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케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케인(alkane)은 고리가 없는 사슬형 포화 탄화수소를 말한다. 이중 결합 없이 가장 많은 수의 수소 원자가 붙은 탄화수소이다.

알케인의 일반식은 CnH2n+2로 나타단다. 가장 단순한 알케인은 탄소 하나로 이뤄진 메테인 CH4이다.

목차

[편집] 알케인 목록

알케인 탄화수소의 이름은 -ane(-에인)으로 끝난다.

[편집] 가지가 없는 사슬형 탄화수소

가지가 없는 사슬형 탄화수소는 분자의 탄소 수에 따라 이름이 붙는다.

탄소 화학식 이름 영어
1 CH4 메테인(메탄) methane
2 C2H6 에테인(에탄) ethane
3 C3H8 프로페인(프로판) propane
4 C4H10 n-뷰테인(부탄) butane
5 C5H12 n-펜테인(펜탄) pentane
6 C6H14 n-헥세인(헥탄) hexane
7 C7H16 n-헵테인(헵탄) heptane
8 C8H18 n-옥테인(옥탄) octane
9 C9H20 n-노네인(노난) nonane
10 C10H22 n-데케인(데칸) decane

[편집] 가지가 있는 사슬형 탄화수소

가지가 있는 탄화수소는 다음 순서로 이름을 붙인다.

  • 우선 가장 긴 사슬을 찾는다.
  • 이 사슬의 탄소 원자에 대해 한쪽 끝부터 차례대로 1부터 번호를 매긴다.
  • 각 가지에 붙어있는 원자단의 이름을 차례대로 붙인다.
  • 가지에 붙은 원자단의 이름은 다음 기준으로 붙인다.
    • 가지가 붙은 탄소 원자의 번호
    • 같은 원자단이 여러 곳에 붙어있을 경우에는 "다이-", "트라이-", "테트라-" 등의 접두사를 사용한다.
    • 가지에 붙은 원자단의 이름
  • 마지막으로 가장 긴 사슬의 이름을 붙인다.

예를 들어 4개의 탄소로 이뤄진 뷰테인이성질체그림:isobutane.png은 "2-메틸프로페인"이 된다.

펜테인은 n-펜테인 외에 두 종류의 이성질체가 더 있다.

image:dimethylpropane.png
2,2-다이메틸프로페인

image:2-methylbutane.png
2-메틸뷰테인이다.

[편집] 관용명

  • 아이소뷰테인 - 2-메틸프로페인
  • 아이소펜테인 - 2-메틸뷰테인
  • 네오펜테인 - 2,2-다이메틸프로페인

[편집] 읽을거리

이 문서는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