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컴퓨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목차

[편집] 유비쿼터스컴퓨팅(UC) 이란

유비쿼터스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은...

실질적인 의미에서 유비쿼터스에 대한 연구는 1988년부터라고 할 수 있으나, 이미 1966년에 유비쿼터스컴퓨팅 개념 중에 하나인 'Wearable Computing'이 미국의 MIT연구소에서 시작하였다. 'Wearable Computing'은 모든 사물에 네트워크와 컴퓨팅 기능을 심어서 인프라를 구성하는 유비쿼터스컴퓨팅 개념은 아니었으나, 우리가 일생생활에 항상 지니고 있는 것들 중 하나인 의류에 컴퓨터를 넣게 되는 시도를 하였다는 데 있어서 시사 하는 바가 있다. 이후에 실질적인 유비쿼터스컴퓨팅 기술에 대한 연구는 Xerox PARC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88년부터 본격적인 유비쿼터스컴퓨팅의 개념이 출발하였다. 제록스의 팰러앨토 연구소(Xerox PARC 연구소)의 마크 와이저가 3편의 논문에서 'Ubiquitous Computing', 'Invisible Computing, 'Disappear Computing'이라는 유비쿼터스컴퓨팅에 대한 기본적인 철학적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후에도 마크 와이저의 철학을 발전시키는 연구를 꾸준히 하였으며, 미래의 원천기술 개발에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많은 투자를 아끼지 않은 결과 지금의 선진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편집] 마크 와이저의 3가지 철학

마크 와이저의 철학 1 : 사라지는 컴퓨팅 ‘사라진다(disappear)’의 개념은 일상생활의 사물과 컴퓨터의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사물의 특성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하자면, 기존의 머그컵과는 달리 온도기능과 위치정보 알림 기능이 있어서 소형 단말기를 통해 머그컵의 위치도 알 수 있으며, 온도에 따라 머그컵의 색상이 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마크 와이저의 철학 2 : 보이지 않는 컴퓨팅 ‘보이지 않는(invisible)’이라는 개념은 물리적 환경에 사용 가능한 수많은 컴퓨터를 배치시켜 기존 컴퓨터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능률도 높이는 역할을 의미한다. 결국 기술이 우리 현실 공간의 배경으로 사라지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소형모터나 실리콘칩이 내장되어 보이지 않게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크 와이저의 철학 3 : 조용한 컴퓨팅 ‘조용한, 무의식적(calm)’은 인간의 지각, 인지 능력을 뜻한다.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인간이 과연 어떻게 컴퓨터의 정보 환경과 상호 작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편집] 해외 유비쿼터스컴퓨팅 연구

1966년, Wearable Computing (MIT)

1984년, TRON (Tokyo)

1988년, Ubiquitous Computing (Xerox PARC)

1991년, Disappear Computing (Xerox PARC)

1993년, Invisible Computing (Xerox PARC)

1995년, Nonadic Computing (UCLA)

1998년, Ambient Intelligence (Philips)

1999년, Pervasive Computing (IBM)

2001년, Disappearing Computer (EU)

2001년, Autonomic Computing (IBM)

[편집] 국내 유비쿼터스컴퓨팅 연구

국내에서는 2003년 정통부 산하 연구로 (재)유비쿼터스컴퓨팅사업단(UCN), 유비쿼터스컴퓨팅연구센터(CUS), 유비쿼터스컴퓨팅시스템랩(USL)이 출범하였다.

위 사업단장으로 역임하고 있는 아주대학교 전자공학부 조위덕 교수는 다음과 같이 유비쿼터스컴퓨팅의 특징을 기술하고 있다.


2003년, Ubiquitous Computing & Network(UCN) (Ajou Univ.)

2003년, Center of excellence for Ubiquitous System(CUS) (Ajou Univ.)

[편집] 조위덕교수의 UC개념

1. 끊김 없는 연결 (Seamless Connectivity : HC Infra Network) 모든 사물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끊기지 않고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2.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User Centered Interface) 사용자가 기기 사용에 있어서 어려움이 없이, 처음 접하는 사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 되어야 한다.

3. 컴퓨팅 기능이 탑재된 사물 (Smart Things) 가상공간이 아닌 현실 세계의 어디서나 컴퓨터의 사용이 가능해야 함

4. 의미론적 상황인지 동작 (Semantic Context awareness) 사용자의 상황(장소, ID, 장치, 시간, 온도, 날씨 등)에 따라 서비스가 변해야 함


[편집] 관련 주요 기술개발영역

기술개발 영역 세부기술 분류
Ubiquitous Network 유선기술
기간망 기술 액세스망 기술 교환기술 관리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