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사단 목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독일군 사단 목록이다. 여기서 "사단"은 지상전투부대만을 의미하며, 공군 전투기 부대 편제 상의 "사단"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전쟁이 진행되면서 많은 부대들이 전멸, 괴멸, 해산, 재편성 등의 과정을 거쳤다. 또한 독일군의 조직 운용 사상이나 전황 이 많은 각급 제대 부대들(주로 중대, 대대, 연대 급)를 여기저기에 배치하거나 배속시키는 사례가 너무 많아서 지금도 전사연구가들을 골치아프게 하고 있다. 또한 각종 전투단이나 독립 대대, 독립 연대, 여단들도 많이 존재했다. 그러나 영어판 위키백과가 원문인 이 문서에서는 그런 경우들은 모두 제외하고 사단급 부대만 작성되어 있다. 사단급 부대를 제외한 다른 부대 목록은 별도의 문서가 필요할 것이다.
이 문서에는 "개편"과 "개칭"이 혼재한다. 비슷한 것 같지만 서로 다르다.
- 개칭 : 부대의 규모나 임무는 바뀌지 않은 채 이름만 바꾼 경우다.
- 개편 또는 재편성 : 부대 성격 및 임무 자체가 완전히 다른 것으로 바뀐 경우다. 대개 이름까지 바뀌게 된다.
목차 |
[편집] 용어 설명
- 척탄병(Grenadier)
- 독일군의 전통 용어다. 본래는 18세기에 프로이센군의 수류탄 투척병을 가리키는 단어였다. 이들의 임무는 적 보병대나 진지에 최대한 가까이 접근하여 유탄을 투척하는 것이었고, 따라서 그만큼 용기와 훈련이 잘되어야 했다. 현대 독일군에서는 일반 보병과 대비되어 기계화보병(Panzergrenadier)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 엽병(Jager)
- 이 단어 역시 독일군의 전통용어로서 사냥꾼(Jager)들로 부대르 편성한 것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19세기 이후에는 정예병임을 나타내는 수식어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의 "sharpshooter"도 이와 같은 용례이다. 그러나 아직 대한민국에는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번역어가 없어서 일반적으로 "엽병"이라고 일본식으로 직역한 단어를 사용하는 사례가 많다
- 교도대(Lehr)
- 교도부대는 훈련병들 앞에서 조교의 지시로 시범을 보이는 부대다.
- Nummer
- "숫자"란 의미지만, 여기서는 사단명에 붙는 단대호를 가리킨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쪽에 보병사단 항목을 참조하라
- Panzer
- 독일어의 Panzer는 전차 또는 장갑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 Sturm
- "폭풍" 또는 "돌격". 실제로 "돌격"을 하라는 의미보다는 나치식 선동 구호로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돌격소총(Sturmgewehr)같은 것이며, 전공을 세운 부대에 훈장처럼 수여되는 경우도 많다.
- Volks
- 보통 대한민국에서는 "국민의" 정도로 번역한다. 전쟁 후반에 병력 자원이 부족해진 독일이 30대~40대의 예비역과 10대 청소년들을 동원하면서 "Volksgrenadier"(국민척탄병) 사단을 편성한다. 이것 역시 나치식 선동술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단어지만, 이들의 전력은 낮았다.
- zbV
- "zur besonderen Verwendung"의 약자. "특별임무부대" 정도로 번역 가능하나, 대개는 번역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Volks, Sturm, Grenadier 등은 때때로 단순히 군대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실제로 부대 조직이나 능력, 임무를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Grenadier는 Panzer와 결합하여 Panzergrenaier라 하여 일반 보병과 대비되는 병과를 나타낸다. 한국군에서는 기계화보병(줄여서 "기보")으로 부르는 병과이다.
