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코어 2 프로세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이 문서는 en:Intel Core 2에서 한국어로 번역 중입니다. 원문은 글 안에 주석 처리되어 있습니다. 같이 번역해 주세요. |
인텔 코어 2 프로세서(Intel Core 2 Processor)는 인텔이 생산하는 8세대 x86 아키텍쳐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인텔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쳐라고 부르는 새로운 중앙 처리 장치 설계를 따랐으며, 이 설계는 2000년 이후 대부분의 인텔 프로세서에서 채택되었던 넷버스트 마이크로 아키텍쳐의 후속이다. 코어 2는 1993년부터 사용해 온 인텔의 펜티엄 브랜드 이름의 종말을 나타내기도 하고, 2003년 인텔의 펜티엄 4에서 분리해 나온 펜티엄 M과 다시 통합하여 노트북과 데스크탑 생산 라인의 재통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텔 코어2 프로세서는 공식적으로 2006년 7월 27일에 시장에 첫 출시되었다. 이것은 인텔 코어 프로세서를 대체하고, 인텔 코어와 비슷하게 브랜드를 듀오(듀얼 코어 제품), 익스트림(하이엔드 제품), 솔로(싱글 코어 제품)으로 나눈다. 쿼드(쿼드 코어 제품) 역시 출시 예정이다. 기반이 되는 프로세서는 코드 네임 콘로(데스크톱 시스템 용), 메롬(휴대 시스템 용)이고 각각에 대한 확장 제품으로 켄츠필드(쿼드 코어 제품), 펜린(45nm 메롬)이 있다. 우드크레스트와 같은 서버 아키텍쳐도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쳐 기반이지만 이들은 코어 2보다는 제온이라는 브랜드로 판매된다.
펜티엄 4나 펜티엄 D와 같은 넷버스트 기반의 프로세서와는 달리, 코어 2는 극도로 높은 클럭속도에 기반한 설계가 아니다. 그것보다는 캐시의 크기라던지, 코어의 수와 같은 다른 CPU의 특징을 향상시켰다. 그래서 코어 2는 이전 펜티엄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극도로 낮아졌다. TDP는 65W 정도로 이전의 프레스캇 CPU의 130W TDP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낮아졌다.
인텔 코어 2 프로세서의 특징은 AMD64를 구현한 EM64T, 가상화 기술, NX Bit와 SSE4이다. 출시 당시 라그란데 기술, 향상된 스피드스텝 기술, 그리고 iAMT2도 소개되었다.
목차 |
[편집] 현재의 프로세서 코어
[편집] 콘로
첫 번째 인텔 코어 2 듀오 프로세서 코어는, 코드네임 콘로(Conroe)이며 2006년 7월 27일 첫 출시되었다. 이 프로세서는 65 나노미터 공정으로 만들어졌고, 데스크탑용으로 개발되어 펜티엄 4와 펜티엄 D를 대체한다. 인텔은 콘로가 펜티엄 D에 비하여 40% 더 빠른 성능과 40% 더 낮은 전력 소모를 한다고 주장했다. 모든 콘로 프로세서들은 4MB L2 캐시가 달려 있지만, E6300과 E6400은 절반의 캐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 가능한 캐시는 2MB이다.
로우 엔드 모델인 E6300 (1.86 GHz), E6400 (2.13 GHz)는 1066MT/s FSB이고 2006년 7월 27일 발매되었다. 출시 당시 코어 2 듀오 E6300과 E6400의 가격은 1000개씩 구입하면 개당 각각 미화 $183, $224 였다. 콘로 CPU는 오버클럭 능력이 뛰어나서 1.86 GHz 모델이 좋은 마더보드가 높은 FSB 속도를 지원하면, 3.0 GHz로 오버클럭 된다. 몇몇 보고에 따르면, 앨런데일 E6300이 오버클럭 되었을 때의 성능이, 하이 엔드 제품인 코어 2 익스트림을 오버클럭 하지 않았을 때보다 근소한 차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로우 엔드 칩들은 낮은 멀티플라이어 때문에 빠른 속도를 얻기 위하여 FSB를 많이 올려줘야 하는데, 이것은 몇몇 마더보드에서만 지원한다.
