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을 마시는 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눈물을 마시는 새》는 대한민국판타지 소설가인 이영도의 장편 소설이다. 인간, 레콘, 나가, 도깨비라는 네 종족이 살아가는 가상의 세계를 배경으로 '왕이라는 직책의 정의' '신과 선민의 관계' '인간 종족의 미래'등 여러 자기 철학적인 주제들이 심도있게 다루어진다. 한국 판타지를 지향한 첫 작품이며, 이에 걸맞게 도깨비, 두억시니 등 한국의 고유 전설과 씨름과 윷놀이 등 한국 전통 놀이, 15세기 고어(나가짓어로 이름이 붙여진) 등이 등장한다.

황금가지에서 양장본 네 권(1부-심장을 적출하는 나가, 2부-숙원을 추구하는 레콘, 3부-불을 다루는 도깨비, 4부-왕을 찾아헤메는 인간)으로 출간하였으며, 일반본으로는 1부와 2부를 두 권씩으로 나누어 합계 6권으로 출간하였다.

목차

[편집] 후속작

현재 출판된 후속작으로는 《피를 마시는 새》가 있으며, 《눈물을 마시는 새》의 약 50년 후의 이야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가 이영도는 《피를 마시는 새》를 마지막으로 출간한 뒤 현재 다음 작품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마시는 새'의 다음 후속작으로 예상되는 독을 마시는 새와 물을 마시는 새가 정말 집필될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편집] 등장인물

구출대
  • 케이건 드라카-인간. 정체가 모호한 인물이며 구출대의 일원. 역시 알 수 없는 이유로 하인샤 대사원의 제안을 받아들여 구출대의 '길잡이'가 된다.
  • 비형 스라블-도깨비. 즈믄누리 성주의 몸종이며 구출대의 일원. 즈믄누리의 성주인 바우 머리돌의 조언에 따라 구출대의 '요술장이'가 된다.
  • 티니한-레콘. 하늘치 발굴단의 대장이자 구출대의 일원. 하늘치 발굴을 위해 하인샤 대사원에 진 빛을 갚기 위해 구출대의 '대적자'가 된다.
나가 사회
  • 륜 페이-나가. 유명한 페이 가문의 소년이자 더욱 유명한 사모 페이의 친동생.
  • 사모 페이-나가. 나가들의 수도 하텐그라쥬에서 제일 잘 알려진 여인.
  • 화리트 마케로우-나가. 수호자 수련생으로 륜 페이의 절친한 친구이기도 하다.
  • 비아스 마케로우-나가. 마케로우 가문의 가주가 되려는 야심찬 인물로,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극단적인 행동도 가리지 않고 취하려 한다.
  • 카린돌 마케로우-나가. 화리트의 친누나로, 비아스의 성격과 그녀의 야망을 경계한다.
  • 갈로텍-나가. 수호자. 나가의 사회에서는 멸시받는 남자이건만, 자신의 야망을 가지고 그 역시 비아스만큼이나 매몰찬 추진력으로 자신의 계획을 이룩하려 하는 인물이다.
  • 세리스마-나가. 수호자. 하텐그라쥬 수호자들 속에 제일 높은 위치에 속해 있으며, 나가 사회 속의 번져가는 음모와 배신자를 찾아내려 애쓴다.
북부인
  • 괄하이드 규리하-인간. 변경백. 북부의 수많은 인간들처럼 800년간 실종되었던 왕의 귀환을 절실하게 그린다.
  • 라수 규리하-인간. 괄하이드의 사촌동생. 유명한 집필가로 뛰어난 두뇌를 소유한 그는 현재 하인샤 대사원에 안거하고 있다.
  • 오레놀-인간. 하인샤 대사원의 대덕. 그의 이야기는 구출대의 그것과 묘하게 뒤엉킨다.
  • 쥬타키-인간. 하인샤 대사원의 대선사. 세리스마와 같이 네 종족의 운명을 뒤엎으려는 모종의 음모를 밝혀내려고 애쓴다.
  • 케이-인간. 보늬의 아들. 유로도로당의 보좌관. 케이건과 알 수 없는 관계가 있는 듯하다.
  • 보늬-인간. 케이의 엄마. 유로도로당의 당주. 케이건과 알 수 없는 관계가 있는 듯하다.
  • 바우 머리돌-도깨비. 도깨비들이 거의 유일하게 받아들이는 정치 구조인 즈믄누리의 성주이다.
기타
  • 하늘치는 하늘을 날아다니는 거대한 물고기이다. 수 많은 눈을 가지고 있으며 눈을 공격당하면 땅으로 내려와 재앙에 가까운 난동을 부린다.

