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려대학교 | |
{{{그림}}} | |
표어 | 자유·정의·진리 |
설립 | 1905년 |
종류 | 사립 |
총장 | 어윤대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 성북구 안암동/종암동 서울 성북구 정릉동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
캠퍼스 | {{{캠퍼스}}} |
학생 수 | 학부: 25,626 (2005) 대학원: 11,650 (2005) |
교수진 | 1,114 (2005) |
상징 | 호랑이 |
기타 설명 | {{{기타}}} |
웹사이트 | www.korea.ac.kr |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영어: Korea University; 약칭: 고려대, 고대, KU)는 1905년 개교 이래 민족 사학이라는 이념으로 그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학교이다. 상징동물은 호랑이, 상징색은 크림슨색이고, 상징꽃은 철쭉이며, 교훈은 자유(自由, 라틴어: Libertas)·정의(正義, 라틴어: Justitia)·진리(眞理, 라틴어: Veritas)이다.
목차 |
[편집] 연혁
1905년 이용익(李容翊)에 의해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로 개교. 1934년 현위치인 안암동에서 새 본관 건물을 준공하였다. 1946년 고려대학교로 학교 이름을 바꾸었다.
[편집] 역대 총장
- 제1대(초대) 총장 현상윤(1946.8 - 1950.10)
- 제2,3,4대 총장 유진오(1952.9 - 1965.10)
- 제5대 총장 이종우(1965.10 - 1970.9)
- 제6대 총장 김상협(1970.10 - 1975.4)
- 제7대 총장 차락훈(1975.6 - 1977.6)
- 제8대 총장 김상협(1977.8 - 1982.6)
- 제9대 총장 김준엽(1982.7 - 1985.2)
- 제10,11대 총장 이준범(1985.3 - 1989.7)
- 제12대 총장 김희집(1990.6 - 1994.6)
- 제13대 총장 홍일식(1994.6 - 1998.6)
- 제14대 총장 김정배(1998.6 - 2002.6)
- 제15대 총장 어윤대(2003.2 - 2006.12)
- 제16대 총장 이필상(2006.12 - )
[편집] 사건·사고
- 1960년 4월 18일에 이승만 하야 등을 외치며 경무대까지 시위 행진을 벌인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시위를 마치고 학교로 돌아오던 중 종로에서 이른바 정치 깡패들의 기습을 받고 수십 명의 부상자를 냈다.
- 2005년 5월 2일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 명예 철학박사 학위 수여를 반대하는 학생집회가 있었다. 바로 다음날인 5월 3일 고려대 교무부총장과 9명의 처장단, 총 10명의 보직교수가 사퇴서를 내고, 어윤대 고려대 총장은 공개적인 사과문을 발표한 뒤 이를 삼성그룹에 전달했다. 그런 다음 고려대 학교당국은 집회에 참여한 학생들을 선별하여 징계하고자 했으나 여론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 2006년 4월 5일 고려대 학생들은 고려대 학교당국이 보건대학 학생들의 총학생회 투표권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는데 항의하여 학교 본관에서 오랜시간동안 집회를 가졌고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16시간동안 교직원들을 억류했다. 2주 뒤인 4월 19일 고려대 학교당국에서는 "교수 9명이 학생들에 의해 17시간 감금"되었다며 집회에 참가한 학생 19명을 징계한다고 발표하고, 그 가운데 7명에게는 이른바 '출교(黜校)' 징계를 하고자 했다.
[편집] 특징
[편집] 민주화 운동
[편집] 4.18 구국대장정
4월 18일에 총학생회 주관으로 4월 18일(#사건·사고 참고)을 기리기 위하여 4.18 구국대장정 행사를 열고 있다.
[편집] 제1전공의 심화전공 또는 제2전공의 의무화
2004학년도 학부 입학생(이하 04학번)부터 적용된 졸업 요구 조건의 하나이다. 04학번 이후의 학부생들은 기존대로 제1전공의 기본 이수학점만 채우면 안 되어, 제1전공의 심화전공이나 제2전공에 해당하는 이수 방법들(이중전공, 연계전공, 학생설계전공)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다.
