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정주(徐廷柱, 1915년 5월 18일 ~ 2000년 12월 24일)는 토속적, 불교적 내용을 주제로 한 시를 많이 쓴 한국의 이른바 생명파 시인이다. 호는 미당(未堂)이다.
목차 |
[편집] 생애
전라북도 고창에서 출생했다.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했다. 1936년 잡지 시인부락을 창간하여 한국 현대시의 발전에 주춧돌을 놓았다. 동국대 교수 역임. 일제치하의 친일 경력, 군부독재와 유신치하에서의 처신 등으로 시인으로서의 자질과 별도로 그 역사적 평가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를 받는다.
[편집] 미당의 시 경향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 탐미적인 경향이 보인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수많은 시인, 문학가가 미당 서정주의 그늘 아래에 있느니 만큼,그 평가는 자유롭지 않다. 심지어 진보 문학가들 중에서도 수많은 사람들이 미당의 영향을 받았다. 고은이 그 대표이다. 대표작 화사집
[편집] 시집
- 화사집 (1938)
- 귀촉도 (1946)
- 서정주 시선 (1955)
- 신라초 (1960)
- 동천 (1968)
- 질마재 신화 (1975)
- 떠돌이의 시 (1976)
[편집] 일화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