ㄹ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ㄹ(리을)은 한글의 닿소리 중 넷째 글자이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모음과 모음 사이에선 치조 탄설음[ɾ], 음절 마지막에는 권설 설측음[ɭ]으로 소리난다. ㅣ나 ㅑ, ㅒ, ㅕ, ㅖ, ㅛ, ㅠ 앞에서는 경구개 설측음[ʎ]으로 구개음화한다.
일제 시대 이후 대한민국에는 두음 법칙이라 하여 낱말 맨 앞의 ㄹ이 ㄴ, ㅇ으로 바뀌었다. 북조선은 그런 변화를 겪지 않았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ㄹ이 나타내는 소리는 반혓소리이며, 그 제자 원리는 혀 모습을 본뜬 것이나 그 모양을 달리 해서 획을 더한 뜻은 없다고 했다. 훈몽자회에서 리을(梨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어간이 ㄹ로 끝나는 동사는 모두 ㄹ 불규칙 활용을 한다.
- 갈다 → 갈아, 가니, 가오
- 거칠다 → 거칠어, 거치니, 거치오
- 날다 → 날아, 나니, 나오
- 놀다 → 놀아, 노니, 노오
- 살다 → 살아, 사니, 사오
- 어질다 → 어질어, 어지니, 어지오
- 줄다 → 줄어, 주니, 주오
‘으로’는 받침 있는 체언에 붙이는 격 조사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에는 붙지 못하고 대신 ‘로’가 붙는다.
- 돌+(으)로 → 돌로
- 말+(으)로 → 말로
- 발+(으)로 → 발로
종류 | 글자 | 유니코드 | HTML | ||
---|---|---|---|---|---|
한글 호환 자모 | ㄹ | U+3139 | ㄥ |
||
한글 자모 영역 |
첫소리 | ᄅ | ᄅᅠ | U+1105 | ᄅ |
끝소리 | ᆯ | ᅟᅠᆯ | U+11AF | ᆯ |
|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
첫소리 | | | U+F798 |  |
끝소리 | | | U+F88B |  |
|
반각 | ᄅ | U+FFA9 | ᄅ |
한글 낱자 | |
---|---|
현대 한글: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옛한글: | ㅿ | ㆁ | ㆆ | 치두음과 정치음(ᄼ·ᄽ·ᄾ·ᄿ·ᅎ·ᅏ·ᅐ·ᅑ·ᅔ·ᅕ) ㆍ 방점(ᅟ〮·ᅟ〯) |
한글 겹낱자 | 한글 낱자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