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공 미사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 해군 항공대의 VFA-103 졸리로저스 편대 소속 F-14 톰캣 전투기가 AIM-54 피닉스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실제 크기로
미 해군 항공대의 VFA-103 졸리로저스 편대 소속 F-14 톰캣 전투기가 AIM-54 피닉스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공대공 미사일(AAM, Air-to-Air Missile)은 비행기에서 발사되어 적 비행기를 격추시키는 유도 미사일이다.

목차

[편집] 유도 방식

유도미사일은 레이다나 적외선으로 목표물을 탐지하여(흔하지 않은 경우이지만 레이저 유도나 광학추적을 사용하기도 한다) 공격침로를 따라 "유도(homing)"되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목표물은 미사일 탄두의 폭발로 파괴되거나 손상을 입게 된다.

유도 방식에는 크게 레이다 유도 방식적외선 유도 방식이 있다.

[편집] 레이다 유도 방식

레이다 유도 방식은 보통 중거리 및 장거리 미사일에 사용된다. 이 방식에는 크게 2가지 방식이 있는데, 능동(Active)과 반능동(Semi-Active) 방식이다. 능동(Active)방식은 대전차 미사일에 자주 쓰이는 파이어 앤드 포겟(Fire And Forget: 발사하고 잊어버리기)과 유사한 방식이다. 미사일은 미사일 자체의 레이더를 이용해 목표를 유도하고, 명중시킨다. 이에반해 반능동(Semi-Active)방식은 전투기 자신의 레이더를 사용하여 미사일을 목표물에 유도시킨다. 목표물에 일정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미사일은 자신의 레이더를 이용, 표적을 유도하고 명중시킨다.

[편집] 적외선 유도 방식

적외선 유도 방식(Infrared guidance, IR)은 목표물(항공기)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추적하는 방식이다. 초기 IR 센서는 성능이 그렇게 좋지 않아 항공기의 뜨거운 배기구를 찾았다. 이말은, 항공기를 적외선 유도 미사일로 유도,격추시키기 위해서는 목표항공기의 뒤로 이동해야 한다는 뜻 이다.(고온의 제트엔진 배기가스가 뒤로 분출되기 때문)

[편집] 공대공 미사일 목록

[편집] 브라질

  • 멕트론 MAA-1 피라냐 - 단거리 적외선 미사일

[편집] 프랑스

[편집] 독일

  • R4M 로켓 - 최초의 실용 공대공 로켓 (유도 미사일이 아니었다)
  • 루르스탈 X-4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개발된 미사일.MCLOS 방식 유도 미사일. 실전 사용 예가 없다.
  • 헨셀 Hs298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개발된 미사일. MCLOS 방식 유도 미사일. 실전 사용 예가 없다.

[편집] 이탈리아

  • 알레니아 애스피데(Alenia Aspide) - AIM-7 스패로우을 이탈리아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것.

[편집] 유럽 공동 개발

  • MBDA 메테르 - 암람 미사일을 대체하는 능동 레이다 유도 방식의 중거리 미사일
  • IRIS-T - 단거리 적외선 유도 미사일. AIM-9 사이드와인더 대체용

[편집] 이스라엘

  • 라파엘 샤프리르 - 이스라엘의 첫번째 독자 모델 AAM
  • 라파엘 샤프리르 2 - 샤프리르의 발전형
  • 라파엘 파이톤 3 - 중거리 적외선 자동유도 미사일
  • 라파엘 파이톤 4 - 중거리 적외선 자동유도 미사일
  • 파이톤 5 미사일 -중거리 적외선 유도 미사일; 파이톤4의 개량형
  • 라파엘 더비 미사일 - "Alto"로도 알려진 이 미사일은 중거리이며 레이다 유도로 가시거리밖(BVR) 운용이 가능함

