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코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나코어(프랑스어: Monégasque 모네가스크 / Munegascu 무네가스쿠)는 제네이제에 근거를 둔 로망스어족으로 현대 리구리아어이다. 모나코어는 모나코에서 사용되며 학교에서 가르친다. 제노바에서 사용되는 제노바어와 유사하고 인접한 인테멜리아어와 멘토나스크와는 다르다. 오크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목차

[편집] 역사

모나코는 현재 문학 작품에서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편집] 철자법

모나코어 철자법은 일반적으로 이탈리아어 정서법과 유사하지만 몇가지 예외가 있다.

  • ü프랑스어u 발음이나, 독일어와 유사하다.
  • œ는 발음이 프랑스어의 é와 같이 발음되고, bœufœu 발음과는 다르다. œ의 발음은 리구리아어 발음과 유사하고 ö로 발음된다.
  • ç는 프랑스어 (/s/)의 발음과 유사하다. tradiçiùn는 이탈리아어의 tradizione에서 온 것이 아니라 프랑스어의 tradition에서 유래되었다.

[편집] 같이 보기

  • 이탈리아어 방언
  • 유럽의 언어

[편집] 바깥 고리

로망스어군

가스콩어 | 갈로어 | 갈리시아어 | 건지어 | 나폴리어 | 노르망디어 | 달마트어 | 라디노어 | 라딘어 | 랑게도시아어
로레토-유카얄리 에스파냐어 | 로망슈어 | 로망스어 | 롬버드어 | 루마니아어 | 리구르어 | 리무쟁어 | 메글레노-로망어 | 모나코어
모자라브어 | 몰도바어 | 미란다어 | 베네치아어 | 부르귀뇽어 | 블라크어 | 사르드니어 | 슈아딧어 | 시칠리아어 | 아라곤어
아란어 | 아르피탄어 | 아로메니아어 | 아스투리아스어(아스투르-레오넨어) | 에밀리아어(에밀리아-로마냐어) | 에스트레메뉴어
에스파냐어(카스티야어) | 오베르냐어 | 오크어 | 왈론어 | 유데오-이탈리아어 | 이스트로-로망어 | 이스트리아어 | 이탈리아어
제르시아어 | 차르파트어 | 카탈루냐어 (발렌시아어, 벨라어) | 캄페노이어 | 코르시카어 | 팔라어 | 포르투갈어
포이티뱅-상통그어 | 프랑스어 (카준 프랑스어) | 프랑크어 | 프로벤살어 | 프리오랑어 | 피에몽트어 | 피카르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