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라가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라가나
관련 표기
일본식 한자 표기: 平仮名
가나 표기: ひらがな
로마자: Hiragana

히라가나(平仮名)는 일본어에서 사용하는 두가지 가나중 하나이다. 가타카나는 주로 외래어 표기등에 쓰이고, 히라가나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쓰인다.

  • 동사의 활용어미 , 조사, 조동사
  • 일본 고유어로서 해당 한자가 없는 단어, 또는 해당하는 한자가 잘 쓰이지 않는 어려운 글자일 경우.

히라가나는 여성작가가 쓰는 글에서 한자를 변형시켜, 일본어의 발음을 표기한 것에서 기원한다고 한다. 그래서, 온나데(女手; おんなで)라고 불린 적도 있다. 예를 들어, '아' 음을 표기하는 ""는 한자 安(안)을 변형시킨 것이다. 이런 이유로 히라가나는 여자들만 쓰는 글이라 하여, 오랫동안 일본의 공용문서에선 가타카나와 한자(간지)만이 사용되었다.

[편집] 히라가나 50음도

a i u e o (ya) (yu) (yo)
ka ki ku ke ko きゃ kya きゅ kyu きょ kyo
sa shi su se so しゃ sha しゅ shu しょ sho
ta chi tsu te to ちゃ cha ちゅ chu ちょ cho
na ni nu ne no にゃ nya にゅ nyu にょ nyo
ha hi fu he ho ひゃ hya ひゅ hyu ひょ hyo
ma mi mu me mo みゃ mya みゅ myu みょ myo
ya yu yo
ra ri ru re ro りゃ rya りゅ ryu りょ ryo
wa wi we o/wo
n
ga gi gu ge go ぎゃ gya ぎゅ gyu ぎょ gyo
za ji zu ze zo じゃ ja じゅ ju じょ jo
da (ji) (zu) de do ぢゃ (ja) ぢゅ (ju) ぢょ (jo)
ba bi bu be bo びゃ bya びゅ byu びょ byo
pa pi pu pe po ぴゃ pya ぴゅ pyu ぴょ pyo
  • 로마자 표기는 헵번 방식을, 한글 표기는 외래어 표기법의 어중/어말 표기법을 따랐다.
  • 붉은 색으로 표시한 "ゐ"와 "ゑ"는 옛날에 작성된 글이나, 사람이름 등의 고유명사에서만 사용된다.
  • ""은 한글의 받침 이응, 받침 미음, 받침 니은 등에 해당한다.

[편집] 역사

히라가나는 만요가나에서 왔다.

그림:Hiragana origin.jpg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히라가나의 모양이 확실히 정해지지 않고, 여러 형태의 문자가 사용되었다. 메이지 시대의 학제시행 후에야 위와 같은 자형이 표준화되어 쓰이기 시작했다. 위 이외의 구식자형은 헨타이가나(変体仮名)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