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불교는 삼국시대 중국을 통해 전파되었다. 이때는 율령체제 정비와 시대를 같이한다. 불교는 도입된 이래 삼국과 고려 시대의 지배 이념이었다. 남북국시대 신라 말기에 중국의 선종이 전파되었으며 고려 시대 이후 한국 불교는 선종을 중심으로 한 통불교, 즉 선-교 양종의 통합 불교가 주축을 이루었다. 근세 이후 한국 불교의 주종은 선종이다. 해방이후 비구-대처분쟁이후 비구 종단은 조계종을 중심으로 정립되었고, 조계종은 2006년 현재까지 한국 불교의 대표 종단이다. 불교 대승 종단은 소의 경전을 중심으로 나눌수 있다.
[편집] 한국의 불교 종단
[편집] 대승불교 종단
[편집] 사찰 현황
[편집] 대한민국 사찰 현황
문화관광부의 2005년 5월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907개의 사찰이 있으며, 시도별, 종단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편집] 시도별 사찰 현황
[편집] 종단별 사찰 현황
종단별 |
사찰수 |
종단별 |
사찰수 |
종단별 |
사찰수 |
종단별 |
사찰수 |
조계종 |
735 (81%) |
태고종 |
102(11%) |
법화종 |
22 (2%) |
선학원 |
16 (2%) |
원효종 |
5 (1%) |
기타 |
27 (3%) |
|
|
|
|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찰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