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게임 스타리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BC게임 스타리그는 MSL이라는 약칭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3회우승자를 3명씩이나 배출 시켰다. 2001년 KPGA월별 투어를 시작으로 2003년 스타우트배 부터 MBC게임 스타리그이란 독자브랜드로 시작하였으며, 2003년 TG삼보배 부터는 MSL이라는 약칭이 사용되었다.

목차

[편집] 역대 MSL

[편집] 2001년 KPGA 월별 투어

[편집] 2001년 KPGA 8월 투어
  • 리그기간 : 2001-08-01
  • Gembc 최초의 리그
  • 16강, 8강, 4강 단판 토너먼트 방식
  • 결승전은 5판 3선승제
  • 블리자드 맵을 일부 수정하여 공식맵으로 사용
  • [우승 이광수, 준우승 이태우, 3위 박태민, 4위 김수한]

[편집] 2001년 KPGA 9월 투어
  • 리그기간 : 2001-09
  • 4강전 3판 2선승제 도입
  • 최초의 Gembc 자체 제작맵 사용 (Plains To Hill)
  • [우승 강도경, 준우승 최인규, 3위 한웅렬, 4위 정유석]

[편집] 2001년 KPGA 10월 투어
  • 리그기간 : 2001-10
  • 공식맵 네 개 사용
  • [우승 이태우, 준우승 나경보, 3위 강도경, 4위 최인규]

[편집] 2001년 KPGA 11월 투어
  • 리그기간 : 2001-11
  • 10월 대회와 똑같은 방식으로 진행
  • [우승 성학승, 준우승 강도경, 3위 이태우, 4위 김정민]

[편집] 2001년 KPGA 12월 투어
  • 2001-12-27 ~ 2002-01-24
  • 챔피언쉽으로 진행됨

[편집] 2002년 KPGA 리그

[편집] 2002년 KPGA 1차리그
  • 리그기간 : 2002-02-14 ~ 2002-04-14
  • 더블엘리미네이션 방식 도입
  • [우승 임요환, 준우승 홍진호, 3위 임성춘, 4위 최인규]

[편집] 2002년 KPGA 2차리그(Reebok 배)
  • 리그기간 : 2002-04-18 ~ 2002-06-22
  • 이윤열 시대 개막
  • [우승 이윤열, 준우승 홍진호, 3위 박신영, 4위 조용호]

[편집] 2002년 KPGA 3차리그(PEPSI Twist 배)
  • 리그기간 : 2002-07-04 ~ 2002-10-05
  • 메가매치와 엑스트라 매치로 나누어 진행
  • [우승 이윤열, 준우승 박정석, 3위 임요환, 4위 최인규]

[편집] 2002년 KPGA 4차리그(베스킨라빈스 배)
  • 리그기간 : 2002-10-25 ~ 2003-01-18
  • 특이사항 : 메가매치와 엑스트라 매치에 다른 맵 사용
  • [우승 이윤열, 준우승 조용호, 3위 김현진, 4위 장진남]

[편집] KTEC KPGA 위너스챔피언쉽
  • 리그기간 : 2003-01-23 ~ 2003-03-22
  • MBC게임 최초의 왕중왕전성격의 대회

[우승 홍진호, 준우승 임요환, 3위 이윤열, 4위 박신영]

[편집] MSL(MBCgame Star League)

[편집] Stout 1st MSL
  • 리그기간 : 2003-04-17 ~ 2003-07-19
  • 최초의 MSL
  • [우승 강민, 준우승 이윤열, 3위 전태규, 4위 조용호]

[편집] TG삼보 2nd MSL
  • 리그기간 : 2003-09-04 ~ 2003-11-06
  • 메이저, 마이너 진출전을 통해 선발
  • [우승 최연성, 준우승 홍진호, 3위 이윤열, 4위 이병민]

[편집] 하나포스 CENGAME 3rd MSL
  • 리그기간 : 2004-01-08 ~ 2004-04-18
  • 최연성 시대 개막
  • 각리그 결승전을 이틀에 걸쳐 치르는 챔피언스데이 실시
  • [우승 최연성, 준우승 이윤열, 3위 김정민, 4위 강민]

