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초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상차 검출 방식 개념도
위상차 검출 방식 개념도

자동 초점(自動焦點, 영어: Autofocus, AF)은 특정 물체(피사체)에 초점이 맞도록 하는 광학 시스템(카메라)의 기능이다.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들은 TTL 대비 검출 방식을 사용한다.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별도의 자동 초점 센서를 가지고 있지 않고, 영상 CCD/CMOS 이미지 센서를 통해 얻어진 영상의 대비를 분석하여 초점을 맞춘다.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필름 SLR 카메라디지털 SLR 카메라들은 TTL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한다.

목차

[편집] 개괄

캐논 EOS-1D 시리즈의 45개 자동 초점 포인트
캐논 EOS-1D 시리즈의 45개 자동 초점 포인트

자동 초점 방식은 크게 능동적 시스템(Active System)과 수동적 시스템(Passive System)으로 나뉘어 진다. 능동적 시스템은 거리 측정을 위해 카메라초음파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능동적'이라고 불린다. 수동적 시스템은 물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춘다.

단순한 자동 초점 시스템은 초점 포인트가 하나뿐이다. 그러나 발전된 자동 초점 시스템의 경우는 여러 개의 초점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캐논 EOS 3 및 캐논 EOS-1D 시리즈는 45개의 자동 초점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자동 초점은 보통 수동 초점보다 빠르고 정확하다. 현재 시판 중인 많은 카메라들은 프레임(화면) 상에 여러 개의 자동 초점 포인트를 가지고 있으며, 자동으로 피사체를 감지하여 초점을 맞춘다.(보통 가장 가까운 물체에 초점을 맞춘다.) 몇몇 컴팩트 카메라와 대다수의 SLR 카메라는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가속도를 측정하여 계속적으로 물체에 초점이 맞도록 하는 기능(AF servo)을 가지고 있다.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대부분 영상 촬영에 쓰이는 CCD/CMOS 이미지 센서를 자동 초점 센서로도 활용한다. 디지털 SLR 카메라의 경우 필름 SLR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자동 초점을 위한 별도의 CCD/CMOS 이미지 센서들을 가지고 있다.

[편집] 능동적 시스템

능동적 시스템은 거리 측정을 위해 카메라가 초음파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능동적'이라고 불린다. 보통 다음과 같은 2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 거리 측정 시스템
  • 광학 시스템의 초점 조절 시스템 (렌즈 이동)

이 두 시스템은 전자적, 기계적 혹은 전기역학적(electromechanical)으로 연동되어 동작한다.

[편집] 초음파 이용 방식

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 카메라의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방출된 초음파가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오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카메라로는 폴라로이드사의 Spectra, SX-70가 있다.

[편집] 적외선 이용 방식

적외선을 이용하는 거리 측정 방법에는 다음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삼각 측량,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의 세기 측정,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의 시간 측정.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에는 이들 중 삼각 측량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카메라에서 계속적으로 방향을 달리하며 적외선을 조사(照射)하고,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의 세기가 최대가 될 때 적외선 조사을 멈춘다. 이때의 적외선 조사 각도로 삼각 측량을 수행한다.

적외선 이용 방식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카메라로는 Nikon 35TiQD, 28TiQD 및 Canon AF35M을 들 수 있다.

적외선 이용 방식은 몇몇 컴팩트 필름 카메라들과 초기의 비디오 캠코더에서 쓰인다.

[편집] 능동적 시스템의 단점

능동적 시스템은 카메라와 물체 사이에 창문이 있는 경우 대부분 초점을 맞추지 못한다. 유리가 초음파적외선을 반사하기 때문이다. 수동적 시스템은 투명한 유리의 경우에는 별 문제 없이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능동적 시스템은 초음파나 적외선이 도달할 수 있는 거리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먼 거리에 있는 물체에는 초점을 맞출 수 없다. 또한, TTL(Through The Lens) 방식이 아니어서 발생하는 시차(parallax)로 인해 카메라 렌즈와 매우 근접한 물체에도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없다. 이에 반해 TTL 수동적 자동 초점 시스템들은 먼 거리에 있는 물체나 카메라 렌즈에 매우 근접한 물체에도 문제없이 초점을 맞출 수 있다.

