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인민혁명당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산주의

이론 체계

역사유물론·사회주의
세계 혁명·계획 경제
좌익·노조·아나키·종교


공산주의의 역사
동맹 혁명·세계 운동
국제당: 제1·제2·제3·제4


공산주의의 정파
마르크스·레닌
트로츠키·스탈린
마오쩌둥·주체·티토
좌익·의회·유럽


공산당
소련·중국·쿠바·조선
베트남·라오스·유고 앙골라
인도네시아·이탈리아·독일



공산국가
조선·중국·쿠바
라오스·베트남·앙골라

관련: 반공·신좌파

이 표를 편집하기

라오 인민 혁명 당(라오어: 팍 파라손 파티바트 라오, 프랑스어: Parti révolutionnaire populaire lao 파르티 레볼뤼시온네르 포풀레르 라오)는 라오스공산당이다.

1975년 이후 라오스 내의 권력을 독점하였다. 정책은 폴리트뷰로와 당 중앙에서 내리며, 폴리트뷰로와 당중앙 위원을 선거하는 당대회는 5년마다 열린다. 본래는 서기국에 대한 선거도 이루어졌으나 서기국은 1991년 폐지되었다.

목차

[편집] 라오 인민 혁명 당의 역사

라오 인민 혁명 당1930년호찌민에 의해 세워진 인도차이나 공산당(후에 베트남공산당)을 그 모태로 생성되었다. 인도차이나 공산당은 베트남인들로 이루어졌지만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전역으로 뻗어나가며 1936년 라오파가 형성되었다. 1940년대 중반 라오인 당원을 모집하기 위한 운동이 일어났다.

1951년 2월, 인도차이나 공산당은 제2 차 대회에서 당의 해산과 인도차이나의 3국을 대표하는 3개의 당으로 나누어졌다. 수파누봉 왕자가 이끄는 파테트 라오(Pathet Lao: 라오스의 땅)로 알려진 독립운동이 월남독립동맹회와 연계하여 인도차이나 전쟁을 치루는 동안 인민당은 1955년 3월 22일 제 1차 대회에서 그 성립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나 여전히 비밀 조직으로 남아 있었다. 제1차대회는 3 ~ 400명 정도의 당원을 대표하는 25명의 대표자들이 참석했다. 인민 당원들은 1975년까지 파테트 라오를 통해 활동해왔다.

1956년 파테트 라오의 분파인 라오 애국 전선(Neo Lao Hak Xat 네오 라오 학 사트)이 성립, 수 차례의 연립 내각에 참가하였다. 1960년대 파테트 라오는 미국의 지원을 받는 라오스 정부를 대상으로 내전을 일으켜 북동부 지역을 점령하였다.

1972년 2월의 제 2차 당 대회에서 라오스 인민 당라오스 인민 혁명 당으로 이름을 바구었다.

1975년 봄 파테트 라오의 군대가 전국을 장악, 미국의 지원을 받던 정부를 1975년 5월에 무너뜨리고 라오인민혁명당이 정권을 잡게 되었다. 그리고 1975년 12월에 이르면 도 폐위시켜 인민 공화국을 선언하게 되었다(사실 라오스의 군주는 권력이 약했다고 한다).

제3차당대회는 1982년까지 열리지 않고 있었다가 1986년의 4차, 1991년에 5차 당대회가 열리는 등 4 - 5년마다 당대회가 열리고 있다.

[편집] 라오 인민 혁명 당의 구조

[편집] 라오 인민 혁명 당의 이데올로기

라오인민혁명당은 베트남공산당을 모델로 한 마르크스-레닌주의 당이며, 소비에트 연방소련공산당의 큰 영향을 받았다.

1980년대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를 모델로 한 농지 집단화의 포기, 시장경제의 도입과 국영기업에 대한 통제 감소 등의 개혁을 추진했다.

이 개혁은 1990년대에도 계속 진행되었다. 그러나 라오스인민혁명당은 소비에트의 글라스노스트는 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언론 자유를 약간은 허용하고 있으며, 당의 권위는 계속될 것으로 본다.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