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포에니 전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차 포에니 전쟁
(포에니 전쟁의 일부)
날짜 : 기원전 264년 ~ 기원전 241년
장소 : 지중해 일대, 시칠리아, 사르데냐
결과 : 로마 공화정 승리
교전국
로마 공화정 카르타고
지휘관
레굴루스
카툴루스
두일리우스
크산티푸스
하밀카르 바르카
하스드루발
한노

제1차 포에니 전쟁(기원전 264년-기원전 241년)은 카르타고로마 공화정 사이의 3번의 포에니 전쟁 가운데 첫번째 전쟁이다. 23년 동안, 두 세력은 서부 지중해 패권을 놓고 전쟁을 하였다. 전쟁의 결과, 로마 공화정이 승리하였고, 승리의 권한으로 카르타고에 수직적 불평등 조약 및 엄청난 전후 배상금을 부과하였다.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6년간 로마 공화정은 팽창을 거듭하여 지중해 대부분을 장악하였다.

목차

[편집] 배경

기원전 3세기 중반 무렵, 로마 공화정의 세력은 팽창하였다. 내부의 반란과 분란을 잠재우고, 이탈리아 반도를 로마의 이름으로 결속시켰다. 라틴 동맹이나 삼니움족과 같은 적은 모두 무찔렀으며, 에페이로스의 피로스의 침략도 격퇴하였다. 로마 공화정은 스스로의 군사력과 정치체계에 도취되어 있었다.

반면, 과거 페니키아의 도시였던 카르타고는 당시 북아프리카 연안 및 이베리아 반도 일부를 거느리는 거대한 제국이 되어 있었다. 카르타고는 시칠리아 해협을 비롯한 이탈리아 반도 주변의 해상을 장악하며 대부분의 지중해 교역로 및 경제권을 관할하고 있었다.

한니발의 전쟁을 포함하는 로마 공화정과 카르타고간의 3번의 전쟁은 로마 제국의 등장을 지연시켰다. 로마의 승리는 고대 지중해의 소유권이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넘어간 기점이 된다.

[편집] 발단

전쟁전 로마이탈리아본토 전역을, 카르타고는 지금의 알제리, 튀니지 지역을 중심으로 에스파냐, 시칠리아 반도 절반, 사르데냐 섬을 장악하고 있던 해상강국이었다. 시칠리아는 카르타고와 로마 중간에 위치하여, 이 곳을 다른 쪽에 내어주면 적을 코앞에 두게 되는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었다.

한편, 카르타고의 영토가 아닌 시칠리아 절반에는 히에로 왕이 다스리는 나라가 있었다. 이 히에로왕은 마에스트로의 용병을 구해 시칠리아를 지키려 하였으나, 오히려 용병들이 히에로 왕을 몰아내려 반란을 일으킨다. 이들은 내전을 벌이던 중 다급해진 마에스트로 용병들은 로마와 카르타고 모두에 도움을 요청한다.

[편집] 전개

마에스트로 용병들의 요청을 받은 카르타고와 로마는 곧 군대를 편성해 시칠리아로 파견한다. 그러나 카르타고는 아직까지 신흥국인 로마를 얕보고 군대를 느긋하게 출발시켰으나, 로마는 신속히 군대를 시칠리아로 파견했다. 이 때, 로마는 오히려 시칠리아 상륙 즉시 용병들을 없애고 시칠리아를 장악했다. 로마는 강한 육군으로 늦게 도착한 카르타고-히에로 연합군을 물리쳤다. 이것이 카르타고와 로마의 본격적인 전쟁돌입이었다. 본디 카르타고는 해운업이 왕성하여 무역로를 보호하기 위한 해군이 강했고, 로마는 이탈리아반도의 통일을 위한 육군이 강했다.

전쟁이 시작되자 해전은 모두 카르타고의 승리로, 육전은 모두 로마의 승리로 돌아갔다. 로마는 해전에서 승리하기 위해 코르부스(corvus, 일명 까마귀 배)라는 배를 만들게 되고, 카르타고는 스파르타의 유명한 장군들을 고용했다. 그러나, 여전히 전쟁은 똑같은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로마의 레굴루스 장군이 본토침략을 계획하고 몰래 상륙하였으나, 카르타고에 고용된 스파르타인 크산티푸스장군에게 크게 패배하고 레굴루스는 죽게되었다. 또한 철수도중 폭풍우로 인해 로마로 살아 돌아간 병력은 10분의 1도 되지 않았다. 그러나, 계속된 승리에 방심한 카르타고는 로마와의 해전에서 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 전쟁에서도 패하게 되었다. 로마는 3200탤런트라는 거금의 배상금과 시칠리아의 병합, 사르데냐의 중립화 등을 요구했다.

[편집]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