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대표 33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족대표 33인은 1919년 3·1 운동 때 발표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명을 가리킨다. 종교별로 나누어 대표를 선정하여 천도교, 그리스도교, 불교에서 각 15명, 16명, 2명씩 참가했다.
상하이로 망명해 체포를 피한 김병조와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은 길선주, 그리고 체포 직후 구금 중에 사망한 양한묵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 사건으로 징역 1년 6개월에서 3년형을 선고 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 가운데는 손병희처럼 복역중 병을 얻어 곧 사망한 이들도 있었다.
그러나 이후 친일 행위로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에 오른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다. 최린, 박희도, 정춘수가 대표적이다.
[편집] 명단
종교 | 이름 | 출신지 | 신분 | 재판 결과 |
---|---|---|---|---|
천도교 | 손병희 | 충북 청원 | 천도교 전 교주 | 징역 3년형 |
천도교 | 권동진 | 충북 괴산 | 천도교 도사 | 징역 3년형 |
천도교 | 오세창 | 서울 | 천도교 도사 | 징역 3년형 |
천도교 | 임예환 | 평양 | 천도교 도사 | 징역 2년형 |
천도교 | 나인협 | 평남 성천 | 천도교 도사 | 징역 2년형 |
천도교 | 홍기조 | 평남 남포 | 천도교 도사 | 징역 2년형 |
천도교 | 박준승 | 전북 임실 | 천도교 도사 | 징역 2년형 |
천도교 | 양한묵 | 전남 해남 | 천도교 도사 | 재판중 사망 |
천도교 | 권병덕 | 충북 청원 | 천도교 도사 | 징역 2년형 |
천도교 | 김완규 | 서울 | 천도교 신자 | 징역 2년형 |
천도교 | 나용환 | 평남 성천 | 천도교 도사 | 징역 2년형 |
천도교 | 이종훈 | 경기 광주 | 천도교 장로 | 징역 2년형 |
천도교 | 홍병기 | 경기 여주 | 천도교 장로 | 징역 2년형 |
천도교 | 이종일 | 충남 태안 | 천도교 월보부장 | 징역 3년형 |
천도교 | 최린 | 함남 함흥 | 보성고보 교장 | 징역 3년형 |
그리스도교 | 이승훈 | 평북 정주 | 장로교 장로 | 징역 3년형 |
그리스도교 | 박희도 | 황해 해주 | 중앙기독교청년회 간사 (북감리교) | 징역 2년형 |
그리스도교 | 이갑성 | 경북 대구 | 세브란스의전부설병원 사무원 (장로교) | 징역 2년 6개월형 |
그리스도교 | 오화영 | 황해 평산 | 남감리교 목사 | 징역 2년 6개월형 |
그리스도교 | 최성모 | 황해 해주 | 북감리교 목사 | 징역 2년형 |
그리스도교 | 이필주 | 서울 | 북감리교 목사 | 징역 2년형 |
그리스도교 | 김창준 | 평남 강서 | 북감리교 전도사 | 징역 2년 6개월형 |
그리스도교 | 신석구 | 충북 청원 | 남감리교 목사 | 징역 2년형 |
그리스도교 | 박동완 | 경기 포천 | 기독교보사 서기 (북감리교) | 징역 2년형 |
그리스도교 | 신홍식 | 충북 청주 | 북감리교 목사 | 징역 2년형 |
그리스도교 | 양전백 | 평북 선천 | 장로교 목사 | 징역 2년형 |
그리스도교 | 이명룡 | 평북 철산 | 장로교 장로 | 징역 2년형 |
그리스도교 | 길선주 | 평남 안주 | 장로교 목사 | 무죄 |
그리스도교 | 유여대 | 평북 의주 | 장로교 목사 | 징역 2년형 |
그리스도교 | 김병조 | 평북 정주 | 장로교 목사 | 체포되지 않음 |
그리스도교 | 정춘수 | 충북 청원 | 남감리교 목사 | 징역 1년 6개월형 |
불교 | 한용운 | 충남 홍성 | 승려 | 징역 3년형 |
불교 | 백용성 | 전북 장수 | 승려 | 징역 1년 6개월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