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주의 (언어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언어학에서 구조주의
[편집] 역사적 배경
구조언어학이라는 개념은 언어학에서 너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한마디로 그 의미와 연구 대상을 정의하기가 어렵다. 고전 구조언어학에는 일반적으로 세 학파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프라하의 기능언어학 (Prague functional linguistics), 코펜하겐의 씨앗 단어론 (Copenhagen Glossematism) 그리고 미국의 기술론 (American descriptionalism). 이 세 학파들은 그들의 상이한 연구방법 및 관심분야에도 불구하고, 언어간의 밀접한 관계체계 그리고 언어의 내면에 상존하는 구조에 공통적인 기본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이 기본입장은 이미 소쉬르에 의해 주장된 언어의 동시적 관계설을 대변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때문에 구조언어학들은 일반적으로 소쉬르를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라고 부르기를 서슴치 않는다.
- 프라하 학파
- 코펜하겐 학파
- 미국의 기술주의
[편집] 참조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구조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