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 1987년 1988년 1989년 - 1990년 - 1991년 1992년 1993년 |
|||
연대 1970년대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2010년대 |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
음력 | 첫날 | 끝날 | 대소 |
---|---|---|---|
1월 | 1월 27일 | 2월 24일 | 작은달 |
2월 | 2월 25일 | 3월 26일 | 큰달 |
3월 | 3월 27일 | 4월 24일 | 작은달 |
4월 | 4월 25일 | 5월 23일 | 작은달 |
5월 | 5월 24일 | 6월 22일 | 큰달 |
윤5월 | 6월 23일 | 7월 21일 | 작은달 |
6월 | 7월 22일 | 8월 19일 | 작은달 |
7월 | 8월 20일 | 9월 18일 | 큰달 |
8월 | 9월 19일 | 10월 18일 | 큰달 |
9월 | 10월 19일 | 11월 16일 | 작은달 |
10월 | 11월 17일 | 12월 16일 | 큰달 |
11월 | 12월 17일 | + 1월 15일 | 큰달 |
12월 | + 1월 16일 | + 2월 14일 | 큰달 |
공휴일 | 날짜 | ||
신정 | 1월 1일(월) | ||
설날 | 1월 27일(토) | ||
삼일절 | 3월 1일(목) | ||
식목일 | 4월 5일(목) | ||
석가탄신일 | 5월 2일(수) | ||
어린이날 | 5월 5일(토) | ||
현충일 | 6월 6일(수) | ||
제헌절 | 7월 17일(화) | ||
광복절 | 8월 15일(수) | ||
국군의 날 | 10월 1일(월) | ||
추석 | 10월 3일(수) | ||
개천절 | 10월 3일(수) | ||
한글날 | 10월 9일(화) | ||
크리스마스 | 12월 25일(화) |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목차 |
[편집] 사건
- 2월 9일 - 민주자유당 창당.
- 3월 3일 - 제4땅굴 발견.
- 3월 21일 - 나미비아 독립.
- 4월 1일 - 시흥군 폐지, 태안군 설치.
- 4월 23일 - 나미비아, 국제연합 가입
- 4월 24일 - 허블 우주 망원경 발사.
- 6월 8일 - 제14회 이탈리아월드컵 개막. (~7월 8일)
- 7월 18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넬슨 만델라 출소
- 7월 27일 - 벨라루스, 소비에트 연방 으로부터 독립.
- 8월 2일 - 이라크, 쿠웨이트 침공.
- 8월 7일 -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국내 에이즈환자수가 100명에 달했다고 발표
- 8월 8일 - 소설가 황석영(黃晳暎), 범민족대회남측추진본부 대표자격으로 평양 도착
- 8월 10일 - 삼성전자 16메가D램 개발
- 8월 13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스탈린 치하 희생자 전원을 복권시키는 포고령 발표
- 8월 16일 - 걸프 전쟁: 미국 해군, 이라크 및 이라크가 점령한 쿠웨이트 일대 해상 전면 봉쇄
- 8월 22일 - 대한민국과 니카라과 수교
- 8월 28일 -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제1회 서울평화상 수상자로 선정
- 9월 3일 - 서울에서 제 2차 아ㆍ태 검찰총장회의 개막
- 9월 4일 - 제1차 남북고위급회담이 서울에서 열리다.
- 9월 5일 -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 범죄인도조약 체결
- 9월 5일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1차 남북고위급 회담 서울에서 개최,
- 9월 7일 - 마술사 데이비드 카퍼필드 대한민국 방문
- 9월 10일 -
이란과
이라크,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단절됐던 양국 국교 재개 합의
- 9월 13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 등 5위의 유해 봉환
- 9월 14일 -
쿠웨이트 침공 이라크군, 쿠웨이트 주재
프랑스.
벨기에,
캐나다, 틀:NDL 대사관에 난입
- 9월 18일 -
리히텐슈타인,
국제 연합 가입.
- 9월 21일 - 고려대학교 이호왕 박사 팀과 녹십자사가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의 예방 백신을 개발하다.
- 9월 29일 - 장충식·김형진 남북체육회담 수석대표, 평양(10.11)과 서울(10.23)에서 남북통일축구경기대회 개최 방침 발표
- 9월 30일 - 대한민국 ~ 소비에트 연방 수교, 85년만에 국교 정상화
- 10월 3일 - 독일의 재통일: 분단 41년만에 서독과 동독이 하나의 독일로 통일되다.
- 10월 3일 -
대한민국과
베냉, 수교
- 10월 4일 - 윤석양 이병, 국군 보안사령부의 사회저명인사 1천300여명에 대한 사찰 사실 폭로.
- 10월 11일 - 남북통일축구 1차전, 평양 5.1경기장서 열림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노태우 대통령, `범죄와의 전쟁’ 선포
- 10월 15일 -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이 냉전 종식을 위해 노력한 점이 인정되어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결정되다.
- 11월 6일 -
대한민국 ~
소비에트 연방 간 직통전화 개통
[편집] 문화
- 3월 31일 - 프로 야구팀 쌍방울 레이더스 창단
- 9월 22일 - 제 11회 베이징 아시아경기 대회 개막(~10월 7일)
- 9월 25일 - 후안 안토니아 사마란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제 1회 서울평화상 수상
- 9월 28일 -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기공
- 11월 21일 - 닌텐도의 가정용 게임기 슈퍼 패미컴 발매
[편집] 탄생
- 2월 18일 - 한국의 여배우 박신혜
- 3월 7일 - 한국의 가수 최종훈
- 3월 26일 - 한국의 가수 오원빈
- 4월 15일 - 영국 여배우 엠마 왓슨
- 7월 23일 - 한국의 탤런트 김성은
- 8월 28일 스폐인의 축구 선수 보얀 크르키치
- 9월 5일 - 한국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연아
- 9월 25일 - 일본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아사다 마오
[편집] 사망
- 3월 20일 - 소련의 문지기 레프 야신 (*1929년)
- 7월 18일 - 대한민국 제 4대 대통령 윤보선 (*1897년)
- 8월 15일 - 러시아의 한국계 대중음악가 빅토르 최 (*1962년)
- 10월 14일 - 미국의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 (*1918년)
[편집] 노벨상
- 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