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복궁(景福宮)은 조선왕조의 대표적 궁궐이다.
목차 |
[편집] 경복궁의 건립역사
1392년 조선왕조를 개창한 태조는 1394년 서울을 도읍으로 정하고 종묘와 궁궐 등의 공사를 착공하니 1395년 9월 29일 총 755칸 규모의 경복궁을 완공하였다. 그리고 그 해 태조는 정도전에게 새 궁궐과 주요 전각의 명칭을 지어 올리게 하였는데, 경복궁의 명칭을 비롯하여 강녕전, 연생전, 경성전, 사정전, 근정전, 근정문, 오문(현재 광화문) 등 주요 건물의 명칭은 이때 지어진 것이다.
이후 1411년 태종은 경복궁에 금천을 파도록 명하고 이듬해에는 경회루를 건축하였다.
경복궁이 조선왕조의 법궁다운 면모를 갖춘 것은 세종 때였는데, 1426년 왕명을 받은 집현전에서 경복궁의 각 문과 다리의 이름을 지어올렸으니 광화문, 홍례문(현재 흥례문), 일화문, 월화문, 건춘문, 영추문, 영제교 등이 이때 지어진다. 그리고 1429년 사정전과 경회루의 중수를 시작으로 주요 전각을 새로 짓거나 중수하였다.
명종 8년에는 실화로 경복궁이 전소되었는데, 이를 1년도 되지 않아 다시 지었다. 이때에 동원된 인력이 부역이 2,200명이었고 품팔이꾼이 1.500명이었다고 한다. 명종대에 건립된 경복궁을 그린 '한양궁궐도병'이라는 그림이 있었는데, 그림은 임진왜란 당시에 소실되었다고 전해진다.
임진왜란(1592년) 중에 서울의 노비들이 장례원에 있는 노비문서들을 불태웠는데 이 불이 바람을 타고 경복궁으로 옮겨가는 바람에 소실되었다. 그후로 273년간 재건하지 못하다가 1865년 음력 4월 2일 고종의 수렴청정을 하던 신정왕후의 지시로 중건이 시작되어 1868년 재건되었고, 경복궁의 재건을 주도한 흥선대원군은 권력을 장악하기도 하였다.
[편집] 경복궁의 건축물
경복궁은 동서남북으로 4개의 대문들을 두고 남쪽으로 정전, 편전, 침전과 후원을, 그리고 동쪽으로 동궁과 자전, 서쪽으로 궐내각사와 경회루를 각각 배치하는 형태로 건축되었다.
[편집] 광화문(光化門)
경복궁의 남쪽에 위치한 정문으로, '임금의 큰 덕(德)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로 광화문이라 이름하였다. 1395년에 만들어졌다. 2층 누각인 광화문 앞의 양쪽에는 한 쌍의 해태 조각상이 자리잡고 있다. 광화문에는 총 3개의 문이 있는데, 가운데 문은 임금이 다니는 문이고, 나머지 좌우의 문은 신하들이 다니던 문이었다. 광화문의 천장에는 주작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되었던 것을 흥선 대원군이 재건하였으나,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경내에 들어서면서 건춘문 북쪽으로 이전시켰고, 한국전쟁 때 다시 소실되었다. 현재의 광화문은 1969년 박정희에 의해 복원되었으나, 원래의 것과는 다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위치 또한 당시와는 다른 것이다.
[편집] 건춘문(建春門)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 문으로, '동쪽은 봄에 해당한다'는 의미로 건춘문이라 이름하였다. 주로 왕족, 척신, 상궁이 드나들었던 문이었다. 건천문의 앞에는 커다란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자리잡고 있으며, 건천문의 천장에는 청룡이 그려져 있다. 문 안에는 왕세자가 거처하던 춘궁(春宮)이 있었으며, 문 밖에는 왕실의 종친들을 교육하는 종학(宗學)이 있었다.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되었던 것을 흥선 대원군이 재건하였다.
