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375년경 - 444년 6월 27일)는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로 초기 기독교 교리논쟁이 치열했던 5세기 경 활약한 기독교 신학자이다.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에 대한 공격과 파문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 모두 그를 성인으로 추대하였고 축일은 각각 6월 27일과 6월 9일이다.
[편집] 생애
키릴루스는 375년경 이집트의 테오도시오스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외삼촌은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와의 대결로 유명한 알렉산드리아 주교 테오필루스였다. 외삼촌 밑에서 신학을 배웠고, 외삼촌이 412년 죽자 그의 뒤를 이어 알렉산드리아 교구의 대주교가 되었다.
키릴루스는 당시 알렉산드리아의 국제적인 분위기 속에서 다른 기독교 종파와 유대교 및 이교도들과의 투쟁에 나섰다. 특히 기독교 분파인 노바티아누스파와 유대인에 대한 폭력적인 공격에 앞장섰다. 키릴루스는 과격한 방법으로 이단과 이교를 단죄했으며, 특히 당시 알렉산드리아의 여성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히파티아의 죽음에 키릴루스가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유서깊은 알렉산드리아 교구가 콘스탄티누스 1세이후 새로 생긴 콘스탄티노폴리스 교구보다 더 우월한 교구의 지위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삼촌인 테오필루스와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와의 대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점차 부상하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교구에 알렉산드리아 교구는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양측의 긴장감은 428년 네스토리우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가 되자 점차 고조되어 결국 교리논쟁으로 번지게 되었다.
양측의 종교적 논쟁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신성과 인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벌어졌는데 키릴루스는 한 위격{位格) 안에서 그리스도의 두 본성이 통일되어 있음을 주장했지만, 네스토리우스는 예수는 신의 위격과 인간의 위격, 서로 다른 두 위격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위격 주장은 성모 마리아에 관한 논쟁으로 발전하였다. 키릴루스가 성육신을 통해 두 본성이 내적 통일을 이루었음을 설명하기 위해 마리아를 테오토코스(그리스어로 신의 어머니라는 뜻)로 부를 것을 주장하자 네스토리우스는 이를 거부했다.
결국 비잔티움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를 열어 양측의 입장을 정리하고자 했다. 키릴루스는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이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를 공격했는데, 당시 황제의 누나로 황후 유도키아와 경쟁하던 풀케리아까지 자기 편으로 끌어들였다. 또한 로마 주교인 첼레스티노와 공모하여 철저히 네스토리우스파를 공격하려 했으며, 자신과 이견을 보이던 안티오크의 주교단이 늦게 도착한 것을 기회로 네스토리우스를 파문하고 네스토리우스파를 이단으로 규정했다.
키릴루스는 444년 죽었으나 교리 논쟁은 계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