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삭제 토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삭제 토론
 2006년 11월 
새로운 삭제 토론 올리기
새로 고침
보존문서

문서와 그림의 삭제는 삭제 정책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백과사전 항목으로 적당하지 않거나,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서가 있으면 이 곳에 올려주세요. 왜 지워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도 간략히 써 주시기 바랍니다. 제출은 누구든지 할 수 있습니다.

  • 삭제 토론에 참여할 때에는 {{삭제}}, {{유지}}, {{의견}} 등의 틀을 앞에 붙여주세요. IP 사용자는 투표를 할 수 없습니다. 또한 다중 계정을 사용한 투표 및 의견은 무효처리합니다.
  • 토론 신청자는 투표에서 제외합니다.

새로운 삭제 토론을 올리려면, 해당 문서에 {{afd}}를 붙여 주세요.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위키백과:삭제 토론/(해당문서 이름) 문서에 올리면 됩니다. 문서 처음 부분에는 == [[문서 이름]] ==, 그림일 때는 == [[:그림:그림 이름]] ==을 붙여 주세요.

만약 삭제 토론에 붙일 항목이 두 개 이상 있는 경우는 그 문서들에 {{afd|열 삭제토론방 이름}}를 붙이고

== XXXXX ==
*삭제 토론에 붙일 문서 A
*삭제 토론에 붙일 문서 B

처럼 적어 주세요.


목차

[편집] 대한민국청소년의회

[편집] 사회주의헌법

[편집] 정보과 교육과정

정보과 교육과정라는 문서가 있던데, 사용자:한희섭의 개인 주장 여부 등을 판단하지 못하겠군요. 서두를 봐선 무슨 논문 같습니다. --WaffenSS 2006년 9월 4일 (월) 04:52 (KST)

  • 의견 필요한 내용만 추려서 대한민국의 교육으로 합칩시다. 저 내용으로 보면 저작권 문제가 우려되네요. --한동성 2006년 9월 5일 (화) 02:57 (KST)
  • 삭제 합치는 가치가 없다.--효리♪ (H.L.LEE) 2006년 9월 6일 (수) 13:02 (KST)
  • 삭제 --정안영민 2006년 9월 9일 (토) 02:35 (KST)
  • 유지 좀 안 어울리는 거 같은데, 일단 올린 이에게 문구나 제목 등의 다듬기를 요구하는게 우선일 거 같네요. 장난성 글도 아니고, 위키낱말사전용도 아닌거 같으니까요. 좀 애매하군요. 애매하면 삭제? 아니고...애매하면 유지입니다. ㅎㅎ -- 멀뚱이 (Talk / Contrib) 2006년 9월 15일 (토) 17:50 (KST)
  • 의견 - 사용자토론:한희섭에 글을 남기겠습니다. 시정되길 기대해야죠.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20:19 (KST)

[편집] 대한민국의 로펌

--Puzzlet Chung 2006년 9월 6일 (목) 19:40 (KST)

  • 어떤 점이 문제가 되나요? -- 멀뚱이(Talk / Contrib) 2006년 9월 6일 (목) 23:24 (KST)
  • 의견 삭제이유가 모릅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7일 (목) 12:56 (KST)
  • 유지 타당한 삭제 이유를 말씀해 주시길...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7일 (목) 13:58 (KST)
  • 의견 - 문서가 조금 허술해보이기는 한데, 일단 이유를 밝히지 않으셨으므로, 이유를 달아주시면 생각해보겠습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7일 (금) 15:55 (KST)
    백제의 역대 국왕 미사일 목록 등 뭐 목록 비슷한 건데요. 간략한 설명이나 정보를 좀 곁들이구요. 각각 로펌의 문서가 완성되면 순수한 목록으로만 남기려고 합니다만 -- 멀뚱이(Talk / Contrib) 2006년 9월 7일 (금) 22:21 (KST)
  • 의견 문서 작성의도는...대한민국의 로펌 목록이 정확한 겁니다. -- 멀뚱이 (Talk / Contrib) 2006년 9월 15일 (토) 17:24 (KST)

[편집] 6650번 버스 (서울)

[편집] 틀:가나 표

[편집] 에스페란토의 역사를 이어지지 않는 나누기

[편집] 분류:대일본제국

[편집] 컴퓨터 주기도문

[편집] 송나라 (420-479)

[편집] 그림:Tvxq2.gif

[편집] 서울대학교의 인물목록

분류:XX대학교 동문처럼 삭제를 제안합니다. 제안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목록 포함 기준의 모호함
  2. 현실적인 지속적인 내용 업데이트

--WaffenSS 2006년 9월 19일 (화) 12:15 (KST)

  • 유지 해당 학교에 적을 두었던 사람이 동문 아닌가요? 현실적으로 관리가 어렵다는 것도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입니다. 상당히 유용한 문서가 될 것 같은데...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20일 (목) 23:38 (KST)
  • 삭제 해당 학교에 적을 두었던 사람이 동문이라면 한해에도 수천명씩 기록해줘야 합니다. 어떤 기준으로 추가하죠? 기준을 세우는 것도 매우 어려운 일이고 그것을 유지보수하는 것은 더 어려운 일입니다. 단지 사람 이름만 나열되어 있는 것도 매우 많은 비용이 들며 단지 사람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면 유용하지도 않습니다.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20:24 (KST)
의견 유명한 사람만 등록하죠, 모든 동문을 다 하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그리고 님이 말씀하신 것과 같은 논리라면 "1953년 출생"과 같은 분류도 없애야 하겠죠. Janviermichelle 2006년 10월 20일 (금) 14:44 (KST)
의견1953년 출생이란 분류와 이 문서와 무슨 관계죠? --WaffenSS 2006년 10월 20일 (금) 14:46 (KST)
의견 1.한해에도 수천명씩 기록해줘야 합니다. 2.사람 이름만 나열되어 있는 것도 매우 많은 비용이 들며 단지 사람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면 유용하지도 않습니다. Janviermichelle 2006년 10월 20일 (금) 14:48 (KST)
의견 비약이 심하시군요. --WaffenSS 2006년 10월 20일 (금) 14:50 (KST)
의견 어떤 비약이 심하다는 거죠? 똑바로 지적해 주세요. 그런 식으로 하시면 제 생각이 틀려도 모르지 않습니까. Janviermichelle 2006년 10월 20일 (금) 14:52 (KST)

