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톤 (위성)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리톤
발견
발견자 윌리엄 라셀
발견일 1846년 10월 10일
궤도의 특성
긴 반지름 354,800 km
이심률 0.0000
공전 주기 5.877 일 (역행)
궤도 경사 130.67° (황도면에 대해)
157.340° (해왕성의 적도면에 대해)
130.063° (해왕성의 궤도에 대해)
모행성 해왕성
물리적 성질
평균 직경 2706.8±1.8 km [1]
표면적 23,018,000 km²
부피 10,384,000,000 km³
질량 2.147×1022 kg
평균 밀도 2.05 g/cm³
표면 중력 0.78 m/s²
탈출 속도 1.5 km/s
자전 주기 5.877 일
동주기 자전
자전축 기울기 0
반사율 0.76
표면 온도
- 최소
- 평균
- 최대


34.5 K
대기 조성
압력 0.001 kPa
질소 99.9%
메탄 0.1%

트리톤(Triton 또는 Neptune I, 그리스어: Τρίτων)은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이고,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운 천체의 하나이다. 또 복잡한 지질학적 역사를 갖고 있으며 비교적 젊은 표면을 갖고 있다고 믿어진다. 해왕성이 발견된 후, 단지 17일 후인 1846년 10월 10일 윌리엄 라셀에 의해 발견되었다.

[편집] 이름

트리톤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포세이돈 또는 로마 신화의 넵투누스의 아들이자 바다의 신인 트리톤에서 유래된 것이다. 1880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카미유 플라마리옹이 이 이름을 제안했다.


태양계
그림:Eight Planets.png
행성: 수성 - 금성 - 지구 - 화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
왜행성: 세레스 - 명왕성 - 에리스
기타: 태양 - 위성 - 소행성대 - 혜성 - 카이퍼 대 - 산란 분포대 - 오르트 구름
참조: 태양계 천체 목록(반지름순, 질량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