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화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염기:
산·염기 반응 이론
산화·환원
전기화학
중화 반응
이온화 상수(Kd)
수소 이온 농도 (pH)
산·염기 지시약
완충 용액
:
염기:

일반적으로 (酸)은 에 녹았을 때에 pH가 7보다 낮은 물질을 말한다. 화학적으로는, 물에 녹았을 때 수소 이온 H+을 내놓는 물질을 말한다.

[편집] 화학적 성질

산 AH가 물에 녹으면서 반응하여 다음과 같이 이온화한다.

\mbox{AH} +\mbox{H}_2\mbox{O} \leftrightarrow \mbox{A}^- + \mbox{H}_3\mbox{O}^+

이때 산 해리상수는 이 반응의 평형 상태에서 정의된다.

K_a = {[A^-]\cdot[\mbox{H}_3\mbox{O}^+] \over [AH]}

강한 산일수록 큰 Ka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염산(HCl)의 Ka 값은 107이다. 반대로 약산일 경우에는 작은 값을 가진다. 아세트산의 Ka 값은 1.8 x 10-5이다.

[편집]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정의

아레니우스가 산을 물에 녹아 수소이온을 내놓는 물질이라고 정의한 것과는 달리,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정의에 의하면 산은 수소이온을 줄 수 있는 물질이라고 정의하였다.

[편집] 루이스의 정의

루이스는 산을 고립 전자쌍을 받는 화학종이라고 정의하였다.(수소이온은 전자쌍 받개로 작용한다.) 이 정의는 수소이온이 들어있지 않은 다른 반응에서도 쓰일 수 있다.

이 문서는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