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 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펄 컴퍼트 벅(Pearl Comfort Buck, 1892년 6월 26일1973년 3월 6일)은 《대지의 집》 3부작을 쓴 미국의 소설가이다. 그는 한국을 방문하였을 때 스스로 박진주(朴眞珠)라는 한국어 이름도 지었다.

[편집] 생애

태어나 생후 수개월 만에 장로회 선교사인 부모를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아버지는 전도사업에만 열중했기 때문에 집안 일은 어머니가 도맡았다. 펄 벅은 1910년 대학을 다니기 위해 미국으로 갔다가, 1914년 랜돌프 매콘 여자대학을 졸업하고 중국으로 돌아갔다.

1917년, 뒤에 중국농업연구의 세계적 권위자가 된 존 로싱 벅(John Lossing Buck) 박사와 결혼을 하였다. 이때 성이 "Buck"이 된 것이다. 그들 사이에는 두 딸이 있었는데, 큰 딸은 극도의 정신박약아였다. 자서전에서 펄 벅은 큰 딸이 자신을 작가로 만든 동기 중 하나라고 밝혔다. 이 딸은 《대지》에서 왕룽의 딸로 그려져 있다).

국공내전의 와중에서 1927년 국민당 정부군의 난징(南京) 공격때 온 가족이 몰살당할 뻔했던 위기를 체험하여 피치 못할 균열을 깊이 자각한 일도 그녀로 하여금 창작활동을 시작하게 한 동기였다. 이 균열은 작품의 바닥에 숨겨진 테마로 흐르고 있다. 그녀는 이 균열을, 자기가 미국인이라는 입장에 서서 제2의 조국 중국에 대한 애착서 평생을 두고 어떻게 해서라도 메워 보려고 애썼다.

[편집] 작품 활동의 시작

1930년 중국에서 동·서양 문명의 갈등을 다룬 장편 처녀작 《동풍 서풍》을 출판하였는데, 출판사의 예상을 뒤엎고 1년이 채 안 되어 3판을 거듭하였다.

이어 빈농으로부터 입신하여 대지주가 되는 왕룽(王龍)을 중심으로 그 처와 아들들 일가의 역사를 그린 장편 《대지》(1931년)를 출판하여 작가로서의 명성을 남겼다. 이는 《아들들》 (1933년), 《분열한 집》 (1933년)과 함께 3부작 [대지의 집]으로 총칭한다]을 구성한다.

1934년 이후로 그녀의 저서들을 출판해 온 J.데이 출판사의 사장 R.J.월시와 재혼, 미국에 정착하였다. 1938년에는 미국의 여류작가로서는 처음으로 노벨 문학상이 《대지》 3부작에 수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도 평화를 위한 집필을 계속하였다. 그녀는 사회사업에도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펄 벅 재단을 설립하여 전쟁 중 미군으로 인해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태어난 사생아 입양 알선사업을 벌이기도 했다.

한국 관련 소설도 집필하였는데, 한국 전쟁 후에 한국의 수난사를 그린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1963년)와 한국의 혼혈아를 소재로 한 소설 《새해》(1968년)를 쓰기도 했다. 그 밖의 작품으로는 무명의 어머니를 통해서 영원한 모성상을 그린 , 아버지의 전기인 《싸우는 천사들》, 어머니의 전기인 등이 있다.

[편집] 주요 작품

  • 《동풍 서풍》
  • 《아들들》 (1933년)
  • 《분열한 집》 (1933년)
  •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1963년)
  • 《새해》(1968년)
  • 《어머니》 (1934년)
  • 《싸우는 천사들》 (1936년) - 아버지의 전기
  • 《어머니의 초상》 (1936년)
  • 《애국자》 (1939년)
  • 《서태후》 (1956년),
  • 《나의 가지가지 세계》(1954) - 자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