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빵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스 빵(프랑스어: pain français)은 프랑스에서 만들어진, 구울 때 물을 뿌려(스팀) 겉이 딱딱한 빵의 통칭이다. 이 말은 프랑스에서 만들어진 말이 아니라 캐나다의 퀘벡 주에서 생겨났다는 견해가 있다.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 바게트(Baguette)이며, 몇몇 나라에서는 프랑스 빵에 대한 통칭을 바게트라 하기도 한다. 반죽에 칼금을 넣고 물을 뿌려 굽는데, 칼금을 넣는 것은 반죽이 부풀며 불규칙하게 터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고, 물을 뿌리는 것은 수분이 증발하며 겉이 딱딱해지게 하기 위해서이다.
[편집] 종류
무게와 크기는 굽기 전의 것.
- 되 리브르(Doux Libres, 2파운드) 850g, 54cm~55cm
- 바타르(Batar) 350g, 40cm
- 바게트(Baguette) 350g, 68cm
- 파리지앵(Parisien) 650g, 68cm
- 플루트(Flute) 450g, 60cm
- 피셀(Fisselle) 150g, 40cm
- 샹피뇽(Champignon) 48~60g. 버섯이라는 의미
- 쿠페(Coupé) 140g. 흔히 하드롤이라 불리는 약간 길쭉한 타원형의 빵. 칼금이 한 번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