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통화이다. 현재의 원화는 1962년 '환화'에서 변경한 이후 계속 사용되고 있다. 1원은 100전에 해당한다. 圓(원)은 1952년 화폐 개혁 이전에 사용하던 표기로서, 지금은 한글로만 표기하고있다.

목차

[편집] 통화 정보

  • 기호: ₩ 또는 W, WON(원). ISO 4217: KRW
  • 지폐: 1000원, 5000원, 10000원
  • 동전: 1원, 5원, 10원, 50원, 100원, 500원

[편집] 주화

주화 재질 지름(mm) 무게(g) 도안
1원화 알루미늄 17.20 0.729 무궁화
5원화 황동 20.40 2.95 거북선
10원화 황동 22.86 4.06 불국사 다보탑
50원화 양백(양은) 21.60 4.16 이삭
100원화 백동 24.00 5.42 이순신
500원화 백동 26.50 7.70

현재 1원과 5원짜리 동전은 시중에 잘 유통되지 않아 보기가 힘들다.

1원, 5원, 10원짜리는 1966년 8월 16일부터 발행되였다. 1968년 8월 26일 1원 주화의 재료가가 액면가를 넘자 소재를 구리아연에서 알루미늄으로 변경했으며, 5원짜리와 10원짜리는 1970년 소재 배합 비율이 변경되었다. 500원짜리를 제외한 모든 현행 주화는 1983년에 도안이 변경되었다.

[편집] 은행권

은행권 색깔 크기(mm) 앞면 도안 뒷면 도안
1000원권 자색 151×76 퇴계 이황 도산서원
새 1000원권 (2007년 초 발행 예정) 하늘색 136×68 퇴계 이황 계상정거도
5000원권 갈색 156×76 율곡 이이 오죽헌
새 5000원권 적황색 142×68 율곡 이이 초충도병풍
10000원권 녹색 161×76 세종대왕 경회루
새 10000원권 (2007년 초 발행 예정) 녹색 148×68 세종대왕 일월오봉도, 혼천의

2007년에 새로 나올 1000원권의 뒷면에는 정선의 계상정거도가, 10000원권의 뒷면에는 일월오봉도가 들어갈 예정이다. 1000원권, 5000원권, 10000원권의 인물 초상은 각각 이유태, 이종상, 김기창 화백이 그렸다.

[편집] 대한민국의 역대 통화조치

[편집] 환율

2006년 5월 19일 현재

  • 1 유로 (EUR) = ₩1212.40
  • 1 영국 파운드 (GBP) = ₩1785.57
  • 1 미국 달러 (USD) = ₩946.30
  • 100 (JPY) = ₩852.91

[편집] 읽을거리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