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이 문서는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 중입니다. 원문은 글 안에 주석 처리되어 있습니다. 같이 번역해 주세요. |
[편집] 1600 – 1699
- 1600년 에우리디체 (Euridice) - Jacopo Peri (피렌체); 현존하는 최고(古)의 오페라.
- 1625년 La liberazione di Ruggiero - Francesca Caccini (피렌체); 여성 가수가 부르는 최초의 오페라
- 1627년 다프네(Dafne) - Heinrich Schütz (Torgau); 최초의 독일 오페라. 악보가 사라짐
- 1632년 성 알레씨오(Sant'Alessio) 스테파노 란디 (로마);
신화적인 주제가 아니라 역사를 주제로 삼은 첫번째 오페라로 많은 방법으로 새롭게 극적이고 음악적인 배경을 가져왔다.
- 1640년 율리시스의 귀환(Il ritorno d'Ulisse in patria) 몬테베르디 (빈); 몬테베르디의 두번째 현존하는 오페라로 신화 속 오디세우스 이야기에 기초한다.
- 1642년 포페아의 대관식(L'incoronazione di Poppea) 몬테베르디 (빈); 자주 몬테베르디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 1683년 비너스와 아도니스(Venus and Adonis) 존 블로 (런던 혹은 원저); arguably the first English-language opera. 거의 틀림없는 첫번째 영어 오페라
- 1686년 아르미데(Armide) (파리); 그가 창조한 장르인 tragédie en musique 형식을 가지는 륄리의 걸작이다.
- 1689년 디도와 에네아스(Dido and Aeneas) 헨리 퍼셀 (런던); 헨리 퍼셀의 걸작으로, 거의 초창기의 영어 오페라이나 지금도 정기적으로 공연된다.
[편집] 1700 – 1799
- 1711년 리날도(Rinaldo) (파리); 헨델의 영국 공연을 위해서 작곡된 첫번재 오페라로 십자군 전쟁 시기를 담고 있으며, Lascia ch'io pianga라는 아리아가 유명하다.
- 1724년 쥴리오 체사레(Giulio Cesare) (런던); 헨델의 케이사르를 주제로 다룬 오페라 세리아로 1920년대에 재발견되고, 북미와 유럽에서 현재 200회가 넘게 공연될 정도로 헨델의 이탈리아어 오페라 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작품이 되었다.
- 1733년 히포리투스와 아리치아(Hippolyte et Aricie) (파리); 18세기의 프랑스의 주도적인 작곡가인 장-필립 라모의 첫번째 작품이자 가장 논란외 되는 오페라이다.
- 1735년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Les Indes galantes) (파리); 라모의 세계 각지를 주제로 삼은 최초의 오페라-발레 작품이다.
- 1738년 세레세(Serse) (런던); 헨델이 오라토리오 작곡을 중단하기 전의 마지막 오페라로, 그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아리아인 Ombra mai fu를 담고 있다. 헨델 이전에 [[프란체스코 카발리]는 1654년 같은 대본으로 동명의 오페라를 작곡하였다.
- 1762년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Orfeo ed Euridice) (빈판; 1774년에 확장된 개정판인 파리판, 글룩의 오페라 개혁의 첫작품이다.
revised and enlarged French version, 1774, 파리); the first of Christoph Willibald Gluck's reform operas. 간결하고 감동적인 이 작품은 중요 오페라 레파토리가 되었다.
- 1767년 알체스테(Alceste) (빈); 굴룩의 후작품으로 오늘날 1776년 개정된 판이 더 유명하다. 서곡은 그의 오페라 개격을 위한 그의 작업에서 착수되었다.
- 1779년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Iphigénie en Tauride) (파리); 글룩의 개혁의 궁극점에 도달한 작품.
- 1781년 이도메네오(Idomeneo) (뮌헨); 모차르트'의 첫번째 작품으로 트로이 전쟁직후의 시기 동안 크레테를 무대로 한다. 이 작품은 관현악적인 색채와 풍부한 음색으로 작곡가의 숙달됨을 보여준다.
- 1782년 후궁으로부터의 유괴(Die Entführung aus dem Serail) (빈); 모차르트의 희극 독일어 오페라=(징슈펠)로 터키식 음악과 개성적인 주인공들과 기념할 만한 아리아, 계몽시대 가치의 초석을 표현함으로서 대중으로 부터 사랑받은 오페라가 되었다.