[편집] 연세대학교의 인물목록

분류:XX대학교 동문처럼 삭제를 제안합니다. 제안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목록 포함 기준의 모호함
  2. 현실적인 지속적인 내용 업데이트

--WaffenSS 2006년 9월 19일 (화) 12:15 (KST)

  • 유지 서울대학교의 인물목록과 같은 이유로 반대합니다...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20일 (목) 23:39 (KST)
  • 삭제 그 명단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어떤 기준으로 누가 추가하죠?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20:00 (KST)

[편집] 이지란

[편집] 표절

[편집] 틀:카

[편집] 기독교 출판사

[편집] 각 도시의 대학교 분류

여기까지 세분화할 필요성은 없습니다.분류:경기도의 대학교,분류:경상북도의 대학교는 이미 있습니다.(경기도는 39교,경상북도는 19교 )--효리♪ (H.L.LEE) 2006년 9월 22일 (금) 09:54 (KST)2006년 9월 22일 (금) 10:06 (KST)(추가)2006년 9월 25일 (월) 10:59 (KST)(추가)

  • 유지 그렇다고 지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분류의 중요성은 명확성이지, 문서의 개수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peremen 2006년 9월 22일 (금) 09:59 (KST)
  • 의견 저는 2개의 분류를 만든 당사자인 관계로 유지/삭제 의사는 표시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다른 것들 중에서 저 2개만 분류를 만든 것은 (저도 몰랐던 것인데) 유독 많아서 분류:용인시분류:경산시가 전부 대학교 이름으로 도배되는 현상을 보인 관계로 묶어주는 것이 낫겠다고 판단해서 만들었습니다. --WaffenSS 2006년 9월 22일 (금) 12:10 (KST)
  • 유지 굳이 지울 필요까지야 없지 않나요? 분류:용인시의 세부분류로 만들면 (이미 그런가요?) 좋을 것 같은데요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22일 (금) 13:37 (KST)
  • 의견 용인시는 11교, 경산시도 139교 밖에 없는 정도에서는 독립시키는 필요성이 없습니다. 그리고 대학교/대학 기사에는 분류:경산시 같은 분류는 부여하지 않습니다. --효리♪ (H.L.LEE) 2006년 9월 22일 (금) 14:04 (KST)2006년 9월 26일 (수) 16:11 (KST)(수정)
  • 유지 저도 유지쪽에 한표 놓겠습니다. - Ellif 2006년 9월 22일 (금) 14:19 (KST)
  • 삭제 있어도 괜찮을 것 같지만, 이러한 분류의 존재가 유사 분류의 존재이유가 될 것 같아 반대합니다. 예를 들어 분류:대전 대덕구의 대학교같은 분류를 만들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생길 것 같습니다. :) --정안영민 2006년 9월 22일 (토) 16:21 (KST)
  • 의견 과연 하나의 구에 대학교가 2개 이상 있을 수 있을까요? 적어도 대한민국에는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peremen 2006년 9월 22일 (토) 16:30 (KST)
    • 의견 서울 서대문구 문서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어찌되었든 저는 이런 분류가 생기기를 원하지 않지만, 예외가 생기면 일괄적으로 이런 동네까지 분류를 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생기리라 봅니다. --정안영민 2006년 9월 22일 (토) 16:35 (KST)
      • 분류:서울 서대문구로 링크를 해주셨으면 좋았을텐데요. 2% 부족.. --WaffenSS 2006년 9월 22일 (토) 20:30 (KST)
      • 서울/부산/인천 등에 있는 모든 대학은 제가 구(區)별로 해당 문서에 빠짐없이 정리해 놓았기 때문에, 몇 개의 대학이 있는지 참고하시라는 뜻이었습니다. :) --정안영민 2006년 9월 23일 (토) 04:43 (KST)
        • 의견 분류:대전 대덕구의 대학교 같은 게 안되는 이유는 뭔가요? 분류:경산시의 대학교에 분류:경산시를 달아서 관리하면 좋을 것 같은데요.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23일 (토) 02:47 (KST)
  • 이런 의견이 이렇게 빨리 나올 줄이야..;; 대학이 하나 밖에 없는 시/군/구가 상당한데 이것들마다 전부 분류를 다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나요? :) --정안영민 2006년 9월 23일 (토) 04:43 (KST)
  • 의견 하나 뿐인 시도에는 이하 분류를 달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경산시나 용인시는 숫자가 좀 되는 상황이라 만든 것입니다. 즉, 저도 모든 시도에 이하 분류를 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유별나게 많은 경우에는 분류를 해주는 게 좋겠다는 것입니다. --WaffenSS 2006년 9월 26일 (수) 15:25 (KST)
  • 일어판의 일본의 대학교(대한민국보다도 2배이상 많다.)의 기사(ja:Category:日本の大学 (都道府県別))에는 이러한 도시별의 분류는 없습나다. 그리고 대덕구에는 대학교는 한남대학교 밖에 없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23일 (토) 11:34 (KST)
  • 분류:경산시의 전문대학를 추가합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25일 (월) 10:59 (KST)
  • 의견 "분류:경산시"가 붐빈다면 "분류:경산시의 학교" 정도가 어떨까요? 시군구 단위에서 각급학교별 분류까지는 필요해보이지 않습니다. 당장은 "분류:경산시"로 모으자는게 제 의견입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31일 (화) 13:56 (KST)
  • 의견 저도 방금 생각나서 제안하러 왔더니, 종대님이 이미 같은 의견을 쓰셨군요. 분류:경산시의 교육기관/분류:서울 종로구의 교육기관으로 해서 학교와 학원, 사회교육 기관 등을 묶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대안학교, 야학, 노인학교 등등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단체 들을 묶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WaffenSS 2006년 11월 1일 (수) 08:02 (KST)

