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자립 정신, 자유, 이슬람교와 공화국 | |||||
국가: 이란 이슬람 공화국 국가 | |||||
![]() |
|||||
수도 | 테헤란 북위 35°40′, 동경 44°26′ |
||||
공용어 | 페르시아어 | ||||
정부 형태
종교 지도자
대통령 |
(사실상) 신정 군주제 모하메드 알리 하메네이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
||||
혁명 • 선언 |
왕정으로부터 1979년 2월 11일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1,648,195 km² (18위) 0.7% |
||||
인구 • 2005년 어림 • 1996년 조사 • 인구 밀도 |
68,467,413명 (18위) 60,055,488명 41명/km² (159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2005년 어림값 $5,616억 (19위) $8,065 (74위) |
||||
HDI • 2003년 조사 |
0.736 (99위) |
||||
통화 | 리알 (IRR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UTC+3:30) (UTC+3:30) |
||||
국가 도메인 | .ir | ||||
국제 전화 | +98 |
이란 (페르시아어: ایران)은 서남아시아 지방에 위치한 이슬람 공화국이다. 공식 명칭은 이란 이슬람 공화국(페르시아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좀후리-예 에슬라미-예 이란)이며, 정치 체제는 사실상 신정 군주제이다.
목차 |
[편집] 역사
- 이 문서의 본문은 이란의 역사입니다.
[편집] 현재 상황
팔레비의 독재정권에 반대하여 일어난 시민혁명인 1979년 이슬람 혁명은 이란 국민들에게 새로운 국가발전이라는 기대를 안겨주었지만 경제 발전 계획의 실패, 보수적 이슬람 원리주의에 따른 여성과 청년, 대학생들의 자유에 대한 제재 등으로 인해 새로운 이란 정부에 불만을 가진 국민들이 증가하였다(또한 팔라비 왕조로 되돌아가자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러한 국민들의 불만은 1997년 5월 23일 대통령선거에서 온건개혁파 하타미가 69%의 득표율로 당선됨으로써 표면화되었다. 서구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한 실용주의 온건노선의 하타미는 전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젊은 층과 학생층의 절대적 지지를 바탕으로 낙후되어 있는 이란을 개혁하여 국제사회에서 고립되지 않고 힘있는 국가로 만들기 위한 여러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이란의 독특한 신정 체제하에서 보수적인 최고 지도자인 하메네이가 최고 결정권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개혁실험이 거의 좌절되고 미국의 중동에의 영향력행사와 이란의 핵개발에 대한 압박등을 이유로 하타미의 지지계층이 와해되면서 강경파가 득세하여 결국 초강강파에 속하는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가 2005년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아흐마디네자드는 대 이스라엘강경발언(그는 "이스라엘은 없어져야 한다"는 등의 말을 하였다) 으로 임기초반부터 미국및 서방 세계로부터 과격한 지도자라는 낙인이 찍히면서 외교관계가 급격히 경색되었고 이후에는 핵개발을 둘러싸고 대미강경자세를 굽히지 않으면서 현재는 미국측이 이라크의 전례와 같은 선제공격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시사하는등 강도높은 긴장관계가 계속되고 있다.
[편집] 지리
이란은 일반적으로 해발 1300m이상의 고원지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형적으로 크게 산악지대, 고원지대, 쿠지스탄 지역, 카스피해안 지역 4부분으로 구분된다.
[편집] 산악지대
아제르바이잔에서 시작하여 남동쪽으로 뻗어나가는 자그로스 산맥과 동쪽으로 아프가니스탄 국경쪽으로 나가는 알보르즈 산맥의 움푹들어간 곳으로 V자 모양을 띄고 있다. 남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자그로스 산지는 전통적으로 쿠르드족이 거주해 오는 지역이다.
[편집] 고원지대
위에 언급한 두 산맥 사이의 고원지역으로 부차적인 산줄기가 산재하며 V자형의 폭이 넓어지는 곳에서 황량한 사막이 나타나서 남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까지 계속된다.
[편집] 후제스탄 지역
자그로스 산맥의 남동쪽 끝에 위치하여 평원을 이루어 이라크까지 펼쳐지는데, 이 곳은 페르시아 제국의 수사성이 있었던 지역이며 구약의 아브람이 살았던 갈대아 우르 지역이기도 하다.
