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대한민국의 15대 대통령 | |
임기 | 1998년-2003년 |
---|---|
전임 | 김영삼 |
후임 | 노무현 |
출생 | 1925년 12월 3일 |
배우자 | 이희호 |
김대중(金大中, 1926년 1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을 지낸 정치인이다.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출생했다.
목차 |
[편집] 전기
[편집] 어린 시절
그가 10대 때 창씨개명이 이루어졌고, '도요타 다이추(豊田大中)'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편집] 활동
1950년 목포일보의 사장이 되었고, 1960년에 민의원에 당선되었다. 1963년 경희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편집] 정치 활동
1971년 제 7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당시 집권당 대통령인 민주공화당의 박정희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였다. 당시 선거 결과에 위기감을 느낀 박정희 대통령은 유신헌법을 제정하여 영구 집권을 노리게 된다.
당시 선거에서 박빙의 승부로 위기감을 느낀 박정희 후보 측과 언론이 지역 감정을 자극하였고, 그 결과 김대중은 줄곧 지역 감정의 희생자가 되었다.
1973년 8월 8일 일본의 도쿄에 있는 한 호텔에서 중앙정보부요원에 의하여 납치되어 세계에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을 주도한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고 1981년 사형이 확정되었으나 미국,프랑스,일본,독일등 각 국의 양심적 지식인들의 구명 운동에 힘입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1982년 석방되었다.
석방된 후, 미국에 건너가 해외에서 활동하다가 1985년 2월 8일 귀국했다.
[편집] 대통령
1997년 12월 18일 제 1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000년 6월 15일에 남북 정상 회담을 성사시켰고, 한반도 냉전 종식과 평화 정착에 대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집권 이후, 전임 김영삼 정부에서 발생한 IMF 사태를 맞아 국제통화기금으로부터 IMF 구조 금융을 받는 대가로 강도 높은 기업 구조조정 실시를 요구받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기업의 투명성 강화와 부채비율 축소정책을 추진하였다.
또, 소비 활성화와 내수진작 정책을 펼쳤으나 신용카드 산업의 무별한 확장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함으로써 그 후 카드대란 사태가 발생하였다.
전 임 김영삼 |
제15대 대통령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5일 |
후 임 노무현 |
분류: 1925년 태어남 | 대한민국의 대통령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노벨 평화상 수상자 | 테러 피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