[편집] 분류:특촬물

분류:SF 영화로 합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괴물을 다룬 영화들의 분류로 알고 있습니다만, 특촬물 이란 말도 어색합니다. 제안 내용은 다음 2가지입니다.

  1. 분류:SF 영화로 합친다.
  2. 보다 쉬운 이름인 분류:괴물을 다룬 영화로 바꾸고, 분류:SF 영화의 하위로 둔다. 이럴 경우, 판타지 장르에서 필수품(?)이 괴물인 관계로 분류:판타지 영화가 생기면 그 하위에 둘 수 있습니다(공포 영화에도 괴물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곤 하나, 좀 애매하지 않나 싶습니다만). 그리고 《에어리언》 같은 경우도 있고 하니 말입니다. --WaffenSS 2006년 9월 26일 (수) 15:13 (KST)
  • 의견 - 특촬물은 '울트라맨', '바이오 맨' 처럼 인간이 변신해서 로봇타고 악당이랑 싸우는(?) 애니메이션이 아닌 실사판 드라마(?)의 한 장르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분류:특촬물 분류 안에 있는 불가사리 (영화)용가리도 특촬물의 한 종류에 들어가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마소리스 2006년 9월 26일 (수) 15:26 (KST)
  • 의견 - 한국의 특촬물로 벡터맨이 있긴 한데,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특촬물'이라는 표현을 쓰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건 그렇고, 일본의 위키백과에서 '특수촬영' 항목을 약간 가져와 보겠습니다. 참고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특수촬영기술을 중점적으로 사용한 영상작품을 가리킨다. 그렇다 하더라도 일반('특촬물'을 보는 사람만을 위한 영화가 아닌)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전쟁영화나 호러영화 등은 '특촬물'이라 인정되지 않으며, 스타워즈나 해리포터 등 특수촬영기술을 사용한 해외의 여러 작품들은 어디까지나 'SF영화' '환타지 영화'로 취급하며 일본의 특수괴수물, 히로물과 같이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히호군 2006년 9월 26일 (수) 17:09 (KST)
  • 의견 - 한국에서 특촬물이라는 장르는 마니아 사이에서 사용되고 일반인들은 잘 모릅니다. 저는 '울트라맨', '바이오맨' 등을 표현하기 위한 장르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이 특촬물이어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이 단어는 단어 자체로서는 그 의미를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전대물과 같은 분류는 어떨까요?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19:55 (KST)
특촬물에 반대하는 이유는 특촬이라는 단어가 특수촬영을 의미하고 인간이 변신하고 로봇타고 싸우는 장르만 특수촬영인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정확한 명칭은 교정될 필요가 있습니다.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20:08 (KST)
  • 의견 "특촬물"이라는 용어를 쓸 때는 대체로 일본에서 만든, 특수 효과를 쓴 영화를 말합니다. (물론 우뢰매와 같은 작품에게도 쓰이긴 합니다만..) 대체로 SF나 hero 작품에 많이 쓰이긴 합니다. 그리고 일본에서 직수입한 단어라는 것도 걸립니다. "-물"이라는 단어는 일본어 어휘입니다. (일본어 반대가 아니라, 한국어 단어가 아니라는거죠.) 영어권의 "SFX 영화"(Special effect 영화)와도 다릅니다. SFX는 이제 일반화된 기술이죠. (영화 타이타닉은 SFX 영화가 본격적으로 쓰인 영화입니다. 절대로 SF나 판타지는 아니죠?) "특수촬영영화"라고 풀어쓸 것인지, 아니면 다른 대안을 고민해볼지 더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하지만 "특촬물"이라는 단어는 개인적으로 반대입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23일 (월) 10:12 (KST)
  • 의견 솔직히 특수 촬영 기술은 요즘 웬만한 장르 불문하고 영화에서는 많이 쓰이고 있지 않습니까? 심지어 TV 드라마들도 특수효과를 적극 사용합니다. 가장 먼저 기억에 떠오르는 것은 역시 CSI들이죠. 특수촬영영화를 하나의 장르로 보기에는 너무 컴퓨터가 보편화되서 맞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일본에서 만든 고질라 같은 영화들만 특촬물로 정의해봤쟈 많은 사람들에게 의아함만 실어줄 뿐인것 같습니다. 저는 2가지 안을 내놓긴 했지만, 지금 와서는 그냥 분류를 통째로 삭제해버리는게 타당하지 않나 싶군요. --WaffenSS 2006년 10월 23일 (화) 15:26 (KST)
    • 아, 물론 최초의 2번 제안으로 해서 괴물을 소재로 한 영화로 구체적으로 풀어써서 고질라, 에어리언(SF영화도 되지만), 등의 영화만 모아놓으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WaffenSS 2006년 10월 23일 (화) 15:28 (KST)

