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군주제(君主制, Monarchy)는 '국왕' 또는 '황제' 라고 불리는 사람이 국가 원수가 되는 제도이다. 왕위 계승률에 따라 세습하는 경우가 많으나, 군주를 선거로 뽑는 경우도 있다. 입헌 군주제와 절대 군주제로 나뉘어지는데, 입헌 군주제도 직접 투표에 의해 선출된 의회가 국정을 맡고, 군주는 상징에 머무르는 영국형과, 의회와 헌법은 있으나 군주의 권한이 강력한 프로이센형으로 나뉘어진다.

  • 참고 : 군주, 황제, , 공(公), 후(候), 백(伯), 자(子), 남(男) 등 영주의 칭호
    • 황제는 제국의 군주를 말한다.

帝國(제국)이란 일반적으로 식민지, 속령, 혹은 제후국을 거느린 나라를 말한다. 즉 왕중의 왕이다. 왕,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은 모두 황제가 아닌 국가의 영주를 말한다. 왕과 다른 영주와의 차이는 왕은 왕국에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의 작위를 줄 수 있으나 다른 영주들은 이러한 작위를 신하에게 줄 수 없다. 즉 상대적으로 왕국은 독립국가이며, 공, 후, 백, 자, 남작은 예속되어 있다고 볼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모나코의 군주는 왕이 아니라, 모나코 公이라 함이 옳다, 왜냐하면 원래의 작위가 공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는 독립국가이므로 왕이라 호칭하여도 한국에서는 무방하다. 리히텐슈타인의 정식 국호는 Fürstentum Liechtenstein으로,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리히텐슈타인 후국'이며, 그 군주의 작위는 Fürst(候)지만, 마찬가지로 리히텐슈타인 국왕이라고 불러도 무방하다. 영주의 작위, 즉 귀족의 작위의 순서는 공, 후, 백, 자, 남이다.

  • 이슬람권의 군주 칭호 : 칼리프술탄 이슬람권에서는 이슬람 전체의 군주는 원래 칼리프였다. 칼리프는 마호메트이 후계자로 전체 이슬람의 군주이다. 칼리프 중에서 마호메트의 혈통만을 인정하는 시아파와 마호메트의 혈통이 아닌 칼리프도 인정하는 수니파가 있다. 술탄은 칼리프 제하에서 속령이나 제후국의 총독을 겸한 왕이었다. 왕이라고는 하나, 총독과 왕의 중간 성격이었다고 할수 있다. 즉 칼리프가 언제든지 해임할수 있는 왕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칼리프가 사라진 후에는 왕이라고도 할 수 있다.


[편집] 군주국

(2005년 현재) 총 27개국

[편집] 특기 사항

[편집]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