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혁거세 거서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혁거세 거서간 | |
---|---|
[[그림:{{{그림}}}|180px]] | |
재 위 | |
BC 57년 ~ AD 4년 | |
왕 비 | 알영 부인 |
황 후 | {{{황후}}} |
부 군 | {{{부군}}} |
앞선 왕 | {{{이전 왕}}} |
다음 왕 | 남해 차차웅 |
신라의 초대 국왕 |
박혁거세 거서간(朴赫居世居西干, 기원전 69년 - 기원후 4년, 재위: 기원전 57년 - 기원후 4년)은 신라의 시조이자, 밀양 박씨(朴氏)의 시조(始祖)이다. 거서간은 진한의 말로 왕 혹은 귀인의 칭호라 한다.
[편집] 생애
기원전 57년 여섯 마을의 촌장들이 각기 자기 자녀들과 함께 알천 언덕에 모여 “우리들에게는 우리들 모두를 다스려 줄 임금이 없어 모두가 안일하여 각자 자기가 하고 싶은대로 행동하는 바람에 도무지 질서가 없다. 그러하니 덕이 있는 사람을 찾아내어 그를 임금으로 모시고 나라를 만들자.”라고 의논하였다.
그런데 그 때, 회의 장소인 알천 언덕에서 남쪽으로 그다지 멀지 않은 양산(楊山)이라는 산기슭에 번갯불 같은 이상한 기운이 보였다. 촌장들은 더 잘 보기 위해 좀더 높은 곳으로 올라갔는데, 양산 기슭에 있는 나정(蘿井)이라는 우물 곁에서 번갯불이 솟아오르고 있었고, 그 옆에는 하얀 말 한 마리가 절하는 것처럼 한참 꿇어 엎드려 있다가 길게 소리쳐 울고는 하늘로 날아올라가 버렸다. 말이 떠나자 촌장들은 그 말이 누었던 장소로 일제히 몰려가봤더니 그 곳에는 자줏빛의 큰 알이 하나 놓여져 있었다.
촌장들이 그 알을 조심스럽게 깨뜨려보니, 그 안에 생김새가 몹시 단정하고 아름다운 한 사내아이가 있었다. 모두들 놀라고 신기해하며, 아기를 동천(東泉)이라는 샘에 데리고 가서 몸을 씻겼다. 그러자 아기의 몸에서 광채가 나고, 짐승들이 몰려와 덩달아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었고, 하늘과 땅이 울렁이며 태양과 달의 빛이 더욱 밝아졌다. 촌장들은 그 아이의 이름을 '혁거세'라고 지었다.
혁거세는 무럭무럭 자라다가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갑자년에 즉위, 왕호를 거서간(居西干)이라 하고 국호를 서나벌(徐那伐)이라 하니 이 때 나이가 13세였다.
즉위 21년 수도 금성에 성을 쌓았으며, 즉위 26년에 금성에 궁실을 지으니 이 때 나라의 기틀이 잡혔다.
즉위 38년 봄 2월 마한에 사신 호공(瓠公)을 보냈는데, 조공을 바치지 않는 것을 탓하는 마한 왕에게 호공이 그럴 필요가 없다 해 마한 왕이 분노해 죽이려 했으나 신하들의 만류로 놓아주었다. 그리고 이듬해 마한 왕이 죽어 신하들이 마한을 정벌할 것을 권하나 혁거세는 "다른 사람의 불행을 요행으로 여기는 것은 어질지 못한 일이다" 하여 사신을 보내 조문하였다. 이는 그 무렵 신라의 정치 체제가 바로잡혀 마한에 매여있지 않게 되어있다는 것을 말한다.
즉위 53년에 동옥저(東沃沮)의 사신이 와 말 20필을 바쳤다.
혁거세는 재위 62년만에 하늘로 승천하였다가 7일 만에 시신이 부위별로 나뉘어 흩어져서 지상으로 떨어졌다. 백성들이 그 나뉘어진 혁거세의 몸을 다시 하나로 모아 장사를 지내고자 하였으나, 커다란 뱀 한 마리가 나타나 사람들을 쫓아내며 훼방을 놓았다. 백성들은 하는 수 없이 양 다리, 양 팔, 그리고 몸통과 얼굴을 따로 묻었다. 이렇게 혁거세의 무덤은 다섯 개가 되었고, 그래서 무덤들을 가리켜 오릉(五陵)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편집] 가계
- 알영부인(閼英夫人)
- 남해 차차웅
- 일지갈문왕(日知葛文王)
- 허루왕(許婁王)
[편집] 참고
앞선 왕 없음 |
제 1 대 기원전 57년 - 4년 |
다음 왕 남해 차차웅 |
신라의 역대 국왕 |
---|
신라 : 박혁거세 거서간 | 남해 차차웅 | 유리 이사금 | 탈해 이사금 | 파사 이사금 | 지마 이사금 | 일성 이사금 | 아달라 이사금 벌휴 이사금 | 내해 이사금 | 조분 이사금 | 첨해 이사금 | 미추 이사금 | 유례 이사금 | 기림 이사금 | 흘해 이사금 | 내물 마립간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 자비 마립간 | 소지 마립간 | 지증 마립간 | 법흥왕 | 진흥왕 | 진지왕 | 진평왕 | 선덕여왕 | 진덕여왕 태종무열왕 | 문무왕 | 신문왕 | 효소왕 | 성덕왕 | 효성왕 | 경덕왕 | 혜공왕 | 선덕왕 | 원성왕 | 소성왕 | 애장왕 | 헌덕왕 | 흥덕왕 희강왕 | 민애왕 | 신무왕 | 문성왕 | 헌안왕 | 경문왕 | 헌강왕 |정강왕 | 진성여왕 | 효공왕 | 신덕왕 | 경명왕 | 경애왕 | 경순왕 |
분류: 기원전 69년 태어남 | 4년 죽음 | 신라의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