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電鐵 1號線)은 수도권 전철의 노선중 하나이다.
전체 노선 중 청량리~서울역 구간은 서울메트로가 운영하고 있고 그 외의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첫 번째 1기 지하철 노선으로, 최초의 도심 입체 교통망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청량리~서울역 구간의 2005년 일평균 승차인원은 약 31만 8천명이며 하차인원은 약 30만 9천명이다. [1]
목차 |
[편집] 역사
- 1974년 8월 15일 : 지하철 1호선 청량리-서울역, 서울역-수원, 구로-인천, 청량리-성북 구간 38개역 개통.
- 1978년 12월 9일 : 용산-청량리간 4개역 (현재의 용산-덕소선 용산-청량리 구간) 개통.
- 1979년 2월 1일 : 성대앞역 개통
- 1980년 1월 5일 : 신이문역 개통
- 1980년 4월 1일 : 서빙고, 회기, 한남역 개통
- 1982년 8월 2일 : 석수역 개통
- 1984년 5월 22일 : 신도림역 개통
- 1984년 11월 20일 : 백운역 개통
- 1985년 1월 14일 : 석계역 개통
- 1985년 8월 22일 : 월계, 녹천역 개통
- 1985년 10월 18일 : 옥수역 개통
- 1986년 9월 22일 : 창동-의정부간 6개역 개통
- 1987년 10월 5일 : 의정부북부역 개통
- 1987년 12월 31일 : 중동역 개통
- 1988년 1월 16일 : 온수역 개통
- 1988년 10월 25일 : 금정역 개통
- 1994년 7월 11일 : 간석, 도원역 개통
- 1995년 2월 16일 : 구일역 개통
- 1996년 3월 28일 : 부개역 개통
- 1997년 4월 30일 : 소사역 개통
- 1998년 1월 7일 : 신길, 독산역 개통
- 1999년 1월 29일 : 부평-용산간 복복선 개통
- 2001년 11월 30일 : 도화역 개통
- 2002년 3월 15일 : 주안-부평간 복복선 개통
- 2003년 4월 30일 : 수원-병점간 2개역 개통
- 2005년 1월 20일 : 병점-천안간 8개역 개통
- 2005년 12월 16일 : 용산-회기간 노선이 용산-덕소선으로 연장 분리
- 2005년 12월 21일 : 동인천-주안간 복복선 개통, 동묘앞역 개통
- 2005년 12월 27일 : 세마, 오산대역 개통
[편집] 급행 열차
한국철도공사는 1호선의 노선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중거리 승객의 효율적인 수송을 위하여 급행 열차를 운행중이다. 급행 열차의 요금은 모든 역을 정차하는 일반 열차와 같다.
[편집] 용산-동인천 급행
용산역에서 동인천역까지 매일 운행하는 급행 열차이다. 용산역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동인천급행, 용산급행으로 표시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용산-노량진-대방-신길-영등포-신도림-구로-역곡-부천-송내-부평-동암-주안-동인천
[편집] 용산-천안 급행
용산역에서 천안역까지 운행하는 급행 열차이다. 매일 서울-용산급행이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 운행하며 용산역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천안급행, 용산급행으로 표시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용산-노량진-대방-신길-영등포-신도림-구로-가산디지털단지-안양-수원-병점-오산-서정리-평택-성환-두정-천안
[편집] 서울-천안 급행
월요일에서 토요일까지,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되는 급행 열차이다.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하는 지하철 서울역의 지상 승강장에서 타고 내리며 1호선 서울역 1번 출구로 드나들 수 있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천안급행, 용산급행으로 표시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서울-시흥-안양-군포-의왕-성균관대-수원-병점-오산-서정리-평택-성환-두정-천안
[편집] 운영
- 회사 : 한국철도공사 (인천/천안-남영, 회기-의정부북부), 서울메트로 (서울역-청량리)
- 송전 방식 : 직류 1500볼트, 교류 25000볼트
- 궤간 : 표준궤
- 통행 방향 : 좌측 통행
- 신호 체계 : ATS (Automatic Train Stop)
[편집] 주
[편집] 같이 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 | |
---|---|
경원선: | 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구간: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경인선: | (남영역부터 구로까지 경부선과 동일)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 |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
분류: 수도권 전철 1호선 | 토막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