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Gksdnf1999/보물창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물창고입니다 :)
보물창고입니다 :)

목차

[편집] 김용무

김용무 전 대법원장이 1950년에 사망한 게 맞나요?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납북인사 명록에 의하면 " 1951년∼1956년까지 평양 임시교화소에 감금 △1956년 7월 : 재북 평화통일촉진협의회 중앙 위원 △1957년 10월 현재 : 병으로 의하여 수용소 요양원에 있었음."이라고 기록되고 있습니다.Nichetas 2006년 12월 31일 (일) 01:46 (KST)

  •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1891(고종 28)∼?"년으로 기재하고, 동아엔싸이버에서는 "~1950"년으로 기재하여 납북과정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만, 성급히 1950년으로 기록하였습니다. “재북 인사(납북 및 월북 인사) 묘역”에 김용무 전 대법원장이 확인되는데, 여기에서는 "1951년 9월 12일 서거"하였다고 기록하였습니다. 아무래도 묘역에서 "51년"이라고 한 부분쪽이 더 신빙성이 높지 않은가 하는 의견을 올리겠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김용무 전 대법원장의 항목에도 기술하겠습니다. --천어 2006년 12월 31일 (일) 02:32 (KST)

[편집] 대한민국의 대통령

1960년 상황이 약간 복잡해 보입니다. 이에 대해 잘 아신다면 수정해 주실 수 있겠습니까? :) --정안영민 2007년 1월 7일 (월) 15:29 (KST)

  • 말씀하시는 부분이 허-곽-허 권한대행 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부분을 말씀하시는지요?--천어 2007년 1월 7일 (월) 15:44 (KST)
맞습니다. 대충 추측은 가능한데 날짜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 편집을 부탁드린 것입니다. --정안영민 2007년 1월 7일 (월) 15:52 (KST)
바꿀 때 누락되었었군요. 방금 수정하였습니다.--천어 2007년 1월 7일 (월) 15:55 (KST)

[편집] 수첩을 일본어로 뭐라고 해요?

수첩을 일본어로 뭐라고 합니까? 알려주세요. --루스 2007년 1월 10일 (목) 21:00 (KST)

  • 해결되신것 같네요 ;) --천어 2007년 1월 10일 (목) 23:14 (KST)

[편집] 문화어를 어느 정도 아십니까?

죄송하지만, 혹시 문화어를 아십니까? --루스 2007년 1월 11일 (목) 01:30 (KST)

  • 어느정도 압니다. 다만 북조선의 행정구역이라도 제발 문화어를 이용해 편집하는 일은 삼가시기를 부탁드리는 바입니다.--천어 2007년 1월 11일 (목) 01:31 (KST)
정말 감사합니다^^. 일단 그럼 표준어로 편집할게요. 다지모가 나중에 문화어판을 들여올 겁니다. --루스 2007년 1월 11일 (목) 01:34 (KST)

[편집] 세토치? 세토우치?

장음이 아니니 세토우치로 적는게 맞을 듯 싶은데요? -- ChongDae 2007년 1월 15일 (화) 19:07 (KST)

  • 왁; 그렇네요; 수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천어 2007년 1월 15일 (화) 19:15 (KST)

[편집] 혹시 로표모를 아십니까?

제가 만든 모임인데 아직 사용자가 파란악마님 밖에 없어요. --루스 2007년 1월 17일 (목) 20:57 (KST)

노어는 아는 바가 없습니다.--천어 2007년 1월 17일 (목) 20:58 (KST)
그럼 만약에 로표모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님이 러시아어를 몰라서 표기법을 모를 때는 로표모를 찾아오세요. 그러면 제가 친절하게 가르쳐 드릴게요. --루스 2007년 1월 17일 (목) 21:06 (KST)

[편집] 간토 평야

저... 죄송하지만 혹시 ja:関東平野를 아세요? 이건 제가 나중에 외국어 실력이 좋아질 때 번역할려고요. --루스 2007년 1월 22일 (화) 19:11 (KST)

추가했습니다. 간토 평야 --천어 2007년 1월 22일 (화) 19:48 (KST)
잘했습니다. 원래는 제가 번역할려고 했는데 님이 대신 번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루스 2007년 1월 22일 (화) 19:49 (KST)

[편집] copy & paste로 넘겨주시면 안됩니다.

