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우석(黃禹錫, 1953년 1월 29일(음력 1952년 12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과학자이다.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태어났다. 1995년에 소 수정란 복제에 성공했고, 2005년 5월에는 사람의 체세포로 배아 줄기세포 배양에 성공하는 등 일련의 성과로 세계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2005년 8월 3일 황우석 교수는 스너피라는 이름을 붙인 아프간하운드 종의 개를 최초 복제했다고 발표하여 다시 한번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 개의 복제는 양이나 소 등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어렵다고 알려져 있는데, 인간과 생리적으로 비슷한 개의 복제가 가능해짐에 따라 줄기세포 연구와 난치병 치료 연구에 한걸음 더 다가가게 되었다.
2005년 12월 PD 수첩의 의혹 제기 이후,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에 관한 논문 조작 사실이 드러났다.
목차 |
[편집] 황우석 사건
황우석 사건은 황우석 교수의 줄기 세포 복제 연구와 관련된 스캔들이다. PD수첩이 최초로 이 문제를 집중 취재하면서부터 시작되었고, PD 수첩이 제기한 의혹은 거의 사실로 드러났다. 황우석 교수는 '인위적 실수'라는 표현으로 2005년 사이언스 논문에서 조작이 있었음은 시인했으나, 맞춤형 줄기세포가 바꿔치기 되었으며 맞춤형 줄기세포의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조사위원회는 사이언스 논문은 2004년과 2005년 모두 조작되었으며, 줄기세포를 만들었다는 증거가 없고, 바꿔치기 의혹도 사실이 아니며, 원천기술이라고 할 만한 기술이 없다고 최종 결론을 내렸다. 현재 대한민국 검찰의 수사가 진행중이다. 2006년 6월 1일 서울대학교는 검찰수사 결과 연구비 유용 혐의가 드러난 이병천(李丙天)·강성근(姜成根) 수의대 교수 2명을 직위해제하였고 이에 따라 황우석 교수팀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 사건은 황우석 교수의 말을 믿고 줄기세포 복제의 원천 기술이 확보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황우석 교수를 과학적 부정행위의 주범으로 생각하며 줄기세포 복제 기술을 부정하는 사람들 사이의 커다란 대립을 불러 일으키는 등 2005년 12월부터 대한민국에서 커다란 논란이 되었다. 이는 단순히 논문 조작 여부와 관련된 스캔들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정부·언론계·학계·정치계등의 치부를 드러내었다 할 수 있다. 국제적으로 이 사건은 그 전부터 있어 왔던 연구 성과 조작 사건의 하나 정도로만 취급되고 있다.
[편집] 약력 및 연구성과
[편집] 주요약력
- 1977년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졸업
- 1979년 서울대학교 임상수의학 석사
- 1982년 서울대학교 임상수의학 박사
- 1984년 일본 홋카이도대학교 객원연구원
- 1986년 서울대학교 전임강사
- 1987년 서울대학교 조교수
- 1993년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부교수 수의학과
- 1997년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교수
- 1997년 서울대학교 부속동물병원 원장 수의학과
- 1999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부학장
- 2004년 서울대학교 석좌교수
- 2005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학장 선출
[편집] 주요 연구성과
- 1993년 대한민국 최초 체외수정란 시험관 송아지 생산.
- 1995년 대한민국 최초 할구 핵이식 송아지 생산.
- 1999년 2월 국내 최초 체세포 복제 젖소 영롱이 생산.
- 1999년 4월 체세포 복제 한우 진이 생산.
- 2002년 대한민국 최초 GFP 형질전환 복제돼지 생산.
- 2003년 대한민국 최초 hDAF 형질전환 복제돼지 생산.
- 2004년 세계 최초 체세포 복제유래 인간 배아줄기세포 확립(2006년 1월 12일 사이언스가 직권 취소함.).
- "Evidence of A Pluripotent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 Derived From a Cloned Blastocyst," Science, 2004
- 2005년 세계 최초 환자 맞춤형 배아줄기세포 확립(2006년 1월 12일 사이언스가 직권 취소함.).
- "Patient-specific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SCNT blastocysts," Science, 2005
- 2005년 8월 세계 최초 아프간하운드종 복제 개 스너피 생산.
[편집] 수상경력
- 1995년 대한수의학회 미원수의과학상
- 1997년 과총 우수과학기술논문상
- 1999년 과학기술부 이달의 과학자상
- 2000년 홍조근정훈장
- 2000년 국회과학기술상
- 2000년 국회과학기술연구회 올해의 과학기술상
- 2001년 세종문화상 대통령상 수상
- 2002년 동아일보-한국과학문화재단 주최 제 1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 2002년 제51회 서울시문화상 생명과학부문
- 2004년 한국을 빛낸 사람들 선정
- 2004년 과학기술부-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 2004년 과학기술인최고훈장 창조장
- 2004년 제22회 정진기언론문화상 과학기술연구부문
- 2004년 동아일보 선정 '2004 올해의 인물'
- 2005년 잡지「에스콰이어」선정 '한국을 빛낸 10명의 남성'
- 2005년 제16회 상허대상
- 2005년 미국 유전학정책연구소 국제공로상
- 2005년 미국 유전학정책연구소 글로벌업적상
- 2005년 과학기술부 선정 제 1회 최고과학자
- 2005년 한국 이미지 디딤돌상
- 2005년 제19회 인촌상 자연과학부문
[편집] 대표경력
- 2005년 국가이미지 홍보대사
[편집] 2004년 사이언스 논문의 정보
황우석 교수의 2004년 사이언스 논문의 제목은 'Evidence of a Pluripotent Human Embryoic Stem Cell Line Derived from a Cloned Blastocyst' (복제된 배반포로부터 만든 인간 줄기 세포의 증거)이다. 15명의 공동저자는 다음과 같다. 이 논문은 사이언스 의 표지를 장식했다. [1]
- 황우석: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류영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박종혁: 미즈메디 병원
- 박을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이유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구자민: 가천의과대학교
- 전현용: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이병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강성근: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선종: 미즈메디 병원
- 안규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황정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박기영: 순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Jose B. Cibelli: 미시간 주립 대학교
- 문신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집] 2005년 사이언스 논문의 정보
황우석 교수의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에 관한 2005년 사이언스 논문의 제목은 'Patient-specific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SCNT blastocysts'(인간 체세포핵치환 배반포로부터 만든 환자 맞춤형 줄기 세포)이다. 25인의 공동 저자는 다음과 같다. 이 논문은 사이언스 의 표지를 장식했다. [2]
- 황우석: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노성일: 미즈메디 병원
- 이병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강성근: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권대기: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수: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선종: 미즈메디 병원
- 박선우: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권희선: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이창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이정복: 미즈메디 병원
- 김진미: 미즈메디 병원
- 안규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백선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장상식: 한나 산부인과
- 구정진: 한나 산부인과
- 윤현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황정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황윤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박예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오선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김희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박종혁: 피츠버그 대학교 의과대학
- 문신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제럴드 섀튼: 피츠버그 대학교 의과대학
[편집] 참조
[편집] 바깥 고리
- 서울대학교 황우석 연락처
- 황우석 교수 후원회
- 아이러브 황우석 - 다음 카페
- 세계줄기세포허브
- 2005년 6월 관훈토론회 내용 (정전사고에 대한 언급 있음, PDF파일첨부)
- 서울대학교 조사위원회 최종결과보고
- 황우석 교수 연구의혹 관련 조사 결과 보고서
- 네이버 '황우석 논문 조작' 파문
분류: 1952년 태어남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 거짓 장난 | 황우석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