Quare tam timide incurrit in ferrum? quare parum audacter occidit? quare parum libenter moritur? Plagis agatur in vulnera, mutuos ictus nudis et obviis pectoribus excipiant.' Intermissum est spectaculum: 'interim iugulentur homines, ne nihil agatur'. Age, ne hoc quidem intellegitis, mala exempla in eos redundare qui faciunt? Agite dis immortalibus gratias quod eum docetis esse crudelem qui non potest discere.
'''6''' Subducendus populo est tener animus et parum tenax recti: facile transitur ad plures. Socrati et Catoni et Laelio excutere morem suum dissimilis multitudo potuisset: adeo nemo nostrum, qui cum maxime concinnamus ingenium, ferre impetum vitiorum tam magno comitatu venientium potest. '''7''' Unum exemplum luxuriae aut avaritiae multum mali facit: convictor delicatus paulatim enervat et mollit, vicinus dives cupiditatem irritat, malignus comes quamvis candido et simplici rubiginem suam affricuit: quid tu accidere his moribus credis in quos publice factus est impetus? '''8''' Necesse est aut imiteris aut oderis. Utrumque autem devitandum est: neve similis malis fias, quia multi sunt, neve inimicus multis, quia dissimiles sunt. Recede in te ipse quantum potes; cum his versare qui te meliorem facturi sunt, illos admitte quos tu potes facere meliores. Mutuo ista fiunt, et homines dum docent discunt. '''9''' Non est quod te gloria publicandi ingenii producat in medium, ut recitare istis velis aut disputare; quod facere te vellem, si haberes isti populo idoneam mercem: nemo est qui intellegere te possit. Aliquis fortasse, unus aut alter incidet, et hic ipse formandus tibi erit instituendusque ad intellectum tui. 'Cui ergo ista didici?' Non est quod timeas ne operam perdideris, si tibi didicisti.
'''10''' Sed ne soli mihi hodie didicerim, communicabo tecum quae occurrunt mihi egregie dicta circa eundem fere sensum tria, ex quibus unum haec epistula in debitum solvet, duo in antecessum accipe. Democritus ait, 'unus mihi pro populo est, et populus pro uno'. '''11''' Bene et ille, quisquis fuit - ambigitur enim de auctore -, cum quaereretur ab illo quo tanta diligentia artis spectaret ad paucissimos perventurae, 'satis sunt' inquit 'mihi pauci, satis est unus, satis est nullus'. Egregie hoc tertium Epicurus, cum uni ex consortibus studiorum suorum scriberet: 'haec' inquit 'ego non multis, sed tibi; satis enim magnum alter alteri theatrum sumus'. '''12''' Ista, mi Lucili, condenda in animum sunt, ut contemnas voluptatem ex plurium assensione venientem. Multi te laudant: ecquid habes cur placeas tibi, si is es quem intellegant multi? introrsus bona tua spectent.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8
1077
3779
2005-08-24T11:42:11Z
A-heun
22
{{세네카 서한집|7|9}}
=== 철학자와 꾸려가는 삶 ===
{{주석틀|장=<big></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1''' 'Tu me' inquis 'vitare turbam iubes, secedere et conscientia esse contentum? ubi illa praecepta vestra quae imperant in actu mori?' Quid? ego tibi videor inertiam suadere? In hoc me recondidi et fores clusi, ut prodesse pluribus possem. Nullus mihi per otium dies exit; partem noctium studiis vindico; non vaco somno sed succumbo, et oculos vigilia fatigatos cadentesque in opere detineo. '''2''' Secessi non tantum ab hominibus sed a rebus, et in primis a meis rebus: posterorum negotium ago. Illis aliqua quae possint prodesse conscribo; salutares admonitiones,velut medicamentorum utilium compositiones, litteris mando, esse illas efficaces in meis ulceribus expertus, quae etiam si persanata non sunt, serpere desierunt. '''3''' Rectum iter, quod sero cognovi et lassus errando, aliis monstro. Clamo: 'vitate quaecumque vulgo placent, quae casus attribuit; ad omne fortuitum bonum suspiciosi pavidique subsistite: et fera et piscis spe aliqua oblectante decipitur. Munera ista fortunae putatis? insidiae sunt. Quisquis vestrum tutam agere vitam volet, quantum plurimum potest ista viscata beneficia devitet in quibus hoc quoque miserrimi fallimur: habere nos putamus, haeremus. '''4''' In praecipitia cursus iste deducit; huius eminentis vitae exitus cadere est. Deinde ne resistere quidem licet, cum coepit transversos agere felicitas, aut saltim rectis aut semel ruere: non vertit fortuna sed cernulat et allidit. '''5''' Hanc ergo sanam ac salubrem formam vitae tenete, ut corpori tantum indulgeatis quantum bonae valetudini satis est. Durius tractandum est ne animo male pareat: cibus famem sedet, potio sitim exstinguat, vestis arceat frigus, domus munimentum sit adversus infesta temporis. Hanc utrum caespes erexerit an varius lapis gentis alienae, nihil interest: scitote tam bene hominem culmo quam auro tegi. Contemnite omnia quae supervacuus labor velut ornamentum ac decus ponit; cogitate nihil praeter animum esse mirabile, cui magno nihil magnum est.' '''6''' Si haec mecum, si haec cum posteris loquor, non videor tibi plus prodesse quam cum ad vadimonium advocatus descenderem aut tabulis testamenti anulum imprimerem aut in senatu candidato vocem et manum commodarem? Mihi crede, qui nihil agere videntur maiora agunt: humana divinaque simul tractant.
'''7''' Sed iam finis faciendus est et aliquid, ut institui, pro hac epistula dependendum. Id non de meo fiet: adhuc Epicurum compilamus, cuius hanc vocem hodierno die legi: 'philosophiae servias oportet, ut tibi contingat vera libertas'. Non differtur in diem qui se illi subiecit et tradidit: statim circumagitur; hoc enim ipsum philosophiae servire libertas est. '''8''' Potest fieri ut me interroges quare ab Epicuro tam multa bene dicta referam potius quam nostrorum: quid est tamen quare tu istas Epicuri voces putes esse, non publicas? Quam multi poetae dicunt quae philosophis aut dicta sunt aut dicenda! Non attingam tragicos nec togatas nostras - habent enim hae quoque aliquid severitatis et sunt inter comoedias ac tragoedias mediae -: quantum disertissimorum versuum inter mimos iacet! quam multa Publilii non excalceatis sed coturnatis dicenda sunt. '''9''' Unum versum eius, qui ad philosophiam pertinet et ad hanc partem quae modo fuit in manibus, referam, quo negat fortuita in nostro habenda: alienum est omne quidquid optando evenit.
'''10''' Hunc sensum a te dici non paulo melius et adstrictius memini: non est tuum fortuna quod fecit tuum.
Illud etiam nunc melius dictum a te non praeteribo: dari bonum quod potuit auferri potest.
Hoc non imputo in solutum: de tuo tibi.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9
1078
3780
2005-08-24T11:45:41Z
A-heun
22
cont.
{{세네카 서한집|8|10}}
=== 친구를 찾는 까닭은 ===
{{주석틀|장=<big></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1''' An merito reprehendat in quadam epistula Epicurus eos qui dicunt sapientem se ipso esse contentum et propter hoc amico non indigere, desideras scire. Hoc obicitur Stilboni ab Epicuro et iis quibus summum bonum visum est animus in patiens. '''2''' In ambiguitatem incidendum est, si exprimere 'ap‡theian« uno verbo cito voluerimus et impatientiam dicere; poterit enim contrarium ei quod significare volumus intellegi. Nos eum volumus dicere qui respuat omnis mali sensum: accipietur is qui nullum ferre possit malum. Vide ergo num satius sit aut invulnerabilem animum dicere aut animum extra omnem patientiam positum. '''3''' Hoc inter nos et illos interest: noster sapiens vincit quidem incommodum omne sed sentit, illorum ne sentit quidem. Illud nobis et illis commune est, sapientem se ipso esse contentum. Sed tamen et amicum habere vult et vicinum et contubernalem, quamvis sibi ipse sufficiat. '''4''' Vide quam sit se contentus: aliquando sui parte contentus est. Si illi manum aut morbus aut hostis exciderit, si quis oculum vel oculos casus excusserit, reliquiae illi suae satisfacient et erit imminuto corpore et amputato tam laetus quam in integro fuit; sed si quae sibi desunt non desiderat, non deesse mavult. '''5''' Ita sapiens se contentus est, non ut velit esse sine amico sed ut possit; et hoc quod dico 'possit' tale est: amissum aequo animo fert. Sine amico quidem numquam erit: in sua potestate habet quam cito reparet. Quomodo si perdiderit Phidias statuam protinus alteram faciet, sic hic faciendarum amicitiarum artifex substituet alium in locum amissi. '''6''' Quaeris quomodo amicum cito facturus sit? Dicam, si illud mihi tecum convenerit, ut statim tibi solvam quod debeo et quantum ad hanc epistulam paria faciamus. Hecaton ait, 'ego tibi monstrabo amatorium sine medicamento, sine herba, sine ullius veneficae carmine: si vis amari, ama'. Habet autem non tantum usus amicitiae veteris et certae magnam voluptatem sed etiam initium et comparatio novae. '''7''' Quod interest inter metentem agricolam et serentem, hoc inter eum qui amicum paravit et qui parat. Attalus philosophus dicere solebat iucundius esse amicum facere quam habere, 'quomodo artifici iucundius pingere est quam pinxisse'. Illa in opere suo occupata sollicitudo ingens oblectamentum habet in ipsa occupatione: non aeque delectatur qui ab opere perfecto removit manum. Iam fructu artis suae fruitur: ipsa fruebatur arte cum pingeret. Fructuosior est adulescentia liberorum, sed infantia dulcior.
'''8''' Nunc ad propositum revertamur. Sapiens etiam si contentus est se, tamen habere amicum vult, si nihil aliud, ut exerceat amicitiam, ne tam magna virtus iaceat, non ad hoc quod dicebat Epicurus in hac ipsa epistula, 'ut habeat qui sibi aegro assideat, succurrat in vincula coniecto vel inopi', sed ut habeat aliquem cui ipse aegro assideat, quem ipse circumventum hostili custodia liberet. Qui se spectat et propter hoc ad amicitiam venit male cogitat. Quemadmodum coepit, sic desinet: paravit amicum adversum vincla laturum opem; cum primum crepuerit catena, discedet. '''9''' Hae sunt amicitiae quas temporarias populus appellat; qui utilitatis causa assumptus est tamdiu placebit quamdiu utilis fuerit. Hac re florentes amicorum turba circumsedet, circa eversos solitudo est, et inde amici fugiunt ubi probantur; hac re ista tot nefaria exempla sunt aliorum metu relinquentium, aliorum metu prodentium. Necesse est initia inter se et exitus congruant: qui amicus esse coepit quia expedit <et desinet quia expedit>; placebit aliquod pretium contra amicitiam, si ullum in illa placet praeter ipsam. '''10''' 'In quid amicum paras?' Ut habeam pro quo mori possim, ut habeam quem in exsilium sequar, cuius me morti et opponam et impendam: ista quam tu describis negotiatio est, non amicitia, quae ad commodum accedit, quae quid consecutura sit spectat. '''11''' Non dubie habet aliquid simile amicitiae affectus amantium; possis dicere illam esse insanam amicitiam. Numquid ergo quisquam amat lucri causa? numquid ambitionis aut gloriae? Ipse per se amor, omnium aliarum rerum neglegens, animos in cupiditatem formae non sine spe mutuae caritatis accendit. Quid ergo? ex honestiore causa coit turpis affectus? '''12''' 'Non agitur' inquis 'nunc de hoc, an amicitia propter se ipsam appetenda sit.' Immo vero nihil magis probandum est; nam si propter se ipsam expetenda est, potest ad illam accedere qui se ipso contentus est. 'Quomodo ergo ad illam accedit?' Quomodo ad rem pulcherrimam, non lucro captus nec varietate fortunae perterritus; detrahit amicitiae maiestatem suam qui illam parat ad bonos casus.
'''13''' 'Se contentus est sapiens.' Hoc, mi Lucili, plerique perperam interpretantur: sapientem undique submovent et intra cutem suam cogunt. Distinguendum autem est quid et quatenus vox ista promittat: se contentus est sapiens ad beate vivendum, non ad vivendum; ad hoc enim multis illi rebus opus est, ad illud tantum animo sano et erecto et despiciente fortunam. '''14''' Volo tibi Chrysippi quoque distinctionem indicare. Ait sapientem nulla re egere, et tamen multis illi rebus opus esse: 'contra stulto nulla re opus est - nulla enim re uti scit - sed omnibus eget'. Sapienti et manibus et oculis et multis ad cotidianum usum necessariis opus est, eget nulla re; egere enim necessitatis est, nihil necesse sapienti est. '''15''' Ergo quamvis se ipso contentus sit, amicis illi opus est; hos cupit habere quam plurimos, non ut beate vivat; vivet enim etiam sine amicis beate. Summum bonum extrinsecus instrumenta non quaerit; domi colitur, ex se totum est; incipit fortunae esse subiectum si quam partem sui foris quaerit. '''16''' 'Qualis tamen futura est vita sapientis, si sine amicis relinquatur in custodiam coniectus vel in aliqua gente aliena destitutus vel in navigatione longa retentus aut in desertum litus eiectus?' Qualis est Iovis, cum resoluto mundo et dis in unum confusis paulisper cessante natura acquiescit sibi cogitationibus suis traditus. Tale quiddam sapiens facit: in se reconditur, secum est. '''17''' Quamdiu quidem illi licet suo arbitrio res suas ordinare, se contentus est et ducit uxorem; se contentus <est> et liberos tollit; se contentus est et tamen non viveret si foret sine homine victurus. Ad amicitiam fert illum nulla utilitas sua, sed naturalis irritatio; nam ut aliarum nobis rerum innata dulcedo est, sic amicitiae. Quomodo solitudinis odium est et appetitio societatis, quomodo hominem homini natura conciliat, sic inest huic quoque rei stimulus qui nos amicitiarum appetentes faciat. '''18''' Nihilominus cum sit amicorum amantissimus, cum illos sibi comparet, saepe praeferat, omne intra se bonum terminabit et dicet quod Stilbon ille dixit, Stilbon quem Epicuri epistula insequitur. Hic enim capta patria, amissis liberis, amissa uxore, cum ex incendio publico solus et tamen beatus exiret, interroganti Demetrio, cui cognomen ab exitio urbium Poliorcetes fuit, num quid perdidisset, 'omnia' inquit 'bona mea mecum sunt'. '''19''' Ecce vir fortis ac strenuus! ipsam hostis sui victoriam vicit. 'Nihil' inquit 'perdidi': dubitare illum coegit an vicisset. 'Omnia mea mecum sunt': iustitia, virtus, prudentia, hoc ipsum, nihil bonum putare quod eripi possit. Miramur animalia quaedam quae per medios ignes sine noxa corporum transeunt: quanto hic mirabilior vir qui per ferrum et ruinas et ignes inlaesus et indemnis evasit! Vides quanto facilius sit totam gentem quam unum virum vincere? Haec vox illi communis est cum Stoico: aeque et hic intacta bona per concrematas urbes fert; se enim ipse contentus est; hoc felicitatem suam fine designat. '''20''' Ne existimes nos solos generosa verba iactare, et ipse Stilbonis obiurgator Epicurus similem illi vocem emisit, quam tu boni consule, etiam si hunc diem iam expunxi. 'Si cui' inquit 'sua non videntur amplissima, licet totius mundi dominus sit, tamen miser est.' Vel si hoc modo tibi melius enuntiari videtur - id enim agendum est ut non verbis serviamus sed sensibus -, 'miser est qui se non beatissimum iudicat, licet imperet mundo'. '''21''' Ut scias autem hos sensus esse communes, natura scilicet dictante, apud poetam comicum invenies: non est beatus, esse se qui non putat. Quid enim refert qualis status tuus sit, si tibi videtur malus ' '''22''' 'Quid ergo?' inquis 'si beatum se dixerit ille turpiter dives et ille multorum dominus sed plurium servus, beatus sua sententia fiet?' Non quid dicat sed quid sentiat refert, nec quid uno die sentiat, sed quid assidue. Non est autem quod verearis ne ad indignum res tanta perveniat: nisi sapienti sua non placent; omnis stultitia laborat fastidio sui.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0
1079
3781
2005-08-24T11:48:09Z
A-heun
22
cont.
{{세네카 서한집|9|11}}
=== 고독 ===
{{주석틀|장=<big>10</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1''' Sic est, non muto sententiam: fuge multitudinem, fuge paucitatem, fuge etiam unum. Non habeo cum quo te communicatum velim. Et vide quod iudicium meum habeas: audeo te tibi credere. Crates, ut aiunt, huius ipsius Stilbonis auditor, cuius mentionem priore epistula feci, cum vidisset adulescentulum secreto ambulantem, interrogavit quid illic solus faceret. 'Mecum' inquit 'loquor.' Cui Crates 'cave' inquit 'rogo et diligenter attende: cum homine malo loqueris'. '''2''' Lugentem timentemque custodire solemus, ne solitudine male utatur. Nemo est ex imprudentibus qui relinqui sibi debeat; tunc mala consilia agitant, tunc aut aliis aut ipsis futura pericula struunt, tunc cupiditates improbas ordinant; tunc quidquid aut metu aut pudore celabat animus exponit, tunc audaciam acuit, libidinem irritat, iracundiam instigat. Denique quod unum solitudo habet commodum, nihil ulli committere, non timere indicem, perit stulto: ipse se prodit. Vide itaque quid de te sperem, immo quid spondeam mihi - spes enim incerti boni nomen est -: non invenio cum quo te malim esse quam tecum. '''3''' Repeto memoria quam magno animo quaedam verba proieceris, quanti roboris plena: gratulatus sum protinus mihi et dixi, 'non a summis labris ista venerunt, habent hae voces fundamentum; iste homo non est unus e populo, ad salutem spectat'. '''4''' Sic loquere, sic vive; vide ne te ulla res deprimat. Votorum tuorum veterum licet deis gratiam facias, alia de integro suscipe: roga bonam mentem, bonam valetudinem animi, deinde tunc corporis. Quidni tu ista vota saepe facias? Audacter deum roga: nihil illum de alieno rogaturus es.
'''5''' Sed ut more meo cum aliquo munusculo epistulam mittam, verum est quod apud Athenodorum inveni: 'tunc scito esse te omnibus cupiditatibus solutum, cum eo perveneris ut nihil deum roges nisi quod rogare possis palam'. Nunc enim quanta dementia est hominum! turpissima vota dis insusurrant; si quis admoverit aurem, conticiscent, et quod scire hominem nolunt deo narrant. Vide ergo ne hoc praecipi salubriter possit: sic vive cum hominibus tamquam deus videat, sic loquere cum deo tamquam homines audiant.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1
1080
3786
2005-09-02T14:25:57Z
아흔
9
rev.
{{세네카 서한집|10|12}}
=== 얼굴을 붉히고서 ===
{{주석틀|장=<big>11</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1''' Locutus est mecum amicus tuus bonae indolis, in quo quantum esset animi, quantum ingenii, quantum iam etiam profectus, sermo primus ostendit. Dedit nobis gustum, ad quem respondebit; non enim ex praeparato locutus est, sed subito deprehensus. Ubi se colligebat, verecundiam, bonum in adulescente signum, vix potuit excutere; adeo illi ex alto suffusus est rubor. Hic illum, quantum suspicor, etiam cum se confirmaverit et omnibus vitiis exuerit, sapientem quoque sequetur. Nulla enim sapientia naturalia corporis aut animi vitia ponuntur: quidquid infixum et ingenitum est lenitur arte, non vincitur. '''2''' Quibusdam etiam constantissimis in conspectu populi sudor erumpit non aliter quam fatigatis et aestuantibus solet, quibusdam tremunt genua dicturis, quorundam dentes colliduntur, lingua titubat, labra concurrunt: haec nec disciplina nec usus umquam excutit, sed natura vim suam exercet et illo vitio sui etiam robustissimos admonet. '''3''' Inter haec esse et ruborem scio, qui gravissimis quoque viris subitus affunditur. Magis quidem in iuvenibus apparet, quibus et plus caloris est et tenera frons; nihilominus et veteranos et senes tangit. Quidam numquam magis quam cum erubuerint timendi sunt, quasi omnem verecundiam effuderint; '''4''' Sulla tunc erat violentissimus cum faciem eius sanguis invaserat. Nihil erat mollius ore Pompei; numquam non coram pluribus rubuit, utique in contionibus. Fabianum, cum in senatum testis esset inductus, erubuisse memini, et hic illum mire pudor decuit. '''5''' Non accidit hoc ab infirmitate mentis sed a novitate rei, quae inexercitatos, etiam si non concutit, movet naturali in hoc facilitate corporis pronos; nam ut quidam boni sanguinis sunt, ita quidam incitati et mobilis et cito in os prodeuntis. '''6''' Haec, ut dixi, nulla sapientia abigit: alioquin haberet rerum naturam sub imperio, si omnia eraderet vitia. Quaecumque attribuit condicio nascendi et corporis temperatura, cum multum se diuque animus composuerit, haerebunt; nihil horum vetari potest, non magis quam accersi. '''7''' Artifices scaenici, qui imitantur affectus, qui metum et trepidationem exprimunt, qui tristitiam repraesentant, hoc indicio imitantur verecundiam. Deiciunt enim vultum, verba summittunt, figunt in terram oculos et deprimunt: ruborem sibi exprimere non possunt; nec prohibetur hic nec adducitur. Nihil adversus haec sapientia promittit, nihil proficit: sui iuris sunt, iniussa veniunt, iniussa discedunt.
'''8''' Iam clausulam epistula poscit. Accipe, et quidem utilem ac salutarem, quam te affigere animo volo: 'aliquis vir bonus nobis diligendus est ac semper ante oculos habendus, ut sic tamquam illo spectante vivamus et omnia tamquam illo vidente faciamus'. '''9''' Hoc, mi Lucili, Epicurus praecepit; custodem nobis et paedagogum dedit, nec immerito: magna pars peccatorum tollitur, si peccaturis testis assistit. Aliquem habeat animus quem vereatur, cuius auctoritate etiam secretum suum sanctius faciat. O felicem illum qui non praesens tantum sed etiam cogitatus emendat! O felicem qui sic aliquem vereri potest ut ad memoriam quoque eius se componat atque ordinet! Qui sic aliquem vereri potest cito erit verendus. '''10''' Elige itaque Catonem; si hic tibi videtur nimis rigidus, elige remissioris animi virum Laelium. Elige eum cuius tibi placuit et vita et oratio et ipse animum ante se ferens vultus; illum tibi semper ostende vel custodem vel exemplum. Opus est, inquam, aliquo ad quem mores nostri se ipsi exigant: nisi ad regulam prava non corriges.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2
1081
3788
2005-09-02T14:31:11Z
아흔
9
rev.
{{세네카 서한집|11|13}}
=== 나이가 들어가면서 ===
{{주석틀|장=<big>12</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1''' Quocumque me verti, argumenta senectutis meae video. Veneram in suburbanum meum et querebar de impensis aedificii dilabentis. Ait vilicus mihi non esse neglegentiae suae vitium, omnia se facere, sed villam veterem esse. Haec villa inter manus meas crevit: quid mihi futurum est, si tam putria sunt aetatis meae saxa? '''2''' Iratus illi proximam occasionem stomachandi arripio. 'Apparet' inquam 'has platanos neglegi: nullas habent frondes. Quam nodosi sunt et retorridi rami, quam tristes et squalidi trunci! Hoc non accideret si quis has circumfoderet, si irrigaret.' Iurat per genium meum se omnia facere, in nulla re cessare curam suam, sed illas vetulas esse. Quod intra nos sit, ego illas posueram, ego illarum primum videram folium. '''3''' Conversus ad ianuam 'quis est iste?' inquam 'iste decrepitus et merito ad ostium admotus? foras enim spectat. Unde istunc nanctus es? quid te delectavit: alienum mortuum tollere?' At ille 'non cognoscis me?' inquit: 'ego sum Felicio, cui solebas sigillaria afferre; ego sum Philositi vilici filius, deliciolum tuum'. 'Perfecte' inquam 'iste delirat: pupulus, etiam delicium meum factus est? Prorsus potest fieri: dentes illi cum maxime cadunt.'
'''4''' Debeo hoc suburbano meo, quod mihi senectus mea quocumque adverteram apparuit. Complectamur illam et amemus; plena est voluptatis, si illa scias uti. Gratissima sunt poma cum fugiunt; pueritiae maximus in exitu decor est; deditos vino potio extrema delectat, illa quae mergit, quae ebrietati summam manum imponit; '''5''' quod in se iucundissimum omnis voluptas habet in finem sui differt. Iucundissima est aetas devexa iam, non tamen praeceps, et illam quoque in extrema tegula stantem iudico habere suas voluptates; aut hoc ipsum succedit in locum voluptatium, nullis egere. Quam dulce est cupiditates fatigasse ac reliquisse! '''6''' 'Molestum est' inquis 'mortem ante oculos habere.' Primum ista tam seni ante oculos debet esse quam iuveni - non enim citamur ex censu -; deinde nemo tam sene est ut improbe unum diem speret. Unus autem dies gradus vitae est. Tota aetas partibus constat et orbes habet circumductos maiores minoribus: est aliquis qui omnis complectatur et cingat - hic pertinet a natali ad diem extremum; est alter qui annos adulescentiae excludit; est qui totam pueritiam ambitu suo adstringit; est deinde per se annus in se omnia continens tempora, quorum multiplicatione vita componitur; mensis artiore praecingitur circulo; angustissimum habet dies gyrum, sed et hic ab initio ad exitum venit, ab ortu ad occasum. '''7''' Ideo Heraclitus, cui cognomen fecit orationis obscuritas, 'unus' inquit 'dies par omni est'. Hoc alius aliter excepit. Dixit enim *** parem esse horis, nec mentitur; nam si dies est tempus viginti et quattuor horarum, necesse est omnes inter se dies pares esse, quia nox habet quod dies perdidit. Alius ait parem esse unum diem omnibus similitudine; nihil enim habet longissimi temporis spatium quod non ct in uno die invenias, lucem et noctem, et in alternas mundi vices plura facit ista, non alia: *** alias contractior, alias productior. '''8''' Itaque sic ordinandus est dies omnis tamquam cogat agmen et consummet atque expleat vitam. Pacuvius, qui Syriam usu suam fecit, cum vino et illis funebribus epulis sibi parentaverat, sic in cubiculum ferebatur a cena ut inter plausus exoletorum hoc ad symphoniam caneretur: 'beb’™tai, beb’™tai«. '''9''' Nullo non se die extulit. Hoc quod ille ex mala conscientia faciebat nos ex bona faciamus, et in somnum ituri laeti hilaresque dicamus,
vixi et quem dederat cursum fortuna peregi.
Crastinum si adiecerit deus, laeti recipiamus. Ille beatissimus est et securus sui possessor qui crastinum sine sollicitudine exspectat; quisquis dixit 'vixi' cotidie ad lucrum surgit.
'''10''' Sed iam debeo epistulam includere. 'Sic' inquis 'sine ullo ad me peculio veniet?' Noli timere: aliquid secum fert. Quare aliquid dixi? multum. Quid enim hac voce praeclarius quam illi trado ad te perferendam? 'Malum est in necessitate vivere, sed in necessitate vivere necessitas nulla est.' Quidni nulla sit? patent undique ad libertatem viae multae, breves faciles. Agamus deo gratias quod nemo in vita teneri potest: calcare ipsas necessitates licet. '''11''' 'Epicurus' inquis 'dixit: quid tibi cum alieno?' Quod verum est meum est; perseverabo Epicurum tibi ingerere, ut isti qui in verba iurant nec quid dicatur aestimant, sed a quo, sciant quae optima sunt esse communia.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3
1082
3789
2005-09-02T14:34:18Z
아흔
9
rev.
{{세네카 서한집|12|14}}
=== 불행을 초연히 받아들이는 것은 ===
{{주석틀|장=<big>13</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1''' Multum tibi esse animi scio; nam etiam antequam instrueres te praeceptis salutaribus et dura vincentibus, satis adversus fortunam placebas tibi, et multo magis postquam cum illa manum conseruisti viresque expertus es tuas, quae numquam certam dare fiduciam sui possunt nisi cum multae difficultates hinc et illinc apparuerunt, aliquando vero et propius accesserunt. Sic verus ille animus et in alienum non venturus arbitrium probatur; haec eius obrussa est. '''2''' Non potest athleta magnos spiritus ad certamen afferre qui numquam suggillatus est: ille qui sanguinem suum vidit, cuius dentes crepuere sub pugno, ille qui subplantatus ad versarium toto tulit corpore nec proiecit animum proiectus, qui quotiens cecidit contumacior resurrexit, cum magna spe descendit ad pugnam. '''3''' Ergo, ut similitudinem istam prosequar, saepe iam fortuna supra te fuit, nec tamen tradidisti te, sed subsiluisti et acrior constitisti; multum enim adicit sibi virtus lacessita.
Tamen, si tibi videtur, accipe a me auxilia quibus munire te possis. '''4''' Plura sunt, Lucili, quae nos terrent quam quae premunt, et saepius opinione quam re laboramus. Non loquor tecum Stoica lingua, sed hac summissiore; nos enim dicimus omnia ista quae gemitus mugitusque exprimunt levia esse et contemnenda. Omittamus haec magna verba, sed, di boni, vera: illud tibi praecipio, ne sis miser ante tempus, cum illa quae velut imminentia expavisti fortasse numquam ventura sint, certe non venerint. '''5''' Quaedam ergo nos magis torquent quam debent, quaedam ante torquent quam debent, quaedam torquent cum omnino non debeant; aut augemus dolorem aut praecipimus aut fingimus.
Primum illud, quia res in controversia est et litem contestatam habemus, in praesentia differatur. Quod ego leve dixero tu gravissimum esse contendes; scio alios inter flagella ridere, alios gemere sub colapho. Postea videbimus utrum ista suis viribus valeant an imbecillitate nostra. '''6''' Illud praesta mihi, ut, quotiens circumsteterint qui tibi te miserum esse persuadeant, non quid audias sed quid sentias cogites, et cum patientia tua deliberes ac te ipse interroges, qui tua optime nosti, 'quid est quare isti me complorent? quid est quod trepident, quod contagium quoque mei timeant, quasi transilire calamitas possit? est aliquid istic mali, an res ista magis infamis est quam mala?' Ipse te interroga, 'numquid sine causa crucior et maereo et quod non est malum facio?' '''7''' 'Quomodo' inquis 'intellegam, vana sint an vera quibus angor?' Accipe huius rei regulam: aut praesentibus torquemur aut futuris aut utrisque. De praesentibus facile iudicium est: si corpus tuum liberum et sanum est, nec ullus ex iniuria dolor est, videbimus quid futurum sit: hodie nihil negotii habet. '''8''' 'At enim futurum est.' Primum dispice an certa argumenta sint venturi mali; plerumque enim suspicionibus laboramus, et illudit nobis illa quae conficere bellum solet fama, multo autem magis singulos conficit. Ita est, mi Lucili: cito accedimus opinioni; non coarguimus illa quae nos in metum adducunt nec excutimus, sed trepidamus et sic vertimus terga quemadmodum illi quos pulvis motus fuga pecorum exuit castris aut quos aliqua fabula sine auctore sparsa conterruit. '''9''' Nescio quomodo magis vana perturbant; vera enim modum suum habent: quidquid ex incerto venit coniecturae et paventis animi licentiae traditur. Nulli itaque tam perniciosi, tam inrevocabiles quam lymphatici metus sunt; ceteri enim sine ratione, hi sine mente sunt. '''10''' Inquiramus itaque in rem diligenter. Verisimile est aliquid futurum mali: non statim verum est. Quam multa non exspectata venerunt! quam multa exspectata nusquam comparuerunt! Etiam si futurum est, quid iuvat dolori suo occurrere? satis cito dolebis cum venerit: interim tibi meliora promitte. '''11''' Quid facies lucri? tempus. Multa intervenient quibus vicinum periculum vel prope admotum aut subsistat aut desinat aut in alienum caput transeat: incendium ad fugam patuit; quosdam molliter ruina deposuit; aliquando gladius ab ipsa cervice revocatus est; aliquis carnifici suo superstes fuit. Habet etiam mala fortuna levitatem. Fortasse erit, fortasse non erit: interim non est; meliora propone. '''12''' Nonnumquam, nullis apparentibus signis quae mali aliquid praenuntient, animus sibi falsas imagines fingit: aut verbum aliquod dubiae significationis detorquet in peius aut maiorem sibi offensam proponit alicuius quam est, et cogitat non quam iratus ille sit, sed quantum liceat irato. Nulla autem causa vitae est, nullus miseriarum modus, si timetur quantum potest. Hic prudentia prosit, hic robore animi evidentem quoque metum respue; si minus, vitio vitium repelle, spe metum tempera. Nihil tam certum est ex his quae timentur ut non certius sit et formidata subsidere et sperata decipere. '''13''' Ergo spem ac metum examina, et quotiens incerta erunt omnia, tibi fave: crede quod mavis. Si plures habebit sententias metus, nihilominus in hanc partem potius inclina et perturbare te desine ac subinde hoc in animo volve, maiorem partem mortalium, cum illi nec sit quicquam mali nec pro certo futurum sit, aestuare ac discurrere. Nemo enim resistit sibi, cum coepit impelli, nec timorem suum redigit ad verum; nemo dicit 'vanus auctor est, vanus est: aut finxit aut credidit'. Damus nos aurae ferendos; expavescimus dubia pro certis; non servamus modum rerum, statim in timorem venit scrupulus.
'''14''' Pudet me ibi sic tecum loqui et tam lenibus te remediis focilare. Alius dicat 'fortasse non veniet': tu dic 'quid porro, si veniet? videbimus uter vincat; fortasse pro me venit, et mors ista vitam honestabit'. Cicuta magnum Socratem fecit. Catoni gladium assertorem libertatis extorque: magnam partem detraxeris gloriae. '''15''' Nimium diu te cohortor, cum tibi admonitione magis quam exhortatione opus sit. Non in diversum te a natura tua ducimus: natus es ad ista quae dicimus; eo magis bonum tuum auge et exorna. '''16''' Sed iam finem epistulae faciam, si illi signum suum in pressero, id est aliquam magnificam vocem perferendam ad te mandavero. 'Inter cetera mala hoc quoque habet stultitia: semper incipit vivere.' Considera quid vox ista significet, Lucili virorum optime, et intelleges quam foeda sit hominum levitas cotidie nova vitae fundamenta ponentium, novas spes etiam in exitu inchoantium. '''17''' Circumspice tecum singulos: occurrent tibi senes qui se cum maxime ad ambitionem, ad peregrinationes, ad negotiandum parent. Quid est autem turpius quam senex vivere incipiens? Non adicerem auctorem huic voci, nisi esset secretior nec inter vulgata Epicuri dicta, quae mihi et laudare et adoptare permisi.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4
1083
3790
2005-09-02T14:38:36Z
아흔
9
rev.
{{세네카 서한집|13|15}}
=== 삶에서 값진 것은 ===
{{주석틀|장=<big>14</big>|
원문=''Seneca Lucilio suo salutem''
'''1''' Fateor insitam esse nobis corporis nostri caritatem; fateor nos huius gerere tutelam. Non nego indulgendum illi, serviendum nego; multis enim serviet qui corpori servit, qui pro illo nimium timet, qui ad illud omnia refert. '''2''' Sic gerere nos debemus, non tamquam propter corpus vivere debeamus, sed tamquam non possimus sine corpore; huius nos nimius amor timoribus inquietat, sollicitudinibus onerat, contumeliis obicit; honestum ei vile est cui corpus nimis carum est. Agatur eius diligentissime cura, ita tamen ut, cum exiget ratio, cum dignitas, cum fides, mittendum in ignes sit. '''3''' Nihilominus quantum possumus evitemus incommoda quoque, non tantum pericula, et in tutum nos reducamus, excogitantes subinde quibus possint timenda depelli. Quorum tria, nisi fallor, genera sunt: timetur inopia, timentur morbi, timentur quae per vim potentioris eveniunt. '''4''' Ex his omnibus nihil nos magis concutit quam quod ex aliena potentia impendet; magno enim strepitu et tumultu venit. Naturalia mala quae rettuli, inopia atque morbus, silentio subeunt nec oculis nec auribus quicquam terroris incutiunt: ingens alterius mali pompa est; ferrum circa se et ignes habet et catenas et turbam ferarum quam in viscera immittat humana. '''5''' Cogita hoc loco carcerem et cruces et eculeos et uncum et adactum per medium hominem qui per os emergeret stipitem et distracta in diversum actis curribus membra, illam tunicam alimentis ignium et illitam et textam, et quidquid aliud praeter haec commenta saevitia est. '''6''' Non est itaque mirum, si maximus huius rei timor est cuius et varietas magna et apparatus terribilis est. Nam quemadmodum plus agit tortor quo plura instrumenta doloris exposuit - specie enim vincuntur qui patientiae restitissent -, ita ex iis quae animos nostros subigunt et domant plus proficiunt quae habent quod ostendant. Illae pestes non minus graves sunt - famem dico et sitim et praecordiorum suppurationes et febrem viscera ipsa torrentem - sed latent, nihil habent quod intentent, quod praeferant: haec ut magna bella aspectu paratuque vicerunt.
'''7''' Demus itaque operam, abstineamus offensis. Interdum populus est quem timere debeamus; interdum, si ea civitatis disciplina est ut plurima per senatum transigantur, gratiosi in eo viri; interdum singuli quibus potestas populi et in populum data est. Hos omnes amicos habere operosum est, satis est inimicos non habere. Itaque sapiens numquam potentium iras provocabit, immo nec declinabit, non aliter quam in navigando procellam. '''8''' Cum peteres Siciliam, traiecisti fretum Temerarius gubernator contempsit austri minas - ille est enim qui Siculum pelagus exasperet et in vertices cogat -; non sinistrum petit litus sed id a quo propior Charybdis maria convolvit. At ille cautior peritos locorum rogat quis aestus sit, quae signa dent nubes; longe ab illa regione verticibus infami cursum tenet. Idem facit sapiens: nocituram potentiam vitat, hoc primum cavens, ne vitare videatur; pars enim securitatis et in hoc est, non ex professo eam petere, quia quae quis fugit damnat. '''9''' Circumspiciendum ergo nobis est quomodo a vulgo tuti esse possimus. Primum nihil idem concupiscamus: rixa est inter competitores. Deinde nihil habeamus quod cum magno emolumento insidiantis eripi possit; quam minimum sit in corpore tuo spoliorum. Nemo ad humanum sanguinem propter ipsum venit, aut admodum pauci; plures computant quam oderunt. Nudum latro transmittit; etiam in obsessa via pauperi pax est. '''10''' Tria deinde ex praecepto veteri praestanda sunt ut v itentur: odium, invidia, contemptus. Quomodo hoc fiat sapientia sola monstrabit; difficile enim temperamentum est, verendumque ne in contemptum nos invidiae timor transferat, ne dum calcare nolumus videamur posse calcari. Multis timendi attulit causas timeri posse. Undique nos reducamus: non minus contemni quam suspici nocet. '''11''' Ad philosophiam ergo confugiendum est; hae litterae, non dico apud bonos sed apud mediocriter malos infularum loco sunt. Nam forensis eloquentia et quaecumque alia populum movet adversarios habet: haec quieta et sui negotii contemni non potest, cui ab omnibus artibus etiam apud pessimos honor est. Numquam in tantum convalescet nequitia, numquam sic contra virtutes coniurabitur, ut non philosophiae nomen venerabile et sacrum maneat. Ceterum philosophia ipsa tranquille modesteque tractanda est.
'''12''' 'Quid ergo?' inquis 'videtur tibi M. Cato modeste philosophari, qui bellum civile sententia reprimit? qui furentium principum armis medius intervenit? qui aliis Pompeium offendentibus, aliis Caesarem, simul lacessit duos?' '''13''' Potest aliquis disputare an illo tempore capessenda fuerit sapienti res publica. Quid tibi vis, arce Cato? iam non agitur de libertate: olim pessum data est. Quaeritur utrum Caesar an Pompeius possideat rem publicam: quid tibi cum ista contentione? nullae partes tuae sunt. Dominus eligitur: quid tua, uter vincat? potest melior vincere, non potest non peior esse qui vicerit. Ultimas partes attigi Catonis; sed ne priores quidem anni fuerunt qui sapientem in illam rapinam rei publicae admitterent. Quid aliud quam vociferatus est Cato et misit irritas voces, cum modo per populi levatus manus et obrutus sputis exportandus extra forum traheretur, modo e senatu in carcerem duceretur? '''14''' Sed postea videbimus an sapienti opera rei publicae danda sit: interim ad hos te Stoicos voco qui a re publica exclusi secesserunt ad colendam vitam et humano generi iura condenda sine ulla potentioris offensa. Non conturbabit sapiens publicos mores nec populum in se vitae novitate convertet. '''15''' 'Quid ergo? utique erit tutus qui hoc propositum sequetur?' Promittere tibi hoc non magis possum quam in homine temperanti bonam valetudinem, et tamen facit temperantia bonam valetudinem. Perit aliqua navis in portu: sed quid tu accidere in medio mari credis? Quanto huic periculum paratius foret multa agenti molientique, cui ne otium quidem tutum est? Pereunt aliquando innocentes - quis negat? -, nocentes tamen saepius. Ars ei constat qui per ornamenta percussus est. '''16''' Denique consilium rerum omnium sapiens, non exitum spectat; initia in potestate nostra sunt, de eventu fortuna iudicat, cui de me sententiam non do. 'At aliquid vexationis afferet, aliquid adversi.' Non damnat latro cum occidit.
'''17''' Nunc ad cotidianam stipem manum porrigis. Aurea te stipe implebo, et quia facta est auri mentio, accipe quemadmodum usus fructusque eius tibi esse gratior possit. 'Is maxime divitiis fruitur qui minime divitiis indiget.' 'Ede' inquis 'auctorem.' Ut scias quam benigni simus, propositum est aliena laudare: Epicuri est aut Metrodori aut alicuius ex illa officina. '''18''' Et quid interest quis dixerit? omnibus dixit. Qui eget divitiis timet pro illis; nemo autem sollicito bono fruitur. Adicere illis aliquid studet; dum de incremento cogitat, oblitus est usus. Rationes accipit, forum conterit, kalendarium versat: fit ex domino procurator. Vale.
|
주석= 친애하는 루킬리우스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5
1084
2670
2005-05-04T10:53:25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14|16}}
== 주제 ==
참된 겅강은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6
1085
2671
2005-05-04T10:54:06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15|17}}
== 주제 ==
철학의 유용성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7
1086
2672
2005-05-04T10:54:50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16|18}}
== 주제 ==
자족한 현자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8
1087
2673
2005-05-04T10:55:29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17|19}}
== 주제 ==
현자와 유락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19
1088
2674
2005-05-04T10:56:39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18|20}}
== 주제 ==
한가함과 여유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0
1089
2675
2005-05-04T10:57:31Z
아흔
9
{{세네카 서한집|19|21}}
== 주제 ==
철학의 과제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1
1090
2676
2005-05-04T10:58:18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0|22}}
== 주제 ==
가식과 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2
1091
2677
2005-05-04T10:59:03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1|23}}
== 주제 ==
공직에서 사퇴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3
1092
2678
2005-05-04T11:00:14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2|24}}
== 주제 ==
참된 친구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4
1093
2679
2005-05-04T11:01:29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3|25}}
== 주제 ==
불행과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기를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5
1094
2680
2005-05-04T11:02:35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4|26}}
== 주제 ==
사람을 바르게 이끌기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6
1095
2681
2005-05-04T11:03:32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5|27}}
== 주제 ==
노령과 죽음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7
1096
2682
2005-05-04T11:04:40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6|28}}
== 주제 ==
착함이란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8
1097
2683
2005-05-04T11:05:44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7|29}}
== 주제 ==
여행의 무의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29
1098
2684
2005-05-04T11:06:06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8|30}}
== 주제 ==
친구를 위해 해야 할 일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0
1099
2685
2005-05-04T11:07:08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29|31}}
== 주제 ==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는 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1
1100
2686
2005-05-04T11:08:03Z
아흔
9
{{세네카 서한집|30|32}}
== 주제 ==
진리 탐구에 대하여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2
1101
2687
2005-05-04T11:08:32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31|33}}
== 주제 ==
소박한 삶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3
1102
2688
2005-05-04T11:12:30Z
아흔
9
교정
{{세네카 서한집|32|34}}
== 주제 ==
철학자의 명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4
1103
2689
2005-05-04T11:11:24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33|35}}
== 주제 ==
깨달음의 길에 선 루키우스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5
1104
2690
2005-05-04T11:12:59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34|36}}
== 주제 ==
우정의 본질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6
1105
2691
2005-05-04T11:14:32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35|37}}
== 주제 ==
대중의 의견을 초연히 받아 넘기기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7
1106
2692
2005-05-04T11:15:26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36|38}}
== 주제 ==
사람이 갖추어야 할 참된 자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8
1107
2693
2005-05-04T11:16:27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37|39}}
== 주제 ==
사람을 옳게 다루는 법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39
1108
2694
2005-05-04T11:17:12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38|40}}
== 주제 ==
배움의 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0
1109
2695
2005-05-04T11:18:49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39|41}}
== 주제 ==
철학적 담화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1
1110
2696
2005-05-04T11:19:35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40|42}}
== 주제 ==
우리 안에 있는 신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2
1111
2697
2005-05-04T11:19:51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41|43}}
== 주제 ==
사람의 내면적 가치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3
1112
2698
2005-05-04T11:22:50Z
아흔
9
교정
{{세네카 서한집|42|44}}
== 주제 ==
떳떳이 세상에 나서는 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4
1113
2699
2005-05-04T11:22:12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43|45}}
== 주제 ==
진정한 높은 사람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5
1114
2700
2005-05-04T11:23:39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44|46}}
== 주제 ==
철학의 과제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6
1115
2701
2005-05-04T11:24:39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45|47}}
== 주제 ==
루킬리우스의 일상사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7
1116
2702
2005-05-04T11:25:27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46|48}}
== 주제 ==
노예를 바르게 다루는 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8
1117
2703
2005-05-04T11:26:28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47|49}}
== 주제 ==
교활한 사람에 대처하는 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49
1118
2704
2005-05-04T11:27:44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48|50}}
== 주제 ==
시간을 소중히 해야 하는 까닭은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0
1119
2705
2005-05-04T11:28:53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49|51}}
== 주제 ==
스스로를 깨닫는 길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1
1120
2706
2005-05-04T11:29:40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0|52}}
== 주제 ==
훈계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2
1121
2707
2005-05-04T11:30:42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1|53}}
== 주제 ==
참되고 올바른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3
1122
2708
2005-05-04T11:31:27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2|54}}
== 주제 ==
멀미에 대하여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4
1123
2709
2005-05-04T11:31:56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3|55}}
== 주제 ==
죽음에 대한 명상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5
1124
2710
2005-05-04T11:32:22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4|56}}
== 주제 ==
바티아의 집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6
1125
2711
2005-05-04T11:32:58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5|57}}
== 주제 ==
바이아이에서의 삶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7
1126
2712
2005-05-04T11:33:30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6|58}}
== 주제 ==
나폴리의 동굴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8
1127
2713
2005-05-04T11:34:06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7|59}}
== 주제 ==
플라톤 철학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59
1128
2714
2005-05-04T11:34:51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8|60}}
== 주제 ==
친구들이 필요한 이유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0
1129
2715
2005-05-04T11:35:31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59|61}}
== 주제 ==
쓸데 없는 소망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1
1130
2716
2005-05-04T11:36:29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60|62}}
== 주제 ==
살고 죽는 길을 익히기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2
1131
2717
2005-05-04T11:38:10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61|63}}
== 주제 ==
주어진 임무 수행과 학문 연마의 병행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3
1132
2718
2005-05-04T11:38:50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62|64}}
== 주제 ==
친구의 죽음에 임하여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4
1134
2719
2005-05-04T11:40:25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63|65}}
== 주제 ==
퀸투스 섹스티우스와 철학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5
1135
2720
2005-05-04T11:41:23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64|66}}
== 주제 ==
원인과 질료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6
1136
2721
2005-05-04T11:41:36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65|67}}
== 주제 ==
참됨과 올바름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7
1137
2722
2005-05-04T11:42:55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66|68}}
== 주제 ==
무엇을 소망하여야 하는가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8
1138
2723
2005-05-04T11:43:45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67|69}}
== 주제 ==
현자와 여유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세네카 서한집/69
1139
2724
2005-05-04T11:45:34Z
아흔
9
새글들임
{{세네카 서한집|68|70}}
== 주제 ==
바쁘고 고달픈 삶
== 내용 ==
== 해석 ==
[[Category:세네카 서한]]
분류:참고서
1144
2729
2005-05-04T12:28:14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위키책 유형]]
김치
1163
6290
2006-11-19T07:08:50Z
221.149.100.183
==김치 ==
김치는 주원료인 절임 배추에 여러 가지 양념류(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및 무 등)젓갈을 혼합하여 제품의 보존성과 숙성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젖산생성을 통해 발효된 제품을 일컬음.
== 요리 ==
* [[김치/김치 담그는 법|김치 담그는 법]]
김치/김치 담그는 법
1164
2749
2005-05-06T06:26:12Z
대한민국
15
== 재료 ==
배추 10포기(30kg), 굵은 소금 19컵(3kg)
무 3개(4.5kg), 쪽파 1단(400g), 갓 1단 (1kg), 미나리 2단(600g), 대파 반 단(400g) , 마늘 10통(400g), 생강 3톨(100g), 고춧가루 10컵(800g), 따뜻한 물 2컵 , 새우젓 1컵(250g), 멸치젓 1컵( 200g), 생굴 1컵(200g), 생새우 2컵(300g), 소금, 설탕 각 적당량
== 준비 ==
# 싱싱한 배추를 골라 누런 겉잎은 떼고 큰 통은 사등분을 하고 작은 것은 반으로 가른다.
# 굵은 소금을 조금 남기고 물에 풀어 쪼갠 배추를 소금물에 담갔다 건져서, 배추 줄기 쪽에 소금을 약간씩 뿌려서 가른 단면이 위로 오게 큰 독이나 큰 용기에 차곡차곡 담아 절인다. 다섯 시간쯤 후에 위아래를 바꾸어 전체가 고루 절게 한다.
# 절인 배추는 냉수로 물을 바꾸어 가며 깨끗이 헹구어 건져 소쿠리에 엎어서 물기를 뺀다. 포기가 큰 것은 다시 반으로 가르고 굵은 뿌리 부분을 말끔하게 도려낸다.
# 무는 몸이 단단하고 매끄러운 것으로 골라 잔뿌리는 떼고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빼고 2mm 폭으로 둥글게 썬 다음 채 썬다.
# 쪽파, 갓, 미나리는 다듬어 씻어 4cm 길이로 썰고 대파는 흰 부분만 어슷어슷하게 썬다.
# 생강, 마늘은 껍질을 벗겨 씻어 물기를 빼서 절구에 다지고 새우젓은 건더기만 건져 굵게 다지고 젓국은 남긴다.
# 생굴은 껍질을 골라내고 슴슴한 소금물에 헹궈 씻어 건진다.
# 생새우는 티를 골라내고 씻어 물기를 뺀 후 분마기에 곱게 간다.
# 고춧가루를 따뜻한 물에 불린 후 새우젓국, 멸치젓국을 넣어 더 불게 둔다.
== 담그는 법 ==
# 무채에 불린 고춧가루를 넣어 고루 버무려서 빨갛게 색을 들인 후 소금을 넣어 간을한다.
# 다진 마늘, 생강과 새우젓 건더기와 생새우 간 것을 넣어 버무린 후 미나리, 갓, 쪽파,대파를 넣고 가볍게 섞는다.
# 부족한 간은 소금, 설탕으로 더 맞추고 마지막으로 굴을 넣어 함께 버무린다.
# 넓은 그릇에 소를 덜어서 놓고 배춧잎 사이사이에 소를 펴서 넣은 후 겉잎으로전체를 싸서 배추를 자른 단면이 위로 오도록 항아리에 차곡차곡 담는다.
# 항아리에 김치를 4/5 정도까지 채우고 위는 배추 겉잎 절인 것을 덮고 꼭꼭 눌러둔다. 오래 두고 먹을 김치는 위에 소금을 넉넉히 뿌려 저장한다.
# 배추는 싱싱한 것으로 골라 시든 잎은 다듬고 밑동에 칼집을 1/3만 넣는다.
# 칼집 낸 부분을 손으로 가른다.
# 배추를 절임용 소금물에 담근다.
# 배추를 줄기쪽에 굵은 소금을 뿌린다.
# 소금을 뿌린 배추를 차곡차곡 당아 절인다.
# 무를 2mm 폭으로 둥글게 썬 다음 채 썬다.
# 쪽파, 갓, 미나리는 다듬어 씻어서 4cm 길이로 썰고 대파는 흰 부분만 어슷썬다.
# 김치 소 담그기 : 무채에 불린 고춧가루를 넣어 빨갛게 색을 들인 후 소금으로 간한다.
# 버무린 무채에 다진 마늘, 생강, 새우젓 건지, 미나리, 갓, 쪽파, 대파를 섞는다.
# 절인 배추의 뒤쪽부터 버무린 김치 소를 고루 섞는다.
# 겉잎으로 전체를 싸서 항아리에 담는다.
# 위에 우거지를 놓고 굵은 소금을 뿌린다.
틀:계속
1167
2752
2005-06-23T16:44:48Z
아흔
9
rev.
{| style="width:100%; float:right; padding:5px; background-color:#FFFFFF; border:1px solid #dfdfdf;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 [[Wikibooks:위키책 {{{1}}}|{{{1}}}]]: [[그림:Icon-6b.png|30px|]] [[{{{2}}}/{{{3}}}|{{{3}}}]] [[그림:Icon-6a.png|45px|]] [[{{{2}}}/{{{4}}}|{{{4}}}]] [[Category:{{{5}}}]]
|}
<!-- 변환값 설명
{{{1}}}: 입문서, 참고서, 해석서 ...
{{{2}}}: 줄기가 되는 문서 제목
{{{3}}}, {{{4}}}: 줄기에서 가지 친 문서 제목
{{{5}}}: 카테고리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1168
6093
2006-10-23T07:14:55Z
아흔
9
203.237.227.74의 편집을 무효시키고, 131.130.221.5의 편집으로 되돌림
== 머리말 ==
사람이 서로 모여 살면서 삶을 보다 안전하고 편하게 이끌어 가기 위해 공동체를 이루기 시작한 이래 이 공동체를 존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법과 질서가 생겨나게 되었다는 것은 인류학 및 문명사에서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사실이다. 법과 질서를 가진 사람들의 공동체를 우리는 흔히 나라 또는 국가라고 일컫는다. 그리고 나라의 형성과 발전은 이를 이룬 인류의 문명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 인류 문명의 역사는 지역과 민족에 따라서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는 것은 오늘날 누구나 인정하고 있듯이 국가 형성과 발전에서도 역시 지역과 그 곳에 살았던 사람들 또는 민족이 이룬 문명에 크게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동양에서는 중국의 고대 문명의 영향 아래 중국의 주변 국가들이 형성되었으며 나른대로 발전하여 왔듯이, 서양 유럽의 문명은 고대 그리스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국가의 형성, 구조 그리고 바람직한 국가 형태 등에 관한 학문적 고찰과 토론 역시 고대 그리스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아리스토텍레스의 '정치학'은 바로 이와 같은 국가에 관한 이론을 제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저서로 간주되고 있다. 물론 정치 및 국가에 대한 토론이나 연구 분석은 아리스토텔레스 이전의 많은 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 졌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인 플라톤의 방대한 저작 '국가'을 상기한다면 이미 기원전 5-4세기에 정치와 국가에 관한 고대 그리스인들의 높은 관심도를 잘 짐작할 수 있다. 오늘날 흔히 인용되고 있는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 (정치학 1253a2-3)이라는 경구는 또한 이와 같은 고대 그리스 사람들의 인간과 정치에 관한 이해를 대변한다고 풀이할 수 있다.
== 고대 그리스 사람들이 이해한 정치 개념 ==
== 기원전 5-4세기의 고대 그리스 사회 ==
== 정치와 윤리 ==
== 국가와 교육제도 ==
== 바람직한 정치 혹은 국가 형태 ==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해석 ==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1권]]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2권]]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3권]]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4권]]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5권]]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6권]]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7권]]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8권]]
== 참고문헌 ==
* W. D. Ross, Aristotelis Politica, Oxford 1957. (고대 그리스어)
* Aubonnet, J., Aristote Politique, 5권, Paris 1960-1986. (프랑스어 주석)
* Newman, W. L., The Politics of Aristotle, with an introduction, two prefatory essays and notes critical and explanatory, 4권, Oxford 1887-1902. (영어 주석)
* Schürtrumpf, E. Aristoteles. Politik, 4권, Berlin 1990. (독일어 주석)
[[Category:해석서]]
[[Category: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1권
1169
2754
2005-05-18T18:28:36Z
아흔
9
rev.
{{계속|해석서|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1권|2권|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제 1권: 국가와 인간 공동체 ==
=== 내용 ===
== 해석 ==
분류:정치학
1170
2755
2005-05-06T12:30:15Z
아흔
9
카테고리
[[Category:학문]]
분류:학문
1171
2756
2005-05-06T12:33:44Z
아흔
9
set
<div class="toccolours" style="border-width:1px 2px 2px 1px; font-size:110%; background-color:#EFEDFA; text-align:center;">
'''Wikibooks의 주제에 따른 중심 카테고리들:'''
</div>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2권
1172
2757
2005-05-18T18:28:21Z
아흔
9
rev
{{계속|해석서|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1권|3권|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제 2권: 정치 형태 ==
=== 내용 ===
== 해석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3권
1173
2758
2005-05-18T18:29:13Z
아흔
9
rev.
{{계속|해석서|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2권|4권|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제 3권: 국가와 국민 ==
=== 내용 ===
== 해석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4권
1174
2759
2005-05-18T18:29:40Z
아흔
9
rev.
{{계속|해석서|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3권|5권|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제 4권: 정치 형태가 가진 문제점 ==
=== 내용 ===
== 해석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5권
1175
2760
2005-05-18T18:30:11Z
아흔
9
rev.
{{계속|해석서|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4권|6권|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제 5권: 정치 형태의 타락과 보존 ==
=== 내용 ===
== 해석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6권
1176
2761
2005-05-18T18:30:25Z
아흔
9
rev.
{{계속|해석서|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5권|7권|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제 6권: 상반된 정치 형태와 그들의 장단점 ==
=== 내용 ===
== 해석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7권
1177
2762
2005-05-18T18:30:59Z
아흔
9
rev.
{{계속|해석서|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6권|8권|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제 7권: 바람직한 국가 형태 ==
=== 내용 ===
== 해석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8권
1178
2763
2005-05-18T18:31:19Z
아흔
9
rev.
{{계속|해석서|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7권|1권|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제 8권: 바람직한 국가와 이를 위한 교육 ==
=== 내용 ===
== 해석 ==
된장국
1179
2764
2005-05-08T01:45:11Z
211.244.230.246
== 된장국 ==
쌀뜨물에 된장과 고추장(고춧가루)을 풀어 끓인 국이다. 항암작용이 있다.
=== 요리 ===
* [[된장국/된장국 만드는 법|된장국 만드는 법]]
된장국/된장국 만드는 법
1180
2765
2005-05-08T01:41:01Z
211.244.230.246
== 재료 ==
우거지 200g,된장 1 1/2큰술, 대파 1큰술,쇠고기 100g, 다진 마늘, 1큰술, 참기름 약간,후춧가루 약간, 쌀뜨물 6컵, 소금 약간
==조리법==
# 우거지는 끓는 물에 데친 후 물기를 꼭 짜고 된장, 참기름, 다진 마늘로 밑간한다.
# 쇠고기는 얇게 썰어 다닞 마늘과 참기름,후춧가루로 밑간한다.
# 달궈진 냄비에 (1)과 (2)를 볶다 쌀뜨물을 넣고 푹 끓인다. 어슷 썬 파를 넣고 끓이다 부족한 간을 한다.
== 읽어보기 ==
* [[된장국/된장국 만드는 법/두부된장국|두부된장국]]
* [[된장국/된장국 만드는 법/꼬막된장국|꼬막된장국]]
된장국/된장국 만드는 법/두부된장국
1181
2766
2005-05-08T01:42:48Z
211.244.230.246
== 재료 ==
주재료 두부1/4모, 참느타리머섯 한 줌, 미역 20g, 실파 3뿌리, 왜된장 3큰술, 멸치 5마리, 가다랭이포 가루 1큰술, 다시마 5cm
== 조리법 ==
# 사방 1.2cm 크기로 깍둑 썰고 참느타리버섯은 살살 씻어 건진다.
# 미역은 끓는 물에 파랗게 데쳐서 헹군 후 물기를 짜고 짧게 썬다. 실파는 다듬어서 송송썬다.
# 냄비에 물 8컵 정도를 붓고 국물용 멸치와 다시마를 넣어 15분 쯤 끓인 후, 국물 맛이 우러나면 건더기는 건져내고 불을 끈 다음, 가다랭이포 가루를 넣고 그대로 10분쯤 두었다가 체에 밭쳐 국물을 받는다.
# 3의 국물을 다시 냄비에 붓고 끓여 왜된장을 풀고 준비한 미역과 두부, 참느타리버섯을 넣어 살짝 끓인 후, 실파를 띄운다.
된장국/된장국 만드는 법/꼬막된장국
1182
2767
2005-05-08T01:43:44Z
211.244.230.246
== 준비 ==
꼬막 200g, 팽이버섯 1봉, 다시마장국 7컵, 된장 2큰술, 다진 마늘 1작은술, 대파 ½대, 소금 약간
== 조리법 ==
# 꼬막은 소금을 넣고 바락바락 주물러 씻은 다음 물에 여러 번 헹궈 물기를 뺀다.
# 팽이버섯은 기둥을 떼어낸 후 흐르는 물에 살짝 흔들어 씻어 물기를 뺀다.
# 대파는 어슷하게 썬다.
# 냄비에 다시마장국을 붓고 꼬막을 넣고 끓이다가 꼬막이 익어서 입이 벌어지면 꼬막은 건져내고 국물은 면보에 거른다.
# 냄비에 거른 국물을 붓고 된장을 풀어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다진 마늘과 건져낸 꼬막을 넣어 끓인다.
# 국에서 된장 맛이 우러나면 팽이버섯과 대파를 넣는다.
# 모자라는 간은 소금으로 맞춰 한번 더 끓여 낸다.
* 꼬막은 껍질에 주름이 있어서 다른 조개와는 달리 더러운 찌꺼기가 많이 묻어있으므로 씻을 때 더욱 신경써야 한다. 꼬막을 씻을 때는 소금을 넣고 바락바락 주물러 씻도록 한다.
배구
1183
6043
2006-09-22T16:43:24Z
아흔
9
contents frame
{{차례|문단=
*[[배구/기술|기술]]
*[[배구/기술/언더핸드패스|언더핸드패스]]
*[[배구/기술/오버핸드패스|오버핸드패스]]
}}
배구/기술/언더핸드패스
1184
2769
2005-05-09T06:46:41Z
대한민국
15
양손을 잡고 팔꿈치를 뻗어서, 손목에서 팔꿈치까지 평면이 되게 자세를 잡은 후 허리를 앞으로 약간 숙이면서 양손을 앞으로 뻗어 볼을 받아친다. 받아치는 순간은 슬며시 팔꿈치를 뻗는 느낌과 함께 아래에서 비스듬히 볼을 밀어내듯 받아친다.수비 할 때는 자신이 움직일 수 있는 가장 낮은 자세에서 볼을 끝까지 움직이고 항상 움직일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낮은 자세를 하고 있어야 하는 이유는 공격수가 공을 스파이크 할 때 공이 블로킹을 맞고 어디로 튀는지 볼수 있고 공격수가 치는 방향을 확인하고 준비 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이유는 공을 끝까지 오래 보면서 침착하게 공이 오는 것을 수비수가 준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구/기술/오버핸드패스
1185
2770
2005-05-09T06:48:56Z
대한민국
15
오버핸드 패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수비수가 세터에게 패스하는 것과 세터가 공격수에게 공을 칠 수 있도록 올려주는 것입니다 그중 세터가 이 패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면서 상대 블로커를 따돌려서 우리편 공격수가 블로킹에 부담을 피하면서 포인트를 얻게 하는데 있습니다. 오버핸드 패스는 우선 손 모양을 자신의 눈위 이마쪽에서 두 손을 삼각형으로 만들어서 공을 첫 번째 손가락 두 번째 손가락의 2마디 까지 잡은 다음 손목의 반동으로 공을 올려 줍니다. 그리고 자세는 그냥 서서 하는 것 보다는 조금 무릅을 굽혀서 공보다 낮은 자세에서 자신이 원하는 위치를 향해 공이 손에 들어 오는 것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몸을 원하는 위치로 향합니다.
==세터가 하는 토스==
=== 속공 ===
==== A퀵 공격 ====
속공중에서 가장 빠른 공격이며 상대팀이 방심했을 때나 우리편 공격수가 공격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상대 블로커를 1명 속공수가 잡아두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토스입니다. 상대방이 서브를 우리편이 받음과 동시에 세터를 향해 뛰어가 세터 바로옆 50cm정도 거리에서 공보다 먼저 떠있다가 세터가 올려 주면 공격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공의 높이는 네트의 흰색 상단에 띠를 기준으로 배구공 한 개 높이를 맞추면 되겠습니다.
배구/기술
1186
2771
2005-05-09T06:50:30Z
대한민국
15
== 종류 ==
=== 패스 ===
* [[배구/기술/언더핸드패스|언더핸드패스]]
* [[배구/기술/오버핸드패스|오버핸드패스]]
병리학 개론
1187
2772
2005-05-09T15:36:23Z
아흔
9
새글들임
== 서론 ==
== 질병의 원인 ==
=== 환경에 따른 질병 요인 ===
* [[병리학 개론/1장/영양실조]]
* [[병리학 개론/1장/화학물질]]
* [[병리학 개론/1장/온도]]
* [[병리학 개론/1장/기압]]
* [[병리학 개론/1장/광선]]
=== 기생충에 의한 질병 ===
* [[병리학 개론/2장/기생 동물]]
* [[병리학 개론/2장/기생 식물]]
* [[병리학 개론/2장/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 유전적 요인 ===
* [[병리학 개론/3장/알레르기]]
* [[병리학 개론/3장/유전병]]
== 병리 해부학 ==
[[Category:개론서]]
[[Category:의학]]
분류:개론서
1188
2773
2005-05-09T15:38:02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위키책 유형]]
분류:의학
1189
2774
2005-05-09T15:41:21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학문]]
Wikibooks:FAQ/소개
1190
3890
2005-09-14T17:37:05Z
아흔
9
rev.
-> [[Wikibooks:FAQ/구조|FAQ/구조]]
=== 위키책(Wikibooks)이란 무엇인가? ===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은 인터넷의 사용이 가능하고 한국어를 쓰는데 큰 어려움이 없는 모든 사람들이 참여하여 관심있는 주제에 대하여 일종의 책을 쓰는 곳입니다. 책을 쓰기 위해서는 참여자께서는 나름대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사전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노력에 흥미를 갖고 있으며 또한 스스로 배우고 익힌 지식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 갖기를 바라는 참여자께서는 언제나 자유롭게 위키책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위키책은 누구의 소유인가? ===
:위키책의 서버 및 도메인 이름의 소유자는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어재단]]입니다. 이 재단은 [[Wikibooks:지미 웰스|지미 웰스]]에 의해 설립된 재단으로서 미국의 플로리다주에 본부를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키책에 수록된 모든 문서들은 [[Wikibooks:GNU FDL|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의 규준에 따르고 있습니다.
=== 위키책은 누구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는가? ===
:위키미디어재단에서 추진 중인 프로젝트들은 지미 웰스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재정 지원을 받았습니다. 다른 재정적 원천으로는 [http://wikimediafoundation.org/wiki/%EA%B8%B0%EB%B6%80%EC%95%88%EB%82%B4 기부금]과 상금을 손꼽을 수 있습니다.
=== 위키책 문서의 내용은 누가 책임지는가? ===
:위키책의 문서는 참여자들이 서로 힘을 합하여 편찬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참여자들이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글을 쓰고 보충을 하고 있습니다. 위키책은 위키백과와는 조금 달리 한 사람의 참여자가 계획을 하여 만든 문서는 보통 그 사람에 의해 편집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참여자께서는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의 편집자가 누구인지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문서고치기에 따른 몇몇 주의점은 [[Wikibooks:고쳐쓰기에 주의할 점|여기]]를 읽어 보시기를 ...
=== 위키책을 어떻게 널리 알릴수 있는가? ===
:위키책의 홍보에 관한 내용은 [[:meta:Promotionmaterial|여기]]를 살펴보시면 됩니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지미 웰스
1191
3483
2005-07-04T09:19:22Z
아흔
9
rev.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재단]]은 미국 플로리다주의 법에 따라 설립된 재단입니다. 위키책 웹사이트의 제공자는 미국 플로리다주의 주식회사처에 등록번호 N03000005323로 등록이 된 Wikimedia Foundation Inc 입니다. 위키책의 이른바 책임자는 위키미디아재단의 설립자인 [[:w:en:User:Jimbo Wales|Jimmy Wales]]이며, 그의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Wikimedia Foundation Inc.
::204 37th Ave N, #330
::St. Petersburg, FL 33704, USA
::E-Mail: board @ wikimedia.org
::Telefon: +1(310)474-3223
----
===위키책의 사용에 따른 책임 및 권장 사항===
위키책의 참여자는 작성한 문서의 내용을 책임지게 됩니다.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는 종류를 막론하고 언제나 그리고 누구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특히 [[Wikibooks:저작권|저작권]]에 저촉된다고 판단되는 문서는 해당 언어 [[Wikibooks:관리자|관리자]]가 적발하여 곧바로 [[Wikibooks:문서삭제 지침|삭제]] 또는 수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위키책 웹사이트 제공자는 이에 대한 항의에서 유보됩니다.
등록된 사용자 또는 익명의 참여자는 근거있고 정확한 내용으로 편집을 하여 주시기를 당부합니다. 위키책 웹사이트 제공자는 물론 수록된 문서의 완벽성, 정확성, 질적 수준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을 갖지 않습니다. ([[Wikibooks:일반 유의사항|유의사항 참고]])
위키책 웹사이트 제공자는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의 영리적 사용과 배포를 [[Wikibooks:GNU FDL|GNU FDL]]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에 제시된 조건 밑에서 허락합니다. 그러나 이에 따른 있을 수도 있는 법적 시비는 위키책 웹사이트 제공자에게 전가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위키책의 참여자나 또는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의 내용을 사용하는 사람은 여기에 따른 자신의 행위를 책임져야 합니다.
만일 저작권 문제로 법적인 시비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와 관련된 자료는 곧바로 서버에서 삭제시키게 됩니다.
[[Category:위키책]]
알렉상드르 뒤마의 춘희
1192
6307
2006-11-22T02:46:23Z
203.238.135.83
/* 알퐁신 플레시 또는 마르그리트 고티에 */
[[Image:Camellia redoute.JPG|thumb|동백꽃(Camellia)]]
== 머리말 ==
'춘희'는 프랑스의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 (아들, Alexandre Dumas fils)의 1848년에 출판된 소설 'La Dame Camélias'의 한국어 번역 제목이다. Camélia는 동백꽃으로서 소설의 여주인공이 구애자를 극장에서 선택하거나 비밀 약속을 위한 징표로 사용한 데에서 뒤마가 책의 제목으로 상징적인 의미에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뒤마는 이 소설을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약 4주에 걸쳐 그야말로 신들린 사람처럼 빨리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춘희'는 출판과 동시에 커다란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와 더불어 뒤마는 프랑스 문학계에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때문에 '삼총사'와 '몽테크리스토 백작'의 작가로 잘 알려진 같은 이름을 가진 소설가 아버지와 구별하기 위하여 알렉상드르 뒤마 이름 끝에 '아버지' 혹은 '아들'이라는 말을 붙여 오늘날 서로 구분하고 있다.
소설은 이른바 '창부의 사랑과 비극'을 다루고 있으며, 이 소재는 19세기 중엽의 프랑스 문학자들 사이에 당시의 프랑스 사회상을 간접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즐겨 다루어졌다. 또한 이 소설 유형은 이미 100여년 전 1731년에 출판된 역시 프랑스의 작가 앙투안 프랑수아 프레보 덱실 (Antoine François Prévost d'Exiles)의 '마농 레스꼬' (Manon Lescaut)의 문학적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다시 말해 뒤마가 다룬 '창부의 사랑과 비극'의 '춘희'는 '마농 레스꼬'로부터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뒤마는 '춘희'의 소설 전개와 결말을 '마농 레스꼬'와 다르게 꾸몄으며 이를 강조하기 위하여 이야기 전개 과정에서 '마농 레스꼬'를 직접 언급하고 있다.
'춘희'의 여자 주인공 마르그리트 고티에(Marguerite Gautier)는 물론 실존 인물이 아니지만, 이 여인상은 뒤마가 젊은 시절 잠시 관계를 맺었던 한 여인을 전형으로 하고 있다.
== 알퐁신 플레시 또는 마르그리트 고티에 ==
'춘희'의 여주인공 마르그리트 고티에(Marguerite Gautier)는 후에 알려진 바로는 뒤마가 1844년 가을에 알게된 알퐁신 플레시(Alphonsine Plessis), 흔히 마리 뒤플레시(Marie Duplessis)로 잘 알려진 실존 인물을 모형으로 하고 있다. 이 여인은 1824년 노르망디의 한 시골에서 태어나 15세에 파리로 가 봉제여공으로 일을 하다가, 곧 백작 귀쉬(Guishe)의 주선으로 고급 창부로 당시 파리의 유흥가에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소설 '춘희'에서처럼 뒤마는 젊은 시절 파리의 극장 바리에테(Variétés)에서 친구 유젠 데자제(Eugène Déjazet)의 소개로 마리 뒤플레시를 알게되었다 - 소설에서는 유젠 데자제의 역할을 가스통(Gaston)이 하고 있다. 젊은 뒤마는 당시의 많은 고급 창부를 애인으로 삼았던 젊은이들처럼 마리 뒤플레시의 허영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엄청난 빛을 지게되었다. 마리 뒤플레시의 순정을 믿던 뒤마는 얼마안가 마리가 다른 부유한 애인들과 몰래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마리와 절교를 하게 되었다.
== 소설의 구성과 줄거리 ==
== 독후감 ==
== 읽어보기 ==
[[Category:감상문]]
[[Category:문학]]
분류:문학
1193
2778
2005-05-09T18:48:58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학문]]
플루타크 영웅전
1194
2779
2005-06-23T16:48:17Z
아흔
9
rev.
* [[플루타크 영웅전/테세우스]]
* [[플루타크 영웅전/로물루스]]
* [[플루타크 영웅전/리쿠르고스]]
* [[플루타크 영웅전/누마]]
* [[플루타크 영웅전/솔론]]
* [[플루타크 영웅전/포플리콜라]]
* [[플루타크 영웅전/테미스토클레스]]
* [[플루타크 영웅전/카밀루스]]
* [[플루타크 영웅전/페리클레스]]
* [[플루타크 영웅전/파비우스 막시무스]]
[[Category:전기]]
플루타크 영웅전/테세우스
1195
3849
2005-09-06T18:41:13Z
아흔
9
rev.
{{계속|전기|플루타크 영웅전|테세우스|로물루스|플루타크 영웅전}}
분류:플루타크 영웅전
1196
2781
2005-05-09T19:03:21Z
131.130.221.2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전기]]
플루타크 영웅전/로물루스
1197
3850
2005-09-06T18:41:49Z
아흔
9
rev.
{{계속|전기|플루타크 영웅전|테세우스|리쿠르고스|플루타크 영웅전}}
플루타크 영웅전/리쿠르고스
1199
3851
2005-09-06T18:42:11Z
아흔
9
rev.
{{계속|전기|플루타크 영웅전|로물루스|누마|플루타크 영웅전}}
플루타크 영웅전/누마
1200
3852
2005-09-06T18:42:34Z
아흔
9
rev.
{{계속|전기|플루타크 영웅전|리쿠르고스|솔론|플루타크 영웅전}}
플루타크 영웅전/솔론
1201
3853
2005-09-06T18:43:01Z
아흔
9
rev.
{{계속|전기|플루타크 영웅전|누마|포플리콜라|플루타크 영웅전}}
플루타크 영웅전/포플리콜라
1202
3854
2005-09-06T18:43:19Z
아흔
9
rev.
{{계속|전기|플루타크 영웅전|솔론|테미스토클레스|플루타크 영웅전}}
플루타크 영웅전/테미스토클레스
1203
3855
2005-09-06T18:43:48Z
아흔
9
rev.
{{계속|전기|플루타크 영웅전|포플리콜라|카밀루스|플루타크 영웅전}}
플루타크 영웅전/카밀루스
1204
3856
2005-09-06T18:44:17Z
아흔
9
rev.
{{계속|전기|플루타크 영웅전|테미스토클레스|페리클레스|플루타크 영웅전}}
송구
1205
6046
2006-09-22T16:45:23Z
아흔
9
contents frame
{{차례|문단=
*[[송구/규칙|규칙]]
*[[송구/규칙/반칙행위|반칙행위]]
}}
송구/규칙
1206
2790
2005-05-10T09:44:44Z
대한민국
15
규칙 1 경기장
1:1 경기장은 길이 40m, 폭 20m의 직사각형으로, 두 군데의 골 에리어와 경기장으로 구성된다 (규칙 1:4, 규칙 6 참조). 길이가 긴 쪽의 경계선은 사이드 라인, 짧은 쪽 경계선에서 골 포스트 사이에 있는 부분은 골라인, 골의 양쪽 부분은 외곽 골라인이라고 한다.
경기장 바깥 부분에 사이드라인을 따라 1m, 외곽 골라인 뒤편에 2m 이상의 안전지역을 확보하여야 한다.
경기장 조건을 어느 한 팀에게 유리하도록 일방적으로 변경해서는 안된다.
1:2 골은 양쪽 골라인의 중앙에 위치하며 바닥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골의 내부 높이는 2m, 폭은 3m가 된다. 크로스바로 연결된 골 포스트의 뒷면은 골라인의 뒤쪽과 일직선이 되도록 세운다. 골 포스트와 크로스바는 8cm×8cm의 정사각형으로 한다. 경기장에서 보이는 삼면은 주위 배경과 선명한 대조를 이루는 두 가지 색상으로 한다.
골 안으로 골인된 볼이 즉시 되돌아 나오지 않도록 골 뒤에 골망을 부착한다.
1:3 경기장의 모든 라인은 외곽 최종라인의 수직선을 최종한계로 한다. 골포스트 사이에 있는 골라인의 폭(그림 2a 참조)은 8cm로 하고, 모든 다른 라인의 폭은 5cm이다.
경기장의 두 인접 지역사이의 선은 색상의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1:4 각 골 앞에 골 에리어가 위치한다.(규칙 6 참조) 골 에리어는 (ⅰ)골라인으로부터 6m 거리에 있으며 골라인과 평행을 이루는, 골 앞의 길이 3m라인, (ⅱ)골 포스트의 뒤쪽 내부 코너로부터 반지름 6m인, 골라인과 끝이 맞닿아 있는 두개의 1/4원호로 형성된다.(그림 1, 2a 참조)
1:5 9m에 위치한 프리드로 라인은 불연속선으로 공간이 각각 15cm인 점선으로 그린다 프리드로 라인은 골 에리어 라인으로부터 3m 뒤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1:6 7m 라인은 골의 정면에 있는 골라인의 뒤쪽 끝에서 7m 거리에 골라인과 평행을 이루는 길이 1m의 실선으로 그린다.
1:7 길이 15cm의 골키퍼 제한선은 골의 정면에 있는 골라인의 뒤쪽 끝에서 4m거리에 골라인과 나란히 형성된다.
1:8 센터 라인은 두 사이드 라인의 중간지점을 연결하는 선이다.
1:9 각 팀의 교대라인은 센터 라인으로부터 4.5m 지점에 센터라인과 평행을 이루고 있는 선으로 경기장 안쪽과 바깥쪽에 15cm 길이로 표시한다.
참고 경기장에 대한 기술적인 보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장과 골 가이드라인' 참조
규칙 2 경기시간, 종료 휘슬과 타임아웃
( 경기시간 )
2:1 남녀 16세 이상의 팀 경기시간은 전.후반 각 30분이며 10분간 중간휴식을 갖는다(남,녀 고교 및 대학, 일반)
12세-16세 청소년부 경기시간은 전.후반 각 25분, 8-12세 어린이부 경기시간은 전.후반 각 20분이며, 모두 10분간 중간휴식을 갖는다.
2:2 정상적인 경기시간이 종료되고 동점으로 끝나 승자를 가려야 할 경우, 5분 간 휴식을 가진 후 연장전을 갖는다. 연장전은 전.후반 각 5분으로 하며 1분 간의 중간휴식을 갖는다.
1차 연장전이 끝나고도 동점일 경우 5분 휴식 후 2차 연장전을 갖는다. 2차 연장전도 전.후반 각 5분으로 하며 1분간의 중간휴식을 갖는다.
2차 연장전 이후에도 동점일 경우에는 당해 대회규정에 의해 승자를 결정한다.
( 종료 신호 )
2:3 경기는 레프리의 드로오프 휘슬로 시작되며, 관중석 시계의 자동 종료 신호나 계시원의 종료 신호와 동시에 종료된다. 종료신호가 없으면 레프리가 휘슬을 불어 경기의 종료를 알린다.(규칙 17:10)
■ 해설 : 자동 종료 신호가 울리는 관중석 시계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계시원은 탁상시계나 스톱워치의 종료 신호를 이용하여 경기를 종료한다.
관중석 시계를 이용하는 경우, 가능하면 0에서 30분까지 작동하도록 맞추어 놓는다.
2:4 종료신호가 울리기 전에, 혹은 종료신호(전반이나 경기종료)와 동시에 발생한 반칙이나 비신사적행위에 대해서는 벌칙이 주어진다. 레프리는 이에 따른 프리드로나 7m드로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한 후에 경기를 종료한다.
2:5 프리드로나 7m드로가 집행될 때, 혹은 볼이 이미 공중에 떠 있을 때 종료신호가 울리면 드로를 재집행한다. 레프리는 그러한 재집행 드로의 결과를 확인한 후 경기를 종료한다.
2:6 선수나 팀 임원은 규칙 2:4-5의 상황에서 프리드로나 7m드로가 집행되는 동안 일어나는 반칙이나 비신사적행위에 대해서는 개인적 벌칙이 주어진다. 단, 이러한 드로의 집행 중 반칙은 상대편에 프리드로를 줄 수 없다.
2:7 레프리는 계시원이 종료 신호를 너무 일찍 울렸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기장에 경기자를 그대로 남겨두고 남은 시간 동안 경기를 진행하여야 한다.
경기 종료 신호가 일찍 울렸을 때 볼을 갖고 있던 팀이 경기가 속개된 후 그대로 볼을 갖게 된다. 볼이 아웃 오브 플레이 상황일 경우 경기는 상황에 합당한 드로로 재개된다. 볼이 인플레이 상황일 경우 규칙 13:4a-b에 따라 프리드로로 재개된다.
전반전이 너무 늦게 끝났을 경우에는 후반전을 그만큼 단축시킨다. 후반전(연장전)이 너무 늦게 끝났을 경우에는 경기는 그대로 종료된다.
( 타임아웃 )
2:8 레프리는 타임아웃이 진행되는 시간을 결정한다.
타임아웃이 주어질 때:
a) 2분 퇴장, 실격, 완전퇴장이 주어질 때
b) 7m드로가 주어질 때
c) 팀 타임아웃 시
d) 교대위반이나 추가의 경기자가 경기장에 들어왔을 때
e) 계시원이나 기술감독관의 신호가 있을 때
f) 규칙 17:8에 따라 레프리 간에 협의가 필요할 때
타임아웃은 주위 환경에 따른 다른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주어진다.
타임아웃 동안의 반칙은 경기 중일 때의 반칙과 같이 취급한다.
2:9 레프리는 타임아웃과 관련하여 경기의 중단과 속개시간을 계시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경기를 중단할 때는 휘슬을 짧게 세 번 불고 제스츄어 16을 통해 계시원에게 알린다.
타임아웃이 끝나 경기를 재개할 때도 항상 휘슬을 불어 알려야 한다.
2:10 각 팀은 정규 경기시간에 전.후반 각 1분간의 팀 타임아웃을 가질 권리가 있다.
규칙 3 볼
3:1 볼은 가죽이나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조한 구형이어야 한다. 볼 표면이 번쩍거리거나 미끄러워서는 안된다.(17:3)
3:2 사용되는 볼 사이즈는 각각 다음과 같다
- 58-60cm, 425-475g (IHF 사이즈 3): 남자 일반부 및 16세 이상 남 자 청소년부
- 54-56cm, 325-375g (IHF 사이즈 2): 여자 일반부 및 14세 이상 여자 청소년부, 12-16세 남자 청소년부
- 50-52cm, 290-330g (IHF 사이즈 1): 8-14세 여자 어린이부, 8-12세 남자 어린이부
■ 해설: 모든 공식 국제경기에 사용되는 볼은 'IHF 볼 규정'에 포함된다.
미니핸드볼에 사용되는 볼의 사이즈와 무게는 정식 경기규정과는 관계가 없다.
3:3 매 경기마다 사용 가능한 볼을 최소 2개를 준비하여야 한다. 예비 볼은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계시원의 테이블에 놓아두어야 한다. 볼은 규칙 3:1-2에 합당하여야 한다.
3:4 레프리가 예비볼 사용시기를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레프리는 경기중단과 타임아웃을 피하기 위하여 재빨리 예비볼을 사용한다.
규칙 4 팀, 교대, 장비
( 팀 )
4:1 팀은 12명으로 구성된다.
경기장에는 7명 이하의 경기자가 있어야 하며, 그 나머지는 교대경기자가 된다.
각 팀은 경기 중 항상 1명의 골키퍼를 두어야 하며 골키퍼도 언제나 코트 경기자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트 경기자도 누구나 골키퍼가 될 수 있다. (규칙 4:4, 4:7 참조)
경기 시작 초에 한 팀은 최소 5명의 경기자가 있어야 한다.
연장전을 포함해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언제든지 한 팀의 경기자는 최대 12명까지 보충할 수 있다. (IHF와 대륙대회, 이는 관련규정에 따라 조정된다.)
어느 한 팀의 경기자가 5명 미만으로 줄어도 경기는 계속될 수 있다. 경기의 포기여부와 시기는 레프리가 판단한다. (17:13)
4:2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한 팀에 최대 4명의 임원이 허용된다. 팀 임원은 경기 중에 교체할 수 없다. 임원 중 한 명은 팀을 통솔하는 "책임 임원"이 된다. 책임임원만이 계시원/득점기록원, 혹은 레프리에게 의사표시를 할 수 있다.(해설 3:팀 타임아웃 참조)
일반적으로, 팀 임원은 경기 중에 경기장에 들어갈 수 없다. 이 규칙을 어기면 비신사적행위(규칙 8:4, 16:1d, 16:3d. 16:6b 참조)로 처벌되며 경기는 상대편에게 프리드로로 재개된다. (13:1a-b; 해설 9 참조)
4:3 경기 시작 초 출석해 있으며 득점기록표에 신청되어 있는 경기자나 팀 임원은 경기할 자격이 있다.
경기가 시작된 후에 도착하는 경기자나 임원이 계시원/득점기록원에게 경기에 참가할 자격을 얻으려면 득점기록표에 신청하여야 한다.
경기 참가 자격이 있는 경기자는 소속팀 교대지역을 통해 언제라도 경기장에 들어갈 수 있다. (규칙 4:4, 4:6 참조)
경기 참가 자격이 없는 경기자가 경기장에 들어가는 경우, 그 경기자는 실격이 되며(16:6a), 상대팀에게 프리드로가 주어진다. (13:1a-b; 해설 9 참조)
( 선수 교대 )
4:4 교대할 경기자가 경기장을 떠났다면 교대 경기자는 계시원이나 득점기록원에게 통보하지 않고서도 언제든지 자유로이 경기에 참여할 수 있다. (4:5)
모든 경기자는 자기팀의 교대 지역을 통해서만 경기장에 입.퇴장한다. (4:5) 이 규칙은 골키퍼 교대시에도 적용된다. (4:7, 14:10 참조)
교대는 타임아웃 중에도 적용된다. (팀 타임아웃은 제외)
4:5 교대위반을 범한 경기자에게 2분 퇴장이 주어진다. 같은 팀의 경기자 2명 이상이 같은 상황에서 교대위반을 범하면 먼저 위반한 경기자가 처벌된다. 경기는 상대편에게 프리드로가 주어진다.(13:1a-b; 해설 8 참조)
4:6 정상적인 교대를 통하지 않은 채 추가의 경기자가 경기장에 들어오거나 교대 경기자가 교대 지역으로부터 부정적인 방법으로 경기에 관여할 경우, 해당 경기자는 2분간 퇴장 당하며 추가로 다른 한 경기자도 경기장을 떠나 그 팀은 2분 동안 감소된 인원으로 경기를 계속해야 한다.
2분 퇴장명령을 받은 경기자가 경기장에 들어가는 경우, 추가로 2분의 퇴장 명령을 또 받는다. 이 퇴장 명령은 즉각 발효되어 1차 퇴장과 2차 퇴장 사이의 중복되는 시간에 경기자 한 명이 추가로 경기장을 떠나야 한다.
이 두 가지 경우 모두 상대편에 프리드로가 주어진다. (13:1a-b; 해설 9 참조)
( 장비 )
4:7 경기에 임하는 한 팀의 모든 경기자는 상대편과 뚜렷하게 색상 및 디자인을 지닌 동일한 유니폼을 입어야 한다. 골키퍼는 양 팀 경기자 및 상대편 골키퍼와 구별되는 색상의 유니폼을 입어야 한다. (17:3)
4:8 유니폼 뒷면에 부착하는 등번호는 최소한 20cm 높이로, 상의 앞면에 부착하는 배번호는 최소한 10cm 높이로 부착한다. 경기자는 1에서 20번까지의 번호를 부착한다.
번호는 상의의 색상과 뚜렷이 구별되는 색상으로 한다.
양 팀 주장은 유니폼 상의와 대조되는 색상의 폭 4cm짜리 띠를 한쪽 팔 상박에 둘러야 한다.
4:9 경기자는 운동화를 착용해야 한다.
경기자들은 머리나 얼굴 보호장구, 팔지, 시계, 반지, 목걸이, 체인, 귀걸이, 고정끈이 달리지 않은 안경, 테가 단단한 안경, 그밖에 다른 경기자에게 위험을 줄 수 있는 일체의 물건을 착용할 수 없다. (17:3)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는 해드밴드는 착용이 허용된다.
위 사항을 어긴 경기자는 문제를 시정할 때까지 경기에 참가할 수 없다.
4:10 경기자가 피를 흘리거나, 신체 또는 유니폼에 피가 묻은 경우, 경기자는 지혈과 상처를 감싸기 위해 즉시 자발적으로 경기장을 떠나야 한다. 경기자는 조치가 끝날 때까지 경기장에 들어와서는 안된다.
레프리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 경기자는 비신사적행위로 처벌된다. (8:4, 16:1d, 16:3c)
4:11 부상일 경우, 레프리는 타임아웃 동안 자기팀의 부상당한 경기자를 도울 참가자격(4:3 참조)이 있는 2명에게 제스츄어 16과 17을 통해 입장을 허용한다.
규정 5 골키퍼
골키퍼에게는 다음 행위가 허용된다.
5:1 골 에리어내에서 수비를 하면서 신체 일부분으로 볼을 접촉하는 행위
5:2 골 에리어 내에서 볼을 갖고 자유로이 움직이는 행위 (규칙 7:2-4, 7:7); 하지만 골드로의 집행을 지연하여서는 안된다. (규칙 6:5, 12:2, 15:3b)
5:3 볼을 갖지 않은 채 골 에리어를 떠나 경기에 참여하는 경우, 이때 골키퍼는 경기장에서 경기에 임하는 경기자들에게 해당되는 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이때 골키퍼는 신체 일부분이 골 에리어 라인 외곽의 경기장 바닥에 닿는 순간 골 에리어를 떠난 것으로 간주된다.
5:4 볼을 완전히 처리할 수 없을 때 볼을 가진 채 골 에리어를 떠나 경기장에서 다시 볼을 처리하는 경우 골키퍼에게는 다음 행위가 금지된다.
5:5 수비 도중 상대 경기자에게 위험을 주는 행위 (8:2, 8:5)
5:6 볼을 잡은 채 골 에리어를 떠나는 행위 (13:1a 참조)
5:7 골드로 후 볼이 다른 경기자의 몸에 닿기 전에 골 에리어 밖에서 볼에 다시 닿는 경우 (13:1a)
5:8 골 에리어 내에 있으면서 골 에리어 밖 경기장에 정지해 있거나 바닥에 굴러가는 볼에 닿는 경우 (13:1a)
5:9 골 에리어 밖 경기장에 정지해 있거나 바닥에 굴러가는 볼을 골 에리어 안으로 가져 오는 경우 (13:1a)
5:10 볼을 가지고 경기장으로부터 골 에리어에 다시 들어오는 경우 (13:1a)
5:11 볼이 골 에리어 내에서 정지해 있거나 경기장 쪽으로 움직일 때 발이나 무릎 아래 부분의 다리에 볼이 닿는 경우
5:12 7m 드로를 집행하는 상대편의 손에서 볼이 떠나기 전에 골키퍼 제한 라인(4m 라인)이나 그 양쪽의 돌출 부분을 넘는 경우 (14:9)
■ 해설 : 골키퍼의 한쪽 발이 제한선(4m 라인)을 밟고 있거나 제한선 뒤에 있는 이상 다른 발이나 신체의 어느 부분이라도 4m 라인 밖의 공중에 있을 수 있다.
규칙 6 골 에리어
6:1 골키퍼만이 골 에리어에 들어갈 수 있다(단 6:3 참조). 골 에리어는 골 에리어 라인까지 포함하며, 골키퍼를 제외한 경기자의 신체 일부분이라도 골 에리어 라인에 닿으면 골 에리어에 들어간 것으로 간주한다.
6:2 경기장내 경기자가 골 에리어에 들어가는 경우, 결정은 다음과 같다.
a) 경기자가 볼을 가지고 골 에리어에 들어가면 프리드로 (13:1a)
b) 경기자가 볼을 갖지 않은 채 골 에리어에 들어감으로써 경기에 유리해지면 프리드로 (13:1a, 단 6:2c 참조)
c) 수비 경기자가 골 에리어에 들어가 명백한 득점기회를 잃게하는 경우, 7m 드로
6:3 다음 경우에는 골 에리어에 들어가도 반칙이 성립되지 않는다.
a) 경기자가 볼을 처리한 후 골 에리어 안에 들어가더라도 상대편에 어떠한 불이익도 주지 않는 경우
b) 경기자가 볼을 갖지 않은 채 골 에리어에 들어갔으나 어떠한 이익도 얻지 못하는 경우
c) 수비 경기자가 수비 도중이나 그 이후에 골 에리어에 들어갔으나 그로 인해 상대팀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는 경우
6:4 볼이 골 에리어 안에 있을 때, 볼은 골키퍼 소유이다.
볼이 골 에리어 안에 정지해 있거나 구르고 있을 때, 혹은 골키퍼가 볼을 잡고 있을 때 경기자가 볼에 닿아서는 안된다. 단, 골드로가 실행된 때를 제외하고 볼이 골 에리어 내의 공중에 있을 때는 볼을 다룰 수 있다. (12.2)
6:5 골키퍼는 볼이 골 에리어 안에 들어오면 골드로(규칙 12)를 통해 경기장으로 돌려보내야 한다.
6:6 수비 도중 볼이 수비 경기자의 몸에 닿은 후 골키퍼가 볼을 잡거나 골 에리어 안에서 정지하는 경우 (규칙 6:5의 골드로를 통해) 경기는 계속 진행된다.
6:7 경기자가 볼을 자기팀 골 에리어 안에서 다루는 경우, 결정은 다음과 같다.
a) 볼이 골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 득점으로 인정된다.
b) 볼이 골 에리어 안에서 멈추거나 골키퍼가 볼을 건드려 골 안으로 들어가지 못할 경우 프리드로를 준다. (13:1a-b)
c) 볼이 외곽 골라인을 벗어나는 경우 드로인을 준다.
d) 골키퍼가 볼을 건드리지 않은 데 볼이 골 에리어를 지나 경기장 안으로 돌아오는 경우 경기는 계속 진행된다.
6:8 볼이 골에리어 바깥으로부터 경기장 안으로 돌아오면 경기는 계속 진행된다.
규칙 7 볼 다루기, 패시브 플레이
( 볼 다루기 ) 다음 행위는 허용된다.
7:1 손을 펴거나 쥔 상태에서 손이나 팔, 머리, 몸통, 허벅지, 무릎을 이용해 볼을 던지고, 잡고, 막고, 밀고 치는 행위
7:2 볼을 최대 3초 동안 가지고 있는 행위(볼이 바닥에 있는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7:3 볼을 가지고 최대 3보까지 걷는 행위
■ 원스텝의 정의
a) 바닥에 두 발을 모두 대고 서 있던 경기자가 한 발을 들어 올려 다시 내려 놓거나, 한 발을 옮겨 딛는 행위
b) 경기자가 한 발만 바닥에 댄 채 볼을 잡은 후 다른 발을 바닥에 내딛는 행위
c) 점프한 후 경기자가 한 발만 바닥에 디딘 후 그 발로 뛰거나 다른 발을 바닥에 내딛는 행위
d) 점프한 후 경기자가 동시에 두 발을 바닥에 디딘 후 한 발을 들어 올렸다가 다시 내려놓거나 한 발을 옮겨 딛는 행위
■ 해설 : 한 발을 옮길 때 바로 옆에서 다른 발을 끌어 당기는 것은 허용된다.
7:4 서 있거나 달리면서
a) 볼을 한 번 바닥에 튀긴 후 한 손, 혹은 양손으로 잡는 행위
b) 한 손으로 볼을 계속 바닥에 튀기거나(드리블) 한 손으로 볼을 계속 바닥에 굴린 후 한 손, 양손으로 볼을 잡는 행위 이 때 한 손, 혹은 양손으로 볼을 잡는 즉시 3초, 3보 이내에 볼을 처리해야 한다.
경기자의 신체 일부분에 볼이 접촉한 후 그 볼이 바닥에 닿는 순간, 볼을 튀기거나 드리블한 것으로 간주된다.
볼이 다른 경기자나 골에 맞은 후 앞서 볼을 다룬 경기자는 볼을 치거나 튀기고 다시 잡을 수 있다.
7:5 볼을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옮기는 행위
7:6 바닥에 무릎을 꿇거나 앉거나 누운 채 볼을 다루는 행위
다음 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7:7 볼이 바닥이나 다른 경기자, 혹은 골에 맞지 않은 상태에서 볼을 한 번 이상 잡는 행위 (13:1a) 볼을 잡았다가 실수로 놓치는 경우, 펌플링으로 반칙이 되지 않는다.
■ 해설 : 펌플링이란 경기자가 볼을 잡거나 정지시키려고 하다가 놓치는 것을 의미한다.
일단 볼을 잡은 경기자는 볼을 치거나 튀긴 이 후에 또 다시 볼을 잡을 수 없다.
7:8 발이나 무릎 아래의 다리에 볼이 닿은 경우. 단, 상대편 경기자가 볼을 던져서 그렇게 된 경우는 예외로 인정한다. (13:1a-b)
7:9 경기장 내에서 볼이 심판에 닿아도 경기는 계속된다.
( 패시브 플레이 )
7:10 볼을 가진 팀이 공격이나 득점을 위해 별다른 시도를 하지 않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해설 4 참조) 이는 패시브 플레이로 간주되어 상대팀에게 프리드로가 주어진다.
프리드로는 경기가 중단되는 시점에 볼이 위치한 지점에서 주어진다.
7:11 소극적 플레이라고 간주되면 레프리는 사전 제스츄어(제스츄어 18)를 제시하며 이는 볼을 소유한 팀이 볼의 소유권을 잃지 않기 위하여 공격 방식을 바꿀 기회를 주는 것이다. 제스츄어를 제시하였음에도 여전히 공격 방식을 바꾸지 않거나 골을 위한 슈팅이 없으면 상대팀에게 프리드로를 선언한다. (해설 4 참조)
이러한 상황에서 레프리는 경기자가 고위로 명백한 득점기회를 얻으려 하지 않으면 사전 제스츄어 신호 없이 프리드로를 선언할 수 있다.
규칙 8 반칙과 비신사적행위
다음 행위는 허용된다.
8:1 a) 두 팔과 손을 이용해 볼을 잡는 것을 막거나 볼을 잡는 행위
b) 어느 방향에서든 상대팀 경기자에게 볼을 뺏기지 않고 다루기 위해 한 손 주먹을 펴고 플레이를 하는 행위
c) 상대팀 경기자가 볼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몸으로 상대 경기자를 막는 행위
d) 상대팀 경기자와 마주한 위치에서 두 팔을 구부린 채 상대 경기자와 신체접촉을 하고, 그 경기자를 따라 다니며 수비하기 위해 이러한 신체접촉을 유지하는 행위
다음 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8:2 a) 상대팀 경기자의 손에서 볼을 끌어내거나 쳐내는 행위
b) 두 팔이나 손, 다리로 상대 경기자를 막거나 밀어내는 행위
c) 상대 경기자를 저지하거나, 잡거나, 밀거나 상대 경기자에게 달려드는 행위
d) 관련 규칙을 위반하면서 볼의 소유 여부에 관계없이 상대 경기자를 방해하거나 위험에 빠뜨리는 행위
8:3 규칙 8:2를 위반했을 때 그 행위가 볼이 아닌 상대팀 경기자를 주로,혹은 전적으로 겨냥한 경우에는 가중처벌이 주어진다. 가중처벌이라 함은 볼을 다루는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형태의 반칙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므로 단지 프리드로나 7m드로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가중처벌에 해당하는 각각의 위반행위는 경고(16:1b)에서 시작하여 점차 중한 처벌을 받게 된다. (16:3b, 16:6g)
또 다른 위반으로 주어지는 경고와 퇴장도 가중처벌을 받게 된다.
8:4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물리적이고 과격한 언어표현은 비신사적행위로 간주된다. (예로 해설 9 참조) 이것은 경기장 안과 밖에서 선수와 임원 모두에게 적용된다. 비신사적행위인 경우 가중처벌이 적용된다. (16:1d, 16:3c-d, 16:6b,g,h)
8:5 상대편 경기자를 공격하여 신체적 위해를 초래한 경기자는 실격된다. (16:6c) 다음 행위가 이에 해당된다.
a) 상대팀 경기자가 볼을 던지거나 패스할 때 그 팔을 옆이나 뒤에서 치거나 잡아당기는 행위
b) 상대팀 경기자의 머리나 목을 치는 행위
c) 발이나 무릎, 기타 다른 방법으로 상대팀 경기자의 신체를 치는 행위 (트리핑 포함)
d) 달리거나 뛰어오르는 상대팀 경기자를 밀거나 상대 경기자가 몸의 균형을 잃도록 공격하는 행위, 또한 골키퍼가 골 에리어를 떠나 상대 경기자의 역습을 방해하는 행위
e) 프리드로로 직접 슛을 할 때 수비자가 움직이지 않았음에도 수비자의 머리를 맞히는 경우, 유사하게 7m드로로 골키퍼가 움직이지 않았는데도 골키퍼의 머리를 맞히는 경우
8:6 경기장의 안이나 밖에서의 경기자나 임원의 심각한 비신사적행위는 실격이 된다. (16:6d, 예로, 해설 6 참조)
8:7 경기 시간 중 상대팀 경기자에게 폭행을 휘두르는 경기자는 완전 퇴장당한다. (16:9-11) 경기 시간 외의 폭행행위는 실격이 된다. (16:6e, 16:13b,d) 폭행한 임원은 실격된다. (16:6f)
■ 해설 : 폭행이라 함은 다른 사람(경기자, 심판, 계시원/득점기록원, 팀 임원, 대표단, 관중 등)의 신체를 힘을 주어 고위로 공격하는 행위이다. 특히 다른 사람에게 침을 뱉는 행위도 폭행으로 간주한다.
8:8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반칙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어 상대편의 명백한 득점기회를 잃게 하는 경우, 규칙 8:2-7을 위반하면 상대편에 7m드로가 주어진다. (규칙 14:1)
다른 경우의 위반은 상대편에 프리드로가 주어진다. (규칙 13:1a-b, 단 13:2, 13:3 참조)
규칙 9 득점
9:1 볼을 던진 경기자나 동료 경기자가 드로 이전이나 도중에 규칙을 위반하지 않은 채 볼 전체가 골라인을 완전히 통과하면 득점으로 인정한다. (그림 4 참조) 골 라인 레프리는 휘슬을 짧게 두번 불고 제스츄어 12로써 득점을 인정한다.
수비자가 규칙을 위반하더라도 볼이 골 안에 들어가면 득점으로 인정한다.
볼이 골 라인을 완전히 통과하기 전에 레프리나 계시원이 경기를 중단하는 경우에는 득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골키퍼가 골드로를 실행하는 상황을 제외하고 경기자가 자기쪽 골 안으로 볼을 넣으면 상대팀 득점으로 인정된다. (12:2, 2번째 문단)
■ 해설 : 관중을 비롯해 경기장 내부 출입을 승인받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에 의해 득점을 방해받았는데 그 방해 요인이 없었더라면 반드시 득점이 됐으리라고 레프리가 확신하는 경우에는 득점이 인정된다.
9:2 레프리가 득점을 인정하여 경기속개를 알리는 드로 오프 휘슬을 분 다음에는 득점을 무효화 할 수 없다.
득점 후 드로오프를 하기 전에 경기 종료신호가 울리면 레프리는 드로오프를 하지 않고 득점으로 인정한다.
■ 설명: 레프리가 득점을 인정하는 즉시 스코어보드에 게시한다.
9:3 상대팀보다 득점을 많이 한 팀이 승자가 된다. 양 팀이 동점이나 무득점일 때는 무승부가 된다.
규칙 10 드로오프
10:1 경기 시작 시 동전 토스에서 이긴 팀이 볼을 가지고 드로오프를 하고 상대팀은 진영을 선택한다. 혹은 동전 토스에서 이긴 팀이 진영을 선택하고 상대팀이 드로오프를 하는 방법도 허용된다.
경기의 후반전에는 진영을 바꾼다. 후반전 시작 시 드로오프는 전반전 시작 시 드로오프를 하지 않은 팀이 한다.
연장전을 벌일 때는 매 회마다 동전 토스로 드로오프를 결정하고 규칙 10:1을 연장전에도 적용한다.
10:2 득점이 되면 골을 잃은 팀이 드로오프를 하여 경기를 속개한다. (단 규칙 9:2 2번째 문단 참조)
10:3 드로오프는 방향에 관계없이 1.5m의 허용폭을 가지고 경기장 중앙에서 한다. 레프리가 휘슬을 불면 3초 이내에 드로오프를 해야 한다. (13:1a) 드로오프를 하는 경기자는 볼이 손에서 떠날 때까지 한발을 센터라인에서 떼면 안된다. (13:1a, 해설 7 참조)
도로오프를 하는 팀 경기자들은 레프리의 휘슬 전에 센터라인을 넘어서는 안된다. (15:1 2번째, 3번째 문단)
10:4 연장전을 포함해 전.후반 시작 시 드로오프 때 경기자 전원은 자기 진영 내에 있어야 한다.
단, 득점한 후 드로오프 때 상대팀 경기자들은 양쪽 어느 진영에 있어도 무방하다.
위의 두 경우 모두 상대팀 경기자들은 드로오프를 하는 경기자로부터 최소 3m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15:7)
규칙 11 드로인
11:1 볼 전체가 사이드 라인을 완전히 넘어가거나, 수비팀 경기자가 볼에 닿은 후 볼이 그 팀의 외곽 골라인을 넘어간 경우 드로인이 주어진다.
11:2 드로인은 볼이 골라인을 넘어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닿은 경기자의 상대팀에 의해 레프리의 휘슬 없이 시행된다.
11:3 드로인은 볼이 사이드 라인을 넘어간 지점, 혹은 볼이 외곽 골라인을 넘어갔을 때는 사이드 라인과 외곽 골라인의 교차 지점에서 집행한다.
11:4 드로인을 하는 경기자는 볼이 손에서 떠날 때까지 한발을 사이드라인에 딛고 있어야 한다. 그 경기자가 볼을 바닥에 놓거나 드리블한 후 다시 잡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13:1a)
11:5 드로인이 시행되는 동안 상대팀 경기자들은 해당 경기자로부터 3m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단, 드로인을 하는 경기자와의 거리가 3m미만이라 할지라도 자기팀 골 에리어 라인 외곽이면 무관하다.
규칙 12 골드로
12:1 골키퍼가 골 에리어 안에서 볼을 다루거나(규칙 6:5), 볼이 골키퍼나 상대팀 경기자에 닿은 후 골 라인 밖으로 나가면 골드로가 주어진다.
이 두 상황에서 볼은 '아웃 오브 플레이'로 간주되며 골드로가 주어진 후 시행되기 전에 골키퍼의 팀의 일부가 위반을 하는 경우 규칙 13:3이 적용된다.
12:2 골키퍼는 레프리의 휘슬 없이 골 에리어로부터 골 에리어 밖 경기장으로 볼을 던진다.(단 15:3b 참조)
골키퍼가 던진 볼이 골 에리어 라인을 넘어가면 골드로가 시행된 것으로 간주한다.
양 팀의 경기자들은 골 에리어 라인 밖에 있는 것은 허용되나 볼이 라인을 넘을 때까지 볼에 닿아서는 안된다.
12:3 골키퍼는 볼을 던진 후 볼이 다른 경기자의 손에 닿기 전에 다시 볼에 접촉하면 안된다. (5:7, 13:1a)
규칙 13 프리드로
( 프리드로의 정의 )
13:1 원칙적으로 다음의 경우에 레프리는 경기를 중단하고 상대편에게 프리드로로 경기를 속개한다.
a) 볼을 소유한 팀이 볼의 소유권을 잃게 되는 반칙을 범하는 경우 (규칙 4:2-3, 4:5-6, 5:6-11, 6:2a-b, 6:4, 6:7b, 7:2-4, 7:7-8, 7:10, 8:8, 10:3, 11:4, 12:3, 13:7-8, 14:4-7, 15:2-5 참조)
b) 방어를 하는 팀이 볼의 소유권을 잃게 하는 반칙을 범하는 경우 (규칙 4:2-3, 4:5-6, 5:5, 6:2b, 6:4, 6:7b, 7:8, 8:8 참조)
13:2 레프리는 프리드로 결정으로 경기를 중단시키지 않고 계속 경기를 진행할 수 있다.
이는 규칙 13:1a 하에서, 방어하는 팀이 공격하는 팀의 위반행위 후에 즉시 볼을 소유한다면 레프리는 프리드로를 선언하여서는 안됨을 뜻한다.
비슷한 경우로 규칙 13:1b 하에서, 방어하는 팀의 위반행위로 인하여 공격하는 팀이 볼의 소유권을 잃거나 공격을 계속할 수 없을 때까지는 레프리가 간섭하여서는 안된다.
반칙으로 개인적인 처벌이 주어질 때 위반한 팀의 상대편에게 불이익이 없다면 레프리는 즉시 경기의 중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황이 끝날 때까지 처벌을 미뤄야 한다.
경기가 즉시 중단되어야 하는 규칙 4;2-3 또는 4:5-6을 위반하는 경우에는 규칙 13:2를 적용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계시원의 도움을 통해 진행한다.
13:3 볼이 '아웃 오브 플레이' 상황에서 규칙 13:1a-b 하의 정상적으로 프리드로가 주어지는 위반행위가 발생하면 경기는 적절한 드로로 속개된다.
13:4 규칙 13:1a-b에 제시된 상황에 추가로 규칙 위반행위가 없다 하더라도 경기가 중단(예로 볼이 인플레이일 때)되는 특정한 상황에서 경기를 재개하는 방법으로 프리드로가 주어진다.
a) 경기가 중단될 때 볼을 갖고 있는 팀이 계속 볼 소유권을 갖는다.
b) 두 팀 모두 볼을 갖고 있지 않을 때는 마지막으로 볼을 가진 팀에게 다시 볼의 소유권이 주어진다.
c) 볼이 천정이나 경기장 위의 설치물에 닿아 경기가 중단되면 볼을 마지막으로 닿지 않은 팀에게 소유권이 주어진다.
13:2의 '어드밴테이지 규칙'은 규칙 13:4의 상황에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13:5 상대팀의 드로가 결정되면 볼을 갖고 있는 경기자는 즉시 그 지점바닥에 볼을 내려 놓는다. (16:3e)
( 프리드로의 집행 )
13:6 프리드로는 원칙적으로 반칙이 일어난 지점에서 레프리의 휘슬 없이 집행한다. 다음은 예외로 한다.
13:4a-b의 상황에서 프리드로는 휘슬 후에 경기가 중단된 시점에서 볼이 있던 곳에서 시행한다. 13:4c의 경우는 휘슬 후에 천정이나 설치물에 닿은 아래 지점에서 집행한다.
레프리나 기술감독관이 방어하는 팀의 경기자나 임원의 반칙으로 경기를 중단했을 때는 구두 경고나 징벌을 적용한 다음 경기중단 시점에서 볼이 있던 장소가 반칙이 발행한 장소보다 유리한 장소라면 볼이 있던 장소에서 프리드로가 주어진다.
규칙 4:2-3 또는 4:5-6의 교대위반이나 규칙을 어기고 경기장에 들어가는 반칙으로 인해 계시원이 경기를 중단했을 경우, 그 경기의 진행은 유리한 지점에서 할 수 있다.
규칙 7:10에서와 같이 패시브 플레이로 인한 프리드로는 경기가 중단된 시점에서 볼이 있던 장소에서 집행한다.
프리드로는 드로를 하는 팀의 골 에리어나 상대편의 프리드로 라인 안에서 집행할 수 없다. 이 경우 제한지역 외곽의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집행한다.
■ 해설 : 프리드로 위치가 수비팀의 프리드로 라인에 있을 때는 정확한 지점에서 집행하여야 한다. 단, 수비팀의 프리드로 라인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는 정확한 지점에서 최대 3m 까지 떨어진 곳에서 집행이 허용된다.
최대라는 것은 반칙이 규칙 16:3e의 징계에 따른 것이라면 다음의 규칙 13:5를 위반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정확한 지점에서 드로를 집행하여야 한다.
13:7 공격팀 경기자가 볼을 손에 가진 채 드로를 할 수 있는 올바른 위치에 있는 이상 볼을 바닥에 내려 놓고 다시 집거나 튀긴 후 다시 잡아서는 안된다. (13:1a)
13:8 공격팀 경기자들은 프리드로가 시행되기 전에 상대팀 프리드로 라인을 닿거나 넘어서는 안된다. (15:1 참조)
프리드로 때 부정확한 위치가 경기에 영향을 주는 경우 레프리는 프리드로 라인과 골 에리어 라인 사이에 있는 공격자들의 위치를 바로잡아 주어야 한다. (15:1) 이때 프리드로는 심판의 휘슬로 집행한다.
레프리의 휘슬로 프리드로가 집행되는 경우, 프리드로를 하는 경기자의 손에서 볼이 떠나기 전에 공격팀 경기자들이 프리드로 라인을 밟거나 넘어가면 방어팀에 프리드로가 주어진다. (13:1a)
13:9 프리드로가 시행될 때 상대팀 경기자들은 프리드로를 하는 경기자로부터 3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단, 프리드로가 상대편 프리드로 라인에서 행해지는 경우, 방어자는 골 에리어 라인의 밖에 서 있어야 한다.
규칙 14 7m 드로
( 7m 드로의 정의 )
14:1 다음 경우에 7m 드로가 주어진다.
a) 경기장 어디에서든 상대팀의 선수나 임원에 의해 명백한 득점기회가 무산되는 경우
b) 명백한 득점기회에 부당하게 휘슬이 울렸을 경우
c) 경기에 참가자격이 없는 사람의 방해로 인해 명백한 득점기회가 무산되는 경우 (예외규정 9:1 해설 참조)
'명백한 득점기회'의 정의는 해설 8 참조
14:2 14:1a에서의 반칙에도 불구하고 공격자가 볼과 몸을 자유로이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7m드로가 주어지지 않는다.
7m 결정이 가능한 상황에서 레프리는 7m 드로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명확히 결정할 수 있을 때까지 판정을 항상 보류해야 한다. 방어자의 위반행위에도 불구하고 공격자가 득점을 하려 하는 과정이라면 분명하게 7m 드로를 줄 이유가 없다. 반대로 반칙으로 경기자가 볼을 빼앗기거나 몸을 유지할 수 없어 명백한 득점기회를 잃게되면 7m드로가 주어진다.
14:3 7m드로를 줄 때 레프리는 반드시 타임아웃을 선언한다. (2:8b)
( 7m드로의 집행 )
14:4 코트레프리의 휘슬 후 3초 이내에 골을 향해 슛을 던져야 한다. (13:1a)
14:5 7m드로를 하는 경기자는 볼이 손에서 떠나기 전에 7m라인을 밟거 나 넘어서선 안된다. (13:1a)
14:6 7m드로를 집행한 후 볼이 상대편이나 골에 맞기 전에 드로어나 같은 팀 경기자가 다시 볼을 잡아 경기를 다시 해선 안된다. (13:1a)
14:7 7m드로를 하는 경기자의 손에서 볼이 떠나기 전에 공격팀 경기자는 프리드로 라인 밖에 있어야 한다.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상대팀에 프리드로가 주어진다.
14:8 7m드로가 시행되는 동안 방어 경기자들은 7m라인에서 3m 이상 떨 어져 있어야 한다. 7m드로를 하는 경기자의 손에서 볼이 떠나기 전에 방어 경기자가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득점이 되지 않았다면 7m드로 를 다시 집행한다.
14:9 7m드로를 하는 경기자의 손에서 볼이 떠나기 전에 골키퍼가 제한라인(4m라인 1:7, 5:12)을 넘는 경우 득점이 되지 않았다면 7m드로를 다시 집행한다.
14:10 7m드로를 하는 경기자가 손에 볼을 가진 채 올바른 위치에서 7m드로를 시행할 준비가 되었을 때는 골키퍼를 교체할 수 없다. 이 상황에서 교대하려고 하면 비신사적행위로 간주되어 벌칙을 받는다. (8:4, 16:1d, 16:3c)
규칙 15 드로에 대한 일반적 사항
(드로오프, 드로인, 골드로, 프리드로, 7m드로) 15:1 드로가 집행되기 전에 볼은 드로를 집행할 경기자의 손에 있어야 한다.
모든 경기자는 해당 드로가 집행될 때 정해진 위치에 있어야 한다. 경기자들은 드로를 하는 경기자의 손에서 볼이 떠날 때까지 올바른 위치에 있어야 한다. (단, 10:3 2번째 문단은 예외)
경기자 위치가 잘못됐을 때는 바로잡아 주어야 한다. (단, 13:8 2번째 문단, 15:7 참조)
15:2 골드로를 제외한 드로가 집행될 때 드로를 하는 경기자는 한 발의 일부분을 계속 바닥에 대고 있어야 한다. (13:1a) 다른 발은 계속해서 들었다가 내려놓아도 무방하다.
15:3 다음의 경우 레프리는 휘슬을 불어 경기를 속개한다.
a) 드로오프(10:3)나 7m드로(14:4)의 경우
b) 드로인, 골드로, 프리드로의 경우
- 타임아웃 후 경기를 속개하는 경우
- 규칙 13:4에 의해 프리드로로 경기를 속개하는 경우
- 집행이 지연되는 경우
- 선수의 위치를 올바르게 시정한 경우
- 구두주의나 경고를 준 경우
드로를 하는 경기자는 휘슬 후 3초 이내에 집행하여야 한다. (13:1a)
15:4 드로는 드로를 하는 경기자의 손에서 볼이 떠났을 때 집행된 것으로 간주한다. (단, 12:2 참조)
드로를 집행하는 도중에 팀 동료에게 볼을 넘겨주거나 팀 동료가 볼을 만져서는 안된다. (13:1a)
15:5 드로를 집행하는 경기자는 볼이 다른 경기자나 골에 닿기 전에 볼에 다시 닿아선 안된다. (13:1a)
15:6 모든 드로는 직접 득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외로 골드로의 경우 자책골은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12:2)
15:7 즉시 드로를 집행함으로써 공격팀이 불리하게 되지 않는다면 드로오프, 드로인, 프리드로 시행에 관련해 방어 경기자의 위치가 잘못됐을 때 레프리가 정정해 주어선 안된다. 단, 공격팀에 불리한 상황이라면 잘못된 위치를 정정해 주어야 한다. (15:3b)
방어 경기자들의 위치가 잘못 됐는데도 레프리가 드로의 집행 휘슬을 불면 방어팀 경기자들은 드로의 집행을 방해할 수 있다.
상대팀 경기자가 드로를 시행할 때 너무 밀착해 있거나 기타 반칙행위를 통해 드로를 지연시키거나 방해하는 경기자는 경고를 받으며, 그러한 행위를 반복할 때는 퇴장당한다. (16:1c, 16:3f)
규칙 16 벌칙
( 경 고 )
16:1 다음 경우에는 경고를 받을 수 있다.
a) 규칙 8:3에 의해 가중처벌되는 상황이 아닌 상대팀 경기자에 대한 반칙과 유사한 위반행위(5:5, 8:2)
다음 경우에는 반드시 경고를 준다.
b) 가중처벌이 주어지는 반칙행위 (8:3)
c) 상대팀 경기자가 공식적인 드로를 집행하는 중에 범하는 반칙행위 (15:7)
d) 경기자나 임원이 비신사적행위를 범하는 경우 (8:4)
■ 해설 : 한 경기자에게 두 번 이상의 경고를 줄 수 없고, 한 팀에게 세 번 경고를 주되 그 이상 경고를 줄 수 없다. 이미 2분 퇴장을 받은 경기자에게는 경고를 줄 수 없다.
한 팀의 임원들에게 두 번 경고를 줄 수 없다.
16:2 레프리는 경고를 줄 때 반칙을 범한 경기자나 임원, 그리고 계시원/득점기록원에게 엘로 카드를 제시함으로써 이를 알린다. (제스츄어 13; 옐로 카드는 9×12cm 규격이어야 한다.)
( 퇴장 )
16:3 다음 경우에는 반드시 퇴장(2분)이 주어진다.
a) 경기장 부정 교대, 혹은 규칙을 위반하는 경기장 입장 (4:5-6)
b) 가중 처벌 대상이 되는 반칙행위를 거듭하는 경우 (8:3)
c) 경기장 내에서, 혹은 경기장 밖에서 비신사적행위를 거듭하는 경우 (8:4)
d) 팀의 임원이 규칙 16:1d(8:4)로 이전에 경고를 받은 후 팀의 임원 중 어느 하나라도 두번째로 비신사적행위를 하는 경우
e) 볼을 소유하고 있는 팀의 반칙으로 인해 상대팀에 프리드로가 결정되었을 때 볼을 바닥에 즉시 내려놓지 않는 경우 (13:5)
f) 상대팀 경기자가 드로를 집행할 때 반칙행위를 거듭하는 경우 (15:7)
g) 경기 중 경기자나 임원이 실격된 경우 (16:8 2번째 문단)
h) 2분 퇴장을 받은 경기자가 경기가 속개되기 전에 비신사적행위를 하는 경우 (16:12)
■ 해설 : 거듭된 반칙과 비신사적행위에 대해 퇴장이 주어지는 경향이 b), c), d)에 나와 있다 할지라도 레프리는 특별한 반칙행위에 대해서는 경기자가 이전에 경고를 받지않았거나, 혹은 팀에게 세 번의 경고가 주어지지 않았어도 바로 퇴장 명령을 내릴 권한이 있다.
16:3b에 따라 팀 임원에게 2분 퇴장이 선언되었을 때, 임원은 교대지역에 머무르며 직분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경기장에서 한 선수가 2분 동안 퇴장되어야 한다.
16:4 타임아웃을 선언한 후 레프리는 두 손가락을 편 채 한 팔을 들어올리는 제스츄어(제스츄어 14)를 통하여 해당 경기자와 계시원/득점기록원에게 퇴장을 명확히 알려야 한다.
16:5 2분 퇴장은 항상 경기시간 2분 동안이며, 동일 경기자가 세 번 거듭하여 퇴장당하면 실격된다. (16:6g)
퇴장당한 경기자는 퇴장시간 동안 경기에 참가할 수 없으며 소속팀은 다른 경기자로 교체할 수 없다.
퇴장시간은 레프리의 휘슬로 경기가 속개되는 시점부터 시작한다.
2분 퇴장이 전반전 종료까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반전에 들어가서 남은 시간을 채운다. 이는 정규 경기시간과 연장전 중에도 적용된다.
( 실격 )
16:6 다음 경우에는 반드시 실격을 준다.
a) 경기 참가자격이 없는 경기자가 경기장에 들어간 경우 (4:3)
b) 팀의 임원 한 명이 이전에 규칙 16:3d(8:4)로 2분 퇴장을 받은 후 팀의 임원 중 한 명이 다시 비사신적 행위를 한 경우
c) 상대편에게 위험한 행동을 가하는 행위 (8:5)
d) 경기장 내, 외에서 경기자나 임원이 심각한 비신사적행위를 하는 경우 (8:6)
e) 경기시간 외(예로 경기시작 전이나 중간휴식)에서 경기자의 폭행 (8:7, 16:13b,d)
f) 팀 임원의 폭행 (8:7)
g) 동일 경기자가 세 번째 퇴장당하는 경우 (16:5)
h) 중간휴식 시간 중에 경기자나 팀 임원이 거듭된 비신사적행위를 하는 경우 (16:13d)
16:7 레프리는 경기자나 팀 임원을 실격 조치할 때는 해당 경기자/임원과 계시원 및 득점기록원에게 레드 카드를 보여 이를 알려야 한다. (제스츄어 13, 레드카드의 규격은 9×12cm이다.)
16:8 경기자나 임원의 실격은 남은 경기시간 내내 적용된다. 실격당한 경기자나 임원은 경기장 및 교대지역을 즉시 떠나야 한다. 교대지역을 떠난다는 것은 해당 경기자나 임원이 어떤 형태로든 팀과 접촉할 수 없다는 것이다.
경기 중 경기자나 임원의 실격은 반드시 2분 퇴장을 동반한다. 이는 그 팀이 경기장에서의 경기력이 2분 퇴장(16:3g)에 의해 감소됨을 의미한다. 단, 경기자가 규칙 16:12에서 제시된 상황에서 실격되면 4분 동안 그 팀은 경기력이 감소된다.
실격조치로 인해 해당팀의 경기자나 임원의 수는 그 만큼 줄어들게 된다. (단 16:13b 예외) 단, 해당팀은 2분 퇴장 시간이 끝난 후 경기장 내 경기할 수 있는 자의 수를 늘려 원상대로 회복시킬 수 있다.
실격조치는 원칙적으로는 경기장에 남아있는 사람에게만 적용되며 레프리가 사실을 관찰하여 결정한다. 경기자나 임원의 폭행(16:6e-f)이나 해설 6의 a) 또는 b)에 속하는 심각한 비신사적행위(16:6d)로 인한 실격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기 외적인 실격이란 없어야 한다. 이런 실격은 경기보고서에 설명되어야 한다. (17:11)
[ 완전퇴장 ]
16:9 다음의 경우에는 완전퇴장이 주어진다.
경기자가 경기 도중이나 경기장 밖에서의 폭행행위를 한 경우 (규칙 16:13 첫번째 문단, 규칙 2:6 참조)
16:10 타임아웃 후에 레프리는 머리 위로 두 팔을 교차하여(제스츄어 15) 해당 경기자와 계시원/득점기록원에게 이를 명확히 알려야 한다.
16:11 완전퇴장은 남은 경기시간 내내 적용되며 해당 경기자의 소속팀은 남은 경기시간 동안 경기자 한 명이 줄어든 채로 경기를 계속하여야 한다.
완전퇴장 명령을 받은 경기자를 다른 경기자로 교체할 수 없고, 해당 경기자는 경기장과 교대지역을 즉시 떠나야 한다. 떠난 후에는 팀과 어떤 형태로도 접촉할 수 없다.
레프리는 완전퇴장에 대해 경기보고서를 제출하여 설명하여야 한다. (17:11)
같은 상황에서 한 가지 이상의 반칙
16:12 경기가 속개되기 전에 경기자나 팀 임원이 동시에 한 가지 이상의 반칙을 하거나 연속해서 반칙을 하는 경우 원칙적으로는 가장 심한 벌칙 하나만을 받는다. 이는 반칙행위가 폭력일 때도 마찬가지 이다.
단, 경기장에서 팀 경기력이 4분 동안 줄어들어야 하는 다음의 특정상황은 예외이다.
a) 2분 퇴장을 받았던 경기자가 경기가 속개되기 전에 비신사적행위를 하면 그 경기자에게 2분 퇴장이 추가로 주어진다. (16:3h) (추가 퇴장이 그 경기자의 세번째 퇴장이면 그 경기자는 실격된다.)
b) 직접 또는 세번째 퇴장으로 실격을 받은 경기자가 경기가 속개되기 전에 비신사적행위를 하면 4분 동안 경기자를 줄이기 위하여 그 팀에게 더 심한 벌칙이 주어진다.
c) 2분 퇴장을 받은 경기자가 경기가 속개되기 전에 심각한 비신사적행위를 한다면 그 경기자는 실격(16:6d)되며, 또한 4분 동안 경기자가 줄어들게 된다. (16:8 두번째 문단)
d) 직접 또는 세번째 퇴장으로 실격을 받은 경기자가 경기가 속개되기 전에 심각한 비신사적행위를 한다면 4분 동안 경기자를 줄이기 위하여 그 팀에게 더 심한 벌칙이 주어진다.
( 경기시간 외의 위반 )
16:13 규칙 16:1, 16:3, 16:6, 그리고 16:9의 상황은 일반적으로 경기시간 중에 일어난 것이다. 경기시간은 연장전과 타임아웃은 포함하지만 중간휴식은 포함되지 않는다. (2:8 참조)
비신사적행위, 심각한 비신사적행위 또는 경기자나 임원의 폭행이 발 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벌칙이 부과된다.
경기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
a) 비신사적행위의 경우 경고를 준다. (16:1d)
b) 심각한 비신사적행위 또는 폭행(16:6d-f)은 실격이 주어지지만 해당팀은 12명의 경기자와 4명의 임원으로 시작하는 것이 허용된다.
중간휴식 중 발생하는 경우
c) 비신사적행위의 경우 경고를 준다. (16:1d)
d) 비신사적행위를 거듭하거나 심각한 비신사적행위의 경우, 폭행의 경우(16:6b,d-f,h) 실격이 된다.; 거듭된 비신사적행위의 경우에는 경기시간 중에 적용하는 규칙(16:3c-d)과 별도로 한다.
중간휴식 중의 실격은 중간휴식 전과 같이 같은 수로 경기를 계속할 수 있다.
경기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
e) 보고서를 작성한다.
규칙 17 레프리
17:1 동등한 권한을 가진 두 명의 레프리가 경기를 총괄한다. 계시원과 득점기록원은 이들 레프리의 경기운영을 돕는다.
17:2 레프리는 경기자들이 경기장에 입장하는 순간부터 퇴장하는 순간까지 그들의 행동을 관리한다.
17:3 레프리는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경기장, 골, 볼을 세심하게 점검할 책임이 있다. 레프리는 경기에서 어느 볼을 사용할 지 결정한다.(규칙 1, 3:1)
레프리는 양팀이 적절한 유니폼을 착용하고 경기장에 임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득점기록표와 경기장 용품을 확인한다.
레프리는 교대 지역에 있는 경기자와 임원이 제한된 수를 넘지 않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각 팀 "책임 임원"의 신분과 참석여부를 확인한다. 어긋나는 일체의 상황을 바로 잡아야 한다. (4:1-2, 4:7-9)
17:4 레프리 중 한 명이 다른 레프리와 양팀 주장이 보는 앞에서 동전토스를 실시한다. (10:1)
17:5 경기시작 시 레프리 중 한 명이 드로오프를 시행하는 팀 뒤에서 '코트레프리'로서의 위치를 잡는다.
코트레프리는 드로오프 휘슬로 경기를 시작한다. (10:3)
다른 팀에 볼이 넘어가면 이 레프리는 수비를 하고 있는 팀의 외곽 골라인에 가서 위치를 잡는다.
다른 레프리는 다른 쪽 골 라인에서 '골레프리'로 시작하였다가 그 쪽 팀에게 볼이 넘어가면 '코트레프리'가 된다.
레프리는 경기 도중 때때로 서로 진영을 바꾸어야 한다.
17:6 경기는 원칙적으로 동등한 두 명의 레프리에 의해 진행된다.
두 레프리는 경기가 규칙에 따라 진행되는 지에 대해 연대책임이 있으며, 일체의 규칙 위반 행위에 대해 벌칙을 부과한다. (단, 규칙 13:2, 14:2 참조)
한 명의 레프리가 경기를 마칠 수 없는 경우, 다른 한 명이 혼자 경기를 끝까지 진행한다. (IHF나 대륙 대회에서는 적용가능한 규칙에 따라 조절한다.)
17:7 두 레프리가 반칙행위에 대해 휘슬을 불고 어느 팀에 벌칙을 줄 것인지에 대해서는 같은 의견이나 어떤 벌칙을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견해가 다를 때는 보다 무거운 벌칙을 적용한다.
17:8 두 레프리가 반칙행위에 대해 휘슬을 불거나 볼이 경기장 밖으로 나갔는데 어느 팀이 볼을 소유해야 할 지에 대해 견해 다를 때에는 서로가 협의 후 합의 판정을 내린다. 만일 합의 판정을 이끌어내지 못하면 코트레프리의 의견을 존중하게 된다.
타임아웃을 부른 다음, 레프리간에 협의에 따라 명확한 제스츄어를 하고 휘슬 후에 경기를 속개한다. (2:8f, 15:3b)
17:9 두 레프리는 득점기록을 책임진다.
또한 경고, 2분 퇴장, 실격, 완전 퇴장에 대해 메모를 한다.
17:10 두 레프리는 경기시간을 통제할 책임이 있다. 계시의 정확성에 조금이라도 의문이 있다면 레프리들이 합의 판정을 이끌어 낸다. (규칙 2:3 참조)
17:11 레프리는 경기가 끝난 후 득점기록표가 정확하게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책임진다.
완전퇴장(16:11)과 규칙 16:8 4번째 문단에서 제시하는 형태의 실격은 경기보고서에 소명하여야 한다.
17:12 사실에 대한 관측을 근거로 한 레프리의 결정은 최종적이다.
규정에 위배되는 레프리의 결정에 대해서만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경기 도중 "책임 임원"만이 레프리에게 항의할 수 있다.
17:13 레프리는 경기를 일시적으로, 혹은 영구 중단시킬 권한이 있다.
그러나 경기를 영구적으로 중단시킨다는 결정을 내리기 앞서 경기를 계속하려는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7:14 검은 색 유니폼은 레프리가 우선적으로 착용하도록 권장한다.
규칙 18 계시원과 득점기록원
18:1 원칙적으로 계시원은 경기시간, 타임아웃, 퇴장된 선수의 퇴장시간을 주로 관리한다.
득점기록원은 팀 명단, 득점기록표와 경기가 시작되고 난 후의 경기장 입장, 참가할 자격이 없는 경기자의 입장을 주로 관리한다.
다른 업무로 교대지역 내 벤치에 있는 경기자 및 임원의 수, 교대 경기자의 입장은 합동으로 관리한다.
일반적으로 계시원만이 필요한 상황에서 경기를 중단하여야 한다.
또한 위에서 제시한 관리사항 일 때 계시원/득점기록원의 중단에 관하여서는 해설 9를 참조
18:2 관중석 시계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특히 타임아웃 시 계시원은 지금까지 경기한 시간과 남은 시간을 양팀의 책임있는 임원에게 알려야 한다.
자동종료 신호를 울리는 관중석 시계가 없는 경우에는 계시원이 전, 후반전 종료 신호를 알려아 한다. (규칙 2:3)
2분 퇴장시간을 명시할 수 있는 시계가 없는 경우(IHF 대회 때는 최소한 팀당 3개), 계시원은 2분 퇴장 만료 시간과 퇴장경기자 번호를 적은 카드를 계시석 테이블 위에 올려 놓는다.
IHF 제스츄어
프리드로나 드로인이 선언되었을 때 레프리는 즉시 어느 방향으로 드로를 해야 하는 지 알려주어야 한다. (제스츄어 7 또는 9)
따라서 해당 반칙에 적용되고, 어떤 사람의 반칙인지를 적절한 제스츄어로 제시해야 한다. (제스츄어 13-15)
프리드로, 또는 7m드로 판정에 대해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정보를 주는데 적절한 제스츄어 1-6, 11 중 하나를 적용한다. (단, 제스츄어 11은 소극적플레이로 프리드로가 주어지는 상황에서 한다.)
제스츄어 12, 16과 17은 적용되는 상황에서는 필수이다.
제스츄어 8,10과 18은 레프리의 필요에 의해 사용된다.
( 수신호 목록 )
1. 라인크로스
2. 더블 드리블
3. 오버스탭, 오버타임
4. 홀딩과 푸싱
5. 학킹
6. 공격자 파울
7. 드로인
8. 골드로
9. 프리드로
10. 3m 아웃
11. 패시브 플레이
12. 골(득점)
13. 경고(엘로카드), 실격(레드카드)
14. 퇴장(2분)
15. 완전 퇴장
16. 타임 아웃
17. 타임 아웃 중 두 명(참가 자격이 있는)의 경기장 입장 허용
18. 패시브 플레이에 대한 경고
경기규칙집 해설
1. 종료 신호 후 프리드로의 시행
많은 경우, 경기시간이 끝난 후 프리드로를 집행하는 팀은 실제로는 득점을 시도하려고 하지 않는다. 이는 경기가 이미 확연히 갈렸거나 프리드로의 위치가 상대팀 골에서 너무 멀기 때문이다. 기술적으로 프리드로의 집행 규칙이 있을 지라도, 올바른 위치에 있는 경기자가 거의 볼을 바닥에 내려 놓거나 레프리에게 건네주려 하는 경우, 레프리는 좋은 판정을 보여야 하며 프리드로 집행을 고려하여야 한다.
팀이 명백히 득점을 올리려고 하는 경우, 레프리는 기회(아주 작은 확률이라도)를 주는 것과 괜히 시간만 소비하지 않도록 하는 진행을 균형있게 하여야 한다. 이것은 레프리가 프리드로의 집행을 지연하지 않기 위하여 양팀 선수들이 올바른 위치에서 빨리 집행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드로를 하는 팀의 경기자에게 한 선수만 볼을 쥐도록 권하여야 한다. 선수들이 교대를 하려고 하는 경우, 레프리는 교대자가 올바를 위치에 있을 때까지 집행 신호를 늦출 의무는 없다.
또한 레프리가 양팀의 반칙행위에 경계하여야 한다. 방어자의 악착 같은 방어는 처벌된다. (15:7, 16:1c, 16:3f) 공격자도 종종 집행 중에 반칙을 범한다. 예로, 휘슬을 울렸지만 드로가 집행되기 전에 프리드로 라인을 넘거나(13:8 3번째 문단), 드로를 하는 경기자가 드로 시 움직이거나 점프하는 경우이다. (15:2) 규정에 어긋난 득점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 타임아웃 (2:8)
타임아웃이 꼭 필요한 규칙 2:8에서 제시한 상황과는 별도로, 레프리는 다른 상황에서도 타임아웃의 필요여부에 따라 할 수 있다. 타임아웃이 꼭 필요하지는 않더라도 다음의 경우에는 주어지는 경향이 있다.
a) 외부의 영향이 있을 때, 예로 경기장을 닦아야 할 때
b) 선수가 부상당했을 때
c) 팀이 명백히 시간을 허비할 때, 예로 정상적인 드로의 집행을 지연하거나 경기자가 볼을 멀리 던지는 경우
d) 볼이 천정이나 경기장 위의 설치물에 닿고(13:4c) 프리드로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
이러한 상황과 다른 상황에서 타임아웃이 필요할 때 레프리는 타임아웃 없이 경기를 중단하는 것이 어느 한 팀에게 불이익이 되는 지 안되는 지 고려하여야 한다. 예로 한 팀이 경기 마지막에 큰 스코어차로 리드하고 있는 경우, 경기장을 닦기 위하여 타임아웃을 잡을 필요는 없다. 타임아웃이 없는 것이 불이익이 되는 팀이 이를 위해 경기를 지연하거나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 타임아웃을 잡을 이유는 없다.