그 경우 이전 해당 문서의 역사가 이동된 문서에 기록되지 않습니다. '이동'을 이용해서 넘겨주시고, SBS 문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상의 문제로 넘겨주기가 원할하지 않을 때는 관리자 요청으로 넘겨 주십시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3일 (화) 12:01 (KST)

감사합니다. 이동이 안돼서 어쩔까 고민했는데, 그런 방법이 있었군요. 다음부턴 주의할께요:) --천어 2007년 1월 23일 (화) 12:11 (KST)

[편집] 사용자:Gksdnf1999/국한병용

파이어폭스에서는 글꼴크기가 달라서 한자 "병"자 다음이 줄나누기가 되어 보인답니다. :)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19:51 (KST)

꽥. 생각도 못했던 일이네요. 어떻게하면 잘 나올지 도움을 주실수 있나요? OTL --천어 2007년 1월 23일 (수) 19:56 (KST)
한자 부분의 크기를 줄이면 어떨까요? -- IRTC1015(··) 2007년 1월 23일 (수) 19:59 (KST)
width를 50으로 늘렸습니다. 한자 폰트는 파폭에선 10pt까지 줄이지 않으면 (width 45pt인 상태에선) 한 줄 내에 들어가지 않더군요.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20:00 (KST)
도움을 주신 두 분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 --천어 2007년 1월 23일 (수) 20:02 (KST)
유저박스를 만일 여럿 만드신다면 IRTC1015님의 사용자:IRTC1015/유저박스나 제 사용자:Airridi/유저박스/아이리디와 같이 모아두는 별도의 문서를 만드시는 건 어떨까 합니다. :)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20:04 (KST)
[1] 파이어 폭스 없으시죠? 파이어폭스에서 보면 한자가 보이지 않는답니다. :)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4일 (목) 18:33 (KST)
방금 파이어폭스 설치했습니다. 저는 한줄로 보이는데, 어떠신가요?--천어 2007년 1월 24일 (목) 18:53 (KST)
앗 답변이 늦었네요; 잘 보입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7일 (일) 23:50 (KST)

[편집] 현존하지 않는 정부 부처 문서의 신설

안녕하세요. 현재 대한민국 교통부, 대한민국 내무부와 같은 현존하지 않는 정부 부처에 관한 문서를 작성하고 계신데, 해당 문서들은 따로 독립해 있을만한 특이 사항이 없어 보입니다. 현행과 같이 넘겨주기 처리한 후 현재 부처의 '역사'나 '연혁' 항목 하에 수록해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hnc197 2007년 1월 23일 (수) 20:18 (KST)

토론:대한민국 교통부에 정리하였습니다.--천어 2007년 1월 23일 (수) 20:21 (KST)

[편집] 비위

비의(費禕)가 맞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영문 표기를 보고 정해야 할 것 같군요. 공식적인 영문 표기는 Fei Yi입니다. 영문 위키에서도, Fei Yi로 표기를 하고 있으며, 기타 여러 삼국지 관련 페이지들에도 Fei Wei가 아닌 Fei Yi로 표기를 하고 있습니다. 참조 1 참조 2 참조 3 참조 4 참조 5 참조 6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 2007년 1월 26일 (금) 09:59 (KST)

[편집] 러시아의 이슬람교

제가 번역하고 싶은 문서인데, ja:ロシアにおけるイスラーム항목입니다. 아쉽게도 전 외국어 실력을 쌓아야 해서 번역을 못합니다. --루스 2007년 1월 27일 (일) 19:26 (KST)

제가 아는 바가 없으므로, 도움을 드리지 못할 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천어 2007년 1월 27일 (일) 23:07 (KST)

[편집] ja:尚泰王

일본어 위키에서 쇼다이 왕이라는 류큐 제19대 왕이자 류큐 왕국의 마지막 왕이라고 해요. --루스 2007년 1월 28일 (월) 15:52 (KST)

어쩌라는 말씀이신지 모르겠습니다. 표현에 주의하시면 좋겠네요.--천어 2007년 1월 29일 (월) 01:18 (KST)
예, 그렇다면 제가 다음부터 주의하겠습니다. --루스 2007년 1월 29일 (월) 01:21 (KST)

[편집] 편집하신 일본 관련 문서들에서..

직역의 모습이 많이 보입니다.문법적으로도 오류가 있고.. 위키백과 한국판인만큼, 우리의 실정에 맞게 다듬는 것이 낫지 않을까..생각해 봅니다.--Lee Soon 2007년 2월 14일 (목) 19:41 (KST)

원느낌을 살리면서 번역하려고 노력하다보니, 전체적으로 그런부분이 종종 나오는 것 같아 저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만 부족했던 것 같군요. 상냥하고 날카로운 지적을 부탁드립니다. :) --천어 2007년 2월 14일 (목) 23:44 (KST)

[편집]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갑니다.

