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엽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조선의 정치가인 리승엽도 있다.

이승엽(李承燁, 1976년 8월 18일- ) 일본 프로 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뛰고 있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좌투좌타이며 주 수비 위치는 1루수이다. 별명은 '라이언 킹'이다.

경상중과 경북고를 졸업하고 연고 지명 선수로 계약금 1억 3200만원을 받고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했다. 1997년 홈런 1위(32개), 타점 1위(114개), 최다 안타 1위(170개)를 기록하며 정규 시즌 MVP와 1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를 차지했다.

2002년 한국 시리즈에서는 6차전 마지막 타석 전까지 20타수 2안타로 극도의 타격 부진을 보였으나 9회말 LG 이상훈으로부터 극적인 동점 3점포를 터뜨리며 소속팀 삼성에 창단 후 첫 한국 시리즈 우승의 기쁨을 안겼다.

2003년 6월 22일 대구 구장에서 SK김원형을 상대로 솔로 홈런을 쳐 일본의 오 사다하루(왕정치)(27세3개월11일)와 메이저 리그 알렉스 로드리게스(텍사스ㆍ27세 8개월 6일)를 제치고 세계 최연소 300호 홈런 고지(26세 10개월 4일)에 올랐다. 그리고 같은 해10월 2일에는 대구 구장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이정민 투수에게서 56호째의 홈런을 쳐내며 한국 프로야구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웠다.

2003년 12월 에 치바 롯데 마린스와 계약한다. 연봉은 2억엔이었는데 롯데 멤버중 이승엽을 제외하고 2억엔이 넘는 것은 마무리 코바야시 마사히데뿐으로 이것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대우였다.이런 파격대우가 다른 선수들의 불만을 사기도했지만 롯데가 대우를 전면적으로 개선하는걸로 진정되었다. 그 무렵 KAIST에서는 "일본에서도 40홈런 이상 가능하다" 라며 예상했으나 시즌종료후 그가 기록한 성적은 14홈런을 포함해 타율 .240, 50타점으로 목표로 내세웠던 30홈런, 타율 .290, 타점 100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성적이었다. 또 롯데에는 퍼시픽 리그를 대표하는 1루수 후쿠우라 카즈야라는 존재가 있어 이승엽은 지명타자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2005년 오픈전에서 타율 .050이라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는데 결국 2군으로 강등되었다. 그러나 4월초 1군으로 복귀하면서 팀의 중심타선으로 정착했다. 단 상대팀 선발이 좌타자 일경우 선발에서 제외 되는 경우가 많았었다. 거기다 후쿠우라의 존재로 인해 좌익수가 되기도 했다. 시즌 최종타율은 .260이었지만 홈런수가 팀내 최다인 30홈런을 기록하며 롯데의 플레이오프 진입에 다소나마 공헌했다. 그러나 3회 이상 대전경험이 있는 투수에게는 약한것인지 플레이오프에서는 타율 .176, 타점0, 7삼진으로 완전침묵에 그쳤다.

그러나 일본시리즈에서 처음 만난 한신 투수들에게 엄청 강한면을 보였는데 우선 1차전에서 만난 한신의 우완에이스 이가와 케이로 부터 홈런을 기록했고 2차전에서도 좌완 에구사 히로타카로 부터 홈런을 기록했다. 3차전은 스타팅 멤버에서 제외되었지만 4차전에서는 스기야마 나오히사로 부터 선제 홈런을 쳐내는 등의 활약을 보이며 롯데의 31만의 일본챔피언에 공헌, 우수선수상을 받는다.

2005년 시즌 종료후 열린 아시아 시리즈에서는 친정팀인 한국의 삼성라이온즈전에 5번타자 혹은 3번타자로 출전했으나 7타수 노힛트, 1타점에 그쳤다.

2005년 롯데와의 계약이 종료 되었는데 재계약을 하는 듯 했으나 수비위치 보장등 본인의 의사와 롯데가 내세운 조건이 맞지 않았는듯 자유계약 선수가 된다. 이후 재부임한 하라 타쯔노리(原辰徳:はらたつのり:HARA TATSUNORI)감독 하에 팀의 보강을 추진하던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2006년 1월 19일 전격 계약한다.

하라는 이승엽을 개막 4번타자로 기용하는데 이러한 기용에 부응하듯 개막부터 좋은 성적을 남기고 있다.


[편집] 주요 기록

  • 1999년 5월 5일 : 대구 현대전, 최연소 통산 100 홈런 (만 22세 8개월 17일, 상대 투수 3회 정명원, 기존 - 한화 장종훈, 23세 5개월)
  • 2001년 6월 21일 : 대구 한화전, 최연소 통산 200 홈런 (만 24세 10개월 3일, 상대 투수 8회 김정수, 기존 - 한화 장종훈, 28세 4개월)
  • 2003년 6월 22일 : 대구 SK전, 세계최연소/최단 경기 통산 300 홈런 (만 26세 10개월 4일/1075경기, 상대 투수 8회 김원형, 기존 - 한화 장종훈, 32세 5개월 26일, 1565경기)
  • 2003년 한 시즌 최다홈런 아시아최고기록(56발)
  • 2006년 8월 1일 : 일본 도쿄돔 한신전, 한/일 통산 400 홈런 달성 (만 29세 11개월 13일, 상대투수 1회 이가와 케이)

[편집] 통산 기록


연도 소속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도루 희생타 4구 사구 삼진 병살타 실책 타율 장타율 출루율 기타
1995 삼성 121 365 55 104 29 1 13 73 0 9 33 4 54 4 8 0.285 0.477 0.345
1996 삼성 122 459 57 139 32 6 9 76 4 6 34 5 42 10 5 0.303 0.458 0.354
1997 삼성 126 517 96 170 37 3 32 114 5 5 49 6 79 10 4 0.329 0.598 0.391
1998 삼성 126 477 100 146 32 2 38 102 0 8 78 5 97 4 3 0.306 0.621 0.404
1999 삼성 132 486 128 157 33 2 54 123 10 4 112 12 114 7 0 0.323 0.733 0.458
2000 삼성 125 454 108 133 33 0 36 95 4 3 80 7 113 5 2 0.293 0.604 0.404
2001 삼성 127 463 101 128 31 2 39 95 4 3 96 12 130 6 4 0.276 0.605 0.412
2002 삼성 133 511 123 165 42 2 47 126 1 2 89 15 109 11 4 0.323 0.689 0.436
2003 삼성 131 479 115 144 23 0 56 144 7 6 101 10 89 11 5 0.301 0.699 0.428
통산 - 1143 4211 883 1286 292 18 324 948 35 46 672 76 827 68 35 0.305 0.614 0.410


이 문서는 야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