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
![]() |
기독교의 역사 |
예수 |
기독교 신학 |
삼위일체(성부, 성자, 성령) |
경전 |
구약성서 (모세오경) |
기독교의 분파 |
로마 가톨릭 |
기독교 운동 |
에큐메니컬 운동 |
성사(聖事)는 기독교에서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은총이 눈에 보이는 방법으로 전달되는, 그리스도께서 직접 세우신 예전’이라고 설명하는 전례이다. 즉,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은총이 전달되는 경로가 바로 성사이다.
[편집] 교파별 성사의 구분
개신교에서는 성만찬과 세례성사를, 로마 가톨릭과 동방정교회에서는 세례성사·견진성사·성체 성사·고해성사·혼배성사·조병성사·서품성사의 7가지 성사를 통해 하느님의 은혜를 공유한다. 성공회는 세례성사와 성찬례를 성사로, 혼배,조병,서품,견진성사를 성사의 성격을 가진 예식으로 나누고 있다.[1]
[편집] 어원
성사라는 말은 그리스어인 μυστριον을 번역한 라틴어의 Sacramentum에서 파생된 말로써, 번역하면 ‘성별된 것이나 행동’ 혹은 ‘성스러운 것’, ‘성별하는 것’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편집] 주석
- ↑ 성공회 교리해설서 《그리스도인이 되어가는 나 그리고 우리》/홍영선 지음/대한성공회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