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만약 다른 도시의 같은 이름에 구가 생긴다면 그 구의 분류를 또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토론이 끝날 때까지 해당 구 페이지 들은 모두 원상복귀 시켜놓겠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월 28일 (토) 14:02 (KST)
- 미래에 생길 일까지 예측해 편집하는 것은 좀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요?-Sjhan81 2006년 1월 28일 (토) 14:08 (KST)
-
- 네, 조금 문제가 있긴 하군요. 어떻게 하는 게 현명한 방법인지 고민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월 28일 (토) 14:18 (KST)
- ja:Wikipedia:記事名の付け方#地名에 위하면 구(군) 는 특별시,광역시를 포함하지 않는 이름을 쓰도록되어 있습니다. 같은 이름의 구 가 있으면 [[XXX (XXX)]]라고 되어 이습니다.--효리♪ 2006년 1월 29일 (일) 22:00 (KST)
- 중구 (서울특별시) 보다는 현재처럼 서울특별시 중구나 서울 중구가 우리말 어순에도 맞고 더 편하지 않을까요?
(곰열여섯)58.73.76.61 역사에서 서명부가.가짜서명 사용하지 마세요.--효리♪ 2006년 1월 29일 (일) 23:16 (KST)- 곰열여섯 이거 제 아이디 맞는데요. (로그인을 안해서 그런 모양인데, 오해를 하게 해 드렸다면 죄송합니다). 글구 여기는 한국 위키인데 왜 일본 위키의 규정(ja:Wikipedia:記事名の付け方#地名)을 본따야 하죠? 영어 위키에서 지명을 Saint Louis, Missouri 식으로 쓰는 것은 영어식으로는 작은 지명 -큰 지명 순으로 쓰기 때문입니다. 중구 (서울특별시) 처럼 ( )안으로 큰 지명을 옮기면 우리에게는 그다지 편할 것 같지 않습니다. 사실 전 외국 지명의 표제어도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주) 보다는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 문제는 이중기준이다. 옹진군의 기사는 한번 보면 압니다.한쪽 은 옹진군 (황해남도) 또 한쪽은 인천 옹진군라는 이중기준이 되어 있습니다.--효리♪ 2006년 1월 30일 (월) 00:01 (KST)
- 곰열여섯 이거 제 아이디 맞는데요. (로그인을 안해서 그런 모양인데, 오해를 하게 해 드렸다면 죄송합니다). 글구 여기는 한국 위키인데 왜 일본 위키의 규정(ja:Wikipedia:記事名の付け方#地名)을 본따야 하죠? 영어 위키에서 지명을 Saint Louis, Missouri 식으로 쓰는 것은 영어식으로는 작은 지명 -큰 지명 순으로 쓰기 때문입니다. 중구 (서울특별시) 처럼 ( )안으로 큰 지명을 옮기면 우리에게는 그다지 편할 것 같지 않습니다. 사실 전 외국 지명의 표제어도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주) 보다는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 네, 조금 문제가 있긴 하군요. 어떻게 하는 게 현명한 방법인지 고민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월 28일 (토) 14:18 (KST)
-
-
- 옹진군 (황해남도)라는 항목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데요? 이제 만들 필요가 있다면 황해남도 옹진군이라고 만들어 통일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
고성군을 포함해 남북에 모두 있는 지명을 일단 단일기준으로 통일했습니다. 사용자:곰열여섯
이중 기준은 영어에도 있습니다. "Saint Louis, Missouri"를 쓸 수도 있고, "Saint Louis (Missouri)"를 쓸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은 없습니다. 이런 걸 이중 기준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의 경우 광역시에 설치된 구의 경우는 "광역시약칭 + 구이름"을 공식 이름으로 쓰고 있습니다. 일반시에 설치된 구에 대해서는 조금 혼란이 있는 상태고요. (수원시 팔달구?/수원 팔달구?) 광역시의 구의 경우 대부분 동구/서구/중구 식이라 동음이의처리를 해야 하며, 이런 이름이 아니더라도 강서구와 같이 쉽게 동음이의 여부를 놓치기 쉬운 곳도 많습니다. 위키백과:제목 선택하기#대한민국 지명을 참고하세요. -- ChongDae 2006년 1월 31일 (화) 17:13 (KST)
영어판 조사의 결과 w:Gangnam-gu,w:Seo-gu (Daejeon)라고 되어 있었습니다.--효리♪(H.L.LEE)2006년 3월 1일 (수) 22:11 (KST)
- 영어 판을 보니 기타큐슈 시가 en:Kitakyushu, Fukuoka로 되어 있습니다. 일본어판의 ja:北九州市을 "福岡県 北九州市"이나 "北九州市 (福岡県)"으로 옮기실 건가요? -- ChongDae 2006년 3월 1일 (수) 22:34 (KST)
목차 |
[편집] 이 프로젝트의 삭제를 제안합니다.
