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소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홀소리
고치기 전설 근전설 중설 근후설 후설
고모음
 i • y 
 ɨ • ʉ 
 ɯ • u 
 ɪ • ʏ 
 ʊ 
 e • ø 
 ɘ • ɵ 
 ɤ • o 
 ə 
 ɛ • œ 
 ɜ • ɞ 
 ʌ • ɔ 
 æ 
 ɐ 
 a • ɶ 
 ɑ • ɒ 
근고모음
중고모음
중모음
근저모음
중저모음
저모음

모음 또는 홀소리

[편집] 모음의 기술 방법 : 조음 음성학

조음 음성학에서는 모음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 우선 자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음 음소의 목록과 각 모음 음소의 변이음 목록을 작성한다. 그리고, 각 모음 음소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기본 사항을 관찰하여 파악한다.

  • 혀의 최고점이 형성되는 위치는 어디인가?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 혀의 최고점이 입천장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고모음, 중고모음, 중저모음, 저모음
  • 입술 둥글임이 있는가? 원순 모음, 비원순 모음
  • 좁힘점이 어디에 형성되는가? 경구개음, 연구개음, 인두음

한 모음 음소의 특성을 정확히 기술하기 위해서는 이 외에도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위의 네 가지 기준만으로 모음 음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준으로 한국어의 여덟 개의 단순 모음 /ㅣ, ㅔ, ㅐ, ㅏ, ㅜ, ㅡ, ㅗ, ㅓ/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혀의 최고점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 /ㅣ,ㅔ,ㅐ/는 전설 모음이다.
  • /ㅏ,ㅡ/는 중설 모음이다.
  • /ㅓ,ㅜ ,ㅗ/는 후설 모음이다.
  • 혀의 최고점과 입천장 사이의 거리에 따라
  • /ㅣ,ㅡ,ㅜ/는 고모음이다.
  • /ㅔ,ㅗ/은 중고모음이다.
  • /ㅐ,ㅓ/는 중저모음이다.
  • /ㅏ/는 저모음이다.
  • 입술 둥글임에 따라
  • /ㅜ,ㅗ/는 원순 모옴이다.
  • /ㅣ,ㅔ,ㅐ,ㅏ,ㅡ,ㅓ/는 비원순 모음이다.
  • 좁힘점의 위치에 따라
  • /ㅣ,ㅔ,ㅐ/는 경구개음이다.
  • /ㅡ, ㅜ/는 연구개음이다.
  • /ㅏ, ㅓ, ㅗ/는 인두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