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장 부호는 글의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추가하는 부호이다.

[편집] 한국어에서 쓰는 문장 부호

대한민국과 북조선은 문장 부호가 다르다. ([ ]내는 북조선에서 사용하는 이름이고, [X]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 마침표 -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 (북조선에서는 온점도 고리점도 모두 점으로 표기)
  • 물음표(?)
  • 느낌표(!)
  • 쉼표 -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을 쓴다. (북조선에서는 반점도 모점도 모두 반점으로 표기)
  • 가운뎃점(·)[X]
  • 쌍점(:)[두점]
  • 쌍반점(;)[반두점]
  • 빗금(/)[X]
  • 따옴표
    • 큰따옴표("" 또는 “ ”), 겹낫표(『 』)[《》인용표]
    • 작은따옴표('' 또는 ‘ ’), 낫표(「 」)[〈〉거듭인용표]
  • 묶음표
    • 소괄호( () )[반달괄호]
    • 중괄호( {} )[X]
    • 대괄호( [] )[꺾쇠부호]
  • 이음표
    • 줄표(―)[풀이표]
    • 붙임표(-)[이음표]
    • 물결표(~)
  • 드러냄표[밑점]
  • 안드러냄표
    • 숨김표(××, ○○)[ㅁㅁㅁ]
    • 빠짐표(□)[X]
    • 줄임표(……)
  • 같음표[〃](북조선에서만 사용)

[편집] 바같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