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사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십사사(二十四史)는 중국에서 정사로 인정받는 24 종류의 역사서의 통칭이다. 다음 왕조에서 정사로 인정받은 것만을 모은 것으로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사료로 여러 나라에서 인정받고 있다.
중화민국에서 원사를 고쳐쓴 신원사나 청의 역사를 엮은 청사고를 합해 이십오사 또는 이십육사라 부르기도 한다.
[편집] 구성
이름 | 저자 | 시기 | 권수 |
---|---|---|---|
사기(史記) | 사마천(司馬遷) | 전한, BC 91년 | 130 |
한서(漢書) | 반고(班固) | 후한 82년 | 100 |
후한서(後漢書) | 범엽(范曄) | 송 445년 | 120 |
삼국지(三國志) | 진수(陳壽) | 서진 297년 | 65 |
진서(晉書) | 방현령(房玄齡) 등 | 당 648년 | 130 |
송서(宋書) | 심약(沈約) | 양 488년 | 100 |
남제서(南齊書) | 소자현(蕭子顯) | 양 537년 | 59 |
양서(梁書) | 요사렴(姚思廉) | 당 636년 | 56 |
진서(陳書) | 요사렴(姚思廉) | 당 636년 | 36 |
위서(魏書) | 위수(魏收) | 북제 554년 | 114 |
북제서(北齊書) | 50 | ||
주서(周書) | 50 | ||
남사(南史) | 85 | ||
북사(北史) | 80 | ||
수서(隋書) | 100 | ||
구당서(舊唐書) | 200 | ||
신당서(新唐書) | 225 | ||
구오대사(舊五代史) | 150 | ||
신오대사(新五代史) | 74 | ||
송사(宋史) | 496 | ||
요사(遼史) | 116 | ||
금사(金史) | 135 | ||
원사(元史) | 210 | ||
명사(明史) | 332 | ||
신원사(新元史)* | 257 | ||
청사고(清史稿)* | 536 |
* 신원사와 청사고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이십사사에 넣지 않는다.
[편집] 읽을거리
- 중국의 역사
- 십팔사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