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i (가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ゝ」 | 가나 오십음도 | ||||||||||
---|---|---|---|---|---|---|---|---|---|---|---|
ん | わ | ら | や | ま | は | な | た | さ | か | あ | |
っ | ゐ | り | み | ひ | に | ち | し | き | い | ||
ヴ | る | ゆ | む | ふ | ぬ | つ | す | く | う | ||
ヶ | ゑ | れ | め | へ | ね | て | せ | け | え | ||
ー | を | ろ | よ | も | ほ | の | と | そ | こ | お |
,
는 일본어의 음절의 하나이며, 가나의 하나이다. 메이지 초기에 사용되었다. 원래부터 や행 い단 자리가 비어 있는 상태였는데, 메이지 초기의 학자들이 그 자리에 이 두 글자를 인위적으로 배정했던 것이다. 그래서 이 두 글자는 얼마 못 가 폐지되었다.
이 글자는 や행 い단에 배정되었기 때문에 그 음은 yi(IPA: [ji])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본어에서는 예부터 yi라는 음절이 따로 없이 i로만 발음되었기 때문에[1] 이 자리에 들어가는 글자가 비어 있는 상태였다(또는 あ행 い단을 빌려와서 채움). 이 점은 (Wu (가나))와 비슷하다.
는 以의 초서체를 변형하여 만든 글자이므로, い와 근원이 같다. 본래
와 い는 모양만 다르고 실제 쓰임은 완전히 같은 글자(이체자)였던 것이다.그러다가 메이지 초기의 학자들이
를 い와 달리 や행에 속하는 문자로 규정을 지었다. 그러나 이것은 너무나 인위적이고 부자연스러운 조치였기 때문에 결국 이 글자는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 현재
는 い에 상응하는 헨타이가나로 취급되어 편의상 あ행으로 인식된다.
는 以의 오른쪽 부분을 생략한 글자이다[2]. 따라서 원래는
와 イ도 서로 이체자 관계에 놓인 문자였다. 그러나 메이지 초기에
는
와 함께 や행 い단에 배정되었다가, 결국 얼마 뒤 폐기되었다.
목차 |
[편집] 로마자와 한글 표기
로마자 표기의 경우, 근·현대 일본어의 실제 발음에 의거할 때(헵번식, 훈령식 등)는 i, 오십음도 내에서의 형식적인 위치(행·단)을 명시할 때(일본식)는 yi 정도로 적을 수 있을 것이다.
한글 표기의 경우 '이'로 적을 수밖에 없다.
[편집] 요음
이 글자는 요음으로 사용할 일은 없으나, 굳이 쓰려면 다른 글자의 요음 표기 규칙에 의거해서 표기하면 될 것이다.
[편집] 컴퓨터 코딩
유니코드에서는 등의 헨타이가나와
가 아직 한 글자도 지원되고 있지 않다. 금석문자경(今昔文字鏡) 코드에서는
는 069301번(위키백과에 수록된 그림과 완전히 같은 모양은 아니나 비슷함)에,
는 069612번에 할당되어 있다.
작은 가나(,
)는 실제로 쓰인 적이 없었기 때문에 금석문자경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편집] 각주
- ↑ y(IPA: [j])는 i의 반모음이다. 따라서 음절 yi는 유사한 음소의 연쇄 형태가 된다. 일본어에서는 예부터 지금까지 이 음절이 존재한 적이 없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것은 한국어도 같다.
- ↑ 또는 イ를 뒤집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 ((일본어)) 이즈〔伊豆〕에서의 수확
- ((일본어)) 이로하(いろは)와 아이우에오(アイウエ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