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en:Civil law (legal system)에서 한국어로 번역 중입니다. 원문은 글 안에 주석 처리되어 있습니다. 같이 번역해 주세요.
민법의 다른 의미는 민법 (보통법)을 참조.

민법(民法)은 사인과 사법인 등 사적 법률주체 사이의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사법(私法)의 일반법이다. 독일 등 대륙법계 국가의 경우에는 성문법으로 되어 있으나, 영국이나 미국 등 영미법계의 경우는 불문법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구성은 판덱텐(Pandekten) 방식이나 인스티투치오네스(Institutiones) 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대체로 물권법, 채권법, 친족법, 상속법 등과 이에 대한 총칙 등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집] 읽어보기

위키자료집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민법

[편집] 바깥 고리

법률(Law)
세계의 법률 시스템
(Legal systems)
보통법 | 대륙법 | 관습법 | 종교법 | 사회주의 법 | 국제법 | 로마법 | 시민법 | 만민법

법원 (근거)
(Sources of law)
성문법 (Legislation | 민법전 | Statutory interpretation)
불문법 (관습법 | 판례법 | 형평)

판결
(Adjudication)
공법 (형법 | 대륙법 | 행정법)
사법 (민법 (보통법) | 채권법 | 계약 | 불법행위 | 유언 | 부동산)
법원 (Adversarial system | Inquisitorial system | 증거법 | 사법부 | 변호사)

법학
(Jurisprudence)
법철학 | 자연법 | 환경법학 | 법제사 | 법사상사 | 법사회학 | 비교법학 | 헌법학 | 행정법학 | 형사법학 | 민사법학 | 상사법학 | 노동법학 | 경제법학 | 사회보장법학 | 국제인권법학
법률 영역의 목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