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조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역사
한국의 선사 시대
역사시대
고조선
단군조선
기자조선(논란)
위만조선
부여·옥저·동예
삼한
(마한·진한·변한)
삼국 시대
고구려 · 백제 · 신라
남북국 시대
신라 · 발해
후삼국 시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시대
한국 현대사
군정기
·
역사 자료
한국의 인물
선사시대 유적지

단군조선(檀君朝鮮)은 일반적으로 한국 최초의 국가라 여겨지는 고대 국가이며, 고조선의 첫 왕조이다.

조선왕조의 명칭이 옛 조선에 기인했으므로, 조선 초기부터 고조선의 실체를 찾는 왕과 신하의 노력이 있었다. 조선왕조는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을 구별하기 위해 단군조선을 ‘전조선(前朝鮮)’, 기자조선을 후조선(後朝鮮)이라 불렀으며, 사당을 지어 그 시조인 단군과 기자에 매년 제사를 지냈다.

목차

[편집] 건국 신화

단군조선 건국 신화는 한민족의 시조 신화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단군조선 건국 신화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전승되어 기록으로 남겨진 것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단군조선은 서기전 2333년, 천제(天帝) 환인의 손자이며 환웅의 아들인 단군왕검에 의해 세워졌다고 하는데, 현재 이 시기를 단기(檀紀)의 기원 연도로 삼고 있다.

[편집] 중심지역

최초의 수도는 아사달(阿斯達)이라 하며, 그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는데, 요령성 부근 또는 평양 부근이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단군조선은 아사달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점차 인접한 족장 사회들을 통합하면서 한반도까지 발전하였는데, 그 위치와 강역은 청동기 시대 유적의 출토 분포로만 추측하고 있다.

[편집] 단군조선의 발전

단군조선은 아사달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하면서 발전하였다. 기원전 3세기경에는 부왕, 준왕 같은 강력한 왕이 등장하여 왕위를 세습하였으며, 그 밑에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도 두었다. 또 요서 지방을 경계로 하여 연나라와 대립할 만큼 강성하였다.

[편집] 근거 사서

삼국유사》와 《조선왕조실록》에서 인용한 《위서》, 《고기》, 《단군고기》의 단군신화를 포함하여 관련된 자료를 찾아볼 수 있다.

20세기 초에 일반에 알려진 《규원사화(1929 이전)》, 《부도지(1952)》, 《단기고사(1949 ~ 1959)》와 《환단고기(1979)》 등의 역사서의 형식으로 고조선 이전의 상세한 내용이 서술된 서적들이 있으나 그 내용의 신빙성을 얻기 위해서는 진위의 판별, 각각의 내용에 대한 비판과 검증이 필요하다.

[편집] 같이 보기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