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저작권이 있는 문서로,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문서를 위키백과:저작권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허락을 명시적으로 받지 않았다면 이 문서는 곧 삭제될 것입니다.

계명대학교
{{{그림}}}
표어 진리와 정의와 사랑의 나라를 위하여
설립 1954년
종류 사립
총장 이진우
국가 대한민국
위치 대구광역시 남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구광역시 중구
캠퍼스 {{{캠퍼스}}}
학생 수 학부: 20,450 (2005)
대학원: 2,935 (2005)
교수진 612 (2005)
상징 {{{상징}}}
기타 설명 {{{기타}}}
웹사이트 http://www.kmu.ac.kr

계명대학교(啓明大學校)는 대구광역시에 있는 사립대학교이다.

목차

[편집] 계명의 약사

그림:DSC01725.jpg
본관 전경

계명대학교는 1954년 3월 미국 북장로회 주한선교부 안두화(Edward Adams)선교사, 최재화 목사, 강인구 목사 등을 중심으로 교회 지도자들이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대학교육을 하기 위해 설립하였으며 6·25전쟁 후 피폐해진 조국을 재건해 민족의 정기를 잇는다는 굳건한 창학정신도 여기에 추가되었다.

이어 1978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해 본격적인 대학 발전의 밑거름을 만들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 10월, 당시 81년의 역사를 지닌 대구 동산기독병원을 통합해 의과대학 부속 동산병원을 개원하였다.

또한, 1980년대초 대명캠퍼스와 동산캠퍼스 외에 대구시 달서구 신당동 일대 55만평에 성서캠퍼스 조성을 시작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2004년 개교 반세기를 맞은 계명대학교는 2020년까지 20개 학문 분야를 국내 10위권에 진입시키는 것을 장기 목표로 하는 『계명-업 프로젝트』를 선포하고 ‘세계로 열린대학 : ACE Keimyung'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 모두가 합심 노력하고 있다.

[편집] 교육이념

이 대학교는 기독교 정신과 대한민국 교육정신에 입각하여 “진리와 정의와 사랑의 나라를 위하여”를 교육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학문의 탁월성을 추구하고 학문의 윤리성을 앙양함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의 지성과 덕성을 갖춘 개방적 세계인, 창조적 전문인, 도덕적 실천인을 양성하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한다.

[편집] 개설학과

17개 단과대학, 6개 학부, 74개 학과, 15개 전공 및 자율전공부
일반대학원 및 10개 특수대학원(교육, 경영, 정책, 여성학, 통·번역, 연합신학,
예술·디자인, 스포츠산업, 의료경영, 유아교육)

인문대학 한국어문학과, 사학과, 기독교학과, 문예창작학과, 한국문화정보학과, 철학부(철학전공, 윤리학전공), 영어영문학과, 독일어문학과, 중국어문학과, 일본어문학과, 러시아어문학과

국제학대학 중국학과, 일본학과, 미국학과, 유럽학과, 스페인어중남미학과

사범대학 교육학과, 한문교육과, 유아교육과

경영대학 경영학과, 회계학과, 관광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세무학과

사회과학대학 경제통상학부(경제학전공,소비자정보학전공,통상학전공, 전자무역학전공), 사회학과, 심리학과, 문헌정보학과, 사회복지학과, 행정학과, 정치외교학과, 미디어영상학부(신문방송학전공,광고홍보학전공,디지털영상전공)

법경대학 법학부(법학전공,경찰법학전공), 경찰학부(경찰행정학전공)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통계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미생물학과, 공중보건학과, 식품가공학과, 식품영양학과

환경대학 에너지환경과학과, 에너지환경계획학과, 환경방재시스템학과

공과대학 건축학부(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도시공학과, 교통공학과, 토목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전자공학과, 화학공학과,화학시스템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 기계·자동차공학부(기계·자동차공학전공)

체육대학 체육학과, 사회체육학과, 태권도학과

음악·공연예술대학 관현악과, 성악과, 작곡과, 피아노과, 오르간과, 연극예술과, 무용학과

미디어아트대학 시각디자인과, 뮤직프로덕션과, 애니메이션과, 게임·모바일콘텐츠학과

KIC(Keimyung International College)

의과대학 의예과, 의학과

간호대학 간호학과

미술대학 서양화과, 동양화과, 서예과, 공예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 사진디자인과

패션대학 패션디자인과, 패션마케팅학과, 텍스타일디자인학과

자율전공부 인문계열, 사회계열, 자연계열


[편집] 동산도서관

그림:도서관.jpg
동산도서관

동산도서관은 1958년 계명기독대학 도서관으로 개관한 이래 연구 및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종합학술정보센터로서의 기능을 담당해 왔다.

