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트로 3000호대 전동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메트로 3000호대 전동차 | |
---|---|
양 수 | 6M4T 10량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
제어 방식 | 전기자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
기관 형식 | {{{기관형식}}} |
기어비 | {{{기어비}}} |
차륜 배열 | {{{차륜배열}}} |
동륜 배열 | {{{동륜배열}}} |
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최고속도 | {{{영업최고속도}}} Km/h |
설계최고속도 | 110 Km/h |
감속도 | 3.5(상용), 4.5(비상) Km/h/s |
전동기 출력 | 165 kW |
편성 출력 | 3960 kW |
출력 | {{{출력}}} hp |
견인력 | {{{견인력}}} |
주 용도 | 지하철구간 입선용 통근형전동차 |
차량 정원 | {{{차량정원}}}명 |
편성 정원 | {{{편성정원}}}명 |
전장 | {{{전장}}} mm |
전폭 | {{{전폭}}} mm |
전고 | {{{전고}}} mm |
차량 중량 | {{{차량중량}}} t |
편성 중량 | {{{편성중량}}} t |
대차간 거리 | {{{대차간거리}}} mm |
축중 | {{{축중}}} t |
궤간 | 1,435mm |
구동 장치 | 직류전동기 |
제동 방식 |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MT비 | {{{MT비}}} |
보안 장치 | {{{보안장치}}} |
제작사 | 대우중공업,한진중공업 |
제작 연도 | 1983년 |
비고 |
서울메트로 3000호대 전동차는 84년 서울지하철 3, 4호선개통과 함께 도입되어 현재까지 운용중인 서울메트로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영국 GEC사의 전장품을 사용했기 때문에 "영국형 쵸퍼", 혹은 "GEC 쵸퍼"라고 칭하며, 광폭형 차체를 채용했기 때문에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배불뚝이"라는 애칭이 사용되고 있다.
목차 |
[편집] 기술적 사양, 편성
서울메트로 2000호대 GEC전동차를 참조한다
[편집] 선두부, 차체
선두부는 미국의 워싱턴, 샌프란시스코에 도입된 선두형상을 상당수 참고하여 중앙부에 경사로식 비상문이 설치된 형태의 선두형상에 차체 중심을 낮춘 하부 광폭형의 차체를 처음으로 도입하여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편집] 배속
3001~3014 - 지축차량기지
3015~3048 - 수서차량기지
[편집] 도입 역사
[편집] 1차 도입분
84년 개통부터 89년까지 도입된 차량. 84년 개통과 함께 6량편성이 3호선에 25개편성, 4호선에 27개편성이 도입되었으며 89년에 4호선에 7개편성이 증비되었다.
[편집] 2차 도입분
90년부터 92년까지 추가로 증비된 차량 90년 4호선에 10량편성 6개편성과 6량편성 1개편성이 도입되었으며 92년에는 3호선에 6량편성 7개편성이 도입되었고, 6개편성이 10량으로 증비되었으며, 4호선에는 기존 6량편성차량 35개편성이 모두 10량으로 증비되었다.
[편집] 4호선 차량의 1차 이적
94년 4호선과 과천,안산선 직통운행으로 인해 4000호대 전동차가 도입됨에 따라 기존 4호선의 GEC 전동차가 이적되기 시작하였는데 92년 1차로 12개편성이 3호선으로 이적되었다. 3,4호선은 도색과 신호장비가 동일해 특별한 개조 없이 바로 이적되었다.
[편집] 10량화 개조사업
93년 당시 3호선 차량은 6량 편성 26개 편성과, 10량 편성 18개 편성이 제적되어 있었는데, 6량 편성을 10량 편성으로 재 조성하기 위해 T차 20량 M차 4량을 증비하는 한편 기존 Tc차의 일부를 T차로 개조하여 6량 편성 26개 편성을 10량 편성 18개 편성으로 재 조성한다. 이로서 10량 편성 36개 편성이 완성되었다.
[편집] 4호선 차량의 2차 이적
93년 추가로 4호선 GEC차량 12개 편성이 이적해옴에 따라 현재의 48량 편성체제가 구축되었다. 당시 수서 연장개통으로 인해 별도의 차량 신조없이 4호선 차량을 이적해옴에 따라 증비가 가능하게 되었다.
[편집] 특이 사항
[편집] 내장 불연재 리뉴얼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으로 인해 2005년까지 내구연한이 충분한 86년 이후 도입분 차량에 대해 내장재 리뉴얼이 완료되었다. 리뉴얼 사업에는 흥일기업과 로윈이 참여하였다. 전체적으로 노선색에 맞추어 내장이 리뉴얼 된것이 특징이며, 시트는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를 채용하였다. 리뉴얼 되지 못한 차량은 객실 좌석 시트만이 불연재로 교체되었고, 화재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인터컴 등이 보강되었다.
[편집] 향후 변화
2009년부터 최초 도입분 차량이 퇴역하게 됨에따라 서울메트로 측에서는 3호선의 차기 전동차 계획을 구상중이나 아직 세부적인 계획은 알 수 없다. 또한 퇴역되는 차량은 전량 폐차되지 않고 베트남으로 수출될 예정이다.
[편집] 함께 보기
고속 열차 | KTX·HSR-350x·KTX-2·HEMU-400X |
---|---|
증기 기관차 | 모가·4륜·푸러·아메·터우·발틱·고로·시그·마터·사타·혀기·소리·파시·미카·901호 |
디젤 기관차 | 2000·2100·3000·3100·3200·4000·4100·4200·4400·5000·6000·6100·6200·6300·7000·7100·7200·7300· |
디젤 동차 | 3등 동차·협궤 동차·니가타·가와사키·DEC·DHC·NDC·CDC·가솔린 동차 |
전기 기관차 | 데로·8000·8100·8200 |
전동차 | EEC·TTX·HEMU·수도권 전철·부산 지하철·대구 지하철·인천 지하철·광주 도시철도·대전 도시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AUTS |
객차 | 새마을호 객차·무궁화호 객차·통근열차(구 통일호) 객차·비둘기호 객차 (2000년에 폐지)·귀빈 객차·협궤 객차·특실 객차 |
노선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수인선 | 경춘선 | |||
차량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2030호대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철도 토막글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