[편집] 책 표지를 촬영한 그림

ja:Wikipedia:井戸端の過去ログ/2006年9月#本の表紙のアップロードは에서 책 표지를 촬영한 그림을 촬영한 그림의 저작권에 대해서 표지에 저작권이 포함되는 그림이 있으면 표지의 저작권자의 허가가 없으면 카메라에서 촬영한 것이라도 올릴수 없다는 회신을 받았는데 삭제를 요청합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27일 (수) 11:38 (KST)

  • 그림:도쿠로.jpg
  • 그림:Gunparde march novels.JPG
  • 그림:Full metal panic novels.jpg
  • 그림:에반게리온 DVD.jpg
  • 유지 - 이곳은 일본어 위키백과가 아닙니다. 이미 그 부분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정리된 것으로 아는데요? - Ellif 2006년 9월 27일 (수) 11:47 (KST)
  • 유지 이곳이 한국어 위키백과입니까, 일본어 위키백과입니까? 일본어를 못하는 제게는 전혀 근거가 없는 소리로 들리며, 윗분 말씀대로 이미 정리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므로, 유지에 한 표입니다. --peremen 2006년 9월 27일 (수) 12:09 (KST)
    • 의견 라면 봉지 디자인도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그림:Instant ramen.jpg은 그러면 공용에 왜 살아 있습니까? --peremen 2006년 9월 27일 (수) 12:12 (KST)
  • 의견 그 이전에 책 표지에도 저작권이 있습니다.GFDL,PD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en:Template:Book cover,en:Template:Comiccover,en:Template:DVDcover처럼 공정사용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27일 (수) 12:28 (KST)
    • 의견 그 그 이전에 라면 봉지 사진에는 로고까지 같이 들어가 있는데, 그러면 공용에도 삭제 토론 부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peremen 2006년 9월 27일 (수) 12:30 (KST)
  • 유지 - 그렇게 엄격히 따진다면, 위키백과에는 어떠한 사진도 올라올 수 없습니다. 저작권 문제가 없는 물건이 세상에 어디 있습니까? 사진 배경으로 얼핏 찍혀 나온사람에게는 초상권이 있으며, 사람이 입고 있는 옷과, 물건 등에도 디자인에 대한 저작권이 있습니다. 사실 저 책 배경으로 나온 장판에도 장판을 디자인한 사람의 저작권이 있는것 아닙니까? --마소리스 2006년 9월 27일 (수) 12:37 (KST)
    • 의견 글쌔요, 그것과는 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효리님이 링크하신 사진들은 의도적으로, 또한 정면으로 표지를 촬영한 것이므로 표지를 그대로 스캔한 것과 다를게 없지 않습니까? 이 경우엔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뉴욕시의 빌딩들을 찍은 사진인데 거기에 들어가 있는 LG 로고와 동등하게 생각할 수 없다 봅니다. - 이글은 사용자:hnc197이 2006년 9월 27일 (수) 12:46에 작성하였나,tag가 없어 임의추가하였습니다. - Ellif
  • 의견 지금 효리님께서 말씀하고 계신 그림들은 모두 Hononnn님이 올리신 그림이군요. 참고로, Hohonnn씨의 토론 페이지에 몇몇 관리자분들께서 일부 '스캔'한 그림들에 대해 지적하신 바가 있었고, 결국에는 삭제한 적이 있었습니다. 사용자토론:Hohonnn#올리시는 그림의 저작권에 대해서를 보십시오.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27일 (목) 19:08 (KST)
    • 의견 오해하신 것 같습니다. 그 경우에는 그냥 있던 일러스트 그림 파일을 무조건 복사 했기에 발생했던 문제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keroro의 삭제토론을 통해서 이 부분이 결정되었지요. - Ellif 2006년 9월 27일 (목) 20:58 (KST)
      • 의견 다른 얘기였군요 :-(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28일 (목) 12:34 (KST)
  • 삭제 의도적으로 책 표지를 촬영한 것이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를 피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27일 (목) 19:31 (KST)
    • 의견 몇번씩 그림:Keroro.jpg 이야기를 해야 되나요? - Ellif 2006년 9월 27일 (목) 20:58 (KST)
      • 2D와 3D는 다릅니다. --Klutzy 2006년 9월 27일 (목) 21:34 (KST)
        • 의견이건 2D나 3D냐의 문제가 아닌 것 같습니다. Hohonn 2006년 9월 27일 (목) 22:51 (KST)-
  • 의견 삭제 '토론'을 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삭제/유지 의견 대신에 이 그림이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지, 받지 않는지 저작권법을 검토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건축물에도 저작권이 인정되지만 건축물 사진에는 예외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독일에서는 사진에도 예외없이 저작권이 적용됩니다. 프랑스의 경우에도 에펠 탑 사진의 저작권이 만료된 것이 불과 몇 년 전의 일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의 경우는 '개방된 장소에 항시 전시되어 있는' 미술 저작물에 한해 '판매 불가'등의 조건 하에 배포가 가능합니다. 현재 문제가 되는 사진은 일본의 책/DVD 표지를 가공해 만든 2차 저작물이므로, 일본의 저작권법과 이것이 대한민국으로 건너오는 경우의 저작권법 적용 상태, 베른 협약 등등을 검토해야 합니다. 법적 근거 이외의 다른 무의미한 동어반복은 하지 맙시다. 활발한 저작권 논의를 기대합니다. --Klutzy 2006년 9월 27일 (목) 22:02 (KST)
  • 유지Masoris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그리고 효리님, 이곳은 한국어판입니다. 일본어판이 아닙니다.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9월 27일 (목) 22:34 (KST)
  • 의견 일본어판에서 나온 이야기들 중에서도 아예 듣지 말아야 할 것, 참고해야할 것, 아니면 여기서도 적용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저는 저작권에 관해서는 일본어판 얘기라는 이유로 유지 표 던진다는 것은 제 자신이 비겁해지는 것 같습니다 :( 오히려 일본어판에서 저작권에 문제가 된다는 얘기가 나왔기에 진지하게 생각해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28일 (목) 12:19 (KST)
  • 의견 오해하실까봐 더 말씀드리자면, 한오백년의 뜻에 반하겠다는 것은 아닙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28일 (목) 12:22 (KST)
  • 의견 어제 저작권법을 읽어보았는데 어떠한 미술 저작물을 가지고 2차적으로 저작물을 만들면 2차 저작물은 원 저작물의 저작권에 귀속된다는 내용이 있었고, 이에 대한 예외가 몇 가지 있기는 했지만 최소한 이러한 책 표지 사진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책 표지를 스캐너로 읽어들인 그림이 저작권 위반이라는 것에는 모두 동의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스캐너를 거꾸로 뒤집어 '촬영'한 경우(실제로 이런 기법이 있습니다)에는 어떻게 될까요? :) 카메라를 잘 이용해 스캔 수준의 품질을 얻는다면? 이전의 이수영 음반사진도 다시 고려해봐야(아니, 그때 저작권법을 찾아봤던 분이 있기는 했던가요?) 하고, 다른 경우도 모두 확인해봐야 합니다. --Klutzy 2006년 9월 28일 (목) 12:27 (KST)
  • 의견 27-8일 밤에 이루어진 토론 결과에 의거, 한국어 애니만화 사진 해결책이 문제없이 적용된다면, 더이상 삭제에 반대할 이유는 없습니다. - Ellif 2006년 9월 29일 (금) 00:19 (KST)
  • 삭제 도쿠로.jpg는 표지 스캔에 가까우니 표지 스캔을 허용하지 않는 이상 삭제하는 게 옳다봅니다. 나머지 다른 이미지는 출처와 저작권 여부가 불투명한 것 말고는 일단 중립입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2일 (화) 16:50 (KST)

