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대한민국의 국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림 좀 올려주세요...올리려다 실패......ㅜㅜ
- 그러게요. 영문 위키백과의 태극기 페이지에 있는 그림은 비례가 잘못 되었군요.
[편집] 인용삭제
옛날에 포희씨가 천하를 다스릴 때, 위로는 우러러 하늘의 모양을 관찰하고 아래로는 굽어 땅의 모범을 관찰하였으며, 옆으로는 날짐승과 들짐승의 현상과 땅의 마땅함을 살펴 가까이는 자신의 몸에서 취하고 멀리는 모든 사물에서 비유를 취하여 팔괘를 처음으로 그림으로써 신명의 덕과 통하게 하여 만물의 상황을 종류대로 분류하였다. 古者庖犧氏之王天下也 仰則觀象于天, 俯則觀法于地; 觀鳥獸之文與地之宜, 近取諸身, 遠取諸物, 于是始作八卦, 以通神明之德, 以類萬物之情.(周易 系辭下傳, 번역출처: 안원전의 홈페이지 http://cheramia.net/index.html)
저작권자가 누구인지(즉, 누가 번역했는지)조차 안 나와있어서 지웠습니다. 새로 번역하시거나 원문만 올려 주시면 좋겠네요. 그리고 이 구절은 팔괘에 있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Puzzlet Chung 2006년 1월 18일 (수) 21:12 (KST)
[편집] 태극기의 역사 좀 알려 주세요.
태극기도 성조기와 마찬가지로, 역사에 따라 변해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태극기의 역사를 좀 알 수 없을까요?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2006년 6월 26일 (월) 11:34 (KST)
- 우리나라 최초의 태극기는 조선 시대 때 1883년에 제정된 것으로 봅니다(영문판 위키백과에서 약간 인용). 현재와 비슷한 형태의 태극기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승인한 것으로 봅니다. 현재 형태는 우리나라 정부가 수립되고부터 제정된 것으로 봅니다.--61.85.57.219 2006년 8월 8일 (수) 19:17 (KST)
[편집] 4괘의 정확한 순서
4괘의 순서에 대해서 의견인 분분한데요.. 건곤감리 건곤이감 여기서 사용된 것 처럼 건리감곤 이라고 말하시는 분들도 있더군요. 어떤게 옳은 표현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