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하계 올림픽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76년 하계 올림픽
참가국 92
참가 선수 6,028 (남자 4,781명, 여자 1,247명)
경기 21 종목, 198경기
개회식 1976년 7월 17일
폐회식 1976년 8월 1일
공식 개회 선언 엘리자베스 2세
선수 선서 피에르 생장
심판 선서 모리스 포제
올림픽 성화 점화 스테판 프레퐁텐,

산드라 헨더슨

주경기장 스타드 올랭피크

1976년 하계 올림픽(The Games of the XXI Olympiad)는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되었다. 1970년 모스크바로스앤젤레스를 제치고 개최권을 획득하였다. 이 두 도시는 후에 1980년, 1984년에 올림픽을 개최한다.

[편집] 대회 이모저모

  • 이 대회에서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이 개최 선언을 하였다.
  • 캐나다는 은메달 5개와 동메달 6개를 얻는데 그쳐 하계 올림픽 역사상 금메달을 따지 못한 첫 개최국이 되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1928년 세인트 모리츠 대회에서 개최국 스위스가 금메달을 따지 못했었다. 캐나다는 1988년 동계 올림픽에서도 개최국으로서 금메달을 따지 못하게 된다.
  • 이전 올림픽에서 뮌헨 참사의 영향으로 경계가 강화되었고 안보비용이 상승하여 개최비용이 상승한 대회였다.
  • 올림픽 성화가 아테네에서 개최지로 전자적으로 전달된 대회였다. 아테네어서 실제 불꽃에서 전자 펄스를 이용해 오타와에 채화하였고 이 성화는 몬트리올로 주자에 의해 옮겨졌다. 개최 도중 성화가 비바람에 꺼지는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관리자가 담배 라이터로 다시 불을 붙었으나 조직위원회는 다시 이 성화를 끄고 보관해 두었던 예비 성화로 다시 점화하였다.
  • 루마니아의 14세 체조선수인 나디아 코마네치가 7개의 10점 만점 연기를 펼치면서 3관왕에 오른 대회였다.
  • 소련의 빅토르 사네예프가 삼단 멀리뛰기에서, 이탈리아의 클라우스 디비아시가 다이빙에서 3연속 금메달을 수상했다.
  • 여자 경기에 농구, 핸드볼, 조정이 추가되었다.
  • 영국의 앤 공주는 영국 승마의 여자 선수로 참가하였다. 앤 공주는 출전 선수중 성별감정을 받지 않은 유일한 선수였다.

[편집] 메달 집계

197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 나라   Gold     Silver     Bronze   합계
1 소비에트 연방 소비에트 연방 49 41 35 125
2 동독 동독 40 25 25 90
3 미국 미국 34 35 25 94
4 서독 서독 10 12 17 39
5 일본 일본 9 6 10 25
6 폴란드 폴란드 7 6 13 26
7 불가리아 불가리아 6 9 7 22
8 쿠바 쿠바 6 4 3 13
9 루마니아 루마니아 4 9 14 27

[편집] 바깥 고리


올림픽
하계 올림픽
1896 | 1900 | 1904 | 1906¹ | 1908 | 1912 | (1916)² | 1920 | 1924 | 1928 | 1932 | 1936 | (1940)² | (1944)²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동계 올림픽
1924 | 1928 | 1932 | 1936 | (1940)² | (1944)²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¹IOC의 공식 대회는 아님.     ²전쟁으로 취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