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벨상(노벨賞, 영어: Nobel Prize)은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인 스웨덴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의 문명 발달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을 일컫는다.

목차

[편집] 노벨상 유래

[편집] 노벨상 시상 분야 및 결정

[편집] 노벨상 수상자

한국인 중에는 2000년 평화상 수상자인 김대중이 유일하다.

[편집] 여성 수상자

  • 여성 노벨상 수상자

[편집] 노벨상을 두번 수상한 사람

한 번도 받기 힘든 노벨상을 두번 받은 사람은 모두 네 명이다.

[편집] 노벨상 가족

노벨상을 가족이 함께 받은 경우도 있다.

  • 닐스 보어(아버지, 1922년 물리학상)와 오게 닐스 보어(아들, 1975년 물리학상)
  • 윌리엄 헨리 브래그(아버지)와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아들), 1915년 물리학상 공동 수상
  • 칼 만네 예오리 시그반(아버지, 1924년 물리학상)과 카이 만네 뵈리에 시그반(아들, 1981년 물리학상)
  • 한스 폰 오일러켈핀 (아버지, 1929년 화학상)과 울프 폰 오일러(아들, 1970년 생리의학상)
  • 칼 페디낸드 코리·거티 테리사 코리 부부 (1947년 생리학·의학상 공동 수상)
  • 조지프 존 톰슨 (아버지, 1906년 물리학상)과 조지 패짓 톰슨(아들, 1937년 물리학상)
  • 피에르 퀴리·마리 퀴리 부부(1903년 물리학상 공동 수상)와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이렌 졸리오퀴리 부부(딸·사위, 1935년 화학상 공동 수상)
  • 얀 틴베르헌(형, 1969년 경제학상) 니콜라스 틴베르헌(동생, 1973년 생리학·의학상)

[편집] 공식 노벨상 이외의 이른바 노벨상

공식 노벨상 이외에 노벨상 이 수상되지 않는 분야에서 노벨상의 권위를 빌려 '~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상들이 있다.

기초학문이면서도 노벨상에 빠져있는 수학분야에 필즈상아벨상이 '수학의 노벨상'으로 불리고 있으며, 학문으로의 중요성이 당시에는 인식되지 않았던 전산학 분야에는 튜링상이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외에도 언론 퓰리처상, 건축 프리츠커상, 항공우주 폰 브라운상, 정신분석학 시고니상, 음악 그라베마이어상, 아동문학 뉴베리상, 예술분야 세계문화상, 환경 골드만 환경상, 간호학 크리스치안 라이만상, 종교 템플턴상 등이 종종 각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아시아지역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막사이사이상, '중남미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로물로 가예고스상이 있다.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