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리듬/보관1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용자 토론 보관함 : 1,2,3,4


목차

[편집] 요주의 아이피

최근에 반달행위를 저질럿던 아이피 사용자 (아래에 기록해 둡니다)

[편집] 마랭 메르센

  1. "마린 메르센"과 마랭 메르센을 둘 다 만드셨네요. 하나면 충분합니다. 처음 제목을 잘못 정한 거라면 이동 명령으로 옮길 수도 있습니다.
처음 marin mersenne을 martin mersenne으로 잘못 알고 마르틴 메르센으로 만들었다가 마린 메르센으로 다시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marin의 프랑스어 발음이 마랭인 것을 알고 또 마랭 메르센을 만들어서 그랬습니다. 이동 명령을 몰랐고요. 잘못 만들어진 마르틴 메르센과 마린 메르센을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리듬 2005년 6월 23일
  1. 메르센의 사진을 ko.wikipedia.org에 올리셨는데요. commons: 쪽에 올리면 다른 언어 위키백과 사용자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진을 올릴 때는 그 사진을 어디서 구했는지와 그 사진의 저작권 등의 정보도 함께 올려주세요. -- ChongDae 2005년 6월 22일 (水) 11:24 (UTC)

[편집] 화학 원소

바로 채우지 말고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화학에서 어떻게 할 지 토론하고 채우는게 어떨까요? 지금 만든 template보다 더 편한 template가 영어 위키백과 쪽에 있습니다. -- ChongDae 2005년 6월 27일 (月) 06:02 (UTC)

[편집] interwiki

문서를 만들때, 다른언어로의 인터위키링크도 신경써서 넣어주세요. xAOs 2005년 6월 27일 (月) 10:07 (UTC)

네. 알겟습니다. -- 리듬

[편집] 그림:Karl Weierstrass.jpg

  • 영문 위키백과의 그림을 옮긴 듯 싶네요. 옮길 때 출처와 저작권 정보를 빼놓지 말고 적어주세요.
  • 영문판의 그림은 큰 그림이던데 작은 그림을 옮기신 이유라도?
  • 지난 번에도 말씀드렸는데, commons 쪽으로 옮기면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 쪽에서도 함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ChongDae 2005년 6월 27일 (月) 17:42 (UTC)

네. 그렇게 하겠습니다. -- 리듬

그리고 수식의 경우, 그림으로 올릴 필요가 없습니다. math 명령을 이용해서 LaTeX 문법을 그대로 쓸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ams-latex 명령) -- ChongDae 2005년 6월 27일 (月) 17:56 (UTC)

