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Applebee/번역 예정 문서/유명 오페라 목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his page lists important operas by date of first performance, together with brief notes on their importance. (Important in this context is used of works that are significant for historical or artistic reasons, or because of the position that they occupy in the repertory.)

목차

[편집] 1600년 – 1699년

작곡 연도 작품 작곡가 참조 장소
1600년 에우리디체 자코포 페리 현존하는 최고(古)의 오페라. 피렌체
1607년 오르페오 몬테베르디 최초의 오페라 걸작[1]. 만투아
1625년 루제로의 해방 프란체스카 카치니 여성 가수가 부르는 최초의 오페라 피렌체
1627년 다프네 하인리히 쉬츠 최초의 독일 오페라. 악보가 사라짐 토르가우
1632년 Sant'Alessio 스테파노 란디 신화가 아니라 역사를 주제로 삼은 첫번째 오페라로, 여러 방면에서 새로운 드라마적이고 음악적인 기반을 가져다 주었다. 로마
1640년 율리시스의 귀환 몬테베르디 몬테베르디의 현존하는 두번째 오페라로, 신화 속 율리시스 이야기에 기초한다.
1642년 포페아의 대관식 몬테베르디 자주 몬테베르디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1683년 비너스와 아도니스 존 블로 거의 틀림없는 첫번째 영어 오페라 런던 혹은 원저
1686년 아르미드 륄리 륄리에 의해 창조된 서정 비극 형식의 작품으로, 륄리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파리
1689년 디도와 에네아스 헨리 퍼셀 헨리 퍼셀의 걸작으로, 거의 초창기의 영어 오페라이나 지금도 정기적으로 공연된다. 런던

[편집] 1700년 – 1799년

작곡 연도 작품 작곡가 참조 장소
1711년 리날도 헨델 헨델이 영국 공연을 위해 작곡한 첫번째 오페라로, 십자군 전쟁 시기가 배경이다, 아리아, Lascia ch'io pianga가 유명하다. 파리
1724년 쥴리오 체사레 헨델 케사르를 주제로 삼은 오페라 세리아. 1920년대에 재발견되어, 북미와 유럽에서 현재 200회가 넘게 공연될 정도로, 헨델의 이탈리아어 오페라 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작품이 되었다. 런던
1733년 히포리투스와 아리치아 장-필립 라모 18세기 프랑스의 대표 작곡가인 장-필립 라모의 첫번째 작품이자, 가장 논란이 되는 오페라이다. 파리
1735년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 라모 세계 각지를 주제로 삼은 최초의 오페라-발레 작품이다. 파리
1738년 세레세 헨델 헨델오라토리오 작곡을 중단하기 전의 마지막 오페라로, 그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아리아Ombra mai fu를 포함한다. 헨델 이전에 프란체스코 카발리는 1654년 같은 대본으로 동명의 오페라를 작곡하였다. 런던
1762년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글룩 글룩의 오페라 개혁의 첫작품. 1774년에 확장된 개정판인 파리판이 있다. 간결하고 감동적인 이 작품은 중요 오페라 레파토리 중 하나가 되었다.
1767년 알체스테 굴룩 굴룩의 후기 작품으로 오늘날 1776년 개정된 판이 더 유명하다. 서곡은 그의 오페라 개혁을 위한 작업에서 착수되었다.
1779년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 굴룩 글룩의 개혁에 궁극점에 도달한 작품. 파리
1781년]] 이도메네오 모차르트 모차르트의 첫번째 작품으로 트로이 전쟁직후의 크레테를 무대로 한다. 관현악적인 색채와 풍부한 음색으로 작곡가의 숙달됨을 보여준다. 뮌헨
1782년]] 후궁으로부터의 유괴 모차르트 희극 독일어 오페라(징슈펠)로 터키식 음악과 개성적인 주인공들, 기념할 만한 아리아와 계몽시대 가치의 초석을 표현함으로서 대중으로 부터 사랑받은 오페라가 되었다.
1786년 피가로의 결혼 모차르트 오페라 부파로 인기있는 프랑스 코메디, Pierre Beaumarchais에 기초를 두고, 프랑스 혁명 바로 이전의 귀족 사회를 풍자하고 있다.
1787년 돈 조반니 모차르트 드라마 죠코소로 로렌조 다 폰테가 대본을 작성하였다. 에스파냐의 유명한 바람둥이인 돈 후앙의 전설을 담고 있으며, 모든 오페라 중에서 가장 인기있고 자주 상연되는 작품 중 하나가 되었다. 프라하
1790년 코지 판 투테 모차르트 드라마 죠코소 로 로렌조 다 폰테의 약혼자 바꾸기 소동에 관한 냉소적인 이탈리아어 오페라 대본을 줄거리로 삼았다.
1791년 티토 황제의 자비 모차르트 모차르트의 마지막 오페라 세리아이다. 프라하
1791년 마술피리 모차르트 징슈필로 모차르트가 죽기 거의 3개월전에 초연되었다. 프리 메이슨에 영향을 받은 어른을 위한 동화로, 오래동안 사랑받는 작품 중의 하나가 되었다. 또한 독일어 오페라의 발전 과정에서 중간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편집] 1800년 – 1849년

