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
kowikisource
https://ko.wikisource.org/wiki/%EC%9C%84%ED%82%A4%EB%AC%B8%ED%97%8C:%EB%8C%80%EB%AC%B8
MediaWiki 1.39.0-wmf.23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문헌
위키문헌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저자
저자토론
포털
포털토론
번역
번역토론
페이지
페이지토론
색인
색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소도구
소도구토론
소도구정의
소도구정의토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사회 II·가정/의식주와 생활/식생활/조리법의 종류
0
5926
250679
115906
2022-08-09T17:18:00Z
61.74.223.173
/* 튀기기 */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부제=조리법의 종류
|이전 =
|다음 =
|설명 ='''조리법의 종류''' 분류에는 다음과 같은 세부 분류가 존재한다.
}}
==끓이기==
식품에 물을 가하여 100℃의 온도에서 끓이는 조리 방법이다. 국, 찌개 등을 만들며 가열하는 중에 식품이 익으면서 맛이 든다. 곡류는 물과 함께 가열하면 녹말이 팽창하고 끈기 있는 호화 상태가 되어 맛이 좋고 소화 흡수가 잘 된다. 하지만 채소류는 비타민 C의 손실이 크고 녹색 색소의 변화가 크다.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육류, 생선, 알류는 높은 온도에서 끓이면 단백질이 응고된다.
==데치기==
식품 재료를 끓는 물 속에서 단시간 끓이는 것으로, 식품 조직을 부드럽게 하고, 좋지 않은 맛을 없애 주며, 식품의 색깔을 한층 선명하게 해준다. 시금치·미나리·쑥갓 등의 녹색 채소를 데칠 때에는 충분한 양의 물에 약간의 소금을 넣고 뚜껑을 덮지 않은 채 살짝 데친 다음, 찬물에 헹구어 내면 색깔이 선명하고 영양소의 파괴도 줄일 수 있다. 우엉이나 연근의 떫은 맛을 없애기 위해서는 데칠 때에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리면 효과적이다.
==찌기==
조리할 때 물을 사용하지 않고 가열된 수증기가 식품 재료의 사이 사이로 전해져서 식품이 간접적으로 가열되는 조리법이다. 끓이기에 비해 연료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 영양 손실이 적고 온도의 분포가 고루 되어 식품의 모양이 흩어지지 않는다. 감자·당근·호박 등의 조리에는 적당하나, 녹색 채소나 양배추 종류는 색과 향이 변하기 쉽다.
==조리기==
식품에 양념과 간이 진한 국물을 넣고 가열하여 조리하는 방법으로 갈비찜·닭찜·생선 조림·감자 조림·콩자반 등을 만들 때 이용된다. 불의 조절은 끓을 때까지는 세게 하고, 그 후부터는 약한 불로 한다.
==굽기==
수분을 사용하지 않고 식품에 직접 열을 가하여 식품 자체 내의 수분에 의해 익게 하는 방법으로 직접 구이와 간접 구이가 있다. 직접 구이는 식품을 직접 불에 얹어 놓고 복사열이나 전도열을 이용하여 굽는 방법으로, 육류나 생선 등의 조리에 이용된다. 간접구이는 철판이나 오븐을 일정한 온도로 달군 후 굽는 방법으로, 굽는 동안 표면의 단백질이 응고되어 영양소의 손실이 적은 조리 방법이다.
==튀기기==
튀기기는 맛이 담백한 생선·새우·채소 등에 많이 쓰이는 조리 방법으로 끓는 기름 속에서 식품을 가열하는 방법이다. 식품이 단시간에 처리되므로 영양소의 손실이 적고 독특한 맛과 향기가 있다. 튀김의 온도는 식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개 180℃가 적당하다. 튀김을 할 때에는 식품을 한꺼번에 많이 넣지 말고, 금속으로 된 두꺼운 팬을 사용하며 발연점이 높은 식물성 기름을 쓴다.
