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F-15E 스트라이크이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15E 스트라이크이글(F-15E Strike Eagle)은 전선에서 적 후방의 지상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미국의 최신 전천후 전폭기이다. F-15 공중전 전용 전투기의 개량형인 스트라이크이글은 사막의 폭풍 작전에서 연합군 지상부대의 근접공중지원의 제공과 적 종심의 주요 목표물을 공습하면서 그 가치를 입증했다. 한국은 2006년 현재 F-15E의 한국 수출용인 F-15K를 도입 중에 있다. F-15K 참조. 싱가포르는 2008년부터 12기의 F-15SG를 도입할 예정이다.
목차 |
[편집] 역사
1981년 3월, 미공군은 F-111을 대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개념은 추가적인 호위기나 전자전기 없이 적종심타격을 할 수 있는 비행기였다. 제너럴 다이내믹스는 F-16XL을 제시했고, 맥도널 더글러스는 F-15의 개량형을 제시했다. F-15E의 최초 비행은 1986년 11월 11일에 있었다. 최초 양산 모델은 1988년 4월에, 애리조나 Luke 공군기지의 제405 전술훈련 비행단(405th Tactical Training Wing)에 인도되었으며, 1989년 10월 노스캐롤라이나의 Seymour Johnson 공군기지에서 최초의 스트라이크 이글 비행대대가 구성되어 실전 운용되기 시작했다. F-15E의 다른 버전은 이스라엘 (F-15I), 한국 (F-15K), 사우디아라비아 (F-15S), 싱가포르 (F-15SG)에서 운용되고 있다.
F-15E는 사막의 폭풍 작전에서 수 천 번의 출격(소티)를 완수하며, 중심적인 역할을 다했다. 오직 3대만이 이라크에서 격추되었다. (2대는 사막의 폭풍, 1대는 이라크 자유)
F-15C/D형은 현재 F-22 랩터로 대체되고 있지만, F-15E형은 아직 대체 예정이 없다. 스트라이크 이글은 다른 F-15에 비해 보다 최신이고 수명도 2배 이상이므로, 2020년대 중반, 혹은 그보다 더 오랫 동안 현역에 있을 것이다. 미 공군은 현재 "지역 전폭기(regional bomber)"의 개념 연구를 하고 있는데, 스트라이크 이글처럼, 전폭기로 개량된 F-22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편집] 디자인 특성
F-15E의 종심 타격 임무는, 원래 "공대지를 위한 한 치의 고려도 없다(Not a pound for air-to-ground)"는 주문에 따라 순수 제공 전투기로 기획된 F-15의 임무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하지만, 기본적인 기체가 아주 유능한 전폭기를 만들어내는 데 충분할만큼 융통성이 있었다. 대지 공격을 위해 만들어졌으면서도, F-15의 막강한 공대공 능력을 그대로 보유하였기 때문에, 적기에 대한 자체 방어를 할 수가 있다.
F-15E는 조종사 훈련석이 있는 F-15B의 개량형이다. F-15B에서 조종사 훈련석으로 쓰이는 뒷자리에, F-15E는 무기관제사(Weapon System Officer(WSO), '위조'라고 발음한다.)가 앉게 되는데, WSO는 공대지와 관련된 항공 전자 장비를 조작한다. WSO는 레이다, 전자전 장비, 적외선 감지 장치로부터 오는 정보를 4개의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으며, 기체나 무기의 상태 및 만일의 위협 등을 감시하거나, 목표물을 조준하며, 또 디지탈 지도("electronic moving map)"을 이용해서 비행기를 순항시킨다. 양 손으로 조작하는 제어 장치를 이용해서 새로운 출력을 선택하거나, 조준 정보를 세밀히 조정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 옵션 '메뉴'에서 선택함으로써, 출력되는 정보들을 한 스크린에서 다른 스크린으로 옮겨 표시할 수 있다.
