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율리우스 카이사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틴어 Caesar에서 복모음 ae 가 한글로 아이로 발음됩니까? 제가 영어에서 쓰는 Itacism에 따라 편의상 시저로 문서명을 표기하였는데... 한국에서 Caesar를 카이사르라고들 부르는 분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군요.

라틴어의 한국어 표기는 "V"가 "ㅂ"으로 표시된다는 것 외에는 보통 추정되는 고전 라틴어 음가에 가깝게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원래 AE는 라틴어에서 "아이"의 음가였다가 영어의 "이" 등으로 단모음화 했습니다.) 어릴 때 재미있게 읽었던 <먼나라 이웃나라> 만화 시리즈에서는 "케사르"라고 표기되었는데, 나중에 나온 개정판을 보니 "카이사르"로 고쳐져 있더군요. 또 몇년전 베스트셀러였던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에도 "율리우스 카이사르"라고 표기되어 있으니 전혀 알려지지 않은 표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국어연구원의 인명표기용례집을 따르면 "카이사르"니 이제 그 표기로 통일해 가고 있는 듯합니다. 하지만 님께서 지적하신대로 "시저"로도 많이 알려져 있으니 본문에 언급은 해뒀습니다. --Iceager 2004년 4월 16일 (金) 02:10 (UTC)
설명 감사합니다. ae가 고대 그리스어의 복모음 αι에 해당한다는 것 정확히 지적하셨습니다. 라틴어의 Itacism을 극복하는데 좋은 기여하셨습니다. 베르길의 Aeneis (혹은 Aeneid)도 그러면 한글로 아이네이스로 표기해야 되겠군요... --아흔(A-heun) 2004년 4월 16일 (金) 12:47 (U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