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2년 서곡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12년 서곡〉은 (원래 표제는 〈축제 서곡 1812년〉 내림 마 장조, Op. 49; 프랑스어: Ouverture solennelle 1812)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관현악 서곡이다. 그는 이 곡을 나폴레옹의 러시아 공략 실패와 퇴각 및 나폴레옹 군대의 궤멸 (이 일은 1812년 일어난 사건으로서 나폴레옹 전쟁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을 기념하여 작곡하였다. 작품 내 일련의 대포 발사 시퀀스가 유명한데, 야외에서나 혹은 야외 축제에서 공연할 때는, 진짜 대포를 발사하기도 한다. 실내에서 이 작품이 연주될 때는, 때때로 컴퓨터가 생성한 대포 소리를 사용하기도 하며 큰 배럴 드럼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작품은 악보 상에서 총기 혹은 대포를 사용한 열 개 남짓한 작품들 중의 하나이며, 카리용을 요하는 몇 안 되는 작품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서곡은 모스크바에 위치한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에서 1882년 8월 20일 초연되었다. 이 대성당은 이후 1930년대에 스탈린이 철거하였다.
목차 |
[편집] 역사적 배경
[편집] 보로디노 전투
- 이 부분의 본문은 보로디노 전투입니다.
1812년 9월 7일 모스크바에서 120 km 떨어진 지역인 보로디노에서, 나폴레옹의 군대와 미카일 일라리노비치 쿠투조프 장군의 군대가 만났다. 당시 나폴레옹의 군대는 무적 프랑스 육군이었는데, 보로디노 전투는 이 군대에 러시아가 일치단결하여 제대로 반격을 한 유일한 전투였다. 보로디노 전투의 사망자는 1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양 국가 어느 쪽에도 승리를 안겨주지 못하였다. 하지만 러시아 군대는 침공한 프랑스 군대의 뒤를 끊는 데 성공하였다.
식량, 탄약 등의 자원이 고갈되고, 병참선이 지나치게 확대된 상태에서, 나폴레옹은 결국 모스크바로 진입한다. 모스크바는 아무런 저항 없이 나폴레옹 군대에 항복한다. 짜르 알렉산드르 1세의 항복을 기대하고 모스크바에 진입한 것이었지만, 이미 모스크바는 러시아 군대가 철저히 파괴한 뒤였다.
월동 장소가 없어지자, 나폴레옹은 결국 후퇴를 결심한다. 10월 19일에 시작된 퇴각은 12월까지 이어졌다. 퇴각 자체도 길고 길었지만, 굶주림, 혹한 등이 프랑스 군대를 괴롭혔다. 퇴각로를 끊는 러시아 군대가 프랑스의 앞길을 가로막았다. 12월 나폴레옹이 폴란드 지역에 도착했을 때는, 당시 세계 최대의 군대였던 나폴레옹 육군은 그 수가 10분의 1로 줄어든 상태였다.
[편집] 서곡 작곡의 의뢰
1880년 완공을 앞두고 있던 그리스도 구세주 대성당은 짜르 알렉산더 2세에 의뢰에 의거 1812년의 프랑스 군대의 후퇴를 기념하는 기념식을 거행하기로 계획한다. 1881년은 알렉산더 2세가 즉위한 지 25년이 되는 해였다. 1882년은 모스크바 예술 산업 박람회가 열릴 예정인 해였다.
1880년 봄, 차이코프스키의 친구이자 멘터였던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이 일련의 축제에서 연주되어야할 장엄한 기념곡이 작곡되어야 한다고 의견을 내었다. 이 작품은 오늘날 적십자사라고 불리는 단체에 의해서 의뢰되었다. 차이코프스키는 1880년 10월 12일부터 작곡을 시작하였고, 6주 뒤 작곡을 끝냈다. 대성당 앞 광장에서 초연할 계획이었다. 오케스트라 말고도 관악기 악단이 보강될 예정이었으며, 곡 시작 시 대성당의 종 뿐만 아니라 모스크바 시내의 모든 종들이 즈본스(Zvons)를 울릴 예정이었으며, 실제 대포를 사용하여 대포 소리를 낼 예정이었다. 대포는 전기적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어야 했는데, 특별히 악보에 지정된 곳에서 정확하고 정교하게 발사되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차이코프스키는 그의 후원자였던 나데크다 폰 멕에게 다음과 같이 넋두리한 바 있다. 차이코프스키 자신은 축제 악곡을 꾸며내는 데 맞지 않으며, 〈1812년 서곡〉은 너무 시끄럽고 야하고 예술적인 쓸모가 없는데, 이것은 차이코프스키 자신이 열정과 사랑 없이 이 곡을 썼기 때문이다라는 것이다. 또한 예술가들은 때때로 자기 자신의 작품을 혹평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 곡은 차이코프스키의 곡 중에서 가장 자주 공연되는 곡이기 때문에, 차이코프스키 에스테이트(Estate)에게 부를 가져다 줄만한 곡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러시아 혁명은 이러한 일을 일어나지 않게 하였고, 오늘날 이 점은 공산주의자들이 지적재산권을 훔쳐간 사례로 분류되고 잇다.
1881년 〈1812년 서곡〉은 공연되지 않았다. 계획이 너무 야심찼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해 3월 알렉산드르 2세가 암살되었기 때문이다. 1882년에 모스크바 예술 산업 박람회에서 〈1812년 서곡〉은 평범한 관현악 편곡으로서 실내에서 공연되었다. 모스크바 그리스도 구세주 대성당은 1883년 완공되었다.
1931년, 당시 30층 높이였으며 황금 돔과 65톤 가량의 종을 가지고 있었던, 대성당은분해 후 철거 및 폭파되었다. 대성당의 재건은 원래 위치에서 1994년에 시작되었고 1999년 12월에 완료되었다.
[편집] 악기의 편성
〈1812년 서곡〉은 군관악단과 관현악단에 의해 공연되게 작곡되었다. 다음과 같은 편성을 갖는다. 피콜로, 플룻 2, 오보에 2, 잉글리쉬 호른 2, 클라리넷 (내림 나) 2, 바순 2, 호른 (바) 4, 코넷 (내림 나) 2, 트럼펫 2,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트라이앵글, 탬버린, 스내어 드럼, 심벌, 베이스 드럼, 카리용 (간혹 튜뷸라 벨로 대체), 대포 (간혹 녹음된 대포 소리로 대체. 실내에서는 공이나 베이스 드럼으로 대체), 현악기, 기타 관악기 등이다. 간혹 어떤 실내 공연에서는 관악기 밴드 파트가 파이프 오르간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편집] 악곡의 구조
〈1812년 서곡〉는 16발의 대포 발사가 들어가 있다.
[편집] 미국에서의 활용
이 작품과 영국과 미국간의 1812년 전쟁과는 직접적인 역사적 연관성은 없지만, 미국 내에서는 종종 "애국심을 고취하는" 음악 중 하나로서 연주된다; 이 음악은 미국 독립 기념일 기념식에서는 빼놓지 않고 쓰인다.
[편집] 역사적 배경
[편집] 주석
[편집] 바깥 고리
- ((영어)) Article from 2003 Pittsburgh Post-Gazette on how “1812” has become a piece of patriotic Americana
- ((영어)) Russian national anthem “God Save the Tsar” in Tchaikovsky’s music — contains several audio recordings of the 1812 Overture.
- ((영어)) 1812 Overture (measure 349 to end) sheet music
![]() |
이 문서는 음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표트르 차이콥스키가 작곡 | 서곡 | 음악 토막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