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카 제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잉카 문명 (케추아어: Tawanti Suyu, 타완티 수유, 네개지역연합)은 1438년 부터 1533년에 걸쳐 번성한 제국이며 현재 페루 영토에 주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 기간동안 잉카인들은 점령과 평화적인 합방을 통해 안데스 산맥을 주축으로 하는 남아메리카 서부의 주요 영토를 제국의 일부로 편입했다. 1533년 사파 잉카라 불리우는 마지막 황제 아타왈파는 점령자 프란시스코 피사로의 명령에 의해 살해당하고 잉카 제국의 멸망과 동시에 에스파냐 지배가 시작되었다.
잉카는 네개의 "수유" (suyu)로 나뉘어 각 수유의 모서리는 (잉카 신화에 의하면) "세계의 배꼽" (Qusqu)에 서로 맞닿아 이곳에 수도 쿠스코가 설립되었다.
제국의 공식 언어는 케추아어였으나 몇백개가 넘는 지역 언어가 통용되었다. 잉카 지도부는 그들의 신을 숭배하도록 권장했는데 그 중 최고신은 태양신 인티였다.
[편집] 관련 문서
- 페루의 역사
- 페루의 에스파냐 점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