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도바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몰도바어
moldovenească, молдовеняскэ
쓰는 나라들 몰도바,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언어의 계통 인도유럽어족
 이탤릭어파
  로망스어군
   동로망스어군
    루마니아어
     몰도바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몰도바, (미승인 국가트란스니스트리아)
표준 Academy of Sciences of Moldova
언어 부호
ISO 639-1 mo
ISO 639-2: mol
ISO/DIS 639-3: mol

몰도바어(Limba moldovenească, Лимба молдовеняскэ)는 루마니아어의 다른 이름으로 몰도바의 공용어이다. 또 트란스니스트리아가가우지아의 공용어의 하나이다. 몰도바 헌법에는 몰도바어를 몰도바의 공용어로 규정하고 있으나, 언어학자들은 표준 몰도바어와 표준 루마니아어를 사실상 상호소통에 지장이 없는 동일한 언어의 방언정도로 취급한다.

1918년부터 1940년까지 루마니아령인 베사라비아(현재의 몰도바)에서는, 주민이 쓰는 말도 루마니아어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해서 베사라비아가 소비에트 연방에 병합되어 이 지역에 몰다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재의 몰도바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루마니아어를 ‘몰도바어’로부르게 되었고, 문자는 로마 문자에서 키릴 문자로 바뀌었다.

소련에서 페레스트로이카가 시작되면서 몰도바에서도 민족주의운동이 높아져, 1989년에 몰도바어가 로마 문자 표기로 되돌려지고, 공용어로 정해졌다. 1991년에 몰도바 공화국이 독립되면서, 헌법에서도 공용어로 정해졌다. 1996년에는 언어명을 몰도바어에서 루마니아어로 바꾸자는 안이 의회에 제출되지만 몰도바내의 비루마니아계 주민들의 반대로 부결되었다.

2004년 인구 조사에서 몰도바의 다수를 차지하는 루마니아계 몰도바인들 중 3분의 2가 자신의 모국어를 루마니아어, 3분의 1이 몰도바어라고 답했다.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미승인 국가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는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와 함께 몰도바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키릴 문자로 쓴 몰도바어는 루마니아어사용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트란스드니에스트르 지역 밖의 루마니아계 몰도바인과 루마니아인에게는 루마니아의 민족주의 및 러시아에 대한 반감 때문에 민감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로망스어군

가스콩어 | 갈로어 | 갈리시아어 | 건지어 | 나폴리어 | 노르망디어 | 달마트어 | 라디노어 | 라딘어 | 랑게도시아어
로레토-유카얄리 에스파냐어 | 로망슈어 | 로망스어 | 롬버드어 | 루마니아어 | 리구르어 | 리무쟁어 | 메글레노-로망어 | 모나코어
모자라브어 | 몰도바어 | 미란다어 | 베네치아어 | 부르귀뇽어 | 블라크어 | 사르드니어 | 슈아딧어 | 시칠리아어 | 아라곤어
아란어 | 아르피탄어 | 아로메니아어 | 아스투리아스어(아스투르-레오넨어) | 에밀리아어(에밀리아-로마냐어) | 에스트레메뉴어
에스파냐어(카스티야어) | 오베르냐어 | 오크어 | 왈론어 | 유데오-이탈리아어 | 이스트로-로망어 | 이스트리아어 | 이탈리아어
제르시아어 | 차르파트어 | 카탈루냐어 (발렌시아어, 벨라어) | 캄페노이어 | 코르시카어 | 팔라어 | 포르투갈어
포이티뱅-상통그어 | 프랑스어 (카준 프랑스어) | 프랑크어 | 프로벤살어 | 프리오랑어 | 피에몽트어 | 피카르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