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병무(李秉武, 1864년 1월 1일 ~ 1926년)는 친일 인사이다.

본관은 전주로, 정종의 서자인 무림군의 후손이다.

1894년 과거에 급제한 뒤 선전관 등 무관 벼슬을 지냈다. 1894년 의친왕 이강을 수행하여 도일하였고,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육군무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그는 1905년에도 완순군 이재완을 수행하여 일본에 가서 훈장을 받고 귀국하는 등 일찍부터 일본이 공들여 군사 분야에 심어 놓은 친일 인사였다.

1907년 이완용의 친일 내각에 군부대신으로 입각하여 정미7조약 체결로 군대를 해산할 때 공을 세웠고,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때 시종무관장으로 조약 체결에 적극 협조하여 자작에 봉해졌다.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파 목록에 그의 작위를 습작 받은 아들 이홍묵과 함께 선정되었다.

정미칠적
이완용 | 송병준 | 이병무 | 고영희 | 조중응 | 이재곤 | 임선준
경술국적
이완용 | 윤덕영 | 민병석 | 고영희 | 박제순 | 조중응 | 이병무 | 조민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