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퍼 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왕성과 명왕성 궤도를 둘러싸고 있는 카이퍼 대.
실제 크기로
해왕성과 명왕성 궤도를 둘러싸고 있는 카이퍼 대.
해왕성 바깥 천체

카이퍼 대(영어: Kuiper Belt) 또는 에지워스-카이퍼 대(영어: Edgeworth-Kuiper belt)는 태양계해왕성 궤도(태양으로부터 약 30 AU)보다 바깥쪽의 황도면 부근에 있는, 천체가 밀집한, 구멍이 뚫린 원반형의 영역이다. 바깥쪽 경계는 애매하지만, 연속적으로 오르트 구름에 이어져 있다고 생각된다. 편의 상, 좁은 의미로는 48~50 AU까지, 넓은 의미로는 수백 AU까지로 정의된다. 48~50 AU보다 바깥쪽을 산란 분포대라고 한다.

카이퍼 대에 위치한 천체를 카이퍼 대 천체(KBO) 라고 한다. 1951년 제러드 카이퍼는 단주기 혜성의 기원으로 카이퍼 대를 예언한 바 있다. 카이퍼 대 천체는 오랫동안 이론적으로만 존재하다가 1992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1992QB1으로 명명되었다. 카이퍼 대 천체가 충돌이나 중력 섭동을 받게 되면 안쪽으로 들어오기도 하는데, 이것이 단주기 혜성의 기원이다. 반대로 어떤 천체는 바깥으로 튕겨나가 오르트 구름의 구성원이 되기도 한다.

태양계
그림:Eight Planets.png
행성: 수성 - 금성 - 지구 - 화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
왜행성: 세레스 - 명왕성 - 에리스
기타: 태양 - 위성 - 소행성대 - 혜성 - 카이퍼 대 - 산란 분포대 - 오르트 구름
참조: 태양계 천체 목록(반지름순, 질량순)
이 문서는 천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