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루미 | ||||||||||||||
![]()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Grus japonesis Muller, 1776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
---|---|
두루미(두루미) | |
천연기념물 제202호 | |
지정일 | 1968년 5월 30일 |
소재지 | 전국 일원 |
두루미는 두루미목 두루미과의 겨울 철새이다.
북만주, 삼강평야(아무르강 합수부)에서 주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일처제의 번식체제를 유지한다. 산란수는 2개이며, 암수가 어린새를 이듬해 4~5월까지 보살핀다.
매년 10월 말에서 3월 중순까지 우리나라에 도래하며 강원 철원, 고성, 경기 파주, 연천, 강화 등이 주요 도래지이다. 특히 철원분지 지역이 가장 많은 두루미가 월동을 하며, 2005년 현재 약 600여 개체의 두루미가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경기도 연천 약 80개체, 파주 대성동의 개체군은 규모가 불확실하며, 강화도의 월동지에는 10개체 정도의 소수만이 도래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문화재청에 의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환경부에 의하여 멸종위기 1급에 속한다. 국제적으로 보호를 요하는 조류이며 공식적으로는 전세계에 2500개체가 생존하여 멸종위협(Critical Endangered Species)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최근 2005년 월동지를 기준으로 한 개체수에서 중국(양쯔하구) 1200개체, 일본(홋카이도) 900개체, 한국(철원, 연천, 강화) 700개체 등 큰 서식지에서만 2800개체로 추산되었다.
먹이는 주로 추수하다가 남은 쌀 낙곡, 개천의 저서무척추동물(패류, 갑갑류 등), 미꾸라지, 옥수수 등을 먹는 잡식성이다. 겉모습으로는 쉽게 암수구분을 할 수 없으며, 번식기의 수컷은 화려한 춤으로 구애를 한다.
- 편집자 : 유승화, 2006. 11. 17. (편집자 주: 일단 처음이라 생각나는데로 고쳤지만 나중에 참고문헌 붙여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편집] 바깥 고리
![]() |
이 문서는 동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
분류: 동물 토막글 | 두루미목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