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천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천구
floating
현황
면적 17.40km²
세대 169,326가구 (2004년)
총인구 485,098명 (2004년)
법정동 {{{법정동}}}개
행정동 {{{행정동}}}개
{{{읍}}}개
{{{면}}}개
단체장 추재엽
홈페이지 {{{홈페이지}}}
상징
시목 {{{시목}}}
시화 {{{시화}}}
시조 {{{시조}}}
군목 {{{군목}}}
군화 {{{군화}}}
군조 {{{군조}}}
구목 {{{구목}}}
구화 {{{구화}}}
구조 {{{구조}}}

양천구(陽川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서부에 있는 이다.

목차

[편집] 역사

양천구는 삼국시대백제고구려강서지역과 양천 지역을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라 부르기 시작하면서 부터 기록이 시작되었다. 이 후 삼국이 통일되면서 신라 경덕왕 16년인 757년 공암현(孔岩縣)으로 개칭되면서 율진군(지금의 과천)의 영현이 되었고, 고려 현종 9년인 1018년에는 수주군(예전의 부천군)에 속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고려 충선왕 2년인 1310년에 공암현을 지금의 지역 이름과 같은 양천현으로 이름을 고치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태종 14년인 1414년 김포와 합쳐져 김양현(金陽縣)으로 부르다가 2년 후인 1416년 지역 이름을 다시 양천현으로 되돌렸다. 고종 32년인 1895년에는 양천현을 양천군으로 개칭하였다.

근대에 들어서는 1914년 김포군에 합쳐지면서 김포군 양동면과 김포군 양서면으로 나뉘었다가, 1963년 지금의 영등포구로 편입되었다. 이 후 서울 도심 재개발이 한창이었던 1970년대 많은 이주민들이 이곳 양천 지역에서 무허가 판자촌을 형성하며 거주하게 되었으나 1980년대 목동 신시가지 건설 사업이 시작되면서 1988년 1월 1일 강서구 중 목동·신월동·신정동이 분리되어 지금의 양천구가 설치되었다.[1]

[편집] 주거

전체 면적 중 70% 이상이 주거 지역으로,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반에 걸쳐 철거민들이 대규모로 집단 이주한 목동・신정동・신월동 지역과, 서울특별시의 인구를 강남 지역으로 분산하기 위해 1979년부터 정부가 계획하여 조성한 목동 대단위 주택 단지로 구분된다. 목동 대단위 주택 단지가 있는 동부 지역에는 파리공원을 비롯하여 근처 안양천변 둔치에 목동종합운동장이 갖추어져 있어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주거 환경이 좋은 편이다.

[편집] 산업

목동에 SBS 서울방송, CBS 기독교방송, 롯데홈쇼핑, 농수산홈쇼핑 등의 방송 업체가 많이 소재하고 있다. 상업 활동은 등촌시장, 목동시장, 신곡시장 등 11개 재래 시장과 현대백화점 목동점, 행복한세상백화점, 농협하나로마트, 홈에버 목동점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편집] 기반 시설

목동에 대한민국과 프랑스의 수교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파리공원서울특별시 서부 지역 최초의 종합경기장인 목동종합운동장 있다. 또한, 대단위 주택 단지의 전력 수요를 충당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열병합발전소가 있다. 용왕산에 신정제1우수배제펌프장이 있고, 신정동에 신정제2우수배제펌프장, 수도권 전철 2호선 신정차량기지가 있으며, 신월동에 김포수원지가 있다.

[편집] 교통

신월동에 경인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는 신월나들목이 있고, 영등포·강남 등 부도심으로 갈 수 있는 오목로, 남부순환로가 있다. 목동·신정동 지역에는 수도권 전철 2호선수도권 전철 5호선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그러나 신월동에는 도시 철도망이 없어 상대적으로 교통이 불편하다. 이에 서울특별시에서는 2017년까지 신월동에서 출발해 목동 대단위 주택 단지를 거쳐 당산역으로 가는 경전철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편집] 문화재

  • 보물: 금강반야바라밀경
  • 무형문화재: 초고장, 체메우기
  • 유형문화재: 성시헌익사공신록, 열조통기

[편집] 하위 행정구역

  • 목1동
  • 목2동
  • 목3동
  • 목4동
  • 목5동
  • 목6동
  • 신월1동
  • 신월2동
  • 신월3동
  • 신월4동
  • 신월5동
  • 신월6동
  • 신월7동
  • 신정1동
  • 신정2동
  • 신정3동
  • 신정4동
  • 신정5동
  • 신정6동
  • 신정7동

[편집] 교육 기관

  
  
  
  • 목동중학교
  • 신남중학교
  • 신목중학교
  • 신서중학교
  • 신원중학교
  • 신월중학교
  • 신화중학교
  • 양서중학교
  • 양천중학교
  • 양정중학교
  • 영도중학교
  • 목일중학교
  • 양강중학교
  • 양동중학교
  • 봉영여자중학교
  • 강신중학교
  • 월촌중학교
  • 금옥중학교
  
  • 경인초등학교
  • 계남초등학교
  • 남명초등학교
  • 목동초등학교
  • 목원초등학교
  • 서정초등학교
  • 신강초등학교
  • 신남초등학교
  • 신목초등학교
  • 신서초등학교
  • 신원초등학교
  • 양강초등학교
  • 양동초등학교
  • 양명초등학교
  • 양목초등학교
  • 양원초등학교
  • 양화초등학교
  • 영도초등학교
  • 월촌초등학교
  • 은정초등학교
  • 정목초등학교
  • 신기초등학교
  • 지향초등학교
  • 갈산초등학교
  • 강서초등학교
  • 강신초등학교
  • 강월초등학교

[편집] 바깥 고리

[편집] 주석

  1. ^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제정 1987년 12월 31일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강남구 | 강동구 | 강북구 | 강서구 | 관악구 | 광진구 | 구로구 | 금천구 | 노원구 | 도봉구 | 동대문구 | 동작구 | 마포구
서대문구 | 서초구 | 성동구 | 성북구 | 송파구 | 양천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은평구 | 종로구 | 중구 | 중랑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