더 성능이 좋은 콘로 프로세서는 E6600과 E6700 코어 2 모델인데, 각각 2.4 GHz, 2.67 GHz의 클럭 속도로 동작한다. 이들 CPU는 1066MT/s FSB, 4MB 공유 L2 캐시, 65 와트 TDP이다. 이 프로세서들은 출시 당시 AMD에서 판매하고 있던 가장 좋은 CPU와 함꼐 테스트하였는데, 익스트림이 아닌 일반 콘로가 더 빠른 성능을 보였다.[1]. 오버클럭한 결과는 CPU 멀티플라이어를 고정했음에도 E6700과 E6600이 4GHz로 오버클럭되어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2]. 출시 당시 인텔 코어 2 프로세서 E6600과 E6700의 가격은 1000개를 구입할 경우 개당 미화 $316와 $530였다.
[편집] 콘로 XE
코어 2 익스트림은 2006년 7월 27일 출시되었다. 그러나 어떤 소매상인들은 2006년 7월 13일부터 비싼 가격이나마 유통시키기도 했다. 콘로 XE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펜티엄 4 익스트림 에디션, 듀얼코어 펜티엄 익스트림 에디션 프로세서들을 대체한다. 코어 2 익스트림은 2.93GHz의 클럭속도와 1066MT/s FSB를 가지고 있다. TDP는 75-80와트이다. CPU가 최고 성능을 내면서 동작하여도 X6800는 45도씨의 온도를 넘지 않으며 스피드스텝 기술로 인하여, CPU가 할일이 없을 때에는 평균 25도씨의 온도를 나타낸다[3].
출시 당시 익스트림 X6800의 가격은 1000개를 구입할 때 개당 미화 $999였다. 데스크톱 코어 2 듀오와 같이 4메가의 공유 L2 캐시가 있다. 결국 코어 2 듀오와 코어 2 익스트림은 클럭 속도에서만 큰 차이를 보인다. 보통 익스트림 에디션의 경우에 FSB가 증가한다던지, L2 캐시가 커지거나 L3 캐시가 추가되는 등의 차이가 있지만 코어 2 익스트림에는 이런 차이가 없고, 멀티플라이어 락이 풀려 있고, 오버클럭이 더 잘 되는 특징이 있다.
멀티미다어와 게임 성능을 테스트한 벤치마크에서 X6800은 당시 출시되었던 최고의 AMD 프로세서를 성능면에서 최대 40%까지 앞설 수 있었다. 인텔은 사용자가 멀티플라이어 수를 바꿀 수 있게 하여 오버클럭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인텔 쿨러에 승압 없이 X6800은 3.6 GHz까지 오버클럭 되었고 좋은 공랭식 쿨러에, 승압을 하면 4.1GHz까지 오버클럭 되고 수냉식 쿨러를 사용하면 5.5 GHz까지 오버클럭 된다.
[편집] 앨런데일
앨런데일은 콘로 프로세서 중에서 L2 캐시 메모리가 2MB이고 FSB가 800MHz로 약화시킨 판의 코드네임이다. 앨런데일 모델 중에서 알려진 것은 E4300(1.8GHz, 800MHz FSB QDR)뿐이다.
오랫동안 보급형 콘로 프로세서들은 "앨런데일"이라고 알려졌다. 실제로 앨런데일은 다른 프로세서의 코드네임이다. E6300과 E6400이 앨런데일이라고 알려졌지만 이 프로세서들은 E6600과 E6700처럼 4 MB 캐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앨런데일이 아니다. 절반의 캐시 메모리는 사용 불가능하게 되어 있을 뿐이다. 전통적으로 같은 지품군의 CPU들 중에 캐시가 적은 제품은 사용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용할 수 없는 캐시가 있는데 이것은 불량품이 더 싼 값에 판매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E6300과 E6400의 코드네임은 앨런데일이 아니라 콘로이며 인텔에서 확인한 바 있다.
