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
kowikisource
https://ko.wikisource.org/wiki/%EC%9C%84%ED%82%A4%EB%AC%B8%ED%97%8C:%EB%8C%80%EB%AC%B8
MediaWiki 1.39.0-wmf.22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문헌
위키문헌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저자
저자토론
포털
포털토론
번역
번역토론
페이지
페이지토론
색인
색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소도구
소도구토론
소도구정의
소도구정의토론
홍길동전 36장 완판본/현대어 해석
0
38004
250297
219274
2022-07-27T19:00:14Z
Gildong7
6358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홍길동전 36장 완판본(洪吉童傳 36張 完板本)
|지은이 = [[저자:허균|허균]]
|역자 = 직지프로
|이전 =
|다음 =
|설명 = [[홍길동전 36장 완판본]]의 현대어 해석
}}
조선국 세종대왕 즉위 십오년에 홍회문 밖에 한 재상이 있으되, 성은 홍이요, 명은 문이니, 위인이 청렴강직하여 덕망이 거룩하니 당세의 영웅이라. 일찍 용문에 올라 벼슬이 한림에 처하였더니 명망이 조정의 으뜸 되매, 전하 그 덕망을 승히 여기사 벼슬을 돋우어 이조판서로 좌의정을 하게 하시니, 승상이 국은을 감동하여 갈충보국하니 사방에 일이 업고 도적이 없으매 시화연풍하여 나라가 태평하더라.
일일은 승상 난간에 비겨 잠깐 졸더니, 한풍이 길을 인도하여 한 곳에 다다르니, 청산은 암암하고 녹수는 양양한데 세류 천만 가지 녹음이 파사하고, 황금 같은 꾀꼬리는 춘흥을 희롱하여 양류간에 왕래하며 기화요초 만발한데, 청학 백학이며 비취 공작이 춘광을 자랑하거늘, 승상이 경물을 구경하며 점점 들어가니, 만장절벽은 하늘에 닿았고, 굽이굽이 벽계수는 골골이 폭포되어 오운이 어리었는데, 길이 끊어져 갈 바를 모르더니, 문득 청룡이 물결을 헤치고 머리를 들어 고함 하니 산학이 무너지는 듯하더니, 그 용이 입을 벌리고 기운을 토하여 승상의 입으로 들어오거늘, 깨달으니 평생 대몽이라. 내염에 헤아리되 "필연 군자를 낳으리라." 하여, 즉시 내당에 들어가 시비를 물리치고 부인을 이끌어 취침코자 하니, 부인이 정색 왈,
"승상은 국지재상이라, 체위 존중하시거늘 백주에 정실에 들어와 노류장화같이 하시니 재상의 체면이 어디에 있나이까?"
승상이 생각하신 즉, 말씀은 당연하오나 대몽을 허송할까 하여 몽사를 이르지 아니하시고 연하여 간청하시니, 부인이 옷을 떨치고 밖으로 나가시니, 승상이 무료하신 중에 부인의 도도한 고집을 애달아 무수히 차탄하시고 외당으로 나오시니, 마침 시비 춘섬이 상을 드리거늘, 좌우 고요함을 인하여 춘섬을 이끌고 원앙지낙을 이루시니 적이 울화를 덜으시나 심내에 못내 한탄하시더라.
춘섬이 비록 천인이나 재덕이 순직한지라, 불의에 승상의 위엄으로 친근하시니 감이 위령치 못하여 순종한 후로는 그날부터 중문 밖에 나지 아니하고 행실을 닦으니 그달부터 태기있어 십삭이 당하매 거처하는 방에 오색운무 영롱하며 향내 기이하더니, 혼미중에 해태하니 일개 기남자라. 삼일 후에 승상이 들어와 보시니 일변 기꺼우나 그 천생됨을 아끼시더라. 이름을 길동이라 하니라.
이 아이 점점 자라매 기골이 비상하여 한 말을 들으면 열 말을 알 고, 한 번 보면 모르는 것이 없더라. 일일은 승상이 길동을 데리고 내당에 들어가 부인을 대하여 탄식 왈,
"이 아이 비록 영웅이나 천생이라 무엇에 쓰리오. 원통하도다. 부인의 고집이여, 후회막급이로소이다.“
부인이 그 연고를 묻자오니, 승상이 양미를 빈축하여 왈,
"부인이 전일에 내 말을 들으셨던들 이 아이 부인 복중에 낳을 것을 어찌 천생이 되리요.“
인하여 몽사를 설화하시니, 부인이 추연 왈,
"차역 천수오니 어찌 인력으로 하오리까.“
세월이 여류하여 길동의 나이 팔세라. 상하 다 아니 칭찬할 이 없고 대감도 사랑하시나, 길동은 가슴의 원한이 부친을 부친이라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매 스스로 천생됨을 자탄하더니, 칠월 망일에 명월을 대하여 정하에 배회하더니 추풍은 삽삽하고 기러기 우는 소리는 사람의 외로운 심사를 돕는지라. 홀로 탄식하여 왈,
"대장부 세상에 나매 공맹의 도학을 배워 출장입상하여 대장인수를 요하에 차고 대장단에 높이 앉아 천병만마를 지휘중에 넣어두고, 남으로 초를 치고, 북으로 중원을 정하며, 서로 촉을 쳐 사업을 이룬 후에 얼굴을 기린각에 빛내고, 이름을 후세에 유전함이 대장부의 떳떳한 일이라. 옛 사람이 이르기를 ‘왕후장상이 씨없다.’ 하였으니 나를 두고 이름인가. 세상 사람이 갈관박이라도 부형을 부형이라 하되 나는 홀로 그렇지 못하니 어떤 인생으로 그러한고.“
울억한 마음을 걷잡지 못하여 칼을 잡고 월하에 춤을 추며 장한 기운 이기지 못하더니, 이때 승상이 명월을 사랑하여 창을 열고 비겼더니, 길동의 거동을 보시고 놀래 가로되,
"밤이 이미 깊었거늘 네 무슨 즐거움이 있어 이러하느냐?“
길동이 칼을 던지고 부복 대왈,
“소인은 대감의 정기를 타 당당한 남자로 낳사오니 이만 즐거운 일이 없사오되, 평(생) 설워하옵(기)는 아비를 아비라 부르지 못하옵고, 형을 형이라 못하여 상하 노복이 다 천히 보고, 친척 고두도 손으로 가르쳐 아무의 천생이라 이르오니 이런 원통한 일이 어디에 있사오리까?”
인하여 대성통곡하니, 대감이 마음에 긍측이 여기시나 만일 그 마음을 위로하면 일로조차 방자할까 하여 꾸짖어 왈.
“재상의 천비 소생이 너 뿐 아니라. 자못 방자한 마음을 두지 말라. 일후에 다시 그런 말을 번거이 한 일이 있으면 눈 앞에 용납치 못하리라.”
하시니, 길동은 한갓 눈물 흘릴 뿐이라. 이윽히 엎드려있더니, 대감이 물러가라 하시거늘, 길동이 돌아와 어미를 붙들고 통곡 왈,
“모친은 소자와 전생연분으로 차생에 모자 되오니 구로지은을 생각하오면 호천망극하오나, 남아가 세상에 나서 입신양명하여 위로 향화를 받들고, 부모의 양육지은을 만분의 하나라도 갚을 것이거늘, 이 몸은 팔자 기박하여 천생이 되어 남의 천대를 받으니, 대장부 어찌 구구히 근본을 지키어 후회를 두리요. 이 몸이 당당히 조선국 병조판서 인수를 띠고 상장군이 되지 못할진대, 차라리 몸을 산중에 붙여 세상영욕을 모르고자 하오니, 복망 모친은 자식의 사정을 살피사 아주 버린 듯이 잊고 계시면 후일에 소자 돌아와 오조지정을 이를 날 있사오니 이만 짐작하옵소서."
하고, 언파에 사기 도도하여 도리어 비회 없거늘. 그 모 이 거동을 보고 개유하여 왈,
"재상가 천생이 너뿐 아니라. 무슨 말을 들었는지 모르되 어미의 간장을 이다지 상케 하느냐? 어미의 낮을 보아 아직 있으면 내두에 대감이 처결하시는 분부 없지 아니하리라.“
길동이 가로되,
"부형의 천대는 고사하옵고, 노복이며 동유의 이따금 들리는 말이 골수에 박히는 일이 허다하오며, 근간에 곡산모의 행색을 보오니 승기자를 염지하여 과실없는 우리 모자를 구수같이 보아 살해 해할 뜻을 두오니 불구에 목전대환이 있을지라. 그러하오나 소자 나간 후 이라도 모친에게 후환이 미치지 아니케 하오리다.“
그 어미 가로되.
"네 말이 자못 그러하나 곡산모는 인후한 사람이라. 어찌 그런 일이 있으리요?"
길동 왈,
"세상사를 측량치 못하나이다. 소자의 말을 헛되이 생각지 마시고 장래를 보읍소서.“
하더라.
원래 곡산모는 곡산 기생으로 대감의 총첩이 되어 뜻이 방자하기로, 노복이라도 불합한 일이 있으면 한 번 참소에 사생이 관계하여 사람이 못되면 기뻐하고 승하면 시기하더니, 대감이 용몽을 얻고 길동을 낳아 사람마다 일컫고 대감이 사랑하시매, 일후 총을 앗길까 하며, 또한 대감이 이따금 희롱하시는 말씀이 "너도 길동같은 자식을 낳아 나의 모년재미를 도우라." 하시매, 가장 무료하여 하는 중에 길동의 이름이 날로 자자하므로 초낭 더욱 크게 시기하여 길동 모자를 눈의 가시같이 미워하여 해할 마음이 급하매, 흉계를 짜아내어 재물을 흩어 요괴로운 무녀 등을 불러 모의말 말하고 축일왕래하더니, 한 무녀 가로되,
"동대문 밖에 관상하는 계집이 있으되, 사랑의 상을 한 번 보면 평생 길흉화복을 판단하오니, 이제 청하여 약속을 정하고 대감전에 천거하여 가중 전후사를 본 듯이 이른 후에 인하여 길동의 상을 보고 여차여차히 아뢰어 대감의 마음을 놀래면 낭자의 소회를 이룰까 하나이다.“
초낭이 대희하여, 즉시 관상녀에계 통하여 재물로써 달래고, 대감댁 일을 낱낱이 가르치고, 길동 제거할 약속을 정한 후에 날을 기약하고 보내니라.
일일은 대감이 내당에 들어가 길동을 부른 후에 부인을 대하여 가로되,
"이 아이 비록 영웅의 기상이 있으나 어디다 쓰리요.“
하시며 희롱하시더니, 문득 한 여자 밖으로부터 들어와 당하에 뵈거늘, 대감이 괴히 여겨 그 연고를 물으신대, 그 여자 복지 주왈.
"소녀는 동대문 밖에 사옵더니, 어려서 한 도인을 만나 사람의 상보는 법을 배운 바 두루 다니며 관상차로 만호장안을 편람하옵고, 대감댁 만복을 높이 듣고 천한 재주를 시험코자 왔나이다.“
대감이 어찌 요괴로운 무녀를 대하여 문답이 있으리요마는 길동을 희롱하시던 끝인 고로 웃으시며 왈,
“네 암커나 가까이 올라 나의 평생을 확론하라.“
하시니, 관상녀 국궁하고 당에 올라 먼저 대감의 상을 살핀 후에 이왕지사를 역역히 아뢰며 내두사를 보는 듯이 논단하니, 호발도 대감의 마음에 위월한 마디 없는지라. 대감이 크게 칭찬하시고 연하여 가중 사람의 상을 의논할새, 낱낱이 본 듯이 평론하여 한 말도 허망한 곳이 없는지라. 대감과 부인이며 좌중제인이 대혹하여 신인이라 일컫터라. 끝으로 길동의 상을 의논할새, 크게 칭찬 왈,
"소녀가 열읍에 주류하며 천만인을 보았으되 공자의 상같은 이는 처음이려니와 알지 못게라, 부인의 기출이 아닌가 하나이다.“
대감이 속이지 못하여 왈,
"그는 그러하거니와 사람마다 길흥영욕이 각각 때있나니 이 아이 상을 각별 논단하라.“
하니, 상녀가 이윽히 보다가 거짓 놀라는 체 하거늘, 괴히 여겨 그연고를 물으신대 함구하고 말이 없거늘, 대감이 가로되,
"길흉을 호발도 기이지 말고 보이는 대로 의논하여 나의 의흑이 없게 하라.“
관상녀 가로되,
"이 말씀을 바로 아뢰면 대감의 마음을 놀래일까 하나이다.“
대감 왈,
"옛날 곽분양같은 사람도 길한 때 있고 흉한 때있었으니 무슨 여러 말이 있느냐? 상법 보이는 대로 기이 말라.“
하시니. 관상터 마지 못하혀 길동을 치운 후에 그윽히 아뢰되,
"공자의 내두사는 여러 말씀 버리옵고 성즉 군왕지상이요, 패즉 측량치 못할 환이 있나이다.“
한대, 대감이 크계 놀래어 (이)윽히 진정란 후에 상녀를 후이 상급하시고 가로되,
"이같은 말을 삼가 발구치 말라.“
엄히 분부하시고, 왈,
"제 늙도록 출입치 못하게 하리라.“
하시니, 상녀 왈,
"왕후장상이 어디 씨 있으리까?“
대감이 누누당부하시니, 관상녀 공수 수명하고 가니라.
대감이 이 말을 들으신 후로 내념에 크게 근심하사 일념에 생각하시되, “이놈이 본래 범상한 놈이 아니요, 또 천생됨을 자탄하여 만일 범람한 마음을 먹으면 누대 갈충보국하던 일이 쓸데없고 대화 일문에 미치리니 미리 저를 없애어 가화를 덜고자 하나 인정에 차마 못할 바라.” 생각이 이러한즉 선처할 도리없어 일념이 병이 되어 식불감 침불안하시는지라. 초낭이 기색을 살핀 후에 승간하여 여쭈오되,
"길동이 관상년의 말씀같이 왕기 있어 만일 범람한 일이 있사오면 가화 장차 측량치 못할지라. 어리석은 소견은 적은 혐의를 생각지 마시고 큰 일을 생각하여 저를 미리 없이 함만 같지 못할까 하나이다.“
대감이 대책 왈,
"이 말을 경솥히 할 바가 아니거늘, 네 어쩌 입을 지키지 뭇하느냐? 도시 내 집 가운을 네 알 바가 아니라.“
하시니, 초낭이 황공하여 다시 말씀을 못하고, 내당에 들어아 부인과 대감의 장자를 대하여 여쭈오되,
"대감이 관상녀의 말씀을 들으신 후로 사념에 선처하실 도리 없사와 침식이 불안하시더니 일념의 병환이 되시기로 소인이 일전에 여차여차한 말씀을 아뢰온즉 꾸중이 났는 고로 다시 여쭙지 못하였거니와, 소인이 대감의 마음을 취택하온즉 대감께서도 저를 미리 없애고자 하시되 차바 거처치 못하오니, 미련한 소견으로는 선처할 모책이 길동을 먼저 없앤 후에 대감께 아뢰면 이미 저질러진 일이라 대감께서도 어찌 할 수 업사와 마음을 아주 잊을까 하옵나이다."
부인이 빈축 왈,
"일은 그러하거니와 인정천리에 차마 할 바가 아니라.“
하시너, 초낭이 다시 어쭈오되,
“이 일이 여러가지 관계하오니, 하나는 국가를 위함이요, 둘은 대감의 환후를 위함이요, 셋은 홍씨 일문을 위함이오니, 어찌 적은 사정으로 우유부단하여 여러가지 큰 일을 생각지 아니하시다가 후회막급이 되오면 어리 하오리까?”
하며, 만단으로 부인과 대감의 장자를 달래니, 마지 못하여 허락하시거늘, 초낭이 암회하여 나와 특자라 하는 자객을 청하여 수말을 다 전하고 은자를 많이 주어 오늘 밤에 길동을 해하라 약속을 정하고, 다시 내당에 들어가 부인전에 수말을 여쭈오니, 부인이 들으시고 발을 구르시며 못내 차석하시더라.
이때의 길동은 나이 십일세라. 기골이 장대하고, 총맹이 절륜하며, 시서백가어를 무불통지하나, 대감 분부에 바깥 출입을 막으시매, 홀로 별당에 처하여 손오의 병서를 통리하여 귀신도 즉량치 못하는 술법이며 천지조화를 품어 풍운을 임의로 부리며, 육정육갑이 신장을 부려 신출귀몰지술을 통달하니 세상에 두려운 것이 없더라. 이날 밤 삼경이 된 후에 장차 서안을 물리치고 취침하려 하더니 문득 창 밖에서 까마귀 세 번 울고 서로 날아가거늘, 마음에 놀래 해혹하니, “까마귀 세 번 ‘객자와 객자와’ 하고 서로 날아가니 분명 자객이 오는지라. 어떤 사람이 나를 해코자 하는고? 암커나 방신지계를 하니라.” 하고, 방중에 팔진을 치고 각각 방위를 바꾸어, 남방의 이허중은 북방의 감중련에 옮기고, 동방 진하련은 서방 태상절에 옮기고, 건방의 건삼련은 손방 손하절에 옮기고, 곤방의 곤삼절은 간방 간상련에 옮겨, 그 가운데 풍운을 넣어 조화무궁페 벌리고 때를 기다리니다.
이때에 특자 비수를 들고 길동 거처하는 별당에 가서 몸을 숨기고 그 잠들기를 기다리더니, 난데없는 까마귀 창 밖에 와 울고 가거늘 마음에 크게 의심하여 왈,
“이 짐승이 무슨 앎이 있어 천기를 누설하는고? 길동은 실로 범상한 사람이 아니로다. 필연 타일에 크게 쓰리라.”
하고, 돌아가고자 하다가 은자에의 욕심이 몸을 생각치 못하여 이시한후에 몸을 날려 방중에 들어가니, 길동은 간 데 억고, 일진광풍이 일어나 뇌성벽력이 천지 진동하며 운무 자욱하여 동서를 분별치 못하며 좌우를 살펴보니 천봉만학이 중중첩첩하고, 대해 창일하여 정신을 수습치 못하는지라. 특자 내념에 헤아리되, “내 아까 분명 방중에 들어왔거늘 산은 어인 산이며, 물은 어인 물인고?” 하여 갈 바를 알지 못하더니, 문득 옥적소리 들리거늘, 살펴보니 청의동자 백학을 타고 공중에 다니며 불러 왈,
“너는 어떠한 사람이관대 이 깊은 밤에 비수를 들고 누구를 해코자 하느냐?”
특자 대왈,
“네 분명 길동이로다. 나는 너의 부형의 명령을 받아 너를 취하러 왔노라.”
하고 비수를 들어 던지니, 문득 길동은 간 데 없고, 음풍이 대작하고 벽력이 진동하며, 중천에 살기 뿐이로다. 중심에 대겁하여 칼을 찾으며 왈,
"내 남의 재물을 욕심하다가 사지에 빠졌으니 수원수구하리요.“
하며, 길게 탄식하더니, 문득 이윽고 길동이 비수를 들고 공중에서 외쳐 왈,
“필부는 들으라. 네 재물을 탐하여 무죄한 인명을 살해코자 하니 이제 너를 살려두면 일후에 무죄한 사람이 허다히 상할지라. 어찌 살려 보내리요.”
한대, 특자 애걸 왈,
"과연 소인의 죄 아니오라 공잣댁 초낭자의 소위오니, 바라옵건데 가련한 인명을 구제하셔서 일후에 개과하게 하옵소서.“
길동이 더욱 분을 이기지 못하여 왈,
"너의 약관이 하늘에 사무쳐 오늘날 나의 손을 빌어 악한 유를 없애게 함이라.“
하고, 언파에 특자의 목을 쳐버리고, 신장을 호령하여 동대문 밖의 상녀를 잡아다가 수죄하여 왈,
"네 요망한 년으로 재상가에 출입하며 인명을 상해하니 네 죄를 네 아느냐?“
관상녀 제 집에서 자다가 풍운에 쌓이어 호호탕탕이 아무 데로 가는줄 모르더니, 문득 길동의 꾸짙는 소리를 듣고 애걸 왈,
"이는 다 소녀의 죄가 아니오라 초낭자의 가르침이오니 바라건대 인후하신 마음에 죄를 관서하옵소서.“
하거늘, 길동이 가로되,
"초낭자는 나의 의모라 의논치 못하려니와 너같은 악종을 내 어찌 살려 두리요. 후 사람을 징계하리라.“
하고. 칼을 들어 머리를 베어 특자외 주검한테 던지고, 분한 마음을 것잡지 못하여 바로 대감전에 나아가 이 변괴를 아뢰고 초낭을 베려하다가 홀연 생각 왈, “영인부아언정 무아부인이라.” 하고, 또 “내 일시 분으로 어찌 인륜을 끊으리요.” 하고, 바로 대감 침소에 나아가 정하에 엎드리더니, 이때 대감이 잠을 깨어 문 밖에 인적 있음을 괴히 여겨 창을 열고 보시니, 길동이 정하에 엎드렸거늘, 분부 왈,
“이제 밤이 이미 깊었거늘 네 어찌 자지 아니하고 무슨 연고로 이러하느냐?”
