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서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클라이언트(client)-서버(server)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분리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이야기 한다.

분산 컴퓨팅에서 흔히들 컴퓨터 간의 연결 방식을 이야기할 때,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편집]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클라이언트고객이라는 영어뜻에서 알 수 있듯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혹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말한다.

서버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말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위해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큰 용량과 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짜거나, 특정 시스템이 해당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각각 상기 역할에 맞게 구성됨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월드 와이드 웹이 있다. 웹사이트의 웹 서버(IIS, Apache)가 서버 역할을 하고, 사용자가 쓰는 웹 브라우저(파이어폭스 또는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근래는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들의 기능이 고도화 되어 클라이언트이면서 동시에 서버이거나, 그 역인 예도 종종 볼 수 있다.

또한 X 윈도우 시스템도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한 예이다. 서버는 항상 지역 컴퓨터에 존재하며 클라이언트는 지역에 있거나 원격에 있다. 이를 이용하면 원격지에서도 X 응용 프로그램을 쉽게 불러올 수 있다.


이 문서는 컴퓨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