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태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왕건은 이 문서로 넘겨집니다. 고려 태조를 주인공으로 한 역사 드라마에 대한 설명은 태조 왕건 (드라마)을 참조해 주십시오.
고려 태조
[[그림:{{{그림}}}|180px]]
재 위
918년 ~ 943년
왕 비 신혜왕후
장화왕후
신명순성왕후
신정왕후
신성왕후
정덕왕후
황 후 {{{황후}}}
부 군 {{{부군}}}
앞선 왕 {{{이전 왕}}}
다음 왕 혜종
고려의 초대 국왕

고려 태조(太祖, 877년 - 943년), 고려 왕조의 시조. 성(姓)은 왕(王), 는 건(建), 는 약천(若天), 시호는 태조응운원명광열대정예덕장효멸목신성대왕(太祖應運元明光烈大定睿德章孝威穆神聖大王).

세조(世祖)와 위숙왕후(威肅王后) 한씨(韓氏)의 아들이다.

[편집] 생애

전설에 따르면, 왕건은 서해 용왕의 외손자라고 한다. 그래서 고려의 역대 임금들은 용의 피가 흐르고 있는 의 후예라고 믿어져 왔다.

그의 출생에 대해선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다. 송악의 호족 왕륭이 송악의 남쪽에 집을 새로 짓고 있었다. 그때 마침 그곳을 지나던 도선대사(道詵大師)란 고승이 문 밖에서 이것을 보고 "북쪽으로 옮겨 지으면 이곳에서 세상을 구할 성인이 태어날 것"이라고 중얼거리며 탄식하였다. 그러면서 왕륭에게 새 집터를 잡아주고 이 일을 비밀로 할 것을 당부한 뒤 길을 떠났다. 그로부터 얼마 후 왕륭의 부인 한씨에게 태기가 있더니 그 이듬해 아들이 태어났다. 아기가 태어날 때 신비한 광채와 자줏빛 기운이 방 안 가득 빛나고 하루종일 뜰에 서려 있었다. 왕륭은 도선대사의 예언대로 아들이 태어나자 이름을 건이라 지었다.

왕건은 어릴 적부터 총명함과 슬기로움이 남달랐으며 용모도 훤칠하여 장부다운 기상을 두루 갖추고 있었다. 왕건이 17살이 되자 도선대사가 다시 송악으로 왕건을 찾아와 그에게 군사학과 천문학, 제례법 등을 가르쳤다.

896년 왕륭과 왕건 부자는 중부 지방의 강자로서 세력을 떨치던 궁예를 찾아가 미련없이 송악을 바치고, 그 밑으로 들어가 벼슬을 하였다.

왕건은 후고구려의 장군으로서 전장에서 무공을 세우고 후고구려의 세력 확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궁예로부터 인정받아 정기대감에 오른 왕건은 약관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지략과 통솔력으로 연이어 군대를 이끌고 출정하여 한강 이남 지역을 무리없이 평정하였다. 특히 후백제견훤과의 대결에서는 909년 해군대장군(海軍大將軍)이 되어 함대를 거느리고 전라도 지역으로 진격하여 나주 등지를 점령하여 후백제를 배후에서 견제하게 하였다. 이외에도 수많은 전공을 올려 913년 변방에서의 공로가 컸다며 문무백관의 최고 우두머리인 시중(侍中)의 지위에까지 올라 명실상부한 2인자가 되었다. 궁예는 그를 전적으로 신임하고 모든 정사를 맡겼다.

그러나 이후 궁예의 폭정이 극심해지자 918년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박술희 등의 추대를 받아 군사를 이끌고 봉기하여 궁예를 몰아내고 새 임금으로 추대되어 철원의 포정전(布政殿)에서 즉위하였다. 그는 국호를 고구려의 뒤를 잇는다는 데서 고려, 연호를 천명을 받았다는 뜻으로 천수(天授)라고 하여 자신의 고향이자 세력 근거지인 송악을 개경으로 이름을 고쳐 수도를 이전하고 새 왕조를 세웠다. 이로써 자신의 정치적·군사적 기반을 확고히 다질 수 있었다.