길동이 체읍 대왈,
“가내에 흉한 변이 있사와 목숨을 도망하여 나가오니 대감전에 하직차로 왔나이다.”
대감이 상량하시되, “필연 무슨 곡절이 있도다.” 하시고 가로되,
“무슨 일인지 날이 새면 알려니와 급히 돌아가 자고 분부를 기다리라.”
하시기, 길동이 복지 주왈,
"소인이 이제로 집을 떠나가오니 대감 체후만복하옵소서. 소인이 다시 뵈올 기약이 망연하오이다.“
대감이 헤아리되, 길동은 범류 아니라 만류하여도 듣지 아니 할 줄 짐작하시고 가로되,
"네 이제 집을 떠나면 어디로 가느냐?“
길동이 부복 주왈,
"목숨을 도망하여 천지로 집을 삼고 나가오니 어찌 정처 있사오리까마는 평생 원한이 가슴에 맺혀 설원할 날이 없사오니 더욱 설워하나이다.“
하거늘. 대감이 위로 왈,
"오늘로부터 네 원을 풀어주는 것이니 네 나가 사방에 주류할지라도 부디 죄를 지어 부형에게 환을 끼치지 말고 쉬이 돌아와 나의 마음을 위로하라. 여러 말 아니하니 부디 겸염하여라.“
하시니. 길동이 일어나 다시 절하고 주왈,
"부친이 오늘날 적년소원을 풀어 주시니 이제 죽어도 한이 없사올지라. 황공무지오니 복망 아버님은 만수무강하소서.“
하며, 인하여 하직을 구하고 나와 바로 그 모친 침실에 들어가 어미를 대하여 가로되,
"소자가 이제 목숨을 도망하여 집을 떠나오니 모친은 불효자를 생각지 마시고 계시오면 소자 돌아와 뵈올 날이 있사오니 달리 염려 마옵시고 삼가 조심하여 천금귀체를 보중하옵소서.“
하고, 초낭의 작변하던 일을 종두지미하여 낱낱이 설화하니, 그 어미 그 변괴를 자세히 들은 후에 길동을 만류치 못할 줄 알고 인하여 탄식 왈,
“네 이제 나가 잠간 화를 피하고 어미 낮을 보아 쉬이 돌아와 나로 하여금 실망하는 병이 업게 하라.”
하며 못내 설워하니, 길동이 무수히 위로하며 눈물을 거두어 하직하고 문 밖에 나서니 광대한 천지간에 한 몸이 용납할 곳이 없는지라. 탄식으로 정처없이 가니라.
이때에 부인이 자객을 길동에게 보낸 줄 아시고 밤이 새도록 잠을 이루지 못하고 무수히 탄식하시니, 장자 길현이 위로 왈,
"소자도 능히 마지 못하온 일이오니 저 죽은 후에라도 어찌 한이 없사오리까? 제 어미를 더욱 후대하여 일생을 편케 하옵고, 제의 시신을 후장하여 야처한 마음을 만분지일이나 덜을까 하나이다.“
하고 밤을 지내더, 이튿날 평명에 초낭이 별당에 날이 밝도록 소식 없음을 괴히 여겨 사람을 보내 탐지하니, 길동은 간데 없고 목 없는 주검 둘이 방중에 거꾸러져 있거늘, 자세히 보니 특자와 관상녀라. 초낭이 이 말을 듣고 크게 놀래어 급히 내당에 들외가 이 사연을 부인께 고하니, 부인이 대경하여 장자 길현을 볼러 길동을 찾으되 종시 거처를 알지 못하는지라. 대감을 청하여 수말을 아뢰며 죄를 청하니, 대감이 대책왈,
"가내에 이런 변고를 지으니 화 장차 무궁할지라. 간밤에 길동이 집을 떠나노라 하고 하직을 고하기로 무슨 일인지 몰랐더니 원래 이일이 있음을 어찌 알았으리요.“
하고, 초낭을 대책 왈,
"네 앞 순에 괴이한 말을 자아내기로 꾸짖어 물리치고 그같은 말을 다시 내지 말라 하였거늘, 네 종시 마음을 고치지 아니하고 가내에 있어 이렇듯이 변을 지으니 죄를 의논컨대 죽기를 면치 못하리라. 어찌 내 안전에 두고 보리요.“
하시(고), 노복을 불러 두 주검을 남이 모르게 치우고 마음 둘 곳을 몰라 좌불안석하시더라.
이때에 길동이 집을 떠나 사방으로 주류하더니, 일일은 한 곳에 이르니 만첩산장이 하늘에 닿은 듯하고, 초목이 무성하여 동서를 분별치 못하는 중에 햇빛은 세양이 되고 인가 또한 없으니 진퇴유곡이라. 바야흐로 주저하더니, 한 곳을 바라보니 괴이한 표자 시냇물을 쫓아 떠오거늘, 인가 있는줄 짐작하고 시젓물을 쫓아 수리를 들어가니, 산천이 열린 곳에 수백 인가 즐비하거늘. 길동이 그 촌중에 들어가니, 한 곳에 수백 인이 모여 잔치를 배설하고 배반이 낭자한대 공론이 분운하더라.
원래 차촌은 적굴이라. 이날 마침 장수를 정하려 하고 공론이 분운하더니 길동 이 말을 듣고 내념에 해아리되, “내 지처없는 처지로 위연이 이 곳에 당하였으니 이는 나로하여금 하늘이 지시하심이로다. 몸을 녹림에 붙여 남아의 지기를 펴리라.”하고 좌중에 나아가 성명을 통하여 왈,
"나는 경성 홍승상의 아자로서 사람을 죽이고 망명도주하여 사방에 주류하옵더니, 오늘날 하늘이 지시하사 위연이 이 곳에 이르렀으니 녹림호걸의 으뜸 장수됨이 어려하노?“
하며 자청하니. 좌중제인이 이때 술이 취하여 바야흐로 공론 달난하더니, 불의에 난데없는 총각아이 들어와 자청하매 서로 돌아보며 꾸짖어 왈,
"우리 수백 인이 다 절인지력을 가졌으되 지금 두 가지 일을 행할이 없어 유예미결하거니와, 너는 어떠한 아이로서 감히 우리 연석에 돌입하여 언사 이렇듯이 괴망하뇨? 인명을 생각하여 살려보내니 급히 돌아가라.“
하고 등 밀어 내치거늘, 길동이 돌문 밖에 나와 큰 나무를 꺾어 글을 쓰되, “용이 얕은 물에 잠기어 있으니 어별이 침노하며, 범이 깊은 수풀을 잃으매 여우와 토끼의 조롱을 보는도다. 오래지 아니해서 풍운을 얻으면 그 변화 측량키 어려우리로다.”하였더니, 한 군사 그 글을 등서하여 좌중에 드리니, 상좌의 한 사람이 그 글을 보다가 여러 사람에게 청하여 왈,
"그 아이 거동이 비범할 뿐 아니라, 더우기 홍승상의 자제라 하니 수자를 청하여 그 재주를 시험한 후에 처치함이 해롭지 아니하다.“
하니, 좌중제인이 응락하여 즉시 길동을 청하여 좌상에 앉히고 이르되,
"즉금 우리 의논이 두 가지라. 하나는 이 앞의 초부석이라 하는 돌이 있으니 중이 천여근이라 좌중에서는 용이케 들 사람이 없고, 둘은 경상도 합천 해인사에 누거만재이나 수도중이 수천 명이라 그 절을 치고 재물을 앗을 모책이 없는지라. 수자가 이 두 가지틀 능히 행하면 오늘부터 장수를 봉하리라.“
하거늘, 길동이 이 말을 듣고 웃어 왈,
"대장부 세상에 처하매 마땅히 상통천문하고, 부찰지리하고. 중찰인의할지라. 어찌 이만 일을 겁하리요.“
하고, 즉시 팔을 걷고 그 곳에 나아가 초부석을 들어 팔 위에 얹고 수 십 보를 행하다가 도로 그 자리에 놓으되 일분 겨워하는 기색이 없으니 모든 사람이 대찬 왈,
"실로 장사로다!“
하고, 상좌에 앉히고 술을 권하며 장수라 일컬어 치하 분분하는지라. 길동이 군사를 명하여 백마를 잡아 피를 마셔 맹세할새 제군에게 호령 왈,
"우리 수백 인이 오늘부터 사생고락을 한가지로 할지니 만일 약속을 배반하고 영을 어기는 자가 있으면 군법으로 시행하리라.“
하니, 제군이 일시에 청령하고 즐기더라. 수일 후에 제군에게 분부 왈,
"내 합천 해인사에 가 모책을 정하고 오리라.“
하고, 서동복색으로 나귀를 타고 종자 수인을 데리고 가니 완연한 재상의 자제이더라. 해인사에 노문하되, “경성 홍승상댁 자제 공부차로 오신다." 하니 사중 제승 노문을 듣고 의논하되, ”재상가 자제 절에 거처하시면 그 힘이 적지 아니하리로다." 하고 일시에 동구 밖에 맞아 문안하니, 길동이 혼연히 사중에 돌아가 좌정 후에 제승을 대하여 왈,
“내 들으니 네 절이 경성에 유명하기로 소문을 높이 듣고 먼 데를 헤아리지 아니하고 한 번 구경도 하고 공부도 하려하여 왔으니, 너희도 괴로히 생각지 말 뿐더러 사중에 머무는 잡일을 일체 물리치라. 내 아무 고을 아중에 가 본관을 보고 백미 이십 석을 보낼 것이 니 아무날 음식을 장만하라. 내 너회와 더불어 승속지분의를 버리고 동락한 후에 그날부터 공부하리라. "
하니, 제승이 황공 수명하더라. (법)당 사면으로 다니며 두루 살핀후에 돌아와 적군 수십인에게 백미 이십석을 보내며 왈,
"아무 아중에서 보내더라.“
이르니라. 제승이 어찌 대적의 흉계를 알리요. 행여 분부를 어길까 염려하여 그 백미로 즉시 음식을 장만하며, 일변 사중에 머무는 잡인을 다 보내니라. 기약한 날에 길동이 제적에게 분부하되,
"이제 해인사에 가 제승을 다 결박할 것이니 너희등이 근처에 매복하였다가 일시에 절에 들어와 재물을 수탐하여 가지고 나의 가르치는 대로 행하되 부디 영을 어기지 말라.“
하고, 장대한 하인 십여인을 거느리고 해인사로 향하니라.
이때 제승이 동구 밖에 나와 대후하는지라. 길동이 들어가 분부 왈,
"사중 제승이 노소없이 하나도 빠지지 말고 일제히 절 뒤 벽계로 모이라. 오늘은 너희와 함께 종일 포취하고 놀리라.“
하니, 중들이 먹기도 위할 뿐떠러 분부를 어기면 행여 죄 있을까 저어하여 일시에 수천 제승이 벽계로 모이니 사중은 통 비었는지라. 길동이 좌상에 앉고 제승을 차례로 앉힌 후에 각각 상을 받아 술도 권하며 즐기다가 이윽하여 식상을 드리거늘, 길동이 소매로부터 모래를 내어 입에 넣고 씹으니 돌깨지는 소리에 제승이 혼불부신하는지라.
길동이 대로 왈,
"내 너희로 더불어 승속지분의를 버리고 즐긴 후에 유하여 공부하렸더니 이 완만한 중놈들이 나를 수이 보고 음식의 부정함이 이 같으니 가히 통분한지라.“
데리고 갔던 하인을 호령하여, “제승을 일제히 곁박하라.” 재촉이 성화같은지라. 하인이 일시에 달려듈어 절승을 결박할새 어찌 일분 사정이 있으리요.
이때 제적이 동구 사면에 매복하였다가 이 기미를 탐지하고, 일사에 달려들어 고를 열고 수만금 재물을 제 것 가져가듯이 우마에 싣고 간들 사지를 요동치 못하는 중들이 어찌 금단하리오. 다만 입으로 원통하다 하는 소리 동중이 무너지는 듯 하더라.
이때 사중에 한 목공이 있어 이 중에 참여치 아니하고 절을 지키다가 난데없는 도적이 들어와 고를 열고 제 것 가져가듯이 하매, 급히 도망하여 합천 관가에 가 이 연유를 아뢰니, 합천원이 대경, 일변 관인을 보내며, 또 일변 관군을 조발하여 추종하는지라.
모든 도적이 재물을 싣고 우마를 몰아 나서며 멀리 바라보너 수천 군사 풍우같이 몰려오매 티끌이 하늘에 닿은 듯 하더라. 제적이 대겁하여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도리어 길동을 원망하는지라. 길동이 소왈,
'너회가 어찌 나의 비계를 알리요? 염려말고 남편 대로로 가라. 내 저 오는 관군을 북편 소로로 가게 하리라."
하고, 법당에 들어가 중의 장삼을 입고, 고갈을 쓰고, 높은 봉에 올라 관군을 불러 외쳐 왈,
"도적이 북편 소로로 갔사오니 이리로 오지 말고 그리 가 포착하옵소서.“
하며, 장삼 소매를 날려 북편 소로를 가리키니, 관군이 오다가 남로를 버리고 노승의 가리키는 대로 북편 소로로 가거늘, 길동이 내려와 축지법을 행하여 제적을 인도하여 동중으로 돌아오니 제적이 치하 분분하더라.
이때에 합천 원이 관군을 몰아 도적을 추종하되 자취를 보지 못하고 돌아오매 일읍이 소동하는지라. 이 연유를 감영에 장문하니, 감사 듣고 놀래어 각 읍에 발포하여 도적을 잡되 종시 형적을 몰라 도로 분주하더라.
일일은 길동이 제적을 불러 의논 왈,
"우리, 비록 녹림에 몸을 붙였으나 다 나라 백성이라. 세대로 나라 수토를 먹으니 만일 위태한 시절을 당하면 마땅히 시석을 무릅쓰고 민군을 도울지니 어찌 형법을 힘쓰지 아니하리요? 이제 군기를 도모할 모책이 있으니, 아무날 함경감영 남문 밖의 능소 근처에 시초를 수운하였다가 그날밤 삼경에 불을 놓으되 능소에는 범치 못하게 하라. 나는 남은 군사를 거느리고 기다려 감영에 틀어가 군기와 창고를 탈취하리라.“
약속을 정한 후에 기약한 날에 군사를 두 초로 나누어 한 초는 시초를 수운하라 하고, 또 한 초는 길동이 거느려 매복하였다가 삼경이 되매 능소 근처에 화광이 등천하였거늘, 길동이 급히 들어가 관문을 두드리며 소리하되,
"능소에 불이 났사오니 급히 구원하옵소서.“
감사 잠결에 대경하여 나화서 보니 과연 화광이 창천한지라. 하인을 거느리고 나가며, 일변 군사를 조발하니 성중이 물 끓는 듯 하는지라. 백성들도 다 능소에 가고 성중이 공허하여 노약자만 남았는지라. 길동이 제적을 거느리고 일시에 달려들어 창곡좌 군기를 도적하여 가지고 축지법을 행하여 순식에 동중으로 돌아오더라.
이때에 감사 불을 구하조 돌아오니 창곡 지킨 군사 아뢰되,
"도적이 들어와 창고를 열고 군기와 곡식을 도적하여 갔나이다.“
하거늘, 크게 놀래어 사방으로 군사를 발포하여 수탐하되 형적이 없는지라. 변괴인 줄 알고 이 연유를 나라에 주문하니라.
이날 밤에 길동이 동중에 돌아와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왈,
"우리 이제는 백성의 재물은 추호도 탈취치 말고, 악 읍 수령과 방백의 준민고택하는 재물을 노략하여 혹 불쌍한 백성을 구제할지니, 이 동호를 '활빈당'이라 하리라.“
하고, 또 가로되,
"함경감영에서 군기와 곡식을 잃고 우리 종적은 알지 못하매 저간에 애매한 사람이 허다히 상할지라. 내 몸의 죄를 지어 애매한 백성에게 돌려보내면 사람은 비록 알지 못하나 천벌이 두렵지 아니하랴?“
하고, 즉시 감영 북문에 써 붙이되,
"창곡좌 군기 도적하기는 활빈당 당수 홍길동이라.“
하였더라,
일일은 길동이 생각하되, “나외 팔자 무상하여 집을 도망하여 몸을 녹림호걸에 붙였으나 본심이 아니라. 입신양명하여 위로 임금을 도와 백성을 건지고 부모에게 영화를 뵈일 것이거늘, 남의 천대를 분히 여겨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차라리 이로 인하여 큰 이름을 얻어 후세에 전하리라." 하고, 초인 일곱을 만들어 각각 군사 오십 명씩 영거하여 팔도에 분발할새, 다 각기 혼백을 붙여 조화무궁하니 군사 서로 의심하여 어느 도로 가는 것이 참 길동인 줄을 모르더라. 각각 팔도에 횡행하며 불의한 사람의 재물을 앗아 불쌍한 사람을 구제하고, 수령의 뇌물을 탈취하고, 창고를 열어 백성을 진휼하니, 각유소동하여 창고지키는 군사 잠을 이루지 못하고 지키나, 길동의 수탄이 한 번 움직이면 풍우 대작하며 운무 자욱하여 천지를 분별치 못하니, 수직하는 군사 손을 묶인 듯이 금제치 못하는지라. 팔도에서 작란하되 명백히 외쳐 왈, "활빈당 장수 홍길동이라.“ 제명하며 횡행하되 뉘 능히 종적을 잡으리요? 팔도 감사 일시에 장문을 올리거늘, 전하 택견하시니 각각 하였으되,
"홍길동 대적이 능히 풍운을 부려 각읍에서 작란하여 아무 날은 이리 이리한 고을의 군기를 도적하고, 아무 때는 아무 고을의 창곡을 탈취하엿으되 이 도적의 자취를 잡지 못하여 황공한 사연을 앙달하나이다.“
하였거늘, 전하보시고 대경하사, 각도 장문 일자를 상고하시니 길동의 작란친 날이 동월 동일이라. 전하 크게 근심하사 일변 열읍에 하교하사, “무론 사서인하고 만일 이 도적을 잡으면 천금상을 하리라.” 조하시고, 팔도에 어사를 내리어, 민심을 안돈하고 이 도적을 잡으라 하시니라.
이 후로는 길동이 혹 쌍교를 타고 다니며 수령을 임의로 출척하고, 흑 창고를 통개하여 백성을 진휼하며, 죄인을 잡아 다스리며, 옥문을 열고 무죄한 사람은 방송하며 다니되, 각 읍이 종시 그 종적을 모르고 도리어 분주하여 일국이 흉흉한지라. 전하 진로하사 가라사대,
"이 어떠한 놈의 용맹이 한 날에 팔도에 다니며 이같이 작란하는고? 나라를 위하여 이 놈을 잡을 자가 없으니 가히 한심하도다!“
하시니, 계하에 한 사람이 출반 주왈,
“신이 비록 재주 없사오나 일지병을 주시면 홍길동 대적을 잡아 전하의 근심을 덜리이다.”
하거늘, 모두 보니 이는 곧 포도대장 이업이라. 전하 기특하게 여기사 정병 일천을 추시니, 이업이 즉시 궐하에 숙배하직하고 즉일 발행할새, 과천을 지나서는 각각 군사를 분발하여 약속을 정하되, 너희는 이러 이러한 곳으로 쫓아 아무날 문경으로 모이라.“ 하고, 미복으로 행하여 수일 후에 한 곳에 이르니, 날이 장차 저물거늘 주점에 들어 쉬더니, 이윽고 어떠한 소년이 나귀를 타고 동자 수인을 거느리고 들어와 좌정 후에 성명과 거지를 통하고 담화하더니, 그 서생이 차탄 왈,
“보천지하가 막비왕토요, 솔토지민이 박비왕신이라. 이제 대적 홍길동이 팔도에 작란하여 민심을 요란케 하매 전하 진로하사 팔도에 행관하여 방곡에 지위하여 잡으라 하시되 종시 잡지 못하니 분완한 마음은 일국이 한가지라. 나같은 사람도 약간 용력이 있어 이 도적을 잡아 나라의 근심을 덜고자 하되 힘이 넉넉치 못하고 뒤를 도울 사람이 없으매 개탄이로이다.”
이업이 그 서생의 모양을 보고, 말을 들으매 진실로 의기남자라. 심내에 경복하여, 나아가 손을 잡고 왈,
“장하다, 이 말이여! 충의를 겸한 사람이로다! 내 비록 영렬하나 죽기로써 그대의 뒤를 도울 것이니 나와 함께 이 도적을 잡음이 어떠하뇨?”
한대, 그 소년이 또한 위사하고 왈,
“그대 말씀이 그러할진대 이제 나와 함께 가 재주를 시험하고 홍길동이 거처하는 데를 탐지하리라.”
