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초코벌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코벌레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작업에 참여하시려면 우선 백과사전에 어울리는 내용인지, 중립적인 시각인지, 다른 사람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지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의견 뒤에 서명을 해주세요. 물결표 4개를 ~~~~ 입력하시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 환영위원회 |
목차 |
[편집] 누르 앗 딘, 장기
올려주시는 글들 잘 보고있습니다. 전 일본어를 몰라서 부럽네요. 사람 이름, 도시의 이름을 한국어 위키만의 통일된 확정안이 있어야 함을 절실히 느낍니다. 영어식 표현이 너무 많이 나오는 것은 보기 좋지 않죠, 우리말은 모든 소리를 다 표현할 수 있는데도 말이죠.
좀더 알찬 한국어 위키를 위해 화이팅~ 입니다. 감사합니다.--Che! 2007년 7월 10일 (화) 10:17 (KST)
고맙습니다. 저도 그것때문에 고민이 되긴 하네요. 일본어의 경우 가타가나로 외래어를 표기해서 실제 우리가 아는 말과는 사뭇 다른말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찾아볼때는 브리태니커를 참고 하기도 합니다. 이 단어가 맞나? 안맞나 말이죠. ^^ 전 오히려 영어를 잘하시는게 더 부럽던데요. ^^ 초코벌레 2007년 7월 10일 (화) 10:21 (KST)
[편집] 다이겐 셋사이
한자가 한국어식 한자네요. -- ChongDae 2007년 7월 18일 (수) 03:01 (KST)
아! 그게 잘못된 것인가요? 이상하게 한자표현이 잘 안돼서 말이죠. 초코벌레 2007년 7월 18일 (수) 07:20 (KST)
- 일본에 관한 글에서는 일본식 한자, 중국에 관한 글에서는 중국식 한자(본토라면 간자체)를 써야죠. 굳이 정자체로 바꿔야 할 이유가 있나요? -- ChongDae 2007년 7월 18일 (수) 10:09 (KST)
[편집] 일본어에대한 한국어 표기에 대해서
초코님이 올려 주시는 글 잘 보았습니다. 물론 일본의 무장에 관해서요. 그런데 일본어에 대한 한국어 표기법에과 비교하니 좀 다른 부분이 있어서요. 물로 저도 그렇구요. 그래서 표기원칙을 찾아봤어요.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서요.외국어 표기법 [1] 그리고, 일본 지명에 관한건데요. 가령 히가시 오사카라면 동오사카 이렇게 적어야 하나요? 그리고 토우게라면 고개라고 적어야 하나 망설이게 됩니다. 하지만, 전 그냥 고유지명이기 때문에 그냥 그대로 적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어떠신가요. 그럼이만.--Gwpei 2007년 7월 25일 (수) 15:16 (KST)
- 참고로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일본에서는, 현재 전철역 노선 및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문서를 만들어가면서 원칙을 정해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가령 '히가시 오사카'라면 '히가시오사카', '토우게'는 '고개'로 바꿔서 적어야 하겠지요. 고유명사 가운데서 해당되는 한국어가 있어 바꿔쓸 경우 뜻이 잘 통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어표기법에 의해 적고 있습니다. 이쪽도 관심있으면 참가 부탁드립니다. -- tiens 2007년 7월 25일 (수) 15:52 (KST)
[편집] 제안
제 욕심은 것같기도 하고 말하기는 좀 그렇치만, 센고쿠시대 전투분야를 번역하신다고 하시길래 그럼 센고쿠 3대 기습전투를 우선순위로 해보시는 게 어떨가요? 일본 위키에서 日本三大夜戦 치시면 3개의 전투가 나옵니다. 그럼 좋은 하루되십시요 일종의 번역요청이지요 ㅎㅎㅎ--Gwpei 2007년 7월 28일 (토) 00:37 (KST)
네! 한번 해보겠습니다. 위키피디아의 한국어 표기법 때문인지 제가 네이버에 같이 올린 오사카 전투에 대해서 다른 고수분이 많은 표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시더군요. 그것 때문에 고민이 되긴합니다. 한자는 원어표기를 준수하라고 하면서 독음은 표기법을 따르라고 하니 조금 헷갈리네요. ㅠ.ㅠ 초코벌레 2007년 7월 28일 (토) 12:56 (KST)