[편집] 능동적 시스템과 디지털 카메라

능동적 시스템은 몇몇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현재 시판 중인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SLR 카메라에는 쓰이지 않는다. 간혹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SLR 카메라에 있는 자동 초점 보조광(AF assist beam)을 능동적 시스템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자동 초점 보조광(AF assist beam)은 수동적 자동 초점 시스템을 보조하기 위한 것일 뿐, 능동적 자동 초점 시스템의 거리 측정을 위한 도구가 아니다.

[편집] 수동적 시스템

수동적 시스템은 물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춘다. 수동적 자동 초점 시스템은 크게 3가지가 있다.

  • 이중상 합치 방식 (autofocus rangefinder system 혹은 optical triangulation system 혹은 subject-scanning system)
  • 대비 검출 방식 (對比 檢出 方式, contrast detection system)
  • 위상차 검출 방식 (位上差 檢出 方式, phase detection system 혹은 phase-difference detection system 혹은 phase comparison system 혹은 phase matching system )

수동적 시스템은 이중상 합치 방식을 제외하고는 촬영에 쓰이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이용하는 TTL(Through The Lens) 방식이 주로 쓰인다. 수동적 시스템은 영상 분석을 통해 초점을 맞추고,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의 렌즈 위치를 토대로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해낼 수 있다.

[편집] 이중상 합치 방식

이중상 합치 방식의 개념도. d=fD/δ 공식을 통해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중상 합치 방식의 개념도. d=fD/δ 공식을 통해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중상 합치 방식은 사용자가 이중상 합치 레인지파인더 카메라(coincidence rangefinder)에서 삼각 측량 원리를 이용하여 눈으로 초점 맞추는 것을 CCD 센서와 컴퓨터가 대신 하는 것이다. 이중상 합치 원리를 이용한 거리 측정 시스템과 주 광학 시스템이 연동되어 움직인다. 별도의 두 개 창을 통해 얻어진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초점을 맞추는 데, 다음 두 가지 작동 방식이 있다.

  • 렌즈를 무한대 초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초점 위치까지 이동시키면서 두 이미지를 계속적으로 비교한다. 두 이미지가 일치하면 초점이 맞은 상태이므로 렌즈는 이동을 멈춘다.
  • 두 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하여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지를 파악하고, 이 결과에 따라 렌즈를 이동시킨다.

콘탁스 G 시리즈, 하니웰의 Visitronic 모듈을 사용하는 코니카 C35A 등에서 이중상 합치 방식을 사용한다. 캐논에서는 SST(Solid State Triangulation)이란 이름으로 이 방식을 구현하였고, 캐논 AF514XL-S 영화 카메라(movie camera)와 캐논 New FD 35-70mm f/4 AF 렌즈에 채용하였다.

이중상 합치 방식은 TTL(Through The Lens)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TTL 위상차 검출 방식과 비교했을 때 여러 장단점을 갖는다. 광각 렌즈 사용시 TTL 위상차 검출 방식은 축소된 영상과 왜곡으로 인해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데 반해, 이중상 합치 방식은 TTL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없다. 하지만, 보통 90mm 이상의 망원에서는 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을 분석하는 TTL 위상차 검출 방식이 더 정확하고, 접사시에도 시차(parallax)를 갖지 않는 TTL 위상차 검출 방식이 더 정확하다.

[편집] 대비 검출 방식

3개의 라인 센서를 사용하는 대비 검출 방식 개념도. 초점이 맞는 경우 6'' 이미지의 대비가 최대 값을 갖는다.
3개의 라인 센서를 사용하는 대비 검출 방식 개념도. 초점이 맞는 경우 6'' 이미지의 대비가 최대 값을 갖는다.
대비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도식.
대비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도식.