[편집] 중국

  • PL-1 - 소련 칼리닌그라드 K-5 (나토명 AA-1 '알칼리')의 중국판
  • PL-2 - 소련 빔펠 K-13 (나토명 AA-2 '아톨')의 중국판
  • PL-3 - AA-2의 중국판 개량형
  • PL-5 - AA-2의 중국판 개량형
  • PL-7 - 프랑스제 마트라 R550 매직 중국판
  • PL-8 - 라파엘 파이톤 3의 중국판
  • PL-9 - 단거리 적외선 유도 미사일
  • PL-10 - 반능동레이다 유도 중거리 미사일. HQ-61 대공미사일을 기초로 개발. 종종 PL-11과 혼동되기는 한다. 채용은 되지 않았다.
  • PL-11 -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medium-range air-to-air misile, MRAAM). HQ-61C 및 이탈리아 애스피데(AIM-7) 기술에 기반함. J-8B/D/H형 전투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다음 버전들이 알려져 있다.
    • PL-11 : 반능동 레이다 유도 공대공미사일. HQ-61C 대공미사일 및 애스피데 시커 기술을 채용.
    • PL-11A : PL-11의 사거리 연장, 탄두, 시커의 개량형. 새로운 시커는 종말 유도 단계에서 화력통제 레이다의 유도만 받는다.
    • PL-11B : PL-11 AMR로도 알려젼 것으로, PL-11에 AMR-1 능동 레이다 유도 시커를 장착하여 개량한 것이다.
    • LY-60 : PL-11을 해군 함정의 방공용으로 도입한 것. 파키스탄에도 판매되었으나 중국 해군에서 사용 중인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 PL-12 (SD-10) - 중거리 능동 레이다 유도 미사일
  • TY-90 - 경적외선 유도 공대공 미사일. 헬리콥터 탑재용

[편집] 러시아 / 소련

  • 칼리닌그라드 K-5 (나토 명 AA-1 '알칼리') - 광선 유도
  • 빔펠 K-13 (나토 명 AA-2 '아톨') - 단거리 적외선 유도 또는 반능동 레이다 유도(Semi Active Rader Homing, SARH)
  • 칼리닌그라드 K-8 (나토 명 AA-3 '아나브') - 적외선 유도 또는 반능동 레이다 유도
  • 라두가 K-9 (나토 명 AA-4 'Awl') - 적외선 유도 또는 반능동 레이다 유도
  • 비스노바트 R-4 (나토 명 AA-5 '애쉬') - 적외선 유도 또는 반능동 레이다 유도
  • 비스노바트 R-40 (나토 명 AA-6 '아크리드') - 장거리 적외선 유도 또는 반능동 레이다 유도
  • 빔펠 R-23 (나토 명 AA-7 '아펙스') - 중거리 SARAH 또는 적외선 유도
  • 몰니야 R-60 (나토 명 AA-8 '아피드') - 단거리 적외선 유도
  • 빔펠 R-33 (나토 명 AA-9 '아모스') - 장거리 능동 레이다 유도
  • 빔펠 R-27 (나토 명 AA-10 '알라모') - 중거리 적외선 유도 또는 반능동 레이다 유도
  • 빔펠 R-73 (나토 명 AA-11 '아처') - 단거리 적외선 유도 방식
  • 빔펠 R-77 (나토 명 AA-12 '애더') - 중거리 능동 레이다 유도

[편집] 영국

  • 파이어플래쉬 공대공미사일 - 단거리 빔 유도
  • 파이어스트리크 공대공미사일 - 단거리 적외선 유도
  • 레드 탑 공대공미사일 - 단거리 적외선 유도
  • AIM-132 아스람 - 단거리 적외선 유도
  • 스카이플래쉬 공대공미사일 - 영국 공군 요격기들이 운용한 중거리 레이다 유도.

[편집] 인도

  • 애스트라 미사일 (개발 중)

[편집] 미국

미사일 목록

공대공 미사일(AAM) | 공대지 미사일(ASM) | 지대공 미사일(SAM) | 지대지 미사일(SSM)
탄도 미사일 |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 탄도 요격 미사일(ABM)
순항 미사일 | 대함 미사일(AShM) | 대잠 미사일(ASROC) | 대전차 미사일(ATGM) | 위성 요격 미사일(AS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