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천절(開天節)은 대한민국의 국경일 중 하나로서 날짜는 10월 3일이다. 기원전 2333년 단군조선의 건국일이라고도 하지만, 환웅이 하늘을 열고 땅으로 내려온 날로 보는 견해가 많다. 본래 음력 10월 3일이었으나, 1949년 음양력으로 환산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하고 그 해 10월 1일에 공포한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따라 양력으로 바꾸어 기념하고 있다.
[편집] 개천절 노래
본래 대종교에서 부르던 노래였으나, 개천절을 국경일로 제정하면서 지금과 같이 바뀌었다.
정인보가 작사, 김성태가 작곡하였으며, 그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 우리가 물이라면 새암이 있고
- 우리가 나무라면 뿌리가 있다.
- 이 나라 한아버님은 단군이시니
- 이 나라 한아버님은 단군이시니
2절
- 백두산 높은터에 부자요 부부
- 성인의 자취따라 하늘이 텄다
- 이날이 시월 상달에 초사흘이니
- 이날이 시월 상달에 초사흘이니
3절
- 오래다 멀다해도 줄기는 하나
- 다시 핀 단목잎에 삼천리 곱다
- 잘 받아 빛내오리다 맹세 하노니
- 잘 받아 빛내오리다 맹세 하노니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