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키르기스어
кыргыз тили 키르기즈 틸리
쓰는 나라들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터키,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중국), 파키스탄
언어 인구 3,136,733 (1993)
언어의 계통 알타이어족(논란 있음)
 투르크어족
  서투르크어파
   아랄카스피어군
    키르기스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키르기스스탄
언어 부호
ISO 639-1 ky
ISO 639-2: kir
ISO/DIS 639-3: kir

키르기스어투르크어족에 속한 언어로 키르기스스탄에서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목차

[편집] 역사

라틴 문자1928년부터 1940년까지 사용되었다. 1940년부터 현재까지는 키릴 문자이다.

[편집] 인구

키르기스어를 사용하는 그룹은 300만명으로 키르기스스탄, 중국, 아프가니스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터키(소아시아),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이슬라마바드), 러시아에서 사용된다. 키르기스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편집] 문법

대문자 소문자 이름 발음
Ң ң   /ŋ/
Ү ү   /y/
Ө ө   /œ/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Л М Н Ң О Ө П Р С Т У Ү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

[편집] 바깥 고리

위키백과
키르기스어 위키백과
서부투르크어족
볼가르 볼가르어* | 추바시어 | 하자르어*
차가타이어파 아이니어 | 차가타이어* | 일리 투르크어 | 로프어 | 위구르어 | 우즈베크어
킵차크어파 바라바어 | 바시키르어 | 크림 타타르어 | 쿠만어* | 발카르어 | 카라임어 | 카라칼파크어 | 카자흐어 | 킵차크어* | 크림착어 | 쿠미크어 | 노가이어 | 타타르어 | 우룸어
오구즈어파 아프샤르어 | 아제르바이잔어 | 크림 타타르어 | 가가우스어 | 호라산 터키어 | 오스만 터키어* | 페체네그어* | 카슈카이어 | 살라르어 | 터키어 | 투르크멘어 | 우룸어
동부투르크어족
칼라지어파 칼라지어
키르기스-킵차크어파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북동투르크어파 출림어 | 돌간어 | 푸위 기르기스어 | 하카스어 | 북부 알타이어 | 쇼르어 | 토파어 | 투바어 | 서부위구르어 | 야쿠트어
* 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