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저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자기학 |
---|
전기 |
자기 |
정전기학 |
전하 |
쿨롱의 법칙 |
전기장 |
가우스 법칙 |
전위 |
정자기학 |
전류 |
앙페르의 법칙 |
자기장 |
자기 모멘트 |
전기역학 |
로런츠 힘 |
기전력 |
전자기 유도 |
패러데이의 법칙 |
변위 전류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장 |
전자기 복사 |
전기회로 |
전기전도 |
전기저항 |
정전기용량 |
인덕턴스 |
임피던스 |
공동 공진기 |
도파관 |
전기저항(電気抵抗, 영어: electric resistance) 또는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단위는 옴(Ω)이 쓰이고, 기호로는 보통 R로 표기한다. (영어의 resistance에서 유래)
일반적으로 금속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저항이 커지고, 반도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저항이 낮아지며, 전해질은 전해질의 농도가 높아지고 이온의 이동성이 커질수록 저항값은 낮아진다.
[편집] 저항(resistance)의 정의
[편집] 고유저항의 정의
[편집] 전도율의 정의
- σ - 전도율
- ρ - 고유저항
- L - 저항기(resistor)의 길이
- A - 저항기의 단면적
- 이 공식은 저항기의 단면이 일정한 모양으로 생긴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저항기 단면의 양 끝에서 측정하였을때의 저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