테크리포트에서 인용:
아마도 자료에 2MB 코어 2 듀오 프로세서들이 "앨런데일"이라고 나와 있겠지만 인텔은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 이들 CPU들은 코드네임이 "콘로"이며, 이들도 물리적으로 똑같은 캐시 메모리가 칩에 들어 있고 절반이 사용 불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치에 맞는다.
http://techreport.com/reviews/2006q3/e6300-vs-sff/index.x?pg=1
E4300을 포함한 진짜 앨런데일 프로세서는 2007년 일사분기 중에 출시될 예정이다.
[편집] 메롬
메롬은 코어 2의 첫 번째 모바일 버전으로 2006년 7월 27일 공식적으로 출시되었다. 메롬은 콘로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노트북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전력 소모를 강조한다. 인텔은 메롬이 요나 기반의 코어 듀오와 같은 배터리 수명으로 20% 더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한다. 메롬은 64비트 확장인 EM64T를 지원하는 첫 모바일 프로세서이다.
[편집] 미래에 출시될 프로세서 코어
[편집] 콘로
[편집] 펜린
메롬의 후계자로 코드 네임 펜린은 켄츠필드와 같이 45nm 공정으로 제조될 것이다. 펜린은 2007년 중반에 출시될 예정이다.
[편집] 켄츠필드
[편집] 요크필드
보도 자료에 따르면 요크필드는 옥타 코어(8개의 코어) 프로세서이고 한 다이에 4개의 코어가 들어가는 2개의 다이로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의 소문에 따르면, 요크필드는 켄츠필드 프로세서의 뒤를 잇는 쿼드 코어 제품을 나타낸다고 한다[4]. 45나노미터 공정에 싱글 다이로 설계되어, 이것은 한 다이에 콘로 하나씩을 넣는 켄츠필드와는 다른 방식이다. 요크필드는 8 MB의 완전히 공유하는 L2 캐시를 보유할 것이다. 켄츠필드는 2개의 4MB 캐시로 분리되어 각각의 캐시는 두 개의 코어가 공유한다. Across-the-board는 버스 스피드를 1333MHz까지 높일 것이다. 요크필드는 DDR3 메모리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편집] 앨런데일
E4300이ㅡ 앨런데일 (1.8 GHz, 800 MT/s FSB)은 2007년 1분기에 출시될 예정이다.
[편집] 메롬
메롬은 2006년 7월 27일 출시되었다.
800MT/s FSB와 새로운 소켓 P를 사용한 두 번째 출시가 2007년 4월에 있을 예정이다[5] 이들 칩들은 산타 로사라는 코드 네임을 가진 플랫폼의 일부가 될 것이다.[6]. 같은 시기에 저전력 버전 역시 출시될 계획이 있다.
[편집] 콘로-L
데일리테크의 기사[7]에 따르면 인텔은 싱글 코어 버전의 값 싼 콘로인 콘로-L을 2007년 이사분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새로운 콘로-L 프로세서는 코어라는 이름은 붙이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콘로-L 기반의 제품들에게는 펜티엄과 셀레론이라는 이름을 부활시킬 예정이다[8].
[편집] 시스템 요구 사항
[편집] 마더보드 능력
콘로, 콘로 XE와 앨런데일 모두는 소켓 LGA775 소켓을 사용한다. 그러나, 모든 마더보드가 이 프로세서와 호환되는 것은 아니다. 지원하는 칩셋들은 다음과 같다.
- 인텔: 865PE, 945P/PL/G, 955X, 975X, P/G/Q965, Q963, 946GZ/PL;
- ATI 테크놀로지스: ATI's Radeon Xpress 200, RD600 and RS600
- 엔비디아: nForce 4 SLI Intel Edition and nForce 570/590 Intel Edition
- 비아 테크놀로지스: PT880/PT880 Ultra, PT890, PM880 and PM890.
비록 마더보드가 콘로를 지원하는 칩셋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위에서 언급한 칩셋에 기반하고 있는 많은 마더보드들이 콘로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것은 콘로 기반의 프로세서들은 새로운 전압 조절 장치인 VRM 11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콘로가 펜티엄 4/D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낮기 때문이다. 칩셋과 VRM 11을 지원하는 마더보드들 중에서도 콘로의 FID와 VID를 인식하기 위하여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해 주어야 하는 것들도 있다.