- 제1전공의 심화전공
- 제1전공 학과에서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전공 과목 학점의 절반 만큼 학점을 더 이수하는 것이다. 만약 학생 자신의 제1전공 학과에서 정한 전공 이수학점이 36학점이라면, 심화전공을 할 때에는 18학점을 더 이수해야 한다. 심화전공으로 졸업하면 졸업장에 심화전공 사실이 기재된다.
- 이중전공
- 제2전공의 하나. 제1전공과 동시에 다른 학과를 이중으로 전공, 졸업 시에 2개의 학사(學士)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이다. 쉽게 말해 학생 개개인이 속한 학과 외에 다른 학과의 전공을 하나 더 가지는 것이다. 이중전공으로 졸업하면 제1전공과 동일한 졸업장에 이중전공 사실이 기재된다. 이것은 4년(8학기) 내에 이수할 수 있다는 점과 제2전공의 하나라는 점에서 복수전공과 다르다. 고대 사정을 잘 모르는 외부 언론에서 이중전공과 복수전공을 혼동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 연계전공
- 제2전공의 하나. 2개 이상의 학부·학과가 연계하여 별도의 교육과정을 편성, 설치하는 전공이다. 연계전공으로 졸업하면 제1전공과 동일한 졸업장에 연계전공 사실이 기재된다.
- 학생설계전공
- 제2전공의 하나이나 아직까지는 명목상으로만 존재한다. 아직 학교 측이 구체적으로 이 이수 방법을 제도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학생들이 선택할 수 없는 상태이다.
- 제2전공에 해당되지 않는 교과 이수 방법
다음은 많은 사람들이 종종 제2전공과 혼동하는 교과 이수 방법이다. 아래의 교과 이수 방법은 제2전공과 무관하며, 따라서 학생들에게 의무 사항이 아니다.
-
- 부전공
- 제1전공을 이수하는 동시에 다른 학과의 전체 전공 이수학점의 일부를 이수, 동일한 졸업장에 부전공(minor) 사실을 기재하는 것이다. 03학번 이전 학부생은 부전공하는 학과에 관계 없이 전공을 21학점을 수강하면 된다. 04학번 이후 학부생은 부전공하는 학과를 제1전공으로 할 때의 학점의 절반을 이수하면 된다. 만약 A학과의 전공 이수학점이 36학점인데 어느 04학번 학부생이 A학과를 부전공하려면, A학과에서 전공 18학점을 이수하면 된다. 이렇게 규정이 변경된 것은 제1전공의 심화전공 및 제2전공이 의무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부전공 이수를 신청할 수 있는 학생은 본교에서 제1전공을 배정 받고 3학기 이상 재학한 학부생이다. 부전공 이수를 신청한 이후에 해당 학과를 복수전공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상세한 내용은 복수전공 참고.
-
- 복수전공
- 많은 사람들이 이중전공과 혼동하는 교과 이수 방법이다. 복수전공은 제1전공 이수후 졸업을 유보하고, 또하나의 전공을 연속해서 이수하여 2개의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제1전공 이수가 끝난 후 최소한 2학기는 더 다녀야 졸업할 수 있다(이 점이 이중전공과 다름). 제1전공 재학기간 중의 부전공한 학과를 복수전공으로 전환하여 이수했을 경우, 전환 이전에 취득한 학점은 21학점까지만 인정되며 부전공 효력은 상실된다.
[편집] Global KU
[편집] 방문학생
현재 4개의 학교와 협정을 맺어 매년 다수의 방문학생을 파견하고 있다. 미국의 UC 데이비스(UC Davis), 캐나다의 UBC, 영국의 RHUL, 호주의 그리피스 대학교 등이 그 대상이다. 등록금은 파견교와 본교에 납부하는 것이 원칙이나, 본교의 등록금은 장학금의 형식으로 반환된다.
[편집] 캠퍼스와 건축물
고대는 그 고풍스러운 건물들과 함께 아름다운 조경으로 국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학 캠퍼스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편집] 안암캠퍼스
안암캠퍼스(安岩-)는 서울 성북구 안암동과 종암동에 위치한 본교(本校) 캠퍼스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정릉캠퍼스도 포함한다.
