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첸초 벨리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이 문서는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 중입니다. 원문은 글 안에 주석 처리되어 있습니다. 같이 번역해 주세요. |
![]() |
이 문서는 음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
빈첸조 벨리니는 1801년 시칠리아의 카타니아에서 출생하였다. 어릴때부터 교회 음악가인 아버지의 지도로 일찍부터 작곡가의 재능을 발휘했다. 나폴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칭가렐리에게 작곡을 배웠다. 재학중인 1825년에《아델송과 사르비나》를 작곡하였는데, 이 작품의 완벽한 형식으로 이탈리아를 떠나버린 롯시니의 후계자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1826년 나폴리의 산 카를로 극장의 의뢰로《피앙카와 페르난도》를 작곡하였고, 1827년에는 밀라노 스칼라 극장의 의뢰로 그 당시 가장 유명했던 이탈리아의 대본 작가 펠리체 로마니의 시에 의한《해적》을 발표하였는데, 이작품은 큰 성공을 거둔 첫번째 작품이 되었다.
이후, 1829년 《이국의 여인》와 《자이라》, 1830년 세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를 《카플레티가와 몬테키가》라는 오페라로 작곡하였고 1831년에는 《몽유병의 여인》와 《노르마》각각 발표하였다. 1833년에는 《단테의 베아트리체》를 상연한후, 파리로 이주하여 1835년에 최후의 오페라 《청교도》를 파리의 이탈리아 오페라 극장에서 공연하여 대성공을 거두었다.
벨리니는 19세기초 이태리 오페라의 가장 중요한 작곡자로 도니체티와 더불어 당대의 거장으로 꼽힌다. 벨리니의 기품, 우수에 찬 선율의 아름다움은 19세기 많은 작곡가에 영향을 주었는데, 그의 창조적인 선율에 영향을 받은 쇼팽은 임종시 그의 아리아를 듣기를 원했고, 바그너, 고티에 등도 벨리니의 작품에 매료되었던 걸로 알려져 있다. 스트라빈스키는 벨리니를 베토벤과 함께 '2대 B'로 올려 놓기까지 했다. 오페라의 아리아 뿐만아니라 그의 아름다운 선율은 그의 오보에 협주곡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기도 하다.
분류: 번역중 | 음악 토막글 | 1801년 태어남 | 1835년 죽음 | 오페라 작곡가 | 이탈리아의 작곡가 | 낭만주의 시대 작곡가 | 19세기 고전 음악 작곡가 | 바그너주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