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근열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통근열차는 한국철도공사의 중단거리 통근형 열차의 등급 이름이다.
목차 |
[편집] 역사
1955년 8월 15일에 운행을 시작한 통일호를 통근열차의 시초로 한다. 처음에는 특급 등급으로 운영되었으나, 2000년 11월 14일 비둘기호의 폐지로 인해 그 등급이 보통열차로 내려갔다. 마지막 통일호 열차의 운행은 2004년 3월 31일에 경춘선에서 이루어졌으며, 2004년 4월 1일에 KTX의 신설과 함께 이름을 통근열차로 바꾸었다. 현용 통근열차인 CDC 동차는 1996년 처음 등장하였다.
[편집] 차량
- 통근형 디젤 동차(CDC)
- 정선선 꼬마기차 관광열차
- 통일호 객차 (원조 통일호, 전량 폐차 또는 매각)
- 무궁화 격하 통일호 객차 (탕엥 통일호, 전량 폐차 또는 매각)
- 우등형 전기 동차 (전량 폐차, 철도박물관에 9904호가 철도애호인들의 보존요구에 힘입어 전시되어 있음.)
[편집] 운용 구간
- 경전선 : 광주-목포, 여수-목포, 부전-마산, 순천-목포, 마산-순천
- 대구선 : 동대구-포항
- 중앙선 : 월내-부전
- 군산, 전라선 : 임실-전주-익산-군산
- 진해선 : 마산-통해
- 정선선 : 증산-아우라지
- 경원선 : 의정부-신탄리
- 경의선 : 서울-임진강-도라산 (월요일에는 서울-임진강 구간만 운행)
[편집] 함께 보기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
분류: 한국 토막글 | 철도 토막글 | 대한민국의 철도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