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제국대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 일본어: 京城帝国大学/けいじょうていこくだいがく 약칭 城大[?])은 서울 (일제시대에는 경성부(京城府)라고 불림)에 있었던 대학으로 1924년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났을때 까지 존재했다. 서울대학교의 모체이다.
법문학부, 이공학부, 의학부, 예과 (실제 입학전까지 다니던 과정)로 구성되었다. 각 학부는 모두 현재의 종로구 대학로 위치에 있었고, 예과는 현재 동대문구 청량리 일대 세종대왕기념관 근처에 있었다.
[편집] 역사
경성제국대학은 1924년에 일본에서 여섯번째 제국대학으로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뒤에는 학교이름이 경성대학(京城大學)으로 바뀌었고 독립한 뒤 한국에 생긴 첫번째 대학교가 되었다.
경성대학은 1946년 8월 22일에 미군정의 법령에 따라 폐쇄와 동시에 서울시내에 있던 아홉개 전문학교와 통합되어 서울대학교가 설립되었다.
[편집] 연혁
- 1924년 5월 조선총독부가 소관하는 제국대학으로서 설림됨. 대학예과 (수료연한 2년)도 지어짐.
- 1926년 5월 법문학부, 의학부 생김.
- 법문학부에는 헌법/행정법, 민법/민사소송법, 형법/형사소송법, 경제학, 정치학/정치사, 로마법, 철학/철학사, 지나철학(중국철학), 윤리학, 심리학, 종교학/종교사, 미학/미술사, 교육학, 사회학, 국사학(일본역사), 조선사학, 동양사학, 국어학(일본어학)/국문학(일본문학), 조선어학/조선문학, 지나어학(중국어학)/지나문학(중국문학), 외국어학/외국문학 등의 강좌가 생김.
- 의학부에는 해부학, 생리학, 의화학, 약물학, 병리학, 미생물학등의 강좌가 생김.
- 1934년 예과 수료연한을 3년으로 연장.
- 1941년 이공학부 생김.
- 1942년 5월 고지요양연구소가 부설됨.
- 1945년 6월 대륙자원과학연구소가 생김.
- 1945년 8월 15일 이후 (해방후) 경성대학으로 개명.
- 1946년 8월 미군정 법령 102호 <국립서울대학교 설립에 관한 법령>에 따라 폐교와 함께 서울시내에 있던 아홉개 전문학교와 통폐합해서 서울대학교가 개교함.
[편집] 같이 보기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
![]() |
이 문서는 일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