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역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역사
한국의 선사 시대
역사시대
고조선
단군조선
기자조선(논란)
위만조선
부여·옥저·동예
삼한
(마한·진한·변한)
삼국 시대
고구려 · 백제 · 신라
남북국 시대
신라 · 발해
후삼국 시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시대
한국 현대사
군정기
·
역사 자료
한국의 인물
선사시대 유적지

한반도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군정기를 거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으로 나뉘게 되었다. 1948년 이전 한반도의 역사에 관해서는 한국의 역사를 참조하라.

목차

[편집] 건국기

한국인은 1919년 3월 1일3·1 운동을 계기로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여 1919년 4월 13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한다.

[편집] 광복과 정부 수립 이전

1945년 8월 15일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미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서 한국은 미국의 영향 아래, 친미(親美)적 정권을 수립하게 되었다.

즉, 광복 이후 정치적 혼란과 무질서 속에 있던 한국은 얄타회담에서 이루어진 비공식적 합의에 따라 소비에트 연방미국의 영향권 하에 들어가, 한반도의 위도 38도선을 경계로 북쪽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 밑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남쪽에는 미국의 원조 아래 대한민국이 국가적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편집] 제1공화국

[편집] 한국 전쟁

[편집] 산업화 시대 (61년 체제)

[편집] 4.19 혁명

[편집] 제2공화국

[편집] 5.16 군사정변

[편집] 제3공화국

[편집] 제4공화국

[편집] 제5공화국

[편집] 민주화 시대 (87년 체제)

[편집] 6.10 민주항쟁

[편집] 노태우정부

[편집] 문민정부

[편집] 국민의정부

[편집] 참여정부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