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대문/보존문서2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래된 내용 및 대문 자체와 관련없는 토론을 보존문서로 옮겼습니다. 필요하다면 위키백과:사랑방을 이용해주세요. -- ChongDae 2005년 11월 15일 (火) 10:36 (UTC)

목차

[편집] 약간의 수정을 건의합니다

한국어 위키 메인페이지에 약간의 수정을 했으면 합니다. 영어 위키의 경우 메인페이지의 본문에 있는 링크 단어들에 밑줄이 없고 그냥 파란색으로만 나오는데 한국어 위키의 경우 군데군데 밑줄이 있어서 약간 산만한 느낌이 듭니다. 깔끔한 메인 페이지를 위해서 밑줄을 없애는 것은 어떨까요?

어느 분 장단에 맞춰 춤을 출까요? 위키백과:사랑방/2005년 8월#링크의 밑줄이 사라졌습니다. -- ChongDae 2005년 11월 18일 (金) 14:03 (UTC)
링크밑줄이 없는 것이 더 낫다고 봅니다.
그냥 파란색으로만 나왔으면 좋겠네요
저도 밑줄이 없는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 Chulk90 2006년 5월 18일 (목) 05:53 (KST)
저도 밑줄을 없애는데 한표!!

[편집] 대문의 새 이름

위키백과:사랑방/2005년 8월#투표합시다!. 토론:대문/보존문서1의 여러 항목 등..
발제문

꽤 오래전부터 궁금했던 사항인데, 보덕국왕 안승의 아들인 "대문"이라는 인물이나, 남대문 같은 "대문"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적고자 한다면 어떻게 페이지를 만들고 어떻게 적어야 할까요? (첫 페이지 제목으로 '대문'은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 아닌가 싶어서 올리는 질문입니다.) -- gofeel 2005년 6월 8일 (水) 04:28 (UTC)

[편집] 현재 제안된 후보들

  • "대문" 그대로
조건부 찬성(단, 바꾸는 것이 결정되었을 때에는 그렇지 아니합니다.)- 갈라드리엔 2005년 11월 16일 (水) 14:00 (UTC)
  • "머릿글"
찬성 gofeel
  • "Project:대문" -> 위키백과:대문
조건부 찬성(바꿔야 할 경우에 위키백과:대문의 형태를 추천합니다.) - 갈라드리엔 2005년 11월 16일 (水) 14:00 (UTC)
찬성 - Project:대문 아니면 Project:들머리를 지지합니다. --Puzzlet Chung 2005년 11월 27일 (일) 02:05 (KST)
  • "메인 페이지"
찬성 - 영어라서 안 좋다는 의견이 있을수도 있지만 영어라고 해서 배척하자는 생각은 코너킥을 구석차기, 아이스크림을 얼음보숭이라고 하는 북한과 다를 바가 없다고 봄. - intmotinf
  • "들머리"
들머리는 "포털"의 순화 용어로 제안된 말입니다. 다른 단어와 겹칠 일도 없고 다른 프로젝트에서 함께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어보입니다. 나중에 Portal: namespace를 만들 때에도 들머리:수학 식으로 할 수도 있을 것 같고요. -- ChongDae 2005년 11월 15일 (火) 10:39 (UTC)
그럼 '포털'에 대한 페이지는 포털에 남게 되는 건가요? [들머리:처음]이나 [들머리:위키백과]처럼 지어서 들머리가 따로 만들어질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는 건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5년 11월 15일 (火) 13:11 (UTC)
정확히는 "포털 사이트"의 순화어가 "들머리 사이트"입니다. -- 2005년 11월 16일 (水) 06:42 (UTC)
가령(정말 그렇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사람들이 포털 사이트를 '들머리 사이트'로 부르게 된다면 대문하고 마찬가지 문제가 생길텐데, 그냥 네임스페이스로 옮기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Puzzlet Chung 2005년 11월 16일 (水) 07:03 (UTC)

[편집] 통합안

모든 한국어 위키미디어 프로젝트가 함께 할 수 있을까요?

  1. "대문" -> "Project:들머리"(위키백과:들머리)로 옮긴다. meta/commons/species 등은 그냥 "들머리"로 옮긴다.
  2. Portal: 에 해당하는 들머리: namespace를 도입힌다. (다른 번역어를 추천해주셔도 좋습니다.)
  3. 들머리:Project (들머리:위키백과)는 위키백과 전체에 대한 항해지도 역할을 한다.
  4. 들머리:들머리는 모든 항해지도에 대한 항해지도 역할을 한다.
  5. 들머리:수학은 수학에 대한 항해지도 역할을 한다.