안녕하세요. 한오백년의 관리자 Ellif입니다. 이번에 Yes0song님의 제안으로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지금까지 한오백년이 어떠한 단체인지에 대한 인식이 없었고,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여러분들과 다시 한 번 한오백년의 정체성과 Manifesto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마련해 보고자 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이 글을 보는 회원 여러분들께서는 1) 어디에서 살고 계시는지와 2) 수도권 지역에서 오프를 한다면 참여가 가능하신지, 3) 모임이 가능한 일자 (19일, 26일 주간, 평일에 한함)등을 답신해 주셨으면 합니다. 또한 아직도 KAIS 정책이 인준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투표를 하시지 않으신 여러분들께서는 여기의 투표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오백년에게 바라는 점이 있으시다면 한오백년 토론이나 정책을 통해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매일 체크하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Ellif 2007년 2월 16일 (금) 01:42 (KST)

[편집] 태권도 바깔고리

[태권라인武神]을 삭제하시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리시기 바랍니다. 영상이 풍부하니까 팅크할 만하다고 생각하는데요. --165.132.195.177 2007년 3월 14일 (목) 17:27 (KST)

[편집] 서조선만/동조선만

북조선 지역의 지명은 북조선 표기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ChongDae 2007년 4월 9일 (월) 10:18 (KST)

[편집] 학교법인 가쿠슈인

수고하십니다! 기존에 있었던 내용을(많지는 않지만) 없애셨던데, 특별한 이유라도 있습니까? --정안영민 2007년 4월 17일 (화) 00:29 (KST)

인물과 관련된 부분은 해당 인물이 정확히 어떤 교육기관을 통과(?)했는지 명확하지 않았으며, 그 부분과 다른 부분도 법인을 나타내는 설명으로는 부적절해 보였사와요. 부속학교는 또 천천히 하나하나 만들어 가야죠 orz --천어 2007년 4월 17일 (화) 00:32 (KST)

[편집] 틀:대한민국 시군구

'상징' 항목을 추가하셨던데요, 이 틀을 사용한 기존의 모든 문서 말미에 '상징'이 붙어버리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물론 누군가 일일이 다 추가한다면 문제가 없겠습니다만.. 당분간 '상징' 글자를 지우는 것은 어떨까요? :) --정안영민 2007년 4월 21일 (토) 07:22 (KST)

지우기 보다는 틀:음반 정보처럼 상징 항목을 옵션처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 Allen 2007년 4월 21일 (토) 07:27 (KST)
hiddenstructure에 조건을 잔뜩 걸어서 해결했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4월 28일 (일) 23:53 (KST)
감사하빈다 사실 엄청 고민했거든요 :) --천어 2007년 4월 29일 (일) 12:28 (KST)

[편집] 대한민국의 우체국 관련

광화문우체국이나 부산우체국 (총괄국)의 조직도에 관할 6,7급이나 우편 취급소의 일람이 있습니다. 문서작성은 4,5급 우체국(총괄국)에 한정하지 않으면 백과서전적인 내용은 어려울 듯합니다. (사이트는 총괄국밖에 없습니다.)----hyolee2♪/H.L.LEE 2007년 4월 21일 (일) 19:12 (KST)

필요하다면 6급 우체국이든, 우편 취급소 또는 별정우체국 이라도 기재해야 한다는 것이 제 원칙입니다. 또 위키백과의 상황을 볼 때 총괄국으로 한정하지 않아도, 과연 만들어질까가 의문이군요. 그러한 걱정은 접으셔도 되겠습니다. --천어 2007년 4월 21일 (일) 19:29 (KST)

[편집] 토론:대일본제국 의 토론 제목 변경에 대해

Gksdnf1999님 께서 토론중 제목을 "대일본제국의 필요없는 과·오·남용"으로 바꾸셨더군요. 이는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토론 행위이니 자제를 부탁드리고 원상복구 시키시기 바랍니다. 제목이 마음에 들지 않으신 경우에는 토론을 시작한 사용자와 상의하여 바꾸거나 중간에 다른 제안을 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Alfpooh 2007년 5월 10일 (목) 01:12 (KST)

[편집] 대일본제국중 일본의 전쟁 범죄 편집에서

편집하신 극동 국제 군사 재판을 다시 극동국제군사재판 바꾸었습니다. 단순히 실수하신것으로 보입니다만, 다른 의도로 특별히 링크를 바꿀 이유가 있으시다면 토론:대일본제국에 글을 남겨주세요.--Alfpooh 2007년 5월 17일 (목) 01:23 (KST)