==볶기==
불에 달군 프라이팬이나 냄비에 기름을 두르고 식품을 넣어서 가열하면 식품이 볶아지면서 익는 조리법으로, 굽기와 튀기기의 중간 방법이다. 볶는 조리법은 독특한 향기와 고소한 맛이 생기며,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가 좋아진다. 또 200-220℃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단시간 조리하므로 비타민의 손실이 적다.볶을 때 사용하는 기름의 양은 보통 재료의 5-10%가 적당하다. 기름이 적으면 재료가 타기 쉽고, 너무 많으면 음식이 깔끔하지 않으므로 주의한다. 볶아 낸 식품은 시간이 지날수록 수분이 생기게 되므로 가능하면 먹기 직전에 볶는다.
[[분류: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UBPAGENAME}}]]
dh75pmzkwbqcbbo20ibikloe4ob2fu2
위키문헌: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2년 상반기/심사
4
67662
250680
250635
2022-08-10T01:44:35Z
이강철 (WMKR)
11465
wikitext
text/x-wiki
* [[/어제자성편언해 하]]
* [[/화포식언해]]
93jj2djya968c4306wo6iawdq87ht3q
페이지:論語諺解 001.pdf/36
250
67672
250671
2022-08-09T14:50:40Z
Blahhmosh
1301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ruby|子|ᄌᆞ}}{{ruby|張|쟝}}이{{ruby|禄|록}}을{{ruby|干|간}}홈을{{ruby|學|학}}호려ᄒᆞᆫ대 {{ruby|子|ᄌᆞ}}ㅣ{{ruby|曰|왈}}{{ruby|多|다}}{{ruby|聞|문}}{{ruby|闕|궐}}{{ruby|疑|이}}{{*|오}}{{ruby|慎|신}}{{ruby|言|언}}{{ruby|其|기}}{{ruby|餘|여}}{{ruby|則|즉}}{{ruby|寡|과}}{{ruby|尤|우}}ㅣ{{*|며}}{{ruby|多|다}}{{ruby|見|견}}{{ruby|闕|궐}}{{ruby|殆|ᄐᆡ}}{{*|오}}{{ruby|慎|신}}{{ruby|行|ᄒᆡᆼ}}{{ruby|其|기}}{{r...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lahhmosh" /></noinclude>{{ruby|子|ᄌᆞ}}{{ruby|張|쟝}}이{{ruby|禄|록}}을{{ruby|干|간}}홈을{{ruby|學|학}}호려ᄒᆞᆫ대
{{ruby|子|ᄌᆞ}}ㅣ{{ruby|曰|왈}}{{ruby|多|다}}{{ruby|聞|문}}{{ruby|闕|궐}}{{ruby|疑|이}}{{*|오}}{{ruby|慎|신}}{{ruby|言|언}}{{ruby|其|기}}{{ruby|餘|여}}{{ruby|則|즉}}{{ruby|寡|과}}{{ruby|尤|우}}ㅣ{{*|며}}{{ruby|多|다}}{{ruby|見|견}}{{ruby|闕|궐}}{{ruby|殆|ᄐᆡ}}{{*|오}}{{ruby|慎|신}}{{ruby|行|ᄒᆡᆼ}}{{ruby|其|기}}{{ruby|餘|여}}{{ruby|則|즉}}{{ruby|寡|과}}{{ruby|悔|회}}{{*|니}}{{ruby|言|언}}{{ruby|寡|과}}{{ruby|尤|우}}{{*|ᄒᆞ며}}{{ruby|行|ᄒᆡᆼ}}{{ruby|寡|과}}{{ruby|悔|회}}{{*|면}}{{ruby|禄|록}}{{ruby|在|ᄌᆡ}}{{ruby|其|기}}{{ruby|中|즁}}{{ruby|矣|의}}{{*|니라}}
