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기수법

그리스 숫자
로마 숫자
마야 숫자
아라비아 숫자
한자 숫자



이진법 (2)
삼진법 (3)
사진법 (4)
팔진법 (8)
십진법 (10)
십이진법 (12)
십육진법 (16)
이십진법 (20)
육십진법 (60)

숫자(數字, [수짜], 문화어: 수자)는 기수법에서 를 표기하기 위한 기호 또는 기호의 집합이다.

목차

[편집] 역사

[편집] 고대 이집트

나폴레옹이 이집트에 갔을 때 '로제타'라고 하는 작은 도시에서 알 수 없는 문자들이 기록되어있는 바위를 하나 발견했다.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은 로제타석을 해독했다. 그리고 해독을 하고 난 다음 고대 이집트의 숫자가 위와 같다는 것을 알았다.은 바로 선 막대를 나타낸 것이고, 100을 나타내는 은 나일강의 올챙이를 보고 나타낸 것이다.

[편집] 바빌로니아

약 5000년 전에는 그곳에 바빌로니아라는 나라가 있었다. 그 나라 사람들을 수메르인이라고 부른다. 수메르인들은 일찍부터 쐐기모양의 기로호 된 숫자를 가지고 있었다. 풀을 잘라서 그 줄기의 끝으로 점토판에 새겨서 말리거나 바위에 새겨넣었다. 그래서 이 지역에서는 쐐기모양의 숫자가 새켜진 점토판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편집] 마야

마야인들은 이집트사람들보다 더 일찍 숫자를 계산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0'나타내는 숫자를 사용했다고 한다. 그들은 점 (·)과 막대기 (―)를 섞어서 1에서 19까지를 수를 나타냈다.

[편집] 잉카

남아메리카 지역에 마야 문명 외에도 잉카문명이라는 것이 있다. 잉카 사람들은 고도로 발달된 문명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숫자를 나타내는 문자가 없었다고 한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아직도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이다.끈의 매듭수에 따라서 소가 몇마리 있는지(수량을) 나타냈다고 한다. 그래서 끈 맺는 기술자도 있었다고 한다.

[편집] 로마

문자를 숫자로 사용했다. 로마 숫자는 " I, V, X, L, C, D, M " 이런 문자들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 숫자들은 큰수를 나타내기가 너무 불편하고 계산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로마의 사람들은 계산할때는 주로 주판을 사용했다고 한다.

[편집] 숫자에 관한 철학적 고찰

  • "인식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숫자를 가지고 있다. 숫자가 없으면 무엇 하나 이해하거나 생각할 수 없다."[1]

[편집] 각주

  1. 필롤라오스(기원전 5세기),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들》D44B4
이 문서는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