[편집] 육군
[편집] 기갑사단
[편집] 단대호가 매겨진 기갑사단
- 1 기갑사단
- 2 기갑사단
- 3 기갑사단
- 4 기갑사단
- 5 기갑사단
- 6 기갑사단 (1 경기계화사단을 재편성함)
- 7 기갑사단 (2 경기계화사단을 재편성함)
- 8 기갑사단 (3 경기계화사단을 재편성함)
- 9 기갑사단 (4 경기계화사단을 재편성함)
- 10 기갑사단
- 11 기갑사단
- 12 기갑사단 (이전에 2 차량화 보병사단을 개편)
- 13 기갑사단 (이전에 13 보병사단, 13 차량화 보병사단에서 개편되었고, 기갑사단 펠트헤른할레 2로 개칭)
- 14 기갑사단 (이전에 4 보병사단)
- 15 기갑사단 (이전에 33 보병사단; 15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
- 16 기갑사단 (16 보병사단을 개편한 부대)
- 17 기갑사단 (이전에 27 보병사단)
- 18 기갑사단 (나중에 18 포병사단)
- 19 기갑사단 (이전에 19 보병사단)
- 20 기갑사단
- 21 기갑사단 (이전에 5 경사단)
- 22 기갑사단
- 23 기갑사단
- 24 기갑사단 (이전에 1 기병사단)
- 25 기갑사단
- 26 기갑사단 (formerly 23 보병사단)
- 27 기갑사단
- 116 기갑사단 빈트훈드(Windhund)"(이전에 16 보병사단, 16 차량화 보병사단, 16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155 예비 기갑사단 (이전에 사단 Nr. 155, 사단 Nr. 155 (mot.), 기갑사단 Nr. 155)
- 기갑사단 Nr. 178 (이전에 사단 Nr. 178)
- 179 예비 기갑사단 (이전에 사단 Nr. 179, 사단 Nr. 179 (mot.), and 기갑사단 Nr. 179)
- 232 기갑사단 (이전에 기갑사단 Tatra, Panzer 훈련사단 Tatra)
- 233 예비 기갑사단 (이전에 사단 번호 233 (차량화), 기갑척탄병사단 사단번호 233과 기갑사단 번호 233을 거쳐 나중에 기갑사단 클라우제비츠로 개칭되었다)
- 273 예비 기갑사단
[편집] 이름만 붙은 기갑사단
- 기갑사단 클라우제비츠 (이전에 사단번호 233 (차량화), 기갑척탄병사단 번호 233, 기갑사단번호. 233, 예비 기갑사단 233에서 개칭)
- 도베리츠(Doberitz), 쉴레지엔(Schlesien), 홀쉬타인(Holstein)은 클라우제비츠 사단과 거의 같은 의미였다.
- 기갑사단 펠트헤른할레(Feldherrnhalle) 1 (이전에 60 보병사단, 60 차량화 보병사단, 기갑척탄병사단 펠트헤른할레에서 개칭)
- 기갑사단 펠트헤른할레(Feldherrnhalle) 2 (이전에 13 보병사단, 13 차량화 보병사단, 13 기갑사단에서 개편)
- 기갑사단 유터보흐(Juterbog)
- 기갑사단 켐프(Kempf) (일부는 육군, 일부는 무장친위대에서 차출하여 편성)
- 기갑사단 쿠마르크(Kurmark)
- 전차교도사단 (때로는 130 기갑사단으로 표기하기도 함)
- 기갑사단 뮌헨베르크(Munchenberg)
- 기갑사단 타트라(Tatra) (나중에 전차훈련사단 타트라, 232 기갑사단으로 개칭)
[편집] 경사단
"경" (leichte)이란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에서 여러가지 의미를 가졌다. 경사단은 총 5개가 있었다. 처음 창설된 4개 사단은 전쟁 전에 기존 기병을 기계화부대로 재편하면서 편성되었고, 5번째 사단은 북아프리카의 이탈리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몇 개의 독립 기계화 부대들을 모아 창설하였다. 1~4 경기계화사단은 1939년 폴란드 전역 종료 후 정규 기갑사단으로 개편되었고, 5경기계화사단은 1943년에 21기갑사단으로 재편되었다. 독일군 수뇌부에서 경기계화사단이란 편제가 굳이 필요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 1 경기갑사단 (6 기갑사단으로 개편)
- 2 경기갑사단 (7 기갑사단으로 개편)
- 3 경기갑사단 (8 기갑사단으로 개편)
- 4 경기갑사단 (9 기갑사단으로 개편)
- 5 아프리카 경기계화사단 (21 기갑사단으로 개편)
다른 이유로 "경"이라는 이름이 붙은 사단들은 보병사단 목록에 있다.
[편집] 보병사단
[편집] 보병사단의 종류
독일 보병사단들은 여러가지 목적과 특징에 따라 파생형(variety)들이 존재한다. 주요한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명칭 | 설명 |
요새 (Festung) | 이 "사단"은 요지 방어를 위해 운용된 편성기준이 없는 부대다. 대개 2~3개 대대나 그 이하의 규모로 편성되었다. |
척탄병(Grenadier) | 척탄병은 18세기 이래 프로이센군의 척탄병 전통을 딴 명칭으로 정예병을 상징하는 단어였으나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그냥 일반 보병부대를 호칭하는 단어가 되었다. |
경보병(Jager) | 부분적으로 말 또는 자동화된 수송체계와 경포병대로 장비되었고, 정규 보병사단에 비해 작은 규모였다. 이들 중 몇몇 사단은 산악사단과 거의 똑같았고, 일부는 "Gebrigsjaeger"(산악경보병사단)로 호칭되었다. 다만, 아프리카 군단(DAK) 소속이었던 경사단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5, 9, 164, 999 경기계화사단은 기계화사단으로 분류된다. |
차량화 보병 | 보병 및 무기 체계가 장갑차나 오토바이, 트럭 같은 군용차량으로 장비한 부대. 대개 정통 보병사단보다는 규모가 작다. |
숫자 사단 | 지역거점 사단의 종류로 이름에 종류를 나타내는 다른 어떠한 수식없이 오로지 숫자만 있는 사단이다. |
기갑척탄병(Panzergrenadier) | 대한민국에서는 기계화보병에 해당한다. 전차부대나 돌격포 부대와 함께 행동하며 보전협동전술을 구사한다. 현재 독일군도 이 명칭을 사용한다 |
국경경비사단(bodenstandige) | 이 사단들은 소속 포병대조차 충분히 수송할 수 없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동부전선에서 서부전선으로 보내져 대서양 일대 해안경비 임무를 맡았다. |
국민척탄병(Volksgrenadier) | 전쟁 후반기에 정규 편제 사단에 비해 병력과 장비가 축소되어 창설된 사단들이다. 많은 경우 이전에 전멸하거나 괴멸된 보병사단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창설되었다. Volksgrenadier란 이름은 히틀러가 사기 진작을 위해 붙인 선동적인 단어일뿐, 전투 능력이 정규 보병사단보다 뛰어나지 않았고, 뒤떨어졌다. |
zbV | 특별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임시편성 부대를 나타낸다(예: 사단 zbV 아프리카) 미군의 Task Force같은 존재이지만 전투단(Kampgruppe)와 또 다르다. |
위에 언급된 사단들은 약 3번 정도 걸쳐 편제 규모가 축소되었다. 사단당 3개 대대로 구성된 3개 보병연대가 2개 대대씩을 가진 2개 연대로 축소되는 것이다.