들머리가 맘에 안 든다면 ":s/들머리/포털/g" 후에 읽어주세요. -- ChongDae 2005년 12월 1일 (목) 08:22 (KST)

위키인용집을 바꿔 봤습니다. MediaWiki:MainpageMediaWiki:Sidebar를 고치고 MediaWiki:Mainpage-urlMediaWiki:Mainpage-text를 새로 줘야 하는군요. --Puzzlet Chung 2005년 12월 1일 (목) 20:59 (KST)

[편집] 대문 레이아웃 개편

위키백과:사랑방/보존문서 5에서 옮겨옴

대문 레이아웃을 개편하면 좋겠습니다. 지금은 어딘가 어수선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접근성, 사용 편의성, 미적 요소 등을 고려해서 특색있게 개편하는 것은 어떨까요.

아래는 10000 항목 이상 위키백과를 좀 둘러보고 괜찮아 보이는 것을 꼽아봤습니다.

-- 최담담 2005년 7월 16일 (土) 00:14 (UTC)

동감입니다. 저도 같은 생각으로 몇주 전에 각 언어별 대문을 살펴 보았단 적이 있습니다. 제 느낌은

인도네시아가 제일 낫더군요.

  • Francais - et le francais aussi. 데이빛 2005년 10월 20일 (木) 09:42 (UTC) - 이것도 좋아요.
  • Catalan - Caffelice 2005년 12월 21일 (수) 07:15 (KST) 전 이쪽이 가장 깔끔해 보이는군요.

[편집] 새 레이아웃 후보들

사용자:최담담/대문은 이미 지난 8월에 많은 호응을 얻었습니다. 일단 이 안으로 바꿔놓고 토론을 하는 것이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5년 11월 15일 (火) 03:32 (UTC)

당시에는 후보 레이아웃이 하나 밖에 없지 않았나요? 각 후보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토론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5년 11월 15일 (火) 07:37 (UTC)
monobook.css를 고치기 전 디자인이라 그대로 적용한다 하더라도 추가적인 수정이 필요합니다. 좋은 대안이 나오고 있으니 천천히 생각하죠. 지금 대문도 그다지 나쁘진 않습니다. -- ChongDae 2005년 11월 15일 (火) 09:48 (UTC)

어느 정도 의견이 모아지면,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처럼 $대문/임시로 통일시켜서 편집을 하는 것이 어떨까요. xAOs 2005년 11월 15일 (火) 09:52 (UTC)

저도 Xaos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너무 성급해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김종국 2005년 11월 15일 (火) 09:55 (UTC)
성급히 정할 문제는 아니라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다만, 저 위의 후보들 중에는 글자 크기는 사용자:최담담/대문의 것이, 레이아웃은 사용자:토끼군/대문이 저는 마음에 드네요. --WaffenSS 2005년 11월 15일 (火) 12:05:28 (UTC)

저는 상자로 나눠진 화면과 상자마다 있는 배경색이 부담스럽습니다. 어떻게 레이아웃을 하더라도 사용자:최담담/대문에서 새소식과 오늘의 역사를 갈라놓는 정도의 선만 주는 것이 보기 편합니다. 두꺼운 테두리도 없애고요. 만약 그렇게 한다면 화면 구분이 딱 떨어지지 않으니까 그에 맞춰서 배경색을 안 넣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Puzzlet Chung 2005년 11월 15일 (火) 12:12 (UTC)

그러면 상자의 색깔을 좀 더 옅게 해 보는 건 어떨까요? 일단 배경색은 옅게 해 봤습니다. (원래 배경색을 살짝 짙게 한 이유가 상자 테두리가 구별이 안 가서였는데, 테두리를 2픽셀로 조정하니까 그럴 필요가 사라졌더군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5년 11월 15일 (火) 20:16 (UTC)
옅게 하더라도 뭔가 이상해 보이는건 동일하군요. 저로서는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그냥 일단 사용자:최담담/대문이 가장 나은 듯 싶습니다. 가장 '어떻게 보면' 가장 나은 대문형식인 듯 싶군요. - 갈라드리엔 2005년 11월 16일 (水) 02:32 (UTC)
파스텔 톤 정도로 옅은 색상을 줘보는 것은 어떨까요? --CN 2005년 11월 16일 (水) 18:51 (UTC)
테두리까지 없어지면 상당히 허전합니다. 대강 영어판처럼 1px 테두리와 연한 바탕색을 조합하는 것도 괜찮을 듯 합니다. 물론 색상에서 차별을 좀 둬야겠죠. -- 최담담 2005년 11월 18일 (金) 11:26 (UTC)