작곡 연도 작품 작곡가 참조 장소
1805년 피델리오 베토벤 베토벤의 유일한 오페라로, 그 당시 유럽을 휩쓸던 정치적 자유를 위한 투쟁을 향해, 작곡가 열정적인 감정을 반영하였다.
1816년 세빌리아의 이발사 로시니 이 희극적인 오페라는 Beaumarchais 3부작 중 하나에 기반하고 있으며 | 피가로의 결혼에 앞선 이야기이다. 로마
1817년 라 체네렌톨라 로시니 로마
1824년 마탄의 사수 베버 독일 낭만주의 오페라 역사상 기념비적인 작품이며, 젊은 포수꾼과 그와 거래하는 악마에 관한 초자연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늑대가 등장하는 장면이 오페라 내에서 가장 유명하다. 베를린
1829년 윌리엄 텔 파리 로시니의 마지막 오페라이자, 그랜드 오페라이다. 테너의 역활인 아놀드 역의 난점과 함께 작품의 길이때문에 상연이 빈번하지 못하지만, 꾸준한 오페라 공연 레파토리로 남아있다. 윌리엄 텔의 서곡과 3 캐논의 남자들이 불러모으는 소리는 이 오페라 안에서 가장 유명하다. 로시니
1831년 노르마 벨리니 밀라노
1832년 사랑의 묘약 도니제티 밀라노
1835년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도니제티 나폴리 가수를 위한 오페라로 | 1950년까지는 상연되지 못했지만, 마리아 칼라스와 조안 서덜랜드의 해석으로 관객들의 호흥을 얻게 되었다.
1836년 위그노 교도들 자코모 마이어베어 프랑스 종교 전쟁을 배경으로, 거대하고 호화로운 무대로 가장 유명한 프랑스 그랜드 오페라. 파리
1840년 연대의 딸 도니제티 파리
1842년 나부코 베르디 베르디의 세번째 오페라로, 작곡가의 명성을 확립시켰다. 유태인들의 합창인 "Va' pensiero, sull'ali dorate날아라, 비록, 황금빛 날개로"가 가장 유명하다. 밀라노
1842년 루슬란과 류드밀라 글린카 글린카푸시킨동화를 기초한 작품으로, 러시아 오페라 전통과 애국적인 '황제를 위한 삶'을 세웠다. 상트페테르부르크
1843년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바그너 이 작품의 초연으로 바그너는 오페라의 기존 모델에서 유도동기로 상호연결된 교향악적인 설명의 자신만의 음악극적인 형식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 드레스덴
1843년 돈 파스콸레 도니제티 다작하는 작곡가의 마지막 오페라로, 이 매력적인 코메디는 사랑스럽고 쾌활한 멜로디를 포함한다. 파리
1845년 탄호이저 바그너 탄호이저와 베누스부르크의 전설를 아이젠나흐 의 바르트부르크 에서 열리는 13세기의 노래 경연대회와 혼합하여, 신성하고 심오한 사랑을 주제로 한 바그너의 오페라. 바그너는 이 작품을 완전히 만족하지 못해서, 1861년에 작품을 수정하였다. 드레스덴
1847년 맥베스 베르디 셰익스피어의 맥베스를 기초로 힘이 가득한 오페라. 세명의 마녀는 여성 합창으로 변모되지만, 바리톤과 드라마틱 소프라노를 위한 주요 배역은 아탈리아 레파토리에서 굉장한 집중과 요구가 필요된다. 피렌체