잘못 고쳤네요. 천어/토론 2007년 5월 17일 (목) 02:40 (KST)

[편집] 일본 법무성 내용 편집 되돌림

2007년 5월 21일 내용을 추가하고 말을 다듬었습니다. 그런데 이를 천어님께서 다시 이전의 판으로 되돌렸습니다. 내용에 혹시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혹은 되돌림 편집에 어떤이유인지 토론:일본 법무성에서 토론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Alfpooh 2007년 5월 21일 (화) 23:17 (KST)

이성적으로 편집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현재 판돌림을 계속하시는 것은 납득하기가 힘듭니다.--Alfpooh 2007년 5월 22일 (화) 12:32 (KST)
토론:일본 법무성에 개요 부분의 편집안을 올렸습니다. 의견 남겨주시길 바랍니다.--Alfpooh 2007년 5월 22일 (수) 20:19 (KST)

[편집] 대일본제국과 대영제국, 논점을 흐리지 말아주십시오.

대일본제국을 일본제국으로 고치는 토론에서 대영제국을 거론하며 논점을 흐리시는데, 그런 행위는 토론에서는 좋지 않습니다. 자제해 주셨으면 합니다.-knight2000님이 서명을 안남기셔서 천어가 추가합니다.

비꼰겁니다. 천어/토론 2007년 5월 23일 (수) 01:24 (KST)

[편집] 대한민국 헌법

대한민국 헌법의 각 조문 별로 내용을 정리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계신가요? 제 생각에는 위키백과보다는 위키책에 이 내용을 수록하는 것이 어떨까하는데요. 민법의 경우에는 b:주석 대한민국 민법/제1편 총칙처럼 정리해 가고 있습니다만...Nichetas 2007년 5월 26일 (토) 00:32 (KST)

헌법정도라면 조문 별로 항목을 만드는 것도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했습니다. 위키책에 정리하기에는 대한민국 헌법 제4조의 내용처럼 여러가지 항목이 부수적으로 파생될 수 있는 조항이라면 부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어떤가요. 천어/토론 2007년 5월 26일 (토) 00:54 (KST)
영어위키백과의 미국헌법[2]이나 일본어위키의 일본헌법[3]에서도 천어님과 같은 작업이 이미 있습니다. 헌법인만큼 한국어위키에서도 꼭 있었으면 하네요. 그리고 천어님께 수고하신다는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Hun99 2007년 5월 26일 (토) 00:59 (KST)
사족입니다만, 헌법 덜만들고 개헌이 이루어지면 많이 슬플겁니다. 그게 지금은 제일 큰 우려 ~_~ 천어/토론 2007년 5월 26일 (토) 01:00 (KST)

[편집] 헌재 판례검색

[4] 여기에서도 헌재 판례 검색이 가능하답니다 :) --Hun99 2007년 5월 28일 (화) 19:00 (KST)

감사합니다 :) 다만 대법원에서 제공하는 정보에는 헌재판례의 요지만을 제공하고, 원문은 잘 안나와서 사용을 가급적 기피하고 있습니다 '~'천어/토론 2007년 5월 28일 (화) 19:44 (KST)

[편집] 이누가미 스쿠네

"성별은 공인사이트에서 여성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라고 하셨는데, 공인사이트라는 곳의 주소를 알 수 있을까요? --Acepectif 2007년 6월 9일 (일) 23:41 (KST)

다음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천어/토론 2007년 6월 10일 (일) 00:09 (KST)

[편집] 오프라인 모임

위키백과:오프라인 모임/2007년 7월 21일 문서를 따로 만들었습니다. 모임에 대한 의견 및 참가 여부를 알려주세요. -- 2007년 7월 2일 (월) 21:32 (KST)

[편집] 아이두

안녕하세요. 아이두의 편집의 출처 부족 커맨트를 지우셨는데, 그 이유가 '공포된 사실은 출처를 요할 수 없음'이라 밝히셨지요? 이에 대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사실 '아이두'란 단체가 무엇을 하는 곳인지 전혀 몰라 관련 정보에 대해 아는 바가 없습니다만, 이는 없는 말을 '공포되었다'라고 주장하면 그대로 놔둬야 한다는 식의 논리가 됩니다. -- tiens 2007년 7월 4일 (수) 16:30 (KST)

