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타 기사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몰타 기사단(다른말 : 병원기사단, 구호기사단, 로도스 기사단, 성 요한 기사단 몰타어: Ordni Militari Sovran ta' Malta 오르드니 밀리타리 소브란 타 말타)은 1080년 성지를 순례하는 순례자들을 위해 예루살렘에 세워진 아말피 병원에서 시작된 종교기사단의 이름이다.
제1차 십자군 원정 당시 예루살렘 정복(1099년) 이후 로마 카톨릭의 군사적인 기사단으로 성지와 순례자들의 보호를 위한 조직으로 발전하였다. 팔레스타인에서 기독교 세력이 축출된 이후 기사단은 로도스 섬으로 근거를 옮겼으며, 1522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로도스 섬에서 쫓겨나서는 다시 스페인 관할의 몰타로 옮겨왔다. 이들은 몰타섬에 자리잡고 주권까지 있는 나라였지만 1789년 나폴레옹에게 정복당했고 이후에도 살아남아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편집] 팔레스타인의 병원기사단 시기
600년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명을 받아 아봇 프로브스가 예루살렘에 성지 순례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병원을 세웠다. 병원조직은 1005년 칼리프 알 하킴이 병원과 부속건물을 파괴했다. 1023년 이탈리아 출신의 상인 아말피와 살레르노가 이집트 칼리프의 허가를 얻어 병원을 다시 세웠는데 그 병원은 세례 요한의 묘지에 세워졌고 베네딕트 교파의 봉사로 기독교 성지순례자들을 위해 호스피스 역할을 하였다.
이 구호단체는 제1차 십자군원정 이후로 군사적인 색채가 더해졌다. 1099년 기독교세력에 의해 예루살렘이 정복되고 예루살렘 왕국에 세워지자 군사적인 기사단 조직으로 개편되었고 이슬람 교도와 전쟁을 통해 그 용맹성을 인정받고 성당기사단과 함께 팔레스타인 지역의 중요한 기독교 종교기사단으로 발전하였다.
13세기 들어서 팔레스타인에서 이슬람 교도의 세력이 강해지고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십자군 국가들이 되었다. 결국 1291년 마지막 기독교 세력의 근거지인 아크레가 이슬람 수중에 떨어지자 기사단은 키프로스 왕국으로 피난했다. 성당기사단이나 튜튼기사단등 다른 가톨릭 기사단이 유럽으로 후퇴한 반면 성 요한 기사단은 언제가는 다시 성지를 회복할 것을 결심하면서 성지 근처에 남기로 결정했다.
[편집] 로도스기사단 시기
1309년 터키 남쪽의 로도스 섬을 정복하고, 그곳에 기사단의 근거지를 삼고 병원을 세우고 활동하면서 동지중해의 막강한 해군력을 가진 독립국가가 되었다. 선단을 이루어 이슬람의 상선등을 공격하면서 성전을 벌였지만 사실상 그곳에서의 활동은 일종의 해적행위였다.
이 시기에 기사단은 각 유럽의 언어별로 따로 기사조직을 개편하는데 8개의 언어별 조직이 된다. 아라곤, 카스티야(스페인어), 영국, 독일, 이탈리아, 일드프랑스, 오베르뉴, 프로방스(프랑스어). 이시기에는 특히 군사적 기능이 강화되어 오스만 세력과 자주 결전을 벌였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동지중해의 패권을 완전히 장악한 오스만 제국에게 로도스 섬은 눈엣가시같은 존재였다.
1522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쉴레이만 1세는 오랜 숙원이던 로도스섬을 공격하였다. 술탄이 직접 이끄는 10만이 넘는 투르크병사에 맞서 기사단은 6개월 긴 공성전을 벌였으나 결국 항복하고 로도스 섬에서 추방되어 시칠리아로 퇴각했다.