[편집] 1850 – 1899

  • 1865년 트리스탄과 이졸데(Tristan und Isolde) 바그너 (뮌헨): In this opera, Wagner took chromatic harmony to its limit with the Tristan chord, heavily influencing 20th century composers.
  • 1866년 팔려간 신부(The Bartered Bride) Bedřich Smetana (프라하)
  • 1868년 뉘른베르크의 명가수(Die Meistersinger von Nürnberg) (뮌헨): 바그너’s monumental comedy of the burgher mastersingers of 16th century Nuremberg was used by the Nazis to glorify German nationalism, but today the universal humanity of the work is emphasized in productions that have reinforced its continuing great popularity.
  • 1874년 보리스 고두노프(Boris Godunov) Modest Mussorgsky (상트 페테부르크(Saint ...

상트 페테부르크): The opera draws on Russian folk music, rejecting the influence of German and Italian opera. It begins with a brutal murder, continues with a clever lie and a great invasion, and ends in guilt-stricken madness and death.

  • 1874년 박쥐(Die Fledermaus) 요한 스트라우스 2세 ():
  • 1875년 카르멘(Carmen) Georges Bizet (파리): This Spanish story of a gypsy seductress and her doomed lover is one of the most popular operas of all time. Its enduring popularity is due to it being dramatic and psychologically believable, and not without touches of humour.
  • 1876년 라 치오콘다(La Gioconda) (밀라노): Famous for its convoluted, melodramatic, Victor Hugo derived plot, this Italian grand opera by Amilcare Ponchielli prefigures later verismo operas in its raw emotion and the accessibility of its music, notably the ballet, the 'Dance of the Hours’.
  • 1876년 니벨룽의 반지(Der Ring des Nibelungen) (complete tetralogy: Bayreuth): A monumental tetraology, based on ancient Norse and Germanic myths, in which Wagner created a new model of opera based on leitmotifs. Also famous for being extremely long.
  • 1877년 삼손과 데릴라(Samson and Delilah)Samson et Dalila) Camille Saint-Saëns (Weimar)
  • 1878년 (HMS Pinafore) (런던): This was Gilbert and Sullivan's first great success, and contains examples of their affectionate parodies of nineteenth-century Italian opera. Sullivan wrote a grand opera,년 (Ivanhoe)Ivanhoe), but it is nearly forgotten, while Pinafore, together with년 (The Mikado) and several others, continues to be frequently performed.


  • 1890년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Cavalleria Rusticana) 마스카니 (로마): The first opera composed in the verismo style.
  • 1890년 이고르 왕자(Prince Igor) (상트 페테부르크(Saint ...

상트 페테부르크): Alexander Borodin’s tuneful epic of Russian history contrasts with the darker mood of Mussorgsky ’s Boris Godunov, both of which were left unfinished for Rimsky-Korsakov to orchestrate. Better known for its parts than the whole, Prince Igor remains an essential part of the Russian repertory.

  • 1890년 스페이드의 여왕(The Queen of Spades) 차이콥스키 (상트 페테부르크)
  • 1892년 팔리아치(Pagliacci) Ruggiero Leoncavallo (밀라노): This beloved story of the tragic clown involves a play within a play. But fiction turns to reality as the jealous husband kills his wife and her lover onstage and declares "The comedy is over".
  • 1893년 마농 레스코(Manon Lescaut (Puccini)|Manon Lescaut) 푸치니 (Turin): This opera brought Puccini to the international stage and prominence in the opera community, especially since it preceded his previous opera,년 (Edgar), which was considered a fiasco at the time.
  • 1893년 (Falstaff)Falstaff) 베르디 (밀라노): Verdi's last opera, and his only frequently performed comedy.
  • 1893년 헨젤과 그레텔(Hänsel und Gretel) Engelbert Humperdinck (Weimar) Humperdinck wrote this opera specifically for children. It is especially popular at Christmas time.
  • 1896년 라 보엠(La bohème) 푸치니 (Turin): Perhaps the opera with most popular appeal, La bohème masterfully mixes comedy with tragedy and romance, containing a few of Puccini's most popular melodies.
  • 1896년 안드레 세니에(Andrea Chénier) (밀라노): Umberto Giordano’s highly-charged 베리시모 love story, set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and based on real events, contains one of the main roles of the Italian tenor spinto repertory for which Franco Corelli, in particular, was famous.

