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르메니아어
Հայերեն 하예렌
쓰는 나라들 아르메니아, 캐나다, 키프로스, 프랑스, 그루지야, 이란, 이라크, 이스라엘, 요르단, 나고르노카라바흐, 브라질, 아르헨티나, 레바논, 러시아, 시리아, 터키, 미국과 기타국가들
언어 인구 700만여명
언어의 계통 인도유럽어족
 아르메니아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아르메니아
언어 부호
ISO 639-1 hy
ISO 639-2: arm (B) hye (T)
ISO/DIS 639-3: hye
아르메니아어 문헌
실제 크기로
아르메니아어 문헌

아르메니아어인도유럽어족의 언어인 동시에 아르메니아공용어이다. 아르메니아 문자라는 특이한 고유 문자를 사용한다.

[편집] 역사

프랑스의 언어학자 앙트완 메이예의 지적에 따르면, 아르메니아어는 그리스어와 어원적으로 병행한 유사성을 많이 지니고 있다.

역사적으로 이 언어는 다수의 어휘를 페르시아어(이란), 그리스어(6세기), 오스만터키어(11세기), 프랑스어, 라틴어(16세기 ~ 18세기), 그리고 러시아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 존재하나, 많지 않다.

예) 공화국을 다른 나라에서는 Republic과 비슷한 발음으로 나타내지만 아르메니아는 한라페튜티운이라고 표기된다.

1915년 당시 오스만 제국(1299년 - 1922년)이 아르메니아인 학살 사건을 자행하여 수백만이 죽어갔을 때에도, 소비에트 연방의 폭압적인 지배에도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신의 문자를 지키려고 노력하였다. 그래서 그루지야 문자처럼 꾸준히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이다.

[편집] 간단 아르메니아어

한국어와 동부 아르메니아어

  • 예 = 아요 (այո)
  • 아니오 = 보츠 (ոչ)
  • 실례합니다 = 네로고우티오운 (ներողություն)
  • 안녕 = 바레브 (բարև)
  • 미안합니다 = 크느트렘 (խնդրեմ)
  • 감사합니다^^ = 스노라칼 엠 (շնորհակալ եմ)
  • 대단히 감사합니다^^ = 샤트 스노라칼 엠 (շատ շնորհակալ եմ)
  • 어서오세요 = 바리 갈루스트 (բարի գալուստ) / 바로브 에크 예켈
  • 잘가세요 = 츠테소우티오운 (ցտեսություն)
  • 아침 인사 = 바리 로우이스 (բարի լույս)
  • 오후 인사 = 바리 오르 (բարի օր)
  • 저녁 인사 = 바리 예레코 (բարի երեկո)
  • 안녕히 주무세요 = 바리 기셰르 (բարի գիշեր)
  • 당신을 사랑합니다^^ = 예스 시룸 엠 케즈 (ես սիրում եմ քեզ)

한국어와 서부 아르메니아어

  • 예 = 아요 (այո)
  • 아니오 = 보츠 (ոչ)
  • 실례합니다 = 네로고우티오운
  • 안녕 = 파레브 (բարև)
  • 미안합니다 = 하지스 / 킨트렘 (խնդրեմ)
  • 감사합니다^^ = 스노라갈 엠 (շնորհակալ եմ)
  • 대단히 감사합니다^^ = 샤드 스노라갈 엠 (շատ շնորհակալ եմ)
  • 어서오세요 = 파리 예가르 / 파리 예가크
  • 잘가세요 = 츠데소우티오운 (ցտեսություն)
  • 아침 인사 = 파리 로우이스 (բարի լույս)
  • 오후 인사 = 파리 오르 (բարի օր)
  • 저녁 인사(안녕하십니까) = 파리르고운 / 파리 이리고운
  • 저녁 인사(안녕히 계십시오) = 키셰르 파리 (գիշեր բարի)

[편집] 바깥 고리

위키백과
아르메니아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