대한민국의 자치단체 페이지는 이미 stub로는 다 완성되어 있습니다. (분류까지도요). 구체적인 내용을 채우는 일만 남았는데, 따로 위키프로젝트로 정리해야 할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 2006년 2월 1일 (수) 21:02 (KST)
- 어느 범위까지 기사를 만드는 가 범위도 결정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명칭삼기문제도 해경하지 않는 상태.--효리♪ 2006년 2월 1일 (수) 21:22 (KST)
- 게다가 시(작은 도시),군은 거의 기사가 없는 상태입니다.그리고 기사템플릿은 없는 상태입니다.--효리♪ 2006년 2월 1일 (수) 21:26 (KST)
ja:議政府市,ja:仁川広域市,ja:蔚山広域市를 보신 후에 그러한 의견을 하도록 부탁드립니다.--효리♪ 2006년 2월 1일 (수) 21:38 (KST)
[편집]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한국 이라는 제목은 구체적이 아니다.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을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한국 에 통합하려고 했는데,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한국 이라는 제목자체가 구체적이 아니고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한국를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에 통합해야 합니다.일어판에 《Wikipedia:ウィキプロジェクト 日本》제목은 없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2월 16일 (목) 14:58 (KST)
있는 것.
- Wikipedia:ウィキプロジェクト 日本の市町村
- Wikipedia:ウィキプロジェクト 日本文化
- Wikipedia:ウィキプロジェクト 日本の法令
뭐가 구체적이지 않다는거죠? 그리고 일본어 위키백과에 없으면 한국어 위키백과에도 없어야한다는 건가요? -- ChongDae 2006년 2월 16일 (목) 14:59 (KST)
이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영토내에 한정됩니다. 북한은 포함하지 않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2월 16일 (목) 15:08 (KST)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의 문서 형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서 형식, 일본의 행정 구역의 문서 형식이 모두 다 달라야 하나요? 이게 효리2 님이 그렇게도 싫어하던 2중 기준 아닌가요? -- ChongDae 2006년 2월 16일 (목) 15:46 (KST)
[편집] 행정구역 명칭의 영어표기
영어판 w:Subdivisions of South Korea를 보면,cities (si), counties (gun), wards (gu), towns (eup), districts (myeon), neighbourhoods (dong) and villages (ri)라고 되어 있는데 , 구 를 ward라고 쓴 곳은 하나도 없고,(모두 district라고 되어 있음.)그리고 면을 district라고 쓰는 것과 리 를 village라고 쓰는 것도 문제가 있습니다.--효리♪(H.L.LEE)2006년 3월 1일 (수) 23:03 (KST)
[편집] 특별시, 광역시 소속 구(區)에 관해
오늘 대전광역시 소속 구에 한해 대전광역시 대덕구 등으로 고쳤더니 다시 대전 대덕구 등으로 고쳐지며 사랑방에 정식 문제 제기하라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본인의 의견은 지방자치법상 대전광역시 서구와 같은 구는 경기도 고양시와 동급이나,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와 같은 구와 비교하면 휠씬 상급에 위치해 있음에도 대전광역시시 서구가 고양시 일산서구처럼 취급 받아야하는가에 대해 의문을 가집니다. 이에, 특별시나 광역시에 소속된 구는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소속된 시, 군과 같은 급이므로 완전한 지방자치단체의 이름을 명기해야 함이 옳다 봅니다. 이에 대한 의견을 주시길 바랍니다 , mailzzang 올림 (서명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자세히 모릅니다. 사용자 토론에 자세히 올려주셔요 ㅠ.ㅠ)
