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음반 정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도움이 필요합니다. ==


템플릿을 작성한 뒤 일반 페이지에 적용시켜 미리보기를 해보니 상단에 }}}라는 부호 세개가 뜨는데 저 부호들이 왜 뜨는지 모르겠습니다. 템플릿 작성에 능숙하신분이나 혹시 왜 이런지 아시는 분이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Allen R Francis 2006년 3월 26일 (일) 21:50 (KST) 해결되었습니다. Allen R Francis 2006년 3월 26일 (일) 22:50 (KST)

목차

[편집] 음반 정보 틀에 무슨 문제가 있나 봅니다.

[[Let It Be (앨범)에서는 멀쩡하던 것이, Abbey Road에선 틀이 잘못 나옵니다. 미리보기로 확인 결과 전앨범과 후앨범을 제거하면 제대로 뜨는 것을 보아, 앨범 제목 밑에 〈br /〉로 입력했던 연도 때문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앨범 정보에서 전앨범과 후앨범의 연도 표기는 있는게 좋다고 생각하는데, 적절한 수정이 요구됩니다. - 이상한건 Let It Be에서는 그런식으로 해도 멀쩡하게 나왔는데..뭔가 꼬인게 있나봅니다. --Hnc197 2006년 8월 19일 (토) 01:09 (KST)

해결됐네요. --Hnc197 2006년 8월 19일 (토) 01:10 (KST)

[편집] 배경색에 대해서

음반 정보 틀에 배경색을 지정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 앨범마다 다른 색으로 지정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음악가별로 하나의 색을 사용해야 할까요? 앨범마다 색깔을 지정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은데, 다른 분들은 틀의 배경색을 어떻게 지정하고들 계시는지 궁금해요. --Sjhan81 2006년 10월 5일 (목) 13:49 (KST)

색깔은 알아서 지정하시면 되는걸로 압니다.^^;; 미키위키 2006년 10월 7일 (일) 16:03 (KST)
색깔에 대한 특별한 규제는 없습니다. 다만 같은 가수의 경우에는 한 색으로 통일하는게 미관상 좋습니다. --Hnc197 2006년 10월 7일 (일) 16:09 (KST)

[편집] 첫 번째 싱글과 두 번째 싱글은 뭘 의미?

혹시 타이틀곡을 의미하나요? 만일 그렇다면 더 많이 쓰이는 타이틀 곡으로 바꿔야 하는것 아닐런지?미키위키 2006년 10월 7일 (일) 16:04 (KST)

타이틀 곡과 싱글은 다릅니다. 한국의 앨범에는 싱글 앨범의 개념이 없어서 오판하신 것 같네요. :생각해보니 한국 음악의 경우 싱글의 개념이 없으니..이거 복잡해 지겠군요:( 1/2번째 싱글하고 타이틀 곡을 모두 만든 후 선택 사항으로 바꾸는게 좋겠습니다.--Hnc197 2006년 10월 7일 (일) 16:09 (KST)
저 같은 경우에는, 발매(또는 온·오프라인 배급)된 싱글이 있을 경우 해당 싱글 음반의 타이틀 곡을 적고, 발매된 싱글이 없을 경우에는 타이틀곡 또는 주로 홍보(활동)된 곡을 기입하(려)고있습니다.--Sjhan81 2006년 10월 7일 (일) 16:12 (KST)
타이틀곡과 싱글은 명백히 다릅니다. 그건 잘못된 정보 전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틀을 수정하는게 옳겠네요. --Hnc197 2006년 10월 7일 (일) 16:13 (KST)
싱글 앨범은 따로 싱글 앨범을 만들면 되는거 아닌가요? 엄연히 별도의 앨범이라고 생각됩니다만, 정규 앨범에 싱글 앨범이 포함 되나보죠?―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Miracleezz(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한국 음악에서의 싱글 앨범의 개념은 모르겠으나, 외국 음악의 경우 〈Hey Jude〉와 같은 스탠드얼론 싱글(마땅한 번역어를 모르겠네요. The Beatles의 본문에선 적당히 의역했습니다만..)을 제외하곤 대부분 포함되죠. --Hnc197 2006년 10월 7일 (일) 16:22 (KST)
한국 음악에서 싱글의 개념은, 디지털 싱글의 개념과 유사합니다. 한 몇곡 안넣는거죠. 주로 한 곡에서 뭐 리믹싱을 한다던가 등등으로 한 3곡 내외에서 채우는 걸로 압니다. 싱글 발매가 워낙 안 이뤄지다 보니 한국에서 싱글의 개념을 딱히 정하기는 곤란합니다. 물론 요새 온라인 상에 잘 뜨는 디지털 싱글의 개념을 인용하자면 쉬울지도 모르지만요. 미키위키 2006년 10월 7일 (일) 16:23 (KST)
제가 편집할 때의 기준은 분류:이수영의 음반에 속해 있는 문서들을 많이 참고한 것입니다. 만약 틀을 바꾼다면, ‘타이틀곡’, ‘싱글곡’ 등을 구별할 필요 없이 ‘주요곡’ 등으로 바꾸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일단 그 전에, ‘타이틀곡’과 ‘싱글곡’ 등의 정의를 명확하게 하는 건 당연히 필요하구요. 저는 ‘싱글곡’은 정규 음반 발매 전에 주요곡 한 개 내지 두 개 정도(에 다른 곡도 들어가긴 하지만)를 담은 음반이 출시(또는 온·오프라인 배급)된 경우 해당 곡(들)을 일컫는 것이고, ‘타이틀곡’은 음악가가 어떤 곡(들)을 해당 앨범의 타이틀로 내세울(언급하거나 앨범에 명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경우 그 곡(들)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Sjhan81 2006년 10월 7일 (일) 16:25 (KST)
통상적인 싱글의 경우 정규 앨범의 발매 전 또는 후(Queen의 Don't Stop Me Now 싱글은 News of the World 발매 후 발표.. 생각해 보니 이건 세 번째 싱글이군요-_-)에 앨범 홍보 또는 라디오에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 집니다. 보통 앨범의 주요곡을 처음에 넣고(A사이드) 그 리믹스 버전이나 라디오 에딧(긴 곡의 경우 편집으로 조금 짧게)등을 싣고, B 사이드에는 전혀 다른 곡을 넣습니다. 물론 리믹스 버전 대신 다른 곡을 넣기도 합니다. 위에서 말했던 〈Hey Jude〉등은 정규 앨범과는 전혀 관련 없는 싱글이고요. 싱글 앨범에는 정규 앨범 세션 기간동안 녹음되었으나 수록되지 않는 곡들이 B 사이드로 들어가기도 합니다.
통상적인 한국인들은 싱글 앨범의 개념을 모호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싱글을 따로 빼서 다루기엔 무리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비틀즈의 화이트 앨범의 싱글들은 비틀즈의 맴버들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해체 후 발매된 싱글들이 있는지라, 이를 고려하면 상당히 골치가 아파집니다:( --Hnc197 2006년 10월 7일 (일) 16:37 (KST)
한국에서는 Hnc197님께서 말하시는 싱글의 개념은 없다고 봐야 무방할 것입니다. 싱글이라고 해봐야 상당히 드물고, 그마저도 거의 디지털 싱글이라 하여 온라인 전용으로 별도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니, 첫 번째 싱글과 두 번째 싱글은 빼도 될 것 같습니다. 미키위키 2006년 10월 7일 (일) 21:01 (KST)
그레이스를 보면, 싱글의 개념을 가수들이 앨범을 발표할 때, 활동하는 곡 위주로 적은 것 같습니다만. 미키위키 2006년 10월 7일 (일) 21:03 (KST)
글쌔요. 그럼 "싱글" 항목만 선택적으로 남겨두고 그 내부에는 지필할 때 <br />등으로 구분해서 싱글을 적어주는게 낫겠습니다. 그리고 대표곡을 차라리 본문에 녹여 쓰는게 나아 보입니다. 외국 음악의 경우 싱글과 겹치는 경우가 다반사거든요. --Hnc197 2006년 10월 9일 (화) 15:43 (KST)

