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시리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국지 시리즈(일본어: 三國志シリーズ(さんごくししりーず)는 삼국지를 바탕으로 1985년 주식회사 코에이(光栄;현재 고에이(コーエー)가 발매한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시리즈이다. 다른 작품인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와 함께 역사 시뮬레이션으로써 유명하다.
타이틀 뒤에 부제가 붙는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와는 달리 작품 타이틀 뒤에 번호을 매기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10번째 작품까지는 로마숫자가 사용되었으나 11번째 작품부터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고 있다.)
목차 |
[편집] 게임의 배경
후한말기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중국대륙에 할거한 군주(군웅)중 한명이 되어, 중국을 통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다. 기본은 전쟁에 의해 적 군주의 지배영역을 공격해 빼앗고, 계략과 외교을 구사해 적을 약체화시키면서 또한 농지개발과 상업투자등을 실시해 세수을 증가시키것이 기본적인 일이다.
[노부나가의 야망]과는 달리 시리즈 첫번째 작품부터 휘하무장의 개념이 존재해 우수한 인재을 재야에서 등용하고 아니면 다른세력으로부터 빼앗아 활용하는것이 작품의 커다란 특징이었다.
작품에 따라서는 군웅이외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삼국지Ⅱ]부터는 [신군주]로써 플레이어가 직접 작성한 오리지널인물을 군주로 등장시킬수도 있고, 작품을 거치면서 오리지널인물을 처음부터 게임에 등장하는 인물과 혈연관계을 형성할 수 있는등, 세심한 설정도 할수있게 만들었다.
[편집] 게임내용
게임의 기본적인 흐름은 작품을 통해서 그대로 통용된다. 일반적으로 내정으로 국력을 높이고, 우수한 인재을 등용해 주변나라를 공격한뒤 전후처리(치안의 회복등)을 실시하고, 다시 주변나라을 공격하는것을 되풀이 한다. 주요 내정명령어는 개간, 상업, 순찰, 병량풀기, 개수등이다. 주요 군사명령어는 훈련, 징병, 모병(질이 높은 병사가 모집된다), 전쟁등이있다. 주요 계략명령어는 구호탄랑계(駆虎呑狼의 計;적의 성주에게 모반을 일으키게한다), 이호경식계(二虎競食의 計;군주들끼리의 우호도을 낮춰 전쟁을 일으키게한다), 매복의 계(埋伏의 計;적에게 무장을 은밀히 침투시킨다), 이간의 계(離間의計;적무장과 군주사이을 이간시킨다),유언(流言;적의 주민치안도을 떨어뜨린다.)등이 있다. 주요 인재명령어는 탐색, 등용, 포상, 해고등이 있다. 주요 외교명령어는 동맹, 파기, 선물, 공동작전, 권고등이 있다. 이상의 명령어을 구사하여 최종적으로 중국을 통일하는 것이 목표이다. 즉 타임리미트가 설정되어 있어, 350년이 지나면 강제적인 베드엔딩이 되는 작품이 많았다.(어느정도의 햇수가 지나가면 무장들이 차례로 사망하거나 전투중에 죽기 때문에 보통 플레이를 하다보면 타임리미트로 인해 게임오버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3탄에서는 1국(1도시)에 최소 1명의 무장을 배치하지 않으면 어떤 군주도 지배하지 않는 공백지가 되어버렸다. 그 때문에 후반에 이르면 무장숫자가 부족해 클리어불능에 빠지는 경우도 발생했다. 5탄 부터는 한번 군주의 지배하에 들어간 도시는 무장이 부재하더라도 공백지가 되지않아, 최저 1명이 남아있더라도 클리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무장이 없는 도시에 공격해 들어가는 상황이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그 도시는 빼앗기게 되어 있다.(작품에 따라서는 재야무장이나 방랑군이 도시을 빼앗아 버리는 경우도 있다)
[편집] 무장의 능력설정
본 시리즈에 등장하는 인물의 능력과 설정은 <삼국지통속연의>(三國志通俗演義)을 바탕으로 한 요시가와 에이지(吉川英治)의 [삼국지]에 근거한다. [삼국지Ⅱ]이후 [역사이벤트]라 불리는 일정조건을 만족하면 역사적 사건이 게임중에 재현되는 것이 있다. 예를들면 [삼고초려]을 재현하는 이벤트는 제갈량이 유비의 휘하로 있으면 된다. 특히 [삼국지Ⅹ]에서는 이벤트에 의해 강제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예를들면 특정세력이 멸망하는 등)많이 있다. 이러한 이벤트의 묘사도 기본적으로는 [연의]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나 [연의]와 요시가와 에이지의 [삼국지]을 기본으로 한 결과, 사실에 비해 촉한이 게임에서 너무 유리하게 되었다. 그리고 [연의]에서 무능하게 묘사된 인물이 게임에서도 무능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무능하게 취급되었던 촉한이외(위와 오, 기타)의 팬들을 중심으로 비판이 목소리가 높았다. 그 때문에 작품을 연이어 거치면서 [연의]와 <정사>(역사서의 삼국지)에서의 평가가 차이가 있는 인물은 정사에 기초를 두어 재평가하게 되었다. 역사이벤트도 일부 정사에 기초하여 추가하였다. 또한 일본의 경우지만 읽는 방법도 변하게 되었다.