하니, 이업이 응락하고 그 소년을 따라 함께 깊은 산중으로 가더니, 그 소년이 몸을 솟아 층암절벽 위에 올라 앉으며 왈,
"그대 힘을 다하여 나를 차면 그 용력을 가히 알리라.“
하거늘, 이업이 생전 기력을 다하여 그 소년을 차니, 그 소년이 몸을 돌아앉으며 왈,
"장사로다! 이만하면 홍길동 잡기를 염려치 아니하리로다! 그 도적이 지금 이 산중에 있으니 내 먼저 들어가 탐지하고 올 것이니 그대는 이곳에 있어 나의 돌아오기를 기다리라.“
하거늘, 이업이 허락하고 그 곳에 앉아 기다리더니, 이윽하여 형용이 기괴한 군사 수십인이 다 황건을 쓰고 오며 외쳐 왈,
"네 포도대장 이업이냐? 우리는 지부대왕의 명을 받아 너를 잡으러 왔노라.“
하고, 일시에 달려들어 철쇄로 묶어 가니, 이업이 혼불부신하여 지하인 줄, 인간인 줄 모르고 가더니, 경각에 한 곳에 이르니 의회한 와가가 궁궐같은지라. 이업을 잡아 정하에 꿇리니 전상에서 수죄하는 소리나며 꾸짖어 왈,
"네 감히 활빈당 장수 홍길동을 수이 보고 잡기를 자당하느냐? 홍장군이 하늘의 명을 받아 팔도에 다니며 탐관오리와 비리로 취하는 놈의 재물을 앗아 불쌍한 백성을 구휼하거늘, 너회 놈이 나라를 속이고 임금에게 무고하여 옳은 사람들 해코자 하매, 지부에서 너같은 간사한 유를 잡아다가 다른 사람을 경계코자 하시니 한치 말라."
하고, 황건역사를 명하여 왈,
"이업을 잡아 풍도에 붙여 영불출세케 하라.“
하니, 이업이 머리를 땅에 두드리며 사죄 왈,
"과연 홍장군이 각 읍에 다니며 작란하여 민심을 소동케 하시매 국왕이 진로하시기로 신자의 도리에 앉아있지 못하여 발포차로 봉명하고 나왔사오니 인간의 무죄한 목숨을 안서하옵소서.“
무수히 애걸하니, 좌우 제인이며 전상에서 그 거동을 보고 크게 웃으며, 군사를 명하여 이업을 해박하여 전상에 앉히고 술을 권하며 왈,
"그대 머리를 들어 나를 보라. 나는 곧 주점에서 만났던 사람이요, 그 사람은 곧 홍길동이라. 그대같은 이는 수만 명이라도 나를 잡지 못할지라. 그대를 유인하여 이리 오기는 우리 위엄을 보이게 함이요, 일후에 그대와 같이 범람한 사람이 있거든 그대로 하여금 말리게 함이로다.“
하고, 또 두어 사람을 잡아들여 정하에 꿇리고 수죄 왈,
"너희들 일변 벨 것이로되 이미 이업 살려 돌려보내기로 너희도 방송하나니 돌아가 일후에는 다시 홍장군 잡기를 생의치 맡라.“
하니, 이업이 그제야 인간인 줄 아나 부끄러워 아무 말도 못하고 머리를 숙여 잠잠하더니, 이윽히 앉았다가 잠간 졸더니, 문득 깨달으니 사지를 요동치 못하고 눈에 보이는 것이 없는지라. 죽도록 벗어나니 가죽 부대에 들어있는지라. 그 앞에 또 가죽 부대 둘이 달렸거늘, 끌러 보니 어젯밤에 함께 잡혀 갔던 사람이요, 문경으로 보낸 군사라. 이업이 어이없어 웃어 왈,
"나는 어떠한 소년에게 속아 이러이러 하였거니와 너희는 어떤 연고냐?"
물으니, 그 군사 서로 웃어 왈,
"소인 등은 아무 주점에서 자옵더니 어찌하여 이곳에 이른 줄 알지 못하나이다.“
하고, 사면을 살펴보니 장안 북악이더라. 이업 왈,
"허망한 밀이로다! 삼가 발구치 맡라.“
하더라.
이때에 길동의 수단이 신출귀몰하여 팔도에 횡행하되 능히 알 자가 없는지라. 수령의 간상을 적발하여 어사로 출도하여 선참후계하며,
각 읍 진공뇌물을 낱낱이 탈취하니 장안 백관이 구차막심하더라. 혹 초헌을 타고 장안 대로로 왕래하며 작란하니 상하 이민이 서로 의혹하여 괴이한 일이 많아 일국이 소동하는지라. 상이 크게 근심하시더니 우승상이 주왈,
“신이 듣자오니 도적 홍길동은 전 승상 홍모의 서자라 하오니, 이제 홍모를 가두시고, 그 형 이조판서 길현으로 경상감사를 보위하셔서 날을 정하여 그 서제 길동을 잡아 바치라 하오면, 제 아무리 불충무도한 놈이나 그 부형의 낯을 보아 스스로 잡힐까 하나이다.”
상이 이 말을 들으시고, 즉시 홍문을 금부에 가두라 하시고 길현을 패초하시니라.
이때에 홍승상이 길동이 한 번 떠난 후로 소식이 억어 거처를 모르며 내두에 무슨 일이 있을까 염려하시더니, 천만몽매 밖에 길동이 나라 노럭지 되어 이렇듯 작란하매, 놀랜 마음에 어찌할 줄 모르고 이사연을 미리 나라에 폼하기도 어렵고 모르는 체 앉아있기도 어려워 일념에 병이 되어 침석에 놉고 일어나지 못하는지라. 장자 길현이 이조판서로 있더니 부친의 병세 위중하시매 말미를 청하여 집에 돌아와 띠를 끄르지 아니하고 병측에 모셔 조참에 나아가지 아니한지 이미 달이 넘은지라. 조정 사기를 알지 못하더니, 믄득 법관이 나와 조명을 전하고 승상을 전옥에 내리우고 판서를 패초하시는지라 일가 황황분주하더라.
판서 궐하에 나가 대죄하니, 상이 가라사대,
“경의 서제 길동이 나라의 도적이 되어 범람함이 이 같으니 그 죄를 의논하면 마땅히 연좌할 것이로되 고위안서하나니 이제로 경상도에 내려가 길동을 잡아 홍시 일문지화을 면케하라.”
하시니, 길현이 복지 주왈,
"천한 동생이 일찍 사람을 죽이고 도망하여 나갔사오매 종적을 모르옵더니 이렇듯 중죄를 지으니 신의 죄 마땅히 베임즉하오며, 신의 아비 나이 팔십에 천한 자식이 도적이 되었사오매 이로 병이 되어 사경에 있사오니, 복원 전하는 하해같은 은덕을 내리사 신의 아비로 하여금 집에 돌아가 조병하게 하시면 신이 내려가서 서제 길동을 잡아 전하에게 바치리다.“
하니, 상이 그 효성을 감동하, 홍모는 집으로 보내어 치병하라 하시고, 길현으로 경상감사를 보위하사 날을 정하여 주시니, 판서 황은 을 백배치사하고 경상도에 내려와 각 읍에 행관하여 방방곡곡에 방서를 붙여 길동을 찾으니, 그 방서에 하였으되,
"대법 사람이 복재지간에 나매 오륜 있으니 오륜중에 군부가 으뜸이라. 사람되고 오륜을 버리면 사람이 아니라 하나니, 이제 너는 지혜와 식견이 범 사람보다 더하되 이를 모르니 어찌 애닯지 아니하리요? 우리 세대로 국은을 입어 자자손손이 녹을 받으니 망극한 마음이 갈충보국하더니, 우리에게 미쳐서는 너로 말미암아 역명을 장차 어느 곳에 미칠 줄 모르게 되니 어찌 한심하다 뿐이며, 난신과 적자 어느 대에 없으리요마는 우리 문호에서 날 줄은 진실로 뜻하지 못하였도다. 너의 죄목을 전하 진로하시니 마땅히 극형을 행하실 것 이로되, 갈수록 성은이 망극하사 죄를 더하지 아니하시고 나를 명하사 너를 잡으라 하옵시너 망극한 마음 도리어 황공하며, 팔십 노친이 백수모년에 너로 하여금 주야 우려하시던 중에 네 이렇듯 변괴를 지어 죄를 나라에 얻으니 놀라신 마음에 병이 되어 이제 눕고 장차 일어나지 못하게 되시니, 부친 만일 너로 인하여 세상을 버리시면 네 살아서도 역명을 입고, 죽어 지하에 간들 천추만대에 볼충볼효지죄를 유전할지라. 또한 그 남은 우리 일문이 원통치 아니하랴? 네 어찌 넉넉한 소견으로 이를 생각지 못하느냐? 네 이 죄명을 가지고 세상에 용납할진대 사람은 비록 안서하나 소소한 천벌이 사정이 있으랴? 이제 마땅히 천명을 순수하여 조정의 처분을 기다릴 뿐이니 또 어찌하리요? 네 일찍 돌아오기를 바라노라.“
하였더라.
감사 도임 후에 공사를 폐하고, 전하의 근심과 부친의 병세를 염려하여 수심으로 날을 보내며 행여 길동이 올까 바라더니, 일일은 하인이 아뢰되,
“어떠한 소년이 밖에 와 통지한다.”
하거늘, 즉시 맞아 들이니, 그 사람이 섬 위에 엎드려 죄를 청하는지라. 감사 괴히 여겨 그 연고를 물으니 대왈,
“형장은 어찌 소제 길동을 모르시나이까?”
하거늘, 감사 경희중에 나가서 길동의 손을 잡고 이끌고 방에 들어와 좌우를 치우고 한숨지으며 왈,
“이 무상한 아이야. 네 어려서 집을 떠난 후에 이제야 만나니 반가운 마음이 도리어 슬프도다! 네 저러한 풍도와 재주로 어찌 이렇듯 불측한 일을 즐겨하여 부형의 은애를 끊케 하느냐? 향곡의 우미한 백성들도 임금에게 충성하고, 아비에게 효도할 줄 아는지라. 너는 성정이 총명하고 재주 높아 범인과 크게 다르니 마땅히 더욱 충효를 숭상할 사람으로서 몸을 그른 데 버려 충효를 당하여는 범인보다 못하니 어찌 한심치 아니하리요? 그 부형되는 자가 그같은 고명한 자제를 두었다 하여 심독회자부하더니 도리어 부형에게 근심을 끼치느냐? 네 이제 충의를 취하여 사지에 돌아가도 그 부형은 싫어하는 마음이 있을지라. 하물며 역명을 무릅쓰고 죽게 되니 그 부형의 마음이야 다시 어떠하다 하랴! 국법이 사정이 없으니 아무리 구원코자 하여도 어찌 못하고 위하여 서러워한들 무슨 효험이 있으랴? 너는 부형의 낯을 보아 죽기를 감심하고 왔으나 나는 두렵고 비척한 마음이 너 아니 본 때보다 더한지라! 너는 네 지은 죄니 하늘과 사람을 원망치 못하여도, 부친과 나는 목전의 너를 죽이는 줄로 명도를 탓할 뿐이라. 네 어찌 이를 깨닫지 못하고 이렇들 범람한 죄를 지었느냐? 천추를 역수하여도 생리사별이 오늘밤에 비치 못하리로다!”
하니, 길동이 체읍 주왈,
“이 불초한 동생 길동이 본래 부형의 훈계를 듣지 말고자 함이 아니오라, 팔자 기박하여 천생됨을 평생 한일 뿐더러 가중에 시가하는 사람을 피하여 정처없이 다니다가 천망몽매 밖에 몸이 적당에 빠져 잠시 생애를 붙였더니 죄명이 이에 미치었사오니 명일에 소제 잡은 여유를 장계하옵고, 소제를 결박하여 나라에 바치옵소서.”
하며, 담화로 날을 새우고 평명에 감사 길동을 철쇄로 결박하여 보낼새 참연히 낯빛을 고치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더라.
이때에 팔도에서 다 각기 길동을 잡았노라 장문하고 나라에 올리니 사람마다 의혹하고 도로 분주하여 구경하는 사람이 길이 메여 그 수를 알지 못하더라. 전하 친림하사 여덟 길동을 국문하실새, 여덟 길동이 서로 다투어 가로되,
"네가 무슨 길동이냐? 내가 참 길동이로다.“
하고, 서로 팔을 뽐내며 한데 어우러져 뒹구니 도리어 일장 가관이더라. 만조 제신이며 좌우 나장이 그 진위를 알지 못하는지라. 제신이 주왈,
“지자는 막여부오니 이제 홍모를 패초하사 그 서자 길동을 알아들이라 하옵소서.”
상이 옳게 여기사 즉시 홍모를 부르시니 승상이 조명을 이어 복지하니, 상이 가라사대,
“경이 일찌기 한 길동을 두었다 하더니 이제 여덟이 되었으니 어떠한 여고인지 경이 자세히 가리어 형소를 착란케 말라.”
하시니, 승상이 체읍 주왈,
“신이 행실을 지키지 못하여 천첩을 가까이 한 죄로 천한 자식을 두어 전하의 근심이 되옵고 조정이 분운하오니, 신의 죄 만 번 죽어도 마땅하오이다.”
하며, 백수에 눈물이 이음차 길동을 꾸짖어 왈,
“네 아무리 불충불효한 놈이라도 위로 성상이 친림하시고, 버금 아래로 아비 있거늘, 지척 천위하에 군부를 기롱하니 불측한 죄 더욱 큰지라. 빨리 형벌에 나아가 천명을 순수하라.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네 목전에 내 먼저 죽어 성상의 진로하시는 마음을 만분지일이라도 덜으리라.”
하며 주왈,
“신의 천자 길동은 왼 편 다리에 붉은 점 일곱이 있사오니 이를 증험하여 적발하옵소서.”
하니, 여덟 길동이 일시에 다리를 걷고 일곱 점을 서로 자랑하는지라. 승상이. 그 진위를 가리지 못하고 우구한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인하여 기절하거늘, 상이 놀래시사 급히 좌우를 명하여 구원하시되 회생할 길이 없더니, 여덟 길동이 자기 낭중에서 대추같은 환약 두 개씩 내어 서로 다투어 승상의 입에 넣으니 이시한 후에 회생하는지라. 여덟 길동이 울며 아뢰되,
"신의 팔자 무상하여 홍모의 천비의 배를 빌어 낳사오매, 아비와 형을 임의로 부르지 못하옵고, 겸하여 가중에 시기하는 자가 있사와 보전치 못하오매, 몸을 산림에 붙여 초목과 함께 늙자 하였더니, 하늘이 밉게 여기사 적당에 빠졌사오나, 일찌기 백성의 재물은 추호도 취한 바 없고 수령의 뇌물과 불의한 놈의 재물을 앗아 먹고, 혹간에 나라 곡식을 도적하였사오나 군부가 일체오니 자식이 아비것 먹기로 도적이라 하오리까? 어린 자식이 어미 젖 먹는 일체로소이다. 이는 도무지 조정 소인이 천총을 가리워 무소한 죄요, 신의 죄는 아니로소이다.“
상이 진로하사 꾸짖어 가라사대,
"네 무고한 재물은 취치 아니했다 하면, 합천사 중을 속이고 그 재물을 도적하고, 또 능소에 불을 놓고 군기를 도적하니, 이만 큰 죄 또 어디 있느냐?"
길동 등이 복주 왈,
"불도라 하옵는 것이 세상을 속이고 백성을 혹하게 하여, 갈지 아니하고 백성의 곡식을 취하며, 짜지 아니하고 백성의 의복을 속여 부모의 발부를 상하여 오랑캐 모양을 숭상하며, 군부를 버리고 부세를 도망하오니 이에 더한 불의지사 없사오며, 군기를 가져가옵기는 신 등이 산중에 처하여 병법을 익히다가 만일 난세를 당하옵거든 시석을 무릅써 임금을 도와 태평을 이루고자 함이오며, 불을 놓으되 능소에는 아니가게하였사오며, 신의 아비 세대로 국록을 받자와 갈충보국하여 성은을 만분지일이라도 갚지 못할까 하옵거늘 신이 어찌 외람되이 범람한 마음을 두오리까? 죄를 의논하여도 죽기에 가지 아니할 터이로되, 전하께서 조신의 무소를 들으시고 이렇듯이 진로하시니 신이 형벌을 기다기지 아니하옵고 먼저 스스로 죽사오니 노를 더옵소서.“
하고, 여덟 길동이 한데 어우러져 죽는지라. 좌우 괴히 여겨 자세히 보니 참 길동은 간데없고 초인 일곱 뿐이더라. 상이 길동의 기망한 죄를 더욱 노하사, 경상감사에게 조서를 내리어 길동 잡기를 더욱 재촉하시는지라.
이때에 경상감사 길동을 잡아 올리고 심회 둘 곳이 없어 공사를 전폐하고 경사 소식을 기다리더니, 문득 교지를 내렸거늘, 북귈읔 향하여 사배 후에 택견하니, 교지에 가라사대,
"길동을 잡지 아니하고 초인을 보내어 형부를 착란케 하니 허망기군지죄를 면치 못할지라. 아직 죄를 의논치 아니하나니 십일 내로 길동을 잡으라.“
하시고 사의 엄절한지라. 감사 황공무지하여 사방에 지위하고 길동을 찾더니, 일일은 월야를 당하여 난간에 비겼더니, 선화당 들보 위에서 한 소년이 내려와 복지재배하거늘, 자세히 보너 이 곧 길동이라. 감사 꾸짖어 왈,
“네 갈수록 죄를 키워 구태여 화를 일문에 끼치고자 하느냐? 즉금 나라에서 엄명이 막중하시니 너는 나를 원치 말고 일찍 천명을 순수하라.”
길동이 부복 대왈,
"형장은 염려치 마시고 명일 소제를 잡아 보내시되, 장교 중에 부모와 처자 없는 자를 가리어 소제를 압영하시면 좋은 모책이 있나이다.“
감사 그 연고를 알고자 한대 길동이 대답치 아니하니, 감사 그 소견을 알지 못하나 장차를 제 말과 같이 별택하고 길동을 영솔하여 경사로 올려 보내니라. 조정에서 길동이 잡히어 온다는 말을 듣고 도감포수 수백을 남대문에 매복하여 왈,
"길동이 문 안에 들거든 일시에 총을 놓아 잡으라.“
분부하니라.
이때에 길동이 풍우같이 잡히어 오더니 어찌 이 기미를 모르리요. 동작리를 건너며 '비우자‘ 셋을 써 공중에 날리고 오더니, 길동이 남대문 안에 드니 좌우의 포수 일시에 총을 놓으되 총구에 물이 가득하여 할 수 없이 설계치 못하니라. 길동이 궐문 밖에 다달아 영거한 장차를 돌아보하 왈,
“너회 나를 영거하여 이곳까지 왔으니 그 죄 죽기는 아니하리라.”
하고, 몸을 날려 수레 아래 내려 완완히 걸어 가는지라. 오군문 기병이 말을 달려 길동을 쏘려 하되, 길동은 한양으로 가고 말은 아무리 채쳐 몬들 축지하는 법을 어찌 하리요. 만성 인민이 그 신기한 수단을 측량할 이 없더라. 이날 사문에 글을 써 붙였으되,
“흥길동의 평생소원이 병조판서이오니 전하 하해같은 은택을 드리우사 소신으로 병조판서 유지를 주시면 신이 스스로 잡히오리다.”
하였더라. 이 사연을 묘당에서 의논할새, 혹자는 "저의 원을 풀어주어 백성의 마음을 안돈하자." 하고. 혹자는 왈, “제 무도불충한 도적으로 나라에 척촌지공은 새로이 만민을 소동케 하고 성상의 근심을 끼치는 놈을 어찌 일국 대사마를 주리요?” 하여 의논이 분운하여 결단치 못하였더니, 일일은 동대문 밖의 유벽처에 가서 육갑신장을 호령하여, "진세를 이루라.“ 하니, 이윽고 두 집사 공중에서 내려와 국궁하고 좌우에 서니, 난데없는 천병만마 아무 곳으로부터 오는 줄 모르되, 일시에 진을 이루고 진중에 황금단을 삼층으로 묻고 길동을 단상에 모시니, 군용이 정제하고 위엄이 추상같더라. 황건역사를 호령하여, "조정에서 길동을 참소하는 자의 심복을 잡아 들이라.”하니, 신장이 이 영을 듣고 이윽한 후에 십여 인명을 철쇄로 결박하여 들이니, 비컨대, 소리개가 병아리 채오는 모양이더라. 단하에 꿇리고 수죄 왈,
“너희는 조정의 좀이 되어 나라를 속여 구태어 홍길동 장군을 해코자 하니 그 죄 마땅히 벨 것이로되 인명이 가긍하기로 안서하노라.”
하고, 각각 군문 곤장 삼십도씩 쳐 내치니 겨우 죽기를 면한지라. 길동이 또 한 신장을 분부 왈,
“내 몸이 조정에 처하여 법을 잡았으면 먼저 불법을 없애어 각도 사찰을 훼패하렸더니, 이제 오래지 아니하여 조선국을 떠날지라. 그러하나 부모국이라 만리타국에 있어도 잊지 못할지라. 이제로 각 사에 가 혹세무민하는 중놈을 일제히 잡아고고, 또한 재상가의 자식이 세를 끼고 고잔한 백성을 속여 재물을 취하고, 불의한 일이 많으며 마음이 교만하되 구중이 깊어 천일이 복분에 비추오지 못하고, 간신이 나라의 좀이 되어 성상의 총명을 가리우니 가히 한심한 일이 허다한지라. 장안의 호당지도를 낱낱이 잡아 들이라.”
