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사람에 대한 내용은 그리스 (동음이의) 문서에 있다.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
그리스의 국기 그리스의 문장
(국기) (문장)
표어: Ελευθερία ή Θάνατος
(엘레우테리아 이 타나토스)
자유와 죽음
국가: 자유의 찬가
그리스의 위치
수도 아테네
38°00′N 23°43′E
공용어 그리스어
정부 형태
대통령
국무총리
공화정
카롤로스 파풀리아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독립
 •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
1829년
1974년공화국이 됨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131,945 km² (70위)
0.86%
인구
 • 2005년 어림
 • 2001년 조사
 • 인구 밀도
 
11,244,118명 (72위)
10,964,020명
80.9명/km² (87위)
GDP (PPP)
 • 전체
 • 일인당
2005년 어림값
$2428억 (39위)
$22,800 (30위)
HDI
 • 2003년 조사

0.912 (24위)
통화 유로 (EUR)
시간대
 • 여름 시간
CET (UTC+2)
CEST (UTC+3) 
국가 도메인 .gr
국제 전화 +30
2002년까지는 드라크마화폐였다.

그리스(그리스어: Ελλάδα 엘라다)는 남유럽에 있는 공화국이다. 정식 명칭은 그리스 공화국(그리스어: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 엘리니끼 디모끄라띠아)이며 수도는 아테네이다.

목차

[편집] 그리스의 국명

그리스고대 그리스어로 ‘헬라스(Ελλάς)’, 현대 그리스어로는 엘라스(그리스어: Ελλάς)나 엘라다(그리스어: Ελλάδα), 라틴어로는 그라이키아(라틴어: Graecia)’, 영어로는 그리스(Greece)라고 한다. 희랍(希臘)은 헬라스의 중국어 음차 이름이다.

[편집] 역사

이 문서의 본문은 그리스의 역사입니다.

고대 그리스인은 동일한 언어 ·종교 ·관습을 가진 민족으로서 자신들을 헬렌(그리스 민족의 선조)의 자손이라 하여 헬레네스라 자칭하였고, 자신들이 살고 있는 땅을 헬라스라고 불렀으며, 이민족을 바르바로이(야만인)라 하여 자신들과 구별하였다. 고대에는 폴리스들이 발달하였다.

로마 제국비잔티움 제국을 거쳐 1453년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었다가 1833년 그리스 왕국이 되었고, 1863년 덴마크 왕가 출신의 게오르기오스 1세가 왕이 되었다. 독립 당시의 영토는 아테네 일대에 국한되었다가, 1864년 이오니아 제도를 합치고, 1881년 테살리아 지방을, 1912년 마케도니아 및 에피루스, 1913년 크레타 섬을 합쳐 영토를 확장하였다.

1923년부터 12년간 공화제가 실시되었다. 2차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군과 나치 독일군에게 점령당하였다.

1947년 그리스 북부에서 왕정에 반대하는 사회주의 게릴라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2년 후 진압당하였다. 1967년 선거를 통해 합법적으로 등장한 사회주의 정권을 두려워한 우파들을 등에 업고,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키고, 1973년 스스로 대통령이 됨에 따라,국왕 콘스탄티노스 2세가 폐위되었다. 1974년 국민 투표로 인해 공화제가 정식으로 인정되었다. 하지만, 군사정권은 공산주의자들과 비판세력을 탄압하는등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탄압한 非민주적인 정권이었다. 이후 선거를 통해 군사정권이 물러나고, 사회주의 정권이 다시 들어섰다.

[편집] 지리

그리스는 본토 이외에도 크레타 섬 및 로도스 섬, 레스보스 섬을 비롯한 에게 해의 수많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스는 산지가 많고 평야가 적으며, 곳곳에 분지가 있어 古代에 폴리스가 발달한 지리적 조건이 되었다.

그리스의 지도

[편집] 행정 구역

이 문서의 본문은 그리스의 행정 구역입니다.

수도아테네이다.

[편집] 기후

[편집] 정치

이 문서의 본문은 그리스의 정치입니다.