대비 검출 방식(對比 檢出 方式, contrast detection system)은 렌즈를 움직이면서 영상 일부(주로 중앙부분)의 대비를 계속적으로 계산하고, 대비가 최대가 되었을 때 초점이 맞았다고 판단한다. 대비 검출 방식은 비디오 카메라와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에서 흔히 쓰이는 방식이다. Nikon의 글에서 대비 검출 방식 설명 및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다.

대비 검출 방식에서 하나의 자동 초점 포인트에 사용되는 CCD 센서가 1개뿐인 경우, 렌즈를 어떤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 지 미리 알 수 없다. 하지만, 과거 몇몇 필름 SLR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대비 검출 방식은 하나의 자동 초점 포인트에 2~3개의 CCD 센서를 사용하여 렌즈를 움직일 방향을 미리 알 수 있다. 35mm SLR 카메라 중 최초로 TTL 자동 초점 시스템을 구현한 Pentax MEF는 2개의 CCD 센서를 사용하는 대비 검출 방식을 사용한다.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들은 TTL 대비 검출 방식만을 사용한다.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별도의 자동 초점 센서를 가지고 있지 않고, 영상 CCD/CMOS 이미지 센서를 통해 얻어진 영상의 대비를 분석하여 초점을 맞춘다. 이는 하나의 자동 초점 포인트에 CCD 센서가 1개 뿐인 것과 같으므로, 렌즈를 어떤 방향으로 어느 정도 움직여야 하는 지 미리 알 수 없다. 또한 렌즈를 조금씩 움직일 때마다 영상 일부의 대비를 계속적으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TTL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SLR 카메라가 자동 초점 속도가 빠르다.

[편집] 위상차 검출 방식

위상차 검출 방식(位上差 檢出 方式, phase detection system)은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한 쌍으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초점이 맞았는지 판단한다. 위상차 검출 방식은 스플릿 이미지 스크린(split image screen)을 통해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과 비슷한 원리로 동작한다. 원리에 대한 간단한 설명 및 애니메이션은 니콘의 글에서 볼 수 있고, 기술적이고 자세한 설명은 스플릿 스크린과 위상차 검출 방식의 원리에서 볼 수 있다.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필름 SLR 카메라디지털 SLR 카메라들은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한다.

[편집] 위상차 검출 방식 자동 초점 센서의 종류

한 쌍의 센서(80, 81)를 사용하는 위상차 검출 시스템
한 쌍의 센서(80, 81)를 사용하는 위상차 검출 시스템
두 쌍의 센서(X1, X2, Y1, Y2)를 사용하는 크로스 타입 자동 초점 포인트
두 쌍의 센서(X1, X2, Y1, Y2)를 사용하는 크로스 타입 자동 초점 포인트
3개의 초점 포인트를 가지는 위상차 검출 방식 시스템
3개의 초점 포인트를 가지는 위상차 검출 방식 시스템

위상차 검출 방식에서 single-axis(혹은 single-line) 자동 초점 포인트는 보통 1쌍의 CCD/CMOS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진다. 각 CCD/CMOS 이미지 센서는 line 센서로서 길쭉한 모양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수평·수직 방향 중 한 방향의 대비(contrast. 혹은 디테일)만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크로스 타입(cross-type) 자동 초점 포인트는 보통 2쌍의 CCD/CMOS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지고, 수평·수직 방향 모두의 대비를 검출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캐논 EOS 3, 1D/1Ds의 경우 45개 포인트 중 7개가 크로스 타입(중앙 포인트는 f/4와 같거나 더 밝은 렌즈에서만 크로스 타입 센서로 동작. 나머지 6개 포인트는 f/2.8과 같거나 더 밝은 렌즈에서만 크로스 타입 센서로 동작) 센서이며, 나머지는 수평 방향의 선들을 감지할 수 있다. 캐논 EOS-1D Mark III의 경우 45개 포인트 중 19개가 크로스 타입이다. 1D/1Ds 시리즈를 제외한 다른 캐논 DSLR의 경우 중앙 포인트만 렌즈 밝기와 관계없이 크로스 타입 센서로 동작한다.

