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방자(李方子, 1901년 11월 4일 - 1989년 4월 30일)는 한국의 마지막 황태자비로 의민태자 이은(李垠)의 비이다.
목차 |
[편집] 생애
1901년 11월 4일, 메이지 천황의 조카이자 황족인 나시모토노미야(梨本宮) 모리마사(守正)와 그의 부인 이츠코(伊都子)의 장녀 마사코(方子)로서 도쿄에서 태어났다. 사촌인 구니노미야 나가코(후에, 나가코 황후가 됨) 및 화족 이치조 도키코 등과 함께 황태자 히로히토의 강력한 배우자 후보로 떠올랐으나 미미한 정치적 기반과 불임의 가능성을 이유로 1916년, 유학을 명목으로 일본에 볼모로 있던 대한제국 황태자 이은과 약혼하였다. 1920년, 일본 황실의 교육기관인 학습원(學習院) 여자고등과를 거쳐 같은 해 4월 28일, 도쿄 록폰기 이왕저에서 이은과 결혼식을 올렸다. 불임이라는 진단과는 달리 1921년, 장남 진(晉)을 낳았으나 진은 이듬해 조선에서 죽었다 (독살당했다는 설이 있음).
1931년, 둘째 구(玖)를 낳았으나 패전 후 이루어진 신적강하로 인해 신분이 강등되었고, 의민태자의 인기를 시기한 이승만의 방해로 귀국마저 좌절되자 재일 한국인으로서 고된 삶을 살았다. 1960년, 자유당 정권의 부정에 격노해 일어난 학생혁명인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실각,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의 도움으로 1963년, 귀국하여 창덕궁 낙선재에 기거하였다.
1963년, 신체장애자재활협의회 부회장을 거쳐 1966년 자행회를 설립, 1967년에는 농아 및 소아마비자들을 위한 시설인 명휘원을 설립하였으며 1970년, 남편을 잃었다. 1971년, 정신박약 어린이들의 교육을 목적으로 경기도 수원에 자혜학교를 설립하고 1971년 영친왕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았으며 1972년, 서울시문화상을 수상, 자혜학교와 명혜학교의 이사장을 역임하는 등 사회 복지 및 재활 사업에 정열을 쏟아 "한국 장애 어린이의 어머니"로 존경받았다. 일본에는 한국인들의 존경을 받은 유일한 일본인으로 알려져 있다.
말년에는 직장암으로 수술을 받은 후 일본으로 건너가 아들 구(玖)와 함께 지내다가 1989년에 귀국, 같은 해 4월 30일, 낙선재에서 사망했다. 장례는 1989년 5월 8일, 당시 국무총리 강영훈과 쇼와 천황의 막내 동생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 및 부인 유리코 친왕비 등 1000여명의 조객이 참례한 가운데 준국장으로 치러졌으며 남양주 홍유릉 영친왕 묘소에 합장되었다.
[편집] 자녀
- 장남 이진(李晉, 1921년 8월 18일 - 1922년 5월 11일). 조선을 방문했다가 귀국을 하루 앞두고 의문의 독살을 당했다.
- 차남 이구(李玖, 1931년 12월 29일 - 2005년 7월 16일). 부인은 미국 태생의 줄리아 멀록. 부친의 죽음 이후 황실의 수장을 맡아 한국에 거주하다가 아내와 별거했으며, 사업에 실패하자 일본으로 돌아가 이혼하였다. 일본에서 지내던 중 2005년 7월 16일, 자신이 태어난 자리이기도 한 아카사카 프린스 호텔에서 사망하였다.
[편집] 저서
- 《지나온 세월》
- 《The World is One》
- 《세월이여 왕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