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체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간체자(중국어 간체: 简体字, 정체: 簡體字, 병음: jiǎntǐzì) 또는 간화자(중국어 간체: 简化字, 정체: 簡化字, 병음: jiǎnhuàzì)는 196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간략화한 한자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한자 전체를 간략화한 것을 간체자 변이나 방을 간략화한 것을 간화자라고 한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원래의 전통적인 글자를 번체자라고 하고, 중화민국에서는 정체자라고 부른다.
1956년 「한자간화방안(漢字簡化方案)」이 발표된 후 몇년간의 연구를 거쳐, 1964년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가 발표되었다. 중국대륙과 싱가포르에서 사용되고있다.
초서의 형태를 참고하였는데, 그 내용은, 변과 방으로 사용되지 않는 간체자 350자(제1표), 변과 방으로 사용하는 간체자 132자와 변과 방 14개(제2표), 제2표를 참고한 간화자 1753자(제3표), 총2235자로 이루어져있다.
목차 |
[편집] 역사
한자의 간략화는 예전부터 속자로써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정자로써 쓰인 적은 없었다. 청나라 말기, 1909년, 육비규(陸費逵)가 '교육 한자' 창간호에 ‘일반 교육에 속자를 채용해야 한다(普通教育応當採用俗體字: 보통교육응당채용속체자)’는 논문을 발표하여 간략화 운동이 시작되었다. 5·4 운동(五四運動)시대 1920년 전현동(銭玄同)은 신청년(新靑年)에 한자 획수를 줄이는 방안(減省漢字筆畫的提議: 감성한자필화적제의)을 발표하고, 1922년 육비규와 함께 국어 통일 주비회(國語統一籌備會)에 상용 한자 전체의 획수를 줄일 것을 제안했다. 1934년에도 간략화된 한자를 제안하여, 1935년에는 2400자에 이르러 '간체자보(簡體字譜)'의 초안이 마련되었다. 한편으로는 국민정부의 교육부에서 324자의 '제일 차 간략 한자 표'(第一批簡體字表)를 발표했지만, 반대로 인해 실시되지는 않았다. 그 뒤로 간략자(簡略字)의 수집은 줄었으나, 1937년 '자체 연구회(字體研究會)'가 1700자의 '간체자 표 제일 표(簡體字表第一表)'를 발표했다.
1955년, 중국 문자 개혁 위원회(中國文字改革委員會)가 '한자 간화 방안 초안'(漢字簡化方案草案)을 발표하고, 1956년 1월 '한자 간화 방안'(漢字簡化方案)이 정식으로 발표되어, 514자의 간체자와 54개의 간화된 변과 방이 채용되었다. 그 뒤, 간화자는 1959년까지 네 번 발표되어, 1964년 '간화자 총표'(簡化字総表)로 정리되었다.
1977년, 중국 문자 개혁 위원회가 새롭게 '제이 차 간화 방안 초안'(第二次簡化方案草案)을 발표하여, 한자의 새로운 간략화를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문자 대혁명(文化大革命)의 직후에 만들어져서 너무 졸속한 방안이었고, 자체가 너무 간략화되어 '읽기 어렵다', '보기 나쁘다'는 비판을 들으며 8년 간의 시험 후 폐기되었다. 이 간체자는 이간자(二簡字)라고도 불린다. 그 이후 새로운 문자 개혁은 하지 않고, 간체자 안정기에 들어 갔다.
현재 중국 대륙과 싱가포르의 대부분의 출판물은 간체자를 사용하고 있고, 학교 교육도 간체자를 교육하여 번체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한편, 대만, 홍콩과 북미의 화교 사회 등에서는 중국과 정치적 대립을 배경으로 인해 번체자를 고수하고 있어, 간체자를 제대로 읽을 수 없는 사람이 많다. 그러므로 인해 같은 내용의 책이라도 중국 대륙에서는 '간체자판', 그 밖의 곳에서는 '번체자판' 2종류로 출판되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손으로 필기하는 경우도, 간체자와 번체자를 혼용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편집] 간략화 원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자를 간략화하였다.
- 자형의 일부만 남긴다
- 예: 虫(蟲)、广(廣)、录(錄)、灭(滅)、务(務)、乡(鄉)
- 자형의 일부를 변화시킨다
- 예: 妇(婦)、丽(麗)、习(習)、显(顯)
- 변과 방을 다른글자로 대체한다
- 예: 蜡(蠟)、钟(鐘)
- 번체자의 특징적인 부분과 윤곽만 남긴다
- 예: 飞(飛)、广(廣)、齿(齒)、厂(廠)
- 초서체를 예서화한다
- 예: 书(書)、长(長)、乐(樂)、车(車)
- 변과 방을 간략화한다
- 예: 邓(鄧)、观(觀)、对(對)
- 같은음의 다른글자로 대체한다
- 예: 谷(穀)、丑(醜)、后(後)、机(機)、干(乾、幹)
- 회의문자를 새로 만든다
- 예: 尘(塵)
- 획순이 적은 고체자를 사용한다
- 예: 从(從)、云(雲)、泪(涙)、网(網)
- 한자의 음을 의미하는 부분을 다른글자로 대체한다
- 예: 毙(斃)、护(護)、惊(驚)、肤(膚)
[편집] 이체자 정리
1955년 중국한자개혁위원회는 「간화방안」에 앞서, 「제1차이체자정리표」를 발표하여, 1865자의 글자를 810자로 정리하였다. 예를 들어 「并・並・併・竝」을「并」로, 「屍・尸」을「尸」등이 있다.
[편집] 간체자 대조표
간체자 | 번체자 | 간체자 | 번체자 |
户 | 戶 | 见 | 見 |
讠 | 訁 | 贝 | 貝 |
车 | 車 | 钅 | 釒 |
长 | 長 | 门 | 門 |
青 | 靑 | 韦 | 韋 |
页 | 頁 | 风 | 風 |
飞 | 飛 | 饣 | 飠 |
马 | 馬 | 鱼 | 魚 |
鸟 | 鳥 | 麦 | 麥 |
黄 | 黃 | 齐 | 齊 |
齿 | 齒 | 龙 | 龍 |
龟 | 龜 | 丰 | 豊 |
- 간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