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는 1910년 한일합방에서부터 1945년 광복까지 한국에 대한 식민 통치 기관이다.

1910년 설치되었으며 초대 조선 총독으로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취임하였다.

조선총독부는 1945년 광복을 맞자 남한지역을 미군정에게 인계할때까지 통치한 후 헤체되었으며, 1995년 8월 15일에 이 건물의 첨탑이 철거되었다.

목차

[편집] 조선 통감

을사 조약 이후 일본은 조선에 통감을 파견하여 내정에 간섭하였다.

하세가와 요시미치 (일본어長谷川好道 1905년. 임시 통감)
  1. 이토 히로부미 ( 일본어伊藤博文 1905년-1909년)
  2. 소네 아라스케 (일본어曽禰荒助 1909년)
  3. 데라우치 마사타케 (일본어寺内正毅 1909년 - 1910년)

[편집] 조선 총독

조선 총독은 일본 육·해군 대장 중에서 임명되었으며, 행정권·사법권·군사권 등의 모든 권한을 가졌다.

  1. 데라우치 마사타케 (1910년 ~ 1916년)
  2. 하세가와 요시미치 (1916년 ~ 1919년)
  3. 사이토 마코토 (1919년 ~ 1927년)
  4. 우가키 가즈시게 (1927년, 임시대리)
  5. 야마나시 한조 (1927년 ~ 1929년)
  6. 사이토 마코토 (1929년 ~ 1931년)
  7. 우가키 가즈시게 (1931년 ~ 1936년)
  8. 미나미 지로 (1936년 ~ 1942년)
  9. 고이소 구니아키 (1942년 ~ 1944년)
  10. 아베 노부유키 (1944년 ~ 1945년)

[편집] 조선총독부의 조직

  • 총독관방(総督官房)
  • 총무부(総務部) - 인사국(人事局)、외사국(外事局)、회계국(会計局)
  • 내무부(内務部) - 지방국(地方局)、학무국(学務局)
  • 탁지부(度支部) - 사세국(司税局)、사계국(司計局)
  • 농상공부(農商工部) - 식산국(殖産局)、상공국(商工局)
  • 사법부(司法部)
  • 중추원(中樞院)

[편집] 관련사항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