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전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7년 전쟁 | |||
|
|||
|
|||
|
|||
교전국 | |||
![]() ![]() 헤세-카젤 브룬스비크 ![]() |
![]() ![]() ![]() ![]() ![]() ![]() |
7년 전쟁(영어:Seven Years' War, 독일어:Siebenjähriger Krieg, 1756년-1763년)은 몇년전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에서 프로이센에게 패배해 독일 동부의 비옥한 슐레지엔을 빼앗긴 오스트리아가 그곳을 되찾기 위해 프로이센과 벌인 전쟁을 말한다. 이 전쟁에는 유럽의 거의 모든 열강이 참여하게 되어 유럽뿐 아니라 그들의 식민지가 있던 아메리카와 인도에까지 퍼진 대규모 전쟁이었다. 주로 오스트리아-프랑스-작센-스웨덴-러시아가 동맹을 맺어 프로이센-하노버-영국의 연합에 맞섰다. 유럽에서 벌어진 전쟁은 포메라니안 전쟁으로도 불리며, 영국과 프랑스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벌어진 프렌치-인디언 전쟁이라 불렸다.
유럽에서는 영국의 지원을 받은 프로이센이 최종적으로 승리를 거두어 실레지아의 영유권을 확보했으며, 식민지 전쟁에서는 영국이 주요 승리를 거두어 북아메리카의 뉴프랑스(현재의 퀘벡 주와 온타리오 주)를 차지하여 북아메리카에서 프랑스 세력을 몰아냈고, 인도에서도 프랑스 세력을 몰아내어 대영제국의 기초를 닦았다.
[편집] 진행과정
사실 7년 전쟁은 1755년 9월 북 아메리카의 영국과 프랑스와의 대립으로 인한 식민지전쟁(말하자면 프렌치-인디언 전쟁)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동시에 영국은 외교정책을 전환해 지금까지 동맹관계를 맺어왔던 오스트리아 손을 끊고 강대국으로 발전하던 프로이센과 손을 잡았다.
이에 대항해 1756년 5월 1일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지금까지 유럽의 대립구조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던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사이에서 방어동맹이 결성되었던 것이다. 이 대전환은 유럽 외교사상 혁명적인 사건이었다. 프랑스-오스트리아 동맹은 프로이센에게는 크나큰 위협이 되었다.
이 상황에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는 10월말 기선을 제압하기 위해 예방전쟁을 개시하고 작센에 침공했으나, 그러자 러시아가 방어동맹에 참가하고, 다음해 독일제후와 스웨덴도 적으로 돌리는 사태가 벌어졌다. 그리고 5월 프랑스가 방어동맹에서 공격동맹으로 탈바꿈 후 거액의 원조금과 병력을 오스트리아에 제공하고 여기에 러시아도 가담했다. 이로써 프로이센은 3대 강국에게 포위당한 상황에 빠졌다.
3국의 포위에 내선작전이란 전략태세을 세운 프리드리히 2세에겐 작센은 중요한 지원근거지였고,살아남기 위한 필요조건중 하나였다. 왜냐하면 작센은 슐레지엔과 마찬가지로 네델란드의 ⅔에 해당하는 인구밀도를 가지고 있었고, 군대을 유지할 수 있는 대농업생산을 기대할 수 있었다.
[편집] 평화
전쟁은 1763년 파리 조약을 체결하면서 끝났다.
[편집] 주요 전투
연도 | 날짜 | 이름 | 연도 | 날짜 | 이름 |
---|---|---|---|---|---|
1756년 | 5월 20일 | 미노르카 섬 전투 | 1756년 | 10월 1일 | 로보지츠 전투 |
1757년 | 4월 21일 | 라이헨베르크 전투 | 1757년 | 5월 6일 | 프라하 전투 |
1757년 | 6월 18일 | 콜린 전투 | 1757년 | 6월 23일 | 플라세 전투 |
1757년 | 7월 26일 | 하슈텐베크 전투 | 1757년 | 8월 3일 ~ 8월 8일 | 윌리엄 헨리 요새 전투 |
1757년 | 8월 30일 | 그로스-야거스도르프 전투 | 1757년 | 9월 7일 | 모이 전투 |
1757년 | 11월 5일 | 로스바흐 전투 | 1757년 | 11월 22일 | 브레슬라우 전투 |
1757년 | 12월 5일 | 로이텐 전투 | 1758년 | 4월 29일 | 쿠달로르 전투 |
1758년 | 6월 30일 | 돔슈타트 전투 | 1758년 | 7월 7일 ~ 7월 8일 | 카리용 전투 |
1758년 | 8월 3일 | 나가파티남 전투 | 1758년 | 8월 25일 | 조른도르프 전투 |
1758년 | 10월 14일 | 호흐키르크 전투 | 1759년 | 4월 13일 | 베르겐 전투 |
1759년 | 7월 23일 | 케이 전투 | 1759년 | 8월 1일 | 민덴 전투 |
1759년 | 8월 12일 | 쿠네스도르프 전투 | 1759년 | 8월 19일 | 라고스 전투 |
1759년 | 9월 10일 | 퐁디셰리 전투 | 1759년 | 9월 13일 | 에이브러햄 평원 전투 |
1759년 | 9월 25일 | 호이어스베르다 전투 | 1759년 | 11월 20일 | 퀴베론 만 전투 |
1759년 | 11월 21일 | 막센 전투 | 1759년 | 12월 4일 | 마이센 전투 |
1760년 | 6월 23일 | 란트슈트 전투 | 1760년 | 8월 1일 | 바르부르크 전투 |
1760년 | 8월 15일 | 리그니츠 전투 | 1760년 | 11월 3일 | 토르가우 전투 |
1761년 | 7월 15일 ~ 7월 16일 | 필링하우젠 전투 | 1762년 | 7월 21일 | 부케르스도르프 전투 |
1762년 | 7월 23일 | 2차 루터베르크 전투 | 1762년 | 9월 24일 | 마닐라 전투 |
1762년 | 10월 29일 | 프라이베르크 전투 |
![]() |
이 문서는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