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국제 우주 정거장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ISS의 실시 등급
- “달 다음으로 밤에 가장 밝은 천체이다.”
인터넷으로 찾아보면 현재 ISS의 실시 등급이 -1이라는 곳도 있고 -2라는 곳도 있습니다. 태양을 빼고 가장 밝은 항성은 시리우스로 -1.45로, -2보다는 어둡습니다. 하지만 천체 중에서 달 다음으로 가장 밝은 금성은 가장 밝을 때에는 실시 등급이 -4.6까지 내려갑니다. --Puzzlet Chung 2006년 9월 9일 (일) 20:01 (KST)
- 저는 출처가 있습니다. 님도 출처를 제시해 보세요. -- 멀뚱이(Talk / Contrib) 2006년 9월 9일 (일) 20:17 (KST)
- [1] 이정도면 밝을 때의 목성보다 어둡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9월 9일 (일) 20:32 (KST)
- 정확한 데이타를 직접 올려주세요. 전 전문가 아닙니다. 공신력 있는 언론의 정정보도가 없었던 기사를 반박하려면, 어느정도 정확한 근거가 제시되어야 하겠죠. 글 쓴 사람도 그 쪽 분야 사람 같던데요. 주석처리로 하시지, 삭제는 좀 그렇군요. 여하튼 더 근거를 제시해 보세요. -- 멀뚱이(Talk / Contrib) 2006년 9월 9일 (일) 20:38 (KST)
제가 올린 건 이 내용입니다. 정확한 데이터를 제시하여서 반박하세요. -- 멀뚱이(Talk / Contrib) 2006년 9월 9일 (일) 20:40 (KST)
- <우주이야기>‘인류가 쏘아올린 별’ 국제우주정거장 ISS 경향신문 2003-11-03 08:21
NASA 사이트에서는 ISS의 실시 등급이 나와 있지 않는 것 같은데, 저 기사에 따르면 밝을 때에는 “시리우스(금성까지도)와 견줄만” 하고, 어두울 때에는 “+2~3등급 별보다 밝지 않다”고 합니다. 여기서는 ISS를 -2등급으로 추정했고, 여기서는 관측된 실시 등급이 -0.8등급입니다. 금성과 목성의 가장 밝을 때 실시 등급은 각각 -4.4[2], -2.7[3]입니다. --Puzzlet Chung 2006년 9월 9일 (일) 21:12 (KST)
2003년 11월 24일이면 제가 봤을 때 당시의 기사 같습니다. 초저녁쯤 해서 서쪽으로 지는 걸 봤지요. 물론 별자리 프로그램(스테리 나잇.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으로 거의 실시간 정보를 업데이트 받습니다.)으로 미리 예측한 후에 확인한 것이므로 제 관측이 틀릴 가능성은 별로 없을 거라고 봅니다. 아무튼 그 당시 ISS는 꽤 밝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웬만한 1등성정도 거나 더 밝았을 겁니다. 문득 떠오르는데, ISS와 같은 비구면 천체는 그 밝기가 매우 심하게 변하기 때문에 갑자기 밝아졌다가 갑자기 어두워지기도 합니다. 때문에 밝기는 일정치 않고 다만 밝을 때는 순간적으로 꽤 밝았었다는 건 기억합니다. (그렇다면 나사에서 실시등급을 명시하지 않은 것도 설명이 되겠지요. 안시등급의 편차가 워낙 크니까요.)--Ast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