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배움터
kowikiversity
https://ko.wikiversity.org/wiki/%EC%9C%84%ED%82%A4%EB%B0%B0%EC%9B%80%ED%84%B0:%EB%8C%80%EB%AC%B8
MediaWiki 1.39.0-wmf.23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배움터
위키배움터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포털
포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소도구
소도구토론
소도구정의
소도구정의토론
어원/바디
0
2941
34804
13285
2022-08-17T04:47:40Z
Kwamikagami
3636
wikitext
text/x-wiki
<noinclude><table cellpadding=0 cellspacing=0 width=100%><tr valign=top><td><div style="height:600px; overflow:auto; padding-right:10px;"></noinclude>
== 바디 ==
{| class=wikitable
| <onlyinclude>{{#ifeq:{{{1|어원사전}}}|어원사전|
'''바디''' [명] (筬)
: 바디는 베틀, 자리틀, 가마니틀에서 씨줄과 날줄을 짜는데 쓰이는 도구다. ¶ <i>브듸</i>(筬)<字會中18>. ‘<i>브듸</i>’는 <i>브</i>와 <i>듸</i>의 합성어다. ‘<i>듸</i>’는 ‘<i>드</i>이’가 줄어든 것이다. <i>듣</i> > <i>들</i> > <i>들</i>이 > <i>듸</i>의 변화다. 바디는 그 재료가 나무(木材)이고 특히 대(竹)가 사용된다. ‘<i>듣</i>(<i>들</i>)’은 대(竹)의 조어형 ‘닫’과 동원어(同源語)일 것이다. <i>브듸</i>의 ‘<i>브</i>’는 <i>븓</i>><i>블</i>><i>브</i>의 변화다. 이 어원도 나무의 본뜻을 지닌다. hasi(橋)⟨日⟩, hayasi(林)⟨日⟩. hayasi(林)는 harasi, parasi 로 소급되며 어근은 par(par)이다. 나무의 본뜻을 지니고 있다. <ref>서정범 (2001). 국어어원사전. p. 281-2. </ref> }}</onlyinclude>
|}
=== 비교 ===
{{:어원/받다|비교}}
<noinclude></div><td width=40% bgcolor=#f7f7f7>
<div style="height:600px; overflow:auto;"><small>
<inputbox>
type=create
width=20
prefix=어원/
preload=어원/01
</inputbox>
; 주석
<references group=n />
; 각주
<references /></small></div></table> [[분류:어원|바디]]
<!--onlyinclude>{{#ifeq:{{{1| }}}| | }}</onlyinclude> ref group=c name= br class=wikitable div align=right subp Wikipedia Wiktionary --></noinclude>
gteldx1n2pwtk4wcphwzncqurnlk8pa
어원/바라지
0
2942
34803
13282
2022-08-17T04:44:18Z
Kwamikagami
3636
wikitext
text/x-wiki
<noinclude><table cellpadding=0 cellspacing=0 width=100%><tr valign=top><td><div style="height:600px; overflow:auto; padding-right:10px;"></noinclude>
== 바라지 ==
{| class=wikitable
| <onlyinclude>{{#ifeq:{{{1|어원사전}}}|어원사전|
'''바라지''' [명] (施, 昭料, 昭管)
: 바라지는 일을 돌보아 주는 것으로, 입을 것이나 먹을 것을 대어주는 일이다. 바라지는 원래 불교용어다. 절에서 영혼을 위하여 시식(施食)할 때에 시식법사가 앉아 송(頌)한 경문을 읽으면 옆에서 그 다음의 송구를 받아읽는 사람 또는 그 시식을 거두어 주는 사람을 바라지라고 했다. 뒷바라지, 삼바라지가 있다. ¶ 들 바라지 點心 <i>흐</i>소⟨農月⟩. <ref>서정범 (2001). 국어어원사전. p. 282. </ref> }}</onlyinclude>
|}
=== 비교 ===
{{:어원/받다|비교}}
<noinclude></div><td width=40% bgcolor=#f7f7f7>
<div style="height:600px; overflow:auto;"><small>
<inputbox>
type=create
width=20
prefix=어원/
preload=어원/01
</inputbox>
; 주석
<references group=n />
; 각주
<references /></small></div></table> [[분류:어원|바라지]]
<!--onlyinclude>{{#ifeq:{{{1| }}}| | }}</onlyinclude> ref group=c name= br class=wikitable div align=right subp Wikipedia Wiktionary --></noinclude>
grulgvaqbn49ix6q9u1w3v7i10nvo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