[편집] 몰타기사단 시기
로도스 섬 추방이후 기사단은 유럽의 이곳 저곳을 옮겨다니다가 마침내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는 기사단에게 몰타에 근거지를 마련해 주었다. 조건은 매년 위령의 날(11월 2일) 몰타섬의 매 한마리를 사용료로 바치라는 것이다. (이것은 나중에 미국 추리소설 작가 대실 해미트(Samuel Dashiell Hammett)의 소설 《말타의 매(The Maltese Falcon)》플롯에 영향을 미친다)
몰타에서도 기사단은 병원사업과 이슬람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였다. 특히 북아프리카 이슬람 해적인 바르바리 해적이 그들의 주된 적이었다. 몰타로 쫓겨나긴 했어도 용맹하게 이슬람과 싸우는 기사단은 여전히 오스만 제국에게 있어서 골치거리였다. 1565년 오스만의 쉴레이만 1세는 다시금 대대적인 몰타섬의 공략에 나섰다. 수만명의 투르크군사에 맞서 분전한 기사단은 결국 몰타섬을 지켜냈다.
이후에도 계속된 이슬람세력의 공격을 잘 막아내면서 몰타에서 굳건한 세력을 유지하였으나 17세기와 18세기 이슬람의 침략위험이 약화되고 유럽이 종교분쟁으로 신교화 되는 지역이 늘어나자 재정적, 군사적으로 약화 되었다. 특히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반종교적, 반귀족적 운동 속에서 기사단의 주된 수입원이었던 프랑스쪽의 재원이 끊기자 기사단은 급속도로 약화 되었다.
[편집] 몰타에서 추방
지중해의 강자였던 몰타기사단은 1798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집트 원정길에 오른 나폴레옹은 몰타에 항구와 보급의 제공을 요구하고 위협을 가해왔다. 당시 기사단장이었던 페르디난트 폰 홈페쉬는 기사단이 같은 기독교인에게 대항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선뜻 항복해버렸다. 이후 기사단은 다시 유럽을 떠돌면서 유럽 각국에 의탁했는데 특히 러시아의 차르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19세기초에 기사단은 세력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결국 1834년 로마에 정착하였다. 이때부터는 군사적인 측면은 거의 사라지고 인도주의적, 종교적 조직으로만 존재하게 되었다.
1986년 몰타 공화국에서 주권을 인정하면서 영토의 일부를 넘겨주겠다고 하였으나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이탈리아 정부 등 기독교 국가들은 몰타 기사단을 나라로 인정하고 있고 전 세계에 퍼져있는 단원들이 의료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외교 사절, 자국 등록 선박, 자체 자동차 번호판 등을 갖고 있고, 우편 협정을 유지하고 있는 몇몇 나라에서만 통용되는 우표도 발행함으로써 엄연한 주권국가로써의 역할도 하고 있다.
[편집] 역대 기사단장
최초 건립시기 부터 현재까지 성요한기사단의 총기사단장(때때로 부기사단장)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 The Blessed Gerard (1099-1120)
- Raymond du Puy de Provence (1120-1160)
- Auger de Balben (1160-1163)
- Arnaud de Comps (1162-1163)
- Gilbert d'Aissailly (1163-1170)
- Gastone de Murols (추정 1170-1172)
- Jobert of Syria (1172-1177)
- Roger de Moulins (1177-1187)
- Armengol de Aspa (1187-1190)
- Garnier of Nablus (1190-1192)
- Geoffroy de Donjon (1193-1202)
- Alfonse of Portugal (1203-1206)
- Geoffrey le Rat (1206-1207)
- Garin de Montaigu (1207-1228)
- Bertrand de Thercy (1228-1231)
- Guerin de Montacute (1231-1236)
- Bertrand de Comps (1236-1240)
- Pierre de Vielle-Bride (1240-1242)
- Guillaume de Chateauneuf (1242-1258)
- Hugues de Revel (1258-1277)
- Nicolas Lorgne (1277-1284)
- Grand Master Jean de Villiers|Jean de Villiers (1284-1294)
- Odon de Pins (1294-1296)
- Guillaume de Villaret (1296-1305)
- Foulques de Villaret (1305-1319)
- Hélion de Villeneuve (1319-1346)
- Dieudonné de Gozon (1346-1353)
- Pierre de Corneillan (1353-1355)