부상으로 인한 중단시간을 측정하기는 어려우므로 타임아웃을 선언하는 것이 안전할 것이다. 거꾸로 경기장에서 볼이 막 벗어 낫다고 하여 레프리는 너무 빨리 타임아웃을 선언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경우에 볼이 되돌아 와 즉시 다시 경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시 볼이 되돌아 오지 않는 경우, 레프리는 불필요한 타임아웃을 잡지 않기 위해 예비볼을 재빨리 경기장에 투입(3:4)하는 것을 결정하여야 한다.
3. 팀 타임아웃 (2:10)
양 팀은 정규 경기시간의 전, 후반 각각 1분간의 팀 타임아웃을 요청할 권리가 있다(단, 연장전 제외).
팀 타임아웃을 원하는 팀은 팀 임원이 계시원의 테이블에 '그린 카드'를 제출한다. (그린 카드의 규격은 15×20cm 이며, "T"자가 있다.)
팀 타임아웃은 자기팀이 볼을 갖고 있을 때만 요청할 수 있다(경기중이나 중단 시). 계시원이 신호할 때 까지(그렇지 않은 경우 그린카드는 팀에게 반납된다) 그 팀이 볼의 소유권을 갖고 있으면 즉시 그 팀에게 팀 타임아웃이 주어진다.
이 때 계시원은 휘슬을 불어 경기를 중단한 후 타임아웃을 뜻하는 제스츄어 16를 하고 한 팔을 뻗어 팀 타임아웃을 요청한 팀을 가리킨다. (주변이 시끄러울 경우, 필요하다면 계시원은 일어서서 상황을 처리한다.) 그린카드를 사용할 때는 테이블 위에서 팀 타임아웃을 요청한 팀 쪽에 카드를 놓으며 타임아웃 동안 그대로 둔다.)
레프리가 타임아웃을 선언하면 계시원은 시계를 정지시키고, 별도의 시계를 작동하여 팀 타임아웃 시간을 잰다. 그리고 타임아웃을 요청한 팀과 시간을 득점기록표에 기록한다.
팀 타임아웃 도중 양팀 경기자와 임원들은 경기장 안이나 밖에서 교대지역과 수평선상에 있어야 한다. 레프리는 경기장 중앙에 있어야 하는데 두 명 중 한 명은 계시석으로 가서 간단하게 협의를 할 수도 있다.
팀 타임아웃 때 발생하는 반칙은 경기 도중 발생하는 반칙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한다. 관련 경기자가 경기장 안에 있든, 밖에 있든 상관없다.; 규칙 8:4, 16:3c에 의해 비신사적행위에 대한 2분퇴장 조치를 취할 수 있다.
50초가 지난 후 계시원은 경기가 10초 후에 재개될 것임을 알리는 신호를 한다.
팀은 팀 타임아웃이 끝날 때 경기를 속개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팀 타임아웃이 주어진 상황에 합당한 드로로 재개되며, 볼이 경기 중이었을 경우에는 경기가 중단 시점에서 볼이 있던 장소에서 프리드로로 재개된다.
레프리가 휘슬을 부는 것과 동시에 계시원은 시계를 작동시킨다.
4. 패시브 플레이 (7:10-11)
( 일반적인 사항 )
패시브 플레이의 규칙 적용은 공격적이지 않은 경기진행과 경기의 고의적인 지연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레프리가 경기를 통하여 일괄적으로 경기의 소극성을 판단하여야 한다.
경기의 소극적 방법은 팀의 공격 시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로, 시작단계나 마무리단계 중에 볼을 공격선상이 아닌 외곽으로 던질 때이다.
경기의 소극적 방식은 다음 상황에서 보다 자주 사용될 수 있다.
- 경기 막판에 근소한 차이로 앞서고 있을 때
- 선수가 2분퇴장 시
- 상대팀의 수비가 뛰어날 때
( 사전 경고 제스츄어의 이용 )
다음의 상황에서는 사전 경고 제스츄어가 주어진다.
1. 경기자 교대가 늦게 되거나 볼을 경기장에서 천천히 돌릴 때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 경기자 교대가 끝나기를 기다리며 경기자들이 경기장의 중앙주위에 서 있는 경우
- 경기자가 볼을 튀기며 계속 서있는 경우
- 상대팀이 압박을 가하지 않았는데도 자기편 진영으로 볼을 다시 던지는 경우
- 드로 오프나 다른 드로의 집행에서 지연하는 경우
2. 경기가 이미 시작된 후의 늦은 경기자 교대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 모든 경기자가 이미 공격위치를 잡고 있는 경우
- 팀이 준비된 소극적플레이로 공격을 시작할 경우
- 위 두 상황에 이르도록 팀이 경기자 교대를 하지 않는 경우
■ 해설: 팀이 자기팀 진영에서 빠른 역습을 시도했으나 상대팀 진영으로 넘어온 후 즉시 득점기회를 만들지 못했을 때는 빨리 경기자를 교대를 하여야 한다.
3. 지나치게 긴 시작단계 중
원칙적으로 목표하는 공격상황을 시작하기 위해 항상 준비된 패싱 플레이로 시작단계를 하여야 한다. 다음과 같이 지나치게 긴 시작단계가 나타난다.
- 팀의 공격이 어떤 목적된 공격행위가 되지 않는 경우 (부언: '목적된 공격행위'는 특별히 수비자들을 지나 공간적으로 유리함을 확보하려 움직이는 전술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공격 시작단계와 비교하여 공격페이스를 올리는 경우이다.)
- 경기자가 서있는 동안 계속해서 볼을 받거나 골에서 멀리 떨어져 움직이는 경우
- 서 있는 동안 계속해서 볼을 튀기는 행위
- 상대편과 맞섰을 때 공격자가 조급하게 도망가는 행위, 레프리가 경기를 중단시키기를 기다리는 행위, 또는 수비자들을 지나 어떤 공간적 유리함도 확보하지 못하는 행위
- 활발한 수비행위: 활발한 수비방법은 수비자가 볼의 움직임과 공격자의 움직임을 차단하여 페이스를 떨어뜨리는 것이다.
- 공격팀이 시작단계부터 마무리단계까지 페이스를 전혀 올리지 못하는 경우
4. 사전 경고 제스츄어가 보내진 후
사전 경고 제스츄어를 보낸 후 레프리는 최소 5초의 시작단계를 허용한다. (어린 경기자나 수준이 낮은 팀일수록 더 많은 시간을 준다.) 시작단계 후에도 페이스가 올라가지 않거나 목적된 공격행위가 없는 경우 레프리는 볼을 갖고 있는 팀에게 패시브 플레이에 의한 반칙을 선언한다.
(설명: 레프리는 공격팀이 슛을 시도하거나 상대편 골을 향해 움직일 때는 엄밀하게 패시브플레이를 선언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사전 경고 제스츄어를 하는 방법 )
레프리(코트레프리나 골레프리 모두)는 패시브 플레이 상황을 감지하면 손을 들고(제스츄어 18) 볼을 가진 팀이 득점을 시도하지 않아 판정을 내려 경기를 중단할 때까지 계속 손을 들고 있어야 한다. 또한 다른 레프리도 사전 경고 제스츄어를 보낸다. (레프리들은 팀 벤치에서 가장 가까운 손으로 신호를 해야 한다.)
볼을 가진 팀이 득점을 하려고 하지 않은 경우 레프리 중 한 명이 패시브 블레이 휘슬을 불고 상대팀에게 프리드로를 준다.
공격(팀이 볼을 소유하여 득점하거나 볼의 소유권을 잃어버릴 때까지) 중에 사전 경고 제스츄어는 한차례만 한다.
단, 사전 경고신호가 주어지고 난 후 처음으로 경기를 중단할 때, 레프리는 경기 속개 전에 다시 상기할 수 있도록 잠깐 사전 경고 제스츄어를 보여준다.
사전 경고 제스츄어가 보여진 후, 공격팀이 팀 타임아웃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팀 타임아웃이 끝나고 경기가 속개되었을 때 다시 사전 경고 제스츄어를 준다. 이는 경고가 유효함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5. 비신사적행위 (8:4, 16:1d)
비신사적행위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7m드로를 하는 경기자에게 고함을 지르는 행위
b) 경기가 잠시 중단되었을 때 볼을 멀리 차버려 상대팀 경기자가 드로를 즉시 집행할 수 없도록 하는 행위
c) 상대팀이나 같은 편 경기자에게 욕설을 하는 행위
d) 볼이 사이드 라인 밖으로 나갔는데도 경기자나 임원이 볼을 잡고 내놓지 않는 행위
e) 공식적인 드로의 시행을 지연시키는 행위
f) 상대편의 유니폼을 붙잡는 행위
g) 상대팀 경기자에게 7m드로가 선언되었는데도 골키퍼가 볼을 잡고 내놓지 않는 행위
h) 경기장에서 경기자가 발이나 무릎 아래로 계속해서 슛을 막는 행위
i) 수비팀 경기자가 자기편 골 에리어 안에 계속해서 들어가는 행위
j) 상대편 경기자가 반칙을 범했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려 하는 행위
6. 심각한 비신사적행위 (8:6, 16:6d)
심각한 비신사적행위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다른 사람(레프리, 계시원/득점기록원, 감독관, 팀 임원, 경기자, 관중 등)을 향해 하는 모욕 행위 (말, 안면 표현, 제스츄어, 신체접촉)
b) 레프리 판정이 있은 후 볼을 멀리 던지거나 밀어버리는 행위, 이때 볼이 너무 멀리 가버려 단순히 비신사적행위로만 볼 수 없는 경우
c) 상대편에게 7m드로가 주어져 이를 집행할 때 골키퍼가 너무 수동적인 태도를 보여 골을 막으려는 의향이 없다고 레프리가 판단하는 경우
d) 상대편 경기자에게 파울을 당한 후 그에 대해 복수하는 경우(상대 경기자를 되받아 치는 등의 행위)
e) 경기가 잠시 중단된 시간에 상대편 경기자에게 볼을 던졌는데 폭행이라고 간주하기 어려운 경우
7. 드로오프 (10:3)
규칙 10:3에 대한 번역을 돕기 위함이다. 레프리는 드로오프를 빨리 하여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이것은 레프리는 드로를 빨리 하는 것에 대해 너무 간섭하지 말아야 함을 뜻한다.
예로 레프리는 빨리 선수의 위치를 점검하기 위한 필기나 다른 작업을 해서는 안된다. 코트레프리는 드로를 하는 경기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을 때 바로 휘슬을 불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심판은 드로를 하는 경기자의 팀동료가 휘슬을 불자마자 센터 라인을 넘어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이것은 공식적인 드로 집행의 기본원칙의 예외이다.)
규칙에서는 드로를 하는 경기자가 센터 라인을 밟고 중앙에서 1.5m 내에서 하게 되어 있을 지라도 레프리는 허용폭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적용해서는 안된다. 중요한 점은 드로 오프의 시행 시 상대편에게 불공정하고 의심스러운 점을 없애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기장은 중앙점이 표기되어 있지 않고 심지어 어떤 경기장은 중앙에 광고로 인해 센터 라인이 중단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경우, 드로를 하는 경기자와 레프리 모두 분명히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지만 확인이 어려울 수도 있다.
8. '명확한 득점기회'의 정의 (14:1)
규칙 14:1을 위하여, '명확한 득점기회'란 다음과 같다.
(ⅰ) 정당한 방법으로는 슛을 막을 수 없는 상황에서, 이미 정상적으로 경기할 수 있는 경기자가 상대편의 골 에리어 라인에서 득점을 위해 슛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경우
(ⅱ) 상대편이 역공격을 막을 수 없는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경기할 수 있는 경기자가 볼을 드리블하여 상대편 골키퍼를 향해 단독으로 달리고 있는 경우
(ⅲ) 위의 (ⅰ), (ⅱ)의 상황에서 경기자가 아직 볼을 컨트롤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미 볼을 받을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정당한 방법으로는 상대편이 볼을 받지 못하도록 방해할 수 없다고 레프리가 확신하는 경우
(ⅳ) 골키퍼가 자신의 골 에리어를 떠났고, 정상적인 경기를 할 수 있는 상대편 경기자가 방해를 받지 않으면 비어 있는 골에 볼을 던져넣을 수 있는 경우; (이것은 수비수가 볼을 던지는 경기자와 골 중간에 있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단, 레프리가 이 경기자가 정당한 방법으로 방어할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9. 계시원에 의한 중단 (18:1)
계시원이 규칙 4:2-3, 5-6의 부정 교대 혹은 규칙을 위반하는 경기장 입장으로 인해 경기를 중단하는 경우에 경기는 위반한 장소에서 상대팀의 프리드로로 속개된다. 단, 볼이 위반했을 때 상대편에게 더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면 그 장소에서 프리드로를 집행한다. (규칙 13:6 3,4번째 문단 참조)
이러한 위반의 경우, 규칙 13:2와 14:2의 '어드밴테이지 규칙'과 관계없이 계시원은 즉시 경기를 중단시켜야 한다. 수비하는 팀에서 위반하였을 때, 이로 인하여 경기가 중단되어 명백한 득점기회가 없어지는 경우에는 규칙 14;1a에 따라 7m드로가 주어진다.
레프리가 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하는 다른 형태의 위반일 경우, 계시원은 일반적으로 경기가 다음 번에 중단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시원이 경기를 중단하였다면 이로 인해 볼의 소유권을 잃게 할 수는 없다. 경기가 중단 된 시점에서 볼을 가지고 있던 팀에게 프리드로로 경기가 속개된다. 단, 방어하는 팀에서 위반하여 경기가 중단되었고, 레프리가 명백한 득점기회를 없애는 성급한 중단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규칙 14:1b에서 유추하여 7m드로가 주어져야 한다. 일반적 원칙으로서, 계시원/득점기록원에 의해 관찰되고 보고된 위반(규칙 4:2-3, 5-6의 상황은 제외)은 개인 징계가 되지 않는다.
위의 2번째 문단에서 나타나 있듯이 규칙 14:1a와 관련하여 7m드로가 주어지는 규정은 또한 볼을 가진 팀이 명백한 득점기회가 있을 때, 레프리나 기술감독관(IHF 또는 대륙, 국가연맹)의 방어하는 팀의 경기자나 임원에 대해 구두경고나 징벌로 인해 경기의 중단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교대지역에 관한 규정
1. 교대 지역은 센터라인의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하며 사이드 라인 바깥쪽으로 팀 벤치의 끝까지 그릴 수 있다. 공간이 더 있다면 팀 벤치 뒤에까지 이어서 그릴 수 있다. (경기규칙집: 그림 1)
팀 벤치의 IHF와 대륙연맹 대회 규정은 센터라인에서 3.5m 거리에서 시작하여야 한다. 이는 또한 다른 모든 수준의 경기에도 권장된다.
교대석 앞에 있는 사이드 라인에는 어떠한 물건도 놓아선 안된다.(센터라인으로부터 최소한 8m 거리)
2. 득점기록지에 등재된 경기자와 임원만이 교대 지역에 있을 수 있다.(규칙 4:1-2)
통역이 필요한 경우 통역사의 위치는 팀 벤치 뒤이다.
3. 교대 지역에 있는 임원은 스포츠웨어나 사복차림이어야 한다.
4. 계시원과 득점기록원은 경기 이전 및 경기 도중에 레프리를 도와 교대 지역에 관한 규정이 준수되고 있는지 여부를 관리해야 한다.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교대지역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그것이 시정될 때까지 경기는 시작되지 않는다. 경기 도중에 교대지역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에도 그것이 시정되기 전까지 경기를 속개하지 않는다.
5.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팀의 임원들은 경기 규칙의 테두리 안에서 공정한 스포츠 정신에 입각해 팀을 지도하고 관리할 책임과 의무를 갖는다. 원칙적으로 팀의 임원들은 교대 지역 내의 팀 벤치에 착석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특별히 다음 경우에는 교대 지역 내에서 움직이는 것이 허용된다.
- 경기자 교대를 관리한다.
- 경기장 및 벤치에 있는 경기자들에게 작전지시를 한다.
- 부상경기자를 치료한다.
- 팀 타임아웃을 요청한다.
- 계시원/득점기록원과 대화를 한다. 단, 이는 특별한 경우에 "책임 임원"에게만 적용된다. (규칙 4:2 참조)
원칙적으로 교대지역에 있는 경기자들은 팀 벤치에 착석해 있어야 한다.
단, 다음 경우에는 팀 임원이나 교대 경기자들에게 허용된다.
- 볼을 갖지 않은 상태에서 몸을 풀기 위해 벤치 뒤에서 몸을 움직인다. 단, 벤치 뒤에 충분한 공간이 있으며 경기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다음 경우는 경기자들에게 허용되지 않는다.
- 선동적이나 항의하는 태도, 기타 비신사적 행위(말이나 표정, 몸짓)을 통해 레프리, 계시원/득점기록원, 경기자, 팀의 임원, 관중을 방해하거나 모욕하는 행위
- 교대 지역을 벗어나 경기에 영향을 주는 행위
- 몸을 풀면서 교대지역을 벗어나 서 있거나 움직이는 행위
6. 교대 지역에 관한 규정을 어긴 경우, 레프리는 규칙 16:1d, 16:3c-d 또는 16:6 b,d,g에 의거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경고나 퇴장, 실격)
7. 레프리가 교대 지역에서의 반칙을 적발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다음 번 경기 중단 시 계시원/득점기록원이 그 사실을 레프리에게 알려야 한다.
경기를 감독하는 IHF나 대륙연맹의 기술감독관은 (다음 번 경기 중단 시) 교대 지역 규정에 대한 반칙행위 여부에 대해 레프리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단, 사실 관측을 토대로 한 레프리의 판단으로 결정한 내용은 예외다.)
그러한 경우 경기 상황에 걸맞은 적절한 드로를 통해 경기를 속개한다.
그러나 IHF나 대륙연맹의 전문위원이 어느 팀의 반칙 행위로 인해 경기를 즉시 중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대팀에게 볼 소유권을 넘김으로써 경기를 속개한다. (프리드로 또는 명백한 득점기회일 때는 7m드로)
반칙을 범한 경기자나 임원은 레프리에 의해 징계를 받는다. 상세한 사항은 득점기록지에 기록한다.
8. 두 레프리가 교대 지역에 관한 규정이 위반된 것을 알면서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 IHF나 대륙연맹의 기술감독관은 해당 기관에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이 해당 상급기관(예로, 징계위원회)은 당시 상황에서의 레프리들의 태도에 대해 최종 판결을 내린다.
세계선수권전 순위결정
1. 예선 본선 및 순위결정전
1-1 예선 및 순위결정권은 연장 없이 경기 중반에 10분 휴식과 전후반 각각 30분씩 경기한다. 평가방식은 아래와 같다.
승 … 2점 , 패 … 0점
1-2 등위결정은 1개 경기가 획득한 점수를 집계해서 결정한다.
1-3-1 만일 두 팀 이상이 승점이 같을 겨우 다음과 같이 순위를 결정한다.
a) 승점이 같은 팀만의 전적
b) 골득실차
c) 다득점순
1-3-2 순위 결정이 여전히 불가능할 경우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 전경기에서의 골득실 - 전경기에서의 다득점순 1-3-3 여전히 순위 결정이 어려운 팀 대표자들의 입회아래 국제연맹 대표가 추천을 하여 결 정한다.
2. 결승전에서의 순위결정
2-1 결승전에서 무승부인 경우 5분 휴식 뒤에 첫 연장전을 진영을 교체하면서 중간휴식 없 이 각각 5분간씩 경기를 한다.
2-3 두 번째 연장전 이후에도 계속 승부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페널티드로 결정한다.
2-3-1 페널티드로를 실시할 경우 각 팀은 5명의 선수를 지명 상대팀과 번갈아가면서 실시 한다. 해당 선수들의 성명과 번호를 레프리에게 제출해야 한다.
5명의 선수는 순서에 따라 페널티드로를 실시한다.
2-3-2 골키퍼는 임의로 설정하고 바꿀 수 있다.
2-3-3 골대 사용결정은 토스로서 레프리가 결정한다.
2-3-4 첫번째 페널티드로 실시 후에도 승부가 결정나지 않을 경우(같은 5명의 선수이거나 바꿔진 선수)승부가 날 때까지의 의미는: 1) 예를 들어 먼저 던져진 팀에서 득점에 실패 할 경우 상대팀이 득점하면 그 팀이 승리하며 2) 먼저 던져진 팀에서 득점을 하고 나중 의 상대팀이 실패하면 먼저 던져진 팀이 승리한다는 의미이다.
2-3-5 퇴장 및 실격된 선수는 페널티드로를 할 수 없다.
2-3-6 페널티드로시 선수가 불미스런 행동을 취할 경우 예외 없이 실격처분을 받는다. 만일 던지는 선수가 실격이나 부상을 당했을 경우 유자격 후보선수를 대체 선정할 수 있다.
2-3-7 페널티드로가 실시되는 동안은 다만 드로하는 선수와 방어하는 골키퍼 그리고 레프리 만이 코트에 있을 수 있다.
송구/규칙/반칙행위
1207
2791
2005-05-10T09:49:42Z
대한민국
15
== 2분 퇴장 ==
다음 경우에는 반드시 2분 퇴장 조치를 받는다.
* 경기자 부정 교대, 혹은 규칙을 위반하는 경기장 입장
* "상대팀 경기자에 대한 공격 및 수비행위"에 관련해 가중 벌칙 대상이 되는 반칙행위를 거듭하는 경우
* 경기장 내에서, 혹은 타임아웃시 경기장 밖에서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를 거듭하는 경우
* 볼을 갖고 있는 팀의 반칙으로 인해 상대팀 볼로 판정 됐는데도 볼을 가 진 선수가 볼을 바닥에 내려놓지 않는 경우
* 상대팀 경기자가 공식적인 드로를 시행할 때 반칙행위를 거듭하는 경우 - 경기자나 임원이 실격된 경우
예외적인 상황하에서는 사전 경고 없이 바로 2분 퇴장을 시킬 수 있 다.
레프리는 퇴장 명령을 내릴 때 규정된 바와 같이 두 손가락을 편 채 한 팔 을 올리는 제스츄어를 통해 해당 경기자와 계시원 및 득점기록원에게 이를 분명하게 알려야 한다.
이때 2분 퇴장은 항상 경기 시간 2분을 뜻한다.
동일 경기자가 세번 거듭 퇴장당하면 실격된다.
퇴장당한 경기자는 퇴장시간 동안 경기에 참가할 수 없으며 소속팀은 다른 경기자로 교대할 수 없다.
퇴장시간은 레프리의 휫슬로 경기가 속개되는 시점부터 시작된다.
한 경기자의 2분 퇴장시간이 전반전 종료까지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후 반전에 들어가서 남은 시간을 채운다. 이는 정규경기시간과 연장전사이, 그리고 연장전 시간 중에도 적용된다.
== 경고 ==
다음 경우에는 경고를 받을 수 있다.
*"상대팀 경기자에 대한 공격 및 방어행위"에 관련된 반칙 행위
다음 경우에는 반드시 경고를 받는다.
* "상대팀 경기자에 대한 공격 및 방어행위"에 관련해 가중 처벌이 주어지 는 반칙
* 상대팀 경기자가 공식적인 드로를 시행하는 도중에 범하는 반칙 행위
* 경기자나 임원이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를 범하는 경우
레프리는 경고를 줄 때 반칙을 범한 경기자나 임원, 그리고 계시원 및 득 점기록원에게 옐로 카드를 제시함으로써 이를 알린다.
* 주의: 옐로카드는 9 * 12cm 규격이어야 한다.
한경기자에게 두 번 경고를 줄 수 없고, 한 팀에게 세 번 경고를 주되 그 이상 경고는 줄 수 없다. 이미 2분 퇴장명령을 받은 경기자에게는 경고를 줄 수 없다.
한 팀의 임원들에게 두 번 경고를 줄 수 없다.
== 실격 ==
다음 경우에는 반드시 실격당한다.
* 경기 참가 자격이 없는 경기자가 경기장에 들어간 경우
* "상대팀 경기자에 대한 공격 및 수비행위"에 관련해 중대한 반칙을 범한 경우
* 팀의 임원이나 경기장 밖에 있는 경기자가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 를 거듭하는 경우
* 경기자나 임원이 스포츠 정신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를 범한 경우
* 동일 경기자가 세 번째 퇴장당하는 경우
* 임원의 폭행
경기 중 경기자나 임원의 실격은 반드시 2분 퇴장을 동반한다. 다시 말해 서 해당팀의 경기자 한명을 2분 동안 퇴장시켜야 한다는 뜻이다.
레프리는 경기자나 임원을 실격 조치할 때는 해당 경기자/임원과 계시원 및 득점기록원에게 레드카드를 들어 보여 이를 알려야 한다.
경기자나 임원의 실격은 남은 경기시간 내내 적용된다. 실격당한 경기자나 임원은 경기장 및 교대지역을 즉시 떠나야 한다. 교대 지역을 떠난다는 것 은 해당 경기자나 임원이 소속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떤 위치에도 있 을 수 없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실격조치로 인해 해당팀이 동원할 수 있는 경기자나 임원의 수는 줄어들게 된다. 단, 해당팀은 2분 퇴장 시간이 끝난 후 경기장 내 경기자의 수를 늘 려 원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 주의: 레드카드의 규격은 9 * 12cm 이다.
== 완전퇴장 ==
다음 경우에는 완전히 퇴장당한다.
경기 도중이나 경기장 밖에서 폭행 행위가 발생한 경우
* 주의: 폭행이란 타인(경기자, 레프리, 계시원, 득점기록원, 임원, 관중) 의 신체에 대해 고의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행사하는 행위를 뜻한다.
본 규정의 취지에 따라 타인에게 침을 뱉는 행위도 폭행으로 간주된 다.
레프리는 완전퇴장 명령을 내릴 때 "타임아웃"을 선언하고 해당 경기자와 계시원 및 득점기록원에게 이를 직접 알린다.
완전퇴장을 뜻하는 레프리의 제스츄어는 해당 경기자 앞에서 두 팔을 얼굴 높이에서 교차시키는 것이다.
완전퇴장은 남은 경기시간 내내 적용되며 해당 경기자의 소속팀은 남은 경 기시간 동안 경기자 한 명이 줄어든 채로 경기를 진행해야 한다.
완전퇴장 명령을 받은 경기자를 다른 경기자로 교체할 수 없고, 해당 경기 자는 경기장과 교대 지역을 즉시 떠나야 한다.
== 기타 ==
2분 퇴장 명령을 받은 경기자가 경기가 속개되기 전에 또 다른 반칙을 범 하는 경우, 해당 벌칙 중 중한 벌칙을 부과한다.
골키퍼가 2분 퇴장이나 완전 퇴장, 혹은 실격 조치를 받는 경우 다른 경기 자가 골키퍼 포지션을 대신한다.
레프리는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경기장 안팎 어 디서 발생했든 간에 반칙을 범한 경기자에게 경고를 준다.
그러한 반칙을 거듭하는 경우, 경기장 안에 있는 경기자는 2분 퇴장당하 고, 경기장 밖에 잇는 경기자(교대경기자나 퇴장경기자)는 실격당한 다.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를 범한 임원은 경고를 받는다. 그러한 행위 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실격된다.
경기가 중단된 상태에서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나 폭행이 발생하는 경우, 경기가 중단된 원인에 상응하는 방법으로 경기를 속개한다.
정당한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언행은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동으로 간주된다.
임원이 레프리의 허락 없이 경기장에 들어오면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혹은 스포츠 정신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로 벌칙을 받는다.
경기자나 임원이 여러 가지 규칙위반 행위(반칙,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동, 폭행 등)을 범하는 경우, 가장 심한 벌칙 하나만을 받는다.
경기장에서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동이나 폭행이 발생하는 경우, 다음 과 같은 벌칙이 부과된다.
경기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
*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동의 경우, 경고를 준다.
* 스포츠 정신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동이나 폭행이 발생하면 실격 조치 를 취하나, 해당팀은 12명의 경기자를 재구성하는 것이 허용된다.
중간휴식 중 발생하는 경우
*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동의 경우, 경고를 준다.
*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동을 거듭하거나 스포츠 정신을 심각하게 훼 손하는 행동을 범한 경우, 혹은 폭력행위를 범한 경우, 실격 조치를 취한다.
경기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
* 보고서를 작성한다.
영어 입문
1208
6607
2007-01-04T03:26:41Z
151.196.23.67
/* 꼭알아야 할 영어 알파벳 */
영어는 거의 모든 나라에서 사용되는 국제적인 언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취직에 영어는 중요한 결정요소일 뿐만아니라 많은 학교와 시험에도 많이 필요합니다.(토익) 이런 영어를 배워보자.
== 꼭알아야 할 영어 알파벳 ==
영어는 총 26자입니다. 대문자와 소문자 그리고 필기체가 있습니다.
(대문자/소문자)
*A / a
*B / b
*C / c
*D / d
*E / e
*F / f
*G / g
*H / h
*I / i
*J / j
*K / k
*L / l
*M / m
*N / n
*O / o
*P / p
*Q / q
*R / r
*S / s
*T / t
*U / u
*V / v
*W / w
*X / x
*Z / z
대문자는 주로 문장 앞이나 약자또는 이름등의 고유명사에 붙입니다. 나머지는 소문자입니다.
'''예'''
* ''I'' have book -문장앞에의 예
* It is ''Internet'' -고유명사의 예
''고유명사란 이름과 작품또는 상표등을 말합니다.''
== 문법 ==
*[[영어 입문/영어의 현재형|현재형]]
Wikibooks:FAQ/구조
1209
3892
2005-09-14T17:44:32Z
아흔
9
rev.
{{위키책_도움말}}
-> [[Wikibooks:FAQ/소개|FAQ/소개]]
=== 로그인은 왜 하는가? ===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은 누구나 참여하여 글을 쓰고, 수록된 글을 바로 잡으며 그리고 보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에 필요한 몇몇 가지 안내와 주의 사항을 미리 알아야 하며 또한 기본 예의를 갖추어야 하는 것은 말할 여지가 없습니다. 누구나 아무 제한 없이 시간 나는대로 위키책에 참여할 수도 있지만, 이보다 더 바람직한 길로는 위키책에 등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한국어 위키책에서 이미 활동하고 있는 여러 사용자들과 미흡하나마 의견 교환을 나누고 그리고 모르는 부분들은 상의하여 익힐 수 있습니다.
: 등록을 하여 위키책에 들어오면 자신의 아이피 주소(IP) 대신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름으로 몇몇 가지 편의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바로 아래 글 참조). 등록을 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대문 화면에 오른쪽 맨 위에 있는 [[Special:Userlogin|로그인]] 이라는 단추를 누르면 로그인 페이지가 열립니다. 이 페이지는 이미 등록된 사용자가 로그인 하는데 사용될 뿐만이 아니라, 처음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분을 위해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등록에 따른 개인 정보는 비밀로 보장됩니다. 물론 등록을 하게되면 로그인 할 때 마다 사용자의 컴퓨터에 브라우저의 유연성을 위하여 위키책의 쿠키가 설치됩니다.
* 첫 등록에서 써넣어야 할 점은 두 가지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세 가지 입니다.
*# '''사용자 이름'''
*# '''자신의 암호'''
*# '''이메일 주소''' (기재 자유).
=== 사용자 이름은? ===
: '''사용자'''란 영어의 '''User'''를 직역한 낱말로서 위키책에 등록된 사람을 일컫습니다. 사용자 이름은 처음 등록할 때 사용자 이름 칸에 써 넣게 됩니다. 이 이름은 앞으로 위키책에서 활동하면서 이른바 자신의 명함 구실을 하게되며, 한국어 위키책의 [[Special:Listusers|사용자 명단]]에 올라가게 됩니다.
* 사용자 이름은 한글이나 영어 또는 숫자 등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한 번 등록된 사용자 이름은 바꾸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잘 생각하여 정하시기 바랍니다. 참여자께서는 사용자이름으로 가명을 써서 등록하거나 혹은 자신의 실제 이름을 써도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 만일 등록된 사용자가 다른 언어 위키책에서 활동하고자 할 때에는 그 곳에서 처음 등록할 때 역시 같은 사용자 이름으로 등록하기를 권장합니다.
=== 개인맞춤이란? ===
: 등록된 사용자는 위키책에서 활동하면서 암호를 바꾸거나, 특히 [[Wikibooks:편집창|편집창]]의 구조 그리고 주시문서 등의 규정을 나름대로의 편의에 따라 미리 정할 수 있습니다. 이 지정 절차는 [[Special:Preferences|개인맞춤]]이라는 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 개인맞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Wikibooks:개인맞춤|여기]]을 읽어 보시기를...
=== 사용자 페이지와 토론 페이지란? ===
: 등록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이름 하에 "사용자 페이지"와 "사용자 토론페이지"라는 두 종류의 문서를 얻게 됩니다.
:'''1. 사용자 페이지'''
:* 사용자 페이지는 자신을 소개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며, 이 문서의 편집은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맡겨지는 개인 페이지입니다. 여기에 자신의 관심 분야, 취미 등의 자기 소개를 하는 곳이므로 그림이나 사진을 끼워 넣어 보기 좋게 꾸밀 수도 있습니다.
:'''2. 사용자 토론페이지'''
:* 사용자 토론페이지는 사용자 개인페이지와는 달리 다른 사용자에게 개방된 페이지입니다: 물론 개인맞춤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토론 페이지를 열어 놓을 수도 있으며 혹은 이를 폐쇄시킬 수도 있습니다. 개방된 토론 페이지에서는 참여자는 해당 사용자와 어려운 사항이나 시비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토론 페이지에 다른 참여자가 토론 글을 썼을 경우 그리고 온라인으로 로그인 하고 있을 경우에는 곧바로 화면에 새전문이 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토론 페이지란 무엇인가? ===
: 위키책에서는 참여자가 대개의 경우 서로 모르기 때문에 작성한 문서의 내용과 관련하여 오해나 혹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점들이 종종 있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사용자들은 이야기를 서로 나눔으로서 풀 수 있습니다. 위키책의 모든 문서는 문서에 딸린 토론페이지를 갖고 있습니다. 토론은
:# 문서에 딸린 토론페이지에서 하시거나,
:# 사용자 토론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 화면의 위에 있는 '''토론''' 혹은 '''토론 페이지'''라는 단추를 누르면 토론 페이지가 열립니다.
==== 문서에 관한 토론 ====
: 다른 참여자가 쓴 완결된 또는 집필중인 문서에 이의가 있거나 혹은 '''대폭수정'''을 가하고자 할 때에는 미리 해당문서의 토론 페이지에서 글을 쓰고 있는 참여자와 의견을 서로 나누어 이른바 편집싸움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자기가 쓴 문서가 다른 사람에 의해 자신의 의도와 달리 변경되었을 때에는 여기에 따른 이유를 되돌려 물을 수 있습니다.
==== 다른 사용자와 토론 ====
: 다른 사용자와 의견 교환이나 알고 지내고 싶을 때에는 그 사용자의 토론 페이지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를 쓰면됩니다. 이 때에는 누가 글을 남겼는지를 알리기 위하여 글 끝에 언제나 사인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사인은 간단히 [[Wikibooks:편집창|편집창]]위에 있는 끝에서 두번째 단추를 누르던가 아니면 물결부호 네 개를(<font color="#197D19"><b><nowiki>~~~~</nowiki></b></font>) 글 마지막에 붙이면 문서 저장과 함께 자동적으로 날자와 더불어 자신의 서명이 쓰여지게됩니다.
: 한국어 위키책의 토론에서 참여자가 지켜야 할 몇몇 가지 주의 사항은 [[Wikibooks: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여기]]를 읽어 보시기를 ...
=== 최근바뀜이란 무엇인가? ===
: '''최근바뀜'''이란 위키책에 들어있는 모든 문서와 관련된 변경사항을 날짜와 시간에 따라 기록해 나가는 일종의 위키책의 서버의 일지입니다. 그러므로 최근바뀜을 통해서 그동안 위키책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참여자는 어떤 새문서가 올려졌는지, 어떤 문서가 누구에 의해 그리고 언제 수정되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때로 위키책에 관한 새소식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바뀜을 살펴보는 일은 위키책에 참여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일입니다. 심지어 다른 위키책의 최근바뀜도 최근바뀜 페이지의 위에 있는 외국어판을 통해 해 볼 수 있습니다.
:* 한꺼번에 볼 수 있는 바뀐 문서의 수는 50개가 기본이지만, 등록된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맞춤 페이지에서 그 숫자를 자유로이 정할 수 있습니다.
=== 주시문서란 무엇인가? ===
: '''주시문서 목록'''은 [[#로그인은 왜 하는가?|등록된 사용자]]만이 할 수 있는 위키책의 기능입니다. 등록된 사용자는 매번 문서를 편집할 때 마다 [[Wikibooks:편집창|편집창]]의 바꾼 내용 간추리기 밑에 있는 '''이 문서 주시'''라는 칸을 눌러서 자신의 주시문서 목록에 넣어 둠으로서 나중에 자기가 쓴 또는 관심을 둔 문서가 바뀌는 것을 한 눈에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개인맞춤 난에서 자신이 편집하는 문서들을 미리 주시문서로 정하면 '''이 문서 주시'''라는 칸이 언제나 첵크되게 됩니다.
=== 내가 쓴 글이란? ===
: 등록된 사용자 그리고 심지어 아이피 사용자는 자신이 위키책에 무엇을 기여하였는지 '''내가 쓴 글'''을 눌러 한 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내가 쓴 글에는 물론 새로 쓴 문서뿐만 아니라 자신이 한 크고 작은 수정들이 낱낱이 기록됩니다. 특히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를 저지르는 아이피 사용자의 행태를 여기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문서역사를 왜 살펴보는가? ===
: 위키책에 수록된 모든 문서는 고쳐질 때마다 언제나 그 고쳐진 내용, 고친 일자 그리고 고친 사람의 이름이 위키책의 Mirror-System-Computer에 의해 영구적으로 기록 보존됩니다. 이는 문서가 멋대로 훼손되는 폐단을 방지하고 그리고 가끔 실수로 삭제되거나 실종되는 불상사를 막기위한 예방조치입니다. 이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벗어나서 문서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서 다른 한편으로는 문서의 질적 향상을 추적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문서를 기고한 사람의 노력을 살펴보는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때문에 경험이 아직 많지 않은 사용자나 참여자는 문서를 처음 쓰거나 혹은 다른 문서를 수정할 때에는 이 점을 항상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 문서역사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Wikibooks:문서역사|여기]]를 읽어 보시기를...
=== 그림 및 음악은 어떻게 올리는가? ===
: 위키책에서는 '''오직''' 등록된 사용자만이 그림을 올릴('''Upload''') 수 있습니다. 자신이 직접 찍은 사진 또는 만든 그래픽이 아니면 올리고자 하는 그림이 [[Wikibooks:저작권|저작권]]에 저해가 되는지의 여부를 주의깊게 살펴 보아야 합니다. 다른 위키책에 올려진 그림을 빌어 올 때에도 한 번 그림의 출처를 살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위키책에서 올려진 그림이 [[Wikibooks:관리자|관리자]]에 의해서 저작권에 관한 검토가 안되는 경우가 흔히 있기 때문입니다.
:그림 올리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Wikibooks:그림 올리기|여기]]를 읽어 보시기를...
[[Category:위키책]]
축구/트래핑
1210
2794
2005-05-11T09:28:16Z
대한민국
15
스토핑이라고도 한다. 날아오거나 굴러오는 공을 손과 발을 제외한 가슴, 허벅지, 배, 등의 신체 부위를 이용해 정지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 요령 ==
인사이드 킥과 같이 발끝을 위로 올려 발목을 고정시킨다. 튀어오른 공에 발 안쪽을 접촉시켜 볼을 정지하거나 컨트롤한다.
== 종류 ==
=== 발등 ===
공을 응시하며, 디딤발과 차는발의 각도를 90˚로 유지한다. 공이 발등에 닿을 때 공이 튕겨 나가지 않게 발등에 얹듯이 발을 뒤로 뺀 후 다음 동작으로 연결한다. 발등으로 공을 잡는다는 생각을 가지고 트래핑 한다.
=== 발 안쪽 ===
인사이드 킥과 같이 발끝을 위로 올려 발목을 고정시킨다. 튀어오른 공에 발 안쪽을 접촉시켜 볼을 정지하거나 컨트롤한다.
=== 발 바닥 ===
공중에서 정면으로 낙하하는 볼이 지면에 닿아 다시 튀어 오르는 순간, 발바닥을 볼에 가볍게 올려놓고 볼을 잡는다.
=== 허벅지 ===
무릎 높이 또는 허리 높이로 날아오는 공을 무릎쪽보다 윗쪽 근육부분으로 트래핑을 해 공의 힘을 줄인 후 패스 또는 슛 동작으로 연결한다. 이때는 허벅지의 측면이 아니고 앞쪽으로 트래핑해야 한다.
=== 가슴 ===
가슴의 가장 중앙 부분으로 한다. 양발을 앞뒤로 벌리고 무릎을 약간 굽혀 유연한 자세를 취한다. 볼이 가슴에 닿는 순간, 가슴과 무릎을 펴 상체를 위로 올려 볼의 스피드를 약화시킨 후 발앞에 떨어뜨리고 다음 동작으로 연결한다.
Wikibooks:문서 옮기기
1211
edit=sysop:move=sysop
6550
2007-01-03T15:55:41Z
아흔
9
보호시킴 "[[Wikibooks:문서 옮기기]]": basisc [edit=sysop:move=sysop]
{{위키책_도움말}}
== 문서 옮기기를 하는 까닭 ==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는 그 내용에 알맞은 제목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때에 따라서는 만들어진 문서의 제목을 아래에 들은 여러가지 이유에서 다른 적절한 제목으로 옮기는 것이 필요하게 됩니다.
* 넘겨주는 문서의 제목을 한글 표기법에 따라서, 이를테면 '한국어입문'이라는 제목을 '한국어 입문'으로 띄어쓰기 한 제목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 여기서 참여자께서는 문서의 제목이 꼭 띄어쓰기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경우에만 옮기기를 하시기 부탁드립니다. 복합 한자어로 된 긴 제목을 굳이 띄어쓰기 하는 것이 때에 따라서는 오히려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 옮기고자 하는 문서의 제목이 외국어의 한글 표기인 경우 일반적으로 쓰이는 표기에 따라서 문서의 이름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Wikibooks:제목 선택하기|제목 선택하기]]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문서의 내용이 문서의 제목과 동떨어진 경우에는 내용에 알맞는 제목으로 문서를 옮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언제나 문서를 편집한 참여자가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에는 토론 페이지에서 [[Wikibooks: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의견 교환]]을 하여서 불화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문서 옮기기에 따르는 절차 ==
문서를 옮기는 것은 오로지 등록된 사용자만이 할 수 있습니다. 문서를 옮길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위키책에서 이른바 [[Wikibooks:문서 넘겨주기|문서 넘겨주기]](REDIRECT)의 절차가 취해집니다. 다시 말해 '''옮기기 전'''의 문서는 '''옮겨지는 문서'''로 옮기기 전까지 갖고 있던 모든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와 함께 옮겨지며, 이 문서의 제목으로 된 링크는 계속 살아 있게됩니다 ([[Wikibooks:GNU FDL|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에서는 무엇보다도 문서역사를 중요시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므로서 예전의 문서 제목으로 된 링크를 낱낱이 찾아가며 고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만일의 경우 문서의 복구가 가능한 것입니다.
=== 문서 옮기기에 주의할 점 ===
[[그림:Icon-04.png|float|left|30px|]]문서 옮기기는 문서의 내용을 복사하여 새로운 제목의 문서를 만들어 그곳에 옮기거나 혹은 이미 있는 다른 문서에 옮기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문서 옮기기는 언제나 문서 편집에 따른 모든 역사와 그리고 문서의 토론페이지가 보존되어야 하기 때문에 절대로 문서의 내용을 '''손수 복사하여 옮기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문서 옮기기는 문서 편집에 기여한 사용자가 직접 옮기기를 권장합니다.
[[그림:Icon-04.png|float|left|30px|]]위키 프로젝트가 돌아가는 것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사용자 가운데에는 교묘하게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와 넘겨주기를 여러 번 그리고 이리 저리 거꾸로 하여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을 말소시켜 본인이 쓰지 않은 문서를 마치 자신이 쓴 것처럼 속이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고의로 또는 자기의 이름을 남기려는 허영심에 사로잡혀 저지르는 이와 같은 행위는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에 버금가는 행위입니다. 이와 같은 사례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이를 저지른 사용자가 누구이건 상관없이 관리자에게 알려 주시기를 부탁합니다. 만일 관리자가 이를 수수방관 할 경우에는 이를 다른 관리자에게 주의시키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주의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다음의 [[:m:Stewards|스튜어드들]] 가운데 아무 한 사람의 토론 페이지에 직접 문제점을 지적하여 잘못된 점과 그리고 관리자의 신뢰성의 검토를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새로운 위키미디어 버전 '''1.5'''는 사용자가 옮긴 문서들을 기록하는 보존문서(Move-log)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무분별한 문서 옮기기와 문서의 역사를 왜곡시키는 일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취해진 조치입니다.
=== 문서 옮기는 요령 ===
# 왼쪽에 있는 <font=blue>문서 옮기기</font>라는 단추를 누르시면 문서 옮기기에 따른 주의사항과 경고문이 나타납니다.
# 주의사항에서 옮기고자 하는 문서가 아무런 잘못이 없다고 판단이 된다면,
# 아래에 있는 <새이름> 칸에 옮기려는 문서의 새로운 제목을 써넣으신 후, <옮기기>라는 확인 단추를 누르시면 문서가 옮겨집니다.
# 옮기는 문서가 토론 페이지를 갖고 있을 경우에는 이 문서의 토론 페이지도 함께 옮겨주시기 바랍니다.
=== 문서의 새로운 제목에 따른 설명 ===
문서를 옮기고 난 후, 사용자께서는 왜 문서를 새로운 제목으로 옮겼는지 그 이유를 문서의 토론 페이지에서 밝혀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특히 본인이 직접 쓴 글이 아닌 문서를 옮길 경우에는 반드시 문서를 옮긴 이유를 밝혀 주시기를 당부합니다.
== 문서를 옮기고자 하는 제목이 이미 존재할 경우 ==
사용자께서 위의 문서 옮기는 요령에 따라서 문서 옮기기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때로는 문서 옮기기가 불가능 하다는 경고문이 나타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옮기고자 하는 제목으로 이미 문서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는 문서 옮기기와는 조금 성격이 다른 [[Wikibooks:문서 넘겨주기|문서 넘겨주기]] (Redirect)에서 문서를 옮기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자께서는 이미 존재하는 제목의 문서의 내용과 문서역사를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이미 존재하는 문서가 비어있거나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로 생겨난 문서라면 사용자께서는 이 문서의 제목으로 문서를 옮기시지 마시고 이 문서를 [[Wikibooks:삭제 대상|삭제 대상]]에 올려 관리자의 검토를 거쳐 삭제된 후, 옮기고자 하는 제목으로 문서를 옮기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이렇게 하므로서 문서의 역사가 올바르고 깔끔하게 기록됩니다.
== 바뀐 문서 제목 되살리기 ==
문서가 실수로 혹은 반달행위에 의해서 잘못되거나 엉뚱한 제목으로 옮겨졌을 경우에는 문서의 원래의 제목으로 간단히 되돌릴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font color="blue">"가"</font>라는 제목의 문서가 <font color="red">"나"</font>라는 제목으로 옮겨진 경우 사용자께서는 간단히 <font color="red">"나"</font> 제목의 문서를 다시 원래의 <font color="blue">"가"</font>라는 제목으로 문서 옮기기를 하면 됩니다. 이렇게 제목을 되살리고 나서, 사용자께서는 <font color="red">"나"</font>라는 제목이 잘못되었거나 혹은 엉뚱하게 붙여졌다고 판단되시면 <font color="red">"나"</font>라는 제목의 문서를 [[Wikibooks:삭제 대상|삭제 대상]]에 올려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바뀐 문서 제목 되살리기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책 ===
위의 예에서 <font color="red">"나"</font>라는 제목의 문서가 옮겨진 다음에 편집이 되었을 때에는 문서 제목 되살리기에 번거로운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다시 말해 문제의 문서 <font color="red">"나"</font>는 편집과 동시에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를 갖게 되므로서 문서 <font color="blue">"가"</font>로 되돌리기가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사례가 생겼을 때에는 바뀐 문서 제목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문제를 해결하게 됩니다.
# 문서 <font color="blue">"가"</font>를 삭제시킨 후,
# 문서 <font color="red">"나"</font>를 문서 <font color="blue">"가"</font>로 옮기기를 한 후,
# 끝으로 잘못 옮겨진 문제의 문서 <font color="red">"나"</font>를 삭제시키게 됩니다.
이 절차를 통해서 문서 <font color="blue">"가"</font>의 역사를 되살리게 되며 잘못 옮겨진 문서 제목 <font color="red">"나"</font>를 제거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번거로운 절차를 피하기 위해서 참여자께서는 문서 옮기기에 각별히 유의하기시 바랍니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도움말 색인
1212
6616
2007-01-04T14:22:05Z
아흔
9
rev.
{| cellspacing="3" cellpadding="3" style="border:1px solid #AAAAAA; background:#FFFFFA; 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rules="all"
|-bgcolor="#FDF8BD"
|[[#가|가]] || [[#나|나]] || [[#다|다]] || [[#마|마]] || [[#바|바]] || [[#사|사]] || [[#아|아]] || [[#자|자]] || [[#차|차]] || [[#카|카]] || [[#타|타]] || [[#파|파]]
|}
{{위키책_도움말}}
=== 가 ===
* [[Wikibooks:개인맞춤|개인맞춤]]
* [[Wikibooks:고쳐쓰기에 주의할 점|고쳐쓰기에 주의할 점]]
* [[Wikibooks:편집 내용 간추리기|고친 내용 간추리기]]
* [[Wikibooks:관리자|관리자]]
** [[Wikibooks:관리자/문제|관리자/문제]]
** [[Wikibooks:사용자 평가|사용자 평가]]
* [[Wikibooks:그림 올리기|그림 올리기]]
** [[Special:Imagelist|모든 그림]]
** [[Special:Newimages|그림 전시실]]
=== 나 ===
* [[Wikibooks:내용 되살리기|내용 되살리기]]
* [[Wikibooks:네임스페이스|네임스페이스]]
=== 다 ===
* [[Wikibooks:도움말|도움말]]
=== 마 ===
* [[Wikibooks:문서 넘겨주기|문서 넘겨주기]]
* [[Wikibooks:문서삭제 지침|문서삭제 지침]]
** [[Wikibooks:삭제 대상|삭제 대상 문서]]
*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
*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
* [[Wikibooks:문서 제목 붙여 나누기|문서 제목 붙여 나누기]]
=== 바 ===
*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
** [[Wikibooks:반달행위/IP-list|반달행위 IP 명단]]
* [[Wikibooks:보호문서|보호문서]]
* [[Wikibooks:복수 사용자 등록|복수 사용자 등록]]
=== 아 ===
*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어재단]]
** [[Wikibooks:지미 웰스|위키미디어재단 설립자]]
* [[Wikibooks:인터위키언어링크|인터위키언어링크]]
* [[Wikibooks:위키책에서 착각하는 점|위키책에서 착각하는 점]]
* [[Wikibooks:위키백과에서 들른 참여자를 위하여|위키백과에서 들른 참여자를 위하여]]
* [[Wikibooks:용어 및 문장 부호|용어 및 문장 부호]]
=== 자 ===
* [[Wikibooks:자유게시판|자유게시판]]
* [[Wikibooks:FAQ|자주하는 질문과 답(FAQ)]]
** [[Wikibooks:FAQ/소개|FAQ/소개]]
** [[Wikibooks:FAQ/구조|FAQ/구조]]
* [[Wikibooks:저작권|저작권]]
** [[Wikibooks:GNU FDL|GNU FDL]]
** [[Wikibooks:GNU GPL|GNU GPL]]
** [[Wikibooks:퍼블릭 도메인|퍼블릭 도메인]]
** [[Wikibooks:공정사용|공정사용]]
* [[Wikibooks:접속 차단|접속 차단]]
* [[Wikibooks:정보 보호 사항|정보 보호 사항]]
=== 차 ===
* [[Wikibooks:찾기|찾기]]
* [[Wikibooks:위키책 서평|책 서평]]
* [[Wikibooks:위키책 안내|책 안내]]
* [[Wikibooks:위키책 유형|책 유형]]
=== 카 ===
* [[Wikibooks:카테고리|카테고리]]
=== 타 ===
* [[Wikibooks:템플릿|템플릿]]
* [[Wikibooks: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
=== 파 ===
* [[Wikibooks:편집에 들어가기 전에|편집에 들어가기 전에]]
* [[Wikibooks:편집 도움말|편집 도움말]]
** [[Wikibooks:편집창|편집창]]
** [[Wikibooks:첫걸음|첫걸음]]
** [[Wikibooks:새문서 만들기|새문서 만들기]]
** [[Wikibooks:제목 선택하기|제목 선택하기]]
** [[Wikibooks:문단 나누기|문단 나누기]]
** [[Wikibooks:링크하는 요령|링크하는 요령]]
__NOTOC__
[[Category:위키책]]
Wikibooks:관리자
1213
6408
2006-12-11T16:22:29Z
아흔
9
교정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은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 프로젝트이며 이 프로젝트에는 누구나 자유로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힘을 합쳐서 프로젝트를 알차게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이 노력에 앞장서서 한국어 위키책을 이끌어 가는 사용자는 관리자에 선출되어 몇몇 기술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그리고 새로운 참여자의 불편을 덜어주는 모범적 역할을 하게 됩니다.
{{headline2|관리자가 하는 일}}
관리자에 선출된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일을 맞아 하게 됩니다.
=== 문서 보호하기 ===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특정 문서들을 보호시키고 그리고 이미 보호된 문서를 편집 보호 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습니다. 보호된 문서는 오로지 관리자만이 편집이 허용됩니다. 보호시키거나 보호 해제되는 문서는 위키책의 [[Special:Log|보호 문서 일지]]에 기록됩니다.
=== 문서 삭제 및 삭제문서 되살리기 ===
==== 문서삭제 ====
관리자는 위키책에 올려진 문서 및 미디아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삭제 지침과 절차는 [[Wikibooks:문서삭제 지침|삭제 지침]]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문서 복구하기 ===
관리자는 어떤 문서가 예컨데 반달행위에 의해 훼손되었을 때, 문서의 내용을 고쳐지기 이전의 상태로 <font color="blue">'''Rollback'''</font>이라는 단추를 눌러 간단히 복구 시킬 수 있습니다. 이른바 '''Rollback'''된 문서는 해당 문서를 마지막으로 편집한 사용자의 이름이 따라 붙게됩니다.
=== 반달행위 및 중복 등록 사용자에 대처하기 ===
관리자는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를 하는 아이피 주소 참여자나 그리고 어떤 한 사용자가 여러 이름으로 등록하여 [[Wikibooks::복수 사용자 등록|사용자 이름을 악용]]할 때, 이들을 [[Wikibooks:접속 차단|접속 차단]]시킬 수 있습니다. 중소 URL에서 할당된 대개의 아이피주소는 고정 아이피주소가 아니기 때문에 아이피주소 차단은 잠정적 효과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달 행위자가 이를 오용한다면 메타위키에 해당 아이피주소 범위 차단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headline2|위키 미디어 관리자 유형}}
위키미디어의 어떤 한 프로젝트 내에서 활동하는 관리자는 두 종류로 나누어집니다.
=== 일반 관리자 (administrator) ===
일반 관리자는 처음 위키미디어에서 영어로 'Sysop'(system operator)라고 불렸으나, 그 의미가 알맞지 않는 까닭으로 오늘날 영어로 'Administrator'로 바꾸어 부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일반 웹 사이트의 관리자인 'Sysop'은 흔히 쓰는 소프트웨어 및 서버의 운영에 직접 간접으로 관여할 수 있는 반면, 위키미디어의 일반 관리자의 역할은 위에서 말하였듯이 매우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사무 관리자 (bureaucrat) ===
사무 관리자는 어떤 한 프로젝트에서 관리자를 늘려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일일이 메타에 이를 문의하지 않고 해당 프로젝트에서 적절한 절차를 거쳐 선출된 관리자에게 'sysop flag'을 붙여 줄 수 있는 역할을 하며, 일반 관리자직을 겸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대개 일반 관리자직을 겸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필요에 따라 역시 'bot flag'을 붙여 줄 수 있으며 또한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 이름을 변경시켜 줄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headline2|관리자가 되는 길과 직책 반납}}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관리자가 되기를 원하는 사용자께서는 다음의 몇몇 사항을 먼저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관리자는 어떤 대단한 특권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 관리자는 때로는 다른 사용자의 원망을 살 수도 있습니다.
* 관리자 책임을 맞으므로서 때로는 값진 시간을 개인적으로 허비할 수도 있습니다.
=== 관리자가 되기 위한 조건 ===
한국어 위키책에서는 의미가 모호하고 사용자간의 불화를 자주 초래하는 이른바 민주주의적이라고 하는 관리자 투표를 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관리자가 되고자 하는 사용자는 다음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이와 더불어 관리자의 수를 늘려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비로소 관리자 모집 공고를 [[Wikibooks:게시판|게시판]]에 합니다.
# 등록하여 최소한 3개월 이상 '''꾸준히''' 참여하여야 한다.
# 편집 횟수가 최소한 1,000번 이상이어야 한다.
# [[Wikibooks:사용자 평가|사용자 평가]]에서 긍정적이어야 한다.
=== 관리자 직책 반납 ===
위키 미디어 프로젝트에서는 어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관리자 직책을 해제하지 않는 것을 통례로 삼고 있습니다. 만일 관리자가 어떤 개인적인 이유로 관리자직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여기거나 또는 관리자 명단에서 빠지고 싶다면 관리자직을 반납하실 수 있습니다. 직책 반납에 따른 어떤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할 필요는 '''없습니다'''.
* 다음의 [[:m:Stewards|스튜어드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자신의 ‘''sysop flag''’ 을 제거시켜 주도록 문의하시거나, 또는
* 메타의 [[Meta:Requests for permissions|Requests for permissions]]에서 관리자 직책 해제를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headline2|관리자 권한 남용}}
관리자가 할 수 있는 위에 든 몇몇 가지 일들은 결국 위키낱말사전이 효율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몇몇 경험있는 사용자가 맡아서 하는 것으로 풀이하시면 됩니다. 이와 같은 일들을 빼고나면 관리자는 모든 다른 사용자와 처지가 같습니다. 참여자께서 만일 어떤 관리자가 하는 일이 부당하다고 여기신다면 우선 [[Wikibooks:관리자/문제|관리자/문제]]에 자신의 의견을 솔직히 표현하여 문제의 해결책을 찾도록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올지못한 행위를 하는 관리자가 있다면 확증할 수 있는 모든 근거를 들어 다음의 [[:m:Stewards|스튜어드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문제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관리자 권한 남용 혹은 악용으로 간주될 수 있는 사례 ===
* 타당한 이유없이 수록된 문서를 제멋대로 지우거나 삭제 시키는 행위: [[Image:Icon-02.png]] [[Wikibooks:문서삭제 지침|문서삭제 지침]] 참조.
* 타당한 이유없이 참여자를 제멋대로 접속 차단 시키는 행위: [[Image:Icon-02.png]] [[Wikibooks:접속 차단|접속 차단 지침]] 참조.
* 타당한 이유없이 문서를 제멋대로 이리 저리 옮기며 [[Wikibooks:문서역사|문서의 역사]]를 왜곡 또는 소멸시키는 행위: [[Image:Icon-02.png]]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 지침]] 참조.
* 자질구레한 이유를 들어 다른 참여자의 자유로운 편집을 방해하거나 겁을 주는 행위
* 위의 잘못된 사례를 알고 있으면서도 다른 사용자들의 반감이 두려워 수수방관하는 행위.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 위의 사례가 있다고 여겨진다면 서슴없이 [[Wikibooks:관리자/문제|관리자/문제]]에서 비판과 문의를 하시기 바랍니다.
{{headline2|한국어 위키책의 관리자 명단}}
* [[Special:Listadmins|관리자 명단]]
[[Category:위키책]]
Wikibooks:보호문서
1214
2798
2005-05-11T15:43:45Z
아흔
9
set
'''보호문서'''란 자유로운 편집에서 제외시킨 문서를 이야기합니다.
특정 문서들은 대개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Wikibooks:관리자|관리자]]가 보호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보호된 문서는 오로지 관리자만이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 참여자는 보호된 문서를 편집은 할 수 없지만 그 내용을 [[Wikibooks:편집창|편집창]]을 열어 읽어 볼 수 있습니다.
== 문서를 보호시키는 이유 ==
# 특정 문서는 이미 위키책에서 오로지 관리자만이 편집할 수 있도록 보호되어 있습니다. (이를테면 [[특수기능:Allmessages|위키책 시스템 메시지]])
# 몇몇 위키책의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는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나 혹은 장난을 일삼는 참여자로부터 문서의 내용이 잘못 바꾸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호시킬 수 있습니다.
# 거듭하여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가 저질러지는 문서는 이 문서가 더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시킬 수 있습니다.
# 드물지만 지나친 편집 열의로 참여자들이 한 문서를 두고 편집싸움을 벌이는 경우에는 이를 진정시키기 위해 관리자는 해당문서를 잠정적으로 보호시킬 수 있습니다.
== 보호된 문서들 ==
위키책에서 현재 보호된 문서들은 [[특수기능:Log|문서관리 일지]]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개인맞춤
1215
2799
2005-05-12T15:13:49Z
아흔
9
rev.
{{위키책 도움말}}
개인맞춤이란 등록한 사용자가 위키책에서 쓰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이를테면 암호, 이메일을 비롯한 여러 가지 편의 사항등을 규정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변경하는 일을 일컫습니다. 사용자는 [[특수기능:Userlogin|로그인]]을 한 후, 개인맞춤 페이지를 열어서 그곳에 기록된 여러가지 사항들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참여자께서 개인맞춤 페이지를 열게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
개인정보
이메일(기입자유)<sup>*</sup>:
다른 사용자로부터 이메일 거부
별명 (서명용):
암호 바꾸기
현재 암호:
새 암호:
새 암호 또 한번:
세션동안 암호 기억
* '''이메일(기입자유)''': 이메일 주소의 기입은 사용자의 결정에 맡겨져 있습니다.이메일 주소를 기재하시게 되면, 이를 테면 암호를 잊었을 경우 암호를 이메일로 확인하실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등록된 사용자와 이메일을 교환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이메일을 다른 사용자로부터 받기 위해서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이메일 거부>라는 칸을 비워두셔야 합니다.
=== 별명 ===
=== 암호 ===
=== 사용자 시간대 ===
== 메뉴 ==
== 스킨 (옷장) ==
== 수식 표시 ==
== 편집창 크기 ==
== 시간대(Time zone) ==
== 최근바뀜과 토막글 보기 (Recent changes and stub display) ==
== 검색결과 ==
== 기타 ==
[[Category:위키책]]
Wikibooks:그림 올리기
1216
4743
2006-02-19T09:51:08Z
217.225.121.174
{{위키책_도움말}}
== 올리기(Upload)에 따르는 전제 조건 ==
* 위키책에서 그림이나 다른 종류의 파일을 올리기 위해서는 참여자께서는 '''[[특수기능:Userlogin|등록]]'''을 하셔야만 합니다.
* 등록된 사용자는 올리고자 하는 그림이나 다른 종류의 파일이 [[Wikibooks:저작권|저작권]]에 저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미리 확인하여야 합니다.
* <올리기>라는 링크를 누르시면 그 곳에 쓰여진 올리기의 절차에 따라서 올리시면 됩니다.
== 올리기를 권장하는 파일 형태 ==
* 위키미디아에서는 '''.JPEG''' '''(.JPG''') 혹은 '''.PNG'''의 파일 포맷으로 그림을 올리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올려지는 파일의 적절한 용량과 그리고 그림의 질을 위해서 입니다. '''.GIF''' 포맷이나 '''.BMP''' 혹은 '''.TIFF''' 포맷의 그림은 할 수 있다면 그래픽 혹은 사진 편집 프로그램을 통하여 위에 들은 권장 파일 포맷으로 변환시킨 후 올리시면 됩니다.
== 위키미디아 공용에서 올리기 ==
위키책의 자매 프로젝트인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에는 위키미디아의 여러 프로젝트들이 공동으로 쓸 수 있는 그림이나 음향 파일들이 모아져 있습니다. 참여자께서는 문서에 그림을 끼우고 싶으나 마땅한 그림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위키미디아 공용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그 곳에서 마땅한 그림을 발견하였을 경우, 파일의 이름만을 정확히 적으셔서 아래의 그림끼우기 요령에 따라 하시면 그림이 해당 문서에 끼워집니다.
== 올리기에 따른 기록문서 ==
위키책에 그림을 올리게 되면 언제나 그림 목록에 그림을 올린 사용자와 그림의 출처에 관한 올리기 기록 문서가 수록됩니다.
* [[특수기능:Imagelist|그림 목록]]
* [[특수기능:Newimages|그림 전시실]]
== 올린 그림을 끼우는 요령 ==
=== 시스템 코드 ===
위키책에서 올리기에 쓰이는 시스템 코드는 HTML의 태그 '''<code><img:filename></code>'''와 원칙적으로 같다고 볼 수 있으며, 다만 주의 할 점은 보통 링크에 쓰이는 꺾은 쌍괄호를 붙이면 됩니다. 그리고 <code><img></code> 태그를 영어 위키책에서는 "Image", 한국어 위키책에서는 '''그림'''으로 번역하여 쓰고 있습니다.
* '''<nowiki>[[그림:올려진 파일의 정확한 이름]]</nowiki>'''
=== 그림 끼워 맞추기 ===
올린 그림을 문서에 끼우기 위해서는 아래에 설명한 여러가지 방법 가운데 알맞는 방법 하나를 선택하여 하시면 됩니다.
====가장 간단히 ====
가장 쉽게 그림을 끼워 넣기 위한 시스템 코드는
* '''<nowiki>[[그림:파일 이름]]</nowiki>'''
{| width="90%" border="1" cellspacing="1em" cellpadding="1em" style="border-collapse:collapse;background:#FFFDF7;"
!코드
!결과
|-bgcolor="#FEFDFF"
|<nowiki>[[그림:Wikibooks-logo.svg]]</nowiki>
# 여기에는 정확한 파일 이름만 써넣으면 됩니다.
:이 경우 그림은 올릴 때의 크기 그대로 화면에 떠오르기 때문에 그림의 크기에 따라서 아래의 다른 방법을 써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Wikibooks-logo.svg|위키책]]
|}
====틀에 끼우고 설명 붙이기====
그림을 테두리 치기 위한 위한 HTML 코드는
* '''<nowiki>[[그림:파일 이름|framed|[[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 테두리 안에]]</nowiki>'''
{| width="90%" border="1" cellspacing="1em" cellpadding="1em" style="border-collapse:collapse;background:#FFFDF7;"
!코드
!결과
|-bgcolor="#FEFDFF"
|
<nowiki>[[그림:Icon-07.jpg|framed|[[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 테두리 안에]]</nowiki>
# 파일 이름 다음에 작대기('''|''')를 친 후, '''framed''' 이라 써 넣은 후,
# 다시 작대기('''|''')를 친 후, 설명을 붙이면 됩니다.
:여기서 설명하면서 '위키책 안내'로 [[Wikibooks:링크하는 요령|링크]] 시킬 수 있습니다.
|[[그림:Icon-07.jpg|framed|[[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 테두리 안에]]
|}
==== 돋보기틀에 맟추기 ====
'''돋보기틀에 맟추기'''란 쉽게 말해서 올린 그림이 미디아위키에서 만들어 놓은 상용 그림틀에 끼우는 것을 뜻합니다. 위의 HTML 코드와 어디에 차이가 있는지 참여자께서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쓰이는 시스템 코드는
* '''<nowiki>[[그림:파일 이름|thumb|그림크기 px|그림 위치|설명]]</nowiki>'''
{| width="90%" border="1" cellspacing="1em" cellpadding="1em" style="border-collapse:collapse;background:#FFFDF7;"
!코드
!결과
|-bgcolor="#FEFDFF"
|
<nowiki>[[그림:Wikibooks-logo.svg|thumb|80px|center|[[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이란]]</nowiki>
# 파일 이름 다음에 작대기('''|''')를 친 후, '''thumb'''라고 쓰면 미디아위키가 알아서 그림을 오른쪽에 배치시킵니다.
# 여기서 그림의 크기를 조정하고 싶으면 thumb 다음에 다시 작대기('''|''')를 친 후, 그림의 크기를 픽셀(px)로 써 넣으면 됩니다.
# 여기서 그림의 위치를 왼쪽이나 중간에 잡고 싶으면, thumb 다음에 작대기('''|''')를 친 후, '''left''' 혹은 '''center'''를 써 넣으면 됩니다.
# 마지막으로 그림에 제목 또는 짧은 설명을 넣기 위해서는 thumb 다음에 작대기('''|''')를 친 후, 쓰고자 하는 설명을 써 넣으면 됩니다.
|[[그림:Wikibooks-logo.svg|thumb|80px|center|[[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 돋보기 80px]]
|}
== 올린 그림의 출처 밝히기 ==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참여자께서 그림을 올리게 되면 [[특수기능:Imagelist|그림 목록]]에 기록되게 됩니다. 그리고 그림의 출처를 밝히기 위한 그림 설명 문서가 그림에 따라 붙게 됩니다. 여기서 그림을 올리는 사용자께서는 그림의 출처를 크게 다음과 같이 써넣을 수 있습니다.
* [[Wikibooks:GNU FDL|GNU FDL]]
* [[Wikibooks:퍼블릭 도메인|퍼블릭 도메인]] (Public domain)
* 개인작품
사용자께서는 그림을 올리는 과정에서 곧바로 <font color="blue">짧은 설명</font> 칸에 다음의 템플릿 코드를 써넣으시면 올리고나서 별도로 그림 설명을 하는 수고를 덜으실 수 있습니다.
{| width="90%" cellspacing="1em" cellpadding="1em" border="1" style="border-collapse:collapse;background:#FFFDF7;"
!그림 출처의 형태
!템플릿 코드
!템플릿 보기
|-bgcolor="#FEFDFF"
|GNU FDL
|<nowiki>{{GFDL}}</nowiki>
|[[Template:GFDL]]
|-bgcolor="#FEFDFF"
|퍼블릭 도메인 (Public domain)
|<nowiki>{{퍼블릭도메인}}</nowiki>
|[[Template:퍼블릭도메인]]
|}
[[Category:위키책]]
Wikibooks:내용 되살리기
1217
3900
2005-09-14T18:48:22Z
아흔
9
rev.
{{위키책 도움말}}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는 참여자께서 자유로이 편집을 하실 수 있는 반면, 한 번 수록된 문서는 정당한 이유없이는 참여자가 마음대로 지우실 수 없습니다. 때에 따라서는 문서가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에 의해 훼손되거나 또는 참여자가 실수하여 내용이 지워졌을 경우에는 이를 발견하는 참여자께서는 굳이 [[Wikibooks:관리자|관리자]]의 도움없이 지워진 내용를 곧바로 되살릴 수 있습니다.
* 문서의 내용을 되살리는 요령:
*# 내용을 되살리고자 하는 문서의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 링크를 누르시면,
*# 문서의 편집과정을 기록한 버전들이 차례대로 나타납니다.
*# 문서가 지워지거나 훼손되기 이전의 버전을 찾아 날자를 찍어 누르시면,
*# 이 날자에 편집된 문서의 내용이 나타납니다.
*# 이 날자의 내용으로 문서를 되살리고자 할 때에는 <편집>을 눌러 [[Wikibooks:편집창|편집창]]이 열으시면, 편집창 위에 쓰인 경고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서의 내용을 되살리기 위해서 <저장>버튼을 곧바로 누르시면 간단히 원래의 내용으로 문서가 되살아납니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문서 넘겨주기
1218
edit=sysop:move=sysop
6551
2007-01-03T15:56:03Z
아흔
9
보호시킴 "[[Wikibooks:문서 넘겨주기]]": basic [edit=sysop:move=sysop]
{{위키책_도움말}}
== 문서 넘겨주기의 뜻 ==
'''문서 넘겨주기'''란 영어의 '''Redirect'''를 번역한 것으로서 위키책에서 문서를 다른 문서로 넘겨주는 것을 뜻합니다. 다시 말해 링크된 어떤 문서의 제목이 이 제목과는 다른 제목의 문서로 넘어가는 것을 말하며, 이를테면 '불어'라는 링크를 누를 경우 '프랑스어' 제목의 문서가 펼쳐지는 것을 뜻합니다: 참여자께서는 (<font color="blue">불어</font>에서 넘어옴) 이라는 설명이 '프랑스어' 제목 밑에 표시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넘겨주기 코드 ==
'불어'라는 문서 제목을 '프랑스어'라는 문서 제목으로 넘겨주기를 할 경우 '불어'라는 제목의 문서는 '''넘겨주는 문서'''이며, '프랑스어'라는 제목의 문서는 '''넘겨받는 문서'''입니다. 문서 넘기기는 언제나 넘겨주는 문서에서 하게됩니다. 이에 따른 코드 간단히 다음과 같습니다.
{| width="70%" border="1" cellpadding="2" style="border-collapse:collapse; background:#dadada"
! width="50%" | 넘겨주는 문서에 쓰기 (코드)
! width="50%" | 넘겨주는 문서에 나타나는 결과
|- bgcolor="#fdfdfd"
| #REDIRECT <nowiki>[[프랑스어]]</nowiki> || 1. REDIRECT [[프랑스어]]
|}
* 위의 코드에서 참여자께서는 부호 '''#''' 다음에 빈 칸을 두지 마시고 그리고 리다이렉트라는 영어 단어는 대문자로 쓰시기 바랍니다 (소문자도 통용되지만 원칙적으로는 대문자).
== 문서 넘겨주기와 문서 옮기기의 차이점 ==
넘겨주기는 언제나 '''이미 만들어져 있는 두 개의 문서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다시 말해 넘겨주기를 하기 위해서는 '불어'와 '프랑스어'라는 문서가 이미 위키책에 수록되어 있을 경우에 '불어'라는 제목의 문서를 '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넘겨주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만일 '불어'라는 제목의 문서 하나만이 수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라는 절차를 통해서 '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문서를 옮기셔야만 합니다.
[[그림:Icon-04.png|float|left|30px|]]여기서 참여자께서는 '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새문서를 만들어 곧바로 '불어'라는 제목의 문서를 이 새문서로 넘겨주기를 한 다음, '불어'라는 제목의 문서의 내용을 손으로 복사하여 새로 만들은 '프랑스어'라는 제목의 문서에 옮기는 커다란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잘못으로 빚어지는 심각한 결과는 [[Wikibooks:문서역사|문서의 역사]]가 왜곡되므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Wikibooks:관리자|관리자]]가 원래의 문서를 복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됩니다.
[[그림:Icon-04.png|float|left|30px|]]위키 프로젝트가 돌아가는 것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사용자 가운데에는 교묘하게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와 넘겨주기를 여러 번 그리고 이리 저리 거꾸로 하여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을 말소시켜 본인이 쓰지 않은 문서를 마치 자신이 쓴 것처럼 속이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고의로 또는 자기의 이름을 남기려는 허영심에 사로잡혀 저지르는 이와 같은 행위는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에 버금가는 행위입니다. 이와 같은 사례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이를 저지른 사용자가 누구이건 상관없이 관리자에게 알려 주시기를 부탁합니다. 만일 관리자가 이를 수수방관 할 경우에는 이를 다른 관리자에게 주의시키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주의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다음의 [[:m:Stewards|스튜어드들]] 가운데 아무 한 사람의 토론 페이지에 직접 문제점을 지적하여 잘못된 점과 그리고 관리자의 신뢰성의 검토를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새로운 위키미디어 버전 '''1.5'''는 사용자가 옮긴 문서들을 기록하는 보존문서(Move-log)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무분별한 문서 옮기기와 문서의 역사를 왜곡시키는 일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취해진 조치입니다.
== 넘겨주기에 주의 할 점 ==
* 넘겨주는 문서와 넘겨 받는 문서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두 문서의 내용이 비슷하거나 혹은 반복되었을 경우, 이를테면 영어 표기 "French"라는 제목의 문서를 한국어 표기 "프랑스어"로 넘겨줄 수 있습니다.
* '''넘겨받는''' 문서의 제목이 '''넘겨주는''' 문서의 제목보다 더욱 바람직하다고 여겨질 경우, 이를테면 '불어'보다는 '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넘겨줄 수 있습니다.
* 실수로 전혀 잘못 쓰여진 문서의 제목은 이미 위키책에 바른 제목의 문서가 수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넘겨주기 하시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는 잘못된 표기를 올바른 표기로 오해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문서를 발견하였을 경우에는 참여자께서는 [[Wikibooks:삭제 대상|삭제 대상]]에 해당 문서를 올려 주기시 바랍니다. 여기서 관리자가 문제의 문서의 제목과 내용을 검토하여 삭제시킨 후, 해당 문서의 토론 페이지에 알맞는 설명을 기재하게 됩니다.
* 한 번 넘겨진 문서를 다른 문서의 제목으로 다시 넘겨주기를 되도록 하지 않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일이 물론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넘겨주기를 두 번, 세 번 잇달아서 할 경우 연쇄 반응으로 문서 찾기에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 넘겨준 문서의 편집 ==
넘겨주는 문서의 내용과 문서의 역사는 넘겨받는 문서에 그대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를테면 '불어'의 제목을 가진 문서를 '프랑스어' 제목의 문서로 넘겨주었을 경우, 참여자께서는 넘겨받은 문서 '프랑스어'에서 문서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수정하게 됩니다. 그러나 넘겨준 문서 '불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편집을 하지 않는 것을 위키책에서는 통례로 삼고 있습니다.
넘겨준 문서를 되살려 편집하게 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수긍할 수 있는 이유가 있어야만 합니다.
== 넘겨준 문서의 삭제 ==
넘겨준 문서는 위키책에서 삭제를 하지 않는 것을 통례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에서 잠깐 언급하였듯이 넘겨준 문서를 [[Wikibooks:문서삭제 지침|삭제해야 할 필요성]]이 경우에 따라서 생길 수 있습니다.
* 넘겨준 문서의 제목이 전혀 잘못되었을 경우: 이 경우에는 물론 넘겨주기를 한 참여자의 실수를 전제로 합니다. 이를테면 '한글어입문'이라고 오타된 제목의 문서를 '한국어입문'으로 넘겨주었을 때에는 관리자가 '한글어입문'이라는 제목의 문서를 삭제시키게 됩니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새문서 만들기
1219
2803
2005-05-11T17:45:11Z
아흔
9
set
{{위키책_도움말}}
==새낱말로 문서만들기==
여러분께서는 [[Wikibooks:제목 선택하기|제목 선택하기]]에서 이미 어떤 낱말을 위키책에 들일 수 있는지를 살펴보셨습니다. 이제 쓰고자 하는 새낱말을 제목으로 하는 문서(파일)을 어떻게 만드는지 알아보기로 합시다.
선택한 제목을 [[Wikibooks:편집창|편집창]]에 띄우기 위해서는 아래에 방법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 이미 링크된 제목으로 쓰고자 할 때==
편집하고자 하는 제목이 이미 다른 문서에 링크되어 있을 경우 그리고 이 문서가 아직 비어 있을 경우에는 붉은 글씨로 제목이 나타납니다. 이 링크를 누르시면 곧바로 [[Wikibooks:편집창|편집창]]이 열리며, 여기서 편집을 곧바로 시작하시면 됩니다.
== 연관 내용은 있지만, 새로운 제목으로 쓰고자 할 때==
참여자께서 이미 읽고 있는 문서에서 만일 쓰고자 하는 내용이 있으나 현재의 문서에 참여자가 의도하는 제목이 없을 경우에는 우선 검색 혹은 [[특수기능:Allpages|모든 문서보기]]를 하여 의도하는 제목이 이미 있는지 알아 본 후, 만일 아직 의도하는 제목으로 문서가 없을 경우 해당 문서의 '''문서 고치기'''를 누르신 후, 관계되는 문단 혹은 줄의 끝이나 중간에 쓰고자 하는 제목을 적절히 [[Wikibooks:링크하는 요령|링크]]시키신 후, 저장하기를 누르신 후, 이 링크된 제목을 다시 눌러 새문서의 편집창을 열어 편집을 하시면 됩니다.<br/>
예컨데 '한국사'의 편집창에서 한국정치 칸에 '지방자치제'라는 제목을 써넣으신 후, 저장 하시면 이 제목의 링크가 화면에 붉은 색으로 나타나면, 이 링크를 눌러서 새문서를 만드시면 됩니다.
== 새로운 제목 곧바로 만들기 ==
만일 참여자께서 쓰고자 하는 제목을 곧바로 만들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 모래상자를 사용하는 방법===
간단히 [[Wikibooks:모래상자|모래상자]]의 편집창을 열어 쓰고자 하는 제목을 [[Wikibooks:링크하는 요령|링크]]시키신 후, '''미리보기'''를 누르시면, 붉은 색으로 링크된 새문서 제목이 떠오릅니다. 이 링크를 눌러 위의 예에 따라 편집하신 후, 저장하시면 새로운 문서가 만들어 집니다. 그리고 모래상자에서 써넣은 제목에 대해서는 더이상 염려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템플릿
1220
4960
2006-04-10T12:54:03Z
아흔
9
rev.
{{위키책_도움말}}
미디아위키의 네임스페이스 가운데 하나인 '''템플릿(Template)'''은 독립된 문서의 한 종류로서 다른 문서 안에 끼워 쓰이게 되는 것이 통례입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템플릿은 한국어로 번역을 굳이 하자면 "자리틀"이라 일컬을 수 있습니다.<br/><small>2004년 6월 이후 템플릿의 기능을 가진 네임스페이스로 "'''msg:'''" 는 쓰이지 않고 있습니다.</small>
== 템플릿이 하는 구실 ==
템플릿의 하는 구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템플릿을 문서에 끼워 넣으므로서 독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알리는 구실.
# 문서와 관련된 여러 관련 링크를 템플릿에 한데 모아서 독자가 쉽게 찾고자 하는 문서로 안내하는 구실
== 템플릿 만들기와 고치기 ==
|새로운 템플릿을 만들기 위해서는
{| width="90%" border="1" style="border-collapse:collapse; background:#FFFDF7;"
! width="60%" | 순서
! width="40%" | 하기
|-bgcolor="#FEFDFF"
|
# 네임스페이스 "Template:"에 원하는 제목을 쓰신 다음,
# [[Wikibooks:링크하는 요령|링크]]를 시킨 다음,
# 이 제목으로 새로운 문서를 만들어 [[Wikibooks:편집창|편집창]]에서 템플릿에 들어갈 내용을 써넣으신 후 저장 시키면 됩니다.
| <nowiki>[[Template:문서제목]]</nowiki>
|}
=== 템플릿 고치기 ===
이미 만들어져 있는 탬플릿의 내용을 고치기 위해서는 해당 템플릿의 문서를 찾아 보통 문서를 편집하듯이 하시면 됩니다.
== 템플릿 사용하기 ==
위에 설명에 따라 새로운 템플릿이 만들어 졌다면 이제 이 템플릿을 다른 문서 끼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이 들어갈 적절한 곳을 찾은 다음 그 곳에 다음과 같이 코드를 써넣으신 후 문서를 저장시키면 템플릿에 담긴 내용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 <nowiki>{{템플릿 이름}}</nowiki>
== 미디아위키의 고정 템플릿 ==
미디아위키 소프트웨어에는 미리 고정된 몇몇 템플릿이 있습니다.
{| width="90%" border="1" style="border-collapse:collapse;background:#FFFDF7;"
! width="60%" | 코드
! width="40%" | 결과
|-bgcolor="#FEFDFF"
|
* <nowiki>{{CURRENTYEAR}}</nowiki><br/>
* <nowiki>{{CURRENTMONTHNAME}}</nowiki><br/>
* <nowiki>{{CURRENTDAY}}</nowiki><br/>
* <nowiki>{{CURRENTDAYNAME}}</nowiki><br/>
* <nowiki>{{CURRENTTIME}}</nowiki><br/>
* <nowiki>{{PAGENAME}}</nowiki><br/>
* <nowiki>{{NUMBEROFARTICLES}}</nowiki>
|
* 년도: {{CURRENTYEAR}}<br/>
* 달이름: {{CURRENTMONTHNAME}}<br/>
* 날짜: {{CURRENTDAY}}<br/>
* 날이름: {{CURRENTDAYNAME}}<br/>
* 시간: {{CURRENTTIME}}<br/>
* 페이지이름: {{PAGENAME}}<br/>
* 문서의 수: {{NUMBEROFARTICLES}}
|}
== 템플릿의 변환값 (parameter) ==
템플릿의 내용을 때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바꾸어 써 넣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 템플릿 문서 자체를 필요할 때마다 번거롭게 고칠 필요없이 바꿀 수 있는 부분을 템플릿 작성할 때 이른바 "변화값"으로 지정하게 되면 필요 따라 이 변환값 부분에 원하는 내용을 써 넣으면 됩니다.
{| width="90%" border="1" style="border-collapse:collapse;background:#FFFDF7;"
! width="50%" | "변환값"을 가진 템플릿을 작성할 때
! width="50%" | "변환값"을 가진 템플릿을 사용할 때
|-bgcolor="#FEFDFF"
|
: <nowiki>{{{1}}}</nowiki>
:<small>주의: 둥근괄호 세 개!</small>
|
: <nowiki>{{템플릿 제목|1}}</nowiki>
:<small>주의: 작대기!</small>
: 숫자 1: 변환값
|}
== 템플릿 보기 ==
* [[Template:편집중]]
* [[Template:계속]]
* [[Template:요리 재료틀]]
[[Category:위키책]]
Wikibooks:카테고리
1221
edit=sysop:move=sysop
6549
2007-01-03T15:55:24Z
아흔
9
보호시킴 "[[Wikibooks:카테고리]]": basic [edit=sysop:move=sysop]
{{위키책_도움말}}
== 카테고리의 뜻 ==
카테고리란 낱말은 고대 그리스어의 카테고리아(''Kategoria'')에서 온 말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일반논리학에서 '술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여기서 술어란 한 주어가 갖는 여러가지 특성을 뜻합니다. 다시 말해 '''하나'''에 '''여럿'''이 맺고 있는 관계를 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고유의 뜻에서 카테고리(Category)는 분류학에서 새롭게 착안된 개념으로서 오늘날 여러 학문, 이를테면 생물 분류학, 통계학, 도서관학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여러모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정리 체계에 쓰이는 낱낱의 단위를 일컫습니다.</br>
사항이나 사물이 많아지고 여기 저기 흩어져 있으면 이를 때에 따라 찾아 쓰는데에 몹시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누구나 흔히 경험을 하게됩니다. 이러한 불편과 혼동을 줄이기 위하여 사항이나 사물들을 적절한 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정리 시키는 작업에 카테고리가 쓰이게 됩니다. 카테고리를 쓰기 위해서는 분야에 따라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카테고리의 체계를 미리 세우게 됩니다.
카테고리의 체계는 마치 작은 그릇을 큰 그릇 안에 집어 넣는 것으로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여러 작은 개념 그릇들을 하나의 큰 개념 그릇안에 넣는 일을 '''카테고리를 넣는다'''라고 일컬을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를 넣는 일을 빠르고 손쉽게 하기 위해서는 작고 큰 개념 그릇들을 정리하는 것이 앞서야 할 것입니다. 이 카테고리 정리 작업은 바로 카테고리의 체계를 세우는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흔히 쓰이는 카테고리 체계는 낮은 카테고리에서 높은 카테고리로 차례를 세우는 방법입니다. 위키책에서 쓰이는 카테고리 체계는 책의 유형과 책의 주제에 따른 카테고리 체계입니다.
== 카테고리 체계 ==
여러 대상들을 정해진 하나의 개념 혹은 주제 밑에 묶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개념 혹은 주제를 설정하게 됩니다. 설정된 개념이나 주제는 여러 대상들이 가진 비슷한 또는 공통된 특성을 대표하게 됩니다.
=== 책의 유형에 따라서 ===
* [[Wikibooks:위키책 입문서|위키책 입문서]] : [[:Category:입문서]]
* [[Wikibooks:위키책 참고서|위키책 참고서]] : [[:Category:참고서]]
* [[Wikibooks:위키책 해석서|위키책 해석서]] : [[:Category:해석서]]
* [[Wikibooks:위키책 주석서|위키책 주석서]] : [[:Category:주석서]]
* [[Wikibooks:위키책 비평서|위키책 비평서]] : [[:Category:비평서]]
* [[Wikibooks:위키책 감상문|위키책 감상문]] : [[:Category:감상문]]
* [[Wikibooks:위키책 전기|위키책 전기]] : [[:Category:전기]]
* [[Wikibooks:위키책 참고문헌|위키책 참고문헌]]
* [[Wikibooks:위키책 스포츠|위키책 스포츠]] : [[:Category:스포츠]]
* [[Wikibooks:위키책 가정|위키책 가정]] : [[:Category:가정]]
=== 책의 주제에 따라서 ===
* [[:Category:문학]]
* [[:Category:철학]]
* [[:Category:신학]]
* [[:Category:종교]]
* [[:Category:언어]]
* [[:Category:역사]]
* [[:Category:심리학]]
* [[:Category:정치]]
* [[:Category:법학]]
* [[:Category:경제]]
* [[:Category:수학]]
* [[:Category:물리학]]
* [[:Category:화학]]
* [[:Category:생물학]]
* [[:Category:천문학]]
== 카테고리 쓰기 ==
* 한국어 위키책에서는 Category의 잘못된 번역 <font color=red>'분류'</font>라는
== 카테고리 넣기 ==
[[Category:위키책]]
그노시스
1225
2809
2005-06-28T10:53:22Z
A-heun
22
계속 씀
== 그노시스의 뜻과 역사적 배경 ==
그노시스는 '앎'이라는 뜻을 지닌 고대 그리스어 '''γνωσις'''(gnosis)에서 온 말로서 기독교 신학 및 종교학에서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이와 더불어 곳곳에서 유행한 종교적 사상 혹은 종교집단의 이론을 통틀어 부르는 말로 쓰이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그노시스를 종교적 비밀교리를 일컫는데 쓰이지만, 특정 시대에 한정하여 말할 때에는 기독교의 성립 이후에 생겨난 일종의 정신적 자세 혹은 시대적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후자의 맥락에서 볼 대 그노시스는 기원후 2세기에 로마제국의 변경 식민지인 중동의 서남부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으며 중심지는 이집트 북부의 해안의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건설된 고대 그리스 식민도시인 알렉산드리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노시스에서 말하는 '앎' 혹은 '지식'이라는 낱말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뜻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그노시스의 추종자가 의미하는 '앎'이란 학문적 관찰이나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지식이나 혹은 언떤 종교적 가르침에 의해 얻은 지혜를 뜻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험적 지식이 아닌 어떤 '앎'을 그노시스의 추종자들은 찾고자 하였으며, 이 '앎의 길'은 바로 신의 계시에 있다고 믿은 것으로 여겨진다. 신의 계시를 통해서 '앎'을 얻으므로서 인간은 나쁜 현세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는 열쇠를 마련하게 된다고 그들은 믿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그노시는 '계시의 지식'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낙 함마디(Nag-Hammadi)에서 발견된 이른바 '진리의 복음서'에서 '그노시스'의 뜻을 어렴풋이나마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다음과 같은 구절을 읽을 수 있다.
: '지식'(gnosis)을 가진 사람은 그가 어디에서 왔으며 그리고 어디로 가는지 알게 된다. 마치 술에 취했던 사람이 술기운에서 깨어나 자중을 하면서 원기를 회복하는 것처럼 지식을 가진 사람은 이 의문을 알 수 있다.
이 구절에서 쓰인 비유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계시의 지식'은 인간을 곧바로 어떤 높고 영원한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주변환경에 무심하였던 술취한 사람이 점차 술기운에서 깨어나듯이 '앎'을 얻은 사람은 그동안 알려져 있지 않던 어떤 세계에 눈을 뜨게 된다고 그노시스 추종자들은 믿고 이를 가르친 것으로 여겨진다.
그노시스는 구세론과 우주론(창세론)을 유대교 및 기독교의 전래 교리 그리고 당시의 여러 종교의 교리에서 빌어 나름대로 달리 해석하면서 점차 그들의 교리를 체계화시켰기 때문에 초기 기독교와 일종의 적대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그노시스의 사상 혹은 종교적 이론은 지역과 집단에 따라 서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그노시스의 특징을 이루는 몇몇 기본사상은 그노시스의 종파와 관계 없이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이들 공통된 그노시스의 사상은 대개 다음과 같이 간추려 볼 수 있다.
# 그노시스의 신은 자비와 선의 신으로서 '빛'의 세계에 머무르며, 인간세계와는 전혀 관계를 맺고 있지 않다. 흔히 그노시스의 신을 '아버지신'이라 부른다.
# 인간세계는 '아버지신'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니라 이른바 '창조의 신'에 의해 생겨났다.
# 우주는 여러 신들이 지배하고 있으며, 인간세계는 바로 가장 낮은 세계이다.
# 인간은 처음 '빛의 세계'에 속하였으나, 운명에 의하여 오늘날 빛의 세계에서 떨어져 나와 물질(육체)와 더불어 살고 있다.
# 물질세계에서 인간은 언제나 고통의 삶을 살고 있으며, 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은 착한 일을 하거난 어떤 신, 가령 기독교의 신을 믿는 것에 있지 않다. 이 세계에서의 구원은 오로지 아버지신의 뜻을 깨우치는 데에 있다 (여기서 '그노시스'라는 낱말의 본 뜻을 잘 짐작할 수 있다).
# 이와 같은 앎은 아버지신의 아들 '말씀'(고대 그리스어: 로고스, '''λόγος''', logos) 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그노시스의 서적]]
== 그노시스의 이론 ==
* [[그노시스/창조론]]
* [[그노시스/사람]]
* [[그노시스/예수 그리스도]]
== 그노시스의 분파 ==
** [[그노시스/나자렛파]]
** [[그노시스/니콜라이파]]
** [[그노시스/바실리데스파]]
** [[그노시스/발렌틴파]]
** [[그노시스/리베르틴파]]
** [[그노시스/만데아파]]
== 그노시스의 영향 ==
[[Category:참고서]]
[[Category:종교]]
분류:종교
1226
2810
2005-05-11T18:27:13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신학]]
분류:신학
1227
2811
2005-05-11T18:27:51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학문]]
토마스 만의 토니오 크뢰거
1228
2812
2005-06-04T10:22:57Z
아흔
9
링크
토니오 크뢰거(Tonio Kröger)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자 20세기 독일 문학의 대표적 작가 가운데 한사람으로 손꼽히는 [[토마스 만 전기|토마스 만]](Thomas Mann, 1875년 - 1955년)의 초기의 대표적 단편소설로서 토마스 만의 소설 창작 기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창작 배경 ==
'부덴브룩가'(Buddenbrooks)을 1901년 출판하여 커다란 성공을 거둔 후, 출판사로부터 단편소설집의 출판을 제안 받고 토마스 만은 그동안 여러 잡지에 기고한 네 편의 단편, '묘지로 가는 길'(Der Weg yum Friedhof), '옷장'(Der Kleiderschrank), '루이스헨'(Luischen), '신의 검'(Glaudius dei)과 아직 출판하지 않은 '트리스탄'(Tristan)을 한데 모아 보았으나 책으로 내 놓기에는 부피가 적은 까닭에 새로운 단편 하나를 쓰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토니오 크뢰거'의 집필은 이전에 착상하여 간간히 쓰다 말은 원고들 가운데 '문학'(Litteratur)이라는 제목의 메모집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토니오 크뢰거'를 마무리 짓는 데 토마스 만은 적지 않은 고충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원인으로는 '토니오 크뢰거'의 중간에 들어 있는 문학에 관한 비교적 긴 대화는 위에서 언급한 '문학'이라는 메모장에서 빌어 온 것으로서 '토니오 크뢰거'의 전체 사건 전개에 짜맞추는 데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여하튼 약 1년간의 지난한 노력 끝에 1902년 말에 '토니오 크뢰거'는 완결되어 1903년 초에 단편집에 끼워져 빛을 보게 되었다.
== 줄거리 ==
== 창작 기법 ==
== 읽어보기 ==
[[Category:감상문]]
[[Category:문학]]
심리학 입문
1229
2813
2005-05-23T19:01:07Z
아흔
9
교정
== 심리학의 뜻 ==
* [[심리학 입문/정의]]
== 심리학의 연구체계 ==
=== 일반 심리체계 ===
* [[심리학 입문/감각]]
* [[심리학 입문/사고]]
* [[심리학 입문/동기]]
* [[심리학 입문/감성]]
* [[심리학 입문/행위]]
=== 발달 심리체계 ===
* [[심리학 입문/발육]]
* [[심리학 입문/학습]]
* [[심리학 입문/인격]]
== 심리학의 연구 분야 ==
* [[일반심리학 입문]]
* [[정신분석학 입문]]
* [[인격심리학 입문]]
* [[발달심리학 입문]]
* [[행동심리학 입문]]
* [[사회심리학 입문]]
[[Category:입문서]]
[[Category:심리학]]
분류:심리학
1230
2814
2005-05-11T18:45:59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학문]]
수에토니우스 로마황제 전기
1231
2815
2005-05-11T18:57:40Z
아흔
9
새글들임
* [[수에토니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율리우스 카이사르]]
* [[수에토니우스/아우구스투스|아우구스투스]]
* [[수에토니우스/티베리우스|티베리우스]]
* [[수에토니우스/칼리굴라|칼리굴라]]
* [[수에토니우스/클라우디우스|클라우디우스]]
* [[수에토니우스/네로|네로]]
* [[수에토니우스/갈바|갈바]]
* [[수에토니우스/오토|오토]]
* [[수에토니우스/비텔리우스|비텔리우스]]
* [[수에토니우스/베스파시아누스|베스파시아누스]]
* [[수에토니우스/티투스|티투스]]
* [[수에토니우스/도미티아누스|도미티아누스]]
[[Category:전기]]
[[Category:역사]]
분류:역사
1232
2816
2005-05-11T18:58:13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학문]]
수에토니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
1233
2817
2005-06-17T17:10:49Z
아흔
9
{{계속|전기|수에토니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아우구스투스|수에토니우스}}
== 전기의 구성 ==
현존하는 수에토니우스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Gaius Iulius Caesar, 기원전 100년 7월 13일 - 44년 3월 15일)의 전기는 서문이 상실된 채 전수되어 오고 있다. 다른 전기들의 구성을 비교하여 볼 때 율리우스 가문의 족보와 어린 시절이 아마 서문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전기는 예전의 편집자에 의해 촌 89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율리우스가 16세 된던 해에서 비롯하여 사망하기 까지의 율리우스의 생애를 연대별로 서술하고 있다.
* [[수에토니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1-8]]: 재무관이 되기까지
* [[수에토니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9-17]]: 법무관 시절
분류:수에토니우스
1234
2818
2005-05-11T19:00:37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전기]]
수에토니우스/아우구스투스
1235
2819
2005-06-04T10:37:17Z
아흔
9
{{계속|전기|수에토니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티베리우스|수에토니우스}}
그림:Icon-09.jpg
1246
2830
2005-05-12T17:49:01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틀:요리 재료틀
1247
2831
2005-05-12T18:07:43Z
아흔
9
set
{| width="60%" align="right"
|-
|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BE462;text-align:center;" | '''재료'''
|-
| style="background:#F7FEF3;" valign="top" |
<div style="padding:1em; text-align:left;">
[[그림:Icon-09.jpg|float|right|100px]]
{{{1}}}
</div>
|}
신약성서 주석
1248
3888
2005-09-07T17:39:56Z
아흔
9
rev.
{| width="100%" border="0" cellpadding="6" cellspacing="2"
| style="background:#6802A8" align="center" colspan="2" |
|-
| width="50%" style="background:#E0DFE1;text-align:center; font-size:120%;"| '''신약성서'''
| width="50%" style="background:#E0DFE1;text-align:center; font-size:120%;"| '''[[신약성서 입문]]'''
|-
| valign="top" style="background:#FFFFFF;" |
<div style="padding:1em; text-align:left;">
* '''[[마태오의 복음서]]''' [[그림:Icon-a.jpg|float|right|30px|]]
* '''[[마르코의 복음서]]'''
* '''[[루가의 복음서]]'''
* '''[[요한의 복음서]]'''
<div style="margin-top:1em; margin-bottom:1em; border-top:2px dotted #000E96;"></div>
* '''[[사도행전]]'''
<div style="margin-top:1em; margin-bottom:1em; border-top:2px dotted #000E96;"></div>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 '''[[필리비인들에게 보낸 편지]]'''
*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 '''[[티모데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티모데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 '''[[디도에게 보낸 편지]]'''
* '''[[필레몬에게 보낸 편지]]'''
<div style="margin-top:1em; margin-bottom:1em; border-top:2px dotted #000E96;"></div>
*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 '''[[야고보의 편지]]'''
* '''[[베드로의 첫째 편지]]'''
* '''[[베드로의 둘째 편지]]'''
* '''[[요한의 첫째 편지]]'''
* '''[[요한의 둘째 편지]]'''
* '''[[요한의 세째 편지]]'''
<div style="margin-top:1em; margin-bottom:1em; border-top:2px dotted #000E96;"></div>
* '''[[요한묵시록]]'''
[[그림:Icon-w.jpg|float|right|30px|]]
<div/>
| valign="top" style="background:#EAEAEA;" |
<div style="margin-left:1em; padding:1em; text-align:left;">
* [[신약성서 입문/신약성서의 뜻|신약성서의 뜻]]
* [[신약성서 입문/공관복음|공관복음]]
* [[신약성서 입문/복음서들의 구절 비교|복음서들의 구절 비교]]
* [[신약성서 입문/경전의 완결|경전(canon)의 완결]]
* [[신약성서 입문/바울의 편지의 진위|바울의 편지의 진위]]
<div style="margin-top:1em; margin-bottom:1em; border-top:2px dotted #000E96;"></div>
* [[신약성서 입문/예수의 상|예수의 상]]
* [[신약성서 입문/예수에 관한 역사 기록|예수에 관한 역사 기록]]
* [[신약성서 입문/예수의 행적|예수의 행적]]
* [[신약성서 입문/예수의 인품|예수의 인품]]
* [[신약성서 입문/그노시스|그노시스]]
<div style="margin-top:1em; margin-bottom:1em; border-top:2px dotted #000E96;"></div>
* [[사도 바울의 신학]]
* [[사도 바울의 신학/바울의 삶의 발자취|바울의 삶의 발자취]]
* [[사도 바울의 신학/바울의 구세론|바울의 구세론]]
<div style="margin-top:1em; margin-bottom:1em; border-top:2px dotted #000E96;"></div>
* [[신약성서 입문/성서 해석론|성서 해석론]]
* [[신약성서 입문/신약성서 번역서|신약성서 번역서]]
<div style="margin-top:1em; margin-bottom:1em; border-top:2px dotted #000E96;"></div>
* [[구약성서 입문]]
</div>
|}
__NOTOC__
[[Category:주석서]]
[[Category:신약성서]]
아리스토파네스의 구름
1250
2834
2005-05-12T18:55:23Z
아흔
9
set
== 등장인물 ==
* 소크라테스
* 카이레폰
* 소크라테스 제자
* 스트렙시아데스
* 페이디피데스
* 파시아스
* 아미니아스
* 좋은 일의 변호인
* 나쁜 일의 변호인
* 합창단: 구름
== 상연연대 ==
* 기원전 423년 디오뉘시아 축제에 첫공연, 3등 입상.
== 구성 ==
* [[구름/제 1막]]
* [[구름/제 2막]]
* [[구름/제 3막]]
* [[구름/제 4막]]
* [[구름/제 5막]]
== 읽어보기 ==
[[Category:주석서]]
[[Category:문학]]
몽테뉴의 수상록
1251
2835
2005-05-13T18:58:40Z
아흔
9
정리
== 제 1권 ==
* [[몽테뉴의 수상록/1.1]]: 여러 수단을 거쳐 하나의 목표로 (Par divers moyens on arrive à pareille fin)
* [[몽테뉴의 수상록/1.2]]: 슬픔에 관하여 (De la tristesse)
* [[몽테뉴의 수상록/1.3]]: 애정은 우리보다 오래 남는다 (Nos affections s'emportent au delà de nous)
* [[몽테뉴의 수상록/1.4]]: 영혼이 열정을 잘못된 대상에 쏟는 것은 영혼에 참된 대상이 부재하기 때문 (Comme l'âme descharge ses passions sur des objets faux, quand les vrais luy defaillent)
* [[몽테뉴의 수상록/1.5]]: 장군이 담화를 하기 위하여 포위된 장소를 벗어나야 하는가 (Si le chef d'une place assiégée doit sortir pour parlementer)
* [[몽테뉴의 수상록/1.6]] L'heure des parlemens dangereuse
* [[몽테뉴의 수상록/1.7]] Que l'intention juge nos actions
* [[몽테뉴의 수상록/1.8]] De l'oisiveté
* [[몽테뉴의 수상록/1.9]] Des menteurs
* [[몽테뉴의 수상록/1.10]] Du parler prompt ou tardif
* [[몽테뉴의 수상록/1.11]] Des prognostications
* [[몽테뉴의 수상록/1.12]] De la constance
* [[몽테뉴의 수상록/1.13]] Ceremonie de l'entrevuë des roys
* [[몽테뉴의 수상록/1.14]] On est puny pour s'opiniastrer à une place sans raison
* [[몽테뉴의 수상록/1.15]] De la punition de la couardise
* [[몽테뉴의 수상록/1.16]] Un traict de quelques ambassadeurs
* [[몽테뉴의 수상록/1.17]] De la peur
* [[몽테뉴의 수상록/1.18]] Qu'il ne faut juger de nostre heur qu'après la mort
* [[몽테뉴의 수상록/1.19]] Que philosopher, c'est apprendre à mourir
* [[몽테뉴의 수상록/1.20]] De la force de l'imagination
* [[몽테뉴의 수상록/1.21]] Le profit de l'un est dommage de l'aultre
* [[몽테뉴의 수상록/1.22]] De la coustume et de ne changer aisément une loy receüe
* [[몽테뉴의 수상록/1.23]] Divers evenemens de mesme conseil
* [[몽테뉴의 수상록/1.24]] Du pedantisme
* [[몽테뉴의 수상록/1.25]] De l'institution des enfans
* [[몽테뉴의 수상록/1.26]] C'est folie de rapporter le vray et le faux à nostre suffisance
* [[몽테뉴의 수상록/1.27]] De l'amitié
* [[몽테뉴의 수상록/1.28]] Vingt et neuf sonnets d'Estienne de La Boëtie
* [[몽테뉴의 수상록/1.29]] De la moderation
* [[몽테뉴의 수상록/1.30]] Des cannibales
* [[몽테뉴의 수상록/1.31]] Qu'il faut sobrement se mesler de juger des ordonnances divines
* [[몽테뉴의 수상록/1.32]] De fuir les voluptez au pris de la vie
* [[몽테뉴의 수상록/1.33]] La fortune se rencontre souvent au train de la raison
* [[몽테뉴의 수상록/1.34]] D'un defaut de nos polices
* [[몽테뉴의 수상록/1.35]] De l'usage de se vestir
* [[몽테뉴의 수상록/1.36]] Du jeune Caton
* [[몽테뉴의 수상록/1.37]] Comme nous pleurons et rions d'une mesme chose
* [[몽테뉴의 수상록/1.38]] De la solitude
* [[몽테뉴의 수상록/1.39]] Consideration sur Ciceron
* [[몽테뉴의 수상록/1.40]] Que le goust des biens et des maux despend en bonne partie de l'opinion que nous en avons
* [[몽테뉴의 수상록/1.41]] De ne communiquer sa gloire
* [[몽테뉴의 수상록/1.42]] De l'inequalité qui est entre nous
* [[몽테뉴의 수상록/1.43]] Des loix somptuaires
* [[몽테뉴의 수상록/1.44]] Du dormir
* [[몽테뉴의 수상록/1.45]] De la bataille de Dreux
* [[몽테뉴의 수상록/1.46]] Des noms
* [[몽테뉴의 수상록/1.47]] De l'incertitude de nostre jugement
* [[몽테뉴의 수상록/1.48]] Des destries
* [[몽테뉴의 수상록/1.49]] Des coustumes anciennes
* [[몽테뉴의 수상록/1.50]] De Democritus et Heraclitus
* [[몽테뉴의 수상록/1.51]] De la vanité des paroles
* [[몽테뉴의 수상록/1.52]] De la parsimonie des anciens
* [[몽테뉴의 수상록/1.53]] D'un mot de Cæsar
* [[몽테뉴의 수상록/1.54]] Des vaines subtilitez
* [[몽테뉴의 수상록/1.55]] Des senteurs
* [[몽테뉴의 수상록/1.56]] Des prieres
* [[몽테뉴의 수상록/1.57]] De l'aage
[[Category:해석서]]
[[Category:철학]]
[[Category:문학]]
분류:철학
1252
2836
2005-05-12T19:10:55Z
아흔
9
카테고리 넣음
[[Category:학문]]
토마스 만 전기
1253
3560
2005-07-08T18:42:04Z
아흔
9
계속 씀
== 토마스 만 (Thomas Mann)의 가계 ==
문서 상으로는 '만'(Mann)이라는 성씨는 이미 13세기에 독일의 북동쪽 멕클렌부르크(Mecklenburg) 지방에서 살았던 것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또한 독일의 바이에른 주에 위치한 뉘른베르크(Nürnberg)에서 16세기 이래로 '만'이라는 성을 가진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아마 토마스 만의 선조는 멕클렌부르크에서 18세기 초에 로스톡(Rostock)이라는 항구 도시로 이주하여 살은 것으로 보인다.
[[그림:Luebeck.jpg|thumb|토마스 만의 고향 뤼벡]]
토마스 만의 어머니쪽 가계는 '브룬'(Bruhn)이라는 성을 가진 가문으로서, '브룬'의 선조들 역시 18세기 중엽에 로스톡에서 '한자도시'인 뤼벡(Lübeck)에 정착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무역상을 하던 '브룬' 가문은 19세기에 이르러 뤼벡에서 재벌로 부상하게 되었으며, 토마스 만의 유년 시절에 이르기까지 뤼벡의 손꼽히는 가문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토마스 만의 외할아버지인 요한 루드비히 헤르만 브룬 (Johann Ludwig Hermann Bruhn, 1821년 - 1893년)은 '브룬' 가문이 명성을 얻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헤르만은 이미 20세의 젊은 나이로 포도주 거래상을 시작하면서 무역업에 발을 내딪게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헤르만은 브라질 상파울로에 커피 및 설탕을 수출입 하는 지점을 개설하여 사업을 국제적으로 확장하였으며 또한 상파울로에 농장을 직접 경영하면서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이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헤르만은 24세 되던 해에 포르투갈에서 브라질로 이민하여 크게 성공한 '다 실바'(da Silva) 가문의 딸 마리아(Maria)와 결혼을 하였다. 헤르만은 마리아로부터 여섯 명의 자녀를 얻게되었으며, 토마스 만의 어머니 율리아(Julia)는 두번째 딸로서 1851년 8월 14일에 태어났다. 율리아가 다섯살이 되던 해에 그녀의 어머니 마리아는 산후유증으로 사망한 후, 헤르만은 홀아비로서 어린 여섯 명의 자녀를 보살피기가 어려워 아이들을 데리고 고향 뤼벡으로 귀국하여 아이들을 친척에게 양육을 맡긴 후 다시 브라질로 돌아갔다. 율리아가 학교갈 나이가 되어 그녀의 언니가 다니는 소녀기숙사 학교에 입학하여 그곳에서 충실한 교육을 받게된다. 17세의 처녀로 율리아는 뤼벡의 영사의 아들이자 곡식 무역상인으로 뤼벡에서 일찍 자리를 잡은 토마스 요한 하인리히 만(Thomas Johann Heinrich Mann)을 알게 되어 같은 해에 그와 결혼을 하게된다. 토마스 만의 외할아버지, 율리아의 아버지, 헤르만은 1878년 유럽으로 귀국하여 카셀에서 여생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르만이 사망할 당시 토마스 만은 18세였음에도 불구하고 토마스 만은 그의 소설에서 헤르만에 관해 전혀 언급을 하고 있지 않고 있다. 특히 만(Mann) 가문을 작품의 소재로 한 '부덴부르크가'에서 파란 만장한 헤르만의 생애가 어떤 이유에서 토마스 만이 빼놓았는지 문학 비평가들은 가끔 의아해 한다.
율리아가 토마스 요한 하인리히 만(토마스 만의 할아버지) 을 알게 되었을 때 만(Mann) 가문은 '부덴부르크가문'처럼 당시 멩 거리 4번지 (Mengstrasse)에 살았다. 토마스 만의 친할머니는 엘리자베트 마르티(Elisabeth Marty)이며, 마르티 가문은 원래 스위스가 고향이며 19세기 초에 뤼벡으로 이주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마르티 가문은 만 가문과는 달리 원래 상업을 가업으로 삼고있지 않았으나, 엘리자베트 마르티의 할아버지, 다시 말해 토마스 만의 고조부인 요한 하인리히 마르티가 뤼벡으로 이주하여 뤼벡의 거상으로 알려진 크롤(Croll) 가문의 딸인 카타리나 엘리자베트 크롤(Catharina Elisabeth Croll)과 결혼하여 뤼벡에서 무역상으로 출세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마스 만의 소설 '부덴부르크가'에서 크뢰거(Kröger) 가문은 바로 크롤 가문을 대신하고 있다.
== 어린 시절 ==
== 청년 시절 ==
== 카티아 프링스하임 ==
== 하인리히 만 ==
== 부덴부룩 (Buddenbrook)과 Mann의 가문 ==
== 노벨 문학상 ==
== 나치 독일과 망명 생활 ==
== 토마스 만의 자녀들 ==
* [[에리카 만]]
* [[클라우스 만]]
* [[골로 만]]
* [[모니카 만]]
* [[엘리자베스 만]]
* [[미햐엘 만]]
== 토마스 만의 문학작품 ==
[[Category:전기]]
몽테뉴의 수상록/1.1
1254
2838
2005-05-17T17:47:07Z
아흔
9
계속 씀
{{계속|해석서|몽테뉴의 수상록|1.2|1.3}}
== 제 1장: 여러 수단을 거쳐 한 목적에 이르는 길 (Par divers moyens on arrive à pareille fin) ==
{| width="100%"
| width="49%" style="vertical-align:top;" |
La plus commune façon d'amollir les coeurs de ceux qu'on a offencez, lors qu'ayans la vengeance en main, ils nous tiennent à leur mercy, c'est de les esmouvoir par submission, à commiseration et à pitié : Toutesfois la braverie, la constance, et la resolution, moyens tous contraires, ont quelquesfois servy à ce mesme effect.
Edouard Prince de Galles, celuy qui regenta si long temps nostre Guienne : personnage duquel les conditions et la fortune ont beaucoup de notables parties de grandeur ; ayant esté bien fort offencé par les Limosins, et prenant leur ville par force, ne peut estre arresté par les cris du peuple, et des femmes, et enfans abandonnez à la boucherie, luy criants mercy, et se jettans à ses pieds : jusqu'à ce que passant tousjours outre dans la ville, il apperçeut trois gentils-hommes François, qui d'une hardiesse incroyable soustenoient seuls l'effort de son armee victorieuse. La consideration et le respect d'une si notable vertu, reboucha premierement la pointe de sa cholere : et commença par ces trois, à faire misericorde à tous les autres habitans de la ville.
Scanderberch, Prince de l'Epire, suyvant un soldat des siens pour le tuer, et ce soldat ayant essayé par toute espece d'humilité et de supplication de l'appaiser, se resolut à toute extremité de l'attendre l'espee au poing : cette sienne resolution arresta sus bout la furie de son maistre, qui pour luy avoir veu prendre un si honorable party, le reçeut en grace. Cet exemple pourra souffrir autre interpretation de ceux, qui n'auront leu la prodigieuse force et vaillance de ce Prince là.
L'Empereur Conrad troisiesme, ayant assiegé Guelphe Duc de Bavieres, ne voulut condescendre à plus douces conditions, quelques viles et lasches satisfactions qu'on luy offrist, que de permettre seulement aux gentils-femmes qui estoient assiegees avec le Duc, de sortir leur honneur sauve, à pied, avec ce qu'elles pourroient emporter sur elles. Elles d'un coeur magnanime, s'adviserent de charger sur leurs espaules leurs maris, leurs enfans, et le Duc mesme. L'Empereur print si grand plaisir à voir la gentillesse de leur courage, qu'il en pleura d'aise, et amortit toute cette aigreur d'inimitié mortelle et capitale qu'il avoit portee contre ce Duc : et dés lors en avant traita humainement luy et les siens. L'un et l'autre de ces deux moyens m'emporteroit aysement : car j'ay une merveilleuse lascheté vers la miséricorde et mansuetude : Tant y a, qu'à mon advis, je serois pour me rendre plus naturellement à la compassion, qu'à l'estimation. Si est la pitié passion vitieuse aux Stoiques : Ils veulent qu'on secoure les affligez, mais non pas qu'on flechisse et compatisse avec eux.
Or ces exemples me semblent plus à propos, d'autant qu'on voit ces ames assaillies et essayees par ces deux moyens, en soustenir l'un sans s'esbranler, et courber sous l'autre. Il se peut dire, que de rompre son coeur à la commiseration, c'est l'effet de la facilité, debonnaireté, et mollesse : d'où il advient que les natures plus foibles, comme celles des femmes, des enfans, et du vulgaire, y sont plus subjettes. Mais (ayant eu à desdaing les larmes et les pleurs) de se rendre à la seule reverence de la saincte image de la vertu, que c'est l'effect d'une ame forte et imployable, ayant en affection et en honneur une vigueur masle, et obstinee. Toutesfois és ames moins genereuses, l'estonnement et l'admiration peuvent faire naistre un pareil effect : Tesmoin le peuple Thebain, lequel ayant mis en Justice d'accusation capitale, ses capitaines, pour avoir continué leur charge outre le temps qui leur avoit esté prescript et preordonné, absolut à toute peine Pelopidas, qui plioit sous le faix de telles objections, et n'employoit à se garantir que requestes et supplications : et au contraire Epaminondas, qui vint à raconter magnifiquement les choses par luy faites, et à les reprocher au peuple d'une façon fiere et arrogante, il n'eut pas le coeur de prendre seulement les balotes en main, et se departit : l'assemblee louant grandement la hautesse du courage de ce personnage.
Dionysius le vieil, apres des longueurs et difficultés extremes, ayant prins la ville de Rege, et en icelle le Capitaine Phyton, grand homme de bien, qui l'avoit si obstinéement defendue, voulut en tirer un tragique exemple de vengeance. Il luy dict premierement, comment le jour avant, il avoit faict noyer son fils, et tous ceux de sa parenté. A quoy Phyton respondit seulement, qu'ils en estoient d'un jour plus heureux que luy. Apres il le fit despouiller, et saisir à des Bourreaux, et le trainer par la ville, en le fouëttant tres ignominieusement et cruellement : et en outre le chargeant de felonnes parolles et contumelieuses. Mais il eut le courage tousjours constant, sans se perdre. Et d'un visage ferme, alloit au contraire ramentevant à haute voix, l'honorable et glorieuse cause de sa mort, pour n'avoir voulu rendre son païs entre les mains d'un tyran : le menaçant d'une prochaine punition des dieux. Dionysius, lisant dans les yeux de la commune de son armee, qu'au lieu de s'animer des bravades de cet ennemy vaincu, au mespris de leur chef, et de son triomphe : elle alloit s'amollissant par l'estonnement d'une si rare vertu, et marchandoit de se mutiner, et mesmes d'arracher Phyton d'entre les mains de ses sergens, feit cesser ce martyre : et à cachettes l'envoya noyer en la mer.
Certes c'est un subject merveilleusement vain, divers, et ondoyant, que l'homme : il est malaisé d'y fonder jugement constant et uniforrme. Voyla Pompeius qui pardonna à toute la ville des Mamertins, contre laquelle il estoit fort animé, en consideration de la vertu et magnanimité du citoyen Zenon, qui se chargeoit seul de la faute publique, et ne requeroit autre grace que d'en porter seul la peine. Et l'hoste de Sylla, ayant usé en la ville de Peruse de semblable vertu, n'y gaigna rien, ny pour soy, ny pour les autres.
Et directement contre mes premiers exemples, le plus hardy des hommes et si gratieux aux vaincus Alexandre, forçant apres beaucoup de grandes difficultez la ville de Gaza, rencontra Betis qui y commandoit, de la valeur duquel il avoit, pendant ce siege, senty des preuves merveilleuses, lors seul, abandonné des siens, ses armes despecees, tout couvert de sang et de playes, combatant encores au milieu de plusieurs Macedoniens, qui le chamailloient de toutes parts : et luy dit, tout piqué d'une si chere victoire (car entre autres dommages, il avoit receu deux fresches blessures sur sa personne) Tu ne mourras pas comme tu as voulu, Betis : fais estat qu'il te faut souffrir toutes les sortes de tourmens qui se pourront inventer contre un captif. L'autre, d'une mine non seulement asseuree, mais rogue et altiere, se tint sans mot dire à ces menaces. Lors Alexandre voyant l'obstination à se taire : A il flechy un genouil ? luy est-il eschappé quelque voix suppliante ? Vrayement je vainqueray ce silence : et si je n'en puis arracher parole, j'en arracheray au moins du gemissement. Et tournant sa cholere en rage, commanda qu'on luy perçast les talons, et le fit ainsi trainer tout vif, deschirer et desmembrer au cul d'une charrette.
Seroit-ce que la force de courage luy fust si naturelle et commune, que pour ne l'admirer point, il la respectast moins ? ou qu'il l'estimast si proprement sienne, qu'en cette hauteur il ne peust souffrir de la veoir en un autre, sans le despit d'une passion envieuse ? ou que l'impetuosité naturelle de sa cholere fust incapable d'opposition ?
De vray, si elle eust receu bride, il est à croire, qu'en la prinse et desolation de la ville de Thebes elle l'eust receue : à veoir cruellement mettre au fil de l'espee tant de vaillans hommes, perdus, et n'ayans plus moyen de defence publique. Car il en fut tué bien six mille, desquels nul ne fut veu ny fuiant, ny demandant mercy. Au rebours cerchans, qui çà, qui là, par les rues, à affronter les ennemis victorieux : les provoquans à les faire mourir d'une mort honorable. Nul ne fut veu, qui n'essaiast en son dernier souspir, de se venger encores : et à tout les armes du desespoir consoler sa mort en la mort de quelque ennemy. Si ne trouva l'affliction de leur vertu aucune pitié et ne suffit la longueur d'un jour à assouvir sa vengeance. Ce carnage dura jusques à la derniere goute de sang espandable : et ne s'arresta qu'aux personnes desarmées, vieillards, femmes et enfants, pour en tirer trente mille esclaves.
| width="2%" style="vertical-align:top;" |
| width="49%" style="vertical-align:top" |
사람이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을 때, 또는 하고자 하는 일이 여려움에 부닥쳤거나 곤경에 빠졌을 때, 이를 풀기 위해서는 우리가 여러모로 궁리를 할 수 있다. 몽테뉴는 역사상의 인물들을 예로 들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어떻게 원만히 해결할 수 있는가를 수상록 첫 장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예컨데 영국의 에드워드 3세가 리모장을 점령하여 도시와 민중을 혼돈과 공포속에 몰아넣었을 때, 마침 세 사람의 기사가 에드워드의 군대에 과감히 맞서 목숨을 걸고 싸우는 것을 에드워드가 보고는 이들의 용맹에 감탄하여 점령한 도시와 주민들을 관대히 다루게 되었다고 한다.
|}
C 플러스 플러스
1260
2841
2005-05-16T10:07:34Z
대한민국
15
== C 플러스 플러스 ==
=== 함수 ===
* [[C 플러스 플러스/함수의 구조]]
=== 구조체 ===
* [[C 플러스 플러스/구조체]]
C 플러스 플러스/함수의 구조
1261
2842
2005-05-16T10:07:11Z
대한민국
15
:[함수의 데이터형] 함수명 ([인수의 나열])
:{
:문장 1;
:.
:.
:[return]
:}
함수는 머리와 몸체로 나뉜다. 머리는 함수명과 인수리스트가 있는 부분이며 몸체는 블록으로 묶인 부분이다.
함수의 데이터형은 함수에서 리턴되는 값에 의해 결정되며 인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되는 값을 말하며 매개변수란 인수값을 저장하기 위해 선언된 변수이며 인수와 개수가 일치해야 한다.
함수정의할때는 어떤 작업이든 작성할수 있으나 함수안에 함수를 또 정의하는 일은 할수 없다. 그래서 함수를 만드는 위치는 크게 main()함수 위나 또는 아래에 작성한다. main()함수아래에서 정의할때는 반드시 main()함수위에 함수의 원형을 선언해야 한다. 함수의 원형은 함수의 머리부분을 그대로 작성하면 되며, 매개변수의 이름은 생략할수 있다.
:<nowiki>#</nowiki>include<stdio.h>
:int sub(int);
:main(){
:int num,result;
:scanf("%d",&num);
:result = sub(num);
:printf("%d",result);
:}
:int sub(int num)
:{
:int mul;
:mul=num*num;
:return mul;
:}
==인수의 호출방법==
가인수의 값이 변경되더라도실인수의 값은 영향받지 않는다. 실인수와 가인수의 기억장소는 각각 독립적 사용한다.
:<nowiki>#</nowiki>include<stdio.h>
:void val(int a)
:{
:a=a+10;
:printf("val함수에서 a의 값은 = %d\n",a);
:}
:void main()
:{
:int a;
:printf("정수입력?");
:scanf("%d",&a);
:printf("main에서 a의 값은 = %d\n",a);
:val (a);
:printf("val함수를 호출한 후 값은 =%d\n",a);
:}
== 실인수의 주소를 가인수로 전달하는 기법 ==
:<nowiki>#</nowiki>include<stdio.h>
:void ref(int *a)
:{
:<nowiki>*</nowiki>a=*a+10;
:printf("ref함수에서 a의 값은 = %d\n",*a);
:}
:void main(){
:int a;
:printf("정수입력?");
:scanf("%d",&a);
:printf("main에서 a의 값은 = %d\n",a);
:ref(&a);
:printf("ref함수를 호출한 후 값은 =%d\n",a);
:}
C 플러스 플러스/구조체
1262
3965
2005-11-02T10:14:45Z
61.97.137.68
struct tag명{
데이터형 멤버명;
데이터형 멤버명;
.
.
데이터형 멤버명;
};
struct tag명; --------- ①
struct 키워드 다음에는 tag명이 오게 되는데 tag명은 사용자 정의어이다. 이 부분은 구조체 타입에 대한 정의 부분이며 ① 처럼 선언을 해야만 변수가 선언되는 것처럼 구조체 변수가 선언되는 것이다.
구조체란 하나 이상의 원소들로 구성된 통합 자료형이다. 배열은 각 요소의 데이터형이 모두 일치하지만,
구조체의 각 원소는 자신의 자료형을 갖는데 이 형은 다른 원소의 형과 다를 수 있다.
사용자가 정의하는 데이터타입이라 할수 있다.
== 변수사용 ==
:1. 구조체 변수명.멤버명
:2. 구조체 포인터 변수명->멤버명.
=== 예제 ===
<nowiki>#</nowiki>include<stdio.h>
<nowiki>#</nowiki>include<conio.h>
struct person{
char name[15];
int word,excel;
float avg;
};
void main(){
struct person student;
printf("이름 "); gets(student.name);
printf("워드점수 "); scanf("%d",&student.word);
printf("엑셀점수 ");scanf("%d",&student.excel);
student.avg=(student.word+student.excel)/2;
printf("이름 %s 워드 %d 엑셀 %d 평균 %.2f\n",
student.name,student.word,student.excel,student.avg);
}
=== 예제 ===
:<nowiki>#</nowiki>include<stdio.h>
:<nowiki>#</nowiki>include<conio.h>
:struct data{
:char name[15];
:char hakbun[15];
:int kor;
:int eng;
:};
:int grade(struct data x)
:{
:int z;
:z=x.kor+x.eng;
:return z;
:}
:void main(){
:struct data student;
:int total;
:printf("이름과 학번 입력 : ");
:scanf("%s %s",student.name,student.hakbun);
:printf("국어 점수 영어점수 입력 : ");
:scanf("%d %d",&student.kor,&student.eng);
:total=grade(student);
:printf("이름 : %s 학번 : %s 총점=%d\n",student.name,student.hakbun,total);
:}
칸트 도덕 형이상학 기초
1263
2844
2005-05-17T18:17:43Z
아흔
9
계속 씀
'''도덕의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는 칸트의 피판 철학 시기에 쓰여진 책으로서 윤리에 관해서 칸트가 내놓은 첫 번째 논문이다. 칸트 연구가들에 의하면 칸트는 이 논문을 오래 전부터 계획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책의 성격이나 그 부피를 감안할 때 3년 뒤에 출판 되어진 실천이성비판의 입문서로 간주된다.
책의 구성은 서문과 세 개의 장으로 되어 있다. 각 장에서 칸트는 도덕의 발전 단계를 다루면서 도덕에 관한 철학적 논의는 마침내 '실천이성비판'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역설하고 잇다.
== 서문 ==
== 제 1장 ==
== 제 2장 ==
== 제 3장 ==
== 읽어보기 ==
* 아카데미 칸트전집 4 (Kants Werke, Band IV) Berlin 1968.
* Höffe. O. (편),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Frankfurt 1989.
* Kaulbach, F., Immanuel Kants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Darmstadt 1988.
[[Category:해석서]]
[[Category:철학]]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1264
2845
2005-07-01T09:37:34Z
A-heun
22
교정
== 편찬시기 ==
로마서는 57/58년에 네로 황제시대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림:Paulus_Mission.jpg|thumb|280px|사도 바울의 전도여행길과 편지를 보낸 도시들]]
== 로마교구와 시대적 배경 ==
로마는 초기 카톨릭 포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교구로서 사도 바울 이외에 특히 베드로가 이 교구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1세기 중엽의 제국의 수도인 로마는 정치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제국의 수많은 식민지로부터 몰려든 여러 민족들이 모여 살고 있었으며 당시의 인구는 약 100만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 이주 민족들 가운데 유대인들 역시 일찌기 로마에 생활 터전을 잡고 로마의 커다란 정치적 간섭없이 그들의 민족종교인 유대교 전통에 따라 살았다. 이들 유대인들 가운데에는 예루살렘으로부터 서서히 전도활동을 펴기 시작한 카톨릭의 사도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카톨릭으로 개종하여 이른바 로마교구의 바탕을 이루게 되었다.
== 편지를 쓰게된 동기 ==
== 편지의 구성 ==
로마서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첫번째와 마지막은 인사말을 감사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두번째와 세번째 부분은 바로 편지의 속 내용으로서 이들은 다시 이야기의 주제에 따라 짧게 나누어진다 (아래의 주석 참조).
* 인사말과 감사의 말: 1.1-1.15
* 신의 정의: 1.16-11.36
* 신의 정의와 안간의 도덕: 12.1-15.13
* 인사말과 신의 찬미: 16.2116.27
== 중요 교의 ==
== 주석 ==
* '''인사말과 감사의 말:1.1-1.15'''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1-1.15]]: 인사말과 감사의 말
** '''신의 정의:1.16-11.36'''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16-1.32]]: 신의 정의를 깨닫음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3.21-3.26]]: 그리스도를 통한 신의 구원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3.27-4.25]]: 구원의 첫번째 증명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5.1-5.21]]: 신의 정의와 은총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6.1-7.25]]: 율법에서 해방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8.1-8.29]]: 신의 정의와 종말에 따른 희망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9.1-11.36]]: 신의 구원과 유대인의 불신
* '''신의 정의와 인간의 도덕: 12.1-15.13'''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2.1-13.14]]: 정의의 실천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4.1-15.13]]: 약한 사람과 강한 사람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5.14-15.24]]: 바울의 여행 계획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6.1-16.16]]: 경외심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6.17-16-20]]: 잘못된 교리
* '''인사말과 신의 찬미: 16.21-16.27'''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6.21-16.24]]: 바울의 제자들의 인사말
**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6.25-16.27]]: 신의 찬미
== 읽어보기 ==
[[Category:주석서]]
[[Category:로마서]]
심리학 입문/감각
1265
2846
2005-05-17T19:09:29Z
아흔
9
set
{{계속|입문서|심리학 입문|사고|동기}}
사람은 거의 모든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감각기관을 통하여 자신과 주변 세계를 깨닫게된다. 우리는 눈을 통하여 색을 구분하고, 귀로서 소리를 들으며, 입으로 맛을 확인하며, 코로 향기를 맡게된다. 이와 같은 감각지능은 물론 복잡한 신경계통을 거쳐서 두뇌로 전달되어 그곳에서 해당 감각 요인들을 분석하여 우리로 하여금 감각 대상에 물리적 혹은 심리적으로 반응을 하도록 한다.
가령 우리가 하늘을 우러러 보며 푸른색을 구분하는 것은 신경체계를 거쳐 기계적으로 처리된 일련의 정보인 반면, 하늘을 언제나 푸른색으로 연상하는 것은 이미 감각과 지각을 우리는 동시에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리는 하늘을 이런 저런 대상으로서 알고 있으며 이 대상을 관찰하면서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우리는 단순히 하늘을 우러러 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하늘에 부여한 의미와 연관하여 하늘을 보며, 실제의 하늘이 우리에게 주는 인상을 심리적으로 느끼며 이 느낌을 다른 대상과 연관시켜 생각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감각은 흔히 개인과 세계를 이어주는 '창'이라고 말 할 수 있다.
== 감각 기능 ==
== 개인적 감각 ==
[[Category:심리학]]
분류:수학
1267
2847
2005-05-18T15:25:09Z
아흔
9
set
[[Category:학문]]
Wikibooks:제목 선택하기
1268
2848
2005-07-02T07:37:39Z
A-heun
22
rev.
{{위키책 도움말}}
== 구체적인 제목 선택 ==
*참여자께서는 위키책에서 글을 쓰시기 위해서는 쓰고자 하는 책의 주제를 대변하는 제목을 먼저 잘 생각하여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책의 제목은 곧 책의 내용을 대변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제목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가령 너무 광범위하게 학문을 분야인 '수학', '물리'라는 단어로 책의 제목을 잡게되면 참여자께서 수학이나 물리의 전체 분야를 다루어야 하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를테면 '식물'이라는 낱말로 책의 제목을 잡게되면 식물에 대해서 도대체 무엇을 쓰고자 하는지 그리고 이 제목의 책이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독자가 제목을 보고 알 수 없습니다.
*위키책은 위키백과와는 달리 참여자께서 정확하고 알기 쉬운 문서의 제목을 선택하기를 권장합니다. 무턱대고 학문의 전문 용어나 어떤 개념을 책의 제목으로 삼게되면 책의 내용을 정리하고 구성하는 데 문제가 따른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이를테면 '유인원'이라는 낱말로 책의 제목을 삼게되면 참여자께서는 '유인원'에 관해서 단순히 설명하는 것이 고작일 것이며, 이는 백과사전에 알맞는 내용이지 책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 책의 유형 선택 ==
*책의 제목 선택에서 참여자께서는 어떤 유형의 책을 쓰고자 하는지 스스로 판단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국어 위키책에는 다음과 같은 책의 여러 유형이 있습니다.
**[[Wikibooks:위키책 입문서|위키책 입문서]]
**[[Wikibooks:위키책 참고서|위키책 참고서]]
**[[Wikibooks:위키책 해석서|위키책 해석서]]
**[[Wikibooks:위키책 주석서|위키책 주석서]]
**[[Wikibooks:위키책 비평서|위키책 비평서]]
**[[Wikibooks:위키책 감상문|위키책 감상문]]
**[[Wikibooks:위키책 참고문헌|위키책 참고문헌]]
**[[Wikibooks:위키책 전기|위키책 전기]]
**[[Wikibooks:위키책 스포츠|위키책 스포츠]]
**[[Wikibooks:위키책 가정|위키책 가정]]
이 유형들 가운데에서 참여자께서는 알맞는 한 유형을 선택하셔서 쓰고자 하는 책의 제목을 선택하는 데에 참고하시기 부탁드립니다.
[[Category:위키책]]
분류:로마서
1269
2849
2005-05-18T17:31:03Z
아흔
9
set
[[Category:신약성서]]
분류:신약성서
1270
2850
2005-05-18T17:32:05Z
아흔
9
set
[[Category:기독교]]
분류:기독교
1271
2851
2005-05-18T17:32:35Z
아흔
9
set
[[Category:종교]]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1-1.15
1272
2852
2005-07-01T09:27:34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16-3.20|3.21-3-26|로마서}}
{{주석틀|장=1.|
원문=(1) 그리스도 예수님의 종으로서 사도로 부르심을 받고 하느님의 복음을 선포하라고 선택을 받은 바오로입니다. (2) 이 복음은 하느님께서 당신의 예언자들을 통하여 미리 성서에 약속해 놓으신 것으로, (3) 당신 아드님에 관한 말씀입니다. 그분께서는 육으로는 다윗의 후손으로 태어나셨고, (4) 거룩한 영으로는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부활하심으로써 힘을 지니신 하느님의 아드님으로 확인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5) 우리는 바로 그분을 통하여 사도직의 은총을 받았습니다. 이는 그분의 이름을 위하여 모든 민족들에게 믿음의 순종을 일깨우려는 것입니다. (6) 여러분도 그들 가운데에서 부르심을 받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었습니다. (7) 성도로 부르심을 받은 이들로서 하느님께 사랑 받는 로마의 모든 신자에게 이 편지를 씁니다. 우리 아버지 하느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은총과 평화가 여러분에게 내리기를 빕니다.
(8) 먼저 여러분 모두의 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나의 하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여러분의 믿음이 온 세상에 알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9) 그분 아드님의 복음을 선포함으로써 내 영을 다하여 섬기는 하느님께서 나의 증인이십니다. (10) 나는 끊임없이 여러분 생각을 하며, 기도할 때마다 하느님의 뜻에 따라 내가 여러분에게 갈 수 있는 길이 열리기를 빌고 있습니다. (11) 나는 여러분을 보게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여러분과 함께 성령의 은사를 나누어 여러분의 힘을 북돋아 주려는 것입니다. (12) 다시 말하면, 내가 여러분과 같이 지내면서 여러분과 내가 서로의 믿음을 통하여 다 함께 격려를 받으려는 것입니다. (13) 형제 여러분, 나는 여러분이 이 사실도 알기를 바랍니다. 비록 지금까지 매번 계획이 좌절되기는 하였지만, 나는 여러분에게 가려고 여러 번 작정하였습니다. 다른 민족들에게서처럼 여러분에게서도 내가 어떤 성과를 거두려는 것이었습니다. (14) 나는 그리스인들에게도 비그리스인들에게도, 지혜로운 이들에게도 우둔한 이들에게도 다 빚을 지고 있습니다. (15) 그래서 로마에 있는 여러분에게도 복음을 전하는 것이 나의 소원입니다.
|
주석=편집중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273
2853
2005-05-18T18:07:02Z
아흔
9
set
== 편찬 시기와 편찬 과정 ==
== '짜라투스트라'의 구성 ==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서론을 비롯하여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은 다시 니체의 모든 책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듯이 숫자를 붙인 10개의 문단으로 나누어진다. 역시 각 장들은 다시 작은 문단으로 나누어지며, 이 작은 문단들은 서론과는 달리 숫자 대신 특정한 제목을 달고 있다. 이들은 마치 분리된 낱낱의 수필로서 읽을 수 있다. 첫 장과 둘째 장은 각각 22개의 수필, 세번째 장은 16개의 수필, 네번째 장은 20개의 수필들을 담고 있다.
== 해석 ==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서론]]
* 제 1장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세가지 변신]]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덕의 강단]]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뒷마당 사람들]]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육체를 멸시하는 이들]]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열정과 기쁨]]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넋 빠진 범죄자]]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독서와 작문]]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산에 선 나무]]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죽음을 설교하는 이]]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전쟁과 전쟁민족]]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새로운 우상]]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시장의 파리떼]]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순결]]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친구]]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천의 그리고 하나의 목표]]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이웃 사랑]]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창조하는 이의 길]]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노파와 처녀]]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뱀에 깨물림]]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아이와 결혼]]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자유로운 죽음]]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베푸는 덕]]
== 읽어보기 ==
* 니체 전집 VI/1 (Kritische Gesamtausgabe), Giorgio Colli와 Mazzino Montinari (편집), Berlin 1968.
* 니체 연구 전집 4 (Kritische Studienausgabe), Giorgio Colli와 Mazzino Montinari (편집), Berlin 1988.
[[Category:해석서]]
[[Category:니체 짜라투스트라]]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서론
1274
2854
2005-05-18T18:24:40Z
아흔
9
{{계속|해석서|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세가지 변신|1. 덕의 강단|니체 짜라투스트라}}
분류:니체 짜라투스트라
1275
2855
2005-05-18T18:12:48Z
아흔
9
rev.
[[Category:해석서]]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세가지 변신
1276
2856
2005-05-18T18:23:58Z
아흔
9
{{계속|해석서|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서론|1. 덕의 강단|니체 짜라투스트라}}
분류: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1277
2857
2005-05-18T18:32:20Z
아흔
9
rev.
