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음 위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음 위치 |
입술소리 |
양순음 |
순치음 |
혀끝소리 |
설순음 |
치음 |
치간음 |
치조음 |
설첨음 |
설단음 |
치조후음 |
치조구개음 |
권설음 |
혓바닥소리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목구멍소리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조음 방법 |
틀 편집 |
조음 위치는 사람이 닿소리를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고 소리가 만들이지는 부분이다. 조음기관 중 위턱 부분에서 이름을 짓는데 권설음은 혀 모양에 유래된다.
조음 기관은 위턱에는 윗입술(상순), 윗니(상치), 윗잇몸(치조; 치경), 센입천장(경구개), 여린입천장(연구개), 목젖(구개수), 인두벽으로 구성된고 아랫턱이 아랫입술(하순), 혀끝(설첨), 혓날(설단), 앞혓바닥(전설면), 뒷혓바닥(후설면), 혀뿌리(설근)가 있다. 그리고 후두에는 목청(성대)이 2개 있다.
- 양순음 - 두 입술 사이
- 순치음 - 아랫입술과 윗니 사이
- 설순음 - 혀끝과 윗입술 사이. [ ̼]로 표시한다.
- 치음(치간음) - 혀끝 또는 혓날과 윗니 사이
- 치조음(치경음) - 혓날과 윗잇몸 사이
- 치조후음(후부치경음) - 혓날과 윗잇몸 뒷쪽 사이
- 권설음(반전음) - 뒤로 구부린 혀의 혀끝 또는 혓날 이면과 센입천장 사이
- 치조구개음(경구개치경음) - 혓날과 윗잇몸 사이에서 조음하면서 혓바닥 전체가 경구개를 향해 올라간 넓은 범위.
- 경구개음 - 앞혓바닥과 경구개(센입천장) 사이
- 연구개음 - 뒷혓바닥과 연구개(여린입천장) 사이
- 구개수음 - 뒷혓바닥과 목젖 사이
다음은 비음화가 불가능한 조음 위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