[편집] 번호가 부여된 사단
- 1 보병사단
- 2 차량화 보병사단 - 나중에 12 기갑사단으로 개편
- 3 보병사단 - 나중에 3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
- 4 보병사단 - 나중에 14 기갑사단으로 개편)
- 5 보병사단 - 나중에 5 경보병사단으로 개편. 5 경기계화사단과는 관계가 없다.
- 6 보병사단 - 나중에 6 척탄병사단, 6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7 보병사단
- 8 보병사단 - 나중에 8 경보병사단, 8 경보병사단으로 개칭
- 9 보병사단 - 나중에 9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10 보병사단 - 나중에 10 차량화 보병사단, 10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
- 11 보병사단
- 12 보병사단 - 12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편
- 13 보병사단 - 13 차량화 보병사단, 13 기갑사단, 기갑사단 펠트헤른할레 2으로 개편.
- 14 보병사단 - 14 차량화 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다가 다시 14 보병사단으로 환원함.
- 14 공군 보병사단 : 이 부대는 원래 공군 소속의 공군 14 지상전투사단이었다가 육군으로 이관되었다.
- 15 보병사단
- 15 기갑척탄병사단 - 이전에 33 보병사단으로 출발하였다. 15 기갑사단으로 개칭. 15 보병사단과는 관계가 없다.
- 16 보병사단 - 이후에 부대가 재편되면서 2개로 나뉘어졌다.
- 16 기갑사단,
- 16 차량화 보병사단 - 나중에 16 기갑척탄병사단, 116 기갑사단으로 재편됨.
- 16 공군 보병사단 - 나중에 16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됨. 이 부대도 원래는 공군 소속 공군 14 지상전투사단이 모체였다.
- 17 보병사단
- 18 보병사단 - 나중에 18 차량화 보병사단, 18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됨.
- 18 국민척탄병사단 - 18 보병사단과는 관계가 없다.
- 19 보병사단 - 나중에 19 기갑사단으로 개편
- 19 척탄병사단 - 나중에 19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이 부대도 공군 소속 공군 19 지상전투사단이 모체로서 다시 19 공군 돌격 사단으로 개칭되었다.
- 20 차량화 보병사단 - 20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됨.
- 21 보병사단
- 22 보병사단 - 나중에 22 공중수송사단이 되었다가 다시 22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23 보병사단 - 26 기갑사단으로 개편됨. 26기갑사단으로 개편된 후 23 보병사단의 일부로 다시 새로운 23보병사단을 창설한다.
- 24 보병사단
- 25 보병사단 - 25 차량화 보병사단을 거쳐 25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
- 26 보병사단 - 나중에 26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27 보병사단 - 나중에 17 기갑사단으로 개편
- 28 경보병사단 - 나중에 28 경보병사단으로 개칭
- 29 보병사단 - 29 차량화 보병사단, 29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
- 30 보병사단
- 31 보병사단 - 나중에 31 척탄병사단, 31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32 보병사단
- 33 보병사단 - 나중에 15 기갑사단, 15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편됨.
- 34 보병사단
- 35 보병사단 - 35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36 보병사단 - 나중에 36 차량화 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다시 36 보병사단으로 환원하였다가 36 척탄병사단을 거쳐 최종적으로 36 국민척탄병사단로 개칭되었다.