[[Category:해석서]]
[[Category:정치학]]
채털리 부인의 사랑
1278
6220
2006-11-10T13:17:54Z
아흔
9
222.113.25.166의 편집을 무효시키고, 아흔의 편집으로 되돌림
== 작자와 편찬시기 ==
'채털리 부인의 사랑'(Lady Chatterley's Lover) 혹은 직역하자면 '채털리 부인의 연인'은 영국의 소설가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David Herbert Lawrence)의 소설로서 1928년에 쓰여졌으나 소설에 부분적으로 성관계의 묘사 때문에 당시 보수적인 영국 사회에 많은 물의를 일으킨 것으로 유명하다.
로렌스는 오늘날 널리 알려져 있는 '채털리 부인의 사랑'을 완성시키기 위하여 1926년 10월에서 1927년 여름에 걸쳐 비슷한 주제로 두 편의 소설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 작품은 로렌스 사후에 그의 아내 프리다(Frieda)에 의해 "The First Lady Chatterley"라는 제목으로 1944년 뉴욕에서 첫 출판되었으며, 두번째 작품은 1954년 처음 이탈리아에서 번역 출판되었으며, 1972년에 비로소 "John Thomas and Lady Jane"이라는 제목으로 영국에서 원문이 출판되었다. 세번째 '채털리 부인의 사랑'은 영국에서 위에서 잠간 언급한 이유 때문에 출판 금지되어 1928년 이탈리아의 플로렌스에서 첫 출판되었다. 1960년 펭귄출판사가 '채털리 부인의 사랑'의 자유 출판을 위한 항소심에서 이김으로서 비로소 검열을 받지 않은 원본이 출되기에 이르렀다.
위의 세 작품 가운데 첫 작품 "The First Lady Chatterley"은 후에 집필한 다른 두 작품에 비해 전개가 짧은 편이며, 두번째 작품 "John Thomas and Lady Jane"에서는 로렌스는 세세한 장면 묘사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 소설의 줄거리 ==
== 소설의 문학사적 위치 ==
== 읽어보기 ==
[[Category:감상문]]
한국어 맞춤법
1279
6048
2006-09-22T16:47:09Z
아흔
9
contents frame
{{차례|문단=
* [[한국어 맞춤법/부치다와 붙이다]]
* [[한국어 맞춤법/찌다와 찧다]]
* [[한국어 맞춤법/다르다와 틀리다]]
}}
한국어 맞춤법/부치다와 붙이다
1280
2860
2005-05-20T06:43:17Z
대한민국
15
부치다는 남을 시켜 편지나 물건을 보낸는 것을 말한다.또 부침개,부채질등할때도 부치다라고도 한다.
붙이다는 책상을 서로 맞닿게 하는 것과 우표를 붙일 때등 많이쓰인다.
== 문제 ==
* 한시간쯤 모내기를 하니 몹시 힘이 '''부칩니다/붙입니다.'''
* 한식은 찬 음식을 먹는다는 데서 '''부쳐진/붙여진'''이름이다.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1281
2861
2005-07-01T09:50:34Z
A-heun
22
교정
== 편찬시기 ==
고린토 전서는 57년 초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며, 성서학자에 따라서는 55년을 편찬시기로 보기도 한다.
[[그림:Paulus_Mission.jpg|thumb|280px|사도 바울의 전도여행길과 편지를 보낸 도시들]]
== 고린토교구와 시대적 배경 ==
고린토(Korinthos)는 그리스의 펠로포네소스 반도의 북동쪽에 위치한 도시국가로서 바울의 둘째 전도 여행에서 처음 카톨릭이 전파되었다. 그리스의 모든 도시국가들이 로마제국에 합병된 후, 기원전 1세기 말엽에 고린토는 로마의 그리스 식민행정구역인 아카이아의 수도로서 부상되어 아테네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고린토는 당시 환락과 유흥 도시로서 심지어 로마에 까지 소문이 자자했던 것으로 유명하며, 때문에 바울의 카톨릭의 전도는 고린토의 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편지를 쓰게된 동기 ==
바울은 아마 50/51년에 고린토를 처음 방문하여 약 반 년동안 머물으며(사도행전 18.11) 이곳에 교구의 발판을 닦은 것으로 추측된다.
== 편지의 구성 ==
고린토 전서는 크게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첫번째와 마지막은 인사말을 담고 있으며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그리고 다섯번째 부분은 바로 편지의 속 내용으로서 이들은 다시 이야기의 주제에 따라 짧게 나누어진다 (아래의 주석 참조).
* 인사말: 1.1-1.9
* 교구의 무질서: 1.10-6.20
* 질문에 대한 답: 7.1-11.1
* 교구회의의 질서: 11.2-14.40
* 그리그도의 부활과 죽은이의 부활: 15.1-15.58
* 여행계획과 끝맺는 말:16.1-16-24
== 중요 교의 ==
== 주석 ==
* '''인사말:1.1-1.9'''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1-1.9]]: 인사말
* '''교구의 무질서: 1.10-6.20'''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10-1.31]]: 당파싸움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2.1-3.23]]: 선의 섭리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4.1-4.21]]: 판결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5.1-5.13]]: 근친상간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6.1-6.11]]: 교인들 사이의 소송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6.12-6.20]]: 매춘
* '''질문에 대한 답: 7.1-11.1'''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7.1-7.10]]: 결혼문제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7.11-7.24]]: 직업문제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7.25-7.40]]: 순결과 독신문제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8.1-11.1]]: 제사음식과 성찬의 차이
* '''교구회의의 질서: 11.2-14.40'''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1.2-11.16]]: 여신도가 지켜야할 점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1.17-11.34]]: 성찬식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2.1-12-31]]: 성신의 은총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3.1-13.13]]: 사랑의 찬미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4.1-14.25]]: 성신의 은총과 예언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4.26-14.40]]: 미사의 예절
* '''부활: 15.1-15.58'''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5.1-15.58]]: 그리그도의 부활과 죽은이의 부활
* '''끝맺는 말:16.1-16-24'''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6.1-16-24]]: 바울의 여행 계획과 끝맺는 말
== 읽어보기 ==
[[Category:주석서]]
[[Category:고린토 전서]]
그림:Paulus Mission.jpg
1282
2862
2005-05-20T18:45:50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1-1.9
1283
2863
2005-07-01T09:49:27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1.10-1.31|2.1-3.23|고린토 전서}}
{{주석틀|장=1.|
원문=(1) 하느님의 뜻에 따라 그리스도 예수님의 사도로 부르심을 받은 바오로와 소스테네 형제가 (2) 고린토에 있는 하느님의 교회에, 곧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거룩하게 되어 다른 신자들이 사는 곳이든 우리가 사는 곳이든 어디에서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받들어 부르는 모든 이들과 함께 성도로 부르심을 받은 여러분에게 이 편지를 씁니다. (3) 우리 아버지 하느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은총과 평화가 여러분에게 내리기를 빕니다. (4) 나는 하느님께서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여러분에게 베푸신 은총을 생각하며, 여러분 때문에 늘 나의 하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5) 여러분은 그리스도 안에서 어느 모로나 풍요로워졌습니다. 어떠한 말에서나 어떠한 지식에서나 그렇습니다. (6) 그리스도에 관한 증언이 여러분 가운데에 튼튼히 자리를 잡은 것입니다. (7) 그리하여 여러분은 어떠한 은사도 부족함이 없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시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8) 그분께서는 또한 여러분을 끝까지 굳세게 하시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에 흠잡을 데가 없도록 해 주실 것입니다. (9) 하느님은 성실하신 분이십니다. 그분께서 당신의 아드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친교를 맺도록 여러분을 불러 주셨습니다.
|
주석=편집중
}}
분류:고린토 전서
1285
2864
2005-05-20T19:03:45Z
아흔
9
set
[[Category:신약성서]]
싸르트르의 닫힌 사회
1286
2865
2005-05-20T19:26:44Z
아흔
9
set
== 제목과 상연 시기 ==
'닫힌 사회' (Huis clos)는 장 폴 싸르트르의 대표적 희곡가운데 하나로서 한국에서는 더러 '닫힌 방'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프랑스나 유럽에서는 '다른 사람들' (Les autres)로 한동안 잘 알려져 있었다.
== 등장 인물 ==
== 구성 ==
== 읽어보기 ==
[[Category:감상문]]
한국어 맞춤법/찌다와 찧다
1287
2866
2005-05-21T23:53:13Z
220.121.51.92
찌다와 찧다는 다른말이다.찌다는 뜻 가운데에는 살이 붙어 뚱뚱해지는 것 뿐만 아니라 날씨가 몹시 더운 것,감자를 더운김
마태오의 복음서
1288
2867
2005-07-02T08:48:51Z
A-heun
22
계속 씀
{{4복음서}}
== 저자 ==
일반적으로 기독교회에서는 '마태오의 복음서'의 저자를 예수의 열 두 제자 가운데 한사람인 마태오로 간주하고 있는 반면, 많은 성서신학자들은 마태오라는 이름을 가진 사도와 복음서의 저자를 서로 다른 사람으로 보고 있다. 마테오가 열 두 제자 가운데 한사람이라는 사실은 마태(10.3), 마르꼬(3.18), 루가(6.15) 그리고 사도행전(1.13)에서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그러나 바로 마태복음에서(9.9) 언급된 마태오는 직업이 세리였다고 하며 이 세리는 마르꼬(2.14)와 루가(5.27)에서 레위(Levi)로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두 사람이 동일 인물인지에 관해서 의문의 여지가 있는 것이다.
== 편찬시기 ==
== 복음서의 표면적 특징 ==
=== 편찬 방식 ===
=== 문체 ===
== 신학적 교리 ==
== 복음서 주석 ==
* [[마태오의 복음서/1]]: 예수의 족보
* [[마태오의 복음서/2]]: 예수의 탄생
* [[마태오의 복음서/3]]: 세례자 요한
* [[마태오의 복음서/4.1-4.11]]: 유혹을 받은 예수
* [[마태오의 복음서/4.12-4.25]]: 갈릴래아 전도
* '''[[마태오의 복음서/5-7]]: 산상 설교'''
* [[마태오의 복음서/8.1-9.8]]: 예수의 행적
* [[마태오의 복음서/9.9-9.17]]: 마태오를 부름, 단식에 관한 말씀
* [[마태오의 복음서/9.18-9.38]]: 예수의 행적
* [[마태오의 복음서/10.1-10.15]]: 열 두 사도의 파견
* [[마태오의 복음서/10.16-10.42]]: 박해에 대한 예언
* [[마태오의 복음서/11.1-11.19]]: 세례자 요한
* [[마태오의 복음서/11.20-11.30]]: 갈리래아와 예수의 기도
* [[마태오의 복음서/12.1-12.21]]: 안식일
* [[마태오의 복음서/12.22-12.37]]: 악령과 성령
* [[마태오의 복음서/12.38/12.45]]: 요나와 악령
* [[마태오의 복음서/12.46-12.50]]: 예수의 친척
* [[마태오의 복음서/13.1-13.23]]: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13.24-13.43]]: 잡초, 겨자씨, 누룩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13.44-13.52]]: 보물, 진주 그리고 그물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13.53-13.58]]: 예언자와 불신하는 고향 사람들
* [[마태오의 복음서/14.1-14.12]]: 세례자 요한의 죽음
* [[마태오의 복음서/14.13-14.36]]: 예수의 행적
* [[마태오의 복음서/16.1-16.12]]: 바리새인과 사두가이인
* [[마태오의 복음서/16.13-16.20]]: 베드로의 고백과 예수의 답
* [[마태오의 복음서/16.21-16.28]]: 수난과 부활에 대한 첫번째 예고
* [[마태오의 복음서/17.1-17.13]]: 예수의 모습, 예언자 엘리아와 세례자 요한
* [[마태오의 복음서/17.14-17.21]]: 예수의 행적
* [[마태오의 복음서/17.22-17.23]]: 수난과 부활에 대한 두번째 예고
* [[마태오의 복음서/17.24-17.27]]: 성전 세금
* [[마태오의 복음서/18.1-18.9]]: 천국에서 크게 높여지는 사람
* [[마태오의 복음서/18.10-18.14]]: 잃은 양 한 마리
* [[마태오의 복음서/18.15-18.20]]: 잘못을 타이르고 지은 죄를 용서하라
* [[마태오의 복음서/18.21-18.35]]: 무자비한 종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19.1-19.15]]: 결혼, 이혼, 독신
* [[마태오의 복음서/19.16-19.30]]: 믿음을 쫓는 사람
* [[마태오의 복음서/20.1-20.16]]: 포도원 일꾼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20.17-20.19]]: 수난과 부활에 대한 세번째 예고
* [[마태오의 복음서/20.20-20.28]]: 다스리는 일과 섬기는 일
* [[마태오의 복음서/20.29-20.34]]: 예수의 행적
* [[마태오의 복음서/21.1-21.11]]: 예루살렘에 들어선 예수
* [[마태오의 복음서/21.12-21.22]]: 성전의 장사꾼을 쫓아내고 무화과 나무를 저주하다
* [[마태오의 복음서/21.23-21.27]]: 예수의 권한
* [[마태오의 복음서/21.28-21.32]]: 두 아들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21.33-21.46]]: 사악한 포도원 소작인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22.1-22.14]]: 왕자의 혼인잔치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22.15-22.22]]: 황제의 재산
* [[마태오의 복음서/22.23-22.33]]: 부활에 대한 물음
* [[마태오의 복음서/22.34-22.46]]: 계율과 메시아에 대한 물음
* [[마태오의 복음서/23.1-23.36]]: 율법학자와 바리새인을 꾸짓다
* [[마태오의 복음서/23.37-23.39]]: 예루살렘을 한탄하다
* [[마태오의 복음서/24.1-23.14]]: 성전파괴와 세상의 재난 예언
* [[마태오의 복음서/24.15-24.28]]: 다가오는 큰 재난
* [[마태오의 복음서/24.29-24.44]]: 나타날 사람의 아들
* [[마태오의 복음서/24.45-24.51]]: 충성스런 종과 어리석은 종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25.1-25.13]]: 영리한 처녀와 어리석은 처녀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25.14-25.30]]: 밑긴 돈의 비유
* [[마태오의 복음서/25.31-25.46]]: 최후의 심판
* [[마태오의 복음서/26.1-26.16]]: 대사제들의 음모, 유다의 배반
* [[마태오의 복음서/26.17-26.29]]: 최후의 만찬
* [[마태오의 복음서/26.30-26.35]]: 베드로의 부인을 예고
* [[마태오의 복음서/26.36-26.46]]: 게쎄마니에서 제자들과 함께
* [[마태오의 복음서/26.47-26.68]]: 체포되어 대사제 앞에 선 예수
* [[마태오의 복음서/26.69-26.75]]: 베드로의 부인
* [[마태오의 복음서/27.1-27.10]]: 빌라도 앞에 선 예수
* [[마태오의 복음서/27.11-27.26]]: 빌라도의 판결
* [[마태오의 복음서/27.27-27.44]]: 십자가의 고난
* [[마태오의 복음서/27.45-27.56]]: 예수의 죽음
* [[마태오의 복음서/27.57-27.66]]: 예수의 무덤
* [[마태오의 복음서/28.1-28.10]]: 예수의 부활
* [[마태오의 복음서/28.11-28.15]]: 대사제들의 속임수
* [[마태오의 복음서/28.16-28.20]]: 예수가 제자들에게 남긴 말
[[Category:신약성서]]
행동심리학 입문
1289
2868
2005-05-23T19:14:07Z
아흔
9
새글들임
== 행동심리학의 발생 ==
행동심리학(Behaviourism)은 19세기 말에 미국에서 생겨난 심리학의 한 이론 혹은 분과이다. 영어 낱말 'Behaviourism'에서 짐작 할 수 있듯이 행동심리학의 연구 대상은 겉으로 관찰 할 수 있는 인간의 행동에 두고 있다. 때문에 프로이트가 내세운 인간의 의식세계의 분석을 거부한다. 행동심리학은 처음 미국의 심리학자 존 웟슨(John B. Watson, 1878년 - 1958년)에 주창되었으며 20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역시 미국에서 활발히 연구되었다. 행동주의는 미국의 실용주의와 기능주의 철학에서 그 학문적 기본 태도을 전수받았으며, 특히 이론 전개와 실증에서 동물의 행동심리를 전문적으로 실험한 러시아의 파블로프에 크게 영향을 입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워츤의 이론 ==
== 행동심리학의 발전과 분화 ==
== 읽어보기 ==
[[Category:심리학]]
[[Category:입문서]]
틀:장
1291
2869
2005-05-27T09:31:47Z
아흔
9
set
<font color="#F98701">'''{{{1}}}'''</font>
마태오의 복음서/1
1292
2870
2005-07-01T08:46:29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마태오의 복음서|2|3|마태복음}}
== 예수의 족보 (1.1-25) ==
{{주석틀|장=1|
원문=다윗의 자손이시며 아브라함의 자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2) 아브라함은 이사악을 낳고 이사악은 야곱을 낳았으며 야곱은 유다와 그 형제들을 낳았다. (3)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제라를 낳고, 베레스는 헤스론을 낳았으며 헤스론은 아람을 낳았다. (4) 아람은 암미나답을 낳고 암미나답은 나흐손을 낳았으며 나흐손은 살몬을 낳았다. (5)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즈를 낳고 보아즈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았다. 오벳은 이새를 낳고 (6) 이새는 다윗 임금을 낳았다.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7) 솔로몬은 르호보암을 낳았으며 르호보암은 아비야를 낳고 아비야는 아삽을 낳았다. (8) 아삽은 여호사밧을 낳고 여호사밧은 요람을 낳았으며 요람은 우찌야를 낳았다. (9) 우찌야는 요담을 낳고 요담은 아하즈를 낳았으며 아하즈는 히즈키야를 낳았다. (10) 히즈키야는 므나쎄를 낳고 므나쎄는 아모스를 낳았으며 아모스는 요시야를 낳았다. (11) 요시야는 바빌론 유배 때에 여고니야와 그의 동생들을 낳았다.
(12) 바빌론 유배 뒤에 여고니야는 스알디엘을 낳고, 스알디엘은 즈루빠벨을 낳았다. (13) 즈루빠벨은 아비훗을 낳고 아비훗은 엘리아킴을 낳았으며 엘리아킴은 아졸을 낳았다. (14) 아졸은 사독을 낳고 사독은 아힘을 낳았으며 아힘은 엘리훗을 낳았다. (15) 엘리훗은 엘르아잘을 낳고 엘르아잘은 마딴을 낳았으며 마딴은 야곱을 낳았다. (16)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는데,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고 불리는 예수님께서 태어나셨다.
(17) 그러므로 이 모든 세대의 수는 아브라함부터 다윗까지가 십사 대이고, 다윗부터 바빌론 유배까지가 십사 대이며, 바빌론 유배부터 그리스도까지가 십사 대이다.
(18)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이렇게 탄생하셨다. 그분의 어머니 마리아가 요셉과 약혼하였는데, 그들이 같이 살기 전에 마리아가 성령으로 말미암아 잉태한 사실이 드러났다. (19) 마리아의 남편 요셉은 의로운 사람이었고 또 마리아의 일을 폭로하고 싶지 않았으므로, 남모르게 마리아와 파혼하기로 작정하였다. (20) 요셉이 그렇게 하기로 생각을 굳혔을 때, 꿈에 주님의 천사가 나타나 말하였다. “다윗의 자손 요셉아, 두려워하지 말고 마리아를 아내로 맞아들여라. 그 몸에 잉태된 아기는 성령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21) 마리아가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고 하여라. 그분께서 당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실 것이다.”(22) 주님께서 예언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이 모든 일이 일어났다. (23) 곧 “보아라. 동정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고 할 것이다”라는 말씀이다. 임마누엘은 번역하면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뜻이다. (24) 잠에서 깨어난 요셉은 주님의 천사가 명한 대로 아내를 맞아들였다. 그러나 아내가 아들을 낳을 때까지 동침하지 않았다. (25) 그리고 아들의 이름을 예수라고 하였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태오의 복음서/2
1293
2871
2005-07-01T08:54:01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마태오의 복음서|1|3|마태복음}}
== 예수의 탄생 ==
{{주석틀|장=2|
원문= (1) 예수님께서는 헤로데 임금 때에 유다 베들레헴에서 태어나셨다. 그러자 동방에서 박사들이 예루살렘에 와서, (2)“유다인들의 임금으로 태어나신 분이 어디 계십니까? 우리는 동방에서 그분의 별을 보고 그분께 경배하러 왔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3) 이 말을 듣고 헤로데 임금을 비롯하여 온 예루살렘이 깜짝 놀랐다. (4) 헤로데는 백성의 수석 사제들과 율법학자들을 모두 모아 놓고, 메시아가 태어나실 곳이 어디인지 물어 보았다. (5) 그들은 헤로데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유다 베들레헴입니다. 사실 예언자가 이렇게 기록해 놓았습니다.
(6)‘유다 땅 베들레헴아, 너는 유다의 주요 고을 가운데 결코 가장 작은 고을이 아니다. 너에게서 통치자가 나와 내 백성 이스라엘을 보살피리라.’”
(7)그 때에 헤로데는 박사들을 몰래 불러 별이 나타난 시간을 정확히 알아 내고서는, 그들을 베들레헴으로 보내면서 이렇게 말하였다. “가서 그 아기에 관하여 잘 알아보시오. (8) 그리고 나도 가서 경배하게, 그 아기를 찾거든 나에게 알려 주시오.” (9) 그들은 임금의 말을 듣고 길을 떠났다. 그러자 동방에서 본 별이 그들을 앞서 가다가, 아기가 있는 곳에 이르러서는 그 위에 멈추었다. (10) 그들은 그 별을 보고 더없이 기뻐하였다. (11) 그리고 그 집에 들어가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있는 아기를 보고 땅에 엎드려 경배하였다. 또 보물 상자를 열고 아기에게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드렸다. (12) 그들은 꿈에 헤로데에게 돌아가지 말라는 지시를 받고, 다른 길로 자기 고장에 돌아갔다.
(13) 박사들이 돌아간 뒤, 꿈에 주님의 천사가 요셉에게 나타나서, “일어나 아기와 그 어머니를 데리고 이집트로 피신하여, 내가 너에게 일러 줄 때까지 거기에 있어라. 헤로데가 아기를 찾아 없애 버리려고 한다.” 하고 말하였다. (14) 요셉은 일어나 밤에 아기와 그 어머니를 데리고 이집트로 가서, (15) 헤로데가 죽을 때까지 거기에 있었다. 주님께서 예언자를 통하여, “내가 내 아들을 이집트에서 불러 내었다.”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그리 된 것이다.
(16) 그 때에 헤로데는 박사들에게 속은 것을 알고 크게 화를 내었다. 그리고 사람들을 보내어, 박사들에게서 확실히 알아낸 때를 기준으로, 베들레헴과 그 온 일대에 사는 두 살에서 그 아래의 사내 아이들을 모조리 죽여 버렸다. (17)그리하여 예레미야 예언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이 이루어졌다. (18) “라마에서 소리가 들린다. 울음소리와 애끊는 통곡 소리. 라헬이 자식들을 잃고 운다. 자식들이 없으니 위로도 마다한다.”(19) 헤로데가 죽자, 꿈에 주님의 천사가 이집트에 있는 요셉에게 나타나서, (20) 일어나 아기와 그 어머니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가거라. 아기의 목숨을 노리던 자들이 죽었다.” 하고 말하였다. (21) 요셉은 일어나 아기와 그 어머니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들어갔다. (22) 그러나 아르켈라오가 아버지 헤로데를 이어 유다를 다스린다는 말을 듣고, 그 곳으로 가기를 두려워하였다. 그러다가 꿈에 지시를 받고 갈릴래아 지방으로 떠나, (23) 나자렛이라고 하는 고을로 가서 자리를 잡았다. 이로써 예언자들을 통하여 “그는 나자렛 사람이라고 불리리라.” 하신 말씀이 이루어졌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분류:마태복음
1294
2872
2005-05-27T09:46:55Z
아흔
9
set
[[Category:신약성서]]
틀:위키책 유형
1298
5300
2006-05-11T14:36:27Z
아흔
9
rev.
{|width="100%" style="font-size:90%"
| style="background:#CE9359" align="center" colspan="10" |
|-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입문서|입문서]]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참고서|참고서]]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해석서|해석서]]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주석서|주석서]]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비평서|비평서]]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감상문|감상문]]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전기|전기]]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컴퓨터|컴퓨터]]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스포츠|스포츠]]
| width="10%"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EE3AF;text-align:center;" | [[Wikibooks:위키책 가정|가정]]
|}
틀:주석틀
1299
3622
2005-07-21T10:46:17Z
아흔
9
rev.
{| width="100%" border="1" cellpadding="2" cellspacing="2" style="border-collapse:collapse;"
| width="49%" valign="top" style="background: #F4F6FD;" |
<font size=3 color=#FF6701>'''{{{장}}}'''</font>
{{{원문}}}
| width="49%" valign="top" style="background: #FFF6EF;" |
{{{주석}}}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
1300
3615
2005-07-18T10:41:35Z
아흔
9
계속 씀
{{4복음서}}
===산상 설교: 마태오의 복음 5-7 ===
마태오 복음서의 5-7절은 예수의 설교들을 한데 모아 놓은 것으로서, '산상설교(山上說敎)'라는 이름은 예수가 갈리래아의 산에서 제자들을 앞에 모아 놓고 설교를 하였다는 것에서 유래한다. 이 설교는 일관된 구성 과 상호 연관된 내용들 때문에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즐겨 읽혀지고 인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 쓰여진 예수의 말을 다른 복음서들에 쓰여진 유사한 구절들과 비교 분석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주고 있다.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5.1-5.12|5.1-5.12: 복된 사람들]]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5.13-5.20|5.13-5.20: 세상의 소금과 빛, 율법과 예언자]]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5.21-5.26|5.21-5.26: 살인, 원한, 화해]]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5.27-5.37|5.27-5.37: 그릇된 욕정, 이혼, 거짓 맹세]]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5.38-5.48|5.38-5.48: 앙갚음과 원수을 사랑하는 일]]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6.1-6.4|6.1-6.4: 좋은 일]]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6.5-6.15|6.5-6.15:주의 기도]]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6.16-6.34|6.16-6.34: 올바른 믿음]]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7.1-7.11|7.1-7.11: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7.12-7.14|7.12-7.14: 올바른 행위와 좁은 문]]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7.15-7.23|7.15-7.23:열매를 보고 나무를 알 수 있다]]
*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7.24-7.29|7.24-7.29: 산상설교을 맺는 말]]
* [[신약성서 입문/복음서들의 구절 비교|산상설교와 다른 복음서들의 구절 비교]]
[[Category:산상설교]]
마태오의 복음서/5-7
1301
2877
2005-05-31T19:06:10Z
아흔
9
마태오의 복음서/5-7 문서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 문서로 옮김
#REDIRECT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
분류:산상설교
1302
2878
2005-05-31T19:06:49Z
아흔
9
set
[[Category:마태복음]]
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5.1-5.12
1303
2879
2005-07-01T08:57:29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마태오의 복음서/산상설교|5.1-5.12|5.13-5.20|산상설교}}
{{주석틀|장=5|
원문= (1) 예수님께서는 그 군중을 보시고 산으로 오르셨다. 그분께서 자리에 앉으시자 제자들이 그분께 다가갔다. (2) 예수님께서 입을 여시어 그들을 이렇게 가르치셨다. 참 행복</br>
(3)“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이들!</br>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니.</br>
(4) 행복하여라, 슬퍼하는 이들!</br>
그들이 위로를 받으리니.</br>
(5) 행복하여라, 온유한 이들!</br>
그들이 땅을 차지하리니.</br>
(6) 행복하여라,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이들!</br>
그들이 흡족해지리니.</br>
(7) 행복하여라, 자비로운 이들!</br>
그들이 자비를 입으리니.</br>
(8)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이들!</br>
그들이 하느님을 뵈오리니.</br>
(9)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이들!</br>
그들이 하느님의 자녀라 불리리니.</br>
(10) 행복하여라,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이들!</br>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니.</br>
(11) 사람들이 나 때문에 너희를 모욕하고 박해하며, 너희를 거슬러 거짓으로 온갖 사악한 말을 하면, 너희는 행복하다! (12)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 하늘에서 너희가 받을 상이 크다. 사실 너희에 앞서 예언자들도 그렇게 박해를 받았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Wikibooks:편집에 들어가기 전에
1305
2881
2005-06-25T10:00:54Z
A-heun
22
rev.
{{위키책 도움말}}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에 참여하는 여러분들께서는 글을 쓰시기 전에 아래의 유의사항을 미리 읽어보시고 위키책에 자신이 기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스스로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 참여자께서는 될 수 있는 한 위키책에 [[특수기능:Userlogin|등록]]을 하여 참여하여 주시기를 권장합니다.
:[[그림:Icon-04.png|20px|]] 등록되지 않은 참여자께서 쓴 글은 아무런 상의 혹은 알리는 글 없이 고쳐지고 때에 따라서는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위키책에 참여하는 여러분께서는 흔히 인터넷을 통하여 찾아볼 수 있는 여러 웹사이트의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쓰려는 자세를 버리시기 바랍니다. 다시 말해 다른 웹사이트에 수록된 내용을 복사하거나 문장을 약간 고쳐 쓰는 것은 위키책에서는 환영하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정보가 믿을만한 것인지 참여자께서 판단할 수 없을 경우에는 책을 쓴다는 사실 자체에 의미가 없습니다.
* 참여자께서는 어떤 주제를 두고 책을 쓰고자 할 경우 해당 주제에 관해 전반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는 확신이 있으며 또한 여러 관계 서적을 참고하는 노력과 시간을 투자할 각오가 있을 경우에만 글을 쓰시기를 당부드립니다.
* 참여자께서는 책을 쓰실 경우 먼저 [[Wikibooks:제목 선택하기|책의 제목]]과, 어떤 [[Wikibooks:위키책 유형|유형]]의 책을 쓸 것인지를 심사숙고하여 정하시기 바랍니다.
* 참여자께서 어떤 학문에 관해서 [[Wikibooks:위키책 입문서|입문서]]나 [[Wikibooks:위키책 참고서|참고서]]를 쓰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의 양이 '''"책"'''을 쓰는데 과연 충분한지 스스로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지나친 의욕에 사로잡혀 무턱대고 어떤 학문을 책의 제목으로 잡아 하찮고 수준이 낮은 글을 써서 학문의 이름을 실추시키거나 학문의 뜻을 잘못 전달하는 웃지 못할 실수을 범하지 않도록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참여자께서는 책에 대한 전반적인 구상을 미리하여 책에 들어 갈 내용이나 전개에 따라 [[Wikibooks:문단 나누기|문단]]을 나누어 책의 전체적인 구조를 잡아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참여자께서 책의 편집에 들어가신 후에는 단숨에 글을 끝까지 쓰실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시간을 두시고 짬이 나는대로 정성을 들여 책을 편찬하여 주시기를 권장합니다. 만일 참여자께서 쓰고 있는 글이 다른 참여자에 의해 교정 또는 손대어 지는 것을 바라지 않으신다면 [[Template:편집중|편집중]]이라는 [[Wikibooks:템플릿|템플릿]]을 문서 머리에 써넣어 주시기 바랍니다. 만일 참여자께서 여러가지 이유로 책을 끝까지 쓰실 수 없으실 경우에는 또한 해당 문서의 토론 페이지에 이를 짧게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Category:위키책]]
틀:대문/라
1307
6443
2006-12-22T15:23:19Z
아흔
9
rev.
* [[Wikibooks:위키책 입문서|위키책 입문서]]
* [[Wikibooks:위키책 참고서|위키책 참고서]]
* [[Wikibooks:위키책 해석서|위키책 해석서]]
* [[Wikibooks:위키책 주석서|위키책 주석서]]
* [[Wikibooks:위키책 비평서|위키책 비평서]]
* [[Wikibooks:위키책 감상문|위키책 감상문]]
* [[Wikibooks:위키책 전기|위키책 전기]]
* [[Wikibooks:위키책 가정|위키책 가정]]
* [[Wikibooks:위키책 스포츠|위키책 스포츠]]
* [[Wikibooks:위키책 컴퓨터|위키책 컴퓨터]]
틀:편집중
1308
edit=sysop:move=sysop
6569
2007-01-03T16:23:12Z
아흔
9
보호시킴 "[[틀:편집중]]": basic [edit=sysop:move=sysop]
<p clear="all">
<div id="basicbox" style="padding:1em">
[[그림:Icon-09.png|float|left|60px|]] 이 문서는 현재 편집중에 있습니다.</br> 누가 언제 마지막으로 글을 썼으며 그리고 쓰고 있는지는 [http://ko.wikibooks.org/w/index.php?title={{PAGENAMEE}}&action=history 문서역사]를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div>
신약성서 입문
1309
3561
2005-07-08T18:47:53Z
아흔
9
추가
== 역사적 배경 ==
* [[신약성서 입문/로마 제국]]
* [[신약성서 입문/후기 그리스 문화]]
== 종교적 배경 ==
* [[신약성서 입문/신비주의]]
* [[신약성서 입문/그노시스]]
* [[신약성서 입문/낙 함마디]]
== 유대교의 전통: 유대교의 종파 ==
* [[유대교/바리새인]]
* [[유대교/사두개인]]
* [[유대교/에센인]]
* [[유대교/쿰란]]
== 종교 문학 ==
== 성서의 구성 ==
* [[신약성서 입문/공관복음]]
* [[신약성서 입문/사도행전]]
* [[신약성서 입문/바울의 편지]]
* [[신약성서 입문/카톨릭의 편지들]]
* [[신약성서 입문/복음서들의 구절 비교]]
== 성서 주석 방법론 ==
* [[신약성서 주석]]
== 참고 문헌 ==
[[Category:신약성서]]
신약성서 입문/그노시스
1310
2885
2005-06-03T12:11:06Z
아흔
9
redirect
#REDIRECT [[그노시스]]
마르코의 복음서
1311
3860
2005-09-07T14:54:20Z
아흔
9
교정
{{4복음서}}
== 마르코의 복음서 ==
마르코의 복음서는 오늘날 공인된 네 복음서들 가운데에서 마태오 목음서 다음에 읽게된다. 내용상으로 볼 때 마르코의 복음서는 내용면에서 [[마태오의 복음서]]나 [[루가의 복음서]]와 크게 일치하고 있다.이야기 서술 및 복음서에 사용된 낱말을 분서하여 볼 때, 마르코의 복음서는 다른 두 [[신약성서 입문/공관복음|공관복음서]]와는 달리 매우 간략하고 소박한 것이 특징이다.
마르코 복음서가 가진 이와 같은 내용과 서술 방식에 따른 특징 때문에 마르코 복음서는 다른 두 공관복음서들에 비해서 예로부터 크게 주목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19세기에 이르러 복음서의 상호 의존관계와 내용의 출처 및 편찬시기에 관해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마르코 복음서의 중요성이 신학계에 점차 인식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마르코의 복음서는 공관복음서들의 상호 의존 관계를 연구 분석 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이유는 마르코 복음서에 수록된 661 귀절들 가운데 약 50여 귀절들만이 마태오의 복음서나 루가의 복음서에서 찾아 볼 수 없는 반면, 마태오 그리고 루가의 복음서에는 마르코의 복음서에 없는 귀절들이 200-300여개나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마태오의 복음서나 루가의 복음서의 저자가 아마 마르코의 복음서를 참고로 하여 그들의 복음서를 썼을 가능서이 매우 높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복음서들의 편찬 시기 문제에서 마르코의 복음서가 다른 복음서보다 먼저 쓰여졌을 것이라는 추측을 낳게 한다.
== 저자 ==
마르코라는 이름은 원래 라틴어 마르쿠스(Marcus, 고대 그리스어, 마르코스 Μάρκος)이며, 복음서의 저자로서 오늘날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역사상의 기록으로는 히에라폴리스의 주교인 파피아스(Papias, 약 60/70년 - 120/130년)에 의한 것이다. 파피아스는 '주의 말씀'이라는 책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오늘날 전해지고 있지 않지만 파피아스가 마르코를 복음서의 저자로 언급하였다고 기독교의 역사가 에우제비우스가 그의 기독교 교회사(3,39)에서 기록하고 있다.
파피아스의 기록 이외에 마르코를 복음서의 저자로 언급하고 있는 오래된 기록들로는 다음을 손꼽을 수 있다.
* 순교자 유스티누스 (티폰과의 대화, 106,3)
* 교부 이레나이오스 (이단반론, 3,1,1)
* 교부 테르툴리아누스 (라틴교부 2, 396)
* 교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에우제비우스의 교회사 2,15,2)
* 교부 오리게네스 (마태오의 복음 주석, 1 = 에우제비우스의 교회사, 2,15,2)
== 편찬시기 ==
== 복음서의 표면적 특징 ==
=== 편찬 방식 ===
=== 문체 ===
== 신학적 교리 ==
== 복음서 주석 ==
* [[마르코의 복음서/1.1-1.11]]: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세례
* [[마르코의 복음서/1.12-1.20]]: 갈릴래아에서 전도 시작
* [[마르코의 복음서/1.21-2.12]]: 예수의 행적
* [[마르코의 복음서/2.13-2.17]]: 세리 레위 (마태오?)
* [[마르코의 복음서/2.18-3.12]]: 단식과 안식일
* [[마르코의 복음서/3.13-3.19]]: 열 두 제자
* [[마르코의 복음서/3.20-3.21]]: 예수의 친척
* [[마르코의 복음서/3.22-3.30]]: 악령과 성령
* [[마르코의 복음서/3.31-3.35]]: 예수의 친척
* [[마르코의 복음서/4.1-4.20]]: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
* [[마르코의 복음서/4.21-4.25]]: 빛과 등불의 비유
* [[마르코의 복음서/4.26-4.34]]: 자라나는 씨의 비유
* [[마르코의 복음서/4.35-4.41]]: 풍랑과 믿음
* [[마르코의 복음서/5.1-5.20]]: 더러운 악령의 추방
* [[마르코의 복음서/5.21-5.43]]: 병든 여인을 고치고 야이로의 딸을 살리다
* [[마르코의 복음서/6.1-6.6]]: 나자렛에서 외면 당하다
* [[마르코의 복음서/6.7-6.13]]: 열 두 제자의 파견
* [[마르코의 복음서/6.14-6.29]]: 헤로데왕과 세례자 요한의 죽음
* [[마르코의 복음서/6.30-6.56]]: 예수의 행적
* [[마르코의 복음서/7.1-7.23]]: 더러운 것과 깨끗한 것
* [[마르코의 복음서/7.24-7.30]]: 시로페니키아 여인의 믿음
* [[마르코의 복음서/7.31-8.10]]: 예수의 행적
* [[마르코의 복음서/8.11-8.21]]: 바리새인의 요구와 예수의 경고
* [[마르코의 복음서/8.22-8.26]]: 예수의 행적
* [[마르코의 복음서/8.27-8.30]]: 베드로의 고백
* [[마르코의 복음서/8.31-9.1]]: 수난과 부활에 대한 첫번째 예고
* [[마르코의 복음서/9.2-9.10]]: 예수의 모습
* [[마르코의 복음서/9.11-9.13]]: 예언자 예리야
* [[마르코의 복음서/9.14-9.29]]: 예수의 행적
* [[마르코의 복음서/9.30-9.32]]: 수난과 부활에 대한 두번째 예고
* [[마르코의 복음서/9.33-9.37]]: 제자들의 서열
* [[마르코의 복음서/9.38-9.50]]: 기적과 유혹
* [[마르코의 복음서/10.1-10.16]]: 결혼과 이혼 그리고 어린이 축복
* [[마르코의 복음서/10.17-10.31]]: 부자와 하늘 나라, 믿음을 쫓는 삶
* [[마르코의 복음서/10.32-10.34]]: 수난과 부활에 대한 세번째 예고
* [[마르코의 복음서/10.35-10.45]]: 다스리는 일과 섬기는 일
* [[마르코의 복음서/10.46-10.52]]: 예수의 행적
* [[마르코의 복음서/11.1-11.11]]: 예루살렘에 들어선 예수
* [[마르코의 복음서/11.12-11.19]]: 무화과 나무를 저주하고 성전에서 장사꾼을 내쫓다
* [[마르코의 복음서/11.20-11.26]]:믿음 (11.26: 후에 삽입 된 구절)
* [[마르코의 복음서/11.27-11.33]]: 예수의 권한
* [[마르코의 복음서/12.1-12.12]]: 사악한 포도원 소작인의 비유
* [[마르코의 복음서/12.13-12.17]]: 황제의 재산
* [[마르코의 복음서/12.18-12.27]]: 부활에 대한 물음
* [[마르코의 복음서/12.28-12.37]]: 으뜸가는 계명과 메시아에 대한 물음
* [[마르코의 복음서/12.38-12.44]]: 율법학자와 과부의 헌금
* [[마르코의 복음서/13.1-13.23]]: 성전 파괴에 대한 예언과 다가오는 재난
* [[마르코의 복음서/13.24-13.37]]: 나타날 사람의 아들
* [[마르코의 복음서/14.1-14.11]]: 대사제들의 음모와 유다의 배반
* [[마르코의 복음서/14.12-14.25]]: 최후의 만찬
* [[마르코의 복음서/14.26-14.31]]: 베드로의 부인의 예고
* [[마르코의 복음서/14.32-14.42]]: 게쎄마니에서 제자들과 함께
* [[마르코의 복음서/14.43-14.65]]: 체포되어 대사제 앞에 선 예수
* [[마르코의 복음서/14.66-14.72]]: 베드로의 부인
* [[마르코의 복음서/15.1-15.15]]: 빌라도의 심판
* [[마르코의 복음서/15.16-15.32]]: 십자가의 고난
* [[마르코의 복음서/15.33-15.41]]: 예수의 죽음
* [[마르코의 복음서/15.42-15.47]]: 예수의 무덤
* [[마르코의 복음서/16.1-16.8]]: 예수의 부활
* [[마르코의 복음서/16.9-16.20]]: 제자들에게 남긴 말
[[Category:신약성서]]
마르코의 복음서/1.1-1.11
1312
2887
2005-07-01T09:03:17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1.12-1.20|1.21-2.12|마가복음}}
==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세례 ==
{{주석틀|장=1|
원문= (1) 하느님의 아드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 (2) 이사야 예언서에 “보라. 내가 네 앞에 내 사자를 보내니 그가 너의 길을 닦아 놓으리라. (3)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너희는 주님의 길을 준비하여라. 그분의 길을 곧게 내어라.’”고 기록된 대로, (4) 세례자 요한이 광야에 나타나 죄의 용서를 위한 회개의 세례를 선포하였다. (5) 그리하여 온 유다 지방 사람들과 예루살렘 주민이 모두 그에게 나아가, 자기 죄를 고백하며 요르단 강에서 그에게 세례를 받았다. (6) 요한은 낙타 털옷을 입고 허리에 가죽 띠를 둘렀으며, 메뚜기와 들꿀을 먹고 살았다. (7) 그리고 이렇게 선포하였다. “나보다 더 큰 능력을 지니신 분이 내 뒤에 오신다. 나는 몸을 굽혀 그분의 신발 끈을 풀어 드릴 자격조차 없다. (8) 나는 너희에게 물로 세례를 주었지만, 그분께서는 너희에게 성령으로 세례를 주실 것이다.”(9) 그 무렵에 예수님께서 갈릴래아 나자렛에서 오시어, 요르단에서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셨다. (10) 그리고 물에서 올라오신 예수님께서는 곧바로 하늘이 갈라지며 성령께서 비둘기처럼 당신께 내려오시는 것을 보셨다. (11) 이어 하늘에서 소리가 들려 왔다.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분류:마가복음
1313
2888
2005-06-03T13:15:12Z
아흔
9
set
[[Category:신약성서]]
그림:Icon-09.png
1314
2889
2005-06-04T09:25:27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그림:Luebeck.jpg
1315
2890
2005-06-04T10:15:57Z
아흔
9
{{GFDL}}
{{GFDL}}
틀:GFDL
1316
5395
2006-06-18T20:52:53Z
84.189.224.218
{|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6 cellspacing=6 style="border:1px solid #AAAAAA; border-bottom:2px solid #111111; border-right:2px solid #111111; background-color:#EDF3FF; font-size:90%;"
|-
| [[그림:Heckert GNU white.svg|70px|center|]]
| 그림의 복사, 변경 및 배포는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GNU FDL)에 명시된 규준에 따라 허용되며, GNU FDL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내놓은 버전 1.2 또는 최근 버전에 따릅니다. 여기에는 변경이 불가하거나 또는 책의 앞이나 혹은 뒷 표지에 찍힌 글줄을 담고 있지 않습니다.
|}
영어 입문/영어의 현재형
1317
6305
2006-11-21T10:02:43Z
221.149.100.183
{{재편집}}
영어의 사실 문법적으로 따져보면 영어에 미래 시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조동사 will 그리고 shall 가 미래 시제를 나타내지 않느냐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사실 will 과 shall 은 현재 시제이고 의미상으로 미래를 표현하는 것뿐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문법적으로 완전한 미래 시제를 가진 프랑스어와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 je mange 'I eat'
** tu manges 'you eat'
** il/elle mange 'he/she eats'
** je mangerai?'I will eat'
** tu mangeras 'you will eat'
** il/elle manger 'he/she will eat'
마찬가지로 'have 현재형/과거형 + 과거분사' 의 형태를 가지는 현재/과거완료도 문법적으로 완전한 시제라고 할 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영어의 시제는 현재형과 과거형만 존재합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대부분의 언어에서 현재형은 미래를 나타내기도 하므로 엄밀하게 말해서 영어에서는 past (과거 시제) 그리고 non-past (과거가 아닌 시제) 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시제가 반드시 문법적으로 독립적일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넘어가서 영어에서 미래의 사건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보겠는데 다음과 같은가장 많이 쓰이는 4 가지가 있습니다.
== 현재형 ==
현재형은 미래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것은 한국어에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할 것은 없습니다. 아래의 예제에서와 같이 주로 공공 장소에서의 일정에서 쓰입니다.
** The train arrives at six. : 기차가 6 시에 도착한다
** The show starts in ten minutes.: 10 분 안에 쇼가 시작한다
** The museum opens at half ten tomorrow morning.: 박물관은 내일 아침 10시 반에 연다
== be going to ... ==
* be going to ... 는 말 그대로 '... 하는 것으로 가고 있다' > '... 하려고 한다' 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미리 계획한 일을 말할 때 쓰입니다.
** I am going to do some shopping this afternoon.: 나는 오후에 쇼핑할꺼야
** He is going to eat out with his girlfrend tonight.: 그는 오늘 저녁에 여자친구와 외식을 한다
* 이러한 의미에서 확장해서 상황으로 보아서 어떠한 일이 일어날 것이 눈에 보일 때 be going to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I think it is going to rain today.: (하늘에 비구름을 보면서) 오늘 비가 오겠는데
** Korea is going to win.: (축구 경기에서 10분을 남겨두고 한국이 3:1 로 이기고 있는 상태에서) 한국이 이길 것이다
== 현재 진행형 ==
위의 be going to 와 함께 현재 진행형도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주로 확실하게 결정된 계획이나 약속을 나타낼 때 사용하기 때문에 be going to 보다 더 강한 의미를 가집니다. 그 이유는 미래를 표현하는 현재 진행형을 말 그대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미래의 어느 시점에 그것을 하는 중이다'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미래를 표현하는 현재형' 을 생각해보면 비슷한 맥락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미래를 나타내는 현재 진행형을 사용할 때에는 미래 시간 표현이나 문맥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 하는 중이다' 와 혼동이 오게됩니다.
** He is leaving tomorrow.: 그는 내일 떠난다
** She is taking six modules next term.: 그녀는 다음 학기에 6 과목을 듣는다
** I am meeting a friend of mine next Monday.: 다음주 월요일에 나는 친구를 만난다
== will ==
will 그리고 shall 은 각각 고대 영어 willan 에서 왔습니다. 원래 willan 은 wish to do '... 하고 싶다'의 의미를 가졌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뜻이 확장되어서 지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예측 :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측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It will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것이다
** That will be quite difficult.: 그것은 좀 어려울 것이다
** She will come soon.: 그녀는 곧 올 것이다
* 참고로 마지막 문장 경우 will be -ing 형태도 자주 쓰입니다. 따라서 she will be coming soon 처럼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will 의 원래 의미가 '의지/소망' 이므로 주어가 1인칭 (I 또는 we)
인 경우 예측의 의미로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자신이 하고 싶으면 하면 되기 때문에 예측할 것이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문장 앞에 I think 를 붙이면 가능합니다.
** I think I will be there on time.: 나는 제 시간에 그 곳에 도착할 것이다
* 의지 : 주어가 1인칭일 경우에 will 을 사용하면 하고 싶다는 의지/소망을 나타나게 되는데 두 가지의 상황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어떤 것을 하겠다고 갑자기 결정하는 경우입니다.
** Who wants to take this stuff to her house? 누가 이것을 그녀의 집에 가져갈래? I will do it! 내가 할래!
** The telephone's ringing 전화왔어
** I'll get it.: 내가 받을께
** I will be back in five. 5분 안에 올께
* 두 번째는 약속같은 강한 의지를 나타내는 경우입니다.
** I promise that I will remember you.: 내가 너를 기억하겠다고 약속해
** I will love you forever.: 너를 영원히 사랑해
* 주어가 1인칭이 아닌 경우에는 말하는 사람의 확신이 담겨있습니다.
** I am in trouble now.: 나에게 문제가 생겼어
** Try to talk to mum about it - she will help you.: 엄마에게 물어보면 도와주실꺼야
지금까지의 will 의 의미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말하는 사람의 확신/의지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예측도 주관적인 확신을 내포하고 있고 즉각적인 결정이나 약속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will 의 본질적인 의미만 파악하고 있으면 개개의 사항을 암기할 필요가 없습니다.
==shall==
shall 은 미국 영어에서는 거의 멸종 (?) 되었고 영국에서 많지 않은 사람이 사용합니다. 혹시 관심있는 분들을 위하여 현대에 가장 많이 쓰이는 의미를 적어보았습니다.
* 무언가를 물어볼 때 쓰이며 주어는 1인칭입니다.
** Shall we go? 우리 갈까요?
** Shall I come with you? 내가 같이 갈까요?
** What shall bring my laptop? 내 노트북을 가져올까요?
* 주로 1인칭 주어와 함께 쓰이며 예측/의도를 나타내는데. will 과 바꿔 쓸 수 있습니다.
** I shall be twenty tomorrow.: 내일 나는 스무 살이 된다
** I shall look forward to seeing you.: 당신을 만나기를 기대합니다 (공손한 표현)
** This is what I shall describe in Chapter 2.: 이것은 2 장에서 설명될 것이다 (주로 글에서 쓰임)
* 법률 & 규칙에서 허가/불가를 나타낼 때 쓰입니다.
* 소설 같은 글에서 '...할지어다' 같은 예언적인 문장에서 쓰입니다.
위의 현재형, 현재 진행형, be going to, will 을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 이것들을 바로 알고 쓸 줄 알면 미래를 표현하는데 거의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영어 학습자들이 하는 will 만을 쓰는 경향이 있는데 약간의 다양성이 있으면 좋지 않을까요?
훈민정음/예의편
1319
2894
2005-06-06T02:28:07Z
220.79.45.151
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할새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하여도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라
予. 一爲此憫然.하야 新制二十八字. 하오니 欲使人人으로 易習.하야 便於日用耳니라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서 한자와 서로 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이가 많다.
내가 이것을 매우 딱하게 여기어 새로 스물여덟글자를 만들어 내노니
사람마다 쉽게 익히어 나날의 소용에 편리하도록 함에 있나니라.
ㄱ. 牙音.이니 如君字初發聲.이요 竝書하면 與字初發聲하니라
ㄱ는 엄소리니 군(君군)자의 처음 펴어 난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뀨(규)자의 처음 펴어 나는소리와 같으니라
ㅋ.牙音.이니 如快字初發聲하니라
ㅋ는 엄소리니 쾌(快쾡)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牙音.이니 如業字初發聲하니라
는 엄소리니 업(業업)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ㄷ.舌音.이니 如斗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覃字初發聲하니라
ㄷ는 혀소리니 두(斗)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담(覃 땀)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ㅌ.舌音.이니 如呑字初發聲하니라
ㅌ는 혀소리니 탄(呑ㅌ)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ㄴ.舌音.이니 如那字初發聲하니라
ㄴ는 혀소리니 나(那낭)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ㅂ. 脣音.이니 如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步字初發聲하니라
ㅂ는 입술소리니 별()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보
(步뽕)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ㅍ.脣音.이니 如漂字初發聲하니라
ㅍ는 입술소리니 표(漂)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ㅁ.脣音.이니 如彌字初發聲하니라
ㅁ는 입술소리니 미(彌)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ㅈ.齒音.이니 如卽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慈字初發聲하니라
ㅈ는 잇소리니 즉(卽)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자(慈)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ㅊ.齒音.이니 如侵字初發聲하니라
ㅊ는 잇소리니 침(侵)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ㅅ.齒音.이니 如戌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邪字初發聲하니라
ㅅ는 잇소리니 술(戌)자의 처음 펴어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사(邪)자의
처음 펴어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ㄴ .喉音.이니 如把字初發聲하니라
ㄴ은 목소리니 읍(把)자의 처음 펴어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ㅎ.喉音.이니 如虛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洪字初發聲하니라
ㅎ는 목소리니 허(虛)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홍(洪)자 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ㅇ.후음.이니 如欲字初發聲하니라
ㅇ는 목소리니 욕(欲)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ㄹ.半舌音.이니 如閭字初發聲하니라
ㄹ는 반혀소리니 려(閭)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반치음.이니 如穰字初發聲하니라
는 반잇소리니 양(穰)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ㄴ 如呑字中聲하니라
는 탄(呑)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ㅡ.는 如卽字 中聲하니라
ㅡ는 즉(卽)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ㅣ.ㄴ 如侵字中聲하니라
ㅣ는 침(侵)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ㅗ.ㄴ 如洪字中聲하니라
ㅗ는 홍(洪)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ㅏ.ㄴ 如覃字中聲하니라
ㅏ는 담(覃)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ㅜ.ㄴ 如君字中聲하니라
ㅜ는 군(君)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ㅓ.ㄴ 如業字中聲하니라
ㅓ는 업(業)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ㅛ.ㄴ 如欲字中聲하니라
ㅛ는 욕(欲)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ㅑ.ㄴ 如穰字中聲하니라
ㅑ는 양(穰)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ㅠ.는 如戌字中聲하니라
ㅠ는 술(戌)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ㅕ .는 如霰字中聲하니라
ㅕ는 별(霰)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終聲에 復用初聲이요 ㅇ을 連書唇音之下하면 則爲唇輕音이니라
初聲合用則 書요 終聲도同이니라 ㅡㅗㅜㅛㅠ는 附書初發聲之下하고
ㅣㅏㅓㅑㅕ는 附書於右하나니 凡字必合而成音이니라
左加一點則去聲이요 二則上聲이요 無則平聲이요 八聲은 加點同而促急이니라
종성(받침)에는 다시 초성을 쓰며 ㅇ을 입술소리 아래에 연해쓰면 곧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초성을 합쳐쓰는데는 어우러 쓸 것이요 종성도 한가지이다.
ㅡㅗㅜㅛㅠ는 초성 아래에다 붙혀쓰고 ㅣㅏㅓㅑㅕ는 오른쪽에 붙혀 쓰나니
모든 글자는 반듯이 합해서 음을 이룬다.
왼쪽에 한점을 더하면 거성이요, 두 점이면 상성이요, 없으면 평성이요,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같으되 빠르다.
훈민정음/제자해
1320
2895
2005-06-06T02:28:35Z
220.79.45.151
天地之道 一陰陽五行而已.
천지 자연(우주만물)의 원리는 오로지 음양 오행일 뿐이다.
坤復之間爲太極 而動靜之後爲陰陽.
곤(坤)과 복(復)의 사이에서 태극이 생겨나서 (태극이) 움직이고, 멈춘 후에 음양이 생겨나는 것이다
凡有生類在天地之間者 捨陰陽而何之.
무릇 목숨을 가진 무리들로 하늘과 땅의 사이에 있는 것들은 음양을 버리고 어떻게 할 것인가? (따라서, 음양이 가장 중요하다.)
故人之聲音 皆有陰陽之理 顧人不察耳.
그러므로, 사람의 소리는 모두 음양의 이치가 있는데, 사람들이 살펴서 깨닫지 못한 것일 뿐이다.
今正音之作
이제 훈민정음을 만드는 것은
初非智營而力索
처음부터 슬기로 마련하고, 애써서 찾은 것이 아니라
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
다만 그 (원래에 있는)성음(의 원리)을 바탕으로 이치를 다한 것 뿐이다.
理旣不二 則何得不與天地鬼神同其用也.
(음양의) 이치가 이미 둘이 아니니 어찌 천지 자연, (변화를 주관하는) 귀신과 그 사용을 같이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훈민정음 이십 여덟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初聲凡十七字.
초성은 모두 열 일곱자다.
牙音ㄱ 象舌根閉喉之形.
아음(어금니 소리)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설음(혓 소리) ㄴ은 혀(끝)가 윗 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脣音ㅁ 象口形.
순음(입술소리) ㅁ은 입모양을 본뜨고,
齒音ㅅ 象齒形.
치음(잇 소리) ㅅ은 이빨 모양을 본뜨고,
喉音o 象喉形.
후음(목구멍 소리)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ㅋ比ㄱ 聲出稍 故加劃.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나는게 세게 나는 까닭으로 획을 더하였다.
ㄴ而ㄷ ㄷ而ㅌ ㅁ而ㅂ ㅂ而ㅍ ㅅ而ㅈ ㅈ而ㅊ o而ㆆ ㆆ而ㅎ
ㄴ에서 ㄷ, ㄷ에서 ㅌ,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ㆆ, ㆆ에서 ㅎ으로
其因聲加劃之義皆同
그 소리(의 세기)를 바탕으로 획은 더한 뜻은 모두 같다.
而唯ㆁ爲異.
그러나, 오직 ㆁ이 된 것은 다르다.
半舌音ㄹ 半齒音ㅿ 亦象舌齒之形而異其體
無加劃之義焉.
반설음 ㄹ과 반치음 ㅿ 역시 혀와 이의 모양을 본떠서 그 모양을 달리했지만, 획을 더한 의미는 없다.
夫人之有聲本於五行.
무릇 사람이 소리(말소리)를 내는 것은 오행에 근본이 있는 것이므로
4계절에 어울려 보아도 어그러짐이 없고, 오음(궁상각치우)에 맞춰보아도 틀리지 않는다.
(이후의 설명은 아설순치후의 순서가 아니라 발음기관의 가장 안쪽인 목구멍부터 바깥쪽으로 순서대로 설명함)
喉邃而潤 水也.
목구멍은 (입안의) 깊은 곳에 있고, 젖어 있으니 (오행으로 보면) 물(水)이다.
聲虛而通 如水之虛明而流通也.
소리는 허하고 통하여, 물이 맑아 훤히 들여다 보이고, 두루 통하는 것과 같다.
於時爲冬 於音爲羽.
4계절로는 겨울에 속하고, 5음으로는 우(羽)음에 속한다.
牙錯而長 木也.
어금니는 어긋나고 길어서, 오행의 나무(木)에 해당한다.
聲似喉而實 如木之生於水而有形也.
어금니 소리는 목구멍 소리와 비슷해도 실하기 때문에 나무가 물에서 생겨나지만 형체가 있는 것과 같다.
於時爲春 於音爲角.
4계절로는 봄에 속하고, 5음으로는 각(角)음에 속한다.
舌銳而動 火也
혀는 날카롭고 움직여서 오행의 불(火)에 해당한다.
혀 소리가 구르고 날리는 것은 불이 이글거리며 활활 타오르는 것과 같다.
於時爲夏 於音爲徵
4계절로는 여름에 속하고, 5음으로는 치(徵)음에 속한다.
齒剛而斷 金也.
이는 단단하고 (무엇을) 끊으니 오행의 쇠(金)에 해당한다.
聲屑而滯. 如金之屑쇄而鍛成也.
이 소리가 부스러지고 걸리는 것은 쇠가루가 단련되어 쇠를 이루는 것과 같다.
於時爲秋 於音爲商.
4계절로는 가을에 속하고, 5음으로는 상(商)음에 속한다.
脣方而合 土也.
입술은 모나지만 합해지므로 오행의 흙(土)에 해당한다.
聲含而廣 如土之含蓄萬物而廣大也.
입술 소리가 머금고 넓은 것은 흙이 만물을 감싸고 넓은 것과 같다.
於時爲季夏 於音爲宮.
4계절로는 늦여름에 속하고, 5음으로는 궁(宮)음에 속한다.
然水乃生物之源 火乃成物之用 故五行之中 水火爲大.
그러나, 물은 (모든)생물의 근원이요 불은 (모든)생물을 이루는데 쓰이기 때문에, 오행가운데 물과 불이 가장 중요하다.
喉乃出聲之門 舌乃辨聲之管 故五音之中 喉舌爲主也
목구멍은 소리를 내는 문이요, 혀는 소리를 구별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오음(아설순치후) 가운데 후음과 설음이 주가 된다.
喉居後而牙次之 北東之位也.
목구멍은 뒤에 있고, 어금니는 그 다음이므로 목구멍 소리는 북쪽, 어금니 소리는 동쪽이다.
舌齒又次之 南西之位也.
혀와 이가 그 다음이므로, 혓 소리는 남쪽, 잇 소리는 서쪽이다.
脣居末 土無定位而寄旺四季之義也.
입술은 맨 끝에 있으니 흙은 일정한 방위없이 (북동남서쪽에) 붙어서 4계절(후, 아, 설, 치음)을 왕성하게 한다는 뜻이다.
是則初聲之中 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
이런즉, 초성 가운데는 스스로 음양 오행 방위의 수가 있다.
又以聲音淸濁而言之.
또 성음의 청탁으로 말할 것 같으면,
ㄱㄷㅂㅈㅅㆆ 爲全淸.
ㄱㄷㅂㅈㅅㆆ는 전청이 되고,
ㅋㅌㅍㅊㅎ 爲次淸.
ㅋㅌㅍㅊㅎ는 차청이 되고
ㄲㄸㅃㅉㅆㆅ 爲全濁.
ㄲㄸㅃㅉㅆㆅ는 전탁이 되고,
ㆁㄴㅁoㄹㅿ 爲不淸不濁.
ㆁㄴㅁoㄹㅿ는 불청불탁이 된다.
ㄴㅁㅇ 其聲最不勵 故次序雖在於後 而象形制字則爲之始.
ㄴㅁㅇ은 그 소리가 가장 거세지 않은 까닭으로 차례는 비록 뒤에 있지만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기본으로 삼았다.
ㅅㅈ雖皆爲全淸 而ㅅ比ㅈ 聲不勵 故亦爲制字之始.
ㅅㅈ은 비록 모두 전청자이지만, ㅅ이 ㅈ에 비하여 소리가 거세지 않은 까닭으로 (ㅅ을 치음) 글자 만드는 기본으로 삼았다.
唯牙之ㆁ 雖舌根閉喉聲氣出鼻
다만, 어금니 소리(아음)의 ㆁ은 비록 혀뿌리가 후두를 막아 소리의 기운이 코로 나오지만,
而其聲與o相似 故韻書疑與喩多相混用
그 소리가 ㅇ과 비슷하여 운서에서도 ㆁ가 초성인 의(疑)자와 ㅇ이 초성인 유(喩)자가 자주 서로 섞여 사용된다.
今亦取象於喉 而不爲牙音制字之始.
(따라서) 지금 (ㆁ자를) 목구멍에서 본떠 만들었으나, 어금니 소리의 글자를 만드는 기본으로 삼지 않은 것은
盖喉屬水而牙屬木 ㆁ雖在牙而與o相似 猶木之萌芽生於水而柔軟 尙多水氣也.
대개 목구멍은 물(오행의 水)에 속하고, 어금니는 나무(오행의 木)에 속하여 ㆁ은 비록 아음이지만, ㅇ과 비슷하여 마치 나무의 싹이 물에서 나지만 부드러워서 오히려 물기운이 많음과 같기 때문이다.
ㄱ木之成質. ㄱ은 나무가 바탕을 이룬 것이요,
ㅋ木之盛長 . ㅋ은 나무가 성장한 것이요,
ㄲ木之老壯. ㄲ은 나무가 나이들어 씩씩하게 된것이니
故至此乃皆取象於牙也. 여기까지 모두 어금니에서 모양을 취한 것이다.
全淸幷書則爲全濁. 전청자를 나란히 쓰면 전탁자가 되는것은
以其全淸之聲凝則爲全濁也. 전청소리가 엉기면 전탁이 되기 때문이다
唯喉音次淸爲全濁者. 오직 후음의 차청인 ㅎ이 (나란히 써서) 전탁자가 되는 것은
盖以ㆆ聲深不爲之凝. 대개 ㆆ은 소리가 깊어서 엉기지 않고
ㅎ比ㆆ聲淺 故凝而爲全濁也. ㅎ은 ㆆ에 비해 소리가 얕아서 엉기고, 전탁이 되는 것이다.
ㅇ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者. ㅇ을 입술 소리 아래에 이어쓰면 순경음이 되는 것은
以輕音脣乍合而喉聲多也.
가벼운 소리로써 입술이 잠깐 닿기 때문에 (잠깐 닿았다가 입술을 떼기 때문에) 목구멍 소리가 많기 때문이다.
中聲凡十一字.
중성은 모두 11자이다.
ㆍ舌縮而聲深 天開於子也.
ㆍ는 혀가 오그라져 소리가 깊으니 하늘이 子時에 열린 것과 같이 맨 먼저 만들어졌다.
形之圓 象乎天地.
둥근 모양은 하늘을 본떴다.
ㅡ舌小縮而聲不深不淺 地闢於丑也. 形之平 象乎地也.
ㅡ는 혀가 조금 오그라져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으니 땅이 丑時에 열린 것처럼 2번째로 만들어졌다. 평평한 모양은 땅을 본떴다.
ㅣ舌不縮而聲淺 人生於寅也. 形之立 象乎人也.
ㅣ는 혀가 오그라지지 않아 소리가 얕으니 사람이 寅時에 생긴 것처럼 3번째로 생겼다. 일어선 모양을 한 것은 사람을 본떴다.
此下八聲. 一闔一闢.
이 밑의 여덟 소리는 하나는 합(원순모음) 이고 하나는 벽(非원순모음)이다.
ㅗ與ㆍ同而口蹙 其形則ㆍ與ㅡ合而成 取天地初交之義也.
ㅗ는 ㆍ와 같으나 입이 오그라지며, 그 모양은 ㆍ와 ㅡ가 어울려 이룸이며, 하늘과 땅이 처음 어우르는 뜻을 취하였다.
ㅏ與ㆍ同而口張 其形則ㅣ與ㆍ合而成 取天地之用發於事物待人而成也.
ㅏ는 ㆍ와 같으나 입이 펴지며, 그 모양은 ㅣ와 ㆍ가 어울려 이룸이며, 우주의 작용은 사물에서 나지만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하였다.
ㅜ與ㅡ同而口蹙 其形則ㅡ與ㆍ合而成 亦取天地初交之義也.
ㅜ는 ㅡ와 같으나 입이 오그라지며, 그 꼴은 ㅡ와 ㆍ가 어울려 이룸이며, 역시 하늘과 땅이 처음 어우르는 뜻을 취함이라.
ㅓ與ㅡ同而口張 其形則ㆍ與ㅣ合而成 亦取天地之用發於事物待人而成也.
ㅓ는 ㅡ와 같으나 입이 펴지며, 그 꼴은 ㆍ와 ㅣ가 어울려 이룸이며, 역시 우주의 작용은 사물에서 나지만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하였다.
ㅛ與ㅗ同而起於ㅣ.
ㅛ와 ㅗ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ㅣ 발음과 ㅗ발음을 연이어하는 발음이라는 뜻이다.)
ㅑ與ㅏ同而起於ㅣ.
ㅑ와 ㅏ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ㅠ與ㅜ同而起於ㅣ.
ㅠ와 ㅜ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ㅕ與ㅓ同而起於ㅣ.
ㅕ와 ㅓ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된다.
ㅗㅏㅜㅓ始於天地 爲初出也.
ㅗ,ㅏ,ㅜ,ㅓ는 하늘과 땅에서 비롯되어, 처음으로 생긴 것이다.
ㅛㅑㅠㅕ起於ㅣ而兼乎人 爲再出也.
ㅛ,ㅑ,ㅠ,ㅕ는 ㅣ에서 일어나 사람을 겸하여 두 번째로 생긴 것이다.
ㅗㅏㅜㅓ之一其圓者 取其初生之義也.
ㅗ,ㅏ,ㅜ,ㅓ가 둥근 것을 하나로 함은 처음에 생긴 뜻을 나타내고,
ㅛㅑㅠㅕ之二其圓者 取其再生之義也.
ㅛ,ㅑ,ㅠ,ㅕ가 둥근 것을 둘로 함은 두 번째로 생긴 뜻을 나타낸다.
ㅗㅏㅛㅑ之圓居上與外者 以其出於天而爲陽也.
ㅗ,ㅏ,ㅛ,ㅑ의 둥근 것이 위나 밖에 있는 것은 그것이 하늘에서 생겨나 陽이 되기 때문이다. (양성모음이다.)
ㅜㅓㅠㅕ之圓居下與內者 以其出於地而爲陰也.
ㅜ,ㅓ,ㅠ,ㅕ의 둥근 것이 아래나 안에 있는 것은 그것이 땅에서 생겨나 陰이 되기 때문이다. (음성모음이다.)
ㆍ之貫於八聲者 猶陽之統陰而周流萬物也.
ㆍ가 여덟 소리에 두루 사용된 것은 양이 음을 거느리며 온갖 사물에 두루 미침과 같다.
ㅛㅑㅠㅕ之皆兼乎人者 以人爲萬物之靈而能參兩儀也.
ㅛ,ㅑ,ㅠ,ㅕ가 모두 사람을 겸함은 사람은 만물의 영장으로 능히 음양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取象於天地人而三才之道備矣.
하늘과 땅과 사람의 모양을 취하므로 三才의 이치를 갖추느니라.
然三才爲萬物之先 而天又爲三才之始
그러나 三才가 만물의 앞이더라도 하늘이 또한 三才의 시작이니
猶ㆍㅡㅣ三字爲八聲之首 而ㆍ又爲三字之冠也.
ㆍ,ㅡ,ㅣ 석 자가 여덟 소리의 머리가 되며 다시 ㆍ가 석 자의 으뜸이 되었다.
ㅗ初生於天 天一生水之位也.
ㅗ는 하늘에서 먼저 생겼는데, 天數 1은 물을 낳는 자리이다.
ㅏ次之 天三生木之位也.
ㅏ는 그 다음으로, 天數 3은 나무를 낳는 자리이다.
ㅜ初生於地 地二生火之位也.
ㅜ는 땅에서 처음 생겼는데, 地數 2는 불을 낳는 자리이다.
ㅓ次之 地四生金之位也.
ㅓ는 그 다음으로, 地數 4는 쇠를 낳는 자리이다.
ㅛ再生於天 天七成火之數也.
ㅛ는 하늘에서 두번째로 생겼는데, 天數 7은 불을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ㅑ次之 天九成金之數也.
ㅑ는 그 다음으로, 天數 9는 쇠를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ㅠ再生於地 地六成水之數也.
ㅠ는 땅에서 두번째로 생겼는데, 地數 6은 물을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ㅕ次之 地八成木之數也.
ㅕ는 그 다음으로, 地數 8은 나무를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水火未離乎氣 陰陽交合之初 故闔.
물과 불은 아직 氣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음과 양이 서로 어우르는 시초이니 오므라진다.(원순모음이 된다.)
木金陰陽之定質 故闢.
나무와 쇠는 음양이 고정된 바탕이니 펴진다.(非원순모음 즉 평순모음이 된다.)
ㆍ天五生土之位也. ㅡ地十成土之數也.
ㆍ는 天數 5로, 흙을 낳는 자리이다. ㅡ는 地數 10으로 흙을 성숙시키는 數이다.
ㅣ獨無位數者 盖以人則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ㅣ에만 혼자 자리수가 없음은 대개 사람은 無極의 정수로, 음양오행의 정기가 신묘하게 어울려 엉긴 것으로,
固未可以定位成數論也.
ㅣ에만 혼자 자리수가 없음은 대개 사람은 無極의 정수로, 음양오행의 정기가 신묘하게 어울려 엉긴 것으로, 본래 정해진 자리나, 성숙시키는 자리가 논해질 수 없기 때문이다.
是則中聲之中 亦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
이는 곧 중성의 가운데에서도
또한 음양,오행,방위의 자리수가 있기 때문이다.
以初聲對中聲而言之.
초성 대 중성으로써 말하면,
陰陽 天道也. 剛柔 地道也.
陰陽은 하늘의 이치요, 剛柔는 땅의 이치라.
中聲者 一深一淺一闔一闢
중성이 한편으로 깊으면, 다른 한편은 얕고, 또 한편이 합이면, 다른 한편은 벽이니, (모음이 상호 대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是則陰陽分而五行之氣具焉 天之用也.
이는 곧 음양으로 나뉘나 오행의 기운을 갖추고 있는 것이니 하늘(ㆍ)의 작용이다.
초성이 허하고, 실하고, 날리고, 엉기고, 무겁고, 가벼운 것은,
是則剛柔著而五行之質成焉 地之功也.
곧 剛柔가 나타나 오행의 바탕이 이루어진 것이니, 땅의 功이다.
中聲以深淺闔闢唱之於前 初聲以五音淸濁和之於後
중성이 심,천,합,벽으로 앞의 것(초성)을 부르면, 초성은 5음의 청,탁으로 뒤의 것 (중성)에 화답하는데,
而爲初亦爲終 亦可見萬物初生於地 復歸於地也.
초성이 되기도 하고, 종성이 되기도 하는 것은 역시 만물이 땅에서 처음 나서 다시 땅으로 돌아가는 이치와 같다.
初中終合成之字 以初中終合成之字言之
초, 중, 종성이 어울려 이루는 글자 (음절)에 대해 말하자면,
亦有動靜互根陰陽交變之義焉.
마찬가지로 움직임과 멎음이 서로 근본이 되어 음과 양이 어우러져 바뀌는 뜻이 있으니
動者 天也. 靜者 地也. 兼互動靜者 人也.
움직이는 것은 하늘(초성)이요, 멎어 있는 것은 땅(종성)이며, 움직임과 멎음을 겸한 것은 사람(중성)이라.
盖五行在天則神之運也 在地則質之成也.
대개 오행은 하늘에 있은 즉 신의 운행이요, 땅에 있는 즉 바탕의 이룸이다.
在人則仁禮信義智神之運也 肝心脾肺腎質之成也.
사람에게 있은 즉 仁,禮,信,義,智는 신의 운행이요,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은 바탕의 이룸이다.
初聲有發動之義 天之事也.
초성에는 일어나 움직이는 뜻이 있으니, 이는 하늘이 하는 일이며,
終聲有止定之義 地之事也.
종성에는 멎어 정하게 하는 뜻이 있으니, 이는 땅이 하는 일이라.
中聲承初之生 接終之成 人之事也.
중성은 초성의 생김을 이어 종성의 이룸에 잇대주니 사람이 하는 일이다.
盖字韻之要 在於中聲 初終合而成音.
대개 자운(음절)의 허리는 중성에 있는데, 초성과 종성을 어우러 소리를 이룬다.
亦猶天地生成萬物 而其財成輔相則必賴乎人也.
이는 역시 하늘과 땅이 만물을 생성하되 그 조절과 보충은 반드시 사람에 힘입음과 같다.
終聲 復用初聲者 以其動而陽者乾也 靜而陰者亦乾也
종성에 초성을 다시 씀은, 그것이 움직여 양이 된 것도 乾이요, 멎어 음이 된 것도 乾때문이니,
乾實分陰陽而無不君宰也.
乾은 실로 음양으로 나뉘어 주재하여 다스리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다.
一元之氣 周流不窮 四時之運 循環無端
태초의 기운이 두루 흘러 다하지 않으매, 4철의 운행이 순환하여 끝이 없으므로
故貞而復元 冬而復春.
貞에서 다시 元이 되고, 겨울이 다시 봄이 되니,
初聲之復爲終 終聲之復爲初 亦此義也.
초성이 다시 종성이 되고 종성이 다시 초성이 됨도 역시 이러한 이치니라.
旴. 正音作而天地萬物之理咸備 其神矣哉
아, 정음이 만들어져 천지 만물의 이치를 모두 갖추니, 그 신이로움이여.
是殆天啓聖心而假手焉者乎.
이는 아마도 하늘이 성군(세종대왕)의 마음을 여시고, 그 솜씨를 빌려주신 것이 아니겠는가?
훈민정음/초성해
1321
2896
2005-06-06T02:28:50Z
220.79.45.151
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
正音의 초성은 즉 韻書의 자모이니, 말소리가 이로부터 생겨나므로 '모'라 한다.
어금닛소리 君자의 초성은 ㄱ으로,ㄱ과 운('ㅇ'가 없어야 하는데 표기가 안되네요)이 어울려 군이된다.
快字初聲是ㅋ ㅋ與ㅙ而爲쾌.
快자의 초성은 ㅋ으로,ㅋ과 ㅙ가 어울려 쾌가 된다.
뀨字初聲是ㄲ ㄲ與ㅠ而爲뀨.
뀨자의 초성은 ㄲ으로,ㄲ과 ㅠ가 어울려 뀨가 된다.
業자의 초성은 ㆁ 으로,ㆁ 과 업이 어울려 업이 되는 따위이다.
半舌半齒之閭穰 皆倣此.
혓소리 斗,呑,覃,那, 입술소리 별,漂,步,彌, 잇소리 卽,侵,慈,戌,邪, 목소리 읍,虛,洪,欲,반혀.반잇소리 閭,穰, 모두 이를 따른다.(마찬가지 원리이다)
훈민정음/해례본
1322
2897
2005-06-06T02:29:33Z
220.79.45.151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중성은 음절(字韻)의 가운데 놓여 초.종성과 합하여져 소리를 이룬다.
''자의 중성은 ㆍ로, ㆍ가 ㅌ과 ㄴ 사이에 놓여 ''이 되고,
卽字中聲是ㅡ ㅡ居ㅈㄱ之間而爲즉.
卽자의 중성은 ㅡ로, ㅡ가 ㅈ과 ㄱ 사이에 놓여 '즉'이 되고,
侵字中聲是ㅣ ㅣ居ㅊㅁ之間而爲침之類.
侵자의 중성은 ㅣ로, ㅣ가 ㅊ과 ㅁ 사이에 놓여 '침'이 되는 따위와 같다.
洪覃君業欲穰戌별 皆倣此.
洪,覃,君,業,欲,穰,戌,별, 모두 이를 따른다.
二字合用者
두 자가 합하여져서 쓰이는 중성은,
ㅗ與ㅏ同出於ㆍ 故合而爲ㅘ.
ㅗ와 ㅏ는 똑같이 ㆍ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ㅘ가 된다.
ㅛ與ㅑ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ㆇ.
ㅛ와 ㅑ는 또 똑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ㆇ가 된다.
ㅜ與ㅓ同出於ㅡ 故合而爲ㅝ.
ㅜ와 ㅓ는 똑같이 ㅡ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ㅝ가 된다.
ㅠ與ㅕ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ㆋ.
ㅠ와 ㅕ는 또 똑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ㆋ'가 된다.
以其同出而爲類 故相合而不悖也.
그들은 모두 똑같이 나와 같은 類가 되었으므로, 서로 어우러짐에 어그러짐이 없다
一字中聲之與ㅣ相合者十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是也.
한 字짜리 중성이 ㅣ와 어울린 것은 10개로,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 그것이다.
二字中聲之與ㅣ相合者四 ㅙㅞㆈㆋ是也.
두 字짜리 중성이 ㅣ와 어울린 것은 4개로, ㅙ,ㅞ,ㆈ,ㆋ, 그것이다.
ㅣ於深淺闔闢之聲 幷能相隨者
ㅣ가, 심천합벽의 소리에 두루 능히 서로 따를 수 있는 것은,
그것이 혀가 펴지고 소리가 얕아 입을 벌리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亦可見人之參贊開物而無所不通也.
역시 사람이 만물을 여는 데 참여하여 통하지 않음이 없음을 볼 수 있다.
훈민정음/종성해
1323
2898
2005-06-06T02:30:22Z
220.79.45.151
終聲者. 承初中而成字韻. 如卽字終聲. 是 ㄱ.
ㄱ 居 즈 終而爲 즉, 洪字終聲 是 ㆁ. ㆁ居 終而爲 之類
종성이란 것은 초성과 종성으로 이어받아서 자운을 이루는 것이다.
가령 즉 자의 종성은 ㄱ 이니 ㄱ 은 「즈」의 끝에 있어서 「즉」이 되고
자의 종성은 이니 은 「 」의 끝에 있어서 「 」이 되는 것 따위와 같다.
舌脣齒喉皆同. 聲有緩急之殊. 故 乎上去 其終聲
不類入聲之促急. 不淸不濁之字 其聲 不?. 故 用於
終則宜於乎上去. 全淸次淸全濁之字. 其聲爲?. 故
用於終則宜於入. 所以. ㄴㅁㄹ 六字 爲乎上去聲
之終. 而餘 皆位入聲之終也
혀소리 입술소리 닛소리 목구멍소리도 마찬가지나
소리에는 느리고 빠름의 다름이 있으므로 평성, 상성, 거성은 그 방법이 입성의 촉급과 같지 않고
불청 불탁의 글자는 그 소리가 세지 않는 까닭에 받침으로쓰면 입성에 마땅하다.
그러므로 ㄴㅁㄹ 여섯자는 평성, 상서, 거성의 받침이 되고 그나머지는 다 입성의 받침이 된다.
然 ㄱ ㄷㄴㅂㅁㅅㄹ八字 可足用也. 如 빚곶 爲梨花
ㅇ의갗爲狐皮. 而八字 可以通用. 故 只用八字. 且 ㅇ 은
聲炎而虛. 不必用於終. 而中聲 可得成音也. ㄷ 如 ㅂ 爲霰
ㄴ如군 爲君. ㅂ如업 爲業. ㅁ如땀爲覃. 人如 諺語옷爲衣.
ㄹ如 諺語실爲 絲之類.
그러나 ㄱ ㄴ ㄷ ㄴ ㅂ ㅁ ㅅ ㄹ 여덟자만으로도 족히 쓸 수 있다.
가령 빚곶에는 ㅈ 이오 ㅇ의갗(狐皮)에는 ㅊ이나 ㅅ 자로서 가히 통혀 쓸 수 있는 까닭에 자만 ㅅ 자로 쓰고
또 ㅇ 은 소리가 맑고 비어서 반드시 받침에 쓰지 않아도 ㅂ 은 업의 받침이 되고 ㅁ 은 땀의 받침이 되고
ㅅ 은 속말로 옷의 받침이 되고 ㄹ 은 속말고 실의 받침이 되는 것 따위와 같다. .
五音之緩急. 亦名自爲對. 女牙之 與 ㄱ 爲對. 而
促呼則變爲 ㄱ 而急. ㄱ 舒出則變爲 而緩. 舌之 ㄴ ㄷ
脣之 ㅁ ㅂ. 齒之 ㅅ. 喉之 ㅇ ㄴ. 其緩急相對. 亦병是也
오음은 느리고 빠름이 각각 저절로 대가 되어있다.
가량 엄소리 은 ㄱ 과 대가 되니 을 빠르게 부르면 ㄱ 으로 변하여 급해지고
ㄱ을 천천히 내면 으로 바뀌어 느리니 혀소리의 ㄴ ㄷ 과 입술소리의 ㅁ ㅂ 과
잇소리의 ㅅ 과 목구멍소리의 ㅇ ㄴ은 그 느리고 빠름의 상대가 또한 이와 같다.
且半舌之 ㄹ. 當用於諺. 而不可用於文. 如入聲之霰字.
終聲 當用 ㄷ. 而 俗習讀 ㄹ. 盖 ㄷ 變而爲輕也. 苦用
ㄹ 爲霰之終. 則其聲 舒緩. 不爲入也. 訣 曰
또 반혀소리 ㄹ 은 마땅이 우리말이나 쓸것이요 한자음에는 쓸 스 없는 것이니
가령 입성의 별자도 받침에 마땅이 ㄷ을 써야만 될 것이나 시속에 ㄹ 로 읽으니 대가 ㄷ 이 바뀌어 가볍게 될 것이다.
만약 ㄹ을 별자의 받침으로 쓴다면 그 소리가 느리어 입성이 되지 않는다.
결로 말하면
不淸不濁用於終. 爲乎上去不爲入.
불청불탁을 받침에 쓴다면 평, 상, 거성이 되고 입성이 되지 않으며
全淸次淸及全濁. 皆是爲入聲促急.
전청과 차청 또 전탁은 모두 다 입성이 되어 촉급하다.
初作終聲理固然 只將八子用不窮
초성이 되는 이치는 그러하나 다만 여덟자만 써도 궁하지 않다.
唯有俗聲所當處 中聲成音亦可通
오직 ㅇ 소리만은 마땅히 쓸데에 중성으로 음을 이루어 가히 통하리라.
若書卽字終用君 洪霰赤以業斗終
만약 즉 자를 쓰려면 ㄱ을 끝에 쓰고, 에는 이요 별에 ㄷ 이 끝이니
君業當終又如何 以那霰彌次第推
군, 업, 담자의 받침은 또 어떠할가 ㄴ ㅂ ㅁ 차례로써 미루어 알리라.
六聲通乎文與諺 戌閭用於諺衣絲
여섯자는 한자와 우리말에 두루쓰고 옷과 실의 ㅅ ㄹ 은 우리말에만 쓴다.
五音緩急名自對 君聲 是業之促
오음의 완급이 다 각각 대가 되니 ㄱ 소리는 소리를 빠르게 낸 것이요
斗霰聲終爲那彌 穰欲亦對戌與
ㄷ ㅂ 소리가 느리면 ㄴ ㅁ 이되고 ㅇ 은 ㅅ ㄴ과 더불어 대가 된다.
閭宜於諺不宜文 斗輕爲閭是俗習
ㄹ 은 우리말에는 쓰나 한자에는 않쓰고 ㄷ 이 가볍게 ㄹ 됨은 시속의 습관이라
훈민정음/중성해
1324
2899
2005-06-06T02:31:48Z
220.79.45.151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중성은 음절(字韻)의 가운데 놓여 초.종성과 합하여져 소리를 이룬다.
자의 중성은 ㆍ로, ㆍ가 ㅌ과 ㄴ 사이에 놓여 이 되고,
卽字中聲是ㅡ ㅡ居ㅈㄱ之間而爲즉. 卽자의 중성은 ㅡ로, ㅡ가 ㅈ과 ㄱ 사이에 놓여 '즉'이 되고,
侵字中聲是ㅣ ㅣ居ㅊㅁ之間而爲침之類.
侵자의 중성은 ㅣ로, ㅣ가 ㅊ과 ㅁ 사이에 놓여 '침'이 되는 따위와 같다.
洪覃君業欲穰戌별 皆倣此.
洪,覃,君,業,欲,穰,戌,별, 모두 이를 따른다.
二字合用者 두 자가 합하여져서 쓰이는 중성은,
ㅗ與ㅏ同出於ㆍ 故合而爲ㅘ.
ㅗ와 ㅏ는 똑같이 ㆍ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ㅘ가 된다.
ㅛ與ㅑ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ㆇ.
ㅛ와 ㅑ는 또 똑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ㆇ가 된다.
ㅜ與ㅓ同出於ㅡ 故合而爲ㅝ.
ㅜ와 ㅓ는 똑같이 ㅡ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ㅝ가 된다.
ㅠ與ㅕ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ㆋ.
ㅠ와 ㅕ는 또 똑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ㆋ'가 된다.
以其同出而爲類 故相合而不悖也. 그들은 모두 똑같이 나와 같은 類가 되었으므로, 서로 어우러짐에 어그러짐이 없다
一字中聲之與ㅣ相合者十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是也.
한 字짜리 중성이 ㅣ와 어울린 것은 10개로,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 그것이다.
二字中聲之與ㅣ相合者四 ㅙㅞㆈㆋ是也. 두 字짜리 중성이 ㅣ와 어울린 것은 4개로, ㅙ,ㅞ,ㆈ,ㆋ, 그것이다.
ㅣ於深淺闔闢之聲 幷能相隨者
ㅣ가, 심천합벽의 소리에 두루 능히 서로 따를 수 있는 것은,
그것이 혀가 펴지고 소리가 얕아 입을 벌리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亦可見人之參贊開物而無所不通也.
역시 사람이 만물을 여는 데 참여하여 통하지 않음이 없음을 볼 수 있다.
훈민정음/합자해
1325
2900
2005-06-06T02:32:31Z
220.79.45.151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
초.중.종 3성은 어울려야 글자를 이룬다. 초성은 중성의 위에 놓이거나 왼쪽에 놓인다
如君字ㄱ在ㅜ上
'군'字의 ㄱ이 ㅜ 위에 있고
業字ㆁ在ㅓ左之類.
'업'字의 ㅇ이 ㅓ 왼쪽에 있는 따위와 같다.
中聲則圓者橫者在初聲之下 ㆍㅡㅗㅛㅜㅠ是也.
중성의 '둥근 것'과 '가로로 된 것'은 초성의 아래에 놓이는데, ㆍㅡ,ㅗ,ㅛ,ㅜ,ㅠ 그것이다.
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
'세로로 된 것'은 초성의 오른쪽에 놓이는데, ㅣ,ㅏ,ㅑ,ㅓ,ㅕ 그것이다.
如呑字ㆍ在ㅌ下
卽字ㅡ在ㅈ下
'즉'字의 ㅡ는 ㅈ의 아래에 놓이고,
侵字ㅣ在ㅊ右之類.
'침'字의 ㅣ는 ㅊ의 오른쪽에 놓이는 따위와 같다.
終聲在初中之下.
종성은 초.중성의 아래에 놓인다.
如君字ㄴ在구下
'군'字의 ㄴ은 구의 아래에 놓이고,
初聲二字三字合用幷書
초성의 두세字를 합용병서는
各自幷書 如諺語
각자병서는우리말의 혀는 舌을 말하고,
소다爲覆物而쏘다爲射之之類.
소다는 물건을 덮는다는 뜻이고,
쏘다는 물건을 발사한다는 뜻이다.
中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과爲琴柱 .홰爲炬之類.
중성의 두,세 字짜리는 어울려 쓰임이 우리말의 .과琴柱, .홰炬와 같다.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흙爲土 .낛爲釣 닭때爲酉時之類.
종성의 두,세 字짜리는 어울려 쓰임은 우리말의 흙이土를 뜻하고, 낛이 낚시를 뜻하고, 닭때는 酉時의 뜻이다.
其合用幷書 自左而右 初中終三聲皆同.
합용병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것이 초중종성 3성에 모두 해당된다.
文與諺雜用則有因字音而補以中終聲者
漢文과 우리말을 뒤섞어 쓸 경우, 漢字의 音으로 인해 중.종성으로 보충하는 일이 있으니,
如孔子ㅣ魯ㅅ사람之類.
孔子에 주격조사가 붙으면, 孔子ㅣ라 표기하고, 魯에 사이시옷이 붙으면 魯ㅅ사람으로 표기하는 것과 같다.
諺語平上去入 如활爲弓而其聲平 돌爲石而其聲上 갈爲刀而其聲去 붇爲筆而其聲入之類.
우리말의 평.상.거.입성은 활弓-평성, 돌石-상성, 갈刀-거성, 붇筆-입성 과 같다.
凡字之左 加一點爲去聲 二點爲上聲 無點爲平聲
모든 글자의 왼쪽에 1점을 더하면 거성, 2점이면 상성, 점이 없으면 평성이고,
而文之入聲 與去聲相似.
중국자음의 입성은 (우리말의) 거성과 비슷하지만,
諺之入聲無定 或似平聲 如긷爲柱 녑爲脅. 或似上聲 如:낟爲穀 :깁爲繒.
或似去聲 如.몯爲釘 .입爲口之類.
우리말 입성은 정해진 바가 없으니, 평성과 비슷하여, 긷柱, 녑脅과 같이 되고
상성과 비슷하여, :낟穀, :깁繒과 같거나
거성과 비슷하여, .몯釘, .입口과 같아지는 따위이나,
其加點則與平上去同.
그 점찍기는 평.상.거성과 같다.
平聲安而和 春也 萬物舒泰.
평성은 수월하고 부드러우니 봄이며, 만물이 천천히 피어 자람이라.
上聲和而擧 夏也 萬物漸盛.
상성은 부드러우며 높아지니 여름이며, 만물이 점차 盛함이라.
去聲擧而壯 秋也 萬物成熟.
거성은 높아지면서 단단해지니 가을이며, 만물의 성숙이라.
入聲促而塞 冬也 萬物閉藏.
입성은 빠르며 막히니 겨울이며, 만물이 문득 자취를 감춤이라.
初聲之ㆆ與o相似 於諺可以通用也.
초성의 ㆆ과 o은 서로 비슷하여 우리말에서 통용될 수 있다.
半舌有輕重二音. 然韻書字母唯一
반혓소리에는 가볍고 무거움의 두 소리가 있다. 그러나 韻書의 字母에서는 (구별하지 않고) 오직 하나로 하였고,
且國語雖不分輕重 皆得成音.
또한 우리나라말에서는 비록 가볍고 무거움으로 나누지 않으나 모두 말소리가 될 수 있다.
若欲備用 則依脣輕例
만일 별도로 쓰고자 한다면, 입술가벼운소리의 보기를 따라,
o連書ㄹ下 爲半舌輕音 舌乍附上月 .
o을 ㄹ 아래 붙여 써 '반입술가벼운소리'가 되는데, 혀가 윗잇몸에 잠깐만 붙는다.
ㆍㅡ起ㅣ聲 於國語無用. 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
ㆍ와ㅡ가 ㅣ소리에서 일어난 소리는 우리 나라말에서 쓰임이 없고, 어린이 말이나 시골 말에 간혹 있기도 하는데,마땅히 두 글자를 어울려 쓸 것이니
其先縱後橫 與他不同.
그 세로로 된 글자를 먼저 쓰고 가로로 된 글자를 나중에 쓴 글자는 다른 글자(가로로 된 글자를 먼저쓰고, 세로로 된 글자를 나중에 쓴 글자)와 다르다.
훈민정음/용자례
1326
2901
2005-06-06T02:33:31Z
220.79.45.151
初聲ㄱ.는 如:감爲枾.요 ㄱ爲蘆.요 ㅋ.는 如우.케爲未春稻.요 콩爲大豆.요 ㅇ.는 如러.울爲獺.이요 서.에爲流 요 ㄷ.는 如.뒤爲茅.요 .담爲墻.이요 ㅌ.는 如고.티爲繭.이요 두텁爲蟾 .요 ㄴ.는 如노로爲獐.이요 납爲猿이요 ㅂ.는 如볼爲臂.요 :벌爲蜂.이요 ㅍ.는 如.파爲 .이요 .ㅍ爲蠅.이요 ㅁ.는 여:뫼爲山.이요 .마爲薯 .요 .는 如사. 爲蝦.요 드 爲瓠.요 ㅈ.는 如 .자爲 尺.이요 죠.ㅎㅣ爲紙.요 ㅊ.는 如.체爲麗요. .채爲鞭.이요 ㅅ.는 여. 손爲手.요 :셤爲島.요 ㅎ.는 如.부헝爲 .요 .힘爲筋.이요. ㅇ.는 如.비육爲鷄碼雛.요 .ㅂ얌爲蛇.요 ㄹ.는 如.무뤼爲 雹.요 어·름爲氷.이요 ㅎ.는 如아ㅎ爲弟.요 :너ㅎㅣ 爲 .니 라
초성 ㄱ은 [:감]이 시(枾)가 되고 [ㄱ]이 노(蘆)가 됨과 같으며 ㅋ은 [우·케]가 미용도(美春 )가 되고 [콩]이 대두(大豆)가 됨과 같으며 ㅎ은 [러·울]이 달(獺)이 되고 [서·에]가 유시(流 )가 됨과 같으며 ㄷ는 [·뒤]가 모(茅)가 되고 [·담]이 장(墻) 이 됨과 같으며 ㅌ은 [고티]가 견(繭)이 되고 [두텁]이 섬여(蟾 )가 됨과 같으며 ㄴ은 [노로]가 장(獐)이 되고 [납]이 원(猿)이 됨과 같으며 ㅂ은 [볼]이 비(臂)가 되고 [:벌]이 봉(蜂)이 됨과 같으며 ㅍ은 [·파]가 총( )이 되고 [·ㅍ]이 승(蠅)이 됨과 같 으며 ㅁ은 [뫼]가 산(山)이 되고 [·마]가 서여(薯 )가 됨과 같으며 는 [사· ]가 하(蝦)가 되고 [드· ]가 호(瓠)가 됨과 같으며 ㅈ는 [·자]가 척(尺)이 되고 [조·ㅎㅣ]가 지(紙)가 됨과 같으며 ㅊ은 [·체]가 사(麗)가 되고 [·채]가 편(鞭)이 됨과 같으며 ㅅ은 [·손]이 수(手)가 되고 [:셤]이 도(島)가 됨과 같으며 ㅎ은 [·부헝]이 휴류( )가 되고 [·ㅂ얌]이 사(蛇)가 됨과 같으며 ㄹ는 [·무뤼]가 박(雹)이 되고 [어·름]이 빙(氷)이 됨과 같으며 ㅎ는 [아ㅎ]가 제(第)가 되고 [:너ㅎㅣ ]가 보( )가 됨과 같다.
우.게… 벼(稻)지금까지 경상도 방언에 남아 있음 러.울…너구리(獺)
서에…성에(流 , 氷茂子) 두텁…두께비(蟾 ) 납…원숭이 또는 잔나 비(猿, ) ㅂ…팔(臂) ㅍ…파리(蠅) 사. ㅣ…새우(蝦) 드 …박(瓢, 瓠). .비육…병아리(鷄雛) :너ㅎㅣ…넉새( )
中聲●.는 如.ㅌ爲 .요 .풋小豆.요 ㄷ리爲橋.요 .ㄱ래爲楸.요 一.는 如·믈爲水.요 . 발·측 爲 .이요 그력爲上.이됴 드·레爲汲器.요 ㅣ.는 如·깃爲巢요 :밀爲蠟.이요 .피爲稷.이요 .키爲箕.요 ㅗ.는 如·논爲水田.이요. 톱爲鉅.요 호·민爲 .요 버·로爲硯.이요 ㅏ.는 如·밥爲飯.이요 .낟爲鎌.이요 구리爲銅. 이요 ㅓ.는 如브ㅓ爲 .요 :널爲板.이요 서리爲 霜.이요 버·들爲柳.요 ㅛ.는 如:죵爲奴.요 .고욤爲 .이요 . 쇼爲牛.요 삽됴爲創朮菜.요 ㅑ.는 如남샹爲龜.요 약爲龜 .이요 다·야爲 .요 쟈감爲蕎麥皮.요 ㅠ.는 如율ㅁ爲薏苡. 요ㅈ爲 飯초.요 슈·룹爲雨 .이요 쥬련爲 .요 ㅕ.는 如.엿爲飴糖.이요 .뎔爲佛寺.요 벼爲稻.요 : 져비爲燕.이니라
중성 ●는 [.ㅌ]이 이( )가 되고[.풋]이 소두(小豆)가 되고 [ㄷ리]가 교(橋)가 되고 [ㄱ래]가 추(楸)가 됨과 같으며 一는 [.믈]이 수(水)가 되고 [.발.측]이 근( )이 되고 [그력]이 안(上)이 되고 [드. 레]가 급기(汲器)가 됨과 같으며 ㅣ는 [깃]이 소(巢)가 되고 [:밀]이 납(蠟)이 되고 [.피]가 직(稷)이 되고 [ .키]가 기(箕)가 됨과 같으며 ㅗ는 [.논]이 수전(水田)이 되고 [.톱]이 거(鉅)가 되고 (호 .민)가 서( )가 되고 [벼.로]가 연(硯)이 됨과 같으며 ㅏ는[.밥]이 반(飯)이 된고 [. 낟]이 겸(鎌)이 도고 [이.아]가 종(綜)이 되고 [사.ㅅ]이 녹(鹿)이 됨과 같으며 ㅜ는 (숫)이 탄(炭 )되고 [.울]이 이( )가 되고 [누.에]가 잠( )이 되고 [구.리]가 동(銅)이 됨과 같으며 ㅓ는 [ 브 ㅓ]이 조( )가 되고 [:널]이 판(板)이 되고 [서리]가 상(霜)이 되고 [고.욤]이 영( )이 되고 [샵도]가 창출채(創朮菜)가 됨과 같으며 ㅑ는 [남샹]이 구(龜)가 되고 [약]이 구벽(龜 )이 되며 [다.야]가 이( )가 되고 [쟈감]이 교맥 피(蕎麥皮)가 됨과 같으며 ㅠ는 [율ㅁ]가 의이(薏苡)가 되고 [ㅈ]이 반초(飯초)가 되고 [슈.륩]이 우산(雨傘)이 되고 [쥬련]이 세( )가 됨과 같으며 ㅕ는 [.엿]이 이당(飴糖)이 되고 [.뎔]이 불사(佛寺)가 되고 [. 벼]가 도(稻)가 되고 [:져비]가 연(燕)이 된다는 것과 같다.
풋…팥(小豆, 荳) 발·측…발뒤꿈치( , 踵) 이·아…잉아(綜) 베틀에 쓰이는 실 브ㅓ…(조, 두) 샵도…창출뿌리(蒼朮, 山精, 仙朮) 약…거북의 이름(龜 ) 쟈감…메물껍질(蕎麥皮) ㅈ…밥주걱(초) 슈룹…우산(雨傘) 다·야…대여( ) 세수그릇
終聲ㄱ.은 如닥爲楮.요 독爲擁.이요 ㅎ.은 如 :굼벙爲 .요 .올창爲 ?.요 ㄷ.은 如.갇爲笠.이요 싣爲楓.이요 ㄴ. 은 如.神位 .요 .반되爲螢.이요 ㅂ.은 如섭'爲薪.이요 굽爲蹄.요 ㅁ.은 如:범爲虎.요 :ㅅㅣ爲泉.이요 ㅅ. 은如:잣爲海松.이요 .못爲池.요 ㄹ.은 如.ㄷ爲月.이요 :별爲星之類.니라
종성 ㄱ은 [닥]이 저(楮)가 되고 [독]이 옹(甕)이 됨과 같으며, ㅎ은 [:굼벙]이 제조( )가 되고 [.울창]이 과두( ?)가 되는 것과 같으며, ㄷ은 [.갇]이 입(笠)이 되고 [싣]이 풍(楓)이 됨과 같으며, ㄴ은 [신]이 구( )가 되고 [ .반되]가 형(螢)이 됨과 같으며 ㅂ은 [섭]이 신(薪)시 되고 [굽]이 제(蹄)가 됨과 같으며, ㅁ은 (:범)이 호(虎)가 되 고 [.ㅅㅣ]이 천(泉)이 됨과 같으며, ㅅ은 [:잣]이 해송(海松)이 되고 [.못]이 지(池)가 됨과 같으며, ㄹ 은 [.ㄷ]이 월(月)이 되고 [:별]이 성(星)이 되는 것 따위와 같다.
닥…닥나무(楮) 종이 만드는 나무 싣…단풍나무(楓)
섭…섶나무(薪)
훈민정음/정인지 서문
1327
2902
2005-06-06T02:34:07Z
220.79.45.151
鄭麟趾 序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所以古人因聲制子 以通萬物之情
以載三才之道 而後世不能易也. 然四方風土區別 聲氣亦隨而異焉.
盖外國之語 有其聲而無其字. 假中國文字以通其用 是猶 鑿之 也.
豈能達而無 乎. 要皆各隨所處而安 不可强之使同也. 吾東方禮樂文章 擬華夏.
但方言之語 不與之同. 學書者患其旨趣之難曉 獄者疾其曲折之難通.
昔新羅薛總 始作吏讀 官府民間 至今行之. 然皆假字而用 或澁或窒.
非但鄙 無稽而已 至於言語之間 則不能達其萬一焉.
癸亥冬. 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 略揭例義以示之 名曰訓民正音.
象形而字倣古篆 因聲而音犀七調. 三極之義 二氣之妙 莫不該括
以二十八字而轉換無窮 簡而要 精而通.
故智者不終朝而會 愚者可浹旬而學 以是解書 可以知其義.
以是聽訟 可以得其情. 字韻則淸獨之能辨 樂歌則律呂之克諧.
無所用而不備 無所往而不達. 雖風聲鶴 鷄鳴狗吠 皆可得而書矣.
逐命詳加解釋 以喩諸人.
於是 臣與集賢殿應敎臣崔恒 副敎理臣朴彭年 臣申叔舟 修撰臣成三問
敦寧府注簿臣姜希顔 行集賢殿副臣撰李塏 臣李善老等 謹作諸解及例
以敍其傾槪. 庶使觀者不師而自悟.
若其淵源精義之妙 則非臣等之所能發揮也. 恭惟我殿下
天 之聖 制度施爲超越百王. 正音之作 無所祖述 而成於自然.
豈以其至理之無所不在 而非人爲之私也. 夫東方有國 不爲不久
而開物成務之大智 盖有待於今日也歟.
正統十一年九月上澣. 資憲大夫禮曹判書集賢殿大提學知春秋館事世子右賓客
臣鄭麟趾拜手稽首謹書.
(세상에)천지자연의 (이치에 맞는)소리가 있다면 반드시 천지자연의(이치에 맞는) 글자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중국에서는) 옛 사람이 (그)소리에 따라서 (거기에 맞는) 글자를 만들어서,
그리하여 (그것으로써) 온갖 사물의 실상(實相)과 통하게 하였고,
(그것으로써) 삼재의 도리를 책에 싣게 하니, 후세 사람이 능히 (이를) 바꾸지 못하였다.
그러나, 세계는 기후와 토질이 (서로) 나누어져 있으며, 말소리의 기운도 또한 (이에)따라서 서로 다르다.
(그런데) 대개 중국 이외의 나라말은 그 말소리는 있으나, 그 글자는 없다.
(그래서) 중국의 글자를 빌어서, 그리하여 그 사용을 같이하고 있으니,
이는 마치 둥근 구멍에 모난 자루를 낀 것과 같이 서로 어긋나는 일이어서
어찌 능히 통달해서 막힘이 없을수 있겠는가?
요컨대 (글자란) 모두 각자가 살고 있는 곳에 따라서 정해질 것이지,
그것을 강요하여 같이하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동방은 예악(禮樂),문장등 문물제도가 중국에 견줄만하나
다만 방언 이어가 (나라말만은) 중국과 같지 않다.
(그래서) 글 배우는 이는 그 뜻의 깨치기 어려움을 근심하고
법을 다스리는 이는 그 곡절의 통하기 어려움을 괴롭게 여기고 있다.
옛날, 신라의 설총이 처음으로 이두글자를 만들었는데,
관청과 민간에서는 이제까지도 그것을 쓰고 있다.
그러나, 모두 한자를 빌어서 사용하므로, 어떤 것은 어색하고 어떤 것은 (우리 말에)들어맞지 않는다.
비단 속되고 이치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적는데 이르러서는 그 만분의 일도 통달치 못하는 것이다.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비로소 정음 28자를 창제하시고,
간략하게 예의(例義)를 들어 보이시고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지으셨다.
이 글자는 상형해서 만들되 글자 모양은 중국의 고전(古篆)을 본떴고,
소리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음은 칠조에 맞고,
삼재의 뜻과 이기(二氣,陰陽)의 묘가 다 포함되지 않은 것이 없다.
(게다가)이 28글자를 가지고도 전환이 무궁하여 간단하고도 요긴하고 정(精)하고도 통하는 까닭에,
슬기로운 사람은 하루 아침을 마치기도 전에 (이를) 깨우치고, 어리석은 이라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다.
이 글자로써 한문을 풀면 그 뜻을 알 수 있고,
이 글자로써 송사를 심리하더라도 그 실정(實情)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한자음은 청탁을 능히 구별할 수 있고, 악가(樂歌)의 율려(律呂)가 고르게 되며,
쓰는 데 갖추어지지 않은 바가 없고,(어떤 경우에라도) 이르러 통달하지 않는 곳이 없다.
바람소리, 학의 울음소리, 닭 우는 소리, 개 짖는 소리일지라도 모두 이 글자를 가지고 적을 수가 있다.
드디어 (세종께서) 저희들에게 자세히 이 글자에 대한 해석을 해서 여러 사람들을 가르치라고 분부하시니,
이에 신(臣)은 집현전 응교 최 항, 부교리 신 박팽년, 신 신숙주, 수찬 신 성삼문,
돈녕부 주부 신 강희안, 행(行)집현전부수찬 신 이개, 신 이선로 등과 더불어
삼가 여러 해(解 )와 예(例)를 지어서 이 글자에 대한 경개를 서술하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스승이 없어도 스스로 깨우치도록 바랐사오나,
그 깊은 연원이나 , 자세하고 묘한 깊은 이치에 대해서는, 신들이 능히 펴 나타낼 수 있는 바가 아니다.
공손히 생각하옵건대
우리 전하께서는 하늘이 내신 성인으로서 지으신 법도와 베푸신 시정 업적이 백왕(온갖 임금)을 초월하여,
정음을 지으심도 어떤 선인(先人)의 설을 이어 받으심이 없이 자연으로 이룩하신 것이라.
참으로 그 지극한 이치가 들어 있지 아니한 데가 없으니,
(이는) 어떤 개인의 사적(私的)인 조작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대저 동방에 나라가 있음이 오래 되지 않음이 아니나,
문물을 창조하시고 사업을 성취시켜 주실 큰 지혜는 대개 오늘을 기다리심이 계옵셨구나!
정통 11년 9월 상한, 자헌대부· 예조판서· 집현전 대제학· 지춘추관사· 세자 우빈객,신 정인지는
두 손 모아 절하고 머리 조아려 삼가 씀.
틀:퍼블릭도메인
1329
2904
2005-06-08T18:45:23Z
아흔
9
set
{|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4 style="border:1px solid #AAAAAA; border-bottom:2px solid #111111; border-right:2px solid #111111; background-color: #FAFAFA; font-size: 90%"
|-
| 위의 미디아 자료는 법적으로 보장된 [[Wikibooks:저작권|저작권]]의 시효가 지났거나, 혹은 특정 단체에서 일반에 자유로운 사용이 허용된 자료입니다.
|}
그림:Nietzsche1.jpg
1330
2905
2005-06-08T18:49:43Z
아흔
9
사진촬영: Gustav Schultze, 1882년 9월.
{{퍼블릭도메인}}
사진촬영: Gustav Schultze, 1882년 9월.
{{퍼블릭도메인}}
마르코의 복음서/1.12-1.20
1331
2906
2005-07-01T09:10:31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1.1-1.11|1.21-2.12|마가복음}}
== 갈릴래아에서 전도 시작 ==
{{주석틀|장=1.|
원문=(12) 그 뒤에 성령께서 곧바로 예수님을 광야로 내보내셨다. (13) 예수님께서는 광야에서 사십 일 동안 사탄에게 유혹을 받으셨다. 또한 들짐승들과 함께 지내셨는데 천사들이 그분의 시중을 들었다. (14) 요한이 잡힌 뒤에 예수님께서는 갈릴래아에 가시어, 하느님의 복음을 선포하시며 (15) 이렇게 말씀하셨다. “때가 차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16) 예수님께서 갈릴래아 호숫가를 지나가시다가, 호수에 그물을 던지고 있는 시몬과 그의 동생 안드레아를 보셨다. 그들은 어부였다. (17)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나를 따라오너라.23) 내가 너희를 사람 낚는 어부가 되게 하겠다.” 하고 이르셨다. (18) 그러자 그들은 곧바로 그물을 버려 두고 예수님을 따랐다. (19) 예수님께서 조금 더 가시다가, 배에서 그물을 손질하는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그의 동생 요한을 보시고, 그들을 곧바로 부르셨다. (20) 그러자 그들은 아버지 제베대오를 삯꾼들과 함께 배에 버려 두고, 그분을 따라 나섰다.
|주석=편집중
}}
{{4복음서}}
그림:Icon-10.jpg
1332
2907
2005-06-10T18:42:43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틀:대문/마
1333
6456
2006-12-22T16:22:32Z
아흔
9
rev.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유형]]'''
*'''[[Special:Newpages|새로 수록된 글]]'''
[[그림:Icon-10.jpg|Icon-10.jpg]] [[일본어 입문]]
* [[Wikibooks:자유게시판|자유 게시판]]
<div style="padding:2px; border:0 solid #DADADA; border-width:1px 0 1px 0; background-color:#FFFFFA;">
위키백과에 수록된 글을 이곳에 옮겨넣지 않기 바랍니다.
</div>
루가의 복음서
1334
3844
2005-09-06T18:24:22Z
아흔
9
교정
{{4복음서}}
== 루가의 복음서 ==
루가의 복음서는 오늘날 공인된 네 복음서들 가운데에서 세 번째로 읽게된다. 복음서를 펼쳐 첫 네 귀절을 읽으면서 독자는 루가 복음서가 다른 복음서들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이른바 저자의 머릿글에 약간 의아심을 갖게된다. 이 짧은 머릿글에서 복음서의 저자는 누구를 위해 그리고 어떤 과정을 거쳐 복음서를 쓰게 되었는지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은 머릿글은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역사가 혹은 전기 작가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문학적 서술 방식이다. 루가가 쓴 복음서는 또한 내용과 문체면에서 다른 복음서들과 비교하여 볼 때 매우 세련되고 학식이 있는 사람에 의해서 편찬되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성서학자들은 루가 복음서를 평가하는데 의견이 서로 엇갈리고 있다.
== 저자 ==
== 편찬시기 ==
== 복음서의 표면적 특징 ==
=== 편찬 방식 ===
=== 문체 ===
== 신학적 교리 ==
== 복음서 주석 ==
* [[루가의 복음서/1.1-1.4]]: 저자의 머릿말
* [[루가의 복음서/1.5-1.25]]: 세례자 요한의 출생 예고
* [[루가의 복음서/1.26-1.56]]: 예수의 탄생 예고와 마리아
* [[루가의 복음서/1.57-1.80]]: 세례자 요한의 출생과 즈가리야
* [[루가의 복음서/2.1-2.21]]: 예수의 탄생
* [[루가의 복음서/2.22-2.41]]: 증인 시므온과 안나
* [[루가의 복음서/2.42-2.52]]: 소년 예수
* [[루가의 복음서/3.1-3.22]]: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세례
* [[루가의 복음서/3.23-3.38]]: 예수의 족보
* [[루가의 복음서/4.1-4.13]]: 광야에서 받은 유혹
* [[루가의 복음서/4.14-4.30]]: 갈리래아에서 전도시작, 나자렛에서 외면 당하다
* [[루가의 복음서/4.31-4.44]]: 예수의 행적
* [[루가의 복음서/5.1-5.11]]: 베드로와 다른 제자들을 부르다
* [[루가의 복음서/5.12-5.26]]: 예수의 행적
* [[루가의 복음서/5.27-5.32]]: 레위와 세리들
* [[루가의 복음서/5.33-6.11]]: 단식과 안식일
* [[루가의 복음서/6.12-6.19]]: 열 두 제자와 예수를 따르는 군중
* [[루가의 복음서/6.20-6.26]]: 참된 행복
* [[루가의 복음서/6.27-6.49]]: 예수의 가름침
* [[루가의 복음서/7.1-7.17]]: 예수의 행적
* [[루가의 복음서/7.18-7.35]]: 세례자 요한에 대한 예수의 증언
* [[루가의 복음서/7.36-7.50]]: 예수와 죄지은 여인
* [[루가의 복음서/8.1-8.18]]: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8.19-8.21]]: 예수의 친척
* [[루가의 복음서/8.22-8.39]]: 예수의 행적
* [[루가의 복음서/8.40-8.56]]: 야이로의 딸
* [[루가의 복음서/9.1-9.6]]: 열 두 제자의 파견
* [[루가의 복음서/9.7-9.9]]: 헤로데왕과 예수
* [[루가의 복음서/9.10-9.17]]: 예수의 행적
* [[루가의 복음서/9.18-9.21]]: 베드로의 고백
* [[루가의 복음서/9.22-9.27]]: 수난과 부활에 대한 첫번째 예고
* [[루가의 복음서/9.28-9.36]]: 예수의 모습
* [[루가의 복음서/9.37-9.43]]: 예수의 행적
* [[루가의 복음서/9.44-9.45]]: 수난과 부활에 대한 두번째 예고
* [[루가의 복음서/9.46-9.62]]: 예수와 제자들
* [[루가의 복음서/10.1-10.24]]: 일흔 두 제자의 파견
* [[루가의 복음서/10.25-10.37]]: 착한 사마리아 사람의 바유
* [[루가의 복음서/10.38-10.42]]: 마르타와 마리아
* [[루가의 복음서/11.1-11.13]]: 주의 기도
* [[루가의 복음서/11.14-11.26]]: 악령을 쫓다
* [[루가의 복음서/11.27-11.36]]: 예수와 군중, 빛과 눈
* [[루가의 복음서/11.37-11.54]]: 바리새인과 율법학자
* [[루가의 복음서/12.1-12.12]]: 위선자와 굳센 믿음
* [[루가의 복음서/12.13-12.21]]: 탐욕과 부자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2.22-12.32]]: 헛된 걱정
* [[루가의 복음서/12.33-12.48]]: 참된 보물
* [[루가의 복음서/12.49-12.59]]: 예수를 둘러싼 엇갈린 의견
* [[루가의 복음서/13.1-13.9]]: 갈릴래아 사람과 무화과나무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3.10-13.17]]: 예수의 행적
* [[루가의 복음서/13.18-13.21]]: 겨자씨와 누룩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3.22-13.30]]: 좁은 문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3.31-13.35]]: 에로데왕의 음모와 예루살렘을 한탄하다
* [[루가의 복음서/14.1-14.6]]: 예수의 행적
* [[루가의 복음서/14.7-14.35]]: 손님과 잔치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5.1-15.10]]: 길잃은 양과 잃은 동전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5.11-15.22]]: 잃었던 아들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6.1-16.18]]: 영리한 서기의 비유, 율법과 복음의 차이
* [[루가의 복음서/16.19-16.31]]: 부자와 가난한 라자로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7.1-17.10]]: 죄진 삶과 믿음을 쫓는 삶, 쓸모 없는 종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7.11-17.19]]: 예수의 행적
* [[루가의 복음서/17.20-17.37]]: 신의 나라
* [[루가의 복음서/18.1-18.8]]: 재판관과 과부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8.9.-18.17]]: 바리새인과 세리의 기도
* [[루가의 복음서/18.18-18.30]]: 부자와 하늘나라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8.31-18.43]]: 수난과 부활에 대한 세번째 예고
* [[루가의 복음서/19.1-19.10]]: 예수와 세리 자캐오
* [[루가의 복음서/19.11-19.27]]: 맡긴 돈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19.28-19.40]]: 예루살렘에 들어선 예수
* [[루가의 복음서/19.41-19.48]]: 예루살렘을 한탄하고 성전에서 장사꾼을 내쫓다
* [[루가의 복음서/20.1-20.8]]: 예수의 권한
* [[루가의 복음서/20.9-20.19]]: 사악한 포도원 소작인의 비유
* [[루가의 복음서/20.20-20.26]]: 황제의 재산은 황제에게
* [[루가의 복음서/20.27-20.40]]: 부활에 대한 물음
* [[루가의 복음서/20.41-20.47]]: 메시아와 다윗의 관계
* [[루가의 복음서/21.1-21.4]]: 과부의 헌금
* [[루가의 복음서/21.5-21.24]]: 다가오는 재난과 박해
* [[루가의 복음서/21.25-21.38]]: 나타날 사람의 아들
* [[루가의 복음서/22.1-22.6]]: 대사제의 음모와 유다의 배반
* [[루가의 복음서/22.7-22.23]]: 과월절과 최후의 만찬
* [[루가의 복음서/22.24-22.38]]: 제자들과 함께, 베드로의 부인을 예고하다
* [[루가의 복음서/22.39-22.46]]: 올리브산에서 기도하다
* [[루가의 복음서/22.47-22.53]]: 체포된 예수
* [[루가의 복음서/22.54-22.62]]: 베드로의 부인
* [[루가의 복음서/22.63-22.71]]: 대사제 앞에 선 예수
* [[루가의 복음서/23.1-23.12]]: 빌라도와 헤로데의 심문
* [[루가의 복음서/23.13-23.25]]: 빌라도의 판결
* [[루가의 복음서/23.26-23.43]]: 십자가의 고난
* [[루가의 복음서/23.44-23.49]]: 예수의 죽음
* [[루가의 복음서/23.50-23.56]]: 예수의 무덤
* [[루가의 복음서/24.1-24.12]]: 예수의 부활
* [[루가의 복음서/24.13-24.35]]: 엠마오로 가는 길에 있은 대화
* [[루가의 복음서/24.36-24.49]]: 예루살렘에 나타난 예수
* [[루가의 복음서/24.50-24.53]]: 예수의 승천
[[Category:신약성서]]
틀:4복음서
1335
2910
2005-06-23T17:50:37Z
아흔
9
rev.
{| width="100%" style="font-size:90%;"
| width="15%"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4F0F7; text-align:center;" | [[그림:Icon-a.jpg|20px|]] [[신약성서 주석|신약]]
| width="15%"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4F0F7; text-align:center;" | [[마태오의 복음서|마태복음]]
| width="15%"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4F0F7; text-align:center;" | [[마르코의 복음서|마가복음]]
| width="15%"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4F0F7; text-align:center;" | [[루가의 복음서|루가복음]]
| width="15%"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4F0F7; text-align:center;" | [[요한의 복음서|요한복음]]
| width="15%" cellspacing="3" style="padding:.3em .3em; background:#F4F0F7; text-align:center;" | [[신약성서 입문/복음서들의 구절 비교|비교]] [[그림:Icon-w.jpg|20px|]]
|}
루가의 복음서/1.1-1.4
1336
2911
2005-07-01T09:13:15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루가의 복음서|1.1-1.4|1.5-1.25|루가복음}}
==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세례 ==
{{주석틀|장=1|
원문= (1) 우리 가운데에서 이루어진 일들에 관한 이야기를 엮는 작업에 이미 많은 이가 손을 대었습니다. (2) 처음부터 목격자로서 말씀의 종이 된 이들이 우리에게 전해 준 대로 한 것입니다. (3) 존귀하신 데오필로님, 이 모든 일을 처음부터 자세히 살펴본 저도 귀하께 순서대로 적어 드리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4) 이는 귀하께서 이미 배우신 것들이 진실임을 알게 해 드리려는 것입니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D.H. 로렌스
1339
5653
2006-07-12T16:45:54Z
고구마벌레
91
/* 문학작품 */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David Herbert Lawrence, 1885년 9월 11일 - 1930년 3월 2일)는 20세기 초 영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의 문학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영국 사회 하층 계급의 삶을 생생히 묘사한 것으로 영국 문학사에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 로렌스의 가족 ==
오늘날 서류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D. H. 로렌스의 선조는 버밍햄 근교에 18세기 말엽에 처음으로 정착하여 살은 것으로 보인다. D. H. 로렌스의 증조 할아버지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워털루 전쟁에 종군한 것으로 추측되며, 아마 이 전쟁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D. H. 로렌스 자신이나 혹은 다른 로렌스 가문의 사람들이 이 증조 할아버지가 프랑스 사람이었다고 더러 주장을 하였지만 이를 증명하는 서류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D. H. 로렌스의 증조부가 사망한 후 그의 아내는 얼마 후 재혼을 하였으며, 버밍햄을 떠나 영국 중부지방 브린슬리(Brinsley)로 이주하여 그 곳에서 자녀들을 키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D. H. 로렌스의 할아버지 존(John Lawrence)은 성장하여 양복 재단사로 사회에 진출하였다. 존은 루이자(Louisa Antoinette Parsons)를 아내로 맞아 5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D. H. 로렌스의 아버지 아서 (Arthur John Lawrence, 1846 -1924)는 장남으로서 이미 일곱살이 되던 해에 광산에서 일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부 생활은 당시에 로렌스 가문의 남자들이 택한 공통된 직업으로 알려져 있다. 아서는 건장한 체구의 청년으로 성장 하였으며 D. H. 로렌스의 어머니 리디아(Lydia Beardsall)와 결혼할 당시 광부 십장으로 승진하여 제법 높은 봉급을 받은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 어머니와 아버지 ===
=== 형제 자매 ===
== 사춘기와 교우관계 ==
=== 제시 챔버스 (Jessie Chambers) ===
=== 그림과 문학 ===
== 교생 및 대학 생활 ==
== 교사 생활 ==
== 폴 모렐 (Paul Morel) ==
== 아들과 연인 (Sons and Lovers) ==
== 프리다 ==
== 여행: 독일, 이탈리아 ==
== 무지개 (The Rainbows) ==
== 사랑에 빠진 여인 (Women in Love) ==
== 낮선 문명을 찾아서 ==
== 채털리 부인의 사랑 ==
== 결핵과 사망 ==
== 읽어보기 ==
=== 문학작품 ===
==== 소설 ====
==== 시 ====
==== 여행담 ====
==== 편지 ====
=== 전기 ===
[[Category:전기]]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1340
2915
2005-07-01T09:45:07Z
A-heun
22
교정
== 편찬시기 ==
고린토 후서는 전서가 57년 초에 쓰여진 후 얼마 뒤에 쓰여진 것으로 보이며 약 58-59년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림:Paulus_Mission.jpg|thumb|280px|사도 바울의 전도여행길과 편지를 보낸 도시들]]
== 고린토교구와 시대적 배경 ==
고린토교구에 대해서는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고린토교구와 시대적 배경|여기]]를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편지를 쓰게된 동기 ==
첫번째 고린토인 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사고 바울은 교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리고 교구에서 바울에게 질문한 문제점들에 관하여 답을 하였다. 이를 염두에 두고 후서를 읽게되면 우선 후서에서 전서에서 표명한 바울의 의견이 적어도 암시적으로나마 쓰여져 있을 것으로 독자는 기대하는 것이 자연적이다. 그러나 전서에서 표명한 바울의 의견은 후서에서 전혀 언급이 되지 않고 있다. 이와 반면에 후서에서는 바울이 개인적으로 고린토 교구와 심각한 마찰이 있었던 것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 편지의 구성 ==
== 중요 교의 ==
== 주석 ==
* '''인사말:1.1-1.11'''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1.1-1.11]]: 인사말
* '''교구의 무질서: 1.6-6.20'''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1.12-2.4]]: 바울의 계획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2.5-2.17]]: 신뢰와 용서하는 자세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3.1-3.18]]: 계약문과 성령에 다른 삶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4.1-4.18]]: 바울의 믿음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5.1-5.21]]: 화해하는 자세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6.1-6.11]]: 전도사 바울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6.12-7.4]]: 미신에 대한 경고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7.5-7.16]]: 바울의 기쁨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8.1-8.24]]: 예루살렘의 교회를 위한 헌금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9.1-9.15]]: 가난한 사람을 위한 의연금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10.1-10.17]]: 바울의 변호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11.1-11.15]]: 거짓 사도들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11.16-11-33]]: 바울의 노고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12.1-12.10]]: 바울의 약점과 강점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12.11-12.21]]: 바울의 고린토 교회에 대한 염려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13.1-13.13]]: 격려와 다음 방문에 대한 소망
== 읽어보기 ==
[[Category:주석서]]
[[Category:고린토 후서]]
그림:Icon-11.png
1341
2916
2005-06-15T17:43:23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그림:Icon-6a.png
1342
2917
2005-06-15T17:43:54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그림:Icon-6b.png
1343
2918
2005-06-15T17:44:15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그림:Icon-a.jpg
1344
2919
2005-06-15T17:46:24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그림:Icon-w.jpg
1345
2920
2005-06-15T17:46:45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분류:루가복음
1346
2921
2005-06-15T18:02:50Z
아흔
9
set
[[Category:신약성서]]
루가의 복음서/1.5-1.25
1347
2922
2005-07-01T09:18:52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루가의 복음서|1.1-1.4|1.26-1.56|루가복음}}
== 세례자 요한의 출생 예고 ==
{{주석틀|장=1|
원문=(5) 유다 임금 헤로데 시대에 아비야조에 속한 사제로서 즈가리야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의 아내는 아론의 자손으로서 이름은 엘리사벳이었다. (6) 이 둘은 주님 앞에서 의로운 이들로, 주님의 모든 계명과 규정에 따라 흠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이었다. (7) 그런데 그들에게는 아이가 없었다. 엘리사벳이 아이를 못 낳는 여자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둘 다 나이가 많았다.
(8) 즈가리야가 자기 조의 차례가 되어 하느님 앞에서 사제 직무를 수행할 때의 일이다. (9) 사제직의 관례에 따라 주사위를 던졌는데, 그가 주님의 성소에 들어가 분향하기로 결정되었다. (10) 그가 분향하는 동안에 밖에서는 온 백성의 무리가 기도하고 있었다. (11) 그 때에 주님의 천사가 즈가리야에게 나타나 분향 제단 오른쪽에 섰다. (12) 즈가리야는 그 모습을 보고 놀라 두려움에 사로잡혔다. (13) 천사가 그에게 말하였다. “두려워하지 마라, 즈가리야야. 너의 청원이 받아들여졌다. 네 아내 엘리사벳이 너에게 아들을 낳아 줄 터이니, 그 이름을 요한이라고 하여라. (14) 너도 기뻐하고 즐거워할 터이지만 많은 이가 그의 출생을 기뻐할 것이다. (15) 그가 주님 앞에서 큰 인물이 되겠기 때문이다. 그는 포도주도 독주도 마시지 않고 태 안에서부터 성령으로 가득 찰 것이다. (16) 그리고 이스라엘의 자손들 가운데에서 많은 사람을 그들의 하느님이신 주님께 돌아오게 할 것이다. (17) 그는 또 엘리야의 영과 힘을 지니고 그분보다 먼저 와서, 부모의 마음을 자녀에게 돌리고, 순종하지 않는 자들은 의인들의 생각을 받아들이게 하여, 백성이 주님을 맞이할 준비를 갖추게 할 것이다.”
(18) 즈가리야가 천사에게, “제가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겠습니까? 저는 늙은이이고 제 아내도 나이가 많습니다.” 하고 말하자, (19) 천사가 그에게 대답하였다. “나는 하느님을 모시는 가브리엘인데, 너에게 이야기하여 이 기쁜 소식을 전하라고 파견되었다. (20) 보라. 때가 되면 이루어질 내 말을 믿지 않았으니, 이 일이 일어나는 날까지 너는 벙어리가 되어 말을 못 하게 될 것이다.”
(21) 한편 즈가리야를 기다리던 백성은 그가 성소 안에서 너무 지체하므로 이상하게 여겼다. (22) 그런데 그가 밖으로 나와서도 말을 하지 못하자, 사람들은 그가 성소 안에서 어떤 환시를 보았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사람들에게 몸짓만 할 뿐 줄곧 벙어리로 지냈다. (23) 그러다가 봉직 기간이 차자 집으로 돌아갔다. (24) 그 뒤에 그의 아내 엘리사벳이 임신하였다. 엘리사벳은 다섯 달 동안 숨어 지내며 이렇게 말하였다. (25) “내가 사람들 사이에서 겪어야 했던 치욕을 없애 주시려고 주님께서 굽어 보시어 나에게 이 일을 해 주셨구나.”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수에토니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1-8
1348
2923
2005-06-17T17:14:07Z
아흔
9
set
{{계속|전기|수에토니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1-8|9-17|율리우스 카이사르}}
분류:고린토 후서
1349
2924
2005-06-17T17:18:53Z
아흔
9
set
[[Category:신약성서]]
분류:율리우스 카이사르
1350
2925
2005-06-17T17:24:49Z
아흔
9
set
[[Category:전기]]
천체물리학
1351
4993
2006-05-03T13:29:08Z
220.121.51.68
천체물리학은 천체의 내부구조나 에너지원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천체물리학은 천체역학등과 달리 19세기에 발달된 가장 짧은 현대천문학이다. 이런것을 배워 보자.
== 천체물리학 ==
=== 기본적인 용어 ===
* [[천체물리학/별의 운동을 나타내는 용어]]
* [[천체물리학/성운을 나타내는 용어]]
* [[천체물리학/구성 단체를 나타내는 용어]]
* [[천체물리학/천체를 나타내는 용어]]
* [[천체물리학/거리를 나타내는 용어]]
=== 이론지식 ===
* [[천체물리학/별의 색깔에 따른 표면온도]]
* [[천체물리학/청색편이와 적색편이에 따른 빛의 형태]]
=== 성단과 성운 ===
* [[천체물리학/안드로메다 은하]]
=== 태양계 ===
* [[천체물리학/수성]]
=== 우주물리학 ===
* [[천체물리학/물체를 이루는 요소]]
=== 천체화학 ===
=== 별 ===
=== 외계인 ===
=== 별자리 ===
=== 항성 ===
=== 화합물과 물질 ===
* [[천체물리학/물]]
=== 용어풀이 ===
* [[천체물리학/용어풀이]]
== 읽어보기 ==
* [[NGC목록]]
* [[메시에목록]]
천체물리학/별의 운동을 나타내는 용어
1352
6260
2006-11-10T15:05:05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별의 운동을 나타내는 용어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중요한 몇가지를 설명하기로하자.
* 자전-천체가 스스로 제자리에서 도는 운동을 말한다.모두 왼쪽으로 돌고 있다. 태초부터 존재했던 힘에 의해 계속 돌게 된 것이다.행성이 자전을 하기때문에 밤과 낮이 생기게 된다. 자전주기는 한번 자전하는데에 걸리는 시간으로써 지구의 자전주기는 24시간이다. 목성형 행성의 경우 자전주기가 빨라서 10시간정도밖에 안된다.
* 자전축-자전할때에 각도를 말한다. 지구는 약 23.5도 기울어진 채로 자전하고 있다.
* 공전-행성이 항성주위를 도는 운동이다. 사실 어떤 물체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어떤 물체에 의해 돌고 있으면 다 공전에 속하게 된다. 아무튼 행성계에서는 행성들이 항성을 따라 공전하게 된다.
* 공전주기-행성이 항성을 한바퀴도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말로써 지구의 공전주기는 365일이고 항성과 멀리떨어져있을수록 공전주기가 길다.
* 공전궤도-행성이 항성을 돌게되면서 그리게 되는 궤적이다. 그런데 행성은 모두 완전한 원을 그리며 공전하는 것이 아니고 타원의 형태로 돌게 된다. 즉, 완전한 원에서 약간 찌그러진 모습이다.
* 이심률-공전궤도가 찌그러진 정도를'''(긴반지름 - 짧은 반지름) / 긴반지름'''이라는 공식으로 구하게 되는데 이 공식으로써 구해진 값을 이심률이라고 한다. 이심률이 심할수록 타원에 가까워지게 된다. 태양계에서는 명왕성의 이심률이 가장 높다.
천체물리학/성운을 나타내는 용어
1353
6261
2006-11-10T15:05:32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성운에는 종류가 많이 있다. 5가지만 소개해 보겠다.
# 발광성운-그 성운의 중심부나 그 주변에 고온의 별에 의해 빛나는 성운을 말한다.
# 반사성운-성운자체에는 고온의 별이 없지만 주변의 별빛을 받아서 그 빛을 반사시키게 되는 성운이다.
# 암흑성운-빛나는 성운에 일부가 검게 보이는 성운을 말한다. 이 검게 보이는 부분은 성운을 이루고 있는 가스가 특별히 밀도가 높아서 별빛을 차단해버리기 때문에 검게 보인다.
# 변광성운-그 밝기가 일정하지 않고 계속 어두워졌다 밝아졌다 하는 성운을 말한다.
# 산광성운-그 내부나 근처의 고온의 별의 복사에너지를 받아 빛을 방출하게 되는 성운을 말한다.
천체물리학/구성 단체를 나타내는 용어
1354
6256
2006-11-10T15:02:07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우주는 각기 독립된 천체들로만 차있는 것이 아니다. 수많은 구성 단체들이 있다.
첫째로는 행성계라는 것이 있다. 하나의 항성과 그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 그리고 다른 작은 천체들로 이루어진 집단을 말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우리 태양계가 있다.
성운은 우주공간에 널려진 성간물질의 밀도가 특별히 높은 곳을 말한다. 이 성간물질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성운에서 별이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성운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천체물리학/성운을 나타내는 용어|성운을 나타내는 용어]]를 참고하시오.
일단 성운에서 태어난 별이 아주 오랜기간에 걸쳐 여러개가 생성이 되면 성단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초기의 성단은 산개성단으로써 주로 젊은 별들이 주를 이루게 된다. 젊은 별들이 넓게 퍼져있는 것을 산개성단이라고 한다. 이 산개성단에서도 남은 성간물질이 많기때문에 별이 계속 태어나게 된다. 산개성단에서 오랜기간에 걸쳐서 계속 별이 태어나게 되면 원래 있던 별들은 늙게 된다. 붉은 별들이 하나둘 생기기 시작한다.그러면서 별은 계속 태어나기때문에 넓게 퍼져있던 산개성단의 별들이 점차 뭉쳐지게 된다. 별의 갯수는 당연히 훨씬많아지게 된다. 그래서 산개성단이 늙으면 둥글게 밀집된 별들의 모임인 구상성단이 된다.
천체물리학/천체를 나타내는 용어
1355
6266
2006-11-10T15:07:39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밤하늘에 수놓은 수많은 별에도 각기 다른 명칭이 있다. 그러나 여기서 다룰 것은 천체의 종류에 대한 것이다.
일단 아침마다 지겹도록 보게되는 태양이 바로 별, 즉 항성이다. 항성은 붙박이별이라고도 불리며 스스로 어떤 천체에 인력에 의해 돌지 않고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을 말한다. 밤하늘에 수많은 별들은 대부분 항성이랍니다.
그리고 그 항성이 거느리고 있는 천체가 바로 행성이다. 행성의 대표적인 예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입니다. 그리고 우리 태양계에서는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라 불리는 9개의 행성이 발견된 상태이다. 태양만 행성을 거느린 것은 아니고 다른 항성도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 현재 관측중에 있다.
행성이 거느리는 것도 있다. 그것은 바로 위성이라 불리는 천체이다.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밤마다 보게되는 달이다.그냥 위성을 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위성은 행성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일정한 궤도로 돌게된다. 그 크기는 화성의 데이모스와 포보스처럼 수십km밖에 안되는 것에서 달처럼 수천km에 이르는 것까지 다양하다. 위성은 각기 독립적인 운동을 하던 천체가 행성의 인력에 붙잡혀 계속 돌게된 것입니다.
또 소행성도 있다. 소행성은 한두개도 아니고 무려 수만개에 이른다. 일부는 이미 궤도와 그 크기를 파악한 상태이다. 이 소행성군단은 주로 화성과 목성사이에 밀집되어 있다. 작은 것도 있지만 수km에 이르는 소행성은 지구에 충돌할 경우 해일이 일어나고 지구를 먼지로 덮어서 태양빛을 못받게 한다.
쌍성이라는 것이 있다. 쌍성은 두개의 항성(별)이 서로의 인력에 붙들려서 공통무게중심으로 계속 돌고있는 경우이다.
천체물리학/거리를 나타내는 용어
1356
6255
2006-11-10T15:01:53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광활한 우주에서 그 거리를 나타낼 수 있는 척도란 필수요소이다. 1000m는 1km라는 것으 다 안다. 하지만 우주공간은 넓기때문에 1km 이하의 단위는 잘 안쓰인다. 이제부터 거리를 나타내는 용어를 써보겠다.
* AU(천문단위)-주로 태양계 내부의 거리를 측정할때 쓰인다.1AU가 바로 1억5천km를 뜻한다. 즉 1AU는 지구와 태양의 거리이다. 명왕성과 태양사이의 거리는 약 40AU로써 지구보다 명왕성이 태양으로부터 약 40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뜻한다.
* 광년-태양계 외부에서 측정하는 단위이다. 빛이 1초에 지구 7바퀴 반 즉, 30만km를 달린다.거기서 빛이 1년동안 달리는 거리이다. 1광년은 약 9조5천억km이다.
* pc(파섹)-파섹은 광년보다 큰 단위로 약 3.26광년이다.1pc가 3.26광년으로 정해진 것은 별이 이동하면서 1년에 한번씩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이를 연주시차라고 한다. 이 연주시차의 각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별이 가까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연주시차가 1/3600도가 되는 거리가 3.26광년이었기때문에 그 거리를 1pc로 정한 것이다. 1/3600도를 다른말로 1초라고합니다. 1/60도는 1분이라고 한다. 그냥 1도는 1도라고 한다.
천체물리학/별의 색깔에 따른 표면온도
1357
6259
2006-11-10T15:04:43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별의 색깔에 따른 표면온도이다.
