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도널드 크누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카누스? 크누스?

지엽적인 내용입니다만, 이름을 카누스라고 읽는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이런 글을 읽어보면 그냥 '크누스'가 맞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 crypto 2006년 5월 14일 (일) 20:51 (KST)

[1] 이후 ‘카누스’로 바뀐 게 그대로 굳어진 모양입니다. Knuth의 발음은 [knuːθ]로, k와 n 사이에 홀소리가 없습니다. 하지만 닿소리 사이에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홀소리가 들어가는(en:epenthesis) 경우가 왕왕 있는데, 영어에서는 보통 보통 중설 중모음[ə]이 들어갑니다. 이것 때문에 FAQ에서 Knuth의 발음을 ‘Ka-NOOTH’라고 표기한 것이지만, 엄밀히 말해서는 그릇된 표기입니다.
한국의 외래어 표기에서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음이 삽입될 필요가 있을 때 ‘ㅡ’를 씁니다. 이것은 한국어의 고유한 음운 변화 때문이기도 하지만 외래어를 일반적으로 받아들이는 관습 때문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Hackman[ˈhækmən]’을 ‘해커먼’이나 ‘해카먼’으로 표기하지 않고 ‘해크먼’ 또는 (잘못된 것이지만) ‘해크만’으로 쓰는 것입니다.
도널드 크누스로 옮기겠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5월 14일 (일) 22:11 (KST)
한빛 출판사의 임성춘 팀장을 거쳐서 Addison-Wesley의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담당자로부터 전해들은 바로는, FAQ에 나온 KaNOOTH의 a가 실제로("does indeed") 음가가 있다고 합니다.
물론 그 음가가 PuzzletChung님이 언급하신 중설 중모음을 뜻할 가능성은 있습니다만... 그 담당자가 Knuth와 비교적 가까와 보이고(발음에 대한 답변이 Knuth로부터 직접 온 것은 아니지만, 다른 한 질문은 Knuth의 답을 그대로 옮겨주었고, 게다가 그 답이 질문한지 하루 남짓 해서 온 것으로 보아서요) 또한 "does indeed"라는 표현을 썼다는 점에서, a를 그냥 무시하기도 좀 그럴 것 같아요. 저는 일단 "커누스"를 제안합니다.--류광 2006년 7월 24일 (월) 21:18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