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후양(後梁)의 주흥사(周興嗣)가 지은 책으로 1구 4자의 사언(四言) 고시(古詩) 250구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로 되어 있는데, 동진(東晉) 왕희지(王羲之)의 필적에서 해당되는 글자를 모았다고 하지만, 더 오래전에 중국 위(魏)나라 종요(鍾繇)의 필적을 모은 것이라는 설도 있고, 종요가 손수 만들었다는 의견도 있다. 그 구성은 천지현황(天地玄黃)으로 시작해서 언재호야(焉哉乎也)로 끝나며 내용은 자연 현상부터 인륜 도덕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글귀를 수록하여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당대(唐代)부터 빠르게 보급되며 여러 판본이 만들어졌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왕희지의 7대손 왕지영(王智永)이 진서(眞書·楷書)와 초서(草書)의 두가지 서체로 만든 《진초천자본(眞草千字本》인데, 1109년에 새긴 석각(石刻)이 남아 있으며 둔황(敦煌)에서 발견된 문서에 그 필사본이 많다고 한다. 송대(宋代)에는 완전히 보급되어 《속(續)천자문》을 만들기도 하고, 《서고천자문(敍古千字文)》과 같이 전혀 다른 글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천자문이 생기기도 했으며, 천자문의 순서를 이용해 문서 번호를 붙이는 풍습도 생겼다.

전설에는 주흥사가 무제의 명에 따라 하룻밤 사이에 만들어야 했으나 마지막 4자를 짓지 못하여 고심하던 가운데 홀연히 귀신이 나타나 어조사 언재호야(焉哉乎也)의 마무리를 알려주었으며, 완성한 후에 머리털이 하얗게 세었다고 하여 "백수문(白首文)"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편집] 한국

천자문이 한국에 전래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일본의 사서 《일본서기》에 285년 백제의 왕인(王仁)이 논어 10권과 함께 천자문 1권을 일본에 전했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이보다 훨씬 전에 들어온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러나 이 시기는 천자문의 성립 이전의 일이므로 단순한 전설이라는 의견, 몇개의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하는 의견, 다른 천자문이다고 하는 설 등이 논란이 있다. 한편, 신라에는 법흥왕 8년(521년)에 양나라의 승려 원표(元表)가 사신으로 오면서 많은 불경과 천자문을 가지고 왔다고 한다.

천자문은 한문의 입문서로서 줄곧 중용되어 여러가지 판본이 존재했고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자마다 그 새김과 소리를 넣어 석음(釋音)을 붙여 간행되었는데, 그 가운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것은 조선 선조 8년(1575년)에 광주(光州)에서 간행된 광주판 천자문이며, 현재 일본 동경대학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에 가장 널리 보급된 것은 조선 선조 16년(1583년) 어명에 의해 명필 한호(韓濩)가 쓴 《석봉천자문(石峯千字文)》으로 여러차례 중간되어 왔는데, 현존하는 여러 판본중에서 경북 영주의 박찬성(朴贊成) 소장본과 일본 나이카쿠 문고(內閣文庫) 소장본이 원간본 또는 이에 가까운 판으로 추정되고 있다.

위키자료집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zh:千字文
이 문서는 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