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P148) 명학 | (P149) 금정 | (P150) 군포 | 천안 방면 |
당고개 방면 | (442) 범계 | (443) 금정 | (444) 산본 | 오이도 방면 |
금정 | |
---|---|
![]() |
|
금정역 4호선 하행 승강장 | |
역 정보 | |
노선 |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안산선 (수도권 전철 4호선) 과천선 (수도권 전철 4호선) |
소재지 |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 87-1 |
개업일 | 1988년 10월 25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혼합식 (3면 7선) |
전화번호 | 031-393-7788 |
GPS 좌표 | {{{GPS}}} |
금정역(衿井驛, Geumjeong)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경기도 군포시에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은 이 역부터 오이도역까지는 지상에 선로가 있다. 4호선 당고개 방면에서 1호선 성북 방면과 4호선 오이도 방면에서 1호선 천안 방면 열차는 평면환승을 할 수 있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편집] 승강장
1 | ●4호선 | 평촌・사당・당고개방향 |
2 | ●경부선(완행) | 구로・서울역・청량리역・성북방향 |
3 | ●경부선(완행) | 수원・평택・천안방향 |
4 | ●4호선 | 산본・안산・오이도방향 |
- 2번과 3번홈 사이에 경부1선이 통과함.
- 5번홈은 현재 사용하지 않음.
[편집] 역사
[편집] 승차량 변동
1호선역과 4호선역의 구별은 없다. 2003~2004년 사이의 감소 이후 다시 반전을 보여주고 있다. 저층 고밀도 지역이 주변에 분포하며, 고층 고밀도 지역과는 거리가 있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21610 | 24312 | 26154 | 28395 | 21737 | 22514 | 23276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지하철 4호선: 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삼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과천선: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공단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분류: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수도권 전철 환승역 | 군포시의 전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