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소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심소체는 원통형태의 미세소관 구조이며, 대부분의 동물 세포에서 발견되며, 또한 식물 세포에서는 일반적이진 않지만 균류, 조류 등에서도 발견된다. 각 중심소체의 벽은 아홉개의 세 쌍으로 이루어진 미세소관으로 구성되지만, 초파리 등에 있어서는 아홉개의 두 쌍으로 이루어진 미세소관으로 구성된다. Caenorhabditis elegans 정자와 초기 배아는 아홉개의 단일 미세소관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중심소체는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며, 주변에 단백질로 감싸여져서 중심체를 이룬다.

중심소체는 세포분열시에 중요하다. 중심소체는 유사분열방추를 구성하며, 이는 염색체를 서로 당겨서 분열시킨다. 일부 동물 세포는 중심소체 없이도 염색체를 나눌 수 있으며, 여성의 유사분열이 그러한 경우이다. 중심소체는 유사분열 및 남성 유사분열 과정을 도와준다.

녹조류인 Chlamydomonas reinhardtii의 중심소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밝혀졌다.

중심소체는 구조적으로 기저소체와 동일하다.

세포 내부의 세포소기관
첨체 | 엽록체 | 섬모/편모 | 중심소체 | 소포체 | 골지체 | 리소좀 | 멜라닌소체 | 미토콘드리아 | 근원섬유 | 세포핵 | Parenthesome | 과산화소체 | 색소체 | 리보솜 | 액포 | 소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