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구조상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세구조상수(微細構造常數 , fine structure constant)는 원자물리학에서 자주 상수로 보통 그리스 문자 α로 표기한다. 이 상수를 처음 도입한 것은 1916년 물리학자 좀머펠트(Arnold Sommerfeld)에 의해서이고, 때문에 가끔 "좀머펠트 미세구조상수"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양자전기역학(quantum electrodynamics)에서 이 수는 전자광자간의 상호작용의 크기를 나타낸다.

미세구조상수 α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lpha = \frac{e^2}{4\pi\epsilon_0\hbar c}

식에서 e전자 한 개의 전하량을, π원주율을, \hbar=h/{2\pi}디락 상수를, c진공에서의 빛의 속도을, ε0은 진공의 유전율을 나타낸다.

이 양은 두 전자가 \hbar / m_e c(전자의 컴프턴 파장)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을 때, 그들의 정전기 에너지와 전자의 정지질량이 갖는 에너지 mec2의 비율로 해석할 수 있다.

cgs 단위계에선, 4πε0인자가 전하량에 포함되므로 식이 다음과 같다.

\alpha = \frac{e^2}{\hbar c}

α는 차원이 없는 상수이기 때문에, 그 값은 단위계의 선택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그 값은

α = 0.007 297 352 533(27),

이고, 그 역수 137.035 999 76(50)와 함께 기억된다.

세문단 번역안함


외부 고리

http://physics.nist.gov/cuu/Constants/alpha.html

http://scienceworld.wolfram.com/physics/FineStructureConstan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