- 38 보병사단
- 39 보병사단 - 41 요새사단으로 개편되었다가 41 보병사단으로 환원
- 41 보병사단 - 이전에 39 보병사단을 모체로 편성. 41 요새사단으로 개편
- 42 경보병사단 - 187 예비 사단을 모체로 편성
- 44 보병사단 - 나중에 44 제국척탄병 사단 Hoch und Deutschmeister으로 개칭
- 45 보병사단 - 45 척탄병사단, 45 국민척탄병사단 등으로 개칭됨
- 46 보병사단
- 47 보병사단 - 이전에 사단번호 156, 156 예비 사단이 모체이며, 47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됨
- 48 보병사단 - 48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49 보병사단
- 50 보병사단
- 52 보병사단 - 나중에 52 야전 훈련 사단으로 전환되었다가 52 보안사단으로 개편
- 56 보병사단
- 57 보병사단
- 58 보병사단
- 59 보병사단
- 60 보병사단 - 나중에 60 차량화 보병사단, 기갑척탄병사단 펠트헤른할레 등을 거쳐 마지막에는 기갑사단 펠트헤른할레 1로 개편
- 61 보병사단 - 61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62 보병사단 - 나중에 62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64 보병사단
- 65 보병사단
- 68 보병사단
- 69 보병사단
- 70 경비사단
- 71 보병사단
- 72 보병사단
- 73 보병사단
- 75 보병사단
- 76 보병사단
- 77 보병사단
- 78 보병사단 - 나중에 78 돌격사단, 78 척탄병사단, 78 국민척탄병사단, 최종적으로 78 국민돌격사단(Volks-Sturm)으로 개칭
- 79 보병사단 - 나중에 79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80 보병사단
- 81 보병사단
- 82 보병사단
- 83 보병사단
- 84 보병사단
- 85 보병사단
- 86 보병사단
- 87 보병사단
- 88 보병사단
- 89 보병사단
- 90 경보병사단 (이전에 zbV사단 아프리카; 후에 90 아프리카 경 사단, 90 기갑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91 보병사단 - 나중에 91 공중수송사단으로 개편
- 92 보병사단
- 93 보병사단
- 94 보병사단
- 95 보병사단 - 나중에 95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96 보병사단
- 97 경보병사단 - 나중에 97 엽병(Jager)사단으로 개칭
- 98 보병사단
- 99 경보병사단 - 나중에 7 산악사단으로 개편
- 100 경보병사단 - 나중에 100 경보병사단으로 개칭
- 101 경보병사단 - 나중에 101 경보병사단으로 개칭
- 102 보병사단
- 104 경보병사단
- 106 보병사단
- 110 보병사단
- 114 경보병사단
- 117 경보병사단
- 118 경보병사단
- 133 요새사단
- zbV 140사단 - 9 산악사단이기도 하다
- 141 예비 사단
- 143 예비 사단
- 147 예비 사단
- 148 예비 사단
- 149 야전 훈련 사단
- 150 야전 훈련 사단
- 사단 Nr. 151 - 나중에 151 예비 사단
- 사단 Nr. 152
- 사단 Nr. 153 - 나중에 153 예비 사단, 153 야전 훈련 사단, 153 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사단 Nr. 154 - 나중에 154 예비 사단, 154 야전 훈련 사단, 154 보병사단으로 개칭
- 사단 Nr. 155 - 나중에 사단 Nr. 155 (mot.), 기갑사단 Nr. 155, 155 예비 기갑사단)
- 155 야전 훈련 사단 (나중에 155 보병사단) - 사단번호 155, 와는 관계가 없다.
- 사단 Nr. 156 (나중에 156 예비 사단, 47 보병사단, 47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156 야전 보충병 사단 (나중에 156 보병사단)
- 사단 Nr. 157 - 나중에 157 예비 사단, 157 산악사단, 8 산악사단)
- 사단 Nr. 158 - 나중에 158 예비 사단)
- 사단 Nr. 159 - 나중에 159 예비 사단, 159 보병사단으로 개편
- 사단 Nr. 160 - 나중에 160 예비 사단, 160 보병사단으로 개편
- 161 보병사단
- 162 보병사단 - 162 보병사단 Turkistan으로 외국인부대가 됨
- 163 보병사단
- 164 보병사단 - 나중에 요새사단 크레타로 개편되었고, 다음과 같이 분리되었다.
- 요새여단 크레타
- 164 아프리카 경사단
- 165 예비 사단
- 166 예비 사단
- 167 국민척탄병사단
- 169 보병사단
- 170 보병사단
- 171 예비 사단
- 172 예비 사단
- 173 예비 사단
- 174 예비 사단
- 181 보병사단
- 182 예비 사단
- 183 국민척탄병사단
- 187 예비 사단 (나중에 42 경보병사단)
- 사단 Nr. 188 (나중에 188 예비 산악사단, 188 산악사단)
- 189 예비 사단
- 191 예비 사단
- 196 보병사단
- 198 보병사단
- 199 보병사단
- 201 보안사단
- 203 보안사단
- 205 보병사단 (이전에 14 Landwehr 사단)
- 206 보병사단
- 207 보병사단 (나중에 207 보안사단)
- 208 보병사단
- 210 해안 방어 사단
- 211 국민척탄병사단
- 212 보병사단 (나중에 578 국민척탄병사단, 212 국민척탄병사단)
- 213 보안사단
- 214 보병사단
- 217 보병사단
- 218 보병사단
- 221 보안사단
- 228 보병사단
- 230 해안 방어 사단
- 233 기갑척탄병사단
- 242 경비사단
- 243 경비사단
- 246 국민척탄병사단
- 250 보병사단 - 독일군에서 복무한 에스파냐 자원병으로 편성된 푸른사단이다.