네. 그렇군요. math명령과 LaTex문법. 잘 알겠습니다. 그런데 ChongDae님 글에 글 쓰신 날짜와 시간은 어떻게 표시하는 건가요? -- 리듬
~~~~를 써 주시면 됩니다. --Puzzlet Chung 2005년 6월 28일 (火) 01:02 (UTC)
리듬 리듬 2005년 6월 28일 (火) 10:18 (UTC)

[편집] 그림:Sampoong.jpg

영어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사진으로 보이는데, 영어 위키백과에는 GNU-FDL 표시가 없네요. 원래 촬영한 사람에게 허락을 구하신건가요? -- ChongDae 2005년 6월 30일 (木) 08:12 (UTC)

난감하네요. GNU-FDL로 알았는 데 제가 잘못 봤군요. 삼풍백화점 붕괴사건은 당시 사진이 꼭 필요한 항목 같아서 관련 이미지를 검색해 보니 서울신문(db@seoul.co.kr)에 관련 사진을 발견하여 6월 28일에, 이미지 사용 허락을 위한 이메일을 보냈는 데 아직까지 소식이 없군요. 서울신문에서 연락이 오면 그 사진으로 대체를 하겠습니다. --리듬 2005년 6월 30일 (木) 08:21 (UTC)

[편집] 단위

킬로/메가 등이 붙은 단위를 일일이 만들 필요가 있을까요? 한 페이지에서 설명하는게 더 보기 좋을 듯 싶네요. (킬로그램만은 예외!) -- ChongDae 2005년 7월 8일 (金) 04:20 (UTC)

영어위키를 번역하다 보니 그리 되었는 데요. 전자기파는 파장의 범위나 주파수 범위마다 각각 성질과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독립된 페이지를 갖는 게 낫지 않을까요? 각 항목마다 풍부한 내용이 있으니 헤르츠라는 하나의 장으로는 충분치 않아 보입니다. 리듬 2005년 7월 8일 (金) 06:40 (UTC)

전파/적외선/가시광선/... 등의 페이지가 헤르츠/킬로헤르츠/메가헤르츠 등보다 더 나은 선택이 아닐까요? 물론 "가시광선"은 인간 중심이긴 하지만요. -- ChongDae 2005년 7월 8일 (金) 09:25 (UTC)

네 당연히 전파/적외선/가시광선/ 페이지도 있어야지요. 백과사전이 물리학 교과서가 아닌 이상, 실생활과 밀접한 항목들로 따로 구분해야 하구요. 그렇지만 주파수를 거시적으로 개괄하여 이해하려면 헤르츠를 일정한 기준으로(과학적인 기준, 쉽게 이해가능한 기준으로) 나누어 본다면 이해가 쉽지 않을까요?.
예를 들면 3 M Hz에서 3000 M Hz 사이에도 HF,VHF,UHF로 나뉘고 VHF하위에도 FM라디오나 TV주파수 등이 쓰이니까요. 리듬 2005년 7월 8일 (金) 09:45 (UTC)

일일이 단위별로 끊어주느니 수의 비교처럼 한꺼번에 다 보여주는 게 어떨까요?

[편집] 괄호 뒤 띄어쓰기

문서 제목의 괄호 뒤에 띄어쓰기를 해 주면 [[이와 같이 (간편한)|]] 링크가 가능해집니다. --Puzzlet Chung 2005년 7월 10일 (日) 03:58 (UTC)

[편집] 수학 관련 template 들..

너무 많지 않나요? 그냥 관련 페이지에 링크를 정리하는 편이 나을 듯 싶습니다. 해석학이나 기하학 쯤에 몇개의 template가 붙을지.. -_-;; 분류나 읽을거리 링크로 충분하다고 봅니다. -- ChongDae 2005년 7월 12일 (火) 08:21 (UTC)

수학은 체계가 중요하니까요,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면 이게 낫다고 봅니다. 지금은 템플릿이 많게 느껴질 수 있는 데 나중에 수학 관련 항목이 많아 지면 지금처럼 템플릿을 삽입하는 편이, 관련 항목들의 관계를 일괄적으로 보여주고, 각 용어들이 상이하게 쓰이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는 등.. 좋을 것 같습니다. 암튼 체계적으로 만들어 볼렵니다. -- 리듬 2005년 7월 12일 (火) 08:27 (UTC)

미적분학 페이지에 들어갈 template가 몇개나 될까요? -_-;;; 게다가 "세로" template는 하나 이상 넣기 힘듭니다. -- ChongDae 2005년 7월 12일 (火) 09:43 (UTC)

[편집] Template..

  • Template에는 절대로(!) 인터위키언어를 넣지 마세요.
  • 최근에 만든 template를 다시 살펴봐주세요. 몇몇 template가 문법에 어긋난 게 있습니다, Template:양처럼요. (제가 수정했음)

ChongDae 2005년 7월 12일 (火) 11:51 (UTC)

네 그렇군요. 메모장에서 작업 후, 복사해서 붙여 넣기 하다보니 자꾸 실수를 하는군요. 수정해 줘서 고맙습니다. --리듬 2005년 7월 12일 (火) 11:56 (UTC)

[편집] 탄생/사망 적을 때에...

사람 이름에만 링크를 답니다. 스위스나 수학자 등은 그 년도와 아무 상관이 없으니깐요. -- ChongDae 2005년 7월 14일 (木) 04:14 (UTC)

네 잘 알겠습니다. --리듬 2005년 7월 14일 (木) 05:08 (UTC)

[편집] 대통령 선거.