니콘 D2H, D2Hs, D2x, F6에 쓰이는 Multi-CAM 2000 모듈의 경우 11개의 포인트 중 9개가 크로스 타입이다. 니콘 F80 , D100, D70(s), D50에 쓰이는 Multi-CAM 900 모듈의 경우 중앙 포인트만 크로스 타입이다.

미놀타 다이낙스 7, 캐논 EOS 40D의 중앙 AF 포인트는 대각선 방향도 검출이 가능한 듀얼 크로스 헤어 타입이다. 이 중앙 AF 포인트에는 4쌍의 CCD/CMOS 라인 센서가 사용된다. 대각선 방향 센서는 f/2.8과 같거나 더 밝은 렌즈에서만 동작한다. [1]

[편집] 위상차 검출 방식의 장점

위상차 검출 방식은 1쌍의 CCD/CMOS 이미지 센서로부터 얻어진 두 개 이미지의 위상차를 분석하여, 렌즈를 어떤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해야 초점이 맞는 지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를 움직이는 동안 계속적으로 영상을 분석해야 하는 대비 검출 방식보다 빠른 자동 초점이 가능하다.

위상차 검출 방식은 또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하여 사진이 찍히는 순간 물체가 있을 곳에 초점을 맞추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이를 동체 예측 자동 초점(Predictive AF)이라고 한다.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렌즈와 센서가 가깝기 때문에 빔 스플리터 등이 필요한 TTL(Through the lens) 위상차 검출 방식을 적용하기 힘들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들은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정확한 TTL 대비 검출 방식만을 사용한다. 예외적으로 Olympus의 CAMEDIA C-8080 및 C-7070, Kodak의 EasyShare DX7440, Canon의 Powershot Pro1과 같은 몇몇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외부 센서를 사용하는 위상차 검출 방식과 TTL 대비 검출 방식을 동시에 채용하여 빠르고도 정확한 자동 초점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카메라들에 사용되는 위상차 검출 방식은 TTL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접사촬영 시나 광각·망원 어댑터를 사용할 경우 위상차 검출 방식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편집] 위상차 검출 방식의 단점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SLR의 도식. 42에 센서가 있다.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SLR의 도식. 42에 센서가 있다.

