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電鐵 1號線)은 수도권 전철의 노선중 하나이다.

전체 노선 중 청량리~서울역 구간은 서울메트로가 운영하고 있고 그 외의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첫 번째 1기 지하철 노선으로, 최초의 도심 입체 교통망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청량리~서울역 구간의 2005년 일평균 승차인원은 약 31만 8천명이며 하차인원은 약 30만 9천명이다. [1]

목차

[편집] 역사

[편집] 급행 열차

한국철도공사는 1호선의 노선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중거리 승객의 효율적인 수송을 위하여 급행 열차를 운행중이다. 급행 열차의 요금은 모든 역을 정차하는 일반 열차와 같다.

[편집] 용산-동인천 급행

용산역에서 동인천역까지 매일 운행하는 급행 열차이다. 용산역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동인천급행, 용산급행으로 표시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용산-노량진-대방-신길-영등포-신도림-구로-역곡-부천-송내-부평-동암-주안-동인천

[편집] 용산-천안 급행

용산역에서 천안역까지 운행하는 급행 열차이다. 매일 서울-용산급행이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 운행하며 용산역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천안급행, 용산급행으로 표시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용산-노량진-대방-신길-영등포-신도림-구로-가산디지털단지-안양-수원-병점-오산-서정리-평택-성환-두정-천안

[편집] 서울-천안 급행

월요일에서 토요일까지,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되는 급행 열차이다.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하는 지하철 서울역의 지상 승강장에서 타고 내리며 1호선 서울역 1번 출구로 드나들 수 있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천안급행, 용산급행으로 표시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서울-시흥-안양-군포-의왕-성균관대-수원-병점-오산-서정리-평택-성환-두정-천안

[편집] 운영

  • 회사 : 한국철도공사 (인천/천안-남영, 회기-의정부북부), 서울메트로 (서울역-청량리)
  • 송전 방식 : 직류 1500볼트, 교류 25000볼트
  • 궤간 : 표준궤
  • 통행 방향 : 좌측 통행
  • 신호 체계 : ATS (Automatic Train Stop)

[편집]

  1. 2005년 수송실적

[편집] 같이 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지하구간: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경부선: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경인선: (남영역부터 구로까지 경부선과 동일)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