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고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두고원(白頭高原)은 두만강, 압록강, 운총강, 동점령산줄기, 함경산줄기, 서두수 등에 둘러싸여 있는 현무암대지를 부르는 말로, 백무고원의 남서쪽 일부분이다. 넓이는 4,420 ㎢로 백무고원의 68% 가량을 차지한다. 평균 높이는 1,370 m이다.
목차 |
[편집] 지형
현무암의 두께는 200 ~ 600 m 정도이다. 전반적지역의 지형은 평탄하다. 해발 1000 ~ 2000 m인 지역은 84%이다. 백두삼천리벌이 있는데 화산분출 중심에서 주변으로 가면서 낮아진다. 대지의 높이는 대지중심에서 아주 가까운 무두봉일대에서 1,930 m, 허항령일대에서 1,400 m, 혜산일대에서 970 m이다.
[편집] 역사
백두고원은 아마도 제3기 중신세까지 하부원생대 마천령계의 최적변성암과 화강암의 침식작용 때문에 준평원화되고 제3기 선신세에서 제4기에 융기되고 백두산과 아무산등의 용암이 덮여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편집] 기후
고원은 높은 지대에 놓여 있으며 바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동쪽과 남쪽에 높은 산줄기가 솟아 있어 바다의 영향을 적게 받아서 인지 찬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많이 받아 제일 찬 대륙성기후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편집] 기온
겨울은 길고 몹시 추우며 여름은 짧고 서늘하다. 지역에 따라 년평균기온은 1 ~ 5℃, 1월 평균기온은 -22 ~ -14 ℃, 8월 평균기온은 17 ~ 23 ℃이다. 최저극기온은 신무성에서 -45.1 ℃이다. 포태산에서 0 ℃이상 적산온도는 2,102 ℃, 5℃이상 적산온도는 1,593 ℃, 15℃이상 적산온도는 698 ℃이며 일조율은 54%이다.
[편집] 강수량
년평균강수량은 약 600 mm이다. 백두산일대는 년강수일수가 120 ~ 180일로서 한반도에서 강수일수가 많은 지역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자주 흐리면서 비가 내린다. 이 지역은 강수량이 적으나 식물피복이 좋고 기온이 낮기때문에 증발량, 공기와 토양누기가 높은것이 특징이다. 고원에서는 바람 특히 겨울철에 북서계절풍이 세게 분다. 대부분 지역에서 첫 서리는 9월 초, 마지막 서리는 다음해 5월 하순 ~ 6월 중순에 내린다.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은 100 ~ 120일로서 매우 짧다. 첫눈은 9월의 말에 오고 마감눈은 다음해 5월 중순까지 내린다.
[편집] 읽어보기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한국의 지리 | 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