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음 위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음 위치
입술소리
양순음
순치음
혀끝소리
설순음
치음
치간음
치조음
설첨음
설단음
치조후음
치조구개음
권설음
혓바닥소리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목구멍소리
인두음
후두개음
성문음
조음 방법
틀 편집

조음 위치는 사람이 닿소리를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고 소리가 만들이지는 부분이다. 조음기관 중 위턱 부분에서 이름을 짓는데 권설음은 혀 모양에 유래된다.

조음 기관은 위턱에는 윗입술(상순), 윗니(상치), 윗잇몸(치조; 치경), 센입천장(경구개), 여린입천장(연구개), 목젖(구개수), 인두벽으로 구성된고 아랫턱이 아랫입술(하순), 혀끝(설첨), 혓날(설단), 앞혓바닥(전설면), 뒷혓바닥(후설면), 혀뿌리(설근)가 있다. 그리고 후두에는 목청(성대)이 2개 있다.

1/2 - 입술, 3 - 이, 4 - 잇몸, 5 - 잇몸 뒤쪽, 6 - 센입천장 앞쪽, 7 - 센입천장, 8 - 여린입천장, 9 - 목젖, 10 - 인두 벽, 11 - 목청, 12 - 회염, 13 - 혀뿌리, 14 - 뒷혓바닥, 15 - 앞혓바닥, 16 - 혓날, 17 - 혀끝, 18 - 혓날 뒷면
실제 크기로
1/2 - 입술, 3 - 이, 4 - 잇몸, 5 - 잇몸 뒤쪽, 6 - 센입천장 앞쪽, 7 - 센입천장, 8 - 여린입천장, 9 - 목젖, 10 - 인두 벽, 11 - 목청, 12 - 회염, 13 - 혀뿌리, 14 - 뒷혓바닥, 15 - 앞혓바닥, 16 - 혓날, 17 - 혀끝, 18 - 혓날 뒷면
  • 양순음 - 두 입술 사이
  • 순치음 - 아랫입술과 윗니 사이
  • 설순음 - 혀끝과 윗입술 사이. [ ̼]로 표시한다.
  • 치음(치간음) - 혀끝 또는 혓날과 윗니 사이
  • 치조음(치경음) - 혓날과 윗잇몸 사이
  • 치조후음(후부치경음) - 혓날과 윗잇몸 뒷쪽 사이
  • 권설음(반전음) - 뒤로 구부린 혀의 혀끝 또는 혓날 이면과 센입천장 사이
  • 치조구개음(경구개치경음) - 혓날과 윗잇몸 사이에서 조음하면서 혓바닥 전체가 경구개를 향해 올라간 넓은 범위.
  • 경구개음 - 앞혓바닥과 경구개(센입천장) 사이
  • 연구개음 - 뒷혓바닥과 연구개(여린입천장) 사이
  • 구개수음 - 뒷혓바닥과 목젖 사이
  • 비음 - 입천장을 낮춰서 코에서 소리가 나는 것. 위 모든 조음 위치에서 가능하다.엄밀히 말해서 조음 위치이지만 편의상 조음 방법으로 분류한다.

다음은 비음화가 불가능한 조음 위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