[편집] 저도 주코프를 손보려고 했었는데
수고스럽게 먼저 해주셔서 제가 할일이 줄어들었습니다. 일본어 위키도 영어를 많이 참조한것 같아서 초코벌레님이 애써서 번역하신것을 지우고 다시 영어 본문을 한글로 번역할 필요는 없는것 같습니다. 다만 일어식 외래어표기는 제가 약간 손보고 일본사람이 요약하다가 상황설명이 불충분 한것은 제가 보충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Hurricanejoe 2007년 7월 29일 (일) 06:56 (KST)
[편집] 한자 병기에 대해서
저도 한자를 병기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에 관한거라 더더욱 그렇죠. 하지만, 지금 알고 싶은 인물이 너무 많은 관계로 예전(2월)에 썼던 다케다 신겐이나 가쓰요리처럼 하다가는 의욕이 상실될것만 같습니다. 일일이 일본 위키로 왔다 갔다 해야되니까요. 일종의 귀차니즘이라 할까 ... 태만해 졌네요. 참, 그리고 야마조(산성)에 관한건데 전 산성이라고 하는편이 좋다고 생각함니다. 토우케도 고개로 하고 말이죠 만약 야마성이 된다면, 일본어를 모르는 사람은 이게 산성인지 평성(평지의 성)이지 구분이 안가니까 산에서 싸웠는지 들에서 싸웠는지 모르잖아요.ㅎㅎ 아무튼, 전 시간나면 틈틈이 한자를 병기할려고요. 이쓰쿠시마 전투를 한다니 주변인물을 다 번역해야되나 ? ㅎㅎ 솔직히 분량이 많은 사람은 딱히 해석하기 싫어지네요 모리 모토나리랑 호조 우지야스, 그래도 누가 하기전에 해야겠죠. 이제 전 마쓰나가 히사히데를 할렵니다. 얼마나 나쁜놈이가 볼려구요. 아무튼, 더운 여름에 수고하세요. --Gwpei 2007년 7월 29일 (일) 23:06 (KST)
아 ~ 제가 잘못 알았습니다. 무슨무슨야마성 이러면 야마성이로 하는게 좋겠네요 요코야마성이라든지 다키야마성이라던지...이런것 때문에 아마 ~코오리야마성도 고유지명인거 같습니다. 그리고, 한글 맞춤법 말인데요 간단하게 어두에 나오면 ㄱ,ㄷ,ㅈ으로 그리고, 죠,쥬,쵸,츄는 다 조,주,초,추로 되는것만 아시면 됩니다. 그럼 --Gwpei 2007년 7월 30일 (월) 02:37 (KST)
[편집] 출처
tiens님이 일부 문서에서 출처를 '일본 위키에서 번역했습니다' 식으로 남기신 것을 보았습니다만, 인터위키를 걸어두었다면 굳이 이런 출처 밝힘은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구체적으로 그 링크를 문서 밑에 참고자료로 남겨두어도 되겠지요 이렇게 제게 말했더군요. 그래서 번역했다는 말 쓰지 말죠. 그리고, 방금 세키가하라 전투 하신 것 봤습니다. 아직 읽지는 않고요. 역시 분량의 압박 ㅎㅎ 고생이 많았겠네요. 전 저런 분량이라면... 사양이지요. --Gwpei 2007년 8월 1일 (수) 02:34 (KST)
아! 그렇게 하면 되는건가요? 전 모르고 있었네요. 인터위키는 어떻게 걸어두어야 하는지 알고 계신가요? 제가 방법은 몰라서요. 초코벌레 2007년 8월 1일 (수) 02:52 (KST)
[편집] 인물 편집하실때,,
생몰연도/일자에도 추가해주셨으면 합니다. 니콜라이 바투틴 경우도 1901년, 12월 16일. 1944년, 4월 14일 에도 탄생/사망항목에 추가해주셨으면 하는 것이죠. 어제 처리는 제가 다 했습니다만, 앞으로 인물을 편집하실때 연도 문서들에도 탄생/사망 항목에 추가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WaffenSS 2007년 8월 1일 (수) 02:55 (KST)
네! 알겠습니다. 고생하셨네요. 그 많은 인물을 편집하셨으니 다음부터 신경써서 적겠습니다. 수고하세요 초코벌레 2007년 8월 1일 (수) 02:58 (KST)
아~~. 이 내용이구나, 내 알겠습니다. 제가 할 것까지 하신다니, 참 그리고 일본 지명에관해서 요미가나를 잘 모르시면 위키에서 찾아보시던가 야후 재팬에서 찾아보세요, 뭐 안나올때도 있지만, 좀 알려진 산이나 지방명은 잘 나오니까요 괜한 간섭인가요, 그리고, 앞으로 ~성(城) 쓰실때 한칸 띄우세요. 저도 그래야 되지만, 알고보니까 일본의 성에 대해서도 작업을 하고 계신분이 있더라구요. 저도 한번 도전해봤는 데 이누야마 성 암튼, 성에 관심 많으 시면 성에 대해서도 쓰주심이 ㅎㅎ --Gwpei 2007년 8월 1일 (수) 03:21 (KST)
[편집] 잡담?