죄송한 말씀입니다만, 꼭 아이콘을 써야 하나요? 가능한 한 텍스트와 테이블 셀의 경계선만 썼으면 합니다만. --WaffenSS 2005년 11월 19일 (土) 06:58:18 (UTC)
죄송해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좋은 이유가 있다면 그렇게 바꿔야죠. 저는 en:Main Page (simple layout)처럼 '덜 짜여진 모드'를 따로 두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데, 거기서 아이콘을 빼는 건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5년 11월 19일 (土) 07:23 (UTC)
죄송한 마음이 드는 건, 그 아이콘을 만드시느라 고생하셨을텐데 빼자고 얘기하니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해에 감사드립니다. 저는 웹서비스 기획일을 10여년째 해왔지만, 가장 단순하면서도, 무난하고, 가장 어려운 것이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레이아웃입니다. 로딩 속도에도 영향을 주죠(지금이야 초고속인터넷망으로 인해 부담 주는 게 줄었지만요). 아이콘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정보를 제공하고 여백의 미를 오히려 살리는 방향이 저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문제가 아이콘이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라 위키백과에 새로 올라온 내용, 바뀐 것들, 그리고 내용이 채워줘야 하는 토막글들, 그리고 참여를 호소하는 것들, 이렇게가 중요한 문제가 아닐까요? 아이콘은 그 다음에 공간이 남으면 넣어도 그만, 안넣어도 그만이라 생각이 듭니다. --WaffenSS 2005년 11월 19일 (土) 08:36:46 (UTC)
아이콘은 공용에서 가져 온 것입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대문에도 어느 정도 신경을 쓸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지금 상황에서 처음 오는 사람들은 그 페이지를 먼저 보게 될 테니까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5년 11월 19일 (土) 08:47 (UTC)
아, 제 얘기는, 아이콘을 아주 쓰지 말자, 가 아니고, 우선 대문에 배치할 정보와 그 레이아웃부터 설계한 다음에 아이콘 배치 여부를 생각해보자는 것입니다. --WaffenSS 2005년 11월 21일 (月) 16:41 (KST)
그런 레이아웃에 대한 고민의 결과로 여러 후보를 만든겁니다. 추가해야 하는 정보, 각 레이아웃 후보에 대한 품평을 해 주세요. 맘에 드는 게 없으면 새 후보를 하나 만드셔도 됩니다. -- ChongDae 2005년 11월 21일 (月) 16:44 (KST)
사용자:PuzzletChung/대문에서 상자를 없애 봤습니다. [1]하고 비교해 보세요. --Puzzlet Chung 2005년 12월 1일 (목) 20:24 (KST)

[편집] 카탈루냐어 위키백과

카탈루냐어 위키백과에서도 포털 레이아웃을 바꾸자는 논의가 있었던 모양입니다. 다음은 후보들입니다.

--Puzzlet Chung 2005년 12월 2일 (금) 22:20 (KST)

[편집] 일단 바꿉시다

사용자:PuzzletChung/대문 2이나 사용자:ChongDae/대문3으로 바꾸는 게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6년 2월 25일 (토) 00:45 (KST)

