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웨이 해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드웨이 해전
(제 2차 세계 대전의 일부)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 순양함 미쿠마를 폭격중인 SBD폭격기.
날짜 : 1942년 6월 4일 ~ 1942년 6월 7일
장소 : 미드웨이 섬
결과 : 미국의 승리
교전국
미국 일본
지휘관
체스터 니미츠
프랑크 플레쳐
레이몬드 스프루언스
이소로쿠 야마모토
나구모 추이치
타몬 야마구치
병력
항공모함 3척,
지원함 50척,
233대의 항공모함용 전투기,
127대의 지상 발진 전투기
항공모함 4척,
지원함 150척,
248대의 항공모함용 전투기,
16대의 수상 항공기
피해 상황
항공모함 1척,
구축함 1척,
307명 사망
항공모함 4척,
순양함 1척,
3,57명 사망

미드웨이 해전1942년 6월 5일(미국 시간 6월 4일) 태평양의 전략 요충지인 미드웨이 섬을 공격하려던 일본 항모전단이 미국의 공격에 의해 궤멸되어 태평양 전쟁의 판도를 바꾼 해전으로 흔히 회자되는 해전이다.

[편집] 배경

일본이 산호해 해전에 이어 미드웨이 공략을 결심하게 된 것은 둘리틀 폭격대의 일본 본토 공습 때문이었다. 당시 일본의 군 지휘부는 괴링의 큰 소리 못지 않게 감히 외국군이 일본 본토를 공격하지 못한다는 자신감에 차 있었다. 이 자신감은 근거없는 것은 아니었다. 태풍같은 자연 현상이나 천황에 대한 미신적인 신봉 때문이 아니라, 당시 일본과 전쟁 중이던 교전국들 중에 일본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국가는 없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유일한 두려움이었던 소련은 일본이 건드리지 않는 한 소련도 일본에 대해 적대 자세를 취하지는 않고 있었다(소련은 1945년 8월에 대일전에 참전했다). 동남아시아 근해와 태평양의 제해권은 일본이 쥐고 있었고, 동남아시아와 인도양의 연합군 해군(주로 영국군)은 인도 방어에만 급급한 상황이었으며, 미국도 진주만 공격의 여파에서 회복이 덜 되었을 뿐 아니라, 항공모함도 적었다. 또한 태평양을 가로질러 날라올 수 있는 대형 폭격기도 없었다.

그런 상황에서 둘리틀 공습이 감행된 것으로 이 공습이 일본에 준 충격은 큰 것이었다. 13세기 고려의 공격 이후 한 번도 외국군의 공격을 받은 적이 없었던 일본은 적군의 항공모함이 그렇게 가까운 곳까지 들어와 공격부대를 날려 폭격을 가했다는 사실에 적잖이 당혹했고, 외해의 방어선을 더 멀리 확장해야 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당시 미국의 최전방 기지는 미드웨이 섬에 있었고, 야마모토 제독은 이곳을 지목했다. 미드웨이 섬에는 이미 해병대와 해병항공대가 주둔하고 있었고, 미국은 이곳의 무장을 확충하는 중이었다. 야마모토 제독은 이곳을 점령하여 일본의 최전방기지로 삼아 예상되는 미국의 일본 본토 공격을 저지할 거점으로 삼고자 했던 것이다.

[편집] 일본의 작전 계획

일본은 미드웨이를 공격하기 위해서 알류산 열도를 함께 공격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미국의 시선을 북쪽으로 돌려 주 목표인 미드웨이 섬에는 신경을 못쓰게 하려는 것이었다. 따라서 알류샨 열도에 대한 공격은 미드웨이에 대한 공격보다 앞서 이뤄지게 했다. 또, 이번 공격에서 야마모토는 지난 번 진주만 공격 당시 놓쳤던 미국의 항공모함들을 잡고 싶어했다.

미드웨이 공략은 역시 나구모 주이치 제독의 항모기동부대가 핵심적인 역할을 맡아 주변 해역에 대한 제공권을 장악하고, 미드웨이 섬의 항공 전력을 파괴하면, 이어서 중순양함대가 지상군을 상륙시켜 미드웨이 섬을 점령하도록 계획을 수립했다.

일본 해군 항공모함 가가를 공격하고 귀환한 SBD-3 돈틀레스 급강하 폭격기
실제 크기로
일본 해군 항공모함 가가를 공격하고 귀환한 SBD-3 돈틀레스 급강하 폭격기
이 문서는 제2차 세계 대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