제가 성에 대해서 작업하다 문득 알게된건데요.... 제 컴터에 포토샵이 없더군요. 사진을 받으니 bmp로 되서 제가 만든 성에 사진 좀 올려 주시면 안될까요 ... 어짜피 다른 사람도 편집을 할꺼지만요. 사진이 없으니까 좀 허전해서요. 왠지 2%로 부족한 느낌 ㅎㅎ ㅈㅅ요이누야마 성오카야마 성 --Gwpei 2007년 8월 1일 (수) 21:06 (KST)
사진을 직접 찍으신 건가요? 위키의 경우는 저작권법상의 문제가 있어서 함부로 사진을 올릴 수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몇가지 사진을 책에서 찍어서 올리고 싶지만 그러지 못해서, 다른언어 위키의 사진을 갖고 옵니다. 물론 나중에 밑에 미디어위키에 관련되었다고 덮붙이긴 하죠. 지금 회사라 포토샵이 저도 없네요. 그나저나 어떻게 해야 사지을 받을 수 있을까요? 초코벌레 2007년 8월 1일 (수) 21:14 (KST)
- 성에 대한건 맨밑에 보시면 공용 사진자료라고 있어요. 그리고 제가 만든 문서에도 밑에 보면 로고있죠 common~ okayama cattle, 이거 클릭하시면 사진자료가 많을 겁니다. 그중에 2장만 올리시면 되요 --Gwpei 2007년 8월 1일 (수) 21:18 (KST)
- 감사합니다. 사실 저 두성은 일본 갔을때 인상이 깊어서요. 그래서 우선 가 본 성 중심으로 성에대한 작업도 할려고 합니다. 아마 사진때문에 부탁 드릴일 있을겁니다. 그전에 포토샵을 설치해야되나... 아~ 암튼, 고맙습니다. --Gwpei 2007년 8월 1일 (수) 21:37 (KST)
별말씀을~ 의외로 공용 사진자료에 있는걸 올리는건 쉽더군요. 따로 갖고 계신 사진을 올리실 예정인가봐요? 사진 잘 올려주시고, 그때 경험한 절차상의 상황을 제게도 알려주세요. 저도 올리고 싶은 사진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하고 있거든요. ^^ 초코벌레 2007년 8월 1일 (수) 21:40 (KST)
저 사실 초짭니다. 위키를 알게된건 2월이고 한동안 안 들였다가 7월 중순에 들어와보니 신겐문서에 기계번역이라고 있더군요. 그래서, 저와 비슷한 노부카도를 작업하신분의 토론란에 같더니, 충격이 크셨나 보더군요. 뭐 저도 기계란 소리 들어니까 사실 작업할 맘도 없고 문서작업도 몇개 안해서 접얼라고 하는데 초코님이 격려를 주셔서 이렇게 중독되어 매일 작업을 한답니다. ㅎㅎ 아무튼, 개인사진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ㅈㅅ --Gwpei 2007년 8월 1일 (수) 21:46 (KST)
[편집] 일본관련 문서에서
지금 일본 성에 대한걸 하고 있어서, 연호를 쓰지 말까요 ? 굳이 언제 축성했다는 것만 나오는데 말이죠. 그리고, 한국인인 우리가 연호를 쓸 이유도 없구요 그냥 물어 본겁니다. 물어 볼 사람두 없구 해서요. 그리고, 초코님이 올리신 문서도 가끔 읽어 봅니다. 전쟁에 관한 이야기와 그 인물들 전 프라모델을 좋아해서 병기에 관심이 좀 있지만, 그럼 수고 하세요 --Gwpei 2007년 8월 9일 (목) 20:55 (KST)
- 그냥 쓰시는데로 쓰세요. 성에대한 문서만 연호 안쓸라구요. 사람이나 인물은 날짜가 나오니까 연호 쓰야 되죠. 음력이니까요. 그럼 더위 조심하세요, 입추 지나서 시원해 질겁니다.--Gwpei 2007년 8월 10일 (금) 16:07 (KST)
[편집] 중국사
진나라가 진시황의 진나라와 위진남북조의 진나라가 있듯, 서진도 오호십육국의 서진과 위진남북조의 서진이 있네요. 이를 구분해야 할텐데 좋은 아이디어가 없네요. 우선 위진남북조의 진나라와 진시황의 진나라를 구분할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지금은 진나라와 진 (위진남북조)로 되어있는데, 더 나은 이름 없을까요? 서진은 [서진 (십육국)]과 [서진 (위진남북조)]로 하면 될테고요. (맘엔 안 들지만..) -- 2007년 8월 24일 (금) 16:14 (KST)
네~ 저도 매우 고심하는 부분입니다. 답변글 드렸습니다. ^^ 초코벌레 2007년 8월 24일 (금) 16:33 (KST)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중국사를 전에 만들어놓고 방치해놓고 있습니다. 여기서 같이 이야기해보죠? -- ChongDae 2007년 8월 24일 (금) 16:4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