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로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사람에 대해서는 엔트로피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얼음이 녹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얼음이 녹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열역학적 엔트로피(entropy)는 열역학적 계의 상태 함수 가운데 하나로 독일의 물리학자 루돌프 클라우지우스1850년대 초에 엔트로피의 수학적 개념을 도입했다.

  • 고전 열역학적 정의로 엔트로피는 로 변환할 수 없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 통계 열역학적 정의로 엔트로피는 열역학적 계의 통계적인 ‘무질서도’를 나타낸다.

목차

[편집] 열역학적 정의

클라우지우스에 따르면, 절대온도 T인 열역학계에 ΔQ의 열을 가하는 가역과정동안의 엔트로피 S의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elta S = \frac{\Delta Q}{T}

[편집] 통계적 정의

볼츠만은 엔트로피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S = k_{B} \ln \Omega \; ,

여기서 kB볼츠만 상수이고, Ω는 계가 가질 수 있는 가능한 (미시적인) 상태의 가지수이다.

[편집] 성질

STR은 특정 온도 TR에서 시스템의 에너지 중에서 로 변환할 수 없는 에너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전체 에너지에서 STR를 뺀 양이 자유 에너지가 된다.

[편집] 엔트로피에 관한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