하니, 산장 이 명을 듣고 공중으로 날아 가더니,
이시한 후에 중놈 백여 명과 경화자재 십여 인을 잡아 들이는지라. 길동이 위엄을 베풀고 호령을 높혀 각각 수죄 왈,
“너희는 다시 세상을 보지 못하게 할 터이로되, 내 몸이 나라의 조명을 받아 국법을 잡은 바 아니기로 고위 안서하거니와, 일후에 만일 고치지 아니하면 너희 비록 수만리 밖에 있어도 잡아다가 베리라.”
하고, 엄형 일차에 진문 밖에 내치니라. 길동이 우양을 잡아 군사를 호궤하고, 징용을 정제하여 훤화를 금단하니, 창천만리에 백일이 고요하고, 팔진 풍운에 호령이 엄숙한지라. 길동이 술을 내어 반취한 후에 칼을 잡아 춤을 추니, 검광이 분분하여 햇빛을 희롱하고, 무수는 표표하여 공중에 날리는지라. 일지석의라. 진세를 파하여 신장을 각각 돌려보내고, 몸을 날려 활빈당 처소로 돌아 오니라.
이 후로는 다시 길동을 잡는 영이 급하되 종적을 보지 못하고, 길동은 적군을 보내어 팔도에서 장안으로 가는 뇌물을 앗아 먹으며, 불상한 백성이 있으면 창곡을 내어 진휼하며 신출귀몰하는 재주를 사람은 측량치 못하더라. 전하 근심하사 탄왈,
“이 놈의 재주는 인력으로 잡지 못할지라. 민심이 이렇듯 요동하고 그 인재 기특한지라. 차라리 그 재주를 취하여 조정에 두리다.”
하시고, 병조판서 직첩을 내어 걸고 길동을 부르시니, 길동이 초헌을 타고 하인 수입명을 거느리고 동대문으로부터 오거늘, 병조 하인이 옹위하여 궐하에 이르러 숙배하고 가로되,
“천은이 망극하여 분외의 은택에 대사마에 오르오니 망극하온 신의 마음이 성은을 만분지일도 갚지 못할까 황공하나이다.”
하고 돌아가더니, 이 후로는 길동이 다시 작란하는 일이 없는지라. 각 도의 길동 잡는 영을 거두시더라.
삼년 후에 상이 월야를 당하사 환자를 거느리시고 월색을 구경하시더니, 하늘로서 한 선관이 오운을 타고 내려와 복지하는지라. 상이 놀라사 가라사대,
“귀인이 누지에 임하여 무슨 허물을 이르고자 하나이까?”
하신대, 그 사람이 주왈,
“소신은 전 병조판서 홍길동이로소이다.”
상이 놀라사 길동의 손을 잡으시고 왈,
“그대 그간은 어디를 갔었느냐?”
길동이 주왈,
“산중에 있사옵더니, 이제는 조선을 떠나 다시 전하 뵈올 날이 없사오매 하직차로 왔사오며, 전하는 넓으신 덕택에 정조 삼천 석만 주시면 수천 인명이 살아나겠사오니 성은을 바라나이다.”
상이 허락하시고 왈,
“네 고개를 들라. 얼굴을 보고자 하노라.”
길동이 얼굴을 들고 눈은 뜨지 아니하여 왈,
“신이 눈을 뜨오면 놀라실까 하여 뜨지 아니하나이다.”
하고, 이윽히 모셨다가 구름을 타고 가며 하직 왈,
“전하의 덕하에 정조 삼천 석을 주시니 성은이 갈수록 망극하신자라. 정조를 명일 서강으로 수운하여 주옵소서.”
하고 가는지라. 상이 공중을 향하여 이윽히 바라보시며 길동의 재주를 못내 차석하시고, 이튿날 대동당상에게 하교하사 “정조 삼천석을 서강으로 수운하라.” 하시니 조신이 연고를 알지 못하더라. 정조를 서강으로 수운할새, 강상으로부터 신척 둘이 떠오더니 정조 삼천 석을 배에 싶고 가며 길동이 대궐을 향하여 사배하직하고 아무 데로 가는 줄 모르더라.
이날 길동 삼천 적군을 거느려 망망대해로 떠나더니, 성도라 하는 도중에 이르러 창고를 지으며, 궁실을 지어 안돈하고, 군사로 하여금 농업을 힘쓰고, 각국에 왕래하여 물화를 통하며, 무예를 숭상하여 병법을 가르치니, 삼년지내에 군기 군량이 산같고, 군사 강하여 당적할 이 없더라.
일일은 길동이 제군에게 분부 왈,
“내 망당산에 들어가 살촉에 바를 약을 캐어 오리라.”
하고 떠나 낙천현에 이르니, 그 땅에 만석군 부자 있으되 성명은 백용이라. 남자 없고 일지기 딸을 두었으니, 덕용이 겸전하여 침어낙안지상이요, 폐월수화지태라. 고서를 섭렵하여 이두의 문장을 가졌으며, 색은 장강을 비웃고, 사덕은 태사를 봉받아 일언 일동이 예절이 있으니, 그 부모 극히 사랑하여 아름다운 사위를 구하더니, 나이 십팔에 당하여 일일은 풍우대작하여 지척을 분별치 못하게 하고, 뇌성벽력이 진동하더니, 백소저가 간 곳이 없는지라. 백용의 부처가 경황실색하여 천금을 흩어 사방으로 수탐하되 종적이 없는지라. 백용이 실성한 사람이 되어 거리로 다니며 방을 붙여 이르되,
“아무 사람이라도 자식의 거처를 알아 지시하면 인하여 사위를 삼고 가산을 반분하리라.”
하더라.
이때에 길동이 망당산에 들어가 약을 캐더니, 날이 저문 후에 방황하며 향할 바를 알지 못하더니, 문득 한 곳을 바라보니 불빛이 비치이며 여러 사람의 들레는 소리 나거늘, 반겨 그 곳으로 찾아가니 수백 무리 모여 뛰놀며 즐기는지라. 자세히 보니 사람은아니요 짐승이로되 모양은 사람같은지라. 심내에 의혹하여 몸을 감추오고 그 거동을 살피니, 원래 이 짐승은 이름이 을동이라. 길동 가만히 활을 잡아 그 상좌에 앉은 장수를 쏘니 정히 가슴에 맞는지라. 을동이 대경하여 크게 소리를 지르고 달아나거늘, 길동이 맞쫓아 잡고자 하다가 밤이 이미 깊었으매 소나무를 의지하여 밤을 지내고, 익일 평명에 살펴보니 그 짐승이 피를 흘렸거늘, 피 흔적을 따라 수리를 들어가니 큰 집이 있으되 가장 웅장한지라. 문을 두드리니 군사 나와 길동을 보고왈
“그대 어떠한 사람이관대 이 곳에 왔느뇨?”
길동이 대왈,
“나는 조선국 사람으로 이 산중에 약캐러 왔다가 길을 잃고 이곳에 왔노라.”
하니, 그 짐승이 반기는 빛이 있어 가로되,
“그대 능히 의술을 아느냐? 우리 대왕이 새로이 미인을 얻고 어젯날 잔치하며 즐기더니, 난데없는 화살이 들어와 우리 대왕의 가슴을 맞혀 지금 사경에 있르렀는지라. 오늘날 다행히 그대를 만났으니 만일 의술을 알거든 우리 대왕의 병세를 회복케 하라.”
길동이 대왈,
“내 비록 편작의 재주는 없거니와 좀체 병에는 의심치 아니하노라.”
하니, 그 군사 크게 기뻐하여안으로 들어가더니, 이윽하여 청하거늘, 길동이 들어가 좌정 후에 그 장수 신음하여 왈,
“복의 명이 조모를 보전치 못하더니 천우신조하사 선생을 만나오니 선약을 가르쳐 잔명을 구제하옵소서.”
길동이 그 상처를 살피고 왈,
“이는 어렵지 아니한 병이라. 내게 좋은 약이있으니 한 번 먹으면 비단 상처에 이할 뿐 아니라, 백병이 소제하고 장생불사하리라.”
한 대, 을동이 대희 왈,
“복이 스스로 몸을 삼가지 못하여 자취지환을 당하여 명이 황천에 돌아가게 되었더니 천우신조하사 명의를 만났사오니, 선생은 급히 선약을 시험하소서.”
길동이 금낭을 열고 약 한 봉지를 내어 술에 타 주니 그 짐승이 받아 마시더니, 이윽고 몸을 뒤치며 소리를 크게 질러 왈,
“내가 너로 더불어 원수 지은 일이 없거든 무슨 일로 나를 해하여 죽이려 하느냐?”
하며, 제 동생 등을 불러 왈,
“천만몽매 외에 흉적을 만나 명을 끊기게 되니 너희 등은 이놈을 놓치지 말고 나의 원수를 갚으라.”
하고, 인하여 죽으니, 모든 율동이 일시에 칼을 들고 내달아 꾸짖어 왈,
“내 형을 무슨 죄로 죽이느냐? 내 칼을 받아라.”
하거늘, 길동이 냉소 왈,
“제 명이 그 뿐이라. 내 어찌 죽였으리요?”
한대, 을동이 대로하여 칼을 들어 길동을 치려 하거늘, 길동이 대적코자 하나 손에 척촌지검이 없어 사세 위급하매 몸을 날려 공중으로 달아나니, 을동이 본디 누만년 묵은 요귀라 풍운을 부리고 조화무궁한지라. 무수한 요괴 바람을 타고 올라오니, 길동이 할 수 없어 육정육갑을 부르니, 문득 공중으로부터 무수한 신장이 내려와 모든 을동을 결박하여 땅에 꿇리니, 길동이 그 놈의 잡은 칼을 앗아 무수한 을동을 다 베고, 바로 들어가 여자 삼인을 죽이려 하니, 그 여자 울며 왈,
“첩 등은 요귀 아니요, 불행하게 요귀에게 잡혀 와 죽고자 하나 틈을 얻지 못하여 죽지 못하였나이다.”
길동이 그 여자의 성명을 물으니, 하나는 낙천현 백용의 여자요, 또 두 여자 정통 양인의 여자라. 길동이 세 여자를 데리고 돌아와 백용을 찾아 이 일을 설화하니, 백용이 평생 사랑하던 여자를 찾으매 만심환희하여 천금으로 대연을 배설하고, 향당을 모아 홍생으로 사위를 삼으니, 인인이 칭찬하는 소리 진동하더라. 또 정통 양인이 홍생을 청하여 왈,
“은혜를 갚을 길이 없으니 각각 여자로 시첩을 허하나이다.”
길동이 나이 이십이 되도록 봉황의 쌍유를 모르다가 일조에 삼부인숙녀를 만나 친근하니 은정이 교칠하여 비할 데 없더라. 백용 부처 사랑함을 이기지 못하더라. 인하여 길동이 삼 부인과 백용 부처이며 일가제족을 다 거느리고 제도로 들어가니, 모든 군사 강변에 나와 맞아 원로에 평안히 행차하심을 위로하고, 호위하여 제도중에 들어와 대연을 배설하고 즐기더라.
세월이 여류하여 제도에 들어온 지 거의 삼 년이라. 일일은 길동이 월색을 사랑하여 월하에 배회하더니, 문득 천문을 살피고 그 부친 졸하실 줄 알고 길게 통곡하니, 백씨 문왈,
“낭군이 평생 슬퍼하심이 없더니 오늘 무슨 일로 낙루하시나이까?”
길동이 탄식 왈,
“나는 천지간 불효자라. 나는 본디 이 곳 사람이 아니라, 조선국 홍승상의 천첩소생이라. 집안의 천대 자심하고, 조정에도 참여치 못하매, 장부 울회를 참지 못하여 부모를 하직하고 이곳에 와 은신하였으나 부모의 기후를 사모하더니, 오늘날 천문을 살피니 부친의 유명하신 명이 불구에 세상을 이별하실지라. 내 몸이 만리 외에 있어 미처 득달치 못하게 되니 생전의 부친 안전에 뵙지 못하게 되오매 그것을 슬퍼하노라.”
백씨 듣고 내심에 탄복 왈, “그 근본을 감추지 아니하니 장부로다!”
하고, 재삼 위로하더라.
이때에 길동이 군사를 거느리고 일봉산에 들어가 산기를 살펴 명당을 정하고, 날을 가리어 역사를 시작하여 좌우 산곡과 분묘를 능과 같이 하고 돌아와 모든 군사를 불러 왈,
“모월 모일 대선 한척을 준비하여 조선 서강에 와 기다리라.”하고,
“부모를 모셔 올 것이니 미리 알아 거행하라.”
한대, 모든 군사 청령하고 물러가 거행하니라. 이날 길동이 백씨와 정통 양인을 하직하고 소선 일척을 재촉하여 조선으로 향하니라.
각설, 이때에 승상이 연장 구십에 졸연 득병하여 추구월 망일 더욱 중하여 부인과 장자 길현을 불러 가로되,
“내 나이 이제 구십이라 이제 죽은들 무슨 한이 있으리요마는, 길동이 비록 천첩소생이나 또한 나의 골육이라. 한 번 문외에 나가매 존망을 알지 못하고 임종에 상면치 못하니 어찌 슬프지 아니하리요? 나 죽은 후이라도 길동의 모를 대접하여 편케 하며, 부디 후회를 생각하여 만일 길동이 들어오거든 천비소생으로 알지 말고 동복형제같이하여 부모의 유언을 저버리지 말라.”
하시고, 길동의 모를 불러 가까이 앉으라 하여 손을 잡고 눈물를 흘려 왈,
“내 너를 잊지 못함은 길동이 나간 후에 소식이 돈절하여 사생존망을 모르니 내 마음에 이같이 사념이 간절하거든 네 마음이야 더욱 측량하랴? 길동은 녹녹한 인물이 아니라. 만일 살아있으면 너를 저버릴 바 없으리라. 부디 몸을 가볍게 버리지 말고 안보하여 좋게 지내라. 내 황천에 돌아가도 눈을 감지 못하리로다.”
하시고, 인하여 별세하시니, 부인이 기절하시고, 좌우 다 망극하여 곡성이 진동하더라. 길현이 슬픈 마음을 적제치 못하여 눈물이 비오듯하며, 부인을 붙들어 위로하여 진정하신 후에 초상등절을 예로써 극진히 차릴새, 길동의 모는 더욱 망극 애통하니 그 정상이 잔잉하여 차마 보지 못하더라. 인하여 졸곡 후에 명산지지를 구하여 안장하려 하고 각처에 사람을 놓아 여러 지관을 데리고 산지를 사방으로 구하되 마땅한 곳이 없어 근심하더니, 이때에 길동이 서강에 다달아 배에서 내려 승상댁에 이르러 바로 승상 영위전에 들어가 복지통곡하니, 상인이 자세히 보니 이 곧 길동이라. 대성통곡 후에 길동을 데리고 바로 내당에 들어가 부인께 고하니, 부인이 대경대회하여 길동의 손을 잡고 눈물을 흘리며 왈,
“네 어려서 집을 떠나 이제야 들어오니 석사를 생각하면 도리어 참 괴한지라. 그러나 네 그사이 삼사년은 종적을 아주 끊어 어디로 갔었더나? 대감이 임종시 말씀이 이러이러 하시고 너를 잊지 못하며 돌아가시니 어찌 원통치 아니하리요?”
하시고, 그 어미를 부르시니, 그 모 길동 온 줄 알고 급히 들어와 모자 서로 대하니 흐르는 눈물을 서로 금치 못하더라. 길동이 부인과 그 모친을 위로한 후 그 형장을 대하여 왈,
“소제 그간은 산중에 은거하여 지리를 잠심하여 대감의 말년유택을 정한 곳이 있사옵더니, 알지 못하겠구나! 이미 소점이 있사옵나이까?”
그 형이 이 말을 듣고 더욱 반겨 아직 정하지 못한 말을 설화하고, 제인이 모여 밤이 새도록 정회를 풀고, 이틑날 길동이 그 형을 모시고 한 곳에 이르러 가르켜 왈,
“이곳이 소제의 정한 땅이로소이다.”
길현이 사면을 살펴보니, 중중한 석각이 험악하고, 누누한 고총이 수없는지라. 심내에 불합하여 왈,
“소제의 높은 소견을 알지 못하되 내 마음은 이곳에 모실 생각이 없으니 다른 땅을 점복하라.”
길동이 거짓 탄식 왈,
“이땅이 비록 이러하오나 누대 장상지지어늘 형장의 소견이 불합하오니 개탄이로다!”
하고, 도끼를 들어 수척을 파하니, 오색 기운이 일며 청학 한쌍이 날아가는지라. 그 형이 이 거동을 보고 크게 뉘우쳐 길동의 손을 잡고 왈,
“우형의 소견 절어대지를 잃었으니 어찌 애닯지 아니하니요? 바라나니 다른 땅이 없느냐?”
길동이 가로되,
“이에서 한 곳이 있어도 길이 수천 리라 그것을 염려하나이다.”
길현이 왈,
“이제 수만리라도 부모의 백골이 평안할 곳이 있으면 그 원근을 취사치 아니하리라.”
한대, 길동이 함께 집에 돌아와 그 말씀을 설화하니, 부인이 못내 애달아 하시더라. 날을 가리어 대감 영위를 모시고 도중으로 향할새, 길동이 부인께 여쭈오되,
“소자 돌아와 모자지정을 다 펴지 못하옵고, 또 대감 영위에 조석공양이 난처하오니 어미와 함께 이번 길에 함께 하오면 좋을까 하나이다.”
부인이 허락하시거늘, 직일 발행하여 서강에 다다르니 제군이 대선 한척을 대후하였는지라. 상구를 배에 모신 후에 복태 노복을 다 물리치고 그 형장과 어미를 모셔 만경창파로 떠나가니 지향을 알지 못하더라. 수일 후에 도중에 이르러 상구를 청상에 모시고, 날을 가리어 일봉산에 올라 장례를 모실새, 산역하는 거동이 능묘같은지라. 그 형장이 너무 참람함을 놀라니, 길동 왈,
“형장은 의심치 마옵소서. 이 곳은 조선 사람이 출입하는 곳이 아니며 그 자식되는 자가 부모를 후장하여서 죄될 것이 없나이다.”
하더라. 안장 후에 도중에 돌아와 수월 머물더니, 그 형이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거늘, 길동을 길을 차릴새, 이별을 고하여 왈,
“형장을 다시 볼 날이 막연하온지라. 어미는 이미 이 곳에 왔사오니 모자 정리에 차마 떠나지 못하오며, 형장은 대감을 생전에 모셨사오니 한할 바가 없는지라. 사후 향화는 소제가 받들어 불효지죄를 만불지일이나마 덜까 하나이다.”
하고, 함께 산소에 올라 하작히고 내려와 길동의 모와 백씨를 이별할새, 피차에 다시 만남을 당부하고 못내 연연하더라. 소선 일척을 제촉하여 고국으로 향할새, 길동의 손을 잡고 왈,
“슬프다! 이별이 오랠지라. 소제는 나의 사정을 살펴 생전에 대감 산소를 다시 보게 하라.”
하며 하염없이 눈물이 옷깃을 적시는지라. 길동이 또한 눈물지며 왈,
“형장은 고국에 돌아가 부인을 모시고 만세무강하옵소서. 다시 모일 기약을 정치 못하오니, 남북 수천리에 나뉘어 강금의 이불이 차고, 척령의 나래 고단하매, 속절없이 북으로 가는 기러기를 탄식하며, 등으로 흐르는 물을 바랠 따름이오니, 생리사별을 당하여 그 정회는 피차 한가지라. 아무리 철석간장인들 차마 견디리요?”
하며, 두 줄 눈물이 말소리를 쫓아 떨어지니, 진실로 만고상심 한 마디라. 강수 위하여 소리를 그치고, 행운이 머무는 돗하여 차마 서로 떠나지 못하더라. 강잉하며 서로 위로하고, 배를 띄워 수월 만에 고국에 돌아와 모부인께 뵈옵고, 산처 사연이며 천후수말을 낱낱이 설화할새, 부인도 못내 차석하시더라.
차설, 길동이 그 형을 이별 후에 제군을 권하여 농업을 힘쓰고, 군법을 일삼으며, 그럭저럭 삼년초토를 지내매, 양식이 넉넉하고, 수만 군졸이 무예와 기보하는 법이 천하에 최강하더라. 근처에 한 나라가 있으니 이름은 율도국이라. 중국을 섬기지 아니하고, 수십 대를 전자전손하여 덕화유행하니,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넉넉하거늘, 길동이 제군과 의논 왈,
“우리 어찌 이 도중만 지키어 세월을 보내리요? 이제 율도국을 치고자 하니 각각 소견에 어떠하냐?”
