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치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치음(半齒音) 또는 반잇소리(반니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치음조음 위치조음 방법이 비슷하지만 오음(五音) 기준에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다. 한국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 중국 삼십육자모에서는 日母로 표기한 것이다.

[편집] 훈민정음 초성 체계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유성 치조 마찰음[z]이라 여겨진 '' 자모가 불청불탁의 반치음에 분류된다. 은 중국 자모 日母에 대당되고 여러 사실로부터 유성 치조 마찰음[z]이라고 추정된다.

오음  전청   차청   전탁  불청불탁
반치음
(번잇소리)
     
[z]

[편집] 중국 음운학

중국어 중고음(中古音, 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聲音, 두자음)을 표기하는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에서 日母가 차탁의 반치음에 분류되어 있다.

오음 전청 차청 전탁 차탁
반치음(半歯音)      
 [ɳʐ]

당나라중국어에서는 비음의 denasalization(비음의 후반부가 구음화(口音化)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즉 明母는 [mb], 微母는 [ɱv], 泥母는 [nd], 疑母는 [ŋg]로 되었다. 일본어 한자음 중 한음(漢音)은 이 현성를 반영한다. 馬 오음(吳音):/ma/ 한음:/ba/, 微 오음:/mi/ 한음/bi/, 泥 오음:/nai/ 한음:/dei/, 疑 오음; 한음:/gi/, 日 오음:/nichi/ 한음:/jitsu/등).

그 후에 日母는 그대로 비음 음가가 없어지고 유성 마찰음이 되었고 현대 중국어 보통화에서는 /r/(유성 권설 마찰음{{IPA|ʐ]})이다. 그래서 日母는 마찰음이로서 치음 일종에 분류하고 원래 비음이었던 것으로 차탁에 속한다.

한국 한자음 표기에서는 반치음에 대해 ㅿ를 쓰였다. e.g. 日 , 人 , 二 , 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