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리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철학
참여해보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되나요? Camillus 2006년 10월 30일 (월) 02:08 (KST)
[편집] 오늘의 역사
다른 날짜에 "오늘의 역사/8월 1일"보다는 그냥 "8월 1일"을 연결하는게 어떨까요? 날짜 페이지가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요. (물론 아직 덜 정리된 곳도 있지만요.) -- ChongDae 2006년 8월 27일 (월) 15:17 (KST)
- 네, 날짜 페이지가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 맞습니다. 그러나 아직 "오늘의 역사"가 위키백과 대문에 노출되는 중요한 문서임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페이지가 빈 페이지로 존재하고 있고, 가능하면 빠른 시일에 "오늘의 역사" 페이지가 채워져야 한다고 생각해서 다른 날짜의 "오늘의 역사" 쉽게 옮겨 다니며 "오늘의 날짜"를 편집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다른 날짜"의 링크 포맷을 바꾼것입니다. "8월 1일"로 연결하는 것은 "기념일" 왼쪽의 "8월 1일"을 클릭하여 넘어 갈수 있지 않을까요?. "오늘의 역사" 페이지가 모두 채워지면 그때 가서 ChongDae님 말씀처럼 "8월 1일"에 연결해도 상관없겠지요. 또, "다른 날짜"가 "오늘의 역사"의 다른 날짜를 의미하므로 "오늘의 역사/8월 1일"에 연결하는 편이 논리적으로도 맞구요. -- 리듬 2006년 8월 27일 (월) 18:32 (KST)
-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대문에 노출되는" 주요 페이지를 고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 것 아닌가요? 그리고 작업을 위해서라면 "위키백과:오늘의 역사/X월"에서 직접 하는게 더 편합니다. 일을 이중으로 해야 하는 듯 싶은데요? -- ChongDae 2006년 8월 27일 (월) 18:37 (KST)
- 꼭, 작업의 편의만을 위해서 주요 페이지를 고치자는 뜻은 아니었구요. 물론, 경우에 따라서 "위키백과:오늘의 역사/X월"에서 직접 하는 게 더 편할 수 있겠습니다. 저는 "오늘의 역사"에서의 다른 날짜의 의미를 "(다른 날짜의) 오늘의 역사"로 이해했습니다.-- 리듬 2006년 8월 31일 (목) 13:34 (KST)
- 8월 1일의 역사는 위키백과:오늘의 역사/8월 1일보다 8월 1일 쪽이 더 자세하지 않나요? -- ChongDae 2006년 9월 14일 (목) 09:36 (KST)
- 네. 대부분 8월 1일 쪽이 자세하죠. 그런데 그것과 다른 날짜를 8월 1일로 연결하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죠? 8월 1일로 가는 링크는 "오늘의 역사" 페이지 왼쪽 상단에도 있잖아요? -- 리듬 2006년 9월 14일 (목) 10:16 (KST)
-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대문에 노출되는" 주요 페이지를 고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 것 아닌가요? 그리고 작업을 위해서라면 "위키백과:오늘의 역사/X월"에서 직접 하는게 더 편합니다. 일을 이중으로 해야 하는 듯 싶은데요? -- ChongDae 2006년 8월 27일 (월) 18:37 (KST)
[편집] 틀:대한민국 시군구
{{{세대연도}}}는 그대로 두시고, {{{총인구연도}}}를 {{{총인구_조사년도}}}년 으로 고치신 이유가 있나요? 서울 영등포구 같은 곳은 지금 깨져서 나타나네요. :) --정안영민 2006년 10월 12일 (목) 00:13 (KST)
- 띄어쓰기와 통계조사연도를 표시하기 위해 고쳤는 데 일부만 고쳐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조사년도는 조사연도로 표시하는 것이 올바른 표기법이군요. {{{세대_조사연도}}}년, {{{총인구_조사연도}}}년으로 고치는 것이 낫겠네요. -- 리듬 2006년 10월 12일 (목) 07:53 (KST)
[편집] 틀:신라의 역대 국왕
오늘 하신 편집은 1024x768에서 보면 줄이 밀려서 예쁘게 안나오네요(익스플로러와 불여우 둘 다 해당). 사용자마다 사용환경이 다르겠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024x768에서 1280x1024를 표준으로 놓고 편집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 --정안영민 2006년 11월 6일 (월) 12:17 (KST)
- 네, 수정했습니다. -- 리듬 2006년 11월 6일 (월) 12:56 (KST)
[편집] '386'에 대해
'386'이라는 용어가 '보수 언론'이 만들어 낸 용어라는 소리는 처음 듣는군요? 그냥 '30대-80년대학번-60년대생'을 일컫는 신조어 아닌가요? 혹시 이 낱말의 기원에 대해 더 알고 계시면 알려주세요. --Sjhan81 2006년 11월 7일 (화) 00:52 (KST)
- 제가 편집 요약에 했던 말은 '386'이라는 용어를 '보수 언론'이 만들어 냈다는 것 아니고 '386 간첩단 사건'이라는 명칭을 보수언론이 만들어 냈다는 뜻이었습니다. -- 리듬 2006년 11월 7일 (화) 00:54 (KST)
[편집] 그림:386세대.jpg
이 정도는 표로 처리해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 ChongDae 2006년 11월 21일 (수) 20:04 (KST)
- 그렇겠군요. 표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 리듬 2006년 11월 21일 (수) 20:28 (KST)
[편집] 오늘의 역사
3-5개 정도의 항목만을 넣고 그 이상은 날짜 페이지에 적는 것 아니었나요? -- ChongDae 2006년 11월 23일 (목) 09:56 (KST)
- 네. 맞습니다. 그런데 "오늘의 역사"가 대문에 노출되었을 때, 왼쪽의 "새소식"과 "알고 계십니까"의 테이블과 비교해서 오른쪽의 "오늘의 역사" 칸이 하단부가 비어 있어서 꽉 채웠을 때는 어떻게 보여지는 테스트해 보기 위해서 11월 23일자를 채워 본 것입니다. ^^ -- 리듬 2006년 11월 23일 (목) 12:04 (KST)
[편집] 30000 로고
그림:Wikipedia-logo-ko-30000.jpg의 라이선스는 {{위키미디어 재단 저작권}}을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위키백과 로고는 GFDL이 아니거든요. 공용에 가셔서 라이선스를 commons:Template:Copyright by Wikimedia로 바꿔주세요. --; Klutzy 2006년 11월 24일 (토) 15:23 (KST)
- 바꾸었습니다. -- 리듬 2006년 11월 24일 (토) 16:0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