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콜베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티븐 콜베어와 그의 부인
스티븐 콜베어와 그의 부인

스티븐 타이론 콜베어 (영어: Stephen Tyrone Colbert 1964년 5월 13일 - )는 《존 스튜어트의 데일리 쇼》와 《콜베어 리포트》로 잘 알려진 미국코미디언이자 배우이다. 2004년에서 2006년까지 세 차례 에미상을 수상했다. 보통 그의 성은 콜버트라고 발음하나 그의 아버지가 콜베어로 발음하기를 좋아해서 대학시절 아무도 그를 모를 때 그의 성을 바꿨다고 한다.[1] 2006년 타임지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명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2] 2007년 10월 7일 첫 책을 출판 할 예정이다. 제목은 《나는 미국이다 (그리고 너도 할 수 있어!)》 (영어: I Am America (And So Can You!))인데 그가 진행하던 콜베어 리포트와 비슷하게 정치적 풍자를 주제로 한다.

목차

[편집] 성장과정

워싱턴 D.C.에서 태어났고 찰스턴에서 자랐다.[3] 가톨릭 집안에서 자랐으며 11명의 남매중 막내로 태어났다.[4][1][5] 인터뷰에서 콜베어의 부모는 신앙이 강한 가톨릭 신자였다고 했으며 지식을 중시하고 그의 종교를 질문하면서도 신앙심이 강한 가톨릭신자가 될 수 있다고 가르쳤다고 한다.[6] 이 이유로 남부인들의 콜베어는 어릴 때부터 남부 억양을 억눌렀다고 한다.[7] 텔레비젼이나 영화에서 남부인들이 무식하게 나오는걸 보고 어릴 때 부터 미국 아나운서와 기자의 말투를 따라하고 배웠다.[8]

1974년 9월 11일 샬럿에서 이륙하려던 중 발생한 비행기 추락으로 아버지와 그의 형이었던 피터와 폴을 잃었다. 코네티컷 주에 있는 사립 학교에서 등록하고 오는 길이었다.[9] 아버지의 죽음후 도시쪽으로 이동했는데 콜베어는 그 곳에서 새로운 친구를 찾기 힘들었다고 보통 그 나이에 걱정할 것을 잊고 살았다고 한다.[1][10] 해양 생물학을 공부하길 원했으나 고막이 심하게 찢어져서 안쪽 귀가 손상되었다. 수술 도중 그의 오른쪽 귀 청력을 잃었다.[1]

[편집] 《존 스튜어트의 데일리 쇼》

1997년 데일리 쇼가 두번째 시즌을 진행하고 있을 당시 합류하였다. 1999년쯤 데일리 쇼는 더욱더 뚜렷한 정치적인 톤을 띄기 시작했고 2000년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더욱더 인기를 끌었다. 그의 역할은 기자였는데 국제 보도할 때 배경은 늘 그린스크린으로 조작되었다. 자기 자신으로 진행했던 스튜어트와는 달리 데일리 쇼의 콜베어는 서서히 본인과 다른 캐릭터로 발전하였다.[11] 콜베어는 그의 캐릭터는 "바보인데 바보가 아닌 인물을 연기하는데 그의 모든 인생을 바친"다고 묘사했다.[10] 이 프로그램에서 콜베어는 잦게 스튜어트와 부딛렸는데 이것은 캐릭터의 부족한 지식을 보여주었다.[10] 2005년 콜베어가 데일리 쇼에서 하차한 후에도 가끔식 "클래식 콜베어" (Klassic Colbert)라는 제목으로 그가 출현한 부분을 보여준다.

[편집] 《콜베어 리포트》

2005년 10월 17일부터 콜베어는 단독으로 《콜베어 리포트》의 진행자가 되었다. 정치 풍자를 주제로 하지만 주로 보수적인 정치인이나 방송인들을 꼬집는다. 잦게 《오라일리 팩터》를 진행하는 빌 오라일리를 패러디하며 그를 콜베어 리포트에 초청한적 있다.[12] 방영된 첫 주안에 120만명의 시청자를 얻자 방영하기 시작한 한달만에 코메디 센츄럴은 1계월계약을 연장하였다.[13] 현재 코메디 센츄럴의 프로그램중 가장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이 프로그램은 "truthiness" (진실스러움) 이라는 단어를 유행어로 만든 걸로 유명하다.