찬성합니다. 일단 바꾸고 사용자들의 의견을 들어 수정해 나갑시다. 리듬 2006년 2월 25일 (토) 00:49 (KST)
의견 - 제 생각엔 이것도 좋을것 같네요. -- Alpha for knowledge 2006년 2월 25일 (토) 00:50 (KST)
사용자:PuzzletChung/대문 2도 좋네요. --리듬
의견 - 기본적으로 모든 대문 후보의 레이아웃을 보면, 위에서부터 환영글-{분류, 문서}-{새소식, 오늘의 역사, 알고계십니까} 이런 식인데 말이죠, 실제로 분류는 웬만해서는 절대 바뀌지 않으며, 아직 내용이 그렇게 많이 차 있는 것조차도 아니지 않나요? 그리고 문서가 있을때 검색.외에 직접 분류로 찾아갈 경우도 적은 것 같고 말이죠. 오히려 새소식, 오늘의 역사가 리듬님을 포함하여 많이 수정해주시고, 이런문서도 생겼구나 하면서 이래저래 읽을 거리가 있는 것 같은데, 그런 의미에서 환영글 - {새소식, 오늘의 역사, 알고계십니까} - {분류, 문서} 로 위에서부터 배치하는게, 보다 바뀌는 정보를 얻기 쉽지 않을까요? 웹브라우저 폭을 좁게해서 보면 분류가 먼저 나올경우, 뉴스 등을 다 보려면 스크롤이 필요하더라구요. -- Wikier 2006년 2월 25일 (토) 09:26 (KST)
사용자:PuzzletChung/대문 2를 그렇게 바꿔 봤습니다.
사용자:PuzzletChung/대문 2에서 "검색"부분을 없애고 "오늘의 역사" 코너의 BOX 높이를 왼쪽 BOX 높이와 같게 고정했으면 좋겠습니다. 리듬 2006년 2월 26일 (일) 10:59 (KST)
검색 창은 포털 사이트에 익숙한 사람들을 위해서 만들었던 것인데, 일단 없애고 리듬 씨 말씀처럼 바꿔봤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2월 26일 (일) 13:44 (KST)
만족합니다. 일단 바꾸죠. 리듬 2006년 2월 26일 (일) 14:08 (KST)
사용자:리듬/대문2사용자:PuzzletChung/대문 2사용자:ChongDae/대문3의 조합입니다. --리듬 2006년 3월 9일 (목) 00:28 (KST)
간결함을 유지하면서, 스크롤이 필요없이 환영글/분류/뉴스를 한번에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리듬2006년 3월 9일 (목) 00:47 (KST)
좋네요. 사용자:PuzzletChung/대문 2사용자:ChongDae/대문3의 좋은 점을 잘 모아 놓으셨네요. 몇 가지 순서만 바꾸어서 만들어 본 것이 사용자:Only2sea/대문입니다. 인사말을 너무 간결하게 하기보다는 좀 더 따뜻한 느낌이 들게 ChongDae님의 대문3과 같이 하였습니다. 뉴스, 오늘의 역사, 알고계십니까 등을 위에 배치해서 첫눈에 들어올 수 있게 했습니다. 뉴스, 오늘의 역사, 알고계십니까는 자주 바뀌는 부분이지만 분류는 자주 바뀌지 않기 때문에 항상 같은 내용의 분류가 위에 오는 것보다는 아래에 오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 그래서 분류를 보기 전에 위쪽 내용에 한번 더 눈이 가게 되죠. 처음 오는 사용자를 배려하기 위하여 인사말 뒤에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페이지 링크를 첨가해 봤습니다. 첫화면을 깔끔하고 처음 오신분에 대한 당부의 말을 더 자세하게 쓸 수 있죠. --염재현 2006년 4월 7일 (금) 08:06 (KST)

최근에 더 제시된 안이 서로 순서만 바뀐 것인데, 순서를 투표라도 해서 정한 다음 그대로 대문 구조를 바꾸는 게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6년 4월 18일 (화) 14:20 (KST)

[편집] 첨단 기술, 컴퓨터, IT 업데이트 좀 합시다.

요즘 사람들 첨단기술, IT, 컴퓨터 , 인터넷등에 관심이 많은데

위키페디아 보니 수년식 된 자료 들이 대부분 이네요..


업데이트 안하나요?

한국 사람들이 위키페디아에 관심이 없나요?

많은 이들이 업데이트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글을 쓰신 분은 위키백과에 관심이 없나요? --CN 2006년 7월 23일 (일) 16:45 (KST)

- 그럴리가 있겠습니까만.

위에 쓰신 분이 업데이트를 해주시죠. --WaffenSS 2006년 8월 21일 (월) 13:38 (KST)

[편집] A user page about me

Hi, sorry for writing this in English on the Korean language Wikipedia and putting it here, but I don't speak Korean, and I'm not sure where else to put it. I see a page has been created about me User:Talrias, which appears to have been translated from my page on the English language Wikipedia (en:user:Talrias). It's also got some extra stuff down the bottom. I only became aware of this since someone added a interwiki link on my page on the English language Wikipedia. Could I request that this page be deleted? Thanks! Chris, 2006년 2월 8일 (수) 07:22 (KST)

[편집] Add Turkish

Please add Turkısh to main page

[편집] Press contact

Is there anyone who wants to be the official press contact for this language, in the odd case anyone from the press wants to talk to a contributor to this project? If so, contact me at en:user:zanimum/press. -- Zanimum 2006년 4월 13일 (목) 01:48 (KST)

[편집] 대문의 아이콘 내용들이 전부 히브리어판 위키백과 것을 사용했군요...

