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승인 국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승인 국가(未承認國家)는 실질적으로 독립 상태에 있으나 국제 사회로부터 국가의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를 말하며, 본국에서 갈라져 나온 신흥국가들이다.

목차

[편집] 일부 국가에게만 승인을 받은 사실상 독립국

[편집] 승인을 받지 못한 사실상 독립국

[편집] 독립 선언을 하지 않은 정치체

[편집] 일부 국가가 승인했으나 실질적으로 점령 상태인 국가

  • 서사하라 서사하라
    1976년 에스파냐가 물러난 후 모로코가 점령하고 있다. 일부 영토는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 지배하고 있으며, 48개 국가의 승인을 받았고, 아프리카 연합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편집] 국제 관리 영토

독립적인 실재물으로 인식하지 않아 1999년부터 세르비아국제연합의 정의 밑에 독립적으로 작용하였다. 법적으로 세르비아의 자치 지방이다.

[편집] 부분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 대한민국
    한국 전쟁이 끝나고 남은 자본주의, 북은 공산주의 체제의 정부를 만들었는데, 그 후 전자는 자본주의 국가들에게 인정되었으며 후자는 공산주의 국가들에게 인정되었다. 1991년 둘 다 UN에 가입했으나 아직도 일부는 그 둘 중 하나만 인정하고, 그 둘 서로가 자기가 정통 정부라고 주장한다. 남쪽 정부는 1990년대 초반에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 등 과거에 북쪽 정부만을 승인했던 공산주의 국가들과 수교하게 되면서 실제적으로 한반도의 공식 정부로 인정 받게 되었다. 하지만 시리아쿠바 등의 국가는 여전히 북쪽 정부만을 승인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1971년부터, 대다수의 국가들에게 국가로 인식되어 현재, 167개국은 독립국임을 인정한다. 하지만 24개 국가는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아직도 중화민국을 인정한다. 1970년대까지 대다수의 국가들은 중국의 정부로 중화인민공화국 대신에 중화민국을 인정했다.
  • 키프로스 키프로스
    키프로스는 대부분의 국가들에게 국가로 인정되지만, 터키가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대신 터키 정부는,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이 국가라는 것을 인정한다. 터키가 키프로스를 포함하는 유럽 연합에 가입하는 것을 시도할 때 문제가 된 것도 바로 그것 때문이었다.
  • 이스라엘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많은 팔레스타인의 독립을 찬성하는 아랍 사람과 24개국의 회교도 국가와 관계가 좋지 못해, 즉 팔레스타인 문제로 인해 39개 국가로부터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
  • 바티칸 시국 바티칸 시국
    바티칸 시국은 174개 국가에 의해 국가로 인정된다. 특히, 중화민국은 인정하지만 중화민국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중화인민공화국은 바티칸 시국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

[편집] 옛 미승인/부분승인 국가

[편집] 아시아

[편집] 아프리카

  • 앙주앙 섬(1997년~2002년): 코모로 소속 하에 있었다.
  • 저바랜드(1998년~2001년): 소말리아에 있는 국가 중 하나인 남동쪽 텐 소말리아에 있었다.

[편집] 유럽

[편집] 아메리카

[편집] 오세아니아

[편집] 영토를 사실상 통제했으나 부분적으로 인정된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