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준 (1890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창준(金昌俊, 1890년 5월 23일 ~ 1959년 9월 29일)은 한국감리교 목사이며 독립운동가이다.

1889년 생이라는 설도 있다. 평안남도 강서 출생으로, 1907년 세례를 받고 기독교에 입교했다.

평양의 기독계 계열 학교인 숭실중학교, 도쿄의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에서 수학하고, 감리교의 협성신학교(현 감리교신학대학)를 졸업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날 때 박희도의 권유에 따라 민족대표 33인중 기독교계 대표로 참가하였고, 징역형을 선고 받아 복역했다. 당시 그의 나이는 30세로 최연소 대표였다.

이후 미국시카고로 유학을 떠나 게렛 신학교에서 수학하고 돌아왔다. 협성신학교 강사로 일하다가 잠시 물러나 있던 중 광복을 맞았는데, 1947년 민주주의민족전선(약칭 민전)에 가담하여 찬탁 운동을 벌이고 서울에서 좌파 기독교인들을 결집하여 기독교민주동맹을 결성하는 등 해방 공간에서 그의 행적은 기독교 사회주의자로서의 면모가 뚜렷하다.

1948년 남북대표자연석회의 때 북조선을 방문했다가 허헌, 홍명희와 함께 그대로 머물렀다. 그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에 임명되면서, 강양욱과 함께 북조선 정권을 적극 지지하는 대표적인 기독교계 인사가 되었다.

한국 전쟁미군과 국제연합군의 전쟁 범죄를 해외에서 폭로했고, 최고인민회의 부의장까지 지낸 뒤 애국열사릉에 묻힌 월북 목사였기에 남한에서는 독립유공자로 인정 받지 못했다.

민족대표 33인 - 편집하기
그리스도교 : 이승훈 박희도 이갑성 오화영 최성모 이필주 김창준 신석구 박동완 신홍식 양전백 이명룡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
천도교 :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박준승 양한묵 권병덕 김완규 나용환 이종훈 홍병기 이종일 최린
불교 : 한용운 백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