- 256 국민척탄병사단
- 257 국민척탄병사단
- 269 보병사단
- 270 요새 보병사단
- 271 국민척탄병사단
- 272 국민척탄병사단
- 274 경비사단
- 275 보병사단
- 276 국민척탄병사단
- 277 국민척탄병사단
- 280 요새 보병사단
- 281 보안사단 - 나중에 281 보병사단으로 개편
- 285 보안사단
- 286 보안사단
- 291 보병사단
- 295 보병사단 - 나중에 295 요새 보병사단으로 개칭
- 302 경비사단 (나중에 302 보병사단)
- 320 국민척탄병사단
- 325 보안사단
- 326 국민척탄병사단
- 331 보병사단
- 332 경비사단 (나중에 332 보병사단)
- 334 보병사단
- 337 국민척탄병사단
- 340 국민척탄병사단
- 344 경비사단 (나중에 344 보병사단)
- 345 차량화 보병사단
- 347 국민척탄병사단
- 349 국민척탄병사단
- 351 보병사단
- 352 보병사단 (나중에 352 국민척탄병사단)
- 361 국민척탄병사단
- 363 국민척탄병사단
- 381 야전 훈련 사단
- 382 야전 훈련 사단
- 386 차량화 보병사단
- 388 야전 훈련 사단
- 390 보안사단
- 390 야전 훈련 사단
- 391 보안사단
- 391 야전 훈련 사단
- 402 훈련사단
- 403 보안사단
- 444 보안사단
- 454 보안사단
- 462 국민척탄병사단
- 526 예비 사단
- 541 척탄병사단 - 나중에 541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42 척탄병사단 - 나중에 542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43 척탄병사단
- 544 척탄병사단 - 나중에 544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45 척탄병사단 - 나중에 545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46 척탄병사단
- 547 척탄병사단 - 나중에 547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48 척탄병사단 - 나중에 548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49 척탄병사단 - 나중에 549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50 척탄병사단
- 551 척탄병사단 - 나중에 551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52 척탄병사단
- 553 척탄병사단 - 나중에 553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58 척탄병사단 - 나중에 558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59 척탄병사단 - 나중에 559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60 척탄병사단 - 나중에 560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62 척탄병사단 동프로이센(Ostpreußen) 2 (나중에 562 국민척탄병사단)
- 563 척탄병사단 - 나중에 563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64 척탄병사단 - 나중에 564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565 국민척탄병사단
- 566 국민척탄병사단
- 567 국민척탄병사단
- 568 국민척탄병사단
- 569 국민척탄병사단
- 570 국민척탄병사단
- 571 국민척탄병사단
- 572 국민척탄병사단
- 573 국민척탄병사단
- 574 국민척탄병사단
- 575 국민척탄병사단
- 576 국민척탄병사단
- 577 국민척탄병사단
- 578 국민척탄병사단 - 이전에 212 보병사단이 모체. 후에 212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편됨
- 579 국민척탄병사단
- 580 국민척탄병사단
- 581 국민척탄병사단
- 582 국민척탄병사단
- 583 국민척탄병사단
- 584 국민척탄병사단
- 585 국민척탄병사단
- 586 국민척탄병사단
- 587 국민척탄병사단
- 588 국민척탄병사단
- 600 보병사단
- 650 보병사단
- 702 경비사단
- 703 보병사단
- 704 보병사단
- 707 보병사단
- 708 경비사단 - 나중에 708 해안 방어 사단, 708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709 경비사단
- 710 경비사단
- 711 보병사단
- 712 보병사단
- 713 보병사단
- 714 보병사단
- 715 보병사단
- 716 경비사단 - 나중에 716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717 보병사단
- 718 보병사단
- 719 보병사단
- 사단 번호 805
- 999 아프리카 경사단
[편집] 이름만 붙은 사단
- Fuhrer Begleit 사단 : 히틀러의 동부전선 사령부를 경비하기 위해 창설된 경비여단
- 총통척탄병 사단
- 기갑척탄병사단 브란덴부르그(Brandenburg)
- 기갑척탄병사단 펠트헤른할레 (이전에 60 보병사단, 60 차량화 보병사단; later 기갑사단 펠트헤른할레 1)
- 기갑척탄병사단 그로스도이칠란트(Großdeutschland)
- 척탄병사단 레어
- "교도기갑사단"과는 관계가 없음
- 엽병(Jager) 사단 알펜
[편집] 산악사단
1 산악사단 | 2 산악사단 | 3 산악사단 | 4 산악사단 | 5 산악사단 | 6 산악사단 | 7 산악사단 | 8 산악사단 | 9 산악사단 | 188 산악사단 |
[편집] 스키사단
[편집] 기병사단
데이비스에 따르면 독일군의 기병사단은 기마보병대고, 코사크 부대는 러시아군 기병사단을 모델로 한 진짜 기병] 사단이었다.
