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무령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령왕 (武寧王, 462년 - 523년)은 백제의 제25대 왕(재위; 501년 - 523년)이다. 휘는 사마(斯麻) 또는 융(隆)이고 동성왕의 둘째 아들이다.
목차 |
[편집] 생애
동성왕이 위사좌평 백가의 계략으로 시해되자 그 뒤를 이어 즉위했다. 502년 백가를 토벌하고 처단하였다. 이후 신라와 연대하여 고구려의 침입을 저지하기에 힘썼다. 503년에 일본 게이타이 천황(繼體天皇)에게 동경(銅鏡,[1])을 하사하였으며, 513년에는 오경 박사 단양이(段楊爾)를 516년에는 고안무(高安茂)를 일본에 보냈다.
[편집] 무령왕의 일본 출생설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발굴품들을 근거로 무령왕이 일본의 가카라시마 섬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있다.
무령왕릉 속에서는 대왕과 왕후의 묘지석이 발견되었는데, 거기에는 '사마왕'이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무령왕의 이름을 사마(斯摩)라고 기록한 삼국사기의 사료적인 가치를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일본서기의 무령왕에 대한 기록도 새로이 평가하는 기회가 되었다. 우선 일본 서기에서는 무령왕의 이름을 사마(斯麻)라고 하여 무령왕릉의 묘지석과 완전히 일치하고 있다. 백제신찬에서는 무령왕의 모후가 백제에서 왜로 가는 도중에 어떤 섬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사마’라고 불려졌다고 기록하고 있다.[1]
[편집] 읽어 보기
[편집] 참조
전 임 동성왕 |
제25대 백제왕 501년 - 523년 |
후 임 성왕 |
백제의 역대 국왕 |
---|
백제: 온조왕 | 다루왕 | 기루왕 | 개루왕 | 초고왕 | 구수왕 | 사반왕 | 고이왕 | 책계왕 | 분서왕 | 비류왕 | 계왕 | 근초고왕 | 근구수왕 | 침류왕 | 진사왕 | 아신왕 | 전지왕 | 구이신왕 | 비유왕 | 개로왕 | 문주왕 | 삼근왕 | 동성왕 | 무령왕 | 성왕 | 위덕왕 | 혜왕 | 법왕 | 무왕 | 의자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