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7 특수임무대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707 특수임무대대는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소속의 국가 대테러부대이며, 특수전을 수행하는 특수전 부대다. 독일의 GSG-9과 미국의 델타포스 대원들이 707 특임대와 교환 훈련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그 명성을 인정받고 있다.

목차

[편집] 역사

707 특임대는 86 아시안 게임과 88 서울 올림픽에 대비하여 1981년에 약 120여명의 인원으로 창설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한편으로는 12.12 사태 당시 신군부의 반대편에 섰던 정병주 사령관을 3여단장인 최세창 준장이 공격한 사건때문에, 신군부가 특전사령관이 직접 지휘할 수 있는 전투병력을 보유할 필요를 느껴 특임대를 창설했다는 얘기도 있다. 그러나 현재는 확실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테러부대로 자리잡았고, 서방 각 나라의 대테러부대와 지속적으로 교류를 계속하고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까지만 해도 707 특임대는 일반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이후로 군의 인식이 바뀌어 대민 홍보 차원으로 테러진압 훈련 등으로 자주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모든 국가 행사에는 경찰특공대와 함께 빠짐없이 경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편집] 조직

707특임대는 1개의 고공지역대와 1개의 해상지역대, 2개의 특공지역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시 대테러 임무를 수행한다. 각 지역대는 다시 팀으로 나뉘어져 있다.

[편집] 임무

기본적으로 평시 대테러 작전이 기본 임무이다. 경찰특공대도 비슷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경찰특공대는 미국의 SWAT처럼 대테러 임무 외에도 중요 범죄 사건에도 출동한다는 점이 다르다.

[편집] 장비

대한민국 육군의 기본 제식 장비 외에 특수부대로서 필요한 장비는 별도 예산으로 장만한다. K1 기관단총, K7 소음기관단총, MP-5 시리즈 등을 상황에 따라 기본 화기로 사용한다. 꾸준한 투자로 선진국 특수부대 수준의 장비를 갖추어가고 있으나 장비면에서는 아직 아쉬운 점이 많다는 평가도 있다.

이들의 보유 장비도 예전에는 철저한 비공개였으나, 최근에는 각종 전시회나, 훈련 시범 등 민간 공개 행사를 통해서 공개하고 있다. 이런 행사를 통해서 대테러부대로서 신뢰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공개된 보유 장비 목록

[편집] 훈련

707 특임대는 정기적으로 외국의 특수부대와 교류 및 교환 훈련을 갖는다. 미국의 델타 포스 및 그린베레, FBI HRT, 영국의 SAS, 프랑스의 GIGN, 싱가포르의 STAR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나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특수부대들이 707 특임대로부터 훈련을 받았다.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