새로운 왕국을 세운 후에는 태조는 통일 역량을 기르기 위하여 대내적으로는 궁예가 저지른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기 위해 빈민구제기구인 흑창을 설치하고 세금을 낮추어 민심을 안정시키는 한편 정략 결혼을 통한 호족 세력과의 융합에도 주력하여 중앙 집권적 지배 체제를 확립하고, 정권의 토대를 단단히 구축해 갔다. 대외적으로는 궁예와는 달리 신라와는 우호 관계를 유지한 반면 후백제와는 무력으로 대결하는 정책을 취하였다. 후백제와의 싸움에서 고려는 처음에는 패배를 거듭하였으나 930년 고창 전투 이후 몇 차례의 전투를 통해 점차 승리의 단서를 잡았다.

926년 거란족의 요나라에게 무너져 망명해 온 발해의 유민들을 흡수하고, 935년 후백제 왕실 내분으로 도망온 견훤의 귀순을 받아들였다. 같은 해 자진 항복해 온 경순왕을 극진하게 대우해 사위로 맞아들여 신라를 평화적으로 합병하였으며, 936년 10만 명에 가까운 대군을 거느리고 후백제와 일대 격전을 벌인 끝에 멸망시켜 후삼국을 완전히 통일하였다. 이로써 고려는 후삼국 뿐만 아니라 발해의 유민들까지 포함한 민족의 재통일을 이룩하였다.

한편, 고구려의 옛 땅을 되찾고자 북진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여,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 황폐해진 서경을 중시하고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아 재건에 박차를 가하였다. 그 결과 청천강에서 영흥에 이르는 국경선을 확보할 수 있었다.

943년 임종을 눈 앞에 두고 고명 대신 박술희에게 자신의 사상 배경과 정책의 요체(要諦)가 집약된 훈요 10조를 내려 자신의 자손들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데 원칙으로 삼는 귀감으로 남겼다고 한다.

[편집] 가계

  • 신혜왕후 유씨(神惠王后)
  • 장화왕후 오씨(莊和王后)
  • 신명순성왕후 유씨(神明順成王后)
    • 정종
    • 광종
    • 문원대왕(文元大王)
    • 증통국사(證通國師)
    • 낙랑공주(樂浪公主)
    • 흥방공주(興芳公主)
  • 신정왕후 황보씨(神正王后)
    • 대종(戴宗)
    • 대목황후(大穆皇后)
  • 신성왕후 김씨(神成王后)
    • 안종(安宗)
  • 정덕왕후 유씨(貞德王后)
    • 왕위군(王位君)
    • 인애군(仁愛君)
    • 원장태자(元莊太子)
    • 문혜왕후(文惠王后)
    • 선의왕후(宣義王后)
  • 현목대부인 평씨(獻穆大夫人)
    • 수명태자(壽命太子)
  • 정목부인 왕씨(貞穆夫人)
    • 순안왕대비(順安王大妃)
  • 동양원부인 유씨(東陽院夫人)
    • 효목태자(孝穆太子)
    • 효은태자(孝隱太子)
  • 숙목부인(肅穆夫人)
    • 원녕태자(元寧太子)
  • 천안부원부인 임씨(天安府院夫人)
    • 효성태자(孝成太子)
    • 효지태자(孝祗太子)
  • 흥복원부인 홍씨(興福院夫人)
    • 일후공주(一後公主)
  • 대량원부인 이씨(大良院夫人)
  • 대명주원부인 왕씨(大溟州院夫人)
  • 광주원부인 왕씨(廣州院夫人)
  • 소광주원부인 왕씨(小廣州院夫人)
    • 광주원군(廣州院君)
  • 동산원부인 박씨(東山院夫人)
  • 예화부인 왕씨(禮和夫人)
  • 대서원부인 김씨(大西院夫人)
  • 소서원부인 김씨(小西院夫人)
  • 서전원부인(西殿院夫人)
  • 신주원부인 강씨(信州院夫人)
  • 월화원부인(月華院夫人)
  • 소황주원부인(小黃州院夫人)
  • 성무부인 박씨(聖茂夫人)
    • 효제태자(孝悌太子)
    • 효명태자(孝明太子)
    • 법등군(法燈君)
    • 자리군(資利君)
  • 의성부원부인 홍씨(義城府院夫人)
    • 의성부원대군(義城府院大君)
  • 월경원부인 박씨(月鏡院夫人)
  • 몽량원부인 박씨(夢良院夫人)
  • 해량원부인(海良院夫人)

[편집] 같이 보기

전 임
(궁예)
제1대 고려 국왕
918년 - 943년
후 임
혜종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