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머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소년용 티머니 카드(위:2004년, 아래:2006년)
실제 크기로
청소년용 티머니 카드(위:2004년, 아래:2006년)

티머니(T-money)는 대한민국에서 지하철, 버스, 택시, PC 방, 편의점, 박물관 등에서 결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이다.

2004년 7월 서울특별시대중교통 체계를 개편하면서 새 교통 카드로 티머니가 처음 도입되었다. 티머니 카드 발급 및 관리는 서울특별시에서 출자하여 설립된 한국스마트카드가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통비 결제 이외에 교통 마일리지 서비스 등 부가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목차

[편집] 종류 및 기능

티머니 카드에는 보급형 티머니, 스마트 티머니가 있다. 스마트 티머니는 나이에 따라 일반용, 청소년용(13세~18세), 어린이용(7세~12세)으로 구분하여 판매하고 있다. 보급형 티머니는 현재 생산이 중단된 상태이다. 카드별로 그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과 같다.

[편집] 보급형 티머니

[편집] 스마트 티머니

[편집] 같은 이름의 카드

  • 이비 티머니 : 이비카드에서 발행했던 교통카드로, 경기도 및 인천 지역의 가판대에서 구입할 수 있었다. 보급형 티머니와 그 기능이 동일하다.
  • 탑캐시 티머니 : 탑캐시에서 발행하는 티머니 카드. 포항, 안동, 통영, 거제시에서 이용된다.

[편집] 구입

  • 보급형 티머니 / 악세사리형: 더 이상 판매되지 않으며, 연세의료원 의료스마트 제휴카드로 통해서만 볼 수 있다.
  • 스마트 티머니 / 카드형: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가두충전소, 한국철도공사·인천 지하철 구간을 제외한 수도권 전철 역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
  • 스마트 티머니 / 액세서리형: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바이 더 웨이·세븐일레븐·가두충전소에서 구입할 수 있다.

[편집] 충전

수도권 전철 매표소,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가두판매점에서 충전할 수 있다.

[편집] 환불

[편집] 훼손되지 않은 카드

카드 잔액과 빈 카드를 즉시 돌려받을 수 있다. 카드 잔액에서 500원의 환불 수수료를 공제한 금액을 환불받을 수 있다. 다만, 카드 잔액에 따라 환불처가 다르다.

  • 잔액이 2만 원 이하인 경우: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부 지에스25·훼미리마트 에서 환불할 수 있다.
  • 잔액이 2만 원 초과인 경우: 한국스마트카드에서 환불할 수 있다.

[편집] 훼손된 카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 지점에 비치된 환불 봉투에 훼손된 카드를 넣어 접수하면, 나중에 한국스마트카드에서 환불 봉투를 수거한 후, 은행 계좌를 통해 카드 잔액만을 돌려받을 수 있다.

[편집] 관련 항목


[편집] 바깥 고리


대한민국의 교통 카드
대경교통카드(카드넷) - 마이비카드(마이비) - 유패스(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 - 케이캐쉬(금융결제원) - 티머니(한국스마트카드) - 하나로교통카드(하나로교통카드) - 한꿈이카드(비자캐시)

유사 교통 카드 : KB 프리 패스(KB카드) - KTX 패밀리 카드(인터내셔널 패스 앤 커머스)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