{{ruby|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해드러{{ruby|疑|이}}를{{ruby|闕|궐}}ᄒᆞ고그남으니를삼가니르면허믈이젹으며해보와{{ruby|殆|ᄐᆡ}}를{{ruby|闕|궐}}ᄒᆞ고그남으니를<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hhibdhjlc07xdfjfi6zaxzx056qz06
페이지:論語諺解 001.pdf/37
250
67673
250672
2022-08-09T15:52:16Z
Blahhmosh
1301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삼가{{ruby|行|ᄒᆡᆼ}}ᄒᆞ면뉘웃브미젹ᄂᆞ니{{ruby|言|언}}이허믈이젹으며{{ruby|行|ᄒᆡᆼ}}이뉘웃브미젹으면{{ruby|禄|록}}이그가온대인ᄂᆞ니라 ○{{ruby|哀|ᄋᆡ}}{{ruby|公|공}}{{*|이}}{{ruby|問|문}}{{ruby|曰|왈}}{{ruby|何|하}}{{ruby|為|위}}{{ruby|則|즉}}{{ruby|民|민}}{{ruby|服|복}}{{*|이니잇고}}{{ruby|孔|공}}{{ruby|子|ᄌᆞ}}ㅣ{{ruby|對|ᄃᆡ}}{{ruby|曰|왈}}{{ruby|舉|거}}{{ruby|直|직}}{{ruby|...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lahhmosh" /></noinclude>삼가{{ruby|行|ᄒᆡᆼ}}ᄒᆞ면뉘웃브미젹ᄂᆞ니{{ruby|言|언}}이허믈이젹으며{{ruby|行|ᄒᆡᆼ}}이뉘웃브미젹으면{{ruby|禄|록}}이그가온대인ᄂᆞ니라
○{{ruby|哀|ᄋᆡ}}{{ruby|公|공}}{{*|이}}{{ruby|問|문}}{{ruby|曰|왈}}{{ruby|何|하}}{{ruby|為|위}}{{ruby|則|즉}}{{ruby|民|민}}{{ruby|服|복}}{{*|이니잇고}}{{ruby|孔|공}}{{ruby|子|ᄌᆞ}}ㅣ{{ruby|對|ᄃᆡ}}{{ruby|曰|왈}}{{ruby|舉|거}}{{ruby|直|직}}{{ruby|錯|조}}{{ruby|諸|져}}{{ruby|枉|왕}}{{ruby|則|즉}}{{ruby|民|민}}{{ruby|服|복}}{{*|ᄒᆞ고}}{{ruby|舉|거}}{{ruby|枉|왕}}{{ruby|錯|조}}{{ruby|諸|져}}{{ruby|直|직}}{{ruby|則|즉}}{{ruby|民|민}}{{ruby|不|블}}{{ruby|服|복}}{{*|이니이다}}
{{ruby|哀|ᄋᆡ}}{{ruby|公|공}}이묻ᄌᆞ와ᄀᆞᆯᄋᆞ샤ᄃᆡ엇디ᄒᆞ면{{ruby|民|민}}이{{ruby|服|복}}ᄒᆞᄂᆞ니잇고{{ruby|孔|공}}{{ruby|子|ᄌᆞ}}ㅣ{{ruby|對|ᄃᆡ}}ᄒᆞ야ᄀᆞᆯᄋᆞ샤ᄋᆡ{{ruby|直|직}}을{{ruby|舉|거}}ᄒᆞ고모ᄃᆞᆫ<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vk0621ncs28cr2af1bifinscy7n3of
페이지:論語諺解 001.pdf/38
250
67674
250673
2022-08-09T16:11:49Z
Blahhmosh