대문의 아이콘 내용들이 전부 히브리어위키백과 것을 사용했군요... 이스라엘이 현재 평화를 위협하는 나라라던데, 히브리어이스라엘공용어 아닙니까? 그리고 60년 전에 히틀러한테 당했다는 민족이 이제는 다른 민족을 학살하는 민족으로 바뀌고 말았군요. 왜 히브리어판 위키 아이콘을 사용하시는 것입니까? 제가 달력 아이콘을 봤는데 문자가 거의 히브리어 문자더군요...

차라리 우리가 자체로 만들어서 우리 위키 대문에 넣어야지 왜 남의 위키백과 것을 넣습니까? --203.232.53.59 2006년 7월 23일 (일) 16:00 (KST)

?????? 무슨 말이죠? 히브리어에서 그림을 쓰면 여기서 쓰면 안되나요? P 아이콘 시리즈가 얼마나 인기가 좋은지는 확인해 보셨나요? 디자인의 비슷함을 국가 간의 분쟁으로 비약하지 마세요. --Klutzy 2006년 7월 23일 (일) 16:05 (KST)

어이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예루살렘에 평화를! 그리고 왜 이스라엘 껀 써서는 안됩니까? 그럼 우리나라 사람보고 신앙의 자유를 박탈해야 마땅하다.. 이제는 30% 넘어가는 기독교인들이 반발합니다; - Ellif 2006년 7월 23일 (일) 16:34 (KST)

기독교와 유대교는 다릅니다. -- Allen R Francis 2006년 7월 24일 (월) 00:35 (KST)
그렇습니다. 성지는 모두 예루살렘에 있지만 크리스트교나 이슬람, 유대교 모두 성격이 다릅니다.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1.80.239.179(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2006년 7월 24일 (월) 17:33
좀 새나가는 소리인데, 현재 근본주의 개신교인들이 기도하는 내용중 하나가 이스라엘의 평화입니다. (ex. 여기의 C-2섹션) 특히 시편(122:6)에 근거가 있기 때문에, 개신교와 유대교가 겉으로 관계는 없을지는 몰라도, 개신교 사역자 중에서는 유대교의 때에 맞춰 예언을 받는 분들도 있고, 거꾸로 개신교인들이 유대교인에게 선교를 하기도 합니다. 성경안에서도 유월절과 예수의 수난이 관련있고, 칠칠절과 오순절이 관련있죠. 결코 기독교와 유대교간은, 근원적인 성격이 다르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따라서, 유대교를 욕하는건 결코 개신교인들에게도 좋은 소리가 안 되겠죠. - Ellif 2006년 7월 24일 (월) 22:29 (KST)
토론에 불필요한 이야기를 하지 맙시다.--CN 2006년 7월 25일 (화) 11:24 (KST)
히브리어판 아이콘들이 팔레스타인 사람을 세 명 이상 죽였다면, 저도 히브리어판에서 가져온 아이콘을 반대하겠습니다. ^^; xAOs 2006년 7월 24일 (월) 22:00 (KST)

[편집] vailgn

사용자토론:Prepedia에서

<Prepedia> xhtml에서 위키 첫 페이지의 valign="center"> -> valign="middle">이 아닐까요..수직정렬이라면..

이 부분이 어디에해당하는 내용인지 모르겠네요. :-) --CN 2006년 7월 27일 (목) 00:05 (KST)
그저.. view-source:http://ko.wikipedia.org을 해보고 (대문의 소스겠죠. 결국..)xhtml이라면 이렇지 않을까 하고 혼자 해 본 말입니다만... 괘념치 않으셔도 됩니다.--Prepedia 2006년 7월 29일 (토) 11:48 (KST)

XHTML이 아니라 HTML이라도 정당한 지적입니다. 수정되어야 마땅합니다. --CN 2006년 7월 30일 (일) 10:16 (KST)

[편집] Estonian wikipedia

Mayby you could add estonian wikipedia (et:) to articles 20 000+

Done. --Puzzlet Chung 2006년 8월 5일 (토) 06:00 (KST)
Thank you! (or in estonian: Tänan väga!)

[편집] 대문 편집창 잠궈주세요.

대문 편집창 잠궈주세요. 대문 편집창이 열려 있더군요-_- 대문 편집창 열다가 반달 사용자로부터 대문마저 반달 당하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저는 운영자도 아닌데가 제가 초보라서 발견만 하다가 그냥 돌아갔습니다. --211.228.153.197 2006년 8월 21일 (월) 13:31 (KST)

대문 편집창을 잠궈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운영자님께 미리 알려드리지 못했다면 대문마저 불량 이용자들에게 반달당할 뻔했을 것입니다. --61.85.59.37 2006년 8월 24일 (목) 11:17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