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고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단기고사(檀奇古史)는, '저자의 말'과 '중간서(重刊序)', '출간경로'에 의하면, 728년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의 아우 반안군왕(般安郡王) 대야발(大野勃)이 편찬했다는 역사서이다. 발해문이었던 것을 100년 뒤에 황조복(皇祚福)이 한문으로 번역했으며, 지금의 국한문본은 1959년 정해박(鄭海珀)이 한문본을 다시 번역했다고 한다. 발해문본과 한문본은 남아있지 않다.
단기고사는 '단군과 기자의 옛 역사' 라는 의미로, 전단군조선과 후단군조선의 47대 약 2천여 년에 걸친 역사와, 그보다 늦게 출발한 기자조선의 42대 1천여 년의 역사, 재위기간과 각 시대의 주요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 기자조선은 조선시대까지 알고 있는 기자(箕子)조선과는 다르며, 단기고사의 기자(奇子)는 19세 단군의 후손이 기자조선을 세우고 146년 후에 중국으로부터 망명한 기자를 받아들인 것으로 되어 있다.
목차 |
[편집] 구성
- 서문
- 제1편 전단군조선
- 제2편 후단군조선
- 제3편 기자조선
- 이경직(李庚稙), 신채호(申采浩)의 중간서(重刊序)
[편집] 내용상의 모순
단기고사에는 여러 가지 모순을 찾아볼 수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서로 채택되지 않는다.
- 출간년도와 원본 — 단기고사는 한문본인 원본이 존재하지 않는다. 1949년 간행본은 구할 수 없고, 1959년의 한글 번역본 이전의 것은 없다.
- 시대와 맞지 않는 내용 및 어휘 — 미술관, 지구성, 원심력, 만국박람회 등의 근대에 등장한 용어들을 사용하였다. 기구와 잠수선이 등장하고, 단군에게 서양의 칸트-라플라스가 주장한 성운설의 내용이 소개되기도 한다.
- 재위연도의 모순 — 단기고사에는 고조선이 2096년에 모두 47대로, 기자조선이 1097년에 42대로 기록되어 있다. 왕의 수는 비슷한데 다스린 연수가 2배의 차이가 난다. 단기고사에 의하면, 기자조선이 전단조선 19세 단군 종년(규원사화는 구모소 임금)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1097년 간 계속되었다. 위만조선의 시작 연대를 일반적인 기원전 194년으로 가정하면, 전단조선의 시작 연대는 기원전 2512년이 된다. 일반적인 기원전 2333년과는 179년의 차이가 난다. 간지(干支)가 기록되어 있는 환단고기의 단군세기는 기원전 2333년이 고조선의 시작 연도로 기록되어 있다.
[편집] 단기고사의 역년 및 기록
- 왕검(王儉)단군 : 재위 93년
- 부루(扶婁)단군 : 재위 58년
- 가륵(嘉勒)단군 : 재위 45년
- 오사구(烏斯丘)단군 : 재위 38년
- 구을(丘乙)단군 : 재위 16년
- 13년, 혼천기(渾天機)를 제조
- 달문(達文)단군 : 재위 36년
- 한율(翰栗)단군 : 재위 54년
- 우서한(于西翰)단군 : 재위 8년
- 아술(阿述)단군 : 재위 35년
- 노을(魯乙)단군 : 재위 58년
- 도해(道奚)단군 : 재위 58년
- 48년, 평양에서 만국박람회를 개최. 양수기, 자행윤선차, 경기구, 자발전차, 천문경, 소금천리상응기, 진천뢰, 어풍승천기, 흡기잠수선, 측우기, 측한계, 측서계, 량우계, 측풍계 등 제조
- 아한(阿漢)단군 : 재위 52년
- 흘달(屹達)단군 : 재위 61년
- 16년, 지방자치제 실시.
- 20년, 법정학교(法政學校) 설립
- 고불(古弗)단군 : 재위 60년
- 벌음(伐音)단군 : 재위 51년
- 위나(尉那)단군 : 재위 58년
- 여을(余乙)단군 : 재위 68년
- 동엄(冬奄)단군 : 재위 49년
- 종년(縱年)단군 : 재위 55년
- 고홀(固忽)단군 : 재위 43년
- 소태(蘇台)단군 : 재위 52년
- 색불루(索弗婁)단군 : 재위 48년
- 아홀(阿忽)단군 : 재위 75년
- 연나(延那)단군 : 재위 11년
- 10년, 정치원론 저술
- 솔나(率那)단군 : 재위 89년
- 39년 영고탑으로 도읍을 옮김(후 단군조선), 서여가 기자조선 건국
- 추로(鄒盧)단군 : 재위 65년
- 두밀(豆密)단군 : 재위 26년
- 해모(奚牟)단군 : 재위 28년
- 마휴(摩休)단군 : 재위 34년
- 내휴(奈休)단군 : 재위 35년
- 등올(登兀)단군 : 재위 25년
- 추밀(鄒密)단군 : 재위 30년
- 감물(甘勿)단군 : 재위 24년
- 오루문(奧婁門)단군 : 재위 23년
- 사벌(沙伐)단군 : 재위 68년
- 매륵(買勒)단군 : 재위 58년
- 30년, 성리학, 심리학 저술
- 50년, 의학화학 저술
- 마물(麻勿)단군 : 재위 56년
- 다물(多勿)단군 : 재위 45년
- 두홀(豆忽)단군 : 재위 36년
- 달음(達音)단군 : 재위 18년
- 음차(音次)단군 : 재위 20년
- 4년, 종교론 저술
- 을우지(乙于支)단군 : 재위 10년
- 5년, 지리학, 광물학 저술
- 물리(勿理)단군 : 재위 25년
- 8년, 논리학원본설 저술
- 구물(丘勿)단군 : 재위 40년
- 5년, 동물 및 식물학 저술
- 16년, 백과서 저술
- 여루(余婁)단군 : 재위 55년
- 28년, 의학대방 저술
- 40년, 자본론 저술
- 보을(普乙)단군 : 재위 46년
- 고열가(古列加)단군 : 재위 58년
- 22년, 건축학 저술
- 25년, 종수학(種樹學) 저술
고조선의 치세기간은 기원전 2512년 ~ 기원전 416년에 해당되며, 47대 2096년 간 지속되었다.