1301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ruby|枉|왕}}을{{ruby|錯|조}}ᄒᆞ면{{ruby|民|민}}이{{ruby|服|복}}ᄒᆞ고{{ruby|枉|왕}}을{{ruby|舉|거}}ᄒᆞ고모ᄃᆞᆫ{{ruby|直|직}}을{{ruby|錯|조}}ᄒᆞ면{{ruby|民|민}}이{{ruby|服|복}}디아니ᄒᆞᄂᆞ니이다 {{ruby|季|계}}{{ruby|康|강}}{{ruby|子|ᄌᆞ}}ㅣ{{ruby|問|문}}{{ruby|使|ᄉᆞ}}{{ruby|民|민}}{{ruby|敬|경}}{{ruby|忠|츙}}{{ruby|以|이}}{{ruby|勸|권}}{{*|호ᄃᆡ}}{{ruby|如|여}}{{ruby|之|지}}{{ruby|何|...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lahhmosh" /></noinclude>{{ruby|枉|왕}}을{{ruby|錯|조}}ᄒᆞ면{{ruby|民|민}}이{{ruby|服|복}}ᄒᆞ고{{ruby|枉|왕}}을{{ruby|舉|거}}ᄒᆞ고모ᄃᆞᆫ{{ruby|直|직}}을{{ruby|錯|조}}ᄒᆞ면{{ruby|民|민}}이{{ruby|服|복}}디아니ᄒᆞᄂᆞ니이다
{{ruby|季|계}}{{ruby|康|강}}{{ruby|子|ᄌᆞ}}ㅣ{{ruby|問|문}}{{ruby|使|ᄉᆞ}}{{ruby|民|민}}{{ruby|敬|경}}{{ruby|忠|츙}}{{ruby|以|이}}{{ruby|勸|권}}{{*|호ᄃᆡ}}{{ruby|如|여}}{{ruby|之|지}}{{ruby|何|하}}ㅣ{{*|리잇고}}{{ruby|子|ᄌᆞ}}ㅣ{{ruby|曰|왈}}{{ruby|臨|림}}{{ruby|之|지}}{{ruby|以|이}}{{ruby|莊|장}}{{ruby|則|즉}}{{ruby|敬|경}}{{*|ᄒᆞ고}}{{ruby|孝|효}}{{ruby|慈|ᄌᆞ}}{{*|ᄒᆞ고}}{{ruby|則|즉}}{{ruby|忠|츙}}{{ruby|舉|거}}{{ruby|善|션}}{{ruby|而|이}}{{ruby|教|교}}{{ruby|不|블}}{{ruby|能|능}}{{ruby|則|즉}}{{ruby|勸|권}}{{*|이니라}}
{{ruby|季|계}}{{ruby|康|강}}{{ruby|子|ᄌᆞ}}ㅣ묻ᄌᆞ오ᄃᆡ{{ruby|民|민}}으로ᄒᆞ여곰{{ruby|敬|경}}ᄒᆞ며{{ruby|忠|츙}}ᄒᆞ며ᄡᅥ{{ruby|勸|권}}케호ᄃᆡ<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dzawybxbsqdx2a9z5xs0came2tad8w
페이지:論語諺解 001.pdf/39
250
67675
250674
2022-08-09T16:26:52Z
Blahhmosh
1301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엇띠ᄒᆞ리잇고{{ruby|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ruby|臨|림}}호ᄃᆡ{{ruby|莊|장}}으로ᄡᅥᄒᆞ면{{ruby|敬|경}}ᄒᆞ고{{ruby|孝|효}}ᄒᆞ며{{ruby|慈|ᄌᆞ}}ᄒᆞ면{{ruby|忠|츙}}ᄒᆞ고{{ruby|善|션}}을{{ruby|舉|거}}ᄒᆞ고{{ruby|能|능}}티몯ᄒᆞᄂᆞᆫ이를ᄀᆞᄅᆞ치면{{ruby|勸|권}}ᄒᆞᄂᆞ니라 ○{{ruby|或|혹}}{{*|이}}{{ruby|謂|위}}{{ruby|孔|공}}{{ruby|子|ᄌᆞ}}{{ruby|曰|왈}}{{*|ᄂᆞᆫ}}...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lahhmosh" /></noinclude>엇띠ᄒᆞ리잇고{{ruby|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ruby|臨|림}}호ᄃᆡ{{ruby|莊|장}}으로ᄡᅥᄒᆞ면{{ruby|敬|경}}ᄒᆞ고{{ruby|孝|효}}ᄒᆞ며{{ruby|慈|ᄌᆞ}}ᄒᆞ면{{ruby|忠|츙}}ᄒᆞ고{{ruby|善|션}}을{{ruby|舉|거}}ᄒᆞ고{{ruby|能|능}}티몯ᄒᆞᄂᆞᆫ이를ᄀᆞᄅᆞ치면{{ruby|勸|권}}ᄒᆞᄂᆞ니라