[편집] 스토리

세계는 네 종족으로 나누어져 있다. 어디에도 없는 신을 섬기며 정치 능력에 뛰어난 종족 인간, 자신을 죽이는 신을 섬기며 불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종족 도깨비, 모든 이보다 낮은 여신을 섬기며 거대하고 강하나 물을 두려워하는 종족 레콘, 발자국 없는 여신을 섬기며 온도를 보고 니름(정신을 이용한 텔레파시)으로 대화하는 종족 나가. 네 각자 다른 신을 섬기고 각자 다른 삶의 방식을 고집하는 네 종족에 의해 한 세계가 이루어진다.

세계는 또한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다. 북부와 키보렌. 천 년 전, 나가들은 다른 종족들을 상대로 영토를 늘리기 위한 '대확장 전쟁'을 일으켰다. 전설적인 레콘 '영웅왕'이 건국하고 인간들이 지탱시켰던 북부의 왕국 아라짓은 나가에 맞서 싸우지만, 몇백년에 걸친 소모전 끝에 왕국 아라짓은 마침내 멸망하고 만다. 변온 동물이며 특정 이하의 온도를 견딜 수 없는 나가들은 온도가 허락하는 북쪽까지 나무를 심고 정글을 재배했으며, 이 세상의 반을 뒤덮는 이 미증유의 삼림은 키보렌이라 이름지어진다. 이후 북부인들 - 도깨비와 레콘과 인간 - 은 키보렌의 북쪽, 나가가 올라올 수 없는 추운 온도 속에서 살아가게 되었고 나가들 역시 북부인들을 키보렌에 허용하지 않으며 키보렌 안에 자신들의 문화를 건설하게 된다.

그리고 용맹했던 아라짓 전사들도, 나가를 사냥하던 키탈저 사냥꾼들도 키보렌 아래 잊혀저 버린지 700년 후. 나가와 북부인들 사이의 단절이 태초때부터 마냥 그랬던 것처럼 인식되고 있을 무렵, 인간의 총본산인 '하인샤 대사원'에서 한 명의 레콘, 한 명의 도깨비 그리고 한 명의 인간에게 서신을 보내면서 《눈물을 마시는 새》의 이야기는 시작되게 된다.

《눈물을 마시는 새》의 초반 시점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뉘어진다. '하인샤 대사원'에서 전갈을 받은 세 명의 구출대의 시점과 나가 문화의 총본산인 '하텐그라쥬'의 소년 륜 페이의 시점이다. 륜 페이는 얼마 후에 22살, 나가 나이로 성년이 되고 심장 적출식에 참가할 것이다. 심장을 적출해 심장탑에 안전하게 보관함으로서 대상 나가를 거의 완벽한 불사신으로 만드는 이 의식은 보통 나가에게는 환영받는 일이다. 하지만 륜은 어릴 적에 목격한 심장 파괴에 의해 죽었던 아버지의 충격 때문에 심장 적출식을 두려워한다. 그러던 중 심장 적출식 도중에 의문의 살인 사건이 일어나고, 칼에 죽어가는 륜의 친구 화리츠는 륜에게 충격적인 비밀을 알려주며 자신이 이루려던 사명을 떠맡긴다. 결국 륜은 화리트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북쪽으로 향하는데...

한편, 북부에서는 '하인샤 대사원'에게서 서신을 전달받은 세 명의 전혀 다른 사람(소설속 세계에서는 나가, 인간, 레콘, 도깨비 모두를 가리켜 사람이라 일컫는다.)이 만난다. 즈믄누리 성주의 몸종인 도깨비 비형 스라블, 하늘치 발굴자인 레콘 티니한, 그리고 의문의 인간 케이건 드라카. 그들의 임무는 지난 700년 전 어떤 북부인도 감히 발을 디디지 못했던 키보렌으로 들어가 한 명의 나가를 구출해오는 것. 구출대는 키보렌 어딘가에서 그들을 기다리고 있을 나가를 찾아 키보렌으로 잠입하고, 곧 륜과 구출대는 네 종족의 영원한 운명과 신들까지 포함하는 거대한 음모 속에 휘말리게 된 것을 서서히 깨닫기 시작하는데...

[편집] 바깥고리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