제인이 즐겨 원치 아니할 이 없는지라. 즉시 택일하여 출사할새, 삼호걸로 선봉을 삼고, 김인수로 후장군을 삼고, 길동 스스로 대원수되어 중영을 총독하니, 기병이 오천이요, 보졸이 이만이라. 곰고함성은 강상이 진동하고, 기치검극은 일월을가리웠더라. 군사를 재촉하여 율도룩그로 향하니, 이른바 당할 자가 없어 단사호장으로 문을 열어 항복하는지라. 수월지간에 칠십여 성을 정하니 위엄이 일국에 진동하는지라. 도성 오십 리 밖에 진을 치고 율도왕에서 격서를 전하니 그 글에 하였으되,
“의병장 홍길동은 삼가 글월을 율도왕 좌하에 드리나니, 나라는 한 사람이 오래 지키지 못하는지라. 시고라 성탕은 하걸을 치고, 무왕은 상주를 내치시니, 다 백성을 위하여 난대를 평정하는 바라. 이제 의병 이십만을 거느려 칠십여성을 항복받고 이에 이르렀으니, 왕은 대세를 당할 듯하거든 자웅을 결단하고, 세궁하거든 일찍 항복하여 천명을 순수하라.”
하고, 다시 위로 왈,
“백성을 위하여 쉬 항서를 올리면 일방 봉작으로 사직을 망케 아니하리라.”
하였더라.
이때에 율도왕이 불의에 이름없는 도적이 칠십여 주를 항복받으매, 향하는 곳 마다 당적치 못하고, 도성을 범하매 비록 지혜있는 신하라도 위하여 꾀하지 못하더니, 문득 격서를 들이매 만조제신이 아무러할 줄 모르고 장안이 진동하는지라. 제신이 의논 왈,
“이제 도적의 대세를 당치 못할지라. 싸우지 말고 도성을 굳게 지키고, 기병을 보내어 기 치중군량 수운하는 길을 막으면 적병이 나아와 싸움을 어찌 못하고, 또 물러갈 길이 없사오면, 수월이 못되어 적장의 머리를 성문에 달리이다.”
의논이 분운하더니, 수문장이 급고 왈,
“적병이 벌써 도성 십 리 밖에 진을 쳤나이다.”
율도왕이 대분하여 정병 십만을 조발하여 친히 대장이 되어 삼군을 재촉하여 호수를 막아 진을 치니라.
이때에 길동이 형지를 수탐한 후에 제장과 의논 왈,
“명일 오시면 율도왕을 사로잡을 것이니 군령을 어기지 말라.”
하고 제장을 분발할새, 삼호걸을 불러 왈,
“그대는 군사 오천을 거느려 양관 남편에 복병하였다가 호령을 기다려 이리이리 하라.”
하고, 후군장 김인수를 불러 왈,
“그대는 군사 이만을 거느려 이리이리 하라.”
하고, 또 좌선봉 맹춘을 불러 왈,
“그대는 철기 오천을 거느려 율왕과 싸우다가 거짓 패하여 왕을 인도하여 양관으로 달아나다가 추병이 양관 어귀에 들거든 이리이리 하라.”
하고, 대장기치와 백모황월을 주니라. 이튿날 평명에 맹춘이 진문을 크게 열고 대장기치를 진전에 세우고 외쳐 왈,
“무도한 율도왕이 감히 천명을 항거하니 나를 당적할 재주 있거든 빨리 나와 자웅을 결단하라.”
하며 진문에 치돌하며 재주를 비양하니, 적진 선봉 한석이 응성출마 왈,
“너희는 어떠한 도적으로 천위를 모르고 태평시절을 분란케 하느냐? 오늘날 너희를 사로잡아 민심을 안돈하리라.”
하고, 언필에 상장이 합전하여 싸우더니, 수합이 못되어 맹춘의 칼이 빛나며 한석의 머리를 베어 들고 좌충우돌하여 왈,
“율왕은 무죄한 장졸을 상치 말고 쉬이 나와 항복하여 잔명을 보전하라.”
하니, 율왕이 선봉 패함을 보고 분기를 이기지 못하여 녹포운갑에 자금투구를 쓰고, 좌수에 방천극을 들고, 천리대완마를 재촉하여 진전에 나서며 왈,
“적장은 잔말 말고 나의 창을 받으라.”
하고, 급히 맹춘을 취하여 싸우니, 십여합에 맹춘이 패하여 말머리를 돌려 양관으로 향하니 율도왕이 꾸짖어 왈,
"적장은 달아 지 말고 말에서 내려 항복하라.“
말을 재촉하여 맹춘을 따라 양관으로 가더니, 적장이 골 어귀에 들며 군기를 버리고 산곡으로 달아나는지라. 율도왕이 무슨 간계있는가 의심하다가 왈,
“네 비록 간사한 꾀가 있으나 내 어찌 겁하리요?”
하고 군사를 호령하여 급하 따르더니, 이때에 길동이 장대에서 보다가 율도왕이 양관 어귀에 듦을 알고, 신병 오천을 호령하여 대군과 합세하여 양관 어귀에 필잔을 쳐 돌아갈 길을 막으니라. 율도왕이 적장을 쫓아 골에 들매 방포소리 나며 사면복병이 합세하여 그 세 풍아같은지라. 율도왕 꾀에 빠진 줄 알고 세궁하여 군사를 돌려 나오더니, 양관 어귀에 미치니 길동의 대병이 길을 막이 진을 치고 항복하라 하는 소리 천지 진동하는지라. 율도왕이 힘을 다하여 진문을 헤치고 들어가니, 문득 풍우대작하고, 뇌성벽력이 진동하며 지척을 분별치 못하여 군사 크게 어지러워 갈 바를 모르더니, 길동이 신병을 호령하여 적장과 군졸을 일시에 결박하였는지라. 율도왕이 아무러 할 줄 모르고 크게 놀래어 급히 헤진들 팔진을 어떻게 벗어나리요? 필마단창으로 동서를 모르고 횡행하더니, 길동이 제장을 호령하여 결박하라 하는 소리 추상같은지라. 율도왕이 사면을 살피니 군사 하나도 따르는 자가 없으매, 스스로 벗아나지 못할 줄 알고 분기를 이기지 못하여 자결하는지라. 길동이 삼군을 거느려 승전고를 울리며 본진으로 돌아와 군사를 호궤 후에 율도왕을 왕례로 장사하고, 삼군을 재촉하여 도성을 에워싸니, 율도왕의 장자 흉변을 듣고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인하여 자결하니, 제신이 하릴없어 율도국 세수를 받들고 항복하는지라. 길동이 대군을 몰아 도성에 들어가 백성을 진무하고, 율도왕의 아들을 또한 왕례로 장사하고, 각 읍에 대사하고, 죄인을 다 방송하며, 창고를 열어 백성을 진휼하니, 일국이 그 덕을 치하 아니할 이 없더라.
날을 가리어 왕위에 직하고, 승상을 추존하여 태조왕이라 하고, 능호를 현덕능이라 하며, 모친을 왕대비로 봉하고, 백용으로 부원군을 봉하고, 백씨로 중전왕비로 봉하고, 정통 양인이로 정숙비를 봉하고, 삼호걸로 대사마 대장군을 봉하며 병마를 총독케 하고, 김인수로 청주절도사를 하시이고, 맹춘으로 부원수를 하시이고, 그 남은 제장은 차례로 상사하니 한 사람도 칭원할 이 없더라. 신왕이 등극 후에 시화연풍하고, 국태민안하여 사방에 일이 없고, 덕화대행하여 도불습유하더라.
태평으로 세월을 보내더니, 수십년 후에 대왕대비 승하하시니 시년 칠십삼이라. 왕이 못내 애훼하여 예절로 지내는 효성이 신민을 감동하시더라. 현덕능에 안장하니라. 왕이 잠자이녀를 두시니 장자 앙이 내부의 풍도 있는지라. 신민이 다 산두같이 우러르거늘, 장자로 태자를 봉하시고, 열읍에 대사하사 태평연을 배설하고 즐길새, 왕의시년이 칠십이라. 술을 내어 반취하신 후에 칼을 잡고 춤추며 노래하시니 왈,
<blockquote>
<poem>
“칼을 잡고 우수에 비겨서니
남명이 몇만리뇨.
대붕이 날아다니
부요풍이 이는도다.
춤추는 소매 바람을 따라 표표함이여,
우이 동편과 매복 서펀이로다.
풍진을 쓸어보리고 태평을 일삼으니
경운이 일어나고 경성이 비치는도다.
맹장이 사방을 지키었음이여,
도적이 지경을 엿보리 없도다.“
</poem>
</blockquote>
하였더라. 이날 왕위를 태자에게 전하시고 다시 각읍에 대사하니라.
도성 삼십리 밖에 월영산이 있으되, 예로부터 선인 득도한 자취 왕왕이 머물어, 갈홍의 연단하던 부엌이 있고, 마고의 승천하던 바위있어 기이한 화훼와 한가한 구름이 항상 머무는지라. 왕이 그 산수를 사랑하고 적송자를 따라 놀고자 하여, 그 산중에 삼간누각을 지어 백씨 중전으로 더불어 처하시며, 곡식을 오직 물리치고 천지정기를 마셔 선도를 배우는지라. 태자 왕위에 직하여 일삭에 세 번 거동하여 부왕과 모비전에 문후하시더라.
일일은 뇌성벽력이 천지 진동하며, 오색운무 월영산을 두르더니, 이윽하여 뇌성이 걷고 천지 명랑하며 선학소리 자자하더니, 대왕 모비 간 곳이 없는지라. 왕이 급히 월영산에 거동하여 보니 종적이 막연한지라. 망극한 마음을 이기지 못하사 공중을 향하여 무수히 호읍하시다라. 대왕이 양외를 현릉에 허장하니 사람이 다 이르기를, “우리 대왕은 선도를 닦아 백일승천하셨다.” 하더라.
왕이 백성을 사랑하사 덕화를 힘쓰니 일국이 태평하여 격양가를 일삼으니 성자신손이 계계승승하여 태평으로 지내고, 조선 홍승상댁 대부인이 말년에 졸하시니, 장차 길현이 예절을 극진히 하여 선산여록에 장례하고 삼년초토를 지낸 후, 조정에 집권하여 초입사에 한림학사 대간을 겸하고, 연속 승차하여 병조정랑에서 홍문관 교리 수찬을 겸하고, 연하여 승직하여 승상을 지내니라. 이렇듯이 발복하여 삼태육경을 지내니 영화 일국의 으뜸이나 매일 친산을 생각하고 동생을 보고자 하되 남북에 길이 갈리어 슬퍼함을 마지 아니하더라.
미재라! 길동의 행어사여! 쾌달한 장부로다. 비록 천생이나 적원을 풀어 버리고, 효우를 완전히 하여 신수를 쾌달하니 만고에 희한한 일이기로 후인이 알게한 바이러라.
[[분류:현대어 해석 문서]]
mdup6ee2j8lvqdefmyrq2zgef2eozt5
페이지:역대기년.pdf/77
250
67428
250290
2022-07-27T16:41:38Z
사용자111
1461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위예이션디 십팔년이오 ᄉᆔ삼십뉵셰라 태릉에 장ᄒᆞ다 원년고친거시 ᄒᆞ나이니 홍티십팔년이라 후ᄂᆞᆫ 댱시니 챵국공만의 녜오 흥졔ᄯᅡ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강이라 ᄒᆞ다 무종 승텬 달도 영슉 예텰 쇼덕 현공 홍문 ᄉᆞ효 의황뎨의 휘ᄂᆞᆫ 후ᄌᆈ니 효종의 ᄌᆡ오 모ᄂᆞᆫ 효강경 황휘라 원년은 병인이오 위예이션디 십뉵년이오 ᄉᆔ삼시빌...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사용자111" /></noinclude>위예이션디 십팔년이오 ᄉᆔ삼십뉵셰라 태릉에 장ᄒᆞ다 원년고친거시 ᄒᆞ나이니 홍티십팔년이라
후ᄂᆞᆫ 댱시니 챵국공만의 녜오 흥졔ᄯᅡ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강이라 ᄒᆞ다
무종 승텬 달도 영슉 예텰 쇼덕 현공 홍문 ᄉᆞ효
의황뎨의 휘ᄂᆞᆫ 후ᄌᆈ니 효종의 ᄌᆡ오 모ᄂᆞᆫ 효강경 황휘라 원년은 병인이오 위예이션디 십뉵년이오 ᄉᆔ삼시빌셰라 강릉에 장ᄒᆞ다
원년고친거시 ᄒᆞ나이니 졍덕십뉵년이라 후ᄂᆞᆫ하시니 경양ᄇᆡᆨ유의 녜오샹원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뎡이라ᄒᆞ다
셰종 흠텬 리도 영의 신셩 션문 광무 홍인 대효
슉황뎨의 휘ᄂᆞᆫ 후홀이니 헌종의 손ᄌᆡ오 효종의 뎨흥헌왕우원의ᄌᆡ오 모ᄂᆞᆫ 쟝비라<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htlasq1kif3t6mreccer42fd62hsq5
페이지:역대기년.pdf/78
250
67429
250291
2022-07-27T16:41:49Z
사용자111
1461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승습ᄒᆞ야 안륙왕을 봉ᄒᆞ엿더니 무종이븡홈애 후ᄉᆡ업셔 태휘대신으로 더브러마ᄌᆞ셰우다 원년은 임오오 위예이션디 ᄉᆞ십오년이오 ᄉᆔ뉵십셰라 영릉에 장ᄒᆞ다 원년 고친거시 ᄒᆞ나이니 가졍 ᄉᆞ십오년이라 후ᄂᆞᆫ 딘시니 태화ᄇᆡᆨ만언의 녜오대명ᄯᅡ 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결이라ᄒᆞ다 댱시ᄂᆞᆫ 즙의 녜니 딘황휘븡홈애 드듸여셔...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사용자111" /></noinclude>승습ᄒᆞ야 안륙왕을 봉ᄒᆞ엿더니 무종이븡홈애 후ᄉᆡ업셔 태휘대신으로 더브러마ᄌᆞ셰우다
원년은 임오오 위예이션디 ᄉᆞ십오년이오 ᄉᆔ뉵십셰라 영릉에 장ᄒᆞ다 원년 고친거시 ᄒᆞ나이니 가졍 ᄉᆞ십오년이라
후ᄂᆞᆫ 딘시니 태화ᄇᆡᆨ만언의 녜오대명ᄯᅡ 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결이라ᄒᆞ다
댱시ᄂᆞᆫ 즙의 녜니 딘황휘븡홈애 드듸여셔휘되얏더니 후칠년에 폐ᄒᆞ다 방시ᄂᆞᆫ 안평후예의 녜니 강령사ᄅᆞᆷ이오 시호ᄅᆞᆯ 쵸렬이라 ᄒᆞ다
구년경인에 공ᄌᆞᄅᆞᆯ존호ᄒᆞ야션ᄉᆡ라 ᄒᆞ고 화샹으로 ᄡᅥ쥬ᄒᆞ다
목종 계텬 륭도 연의 관인 현문 광무 슌덕 홍효
장황뎨의 휘ᄂᆞᆫ ᄌᆡ휘니 셰종의 뎨삼ᄌᆡ오 모ᄂᆞᆫ 두강비라 원년은 뎡묘오 위예이션디<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oa4w0royr23ws1yomamklmp80z7tnp
페이지:역대기년.pdf/79
250
67430
250292
2022-07-27T16:42:05Z
사용자111
1461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뉵년이오 ᄉᆔ삼십뉵셰라 쇼릉에 장ᄒᆞ다 원년고친거시 ᄒᆞ나이니 륭경뉵년이라 후ᄂᆞᆫ 니시니 덕평ᄇᆡᆨ명의 녜오 챵평ᄯᅡ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의라 ᄒᆞ다 딘시ᄂᆞᆫ 고안ᄇᆡᆨ경ᄒᆡᆼ의 녜오 통쥬ᄯᅡ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안이라 ᄒᆞ다 신종 법텬 합도 텰슉 돈간 광문 쟝무 안인 지효 현황뎨의 휘ᄂᆞᆫ 익근이니 목종의 뎨삼ᄌᆡ...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사용자111" /></noinclude>뉵년이오 ᄉᆔ삼십뉵셰라 쇼릉에 장ᄒᆞ다 원년고친거시 ᄒᆞ나이니 륭경뉵년이라