[편집] DDR2 메모리 모듈
이전의 펜티엄 4와 펜티엄 D의 설계와 달리, 코어 2 기술은 동기화 된 메모리와 FSB의 동작으로 많은 이점을 얻는다. 이것은 콘로 1066MT/s FSB의 콘로 CPU들의 이상적인 메모리 스피드는 PC2-4200이라는 것이다. 몇몇 설정에서 PC2-5300이 성능을 오히려 감소시킬 수 있다. PC2-6400으로 갈 때에 눈에 띄게 성능이 향상된다. 타이밍이 짧은 비싼 DDR2 메모리 모델들이 성능을 향상 시키겠지만, 게임들과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무시해도 좋을 정도이다[9].
[편집] 가격
1000개씩 OEM으로 구입할 때의 코어 2의 가격은 다음과 같다. (모든 가격은 미화 기준)
데스크톱 버전
- X6800 (코어 2 익스트림)- $999
- E6700 (코어 2 듀오)- $530
- E6600 (코어 2 듀오)- $316
- E6400 (코어 2 듀오)- $224
- E6300 (코어 2 듀오)- $183
랩톱 버전
- T7600 (코어 2 듀오) - $637
- T7400 (코어 2 듀오) - $423
- T7200 (코어 2 듀오) - $294
- T5600 (코어 2 듀오) - $241
- T5500 (코어 2 듀오) - $209
이 가격들은 델이나 HP와 같은 메이커가 코어 2 프로세서를 사 들일 때의 가격이다.
[편집] 명칭/약어
펜티엄 프로세서의 경우에 P1, P2, P3, P4, P4-M으로 줄여서 부른다. 코어 2 듀오가 출시된 이후로 C2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고, 나중에 출시될 코어 2 쿼드와 코어 2 솔로 프로세서와 구분하기 위하여 C2D라고 부르기도 한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 ↑ ((영어)) Open Source Technology Group Collection of reviews with benchmarks 2006-07-17에 참고함.
- ↑ ((영어)) Shimpi, Anand Lal, Intel's Core 2 Extreme & Core 2 Duo: The Empire Strikes Back 2006-07-28에 인용함.
- ↑ ((영어)) Schmid, Patrick, Game Over? Core 2 Duo Knocks Out Athlon 64 2006-07-17에 인용됨.
- ↑ ((영어))Second-Generation Quad-Core Chip from Intel to Come in Q3 2007.. X-bit labs. Retrieved on 2006-10-01.
- ↑ ((영어))Olsen, Sven. Intel Forecasts "Santa Rosa" for April 2007.. DailyTech. Retrieved on 2006-07-17.
- ↑ Kubicki, Kristopher. Intel 2006 Mobile CPU Roadmap Update. DailyTech. Retrieved on 2006-07-17.
- ↑ {((영어)){cite web|last=Olsen|first=Sven|title="Conroe-L": Core 2 Duo on the Cheap|url=http://www.dailytech.com/article.aspx?newsid=2532|publisher=Daily Tech|accessdate=2006-08-12}}
- ↑ ((영어))Huynh, Anh. Intel "Conroe-L" Details Unveiled. Daily Tech. Retrieved on 2006-09-23.
- ↑ ((영어))Intel Core 2: Is high speed memory worth its price?. Madshrimps. Retrieved on 2006-08-01.
[편집] 바깥 고리
- ZDNet Korea 리뷰: 인텔 코어2듀어「AMD, 그동안 수고했다」
- ((영어))공식 코어 2 리뷰 목록
- ((영어))인텔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
- ((영어))인텔의 코어 2 페이지
인텔의 마이크로프로세서 |
---|
4004 | 4040 | 8008 | 8080 | 8085 | 8086 | 8088 | iAPX 432 | 80186 | 80188 | 80286 | 80386 | 80486 | i860 | i9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