위상차 검출 방식은 다음과 같은 경우 초점을 못 맞추거나 사진가의 의도와 다른 물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다음 중 많은 사항은 다른 자동 초점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 대비(contrast)가 적은 물체(파란 하늘, 단색 벽 등) : 자동 초점에 쓰이는 CCD/CMOS 이미지 센서가 물체의 대비(디테일)를 검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패턴 형태로 된 자동 초점 보조광이 도움을 줄 수 있다.
  • 저광량 하의 물체 : 위 '대비(contrast)가 적은 물체'와 동일한 원인을 가진다.
  • 강한 역광 하에 있는 물체 (강한 해를 등진 인물 등) : 강한 역광 하에서는 글레어(glare)로 인해 전체적으로 대비가 떨어지게 되어, 위 '대비(contrast)가 적은 물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 반사성이 강한 물체 (반사성이 강한 표면을 가진 자동차)
  • 자동 초점 포인트(focus area)가 밝기가 급격히 변하는 곳에 있을 때 (물체가 반쯤 그늘에 있을 때)
  • 물체가 초점 범위(자동 초점 센서가 커버하는 영역)보다 작은 경우 (초점 범위가 전경의 물체와 먼 거리의 빌딩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 자동 초점 시스템은 물체와 배경 중 디테일이 강한 쪽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이는 사진가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전핀(front-focusing) 혹은 후핀(back-focusing)의 흔한 원인이다. 많은 경우 자동 초점 센서가 커버하는 영역은 뷰파인더 상의 자동 초점 포인트보다 커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물체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경우가 있다.
  • 뷰파인더 상의 자동 초점 포인트와 실제 자동 초점 센서 위치가 많이 다른 경우 : 제작상의 오차로 인해 뷰파인더 상의 자동 초점 포인트와 실제 자동 초점 센서 위치가 많이 다를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물체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경우가 있다.
  • 가까운 거리의 물체와 먼 거리의 물체가 중첩되었을 때 (우리 안의 동물) : 위 '물체가 초점 범위(자동 초점 센서가 커버하는 영역)보다 작은 경우'와 동일한 원인을 가진다.
  • 반복적인 패턴 (고층건물의 유리들) : 두 센서로부터 얻어진 두 이미지를 비교할 때, 한 이미지의 특정 부분이 다른 이미지의 어떤 부분에 해당하는 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autocorrelation 실패.)
  • 세밀한 디테일을 많이 포함하는 물체 : 위 '반복적인 패턴'과 동일한 원인을 가진다.
  • 선형 편광 필터(linear polarizing filter) 사용시 : 보통 빔스플리터(beamsplitter) 거울을 통해 들어온 빛을 분석하므로 선형 편광 필터 사용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편광 필터(circular polarizing filter)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피사체와 똑같은 거리에 있는 다른 물체에 초점을 맞추거나 수동 초점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편집] 위상차 검출 방식에서 렌즈 밝기와 정밀도

위상차 검출 방식은 밝은 렌즈(최대 조리개가 큰 렌즈)를 기준으로 설계했을 때, 위상차가 더 커져 자동 초점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이는 삼각 측량에서 기선(baseline)의 길이(baselength)가 길어질수록 정밀도가 높아지는 것과 유사하다. 하지만 밝은 렌즈를 기준으로 설계한 자동 초점 시스템에 어두운 렌즈를 사용할 경우, 자동 초점 센서에 빛이 도달하지 못하여 자동 초점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한다. 따라서 보통 f/5.6에서 동작하도록 자동 초점 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어두운 렌즈에 망원 컨버터를 장착했을 때 자동 초점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예를 들어 f/5.6을 기준으로 설계된 카메라에 f/5.6 렌즈와 컨버터 장착 후의 실질적인 f-number를 카메라에 알려주는 1.4배 망원 컨버터를 장착했을 경우, 카메라에서 자동 초점 기능을 꺼버린다. f/5.6을 기준으로 설계된 카메라에 f/5.6 렌즈와 컨버터 장착 후의 실질적인 f-number를 카메라에 알려주지 않는 제3자(3rd party) 1.4배 망원 컨버터를 장착했을 경우, 카메라에서 자동 초점을 시도하지만 자동 초점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f/5.6렌즈에 1.4배 망원 컨버터를 장착했을 때 실질적인 렌즈 밝기는 f/7.84가 되기 때문이다.

캐논 EOS-1D 시리즈, 캐논 EOS 3, 캐논 EOS 5D, 20D, 30D, 40D, 400D, 미놀타 다이낙스 7 같은 경우 밝은 렌즈를 장착했을 때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고정밀(high precision) 자동 초점 센서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 카메라에 f/2.8과 같거나 더 밝은 렌즈를 장착할 경우 고정밀 자동 초점 센서들이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카메라에 컨버터 장착 후의 실질적인 f-number를 카메라에 알려주지 않는 제3자(3rd party) 망원 컨버터를 사용했을 때는, 해당 고정밀 자동 초점 포인트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2.8인 렌즈와 1.4배 3rd party 망원 컨버터를 사용했을 때, 카메라는 f/2.8 렌즈로 인식하고 고정밀 센서들을 동작시키지만 실질적인 렌즈 밝기는 f/3.92이기 때문에 고정밀 센서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할 수 있다.