비행 거리를 늘리기 위해, F-15E는 공기 흡입구 옆에 기존의 연료 탱크보다 항력을 적게 받는 두 개의 컨포멀 연료 탱크를 장착한다. 그것들은 750갤런(2800리터)의 연료를 담고, 또한 6개의 무기 장착대(하드 포인트)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료 탱크와는 다르게 비행 도중 버릴 수 없으며, 따라서 비행 거리 증가라는 이점은 늘어난 무게와 항력으로 인하여 F-15에 비해 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을 수반한다. 똑같은 연료 탱크를 F-15C에도 장착할 수 있으나, 비행 거리를 늘리기 위해 성능이 저하되므로 '제공'(Air Superiority)이라는 원래의 전투기 목적을 고려해볼 때, 별로 장착할만한 가치가 없다.
스트라이크 이글의 전술 전자전 장비(tactical electronic warfare system(TEWS))는 적의 탐지/공격 시도에 대한 모든 대응책을 기체에 내장하고 있다: 레이다 경보 수신기(RWR, Radar Warning Receiver), 레이다 교란기(Radar Jammer), 레이다, 그리고 채프/플레어 발사기 등이 TEWS에 포함되어, 적에 의한 발견/추적을 대비할 수 있다.
레이저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하는 관성 항법 장치는 끊임없이 비행기의 위치(포지션)을 파악해서, 그 정보를 중앙 컴퓨터와 다른 시스템들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두 좌석(cockpit)에서 볼 수 있는 디지탈 지도도 그 중 하나이다.
APG-70 레이다 시스템은 조종사들에게 보다 먼 거리의 지상 목표물을 탐지할 수 있게 한다. 이 시스템의 기능 중 하나는 목표 지역을 쭉 탐색한 후에, 조종사는 공대지 지도를 저장(freeze)하고, 공중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공대공 모드로 변경 가능하다는 점이다. 공대지 무기를 발사하고 유도하는 동안에도, WSO는 지상 목표물을 지시(designates)하거나, 조종사는 공대공 목표물을 탐지, 조준할 수 있다.
저고도 항법과 밤을 위한 적외선 조준 시스템인 랜턴 (LANTIRN)은 정밀유도와 비유도 등의 다양한 무기로 지상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밤과 어떤 기상조건에서도 비행기를 저고도로 날 수 있게 한다. 랜턴 시스템은 기체의 외부에 장착되는 2개의 포드로 이루어져있는데, 이것은 주/야간이나 안 좋은 날씨일 때도 F-15E가 무기를 발사/명중시키는 데에 비교할 수 없는 정확성을 제공한다. 또한 야간에는 랜턴으로부터의 영상을 HUD (Head Up Display)에 표시할 수 있는데, 주간 비행시 조종사가 보는 것과 동일한 영상을 보여줄 수 있다.
항법포드는 지형추적 레이다를 탑재하고 있다. 그것은 조종사에게 HUD에 표시되는 큐를 따라 매우 낮은 고도를 안전하게 날 수 있도록 해준다. 오토파일럿 또한 가능하게 한다.
타겟팅 포드는 레이저 지시기와 추적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이것은 10마일(16Km)에서 파괴할 적을 마크한다. 한번 추적이 시작되면, 타겟팅 정보는 자동으로 적외선 공대지 미사일 또는 레이저 유도 폭탄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공대지 미션을 위해, F-15E는 미 공군이 보유한 대부분의 무기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공대공 임무를 위해 AIM-9 사이드와인더, AIM-7 스패로우, AIM-120 암람을 장착할 수 있다. F-15와 같이, 스트라이크 이글은 또한 제네랄 일렉트릭의 M61A 20mm 기관포를 내부 장착하고 있다.