[편집] 상과 명예

벤 앤드 제리의 아메리콘 드림
벤 앤드 제리의 아메리콘 드림
  • 2006년 1월 미국방언사회와 메리암-웹스터가 truthiness (진실스러움)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콜베어는 콜베어 리포트의 첫 화에서 이 단어를 사용했다. AP통신이 콜베어가 이 단어를 유행어 시켰다는 것을 보도 하지 않자 다섯 에피소드 연속으로 AP통신을 비난했다.[14]
  • 2006년 6월 녹스 칼리지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다.[15]
  • 맥심 잡지가 콜베어를 2번째로 "가장 섹시한 아나운서"로 임명했다. 멜리사 도리노가 1등을 차지했다. 선정된 아나운서들중 유일한 남성이었다.[16] 피플지는 "가장 섹시한 남성"중 콜베어를 "섹시 서프라이즈"로 선정했다.[17]
  • 미국의 아이스크림 브랜드 벤 앤드 제리가 그의 이름을 따 "스티븐 콜베어즈 아메리콘 드림"이라는 아이스크림맛을 만들었다.[18] 콜베어는 사순절때 단 음식을 포기해서 부활절까지 먹지 않았다고 한다.

[편집] 주석

  1. 1.0 1.1 1.2 1.3 Donovan, Bryce (2006년 4월 29일). Great Charlestonian?... Or the Greatest Charlestonian?. The Charleston Post and Courier. 2006년 7월 22일에 접속 확인.
  2. The Time 100: The People Who Shape Our World. 타임 (2006년 4월 30일). 2006년 7월 7일에 접속 확인.
  3. Seaman, Marley, "A Funny Man of Good Report", 'Northwestern Magazine', 겨울, 2005.
  4. Dowd, Maureen (2006년 11월 16일). America's Anchors. Rolling Stone. 2006년 12월 9일에 접속 확인.
  5. Solomon, Deborah (2005년 9월 25일). Funny About the News. The New York Times. 2006년 7월 22일에 접속 확인.
  6. Cote, David (2005년 6월 9일). Joyce Words. 타임아웃 뉴욕. 2006년 8월 13일에 접속 확인.
  7. 그로스, 테리 (2005년 1월 24일). A Fake Newsman's Fake Newsman: Stephen Colbert. 프레시 에어. National Public Radio.
  8. Safer, Morley (2006년 8월 13일). The Colbert Report: Morley Safer Profiles Comedy Central's 'Fake' Newsman. 60 Minutes. 2006년 8월 15일에 접속 확인.
  9. "Obituaries", 워싱톤 포스트, 1974년 9월 14일.
  10. 10.0 10.1 10.2 P., Ken (2003년 8월 11일). An Interview with Stephen Colbert. IGN. 2006년 7월 22일에 접속 확인.
  11. Poniewozik, James (2005년 11월 6일). The American Bald Ego. Time. 2006년 10월 30일에 접속 확인.
  12. Lemann, Nicholas (2006년 3월 21일). 빌 오라일리의 바로크 시대 (Bill O'Reilly's baroque period.). 뉴요커. 2006년 7월 8일에 접속 확인.
  13. Amter, Charlie (2005년 11월 2일). Comedy Central Keeps Colbert. E! Online.
  14. Truthiness Voted 2005 Word of the Year. 미국방언사회 (2006-01-06). 2007년 4월 15일에 접속 확인.
  15. 스티븐 콜베어 명예 학위 연설 (Stephen Colbert Honorary Degree
  16. 텔레비젼의 가장 섹시한 아나운서들 (TV's Sexiest News Anchors). 맥심 (September 2006). 2006년 11월 22일에 접속 확인.
  17. 조지 클루니가 "가장 섹시한 남성"으로 선정되다 (George Clooney Named 'Sexiest Man Alive'). CBS (2006년 11월 15일). 2006년 11월 16일에 접속 확인.
  18. Freydkin, Donna (2007년 3월 6일). As AmeriCone as ice cream. USA 투데이. 2007년 3월 6일에 접속 확인.

[편집] 외부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