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문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종(文宗, 1019년 - 1083년)은 고려의 제 11대 왕(재위 1046년 - 1083년)이다.

는 휘(徽), 는 촉유(燭幽), 시호는 문종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文宗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이다. 현종(顯宗)과 원혜왕후(元惠王后) 김씨(金氏)의 셋째 아들이다.

[편집] 생애

1022년 낙랑군으로 봉해졌으며, 1037년 내사령에 임명되었다. 형인 정종이 세상을 뜬 후, 왕위를 계승했다.

[편집] 업적

재위 37년 간 동안 고려의 문물 제도는 크게 정비되어 이 시기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불교, 유교, 미술, 공예 등 문화 전반에 걸쳐 괄목할 수준을 드러내 문화가 크게 발전되었다.

문종은 즉위하자마자 문하시중 최충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게 함으로써 각종 법을 만드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불교를 신봉하여 1067년 흥왕사(興王寺)를 세웠고, 태자 왕후(王煦)를 출가시켜 승려가 되게 하니 그가 바로 대각국사 의천이다.

유학도 장려하여 이 무렵 최충의 9재(九齋)를 선두로 12도(十二徒)의 사학(私學)이 발달하였다. 지방에서도 중앙에서 파견하는 관리의 수가 늘었다.

국방과 외교에도 힘써 동여진(東女眞)이 북변을 침략하자 이를 토벌하여 동여진에 대한 초기의 정책은 다소 강경했으나 이후 점차 회유책을 썼고, 특히 송나라, 이슬람 등과 친선을 도모하여 교역이 융성하였다. 1056년 일본 사신이 개경을 방문하였다.

빈민 구휼에서도 치적을 쌓았다.

[편집] 가계

  • 인평왕후 김씨(人平王后)
  • 인예왕후 이씨(人睿王后)
    • 순종
    • 국원후(國原侯) : 선종
    • 계림공(鷄林公) : 숙종
    • 대각국사
    • 상안공(常安公)
    • 도생승통(道生僧統)
    • 금관후(金官侯)
    • 변한후(卞韓侯)
    • 낙랑후(樂浪侯)
    • 총혜수좌(聰惠首座)
    • 적경궁주(積慶宮主)
    • 보령궁주(保寧宮主)
  • 인경현비 이씨(仁敬賢妃)
    • 조선공(朝鮮公)
    • 부여공(扶餘公)
    • 진한공(辰韓公)
  • 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
  • 인목덕비 김씨(仁穆德妃)


전 임
정종
제11대 고려왕
1046년 - 1083년
후 임
순종
고려역대 국왕
고려: 태조 | 혜종 | 정종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정종 |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숙종 | 예종 | 인종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 원종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이 문서는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