[편집] 영추문(永秋門)
경복궁의 서쪽에 위치한 문으로, '서쪽은 가을에 해당하여 가을을 맞이한다'는 의미로 영추문이라 이름하였다. 문 밖에는 명당수가 흐르는 개울이 있었다. 주로 일반 관료들이 드나들었다. 영추문의 천장에는 백호가 그려져 있다. 문 안에는 궐내 각사가, 문 밖에는 궁궐에 물자를 조달하는 관청이 자리잡고 있었다.
[편집] 신무문(神武門)
경복궁의 북쪽에 위치한 문으로, '북쪽을 관장하는 현무'에서 따와 신무문이라 이름하였다. 신무문의 천장에는 현무가 그려져 있다. 그 이름처럼 음기가 강하다 하여 평소에는 굳게 닫아두었다.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되었다가 흥선 대원군이 재건하였다. 그 후 1961년 5·16 사건 이후 청와대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군부대가 경복궁 경내에 주둔하게 되면서 45년 동안 폐쇄되었다. 현재 청와대 본관 정문과 마주하고 있다.
[편집] 흥례문(興禮門)
흥례문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는 중문으로 정면3칸, 측면2칸의 2층 목조건물이다. 원래는 세종 8년(1426년) 집현전에서 '예(禮)를 널리 편다'는 뜻의 홍례문(弘禮門)으로 지어올렸는데, 고종 4년 (1867년) 경복궁을 재건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꾼 것이다. 이는 당시 청나라의 건륭제(乾隆帝)의 이름자인 '弘曆(홍력)'을 피해서 지었기 때문이다.
흥례문 중앙에서 경복궁 안쪽을 들여다보면 영제교를 지나 근정문, 근정전이 차례로 일자로 서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근정전에 가려 보이지는 않지만 근정문 뒷편의 사정전과 강령전, 교태전도 모두 일자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경복궁의 정문이라 할 수 있는 광화문은 한쪽으로 틀어져 있는데 일제가 조선총독부 건물을 지으면서 헐어냈던 것을 박정희 대통령이 복원하면서 원래의 위치가 아닌 조선총독부 건물에 맞추어 지었기 때문이다.
[편집] 근정문(勤政門)
정전인 근정전의 정문으로 정면 3칸, 좌우로 각각 1칸씩의 옆문을 배치한 중층구조로 되어 있다. 보물 제812호로 지정되어 있다.
왕이 궐밖으로 행차할 일이 없는 평소에는 문을 닫아두었고 대신 관리들이 궁에 출입할 때는 좌우에 있는 일화문(日華門)과 월화문(月華門)을 이용하였는데, 음양으로 볼 때 태양을 뜻하는 문반관료들은 동쪽의 일화문을, 그리고 달을 뜻하는 무반관료들은 서쪽의 월화문을 통하여 출입하였다.
영제교(永濟橋)는 근정문 앞을 흐르는 금천에 설치된 다리로 풍수지리사상에 입각하여 정전 안이 지엄하고 신성한 곳임을 나타내기 위해 정전의 외당 앞에 명당수를 흐르게 하고 그 물위로 다리를 설치한 것이다. 북악산에서 흘러들어온 물과 서쪽에서 들어온 물이 합쳐져 근정문 앞을 지나는 금천을 이루는데 영제교는 바로 이 금천에 설치한 다리이며, 덕수궁의 금천교, 창덕궁의 옥천교, 창덕궁의 금천교도 같은 이치로 지어진 다리이다.
영제교의 길이는 13.85m, 너비는 9.8m가량으로 비교적 넓으며 세칸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중앙이 3.4m, 그리고 양쪽이 각각 3.2m씩이다. 이 가운데가 바로 어도(御道-왕의 길)로서 왕의 어가가 지나는 길이다. 다리 발은 홍예의 형태를 취했고 난간은 하엽동자로 돌난대를 떠받치게 하였으며 난간 전후 법도에는 4마리의 서수가 강바닥을 뚫어져라 감시하고 있다. 광화문 밖의 서수가 뿔이 보이지 않는 데 반해 영천교의 이 서수들은 뿔이 보이고 있는데 정전의 앞이기에 더욱 삼엄한 경비를 서고 있는 듯 하다.
