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터넷(Internet, 문화어: 인터네트)은 전세계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TCP/IP 규약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공개 컴퓨터 통신망이다.
통신망과 통신망을 연동해놓은 망의 집합을 의미하는 인터네트워크(inter-network)의 약어인 internet과 구별하기 위해 Internet 또는 INTERNET과 같이 고유명사로 표기한다. 아르파넷(ARPANET)에서 시작된 인터넷은 근거리 통신망(LAN)등 소규모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형태에서 점차 발전하여 현재는 전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통신망의 집합체가 되었다.
인터넷에는 PC통신과는 달리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이 되는 호스트 컴퓨터도 없고 이를 관리하는 조직도 없다. 인터넷을 대표하는 조직으로 ICANN, ISOC(Internet Society)등이 있지만 인터넷을 총괄 관리하는 기구는 아니다. 그러나 인터넷을 총괄적으로 관리하지는 않지만 인터넷상의 어떤 컴퓨터 또는 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통신망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실제의 관리와 접속은 세계 각지에서 분산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현재 인터넷은 전화망 버금가는 거대한 세계적 정보 기반이 되었으며 통신량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전자우편(e-mail), 원격 컴퓨터 연결(telnet), 파일 전송(FTP),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 검색(Gopher), 인터넷 대화와 토론(IRC), 전자 게시판(BBS),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WWW:World Wide Web),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하며 동화상이나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서비스나 비디오 회의 등 새로운 서비스가 차례로 개발되어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와 풍부한 정보 자원 때문에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 한다.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은 전용선에 의한 접속과 전화 회선을 이용한 접속이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각국의 통신망 정보 센터(NIC)에서 할당하는 IP 주소와 인터넷에 연결하는 서비스를 해주는 회사에 가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한국전산원의 한국 인터넷 정보 센터(KRNIC)가 IP 주소의 지정 및 도메인 등록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인터넷의 기원은 1969년 미국 국방성 고등연구계획국(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이 주도한 아르파넷(ARPANET)으로, 처음에는 군사적 목적에 입각하여 패킷 교환 방식의 통신망을 연구하기 위해 개발되었는데 최초 4곳의 연결에서 출발하여 1975년 7월 국방 통신부로 업무가 이관될 때까지 약 60곳이 연결되었다. 그 후 계속 발전하여 1982년에는 미국 국방부의 공용 네트워크인 국방 데이터 네트워크로 선정되었고, 1983년 1월 1일에 공식적으로 TCP/IP 프로토콜을 채택하고 군사용 MILNET은 따로 분리되어, 이 무렵부터 인터넷(Internet)이라는 명칭이 일반화된다.
1986년에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5개 슈퍼컴퓨터 센터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TCP/IP를 사용하는 새로운 통신망 NSFNET을 구축하였는데, 1990년에 아르파넷(ARPANET)를 흡수하여 인터넷의 기간망(backbone network)이 되었는데, 이 역할은 1995년 4월 30일에 종료되어 이후 인터넷은 다수의 IXP가 서로 접속되는 형태로 전환되었고 이 때부터 상업적 목적의 인터넷 접속도 허용되었다.
[편집] 각 국가의 인터넷 현황
[편집] 대한민국
1982년 3월 2일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PDP-11과 한국전자기술연구소(KIET)의 VAX 11/780을 1200bps 전용회선으로 연결하면서 태동한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이 한국 최초의 전산망이며,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였으므로 이를 대한민국 인터넷의 시초로도 본다. SDN은 1982년 5월 15일 정식 개통되어 1983년 3월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과의 VAX 11/780이 연결되면서 본격적인 전산망으로서 면모를 갖추었으며, 해외 연결은 1200bps 전화 모뎀으로 UUCP를 사용하여 같은 해 8월에 네덜란드 MCVAX을 통해 EUNET에 연결되고, 10월에는 미국 HP Labs를 통해 UUCPNET과 연결되면서 구현되었으며 전자우편 교환도 가능해졌다. 1983년 11월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SDN 네트워크 운영 센터(Network Management Center, NMC)를 설치하고, 1984년 2월에는 한글 E-mail이 개발되었다.
1984년 7월 미국 UCSA를 통해 유즈넷에 연결되고, 12월에 전화 모뎀으로 미국 CSNET phonenet 에 가입하며 국제망에 참여하게 된다.
1985년 3월에는 PSDN을 통한 UUCP가 개발되어 미국 지질학 연구소의 SEISMO로 UUCPNET 연결 노드를 변경하였고, 이후 인도네시아 및 일본과 연결하여 PACNET을 구성하였다.
1986년 5월에 X.25회선을 통한 CSNET X.25NET 에 가입하고, 6월에는 도메인(DNS)을 도입하였으며, 6월 30일에 한국 최초의 공인 IP 주소(128.134.0.0)를 할당받고, 8월 8일에는 인터넷 NIC에 SDN의 7개 호스트(kaist, snucom, kiet, gsc, etrivax, kuecc, hanyang)를 등록하며 .KR 도메인을 공식 사용하였다.
1990년 4월, 한국과학기술원 전자계산소를 게이트웨이로 하여 청량리전화국을 경유하고 금산위성통신지구국에서 인공위성을 통한 56kbps 전용회선으로 미국 하와이대학을 연결하는 하나(HANA/SDN)망이 구성되어, 6월 1일부터 공식 가동하면서 인터넷 직접 연결망이 구축되었다.
1992년 8월에 하나망과 SDN의 운영이 한국통신으로 이관되었는데, 1993년 SDN의 명칭은 폐지되어 하나망으로 통합되었고, 전화 모뎀(PSTN)을 통한 접속이 가능하여 개인 가입도 허용되었는데 1994년 6월에 코넷(KORNET)으로 변경되어 본격 상용화되었다.
이후 1994년 8월 (주)데이콤(DACOM)이 PC통신 천리안을 통해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11월에는 아이네트기술이 나우누리를 통해 누리넷(Nurinet)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일반인들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7년 12월 1일 (주)두루넷의 케이블 모뎀 서비스가 처음 도입되어 1998년 6월 18일에 상용화되었고, 1999년 2월에는 하나로통신(주)의 ADSL 서비스가 시작되고 곧이어 같은해 4월에 상용화되면서, "초고속 인터넷"이라는 이름으로 광대역 가입자망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주)KT의 메가패스(MegaPass), 하나로텔레콤(주)의 하나포스(HanaFos) 등 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이외에도 유선방송(CATV)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편집] 읽어보기
인터넷 |
전자 우편 - 유즈넷 - 월드 와이드 웹 - 인스턴트 메신저 - 파일 공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