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당고개 방면 | (413) 쌍문 | (414) 수유 | (415) 미아 | 오이도 방면 |
수유역(水踰驛, Suyu)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이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편집] 역 구조
2층 구조로 되어 있는 지하 역이다. 지하 1층에는 역무시설, 개찰구, 화장실 및 상점이 설치되어 있다. 중앙통로를 기준으로 양쪽에 개찰구/출구가 있는 구조로 양쪽 끝단의 출구간의 통행은 불가능하다. 타는곳은 지하 2층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대식 2면2선 구조이다.
[편집] 출구 정보
- 1번: 번1동사무소, 강북구청 버스 정류지, 강북구청사거리 버스 정류지
- 2번: 북부경찰서, 북부시장
- 3번: 화계사, 수유역(강북구청) 버스 정류지
- 4번: 덕성여자대학교, 수유시외버스정류장, 수유역(강북구청) 버스 정류지
- 5번: 강북노인종합복지관, 수유5동사무소, 화계사, 대한병원 버스 정류지
- 6번: 덕성여자대학교, 수유3동사무소, 수유중앙시장, 수유역(강북구청) 버스 정류지
- 7번: 수유중앙시장
- 8번: 국민연금관리공단 성북강북지사, 강북구청, 수유3동우체국, 강북구청 버스 정류지
[편집] 승차량 변동
강북구 일대의 주요 거점역이다. 우이동에서 수유동에 이르는 거대한 저층 고밀도 지역과 번동 일대의 고층 고밀도 지역이 배후지다. 승차량 감소는 미아-도봉로 중앙버스전용차로제 시행으로 인한 역할분담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4호선 | 48363 | 51210 | 51110 | 49987 | 49841 | 47514 | 46656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4호선: 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삼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과천선: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공단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