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골재라 함은 하천·산림·공유수면 기타 지상·지하등에 부존되어 있는 암석 (쇄석용에 한한다) 모래 또는 자갈로서 건설공사의 기초 재료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

골재는 주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만들 때 쓰인다.

골재는 입자의 크기, 중량, 생산지에 의해 분류된다.


[편집] 입자의 지름

  • 잔골재 (세골재, 細骨材)
- 5㎜이하, 모래
  • 조골재(굵은골재)
- 5㎜이상, 자갈
- 철골 바 구성원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

[편집] 중량

  • 보통골재
- 화강암, 사암, 기반암으로 구성.
- 보통의 토목, 건축구조물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골재
- 중량: 2400kg/㎥,160lb./ft.3 (비중 2.50-2.65)
  • 경량골재
- 경석, 진주암(펄라이트)등 다공성 돌로 구성.
- 콘크리트의 중량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상용되는 중량이 가벼운 골재
- 중량: 1800kg/㎥,120lb./ft.3 (비중 2.50이하)

[편집] 생산지

  • 천연골재
- 자연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골재
  • 인공골재
- 암석을 파쇄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골재 (부순 자갈, 부순 모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