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영호(朴英鎬, 1911년 ~ 1953년)는 한국의 극작가이다. 대중가요 작사가로도 활동했고, 필명으로 처녀림(處女林), 불사조를 사용했다. '김다인'도 그의 필명이라는 설이 있다[1].

강원도 통천 출신으로 원산에서 학교를 다니면서 독학으로 문학을 공부했다. 카프 계열에서 희곡을 창작하며 문단에 등단하여 1930년대부터는 대중가요의 가사도 작사했다.

1939년 극단 고협이 공연한 〈정어리〉가 호평을 받았다[2]. 〈정어리〉 공연을 계기로 고협은 아랑과 함께 광복 시점까지 연극계의 대표적인 대중극 공연 단체로 자리잡았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희곡을 썼다. 1942년 조선총독부가 후원해 열린 제1회 연극경연대회에 〈산돼지〉, 이듬해의 제2회 대회에는 〈물새〉를, 1945년 열린 제3회 대회에는 〈별의 합창〉을 출품했다. 이 가운데 어촌을 배경으로 지원병제를 홍보하는 내용[3]의 〈물새〉는 연출상, 장치상, 남녀 연기상을 휩쓸었다.

이 시기에 군국 가요의 가사도 창작했다. 〈민초합창〉, 〈천리 전장(戰場)〉과 〈달 있는 모항(母港)〉 등이 알려져 있다[4][5]. 박영호는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에 들어 있으며, 2005년 선정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1차 명단 연극 부문에도 포함되었다. 1944년 《조광》에 발표한 희곡 《김옥균의 사》 등 총 10편의 친일 저작물이 확인되었다[6].

광복후 두번째 부인인 작가 이선희와 함께 월북하였고, 북조선연극인동맹의 초대 위원장을 지냈다. 한국 전쟁조선인민군 종군작가로 참전하였다가 휴전을 앞두고 전사했다.

〈오빠는 풍각쟁이〉, 〈물방아 사랑〉, 〈망향초사랑〉, 〈연락선은 떠난다〉, 〈울어라 문풍지〉, 〈번지없는 주막〉, 〈진주라 천리길〉 등 일제 강점기에 작사한 히트곡들이 다수 있었으나, 월북 예술인들이 1990년대에 해금되기까지는 다른 사람이 작사한 곡으로 잘못 알려져 왔다.

[편집] 참고자료

[편집] 주석

  1. 이준희, 일제 침략전쟁에 동원된 유행가, ‘군국가요’ 다시 보기 (20) 《오마이뉴스》 (2003.10.21)
  2. 권영민 (2004-02-25).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8쪽. ISBN 8952104617.
  3. 한상언, 한국영화스타 8-② 영화배우 황철/ 친일, 월북, 그리고 인민배우 《오마이뉴스》 (2007.1.29)
  4. 이준희, '나그네설움' 작곡자 이재호의 굴곡인생 - 일제 침략전쟁에 동원된 유행가, ‘군국가요’ 다시 보기 (40) 《오마이뉴스》 (2004.4.28)
  5. 이준희, 일제 침략전쟁에 동원된 유행가, ‘군국가요’ 다시 보기 (10) 《오마이뉴스》 (2003.8.11)
  6. 김재용, 친일문학 작품목록 《실천문학》 (2002년 가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