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각제(Parliamentary system)란 국가권력을 의회에 부여한 정부형태로서, 대통령제와 함께 현대 입헌민주국가의 양대 정부형태를 이룬다. 의원내각제라고도 한다.

대통령제는 이를 처음 만든 나라인 미국이 대표적인 반면에, 내각제는 영국이 유명하다.

목차

[편집] 내각제의 종류

  • Parliamentary system
  • Westminster system
  • 제한된 의원내각제 : 반대통령제 참조.

[편집] 내각제의 장점

[편집] 내각제의 단점

군주대통령의 권한이 약해질 수도 있다.

[편집] 내각제 국가들

(2006년 현재)

  • 국왕이 국가원수인 나라

앤티가 바부다, 오스트레일리아,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기에, 벨리즈, 캐나다, 덴마크, 도미니카, 그레나다, 자메이카,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말레이시아,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에스파냐, 스웨덴, 영국

오스트리아, 방글라데시,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도미니카 공화국, 에스토니아, 핀란드,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인도, 아일랜드 공화국, 이라크, 이스라엘,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포르투갈, 에티오피아, 싱가포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트리니다드 토바고, 터키

일본의 국왕은 법률상으로 국가원수가 아니지만(국가원수의 규정 없음), 대외적인 국가원수로 보는 것이 관습적이다.

[편집] 한국의 내각제 도입논의

자유민주연합에서 내각제 도입을 주장한바 있다.

[편집]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