<table border="1">
<tr>
<th>분광형</th>
<th>표면온도</th>
<th>색</th>
</tr>
<tr>
<td>O</td>
<td>5만도</td>
<td>청색</td>
</tr>
<tr>
<td>B</td>
<td>3만도</td>
<td>청백색</td>
</tr>
<tr>
<td>A</td>
<td>1만도</td>
<td>백색</td>
</tr>
<tr>
<td>F</td>
<td>7500도</td>
<td>황백색</td>
</tr>
<tr>
<td>G</td>
<td>6000도</td>
<td>노란색</td>
</tr>
<tr>
<td>K</td>
<td>4500도</td>
<td>주황색</td>
</tr>
<tr>
<td>M</td>
<td>3500도</td>
<td>붉은색</td>
</tr>
* 태양은 분광형 G에 해당합니다.
천체물리학/청색편이와 적색편이에 따른 빛의 형태
1358
6267
2006-11-10T15:07:53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밤하늘에서 빛나는 별들의 색은 한가지가 아니다. 여러가지로 빛나고 있다. 그런데 혹시 청색편이와 적색편이에 대해 들어보셨습니까?
별들이 멀어져 감에 따라서 파동의 마루와 마루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게 되어서 그 별빛이 적색으로 편이되는 현상을 적색편이라고 하고, 반대로 청색편이는 별들이 가까워져 감에 따라서 파동의 마루와 마루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서 그 별빛이 청색으로 편이되는 현상을 청색편이라고 한다. 하지만 우주는 팽창하고 있기때문에 적색편이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적색편이가 발견되는 것이 바로 팽창론의 주된 근거가 된다. 만약 우주가 수축하고 있다면 청색편이만 발견될 것이다. 우주가 원래의 크기를 유지하고 있다면 청색, 적색 편이 둘다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가시광선이 보일 정도의 거리에 있을땐 별빛이 보인다. 좀 멀리 떨어져있다면 적색편이되서 붉게 보일 것이고 좀 가까이 있다면 청색편이되서 비교적 청색계열로 보일 것이다. 물론 원래 별빛에서 편이되는 겁니다. 즉 청색의 별이 적색편이가 되면 백색이 되거나 주황색이 된다. 붉은색의 별이 적색편이가 되면 훨씬 더 붉은색이 되거나 적외선의 영역으로 넘어가게 된다. 별이 너무나 멀리떨어져 있을때는 마루와 마루사이의 거리가 매우 늘어나게되서 그 거리에 따라 적외선, 극초단파, 전파의 형태로 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눈으로 그별을 감지 할 수가 없게 된다. 그렇게 멀리떨어져 있는 별은 전파망원경을 통해볼 수 있게되었다.
천체물리학/용어풀이
1359
6265
2006-11-10T15:07:19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 ㄱ ==
===금성===
태양계의 아홉개의 행성중 하나. 태양으로 부터 2번째로 가까운 행성이며 수성 바깥쪽에 위치한다.
===거문고자리===
여름밤부터 가을밤에 걸쳐 은하수 서쪽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 거문고 형태의 별자리이다.
===공전===
행성이 항성의 인력에 의해 일정한 궤도를 그리며 일정한 주기로 도는 현상
===궤도===
물체의 일정한 이동경로
===공전궤도===
행성이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데에 지나가는 이동경로. 중심력을 받은 물체가 힘의 중심둘레를 회전하는 운동으로 인해 그려지는 이동경로이다.
===가니메데===
목성의 대표적인 위성. 목성의 가장 큰 위성이며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이다.
===관성===
어떤 물체에 힘이 가해지지않는 한 운동상태를 보존하려는 성질
===관성의 법칙===
어떤 물체에 힘이 가해지지않는 한 운동상태를 보존하려한다는 법칙. 뉴턴의 제 1법칙이라고도 한다.
===갈륨===
원자번호 31번의 금속원소
===게르마늄===
원자번호 32번의 금속원소
===구리===
원자번호 29번의 금속원소. '동'이라고도 불린다.
===공기===
질소,산소,아르곤,이산화탄소 등으로 이루어진 지구 하층부분의 기체 혼합물
===가설===
어떤 이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위한 증명되지 않은 이론
===가정===
어떠한 조건을 논리적으로 만드는 일
===게성운===
은하계 안에 가스성운의 한가지로 팽창속도가 매우 빠른 성운
===게자리===
황도12궁에 하나에 속하는 게모양의 별자리
===광년===
빛이 1년동안 이동한 거리로써 약 9조5천억km를 이르는 거리. 이 단어에서 파생된 말로 광시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광자===
빛의 입자성으로 미루어볼때 빛을 이루고 있는 입자
===규소===
원자번호 14번의 비금속 원소
틀:위키책 오늘
1363
4640
2006-01-28T02:56:09Z
아흔
9
rev.
* 오늘: '''{{CURRENTYEAR}}년 {{CURRENTMONTHNAME}} {{CURRENTDAY}}일'''
* 수록된 문서: [[Special:Statistics|'''{{NUMBEROFARTICLES}}''']]편
* [[Image:Icon-10.jpg]] '''[[Wikibooks:새글 쓰기|쓰기]]'''
요한의 복음서
1364
3841
2005-09-06T18:14:05Z
아흔
9
계속
{{4복음서}}
== 저자 ==
요한 복음서는 그 내용, 문체 그리고 구성면에서 다른 공인된 세 복음서와 두드러진 차이점을 갖고 있다. 이른바 [[신약성서 입문/공관 복음서|공관 복음서]]로서 일컬어지는 다른 세 복음서들은 복음서의 뼈대를 이루는 예수를 둘러싼 이야기들이 대개 일치하는 반면, 요한 복음서에서는 이와 같은 공통점들이 적은 편이다. 이 밖에 요한 복음서는 오늘날 [[신약성서 주석|신약성서]]에 수록된 다른 기록서들 이를테면 '요한'이라는 작자의 이름으로 전해져 오는 '요한 계시록' '요한의 편지'들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복음서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요한 복음서가 세 공관 복음서와 함께 매우 일찍 초기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혀진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아래 참고), 그러나 위에 짧게 든 이유들 때문에 19세기에 일기 시작한 복음서의 해석과 출처 문제에 관한 연구에서 요한 복음서의 편찬시기와 신빙성에 관해서 적지 핞은 논란이 제기되었다.
== 편찬시기 ==
== 복음서의 표면적 특징 ==
=== 편찬 방식 ===
=== 문체 ===
== 신학적 교리 ==
== 복음서 주석 ==
* [[요한의 복음서/1.1-1.18]]: 머리말
* [[요한의 복음서/1.19-1.28]]: 세례자 요한의 증언
* [[요한의 복음서/1.29-1.34]]: 예수를 위한 세례자 요한의 증언
* [[요한의 복음서/1.35-1.51]]: 예수의 첫 제자들
* [[요한의 복음서/2.1-2.25]]: 가나의 결혼식과 예루살렘에서의 과월절
* [[요한의 복음서/3.1-3.21]]: 니코데모와의 대화
* [[요한의 복음서/3.22-3.36]]: 세례자 요한의 마지막 증언
* [[요한의 복음서/4.1-4.42]]: 예수와 사마리아의 여인
* [[요한의 복음서/4.43-5.18]]: 예수의 행적
* [[요한의 복음서/5.19-5.47]]: 성부와 성자의 관계
* [[요한의 복음서/6.1-6.21]]: 예수의 행적
* [[요한의 복음서/6.22-6.59]]: 생명의 빵: 예수의 몸과 피
* [[요한의 복음서/6.60-6.71]]: 제자들의 불신과 베드로의 고백
* [[요한의 복음서/7.1-7.24]]: 초막절 명절을 맞은 예수
* [[요한의 복음서/7.25-7.52]]: 민중들과 대사장들의 의구심
* [[요한의 복음서/8.1-8.11]]: 예수와 간통한 여인
* [[요한의 복음서/8.12-8.30]]: 세상의 빛인 예수
* [[요한의 복음서/8.31-8.59]]: 예수와 아브라함의 관계
* [[요한의 복음서/9.1-9.41]]: 예수의 행적
* [[요한의 복음서/10.1-10.21]]: 목자 예수
* [[요한의 복음서/10.22-10.42]]: 봉헌절에 벌어진 말싸움
* [[요한의 복음서/11.1-11.44]]: 나자로의 죽음과 부활
* [[요한의 복음서/11.45-11.57]]: 예수를 살해하려는 음모
* [[요한의 복음서/12.1-12.11]]: 베다니아의 마리아와 예수
* [[요한의 복음서/12.12-12.19]]: 예루살렘에 들어선 예수
* [[요한의 복음서/12.20-12.50]]: 예수를 둘러싼 결정
* [[요한의 복음서/13.1-13.20]]: 제자들의 발을 씻어 준 예수
* [[요한의 복음서/13.21-13.30]]: 유다의 배반을 예고
* [[요한의 복음서/13.31-13.38]]: 새로운 계명과 베드로의 장담
* [[요한의 복음서/14.1-14.14]]: 아버지와 생명의 길
* [[요한의 복음서/14.15-14.31]]: 성령을 따르는 길
* [[요한의 복음서/15.1-15.8]]: 포도나무의 비유
* [[요한의 복음서/15.9-16.4]]: 사랑과 증오
* [[요한의 복음서/16.5-16.15]]: 진리의 성령
* [[요한의 복음서/16.16-16.33]]: 작별에 담긴 뜻
* [[요한의 복음서/17.1-17.26]]: 제자들을 위한 기도
* [[요한의 복음서/18.1-18.11]]: 체포된 예수
* [[요한의 복음서/18.12-18.27]]: 안나스의 심문과 베드로의 부인
* [[요한의 복음서/18.28-19.16]]: 빌라도의 심문과 판결
* [[요한의 복음서/19.17-19.24]]: 십자가의 고난
* [[요한의 복음서/19.25-19.37]]: 예수의 죽음
* [[요한의 복음서/19.38-19.42]]: 예수의 무덤
* [[요한의 복음서/20.1-20.10]]: 빈 무덤
* [[요한의 복음서/20.11-20.23]]: 막달라 마리아와 제자들에게 나타난 예수
* [[요한의 복음서/20.24-20.29]]: 토마스의 불신
* [[요한의 복음서/20.30-20.31]]: 복음서 저자의 맺는말
* [[요한의 복음서/21.1-21.14]]: 티베리아 호숫가에 나타난 예수
* [[요한의 복음서/21.15-21.23]]: 예수와 베드로
* [[요한의 복음서/21.24-21.25]]: 복음의 증인
[[Category:신약성서]]
요한의 복음서/1.1-1.18
1365
2940
2005-07-01T09:22:54Z
A-heun
22
교정
{{계속|주석서|요한의 복음서|1.1-1.18|1.19-1.28|요한복음}}
== 머리말 ==
{{주석틀|장=1|
원문= (1) 한처음에 말씀이 계셨다. 말씀은 하느님과 함께 계셨는데 말씀 또한 하느님이셨다. (2) 그분께서는 한처음에 하느님과 함께 계셨다. (3) 모든 것이 그분을 통하여 생겨났고 그분 없이 생겨난 것은 하나도 없다. (4) 그분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그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었다. (5) 그 빛이 어둠 속에서 비치고 있지만 어둠은 그를 깨닫지 못하였다. (6) 하느님께서 보내신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이름은 요한이었다. (7) 그는 증언하러 왔다. 빛을 증언하여 자기를 통해 모든 사람이 믿게 하려는 것이었다. (8) 그 사람은 빛이 아니었다. 빛을 증언하러 왔을 따름이다. (9) 모든 사람을 비추는 참 빛이 이 세상에 왔다. (10) 그분께서 세상에 계셨고 세상이 그분을 통하여 생겨났지만 세상은 그분을 알아보지 못하였다. (11) 그분께서 당신 땅에 오셨지만 그분의 백성은 그분을 맞아들이지 않았다. (12) 그분께서는 당신을 받아들이는 이들, 당신의 이름을 믿는 모든 이에게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권한을 주셨다. (13) 이들은 혈통이나 육욕이나 남자의 욕망에서 난 것이 아니라 하느님에게서 난 사람들이다.
(14)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 우리는 그분의 영광을 보았다. 은총과 진리가 충만하신 아버지의 외아들로서 지니신 영광을 보았다. (15) 요한은 그분을 증언하여 외쳤다.“그분은 내가 이렇게 말한 분이시다. ‘내 뒤에 오시는 분은 내가 나기 전부터 계셨기에 나보다 앞서신 분이시다.’(16) ”그분의 충만함에서 우리 모두 은총에 은총을 받았다. (17) 율법은 모세를 통하여 주어졌지만 은총과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왔다. (18) 아무도 하느님을 본 적이 없다. 아버지와 가장 가까우신 외아들 하느님이신 그분께서 알려 주셨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분류:요한복음
1366
2941
2005-06-20T19:13:27Z
아흔
9
set
[[Category:신약성서]]
신약성서 입문/복음서들의 구절 비교
1378
2953
2005-07-02T08:37:13Z
A-heun
22
계속 씀
{| width="100%"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width="25%" style="background:#D6D5D7; padding:.3em 0em .3em 0em;" | '''[[마태오의 복음서|마태복음]]'''
!width="25%" style="background:#D6D5D7; padding:.3em 0em .3em 0em;" | '''[[마르코의 복음서|마가복음]]'''
!width="25%" style="background:#D6D5D7; padding:.3em 0em .3em 0em;" | '''[[루가의 복음서|루가복음]]'''
!width="25%" style="background:#D6D5D7; padding:.3em 0em .3em 0em;" | '''[[요한의 복음서|요한복음]]'''
|- bgcolor="DFDCE4"
! colspan="4" | 산상설교
|- bgcolor="#EEEEF1"
| 5.1-12 || - || 6.17-23 || -
|- bgcolor="#EEEEF1"
| 5.13-16 || 9.49-50; 4.21 || 14.34-35; 8.6 || -
|- bgcolor="#EEEEF1"
| 5.17-20 || - || 16.16-17 || -
|- bgcolor="#EEEEF1"
| 5.21-48 || 9.47-48; 10.11 || 6.27-30; 6.32-36 || -
|- bgcolor="#EEEEF1"
| 6.1-18 || - || 11.1-4 || -
|- bgcolor="#EEEEF1"
| 6.19-7.11 || - || 6.37-42 || -
|- bgcolor="#EEEEF1"
| 7.12 || - || 6.31 || -
|- bgcolor="#EEEEF1"
| 7.13-14 || - || 13.23-24 || -
|- bgcolor="#EEEEF1"
| 7.15-23 || - || 6.43-45; 6.56 || -
|- bgcolor="#EEEEF1"
| 7.24-27 || - || 6.47-49 || -
|- bgcolor="#EEEEF1"
| 7.28-29 || 1.22 || 4.32 || -
|- bgcolor="DFDCE4"
! colspan="4" | 예수의 수난
|- bgcolor="#EEEEF1"
| 27.45-54(예수의 죽음 예고) || 15.33-39 || 23.44-48 || 19.28-30
|- bgcolor="#EEEEF1"
| 26.1-5(예수의 판결) || 14.1-2 || 22.1-2 || -
|- bgcolor="#EEEEF1"
| 27.57-61(예수의 무덤) || 15.42-47 || 23.50-56 || 19.31-42
|- bgcolor="#EEEEF1"
| 28.16-20(예수의 최후) || - || 24.44-53 || 20.19-23
|- bgcolor="DFDCE4"
! colspan="4" | 예수의 행적(기적...)
|- bgcolor="#EEEEF1"
| - || 1.21-28(신들린 사람) || 4.31-37 || -
|- bgcolor="#EEEEF1"
| 8.14-15(베드로의 장모) || 1.29-31 || 4.38-39 || -
|- bgcolor="#EEEEF1"
| 8.16-17(병자) || 1.32-34 || 4.40-41 || -
|- bgcolor="#EEEEF1"
| 8.1-4(문둥이) || 1.40-45 || 5.12-16 || -
|- bgcolor="#EEEEF1"
| 9.1-8(절음발이) || 2.1-12 || 5.17-26 || -
|- bgcolor="#EEEEF1"
| 12.9-14(손 병자) || 3.1-6 || 6.6-11 || -
|- bgcolor="#EEEEF1"
| 12.15-21(병 고침) || 3.7-12 || 6-17-19 || -
|- bgcolor="#EEEEF1"
| 8.23-27(바람을 재움) || 4.35-41 || 8.22-25 || -
|- bgcolor="#EEEEF1"
| 8.28-34(악령 내쫓음) || 5.1-20 || 8.26-39 || -
|- bgcolor="#EEEEF1"
| 9.18-26(야이로의 딸) || 5.21-43 || 8.40-56 || -
|- bgcolor="#EEEEF1"
| 9.20-22(병든 아낙) || 5.25-34 || 8.43-48 || -
|- bgcolor="#EEEEF1"
| 14-13-21(5000명 식사) || 6.30-44 || 9.10-17 || 6.1-15
|- bgcolor="#EEEEF1"
| 14.22-33(물위를 걸음) || 6.45-52 || - || 6.16-21
|- bgcolor="#EEEEF1"
| 14.34-36(병 고침) || 6.53-56 || - || -
|- bgcolor="#EEEEF1"
| 15.21-29(병든 딸) || 7.24-30 || - || -
|- bgcolor="#EEEEF1"
| - || 7.31-37(벙어리) || - || -
|- bgcolor="#EEEEF1"
| 15.32-39(4000명 식사) || 8.1-10 || - || -
|- bgcolor="#EEEEF1"
| - || 8.22-26(장님) || - || -
|- bgcolor="#EEEEF1"
| 17.14-21(신들린 소년) || 9.14-29 || 9.37-43 || -
|- bgcolor="#EEEEF1"
| 12.22-23(신들린 벙어리) || - || 11.14 || -
|- bgcolor="#EEEEF1"
| - || 8.5-13(종과 아들) || 7.1-10 || 4.46-53
|}
[[Category:신약성서]]
Wikibooks:인터위키언어링크
1381
2956
2005-06-25T09:57:31Z
A-heun
22
set
{{위키책_도움말}}
'''인터위키언어링크'''는 위키미디아에서 쓰이는 인터위키를 일컫습니다. 위키미디아의 프로젝트들은 여러 나라의 언어로 추진 중이기 때문에 '''같은''' 프로젝트, 예컨데 '위키책'이라는 프로젝트는 여러 언어로 추진 중이므로 여러 언어로 쓰여진 위키책들 안에서 내용이 같거나 혹은 비슷한 주제의 문서들이 있을 경우 이들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것을 인터위키언어링크라고 부릅니다.
== 인터위키언어링크시키는 요령 ==
인터위키언어링크를 시키기 위해서는 참여자께서는 링크시키고자 하는 다른 언어 위키책을 가르키는 언어 부호와 그리고 그곳에 수록된 문서의 제목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테면 한국어 위키책의 [[대문]]을 영어의 위키책의 [[:en:Main Page|Main Page]]와 서로 인터위키언어링크를 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서 영어 위키책의 언어 부호 <pre><nowiki>[[en:]]</nowiki></pre>과 그 곳의 인터위키언어링크의 내용을 담고 있는 문서 제목 "Main Page"를 함께 다음과 같이 쓰시면 됩니다.
:<nowiki>[[en:Main Page]]</nowiki>
:덴마크어: <nowiki>[[da:관련문서제목]]</nowiki>
:독일어: <nowiki>[[de:관련문서제목]]</nowiki>
:스페인어:<nowiki>[[es:관련문서제목]]</nowiki>
:프랑스어: <nowiki>[[fr:관련문서제목]]</nowiki>
인터위키언어링크는 문서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때문에 링크 표시를 문서의 어느 곳에 써넣든지에 구애됨이 없이 인터위키언어링크의 지정된 위치 문서의 오른편 칸에 나타나게 됩니다. 문서의 실재 내용과 인터위키언어링크를 눈에 들어나게 구분하기 위해서 참여자께서는 언제나 '''문서의 맨 마지막'''에 써넣어 주시기를 권장합니다. 그리고 인터위키를 하시는 참여자께서는 한국어 위키책의 해당 제목을 최소한 영어 위키책에 인터위키언어링크를 시켜주시기 바랍니다.
== 인터위키링크와 인터위키언어링크의 차이점 ==
# 문서의 제목에 직접 관련된 이른바 위키책 언어인터위키
#* 이 경우 인터위키언어링크는 언제나 문서의 오른편 (새로운 위키책 디자인) 혹은 위쪽(예전 디자인)에 다만 언어 이름만이 나타나는 것을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 문서의 내용 안에서 하는 가르키는 인터위키
#* 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문서의 안에서 언제나 할 수 있으며, 이는 [[Wikibooks:링크하는 요령|보통의 링크]]와 목적이 같다고 여기시면 됩니다.
== 인터위키링크의 약자 ==
=== 언어에 관련된 약자 ===
=== 프로젝트에 관련된 약자 ===
* <font color="blue">'''b'''</font>: [[ko:대문|위키책]] (Wikibooks)
* <font color="blue">'''w'''</font>: 다른 혹은 같은 프로젝트에서 [[:w:ko:대문|위키백과]]로 인터링크
* <font color="blue">'''wikt'''</font>: [[:Wiktionary:ko:대문|위키낱말사전]] (Wiktionary)
* <font color="blue">'''m'''</font>: [[m:대문|메타위키]] (Meta-wikipedia)
* <font color="blue">'''commons'''</font>: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 (Wikimedia Commons)
* <font color="blue">'''wikisource'''</font>: 위키자료집 (wikisource)
* <font color="blue">'''q'''</font>: 위키인용집 (Wikiquote)
* <font color="blue">'''n'''</font>: 위키뉴스 (Wikinews)
[[Category:위키책]]
그림:Icon-09a.jpg
1382
2957
2005-06-25T10:11:18Z
A-heun
22
개인작품
개인작품
MediaWiki:Readonly lag
1385
sysop
5337
2006-05-27T07:08:13Z
아흔
9
transl.
작은 데이타베이스가 중심 데이타베이스와 연계될 때, 데이타베이스는 자동적으로 잠깁니다.
MediaWiki:Tog-fancysig
1394
sysop
5326
2006-05-27T07:01:06Z
아흔
9
rev.
나의 사인에 링크시키지 않도록
천체물리학/물체를 이루는 요소
1396
6258
2006-11-10T15:04:10Z
아흔
9
{{재편집}}
{{재편집}}
#'''물체''':일상에서 볼 수 있는 눈에 띄는 물체를 말한다. ex)물,책상,의자,비누 등등...
#'''가루''':단순히 물체를 가루 낸 것으로 물체보다 작고 조밀하다. ex)톱밥,밀가루
#'''분자''':물체를 이루는 눈에 보이지 않는 단위이다. - +원자가 일정한 모습으로 조합되어 분자를 이룬다. ex)물분자(수소원자2+산소원자1)
#'''원자''':분자를 이루고 있는 물질의 최소단위라고 흔히 일컬어지는 단위이다. 원자핵과 그 주위의 전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핵은 오직 하나이다. ex)수소는 하나의 전자를 띄고 있다.
#'''양성자와 중성자''':원자핵을 이루고 있는 소립자들이다.
#'''쿼크''' :양성자와 중성자를 이루고 있는 소립자들이다.
#'''글루온''':쿼크들 간의 상호작용의 매개체이다.질량=0
#'''광자''':입자설로 미루어 볼때 빛을 이루고 있는 소립자이며 그 속도를 볼때 질량은 0이다.
#'''끈''':초끈이론에서는 쿼크들이 진동하는 끈으로 구성되어있다고 주장이다.
해석학개론
1400
2975
2005-06-29T17:44:44Z
KIN
23
=== 준비 ===
*[[집합]]
*[[논리 기호]]
=== 실수와 그 성질 ===
*[[실수의 사칙연산과 순서]]
*[[상한, 하한]]
*[[실수의 연속성]]
*[[수열과 수열의 극한]]
*[[극한과 실수의 연속성]]
*[[상극한, 하극한]]
*[[급수]]
*[[Toeplitz의 극한값 정리]]
=== 연속함수 ===
*[[함수]] [[사상]]
*[[함수의 극한]]
*[[연속함수]]
*[[균등연속]]
*[[함수열의 수렴]]
=== 거리공간과 그 위상 ===
*[[거리공간의 정의와 성질]]
*[[완비거리공간]]
*[[열린집합과 닫힌집합]]
*[[거리공간의 완비화]]
=== 컴팩트 집합 ===
*[[컴팩트성]]
*[[유한교차성]]
*[[점열 컴팩트]]
*[[Lebesgue수, 국소컴팩트성]]
*[[Ascoli-Arzela의 정리]]
=== 연결성 ===
*[[연결성]]
=== 미분적분학의 기초이론 ===
*[[미분계수]] [[도함수]]
*[[평균값의 정리]] [[함수의 증감]]
*[[원시함수]]
*[[연속함수의 정적분]]
*[[부정적분과 원시함수]]
*[[이상적분]]
*[[리만적분]]
=== 지수함수, 삼각함수 ===
*[[지수함수]] [[대수함수]]
*[[3각함수]]
=== 미분적분학의 전개 ===
*[[치환적분]] [[부분적분]]
*[[고계도함수]], [[볼록함수]]
*[[지수함수, 3각함수의 미분적분]]
*[[미분적분과 자연법칙, 수리모델]]
*[[미분방정식의 기초적인 풀이법]]
*[[균등수렴과 미분적분]]
*[[멱급수]]
*[[테일러 전개]]
*[[유리함수의 부정적분과 응용]]
=== 다변수함수와 편미분 ===
*[[n차원 유클리드 공간]]
*[[사상과 다변수함수]]
*[[편도함수]] [[미분가능성]]
*[[고계도함수]]
*[[테일러 전개(다변수)]]
*[[다변수 함수의 극대, 극소]]
=== 사상, 음함수의 정리 ===
*[[음함수의 정리]]
*[[곡선]] [[곡면]] [[초곡면]]
*[[조건부 최대 최소]]
=== 다중적분 ===
*[[정적분과 누차적분]]
*[[일반적인 집합에서의 중적분]]
*[[중적분의 변수변환]]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미분]] [[적분]]
=== 곡선, 곡면 ===
*[[곡선]]
*[[곡면적]]
*[[선적분, 면적분과 그린, 가우스, 스토크스의 정리]]
=== 벡터해석 ===
*[[벡터장과 미분]]
*[[선적분]]
*[[그린 정리]]
*[[스토크스 정리]]
*[[가우스 정리]]
*[[포텐셜의 존재조건]]
*[[뉴턴, 포텐셜]]
=== 복소해석 ===
*[[복소선적분]]
*[[코시의 정리]]
*[[정칙함수의 성질]]
*[[고립특이점]]
*[[무한원점]]
*[[회전수]]
*[[일반적인 코시의 정리]]
*[[유수정리와 편각의 원리]]
*[[정적분의 계산]]
*[[함수의 표시]]
*[[일차분수변환]]
*[[정규족]]
*[[리만의 사상원리]]
*[[타원함수]]
그림:Icon-13.png
1402
2976
2005-06-27T09:05:34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그림:Idor2.gif
1405
2979
2005-06-28T00:10:54Z
Mithridates
24
이도의 표시
이도의 표시
이도 입문
1406
3570
2005-07-12T11:27:48Z
대한민국
15
[[그림:Idor2.gif|right]]
이도란, 1907년에 만들어진 국제보조어다. 이도는 라틴어, 불어, 이태리어와 영어와 비슷하게 생긴 언어이지만 문법적인 예외가 없고 세상에서 더 배우기 쉬운 말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이도는 많은 나라의 사람들의 커뮤네케이션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라서 인터넷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 현재의 사용자를 알기가 쉽지 않지만 약 1000명 정도가 있다.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B%8F%84 위키백과에서 이도에 대한 문서]
----
*[[0ma leciono|0과 - Zeresma leciono]]
*[[1ma leciono|1과 - Unesma leciono]]
*[[2ma leciono|2과 - Duesma leciono]]
*[[3ma leciono|3과 - Triesma leciono]]
*[[4ma leciono|4과 - Quaresma leciono]]
*[[5ma leciono|5과 - Kinesma leciono]]
*[[6ma leciono|6과 - Sisesma leciono]]
*[[7ma leciono|7과 - Sepesma leciono]]
*[[8ma leciono|8과 - Okesma leciono]]
*[[9ma leciono|9과 - Nonesma leciono]]
*[[10ma leciono|10과 - Dekesma leciono]]
*[[11ma leciono|11과 - Dek-e-unesma leciono]]
*[[12ma leciono|12과 - Dek-e-duesma leciono]]
*[[13ma leciono|13과 - Dek-e-triesma leciono]]
*[[14ma leciono|14과 - Dek-e-quaresma leciono]]
*[[15ma leciono|15과 - Dek-e-kinesma leciono]]
1ma leciono
1407
2981
2005-06-28T00:19:47Z
Mithridates
24
[[0ma leciono]] - [[2ma leciono]]
==Lesson 01 - Unesma Leciono==
===명사===
이도의 문장을 볼 때 명사가 어디 있는지 쉽게 알 수가 있다. 이도의 명사들이 -o로 끝나기 때문이다. [[kato]] (고양이), [[hundo]] (개), [[tablo]] (테이블)
===관사===
이도에는 관사가 하나 밖에 없다. 영어의 the, 불어의 le, la에 해당되는 것으로 la가 그것이다. 이도에 영어의 a, an에 해당되는 관사는 없지만, 그 관사는 사실 필요 없는 것이다. 에스토니아어, 러시아어 등의 언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관사가 영어에서는 2개로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도에서는 하나만 쓰는 것으로 한다. 그로 인해 [[ovo]] (계란)가 계란, 아니면 계란 한 개를 의미하게 되며, la ovo는 (그) 계란, 바로 그 계란, 상대가 이미 알고 있는 존재를 말한다 (영어의 the처럼).
===Es, esas===
이도의 '이다'는 es, 아니면 esas라고 한다.
*me esas - 나는~이다.
*vu es - 당신은~이다.
Esas와 es는 아무 차이도 없다. 말할 때 편한대로 선택하면 된다. 이도의 동사가 항상 같은 모습으로 나오니까 나, 너, 당신, 우리, 그 등 다 같은 es나 esas라고 말한다.
===단어===
*[[buxo]] - 상자(box)
*[[domo]] - 집
*[[gardeno]] - 정원(garden)
*[[hundo]] - 개
*kato - 고양이(cat)
*[[muso]] - 쥐(mouse)
*[[tablo]] - 테이블(table)
*esas/es - 이다
*me - 나, 저
*vu - 당신
*[[yuno]] - 청년
*[[yunulo]] - 소년
*[[yunino]] - 소녀
*en - 에서(in)
*[[sub]] - 밑에(under)
*[[sur]] - 위에(on)
*la - 관사(the)
===Exempli - 예문===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1_exempli1.mp3 예문 듣기]
마리아는 소녀입니다- Mary esas/es yuno. // Mary esas/es yunino.
찰스는 소년입니다 - Charles esas/es yuno. // Charles esas/es yunulo.
집이 정원 안에 있다 - La domo esas/es en la gardeno.
나는 정원에 있다 - Me esas/es en la gardeno.
나는 집에 있다 - Me esas/es en la domo.
당신은 집에 있다. - Vu esas/es en la domo.
당신은 테이블 밑에 있다. - Vu esas/es sub la tablo.
개는 집 안에 있는 테이블 위에 있다. - Hundo esas/es sur la tablo en la domo.
렉스는 개다. - Rex esas/es hundo.
윌리엄은 고양이다. - William esas/es kato.
개는 집에 있다. - La hundo esas/es en la domo.
고양이는 테이블 위에 있다. - La kato esas/es sur la tablo.
상자는 테이블 밑에 있다. - La buxo esas/es sub la tablo.
고양이는 상자 위에 있다. - La kato esas/es sur la buxo.
쥐는 집에 있다. - La muso esas/es en la domo.
쥐는 상자 안에 있다. - La muso esas/es en la buxo.
쥐는 테이블 밑에 있다. - La muso esas/es sub la tablo.
===동사- 현재===
이도의 현재동사가 -as로 끝난다. 이도의 모든 동사가 -ar로 끝나지만 (사전형) -ar 대신에 -as를 붙이면 현재형이 된다.
*Me vidas la hundo - 나는 개를 본다.
*Vu tushas la kato - 당신은 고양이를 만지다.
===Ed/e===
ed 혹은 e 는 이도의 '그리고', '과/와', 영어의 and에 해당되는 말이다. 여기서도 ed와 e를 쓸때 두 개중 아무거나 쓸 수 있지만, 주로 자음 앞에서는 e가 말하기 쉽고, 모음 앞에서는 ed가 더 편하다.
*La kato e la hundo. (그)고양이와 개.
*Muso ed aquo. 쥐와 물.
나중에 a/ad, o/od, ka/kad를 배울건데 그 말들 역시 편한대로 말하면 된다.
===Vortaro (단어)===
*drinkas - 마시다
*havas - 가지다, ~가 있다(영어의 have)
*lektas - 읽다
*manjas - 먹다
*prizas - 좋아하다
*promenas - 걸어가다, 산책하다
*regardas - 보다(영화, 사람들 등)
*e/ed - 과/와, 그리고
*tushas - 만지다
*vidas - 보다(살짝)
*[[aquo]] - 물
*[[fenestro]] - 창문
*[[lakto]] - 우유
*[[libro]] - 책
*[[pomo]] - 사과
*[[pordo]] - 문
*[[stulo]] - 의자
===Exempli (예문)===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1_exempli2.mp3 예문 듣기]
나는 개가 있다. - Me havas hundo.
나는 개가 보이다. - Me vidas la hundo.
개는 내가 보이다. - La hundo vidas me.
나는 그 개를 좋아 하다. - Me prizas la hundo.
나는 우유를 좋아하다. - Me prizas lakto.
그 우유는 개가 가지고 있다. - La hundo havas la lakto.
고양이가 그 우유를 마시다. - La kato drinkas la lakto.
당신은 그 우유를 마시다. - Vu drinkas la lakto.
나는 그 사과가 있다. - Me havas la pomo.
나는 그 사과를 먹다. - Me manjas la pomo.
그 소녀/소년이 사과를 먹다. - La yuno manjas la pomo.
나는 쥐를 보고 있다. - Me regardas la muso.
쥐는 물이 보이다. - La muso vidas la aquo.
쥐는 그 책을 먹고 있다. - La muso manjas la libro.
그 책이 테이블 위에 있다. - La libro esas/es sur la tablo.
당신은 그 책을 읽는다. - Vu lektas la libro.
고양이는 나를 보고 있다. - La kato regardas me.
고양이는 문을 보고 있다. - La kato regardas la pordo.
당신은 문을 만지고 있다. - Vu tushas la pordo.
고양이는 창문을 만지고 있다 (손대고 있다). - La kato tushas la fenestro.
나는 창문을 만지고 있다. - Me tushas la fenestro.
나는 정원을 걸어가고 있다. - Me promenas en la gardeno.
당신과 개는 정원을 걸어가고 있다. - Vu e la hundo promenas en la gardeno.
테이블과 의자가 집 안에 있다. - La tablo e la stulo esas/es en la domo.
===Vortaro===
*Bona jorno - 안녕하세요 (좋은 날)
*Til rivido - 안녕히 가세요, 혹은 안녕히 계세요. (다음에 볼 때까지)
*Quale vu standas? - 잘 지내요?
*Tre bone, danko - 네(아주 잘), 감사합니다.
===Konversado:- 대화===
Peter와Mary의 아주 간단한 대화
*P: Bona jorno!
*M: Bona jorno!
*P: Quale vu standas?
*M: Tre bone, danko. Quale vu standas?
*P: Tre bone, danko.
*M: Til rivido!
*P: Til rivido!
===Exerco:- 연습===
1) 대화 예문을 몇변 말해 보고,
2) 배워 본 단어를 어디서 쓸지 생각해 봐요. 문을 보면 문에다가 손대며 "Me tushas la pordo", 책을 볼 때 "Me lektas libro" 등등, 자기 삶에서 이런 단어를 어디에 쓸 수 있는지 생각해 봐요.
3) 싫증이 날 때까지 (싫증이 난 다음에도!) 목소리내서 연습해봐요. 어차피 나중에 목소리내서 써야 될 테니까 지금부터 시작하면 된다. ^^
2ma leciono
1408
4959
2006-04-07T12:51:45Z
166.104.74.171
Felix의 표기 수정
[[1ma leciono]] - [[3ma leciono]]
----
==02과 - Duesma Leciono==
===형용사===
이도에서 모든 형용사가 -a로 끝난다. 밑의 단어를 좀 봐봐요.
===단어===
*drinkajo - 마시는 것, 음료수
*floro - 꽃
*kavalo - 말 (馬)
*manjajo - 먹는 것, 음식
*por - ~를 위해
*muro - 벽
*plado - 접시, 그릇
*taso -컵
*dormas - 잠자다
*kompras - 사다
*lernas - 배우다
*habitas - 살다, 거주하다
*parolas - 말을 하다
*pozas - 놓다, 두다
*anciena - 오래된
*olda - 나이가 많은
*bela - 아름다운
*blua - 파란
*granda - 큰
*mikra - 작은
*reda - 빨간
*yuna - 어린
*anke - 도 (긍정문에 쓴다, 영어의 also같이)
*hike - 여기
*mea - 나의, 저의
*vua - 당신의
*adhike - 여기로
*adsur - 위로
===예문===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2_exempli1.mp3 예문 듣기]
당신은 이도를 배운다 - Vu lernas Ido.
당신이 이도로 말한다 - Vu parolas Ido.
나는 이도를 배운다 - Me lernas Ido.
나는 이도로 말한다 - Me parolas Ido.
나는 아름다운 집이 있다 - Me havas bela domo.
내 집은 크다 - Mea domo esas/es granda.
그 집은 크다 - La domo esas/es granda.
나는 여기에 산다 - Me habitas hike.
나는 정원에서 잠을 잔다 - Me dormas en la gardeno.
내 개는 나이가 많다 - Mea hundo esas/es olda.
내 개도 여기에 산다 - Mea hundo anke habitas hike.
개는 나의 작은 정원에서 잠을 잔다 - La hundo dormas en mea mikra gardeno.
작은 고양이는 큰 개를 보고 있다 - La mikra kato regardas la granda hundo.
당신은 아름다운 집에 산다 - Vu habitas en bela domo.
당신은 아름다운 테이블 위에서 잠을 잔다 - Vu dormas sur la bela tablo.
고양이는 아름다운 꽃 아래에서 잠을 잔다 - La kato dormas sub la bela floro.
(그) 말은 나이가 많다 - La kavalo esas/es olda.
작은 말은 어리다 - La mikra kavalo esas/es yuna.
어린 말은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 La yuna kavalo prizas la drinkajo.
당신은 말을 위해 먹이를 산다 - Vu kompras manjajo por la kavalo.
나는 여기서 밥을 산다 - Me kompras manjajo hike.
나는 당신의 접시를 여기에 놓는다 - Me pozas vua plado adhike.
접시가 빨간색이다 - La plado esas/es reda.
나는 테이블 위에 밥을 놓는다 - Me pozas manjajo adsur la plado.
나이 많은 쥐가 먹이를 먹는다 - La olda muso manjas la manjajo.
음료는 작은 잔 안에 있다 - Drinkajo esas/es en la mikra taso.
파란 컵이 테이블 위에 있다 - La blua taso esas/es sur la tablo.
당신은 컵 안의 쥐를 본다 - Vu vidas la muso en la taso.
당신의 우유도 컵 안에 있다 - Vua lakto esas/es anke en la taso.
나는 벽에 책을 놓는다 - Me pozas la libro adsur la muro.
===부정문===
이도에서 부정형을 쓰려면 ne를 말하면 된다. 영어와 달리 부정형을 쓸 때 어순이 변하지 않다. Ne는 부정형으로 바꾸는 동사 바로 앞에 나온다.
*Me es - 나는 ~이다
*Me ne es - 나는 ~가 아니다
*Me ne havas - 나는 ~가 없다, 나는 ~를 가지고 있지 않다.
*Me ne mustas - 나는 ~를 할 필요가 없다 (안 해도 된다)
*Me ne mustas irar adibe - 나는 거기로 안 가도 돼 (ne가 mustas 앞에 있으므로 ~할 필요가 없다고 해석)
*Me mustas ne facar to - 난 그것을 하지 않아야(말아야) 된다. 나는 그것을 하면 안 된다.(mustas 다음에 ne facar가 나오므로, 하지 말아야 된다는 뜻)
===동사와 명사의 관계===
명사가 -0로 끝나며, 형용사가 -a로 끝난다. 그럼 마지막 글자만 바꾸면 될까? 거의 모든 경우에서는 그렇게 할 수 있다.
*bona - 좋다, bono - 좋은 사람, 좋은 이
*yuna - 어린, yuno - 어린이
*acesora - 가치 있는, acesoro - 악세서리
*ora - 금으로 만든, oro - 금
===예문===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2_exempli2.mp3 예문 듣기]
나는 ~이다 - Me esas/es
나는 ~가 아니다 - Me ne esas/es,
나는 ~가 있다 - Me havas
나는 ~가 없다 - Me ne havas
나는 ~가 보인다/~를 본다 - Me vidas
나는 ~가 안 보인다/~를 안 본다 - Me ne vidas
나는 ~가 좋다/마음에 든다 - Me prizas
나는 ~가 안 좋다/마음에 들지 않는다 - Me ne prizas
나는 걸어간다 - Me promenas
나는 안 걸어간다 - Me ne promenas
나는 나이가 많지는 않다 - Me ne esas/es olda.
나는 당신이 보이지 않는다 - Me ne vidas vu.
당신은 내가 보이지 않는다 - Vu ne vidas me.
나는 집이 마음에 안 든다 - Me ne prizas la domo.
나는 밥을 안 먹는다 - Me ne manjas la manjajo.
개는 이도를 할 줄 모른다 - La hundo ne parolas Ido.
당신은 런던에 살지 않는다 - Vu ne habitas en London.
개는 이도를 배우지 않는다 - La hundo ne lernas Ido.
마리아는 파리에 살지 않는다 - Maria ne habitas en Paris.
당신은 마리아를 보고 있지 않다 - Vu ne regardas Maria.
당신은 책을 보고 있지 않다 - Vu ne lektas la libro.
접시는 집 안에 있지 않다/ 집 안에 없다 - La plado ne esas/es en la domo.
개는 말을 보고 있지 않다 - La hundo ne regardas la kavalo.
고양이는 상자 안에서 자고 있지 않다 - La kato ne dormas en la buxo.
소년/소녀는 우유를 마시고 있지 않다 - La yuno ne drinkas la lakto.
===단어===
*bruna - 갈색의
*chasas - 빨리 쫓아내다
*do - 그래서, 그것때문에
*dop - 뒤에
*ek - (으)로부터
*elu - 그녀
*felica - 행복한
*feroca - 사나운 (영 ferocious)
*fisho - 물고기, 생선
*foresto - 숲
*gazoneyo - 정원 (집 앞에 있는 것)
*grosa - 뚱뚱한
*hodie - 오늘
*ilu - 그 (남자)
*magra - 날씬한, 얇은
*nun - 지금
*ofte - 자주 (영 often)
*sama - 같은, 똑같은 (영 same)
*strado - 길
*tre - 아주, 너무
*trista - 슬픈 (불 triste)
*adsur - 위로 (방향)
===예문===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2_exempli3.mp3 예문 듣기]
펠릭스는 날씬한 나이가 많은 고양이 - Felix esas/es magra olda kato.
그는 당신의 집 뒤에 있는 숲속에 살다 - Ilu habitas dop vua domo en la foresto.
그는 자주 나의 넓은 정원을 걸어간다 - Ilu ofte promenas en mea granda gardeno.
그는 자주 내 정원에서(위에) 잠을 잔다 - Ilu ofte dormas sur mea gazoneyo.
오늘 펠릭스는 뚱뚱한 갈색 쥐를 쫓아내고 있다 - Hodie Felix chasas grosa bruna muso.
오늘 펠릭스는 먹을 것이 없다 - Hodie Felix ne havas manjajo.
그는 매우 슬프다 - Ilu esas/es tre trista.
그래서 나는 정원에서 그를 위에 접시에 생선을 넣는다(담는다)
Do me pozas fisho por ilu adsur plado en la gardeno.
지금 펠릭스가 매우 행복하다 - Nun Felix esas/es tre felica.
마리아는 펠릭스를 본다 - Maria vidas Felix.
마리아는 펠릭스를 싫어해서, 내 정원에서(정원으로부터) 쫓아내고 있다
Elu ne prizas Felix e chasas ilu ek mea gardeno.
펠릭스는 길에 있다 - Felix esas/es sur la strado.
렉스는 사나운 개 - Rex esas/es feroca hundo.
렉스도 펠릭스를 본다 - Ilu anke vidas Felix.
렉스가 그를 쫓아낸다 - Rex chasas ilu.
(데이빛: 펠릭스가 불쌍해! ㅠㅠ)
(LUNE: 나도 그렇게 생각-0-)
===대화===
(나중에 문법에 대한 설명이 나올것이다)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2_konversado1.mp3 대화듣기]
좋은 아침! - Bona matino!
안녕하세요 - Bona jorno!
이름이 어떻게 돼요?(당신은 어떻게 이름이 불리나요?) - Quale vu nomesas?
*nomesar는 한국어에서 직역으로 매끄럽게 표현하기 힘들다.)
피터라고 해요(나는 피터라고 이름불린다) - Me nomesas Peter.
잘 지내요? - Quale vu standas?
잘 지내요 (직역: 아주 잘) - Tre bone.
고마워요!(나는 고마워한다) - Me dankas!
피곤해요? (직역: 당신은 피곤한 상태입니까?) - Ka vu esas fatigita?
하나도! - Tote ne!
조금요 - Yes, kelkete.
아닙니다 - No, sioro. (영어의 no, sir)
~주세요, 괜찮으시면, 제발 (?) - Me pregas.
배고파요 - Me hungras.
목말라요? - Ka vu durstas?
잔을 주세요 - Donez a me glaso.
차 한 잔 - Taso de teo.
...를 원해요/가 필요해요? - Ka vu deziras...?
괜찮아요/문제가 없어요 - Me ne objecionas.
상관없어요 - Ne importas.
===형용사의 a===
필요할 때 형용사의 마지막 a를 뺄 수도 있다:
*Bona --> Bon
시를 쓸 때, 말하기 편할 때, 뜻이 분명해서 a가 없어도 괜찮을 때는 a를 안 써도 된다.
*rapida - rapid
*mala - mal 등등
===대화===
Peter와 Mary의 또 하나의 대화
*P: Bon jorno! Quale vu standas?
*M: Tre bone, danko. E vu?
*P: Me standas bone, danko. Me nomesas Peter. Quale vu nomesas?
*M: Me nomesas Mary.
*P: Til rivido, Mary!
*M: Til rivido, Peter!
3ma leciono
1409
2983
2005-06-28T00:20:42Z
Mithridates
24
[[2ma leciono]] - [[4ma leciono]]
===의문형 만들기===
앞 과 까지는 Me vidas la kato, Me tushas la hundo 등과 같은 간단한 문장을 만들어 왔다. 이제는 의문형을 만들어 볼 차례이다.
이도에서는 의문형도 만들기가 어렵지 않다.
어순은 그대로, 앞에 ka 또는 kad를 붙이기만 하면 된다.
*Vu havas kato. 당신은 고양이가 있다.
*Ka vu havas kato? 당신은 고양이가 있어요?
*Me manjas ovo. 나는 계란을 먹고 있다.
*Ka me manjas ovo? 나는 계란을 먹고 있는가?
앞에서 배웠던 ed/e와 같이, 다음에 나오는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될 경우 kad가 더 발음하기 쉽다. (하지만 반드시 그렇게 써야만 하는 건 아니다):
*Ilu mustas - 그는 해야 한다.
*Kad ilu mustas? - 그가 해야 돼요?
하지만, 어디/누구/무엇/어디/왜 등과 같은 의문형을 만들 경우에는 ka/kad 쓰지 않는다 :
Ube vu habitas? - 당신은 어디 살아요?
Kad vu komprenis? - 당신은 이해했어요?
===단어===
a - 에, 에게
ad - to 에, 에게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 편하게)
arboro - 나무
bona - 좋은
blanka - 하얀
bruna - 갈색의
ibe - 거기, 저기
iras - 간다
jupo - 치마
mala - 나쁜
nigra - 까만
no - 아니, 아니다
ol/olu - 그것
parko - 정원
policisto - 경찰관
ponto - 다리, 육교
rivero - 개천
portas - 가지다, 입다, 쓰다
ucelo - 새 (동물)
venas - 온다
yes - 그래, 네, 예.
Exempli:-----------------------------------------------------------------------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3_exempli1.mp3 예문듣기]
나는 ~이다. 나는 ~입니까? - Me esas, Ka me esas?
그는 ~이다. 그는 ~입니까? - Ilu esas, Kad ilu esas?
당신은 ~가 있어요, 당신은 ~가 있어요? - Vu havas, Ka vu havas?
난 좋은 사람이에요? 아니요. - Ka me esas bona? No.
당신은 아름다워요? 네. - Ka vu esas bela? Yes.
마리아는 아름다운 치마를 입었어요? - Ka Mary portas bela jupo?
네, 그녀는 아름다운 하얀 치마를 입었어요 - Yes, elu portas bela blanka jupo.
그 경찰은 공원에 있나요? - Ka la policisto esas en la parko?
그는 공원에 있나요? - Kad ilu esas en la parko?
아니요, 그는 오늘 여기에 있지 않아요./ 없어요. - No, il ne esas hike hodie.
당신은 검은 개를 갖고 있습니까? - Ka vu havas nigra hundo?
아니요, 나는 갈색 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 No, me havas bruna hundo.
그는 마시고 있습니다. 그는 마시고 있습니까? - Ilu drinkas. Kad ilu drinkas?
너는 고양이를 가지고 있니? - Ka vu havas kato?
응, 나는 흰 고양이를 가지고 있어. - Yes, me havas blanka kato.
그녀는 오고 있니? - Kad elu venas?
아니, 그녀는 다리(브리지)에 가고 있어. - No, elu iras a la ponto.
그 새가 마시고 있니? - Ka la ucelo drinkas?
그 새는 다리 위에 있니? - Ka la ucelo esas sur la ponto?
아니, 그건 그곳에 있지 않아./ 없어. - No, olu ne esas ibe.
그녀는 먹고 있다. 그녀는 먹고 있니? - Elu manjas. Kad elu manjas?
그녀는 생선을 먹고 있니? - Kad elu manjas fisho?
그 물고기는 물 속에 있니? - Ka la fisho esas en la aquo?
응, 물고기는 물 속에 있고 그 개도 역시 물 속에. Yes, olu esas en la aquo, e la hundo anke.
===복수형===
이도에서 복수형은, 단순히 -o로 끝나는 명사를 -i로 바꾸기만 하면 된다.
이것도 예외가 없으니까 편하게 복수형을 써도 된다.
*kato (고양이) - kati (고양이들)
*hundo (개) - hundi (개들)
형용사는 명사 앞에 그대로 쓰지만,
형용사를 명사의 복수형으로 바꾸어 단독으로 쓸 때에는 형용사 자체를 -i로 바꿀 수 있다.
(우리말의 '~ㄴ 것', '~ㄴ 것들'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blanka hundi - 하얀 개들
*nigra kavali - 까만 말들
*la blanki e la nigri - 하얀 것들과 까만 것들.
(영어의 The whites and the blacks와 같은 방식)
===관사===
관사인 la는 그대로 쓰지만, 복수형을 표현할 수 없을 때는 la를 le로 바꿔서 복수형으로 바꿀 수 있다.
*Le yes e le no - 찬성과 반대 (여러명이 투표하는 곳에서). (감탄사인 yes와 no가 명사형으로 쓰일 때는 복수형으로 만들 수 없으므로 le를 붙여 복수형임을 나타낸다.)
*blanka hundi - 하얀 개들
*nigra kavali - 까만 말들
*le blanka e le nigra - 하얀 것들과 까만 것들. (위의 문장과 같음)
Exempli:-----------------------------------------------------------------------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3_exempli2.mp3 예문 듣기]
kato, kati (고양이, 고양이들)
tablo, tabli (테이블, 테이블들)
나는 고양이가 보인다 - Me vidas la kato.
당신은 보양이들이 보인다 - Vu vidas la kati.
고양이들이 테이블들 위에 있다 - La kati esas sur la tabli.
고양이는 꽃들 뒤에서 잠을 자고 있다 - La kato dormas dop la flori.
책들이 까만색이다 - La libri esas nigra.
그는 사과(들)을 좋아 해요? - Kad ilu prizas pomi?
정원들이 아름답다 - La parki esas bela.
마리아는 하얀 치마(들)를 좋아한다 - Mary prizas blanka jupi.
당신은 아름다운 치마가 있어요? - Ka vu havas bela jupo?
물고기들이 물 속에 있다 - La fishi esas en la aquo.
경찰관들이 뚱뚱하지는 않다 - La policisti ne esas grosa.
경찰관들이 청년들을 쫓아가고 있다 - La policisti chasas la yuni.
쥐들이 고양이를 쫓아가고 있다 - La musi chasas la kato.
새들이 나무들 안에 있다 - La uceli esas en la arbori.
새들이 다리들 위에 있다 - La uceli esas sur la ponti.
어린이들이 나무들 안에 있어요? - Ka la yuni esas en la arbori?
말들이 물을 마시고 있다 - La kavali drinkas la aquo.
꽃들이 테이블 위에 있는 잔 속에 있어요 - La flori esas en la taso sur la tablo.
Vortaro:-----------------------------------------------------------------------
*danko - 고맙습니다
*deziras - 원하다
*durstas - 목이 마르다
*hungras - 배가 고프다
*glaso - 유리잔
*glaso de lakto - 우유 한잔
*kafeo [ka-FE-o] - 커피
*kafeerio [ka-fe-E-ryo] - 커피숍
*kuko - 케잌
*me pregas - 주세요, ~해 주세요
*taso de kafeo - 커피 한자
*yen - 여기 있습니다, 짠~, 여기요등
*pekunio - 돈
*semblas ke - ~인 것 같다, ~처럼 보인다, ~라는 생각이 들다
*ma - 하지만, 근데
===대화===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3_konversado1.mp3 대화 듣기]
P: Bon jorno, Mary! Quale vu standas?
M: Bon jorno, Peter! Me standas bone, danko. E vu?
P: Tre bone, danko. Ka vu durstas?
M: Yes, me durstas. Ube la kafeerio esas?
P: Yen la kafeerio! Ka vu deziras taso de kafeo?
M: No, danko. Me deziras glaso de lakto, me pregas.
P: Ka vu hungras?
M: Yes, me hungras.
P: Ka vu deziras kuko?
M: Yes, me pregas. Me prizas kuki.
P: Hm...Mary... Semblas ke me ne havas mea pekunii... Ka vu havas.....pekunio?
===질문과 답===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3_gq.mp3 예문과 답듣기]
01) Quale vu nomesas? -> Me nomesas Bebson Hochfeld.
02) Quale vu standas? -> Me standas tre bone.
03) Ka vu ofte drinkas lakto? -> Yes, me tre ofte drinkas lakto.
04) Ka vu havas bela domo? -> Yes, me havas bela ma (하지만) mikra domo.
05) Ka vu havas gardeno? -> Yes, me havas mikra gardeno.
06) Ka vu havas kato? -> No, me ne havas un.
07) Ka vu prizas kati? -> No, me ne prizas kati.
08) Ka vu havas granda hundo? -> No, me nek (도) prizas hundo.
09) Ka vu esas/es en la parko? -> Yes, me esas/es en la parko.
10) Ka vu hungras? -> Yes, me esas/es grosa e sempre hungras.
11) Ka vu prizas kafeo? -> Yes, me tre prizas kafeo.
12) Ka vu durstas? -> No, me ne durstas ma me hungras.
13) Ka vu deziras kuko? -> Yes, me multe deziras kuko.
14) Ka vu esas/es bona? -> Yes, me esas/es tre bona segun me (제가 아는대로서).
15) Ka vu prizas blanka musi? -> No, no, me ne prizas musi.
===색깔===
*blanka - 하얀
*blua - 파란
*bruna - 갈색
*flava - 호랑색
*griza - 회색
*nigra - 까만
*purpura - 보라색
*oranjea - 오렌지색
*reda - 빨간
*rozea - 핑크색
*verda - 초록색
*violea - 청자색
===명령형===
명령형으로 바꾸기 위해 -as 대신에 -ez를 붙이면 된다.
예: drinkez! (마셔!), manjez! (먹어!), venez! (와!).
===단어===
*apertez - 열어!
*donez - 줘!
*irez - 가!
*klozez - 닫아!
*pozez - 놓아!
*levez - 들어! (물건을)
*sideskez - 앉아!
*staceskez - 앉아!
*tushez - 만져!
*krayono - 연필
*adsur - 에 (어떤 물건의 표면위로 갈 때)
===예문===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3_exempli3.mp3 예문 듣기]
일어나! - Staceskez!
앉아! - Sideskez!
상자를 열어! - Apertez la buxo!
사과를 먹어! - Manjez la pomo!
책을 열어! - Apertez la libro!
문을 열어! - Apertez la pordo!
책을 닫아! - Klozez la libro!
창문을 닫아! - Klozez la fenestro!
의자를 만져! - Tushez la stulo!
창문을 만져! - Tushez la fenestro!
(당신의) 커피를 마셔(주세요)! - Drinkez vua kafeo!
책을 들어! - Levez la libro!
의자를 들어! - Levez la stulo!
연필을 들어! - Levez la krayono!
나에게 책을 줘! - Donez la libro a me!
테이블 위에 컵을 놓아! - Pozez la taso adsur la tablo!
의자 위에 접시를 놓아! - Pozez la plado adsur la stulo!
테이블 위에 연필을 놓아! - Pozez la krayono adsur la tablo!
책과 연필을 의자 위에 놓아! - Pozez la libro e la krayono adsur la stulo!
===동물===
다음 과에 접미사를 붙이면 암컷인지 수컷인지 단어를 바꾸는 방법이 나올것이다.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3_animali.mp3 동물 듣기]
anado - 오리
bovo - 소
cervo - 사슴
elefanto - 코끼리
gorilo - 고릴라
hano - 닭
hundo - 개
kamelo - 낙타
kato - 고양이
kapro - 염소
kavalo - 말
krokodilo - 악어
leopardo - 범
leono - 사자
muso - 쥐
mutono -양
porko - 돼지
tigro - 호랑이
simio [SI-myo] - 원숭이
urso - 곰
volfo - 늑대
4ma leciono
1410
2984
2005-06-28T00:21:13Z
Mithridates
24
[[3ma leciono]] - [[5ma leciono]]
(한국어로 번역하는 중; 도와 주고 싶으면 편집해서 하고 싶은 대로 해주세요 ^^)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4_exempli1.mp3 예문듣기]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4_exempli2.mp3 예문듣기] (2)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4_exempli3.mp3 예문듣기] (3)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4_exempli4.mp3 예문듣기] (4)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4_konversado1.mp3 대화]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4_manjaji.mp3 음식]
*[http://www.iolairweb.co.uk/ido/audio/04_konversado2.mp3 대화] (2)
**** Lesson 04 - Quaresma Leciono *********************************************
Vortifado(어휘 늘리기)
-----------------------------------------------------
-in- (여성형) : yunino (girl), kavalino (mare), hanino (hen).
-ul- (남성형) : yunulo (boy), kavalulo (stallion), hanulo (cock).
여러분은 현재 한정된 단어만을 알고 있어 어휘에 상당한 부담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도는 단지 접사를 갖다붙임으로써 당신이 논리적으로 어휘 실력을 확장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예를 들어 '젊은 사람/젊은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yuno'를 남성형 접사 -ul-를 붙여 'yunulo'라고 바꾸면 '소년' 또는 '청년'이라고 만들 수 있다.
접사 '-ul-'는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모든 명사에 붙임으로써 '남성/수컷'으로 만들 수가 있다.
(예)katulo ('kato'에서 유래) - 수고양이
hundulo ('hundo'에서 유래) - 수캐
여기에 상응하는 여성형 접사는 -in-을 쓸 수가 있다.
(예)yunino - 소녀, katino 암고양이), hundino - 암캐 등
연습을 좀 더 해 보자.
filio - 어린이, filiulo - 아들, filiino - 딸,
kuzo - 사촌, kuzulo - 남자 사촌, kuzino - 여자 사촌,
sekretario - 비서,
sekretariulo - 남자 비서, sekretariino - 여비서,
doktoro - 의사, doktorulo - 남자 의사, doktorino - 여의사
필요할 때에는, 접두사 ge-를 갖다붙여서 통성(남성+여성)을 나타낼 수 있다.
geavi - 조부모, gefilii - 어린이들/아들(들)과 딸(들)
단 '부모'를 나타낼 때는 예외적으로 'gepatri'라고 하지 않고 'genitori'라고 쓴다.
/알아두기/
이도(Ido)에서는, 영어나 다른 유럽어와 달리 보통 성별(性)을 구별하지 않는다. 굳이 특정인이나 동물 따위의 성별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싶을 경우에 -ul- 또는 -in-을 쓸 것을 요구한다. 불필요할 때까지도 굳이 불편하게 접사를 붙여 쓰지는 말도록 하자.
※ 또한 다른 좋은 이도 사전을 참고하면 이도의 '접사'에 대한 모든 리스트를 볼 수 있을 것이다.(->IFA31/32)
Vortaro:-----------------------------------------------------------------------
avan - ~ 앞에, butiko - 가게, che - (건물, 상점, 집 등의 장소) ~에; ~으로,
dentisto - 치과의사,
familio [fa-MI-lyo](마지막 io는 한 음절로 취급하므로 강세는 mi에 있다) - 가족, frukto - 과일,
karno [KARR-no](가운데의 r 발음은 이탈리아 어나 스페인어처럼 /ㄹ르/이렇게 혀를 굴려서 발음한다) - 고기,
karno-vendisto - 정육점 주인, hundulo - 수캐, katino - 암고양이,
kavalino - 암말; 어미말, kavalulo - 종마; 수말,
kirko [KIRR-ko](r발음은 karno에서 처럼 굴려서 한다) - 교회, ma - 그러나,
mediko - doctor, musino - mouse (female),
musulo - 수컷 쥐, nur - 단지; 오로지, preferas - 선호한다, staciono - 역,
ruro [RU-rro](뒤의 ro도 역시 굴려서 /루ㄹ로/처럼 발음한다) - 시골; 변방,
spozino - 배우자, spozulo - 남편,
urbo [URR-bo] - 시내; 번화가, vendas - 판매한다, vendisto - 파는 사람,
yunino - 소녀, yunulo - 소년; 젊은이
Exempli:-----------------------------------------------------------------------
메리는 소녀이다
- Mary esas/es yunino.
찰스는 소년이다
- Charles esas/es yunulo.
그는 수캐를 가지고 있다
- Ilu havas hundulo.
사과는 과일이다
- Pomo esas/es frukto.
나는 단지 암고양이를 산다
- Me nur kompras katino.
나는 시내에 자주 간다
- Me ofte iras a la urbo.
나는 치과에 자주 간다(che la dentisto: 치과의사의 곳,장소 = 치과)
- Me ofte iras che la dentisto.
정육점 주인이 고기를 판다
- La karno-vendisto vendas karno.
알란은 병원에 있다(che la mediko: 의사의 집, 장소, the doctor's = 병원)
- Alan esas/es che la mediko.
나는 그것을 병원에서 사지 않는다
- Me ne kompras olu che la mediko.
당신의 남편은 잭이라고 불린다
- Vua spozulo nomesas Jack.
나의 부인은 가게에 가고 있다
- Mea spozino iras a la butiki.
오늘 레슬리는 가게에 간다
- Hodie Lesley iras a la butiki.
그녀는 가족을 위해 고기를 사고 있다
- Elu kompras karno por la familio.
어미말(암말)은 시골에 있지 않다
- La kavalino ne esas/es en la ruro.
그는 시내에서 종마를 팔고 있다
- Ilu vendas la kavalulo en la urbo.
폴은 고기를 좋아하지만 로저는 생선을 더 좋아한다
- Paul prizas karno, ma Roger preferas fisho.
나는 내 생선을 청과물상점에서 사지 않는다
(che la frukto-vendisto: greengrocer's, 과일판매원의 집= 청과물상점, 과일가게)
- Me ne kompras mea fisho che la frukto-vendisto.
그 교회는 역전 번화가에 있다.
- La kirko esas/es en la urbo avan la staciono.
나는 당신을 위해 흰 쥐와 갈색 쥐를 산다.
- Me kompras blanka musino e bruna musulo por vu.
소유 나타내기:---------------------------------------------------------------------
한국어에서는 소유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누구'의 '무엇'을 쓰는데, 일단 이도는 우리말과 비교하기보단 인도유럽어족 계열의 언어와 비교하면 그 편리함을 더 잘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익숙해져 있는 '영어'를 보면,
로저가 책 한 권을 소유하고 있다(Roger owns a book, 로저의 책)는 말을,
1) Roger's book
2) The book of Roger
이런 식으로 나타낼 수 있고,
나의 부인이 고양이를 소유하고 있다(My wife has a cat, 나의 부인의 고양이)는 말을,
1) My wife's cat
2) The cat of my wife
이렇게 두 가지로 표현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도에서는 소유를 나타내는 방법을 단 한 가지만 기억하면 된다.
영어의 'of'와 상응한다고 할 수 있는 'di'를 사용하면 된다. (불어나 스페인어의 'de'를 생각하면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영어의 the book of Roger에서 처럼, 대부분의 유럽어가 그렇듯이 대상을 앞에 두고 소유인을 'di'와 함께 붙여 뒤에서 수식하는 꼴로 나타낼 수 있다.
가령, '피터의 책'이라고 할 경우 'la libro di Peter',
'나의 부인의 고양이'라고 할 경우엔 'la kato di mea spozino'라고 하면 된다.
Exempli(예문):--------------------------------------------------
메리의 개
- La hundo di Mary.
피터의 집
- La domo di Peter.
소녀의 고양이
- La kato di la yunino.
고양이의 고기
- La karno di la kato.
[그] 개의 고기(개고기가 아니고, 그 개가 소유하고 있는 고기!)
- La karno di la hundo.
메리의 고양이
- La kato di Mary.
메리의 책
- La libro di Mary.
나의 남편의 컵
- La taso di mea spozulo.
[그] 소년들의 가족
- La familio di la yunuli.
[그] 가족의 먹을 것(음식)
- La manjajo di la familio.
[그] 소년의 개
- La hundo di la yunulo.
[그] 의사의 가족
- La familio di la mediko.
[그] 교사의 집
- La domo di la instruktisto.
이 학교의 여자 아이들
- La yunini di ca skolo.
필립의 고양이
- La kato di Philip.
양(quantity)을 나타내기:----------------------------------------------------------------------
영어의 'of'는 소유를 나타내는 뜻 이외에도 사물의 양을 나타낼 때 쓰기도 하는 반면, 이도에서는 소유를 나타내는 전치사와 양을 나타낼 때 쓰는 전치사가 따로 있다.
가령, 영어에서 'a cup of coffee'라는 표현은 분명 '커피의 컵'이 아니라 '한 잔의 커피'이다.
하지만 이도에서는 'di'는 방금 배웠듯이 '소유'를 나타낼 때만 쓰고, '한 잔의 커피', '다량의 책들' 등 양을 나타낼 때는 전치사 'de'를 쓴다.
따라서,
'한 잔의 커피'는 'taso "de" kafeo'으로 써야 맞다.
'di'와 'de'는 비슷하지만 각자의 쓰임이 다른 것에 주의하도록 하자!
Exempli(예문):--------------------------------------------------
한 잔의 차.
- taso de teo.
[그] 한 잔의 차.
- la taso de te.
메리의 꽃들.
-la flori di Mary.
사과 한 상자.
- buxo de pomi.
한 잔의 커피.
- taso de kafeo.
한 잔의 우유.
- glaso de lakto.
한 잔의 물.
- glaso de aquo.
한 병의 와인.
- botelo de vino.
한 병의 우유.
- botelo de lakto.
의사의 가족들.
- familio de mediki.
[그] 치과의사의 한 잔의 커피.
- La tasi de kafeo di la dentisti.
Vortaro:(단어)-----------------------------------------------------------------------
adube - 어디로, askoltas - ~을 듣다 ('ad'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atraktiva - 매력적인, biro - 맥주, bone - 잘 (부사), botelo - 병,
de - ~의 (양), di - ~의 (소유), do - 그래서/그러므로,
instruktas - 가르치다, instruktisto - 선생님, skolo - 학교, teo - 차(마시는 차),
vino - 와인, ca - 이것의 (형용사), li - 그들 (ilu, elu, olu의 복수형)
Exempli(예문):-----------------------------------------------------------------------
그들은 잘 가르친다.
- Li instruktas bone.
그녀는 그 소년을 보고 있다.
- Elu regardas yunulo.
그녀는 병을 보고 있다.
- Elu regardas botelo.
그들은 매우 나쁜 아이들이다.
- Li esas/es tre mala yuni.
[그] 소년은 한 병의 맥주를 가지고 있다.
- La yunulo havas botelo de biro.
이 학교의 선생님들은 좋다.
- La instruktisti di ca skolo esas/es bona.
그것은 그 선생님의 맥주(한 병) 이다.
- Olu esas/es la botelo de biro di la instruktisto.
[그] 소년과 [그] 소녀는 맥주를 마시고 있다.
- La yunulo e la yunino drinkas la biro.
그들은 듣지 않고 있고, 그러므로 그들은 배우고 있지 않다.
- Li ne askoltas e do li ne lernas.
[그] 매력적인 소녀는 [그] 나쁜 선생님을 듣고 있지 않다.
- La atraktiva yunino ne askoltas la mala instruktisto.
Konversado(대화): En la drinkerio [drin-KE-ryo] -------------------------------------
P: Bon vespero, Mary! Quale vu standas hodie?
M: Me standas bone, danko. Quale vu standas?
P: Tre bone, danko.
M: Adube ni iras? - ( 'To' where are we going? )
P: Ni iras a la drinkerio. La drinkerio nomesas la Nigra Porko.
Mea amiki dicas ke olu esas/es tre bona drinkerio.
M: Me ne savas ube la Nigra Porko esas. Ube olu esas, Peter?
P: Olu esas/es dop la domo di Sioro Jones, la dentisto.
M: Me rare iras a ta strado.
P: Ho, me ofte iras a ta strado, e me ofte drinkas biro en la Nigra Porko. Ha!
Yen ol! Ka vu deziras biro, Mary?
M: Ka vu havas pekunio?
P: Ho, yes! Hodie me havas pekunio.
M: Do, me deziras glaso de biro.
Manjaji - Foods(음식):--------------------------------------------------------------
butro - 버터, fabo - 콩, fisho - 생선, flor-kaulo - 컬리플라워,
fromajo - 치즈, karno [KARR-no] - 고기, karoto - 당근, ovo - 달걀,
kaulo [KAw-lo] - 양배추, konfitajo - 쨈, kukombro - 오이,
latugo - 양상추, margarino - 마아가린, mustardo - 겨자, onyono - 양파,
pano - 빵, pipro - 후추, pizo - 완두콩, rosto-pano - 토스트, salo - 소금,
sauco [SAw-co] - 소스, karno-sauco [KARR-no-SAw-co] - 고깃국물,
sociso - 소시지, sukro - 설탕, supo - 수프, tarto [TARR-to] - 타트,과일파이,
terpomo [terr-PO-mo] - 감자, tomato - [to-MA-to] - 토마토,
torto [TORR-to] - 파이, vinagro - 식초, yen - 여기 ~가/들이 있다
Konversado: Exempli -----------------------------------------------------------
포크 한 개 주세요.
- Donez a me forketo.
나는 스푼이 없다.
- Me ne havas kuliero.
이 칼은 날카롭지 않다.
- Ta kultelo ne esas akuta.
소금 좀 주세요.
- Pasigez a me la salo.
그 빵좀 건내주실 수 있으세요?
- Kad vu voluntus pasigar la pano?
흑맥주 한병만 주세요.
- Adportez a me botelo de nigra biro.
에일 맥주 한 잔 하실래요?
- Kad vu deziras glaso de flava biro?
저는 물만 마셔요.
- Me drinkas nur aquo.
당신은 술을 안 마시는 사람이세요?
- Kad vu esas ne-alkoholisto?
샐러드 좀 드실래요?
- Kad vu deziras salado?
여기 괜찮은 양상추가 있어요.
- Yen bela latugo.
오일과 식초를 쓰시나요?
- Kad vu prenas oleo e vinagro?
여기 후추와 소금이 있어요.
- Yen la pipro e la salo.
--------------------------------------------------------------------------------
금주자(술은 안마시는 사람)은 'anti-alkoholisto' 라고 쓰였으나, 지금은 간단히'ne-alkoholisto' 이라고 쓴다.
상한, 하한
1411
6634
2007-01-10T17:52:36Z
KIN
23
{{재편집|참조=뿌리가 되는 문서와 연결, [[Wikibooks:문서 제목 붙여 나누기|여기 참조]]}}
'''정의2.0''' 실수의 집합 R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A가 있다고 한다. 이 때, 어떤 실수 M이 존재해 모든 x∈A에 대해서 x≤M을 만족할 때, M을 집합A의 '''상계'''라고 하며, 집합 A의 상계가 존재할 때 집합A는 '''위로 유계'''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실수 M이 존재해 모든 x∈A에 대해서 x≥M을 만족할 때, M을 집합A의 '''하계'''이라고 하며, 집합A의 하계가 존재할 때 집합A는 '''아래로 유계'''라고 한다. 그리고 집합A가 위로 유계이며 아래로 유계이기도 할 때 집합A는 '''유계'''라고 한다. 집합A가 공집합일 때는 집합A는 유계라고 정한다.
이제 논리식으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
'''A는 위로 유계이다''' <math>\Leftrightarrow \ \exists M\in \mathbb{R} \ \ \forall x\in A \ \ s.t \ \ x\leq M</math>
'''A는 아래로 유계이다''' <math>\Leftrightarrow \ \exists M\in \mathbb{R} \ \ \forall x\in A \ \ s.t \ \ x\geq M</math>
'''정의2.1''' <math>\mathbb{R}</math>의 부분집합 A가 있다고 하자. 이 때, 어떤 a∈A가 존재해서 임의의 x∈A에 대해서 <math>x\leq a</math>가 성립하면 a를 A의 '''최대값'''이라 부르며, 어떤 b∈A가 존재해서 임의의 x∈A에 대해<math>x\geq b</math>가 성립하면 b를 A의 '''최소값'''이라고 부른다.
'''공리 (완비성의 공리, 연속성의 공리)''' 집합A의 상계가 존재할 때 상계를 모두 모아놓은 집합을 U={x∈R|x는 A의 상계이다}라고 하자. 이 때, U는 항상 최소값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집합A의 하계가 존재할 때 하계를 모두 모아놓은 집합을 L={x∈R|x는 A의 하계이다}이라고 할 때, L은 항상 최대값을 가진다.
'''정의2.2''' <math>\mathbb{R}</math>의 부분집합 A가 위로 유계일 때 A의 상계의 최소값을그 값을 집합A의 '''상한'''이라고 하며, A가 아래로 유계일 때 A의 하계의 최대값을 집합A의 '''하한'''이라고 한다.
'''정리2.3''' a가 A의 상한이라는 것은 다음의 두 조건이 성립하는 것과 동치이다.
(U1) <math>\forall x\in A \ \ s.t \ \ x\leq a</math>
(U2) <math>\forall\varepsilon >0 \,\, \exists b\in A \ \ s.t \ \ a-\varepsilon < b </math>
(증명)
(=>)
(<=)
■
'''정리2.5''' b가 A의 하한이라는 것은 다음의 두 조건이 성립하는 것과 동치이다.
(L1)
(L2)
(증명생략)
Wikibooks:편집실
1413
edit=sysop:move=sysop
6620
2007-01-04T14:30:01Z
아흔
9
rev.
{| width="100%" cellspacing="10px" cellpadding="10px"
|-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AA7777; border-bottom:2px solid #AA7777; border-right:2px solid #AA7777;" width="50%" align=left |
{{headline2|처음 둘러보기}}
*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 안내]]
* [[Wikibooks:편집에 들어가기 전에|편집에 들어가기 전에]]
{{headline2|참여하기}}
* {{참여하기}}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AA7777; border-bottom:2px solid #AA7777; border-right:2px solid #AA7777;" |
{{headline2|편집 도움말}}
* 목차 꾸미기
** 이미 마련된 표제 그림으로 (변환값 설명은 [[:Template:차례]])
{{차례|문단=}}
** 원하는 표제 그림으로(변환값 설명은 [[:Template:차례1]])
{{차례1|문단=}}
|}
__NOTOC____NOEDITSECTION__
[[Category:위키책]]
틀:위키책 새소식
1414
3616
2005-07-21T10:00:12Z
아흔
9
rev.
* [http://meta.wikimedia.org/wiki/Election_results_2005 위키미디아 관리자 대표단 선거 결과]
틀:참여하기
1415
5303
2006-05-11T14:48:27Z
아흔
9
덧
{| align="left"
|- valign="top"
| align="right" width="60px" | '''[[Wikibooks:위키책 유형|유형]]:'''
| [[Wikibooks:위키책 입문서|입문서]] ∙ [[Wikibooks:위키책 참고서|참고서]] ∙ [[Wikibooks:위키책 해석서|해석서]] ∙ [[Wikibooks:위키책 주석서|주석서]] ∙ [[Wikibooks:위키책 비평서|비평서]] ∙ [[Wikibooks:위키책 전기|전기]] ∙ [[Wikibooks:위키책 감상문|감상문]] ∙ [[Wikibooks:위키책 컴퓨터|위키책 컴퓨터]] ∙ [[Wikibooks:위키책 스포츠|스포츠]] ∙ [[Wikibooks:위키책 가정|가정]]
|- valign="top"
| align="right" width="60px" | '''[[Wikibooks:위키책 서평|서평]]:'''
|이 페이지에 참여자께서 스스로 쓰신 글이나 또는 다른 참여자가 쓴 글에 관하여 서평을 쓰실 수 있습니다.
|- valign="top"
| align="right" width="60px" | '''[[Wikibooks:자유게시판|게시판]]:'''
|이 페이지에는 참여자께서 위키책에 의문점이나 다른 하고 싶은 말을 쓰실 수 있습니다.
|}
수학 해석학
1419
2991
2005-06-30T10:24:25Z
KIN
23
수학 해석학 문서 해석학개론 문서로 옮김
#REDIRECT [[해석학개론]]
Wikibooks:문서 제목 붙여 나누기
1421
2993
2005-06-30T10:33:42Z
아흔
9
{{위키책 도움말}}
위키책에서 참여자께서 '책'을 쓰다 보면 문서의 양이 자연적으로 불어나게 됩니다. 참여자께서 책을 세분화하여 틀을 잡았을 때 이미 이와 같은 문제점을 짐작하실 수 있습니다. 하나의 문서의 양이 크다 보면 편집하는 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독자가 문서를 한눈에 살펴보기가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참여자께서는 책의 제목을 뿌리로 하여 다음과 같이 책에 담긴 작고 큰 문단들을 나누어 편집하실 수 있습니다.
* <font-color="blue">'가나다'</font>라는 문서의 제목으로 된 책에 참여자께서는 알맞게 머리말이나 입문을 쓰신 후,
* 미리 계획한 책의 세부 사항들을 낱낱의 문단들 제목, 가령 <font-color="green">'문단 1'</font>, <font-color="green">'문단 2'</font>...로 정하신 후, 이 문단들이 책 제목 <font-color="blue">'가나다'</font>에 딸린 문단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으시다면,
* <font-color="blue">'가나다'</font>라는 제목 다음에 슬래쉬('''/''')를 붙인 후, 딸린 문단들의 제목을 붙여 쓰신 후, 가령 <font-color="blue">가나다</font>/<font-color="green">문단 1</font>, <font-color="blue">가나다</font>/<font-color="green">문단 2</font>...
* 이 함께 붙여쓴 제목 전체를 [[wikibooks:링크하는 요령|링크]] 시키시면 책 제목에 딸린 문단의 별도 문서가 생기게 됩니다.
** <nowiki>[[가나다/문단 1]]</nowiki>
** <nowiki>[[가나다/문단 2]]</nowiki>
* 참여자께서는 다시 <font-color="green">문단 1</font>, <font-color="green">문단 2</font>...에 딸린 작은 제목의 문서를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 만들어 나가실 수 있습니다.
** <nowiki>[[가나다/문단 1/문항 1]]</nowiki>
** <nowiki>[[가나다/문단 2/문항 2]]</nowiki>
* 이렇게 문단에 따른 문서 제목 붙여 나누기의 장점은 높은 제목 밑에 따라 붙은 제목의 문서는 언제나 높은 제목으로 링크해 갈 수 있도록 문서의 맨 위 제목 밑에 높은 제목이 저절로 표시가 됩니다.
그림:Icon-13a.png
1422
2994
2005-06-30T11:23:20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그림:Icon-13b.png
1423
2995
2005-06-30T11:24:32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16-1.32
1429
3001
2005-07-01T09:38:42Z
A-heun
22
set
{{계속|주석서|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1.1-1.15|2.1-2-29|로마서}}
=== 신의 정의를 깨달음 ===
{{주석틀|장=1.|
원문=(16) 나는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복음은 유다인들을 비롯하여 그리스인들까지, 믿는 사람이면 누구에게나 구원을 가져다 주는 하느님의 힘입니다. (17) 성서에 “믿음으로 의롭게 된 이라야 살리라.” 하고 기록되어 있듯이, 이 복음 안에서 하느님의 의로움이 믿음에서 믿음으로 나타납니다.
(18) 불의로 진리를 억누르는 사람들의 불경과 불의에 대한 하느님의 진노가 하늘에서부터 나타나고 있습니다. (19) 하느님에 관하여 알 수 있는 것이 이미 그들에게 명백히 드러나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하느님께서 그것을 그들에게 명백히 드러내 주셨습니다. (20) 세상이 창조된 때부터, 하느님의 보이지 않는 본성 곧 그분의 영원한 힘과 신성을 조물을 통하여 알아보고 깨달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변명할 수가 없습니다. (21) 하느님을 알면서도 그분을 하느님으로 찬양하거나 그분께 감사를 드리기는커녕, 오히려 생각이 허망하게 되고 우둔한 마음이 어두워졌기 때문입니다. (22) 그들은 지혜롭다고 자처하였지만 바보가 되었습니다. (23) 그리고 불멸하시는 하느님의 영광을 필멸하는 인간과 날짐승과 네발짐승과 길짐승 같은 형상으로 바꾸어 버렸습니다. (24) 그리하여 하느님께서는 그들이 마음의 욕망으로 더럽혀지도록 내버려 두시어, 그들이 스스로 자기들의 몸을 수치스럽게 만들도록 하셨습니다. (25) 그들은 하느님의 진리를 거짓으로 바꾸어 버리고, 창조주 대신에 피조물을 받들어 섬겼습니다. 창조주께서는 영원히 찬미 받으실 분이십니다. 아멘. (26) 이런 까닭에 하느님께서는 그들을 수치스러운 정욕에 넘기셨습니다. (27) 그리하여 그들의 여자들은 자연스러운 육체관계를 부자연스러운 관계로 바꾸어 버렸습니다. 남자들도 마찬가지로 여자와 맺는 자연스러운 육체관계를 그만 두고 저희끼리 색욕을 불태웠습니다. 남자들이 남자들과 파렴치한 짓을 저지르다가, 그 탈선에 합당한 대가를 직접 받았습니다. (28) 그들이 하느님을 알아 모시는 것을 쓸모 없다고 여겼기 때문에, 하느님께서 그들을 분별 없는 정신에 넘기시어 부당한 짓들을 하게 내버려 두셨습니다. (29) 그들은 온갖 불의와 사악과 탐욕과 악의로 가득 차 있고, 시기와 살인과 분쟁과 사기와 악덕으로 그득합니다. 그들은 험담꾼이고 (30) 중상꾼이며, 하느님을 미워하고, 불손하고 오만한 자이며, 허풍쟁이이고 모략꾼이고, 부모에게 순종하지 않는 자이며, (31) 우둔하고 신의가 없으며 비정하고 무자비한 자입니다. (32) 이와 같은 짓을 저지르는 자들은 죽어 마땅하다는 하느님의 법규를 알면서도, 그들은 그런 짓을 할 뿐만 아니라 그 같은 짓을 저지르는 자들을 두둔하기까지 합니다.
|
주석=편집중
}}
틀:참/언어
1431
6030
2006-09-22T15:41:30Z
아흔
9
rev.
* [[훈민정음]]
* [[체코어]]
틀:참/수학
1432
3908
2005-09-29T03:14:48Z
128.135.227.14
* [[해석학개론]]
* [[선형대수학]]
* [[집합론]]
* [[위상수학]]
* [[대수학]]
* [[대수기하학]]
* [[호몰로지 대수학]]
틀:참/의학
1433
3005
2005-07-01T10:53:47Z
A-heun
22
set
* [[병리학 개론]]
틀:입/언어
1434
6212
2006-10-30T10:25:32Z
아흔
9
revert
* [[한국어 맞춤법]]
* [[영어 입문]]
* [[프랑스어 입문]]
* [[우즈베크어|우즈베크어 입문]]
* [[이도 입문]]
* [[일본어 입문]]
틀:입/심리
1435
3486
2005-07-04T09:31:32Z
아흔
9
rev.
* [[심리학 입문]]
** [[행동심리학 입문]]
틀:입/물리
1436
3008
2005-07-01T11:01:10Z
A-heun
22
set
* [[천체물리학]]
틀:입/신학
1437
3009
2005-07-01T11:01:52Z
A-heun
22
set
* [[신약성서 입문]]
틀:추가
1438
3010
2005-07-02T06:06:52Z
A-heun
22
set
<sup>[{{SERVER}}{{localurl:Template:{{{1}}}|action=edit}} +/-]</sup>
틀:해/문학
1439
3011
2005-07-02T06:22:50Z
A-heun
22
set
* [[몽테뉴의 수상록]] [[그림:Icon-13a.png|Icon-13.png]]
틀:해/철학
1440
3632
2005-07-21T12:06:53Z
A-heun
22
rev.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세네카 서한집]] [[그림:Icon-13b.png|Icon-13b.png]]
* [[칸트 도덕 형이상학 기초]]
*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틀:주/문학
1441
3013
2005-07-02T06:26:12Z
A-heun
22
set
* [[아리스토파네스의 구름]] [[그림:Icon-13.png|Icon-13.png]]
틀:주/신학
1442
3014
2005-07-02T06:26:28Z
A-heun
22
set
* [[신약성서 주석]]
틀:비/소설
1443
3015
2005-07-02T06:45:22Z
A-heun
22
set
* [[알렉상드르 뒤마의 춘희]]
* [[토마스 만의 토니오 크뢰거]]
* [[채털리 부인의 사랑]]
틀:비/연극
1444
3016
2005-07-02T06:45:40Z
A-heun
22
set
* [[싸르트르의 닫힌 사회]] [[그림:Icon-13.png|Icon-13.png]]
틀:감/미술
1445
3017
2005-07-02T06:50:16Z
A-heun
22
set
* 미켈란젤로의 [[식스틴 성당 천정화]]
틀:감/영화
1446
3018
2005-07-02T06:50:32Z
A-heun
22
set
* [[카사블랑카]] [[그림:Icon-13.png|Icon-13.png]]
틀:전/문학자
1447
3019
2005-07-02T06:55:03Z
A-heun
22
set
* [[플로베르 전기]] (소설가)
* [[토마스 만 전기]] (소설가)
* [[D.H. 로렌스]] (소설가) [[그림:Icon-13.png|Icon-13.png]]
틀:전/철학자
1448
3020
2005-07-02T06:55:22Z
A-heun
22
set
* [[니체 전기]] (철학자)
틀:전/정치가
1449
3021
2005-07-02T06:55:40Z
A-heun
22
set
* [[플루타크 영웅전]] [[그림:Icon-13.png|Icon-13.png]]
* [[수에토니우스 로마황제 전기]] [[그림:Icon-13.png|Icon-13.png]]
틀:체/육상
1450
3022
2005-07-02T07:01:24Z
A-heun
22
* [[마라톤]]
* [[10종 경기]]
틀:체/구기
1451
3610
2005-07-18T09:30:39Z
아흔
9
rev.
* [[축구]] [[그림:Icon-13.png|Icon-13.png]]
* [[배구]] [[그림:Icon-13.png|Icon-13.png]]
* [[농구]] [[그림:Icon-13.png|Icon-13.png]]
* [[송구]] [[그림:Icon-13.png|Icon-13.png]]
* [[야구]]
* [[탁구]]
틀:체/수경
1452
3024
2005-07-02T07:02:06Z
A-heun
22
set
[[Image:Breaststroke top view.jpg|float|right|60px|]]
* [[수영]]
* [[다이빙]]
* [[수구]]
틀:체/민속
1453
3025
2005-07-02T07:04:07Z
A-heun
22
* [[씨름]]
* [[활쏘기]]
틀:체/머리
1454
3026
2005-07-02T07:02:47Z
A-heun
22
set
* [[바둑]]
* [[장기]]
* [[체스]]
틀:체/투기
1455
3027
2005-07-02T07:03:50Z
A-heun
22
set
* [[태권도]]
* [[권투]]
* [[레스링]]
Wikibooks:위키책 요리
1456
3028
2005-07-02T07:05:49Z
A-heun
22
Wikibooks:위키책 요리 문서 Wikibooks:위키책 가정 문서로 옮김
#REDIRECT [[Wikibooks:위키책 가정]]
틀:가/요리
1457
3029
2005-07-02T07:10:20Z
A-heun
22
set
* '''한국요리'''
[[그림:Icon-09.jpg|float|right|50px|]]
** [[김치]]
** [[된장국]]
분류:가정
1459
3031
2005-07-02T07:33:59Z
A-heun
22
set
[[Category:위키책 유형]]
MediaWiki:Allinnamespace
1462
sysop
5353
2006-05-27T07:24:10Z
아흔
9
transl.
모든 문서들 ($1 네임스페이스)
MediaWiki:Allnonarticles
1463
sysop
5357
2006-05-27T07:26:58Z
아흔
9
transl.
'책'이 아닌 모든 문서들
MediaWiki:Allnotinnamespace
1464
sysop
5358
2006-05-27T07:27:21Z
아흔
9
transl.
모든 문서들 (네임스페이스 $1 제외)
MediaWiki:Allpagesfrom
1465
sysop
4554
2006-01-19T19:41:15Z
아흔
9
transl.
다음 글자에서부터 문서 나열:
MediaWiki:Badaccess
1469
sysop
5655
2006-07-13T07:05:36Z
아흔
9
rev.
잘못된 권리
MediaWiki:Badaccesstext
1470
sysop
5656
2006-07-13T07:07:15Z
아흔
9
rev.
하고자 하는 일은 오로지 관리자 '$2'만이 할 수 있습니다.
MediaWiki:Confirmemail
1473
sysop
3556
2005-07-08T17:35:07Z
아흔
9
transl.
이메일 주소 확인
MediaWiki:Confirmemail subject
1481
sysop
3502
2005-07-08T15:53:43Z
아흔
9
transl.
{{SITENAME}} 이메일 주소 확인
MediaWiki:Confirmemail success
1482
sysop
3503
2005-07-08T15:55:48Z
아흔
9
transl.
이메일 주소가 확인되었습니다. 이제 로그인하셔서 위키책에 참여하는 즐거움을 누리시기를 바랍니다.
MediaWiki:Contribs-showhideminor
1484
sysop
3508
2005-07-08T16:01:13Z
아흔
9
transl.
$1 사소한 편집
MediaWiki:Contributionsall
1485
sysop
3509
2005-07-08T16:01:55Z
아흔
9
transl.
모두
MediaWiki:Createarticle
1486
sysop
4584
2006-01-25T15:23:52Z
아흔
9
transl.
새 문서 만들기
MediaWiki:Delete and move
1488
sysop
6117
2006-10-23T07:42:14Z
아흔
9
rev.
삭제시키면서 문서 옮김
MediaWiki:Delete and move reason
1489
sysop
6118
2006-10-23T07:43:19Z
아흔
9
rev.
문서를 옮기기 위한 수단으로 삭제시킴
MediaWiki:Delete and move text
1490
sysop
6309
2006-11-22T14:47:25Z
아흔
9
rev.
{| cellspacing="4px" cellpadding="4px" style="border:2px solid #FF0000; background:#FAFAFA;"
|-
! 옮기기에 따른 문서 삭제!
|-
| 옮기고자 하는 제목 "[[$1]]"(으)로 이미 문서가 존재합니다. 이 제목으로 문서를 옮기시려면 이미 존재하는 문서를 삭제시켜야만 합니다. 이를 진정으로 바라십니까?
:확신이 없다면 [[Wikibooks:문서삭제 지침|문서삭제 지침]]과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를 한 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MediaWiki:Destfilename
1492
sysop
3732
2005-08-23T11:44:27Z
아흔
9
transl.
파일 이름 변경
MediaWiki:Email
1496
sysop
3511
2005-07-08T16:04:32Z
아흔
9
transl.
이메일(E-mail)
MediaWiki:Emailauthenticated
1497
sysop
3512
2005-07-08T16:06:51Z
아흔
9
transl.
이메일 주소는 $1에 정확합니다.
MediaWiki:Emailconfirmlink
1498
sysop
3513
2005-07-08T16:07:40Z
아흔
9
transl.
이메일 주소를 확인하십시요
MediaWiki:Emailnotauthenticated
1499
sysop
3514
2005-07-08T16:11:15Z
아흔
9
transl.
참여자의 이메일 주소는 <strong>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strong>. 이메일을 아래의 연락처로 보낼 수 없습니다.
MediaWiki:Enotif lastvisited
1501
sysop
3515
2005-07-08T16:13:43Z
아흔
9
transl.
참여자께서 마지막으로 기여하신 이래로 바뀐 사항은 여기를 참고하십시요: {{SERVER}}{{localurl:$PAGETITLE_RAWURL|diff=0&oldid=$OLDID}}
MediaWiki:Enotif newpagetext
1503
sysop
3516
2005-07-08T16:14:44Z
아흔
9
transl.
이 페이지는 새로 수록된 것입니다.
MediaWiki:Enotif reset
1504
sysop
3517
2005-07-08T16:16:11Z
아흔
9
transl.
살펴본 모든 페이지 표시
MediaWiki:Excontentauthor
1506
sysop
5323
2006-05-27T06:55:25Z
아흔
9
rev.
내용: $1 -- 마지막 편집자: $2
MediaWiki:Fileinfo
1742
sysop
4586
2006-01-25T15:27:38Z
아흔
9
transl.
$1KB, 마임 타임(MIME type): <code>$2</code>
MediaWiki:Files
1743
sysop
5351
2006-05-27T07:21:23Z
아흔
9
transl.
미디어 파일
MediaWiki:Groups
1755
sysop
6128
2006-10-23T07:50:09Z
아흔
9
rev.
사용자 그룹
MediaWiki:Histfirst
1767
sysop
3520
2005-07-08T16:22:28Z
아흔
9
transl.
처음 기록
MediaWiki:Histlast
1768
sysop
3521
2005-07-08T16:23:01Z
아흔
9
transl.
마지막 기록
MediaWiki:Imagelistall
1769
sysop
3523
2005-07-08T16:26:09Z
아흔
9
transl.
모두
MediaWiki:Invalidemailaddress
1773
sysop
3525
2005-07-08T16:30:40Z
아흔
9
transl.
이메일 주소를 허용할 수 없습니다. 아마 기입한 주소의 양식이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 여겨집니다. 다시 한 번 정확하게 주소를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MediaWiki:Invert
1774
sysop
3526
2005-07-08T16:31:26Z
아흔
9
transl.
역순으로 선택
MediaWiki:Ipadressorusername
1775
sysop
3527
2005-07-08T16:32:30Z
아흔
9
transl.
아이피(IP) 주소 또는 사용자 이름
MediaWiki:Ipboptions
1776
sysop
4833
2006-03-10T14:17:49Z
아흔
9
transl.
6 시간:6 hours,1 일:1 day,3 일:3 days,1 주:1 week,2 주:2 weeks,1 달:1 month,3 달:3 months,6 달:6 months,1 년:1 year,영구 차단:infinite
MediaWiki:Ipbother
1777
sysop
4828
2006-03-10T14:15:04Z
아흔
9
transl.
별도 차단 기간 (영어로 기재)
MediaWiki:Ipbotheroption
1778
sysop
4827
2006-03-10T14:14:36Z
아흔
9
transl.
별도 차단 기간
MediaWiki:Movelogpage
1782
sysop
3529
2005-07-08T16:36:25Z
아흔
9
transl.
문서 옮기기 일지
MediaWiki:Movelogpagetext
1783
sysop
3530
2005-07-08T16:38:04Z
아흔
9
transl.
다음은 옮겨진 문서들입니다.
MediaWiki:Movereason
1784
sysop
3531
2005-07-08T16:38:47Z
아흔
9
transl.
옮기는 이유
MediaWiki:Namespace
1785
sysop
6348
2006-11-22T16:07:18Z
아흔
9
rev.
네임스페이스(Namespace):
MediaWiki:Noimage
1787
sysop
4651
2006-01-28T03:27:58Z
아흔
9
rev.
이 이름의 파일은 아직 없으므로 $1 올리기하실 수 있습니다.
MediaWiki:Passwordtooshort
1790
sysop
3538
2005-07-08T16:51:14Z
아흔
9
transl.
기재한 암호(Password)가 너무 짧습니다. 암호는 최소한 $1 특징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MediaWiki:Prefs-help-email
1791
sysop
4715
2006-02-16T17:37:40Z
아흔
9
rev.
² 이메일(기입 자유): 자신의 개인 정보가 누설되지 않으면서 다른 사용자와 의견 교환을 위하여.
MediaWiki:Prefs-help-email-enotif
1792
sysop
4716
2006-02-16T17:41:48Z
아흔
9
transl.
사용자께서 이 사항을 허용하였다면 이 주소는 또한 기재한 이메일 주소 확인을 위해 쓰여집니다.
MediaWiki:Prefs-help-realname
1793
sysop
4717
2006-02-16T17:46:23Z
아흔
9
transl.
¹ 본명 (기입 자유): 만일 본명을 기재하신다면 이 이름은 사용자의 업적을 기록하는데 쓰여집니다.
MediaWiki:Print
1794
sysop
3540
2005-07-08T16:53:43Z
아흔
9
transl.
인쇄
MediaWiki:Recentchangesall
1795
sysop
3546
2005-07-08T17:09:47Z
아흔
9
transl.
모두
MediaWiki:Renamegrouplogentry
1796
sysop
4689
2006-02-03T14:48:11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바꿈: $2 -> $3
MediaWiki:Restrictedpheading
1797
sysop
6390
2006-12-11T15:17:00Z
아흔
9
rev.
제한된 특별 페이지
MediaWiki:Searchfulltext
1802
sysop
4603
2006-01-25T15:51:30Z
아흔
9
transl.
전체 문장으로 찾기
MediaWiki:Selfmove
1803
sysop
4518
2006-01-19T17:57:56Z
아흔
9
transl.
옮기고자 하는 문서와 옮기려는 문서의 제목이 같습니다. 문서 옮기기가 불가능합니다!
MediaWiki:Showdiff
1806
sysop
3547
2005-07-08T17:11:09Z
아흔
9
transl.
고친 내용 보기
MediaWiki:Sidebar
1807
sysop
3770
2005-08-24T08:58:49Z
아흔
9
rev.
* navigation
** mainpage|mainpage
** recentchanges-url|recentchanges
** randompage-url|randompage
* portal
** helppage|help
** portal-url|portal
** currentevents-url|currentevents
** sitesupport-url|sitesupport
MediaWiki:Sourcefilename
1808
sysop
3731
2005-08-23T11:43:27Z
아흔
9
transl.
본디 파일 이름
MediaWiki:Thumbsize
1809
sysop
5329
2006-05-27T07:04:01Z
아흔
9
transl.
그림의 돋보기 틀 크기:
MediaWiki:Tog-shownumberswatching
1816
sysop
3548
2005-07-08T17:19:15Z
아흔
9
transl.
주시하는 사용자 수 보기
MediaWiki:Tooltip-diff
1817
sysop
3758
2005-08-24T08:44:45Z
아흔
9
transl.
고친 내용 훑어보기. [alt-d]
MediaWiki:Uploadnewversion
1821
sysop
3554
2005-07-08T17:27:16Z
아흔
9
transl.
[$1 이 파일의 새로운 버전으로 올리기]
MediaWiki:Uploadscripted
1822
sysop
3555
2005-07-08T17:29:18Z
아흔
9
transl.
이 파일은 HTML 또는 스크립 코드를 담고 있기 때문에 웹 브러우저에 따라서는 잘못 해석될 수 있습니다.
Wikibooks:위키책 서평
1869
3463
2005-07-04T07:51:33Z
아흔
9
set
{| align="center" width="90%" border="1" style="border-collapse:collapse; background:#F2F5FE; "
|
<div style="padding:.7em">
서평은 독자나 혹은 책을 쓴 사람이 어떤 책에 대해서 의견 교환 또는 비평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를테면 어려운 점, 잘못되었다고 여겨지는 점 또는 바라고 싶은 점 등을 서평에서 쓸 수 있습니다. 위키책 서평은 토론페이지와는 달리 반드시 책의 내용에 국한하여 만들어져야만 합니다.
</div>
|}
=== 서평 문서 만들기 ===
* 서평의 문서는 해당 책의 제목 뒤에 슬래쉬를 붙여서 다만 '서평'이라는 낱말을 붙여 만드시기 바랍니다.
** '''<nowiki>[[가나다/서평]]</nowiki>'''
* 서평 문서의 머리에 다음의 [[Wikibooks:템플릿|템플릿]]에 붙여 서평 대상 문서의 편집자와 주제 등을 써 넣어 독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주세요.
** [[Template:서평]]
* 문서의 맨 마지막에 '서평'이라는 [[Wikibooks:카테고리|카테고리]]를 붙여 주시기 바랍니다.
** '''<nowiki>[[Category:서평]]</nowiki>'''
[[Category:위키책]]
Wikibooks:퍼블릭 도메인
1870
3475
2005-07-04T08:45:10Z
아흔
9
교정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이란 어떤 예술 작품이나 문서 따위를 모아 놓은 정보집합체(database)에서 이들이 [[Wikibooks:저작권|저작권]]의 보호를 받고 있지 않은 것을 뜻합니다. 퍼블릭 도메인이라는 개념 자체는 컴퓨터 정보 관리 및 체계에서 생겨난 새로운 낱말로서 그 뜻은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다 한국에서는 많은 컴퓨터 전문 용어가 그러하듯이 이에 적합한 번역어가 아직 없습니다. 흔히 인터넷에서 쓰이는 'Domain Name System'(DNS)에서 일컫는 도메인 이름과 퍼블릭 도메인에서의 도메인과는 그 뜻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모든 유형 및 무형의 창작품은 문화 진흥을 도모한다는 뜻에서 오늘날 저작권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유형 및 무형의 창작품이란 모든 예술 작품, 인쇄 및 전자 매체를 빌어 출판된 학문 저술 그리고 소프트웨어 따위를 일컫습니다. 이러한 창작품은 국제적 혹은 한 나라에서 통용되는 저작권법에 따라 명시된 기간동안 보호를 받습니다 (한국의 저작권재산의 보호기간: 저작권법 제 7절 참조). 때문에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에 해당되는 지적 재산은 실제로 한 나라의 저작권법에 따르는 것이 통례이지만, 그러나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재단]]이 관리하는 위키책은 미국의 저작권법에 따르고 있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지역 위키책인 한국어 위키책 역시 이에 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에서 저작권의 보호를 받고 있는 창작품은 한국의 저작권법에 따르고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 읽어보기 ==
* [[Wikibooks:GNU FDL|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GNU FDL)
* [[Wikibooks:GNU GPL|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NU GPL)
* [[Wikibooks:공정사용|공정사용]] (Fair Use)
== 링크보기 ==
* [[:en:Wikipedia:Public domain resources| 영어 위키백과에 모아 놓은 퍼블릭 도메인]]
[[Category:위키책]]
Wikibooks:공정사용
1871
3476
2005-07-04T08:54:34Z
아흔
9
교정
'''공정사용(Fair Use)'''은 한국의 저작권법에는 없는 개념으로서 미국의 저작권법에서 저작권의 제한 개념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공정사용'이 갖고 있는 뜻은 어떤 자료가 비록 저작권의 보호를 받고 있지만 몇몇 경우 이를테면 교육의 목적이나 혹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 이 자료를 저작권자의 사전 양해나 또는 허가없이 쓸 수 있다는 것을 일컫습니다.
== 읽어보기 ==
* [[Wikibooks:GNU FDL|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GNU FDL)
* [[Wikibooks:GNU GPL|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NU GPL)
* [[Wikibooks:퍼블릭 도메인|퍼블릭 도메인]] (Public Domain)
[[Category:위키책]]
Wikibooks:GNU FDL
1872
3474
2005-07-04T08:44:50Z
아흔
9
교정
[[Image:The GNU logo.png|thumb|GNU 로고]]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 GNU FDL)'''는 일종의 [[Wikibooks:자유문서|자유문서]]를 위한 저작권 증여의 한 형태로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FSF, ''Free Software Foundation'')에서 GNU의 프로젝트를 위해서 착안되었습니다.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는 소프트웨어의 문서와 유사한 지침서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 허가서에 따르는 모든 문서의 복사 및 변경은 역시 이 사용 허가서의 규준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복사 및 변경된 소프트웨어나 자료는 다시 변경되거나 배포 및 판매될 수 있습니다.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재단]]의 관리 밑에 추진 중인 모든 프로젝트는 현재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에 따르고 있습니다.
== 읽어보기 ==
* [[Wikibooks:GNU GPL|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NU GPL)
* [[Wikibooks:퍼블릭 도메인|퍼블릭 도메인]] (Public Domain)
* [[Wikibooks:공정사용|공정사용]] (Fair Use)
== 링크보기 ==
* [http://www.gnu.org/copyleft/fdl.html GNU FDL 원문]
** [http://korea.gnu.org/people/chsong/copyleft/fdl.ko.html GNU FDL 한국어 번역문]
[[Category:위키책]]
Wikibooks:GNU GPL
1873
3893
2005-09-14T17:55:41Z
아흔
9
rev.
[[Image:The GNU logo.png|thumb|GNU 로고]]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NU ''General Public License'' = GNU GPL)'''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Free Software Foundation'')가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사용과 보급을 위하여 착안한 자유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형태의 하나입니다.
GPL은 오늘날 자유 소프트웨어 저작권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이고 있으며, 대부분의 GNU-프로젝트는 - 이를테면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어재단]]의 프로젝트들 - GPL과 LGPL의 규준에 따라 추진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LGPL의 규준에 따르는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는 동시에 GPL의 규준에 따르고 있습니다.
GPL은 현재 버전-2가 쓰이고 있으며 2005년 말에 버전-3이 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네 가지 자유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는 누구에게나 다음의 네 가지의 자유를 저작권의 한 부분으로서 보장합니다.
# 컴퓨터 프로그램을 어떤 목적으로든지 사용할 수 있다.
# 컴퓨터 프로그램의 복사를 언제나 프로그램의 코드와 함께 판매 또는 무료로 배포할 수 있다.
#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를 용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프로그램의 코드와 함께 자유로이 배포할 수 있다.
== 읽어보기 ==
* [[Wikibooks:GNU FDL|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GNU FDL)
* [[Wikibooks:퍼블릭 도메인|퍼블릭 도메인]] (Public Domain)
* [[Wikibooks:공정사용|공정사용]] (Fair Use)
== 링크보기 ==
* [http://www.fsf.org/licenses/gpl.html GNU GPL 원문]
** [http://korea.gnu.org/people/chsong/copyleft/gpl.ko.html 한글 번역문]
*[http://www.fsf.org/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홈페이지]
*[http://www.unesco.org/webworld/portal_freesoft/index.shtml 유네스코 자유 소프트웨어 포탈]
[[Category:위키책]]
틀:참/경제
1874
3484
2005-07-04T09:28:02Z
아흔
9
set
* [[거시 경제학]]
틀:비/시
1879
3704
2005-08-19T15:37:45Z
아흔
9
추가
* [[율곡의 소암노승]]
* [[최치원의 추야우중]]
* [[롱펠로우의 Excelsior]]
* [[보들레르의 창문]]
* [[보들레르의 군중]]
유대교/에센인
1882
3571
2005-07-15T18:56:03Z
A-heun
22
rev.
유대인 역사가 요셉푸스에 따르면 [[신약성서 입문|신약성서]] 전후 시대에 유대교는 크게 세 종류의 파로 나누어져 있었다고 하며, 요셉푸스 자신은 이들을 철학적 경향이 있는 종파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들 세 종파 가운데 아마 20세기에 접어들어 가장 많은 논란과 의문의 대상이 된 종파는 에센인으로 여겨진다. 그 이유는 [[유대교/바리새인|바리새인]]이나 [[유대교/사두개인|사두개인]]들이 신약성서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반면 에센인이라는 낱말은 선약성서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1947년에 사해의 북동부 연안에서 발굴된 [[유대교/쿰란|쿰란]]이라는 유적지와 인근의 동굴에서 발견된 서적들을 두고 신학계에서는 에센인과 연관하여 활발한 연구와 토론이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에센인은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수수께기로 남아있다.
== 에센인에 관한 역사적 기록 ==
=== 플리니우스 ===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
=== 요셉푸스 ===
== 쿰란과 에센인 ==
== 초기 기독교인과 에센인 ==
[[Category:유대교]]
[[Category:신약성서]]
마르코의 복음서/1.21-2.12
1883
3563
2005-07-08T19:10:54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1.12-1.20|2.13-2.27|마가복음}}
== 예수의 행적 ==
{{주석틀|장=1.|
원문=(21)그들은 가파르나움으로 갔다. 예수님께서 곧바로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가르치셨는데, 사람들은 그분의 가르침에 몹시 놀랐다. 그분께서 율법학자들과 달리 권위를 가지고 가르치셨기 때문이다. 마침 그 회당에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소리를 지르며 말하였다. “나자렛 사람 예수님, 당신께서 저희와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저희를 멸망시키러 오셨습니까? 저는 당신이 누구이신지 압니다. 당신은 하느님의 거룩하신 분이십니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조용히 하고 그 사람에게서 나가라.” 하고 꾸짖으시니, 더러운 영은 그 사람에게 경련을 일으켜 놓고 큰 소리를 지르며 나갔다. 그러자 사람들이 모두 놀라서, “이게 어찌 된 일이냐? 새롭고 권위 있는 가르침이다. 저이가 더러운 영들에게 명령하니 그들도 복종하는구나.” 하며 서로 물어 보았다. 그리하여 그분의 소문이 곧바로 갈릴래아 둘레 온 지방에 두루 퍼져 나갔다.
그들은 회당에서 나와, 야고보와 요한과 함께 곧바로 시몬과 안드레아의 집으로 갔다. 그 때에 시몬의 장모가 열병으로 누워 있어서, 사람들이 곧바로 예수님께 그 부인의 사정을 이야기하였다. 예수님께서 그 부인에게 다가가시어 손을 잡아 일으키시니 열이 가셨다. 그러자 부인은 그들의 시중을 들었다. 저녁이 되고 해가 지자, 사람들이 병든 이들과 마귀 들린 이들을 모두 예수님께 데려왔다. 온 고을 사람들이 문 앞에 모여들었다. 예수님께서는 갖가지 질병을 앓는 많은 사람을 고쳐 주시고 많은 마귀를 쫓아 내셨다. 그러면서 마귀들이 말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다. 그들이 당신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음 날 새벽 아직 캄캄할 때, 예수님께서는 일어나 외딴 곳으로 나가시어 그 곳에서 기도하셨다. 시몬과 그 일행이 예수님을 찾아 나섰다가 그분을 만나자, “모두 스승님을 찾고 있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다른 이웃 고을들을 찾아가자. 그 곳에도 내가 복음을 선포해야 한다. 사실 나는 그 일을 하려고 떠나 온 것이다.” 그리고 나서 예수님께서는 온 갈릴래아를 다니시며, 회당에서 복음을 선포하시고 마귀들을 쫓아 내셨다. 나병 환자 한 사람이 예수님께 와서 도움을 청하였다. 그가 무릎을 꿇고 이렇게 말하였다. “스승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가엾은 마음이 드셔서 손을 내밀어 그에게 대시며,47) “내가 하고자 하니 깨끗하게 되어라.”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곧바로 나병이 가시고 그가 깨끗하게 되었다. 예수님께서는 그를 곧바로 돌려 보내시며 단단히 이르셨다. 그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누구에게든 아무 말도 하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다만 사제에게 가서 네 몸을 보이고, 네가 깨끗해진 것과 관련하여 모세가 명령한 예물을 바쳐, 그들에게 증거가 되게 하여라.” 그러나 그는 떠나가서 이 이야기를 널리 알리고 퍼뜨리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예수님께서는 더 이상 드러나게 고을로 들어가지 못하시고, 바깥 외딴 곳에 머무르셨다. 그래도 사람들은 사방에서 그분께 모여들었다.
<font color="#F98701">'''2.'''</font> (1) 며칠 뒤에 예수님께서는 다시 가파르나움으로 들어가셨다. 그분께서 집에 계시다는 소문이 퍼지자, 문 앞까지 빈자리가 없을 만큼 많은 사람이 모여들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복음 말씀을 전하셨다. 그 때에 사람들이 중풍 병자 한 사람을 그분께 데리고 왔다. 그 병자는 네 사람이 들것에 들고 있었는데, 군중 때문에 그분께 가까이 데려갈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분께서 계신 곳의 지붕을 벗기고 구멍을 내어, 중풍 병자가 누워 있는 들것을 달아 내려보냈다. 예수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 병자에게, “얘야,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하고 말씀하셨다. 율법학자 몇 사람이 거기에 앉아 있다가 마음 속으로 의아하게 생각하였다. ‘이자가 어떻게 저런 말을 할 수 있단 말인가? 하느님을 모독하는군. 하느님 한 분 외에 누가 죄를 용서할 수 있단 말인가?’ 예수님께서는 곧바로 그들이 속으로 의아하게 생각하는 것을 당신 영으로 아시고 말씀하셨다. “너희는 어찌하여 마음 속으로 의아하게 생각하느냐? 중풍 병자에게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하고 말하는 것과 ‘일어나 네 들것을 가지고 걸어가라.’ 하고 말하는 것 가운데에서, 어느 쪽이 더 쉬우냐? 이제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너희가 알게 해 주겠다.” 그리고 나서 중풍 병자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 들것을 들고 집으로 돌아가라.” 그러자 그는 일어나 곧바로 들것을 가지고,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밖으로 걸어 나갔다. 이에 모든 사람이 크게 놀라 하느님을 찬양하며 말하였다. “이런 일은 일찍이 본 적이 없다.”
|주석=편집중
}}
{{4복음서}}
율곡의 소암노승
1884
3644
2005-07-26T14:34:14Z
아흔
9
rev.
{{시문틀|원문=
* 지은이: 율곡 이이 (李珥)
* 시체: 칠언절구 (七言絶句)
* 시운: 평성 <font color=#FC2B02>'東'</font> (동)
* 출전: 율곡집 (栗谷集)
----
<div style="font-size:120%; text-align:center">
<font color=#0E02FC>'''楓岳贈小菴老僧''' (풍악증소암노승)</font>
魚躍鳶飛上下同<br/>
(어약연비상하동)<br/>
這般非色亦非<font color=#FC2B02>空</font><br/>
(저반비색역비공)<br/>
等閑一笑看身世<br/>
(등한일소간신세)<br/>
獨立斜陽萬木<font color=#FC2B02>中</font><br/>
(독립사양만목중)<br/><br/>
</div>
<div style="text-align:left">
'''단풍 든 작은 암자의 늙은 중에게'''
고기 뛰놀고 솔개 날으는 것에 높고 낮음이 같다고 하니<br/>
이것은 눈에 띄는 것도 아니며 비어 있는 것도 아니라,<br/>
풋웃음으로 온갖 것 흘려보며 삶을 돌아보면서<br/>
해질 녘 숱한 나무들 사이에 홀로 섰노라.<br/>
</div>
|비평=
* 鳶飛魚躍 (연비어약): 시경(詩經)에서 "鳶飛戾天, 魚躍于淵"(연비여천, 어약우연)이라는 구절은 '바른 길은 높고 낮음이 없이 두루 찾아볼 수 있다' 라는 사실을 동물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율곡은 음운을 살리기 위하여 이 구절을 도치하여 쓰고 있다
* 這般 (저반): '이것' 위의 첫 절에서 말한 사실을 받는다.
* 色空 (색공): 세상에서 찾아볼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못한 것들, 다시 말해 한 편으로는 출세, 영예, 또 다른 한 편으로는 허무.
* 等閑 (등한): 이와 같은 '色' 과 '空'을 흘려본다.
* 身世 (신세): 자신의 처지 또는 꾸려가는 삶.
* 萬木 (만목): 숱한 나무, 다시 말해 세상 사람들 (tous le monde).
}}
[[Category:시]]
유대교/사두개인
1885
3572
2005-07-15T19:09:07Z
A-heun
22
set
== 사두개인의 유래 ==
사두개인은 아마 유대교의 사제 사독 (Zadok)의 후손으로 여겨지고 있다. 열왕기 상 (2.35)에 따르면 사독은 솔로몬 왕에 의해 새로 세운 성전의 제사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에언서 에제키엘 (40.46)에서는 사독의 후손들은 사제직을 대대로 이어받았다고 하며 이들을 유대교에서 이른바 레위(Levi)라 불렀다고 한다. 또한 사독의 후손들은 에루살렘 성전의 관리를 맞아서 하였다고 쓰여져 있다 (에제키엘 44. 10-31). 신약성서에 일컬어지고 있는 사두개인들은 아마 이와 같은 구약성서의 사독의 후손, 특히 예루살렘의 고위 사제들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약성서에서는 사두개인(코이네 '''Σαδδουκιοι''', saddoukoi)을 일종의 종파로 취급하고 있다.
== 사두개인과 바리새인 ==
== 신약성서에 묘사된 사두개인 ==
[[Category:유대교]]
[[Category:신약성서]]
분류:유대교
1886
3573
2005-07-15T19:09:32Z
A-heun
22
set
[[Category:종교]]
틀:전/과학자
1887
3575
2005-07-18T08:55:15Z
아흔
9
set
<!-- New entry-->
*
틀:전/예술가
1888
3576
2005-07-18T08:56:04Z
아흔
9
set
<!-- New entry-->
*
틀:입/문학
1889
3577
2005-07-18T08:56:19Z
아흔
9
set
<!-- New entry-->
*
틀:입/철학
1891
3579
2005-07-18T08:57:54Z
아흔
9
set
<!-- New entry-->
*
틀:입/역사
1892
3580
2005-07-18T08:59:06Z
아흔
9
set
<!-- New entry-->
*
틀:입/화학
1893
3581
2005-07-18T08:59:25Z
아흔
9
set
<!-- New entry-->
*
틀:입/정치
1894
3582
2005-07-18T08:59:41Z
아흔
9
set
<!-- New entry-->
*
틀:입/경제
1895
3583
2005-07-18T09:00:16Z
아흔
9
set
<!-- New entry-->
*
틀:입/생물
1896
3584
2005-07-18T09:00:40Z
아흔
9
set
<!-- New entry-->
*
틀:참/문학
1897
3586
2005-07-18T09:06:49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참/철학
1898
3587
2005-07-18T09:07:21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참/신학
1899
3588
2005-07-18T09:07:46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참/물리
1900
6628
2007-01-10T15:30:02Z
Kdaejin
148
<!-- New entry -->
*[[물리올림피아드]]
틀:참/심리
1901
3590
2005-07-18T09:08:54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참/역사
1902
3591
2005-07-18T09:09:23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참/화학
1903
3592
2005-07-18T09:09:50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참/법학
1904
6658
2007-01-16T05:43:02Z
Seabird33
150
<!-- New entry -->
*[[웹2.0과 지적재산권]]
틀:참/생물
1905
6635
2007-01-10T18:58:52Z
219.252.125.192
<!-- New entry -->
* [[면역학]]
* [[세포생물학]]
* [[신호전달]]
* [[분자생물학]]
* [[생화학]]
* [[생리학]]
틀:참/정치
1906
3595
2005-07-18T09:11:31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참/문화
1907
3596
2005-07-18T09:11:57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해/신학
1908
3599
2005-07-18T09:18:00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주/철학
1909
3601
2005-07-18T09:19:14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감/문학
1910
3604
2005-07-18T09:23:32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감/음악
1911
3605
2005-07-18T09:24:44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감/건축
1912
3606
2005-07-18T09:25:23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감/여행
1913
3607
2005-07-18T09:25:47Z
아흔
9
set
<!-- New entry -->
*
틀:전/기타
1914
4977
2006-04-24T13:41:03Z
220.121.51.68
<!-- New entry -->
* [[이순신]]
틀:가/건강
1915
3611
2005-07-18T09:31:25Z
아흔
9
set
<!-- New entry -->
*
최치원의 추야우중
1916
3643
2005-07-26T14:33:07Z
아흔
9
rev.
{{시문틀|원문=
* 지은이: 최치원 (崔致遠)
* 시체: 오언절구 (五言絶句)
* 시운: 평성 <font color=#FC2B02>侵</font> (침)
* 출전: 계원필경 (桂苑筆耕)
----
<div style="font-size:120%; text-align:center">
<font color=#0E02FC>'''秋夜雨中(추야우중)'''</font>
秋風惟苦吟<br/>
(추풍유고음)<br/>
擧世少知<font color=#FC2B02>音</font><br/>
(거세소지음)<br/>
窓外三更雨<br/>
(창외삼경우)<br/>
燈前萬里<font color=#FC2B02>心</font><br/>
(등전만리심)<br/><br/>
</div>
<div style="font-size:120%; text-align:left">
'''비 뿌리는 가을밤에'''
가을바람은 그저 쓸쓸히 불고<br/>
뭇사람은 이 소리 깨닫지 못하니<br/>
창밖에 비 뿌리며 깊어가는 밤에<br/>
등불을 마주한 머나먼 마음이라<br/>
</div>
|비평=
* 유 (惟): 오로지, 다만
* 거세 (擧世): 온 세상. 초사 (楚辭)에 '擧世皆濁 (거세개탁) 이라는 말은 '온 세상이 분주하고 번잡하다'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 삼경 (三更): 자정
}}
[[Category:시]]
분류:시
1917
3636
2005-07-22T11:56:44Z
A-heun
22
set
[[Category:비평서]]
틀:시문틀
1918
3642
2005-07-26T14:31:10Z
아흔
9
set
{| width="100%"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border-collapse:collapse;"
|-
| width="49%" valign="top" style="padding:1.5em 1.5em; background: #F3F3F9;" |
{{{원문}}}
| width="49%" valign="top" style="padding:1.5em 1.5em; background: #FFFFFA;" |
{{{비평}}}
|}
롱펠로우의 Excelsior
1919
3684
2005-07-29T11:01:42Z
아흔
9
계속 씀
{{시문틀|원문=
* 지은이: Henry Wadsworth Longfellow
* 시체: Ballad
* 출전: The complet poetical works of Longfellow
----
<div style="margin-top:2em; margin-bottom:2em; text-align:center; color:#0617B5; font-size:130%">'''EXCELSIOR'''</div>
The shades of night were falling fast,<br/>
As through an Alpine village passed<br/>
A youth, who bore, 'mid snow and ice,<br/>
A banner with the strange device,<br/>
<div style="text-align:center">Excelsior!</div>
His brow was sad; his eye beneath,<br/>
Flashed like a falchion from its sheath,<br/>
And like a sliver clarion rung<br/>
The accents of that unknown tongue,<br/>
<div style="text-align:center">Excelsior!</div>
In happy homes he saw the light<br/>
Of household fires gleam warm and bright;<br/>
Above, the spectral glaciers shone,<br/>
And from his lips escaped a groan,<br/>
<div style="text-align:center">Excelsior!</div>
“Try not the Pass!” the old man said;<br/>
“Dark lowers the tempest overhead,<br/>
The roaring torrent is deep and wide!”<br/>
And loud that clarion voice replied,<br/>
<div style="text-align:center">Excelsior!</div>
“Oh stay,” the maiden said, “and rest<br/>
Thy weary head upon this breast!”<br/>
A tear stood in his bright blue eye,<br/>
But still he answered, with a sigh,<br/>
<div style="text-align:center">Excelsior!</div>
“Beware the pine-tree's withered branch!<br/>
Beware the awful avalanche!”<br/>
this was the peasant's last Good-night,<br/>
A voice replied, far up the height,<br/>
<div style="text-align:center">Excelsior!</div>
At break of da, as heavenward<br/>
The pious monks of Saint Bernard<br/>
Utterd the oft-repeated prayer,<br/>
A voice cried through the startled air,<br/>
<div style="text-align:center">Excelsior!</div>
A traveller, by the faithful hound,<br/>
Half-buried in the snow was found<br/>
Stil grasping in his hand of ice<br/>
That banner with the stange device,<br/>
<div style="text-align:center">Excelsior!</div>
There in the twilight cold and gray,<br/>
Lifless, but beautiful, he lay,<br/>
And from the sky, serene and far,<br/>
A voice fell, like a falling star,<br/>
<div style="text-align:center">Excelsior!</div>
<div style="margin-top:2em; margin-bottom:2em; text-align:center; color:#0617B5; font-size:130%">'''드높이'''</div>
밤 그림자 서둘러 내려 앉을 무렵<br/>
알프스의 한 마을을 지나는<br/>
젊은이, 얼어 붙은 눈사이로,<br/>
낮선 문양을 담은 기발을 들고서,<br/>
<div style="text-align:center">드높이!</div>
슬픔에 잠긴 그 얼굴, 내리 깔은 눈은<br/>
마치 칼집에서 뽑은 언월도처럼 번쩍이며,<br/>
은빛 클라리언처럼 울려 퍼지는<br/>
이 미지의 사투리,<br/>
<div style="text-align:center">드높이!</div>
행복스런 산촌에서 불빛이<br/>
따듯하고 환하게 집 밖으로 비쳐나는 것을 보며,<br/>
산 위에는 굽이친 빙하가 빛나고,<br/>
그의 입가에서 번져나는 쓰린 한 마디,<br/>
<div style="text-align:center">드높이!</div>
“산길을 넘지 말게,” 말을 건네는 늙은이,<br/>
“어둠이 깔려, 키만큼 눈이 내리니<br/>
소리치는 여울은 깊고 넓다네!” <br/>
이에 클라리언 목소리는 세차게 외친다,<br/>
<div style="text-align:center">드높이!</div>
“기다려요” , 말을 건네는 아가씨,<br/>
“그대의 지친 이마를 이 가슴에 기대어요!” <br/>
그의 밝고 푸른 눈에선 눈물이 떠오르며,<br/>
한탄에 섞인 되내이는 한마디,<br/>
<div style="text-align:center">드높이!</div>
“소나무의 마른 가지를 조심하게나!<br/>
끔찍한 눈사태를 조심하게나!” <br/>
산지기의 마지막 밤인사에<br/>
저 높은 곳으로 외치는 목소리,<br/>
<div style="text-align:center">드높이!</div>
동틀 무렵, 성 베르나드의 경건한 수도자가<br/>
늘 하는 기도를 드릴 적,<br/>
놀란 바람결 따라 외치는 목소리,<br/>
<div style="text-align:center">드높이!</div>
나그네를 충실한 사냥개가,<br/>
반 쯤 눈에 묻혀 찾아내니<br/>
얼어 붙은 손아귀에는 아직도<br/>
낮선 문양을 담은 깃발을 움켜쥐고,<br/>
<div style="text-align:center">드높이!</div>
거기 희미한 아침녘,<br/>
숨없이 그러나 아름답게 그는 누워 있었고,<br/>
하늘에선, 한없이 맑게 갠,<br/>
마치 떨어지는 별처럼 울리는 목소리,<br/>
<div style="text-align:center">드높이!</div>
|비평=
}}
[[Category:시]]
MediaWiki:Skinpreview
1925
sysop
3754
2005-08-24T08:33:57Z
아흔
9
transl.
(미리보기)
MediaWiki:Unusedcategories
1935
sysop
6071
2006-09-28T17:00:49Z
아흔
9
rev.
쓰이지 않는 카테고리들
MediaWiki:Unusedcategoriestext
1936
sysop
3686
2005-07-29T11:08:31Z
아흔
9
transl.
다음의 카테고리들은 언젠가 만들어졌지만, 문서에 붙여 쓰여지지 않고 있습니다.
MediaWiki:Boardvote
1938
3687
2005-07-29T11:10:32Z
아흔
9
transl.
위키미디아 관리자 대표단 선거
MediaWiki:Sitematrix
1939
3691
2005-08-02T09:48:10Z
아흔
9
transl.
위키미디아의 위키들
보들레르의 창문
1942
3792
2005-09-02T15:57:54Z
아흔
9
계속
<div style="margin-left:18em; text-align:left; font-size:120%;">
* 지은이: Charles Pierre Baudelaire
* 시체: 산문시
* 출전: "Revue nationale" (1863년 12월 10일)
</div>
{{시문틀|원문=
<div style="margin-top:2em; margin-bottom:2em; text-align:center; color:#0617B5; font-size:130%">'''Les Fenêtres'''</div>
Celui qui regarde du dehors à travers une fenêtre ouverte, ne voit jamais autant de choses que celui qui regarde une fenêtre fermée. Il n'est pas d'objet plus profond, plus mystérieux, plus fécond, plus ténébreux, plus éblouissant qu'une fenêtre éclairée d'une chandelle. Ce qu'on peut voir au soleil est toujours moins intéressant que ce qui se passe derrière une vitre. Dans ce trou noir ou lumineux vit la vie, rêve la vie, souffre la vie.
Par delà des vagues de toits, j'aperçois une femme mûre, ridée déjà, pauvre, toujours penchée sur quelque chose, et qui ne sort jamais. Avec son visage, avec son vêtement, avec son geste, avec presque rien, j'ai refait l'histoire de cette femme, ou plutôt sa légende, et quelquefois je me la raconte à moi-même en pleurant.
Si c'eût été un pauvre vieux homme, j'aurais refait la sienne tout aussi aisément.
Et je me couche, fier d'avoir vécu et souffert dans d'autres que moi-même.
Peut-être me direz-vous: «Es-tu sûr que cette légende soit la vraie?» Qu'importe ce que peut être la réalité placée hors de moi, si elle m'a aidé à vivre, à sentir que je suis et ce que je suis?
|비평=
<div style="margin-top:2em; margin-bottom:2em; text-align:center; color:#0617B5; font-size:130%">'''창문'''</div>
열려진 창을 통해 밖을 바라보는 사람은 닫혀진 창을 바라보는 사람처럼 숱한 사물을 결코 보지 못한다. 촛불 밝혀진 창문보다 더욱 심오하고, 비밀스러우며, 풍부하고, 음울하며 빛나는 사물은 없다. 햇빛 아래에 볼 수 있는 것은 유리창 너머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그리 흥미롭지 않다. 이 검고 혹은 빛나는 구멍 안에 삶을 살아가고, 삶을 꿈꾸며, 삶을 번민한다.
나는 지붕의 물결 너머로 나이 들은 이미 주름살 잡힌 가난한 여인이 언제나 무엇 위에 몸을 굽히는 것을 지켜본다. 그녀는 결코 외출을 모르며, 그녀의 얼굴, 그녀의 옷, 그녀의 움직임, 이와 같은 거의 아무 것도 아닌 것들에서 나는 이 여인의 삶의 여정을 혹은 그녀의 과거를 다시 한 번 훝어 보며 그리고 이를 나 스스로에게 이야기하며 눈물짓는다.
만일 가난한 늙은 남자였었더라면 나는 그의 삶의 여정을 또한 아주 쉽게 다시 한 번 훑어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나는 잠을 청하며 나 자신에서보다 다른 사람 안에서 살고 번민하였다는 것에 뿌듯한 마음을 갖는다.
아마 너희들은 이렇게 말하겠지: "그 이야기가 정말 그런지 너 확신할 수 있어?" 나의 바깥에 있는 현실이 어떻게 되었건 그것이 내가 살고, 내가 존재하며, 내가 무엇을 느끼게 하는데 도와주었다면 그게 무슨 상관이람?
}}
[[Category:시]]
마르코의 복음서/2.13-2.17
1943
3700
2005-08-18T11:20:42Z
A-heun
22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1.21-2.12|2.18-3.12|마가복음}}
== 세리 레위 ==
{{주석틀|장=2|
원문= (13) 예수님께서 다시 호숫가로 나가셨다. 군중이 모두 모여 오자 예수님께서 그들을 가르치셨다. 그 뒤에 길을 지나가시다가 세관에 앉아 있는 알패오의 아들 레위를 보시고, “나를 따라라.”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레위는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 예수님께서 그의 집에서 음식을 드시게 되었는데, 많은 세리와 죄인도 예수님과 그분의 제자들과 자리를 함께하였다. 이런 이들이 예수님을 많이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바리사이파 율법학자들은, 예수님께서 죄인들과 세리들과 함께 음식을 잡수시는 것을 보고 그분의 제자들에게, “저 사람은 어째서 세리들과 죄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이오?” 하고 말하였다. 예수님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건강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보들레르의 군중
1944
3828
2005-09-06T16:53:51Z
아흔
9
계속
<div style="margin-left:20em; text-align:left; font-size:120%;">
* 지은이: Charles Pierre Baudelaire
* 시체: 산문시
* 출전: "Revue fantaisiste" (1861년 11월 1일)
</div>
{{시문틀|원문=
<div style="margin-top:2em; margin-bottom:2em; text-align:center; color:#0617B5; font-size:130%">'''Les Foules'''</div>
Il n'est pas donné à chacun de prendre un bain de multitude: jouir de la foule est un art; et celui-là seul peut faire, aux dépens du genre humain une ribote de vitalité, à qui une fée a insufflé dans son berceau le goût du travestissement et du masque, la haine de domicle et la passion du voyage.
Multitude, solitude: termes égaux et converotable pour le poète actif et fécond. Qui ne sais pas peupler as soilitude, ne sait pas non plus être seul dans une foule affairée.
Le poète jouit de cet incomparable privilège, qu'il peut à sa guise être lui-même et autrui. Comme ces âmes errantes qui cherchent un corps, il entre, quand il veut, dans le personnage de chacun. Pour lui seul, tout est vacant; et si de certaines places paraissent lui être
fermées, c'est qu'à ses yeux elles ne valent pas la peine d'être visitées.
Le promeneur solitaire et pensif tire une singulière ivresse de cette universelle communion. Celui-là qui épouse facilement la foule connaît des jouissances fiévreuses, dont seront éternellement privés l'égoïste, fermé comme un coffre, et le paresseux, interné comme un mollusque. Il adopte comme siennes toutes les professions, toutes les joies et toutes les misères que la circonstance lui présente.
Ce que les hommes nomment amour est bien petit, bien restreint et bien faible, comparé à cette ineffable orgie, à cette sainte prostitution de l'âme qui se donne tout entière, poésie et charité, à l'imprévu qui se montre, à l'inconnu qui passe.
Il est bon d'apprendre quelquefois aux heureux de ce monde, ne fût-ce que pour humilier un instant leur sot orgueil, qu'il est des bonheurs supérieurs au leur, plus vastes et plus raffinés. Les fondateurs de colonies, les pasteurs de de peuples, les prêtres missionaires
exilés au bout du monde, connaissent sans doute quelque chose de ces mystérieuses ivresses; et, au sein de la vaste famille que leur génie s'est faite, ils doivent rire quelquefois de ceux qui les plaignent pour leur fortune si agitée et pour leur vie si chaste.
|비평=
<div style="margin-top:2em; margin-bottom:2em; text-align:center; color:#0617B5; font-size:130%">'''군중'''</div>
군중 속에서 헤엄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군중을 즐기는 것은 한 예술이다. 이를 할 수 있는 사람만이 오직 사람을 수단으로 삶의 활기를 누릴 수 있으며, 한 요정이 태어나면서부터 그에게 변장하고 가면을 쓰는 기쁨과 자질구레한 집안일에 염증을 느끼고 그리고 여행에 대한 열정을 주었다.
대중, 고독: 창작에 열중하는 시인에게는 동일하고 교체할 수 있는 개념. 자신의 고독에 사람이 살도록 할줄 모르는 사람은 역시 왁자지걸한 군중들 가운데에서 홀로 존재할줄 모른다.
시인은 제 마음대로 스스로 그리고 다른 사람으로 존재할 수 있는 비교할 수 없는 특권을 갖고 있다. 마치 육체를 찾아 헤매는 영혼처럼 그는 원하는대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 오로지 그에게 모든 것은 자유롭다. 때로는 어떤 장소들이 폐쇄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다만 그들을 찾는 것이 그의 눈에는 별로 유익하지 않기 때문이다.
외롭고 그리고 곰곰 생각하는 산책자는 이와 같은 보편적인 친화감에서 유일한 희열을 얻는다. 군중들 틈에 쉽게 섞이는 사람은 뜨거운 쾌락을 알고 있으며, 마치 돈궤짝에 틀어박힌 이기주의자나 또는 연체동물처럼 껍질 안에 웅크리고 있는 게으름벵이는 이와 같은 쾌락을 영원히 포기할 수 밖에 없다. 그는(시인)은 모든 직업들을 마치 제것인 양 하며, 마치 상황들이 모든 기쁨 그리고 모든 슬픔을 그에게 안겨 주기라도 하는 것처럼 역시 제것인 양 한다.
}}
[[Category:시]]
MediaWiki:Ipblocklistempty
1947
sysop
4832
2006-03-10T14:17:15Z
아흔
9
transl.
접속 차단자 명단 비어있음.
MediaWiki:Mostlinked
1949
sysop
3742
2005-08-24T08:12:17Z
아흔
9
transl.
가장 많이 링크된 문서들
MediaWiki:Namespacesall
1950
sysop
4589
2006-01-25T15:34:37Z
아흔
9
transl.
모두
MediaWiki:Fileuploadsummary
1953
3740
2005-08-24T08:08:32Z
아흔
9
transl.
간추린 내용
MediaWiki:Permalink
1954
3747
2005-08-24T08:20:57Z
아흔
9
set
앞뒤 버전
MediaWiki:Prefixindex
1955
4862
2006-03-22T16:48:36Z
아흔
9
rev.
첫 글자로 낱말 찾기
MediaWiki:Deletedwhileediting
1957
sysop
5352
2006-05-27T07:22:33Z
아흔
9
transl.
'''주의''': 이 페이지는 참여자께서 편집을 시작한 뒤 그리고 끝마치기 전에 삭제 되었습니다!
MediaWiki:Fileexists-forbidden
1958
sysop
4721
2006-02-16T18:01:54Z
아흔
9
transl.
이 이름의 파일이 이미 존재합니다. 다른 새로운 이름으로 파일을 올리시기 바랍니다. [[Image:$1|thumb|center|$1]]
MediaWiki:Fileexists-shared-forbidden
1959
sysop
4722
2006-02-16T18:03:46Z
아흔
9
transl.
이 이름의 파일은 공용으로 쓰이는 이름으로 존재합니다. 다른 새로운 이름으로 파일을 올리시기 바랍니다. [[Image:$1|thumb|center|$1]]
MediaWiki:Loginreqlink
1962
sysop
4644
2006-01-28T03:13:41Z
아흔
9
transl.
로그인
MediaWiki:Showhidebots
1968
sysop
4709
2006-02-16T16:57:52Z
아흔
9
tranls.
($1 로봇)
틀:재편집
1976
edit=sysop:move=sysop
6578
2007-01-03T16:57:46Z
아흔
9
rev.
<p clear="all">
<div id="basicbox" style="padding:1em">
[[그림:Icon-09a.jpg|float|left|]] 내용을 보다 알차게 한다는 전제조건 밑에서 참여자께서는 이 문서를 재편집하실 수 있습니다.<br/>누가 언제 마지막으로 글을 썼으며 그리고 쓰고 있는지는 [http://ko.wikibooks.org/w/index.php?title={{PAGENAMEE}}&action=history 문서역사]를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덧붙이는 말:{{{참조}}}
</div>
마르코의 복음서/13.24-13.37
1977
3843
2005-09-06T18:20:58Z
아흔
9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13.14-13.23|14.1-14.11|마가복음}}
== 나타날 사람의 아들 ==
{{주석틀|장=13|
원문= "그 무렵 환난에 뒤이어 해는 어두워지고 달은 빛을 내지 않으며 별들은 하늘에서 떨어지고 하늘의 세력들은 흔들릴 것이다. 그 때에 ‘사람의 아들이’ 큰 권능과 영광을 떨치며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사람들이 볼 것이다. 그 때에 사람의 아들은 천사들을 보내어, 자기가 선택한 이들을 땅 끝에서 하늘 끝까지 사방에서 모을 것이다.