[편집] 인문계캠퍼스
안암캠퍼스 안에서도 고대의 중심이 되는 캠퍼스이다. 토지의 대부분은 안암동에 속해 있으나 일부는 종암동에 속해 있다.
- 본관 : 대학본부가 있는 곳.
- 서관(西館) : 시계탑 건물이라고 함. 문과대학으로 사용 중이다. '서관'은 별칭으로서 '書館'(책을 보관하는 건물)으로도 쓰는데 이는 '西館'과 동음어이면서 문과대학의 특성과 맞기 때문이다.
- 중앙광장
- LG-POSCO 경영관
- 백주년 기념 삼성관
- 호상(虎像) : 학교의 기개를 표현하는 호랑이 조각상. 그 호상 바닥에는 조지훈(趙芝薰)님의 호상비문이 적혀 있으며, 이 비문의 탁본은 졸업하는 이들이 가장 갖고 싶어하는 졸업 선물 중 하나이다.
- 정경대
- 교양관
- 홍보관
- 국제관
- 인촌기념관
- 4.18 기념관(제2학생회관)
[편집] 자연계캠퍼스
이공계캠퍼스라고도 한다. 캠퍼스 가운데에 애기능이 있어서 애기능 캠퍼스라는 별명으로 종종 불린다. 공과대학 등 자연계의 일부 단과대학 등이 이곳에 있다. 모든 토지는 안암동에 속해 있다.
[편집] 녹지캠퍼스
의과대학 등 일부 자연계 단과대학과 기숙사인 안암학사, 한국학관, 녹지운동장 등이 들어서 있다. 모든 토지는 안암동에 속해 있다.
[편집] 정릉캠퍼스
정릉캠퍼스(貞陵-)는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구 고려대학교 병설 보건대학)의 캠퍼스. 안암캠퍼스에서 멀지 않아 형식상 본교의 일부로 간주되며, 더 나아가 안암캠퍼스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편집] 서창캠퍼스
서창캠퍼스(瑞倉-)는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서창리에 위치한 고려대학교 제2캠퍼스이다. 고려대 전체단과대학중의 일부인 인문대학, 경상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공행정학부가 속해있다. 서창캠퍼스는 그동안 안암캠퍼스의 그늘속에서 미미한 발전을 해오다가 2006년 4월 19일 '2010+ VISION 선포식'을 갖고 서창캠퍼스가 향후 100년의 고려대 발전을 이끌어나가는 주도적인 캠퍼스가 되겠다고 선언하였다.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충북의 오송과학단지, 고속철도 오송역, 충남아산탕정지역의 삼성전자LCD단지등이 건설되는 등 고려대학교 서창캠퍼스가 위치한 충청권 일대가 정치,행정,경제,과학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2010년에는 전교생이 기숙사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숙사 건물을 신축하는 등 발전을 위한 여러가지 계획을 추진중에 있다.
[편집] 문화
[편집] FM
[편집] 응원
[편집] 연례 행사
[편집] 동아리 박람회
동아리 박람회(-博覽會; 약칭 '동박')는 고려대학교에 소속된 각 동아리들이 학부 신입생들에게 홍보를 하는 행사이다. 3월 중에 열리며, 인문계 캠퍼스의 중앙동아리연합회(동연) 주최의 동박과 이공계 캠퍼스의 애기능동아리연합회(애동연) 주최의 동박이 각각 2일에 걸쳐 열리며, 이 날짜는 대개 겹치지 않는다. 중앙동아리연합회 주최의 동박은 #학생회관 앞 #민주광장에서 열리고, 애기능동아리연합회 주최의 동박은 #이공계 학생회관 앞에서 열린다.
애기능동아리연합회 주최의 동박은 그동안 잘 열리지 않다가 2006년에 정릉동아리연합회와 공동으로 개최되었다.
[편집] 4.18 구국대장정
매년 4월 18일에 4.18 의거와 4.19 혁명을 기념하여 안암캠퍼스에서 우이동 국립묘지까지 뛰어가(또는 달려가) 참배하는 행사이다. 통칭은 '4.18 마라톤'.
오전에 마라톤 대회, 오후에 각 학과/반 학생회와 동아리의 장정이 열린다.
