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티칸 시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없음 | |||||
국가: 인노 에 마르키아 폰티피칼레 | |||||
![]() |
|||||
수도 | 바티칸 시 41°54′ N 12°27′ E |
||||
공용어 | 라틴어, 이탈리아어 | ||||
정부 형태 | 교황이 통치 베네딕토 16세 타르시시오 베르토네 조반니 라졸로 |
||||
건국 • |
라테란 조약 1929년 2월 11일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0.44 km² (194위) 0% |
||||
인구 • 년 어림 • 2005년 조사 • 인구 밀도 |
명 (235위) 921명 2,093명/km² (3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년 어림값 |
||||
통화 | 유로 (EUR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CET (UTC+1) (UTC+1) CEST (UTC+2) |
||||
국가 도메인 | .va | ||||
국제 전화 | +379 |
||||
1999년까지는 바티칸 리라를 사용하였다. |
바티칸 시국(라틴어: Status Civitatis Vaticanæ 스따뚜스 끼비따디스 바띠까나이, 이탈리아어: Stato della Città del Vaticano 스따또 델라 칫따 델 바띠까노, 문화어: 바띠까노 시국)은 면적과 인구로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독립 국가이며 이탈리아의 수도인 로마에 둘러싸여 있다. 교황이 통치하는 신권 국가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상징이자 중심이다. 바티칸 시는 바티칸 언덕과 언덕 북쪽의 바티칸 평원을 포함한다. 바티칸 평원에는 성 베드로 대성당, 시스티나 소성당, 바티칸 궁전, 바티칸 박물관 등이 세워져 있다. 이 나라는 1929년 2월 11일에 독립하였다.
목차 |
[편집] 역사
바티칸이 있는 지역은 고대 로마 제국인들이 점(占)을 치는 언덕이라 불렀던 곳으로 신성하게 여겨져 왔다. 그리스도교가 공인된 이후, 326년 이 곳에 있는 사도 성 베드로의 무덤 위에 성 베드로 대성당이 세워졌고 이 지역은 점차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유럽의 중세 역사에서, 역대 교황들은 이 지역에서 로마 시와 그 주변 지역들을 교황청령으로 다스려 왔으며 그 영향력은 국가적 지배를 벗어나 국가 위에 군림함으로써 유럽 전체를 지배할 정도로 매우 거대해졌고, 교황만이 '왕들의 아버지'로서 지구상에서 유일무이한 절대통치자로 인정을 받았다.
교황청은 로마를 중심으로 이탈리아 반도 및 프랑스의 일부를 직접 영토로 삼아 통치하였으나, 그렇다고 해서 유럽 전체를 직접 식민통치할 수는 없었다. 현실적으로 지나치게 정치에 개입해서는 안 되는 종교 권력이라는 한계도 있었고, 각국 정부에서도 일률적인 교황청의 지배 체제를 달가워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서구 사회는 교황청을 의심의 여지 없이 자신들의 유일한 지배적 정통성을 가지는 존재로 떠받들고, 각자의 지역에 봉건 형태의 국가를 세워 지역 자치를 내세우는 이원화된 지배질서를 확립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교황청이 이러한 세계관을 바탕으로 약 1000년 동안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으나,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내부적으로 교황청의 지나친 독재와 권위, 물질적 세속주의로 인한 부패에 불만을 품고 반발하는 움직임이 차츰 일어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19세기 중엽에 통일 이탈리아 왕국이 생기면서 교황청은 주변 지역의 영향력을 완전히 상실해 버려 예전의 권세를 잃게 된다.
1870년에는 수도인 로마마저 이탈리아 왕국군에게 점령되면서 교황청의 영토는 더욱 줄어들었다. 이에 교황청과 이탈리아 왕국은 대립하기 시작했다. 이 대립은 1929년 2월 11일 이탈리아 국왕과 교황 비오 11세가 3개 항의 라테란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이 조약은 로마 시 내부에 바티칸 시국을 독립 국가로 세우고, 이탈리아에서 로마 가톨릭을 국교로 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84년에 새로운 조약이 교황청과 이탈리아 사이에 맺어졌으며 이 조약에는 로마 가톨릭을 더이상 이탈리아의 국교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편집] 정치 제도
바티칸은 선거로 뽑힌 새 교황이 권력을 갖는 독특한 제도인 콘클라베를 가지고 있다. 콘클라베는 전세계의 80세 이하 추기경들이 시스티나 소성당에 모여 투표를 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한 번 선출된 교황은 특별한 이유로 자리에서 물러나지 않는 이상 평생 교황직을 유지하게 된다. 교황은 바티칸 시국과 전세계 가톨릭 교회에 대한 사법권, 통치권, 입법권을 갖고있다.
교황청은 바티칸 시국의 정부 기구이며 그와 동시에 교회 통치 기구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와 협정을 체결할 수 있는 등 전세계의 교회를 대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교황은 바티칸 시국의 내무를 주교 위원회(the Pontifical Commission)에 위임하고 종교적인 활동에만 관여하고 있다.
바티칸 시국의 법률은 교회법의 적용을 받는다. 만약 교회법에 관련되지 않은 내용일 경우 로마 시의 법률을 적용하고 있다.
바티칸 시국은 독립된 국가로서 다른 나라에 외교관을 파견하거나 외국의 외교관을 자국에 주재시킬 권리를 갖고 있다. 영토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외국의 바티칸 주재 대사관은 로마 시에 위치해 있다.
[편집] 주민
로마 가톨릭 교회 신자들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편집] 언어
이 나라의 공용어는 라틴어이다. 라틴어 외에도 이탈리아어(많이 쓰임), 독일어, 영어, 에스파냐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가 쓰인다.
[편집] 종교
로마 가톨릭은 이 나라의 국교이자 100%가 믿는다.
[편집] 국경일
날짜 | 명칭 |
---|---|
1월 1일 | 성모 마리아 대축일 |
1월 6일 | 주님의 공현 대축일 |
2월 11일 | 라테란 조약 기념일 |
3월 19일 | 성 요셉의 축일 |
4월 19일 |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선출일¹ |
4월 24일 |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즉위일¹ |
3월-4월 | 성주간(聖週間) 목·금·토요일, 부활절, 부활절 다음 월요일(유동적) |
5월 1일 | 노동절 |
5월 중 | 예수 승천 대축일 (부활절 40일 후) |
5월 중 | 성체 대축일 |
6월 29일 |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의 대축일 |
8월 14일-8월 16일 | 성모 승천 대축일 |
11월 1일 | 모든 성인들의 날 |
11월 2일 | 위령의 날 |
12월 8일 | 성모의 원죄 없으신 잉태 대축일 |
12월 25일 | 성탄절 |
12월 26일 | 성 스테파노의 축일 |
12월 31일 | 성 실베스테르의 송년식 |
- ¹교황에 따라 바뀐다.
[편집] 바깥 고리
- ((독일어/영어/이탈리아어/…)) 교황청 공식 홈페이지
- 주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
유럽의 나라 | ![]() |
---|---|
그루지야¹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¹ |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마케도니아 공화국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바티칸 시국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스웨덴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¹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¹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에스파냐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체코 카자흐스탄¹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² | 터키¹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속령 | |
건지 섬 | 맨 섬 | 스발바르 제도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² | 올란드 제도 | 저지 섬 | 지브롤터 | 페로 제도 | |
비독립 국가 | |
나고르노카라바흐¹ | 남오세티아¹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² | 압하스 공화국¹ | 코소보 | 트란스니스트리아 | |
¹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