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묘앞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정부북부 방면 | (126) 신설동 | (127) 동묘앞 | (128) 동대문 | 인천·천안 방면 |
응암 순환 | (635) 신당 | (636) 동묘앞 | (637) 창신 | 봉화산 방면 |
동묘앞역(東廟앞驛)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6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역명은 인근에 삼국지에 등장하는 관우의 사당인 동관왕묘가 있는데서 명명되었다.
새로 개통한 1호선 역사는, 운행중인 구간에 건설된 두번째 역사이다. (대한민국 최초는 분당선 이매역.) 이를 통해서 6호선과 1호선간의 환승이 가능하다. 원래는 동대문역과 연결되어 1호선, 4호선과 환승될 예정이었으나, 역간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서 취소되었다.
[편집] 역 정보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편집] 1호선
- 내리는 문의 위치: 왼쪽
- 승강장 형태: 상대식 승강장
[편집] 6호선
- 내리는 문의 위치: 왼쪽
- 승강장 형태: 섬식 승강장
수도권 전철 1호선 | |
---|---|
경원선: | 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구간: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경인선: | (남영역부터 구로까지 경부선과 동일)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 |
수도권 전철 6호선 |
---|
응암 - 역촌 - 불광 - 독바위 - 연신내 - 구산 - 응암 - 새절 - 증산 - 수색 - 월드컵경기장 - 마포구청 - 망원 - 합정 - 상수 - 광흥창 - 대흥 - 공덕 - 효창공원앞 - 삼각지 - 녹사평 - 이태원 - 한강진 - 버티고개 - 약수 - 청구 - 신당 - 동묘앞 - 창신 - 보문 - 안암 - 고려대 - 월곡 - 상월곡 - 돌곶이 - 석계 - 태릉입구 - 화랑대 - 봉화산 |
분류: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6호선 | 수도권 전철 환승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