- 1 기병사단 (나중에 24 기갑사단)
- 3 기병사단
- 4 기병사단
- 코삭 기병사단 : 이 부대는 뒤에 무장친위대(WaffenSS)로 전속되어 1 코삭 기병사단 및 2코삭 기병사단으로 분할되었다.
[편집] Landwehr 사단
- 14 Landwehr 사단 (나중에 205 보병사단)
- 97 Landwehr 사단
[편집] 포병사단
- 18 포병사단 (formerly 18 기갑사단)
- 309 포병사단
- 310 포병사단
- 311 포병사단
- 312 포병사단
[편집] 이름만 붙은 요새사단
- 요새사단 단치히(Danzig)
- 요새사단 프랑크푸르트/오데르(Frankfurt/Oder)
- 요새사단 고텐하펜(Gotenhafen)
- 요새사단 크레타(Kreta) (이전에 164 보병사단; 이후 164 아프리카 경사단으로 분리/개편됨)
- 요새사단 쉬테틴(Stettin)
- 요새사단 스비네문델(Swinemunde)
- 요새사단 바샤우(Warschau)
[편집] 이름만 붙은 훈련사단
- 독일 훈련사단 바이에른
- 독일 훈련사단 쿠어란트
- 독일 훈련사단 노르트
[편집] 야전 보충병 사단
A 야전보충병 사단 | B 야전보충병 사단 | C 야전보충병 사단 | D 야전보충병 사단 | E 야전보충병 사단 | F 야전보충병 사단 |
[편집] 해군
[편집] 해군 보병사단
해군 보병사단도 독일 공군(제2차 세계 대전)과 마찬가지로 전쟁 후반에 남아돌게 된 수병들로 편성된 사단으로 주로 동부전선에 배치되었다. 발트해와 북해가 당시 독일 해군의 주요 활동 무대였던 탓이기도 하다.
1 해군보병사단 | 2 해군보병사단 | 3 해군보병사단 | 11 해군보병사단 | 16 해군보병사단 | 해군 보병사단 고텐하펜(Gotenhafen) |
[편집] 공군 (Luftwaffe))
[편집] 헤르만 괴링 사단
헤르만 괴링 사단은 작은 경찰 조직에서 시작하여, 공군 소속 방공포 부대(88mm)를 거쳐 독립적인 기갑군단으로 발전하였다. 후에 "Fallschirm"(강하) 란 표현이 순전히 명예적인 수식어로 붙었으며, 전쟁 기간 대부분을 "낙하"와는 관계없는 전투부대로 보냈다. 약칭해서 "HG"라고도 한다.
- 헤르만 괴링 사단 (뒤에 헤르만 괴링 기갑사단으로 재편되고, 다시 "1 헤르만 괴링 공수기갑사단으로 개칭되었다.
- 2 헤르만 괴링 공수기갑사단
[편집] 공수사단
공수부대의 존재를 비밀로 유지하기 위해 독일 공수부대는 이름을 공군(루프트바페) 사단의 시리즈로 "Flieger"라 이름 붙였다. 이 단어는 영어로 Flier에 해당하는 데, 이 경우에 들어맞는 한국어 단어가 애매하다. Flier는 사전 정의에서 군사 용어로는 비행사, 비행기, 항공병 등으로 번역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만, '7th Flieger Division'은 영어로 '7th Air Division'으로 번역한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는 항공사단 정도로 번역이 가능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연합군이 "푸른 악마"라는 별명으로도 불렀던 독일 공수사단은 전쟁 초반기에는 용맹과 악명을 날렸지만, 전쟁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명목상의 공수사단으로 변해버렸다. '팔슈름예거'란 말은 본래 "낙하산병" 정도로 번역하는 독일어의 보통명사였지만, 고유명사처럼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독일 공수부대를 가리키는 말로 정착되었다(현용 독일 연방군의 공수부대도 이 단어를 사용하긴 한다). 전쟁 중후반기에 대부분의 공수부대원들은 실제 강하 훈련도 거의 받지 못했고 차량화보병부대 정도였다. 할 일이 없어진 공군 소속의 유휴 인력들을 대거 전투부대로 전속시킨 탓이다. 자연스레 전투력도 낮은 편이었다. 다만, 초기에 창설된 몇 개의 사단은 여전히 왕성한 전투력을 끝까지 유지하였다.