후ᄂᆞᆫ 니시니 덕평ᄇᆡᆨ명의 녜오 챵평ᄯᅡ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의라 ᄒᆞ다 딘시ᄂᆞᆫ 고안ᄇᆡᆨ경ᄒᆡᆼ의 녜오 통쥬ᄯᅡ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안이라 ᄒᆞ다
신종 법텬 합도 텰슉 돈간 광문 쟝무 안인 지효
현황뎨의 휘ᄂᆞᆫ 익근이니 목종의 뎨삼ᄌᆡ오 모ᄂᆞᆫ 귀비니시라 원년은 계ᄋힸ 위예이션디 ᄉᆞ십팔년이오 ᄉᆔ오십팔셰라 뎡릉에 장ᄒᆞ다
원년 고친거시 ᄒᆞ나이니 만력ᄉᆞ십팔년이라 후ᄂᆞᆫ 왕시니 영년ᄇᆡᆨ위의 녜오 여요ᄯᅢ ᄉᆞ람이니 시호ᄅᆞᆯ 효단이라 ᄒᆞ다
광종 슝텬 계도 영예 공슌 헌문 경무 연인 의효졍황뎨의 휘<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3a187keildjuerk5obpwadf4cgmh39
페이지:역대기년.pdf/80
250
67431
250293
2022-07-27T16:42:15Z
사용자111
1461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ᄂᆞᆫ 샹락이니 신종의 ᄌᆡ오 모ᄂᆞᆫ 공비왕시라 원년은 경신이오 위예이션디 ᄃᆞᆯ이 넘고 ᄉᆔ삼십구셰라 경릉에 장ᄒᆞ다 원년 고친거시 ᄒᆞ나이니 태챵이오 릉이 ᄒᆡᆼ티 못ᄒᆞ다 후ᄂᆞᆫ 곽시니 박평후유셩의 녜오 슌텬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원이라 ᄒᆞ다 희종 달텬 쳔도 돈효 독우 쟝문 양무 졍목 장근 텰황뎨의 휘ᄂᆞᆫ 유ᄀᆈ니 광종...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사용자111" /></noinclude>ᄂᆞᆫ 샹락이니 신종의 ᄌᆡ오 모ᄂᆞᆫ 공비왕시라 원년은 경신이오 위예이션디 ᄃᆞᆯ이 넘고 ᄉᆔ삼십구셰라 경릉에 장ᄒᆞ다
원년 고친거시 ᄒᆞ나이니 태챵이오 릉이 ᄒᆡᆼ티 못ᄒᆞ다 후ᄂᆞᆫ 곽시니 박평후유셩의 녜오 슌텬사ᄅᆞᆷ이니 시호ᄅᆞᆯ 효원이라 ᄒᆞ다
희종 달텬 쳔도 돈효 독우 쟝문 양무 졍목 장근
텰황뎨의 휘ᄂᆞᆫ 유ᄀᆈ니 광종의 ᄌᆡ오 모ᄂᆞᆫ 션시왕시라 원년은 신유오 위예이션디 칠년이오 ᄉᆔ이 십삼셰라 덕릉에 장ᄒᆞ다
원년 고친거시 ᄒᆞ나이니 텬계칠년이라 후ᄂᆞᆫ 댱시니 태강ᄇᆡᆨ국긔의 녜오 샹부ᄯᅡ사ᄅᆞᆷ이라
의종렬황뎨의 휘ᄂᆞᆫ 유검이니 광종의 뎨오ᄌᆡ오 모ᄂᆞᆫ 현비류시라 처음에 신왕을 봉ᄒᆞ엿더니 희종이 붕<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karos8we3ga5tb1w3ufglei9ztpu9b
페이지:역대기년.pdf/82
250
67432
250294
2022-07-27T16:42:36Z
사용자111
1461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ᄌᆞ셔치못ᄒᆞ다 말이이시ᄃᆡ의 황태ᄌᆡ바다ᄒᆡᄯᅥ남으로 양쥬에 잇거ᄂᆞᆯ 블너 도읍에 니ᄅᆞ니 혹이왕의 명을 의심ᄒᆞ야 즁의들네더니 명년에 남령후자냥옥 등이 병을 무챵에 드러ᄡᅥ 태ᄌᆞᄅᆞᆯ 구ᄒᆞ고 ᄉᆞ영버이기ᄅᆞᆯ일홈ᄒᆞ더니 오라디 못ᄒᆞ여 냥옥이 병드러 죽으니 쳥병이 남으로 ᄂᆞ리니뎨태평부로다른대ᄇᆡᆨ셩이 셔을 닷고...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사용자111" /></noinclude>ᄌᆞ셔치못ᄒᆞ다 말이이시ᄃᆡ의 황태ᄌᆡ바다ᄒᆡᄯᅥ남으로 양쥬에 잇거ᄂᆞᆯ 블너 도읍에 니ᄅᆞ니 혹이왕의 명을 의심ᄒᆞ야 즁의들네더니 명년에 남령후자냥옥 등이 병을 무챵에 드러ᄡᅥ 태ᄌᆞᄅᆞᆯ 구ᄒᆞ고 ᄉᆞ영버이기ᄅᆞᆯ일홈ᄒᆞ더니 오라디 못ᄒᆞ여 냥옥이 병드러 죽으니 쳥병이 남으로 ᄂᆞ리니뎨태평부로다른대ᄇᆡᆨ셩이 셔을 닷고 드리지 아니ᄒᆞ거ᄂᆞᆯ 이예 무호로다르니 쳥병이 ᄯᆞ라가 뎨ᄅᆞᆯ 협ᄒᆞ여 븍으로가다
ᄉᆞ문 황뎨의 휘난 뉼건이니 태조의 십일셰손이오 유왕긔셩의 ᄌᆡ라 처음에 당왕을 봉ᄒᆞ엿더니난황뎨 흉문이 니ᄅᆞ니 군신이 왕을 밧드러 위예즉ᄒᆞ다
원년은 을유오 위예이션디 일년이오 원년고친거시 ᄒᆞ나이니<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m89h1mrdxfzp658r150a415hgpzz42
페이지:역대기년.pdf/83
250
67433
250295
2022-07-27T16:42:48Z
사용자111
1461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륭무일년이라 청병이 슌챵에 니ᄅᆞ러 마ᄉᆞ영등을 죽이고 뎨ᄅᆞᆯ 핍박ᄒᆞ야 시ᄒᆞ다 후ᄂᆞᆫ 증시라 황뎨의 휘ᄂᆞᆫ 유랑이니 신종의 손ᄌᆡ오 계왕샹영의 ᄌᆡ라 처음에 영명왕을 봉ᄒᆞ엿더니 ᄉᆞ문황뎨시ᄅᆞᆯ만나 매냥광도독뎡괴초등이 왕을 밧드러 위ᄅᆞᆯ 죠경에 즉ᄒᆞ다 원년은 병슐이오 위예이션지 오년이오 슈ᄂᆞᆫᄌᆞ셔치못ᄒᆞ다...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사용자111" /></noinclude>륭무일년이라 청병이 슌챵에 니ᄅᆞ러 마ᄉᆞ영등을 죽이고 뎨ᄅᆞᆯ 핍박ᄒᆞ야 시ᄒᆞ다 후ᄂᆞᆫ 증시라
황뎨의 휘ᄂᆞᆫ 유랑이니 신종의 손ᄌᆡ오 계왕샹영의 ᄌᆡ라 처음에 영명왕을 봉ᄒᆞ엿더니 ᄉᆞ문황뎨시ᄅᆞᆯ만나 매냥광도독뎡괴초등이 왕을 밧드러 위ᄅᆞᆯ 죠경에 즉ᄒᆞ다
원년은 병슐이오 위예이션지 오년이오 슈ᄂᆞᆫᄌᆞ셔치못ᄒᆞ다 원년고친거시 ᄒᆞ나이니 영평오년이라 쳥병의 ᄯᆞ론배되야뎨남뎐으로다라면에 드다
황명고황뎨무신으로 니러나 영력황뎨경인에 진ᄒᆞ니 믈읫십구뎨오이ᄇᆡᆨ팔십삼년이라
다요가빈으로 니러나 황명영력황뎨경인에 진ᄒᆞ니 믈읫이ᄇᆡᆨ삼십뉵뎨오ᄉᆞ쳔칠년이라 복회시계유로니<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5z6ccrvza0cbskf9x01ebhuxb7qu4v
페이지:역대기년.pdf/84
250
67434
250296
2022-07-27T16:42:55Z
사용자111
1461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러나 황명영력황뎨경인에진ᄒᆞ니믈의시ᄇᆡᆨ뉵십오뎨오오쳔일ᄇᆡᆨ칠십팔년이러라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사용자111" /></noinclude>러나 황명영력황뎨경인에진ᄒᆞ니믈의시ᄇᆡᆨ뉵십오뎨오오쳔일ᄇᆡᆨ칠십팔년이러라<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kmxh2vw6lp1u52zd3pp3gmrap1e5tm
페이지:어졔경셰문답쇽녹.pdf/37
250
67435
250298
2022-07-27T21:11:57Z
라온수연
1527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제ᄂᆞᆫ경경ᄒᆞᆫ회푀속에이셔그러ᄒᆞᆫ가내ᄯᅩᄒᆞᆫ아디못ᄒᆞ노라 뭇ᄌᆞ와ᄀᆞᆯ오ᄃᆡ그스ᄉᆞ로면강ᄒᆞᆫ노라ᄒᆞ시고ᄯᅩ복졍을당ᄒᆞ야겨시 니져즈음긔슈응ᄒᆞ시므로보오면능히치위ᄒᆞᆯ견ᄃᆡ여ᄒᆡᆼ네ᄒᆞ 시ᄃᆡ요ᄉᆞ이됴셥으로ᄡᅥᄌᆞ거ᄒᆞ시믄엇디니잇고답왈비록속에버 치인회포ᄅᆞᆯ품어시나울억ᄒᆞ야샤치못ᄒᆞ더니그...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라온수연" /></noinclude>제ᄂᆞᆫ경경ᄒᆞᆫ회푀속에이셔그러ᄒᆞᆫ가내ᄯᅩᄒᆞᆫ아디못ᄒᆞ노라
뭇ᄌᆞ와ᄀᆞᆯ오ᄃᆡ그스ᄉᆞ로면강ᄒᆞᆫ노라ᄒᆞ시고ᄯᅩ복졍을당ᄒᆞ야겨시
니져즈음긔슈응ᄒᆞ시므로보오면능히치위ᄒᆞᆯ견ᄃᆡ여ᄒᆡᆼ네ᄒᆞ
시ᄃᆡ요ᄉᆞ이됴셥으로ᄡᅥᄌᆞ거ᄒᆞ시믄엇디니잇고답왈비록속에버
치인회포ᄅᆞᆯ품어시나울억ᄒᆞ야샤치못ᄒᆞ더니그뭇ᄂᆞᆫ거시이
에밋ᄎᆞ니엇디ᄒᆞᆫ번니ᄅᆞ디아니ᄒᆞ리오슬프다사ᄅᆞᆷ이오륜이이시니
부ᄌᆞ와군신과부부와댱유와븡위니댱유ᄂᆞᆫ곳형뎨라슬프다
나의경녁ᄒᆞᆫ바로ᄡᅥ오십뉵십도가히혬밧기라니ᄅᆞ려든ᄒᆞ믈
며칠십가슬프다계미ᄂᆞᆫ곳나의십셰일이오슬프다계ᄉᆞᄂᆞᆫ곳나의
이십셰일이오슬프다계모ᄂᆞᆫ곳나의삼십셰일이오슬프다계튝은
곳나의ᄉᆞ십셰일이오슬프다계ᄒᆡᄂᆞᆫ곳나의오십셰일이오슬프다
계유ᄂᆞᆫ곳나의뉵십셰일이라녯게미예 뇽누에승환ᄒᆞ와
시봉ᄒᆞ야즐기고계ᄉᆞ에도ᄯᅩᄒᆞᆫ그러ᄒᆞ니가히즐겁다니ᄅᆞᆯ너니슬
프다계묘에승환ᄒᆞ야즐기오미ᄒᆞᆫᄭᅮᆷ이되도다그오히려우흐로
댱낙을밧들고우리 황형을밧드와ᄆᆞᄋᆞᆷ에우러러의지ᄒᆞᄂᆞᆫ배
잇더니계튝에눌을위ᄒᆞ야공슌ᄒᆞ리오ᄒᆞᄂᆞᆫ회포ᄅᆞᆯ품고다만
ᄌᆞ셩을밧드와게ᄒᆡ와계유에니ᄅᆞ럿더니슬프다명년은이계미회갑
이오나히쟝ᄎᆞᆺ칠십이러셔교ᄅᆞᆯᄇᆞ라고음쳬ᄒᆞ며 경복을
텀망ᄒᆞ고기리ᄉᆞ모ᄒᆞᄂᆞ니슬프다ᄌᆡ명년에다시갑신을만나니이
엇딘사ᄅᆞᆷ이며이엇딘사ᄅᆞᆷ인고스르다일로ᄡᅥ보면오륜가온대<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0yqvb5umrvbnmjmn1qwdp0ri5pxc7n
페이지:어졔경셰문답쇽녹.pdf/38
250
67436
250299
2022-07-27T21:22:53Z
라온수연
1527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시가지입ᄉᆞ니ᄒᆈ라ᄒᆞ랴튱이라ᄒᆞ랴데라ᄒᆞ랴슬프다셰를 이쟝ᄎᆞᆺ져믈고졍월이일슌이격ᄒᆞ여시니인ᅙᅵ티야어버이를 브ᄅᆞ고져ᄒᆞᄃᆡ능티못ᄒᆞ고인뷔티야ᄌᆞ식을브ᄅᆞ고져ᄒᆞ더능티믓 ᄒᆞ고인신이되야님금을브ᄅᆞ고져ᄒᆞᄃᆡ능티못ᄒᆞ고인다듸야형을 브ᄅᆞ고져ᄒᆞᄃᆡ능티못ᄒᆞ고인형이되야앙ᄋᆞᄅᆞᆯ브ᄅᆞ고져ᄒᆞᄃᆡ...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라온수연" /></noinclude>시가지입ᄉᆞ니ᄒᆈ라ᄒᆞ랴튱이라ᄒᆞ랴데라ᄒᆞ랴슬프다셰를
이쟝ᄎᆞᆺ져믈고졍월이일슌이격ᄒᆞ여시니인ᅙᅵ티야어버이를
브ᄅᆞ고져ᄒᆞᄃᆡ능티못ᄒᆞ고인뷔티야ᄌᆞ식을브ᄅᆞ고져ᄒᆞ더능티믓
ᄒᆞ고인신이되야님금을브ᄅᆞ고져ᄒᆞᄃᆡ능티못ᄒᆞ고인다듸야형을
브ᄅᆞ고져ᄒᆞᄃᆡ능티못ᄒᆞ고인형이되야앙ᄋᆞᄅᆞᆯ브ᄅᆞ고져ᄒᆞᄃᆡ능티
못ᄒᆞ니이졍히세가지업고다ᄉᆞᆺ가지능티못ᄒᆞ미라유유ᄒᆞᆫ하ᄂᆞᆯ
아이엇딘사ᄅᆞᆷ인고고요히ᄉᆡᆼ각ᄒᆞ매ᄆᆞᄋᆞᆷ이더러지고담이더러지ᄂᆞᆫ
도다요ᄉᆞ이날이치우미특심ᄒᆞ야교위예안ᄌᆞ며다믓벼개여누으미
아니면안ᄌᆞ매일ᄀᆡᆨ이심히어렵고ᄯᅩ스ᄉᆞ로평인과ᄀᆞᆺ티ᄒᆞ이ᄆᆞᄋᆞᆷ
데ᄎᆞ다못ᄒᆞᄂᆞᆫ버이시미라엇디게얼러그러ᄒᆞ리오비륵이러ᄒᆞᆫ대
라도나라희와ᄇᆡᆨ셩에과연ᄒᆞᄅᆞ드쉴저업ᄉᆞ니죡곧도ᄌᆞ강ᄒᆞ
믈홀ᄒᆞ미아니오ᄯᅩᄒᆞᆫ복졍을도라보디아니미아니라슬프다ᄆᆞ
ᄋᆞᆷ이비록이러ᄒᆞ나블효블쵸로ᄡᅥ스ᄉᆞ로 냥됴의셩ᄉᆞᄅᆞᆯ만
나녯대궐에하례ᄅᆞᆯ밧고즁외예반샤ᄒᆞ랴ᄒᆞ니긔개우흐로
서졍셩과녜ᄅᆞᆯ펴고아래르ᄡᅥ모든졍을마티고져ᄒᆞ디오실로스
ᄉᆞ로위ᄒᆞ미아니라ᄯᅳᆺ이실로유양ᄒᆞ려ᄒᆞ미라이나의븨무ᄒᆞᆫᄒᆞᆫ
회포ᄅᆞᆯ억졔ᄒᆞ고면강ᄒᆞ야ᄒᆡᆼ코져ᄒᆞᄂᆞᆫ배라ᄒᆞ믈며기운이쇠
ᄒᆞ고졍신이모손ᄒᆞ야비록늉한이아니라도내게ᄂᆞᆫᄒᆞᆫ희삼ᄇᆡᆨ뉵
십일이다됴셜ᄒᆞᄂᆞᆫ날이로더오히려녜ᄅᆞᆯ펴ᄂᆞᆫ□와마디못ᄒᆞᆯ
ᄃᆡᄂᆞᆫ그능히ᄒᆡᆼᄒᆞ니이거시엇디다ᄅᆞ미라오ᄌᆞ봉이담박ᄒᆞ야ᄆᆞᄋᆞᆷ<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uav92wfjd09ug72txujdf138vupy3a
페이지:어졔경셰문답쇽녹.pdf/39
250
67437
250300
2022-07-27T21:29:39Z
라온수연
1527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이긔운을거ᄂᆞᆫ려그러ᄒᆞ미라슬프다쟝ᄎᆞᆺ일슌이디나면ᄒᆞᆫ계다 시도라오니국초갑신으로브터명년에니ᄅᆞ면곳삼ᄇᆡᆨ뉵십년이 니이에ᄒᆞᆫ운이라그비록영귀ᄒᆞ나튜모하미더옥ᄀᆞᆫ졀호라뭇ᄂᆞᆫ 재유유ᄒᆞ거ᄂᆞᆯ약간그대개ᄅᆞᆯ긔록ᄒᆞ야ᄡᅥ후ᄅᆞᆯ뵈노라 뭇ᄌᆞ와ᄀᆞᆯ오ᄃᆡ슉야잠을여러변명ᄒᆞ야닑히지니이제과연쳬험 ᄒᆞ...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라온수연" /></noinclude>이긔운을거ᄂᆞᆫ려그러ᄒᆞ미라슬프다쟝ᄎᆞᆺ일슌이디나면ᄒᆞᆫ계다
시도라오니국초갑신으로브터명년에니ᄅᆞ면곳삼ᄇᆡᆨ뉵십년이
니이에ᄒᆞᆫ운이라그비록영귀ᄒᆞ나튜모하미더옥ᄀᆞᆫ졀호라뭇ᄂᆞᆫ
재유유ᄒᆞ거ᄂᆞᆯ약간그대개ᄅᆞᆯ긔록ᄒᆞ야ᄡᅥ후ᄅᆞᆯ뵈노라
뭇ᄌᆞ와ᄀᆞᆯ오ᄃᆡ슉야잠을여러변명ᄒᆞ야닑히지니이제과연쳬험
ᄒᆞ시ᄂᆞ니잇가쵸연이담왈듕용과대ᄒᆞᆨ에여러슌뉸회ᄒᆞ야강
ᄒᆞᄃᆡ글이스ᄉᆞ로글이오내스ᄉᆞ로내니ᄒᆞ믈며ᄒᆞᆫᄯᅢ명독ᄒᆞᄂᆞᆫ것가비
록그러니셰간의일이만가지나ᄒᆞ고ᄒᆞᆨ문공뷔ᄇᆡᆨ가지ᄎᆞᆷ음이로
ᄃᆡ나의경넉ᄒᆞᆫ바로ᄡᅥᄂᆞᆫ가히무ᄒᆞᆫ타니ᄅᆞ리니다시엇디다ᄅᆞ미이
시리오쳥ᄃᆡ예봄을보ᄒᆞ니나히이제칠십이라오회라 보
산과보럭을블ᄎᆈ그감히우러러ᄯᆞ로고갑신으로ᄡᅥ혜아리면ᄯᅩ
ᄒᆞᆫ임의다ᄉᆞᆺ번도라왓ᄂᆞᆫ디라그쟝ᄎᆞᆺ구댱을잡고구궐에님ᄒᆞ
야경외예반샤ᄒᆞ고국듕에츄은ᄒᆞ려ᄒᆞ니이엇디몽샹에혜아린
배리오이에가히셰간일이무ᄒᆞᆫᄒᆞ믈볼거시라져머신ᄯᅢ예ᄒᆞᆫ글