[편집] 위상차 검출 방식에서의 초점 교정

정확한 초점을 위해서는 렌즈 마운트에서 자동 초점 센서까지 빛의 경로 길이가 정해진 거리와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생산 오차로 인해 조금씩 차이가 생기게 되고, 이에 대한 보정값을 카메라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렌즈의 경우 수차와 같은 렌즈 특성에 따라 기계적, 전자적 교정을 받는다. 현대적 AF 렌즈는 보정값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가지고 있어 이를 카메라에 전달한다.

[편집] 수동적 시스템과 광량

자동 초점에 사용되는 CCD/CMOS 이미지 센서의 감도(sensitivity)가 높을 수록 저광량 하에서 자동 초점이 원할하다.

예를 들어, 캐논 EOS-1D에 사용되는 자동 초점 센서의 픽셀은 캐논 EOS 5D, 캐논 EOS 20D에 사용되는 자동 초점 센서 픽셀보다 작기 때문에 감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자동 초점 보조광을 사용하지 않을 때, 캐논 EOS-1D의 경우 EV(Exposure Value) 0부터 자동 초점이 가능하고, EOS 5D, 20D의 경우 EV -0.5부터 가능하다. [2] 캐논 EOS-1D Mark III의 경우 AF 센서 감도가 향상되어 EV -1부터 자동초점이 가능하다.

[편집] 수동적 시스템의 단점

수동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어려움을 겪는다.

  • 대비(contrast)가 적은 물체(파란 하늘, 단색 벽 등) : 자동 초점에 쓰이는 CCD/CMOS 이미지 센서가 물체의 대비(디테일)을 검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저광량 하의 물체 : 위 '대비(contrast)가 적은 물체'와 동일한 원인.
  • 가까운 거리의 물체와 먼 거리의 물체가 중첩되었을 때 (우리 안의 동물)
  • 물체가 초점 범위(자동 초점 센서가 커버하는 영역)보다 작은 경우 (초점 범위가 전경의 물체와 먼 거리의 빌딩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이에 반해 능동적 시스템은 물체의 대비가 적거나 광량이 매우 적은 경우에도 정확히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저광량 하에서 수동적 시스템의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초점을 맞추는 동안 물체에 자동 초점 보조광(AF assist beam/illuminator)을 비추는 방법이 가장 많이 쓰인다. 많은 경우 카메라 자체에 자동 초점 보조광을 발산하는 별도의 램프가 있다. 많은 외장 플래시에도 자동 초점 보조광을 위한 램프가 있다. 자동 초점 보조광을 위한 별도의 램프가 없는 캐논 EOS 10D, 캐논 EOS 20D, 캐논 EOS 30D, 캐논 EOS 300D, 캐논 EOS 350D, 캐논 EOS 400D와 올림푸스 E-300, 올림푸스 E-500과 같은 몇몇 DSLR 카메라들의 경우에는 내장 플래시가 자동 초점 보조광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카메라들도 외장 플래시 장착시에는 외장 플래시의 자동 초점 보조광을 사용한다.

[편집] 자동 초점 모드들

  • One-shot : 반셔터를 누르면 물체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물체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초점은 고정된 상태로 있는다.
  • AF servo : 반셔터를 누르고 있으면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계속적으로 초점을 변경한다. 스포츠 촬영에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AI Servo" (Canon) 혹은 "Continuous" (Nikon)라고도 불린다.

[편집] 참고 서적

  • Sidney F. Ray. Applied Photographic Optics
  • Ralph E. Jacobson. The Manual of Photography
  • 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 GETTING THE MOST FROM YOUR EOS-1 CLASS DIGITAL SLR TIPS AND TECHNIQUES: CAMERA HANDLING & MAXIMUM IMAGE QUALITY
  • Canon EOS 1D Mark II Instruction Manual
  • The Nikon Guide to Digital Photography with the D2x

[편집] 바깥 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