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과 교육과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는 문서라는 의견이 있어, 현재 삭제 토론 중입니다.
이 문서에 대한 의견을 삭제 토론해당 항목에 올려 주시기 바랍니다. 삭제 토론이 끝나지 않았다면 이 틀을 제거하지 마세요.

초중등 교육에서 컴퓨터교육, 정보통신기술교육, 전산교육, 정보와 생활, 정보통신교육 등 그 명칭에서 통일성이 없다. 그 이유는 신생학문분야이므로 아직 교과로서 자리매김을 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곳에서는 정보교육이라는 명칭으로 쓰고자 한다.

목차

[편집] 정보교육의 필요성

디지털정보 이용은 필연적으로 요구 되었다. 주변에 쌓이게 된 많은 디지털정보는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많은 새로운 가능성이 들어있다. 정보교육의 필요성은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디지털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되어져야 한다. 디지털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컴퓨터가 디지털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컴퓨터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디지털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게 컴퓨터가 처리하는 알고리즘에 맞추어 처리할 수 있도록 명령을 내려야 한다. 그 과정이 프로그래밍 과정이다. 그래서 디지털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게 명령을 입력하게 되는데 그 때 명령은 컴퓨터알고리즘에 따라서 명령을 내려야 한다. 이 알고리즘은 입력하는 정보의 특성과 입력 정보에서 얻고자 하는 결과 정보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디지털정보를 컴퓨터가 처리하는 알고리즘의 근간에는 이진선택과 처리에 기초하므로 처리절차의 특수성을 이해하여야만 알고리즘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컴퓨터가 정보를 처리하는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이해는 디지털정보를 처리하는 중요한 개념적 이해를 도와줄 수 있게 된다.
  • 아날로그정보와 디지털정보의 특성을 이해하고 변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생활 속에서 접하는 많은 아날로그정보는 디지털화 될 때 매우 다양하게 응용되고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정보로 변환하여 활용해야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바로 정보의 변환과 공유, 그리고 기초 정보의 특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 생활 속에서 해결해야할 문제의 특성에 따라 디지털화하여 효율적으로 처리되는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즉, 현실의 문제를 디지털정보로 모델화하고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아날로그정보를 원하는 형태의 디지털정보로 변환하여 활용할 수 있을 때에 디지털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능력이 길러질 수 있다.
  • 디지털정보보호와 공유에서 나타나는 많은 사회적 이슈에 대해 이해하고 기술적인 해결책, 주의점 및 문제점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보호와 공유문제는 항상 윤리적 이슈와 정보기술적인 영역이 함께 이해하고 고려해야 한다. 심성적이 교육과 기술에 대한 지식적 이해가 함께 요구되는 부분이므로 따로 떼어 교육되어지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편집] 정보교육의 목표

[편집] 정보교육의 내용

[편집] 정보교육의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