외형적으로는 1958년 연건평 470평의"Bauer Memorial Library"에서 출발하여 1980년 대명캠퍼스에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의 현대식 건물 5,330여 평을 신축하면서 100만여 장서를 수장할 수 있는 메머드형 도서관의 흐름을 주도하였으며, 이후 1993년 성서캠퍼스에 지하 2층 지상 7층 연건평 6,538평 규모의 네트워크 시설을 갖춘 첨단도서관을 신축하여 정보화 시대를 이끌어 갈 기반을 마련하면서 "동산도서관(童山圖書館)"이라 명명하고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정보화를 주도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용자 서비스 측면에서는 검색의 수단이 다양하지 못하던 1972년 서고를 개가제로 바꿈으로서 새로운 단행본 접근법을 제공하였고, 1978년 연속간행물 기사 하나 하나를 목록카드로 색인하여 홈인덱스화 함으로써 오늘날 기사색인 DB의 기초가 되게 하였다.

또한 대학도서관의 풍부하고 방대한 자원을 지역사회와 공유함으로서 지역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믿어 선도적으로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우리 도서관을 개방하기에 이르렀다. 대학도서관계에 있어서 지역사회 개방은 이제 대학도서관의 역할 중 중요한 요소가 되게 되었다.

1989년부터 도서관전산화 시스템인 KIMS(Keimyung University Dongsan Libra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를 도서관 자체개발하여 도서관 전산화를 주도한 것을 시작으로 전자정보실, 멀티미디어정보실, 영상정보실 등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매체 및 새로운 환경을 수용하는 시설 설치를 통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였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의 도입,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노력하는 동산도서관은 2002년 새로운 운영시스템인 도서관통합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의 상호 보완적인 업무지원이 가능하게 되어 도서관 서비스의 다각화, 전문화를 도모하기에 이르렀다.

1994년 도서관 업무를 계획하고 비전을 제시하는 제1차 도서관 중장기발전실무계획서를 5개년 계획으로 작성하여 2차, 3차 계획으로 이어져 오고 있고, 1998년에는 도서관 직원의 자발적인 연구에 힘입어 기존 조직 형태에서 탈피하여 정보지원, 주제정보, 학술정보, 디지털정보 등 4개 팀으로 구성된 팀조직을 도입하였고, 현재는 학술정보지원팀, 학술정보서비스팀, 학술정보운영팀으로 운영되고 있다. 1999년에는 도서관 홍보를 위한 비디오 영상물도 도서관 자체적으로 제작하였고 2003년 다시 자체 인력으로 개정 홍보비디오를 제작하는 등 스스로를 연구하고 개발하고 완성하는 시스템이 체계화 되었다.

이렇듯 우리 도서관은 시설의 확장, 조직의 개편, 시스템의 도입, 업무 프로세스의 변경 등 이용자 서비스를 최우선으로 하면서 새로운 시도에 끊임없이 도전하며, 대학도서관계를 선도하는 도서관으로 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편집] 행소박물관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은 "지역사회의 역사와 문화 및 민중생활의 연구"에 목표를 두고 1978년 5월에 개관하였다. 그동안 중요사업의 하나로 경상북도 내의 각지에 분포하는 문화유적에 대하여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를 연차적으로 실시하여 왔다.