- Roger de Pins (1355-1365)
- Raymond Berenger (1365-1374)
- Robert de Juliac (1374-1376)
- Juan Fernandez de Heredia (1376-1396)
- Riccardo Caracciolo (1383-1395) 경쟁관계의 총기사단장
- Philibert de Naillac (1396-1421)
- Antonio Fluvian de Riviere (1421-1437)
- Jean de Lastic (1437-1454)
- Jacques de Milly (1454-1461)
- Piero Raimondo Zacosta (1461-1467)
- Giovanni Battista Orsini (1467-1476)
- Pierre d'Aubusson (1476-1503)
- Emery d'Amboise (1503-1512)
- Guy de Blanchefort (1512-1513)
- Fabrizio del Carretto (1513-1521)
- Philippe Villiers de L'Isle-Adam (1521-1534)
- Piero de Ponte (1534-1535)
- Didier de Saint-Jaille (1535-1536)
- Juan de Homedes y Coscon (1536-1553)
- Claude de la Sengle (1553-1557)
- Jean Parisot de la Valette (1557-1568)
- Pierre de Monte (1568-1572)
- Jean de la Cassiere (1572-1581)
- Romegas|Mathurin Romegas (1581) 부기사단장(1577-1581)이자 경쟁관계의 총기사단장(1581)
- Hugues Loubenx de Verdalle (1581-1595)
- Martin Garzez (1595-1601)
- Alof de Wignacourt (1601-1622)
- Luis Mendez de Vasconcellos (1622-1623)
- Antoine de Paule (1623-1636)
- Juan de Lascaris-Castellar (1636-1657)
- Martin de Redin (1657-1660)
- Annet de Clermont-Gessant (1660)
- Raphael Cotoner (1660-1663)
- Nicolas Cotoner (1663-1680)
- Gregorio Carafa (1680-1690)
- Adrien de Wignacourt (1690-1697)
- Ramon Perellos y Roccaful (1697-1720)
- Marc'Antonio Zondadari (1720-1722)
- Antonio Manoel de Vilhena (1722-1736)
- Raymond Despuig (1736-1741)
- Manuel Pinto de Fonseca (1741-1773)
- Francisco Ximenes de Texada (1773-1775)
- Emmanuel de Rohan-Polduc (1775-1797)
- Ferdinand von Hompesch zu Bolheim (1797-1799)
- Paul I of Russia (1798-1801) 사실상
- Count Nicholas Soltykoff (1801-1803) 사실상의 부기사단장
- Giovanni Battista Tommasi (1803-1805)
- Innico Maria Guevara-Suardo (1805-1814) 부기사단장
- André Di Giovanni (1814-1821) 부기사단장
- Antoine Busca (1821-1834) 부기사단장
- Carlo Candida (1834-1845) 부기사단장
- Philippe di Colloredo-Mels (1845-1864) 부기사단장
- Alessandro Borgia (1865-1871) 부기사단장
- Giovanni Battista Ceschi a Santa Croce (1871-1879) 부기사단장
- Giovanni Battista Ceschi a Santa Croce (1879-1905)
- Caleazzo von Thun und Hohenstein (1905-1931)
- Ludovico Chigi Albani della Rovere (1931-1951)
- Antonio Hercolani-Fava-Simonetti (1951-1955) 부기사단장
- Ernesto Paternó-Castello di Caraci (1955-1962) 부기사단장
- Angelo de Mojana di Cologna (1962-1988)
- John Charles Pallavicini (1988) 부기사단장
- Andrew Willoughby Ninian Bertie (1988-현재)
[편집] 게임
마이크로소프트의 PC 게임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의 제 1 장에서 성 요한 기사단원 모건 블랙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미국을 건국하는 한 세력으로 묘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