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 |
---|---|
개발사 | 앙상블 스튜디오 |
배급사 | 마이크로소프트 게임 스튜디오 |
엔진 | 하복 물리 엔진 |
출시일 | 2005년 10월 18일(미국·캐나다 기준) |
장르 | 실시간 전략 게임 |
모드 | 싱글플레이, 멀티플레이 |
이용등급 | ESRB: T |
플랫폼 | PC, PS2, Mac OS |
미디어 | CD 3장, DVD 1장 |
시스템 요구사양 |
CPU 1.4 GHz , 256MB, HDD 2GB 이상 |
이전작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더 컨커러스 |
후속작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대 전사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영어: Age of Empires III,AoE III)은 앙상블 스튜디오에서 제작하고 마이크로소프트 게임 스튜디오에서 발행한 실시간 전략 게임이다. 북미(미국·캐나다)에서는 2005년 10월 18일에 발매되었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의 세번째 작품으로, 1500년대부터 1850년까지의 유럽세력의 아메리카 대륙 진출을 다루고 있다. 8개 유럽문명(영국,프랑스,네덜란드,독일,에스파냐,포르투갈,러시아,오스만 제국)이 등장한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은 '홈시티' 시스템과 롤 플레잉 게임의 영향을 도입하여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에 혁신을 가져다 주었다. 또한 발전된 물리 엔진을 도입하여 전투 상황을 더 현실화하였다.
확장팩으로 3개 아메리카 원주민 문명과 새로운 시나리오가 추가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대전사(Age of Empires III: The War Chief)가 2006년 10월 17일에 출시되었고, 2007년 10월 23일, 아시아를 배경으로 하는 두번째 확장팩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아시아(Age of Empires III: The Asian Dynasties)가 출시될 예정이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은 2백만 카피가 판매되었었고 2005년 잘 팔린 게임으로도 선정되었다.
[편집] 국가
국기 | 문명 | 보너스[1][2] |
![]() |
에스파냐
이사벨라 여왕 |
에스파냐는 근접전에 능한 강력한 보병·기병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에스파냐 고유의 로델로와 랜서는 홈시티로부터 빨리 선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
영국 | 영국은 보통 주택이 아닌 장원 주택을 건설 할 수 있습니다. 장원주택을 건설하면 1명의 주민을 무료로 생산합니다. 따라서 빠른 건설과 수확이 가능합니다. 영국의 군대는 초기보다는 후기에 더 집중하는 편이며, 막강한 경제력에 기반한 군대를 편성합니다. |
![]() |
프랑스 | 프랑스는 보통 주민대신 보병과 맞먹는 능력을 보유한 Coureurs des Bois를 생산합니다. 또한 프랑스의 많은 선적이 원주민과 관련되어 있으며, 원주민과 동맹하기도 쉬운 편입니다. 또한 프랑스는 게임 내에서 가장 막강한 기병인 쿼러시어 기병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 |
포르투갈 | 포르투갈은 모든 시대 발전에 무료로 마을회관으로 전환할 수 있는 마차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포르투갈의 개척자들은 망원경을 이용하여 지도 어디든지 볼 수 있습니다. 포르투갈의 군대는 균형이 잡혀있으며, 강력한 해군을 보유하는 동시에 오르간 건을 주력으로 하는 포병이 있습니다. |
![]() |
네덜란드
오렌지공 |
네덜란드의 모든 주민은 식량대신 화폐를 이용해 생산하기 때문에 초기의 자원에 크게 의존해야 하지만, 네덜란드 고유의 은행건물을 건설하여 자동으로 화폐를 생산합니다. |
![]() |
러시아
이반 4세 뇌제 |
러시아는 대다수의 유닛을 집단적으로 생산하며, 생산속도도 빠른편입니다. 따라서 게임 초기에 우세를 점할수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는 병력의 막대한 손실에도 적은 비용과 대량생산을 통해 충분히 보충할 수 있습니다. |
![]() |
독일
프리드리히 대왕 |
독일은 적은 수의 주민으로 시작하지만, 병력을 홈시티로부터 선적을 받을때 무료로 소수의 울란(Uhlan) 기병대를 추가로 받습니다. 또한 독일은 다른 국가보다도 더 빨리 선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
오스만 제국
슐레이만 대제 |
오스만 제국의 경제는 느린 성장을 보이지만 주민을 자동으로, 또한 무료로 생산합니다. 오스만제국의 군대는 강력한 포병과 자신만의 병과로 구성됩니다. 오스만 제국의 거포는 게임내에서 가장 막강한 대포입니다. |
미션에서는 각 장마다 고유의 국가 형식을 빌린 집단으로 플레이합니다. 제 1장 '피(Blood)' 에서는 에스파냐를 모델로 한 성 요한 기사단으로 플레이 할 수 있으며, 제 2장 '얼음(Ice)'에서는 독일을 모델로 한 "존 블랙의 용병단"으로 플레이하며, 제 3장 '강철(Steel)' 은 영국을 모델로한 미국(정확히 말하면 가상의 철도회사인 팰콘 철도회사)의 입장으로 플레이합니다.
[편집] 시나리오
[편집] 특성
분류: 2005년 게임 | 실시간 전략 게임 | 윈도 게임 | 매킨토시 게임 | 하복 물리 엔진 사용 | 마이크로소프트의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