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시키르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시키르어
Bašqort tele / Башҡорт теле
쓰는 나라들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언어 인구 104만 7000여명
언어의 계통 알타이어족(논란 있음)
 투르크어족
  북투르크어파
   바시키르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바시키르 공화국
언어 부호
ISO 639-1 ba
ISO 639-2: bak
ISO/DIS 639-3: bak

바시키르어(Башҡорт теле / Bašqort tele 바슈코르트 텔레)는 투르크어족에 속한 언어이다. 러시아바시키르 공화국공용어이다.

목차

[편집] 사용자

1989년 인구 조사에서 소비에트 연방의 바시키르어 사용자는 1,047,000명이었다. 이중 26,737명이 바시키르어를 2번째 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대략 30만명의 바시키르족들은 타타르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바시키르어 사용자들은 대부분이 러시아바시키르 공화국에 거주하지만 타타르 공화국우드무르트 공화국에도 거주한다. 많은 사용자들도 페름 크라이, 첼랴빈스크 주, 오렌부르크 주, 스베르들롭스크 주쿠르간 주에도 거주한다. 바시키르어 사용자 그룹 중에는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에도 거주한다.

[편집] 다른 언어와의 관계

바시키르어 단어 중 일부에는 핀어족이나 우고르어족에 기원을 두고 있으나 볼가르어의 방언이다. 몽골 제국이 지배한 뒤에는 킵차크어가 바시키르어에 영향을 주었다.

현대 바시키르어는 타타르어와 유사하고, 단어의 일부가 킵차크어에서 유래되었다. 많은 방언들이 있는데 타타르어와 비슷하다. 과거에는 바시키르어도 아랍 문자를 사용했다. 15세기에 바시키르인들은 차가타이어(그렇지만 일부 연구자들에 의하면 고대타타르어를 대신했다고 함)를 1923년까지 바시키르어 대신 사용했다. 타타르어와 차가타이어는 2개다 아랍문자로 표기했다.

[편집] 문자

1923년에 바시키르어는 고유한 쓰기 체계를 만들었다. 1930년라틴 문자를 사용했지만 1938년부터는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기본 키릴 문자 이외에 바시키르어에서 쓰이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 Ә ә Ө ө Ү ү Ғ ғ Ҡ ҡ Ң ң Ҙ ҙ Ҫ ҫ Һ һ.

[편집] 바깥고리

위키백과
바시키르어 위키백과
서부투르크어족
볼가르 볼가르어* | 추바시어 | 하자르어*
차가타이어파 아이니어 | 차가타이어* | 일리 투르크어 | 로프어 | 위구르어 | 우즈베크어
킵차크어파 바라바어 | 바시키르어 | 크림 타타르어 | 쿠만어* | 발카르어 | 카라임어 | 카라칼파크어 | 카자흐어 | 킵차크어* | 크림착어 | 쿠미크어 | 노가이어 | 타타르어 | 우룸어
오구즈어파 아프샤르어 | 아제르바이잔어 | 크림 타타르어 | 가가우스어 | 호라산 터키어 | 오스만 터키어* | 페체네그어* | 카슈카이어 | 살라르어 | 터키어 | 투르크멘어 | 우룸어
동부투르크어족
칼라지어파 칼라지어
키르기스-킵차크어파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북동투르크어파 출림어 | 돌간어 | 푸위 기르기스어 | 하카스어 | 북부 알타이어 | 쇼르어 | 토파어 | 투바어 | 서부위구르어 | 야쿠트어
* 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