도쿠로와 에반게리온은 저작권이 분명하니 삭제했습니다. 나머지는 좀 더 의견을 받아보고 결정하겠습니다. 누구 법적 검토를 통해 저작권 위반이 아니라는 근거를 가져오실 분 없습니까? :( --Klutzy 2006년 10월 5일 (금) 19:21 (KST)

  • 의견 일어판이라도 저작권자에게 문의한 것이고 참고할 가치는 충분합니다. 오히려 공용 핑계를 대는 것 보다는 더 법적근거가 있어 보이는 군요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19:07 (KST)

아무도 저작권 위반이 아니라는 근거를 대지 않아서 :( 나머지 두 장도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6년 10월 21일 (토) 13:21 (KST)

[편집] 분류:통신

[편집] 김유연


[편집] 그림:Civ4 Cover.jpg

SimCutie님께서 올리신 제작사측에서 '팬사이트'용으로 배포된 그림입니다. 문제 제기는 효리님이 하셨구요. 일단 이 그림에 대한 '팬사이트 자료'에 대한 어떤 구체적인 저작권 설명이 없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보통 팬사이트 그림은 영리적으로, 또는 수정해서 배포할 수 없다고 알고 있기 때문에 삭제했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수) 13:50 (KST)

  • 삭제 PD,GFDL에서 사용할수 없는 그림.--효리♪ (H.L.LEE) 2006년 10월 4일 (수) 13:58 (KST)
    • 아래 설명드린대로 상업적 이용이나 변형도 금지하지 않았으므로 삭제의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목) 16:56 (KST)
  • 유지 게임 판매 싸이트같은 상업적 사이트에서는 통상 그 팬사이트 키트를 다운받아 그걸로 게임의 소개를 하는 것이 통례입니다. 따로 게임 판매 싸이트 들을 위한 자료를 별도로 배포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만약 팬사이트 자료를 상업적으로 이용하지도 못하고 따로 상업적 싸이트를 위한 자료배포도 없다면 전세계의 수천개도 넘을 게임판매 싸이트 는 어떻게 합법적으로 저작권 위반없이 게임을 소개 할수 있을까요?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4:23 (KST)

  • 삭제 - 수많은 온라인 서점도 책 표지 그림을 올려놓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책 표지에 저작권이 없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습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4일 (수) 14:26 (KST)
    • 아래 설명드린대로 그것은 자체 촬영이거나 홍보용 자료를 받아 올려놓은 것이므로 저작권 위반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삭제의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목) 16:56 (KST)
  • 삭제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수) 14:29 (KST)
  • 의견 그것은 책 발행사가 그 그림을 공식적으로 배포하지 않고 예컨데 아마존이 자체적으로 촬영한 것이기 때문이죠. 자체적으로 촬영하지않고 아마존 싸이트의 책 이미지를 따와서 썼다면 그건 그 싸이트가 아마존의 저작권을 위반한거죠. 출판사가 아니라... 그러므로 서점 자체적으로 촬영해서 올린 표지 사진은 저작권 위반이 아닙니다. 그러나 팬사이트 키트는 다릅니다. 이건 게임 배급사가 촬영한 이미지이고 그 게임 배급사가 자유로운 사용을 허락하여 배포하는 것입니다. 즉 비교해서 말하자면 책 발행사가 자유로운 이용을 허락한것과 동일합니다. 그 증거로 그 팬사이트 이미지들은 (C)Copyeight 표시가 없습니다.그리고 토론이 끝나기도 전에 투표를 하는 것이 여기 관행인가요?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4:37 (KST)
  • 의견 게임은 팬사이트 키트에서 쓰고 책은 자체적으로 서점에서 촬영한다고요? 책 정보도 출판사에서 홍보 자료 받아서 씁니다. 알고 계시나요? 그리고 여기는 토론도 하면서 투표도 합니다.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수) 14:43 (KST)

