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조선국가애국가(愛國歌)이다. 아침은 빛나라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편집] 역사

1945년 독립 이후 안익태가 작곡한 애국가조선반도에 널리 퍼졌지만, 북조선은 자신의 체제에 맞게 국가를 따로 만들었다.

작사자 박세영은 일제시대에 KAPF 활동을 하였으며, 당대의 저항 시인으로 이름이 높았다. 광복 후 북으로 건너가 북조선의 국가를 비롯하여 북조선을 찬양하는 시를 여러 편 지었다. 작곡자 김원균김일성장군의 노래를 작곡한 북조선의 대표적인 음악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는 2006년 평양음악대학의 이름을 김원균평양음악대학으로 개칭하였다.

4/4박자, 내림 나 장조로 ‘약간 느리고 장중하게’ 부른다. ‘찬란한 문화로 자라난’부터 ‘길이 받드세’ 까지는 본래 한 번만 부르도록 되어 있었으나, 김일성이 이 노래를 듣고 "우리 나라는 찬란한 문화로 자라난 유구한 역사를 가진 나라인데 어떻게 한 번만 부를 수 있겠는가?"라고 하면서 두 번 반복해 부를 것을 제안해 지금과 같은 형태로 곡이 수정되었다.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때 북조선이 처음으로 이 공식 국가의 자격으로 참가하면서 국기 게양식 때 최초로 남조선에서 비공식적으로 이 곡이 연주되었다.

[편집] 가사

1절
아침은 빛나라 이 강산
은금에 자원도 가득한
삼천리 아름다운 내 조국
반만년 오랜 역사에
찬란한 문화로 자라난
슬기론 인민의 이 영광
몸과 맘 다 바쳐 이 조선
길이 받드세

2절
백두산 기상을 다 안고
근로의 정신은 깃들어
진리로 뭉쳐진 억센 뜻
온 세계 앞서 나가리
솟는 힘 노도도 내밀어
인민의 뜻으로 선 나라
한없이 부강하는 이 조선
길이 빛내세

[편집] 바깥 고리

아래 링크 중에는 대한민국에서 접속을 금지하는 사이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링크는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지만, 위키백과는 이러한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