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비카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이비카드는 대한민국에서 이용되는 선불식 전자 화폐의 이름이다. 2000년부터 발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지역에 따라 발급되는 카드의 이름이 다르다. 처음에는 대중교통 요금을 내는 데 주로 쓰였으나, 최근에는 민원 발급기에서 쓰이는 등 대체 지불 수단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목차 |
[편집] 기술
필립스사의 MIFARE Standard 1K와 PROX 기술을 이용하였다. 이 기술은 수도권 대중교통 요금 결제 시스템에도 이용된 바 있다. 카드 표면에 집적 회로가 노출되어 있는 카드는 ISO 7816과 ISO 14443 표준을 따르며, 나머지는 모두 ISO 14443 표준만 따른다. MIFARE PROX 기술은 서울시 신교통카드시스템에 사용되고 있어서 현재 전국적으로 두루 쓰이는 두 교통 카드 시스템의 이종 호환에 기술적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편집] 호환
기본적으로 마이비카드는 지역간 호환 사용이 가능하며 KTX 패밀리 카드의 선불교통카드 기능과 KB 프리 패스의 후불교통카드 기능과 호환된다. 단, 부산광역시에서는 후불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으며 다른 지역의 카드로는 청소년 할인을 받을 수 없다. 예전에 판매하던 디지털경기카드는 더 이상 판매되지 않는다. 또한 이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경기도 일부지역 마을버스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편집] 카드 종류
성인용, 대학생용, 청소년용, 어린이용의 4종류의 카드가 발매되며, 대학생용 교통카드는 지하철이 있는 부산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서만 발급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종류별로 일반카드, 미니카드, 액세서리카드를 고를 수 있다.
[편집] 사용 지역
-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북도의 대중교통 요금 결제.
- 경상남도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 김해시, 진주시, 양산시의 대중교통 요금 결제.
- 경상북도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경산시의 대중교통 요금 결제.
- 전라남도 나주시, 담양군, 보성군, 화순군, 목포시,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장성군(일부), 함평군(일부)의 대중교통 요금 결제.
- 강원도 춘천시의 대중교통 요금 결제
- 인천공항철도의 요금 결제.
※ 주의 사항
- 지역별 발행 카드마다 약간의 호환 제한이 있다.
- 이전에 국민은행에서 발행했던 KB 마이비 선불카드는 일부 지역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편집] 함께 보기
- 하나로교통카드
- KTX 패밀리 카드
대한민국의 교통 카드 |
---|
대경교통카드(카드넷) - 마이비카드(마이비) - 유패스(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 - 이비카드(이비) - 케이캐쉬(금융결제원) - 티머니(한국스마트카드) - 하나로교통카드(하나로교통카드) - 한꿈이카드(한국스마트카드)
유사 교통 카드 : KB 프리 패스(KB카드) - KTX 패밀리 카드(인터내셔널 패스 앤 커머스)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