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온돌은 한국의 전통적인 가옥 난방 방법이다. 구들이라고도 한다. 아궁이에서 불을 피우고, 아궁이에서 생성된 열기를 머금은 뜨거운 연기가 구들장 (방바닥)을 지나면서 난방이 되고, 그 연기는 구들장 끝의 굴뚝으로 빠져나가는 방식의 난방법이다.
목차 |
[편집] 장점과 단점
서양의 벽난로나 일본의 이로리(いろり) 등은 직접 열원을 이용하는 난방 장치인 것에 비하여, 온돌은 열기로 구들장과 구들장 아래의 고래를 데워, 발생하는 간접 복사열을 난방에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잘 만든 구들장이라면, 아궁이에서 직접적인 열원을 제거한 이후에도 구들장의 열기가 비교적 장시간 지속된다. 좋은 구들은 이 '잔류 온기'가 얼마나 오래 가는가 하는 것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단점은 구들(방바닥)이 갈라지거나 깨지면 연기가 올라와서 일산화탄소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열효율의 문제도 들 수 있는데, 자기 전 불을 지펴서 그 잔류 온기로 온 밤을 지내기 위해서는 필요 이상 과하게 열을 가하게 된다. 또 다른 단점은 온돌의 구조상, 아랫목과 윗목의 온도차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편집] 현대의 온돌
전통적인 온돌은 아궁이의 연료로 주로 짚, 또는 나무를 사용했으며, 1960년대 이후로는 주연료가 연탄으로 대체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와서는, 일산화탄소 중독의 피해를 줄임과 동시에 열효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돌 형식을 사용한 온수 보일러가 개발되어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지금은 온수 보일러가 가정 난방법의 주력으로서, 전통의 온돌을 대신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2005년 현재, 도시 지역 등의 온돌용 연료 수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전통 온돌을 보기 힘드며, 그 대신 온수 보일러, 온돌 마루, 심야전력을 이용한 전기 온돌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편의성, 전통적 연료의 공급 문제, 개스 중독 등의 안전성의 이유와, 설치와 관리의 용이함 때문이다. 현재의 온수 보일러는 연탄, 석탄, 석유, 전기 등,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를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종류의 연료를 혼용할 수 있거나, 연탄이나 석탄 연료의 반자동 교체, 심야 전력의 사용 등 열효율과 편의성을 고려한 비용 절감형의 새로운 설계가 계속 연구 개발되고 있다.
현재에도 온돌용 연료 구입에 큰 장애를 받지 않는 지역에서는 전통 온돌이 시공되고는 있으나, 연료와 개스 중독의 문제 때문에 사람이 거주하는 건물 등은 관계 법령에 따라서 엄격한 시공 규격과 시공 감독 사항이 적용된다. 사람이 사는 집 외에도, 축사와 온실의 난방법으로 농가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연료 (짚과 나무 혹은 연탄)를 사용하는 전통 설계 형식의 온돌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온수 파이프의 동파나 관리상의 이유 등으로 온수 보일러의 설치가 적당치 못하고, 석탄, 석유, 개스 등의 지속적인 공급이 어려운 오지, 산지 고지대, 도서지역 등에서는 아직도 전통 온돌이 빈번하게 시공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온돌과 비슷한 개념의 대표적인 장치로는 불목이나 개자리가 없는 원시적인 형식의 (아궁이와 고래만으로 구성된) 로마 시대 대형 목욕탕 온수 공급 방법인 히포코스타(Hypocaust)가 있다. 또한 히포코스타에서 파생되어서 중세 성(城)의 난방 장치로 쓰인 글로리아(Gloria)도 들 수 있다.
[편집] 구조
시대와 지방에 따라서 온돌 설계 구조에 약간씩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가장 기초적인 사항만을 써서 온돌을 만든다면, 아궁이에서 불을 피우고 그 아궁이의 열기가 구들장의 고래를 타고 굴뚝으로 빠져나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불기를 머금은 연기가 지나가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아궁이 - (불목) - (구들개자리) - 구들고래 - 고래개자리 - (굴뚝개자리) - 굴뚝
[편집] 아궁이
부뚜막의 아궁이: 불을 피워 열기를 발생시키는 장소이다.