[편집] 입실렌티
정식 명칭은 입실렌티 지·야의 함성(Ipselenti: 知野의 喊聲). 여기서 '지·야'란 지성(知性)과 야성(野性)을 뜻하는 말이다. 학생들이 고연전 등에서 사용되는 모교의 응원곡·안무 등을 하면서 초청 연예인들의 공연을 보는 행사이다. 매년 5월(대개 대동제 기간 마지막 날)에 응원단에 의해 주최된다.
[편집] 대동제
대동제(大同祭)는 매년 5월 중에 열리는 학생 축제이다. 일반적으로 이 기간 마지막 날에 입실렌티가 열린다(예외: 2006년 등).
대동제 기간에는 여러 학과/반 학생회와 동아리에서 주점을 교내 곳곳에서 개최한다.
[편집] 고연전
매년 가을 연세대학교와 우호를 다지는 스포츠 행사. 정식 명칭은 매년 주최자가 되는 학교가 뒤에 이름을 붙이는 방식으로 번갈아 부른다. 즉, 당해년도에 고려대학교가 주최 및 주관을 하게 되면, 연세대학교-고려대학교 정기전(정기 연고전)이 되고, 연세대학교가 주최 및 주관하게 되면 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 정기전(정기 고연전)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정식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는 각종 문서나 행사때나 사용하고 고대생들은 고연전이라고 부르고, 연대생들은 연고전이라고 부른다.
정기전 외에도 비정기 고연전(연대생들은 '비정기 연고전'이라고 부름)들이 간헐적으로 열린다.
고연전은 오랜동안 지속되온 행사지만, 비판의 목소리 또한 만만치 않다. 특히 경기 후 쓰레기 처리 문제와 들뜬 기분을 억제하지 못한 행동들에 대한 비판이 고연전 못지 않은 연례행사로 제기되고는 한다.
[편집] 개설학과(학부·2006년)
[편집] 안암캠퍼스(서울)
법과대학
- 법학과
경영대학
- 경영학과
문과대학
- 인문학부
- 국어국문학과, 철학과, 한국사학과, 사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한문학과
- 국제어문학부
-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중어중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서어서문학과, 언어학과
생명과학대학
- 생명과학부, 생명공학부, 식품과학부, 환경생태공학부, 식품자원경제학과
정경대학
-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통계학과, 행정학과
이과대학
-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지구환경과학과
공과대학
- 신소재·화공생명공학부
- 신소재공학부, 화공생명공학과
- 건축·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건축공학과
- 기계·산업시스템정보공학부
- 기계공학과, 산업시스템정보공학과
- 전기전자전파공학부
-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의과대학
- 의(예)학과
사범대학
- 교육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지리교육과, 역사교육과, 가정교육과, 수학교육과, 컴퓨터교육과, 체육교육과
간호대학
- 간호학과
정보통신대학
- 컴퓨터·통신공학부
미술학부
- 미술학부(세부 전공: 공업디자인 전공, 동양화 전공, 조소 전공, 서양화 전공)
국제학부
- 국제학부
언론학부
- 언론학부(세부 전공: 언론·정보 전공, 방송·영상 전공, 광고·홍보 전공)
[편집] 정릉캠퍼스(서울)
보건과학대학
- 임상병리학과, 방사선학과, 물리치료학과, 치기공학과, 보건행정학과
- 보건과학부
- 식품영양학과, 환경보건학과
[편집] 서창캠퍼스(충남 연기군)
인문대학
- 어문학부
-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일문화정보학과
- 인문사회학부
- 사회학과, 북한학과, 고고미술사학과
- 중국학부
- 중국학부
- 문예창작학과
- 문예창작학과
과학기술대학
- 정보과학부
- 정보수학과, 컴퓨터정보학과, 정보통계학과
- 공학부
- 전자 및 정보공학부
- 환경시스템공학과
- 바이오시스템공학부
- 생명정보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디스플레이·반도체물리학과, 신소재화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사회체육학과
경상대학
- 경제학과, 경영정보학과, 경영학부
공공행정학부
- 공공행정학부
[편집] 연계전공
(미완성) 통신수학, 금융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