- 1786년피가로의 결혼(The Marriage of Figaro) (빈): 모차르트의 이탈리아어 오페라로 오페라 부파양식을 따른다. 이는 동명의 인기있는 프랑스 코메디 작품인 Pierre Beaumarchais에 기초를 두고, 프랑스 혁명 바로 이전에 귀족 사회를 풍자하고 있다.
- 1787년 돈 조반니(Don Giovanni) (프라하): 모차르트의 이탈리아어 오페라로 드라마 죠코소양식으로 Lorenzo da Ponte가 대본을 작성하였다. 이 오페라는 에스파냐의 유명한 바람둥이인 돈 후앙의 전설을 담고 있으며, 모든 오페라 중에서 가장 인기있고 빈번하게 상연되는 작품 중 하나가 되었다.
- 1790년 코지 판 투테(Così fan tutte) (빈): 모차르트에 의한 드라마 죠코소 로 Lorenzo da Ponte의 약혼자 바꾸기 소동에 관한 냉소적인 이탈리아어 오페라 대본을 줄거리로 삼았다.
- 1791년 티토 황제의 자비(La clemenza di Tito) (프라하): 모차르트의 우아하고 마지막 오페라 세리아이다.
- 1791년 마술피리(The Magic Flute) (빈): 모차르트의독일어 오페라(=징슈필) 모차르트가 죽기 거의 3개월전에 초연되었고, 프리 메이슨에 영향을 받은 어른을 위한 동화같은 이야기는 작곡가의 가장 오래동안 사랑받는 작품 중의 하나가 되었다. 또한 독일어 오페라의 발전 과정에서 중간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편집] 1800 – 1849
- 1805년 피델리오(Fidelio) 베토벤 (빈): 베토벤의 유일한 오페라로 그 당시 유럽을 휩쓸던 정치적 자유를 위한 투쟁을 향해 작곡가 열정적인 감정을 반영하였다.
- 1816년 세빌리아의 이발사(The Barber of Seville) 로시니 (로마): 이 희극적인 오페라는 Beaumarchais 3부작 중 하나에 기반하고 있으며 피가로의 결혼에 앞선 이야기이다.
- 1817년 신데렐라(La Cenerentola) 로시니 (로마)
- 1824년 마탄의 사수(Der Freischütz) 베버 (베를린) 독일 낭만주의 오페라 역사상 기념비적인 작품이며 젊은 포수꾼과 그와 거래하는 악마에 관한 초자연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늑대가 등장하는 장면이 오페라 내에서 가장 유명하다.
- 1829년 윌리엄 텔(Guillaume Tell) (파리): 로시니'의 마지막 오페라이자 그랜드 오페라이다. 테너의 역활인 아놀드 역의 난점과 함께 작품의 길이때문에 상연이 빈번하지 못하지만, 꾸준한 오페라 공연 레파토리로 남아있다. 윌리엄 텔의 서곡과 3 캐논의 남자들이 불러모으는 소리는 이 오페라 안에서 가장 유명하다.
- 1832년 사랑의 묘약(L'elisir d'amore) 도니제티 (밀라노)
- 1835년 람메르무어의 루치아(Lucia di Lammermoor) 도니제티 (나폴리): 가수를 위한 오페라로 1950년까지는 상연되지 못했지만, 마리아 칼라스와 조안 서덜랜드의 해석으로 관객들의 호흥을 얻게 되었다.
[편집] 1850 – 1899
- 1850년 로엔그린(Lohengrin) - 리하르트 바그너, 바이마르; 바그너의 대표 오페라 중 하나로, 로엔그린은 그의 작품 중 악극으로 가는 초기적 움직임을 드러낸다.
- 1851년 리골레토(Rigoletto) - 주세페 베르디, 베니치아; 검열의 문제로 이 오페라의 초연이 거의 불가능할 뻔 했다. 검열에 맞게끔 대본이 다시 재수정되어야 했다. 이 작품에선 "La donna è mobile"와 사중창 등 베르디의 가장 유명한 작품의 일부를 포함한다.