1 공수사단 | 2 공수사단 | 3 공수사단 | 4 공수사단 | 5 공수사단 | 6 공수사단 | 7 공수사단 | 8 공수사단 |
9 공수사단 | 10 공수사단 | 11 공수사단 | 20 공수사단 | 21 공수사단 |
[편집] 지상전투사단
아래는 독일 공군이 조직한 보병사단이다. 전쟁 중반 이후 인력이 남아돌게 되자 그 인력으로 창설한 부대다. 그들은 원래 공군 소속이었으나 육군의 지휘를 받았고, 넘버링을 유지하고 육군 소속 기존 사단들과 구별하기 위해 "공군(Luftwaffe)"이란 명칭을 덧붙여 사용했다.
1 지상전투사단 | 2 지상전투사단 | 3 지상전투사단 | 4 지상전투사단 | 5 지상전투사단 | 6 지상전투사단 |
7 지상전투사단 | 8 지상전투사단 | 9 지상전투사단 | 10 지상전투사단 | 11 지상전투사단 | 12 지상전투사단 |
13 지상전투사단 | 14 지상전투사단 | 15 지상전투사단 | 16 지상전투사단 | 17 지상전투사단 | 18 지상전투사단 |
19 지상전투사단 | 20 지상전투사단 | 21 지상전투사단 | 22 지상전투사단 |
- 16 지상전투사단은 육군으로 이관되어 16 공군보병사단(후에 16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이 되었다.
- 19 지상전투사단은 후에 공군 19 돌격(Sturm)사단으로 개칭되었고, 육군으로 이관되어 19 척탄병사단이 됨(후에 19 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20 지상전투사단은 후에 20 공군 돌격사단으로 개칭되었다.
[편집] 훈련 사단
- 독일 공군 1 훈련사단
- 독일 공수 훈련 및 보충 사단
[편집] 방공사단
방공사단은 실제 지상 전투를 위한 제병연합 사단이라기보다는 지역별로 배치된 대공포(독일군은 FLAK로 약칭)부대를 지휘하기 위한 사령부격의 존재였다.
1 방공사단 | 2 방공사단 | 3 방공사단 | 4 방공사단 | 5 방공사단 | 6 방공사단 | 7 방공사단 | 8 방공사단 |
9 방공사단 | 10 방공사단 | 11 방공사단 | 12 방공사단 | 13 방공사단 | 14 방공사단 | 15 방공사단 | 16 방공사단 |
17 방공사단 | 18 방공사단 | 19 방공사단 | 20 방공사단 | 21 방공사단 | 22 방공사단 | 23 방공사단 | 24 방공사단 |
25 방공사단 | 26 방공사단 | 27 방공사단 | 28 방공사단 | 29 방공사단 | 30 방공사단 | 31 방공사단 |
[편집] 무장친위대(Waffen-SS)
아래 목록은 종류(보병, 산악, 기갑 등)와 상관없이 모든 무장친위대 (WaffenSS) 소속 사단이다. 명칭은 사단이지만, 대부분 "사단"의 실제 규모는 전투단과 같이 소규모로서 연대나 대대급도 많다. 명목상의 사단이 대부분인 아래 목록에서 사단 편제를 유지한 부대는 "무장친위대의 트리오"라고 불리던 LSSAH, 다스라이히, 토텐코프를 비롯하여, 5 SS 기갑사단 비킹, 12 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등 10여개 사단이 안되었다.
WaffenSS의 모체인 SS의 원칙에 따르면 독일인들만이 소속되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다국적으로 구성되었고, 그 중에는 무슬림들도 있었다.
사단 목록 | 비고 |
1 SS기갑사단 LSSAH | 총통경호부대로 출발. 1942년에 기갑사단으로 개편 |
2 SS기갑사단 다스라이히 | 1941년 4월에 기갑사단으로 개편. |
3 SS기갑사단 토텐코프 | 1940년에 사단으로 개편. |
4 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폴리자이 | 경찰대원을 주축으로 창설. 1943년에 기갑척탄병사단이 됨. |
5 SS기갑사단 비킹 | 1940년 편성. 게르만계 외국인들로 구성된 첫번째 사단. 독일인 사단못지 않은 용맹성을 발휘. |
6 SS산악사단 노르트 | 1941년 편성. 주로 핀란드에서 싸웠고, 전쟁 후반부 서부전선에 괴멸. |
7 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오이겐 | 1942년 독일계 세르비아인들로 구성. 유고슬라비아의 빨치산 토벌에 주력 |
8 SS기병사단 플로리안가이어 | 1942년 SS기병여단의 확장으로 편성. |
9 SS기갑사단 호헨슈타우펜 | 1942년 창설. 마켓-가든 작전 중 아른헴 전투으로 유명해짐. |
10 SS기갑사단 프른즈베르크 | 1942년 창설. 10 SS사단과 함께 마켓-가든 작전으로 유명해짐. |
11 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노르트란트 | 1943년 창설. 외인부대와 비킹 사단 일부를 합쳐서 창설. 베를린 공방전에서 전멸. |
12 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 1943년 히틀러 청소년단의 대원들과 LSSAH에서 차출한 장교 및 부사관으로 창설. |
13 무장SS산악사단 한트샤르 (크로아티아1) | 1943년 프린츠 오이겐사단과 크로아티아 반공의용군을 중심으로 편성. 잦은 반란 등으로 13SS산악척탄병연대로 축소 |
