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성(開城)은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시. 고려의 옛 수도로 500년간 번영하였다. 이전에는 경기도에 속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개성공업지구"로서 "도"로부터 독립하고 있다. 한반도의 주요 도시안에서, 가장 판문점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북쪽에 제석산, 천마산, 두석산이, 중앙에 송악산이, 남쪽에 진봉산과 용수산이 있다.
개성시는 소규모의 메기농장과 개성인삼농장, 그리고 개성인삼가공공장이 있으며, 모직물과 편직물 각종 의류들을 생산하는 개성편집물공장과 개성수지공장이 있고, 개성일용품공장과 개성육류공장, 그리고 개성신발공장과 개성목재공장, 개성일용잡화공장 등이 있다.
그중에서 개성인삼공장에서 생산되는 개성인삼은 가공하지 않은 채 평양직할시으로 운송되기도 하고, 또는 가공되어서 보내진다.
자고로 중국사람들에게 동방의 명약이라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고, 19세기 미국에서 생산된 홍삼도 인기가 하락했을 만큼 우수한 약재 효능을 가지고 있었던 개성인삼은 약재관리소와 화장품공장에서도 비누나 건강 화장품, 피부노화방지에도 좋은 효능을 보이고 있으며, 화장품이나 악재에서도 그 능력이 인정받고 있다.
그밖에 금융기관은 북조선정부에서 개설한 "중앙은행"의 개성지점이 있고, 관광시설으로는 "자남산여관"과 개성민속여관이 있다. 의료기관에는 개성인민병원과 개성진료소가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종합대학인 "고려성균관"과, 전문대학인 "개성공업대학", "개성음악무용대학"이 있고, 중등기관으로는 송악중학교, 개성소학교, 판문소학교가 있다.
과외학습기관인 "개성학생소년궁전"과 "개성체육청소년학교"가 있으며, 상업시설은 "개성백화점"이 있다.
그중에서 "개성민속여관"이라는 숙박시설은 선죽동에 있는 건물이며, 조선시대 때 지어진 전통 한옥들과 상업시설이 많이 밀집해 있다. 이 곳은 마치 한국의 경기도 용인시와 경상북도 안동시의 한옥민속마을과 흡사한 형태이다. 개성민속여관은 1975년에 김일성 국가주석이 "우리의 문화와 풍습들을 잘 보존해야겠다." 고 말하면서 여기를 "보전거리"라는 이름으로 바뀌고, 여관들을 만들도록 하였다.
그래서 관광객 개성민속여관으로 가면 개성지방의 전통음식인 우메기(한과)와 인삼차, 송도보쌈김치(송도쌈김치)의 맛을 느낄 수 있으며, 한국(북조선)의 전통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이 곳은 최근 한국의 관광객에도 개방되고 있으며, 수입이 많다.
[편집] 고려 500년의 도읍
신라 시대에 송악군이였던 이 지역은 바다로 많이 왕래한 호족의 본거지였고 왕씨 일가는 그 대표적인 존재였다. 궁예도 철원을 후고구려의 도읍으로 확정하기 전에는 한때 이곳을 임시 도읍으로 삼았다. 918년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세워 본격적으로 고려의 도읍이 된 이후로는 개주, 개경, 개성부 등으로 불렸다. 이후 조선 왕조가 들어서 한양으로 천도할 때까지 489년간 고려와 조선 두 왕조의 도입이었다. 인접한 항구 도시인 벽란도와 함께 국제 상업 도시로 발달했다.
[편집] 개성공업지구
2000년 8월, 김정일 국방위원회위원장과 정몽헌 현대 그룹 회장의 합의에 의해서, 북조선측이 토지와 노동력을, 한국 (현대)측이 기술과 자본을 제공하고, 개성에 일대 공업단지를 만드는 것이 정해졌다. 2002년 11월에, 조선 정부는 "개성공업지구법"을 제정. 2003년 6월, 약 330만㎡를 조성하는 제1기 공사가 기공되어 2007년의 완성에 향해서 공사가 진행중이다. 다만, 쌍방의 의견 대립등도 있어, 단순하게 순조롭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런데도 남북의 송전선이나 서울로부터의 광섬유가 연결되는 등의 큰 진전도 많다.
- 북조선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2003년에 개성시는 개성특급시가 되어 황해북도에 소속되었고, 판문군을 재외한 개풍군과 장단군은 개성특급시와 분리되어, 황해북도에 소속되었다. 개성특급시와 판문군을 합쳐, 개성공업지구를 신설했다.
[편집] 정보
- 개성시를 이루는 지역
- 자남동
- 역전동
- 통일동
- 선죽동
- 송악동
- 동흥동
- 만월동
- 개성시에 있는 시설들
- 개성시학생소년궁전
- 자남산여관
- 개성인삼농장
- 개성시백화점
- 개성시청소년체육학교
- 개성시민속여관 -개성시민속여관은 한국의 용인시의 용인민속촌과 흡사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
---|---|
직할시 | 평양직할시 |
특구 | 신의주특별행정구 | 금강산관광지구 | 개성공업지구 |
도 | 강원도 | 량강도 | 자강도 | 평안남도 | 평안북도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황해남도 | 황해북도 |
분류: 개성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