을보니닐오ᄃᆡᄯᅢ샹의ᄒᆞ고ᄒᆞᄂᆞᆫ일을ᄒᆞ고ᄒᆞ야도다ᄒᆞ디못ᄒᆞᄂᆞᆫ도
다ᄒᆞ고ᄒᆞᄂᆞᆫ사ᄅᆞᆷ이간후에오ᄂᆞᆫ쟤다시ᄒᆞ고ᄒᆞᆫ다ᄒᆞ니그비록쳔근ᄒᆞ
나말은고졀실ᄒᆞᆫ디라일로ᄡᅥ보면셰샹ᄉᆞᄅᆞᆷ의ᄒᆞᆫ일을ᄒᆞ고
ᄌᆞ죡ᄒᆞᄂᆞᆫ쟤엇디엿디아니ᄒᆞ리오슉야ᄌᆞᆷ을명독ᄒᆞ연디임의
오래되ᄯᅩᄒᆞᆫ능히쳬험티못ᄒᆞ거니와다만여ᄃᆞᆲ댱을고샹이ᄒᆞᆫ
일ᄌᆞᄅᆞᆯ부연ᄒᆞ여시니ᄆᆞᄋᆞᆷ의스ᄉᆞ로닐러ᄀᆞᆯ오ᄃᆡᄯᅳᆺ이비록올효<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i5cmbvfgzi6trb02fgq03pfdcnamac
페이지:어졔경셰문답쇽녹.pdf/40
250
67438
250301
2022-07-27T21:35:52Z
라온수연
1527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나그엇디지리ᄒᆞ며너출진고ᄒᆞ며ᄌᆞ셩편ᄂᆡ편편졔가온댜ᄆᆞᄋᆞᆷ 심ᄌᆡ일ᄌᆞ와다ᄅᆞ미업ᄉᆞᆫ고로우사며사ᄅᆞᆷ다려닐러ᄀᆞᆯ오ᄃᆡ이거시 일ᄌᆞ와다ᄅᆞ미업ᄂᆞ니라ᄒᆞ엿더니어제아ᄎᆞᆷ에칠슌을보고오ᄂᆞᆯ 밤에유신을블러일초ᄀᆞᆺ티명독ᄒᆞ더니금일의야크게그말이 올흔줄을ᄭᆡᄃᆞᄅᆞ니이ᄯᅩᄒᆞᆫᄒᆞᆨ문공부의무ᄒᆞ...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라온수연" /></noinclude>나그엇디지리ᄒᆞ며너출진고ᄒᆞ며ᄌᆞ셩편ᄂᆡ편편졔가온댜ᄆᆞᄋᆞᆷ
심ᄌᆡ일ᄌᆞ와다ᄅᆞ미업ᄉᆞᆫ고로우사며사ᄅᆞᆷ다려닐러ᄀᆞᆯ오ᄃᆡ이거시
일ᄌᆞ와다ᄅᆞ미업ᄂᆞ니라ᄒᆞ엿더니어제아ᄎᆞᆷ에칠슌을보고오ᄂᆞᆯ
밤에유신을블러일초ᄀᆞᆺ티명독ᄒᆞ더니금일의야크게그말이
올흔줄을ᄭᆡᄃᆞᄅᆞ니이ᄯᅩᄒᆞᆫᄒᆞᆨ문공부의무ᄒᆞᆫᄒᆞᆫ거시라뉵십
구젼의아디못ᄒᆞᆫ거ᄉᆞᆯ이제겨유칠십에이에ᄭᆡᄃᆞ랏노라뭇ᄌᆞ와
ᄀᆞᆯ오ᄃᆡ셰간일과ᄒᆞᆨ문공부ᄂᆞᆫ다ㅣ답ᄒᆞ시미진실로그러ᄒᆞ거니와
이에ᄭᆡᄃᆞᄅᆞ신거ᄉᆞᆫ므어시니잇가답왈닐온바일은고샹이ᄌᆞ셔히
닐러시니내엇디가텹ᄒᆞ리오닐온바ᄭᆡᄃᆞᆺ다ᄒᆞ믄태극이냥의ᄅᆞᆯ
내고냥의ᄉᆞ샹을내고ᄉᆞ쟝이팔괘ᄅᆞᆯ내고팔괘뉵십ᄉᆞ괘ᄅᆞᆯ내ᄃᆡ
그근본을궁구ᄒᆞ면일이라우쥬의크므로ᄡᅥ니ᄅᆞ건대그근본을무ᄅᆞ
면곳님금이라이졍허일이니추셩의니ᄅᆞᆫ바일에졍ᄒᆞ미라
묘연ᄒᆞᆫᄒᆞᆫ몸으로ᄡᅥ니ᄅᆞ면ᄉᆞ지이시며ᄇᆡᆨᄒᆡ이시ᄃᆡ그본을궁구ᄒᆞ면
곳ᄆᆞᄋᆞᆷ이니이ᄯᅩᄒᆞᆫ일이라일로ᄡᅥ뉴ᄅᆞᆯ밀위면엇디ᄒᆞᆫ갓우쥬ᄲᅮᆫ
이리오일우쳥구로ᄡᅥ니ᄅᆞ면됴션가온대 님금이그일이오일도가
온대방ᄇᆡᆨ이그일이오일목가온대총녕ᄒᆞᆫ쟤일이오일부가온
대총녕ᄒᆞᆫ쟤일이오일군가온대총녕ᄒᆞᆫ쟤일이니팔도삼ᄇᆡᆨ
뉵십쥬에쥬관ᄒᆞᆫ배각각일일이로ᄃᆡ모도니ᄅᆞ면일국이오그본을
무ᄅᆞ면일군이라우흐로그님금으로브터아래로필셔에니ᄅᆞ히다각
각일심이이시니증ᄌᆞ의니ᄅᆞᆫ바ᄆᆞᄋᆞᆷ을졍ᄒᆞ야됴뎡을졍ᄒᆞ<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8sqvwujgczuzjim7lhuqd6tar7zu70
페이지:어졔경셰문답쇽녹.pdf/41
250
67439
250302
2022-07-27T21:41:06Z
라온수연
1527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다ᄒᆞ며곳심이라크게니ᄅᆞ면졍ᄒᆞ며일홈은일의근본이오공 부로니ᄅᆞ면일의쥬ᄒᆞ야가ᄂᆞᆫᄃᆡ업ᄉᆞ미ᄯᅩᄒᆞᆫ일이되ᄂᆞᆫ디라ᄌᆞ식 의아비셤김도일이오신하의님금셤김도일이니아비ᄅᆞᆯ셤기 되효도ᄅᆞᆯ근진이못ᄒᆞ면일이아니오님금셤김을셤기되튱셩을 극진이못ᄒᆞ면일이아니라인심도심의ᄂᆞᆫ호임과공ᄉᆞ닝욕에 판단ᄒᆞ며젼혀일...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라온수연" /></noinclude>다ᄒᆞ며곳심이라크게니ᄅᆞ면졍ᄒᆞ며일홈은일의근본이오공
부로니ᄅᆞ면일의쥬ᄒᆞ야가ᄂᆞᆫᄃᆡ업ᄉᆞ미ᄯᅩᄒᆞᆫ일이되ᄂᆞᆫ디라ᄌᆞ식
의아비셤김도일이오신하의님금셤김도일이니아비ᄅᆞᆯ셤기
되효도ᄅᆞᆯ근진이못ᄒᆞ면일이아니오님금셤김을셤기되튱셩을
극진이못ᄒᆞ면일이아니라인심도심의ᄂᆞᆫ호임과공ᄉᆞ닝욕에
판단ᄒᆞ며젼혀일과다ᄆᆞᆺ일아니매이실ᄯᆞᄅᆞᆷ이니일로ᄡᅥ밀위
면일의의큰디라고샹의말이진실로지리ᄒᆞ야추디미아니
오진실로지리ᄒᆞ야너출디미아니라네ᄂᆞᆫ과타니ᄅᆞ더니이제이에
항복ᄒᆞ니아니의ᄡᅥ크게ᄭᆡᄃᆞᄅᆞᆫ배니라뭇ᄂᆞᆫ쟤유유ᄒᆞ거ᄂᆞᆯ깁흔
밤의ᄡᅥ기록ᄒᆞ야박식ᄒᆞᆫ군ᄌᆞ의게변논코져ᄒᆞ노라
뭇ᄌᆞ와ᄀᆞᆯ오ᄃᆡ뉵십에화샹ᄒᆞ시고칠십에화샹ᄒᆞ시니위
ᄒᆞ야그나흘표하시미니잇가답왈엇디홀로뉵십칠십
ᄲᅮᆫ이리오ᄉᆞ십오십에도ᄯᅩᄒᆞᆫ그러ᄒᆞ니슬프다이엇디다ᄅᆞ미리오
셕년의 은ᄉᆞᄒᆞ시믈튜모ᄒᆞ야그러ᄒᆞ미라슬프다갑오이십일
셰예화샹주시믈밧ᄌᆞ왓더니그후계튝ᄉᆞ십셰예고요히ᄉᆡᆼ각
ᄒᆞ니 은ᄉᆞᄒᆞ신거ᄉᆞᆯ가히져ᄇᆞ리디못ᄒᆞᆯ거시오임의승 통
ᄒᆞᆫ후에의쟝을ᄯᅩᄒᆞᆫ가히ᄀᆞ초디아니티못ᄒᆞᆯ거신고로명ᄒퟅ야
ᄒᆞᆫ본을그리고광음이훌홀ᄒᆞ야오십셰갑ᄌᆞ의니ᄅᆞ니다시두
본을그러ᄒᆞᆫ본은임의강도의ᄯᆞ로고ᄒᆞᆫ본은맛당히 진젼의
ᄯᆞᆯ올디라무인뉵십오셰예그나흘표코져ᄒᆞ야ᄯᅩ져근본을그<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ijr3jfee8zq9xik8cv9unqb0rcyuhy
페이지:어졔경셰문답쇽녹.pdf/42
250
67440
250303
2022-07-27T21:47:20Z
라온수연
1527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리젼ᄇᆡᄒᆞᆯ올ᄯᅢ쉬ᄂᆞᆫ고ᄃᆡ두어됴셕의뫼셔의지ᄒᆞᆫᄃᆞᆺᄒᆞ더니쳔 쳔만만몽샹밧긔나히칠십에니ᄅᆞ니 일실의고ᄉᆞᄅᆞᆯ조차 당녕뎐 봉안ᄒᆞ온바원유관강사포ᄒᆞ오신본을본밧고ᄯᅩ구 궐의셔반샤ᄒᆞ던복ᄉᆡᆨ으로ᄡᅥ셰슈에명ᄒᆞ야ᄒᆞᆫ본을그리이되 므ᄅᆞ장황을문단을ᄇᆞ리고 뎨이실고졔ᄅᆞᆯᄯᆞᆯ와의방ᄒᆞ고 겸ᄒᆞ야좌...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라온수연" /></noinclude>리젼ᄇᆡᄒᆞᆯ올ᄯᅢ쉬ᄂᆞᆫ고ᄃᆡ두어됴셕의뫼셔의지ᄒᆞᆫᄃᆞᆺᄒᆞ더니쳔
쳔만만몽샹밧긔나히칠십에니ᄅᆞ니 일실의고ᄉᆞᄅᆞᆯ조차
당녕뎐 봉안ᄒᆞ온바원유관강사포ᄒᆞ오신본을본밧고ᄯᅩ구
궐의셔반샤ᄒᆞ던복ᄉᆡᆨ으로ᄡᅥ셰슈에명ᄒᆞ야ᄒᆞᆫ본을그리이되
므ᄅᆞ장황을문단을ᄇᆞ리고 뎨이실고졔ᄅᆞᆯᄯᆞᆯ와의방ᄒᆞ고
겸ᄒᆞ야좌편의궤ᄅᆞᆯᄒᆞ고우편의댱을ᄒᆞᆫ거ᄉᆞᆯ그려대개 령
슈각에젼ᄇᆡᄒᆞ믈표ᄒᆞᆫᄯᅳᆺ이라슬프다이십에 주시믈밧ᄌᆞ와
칠십에니어그리니이엇디몽샹에혜아린배리오ᄯᅩ엇디혜아린(몽샤ᄒᆡ)
배리오갑오ᄅᆞᆯᄯᆞ라ᄉᆡᆼ각ᄒᆞ매미팀이일ᄇᆡᄒᆞ도다뭇ᄌᆞ와ᄀᆞᆯ오
ᄃᆡ대랴은임의듯ᄌᆞᆸ고겸ᄒᆞ여궤댱그린ᄯᅳᆺ을ᄯᅩᄒᆞᆫ듯ᄌᆞ와거
니와날그린ᄯᅳᆺ은ᄯᅩ한엇디잇가답왈이ᄯᅩᄒᆞᆫ깁흔ᄯᅳᆺ이세가
지이시니경년광명뎐 데이실영졍을다시모호올제앙텀
ᄒᆞ오니우ᄒᆡ날그림이잇ᄂᆞᆫ고로이제내감히본밧ᄂᆞ니이ᄒᆞᆫ가지
오년젼의친히일감ᄌᆡᄧᆞ네ᄌᆞᄅᆞᆯᄡᅥ슝문당남편문우ᄒᆡ븟
텻더이이제그우ᄒᆡ잇ᄂᆞᆫᄃᆞᆺᄒᆞᆫᄯᅳᆺ으로ᄡᅥᄌᆞ의ᄅᆞᆯᄎᆔᄒᆞ여그샹을그
리니이두가지오인군이세가지ᄉᆞᄉᆞ업ᄉᆞ믈밧드니날이ᄉᆞᄉᆞ로비최미
업ᄂᆞᆫ디라이제모년의복졍ᄒᆞ야됴셕의ᄌᆞ강ᄒᆞᆯ제ᄅᆞᆯ당ᄒᆞ
야특별이날을화샹우ᄒᆡ그려내ᄆᆞᄋᆞᆷ으로ᄒᆞ여곰그ᄇᆞᆰ은날
ᄀᆞᆺ고져ᄒᆞᄂᆞᆫᄯᅳᆺ이니이세가지라엇디ᄒᆞᆫ갓이ᄲᅮᆫ이리오더옥강개
ᄒᆞ야속에벗친거시이시니(곳)동방유ᄌᆞ의지은바동몽션습가<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d40tyk2slnkc75fwa0vphfo53tnpj5
페이지:어졔경셰문답쇽녹.pdf/43
250
67441
250304
2022-07-27T21:53:34Z
라온수연
1527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온대대명즁쳔네글ᄌᆞ니라뭇ᄂᆞᆫ쟤유유ᄒᆞ거ᄂᆞᆯ그대개ᄅᆞᆯ긔록ᄒᆞ 야내ᄯᅳᆺ을붓티니계미ᄆᆡᆼ츈이러라 뭇ᄌᆞ와ᄀᆞᆯ오ᄃᆡᄌᆞ셩편에강개ᄒᆞ시ᄂᆞᆫ거시므어시니잇고답왈나 의만ᄒᆞᆨ으로ᄡᅥ증젼의닑은배다만외올만ᄒᆞᆯᄯᆞᄅᆞᆷ이오모년 의용ᄒᆞᆨ이글이스ᄉᆞ로글이오내스ᄉᆞ로내니슬프다이펀이엇디ᄒᆞ야 자엇ᄂᆞ뇨스ᄉ...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라온수연" /></noinclude>온대대명즁쳔네글ᄌᆞ니라뭇ᄂᆞᆫ쟤유유ᄒᆞ거ᄂᆞᆯ그대개ᄅᆞᆯ긔록ᄒᆞ
야내ᄯᅳᆺ을붓티니계미ᄆᆡᆼ츈이러라
뭇ᄌᆞ와ᄀᆞᆯ오ᄃᆡᄌᆞ셩편에강개ᄒᆞ시ᄂᆞᆫ거시므어시니잇고답왈나
의만ᄒᆞᆨ으로ᄡᅥ증젼의닑은배다만외올만ᄒᆞᆯᄯᆞᄅᆞᆷ이오모년
의용ᄒᆞᆨ이글이스ᄉᆞ로글이오내스ᄉᆞ로내니슬프다이펀이엇디ᄒᆞ야
자엇ᄂᆞ뇨스ᄉᆞ로긔슐ᄒᆞ야후ᄅᆞᆯ권면ᄒᆞ미라갑ᄌᆞ년의ᄉᆞ마광기
영회고ᄉᆞᄅᆞᆯ인ᄒᆞ야오십일셰예궤댱을 렁슈각의밧ᄌᆞᆸ
고인ᄒᆞ야기샤의드니그(이)ᄯᅢ예뉵십이임의몽샹밧기여든ᄒᆞᄆᆞᆯ며
칠십가후잇ᄒᆡ예이편을슐ᄒᆞ니셔문의엇디압ᄒᆡ댱을
ᄒᆞ고뒤ᄒᆡ궤ᄒᆞ야창안과흰슈염이셕시ᄀᆞᆺ디아니타니ᄅᆞ디아니
하엿ᄂᆞᆫ냐뎡튝이후의기오히려명연ᄒᆞ야뉵십후의ᄯᅩ몃ᄒᆡ
ᄅᆞᆯ디나다시남은ᄯᅳᆺ을가져쇽편을지으니슬프다젼편과쇽편
이ᄯᅳᆺ이ᄯᅩᄒᆞᆫ다ᄅᆞ니엇디오젼편에후ᄅᆞᆯ권면ᄒᆞᆫᄯᅳᆺ이ᄒᆞᆫ갓말노
ᄀᆞᄅᆞ치미되ᄂᆞᆫ고로쇽편의담나스ᄉᆞ로강면ᄒᆞᄂᆞᆫᄯᅳᆺ을뵈니엇디이
제칠슌만날줄을ᄯᅳᆺᄒᆞ여시리오진실로쳔쳔만만혬밧
일이라일로ᄡᅥ보면겨유오십을디나댱과궤ᄅᆞᆯᄒᆞ야늙으믈
일ᄏᆞᄅᆞᆫ글이ᄒᆞᆫ번우ᄉᆞᆷ을ᄭᆡᄃᆞᆺ디못ᄒᆞ리로다그ᄒᆡᄅᆞᆯᄉᆡᆼ각ᄒᆞ
고ᄯᅩ네로드므랃ᄒᆞᄂᆞᆫᄒᆡᄅᆞᆯ만나니열여ᄃᆞᆲ히ᄉᆞ이예무ᄉᆞᆫ일을스ᄉᆞ
로ᄉᆞᆯ펴시미무ᄉᆞᆫ일을스ᄉᆞ로권면ᄒᆞ엿ᄂᆞᆫ고이나의ᄡᅥ강개ᄒᆞᄂᆞᆫ배
니라뭇ᄂᆞᆫ쟤유유ᄒᆞ거ᄂᆞᆯ인ᄒᆞ야이ᄯᅳᆺ으로ᄡᅥ어제듀강에동궁뫼<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k69cydc0wyg0xh0v69fe9apox8dxoo
페이지:숙향전 권상 (서강대 소장본).djvu/44
250
67442
250305
2022-07-27T23:42:51Z
Musma21
1526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이니 동촌 슐 ᄑᆞᄂᆞᆫ 할미ᄅᆞᆯ ᄎᆞ즈면 ᄌᆞ연 알니라 ᄒᆞ고 노ᄉᆡᄅᆞᆯ ᄐᆞ고 가니 이 ᄯᆡᄂᆞᆫ 하ᄉᆞ월이라. 슉향이 누샹의셔 슈ᄅᆞᆯ 놋터니 문득 쳥죄 셕뉴ᄭᅩᆺ츨 물고 낭ᄌᆞ 압희 안젖다가 북 ᄃᆞ히로 나라가긔ᄂᆞᆯ 낭ᄌᆡ 고이히 넉여 쇠가ᄂᆞᆫ 곳을 노랴ᄒᆞ여 쥬렴을 들고 ᄇᆞ라보더니 ᄒᆞᆫ 쇼년이 쇼요관의 쳥포ᄅᆞᆯ 닙고...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usma21" /></noinclude>이니 동촌 슐 ᄑᆞᄂᆞᆫ 할미ᄅᆞᆯ ᄎᆞ즈면 ᄌᆞ연 알니라 ᄒᆞ고 노ᄉᆡᄅᆞᆯ ᄐᆞ고 가니 이 ᄯᆡᄂᆞᆫ 하ᄉᆞ월이라. 슉향이 누샹의셔 슈ᄅᆞᆯ 놋터니 문득 쳥죄 셕뉴ᄭᅩᆺ츨 물고 낭ᄌᆞ 압희 안젖다가 북 ᄃᆞ히로 나라가긔ᄂᆞᆯ 낭ᄌᆡ 고이히 넉여 쇠가ᄂᆞᆫ 곳을 노랴ᄒᆞ여 쥬렴을 들고 ᄇᆞ라보더니 ᄒᆞᆫ 쇼년이 쇼요관의 쳥포ᄅᆞᆯ 닙고 노쇠ᄅᆞᆯ 타고 할미집으로 향ᄒᆞ여 오거ᄂᆞᆯ ᄌᆞ셰히 보니 요지의셔 진쥬집던 션관 ᄀᆞᆺ흔지라 ᄆᆞ음의 반갑고 놀나 쥬렴을 치우고 안졋더니 그 쇼년이 문밧긔 와 쥬인을 ᄎᆞᆺ거ᄂᆞᆯ 할미 나가보니 북촌 니샹셔집 공ᄌᆡ라 □□ 드러가 좌졍 후의 문 왈 공ᄌᆡ 누지의 닐ᄒᆞ시니 감격ᄒᆞ여이다. 니랑 왈 마ᄎᆞᆷ 지나다가 할미집 죠흔 슐을 ᄉᆡᆼ각ᄒᆞ고 왓시니 ᄒᆞᆫ잔 슐을 앗기지 말나. 할미 쇼 왈 ᄂᆡ 집의 슐이 만흐ᄃᆡ 늙으니 벗이 업셔 먹지 못ᄒᆞ더니, 다ᄒᆡᆼ이 공ᄌᆞᄅᆞᆯ 만나시니 슬토록 먹ᄉᆞ이다 ᄒᆞ고 안으로 드러가더니 이윽고 ᄌᆞᄀᆡ반의 오ᄉᆡᆨ졉시 □□□ 노핫시되 인간의셔 못보던 ᄇᆡ라 니랑이 가쟝 의안ᄒᆞ야 슐이 반ᄎᆔ<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f1kkbi5gyeg7n7ox2vm3lyhk33jsd7
페이지:홍백화전 K4-6867-v003.pdf/16
250
67443
250306
2022-07-28T06:25:14Z
222.235.237.140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분류:홍백화전]] {{옛한글 시작}} (24쪽) 상깃거ᄒᆞ더라 순시문왈 이번리오 소셔를 다시보아니 별코져 ᄒᆞ더니 므ᄉᆞᆷ일노 쳔니지 ᄒᆡᆼ을 ᄒᆞ니잇 준치답왈 소녀의 경ᄉᆞ의 간 여도란 아직 날 횔 낭ᄉᆞ의 이ᄒᆡᆼᄎᆡ일뎡근 친만위 ᄒᆞ민가 소졔왈 니 주신 말ᄉᆞᆷ 간듯이라 준치왈 젼일낭ᄌᆞ의 긔를 솔허 ᄒᆞ며 ᄯᅳᆺ을 항 북ᄒᆞ더니 이번 ᄒ...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222.235.237.140" /></noinclude>[[분류:홍백화전]]
{{옛한글 시작}}
(24쪽)
상깃거ᄒᆞ더라 순시문왈 이번리오 소셔를 다시보아니 별코져
ᄒᆞ더니 므ᄉᆞᆷ일노 쳔니지 ᄒᆡᆼ을 ᄒᆞ니잇 준치답왈 소녀의 경ᄉᆞ의 간
여도란 아직 날 횔 낭ᄉᆞ의 이ᄒᆡᆼᄎᆡ일뎡근 친만위 ᄒᆞ민가 소졔왈 니
주신 말ᄉᆞᆷ 간듯이라 준치왈 젼일낭ᄌᆞ의 긔를 솔허 ᄒᆞ며 ᄯᅳᆺ을 항
북ᄒᆞ더니 이번 ᄒᆡᆼᄒᆞ시미 근틴빗다를 연리업ᄂᆞ니잇가 소졔눈 쳡을
