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덕(玄德, 1909년 2월 15일 - ? )은 한국의 소설가, 아동문학가이다. 본명은 현경윤(玄敬允)이다.

서울 태생으로 어릴때 집안 형편이 어려워 친척 집을 전전하는 불우한 성장 과정을 거쳤고, 일본과 여러 지방에서 노동자 생활을 했다.

1932년동아일보》에 동화 〈고무신〉을 발표한 뒤, 김유정, 안회남과 교유하는 습작 기간을 거쳐 1938년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남생이〉가 당선되면서 정식 데뷔했다. 처녀작인〈남생이〉의 화자는 '노마'라는 소년이며, '노마'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동화를 《소년조선일보》와 어린이 잡지 《소년》에 꾸준히 발표하는 등 아동 문학에 관심이 컸다.

이후 〈경칩〉(1938), 〈두꺼비가 먹은 돈〉(1938), 〈골목〉(1939), 〈잣을 까는 집〉(1939), 〈녹성좌〉(1939),〈군맹〉(1940)을 차례로 발표했으나, 건강이 좋지 못한데다 태평양 전쟁 기간 중의 어렵던 시절이라 더이상의 작품 활동을 하지 못했다. 농민과 도시 빈민의 참혹한 현실을 묘사하며 사회 구조적 모순을 인식하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데뷔 시기가 카프 해체 이후이므로 카프에 직접 가담한 적은 없으나, 카프의 이념적 성향과 대체로 방향이 일치하는 작품을 썼다.

광복후 조선문학가동맹의 소설부와 아동문학부에 참가하면서 출판부장을 맡아 활동했으며, 한국 전쟁 기간 중 역시 아동문학가인 동생 현재덕과 함께 월북했다.

북조선에서는 소설집 《수확의 날》(1962)을 출간한 것으로 알려졌을 뿐, 활동상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사망한 연대도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문서는 작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