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마을호한국철도공사의 장거리 열차 등급 이름이다.

목차

[편집] 역사

1969년 6월 1일, 새마을호의 전신인 관광호가 서울-부산간을 처음 운행한 것이 시작이다. 관광호는 1974년 8월 15일에 새마을호로 이름이 바뀌었다.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는 1984년부터 제작되었으며 현재는 영업 운행에 투입하고 있지 않다. 동차형 새마을호(DHC)는 1985년부터 제작되었다. 동차형 새마을호의 최고속력은 150km/h이고 영업최고속력은 110km/h이다. 새마을호는 새마을 운동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개통 이후 새마을호는 2004년 4월 1일에 KTX가 영업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줄곧 대한민국의 최고 등급의 열차였으나, KTX의 개통 이후 그 등급이 한 단계 내려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혹자는 프랑스에 TGV, 일본에 신칸센이 있다면, 한국에는 새마을이라고 하며 새마을호의 편안함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편집] 차량

  • 동차형 새마을호 (Diesel Hydraulic Car 또는 Push-Pull)
  •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형
  •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형

[편집] 운행 노선

새마을호 행선판
실제 크기로
새마을호 행선판

아래의 운행 노선은 2006년 11월 1일의 시각표 개정에 따른 노선이다.

  • 서울-부산/해운대
  • 서울-임진강
  • 서울-마산
  • 서울-진주
  • 서울-울산
  • 서울-포항
  • 용산-장항 : 용산-영등포-수원-천안-온양온천-예산-홍성-광천-대천-웅천-서천-장항
  • 용산-광주 : 용산-영등포-수원-서대전-계룡-논산-익산-김제-신태인-정읍-장성-광주
  • 용산-목포
  • 용산-여수
  • 대구-진해

청량리-안동 새마을호는 2006년 12월 31일까지 정차역을 조절하여 임시로 운행한다.

[편집] 과거 운행 노선

[편집] 2004년 7월 15일 개정 시각표

  • 서울-부산/해운대
  • 서울-마산
  • 서울-진주
  • 서울-울산
  • 서울-포항
  • 용산-장항 : 용산-영등포-수원-천안-온양온천-예산-홍성-광천-대천-웅천-서천-장항
  • 용산-광주 : 용산-영등포-수원-서대전-계룡-논산-익산-김제-신태인-정읍-장성-광주
  • 용산-목포
  • 용산-여수
  • 청량리-안동 : 청량리-양평-원주-제천-단양-풍기-영주-안동
  • 청량리-강릉 : 청량리-양평-원주-제천-영월-증산-사북-고한-태백-도계-동해-묵호-정동진-강릉

[편집] 함께 보기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