아주 좋은 말씀을 해주셨군요. 즉 출판사가 이용을 허락한 홍보자료를 출판사의 웹싸이트에서 다운받아 쓰는 것은 저작권 위반이 아니라는 요지의 말씀이지요. 바로 팬사이트 키트가 바로 그 홍보자료 입니다. 책은 홍보자료를 받아서 상업적으로 쓰면 저작권 위반아니고 게임은 홍보자료를 받아서 상업적으로 쓰면 저작권 위반인가요?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4:47 (KST)

  • 의견제가 언제 책은 저작권 위반이 아니라는 말을 했나요? -ㅁ-;; 인터넷 서점에 소개된 글은 '출판사'에서 보내준 거다 했지 자유롭게 공개했다는 말은 안했습니다. 억지로 말을 지어내지 마세요.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수) 14:49 (KST)
  • 의견 그리고 하나 더 말씀드리자면, 위키백과에 '팬사이트 키트'를 올렸다고 해도 그게 '홍보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도 변형되어 쓰일 수도 있기 때문에 제작사/기획사 측에서 문제 제기를 안 할 것이다'라는 주장도 근거가 없습니다.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수) 14:54 (KST)
  • 의견 그렇다면 출판사에서 서점들에게 홍보할목적으로 홍보자료라고 딱지를 붙여 웹에 게시한 책 표지 파일도 이를 다운받아 온라인 서점의 판매에 이용하는 것도 저작권 위반이라는 말씀이시지요? 확실합니까?

그렇다면 왜 출판사들은 그런 저작권 위반을 스스로 조장하는 겁니까? 그런 홍보자료를 웹에 게시하지 않으면 저작권 위반을 막을 수 있을텐데요? 왜 안막는 거지요? 그리고 출판사의 책표지도 홍보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변형되어 쓰일수도 있는데 왜 책 표지와 게임 표지가 차이가 나는 지 친절한 지도를 부탁드립니다.

  • 의견 자꾸 제가 말하지 않은 말을 지어내시는군요. '다운'이 아니라 출판사측에서 자료를 만들어주고 보통 팩스나 이메일을 통해 보내서 그걸 그대로 인터넷 서점 직원(알바)들이 입력하여 인터넷 서점 메인이나 신상품 목록에 표시가 되겠지요. 그 중간에 한 자라도 다르다 하면 서점 욕 먹어도 서점은 할 말 없습니다. 출판사가 자기 홈페이지에 홍보 자료를 올리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책이 아니라 출판사 자체의 보도 자료라면 모를까요. 팬사이트 키트 역시 '게임 사이트'에게 '개조/변형'을 안한다는 조건으로 공개하는거구요. 그런데 위키백과에 있는 자료는 모두 방문자가 가져가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금지'라는 것입니다.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목) 15:05 (KST)
  • 아까 한 질문을 다시 하게 되는군요.

즉 SMTP로 받으면 저작권 위반이 아니고 HTTP로 받으면 위반인가요? 그리고 온라인 서점마다 표준적인 썸네일의 크기가 다른데 이것도 출판사에서 그 서점의 표준 썸네일의 크기에 맞춰 변형할 필요 없는 파일을 보내 준다는 말씀이신가요? 저의 짧은 지식으로는 JPG나 GIF는 누구나 변형이 가능한 걸로 아는 데요.. 그리고 서점에 배포된 이미지들은 변형이 가능하지 않은 특수한 포맷의 그래픽 파일 인가요? 서점과 출판사간에 주고 받는 그래픽 파일의 포맷을 몰라서 그러니 귀찮다 하지 마시고 한수 지도 부탁드립니다.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목) 15:14 (KST)

    • 저작권이 있는 자료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다 위반입니다. 서점에 배포된 이미지들은 맘만 먹으면 개조는 가능합니다만, 개조가 금지되어있는데 개조를 하고 배포까지 한다면 법의 처벌을 받습니다. 물론 그 자료가 '변형을 허락'한다면 상황이 달라집니다만.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목) 15:18 (KST)
  • 제가 받은 홍보자료 파일에는 변형이나 상업적 이용을 금지하는 문구를 발견 할수가 없군요.

