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어
Italiano
쓰는 나라들 이탈리아, 스위스를 포함한 29개 나라
지역 남유럽
언어 인구 7000만
사용 순위 19위 또는 20위(우르두어와 동률에 가까움.)
언어의 계통 인도유럽어족
 이탈릭어파
  로망스어군
   이탈로서부어군
    이탈로달마티아어계
     이탈리아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바티칸, 산마리노, 스위스, 슬로베니아, 이탈리아, 유럽 연합, 크로아티아 이스트리아 주.
표준 아카데미아 델라 크루스카(Accademia della Crusca)
언어 부호
ISO 639-1 it
ISO 639-2: ita
ISO/DIS 639-3: ita
이탈리아어를 쓰는 나라

이탈리아어는 주로 이탈리아에서 7천만 정도의 인구가 사용하는 로망스계 언어이다. 표준 이탈리아어는 토스카나의 방언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이탈리아 남부의 방언과 북부의 갈로로망스 방언의 중간 정도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오랫동안 표준어로 자리잡아왔던 토스카나 말씨는 근래에 와서 이탈리아 경제의 중심이 되는 밀라노의 말씨의 영향에 어느 정도 자리를 내주고 있다. 이탈리아어는 프랑스어·스페인어 등 대부분의 근대 로망스어와 달리 라틴어에 있던 이중 자음(장자음)을 보존하고 있다. 프랑스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로망스어와 마찬가지로 음절 강세의 구별이 있다.

목차

[편집] 쓰는곳

[편집] 문법, 발음

21글자이며 h는 음이 나지않는다. 9개의 품사가 있다. 명사,형용사,관사,대명사,동사는 변하는 대신,부사,접속사,전치사 ,간투사는 변하지않는다. 남,여는 각가 단수,복수가 있다. 동사는 복잡하게 자동사 ·타동사 ·사역동사 ·재귀동사가 있고 제1 ·제2 ·제3 변화로 분류할 수 있다. 불규칙동사,규칙동사가 있다. 그리고 한국어와 음운 구조가 비슷하다.

[편집] 사용 국가

[편집] 바깥고리

위키백과
이탈리아어 위키백과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유럽 연합의 기 유럽 연합공식 언어 유럽 연합의 기

그리스어 | 네덜란드어 | 덴마크어 | 독일어
라트비아어 | 리투아니아어 | 몰타어 | 스웨덴어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파냐어 | 영어 | 이탈리아어 | 체코어
포르투갈어 | 폴란드어 | 프랑스어
핀란드어 | 헝가리어

2007년 1월 1일 추가 예정

아일랜드어 | 불가리아어 | 루마니아어

출처 : 유럽연합 공식 웹사이트
로망스어군

가스콩어 | 갈로어 | 갈리시아어 | 건지어 | 나폴리어 | 노르망디어 | 달마트어 | 라디노어 | 라딘어 | 랑게도시아어
로레토-유카얄리 에스파냐어 | 로망슈어 | 로망스어 | 롬버드어 | 루마니아어 | 리구르어 | 리무쟁어 | 메글레노-로망어 | 모나코어
모자라브어 | 몰도바어 | 미란다어 | 베네치아어 | 부르귀뇽어 | 블라크어 | 사르드니어 | 슈아딧어 | 시칠리아어 | 아라곤어
아란어 | 아르피탄어 | 아로메니아어 | 아스투리아스어(아스투르-레오넨어) | 에밀리아어(에밀리아-로마냐어) | 에스트레메뉴어
에스파냐어(카스티야어) | 오베르냐어 | 오크어 | 왈론어 | 유데오-이탈리아어 | 이스트로-로망어 | 이스트리아어 | 이탈리아어
제르시아어 | 차르파트어 | 카탈루냐어 (발렌시아어, 벨라어) | 캄페노이어 | 코르시카어 | 팔라어 | 포르투갈어
포이티뱅-상통그어 | 프랑스어 (카준 프랑스어) | 프랑크어 | 프로벤살어 | 프리오랑어 | 피에몽트어 | 피카르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