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 뿐만 아니라 그림 등 그래픽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어떤 요소에 대한 동작은 그 요소에 해당하는 그래픽을 직접 조작하여 이루어진다.
마이크로소프트와 리눅스, 맥 오에스 텐을 비롯한 대부분의 현대 운영 체제들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리눅스/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의 경우 X 윈도우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며, 모티프, Qt, GTK+ 등의 툴킷으로 확장할 수 있다.
[편집] 역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아이디어는 1960년대에 제안되었다. 이반 서덜랜드가 1963년에 개발한 스케치패드는 컴퓨터 지원 설계(CAD) 소프트웨어의 조상이자 최초로 완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것이었으며, 비슷한 시기에 더글라스 엥겔바트를 비롯한 SRI 인터내셔널의 연구자들은 하이퍼링크를 기반으로 마우스를 사용하는 NLS(On-line System)를 개발하였다.
NLS의 하이퍼링크 개념은 제록스 파크에서 그래픽으로 확장되었으며, 1973년에 개발된 제록스 알토 컴퓨터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최초의 컴퓨터가 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기본적으로 이 인터페이스로부터 유래했으며, 혹자는 이들을 ‘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PUI)’라 부르기도 한다. 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창, 메뉴, 아이콘, 라디오 단추, 체크 상자 등의 그래픽 요소들을 사용하며, 마우스 같은 장치를 키보드와 함께 사용한다.
애플 컴퓨터는 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개인용 컴퓨터인 매킨토시를 만들어서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고,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는 매킨토시의 아이디어 일부를 차용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했다. 이들 두 인터페이스는 대다수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친숙한 환경이다.
[편집] 같이 보기
![]() |
이 문서는 컴퓨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
분류: 컴퓨터 토막글 | 컴퓨터 용어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