[편집] 일반 특성
- 대당 가격: $31.1 million (fiscal 1998 constant dollars)
- 실전 배치: 1988년 4월
- 보유 국가: 미 공군 : 217대
[편집] 제원 (F-15E 스트라이크이글)
일반 특성
- 승무원: 2
- 길이: 63.8 ft (19.44 m)
- 날개폭: 42.8 ft (13 m)
- 높이: 18.5 ft (5.6 m)
- 윙 면적: 608 ft² (56.5 m²)
- 날개꼴: NACA 64A006.6 root, NACA 64A203 tip
- 공중량: 31,634 lb (14,379 kg)
- 탑재중량: lb (kg)
- 최대이륙중량: 81,000 lb (36,450 kg)
- 엔진: 2× Pratt & Whitney F100-229 afterburning turbofans, 29,000 lbf (129 kN) each
성능
- 최대속도: 1,665 mph (2,698 km/h) (Mach 2.54)
- 항속거리: 2,400 miles (3,900 km)
- 최대고도: 60,000 ft (18,300 m)
- 상승률: 50,000 ft/min (15,000 m/min)
- 윙 화물탑재량: lb/ft² (kg/m²)
무장
- 기관포: M-56이나 PGU-28 탄환 510발을 구비한 M61 Vulcan 20 mm 기관포 1정
- 미사일: AIM-7M Sparrow 8기, AIM-9M Sidewinder, AIM-120 AMRAAM, AGM-65 Maverick, AGM-130
- 폭탄: Mk-82, Mk-84, B-61, CBU-87 CEM, CBU-89 Gator, CBU-97 SFW, CBU-103 CEM, CBU-104 Gator, CBU-105 SFW, GBU-10 Paveway II, GBU-12 Paveway II, GBU-15, GBU-24, GBU-27, GBU-28, GBU-31, GBU-35, AGM-154 JSOW.
[편집] 참고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인 미국 정부 사이트의 정보를 담고 있다. USAF Website
[편집] 연관된 항목
- Related development
- 비교 기종
-
- MiG-31 -
- Su-30
- Designation series
파생 기종들: F-15A - F-15B - F-15C - F-15D - F-15E - F-15I - F-15K - F-15S - F-15SG
참고 항목:
미국의 현용 군용기 |
S-3 바이킹 | C-130 | AV-8B 해리어 II | A-10 선더볼트 II | B-52 스트레토포트리스 | B-1B 랜서 | B-2 스피릿 | F-117 나이트호크 | C-2 그레이하운드 | C-5 갤럭시 | C-9 스카이트레인II | KC-10 익스텐더 | C-17 글로브마스터III | C-20 걸프스트림III | C-21 리어젯 | 보잉 C-22 | VC-25A 대통령전용기 | 보잉 C-32 | C-37 걸프스트림V | C-40 클리퍼 | C-130 | KC-130 | C-135 스트래토리프터 | KC-135 스트래토탱커 | E-2 호크아이 | E-3 센트리 | EP-3E 에어리즈II | 보잉 E-4B | E-6 머큐리 | EA-6B 프라울러 | E-8 조인트스타즈 | F-15 | F-15E | F-16 | F/A-18 호넷 | F/A-18E/F 슈퍼 호넷 | F-22 랩터 | SH-3 시킹 | SH-60B/F 시호크 | AH-1 코브라 | AH-6J 리틀버드 | AH-64 아파치 | CH-46 시나이트 | CH-47 치누크 | CH-53E 슈퍼 스탤리온 | MH-6J/M 리틀버드 | MV-22 오스프리 | MH-47D/E 치누크 | MH-53J/M 페이브로 III/IV | |MH-60K/L/M 블랙호크 | MH-60S 시호크 | OH-58A/C/D | HH-60G 페이브호크 | HH-60H 시호크 | MH-68A 스팅레이 | VH-3A/D 시킹/마린원 | VH-53D 시스탤리온/마린원 | VH-60L 블랙호크 | VH-60N 나이트호크/마린원 | TH-57 씨레인저 | TH-67A 크리크 | UH-1 이로코이즈 | UH-3H 시킹 | UH-60A/L 블랙호크 | P-3 오라이온 | T-1 제이호크 | T-37 트윗 | T-38 탤론 | 보잉 T-43 | T-6 텍산II | T-34 멘터 | T-39 사브렐리너 | T-2 버크아이 | T-44 페가수스 | T-45 고샤크 | RQ-1 프레데터 | RQ-4 글로벌 호크 | RQ-7 섀도 | U-2 |
![]() |
이 문서는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