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정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 정조 | |
---|---|
![]() |
|
재 위 | |
1776년 ~ 1800년 | |
왕 비 | 효의왕후 |
황 후 | {{{황후}}} |
부 군 | {{{부군}}} |
앞선 왕 | 영조 |
다음 왕 | 순조 |
조선의 제22대 국왕 |
정조(正祖, 1752년 - 1800년)는 조선의 제 22대 임금이다. 휘는 산(祘), 자는 형운(亨運), 호는 홍재(弘齋), 시호는 정조경천명도홍덕현모문성무렬성인장효대왕(正祖敬天明道洪德顯謨文成武烈聖仁莊孝大王)이며 대한제국 때 정조선황제(正祖宣皇帝)로 추존되었다.
목차 |
[편집] 생애
영조의 아들인 장조(장헌세자)와 헌경의황후(혜경궁 홍씨)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762년 아버지인 장조(사도세자)가 정치에 대한 견해 차이로 노론을 상징하는 영조에게 비극적인 죽음을 당하자,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세자로 임명되었다. 1775년 손자의 권력 기반을 마련해 주려는 할아버지 영조의 배려로 그를 대신하여 국정을 처리하다가, 이듬해 25세의 나이로 임금으로 즉위하였다.
정조는 즉위 직후 아버지인 장헌세자가 당쟁에 희생되었듯이, 그 또한 어렵게 노론의 공세라는 역경을 헤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개혁에 착수하였으나, 1800년 6월 독살이라는 의혹이 있는, 예기치 못한 죽음을 맞으면서 그가 추진해 온 개혁은 대부분 무산되고 말았다. 그 뒤 조선에는 외척 가문이 주도하는 세도 정치가 전개된다.
[편집] 업적
정조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아버지의 원수이자 여당인 노론을 극도로 혐오하게 되어서, 봉건적 특권을 약화시켜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을 높여 왕권을 강화하는 쪽으로 정치와 경제 등에 대한 개혁을 진행시켰다.
영조 이래의 기본 정책인 탕평책을 계승하여 12년에 이르는 동안 외척 세력을 비롯한 기득권 세력, 특히 노론 세력을 제거하거나 약화시켜 친정 체제를 구축하는데 주력하는 한편, 규장각 제도를 정비하여 자신을 지지하는 정예 문신들로 친위 세력을 형성시켜 '우문지치(右文之治)'와 '작성지화(作成之化)'를 규장각의 2대 명분으로 내세우고 문화 정치를 표방하는 동시에 붕당의 비대화를 방지하고 임금을 보좌할 수 있는 강력한 정치 기구로 육성하였다.
그는 또한 영조 때부터 시작된 문물제도의 보완 및 정비 작업을 계승, 완결하였다. 아울러 스스로 초월적인 통치자로 군림하면서 스승의 입장에서 신하들을 양성하고 재교육시키려 하였다.
정조는 암행어사를 자주 파견하여 지방 사회의 문제점을 직접 파악하고 해결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로써 지방 사족의 향촌 지배력을 억제하고 백성들에 대한 정부의 통치력이 강화되었다. 또한 왕실 직속 친위대인 장용영을 신설하여 각 군영의 독립적 성격을 약화시키고 군사권을 장악함으로써 임금의 최고 통수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장용영 설치는 군대를 장악한 노론을 견제하려는 정책이었다.
1791년에는 신해통공을 실시해 상인들의 상업 활동의 자유를 크게 넓히고, 수령 등의 가혹한 형벌을 제한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회 문제로 대두된 로마 가톨릭에 대해서는 정학(正學) 즉, 성리학의 진흥만이 서학의 만연을 막는 길이라는 원칙 아래 유연하게 대처하였다. 하지만 정조 사망 이후 대립 관계에 있던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면서, 조선의 로마 가톨릭은 대부분 로마 가톨릭 신자인 남인들이 제거된 신유박해(1801년), 오가작통법 실시 등의 조직적 탄압이라는 수난의 길을 걷게 된다.
[편집] 가족 관계
- 아버지: 장조(莊祖, 1735년 - 1762년, 장헌세자)
- 어머니: 헌경의황후(獻敬懿皇后, 혜경궁) 홍씨
- 비(妃): 효의선황후(孝懿宣皇后) 김씨: 김시묵(金時默)의 딸, 자식 없음.
- 후궁: 의빈 성씨(宜嬪 成氏)
- 아들: 문효세자(文孝世子,일찍 죽음)
- 후궁: 숙빈 박씨(綏嬪 朴氏, 박준원(朴準源)의 딸):
[편집] 같이 보기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국왕 |
---|
조선: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