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육조직의 발달 ▶ 1. 고전적 조직이론(classical organization theory)

 Max Weber의 관료제, Frederick  W. Tailor와 Henri Fayol의 과학적 관리론과 산업관리론. 그리고 Luther 
 Gulick Urwick의 행정관리론 등으로서, 이들 이론의 기본은 조직관리의 과학화ㆍ합리화ㆍ능률화에 있다.
1) Max Weber의 관료제 이론 : 최소한의 인적ㆍ물적 자원을 들여서 조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조직의 구조를 발      전시키는 것이었고,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관료제(bureaucracy)이다.
  Weber는 권한유형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조직형태를 구분하였다. 권한이 정당화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권      한 유형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조직형태를 구분하였다.
  ①전통적 권한 : 하위자들이 상위자들의 명령에 대해서 ‘그것은 전통적으로 그러했다’는 근거에서 정당한 권한으로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것이다. 합리적, 합법적 권한. 카리스마적 권한
  ②정당성(합법성)권한 : 하위자들이 상위자의 지배는 합법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③권력 : 하위자들이 그들이 일체화하고 있는 상위자의 비범한 자질 때문에 그의 명령을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일 때               나타난다.
  Weber의 관료제의 특징은 분업과 전문화, 몰 인정성, 권한의 위계, 규정과 규칙, 경력지향성, 능률성의 강조이다.
  Weber는 조직의 목적달성을 촉진하기 위해 조직의 구조를 분석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선구적 학자이다. 
2) Freedrick W.Taylor의 과학적 관리론
  1911년 저서“과학적 관리의 원칙”에서 과학적 관리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으로 조직관리의 과학화와     합리화에 크게 공헌한 사람이다. 작업과정을 분석하고 기획함으로써 능률을 올릴 수 있다고 믿고 공장관리론, 시간ㆍ     동작 연구, 과학적 관리의 원리 등을 발표하여 과학적 관리론을 체계화하였다.
 Taylor는 생산공정의 개별작업을 요소 동작으로 분리하여 각 요소 동작의 형태, 순서, 소요시간을 시간연구와 동작연     구에 의해 표준화함으로써 하루의 과업을 설정하고, 그 과업을 기본으로 하여 관리의 과학화를 도모하였다.
 과학적 관리의 특징 : ①시간연구 및 동작연구 ②일일최대 작업량 ③표준화된 조건 ④과학적 관리원리 
 ⑤성공에 대한 높은 보상 ⑥실패에 따른 손실 보상 ⑦직원의 선발 ⑧인간의 기계화 ⑨차등임금 지불제도 ⑩기능적      감독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Taylor의 과학적 관리론은 미국의 큰 강철회사나 철도회사 등에 적용되어 크게 영향력을 끼쳤으나, 다른 한편 중간      관리자들과 노동자들의 극심한 반발을 받았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볼 때, Taylor의 과학적 관리론은 인간의 생리, 물리적인 측면만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인간의 심     리, 사회학적인 측면은 간과했다고 할 수 있다. 
 Taylor의 과학적 관리론에 힘입어 그 뒤 관리와 행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되었음은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