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 성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浙江省
Zhèjiāng Shěng
약자: 浙
저장 성 지도
행정 단위
청사 소재지 항저우 (杭州)
면적 101,800 km² (25위)
인구 (2004년)
 - 인구밀도
47,200,000 (11위)
464/km² (8위)

저장 성(절강성. 중국어: 浙江省, 병음: Zhèjiāng Shěng)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남부의 성이다.

목차

[편집] 명칭

저장 성의 명칭은 성도인 항저우(杭州)를 지나 항저우 만으로 흘러드는 첸탕장(錢塘江) 강의 다른 이름인 저장(浙江) 강에서 유래했다. “浙”이란 강물이 급하게 “꺽여(折)” 흐르다는 의미를 내포하는 고유명사이며, 특히 항저우를 지나는 구간은 “갈지 자” 모양으로 꺾여 흐른다고 해서 “즈장(之江)” 강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약칭으로 “浙”을 사용하며, 중국화 되기 이전 이 지역 선주민을 가리키는 명칭이기도 했으며 춘추시대 이 지역의 고대국가의 명칭이었던 “越”(위에/월)을 약칭으로 쓰기도 한다. 예를 들어 “越劇”이라고 하면 저장 지방의 가극을 가리킨다.

[편집] 역사

첸탄장 강 유역에서는 황허 강 유역과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신석기 문명이 발달했으며 주(周)나라 초기까지 황허 강 유역의 문화권과는 동떨어진 지역이었다. 춘추 시대에 이 지역에 살던 민족이 오늘날 샤오싱(紹興)을 중심으로 월(越)나라를 세웠으며 주나라의 책봉을 받았다. 월은 구천(勾踐)왕 시대에 경쟁관계에 있던 오(吳)나라를 멸망시켰다(기원전 473년). 이후 전국 시대에 남방 지역의 강자로 부상한 초(楚)나라에 복속되었으며(기원전 333년), 기원전 221년 진(秦)나라가 중국을 통일함에 따라 제국의 판도에 편입되었다.

삼국시대에는 손(孫)씨의 오나라가 이 지역에 성립되어 촉(蜀), 위(魏)와 경쟁했다. 이어진 남북조시대에는 남조 왕조들의 강역에 포함되었다. 이 시기에 북방 지역으로부터 대규모 이민이 이루어지면서 문화적으로도 중국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당(唐)나라송(宋)나라 사이의 오대십국(五代十國) 시대에 이 지역에는 오월(吳越)국이 세워졌다. 오대십국 시대는 남조 시대 이래로 발전해 온 장강 이남의 ‘강남(江南)’ 지역이 경제적으로 황허 강 유역의 북방 중국을 압도하기 시작한 시기로, 짧은 기간이었지만 오월국은 크게 번성하여 한때 전성기에는 조세를 바치는 가구수가 55만호에 이르렀다.

남송(南宋) 시대에 임안(臨安)(오늘날의 항저우)이 수도가 되면서 이 지역은 더욱 발전했으며, 명(明), 청(淸) 시대에 저장 성 북부 지역은 장쑤 성 남부 지역과 더불어 제국의 경제, 문화, 학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명나라 때부터 ‘저장’이란 이름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오늘날에 이른다.

[편집] 지리

저장 성은 북으로 [상하이 시]](上海市), 장쑤 성(江蘇省), 서로는 안후이 성(安徽省), 장시 성(江西省), 남으로는 푸젠 성(福建省)과 접하고 있다. 동으로는 바다와 면하고 있으며 항저우 만(杭州灣)은 중국 최대의 해만(海灣)이다. 3000여 개의 도서가 속해 있어 중국에서 가장 섬이 많은 성이다. 저우산 군도(舟山群島)의 주 섬인 저우산 도는 하이난 도(海南島), 충밍 도(崇明島)에 다음으로 큰 섬이다.

전 성 면적의 70%가 산지와 구릉으로 톈타이 산(天台山) 등의 산악 지형이 성 전체에 분포한다. 대부분 지역은 해발 200-1000m 사이에 위치한다. 주요 평원은 성 북부 항저우(杭州)-자싱(嘉興)-후저우(湖州) 지역의 평야로 양쯔 강 삼각주 평원의 일부를 이룬다. 그밖에 해안 지역과 주요 하천 유역에 평야와 분지가 분포한다. 첸탕 강(錢塘江), 어우 강(瓯江)이 주요 하천이며, 항저우의 시후(西湖)가 대표적 호수다.

[편집] 기후

아열대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네 계절이 분명한 편이다. 봄은 비가 많고 날씨 변화가 심하며, 긴 여름은 무덥고 습하다. 가을 날씨는 온난하고 건조한 편이며 겨울은 짧은데 북부 지방의 경우 다소 춥다. 1월 평균 기온 2-8°C, 7월 평균 기온 27-30°C이다. 연 강우량은 지역에 따라 1000-1900mm, 초여름에 장마가 있으며, 늦여름에는 태풍이 잦다.

[편집] 행정구역

저장 성 행정구역
실제 크기로
저장 성 행정구역

저장 성은 11개 지급행정구(地級行政區)로 나뉘어 있는데 모두 지급 시이다.

  • 항저우 (정체자/간체자: 杭州市, 한어병음: Hángzhōu Shì) - 성도
  • 후저우 (湖州市 Húzhōu Shì)
  • 자싱 (嘉興市/嘉兴市 Jiāxīng Shì)
  • 저우산 (舟山市 Zhōushān Shì)
  • 닝보 (寧波市/宁波市 Níngbō Shì)
  • 샤오싱 (紹興市/绍兴市 Shàoxīng Shì)
  • 취저우 (衢州市 Qúzhōu Shì)
  • 진화 (金華市/金华市 Jīnhuá Shì)
  • 타이저우 (台州市 Tāizhōu Shì) (tái 가 아닌 점에 주의)
  • 원저우 (温州市 Wēnzhōu Shì)
  • 리수이 (麗水市/丽水市 Líshuǐ Shì) (lì 가 아닌 점에 주의)

[편집] 바깥 고리



중화인민공화국행정 구역
간쑤 성 | 광둥 성 | 구이저우 성 | 랴오닝 성 | 산둥 성 | 산시 성 (산서성) | 산시 성 (섬서성) | 쓰촨 성 | 안후이 성 | 윈난 성 | 장시 성 | 장쑤 성 | 저장 성 | 지린 성 | 칭하이 성 | 푸젠 성 | 하이난 성 | 허난 성 | 허베이 성 | 헤이룽장 성 | 후난 성 | 후베이 성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 | 네이멍구 자치구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티베트 자치구 |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직할시 베이징 | 상하이 | 충칭 | 톈진
특별행정구 마카오 | 홍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