년도보다 대수로 하는게 어떨까요? 1대부터 16대까지요. 직선/간선을 굳이 구분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 ChongDae 2005년 7월 20일 (水) 12:36 (UTC)

네 맞습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해서 수정 중입니다. --- 리듬 2005년 7월 20일 (水) 12:39 (UTC)

[편집] 숫자 페이지 이름을 되돌렸습니다.

"수 (숫자)"라고 쓰느니 그냥 "숫자"라고 쓰는게 더 자연스럽지 않나요? -- ChongDae 2005년 7월 25일 (月) 05:23 (UTC)

자연스럽기는 한데 전문적인 수학용어로써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해서 그랫습니다. "수"는 포괄적으로 다양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데 비해 "숫자"는 협의의 뜻으로 의미가 축소되는 것 같아서 바꾸었습니다. -- 리듬 2005년 7월 25일 (月) 09:10 (UTC)

[편집] 동구 방어동

여기애 대한민국까지 붙이는 건 너무 크지 않나요? 필요한건 "분류:울산광역시"죠. -- ChongDae 2005년 7월 25일 (月) 10:47 (UTC)

[편집] exact science == 정밀 과학?

그런 이름으로 부르나요?

네. 적당한 말이 없어서 잠정적으로 번역한 것입니다. 정확한, 쓰이고 있는 용어를 찾으면 수정하려던 참 이었습니다. Hard science, Soft science 등. 또한 마찬가지로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리듬 2005년 7월 27일 (水) 06:26 (UTC)

[편집] "XX나라의 XX자" 분류.

위키백과:사랑방을 봐 주시겠습니까? -- ChongDae 2005년 7월 31일 (日) 15:12 (UTC)

그리고 작업중인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나라별 분류도요. -- ChongDae 2005년 7월 31일 (日) 15:15 (UTC)

지금 사용중인 "유럽의 수학자"보다 위의 template을 쓰는 게 어떨까요? -- ChongDae 2005년 8월 24일 (水) 14:21 (UTC)

"유럽의 수학자" 템플릿보다 위 위키프로젝트의 "나라별직업분류" 템플릿을 쓰는 게 어떨까요? 의견 바랍니다. 이왕이면 일관되게 작업하고 싶어서요. -- ChongDae 2005년 9월 28일 (水) 12:22 (UTC)

"나라별직업분류" 템플릿 쓰는 것 좋습니다. 그런데 "나라별직업분류" 템플릿을 쓰면 일관성은 있는 데, 가령 "프랑스의 수학자"분류에서 "벨기에의 수학자"분류로 가려면 2단게를 거쳐야되는 불편함이 있군요. 수학자 또는 철학자 등 인물이 많은 직업만큼은 "유럽의 수학자"템플릿과 같이 혼용하여 사용하면 안될까요? -- 리듬2005년 9월 28일 (水) 12:57 (UTC)

"프랑스의 수학자"에서 "미국의 수학자"로 갈 때엗 두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같은 대륙 분류끼리 붙여놔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나중에 나라가 추가될 때마나 템플릿도 추가되어야죠. "유럽의 물리학자", "유럽의 작곡가" 등의 템플릿도 계속 만들어야 하고요. "나라별직업분류"는 하나의 템플릿으로 인물에 대한 분류를 모두 끝내려고 만든 겁니다. 알아서 "나라별 XXX" 분류도 넣어주고요.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전에 디자인이나 기타 불편한 점이 없나 좀 더 신경쓰긴 해야겠지만요. -- ChongDae 2005년 9월 28일 (水) 13:26 (UTC)

[편집] 세기별 분류

흑. 세기별 수학자, 세기별 XX자 다 생기면 세기 분류부터 싹 재조정해야 합니다. "21세기의 가 자로 시작하는 프랑스의 수리물리학자" 분류까지는 안 가겠죠? 그리고 대륙별 수학자는 빼죠? -_- ChongDae 2005년 7월 31일 (日) 17:32 (UTC)

지금 분류한 것까지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 리듬 2005년 7월 31일 (日) 22:33 (UTC)
수학자와 철학자로만 끝나지 않을 듯 싶어서요. -- ChongDae 2005년 8월 1일 (月) 01:23 (UTC)
이제 끝입니다. ^^ --리듬 2005년 8월 1일 (月) 01:29 (UTC)

[편집]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수학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수학을 좀 정리해서 수학 관련 항목들을 체계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 어떨까요? 동의하신다면 이름 써주시고, 어떤 일을 해나갈지에 대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xAOs 2005년 8월 12일 (金) 13:33 (UTC)