14 무장SS척탄병사단 갈리치엔 (우크라니아 1) | 우크라이나인들로 구성되어 창설. |
15 무장SS척탄병사단 레트란트1 | 라트비아 경찰을 중심으로 편성. 베를린 공방전에서 전멸. |
16 SS기갑척탄병사단 SS전국지도자 | 1943년, 코르시카섬의 게릴라 토벌을 위해 창설 |
17 SS기갑척탄병사단 괴츠 폰 베를리힝엔 | 1943년, 독일인들로 편성 |
18 SS의용척탄병사단 호르스트 베셀 | 1944년, 헝가리와 유고슬라비아의 나치당원을 모아 창설. |
19 무장SS 척탄병사단 레트란트2 | 라트비아인들로 구성된 사단 |
20 무장SS척탄병사단 에스토니아1 | 에스토니아인들로 편성된 사단 |
21 SS산악사단 스칸더베르크 (알바니아1) | 알바니아인 나치당원으로 편성. 1944년에 해산하여 21산악척탄병연대로 편입됨. |
22 의용SS기병사단 마리아 테레사 | 헝가리인들로 창설된 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와 함께 부다페스트 공방전에서 전멸. |
23 무장SS산악사단 카마 | 반공 크로아티아인과 독일인 일부로 창설. 곧 해산됨. |
23 SS 의용장갑척탄병사단 네덜란트 | SS 23사단 "Kama" 해산후 네덜란드인들로 창설된 사단. 번호는 같지만 카마와는 관계없다. |
24 무장SS산악병사단 이탈리아 | 독일계 이태리인들로 창설된 사단. 대빨치산전에 종사. |
25 무장SS척탄병사단 훈야디 (헝가리1) | 헝가리인들로 편성된 사단. |
26 무장SS척탄병사단 헝가리2 | 1944년 8월 창설 |
27 SS의용척탄병사단 랑게마르크 | |
28 SS의용장갑척탄병사단 발로니에 | 벨기에인 나치당원들로 편성. 명칭은 사단이나 여단급 부대였음. |
29 무장SS척탄병사단 러시아1 | 연대급 부대로 창설 후 바로 30사단으로 편입됨. |
29 무장SS척탄병사단 이탈리아1 | 사단 번호는 같지만 러시아1(1st Russian)사단과는 관계가 없다. |
30 무장SS척탄병사단 러시아2 | SS29사단과 소련군 탈영병을 모아 만든 부대. 1944년 전멸 |
31 SS의용장갑사단 베멘 묄렌 | Bohmen-Mahren 또는 Batschka 등의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1945년 창설. |
32 SS지원척탄병사단 1월30일 | 나치의 정권장악일(1월 30일)을 기념하여 붙인 이름이다. |
33 무장SS척탄병사단 헝가리3 | |
33 무장SS척탄병사단 샬레마뉴 (프랑스1) | 33 SS기병사단과는 사단번호는 같지만 관계없다. |
34 SS지원척탄병사단 란스트롬 네덜란트 | |
35 SS경찰 척탄병사단 | |
36 무장SS척탄병사단 딜레방거 | 바르샤바 봉기 진압작전으로 악명을 날린 딜레방어 여단을 승격시킨 부대. |
37 SS 지원기병사단 뤼초프 | |
38 SS 척탄병사단 니벨룽엔 |
또한 기갑사단 켐프(Kempf)는 임시 조직으로 육군(Heer)과 무장친위대(WaffenSS)의 혼성부대였다.
[편집] 더 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군단 목록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군사 조직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군 군사 용어
- 사단 (군사), 군사 조직
- 독일 국방군 (Wehrmacht), 독일 육군, 독일 공군 (Luftwaffe), 독일 해군 (Kriegsmarine), 무장친위대 (WaffenSS)
- 전차 (Panzer), 독일 기갑사단 (Panzer Division), 기계화 부대
- 기갑척탄병, 기계화 보병
- 팔쉬름예거, 공수부대
- 국민척탄병
- 독일 육군 전투 서열
[편집] 참고문헌
아래는 영어판의 참고문헌이다.
- Astel, John; Goodwin, A. E.; Long, Jason, Bengtsson, Sven Ake; & Parmenter, James D. (1998). "Orders of Battle". Data booklet from the Europa game Storm Over Scandinavia. Grinnel, Iowa: Game Research/Design. ISBN 1860100910.
- 틀:Book reference
- Parada, George (2004). "Panzer Divisions 1940-1945". Retrieved April 1, 2005.
- Yeide, Harry;(2004). The Tank Killers, A History of America's World War II Tank Destroyer Force. (pg. 209). Casemate Publishers, Havertown, PA. ISBN 1-932033-26-2.
[편집] 바깥 고리
- axishistory.com의 독일군 부대 Database
- feldgrau.com
- lexikon-der-wehrmacht.de (독일 language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