너희는 무화과나무를 보고 그 비유를 깨달아라. 어느덧 가지가 부드러워지고 잎이 돋으면 여름이 가까이 온 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너희도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사람의 아들이 문 가까이 온 줄 알아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세대가 지나기 전에 이 모든 일이 일어날 것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내 말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 날과 그 시간은 아무도 모른다. 하늘의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아버지만 아신다. 너희는 조심하고 깨어 지켜라. 그 때가 언제 올지 너희가 모르기 때문이다. 그것은 먼길을 떠나는 사람의 경우와 같다. 그는 집을 떠나면서 종들에게 권한을 주어 각자에게 할 일을 맡기고, 문지기에게는 깨어 있으라고 분부한다. 그러니 깨어 있어라. 집주인이 언제 돌아올지, 저녁일지, 한밤중일지, 닭이 울 때일지, 새벽일지 너희가 모르기 때문이다. 주인이 갑자기 돌아와 너희가 잠자는 것을 보는 일이 없도록 하여라. 내가 너희에게 하는 이 말은 모든 사람에게 하는 말이다. 깨어 있어라."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루가의 복음서/21.25-21.38
1978
3846
2005-09-06T18:27:39Z
아흔
9
{{계속|주석서|루가의 복음서|21.5-21.24|22.1-22.6|루가복음}}
== 나타날 사람의 아들 ==
{{주석틀|장=21|
원문="그리고 해와 달과 별들에는 표징들이 나타나고, 땅에서는 바다와 풍랑의 굉음에 자지러진 민족들이 공포에 휩싸일 것이다. 사람들은 세상에 닥쳐오는 것들에 대한 두려운 예감으로 까무러칠 것이다. 하늘의 세력들이 흔들릴 것이기 때문이다. 그 때에 ‘사람의 아들이’ 권능과 큰 영광을 떨치며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사람들이 볼 것이다.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기 시작하거든 허리를 펴고 머리를 들어라. 너희의 속량이 가까웠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는 이어서 그들에게 비유 하나를 말씀하셨다. "무화과나무와 다른 모든 나무를 보아라. 잎이 돋자마자, 너희는 그것을 보고 여름이 이미 가까이 온 줄을 저절로 알게 된다. 이와 같이 너희도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온 줄 알아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세대가 지나기 전에 모든 일이 일어날 것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내 말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너희는 스스로 조심하여, 방탕과 만취와 일상의 근심으로 너희 마음이 물러지는 일이 없도록 하여라. 그리고 그 날이 너희를 덫처럼 갑자기 덮치지 않게 하여라. 그 날은 온 땅 위에 사는 모든 사람에게 들이닥칠 것이다. 너희는 앞으로 일어날 이 모든 일에서 벗어나 사람의 아들 앞에 설 수 있는 힘을 지니도록 늘 깨어 기도하여라."
예수님께서 낮에는 성전에서 가르치시고, 밤에는 올리브 산이라고 불리는 곳으로 나가 묵곤 하셨다. 온 백성은 그분의 말씀을 들으려고 성전에 계신 그분께 이른 아침부터 모여들었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태오의 복음서/24.29-24.44
1979
3847
2005-09-06T18:32:07Z
아흔
9
새글
{{계속|주석서|마태오의 복음서|24.15-24.28|24.45-24.51|마태복음}}
== 나타날 사람의 아들 ==
{{주석틀|장=24|
원문="그 무렵 환난이 지난 뒤, 곧바로 해는 어두워지고, 달은 빛을 내지 않으며, 별들은 하늘에서 떨어지고, 하늘의 세력들은 흔들릴 것이다. 그 때 하늘에 사람의 아들의 표징이 나타날 것이다. 그러면 세상의 모든 부족이 가슴을 치면서, ‘사람의 아들이’ 큰 권능과 영광을 떨치며 ‘하늘의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볼 것이다. 그리고 그는 큰 나팔 소리와 함께 자기 천사들을 보낼 터인데, 그들은 그가 선택한 이들을 하늘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사방에서 모을 것이다.
너희는 무화과나무를 보고 그 비유를 깨달아라. 어느덧 가지가 부드러워지고 잎이 돋으면 여름이 가까이 온 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너희도 이 모든 일을 보거든, 사람의 아들이 문 가까이 온 줄 알아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세대가 지나기 전에 이 모든 일이 일어날 것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내 말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 날과 그 시간은 아무도 모른다. 하늘의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오로지 아버지만 아신다. 노아 때처럼 사람의 아들의 재림 때에도 그러할 것이다. 홍수 이전 시대에 사람들은 노아가 방주에 들어가는 날까지 먹고 마시고 장가들고 시집가고 하면서, 홍수가 닥쳐 모두 휩쓸어 갈 때까지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 사람의 아들의 재림 때에도 그러할 것이다. 그 때에 두 사람이 들에 있으면, 하나는 데려가고 하나는 버려 둘 것이다. 두 여자가 맷돌을 갈고 있으면, 하나는 데려가고 하나는 버려 둘 것이다. 그러니 깨어 있어라. 너희의 주인이 어느 날에 올지 너희가 모르기 때문이다. 이것을 명심하여라. 도둑이 밤 몇 시에 올지 집주인이 알면, 깨어 있으면서 도둑이 자기 집을 뚫고 들어오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다. 그러니 너희도 준비하고 있어라. 너희가 생각하지도 않은 때에 사람의 아들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플루타크 영웅전/페리클레스
1980
3857
2005-09-06T18:45:14Z
아흔
9
새글
{{계속|전기|플루타크 영웅전|카밀루스|파비우스 막시무스|플루타크 영웅전}}
마르코의 복음서/2.18-3.12
1981
3876
2005-09-07T16:22:29Z
아흔
9
rev.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2.13-2.17|3.13-3.19|마가복음}}
{{함께보기|단식과 안식일|[[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2.1-8; [[루가의 복음서|루가]] 6.1-5}}
{{주석틀|장=2|
원문= "요한의 제자들과 바리사이들이 금식하고 있었다. 사람들이 예수님께 와서, "요한의 제자들과 바리사이의 제자들은 금식을 하는데, 선생님의 제자들은 왜 금식을 하지 않습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혼인 잔치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는 동안에 금식을 할 수야 없지 않느냐? 신랑이 함께 있는 동안에는 금식을 할 수 없다. 그러나 그들이 신랑을 빼앗길 날이 올 것이다. 그 때에는 그들도 금식을 하게 될 것이다. 아무도 새 천조각을 헌 옷에 대고 깁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헌 옷에 기워 댄 새 헝겊이 그 옷을 당겨 더 심하게 찢어진다. 또한 아무도 새 포도주를 헌 가죽 부대에 담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포도주가 부대를 터뜨려 포도주도 부대도 버리게 된다.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밀밭 사이를 질러 가시게 되었다. 그런데 그분의 제자들이 길을 내고 가면서 밀 이삭을 뜯기 시작하였다. 바리사이들이 예수님께, "보십시오. 저들은 어째서 안식일에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합니까?" 하고 말하였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다윗과 그 일행이 먹을 것이 없어 배가 고팠을 때, 다윗이 어떻게 하였는지 너희는 읽어 본 적이 없느냐? 에비아달 대사제 때에 그가 하느님의 집에 들어가, 사제들이 아니면 먹어서는 안 되는 제사 빵을 먹고 함께 있는 이들에게도 주지 않았느냐?" 이어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안식일이 사람을 위하여 생긴 것이지, 사람이 안식일을 위하여 생긴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사람의 아들은 또한 안식일의 주인이다."
'''3''' 예수님께서 다시 회당에 들어가셨는데, 그 곳에 한쪽 손이 오그라든 사람이 있었다. 사람들은 예수님을 고발하려고, 그분께서 안식일에 그 사람을 고쳐 주시는지 지켜 보고 있었다. 예수님께서 손이 오그라든 사람에게 "일어나 가운데로 나오너라." 하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안식일에 좋은 일을 하는 것이 합당하냐? 남을 해치는 일을 하는 것이 합당하냐? 목숨을 구하는 것이 합당하냐? 죽이는 것이 합당하냐?" 그러나 그들은 입을 열지 않았다. 그분께서는 노기를 띠시고 그들을 둘러보셨다. 그리고 그들의 마음이 완고한 것을 몹시 슬퍼하시면서 그 사람에게, "손을 뻗어라." 하고 말씀하셨다. 그가 손을 뻗자 그 손이 다시 성하여졌다. 바리사이들은 나가서 곧바로 헤로데 당원들과 더불어 어떻게 예수님을 없앨까 모의를 하였다.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호숫가로 물러가셨다. 그러자 갈릴래아에서 큰 무리가 따라왔다. 또 유다와 예루살렘, 이두매아와 요르단 건너편, 그리고 띠로와 시돈 근처에서도 그분께서 하시는 일을 전해 듣고 큰 무리가 그분께 몰려왔다. 예수님께서는 군중이 당신을 밀쳐대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시려고, 당신께서 타실 거룻배 한 척을 마련하라고 제자들에게 이르셨다. 그분께서 많은 사람의 병을 고쳐 주셨으므로, 병고에 시달리는 이들은 누구나 그분에게 손을 대려고 밀려들었기 때문이다. 또 더러운 영들은 그분을 보기만 하면 그 앞에 엎드려, "당신은 하느님의 아드님이십니다!" 하고 소리질렀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당신을 사람들에게 알리지 말라고 엄하게 이르곤 하셨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3.13-3.19
1982
3859
2005-09-07T14:49:40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2.18-3.12|3.20-3.21|마가복음}}
== 열두 제자 ==
{{주석틀|장=3|
원문= 예수님께서 산에 올라가신 다음, 당신께서 원하시는 이들을 부르시니 그들이 그분께 나아갔다. 그분께서는 열둘을 세우시고 그들을 사도라 이름하셨다. 그들을 당신과 함께 지내게 하시고, 그들을 파견하시어 복음을 선포하게 하시며, 마귀들을 쫓아 내는 권한을 가지게 하시려는 것이었다. 이렇게 예수님께서 열둘을 세우셨는데, 그들은 베드로라는 이름을 붙여 주신 시몬, ‘천둥의 아들들’이라는 뜻으로 보아네르게스라는 이름을 붙여 주신,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그의 동생 요한, 그리고 안드레아, 필립보, 바르톨로메오, 마태오, 토마,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타대오, 열혈당원 시몬, 또 예수님을 팔아 넘긴 유다 이스가리옷이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3.20-3.21
1983
3861
2005-09-07T15:01:44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3.13-3.19|3.22-3.30|마가복음}}
== 예수의 친척 ==
{{주석틀|장=3|
원문= 20 예수님께서 집으로 가셨다. 그러자 군중이 다시 모여들어 예수님의 일행은 음식을 들 수조차 없었다. 21 그런데 예수님의 친척들이 소문을 듣고 그분을 붙잡으러 나섰다. 그들은 예수님께서 미쳤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
주석=편집중
계속: [[마르코의 복음서/3.31-3.35|예수의 친척]]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3.22-3.30
1984
3862
2005-09-07T15:02:42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3.20-3.21|3.31-3.35|마가복음}}
== 악령(베엘제불)과 성령 ==
{{주석틀|장=3|
원문= 한편 예루살렘에서 내려온 율법학자들이, "그는 베엘제불이 들렸다."고도 하고, "그는 마귀 우두머리의 힘을 빌려 마귀들을 쫓아 낸다."고도 하였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부르셔서 비유를 들어 말씀하셨다. "사탄이 어떻게 사탄을 쫓아 낼 수 있느냐? 한 나라가 갈라서면 그 나라는 버티어 내지 못한다. 한 집안이 갈라서면 그 집안은 버티어 내지 못할 것이다. 사탄도 자신을 거슬러 일어나 갈라서면 버티어 내지 못하고 끝장이 난다. 먼저 힘센 자를 묶어 놓지 않고서는, 아무도 그 힘센 자의 집에 들어가 재물을 털어 낼 수 없다. 묶어 놓은 뒤에야 그 집을 털어 낼 수 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사람들이 짓는 모든 죄와 그들이 하느님을 모독하는 어떠한 말도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자는 영원히 용서를 받지 못하고 영원한 죄에 매이게 된다." 이 말씀을 하신 것은, 사람들이 "그는 더러운 영이 들렸다." 하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3.31-3.35
1985
3863
2005-09-07T15:06:33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3.22-3.30|4.1-4.20|마가복음}}
== 예수의 친척 ==
{{주석틀|장=3|
원문= 그 때에 예수님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왔다. 그들은 밖에 서서 사람을 보내어 예수님을 불렀다. 그분 둘레에는 군중이 앉아 있었는데, 사람들이 예수님께 "보십시오. 스승님의 어머님과 형제들과 누이들이 밖에서 스승님을 찾고 계십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누가 내 어머니이며 내 형제들이냐?" 하고 반문하셨다. 그리고 나서 당신 주위에 앉은 사람들을 둘러보시며 말씀하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이며 내 형제들이다.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이다."
|
주석=편집중
앞에 말한: [[마르코의 복음서/3.20-3.21|예수의 친척]]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4.1-4.20
1986
3864
2005-09-07T15:11:30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3.31-3.35|4.21-4.25|마가복음}}
==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 ==
{{주석틀|장=4|
원문= 예수님께서 다시 호숫가에서 가르치기 시작하셨다. 너무 많은 군중이 모여들어, 그분께서는 호수에 있는 배에 올라 앉으시고 군중은 모두 호숫가 뭍에 그대로 있었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많은 것을 비유로 가르치셨다. 그렇게 가르치시면서 말씀하셨다. "자, 들어 보아라. 씨 뿌리는 사람이 씨를 뿌리러 나갔다. 그가 씨를 뿌리는데, 어떤 것은 길에 떨어져 새들이 와서 먹어 버렸다. 어떤 것은 흙이 많지 않은 돌밭에 떨어졌다. 흙이 깊지 않아 싹은 곧 돋아났지만 해가 솟아오르자 타고 말았다. 뿌리가 없어서 말라 버린 것이다. 또 어떤 것은 가시덤불 속에 떨어졌는데, 가시덤불이 자라면서 숨을 막아 버려 열매를 맺지 못하였다. 그러나 어떤 것들은 좋은 땅에 떨어져, 싹이 나고 자라서 열매를 맺었다. 그리하여 어떤 것은 서른 배, 어떤 것은 예순 배, 어떤 것은 백 배의 열매를 맺었다." 예수님께서는 이어서 "들을 귀 있는 사람은 들어라." 하고 말씀하셨다.
예수님께서 혼자 계실 때, 그분 둘레에 있던 이들이 열두 제자와 함께 가서 비유들의 뜻을 물었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너희에게는 하느님 나라의 신비가 주어졌지만, 저 바깥 사람들에게는 모든 것이 그저 비유로만 다가간다. ‘보고 또 보아도 알아보지 못하고 듣고 또 들어도 깨닫지 못하여 저들이 돌아와 용서받는 일이 없게 하려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또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이 비유를 알아듣지 못하겠느냐? 그러면서 어떻게 모든 비유를 깨달을 수 있겠느냐? 씨 뿌리는 사람은 실상 말씀을 뿌리는 것이다. 말씀이 길에 뿌려지는 사람들은 이러하다. 그들이 말씀을 들으면 사탄이 곧바로 와서 그들 안에 뿌려진 말씀을 앗아가 버린다. 그리고 말씀이 돌밭에 뿌려지는 사람들은 이러하다. 그들은 말씀을 들으면 곧 기쁘게 받는다. 그러나 그들에게 뿌리가 없어서 오래가지 못한다. 그래서 말씀 때문에 환난이나 박해가 일어나면 곧 걸려 넘어지고 만다. 또 다른 이들은 말씀이 가시덤불 속에 뿌려지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말씀을 듣기는 하지만, 세상 걱정과 재물의 유혹과 그 밖의 여러 가지 욕심이 들어가, 그 말씀의 숨을 막아 버려 열매를 맺지 못한다. 그러나 말씀이 좋은 땅에 뿌려진 사람들은 이러하다. 그들은 말씀을 듣고 받아들여, 어떤 이는 서른 배, 어떤 이는 예순 배, 어떤 이는 백 배의 열매를 맺는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4.21-4.25
1987
3865
2005-09-07T15:14:17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4.1-4.20|4.26-4.34|마가복음}}
== 빛과 등불의 비유 ==
{{주석틀|장=4|
원문= 예수님께서 또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누가 등불을 가져다가 함지 속에나 침상 밑에 두겠느냐? 등경 위에 두지 않느냐? 숨겨진 것도 드러나게 마련이고 감추어진 것도 드러나게 되어 있다. 누구든지 들을 귀가 있거든 들어라."
예수님께서 다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새겨들어라. 너희가 되어서 주는 만큼 되어서 받고 거기에 더 보태어 받을 것이다. 정녕 가진 자는 더 받고 가진 것 없는 자는 가진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4.26-4.34
1988
3866
2005-09-07T15:17:13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4.21-4.25|4.35-4.41|마가복음}}
== 자라나는 씨앗의 비유 ==
{{주석틀|장=4|
원문= 예수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하느님의 나라는 이와 같다. 어떤 사람이 땅에 씨를 뿌려 놓으면, 밤에 자고 낮에 일어나고 하는 사이에 씨는 싹이 터서 자라는데, 그 사람은 어떻게 그리 되는지 모른다. 땅이 저절로 열매를 맺게 하는데, 처음에는 줄기가, 다음에는 이삭이 나오고 그 다음에는 이삭에 속이 찬 낟알이 맺힌다. 곡식이 익으면 그 사람은 곧 낫을 댄다. 수확 때가 되었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하느님의 나라를 무엇에 비길까? 무슨 비유로 그것을 나타낼까? 하느님의 나라는 겨자씨와 같다. 땅에 뿌릴 때에는 세상의 어떤 씨앗보다도 작다. 그러나 땅에 뿌려지면 자라나서 어떤 풀보다도 커지고 큰 가지들을 뻗어, 하늘의 새들이 그 그늘에 깃들일 수 있게 된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이처럼 많은 비유로 말씀을 하셨다. 비유를 들지 않고는 그들에게 말씀하지 않으셨다. 그러나 당신의 제자들에게는 따로 모든 것을 풀이해 주셨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4.35-4.41
1989
3867
2005-09-07T15:21:18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4.26-4.34|5.1-5.20|마가복음}}
== 풍랑과 믿음 ==
{{주석틀|장=4|
원문= 그 날 저녁이 되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호수 저쪽으로 건너가자." 하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그들이 군중을 남겨 둔 채, 배에 타고 계신 예수님을 그대로 모시고 갔는데, 다른 배들도 그분을 뒤따랐다. 그 때에 거센 돌풍이 일어 물결이 배 안으로 들이쳐서, 물이 배에 거의 가득 차게 되었다. 그런데도 예수님께서는 고물에서 베개를 베고 주무시고 계셨다. 제자들이 예수님을 깨우며, "스승님, 저희가 죽게 되었는데도 걱정되지 않으십니까?" 하고 말하였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깨어나시어 바람을 꾸짖으시고 호수에게, "잠잠해져라. 조용히 하여라!" 하고 이르시니 바람이 멎고 아주 고요해졌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왜 겁을 내느냐?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 하고 말씀하셨다. 그들은 큰 두려움에 사로잡혀 서로 말하였다. "도대체 이분이 누구시기에 바람과 호수까지 복종하는가?"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틀:함께보기
1990
3874
2005-09-07T16:18:32Z
아흔
9
rev.
<div style="margin-top:2em; margin-bottom:1em; padding:0 1em 0 1em; border:0; background-color:#E7E6E7; font-size:120%">
'''{{{1}}}''' <font-size=-3><code>([[공관복음서|함께 보기]] ► {{{2}}})</code></font>
</div>
공관복음서
1991
3869
2005-09-07T15:48:34Z
아흔
9
새글
공관 복음서는 '함께 보기', 한자어 '共觀'이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συνόψις''' (synopsis)에서 유래하는 [[신약성서 입문|신약성서]] 연구에 쓰이는 낱말이다. 오늘날 공관 복음서는 [[요한의 복음서]]를 제외한 세 복음서 [[마태오의 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 그리고 [[루가의 복음서]]를 일컫는다.
== 공관 복음서의 유래 ==
== 복음서의 출처와 공관 복음서의 연구 ==
== 공관 복음서의 문제점 ==
[[Category:신약성서]]
신약성서 입문/공관복음
1992
3870
2005-09-07T15:49:51Z
아흔
9
#REDIRECT [[공관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5.1-5.20
1993
3873
2005-09-07T16:17:48Z
아흔
9
rev.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4.35-4.41|5.21-5.43|마가복음}}
{{함께보기|더러운 악령의 추방|[[마태오의 복음서|마태]] 8.28-34; [[루가의 복음서|루가]] 8.26-39}}
{{주석틀|장=5|
원문= 그들은 호수 건너편 게라사인들의 지방으로 갔다. 예수님께서 배에서 내리시자마자,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이 무덤에서 나와 그분께 마주 왔다. 그는 무덤에서 살았는데, 어느 누구도 더 이상 그를 쇠사슬로 묶어 둘 수가 없었다. 이미 여러 번 족쇄와 쇠사슬로 묶어 두었으나, 그는 쇠사슬도 끊고 족쇄도 부수어 버려 아무도 그를 휘어잡을 수가 없었다. 그는 밤낮으로 무덤과 산에서 소리를 지르고 돌로 제 몸을 치곤 하였다. 그는 멀리서 예수님을 보고 달려와 그 앞에 엎드려 절하고, 큰 소리로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의 아들 예수님, 당신께서 저희와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하느님의 이름으로 당신께 말합니다. 저를 괴롭히지 말아 주십시오." 하고 외쳤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더러운 영아, 그 사람에게서 나가라." 하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네 이름이 무엇이냐?" 하고 물으시자, 그가 “제 이름은 군대입니다. 저희 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나서 예수님께 자기들을 그 지방 밖으로 쫓아 내지 말아 달라고 간곡히 청하였다. 마침 그 곳 산 쪽에 큰 돼지 떼가 풀을 뜯고 있었다. 그래서 더러운 영들이 예수님께, "저희를 돼지들에게 보내시어 그 속으로 들어가게 해 주십시오." 하고 청하였다. 예수님께서 허락하시니 더러운 영들이 나와 돼지들 속으로 들어갔다. 그러자 이천 마리쯤 되는 돼지 떼가 호수를 향해 비탈을 내리달려, 호수에 빠져 죽고 말았다. 돼지를 치던 이들이 달아나 그 곳 고을과 여러 촌락에 알렸다. 그러자 사람들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보려고 왔다. 그들은 예수님께 와서 마귀 들렸던 사람, 곧 군대라고 불리는 마귀가 들렸던 사람이9) 옷을 입고 제정신으로 앉아 있는 것을 보고는 그만 겁이 났다. 그 일을 본 사람들이 마귀 들렸던 이와 돼지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그들에게 이야기해 주었다. 그러자 그들은 예수님께 저희 고장에서 떠나 달라고 청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예수님께서 배에 오르시자, 마귀 들렸던 이가 예수님께 같이 있게 해 주십사고 청하였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허락하지 않으시고 그에게 말씀하셨다. "집으로 가족들에게 돌아가, 주님께서 너에게 해 주신 일과 자비를 베풀어 주신 일을 모두 알려라." 그래서 그는 물러가, 예수님께서 자기에게 해 주신 모든 일을 데카폴리스 지방에 선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사람들이 모두 놀랐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5.21-5.43
1994
3877
2005-09-07T16:38:22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5.1-5.20|6.1-6.6|마가복음}}
{{함께보기|병든 여인을 고치고 야이로의 딸을 되살리다|[[마태오의 복음서|마태]] 9.18-26; [[루가의 복음서|루가]] 8.40-56}}
{{주석틀|장=5|
원문= 예수님께서 배를 타시고 다시 건너편으로 가시자 많은 군중이 그분께 모여들었다. 예수님께서 호숫가에 계시는데, 야이로라는 한 회당장이 와서 예수님을 뵙고 그분 발 앞에 엎드려, "제 어린 딸이 죽게 되었습니다. 가셔서 아이에게 손을 얹으시어 그 아이가 병이 나아 다시 살게 해 주십시오." 하고 간곡히 청하였다. 그리하여 예수님께서는 그와 함께 나서시었다. 큰 군중이 그분을 따르며 밀쳐댔다. 그 가운데에 열두 해 동안이나 하혈하는 부인이 있었다. 그 여자는 많은 의사의 손에 숱한 고생을 하며 가진 것을 모두 쏟아 부었지만, 아무 효험도 없이 상태만 더 나빠졌다. 그가 예수님의 소문을 듣고, 군중에 섞여 예수님 뒤로 가서 그분의 옷에 손을 대었다. ‘내가 저분의 옷에 손을 대기만 하여도 구원을 받겠지.’ 하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과연 곧바로 출혈이 멈추고 병이 나은 것을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 예수님께서는 곧 당신에게서 힘이 나간 것을 아시고 군중에게 돌아서시어, "누가 내 옷에 손을 대었느냐?" 하고 물으셨다. 그러자 제자들이 예수님께 반문하였다. "보시다시피 군중이 스승님을 밀쳐대는데 ‘누가 나에게 손을 대었느냐?’ 하고 물으십니까?"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누가 그렇게 하였는지 보시려고 사방을 살피셨다. 그 부인은 자기에게 일어난 일을 알았기 때문에, 두려워 떨며 나와서 예수님 앞에 엎드려 사실대로 다 아뢰었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 여자에게 이르셨다. "딸아,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평화로이 가라. 그리고 병에서 벗어나 건강하여라."
예수님께서 아직 말씀하고 계실 때에 회당장의 집에서 사람들이 와서는, "따님이 죽었습니다. 그러니 이제 스승님을 수고롭게 할 필요가 어디 있겠습니까?" 하고 말하였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말하는 것을 곁에서 들으시고 회당장에게 말씀하셨다.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여라." 그리고 베드로와 야고보와 야고보의 동생 요한 외에는 아무도 당신을 따라오지 못하게 하셨다. 그들이 회당장의 집에 이르렀다. 예수님께서는 소란한 모습이며 사람들이 큰 소리로 울며 탄식하는 것을 보시고, 안으로 들어가셔서 그들에게, "어찌하여 소란을 피우며 울고 있느냐? 저 아이는 죽은 것이 아니라 자고 있다." 하고 말씀하셨다. 그들은 예수님을 비웃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다 내쫓으신 다음, 아이의 아버지와 어머니와 당신의 일행만 데리고 아이가 있는 곳으로 들어가셨다. 그리고 아이의 손을 잡으시고 말씀하셨다. "탈리타 쿰!" 이는 번역하면 "소녀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라는 뜻이다. 그러자 소녀가 곧바로 일어서서 걸어다녔다. 소녀의 나이는 열두 살이었다. 사람들은 몹시 놀라 넋을 잃었다. 예수님께서는 아무에게도 이 일을 알리지 말라고 그들에게 엄히 분부하시고 나서, 소녀에게 먹을 것을 주라고 이르셨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6.1-6.6
1995
3879
2005-09-07T16:42:53Z
아흔
9
rev.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5.21-5.43|6.7-6.13|마가복음}}
{{함께보기|나자렛에서 외면 당한 예수|[[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3.54-58; [[루가의 복음서|루가]] 4.16-30}}
{{주석틀|장=6|
원문= 예수님께서 그 곳을 떠나 고향으로 가셨는데 제자들도 그분을 따라갔다. 안식일이 되자 예수님께서는 회당에서 가르치기 시작하셨다. 많은 이가 듣고는 놀라서 이렇게 말하였다. "저 사람이 어디서 저 모든 것을 얻었지? 저런 지혜를 어디서 받았지? 그의 손에서 저런 기적들이 일어나다니! 저 사람은 목수로서 마리아의 아들이며, 야고보, 요세, 유다, 시몬과 형제간이 아닌가? 그의 누이들도 우리와 함께 여기에 살고 있지 않는가?" 그러면서 그들은 그분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예언자는 어디에서나 존경받지만 고향과 친척과 집안에서만은 존경받지 못한다." 그리하여 예수님께서는 그 곳에서 몇몇 병자에게 손을 얹어서 병을 고쳐 주시는 것밖에는, 아무런 기적도 일으키실 수 없었다. 그리고 그들이 믿지 않는 것에 놀라셨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6.7-6.13
1996
3881
2005-09-07T16:46:22Z
아흔
9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6.1-6.6|6.14-6.29|마가복음}}
{{함께보기|열두 제자의 파견|[[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0.1-15; [[루가의 복음서|루가]] 9.1-6}}
{{주석틀|장=6|
원문= 예수님께서는 여러 마을을 두루 돌아다니며 가르치셨다. 그리고 열두 제자를 부르시어 더러운 영들에 대한 권한을 주시고, 둘씩 짝지어 파견하기 시작하셨다. 그러면서 길을 떠날 때에 지팡이 외에는 아무것도, 빵도 여행 보따리도 전대에 돈도 가져가지 말라고 명령하시고, 신발은 신되 옷도 두 벌은 껴입지 말라고 이르셨다. 그리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어디에서나 어떤 집에 들어가거든 그 고장을 떠날 때까지 그 집에 머물러라. 또한 어느 곳이든 너희를 받아들이지 않고 너희 말도 듣지 않으면, 그 곳을 떠날 때에 그들에게 보이는 증거로 너희 발 아래 먼지를 털어 버려라." 그리하여 제자들은 떠나가서 회개하라고 선포하였다. 그리고 많은 마귀를 쫓아 내고 많은 병자에게 기름을 부어 병을 고쳐 주었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6.14-6.29
1997
3882
2005-09-07T16:51:01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6.7-6.13|6.30-6.56|마가복음}}
{{함께보기|헤로데 왕과 세례자 요한의 죽음|[[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4.1-12; [[루가의 복음서|루가]] 9.7-9}}
{{주석틀|장=|
원문= 예수님의 이름이 널리 알려져 마침내 헤로데 임금도 소문을 듣게 되었다. 사람들은 "세례자 요한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난 것이다.17) 그러니 그에게서 저런 기적의 힘이 일어나지." 하고 말하였다. 그러나 어떤 이들은 “"는 엘리야다." 하는가 하면, 또 어떤 이들은 "옛 예언자들과 같은 예언자다." 하고 말하였다. 헤로데는 이러한 소문을 듣고, "내가 목을 벤 그 요한이 되살아났구나." 하고 말하였다.
이 헤로데는 사람을 보내어 요한을 붙잡아 감옥에 묶어 둔 일이 있었다. 그의 동생 필립보의 아내 헤로디아 때문이었는데, 헤로데가 이 여자와 혼인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요한은 헤로데에게, "동생의 아내를 차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하고 여러 차례 말하였다. 헤로디아는 요한에게 앙심을 품고 그를 죽이려고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헤로데가 요한을 의롭고 거룩한 사람으로 알고, 그를 두려워하며 보호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말을 들을 때에 몹시 당황해하면서도 기꺼이 듣곤 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좋은 기회가 왔다. 헤로데가 자기 생일에 고관들과 무관들과 갈릴래아의 유지들을 청하여 잔치를 베풀었다. 그 자리에 헤로디아의 딸이 들어가 춤을 추어, 헤로데와 그의 손님들을 즐겁게 하였다. 그래서 임금은 그 소녀에게, "무엇이든 원하는 것을 나에게 청하여라. 너에게 주겠다." 하고 말할 뿐만 아니라, "네가 청하는 것은 무엇이든, 내 왕국의 반이라도 너에게 주겠다." 하고 굳게 맹세까지 하였다. 소녀가 나가서 자기 어머니에게 "무엇을 청할까요?" 하자, 그 여자는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요구하여라." 하고 일렀다. 소녀는 곧 서둘러 임금에게 가서, "당장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담아 저에게 주시기를 바랍니다." 하고 청하였다. 임금은 몹시 괴로웠지만, 맹세까지 하였고 또 손님들 앞이어서 그의 청을 물리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임금은 곧 경비병을 보내며,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고 명령하였다. 경비병이 물러가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어, 머리를 쟁반에 담아다가 소녀에게 주자, 소녀는 그것을 자기 어머니에게 주었다. 그 뒤에 요한의 제자들이 소문을 듣고 가서, 그의 주검을 거두어 무덤에 모셨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6.30-6.56
1998
3883
2005-09-07T16:57:20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6.14-6.29|7.1-7.23|마가복음}}
{{함께보기|예수의 행적|[[마태오의 복음서|마태]]14.13-21, 14.22-36); [[루가의 복음서|루가]] 9.10-17; [[요한의 복음서|요한]] 6.1-14, 6.16-21}}
{{주석틀|장=6|
원문= 사도들이 예수님께 모여 가, 자기들이 한 일과 가르친 것을 다 보고하였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너희는 따로 외딴 곳으로 가서 좀 쉬도록 하여라." 하고 말씀하셨다. 오고 가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음식을 먹을 겨를조차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따로 배를 타고 황량한 곳으로 떠나갔다. 그러자 많은 사람이 그들이 떠나는 것을 보고, 모든 고을에서 나와 육로로 함께 달려가 그들보다 먼저 그 곳에 다다랐다. 예수님께서는 배에서 내리시어 큰 군중을 보시고 가엾은 마음이 드셨다. 그들이 목자 없는 양들 같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기 시작하셨다.
어느덧 늦은 시간이 되자 제자들이 예수님께 다가가 말하였다. "여기는 황량한 곳이고 시간도 이미 늦었습니다. 그러니 저들을 돌려 보내시어, 주변의 촌락이나 마을로 가서 스스로 먹을 것을 사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수님께서 "너희가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 하고 이르시니, 제자들은 "그러면 저희가 가서 빵을 이백 데나리온 어치나 사다가 그들을 먹이라는 말씀입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너희에게 빵이 몇 개나 있느냐? 가서 보아라." 하고 이르셨다. 그들이 알아보고서, "빵 다섯 개, 그리고 물고기 두 마리가 있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명령하시어, 모두 푸른 풀밭에 한 무리씩 어울려 자리잡게 하셨다. 그래서 사람들은 백 명씩 또는 쉰 명씩 떼를 지어 자리를 잡았다. 예수님께서는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손에 드시고 하늘을 우러러 찬미를 드리신 다음 빵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도록 하셨다. 물고기 두 마리도 모든 사람에게 나누어 주셨다. 사람들은 모두 배불리 먹었다. 그리고 남은 빵조각과 물고기를 모으니 열두 광주리에 가득 찼다. 빵을 먹은 사람은 어른 남자만도 오천 명이었다.
예수님께서는 곧바로 제자들을 재촉하시어 배를 타고 건너편 베싸이다로 먼저 가게 하시고, 그 동안에 당신께서는 군중을 돌려 보내셨다. 그들과 작별하신 뒤에 예수님께서는 기도하시려고 산에 가셨다. 저녁이 되었을 때, 배는 호수 한가운데에 있었고 예수님께서는 혼자 뭍에 계셨다. 마침 맞바람이 불어 노를 젓느라고 애를 쓰는 제자들을 보시고, 예수님께서는 밤 사경쯤에 호수 위를 걸으시어 그들 쪽으로 가셨다. 그분께서는 그들 곁을 지나가려고 하셨다.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호수 위를 걸으시는 것을 보고, 유령인 줄로 생각하여 비명을 질렀다. 모두 그분을 보고 겁에 질렸던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곧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그리고 나서 그들이 탄 배에 오르시니 바람이 멎었다. 그들은 너무 놀라 넋을 잃었다. 그들이 빵의 기적을 깨닫지 못하고 오히려 마음이 완고해졌던 것이다.
그들은 호수를 건너 겐네사렛 땅에 이르러 배를 대었다. 그들이 배에서 내리자 사람들은 곧바로 예수님을 알아보고, 그 지방을 두루 뛰어다니며 병든 이들을 들것에 눕혀, 그분께서 계시다는 곳마다 데려오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마을이든 고을이든 촌락이든 예수님께서 들어가기만 하시면, 장터에 병자들을 데려다 놓고 당신 옷자락 술에 그들이 손이라도 대게 해 달라고 청하였다. 과연 그것에 손을 댄 사람마다 구원을 받았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7.1-7.23
1999
3884
2005-09-07T17:02:15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6.30-6.56|7.24-7.30|마가복음}}
{{함께보기|더러운 것과 깨끗한 것|[[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5.1-20}}
{{주석틀|장=7|
원문= 예루살렘에서 온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 몇 사람이 예수님께 몰려왔다가, 그분의 제자 몇 사람이 더러운 손으로, 곧 씻지 않은 손으로 음식을 먹는 것을 보았다. 본디 바리사이뿐만 아니라 모든 유다인은 조상들의 전통을 지켜, 한 움큼의 물로 손을 씻지 않고서는 음식을 들지 않으며, 장터에서 돌아온 뒤에 몸을 씻지 않고서는 음식을 들지 않는다. 이 밖에도 지켜야 할 관습이 많은데, 잔이나 단지나 놋그릇이나 침상을 씻는 일들이다. 그래서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이 예수님께 물었다. "어째서 선생님의 제자들은 선조들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더러운 손으로 음식을 먹습니까?"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이사야가 너희 위선자들을 두고 옳게 예언하였으니 성서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지만
그 마음은 내게서 멀리 떠나 있다. 그들은 사람의 규정을 교리로 가르치며 나를 헛되이 섬긴다.’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
또 이어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너희의 전통을 고수하려고 하느님의 계명을 잘도 저버린다. 모세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여라’, 그리고 ‘아버지나 어머니를 욕하는 자는 사형을 받아야 한다.’ 하고 말하였다. 그런데 너희는 누가 아버지나 어머니에게 ‘저에게서 공양받으실 것은 코르반, 곧 하느님께 바치는 예물입니다.’ 하고 말하면 된다고 한다. 그러면서 아버지나 어머니에게 더 이상 아무것도 해 드리지 못하게 한다. 너희는 이렇게 너희가 전하는 전통으로 하느님의 말씀을 폐기하는 것이다. 너희는 이런 짓들을 많이 한다." 그리고 나서 예수님께서는 다시 군중을 가까이 불러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모두 내 말을 듣고 깨닫도록 하여라. 사람 밖에서 몸 안으로 들어가 그를 더럽힐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오히려 사람에게서 나오는 것이 그를 더럽힌다."
예수님께서 군중을 떠나 집에 들어가시자, 제자들이 그 비유의 뜻을 물었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너희도 그토록 깨닫지 못하느냐? 밖에서 사람 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무엇이든 그를 더럽힐 수 없다는 것을 알아듣지 못하느냐? 그것이 마음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뱃속으로 들어갔다가 뒷간으로 나가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모든 음식이 깨끗하다고 밝히신 것이다. 또 이어서 말씀하셨다. "사람에게서 나오는 것, 그것이 사람을 더럽힌다. 안에서 곧 사람의 마음에서 나쁜 생각들, 불륜, 도둑질, 살인, 간음, 탐욕, 악의, 사기, 방탕, 시기, 중상, 교만, 어리석음이 나온다. 이런 악한 것들이 모두 안에서 나와 사람을 더럽힌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7.24-7.30
2000
3885
2005-09-07T17:05:04Z
아흔
9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7.1-7.23|7.31-8.10|마가복음}}
{{함께보기|시로페니키아 여자의 믿음|[[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5.21-28}}
{{주석틀|장=7|
원문= 예수님께서 그 곳을 떠나 띠로 지역으로 가셨다. 그리고 어떤 집으로 들어가셨는데, 아무에게도 그것이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으셨으나 결국 숨어 계실 수가 없었다. 더러운 영이 들린 딸을 둔 어떤 부인이 곧바로 예수님의 소문을 듣고 와서, 그분 발 앞에 엎드렸다. 그 부인은 이교도로서 시리아-페니키아 출신이었는데, 자기 딸에게서 마귀를 쫓아 내 주십사고 그분께 청하였다. 예수님께서는 그 여자에게, "먼저 자녀들을 배불리 먹여야 한다. 자녀들의 빵을 집어 강아지들에게 던져 주는 것은 옳지 않다."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그 여자가, "주님! 그러나 상 아래에 있는 강아지들도 자식들이 떨어뜨린 부스러기는 먹습니다." 하고 응답하였다. 이에 예수님께서 그 여자에게 이르셨다. "네가 그렇게 말하니, 가 보아라. 마귀가 이미 네 딸에게서 나갔다." 그 여자가 집에 가서 보니, 아이는 침상에 누워 있고 마귀는 나가고 없었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7.31-8.10
2001
3887
2005-09-07T17:12:50Z
아흔
9
rev.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7.24-7.30|8.11-8.21|마가복음}}
{{함께보기|예수의 행적|[[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5.32-39}}
{{주석틀|장=7|
원문= 그 무렵에 다시 큰 군중이 모여 있었는데 먹을 것이 없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가까이 불러 말씀하셨다. "저 군중이 가엾구나. 벌써 사흘 동안이나 내 곁에 머물렀는데 먹을 것이 없으니 말이다. 내가 저들을 굶주린 채 집으로 돌려 보내면 길에서 쓰러질 것이다. 더구나 저들 가운데에는 먼 데서 온 사람들도 있다." 그러자 제자들이 "이 광야에서 누가 어디서 빵을 구해 저 사람들을 배불릴 수 있겠습니까?" 하고 대답하였다. 예수님께서 "너희에게 빵이 몇 개나 있느냐?" 하고 물으시자, 그들이 "일곱 개 있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예수님께서는 군중에게 땅에 앉으라고 분부하셨다. 그리고 빵 일곱 개를 손에 드시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떼어서 제자들에게 주시며 나누어 주라고 하시니, 그들이 군중에게 나누어 주었다. 또 제자들이 작은 물고기 몇 마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예수님께서는 그것도 축복하신 다음에 나누어 주라고 이르셨다. 사람들은 배불리 먹었다. 그리고 남은 조각을 모았더니 일곱 바구니나 되었다. 사람들은 사천 명 가량이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돌려 보내시고 나서, 곧바로 제자들과 함께 배에 올라 달마누타 지방으로 가셨다.
<big><font color=#FF6701>'''8'''</font></big> 예수님께서 다시 띠로 지역을 떠나 시돈을 거쳐, 데카폴리스 지역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갈릴래아 호수로 돌아오셨다. 그러자 사람들이 귀먹고 말 더듬는 이를 예수님께 데리고 와서, 그에게 손을 얹어 주십사고 청하였다. 예수님께서는 그를 군중에게서 따로 데리고 나가셔서, 당신 손가락을 그의 두 귀에 넣으셨다가 침을 뱉어 그의 혀에 손을 대셨다. 그리고 나서 하늘을 우러러 한숨을 내쉬신 다음, 그에게 "에파타!" 곧 "열려라!"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곧바로 그의 귀가 열리고 묶인 혀가 풀려서 말을 제대로 하게 되었다. 예수님께서는 이 일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그들에게 분부하셨다. 그러나 그렇게 분부하실수록 그들은 더욱 더 널리 알렸다. 사람들은 더할 나위 없이 놀라서 말하였다. "저분이 하신 일은 모두 훌륭하다. 귀먹은 이들은 듣게 하시고 말 못하는 이들은 말하게 하시는구나."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8.11-8.21
2002
3903
2005-09-22T11:49:44Z
A-heun
22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7.31-8.10|8.22-8.26|마가복음}}
{{함께보기|바리새인의 요구와 예수의 경고|[[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6,1-12}}
{{주석틀|장=8|
원문= 바리사이들이 와서 예수님과 논쟁하기 시작하였다. 그분을 시험하려고 하늘에서 오는 표징을 요구하였던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마음 속으로 깊이 탄식하며 말씀하셨다. "어찌하여 이 세대가 표징을 요구하는가?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세대는 어떠한 표징도 받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그들을 버려 두신 채 다시 배를 타고 건너편으로 가셨다.
그런데 제자들이 빵을 가져오는 것을 잊어버려, 그들이 가진 빵이 배 안에는 한 개밖에 없었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너희는 주의하여라. 바리사이들의 누룩과 헤로데의 누룩을 조심하여라."하고 분부하셨다. 그러자 제자들은 자기들에게 빵이 없다고 서로 수군거렸다. 예수님께서는 그것을 아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어찌하여 빵이 없다고 수군거리느냐? 아직도 이해하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느냐? 너희 마음이 그렇게도 완고하냐? 너희는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고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느냐? 너희는 기억하지 못하느냐? 내가 빵 다섯 개를 오천 명에게 떼어 주었을 때, 빵조각을 몇 광주리나 가득 거두었느냐?" 그들이 "열둘입니다."하고 대답하였다. "빵 일곱 개를 사천 명에게 떼어 주었을 때에는, 빵조각을 몇 바구니나 가득 거두었느냐?" 그들이 "일곱입니다."하고 대답하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너희는 아직도 깨닫지 못하느냐?" 하고 말씀하셨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8.22-8.26
2003
3904
2005-09-22T11:53:59Z
A-heun
22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8.11-8.21|8.27-8.30|마가복음}}
{{함께보기|예수의 행적|2=}}
{{주석틀|장=8|
원문= 그들은 베싸이다로 갔다. 그런데 사람들이 눈먼 이를 예수님께 데리고 와서는 그에게 손을 대어 주십사고 청하였다. 그분께서는 그 눈먼 이의 손을 잡아 마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셔서, 그의 두 눈에 침을 뱉으시고 그에게 손을 얹으신 다음, "무엇이 보이느냐?" 하고 물으셨다. 그는 앞을 쳐다보며, "사람들이 보입니다. 그런데 걸어다니는 나무처럼 보입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그분께서 다시 그의 두 눈에 손을 얹으시니 그가 똑똑히 보게 되었다. 그는 시력이 회복되어 모든 것을 뚜렷이 보게 된 것이다. 그분께서는 그를 집으로 보내시면서, "저 마을로는 들어가지 마라." 하고 말씀하셨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8.27-8.30
2004
3905
2005-09-22T11:56:55Z
A-heun
22
set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8.22-8.26|8.31-9.1|마가복음}}
{{함께보기|베드로의 고백|[[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6.13-20, [[루가의 복음서|루가]] 9.18-21}}
{{주석틀|장=8|
원문=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필립보의 가이사리아 근처 마을들을 향하여 길을 떠나셨다. 그리고 길에서 제자들에게,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하고 물으셨다. 제자들이 대답하였다. "세례자 요한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어떤 이들은 엘리야라 하고, 또 어떤 이들은 예언자 가운데 한 분이시라고 합니다." 예수님께서 다시,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하고 물으시자, 베드로가 "스승님은 그리스도이십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당신에 관하여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엄하게 이르셨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마르코의 복음서/8.31-9.1
2005
3907
2005-09-22T12:02:45Z
A-heun
22
rev.
{{계속|주석서|마르코의 복음서|8.27-8.30|9.2-9.10|마가복음}}
{{함께보기|수난과 부활에 대한 첫번째 예고|[[마태오의 복음서|마태]] 16.21-28, [[루가의 복음서|루가]] 9.22-27}}
{{주석틀|장=8|
원문=예수님께서는 그 뒤에, 사람의 아들이 반드시 많은 고난을 겪으시고 원로들과 수석 사제들과 율법학자들에게 배척을 받으시어 죽임을 당하셨다가,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나셔야 한다는 것을 제자들에게 가르치기 시작하셨다. 예수님께서는 이 말씀을 명백히 하셨다. 그러자 베드로가 예수님을 따로 붙잡고 반박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돌아서서 제자들을 보신 다음 베드로에게, "사탄아, 내게서 물러가라. 너는 하느님의 일은 생각하지 않고 사람의 일만 생각하는구나." 하며 꾸짖으셨다.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군중을 가까이 부르시고 그들에게 이르셨다. "누구든지 내 뒤를 따르려면 자신을 버리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정녕 자기 목숨을 구하려는 사람은 그것을 잃을 것이고, 나와 복음 때문에 목숨을 잃는 사람은 그것을 구할 것이다. 사람이 온 세상을 얻고도 제 목숨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 사람이 제 목숨의 대가로 무엇을 내놓을 수 있겠느냐? 절개 없고 죄 많은 이 세대에서 누구든지 나와 내 말을 부끄럽게 여기면, 사람의 아들도 자기 아버지의 영광에 싸여 거룩한 천사들과 함께 올 때에 그를 부끄럽게 여길 것이다."
<font size=3 color=#FF6701>'''9'''</font> '''1''' 예수님께서 또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여기에 서 있는 사람들 가운데에는 죽기 전에 하느님의 나라가 권능을 떨치며 오는 것을 볼 사람들이 더러 있다."
|
주석=편집중
}}
{{4복음서}}
체코어
2007
4560
2006-01-19T22:22:05Z
Slomo
14
__NOTOC__
{|
|width=70% align=center| 체코어 - Čeština
|rowspan=5| [[그림:Praha from Staromestska mostecka vez.JPG|300px]]
|-
|| {{Template:체코어:Nav_G|문법|[[/문법/참조문법|참조문법]] - [[/문법/주제별|주제별 문법]]}}
|-
|| {{Template:체코어:Nav_L|어휘|[[/어휘/주제별|주제별 어휘]]}}
|-
|| {{Template:체코어:Nav_P|회화|[[/회화/상황별|상황별 회화]]}}
|-
|| {{Template:체코어:Nav_A|부록|[[/참고자료|참고자료]] - [[/찾아보기|찾아보기]]}}
|}
----
[[/관리]]
체코어/문법/주제별/시간표현
2008
3917
2005-10-10T00:07:05Z
Slomo
14
/* 시간표현 */
=시간표현=
시간에 관해서 물어 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질문 세가지는 다음과 같다.
언제? kdy?
얼마나 자주? jak často?
얼마나 오래? jak dlouho?
물론, 더 복잡하고 자세하게 물을 수도 있다.
v kolik hodin?
v kterou dobu?
na ja dlouho?
== 언제? (Kdy? ) ==
* 부사
nyní, ted'
zrovna
právě
nedávno
dávno
brzo
tehdy
hned
okamžitě
potom
* 어제, 오늘, 내일
그저께 předevčírem
어제 včera
오늘 dnes, dneska
내일 zítra
모레 požítra
* 하루 중
아침에 rano
오전에 dopoledne
한낮에 v poledne
저녁에 večer
밤에 v noci
한밤중에 o půlnoci
* 요일: v + Akuzativ
(pondělí) v pondělí
(úterý) v úterý
(středa) ve středu
(čtvrtek) ve čtvrtek
(pátek) v pátek
(sobota) v sobotu
(neděle) v neděli
* 월: v + Lokál
(leden) v lednu
(únor) v únoru
(březen) v březnu
(duben) v dubnu
(květen) v květnu
(červen) v červnu
(červenec) v červenci
(srpen) v srpnu
(září) v září
(říjen) v říjnu
(listopad) v listopadu
(prosinec) v prosinci
* 계절
(jaro) na jaře
(leto) v létě
(podzim) na podzim
(zima) v zimě
* 휴가
(víkend) o víkendu
(dovolená) o dovolené
(prázdniny) o prázdniny
=== 날짜===
=== 시간 ===
== 얼마나 자주? (jak často?) ==
== 얼마나 오래? (jak dlouho?) ==
체코어/문법/주제별/수량표현
2009
3920
2005-10-10T23:52:31Z
84.42.181.80
= 숫자 =
== 기수 (하나, 둘, 셋) ==
* 0 -- 10
nula
jeden, jedna, jedno
dva, dvě
tři
čtyři
pět
šest
sedm
osm
devět
deset
* 11 -- 19
'''-náct'''
(jeden) jednáct
(dva) dvanáct
(tři) třináct
(čtyři) čtrnáct
(pět) patnáct
(šest) šestnáct
(sedm) sedmnáct
(osm) osmnáct
(devět) devatenáct
* 20 -- 90
'''-cet''' '''-sát'''
(dva) dvacet 2,3,4 + cet
(tři) třicet
(čtyři) čtyřicet
------------------------------
(pět) padesát 5,6,7,8,9 + sát
(šest) šedesát
(sedm) sedmdesát
(osm) osmdesát
(devět) devadesát
* 100 -- 900
sto
dvě stě
tři sta
čtyři sta
------------------------------
pět set
šest set
sedm set
osm set
devět set
* 1000 -- 9000
tisíc
dva tisíce
tři ticíce
čtyři ticíce
------------------------------
pět tisíc
šest tisíc
sedm tisíc
osm tisíc
devět tisíc
*
milión
dva milióny
pět miliónů
miliarda
dvě miliardy
pět miliard
bilion (bilión)
dva biliony
pět bilionů
* 숫자
(jeden, jedna, jedno) jednička
(dva, dvě) dvojka
(tři) trojka
(čtyři) čtyřka, čtverka
(pět) pětka
(šest) šestka
(sedm) sedma
(osm) osma
(devět) devíka
(deset) desítka
(dvacet) dvacítka
== 서수 (첫째, 둘째, 셋째) ==
první
druhý
třetí
čtvrtý
pátý
šestý
sedmý
osmý
devátý
desátý
jednáctý
dvanáctý
třináctý
čtrnáctý
patnáctý
šestnáctý
sedmnáctý
osmnáctý
devatenácý
dvacátý
třicátý
čtyřicátý
padesátý
šedesátý
sedmdesátý
osmdesátý
devadesátý
stý
tisící
== 분수 ==
polovina
třetina
čtvrtina
pětina
šestina
sedmina
osmina
devítina
desetina
jedenáctina
dvanáctina
šestnáctina
sedmnáctina
dvacetina
= 개수 =
= 단위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
2011
4392
2006-01-07T17:58:19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 명사 =
* 명사를 위한 문법적 개념
** [[/성|명사의 성]] : 남성(유정/무정), 여성, 중성
** [[/수|명사의 수]] : 단수, 복수
** [[/격|명사의 격]] : 주격, 생격, 여격, 대격, 호격, 처격, 조격
* [[/곡용|명사의 곡용]] (Deklinace substantiv) 유형
** [[/곡용/남성|남성 명사의 곡용]]
** [[/곡용/여성|여성 명사의 곡용]]
** [[/곡용/중성|중성 명사의 곡용]]
* [[/소유형용사|소유형용사]] (Adjektiva posesívní)
* [[/지소형|지소형]]
* 의미에 따른 분류
** 구체 명사 (podstatná jména konkrétní)
*** 고유 명사 (podstatná jména valstní)
*** 일반 명사 (podstatná jména obecná)
** 추상 명사 (podstantná jména abstraktní)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자음
2012
4410
2006-01-07T18:57:27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
<br />
=자음 (souhlásky)=
==경음과 연음==
;경자음 (tvrdé) : h, ch, k, r, d, t, n
;연자음 (měkké) : ž, š, č, ř, ď, ť, ň, c, j
;양자음 (obojetné) : b, f, l, m, p, s, v, z
==유성과 무성==
뒤따라는 자음에 유무성이 동화되는 자음
;유성 (znělé) : b, v, d, ď, z, ž, g, h
;무성 (neznělé) : p, f, t, ť, s, š, k, ch
항상 유성과 무성이 일정한 자음
;유성 (znělé) - 항상 : r, l, m, n, ň, j
;무성 (neznělé) - 항상 : c, č
ř의 경우
;무성 (neznělé) - 앞뒤에 무성음이 있는 경우 또는 어말 : tři, křeslo, bouřka, tvář
;유성 (znělé) - 그외의 모든 경우 : dřevo, kořen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
2013
4561
2006-01-19T22:24:28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전치사 철자순 목록]]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격|전치사가 요구하는 격에 따른 분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
2015
4660
2006-01-28T20:59:03Z
84.42.181.80
{{편집중}}
=전치사 철자순 목록=
==기본 전치사==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ad|ad]] +N<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během|během]]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bez|bez(e)]]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e|de]] +N<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íky|díky]] +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le|dle]]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o|do]]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k(e)/ku]] +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olem|kol]] -> kolem<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olem|kolem]]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ontra|kontra]] +N<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romě|krom]] -> kromě<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romě|kromě]]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vůli|kvůli]] +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mimo|m]] -> mimo<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mezi|mezi]] +A, +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mimo|mimo]] +A,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místo|místo]]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d|n]] -> na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na]] +A, +L<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d|nad(e)]] +A, +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místo|namísto]]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pospas|napospas]] +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proti|naproti]] +D,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o]] +A, +L<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b|ob]] +A<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d|od(e)]]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hledně|ohledně]]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kolo|okolo]]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proti|oproti]] +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po]] +A, +L<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blíž|poblíž(e)]]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pod(e)]] +A, +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él|podél]]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le|podle]]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mocí|pomocí]]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řed|př]] -> pře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řed|před(e)]] +A, +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řes|přes(e)]] +A<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ři|při]] +L<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ro|pro]] +A<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roti|proti]] +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s(e)]] +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krz|skrz(e)]] +A<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tran|stran]]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u|u]]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uvnitř|uvnitř]]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ersus|v]] -> versus<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v(e)]] +A, +L<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četně|vč]] -> včetně<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četně|včetně]]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edle|vedle]]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ersus|vers]] -> versus<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ersus|versus]] +N<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ia|via]] +N<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ně|vně]]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ersus|vs]] -> versus<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stříc|vstříc]] +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ůči|vůči]] +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yjma|vyjma]]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z(e)]]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a|za]] +A, +G, +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pod|zpod(e)]] +G<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poza|zpoza]] +G<br>
==전치사처럼 기능하는 표현==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격
2016
4661
2006-01-28T20:59:31Z
84.42.181.80
'''전치사가 요구하는 격에 따른 분류'''
==기본 전치사==
===주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ad|ad]],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e|d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ontra|kontra]],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ersus|versus]],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ia|via]]
===생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během|běh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bez|bez(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le|dl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o|d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ol|kol]],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olem|kol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romě|kromě]],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mimo|mim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místo|míst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místo|namíst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proti|naprot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d|od(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hledně|ohledně]],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kolo|okol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blíž|poblíž(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él|podél]],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le|podl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mocí|pomocí]],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tran|stran]],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u|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uvnitř|uvnitř]],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četně|včetně]],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edle|vedl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ně|vně]],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yjma|vyjma]],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z(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a|za]],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pod|zpod(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poza|zpoza]]
===여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íky|díky]],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k(e)/k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kvůli|kvůl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pospas|napospas]],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proti|naprot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proti|oprot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roti|prot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stříc|vstříc]],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ůči|vůči]]
===대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mezi|mez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mimo|mim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na]],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d|nad(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b|ob]],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p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pod(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řed|před(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řes|přes(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ro|pr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krz|skrz(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v(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a|za]]
===처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na]],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o|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p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ři|př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v(e)]]
===조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mezi|mez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d|nad(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pod(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řed|před(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s(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a|za]]
==전치사처럼 기능하는 표현==
===생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během|běh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blízko|blízk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aleko od|daleko od]],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edaleko|nedalek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uvnitř|uvnitř]],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evnitř|zevnitř]],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ovnitř|dovnitř]],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uprostřed|uprostřed]],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doprosřed|doprosřed]],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prostřed(ka)|zprostřed(ka)]],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 podmínkou|pod podmínko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 podmínkou|s podmínko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 případě|v případě]],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ro případ|pro případ]],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chybou|chybo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 následky|na následky]],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ásledkem|následk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 žádost|na žádost]],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 tlakem|pod tlak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od) vlivem|(pod) vliv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ro nedostatek|pro nedostatek]],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ůsobením|působení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 důsledku|v důsledk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e věci|ve věc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inou|vino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ásluhou|zásluho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 důvodu|z důvod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 podnětu|z podnět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 důkaz|na důkaz]],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 počest|na počest]],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na znamení|na znamení]],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pro potřeby|pro potřeby]],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 úkolem|s úkol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 cílem|s cíl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 úmyslem|s úmysl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se záměrem|se záměrem]],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u příležitosti|u příležitosti]],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 zájmu |v zájmu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z účelem|z účelem]]
===여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zdor|vzdo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zhledem k|vzhledem k]]
===대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e snaze o|ve snaze o]]
===처격===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목록:v touze po|v touze p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
2017
4386
2006-01-07T17:43:51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접속사 철자순 목록]]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
2018
4662
2006-01-28T21:00:17Z
84.42.181.80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a]]<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by|ab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by|aby]] (3인칭)<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by|abych]] (인칭: já)<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by|abychom]] (인칭: m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by|abys]] (인칭: t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by|abyste]] (인칭: v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č|ač]] (=> ačkoli, třebaže, i když)<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č|ačkoli]] (= ačkoliv)<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č|ačkoliv]]<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le|ale]] (=> a, avšak, nýbrz, jen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lias|alias]]<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neb|aneb]] (=> nebo, č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nebo|anebo]] (= nebo)<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ni|an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niž|aniž]]<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však|avšak]] (=> al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ť|ať]] (=> ab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ž|až]] (예: 2 až 3)<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ž|až]] (예: přijde, až to dodělá)<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buď|buď]] (예: buď ... anebo ...)<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buďto|buďto]]<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byť|byť]]<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co|co]] (=když: poté/od té doby, co)<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coby|cob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či|č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čili|čil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dokud|dokud]]<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et|et]] (라틴어)<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i|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ak|j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akmile|jakmile]] (=> sotv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ako|jako]]<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akoby|jakob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akož|jakož]]<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akožto|jakožto]]<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ednak|jedn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elikož|jelikož]] (=> protože, poněvdž, neboť)<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enomže|jenom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enže|jenže]] (=> ale, avš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estli|jestli]] (=> jestliže, pokud, -li, kdyb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estliže|jestli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ježto|ježto]] (=> protože, poněvadž, jelikož, neboť)<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dežto|kdežto]] (=> zatímco)<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dyby|kdyb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dyby|kdyby]] (3인칭)<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dyby|kdybych]] (인칭:já)<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dyby|kdybychom]] (인칭:m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dyby|kdybys]] (인칭:t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dyby|kdybyste]] (인칭:v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dykoliv|kdykoliv]] (인칭:v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dyž|když]] (=> jestliže, že, kdyby, přestože, třebaže, proto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krát|krát]] (수학연산: 2 krát 3)<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ledaže|ledaže]] (=> když ne, pokud n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leč|leč]] (문어: leč b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nebo|neb]]<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nebo|nebo]] (=> anebo, č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neboli|nebol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neboť|neboť]] (=> proto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než|než]]<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nežli|nežl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nicméně|nicméně]]<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nýbrž|nýbrž]] (=> ale, avš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ovšem|ovšem]] (반대표현: avšak, vš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pakliže|pakliže]] (=> že, jestli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pokud|pokud]] (=> dokud, jestli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poněvadž|poněvadž]] (=> jelikož, protže, neboť) <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proto|proto]] (예: a proto; ale proto,...)<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protože|protože]] (=> proto, poněvadž, neboť, jelikož)<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přestože|přestože]] (=> avš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přičemž|přičemž]]<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seč|seč]] (예: seč mu síly stačí)<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šak|š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tak|t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takže|tak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tudíž|tudíž]]<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třebaže|třebaže]] (=> přesto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však|vš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vždyť|vždyť]]<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zato|zato]] (=> avšak)<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zatímco|zatímco]]<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zda|zda]]<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zdali|zdali]]<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že|že]]<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že|žes]] (인칭: ty)<b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č
2019
4663
2006-01-28T21:04:23Z
Slomo
14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ač 문서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ač 문서로 옮김: 링크 시킬 때 생기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ač==
===비슷한말===
* ačli
* ačtě (<- ašť je)
* ačkoli
* ačkoliv
* třebaže
* i když
===예문===
* '''''Ač''''' z lože a se smrtkou na jazyku, nedá mi to, abych si alespoň krátce neuplivl.
* 침상에서 사자
* Avishai Cohen - Hudba čirá, '''''ač''''' globální
* Avishai Cohen - 글로벌하지만, 순수한 음악
* Politici si drží výhody, '''''ač''''' studentům slibovali opak
* 정치인들은 기득권을 유지한다. 학생들에게는 정반대로 약속했는데도.
* Ze všech tvorů jen člověk pije, '''''ač''''' nemá žízeň, jí, ač nemá hlad, a mluví, ač nemá co říci. ---John Steinbeck
* 모든 창조물 중에서 인간만이 목마르지 않으면서도 마시고, 배고프지 않으면서도 먹으며, 말할 것이 없으면서도 말한다. ---John Steinbeck
* '''''Ač''''' jsem prý optimista, nebyla tato informace pro mne povzbuzující.
* 나는 낙관론자에 가까운데도, 그 정보는 나에게 용기를 주지 않았다.
* Soudce: Verdikt o Diag Human byl správný, '''''ač''''' se politikům nelíbí
* 판사: Diag Human에 대한 평결은 공정했다. 정치가들 마음에는 안 들겠지만.
* '''''Ač''''' nemám s Linuxem žádné velké zkušenosti, nainstaloval jsem K12LSTP bez problémů, do PC šrotu vrazil PCI síťovou kartu s Realtekovým čipem, stáhnul pro ní disketový zavaděč a jelo to. Až jsem žasnul, jak to bylo jednoduché. Mohu jen doporučit.
* 리눅스와의 큰 경험은 전혀 없는데도, K12LSTP를 문제 없이 설치할 수 있었고, PC 슬롯에 리얼텍 칩이 달린 PCI 네트워크 카드를 꽂고 디스켓 셋업을 까니 제대로 되었다. 얼마나 간단한지 놀랐다. 정말 추천할 만하다.
==ačkoli==
===비슷한말===
* ač
* třebaže
* i když
* přestože
* i kdyby
===예문===
* '''''Ačokoli''''' ho zná jen pár lidí.
* 그를 아는 사람은 몇 명밖에 안 되지만
* V závěru utkání dostal slovo i videorozhodčí. '''''Ačkoli''''' se zdá, že puk je v bráně, ve skutečnosti se odrazil od konstrukce branky ven.
* 경기 종료 후에 비디오 심판도 발언권을 얻었다. 퍽(아이스하키에서 쓰는 작은 원반 모양의 공)이 골문 안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골대 틀에 맞고 밖으로 튀어나왔다.
* '''''Ačkoli''''' rychlost počítačů rok od roku vzrůstá, stále se objevují úlohy, jejichž řešení by zabralo i na superpočítačích řadu let výpočetního výkonu
* 컴퓨터의 속도가 해마다 증가하는데도, 계속 문제들이 나타나고, 그 문제의 해결이 슈퍼컴퓨터 급에서도 계산 능력
==ačkoliv==
===예문===
* '''''Ačkoliv''''' je nevzdělaný, není hloupý.
* (그는) 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우둔하지 않다.
* '''''Ačkoliv''''' se to delší dobu proslýchalo, oficiálně vstoupila značka Cadillac na český trh teprve na autosalonu v Brně.
* 오랜 기간 소문이 돌았지만, 공식적으로는 캐딜락이 처음 체코 시장에 브르노의 오토살롱에 들어섰다.
* Mám zaplněnou celou operační paměť, '''''ačkoliv''''' nevím o tom, že bych ji tolik využíval!
* 나는 얼마나 사용했는지도 모르는데 시스템 메모리가 꽉 차버렸다.
* Proč běží vodoměr, '''''ačkoliv''''' nebyla odebrána žádná voda? Má přístroj poruchu?
* 물을 하나도 틀지 않았는데 계량기가 도는거죠? 기계에 고장이 있는 건가요?
* Právní poradna: Musíme platit nájemné za dva byty, '''''ačkoliv''''' jeden přechodně neužíváme?
* 법률 상담소: 한 집은 일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두 집에 대한 임대료를 내야합니까?
* '''''Ačkoliv''''' je Těžká váha typicky americkým produktem s kladným neohroženým hrdinou, určitě stojí za zhlédnutí.
* 신데렐라 맨(원제 ''Cinderella Man'', 체코에서 ''Těžká váha'' 라는 제목으로 개봉)은 긍정적이고 두려움없는 영웅이 나오는 전형적인 미국 작품이지만, 볼 만한 작품임에 틀림없다.
* '''''Ačkoliv''''' neexistuje nezaměstnanost, nikdo nepracuje.
* 실업이 존재하지 않는데, 아무도 일하지 않는다.
* '''''Ačkoliv''''' nikdo nepracuje, produktivita roste.
* 아무도 일하지 않는데, 생산성은 늘어난다.
* '''''Ačkoliv''''' produktivita roste, obchody jsou prázdné.
* 생산성은 늘어나는데, 상점들은 텅 비었다.
* '''''Ačkoliv''''' jsou obchody prázdné, ledničky jsou plné.
* 상점들은 텅 비었는데, 냉장고는 가득하다.
* '''''Ačkoliv''''' jsou ledničky plné, nikdo není spokojený.
* 냉장고는 가득한데, 아무도 만족하지 않는다.
* '''''Ačkoliv''''' nikdo není spokojený, všichni volí jednohlasně.
* 아무도 만족하지 않는데, 모두 만장일치이다.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coby
2020
4665
2006-01-28T21:05:20Z
Slomo
14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coby 문서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coby 문서로 옮김: 링크 시킬 때 생기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coby==
* Monet měl '''''coby''''' svůj oblíbený námět zahrady.
* 모네가 가장 즐겨 사용하는 주제는 정원이었다.
* Spam '''''coby''''' ideální forma propagace?
* 이상적인 선전 형태로서의 스팸?
* Anatolie '''''coby''''' archeologická krajina
* 고고학적 지역으로서의 아나톨리아
* Peking se dožívá 850 let '''''coby''''' hlavní město Číny
* 북경은 중국의 수도로서 850년을 지내왔다.
* politika '''''coby''''' skandál
* 스캔달로서의 정치
* Má březen '''''coby''''' měsíc internetu ještě smysl?
* 인터넷의 달로서 3월이 아직 의미가 있는가?
* Korupční skandál '''''coby''''' katarze?
* 카타르시스로서의 부패 스캔들?
* CorelDraw '''''coby''''' mistr na práci s texty
* 텍스트 작업의 전문가로서 코렐드로우
* Já '''''coby''''' action-boy jsem nehodlal promarnit svoji životní šanci a ještě ten den jsem se na ono místo s kamarádem vypravil.
* 나는 액션 보이로서 내 인생의 기회들을 던져버리려고 했었고 아직 그 날 ...
* Václav Klaus v pondělí před těmito mikrofony odpovídal na otázku, jaká bude jeho role '''''coby''''' čestného předsedy ODS.
* 바츨라프 클라우스는 월요일 바로 이 마이크 앞에서 ODS의 명예 의장으로서 그의 역할은 어떤 것이 될 것인가, 라는 질문에 대답했다.
* Mýtus umírá a končí '''''coby''''' pohádka.
* 신화는 동화로서 죽어가고 끝나간다.
* Major Zeman se vrací '''''coby''''' americký špion.
* 제만 소령은 미국 스파이로 돌아온다. (1975년에 만들어진 TV 드라마 "30 prípadu majora Zemana" 과 관련하여)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či
2021
4667
2006-01-28T21:05:36Z
Slomo
14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či 문서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či 문서로 옮김: 링크 시킬 때 생기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či==
* Jíst '''''či''''' nejíst? Pár slov o hladovce
* 먹을 것인가, 안 먹을 것인가? 단식 투쟁에 대한 몇 마디.
* Výživa rozhoduje o zdraví '''''či''''' nemoci
* 영양이 건강할 것인지 병들 것인지를 결정한다.
* Masaryk antikvární '''''či''''' současný?
* 마사릭은 골동품인가, 현재인가? (T. G. Masaryk 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초대 대통령이다)
* Džínsy do zaměstnání ano '''''či''''' ne? Kam se v nich skutečně nehodí jít.
* 청바지를 직장에 되나, 안 되나? 청바지를 입고 가면 정말 안 어울리는 곳.
* Líbí se Vám náš server? Posílejte nám své další náměty '''''či''''' poděkování prostřednictvím SMS s textem SOS WEB na číslo 000 0000
* 우리 서버가 마음에 드신다구요? 저희들에게 자신의 제안이나 감사의 말을 SOS WEB 이라는 텍스트를 넣어서 문자 메지시로 000 0000번으로 보내주세요.
* Zápach z úst může odstranit škrabka '''''či''''' speciální zubní kartáček.
* 입에서 나는 냄새는 스크래퍼나 특수 칫솔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dokud
2022
4669
2006-01-28T21:05:50Z
Slomo
14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dokud 문서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목록:dokud 문서로 옮김: 링크 시킬 때 생기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dokud==
* dokud ~ㄹ 때
* dokud ne- ~지 않는 한
* Užívej, '''''dokud''''' to jde
* 될 때 써 먹어라
* Doprejte si cestovani, '''''dokud''''' na to mate
* 할 수 있을 때 여행을 다니세요
* '''''dokud''''' jaderné zbraně vyvíjel šáh, Američané nic nenamítali
* 핵 무기를 샤(이란에 국왕의 존칭)가 만들 때, 미국은 아무런 반대로 하지 않았다.
* Studenti jsou jejich potenciální zaměstnanci a pravidlo chyťte je, '''''dokud''''' jsou mladí stále platí.
* 학생들은 그들의 잠재적인 피고용자이고 법률은 ?????? 학생들이 젊을 때 항상 적용된다.
* '''''dokud''''' Rath nepůjde z čela ČLK, zubaři a lékárníci s ním nejednají
* 라트(현재 ČLK의 회장)가 완전히 체코의사회 (ČLK = Česká lékařská komora)에서 물러나지 않는 한 치과의와 의사들은 그와 협상에 응하지 않을 것이다.
* Nepustím tě, '''''dokud''''' mi nepožehnáš. To znamená – nemůžeme od sebe odejít, '''''dokud''''' jsme se nesmířili.
* 나에게 축복의 말을 하지 않는 한 너를 놔주지 않을 것야. 이 말은 우리가 화해할 때까지 서로를 떠날 수 없다는 뜻이야.
* Běží, '''''dokud''''' nespadne
* 넘어지지 않는 한 달린다
* '''''dokud''''' nás smrt nerozdělí
*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았을 때까지 (1994년 한 미국 영화의 제목)
MediaWiki:Allowemail
2026
sysop
4647
2006-01-28T03:19:05Z
아흔
9
transl.
다른 사용자로부터 이메일 받을 수 있도록
MediaWiki:Allpagesprefix
2027
sysop
4553
2006-01-19T19:40:11Z
아흔
9
transl.
다음의 첫글자에서부터 문서 나열:
MediaWiki:Categories1
2028
sysop
4493
2006-01-19T17:21:08Z
아흔
9
change fault translation
카테고리
MediaWiki:Confirm purge
2029
sysop
4648
2006-01-28T03:21:03Z
아흔
9
transl.
이 페이지의 캐쉬를 비울까요?
$1
MediaWiki:Confirm purge button
2030
sysop
4649
2006-01-28T03:21:32Z
아흔
9
transl.
예
MediaWiki:Datetime
2032
sysop
4585
2006-01-25T15:24:48Z
아흔
9
transl.
날자와 시간
MediaWiki:Download
2034
sysop
4650
2006-01-28T03:23:34Z
아흔
9
transl.
내려 받기(download)
MediaWiki:Ignorewarnings
2036
sysop
4646
2006-01-28T03:17:17Z
아흔
9
transl.
경고 무시
MediaWiki:Mimesearch
2043
sysop
4499
2006-01-19T17:26:51Z
아흔
9
transl.
마임 타입 (MIME type) 찾기
MediaWiki:Mimetype
2044
sysop
4498
2006-01-19T17:26:06Z
아흔
9
transl.
마임 타입(MIME type):
MediaWiki:Mostcategories
2045
sysop
4495
2006-01-19T17:23:30Z
아흔
9
transl.
가장 많이 카테고리가 붙은 문서들
MediaWiki:Mostimages
2046
sysop
4496
2006-01-19T17:24:06Z
아흔
9
transl.
가장 많이 링크된 그림들
MediaWiki:Mostlinkedcategories
2047
sysop
4494
2006-01-19T17:22:16Z
아흔
9
transl.
가장 많이 링크된 카테고리들
MediaWiki:Mostrevisions
2048
sysop
4497
2006-01-19T17:24:47Z
아흔
9
transl.
가장 많이 고쳐진 문서들
MediaWiki:Ncategories
2049
sysop
4590
2006-01-25T15:35:13Z
아흔
9
transl.
$1 카테고리들
MediaWiki:Nrevisions
2052
sysop
6057
2006-09-28T16:47:38Z
아흔
9
retransl.
$1개 버전
MediaWiki:Redirectingto
2053
sysop
4521
2006-01-19T17:59:54Z
아흔
9
transl.
[[$1]](으)로 넘겨주기 하는 중...
MediaWiki:Redirectpagesub
2054
sysop
4520
2006-01-19T17:59:17Z
아흔
9
transl.
넘긴 문서
MediaWiki:Session fail preview
2055
sysop
4605
2006-01-25T15:55:14Z
아흔
9
transl.
<strong>유감스럽게도 참여자께서 편집한 내용이 데이타를 보내고 받는 과정에서 상실되었습니다.</br>다시 한번 시도해 보세요. 만일 그럼에도 불구하도 저장이 불가능하다면 로그아웃을 하신 후, 다시 로그인 하시기 바랍니다. </strong>
MediaWiki:Uid
2057
sysop
4517
2006-01-19T17:57:10Z
아흔
9
transl.
사용자 아이디(User ID):
MediaWiki:Unwatchedpages
2058
sysop
4516
2006-01-19T17:56:21Z
아흔
9
transl.
주시하지 않는 페이지들
MediaWiki:Username
2059
sysop
4515
2006-01-19T17:55:33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MediaWiki:Wantedcategories
2063
sysop
4514
2006-01-19T17:54:58Z
아흔
9
transl.
필요한 카테고리들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
2065
4609
2006-01-25T22:13:42Z
84.42.181.80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 [[/인칭대명사|인칭대명사]] (osobní zájmena)
* [[/소유대명사|소유대명사]] (přivlastňovací zájmena = posesivní zájmena)
* [[/지시대명사|지시대명사]] (úkazovací zájmena = demonstrativa)
* [[/의문대명사|의문대명사]] (tázací zájmena = interogativa)
* [[/관계대명사|관계대명사]] (vztažná zájmena = relativní zájmena)
* [[/비한정대명사|비한정대명사]] (neurčitá zájmena = indefinitiva)
* [[/부정대명사|부정대명사]] (záporná zájmena = negativa)
=대명사=
==대명사의 종류==
===인칭대명사===
(osobní zájmena)
já, ty, on, ona, ono, my, vy, oni, ony, ona
===소유대명사===
(přivlastňovací zájmena = posesivní zájmena)
můj, tvůj, jeho, její, náš, váš, jejich
===지시대명사===
(úkazovací zájmena = demonstrativa)
ten, ta, to, ti, ty, ta
===의문대명사===
(tázací zájmena = interogativa)
kdo, co, jaký, který, čí
===관계대명사===
(vztažná zájmena = relativní zájmena)
kdo, co, jaký, který, čí, jenž, jejichž, jehož
===비한정대명사===
(neurčitá zájmena = indefinitiva)
nějaký, něčí, čísi, cosi, jakýsi, kterýsi
===부정대명사===
(záporná zájmena = negativa)
nikdo, nic, nikam, nikoho, nijaký, žadný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student
2070
4622
2006-01-26T20:42:25Z
Slomo
14
+ NOTOC
__NOTOC__
'''일반적인 남성 유정 명사: student'''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student</td>
<td>student'''i'''</td>
</tr>
<tr>
<td>대격 (A.)</td>
<td rowspan=2>student'''a'''</td>
<td>student'''y'''</td>
</tr>
<tr>
<td>생격 (G.)</td>
<td>studen'''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student'''u'''</td>
<td>student'''ům'''</td>
</tr>
<tr>
<td>처격 (L.)</td>
<td>student'''ech'''</td>
</tr>
<tr>
<td>조격 (I.)</td>
<td>student'''em'''</td>
<td>student'''y'''</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student'''e'''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사용되는 변이형
** 단수 여격, 단수 처격: student'''ovi'''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주격 : student'''ové'''
** 복수 여격 : student'''um'''
** 복수 조격 : student'''ama'''
==하위유형==
복수 주격 형태가 어떠한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문어 기본형 문어 변이형 구어형
student student'''i''' student'''ové'''
[[../곡용:sokol|sokol]] sokol'''ové''' sokol'''i'''
[[../곡용:syn|syn]] syn'''ové'''
[[../곡용:manžel|manžel]] manžel'''é''' manžel'''i''' manžel'''ové'''
어말 자음이 -k, -g, -h, -ch, -r 인 경우에 복수 주격, 복수 처격, 단수 호격에서 자음이 변하는 경우도 있다. 사선으로 구분된 것은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는 변이형이고, 괄호 안에 있는 것은 구어형이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것이 자음이 변하는 경우이다.
복수 주격 복수 처격 단수 호격
[[../곡용:brouk|brou'''k''']] brou'''ci''' brou'''cích''' (broukách) brouku!
[[../곡용:vnuk|vnu'''k''']] vnu'''ci'''/vnukové vnu'''cích''' (vnukách) vnuku!
[[../곡용:chirurg|chirur'''g''']] chirurgové chirur'''zích''' (chirurgách) chirurgu!
[[../곡용:pstruh|pstru'''h''']] pstru'''zi''' pstru'''zích''' (-hách) pstruhu!
[[../곡용:Čech|Če'''ch''']] Če'''ši''' (Čechové) Če'''ších''' (Čechách) Čechu!
[[../곡용:bratr|brat'''r''']] brat'''ři''' bratrech brat'''ře'''!
[[../곡용:doktor|dokto'''r''']] dokto'''ři''' doktorech doktore!
==어휘==
=== ===
* [[../곡용:student|student]] 유형:
:: holub, doktorand, beran, blondýn, vojín, chlap, karas, advokát, docent, klient, laborant, policajt, robot, student
=== ===
* [[../곡용:sokol|sokol]] 유형:
:: arab, blb, boss, krab, had, ind, kamarád, nomád, cikán, děkan, indián, jelen, pop, arcibiskup, losos, expert, parazit, červ, plaz, sokol
=== ===
* [[../곡용:syn|syn]] 유형:
:: šéf, filozof, šáh, admirál, generál, rebel, ekonom, fantom, syn, car, kur, primas, hobit
=== ===
* [[../곡용:manžel|manžel]] 유형:
:: žid, manžel, jazzman, kameraman, křesťan, měšťan, akrobat, astronaut, demokrat, host, parazit, protestant
=== ===
* [[../곡용:brouk|brouk]] 유형:
:: celník, bojovník, brouk, bubeník, básník, býk, chudák, chytrák, divák, dělník, hudebník, kluk, králík, levák, mladík, orlík, právník, stařík, tlouštík
=== ===
* [[../곡용:vnuk|vnuk]] 유형:
:: alkoholik, blonďak, elektronik, fyzik, historik, kritik, medik, politik, prozaik, technik, vnuk
=== ===
* [[../곡용:krtek|krtek]] 유형:
:: brouček, dědeček, hádek, krtek, synek
=== ===
* [[../곡용:chirurg|chirurg]] 유형:
:: biolog, chirurg, ekolog, filolg, pedagog, psycholog, teolog, zoolog
=== ===
* [[../곡용:pstruh|pstruh]] 유형:
:: druh, ajatolláh, dobrodruh, kozoroh, koželuh, pstruh, soudruh, Alláh, Bah
=== ===
* [[../곡용:Čech|Čech]] 유형:
:: brach, černoch, duch, hoch, mnich, ženich, Kazach, Čech
=== ===
* [[../곡용:bratr|bratr]] 유형:
:: bratr, dinosaur, ministr, mistr, tygr, švagr
=== ===
* [[../곡용:doktor|doktor]] 유형:
:: iniciátor, adaptér, aktér, amatér, cenzor, doktor, investor, inženýr, kocour, partner, premiér, profesor, páter, redaktor, režisér, teenager, vicepremiér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muž
2071
4198
2005-11-20T23:37:14Z
Slomo
14
/* 참조 */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 유정 명사: muž'''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muž</td>
<td>muž'''i'''</td>
</tr>
<tr>
<td>대격 (A.)</td>
<td rowspan=2>muž'''e'''</td>
<td>muž'''e'''</td>
</tr>
<tr>
<td>생격 (G.)</td>
<td>muž'''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muž'''i'''</td>
<td>muž'''ům'''</td>
</tr>
<tr>
<td>처격 (L.)</td>
<td>muž'''ích'''</td>
</tr>
<tr>
<td>조격 (I.)</td>
<td>muž'''em'''</td>
<td>muž'''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muž'''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변이형
** 단수 여격 (D. sg.)과 단수 처격 (L. sg.): muž'''ovi'''
** 복수 주격 (N. pl.): muž'''ov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여격 (D. pl.) : muž'''um'''
** 복수 조격 (I. pl.) : muž'''ema'''
==하위유형==
아래 여러 유형으로 복잡하게 구분하였으나 복수 주격 (N. pl.) 형태를 제외하면 차이가 없다. [[../곡용:učitel|učitel]] 유형의 경우에는 어미 자체가 다르고 구어에서 추가적인 차이가 있다. 그러나 muž, [[../곡용:otec|otec]], [[../곡용:čaroděj|čaroděj]], [[../곡용:malíř|malíř]], [[../곡용:korejec|korejec]] 유형은 완벽하게 동일한 형태 변화를 한다. 단지 차이는 복수 주격 (N. pl.)에서 어떤 형태를 표준 문어에서 더 선호하는가에 있을 뿐이다. 아래 표로 차이를 정리하였다.
문어 기본형 문어 변이형 구어 기본형 구어 변이형
muž : muž'''i''', muž'''ové'''
[[../곡용:otec|otec]] : otc'''i''', otc'''ové'''
[[../곡용:čaroděj|čaroděj]]: čaroděj'''ové''', čaroděj'''i'''
[[../곡용:malíř|malíř]] : malíř'''i'''; mlíř'''ové'''
[[../곡용:korejec|korejec]] : korejc'''i'''; korejc'''ové'''
[[../곡용:učitel|učitel]] : učitel'''é''', učitel'''i'''; učitel'''e''', učitel'''ové'''
* 어말이 '''-ec'''인 otec, korejec 유형은 각각 muž, malíř 유형과 동일하며 격변화할 때 -e-가 탈락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난다.
* 모든 유형이 복수 주격에서 muž'''i''', čaroděj'''i''', malíř'''i''', učitel'''i'''가 문어 표준형으로 인정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 모든 유형이 복수 주격에서 muž'''ové''', čaroděj'''ové''', malíř'''ové''', učitel'''ov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나 muž'''ové''', čaroděj'''ové'''는 문어 표준형으로 인정되는 데 비해 malíř'''ové''', učitel'''ové''' 는 문어형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어휘==
===유형: muž===
여기에 속하는 일반 명사는 많지 않다. 아래 제시된 것이 전부이다. 그러나, 이외에 많은 남자 이름이 이 부류에 속한다.
* -c: dědic, financ, komplic, mudrc, novic, princ, proc, strýc, strejc (strýc의 구어형), tkadlec,
* -č: pokrývač,
* -j: diskžokej, šohaj, šohaj,
* -l: součinitel, vyvrhel,
* -ř: císař, oř, piskoř, tchoř,
* -s: boss,
* -š: bělouš, chřestýš, hraboš, hroznýš, korýš, měkkýš, tovaryš,
* -y: gay, playboy, playboy,
* -z: markýz, vítěz, šimpanz,
* -ž: ambrož, mlž, muž, papež, plž, velmož,
===유형: malíř===
많은 명사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špic, boháč, malíř, vítěz 등이 있다. 복수 주격 (N. pl.)에서 '''-i''' 형만 표준 문어형으로 인정된다. 구어에서 '''-ové'''형이 사용되나 표준 문어 문법에서는 올바른 형태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 점을 제외하면 muž 유형과 완벽하게 동일하다.
* 복수 주격 표준형: špic'''i''', boháč'''i''', malíř'''i''', vítěz'''i'''
* 복수 주격 구어형: špic'''ové''', boháč'''ové''', malíř'''ové''', vítěz'''ové'''
* 더 상세한 격변화 정보와 어휘 목록은 [[../곡용:malíř|malíř]] 참조.
===유형: čaroděj===
소수의 명사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prarodič, čaroděj, král, listonoš 등이 있다. 표준 문어의 복수 주격 (N. pl.)에서 '''-ové''' 형이 '''-i''' 형 보다 선호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muž 유형과 완전히 동일하다.
* 복수 주격 기본형 : prarodič'''ové''', čaroděj'''ové''', král'''ové''', listonoš'''ové'''
* 복수 주격 변이형 : prarodič'''i''', čaroděj'''i''', král'''i''', listonoš'''i'''
* 더 상세한 격변화 정보와 어휘 목록은 [[../곡용:čaroděj|čaroděj]] 참조.
===유형: otec===
어말이 '''-ec''' 인 명사로 격변화할 때 -e- 가 탈락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muž 와 완전히 동일하다.
* 더 상세한 격변화 정보와 어휘 목록은 [[../곡용:otec|otec]] 참조.
===유형: korejec===
어말이 '''-ec''' 인 명사로 격변화할 때 -e- 가 탈락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곡용:malíř|malíř]] 와 완전히 동일하다.
* 더 상세한 격변화 정보와 어휘 목록은 [[../곡용:korejec|korejec]] 참조.
===유형: učitel===
어말이 '''-tel'''인 남성 유정 명사. 복수 주격 (N. pl.) 형태가 učitel'''é''' 이라는 점이 차이가 난다. 구어 형태에서 나머지 유형과는 다른 점이 있다.
* 더 상세한 격변화 정보와 어휘 목록은 [[../곡용:učitel|učitel]]을 참조.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sešit
2072
4197
2005-11-20T23:32:19Z
Slomo
14
/* */
'''일반적인 남성 무정 명사: sešit'''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sešit</td>
<td rowspan=2>sešit'''y'''</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 rowspan=3>sešit'''u'''</td>
<td>sešit'''ů'''</td>
</tr>
<tr>
<td>여격 (D.)</td>
<td>sešit'''ům'''</td>
</tr>
<tr>
<td>처격 (L.)</td>
<td>sešit'''ech'''</td>
</tr>
<tr>
<td>조격 (I.)</td>
<td>sešit'''em'''</td>
<td>sešit'''y'''</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sešit'''e'''!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사용되는 변이형
* 단수 처격: sešit'''ě'''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여격: sešit'''um'''
** 복수 조격: sešit'''ama'''
==하위유형==
=== ===
기본적으로 단수 생격, 여격, 처격 어미는 모두 동일하게 '''-u''' 이다. 일부 단어는 단수 처격에서 '''-e/-ě''' 형 어미를 취할 수도 있다. 일부 단어는 단수 생격에서 남성 유정 명사처럼 '''-a''' 형 어미를 취하기도 한다. 이런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단수 생격 단수 처격
(1) banán banánu banánu
(2) dopis dopisu dopis'''e'''/dopisu
sešit sešitu sešit'''ě'''/sešitu
(3) sýr sýr'''a'''/sýru sýru
(4) svět svět'''a''' svět'''ě'''/světu
=== ===
매우 소수이지만 hotel, motel, rámus 등의 단어는 복수 처격에서 '''-ech''' 형과 함께 '''-ích''' 형이 사용되기도 한다.
단수 생격 단수 처격 복수 처격
(1) hotel hotelu hotelu hotelech/hotel'''ích'''
=== ===
어말이 -k, -g, -ch, -h 로 끝나는 경우에는 기본적인 banán 유형으로 단수 생격, 처격에서 '''-u''' 어미만을 취한다. 단, 복수 처격에서 각각 -cích, -zích, -ších, -zích 로 자음이 변한다. 괄호 안에 있는 것은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는 형태이다.
단수 생격 단수 처격 복수 처격
-k ) dárek dárku dárku dár'''cích''' (dárkách)
deník deníku deníku dení'''cích''' (deníkách)
-g ) dialog dialogu dialogu dialo'''zích''' (dialogách)
-ch) vrch vrchu vrchu vr'''ších''' (vrchách)
-h ) batoh batohu batohu bato'''zích''' (batohách)
어말이 -k 인 단어들 중에서 jazyk, potok, trojúhelník 이렇게 세 단어는 sýr 유형과 마찬가지로 단수 생격에서 '''-u''' 형 어미와 '''-a''' 형 어미를 모두 취할 수 있다.
=== ===
어말이 -en, -et, -ek 로 끝나는 단어는 기본적인 banán 유형으로 단수 생격, 처격에서 '''-u''' 형을 취한다. 단, 격변화할 때 -e- 가 탈락하는 현상이 있다.
어말이 -en 인 단어 중에서 달 이름에 해당하는 7 단어는 단수 생격에서 '''-a''' 형 어미를 취한다.
단수 생격
1월 leden ledn'''a'''
3월 březen březn'''a'''
4월 duben dubn'''a'''
5월 květen květn'''a'''
6월 červen červn'''a'''
8월 srpen srpn'''a'''
10월 říjen říjn'''a'''
=== ===
복수형만 존재하는 단어들도 있다.
=== ===
라틴어에서 유래한 -us
* 일부 소수의 단어는 단수 생격 (G. sg.)에서 -a 형으로 변하기도 한다:
** sýr, chleb, večer, oběd, jazyk, čtvrtek, kostel
** 달 이름: leden - ledna, únor - února, březen - března, duben - dubna, květen - května, červen - června, srpen - srpna, říjen - října
** Chodov, Londýn, Berlín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pokoj
2073
4081
2005-11-19T12:10:20Z
Slomo
14
/* 어휘 */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 무정 명사: klíč, pokoj, talíř, koš, měsíc/koberec, chmel/pytel'''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pokoj</td>
<td rowspan=2>pokoj'''e'''</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pokoj'''e'''</td>
<td>pokoj'''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pokoj'''i'''</td>
<td>pokoj'''ům'''</td>
</tr>
<tr>
<td>처격 (L.)</td>
<td>pokoj'''ích'''</td>
</tr>
<tr>
<td>조격 (I.)</td>
<td>pokoj'''em'''</td>
<td>pokoj'''i'''</td>
</tr>
<tr>
</table>
* 호격 (V.)
** 호격 단수 (V. sg.) : pokoj'''i'''
** 호격 복수 (V. pl.) = 주격 복수 = 대격 복수
* 구어에서는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경우.
** 복수 여격 (D. pl.)에서 pokoj'''u''' 형태
** 복수 조격 (I. pl.)에서 pokoj'''ema''' 형태
==어휘==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 무정 명사는 상당수 있으나 아래 제시된 것이 전부이다. 연자음으로 끝나는 여성 명사도 존재하므로 단어별로 남성 명사인지 여성 명사인지 외워야 한다.
===유형: klíč===
* bič, Bihač, Botič, časovač, čistič, čítač, dělič, drtič, elektrospotřebič, gauč, Halič, hlásič, chladič, chomáč, chránič, chtíč, jistič, kartáč, Kelč, klíč, koláč, kolotoč, kotouč, kouč, krumpáč, krumpáč, krumpáč, květináč, kýč, lanč, lapač, listnáč, meč, měnič, měřič, míč, mikropočítač, mikrořadič, nakladač, nosič, odlučovač, ohřívač, ovladač, pekáč, petrklíč, pláč, plánovač, počítač, polovodič, pomeranč, posilovač, poutač, prohlížeč, přehrávač, přepínač, převaděč, přijímač, přijímač, přivaděč, puč, punč, ranč, rozvaděč, rozváděč, rýč, rýč, řadič, Řepeč, sekáč, sendvič, skeč, směrovač, snímač, spínač, spotřebič, stěrač, superpočítač, sypač, tahač, terč, tlampač, tlumič, urychlovač, vařič, vodič, vyhazovač, vyhledávač, vykladač, vypínač, vysavač, vysílač, vysoušeč, zapalovač, zářič, zatykač, zavináč, zesilovač, zobrazovač
===유형: pokoj===
어말이 '''-j''' 인 명사는 여성 명사일 수도 있으므로 단어별로 남성 명사인지 여성 명사인지 외우고 있어야 한다. 다음 단어들은 남성 무정 명사이다.
* Agrostroj, boj, čaj, děj, desetiboj, Dimitrij, displej, displej, Dmitrij, Dubaj, Dubaj, Dunaj, dvojboj, fotopřístroj, háj, Himaláj, Himaláj, hoboj, hokej, Jevgenij, Jihostroj, koloděj, konvoj, kraj, kroj, kyj, máj, mumraj, náboj, nápoj, nástroj, nepokoj, obličej, obyčej, odboj, odboj, odprodej, ohňostroj, okraj, okraj, olej, orloj, Ostroj, pětiboj, petrolej, podej, pokoj, pokraj, portfej, postoj, postroj, prazdroj, prodej, prostoj, předpokoj, předprodej, předvoj, příboj, přípoj, přístroj, pyj, ráj, rej, roj, rozbroj, rozprodej, rozvoj, sedmiboj, Sinaj, Slavoj, souboj, spoj, sprej, stejnokroj, stoj, stroj, Šanghaj, taj, trojboj, turnaj, údaj, víceboj, voj, volej, výboj, výdaj, výdej, výprodej, vývoj, závoj, zdroj, zpravodaj
===유형: talíř===
* adresář, arkýř, četař, depozitář, diář, exemplář, formulář, haléř, haléř, halíř, herbář, honorář, inventář, kalamář, kalendář, keř, komentář, kouř, krunýř, měchýř, mobiliář, Mojžíř, oltář, oltář, pancíř, pepř, pilíř, polštář, pranýř, presbytář, puchýř, receptář, refektář, relikviář, scénář, sekretář, seminář, slabikář, snář, stacionář, talíř, trakař, trakař, trakař, trychtýř, vějíř, vikýř, Vojíř, Žacléř, Žacléř, žalář
===유형: koš===
* Bangladéš, buš, cypřiš, fetiš, finiš, groš, guláš, hašiš, jidáš, koš, kvaš, mariáš, Mikuláš, Niš, Oš, otčenáš, rubáš, strakoš, tuš, verš
===유형: měsíc/koberec===
어말이 '''-c''' 인 남성 무정 명사. 대부분의 '''-ec''' 로 끝나는 명사는 격변화할 때 -e- 가 탈락한다. 하지만, 다음 목록에서 보듯이 koniklec, Sedlec 두 단어의 경우에는 -e- 가 탈락하지 않는다.
* desetitisíc, distanc, Drenovac, hospic, koniklec, krajíc, kredenc, líc, měsíc, palác, půlměsíc, Sedlec, stotisíc, střevíc, sulc, tisíc
* -ec 유형 (-e- 탈락): bérec, Bílovec, blázinec, Bolevec, boltec, Bzenec, cínovec, čepec, červenec, čtverec, čtyřválec, čtyřválec, dílec, Dubenec, dvorec, Hlohovec, hostinec, Hrachovec, hrnec, Humpolec, husinec, Chlumec, chudobinec, chuchvalec, Jablonec, jalovec, Jesenec, jezdec, jírovec, kabátec, kamenec, kavalec, Klášterec, Klínovec, koberec, konec, kopanec, kopec, kosatec, Kostelec, kotec, kotrmelec, Královec, krmelec, křemenec, ledovec, Liberec, Libouchec, límec, Linec, Lipovec, Lískovec, lívanec, Lučenec, Lukavec, Lužec, mazanec, Městec, měšec, nástavec, nevěstinec, obrazec, očistec, odstavec, Oravec, palec, pískovec, Plzenec, podstavec, Pohořelec, poklopec, pražec, propletenec, prosinec, prstenec, Rájec, rámec, ranec, Rohatec, růženec, řetězec, Sedlec, sirotčinec, skřipec, slepenec, Slivenec, sloupec, Smokovec, smyčec, smyčec, Solanec, Sovinec, srnec, Srubec, stolec, Studenec, šestiválec, škrábanec, štětec, tanec, Tlustec, torpédoborec, Třinec, Týnec, Újezdec, utopenec, válec, vápenec, věnec, Vestec, vlasec, vzorec, zvěřinec, zvonec, Žatec, Ždírec
===유형: chmel/pytel===
어말이 -l 인 명사의 일부가 이 유형에 속한다. 어말의 -e-가 탈락하는 경우도 있고 탈락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단어별로 외워야 한다.
* (-e- 탈락하지 않음) čepel, činitel, hřídel, chmel, Izrael, jetel, jmenovatel, korbel, koukol, kužel, nástřel, plevel, rubl, součinitel, svízel, šindel, tmel, ukazatel, zřetel
* (-e- 탈락) kachel, kašel, kotel, kyčel, obratel, pantofel, pytel
===특수한 유형===
일부 소수의 단어가 이 유형에 해당한다.
* -ž (3개): bridž, kříž, podnož
* -k (2개): žebřík, záhonek
* -z (2개): Bezděz, peníz
* -s (3개): Ferencváros, Nagymaros, městys
외래어 표기를 그대로 차용한 경우 그 발음이 체코어의 연자음에 해당하는 경우.
* -ch (외래어로 발음이 [č]인 경우): Greenwich, Ipswich, Norwich
* -sh (외래어로 발음이 [š]인 경우): carsh, squash
* -i (외래어로 발음이 [j]인 경우): Hyundai
* -y (외래어로 발음이 [j]인 경우): Bay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žena
2074
4043
2005-11-18T22:24:54Z
Slomo
14
<table border=1>
<tr>
<th></th>
<th>sg.</th>
<th>pl.</th>
</tr>
<tr>
<td>N.</td>
<td>žena</td>
<td rowspan=2>ženy</td>
</tr>
<tr>
<td>A.</td>
<td>ženu</td>
</tr>
<tr>
<td>G.</td>
<td>ženy</td>
<td>žen</td>
</tr>
<tr>
<td>D.</td>
<td rowspan=2>ženě</td>
<td>ženám</td>
</tr>
<tr>
<td>L.</td>
<td>ženách</td>
</tr>
<tr>
<td>I.</td>
<td>ženou</td>
<td>ženami</td>
</tr>
<tr>
</table>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město
2075
4044
2005-11-18T22:31:04Z
Slomo
14
<table border=1>
<tr>
<th></th>
<th>sg.</th>
<th>pl.</th>
</tr>
<tr>
<td>N.</td>
<td rowspan=2>město</td>
<td rowspan=2>města</td>
</tr>
<tr>
<td>A.</td>
</tr>
<tr>
<td>G.</td>
<td>města</td>
<td>měst</td>
</tr>
<tr>
<td>D.</td>
<td>městu</td>
<td>městům</td>
</tr>
<tr>
<td>L.</td>
<td>městě</td>
<td>městech</td>
</tr>
<tr>
<td>I.</td>
<td>městem</td>
<td>městy</td>
</tr>
<tr>
</table>
* 단수 처격 (L. sg.)에서 -u 형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 국가명: Německo - v Německu, Rakousko - v Rakousku, Rusko - v Rusku, Japonsko - v Japonsku,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수사
2076
4632
2006-01-26T22:02:21Z
Slomo
14
+NOTOC
__NOTOC__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 [[/곡용|수사의 곡용]]
=수사 (Číslovky)=
==수사의 종류==
===기본 수사 (Číslovky základní)===
* 의문사: kolik? 에 대한 대답
* 한정 (určité): jeden, dva, tři, sto, tisíc
* 비한정 (neurčité): několik, mnoho, málo
===순서 수사 (Číslovy řadové)===
* 의문사: kolikáký? 에 대한 대답
* 한정 (určité): první, druhý, třetí, stý, tisící
* 비한정 (neurčité): několikátý
=== 종류 수사 (Číslovky druhové)===
* 의문사: kolikerý? 에 대한 대답
* 한정 (určité): dvojí, trojí, paterý
* 비한정 (neurčité): několikerý
=== 집합 수사 (Číslovky souborové)===
* 의문사: kolikery? kolikeré? 에 대한 대답
* 한정 (určité): jedny, dvoje, oboje, troje, čtvery, patery
* 비한정 (neurčité): několikery, několikeré
복수로만 쓰이는 명사의 개수를 나타낼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ůžky 가위, brýle 안경, šaty 드레스, 등은 복수 형태만 사용된다. boty 신발 (한 켤레), podnožky 양말 (한 켤레) 등은 양말 한 짝, 신발 한 짝을 지칭할 때는 물론 단수 형태가 사용되지만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복수 형태로 사용된다.
* troje nůžky 가위 세 벌, torje boty 신발 세 켤레, několikeré šaty 드레스 몇 벌 - 단순히 개수를 말할 때 사용된다.
* trojí nůžky 세 가지 (다른 종류의) 가위, trojí boty 세 가지 신발, několikerý šaty 몇 가지 드레스 - 종류가 다르다는 의미를 가진다.
===배수사 (Číslovky násobné)===
* 의문사: kolikrát? kolikanásobný? 에 대한 대답
* 한정 (určité): dvakrát, desetkrát, stokrát
* 비한정 (neurčité): několikrát, mnohokrát, několikanásobný, mnohonásobný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průvodce
2077
4628
2006-01-26T21:52:05Z
Slomo
14
/* 유형: průvodce */ 오자 교정 (보하자 -> 보호자)
'''-ce 형 남성 유정 명사: průvodce, soudce'''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3>průvodc'''e'''</td>
<td>průvodc'''i'''</td>
</tr>
<tr>
<td>대격 (A.)</td>
<td>průvodc'''e'''</td>
</tr>
<tr>
<td>생격 (G.)</td>
<td>průvodc'''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průvodc'''i'''</td>
<td>průvodc'''ům'''</td>
</tr>
<tr>
<td>처격 (L.)</td>
<td>průvodc'''ích'''</td>
</tr>
<tr>
<td>조격 (I.)</td>
<td>průvodc'''em'''</td>
<td>průvodc'''i'''</td>
</tr>
<tr>
</table>
* 단수 여격 (D. sg.)와 단수 처격 (L. sg.)에서 průvodc'''ovi''' 형태도 사용된다.
* 구어에서는 복수 주격 (N. pl.)에서 průvodc'''ové''' 라는 형태도 사용된다. 일부 단어의 경우에는 이 형태를 표준 문어에서도 변이형의 하나로 인정하고 있다.
* 구어에서는 복수 조격 (N. pl.)에서 průvodc'''ema''' 라는 형태가 사용된다. 표준 문어에서는 올바른 형태로 인정되지 않는다.
==어휘==
이 유형에 속하는 단어들은 많지 않다. 아래 제시된 단어들이 전부이다.
===유형: průvodce===
다음 단어들은 복수 주격 (N. pl.)에서 '''-ci''' 형 어미만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는 것들이다.
* dárce 기증자, dopravce 운반인, dovozce 수입업자, dozorce 감독관, důchodce 퇴직자/연금생활자, mírotvorce 피스메이커/조정자/중재인, nájemce 임차인/빌려주는 사람, nálezce 발견자, nástupce 계승자, obhájce 방어자/변호사, obránce 수비, odpůrce 반대자/적/상대, ochránce 보 호자, plátce 지불인 , porotce 배심원/심판, průvodce 안내자, předchůdce 선임자/선조, přepravce 운반인, příjemce 수취인/받는 사람, původce 생산자/창작자/창시자, tkadlec 직조공/뜨개질하는 사람, únosce 납치범, vládce 통치자/군주, výherce 승리자, vynálezce 발명가, výrobce 생산자/제작자, vývozce 수출업자, zachránce 구조자/구세주, zájemce 관심있는 사람/응모자/신청자, zastánce 방어자/변호사/지지자, zástupce 대리인/대표/사절, žalobce 원고/고소인/검사
===유형: soudce===
다음 단어들은 복수 주격 (N. pl.)에서 '''-ci''', '''-cové''' 두 형태 모두 표준 문어형으로 인정되는 것들이다.
* dárce 기증자, důchodce 퇴직자/연금생활자, odhadce 가격 사정인, poradce 조언자/컨설턴트, prodejce 판매인, rádce 멘터/조언자/컨설턴트/카운셀러, rozhodce 중재인/심판자, škůdce 해충/기생충, soudce 판사/심판, správce 관리자/큐레이터/집사/간수, strážce 파수꾼/관리인/수위, strojvůdce 엔지니어, strůjce 충동질하는 사람, svůdce 유혹하는 사람, tvůrce 창작자, úpadce 파산자, vládce 통치자/군주, vlastizrádce 반역자/매국노, vojevůdce 지휘관/사령관/장군 , vůdce 선도자/지도자/길잡이, zachránce 구조자/구세주, zákonodárce 입법자, zrádce 반역자/배신자
위의 두 목록에 다음 네 단어는 중복되어 속해 있다. 문법서에 따라 이견이 있기 때문이다.
* dárce 기증자, důchodce 퇴직자/연금생활자, vládce 통치자/군주, zachránce 구조자/구세주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남성
2078
4623
2006-01-26T20:43:26Z
Slomo
14
+NOTOC
__NOTOC__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
<br />
=남성 명사의 곡용=
==경자음 유정==
==경자음 무정==
==연자음 유정==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 유정 명사는 다음과 같이 변한다. 아래 표에서처럼 몇개의 하위 유형으로 나누어지지만 단수 호격과 복수 주격을 제외하면 모두 동일하게 변화한다.
{|border=1
|rowspan=12| 문어형 기본형 || 단수 || N || [[../../곡용:muž|muž]] || [[../../곡용:malíř|malíř]] || [[../../곡용:čaroděj|čaroděj]] || [[../../곡용:otec|otec]] || [[../../곡용:korejec|korejec]] || [[../../곡용:učitel|učitel]]
|-
|| || A || muže || malíře || čaroděje || otce || korejce || učitele
|-
|| || G || muže || malíře || čaroděje || otce || korejce || učitele
|-
|| || D || muži || malíři || čaroději || otci || korejci || učiteli
|-
|| || L || muži || malíři || čaroději || otci || korejci || učiteli
|-
|| || I || mužem || malířem || čarodějem || otcem || korejcem || učitelem
|-
|| 복수 || N || '''muži''' || '''malíři''' || '''čarodějové''' || '''otci''' || '''korejci''' || '''učitelé'''
|-
|| || A || muže || malíře || čaroděje || otce || korejce || učitele
|-
|| || G || mužů || malířů || čarodějů || otců || korejců || učitelů
|-
|| || D || mužům || malířům || čarodějům || otcům || korejcům || učitelům
|-
|| || L || mužích || malířích || čarodějích || otcích || korejcích || učitelích
|-
|| || I || muži || malíři || čaroději || otci || korejci || učiteli
|-
|rowspan=5| 호격과 문어 변이형
|-
|| 단수 || V || '''muži''' || '''malíři''' || '''čaroději''' || '''otče''' || '''korejče''' || '''učiteli'''
|-
|| || D || mužovi || malířovi || čarodějovi || otcovi || korejcovi || učitelovi
|-
|| || L || mužovi || malířovi || čarodějovi || otcovi || korejcovi || učitelovi
|-
|| 복수 || N || mužové || ---- || čaroději || otcové || ---- || učiteli
|-
|rowspan=7| 구어 변이형
|-
|| 복수 || N || ---- || malířové || ---- || ---- || korejcové || učitele
|-
|| || D || mužum || malířum || čarodějum || otcum || korejcum || učitelum
|-
|| || I || mužema || malířema || čarodějema || otcema || korejcema || učitelema
|-
|| || L || ---- || ---- || ---- || ---- || ---- || učitelech
|-
|| || N || ---- || ---- || ---- || ---- || ---- || učitelové
|-
|| || I || ---- || ---- || ---- || ---- || ---- || učitelama
|}
==연자음 무정==
무정 명사의 곡용 유형
* 기본 유형 : [[../../곡용:pokoj|pokoj]]
==-us 유정==
라틴어에서 차용된 어휘들이다.
==-us 무정==
라틴어에서 차용된 어휘들이다.
==-a==
일부 -a로 끝나는 남성 명사도 있다. 거의 모두 유정 명사이나 소수의 무정 명사도 존재한다. 격변화 유형에 차이가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유정과 무정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 일반 명사는 많지 않으나 이 유형에 속하는 사람 이름은 매우 많다.
:* [[../../곡용:poeta|poeta]] 유형:
:* [[../../곡용:bohemista|bohemista]] 유형:
:* [[../../곡용:vozka|vozka]] 유형:
==-ce==
이 유형에 속하는 단어는 많지 않다. 아래 제시된 것이 거의 전부이다. 아래 목록에서 dárce, důchodce, vládce, zachránce 네 단어는 중복된다. 문법서에 따라 이견이 있기 때문이다.
:* [[../../곡용:průvodce|průvodce]] 유형:
:* [[../../곡용:soudce|soudce]] 유형:
==단수에서는 남성 복수에서는 중성==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učitel
2079
4097
2005-11-19T16:58:31Z
Slomo
14
'''-tel 형 남성 유정 명사: učitel'''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učitel</td>
<td>učitel'''é'''</td>
</tr>
<tr>
<td>대격 (A.)</td>
<td rowspan=2>učitel'''e'''</td>
<td>učitel'''e'''</td>
</tr>
<tr>
<td>생격 (G.)</td>
<td>učitel'''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učitel'''i'''</td>
<td>učitel'''ům'''</td>
</tr>
<tr>
<td>처격 (L.)</td>
<td>učitel'''ích'''</td>
</tr>
<tr>
<td>조격 (I.)</td>
<td>učitel'''em'''</td>
<td>učitel'''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učitel'''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변이형
** 단수 여격 (D. sg.)과 단수 처격 (L. sg.): učitel'''ovi'''
** 복수 주격 (N. pl.): učitel'''i'''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주격 (N. pl.): učitel'''e'''
** 복수 여격 (D. pl.) : učitel'''um'''
** 복수 조격 (I. pl.) : učitel'''ema'''
** 복수 처격 (L. pl.) : učitel'''ech'''
* 구어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형태
** 복수 주격 (N. pl.): učitel'''ové'''
** 복수 조격 (I. pl.) : učitel'''ama'''
* 참조: [[../곡용:muž|muž]]. 복수 주격 (N. pl.)의 형태만 제외하면 muž 와 완전히 동일하게 변화한다.
==어휘==
* badatel, buditel, budovatel, cestovatel, ctitel, cvičitel, čekatel, činitel, dobyvatel, dodavatel, dopisovatel, doručitel, doručovatel, dražitel, držitel, hlasatel, hodnotitel, hostitel, hybatel, chovatel, jednatel, jmenovatel, kazatel, krotitel, křtitel, léčitel, luštitel, majitel, maloodběratel, místodržitel, mstitel, myslitel, nabyvatel, nabyvatel, nakladatel, narušitel, navrhovatel, ničitel, nositel, obdivovatel, objednatel, objednatel, objevitel, obyvatel, odběratel, odesilatel, odesílatel, osvoboditel, ošetřovatel, ověřovatel, pábitel, padělatel, pachatel, pečovatel, pěstitel, pisatel, podnikatel, podporovatel, pojistitel, pokračovatel, pořadatel, poskytovatel, pozorovatel, poživatel, pronajímatel, pronajímatel, pronásledovatel, provozovatel, předkladatel, předplatitel, představitel, překladatel, přemožitel, přihlašovatel, přispěvatel, ručitel, ředitel, řešitel, sběratel, skladatel, soutěžitel, spasitel, spisovatel, spolumajitel, spolupachatel, spolupořadatel, spoluzakladatel, spotřebitel, stavitel, stěžovatel, střadatel, stvořitel, subdodavatel, šiřitel, školitel, tazatel, učitel, ukazatel, uživatel, uživatel, velitel, velkoodběratel, věřitel, věznitel, vkladatel, vnímatel, volitel, vydavatel, vydražitel, vyhlašovatel, vychovatel, vykonavatel, vykupitel, vyrábitel, vystavovatel, vyšetřovatel, vyzyvatel, vyzývatel, zadavatel, zakladatel, zaměstnavatel, zaměstnavatel, zapisovatel, zastupitel, zastupitel, zhotovitel, znečišťovatel, zpracovatel, zprostředkovatel, zřizovatel, zůstavitel, žadatel, živitel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malíř
2080
4096
2005-11-19T16:54:04Z
Slomo
14
/* 어휘 */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 유정 명사: špic, boháč, malíř, vítěz'''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malíř</td>
<td>malíř'''i'''</td>
</tr>
<tr>
<td>대격 (A.)</td>
<td rowspan=2>malíř'''e'''</td>
<td>malíř'''e'''</td>
</tr>
<tr>
<td>생격 (G.)</td>
<td>malíř'''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malíř'''i'''</td>
<td>malíř'''ům'''</td>
</tr>
<tr>
<td>처격 (L.)</td>
<td>malíř'''ích'''</td>
</tr>
<tr>
<td>조격 (I.)</td>
<td>malíř'''em'''</td>
<td>malíř'''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malíř'''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변이형
** 단수 여격 (D. sg.)과 단수 처격 (L. sg.): malíř'''ovi'''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주격 (N. pl.): malíř'''ové'''
** 복수 여격 (D. pl.) : malíř'''um'''
** 복수 조격 (I. pl.) : malíř'''ema'''
* 참조: [[../곡용:muž|muž]]와 동일하게 변화한다. 복수 주격 (N. pl.)에서 '''-ové''' 형이 표준 문어형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사실만 제외하고는 완전히 동일하다.
==어휘==
* '''(-c로 끝나는 명사)''' dědic, mudrc, novic, panic, strejc, strýc, šlechtic, špic, zajíc
* '''(-č로 끝나는 명사)''' bavič, boháč, bradáč, brusič, buřič, červotoč, dědič, dělič, dříč, hasič, hlaváč, hledač, hlídač, holič, honič, hráč, hrbáč, chlupáč, knírač, kopáč, kouč, kudrnáč, kulič, ladič, lamač, lupič, mazač, měřič, nadhazovač, nahrávač, nakladač, natěrač, neplatič, nosič, odpírač, okáč, oráč, ostřelovač, osvětlovač, paroháč, plánovač, podavač, pochybovač, pokrývač, pokrývač, pokrývač, pomahač, posluchač, potápěč, povaleč, prodavač, protihráč, přenašeč, převáděč, přisluhovač, roháč, rozehrávač, roztoč, rváč, řidič, sběrač, sekáč, spáč, spoluhráč, stíhač, střihač, svářeč, topič, trubač, udavač, udavač, uchazeč, volič, vrhač, vyděrač, vyděrač, vyhazovač, vyhledávač, vyhledávač, vyjednavač, vyjednávač, vykladač, vykrádač, vykrádač, vypravěč, vyvolávač, vyvolávač, vyznavač, vyznavač, vzpěrač, zaměřovač, zaříkávač, zelenáč, zeměměřič
* '''(-ř로 끝나는 명사)''' akcionář, archivář, autokrosař, bachař, bakalář, bankéř, barvíř, bečvář, bednář, běžkař, blokař, brankář, brankář, bruslař, cestář, cihlář, cukrář, cyklokrosař, čerpadlář, češtinář, četař, čihař, čtenář, dálkař, depozitář, depozitář, desetibojař, diskař, domkář, dráhař, dřevař, elektrikář, farář, farmář, filmař, folkař, folkař, funkcionář, harmonikář, havíř, házenkář, hladovkář, hlavičkář, hodinář, hodnostář, hospodář, houbař, hraničář, hrnčíř, hrobař, hvězdář, chalupář, chatař, chmelař, itinerář, jachtař, jeskyňář, kacíř, kajakář, kancléř, kapsář, kejklíř, kladivář, klempíř, knihař, knoflíkář, kolář, komisař, komisionář, koncesionář, kosíř, košíkář, koulař, kovář, krajinář, kramář, krasobruslař, kravař, krčmář, kreslíř, kronikář, krysař, kuchař, kumštýř, kuplíř, kuželkář, legionář, lékař, lhář, lnář, loutkář, lyžař, makléř, malíř, mečíř, metař, mílař, miliardář, milicionář, milionář, misionář, mlynář, modelář, motokrosař, motorkář, multimilionář, národohospodář, návrhář, notář, novinář, ocelář, odbojář, odborář, ohař, ochranář, opravář, oštěpař, ovocnář, památkář, pastýř, pekař, pětibojař, pilař, písař, písničkář, pivař, plošinář, plynař, popelář, prachař, primář, proletář, překážkář, pumpař, puškař, revolucionář, rybář, rychlobruslař, rychtář, rytíř, řezbář, samotář, sáňkař, sázkař, sdruženář, sedlář, sekretář, signatář, silničář, sjezdař, skifař, sklář, slalomář, smečař, smolař, sochař, soupeř, stánkař, statkář, stavař, stavbař, stolař, stopař, strojař, středopolař, surfař, šafář, šéfkuchař, šenkýř, šenkýř, šermíř, šindelář, šprýmař, šumař, taxikář, taxíkář, templář, tesař, textař, těžař, tiskař, truhlář, tunelář, tyčkař, údržbář, uhlíř, úhoř, uzenář, včelař, vepř, verbíř, veslař, veterinář, vícebojař, vícekancléř, vícekancléř, vikář, vinař, vizionář, vizionář, vladař, vlekař, vodnář, vodohospodář, vozíčkář, vrchař, výsadkář, výškař, vývojář, zahrádkář, záchranář, zbrojař, zednář, zelinář, zelinář, zubař, zvěrolékař, zvukař, železničář, žhář, žoldnéř
* '''(-z로 끝나는 명사)''' vítěz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čaroděj
2081
4101
2005-11-19T17:46:15Z
Slomo
14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 유정 명사: prarodič, čaroděj, král, listonoš'''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čaroděj</td>
<td>čaroděj'''ové'''</td>
</tr>
<tr>
<td>대격 (A.)</td>
<td rowspan=2>čaroděj'''e'''</td>
<td>čaroděj'''e'''</td>
</tr>
<tr>
<td>생격 (G.)</td>
<td>čaroděj'''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čaroděj'''i'''</td>
<td>čaroděj'''ům'''</td>
</tr>
<tr>
<td>처격 (L.)</td>
<td>čaroděj'''ích'''</td>
</tr>
<tr>
<td>조격 (I.)</td>
<td>čaroděj'''em'''</td>
<td>čaroděj'''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čaroděj'''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변이형
** 단수 여격 (D. sg.)과 단수 처격 (L. sg.): čaroděj'''ovi'''
** 복수 주격 (N. pl.): čaroděj'''i'''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여격 (D. pl.) : čaroděj'''um'''
** 복수 조격 (I. pl.) : čaroděj'''ema'''
* 참조: [[../곡용:muž|muž]]. 복수 주격 (N. pl.)에서 '''-ové''' 형이 '''-i''' 형보다 선호된다는 점만 제외하면 [[../곡용:muž|muž]]와 완전히 동일하다.
==어휘==
이 유형에 속하는 단어는 아래 제시된 것이 전부이다.
* '''(-č로 끝나는 단어)''' kouč, prarodič
* '''(-j로 끝나는 단어)''' zpravodaj, čaroděj, kovboj, lokaj, samuraj, zloděj, žokej
* '''(-l로 끝나는 단어)''' král, Král
* '''(-š로 끝나는 단어)''' kámoš, listonoš, mecenáš, mesiáš, primáš, vlajkonoš
* '''(사람 이름)''' Bukač, Mikuláš , Jeremiáš, Jidáš, Jonáš, Tadeáš, Tomáš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otec
2082
4114
2005-11-19T20:28:00Z
Slomo
14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 유정 명사: otec'''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otec</td>
<td>otc'''i'''</td>
</tr>
<tr>
<td>대격 (A.)</td>
<td rowspan=2>otc'''e'''</td>
<td>otc'''e'''</td>
</tr>
<tr>
<td>생격 (G.)</td>
<td>otc'''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otc'''i'''</td>
<td>otc'''ům'''</td>
</tr>
<tr>
<td>처격 (L.)</td>
<td>otc'''ích'''</td>
</tr>
<tr>
<td>조격 (I.)</td>
<td>otc'''em'''</td>
<td>otc'''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otč'''e'''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변이형
** 단수 여격 (D. sg.)과 단수 처격 (L. sg.): otc'''ovi'''
** 복수 주격 (N. pl.): otc'''ov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여격 (D. pl.) : otc'''um'''
** 복수 조격 (I. pl.) : otc'''ema'''
==어휘==
이 유형에 속하는 일반 명사는 많지 않다.
* blbec, dřevorubec, hudec, jasnovidec, kanec, navrátilec, otec, praotec, sobec
* Adamec, Borkovec, Borovec, Brabec, Brabenec, Habanec, Haničinec, Holec, Holubec, Jakubec, Karabec, Kubec, Lehovec, Machovec, Makovec, Martinec, Maškarinec, Mičinec, Michalec, Moravec, Nigerijec, Oravec, Palivec, Pavelec, Prokopec, Přemyslovec, Roupec, Slavníkovec, Sochorec, Urbanec, Vavřinec, Voskovec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korejec
2083
4127
2005-11-19T22:46:02Z
Slomo
14
/* 어휘 */
'''연자음으로 끝나는 남성 유정 명사: korejec'''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korejec</td>
<td>korejc'''i'''</td>
</tr>
<tr>
<td>대격 (A.)</td>
<td rowspan=2>korejc'''e'''</td>
<td>korejc'''e'''</td>
</tr>
<tr>
<td>생격 (G.)</td>
<td>korejc'''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korejc'''i'''</td>
<td>korejc'''ům'''</td>
</tr>
<tr>
<td>처격 (L.)</td>
<td>korejc'''ích'''</td>
</tr>
<tr>
<td>조격 (I.)</td>
<td>korejc'''em'''</td>
<td>korejc'''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korejč'''e'''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변이형
** 단수 여격 (D. sg.)과 단수 처격 (L. sg.): korejc'''ovi'''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주격 (N. pl.): korejc'''ové'''
** 복수 여격 (D. pl.) : korejc'''um'''
** 복수 조격 (I. pl.) : korejc'''ema'''
* 참조: [[../곡용:muž|muž]]와 동일하게 변화한다. 복수 주격 (N. pl.)에서 '''-ové''' 형이 표준 문어형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사실만 제외하고는 완전히 동일하다.
==어휘==
많은 어휘가 이 부류에 속한다.
* Afghánec, Albánec, argentinec, Ázerbájdžánec, bezdomovec, běžec, běženec, bijec, blíženec, bohoslovec, borec, branec, bratranec, Brazilec, býložravec, cizinec, cizozemec, cvičenec, Čečenec, Černohorec, členovec, dějepisec, dělostřelec, dobrodinec, domorodec, dorostenec, dravec, Estonec, exposlanec, Gruzínec, haškovec, Havajec, herec, hlavonožec, hlodavec, horolezec, Hrachovec, hřebec, chlapec, chodec, chovanec, chráněnec, Íránec, Íránec, Izraelec, Izraelec, Japonec, jazykovědec, jedinec, jednorožec, jednotlivec, jezdec, jezevec, jmenovec, Jugoslávec, kanec, knihkupec, kojenec, Kolumbijec, konzervativec, konzervativec, korejec, kostlivec, krasavec, krkavec, kříženec, Kubánec, kupec, kůrovec, kytovec, lakomec, legislativec, letec, lezec, Libanonec, Libyjec, lidovec, Litevec, loutkoherec, lovec, lukostřelec, Machovec, Makedonec, maratonec, milenec, míšenec, mládenec, mořeplavec, mravenec, myslivec, nadšenec, národovec, našinec, neandertálec, neherec, Němec, Němec, nenechavec, nepoctivec, nespokojenec, Nigerijec, Nizozemec, nosorožec, novorozenec, oblíbenec, obratlovec, obrozenec, odchovanec, odsouzenec, odvážlivec, opeřenec, opilec, opozdilec, oslavenec, ostrostřelec, osvícenec, otužilec, ozbrojenec, Pákistánec, Palestinec, pásovec, pastevec, Peruánec, pěšec, pěvec, pištec, pitomec, plavec, poctivec, podnikavec, pojištěnec, pokrytec, Portugalec, poslanec, pověřenec, povstalec, protinožec, provinilec, přidělenec, přírodovědec, přistěhovalec, přívrženec, příznivec, psanec, pulec, romanopisec, rytec, samec, savec, Severokorejec, Skandinávec, skopec, sládkovec, slepec, slovinec, snoubenec, Somálec, soukmenovec, sourozenec, souvěrec, spiklenec, spojenec, spolujezdec, sportovec, Srnec, stařec, stoupenec, střelec, sumec, surovec, svalovec, svěřenec, světec, synovec, šedivec, šílenec, šťastlivec, štvanec, torpédoborec, trestanec, trhovec, tuzemec, učenec, Ukrajinec, umělec, utečenec, vačnatec, vdovec, vědec, velvyslanec, věštec, věštec, vetřelec, Vietnamec, vlastenec, vrabec, vrabec, vyděděnec, vyhnanec, vysídlenec, vyslanec, vysloužilec, vystěhovalec, vystěhovalec, vytrvalec, vzbouřenec, vzdělanec, vzduchoplavec, zajatec, zaměstnanec, zasvěcenec, zbabělec, zemědělec, zločinec, zmocněnec, znalec, zoufalec, zřízenec, ztroskotanec, zvědavec, životopisec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poeta
2084
4567
2006-01-19T23:23:36Z
Slomo
14
/* 어휘 */
'''-a 로 끝나는 남성 유정 명사: poeta'''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poet'''a'''</td>
<td>poet'''ové'''</td>
</tr>
<tr>
<td>대격 (A.)</td>
<td>poet'''u'''</td>
<td>poet'''y'''</td>
</tr>
<tr>
<td>생격 (G.)</td>
<td>poet'''y'''</td>
<td>poet'''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poet'''ovi'''</td>
<td>poet'''ům'''</td>
</tr>
<tr>
<td>처격 (L.)</td>
<td>poet'''ech'''</td>
</tr>
<tr>
<td>조격 (I.)</td>
<td>poet'''ou'''</td>
<td>poet'''y'''</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poet'''o'''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여격 (D. pl.) : poet'''um'''
** 복수 조격 (I. pl.) : poet'''ama'''
* 참조: [[../곡용:bohemista|bohemista]] 유형은 복수 주격을 제외하고, [[../곡용:vozka|vozka]] 유형은 복수 처격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격변화한다.
==어휘==
rada 조언, fanda 팬, hrdina 주인공, ouřada 사무원/공무, předseda 의장, přednosta 원장/대표, poeta 시인, starosta 시장/대표, strejda (strýc의 구어형) 아저씨/삼촌, táta 아빠, vévoda 공작/왕자, štolba 마부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bohemista
2085
4568
2006-01-19T23:24:01Z
Slomo
14
/* 어휘 */
'''-a 로 끝나는 남성 유정 명사: bohemista'''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bohemist'''a'''</td>
<td>bohemist'''é'''</td>
</tr>
<tr>
<td>대격 (A.)</td>
<td>bohemist'''u'''</td>
<td>bohemist'''y'''</td>
</tr>
<tr>
<td>생격 (G.)</td>
<td>bohemist'''y'''</td>
<td>bohemist'''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bohemist'''ovi'''</td>
<td>bohemist'''ům'''</td>
</tr>
<tr>
<td>처격 (L.)</td>
<td>bohemist'''ech'''</td>
</tr>
<tr>
<td>조격 (I.)</td>
<td>bohemist'''ou'''</td>
<td>bohemist'''y'''</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bohemist'''o'''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는 변이형
** 복수 주격 (N. pl.)에서 bohemist'''i'''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여격 (D. pl.) : poet'''um'''
** 복수 조격 (I. pl.) : poet'''ama'''
* 참조: 복수 주격 형태를 제외하면 [[../곡용:poeta|poeta]]와 동일하다.
==어휘==
alchymista 연금술사, artista 곡예사, bandita 강도/갱, bohemista 보헤미아 (체코) 전문가, fašista 파시스트, fotbalista 축구선수, hokejista 하키선수, husita 후스파, invalida 장애인, komunista 공산주의자, slavista 슬라브어 전문가, socialista 사회주의자, terorista 테러리스트, turista 여행자, žurnalista 저널리스트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vozka
2086
4569
2006-01-19T23:24:21Z
Slomo
14
/* 어휘 */
'''-a 로 끝나는 남성 유정 명사: vozka'''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vozk'''a'''</td>
<td>vozk'''ové'''</td>
</tr>
<tr>
<td>대격 (A.)</td>
<td>vozk'''u'''</td>
<td>vozk'''y'''</td>
</tr>
<tr>
<td>생격 (G.)</td>
<td>vozk'''y'''</td>
<td>vozk'''ů'''</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vozk'''ovi'''</td>
<td>vozk'''ům'''</td>
</tr>
<tr>
<td>처격 (L.)</td>
<td>vozc'''ích'''</td>
</tr>
<tr>
<td>조격 (I.)</td>
<td>vozk'''ou'''</td>
<td>vozk'''y'''</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vozk'''o'''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여격 (D. pl.) : poet'''um'''
** 복수 처격 (L. pl.) : vozk'''ách'''
** 복수 조격 (I. pl.) : vozk'''ama'''
* 참조: 복수 처격 형태만 제외하면 [[../곡용:poeta|poeta]] 유형과 동일한 격변화를 한다.
==어휘==
taťka 아빠, vladyka 체코 귀족의 하나, vozka 마부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skříň
2087
4151
2005-11-20T09:48:06Z
Slomo
14
'''-ň/-ně 로 끝나는 여성 명사: skříň, kuchyně'''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skříň</td>
<td rowspan=2>skřín'''ě'''</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skřín'''ě'''</td>
<td>skřín'''í'''</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skřín'''i'''</td>
<td>skřín'''ím'''</td>
</tr>
<tr>
<td>처격 (L.)</td>
<td>skřín'''ích'''</td>
</tr>
<tr>
<td>조격 (I.)</td>
<td>skřín'''í'''</td>
<td>skřín'''ěm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skřín'''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조격 (I. pl.) : skřín'''ěma'''
* 참조: [[../곡용:píseň|píseň]] 유형은 -e- 탈락 현상이 있다는 점만 제외하면 동일한 격변화를 한다.
* 참조: [[../곡용:tramvaj|tramvaj]], [[../곡용:láhev|láhev]] 도 표기법 상 단수 생격, 복수 주격, 복수 생격에서 -ě 가 아니라 -e 로 쓴다는 점만 제외하면 동일한 격변화를 한다.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píseň
2088
4150
2005-11-20T09:46:50Z
Slomo
14
'''-eň 로 끝나는 여성 명사: píseň'''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píseň</td>
<td rowspan=2>písn'''ě'''</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písn'''ě'''</td>
<td>písn'''í'''</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písn'''i'''</td>
<td>písn'''ím'''</td>
</tr>
<tr>
<td>처격 (L.)</td>
<td>písn'''ích'''</td>
</tr>
<tr>
<td>조격 (I.)</td>
<td>písn'''í'''</td>
<td>písn'''ěm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písn'''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조격 (I. pl.) : písn'''ěma'''
* 참조: [[../곡용:skříň|skříň]] 유형과 동일하다.
* 참조: [[../곡용:tramvaj|tramvaj]], [[../곡용:láhev|láhev]] 도 표기법 상 단수 생격, 복수 주격, 복수 생격에서 -ě 가 아니라 -e 로 쓴다는 점만 제외하면 동일한 격변화를 한다.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láhev
2089
4152
2005-11-20T09:52:58Z
Slomo
14
'''-ev 로 끝나는 여성 명사: láhev'''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láhev</td>
<td rowspan=2>láhv'''e'''</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láhv'''e'''</td>
<td>láhv'''í'''</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láhv'''i'''</td>
<td>láhv'''ím'''</td>
</tr>
<tr>
<td>처격 (L.)</td>
<td>láhv'''ích'''</td>
</tr>
<tr>
<td>조격 (I.)</td>
<td>láhv'''í'''</td>
<td>láhv'''em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láhv'''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조격 (I. pl.) : láhv'''ema'''
* 참조: 어말의 -e- 탈락 현상을 제외하면 [[../곡용:tramvaj|tramvaj]]와 동일하다.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tramvaj
2090
4421
2006-01-08T02:31:53Z
84.42.181.80
/* 하위유형 */
'''자음으로 끝나는 여성 명사: tramvaj'''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tramvaj</td>
<td rowspan=2>tramvaj'''e'''</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tramvaj'''e'''</td>
<td>tramvaj'''í'''</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tramvaj'''i'''</td>
<td>tramvaj'''ím'''</td>
</tr>
<tr>
<td>처격 (L.)</td>
<td>tramvaj'''ích'''</td>
</tr>
<tr>
<td>조격 (I.)</td>
<td>tramvaj'''í'''</td>
<td>tramvaj'''em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tramvaj'''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조격 (I. pl.) : tramvaj'''ema'''
==하위유형==
* 참조: 약간의 철자법 상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곡용:láhev|láhev]], [[../곡용:skříň|skříň]], [[../곡용:píseň|píseň]] 유형이 있다.
** [[../곡용:láhev|láhev]] 등 -ev 로 끝나는 단어는 격변화할 때 -e- 가 탈락한다.
** [[../곡용:skříň|skříň]] 등 -ň 로 끝나는 단어는 철자법 규칙상 단수 생격, 복수 주격, 복수 생격에서 -ňe 라고 쓸 수 없으므로 -ně 로 쓴다.
** [[../곡용:píseň|píseň]] 등 -eň 로 끝나는 단어는 [[../곡용:skříň|skříň]] 와 같은 철자법 규칙이 적용되고 격변화할 때 -e- 가 탈락한다.
* 참조: [[../곡용:loď|loď]], [[../곡용:labuť|labuť]] 처럼 '''-ď''', '''-ť''' 로 끝나는 경우 동일하게 격변화한다.
** 단, 단수 생격과 복수 주격에서 어미 '''-ě''' 외에 '''-i''' 도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lod'''ě'''/lod'''i''', labut'''ě'''/labut'''i'''.
* 참조: [[../곡용:moc|moc]], pomoc, nemoc 등
** 단수 생격과 복수 주격에서 어미 '''-i'''가 사용된다: moc'''i''', pomoc'''i''', nemoc'''i'''.
** 복수 여격에서 '''-ím''' 과 '''-em''', 복수 처격에서 '''-ích''' 와 '''-ech''' 가 모두 사용된다: moc'''ím'''/moc'''em''', moc'''ích'''/moc'''ech'''.
* 참조: [[../곡용:kost|kost]], [[../곡용:velikost|velikost]] 등 '''-st'''로 끝나는 여성 명사
**단수 생격과 복수 주격에서 '''-i'''가 사용된다: kost'''i''', velikost'''i'''.
** 복수 여격에서 '''-em''', 복수 처격 '''-ech'''가 사용된다: kost'''em''', kost'''ech'''; velikost'''em''', velikost'''ech'''.
** 복수 조격에서 '''-mi''' 가 사용된다: kost'''mi''', velikost'''mi'''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loď
2091
4157
2005-11-20T10:07:23Z
Slomo
14
'''-ď/-ť 로 끝나는 여성 명사: loď, labuť'''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loď</td>
<td rowspan=2>lod'''ě'''</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lod'''ě'''</td>
<td>lod'''í'''</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lod'''i'''</td>
<td>lod'''ím'''</td>
</tr>
<tr>
<td>처격 (L.)</td>
<td>lod'''ích'''</td>
</tr>
<tr>
<td>조격 (I.)</td>
<td>lod'''í'''</td>
<td>lod'''ěm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lod'''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는 변이형
** 단수 생격 (G. sg.) : lod'''i'''
** 복수 주격 (N. pl.) = 복수 대격 (A. pl.) : lod'''i'''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조격 (I. pl.) : lod'''ěma'''
* 참조: 기본적으로 [[../곡용:tramvaj|tramvaj]] 유형에 속한다. 단수 생격, 복수 주격에서 '''-ě''' 어미 뿐만 아니라 '''-i''' 어미도 표준 문어형으로 인정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난다.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labuť
2092
4159
2005-11-20T10:11:54Z
Slomo
14
'''-ď/-ť 로 끝나는 여성 명사: loď, labuť'''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labuť</td>
<td rowspan=2>labut'''ě'''</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labut'''ě'''</td>
<td>labut'''í'''</td>
</tr>
<tr>
<td>여격 (D.)</td>
<td rowspan=2>labut'''i'''</td>
<td>labut'''ím'''</td>
</tr>
<tr>
<td>처격 (L.)</td>
<td>labut'''ích'''</td>
</tr>
<tr>
<td>조격 (I.)</td>
<td>labut'''í'''</td>
<td>labut'''ěm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labut'''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는 변이형
* 단수 생격 (G. sg.)에서 labut'''i'''
* 복수 주격 (N. pl.) = 복수 대격 (A. pl.) 에서 labut'''i'''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조격 (I. pl.) : labut'''ěma'''
* 참조: [[../곡용:loď|loď]] 는 완전히 동일.
* 참조: 기본적으로 [[../곡용:tramvaj|tramvaj]] 유형에 속한다. 단수 생격, 복수 주격에서 '''-ě''' 어미 뿐만 아니라 '''-i''' 어미도 표준 문어형으로 인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moc
2093
4161
2005-11-20T10:31:46Z
Slomo
14
'''moc 형 여성 명사: moc'''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moc</td>
<td rowspan=2>moc'''i'''</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 rowspan=3>moc'''i'''</td>
<td>moc'''í'''</td>
</tr>
<tr>
<td>여격 (D.)</td>
<td>moc'''ím'''</td>
</tr>
<tr>
<td>처격 (L.)</td>
<td>moc'''ích'''</td>
</tr>
<tr>
<td>조격 (I.)</td>
<td>moc'''í'''</td>
<td>moc'''em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moc'''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는 변이형
** 복수 여격 (D. pl.) 에서 moc'''em'''
** 복수 처격 (L. pl.) 에서 moc'''ech'''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조격 (I. pl.) : moc'''ema'''
* 참조: 기본적으로 [[../곡용:tramvaj|tramvaj]] 유형에 속한다. 단수 생격, 복수 주격에서 '''-i''' 어미가 사용된다는 점이 주요한 차이이다. 복수 여격, 복수 처격에서 추가적인 변이형이 존재한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kost
2094
4162
2005-11-20T10:43:10Z
Slomo
14
'''-st 형 여성 명사: kost'''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kost</td>
<td rowspan=2>kost'''i'''</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 rowspan=3>kost'''i'''</td>
<td>kost'''í'''</td>
</tr>
<tr>
<td>여격 (D.)</td>
<td>kost'''em'''</td>
</tr>
<tr>
<td>처격 (L.)</td>
<td>kost'''ech'''</td>
</tr>
<tr>
<td>조격 (I.)</td>
<td>kost'''í'''</td>
<td>kost'''m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kost'''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조격 (I. pl.) : kost'''ma'''
* 구어에서 드물게 사용되는 변이형
** 복수 조격 (I. pl.) : kost'''ima'''
* 참조: [[../곡용:velikost|velikost]] 유형과 동일하다. 구어의 복수 조격에서 드물지만 '''-ima''' 형태가 사용된다는 점만 제외하면 완전히 동일하다.
