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국제항공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국제항공공사(中国国际航空公司, Zhōngguó Guójì Hángkōng Gōngsī) 또는 에어 차이나(Air China)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항공사이다. 중국에서는 줄여서 국항(国航)이라고도 한다. 중국 정부가 소유하고 있으며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에 기반을 둔 중국 제2위의 항공사이다. 중국국제항공은 국적기이며, 모든 항공기에 중화인민공화국 국기를 표시한 유일한 항공사이다. 중화민국(타이완)의 차이나 에어라인(中華航空, China Airlines)하고는 구별하여야 한다. 중국국제항공의 상징은 붉은 봉황으로 기체의 꼬리날개에서 볼 수 있다.
목차 |
[편집] 부호
[편집] 역사
중국국제항공은 1988년 7월 1일 설립되었다. 기존의 중국민용항공총국(중국민항)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결정으로 여러 개의 독자적인 이름을 가진 항공회사로 분할되었는데, 그 중 베이징 관리국이 중국국제항공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94년에는 항공산업 관련 규제가 더 풀려서 공항에 대한 외국 자본 투자가 허용되었고 중국 국외에서 생산된 항공기의 수입이 허용되었다. 1996년에 이르기까지 이 나라에는 108개의 공항에 30개의 항공사들이 취항하고 있었다. 2002년 10월 28일 중국국제항공은 중국항공총공사와 중국서남항공을 합병하였다.
2004년에 중국 항공산업의 합병의 일환으로, 중국국제항공은 중국민용항공총국의 일부분이던 저장항공을 흡수하였다. 2004년 12월 15일 중국국제항공은 홍콩과 런던의 주식시장에 상장되었다. 중국국제항공은 중국화물항공(51%)과 마카오항공(51%)의 주식을 가지고 있고 또한 산동항공의 대부분의 주식을 가지고 있다.
2005년 3월 중국국제항공은 캐세이 퍼시픽의 최대 주주인 스와이어 그룹과 협상을 하였다. 협상 내용은 중국국제항공이 캐세이 퍼시픽을 인수하고 캐세이 퍼시픽이 드레곤에어의 대주주가 되고 반면에 스와이어 그룹은 중국국제항공의 모회사의 최대 주주가 되는 것이었다. 두 항공사는 이에 따라 두 항공사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완전히 합병하지는 않을 것이고 스와이어 그룹이 여전히 캐세이 퍼시픽의 최대 주주로 남을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또한 중국국제항공은 2005년 말에 캐세이 퍼시픽과 코드쉐어 방식으로 협력할 것이며 2005년 하반기에는 아시아 마일즈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중국국제항공 발족 당시에는 중국민항으로부터 인수한 구소련의 기체가 많았으나, 지금은 주로 보잉사와 에어버스사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다.
2005년 1월 현재 중국국제항공은 영어: China National Aviation Holding Company (CNAH)가 69%, 일반 투자자가 21%, 캐세이 퍼시픽이 10%의 주식을 가지고 있다.
[편집] 운항 노선
(출발지:도착지)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 대구국제공항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 수완나품 공항(방콕)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존에프케네디 국제공항(뉴욕), 다촨(중국어: 达川), 대구국제공항, 수완나품 공항(방콕), 김해국제공항(부산), 샤먼 가오치 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서울), 창춘 룽자 국제공항, 청두 솽류 국제공항, 코펜하겐 공항, 홍콩 국제공항
- 샤먼 가오치 국제공항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서울)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옌지 차오양촨 공항, 웨이하이 공항, 청두 솽류 국제공항, 칭다오 류팅 국제공항,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
- 옌지 차오양촨 공항 : 인천국제공항(서울)
- 웨이하이 공항 : 인천국제공항(서울)
- 청두 솽류 국제공항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구이양 롱동바오 공항, 나리타 국제공항(도쿄), 난창 국제공항, 라사 공가 공항, 란저우 종촨 공항, 수완나품 공항(방콕),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상하이 홍치아오 공항, 샤먼 가오치 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서울),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 시안 셴양 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 싼야 펑황 국제공항, 우루무치 디워푸 국제공항, 우한 톈허 국제공항, 원저우 국제공항, 창샤 황화 국제공항,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 칭다오 류팅 국제공항, 쿤밍 우자바 국제공항, 푸저우 청러 국제공항,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 홍콩 국제공항, 후쿠오카 공항
- 칭다오 류팅 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서울)
-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서울)
- 홍콩 국제공항 : 구이양 롱동바오 공항,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 라사 공가 공항,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청두 솽류 국제공항,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
[편집] 중국 3대항공회사
- 중국국제항공그룹
- 중국동방항공그룹
- 중국남방항공그룹
[편집] 바깥고리
- ((중국어/영어)) 중국국제항공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