[편집] 1900 – 1944

  • 1900년 토스카(Tosca) 푸치니 (로마): one of the composer's most beloved operas, based on a Sardou play, "this shabby little shocker" is now more famous than the original. It's the tragic tale of a trio of protagonists: "Tosca" the opera diva; "Cavaradosi", her lover, a painter caught up in political intrigue; and the wicked police chief, Baron "Scarpia", who desires Tosca and is determined to have her.


  • 1918년 잔니 스키키(Gianni Schicchi) (뉴욕); The last of 푸치니’s three one-act operas Il trittico is a comedic farce based on Dante. Almost as perfectly constructed as Verdi ’s Falstaff)Falstaff, it contains one of the best-loved arias in all opera: Lauretta’s ‘O mio babbino caro’.
  • 1921년 카챠 카바노바(Káťa Kabanová) Leoš Janáček (Brno)
  • 1921년 3개의 오렌지에의 사랑(The Love for Three Oranges) 프로코피에프 (시카고)
  • 1925년 보체크 (Wozzeck) 베르크 (베를린)
  • 1926년 투란도트 (Turandot) 푸치니 (밀라노); Unfinished at his death, with the finale completed from sketches for the premiere by Franco Alfano; a later version was prepared by Luciano Berio. Famous for tenor Luciano Pavarotti's aria, "Nessun Dorma" ("None Shall Sleep"), which became the "theme song" of the 1990 FIFA World Cup soccer finals.
  • 1935년 포기와 베스(Porgy and Bess) 거쉬인 (뉴욕); The music is strongly influenced by jazz styles. The opera's treatment of race relations is controversial, but it is still performed regularly.
  • 1937년 룰루(Lulu) Alban Berg (취리히)
  • 1939년 노처녀와 도둑(The Old Maid and the Thief) Gian Carlo Menotti NBC Radio); first opera composed for radio.

[편집] From 1945

  • 1945년 전쟁과 평화(War and Peace) (모스코바); 프로코피에프's synthesis of the lyrical scenes of Eugene Onegin)Eugene Onegin and the historical tableaux of Boris Godunov)Boris Godunov into a massive opera which sets love and personal tragedy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Russian people's defiance in the face of the invader.
  • 1945년 피터 그라임스(Peter Grimes) (런던): the opera which raised Benjamin Britten to fame. An outsider is ground down by small-town narrow-mindedness and his own recklessness; especially notable for the important part played by the chorus.
  • 1951년 빌리 버드(Billy Budd) Benjamin Britten (런던)
  • 1951년 아말과 밤의 방문객들(Amahl and the Night Visitors) Gian Carlo Menotti (뉴욕); first opera composed for television. The one-act opera contains both drama and humour, and the music is tuneful. These qualities make it a good first opera for children. It is frequently presented by small opera companies with a modest budget.
  • 1954년 모세와 아론(Moses und Aron) 쉔베르크 (Hamburg)
  • 1957년 (Dialogues of the Carmelites|Dialogues des Carmelites) 프란시스 풀랑크 (밀라노)
  • 1960년 (A Midsummer Night's Dream)A Midsummer Night's Dream) (Aldeburgh); the most recently composed opera with a foothold in the standard repertory. Text almost entirely by William Shakespeare, music by Benjamin Britten.
  • 1976년 (해변가의 아인슈타인) (아비뇽); 필립 글래스's opera was the first opera to be composed using minimalism.
  • 1983년 (Saint-François d'Assise) Olivier Messiaen (파리)
  • 1987년 (Nixon in China)Nixon in China) (Houston): in the words of composer John Adams , "part epic, part satire, part a parody of political posturing, and part serious examination of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even gender issues", also an interplay of "six extraordinary personalities".
  • 2000년 (Dead Man Walking)Dead Man Walking) (San Francisco), American composer Jake Heggie's first opera with a libretto by Terrence McNally (based on the book by Sister Helen Prejean. The book was previously made into a major film.

Useful lists are either complete lists or selective lists. This page is a selective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