* 참조: 기본적으로 [[../곡용:tramvaj|tramvaj]] 유형에 속한다. 단수 생격, 복수 주격에서 '''-i''' 어미가 사용된다는 점이 주요한 차이이다. 복수 여격, 복수 처격에서 경자음처럼 변화한다는 점도 다르다.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velikost
2095
4164
2005-11-20T11:10:03Z
Slomo
14
'''-st 형 여성 명사: velikost'''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2>velikost</td>
<td rowspan=2>velikost'''i'''</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d rowspan=3>velikost'''i'''</td>
<td>velikost'''í'''</td>
</tr>
<tr>
<td>여격 (D.)</td>
<td>velikost'''em'''</td>
</tr>
<tr>
<td>처격 (L.)</td>
<td>velikost'''ech'''</td>
</tr>
<tr>
<td>조격 (I.)</td>
<td>velikost'''í'''</td>
<td>velikost'''mi'''</td>
</tr>
<tr>
</table>
* 호격
** 단수 호격 : velikost'''i'''
** 복수 호격 = 복수 주격
*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형태
** 복수 조격 (I. pl.) : velikost'''ma'''
* 참조: [[../곡용:kost|kost]]와 완전히 동일하다. 단지 kost는 구어의 복수 조격에서 kost'''ima''' 라는 변이형이 존재한다는 점만 다를 뿐이다.
* 참조: 기본적으로 [[../곡용:tramvaj|tramvaj]] 유형에 속한다. 단수 생격, 복수 주격에서 '''-i''' 어미가 사용된다는 점이 주요한 차이이다. 복수 여격, 복수 처격에서 경자음처럼 변화한다는 점도 다르다.
==어휘==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náměstí
2096
4170
2005-11-20T14:47:47Z
Slomo
14
'''-í 로 끝나는 중성 명사: náměstí'''
<table border=1>
<tr>
<th></th>
<th width=100>단수 (sg.)</th>
<th width=100>복수 (pl.)</th>
</tr>
<tr>
<td>주격 (N.)</td>
<td rowspan=5>náměst'''í'''</td>
<td rowspan=3>náměst'''í'''</td>
</tr>
<tr>
<td>대격 (A.)</td>
</tr>
<tr>
<td>생격 (G.)</td>
</tr>
<tr>
<td>여격 (D.)</td>
<td>náměst'''ím'''</td>
</tr>
<tr>
<td>처격 (L.)</td>
<td>náměst'''ích'''</td>
</tr>
<tr>
<td>조격 (I.)</td>
<td>náměst'''ím'''</td>
<td>náměst'''ími'''</td>
</tr>
<tr>
</table>
* 호격 (V.)
** 호격 단수 (V. sg.) = 주격 단수
** 호격 복수 (V. pl.) = 주격 복수 = 대격 복수
* 구어에서는 널리 사용되나 표준 문어에서 인정되지 않는 경우.
** 복수 조격 (I. pl.) : náměst'''íma'''
==어휘==
틀:참/전산학
2097
5397
2006-06-22T12:00:50Z
Picknic12
87
* [[리눅스]]
* [[프로그래머의 길]]
리눅스
2098
4967
2006-04-14T14:11:26Z
220.121.51.68
/* 부트이미지를 전송해줄 컴퓨터의 설정 */
== 리눅스 설치 ==
=== PXE 를 통한 우분투 리눅스 설치 ===
cdrom 이나 FDD 가 없는 경우가 많은 노트북을 사용하는 경우에, 처음 리눅스를 설치하는 길이 막막할 수가 있는데 이럴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것이 PXE를 통한 리눅스 설치이다.
====간단한 개념====
네트워크를 통해 부트이미지를 전송해줄 또다른 컴퓨터에 세팅을 2가지 해주고, 노트북 컴퓨터는 바이오스 셋업에 들어가 네트워크 부팅을 Enable로 해두고 둘을 연결해두면, 노트북은 연결된 인터페이스로부터 부트이미지를 읽어들여 부팅을 하고, 여기서부터 리눅스 설치를 시작하면 된다.
====부트이미지를 전송해줄 컴퓨터의 설정====
두가지 설정을 해준다. tftp 서버와 DHCP 서버를 설치한다.
====tftp 서버 설정====
부트 이미지를 전송해 줄 컴퓨터가 우분투나 데비안 계열일 때,
root@kc:/ #apt-get install tftpd-hpa 를 하여, tftp데몬 패키지를 설치한다.
tftpd을 실행해야 하는데, 독립적으로 단순히 실행하려고 한다면, root@kc:/ #/usr/sbin/in.tftpd -l -s /tftpboot 라고 입력한다.
-l 옵션은 데몬을 독립적으로 띄우겠다는 옵션이고, -s 옵션은 tftp 루트 디렉토리를 지정해주는 옵션이다. 당연히 /tftpboot 디렉토리는 미리 만들어 두어야 한다.
만약 inetd 수퍼 데몬을 통해서 실행하고 싶으면 /etc/inetd.conf 파일을 열어서 다음의 한 줄을 추가해준다 tftp dgram udp wait root /usr/sbin/in.tftpd /usr/sbin/in.tftpd -s /tftpboot
경험한 바로는 우분투 기본 패키지에 inetd 가 들어있지 않은 듯 하여 inetd를 통하려면 inetd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고, 그냥 독립적으로 실행하였다.
tftpd 가 제대로 돌아가는 지 확인해보려면,
/tftpboot/asdf 파일을 하나 넣어두고, root@kc:/ #tftp localhost tftp>get asdf tftp>quit
하여 파일이 제대로 받아지는 지 테스트해볼 수 있다.
tftp 서버가 제대로 돌아간다면, /tftpboot 디렉토리에 부트이미지를 넣어보자.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여기서는 노트북에 새로운 리눅스를 설치하려는 것이므로, 설치를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을 택한다. 사용자가 우분투의 CD 이미지를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받아놓았다고 가정하고, iso 이미지를 바로 마운트해준다.
root@kc: / #mkdir /tftpboot/ubuntu root@kc: / #mount -o loop ubuntu-5.04-install-i386.iso /tftpboot/ubuntu
/tftpboot/ubuntu/install/netboot/pxelinux.0 파일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중에 본격적으로 설치할 때에, 우분투는 설치패키지를 http를 통해 찾으려고 하므로, 아파치를 설치하여 /tftpboot/ubuntu 를 웹페이지로 볼 수 있게 해둬야 한다.
root@kc:/ # apt-get install apache2 root@kc:/ # ln -s /var/www /tftpboot/ubuntu
파이어폭스를 열어 http://localhost를 하여 ubuntu 디렉토리로 들어갈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http://ko.wikipedia.org/wiki/PXE 에서
MediaWiki:Privacy
2107
sysop
4502
2006-01-19T17:30:49Z
아흔
9
transl.
정보 보호 사항
MediaWiki:Privacypage
2108
sysop
4504
2006-01-19T17:31:53Z
아흔
9
corr.
{{SITENAME}}:정보 보호 사항
MediaWiki:Gotaccount
2112
sysop
4587
2006-01-25T15:28:51Z
아흔
9
transl.
이미 사용자 등록을 하셨습니까? 그렇다면 $1.
MediaWiki:Gotaccountlink
2113
sysop
4588
2006-01-25T15:32:00Z
아흔
9
transl.
여기에서 로그인하세요.
MediaWiki:Nologin
2114
sysop
4594
2006-01-25T15:42:00Z
아흔
9
rev.
아직 등록하지 않으셨습니까? 그렇다면 $1.
MediaWiki:Nologinlink
2115
sysop
4509
2006-01-19T17:44:34Z
아흔
9
transl.
등록 사용자 페이지를 만드세요!
MediaWiki:Edittools
2118
sysop
6377
2006-12-11T15:01:42Z
아흔
9
rev.
<div id="specialchars" class="nodeco" style="margin-top:1px; border-width:1px; border-style:solid; border-color:#AAAAAA; padding:3px; background-color:#FFFFFA;">
<p class="specialbasic">
<b>IPA:</b>
<font face="Arial Unicode MS, Lucida Sans Unicode, Chrysanthi Unicode, Doulos SIL, Gentium, GentiumAlt, Code2000, TITUS Cyberbit Basic, DejaVu Sans, Bitstream Cyberbit, Hiragino Kaku Gothic Pro, Segoe UI, Matrix Unicode" style="text-decoration:none;"><charinsert>a ɐ ɑ ɒ ʌ æ ɶ e ɘ ə ɛ ɜ œ ɞ o ɔ u i j w ø ɑ̃ ɛ̃ ɪ̃ ɔ̃ œ̃ ŋ ɥ ɣ ʃ ɚ ɝ b β ʙ c ç d ɖ ɗ f ɡ ɢ h ɦ ħ j ʝ ɟ k l ɭ ɬ ɮ ʟ m ɱ n ɳ ɲ ɴ p q r ɾ ɿ ɽ ɻ ʀ ʁ s ʂ t ʈ θ ɸ v ʋ ɰ x χ ɣ ɤ ʎ ʏ z ʐ ʑ ʒ ʓ ʕ ʔ ʖ ʘ z̥ s̬ t̬ l̩ m̩ n̩ ŋ̩ ɪ̯ ʊ̯ ɨ ɪ ʉ ʊ ɯ y ʏ ˈ ˌ ˘ ˑ ‿ ‿ _́ _̀ _̌ _̂ ː</charinsert></br>
<b>AHD:</b>
<charinsert>ā ă â ã</charinsert> - <charinsert>ē ĕ ê</charinsert> - <charinsert>ī ĭ î ĩ ï</charinsert> - <charinsert>ō ŏ ô õ</charinsert> - <charinsert>ū ŭ û ũ</charinsert></font>
</p>
<p class="specialbasic">
라틴어 :
<charinsert>Á á Ć ć É é Í í Ó ó Ś ś Ú ú Ý ý Ǿ ǿ</charinsert> ···
<charinsert>À à È è Ì ì Ò ò Ù ù</charinsert> ···
<charinsert>Â â Ĉ ĉ Ê ê Ĝ ĝ Ĥ ĥ Î î Ĵ ĵ Ô ô ŝ Ŝ Û û</charinsert> ···
<charinsert>Ä ä Ë ë Ï ï Ö ö Ü ü ÿ</charinsert> ···
<charinsert>Ã ã Ñ ñ Õ õ</charinsert> ···
<charinsert>Å å</charinsert> ···
<charinsert>Ç ç</charinsert> ···
<charinsert>Č č Š š ŭ</charinsert> ···
<charinsert>Ł ł</charinsert> ···
<charinsert>Ő ő Ű ű</charinsert> ···
<charinsert>Ø ø</charinsert> ···
<charinsert>Ā ā Ē ē Ī ī Ō ō Ū ū Ȳ ȳ</charinsert> ···
<font face="Arial Unicode MS,Lucida Sans Unicode,MS Mincho,Arial,sans-serif" style="text-decoration:none;"><charinsert>Ă ă Ĕ ĕ Ğ ğ Ĭ ĭ Ŏ ŏ Ŭ ŭ Y̆ y̆</charinsert></font> ...
<charinsert>ß</charinsert> ...
<charinsert>Æ æ Œ œ</charinsert> ···
<charinsert>Ð ð Þ þ |</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그리스어 :
<b>(고대)</b> : <font face="Arial Unicode MS,Lucida Sans Unicode,MS Mincho,Arial,sans-serif" style="text-decoration:none;"><charinsert>Ā ā Æ æ Ǣ ǣ Ǽ ǽ Ċ ċ Ð ð Ē ē Ġ ġ Ī ī Ō ō Ū ū Ƿ ƿ Ȳ ȳ Þ þ Ȝ ȝ</charinsert></font>
<b>(현대)</b> :
<charinsert>Α Ά Β Γ Δ Ε Έ Ζ Η Ή Θ Ι Ί Κ Λ Μ Ν Ξ Ο Ό Π Ρ Σ Τ Υ Ύ Φ Χ Ψ Ω Ώ</charinsert> ···
<charinsert>α ά β γ δ ε έ ζ η ή θ ι ί κ λ μ ν ξ ο ό π ρ σ ς τ υ ύ φ χ ψ ω ώ</charinsert><br />
</p>
<p class="speciallang" style="visibility:invisible; display:none">
독일어 :
<charinsert>Ä ä Ö ö Ü ü ß</charinsert>
</p>
<p class="specialbasic">
러시아어 :
<charinsert>А Б В Г Д Е Ж З И Й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charinsert> ···
<charinsert>а б в г д е ж з и й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루마니아어 :
<charinsert>Ă ă Â â Î î Ş ş Ţ ţ</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몰타어 :
<charinsert>Ċ ċ Ġ ġ Ħ ħ Ż ż</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베트남어 :
<charinsert>À à Ả ả Á á Ạ ạ Ã ã Ă ă Ằ ằ Ẳ ẳ Ẵ ẵ Ắ ắ Ặ ặ Â â Ầ ầ Ẩ ẩ Ẫ ẫ Ấ ấ Ậ ậ Đ đ È è Ẻ ẻ Ẽ ẽ É é Ẹ ẹ Ê ê Ề ề Ể ể Ễ ễ Ế ế Ệ ệ Ỉ ỉ Ĩ ĩ Í í Ị ị Ì ì Ỏ ỏ Ó ó Ọ ọ Ò ò Õ õ Ô ô Ồ ồ Ổ ổ Ỗ ỗ Ố ố Ộ ộ Ơ ơ Ờ ờ Ở ở Ỡ ỡ Ớ ớ Ợ ợ Ù ù Ủ ủ Ũ ũ Ú ú Ụ ụ Ư ư Ừ ừ Ử ử Ữ ữ Ứ ứ Ự ự Ỳ ỳ Ỷ ỷ Ỹ ỹ Ỵ ỵ Ý ý</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세르비아어 :
<charinsert>А а Б б В в Г г Д д Ђ ђ Е е Ж ж З з И и Ј ј К к Л л Љ љ М м Н н Њ њ О о П п Р р С с Т т Ћ ћ У у Ф ф Х х Ц ц Ч ч Џ џ Ш ш</charinsert><br/>
크로아티아/보스니아어: <charinsert>Č č Ć ć Dž dž Đ đ Š š Ž ž</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스칸디나비아 제어 :
<charinsert>À à É é Å å Æ æ Ä ä Ø ø Ö ö</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아랍어 :
<span style="font-family: 'Traditional Arabic', 'Arial Unicode MS' , 'Lucida Sans Unicode' , 'MS Mincho', sans-serif; font-size: 1.5em"><charinsert>؛ ؟ ء آ أ ؤ إ ئ ا ب ة ت ث ج ح خ د ذ ر ز س ش ص ض ط ظ ع غ ف ق ك ل م ن ه و ى ي ،</charinsert></span>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아이슬랜드어 :
<charinsert>Á á Ð ð É é Í í Ó ó Ú ú Ý ý Þ þ Æ æ Ö ö</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에스토니아어 :
<charinsert>Č č Š š Ž ž Õ õ Ä ä Ö ö Ü ü</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에스파냐어 :
<charinsert>Á á É é Í í Ñ ñ Ó ó Ú ú Ü ü ¿ ¡</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에스페란토 :
<charinsert>Ĉ ĉ Ĝ ĝ Ĥ ĥ Ĵ ĵ Ŝ ŝ Ŭ ŭ</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중국어 병음 :
<charinsert>Á á À à Ǎ ǎ Ā ā É é È è Ě ě Ē ē Í í Ì ì Ǐ ǐ Ī ī Ó ó Ò ò Ǒ ǒ Ō ō Ú ú Ù ù Ü ü Ǔ ǔ Ū ū Ǘ ǘ Ǜ ǜ Ǚ ǚ Ǖ ǖ</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체코어 :
<charinsert>Á á Č č Ď ď É é Ě ě Í í Ň ň Ó ó Ř ř Š š Ť ť Ú ú Ů ů Ý ý Ž ž</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카탈란어 :
<charinsert>Á á À à Ç ç É é È è Ë ë Í í Ï ï Ó ó Ò ò Ö ö Ú ú Ù ù</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터키어 :
<charinsert>Ç ç ğ İ ı Ş ş</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포르투갈어 :
<charinsert>Á á À à Â â Ã ã Ç ç É é Ê ê Í í Ó ó Ô ô Õ õ Ú ú Ü ü</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폴란드어 :
<charinsert>ą Ą ć Ć ę Ę ł Ł ń Ń ó Ó ś Ś ź Ź ż Ż</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프랑스어 :
<charinsert>À à  â Ç ç É é È è Ê ê Ë ë Î î Ï ï Ô ô Œ œ Ù ù Û û Ü ü Ÿ ÿ</charinser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하와이어 :
<font face="Arial Unicode MS,Lucida Sans Unicode,MS Mincho,Arial,sans-serif" style="text-decoration:none;"><charinsert>Ā ā Ē ē Ī ī Ō ō Ū ū ʻ</charinsert></font>
</p>
<p class="speciallang" style="display: none;">
히브리어 :
<charinsert>א ב ג ד ה ו ז ח ט י כ ך ל מ ם נ ן ס ע פ ף צ ץ ק ר ש ת ׳ ״</charinsert><br/>
히브리어 방언(이디쉬) :
<charinsert>א אַ אָ ב בֿ ג ד ה ו וּ װ ױ ז ח ט י יִ ײ ײַ כ כּ ך ל מ ם נ ן ס ע פּ פֿ ף צ ץ ק ר ש שׂ ת תּ ׳ ״</charinsert> <charinsert>ל+ ע+ פ תּ ־ זש ך</charinsert>
</p>
</div><br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형용사
2129
4381
2006-01-07T17:42:00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형용사 (přídavné jméno)=
*[[/비교급과 최상급|비교급과 최상급]]
==형태에 따른 소유대명사의 분류==
* 경음 형용사: -ý, -á, -é
* 연음 형용사: -í
* 소유 형용사: -ův, -ova, -ovo; -in, -ina, -ino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형용사/비교급과 최상급
2130
4329
2005-12-18T00:53:22Z
Slomo
14
/* 불규칙 */
==비교급과 최상급==
===비교급 어미: -ější/-ejší===
마지막 자음이 어떤 것인가에 따라 차이가 난다.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자음#경음과 연음|경자음과 연자음]] 참조) 경자음인 경우에는 연자음으로 변한다. 표기법 원칙에 따라 아래와 같이 된다. 연자음과 경자음이 모두 될 수 있는 양자음 중 네 자음은 bě, pě, vě, mě 가 가능하므로 어미 -ější 를 붙인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경자음
:* d, t, n : -ější
:* h, k, r > ž, č, ř : -ejší
:* ck, sk > čt, št : -ější
;양자음
:* b, m, p, v : -ější
:* l, s, z : -ejší
원급 비교급
-ější : -dý : rudý rudější
-tý : důležitý důležitější
-ný : silný silnější
-ní : kvalitní kvalitnější
-bý : blbý blbější
-pý : hloupý hloupější
-vý : zajímavý zajímavější
-mý : známý známější
-ejší : -lý : rychlý rychlejší
-sý : velkorysý velkorysejší
-zí : cizí cizejší
-zý : drzý drzejší
* 어말 자음이 변하는 경우
원급 비교급
-hý > -žejší : ubohý ubožejší
-ký > -čejší : divoký divočejší
hebký hebčejší
krotký krotčejší
-rý > -řejší : chytrý chytřejší
moudrý moudřejší
ostrý ostřejší
pestrý pestřejší
štědrý štědřejší
modrý modřejší
příkrý příkřejší
bystrý bystřejší
kyprý kypřejší
ponurý ponuřejší
sporý spořejší
bodrý bodřejší
-cký > -čtější : optimistický optimističtější [[/목록:-cký|목록]]
-ský > -štější : lidský lidštější [[/목록:-ský|목록]]
===불규칙===
이제부터 제시되는 형태들은 불규칙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규칙 형용사들은 모두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본 어휘들이며 아래 제시된 것이 전부이다.
====비교급 어미: -ší====
-ý > ší : hrubý hrubší
slabý slabší
tvrdý tvrdší
bledý bledší
mladý mladší
chudý chudší
čistý čistší
starý starší
-hý > -žší : drahý dražší
tuhý tužší
-chý > -šší : tichý tišší
jednoduchý jednodušší
suchý sušší
plochý plošší
hluchý hlušší
====비교급 어미: -í====
* -í
-ký > -čí : křehký křehčí
mělký mělčí
břitký břitčí
lehký lehčí
hezký hezčí
hebký hebčí
tenký tenčí
měkký měkčí
vlhký vlhčí
-ký > -ší : vratký vratší
krotký krotší
hladký hladší
sladký sladší
prudký prudší
těžký těžší
====불규칙====
비교급 형태가 완전히 다르거나 어간이 변하는 경우이다.
dobrý lepší
špatný horší
velký větší
malý menší
vysoký vyšší
nízký nižší
široký širší
úzký užší
hluboký hlubší
dlouhý delší
krátký kratší
daleký (další)*
blízký bližší
řídký řidší
snadný snazší/snadnější
* další 의 경우에는 daleký 의 비교급이 아니라 '다음, 뒤따르는'의 의미를 가지는 독립적인 형용사로 취급된다.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부사
2131
4384
2006-01-07T17:43:21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부사 (příslovce)=
* 형용사에서 부사 만들기
==의미에 따른 부사 분류==
* 장소: doma, venku, dole, vzadu, vpravo, ven
* 시간: dnes, včera, teď, potom, brzy
* 방법: vesele, hezky, takhle
* 정도: hodně, velmi, trochu
* 이유: proto, proč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형용사/비교급과 최상급/목록:-cký
2132
4333
2005-12-18T01:27:52Z
Slomo
14
'''-cký 로 끝나며 비교급으로 사용되는 형용사 목록'''
-cký 로 끝나는 형용사는 비교급에서 어미가 -čtější 로 변한다.
아래 목록은 비교급으로 사용되는 -cký 형용사를 자주 쓰이는
순서로 나열한 것이다.
<table>
<tr>
<th width=50 align=right>순위</th>
<th width=200 align=right>원급</th>
<th width=200 align=right>비교급</th>
<th width=100 align=right>빈도</th>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optim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optim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ra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ra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mp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mp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kep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kep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za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za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ak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ak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ble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ble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ri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ri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e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e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kolo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kolo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ynam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ynam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emokr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emokr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o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o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ra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ra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ech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ech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esim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esim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konom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konom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ra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ra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ag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ag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la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la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yp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yp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xo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xo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uten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uten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oman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oman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nta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nta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ste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ste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lod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lod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y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y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pecif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pecif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ěd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ěd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y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y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st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st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ner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ner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ob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ob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om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om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tego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tego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ak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ak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ygie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ygie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plo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plo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ao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ao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armo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armo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aly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aly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yl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yl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uměl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uměl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omba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omba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acion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acion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li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li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ro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ro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mbol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mbol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omá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omá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t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t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lanchol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lanchol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me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me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arakter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arakter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gigan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gigan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ox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ox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ro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ro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atur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atur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gl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gl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la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la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otoge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otoge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kryt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kryt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las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las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ilá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ilá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t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t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yste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yste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eor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eor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arka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arka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ro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ro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y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y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ateri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ateri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klek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klek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nt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nt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p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p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oci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oci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ek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ek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p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p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tol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tol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n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n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a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a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émo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émo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che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che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yziolo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yziolo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zvíř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zvíř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k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k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kadem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kadem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ler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ler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orm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orm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porad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porad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met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met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rcha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rcha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tat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tat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pu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pu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eolo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eolo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sote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sote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og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og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pit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pit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euro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euro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mpi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mpi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tafo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tafo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ř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ř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onstruktiv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onstruktiv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ardo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ardo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alo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alo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undament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undament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dak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dak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em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em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cha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cha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ragikom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ragikom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ut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ut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sychedel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sychedel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imé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imé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alad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alad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vá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vá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entr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entr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tra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tra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onolo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onolo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e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e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edago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edago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mp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mp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šovin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šovin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urre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urre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alek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alek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ac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ac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ilozof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ilozof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tl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tl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omun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omun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emago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emago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t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th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abol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iabol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tikomun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tikomun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ěm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ěm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typ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typ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ktograf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ktograf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utokr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utokr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isto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isto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eparat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eparat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ražen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ražen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arx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arx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tern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tern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arch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arch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ndividual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ndividual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tav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tav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ro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ro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ypno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ypno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sk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sk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galoma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galoma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éto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éto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čtverá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čtverá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geograf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geograf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osm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osm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otro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otro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ntasmago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antasmago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lapá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lapá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akon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akon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větá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větá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rod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rod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znal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znal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f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f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éte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éte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go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go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nerg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nerg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úz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úz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erminolo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erminolo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echnokr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echnokr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arch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arch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uturis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uturis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geometr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geometr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lasten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lasten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jezde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jezde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trateg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trateg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krob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krob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io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io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tod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tod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člově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člově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tastrof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tastrof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mptomat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ymptomat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8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otografic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otografič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able>
{{체코어:CNK|SYN2000|
* 위 목록에서 빈도는 비교급으로 사용된 빈도를 말하며 별의 개수가 많을 수록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된다는 것을 뜻한다.
* 빈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사전에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고 철자법 오류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형용사/비교급과 최상급/목록:-ský
2133
4334
2005-12-18T01:29:04Z
Slomo
14
'''-ský 로 끝나며 비교급으로 사용되는 형용사 목록'''
-ský 로 끝나는 형용사는 비교급에서 어미가 -štější 로 변한다.
아래 목록은 비교급으로 사용되는 -cký 형용사를 자주 쓰이는
순서로 나열한 것이다. 이 부류의 형용사들은 비교급으로 쓰이는 일이
많지 않다.
<table>
<tr>
<th width=50 align=right>순위</th>
<th width=200 align=right>원급</th>
<th width=200 align=right>비교급</th>
<th width=100 align=right>빈도</th>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id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id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řátel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řátel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pež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pež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vrop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vrop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že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že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ěti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ěti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letář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letář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vět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vět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arbar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arbar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poleče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poleče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ďábel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ďábel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ož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ož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obrov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obrov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cíř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cíř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ovnostář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ovnostář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iot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diot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yra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yra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židov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židov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1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evrop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roevrop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orav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orav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tarosvět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tarosvět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šibal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šibal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litář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litář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zeměděl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zeměděl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ati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lati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če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če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escartov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escartov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2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matér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matér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šaldov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šaldov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eleslaví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eleslaví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ovátor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ovátor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utoritář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utoritář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rancouz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francouz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ramp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ramp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jinoš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jinoš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žitkář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žitkář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oltairiá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oltairiá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3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u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u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rdi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hrdi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eakcionář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eakcionář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tricij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tricij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děl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anděl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zlí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zlí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ha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ha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lebej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lebej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fistofel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fistofel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andit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bandit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4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ábože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nábože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čechovov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čechovov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epubliká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republiká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slám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slám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vlov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avlov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izionář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izionář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lyné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polyné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čerov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kačerov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7</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mperátor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imperátor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8</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španěl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španěl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59</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stét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estét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0</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ovět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sovět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1</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lap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chlap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2</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ukrajin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ukrajin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3</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čiarov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ečiarov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4</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už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muž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5</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elkosrb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velkosrb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r>
<td align=right bgcolor=#FFFFFF>66</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ětský</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dětštější</td>
<td align=right bgcolor=#FFFFFF></td>
</tr>
</table>
{{체코어:CNK|SYN2000|
* 위 목록에서 빈도는 비교급으로 사용된 빈도를 말하며 별의 개수가 많을 수록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된다는 것을 뜻한다.
* 빈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사전에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고 철자법 오류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틀:체코어:CNK
2134
4332
2005-12-18T01:27:03Z
Slomo
14
<div class="toccolours" style="padding:1em 1em 1em 1em; border-width:1px 2px 2px 1px; background-color:#FEEEF8;">
이 자료는 [http://ucnk.ff.cuni.cz/ 체코 국가 말뭉치 (Český národní korpus)] 중 {{{1}}} 말뭉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2}}}
</div>
MediaWiki:Logempty
2137
sysop
4645
2006-01-28T03:15:25Z
아흔
9
transl.
찾고자 하는 사항이 일지에 수록되어있지 않습니다.
MediaWiki:Newmessagesdifflink
2138
sysop
5320
2006-05-27T06:53:26Z
아흔
9
rev.
마지막으로 쓴 토론 글
MediaWiki:Nocreatetext
2139
sysop
6108
2006-10-23T07:35:07Z
아흔
9
rev.
이 사이트에서는 새로운 문서를 만드는 것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이미 존재하는 문서를 편집하거나, [[Special:Userlogin|로그인]]하세요.
MediaWiki:Protect-text
2144
sysop
6381
2006-12-11T15:06:52Z
아흔
9
rev.
관리자께서는 여기서 ''''$1''''(을)를 어떻게 보호시킬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Wikibooks:보호문서|문서 보호에 관한 지침]]에 따라서 일을 처리하시기 바랍니다. 마음대로 문서를 옮기지 못하도록 규제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아래에 있는 '옮기기 규제' 칸에 체크를 하신 후 해당 사항을 처리하세요
MediaWiki:Protect-unchain
2145
sysop
6380
2006-12-11T15:06:08Z
아흔
9
rev.
옮기기 규제
MediaWiki:Youhavenewmessages
2147
sysop
5318
2006-05-27T06:50:00Z
아흔
9
transl.
사용자 토론페이지에 $1을 썼습니다 ($2).
MediaWiki:Imagelistforuser
2148
sysop
5349
2006-05-27T07:20:20Z
아흔
9
transl.
다음은 단지 '$1'에 의해 올려진 그림들입니다.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성
2152
4387
2006-01-07T17:54:50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
<br />
=명사의 성=
문법적인 측면에서 체코어 명사는 '''성''' (rod)에 따라
'''남성''', '''여성''', '''중성''' 세 부류로 나뉘고 남성은 '''유정'''과
'''무정'''으로 세분된다. 각 부류별로 문법적인 형태 변화의 유형이
다르므로 명사를 형태를 변화시켜가며 문장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부류에 속하는지 아는 것이 필수적이다.
:* 남성 (mužský rod)
:** 유정 (životný) : student 남학생, muž 남자, předseda 의장, průvodce 안내자, génius 천재
:** 무정 (neživotný) : sešit 공책, pokoj 방
:* 여성 (ženský rod) : studentka 여학생, žena 여자, židle 의자, skřiň 옷장, kolej 기숙사
:* 중성 (střední rod) : město 도시, moře 바다, náměstí 광장
==전형적인 유형==
일반적으로 남성 명사는 어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여성 명사는 -a, 중성 명사는 -o로
끝난다. 남성 명사의 경우에는 유정 명사와 무정 명사로 나뉘어지는데 형태 상의 차이는
없다. 유정 명사는 사람, 동물 등 생명이 있고 움직이는 것을 가리키고 무정 명사는
식물을 포함하여 생명이 없는 사물 또는 추상적 개념 등을 가리킨다.
<blockquote style="padding: 1em; border: 2px dotted purple;">
;;남성
;;* 유정 ('''-Φ''') student 남학생, muž 남자
;;* 무정 ('''-Φ''') sešit 공책, pokoj 방, podzim 가을
;;여성
;;* ('''-a''') studentka 여학생, žena 여자, dcera 딸, kniha 책, tužka 연필, zima 겨울
;;중성
;;* ('''-o''') město 도시, okno 창문, pero 펜, jaro 봄, léto 여름
</blockquote>
이들 네 그룹은 각각 일정한 방식으로 격변화를 한다. 격변화 유형을 더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남성 명사의 경우 마지막 자음이 '''연음'''인지 '''경음'''인지를 보아야 하고,
여성 명사와 중성 명사의 경우 마지막 자음이 격에 따라 경음에서 연음으로 변이하는지
보아야 한다. 체코어 자음의 분류는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자음|체코어 자음]]을 참조.
:* [[../곡용/남성|남성 명사]]
:** 유정: [[../곡용:student|student]] (경자음), [[../곡용:muž|muž]] (연자음)
:** 무정: [[../곡용:sešit|sešit]] (경자음), [[../곡용:pokoj|pokoj]] (연자음)
:* [[../곡용/여성|여성 명사]] : [[../곡용:žena|žena]]
:* [[../곡용/중성|중성 명사]] : [[../곡용:město|město]]
==어말이 -a인 남성명사==
그러나 일부 -a로 끝나는 남성 명사도 있다.
<blockquote style="padding: 1em; border: 2px dotted purple;">
;;남성
;;* rada 조언, fanda 팬, hrdina 주인공, úřada/ouřada 사무원/공무원, předseda 의장, přednosta 원장/대표, poeta 시인, starosta 시장/대표, strejda (strýc의 구어형) 아저씨/삼촌, táta 아빠, vévoda 공작/왕자, štolba 마부
;;* ('''-ita''', '''-ista''') alchymista 연금술사, artista 곡예사, bandita 강도/갱, bohemista 보헤미아 (체코) 전문가, fašista 파시스트, fotbalista 축구선수, hokejista 하키선수, husita 후스파, invalida 장애인, komunista 공산주의자, slavista 슬라브어 전문가, socialista 사회주의자, terorista 테러리스트, turista 여행자, žurnalista 저널리스트
;;* '''(-ka)''' taťka 아빠, vladyka 체코 귀족의 하나, vozka 마부
</blockquote>
격변화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곡용/남성|남성 명사]]
:** -a로 끝나는 남성 명사: [[../곡용:poeta|poeta]], [[../곡용:bohemista|bohemista]], [[../곡용:vozka|vozka]]
==자음으로 끝나는 여성명사==
자음으로 끝나는 것들 중에 여성 명사인 것도 있다.
<blockquote style="padding: 1em; border: 2px dotted purple;">
;;여성
;;* 연자음 - skřiň 옷장, kolej 기숙사, tramvaj 전차
;;* (-st) společnost 회사/사회, místnost 방(실내공간), bolest 아픔
;;* mrkev 당근,
</blockquote>
자음으로 끝나는 여성 명사들은 격변화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자세히 나눌 수 있다.
:* [[../곡용/여성|여성 명사의 곡용]]
::* [[../곡용:tramvaj|tramvaj]], [[../곡용:láhev|láhev]], [[../곡용:skříň|skříň]], [[../곡용:píseň|píseň]]
::* [[../곡용:loď|loď]], [[../곡용:labuť|labuť]]
::* [[../곡용:moc|moc]]
::* [[../곡용:kost|kost]], [[../곡용:velikost|velikost]]
==어말이 -e인 명사==
여성 명사와 중성 명사에는 어말이 -e인 것도 많으며 일부 남성 명사가 -e로 끝나기도 한다.
<blockquote style="padding: 1em; border: 2px dotted purple;">
;; 남성
;;* ('''-ce''') průvodce 안내자, soudce 판사
;; 여성
;;* židle 의자, ulice 길, košile 셔츠, chvíle 순간, silnice 길, kuchyně 부엌, ruce 팔/손
;;* ('''-ce''') kompozice 작곡, tradice 전통, demokratizace 민주화, komunikace 커뮤니케이션, stanice 역
;; 중성
;;* moře 바다, vejce 달걀
;;* ('''-iště''') jeviště 무대, letiště 공항, pracoviště 일터
;;* 생물이지만 중성인 경우: dítě 아이, kuře 닭
</blockquote>
어말이 -e 인 명사는 격변화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자세히 구분할 수 있다.
:* 명사 곡용 유형
::* [[../곡용/남성|남성]]: [[../곡용:průvodce|průvodce]]
::* [[../곡용/여성|여성]]: [[../곡용:židle|židle]]
::* [[../곡용/중성|중성]]: [[../곡용:moře|moře]], [[../곡용:kuře|kuře]] (생물)
==-í 명사==
어말이 장음 -í로 끝나는 것은 거의 모두 중성명사이다. 예외로 여성 명사 paní 가 있다.
<blockquote style="padding: 1em; border: 2px dotted purple;">
* -ní : 동사 어간에 -ání, -ení 를 붙여 명사형을 만들 수 있다.
:: balení (balit) 포장, cestování (cestovat) 여행, cvičení (cvičit) 연습, čekání (čekat) 기다림čtení (číst) 읽기dýchání (dýchat) 호흡, filmování (filmovat) 촬영, hlášení (hlásit) 공고/보고, instalování (instalovat) 설치, jmenování (jmenovat) 임명,koupání (koupat se) 목욕, léčení (léčit) 치료, mučení (mučit) 고문, nakupování (nakupovat) 쇼핑/구매, narození (narodit se) 태어남, omezení (omezit) 제한, opalování (opalovat se) 선탠, představení (představit) 공연/소개, překládání (překládat) 번역, rozdělení (rozdělit) 분배,řešení (řešit) 풀이/해결, setkání (setkat se) 만남, spojení (spojit) 연결/연합/통일,tancování (tancovat) 춤추기, trestání (trestat) 처벌, učení (učit, učit se) 배움/가르침, umění (umět) 예술/기술/재주, útočení (útočit) 공격, vydání (vydat) 출판, založení (založit) 배치/성향,zkoušení (zkoušet) 시험/검사/시도
* -í : 동사에서 파생된 것이 아닌 경우로 -bí, -čí, -dí, -jí, -lí, -mí, -ní, -pí, -ří, -sí, -ší, -tí, -ví, -zí, -ží 등 다양한 자음을 가질 수 있다.
:: nádobí 그릇, období 시기/계절; nebezpečí 위험, zahraničí 외국/해외국가; droždí 효모/이스트, mládí 젊음/젊은시절/어린시절/젊은이/청소년; soustrojí 기계/부품, ústrojí 시스템/메커니즘; okolí 주변/근방, zelí 양배추; přízemí 1층, vědomí 마음/심리/의식; kamení 돌(집합적), oteplení 따뜻해짐/온난화; kopí 창(무기); peří 깃털(집합적), stáří 나이; šasi 새시, poprsí 가슴; ovzduší 환경/기후/공기; hnutí 움직임, náměstí 광장, smetí 쓰레기, století 세기(백년); bohastství 부/재산, cukroví 단것/사탕; pomezí 경계/변두리, rozmezí 경계/한계/(시간)간격; nábřezí 둑/강변/해변; nádraží 기차역, zboží 상품/제품;
</blockquote>
이들은 모두 동일하게 격변화한다.
:* [[../곡용/중성|중성]]: [[../곡용:náměstí|náměstí]]
==라틴어==
체코어에는 많은 라틴어 어휘가 그대로 사용된다. 그러나, 라틴어의 문법까지 그대로
따르는 것은 아니다. 단수 주격 (N. sg.)만 라틴어의 형태를 따를 뿐이고 나머지 격변화
형태를은 체코어 문법 규칙을 따른다.
라틴어 어휘는 다음과 같이 어미를 통해 성을 구분할 수 있다: 남성 -us, 여성 -a, 중성
-um, -ma.
<blockquote style="padding: 1em; border: 2px dotted purple;">
;; 남성
;;* 유정 ('''-us''') génius 천재
;;* 무정 ('''-us''') cirkus 서커스, glóbus 지구본, humanismus 휴머니즘, realismus 리얼리즘
;; 여성
;;* ('''-a''') idea 아이디어, Korea 한국
;; 중성
;;* ('''-um''') muzeum 박물관, studium 학업, stipendium 장학금, centrum 센터, vízum 비자, datum 날짜
;;* ('''-ma''') drama 드라마, panoráma 파노라마, téma 테마
</blockquote>
==두 개 이상의 성==
일부 단어의 경우에는 두 성이 뒤섞여 쓰이는 경우가 있다.
;; 남성 또는 여성
;;* kyčel, hřídel, svízel, rez, smeč, prestiž, spoj, trolej, klest, image
;; 남성 또는 중성
;;* rukojmí
;; 여성 또는 중성
;;* káně
==단수와 복수에서 다른 성==
드물게 단수와 복수에서 문법적인 성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 중성 <-> 여성
;;* 단수에서는 중성 - dítě, oko, ucho
;;* 복수에서는 여성 - děti, oči, uši
;; 남성 <-> 중성
;;* 단수에서는 남성 - kníže, hrabě, markrabě
;;* 복수에서는 중성 - knížata, hrabata, markrabata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수
2153
4389
2006-01-07T17:55:55Z
Slomo
14
템플릿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
<br />
=명사의 수=
* 수 (číslo)
** 단수 (jednotné číslo)
** 복수 (množné číslo)
특수한 경우
;;'''집합 명사''' (podstaná jména pomnožná)
;;*복수 형태만 가지지만 하나의 사물을 지시한다.
;;* sáně 썰매, housle 바이올린, dveře 문,
;;* Vánoce 크리스마스, Velikonoce 부활절, narozeniny 생일, prázdniny 방학,
;;* 지명 - Hradčany, Vysočany, Čechy, Pardubice, Budějovice
;;'''질량 명사''' (podstaná jména hromadná)
;;* 단수 형태만 가지지만 여러 개의 사물을 지시한다.
;;* kamení 돌, dříví 장작, uhlí 석탄
;;* stromoví 나무, křoví 피, sloupoví 기둥
;;* lidstvo 군중, družstvo 팀, rostlinstvo 식물
;;* žactvo 교원(전체), úřednictvo 사원(전체), ptactvo 조류
;;* chudina 빈민, jedlina 전나무숲, smrčina 전나무숲
;;'''물질 명사''' (podstaná jména látková)
;;* 단수로만 사용되고 부분을 지시할 수도 전체를 지시할 수도 있다.
;;* železo 쇠, mouka 밀가루, voda 물, mleko 우유
;;* 이 명사가 복수로 사용될 경우에는 변형된 의미를 가진다.
;;* železa 덫, dvě mleka 우유 두 개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격
2154
4390
2006-01-07T17:56:09Z
Slomo
14
템플릿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
<br />
=명사의 격=
*격 (pád)
** 주격 (nominativ)
** 생격 (genitiv)
** 여격 (dativ)
** 대격 (akuzativ)
** 호격 (vokativ)
** 처격 (lokál)
** 조격 (instrumentál)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
2155
4674
2006-01-28T23:04:01Z
Slomo
14
/* -e로 끝나는 명사의 곡용 비교 */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
<br />
=명사의 곡용=
명사는 '''수'''와 '''격'''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 단수/복수의 2가지
수 형태와 7가지 격형태가 있어 모두 14가지 형태로 변화한다. 이러한 형태 변화를
'''곡용''' (skloňovaní)이라고 한다.
==곡용 유형에 따른 분류==
* 성 (rod)
** [[/남성|남성]] (mužský rod)
*** 유정 (životný)
**** 경음 (단수생격 -a): [[../곡용:student|student]], pán, host
**** 연음 (단수생격 -e): [[../곡용:muž|muž]]
**** 경음 + a : [[../곡용:poeta|poeta]], [[../곡용:bohemista|bohemista]], [[../곡용:vozka|vozka]], předseda
**** 연음 + e : [[../곡용:průvodce|průvodce]], soudce
*** 무정 (neživotný)
**** 경음 (단수생격 -u/-a): [[../곡용:sešit|sešit]], papír, hrad
**** 연음 (단수생격 -e): [[../곡용:pokoj|pokoj]], stroj, koláč
** [[/여성|여성]] (ženský rod) :
*** 경음 : [[../곡용:žena|žena]]
*** 연음 + e : [[../곡용:židle|židle]], růže
*** 자음 (단수생격 -e/-ě) : [[../곡용:tramvaj|tramvaj]], [[../곡용:láhev|láhev]], [[../곡용:skříň|skříň]], [[../곡용:píseň|píseň]], [[../곡용:loď|loď]], [[../곡용:labuť|labuť]]
*** 자음 (단수생격 -i) : [[../곡용:kost|kost]], [[../곡용:velikost|velikost]], místnost, paní, bytost
** [[/중성|중성]] (střední rod) :
*** 경음 -o : [[../곡용:město|město]]
*** 연음 -e/-ě : [[../곡용:moře|moře]],
*** 혼합형 -e/-ě : [[../곡용:kuře|kuře]]
*** 장음 -í : [[../곡용:náměstí|náměstí]], stavení, štěstí
==형태별 곡용 비교==
형태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성이 다르기 때문에 다르게 곡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명사들을
형태별로 모아 어떻게 다르게 곡용하는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 보자.
* 연자음 명사: [[../곡용:muž|muž]] (남성 유정) , [[../곡용:pokoj|pokoj]] (남성 무정), [[../곡용:tramvaj|tramvaj]] (여성)
* -e로 끝나는 명사: [[../곡용:průvodce|průvodce]] (남성 유정), [[../곡용:židle|židle]] (여성), [[../곡용:moře|moře]] (중성), [[../곡용:kuře|kuře]] (중성-생물체)
===연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의 곡용 비교===
----
* 연자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남성명사일 수도 있고 여성명사일 수도 있다.
* 단수에서는 성에 관계없이 조격(I)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변한다. 물론, 남성유정일 경우에는 항상 그렇듯이 대격(A)에서 생격(G)과 동일한 형태가 된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각각의 성에 따른 곡용 유형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연자음 명사의 곡용을 따로 외우는 것이 좋다.
{|border=1
!width=50| 수 ||width=50| 격 ||width=100| 남성유정 ||width=100| 남성무정 ||width=100| 여성
|-
|| 단수 || N || muž || pokoj || tramvaj
|-
|| || A ||bgcolor=lightblue| muže || pokoj || tramvaj
|-
|| || G || muže || pokoje || tramvaje
|-
|| || D || muži/možovi || pokoji || tramvaji
|-
|| || L || muži/možovi || pokoji || tramvaji
|-
|| || I ||bgcolor=lightblue| mužem ||bgcolor=lightblue| pokojem ||bgcolor=lightblue| tramvají
|-
|| || V || muži || pokoji || tramvaji
|}
* 복수에서 곡용은 각각의 성에 따른 일반적인 변화를 따른다.
** 남성명사인 경우에는 경자음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변화에 있어 큰 차이가 없다. 단, 경자음-연자음의 차이 때문에 규칙적으로 어미에서도 차이가 날 뿐이다. 대격(A)에서 ''student'''y''''' - ''muž'''e''''', 처격(I)에서 ''student'''ech''''' - ''muž'''ích''''', 조격(L)에서 ''student'''y''''' - ''muž'''i'''''를 비교해 보면 차이를 알 수 있다.
** 여성명사인 경우에도 -a로 끝나는 보통의 여성명사들과 규칙적으로 대응한다.
{|border=1
!width=50| 수 ||width=50| 격 ||width=100| 남성유정 ||width=100| 남성무정 ||width=100| 여성
|-
|| 복수 || N || muži ||bgcolor=lightblue| pokoje ||bgcolor=lightblue| tramvaje
|-
|| || A ||bgcolor=lightblue| muže ||bgcolor=lightblue| pokoje ||bgcolor=lightblue| tramvaje
|-
|| || G || mužů || pokojů ||bgcolor=lightblue| tramvají
|-
|| || D || mužům || pokojům ||bgcolor=lightblue| tramvajím
|-
|| || L ||bgcolor=lightblue| mužích ||bgcolor=lightblue| pokojích ||bgcolor=lightblue| tramvajích
|-
|| || I ||bgcolor=lightblue| muži ||bgcolor=lightblue| pokoji ||bgcolor=lightblue| tramvajemi
|-
|| || V || muži || pokoje || tramvaje
|}
===-e로 끝나는 명사의 곡용 비교===
----
{|border=1
!width=50| 수 ||width=50| 격 ||width=100| 남성유정 ||width=100| 중성 ||width=100| 중성(생물) ||width=100| 여성
|-
|| 단수 || N || průvodce || moře || kuře || židle
|-
|| || A || průvodce || moře || kuře || židli
|-
|| || G || průvodce || moře || kuřete || židle
|-
|| || D || průvodci<sup>1)</sup> || moři || kuřeti || židli
|-
|| || L || průvodci<sup>1)</sup> || moři || kuřeti || židli
|-
|| || I || průvodcem || mořem || kuřetem || židlí
|-
|| || V || průvodce || moře || kuře || židle
|}
<sup>1)</sup> 명사구의 마지막 단어이거나 홀로일 때는 průvodcovi.
{|border=1
!width=50| 수 ||width=50| 격 ||width=100| 남성유정 ||width=100| 중성 ||width=100| 중성(생물) ||width=100| 여성
|-
|| 복수 || N || průvodci || moře || kuřata || židle
|-
|| || A || průvodce || moře || kuřata || židle
|-
|| || G || průvodců || moří || kuřat || židlí
|-
|| || D || průvodcům || mořím || kuřatům || židlím
|-
|| || L || průvodcích || mořích || kuřatech || židlích
|-
|| || I || průvodci || moři || kuřety || židlemi
|-
|| || V || průvodce || moře || kuřata || židle
|}
* 여성명사 복수 생격의 경우에는 židle (N.sg.) - židlí (G.pl.) 처럼 어미 -í가 붙는 경우와 ulice (N.sg.)- ulic (G.pl.) 처럼 어미가 붙지 않는 유형이 있다.
* 남성명사 복수 주격의 경우에는 průvodce (N.sg.) - průvodci (N.pl.) 형태만 인정되는 경우와 soudce (N.sg.) - soudci, soudcové (N.pl.) 처럼 두가지 형태가 모두 표준형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2156
4401
2006-01-07T18:40:07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
<br />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품사]] (slovní druhy)
** [[/명사|명사]] (podstatné jméno = substantivum)
** [[/형용사|형용사]] (přídavné jméno = adjektivum)
** [[/대명사|대명사]] (zájmeno = pronomen)
** [[/수사|수사]] (číslovka = numerale)
** [[/동사|동사]] (sloveso = verbum)
** [[/부사|부사]] (příslovce = adverbium)
** [[/전치사|전치사]] (předložka = prepozice)
** [[/접속사|접속사]] (spojka = konjunkce)
** [[/소사|소사]] (častice = partikule)
** [[/감탄사|감탄사]] (citoslovce = interjekce)
체코어/문법/참조문법
2157
4407
2006-01-07T18:49:02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
<br />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참조문법]]
** 음성학: [[/소리|소리]]
*** [[/소리/모음|모음]]
*** [[/소리/자음|자음]]
*** [[/소리/표준발음|표준발음]]
*** [[/소리/음절|음절]]
*** [[/소리/운율|운율]]: 억양, 강세, 휴지
** 형태론: [[/품사|품사]] (slovní druhy)
*** [[/품사/명사|명사]] (podstatné jméno = substantivum)
*** [[/품사/형용사|형용사]] (přídavné jméno = adjektivum)
*** [[/품사/대명사|대명사]] (zájmeno = pronomen)
*** [[/품사/수사|수사]] (číslovka = numerale)
*** [[/품사/동사|동사]] (sloveso = verbum)
*** [[/품사/부사|부사]] (příslovce = adverbium)
*** [[/품사/전치사|전치사]] (předložka = prepozice)
*** [[/품사/접속사|접속사]] (spojka = konjunkce)
*** [[/품사/소사|소사]] (častice = partikule)
*** [[/품사/감탄사|감탄사]] (citoslovce = interjekce)
틀: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2158
4614
2006-01-25T22:22:10Z
84.42.181.80
{{Template:체코어:Nav_RG
|1=<< [[체코어]]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참조문법]]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품사]]
|2=[[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명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형용사|형용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대명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수사|수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동사|동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부사|부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전치사|전치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접속사|접속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소사|소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감탄사|감탄사]]
}}
틀: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
2159
4418
2006-01-07T19:19:04Z
Slomo
14
{{Template:체코어:Nav_RG
|1=<< [[체코어]]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참조문법]]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품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명사]]
|2=[[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성|성]]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수|수]]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격|격]]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곡용]]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지소형|지소형]]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소유형용사|소유형용사]]
}}
틀: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
2160
4417
2006-01-07T19:17:53Z
Slomo
14
{{Template:체코어:Nav_RG
|1=<< [[체코어]]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참조문법]]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품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명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곡용]]
|2=[[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남성|남성]]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여성|여성]]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중성|중성]]
}}
틀:체코어/문법/참조문법
2161
4416
2006-01-07T19:16:56Z
Slomo
14
{{Template:체코어:Nav_RG
|1=<< [[체코어]]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참조문법]]
|2=[[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소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품사]]
}}
틀:체코어/문법
2162
4552
2006-01-19T19:31:51Z
Slomo
14
{{Template:체코어:Nav_RG
|1=<< [[체코어]]
|2=[[체코어/문법/참조문법|참조문법]] - [[체코어/문법/주제별|주제별 문법]]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
2163
4409
2006-01-07T18:54:19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
<br />
* 음성학: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소리]]
** [[/모음|모음]]
** [[/자음|자음]]
** [[/표준발음|표준발음]]
** [[/음절|음절]]
** [[/운율|운율]]: 억양, 강세, 휴지
틀: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
2164
4413
2006-01-07T19:14:34Z
Slomo
14
{{Template:체코어:Nav_RG
|1=<< [[체코어]]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참조문법]]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소리]]
|2=[[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모음|모음]]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자음|자음]]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표준발음|표준발음]]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음절|음절]]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운율|운율]]
}}
틀:체코어:Nav RG
2165
4544
2006-01-19T19:22:04Z
Slomo
14
<!--이것은 참조문법을 위한 네비게이터이다-->
<div align="center">
{|width="90%" cellspacing="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padding: 0.3em; margin-left:15px; border: 1px solid #999; border-right-width: 2px; border-bottom-width: 2px; background:#f4f4ff; text-align:center"
|-
|style="padding: 0.3em; font-family: sans-serif; font-size: 1em; background-color: #ccf"|
{{{1}}}
|-
|style="padding: 0.3em; line-height: 1.5em"|
{{{2}}}
|}
</div>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소유형용사
2166
4419
2006-01-08T01:12:07Z
84.42.181.80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
<br />
소유형용사 (Adjektiva pasesívní)
소유형용사를 만들 수 있는 조건
* 사람의 이름 또는 사람을 가리키는 남성 또는 여성 명사 단수의 경우에만 소유형용사를 만들 수 있다.
* 명사의 말음이 자음 또는 모음 -a, -e 일 때만 소유형용사를 만들 수 있다.
소유형용사를 만드는 어미
*남성 명사의 경우 : -ův, -ova, -ovo / -ovi, -ovy, -ova
*여성 명사의 경우 : -in, -ina, -ino / -ini, -iny, -ina
말음이 변화하는 경우
* r > ř : sestra > sestřin
* k > č : matka > matčin
* g > ž : Olga > Olžin
성, 수, 격에 따른 변화
Karel
Karlův most
Karlovo naměstí
Karlova univerzita
Karlovy Vary
==남성 명사의 소유형용사형==
{|width="70%" style="border:1ex solid #ddd"
|-
|| || 남성 유정 || 남성 무정 || 여성 || 중성
|-
|| 단수 || Pavlov'''ův''' pes || Karl'''ův''' most || Nobel'''ova''' cena || Masaryk'''ovo''' nádraží
|-
|| 복수 || Pavlov'''ovi''' psi || Karl'''ovy''' Vary || Nobel'''ovy''' ceny || Masaryk'''ova''' díla
|}
;남성 유정 단수:
prezidentův mluvčí (대통령 대변인)
Ďáblův advokát (악마의 변호사, 영화 '데블스 애드버킷')
prezidentův poradce (대통령의 고문)
Havlův mluvčí (하벨의 대변인)
Čarodějův učeň (만화영화: 마법사의 도제)
Draculův švagr (드라큘라의 처남)
Prezidentův syn (대통령의 아들)
Goethův Faust (괴테의 파우스트)
;남성 유정 복수
Sládkovi republikáni (슬라데크의 공화당원들, < Miroslav Mládek)
Kasperovi přátelé (캐스퍼의 친구들)
Kolumbovi rytíři (콜롬부스의 기사들, < Kolumbus)
Pavlovovi psi (파블로프의 개들)
Ježíšovi apoštolové (예수의 사도들 < Ježíš)
Picassovi přátelé (피카소의 친구들)
Napoleonovi vojáci (나폴레옹의 병사들)
;남성 무정 단수:
Jindřichův Hradec (도시명)
Havlíčkův Brod (도시명)
Králův Dvůr (도시명)
Špindlerův Mlýn (도시명)
Klausův kabinet (클라우스 내각, < prezident Klaus)
Heřmanův Městec (도시명)
Schindlerův seznam (쉰들러 리스트)
Davisův pohár (데이비스 컵)
Masarykův okruh (Brno 시의 구역명)
Dow Jonesův index (다우존스 지수)
;남성 무정 복수:
Karlovy Vary (카를로비 바리)
Benešovy dekrety (베네시 법령, < prezident Edvard Beneš)
Čertovy schody (지명: 도깨비 계단)
prezidentovy návrhy (대통령의 제안들)
Chotkovy sady (호테크 정원, < Karel Chotek)
Škodovy závody (슈코다 공장)
Kunderovy romány (쿤데라의 소설)
;여성 단수:
Nobelova cena (노벨상)
Klausova strana (클라우스 당)
Klausova vláda (클라우스 정부)
Addamsova rodina (아담스 패밀리)
Masarykova univerzita (마사리크 대학)
Figarova svatba (피가로의 결혼식)
Dvořákova síň (드보르작 홀, Rudolfinum에 있음)
Křižíkova fontána (크르지지크 분수)
Clintonova vláda (클린턴 정부)
Clintonova administrativa (클린턴 행정부)
Karlova univerzita (카렐 대학)
Effelova věž (에펠 탑)
Mozartova hudba (모차르트의 음악)
prezidentova žena (대통령의 여인)
Davidova hvězda (다윗의 별)
Dvořákova Rusalka (드보르작의 인어)
;여성 복수:
Karlovy Vary (카를로비 바리)
Františkovy Lázně (도시명: 프란티슈코바 온천)
Nobelovy ceny (노벨상)
Dvořákovy skladby (드보르작의 작곡들)
;중성 복수:
Pinocchiova dobrodružství (피노키오의 모험)
Sindibádova dobrodružství (신드바드의 모험)
Ježíšova slova (예수의 말)
prezidenta slova (대통령의 말)
Klausova slova (클라우스의 말)
Dantova Pekla (단테의 지옥)
Shakespearova díla (세익스피어의 작품들)
Mozartova díla (모차르트의 작품들)
Masarykova díla (마사리크의 작품들, < Masaryk)
Kafkova díla (카프카의 작품들, < Kafka)
;중성 단수:
Královo Pole (Brno의 구역명, Král)
Masarykovo nádraží (마사리크 역, Masaryk)
Náprstkovo muzeum (나프르스테크 박물관, Náprstek)
==여성 명사의 소유형용사형==
{|width="70%" style="border:1ex solid #ddd"
|-
|| || 남성 유정 || 남성 무정 || 여성 || 중성
|-
|| 단수 || Jarč'''in''' profesor || Judit'''in''' most || Pandoř'''ina''' skříňka || Babičč'''ino''' údolí
|-
|| 복수 || Jan'''ini''' přátelé || Viktori'''iny''' vodopády || Bert'''iny''' lázně || Alenč'''ina''' dobrodružství
|}
;남성 유정 단수:
Jarčin profesor (영화제목:야르차의 교수, 1937, 체코, < Jarča)
matčin milenec (어머니의 정부, < matka)
nevěstin otec (신부의 아버지)
Janin manžel (야나의 남편, < Jana)
matčin bratr (어머니의 형제, < matka)
;남성 유정 복수:
Janini přátelé (영화:야나의 친구들, < Jana)
manželčini rodiče (아내의 부모, < manželka)
maminčini rodiče (엄마의 부모, < maminka)
;남성 무정 단수:
Sofiin svět (책:소피의 세계, < Sofie)
Maminčin zámek (영화:엄마의 성, < maminka)
Juditin most (유디타 다리, < Judita)
;남성 무정 복수:
Viktoriiny vodopády (빅토리아 호수, Viktorie)
Babiččiny rohlíčky (할머니의 빵)
Marianniny rozmary (연극:마리안느의 로즈마리, < Marianne)
;여성 단수:
Sophiina volba (영화:소피의 선택)
Pandořina skříňka (판도라의 상자, < Pandora)
matčina rodina (어머니의 가족, < matka)
;여성 복수:
Bertiny lázně (도시명, < Berta)
Mariiny děti (마리아의 아이들, < Marie)
Babiččiny pohádky (할머니의 이야기, < Babička)
;중성 단수:
matčino srdce (어머니의 마음, < matka)
Babiččino údolí (지명: 할머니 계곡, < Babička)
;중성 복수:
Alenčina dobrodružství (책: 앨리스의 모험, < Alenka)
ženina slova (여자의 말)
Albertina Data (회사명:알베르타 데이터)
체코어/문법
2167
4420
2006-01-08T01:23:02Z
Slomo
14
체코어 문법
빵
2171
6587
2007-01-03T17:04:52Z
아흔
9
rev.
* [[도넛]]
* [[카스타드]]
* [[케이크]]
* [[파이]]
* [[팬케이크]]
* [[푸딩]]
* [[머핀]]
* [[식빵]]
머핀
2172
6604
2007-01-03T17:14:06Z
아흔
9
rev.
밀가루, 기름, 달걀, 우유를 기본으로 하며 주로 설탕, 과일, 초콜릿 등을 넣어 달게 만드는 경우가 많으나 야채를 이용하여 달지 않게 만들 수도 있다. 영국식 머핀과 미국식 머핀이 있는데 이 둘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만들고 모양도 다르다. 영국식 머핀은 이스트를 넣어서 발효시키고 호떡처럼 납작하게 팬에서 구워낸다. 미국식은 베이킹파우더를 넣어 만들고 머핀 틀에 넣어 작은 컵 모양으로 오븐에 굽는다. 이러한 미국식 머핀의 경우에는 그 모양 때문에 '''컵케이크'''이라고도 한다.
* [[바나나 머핀]]
* [[사과 요구르트 머핀]]
* [[치즈 머핀]]
* [[옥수수 콩 머핀]]
바나나 머핀
2173
6583
2007-01-03T17:03:20Z
아흔
9
옮김: 요리:바나나 머핀 → 바나나 머핀: proper name
==준비물==
;[1]
:* 밀가루 박력분 - 240g (400ml)
:* 베이킹파우더 - 2작은술
:* 소금 - 조금 (1/4작은술)
:* 시나몬 가루 - 1/2작은술 (없으면 안 넣어도 좋다)
;[2]
:* 달걀 - 2개
:* 바나나 - 2개
:* 올리브유 - 60g (또는 식용유)
:* 꿀 - 50ml (또는 설탕)
:* 플레인 요구르트 - 50ml (또는 우유)
;추가
:* 호두 잘게 썬 것
:* 초콜릿 조각
;도구
:* 머핀틀 12컵짜리
:* [[요리:유산지|유산지]]
:* 볼
:* 거품기 (전기 핸드 블렌더)
==순서==
* [1] 밀가루, 베이킹파우더, 소금, 시나몬 가루를 섞는다. 체를 치면 좋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 [2] 달걀 흰자만을 분리해 거품을 낸다. 바나나를 으깨어 더하고 크림이 되도록 섞는다. 남은 계란 노른자, 올리브유, 꿀, 플레인 요구르트를 모두 더하고 잘 섞는다.
* 밀가루[1]을 거품[2]에 한번에 넣고 살살 섞어준다. 너무 강하게 섞으면 안 된다. 전체적으로 밀가루가 축축해질 정도로만 섞는다.
* 머핀틀에 유산지 컵을 깔고 반죽을 똑같이 나누어 넣어준다. 이때 원하는 대로 호두 잘게 썬 것이나 초콜릿 조각을 넣어 주어도 좋다
* 오븐은 섭씨 200도로 예열을 하고 20-25분간 굽는다.
분류:요리:머핀
2174
4471
2006-01-19T15:17:06Z
Slomo
14
[[분류:요리:빵|머핀]]
분류:요리:바나나
2175
4460
2006-01-19T15:11:59Z
Slomo
14
[[분류:요리:과일|바나나]]
분류:요리:과일
2176
4459
2006-01-19T15:10:57Z
Slomo
14
[[분류:요리:재료별 목록|과일]]
분류:요리:재료
2177
4446
2006-01-19T14:34:01Z
Slomo
14
분류:요리:빵
2178
4468
2006-01-19T15:15:32Z
Slomo
14
[[분류:요리:요리별 목록|빵]]
분류:요리:요리별 목록
2179
4467
2006-01-19T15:15:15Z
Slomo
14
[[분류:요리|요리별 목록]]
분류:요리:재료별 목록
2180
4466
2006-01-19T15:15:00Z
Slomo
14
[[분류:요리|재료별 목록]]
분류:요리:소스
2183
4469
2006-01-19T15:15:52Z
Slomo
14
[[분류:요리:요리별 목록|소스]]
분류:요리:마요네즈
2184
4462
2006-01-19T15:12:57Z
Slomo
14
[[분류:요리:재료별 목록|마요네즈]]
옥수수 콩 머핀
2185
6593
2007-01-03T17:06:34Z
아흔
9
rev.
==준비물==
;[1]
* 밀가루 박력분 - 180g (1.5컵)
* 옥수수 가루 - 75g (1/2컵)
* 콩가루 - 25g (1/4컵)
* 설탕 - 50g (1/4컵)
* 베이킹파우더 - 1작은술
* 소금 - 1/2작은술
;[2]
* 계란 - 2개
* 두유 - 1컵
* 콩기름 - 1/컵
;도구
* 머핀틀 12컵짜리
* [[요리:유산지|유산지]]
* 거품기 (전기 핸드 블렌더)
==조리법==
* [1] 밀가루, 옥수수 가루, 콩가루, 설탕, 베이킹파우더, 소금을 모두 섞는다. 체를 치면 좋다.
* [2] 계란, 두유, 콩기름을 거품기로 잘 섞는다.
* 밀가루 [1]을 거품 [2]에 한번에 섞는다. 너무 강하게 섞으면 안 된다. 반죽이 축축해질 정도로만 살살 섞어준다.
* 오븐을 섭씨 200도로 예열하고 머핀틀에 유산지를 깔고 고르게 반죽을 담아 20-25분 정도 굽는다.
분류:요리:콩가루
2186
4464
2006-01-19T15:13:51Z
Slomo
14
[[분류:요리:재료별 목록|콩가루]]
분류:요리:옥수수 가루
2187
4463
2006-01-19T15:13:36Z
Slomo
14
[[분류:요리:재료별 목록|옥수수 가루]]
분류:요리:두유
2188
4461
2006-01-19T15:12:39Z
Slomo
14
[[분류:요리:재료별 목록|두유]]
사과 요구르트 머핀
2189
6590
2007-01-03T17:05:42Z
아흔
9
rev.
==준비물==
;[1]
* 밀가루 박력분 - 2컵
* 설탕 - 1/2컵
* 베이킹파우더 - 2작은술
* 시나몬 가루 - 1/2작은술 (없어도 된다)
* 소금 - 1/2작은술
;[2]
* 플레인 요구르트 - 1컵
* 달걀 - 1개
* 버터 - 1/4컵 (녹여서)
* 레몬껍질 - 2작은술 (없어도 된다)
;[3]
* 사과 - 작은 것 3개 (잘게 썬다)
;도구
* 머핀틀 12컵짜리
* [[요리:유산지|유산지]]
* 거품기 (전기 핸드 블렌더)
==조리법==
* [1] 밀가루, 설탕, 베이킹파우더, 시나몬 가루, 소금을 모두 섞는다. 체를 치면 좋다.
* [2] 플레인 요구르트를 크림이 될 때까지 거품기로 젓는다. 달걀, 버터, 레몬껍질을 넣고 다시 잘 섞는다.
* 밀가루 [1]를 거품 [2]에 한번에 넣고 재빨리 섞는다. 너무 강하게 섞으면 안 된다. 반죽이 축축해질 정도로만 살살 섞어준다.
* 사과 잘게 다진 것을 넣고 살며시 섞어준다.
* 오븐을 섭씨 190도로 예열하고 머핀틀에 유산지를 깔고 고르게 반죽을 나누어 담은 후 20-25분간 굽는다.
분류:요리:사과
2190
4474
2006-01-19T15:30:08Z
Slomo
14
[[분류:요리:과일|사과]]
분류:요리:요구르트
2191
4475
2006-01-19T15:31:07Z
Slomo
14
[[분류:요리:유제품|요구르트]]
분류:요리:유제품
2192
4476
2006-01-19T15:31:29Z
Slomo
14
[[분류:요리:재료별 목록|유제품]]
치즈 머핀
2193
6599
2007-01-03T17:08:20Z
아흔
9
rev.
==준비물==
;[1]
* 밀가루 박력분 - 2컵
* 베이킹파우더 - 1큰술
* 설탕 - 2큰술
* 소금 - 1작은술
;[2]
* 계란 - 1개
* 우유 - 1컵
* 식물성 기름 - 1/2컵
;[3]
* 체더 치즈 - 1/2컵 (잘게 썬다)
;도구
* 머핀틀 12컵짜리
* [[요리:유산지|유산지]]
* 거품기 (전기 핸드 블렌더)
==조리법==
* [1] 밀가루, 베이킹파우더, 설탕, 소금을 모두 섞는다. 체를 치면 좋다.
* [2] 계란, 우유, 기름을 거품기로 잘 섞는다.
* 밀가루 [1]을 [2]에 한번에 넣어 살살 섞는다. 너무 강하게 섞으면 안 된다. 반죽이 축축해질 정도로만 가볍게 섞어준다.
* 잘게 썬 체더 치즈를 넣어 섞어준다.
* 오븐을 섭씨 190도로 예열하고 머핀틀에 유산지를 깔고 골고루 반죽을 나누어 담아 20분간 굽는다.
분류:요리:치즈
2194
4478
2006-01-19T15:41:17Z
Slomo
14
[[분류:요리:유제품|치즈]]
분류:요리:이탈리아의 요리
2196
4481
2006-01-19T16:47:31Z
Slomo
14
[[분류:요리:세계의 요리|이탈리아의 요리]]
분류:요리:세계의 요리
2197
4482
2006-01-19T16:47:50Z
Slomo
14
[[분류:요리|세계의 요리]]
분류:요리:파스타
2198
4492
2006-01-19T17:14:20Z
Slomo
14
[[분류:요리:요리별 목록|파스타]]
[[분류:요리:재료별 목록|파스타]]
올리브 오일 스파게티
2199
6596
2007-01-03T17:07:37Z
아흔
9
rev.
==준비물==
;[1] 올리브 오일 소스
* 다진 마늘 - 4쪽 (다진다)
* 다진 바질 - 2큰술 (또는 파슬리)
* [[요리:올리브유|올리브유]] (엑스트라 버진) - 3큰술
* 소금 - 조금
* 후추 - 조금
;[2] 스파게티 국수
* 스파게티 국수 - 200g (가는 것이 좋다)
* 물 - 1L
* 소금 - 조금
* [[요리:올리브유|올리브유]] (라이트 버진) - 1큰술
;[3]
* [[요리:올리브유|올리브유]] - 4큰술
* 바질 - 1큰술 (또는 파슬리)
;[4] 추가
* 토마토 - 1개
* 양송이 버섯 - 4개
* 피망 - 1/2개
==조리법==
* [1] 약한 불에 팬을 올리고 올리브유 3큰술을 두르고 다진 마늘을 넣는다. 마늘은 잘게 다질 필요는 없다. 마늘이 타지 않도록 불을 아주 약하게 한다. 소금과 후추를 적당히 입맛에 따라 넣어준다. 마늘이 어느 정도 익어 투명하게 변해가면 바질 또는 파슬리 다진 것을 넣어 준다. 타지 않는지 보면서 약한 불에 올려 둔다.
* [2] 끓는 물에 소금과 올리브유를 넣고 스파게티 국수 200g을 넣어 삶는다. 스파게티 포장지에 몇 분간 삶는 것이 좋은지 써있으니 참조하자.
* 스파게티 국수를 건져 물기를 빼고 [1]의 오일 소스에 잘 섞는다.
* [3] 여기에 올리브유 4큰술과 바질 또는 파슬리 다진 것을 넣어 섞어준다.
* [4] 토마토 잘게 썰은 것, 양송이 버섯 납작하게 썰은 것, 피장 잘게 썰은 것을 따로 볶아 스파게티에 섞어 먹어도 좋다.
분류:요리:올리브유
2200
4488
2006-01-19T17:12:01Z
Slomo
14
[[분류:요리:기름|올리브유]]
분류:요리:기름
2201
4489
2006-01-19T17:12:25Z
Slomo
14
[[분류:요리:재료별 목록|기름]]
분류:요리:스파게티
2202
4491
2006-01-19T17:13:16Z
Slomo
14
[[분류:요리:파스타|스파게티]]
MediaWiki:Newuserlogpage
2203
4500
2006-01-19T17:27:54Z
아흔
9
transl.
새로운 등록자 일지
MediaWiki:Newuserlogpagetext
2204
4501
2006-01-19T17:28:59Z
아흔
9
transl.
다음은 최근에 새로 등록된 사용자 일지입니다.
그림:Praha from Staromestska mostecka vez.JPG
2205
4506
2006-01-19T17:38:05Z
Slomo
14
체코, 프라하, 카렐 대교 구시가 쪽 탑에서 본 전경
체코, 프라하, 카렐 대교 구시가 쪽 탑에서 본 전경
그림:Icon-02.png
2206
4510
2006-01-19T17:50:20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Wikibooks:정보 보호 사항
2207
4961
2006-04-10T12:57:12Z
아흔
9
덧:사용자 페이지 및 일지
아래에는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재단]]의 정보 보호 정책에 관한 사항을 담고 있습니다.
== 수록된 정보의 저장 ==
위키책은 위키 미디어 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여러분께서 위키책 또는 다른 위키미디아 재단의 프로젝트에 기여한 글 또는 미디아 정보 자료는 여러분이 원하거나 또는 원하지 않거나에 구애됨이 없이 저장되며, 위키미디아 재단이 존재하는 한 영구히 보존됩니다 (심지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문서 역시 일정 기간동안 보존됩니다). 여러분께서 [[Wikibooks:편집창|편집창]]을 열어 한 낱말 혹은 한 줄을 쓰시기 이전에 이점을 언제나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수록된 정보의 출판과 배포 ==
여러분께서 위키 미디아 프로젝트에 참여할 경우, 다시 말해 편집을 할 경우에는 등록된 사용자 또는 아이피 주소 참여자로 하시게 되며, 여러분이 편집한 내용은 사용자 이름 또는 아이피 주소로 기록 저장됩니다. ([[그림:Icon-02.png|Icon-02.png]] [[Wikibooks:FAQ/구조|등록과 사용자 이름에 관한 도움말]]) 이와 같이 기록 저장된 문서는 전자 매체를 통한 출판을 의미합니다. 한 번 출판된 내용은 [[Wikibooks:GNU FDL|GNU FDL 저작권 규정]]에 따릅니다.
== 사용자 정보의 관리 ==
=== 사용자 이름과 사용자 페이지 ===
위키책에 등록한 사용자는 등록 사용자 이름으로 [[Wikibooks:FAQ/구조#사용자 페이지와 토론 페이지란?|사용자 페이지]]가 생깁니다. 이 페이지에는 사용자께서 자신의 소개와 활동 사항을 쓸 수 있습니다. 사용자 페이지에 쓰여진 내용은 다른 모든 문서와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며 출판되게 됩니다. 한 번 등록된 사용자의 페이지와 그리고 사용자 이름은 위키미디어의 정책에 따라서 삭제시키지 않습니다 (삭제된 사용자 페이지는 필요에 따라서 다시 살리게 됩니다). 다시 말해 등록된 사용자의 이름은 위키미디어 재단이 존재하는 한, 사용자 등록 페이지와 함께 영구적으로 보존 됩니다. 그러므로 사용자 등록을 하실 때,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 이름을 잘 생각하여 정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자신의 사용자 페이지에 어떤 내용을 써넣으실 때에도 역시 약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위키미디어 재단은 유엔 헌장에 명시된 언론자유 및 인권보장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록된 문서의 내용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쓰여진 내용을 사용자 국가에서 어떤 정치적 이유로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법적 문제에 대해서는 위키미디어 재단은 어떠한 책임도 갖지 않습니다.
=== 로그인에 따른 쿠기 설치 ===
사용자께서 등록 또는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위키미디어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쿠키를 설치합니다. 쿠키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사용자가 어떤 특정한 웹사이트에 접속을 하게되면 그 웹사이트에서 접속된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하는 작은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웹사이트에 따라서 여러가지 용도로 쓰여질 수 있습니다. 다른 웹사이트와 마찬가지로 위키미디어에서는 쿠키가 어떠한 용도로 쓰여지는지 공개하지 않습니다. 참여자께서 위키미디어에서 보내는 쿠키가 설치되기를 원하지 않으신다면 위키책에 다만 아이피(IP) 주소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이메일 주소 ===
참여자께서는 사용자 등록을 할 때, 혹은 나중에 [[Special:Preferences|개인맞춤]]에서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자유로 기재할 있습니다. 기재한 이메일 주소는 다른 사용자와 이메일을 주고 받는데 쓰이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께서 암호를 잊었을 경우 새 암호를 위키미디어로부터 이메일를 통해 받을 수 있습니다. 다른 사용자와 이메일 교환을 위한 전제 조건은 사용자께서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기재하였으며 그리고 이메일을 보내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 역시 이메일 주소를 기재하였을 때에만 가능합니다. 그러나 사용자께서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기입하였다고 하여서 역시 이메일 주소를 기입한 다른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다른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는 이 사용자가 이메일에 답을 하였을 때에만 비로소 알 수 있습니다
=== 일지 (등록 일지, 옮기기 일지...) ===
참여자께서 위키미디어가 보내는 쿠키를 허용한다면 사용자 등록을 하실 수 있으며, 등록을 하게되면 사용자 등록 일지에 기록됩니다. 이 등록 일지는 여러 기술적 문제들, 이를테면 [[Wikibooks:복수 사용자 등록|복수 사용자 등록]] 및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 등에 대처하기 위해서 쓰일 수 있습니다.
사용자 등록 일지 이외에 위키낱말사전에는 여러 변경사항들을 기록하는 일지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대개 문서의 변경사항을 기록하여 나중에 있을 수도 있는 시비점을 가리는 데 쓰이게 됩니다.
== 문서 및 정보의 삭제 ==
[[Category:위키책]]
MediaWiki:Crossnamespacelinkstext
2208
4512
2006-01-19T17:53:46Z
아흔
9
transl.
$1: $2 링크 -> $3
MediaWiki:Crossnamespacelinks
2209
4513
2006-01-19T17:54:17Z
아흔
9
transl.
네임스페이스에 된 링크들
MediaWiki:Listredirects
2210
6104
2006-10-23T07:31:20Z
아흔
9
rev.
넘겨진 문서들
Wikibooks:자유게시판
2211
6420
2006-12-14T15:28:24Z
A-heun
22
reply
== 자유게시판 ==
이 페이지는 한국어 위키책을 처음 방문하신 분들 또는 사용자 여러분들의 대화와 의사소통을 위하여 만들어져 있습니다. 하시고 싶은 이야기나 혹은 의문점이 있으시면 아래에 써넣으세요.
== 도구 문제 ==
[http://ko.wikibooks.org/wiki/%ED%8A%B9%EC%88%98%EA%B8%B0%EB%8A%A5:Recentchanges Recentchanges] 페이지에 도구가 보이지 않습니다. 2006년 12월 13일 (수) 13:08 (UTC)
: I don't know what kind of tools you mean. --[[사용자:A-heun|아흔(A-heun)]] 2006년 12월 14일 (목) 15:28 (UTC)
틀:체코어:Nav G
2212
4536
2006-01-19T19:16:41Z
Slomo
14
<!--이것은 문법을 위한 네비게이터이다-->
<div align="center">
{|width="90%" cellspacing="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padding: 0.3em; margin-left:15px; border: 1px solid #999; border-right-width: 2px; border-bottom-width: 2px; background:#f4f4ff; text-align:center"
|-
|style="padding: 0.3em; font-family: sans-serif; font-size: 1em; background-color: #ccf"|
{{{1}}}
|-
|style="padding: 0.3em; line-height: 1.5em"|
{{{2}}}
|}
</div>
그림:Icon-wikibooks.png
2214
4531
2006-01-19T18:44:02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틀:체코어:Nav L
2215
4537
2006-01-19T19:17:39Z
Slomo
14
<!--이것은 참조문법을 위한 네비게이터이다-->
<div align="center">
{|width="90%" cellspacing="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padding: 0.3em; margin-left:15px; border: 1px solid #999; border-right-width: 2px; border-bottom-width: 2px; background:#f4f4ff; text-align:center"
|-
|style="padding: 0.3em; font-family: sans-serif; font-size: 1em; background-color: #fcc"|
{{{1}}}
|-
|style="padding: 0.3em; line-height: 1.5em"|
{{{2}}}
|}
</div>
틀:체코어:Nav P
2216
4539
2006-01-19T19:18:46Z
Slomo
14
<!--이것은 참조문법을 위한 네비게이터이다-->
<div align="center">
{|width="90%" cellspacing="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padding: 0.3em; margin-left:15px; border: 1px solid #999; border-right-width: 2px; border-bottom-width: 2px; background:#f4f4ff; text-align:center"
|-
|style="padding: 0.3em; font-family: sans-serif; font-size: 1em; background-color: #cfc"|
{{{1}}}
|-
|style="padding: 0.3em; line-height: 1.5em"|
{{{2}}}
|}
</div>
틀:체코어:Nav A
2217
4540
2006-01-19T19:19:22Z
Slomo
14
<!--이것은 참조문법을 위한 네비게이터이다-->
<div align="center">
{|width="90%" cellspacing="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padding: 0.3em; margin-left:15px; border: 1px solid #999; border-right-width: 2px; border-bottom-width: 2px; background:#f4f4ff; text-align:center"
|-
|style="padding: 0.3em; font-family: sans-serif; font-size: 1em; background-color: #ccc"|
{{{1}}}
|-
|style="padding: 0.3em; line-height: 1.5em"|
{{{2}}}
|}
</div>
체코어/참고자료
2218
4675
2006-01-29T01:40:59Z
84.42.181.80
/* 교재 */
=참고자료=
==교재==
===Communicative Czech===
* Ivana Rešková, Magdalena Pintarová (2005). ''Communicative Czech (Elementary Czech)''. ISBN 80-9019472-9. [http://www.czechstudy.cz/ Czechstudy - Ivana Rešková]
* Ivana Rešková, Magdalena Pintarová (1996). ''Communicative Czech (Intermediate Czech)''. ISBN 80-9021809-1. [http://www.czechstudy.cz/ Czechstudy - Ivana Rešková]
===Čeština pro pokročilé===
* Helena Confortiová, Milada Turzíková (2003). ''Čeština pro pokročilé''. UK-NK. ISBN 80-7184-859-X.
===Čeština pro středně a více pokročilé===
* Jana Bischofová, Jiří Hasil, Milan Hrdlička, Jitka Kramářová (2004). ''Čeština pro středně a více pokročilé''. UK-NK. ISBN 80-7184-921-9.
* Jana Bischofová, Jiří Hasil, Milan Hrdlička, Jitka Kramářová (2004). ''Pracovní sešit k učebnici Čeština pro středně a více pokročilé''. UK-NK. ISBN 80-7184-922-7.
===Učebnice češtiny pro výuku v zahraničí===
* Helena Confrontiová, Jitka Cvejnová, Milada Čadská (2004). ''Učebnice češtiny pro výuku v zahraničí [I]''. UK-NK. ISBN 80-246-0530-9.
* Helena Confrontiová, Jitka Cvejnová, Milada Čadská (2003). ''Učebnice češtiny pro výuku v zahraničí [II]''. UK-NK. ISBN 80-246-0560-0.
* Helena Confrontiová, Jitka Cvejnová, Milada Čadská (2002). ''Učebnice češtiny pro výuku v zahraničí [III]''. UK-NK. ISBN 80-246-0634-8.
===Čeština pro cizince===
* Milada Turzíková (2002). ''Čeština pro cizince - Nástavbový kurz (Cvičebnice - čast I)''. UK-NK. ISBN 80-7184-460-8.
* Milada Čadská (1997). ''Čeština pro cizince - Nástavbový kurz (Cvičebnice - část II) pro pokročilé''. UK-NK. ISBN 80-7184-523-X
* Miloslava Šimková (2003). ''Ještě čeština pro cizince: Doplňkový materiál k učebnici Čeština pro cizince'' UK-NK. ISBN 80-246-0125-7.
===회화===
* Ana Adamovičová (2005). ''Nebojte se češtiny: konverzace pro středně pokročilé''. UK. ISBN 80-246-1059-0
===읽기===
* Milena Vonková (2000). ''Kdo se směje, rozumí''. UK-NK. ISBN 80-246-0045-5.
* Jitka Cvejnová (2005). ''Co chcete vědět o České republice: Učebinice reálií''. UK-NK. ISBN 80-246-0255-5.
* Milena Vonková (2004). ''Fejetony, esej, komentáře k životnímu stylu v České republice 90 let: Textová příručka pro velmi pokračilé, Doplňkový učební materiál''. UK-NK. ISBN 80-246-0555-4.
* Alena Trnková (ed.) (1994). ''Textová cvičebnice českého jazyka pro zahraniční studenty [I]''. Ústavbohemistických studií, Filozofická fakulta Univerzity Karlovy.
* Alena Trnková (ed.) (2004). ''Textová cvičebnice českého jazyka pro zahraniční studenty [II]''. Ústavbohemistických studií, Filozofická fakulta Univerzity Karlovy.
:*- UK-NK : Univerzita Karlova v Praze - Nakladatelství Karolinum (프라하 카렐 대학교 - 카롤니눔 출판부)
==문법==
* Helena Confortiová (2005). ''Česká deklinace a konjugace pro cizince (Tabulky a příklady)''. UK-NK. ISBN 80-246-1006-X.
* Hana Vinopalová (2001). ''Základní mluvnice češtiny pro zahraniční studenty''. UK-NK. ISBN 80-7184-762-3
* Vlastimil Styblík, Marie, Čechová, Přemysl Hauser, Eva Hošnová (2004). ''Základní mluvnice českého jazyka''. ISBN 80-7235-018-8
==사전==
* 박미영 (2004). '''체코-한국어 사전'''. Univerzita Palackého v Olomouci. ISBN 80-244-0852-X. [http://www.upol.cz/vup Vydavatelství UP] (체코어, 대학 출판부)
* Naďa Svozilová, Hana Prouzová, Anna Jirsová (1997). '''Slovesa pro praxi: Valeční slovník nejčastějších českých sloves'''. Academia: Praha. ISBN 80-200-0618-4.
* Ústav pro jazyk český Akademie věd České republiky (2005). '''Slovník spisovné češtiny'''. Academia: Praha. ISBN 80-200-1347-4.
* Aleš Klégr, Petra Key, Norah Hronková (2005). ''Česko-anglický slovník spojení: podstatné jméno a sloveso''. UK-NK. ISBN 80-246-1106-6.
==링크==
* [http://www.ujc.cas.cz/ Ústav pro jazyk český Akademie věd České republiky] (체코어) 체코 공화국 학술 아카데미 체코어 연구소. 한국의 국립국어원에 해당하는 기관이다.
* [http://ucnk.ff.cuni.cz/ Český národní korpus] (체코어/영어) 체코 국가 말뭉치. 등록 신청을 하여 계정을 받은 뒤에 bonito 라는 검색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온라인으로 체코 국가 말뭉치를 검색할 수 있다.
* [http://ufal.mff.cuni.cz/pdt/ The Prague Dependency Treebank 1.0] (영어) 체코어 프라하 의존 말뭉치 1.0 은 형태소 분석과 통사 분석이 된 체코어 말뭉치이다. 웹상에서 검색할 수 있다.
* [http://ufal.mff.cuni.cz/pdt2.0/ The Prague Dependency Treebank 2.0] (영어) 체코어 프라하 의존 말뭉치 2.0 은 의미 분석이 된 말뭉치이다. 웹상에서 검색할 수 있다.
* [http://ufal.mff.cuni.cz/pdt/Morphology_and_Tagging/Morphology/ Czech "Free" Morphology] (영어) 체코어 형태소 분석기 (PERL).
체코어/문법/주제별
2219
4551
2006-01-19T19:31:26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
===주제별 문법===
* [[/시간표현|시간표현]]
* [[/공간표현|공간표현]]
* [[/수량표현|수량표현]]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소사
2220
4556
2006-01-19T20:41:21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소사/목록|소사 철자순 목록]]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소사/목록
2221
4557
2006-01-19T20:42:44Z
Slomo
14
=소사 철자순 목록=
* ahoj (citosl.)
* ano (část.)
* anti (část.)
* asi (část. modál.)
* ať (část.)
* aťsi (část.)ať
* ba (část.)
* baže (část. přitak.)
* bohužel (část. modál.) = želbohu, žel
* brutto (příd. neskl.)
* buďsi (část. přitak.)
* bůhsámví (část. modál.) = bůhví', bůhsuď
* bůhví (část. modál.) = bůhsámví, bůhsuď
* ca = cirka
* čertví (část. modál.)
* cirka (přísl.)
* co (část.)
* cožpak (část.)copak
* gala (příd. neskl.)
* hajdy (citosl.)
* hele (citosl.) = heleď
* heleď (citosl.) = hele
* hop (citosl.) =hopla
* hurá (citosl.)
* jen (část.)
* jenom (přísl.) = jen
* jo (část.)jó
* kdoví (část. modál.) =kdožví
* kdožví (část. modál.)
* kéž (část. přací) = ať
* leda (přísl.)
* li (sp. podř.)
* natož (přísl.) =natožpak
* nazdar (citosl.)
* ne (část.)
* nechť (část.)
* nejen (přísl.)
* netto (příd. neskl.)
* no (část.)
* nu (část. navaz) = no
* nuž (část.) = nuže
* nuže (část.) = nuž
* ovšemže (část.) = ovšem
* pozor
* prý (část. modál.)
* sbohem (citosl.)
* sic (přísl.) = sice
* tož (část. navaz)
* viď (citosl.) = viďte
* viďte (citosl.) = viď
* žel (část. modál.) = želbohu
{{Template:체코어:CNK|SYN2000|}}
체코어/관리
2222
4613
2006-01-25T22:19:50Z
84.42.181.80
/* 탐색틀 */
=관리 페이지=
==템플릿 목록==
===기본 탐색틀===
* [[Template:체코어:Nav A]] 부록
{{Template:체코어:Nav A}}
* [[Template:체코어:Nav G]] 문법
{{Template:체코어:Nav G}}
* [[Template:체코어:Nav L]] 어휘
{{Template:체코어:Nav L}}
* [[Template:체코어:Nav P]] 회화
{{Template:체코어:Nav P}}
* [[Template:체코어:Nav RG]] 참조문법
{{Template:체코어:Nav RG}}
===탐색틀===
* [[Template:체코어/문법]]
{{Template:체코어/문법}}
*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
*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소리}}
*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
*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명사/곡용}}
*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
===메시지===
* [[Template:체코어:CNK]]
{{Template:체코어:CNK}}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감탄사
2223
4575
2006-01-20T11:50:35Z
84.42.181.80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감탄사/목록|감탄사 철자순 목록]]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감탄사/목록
2224
4576
2006-01-20T11:54:29Z
84.42.181.80
'''체코어 감탄사의 철자순 목록과 사용 빈도'''
<table>
<tr>
<th align=left width=200> 감탄사 </th>
<th align=left width=200> 빈도 </th>
</tr>
<tr>
<td> ach </td>
<td> ******** </td>
</tr>
<tr>
<td> á </td>
<td> ******* </td>
</tr>
<tr>
<td> aha </td>
<td> ******* </td>
</tr>
<tr>
<td> aj </td>
<td> ****** </td>
</tr>
<tr>
<td> ajta </td>
<td> ** </td>
</tr>
<tr>
<td> alejkum </td>
<td> * </td>
</tr>
<tr>
<td> aleluja </td>
<td> *** </td>
</tr>
<tr>
<td> apropos </td>
<td> ** </td>
</tr>
<tr>
<td> baf </td>
<td> **** </td>
</tr>
<tr>
<td> basta </td>
<td> **** </td>
</tr>
<tr>
<td> běda </td>
<td> ***** </td>
</tr>
<tr>
<td> bim </td>
<td> **** </td>
</tr>
<tr>
<td> bimbam </td>
<td> * </td>
</tr>
<tr>
<td> blik </td>
<td> ** </td>
</tr>
<tr>
<td> bodejť </td>
<td> **** </td>
</tr>
<tr>
<td> bravo </td>
<td> ***** </td>
</tr>
<tr>
<td> brum </td>
<td> ** </td>
</tr>
<tr>
<td> bum </td>
<td> ***** </td>
</tr>
<tr>
<td> caramba </td>
<td> ** </td>
</tr>
<tr>
<td> cililink </td>
<td> </td>
</tr>
<tr>
<td> cink </td>
<td> </td>
</tr>
<tr>
<td> cinkylinky </td>
<td> * </td>
</tr>
<tr>
<td> což </td>
<td> ****** </td>
</tr>
<tr>
<td> crr </td>
<td> *** </td>
</tr>
<tr>
<td> cukrú </td>
<td> * </td>
</tr>
<tr>
<td> cup </td>
<td> ***** </td>
</tr>
<tr>
<td> cupity </td>
<td> *** </td>
</tr>
<tr>
<td> cupy </td>
<td> </td>
</tr>
<tr>
<td> cvaky </td>
<td> </td>
</tr>
<tr>
<td> cvrk </td>
<td> </td>
</tr>
<tr>
<td> cvrnk </td>
<td> </td>
</tr>
<tr>
<td> dup </td>
<td> **** </td>
</tr>
<tr>
<td> dupky </td>
<td> * </td>
</tr>
<tr>
<td> ehm </td>
<td> ***** </td>
</tr>
<tr>
<td> ejhle </td>
<td> **** </td>
</tr>
<tr>
<td> fajn </td>
<td> ****** </td>
</tr>
<tr>
<td> fí </td>
<td> ** </td>
</tr>
<tr>
<td> frnk </td>
<td> * </td>
</tr>
<tr>
<td> frrr </td>
<td> * </td>
</tr>
<tr>
<td> fuč </td>
<td> **** </td>
</tr>
<tr>
<td> fuj </td>
<td> ***** </td>
</tr>
<tr>
<td> fuk </td>
<td> ***** </td>
</tr>
<tr>
<td> ha </td>
<td> ******* </td>
</tr>
<tr>
<td> haf </td>
<td> **** </td>
</tr>
<tr>
<td> haleluja </td>
<td> **** </td>
</tr>
<tr>
<td> haló </td>
<td> ****** </td>
</tr>
<tr>
<td> hej </td>
<td> ****** </td>
</tr>
<tr>
<td> hejsa </td>
<td> ** </td>
</tr>
<tr>
<td> hepčí </td>
<td> * </td>
</tr>
<tr>
<td> hepčík </td>
<td> </td>
</tr>
<tr>
<td> herdek </td>
<td> ** </td>
</tr>
<tr>
<td> hergot </td>
<td> ***** </td>
</tr>
<tr>
<td> hernajs </td>
<td> ** </td>
</tr>
<tr>
<td> hihi </td>
<td> **** </td>
</tr>
<tr>
<td> hije </td>
<td> </td>
</tr>
<tr>
<td> himl </td>
<td> ** </td>
</tr>
<tr>
<td> himlhergot </td>
<td> * </td>
</tr>
<tr>
<td> hip </td>
<td> ****** </td>
</tr>
<tr>
<td> hle </td>
<td> ****** </td>
</tr>
<tr>
<td> hm </td>
<td> ******* </td>
</tr>
<tr>
<td> hoj </td>
<td> **** </td>
</tr>
<tr>
<td> hola </td>
<td> *** </td>
</tr>
<tr>
<td> hopla </td>
<td> ** </td>
</tr>
<tr>
<td> hopsa </td>
<td> ** </td>
</tr>
<tr>
<td> hopsasa </td>
<td> </td>
</tr>
<tr>
<td> houbelec </td>
<td> * </td>
</tr>
<tr>
<td> houpy </td>
<td> *** </td>
</tr>
<tr>
<td> hrc </td>
<td> ** </td>
</tr>
<tr>
<td> huj </td>
<td> *** </td>
</tr>
<tr>
<td> hybaj </td>
<td> ** </td>
</tr>
<tr>
<td> cha </td>
<td> ***** </td>
</tr>
<tr>
<td> chlamst </td>
<td> * </td>
</tr>
<tr>
<td> chňap </td>
<td> *** </td>
</tr>
<tr>
<td> chramst </td>
<td> * </td>
</tr>
<tr>
<td> chrocht </td>
<td> * </td>
</tr>
<tr>
<td> jářku </td>
<td> *** </td>
</tr>
<tr>
<td> jauvajs </td>
<td> * </td>
</tr>
<tr>
<td> jéminánku </td>
<td> </td>
</tr>
<tr>
<td> jémine </td>
<td> * </td>
</tr>
<tr>
<td> ježíšikriste </td>
<td> *** </td>
</tr>
<tr>
<td> ježíšíkriste </td>
<td> * </td>
</tr>
<tr>
<td> ježíšmarjá </td>
<td> **** </td>
</tr>
<tr>
<td> klik </td>
<td> **** </td>
</tr>
<tr>
<td> krá </td>
<td> *** </td>
</tr>
<tr>
<td> krindapána </td>
<td> ** </td>
</tr>
<tr>
<td> kristapána </td>
<td> ** </td>
</tr>
<tr>
<td> krucinál </td>
<td> **** </td>
</tr>
<tr>
<td> krucinálfagot </td>
<td> * </td>
</tr>
<tr>
<td> krucipísek </td>
<td> ** </td>
</tr>
<tr>
<td> kruciš </td>
<td> </td>
</tr>
<tr>
<td> krutibrko </td>
<td> ** </td>
</tr>
<tr>
<td> křup </td>
<td> ** </td>
</tr>
<tr>
<td> kšá </td>
<td> ** </td>
</tr>
<tr>
<td> kuk </td>
<td> *** </td>
</tr>
<tr>
<td> kuku </td>
<td> *** </td>
</tr>
<tr>
<td> láryfáry </td>
<td> </td>
</tr>
<tr>
<td> maucta </td>
<td> ** </td>
</tr>
<tr>
<td> mek </td>
<td> *** </td>
</tr>
<tr>
<td> mik </td>
<td> ****** </td>
</tr>
<tr>
<td> mlask </td>
<td> ** </td>
</tr>
<tr>
<td> mňam </td>
<td> **** </td>
</tr>
<tr>
<td> mňau </td>
<td> * </td>
</tr>
<tr>
<td> mrsk </td>
<td> </td>
</tr>
<tr>
<td> muk </td>
<td> ***** </td>
</tr>
<tr>
<td> ňam </td>
<td> ** </td>
</tr>
<tr>
<td> nešť </td>
<td> *** </td>
</tr>
<tr>
<td> ó </td>
<td> ******* </td>
</tr>
<tr>
<td> oh </td>
<td> ***** </td>
</tr>
<tr>
<td> olé </td>
<td> ** </td>
</tr>
<tr>
<td> ouha </td>
<td> **** </td>
</tr>
<tr>
<td> ouvej </td>
<td> **** </td>
</tr>
<tr>
<td> pa </td>
<td> ****** </td>
</tr>
<tr>
<td> papa </td>
<td> *** </td>
</tr>
<tr>
<td> parbleu </td>
<td> </td>
</tr>
<tr>
<td> pfí </td>
<td> </td>
</tr>
<tr>
<td> pcha </td>
<td> ** </td>
</tr>
<tr>
<td> pchá </td>
<td> ** </td>
</tr>
<tr>
<td> pích </td>
<td> ** </td>
</tr>
<tr>
<td> pink </td>
<td> ***** </td>
</tr>
<tr>
<td> plesk </td>
<td> *** </td>
</tr>
<tr>
<td> prásk </td>
<td> **** </td>
</tr>
<tr>
<td> prdlajs </td>
<td> ** </td>
</tr>
<tr>
<td> proboha </td>
<td> ******* </td>
</tr>
<tr>
<td> prokrista </td>
<td> ** </td>
</tr>
<tr>
<td> prokristapána </td>
<td> **** </td>
</tr>
<tr>
<td> propána </td>
<td> **** </td>
</tr>
<tr>
<td> propánaboha </td>
<td> ** </td>
</tr>
<tr>
<td> propánajána </td>
<td> ** </td>
</tr>
<tr>
<td> propos </td>
<td> **** </td>
</tr>
<tr>
<td> prsk </td>
<td> ** </td>
</tr>
<tr>
<td> pšouk </td>
<td> * </td>
</tr>
<tr>
<td> ratata </td>
<td> *** </td>
</tr>
<tr>
<td> ryc </td>
<td> * </td>
</tr>
<tr>
<td> safra </td>
<td> *** </td>
</tr>
<tr>
<td> sakra </td>
<td> ******* </td>
</tr>
<tr>
<td> salam </td>
<td> </td>
</tr>
<tr>
<td> setsakra </td>
<td> *** </td>
</tr>
<tr>
<td> skříp </td>
<td> </td>
</tr>
<tr>
<td> šmik </td>
<td> *** </td>
</tr>
<tr>
<td> šup </td>
<td> ***** </td>
</tr>
<tr>
<td> tajfl </td>
<td> * </td>
</tr>
<tr>
<td> típ </td>
<td> </td>
</tr>
<tr>
<td> tradá </td>
<td> ** </td>
</tr>
<tr>
<td> tralala </td>
<td> *** </td>
</tr>
<tr>
<td> ťuk </td>
<td> **** </td>
</tr>
<tr>
<td> tumáš </td>
<td> *** </td>
</tr>
<tr>
<td> tumáte </td>
<td> ** </td>
</tr>
<tr>
<td> uf </td>
<td> **** </td>
</tr>
<tr>
<td> uff </td>
<td> ** </td>
</tr>
<tr>
<td> vida </td>
<td> ****** </td>
</tr>
<tr>
<td> žbluňk </td>
<td> *** </td>
</tr>
<tr>
<td> živijó </td>
<td> ** </td>
</tr>
<tr>
<td> živio </td>
<td> </td>
</tr>
</table>
{{Template:체코어:CNK|SYN2000|
* 위에서 말뭉치에 나타난 상대적인 빈도를 별표로 표시하였다.
* 위의 목록 중 일부는 사용 빈도의 높고 낮음과 관계없이 체코어 표준 문어 사전에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니 주의를 요한다.
}}
MediaWiki:Lucenepowersearchtext
2226
4596
2006-01-25T15:44:39Z
아흔
9
transl.
이름틀(namespaces)로 찾기:
$1
찾기 대상: $3 $9
MediaWiki:Searchnearmatches
2227
4599
2006-01-25T15:48:26Z
아흔
9
transl.
다음은 찾고자하는 제목과 비슷한 페이지들입니다:
MediaWiki:Searchnoresults
2228
4600
2006-01-25T15:49:07Z
아흔
9
transl.
유감스럽게도 찾고자하는 낱말을 담고 있는 문서가 없습니다.
MediaWiki:Searchnext
2229
4601
2006-01-25T15:50:11Z
아흔
9
transl.
<span style='font-size: small'>다음</span> »
MediaWiki:Searchprev
2230
4602
2006-01-25T15:50:48Z
아흔
9
transl.
« <span style='font-size: small'>앞쪽</span>
MediaWiki:Searchnumber
2231
4604
2006-01-25T15:53:26Z
아흔
9
transl.
<strong>찾아본 결과 $3 가운데 $1-$2</strong>
MediaWiki:Searchdidyoumean
2232
4606
2006-01-25T15:56:36Z
아흔
9
transl.
찾고자 하는 낱말이 혹시 "<a href="$1">$2</a>" 입니까?
MediaWiki:Searchscore
2233
4607
2006-01-25T15:57:17Z
아흔
9
transl.
빈도: $1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인칭대명사
2234
4671
2006-01-28T21:14:31Z
Slomo
14
/* 3인칭 */
__NOTOC__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
<br />
=인칭대명사=
(osobní zájmena) já, ty, on, ona, ono, my, vy, oni, ony, ona
==1인칭과 2인칭==
* já, ty
{|border=1
|| 주격 (N) || já || ty
|-
|| 대격 (A) || mě/mne || tě/tebe
|-
|| 생격 (G) || mě/mne || tě/tebe
|-
|| 여격 (D) || mi/mně || ti/tobě
|-
|| 처격 (L) || o mně || o tobě
|-
|| 조격 (I) || mnou || tebou
|}
* 대격과 생격에는 두 가지 형태 mě, mne 가 있으며 이 둘의 용법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 여격의 두 가지 형태 mi, mně 는 용법이 다르다. 강조하는 경우와 전치사 뒤에는 mně 가 사용된다.
* 전치사와 1인칭대명사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
** pro mě, pro mne
** bez mě, bez mne
** ke mně
** o mně
** se mnou
* 대격과 생격의 tě, tebe, 여격의 ti, tobě 는 용법이 다르다. 강조하는 경우와 전치사 뒤에는 tebe, tobě 가 사용된다.
* 전치사와 2인칭대명사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
** pro tebe
** bez tebe
** k tobě
** o tobě
** s tebou
* my, vy
{|border=1
|| 주격 (N) || my || vy
|-
|| 대격 (A) || nás || vás
|-
|| 생격 (G) || nás || vás
|-
|| 여격 (D) || nám || vám
|-
|| 처격 (L) || o nás || o vás
|-
|| 조격 (I) || námi || vámi
|}
==3인칭==
* on, ono, ona; oni, ony, ona
* on (남성 단수), ono (중성 단수)
{|border=1
|| 주격 (N) ||colspan=2| on, ono
|-
|| 대격 (A) || ho, jej/jeho || na něho, na něj
|-
|| 생격 (G) || ho, jej/jeho || bez něho, bez něj
|-
|| 여격 (D) || mu, jemu || k němu
|-
|| 처격 (L) || ---- || o něm
|-
|| 조격 (I) || jím || s ním
|}
* ona (여성 단수)
{|border=1
|| 주격 (N) ||colspan=2| ona
|-
|| 대격 (A) || ji || na ni
|-
|| 생격 (G) || jí || bez ní
|-
|| 여격 (D) || jí || k ní
|-
|| 처격 (L) || ---- || o ní
|-
|| 조격 (I) || jí || s ní
|}
* oni (남성유정 복수), ony (남성무정 복수) , ony (여성 복수) ona (중성 복수)
{|border=1
|| 주격 (N) ||colspan=2| oni, ony, ona
|-
|| 대격 (A) || je || na ně
|-
|| 생격 (G) || jich || bez nich
|-
|| 여격 (D) || jim || k nim
|-
|| 처격 (L) || ---- || o nich
|-
|| 조격 (I) || jimi || s nimi
|}
==재귀형==
{|border=1
|| 주격 (N) ||colspan=2|
|-
|| 대격 (A) || se/sebe
|-
|| 생격 (G) || se/sebe
|-
|| 여격 (D) || si/sobě
|-
|| 처격 (L) || o sobě
|-
|| 조격 (I) || sebou
|}
틀: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
2235
4611
2006-01-25T22:18:18Z
84.42.181.80
{{Template:체코어:Nav_RG
|1=<< [[체코어]] < [[체코어/문법/참조문법|참조문법]]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품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대명사]]
|2=[[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인칭대명사|인칭대명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소유대명사|소유대명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지시대명사|지시대명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의문대명사|의문대명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관계대명사|관계대명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비한정대명사|비한정대명사]]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대명사/부정대명사|부정대명사]]
}}
Wikibooks:새글 쓰기
2238
edit=sysop:move=sysop
4638
2006-01-28T02:51:11Z
아흔
9
rev.
{| width="100%" border="1px" solid "#F2F2F2" cellspacing="6px"
| style="background-color:#FFFFF9;" valign="top"|
<div style="padding:.3em; background-color:#FFEEAA; font-size:120%; text-align:center;">'''새글 쓰기'''</div>
<div style="padding:2em 1em 1em 2em;">
이 페이지는 새 문서를 만드는데 참여자의 수고와 시간을 덜어주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습니다.</br>
참여자께서는 아래의 빈 칸에 새로 쓰고자하는 글의 제목을 기입하신후 아래의 단추를 누르시면 저절로 주어진 제목으로 새 문서의 [[Wikibooks:편집창|편집창]]이 열립니다. 참여자께서는 다른 문서에서 따로 <nowiki>[[문서 제목]]</nowiki>으로 링크를 걸어서 새 문서를 만드실 필요가 없습니다.<p>좋은 글 써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align=center style="border:3px solid #DFDFDF;" rules=all cellspacing="2" cellpadding="5"
|
<inputbox>
type=create
buttonlabel=새 글
preload=Wikibooks:새글 쓰기/열기-
editintro=Wikibooks:새글 쓰기/intro-열기-
width=40
</inputbox>
</div>
|}
[[Category:위키책]]
Wikibooks:새글 쓰기/열기-
2239
4637
2006-01-28T02:50:24Z
아흔
9
set
[[Category:<!--알맞는 카테고리 이름-->]]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수사/곡용
2244
4672
2006-01-28T22:30:10Z
Slomo
14
===jeden===
{|border=1
| 주격(N) || jeden (Ma,Mi), jedno (Ne) || jedna (Fe)
|-
| 대격(A) || jednoho (Ma), jeden (Mi), jedno (Ne) || jednu (Fe)
|-
| 생격(G) || jednoho || jedné
|-
| 여격(D) || jednomu || jedné
|-
| 처격(L) || jednom || jedné
|-
| 조격(I) || jedním || jednou
|}
===dva, oba===
{|border=1
| 주격(N) || dva (Ma,Mi), dvě (Ne,Fe) || oba (Ma,Mi), obě (Ne, Fe)
|-
| 대격(A) || dva (Ma,Mi), dvě (Ne,Fe) || oba (Ma,Mi), obě (Ne, Fe)
|-
| 생격(G) || dvou || obou
|-
| 여격(D) || dvěma || oběma
|-
| 처격(L) || dvou || obou
|-
| 조격(I) || dvou || oběma
|}
===tři, čtyři===
{|border=1
| 주격(N) || tři || čtyři
|-
| 대격(A) || tři || čtyři
|-
| 생격(G) || tří (třech) || čtyř (čtyřech)
|-
| 여격(D) || třem || čtyřem
|-
| 처격(L) || třech || čtyřech
|-
| 조격(I) || třemi || čtyřmi
|}
===pět===
{|border=1
| 주격(N) || pět
|-
| 대격(A) || pět
|-
| 생격(G) || pěti
|-
| 여격(D) || pěti
|-
| 처격(L) || pěti
|-
| 조격(I) || pěti
|}
* šesti, sedmi, osmi, jedenácti, padesáti
* devět - devíti
* deset - deseti, desíti
* dvacet - dvaceti, dvacíti
* třicet - třiceti, třicíti
===sto===
{|border=1
| 주격(N) || sto || stě, sta
|-
| 대격(A) || sto || stě, sta
|-
| 생격(G) || sta || set
|-
| 여격(D) || stu || stům
|-
| 처격(L) || stě || stech
|-
| 조격(I) || stem || sty
|}
===tisíc===
{|border=1
| 주격(N) || tisíc || tisíc
|-
| 대격(A) || tisíc || tisíc
|-
| 생격(G) || tisíce || tisíc
|-
| 여격(D) || tisíci || tisícům
|-
| 처격(L) || tisíci || tisících
|-
| 조격(I) || tisícem || tisíci
|}
===milion===
{|border=1
| 주격(N) || milion || miliony
|-
| 대격(A) || milion || miliony
|-
| 생격(G) || milionu || milionů
|-
| 여격(D) || milionu || milionům
|-
| 처격(L) || milionu || milionech
|-
| 조격(I) || milionem || miliony
|}
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동사
2245
4673
2006-01-28T22:45:54Z
Slomo
14
{{Template:체코어/문법/참조문법/품사}}
<br />
=동사=
* 인칭 (osob) : 1인칭, 2인칭, 3인칭
* 수 (číslo) : 단수, 복수
* 시제 (čas) : 과거, 현재, 미래
* 법 (způsob) :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
* 태 (rod) : 능동태, 수동태
* 상 (vid) : 완료상, 불완료상
* 굴절 유형: 1유형(-e), 2유형(-ne), 3유형(-je), 4유형(-í), 5유형(-á)
* 부류: 타동사, 자동사, 재귀동사, 조동사
MediaWiki:Common.css
2247
5317
2006-05-27T06:48:46Z
아흔
9
rev.
/* 기본 사각형 포맷 */
#basicbox {
cellspacing: 10px;
border-color: #FFB933;
border-width: 2px;
border-bottom-style: solid;
background-color: #FBFBFB;
}
/* 넘겨진 문서 금방 알아 보게끔 글씨 위에 줄: [[Special:Allpages]]*/
.allpagesredirect {text-decoration: overline;}
/* 링크된 낱말에 밑줄 붙지 않게 */
.nodeco a:hover {text-decoration: none !important}
MediaWiki:Renameusersuccess
2248
4683
2006-02-03T14:42:30Z
아흔
9
transl.
지금까지의 사용자 이름 "<nowiki>$1</nowiki>"은(는) "<nowiki>$2</nowiki>"(으)로 바꾸었습니다.
MediaWiki:Renameusersubmit
2249
4684
2006-02-03T14:43:05Z
아흔
9
transl.
확인
MediaWiki:Renameuserold
2250
4685
2006-02-03T14:43:47Z
아흔
9
transl.
지금까지의 사용자 이름:
MediaWiki:Renameusernew
2251
4686
2006-02-03T14:44:32Z
아흔
9
transl.
새로운 사용자 이름:
MediaWiki:Renameuserlogpagetext
2252
4687
2006-02-03T14:45:18Z
아흔
9
transl.
다음은 사용자의 이름을 변경한 일지입니다.
MediaWiki:Renameuserlogpage
2253
4688
2006-02-03T14:45:59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변경 일지
MediaWiki:Renameuserlog
2254
4690
2006-02-03T14:49:06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바꿈 "[[사용자:$1|$1]]" (기여 실적: $3 편집) -> "[[User:$2|$2]]"
MediaWiki:Renameusererrortoomany
2255
4691
2006-02-03T14:49:51Z
아흔
9
transl.
사용자 "<nowiki>$1</nowiki>"은(는) $2의 기여 실적이 있습니다. 기여 실적이 $3 이상인 사용자의 이름 변경은 때로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MediaWiki:Renameusererrorinvalid
2256
4692
2006-02-03T14:50:41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1"은(는) 부적합
MediaWiki:Renameusererrorexists
2257
4693
2006-02-03T14:51:16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1"은(는) 이미 존재함
MediaWiki:Renameusererrordoesnotexist
2258
4694
2006-02-03T14:51:55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1"은(는) 존재하지 않음
MediaWiki:Renameuser
2259
4695
2006-02-03T14:52:46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 바꿈
MediaWiki:Filepath page
2264
4718
2006-02-16T17:59:08Z
아흔
9
transl.
파일:
MediaWiki:Filepath submit
2265
4719
2006-02-16T17:59:35Z
아흔
9
transl.
찾기
MediaWiki:Filepath
2266
4720
2006-02-16T17:59:59Z
아흔
9
transl.
미디어 파일 찾기
MediaWiki:Captcha-createaccount
2267
4726
2006-02-16T18:29:35Z
아흔
9
rev.
지금 편집한 내용 가운데에는 새로운 웹사이트 링크가 들어있습니다. 스팸 방지를 위해 다음 그림에 나타난 글씨를 확인칸에 써넣으신 후 저장시키시기 바랍니다.<br />([[Special:Captcha/help|무슨 글씨죠?]])
MediaWiki:Captcha-createaccount-fail
2268
4727
2006-02-16T18:31:21Z
아흔
9
transl.
코드 확인 잘못.
MediaWiki:Captcha-short
2269
4728
2006-02-16T18:34:20Z
아흔
9
transl.
지금 편집한 내용 가운데에는 새로운 웹사이트 링크가 들어있습니다. 스팸 방지를 위해 다음 그림에 나타난 글씨를 확인칸에 써넣으신 후 저장시키시기 바랍니다. 확인을 누르시면 편집자의 아이피(IP) 또는 등록 사용자 이름이 기록됩니다<br />([[Special:Captcha/help|무슨 글씨죠?]])
MediaWiki:Anoneditwarning
2270
4729
2006-02-16T18:43:05Z
아흔
9
transl.
<div style="background-color:#FFEDED; font-size:85%;">
참여자께서는 지금 [[Special:Userlogin|로그인]]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 상태에서 문서를 저장하게되면 참여자의 아이피(IP) 주소가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에 영구적으로 남게됩니다.
</div>
위키어린이백과사전/태양계
2273
4745
2006-02-20T01:38:56Z
사형제 파이팅
52
위키어린이 백과사전 태양계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태양계란 스스로 빛내는 별 태양을 중심으로 9개의 별이 돌고있는 하나의 집단이라고 할수있습니다. 태양계에는 태양과 행성밖에 있는게 아님니다. 여기에는 70개가 넘는 위성(위성은 달이라고 볼수있습니다.)과 화성과 목성사이에 있는 크고작은 소행성(작은건 시계에서 큰건 운동장보다 큰 돌덩이)이 있습니다. 이 소행성이 우리 지구와 가까워 충돌 할것 같으나 최근 결과에 의하면 2036년에는 지구에 충돌할 확률이 5500분에 1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 없어요. 미국에 나사라는 곳에서 그 소행성을 없앨 대책을 만들고 있으니까요.
== 태양계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
태양계가 어떻게 만들어진줄은 우주 과학을 밝혀내는 천문학자들도 오랫동안 의문을 가졌지요. 겨우 과학자들의 생각(이걸 가설이라고 합니다.)으로만 제시했죠.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 소행성실과 조석설과 성운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은 어떻게 태양계가 만들어진줄 모르죠. 이걸 읽고있는 어린이들이 한번 찾아봐요.
== 태양계에 있는 행성 ==
태양은 행성이 아니니 빼고 9가지가 있어요.
* [[위키어린이백과사전/수성|수성]]
* [[위키어린이백과사전/금성|금성]]
* [[위키어린이백과사전/지구|지구]]
위키어린이백과사전/수성
2275
4749
2006-02-23T14:37:23Z
사형제 파이팅
52
9개의 행성중 태양으로부터 가까이 돌고 신들의 사자라는 뜻 '머큐리'라고 붙여진 행성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수성이에요. 수성은 달과 마찬가지로 곰보처럼 생긴것이 있는데 이걸 크레이터라고 해요. 위성을 가지고 있지않아요.
수성과 태양이 제일로 가까울때는 4300만km이지만 멀리 떨어져 있을때는 7000만km나 되지요.
== 수성의 무게를 측정한 매리너 10호 ==
*무게를 질량이랑 같은말이에요.
수성의 질량은 너무 측정하기가 어려웠지요. 천문학자들도요. 하지만 이 문제는 매리너 10호가 해결했어요. 지구의 질량의 0.055배라는 걸 알아내 결국에는 측정했지요.
메이플스토리
2280
4802
2006-03-01T02:10:43Z
사형제 파이팅
52
/* 1장.전직 */
메이플스토리는 위젯에서 만든 게임으로 RPG게임이다.
== 1장.전직 ==
전직을 하려면 케릭터를 레벨 10또는 8까지 올려야한다. 마법사는 레벨을 8까지 올려야 하고 외 다른 전직은 레벨을 10까지 올려야 한다.
* [[메이플스토리/전직/전사]]
* [[메이플스토리/전직/마법사]]
* [[메이플스토리/전직/궁수]]
* [[메이플스토리/전직/도적]]
전직에 관하여 더 알고싶으면 [[메이플스토리/전직|여기]]를 눌려보세요.
== 2장.아이템 ==
아이템의 종류와 효능에 대해 썼다.
* [[메이플스토리/아이템]]
== 3장.퀘스트 ==
* [[메이플스토리/퀘스트]]
== 4장.몬스터==
* [[메이플스토리/몬스터]]
메이플스토리/전직/전사
2281
6457
2006-12-28T06:02:41Z
121.133.90.51
/* 능력치 스텟 */
전사는 레벨 10까지 올려야 할 수있는 전직으로 주로 힘을 올리고 외 민첩도 올린다. 데미지가 많이 뜨고 3가지 전직이 있으며 주로 스킬은 HP를 소비하여 하니 많은 HP가 필요하다. 민첩을 올릴때 자기레벨의 곱을 올려야한다. 나머지는 힘에 올리면 된다.
== 주사위 던지기 ==
주사위를 던지는 방법은 필요없는 운과 지력은 4/4,4/5,5/4가 나와야 한다. 그리고 힘이 민첩보다 많아야 주사위를 잘 던진거라고 할 수있다.
== 스킬 ==
1차전직 스킬은 6가지가 있는데 그 스킬은 다음과 같다.
* HP회복력향상:10초마다 회복되는 HP량을 상승시킨다(마스터 레벨 20).
* HP증가량향상:레벨업시, 혹은 MaxHP에 AP를 사용할 때에 증가되는 HP의 양을 향상시킨다(마스터 레벨 10). 단 HP회복력향상은 레벨을 5이상이여지만 올려야 올릴수 있다.
* 인듀어:사다리나 로프에 가만히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마다 HP와 MP를 회복할 수 있다. 레벨이 올라갈수록 시간이 단축되며 추가로 HP, MP를 회복할 수 있다(마스터 레벨 8).단 HP증가량향상 레벨이 3이상이어야 올릴수 있다.
* 아이언바디:일정시간동안 물리 방어력을 증가시켜 준다(마스터 레벨 20).단 인듀어 레벨을 3이상이어야 올려야 한다.
* 파워스트라이크:MP를 소비하여 적에게 일격을 가한다(마스터 레벨 20).
* 슬래시블러스트:HP,MP를 소비하여 주위의 적에게 전체 공격을 가한다(마스터 레벨 20).단 파워스트라이크 레벨이 1 이상이어야 한다.
=== 스킬의 스텟 ===
*A(1)형: HP회복력향상5- HP증가량향상 마스터-인듀어3-아이언바디 마스터-파워스트라이크 마스터-슬래시블러스트3
*A(2)형: HP회복력향상5- HP증가량향상 마스터-파워10-인듀어3-아이언바디 마스터-파워스트라이크 마스터-슬래시블러스트3
*B(1)형: HP회복력향상5- HP증가량향상 마스터-인듀어3-아이언바디 마스터-슬래시블러스트 마스터-파워스트라이크3
*B(2)형: HP회복력향상5- HP증가량향상 마스터-슬래10-인듀어3-아이언바디마스터-슬래시블러스트 마스터-파워스트라이크3
*C형: 회복5- 증가10마스터-파워10-슬래10-파워스트라이크 마스터-슬래시블러스트 마스터-인듀3-아이언바디3
좋게 키우고 싶으면 A형으로 키우십시요.
== 능력치 스텟 ==
전사는 힘과 민첩만 올려야 한다. 운과 지력을 많이 올렸다면 망한것이라고 볼 수있다. 능력치는 다음과 같이 올려야 한다.
* 자기레벨×2=민첩
* 외 나머지 능력치들은 힘을 올린다.
만약 당신이 2차전직을 한다면 다음과 같이 나와야 한다.(평균 수치임)
* 힘:102
* 민첩:60
* 인트:4(5도 됨)
* 운:4(5도 됨)
== 사냥터 ==
사냥을 하기에는 딱 좋은 장소는 자기의 레벨에 따라 다름니다. 다음은 사냥터입니다.
*레벨1~레벨10-추천사냥터:메이플아일랜드,헤네시스사냥터,버섯동산,리스항구근처맵
*레벨11~레벨18-추천사냥터:엘리니아근처맵,해안가사냥터
*레벨19~레벨20-추천사냥터:돼지의해안가
*레벨21~레벨30-추천사냥터:엘리니아 북쪽숲나무던전,지하철B1,페리온동-서쪽길목,벽너머
MediaWiki:Allmessagesfilter
2282
sysop
5354
2006-05-27T07:24:52Z
아흔
9
transl.
메시지 이름 필터:
MediaWiki:Allmessagesmodified
2283
sysop
5355
2006-05-27T07:25:13Z
아흔
9
transl.
수정된 것만 보이기
MediaWiki:Rc categories
2293
sysop
5668
2006-07-13T07:25:53Z
아흔
9
rev.
카테고리 사이에 작대기(|)
MediaWiki:Restriction-move
2296
sysop
6352
2006-11-22T16:14:16Z
아흔
9
rev.
옮기기
MediaWiki:Semiprotectedpagewarning
2297
sysop
5331
2006-05-27T07:05:07Z
아흔
9
transl.
'''주의:''' 이 페이지는 오로지 등록된 사용자만이 편집할 수 있도록 보호되어 있습니다.
MediaWiki:Uploaddisabledtext
2304
sysop
6055
2006-09-28T16:43:54Z
아흔
9
retransl.
한국어 위키책에 파일을 올릴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MediaWiki:Youhavenewmessagesmulti
2306
sysop
5322
2006-05-27T06:54:32Z
아흔
9
transl.
사용자 토론 페이지 $1에 토론 글이 있습니다.
메이플스토리/전직
2307
5306
2006-05-13T12:37:14Z
220.121.51.106
{| border="1" cellpadding="5" cellspacing="0"
|+
|-
!
! 1차전직 (레벨 10) || 2차전직 (레벨 30) || 3차전직 (레벨 70) || 4차전직 (레벨 120)
|-
| rowspan=10 style="border-top:5px solid grey;border-bottom:5px solid grey;" | [[메이플스토리/전직|전직]]
| rowspan=3 style="border-top:5px solid grey;" | [[메이플스토리/전직/전사|검사]] (힘 35이상)
| style="border-top:5px solid grey;" | 파이터
| style="border-top:5px solid grey;" | 크루세이더
| style="border-top:5px solid grey;" | 히어로
|-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페이지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나이트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팔라딘
|-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스피어맨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드래곤나이트(용기사)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다크나이트
|-
| rowspan=3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메이플스토리/전직/마법사|매지션]] (마력 25이상,레벨 8때 전직)
|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위자드 (불,독)
|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메이지 (불,독)
|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아크메이지 (불,독)
|-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위자드 (얼음,번개)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메이지 (얼음,번개)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아크메이지 (얼음,번개)
|-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클래릭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프리스트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비숍
|-
| rowspan=2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메이플스토리/전직/궁수|아처]] (민첩 25이상)
|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헌터
|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레인저
|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보우마스터
|-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사수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저격수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 | 신궁
|-
| rowspan=2 style="border-top:4px solid grey;border-bottom:5px solid grey;" | [[메이플스토리/전직/도적|로그]] (민첩 25이상)
|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어쌔신
|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허밋
| style="border-top:4px solid grey;" | 나이트로드
|-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border-bottom:5px solid grey;" | 시프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border-bottom:5px solid grey;" | 시프마스터
| style="border-top:3px solid grey;border-bottom:5px solid grey;" | 새도어
|}
메이플스토리에서 나온 전직은 4개의 전직이 4차전직까지 있으므로 4×4=16개의 전직이 있다. 그러나 2006년 5월 현재에는 4차전직의 스킬이 나와 있지 않아 12개의 전직으로 친다.
Transwiki:전기기기
2308
4809
2006-03-01T18:46:11Z
아흔
9
재편집: 영어 위키북에서 넘어옴
{{재편집}}
==장 전기 기기의 원리==
=== 개요===
전기기기를 강의하는 첫 시간에 학생들에게 우리 생활에서 볼 수 있는 전기기기를 열거하여 보라고 합니다. 학생들의 대답은 거의 예외 없이 TV 로부터 시작하여 라디오, 전기 시계, 냉장고 등으로 연결됩니다. 이것이 맞는 대답일까요? 물론 전기를 이용한 기기 (혹은 기계라는 말도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라는 상식적인 생각으로 볼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 논리에서보면 전기를 사용하는 기계는 모두 전기기기라는 표현이 가능하다는 말일까요?
이 부분에서 일반적인 대학교 전기공학 전공의 학생들이 두 학기동안 배우는 “전기기기”의 정의와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책에서 다룰 전기기기의 내용은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혹은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또한 전기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는 기능의 에너지 변환기도 포함하여 거론합니다. 다시 말하면 발전소에서 수력 혹은 화력의 방법으로 얻은 기계적인 힘으로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 전기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힘을 얻는 전동기, 그리고 전기적 성질을 변환하기 위하여 송전용 혹은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변압기의 세 가지 종류의 기기를 말합니다.
전동기, 발전기, 변압기가 전기기기라는 과목의 세 가지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동기와 발전기가 기계적 운동을 포함하므로 운동기라고 하며, 이에 대하여 변압기는 움직이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정지기라고 분류하기도 합니다. 운동기는 또한 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에서 사용되는 전기에너지 종류로 교류기 혹은 직류기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즉 직류를 이용하는 기기는 직류기, 교류를 이용하는 기기는 교류기라고 부릅니다. 기기의 입력과 출력의 에너지 형태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기기의 동작원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그림 1.1 은 우리 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는 전기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수력, 화력, 원자력 등으로 발생한 동력은 원동기를 통하여 발전기의 축을 돌려주게 됩니다. 교류 발전기는 삼상을 발전합니다. 이 삼상교류 전원은 송전선을 통하여 송전되기 좋은 전압으로 승압됩니다. 이는 수요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변압기를 한번 이상 거치게 됩니다.
전기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전동기를 사용합니다. 수요자가 전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삼상 교류를 직접 사용하거나, 단상 교류를 사용하거나,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발전기, 변압기, 전동기는 전기기기의 세 가지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동기의 사용은 산업 선진화의 잣대가 되기도 합니다. 선진국형 고급 자동차에는 자동차 한 대 당 사용되는 직류 소형 전동기가 100 여개에 육박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파워 윈도우, 냉각 시스템, 좌석의 전동장치 등 일상생활 속에서 전기기기의 사용 범위는 실로 방대합니다.
그림 1.1 생활 속에 사용되는 전기기기의 종류
그렇다면 전기기기를 배우는 데 필요한 기본 지식은 무엇일까요? 강의를 끝내면서 이러한 질문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결국 전기기기의 구조는 모두 전기적인 소자로 구성이 되어있으니 저항, 인덕턴스, 커패시턴스 등의 세 가지 전기 소자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지 무엇이 그리 복잡할 이유가 있느냐는 것입니다.
사실 어느 정도는 복잡합니다. 이상의 세 가지 전기 소자는 수동소자로 불리는 요소입니다. 전기기기에는 직접적으로 전압을 발생시키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이 전압 혹은 전류의 소스가 됩니다. 또한 기계적인 에너지와 전기적인 에너지의 변환관계를 해석하고, 전기 자기적인 문제점도 고찰을 하여야 하고, 물리적인 힘과 운동의 관계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책에서 다룰 전기기기의 종류는 직류기, 변압기, 동기기, 유도기, 단상전동기와 특수기기의 5가지로 나누었습니다. 각각의 기기를 다룰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관해서 다루게 됩니다.
* 어떠한 원리로 동작하는가?
* 기기의 구조를 등가적인 전기회로로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가?
* 기기의 파라미터값을 어떠한 실험 방식으로 얻는가?
* 기계적 전기적 특성곡선이 어떠한가?
* 운전은 어떻게 하는가?
* 효율 및 특성에 관계된 파라미터의 정의와 값을 어떻게 얻는가?
이와 같은 사항들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기본 지식은 무엇일까요? 전기기기의 기본원리는 전류의 흐름이 자장을 발생하고 또한 자장의 변화가 전압을 유기하는 사실, 그리고 자장 속의 전류가 흐르는 도체는 힘을 받는다는 사실입니다. 물리 시간에 배웠던 간단한 플레밍의 왼손과 오른손 법칙의 응용 등 실제로 전기기기의 기본원리는 이미 오래 전에 밝혀진 전기의 기본적인 성질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 성질들을 살펴보도록 할까요?
===전류와 자기의 관계===
19 세기의 많은 과학자들은 놀라운 창의력과 실험정신으로 현대문명에 기여할 많은 기초과학적인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전기와 자기와의 관계는 방대한 양의 응용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발견이었습니다. 공간 중에 자계가 일정한 방향으로 설정되어있는 경우(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사용합니다) 그 공간에서 도체를 움직이면 전류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이것이 발전기의 원리가 되며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으로 발생 전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법칙으로 자계내의 도체의 운동 방향이 정해지면 전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역시 공간상에 자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자계 내에 존재하는 도체에 이번에는 전류를 흘리게 되면 도체가 움직이는 현상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것이 플레밍의 왼손 법칙으로 자계와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정해지면 힘이 발생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발생한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개발한 것이 전동기입니다.
왼손법칙의 경우는 중지를 전류의 방향, 검지를 자기의 방향으로 하면 엄지의 방향으로 힘이 발생한다는 것을 오른손 법칙의 경우는 검지의 방향으로 자기의 방향이 설정된 상태에서 엄지방향으로 움직이는 도체에는 중지 방향의 전류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전류가 발생한다는 말은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이고 그렇지 않다면 기전력이 유기 됩니다. 무엇이 조건이고 무엇이 결과인지에 주의해야합니다. 그림 1.2 는 왼손법칙과 오른손 법칙 그리고 전기회로에서의 자계의 발생 방향을 설명합니다.
그림 1.2 왼손 법칙, 오른손법칙과 오른 나사의 법칙
그림 1.3 은 전동기의 원리가 되는 왼손의 법칙을 설명하는 프로그램의 실행화면입니다. 화면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자계가 설정되어 있고, 철로 같이 평행한 도체가 나란히 있고 이 위에 분리된 직선 도체가 놓여 있습니다. 오른편에 건전지를 연결하면 폐회로에 전류가 흐르고 전류와 자계의 방향에 의하여 도체가 움직이게 됩니다. 그때 움직임의 방향은 왼손 법칙에 의해서 결정이 됩니다. 그림 1.4 는 발전기의 원리가 되는 오른손 법칙을 설명하는 프로그램의 실행화면입니다. 그림 1.3 의 조건과 같은 상황에서 이번에는 건전지의 자리에 전압계를 놓습니다. 이번에는 평행 도체 위의 도체를 강제로 움직이면 이에 따라서 전압계 전압이 유기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압의 극성은 오른손 법칙에 의해서 결정이 됩니다.
그림 1.3 왼손 법칙의 원리를 설명하는 프로그램
그림 1.4 오른손 법칙의 원리를 설명하는 프로그램
이상의 관계에서 전류와 자기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자계는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코일을 감아서 전류를 흘리고 이곳에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방법입니다. 발생한 자속으로 어떻게 균일한 자장을 형성하는지 알아봅시다.
===자기의 성질===
====자계의 분포====
일반적으로 전동기나 발전기를 만들려면 일정한 크기를 갖는 평등 자계를 만들어야합니다. 이러한 평등 자계 안에서 도체를 움직이거나 혹은 도체에 전류를 흘려서 발전기 또는 전동기로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평등 자계는 어떠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영구 자석과 전자석을 사용하여 자계를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림 1.5 에서와 같이 공간상에 영구 자석을 놓고 이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분포를 살펴보면 공간상에서 N 극에서 나와서 S 극으로 퍼져나가는 모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계를 균일한 평등 자계장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N 극과 S 극을 가까이 놓으면 비교적 균일한 자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평등 자계를 전자석으로 실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자석은 자성체를 코일로 감고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서 자속을 발생하는 것입니다. 자성체가 없다면 전자석도 영구자석과 마찬가지로 양극을 떠나는 자계는 공간상에 퍼져나가는 모양으로 분포합니다. 자성체의 모양과 위치를 조절하여 실제적으로 자계의 분포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br/>(1)투자율<br/>
투자율은 이러한 자성체의 성질을 나타냅니다. 이는 자속이 잘 투과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물체에 따라 투자율이 높은 자성체는 자속을 잘 흐르게 합니다. 즉 자계는 가까운 곳에 자성체가 있으면 그곳으로 분포하려고 합니다. 전자석 내부의 자성체는 높은 투자율을 갖고 있어서,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생한 자계를 가능한 자성체 자신에 분포하게 하려고 합니다. 그림 1.5 에서와 같이 자성체의 모양을 만들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자성체의 모양을 보면 발생한 자계가 자성체를 따라 자연적으로 폐회로를 구성하게 됩니다. 중간에 위치한 짧은 공간(이를 흔히 공극이라고 합니다)에서 자속은 공극 건너편에 있는 자성체로 넘어가려고 하므로 이 공간에서는 균일한 평등 자계가 형성된다고 가정을 합니다.
그림 1.5 자계의 분포
그림 1.6 프린지 효과와 누설자속
<br/>(2) 프린지 효과와 누설자속<br/>
균일한 자계가 형성이 된다는 것은 이상적인 가정입니다. 그림 1.6 에서와 같이 자성체 단면의 외곽선을 따라서는 공간으로 퍼져나가는 자계가 균일하지 않게 분포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효과를 프린지 현상 (주변 효과) 라고 하는데 이것이 실제적인 현상과 이론적인 가정의 차이를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다른 한가지는 누설자속입니다. 자속이 샌다는 말로서 코일에 전류가 흘러 자속이 발생할 때 모든 자속이 자성체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그림 1.6 에서와 같이 코일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현상이 일부 발생합니다. 이 현상은 회로에서 실제적인 인덕터를 하나 더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을 하게되며 앞으로 전기기기의 등가회로 계산시 고려할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입니다.
==== 기자력과 자속밀도====
전자석의 경우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의 능력을 기자력 (Magneto Motive Force 혹은 MMF) 이라고 하며 식 (1.1) 로 표시합니다.
<math>F = N \times I</math> (1.1)
자기저항은 자기회로의 길이가 길면 커집니다. 또 단면적이 커지면 자기저항은 작아집니다. 이것은 전기저항의 성질과 유사합니다. 또 같은 기자력인 경우에도 철심으로 사용하는 대하여 연구해 볼까요?
====자기회로의 구성====
자속을 발생하여 이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서 자기회로를 구성합니다. 전류를 공급하여 기자력을 얻게되면 자성체로 만든 자기회로에 자속이 발생하여 분포하게 됩니다.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됩니다. 하나는 병렬 회로를 사용하여 자속을 분기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기회로를 짧은 공간에서 끊어서 자속이 잠시 공기를 통로로 하여 흐르도록 하는 것입니다. 공극이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이 짧은 공간은 평등 자계를 만드는 방법으로 이용됩니다.
앞의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원하는 크기로 자속을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자기의 병렬회로로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법과 공극을 넣었을 때의 해석을 차례로 살펴보고 두 가지를 혼합한 경우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자기회로의 모양은 그림 1.8 의 (a) 와 같습니다. 자성체는 간단하게 폐회로를 구성합니다. 전체적인 자기경로의 값이 커지면 발생 자속의 수도 감소하게 됩니다. 다른 한편에 코일을 감는다면 간단한 변압기가됩니다. 변압기 중에는 (b) 의 모양도 있습니다. 기자력에의해서 생성된 자속은 자기저항의 값에 따라서 양분되어 흘러갑니다.
공극을 포함한 기본적인 자기회로는 그림 1.8 의 (c) 와 같습니다. 공기의 투자율은 자성체와 다르고 이를 해석할 때는 자성체의 자기저항과, 공극의 자기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극과 자기 병렬회로를 포함한 다소 복잡한 형태의 모양은 (d) 입니다. 공극을 이용한 자기회로의 구성은 발전기와 전동기에서 전기자 도체가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림 1.8 자기회로의 종류
예제 1.1) 그림과 같이 자성체에 100 회전된 코일이 감겨있고 0.5 m㏝ 의 자속을 발생하려면 얼마의 전류를 흘려야 할까요? 단 단면적은 4㎠이고 그림에서와 같이 높이와 길이가 5㎝입니다. 투자율은 이라고 가정합니다.
먼저 0.5 m㏝ 의 자속을 발생하려면 자속 밀도는 0.5/4 의 값으로 1.25 Tesla 가 되어야 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자계의 세기는 투자율과 계산하여 1250 At/m 가 됩니다. 자속은 자성체를 따라서 균일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철심의 중심을 따라서 폐회로를 가정하고 기자력 값을 구하면 12500.2=250 At입니다. 이 값을 권회수인 100으로 나누면 전류는 2.5 A 가 됩니다.
예제 1.2) 그림에서 전류와 자계의 관계를 r 과 N을 사용하여 나타내십시오. 단, 자계 H 는 균일한 밀도로, 누설 자속없이 단면에 고르게 분포한다고 가정합니다.
의 식을 이용합니다. 원주를 따라서 균일하게 자계가 분포한다고 가정하며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전류 I 에 대하여 식을 정리하면 의 식으로 전류와 자계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MediaWiki:Newuserloglog
2310
4818
2006-03-10T14:07:15Z
아흔
9
transl.
새 등록 사용자 ([[사용자 토론:$1|토론]] | [[Special:Contributions/$1|기여]])
MediaWiki:Lucenefallback
2311
4819
2006-03-10T14:08:31Z
아흔
9
transl.
위키 찾기에 잠정적인 문제가 생겼습니다. 잠시 후에 다시 한 번 시도하여 보시거나 아니면 다른 검색 사이트에서 도움을 얻기 바랍니다.
Wikibooks:접속 차단
2317
edit=sysop:move=sysop
6554
2007-01-03T15:56:54Z
아흔
9
보호시킴 "[[Wikibooks:접속 차단]]": basic [edit=sysop:move=sysop]
{{위키책 도움말}}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 미디어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모든 프로젝트에는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사람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은 위키 미디어재단의 한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는 말은 프로젝트가 추구하는 목적에 참여자가 관심을 갖고 프로젝트의 발전에 나름대로 기여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하셔야 합니다. 다시 말해 참여자께서는 프로젝트의 목적을 잘못 알고 있거나 또는 심심풀이로 프로젝트에 참여할 경우에는 자칫 다른 참여자들로부터 오해나 또는 의심을 받게될 수도 있습니다.
