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림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39) 영등포 | (140) 신도림 | (141) 구로 | 인천·천안 방면 |
용산 방면 | (139) 영등포 | (140) 신도림 | (141) 구로 | 동인천·천안 방면 |
외선 순환 | (233) 대림 | (234) 신도림 | (235) 문래 | 내선 순환 |
시종착역 | (234-1) 도림천 | 까치산 방면 |
신도림(경부선) | |
---|---|
역 정보 | |
노선 | 경부선(수도권 전철 1호선)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 460-26 |
개업일 | 1984년 5월 22일 |
역 종별 | 운전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혼합식 (3면 4선) |
전화번호 | 02-830-7788 |
GPS 좌표 | {{{GPS}}} |
신도림역(新道林驛, Sindorim)은 수도권 전철 1호선, 2호선, 2호선 신정지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이 역은 환승용 승강장으로 건설되어, 1호선쪽의 출구는 한 곳도 없다. 또한 환승 인원은 많은 편이나 역 자체에서 타고 내리는 인원은 그리 많지 않다.
현재 전국의 전철역 중 이용률이 전국 1위로 하루 유동 인구는 34만 명에 달하며, 타고 내리는 인원이 많은 강남역의 약 1.7배의 수준이다. 인근 역인 구로역의 환승 동선이 다소 복잡한 관계로 1호선 인천과 천안 방면 열차들의 사전 환승역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 1984년 5월 22일: 2호선 개통으로 영업 개시, 1호선과의 환승을 위해 1호선상에도 역 설치
- 1992년 5월 22일: 2호선 신정지선 개통
- 2006년 5월: 2호선 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
[편집] 역 정보
[편집] 1호선
- 내리는 문의 위치 : 오른쪽 (인천과 천안 방면이나 용산 종착 열차), 왼쪽 (소요산 방면)
- 화장실 위치 : 개찰구 안
- 발매기 코드 : 823
- AFC 코드 : 1007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
[편집] 2호선
- 전화번호 : 02-863-2021
- 내리는 문의 위치 : 왼쪽 (순환선 신도림 종착 열차는 오른쪽)
- 승강장 형태 : 3면 4선 (상대식 승강장-지선 + 섬식 승강장-본선)(□||□||□)
- 스크린도어 : 있음 (본선 승강장)
- 화장실 위치 : 개찰구 안
- AFC 코드 : 0234
[편집] 출구 정보
- 1번: 구로세무서, 서울문래초등학교, 신도림중학교, 서울신도림초등학교, 신도림동사무소, 영등포세무서, 동아1차아파트, 동아2차아파트, 동아3차아파트, 문래남성아파트, 신도림대림아파트, 신도림우성3차아파트, 신도림현대아파트, 신성은하수아파트, 신도림역 버스 정류지
- 2번: 구로1빗물펌프장, 도림2동사무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습관, 구로우성아파트, 대림동코오롱아파트, 대림동현대3차아파트, 도림동아아파트, 도림청구아파트, 도림한라아파트, 신도림태영타운, 풍물시장, 신도림역 버스 정류지
[편집] 대중 문화와 신도림역
- 가수 자우림은 노래 일탈에서 "신도림역 안에서 스트립쇼를..."이라는 일탈을 꿈꾼다.
[편집] 승차량 변동
대략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증감은 주변 지역의 재건축으로 인한 것 같다. 철도공사 승차량으로 잡히는 것이 어느 개찰구에서 잡히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1호선역의 승차자 변동은 계산 기준의 변동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25524 | 17323 | 15412 | 14795 | 9299 | 11898 | 13607 |
2호선 | 38364 | 39402 | 38745 | 37900 | 39023 | 40472 | 40736 |
[편집] 사진
[편집] 주석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2호선 | 서울 구로구의 전철역 | 수도권 전철 환승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