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6000호대 전동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도시철도공사 6000호대 전동차 | |
---|---|
양 수 | 4M4T 8량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
제어 방식 | VVVF-IGBT 2레벨 1C4M제어 |
기관 형식 | {{{기관형식}}} |
기어비 | {{{기어비}}} |
차륜 배열 | {{{차륜배열}}} |
동륜 배열 | {{{동륜배열}}} |
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최고속도 | {{{영업최고속도}}} Km/h |
설계최고속도 | 110 Km/h |
감속도 | 3.5(상용), 4.5(비상) Km/h/s |
전동기 출력 | 210 kW |
편성 출력 | 4200 kW |
출력 | {{{출력}}} hp |
견인력 | {{{견인력}}} |
주 용도 | 지하철구간 입선용 통근형전동차 |
차량 정원 | {{{차량정원}}}명 |
편성 정원 | {{{편성정원}}}명 |
전장 | {{{전장}}} mm |
전폭 | {{{전폭}}} mm |
전고 | {{{전고}}} mm |
차량 중량 | {{{차량중량}}} t |
편성 중량 | {{{편성중량}}} t |
대차간 거리 | {{{대차간거리}}} mm |
축중 | {{{축중}}} t |
궤간 | 1,435mm |
구동 장치 |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MT비 | {{{MT비}}} |
보안 장치 | {{{보안장치}}} |
제작사 | 한국철도차량(KOROS) |
제작 연도 | 최초 1998년 |
비고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6000호대 전동차는 1998년 수도권 전철 6호선의 개통으로 인해 도입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지하철 통근형 전동차이다.
목차 |
[편집] 기술적 사양
전체적인 구체의 형태는 도시철도공사의 표준 모델을 따르나, 미츠비시사의 VVVF-IGBT 2레벨 인버터를 채용하고 있고, 전체적인 소형화와 경량화를 이루어 내고 있으며 특히 유진기공에서 제작한 경량 도어엔진을 채용해 승객용 시트 밑이 비어있다. 또한 우진산전에서 개발한 발달된 운전 정보 시스템인 TCMS를 채용하고 있다.
[편집] TCMS의 특징
기존 TGIS에서 개량되어 2.5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특히 최초로 역행, 제동지령기능을 가지고 있어 ATO와 연계되어 차량의 응답성이 한층 강화되었고 1인승무에 알맞게 서비스기기의 제어기능도 일원화 되고 있다. 그 외에도 고장진단기능, 입출고검사기능 등의 여러가지 기능이 강화되었다. 이는 일본의 E231계 전동차에 채용된 TIMS시스템과도 비교가 된다. 하지만 TIMS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이 사다리방식으로서 전송계통의 이중화와 함께 전송속도의 향상이 가능했으나 TCMS는 링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중화는 가능하나 전송속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편집] 도입과정
당초 현대정공에서 제작이 시작되었으나 제작 도중 철도차량제작사 구조조정에 의해 한국철도차량(지금의 로템)으로 통합되어 이후 한국철도차량에 의해 제작되었다. 1999년까지 41개편성 328량이 제작되어 전부 신내차량기지 소속이다.
[편집] 특이사항
[편집] 국산형 VVVF시험전동차
도입된 차량중 609편성 전동차에는 현대정공에서 최초로 국산화 개발한 VVVF-GTO인버터를 장비하여 시험운행을 하였다. 하지만 인버터의 회생제동 효율이 극히 떨어지고 고장이 잦아 드물게 운행되었고, 결국 2005년에 기존 전동차와 동일한 VVVF인버터로 개수되어 운행되고 있다.
[편집] 내장 불연재 리뉴얼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으로 인해 2005년까지 전 차량의 내장재 리뉴얼이 완료되었다. 리뉴얼 사업에는 흥일기업이 참여하였다. 시트는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를 채용하였으며, 화재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인터컴 등이 보강되었고, 특히 기존 출입문 상부에 설치된 비상개폐밸브의 위치를 승객용 시트 하부로 이설하였다.
노선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수인선 | 경춘선 | |||
차량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2030호대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철도 토막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