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중추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樞院)은 1910년 9월 30일자로 공포되고, 10월 1일자로 시행된 「조선총독부중추원관제(朝鮮總督府中樞院官制)」(조선총독부 관제 및 칙령 제355호)에 의하여 설치되었다. 1910년 12월 12일에는 「중추원의사규칙(中樞院議事規則)」이 제정되었고, 1918년 1월 19일에는 「중추원사무분장규정(中樞院事務分掌規程)」이 제정, 공포되었다.
친일파들에게 나눠준 유일한 정치적 관직인 이 중추원의 부의장에는 김윤식(훈2등 자작), 고문에는 이완용(훈1등 백작)·박제순(훈1등 자작)·고영희(훈1등 자작)·조중응(훈1등 자작)·이지용(훈1등 백작)·권중현(훈1등 자작)·이하영(훈1등 자작)·이근택(훈1등 자작)·송병준(훈1등 자작)·임선준(훈1등 자작)·이재곤(훈1등 자작)·이근상(훈2등 남작)·이용직(자작)·조희연(남작, 사후에 반납)이 임명되었다.[1]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에 279명의 중추원 관련자가 선정되었다.
[편집] 각주
- ^ 김삼웅, 《친일정치100년사》(동풍, 1995년) 80쪽.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