[편집] SPRIS 4th MSL
  • 리그기간 : 2004-05-20 ~ 2004-08-29
  • 상금 2500만원으로 확대
  • [우승 최연성, 준우승 박용욱, 3위 강민, 4위 이병민]

[편집] 당신은 골프왕 5th MSL
  • 리그기간 : 2004-09-30 ~ 2005-02-06
  • 유일무이한 7전 4선승제의 결승전
  • 역대 MSL중 가장 긴 리그일정 진행
  • 승자결승, 패자준결승, 패자결승 5전3선승제 실시
  • MSL 최초의 지방결승(부산)

[우승 박태민, 준우승 이윤열, 3위 서지훈, 4위 조용호]

[편집] UZOO 6th MSL
  • 리그기간 : 2005-04-21 ~ 2005-08-06
  • 2기 프로게이머 협회가 발족하며 양방송사 공식맵을 1개씩 공유하여 사용(Neo Requiem, Luna the Final)
  • 결승을 5전3선승제로 16강 승패자 결정전을 단판으로 회귀

[우승 마재윤, 준우승 박정석, 3위 조용호, 4위 최연성]

[편집] LG CYON 7th MSL
  • 리그기간 : 2005-10-06 ~ 2006-01-14
  • 과거 공식맵 수정 재사용(Dark Sauron 2.0)
  • 조 배정을 시드권자 8인이 비시드권자 8인을 지명
  • 자체로고 도입
  • 'Fight a Real Dual'이라는 슬로건 도입
  • 사상최초의 공인리그 저그 대 저그 결승

[우승 조용호, 준우승 마재윤, 3위 최연성, 4위 성학승]

[편집] 8th MSL : Pringles Season1
  • 리그기간 : 2006-04-06 ~ 2006-07-16
  • 스퀘어 지형을 도입한 수직언덕지형 도입(The Eye)
  • 스틸드래프트 지명방식 도입
  • 리그방식을 새롭게 변경
  • 맵 썸즈다운(드롭)제도 도입
  • [우승 마재윤, 준우승 강민, 공동 3위 전상욱ㆍ박용욱]

[편집] 9th MSL : Pringles Season2
  • 리그기간 : 2006-08-17 ~ 2006-11-11
  • 최초로 두 번 연속으로 같은 스폰서가 지원한 MSL
  • 스틸드래프트 조지명 방식의 보완
  • 경기장을 세중게임월드에서 히어로 센터로 이전
  • 임요환의 군입대 전 마지막 스타리그
  • 사상최초로 결승전을 군부대에서 개최 (진주 공군교육사령부) : 당시 훈련병이었던 임요환 선수가 참관하여 화제를 낳았다.
  • [우승 마재윤, 준우승 심소명, 공동 3위 강민ㆍ변은종]

[편집] 10th MSL : 곰TV Season1
  • 리그기간 : 2006-11-30 ~ 2007-03-03
  • 인터넷 방송국인 곰TV와 케이블 방송국 MBC게임의 전략적 제휴.
  • 마재윤의 MSL 4회 우승을 막기 위한 15명의 사투를 모토로 흥미로운 대결구도를 만들어낸 대회.
  • 데저트폭스 선기도 발생사건
  • 양대리그 우승을 노리던 마재윤을 김택용이 3:0으로 격침
  • [우승 김택용, 준우승 마재윤, 공동3위 강민ㆍ진영수]

[편집] 11th MSL : 곰TV Season2
  • 리그기간 : 2007-05-03 ~ 2007-07-14
  • 곰TV의 장기후원 약속
  • 서바이버를 폐지하며 32강으로 확대된 최초의 MSL
  • 지난시즌과 비교하여 최초로 모든 맵이 교체된 MSL
  • 종전 4강부터 적용했던 5전 3선승제를 8강부터 적용
  • 슬로건을 'The Live'로 변경
  • MSL 최초의 프프전 결승
  • 우승 상금을 5000만원으로 확대
  • [우승 김택용 ,준우승 송병구, 공동3위 박태민ㆍ이성은]

[편집] 12th MSL : 곰TV Season3
  • 리그기간 : 2007-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