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병(工兵)은 군대 병과 중의 하나이다. 시설공병 및 전투공병으로 크게 구분한다.
[편집] 공병의 구분과 임무
공병은 크게 전투공병과 시설공병으로 구분한다. 전투공병대는 보다 최전방과 전투 현장에서 전투부대를 지원하는 반면, 시설공병은 일반 민간 건설/토목회사와 비슷한 업무를 수행한다.
[편집] 전투공병
이들은 최전방에서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며, 실제 전투에도 투입되는 경우도 흔하다. 대략 다음과 같은 임무를 수행한다
- 지뢰지대 개척 : 아군의 진격을 위해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 지뢰 살포 : 지뢰살포는 아군 후퇴를 엄호하고 적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한 작전 행동이다.
- 진격로 상의 장애물 제거 : 도시, 평원, 숲, 가리지 않으며, 지뢰 지대 개척을 포함한 장애물 제거와 파괴된 도로 복구 등이 포함된다.
- 부교 가설
- 전방 진지 공사 : 이 임무는 일반 보병들도 수행할 수 있기는 하다.
- 폭파 임무 : 폭탄 해체 임무를 맡는 특수부대인 EOD가 아니다.
이러한 임무수행을 위해 전투공병대도 다양한 장비를 운용하며, 전장 상황에서 안전한 작업을 위해 주로 기존 전차나 장갑차 등을 이용하여 개발하거나, 그러한 형상으로 개발하기도 한다.
- M9 / KM9 전투장갑도저 : M9는 미국제 전투장갑도저이며, 이를 구 삼성항공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것이 KM9이다. 큰 차이는 없다.
[편집] 시설공병
시설공병은 후방 기지 건설 및 유지 관리, 도로/교량 건설 등 민간 토목회사와 큰 차이없다. 대한민국 육군은 시설공병 위주로 운용해왔다가 2006년 현재 진행 중인 군구조조정 개편 과정에서 전투공병으로 변화를 추진 중이다. 이전에 시설공병이 수행한 임무는 민간 부분에 하청을 주는 식이 될 것이다. 혹자는 대한민국 육군 공병이 거의 시설공병이 되버린 것을 한국 전쟁 이후 재건 사업에서 군 공병대가 수행한 역할때문으로 추정한다.
![]() |
이 문서는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