기자조선의 치세기간은 기원전 1291 ~ 기원전 194년에 해당되며, 42대 1097년 간 지속되었다.
- 위만조선의 건국연대는 기원전 194년으로 추정하였다.
[편집] 《환단고기》와 공통된 기록
《단기고사》는 《환단고기》의 〈단군세기〉와 공통된 내용들을 찾아볼 수 있다. 다음은 두 기록이 일치하는 연대이다.
- 부루
- 3년 도량형 통일
- 58년 붕어, 일식 기록
- 가륵
- 2년 국문정음(國文正音)을 정선(精選)
- 오사구
- 7년 배만드는 곳을 살수 상류에 설치
- 우서한
- 7년 세발 달린 까마귀가 대궐에 들어왔는데, 날개 너비가 석자였다.
- 아술
- 원년 두개의 태양이 나란히 나와 보는 자 마치 넓은 울타리 같았다.
- 노을
- 16년 장백산의 누운 돌이 일어나고, 발해에 용귀(龍龜)가 나타나고, 흑수(黑水) 강가에 금괴가 노출되니 수량이 열한섬이나 되었다.
- 아한
- 2년 외뿔 가진 짐승이 송화강 북쪽에 나타났다. 창해역사 여홍성은 비석을 지나며 시를 읊었다.
마을 밖 변한이라 이르는 곳에 홀로 뛰어난 돌 하나 있었네 받침은 깨지고 철쭉만 붉었는데 글자는 보이지 않고 이끼만 푸르구나 다듬어져 처음 생겼을 때 그대로 흥망의 황혼에 우뚝 서있으니 글에 보이는 증거는 하나도 없지만 이 어찌 단군의 자취가 아니겠는가.
- 홀달
- 50년 오성이 모여들고 누런 학이 날아와 뜰의 소나무에 깃들었다.
- 고불
- 6년 큰 가뭄. 기우제 후 큰 비가 내림.
- 56년 관리를 사방에 보내어 호구조사. 총계 1억 8천 만.
- 위나
- 28년 만국의 제후들을 영고탑에 모이게 하여 회의.
- 구모소
- 54년 지이숙(支離叔)이 태양력(太陽曆)과 팔괘상중론(八卦相重論)을 저술하였다.
- 고흘
- 11년 가을 하얀 태양이 무지개를 뚫었다.
- 36년 이궁을 영고탑에 두었다.
- 40년 공을홀이 천하의 지도를 제작하여 바쳤다.
- 해모
- 11년 태풍이 일어나 폭우가 쏟아지니, 육지에 고기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었다.
- 마휴
- 8년 여름에 지진이 일어났다.
- 9년 가을에 남해(南海)의 조수가 석자(三尺)나 물러났다.
- 추밀
- 13년 3월 일식.
- 감물
- 2년 주나라 사람이 호랑이와 코끼리 가죽을 바쳤다.
- 오루문
- 10년 두 해(兩日)가 함께 떠오르듯 왕무(黃霧)가 사방을 덮었다.
- 사벌
- 6년 황충의 피해와 홍수.
- 매륵
- 28년 지진과 해일이 있었다.
- 32년 서촌의 한 백성의 집에서 소가 다리 여덟개 달린 송아지를 낳았다.
- 35년 용마가 천하에서 나왔는데 등에는 별무늬가 있었다.
이들이 동일한 기록이라면, 재위연대가 같은 《단기고사》와 〈단군세기〉는 그 연대가 동일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연대는 기자조선의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다.
[편집] 참고문헌 및 링크
- 고동영 역, 《단기고사(檀奇古史)》, 한뿌리, 1990
- 조인성, 韓末 檀君關係史書의 再檢討 :《神檀實記》·《檀奇古史》·《桓檀古記》를 中心으로, 국사관논총 제3집 (1989. 10), 國史編纂委員會
- 이상시, 檀君實史에 관한 文獻考證, 고려원, 1990 中 제3장 5절 《檀奇古史》·《桓檀古記》·《帝王年代歷》에 대한 文獻考證
- [1]사료비판(일본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