위키세계에 경험이 적은 참여자는 때에 따라서는 고의가 아닌 작은 실수를 범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대개 경험이 많은 참여자나 또는 관리자가 적절히 도와주므로서 문제를 해결하게됩니다.
그러나 참여자가 고의로 심한 장난을 치거나 또는 여러 모로 [[Wikibooks:반달행위|문서를 훼손]]시키거나 또는 염치없는 싸움을 다른 사용자와 일삼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일은 위키인에게 바람직한 일이 아닐 뿐만 아니라 심지어 프로젝트에 적지않은 피해를 끼치게됩니다. 다음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일을 하는 참여자는 위키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Wikibooks:관리자|관리자]]가 차단을 시킬 수 있습니다.
*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를 하는 참여자.
* [[Wikibooks: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말싸움]]과 다른 참여자를 헐뜯기를 밥먹듯 하는 참여자.
* [[Wikibooks:복수 사용자 등록|여러 사용자 이름]]으로 등록하여 부정 투표 또는 의견 수렴에서 편들기를 하는 참여자.
[[Category:위키책]]
Wikibooks:복수 사용자 등록
2318
4868
2006-03-22T16:59:50Z
아흔
9
set
복수 사용자 등록이란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어 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어떤 한 프로젝트에 한 사람이 여러 사용자 이름으로 등록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와 같은 참여자를 영어로는 이른바 '''''Sock puppet''''' 이라 부르고 있으며, 옆의 그림을 보시면 이 낱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짐작하시리라 봅니다.
[[그림:Carlb-sockpuppet-wikipedia.jpg|thumb|100px|양말 주머니를 쓴 인형]]
복수 등록 사용자가 추구하는 올지못한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투표에서 표를 보태기 위해서.
* 의견 수렴에서 편을 들기 위해서.
* 다른 사용자 이름으로 문서의 내용을 멋대로 고치기 위해서.
* 다른 참여자를 몰래 헐뜯기 위해서.
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목적으로 복수 등록을 하여 활동하는 사용자가 적발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프로젝트에서 추방과 함께 영구 [[Wikibooks:접속 차단|접속 차단]]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중복 등록 사용자의 적발은 첵유저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의심스런 행위는 중복 등록 사용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장기간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근래에 프로젝트가 돌아가는 형편을 잘 알고 있다.
* [[Wikibooks:문서 넘겨주기|문서 넘겨주기]]나 또는 [[Wikibooks:문서 옮기기|문서 옮기기]] 따위의 기술적인 문제점들을 잘 알고 있다.
* 어떤 [[Wikibooks: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토론]]이 열띠게 벌어지고 있을 때, 갑자기 나타나 특정 사용자의 주장에 동조한다.
* 그리 중요하지 않은 문제점을 찾아내어 이렇게 저렇게 하자고 충동한다.
* 다른 사용자가 자주 쓰는 말버릇이나 필체를 흉내낸다.
* 동일한 아이피 주소로 참여하고 있는 것이 첵유저에 의해 확인된다.
[[Category:위키책]]
Wikibooks:관리자/문제
2319
4872
2006-03-22T17:15:33Z
아흔
9
set
위키책의 [[Wikibooks:관리자|관리자]]는 다른 모든 사용자와 같이 프로젝트가 발전하기를 바랍니다. 만일 참여자께서 어떤 관리자에게 불만이 있다거나 또는 관리자가 하는 어떤 일이 부당하다고 여기신다면 확증할 수 있는 근거를 들어 아래에 솔직히 말씀하여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 ==
[[Category:위키책]]
한국어 맞춤법/다르다와 틀리다
2320
4883
2006-03-25T09:23:12Z
Curic
60
'다르다'는 한 대상과 한 대상을 비교 할 때 상태가 다른 것을 나타내며, '틀리다'는 한 대상의 정답 여부인 맞고 그름을 판별할 때 쓰입니다.
MediaWiki:Revisiondelete
2345
sysop
5333
2006-05-27T07:06:07Z
아흔
9
transl.
삭제 및 삭제 되살리기의 개정 사항
MediaWiki:Searchcontaining
2346
sysop
6355
2006-11-22T16:16:47Z
아흔
9
rev.
"$1"이(가) 담긴 문서 찾기
MediaWiki:Searchnamed
2347
sysop
5332
2006-05-27T07:05:38Z
아흔
9
transl.
'$1' 이름의 문서 찾기.
Wikibooks:반달행위/IP-list
2356
edit=sysop:move=sysop
6625
2007-01-08T15:41:38Z
아흔
9
add IP
<center><big>'''Black-list of Vandalism'''</big></center>
'''한국어 위키책에 저질러진 [[Wikibooks:반달행위|반달행위]]의 아이피 기록서이다.'''</br>The following list is protocol of <font color="red">'''Vandal-IPs'''</font> on the ko Wikibooks.
* [[Special:Ipblocklist|User and Ip Blocklist]]
{| class="plainlinks" width="100%" border="1" solid #dfdfdf cellpadding="2" cellspacing="1" style=";background:#e3e3e3; font-size:85%"
! style="width:20%; text-align:center;" | 일시(Date)
! style="width:20%; text-align:center;" | 아이피(IP)
! style="width:30%; text-align:center;" | URL
! style="width:30%; text-align:center;" | 반달문서</br>(attacked pages)
|---- bgcolor="#ffffff"
| 2007년 1월 3일
| [[User:Polasis]], sockpuppet [[User:Altomime]], [[User:Kghyun]] --> [[143.248.174.244]]
| 대전 KAIST
| all deleted
|---- bgcolor="#ffffff"
| 2006년 12월 28일, 2007. 1. 7
| [[210.124.3.72]]
| -
| [[축구]]
|}
[[Category:위키책]]
메이플스토리/전직/마법사
2357
6459
2006-12-28T06:30:16Z
121.133.90.51
마법사는 레벨 8때 전직을 엘리니아에서 INT가 20이상일때 전직할 수있다. MP소모가 많이 나지만 데미지가 많이 나온다. 마법사는 마력과 운을 올리게 되는데, 때로는 힘과 마력을 올리는 힘법사도 있기도 하다.
== 주사위 던지기 ==
마법사는 STR과 DEX가 별필요 없기 때문에 INT와 LUK이 높으면 됩니다. STR과 DEX가 4/4 , 4/5 , 5/4 정도로 고릅니다. 무기는 몽둥이가 좋습니다.
== 초보자때 ==
초보자때는 STR과 DEX를 올릴 수없기 때문에 힘이 약하다. 그러므로 레벨 5때까지는 초록달팽이를 사냥하고 그후로는 파란달팽이를 사냥하는게 좋다. 이때의 스텟은 다음과 같다.
* LUK=자기레벨+3
* 나머지는 다 INT를 올린다.
LUK를 올리는 이유는 장비를 낄려면 LUK을 올려야 낄수있다. 그러므로 대비하여 올려주는 것이다.
이때 초보자때의 사냥터는 다음과 같다.
*1~5:달팽이 사냥터 1,2
*5~8:암허스트민가안에 있는 포탈 안에 있는 달팽이꽃밭.
== 스킬 ==
마법사 1차 스킬은 다음과 같다.
* MP회복력향상-10초마다 더욱 많은 양의 MP를 회복할 수있다.
* MP증가량향상-Level UP 할 때, Max MP에 AP를 사용할 때 Max MP의 증가량을 향상시킨다.단,MP회복력향상이 5이상이여야만 한다.
* 매직가드-일정 시간동안 받는 데미지의 일정 수치를 MP로 대신한다. 다만 MP가 0일 경우에는 그대로 HP를 소비하게 된다.
* 매직아머-일정 시간 갑옷에 마력을 응집시켜 물리 방어력을 상승시킨다. 단,매직가드가 3이상이여만 한다.
* 에너지볼트-MP를 소비하여 적 하나를 공격한다.
* 매직클로-MP를 소비하여 적 하나를 두 번 공격한다. 단, 에너지볼트가 1이상이여만 한다.
===스킬올리는 방법===
다음 순서대로 올립니다.
에너지볼트1-MP회복력향상5-MP증가량 향상10(마스터)-매직클로10-MP회복력향상16(마스터)-매직클로20(마스터)
위자드를 하실려면 매직가드를 마스터하고, 클레릭을 하실려면 매직아머를 마스터해야 합니다.
== 능력치스텟==
럭=자기레벨+3
나머지 능력치는 지력을 올려줍니다.
Wikibooks:편집 내용 간추리기
2358
4963
2006-04-12T15:19:12Z
아흔
9
set
{{위키책 도움말}}
위키책에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Special:Userlogin|등록]]된 사용자나 또는 아이피 주소 참여자는 [[Wikibooks:보호문서|보호문서]]를 제외한 위키책에 수록된 모든 문서를 자유롭게 편집하실 수 있습니다. 자유롭게 참여한다는 말은 물론 한국어 위키책이 보다 알차게 발전하는 데 나름대로 기여한다는 것으로 풀이하셔야 합니다.
참여자께서 문서를 다만 빈 칸 하나라도 고친 후, 이를 저장시키게 되면 그 편집자, 편집 날짜와 시간 그리고 수정된 내용이 [[Wikibooks:문서역사|문서역사]]에 영구적으로 보존됩니다. 이와 더불어 참여자께서 이미 존재하는 문서를 편집하셨다면 그 내용 가운데 무엇을 고쳤는지 [[wikibooks:편집창|편집창]] 아래에 있는 간추린 내용 칸에 써넣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른 참여자가 나중에 고쳐진 문서를 검토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문서역사에서 언제, 누구에 의해 그리고 어떻게 문서가 고쳐졌는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에는 간추리기에 흔히 쓰이는 몇몇 낱말들로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class="SimpleBox" width="60%" cellpadding="2" cellspacing="2"
|-bgcolor="DFDFDF"
!간추리기 낱말
!쓰이는 때
|-bgcolor="FFFFFA"
| 새글, 만듬 || 새 문서를 만들 때
|-bgcolor="FFFFFA"
| 정리 || 오래된 문서를 다듬을 때
|-bgcolor="FFFFFA"
| 교정 || 맞춤법을 바로 잡을 때
|-bgcolor="FFFFFA"
| 덧, 보충 || 내용을 보충시킬 때
|-bgcolor="FFFFFA"
| 외국어 || 외국어 번역을 써넣을 때
|-bgcolor="FFFFFA"
| 카테고리 || [[Wikibooks:카테고리|카테고리]]를 붙일 때
|-bgcolor="FFFFFA"
| +en, +fr ... || [[Wikibooks:인터위키언어링크|인터위키언어링크]]를 시킬 때
|}
이 밖에 참여자께서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간추린 내용을 언제나 써넣어 주시기를 거듭 당부합니다.
[[Category:위키책]]
마라티어
2417
6579
2007-01-03T16:58:56Z
아흔
9
rev.
{{재편집|참조=기초 문법과 알파벳 보충}}
'''마라티어'''(मराठी)는 [[인도]]의 마하라스트라 주에서 사용되는 공용어이다.
== 마라티어를 배우자 ==
=== 가족과 친척을 마라티어로 말해 보기 ===
어머니 - आई (아이)
아버지 - बाबा (바바)
여동생/누나 - बहिण (바힌)
남동생/형 - भाऊ (바우)
할아버지 - आजोबा (아조바)
할머니 - आजी (아지)
삼촌 - मामा (마마)
Maternal Aunt - मावशी (마브시)
Paternal Uncle - काका (카카)
Paternal Aunt - आत्या (아탸)
=== 마라티어로 숫자를 ===
1 - एक (에크)
2 - दोन (돈)
3 - तीन (틴)
4 - चार (차르)
5 - पाच (파치)
6 - सहा (사하)
7 - सात (사트)
8 - आठ (아트)
9 - नऊ (나우)
10 - दहा (다하)
100 - शंभर (샴바르)
1,000 - हजार (하자르)
10,000 - दहा हजार (다하 하자르)
100, 000 - लाख (라크)
1, 000, 000 - दहा लाख (다하 라크/다샤 라크샤)
10, 000, 000 - कोटी (코테)
100, 000, 000 - दहा कोटी (다하 코테 / 다샤 코테)
1, 000, 000, 000 - अब्ज (아브자)
10, 000, 000, 000 - खर्व (카르바)
100, 000, 000, 000 - निखर्व (니카르바)
1, 000, 000, 000, 000 - महापद्म (마하팜다)
10. 000, 000, 000, 000 - शंकु (샨쿠)
100, 000, 000, 000, 000 - जलधि (잘라디)
1, 000, 000, 000, 000, 000 - अंत्य (안탸)
10, 000, 000, 000, 000, 000 - मध्य (마댜)
100, 000, 000, 000, 000, 000 - परार्ध (파라르댜)
=== 마라티어로 요일 말하기 ===
गुरुवार शनिवार रविवार
सोमवार (솜바르) - 월요일
मंगळवार (망갈바르) - 화요일
बुधवार (부드바르) - 수요일
गुरुवार (구루바르) - 목요일
शुक्रवार (수크라바르) - 금요일
शनिवार (샤니바르) - 토요일
रविवार (라비바르) - 일요일
== 바깥 고리 ==
* 출처 : http://en.wikibooks.org/
* [http://ko.wikipedia.org/wiki/%EB%A7%88%EB%9D%BC%ED%8B%B0%EC%96%B4 마라티어(한국어 위키백과)]
[[en:Marathi]]
Wikibooks:위키책 컴퓨터
2480
5299
2006-05-11T14:31:29Z
아흔
9
rev.
{{위키책 유형}}
{| width="98%" border="0" cellpadding="2" cellspacing="2" align="center" style="margin-top:1em;"
| style="padding:.5em; background:#F9F8F7; font-size:140%; text-align:center" colspan="3" | [[그림:Icon-11.png|25px|]] '''[[Wikibooks:위키책 유형|위키책 컴퓨터]]'''
|-
| style="background:#023693" align="center" colspan="3" |
|-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프로그래밍 언어'''{{추가|컴/프로그래밍}}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컴퓨터 운영체계'''{{추가|컴/시스템}}
|width="33%" style="background:#D3D3D3;text-align:center" |
'''게임'''{{추가|컴/게임}}
|-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컴/프로그래밍}}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컴/시스템}}
</div>
| style="background:#F5F5FF;" valign="top" |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컴/게임}}
</div>
|}
[[Category:컴퓨터]]
분류:컴퓨터
2481
5297
2006-05-11T14:27:57Z
아흔
9
set
[[Category:위키책 유형]]
틀:컴/게임
2482
5298
2006-05-11T14:30:42Z
아흔
9
entry
* [[Oblivion]]
MediaWiki:Randomredirect
2483
5338
2006-05-27T07:10:07Z
아흔
9
transl.
넘겨진 문서 임의로 찾기
MediaWiki:Unusedtemplates
2484
6078
2006-09-28T17:10:20Z
아흔
9
rev.
쓰이지 않는 템플릿들
MediaWiki:Rcshowhideminor
2485
5340
2006-05-27T07:13:10Z
아흔
9
transl.
$1 잔글
MediaWiki:Rcshowhidemine
2486
5341
2006-05-27T07:14:01Z
아흔
9
transl.
$1 내가 한 편집
MediaWiki:Rcshowhideliu
2487
5342
2006-05-27T07:14:34Z
아흔
9
transl.
$1 등록한 사용자
MediaWiki:Rcshowhidebots
2488
5343
2006-05-27T07:15:09Z
아흔
9
transl.
$1 로봇
MediaWiki:Rcshowhideanons
2489
5344
2006-05-27T07:15:42Z
아흔
9
transl.
$1 등록하지 않은 참여자
MediaWiki:Prefs-watchlist
2490
6066
2006-09-28T16:56:46Z
아흔
9
rev.
주시하는 문서들
메이플스토리/전직/도적
2491
5363
2006-05-28T05:16:04Z
220.121.51.106
도적으로 전직하려면 우선 레벨 10때 민첩이 25이상이어야한다. 그리고 도적의 공격력이 운이므로 운과 함께 올려주어야 한다(힘은 안올려주는게 좋다.).
프로그래머의 길
2493
5412
2006-06-22T12:41:21Z
Picknic12
87
<div class="toccolours" style="padding:1em 1em 1em 1em; border-width:1px 2px 2px 1px; background-color:#FEEEF8;">
[[그림:Icon-09.png|float|left|60px|]] 이 문서는 현재 편집중에 있습니다.</br>
</div>
= 프로그래머의 길(The Tao of Programmer) =
== 머리말 ==
<big> 본서는 필자가 대학 4년, 대학원 2년 그리고 C 언어와 4세대 언어를 갖춘 비주얼 툴을 사용한 6년간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걸쳐 듣고, 배우고, 경험한 바를 2년간의 사색을 토대로 작성된 내용입니다. 비록 적은 경험에 부족한 글이지만 필자의 사변적 이성(Speculative Reason)과 경험적 이성(Empirical Reason)이 독자 제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 하여 제가 그동안 정리했던 글을 모았습니다. 물론, 본 글이 있기까지 수 많은 선지식의 가르침과 선학과 후학들과의 교류가 있었음을 인정합니다. 본 글이 있기까지 필자에게 정신적 자양분을 제공한 많은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big> 말씀드린 바와 같이, 본서는 필자가 조금씩 써두었던 글들을 모은 것입니다. 그러나, 필자가 작성해 둔 글들의 모임이 전혀 관련없는 글들로의 모임이 아니라 서로 모종의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서를 전체적으로 읽고 여러 번 읽다 보시면 각 장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뿐만아니라 각 장들과의 연관성까지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제가 이전에 집필했던 “C 프로그래밍의 기초 및 학습론” 서적이나 출간 예정인 가제목 “수학에 기초한 공부론” 서적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최대한 중복이 없도록 노력하였습니다. 그리고 본서는 “C 프로그래밍의 기초 및 학습론” 서적보다 더 개념적이고 사변적이며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 다분히 많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부류의 서적을 필요로 하는 개발자와 전산학자들이 존재한다는 생각으로 제 글을 모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비록 내용이 모호하고 주관적이긴 해도, 나름대로 최대한 독자 제현님들께서 합리적이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본서에 수록된 글들은 원래 제가 작성해서 소프트웨어 개발 커뮤니티 게시판 등에 올렸던 글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글들을 약간만 고치고 글의 형태는 그대로 두었습니다. 따라서, 본서의 구성이 짜집기 형태로 비추어질 수 있는데 어떤 면에서 각 장마다 독특한 글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독자들이 읽기에 편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원래의 글 형태를 그대로 유지시켰습니다. 그리고, 참고하기 편리하도록 각 장마다 그때 그때 해당하는 참고문헌들을 첨부하였습니다.
<big> 본서는 전산학을 공부하는 학생에서부터 개발자로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 그리고 전산철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해 집필된 서적입니다. 또한, 인문학을 공부하시는 분들 중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프로그래머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얻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다소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본서의 내용이 필자가 실무에서 경험하고 전산 실무 경험자들의 이야기를 논구한 것이므로 전산학을 전혀 모르는 분들은 이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리고, 전산학을 대강 공부한 분들도 본서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본서를 시간을 두고 천천히 읽으신 후,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그때 느끼는 독자 제현님들의 경험에 비추어 제 책의 내용을 반추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본서는 필자가 실제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경험하는 바를 정리한 것이므로, 독자 제현님들께서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big> 한편, 전산학자들이 개발자로서 좀더 발전된 방향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의 기술적인 내용뿐만아니라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 대한 이해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가져야 할 프로그래머의 자세 및 올바른 마인드(心法)을 증득해야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리고 초보자나 입문자들에게도 그러한 마인드가 다분히 중시됩니다. 비록 필자의 천학비재로 내용이 알차지 못하고 빈약한 면이 많지만 본서가 개발자들에게 조금이나마 소프트웨어 공학에 대한 인간적이고 철학적인 인식을 마련해 준다면 정말 기쁘겠습니다.
<big> 또한 본서는 필자가 아는 한도에서의 프로그래머의 길을 말씀드린 것이며 필자의 글이 얼마나 올바르게 프로그래머가 걷는 길에 대해서 잘 설명하고 있는지는 필자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 다만, 필자가 선학과 후학들로부터 배우고, 듣고, 직접 경험한 바에 근거하여 보편타당하다고 생각되는 선상에서 글을 전개하였습니다. 또한 본서는 여러분에게 프로그래머의 길을 제시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필자가 경험하고 이해하고 인식하는 바로서 프로그래머가 갖추어야 할 지식과 지혜를 말씀드린 것입니다. 따라서 본서에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너그러운 양해를 구합니다.
<big> 본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Chapter 1에서는 제가 생각하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사유를 정리하였습니다. Chapter 1은 프로그래머가 염두해 두어야 할 프로그래밍에 대한 사유를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Chapter 2에서는 개발툴이나 언어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할 때 도움이 될만한 사항을 조언의 형태를 빌어 설명합니다. Chapter 2의 내용을 프로그래머의 길을 걸어가는 분들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Chapter 3에서는 현재 인기있는 익스트림 프로그래밍과 애자일 방법론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수행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프로젝트 수행론은 실무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얻게 되는 느낌과 이해를 담고 있어 프로그래머의 길을 걷는 분들게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Chapter 4에서는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디자인패턴에 대한 필자의 생각과 견해를 다루었습니다. 그리고 Chapter 5부터 부록까지는 에세이 형태로 프로그래머가 알아두었으면 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본 장들은 다소 현학적인 내용이 많이 가미되어 있는데, 그것은 프로그래머가 단순히 코딩하는 기계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프로그래머는 생각하고 추론하고 직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신을 부단히 업그레이딩해 나가야한다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보다 넓고 심오한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시각을 얻을 수 있도록 나름대로 글을 정리한 것이 바로 Chapter 5에서 부록까지의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영화가 요즘 인기를 끌고 있고, 이 영화를 이해하려면 다분히 컴퓨터 과학에 대한 현학적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현학적 이해에 부록의 내용이 다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본서의 부록에서 다루는 내용을 충분히 소화한다면 동양철학과 프로그래밍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부록의 내용은 단지 흥미위주의 소설이 아니라 무엇인가 프로그래머가 지향해야 할 프로그래밍의 세계관을 한 번 도시해 본 것이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big> 그리고, 본서는 단순한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툴에 대한 기술서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Thinking In Java나 Thinking In C++와 같은 개념과 이론 그리고 기술이 접목된 서적도 아니라는 것입니다. 또한 Writing Solid Code나 Code Complete 그리고 The Pragmatic Programmer와 같은 기술과 철학을 종합시킨 서적들과도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오히려 본서는 Kent Beck의 Extreme Programming Explained나 Jim Highsmith의 Agile Software Development Ecosystem과 비슷한 성격을 지닙니다. 그렇다고 본서가 이러한 방법론이나 프로그래머의 자세를 전문적으로 혹은 심도있게 다루는 책은 아닙니다. 본서는 개발자들과 프로그래머 입문자들을 위해 도움이 될만한 사항들을 필자의 경험과 선학과 후학의 이야기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서적들의 저자들이 갖고 있는 생각들을 종합하고 통합하려는 시도로 다분히 철학적인 접근 방법을 택했습니다. 그러나, 본서는 결코 철학서도 아닙니다. 오히려 프로그래머로서 가져야할 자세 및 심법(心法)의 중요성을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나 개발툴 그리고 특정 방법론에 국한하지 않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본서는 필자가 힘닿는 데로 개발자와 프로그래머의 시야를 보다 넓혀줄 수 있을까 하는 시도에서 집필된 것입니다. 그렇다고, 기술서적이나 이론서적들이 불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본서를 통해서 Code Complete나 Writing Solid Code, The Pragmatic Programmer, Extreme Programming Explained, Agile Software Development Ecosystem, UML Distilled, Applying UML and Patterns, Design Patterns 등과 같은 유명 전산학 및 프로그래밍 서적들의 목적과 취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즉, 본서를 통해서 이러한 서적들 하나 하나로부터 지식을 얻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물론, 필자는 책을 홍보할 목적을 가지고 말씀드린 것은 아닙니다. 제가 열거한 책들 외에도 좋은 책들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big> 한 때, 국내의 유명한 어느 컴퓨터 서적 출판사에서 일하는 직원과 대화를 나눈 적이 있는데, 그때 그 직원분이 전산서적이나 프로그래밍 서적을 구독하는 사람들이 취미 삼아 책을 모으는 경우가 있다고 이야기해 준 적이 있습니다. 물론 많지는 않지만 꽤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책으로부터 어떤 영감을 얻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서를 전산학 책에 대한 메타 책으로 읽혀졌으면 하고 조심스럽게 바랍니다. 즉, 전산학 책을 읽을 수 있는데 어떤 영감을 이 책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얻었으면 합니다.
<big> 필자가 아는 한도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이라는 전장에서 생존을 위해 문제상황을 돌파하고 문제들과 싸워 이기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술(術)을 구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바로 소프트웨어 스킬로서의 기술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언어화되기가 어렵고 언어화될 경우 그 효력을 상실하기가 쉽습니다. 그래서 선학들은 이를 무언의 지식(Tacit Knowledge)이라고 말합니다.
<big> 하지만, 비록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을 언어화시키는 것이 실질적인 기술을 표현하지 못한다하더라도 어느 정도 개발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즉, 언어라는 과정을 통해서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로서의 지식을 무의식적으로 승화시킨다면 그 차원에서는 개발 기술에 대한 의미가 비슷해지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우리가 국어를 처음 배울 때 자주 따라하고 반복하면서 저절로 암기화되어 무의식적인 차원까지 도달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기술이라는 것이 행위적인 수단을 요체로하지만 이를 언어로 풀이해서 이해한 후, 깊이 학습하여 무의식적인 차원까지 이르르게 한다면 소프트웨어 기술을 익히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즉,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지식을 언어화하여 익히고 배우는 것이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실질적으로 일을 통해서 직접 체험을 통해서 증득하는 것만큼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말입니다. 따라서, 본서의 반 사변적이고 반 경험적인 이성이 독자제현님들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big>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이라는 전장에 나가 문제상황을 돌파하고 문제들과 맞서 싸우기 위해서는 개발툴이나 언어에 의한 단순한 스킬로서의 기술이 아닌 술법(術法)을 알아야 합니다. 술법(術法)이라고 해서 어떤 도력(Occult Power)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쓰는 마음가짐과 자세를 뜻합니다. 검을 사용하는 검법처럼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을 사용하는데에도 법이 있으며, 이러한 법을 배워야 합니다. 그러나,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이러한 법 또한 말로서 설명되어서 이해될 수 있기 보다는 실질적으로 옆에서 지켜 보고 직접 자신의 선생이나 스승으로부터 배워야 합니다. 즉,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에 대한 마음가짐과 자세를 언어로 표현한다는 것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big> 동양의 옛 고전을 읽어보면 수레바퀴에 맞는 차축을 깍는 수레차 수리공에 대한 일화가 나옵니다. 수레바퀴에 맞는 차축을 깍으려면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몸과 마음으로 배우고 익힌 노련한 전문 수레차 수리공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수레바퀴에 차축을 제대로 끼우려면 차축을 너무 얇게 깍아도 안되고 너무 두껍게 깍아도 안됩니다. 이러한 기술은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가 언어화할 수 있는 것은 그가 어떻게 수레바퀴에 맞는 차축을 깍는법을 배워왔는지 그 시행착오와 함께 그의 직관과 사유만을 배울 수 있습니다. 필자도 본서를 통해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해 언어화할 수 있는 바의 한도 내에서 프로그래머로서 알아두어야할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자세와 마음가짐에 대해서 함께 담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필자의 글에서 너무 많은 것을 얻으려하거나 지나친 기대를 하실 필요는 없다는 것을 삼가 말씀드립니다.
<big> 아무쪼록, 본서가 조금이나마 독자 제현님들께 소프트웨어 개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끝으로, 본서의 출판을 허락해 주신 홍릉과학출판사 사장님께 감사 드리며 직원분들께도 감사 드립니다. </big>
== Chapter 1. 프로그래밍에 대한 사색 ==
== Chapter 2. 소프트웨어 개발 입문자분들께 드리는 31가지 조언 ==
본 글은 전산학 및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고 있는 분들을 위한 조언을 담고 있습니다. 필자가 실무에서 주력 언어로 사용한 언어가 C 언어와 파워빌더였고, 특히 파워빌더 개발툴을 오래 사용했기 때문에 파워빌더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룹니다. 그러나, 어떤 개발툴을 사용하건 간에 개발자가 갖추어야 할 마인드와 자세는 다를바 없으므로 보다 큰 견지에서 본 장의 글을 읽어주시면 될 것입니다. 필자는 C 언어와 같은 텍스트지향적이고 절차지향적인 언어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므로, 본 장에서 거론하는 대부분의 조언들이 C++, Java 등의 거의 모든 언어와 개발툴에도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본 장에서 비주얼 개발툴이라고 굳이 언급한 것은 요즘의 C++ 언어도 비주얼 툴의 형태를 빌려 제공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본 장은 특정 언어의 기능을 다루기 보다는 개발 언어와 개발툴을 익히고 공부하는 방법 그리고 자세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이 글에서는 특정 언어와 개발툴에 대한 기능과 코드 분석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다루지 않습니다. 물론, 본 장에서 다루는 코드는 파워빌더의 스크립트 언어에 바탕을 두고 작성되었습니다.
본 장의 글은 7년에서 8년 동안 필자가 경험한 바를 나름대로 소화하고 정리한 글로서 특정 언어와 개발툴을 사용하여 실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입문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글이 내용이 인생수행의 방편으로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생각하고 있는 필자의 지론에 의해 다소 내용이 함축적이고 은유적이기까지도 함으로 이점에 대해서 양해를 구합니다. 사실, 노자의 도덕경에서 이야기 한 바처럼 도가도 비상도(道可道 非常道)라고 하였으므로 말의 표면적 의미보다는 글자들 속에 새겨진 내적인 의미를 통찰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장에서 이야기하는 내용은 다소 사변적일 수 있습니다. 지행합일(知行合一)이라고 하여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일체가 되어야 합니다. 필자도 이 지행합일을 실천하기가 어려워 나름대로 고민과 고생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잘 안 되는 경우도 있고 항상 이를 염두해 두고 살아갑니다. 본 장의 내용을 소화하여 여러분의 실무에 실제로활용 하였으면 합니다.
한편, 필자가 여기서 소프트웨어 개발 입문자분들이라고 한 것은 전혀 소프트웨어 개발을 모르는 분들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특정 개발툴을 배우고자 하는 강한 열정과 뜻을 지니고 이곳 저곳 개발 언어와 툴에 관련된 서적과 전산 경력자들을 만나보고 뛰어 다니고 개발툴과 언어에 관한 강의도 들어보려고 노력하시는 분을 말씀드립니다. 그냥 전혀 개발툴을 모르시는 분은 시중의 개발툴 서적을 읽어보시고 한 번 정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보았으면 합니다. 그리고 나름대로 한 권 정도의 서적에 대해서는 통찰을 얻으셨으면 합니다. 본 글은 처음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준비하는 초급 개발자를 위한 글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즉, 자신이 사용하는 개발툴에 대해서 책 한 권 정도 읽어 본 경험이 있으나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없는 개발툴 입문자분들을 대상으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본 글은 필자가 4년간 C 언어와 파워빌더 개발툴을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개발해 본 경험을 토대로 정리한 것입니다. 부족한 내용이지만 그래도 필자의 글이 나름대로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입문자분들을 위해 글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서점이나 학원에서는 실제 특정 개발툴과 언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괄적이고도 자세하게 다룹니다. 하지만 개발툴과 언어를 배우는 방법과 자세 등에 대해서는 그렇게 많이 다루고 있지 않은 듯 합니다. 필자의 개인적 소견에 의하면 몇몇 서적을 제외하고는 시중의 서적들이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서는 많은 노하우를 제공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서적이 지향하고 추구해야 할 것은 개발툴과 언어를 사용하는 개발자들에게 개발툴의 기능과 사용법 그리고 언어의 문법과 코딩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을 넘어서 개발툴을 숙달하는 방법과 자세를 배우는 것을 가르쳐 주는 것입니다. 본 글은 특정 개발툴을 마스터하기 위해서 갖추어야할 개발자의 소양을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정리하였습니다. 특히, 파워빌더라는 구체적인 개발툴을 통해서 특정 개발툴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학습방법과 자세들에 대해서 주제별로 정리하여 강좌로 마련하였습니다.
1995년도 겨울, 파워빌더, 비주얼 베이직 그리고 델파이 개발툴이 가장 인기 있는 비주얼 툴로서 각광받고 있었습니다. 그당시 이러한 글을 구하고자 노력했는데, 그 길을 제시한 글을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이러한 글은 잘 소개되어지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글을 쓰기를 어려워하고 있는 듯합니다. 혹시 자기자랑이 되지 않을까 부담도 되고 과연 얼마나 보편타당하게 쓸 수 있을까하고 고민하게 되기도 하고 말입니다. 필자도 이 글을 쓰기에 앞서 이러한 부담을 갖게 되었는데, 용기를 내어 글을 씁니다. 부디, 필자의 경험과 지식이 미흡해도 너그러이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이 글은 필자가 대학 때부터 전산학을 공부하여 지금까지 배워온 지식과 제가 접한 수많은 전산 및 프로그래밍 서적을 학습한 내용을 집약해서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부분은 다소 개념적인 내용이 나오기도 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번 글을 읽다보면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필자의 본 글이 개발자의 모든 삶을 대변해 주는 것은 아니며 다만 본인이 바라보는 개발자의 삶과 배움에 대한 인식을 정리한 것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필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은 취하고 그렇지 못한 것은 서서히 익혀나가셔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필자의 글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독자 제현님들의 현명한 식견에 근거하여 필자의 글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각설하고, 중요한 것은 필자가 여기서 제시한 이야기들은 독자 제현님들의 개발 과정 동안 한 번쯤 생각해 볼 수 있는 내용들이라는 점입니다. 필자 혼자서 경험한 내용뿐만 아니라 다른 서적들(소프트웨어 장인정신,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Agile Methodology 등에 관련된 서적들)과 다른 개발자들의 이야기를 나름대로 정리한 것이므로, 지금 당장 소프트웨어 개발 입문자로서 여러분에게 중요하게 인식이 되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나고 세월이 흐르면 여기서 필자가 논의한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봅니다. 여기서는 6년 간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얻은 작지만 필자에게는 소중한 경험을 31가지 주제 하에 정리하였습니다. 필자 나름대로 몇 개월의 시간을 할애하여 개발자로서 보내온 삶의 여정에 있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이야기들을 이 글에 담았습니다. 그리고 저의 이야기보다 더 긴요하고 값진 이야기를 다른 분들로부터 들을 수 있으니 항상 깨어있는 자세로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해 나가셨으면 합니다.
한편, 기술을 배우는데 있어 요긴한 팁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The Pragmatic Programmer라는 서적에서는 저자들이 프로그래머가 알아두면 요긴할 사항을 항목별로 정리하여 Tip이라는 제목 하에 책에 배치하였습니다. 총 70여개에 달하는 팁은 우리가 프로그래밍하면서 대면하는 실수들과 버릇들에 대해서 똑똑한 조언자로서 우리에게 하나 하나 일러줍니다. 본서에서 언급한 31가지 조언도 The Pragmatic Programmer 서적의 70여개의 팁처럼 소프트웨어 개발 입문자분들게 실질적으로 스스로의 로드맵(RoadMap)을 읽는데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처음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개발툴이나 언어를 강력한 툴이자 언어로 생각하십시오. ===
=== 어느 정도 숙달되면 개발툴이 아닌 업무에 주의를 기울이십시오. ===
=== 처음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개발툴이 갖고있는 기능의 전체상을 획득하도록 하시고 그 다음에 하나 하나 철저하고 자세하게 배우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중요한 지식과 기술을 중심으로 배우십시오. ===
=== 프로젝트에서 대면하게 되는 새로운 요소 기술, 팁 그리고 노하우들을 하나 하나 기록하고 정리하여 여러분의 지식체계로 발전시키십시오. ===
=== 자신이 사용하는 개발툴의 기능적 사용법, 요소 기술, 팁 및 노하우를 기록하고 정리하는 것 못지 않게 이를 여러분의 것으로 내면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문제의 다양한 변화를 고려하고 다양한 해법을 모색하십시오. ===
=== 개발툴은 기능적인 툴이라는 점을 잊지 마십시오. 즉, 개발툴에 대한 감각을 익히십시오. ===
=== 반복을 두려워 하지 마십시오. 반복 속에 변화가 있습니다. 그 미묘한 변화를 터득하십시오. ===
=== 가끔씩 소프트웨어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주의를 기울일 필요도 있습니다. ===
=== 요긴한 한 줄의 코드가 허황된 말이나 장황한 이론보다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
=== 다양한 요소 기술을 마스터하십시오. ===
=== 문제 의식을 가지십시오. ===
=== 자신이 사용하는 개발툴에 대한 전체적인 시야를 획득하도록 하십시오. 종종 예시적 사고(Predictive Thinking)가 도움이 될 때도 있습니다. ===
=== 단순성(Simplicity)을 최대한 활용하십시오. ===
=== 프로그래밍 그리고 프로젝트에서 즐거움을 찾으십시오. ===
=== 다른 프로그래머들과의 교류를 이루어가면서 개발문화와의 흐름 및 휴먼네트워크와의 동시성을 유지하십시오. ===
=== 업무와 관련하여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십시오. ===
=== 팀웍을 유지하십시오. ===
=== 소프트웨어 장인정신을 본받으십시오. ===
=== 자신의 일에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십시오. 그리고 일에 몰입하십시오. 그 속에서 자유를 찾으십시오. ===
=== 연속적이고 지속적으로 일을 하십시오. 그리고 규칙적으로 일하십시오. ===
=== 요소 기술을 익혀 하나의 완성된 제품을 만들어 내도록 하십시오. ===
=== 코드 가독능력과 작성능력을 향상시키십시오. ===
=== 어느 정도 실력이 향상되면 SQL과 데이터베이스 활용에 대해서 공부를 하십시오. ===
=== 남에게 가르침으로써 알고 있는 지식을 더 새롭게 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 기회를 얻으십시오. ===
=== 선임 개발자와 동료 개발자 그리고 후배 개발자의 진지한 모습과 개발에 몰입하는 자세를 배우도록 하십시오. ===
=== 변화에 적응하십시오. ===
=== 전산을 전공하지 않았다고 반드시 마이너스 요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디자인패턴, 리팩토링 등의 최신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에도 관심을 가지십시오. ===
=== 어느 정도 개발툴 실력이 확고하게 되면 영어, 경영지식 및 다양한 학문에 관심을 가지십시오. ===
=== 항상 자신을 성찰하고 반성하며 끝임 없이 배우도록 노력하십시오. ===
== Chapter 3.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방법론의 이해 ==
=== 필자가 익스트림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게 된 배경 ===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과 증험적 프로그래밍 사고 ===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의 4대 가치와 10대 practice ===
=== 협력(協力)프로그래밍과 지식공유 그리고 익스트림 프로그래밍의 4대 가치에 관한 생각 ===
=== 필자가 생각하는 Test First Programming 개념과 Prototype 개념의 결합 방법론 - 변형 TFP ===
=== 통합된 시각(Unfied Perspective) ===
=== 점진적 개발(Incremental development) ===
=== 기민형 소프트웨어 개발 생태계(Agile Software development EcoSystem) ===
=== WorkFlow와 문제공간/해법공간 ===
=== 단순설계(SimpleDesign)에 대한 생각 ===
===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과 업무 분석에 관한 해석 ===
=== 실무적 소프트웨어 공학의 새로 패러다임 - 정형화(Formalization) ===
=== 경영자이자 기술자로서의 궁극적 조화의 길 ===
=== 프로그래머와 완벽주의 [260] ===
== Chapter 4. 디자인패턴에 대한 소론(小論) ==
=== 디자인패턴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
=== 디자인패턴에 대한 생각 ===
=== 디자인패턴 공부 방법 ===
=== 필자가 디자인패턴을 좋아하는 이유 ===
== Chapter 5. 소프트웨어 공학에 대한 철학적 고찰 ==
== Chapter 6. 스터디 모임과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소고(小考) ==
== Chapter 7. 인생 수행의 방편으로서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개인적 소고 ==
== Chapter 8. 무의식적 정형화(Unconscious Formalization) ==
== Chapter 9. 프로그래머를 위한 내공 증득 ==
== 부록. [샘플소설] 철학하는 프로그래머 ==
MediaWiki:Clearwatchlist
2504
6059
2006-09-28T16:50:04Z
아흔
9
retransl.
주시 문서들 해제
MediaWiki:Editinginterface
2507
6106
2006-10-23T07:32:48Z
아흔
9
rev.
'''주의''': 이 페이지는 미디어위키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그릇된 편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유 편집에서 제외되어 있습니다.
MediaWiki:Group-bot-member
2515
6121
2006-10-23T07:45:56Z
아흔
9
rev.
로봇(bot)
MediaWiki:Group-bureaucrat
2516
6119
2006-10-23T07:45:08Z
아흔
9
rev.
사무 관리자(bureaucrat)
MediaWiki:Group-bureaucrat-member
2517
6120
2006-10-23T07:45:27Z
아흔
9
rev.
사무 관리자(bureaucrat)
MediaWiki:Group-steward
2518
6122
2006-10-23T07:46:37Z
아흔
9
rev.
스튜어드(Stewards)
MediaWiki:Group-steward-member
2519
6123
2006-10-23T07:47:12Z
아흔
9
transl.
스튜어드(steward)
MediaWiki:Group-sysop
2520
6124
2006-10-23T07:47:41Z
아흔
9
rev.
일반 관리자(admin)
MediaWiki:Group-sysop-member
2521
6125
2006-10-23T07:48:00Z
아흔
9
rev.
일반 관리자(admin)
MediaWiki:Grouppage-bot
2522
6126
2006-10-23T07:48:27Z
아흔
9
rev.
Project:로봇
MediaWiki:Grouppage-bureaucrat
2523
6127
2006-10-23T07:48:55Z
아흔
9
rev.
Project:관리자
MediaWiki:Noexactmatch
2549
5661
2006-07-13T07:17:13Z
아흔
9
clear, because odd explanation
MediaWiki:Nouserspecified
2550
5662
2006-07-13T07:18:19Z
아흔
9
transl.
사용자 이름을 쓰지 않았습니다.
MediaWiki:Nstab-project
2551
5663
2006-07-13T07:19:04Z
아흔
9
transl.
{{ns:4}}
MediaWiki:Perfcachedts
2553
5665
2006-07-13T07:21:29Z
아흔
9
rev.
다음의 자료는 $1에 담긴 캐시에서 뽑은 것입니다.
MediaWiki:Projectpage
2556
5667
2006-07-13T07:23:49Z
아흔
9
rev.
{{SITENAME}}
MediaWiki:Protectedinterface
2557
6393
2006-12-11T15:26:32Z
아흔
9
retranslation
이 문서는 소프트웨어와 관계하고 있으므로 자유 편집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MediaWiki:Sp-newimages-showfrom
2568
6096
2006-10-23T07:26:38Z
아흔
9
rev.
'$1' 이래로 새로 올린 그림들
MediaWiki:Uncategorizedimages
2573
6077
2006-09-28T17:06:41Z
아흔
9
retransl.
카테고리가 붙지 않은 그림들
MediaWiki:Undeletedfiles
2575
6559
2007-01-03T16:01:42Z
아흔
9
rev.
파일 '$1'을(를) 되살렸습니다.
MediaWiki:Undeletedpage
2576
6560
2007-01-03T16:03:03Z
아흔
9
rev.
'''$1을(를) 되살렸습니다.'''
[[Special:Log/delete|삭제 일지]]에서 최근에 되살린 파일의 기록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MediaWiki:Undeletedrevisions-files
2577
6562
2007-01-03T16:05:14Z
아흔
9
rev.
버전 '$1'개와 파일 '$2'개를 되살렸습니다.
MediaWiki:Unusedtemplateswlh
2581
6357
2006-11-22T16:19:25Z
아흔
9
rev.
이 밖의 링크
MediaWiki:Watchlistcount
2588
6076
2006-09-28T17:05:11Z
아흔
9
rev.
주시 문서들은 딸린 토론 페이지를 포함하여 모두 '''$1''' 개입니다.
MediaWiki:Watchlistfor
2589
6075
2006-09-28T17:04:31Z
아흔
9
rev.
('''$1'''의 주시 문서들)
MediaWiki:Searchsubtitle
2593
5669
2006-07-13T07:26:54Z
아흔
9
rev.
찾는 말 '[[:$1]]'
MediaWiki:Searchsubtitleinvalid
2594
5670
2006-07-13T07:27:20Z
아흔
9
rev.
찾는 말 '$1'
MediaWiki:1movedto2 redir
2595
5671
2006-07-13T07:33:04Z
아흔
9
transl.
넘겨줌: $1 → $2
일본어 입문
2599
6365
2006-12-04T11:22:04Z
Crinje
99
이 일본어 입문 강좌는 완벽한 것이 아닙니다. 사소한 것들은 많이 빠져 있을 수 있습니다.
일본어의 뼈대를 잡아주고, 개괄적인 것을 배워 나갈 수 있는 입문, 가이드에 지나지 않습니다.
일본어 입문 목차
# [[일본어 입문/글자와 발음 | 글자와 발음]]
# [[일본어 입문/기초 인사말 | 기초 인사말]]
# [[일본어 입문/기초문형1 | 기초문형: -는 -다]]
# [[일본어 입문/지시사 | 기초 지시사]]
# [[일본어 입문/카타카나 연습 | 카타카나 연습]]
# [[일본어 입문/소유대명사와 문장연결1 | 소유대명사와 문장연결1]]
# [[일본어 입문/기초문형2 | 기초문형: 명사의 부정]]
# [[일본어 입문/인체 | 인체의 명칭]]
# [[일본어 입문/기초문형3 | 형용사]]
# [[일본어 입문/기초숫자 | 기초숫자]]
# [[일본어 입문/기초문형4 | 형용동사]]
# [[일본어 입문/불규칙 동사 | 불규칙 동사]]
# [[일본어 입문/1단 동사 | 1단 동사]]
# [[일본어 입문/5단 동사 | 5단 동사]]
# [[일본어 입문/요일과 달표현 | 요일과 달]]
# [[일본어 입문/동사의 연결형 | 동사의 연결형]]
# [[일본어 입문/과거형 | 각종 과거형]]
일본어 입문/글자와 발음
2600
6476
2007-01-01T12:27:20Z
Theoteryi
135
/* 한국어의 ㅈ,ㅊ와 일본어가 다르다 */
== 개요 ==
일본 글자는 크게 히라가나(ひらがな/平仮名)와 카타카나(カタカナ/片仮名)로 나뉜다. 두 문자는 동일한 발음 체계를 갖고 있으며, 용도가 나뉘어서 히라가나는 일반적인 일본어의 문장과 단어를 적을 때 쓰며, 카타카나는 외래어를 표기할 때에 많이 쓰인다. 하지만, 꼭 어떻게 써야 한다는 법칙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 [http://ko.wikipedia.org/wiki/%ED%9E%88%EB%9D%BC%EA%B0%80%EB%82%98 히라가나에 대한 자세한 설명]
* [http://ko.wikipedia.org/wiki/%EA%B0%80%ED%83%80%EC%B9%B4%EB%82%98 카타카나에 대한 자세한 설명]
일상적인 일본어 문장에서 사용되는 문자 종류로는
# 히라가나
# 카타카나
# 한자
# 로마자 (알파벳)
# 아라비아 숫자
등이 있다.
== 문자의 분류 ==
문자의 분류상으로 볼 때 일본어 가나(히라가나와 카타카나를 합쳐서 부르는 말)는 표음문자에 속하지만 영어 알파벳이나 한글과는 또 다른 표음문자의 특성을 갖고 있다.
문자를 크게 분류하면 한자와 같이 뜻을 나타내는 표의문자(表意文字)가 있고 소리를 나타내는 표음문자(表音文字)가 있다. 한자나 고대 이집트 상형문자와 같은 표의문자는 소리보다는 뜻을 중점적으로 생각하기에 學校라는 글자가 한/중/일이 모두 소리는 다르지만 의미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표의문자는 인간이 갖고 있는 무한한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서 글자가 무척 많으며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고, 배우기가 어렵다. 언어를 배우는 것과 문자를 배우는 것이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어 버린다. 그러한 이유로 이집트 상형문자가 표음문자로 변하게 된 것 같다.
소리를 나타내는 표의문자는 크게 두 가지로 다시 나뉠 수가 있는데 바로 음절문자와 음소문자다. 쉽게 이야기 해서 하나의 완성된 소리가 음절이고, 소리를 만들기 위한 성분들은 음소다. '한'은 음절이며, 여기에 쓰인 ㅎ, ㅏ, ㄴ은 음소다.
한글과 영어를 비롯한 알파벳은 음소문자로 음소들이 조합되어 음절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에 일본어는 음절문자인데 완성된 소리에 대응하는 글자들이 미리 만들어져 있다. 음절문자가 되면 글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야 하거나 (쉽게 생각해서 완성형 한글 코드는 매우 많은 완성된 글자들이 있어야 한다) 아니면 해당 언어나 문자에서 나타낼 수 있는 소리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어야 한다.
일본어의 경우는 두 번째를 채택해서 일본어에는 발음이 매우 적다. 이러한 단점을 조금이라도 보완하고자 일본어는 음소문자의 특성이 약간 추가되었다. 그 것은 뒤에 나올 요음(경우에 따라서는 촉음도 포함)이다.
== 50음도 ==
일본어에서는 50음도라는 문자표가 존재한다. 히라가나와 카타카나에 대한 50음도를 보자.
{|border=1 cellpadding=3 width=400 align=center
|-
|+ 히라가나, 카타카나 문자표
|-
| || a || i || u || e || o
|-
| a || あア || いイ || うウ || えェ || おォ
|-
| k || かカ || きキ || くク || けケ || こコ
|-
| s || さサ || しシ || すス || せセ || そソ
|-
| t || たタ || ちチ || つツ || てテ || とト
|-
| n || なナ || にニ || ぬヌ || ねネ || のノ
|-
| h || はハ || ひヒ || ふフ || へヘ || ほホ
|-
| m || まマ || みミ || むム || めメ || もモ
|-
| y || やヤ || || ゆユ || || よヨ
|-
| r || らラ || りリ || るル || れレ || ろロ
|-
| w || わワ || || || (んン) || をヲ
|-
|}
'''주의할 점:'''
* ちチ는 '티'가 아니라 '치'에 해당하는 발음이 난다.
* つツ는 '트'가 아니라 '츠'에 해당하는 발음이 난다.
* んン는 We에 해당하는 발음이 아니라 아래 설명할 받침에 해당하는 소리다.
* さ행 앞에 있는 く는 모음이 사라진다. 쉽게 말해서 받침으로 변한다.
** がくせい: gakusei (가쿠세-)가 아니라 gaksei (각세-)
** たくし: takusi (타쿠시)가 아니라 taksi (탁시)
이 50음도는 위키백과사전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 [http://ko.wikipedia.org/wiki/%ED%9E%88%EB%9D%BC%EA%B0%80%EB%82%98 위키백과의 히라가나]
* [http://ko.wikipedia.org/wiki/%EA%B0%80%ED%83%80%EC%B9%B4%EB%82%98 위키백과의 카타카나]
* [http://en.wikipedia.org/wiki/Hiragana#Table_of_hiragana-r.C5.8Dmaji 영문 위키백과의 히라가나 항목에 나온 히라가나 테이블 (예쁨)]
== 탁음 ==
탁음은 무성음에 점 두개를 붙여서 유성음을 내는 것을 말한다.
# k줄에 붙여서 g소리로 바뀐다: '''がぎぐげご'''
# s줄에 붙여서 z소리로 바뀐다: '''ざじずぜぞ''' - 한국어의 'ㅈ'과는 미묘하게 다르니 주의해야 한다.
# t줄에 붙여서 d소리로 바뀐다: '''だぢづでど''' - 위의 주의에 나온 것과 같이 ぢづ는 じず와 동일한 발음이 난다.
# h줄에 붙여서 b소리로 바뀐다: '''ばびぶべぼ'''
== 반탁음 ==
반탁음은 동그라미를 붙여서 소리를 바꾼다.
* h줄에 붙여서 p소리로 바뀐다: '''ぱぴぷぺぽ'''
== 요음 ==
요음은 'i' 모음을 갖는 소리에 '''やゆよ'''를 작게 붙여서 빠르게 갸 샤와 같은 소리를 내게 하는 것이다.
* 야 예제: きゃ
* 유 예제: しゅ
* 요 예제: みゅ
* '''주의''': 작게 쓰였는지, 크게 쓰였는지 잘 확인하여야 한다. きゃく는 손님이란 뜻이지만 きやく는 기약이다.
== 촉음(っ : 작게 표기함) ==
촉음은 한글의 사잇소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고 사이시옷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ka(ga)행 앞에선 k(ㄱ에 해당), ta(da)행 앞에선 t(ㅅ에 해당), pa(ba)행 앞에선 p(ㅂ에 해당) 어말엔 [q](한국어 해당 없음.)으로 발음된다.
* べっど (be'''d'''do)
* やっぱり (ya'''p'''pari)
* ほっかいどう (ho'''k'''kaido)
== 발음(ん) ==
이 소리는 받침으로만 쓰이며, 촉음과 비슷하게 비음으로 발음되는 일종의 사잇소리이다. ka(ga)행 앞에선 ng(ㅇ에 해당), ta(da)행 앞에선 n(ㄴ에 해당), pa(ba)행 앞에선 m(ㅁ에 해당) 어말엔 [ɴ](한국어 해당 없음.)으로 발음된다.
* かんがえ: ka'''ng'''-ga-e
* がんばれ: ga'''m'''-ba-re
* かんたん: ka'''n'''-tan
== 장음 ==
=== 히라가나 ===
히라가나에서 장음은 같은 계열의 말을 붙여 주면 된다.
* かあさん: a 계열인 か 뒤에 あ가 붙어서 길게 아- 소리가 난다. 어머니란 뜻.
* e 계열의 뒤에 い가 붙으면 길게 에- 소리가 된다. せんせい
* o 계열의 뒤에 う가 붙으면 길게 오- 소리가 된다. とうさん
=== 카타카나 ===
카타카나에서는 '-'를 붙여서 장음 표시를 한다.
* ゲート: 게이트란 발음
== 더욱 자세한 외래어 표기 방법 ==
일본이 개화되고 외래 문물을 받아 들이면서 외래어도 많이 받아 들이게 되었다. 외래어의 모음은 어떤 발음이던 아이우에오의 다섯 소리에 받아들이게 되었지만, 자음에 대해서는 몇 가지 새로운 표기방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아래의 세 표기법은 히라가나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외래어 표기에 주로 쓰이는 카타카나에만 거의 전적으로 쓰인다. 이는 일본어의 원래 발음에는 없는 소리기 때문이고, 외래어에만 나타나는 소리기 때문이다.
=== 영어의 f 발음 표기 ===
영어의 f 발음은 フ에 모음 다섯 개를 작게 표시한다. f 발음은 거의 예외없이 외래어 표기에만 쓰이기 때문에 히라가나가 아니라 카타카나를 사용하게 된다. 단 fu만은 그대로 フ를 쓴다. 일본어 입력기에서는 단순히 fa, fi 등과 같이 입력하면 알아서 변환해 준다.
* fa: ファ
* fi: フィ
* fu: フ
* fe: フェ
* fo: フォ
=== 영어의 ti와 di 발음 표기 ===
위에서 본 바와 같이 티와 디가 되어야 할 발음은 구개음화와 같은 역사적 현상을 거치면서 치와 지로 바뀌게 되었다. 그래서 티와 디를 표기할 별도의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먼저 テ와 デ를 입력하고 イ를 작게 붙여 써준다. 일본어 입력기에서 입력하기 위해서는 x를 쓰고 i를 누르면 작은 모양이 나온다.
* 티: ティ (texi)
* 디: ディ (dexi)
=== 영어의 v발음 표기 ===
영어의 v 발음 표기는 아직 많이 쓰이는 것 같지는 않다. 일반적으로 그냥 ハ행에 탁음을 붙인 バ행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v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고 싶은 경우에는 f 발음 표기와 비슷하게 하지만 フ 대신에 ウ에 탁음을 붙인 ヴ를 쓰고 모음을 작게 붙인다. 일본어 입력기에서는 단지 va, vi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 va: ヴァ
* vi: ヴィ
* vu: ヴ
* ve: ヴェ
* vo: ヴォ
== 기타 ==
=== 일본어에는 된소리와 거센소리의 구분이 없다 ===
그러니까, '파'와 '빠'의 구분이 없다는 것이다.
일상적으로 유럽어에서 라틴계통의 언어는 빠, 따와 같은 소리를 내고 게르만 계통의 언어는 파, 타와 같은 소리를 내는데 비해 일본어는 경우에 따라 두 소리를 모두 낸다. 다만, 일본인은 그 소리를 구분하지 못하고 같은 소리로 인식을 한다. 한국인의 경우에는 파와 빠가 구분이 있지만, 일본어 발음을 할 때에는 크게 신경쓸 것 없이 파가 편한 발음에는 파로, 빠가 편할 때는 빠로 발음을 하면 문제가 없다.
한국어를 배우는 일본인이 정말 구별하지 못하는 것 중의 하나라 '빨다'와 '팔다'로 그들의 귀에는 완전히 동일한 단 한가지 소리로 들린다고 한다.
=== 일본어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차이를 확실히 구분한다. ===
한국어의 '가, 다, 자' 등은 발음되는 위에 따라 무성음인지 유성음인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가'를 다섯 번 반복을 하면, 귀가 예민한 사람은 쉽게 알아내겠지만 첫 번째 '가'와 나머지 네 개의 '가'가 다르다는 것을 알 것이다. 첫 번째가 좀 세고 나머지가 부드럽다. 이중 전자가 무성음이고 후자가 유성음이다. 한국어에는 이런 것을 구분하지 않지만 일본어에서는 이것이 확실하다. (마치 인도유럽어족계의 언어처럼) 예를 들어 일본어의 'が'는 유성음화한 '가' 이다. 그러므로 일본 사람이 'が'를 발음하면 우리는 가로 들리지만, 우리가 'が'를 말하려 하면 일본사람은 'か'로 알아듣는 것이다.
=== 한국어의 ㅈ,ㅊ과 일본어가 다르다 ===
일본어의 ざ는 영어의 z와 비슷한 소리가 난다. 반면에 한국어의 'ㅈ'은 영어의 j와 비슷한 소리가 나기 때문에 '자'는 일본어의 じゃ와 매우 가깝게 들린다. 여기에 하나 더 추가하자면 ぞ도 한국인이 쉽게 발음하지 못하는 것 중 하나이다. ZO는 조와 같은 것이 아니냐고 할 수 있겠지만 거의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조를 죠에 비슷하게 발음하고 있다.
=== つ의 발음 ===
솔직히 말해서 일본어의 ち나 つ에 정확히 들어맞는 한글 표기는 없다. 이유는 한국어에 없는 발음이기 때문이다. 외국어 표기법에 의하면 쓰라 표기하거나 아니면 다소 진보된 표기로 츠라고 쓰기도 한다. 실제 발음은 쯔를 기본으로한 츠 같은 발음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일본어를 전혀 모르는 한국인에게는 쓰로 들리기도 하는 모양. 그래서 손톱깍이를 쓰메끼리라고 하는 것이다.
=== 일본어에는 우와 으의 구분이 없다 ===
일본어에는 으와 우의 구분이 없다. 사람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우'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으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다만 일본사람들끼리는 그러한 구분을 하지 못하고 한국 사람이 듣기에 그렇게 구분되어 들리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사람은 그저 편한 대로 우라고 하거나 으라고 하면 된다. 좀더 정확히 말해 IPA로 따지자면 [ɯ]와 ['''u''']의 사이소리이고, [ɯ]에 가까운 소리다. (이는 한국어의 '으' 소리인 [ɨ] 와곤 조금 다르다 단, わ 같은 경우에는 [ɰ] 이다. 그러니까 わ는 [ɰ '''a'''] 즉 으와 아의 연속이다.)
=== 조사의 발음 ===
* は가 '-는'이라는 뜻의 조사로 쓰이면 ha가 아니라 wa로 발음이 된다. 그 외에는 모두 ha로 발음된다.
* へ가 '-에'라는 뜻의 조사로 쓰이면 he가 아니라 e로 발음이 된다. 그 외에는 모두 he로 발음된다.
** 위의 두 경우도 예전에는 모두 ha와 he로 발음이 되었으나 발음이 편하게 변천되면서 글자는 변하지 않은 경우다. 동사 중의 '생각하지 않다'는 뜻의 おも'''わ'''ない(omo'''wa'''-nai)도 예전에는 おも'''は'''ない로 쓰고 발음도 omo'''ha'''-nai였는데, 대부분의 경우는 소리와 글자가 같이 바뀌었지만 조사의 경우만 글자는 그대로 남고 소리만 바뀌었다.
* を는 '-를'에 해당하는 목적격 조사로만 쓰이며 발음은 お와 동일한 'o'다. 다른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 글자며, 로마자 자판에서 입력할 때에는 wo를 눌러야 한다.
'''[[일본어 입문]] 목차로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기초 인사말
2601
6331
2006-11-22T15:52:28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기초 인사말 → 일본어 입문/기초 인사말: subarticle
일상적으로 쓰이는 일본어 기본 인사말에 대해 알아보자.
이 곳에 나오는 것만으로도 상당부분 일본어 인사말에 대한 준비가 끝났다고 볼 수 있다.
== 아침, 점심, 저녁 인사 ==
'''おはようございます。'''
* 아침인사로 오전 중에 만났을 경우에 사용하는 말이다.
* 뒷부분의 ございます를 빼고 앞 부분의 '''おはよう'''만을 말한다면 반말이 되어 버린다.
* 친한 남자들끼리는 '''おす'''라고만 말하는 경우도 많다.
* 뜻을 직역한다면 "일찍이십니다"가 된다.
* 그렇기 때문에 밤에 출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밤에 출근해서 처음 만날 때에 사용할 수도 있다.
'''こんにちは。'''
* 점심인사로 오후에 만났을 경우에 사용하는 말이다.
* 반말과 존대말의 구분이 없다.
* 뜻을 직역하면 "오늘은"으로 원래는 "오늘은 어떻습니까?"등이었다고 생각되지만 뒷 부분이 생략되었다.
'''こんばんは。'''
* 저녁인사로 저녁에 만났을 경우에 사용하는 말이다.
* 역시 반말과 존대말의 구분이 없다.
* 뜻을 직역하면 "오늘 밤은"으로 "오늘 밤은 어떻습니까?"등이었다고 생각되며, 뒷 부분이 생략되었다.
== 감사의 인사 ==
'''どうも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 누구나 다 아는 일본어로 감사하다는 뜻이다.
* 感謝(かんしゃ)します는 인사말로는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다.
* 앞의 どうも는 매우라는 뜻이지만, 이 것만으로 どうも만을 말해도 감사하다는 뜻이다.
* 아침인사와 같이 뒤의 ございます를 생략하면 반말이 된다.
* 뜻을 직역하면 매우 고생이 많습니다는 뜻이다.
== 첫 만남의 인사 ==
'''始(はじ)めまして。'''
* 처음 만났을 때 제일 먼저 하는 말이다.
* ''처음 뵙겠습니다'' 정도로 해석이 된다.
* 직역하면 "처음이어서" 정도가 된다.
* [http://en.wikipedia.org/wiki/Love_Generation_%28television_series%29 Love Generation]이라는 드라마를 보면 첫 회에 [http://en.wikipedia.org/wiki/Takuya_Kimura 키무라 타쿠야]와 [http://en.wikipedia.org/wiki/Takako_Matsu 마츠 타카코]가 같이 여관에서 (잠만) 자고 타카코가 다음 날 내빼는데, 그 후에 사무실에서 만나게 되자 화가 나서 눈을 부라리는 타쿠야에게 타카코는 모른 척 시치미를 뚝 떼고 "始めまして"라고 매우 쾌활하고 명랑하게 인사를 한다.
'''どうぞよろしくお願(ねが)いします。'''
* 처음 만났을 때 하는 인사말이다.
* 뜻은 "아무쪼록 잘 부탁드립니다"가 된다.
* 짧게 하면 (공손성이 떨어지지만) よろしく만으로도 인사가 되며, 잘 쓰인다.
* よろしく는 좋게, 잘이라는 뜻이다.
'''こちらこそ。'''
* 위의 답변으로 하는 말이다.
* 뜻은 "이쪽이야말로"다.
* 이렇게만 쓰이기도 하고, 뒤에 위의 말을 붙여서 こちらこそ、どうぞよろしくお願(ねが)いします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
== 사과의 인사 ==
'''すみません。'''
* 미안할 때 하는 인사말이다.
* 반말을 하고 싶을 때는 すまん이나 すまない라고 하면 된다.
* 뜻은 "안됩니다"다. 아마 (고개를 숙여 사죄하는 것으로도) 안됩니다(부족합니다)라는 뜻일 것으로 추정한다.
'''ごめんなさい。'''
* 위의 인사말 대신에 쓸 수 있는 말이다.
* なさい는 명령형이기 때문에 공손성은 위의 말보다 떨어진다.
* 줄여서 ごめん이라고만 쓰면 반말이 된다.
'''悪(わる)い。'''
* 역시 미안할 때 쓰는 표현이지만 친한 사이에서만 쓰일 수 있다.
* 원래 뜻은 "나쁘다"는 뜻으로 '내가 나쁘다'의 의미로 생각된다.
* 존대말은 없으며, 윗 사람에게 쓸 수 없다.
== 안부의 인사 ==
'''お元気(げんき)ですか。'''
* 러브레터의 명대사로 유명한 말
* 오뎅끼고 가라는 뜻은 아니다.
* 건강하고 활발한지 묻는 말이다.
* 의문형이기 때문에 답변이 와야 한다.
* 답변은 마지막의 か만 빼면 된다.
== 헤어짐의 인사 ==
'''さようなら。'''
*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말이다.
* 잠시 헤어지거나 아예 이별할 때 모두 쓸 수 있다.
* 에반게리온에서 신지가 레이에게 "''사요나라같은 슬픈 말은 하지마''"라고 했다.
* 원래 뜻은 '그렇다면'으로 고어형이 인사말로 굳어졌다.
* "그렇다면, 이제 가보겠습니다"와 같은 뒷 말이 생략되었다.
* 반말이나 존대말의 구분이 없다.
'''では、また。'''
* 사요나라의 현대어형이다.
* 반말과 존대말의 구분은 없다.
* 뒤의 また는 "또"라는 뜻이로, "그럼 또 보자"는 의미다.
* 뒤의 また를 빼고도 자주 쓰인다.
'''じゃね。'''
* では의 줄임말 모양이다.
* ね는 어미로 빼고 종종 말하기도 한다.
* 친한 사이에 많이 쓰이며 윗 사람에게 쓰지 않는다.
== 식사의 인사 ==
'''いただきます。'''
* 식사하기 전에 하는 인사말이다.
* 식사뿐만 아니라 선물등 무엇을 받을 때에도 쓰인다.
* 원래 뜻은 "받겠습니다"가 된다.
'''ごちそうさま。'''
* 식사후 하는 인사말이다.
* さま는 사람에게 붙이는 말이지만, 이렇게 사물에도 붙일 수 있으며, 극존칭이다.
* さま대신에 さん을 써도 된다.
* ごちそう의 원래 뜻은 "엄청 달렸다"는 뜻인데, 음식을 준비하기 위해 여기저기 뛰어다니며 고생을 해서 요리했다는 의미다.
* ごちそう는 맛있는 음식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 권유하는 말 ==
'''どうぞ'''
* 원래 의미는 영어의 please에 해당한다.
* 무엇을 권유할 때 무조건 쓰인다.
* 뒤에 실제 내용을 말해도 되지만, 보통 이 말만 한다.
* 상황에 따라서 어떤 내용이든 될 수 있다.
** 앉으세요
** 들어오세요
** 어서 드세요
** 사양말고 받으세요 등등...
'''[[일본어 입문]] 목차로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기초문형1
2602
6543
2007-01-03T09:52:43Z
221.139.245.188
/* 소유 표현 */ 난감해 지게 되는 -> 난감해지는
== 기본 문형: -입니다(존대말) ==
* 空(そら)'''です'''。
* 本(ほん)'''です'''。
* 海(うみ)'''です'''。
일본어의 기본문형으로 명사를 나타내는 현재형은 '''です'''로, 존대말이다. 이는 한국어의 ''-입니다''로 번역되면 거의 정확하다. 여러가지 단어를 갖고 연습해 보자.
단순히 명사 뒤에 '''です'''만 붙이면 모두 끝이다.
== 기본 문형: -다(반말) ==
* 空'''だ'''。
* 本'''だ'''。
* 海'''だ'''。
위에 나온 です와 문법적인 성향은 모두 같지만, 존대말이 아니라 반말일 경우에는 한국어와 동일하게 '''だ'''를 사용한다. 단순히 명사 뒤에 '''だ'''만 붙이면 모두 끝난다.
다만, 한국어와 다른 점은 한국어는 명사 마지막 음절의 받침 유무에 따라 ''-다/이다''가 선택적으로 쓰이지만, 일본어는 그러한 구분 없이 '''だ'''가 늘 쓰인다는 점이다.
== 조사의 종류 ==
=== は ===
* 私(わたし)'''は'''韓国人(かんこくじん)です。
* 나는 한국인입니다.
'''は'''는 한국어의 ''-은/는''에 해당하는 말이다. 자세하게 보면 ''-은/는''과 미묘하게 다른 점에 나타나지만, 초중급에서는 무시하고 ''-은/는''과 같다고 생각하면 99% 이상 정확하다.
だ와 마찬가지로 ''-은/는''의 구별이 없고 '''は''' 한가지로만 쓰인다.
* 주의: 조사로 쓰일 때만은 발음은 ha가 아니라 wa다.
=== が ===
* 私'''が'''韓国人です。
* 내가 한국인입니다.
'''が'''는 한국어의 ''-이/가''에 해당한다. 역시 미묘한 차이가 존재하지만 초중급에서는 무시하고 ''-이/가''와 같다고 보면 된다. 일본어로 반말을 해서 ''-が-だ''를 사용하면, ''-가-다''의 한국어와 발음과 의미에서 완전히 같아져 버린다.
역시 ''-이/가''의 구별 없이 '''が''' 한가지로만 쓰인다.
=== も ===
* 私'''も'''韓国人です。
* 나도 한국인입니다.
'''も'''는 한국어의 ''-도''에 해당한다. 주격으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목적격으로도 쓰인다.
목적격으로 쓰이는 예제는 나중에 목적격을 다룰 때 같이 보여줄 것이다.
== 기본문형: -입니까? ==
* テレビ'''ですか'''。
* デスク'''ですか'''。
* ワープロ'''ですか'''。
일본어의 의문문은 です뒤에 단순히 '''か'''를 붙이는 형태로 의문 어미가 한국어와 동일하다. 다만 한국어는 끝의 ''다''가 사라지고 ''까''가 붙는데 비해 일본어는 사라지는 것 없이 '''か'''가 붙는다.
== 기본문형: -냐? ==
* テレビ'''か'''。
* デスク'''か'''。
* ワープロ'''か'''。
일본어 반말의 의문문은 だ를 없애고 대신에 '''か'''를 붙인다.
=== 일본어 마침 문장부호 ===
* 일단 알아둘 것이 일본어는 세로쓰기가 원칙이다. 많은 경우 한글과 같이 가로쓰기를 사용하지만 아직도 공문서는 세로쓰기가 원칙이며, 한국에 비해서 말할 수도 없을 만큼 세로쓰기가 다양하고 많이 사용된다.
* 마침표는 한국에서는 단순히 점('''.''')을 찍는 데 비해 일본어에서는 동그라미('''。''')를 붙인다.
* 일본어에서는 물음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물론 일상생활에서는 많이 쓰이지만, 조금이라도 격식이 있는 문장이나 문서라면 물음표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마침표를 사용한다.
* 일본어는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고 낫표를 사용한다. '''「'''내용'''」''' 이는 세로쓰기 때문이다. 가로쓰기를 하는 일상 문장에서는 따옴표를 물론 사용한다.
* 일본어에는 띄어쓰기가 없다. 모든 글자를 붙여 쓴다. 그러나 한자나 카타카나를 주요 단어에 많이 사용하고 히라가나로 문법적인 단어(예를 들면 조사)를 적기 때문에 띄어쓰기가 없어도 그다지 불편함 없이 읽고 이해할 수 있다.
== 소유 표현 ==
* 韓国'''の'''ソウルです。
* 山(やま)'''の'''木(き)です。
일본어의 소유의 표현은 다 아는 바와 같이 '''の'''를 사용한다. ''A'''の'''B''는 ''A의 B''라는 의미가 된다.
한국어에서는 ''-의''를 반복해 쓰는 것은 나쁜 문장이지만 일본어에서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の'''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이 아무런 제약이 없고, 자연스런 문장이다. 그래서 '''の'''가 연속적으로 쓰인 일본어 문장을 이해하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한국어로 옮겨서 번역하려고 하면 난감해지는 경우가 많다.
== 새로운 단어 ==
=== 위에 나온 단어 ===
* 空(そら) 하늘
* 本(ほん) 책
* 海(うみ) 바다
* 私(わたし) 나 - 1인칭 단수
* 韓国人(かんこくじん) 한국인
* 韓国(かんこく) 한국
* テレビ 텔레비젼
* デスク 데스크
* ワープロ 워드프로세서
* ソウル 서울
* 山(やま) 산
* 木(き) 나무
=== 학습할 단어 ===
위에서 배운 문형에 아래에 나올 단어를 대입하여 연습하자
* あなた 당신 - 2인칭 단수
* 中国人(ちゅうごくじん) 중국인
* 中国(ちゅうごく) 중국
* 日本人(にほんじん) 일본인
* 日本(にほん) 일본 - ニッポン이라고도 읽는다
* 鈴木(すずき) 일본인의 성
* 木村(きむら) 일본인의 성
* 今井(いまい) 일본인의 성
* 中村(なかむら) 일본인의 성
* 会社員(かいしゃいん) 회사원
* みなさん 여러분, 모든 사람
* コンピューター 컴퓨터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MediaWiki:Categorypage
2615
6112
2006-10-23T07:38:18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 페이지 보기
MediaWiki:Searchbutton
2654
6354
2006-11-22T16:16:02Z
아흔
9
rev.
훑기
일본어 입문/카타카나 연습
2674
6606
2007-01-04T02:01:27Z
122.47.99.152
오늘은 카타카나 연습을 해 보자. 카타카나는 주로 외래어에 많이 쓰인다는 것을 염두해 두자.
* シンク・フリー
** 씽크프리: Thinkfree 필자가 현재 일하고 있는 회사 이름이다. [http://www.thinkfree.com http://www.thinkfree.com]
** 카타카나로 외래어를 적을 때, 일본어는 띄어 쓰기가 없기 때문에 두 단어로 된 것은 중간점을 찍어서 구분해 준다.
* マイクロ・ソフト
**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 ソフトウェアー
** software (소프트웨어)
* ワープロ
** 워드프로세서 (Word Processor)
** ワード・プロセッサー가 원래 말이지만 두 단어의 각 첫 부분만 따서 이렇게 쓴다.
* マクドナルド
** 맥도널드: McDonald
** 가장 유명한 일본어 외래어일지도 모르겠다. 마꾸도나루도 -_-;;
* コーヒー
** 커피: coffee
* コピー
** 복사: copy
* ピアノ
** 피아노: piano
* ビール
** 맥주: beer
* ビル
** 건물: building
** ビルディング가 원래 말이지만, 앞의 두 글자만 따서 이렇게 줄여 부른다.
** 일본어는 한국어와 달리 장음이 확실하다. 장음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맥주가 건물로 돌변하는 수가 있다.
* ナット
** 너트: nut 땅콩도 될 수 있고, 볼트 너트의 너트가 될 수도 있다. 다만, 땅콩등의 너트는 ナッツ로 쓰는 경우가 많다.
* メッセンジャー
** 메신저: messenger
** 요 사이에 MSN 등의 메신저 덕분에 갑자기 많이 쓰이는 말이 되었다.
* オーライ
** 오라이: all right
** 매우 유명한 일본어 가운데 1위를 차지할지도 모른다. 차가 후진할 때 봐주는 사람이 필수로 해야 하는 말.
** 이 말과 맥도널드를 보면 일본어 음운 체계의 우수성을 짐작할 수 있다.
* パネル
** 패널: panel
* テキスト
** 텍스트: text
** '''테크스토'''가 아니라 '''테키스토'''임을 주의해야 한다.
* キリスト
** 그리스도: Christ
** 역시 '''크리스토'''가 아니라 '''키리스토'''임을 주의해야 한다.
* パソコン
** 퍼스널 컴퓨터: Personal computer
** パソナル・コンピューター를 줄여서 이렇게 부른다.
* コンピューター
** 컴퓨터: computer
* イギリス
** 영국: Engliand. 아마도 English에서 온 말인 듯 하다.
* アメリカ
** 미국: America
* フランス
** 프랑스: France
* ドイツ
** 독일: Germany
* スペイン
** 스페인: Spain
* ランド
** 랜드: Land. 디즈니랜드, 등등에 많이 쓰인다.
* ファンド
** 펀드: Fund.
** 얼마전에 무라카미 펀드가 뉴스에 정말 자주 등장했었다.
* ファーム
** 농장: Farm
** 일본의 큐슈섬의 쿠마모토현에 아소에 가보면 아소 팜랜드가 있다. 가보면 후회는 하지 않을 듯...
* ウェブ
** 웹: Web
* インターネット
** 인터넷: internet
* マッカーサー
** 맥아더: MacArthur
** 일본어 발음의 지존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 단어를 처음 봤을 때 도저히 맥아더라고 상상도 못했다.
* ベース
** 베이스: base
** 영어를 번역한 문장에서 based on...을 그대로 -에 베이스한...으로 옮겨서 많이 볼 수 있는 단어다. 특히 프레스 릴리즈 번역에 많이 나온다.
* コント-ロルパンネル
** 콘트로루 판네루:컨트롤판넬-> 제어판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소유대명사와 문장연결1
2675
6337
2006-11-22T15:54:11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소유대명사와 문장연결1 → 일본어 입문/소유대명사와 문장연결1: subarticle
== 소유대명사 ==
앞서 간단하게 언급을 한 듯 하지만, 일본어의 소유대명사는 매우 간단하다. 바로 の를 사용하면 된다.
=== の의 소유 관계 표시 ===
* AのB
** A의 B로 해석되며 A가 B를 소유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私'''の'''本: 나'''의''' 책
** あなた'''の'''傘(かさ): 당신'''의''' 우산
** 先生'''の'''ペン: 선생님'''의''' 펜
** 学生'''の'''かばん: 학생'''의''' 가방
=== の의 소유 대명사 ===
* の가 소유대명사로 쓰일 때는 뒤에 나올 B가 생략된다.
* Aの
** A의 것으로 해석이 되며, の는 이 세상의 무엇이든 다 받을 수 있다.
** 私'''の'''です: 내 '''것''' 입니다
** あなた'''の'''です: 당신 '''것''' 입니다.
** 学生'''の'''です: 학생'''의 것''' 입니다.
** そのノートブックは'''ひとみさんの'''です: 그 노트북은 '''히토미씨의 것'''입니다
** この靴(くつ)は'''彼氏(かれし)の'''です: 이 신발은 '''남자친구의 것'''입니다
** あの歌(うた)は'''酒井(さかい)法子(のりこ)さんの'''です: 저 노래는 '''사카이 노리코씨의 것'''입니다
* 彼氏(かれし)
** かれし는 남자친구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 ボーイ・フレンド라고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일상용어로는 かれし가 사용된다.
** 여자친구를 나타낼 때에는 그냥 '''彼女(かのじょ)'''라고 한다.
** かのじょ는 그녀(she)라는 인칭 대명사가 원래의 쓰임새다.
** '''그(he)'''라는 인칭 대명사를 나타내려면 '''彼(かれ)'''라고만 쓴다.
* 酒井(さかい)法子(のりこ)
** 일본의 (예전의) 가수 겸 배우로 매우 인기를 많이 누렸다.
** 화보집도 많이 나와 있다.
** 정말 많이 유명하다. 필자가 예전에 한참 좋아했었다.
** [http://en.wikipedia.org/wiki/Noriko_Sakai 영문 위키 백과의 사카이 노리코 페이지]
** [http://ja.wikipedia.org/wiki/%E9%85%92%E4%BA%95%E6%B3%95%E5%AD%90 일문 위키 백과의 사카이 노리코 페이지]
== 문장의 연결1 ==
이번 시간에는 명사로만 이루어진 문장의 연결, 또는 명사의 나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 명사의 나열 ===
명사를 나열하기 위해서는 명사 뒤에 と를 붙여주면 된다.
* かばん'''と'''本'''と'''ペンです
** 가방'''과''' 책'''과''' 펜입니다.
=== 문장의 연결 ===
문장의 연결은
# 두 개의 개별 문장에서, 앞 문장의 마침표를 떼어내고
# 앞 문장을 끝내는 말인 だ, です, か, ですか등을 없애고
# 그 자리에 で와 쉼표(、)를 붙인 뒤에
# 뒷 문장을 그대로 이어주면 된다.
* 私は先生です。: 나는 선생님입니다.
* あなたは学生です。: 당신은 학생입니다.
** 私はせんせい'''で、'''あなたは学生です。: 나는 선생님'''이고,''' 당신은 학생입니다.
* 中村(なかむら)さんはばかです。: 나카무라씨는 바봅니다.
* 村上(むらかみ)さんは天才(てんさい)です。: 무라카미씨는 천잽니다.
** 中村さんはばか'''で、'''村上さんは天才です。: 나카무라씨는 바보'''고,''' 무라카미씨는 천잽니다.
* 上原(うえはら)さんは高校生(こうこうせい)です。: 우에하라씨는 고딩입니다.
* 山口(やまぐち)さんは大学生(だいがくせい)です。: 야마구치씨는 대딩입니다.
** 上原さんは高校生'''で、'''山口さんは大学生です。: 우에하라씨는 고딩'''이고,''' 야마구치씨는 대딩입니다.
* これはボールペンです。: 이 것은 볼펜입니다.
* それは机(つくえ)です。: 그 것은 책상입니다.
** これはボールペン'''で、'''それは机です。: 이 것은 볼펜'''이고,''' 그 것은 책상입니다.
* ここは店(みせ)です。: 여기는 상점입니다.
* そこは学校(がっこう)です。: 거기는 학굡니다.
** ここは店'''で、'''そこは学校です。: 여기는 상점'''이고,''' 거기는 학굡니다.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기초문형2
2676
6321
2006-11-22T15:48:27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기초문형2 → 일본어 입문/기초문형2: subarticle
지난 번에는 [[일본어 입문:기초문형1 | 명사를 갖고 만드는 기초 문형]]을 배웠다. 이번에는 두 번째 기초 문형으로 명사를 갖고 만드는 부정문에 대해 배워보자.
== 기초문형 복습 ==
=== 서술 반말: だ ===
* 서술형 반말은 명사 뒤에 だ를 붙이면 된다.
* これはケータイ'''だ'''。
** 이 것은 핸드폰'''이다'''.
=== 서술 존대말: です ===
* 서술 존대말은 명사 뒤에 です를 붙이면 된다.
* ここは大阪おおさか'''です'''。
** 여기는 오사카'''입니다'''.
** 오사카는 동경을 이어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일본에서 유일하게 코리아 타운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 [http://en.wikipedia.org/wiki/Osaka 영문 위키 백과의 오사카 페이지]
** [http://ja.wikipedia.org/wiki/%E5%A4%A7%E9%98%AA%E5%B8%82 일문 위키 백과의 오사카 페이지]
** [http://ko.wikipedia.org/wiki/%EC%98%A4%EC%82%AC%EC%B9%B4_%EC%8B%9C 한글 위키 백과의 오사카 페이지]
=== 의문 반말: か ===
* 의문 반말은 서술 반말 문장에서 だ를 지우고 か를 붙이면 된다.
* 일본어 의문문에서는 물음표 문장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억양은 끝 부분을 올려 읽어야 한다.
* 本当(ほんとう)にそう'''か'''。
** 정말로 그'''래'''?
=== 의문 존대말: ですか ===
* 의문 존대말은 서술 존대말인 です뒤에 그대로 か를 붙여서 ですか로 만들면 된다.
* デパートはどこ'''ですか'''。
** 백화점은 어디'''입니까'''?
== 기초문형2: 부정문 ==
=== 부정 서술 반말 ===
부정 서술 반말을 만들 때에는
# 명사 뒤의 だ를 지운다.
# 조사 では를 붙인다. 또는 では의 줄임말인 じゃ를 써도 된다.
# 부정사 ない를 붙인다.
* 결국 だ대신에 '''ではない''' 혹은 '''じゃない'''를 사용하면 된다.
* では나 じゃ가 없거나 일반 조사인 は, が, も가 사용되면 ない는 부정의 의미가 아니라 원래의 의미인 '없다'로 사용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 私は学生'''ではない'''。
** 나는 학생'''이 아니야'''.
* 私は学生'''じゃない'''。
** 나는 학생'''이 아니야'''.
* かばん'''ではない'''。
** 가방'''이 아니야'''.
* かばん'''はない'''。
** 가방'''은 없어'''.
=== 부정 의문 반말 ===
* 부정 의문 반말은 부정 서술 반말에 단순히 か만 붙이면 된다.
* 요약해서 ではないか 또는 じゃないか를 명사 뒤에 붙이면 된다.
* 私は会社員(かいしゃいん)'''じゃないか'''。
** 나는 회사원'''이 아니냐'''?
* 君(きみ)は学生'''じゃないか'''。
** 자네는 학생'''이 아니냐'''?
* これは窓(まど)'''ではないか'''。
** 이것은 창문'''이 아니냐'''?
=== 부정 서술 존대말1 ===
* 부정 서술 존대말을 만드는 첫 번째 방법은 부정 서술 반말에 です만을 붙이는 것이다.
* 결국 ではないです 또는 じゃないです가 된다.
* 私は学生'''ではないです'''。
** 나는 학생'''이 아닙니다'''.
* これはゴミ箱(ばこ)'''じゃないです'''。
** 이것은 쓰레기통'''이 아닙니다'''.
=== 부정 서술 존대말2 ===
* 부정 서술 존대말2를 만드는 방법은
* 부정 서술 준대말1에서 ないです를 없애고 ありません을 붙이면 된다.
* 모양은 ではありません 또는 じゃありません이 된다.
* 부정 서술 존대말1과 2 모두 존대말이지만, 두 번째 표현이 좀 더 공손한 모습이 된다.
* あれは車(くるま)'''ではありません'''。
** 저것은 자동차'''가 아닙니다'''.
* 人間(にんげん)は機械(きかい)'''じゃありません'''。
** 인간은 기계'''가 아닙니다'''.
=== 부정 의문 존대말1 ===
* 부정 의문 존대말1은 부정 서술 존대말1에 단순히 か를 붙이면 된다.
* 모양은 ではないですか 혹은 じゃないですか가 된다.
* 私は会社員'''ではないですか'''。
** 나는 회사원'''이 아닙니까'''?
* これは飛行機(ひこうき)'''じゃないですか'''。
** 이것은 비행기'''가 아닙니까'''?
=== 부정 의문 존대말2 ===
* 부정 의문 존대말2는 부정 서술 준대말2에 그냥 か만 붙이면 된다.
* 모양은 ではありませんか 또는 じゃありませんか가 된다.
* これは宇多田(うただ)ヒカルの歌(うた)'''ではありませんか'''。
** 우타다 히카루의 노래'''가 아닙니까'''?
* 豚(とん)カツ'''じゃありませんか'''。
** 돈까스'''가 아닙니까'''?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인체
2678
6339
2006-11-22T15:54:45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인체 → 일본어 입문/인체: subarticle
== 인체의 각 부위를 나타내는 말 ==
이번 시간에는 인체의 명칭에 대해서 배워보자.
적당한 그림을 못 찾아서 영문 위키에서 Human body로 찾았는데, 겸사겸사해서 영어 공부까지 같이 해보자. :-)
[[그림:Human_body_features.jpg|700px]]
* '''머리''': 頭(あたま)
** '''머리카락''': 髪(かみ)
*** 일본어로 かみ라고 하면, 신(god), 종이, 머리카락등의 의미를 갖게 된다.
* '''얼굴''': 顔(かお)
** 웃는 얼굴은 笑顔(えがお), 옆 얼굴은 横顔(よこがお)라고 한다.
** '''눈''': 目(め)
*** 사람과 동물의 눈도 가르치키만, 식물의 싹/눈도 이 말을 쓴다.
** '''눈동자''': 瞳(ひとみ)
*** 일본 여자 이름으로도 많이 쓰인다.
** '''귀''': 耳(みみ)
** '''코''': 鼻(はな)
** '''입''': 口(くち)
** '''입술''': 唇(くちびる)
** '''이''': 歯(は)
* '''목''': 首(くび)
** '''목구멍''': のど
** '''목덜미''': 襟足(えりあし)
*** 전통적인 일본 미인의 절대적인 기준이 바로 이 부분이다.
* '''가슴''': 胸(むね)
** 여성의 가슴을 가리키는 저속한 말을 스스로 알아 보길 -_-
** '''팔''': 腕(うで)
*** 품이라는 뜻으로도 종종 쓰인다.
** '''팔꿈치''': ひじ
** '''손''': 手(て)
** '''손바닥''': 掌(てのひら)
** '''손가락''': 指(ゆび)
* '''배''': 腹(はら・おなか)
* '''성기''': 남여성의 성기를 가리키는 저속한 말은 스스로 찾아 보길-_-;; 단, 알게 되더라고 이 말을 쓰면 즉각 왕변태로 몰리게 되므로 알기만 하고 절대 입밖에 내서는 안되는 말이다.
* '''엉덩이''': お尻(おしり)
** 이 단어도 상당히 위험한 단어로 가급적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 단어로도 변태로 몰리기 쉽다.
* '''다리/발''': 足(あし)
** 일본어에는 다리와 발의 구분이 없다.
** '''무릎''': 膝(ひざ)
** '''발목''': 足首(あしくび)
*** 발이 あし라고 했다. 목은 くび. 발+목을 그대로 직역해도 あしくび가 나온다. -_-
** '''발가락''': 足の指(あしのゆび)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틀:차례
2680
edit=sysop:move=sysop
6619
2007-01-04T14:29:13Z
아흔
9
rev.
{| width="100%" valign="top" cellpadding="10" cellspacing="10" style="border:1px solid #C2D16E; border-bottom:2px solid #878E3C; border-right:2px solid #878E3C; background-color:#FFFFFF; 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
| [[Image:Viceroy Butterfly.jpg|100px]]</br>위키책 Wikibooks
<hr width="20%"/>
<font size=4>차 례</font>
<hr width="20%"/>
{| cellpadding="4" width=80%
{{{문단}}}
|}
|}
<noinclude>
<pre>
<nowiki>{{차례1|문단=</nowiki>
* 첫째 문단
* 둘째 문단
<nowiki>}}</nowiki>
* 변환값 '문단='은 줄을 바꾼 다음에 문단 제목을 차례로 쓰세요.
** 문단은 가운데 정렬됩니다.
</pre>
</noinclude>
훈민정음
2682
6040
2006-09-22T16:38:50Z
아흔
9
contents set
{{차례|문단=
*[[훈민정음/예의편]]
*[[훈민정음/용자례]]
*[[훈민정음/정인지 서문]]
*[[훈민정음/정인지 서문]]
*[[훈민정음/제자해]]
*[[훈민정음/종성해]]
*[[훈민정음/중성해]]
*[[훈민정음/초성해]]
*[[훈민정음/합자해]]
*[[훈민정음/해례본]]
}}
일본어 입문/기초문형3
2683
6341
2006-11-22T15:55:11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기초문형3 → 일본어 입문/기초문형3: subarticle
드디어 형용사를 공부할 차례다.
일본어 학자에 따라 형용사를 い형용사와 な형용사로 구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형용사와 형용동사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 곳에서는 い형용사라는 말을 쓰기가 귀찮으므로 형용사와 형용동사로 구분하여 쓰겠다.
== 형용사의 형태 ==
형용사는 '''무조건''' い로 끝난다.
* 長(なが)い: 길다
* 青(あお)い: 푸르다
* 白(しろ)い: 하얗다
* 黒(くろ)い: 검다
* 広(ひろ)い: 넓다
* 狭(せま)い: 좁다
* 高(たか)い: 높다
* 低(ひく)い: 낮다
* 安(やす)い: 싸다
* やさしい: 상냥하다
* 軽(かる)い: 가볍다
== 형용사의 용법1 - 명사의 수식 ==
형용사의 기본 용법 가운데 하나는 명사를 수식하는 것이다. 언어에 따라서 형용사의 위치가 다르지만, 일본어는 한국어와 동일하게 명사 앞에 놓여 수식한다. 형용사는 수식할 때 한국어와는 달리 모양이 변하지 않고 기본형 그대로 쓰인다.
* 青(あお)い空(そら): 푸른 하늘
* 長(なが)い足(あし): 긴 다리
* 白(しろ)い雲(くも): 흰 구름
* 広(ひろ)い部屋(へや): 넓은 방
* 狭(せま)い道(みち): 좁은 길
* 高(たか)いビル: 높은 빌딩
* 安(やす)い店(みせ): 싼 가게
== 형용사의 용법2 - 주어의 서술 ==
형용사의 두 번째 용법은 주어의 서술이다. 앞서 배운 기본문형과 매우 비슷하니 쉽게 익힐 수 있다.
=== 반말 서술 ===
형용사를 반말로 쓰려면, 기본형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 空が青い。
* 足が長い。
* 雲が白い。
* 部屋が広い。
* 道が狭い。
* ビルが高い。
* 店が安い。
=== 존대말 서술 ===
형용사를 존대말로 쓰려면 명사와 동일하게 です를 붙인다.
* 空が青いです。
* 足が長いです。
* 雲が白いです。
* 部屋が広いです。
* 道が狭いです。
* ビルが高いです。
* 店が安いです。
=== 반말 의문 ===
형용사를 의문문으로 만들려면 명사와 동일하게 か만 붙이면 된다.
* 空が青いか。
* 足が長いか。
* 雲が白いか。
* 部屋が広いか。
* 道が狭いか。
* ビルが高いか。
* 店が安いか。
=== 존대말 의문 ===
형용사의 존대말 의문으로 하려면 명사와 동일하게 ですか를 붙이기만 하면 된다.
* 空が青いですか。
* 足が長いですか。
* 雲が白いですか。
* 部屋が広いですか。
* 道が狭いですか。
* ビルが高いですか。
* 店が安いですか。
== 형용사 부정문 만들기 ==
=== 반말 부정 ===
형용사 반말의 부정은 어미인 い를 く로 바꾸고 명사 부정에 사용했던 ない를 붙인다.
이미 눈치 챘을 지도 모르겠지만 ない도 형용사로 '없다'는 뜻이 된다.
* 空が青くない。
* 足が長くない。
* 雲が白くない。
* 部屋が広くない。
* 道が狭くない。
* ビルが高くない。
* 店が安くない。
=== 존대말 부정1 ===
존대말의 부정은 반말 부정에 です만을 붙여서 만들 수도 있다.
* 空が青くないです。
* 足が長くないです。
* 雲が白くないです。
* 部屋が広くないです。
* 道が狭くないです。
* ビルが高くないです。
* 店が安くないです。
=== 존대말 부정2 ===
또 다른 존대말 부정은 어미인 い를 く로 바꾸고 ありません을 붙이는 것이다.
* 空が青くありません。
* 足が長くありません。
* 雲が白くありません。
* 部屋が広くありません。
* 道が狭くありません。
* ビルが高くありません。
* 店が安くありません。
=== 반말 의문 부정 ===
반말 부정을 먼저 만든 다음에 의문을 나타내는 か를 붙인다.
* 空が青くないか。
* 足が長くないか。
* 雲が白くないか。
* 部屋が広くないか。
* 道が狭くないか。
* ビルが高くないか。
* 店が安くないか。
=== 존대말 의문 부정1 ===
존대말 부정1에 か를 붙인다.
* 空が青くないですか。
* 足が長くないですか。
* 雲が白くないですか。
* 部屋が広くないですか。
* 道が狭くないですか。
* ビルが高くないですか。
* 店が安くないですか。
=== 존대말 의문 부정2 ===
존대말 부정2에 か를 붙인다.
* 空が青くありませんか。
* 足が長くありませんか。
* 雲が白くありませんか。
* 部屋が広くありませんか。
* 道が狭くありませんか。
* ビルが高くありませんか。
* 店が安くありませんか。
== 형용사 문장 연결하기 ==
형용사로 된 문장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미 い를 く로 바꾸고 뒤에 て를 붙인 후에 나머지 문장은 이어준다.
* 空は青い。
* 髪は黒い。
** 空は青くて、髪は黒い。
* ケータイは軽いです。
* 車は重いです。
** ケータイは軽くて、車は重いです。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체코어/어휘/주제별
2684
6079
2006-10-06T00:56:20Z
24.8.29.39
dneska hodim kazt evangelium
일본어 입문/기초숫자
2686
6343
2006-11-22T15:55:36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기초숫자 → 일본어 입문/기초숫자: subarticle
이번에는 일상생활에 매우 필요한 일본어 숫자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 1부터 10까지 ==
# いち
# に
# さん
# し(よん라고도 한다)
# ご
# ろく
# しち(なな라고도 한다)
# はち
# きゅう
# じゅう
== 10단위 숫자 ==
일본어 10단위 숫자는 1단위 숫자에 10(じゅう)을 붙인다.
* 20: にじゅう
* 30: さんじゅう
* 40: よんじゅう
* 50: ごじゅう
* 60: ろくじゅう
* 70: しちじゅう(ななじゅう라고도 함)
* 80: じゃちじゅう
* 90: きゅうじゅう
== 나머지 숫자 ==
나머지 단위의 숫자도 10단위 숫자와 마찬가지로 조합해서 만든다.
* 백: ひゃく
* 천: せん
* 만: まん
* 억: おく
== 응용 ==
* 3억 8천 9백 2십 5: さんおく は'''っ'''せん きゅうひゃく にじゅう ご
* 3천 5백엔: さん'''ぜ'''ん ごひゃく えん
* 2시 15분: にじ じゅう ごふん
* 119: ひゃく じゅう きゅう (일본의 응급 서비스도 119다)
== 시간 말하기 ==
# いちじ
# にじ
# さんじ
# '''よじ'''
# ごじ
# ろくじ
# '''しちじ'''
# はちじ
# '''くじ'''
# じゅうじ
# じゅういちじ
# じゅうにじ
이번의 숫자는 이 정도로 마칩시다.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MediaWiki:Mypreferences
2687
6095
2006-10-23T07:25:39Z
아흔
9
transl.
개인 맞춤
MediaWiki:Categorytree
2688
6111
2006-10-23T07:37:46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 가지
MediaWiki:Categorytree-category
2689
6113
2006-10-23T07:38:41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
MediaWiki:Categorytree-expand
2690
6114
2006-10-23T07:39:12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 펼치기
MediaWiki:Categorytree-go
2691
6115
2006-10-23T07:39:35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 가지 보이기
MediaWiki:Categorytree-header
2692
6116
2006-10-23T07:40:25Z
아흔
9
transl.
카테고리 가지를 보기 위해서 해당 이름을 쓰세요.</br>
주의: 이 기능은 자바스크립(Javascript)을 쓰는 브러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MediaWiki:Expandtemplates
2693
6129
2006-10-23T07:51:31Z
아흔
9
transl.
템플릿 풀기
MediaWiki:Linksearch
2694
6131
2006-10-23T07:58:24Z
아흔
9
transl.
웹사이트 링크 찾기
일본어 입문/기초문형4
2695
6329
2006-11-22T15:51:35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기초문형4 → 일본어 입문/기초문형4: subarticle
이번에는 형용동사를 배워보도록 하자.
형용동사는 거의 대부분 명사와 동일한 모습으로 사용된다. 그러니 어렵지 않다.
== 서술 용법 ==
형용사의 기본형이 い로 끝나는 것처럼 형용동사는 だ로 끝난다. 그리하여서 だ가 어미가 되고 그 앞부분 전부가 어간이 되어 어미를 제외한 어미 부분은 변화하지 않는다. 어미변화는 아랫 부분에서 공부할 수식 용법에서 나올 것이다.
=== 반말 서술 ===
* 元気(げんき)だ
* だめだ
=== 존대말 서술 ===
* 元気(げんき)です
* だめです
=== 반말 의문 ===
* 元気(げんき)か
* だめか
=== 존대말 의문 ===
* 元気(げんき)ですか
* だめですか
=== 반말 부정 ===
* 元気(げんき)ではない
* だめじゃない
=== 존대말 부정 ===
* 元気(げんき)ではないです
* だめではありません
=== 반말 의문 부정 ===
* 元気(げんき)ではないか
* だめじゃないか
=== 존대말 의문 부정 ===
* 元気(げんき)ではないですか
* だめではありませんか
여지껏 살펴본 바와 같이 형용동사의 서술 용법은 명사와 차이점이 전혀 없다. 명사에서 공부를 열심히 해두니 이렇게 편하고 쉬울 수가 없다. 아싸 조쿠나~
== 수식 용법 ==
형용동사는 형용사의 일종이다. 형용사의 일종이기 때문에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이 있다. 명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이 없는데, 형용동사는 수식하는 기능이 있다. 명사는 수식을 하지 못하지만 の의 도움을 받아서 소유 관계를 나타낼 수는 있다.
형용동사는 の 대신에 な를 사용하여 뒤에 나온 명사를 수식한다.
* 元気(げんき)な人(ひと)
* きれいな女(おんな)
* だめなこと
* 静(しず)かな教室(きょうしつ)
'''[[일본어 입문]]으로 돌아가기'''
MediaWiki:Pagecategories
2725
6314
2006-11-22T15:16:10Z
아흔
9
transliteration in Korean
카테고리
MediaWiki:Searcharticle
2731
6353
2006-11-22T16:15:29Z
아흔
9
rev.
문서
일본어 입문/불규칙 동사
2757
6327
2006-11-22T15:51:00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불규칙 동사 → 일본어 입문/불규칙 동사: subarticle
불규칙 동사에 대해서 공부하자. 그에 앞서 일본어 동사의 구분에 대해 배워 보자.
== 동사의 기본 모양 ==
일본어에서 형용사는 무조건 い로 끝난다. 그리고 형용동사는 무조건 だ로 끝난다.
일본어에서 동사는 무조건 -u로 끝난다. 즉, うくぐつぬむぶする등으로 끝난다.
== 동사의 종류 및 구분 ==
일본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기 때문에 동사가 활용을 한다.
앞서 배운 바대로 형용사와 형용동사도 활용을 하지만, 상당히 단순하게 변했다. 동사는 훨씬 다양하게 변한다. 일본어 동사는 그 변하는 모양에 따라 아래의 세 가지로 구분이 된다.
=== 불규칙 동사 ===
일본어에 불규칙 동사는 する(하다)와 来(く)る(오다), 딱 두 가지 밖에 없다. 영어에 무수히 많던 불규칙 동사를 기억하는지? 교과서 뒤에 여러 페이지에 걸쳐서 나오던 불규칙 동사표를 기억하는지?
일본어는 불규칙 동사가 딱 두 개 밖에 없어서 정말 환상적으로 편한 언어다.
=== 1단 동사 ===
1단동사는 모양이 두 가지가 있다. -iる의 모양과 -eる의 모양이다. 학자에 따라서 -iる를 상1단동사, -eる를 하1단동사라고 구분하기도 하는데 두 동사의 활용되는 모양이 전혀 다른 점이 없고 성질도 완전 똑같아서 그렇게 구분하는 것 자체가 아무 의미가 없다. 둘을 모두 합쳐서 1단동사라고 한다.
1단동사라고 하는 이유는 변하는 모습이 딱 1가지밖에 없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다음에 공부하도록 하겠다.
-iる에 해당하는 동사로는 見(み)る가 있다.
-eる에 해당하는 동사로는 食(た)べる가 있다.
=== 5단 동사 ===
5단동사는 불규칙 동사와 1단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다.
5단동사라는 이름을 붙여준 것은 변화하는 모양이 5가지기 때문이다. 왜 5가지로 변하냐면, 일본어에는 모음이 5개뿐이어서 이 것이 변할 수 있는 최대 가지수다.
예를 들면 行(い)く, 言(い)う, 話(はな)す, 飲(の)む, 喋(しゃべ)る, 書(か)く, 読(よ)む, 呼(よ)ぶ, 殺(ころ)す, 叩(たた)く,
走(はし)る, 切(き)る는 1단동사의 모양이지만 5단동사다. 이런 것들이 몇 개 있지만 별로 많지는 않으니 걱정을 말도록.
== 불규칙 동사 ==
불규칙 동사의 변하는 모습을 간단히 알아보자.
=== する ===
* 기본형: する
* 존대형: します
* 연결형: して
* 부정형: しない
* 명령형: せよ
=== 来(く)る ===
* 기본형: くる
* 존대형: きます
* 연결형: きて
* 부정형: こない
* 명령형: こい
'''[[일본어 입문]]으로 돌아가기'''
그림:BGImage-a.jpg
2759
6224
2006-11-10T14:01:36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틀:Hl2
2760
edit=sysop:move=sysop
6227
2006-11-10T14:10:40Z
아흔
9
보호시킴 "[[틀:Hl2]]": basic [edit=sysop:move=sysop]
<h2 class="BGImage-a" style="width:33%; padding-left:1em; margin-bottom:1em; background-color:#F0F0F0; font-size:110%; font-weight:bold;">{{{1}}}</h2>
프랑스어입문/자주 쓰이는 불어
2763
6293
2006-11-19T07:24:09Z
221.149.100.183
*까무플라쥬(혹은 캄플라지, camouflage) - 위장(僞裝)
*까페(café) - 커피, 까페, 커피숍
*그라탱(gratin) - 그라탕, 음식의 하나.
*그랑프리(grand-prix) - 대상(大賞)
*노엘(noël) - 크리스마스, 사람 이름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 노블레스 오블리주, 상류층의 의무
*노트르담(혹은 노틀담, Notre-Dame) - 성모 마리아
*누아르(noir) 영화 - 범죄 영화
*뉘앙스(nuance) - 느낌, 분위기, 미묘한 차이
*데뷔(début) - 데뷔/초기
*데생(dessin) - 그림
*데자뷔(déjà vu) - 데자뷰/기시감
*데탕트(détente) - 팽창한 것의 이완, 정치적 긴장 완화
*뚜레쥬르(tous les jours) - 뚤레 쥬흐, 날마다, 매일
*디망쉬(dimanche) - 일요일
*디스코텍(discothèque) - 디스코텍
*라네쥬(la neige) - 눈
*라데팡스(la défense) - 방어, 또한 파리 서쪽 외곽의 지역명이기도 하다.
*라크베르(lac vert) - 초록 호수
*라 프레리(la prairie) - 초원
*라피네(raffiné) - 세련된, 정제된
*란제리(lingerie) - 속옷, 란제리; 더 근접한 발음은 랑쥬리.
*랑데부(rendez-vous) - 만남
*레미제라블(Les misérables) - 가난한 사람들, 비참한 사람들, 천한 사람들
*레스토랑(restaurant) - 식당
*레주메(résumé) - 개요
*레지스탕스(résistance) - 저항파
*로망스(romance) - 연애시, 연가
*로제(rosée) - 이슬
*루즈(rouge) - 붉은색, 립스틱
*르망(le man) - 풍뎅이(의 유충)
*르뽀(reportage) - 현지 탐방 기사, 줄이지 않은 원어는 '흐뽀르따쥬'이다.
*마담(Madame) - 부인
*마드무아젤(mademoiselle) - 아가씨, 처녀
*마로니에(maronnier) - 밤나무
*마리끌레르(Marie-Claire) - 여자 이름
*마몽드(ma monde) - 나의 세계, 그러나 표기 오류이므로 정확하게는 mon monde.
*마세(massé) - 당구의 "맛세이", 세워치기
*멜랑콜리(mélancolie) - 우울
*모나미(mon ami) - 나의 친구
*몽블랑(Mont Blanc) - 알프스의 최고봉, 만년필, 시계 품을 만드는 명품 브랜드의 이름이기도 하다.
*몽타주(montage) - 여러 가지를 더하고, 합치고 만드는 행위. 원어에서는 영화 촬영 후 필름 제작 작업시 사용한다. 현상수배범의 얼굴을 증언들을 토대로 "만들어 내는" 것도 몽타주라고 한다.
*몽쉘통통(mon cher tonton) - 친애하는 나의 아저씨(mon;나의/ cher;친애하는/ tonton - 삼촌, 이모부, 아저씨)
*무스(mousse) - 거품, 무스
*물랭루즈(moulin rouge) - 붉은 풍차, 파리의 유명한 클럽명이기도 하다. moulin;풍차, 제분기, 방아 / rouge;붉은(색)
*메종(maison) - 집
*바게트(baguette) - 막대기, 바게트 빵
*바캉스(vacance) - 휴가/ 방학
*빠삐용(papillon) - 나비
*바통(baton) - 막대기
*방카쉬랑스(bancassurance) - 은행 보험
*발레(ballet) - 발레
*빵세(pensée) - 사상, 사유/ 파스칼의 명상록을 "팡세(Pensée)"라고 한다.
*베레(béret) - 베레모
*베베(bébé) - 아기
*베테랑(vétéran) - 퇴역 군인, 노련한 사람
*본아뻬띠(bon appétit) - '맛있게 드세요!', 왕성한 식욕
*봉봉(bonbon) - 사탕, 과자
*부르주아(bourgeois) - 부르주아
*부케(bouquet) - 꽃다발/신부의 부케
*부띠끄(boutique) - 가게, 점포, 비교적 고급스러운 샵
*뿌아종(poison) - 독(액,약)
*뷔페(buffet) - 뷔페, 찬장
*브래지어(brassière) - 브래지어
*브랑누아(blanc-noir) - 블렁 누아흐, 백과 흑 (blanc-백, noir-흑, 그러나 실제로 프랑스인들은 순서를 달리 해서 Noir-blanc 이라고 한다)
*쁘띠꼬숑(petit cochon) - 새끼 돼지, 작은 돼지
*쁘렝땅(printemps) - 좀 더 근접한 발음은 "프랑떵", 봄
*빌라(villa) - 별장
*사보타주(sabotage) - 태업
*사블레(혹은 사브레, sablé) : 노르망디 사블레 지방의 바삭바삭 부서지는 과자
*살롱(salon) - 살롱, 거실
*샤르망(charmant) - 매력적인
*샹들리에(chandelier) - 천장에 매달려있는 촛대
*샹송(chanson) - 노래
*쎄무(chamois) - 양가죽, 올바른 발음은 '샤무아'이다.
*쇼콜라(chocolat) - 초컬릿
*슈발리에(chevalier) - 기사, 말타는 사람
*쉬크(chic) - 멋진, 멋쟁이
*쉐르빌(chère ville) - 사랑하는 도시(chère; cher의 여성형/ ville; 도시)
*실루엣(silhouette) - 그림자, 윤곽
*아뜰리에(altelier) - 미술작업실
*아라모드(à la mode) - 더 가까운 발음은 알라모드, 유행 중인
*아르드뽀(art de peau) - 피부의 예술
*아방가르드(avant-garde) - 전위(주의)
*아쁠리께(appliqué) - 아플리케, 옷감에 천을 덧대어 만드는 수예 방식
*아페리띠프(apéritif) - 아페리티프, 식전주
*앙가주망(engagement) - 약속, 맹세. 식자들의 정치 사회 참여.
*앙상블(ensemble) - 모임, 여성 정장의 한 벌
*앙케트(enquête) - 설문조사/앙케이트
*앙코르(혹은 앵콜, encore) - 한 번 더, 앵콜. 그러나 실제 프랑스인들은 Bis 라고 한다.
*앙팡(enfant) - 어린이
*앙트레(entrée) - 전식
*에꼴(école) - 학교
*에뛰드(étude) - 공부/연구
*에티켓(étiquette) - 에티켓/예의
*엘레강스(élégance) - 우아함
*엘르(elle) - 그녀
*오르되브르(hors-d'oeuvre) - 전채 요리
*오뜨꾸뛰르(haute couture) - 상류층을 위한 최고급의 옷, 혹은 컬렉션
*장르(genre) - 장르, 영화 등의 종류
*카바레(cabaret) - 캬바레
*카페올레(café au lait) - 우유를 많이 탄 커피
*카프리스(caprice) - 변덕
*코르셋(corset) - 코르셋
*콩쿠르(concours) - 대회
*콩트(conte) - 이야기, 실화
*쿠데타 (coup d'état) - 정부에의 봉기/반란
*쿠크다스(Couque d'Asse) - 벨기에 아스 지방의 쿠키
*크라쌍(croissant) - 크로아쌍, 초승달, 크로아쌍 빵
*크레용(crayon) - 크레용, 크레파스
*크로켓(croquette) - 크로켓, 고로케
*크로키(croquis)- 밑그림
*파라솔(parasol) - 양산, 파라솔
*판타롱(pantalon) - 바지, 더 근접한 발음은 '뻥딸롱'
*팔레트(palette) - 팔레트
*팡파레(fanfare) - 팡파레, 더 근접한 발음은 '팡파르'
*프레따포르떼(prêt-à-porter) - 고급 기성복
*프롤레타리아(prolétariat) - 프롤레타리아, 노동자 계급
*피망(piment) - 고추
*피앙세(fiancé, fiancée) - 약혼자/약혼녀
일본어 입문/1단 동사
2764
6319
2006-11-22T15:46:54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1단 동사 → 일본어 입문/1단 동사: subarticle
1단 동사는 어간의 마지막 소리가 중앙의 기준이 되는 う보다 하나 앞뒤 단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학자들에 따라서 상1단과 하1단으로 나누는데, 그런 구분을 쓸데 없다. 먼저 1단 동사의 모양을 보자.
* -iる (い단이 う단보다 하나 위에 있다고 해서 상1단이라고도 한다)
* -eる (え단이 う단보다 하나 아래 있다고 해서 하1단이라고도 한다)
1단 동사의 변형은 매우 쉽다. 그저 어미인 る를 없애면 만사 형통이다.
* '''食(た)べる''' 먹다
** 食べない 먹지 않아
** 食べます 먹습니다
** 食べる人(ひと) 먹는 사람
** 食べよう 먹자
** 食べて 먹고
** 食べろ 먹어라
* '''起(お)きる''' 일어나다
** 起きない 일어나지 않아
** 起きます 일어납니다
** 起きる人(ひと) 일어나는 사람
** 起きよう 일어나자
** 起きて 일어나고
** 起きろ 얼어나라
* '''着(き)る''' 입다
** 着ない 입지 않아
** 着ます 입습니다
** 着るもの 입는 것
** 着よう 입자
** 着て 입고
** 着ろ 입어라
아 쉽다.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요일과 달표현
2765
6317
2006-11-22T15:46:04Z
아흔
9
옮김: 일본어 입문:요일과 달표현 → 일본어 입문/요일과 달표현: subarticle
이번에는 실생활에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를 알아보자.
== 요일 표현 ==
* 일요일: 日曜日(にちようび)
* 월요일: 月曜日(げつようび)
* 화요일: 火曜日(かようび)
* 수요일: 水曜日(すいようび)
* 목요일: 木曜日(もくようび)
* 금요일: 金曜日(きんようび)
* 토요일: 土曜日(どようび)
* 무슨 요일: 何曜日(なんようび)
* 今日は何曜日ですか。오늘은 무슨 요일입니까?
* あ、今日は火曜日で、日本語の勉強します。아 오늘은 화요일이어서 일본어 공부를 합니다.
== 달 표현 ==
* 1월: 一月(いちがつ)
* 2월: 二月(にがつ)
* 3월: 三月(さんがつ)
* 4월: 四月('''しがつ''')
* 5월: 五月(ごがつ)
* 6월: 六月(ろくがつ)
* 7월: 七月('''しちがつ''')
* 8월: 八月(はちがつ)
* 9월: 九月('''くがつ''')
* 10월: 十月(じゅうがつ)
* 11월: 十一月(じゅういちがつ)
* 12월: 十二月(じゅうにがつ)
* 몇월: 何月(なんがつ)
* 今は何月ですか。지금은 몇월입니까?
* 今は八月で夏です。지금은 8월로 여름입니다.
* 日本の新学期(しんがっき)は何月ですか。일본의 신학기는 몇월입니까?
* 日本の新学期は四月ですが、韓国の場合(ばあい)はどうですか。일본의 신학기는 4월입니다만, 한국의 경우는 어떻습니까?
* 韓国の新学期は三月です。한국의 신학기는 3월입니다.
== 개월수 표현 ==
개월수 표현은 숫자와 달 사이에 ヶ라는 기호를 집어 넣고 이를 か라고 읽으며, 달은 위에서 처럼 がつ가 아니라 げつ로 읽어준다.
* 1개월: 一ヶ月('''いっかげつ''') - 촉음화에 유의한다.
* 2개월: 二ヶ月(にかげつ)
* 3개월: 三ヶ月(さんかげつ)
* 4개월: 四ヶ月('''よんかげつ''') - しかげつ가 아님에 주의한다.
* 5개월: 五ヶ月(ごかげつ)
* 6개월: 六ヶ月('''ろっかげつ''') - 촉음화에 유의한다.
* 7개월: 七ヶ月('''ななかげつ''') - しちかげつ가 아님에 주의한다.
* 8개월: 八ヶ月('''はっかげつ''') - 촉음화에 유의한다.
* 9개월: 九ヶ月('''くかげつ''')
* 10개월: 十ヶ月('''じゅっかげつ''') - 촉음화에 유의한다.
* 11개월: 十一ヶ月(じゅういっかげつ)
* 12개월: 十二ヶ月(じゅうにかげつ)
* 13개월: 十三ヶ月(じゅうさんかげつ)
* 14개월: 十四ヶ月(じゅうよんかげつ)
* 15개월: 十五ヶ月(じゅうごかげつ)
* .....
* 몇개월: 何ヶ月(なんかげつ)
* 日本語の勉強は何ヶ月くらい勉強しましたか。일본어 공부는 몇개월 정도 공부했습니까?
* 四ヶ月くらい勉強しました。넉달 정도 공부 했습니다.
'''[[일본어 입문]]으로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지시사
2780
6012
2006-09-04T02:16:08Z
Crinje
99
일본어의 기초 지시사는 こそあど의 네 가지가 존재하는데, 이들이 몇 가지로 변형되어 쓰인다.
== 기초 지시사 구분 ==
* こ: こ는 말하는 화자 쪽(1인칭)에 있는 것을 가리킬 때 쓰인다. 한국어로 하면 '이'에 해당한다.
* そ: そ는 대화를 듣는 쪽(2인칭)에 있는 것을 가리킬 때 쓰인다. 한국어로 하면 '그'에 해당한다.
* あ: あ는 말하는 화자와 듣는 청자에게서 모두 멀리 있는 제 3의 것을 가리킬 때 쓰인다. 한국어로 하면 '저'에 해당한다.
* ど: ど는 무엇을 묻는 경우에 쓰인다. 한국어로 하면 '어떤'에 해당한다.
* こう: 이렇다 - 今(いま)は'''こう'''ですね。: 지금은 '''이렇'''습니다.
* そう: 그렇다 - あ、'''そう'''ですか。: 아, '''그렇'''습니까?
* ああ: 저렇다 - まだ、'''ああ'''ですよ。: 아직 '''저렇'''습니다.
* どう: 어떻다 - 風邪(かぜ)はは'''どう'''ですか。: 감기는 '''어떻'''습니까?
== 장소를 의미하는 こ==
장소 지시사가 되기 위해서는 위에 나온 こそあど에 こ를 붙인다.
* ここ: 여기 - '''ここ'''が学校(がっこう)です。: '''여기'''가 학교입니다.
* そこ: 거기 - '''そこ'''が郵便局(ゆうびんきょく)です。: '''거기'''가 우체국입니다.
* あそこ: 저기 - '''あそこ'''はデパートです。: '''저기'''가 백화점입니다.
** 주의할 점은 あこ가 아니라 '''''あそこ'''''라는 것이다.
** 절대 주의하기 바란다.
* どこ: 어디 - ここは'''どこ'''ですか。: 여기는 '''어디'''입니까?
== 물건을 의미하는 れ==
물건을 의미하는 지시사가 되기 위해서는 위에 나온 こそあど에 れ를 붙인다.
* これ: 이거 - '''これ'''は本(ほん)です。: '''이거'''는 책입니다.
* それ: 그거 - '''それ'''はボールペンです。: '''그거'''는 볼펜입니다.
* あれ: 저거 - '''あれ'''はかばんです。: '''저거'''는 가방입니다.
* どれ: 어느거 - '''どれ'''が私の財布(さいふ)ですか。: '''어느 것'''이 나의 지갑입니까?
== 방향을 의미하는 ちら==
방향을 의미하는 지시사가 되기 위해서는 위에 나온 こそあど에 ちら를 붙인다. 일상 생활에서는 줄여서 っち를 붙이기도 한다.
* こちら, こっち: 이쪽 - '''こちら'''に来(き)て下(くだ)さい。: '''이쪽'''으로 와 주세요.
* そちら, そっつ: 그쪽 - '''そちら'''はだめです。: '''그쪽'''은 안됩니다.
* あちら, あっち: 저쪽 - '''あちら'''へ行(い)って下(くだ)さい。: '''저쪽'''으로 가 주세요.
* どちら, どっち: 어느쪽 - '''どちら'''が駅(えき)の方(ほう)ですか。: '''어느쪽'''이 역 방향입니까?
== 소유를 의마하는 の==
소유를 의미하는 지시사가 되기 위해서는 위에 나온 こそあど에 の를 붙인다.
* この: 이~ - '''この'''人(ひと)は先生(せんせい)です。: '''이''' 사람은 선생님입니다.
* その: 그~ - '''その'''本(ほん)は日本語(にほんご)の本(ほん)です。: '''그''' 책은 일본어 책입니다.
* あの: 저~ - '''あの'''車(くるま)は私(わたし)のです。: '''저''' 차는 제 것입니다.
* どの: 어느~ - '''どの'''人(ひと)が医者(いしゃ)ですか。: '''어느''' 사람이 의사입니까?
=== 소유 대명사도 되는 の===
앞서 の를 이용해서 문장의 소유 관계를 나타내는 말을 만들어 보았다.
하지만 이 の 자체가 소유 대명사로도 쓰인다. 즉 -の라고만 쓴다면 이는 -의 것이란 뜻으로 쓰이게 된다.
* 私の: 내 것
* あなたの: 당신의 것
* 先生の: 선생님의 것
* ジェサムさんの: 제삼씨의 것
== 상태를 의미하는 んな==
상태를 의미하는 지시사가 되기 위해서는 위에 나온 こそあど에 んな를 붙인다.
* こんな: 이런 - '''こんな'''ことは要(い)らない。: '''이런''' 것은 필요없어.
* そんな: 그런 - '''そんな'''やつが友達(ともだち)なの。: '''그런''' 자식이 친구야?
* あんな: 저런 - '''あんな'''車(くるま)は買(か)わない。: '''저런''' 차는 사지 않아.
* どんな: 어떤 - '''どんな'''子(こ)が好(す)き。: '''어떤''' (여자)애가 좋아?
== 그외의 지시사(의문사) ==
* だれ(誰): 누구 - あなたは'''誰(だれ)'''ですか。: 당신은 '''누구'''입니까?
** 존대말로 쓰일 때는 どなた가 있다.
* なに(何): 무엇 - これは'''何(なん)'''ですか。: 이 것은 '''무엇'''입니까?
** 거의 대부분 한자로 何이라고 쓴다.
** 발음은 なに 또는 なん이라고 읽는다. 단독으로 쓰일 때는 なに로, 결합되어 쓰일 때는 なん으로 많이 읽힌다.
== 지시사 종합 표 ==
{| border="2" cellpadding="3"
|-
| || こ- || そ- || あ- || ど-
|-
| 기본형|| こう || そう || ああ || どう
|-
| -こ || ここ || そこ || あそこ || どこ
|-
| -れ || これ || それ || あれ || どれ
|-
| -ちら || こちら || そちら || あちら || どちら
|-
| -の || この || その || あの || どの
|-
| -んな || こんな || そんな || あんな || どんな
|}
== 새로 나온 단어 ==
* 学校(がっこう): 학교
* 郵便局(ゆうびんきょく): 우체국
* デパート: 백화점
* ボールペン: 볼펜
* かばん: 가방
* 財布(さいふ): 지갑
* 駅(えき): 역 (기차나 지하철 등의)
* 車(くるま): 차(자동차)
* 医者(いしゃ): 의사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5단 동사
2781
6358
2006-11-27T10:57:06Z
Crinje
99
New page: 5단동사는 불규칙 동사도 아니고, 1단 동사도 아닌 모든 동사다. 동사는 모두 u 모음으로 끝난다는 것을 염두해 두자. 5단동사는 다섯 가지 모...
5단동사는 불규칙 동사도 아니고, 1단 동사도 아닌 모든 동사다. 동사는 모두 u 모음으로 끝난다는 것을 염두해 두자. 5단동사는 다섯 가지 모양으로 변화한다. 그래서 5단동사다.
* 行(い)く - 가다
** (a로 바뀜)行'''か'''ない (부정형 - 가지 않아)
** (i로 바뀜)行'''き'''ます (존대형 - 갑니다)
** (u로 바뀜)行'''く'''もの (수식형 - 가는 것)
** (e로 바뀜)行'''け'''! (명령형 - 가!)
** (o로 바뀜)行'''こ'''う (권유형 - 가자)
* 脱(ぬ)ぐ - 벗다
** (a로 바뀜)脱'''が'''ない (부정형 - 벗지 않아)
** (i로 바뀜)脱'''ぎ'''ます (존대형 - 벗습니다)
** (u로 바뀜)脱'''ぐ'''女(おんな) (수식형 - 벗는 여자)
** (e로 바뀜)脱'''げ'''! (명령형 - 벗어!)
** (o로 바뀜)脱'''ご'''う (권유형 - 벗자)
* 呼(よ)ぶ - 부르다
** (a로 바뀜)呼'''ば'''ない (부정형 - 부르지 않아)
** (i로 바뀜)呼'''び'''ます (존대형 - 부릅니다)
** (u로 바뀜)呼'''ぶ'''もの (수식형 - 부르는 것)
** (e로 바뀜)呼'''べ'''! (명령형 - 불러!)
** (o로 바뀜)呼'''ぼ'''う (권유형 - 부르자)
'''[[일본어 입문]]''' 목차로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동사의 연결형
2783
6364
2006-12-04T11:19:46Z
Crinje
99
일본어 동사의 연결형은 매우 매우 중요하다. 명사나 형용사처럼 획일적인 단 하나의 모양이 아니라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알고 보면 매우 단순한 규칙으로 조금만 연습하면 금방 쉽게 느껴질 것이다.
== 1단 동사와 불규칙 동사 ==
1단 동사와 불규칙 동사는 -ます형에 て가 붙는다.
* 食(た)べる - '''食べ'''ます - '''食べ'''て
* 見(み)る - '''見'''ます - '''見'''て
* 起(お)きる - '''起き'''ます - '''起き'''て
* 着(き)る - '''着'''ます - '''着'''て
* 寝(ね)る - '''寝'''ます - '''寝'''て
* する - '''し'''ます - '''し'''て
* 来(く)る - '''来(き)'''ます - '''来(き)'''て
== 5단동사 ==
5단 동사는 아래와 같이 끝나는 소리에 따라 달라진다
=== うつる로 끝나는 동사 ===
うつる로 끝나는 동사는 어미(うつる)가 사라지면서 촉음이 붙고 て가 나온다.
* 買(か)う - 買'''って'''
* 会(あ)う - 会'''って'''
* 勝(か)つ - 勝'''って'''
* 走(はし)る - 走'''って'''
* 歌(うた)う - 歌'''って'''
=== ぬむぶ로 끝나는 동사 ===
ぬむぶ로 끝나는 동사는 어미(ぬむぶ)가 사라지면서 ん이 붙고 연결형이 탁음이 붙은 형태로 나온다. 그래서 んで의 모양이 된다.
* 死(し)ぬ - 死'''んで'''
* 読(よ)む - 読'''んで'''
* 叫(さけ)ぶ - 叫'''んで'''
=== くぐ로 끝나는 동사 ===
くぐ로 끝나는 동사는 い가 붙고 연결형이 나오는데, 탁음의 유무가 그대로 상속되는 점에 주의한다. 즉, く로 끝나면 いて가, ぐ로 끝나면 いで가 된다.
* 書(か)く - 書'''いて'''
* 急(いそ)ぐ - 急'''いで'''
=== す로 끝나는 동사 ===
す로 끝나는 동사는 1단 동사와 마찬가지로 -ます형에 て가 붙는다.
* 話(はな)す - '''話し'''ます - '''話し'''て
== 유일한 예외 ==
이 규칙에도 단 하나의 예외가 있다. (하지만, 다른 외국어의 수없이 많은 불규칙과 예외를 생각해 보면 일본어가 얼마나 쉬운지 알 수 있다!)
바로 '가다'의 뜻을 갖는 行(い)く다. 규칙대로라면 いて가 붙어 いいて가 되어야 겠지만, 이렇게 되면 발음도 이상할 뿐더러 자주 쓰이는 말이기 때문에 여러모로 불편하게 되어서 촉음을 붙여서 세게 발음을 하게 되었다.
* 行(い)く - 行って
* 言(い)う - 言って
위의 예제를 보면 알겠지만, 말하다의 뜻인 言う(いう지만 발음은 편하게 ゆう라고 한다)가 규칙대로 변한 것과 동일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이 경우 청취할 때 어떤 것을 말하는 지는 문맥에 따라 판단하면 되겠다.
이 것 말고도 연결형이 되면서 동일한 모양을 갖게 되는 경우가 상당히 있다. 그 모든 경우도 모두 문맥에 따라 판단하면 된다.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일본어 입문/과거형
2784
6367
2006-12-04T11:47:53Z
Crinje
99
여태까지 명사, 형용사, 형용동사, 그리고 동사의 현재형만을 배워왔다. 우랄-알타이 계통의 언어에는 미래형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어도 그렇고, 일본어도 현재형이 상황에 따라 미래의 의미를 나타낸다.
A: 너 언제부터 학교가니?<br />
B: 아, 다음 달부터 학교 갑니다.
위 대화에서 '''갑니다'''는 현재형이지만, 미래의 의미를 나타낸다. 일본어도 마찬가지로 미래형이 없다. 그래서 과거형만 배우면 된다. 그리고 너무 좋은 것은, 스페인어나 불어 등을 배우신 분은 알겠지만 과거만 해도 단순과거, 불완료, 대과거, 현재완료 등으로 구분이 되어 용법에 맞게 써야 한다. (하다못해 영어만 해도 과거, 과거 완료, 과거 진행 등이 구분된다 - 이러한 구분은 영국영어에서는 여전히 확실하지만 미국영어에서는 점차 퇴색이 되어 가면서 문법이 단순화되는 경향이 짙다고 한다) 하지만 일본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과거는 '과거'라는 시제 단 하나뿐이다.
== 명사 및 형용동사의 과거 ==
현재형의 だ를 단순히 だった로 바꿔주기만 하면 된다. 마치 한국어에서 -다를 -였다로 바꿔주는 것과 흡사하다.
* 本'''だ''' - 本'''だった'''
* 学生'''だ'''' - 学生'''だった'''
* 元気'''だ''' - 元気'''だった'''
* 静か'''だ''' - 静か'''だった'''
== 형용사의 과거 ==
-い로 끝나는 형용사는 역시 어미 부분을 -かった로 대체해 주기만 하면 모두 끝난다. 한국어에서도 과거형이 ''-였다''에서 끝의 발음이 '다'가 아니라 '''따'''로 난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매우 쉽고 연관이 잘 된다.
* 長'''い''' - 長'''かった'''
* かわい'''い''' - かわい'''かった'''
* すご'''い''' - すご'''かった'''
* 暑'''い''' - 暑'''かった'''
* 弱'''い''' - 弱'''かった'''
== 동사의 과거 ==
동사의 과거는 연결형 모양 그대로에서 て만 た로 바꿔주면 된다. 물론 で였던 것들은 だ로 바꿔서 탁음을 유지시켜주면 모두 끝난다. 동사의 연결형은 매우 매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연습에 연습에 연습을 거듭해야 한다.
=== 1단동사와 불규칙 동사 ===
-ます형에 연결형 て를 붙였었다.
* 食べる - 食べ'''て''' - 食べ'''た'''
* 見る - 見'''て''' - 見'''た'''
* 起きる - 起き'''て''' - 起き'''た'''
* 着る - 着'''て''' - 着'''た'''
* 寝る - 寝'''て''' - 寝'''た'''
* する - し'''て''' - し'''た'''
* 来る - 来'''て''' - 来'''た'''
=== うつる로 끝나는 동사 ===
어미를 없애고 촉음과 연결형 て를 붙였었다.
* 買う - 買'''って''' - 買'''った'''
* 会う - 会'''って''' - 会'''った'''
* 勝つ - 勝'''って''' - 勝'''った'''
* 走る - 走'''って''' - 走'''った'''
* 歌う - 歌'''って''' - 歌'''った'''
=== ぬむぶ로 끝나는 동사 ===
어미를 ん으로 바꾸고 연결형에 탁음을 붙여 で를 사용했다.
* 死ぬ - 死'''んで''' - 死'''んだ'''
* 読む - 読'''んで''' - 読'''んだ'''
* 呼ぶ - 呼'''んで''' - 呼'''んだ'''
* 叫ぶ - 叫'''んで''' - 叫'''んだ'''
=== くぐ로 끝나는 동사 ===
어미를 い로 바꾸고 연결형을 붙이되, 탁음의 유무를 상속시켰다.
* 書く - 書'''いて''' - 書'''いた'''
* 急ぐ - 急'''いで''' - 急'''いだ'''
=== す로 끝나는 동사 ===
-ます형에 연결형 て를 붙였었다.
* 話す - 話'''して''' - 話'''した'''
=== 유일한 예외였던 行く ===
* 行く - 行'''って''' - 行'''った'''
'''[[일본어 입문]] 돌아가기'''
Programming:PHP
2785
6372
2006-12-06T14:55:04Z
61.98.224.223
/* PHP란 무엇인가? */
{{Cleanup-NC}}
<br />
<div align="center"><div style="border: #77FF77 solid 1px; background: #DDFFDD;width: 390px; padding: 5px; text-align: center;">아래는 PHP Programming book의 표지입니다. 이에 대한 토론을 원하시면 [[Talk:Programming:PHP#Book_Cover|here]]; 혹은 [http://en.wikibooks.org/w/index.php?title=Talk:Programming:PHP&action=edit§ion=20 here]을 클릭하시고 피드백을 남겨주세요.</div></div>
<br />
<div align="center">[[Image:PHPWikibookCover.png]]</div>
''See also [[Programming:Complete PHP]]''
{{wikipedia|PHP}}
== PHP란 무엇인가? ==
'''PHP'''는 [[w:Scripting programming language|scripting]] [[w:Server Side Includes|SSI]] (Server Side Includes)와 [[Programming:Perl|Perl]]의 부족함을 채워주기 위해 주로 웹개발을 위해 제작된 언어이다. PHP는 최근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운동의 선봉자중 하나이다. 이러한 인기는 C언어와 유사한 문법, 빠른 속도, 단순함에 기인한다. PHP는 PHP4와 PHP5 이렇게 두개의 마이너 버젼으로 나뉘어진다. PHP 6은 현재 개발중이다.
당신이 로긴이 필요한 사이트에 접속해 본 적이 있다면 Server-side scripting 언어를 이미 접해봤을 것이다. Due to its market saturation, this means you've probably come across PHP. [[Wikipedia:PHP|PHP]] was designed by [[Wikipedia:Rasmus Lerdorf|Rasmus Lerdorf]] to display his resume online and to collect data off its visitors.
Basically, PHP allows a static web document to become dynamic. "PHP" is a [[Wikipedia:recursive acronym|recursive acronym]] that stands for "PHP: Hypertext Preprocessor". PHP ''preprocesses'' (that is, PHP processes before the output is sent to the browser) ''hypertext'' documents. Because of this, the pages can change before the user sees them, based on conditions. This can be used to write something to the page, create a table with a number of rows equ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has visited, or integrate the web page with a web database, such as MySQL.
Before you embark on the wonderful journey of Server Side Processing, it is recommended that you have some basic understanding of the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Wikipedia:PHP|PHP]] is also being used to build [[Wikipedia:GUI|GUI]]-driven applications; [[w:PHP-GTK|PHP-GTK]] is used to build Graphical User Interfaces.
== Setup and Installation ==
* [[Programming:PHP:Setup_and_Installation#Linux|Installation on Linux]]
* [[Programming:PHP:Setup_and_Installation#Windows|Installation on Windows]]
* [[Programming:PHP:Setup_and_Installation#Mac_OS_X|Installation on Mac OS X]]
[[Programming:PHP:Uses|Uses of PHP]]
Note: Before contributing, check out the [[Talk:Programming:PHP|Talk]] page. [[Talk:Programming:PHP#The_newline_.22operator.22|How to write your examples]].
== Learning the Language ==
=== The Basics ===
:This section is about things that are important for any type of PHP development. Useful for a PHP programmer of any level.
#[[Programming:PHP:hello world|Beginning with "Hello World!"]] {{stage|100%|10 Feb 2006}}
#[[Programming:PHP:basics|Nuts and Bolts]] {{stage|75%|14 Jan 2006}}
#[[Programming:PHP:comments|Commenting and Style]] {{stage|100%|14 Jan 2006}}
#[[Programming:PHP:arrays|Arrays]] {{stage|75%|10 Feb 2006}}
#Control structures
##[[Programming:PHP:if structure|The if Structure]] {{stage|50%|14 Jan 2006}}
##[[Programming:PHP:switch structure|The switch Structure]] {{stage|75%|14 Jan 2006}}
##[[Programming:PHP:while loop|The while Loop]] {{stage|75%|14 Jan 2006}}
##[[Programming:PHP:do while loop|The do while Loop]] {{stage|50%|14 Jan 2006}}
##[[Programming:PHP:for loop|The for Loop]] {{stage|50%|14 Jan 2006}}
##[[Programming:PHP:foreach loop|The foreach Loop]] {{stage|75%|14 Jan 2006}}
#[[Programming:PHP:functions|Functions]] {{stage|75%|10 Feb 2006}}
#[[Programming:PHP:mail|Mailing]] {{stage|50%|14 Jan 2006}}
#[[Programming:PHP:cookies|Cookies]] {{stage|75%|14 Jan 2006}}
#[[Programming:PHP:sessions|Sessions]] {{stage|100%|10 Feb 2006}}
#[[Programming:PHP:mysql|MySQL]] {{stage|75%|14 Jan 2006}}
#[[Programming:PHP:integration_methods|Integration Methods (HTML Forms, etc.)]] {{stage|75%|14 Jan 2006}}
=== Advanced PHP ===
: Advanced PHP includes high level programming and PHP techniques designed to make PHP even more useful and powerful.
====Object Oriented Programming (OOP)====
#[[Programming:PHP:Classes|Classes]]
#[[Programming:PHP:Special_Methods|Special Methods]]
#[[Programming:PHP:Inheritance|Class Extensions (Inheritance)]]
====Templating====
#[[Programming:PHP:templating:philosophy| Why Templating]]
#[[Programming:PHP:template| Templates]]
#[[Programming:PHP:caching| Caching]]
#[[Programming:PHP:smarty| SMARTY templating system]]
#[[Programming:PHP:prado| PRADO Component Framework]]
#[[Programming:PHP:Flat Frog| Flat Frog templating system]] {{stage|25%|23 march 2006}}
====Security====
#[[Programming:PHP:Register Globals| Configuration: Register Globals]]
#[[Programming:PHP:SQL Injection| SQL Injection Attacks]]
#[[Programming:PHP:Cross Site Scripting| Cross Site Scripting Attacks]]
====Command-Line Interface (CLI)====
#[[Programming:PHP:CLI| PHP CLI]]
#[[Programming:PHP:CLI:PHP-GTK| PHP-GTK]]
#[[Programming:PHP:CLI:Daemonization| Daemonization]]
== Code snippets ==
Useful for any beginners to learn code from.
=== PHP 4 & 5 ===
==== Basic level ====
* <code>echo("''text to print''");</code> - Function returing the text specified in ''text to print''.
* <code>require("''url''");</code> - Function which includes the contents of a specified ''url''. Can include dynamic pages, i.e. you could use require() to include the content of ''main.php?username=Jatkins'' (although you must use full URLs).
* <code>date("''Date/time format''");</code> - Function which returns a date from a Unix Timestamp - where H is the hour, i is the minutes, s is the seconds, d is the day, m is the month and Y is the year in four digits - e.g. <code>date("H:i:s d/m/Y");</code> would return <code>12:22:01 10/08/2006</code> on 10<sup>th</sup> August 2006 at 12:22:01.
* <code>unlink("''filename''");</code> - Function which deletes the file specified in ''filename''.
