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
![]() Periplaneta americana
|
||||||||||||||
생물 분류 | ||||||||||||||
|
||||||||||||||
과 | ||||||||||||||
|
바퀴목은 곤충강에 속하는 목이다.
난태생인 경우도 있으며 난협(ootheca)이라고 하는 알집에서 유충이 부화하여 불완전 변태를 한다. 몸은 주로 납작한 타원형 모양이다. 전흉배판이 발달해 있다. 머리는 하구식, 저작구 구기를 가진다.
날개는 혁시(革翅)이다. 뒷날개의 후연이 넓고 다리의 밑마디(기절, Coxa)가 넓고 크게 발달하여 가슴 기부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멀리 날 수 있는 종도 있으나 대체로 비행능력이 떨어진다. 날개가 퇴화되거나 감소된 경우도 있다.(암수에 따라 다른경우도 있다.)
사마귀목 등과 가까운 것으로 보고 있었으나 1999년 이후 견해에 따르면 흰개미목(Isoptera)에 가장 가깝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화석 기록으로 보아 지구 상에는 약 3억 5천만년 전 석탄기부터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목차 |
[편집] 종류 및 서식지
현생종은 여섯 개의 과에 약 3,500종이 있으며, 미국바퀴벌레, 자이언트바퀴벌레, 들판바퀴벌레, 사막바퀴벌레, 갈색두건나무바퀴벌레가 각 과에 속한다.
크기는 동양바퀴벌레가 약 2.5cm, 독일바퀴벌레가 약 1.5cm, 미국바퀴벌레가 약 3cm이다. 열대의 바퀴벌레는 대부분 이보다 훨씬 크며, 9cm에 달하는 종류도 있다.
분포지역은 극지방과 해발 2000m 이상인 곳을 뺀 세계 전역으로, 대부분이 열대나 아열대 지방이다. 그 중 50종이 인간의 생활 장소에 적응하여 집 근처에서 서식하는데, 번식력과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해서 대표적인 위생해충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동양바퀴벌레, 독일바퀴벌레, 미국바퀴벌레, 오스트레일리아바퀴벌레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바퀴벌레에 대한 알레르기는 천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편집] 생태
[편집] 식성
대부분 잡식성이며, 나무를 먹는 종류도 있다.
[편집] 수명
바퀴벌레는 부화하여 성충이되기까지 보통 6개월 정도 걸린다. 수명은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종에 따라 다른데, 보통 90일 ~ 600일 사이이다.
[편집] 알주머니
바퀴벌레의 알은 알주머니에서 발생되는데, 알의 수나 양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1개의 알주머니에 16개 ~ 44개의 알이 저장된다. 한 암컷은 1 ~ 20개까지의 알주머니를 생산할 수 있다. 암컷은 알을 품고 다니다가 부화 직전에 내려놓는다.
유충은 15일 ~ 90일 사이에 부화한다.
[편집] 습성
미국 플로리다 대학의 연구에 의하면, 바퀴벌레는 지나다니는 길에 먹이, 물, 은신처를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표시한다.
바퀴벌레는 건물의 따뜻한 곳을 좋아하지만, 열대의 종류들은 더 따뜻한 곳을 선호하여 오히려 집에 머무르지 않는다.
[편집] 천적
다음과 같은 동물들이 바퀴벌레의 천적으로 확인되었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문헌 및 링크
- 데이비드 조지 고든 저, 문명진 옮김, 《바퀴벌레(The Compleat Cockroach)》, 뿌리와 이파리, 2003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곤충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