[편집] 드뢰피스 template/분류..

일단 원래 페이지가 차고 넘친 후에 만들어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 ChongDae 2005년 8월 23일 (火) 12:29 (UTC)

네 그렇게 하는 것이 순서겠네요. 하지만 어차피 지금, 드레퓌스 사건을 번역하는 중이라서 관련사건들을 쉽게 링크하면서 체계적으로 번역을 하고 싶어서 관련 템플릿을 먼저 만들었습니다. --리듬 2005년 8월 23일 (火) 12:36 (UTC)

[편집] 인터위키 넣기

영어 쪽에만 넣지 말고 한국어 쪽에도 넣어주세요. 731 부대en:Unit 731이라고만 넣어주세요. 영어 위키와 정렬순서도 다르니 그럼 제가 robot을 써서 정리하겠습니다. -- ChongDae 2005년 8월 27일 (土) 11:25 (UTC)

[편집] 극동

극동/중동/근동은 모두 유럽 중심의 단어입니다. 요즘은 극동이라는 단어는 안 쓰이지 않나요? -- ChongDae 2005년 8월 29일 (月) 13:21 (UTC)

아 네. 유럽인 중심의 용어죠. 조심스럽게 다시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자주 사용되는 용어 아닌가요? --리듬 2005년 8월 29일 (月) 13:25 (UTC)
한국에서는 중동만 사용되죠. 요즘 극동보다는 동아시아/동북아시아 쪽이 훨씬 많이 사용되지 않나요? 근동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요. -- ChongDae 2005년 8월 29일 (月) 14:21 (UTC)

[편집] 기본상호작용

물리학회 용어집을 기준으로 띄어쓴 겁니다. 한자어는 어떻게 띄어써도 애매합니다. "기본 상호 작용"이라고 하지 않은 이유는요? -- ChongDae 2005년 9월 2일 (金) 09:44 (UTC)

[편집] 인터위키 정리

인터위키 정리는 User:Chobot에게 맡겨주세요. 첫 링크 하나만 힌트로 주면 충분합니다. -- ChongDae 2005년 9월 5일 (月) 12:35 (UTC)

네 잘 알겠습니다. -- 리듬2005년 9월 5일 (月) 12:37 (UTC)

[편집] 국무총리 정보

서리에 대해 어떻게 처리할 지 고민해봐주세요. 장택상 국무총리 서리의 후임이 "장택상"이라는 건 아무래도 이상하죠? 서리 정보는 빼거나 따로 표시하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2005년 9월 7일 (水) 13:18 (UTC)

게다가 전두환 대통령의 전임이 박충훈이라뇨? OTL -- ChongDae 2005년 9월 7일 (水) 13:29 (UTC)

관점의 차이일 수도 있겠군요? 전두환 대통령의 후임 대통령이 박충훈이라는 게 아니고요. 전두환 대통령이 최규하 대통령에게서 바로 임기를 물려 받은 것이 아니라 대통령직은 박충훈 권한대행으로부터 넘겨 받아 이어진 거죠. --리듬2005년 9월 7일 (水) 13:38 (UTC)

전두환, 최규하 페이지를 고쳐봤습니다. 이렇게 하는게 맞을 듯 싶네요. 정식 임기나 대수가 있다면 그 사이의 연결 관계를 정리해줘야죠. -- ChongDae 2005년 9월 7일 (水) 14:07 (UTC)

[편집] 전임후임2 template

사용법이 아주 이상합니다. 안기부장 대수만 넣거나 국정원장 대수만 넣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2005년 9월 8일 (木) 07:13 (UTC)

[편집] timeline

아직 로마 문자 이외는 지원 안 해요. 하지만 최신 버젼에선 한국어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설치는 안 된 듯. m:Talk:EasyTimeline 참조. -- ChongDae 2005년 9월 23일 (金) 11:37 (UTC)

[편집] "분류:재벌 (삼성)"?

뭐뭐죠? -- ChongDae 2005년 9월 25일 (日) 13:33 (UTC)

기업집단으로서의 삼성그룹 외에 범삼성가 또는 삼성계열을 포괄하는 의미, 즉 대한민국에 특수하게 존재하는 재벌을 분류하고자 했습니다만, 서투른 시도인가요? 가령, 삼성의 경우에 CJ그룹 보광그룹 신세계 한솔그룹 새한그룹을 삼성 (재벌) 분류에 넣고, 또 현대의 경우에는 기존 현대그룹,현대차그룹,현대중공업그룹 뿐만아니라 성우그룹 한라그룹까지 넣어 현대 (재벌) 분류에 넣는 식으로 말이죠. -- 리듬2005년 9월 25일 (日) 14:05 (UTC)

분류의 남용 아닐까요? -- ChongDae 2005년 9월 25일 (日) 14:35 (UTC)

네. 그럴수 있겠군요. 제 생각이 짧았습니다. -- 리듬 2005년 9월 25일 (日) 22:16 (U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