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 유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자기학
전기
자기
정전기학
전하
쿨롱의 법칙
전기장
가우스 법칙
전위
정자기학
전류
앙페르의 법칙
자기장
자기 모멘트
전기역학
로런츠 힘
기전력
전자기 유도
패러데이의 법칙
변위 전류
맥스웰 방정식
전자기장
전자기 복사
전기회로
전기전도
전기저항
정전기용량
인덕턴스
임피던스
공동 공진기
도파관

전자기 유도 (電滋氣誘導)는 자기장이 변하는 곳에 있는 도체에 전위차(전압)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을 처음 수학적으로 설명한 사람은 마이클 패러데이였다. 그는 발생한 전압은 자속밀도(magnetic flux)의 변화율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법칙은 자속밀도가 변화하거나, 도체가 일정하지 않은 자속밀도가 퍼져있는 공간을 움직일 때 적용할 수 있다. 전자기유도는 발전기와 전기모터등의 전기구동기의 바탕에 있는 법칙이다.

패러데이의 전자기유도 법칙은 다음과 같다.

e=N{{d\Phi} \over dt}

여기서 e는 기전력으로 단위는 볼트(V)이고, N은 전선이 감긴 횟수, φ는 자속밀도로 단위는 웨버(weber)이다.

나아가 렌츠의 법칙으로 유도기전력의 방향도 알 수 있다. 즉,

회로에 유도된 기전력은 유도된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이 변화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참고: 맥스웰 방정식

\nabla \times \mathbf{E} = -\frac {\partial \mathbf{B}}{\partial t}

응용

  • 전자모터
  • 전기 발전기
  • 변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