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빅토리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
실제 크기로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
하노버 왕가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여왕

빅토리아(Queen Victoria, Alexandrina Victoria Hanover, 1819년 5월 24일1901년 1월 22일) 는 영국의 여왕이었다.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재위한 영국 군주로서 그녀의 재위 기간은 해가 지지 않는 나라로 불렸던 대영제국의 최전성기와 일치한다.

[편집] 생애

1837년에 백부 윌리엄 4세를 이어서 즉위하였고, 하노버 왕가가 여성 상속을 인정하지 않았으므로 그녀의 즉위와 동시에 조지 1세 때부터 시작된 영국과 하노버의 동군 연합이 끝나게 되었다. 그 후로 64년 동안 왕위에 있었으며 1877년에는 영국의 군주 중 최초로 인도 황제를 겸하게 되었다. 1840년 독일계 왕족인 외사촌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버트 공과 결혼하였다. 그는 그녀의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 되었다. 빅토리아는 남편을 깊이 사랑하고 신뢰하였으며 1861년 남편의 사망으로 큰 충격을 받고 한동안 두문불출하기도 하였다. 남편 알버트 공도 아내를 사랑하여, 빅토리아가 국왕으로서 정치를 잘 할 수 있도록 조언하였다. 남편과의 사이에 4남 5녀를 두었으며 대부분의 자녀들이 유럽의 주요 왕족과 결혼하여 말년에는 유럽의 할머니로 불렸다. 그녀는 영국의 마지막 하노버 왕조 군주였으며 그녀가 죽고 나서 현재 윈저 왕조의 전신인 삭스-코버그-고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영어식 발음) 왕조가 시작되었다.

빅토리아는 입헌 군주로서 현실 정치에 미친 영향은 미미하였으나, 그녀의 정절과 화목한 가정은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엄격한 도덕주의의 상징이 되었다. 실례로 영국의 성공회 작가인 C.S.루이스가 쓴 《순전한 기독교》를 보면, 보수적인 성문화를 빅토리아 시대의 성문화에 빗대는 문장이 있다. 그녀는 영국에서 가장 사랑받은 군주들 가운데 하나였으며 그녀의 이름은 런던에 있는 빅토리아 알버트 미술관을 비롯한 영국과 영국의 식민지였던 나라들의 지명과 건물명으로 남아 있다. 또한 오늘날 남아있는 유럽 군주들의 대부분은 그녀의 자손이다.

[편집] 가계

  •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앨버트(Prince Albert of Saxe-Coburg and Gotha, Duke in Saxony)
    • 빅토리아 아델라이드 메리 루이즈(The Princess Victoria, Princess Royal) 1840.11.21-1901.8.5
    • 에드워드 7세
    • 앨리스 모드 메리(The Princess Alice) 1843.4.25-1878.12.14
    •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에든버러 공작 앨프레드 어니스트 앨버트(Alfred, Duke of Saxe-Coburg and Gotha) 1844.8.6-1900.7.31
    • 헬레나 오거스타 빅토리아(The Princess Helena) 1846.5.25-1923.6.9
    • 루이즈 캐롤라인 앨버타(The Princess Louise) 1848.3.18-1939.12.3
    • 코넛 및 스트래선 공작 아서 윌리엄 패트릭 앨버트(Arthur, Duke of Connaught and Strathearn) 1850.5.1-1942.1.16
    • 앨바니 공작 레오폴드 조지 던컨 앨버트(Leopold, Duke of Albany) 1853.4.7-1884.3.28
    • 베아트리스 메리 빅토리아 페오도라(The Princess Beatrice) 1857.4.14-1944.10.26


이전
윌리엄 4세
영국의 군주
1837년 6월 - 1901년 1월
다음
에드워드 7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