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
![]() |
기독교의 역사 |
사도 / 교부 |
기독교 신학 |
삼위일체: 구원 · 은총 |
예배 |
미사 |
성서: |
구약성서 |
기독교의 분파: |
가톨릭 정교회 |
기독교 운동: |
에큐메니칼 운동 |
개신교(改新敎, Protestantism)는 1517년 10월 독일의 로마 가톨릭 신부이자 종교개혁자인 마르틴 루터의 독일 종교개혁을 시작으로, 서유럽에서 활발히 일어난 종교개혁으로 등장한 그리스도교 종파이다.국내에서는 흔히 기독교라고 하나, 엄밀히는 기독교의 여러 교파 중 하나이다. 왜냐면 기독교 즉, 그리스도교는 로마 가톨릭, 성공회, 정교회처럼 그리스도를 믿는 종교들을 말하기 때문이다.
종교개혁 이후의 개신교의 뿌리는 대체로 지역에 따른 개혁 운동과 깊은 관련을 갖고 있다. 독일 지역에서는 루터의 영향이 큰 루터교가, 스위스 지역에서는 칼뱅의 영향이 큰 칼빈주의교회인 장로교등이 있다. 이와 함께 급진주의적 종교개혁을 요구했던 재세례 파들도 있다. 그리고, 17-8C가 되면서 더욱 더 분파가 많아진다. 감리교와 퀘이커도 이 시대에 생겨났다.
목차 |
[편집] 개신교의 믿음
- 로마 가톨릭의 교권주의 즉, 종교의 권력화에 반대, 성서의 권위를 강조
- 개인의 내면적인 신앙과 하느님의 은총을 통한 구원을 강조
- 사제의 역할을 부정하는 만인제사장설
- 연옥설,화체설 등의 로마 가톨릭의 교리 비판
[편집] 한국내 개신교의 역사
[편집] 한국 개신교 교회의 출발
- 성공회 : 1890년 영국 성공회의 코르페 주교와 5명의 사제들의 선교활동으로 시작되었으며, 주요 활동지역은 강화도이다. 당시 성공회 선교사들은 의료활동, 고아원 운영등의 사회선교로 하느님의 사랑을 실천했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 성공회참조.
- 장로교 : 미국 장로교의 언더우드에 의해 선교. 언더우드는 연세대학교(당시 연희전문학교) 설립, 의료활동등으로 선교했는데, 그들의 자손들도 한국에서 한남대학교설립등으로 활동했다.
- 감리교 : 미국 감리교의 아펜젤러에 의해 선교.
- 침례교 : 캐나다의 침례교 목사인 맬콤 팬윅에 의해 선교. 맬콤 팬윅은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라는 소명의식을 느낀후 신학교에 진학하여 조선 선교를 준비했다.
- 구세군 : 구세군은 1905년 선교되었다.
[편집] 평양대부흥
평양대부흥은 평양의 그리스도인들과 선교사들이 자신들의 잘못을 공개적으로 뉘우친 사건을 말한다.당시 신자들과 선교사들은 횡령, 교우들에 대한 교만한 태도등의 잘못을 솔직하게 고백하고, 돈을 돌려주려고 노력하는등 진심으로 죄를 뉘우쳤다.
[편집] 일제 시대의 한국 교회
[편집] 신사참배
신사참배는 한국 개신교가 정직한 역사교육으로 청산해야 할 과거사중 하나이다. 1930년대 군국주의가 기승을 부린 일본에서는 일본과 조선의 그리스도교계 학교와 교회에 대해 신사참배를 강요한다. 이때 조선 개신교는 크게 세 가지 반응을 보인다.
- 적극 참여파
- 무관심한 소극파
- 적극 반대파
즉, 주기철처럼 종교적 이유에서 신사참배에 반대한 이, 양주삼처럼 신사참배는 종교가 아니라면서 찬성하는 이등으로 의견이 분리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감옥에 갇힌 교인과 그렇지 않은 교인 모두 고생했다면서, 친일 청산을 한국 개신교가 사실상 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편집] 광복 이후의 혼란
- 진보적 한국 기독교 장로회와 보수적 대한예수교장로회의 분열등의 교회분열
[편집] Explo 1974
- 엑스폴로는 1974년 빌리 그래엄 목사등이 참여한 종교집회를 말한다. 이 집회를 계기로 개신교는 교세확장을 더욱 넒게 하게 되지만, 박정희 정권이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는) 소수의 진보적 그리스도인들을 탄압하는 정권이라는 비판을 모면하기 위해서 개최를 허락했다는 점에서 정치적 성격을 갖고 있다.
[편집] 기독교 전래 100주년
[편집] 교회의 부패 발생
[편집] 반기독교 정서
이러한 상황 가운데서, 2000년대 초부터 일부 반기독교 감정을 가진 그러나, 개신교를 흔히 기독교라 부르는 대한민국 사정상 엄밀히 단어의 정의를 따지면 기독교에 포함되는 천주교도 일부 반기독교 정서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러한 반기독교 정서는 특히 젊은 세대에서 뚜렷이 나타나며, 그 결과 최근 2005년의 종교별 인구 조사에서 유일하게 개신교 만이 신자 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반기독교 정서가 등장한 원인으로는 개신교의 일방적인 종교 강요, 목사들의 비도덕적인 범행, 기독교도들에 의한 사회적 물의 등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개신교인들과 그 교회들에 의해 저질러지는, 과거로 부터 전통적으로 이어저 내려오는 고유문화가 개신교에 의해 부정되고 왜곡 되어지는 것을 막기위해서 인터넷을 중심으로 반기독교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범위를 넓혀서 반기독교시민운동연합과 같이 반기독교 운동을 시민운동으로 전환하는 노력이 있다.
[편집] 종파별 설명
[편집] 루터교
[편집] 장로교
- 이 문서의 본문은 장로교입니다.
장로교는 선거에 의해 선출된 장로가 목사를 보필하는 장로제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그 시작은 장 칼뱅의 스위스에서의 종교개혁시대로 올라간다. 신학적으로는 칼빈주의 또는 개혁주의를 표방한다.
[편집] 감리교
1729년 영국 성공회 사제인 존 웨슬리가 창시한 이 교파는, 각 신도가 엄격하게 규칙을 통해 자기 통제할 것(Methodist)을 규정한다. 영국 성공회가 복음주의라는 새로운 신앙유산을 갖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편집] 퀘이커
퀘이커는 친우회(형제들의 단체[Society of Friends])란 뜻을 가지며, 1650년대에 영국의 조지 폭스가 창설하였다. 국내의 유명한 퀘이커로는 씨알 함석헌 선생이 있다.
[편집] 하나님의 성회 (순복음교회)
[편집] 오순절 성회
[편집] 더 보기
![]() |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