독립 당시에는 군주제였지만 1974년부터 공화정을 실시한다.

[편집] 주민

그리스의 소수민족은 북부의 불가리아인, 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 포마크인이며, 이란인, 아랍인, 영국인, 미국인, 동유럽인, 러시아인, 집시, 유대인, 기타 이민족도 거주한다.

[편집] 인구

인구는 약 1100만 명으로 대체로 그리스인이 거주한다. 그리스의 여성 1인당 합계출산율은 2004년 현재 (유럽 통계청 추정) 1.29명으로 유럽연합 내에서도 낮은 편이다. 2005년 현재 천명당 출산율은 9.4명, 천명당 사망율은 9.2명으로, 간신히 자연증가 상태에 있다.

[편집] 언어

언어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며 그리스 문자로 표기한다.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 소수 민족어(불가리아어, 알바니아어, 마케도니아어,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루마니아어, 집시어, 기타)도 쓰인다.

그리스는 2004년에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프랑코포니)의 준회원국이 되었고, 2006년에는 정회원국이 되었다.

[편집] 종교

대부분이 기독교의 한 교파인 그리스 정교회를 믿으나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도 있다. 일부는 개신교, 가톨릭교, 기타 종교를 믿는다. 그리스에서 정교회는 오스만투르크(터키)의 점령 시절 그리스인들의 의지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지금도 교회는 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편집] 교육

[편집] 군사

이 나라는 예로부터 징병제를 실시하였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무장(무기와 갑옷)을 자비로 부담할 수 있는 성인 남자만이 시민이 될 수 있었다.

[편집] 경제

이 나라는 그리스 로마 시대 때의 문화재와 산토리니 섬으로 인해 많은 관광객이 찾아 든다.

[편집] 문화

[편집] 외교

[편집] 대한민국과의 관계

그리스는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에 군대를 파병하여 지원하였다.

[편집] 터키와의 관계

19세기까지 식민지였기 때문에, 그리스는 터키에 대해 적대적이었다. 지금도 그 감정은 해소되기 어렵다고 한다. 또한 키프로스 공화국의 영토에서 터키계 주민들과 그리스계 주민들은 대립을 보이고 있다.


[편집] 바깥 고리

틀:그리스

유럽의 나라 유럽 대륙
그루지야¹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¹ |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마케도니아 공화국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바티칸 시국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스웨덴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¹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¹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에스파냐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체코
카자흐스탄¹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² | 터키¹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속령
건지 섬 | 맨 섬 | 스발바르 제도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² | 올란드 제도 | 저지 섬 | 지브롤터 | 페로 제도
비독립 국가
나고르노카라바흐¹ | 남오세티아¹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² | 압하스 공화국¹ | 코소보 | 트란스니스트리아
¹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됨.
 
유럽 연합 (EU)
유럽 연합 기
그리스 그리스 |네덜란드 네덜란드 | 덴마크 덴마크 | 독일 독일 | 라트비아 라트비아 |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몰타 몰타 | 벨기에 벨기에 | 스웨덴 스웨덴 |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 아일랜드 아일랜드 |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
에스파냐 에스파냐 | 영국 영국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이탈리아 | 체코 체코 | 키프로스 키프로스 | 포르투갈 포르투갈
폴란드 폴란드 | 프랑스 프랑스 | 핀란드 핀란드 | 헝가리 헝가리
2007년 1월 1일 가입 예정국: 루마니아 루마니아 | 불가리아 불가리아
가입 후보국: 마케도니아 공화국 마케도니아 공화국 |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 터키 터키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국제 연합 깃발
상임이사국 : 러시아 | 미국 | 영국 | 중화인민공화국 | 프랑스
비상임이사국 (2006년 12월 31일 만료) : 그리스 | 덴마크 | 아르헨티나 | 일본 | 탄자니아
비상임이사국 (2007년 12월 31일 만료) : 가나 공화국 | 슬로바키아 | 카타르 | 콩고 공화국 | 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