- 서명은 편집창에서 오른쪽에서 두번째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 반대 - 서울특별시나 광역시의 구는 정치적 이유로 그렇게 되었을 뿐, 실질적으로 시 -> 구 -> 동 / 도 -> 군 -> 읍/면 이나 3단계 체계는 똑같습니다. 백과사전에서 상급이라는 차별성을 부여해야 할 이유나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군요. 또, 나중에 포항시가 광역시나 특별시가 되면 그때 또 일일이 수정작업을 해야 하는 등 번거롭기까지 합니다. 그리고 간단하게 [[서울 강남구|강남구]]하면 될 것을, [[서울특별시 강남구|강남구]]라고 길게 쓸 필요가 뭐가 있습니까? 광역시나 특별시를 부각시킬 필요는 굳이 없습니다. 그렇게 생각하시면, 서울특별시 강남구는 대전광역시와 같은 급인데,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죠? 무의미합니다. --WaffenSS 2006년 6월 8일 (목) 01:10 (KST)
- 찬성대한민국 독립이후 부터 서울시의 구는 타 도에 소속된 시군과 동일한 급으로 취급을 받았으며, 부산광역시 등의 출범으로 인해 광역시의 구는 도의 시, 군과 동일한 취급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를 제대로 표현한 것은 지방자치법 제정으로서 광역지방자치단체(시, 도) -> 기초지방자치단체(시, 군, 구) -> 인구 50만 이상의 시에 한해 임명직 구청 설치가능 -> 읍, 면, 동이라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2조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①지방자치단체는 대별하여 다음의 2종으로 한다.<개정 1994·12·20> 1. 특별시와 광역시 및 도 2. 시와 군 및 구 ②지방자치단체인 구(이하 "자치구"라 한다)는 특별시와 광역시의 관할구역안의 구에 한하며, 자치구의 자치권의 범위는 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시·군과 다르게 할 수 있다.<개정 1994·12·20> ③제1항의 지방자치단체외에 특정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할 수 있다. ④특별지방자치단체의 설치·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3조 (지방자치단체의 법인격 및 관할) ①지방자치단체는 법인으로 한다. ②특별시와 광역시 및 도(이하 "시·도"라 한다)는 정부의 직할하에 두고, 시는 도의 관할구역안에, 군은 광역시 또는 도의 관할구역안에 두며, 자치구는 특별시와 광역시의 관할구역안에 둔다.<개정 1994·12·20> ③특별시 또는 광역시가 아닌 인구 50만 이상의 시에는 자치구가 아닌 구를 둘 수 있고, 군에는 읍·면을 두며, 시와 구(자치구를 포함한다)에는 동을, 읍·면에는 리를 둔다.<개정 1994·12·20> ④제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된 시에는 도시의 형태를 갖춘 지역에는 동을, 그 밖의 지역에는 읍·면을 두되, 자치구가 아닌 구를 둘 경우에는 당해구에 읍·면·동을 둘 수 있다.<신설 1994·3·16, 1994·12·20>
즉, 3개 체계는 똑같지 아니하며, 법률상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대전광역시는 같은 레벨이 아니며, 오히려 대전광역시 대덕구와 서울특별시 강남구가 같은 레벨이므로 의미가 있다 할 수 있으며 이에, 대전 대덕구는 대전광역시 대덕구로 고쳐야 하며, 고양시 일산서구와 같은 경우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로 고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언급하건데 대전광역시와 강남구는 같은 레벨이 절대로! 아닙니다. 그럼 direct-h 2006년 6월 8일 (목) 20:21 (KST)
- 꼭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요? 인천 남구라고 해도 사람들은 인천광역시 남구라는 걸 잘 알 수 있지요. 그럼 사람들이 부천시 원미구를 인천 남구와 똑같은 lv이라고 알고 있을까요? 너무 많은 분류를 하시려는 것 같습니다만. - Ellif 2006년 6월 10일 (토) 16:12 (KST)
비교를 해 보겠습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서울특별시에서는 바로 아래 구를 쓰고 경기도에서는 시를 한 번 거치고 구를 쓰니까 문제가 생긴 것 같은데요, 꼭 레벨이 필요하다면 주소의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삼아서 레벨을 정하는 방안을 제안합니다. 또는 위 법안에서 제시한 것처럼 특별시,광역시 무리와 도 무리를 따로 다루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Seyoung73 2006년 6월 14일 (수) 05:1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