또 대부분의 비상업적 싸이트건 상업적 싸이트건 입수한 파일을 비트바이 비트로 변형하지 않고 리사이징이나 색도 조정 없이 게시하는것이 오히려 드문일이라고 사료되옵니다만 팬싸이트 키트의 그림은 변형을 금지한다는 말씀은 여기서 처음 접하는 지라 수고스럽더라도 그 근거를 가르쳐 주시겠습니까? 제가 알고 있는 해당게임의 팬사이트 중에 가장 크고 또 게임 개발사와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Civfanatic 이라는 사이트를 가서 확인해보니 팬사이트 자료로 부터 나온 그림들의 대부분을 리사이즈, 크롭, 조합, 월페이퍼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해서 싸이트 정문에다 걸어놓고 있군요...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목) 15:35 (KST)

  • 일단 토론할 내용이 더 있는지 말씀해주시고 토론 종료 시한을 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토론시간 종료후에 투표시한을 정해 다시 투표를 해주십시오. 아시다시피 내일은 추석 관계로 접속이 어려울수 있으니 오늘안으로 결론을 내고 추석 이후 적당한 시한까지 투표종료시한을 정하든가 오늘안으로 토론이 끝나지 않으면 추석 후에 다시 토론을 재개할것을 청합니다.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목) 16:56 (KST)

  • "저작권 위반"과 함께 "GFDL" 호환 여부도 중요합니다. 위키백과:저작권에 적힌 개작, 수정의 자유가 어디까지 허용되는지에 대한 명시적 언급이 없습니다. 그리고 토론과 투표는 함께 진행됩니다. 별도의 시한이 없이 의견이 모아질 때까지 투표는 진행됩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4일 (목) 17:01 (KST)
  • 삭제 - 상용(商用)으로 쓰지 못하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키백과에 있는 자료는 원칙적으로 상용적으로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는 걸 보증해야 합니다.-- LERK (의논 / 일지) 2006년 10월 4일 (목) 17:08 (KST)
  •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하신다면 그 근거를 제시해 주시셌습니까?

근거를 제시하시지 못하고 그냥 높다고만 하는 막연한 감이라면 그건 단지 개인적 의견일 뿐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상용으로 쓰이고 있는 수많은 게임 판매 사이트의 해당 파일은 뭡니까?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저작권 분쟁을 피할수 있는지 /피하고 있는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이 자료는 통상적 웹에 떠돌아 다니는 자료가 아닙니다. 저작권자가 명시적으로 홍보자료임을 밝히고 다른사람들의 자유로운 사용을 위해 공식 웹사이트에 게시한 자료입니다. 어떠한 조건이나 사진에 (C)Copyright 도 달지 않고요.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목) 17:24 (KST)

  • 의견 - 현재 상용으로 쓰이고 있는 수많은 게임 판매 사이트의 해당 파일은 그 웹사이트들이 각각 허가를 받고 그림을 쓰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허가를 이쁜심님은 받으셨습니까? 그리고 다른 사람이 허가없이 (무단으로) 자유로이 써도 된다고 저작권 보유자가 밝히셨습니까? 원칙적으로 상용적으로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는 걸 보증해야 한다허가없이 누구나 어떤 목적으로도 자유로이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를 뜻하는 겁니다.-- LERK (의논 / 일지) 2006년 10월 4일 (목) 17:46 (KST)
  • 의견 - 가장 확실한 해결방법은 제작회사 혹은 유통사에 문의해보는 것입니다. -- Allen R Francis 2006년 10월 4일 (목) 18:00 (KST)
  • 좋은 의견입니다. 그래서 2K games 에 연락을 보냈습니다.

일단 답신이 올때까지 토론을 이 상태에서 동결하고자 합니다. 다른 반대가 없다면 추석연휴가 끝나는 8일까지 동결하고 9일 재개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목) 18:30 (KST)

  • 의견 - 이러한 그림은 사용자가 자기자신의 컴퓨터에 1장에 한해서 복사할 수 있는 것이고, 개편판이나 복사한 사용자가 여러사람에 대해서 배포하는 것까지는 허용하지 않습니다.(윈도즈 같은 소프트웨어와 마찬까지)--효리♪ (H.L.LEE) 2006년 10월 5일 (목) 13:04 (KST)
  • 의견 오늘이 목요일입니다. 이쁜심님이 연락을 하셨다는데, 회신이 왔을 듯 싶습니다만, 언제 회신 내용을 알 수 있을까요? 그러고 보니 이쁜심님은 지난주 수요일 파이썬 아이콘을 끝으로 더 이상의 기여는 아직까지 없네요 :(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12일 (금) 16:43 (KST)
  • 삭제 저작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한 유지될 이유가 없습니다.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19:04 (KST)

날짜가 한참 지났는데도 저작권 답신에 대한 이야기가 없어 삭제했습니다. 나중에 GFDL과 호환된다는 등의 답신이 오면 복구하겠습니다. --Klutzy 2006년 10월 21일 (토) 13:19 (KST)

[편집] 세계어 74·07

지금은 활동하지 않는 WUM이라는 단체가 만든 적이 있는, 쓰이지 않는 언어입니다. --Puzzlet Chung 2006년 10월 5일 (금) 18:28 (KST)

  • 의견 - 이 기사의 원본이 있는 일어판에 사실여부를 조사할 필요가 있습니가.--효리♪ (H.L.LEE) 2006년 10월 6일 (금) 08:03 (KST)
  • 유지 - 인공어의 주류인 미국이나 유럽이 아닌 아시아의 인공어라는 점과 그것을 일개인이 아닌 WUM이라는 단체가 보급을 위해 주도한 점, 인터넷이 일반화되기 이전에 출판물이 간행된 점, 문자로서 아라비아숫자를 사용한 점등에서 인공어에 관심있는 이용자들에게는 참고할만한 특이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여부라면 도쿄외국어대학 도서관에 비치된 보급책자의 일부복사본(문법사항)을 제가 보유하고 있습니다. 물론 관심없는 분들에게는 상당히 국지적인 정보라는 점은 인정합니다. Noropdoropi 2006년 10월 9일 (화) 23:04 (KST)
  • 유지 - Noropdoropi님의 의견에 따라 --Luciditeq 2006년 10월 12일 (금) 18:59 (KST)
  • 유지 소미쉬건과 상동입니다. - Ellif 2006년 10월 20일 (토) 15:46 (KST)
  • 삭제 --정안영민 2006년 10월 30일 (월) 02:54 (KST)
  • 유지 문헌이 있고 원본인 일어판에서도 삭제에 부정적이었기 때문에.----효리♪(H.L.LEE) 2006년 11월 21일 (화) 12:43 (KST)