- 1853년 일 트로바토레(Il trovatore) - 주세페 베르디, 로마; 이 오페라에서 가장 유명한 "Anvil Chorus"는 집시의 노래로 쇠망치를 두들기는 소리가 동반된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아 오페라에 필요한 모든 것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오페라 가수 네명이다"라고 말했다.
- 1853년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 - 주세페 베르디, 베니치아
- 1859년 가면 무도회(Un ballo in maschera) - 주세페 베르디, 로마
- 1859년 파우스트 (Faust) - 샤를 구노, 파리
- 1862년 운명의 힘(La forza del destino) - 주세페 베르디, 생 페테르부르크
- 1879년 에브게니 오네긴 (Eugene Onegin) - 차이콥스키, 모스크바
- 1881년 호프만의 이야기(Les contes d'Hoffmann) - 자크 오펜바흐, 파리: 오펜베흐는 거의 100개의 오페라타를 작곡했다. 그러나 이 마지막 작품만이 그랜드 오페라이다. 이 사후에 명성을 얻은 오페라는 3가지 화려한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얼마나 악마가 호프만이 진실된 사랑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망쳤는지를 유머스럽게 그린다.
- 1881년 시몬 보카네그라(Simon Boccanegra) - 주세페 베르디, 개정판, 밀라노
- 1882년 파르지팔(Parsifal) - 리하르트 바그너, 바이로이트 ; 바그너의 마지막 종합예술은 오페라 뿐만 아니라, 무대를 위한 종합 축전극의 봉헌을 위해 작곡되었다. 그와 그의 자녀들은 1903년까지 바이로이트에서 이 곡이 무대에 올려지기까지 다른 곳에서 공연되는 것을 금지했다.
- 1884년 마농(Manon) - 쥘 마스네, 파리
- 1887년 오텔로 (Otello) - 주세페 베르디, 밀라노: 셰익스피어의 비극으로 한 무어인의 질투와 배신을 담은 유명한 이야기를 극적인 음악적 구성을 담고 있다. 이아고의 'Credo'와 많은 다른 음산하고도 감동적인 장면을 오페라의 극적인 효과를 위해서 더해졌다.
[편집] 1900 – 1944
- 1902년 펠레아스와 멜리장드(Pelléas et Mélisande) 클로드 드뷔시 (파리)
- 1902년 Adriana Lecouvreur 프란체스코 칠레아 (밀라노)
- 1904년 나비부인(Madame Butterfly) - 쟈코모 푸치니, 밀라노: 라보엠, 토스카와 더불어 푸치니의 가장 인기가 있는 오페라 중 하나이다. 미국인 해군 대령인 핑커논과 결혼한 일본 게이샤, 초초상의 비극을 담고 있다. 남편이 다시 미국으로 돌아간 후, 초초상의 남편을 향한 굳건한 믿음에도 불구하고, 핑커튼은 새로 결혼한 미국인 아내와 함께 일본으로 돌아와 아이를 데려가려고 하자, 초초상은 결국 자살하게 된다.
- 1905년 살로메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드레스덴: 오스카 와일드의 악명높은 연극의 오페라 버전으로 잔악 무도하고, 감각적이며 퇴페적으로 아름답고 충격적인 결말로 최고조에 다달으게 된다.
- 1910년 서부의 아가씨(La fanciulla del West) 쟈코모 푸치니, 뉴욕: David Belasco]] 작품인 "황금 서부의 아가씨"의 [[푸치니의 카우보이 오페라 판이다. 이 오페라는 빽빽하게 음악적으로 종합되어 다른 초기의 작품들 보다는 웅장한 볼거리가 없지만, 그러나 이 작품은 공연장안에서 푸치니의 최고의 작품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 1911년 장미의 기사(Der Rosenkavalier)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드레스덴: 엘렉트라 이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과 휴고 폰 호프만스탈은 모더니스트 심리 드라마에서 모짜르트와 몰리에르에게 영향받은 코메디로 방향을 바꾸었다. 그 결과 20세기를 통틀어 견줄만한 라이벌이 없었다.
- 1912년 낙소스의 아리아드네(Ariadne auf Naxos)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슈트트가르트; 프롤로그가 첨부된 개정판, 1916, 빈
- 1918년 푸른 수염의 성(Bluebeard's Castle) - 벨라 바르토크, 부다페스트
[편집] 1945년 이후
[편집]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