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편수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는 일제가 한국 침략과 지배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타율성, 정체성, 사대주의성 역사로 규정하기 위해 1925년 6월 칙령 제218호로 공포한 '조선사편수회관제'(朝鮮史編修會官制)에 따라 만들어진 조선총독부 총독이 직할하는 관청이며, 조선사편찬위원회규정(1921. 12. 4, 조선총독부 훈령 제64호)에 따라 발족한 조선사편찬위원회를 확대·강화하여 발족시킨 기구이다.
1937년까지 27년 동안 97만5534원이라는 거금을 들여 《조선사》 35편, 《사료총서》 102편, 《사료복본》 1,623을 편찬했다.[1]
목차 |
[편집] 직제
[편집] 회장
- 정무총감이 겸임
[편집] 고문
[편집] 위원
[편집] 촉탁위원
- 최남선(崔南善)
[편집] 간사
- 이나바 외 3명
[편집] 수사관
- 홍희(洪熹)
- 이나바
- 후지타(藤田亮策)
[편집] 각주
- ↑ 《한국사를 뒤흔든 위서》, 김삼웅 , 인물과 사상사, 200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