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천시 | |
---|---|
![]() |
|
현황 | |
면적 | 826.38km² |
세대 | {{{세대}}}가구 ({{{세대_조사연도}}}년) |
총인구 | 156,432명 (2006년) |
법정동 | {{{법정동}}}개 |
행정동 | {{{행정동}}}개 |
읍 | {{{읍}}}개 |
면 | {{{면}}}개 |
단체장 | {{{단체장}}} |
목차 |
[편집] 연혁
[편집] 고대~근대
- 고구려때 마홀군(馬忽郡)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 신라의 진흥왕 때에 견성군(堅城郡)이라 부르다가, 경덕왕 때에 다시 청성(靑城)이라 불렀다.
- 고려초에 와서 포주(抱州)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조선태종 13년(1413년)에 지금의 포천이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때 포천은 포천현이었다.
- 1895년 포천이 군으로 승격하였다.
- 1914년 이웃한 군인 영평군을 합하였다.
- 1945년 광복과 더불어 본군 북부는 이북에 속하였으나, 한국전쟁때 모두 수복하였다.
[편집] 현대~
- 1979년 5월 1일 포천면이 포천읍으로 승격하였다.[1]
- 1983년 2월 15일 연천군 관인면이 포천군으로 편입되었고, 포천군 청산면 삼정리·갈월리·금동리·덕둔리가 신북면으로 편입되었고, 포천군 청산면(청산면 중 삼정리·갈월리·금동리·덕둔리를 제외한다.)이 연천군으로 편입되었고, 내촌면 화현리·지현리·명덕리를 관할로 하여 화현면이 신설되었고, 1996년 2월 소흘면이 현재의 소흘읍으로 승격하였다.[2]
- 2003년 10월 19일 포천군 일원을 관할로 하여 도농복합형태의 포천시가 설치되었다.[3]
[편집] 하위 행정구역
- 소흘읍
- 군내면
- 내촌면
- 가산면
- 신북면
- 창수면
- 영중면
- 일동면
- 이동면
- 영북면
- 관인면
- 화현면
- 포천동
- 선단동
[편집] 관광지/명소
- 국립수목원(구, 광릉수목원)
[편집] 바깥 고리
[편집] 각주
- ^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4월 7일 대통령령 제9409호)
- ^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정 1983년 1월 10일 대통령령 제11027호) 제1조 제1항~제5항, 제31항, 제32항
- ^ 경기도양주시·포천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제정 2003년 7월 18일 법률 6928호)
경기도의 행정 구역 |
---|
도청 소재지: 수원시 |
고양시 | 과천시 | 광명시 | 광주시 | 구리시 | 군포시 | 김포시 | 남양주시 | 동두천시 부천시 | 성남시 | 수원시 | 시흥시 | 안산시 | 안성시 | 안양시 | 양주시 | 오산시 용인시 | 의왕시 | 의정부시 | 이천시 | 파주시 | 평택시 | 포천시 | 하남시 | 화성시 |
가평군 | 양평군 | 여주군 | 연천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