음반 정보에서 뜻하는 싱글이란건 대한민국에서는 타이틀곡 후속곡으로 부르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나라에선 정규 음반을 발표한 후 따로 활동하는 싱글 음반을 발표해서 싱글 차트에 올리는 곡을 의미합니다. 대한민국과 다른 나라들의 차이는 대한민국에서는 정규 음반만을 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정규 음반을 내고, 싱글 차트에 올릴 곡만을 담은 (미수록곡,라이브판 따위도 함께 수록하기도 한) 음반을 따로 또 발매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결국 음반 발매의 유무 차이이지 싱글과 타이틀곡이 의미하는 바가 다른 것은 아닙니다. SA Single음반의 경우는 정규 음반의 곡 중 활동하는 곡 하나만을 담은 싱글을 발표하는 것과는 약간 성격이 다른 음반이지요. -- Allen R Francis 2006년 10월 9일 (화) 16:28 (KST)

외국 음반의 경우는 싱글 표기를 틀을 통해 해주고 음반문서 하단에 싱글 음반 섹션을 따로 만들어 그 싱글음반문서로 넘어가게 하면 되겠지요. 그리고 그 싱글 음반문서에서 틀의 이 음악가의 다른 음반은 정규 음반을 제외한 싱글 음반들 간 사이만 이동하게 해놓으면 됩니다. 정규 음반 문서에서의 이동은 정규 음반(혹은 싱글을 제외한 비정규 음반을 포함한)끼리만 이동하게 고리를 걸면 됩니다. SA 싱글음반의 경우는 정규 음반 이동고리들 사이에 넣어두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 Allen R Francis 2006년 10월 9일 (화) 16:30 (KST)
참고할만한 문서 링크입니다. en:Room on the 3rd Floor (song) 싱글 음반 문서입니다. 고리 연결이 싱글음반끼리만 되도록 되어있습니다. en:Room on the 3rd Floor 이것은 동명의 정규음반 문서입니다. 고리 연결이 정규음반끼리만 되도록 되어있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트랙리스트 목록에 연결고리를 걸어서 싱글음반페이지로 넘어가도록 해놓았습니다. 또한 문서 하단에 보면 틀을 이용해서 음반, 싱글음반 등을 쉽게 이동할 수 있게 정리해놓았습니다. -- Allen R Francis 2006년 10월 9일 (화) 16:34 (KST)
그렇게 편집을 하게 된다면 지금 만들어 놓은 몇 비틀즈 곡들과 BohRap은 수정이 요구되는군요-.-; 그럼.. 싱글 전용의 틀을 만들어서(차트 순위 등을 기록할 수 있게 특화하여) 놓고, 현재의 곡 글 내에서 싱글까지 같이 다루는게 낫겠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될 경우 A사이드와 B사이드 곡이 모두 정규 앨범에 수록된 것과 같은 경우엔 복잡해 질테고.. 복잡함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겠네요:( 그냥 영어식을 따라가서 곡과 싱글 앨범(특수한 경우만)을 분리하도록 해야겠습니다. --Hnc197 2006년 10월 10일 (수) 20:05 (KST)

[편집] 가수명

(밴드) (가수) 등이 붙는 표제어가 많은데, 링크를 수동으로 주게 바꾸는 게 어떨까요? 이렇게 써도 되기는 하지만.. --Puzzlet Chung 2006년 10월 27일 (토) 17:1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