○{{ruby|或|혹}}{{*|이}}{{ruby|謂|위}}{{ruby|孔|공}}{{ruby|子|ᄌᆞ}}{{ruby|曰|왈}}{{*|ᄂᆞᆫ}}{{ruby|奚|ᄒᆡ}}{{ruby|不|블}}{{ruby|為|위}}{{ruby|政|졍}}{{*|이시니잇고}}
{{ruby|或|혹}}이{{ruby|孔|공}}{{ruby|子|ᄌᆞ}}ㅅᄭᅴ닐어ᄃᆡ{{ruby|子|ᄌᆞ}}ᄂᆞᆫ엇디{{ruby|政|졍}}을ᄒᆞ디아니ᄒᆞ시ᄂᆞ니잇고
{{ruby|子|ᄌᆞ}}ㅣ{{ruby|曰|왈}}{{ruby|書|셔}}{{ruby|云|운}}{{ruby|孝|효}}{{ruby|乎|호}}{{ruby|惟|유}}{{ruby|孝|효}}<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si4np4mjv2hflzwf1w49jlge66s73v
250675
250674
2022-08-09T16:27:43Z
Blahhmosh
1301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lahhmosh" /></noinclude>엇띠ᄒᆞ리잇고{{ruby|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ruby|臨|림}}호ᄃᆡ{{ruby|莊|장}}으로ᄡᅥᄒᆞ면{{ruby|敬|경}}ᄒᆞ고{{ruby|孝|효}}ᄒᆞ며{{ruby|慈|ᄌᆞ}}ᄒᆞ면{{ruby|忠|츙}}ᄒᆞ고{{ruby|善|션}}을{{ruby|舉|거}}ᄒᆞ고{{ruby|能|능}}티몯ᄒᆞᄂᆞᆫ이를ᄀᆞᄅᆞ치면{{ruby|勸|권}}ᄒᆞᄂᆞ니라
○{{ruby|或|혹}}{{*|이}}{{ruby|謂|위}}{{ruby|孔|공}}{{ruby|子|ᄌᆞ}}{{ruby|曰|왈}}{{*|ᄂᆞᆫ}}{{ruby|奚|ᄒᆡ}}{{ruby|不|블}}{{ruby|為|위}}{{ruby|政|졍}}{{*|이시니잇고}}
{{ruby|或|혹}}이{{ruby|孔|공}}{{ruby|子|ᄌᆞ}}ㅅᄭᅴ닐어ᄃᆡ{{ruby|子|ᄌᆞ}}ᄂᆞᆫ엇디{{ruby|政|졍}}을ᄒᆞ디아니ᄒᆞ시ᄂᆞ니잇고
{{ruby|子|ᄌᆞ}}ㅣ{{ruby|曰|왈}}{{ruby|書|셔}}{{ruby|云|운}}{{ruby|孝|효}}{{ruby|乎|호}}{{*|ᅵᆫ뎌}}{{ruby|惟|유}}{{ruby|孝|효}}<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az5fb3reonb8edviirqbioqn3nvz0w
페이지:論語諺解 001.pdf/40
250
67676
250676
2022-08-09T16:57:00Z
Blahhmosh
1301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ᄒᆞ며}}{{ruby|友|우}}{{ruby|于|우}}{{ruby|兄|형}}{{ruby|弟|뎨}}{{*|ᄒᆞ야}}{{ruby|施|시}}{{ruby|於|어}}{{ruby|有|유}}{{ruby|政|졍}}{{*|이라ᄒᆞ니}}{{ruby|是|시}}{{ruby|亦|역}}{{ruby|為|위}}{{ruby|政|졍}}{{*|이니}}{{ruby|奚|ᄒᆡ}}{{ruby|其|기}}{{ruby|為|위}}{{ruby|為|위}}{{ruby|政|졍}}{{*|이리오}} {{ruby|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ruby|書|셔}}애{{ruby|孝|효}}를닐런ᄂᆞᆫ뎌{{ruby|孝|효}}ᄒᆞ며{...