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머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티머니(T-money)는 대한민국에서 지하철, 버스, 택시, PC 방, 편의점, 박물관 등에서 결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이다.
2004년 7월 서울특별시가 대중교통 체계를 개편하면서 새 교통 카드로 티머니가 처음 도입되었다. 티머니 카드 발급 및 관리는 서울특별시에서 출자하여 설립된 한국스마트카드가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통비 결제 이외에 교통 마일리지 서비스 등 부가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목차 |
[편집] 종류 및 기능
티머니 카드에는 보급형 티머니, 스마트 티머니가 있다. 스마트 티머니는 나이에 따라 일반용, 청소년용(13세~18세), 어린이용(7세~12세)으로 구분하여 판매하고 있다. 보급형 티머니는 현재 생산이 중단된 상태이다. 카드별로 그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과 같다.
[편집] 보급형 티머니
[편집] 스마트 티머니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2006년 11월 13일부터 사용가능하지만 일부 지역의 마을버스와 경기도 적<籍> 시외버스는 사용불가), 경상북도 포항·안동시, 경상남도 통영·거제시, 제주특별자치도 대중교통 요금 결제
- 티머니 가맹점(대한극장, 연흥극장,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교보문고·지에스25·세븐일레븐 등) 결제
- 마일리지 서비스 : 티머니로 결제한 교통 요금의 0.1%를 마일리지로 적립해 준다. 웹사이트에서 등록을 해야 적용되는 서비스이다.
[편집] 같은 이름의 카드
- 이비 티머니 : 이비카드에서 발행했던 교통카드로, 경기도 및 인천 지역의 가판대에서 구입할 수 있었다. 보급형 티머니와 그 기능이 동일하다.
- 탑캐시 티머니 : 탑캐시에서 발행하는 티머니 카드. 포항, 안동, 통영, 거제시에서 이용된다.
[편집] 구입
- 보급형 티머니 / 악세사리형: 더 이상 판매되지 않으며, 연세의료원 의료스마트 제휴카드로 통해서만 볼 수 있다.
- 스마트 티머니 / 카드형: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가두충전소, 한국철도공사·인천 지하철 구간을 제외한 수도권 전철 역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
- 스마트 티머니 / 액세서리형: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바이 더 웨이·세븐일레븐·가두충전소에서 구입할 수 있다.
[편집] 충전
수도권 전철 매표소,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가두판매점에서 충전할 수 있다.
[편집] 환불
[편집] 훼손되지 않은 카드
카드 잔액과 빈 카드를 즉시 돌려받을 수 있다. 카드 잔액에서 500원의 환불 수수료를 공제한 금액을 환불받을 수 있다. 다만, 카드 잔액에 따라 환불처가 다르다.
- 잔액이 2만 원 이하인 경우: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부 지에스25·훼미리마트 에서 환불할 수 있다.
- 잔액이 2만 원 초과인 경우: 한국스마트카드에서 환불할 수 있다.
[편집] 훼손된 카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 지점에 비치된 환불 봉투에 훼손된 카드를 넣어 접수하면, 나중에 한국스마트카드에서 환불 봉투를 수거한 후, 은행 계좌를 통해 카드 잔액만을 돌려받을 수 있다.
[편집] 관련 항목
[편집] 바깥 고리
대한민국의 교통 카드 |
---|
대경교통카드(카드넷) - 마이비카드(마이비) - 유패스(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 - 케이캐쉬(금융결제원) - 티머니(한국스마트카드) - 하나로교통카드(하나로교통카드) - 한꿈이카드(비자캐시)
유사 교통 카드 : KB 프리 패스(KB카드) - KTX 패밀리 카드(인터내셔널 패스 앤 커머스)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