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중섭(李仲燮, 호 대향(大鄕), 1916년 4월 10일 - 1956년 9월 6일)은 한국의 서양화가이다.
평양에서 태어나 일본 도쿄문화학원을 다녔다. 1937년 재학 중인 신분으로 일본의 제 7회 자유미협전에 출품해서 태양상을 받았다. 1939년 자유미술협회의 회원이 되었다.
1945년 북조선으로 귀국했다. 원산에서 일본 여자 이남덕(李南德, 본명 山本方子)과 결혼했다. 한국 전쟁 때 월남해서 부산, 통영, 제주도 등을 다니면서 살았다.
하지만, 그림을 살 돈이 없어서, 은박지에 그림을 그릴 정도로 극심한 가난때문에, 1952년 부인이 두 아들과 함께 일본으로 넘어갔다. 이후 그들의 만남은 이중섭이 부두노동으로 번 돈으로 일본의 처가집을 방문하여 한 차례 더 있었을 뿐이다. 정부의 도움으로 한국으로 돌아왔지만, 부산, 대구, 통영, 진주, 서울 등을 떠돌며 가난 속에서도 창작에 매달렸다. 1955년 친구들의 도움으로 평생 처음이자 마지막인 전시회를 미도파 백화점에서 열었다. 하지만, 정신분열 증세를 보이다가 1956년 간염으로 적십자 병원에서 죽었는데, 친구들이 수소문해서 찾아오니 이미 시체와 밀린 병원비 청구서만이 있었다고 한다.
<달과 까마귀>, <흰 소>, <길 떠나는 가족> 등 에는 고향과 가족에 대한 애틋한 감정이 잘 담겨있다.
제주도 서귀포시에서는 1951년 이중섭 가족이 살던 집을 개조해 이중섭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이중섭의 둘째 아들 이태성이 2005년 3월 16일 첫 공개해서 경매에 내놓은 그림 8점이 2005년 10월 가짜로 밝혀져서 한국 미술시장계가 냉각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