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다. 고려의 합의 기구 도평의사사와 집행 기구 문하부를 합쳐 만들어졌다. 육조 직계제가 시행되었을 때에는 왕의 자문기관의 역할을 하게 되었으나, 의정부 서사제에서는 중심 정무기관의 역할을 하였다.
목차 |
[편집] 변천
1400년(정종 2년)에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고쳤으며, 1401년(태종 원년)에 문하부를 폐지하여 그 기능을 의정부로 이관하였다. 그러나 태종이 육조 직계제를 시행하면서 자문기관의 역할만 띄게 되었으나, 세종 때에 의정부 서사제를 부활시켰다. 세조가 의정부 서사제를 폐지한 뒤로는 부활되지 않았다.
1555년(명종 10년)에 을묘왜변이 일어나면서, 의정부의 관원을 비롯한 고위 관원들을 망라한 비변사를 설치하였다. 1864년(고종 원년)에 비변사가 폐지되었고, 의정부는 존속하였다.[1]
[편집] 구성
품계 | 관직 | 정원 | 비고 |
---|---|---|---|
정1품 |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
각 1명 | |
종1품 | 좌찬성 우찬성 |
각 1명 | |
정2품 | 좌참찬 우참찬 |
각 1명 | |
정4품 | 사인(舍人) | 2명 | |
정5품 | 검상(檢詳) | 1명 | |
정8품 | 사록(司錄) | 2명 |
[편집] 같이 보기
- 도평의사사
- 문하부
- 문하시중
- 영의정
- 정승
[편집] 주석
- ↑ 신편 경국대전, 윤국일 옮김, 신서원, 1998년, 28쪽.
조선의 행정기관 | |||
의정부 승정원 의금부 사헌부 사간원 집현전 규장각 훈련도감 포도청 한성부 개성부 종친부 충훈부 의빈부 돈녕부 봉조하 중추부 내금위 겸사복 오위도총부 경연 |
|||
이조 | 충익부 내시부 상서원 종부시 사옹원 내수사 액정서 | ||
호조 | 내자시 내섬시 사도시 사섬시 군자감 제용감 사재감 풍저창 광흥창 전함사 평시서 사온서 의영고 장흥고 사포서 양현고 오부 |
||
예조 | 홍문관 예문관 성균관 춘추관 승문원 통례원 봉상시 교서관 내의원 예빈시 장악원 관상감 전의감 사역원 세자시강원 종학 소격서 종묘서 사직서 빙고 전생서 사축서 혜민서 도화서 활인서 귀후서 사학 문소전 연은전 |
||
병조 | 5위 훈련원 사복시 군기시 전설사 세자익위사 | ||
형조 | 장례원 전옥서 | ||
공조 | 상의원 선공감 수성금화사 전연사 장원서 조지서 와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