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쌀
실제 크기로

의 알맹이이며, 세계적으로 중요한 곡식이다. 벼 알맹이의 왕겨를 벗겨내면 현미가 되고, 도정하면 흰쌀이 된다 , 이나 을 해서 먹으며, 식혜같은 음료나 소주, 청주의 원료가 된다. 고추장 등의 장을 담글 때 밥의 형태로 들어간다.

목차

[편집] 벼에서 쌀로

벼농사, 재배종 및 재배 역사는 를 참조하기 바란다
1920년대 일본의 도정기
실제 크기로
1920년일본의 도정기

의 수확물인 볍씨는 우선 왕겨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서 현미로 된다. 추가적으로 겨를 도정하면 백미가 되는데, 도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완전 백미의 경우 도정도는 92%이상을 가리킨다. 이렇게 도정된 쌀의 경우, 백미나 현미 상태로 바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쌀가루로 만들기도 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포도당 및 활석 파우더(활석 가루에 붕산만 혹은 향료 등을 섞은 것)등의 몇몇 영양소를 첨가하기도 한다. 싼 첨가 영양소의 경우는 물에 쉽게 씻겨 나가며, 보다 복잡한 첨가물은 물에 씻기지는 않지만 이는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된다. (미국의 경우, 이렇게 영양소가 씻겨나가기 쉬운 쌀의 경우 경고 문구가 들어있다.)

씻는 것은 추가 영양분을 씻겨나가게 하지만, 이는 특히 활석 파우더를 첨가한 쌀의 경우(미국을 제외한 몇몇 국가에서는 불법이다) 밥맛을 좋게 하는데 있어 특히 중요하다.

[편집] 조리 방법

쌀은 물에 넣은 뒤 충분히 물을 흡수해서 부드럽고 보풀보풀하게, 혹은 끈적끈적하게 될 때까지 가열한다. 쌀 양에 따른 정량의 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조리 때만 물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밥솥과 같은 전자 제품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조리할 수도 있다.

쌀은 요리하기 전에 물에 담가 둘 수도 있다. 과 같이 이는 쌀을 보다 빠르게 조리되게 하며, 쌀 조직을 팽창시킴으로서 보다 부드러운 밥맛이 나게 한다.

현미의 경우 5~6시간 불린 뒤 밥을 지으면 되지만, 최근에는 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발아 현미밥도 이용되고 있다. 이는 씻은 현미를 조리하기 전 8-12시간 정도 섭씨 38도(화씨 100도) 정도의 따뜻한 물에 담가 두는 것이다. 이 과정은 발아 과정을 촉진시키며, 쌀에 있는 여러 효소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감마아미노 낙산(Gamma-amino butyric acid, GABA)를 비롯한 아미노산을 완전히 흡수할 수 있다.

[편집] 생산 및 교역

[편집] 세계 생산 및 교역

세계 쌀 연구원 통계자료에 따르면[1], 세계 쌀 생산량은 1960년의 200만 톤에서 2004년의 600만 톤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2004년 최대 생산 국가는 중국(세계 생산량의 31%), 인도(20%), 그리고 인도네시아(9%)순이다.

동일 통계자료에 따르면, 세계 교역 양상은 생산량의 5-6%만이 거래될 정도로 난항이다. 최대 수출국은 타이(세계 수출량의 26%), 베트남(15%), 미국(11%) 순이며, 최대 수입국은 인도네시아(14%), 방글라데시(4%), 브라질(3%)의 순이다. (통계치는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의 2005년 9월 자료를 따랐다.)

[편집] 대한민국의 생산 및 교역

2005년 현재 서울, 제주도를 포함한 모든 지방에서 벼농사를 짓고 있으며,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통계 자료[2]에 따르면, 쌀 생산량은 전라남도(19만 헥타르), 충청남도(16만 6천 헥타르), 전라북도(14만 3천 헥타르)의 순이다. 재배 면적은 1990년 124만 헥타르를 기점으로 꾸준히 감소해, 2005년에는 96만 6천 헥타르이다.

2004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9만 톤, 미국에서 7만 톤, 타이에서 5만 톤을 수입했다. 한편 수출 물량은 쿠웨이트로 244톤, 중국으로 25톤, 미국으로 7톤이었다.

[편집] 대표적인 세계의 쌀 요리

  • 필라프
  • 리조또
  • 빠에야(파에야)
  • 도리아
  • 초밥 및 유부초밥
  • 오무라이스
  • 나시고렝(nasi goreng)
  • 나시레막(nasi lemak)
  • 치킨 라이스
  • 비빔밥
  • 볶음밥
  • 누룽지
  • 누룽지탕
  • 덮밥
  • 비흥
  • 쌀국수(pho)
  • 춘권

[편집] 세계 쌀의 해

유엔총회는 2002년 12월 16일, 2004년을 세계 쌀의 해로 선포하였다. 이는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의 결의안을 받은 결과로, 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및 식량 확보에 대한 세계적인 협력을 촉구하는 것이다. 이에 동의한 국가로는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부르키나파소, 캄보디아, 쿠바, 키프로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콰도르, 피지, 가봉, 그레나다,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키르키스스탄, 라오스, 마다가스카르, 말리, 말레이시아, 마셜 제도, 모리타니, 미얀마, 나우루, 페루, 네팔, 니카라과, 니제르, 나이지리아, 파푸아 뉴기니, 파키스탄, 필리핀,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싱가포르, 스리랑카, 수단, 타지키스탄, 타이, 토고, 베트남, 잠비아이다.

[편집] 대한민국 정부 수매 정책

[편집] 추곡 수매 제도

1948년-2004년

[편집] 공공 비축미 매입 제도

2005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이 글에 관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