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병도(李丙燾 1896년 - 1989년)는 해방 후의 대표적인 친일사학자로, '이병도 사관'을 형성했다고 할 정도로 해방 후 대단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목차 |
[편집] 약력
- 1927년 '조선사편수회'로 국사 연구 시작
- 1934년 진단학회 창설, 대표
- 1945년 - 1962년 서울대 문리대 교수
- 1955년 -1982년 국사편찬위원
- 1960년 문교부 장관
- 충무공훈장, 문화훈장대한민국장, 학술원상, 국민훈장무궁화장,
- 인촌(仁村) 문화상, 5·16 민족상 수상
[편집] 이병도 박사의 제자들
[편집] 저서
- 《고려시대 연구》
- 《국사와 지도이념》
- 《한국사대관》
- 《한국사(고대편)》
- 《한국사(중세편)》
[편집] 가족 관계
큰 아버지는 이완용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이는 근거가 없는 내용이라고 한다.
- 이완용은 우봉이씨 7세(世) 이교(李喬)의 16대손(代孫)이고, 이병도는 이교(李喬)의 동생 이주(李周)의 18대손(代孫)이다. 두 집안의 선조가 지금으로부터 5백년도 넘은 조선초기에 나뉘었기 때문에 이완용과 이병도가 같은 집안의 친인척 관계라는 지적은 전혀 사실무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