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uzzletChung/tmp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 쪽지가 있습니다.

목차

[편집] 한국의 문화

[편집] 굿

작두타기는 무당이 작두날 위에 올라가서 하는 굿이다. 신이 내린 무당이 신의 위력을 증명하고 잡귀에게 겁을 줘 쫓아내기 위한 것이다.

그것이 알고싶다 제작진이 작두타기를 취재하면서 작두를 전자저울로 재는 실험을 했지만, 굿을 시작하자 저울이 고장났다.

[편집] 한국어 위키의 목록 (문서 개수 순)

772 - 735 - 715 - 704 - 689 - 685 - 676 - 663 - 642 - 636 - 623 - 587 - 556 - 550 - 536 - 534 - 533 - 515 -

[편집] 음악

《Take Five》의 도입부.
실제 크기로
《Take Five》의 도입부.
1. 2.박자표. 3.세로줄. 4.음자리표. 5.조표. 6.셈여림표. 7.사분음표. 8.이음줄. 9.이분음표. 10.스타카토. 11.사분쉼표. 12.디크레센도.
실제 크기로
1. 2.박자표. 3.세로줄. 4.음자리표. 5.조표. 6.셈여림표. 7.사분음표. 8.이음줄. 9.이분음표. 10.스타카토. 11.사분쉼표. 12.디크레센도.


[편집]

'바꾸어'의 준말은 '바꿔'로 쓸 수 있으나, '바뀌어'의 준말은 없다 하여 새 홀소리 기호인 'ㅜㅕ'를 제안하는 학자도 있다. [1]

지석영인가 누군가가 '으유~'로 표기되는 감탄사의 끝음절인 (이+으)의 음가를 '='로 표기하자고 한 적도 있지 않나요? 저 역시 'ㅛㅣ'와 'ㅠㅣ'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는데... --Iceager 2005년 11월 27일 (일) 14:15 (KST)
하고 말씀이신가요? --Puzzlet Chung 2005년 11월 27일 (일) 14:18 (KST)
네. 지석영이 〈신정국문〉에서 ㅣ와 ㅡ의 합자인 '='를 도입하자고 주장하긴 했는데 이제 생각해보니 의 음가를 말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지석영이 생각했던 '='자는 무엇을 위한 것이었는지 잘 모르겠네요. --Iceager 2005년 11월 27일 (일) 14:47 (KST)

[편집] 한글 우월주의

세종대왕 문해상은 유네스코에서 자발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세종대왕 문해상의 상금과 같은 비용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대고 있다.[2][3]

[편집] 주요 인물의 일본식 이름

  • 김대중 - 도요다 다이쥬(豊田大中)
  • 박정희 - 타카키 마사오(高木正雄), 오카모토 미노루(岡本實)

[편집] 대한민국의 문화

[편집] 꼴뚜기

Loliginidae를 해양수산청에서는 꼴뚜기과라고 하고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오징어과라고 한다.

꼴뚜기의 범위는? 꼴뚜기의 학명은? 꼴뚜기의 다리 개수는? -_-

[10]

꼴뚜기질

[편집] 김치 파동

[편집] 맹금류

  • 매목(Falconiformes)
    • 매과(Falconidae)
      • 카라카라매아과(Polyborinae)[11]
      • 매속(Falco)
    • 뱀잡이수리과(Sagittaridae)[16]
    • 수리과(Accipitridae)
      • 독수리
      • Aegypiinae
      • 개구리매아과(Circinae)[17]
      • 솔개아과(Milvinae)·흰꼬리솔개아과(Elaninae)·벌매아과(Perninae)[18]
      • 뱀독수리아과(Circaetinae)[19]
      • 수리매아과(Accipitrinae)
        • 새매속(Accipiter)[20]
      • Buteoninae
    • 물수리과(Pandionidae)[24]
  • 매목이었으나 지금은 황새목
  • 유럽에서는 Accipitriformes(수리목?) 따로 분류 - 매속과 카라카라아과가 빼고 나머지.
  • 올빼미목이 매목과 같이 분류되는지도 모름

[편집] 일본어체

[편집] 기타

외글자로 된 순 한글말 218자

  • 감 갓 개 걸 겉 결 겹 골 국 굴 근 글 길 김 깨 꼴 꽃 꽝 꿀 꿈 꿩 끼 나 날 남 낫 낮 낯 너 넋
  • 널 넷 녹 논 놈 놉 놋 눈 뉘 님 다 달 닭 담 닻 대 더 덤 덧 덫 도 돈 돌 돛 되 둑 둘 들 딸 땅
  • 똥 마 맏 말 맛 매 멋 멍 멱 몇 모 목 몸 못 뫼 묘 묵 물 뭇 뭍 밀 박 밖 발 밤 밥 밭 배 밸 뱀
  • 벌 범 벗 벚 베 벼 별 볼 봄 북 불 붓 비 빗 빚 빛 빵 뻘 뼈 뽕 삯 살 삵 삶 삼 삽 새 샘 설 섬
  • 섶 셋 소 속 손 솔 솜 솥 쇠 수 술 숨 숯 쉰 실 싹 쌀 쌈 쑥 씨 씹 악 안 알 암 애 얼 열 온 올
  • 옴 옷 옻 욕 움 윷 이 일 입 잎 자 잘 잠 잣 장 재 저 절 점 접 젖 조 좀 좆 죽 줄 줌 중 쥐 짐
  • 집 짓 징 짚 찜 참 철 첫 초 춤 칡 침 칼 코 콩 쾅 털 파 팔 팥 펑 퐁 풀 품 피 한 해 헉 헌 헛
  • 혀 혹 홉 활 흙 흠 흥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