[편집] 프로토스어

[편집] 소미쉬

수천 개의 인공어 가운데 하나입니다. en:Wikipedia:Articles for deletion/Somish에 따르면 언어에 대한 웹페이지가 74개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며, 다른 인공어에 비해 특별히 중요한 점을 알기 힘듭니다. --Puzzlet Chung 2006년 10월 5일 (금) 18:20 (KST)

  • 삭제 --WaffenSS 2006년 10월 5일 (금) 18:27 (KST)
  • 의견 이걸보니 우니시가 생각나는군요... 우니시는 그래도 인공어 좋아하는 에스페란토 위키백과에 비토막글(???)로 오르기는 했지만, 이건 에스페란티스토들도 관심이 없나보군요. -_- --마소리스 2006년 10월 5일 (금) 18:43 (KST)
  • 유지 현재 인공어에 대한 작업을 어족 작업이 끝나는 대로 출범할 예정입니다. 한국의 몇 안되는 Conlanger중 한명으로서, 이 문서의 보존에 한표 던지겠습니다. - marE가 언젠가는 위키백과에 들어가기 원하는 Ellif 2006년 10월 5일 (금) 20:46 (KST)
  • 삭제 별다른 특징이 없어 보입니다. --Klutzy 2006년 10월 5일 (금) 21:52 (KST)
  • 삭제 --정안영민 2006년 10월 8일 (일) 12:50 (KST)
  • 의견 소미쉬만의 특징이 있나요?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18:59 (KST)

[편집] 안티바이블

[편집] 연세시학

일개 대학교의 학회에 대한 문서까지 필요할까요? 그것도 이제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학회를. 구글에서도 검색 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Luciditeq 2006년 10월 12일 (금) 20:04 (KST)

  • 삭제- 일개 학과의 모임을 독립기사로 쓰는 필요는 없습니다.----효리♪(H.L.LEE) 2006년 10월 13일 (금) 09:16 (KST)
  • 삭제- 이 페이지의 존재이유를 모르겠습니다.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18:57 (KST)
  • 삭제 - 위에 분들 의견 동감. --WaffenSS 2006년 10월 15일 (월) 19:00 (KST)
  • 삭제 지나치게 사소한 내용이라고 생각됩니다. - ρ 아이리디 (토론) 2006년 11월 22일 (목) 16:02 (KST)
  • 삭제 - 효리님 의견에 동의. --히호군 2006년 11월 23일 (목) 12:59 (KST)

[편집] 연예인 사진

[편집] 군인 목록

이미 삭제된 독일인의 목록 처럼 이것도 삭제하는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여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군인들도 각 분류별로 많습니다. 문서 내용을 분류:신라의 군인 처럼 바꾸는 것도 생각해봄직한데, 큰 의미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WaffenSS 2006년 10월 16일 (월) 00:59 (KST)

[편집] J 리그

[편집] 틀:User 漢

'한자'는 언어가 아니라 문자이기에, '모국어' 수준이라는 게 있을 수 없다고 봅니다. ―에멜무지로¹²³ 2006년 11월 18일 (일) 21:32 (KST)

삭제 자랑 이상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실제로 한자에 있어서 '모국어' 수준이라는 것 또한 불가능에 가깝구요. 다른 바벨이 M단계까지 있지만 '한자'에 있어서만이라도 예외적으로 M단계는 필요없다고 여겨집니다. - ρ 아이리디 (토론) 2006년 11월 18일 (일) 21:35 (KST)

[편집] 분류:바그너 추종자

이러한 분류가 필요할까요? 기준도 애매한데다가 모아놓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Klutzy 2006년 11월 22일 (수) 11:58 (KST)

  • 삭제 --WaffenSS 2006년 11월 22일 (수) 12:06 (KST)
  • 삭제 기준이 애매합니다. 가령, 바그너 추종자였다가 반대자로 돌아선 프리드리히 니체는 어떻게 분류하죠? -- 리듬 2006년 11월 22일 (수) 12:08 (KST)
    영어 위키백과에는 두 분류가 다 붙어있더군요. -_- -- ChongDae 2006년 11월 22일 (목) 20:28 (KST)
  • 삭제 -- 파란로봇군 2006년 11월 22일 (수) 12:13 (KST)
  • 케이준 라임 2006년 11월 22일 (수) 12:29 (KST)그 분류를 작성한 이입니다. 영문 위키를 참고로 작곡가들의 정보를 업데이트 하던 중, 그 분류가 눈에 띄었고, 꽤 많은 유명인사들이 그 리스트에 있길래 그 문서를 작성했습니다. 독일판과 프랑스판을 찾아보니 영문판에는 있는 그 분류가 없고, 다신 관련 문서가 있더군요. '분류 문서'대신 그냥 그 리스트를 모아놓은 일반 문서를 대신 올리도록 하지요. 그런데 여기 계신분들은 다 관리자 혹은 자주 활동하시는 분들 같군요. 다른 이들도 참여해서 의견을 들었으면 좋았을련만....
  • 삭제 -- ChongDae 2006년 11월 22일 (목) 20:28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