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lahhmosh" /></noinclude>{{*|ᄒᆞ며}}{{ruby|友|우}}{{ruby|于|우}}{{ruby|兄|형}}{{ruby|弟|뎨}}{{*|ᄒᆞ야}}{{ruby|施|시}}{{ruby|於|어}}{{ruby|有|유}}{{ruby|政|졍}}{{*|이라ᄒᆞ니}}{{ruby|是|시}}{{ruby|亦|역}}{{ruby|為|위}}{{ruby|政|졍}}{{*|이니}}{{ruby|奚|ᄒᆡ}}{{ruby|其|기}}{{ruby|為|위}}{{ruby|為|위}}{{ruby|政|졍}}{{*|이리오}}
{{ruby|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ruby|書|셔}}애{{ruby|孝|효}}를닐런ᄂᆞᆫ뎌{{ruby|孝|효}}ᄒᆞ며{{ruby|兄|형}}{{ruby|弟|뎨}}예{{ruby|友|우}}ᄒᆞ야{{ruby|政|졍}}에베프다ᄒᆞ니이ᄯᅩᄒᆞᆫ{{ruby|政|졍}}을홈이니엇디ᄒᆞ야아그{{ruby|政|졍}}을ᄒᆞ다ᄒᆞ리오
○{{ruby|子|ᄌᆞ}}ㅣ{{ruby|曰|왈}}{{ruby|人|인}}{{ruby|而|이}}{{ruby|無|무}}{{ruby|信|신}}{{*|이면}}{{ruby|不|블}}{{ruby|知|지}}{{ruby|其|기}}{{ruby|可|가}}{{ruby|也|야}}{{*|케라}}{{ruby|大|대}}{{ruby|車|거}}ㅣ{{ruby|無|무}}{{ruby|輗|예}}{{*|ᄒᆞ며}}{{ruby|小|쇼}}{{ruby|車|거}}ㅣ{{ruby|無|무}}{{ruby|軏|월}}{{*|이면}}{{ruby|其|기}}{{ruby|何|하}}{{ruby|以|이}}<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ax1icnd1n49b9itjw1u85k4eb6um5o
륜어언해
0
67677
250677
2022-08-09T16:59:14Z
Blahhmosh
13019
[[윤어언해]] 문서로 넘겨주기
wikitext
text/x-wiki
#redirect[[윤어언해]]
8o2zezi6g2ruj1ueqz1dhm68zqys1i2
토론:논어언해
1
67678
250678
2022-08-09T17:00:51Z
Blahhmosh
13019
/* 디지털원문 */ 새 문단
wikitext
text/x-wiki
== 디지털원문 ==
https://akorn.bab2min.pe.kr/doc/27?p=2 [[사용자:Blahhmosh|Blahhmosh]] ([[사용자토론:Blahhmosh|토론]]) 2022년 8월 10일 (수) 02:00 (KST)
g8qv31pkpkyk1vbhj4czcq0csdp1th8
위키문헌: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2년 상반기/심사/화포식언해
4
67679
250681
2022-08-10T02:01:54Z
이강철 (WMKR)
11465
[[고유링크/248631|화포식언해/3]]
wikitext
text/x-wiki
火화砲포式식諺解ᄒᆡ
凡범銃츙筒통장藥약時시예先션將쟝藥약線션ᄒᆞ야依의橫횡看간分분數수裁ᅐᆡ折졀ᄒᆞ야半반入입穴혈內ᄂᆡᄒᆞ고半반出츌穴혈外외ᄒᆞ야蟠반屈굴付부紙지ᄒᆞ고次ᄎᆞ納납火화藥약호ᄃᆡ用용箭젼則즉檄격木이오用용丸환則즉土토隔격ᄒᆞ야皆ᄀᆡ以이鐵텰鎚튜鐡텰釘뎡으로擣드下하到도底뎌ᄒᆞㅛ臨림放방에去거紙지燃연線션ᄒᆞ리檄격木목則즉用용二이年년木목호ᄃᆡ務무合합筒통穴혈ᄒᆞ고長댱短단分분寸촌을用용周쥬尺쳑ᄒᆞ고土토隔격을亦역隨슈
8ci78egluiub2ng7w62x5wzk33caj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