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Airridi/소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용자:Airridi/소개
메인 토론 소개 유저박스 문서 작업장 업무 eMail 기여


"아이리디(Airridi)"는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舍利子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사리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舍利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無眼界 乃至 無意識界 無無明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무무명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 亦無老死盡 無苦集滅道 無智 亦無得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무고집멸도 무지 역무득

以無所得故 菩提薩타 依般若波羅密多 故心無가碍 無가碍 故
이무소득고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 고심무가애 무가애 고

無有恐怖 遠離顚倒夢想 究竟涅槃 三世諸佛依般若波羅密多故 得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삼세제불의반야바라밀다고 득

阿뇩多羅三먁三菩提 故知般若波羅密多 是大神呪 是大明呪 是無上呪
아뇩다라삼먁삼보리 고지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是無等等呪 能除一切苦 眞實不虛 故說般若波羅密多呪 卽說呪曰
시무등등주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고설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이 사용자는
불교 신자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리디(Airridi)"라고 합니다.

평소에 위키백과를 이용하다가, 사용자가 편집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가입하여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 언어학에 관심이 많아서 이 부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싶습니다. 특히 영어 위키백과의 풍부한 내용을 한국어 위키백과에 옮겨서 많은 사람들이 한국어로 언어관련 정보를 이용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아이리디"의 어원

"아이리디"라는 아이디는 제가 만든 인공어인 '엘뤼에(elue)'라는 언어로 만든 단어입니다.

* "아이르-(air-)"는 "작은 책자(booklet)"이란 뜻의 접두사입니다. * "리드(rid)"는 "물"이란 의미로, '생명/삶(life)'등을 간접적으로 일컫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 단어 끝의 "-이(i)"는 복수 형태소(plural marker)입니다.

그래서 "아이리디"란 문자 그대로는 "물에 대한 조그만 책들(small booklets about water)"이라는 뜻이며, 사실상 "삶에 대한 짧은 이야기들(short stories on life)"를 의미합니다.

다른 여러 언어에서의 "아이리디" 명칭

아래의 내용은 가상적인 재구입니다. 정말로 믿으시면 곤란합니다. :)

지금까지 "아이리디"란 명칭은 엘뤼어 고유의 명칭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아이리디"란 명칭을 공유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언어가 일부 발견되었다. (2006. 9) 현재까지는 인도유럽어족에서만 "아이리디"란 명칭이 발견되며, 이들 중 일부는 엘뤼어에서 이 명칭이 발달한 시기와 유사한 시기에 발달한 것으로 여겨진다. 엘뤼어와 인도유럽조어 중에서 어느 쪽이 먼저 이 명칭을 발달시켰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의 의견이 분분하며, 이들 중 일부는 심지어 엘뤼어와 인도유럽조어간의 관련성과 대어족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스어

최근 그리스 북동부 지역에서 발견된 필사본들에 따르면 굉장히 이른 시기부터 "아이리디"란 명칭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가장 오랜 필사본에선 'Ηἰρ δεδών'으로 기록되어 있어, 이 명칭 형성의 단서를 제공해 줄 것이라 여겨지고 있다.

호메로스 그리스어 아티카 그리스어 라틴어 (차용) 프랑스어
주격 Ηἰρεδών (Ēiredōn) Εἰρρήδων (Eirrēdōn) Errēdōn
호격 Ηἰρεδών (Ēiredōn) Εἰρρήδον (Eirrēdon) Errēdōn
목적격 Ηἰρεδόνα (Ēiredona) Εἰρρήδονα (Eirrēdona) Errēdona Hellin
소유격 Ηἰρεδόνος (Ēiredonos) Εἰρρήδονος (Eirrēdonos) Errēdonos
탈격 Errēdone
여격 Ηἰρεδόνι (Ēiredoni) Εἰρρήδονι (Eirrēdoni) Errēdonī

라틴어

형태상으로는 엘뤼어랑 가장 유사하지만 실제 라틴어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뒤늦게 그리스어로부터 차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라틴어 기록상에 나타나는 시기가 4세기 이전인 것을 감안하면 그리스어로부터 차용 가능성이 의심되기도 한다. 더욱이 뒤늦게 그리스어로부터 차용된 형태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원래부터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고전 라틴어 후기 고전 라틴어 통속 라틴어 프랑스어
주격 Aerridis Aerris Eris
호격 Aerridis Aerris Eris
목적격 Aerridim Aerridem Erem Irre
소유격 Aerridis Aerridis Eris
탈격 Aerridī Aerride Ere
여격 Aerridī Aerridī Eri

현대어

어원 영어 프랑스어
Aerridis Airridi Alles
Eris Eris (Alles)
Εἰρρήδων
(Eirrēdōn)
Arron, Erron Hel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