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산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종착역 (100) 소요산 (101) 동두천 인천·천안 방면
소요산
역 정보
노선 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
소재지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126
개업일 1976년 1월 11일
역 종별 보통역
역 등급 3급
승강장 상대식 (2면 2선)
전화번호 031-865-7788
GPS 좌표 {{{GPS}}}

소요산역(逍遙山驛, Soyosan)은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통근 열차를 이용할 수 있는 역이다. 개업 당시에는 경원선 비둘기호만 운행했던 작은 역이었으나, 2006년 수도권 전철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종착역이 되었고, 역에도 변화가 일어나 열차 교행이 가능한 직영역으로 성장하였다.

목차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 : 오른쪽(수도권 전철), 왼쪽(경원선 통근 열차)
  • 승강장 형태 : 상대식 승강장으로, 역사가 있는 쪽의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을 탈 수 있는 고상홈이고 반대쪽의 승강장은 경원선 통근 열차를 탈 수 있는 저상홈이며 전차선이 없다. 개찰구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편집] 주변 정보

[편집] 역사

[편집] 참고

  • 인접역인 동두천역과의 전철화 구간은 단선으로 경원선 통근 열차와 수도권 전철이 같이 운행하고 있어서 대한민국 도시철도 운행 구간 중에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소태-녹동 다음으로 열차가 뜸하게 운행되는 구간이다.
  • 역의 이름처럼 소요산으로 가는 입구에 해당되어 주말에는 등산객들로 역은 붐비고 과거 통근 열차만이 운행할 때에는 오후 시간 대에 엄청나게 혼잡하였으나 수도권 전철 개통으로 인하여 그 혼잡도가 많이 완화되었다. 이런 요인 때문에 단선으로 운행 간격이 뜸하지만 수도권 전철이 이 역까지 연장되었다. 처음 계획은 현재의 동두천역인 동안역이 수도권 전철의 종점이었다.
  • 2006년 12월 15일에 복선 전철화되어 연장 개통된 수도권 전철 경원선가능-소요산 구간은 대부분 고가 및 높은 노반을 설치하여 새로 노선을 만들었지만 유일하게 동두천-소요산 구간만은 지상에 전차선만 추가된 방식으로 전철화되었다.
  • 개통 전에 비해 이용객 수가 500% 이상 증가해 역 구내 확장 및 열차 운행 증편을 고려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개통 이전의 소요산역에 관한 글이 소요산역엔 아름다운 마음이 있다는 제목으로 제 7차 교육 과정 중학교 2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에 실려있다.

[편집] 승차량 변동

주변 역에 비해 승차량이 그리 많은 수준은 아니므로, 단선으로 운영되는 역 시설 부족이 혼잡 원인으로 보인다. 주변엔 저밀도로 공업과 주거가 분포해 있다.동두천 소요산 구간은 세계의 단선 통근 철도 구간 가운데 가장 혼잡한 구간으로[출처 필요], 열차의 이용 밀도는 시간당 최대 10회이며, 최저 간격도 4회나 되는 구간이다. 그 전에는 일본의 쇼난 모노레일이 7분 30초 간격으로 운행하던 것이 가장 높은 단선 철도의 운행 밀도였으나, 이제는 대한민국의 경원선이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밀도 기록은 한 동안 깨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역 노선 승차 인원[1]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1호선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2226
  1.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