=== PHP 4 ===
==== Basic level ====
Include beginner code samples, which are made by the beginners
==== OOP ====
Include OOP based examples, made by experienced developers
=== PHP 5 Only ===
==== Basic level ====
Basics, working only on PHP 5.
* <code>file_get_contents("''filename''");</code> - Function returning the contents of a file specified in ''filename'' (must be a file stored on the server).
* <code>file_put_contents("''filename''", "''Text to save''");</code> - Functions which saves the text specified in ''Text to save'' to the file specified in ''filename''. Will overwrite existing file contents unless another parameter FILE_APPEND is added.
E.g. <code>file_put_contents("''filename''", "''Text to save''");</code> will write ''Text to save'' to ''filename'', but will overwrite existing text whereas <code>file_put_contents("''filename''", "''Text to save''", FILE_APPEND);</code> will write ''Text to save'' to ''filename'', but will '''not''' overwrite existing text (instead it appends).
==== OOP ====
#[[Programming:PHP:OOP5:Input_validation|Input validation]] by [[User:Kgrsajid|Kgrsajid]].
== Editors ==
For reviews of numerous PHP editors, see [http://www.php-editors.com/ PHP-editors].
*[http://bluefish.openoffice.nl Bluefish] - PHP Open Source editor ([[Linux]]/[[Unix]])
*[http://www.macromedia.com/software/dreamweaver Dreamweaver] - PHP/HTML/CFML Integrated Developer Environment ([[Windows]]/[[Mac OS X]])
*[http://www.dzsoft.com/dzphp.htm DzSoft PHP Editor] - 30 day trial avaliable. IDE designed for PHP with syntax checking and running on the script (requires PHP to be installed)
*[http://scintilla.org/SciTE.html SciTE] - Scintilla-based editor ([[Windows]]/[[Linux]])
*[http://www.kdevelop.org KDevelop] -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Linux]]/[[Unix]])
*[http://kate.kde.org/ Kate] - Supports a variety of network protocols transparently, kde style - lighter than KDevelop ([[Linux]]/[[Unix]])
*[http://www.mpsoftware.dk/phpdesigner.php PHP Designer] - free PHP editor ([[Windows]])
*[http://www.phpeclipse.net/ PHPEclipse] - PHP module for Eclipse IDE ([[Windows]]/[[Linux]]/[[Mac OS X]])
*[http://www.xored.com/trustudio Trustudio] - PHP IDE built on Eclipse ([[Windows]]/[[Linux]]/[http://en.wikipedia.org/wiki/Apple_Macintosh Mac OS X])
*[http://www.phprunner.com/ PHPRunner] - wizard-based interface development ([[Windows]])
*[http://tacosw.com/index.php Taco HTML Edit] - PHP/HTML editor with live previews of generated pages ([http://en.wikipedia.org/wiki/Apple_Macintosh Mac OS X])
*[http://www.gphpedit.org/ gPHPEdit] - PHP/HTML For the GNOME Desktop ([[Linux]])
*[http://www.zend.com/ Zend] - Zend Development Enviroment by Zend - the php company ([[Windows]]/[[Linux]]/[[Mac OS X]])
*[http://www.waterproof.fr/ PHPEdit] - a nice PHP Editor for windows ([[Windows]])
*[http://devphp.sourceforge.net/ Dev-PHP] full-featured IDE for PHP ([[Windows]])
*[http://jedit.org/ Jedit] Open Source editor that has many PHP-centric plugins available such as error checking, ftp & structure browser ([[Windows]]/[[Linux]]/[[Mac OS X]])
*[http://macromates.com/ TextMate] Programmers code and markup editor with support for PHP ([[Mac OS X]])
*[http://www.vim.org/ VIM] - Terminal-Based Text Editor, supporting PHP markup (Most Platforms) (GPL License)
*[http://quanta.kdewebdev.org/ Quanta Plus] - KDE based editor, supporting PHP and other markup languages ([[Linux]]) (GPL License)
*[http://www.macromedia.com/software/homesite/ Homesite] - Code-centric editor with PHP 4 support ([[Windows]])
*[http://www.weaverslave.ws/ Weaverslave] - Open source editor, supporting PHP and other markup languages ([[Open Source]]) ([[Windows]]) (Custom License)
== Resources ==
*[http://www.php-cli.com PHP CLI] - All about running PHP script from command line: tutorials, examples, PHP CLI and PHP CGI differences.
*[http://www.w3schools.com/php/default.asp W3Schools] - Quick start with PHP for beginners.
*[http://www.oracle.com/technology/pub/articles/oracle_php_cookbook/index.html The Oracle+PHP Cookbook]. Explore a broad range of HowTos for leveraging Oracle's PL/SQL APIs in PHP applications.
*[http://php.net/ PHP.net] - The PHP website. This is where you go to both [http://php.net/downloads.php get PHP] and to [http://php.net/docs.php read the documentation].
*[http://www.php.net/manual/en/index.php The PHP Manual] - Extensive information about PHP.
*[http://www.devnetwork.net/ PHP Developers Network] - Network of PHP-resource driven websites.
*[http://www.php-editors.com/chapters/ PHP Book Chapters] - Sample PHP books chapters, read online.
*[http://www.computer-books.us/php.php Computer-Books.us] - A collection of PHP books available for free download.
*[http://phpfreaks.com/ PHPFreaks.com] - Learn PHP, PHP Tutorials / Howto, Code Examples, PHP Scripts
*[http://www.php-help.net/ PHP-Help.net: PHP codes, PHP scripts, PHP examples] - PHP Help, PHP Codes Examples, PHP Scripts
*[http://www.php.net/docs.php PHP Documentation] - Searchable documentation with user comments.
*[http://www.packtpub.com/books/topic/2 PHP Books ] - A large collection of PHP related books.
*[http://www.phpsec.org/ PHPSC] - PHP Security Consortium. Guides, etc. on security in PHP code.
*[http://www.programmabilities.com/ Programmabilities.com] - PHP scripts and tutorials.
*[http://www.php-resources.org/ PHP-Resources.org] - Tutorials, Docs, Newgroups and Scripts.
*[http://loadaveragezero.com/app/drx/Programming/Languages/PHP PHP Resources] - Resources and techniques.
*[http://php.resourceindex.com/ PHP Resource Index] - Another nice PHP portals for various PHP resoureces.
*[http://www.phpbuilder.com/ PHP Builder] - A Website for PHP News, Articles, Code library, forums etc.
*[http://www.phppatterns.com/ PHPPatterns] - Raising awareness and bringing PHP to the Enterprise Creating understanding of PHP‘s Advanced Capabilities
*[http://www.goodphptutorials.com Good PHP Tutorials] - A categorized collection of PHP tutorials
*[http://mojavi.org Mojavi] - One of the most popular MVC framework of PHP
* PHP Web Application Component Toolkit http://phpwact.org/ -- it's a wiki
* [http://www.coderwiki.com/wiki/index.php?title=Portal:PHP Portal:PHP on CoderWiki.com] A Wiki devoted to documenting all programming languages and all their functions.
*[http://www.hotscripts.com/php/ Hotscripts.com :: PHP] - A very good PHP portal
*[http://www.php-mysql-tutorial.com/ PHP MySQL Tutorial] - Very good beginners tutorial
*[http://notepad-plus.sourceforge.net/ Notepad++] - Very simple yet effective source code editor. Supports highlighting and folding.
*[http://www.evilwalrus.org EvilWalrus.org] - Hundreds of user-contributed scripts and articles; tagged and searchable.
== Employment ==
*[http://www.php-freelancers.com/ PHP Freelancers] - Freelance and Full-Time Jobs in PHP.
== Contributors ==
:[[User:Jatkins|Jatkins]]: PHP 4 & 5 examples, and PHP 5 only examples.
:[[User:Dwclifton|Douglas Clifton]]: New editor. Hoping to add more soon!
:[[User:Jamesbooker|James Booker]]: Minor corrections. Hoping to add more content in time.
:[[User:Spoom|Spoom]]: Original ''for'' and ''switch...case'' articles, various reformatting and additions.
:[[User:IBB|IBB]]: See profile.
:[[User:Kander|Kander]]: Minor edits to the PHP and MySQL section.
:[[w:User:Qrc|Qrc]]: Started initial page for Configuration:Register Globals.
:[[User:Bumppo|Bumppo]]: Started object-oriented PHP section
:[[User:programmabilities|programmabilities]]: Minor edits.
:[[User:Ahc|ahc]]: Significant editing to existing sections.
:[[User:liuchangjohn|Liu Chang]]: Added "Setting up PHP" section. Hoping to add more in time
:[[User:Monkeymatt|Monkeymatt]]: Fixed some typos, fixed the templating section.
:[[User:Charles Iliya Krempeaux|Charles Iliya Krempeaux]]: Added PHP CLI section. Minor cleanups on existing sections. Added PHP-GTK section.
:[[User:scorphus|scorphus]]: Fixes in installation procedures on Debian systems (to conform standards - we now use aptitude)
:[[User:immortalgeek|immortalgeek]]: Added some php web links to Resource section.
[[Category:Programming|PHP]]
:[[User:Wykis|Wykis]]: Working on Smarty section, foreach, arrays, sessions, all basic programming
:[[User:Bolo|Bolo]]: working on Flat Frog section.
:[[User:Kgrsajid|KGR Sajid]]: PHP5 editor. Also edited some other minor things.
:[[w:User:Banzaimonkey|banzaimonkey]]: Formatting changes and editing.
:[[User:Chesemonkyloma|Meemo]]: Some small edits, fixing a few scripts and the spelling of Rumpelstiltskin. ;)
:Justin Kestelyn: Added a link in Resources.
[[et:PHP]]
[[es:Programación en PHP]]
[[fr:Programmation PHP]]
[[it:Linguaggio PHP]]
[[nl:Programmeren in PHP]]
[[ja:PHP]]
[[pl:Programowanie:PHP]]
[[fi:Php]]
[[Category:PHP]]
그림:PHPWikibookCover.png
2786
6369
2006-12-05T11:13:44Z
Behumble
131
틀:자유게시판
2788
6394
2006-12-11T15:32:34Z
아흔
9
set
{| cellspacing="6px" style="float:right; vertical-align:top; border:2px solid #FCAB37; background-color:#5D5917"
|-
| <div style="border:2px solid #D1D1D0; padding:.5em; background-color:#FFFFFF; text-align:center;">의견이나 질문은<br />[[Image:Icon-6a.png|Icon-6a.png]]<br />'''[[wikibooks:자유게시판|자유게시판]]'''</div>
|}
Wikibooks:게시판
2789
edit=sysop:move=sysop
6399
2006-12-11T15:37:34Z
아흔
9
보호시킴 "[[Wikibooks:게시판]]": basic [edit=sysop:move=sysop]
{{자유게시판}}
__TOC__
{{headline2|New Wikibooks logo}}
* 현재 위키책의 [[meta:Wikibooks/logo|새로운 로고]]
틀:Headline2
2790
edit=sysop:move=sysop
6615
2007-01-04T14:18:12Z
아흔
9
rev.
<h2 clear="all" class="BGImage-a" style="padding-left:1em; margin-bottom:1em; background-color:#F0F0F0; font-size:110%; font-weight:bold;">{{{1}}}</h2>
Wikibooks:네임스페이스
2791
6406
2006-12-11T16:18:15Z
아흔
9
set
'네임스페이스'란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에서 수록되는 데이타의 질서를 잡기위해서 고안된 방안으로서, 이를테면 보통 파일의 종류를 표시할 때 파일의 이름 다음에 점을 찍은 후에 '.exe, .js' 라고 쓰는 것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미디어위키 네임스페이스는 언제나 문서의 이름 앞에 '콜론'(''':''')이 붙으며 그 앞에 네임스페이스 이름이 붙는 것이 특징입니다. 가령 지금 보고 계시는 문서의 이름 'Wikibooks:네임스페이스'을 보시면 방금 설명한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이해하실 것입니다. 프로젝트 네임스페이스 ''''Wikibooks''''는 현재 영어 그대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는 조만간 ''''위키책''''으로 바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위키책에 수록되는 문서는 영어 네임스페이스 이름 'Main'으로서 다른 네임스페이스와 달리 낱말 앞에 네임스페이스 이름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낱말을 수록한 문서만이 흔히 실제 수록된 문서의 수로서 집계됩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는 '''{{NUMBEROFARTICLES}}''' 입니다.
아래에는 현재 쓰이고 있는 미디어위키의 네임스페이스들 입니다.
'''global'''로 표시된 한국어 번역은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쓰이고 있으며, '''local'''로 표시된 번역은 한국어 위키책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 style="padding:.5em; border:1px solid #AAAAAA;" cellspacing="3" cellpadding="4" rules="all"
|-bgcolor="#F0F0F0"
! rowspan="2" | 번호
! rowspan="2" | 변환값
! rowspan="2" | 영어 이름
! colspan="2" | 한국어 번역
|-bgcolor="#F0F0F0"
! global
! local
|-
| -2
|<nowiki>{{ns:-2}}</nowiki>
| Media
| 미디어
| 미디어/미디어
|-
| -1
|<nowiki>{{ns:-1}}</nowiki>
| Special
| 특수 기능
| 특별 페이지
|-
| 0
|<nowiki>{{ns:-0}}</nowiki>
| Main
| 문서
| 낱말
|-
| 1
|<nowiki>{{ns:1}}</nowiki>
| Talk
| 토론
| 토론
|-
| 2
|<nowiki>{{ns:2}}</nowiki>
| User
| 사용자
| 사용자
|-
| 3
|<nowiki>{{ns:3}}</nowiki>
| User_talk
| 사용자토론
| 사용자토론
|-
| 4
|<nowiki>{{ns:4}}</nowiki>
| Project
| Project
|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
|-
| 5
|<nowiki>{{ns:5}}</nowiki>
| Project_talk
| Project_talk
| 위키책토론
|-
| 6
|<nowiki>{{ns:6}}</nowiki>
| Image
| 그림
| 그림
|-
| 7
|<nowiki>{{ns:7}}</nowiki>
| Image_talk
| 그림토론
| 그림토론
|-
| 8
|<nowiki>{{ns:8}}</nowiki>
| MediaWiki
| MediaWiki
| MediaWiki
|-
| 9
|<nowiki>{{ns:9}}</nowiki>
| MediaWiki_talk
| MediaWiki_talk
| MediaWiki_talk
|-
| 10
|<nowiki>{{ns:10}}</nowiki>
| Template
| 틀
| [[Wikibooks:템플릿|템플릿]]
|-
| 11
|<nowiki>{{ns:11}}</nowiki>
| Template_talk
| 틀토론
| 템플릿토론
|-
| 12
|<nowiki>{{ns:12}}</nowiki>
| Help
| 도움말
| [[Wikibooks:도움말|도움말]]
|-
| 13
|<nowiki>{{ns:13}}</nowiki>
| Help_talk
| 도움말토론
| 도움말토론
|-
| 14
|<nowiki>{{ns:14}}</nowiki>
| Category
| 분류
| [[Wikibooks:카테고리|카테고리]]
|-
| 15
|<nowiki>{{ns:15}}</nowiki>
| Category_talk
| 분류토론
| 카테고리토론
|}
다음은 PHP 원문(영어)에 쓰여진 네임스페이스 이름입니다. 화살표 다음의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할 경우 이 번역이 곧 한국어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global''' 번역으로 쓰이게 됩니다.
<pre>
/* private */ $wgNamespaceNamesEn = array(
NS_MEDIA => 'Media',
NS_SPECIAL => 'Special',
NS_MAIN => '',
NS_TALK => 'Talk',
NS_USER => 'User',
NS_USER_TALK => 'User_talk',
NS_WIKIBOOKS => 'Wikibooks',
NS_WIKTIONARY_TALK => 'Wikibooks_talk',
NS_IMAGE => 'Image',
NS_IMAGE_TALK => 'Image_talk',
NS_MEDIAWIKI => 'MediaWiki',
NS_MEDIAWIKI_TALK => 'MediaWiki_talk',
NS_TEMPLATE => 'Template',
NS_TEMPLATE_TALK => 'Template_talk',
NS_HELP => 'Help',
NS_HELP_TALK => 'Help_talk',
NS_CATEGORY => 'Category',
NS_CATEGORY_TALK => 'Category_talk'
);</pre>
*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문제점은 다음의 웹사이트에서 살펴보세요.
** [http://www.mediawiki.org/wiki/MediaWiki Mediawiki.org]
[[Category:위키책]]
Wikibooks:사용자 평가
2792
6409
2006-12-11T16:24:31Z
아흔
9
set
{| width="100%"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F0F0EF; border-bottom:2px solid #AAAAAA; border-right:2px solid #AAAAAA; background-color:#FFF"
|-
| style="valign:top; padding:2em;" | 한국어 위키책에 등록된 사용자는 자신의 참여도를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평가는 [[Wikibooks:관리자|관리자]] 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평가는 다음의 세 분야에 걸쳐 이루어집니다.
* '''[[#참여 자세 평가|참여 자세 평가]]'''
* '''[[#기여 실적 평가|기여 실적 평가]]
* '''[[#경험도 평가|경험도 평가]]
사용자 평가는 등록된 사용자가 자신의 평가를 원하여 평가 문의를 하였을 때 비로소 처리됩니다.
평가를 하는 사람은 관리자이며, 평가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하여 평가를 다른 위키 프로젝트의 사용자에게 검증을 의뢰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평가 문의|사용자 평가 문의]]
|}
{| width="100%" cellspacing="8px" cellpadding="8px"
|-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9FC9F3; border-bottom:2px solid #015DB8; border-right:2px solid #015DB8;" |
{{headline2|참여 자세 평가}}
참여 자세 평가에서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는
* 근면하고 성실한 자세.
* 서로 도와주고 화합하는 자세.
* 개방적인 자세.
{{headline2|기여 실적 평가}}
* 기여 실적 평가에서는 무엇보다도 얼마나 새로운 글을 수록하였는가에 비중을 둡니다. 위키미디어의 모든 프로젝트의 존재 여부는 수록되는 알찬 글의 증가에 달려 있습니다. 다른 편집들, 이를테면 [[Wikibooks:인터위키언어링크|인터위키언어링크]]나 [[Wikibooks:카테고리|카테고리]] 정리 따위는 수록된 글이 있을 때 비로소 할 수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 한국어 위키책의 발전과 향상을 위하여 사용자가 노력한 일이나 또는 새로운 제안 역시 기여 실적 평가에서 고려를 합니다.
{{headline2|경험도 평가}}
경험도 평가는 관리자 모집에 지원한 사용자의 경우에 한하여 평가를 합니다.
* 위키미디어 재단이 추구하는 목적과 그의 전반적인 구조.
*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특히 메타에서 진행되는 여러 가지 문제나 제안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능력.
* HTML, CSS, JavaScript에 관한 최소한의 상식.
{{headline2|사용자 평가 문의}}
|}
__NOTOC__
[[Category:위키책]]
Wikibooks:찾기
2793
6412
2006-12-11T16:36:46Z
아흔
9
rev
{| width="100%"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F0F0EF; border-bottom:2px solid #AAAAAA; border-right:2px solid #AAAAAA; background-color:#FFF"
|-
| style="valign:top; padding:2em;" |한국어 위키책에 수록된 글을 찾아보고자 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음의 방법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br/><br/>
* [[#찾기 칸에서|'''찾기 칸에서''']]
* [[#첫 글자로 찾기|'''첫 글자로 찾기''']]
* [[#카테고리로 찾기|'''카테고리로 찾기''']]
*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
{| width="100%" cellspacing="8px" cellpadding="8px"
|-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9FC9F3; border-bottom:2px solid #015DB8; border-right:2px solid #015DB8;" width="50%" align=left |
{{headline2|찾기 칸에서}}
위키책의 왼쪽에 있는 '찾아보기' 칸에서는 찾고자하는 낱말을 써넣으신 다음, 다음의 두가지 방법들 가운데 하나로 찾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 <span style="background-color:#DFDFDF"> '''문서''' </span> 단추를 누르시면 찾고자 하는 낱말을 제목으로 하는 문서의 페이지가 열립니다. 만일 찾고자 하는 문서가 한국어 위키책에 수록되어 있지 않으면 수록되어 있지 않다는 안내문이 나타납니다.
* <span style="background-color:#DFDFDF"> '''훑기''' </span> 단추를 누르시면 한국어 위키책에 수록된 모든 문서들을 훑어서 찾고자 하는 낱말이 들어 있는 문서들을 제시합니다. 만일 찾고자 하는 낱말이 담긴 문서가 없을 경우에는 찾는 낱말이 없다는 안내문이 나타납니다.
{{headline2|첫 글자로 찾기}}
찾고자 하는 하나의 낱말 대신에 가령 "강"으로 시작되는 낱말들을 찾아보고 싶을 때에는 [[Special:Prefixindex|여기에서 찾기]]를 하세요.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9FC9F3; border-bottom:2px solid #015DB8; border-right:2px solid #015DB8;" |
{{headline2|카테고리로 찾기}}
위키책에 수록된 모든 낱말은 [[Wikibooks:카테고리|카테고리]]가 붙어 있습니다. 때문에 찾고자 하는 내용을 카테고리로 하여 한국어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 [[Wikibooks:카테고리|'''주요 카테고리들''']]
{{headline2|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 라틴어 알파벳을 쓰는 외국어의 경우에는 낱말의 첫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따로 구별하지 않습니다.
|}
__NOTOC__
[[Category:위키책]]
Wikibooks:위키백과에서 들른 참여자를 위하여
2795
6422
2006-12-14T15:40:01Z
아흔
9
set
{| width="100%"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F0F0EF; border-bottom:2px solid #AAAAAA; border-right:2px solid #AAAAAA; background-color:#FFF"
|-
| style="valign:top; padding:2em; text-indent:20px;" |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은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아재단]]의 한 프로젝트이며, 특히 '''한국어'''를 쓰는 책('''Wikibooks''')의 프로젝트입니다. 이는 한국어 위키백과가 위키미디어재단의 한 프로젝트이면서 '''한국어'''를 쓰는 백과사전 ('''Wikipedia''')의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미루어 짐작하시면 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더러 이 곳에 들리는 참여자께서는 아래의 안내 및 주의 사항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사용자 등록|사용자 등록]]'''
* '''[[#참여하기|참여하기]]
* '''[[#위키책에서 쓰는 용어와 메시지|위키책에서 쓰는 용어와 메시지]]
* '''[[#편집 요령|편집 요령]]
|}
{| width="100%" cellspacing="8px" cellpadding="8px"
|-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padding:1em; border:1px solid #9FC9F3; border-bottom:2px solid #015DB8; border-right:2px solid #015DB8;" |
{{headline2|사용자 등록}}
한국어 위키백과에 이미 등록된 사용자가 이곳에 등록을 할 때에는 같은 사용자 이름으로 등록하시기를 권장합니다. [[Wikibooks:복수 사용자 등록|복수 사용자 등록]]이나 자신의 신분을 감추기 위하여 다른 사용자 이름으로 등록을 하여 그릇된 일을 하지 않기를 부탁드립니다. 사용자 ID 및 IP 그리고 'Server Access-Log' 체크에서 이와 같은 사실이 들켜 망신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headline2|참여하기}}
* 한국어 위키책에서는 무엇보다도 '''글을 쓰는 참여자'''를 존중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들린 참여자께서는 [[Wikibooks:위키책에서 착각하는 점|'위키책'을 '백과사전'과 착각]]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백과사전에 수록된 내용을 고스란히 또는 약간 수정하여 이곳으로 옮겨넣지 않기를 부탁드립니다.
{{headline2|위키책에서 쓰는 용어와 메시지}}
한국어 위키책에서 쓰이는 몇몇 용어 및 [[Special:Allmessages|메시지]]가 더러 위키백과에서 쓰이고 있는 것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에서 들린 참여자께서는 번거럽더라도 한국어 위키책에서 쓰이는 용어를 따라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위키백과와 눈에 띄게 틀린 용어로는 아마 다음을 손꼽을 수 있습니다.
* [[Wikibooks:네임스페이스|네임스페이스]] 'category'는 '분류' 대신 외래어 '카테고리'를 쓰고 있습니다.
* [[Wikibooks:네임스페이스|네임스페이스]] 'template'의 한국어 번역 '틀'과 외래어 [[Wikibooks:템플릿|템플릿]] 같이 사용합니다.
* 로그인을 위한 'account'는 은행 용어인 '계정'이라는 번역을 쓰지 않고 '사용자 페이지'라고 부릅니다.
* 'move'의 한자어 '이동' 대신 '옮기기'를 씁니다.
* 'link'의 번역 '고리' 대신 외래어 '링크'를 씁니다.
* 'list'의 번역 '목록'을 쓰지 않고 복수 접사 '들'을 붙여 씁니다 (User list: [[Special:Userlist|등록 사용자들]]).
** 참조 [[그림:Icon-02.png|Icon-02.png]] [[Wikibooks:용어 및 문장 부호|용어 및 문장 부호]]
이 밖에 [[Special:Allmessages|시스템 메시지]]는 되도록 직역을 하지 않고 알리는 글이 무슨 말인지 알기 쉽게 한글로 번역하여 쓰고 있습니다.
{{headline2|편집 요령}}
위키책은 어떤 주제를 두고 '''책'''을 쓰는 곳이기 때문에 참여자께서는 쓰고자 하는 주제에 관해 적지 않은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저기 웹사이트에서 발견한 단편적인 내용을 짜집기하는 일은 위키책에서 반기지 않습니다. 그리고 편집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Wikibooks:도움말|도움말]]을 읽어 보면서 한국어 위키책의 구조와 어렵지 않은 몇몇 편집 요령을 익히시기 바랍니다.
__NOTOC__
[[Category:위키책]]
Wikibooks:용어 및 문장 부호
2796
edit=sysop:move=sysop
6424
2006-12-14T15:43:20Z
아흔
9
보호시킴 "[[Wikibooks:용어 및 문장 부호]]": basic [edit=sysop:move=sysop]
{| width="100%"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F0F0EF; border-bottom:2px solid #AAAAAA; border-right:2px solid #AAAAAA; background-color:#FFF"
|-
| style="valign:top; padding:2em;" | 한국어 위키책에서 쓰이는 용어 및 문장 부호는 대개 [[Wikt:위키낱말사전:한글 맞춤법|한글 맞춤법]]과 국립 국어 연구원에서 발표한 여러 어문 규정을 따르고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용어 및 문장 부호는 한국어 위키책에서 나름대로 세운 규정에 따릅니다.</br>한글 맞춤법과 그리고 국립 국어 연구원에서 발표한 여러 어문 규정을 따르지 않는 한국어 위키책에서 쓰이는 용어 및 문장 부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장 부호|문장 부호]]'''
* '''[[#용어 및 표기|용어 및 표기]]
한국어 위키책에서 한국어 위키백과와 달리 쓰이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위키 용어|위키 용어]]
|}
{| width="100%" cellspacing="8px" cellpadding="8px"
|-
| bgcolor=#FBFBFB valign="top" style="border:1px solid #9FC9F3; border-bottom:2px solid #015DB8; border-right:2px solid #015DB8;" |
{{위키책_도움말}}
{{headline2|문장 부호}}
* 겹낫표 (『 』) 와 낫표 (「 」)는 한국어 위키책에서 쓰지 않습니다.
* 중괄호 (<nowiki>{ }</nowiki>)와 대괄호 (<nowiki>[ ]</nowiki>)는 한국어 위키책에서 쓰지 않습니다.
* 물결표 (∼), 드러냄표(˚), 숨김표(××, ㅇ ㅇ)는 한국어 위키책에서 쓰지 않습니다.
* 줄임표 (……)는 점 여섯 대신에 언제나 점 셋(...)을 씁니다.
{{headline2|용어 및 표기}}
아래는 국립국어연구원에서 발표한 어문 규정에 따른 여러 표기법과 다르게 한국어 위키책에서 쓰이는 표기들입니다.
* 그리스어
** 그리스어 카파 (κ)는 예외없이 → 'ㅋ'
** 그리스어 히 (χ)는 예외없이 → 'ㅎ'
** 그리스어 윕실론 (υ)은 예외없이 → 'ㅟ'
{{headline2|위키 용어}}
* 분류 → [[Wikibooks:카테고리|카테고리]], <nowiki>[[Category:]]</nowiki>
* 고리 → 링크
* 이동 → 옮기기
* 계정 → 사용자 등록 또는 사용자 페이지
[[Category:위키책]]
틀:대문/가
2797
edit=sysop:move=sysop
6454
2006-12-22T16:18:39Z
아흔
9
rev.
[[Image:Icon-wikibooks.png|Icon-wikibooks.png]]
<div style="padding:20px; text-indent:30px">
[[Wikibooks:위키책 안내|위키책(Wikibooks)]]은 [[Wikibooks:위키미디아재단|위키미디어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하나입니다. 위키책에 참여하시는 여러분께서는 여러 학문 및 상식 분야에 관한 주제를 책의 제목으로 삼아 나름대로 책을 꾸며나가실 수 있습니다. 위키책을 처음 찾으신 참여자께서는 [[Wikibooks:도움말|도움말]]과 [[Wikibooks:FAQ|FAQ]]에서 한국어 위키책에 관한 안내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div>
틀:대문/나
2798
6444
2006-12-22T15:29:01Z
아흔
9
rev.
<div style="padding:.5em; text-align:left; font-size:16pt; border-bottom: solid 3px #5495C3;">{{{1}}}</div>
그림:BGImage book.jpg
2801
6446
2006-12-22T15:50:59Z
아흔
9
개인작품
개인작품
틀:대문/다
2803
6453
2006-12-22T16:16:59Z
아흔
9
rev.
{{headline2|언어}}
* [[체코어]]
* [[영어 입문]]
* [[프랑스어 입문]]
* [[우즈베크어|우즈베크어 입문]]
* [[이도 입문]]
* [[일본어 입문]]
{{headline2|종교, 신학}}
* [[신약성서 주석|신약성서]]
{{headline2|컴퓨터}}
* [[리눅스]]
* [[프로그래머의 길]]
메이플스토리/전직/궁수
2804
6467
2006-12-31T12:46:27Z
203.128.181.58
/* 스킬 */
궁수는 레벨 10이상,민첩이 25이상일때 가능하다. 헤네시스의 공원의 헬레나에게 대화를 신청하면 궁수가 가능하다
==주사위 굴리기 ==
전사와 같이 운과 지력은 4/4,4/5,5/4,5/5가 나와야하고 힘과 민첩은 그이상이어야 한다. 하지만 궁수는 민첩이 공격력이므로 민첩이 많으면 더 좋다.
==스킬==
*아마존의 축복-명중률이 증가한다.
*아마존의 눈-사출 무기의 사정거리를 늘려준다.단 아마존의 축복이 3개이상여야 한다.
*크리티컬 샷-일정확률로 강한 공격을 할 수 있다.
*포커스-집중하여 일정 시간동안 민첩과 명중률을 상승시킨다. 단 아마존의 축복이 3개이상여야 한다.
*더블샷-두의 화살을 소비하여 두 번적을 공격한다.단 에로우 블로우가 1개이상여야한다.
*애로우 블로우-힘을 모아 강한 공격력의 화살을 발사한다.
===스킬올리는 방법===
*A형:애로우 블로우1-아마존의 축복3-아마존의 눈8(마스터)-크리티컬 샷20(마스터)-더블샷20(마스터)-나머지는 아마존의 축복과 포커스에 투자
*B형:아마존의 축복3-눈8(마스터)-더블샷10-sp10 모았다가 더블샷마스터→-크리티컬샷20(마스터)-아마존의 축복9(또는 포커스9)
*C형:아마존의 축복3-아마존의 눈8(마스터)-더블샷10-크리티컬샷20(마스터)-더블샷10(총20개 마스터)-아마존의 축복9(또는 포커스9)
다른것도 좋지만 A형을 추천합니다.
IPA
2805
6651
2007-01-11T13:43:28Z
Theoteryi
135
'''개요''' : IPA는 전 세계 언어의 발음을 하나의 문자로 표기하기 위해 고안된 문자이다. 우리가 체코어, 우즈베크어 등 우리에게 생소한 언어의 발음들을 익힐려면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다른 생소한 언어들을 배우기 전에 IPA를 배워두면 많은 발음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차례|문단=
*[[/IPA 이해하기|IPA 이해하기]]
*[[/IPA 발음하기|IPA 발음하기]]
}}
[[분류:참고서]]
IPA/IPA 이해하기
2806
6486
2007-01-02T03:34:53Z
Theoteryi
135
/* 모음 */
== IPA 란? ==
앞장에서도 말하였듯이 IPA는 전 세계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서 고안된 문자이다. 라틴 문자와 매우 비슷하니 우리는 쉽게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그 문자 수가 엄청나다.
== IPA 알파벳 ==
=== 자음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3 style="font-face:Gentium"
|+순음
!
! colspan="2"| 양순음
! colspan="2"| 순치음
! colspan="2"| Dentolabial
! colspan="2"| Labioalveolar
! colspan="2"| 설순음
|-
|파열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p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b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p̪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b̪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p͆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b͆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p͇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b͇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t̼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d̼
|-
| 비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m̥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m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ɱ̊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ɱ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m̥͆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m͆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m͇̊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m͇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n̼̊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n̼
|-
| 전동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ʙ̥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ʙ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r̼
|-
| 마찰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ɸ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β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f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v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f͆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v͆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f͇͇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v͇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θ̼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ð̼
|-
| 비찰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m̥͋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m͋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접근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β̞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ʋ̥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ʋ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설측 접근음
| colspan="8"|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l̼̊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l̼
|-
| Percussive
| colspan="2"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ʬ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3
|+치음 계열
!
! colspan="2"| Bidental
! colspan="2"| 치간음
! colspan="2"| 치음
! colspan="2"| 치조음
! colspan="2"| 치조후음
|-
| 파열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t̪͆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d̪̪͆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t̪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d̪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t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d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비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n̪͆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n̪̊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n̪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n̥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n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전동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탄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ɾ̥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ɾ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설측탄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ɺ̥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ɺ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마찰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h̪͆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ɦ̪͆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θ̪͆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ð̪͆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θ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ð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s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z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ʃ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ʒ
|-
| 설측마찰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ɬ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ɮ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설측중설마찰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ʪ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ʫ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비찰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n̥͋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n͋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접근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ɹ̥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ɹ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설측접근음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l̪͆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l̥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l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Percussive
| colspan="2"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ʭ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3
|+아음 계열
!
! colspan="2"| 권설음
! colspan="2"| 치조구개음
! colspan="2"| 경구개음
! colspan="2"| 연구개음
! colspan="2"| 구개수음
|-
| 파열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ʈ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ɖ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c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ɟ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k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g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q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ɢ
|-
| 비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ɳ̊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ɳ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ɲ̊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ɲ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ŋ̊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ŋ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ɴ̥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ɴ
|-
| 전동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ʀ̥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ʀ
|-
| 탄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ɽ̥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ɽ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colspan="2"|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마찰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ʂ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ʐ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ɕ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ʑ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ç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ʝ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x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ɣ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χ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ʁ
|-
| 비찰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ŋ̥͋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ŋ͋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접근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ɻ̊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ɻ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j̊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j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ɰ̊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ɰ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설측접근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ɭ̊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ɭ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ʎ̥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ʎ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ʟ̥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ʟ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순음 계열 이중조음
!
! colspan="4"|
! colspan="2"| 양순경구개음
! colspan="2"| 양순연구개음
! colspan="2"|
|-
| 마찰음
| colspan="4"|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ʍ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colspan="2"|
|-
| 접근음
| colspan="4"|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ɥ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w
| colspan="2"|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3
|+후음 계열
!
! colspan="2"| Velopharyngeal
! colspan="2"| Pharyngeal
! colspan="2"| Epiglottal
! colspan="2"| Glottal
|-
| 파열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ʡ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ʔ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 마찰음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ʩ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ħ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ʕ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ʜ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ʢ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h
| style="font-size:150%;" align="center"| ɦ
|}
<br /> <br />
<font size="150%">ɧ</font> 는 다음과 같이 바꿔 쓸 수 있다. <font size="150%">ʃ͡x</font>
=== 모음 ===
{| cellspacing=0 cellpadding=0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 transparent;"
|- style="text-align: center"
||↓혀 높이 혀 위치→
| style="width: 60px;" | '''전설'''
| style="width: 60px;" | '''근전설'''
| style="width: 60px;" | '''중설'''
| style="width: 60px;" | '''근후설'''
| style="width: 60px;" | '''후설'''
|-
| style="text-align: right; height: 30px;" | '''고모음'''
| style="height: 210px;" colspan=5 rowspan=7 | <div style="position: relative;">[[그림:Blank vowel trapezoid.png|300px]]<div style="background: transparent; position: absolute; top: 0px; left: 0px;">
{| style="position: relative; width: 300px; height: 210px; text-align: center; background: transparent;"
|-
| style="width: 300px; height: 210px; text-align: center; background: transparent;" |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2%; left: 4%; background: white;"> i • y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2%; left: 44%; background: white;"> ɨ • ʉ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2%; left: 81%; background: white;"> ɯ • u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16%; left: 29%; background: white;"> ɪ • ʏ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16%; left: 69%; background: white;"> ʊ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31%; left: 17%; background: white;"> e • ø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31%; left: 49%; background: white;"> ɘ • ɵ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31%; left: 82%; background: white;"> ɤ • o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45%; left: 56%; background: white;"> ə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59%; left: 28%; background: white;"> ɛ • œ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59%; left: 57%; background: white;"> ɜ • ɞ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59%; left: 82%; background: white;"> ʌ • ɔ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75%; left: 33%; background: white;"> æ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75%; left: 63%; background: white;"> ɐ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87%; left: 41%; background: white;"> a • ɶ </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87%; left: 82%; background: white;"> ɑ • ɒ </div>
|}
</div></div>
|-
| style="text-align: right; height: 30px;" | '''근고모음'''
|-
| style="text-align: right; height: 30px;" | '''중고모음'''
|-
| style="text-align: right; height: 30px;" | '''중모음'''
|-
| style="text-align: right; height: 30px;" | '''근저모음'''
|-
| style="text-align: right; height: 30px;" | '''중저모음'''
|-
| style="text-align: right; height: 30px;" | '''저모음'''
|}
=== IPA 명칭 ===
IPA 알파벳들은 하나하나 고유한 명칭이 부여된다.
*ex) [b]는 유성 양순 파열음
*ex) [l]은 치조 설측 접근음
*ex) [a]는 전설 비원순 저모음
IPA 알파벳 고유 명칭 읽는 공식은
: 자음일 때 (유성음, 무성음{여기 표에서는 오른쪽이 무성음 그리고 비음, 유음의 경우 유성일 때는 생략함.})+(조음 위치)+(조음 방법)
: 모음일 때 (혀 위치)+(평순, 원순{여기 표에서는 오른쪽이 비원순})+(혀 높이)
틀:삭제대상/headline
2824
edit=sysop:move=sysop
6575
2007-01-03T16:37:41Z
아흔
9
rev.
<div id="basicbox" style="padding:1em; margin-bottom:1em;">
아래에는 위키책에 수록된 문서들 가운데 삭제대상으로 올라온 문서들입니다. 참여자께서는 삭제대상 문서에 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아래에 다음과 같이 써 주시기 바랍니다.
<pre><nowiki>
== 삭제대상 문서 제목 ==
삭제에 따른 참여자의 의견
--~~~~ (자기 사인)
</nowiki></pre>
* 문서삭제에 관한 지침은 '''[[Wikibooks:문서삭제 지침|여기]]'''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div>
__TOC__
틀:차례1
2835
6621
2007-01-04T14:36:46Z
아흔
9
rev.
{| width="100%" valign="top" cellpadding="10" cellspacing="10" style="border:1px solid #EDEDED; border-bottom:2px solid #AAAAAA; border-right:2px solid #AAAAAA; background-color:#FFFFFF; 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
| [[Image:{{{그림이름}}}|100px]]</br>위키책 Wikibooks
<hr width="20%"/>
<font size=4>차 례</font>
<hr width="20%"/>
{| cellpadding="4" width=80%
<div style="margin-left:150px; text-align:left;">{{{문단}}}</div>
|}
|}
<noinclude>
<pre>
<nowiki>{{차례1|그림이름=파일 이름|문단=</nowiki>
* 첫째 문단
* 둘째 문단
<nowiki>}}</nowiki>
</pre>
* 변환값 '그림이름='에는 끼우고자 하는 그림의 파일 이름을 써넣세요.
* 변환값 '문단='은 줄을 바꾼 다음에 문단 제목을 차례로 쓰세요.
** 문단은 왼쪽에 정렬됩니다.
</noinclude>
메이플스토리/퀘스트
2836
6622
2007-01-06T02:40:51Z
121.133.90.51
New page: == 레벨 제한 없는 퀘스트 == === 돼지와 함께 춤을의 집수리 === 페리온에 있는 '돼지와 함께 춤을'이라는 NPC에게 가면 된다. 나뭇가지 30개와 장...
== 레벨 제한 없는 퀘스트 ==
=== 돼지와 함께 춤을의 집수리 ===
페리온에 있는 '돼지와 함께 춤을'이라는 NPC에게 가면 된다. 나뭇가지 30개와 장작 50개를 모으면 경험치 50과 전사전용의 강철방패나 빨간 삼각방패를 얻을 수 있다.
=== 전직에 대한 가르침 ===
틀:참/전기전자공학
2837
6626
2007-01-10T08:13:31Z
210.94.41.89
New page: wifi란 무엇인가
wifi란 무엇인가
물리올림피아드
2838
6631
2007-01-10T15:52:40Z
Kdaejin
148
Replacing page with '==서론==
*[[목적]]
*[[문제예시]]'
==서론==
*[[목적]]
*[[문제예시]]
목적
2839
6632
2007-01-10T15:53:07Z
Kdaejin
148
New page: ==문제제기== 물리올림피아드 문제와 풀이를 올려놓았으면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제 출제한 곳에 허락을 먼저받아야 하는데 그건 어떻게...
==문제제기==
물리올림피아드 문제와 풀이를 올려놓았으면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제 출제한 곳에 허락을 먼저받아야 하는데
그건 어떻게 해야할지...
하지만, 올림피아드 문제를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여
좋은 풀이들을 올려놓는다면
풀이를 올리는 사람들은 풀이를 만들기 위해 공부가 될 것이고
풀이가 올바르지 못하다면 그 과정에서 서로서로 토론이 될 테고
경시대회나 올림피아드, 그리고 과학영재들의 좋은 공부 소재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물리가 잘 되면 수학, 화학 등등 다른 과목도 더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럴려면 일단 문제를 등록하기 위해 허락을 받아야 하는데
개인적으로 요청하기에는 좀 애매하고 위키북 이름으로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문제예시
2840
6633
2007-01-10T16:01:27Z
Kdaejin
148
New page: 미디어위키에서는 수식을 보기 좋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올림피아드 문제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미디어위키에서는 수식을 보기 좋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올림피아드 문제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IPA/IPA 발음하기
2845
6650
2007-01-11T13:43:06Z
Theoteryi
135
New page: == IPA 발음하는 방법 == IPA의 모든 발음을 외우는 것은 힘이 들겠지만, 고유명칭을 이용해 발음을 외우는 것은 쉽다. :예를 들자, [b]의 고유 명...
== IPA 발음하는 방법 ==
IPA의 모든 발음을 외우는 것은 힘이 들겠지만, 고유명칭을 이용해 발음을 외우는 것은 쉽다.
:예를 들자, [b]의 고유 명칭은 "유성 양순 파열음" 이다. 이것을 해석하자면,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
이고, 양입술로 조음하는 '''양순음''' 이며, 폐 기류가 한번 막혔다 터져 발음되는 '''파열음''' 이다. <br /> 이번엔 한국어로 예를 들어보자 여기서는 {'한글 낱자'|'기본음'|'고유명칭'|해석}으로 설명한다.
:{ㄱ|[k]|"무성 연구개 무기 파열음"|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고, 뒷쪽 입천장에서 조음하는 '''연구개음'''이며, 기식이 없는 '''무기음''' 이고, 한번 막혔다 터져 발음되는 '''파열음'''}
:{ㄹ|[ɾ]|"(유성) 치조 탄음"|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고, 윗잇몸 뒤에서 조음하는 '''치조음'''이며, 굴리듯아 한번 튕겨 발음되는 '''탄음'''}
:{ㅅ|[s]|"무성 치조 (치측)마찰음"|성대가 울리 않는 '''무성음'''이고, 윗잇몸 뒤에서 조음하는 '''치조음'''이며, 조음 위치에서 마찰하되 마찰된 기류를 이빨쪽으로 갈라지게 발음하는 '''치측 마찰음'''}
이렇듯 그리 어렵지 않다.
== 한국인이 구별하기 어려운 것들 ==
*무성음과 유성음의 차이.
*파열음과 마찰음의 차이.
*접근음(반모음 아님.)과 탄음의 차이.
*연구개음과 구개수음의 차이.
*치조음과 치조후음과 권설음과 치조구개음의 차이.
*전음과 탄음의 차이.
== 일본인이 구별하기 어려운 것들 ==
*무기음과 경음의 차이.
*탄음과 접근음(반모음 아님)과 설측 접근음의 차이.
*여러 비음들의 차이.
위상수학
2847
6653
2007-01-11T17:47:40Z
219.125.100.250
New page: ==위상공간== ===위상=== ===개집합, 개핵=== ===폐집합, 폐포=== ===내점, 접촉점, 외점, 경계점, 집적점, 고립점=== ===근방=== == 위상의 비교와 생성 =...
==위상공간==
===위상===
===개집합, 개핵===
===폐집합, 폐포===
===내점, 접촉점, 외점, 경계점, 집적점, 고립점===
===근방===
== 위상의 비교와 생성 ==
===위상의 강약===
===위상의 생성===
===위상의 준기저, 기저===
===기본근방계===
===가분위상공간===
== 연속사상 ==
===연속사상===
===실연속사상===
===개사상, 폐사상===
===동상사상, 동상===
==부분공간, 직적공간 ==
===유도위상===
===상대위상, 부분공간===
===직적공간===
== 연결성 ==
== 컴팩트성 ==
== 분리공리 ==
== 거리공간과 위상 ==
웹2.0과 지적재산권
2848
6710
2007-01-21T13:56:25Z
Seabird33
150
/* 데이터베이스의 보호 */
...현재 편집중입니다.... by seabird(해연)
===서론===
인터넷, 정보사회, 사이버공간 등의 단어가 닷컴버블의 붕괴와 함께 식상해진지 오래입니다. 하지만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지속되고 있고, 정책담당자나 사업가들은 '유비쿼터스'라는 단어와 함께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웹2.0"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새롭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입니다. 닷컴의 붕괴에서 살아남아 새롭게 도약하고 있는 구글, 아마존, 이베이 등의 기업들을 통칭하여 사용하는가 하면, 때때로 블로그, UCC, 위키 그리고 오픈소스소프트웨어 등을 얘기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아직은 명확하게 개념정립이 되지 않고 있으며, 영원히 명확한 개념정의가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지적재산권을 포함한 법학에서 모든 논의는 명확한 개념정의에서 출발합니다. 그렇다면 "웹2.0과 지적재산권"이라는 제목부터 어긋나기 시작합니다.
지적재산권은 기술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저작권은 출판술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사진, 영화, 음악, 라디오, TV 등의 관련기술과 함께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습니다. 웹기술을 대표로 널리 보급된 인터넷기술도 지적재산권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런데 몇몇 진보적인 학자들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수가 정보의 생산과 이용에 참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2.0은 기존의 기술 또는 이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현상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합니다. 그에 따라 정보의 생산자와 이용자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기존의 지적재산권체계도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합니다.
지금 현재시점에서는 어느 것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웹2.0의 세계에 직접 뛰어들어 경험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웹2.0과 지적재산권"이라는 주제로 위키책을 만들어볼까 합니다. 공동작업에 의한 저작권 귀속은 어떻게 할까, 오프라인으로 책을 만들고자 할 때 GNU FDL은 어떠한 제약사항이 있는가, 그렇다면 저자 및 출판사 등은 어떠한 비즈니스모델을 가져야 할 것인가 등 웹2.0과 관련된 핵심적인 문제들이 벌써부터 제기됩니다.
<책의 구성에 대해서>
웹2.0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만큼, 어떠한 서비스가 웹1.0에 해당하는지 혹은 웹2.0의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례를 다루고 있는 제2부와 제3부의 구별이 약간 모호합니다. 특히 인터넷카페는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웹2.0에 포함시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웹2.0에 해당하는 이슈들의 분류방법에 대해서도 구글, 네이버 등 기업들로 나누어야 할지 혹은 검색서비스, 블로그 등 서비스로 나누어야 할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논의가 지속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부분들이 조금씩 명확해지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 제1부 IT기술, 정보경제학, 지적재산권==
===제1장. IT 기술의 발전과 웹2.0 ===
===제2장. 정보경제학과 지적재산권===
정보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이라는 공공재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정보의 생산과 이용에 관한 문제를 전적으로 시장에 맡기는 경우 무임승차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시장의 실패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정보의 생산자에게 해당 정보에 대한 독점배타권을 인정하는 지적재산권제도가 필요하게 된다. 정보의 지적재산권에 의한 보호는 단기적으로 볼 때 일정부분 비효율성을 지닌다. 하지만 정보의 생산자에 대한 경제적 인센티브의 보장은 정보의 생산을 촉진시켜 장기적으로는 효율성을 지닐 수 있다는 주장에 의해 단기적 비효율성이 정당화 되어왔다. 산업사회의 주요한 특성은 상품의 대량생산과 소비이다. 이와 같은 산업사회의 특성은 20세기 정보관련 산업에도 적용된다. 출판, 라디오, 지상파TV, 음악, 영화뿐만 아니라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DMB 등에 있어서도 대규모생산자에 의해 생산된 대중정보를 소비자가 이용하는 특성을 그대로 지녔다. 그러나 PC,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등의 정보기기와 인터넷 등 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소수의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정보의 생산과 배포에 참여하게 되었다. 오픈소스소프트웨어, 위키피디아 등 외국에서의 사례뿐만 아니라 오마이뉴스, 싸이월드, 지식인검색, UCC, 블로그 등 소위 웹2.0이라는 새로운 물결이 이러한 흐름을 잘 말해주고 있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정보의 생산양식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기존의 지적재산권체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경제적 인센티브이외의 인센티브에 기반한 정보의 생산, 정보의 생산자와 이용자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음, prosumer 또는 prosuage, 항상 창작의 과정에 있는, 완성품이 아닌 정보, 기타 ...
네트워크기반의 정보환경이 산업사회의 정보경제를 급격히 대체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산업사회 정보경제를 기반으로 한 지적재산권체계도 여전히 유효하며 상당히 지속될 것이다. 하지만 네트워크기반의 정보환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새로운 변화를 수용할 필요는 있다.
===제3장. 지적재산권의 개요===
====저작권법====
대법원 2001. 5. 8. 선고 98다43366 판결 【손해배상(기)】
[공2001.7.1.(133),1321]
서울고법 1998. 7. 22. 선고 96나3957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제품사진의 창작성과 관련된 상고이유에 대하여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저작물이기 위하여는 문학·학술 또는 예술의 범위에 속하는 창작물이어야 하므로 그 요건으로서 창작성이 요구되는바, 사진저작물은 피사체의 선정, 구도의 설정, 빛의 방향과 양의 조절, 카메라 각도의 설정, 셔터의 속도, 셔터찬스의 포착, 기타 촬영방법, 현상 및 인화 등의 과정에서 촬영자의 개성과 창조성이 인정되어야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저작물에 해당된다고 볼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내세운 증거들에 의하여 피고보조참가인이 피고 회사로부터 피고 회사가 제조, 판매하는 햄(ham)제품에 대한 광고용 카탈로그의 제작을 의뢰받고, 1992. 11. 25.경 원고와 사이에, 카탈로그의 제작을 위한 햄제품 등의 사진촬영을 의뢰하여 그로부터 촬영된 사진원판(네가티브필름)을 제작, 공급받기로 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한 사실, 이때 촬영하기로 한 사진은 피고 회사가 제작, 판매하는 햄제품 자체를 촬영하는 사진(이하 ''제품사진''이라 한다)과, 이러한 햄제품을 다른 장식물이나 과일, 술병 등과 조화롭게 배치하여 촬영함으로써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켜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진(이하 ''이미지사진''이라 한다)으로 대별되는 사실, 그 중 제품사진은 피고 회사의 햄제품만을 종류별로 피고보조참가인이 미리 준비한, 쵸핑이라는 햄제품과 대비될 물질이 깔려있는 우드락이라는 흰 상자속에 넣고 촬영하는 것으로서, 처음에는 14종류의 제품사진을 촬영하였으나, 그 중 일부 제품사진이 햄제품과 흰 상자 사이의 공간 등이 너무 넓어 제품이 부각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그 후 다시 10종류의 제품사진을 더 촬영하였으며, 이때 원고는 피고보조참가인으로 하여금 촬영이 잘 된 사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품종류별로 3 내지 4컷을 촬영하여 그 원판 모두를 피고보조참가인에게 공급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위 제품사진은 비록 광고사진작가인 원고의 기술에 의하여 촬영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목적은 그 피사체인 햄제품 자체만을 충실하게 표현하여 광고라는 실용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고, 다만 이때 그와 같은 목적에 부응하기 위하여 그 분야의 고도의 기술을 가지고 있는 원고의 사진기술을 이용한 것에 불과하며(바로 그와 같은 광고사진의 기술을 이용하기 위하여 광고대행업을 하는 피고보조참가인이 촬영료를 지급하고 광고사진작가인 원고를 이용하여 그와 같은 촬영을 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거기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할 만한 원고의 어떤 창작적 노력 내지 개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할 것이고, 나아가 원고는 피고보조참가인으로 하여금 촬영이 잘 된 사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품종류별로 3 내지 4컷을 촬영하였다는 것인데, 이 점은 바로 위와 같은 제품사진에 있어 중요한 것은 얼마나 그 피사체를 충실하게 표현하였나 하는 사진 기술적인 문제이고, 그 표현하는 방법이나 표현에 있어서의 창작성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고 할 것이니, 비록 거기에 원고의 창작이 전혀 개재되어 있지 않다고는 할 수 없을지는 몰라도 그와 같은 창작의 정도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할 만한 것으로는 보기 어렵다고 하여, 위 제품사진이 저작권법에 의한 사진저작물임을 전제로 하는 원고의 이 부분에 대한 청구는 더나아가 다른 점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 없이 이유 없다고 판단하였다.
기록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손해액의 산정과 관련된 상고이유에 대하여
기록과 관련 법규정에 의하여 피고 회사의 위 이미지사진을 서울 시내 백화점들의 가이드북에 무단 이용함으로써 원고의 저작권을 침해한 데 따른 원고의 손해액을 살펴보면, 먼저 그로 인한 저작재산권의 손해액은 통상 촬영료의 10배로 산정되어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은, 원심이 적절하게 판단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당사자 사이에 그러한 약정이나 관행이 있었음을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어 이를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고, 또한 구 저작권법(2000. 1. 12. 법률 제613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이라 한다.) 제93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원고의 손해액으로 추정되는 액, 즉 피고 회사가 위 저작권침해행위에 의하여 받은 이익의 액에 대해서도 이를 인정할 아무런 자료를 기록상 찾아볼 수 없으므로, 결국 피고 회사의 저작권침해행위로 인한 원고의 손해는, 같은 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원고가 저작권의 행사로 통상 얻을 수 있는 금액에 상당하는 금액인, 피고 회사가 위 이미지사진을 사용하기 위하여 그 사용에 대한 원고의 승낙을 다시 받으면서 지급하여야 함에도 지급하지 아니한 촬영료 상당의 금원이라고 봄이 상당하다 할 것이다.
원심이 이러한 원고의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 법 제93조 제3항이 아닌 같은 조 제2항을 그 근거규정으로 삼은 것은 부적절하나, 피고 회사가 위 이미지사진을 사용하기 위하여 그 사용에 대한 원고의 승낙을 다시 받으면서 지급하여야 함에도 지급하지 아니한 금액, 즉 촬영료 상당의 금원이 원고의 손해라고 판단한 것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무제(재판장) 이용우 강신욱(주심) 이강국
<생각해볼 문제>
- 만약 사진의 저작물성이 인정되었다면 피고는 어떠한 방어를 할 수 있을까? 제품카탈로그용으로 허락한 사진을 백화점들이 발행하는 선물특선광고용 책자에 사용한 것은 묵시적 허락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까?
<관련 판례>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2부 2006. 2.
- 사실관계
O사는 M씨 등을 지원해 고주파 수술기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연구하면서 1977∼97년 환부를 찍은 사진을 촬영해 여러 학술 논문에 싣고 상품 홍보에 활용했다.
S사도 1993년부터 O사의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면서 홍보물에 O사의 사진 42장을 사용하다 1999년 수입을 중단하고 독자 개발한 수술기를 판매하자 O사는 소송을 냈다.
- 판단
...치핵ㆍ자궁 등 환부를 촬영한 원고의 학술 논문 사진들은 모두 촬영 대상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대상을 중앙 부분에 위치시킨 채 근접 상태에서 촬영된 것으로 표현형식에서 특이점을 찾아볼 수 없어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는 사진 저작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원고의 사진들은 촬영 목적이 피사체 자체를 충실히 표현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피사체 선정, 구도 설정, 빛의 조절, 카메라 각도의 설정 등의 과정에서 촬영자의 개성과 창조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학술 논문의 일부로서 내용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사용된 사진이라 해도 저작권의 보호 대상이 되는 것은 그 사진에 의해 표현되는 학술적 사상이나 이론이 아니라 이를 외부에 표현한 창작적 표현 양식이다...
== 제2부 웹1.0과 지적재산권 ==
===데이터베이스의 보호===
===온라인디지털콘텐츠의 보호===
대법원 2006.2.10. 선고 2004도9073 판결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위반】
[공2006.3.15.(246),469]
--------------------------------------------------------------------------------
【판시사항】
[1]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 제18조 제1항의 보호대상 및 보호요건
[2] 만화 온라인콘텐츠에 그 온라인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이 표시되지 아니한 경우,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 제18조 제1항의 보호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위 만화 온라인콘텐츠를 복제하여 전송한 행위는 위 법 제18조 제1항 위반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 제18조 제1항, 부칙(2002. 1. 14.) 제1항, 제2항 등의 규정에 의하면 위 법이 보호하려는 온라인콘텐츠는 정보통신망에서 유통되고 있는 모든 온라인콘텐츠가 아니라 타인이 상당한 노력으로 제작하여 표시한 온라인콘텐츠 중 위 법 시행(2002. 7. 15.) 후 최초로 제작된 것으로서 최초로 제작하여 표시한 날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것만을 그 보호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할 것이고, 온라인콘텐츠가 위 법 제18조 제1항에 의하여 보호를 받으려면 같은 법 제17조 제1항 소정의 표시를 하여야 하며, 온라인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에 대한 표시를 생략한 채 온라인콘텐츠의 원저작물 출판일을 표시한 것만으로는 그에 대한 온라인콘텐츠가 위 법 시행 이후에 제작되었는지, 언제 그 보호기간이 만료되는 것인지를 알 수 없으므로 위 법 제17조 제1항에 의한 표시를 하였다고 할 수 없다 할 것이니, 위 법 제18조 제1항에 의하여 보호를 받는 온라인콘텐츠라고 할 수 없다.
[2] 만화 온라인콘텐츠에 그 온라인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이 표시되지 아니한 경우,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 제18조 제1항의 보호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위 만화 온라인콘텐츠를 복제하여 전송한 행위는 위 법 제18조 제1항 위반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1]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 제18조 제1항,부칙(2002. 1. 14.) 제1항,제2항/ [2]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 제18조 제1항
【전 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4. 12. 3. 선고 2004노55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8조 제1항은 “누구든지 정당한 권한 없이 타인이 상당한 노력으로 제작하여 표시한 온라인콘텐츠의 전부 또는 상당한 부분을 복제 또는 전송하는 방법으로 경쟁사업자의 영업에 관한 이익을 침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온라인콘텐츠를 최초로 제작하여 표시한 날로부터 5년이 경과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있고, 부칙 제6603호(2002. 1. 14.) 제1항은 “이 법은 공포 후 6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항은 “제18조의 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온라인콘텐츠를 제작하는 분부터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법 제18조 제1항, 부칙 등의 규정에 의하면 법이 보호하려는 온라인콘텐츠는 정보통신망에서 유통되고 있는 모든 온라인콘텐츠가 아니라 타인이 상당한 노력으로 제작하여 표시한 온라인콘텐츠 중 법 시행(2002. 7. 15.) 후 최초로 제작된 것으로서 최초로 제작하여 표시한 날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것만을 그 보호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할 것이고, 그 보호의 대상과 보호기간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법 제17조 제1항은 “온라인콘텐츠제작자는 온라인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 온라인콘텐츠제작자의 성명(법인인 경우에는 법인이 명칭), 온라인콘텐츠의 이용조건 등을 온라인콘텐츠 또는 그 포장에 표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여 온라인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 온라인콘텐츠제작자의 성명, 온라인콘텐츠의 이용조건 등의 표시를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온라인콘텐츠가 법 제18조 제1항에 의하여 보호를 받으려면 법 제17조 제1항 소정의 표시를 하여야 하며, 온라인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에 대한 표시를 생략한 채 온라인콘텐츠의 원저작물 출판일을 표시한 것만으로는 그에 대한 온라인콘텐츠가 법 시행 이후에 제작되었는지, 언제 그 보호기간이 만료되는 것인지를 알 수 없으므로 법 제17조 제1항에 의한 표시를 하였다고 할 수 없다 할 것이니, 법 제18조 제1항에 의하여 보호를 받는 온라인콘텐츠라고 할 수 없다.
기록 및 원심이 채택한 증거에 의하면, 주식회사 엔조이삼육오가 이 사건 만화 온라인콘텐츠에 ‘www.comicplus.com’이라는 위 회사 URL을 표시함으로써 위 온라인콘텐츠의 제작자가 위 인터넷사이트 운영자측이라는 것을 명시하였고, 이 사건 만화가 서적으로 출판된 출판일을 표시하였지만 이 사건 만화 온라인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은 표시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온라인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이 표시되지 아니한 이 사건 만화 온라인콘텐츠는 법 제18조 제1항의 보호대상에서 제외된다 할 것이므로, 피고인이 주식회사 엔조이삼육오가 상당한 노력으로 제작한 이 사건 만화 온라인콘텐츠를 복제하여 전송한 행위는 법 제18조 제1항 위반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할 것이다.
원심은 피고인에 대한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 위반의 공소사실에 대하여 위와 같은 취지로 무죄를 선고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의 보호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재윤(재판장) 이규홍 김영란 김황식(주심)
===홈페이지의 보호===
서울지법 2003. 8. 19. 자 2003카합1713 결정 【인터넷사이트사용금지가처분】: 확정
[각공2003.10.10.(2),298]
【판시사항】
인터넷홈페이지가 편집저작물에 해당하는지 여부(한정 적극) 및 인터넷홈페이지에 게시된 상품정보 등이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소정의 '온라인디지털콘텐츠'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결정요지】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제2조 제1호, 제2호는 "'디지털콘텐츠'라 함은 부호·문자·음성·음향·이미지 또는 영상 등으로 표현된 자료 또는 정보로서 그 보존 및 이용에 있어서 효용을 높일 수 있도록 전자적 형태로 제작 또는 처리된 것을 말한다. '온라인디지털콘텐츠'라 함은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한 정보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디지털콘텐츠를 말한다."고 각 규정하는 한편, 제18조 제1항에서 "누구든지 정당한 권한 없이타인이 상당한 노력으로 제작하여표시한 온라인콘텐츠의 전부 또는상당한 부분을 복제 또는 전송하는 방법으로 경쟁사업자의 영업에 관한 이익을 침해하여서는 아니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인터넷홈페이지도 그 구성형식, 소재의 선택이나 배열에 있어 창작성이 있는 경우에는 이른바 편집저작물에 해당하여 독자적인 저작물로 보호받을 수 있다고 할 것이므로 피침해사이트로부터 복제하여 침해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침해사이트의 회원들에게 전자메일을 이용하여 전송한 피침해사이트의 상품정보 등은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소정의 '온라인디지털콘텐츠'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고, 그 상품정보 등의 구성형식이나 배열, 서비스 메뉴의 구성 등은 편집저작물로 볼 수도 있다.
【참조조문】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제2조 제1호,제2호,제18조 제1항,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저작권법 제6조
【전 문】
【신청인】 에스케이디투디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배대준 외 1인)
【피신청인】 주식회사 모바일원커뮤니케이션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우현 담당변호사 이정훈)
【주문】
1. 신청인이 피신청인을 위하여 금 일억(100,000,000) 원을 공탁하거나 위 금액을 보험금액으로 하는 지급보증위탁계약 체결문서를 제출하는 것을 조건으로,
가. 피신청인은 피신청인의 인터넷홈페이지 'http://www.saywiz.com'상의 'SayWiz Tour' 플래쉬(flash) 동영상, 'Say Wizard' 서비스, 'My Account' 메뉴상의 견적서비스, 'Sayshop Guide' 서비스를 각 삭제하지 아니하고는 위 인터넷사이트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피신청인은 신청인의 인터넷홈페이지 'http://www.wizwid.com' 또는 신청인이 발송한 전자메일로부터 복제한 상품정보(사진 제외)를 피신청인의 인터넷홈페이지 'http://www.saywiz.com'에 게시하거나 피신청인이 발송하는 전자메일에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집행관은 위 명령의 취지를 적당한 방법으로 공시하여야 한다.
2. 소송비용은 피신청인의 부담으로 한다.
【신청취지】
주문과 같은 취지의 결정
【이유】
이 사건 기록에 의하면, 신청인은 통신판매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서2001. 2. 25. 인터넷사이트 'http://www.wizwid.com'(이하 '피침해사이트'라고 한다)을 개설하고, 회원이 피침해사이트를 경유하여 직접 해외온라인쇼핑몰에서 상품을 주문하면 그 상품을 미국에 소재하는 신청인의 창고에 도착하도록 한 후 고객이 지정한 국내의 수령장소까지 배송하여 전달하는 해외상품 물류대행서비스와 신청인이 회원의 주문에 따라 구매를 대행하고 물품을 회원에게 직접 배송하는 해외상품 구매대행서비스를 제공하여 온 사실, 피신청인은 2002. 11.경 인터넷사이트 'http://www.saywiz.com'(이하 '침해사이트'라고 한다)을 개설한 후 피침해사이트상의 제품설명 등 상품정보, 광고문구, 서비스안내 등의 콘텐츠(이하 '콘텐츠'라고만 한다)를 그대로복제하거나 극히 일부분을 변형한 콘텐츠를 침해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를 이용한 주문 기재 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신청인과 동일한 해외상품 물류대행서비스, 구매대행서비스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실, 피신청인은 피침해사이트 및 신청인이 회원들에게 발송하는 메일상의콘텐츠를 복제하여 피신청인의 회원에게 발송하는 전자메일에 사용하고 있는 사실이 소명된다.
살피건대,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제2조 제1호, 제2호는 '"디지털콘텐츠"라 함은 부호·문자·음성·음향·이미지 또는 영상 등으로 표현된 자료 또는 정보로서 그 보존 및 이용에 있어서 효용을 높일 수 있도록 전자적 형태로 제작 또는 처리된 것을 말한다, "온라인디지털콘텐츠"라 함은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한 정보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디지털콘텐츠를 말한다.'고 각 규정하는 한편, 제18조 제1항에서 '누구든지 정당한 권한 없이 타인이 상당한 노력으로 제작하여 표시한 온라인콘텐츠의 전부 또는 상당한 부분을 복제 또는 전송하는 방법으로 경쟁사업자의 영업에 관한 이익을 침해하여서는 아니된다.'고 규정하고 있고, 한편 인터넷홈페이지도 그 구성형식, 소재의 선택이나 배열에 있어 창작성이 있는 경우에는 이른바 편집저작물에 해당하여 독자적인 저작물로 보호받을 수 있다고 할 것인바,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피신청인이 피침해사이트로부터 복제하여 침해사이트에 게시하거나 피신청인의 회원들에게 전자메일을 이용하여 전송한 신청인의 상품정보 등은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소정의 '온라인디지털콘텐츠'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고, 그 상품정보 등의 구성형식이나 배열, 서비스 메뉴의 구성 등은 편집저작물로 볼 수도 있다고 할 것이므로 신청인은 피신청인에 대하여 그 침해행위의 금지를 구할 피보전권리가 있다고 할 것이고, 피신청인이 신청인의 상품정보 등이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대상이 아니라는 등의 사유를 들어 신청인의 주장을 적극적으로 다투면서 이 사건 신청이 제기된 이후에도 신청인의 콘텐츠를 계속 이용하고 있음이 기록상 소명되는 이상 그 보전의 필요성도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 사건 신청은 이유 있으므로 이를 인용하기로 한다.
<관련자료>
김소영, “창작성 있는 홈페이지도 편집저작물로 보호되는지 및 홈페이지 내용이 온라인디지털콘텐즈에 해당하는지 여부”, 정보법판례백선(I), 박영사 2006.
....
이 사건에서 채권자가 구성과 배열에 창작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Wizshop Guide 페이지를 비롯한 웹페이지상의 각종 메뉴의 목차 및 구성은, 모두 이용자로 하여금 채권자가 운영하는 각 페이지에 손쉽게 접근하여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유용한 기능들의 모음이다. 이러한 유용한 기능 그 자체는 창작적인 표현형식이 아니므로, 위 메뉴들이나 배너에 이러한 기능이 있다고 하여 곧바로 편집저작물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창작성이 있다고 할 수는 없고 각각의 메뉴구성이나 기능별 메뉴배치가 표준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벗어나 창작성이 있어야 비로소 편집저작물로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
===인터넷카페의 저작권 침해===
===인터넷뉴스관련 문제===
===DRM(기술적 보호조치, 저작권 관리정보)의 보호===
===스트리밍음악서비스의 저작권 침해===
===P2P와 저작권 침해===
===ISP의 법적 책임===
저작권법 제77조 제2항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저작물 등의 복제․전송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물 등의 복제․전송으로 인하여 그 저작권 그밖에 이 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권리가 침해된다는 사실을 알고, 당해 복제․전송을 방지하거나 중단시키고자 하였으나,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에 관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은 면제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05카합4187 결정)
....
P2P 관련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인 피신청인은 이용자들의 침해행위를 방지하고 중단시키기 위한 최선의 기술적 조치를 마쳤고, 그 외의 수단이 전무하므로 저작권법상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제한 규정에 의해 면책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기록에 의하면, ⓐ피신청인은 이 사건 서비스에 의하여 신청인을 비롯한 음반제작자들의 복제권 및 전송권이 침해되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고 있었다고 보이는 점, ⓑ 피신청인이 이용자들을 상대로 저작인접권침해에 관한 경고문을 게시하고, 이 사건 음원과 관련한 금칙어를 등록하는 것만으로는 저작인접권침해를 예방하는 데 실질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점, ⓒ 간단한 형태의 검색어 제한방법 이외에도 음악인식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저작권 관련 당사자들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 주는 기술과 서비스) 기술의 발달로 실효적인 저작권 보호가 불가능하다고 보기 어렵고, 신청인이 위와 같은 기술적 조치를 요구한 바 있는 점, ⓓ 저작권법에서 기술적 조치에 드는 비용 및 난이도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불가능한 경우에만 면책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피신청인으로서는 다양한 형태의 DRM 기술 중 최적인 기술조치를 확인하여 그 조치를 이행할 의무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인 점 등의 제반사정을 고려할 때, 피신청인의 위 면책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
== 제3부 웹2.0과 지적재산권 ==
=== [[자유/오픈소스소프트웨어]] ===
=== 위키피디아 ===
GNU FDL
=== 블로그, 싸이, UCC ===
Youtube
Creative Commons
=== Podcasting===
=== 검색서비스 ===
====[[이미지검색서비스의 저작권 침해]]====
====검색어와 상표권 침해(게이코 v. 구글)====
====검색알고리즘의 특허권 등록과 침해====
====구글의 전자도서관====
===지식인검색서비스===
=== 오마이뉴스===
=== 온라인게임===
=== 표준과 IPR ===
W3C Patent Policy
Patent Pool, Platform : MPEG, 3G3P, Wibro
==전망 : Web2.0을 위한 지적재산권 프레임워크==
오마이뉴스의 성공
판소리의 계승과 발전
제2장. 정보경제학과 지적재산권
2849
6672
2007-01-16T06:44:50Z
Seabird33
150
New page: 정보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이라는 공공재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정보의 생산과 이용에 관한 문제를 전적으로 시장에 ...
정보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이라는 공공재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정보의 생산과 이용에 관한 문제를 전적으로 시장에 맡기는 경우 무임승차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시장의 실패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정보의 생산자에게 해당 정보에 대한 독점배타권을 인정하는 지적재산권제도가 필요하게 된다. 정보의 지적재산권에 의한 보호는 단기적으로 볼 때 일정부분 비효율성을 지닌다. 하지만 정보의 생산자에 대한 경제적 인센티브의 보장은 정보의 생산을 촉진시켜 장기적으로는 효율성을 지닐 수 있다는 주장에 의해 단기적 비효율성이 정당화 되어왔다.
산업사회의 주요한 특성은 상품의 대량생산과 소비이다. 이와 같은 산업사회의 특성은 20세기 정보관련 산업에도 적용된다. 출판, 라디오, 지상파TV, 음악, 영화뿐만 아니라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DMB 등에 있어서도 대규모생산자에 의해 생산된 대중정보를 소비자가 이용하는 특성을 그대로 지녔다. 그러나 PC,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등의 정보기기와 인터넷 등 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소수의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정보의 생산과 배포에 참여하게 되었다. 오픈소스소프트웨어, 위키피디아 등 외국에서의 사례뿐만 아니라 오마이뉴스, 싸이월드, 지식인검색, UCC, 블로그 등 소위 웹2.0이라는 새로운 물결이 이러한 흐름을 잘 말해주고 있다.
자유/오픈소스소프트웨어
2850
6709
2007-01-21T13:49:51Z
Seabird33
150
==개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운동의 기원은 1980년대 초반 소프트웨어의 상용화 및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제한에 반대하여 리차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이 자유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을 만들고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시작하면서부터이다. 그 이후 1990년대 들어서면서 인터넷과 더불어 리눅스가 성공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상용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참여를 이끌기 위해 1998년 Open Source Initiative(OSI)가 만들어졌다. 때를 같이 하여 MS의 익스플로러에 밀려 어려움을 겪고 있던 넷스케이프사가 웹브라우저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는 결정을 내리게 되었으며, Sun, IBM 등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을 시작하였다. 최근 들어서는 아시아와 유럽을 중심으로 각국 정부에서 미국 중심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극복하고 자국의 소프트웨어 기술 수준 향상 및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정책을 내놓고 있다.
현재 OSI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인정 받을 수 있는 9가지 ‘라이센스’ 조건을 정의하고, 각각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라이센스를 분석하여 오픈 소스 라이센스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소프트웨어에 대한 배포 및 수정의 자유를 인정해야 하며 소스 코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 그리고 어떤 사람이나 그룹 또는 이용분야에 대한 차별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 등을 두고 있다.
오픈 소스 라이센스는 소프트웨어의 사용, 복제, 배포, 수정의 자유를 부여함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소프트웨어의 사용자에게 일정한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FSF 등의 권리자로부터 저작권 위반 (또는 계약 위반)으로 소송을 제기 당할 수 있다. 그 결과 권리를 침해한 것으로 결론이 내려지면 소프트웨어의 배포가 더 이상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미 배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손해배상 등 막대한 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특히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경우 이를 내장한 제품까지 판매하지 못하거나 Recall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라이센스의 의무사항을 명확히 이해하여 이와 같은 상황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 때문에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겠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생각이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상용 소프트웨어 라이센스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무사항에 비하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센스가 요구하고 있는 내용이 결코 어려운 것이 아니므로, 오히려 이를 잘 이해하고 이를 준수함으로써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장점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자유/오픈소스소프트웨어 라이센스==
==='''GPL 2.0'''===
1980년대에 들어 PC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이전에는 하드웨어의 부속물로만 간주되던 소프트웨어가 부가가치산업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지적재산권 및 라이센스를 통하여 소프트웨어의 사용, 복제, 배포, 수정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게 된다. 소프트웨어를 둘러싼 이러한 일련의 흐름에 반대하고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사용, 공유, 수정에 대한 기존의 권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리차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을 설립하고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전개하게 된다.
FSF는 자신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저작권을 확보한 뒤, 이러한 권리를 전제로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공유 및 수정을 보장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만들어진 것이 GNU General Public License (GPL) 이다. 이후 FSF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를 GPL에 의해 배포하였으며, 다른 개발자들도 본인들의 의사에 기하여 자신의 소프트웨어를 GPL 조건으로 배포하기 시작하여, 현재 GPL조건의 소프트웨어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LGPL 2.1'''===
FSF가 일부 Library에 GPL보다 다소 완화된 형태인 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LGPL)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 이유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전략적인 차원에서이다. 만일 상용 Library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Library에 GNU와 같은 엄격한 라이센스를 적용하게 되면, 개발자들이 Library의 사용을 꺼려할 것이다. 오히려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용 Library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Library는 LGPL로 배포하여 그 사용을 장려하고 사실상의 표준으로 유도하는 한편, 관련된 다른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보다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FSF의 전략이다.
LGPL Version 2.1은 GNU ‘Library’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2.0의 후속 버전이다. 일부 한정된 Library에 대해서만 LGPL을 사용하려는 것이 FSF의 의도였으나 ‘Library’란 단어가 라이센스 이름에 포함되어 개발자들이 모든 Library를 위한 라이센스로 오인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국 이러한 오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Library’를 ‘Lesser’로 수정하였을 뿐 기본적인 내용은 동일하기 때문에 Version 2.1으로 표기한 것이다.
==='''BSD License'''===
BSD 라이센스는 GPL/LGPL보다 덜 제한적이기 때문에 허용범위가 넓다. 이는 BSD가 미 정부에서 제공한 재원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이다. GPL과의 차이점 중 가장 중요한 사항은, BSD 라이센스를 따르는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구해 수정한 후 Source를 공개하지 않고 BSD가 아닌 다른 라이센스를 적용하여 판매할 수 있다는 점이다.
==='''MPL 1.1'''===
1998년 웹브라우저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넷스케이프사가 MS의 익스플로러에 밀려 시장점유율이 크게 떨어지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웹브라우저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때 배포될 Code의 라이센스를 어떤 것으로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처음에는 GPL도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하였었다. 그러나 개발초기부터 오픈 소스 모델로 진행되는 다른 프로젝트와는 달리 기존의 상용 소프트웨어를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전환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많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결국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후 Netscape Public License 및 Mozilla Public License를 만들게 되었다. 이러한 라이센스를 통해 Netscape사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공동체가 제공하는 이점을 받아들이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Netscape 나름대로의 비즈니스 전략 (예컨대 서버 제품에 수정된 Code를 적절히 이용한다는 전략)을 만들어 가고자 하였다. NPL은 Netscape에 약간의 추가적인 권리를 부여할 뿐 기본적인 내용은 MPL과 동일하다.
==='''QPL 1.0'''===
QPL은 Troll Tech의 Qt Library 에 대한 라이센스로, 프로그램의 자유로운 배포 및 이용을 허용하고,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것도 어느 정도 허용하기 때문에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센스로서 인증을 받았다. QPL과는 별도로 지난 2001년 Troll Tech는 Qt를 GPL 조건으로 배포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QPL의 특정 내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GPL과 양립할 수 없으며, 따라서 Qt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예컨대 KDE 프로젝트) 자유 소프트웨어가 될 수 없다는 FSF의 비판에 대응한 것이다.
현재 Qt는 QPL 및 GPL, 그리고 상용 라이센스 3가지에 의해 배포되고 있다. 어떤 라이센스를 선택할 것인가는 Qt를 기반으로 한 응용프로그램을 어떤 라이센스로 배포할 것인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응용프로그램을 GPL 조건에 의해 배포하려면 GPL Qt를, BSD등 GPL이외의 오픈 소스 라이센스에 의해 배포하려면 QPL Qt를 선택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만약 소스 코드를 공개하지 않는 상용적인 응용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정 비용을 지급하고 Troll Tech의 상용 라이센스를 얻어야 한다는 점이다.
==분쟁사례==
===옐림넷 v. 하이온넷===
서 울 중 앙 지 방 법 원
판 결
사건: 2005고단2806
가. 부정경쟁방지및영업비밀보호에관한법률위반
나. 절도
피고인:
1. 가. 한oo HnP 사장
2. 가. 박oo 하이온넷주식회사 대표이사
3. 가. 차oo 하이온넷주식회사 영업팀장
4. 가. 나. 이oo 하이온넷주식회사 영업과장
검사: 하oo
변호인: 변호사 한oo(피고인들을 위하여)
판결선고: 2005. 9. 8.
등본입니다.
2005년 9월 9일
서울중앙지방법원
법원주사 김oo
주 문
피고인 한oo, 박oo을 각 징역 10월, 피고인 차oo, 이oo을 각 징역 8월에 각 처한다.
이 판결선고 전 구금일수 3일을 피고인 한정엽에 대한 위 형에 산입한다.
다만 피고인 박oo, 차oo, 이oo에 대하여는 이 판결확정일로부터 각 2년간 위 각형의 집행을 유예한다.
피고인 박oo에 대하여 120시간, 피고인 차oo, 이oo에 대하여 각 80시간의 사회봉사를 각 명한다.
이 유
범죄사실
피고인 한oo은 2003. 5경부터 2004. 12. 15경까지 피해자 주식회사 엘림넷(이하 `엘림넷'이라함)의 사업전략이사로 근무하면서 인터넷 가상사설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 이하 `VPN'이라함) 서비스의 다중회선을 이용한 전송시스템 기술(Internet Bonding Technology, 이하 `IBT'라 함) 등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의 연구개발 업무에 종사하던 자, 피고인 박oo은 하이온넷 주식회사(이하 `하이온넷'이라 함)의 대표이사, 피고인 차oo는 2000. 3경부터 2004. 11. 15경까지 엘림넷의 VPN 서비스 부문 영업팀장으로 근무하면서 고객 유치관리 업무를 총괄하던 자, 피고인 이oo은 2000. 11경부터 2004. 11. 30경까지 엘림넷의 영업대리로 근무하면서 VPN 서비스의 고객 유치관리 업무에 종사하던 자인 바,
1. 피고인 한oo, 박oo은 엘림넷에서 연구개발한 IBT 기술의 소스코드, VPN 구동 프로그램 등의 영업비밀을 이용하여 하이온넷에서 VPN 사업을 하기로 공모하고, 부정한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가. 2004. 11. 초순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3가 32-11 소재 엘림넷 사무실에서 피고인 한oo은 VPN 다중회선 전송시스템 프로그램인 ``VTUN.hl''을 VPN 장비에 사용하는 부품인 플래시메모리 모듈에 복사하고, 그 무렵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대림 아크로텍 C동 440호 소재 하이온넷 사무실에서 그 모듈을 피고인 박oo에게 교부하여 피고인 박oo이 하이온넷 직원 김oo으로 하여금 위 회사의 VPN 장비에 장착하여 테스트하게 함으로써 엘림넷의 VPN 서비스 다중회선 전송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에 관한 유용한 영업비밀을 사용하고,
나. 피고인 한oo이 2004. 11. 하순 위 하이온넷 사무실에서 위 ``VTUN.hl'' 프로그램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수정하면서, 그 작업에 참고할 목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에 보관하고 있던 엘림넷의 VPN 다중회선 전송시스템 소프트웨어 ``ETUN''의 소스코드를 열어 보아 엘림넷의 VPN 다중회선 전송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에 관한 유용한 영업비밀을 사용하고,
2. 피고인 차oo는 엘림넷을 퇴사하고 경쟁회사인 하이온넷에 입사함에 있어 엘림넷의 고객정보 등 영업비밀을 가지고 나와 하이온넷의 영업에 활용함으로써 부정한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2004. 11. 초순 위 엘림넷사무실에서 빌링시스템 서버 등에 저장되어 있는 VPN 고객정보, 제안서, 업체별 VPN 서비스가격비교표, 영업실적, 영업현황 등의 자료를 외장형 하드디스크에 복제하여 가지고 나와 2004. 12. 초순 서울 금천구 가산동 345-9 에스케이 트위테크 B동 615호 소재 하이온넷 사무실에서 위 회사의 노트북 컴퓨터 및 서버에 복제하여 저장함으로써 엘림넷의 VPN 서비스 영업과 관련한 경영상의 유용한 영업비밀을 누설하고,
3. 피고인 이oo은,
가. 2004. 11. 30. 위 엘림넷 사무실에서 엘림넷 소유의 VPN 서비스에 관한 회선이용 계약서 44부를 가지고 나와 이를 절취하고,
나. 엘림넷을 퇴사하고 경쟁회사인 하이온넷에 입사함에 있어 엘림넷의 회선이용계약서 등 영업비밀을 가지고 나와 하이온넷의 영업에 활용함으로써 부정한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2004. 11. 30. 위 엘림넷 사무실에서 전항과 같이 회선이용계약서 44부와 엘림넷 제안서, 고객업종별리스트, 견적서, 엘림넷 보안상품가격표 등 영업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 부착된 하드디스크 1개를 분리하여 가지고 나온 뒤, 그 무렵 서울 금천구 가산동 345-9 에스케이 트윈테크 B동 615호 소재 하이온넷 사무실에 위 회선이용계약서 44부를 비치하고, 2004. 12. 15. 위 사무실에서 위 하드디스크엥 저장된 영업자료 일체를 하이온넷 소유의 노트북 컴퓨터에 복제하여 저장함으로써 엘림넷의 VPN 서비스 영업과 관련한 경영상의 유용한 영업비밀을 누설하였다.
증거의 요지
1. 피고인들의 각 일부 법정진술
1. 증인 한oo, 장o, 박oo의 각 법정진술
1. 피고인들에 대한 각 검찰피의자신문조서
1. 피고인 차oo, 이oo 및 한oo, 민oo, 이oo, 장oo, 박oo에 대한 각 검찰진술조서
1. 차oo의 진술서
1. 수사기록에 편철된 수사보고(50, 74, 130, 204, 224, 486, 517, 635, 1075, 1217, 1583쪽. 특허출원서, 근로계약서, 비밀준수서약, 하이온넷 홈페이지 등 첨부자료 포함), 공판기록에 편철된 이메일 출력물, 하이온넷 광고자료
피고인들의 주장에 대한 판단
피고인 한oo, 박oo은 피고인들이 사용, 누설한 ETUND 프로그램이 공개된 소프트웨어인 VTUND를 기초로 이른바 GPL 라이센스 규칙에 따라 만든 것이고, 그것도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피고인 한oo이 엘림넷에 입사하기 전에 근무하던 인루츠에서 개발한 것을 수정한 것에 불과하므로, 엘림넷의 영업비밀에 해당하지 않는다고주 장한다.
살피건대, 영업비밀은 그 내용이 경쟁재산적 가치가 있으면 충분하고, 특허와는 달리 신규성이나 진보성이라는 요건이 요구되지 않으며, 나아가 영업비밀 침해행위를 금지시키는 목적은 침해행위자가 침해행위에 의하여 공정한 경쟁자보다 유리한 출발을 하거나 시간을 절약하여 우월한 위치에서 부당하게 이익을 취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데에 있는바(대법원 1998. 2.13 선고 97다24528 판결 등 참조), 위에서 든 각 증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이 인정된다.
1. ETUND는 피고인 한oo이 주측이 되어 박oo, 구oo, 유oo 등으로 구성된 엘림넷의 연구개발팀이 2003. 9.부터 2004. 3까지 공개 소프트웨어인 VTUND를 기반으로 개발한 VPN(공중망을 통하여 사용자 사이에 가상의 전용선을 구축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기술) 서비스의 구동 프로그램으로서, 기존의 VTUND와 달리 통신속도가 서로 다른 4개의 공중망 라인을 묶는 다중회선 본딩 기술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패킷을 일정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업로드와 다운로드 양방향 모두에서 전송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킨 최초의 기술로 평가되고, 피고인 한oo은 엘림넷에 근무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ETUND의 개량 작업을 하여 왔다.
2. 피고인 한oo은 2004. 10. 하이온넷을 경영하는 피고인 박oo으로부터 VPN 사업에 참여할 것을 제의받고 이를 승낙한 뒤 피고인 차oo 등 엘림넷의 직원들을 대거 하이온넷으로 전직시켰으며, 피고인 박oo의 요청에 따라 2004. 11. ETUND의 기능을 일부 개선한 VTUN.HL 프로그램을 하이온넷에 넘겨주었다.
3. 이어서 피고인 한oo은 엘림넷에서 퇴사하면서 ETUND의 소스코드를 회사에 인계하지 않은 채 개인적으로 보관하고 있던 중 피고인 박oo의 프로그램 수정보완 요청에 따라 2004. 11. 하순 위 소스코드를 하이온넷 서버에 수차례 업로드하여 참고한 뒤 2004. 12. ETUND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패킷 동시다발적 전송에 의한 정지현상 해소, 복구기능 개선 등)한 HAI를 개발하였고, 피고인 박oo은 하이온넷에서 2005. 1. HAI를 이용한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4. 현재 VTUND를 기반으로 VPN 서비스를 하는 국내업체는 엘림넷과 하이온넷 뿐이고, 하이온넷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HAI는 피고인 한oo이 제공한 엘림넷의 ETUND와 소스코드 라인의 상당부분이 동일한 것인데, 하이온넷은 홈페이지와 사업설명회등에서 ``2004. 6. HAI를 자체개발하였고 타사의 제품과 달리 2-4개의 초고속 인터넷 라인의 속도를 합쳐 하나의 전용선으로 만들어주는 독자기술''이라는 취지로 허위의 홍보를 하기도 하였다.
5. 엘림넷을 비롯한 VPN 업계에서 ETUND와 같은 구동 소프트웨어는 그 소스코드를 대외비로 관리하는 핵심적인 프로그램이고(피고인 한oo의 법정진술), 피고인 한oo이 엘림넷에 입사하기 전 인루츠에서 개발하였다는 ETUND는 그 실체가 분명하지 않을 뿐 아니라 위 피고인의 주장에 의하더라도 상용화되지 아니한 프로그램으로서 여기에 다시 부분적으로 수정을 가한 것이 엘림넷의 ETUND라는 것이다.
이상의 사실관계를 종합할 때, 피고인 한oo, 박oo이 유출, 사용한 ETUND는 비록 공개된 소프트웨어인 VTUND를 기반으로 개발된 것이라 하더라도 엘림넷에 의하여 중요한 기능이 개량 내지 향상되었을 뿐 아니라, 비밀로 유지, 관리되고 있는 기술상의 정보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아니한 것임이 분명하고, 영업비밀로 보호받을 독립된 경제적 가치 또한 충분히 인정된다 할 것이며(피고인 한oo 스스로도 검찰에서 ETUND 중 새로운 아이디어가 추가된 부분은 엘림넷의 소유라고 생각한다고 진술하였고, 피고인 박oo도 검찰에서 엘림넷의 기술을 이용한 것이 개발기간을 2개월 정도 단축한 효과는 있다고 진술하였음), 이른바 오픈소스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는 자유소프트웨어재단의 GPL 라이센스 규칙이 이 사건에 있어서 어떠한 법적 구속력이 있다 할 수 없으므로, 결국 피고인들의 주장은 이유 없다.
법령의 적용
1. 범죄사실에 대한 해당법조: [피고인들] 부정경쟁방지및영업비밀보호에관현법률 제18조 제2항
[피고인 한oo, 박oo] 형법 제30조
[피고인 이oo] 형법 제329조
2. 경합범 가중: [피고인 한oo, 박oo, 이oo] 형법 제37조 전단, 제38조 제1항 제2호, 제50조
3. 미결구금일수 산입: [피고인 한oo] 형법 제57조
4. 집행유예: [피고인 박oo, 차oo, 이oo] 형법 제62조 제1항
5. 사회봉사: [피고인 박oo, 차oo, 이oo] 형법 제62조의2 제1항, 보호관찰등에 관한법률 제59조
양형의 이유
피고인들은 VPN 서비스업체 중 최신기술을 보유한 엘림넷의 기술상, 경영상, 영업비밀을 대거 유출하여 후발업체인 하이온넷의 VPN 사업에 사용함으로서 엘림넷의 존립 자체에 위해가 될 만한 범행을 저질렀고, 자유소프트웨어재단이라는 단체로 하여금 법원의 재판에 압력을 행사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엄벌에 처하여야 마땅함. 특히 피고인 한oo은 엘림넷 직원들의 전직을 주도하면서VPN 구동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포함한 핵심적 영업비밀을 유출하였음에도 범의를 부인하는 등 죄질이 불량하여 실형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함. 피고인 박oo은 엘림넷의 인력을 영입하면서 부정한 방법으로 기술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시장 진출을 도모하였고, 피고인 차oo, 이oo은 고객정보와 계약서등 경쟁업체에 유출될 경우 심각한 타격을 입힐 우려가 있는 경영상의 비밀자료를 통째로 유출하였다는 점에서 모두 죄질은 불량하나, 이로 인하여 실제 엘림넷의 거래처가 감소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는 자료가 없어 사회봉사명령을 부가한 집행유예 판결을 선고함.
판사 장oo
저작권 침해 금지 가처분 결정
사건: 2005카합2427 저작권침해금지가처분
신청인: 주식회사 엘림넷 대표이사 한oo
피신청인: 하이온넷 주식회사 대표이사 박oo
주문
1. 이 사건 신청을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신청인의 부담으로 한다.
신청취지
1. 피신청인은 별지 목록 기재컴퓨터 프로그램과 기술을 이용하여 영업(VPN 사업)을 하거나이를 생산, 제조, 판매 및 반포하여서는 아니된다.
2. 피신청인의 사무실, 영업소, 창고, 공장 및 피신청인의 법률적 또는 사실적 지배 하에있는 그 밖의 장소에 저장, 보관, 전시, 진열하고 있는 위 프로그램의 완성품, 반제품, 부분품에 대한 점유를 풀고, 신청인이 집행관에게 그 보관을 위임하여야 한다.
3. 집행관은 위 취지를 적당한 방법으로 공시하여야 한다.
이유
이 사건 신청 원인의 요지는, ETUND 프로그램(VPN 다중회선 전송시스템 프로그램, 공중망 회선인 ADSL 또는 VDSL의 최대 4개 라인을 묶어 20Mbps 내지 40Mbps까지 전송속도를 증속시킬수 수 있는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인터넷 다중회선을 통한 전송속도를 증속시키는 기술은 신청인의 영업비밀에 속하는데, 현재 피신청인이 사용하고 있는 `hlm'과 `hl'프로그램(이하 `피신청인측 프로그램'이라고 한다)은 신청인 회사에 근무하던 신청외 한정엽으로부터 입수한 신청인의 ETUND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제작한 것으로 ETUND 프로그램과 동일, 유사한 관계에 있는바, 피신청인이 이러한 프로그램과 기술을 이용하여 VPN 서비스(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망, 보통의 공중망 회선을 사용하면서 고도의 망 관리 기능을 활용하여 유연한 기업 내 전용망을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실시하는 것은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부정경쟁방지법'이라 한다)상의 영업비밀 침해 행위에 해당하므로, 이로 인한 신청인의 현저한 손해를 막기위해 시급히 신청취지 기재와 같은 가처분의 발령을 구한다는 것이다.
살피건대, 임시의 지위를 정하기 위한 가처분은 다툼 있는 권리 관계에 관하여 그것이 본안 소송에서 확정되기까지의 사이에 가처분 권리자가 현재의 현저한 손해를 피하거나 급박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그 밖의 필요한 이유가 있는 때에 한하여 허용되는 응급적, 잠정적 처분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가처분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는 당해 가처분 신청의 인용 여부에 따른 당사자 쌍방의 이해득실 관계, 본안 소송에 있어서의 장래 승패의 예상 기타 제반 사정을 모두 고려하여 합목적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고, 특히 이 사건과 같이 피신청인에 대하여 제조, 판매 등의 금지를 명하는 이른바 만족적 가처분에 있어서는 권리가 종국적으로 만족을 얻는 것과 동일한 결과에 이르게 되는 반면 피신청인으로서는 본안 소송에서 다투어 볼 기회조차 없이 기존의 이용 상태를 부정당하여 그 영업을 위협 받게될 위험이 크므로 이러한 가처분을 발령하는데 있어서는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에 대하여 통상의 보전처분의 경우보다 높은 정도의 소명이 요구된다 할 것이고, 한편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해 보호되는 영업비밀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아니하고,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가지며, 상당한 노력에 의하여 비밀로 유지, 관리된 생산방법, 판매방법 기타 영업활동에 유용한 기술상 또는 경영상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
돌이켜 이 사건에 관해 보건대, 피신청인측 프로그램과 ETUND 프로그램의 원시코드(source code) 대부분이 일치하는 사실이 기록상 소명되므로, 피신청인측 프로그램은 신청인의 주장과 같이, ETUND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것에 불과하다고 보이는데, 피신청인은 2005.8.10.부터 자신의 홈페이지 `www.haion.net'을 통해 피신청인측 프로그램의 원시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사실이 기록상 소명되는바, 이와 같이 ETUND 프로그램과 원시코드가 대부분 일치하여 일부 기능을 개선한 데 불과한것으로 보이는 피신청인측 프로그램의 원시코드가 공개된 이상, 신청인의 ETUND 프로그램 역시 비공지성을 상실하여 더 이상 영업비밀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볼 여지가 크고, 또한 신청인이 영업비밀이라고 주장하는 `인터넷 다중회선을 통한 전송속도를 증속시키는 기술' 이라는 것은 ETUND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고 보이며, ETUND 프로그램 이외에 신청인의 영업비밀에 해당한다고 볼만한 별도의 기술이 있다는 점에 대하여는 기록상 아무런 소명이 없으므로, `인터넷 다중회선을 통한 전송속도를 증속시키는 기술' 역시 신청인의 영업비밀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
그렇다면 이 사건 신청은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여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한다.
2005.10.20.
재판장
판사 이태운
판사 전휴재
판사 이효제
목 록
피신청인이 인터넷 사업(VPN사업)을 함에 있어 자신의 VPN 장비에 장착된 ‘ETUND' 프로그램 및 이를 바탕으로 개선한 'hl' 프로그램, 'hlm'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인터넷다중회선을 통한 전송 속도를 증속시키는 기술. 끝.
===리눅스상표분쟁===
대법원 2002. 12. 10. 선고 2000후3395 판결 【권리범위확인(상)】
[공2003.2.1.(171),400]
--------------------------------------------------------------------------------
【판시사항】
[1] 책의 제목으로 사용된 표장에 대하여 그 표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등록상표의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는지 여부(소극).
[2] 등록상표인 ``Linux''의 상표권의 효력이 책의 제목으로 사용된 ``리눅스 + 내가최고''라는 표장에 미치지 아니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책의 제목은 그 책의 내용을 표시할 뿐 출판사 등 그 출처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어서 원칙적으로 그 상품을 다른 사람의 상품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장이 아니므로, 책의 제목으로 사용된 표장에 대하여는 그 표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등록상표의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지 아니한다.
[2] ``리눅스(Linux)''라는 컴퓨터 운영체제 프로그램의 사용방법 등을 설명하는 내용의 책을 출판하면서 그 책에 사용한 라는 표장은 그 책의 제목으로만 사용되었고 그 책의 출처를 표시하거나 그 책을 다른 출판사의 책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한 표장으로서 사용되지 아니하였으므로, 등록상표인 ``Linux''의 상표권의 효력이 책의 제목으로 사용된 위 표장에 미치지 아니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상표법 제6조,제51조 제2호/ [2]상표법 제6조,제51조 제2호
【전 문】
【원고,상고인】 권용태
【피고,피상고인】 주식회사 영진닷컴
【원심판결】특허법원 2000. 10. 13. 선고 2000허181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책의 제목은 그 책의 내용을 표시할 뿐 출판사 등 그 출처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어서 원칙적으로 그 상품을 다른 사람의 상품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장이 아니므로, 책의 제목으로 사용된 표장에 대하여는 그 표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등록상표의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지 아니한다.
이 사건에서 피고가 ``리눅스(Linux)''라는 컴퓨터 운영체제 프로그램의 사용방법 등을 설명하는 내용의 책을 출판하면서 그 책에 사용한 라는 표장은 그 책의 제목으로만 사용되었고 그 책의 출처를 표시하거나 그 책을 다른 출판사의 책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한 표장으로서 사용되지 아니하였으므로, 원고의 이 사건 등록상표인 ``Linux''의 상표권의 효력이 피고가 책의 제목으로 사용한 위 표장에 미치지 아니한다.
원심이 같은 취지로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 심리미진, 법리오해, 판단누락 등의 잘못이 없다. 따라서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소송비용의 부담을 정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이용우 박재윤
대법원 2002. 12. 10. 선고 2000후3401 판결 【등록무효(상)】
[공2003.2.1.(171),402]
--------------------------------------------------------------------------------
【판시사항】
등록상표 ``Linux''가 그 지정상품 중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테이프,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디스크,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디스켓'에 대하여 사용된 경우에는 `리눅스' 프로그램이 그 상품에 수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식별력이 없거나 수요자 기만 상표에 해당하여 등록무효이나, 등록상표의 지정상품 중 `모니터, 전자도난방지기, 전자회로학습기,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 티브이게임세트'에 사용된 경우에는 그렇지 아니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등록상표 ``Linux''가 그 지정상품 중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테이프,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디스크,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디스켓'에 대하여 사용되고, 그 상품에 수록된 프로그램이 `리눅스'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등록상표는 그 상품에 수록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보통명칭에 불과하고, 또 위 지정상품에 수록된 프로그램이 `리눅스'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에는 등록상표는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 수록된 프로그램이 `리눅스' 프로그램인 것으로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어, 위 지정상품에 대한 상표등록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또는 제7조 제1항 제11호에 위배되어 무효라고 할 것이나, 등록상표의 지정상품 중 `모니터, 전자도난방지기, 전자회로학습기,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 티브이게임세트'에는 `리눅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증거가 없고 또 일반 수요자가 위와 같은 상품을 거래할 때 그 상품의 내부에 그 움직임을 조절하는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고 그러한 프로그램으로 `리눅스'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정을 알고 있거나 알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증거도 없으므로 위 지정상품에 대하여는 등록상표가 지정상품의 용도, 효용 또는 사용방법 등을 표시하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고 또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 상품이 `리눅스'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거나 관련이 있는 것으로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제7조 제1항 제11호
【전 문】
【원고,상고인】 권용태
【피고,피상고인】 주식회사 영진닷컴 외 23인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0. 10. 13. 선고 2000허1795 판결
【주문】
원심판결의 원고 패소 부분 중 상표등록번호 제367859호 상표의 지정상품 `모니터, 전자도난방지기, 전자회로학습기,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 티브이(TV)게임세트'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특허법원에 환송한다.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1. 원심이, 이 사건 등록상표 ``Linux''의 등록 사정 당시 ``리눅스(Linux)''라는 용어가 컴퓨터 운용체제 프로그램 중 한 종류의 보통명칭 내지 관용표장으로서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으므로, 이 사건 등록상표가 그 지정상품 중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테이프,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디스크,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디스켓'에 대하여 사용되고, 그 상품에 수록된 프로그램이 ``리눅스''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이 사건 등록상표는 그 상품에 수록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보통명칭에 불과하고, 또 위 지정상품에 수록된 프로그램이 ``리눅스''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에는 이 사건 등록상표는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 수록된 프로그램이 ``리눅스'' 프로그램인 것으로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어, 위 지정상품에 대한 이 사건 상표등록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또는 제7조 제1항 제11호에 위배되어 무효라고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심리미진 또는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 따라서 이 부분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2. 원심은, 이 사건 등록상표의 지정상품 중 `모니터, 전자도난방지기, 전자회로학습기,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 티브이게임세트'는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거나 운영체제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작동되는 것이어서, 그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리눅스''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이 사건 등록상표가 지정상품의 용도, 효용 또는 사용방법 등을 표시하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하고, 위 지정상품이 ``리눅스''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거나 그와 관련이 없을 때에는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 상품이 ``리눅스''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거나 관련이 있는 것으로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에 해당하므로, 위 지정상품에 대한 이 사건 상표등록 역시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또는 제7조 제1항 제11호에 위배되어 무효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 `모니터, 전자도난방지기, 전자회로학습기,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 티브이게임세트'에 ``리눅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증거가 없고, 또 일반 수요자가 위와 같은 상품을 거래할 때 그 상품의 내부에 그 움직임을 조절하는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고 그러한 프로그램으로 ``리눅스''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정을 알고 있거나 알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증거도 없다. 그렇다면 위 지정상품에 대하여는 이 사건 등록상표가 지정상품의 용도, 효용 또는 사용방법 등을 표시하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고 또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 상품이 ``리눅스''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거나 관련이 있는 것으로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위 상품에 ``리눅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또 일반 수요자가 위 상품에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사용된다는 것 등을 알고 있거나 알 수 있음을 전제로 위와 같이 판단한 것은, 이 사건 등록상표가 위 지정상품에 대하여 식별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채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을 저지른 것이다. 따라서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주문과 같이 원심판결의 원고 패소 부분 중 이 사건 등록상표의 지정상품 `모니터, 전자도난방지기, 전자회로학습기,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 티브이(TV)게임세트'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여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고, 나머지 상고를 기각하기로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이용우 박재윤
대법원 2002. 12. 10. 선고 2000후3418 판결【등록무효(상)】
[공2003.2.1.(171),404]
--------------------------------------------------------------------------------
【판시사항】
[1] 서적 등과 같이 창작물이 수록되는 상품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상표의 식별력 판단 기준
[2] 등록상표 ``Linux''가 서적 등의 지정상품에 사용될 경우 식별력이 없는 상표라거나 수요자 기만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서적 등과 같이 창작물이 수록되는 상품을 지정상품을 하는 상표는 그 상표가 지정상품에 수록된 내용을 단순히 암시하거나 강조하는 정도를 넘어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 상표가 지정상품에 수록된 내용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것으로 인식하게 할 정도에 이르러야만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의 지정상품의 품질·용도 등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한다.
[2] 컴퓨터 운영체제 프로그램의 보통명칭 내지 관용표장으로 널리 알려진 등록상표 ``Linux''가 그 지정상품 중 `서적, 팸플릿, 학습지, 녹화된 테이프(음악이 아닌 것), 녹화된 콤팩트디스크{음악이 아닌 시디(CD)}'에 사용될 경우 그 상품의 내용이 그 프로그램에 관련된 것임을 암시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위 지정상품의 일반 수요자가 상표보다는 그 상품에 수록된 창작물의 내용이나 그 내용을 나타내는 제목에 중점을 두고 상품을 거래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위 컴퓨터 운영체제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이 위 지정상품에 수록될 수 있다는 사정만으로 일반 수요자가 등록상표를 보고 위 지정상품에 수록된 내용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것으로 인식한다고 보기 어려워, 등록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의 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고, 또 등록상표가 위 지정상품의 용도나 효용 등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이상, 등록상표의 사용으로 수요자들이 상품의 품질을 오인할 염려가 있다고 볼 수도 없어 등록상표가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의 상품의 품질을 오인하게 하거나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 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2]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제7조 제1항 제11호
【전 문】
【원고,상고인】권용태
【피고,피상고인】주식회사 영진닷컴 외 23인
【원심판결】특허법원 2000. 10. 13. 선고 2000허1801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특허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1. 원심은, 이 사건 등록상표 ``Linux''의 등록 사정 당시 ``리눅스(Linux)''라는 용어가 컴퓨터 운용체제 프로그램 중 한 종류의 보통명칭 내지 관용표장으로서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으므로, 이 사건 등록상표가 그 지정상품 중 `서적, 팸플릿, 학습지, 녹화된 테이프(음악이 아닌 것), 녹화된 콤팩트디스크[음악이 아닌 시디(CD)]'에 사용되고, 그 상품에 수록된 내용이 ``리눅스'' 프로그램에 관한 것일 때에는 이 사건 등록상표는 그 상품에 수록된 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상품의 용도와 효능 등을 표시하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하고, 또 위 지정상품에 수록된 내용이 ``리눅스''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 아닐 때에는 이 사건 등록상표는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 수록된 내용이 ``리눅스''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에 해당하여, 위 지정상품에 대한 이 사건 상표등록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또는 제7조 제1항 제11호에 위배되어 무효라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위 지정상품과 같이 창작물이 수록되는 상품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상표는 그 상표가 지정상품에 수록된 내용을 단순히 암시하거나 강조하는 정도를 넘어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 상표가 지정상품에 수록된 내용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것으로 인식하게 할 정도에 이르러야만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의 지정상품의 품질·용도 등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한다. 이 사건에서 보면, 컴퓨터 운영체제 프로그램의 보통명칭 내지 관용표장으로 널리 알려진 이 사건 등록상표가 위 지정상품에 사용될 경우 그 상품의 내용이 그 프로그램에 관련된 것임을 암시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위 지정상품의 일반 수요자가 상표보다는 그 상품에 수록된 창작물의 내용이나 그 내용을 나타내는 제목에 중점을 두고 상품을 거래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위 컴퓨터 운영체제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이 위 지정상품에 수록될 수 있다는 사정만으로 일반 수요자가 이 사건 등록상표를 보고 위 지정상품에 수록된 내용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것으로 인식한다고 보기 어려워, 이 사건 등록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의 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또, 이 사건 등록상표가 위 지정상품의 용도나 효용 등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이상, 이 사건 등록상표의 사용으로 수요자들이 상품의 품질을 오인할 염려가 있다고 볼 수도 없어 이 사건 등록상표가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의 상품의 품질을 오인하게 하거나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 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위 지정상품에 대한 이 사건 등록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또는 제7조 제1항 제11호의 상표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은, 이 사건 등록상표가 위 지정상품에 대하여 식별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채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을 저지른 것이다. 따라서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주문과 같이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여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이용우 박재윤
이미지검색서비스의 저작권 침해
2851
6707
2007-01-21T13:43:02Z
Seabird33
150
New page: 1. 기초사실 다음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거나, 갑 1 내지 4호증, 갑 8 내지 13호증, 갑 14호증, 갑 24호증, 갑 50 내지 52호증, 을 1호증, ...
1. 기초사실
다음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거나, 갑 1 내지 4호증, 갑 8 내지 13호증, 갑 14호증, 갑 24호증, 갑 50 내지 52호증, 을 1호증, 을 4 내지 10호증(각 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및 영상에 변론 전체의 취지르 ㄹ종합하여 이를 인정할 수 있다.
가. 당사자의 지위
(1) 원고는 사진작가로서 자신의 사○작품을 게시하고 임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www.**.com이라는 웹△이트(이하 '원고의 웹△이트'라 한다)를 개설하였는데, 위 웹△이트는 가로 13cm, 세로 약 9.8cm, 369×278 픽셀 크기 정도의 유채꽃 사진 등을 비롯한 그와 유사한 크기의 원고 사○작품들을 사계풍경, 일출, 비경, 구름, 건축 등 약10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게시하고 있다.
(2) 피고는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 제조 및 판매업, 데이터베이스 검색, 개발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법인으로 전자메일 서비스, 동호회 서비스, 검색 서비스, 쇼핑몰 등 50여종이 넘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웹△이트 www.**.net(이하 '피고의 웹△이트'라 한다)을 운영하고 있다.
나. 피고의 웹△이트 상에서의 이미지 검색 서비스 체계
(1) 피고는 검색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하여 미국 잉크토미사로부터 이미지 검색프로그램인 로봇프로그램을 구입하여 검색엔진으로 사용하며 사진 등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오던 중, 2001. 5. 3. 주식회사 오○베이스(이하 '오픈베이스'라 한다)와 사이에 피고의 웹△이트에서 오○베이스가 구축, 운영하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는 종합 검색 서비스 제공 계약을 체결하였고, 오○베이스는 2001. 7. 30. 위 계약에 따라 사이트검색, 웹문거검색, 뉴스검색, 이미지검색 등을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를 구축하여 이를 피고에게 제공하고, 이후 관리를 책임지고 있다(이하 피고와 오○베이스를 구분하지 않고 위 검색 서비스를 구축, 운영하는 주체를 '피고측', 검색 서비그가 구축, 운영되는 서버를 '피고측 서버'라고 한다).
(2) 피고측의 이미지 검색 서비스는 로봇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인터넷 웹△이트에 게시된 이미지를 무작위로 검색하여 필요한 이미지들을 수집한 다음 이를 피고측 서버에 가져온 후 , 피고측 서버에서 특정 프로그램에 의하여 원래의 이미지를 가로 약3cm, 세로 약 2.5cmm 100×74 픽셀 똔느 104×79 픽셀 크기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이하 이 정도 크기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라 한다)로 축소 변환시킨 다음 원래의 이미지는 삭제하고 그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검색 서비스를 위한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뒤 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피고측은 2001년 7월 말경부터 2002. 9. 30.경까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백두산천지'등 원고의 사○작품 31점(이하 '이 사건 제1사진'이라 한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 게시하였다.
(3) 한편, 박**은 myhome.hananet.net/~pjy21c이라는 웹△이트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던 주으 원고의 허락을 받지 아니하고 이 사건 제1사진을 포함한 원고의 사○작품을 복제하여 위 웹△이트에 게시하고 있었는데, 피고측의 로봇프로그램은 원고가 운영하는 웹△이트인 www.imagevill.com이 아닌 박**의 웹△이트에서 이 사건 제1사진을 수집하였다.
다. 피고의 웹△이트에서의 이 사건 제1사진의 이미지 검색
(1) 피고의 웹△이트에서 검색창에 검색어 '백두산'을 입력하고 이미지 검색을 하면 이 사건 제1사진 중 백두산과 관련된 사진 24점을 포함한 여러 장의 이미지들이 검색되어 썸네일 이미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간단히 보기'를 선택하여 검색 결과를 볼 경우 썸네일 형태의 이미지들이 세로로 배열되고 각 이미지 오른쪽에는 이미지의 이름, 사이트명, 파일주소, 파일정보(확장자, 용량, 크기)가 표시된다. 이 사건 제1사진 중 나머지 7점은 피고의 웹△이트의 검색창에 검색에 '유채꽃'을 입력하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검색된다.
(2) 이 사건 제1사진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의 이름은 박**이 그의 웹△이트에 이 사건 제1사진을 게시하면서 임의로 붙인 명칭들이 기재되어 있고, 파일주소는 박**의 웹△이트인 **.hananet.net/~pjy21c로 되어 있다.
(3) 한편, 피고는 원고로부터 저작권침애에 대한 항의를 받고 2002. 9. 30.경 자신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이 사건 제1사진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삭제하였다.
라. 피고의 웹△이트 ㅏㅇ에서의 이미지 검색 서비스 체계 변경과 원고 사□의 저장 및 게시
(1) 피고는 로봇프로그램을 사용한 기존의 이미지 검색 방식에 관하여 저작권 침해 여부가 문제되자 이를 포기하고, 2003. 5. 9. 주식회사 에□스파이더(이하 '에어스파이더'라고 한다)와 사이에 에□스파이더가 수집, 저장하고 있거나 향후 보유하게 될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제공받아 이를 피고의 휍사이트 서버에 저장하여 이미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는 내용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제공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이미지 수집업무를 외부에 발주시켰다.
(2) 에□스파이더는 로봇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수집한 다음 각 이미지에 제목과 설명 등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는데, 위와 같이 변경한 피고의 웹△이트 이미지 검색 서비스는 대부분이 에□스파이더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것이다.
(3) 에□스파이더가 제공한 이미지 검색 데이터베이스에는 수집한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와 함께 수집한 이미지를 상당한 크기로 보여주는 이미지(이한 '큰 이미지'라 한다)가 함께 저장되어 있다.
(4) 한편, 피고는 이 사건 제1심에서 원고 청△가 기각되자 2004년 10월경부터 로봇프로그램을 이용한 이미지 수집을 다시 재개하여 주집된 이미지를 검색 서비스에 이용하였다.
(5) 이와 같은 과정에서 금강산, 철쭉, 소승폭포, 눈 덮인 초가에 대한 원고의 사진작품 4점(이하 원고의 이에 대한 사○작품을 '이 사건 제2사진'이라 하고, 이 사건 제1,2사진을 합하여 '이 사건 사진'이라 한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4점과 위 작품을 상당한 크기로 보여주는 큰 이미지 4점이 피고의 서버에 저장되어 피고의 이미지 검색서비스에 이용되었다.
마. 피고의 웹△이트에서의 이 사건 제2사진의 이미지 검색
(1) 피고의 웹△이트에서 검색창에 검색어 '금강산'을 입력하여 이미지 검색을 하면 금강산과 관련된 사진에 대한 여러 장의 썸네일 이미지들이 검색되어 나타난다. 검색된 각 이미지 아래에는 각 이미지의 제목과 크기에 대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그 중 원고의 금강산 사○작품(이하 '금강산'이라 한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금강산을 비롯한 썸네일 형태의 이미지 5개가 가로로 배열되면서 금강산 썸네일 이미지가 중앙에 위치하고, 그 아래에는 선택된 금강산의 큰 이미지가 나타난다. 금강산의 큰 이미지의 제목은 '북한', 크기 388×226 픽셀, 용량 40KB, 출처 http://user.chollian.net/~manna23/ENGLISH-WFS%20Asia-01.htm로 표시된다.
(2) 이 사건 제2사진 중 철쭉, 소승폭포, 눈 덮인 초가에 대한 원고 사진(이하 각각 '철쭉', '소승폭포', '눈 덮인 초가'라고 한다)을 검색하면, 철쭉의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검색된 큰 이미지가 제목 '마이산', 크기 400×300 픽셀, 용량 43KB, 출처 http://www.taeback.go.kr으로 표시되고, 소승폭포의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검색된 큰 이미지가 제목 '설악산', 크기 188×250 픽셀, 용량 14KB, 출처 http://www.toursorak.com/sor/sor-3.html로 표시되며, 눈 덮인 초가의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검색된 큰 이미지가 제목 4.jpg, 크기 520×390, 용량 198KB, 출처 http://my.netian.com/~jjb530로 표시된다.
(3) 피고는 이미지 검색 서비스 체계를 변경하면서 검색된 이미지들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자동으로 순환하여 보여주는 슬라이드쇼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용자는 슬라이드쇼 기능을 이용하여 큰 이미지의 크기, 밝기, 위치 등을 편집할 수 있다.
(4) 이 사건 제2사진 중 '금강산', '철쭉', '소승폭포'는 에□스파이더가 피고에게 제공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고, '눈 덮인 초가'는 피고가 이미지 수집을 재개하면서 직접 검색로봇을 이용하여 수집, 저장한 것이다.
(5)원고는 피고에 의한 저작권 침해 사실 발생여부에 대한 주위를 기울이던 중, 2004. 8. 10.경 '금강산'과 '철쭉'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와 큰 이미지가 피고 사이트에서 검색되는 것을 발견하고 피고와 에□스파이더를 고소하였고, 에□스파이더는 2004. 8. 18.경 피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위 이미지들을 삭제하였다.
(6)또 원고는 2004. 10. 31.경 '소승폭포'와 '눈 덮인 초가'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와 큰 이미지가 피고 사이트에서 검색되는 것을 발견하고 피고를 고소하였고, 피고는 2004. 11. 29.경 피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위 이미지들을 삭제하였다.
바. 피고 웹△이트에서의 휴ㅜ대폰 이미지 전송 서비스
피고는 2003년 3월경부터 피고의 웹△이트에서 이용자가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 또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썸네일 이미지들을 선택하여 크기, 밝기, 색상 등을 편집한 다음 이동통신사의 회선을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유로 서비스(일명 '폰샷올리기')를 개시하였다.
사. 원고의 사진 사용 가격
원고는 자신의 사진 저작물을 인터넷홈페이지에서 게시하는 방법으로 국내에서 이용할 경우 6개월간 사용요금으로 사진 1점당 1,500,000원을 받고 있다.
2. 원고의 주장
원고는, 피고가 이 사건 사□의 저작권자인 원고의 허락을 받지 아니하고 2001년 7월 말경부터 2002. 9. 30.까지 이 사겆ㄴ 제1사진을, 2004년 7월경부터 2004년 11월경까지 이 사건 제2사진을 무단으로 복제하여 피고의 웹△이트에 전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임의로 이 사건 사진을 작게 축소한 썸네일 이미지를 만들고 슬라이드쇼 기능과 휴대폰 이미지 전송 서비스 기능을 통하여 사진을 편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 사건 사□의 동일성을 훼손하고, 위와 같이 무단으로 원고의 사진을 복제, 축소, 전시하는 과정에서 저작권자인 원고의 이름을 표시하지 않는 등으로 원고의 이 사건 사진에 관한 복제권, 전시권, 동일성유지권, 성명표시권 등의 저작권을 침해하였다고 주장하면서, 피고에게 그 손새액의 일부로서 170,500,000원(= 재산상 손해액 1억 3,950만원 + 위자료 3,100만원)의 지급을 구한다(원고는 당심에 이르러 2004년 7월경부터 2004년 11월경까지 사이에 발생한 피고에 의한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한 청구를 추가하였다).
3. 이사건 사□의 썸네일 이미지에 관한 판단
가. 원고의 저작재산권 침해 여부
(1)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사진에 관한 복제권, 전시권 등의 저작재산권은 원고에게 있고, 피고는 원고의 명시적인 승낙 없이 이 사건 사진을 복제한 후 이를 썸네일 이미지로 변환하여 피고측 서버에 저장하였으며, 피고의 웹△이트의 검색 서비스를 통하여 위 썸네일 이미지를 전시하였음은 인정된다.
(2) 원고의 묵시적 승낙 인정 여부
(가) 피고의 주장
피고는, 원고가 자신의 웹△이트 상의 저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화벽의 구추그 회원가입의 설정, 로봇배제의 워닉의 적용 등 널리 알려진 기술적 보호 장치를 취하지 않았으므로 원고는 이 사건 사□의 복제 및 전시에 대하여 묵시적 승낙을 한것이라고 주장한다.
(나) 판단
원고가 원고의 웹△이트에 아무런 기술적 보호 장치를 하지 아니한 것이 원고의 웹△이트에 게시된 원고의 저작물을 복제, 전시하는 행위에 대하여 묵시적 승낙을 한 ㄱ서으로 볼 수 있는지에 관하여 살피건대, 을 4호증의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로봇프로그램과 가틍ㄴ 이미지 수집 프로그램은, 회원 가입을 한 외원들만이 그 웹△이트의 내용을 볼 수 있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나 검색로봇의 접근을 방지하는 robot.txt 파일을 웹△이트의 최상위 주소에 저장해 놓은 경우에는 해당 웹△이트 내의 내용물을 수집할 수 없는 사시르, 위와같은 방법은 검색로봇을 배제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인 사실, 그런데 원고의 웹△이트는 회원 가입 절차 없이 누구라도 접속 가능하며, 피고의 웹△이트의 검색 서비스에서 썸네일 이미지로 제공되는 이 사건 제1사진 31점을 포함한 대부부분의 사진들은 원고의 웬사이트의 회원으로 가입하지 아니하고도 이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사할 수도 있는 사실, 원고의 웹△이튼 로봇프로그램에 의하여 웹△이트 내의 내용물이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무런 기술적 보호 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사실은 인정되나, 저작권자인 원고로서는 웹△이트에 게시된 자신의 이 사건 사진 저작물이 웹△이트를 방문하는 이용자에 의하여 열람, 감상되는 등으로 이용자들에 의하여 적법하게 이요되는 것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원고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방법으로 저잦ㄱ물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있을 것에 대비하여 자신의 저작물을 지키기 위하여 미리 기술적 보호 장치를 강구하여야 할 어떠한 의무가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원고가 사전에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이용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등 기술적 보호장치를 하지 않았다고 하여 피고에 의한 저작권 침해행위를 묵시적으로 승낙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할 것이고, 달리 이를 인정할 아무런 증거가 없다.
(저작권법 제25조에 정한 공표된 저작물의 인용에 해당하는지 여부)
(가)당사자의 주장
피고는, 원고가 이 사건 사진을 썸네일 이미지로 축소하여 복제하고 이를 전시하는 행위는 인터넷이용자가 인터넷에서 원고의 이미지 등을 검색함에 있어 편의를 제공하는 행위로서 저작권법 제 25조가 인정하는 공표된 저작물의 정당한 이용헤 해당한다고 주장함에 대하여, 원고는, 피고가 저작권법 제34조 제1항의 출처명시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이상 공표된 저작물의 정당한 인용에 해당할 수 없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나) 판단
① 공정 이용 여부
저작권법 제25조는 공표된 저작물은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해서는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이를 인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한 것인지 여부는 인용의 목적, 저작물의 성질, 인용된 내용과 분량, 피인용저작물을 수록한 방법과 형태, 독자의 일반적 과념, 원저작물에 대한 수요를 대체하는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이 사건 사진은 원고의 웹△이트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인에게 공개된 굥표된 저작물이고, 피고는 피고측의 서버에 원래 크기의 이미지가 아닌 가로 약 3cm, 세로 약 2.5cm, 100×79픽셀 크기의 작게 축소한 썸네일 이미지를 테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음은 앞서 본 바와 같고, 을 5 내지 을 7호증의 각 기재에 변론의 전체 취지를 종합하면, 이 사건 제1사진의 썸네일 이미지와 유사한 크기인 100×66픽셀의 썸네일 이미지를 이 사건 제1사진의 원래의 이미지 크기로 확대하면 원래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그 해상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위와 같이 확대된 이미지를 그래픽 프로그램인 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정하고 보완하여도 원래의 이미지와는 확연하게 구분되며 해상도를 같은 정도로 도저히 보정할 수 없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피고가 썸네일 이미지를 만들어 저장, 게시하는 행위를 통하여 인터넷 검색서비스의 이용 빈도를 증가시킨으로써 광고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점에서 상업적 이용의 성질을 어느 정도 띠고 있다 할 것이지만(원고는, 피고가 썸네일 이미지를 휴대폰 이미지 전송서비스에 이용함으로써 경제적 이익을 취하는 등 원고의 썸네일 이미지를 판매하여 원고의 시장 내지 잠재적 시장을 잠식하고 있으므로 피고의 행위는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므로 살피건대, 원고의 이 사건 사□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하여 실제로 수요자가 존재하여 거래시장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인정할 아무런 증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피고 운영의 휴대폰 이미지 전송서비스를 이 사건 사□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잠재적 시장이라 본다 하더라도 그 서비스의 주된 이용 연령층, 주로 이용되는 이미지의 유형, 이 사건 사□의 썸네일 이미지의 조악성에 비추어 피고의 행위가 그 잠재적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미미해 보인다), ① 현대생활에서 인터넷 이용은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보편화된 생활의 일부이고,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검색은 인터넷 사용에 있어 핵심기능으로 인터넷 검색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방대한 양의 정보 중에서 그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아갈 수 잇는 도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공공성을 인정할 수 있는 점, ② 피고측의 로봇프로그램은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는 웹△이트에서만 이미지 등을 검색, 수집하여 피고측 서버로 가져오는 점, ③ 피고의 웹△이트에서 게시하는 원래의 이미지를 축소한 썸네일 이미지는 원 이미지들의 단순환 목록화에 불과하다는 점, ④이 사건 사진은 고도의 예술성을 가진 예술 사진으로 보는 살메에게 정보를 제공한다기 보다는 예술 작품으로서의 심미감을 제공하는 기능이 중시된다 할 것인데, 썸네일 미지지만으로는 원래의 사진이 갖는 심미감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는 점, ⑤이용자가 검색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그 이미지를 수집한 웹△이트주소를 출처로 나타내는 점 등을 고려하여 보면, 피고가 이미지 검색 서비스를 통하여 이 사건 사진을 썸네일 이미지 형태로 축소하여 게시하는 것이 이 사건 사진에 대한 복제, 전시 행위에 해당한다 하더라도, 이는 공표된 저작물을 정당한 범위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출처명시의무 이행 여부
저작권법 제 25조에 따라 저작물을 인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하지만(저작권법 제34조 제1항),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피고의 행위가 저작물의 공정한 인용에 해당하는 이상 그 출처명시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로써 저작재산권의 침해가 있다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는데(저작권법 제34조 제2항), 인터넷상에는 무수히 많은 정보가 존재하고 이러한 정보는 대부분 통제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어 이용자들에 의한 복제·전송이나 웹△이트 사이의 링크를 통하여 끊임없이 공유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보며느, 피고가 검색된 썸네일 이미지와 함께 그 이미지를 수집한 웹△이트의 주소를 출처로 명시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의 출처명시를 상당한 방법으로 하였다 할 것이므로 원고의 위 주장은 어느 모로 보나 이유 없다.
(4)소결
따라서, 피고가 이 사건 사진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제작하여 피고의 웹△이트에 게시한 행위는 저작권법 제25조에 정한 공정한 이용에 해당하고, 그 이용에 있어 썸네일 이미지의 출처 또한 명시하였으므로, 피고가 원고의 이 사건 사진에 관한 저작재산권인 복제권 및 전시권을 침해하였다는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없다.
나. 원고의 저작인격권의 침해 여부
(1) 성명표시권의 침해 여부
(가) 저작권법 제12조 제1항은 저작자는 저작물의 원작품이나 그 복제물에 또는 저작물의 공표에 있어서 그의 실명 또는 이명을 표시할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다만, 같은 조 제2항 단서에 의하여 저작물의 성질, 그 이용목적 또는 형태 등에 비추어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그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나)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비록 피고가 피고의 웹△이트에서 원고의 이 사건 사진을 썸네일 이미지 형태로 게시하면서 원고의 실명을 표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피고가 검색된 썸네일 이미지와 함께 그 이미지를 수집한 웹△이트 주소를 출처로 명시하고 있는 이상, 이 사건 사□의 썸네일 이미지의 이용목적 및 형태, 인터넷의 개방성 정보 접근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보면, 이는 저작권법 제12조제2항 단서에 의한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로서 피고가 원고의 이 사건 사진에 관한 성명표시궈능ㄹ 침해하였다고 할 수 없다.
(2) 동일성유지권의 침해 여부
(가) 저작권법 제13조 제1항은 저작자는 그 저작물의 내용, 형태 및 제호의 동일성을 유지할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다만, 같은 조 제2항 제3호에서 저작물의 성질이나 그 이용의 목적 및 형태에 비추어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안에서, 본질적인 내용의 변경이 없는 한 그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나)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비록 피고가 원고의 허락 없이 이 사건 사진을 축소하여 썸네일 이미지로 변환시켰으나, 썸네일 이미지는 원래 이미지의 단순한 축소에 불과하여 본질적인 내용에는 변경이 없고, 앞에서 본 이 사건 사진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의 이용 목적 및 그 형태 등을 고려하여 보면, 이는 저작권법 제13조 제2항 제3호가 규정하는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피고가 원고의 이 사건 사진에 관한 동일성유지권을 침해하였다고 할 수 없다.
원고는 피고의 웹△이트에서 제공하는 휴대폰 이미지 전송 서비스 또는 슬라이드쇼 기능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이미지의 크기, 밝기, 회전 증 사□의 편집을 할 수 있으므로 원고의 이 사건 사진에 대한 동일성유지권을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하나, 슬라이드쇼 기능의 경우 썸네일 이미지가 아닌 큰 이미지를 사용함은 앞서 본 바와 같고, 휴대폰 이미지 전송 서비스의 경우 실제로 잉요자가 원고의 이 사건 사진을 위 서비스를 이용하여 동일성을 훼손하는 결과에 이르렀음을 인정할 아무런 증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위 서비스는 이용자가 찍은 사진 등을 휴대폰에 휴대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그 서비스의 주된 목적으로 보이므로 피고에게 그 침해에 대한 인식이 있다고도 볼 수 없어 원고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3) 소결
따라서 피고가 원고의 이 사건 사진에 관한 저작인격권인 성명표시권과 동일성 유지권을 침해하였다는 원고의 이 부분 주장도 이유 없다.
4. 이 사건 제2사진의 큰 이미지에 관한 판단
가. 원고의 저작재산권 침해 여부
피고는 원고의 명시적인 승낙 없이 에□스파이더로부터 제공받거나 직접 검색로봇을 이용하여 수집한 이 사건 제2사진에 대한 큰 이미지를 피고의 웹△이트 검색 서비스를 통하여 게시한 사실, 큰 이미지는 썸네일 이미지와는 달리 그 크기가 원고의 웹△이트에 게시되어 있는 원래의 사○작품 크기(약 369×278픽셀 상당)와 유사한 사실은 앞서 본 바와 같은바, 위와 같은 큰 이미지는 인용된 내용과 분량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상당한 내용과 분량일 뿐만 아니라 원래의 사○작품이 가지는 심미감을 상당 부분 충족시킬 수 있어 그 수요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점, 인터넷 검색 서비스의 공공적인 목적을 위해서는 목록화된 썸네일 이미지만으로도 충분한 점을 고려하면 큰 이미지의 게시는 그 공공적인 목적을 위한 정당한 범위를 넘는 것으로 저작권법 제25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피고는 이미지 검색 서비스를 통해 이 사건 제2사진을 복제한 큰 이미지 4점을 제시함으로써 이 사건 제2사진에 대한 복제권, 전시권 등 원고의 저작재산권을 침해하였으므로, 이로 인하여 원고가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나. 원고의 저작인격권의 침해 여부
(1) 원고는, 피고가 피고의 웹△이트에서 이미지에 대한 슬라이드쇼 기능과 휴대폰 이미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진을 편집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원고가 이 사건 제2사진을 통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표현의도를 훼손하였으므로 이 사건 제2사진에 대한 원고의 동일성유지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2) 살피건데, 피고는 2003년 3월경부터 피고의 웹△이트에서 이용자가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 또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썸네일 이미지들을 선택하여 크기, 밝기, 색상 등을 편집한 다음 이동통신사의 회선을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유료 서비스를 개시한 사실, 또한 피고는 2003년 5월경 이미지 검색서비스 체계를 변경하면서 이용자가 이미지의 크기, 밝기, 위치 등을 편집할 수 있는 슬라이드쇼 서비스를 개시한 사실은 앞에서 본 바와 같으나, 실제로 인터넷 이용자가 이 사건 제2사진으로 위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고의 이 사건 제2사진에 대한 동일성을 훼손하였음을 인정할 증거가 없는 이상 피고의 웹△이트에서 위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원고의 이 사건 제2사진에 대한 동일성유지권이 침해되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없다.
다. 피고의 책임 면제 여부
(1) 피고의 주장
피고는, 에□스파이더가 피고에게 이 사건 제2사진의 큰 이미지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제작·공급함으로써 부득이 피고의 웹△이트에 큰 이미지가 게시된 것이고, 피고는 위와 같은 사실을 알고 곧바로 큰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였으므로, 설령 피고의 웹△이트에 큰 이미지가 게시됨으로써 원고의 저작재산권이 침해되었다고 하더라도, 저작권법 제77조 제1항에 의하여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인 피고의 책임은 감경 내지 면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2) 판단
(가) 저작권법 제77조 제1항은 온란인서비스제공자가 저작물이나 실연·음반·방송 또는 데이터베이스(이하 '저작물 등'이라 한다)의 복제·전송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물 등의 복제·전송으로 인하여 그 저작권 등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권리가 침해된다는 사실을 알고 당해 복제 전송을 방지하거나 중단시킨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 의한 위와 같은 저작권 등의 권리 침해에 관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을 감경 또는 면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나) 앞서 든 증거에 의하면, 피고는 에□스파이더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제공 계약을 체결하고 '금강산', '철쭉', '소승폭포'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받아 피고의 웹△이트에 이를 게시한 사실, 피고는 원고가 에□스파이더와 피고를 저작권법위반혐의로 고소하자 2004. 8. 18.경 '금강산'과 '철쭉'에 대한 이미지를, 2004. 11. 29.경 '소승폭포'와 '눈 덮인 초가'에 대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한 사실은 인정되나, 한편 에□스파이더는 이 사건 제2사진에 대한 저작권 침해가 발생하기 이전에 이미 2001년 7월 말경부터 2002. 9. 30.경까지 사이의 임의로 원고의 홈페이제에서 원고의 사진을 복제하여 100×100 픽셀과 400×400 픽셀의 사진을 제작한 다음 라이스코리아, 야후코리아 등 6개의 포털 사이트에 제공한 혐의로 기소되어 서울지방법원 2003고단4821호로 벌금 1백만원의 유죄 판결을 선고받고, 이에 서울지방법원 2003노8920호로 항소하였으니 항소 기각되고 다시 대법원 2004도1075호로 상고하였으나 상고 기각된 사실, 피고는 위와 같은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이미지 수집을 외부에 발주시킬 목적으로 에□스파이더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제공계약을 체결한 사실, 피고는 에□스파이더로부터 '금강산', '철쭉', '소승폭포'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받아 피고의 웹△이트의 이미지 검색 서비스를 통해 이를 게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접 이미지 수집을 재개하는 과정에서 복제한 '눈 덮인 초가'에 대한 이미지를 게시한 사실 또한 인정 할 수 있는바,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피고는 자신이 제공하는 이미지 검색 서비스를 통해 직접 큰 이미지를 게시하여 일반 공중이 수신하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중 일부는 직접 복제하기도 하였으므로, 온라인서비스에서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물 등에 복제·전송이 이루어진 경우 일정한 요건 하에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을 감경 내지 면책하기 위한 저작권법 제77조 제1항의 요건에 해당하지 아니함이 명백하므로 피고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나아가 피고가 에□스파이더에 이미지 수집을 외주할 때 이미 에□스파이더가 제공하는 큰 이미지에 저작권법적 문제가 있었음을 인식하고 있었던 이상 피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감경 또는 면제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도 보기 어렵다.
라. 손해배상의 범위
나아가 피고가 원고에게 배상할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하여 살피건데, 저작권법 제93조 제2항에 의하면 저작재산권자가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하여 그 권리를 침해한 자에 대하여 그 침해에 의하여 자기가 받은 손해의 배상을 청구하는 경우에 그 권리의 행사로 통상 받을 수 있는 금액에 상당하는 액을 저작재산권자가 받은 손해의 액으로 하여 그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할 것인데, 원고는 원고의 사진작품 1점을 국내 인터넷 홈페이지 용도로 6개월간 사용하는데 150만 원의 사용료를 받는 사실, 원고는 2004. 8. 10.경 피고의 사이트에서 금강산과 철쭉에 대한 큰 이미지가 검색되는 것을 발견하고 고소한 결과 에□스파이더는 2004. 8. 18.경 데이터베이스에서 위 이미지들을 삭제한 사실, 원고는 2004. 10. 31.경 피고의 사이트에서 소승폭포와 눈 덮인 초가에 대한 큰 이미지가 검색되는 것을 발견하고 고소한 결과 피고는 2004. 11. 29.경 피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위 이미지들을 삭제한 사실은 앞서 본 바와 같은바, 피고가 배상하여야 할 수액은 '금강산'과 '철쭉'의 큰 이미지에 대한 침해기간에 해당하는 2004. 8. 10.부터 2004. 8. 18.까지 9일간의 이용료에 상응하는 각 72,580원(= 150만원 × 1/6 × 9/31, 원 미만 버림)과, '소승폭포'와 '눈 덮인 초가'의 큰 이미지에 대한 침해기간에 해당하는 2004. 10. 31.부터 2004. 11. 29.까지 한 달간의 이용료에 상응하는 각 250,000원(150만원 × 1/6)의 합계액인 645,160원{=(72,580원 × 2) + (250,000 × 2)} 이라 할 것이다.
원고는 아울러 피고의 저작권 침해행위로 인하여 정신적 고통을 당하였으므로 위자료로 3,100만원의 지급을 구한다고 주장하나, 저작인격권의 침해가 인정되지 않음은 앞서 본 바와 같고, 저작재산권의 침해로 인해 입게 된 정신적 고통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재산적 손해의 배상에 의하여 회복될 수 없는 정신적 손해가 있다면 이는 특별한 사정으로 인한 손해라 할 것 인데, 피고가 이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원고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마. 소결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645,160원 및 그 중 145,160원 및 그 중 145,160원(=72,580원 × 2)에 대하여는 '금강산'과 '철쭉'사진에 대한 침해가 발생한 2004. 8. 10.부터, 500,000원(= 250,000원 ×2)에 대하여는 '소승폭포'와 '눈 덮인 초가' 사진에 대한 침해가 발생한 2004. 10. 31.부터 피고가 그 이행의무의 존부 및 범위에 관하여 항쟁함이 상당하다고 인정되는 항심 판결 선고일인 2005. 7. 26.까지는 민법 소정의 연 5%, 그 다음날부터 갚는 날까지는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소정의 연 20%의 비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5.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이 사건 청구 중 당심에서 추가한 2004년 7월경부터 2004년 11월경까지 사이에 발생한 피고에 의한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한 청구는 위 인정범위 내에서 이유 있어 이를 일부 인용하고, 이 사건 제1사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와 위 당심 추가 청구 중 나머지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할 것인바, 이 사건 제1사진에 대한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 하여 정당하므로 이에 대한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고, 당심에서 추가한 2004년 7월경부터 2004년 11월경까지 사이에 발생한 피고에 의한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한 청구를 일부 인용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판사 조용호 판사 김환수 판사 김운호
<형사사건>
대법원 2004. 5. 13. 선고 2004도1075
<관련자료>
백창훈, “사진에 대한 저작권의 보호범위”, 정보법판례백선(I), 박영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