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음태양력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음태양력은 달의 차고 기움을 기준으로 달을 나누고, 계절의 변화를 기준으로 해를 나누는 역법이다.
[편집] 한국의 태음태양력
- 인덕력 (麟德曆) - 674년(신라 문무왕 14년)
- 대연력 (大衍曆) - 신라시대
- 원가력 (元嘉曆) - 백제시대?
- 선명력 (宣明曆) - 남북국 신라 후기(?) ~ 고려 충렬왕
- 견행력 (見行曆) - 고려시대 한위행이 만든 역법
- 수시력 (授時曆) - 고려 충선왕 ~ (사실상 수시력과 대통력은 같은 달력이다.)
- 대통력 (大統曆) - 고려 후기 ~ 1653년(조선 효종 4년)
- 시헌력 (時憲曆) - 1653년(조선 효종 4년) ~ 1910년 한일합방
[편집] 그밖의 태음태양력
- 바빌로니아력
- 유대력
- 그리스력
- 인도력
- 중국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