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법(商法)은 기업의 경영과 상거래에 대한 법률이다. 민법의 일부로 다루기도 한다. 형식적 의의의 상법과 실질적 의의의 상법의 두 가지가 있다. 형식적 의의의 상법은 '상법'이라는 명칭을 가진 제정법전, 즉 상법전을 말한다. 실질적 의의의 상법은 상법전의 유무, 내용과는 관계 없이 상법으로서 통일적,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특수한 법역(法域)을 뜻한다.
[편집] 대한민국 상법의 체계
상법총칙
상행위법
회사법
어음수표법(상법전이 아닌, 어음법과 수표법에 각각 규정)
보험법
해상법
![]() |
법 | ![]() |
|
법의 분류 | 헌법 행정법 민법 상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노동법 국제법 (조약) 국제사법 | ||
---|---|---|---|
법체계 | 대륙법 영미법 관습법 종교법 | ||
법의 연원 | 성문법 헌법 법률 명령 조례 규칙 조약 불문법 관습법 판례 조리 |
||
법학 | 법철학 법사회학 법제사학 비교법학 법해석학 법정책학 |
||
주요 개념 | 로마법 만민법 게르만법 법언 법의 해석 법률행위 의사표시 재판 형벌 권리 의무 법치주의 물건 ( 동산 | 부동산 ) 인권 국가 민주주의 |
||
세계의 법 | 경국대전 대한민국 헌법 ( 역사 ) 행정수도법 결정 대일본제국 헌법 일본국 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마그나 카르타 아메리카 합중국 헌법 아메리카 합중국 수정헌법 바이마르 헌법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
||
법률 영역의 목록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