일반 대중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고, 그러한 출처를 요구하기 힘든 부분에 대하여까지 출처를 요구할 수는 없겠지요. 해당 사항에 대해서는 제가 전후를 보았던 내용이므로, 출처를 요하기 힘든 부분이라고 표현하겠습니다.   천어/토론 2007년 7월 4일 (수) 16:35 (KST)
의견 감사합니다. 일단, 일반 대중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릴 듯 합니다. 그 '아이두'라는 단체의 활동이 꽤 널리 알려져서 일반 사람들도 알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999년부터 생겼던 한 포털사이트에 불과하다는 정도 외에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만.. 아마 다른 사람도 그리 생각하지 않겠습니까. (얼추 검색을 해보았습니다만, '아이두'에 관한 정보는 거의 대부분 '아이두' 사이트에 포함되어 있는 자료더군요.) 혹 한국에 거주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잘 알고 있다고 한다면 또 모르겠습니다만, 한국 로컬에 관한 정보라 해도, 모르는 이들을 위해 기술이 필요한 부분은 남기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그리고 '제가 전후를 보았던 내용'이라 하심은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아이두의 해당 정책 결정을 가까이서 보신 적이 있었습니까? 아무튼 방금 아이두넷에서 발표했던 공식발표성 글의 링크를 찾아 일단 출처로 남겨두었습니다. -- tiens 2007년 7월 4일 (수) 16:46 (KST)

[편집] 성균관대학교 관련

지금 하시는 걸 보니.. 성균관대학교만 명칭을 바꾸시고(영어, 약칭 글자를 빼고 글꼴을 바꾸셨네요.), 다른 학교는 페이지 수정하시면서 명칭 부분은 그대로 두시는 데, 이유가 무엇인지요? 74.134.232.114 2007년 7월 14일 (토) 15:50 (KST)

다른 학교는 분류 추가고, 성대는 영어 약칭이라고 할 필요가 없어서 그랬읍니다. -_-  천어/토론 2007년 7월 14일 (토) 15:52 (KST)
죄송합니다. 제가 잘 이해가 안되서요. 연세대학교나 고려대학교는 영어 약칭이 그대로 남아있는데, 여기서도 다른 수정작업을 하셨던데 이 부분은 그대로 남겨두셨네요. 74.134.232.114 2007년 7월 14일 (토) 15:54 (KST)
성대는 제가 신경써서 편집을 하다 보니 필요없는 부분을 지워낼 수 있었고, 다른 학교는 정신없이 분류만 추가를 하는 바람에 다른 부분에 신경을 쓰지 못하였습니다. ^ ^   천어/토론 2007년 7월 14일 (토) 15:56 (KST)

[편집] 마사코 황태자비 관련

안녕하세요. 마사코 황태자비 문서에서 김진명...부분이 중간에 들어가야 하는 이유와 여성도 계승하는데 정부에서 임명한 패널들의 토의 내용이 삭제되어야 하는 이유를 알려주시겠습니까?Diabetes333 2007년 7월 14일 (토) 17:47 (KST)

“정부가 임명한 전문가 토론단은 2005년 10월 25일 남녀 동등한 계승법으로 바꿔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실체가 너무 모호합니다.
“한국의 소설가 김진명이 마사코를 주인공으로 《황태자비 납치사건》을 썼다.” 가족과 후손 이야기인가요?   천어/토론 2007년 7월 14일 (토) 17:50 (KST)
‘정부가 임명한 전문가 토론단’의 정체가 ja:皇室典範に関する有識者会議인가요?  천어/토론 2007년 7월 14일 (토) 17:51 (KST)

"김진명 부분"은 가족과 후손이야기가 아니라 마사코 황태자비에게 영향을 주거나 한 직접적인 관련이 적은 부분이니 맨뒤로 보내야 할 것입니다. 너무 가혹하십니다. 무조건 삭제보다는 보충과 토론이 낫지 않을까요? 제 사용자토론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Diabetes333 2007년 7월 14일 (토) 17:57 (KST)

Diabetes333님께서 배치하신 부분이 바로 가족과 후손 이야기 부분입니다-_-
너무 가혹한게 아니라, 정부가 임명한 전문가 토론단의 정체가 없어서 그렇습니다-_-   천어/토론 2007년 7월 14일 (토) 17:59 (KST)

[편집] 단국대학교 관련

타대학에는 없는 준보호를 지속시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다는 원래의 목적과는 상반되는 모습이 아닌가요? 님은 단국대학교에 대해서 무슨 특별한 권한이라도 있나요? 편집할 마음은 없고 타대학과 차별적인 모습이라 삭제한 것뿐일텐데 단국대학교만 준보호를 해두는 이유에 대해서 알고 싶군요..―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59.9.168.153(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오늘따라 손님이 넘치는군요. 단국대학교 문서는 준보호 문서입니다. 그건 제가 정한게 아니고요. 준보호 표시를 뗀다고 준보호가 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전 문서를 준보호로 지정한 것이 아니라, 준보호 문서에 대해서 그 사항을 표시한 것입니다.  천어/토론 2007년 7월 14일 (토) 18:28 (KST)