특히 고령·성주지역의 가야시대 고분군을 5회에 걸쳐 계획, 발굴·조사햐였으며, 그 후에도 경주·김천·안동지역 등에서 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유적을 발굴·조사함으로써 이 지역 고대역사의 체계화와 문화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유적의 조사연구와 아울러 유물의 효과적인 보존과 원형 파악을 위하여 일찍이 타 대학에서는 보기 드문 보존과학연구실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2004년 5월 20일 개교 50주년에 맞추어 성서캠퍼스에 대지 3천평 건평 2천평의 독립건물을 신축하여 행소박물관이라 명명하고 대명캠퍼스의 유물자료를 이전 개관함으로써 재도약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행소박물관에는 상설전시실과 특별전시실을 비롯하여 시청각실, 학예연구실, 보존과학실, 유물정리실, 유물수장고, 뮤지엄카페, 뮤지엄샾 등 전시, 학술연구, 문화교육, 휴식처로 활용할 수 있는 문화종합공간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편집] 한학촌

계명한학촌은 2004년 5월 20일 개교50주년을 맞이하여 계명인 뿐만 아니라 대구시민과 전세계인에게 자랑스런 우리의 문화를 널리 소개하고 교육하기 위하여 옛날 집을 그대로 재현한 한학촌을 조성하였다.

계명한학촌은 강학당(講學堂)인 계명서당(啓明書堂)과 계정헌(溪亭軒)으로 명명한 양반 민가(民家)인 한옥(韓屋), 그리고 정원(庭園)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학당 135평, 민가 104평, 기타 시설 20평으로 모두 연면적 259평 규모이다.

계명서당은 도동서원(道東書院)과 도산서원(陶山書阮) 같은 유명서원의 형태를 본보기로 하여 경천당(敬天堂)외 5개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통 서원(書院)의 건물 배치 형식과 지형적 조건을 이용하여 공간의 위성계을 재현하였다.

계정헌은 안동 하회마을의 양진당(瀁塵堂)과 경주 양동마을의 향단(香壇)을 본 뜬것으로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고 그 모양은 입 구(口)자 양반 가옥의 평면 적 배치 형식이다.

그리고 정원은 우리 조상들의 전통적 정원 개념에 입각하여 각 조경 요소의 배치와 형태를 그대로 살렸다.

계명한학촌은 서양문화를 지향하는 우리의 반성은 물론 세계화 흐름속에서 결코 잃지 말아야 할 한국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공간으로서 그 상징성을 발현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편집] 동산의료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은 1899년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송한 존슨(Woodbridge O. Johnson)선교사가 약전골목 구 제일교회 자리에 있던 초가에서 설립한 제중원(濟衆院)이란 이름의 조그만 서구식 진료소를 모태로 하여 대구· 경북지역에서 최초로 서양의학을 도입, 시술한 의료기관으로 출발하였다. 존슨은 1903년 병원을 현재의 동산동으로 이전하였고, 제2대 병원장으로 취임한 플렛쳐(Archibald G. Fletcher)원장은 1911년 선교활동을 위한 전도회를 설립하여 현재까지 이 지역에 147개의 교회를 개척하여 그리스도 복음을 전파하였다.

그후 1913년에는 사회구제활동을 위한 시설인 애락원을 설립하여 당시 만연한 나병퇴치와 나환자 진료뿐만 아니라 무의촌 진료활동 등 수많은 의료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1949년 제7대 병원장으로 취임한 마펫(Howard F. Moffett) 원장은 30년 동안 재직하면서 의료 선진화를 위해 의료장비를 도입하고, 의사들을 미국 등 의료선진국에 유학 보내 유능한 의료인력으로 육성하는 한편, 병원의 건물을 현대식으로 증· 개축하여 종합의료원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하였다.

동산의료원은 1980년 진료· 교육· 선교· 연구를 이념으로 의과대학을 설립, 계명대학교와 병합하고 1982년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으로 거듭난 후 의과대학, 간호대학, 동산병원, 경주동산병원을 산하에 둔 의료원 체제로 성장했다.

한 세기를 넘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동산의료원은 훌륭한 의료시설과 분야별 우수한 의료진을 확보하는 한편, 26개의 임상 진료과에 931병상, 응급실 40병상, 보육기 신생아실 40병상을 갖춘 대형 의료기관으로 자리잡았으며, 1천 7백여 명의 교직원이 하나가 되어 국민건강 향상과 국내, 국외(네팔, 카자흐스탄, 방글라데시 등) 의료선교를 통하여 그리스도 복음 전파를 위해 헌신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 동산의료원은 일류 의료원으로 성장하기 위해 의과대학, 간호대학, 제2동산병원, 의과학연구동을 계명대 성서캠퍼스로 이전하여 새로운 의료환경을 갖추고, 환자 중심의 병원, 국민의 건강과 지역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의료원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대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