ᄧᅵᆼ긜 ᄃᆡ답ᄒᆞᄃᆡ 다ᄅᆞᆯ 일이 업기를 엇지 바라리오이라 쳡의 탈ᄉᆡ라
탄ᄒᆞᆯᄇᆡ 아니나 다만 쳡이 셜낭ᄌᆞ를 더브러 동쳐ᄒᆞ연지반월의 지긔
되여감격 ᄒᆞ미 를 육의 지나더니 이졔보지못ᄒᆞᆯ영 결ᄒᆞ니 종신디
한이 풀닐 ᄂᆞᆯ이 업스리를 로이라 말울니 로며 눈물이 ᄯᅥ러져 ᄋᆡ원ᄒᆞ
미더육아름답더라 준치왈 소셔의 ᄂᆞ을 소ᄉᆡᆼ각ᄒᆞ미 ᄯᅳᆺᄒᆞ 이러ᆞ니 이
소녜엇지를ᄒᆞ야ᄉᆞᄅᆞᆷ
(25쪽)
을 셤기면 ᄒᆞᆫ이 업슬를이라 ᄒᆞ니 낭ᄌᆞ의 셩도이러ᄒᆞ니잇가 소셰탄왈
이셩히낭ᄌᆞ와 쳡의 ᄯᅳᆺ이 ᄒᆞᆫ가지를 원ᄒᆞᄂᆞᆯ ᄇᆡ로ᄃᆡ 팔ᄌᆡ 셜낭ᄌᆞ로더
브러듯지못ᄒᆞ니 ᄲᅳᆺᄎᆞᆯ 의논ᄒᆞᆯ진ᄃᆡ 나라셔 비단 ᄌᆞ뢰의디ᄂᆞᆫ것도 이ᄉᆞᆯ
분듯 즁의 ᄯᅥ러지ᄂᆞᆫ 것도 잇시니 현마엇지 ᄒᆞ리잇가 준치왈 낭자
의 흔 ᄒᆞᄂᆞᆫ 집이 크게 부지ᄒᆞᆫ 어이 분치의 비ᄒᆞ리오 소셔왈
쳡이 복박ᄒᆞ야 그부지를 누리지 못ᄒᆞᆯ가 ᄒᆞ나이다 준치왈 낭자의
ᄯᅳᆺ이 비록 소녀의 ᄯᅳᆺ과 갓ᄒᆞ나 ᄂᆡ ᄉᆡᆼ각ᄒᆞ니 탁분순이 무릇 녀를
ᄂᆞᆸ지 아니ᄒᆞᆯ 윤부닝ᄂᅠ이 형부인을 볼 눈물을 ᄒᆞᆯ니 졍히 인셩
의면티 못ᄒᆞᆫ ᄇᆡ라ᄃᆡ 강인간의 두녀ᄌᆡᄒᆞᄉᆡ를 셥이니 쳐엄의 엇지
질투ᄒᆞ믈 긔약ᄒᆞ야 시리오마ᄂᆞᆫ 국방안ᄒᆡ 협국이 일이 쉽그량 부
의은졍이 골기쉽지아냐 자근환이 큰원치죄여셥친ᄒᆞ듯 못ᄒᆞ<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5354n7z1yjhdlcq32jjv037fxv01ya
페이지:홍백화전 K4-6867-v003.pdf/17
250
67444
250307
2022-07-28T06:55:05Z
222.235.237.140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분류:홍백화전]] {{옛한글 시작}} (26쪽) 더옥 소ᄒᆞᄂᆞ니 셩인이 니를ᄉᆞᄃᆡ 두겨집이 집의잇시면 마ᄋᆞᆷ이 ᄒᆞᆯ가 지 아니라 ᄒᆞ시니 어이 그러디 아니리오 소셰ᄃᆡ왈 지숙의논ᄒᆞ시믄 셰속 부녀의 마암을 곡진히 아를시나 세속의 버셔ᄂᆞᆫ 긔특ᄒᆞ녀ᄌᆞᄂᆞᆯ이우 를 의논치 못ᄒᆞᆯ 거시니 아황녀영이 ᄉᆞᄅᆞᆯ 셔ᄂᆞᆫᄒᆞᆯ가지를...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222.235.237.140" /></noinclude>[[분류:홍백화전]]
{{옛한글 시작}}
(26쪽)
더옥 소ᄒᆞᄂᆞ니 셩인이 니를ᄉᆞᄃᆡ 두겨집이 집의잇시면 마ᄋᆞᆷ이 ᄒᆞᆯ가
지 아니라 ᄒᆞ시니 어이 그러디 아니리오 소셰ᄃᆡ왈 지숙의논ᄒᆞ시믄 셰속
부녀의 마암을 곡진히 아를시나 세속의 버셔ᄂᆞᆫ 긔특ᄒᆞ녀ᄌᆞᄂᆞᆯ이우
를 의논치 못ᄒᆞᆯ 거시니 아황녀영이 ᄉᆞᄅᆞᆯ 셔ᄂᆞᆫᄒᆞᆯ가지를 거물타ᄂᆞᆫ 상을
뫼실ᄉᆞ 후ᄂᆞᆫᄡᅡᆼ을 ᄃᆡ슷풀우ᄒᆡ눈물을 머물으니 어이문준다 이
윤을 더브러 ᄒᆞᆫ가지를 의논ᄒᆞ리잇 준추왈 낭ᄌᆞ 의논이 ᄉᆞᄅᆞᆷ을
ᄒᆞ여ᄅᆞᆷ 마ᄋᆞᆷ을 휜츨이 ᄒᆞᄂᆞᆯ도라 작일의 집이녀아의 ᄉᆞᆯ을와
셔신을 총ᄒᆞᄃᆡ 그가은 ᄃᆡ 낭ᄌᆡ보심죽ᄒᆞᆯ말이 잇시니 낭ᄌᆡ 볼셔 ᄒᆞ시
ᄂᆞ냐 소셰답왈 소셔의 얼골을 맛ᄂᆞ보디 못ᄒᆞ오니 틸격을 보오면
뎌이 위를 ᄒᆞ리로 소이라 준치ᄌᆞ로 소셔텬지를 ᄂᆡ여 소여를 뵈니 그
가온ᄃᆡᄒᆞᄃᆡᄂᆡ이드러 아름츠
(27쪽)
노ᄋᆡᄒᆡᄅᆞᆯ 베ᄌᆞᆯᄶᅵ닷게 ᄒᆞᆯ 황상의 허락ᄒᆞ시믈 어더 순시
의 위ᄐᆡᄒᆞᆫ 거ᄉᆞᆯ 군ᄒᆞᆯ 소셔의 시국ᄒᆞᆫ 위을 일울디라 ᄯᅳᆺ이 잇ᄂᆞᆫ치
원이 맛츰ᄂᆡ닐우 ᄉᆞᄅᆞᆷ의 ᄒᆞᆯ져 ᄒᆞᄂᆞᆫ바를 하ᄂᆞᆯ이 반다시 돗차인
단말이 허언이 아니를 이나이밧근순루의 말심다 졔ᄅᆞᆼ즛중의 머
므ᄂᆞᆯ연 놋를 말ᄒᆞ얏더라 슌시주어번 보ᄃᆡ물나 준수긔
ᄉᆞᆯ오ᄃᆡ 쳡나ᄎᆞᆯ의 텬지ᄀᆞ온ᄃᆡ 비록 사란ᄋᆞᆸ이 군ᄒᆞᆯ셔 ᄒᆞ모 ᄯᅳᆺ이잇
시나어릴 아득ᄒᆞ여 만ᄎᆞᆷ ᄂᆡ 아지못ᄒᆞ니 나ᄋᆞ발키 가라치 몰 바라
ᄂᆞ이라 준치왈 이 말이 실노 낭자긔 하례ᄒᆞ얌직 ᄒᆞ니 낭ᄌᆞᄂᆞᆫ텨안
히안자 ᄌᆞ시드를 소셔 소녜 낭ᄌᆞ의 편지와 글을 볼오멸 ᄒᆞ야 슬프물
이긔지 못ᄒᆞ야 ᄎᆞ계랑을 셥기지 못ᄌᆞᄒᆞ리라 ᄒᆞ야 ᄃᆡ장ᄅᆞᆼ즉
즐뵈와 이리이의 논ᄒᆞ야 만귀비를 다ᄅᆡ여 황상 ᄯᅳᆺ이 임의뎡<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146d8iw9lrys6giviui30bwdesbj6d
페이지:홍백화전 K4-6867-v003.pdf/18
250
67445
250308
2022-07-28T07:22:53Z
222.235.237.140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분류:홍백화전]] {{옛한글 시작}} (28쪽) ᄒᆞ여시니 도쳥의 분부ᄒᆞᄉᆞ믄 블라 ᄎᆞ례디 ᄒᆡᆼᄒᆞᆯ이라 이 아니 하 례ᄒᆞ앰작ᄒᆞ냐 소셰듯기ᄅᆞᆯ ᄎᆡ못ᄒᆞ여 셔눈물이 녜갓더니 냥주의 니 러ᄉᆞ례ᄒᆞ여 닐오ᄃᆡ ᄂᆞᆯ을 나흐니 ᄂᆞᆫ부뫼 오두번 ᄉᆞᆯ오니 ᄂᆞᆫ낭라 소졔라 비록 ᄲᅥ를 마이도 이 은혜감기ᄂᆞᆫ 어렵도로이라 만아지못...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222.235.237.140" /></noinclude>
[[분류:홍백화전]]
{{옛한글 시작}}
(28쪽)
ᄒᆞ여시니 도쳥의 분부ᄒᆞᄉᆞ믄 블라 ᄎᆞ례디 ᄒᆡᆼᄒᆞᆯ이라 이 아니 하
례ᄒᆞ앰작ᄒᆞ냐 소셰듯기ᄅᆞᆯ ᄎᆡ못ᄒᆞ여 셔눈물이 녜갓더니 냥주의 니
러ᄉᆞ례ᄒᆞ여 닐오ᄃᆡ ᄂᆞᆯ을 나흐니 ᄂᆞᆫ부뫼 오두번 ᄉᆞᆯ오니 ᄂᆞᆫ낭라 소졔라
비록 ᄲᅥ를 마이도 이 은혜감기ᄂᆞᆫ 어렵도로이라 만아지못게라 귀비
의 ᄯᅳᆺ이 변치 아니리잇가 준치왈 이ᄂᆞᆫ념 녀업ᄉᆞᆯ 닷ᄒᆞ니 ᄃᆡ장ᄅᆞᆼ주의
귀비다ᄅᆡ미 비록 소녀를 위ᄒᆞ미나 실은 귀비계출셩 져 은말이
니 뎨엇지 돗지 아니ᄒᆞ리오 드ᄃᆡ여 시비를 명ᄒᆞ여 죽찬을 나와 소셔로
더브러 하례ᄒᆞ야 닐오ᄃᆡ 노인이 ᄒᆞᆫ 말이 잇시니 낭ᄌᆡ 능히 드를 시랴 소
졔왈 원컨ᄃᆡ 드러지이라 준치왈 노신이라 만일 녀ᄌᆞ를 두어 ᄌᆡ봉이
겸젼ᄒᆞᆯ 약간 문ᄌᆞ를 아ᄂᆞᆫ디라 노신의 마ᄋᆞᆷ의ᄂᆞᆫ셰상의 업ᄉᆞ 가너기
러니 이셰 낭ᄌᆞ이셜 보결ᄉᆡ를 보오니 경치위슷 로ᄒᆞ야 흐리기ᄂᆞᆫ 녯
(29쪽)
ᄉᆞ람의 니를ᄇᆡ니 이제 소녀의 몸을 ᄡᅧ낭ᄌᆞ긔 기리의탁ᄒᆞᄂᆞ니 믈읫
브족ᄒᆞᆫᄃᆞᆺ을 가를칠 허물을 감초와 기리어진 일을 나ᄐᆡᄂᆡ여 부
가의득최ᄒᆞ믈 업게 ᄒᆞ면 소셔의 은덕이 ᄐᆡ산가ᄉᆞᆯ 노신의 지극 바라ᄂᆞᆫ
ᄇᆡ로소이라 순시니러 소례왈 낭이 오히려 쳡이 ᄎᆡ를 잡노져ᄒᆞᄂᆞᄇᆡ
오 은혜ᄂᆞᆯ ᄲᅧ의 ᄉᆞ긴 ᄇᆡ라 바야흐로 쳡의 몸을 소뎌긔 의탁ᄒᆞ랴 ᄒᆞᆫ옵ᄂᆞ
니 엇지 도로 혀이말을 ᄒᆞ시노니 잇ᄉᆞ 비록 그러나 ᄀᆞᄅᆞᆯ치시믈 ᄉᆞᄉᆡᆼ의 잇지
아니ᄒᆞ리이라 준치 ᄯᅩ한 ᄉᆞ례ᄒᆞᆯ 닐오ᄃᆡ 낭ᄌᆡ셔 울 가노라면 녀가의 일
이 결각이 ᄂᆞᆯ거시니 계쳐 ᄉᆞ부ᄌᆡ 시방셔울 잇슬 소녜 ᄯᅩᄒᆞᆯ 국중의
머므노니 ᄂᆡ 이졔 낭ᄌᆞᄅᆞᆯ 더브러 ᄒᆞᆫ가지를 ᄒᆡᆼᄒᆞ야 경ᄉᆞ의 가계집 인연을
ᄒᆞᆫ번의 닐으리라 이쳐로 니를며 낭인이라 꽤ᄒᆞ믈 이긔지못ᄒᆞ여 ᄒᆞᆸ긔
길을 나ᄃᆡᄅᆞᆼ 중주을 갈소져ᄂᆞᆫ 순ᄅᆞᆼ 집을 가니 부녜오리ᄯᅥ낫<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bmt41mt9xkqc6ii9qm4gb1cdysn4ap
페이지:김진옥전 (덕흥서림, 1916).djvu/4
250
67446
250309
2022-07-28T11:47:15Z
Nangsung
1454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인형이 온젼ᄒᆞ리요 쥬야츅슈ᄒᆞ되 챠텬일월 셩신후토는 잔잉ᄒᆞᆫ김시광을구버살피ᄉᆞ 쳐ᄌᆞ를 만나게ᄒᆞ야 쥬옵소셔. 츅슈ᄒᆞ며 쥭기만 바라더라 ᄎᆞ셜부인은 진옥을 운산화쵸암에 공부ᄒᆞ라 보ᄂᆡ고 승상은 경셩의 가신후로 부인이 가산을 슈습ᄒᆞ여 지ᄂᆡ더니 일일은 잠을깁히 드럿더니 헌화ᄒᆞᄂᆞᆫ 소ᄅᆡ의 놀나ᄭᅵ다르니 창외의화광...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Nangsung" /></noinclude>인형이 온젼ᄒᆞ리요 쥬야츅슈ᄒᆞ되 챠텬일월 셩신후토는 잔잉ᄒᆞᆫ김시광을구버살피ᄉᆞ 쳐ᄌᆞ를 만나게ᄒᆞ야 쥬옵소셔. 츅슈ᄒᆞ며 쥭기만
바라더라 ᄎᆞ셜부인은 진옥을 운산화쵸암에 공부ᄒᆞ라 보ᄂᆡ고 승상은 경셩의 가신후로 부인이 가산을 슈습ᄒᆞ여 지ᄂᆡ더니 일일은
잠을깁히 드럿더니 헌화ᄒᆞᄂᆞᆫ 소ᄅᆡ의 놀나ᄭᅵ다르니 창외의화광이 츙텬ᄒᆞ거ᄂᆞᆯ 살펴보니 갑옷입은 군ᄉᆡ요란이 들네는지라 부인이
졍신을 슈습지못ᄒᆞ고 도젹을피ᄒᆞ야 동북으로 ᄒᆡᆼᄒᆞ여 다라나더니 여러ᄂᆞᆯ만에 불이암이란 졀을ᄎᆞᄌᆞ드러가니 모든녀승이 부인의
긔상을보고 문왈부인은 엇더한 부인이완ᄃᆡ 험ᄒᆞᆫ산노에 누츄ᄒᆞᆫ산ᄉᆞ를 ᄎᆞᄌᆞ오시잇가 부인이 답왈 쳡은쳥쥬ᄯᅡᄒᆡ ᄉᆞ옵더니 불의에
난를당ᄒᆞ여 가군과ᄌᆞ식을 일ᄉᆞᆸ고 모진목숨이 일즉쥭지 못ᄒᆞ고 쵼쵼젼진ᄒᆞ와 이졀을 ᄎᆞᄌᆞ왓ᄂᆞ니다 그즁에노승이 ᄃᆡ답ᄒᆞ되
이번ᄂᆞᆫ즁의 부인과 갓튼이 만ᄉᆞ오나 부인은 신셰가 더욱가긍 ᄒᆞ여이다아즉이 암ᄌᆞ에 계시다가 부인의 조흔ᄯᆡ를 기다리소셔ᄒᆞᆫᄃᆡ
부인이 로승의 말을 듯고 ᄇᆡᄉᆞ왈 도승의 말ᄉᆞᆷ이 그러ᄒᆞ실진ᄃᆡ 머리를 삭발ᄒᆞ고 슬하의 상ᄌᆡ되기<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dqlkqxh5is0eeoceqsyypm6u51xzu1
페이지:숙향전 (덕흥서림, 1915).djvu/101
250
67447
250310
2022-07-28T11:51:28Z
Onecoin2022
1526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가라 불련즉못보리라 상셰왈황ᄐᆡ후 환후듕ᄒᆞ시ᄋᆞᆸ고 신ᄌᆡ군명을지쳬치못ᄒᆞ리 니슈이어더가게ᄒᆞ소셔 션관왈 우리ᄂᆞᆫ약을모로노라 상셰민망ᄒᆞ여ᄒᆞ더니 문득 쳥학탄션관이오며왈 그ᄃᆡᄐᆡ을을맛나구졍을폇ᄂᆞ냐ᄒᆞ고 인ᄒᆞ여공의손을잡고왈 그ᄃᆡ 인간ᄌᆡ미엇더ᄒᆞ며 셜즁ᄆᆡ를맛ᄂᆞ본다공왈 인간고ᄒᆡᆼ헐ᄲᅮᆫ외라 젼...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Onecoin2022" /></noinclude>가라 불련즉못보리라 상셰왈황ᄐᆡ후 환후듕ᄒᆞ시ᄋᆞᆸ고 신ᄌᆡ군명을지쳬치못ᄒᆞ리
니슈이어더가게ᄒᆞ소셔 션관왈 우리ᄂᆞᆫ약을모로노라 상셰민망ᄒᆞ여ᄒᆞ더니 문득
쳥학탄션관이오며왈 그ᄃᆡᄐᆡ을을맛나구졍을폇ᄂᆞ냐ᄒᆞ고 인ᄒᆞ여공의손을잡고왈
그ᄃᆡ 인간ᄌᆡ미엇더ᄒᆞ며 셜즁ᄆᆡ를맛ᄂᆞ본다공왈 인간고ᄒᆡᆼ헐ᄲᅮᆫ외라 젼ᄉᆡᆼ일을
다시보지못ᄒᆞ든 셜즁ᄆᆡ를엇지알니잇고 션관이소왈 텬상일을다 이졋도다ᄒᆞ고
즉시동ᄌᆞ로ᄎᆞ를부어젼ᄒᆞ니 공이바다먹으ᄆᆡ 그졔야ᄌᆞ긔텬상ᄐᆡ을진군으로셔득
죄ᄒᆞᆫ일과 봉ᄂᆡ산의셔 노다가능허션의ᄯᆞᆯ 셜즁ᄆᆡ로부쳐되엿든일이며 믄득션관
이 ᄌᆞ긔슈ᄒᆞ로셔 지ᄂᆡ던ᄇᆡ 어제갓거ᄂᆞᆯ 공이탄왈 ᄂᆡ홀연득죄ᄒᆞ니 여ᄎᆞ고ᄒᆡᆼ이
자심ᄒᆞ거ᄂᆞᆯ 그ᄃᆡ등은다무고ᄒᆞ니 다ᄒᆡᆼᄒᆞ거니와 셜즁ᄆᆡᄂᆞᆫ어ᄃᆡ잇ᄂᆞ뇨 션관왈능
허션부부ᄂᆞᆫ 인간리부상셔김젼이오 셜즁ᄆᆡᄂᆞᆫ양왕의 ᄯᆞᆯ이되엿시니 쟝찻그ᄃᆡ둘
ᄌᆡ부인이되리이다 공이기리한슘지고문왈 능허션셜즁ᄆᆡᄂᆞᆫ 무삼죄로인간에나
려가며쇼아ᄂᆞᆫ김젼읫ᄃᆞᆯ이되고셜즁ᄆᆡᄂᆞᆫ 양왕의ᄯᆞᆯ이되게ᄒᆞ믄 엇지니미잇고 션
관이답왈 능허션부부ᄂᆞᆫ 방장산에구경갓다가 상뎨ᄭᅴ귤진상을 더ᄃᆡᄒᆞᆫ일노 인
간의귀ᄒᆡᆼ가되 그ᄃᆡ젼ᄉᆡᆼ쇼아를위ᄒᆞ야 셜즁ᄆᆡ를흠모ᄒᆞ던줄보고 항상소아를원
망ᄒᆞ더니 젼ᄉᆡᆼ원슈로후ᄉᆡᆼ의 부쳬되여 셔로간쟝을써기게ᄒᆞ고 셜즁ᄆᆡᄂᆞᆫ샹뎨ᄭᅴ<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95omvfvjhxrkdhv9fzlg4lout1j8xa
페이지:화포식언해.pdf/131
250
67448
250311
2022-07-28T11:54:28Z
Honeyb222
14572
/* 교정 안 됨 */ 새 문서: ᄂᆞᆫ다ᄇᆞ리ᄂᆞᆫ고로모쵸ㅣ만일ᄇᆡᆨ근이면계우련쵸셜흔나믄근을엇더니이ᄂᆞᆫ련ᄒᆞᆫ믈이ᄆᆞᆰ아시매가마ᄅᆞᆯ훌터ᄡᅳᄂᆞᆫ고로련쵸ㅣ닐여든근에닐으고그품이빗나고조흐며그셩이강ᄒᆞ고모지러움속의두어십년댱마ᄅᆞᆯ격거도샹ᄒᆞ야축ᄂᆞᆫ환은긋처업스니이거시다ᄌᆡ와아교의공이니라 三煉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Honeyb222" /></noinclude>ᄂᆞᆫ다ᄇᆞ리ᄂᆞᆫ고로모쵸ㅣ만일ᄇᆡᆨ근이면계우련쵸셜흔나믄근을엇더니이ᄂᆞᆫ련ᄒᆞᆫ믈이ᄆᆞᆰ아시매가마ᄅᆞᆯ훌터ᄡᅳᄂᆞᆫ고로련쵸ㅣ닐여든근에닐으고그품이빗나고조흐며그셩이강ᄒᆞ고모지러움속의두어십년댱마ᄅᆞᆯ격거도샹ᄒᆞ야축ᄂᆞᆫ환은긋처업스니이거시다ᄌᆡ와아교의공이니라
三煉<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56ok15jc3mhqid6gnvru8q0ow05w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