이같은 일은 누가 통제하고 있나요? 누가 준보호 계속 붙여놓게 하고 있나요? 해제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편집] 틀:대한민국의 대통령 에서 임시정부의 대통령 삭제에 관해

헌법 전문에 대한민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잇는다고 되어있습니다. 임시정부의 대통령을 쉽게 지울 수는 없습니다. 해당 문서 토론에 참여해 주시면 합니다. 감사합니다.Diabetes333 2007년 7월 15일 (일) 01:33 (KST) 틀토론:대한민국의 대통령Diabetes333 2007년 7월 15일 (일) 01:34 (KST)

[편집] 아관파천

아관파천 항목에 '빌리고자 하였고, 심야에 러시아 공사관으로 연결된 비밀 통로를 통하여 어가를 이전하였다. 이로써 ' 라는 부분을 새로 넣으셨던데 어가를 이전하였다는 표현이 어색합니다. 어떤 뜻으로 쓰셨느지요? 한자어 입니까? 한자어라면 한자를 제시해 주실 수 있습니까?Diabetes333 2007년 7월 16일 (월) 00:31 (KST)

御鴐입니다.  천어/토론 2007년 7월 16일 (월) 00:33 (KST)
토론:아관파천으로 갑니다. 오시겠습니까?Diabetes333 2007년 7월 16일 (월) 00:52 (KST)

[편집] 요청

안녕하십니까. 다른 언어 위키백과 등에서 그림을 가져오실 때는 그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7월 16일 (월) 13:41 (KST)

확인하였습니다. 빌어오면서 빠진 모양이네요. 감사합니다. :)  천어/토론 2007년 7월 16일 (월) 13:42 (KST)

[편집] 경희대학교

실례합니다만, 이 편집에서 연혁 부분의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공식 홈페이지에 나오는 내용과 날짜 같은 것들이 다르네요. --정안영민 2007년 7월 21일 (토) 12:34 (KST)

학교법인 홈페이지를 기초로 하였습니다. 개교일자 등이 약간 차이나서 확인중입니다-_-;  천어/토론 2007년 7월 21일 (토) 19:27 (KST)
확인 결과 현재 내용이 정확한 내용입니다. :)   천어/토론 2007년 7월 23일 (월) 09:13 (KST)

[편집] 토막글

친일파 708인 명단 - 중추원,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총독부 사무관, 친일파 708인 명단 - 도 참여관은 토막글이 맞습니다. 사람들 이름 옆에 타분야가 같이 들어 있는데 한 사람씩 대조해서 적어넣어야 하는 것이라 명단이 긴 이 세 문서는 아직 완성이 되질 않았습니다. 216.145.49.21 2007년 7월 22일 (일) 04:31 (KST)

친일파 708인 명단 - 중추원, 친일파 708인 명단 - 도 참여관은 토막글을 되살렸고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총독부 사무관은 명단을 채워넣었습니다. 24.4.216.75 2007년 7월 23일 (월) 02:33 (KST)

[편집] 우편국

굳이 동음이의어로 만들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 ChongDae 2007년 7월 24일 (화) 21:56 (KST)

[편집] 조선왕조실록

분류는 그냥 가나다 순으로 놔 두는게 어떨까요? 시기 순은 틀 또는 조선왕조실록 문서로 해결할 수 있으니깐요. -- ChongDae 2007년 7월 27일 (금) 15:42 (KST)

[편집] 기존 문서 삭제시 설명 필요

기존 문서에서 내용을 삭제할 때에는 그에 대한 설명을 토론란에 남기는 것이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짧은 글 설명이라도 남겨야 하지 않았을까요 ... jtm71 2007년 7월 28일 (토) 16:34 (KST)

지적 감사합니다.:)  천어/토론 2007년 7월 28일 (토) 16:40 (KST)

[편집] 질문

혹시 경희중학교에 재학중이신가요? 그냥 궁금해서요..;; 제가 만든 문서가 수정되는걸 보니 신기합니다 ^^ Kyungheems 2007년 7월 29일 (일) 13:51 (KST)