- 방이 작은 경우에는 한 아궁이 (또는 두 아궁이)에 외방 구들이 연결된다.
- 방의 크기나 집의 구조 등에 따라서 여러 개의 아궁이가 붙어서 하나의 구들 (방으)로 연결되기도 하고, 하나의 아궁이에 (벽으로 나뉘어진:Partition) 여러 개의 구들이 연결되기도 한다.
- 작은 집의 경우는 부엌의 부뚜막과 하나로 되어 있고, 큰 집의 경우에는 각 방 또는 건물마다 따로 난방용 아궁이를 놓는다.
- 부뚜막의 아궁이는 구들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므로, 부엌의 바닥은 집안에서 그 높이가 가장 낮은 지역에 속한다. 부뚜막의 아궁이에서 태우는 불로 난방과 취사를 겸하므로, 부엌의 바닥이 낮음에도 재래식 부엌의 부뚜막은 그 높이가 허리 이하 정도인 경우가 많다. 이는 취사 노동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설계이다.
[편집] 불주머니
[편집] 불목
불목: (불고개, 부넘기 또는 부넹기):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기가 방의 바닥 (구들) 으로 들어가게 만드는 곳이다.
- 솥을 거는 부뚜막 벽면에서 시작해서 구들장 밑의 고래로 연결되는 열기의 통로다.
- 아궁이 뒷부분 (후렁이)을 통해서 들어온 열기를 구들개자리와 고래로 넘겨주는 턱진 공간이다. 아궁의의 세찬 화력이 제대로 빨려 들어올 수 있도록 그 넓이와 높이를 잘 조절하여서 만들어야 한다.
- 불목 위로 돌을 고여서, 이 것으로 불목의 넓이를 조정함으로 열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 북한이나 만주 등의 혹한지역에서는 많은 열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불목의 모양이 둔덕에 가까운 넓고 큰 구조로 되어있다.
- 후렁이와 불목이 너무 좁으면 열기가 제대로 빨려 들어오지 않는다.
- 후렁이와 불목이 너무 넓으면 화기가 없을 때 차가운 바깥 부엌의 공기가 그대로 흘러 들어 오므로 구들이 빨리 식어 버리게 된다.
- 불목은 불을 피울 때의 연료량과 불이 꺼진 후 구들 전체의 '잔류 온기' 등의 열효율에 큰 영향을 준다.
[편집] 구들개자리
구들개자리: 방의 첫 부분에 해당하며 이 윗부분이 아랫목에 해당한다.
- 고래가 시작되기 이전에 있으며, 고래 보다 깊게 파여 있는 공기와 열기의 혼합 장소이다.
- 불목에서 넘어온 열기의 속도를 떨어뜨리고, 열기가 구들 내부의 비교적 차가운 공기와 섞여 퍼지면서 난방에 도움은 주는, 실제적 첫 도입부이다.
- 이 부분 (아랫목)의 구들장은 윗목의 구들장보다 두껍게 깔린다.
- 가로 세로가 구들장 1 개 돌판보다 작고, 깊이는 고래 바닥에서 약 30 cm 정도의 깊이지만, 그 크기와 깊이는 지역의 기온과 기타 설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 혹한 지방은 얕은 구들개자리와 큰 불목으로 설계한다.
[편집] 고래
[편집] 굄돌
[편집] 구들장
우리 조상들은 구들장으로 주로 운모를 사용하였다. 그 중 백운모를 사용하였는데 백운모가 열 보존 시간이 크고, 절연체였기 때문이였다. 또 다른 암석들도 구들장에 쓰이는 것은 주로 운모라는 광물이 대부분 함유 되어있다.
[편집] 틈새, 새침, 부토, 초벌, 중벌, 마감
[편집] 콩기름 먹이기
[편집] 굴뚝
[편집] 굴뚝개자리
[편집] 서양의 굴뚝과의 비교
[편집] 역사
[편집] 비교 대상
- 서양 벽난로 (침니형)
- 중국 난로
- 갱
- 화로 (=히바치)
- 코타츠
- 이로리, 제주 봉덕화로.
- 온돌 마루
- 히포코스타
- kachelofen
[편집] 보일러와 히터의 차이
[편집] 온돌과 구들의 차이
[편집] 구들의 언어속 사용 예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토막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