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제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불교 卍

불교

기본 교의
불교의 삼보
삼과설 · 연기설 · 법인설
사제설(팔정도)
주요 경전
화엄경 · 금강경 · 법화경
주요 인물
석가모니 · 십대제자 · 달마
불교의 분류
사상: 소승불교 · 대승불교 · 선불교
시대: 원시불교 · 부파불교 · 대승불교
지역: 남방불교 · 북방불교
한국의 불교

사성제 (四聖諦 혹은 四諦, 산스크리트어: Āryasatya)아함경에서 가르치는 법 가운데 하나로서 네가지 높은 깨우침(Ārya: 높은, Satya: 깨우침)을 뜻한다.

목차

[편집] 1. 고제 (苦諦, Duhakaha Satya)

우리의 삶이 아픔이라는 것을 깨우치는 데에 힘쓰도록 한다. 삶의 아픔은 여덟군데에서 비롯된다.

[편집] 팔고 (八苦)

  • 1. 우리가 여기에 태어났다는 것은 바로 아픔의 뿌리이다 (生).
  • 2. 태어나서 늙게되는 것은 또한 아픔이다 (老).
  • 3. 살아가면서 병이 들면 아픔을 뼈저리게 깨닫는다 (病).
  • 4. 삶을 언젠가는 마무리지어야 한다는 것에 아픔을 깨닫는다 (死).
  • 5. 사랑하고 헤어지는 아픔을 깨닫는다 (愛別離).
  • 6. 미워하고 한숨지으며 아픔을 깨닫는다 (怨憎會).
  • 7. 무엇을 얻고자 하나 얻지 못하면서 아픔을 깨닫는다 (求不得).
  • 8. 사람으로 태어나 가진 다섯가지 조건에서 비롯되는 아픔을 깨닫는다 (五取蘊).

오취온 (五取蘊, Paňca Sakandha)

    • 1. 색 (色, Rūpa)
    • 2. 수 (受, Vedanā)
    • 3. 상 (想, Samjňā)
    • 4. 행 (行, Samskāra)
    • 5. 식 (識, Vijňāna)

[편집] 2, 집제 (集諦, Samudaya Satya)

[편집] 3. 멸제 (滅諦, Nirodha Satya)

[편집] 4. 도제 (道諦, Mārga Sat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