아하. 경희중학교에 재학중인것은 아닙니다 :)  천어/토론 2007년 7월 29일 (일) 13:52 (KST)
아, 그렇군요... 여담으로;; 경희중학교는 경희대 안에 위치는 했지만, 학교의 이름이 그렇지 않다는건 이 동네 주민들도 헷갈려 하는 사항인것 같아서요. 그래서 써 놓은것입니다. 약간은 불필요한 부분같기도 하네요. 참, 또 질문으로... 그 "틀"에 관한 정보는 어디서 볼수 있나요? 그러니까, 틀을 모아놓은 문서 같은게 있나요? 틀만 잘 사용하면 힘들게 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것 같아서요. Kyungheems 2007년 7월 29일 (일) 13:54 (KST)
분류:정보 틀에는 경희중학교에 사용된 틀처럼 해당 항목의 정보를 나타내는 틀이 모여있고, 분류:위키백과 틀에는 다양한 틀을 모두(?) 모아놓고 있습니다. 틀에는 쓰지 않으면 안나오는 부분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경희중학교의 학생수는 "학생수= "만 적어두고 내용을 적지 않으면, 실제로는 그 부분이 나오지 않습니다. 잘 살펴보셔요 :)  천어/토론 2007년 7월 29일 (일) 13:57 (KST)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혹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이 토론 script를 제 토론란에 복사해 두어도 될까요? 후에 참고가 될것 같은데, 메모를 좀 해두려고요...^^;;; 실례가 되었다면 죄송합니다. Kyungheems 2007년 7월 29일 (일) 14:00 (KST)
괜찮습니다. 얼마든지 가져가시고, 혹여나 또 다른 부분에 대해 궁금하시거나 하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얼마든지 물어보셔도 좋습니다. 물론 제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께도 마찬가지겠지요 :) 천어/토론 2007년 7월 29일 (일) 14:01 (KST)
감사합니다. 그런데, 저... 최근 바뀜란에 사용자토론:Gksdnf1999이 바뀌었다고 거의 '도배' 수준으로 나오고 있는데..;; 이거 괜찮은걸까요?
뭐, 딱히 문제야 있겠습니까. 서로 대화를 나눈다고해서 뭐라고 할 사람이 있을리가........있나요? 천어/토론 2007년 7월 29일 (일) 14:05 (KST)
음...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종종 들릴게요. Kyungheems 2007년 7월 29일 (일) 14:07 (KST)

[편집] 아메리카 합중국?

특별한 이유가 있는게 아니라면 그냥 "미국"으로 써도 되지 않을까요? -- ChongDae 2007년 8월 6일 (월) 09:35 (KST)

헌법이라 기왕이면 풀네임으로 적어줬죠. 일본 헌법이라기 보단 일본국 헌법, 독일 기본법이라기 보단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천어/토론 2007년 8월 6일 (월) 10:05 (KST)

[편집] 第21回 日本 參議院 議員 通常選舉

安寧하세요天漁.저는正涵(정함)입니다

I fail to see why this is unnecessary as you said as it simply provides the heading. Please justify.. perhaps it is negotiable that it be left there? Thanks!

This is a matter involving Japan. Maybe I would agree to the usage of Japanese, but not to that of hanja exclusively. 천어/토론 2007년 8월 6일 (월) 11:41 (KST)

You have a point there. However, I still think we should provide Hanja too simply as a heading. 正涵(정함)

why??????????????????? 천어/토론 2007년 8월 6일 (월) 13:13 (KST)

as i had mentioned earlier, "simply as a heading" ofr the article. 正涵(정함)

wats which the change again? 正涵(정함)

[편집] 츠지 히토나리

예전에 출판된 책에서는 쓰지 히토나리라고 표기한 책도 있었지만, 요즘 출판된 책들, 예를 들어서 <피아니시모 피아니시모>같은 근간 등에서는 모두 츠지 히토나리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 Sword 2007년 8월 14일 (화) 02:44(KST)

[편집] 틀:세계유산

그림=그림: 식으로 반복해서 쓸 이유가 없어보입니다. 간단히 쓸 수 있게 고치죠? -- ChongDae 2007년 8월 18일 (토) 03:36 (KST)

[편집] 내용 변경시 유의

두번째입니다만, 이전 내용을 삭제할 경우, 타당한 설명을 덧붙여 주셨으면 합니다. [5] 경우에 따라서는 반달행위로 오해받을 수도 있습니다. jtm71 2007년 8월 13일 (월) 00:10 (KST)

뭘 원하는지 모르겠군요 -___-  천어/토론 2007년 8월 13일 (월) 00:26 (KST)

