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묘앞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26) 신설동 | (127) 동묘앞 | (128) 동대문 | 인천·천안 방면 |
응암 순환 | (635) 신당 | (636) 동묘앞 | (637) 창신 | 봉화산 방면 |
동묘앞역(東廟앞驛, Dongmyo)은 1호선과 6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역명은 인근에 삼국지에 등장하는 관우의 사당인 동관왕묘가 있는데서 명명되었다.
목차 |
[편집] 환승 문제
기존에 이 지역은 1974년 개통된 1호선이 그냥 통과하는 곳이었다. 하지만 2기 지하철 계획이 세워지고 동묘 근처에 6호선 역이 건설되면서 1호선과의 환승 문제가 대두되었다.
기존 계획은 6호선 동묘앞역과 1호선 동대문역 간의 환승통로를 이어서(300m) 환승시키려는 것이었으나 역명이 다르고 환승통로가 길다는 이유로 백지화되고, 결국 6호선 개통 직전인 2000년에야 1호선상에 역을 새로 만들어 6호선과 환승하기로 결정되었다. 결국 6호선은 개통하고도 5년 동안 1호선과의 환승이 되지 않아 많은 불편을 겪었다.
[편집] 역사
[편집] 역 정보
[편집] 1호선
- 전화번호 : 02-742-7780
- 내리는 문의 위치 : 왼쪽
- 승강장 형태 : 곡선 상대식 승강장
- 스크린도어 : 있음
[편집] 6호선
- 전화번호 : 02-6311-6361
- 내리는 문의 위치 : 왼쪽
- 승강장 형태 : 섬식 승강장
[편집] 출구 정보
- 1번: 숭인공원
- 2번: 숭인2동사무소
- 3번: 동묘공원, 숭신초등학교
- 4번: 창신1동 방면
- 5번: 창신1동사무소, 청계7가(다산교), 성동기계공업고등학교
- 6번: 청계7가(다산교), 청평화시장
- 7번: 동대문 방면
- 8번: 종로구민회관
- 9번: 창신동
- 10번: 숭인동
[편집] 승차량 변동
1호선역은 개통된지 얼마 되지 않아 판단할만한 것이 없다. 2006년 6호선역의 승객량 증가는 환승역이 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2845 | 5118 |
6호선 | 2634 | 5114 | 6326 | 6021 | 6141 | 6504 | 8673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6호선 | 수도권 전철 환승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