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제목 선택하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위키백과 문서의 제목을 정함에 있어서 길잡이가 되는 것을 모은 것입니다.
"길잡이"라고 하지만 이는 강제적인 원칙이 아닙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이상 쓰지 않게 되는 것도 있을 것이고, 어떤 문서는 누가 보아도 아래 길잡이를 따르지 않는 것이 좋을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미심쩍을 때에는 아래 길잡이를 따라 주십시오.
일반적으로 문서의 제목은 한국어를 쓰는 사람이 그것을 의미의 혼동이 없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동시에 다른 문서에서 링크를 거는 것이 쉬워야 합니다.
목차 |
[편집] 일반
[편집] 숫자
- 원칙적으로 숫자는 한글로 풀어서 씁니다. 예: "60간지"로 쓰지 마시고, "육십간지"로 쓰세요.
- 날짜나 연도는 숫자로 씁니다. 예: "이천오년"으로 쓰지 마시고, "2005년"으로 쓰세요.
- 왕이나 교황 칭호의 "세" 앞은 숫자로 씁니다. 예: "교황 요한 바오로 이세"로 쓰지 마시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 쓰세요.
- 표제어에 연도를 넣을 필요가 있다면 표제어 뒤에 한 칸을 띄우고 괄호()안에 연도(N년)을 기입합니다. ex) 아일랜드 정부법 (1920년)
[편집] 띄어쓰기
[편집] 사람 이름
- 사람 이름은 성과 이름을 모두 씁니다.
- 한국 사람과 중국 사람은 성과 이름을 붙여쓰고, 일본과 그 밖의 나라 사람은 성과 이름을 띄어씁니다.
- 중국의 청나라 이전 사람의 경우 한국식 한자어 발음을 기준으로 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현지어 발음을 기준으로 합니다.
- 일본 사람의 이름은 "성+이름" 순을 원칙으로 합니다. 일본 사람의 이름이 로마자로 표기된 경우 "이름+성" 순으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니 유의바랍니다.
[편집] 특수 문자
- 한글과 로마자가 아닌 특수 문자의 사용은 가능하면 피한다.
- 고유명사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편집] 지명
[편집] 대한민국 지명
광역 자치 단체와 시/군 명칭 자체만을 표제어로 삼습니다.
나머지 하위 지명은 상위 지명을 덧붙여 제목으로 삼습니다.
- 예 - 서울 동대문구
[편집] 외래어
[편집] 로마자 머리글자 표기
- 로마자 두문자어 표기는 그대로 써 줍니다. 예: AA, DNA
- 정식 명칭이 있는 것은 풀어서 씁니다. 예: 유럽 연합
- 정식 명칭이 없거나 모호한 경우는 그대로 써 줍니다. 예: BDSM
[편집] 예외 조항
- 외국어 음반,노래 문서의 경우 원어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외국어는 로마자로 제한한다.)
- 단, 익히 알려진 음반,노래의 경우 한글 표기 혹은 한국어로 널리 알려진 제목으로 표기한다.
- Ex) Hotel California -> 호텔 캘리포니아 , 雪の花 -> 눈의꽃
- 단, 익히 알려진 음반,노래의 경우 한글 표기 혹은 한국어로 널리 알려진 제목으로 표기한다.
- 로마자를 제외한 다른 문자로 된 것은 한국어음역을 원칙으로 한다.
- 단 , B定規作業와 같이 중의적 표현,언어적 이중성 호은 어떠한 메시지를 내포한 표제어의 경우 작자가 의도한 바를 훼손시키지 않기 위해 원어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 한문이나 기타 다른 문자로 표기된 경우에는, 현재 정해진 규칙이 없으므로 한글 음역이나 로마자 음역(한문의 경우 병음으로)을 하도록 한다.
[편집] 기타
- 음악 작품의 경우, 특별한 제목이 없이 일반적인 악곡의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은 '작품 이름 (작곡가의 성)'으로 씁니다.
- 예: 피아노 소나타 14번 (베토벤) 현악 팔중주 (멘델스존)
- 대한민국을 제외한 모든 한자문화권(북조선/일본/(두)중국/베트남)의 대학은 ‘XXX 대학’을 기준 표기로 합니다. 다른 국가의 대학은 그동안의 관례에 따라 ‘XXX 대학교’를 제목으로 사용합니다만, 이는 논란 중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