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택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택상(張澤相,1893년 10월 22일 -1969년)은 해방직후 대한민국의 국무총리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호는 창랑(滄浪)이다. 경상북도 칠곡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칠곡.
- 1945년 10월부터 1948년까지 수도경찰청장 역임.
- 1948년 1월 24일 자택 근처에서 청년 2명으로부터 수류탄 저격 받음.
- 1952년 8·5정부통령 선거에서 경찰이 깊이 개입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해 이범석이 그를 고소하자, 1952년 9월 30일 국무총리를 사임하였다.[1]
[편집] 가족 관계
아버지 장승원(1852년 - 1917년)은 칠곡의 갑부였다. 둘째형 장직상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편집] 사후
2006년 8월 4일 셋째 딸 장병혜는 한국방송공사(KBS)의 주말드라마 《서울 1945》에서 장택상의 명예를 훼손하는 등 허위사실을 유포했다며 한국방송공사를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2]
전 임 - |
제1대 외무부장관 1948년 8월 15일 - 1948년 12월 24일 |
후 임 임병직 |
전 임 장병만 |
제2대 국회의원(칠곡군)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무소속 |
후 임 ' |
전 임 이윤영 |
제3대 국무총리 1952년 5월 6일 - 1952년 10월 5일 |
후 임 백두진 |
[편집] 각주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