[편집] 근정전(勤政殿)
근정전은 조선 초기부터 역대 임금들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하던 경복궁의 수조정전이며 문무백관의 조하를 비롯한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접견하던 곳으로 정면 5간 측면 5간의 다포계 팔작 지붕의 중층 건물이다. 현재 근정전은 국보 223호로 지정되어 있는 현존하는 최대의 목조 건축물이다.
역대 임금 가운데 정종(1398년), 세종(1418년), 세조(1455년), 명종(1545년)이 근정전에서 즉위하였다.
태조 4년(1395년) 10월 경복궁 창건 당시 정도전이 "임금의 부지런한 자세가 정치의 으뜸"이라는 뜻으로 근정전의 이름을 지어올렸는데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고종 4년(1867)에 다시 재건하였다.
한편 근정전은 조선시대 궁궐의 법전 가운데 유일하게 상월대와 하월대에 난간을 두르고 복을 가져다 주는 돌짐승들을 조각해 놓았는데, 이는 경복궁이 법궁으로서 갖는 위상을 근정전의 격식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상월대의 난간에는 방위신에 해당하는 사방신(四方神)을 동서남북의 방향에 맞게 조각해 놓았고, 상월대와 하월대의 난간 곳곳에는 십이지신(十二支神)과 상서로운 동물(瑞獸)들을 조각해 근정전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또한 임진왜란 이전에는 지붕이 청자기와로 지어져서 푸른 유리 지붕처럼 아름다웠다.
내부에는 일월오봉병(日月五烽屛)으로 둘러쳐진 임금이 앉는 의자인 어좌(御座)가 높은 대 위에 있고 통간으로 높은 천장을 형성하였다. 천장 중앙에는 7개의 발톱을 갖고 있는 용 2마리를 나무로 조각해 매달았다.
[편집] 사정전(思政殿)
사정전은 왕이 정무를 보던 편전의 중심건물로 좌우의 만춘전(萬春殿)과 천추전(千秋殿)과 함께 편전을 이루고 있다.
[편집] 강령전(康寧殿)
강녕전은 왕이 거처하던 침전(寢殿)으로 정면 11칸,측면 5칸 규모의 초익공 팔작 지붕이다. 왕의 침전이므로 용마루가 없으며, 전면에 퇴가 개방된 중앙어칸은 마루로 좌우는 온돌방으로 꾸몄다. 강녕전 일곽은 1920년 창덕궁의 복원을 위해 헐려 없어진 것을 1995년에 복원하였다.
강령전은 임금이 거처하던 곳인만큼 화재가 나지 않도록 신경을 썼는데, 굴뚝을 건물 가까이에 지을 수 없고 그렇다고 멀리 떨어진 곳에 굴뚝을 지을 수도 없었기에 강령전 뒷편의 교태전으로 가는 양의문 좌우에 굴뚝을 붙여 지었다.
[편집] 교태전(交泰殿)
왕비의 침전으로 강령전에서 양의문을 지나면 나타나는 정면 9칸 규모의 건물이다. 건물 뒷편에는 정원인 아미산이 위치하고 있는데 아미산을 볼 수 있도록 후면동쪽에 마루와 방으로 연결된 건순각을 배치하였다.
강령전과 마찬가지로 용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편집] 자경전(慈慶殿)
[편집] 경회루(慶會樓)
[편집] 향원정(香遠亭)
[편집] 경복궁 복원 사업
1991년에 시작되어 2009년에 완료될 계획으로 진행 중에 있고, 전각 총 93동 약 3200평을 복원할 예정이다.
- 1단계 (1991년 ~ 1995년 12월) : 침전 지역 복원
- 2단계 (1994년 ~ 1997년) : 동궁 지역 복원
- 3단계 (1997년 ~ 2000년) : 빈전 지역 복원
- 4단계 (2000년 ~ 2004년) : 흥례문, 수정전 지역 복원
- 5단계 (2003년 ~ 2009년) : 홍복전, 건청궁 지역 복원
1995년 경복궁 내에 자리잡고 있던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하였다.
[편집] 바깥 고리
조선의 궁궐 |
---|
경복궁 | 경희궁 | 덕수궁 | 창덕궁 | 창경궁 |
분류: 서울특별시의 문화재 | 조선 | 궁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