내용에 오류가 있어 고치는 경우라도, 오류 부분을 제외한 이전 내용은 가능한 한 그대로 보존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이전에 지적한 내용이 삭제되었는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아무 이유 없이 내용을 부분적으로 혹은 모두 지우는 행위'는 반달행위에 해당됩니다. jtm71 2007년 8월 13일 (월) 07:05 (KST)

오류 부분을 제외한 이전 내용 중 삭제된 부분이 있나요? 천어/토론 2007년 8월 14일 (화) 02:41 (KST)

간단하게라도, 삭제된 내용들에 대한 해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편집시 이전 내용을 누락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내용이 변경되었으면, 그것이 오류에서 비롯되었건, 내용이 부실했건, 그에 대한 언급은 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달행위' 문서에도 있듯이, 내용 삭제가 문제가 되는 것은 이유를 밝히지 않았을 경우입니다. '오류를 고쳤다'는 것은 제가 판단한 내용이지, 내용을 모르는 입장에서는 '무단삭제'의 예가 될 수 밖에는 없습니다. (다른 내용들도 있지만, '규장각 소사' 링크가 삭제된 이유는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jtm71 2007년 8월 14일 (화) 08:40 (KST)

[편집]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의 문서 편집을 되돌리셨는 데요? 구체적인 이유가 무엇인지요? -- 리듬 2007년 8월 22일 (수) 08:13 (KST)

객관성이 떨어져서 되돌렸습니다. 천어/토론 2007년 8월 22일 (수) 21:30 (KST)

[편집] 우체국

웬 우체국에 일본 우편국 이야기가 이렇게 많은가. 함께 보기는 대충 정리하였네만 나머지 내용도 좀 가지치기를 해 주십시오. Excretion 2007년 8월 30일 (목) 21:52 (KST)

[편집] 틀:한국사 말인데요...

삼국시대 칸 크기를 좀 늘리고 후삼국시대 칸 크기를 줄일 수는 없나요? Ph 2007년 8월 30일 (목) 23:19 (KST)

그냥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삼국시대를 늘렸습니다만, 후삼국시대는 국명때문에 더이상 줄이는건 힘들것같네요.; 천어/토론 2007년 8월 30일 (목) 23:24 (KST)

[편집] 스페인#국호에 관해

출처를 제시해 주세요. es:Españaen:Spain에도 정식 국호는 Reino de España로 되어 있습니다. --Sjhan81 2007년 9월 2일 (일) 16:17 (KST) 토론:스페인#전화 해봤습니다.의 내용도 참고하시고요. --Sjhan81 2007년 9월 2일 (일) 16:18 (KST) "스페인 헌법 원문에 실제로 reino나 kingdom은 없는데요?" 라고 답하셨는데, 스페인 헌법에서 국명을 "España"라고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나요? --Sjhan81 2007년 9월 2일 (일) 16:23 (KST) "‘España’로 기술하고 있으면 España로 봐야하지 않을까요. 대한민국이 명확하게 규정되지는 않았지만, 대한민국이 정식 국호라고 하지요." 라고 하시면 오리지널 리서치가 되는 거죠.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es:Españaen:Spain 등에서 스페인의 공식 국명을 어떻게 표기하고 있는지 참고하세요. 토론:스페인#전화 해봤습니다.도요. --Sjhan81 2007년 9월 2일 (일) 16:34 (KST) 말씀하신 헌법과 관련한 내용을 추가해서 약간 더 손봤습니다. --Sjhan81 2007년 9월 2일 (일) 16:39 (KST)

[편집] 틀:대한민국 헌법 변천

기존 헌법틀의 헌법의 역사 아래 내용과 똑같은 내용의 틀:대한민국 헌법 변천을 별도로 만드신 이유가 있나요? -- 리듬 2007년 9월 3일 (월) 17:15 (KST)

헌법 끝틀에서 빼돌렸습니다. 천어/토론 2007년 9월 3일 (월) 17:44 (KST)
‘빼돌린’이유가 무엇인지요? -- 리듬 2007년 9월 3일 (월) 21:32 (KST)
역사 항목만으로도 충분하고, 각 헌법의 경우는 전 조문과 공통된 사항이 아닌 별도의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천어/토론 2007년 9월 3일 (월) 21:43 (KST)

[편집] 틀:성씨 정보

기존에 사용되던 틀:성씨가 있으므로, 어느 쪽으로든 통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시겠지만 if문을 쓰면 매개변수가 비어있어도 깨지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4일 (화) 11:37 (KST)

지적에 감사드립니다. 틀:성씨가 있는줄 미처 모르고 만들어버렸네요 :) 천어/토론 2007년 9월 4일 (화) 23:3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