[편집] 카스피해안 지역
알보르즈 산맥의 북쪽과 카스피해의 사이에 있는 해안지역으로 해발보다 더 낮은 것이 특징이고 강우량이 많아 메마른 다른 세 지역과 구분되며 이란에서 가장 살기 좋은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편집] 행정 구역
- 이 문서의 본문은 이란의 행정 구역입니다.
수도는 테헤란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테헤란 회담이 일어난 곳이었다.
[편집] 기후
이란의 기후는 국토가 넓어 지역별로 차이가 많이 난다. 카스피해 연안지역은 해양성기후로 1년 내내 비가 내리고 강우량이 년평균 100mm에서 150mm정도가 되며 삼림이 풍성하다.
또한 이 지역은 일년내내 온화하거나 더운 편이다. 자그로스 산맥과 알보로즈 산맥 등지의 산악지대는 겨울철에 폭설로 교통이 마비되는 경우가 많으며 두 산맥 사이의 이란 고원지대는 연평균 강우량이 30mm정도로 강수량이 극히 낮은 편이며 동쪽으로 이어지는 사막지역은 연평균 강우량이 12mm정도이다. 고원지대의 동쪽은 온화한 겨울과 더운 여름이 특징이다.
이 지역에 속하는 이란의 수도 테헤란의 경우, 여름 낮 온도는 섭씨 37도를 웃돌며 습도는 20%정도이고 겨울의 최저 온도는 영하 10도로 내려가는 경우가 드물며 낮 동안은 영상 기온으로 유지된다. 한편, 사막 지역은 열대성 기후여서 여름에 섭씨 50도 이상을 기록한다.
[편집] 정치
- 이 문서의 본문은 이란의 정치입니다.
이 나라는 최고 종교 지도자가 군주 행세를 하고, 대통령은 권력도 없는 사실상 신정 군주제 국가이다. 아야톨라 이맘 교주국이 왕가 노릇을 하고 있으며 총리 제도는 1979년 이후로는 폐지되었다.
[편집] 주민
페르시아인이 다수 거주한다.
[편집] 인구
이란의 인구는 전체 67,540,002명(1997년 7월 통계)이며 다민족으로 이뤄져 있다. 페르시아족이 51%, 아제르바이잔족이 24%, 길란-머잔다런족이 8%, 쿠르드족이 7%, 아랍족이 3%, 루르족이 2%, 발루치족이 2%, 투르크멘족이 2%, 기타 1%(유럽계, 러시아인, 인도인, 유대인, 집시, 한국인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 민족
- 이 문서의 본문은 이란의 민족입니다.
[편집] 경제
[편집] 농업
주로 시금치와 석류가 생산된다. 시금치가 원래 페르시아의 음식이었기 때문이다.
[편집] 공업
현재는 이란은 반미 국가이기 때문에 미국에 석유를 주지 않게 되었다.
[편집] 교육
문맹률은 중간이다.
[편집] 군사
헌법에서는 징병제를 실시한다. 이 나라는 핵무기 의혹 때문에 전 세계의 비난을 받아야 하는 실정에 있다.
[편집] 문화
- 이 문서의 본문은 이란의 문화입니다.
[편집] 바깥 고리
[편집] 이란 정부 기관
- ((페르시아어/영어)) 이란 대통령 공식 홈페이지
[편집] 기타
이란의 행정 구역 | |
---|---|
1.테헤란 2.콤 3.마르카지 4. 카즈빈 5.길란 6.아르다빌 7.잔잔 8.아자르바이잔에샤르키 9. 아자르바이잔에가르비 10.코르데스탄 11.하마단 12. 케르만샤 13.일람 14.로레스탄 15.후제스탄 16.차하르마할에바흐티아리 17.코길루예부예르아마드 18.부셰르 19.파르스 20.호르모즈간 21.시스탄에발루체스탄 22.케르만 23.야즈드 24.이스파한 25.셈난 26.마잔다란 27.골레스탄 28.호라산에쇼말리 29.호라산에라자비 30.호라산에조누비 |
아시아의 나라 | ![]() |
---|---|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
|
속령 | |
마카오5 | 홍콩5 | |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