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합 법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에서 결합 법칙(結合 法則)은 이항 연산이 만족하거나 만족하지 않는 성질이다. 한 식에서 연산이 두번 이상 연속될 때, 앞쪽의 연산을 먼저 계산한 값과 뒤쪽의 연산을 먼저 계산한 결과가 항상 같을 경우 그 연산은 결합 법칙을 만족한다고 한다.

실수덧셈곱셈은 결합 법칙을 만족한다. 예를 들어 다음 식은 참이다.

(2 + 3) + 5 = 2 + (3 + 5)

결합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가장 쉬운 예는 실수뺄셈일 것이다. 다음 식에서,

(8 - 7) - 3 ≠ 8 - (7 - 3)

좌변과 우변의 결과값은 각각 -2와 4로 서로 다르다. 따라서 실수는 뺄셈에 대하여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편집] 정의

집합 S에 대해 정의된 이항 연산 *\!\!\!이 결합 법칙을 만족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x*y)*z = x*(y*z)\qquad\forall x,y,z \in S

이 때 좌변과 우변의 값은 연산을 수행하는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법칙은 *\!\!\! 연산이 세 번 이상 나타날 때에도 확장해서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 결합 법칙을 만족하면 연산 순서를 따로 지정하지 않아도 모호함 없이 수식의 값이 결정된다. 따라서 보통 위의 수식을 괄호 없이 다음과 같이 쓴다.

x*y*z\,

[편집] 예시

  • 실수복소수, 사원수덧셈곱셈은 결합 법칙이 성립한다. 팔원수의 덧셈도 결합 법칙이 성립하지만 곱셈은 성립하지 않는다.
  • 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 함수는 결합 법칙을 만족한다. 즉,
    \left.    \begin{matrix}     \operatorname{gcd}(\operatorname{gcd}(x,y),z)=     \operatorname{gcd}(x,\operatorname{gcd}(y,z))=     \operatorname{gcd}(x,y,z)\ \quad    \\     \operatorname{lcm}(\operatorname{lcm}(x,y),z)=     \operatorname{lcm}(x,\operatorname{lcm}(y,z))=     \operatorname{lcm}(x,y,z)\quad    \end{matrix}   \right\}\forall x,y,z\in\mathbb{Z}.
  • 행렬 곱셈은 결합 법칙을 만족한다. 또한 선형 변환이 행렬의 곱셈으로 표현되므로 선형 변환 역시 결합 법칙을 만족한다.
  • 집합교집합합집합 연산은 각각 결합 법칙이 성립한다.
  • 각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이 올바르게 정의된 함수 합성도 결합 법칙을 만족한다. 즉 h: M \to N, \ g: N \to P, \ f: P \to Q인 세 함수가 있을 때,
    (f \circ g) \circ h = f \circ (g \circ h) = f \circ g \circ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