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터키어
Türkçe
쓰는 나라들 터키, 키프로스, 불가리아, 그리스, 이란, 마케도니아 공화국, 몰도바, 시리아, 이라크, 아제르바이잔.
지역 터키, 키프로스, 발칸 반도, 카프카스
언어 인구 모어: 6000만여명
전체: 7500만여명
사용 순위 19-21위. 이탈리아어·우르두어와 거의 동률.
언어의 계통 알타이어족(논란 있음)
 투르크어족
  남투르크어파
   Turkish group
    터키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터키, 키프로스,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불가리아(국가언어), 마케도니아 공화국(자치구 공용어)
표준 터키어 협회(Türk Dil Kurumu)
언어 부호
ISO 639-1 tr
ISO 639-2: tur(오스만 터키어는 ota)
ISO/DIS 639-3: either:
tur — 터키어
ota — 오스만 터키어

터키어투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터키, 키프로스, 불가리아 등에서 쓰인다. 한국어와 어순이 비슷하여 직역이 가능한 문장이 많다. 그리고 터키어를 알면 아제르바이잔이란에서 쓰는 아제르바이잔어 (혹은 아제리어)라던가 기타 다른 투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들도 상당수 이해가 가능하다. 투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들 간의 방언 차이가 적은 편이기 때문이다.

목차

[편집] 터키어의 기원

고대 터어키어는 몽골의 오르콘(Orkhon)강 유역에서 발견된 기념비(흔히 돌궐비문이라 잘 알려져 있다)의 돌궐 문자로 기록된 비문 기록에 사용된 투르크어를 가리킨다. 이 비문들은 7∼8세기에 기록된 것으로서, 그당시 돌궐제국은 오르콘강 유역의 투라(Tula)지방 및 세렌카 강변 등지를 주요 근거지로 삼고 있었다. 따라서 주로 돌궐족이 이 비문에 기록된 언어를 사용하였고, 또한 이것이 오늘날의 터키어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돌궐비문에 쓰인 돌궐문자를 해독하면 현재 로마자 표기의 터키어가 쓰는 그것과 뜻이 일치한다고 한다. (돌궐비문에서 이들은 자기 자신을 Gök Türk라고 지칭-물론 당시에는 돌궐문자 표기이다-했는데, 현대 터키어로 Gök은 하늘을, Türk는 투르크족을 상징한다)

[편집] 사용어

  • 아침인사 - Günaydın
  • 낮인사 - İyi günler
  • 밤인사 - İyi akşamlar/İyi geceler
  • 네 - Evet
  • 아니오 - Hayır
  • 어서오세요 - Hoş geldiniz
  • 여기에 오신 것이 반갑습니다 - Hoş bulduk
  • 어떻게 지내요(가족) - Nasılsın?
  • 어떻게 지내요(모르는 사람) - Nasılsınız?
  • 저는 잘 지내요. 당신은요? İyiyim; siz nasılsınız?
  • 저도 잘 지내요. - Ben de iyiyim
  • 실례합니다. - Affedersiniz
  • 주세요 - Lütfen
  • 천만해요 - Bir şey değil
  • 안녕! = Merhaba!
  • 안녕하세요! = Merhaba!
  • 감사합니다. = Teşekkür ederim.
  • 안녕히가세요. = Hoşçakal!
  • 미안합니다. = Özür dilerim.
  • 죄송합니다. = Özür dilerim.
  • 축하합니다! = Tebrikler!
  • 생선, 물고기 = Balık.
  • 나무 = Ağaç.
  • 물 = Su.
  • 불 = Ateş.
  • 전기 = Elektronik
  • 쌀 = Pirinç.
  • 도시 = Şehir, Kent
  • 저녁 = Akşam
  • 사랑합니다 = Seni seviyorum.
  • 남자 = Adam.
  • 여자 = Kadın.
  • 월요일(月曜日 ; Weol yo il) = Pazartesi
  • 화요일(火曜日 ; hwa yo il) = Salı
  • 수요일(水曜日 ; su yo il) = Çarşamba
  • 목요일(木曜日 ; mok yo il) = Perşembe
  • 금요일(金曜日 ; geum yo il) = Cuma
  • 토요일(土曜日 ; to yo il) = Saturday
  • 일요일(日曜日 ; il yo il) = Sunday

[편집] 터키어에 대한 의견

어떤 사람들은 터키어한국어가 같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어휘자치가 비슷하지는 않지만 문법적으로 비슷한 점이 많다. 어순을 보면 한국어와 거의 똑같지만 다른 점이 몇 가지 있다.

benim okulumda dört öğrenci var. (내 학교에서 학생이 네 명 있다)
  • benim = 나
  • okulumda =나의학교에서
  • dört = 넷
  • öğrenci = 학생 (복수형인 öğrenciler이 있지만 숫자가 먼저 나올 경우에 단수형을 쓴다)
  • var = 있다

이 문장에서 동사가 마지막에 나오는 것이 한국어와 같지만, 숫자를 말할 경우 숫자가 먼저 나오는 것 (한국어의 학생 네 명과 다르게)과 소유격을 쓸 때 소유하는 것의 모습이 변하면서 (한국어의 나의로 바뀌는 것처럼) 소유되는 것도 변하다. Benim은 "나의", okul은 학교이지만, benim okul이라고 하지 않고 학교인 okul도 일인칭 ben과 함께 okulum으로 바뀐다.

[편집] 있다, 없다

한국어와 일본어 같이, 터키어에서 '있다'와 '없다'를 표현하기 위해 동사가 두 가지 있다. 터키어에서 있다는 var, 없다는 yok라고 한다. 이 점은 인도유럽언어들이 '있다'라는 동사에 부정형인 not (영어어 I do not have), no (스페인어의 no tengo), ikke (노르웨이어의 jeg har ikke) 등을 쓰는 것과 다르다.

[편집] 바깥고리

위키백과
터키어 위키백과
서부투르크어족
볼가르 볼가르어* | 추바시어 | 하자르어*
차가타이어파 아이니어 | 차가타이어* | 일리 투르크어 | 로프어 | 위구르어 | 우즈베크어
킵차크어파 바라바어 | 바시키르어 | 크림 타타르어 | 쿠만어* | 발카르어 | 카라임어 | 카라칼파크어 | 카자흐어 | 킵차크어* | 크림착어 | 쿠미크어 | 노가이어 | 타타르어 | 우룸어
오구즈어파 아프샤르어 | 아제르바이잔어 | 크림 타타르어 | 가가우스어 | 호라산 터키어 | 오스만 터키어* | 페체네그어* | 카슈카이어 | 살라르어 | 터키어 | 투르크멘어 | 우룸어
동부투르크어족
칼라지어파 칼라지어
키르기스-킵차크어파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북동투르크어파 출림어 | 돌간어 | 푸위 기르기스어 | 하카스어 | 북부 알타이어 | 쇼르어 | 토파어 | 투바어 | 서부위구르어 | 야쿠트어
* 사어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