다만 정사에서 활약하지 않던 가공의 인물이 있어도 [연의]등에서 활약한 인물은 그 이미지을 무너지지않는 정도로 평가을 떨어뜨리지 않았다. 코에이의 [삼국지]시리즈 발매는 역사서 [삼국지]의 일본어해석판 완성(1989년), 문고화(1993년)과 그 궤적을 같이하였기에 이것은 팬과 코에이에게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본 시리즈는 [연의]등의 삼국지을 취재하여 만든 창작물은 물론 역사서 [삼국지]을 팬에게 보급하는 역할도 맡았을 정도로 그 영향이 컸었다.
등장인물도 처음엔 [연의]와 요시가와 [삼국지]에 등장하던 인물로 거의 후한말기의 인물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타이틀인 [삼국지]라 말하는 정식으로 삼국시대로 들어가는 220년이후의 년대에는 무장이 부족해 게임을 진행하는일이 어려워졌다. 그 이유로 이후 [연의]에서는 단역이지만 정사에서는 활약한 인물, [연의]에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 인물도 등장하게 되었다. 년대에서도 280년 오나라 멸망시 관계자까지 총망라하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삼국지연의]와 요시가와 삼국지, 요코야마 미쓰데루의 삼국지(시부사와 코우도 이 만화의 팬으로 문고판 삼국지에 코멘트을 남겼다)등, 삼국지시대을 소재로 했던 창작품과 역사서인 삼국지(거기에 근래에는 [후한서]와 [진서]도 있다)인 양쪽이 들어가 서로 혼합되어 설정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배경을 알지못하는 소비자가 처음 접했을 상황에서 호감이 어느정도 있는지 알수가 없다. 최근에는 진 삼국무쌍시리즈등에 의해 코에이 자신이 만들어낸 이미지의 유입도 일어나고 있다.
[편집] 작품일람
[편집] PC용,휴대용게임기
- 삼국지 초본삼국지(1985년)
[초본](抄本)은 플로피디스크 2대을 장비한 PC에서만 플레이되는 [삼국지]로써, 일부 시나리오와 [약탈]등 사용빈도가 낮은 명령어등을 생략한 드라이브 1대만 있는 PC에서도 동작가능한 것도 있다. 판매가도 낮게 설정되었다. 후에 발매된 패미콘판은 이것을 베이스로 했다.
- 삼국지 Ⅱ(1989년)
계략, 신군주등의 요소를 추가했다.
- 삼국지 Ⅲ(1992년)
도시단위전투, 신무장, 통솔능력, 수군능력이 추가되었다.
- 삼국지 Ⅳ(1994년)
투석기, 연노(連弩)등 병기, 포로무장이 등장했다.
- 삼국지 Ⅴ(1995년)
진형(진형에 의해 유리함과 불리함이 있다), 명성(명성에 의해 군주의 행동수치가 제한받게 되었다)등의 도입
- 삼국지 Ⅵ(1998년)
무장의 연령에 비례하는 능력치, 주의(主義)와 파벌등이 도입되고, 전쟁에서 최초로 반 리얼타임제가 도입되었다.
- 삼국지 Ⅶ(2000년)
모든 무장을 플레이 가능하였다.
- 삼국지 Ⅷ(2001년)
Ⅶ의 발전형. 결혼과 자식교육등이 추가되었다.
- 삼국지 Ⅸ(2003년)
다시 군주제로 변환, 3D맵 1장에 의한 반 리얼타임제을 도입했다.
- 삼국지 Ⅹ(2004년)
모든 무장 플레이, 전역(戰役)의 추가
- 삼국지 11(2006년)
군주제, 3D맵 1장, 시설을 맵상에 배치하고 핵사내정
[편집] 휴대용 게임기
삼국지 게임보이판(1992년 9월 30일 발매)
- 게임보이카라(GBC)
삼국지 게임보이판2(1999년 7월 30일 발매) (베이스는 삼국지Ⅱ)
삼국지 for WonderSwan(1999년 4월 1일 발매)
삼국지Ⅱ for WonderSwan(2000년 4월 6일 발매) (베이스는 삼국지Ⅱ)
삼국지(2001년 11월 30일 발매) (베이스는 삼국지Ⅳ)
삼국지DS(2006년 2월 23일 발매) (베이스는 삼국지Ⅲ))
삼국지DS2(2007년 발매예정) (베이스는 삼국지Ⅳ)
삼국지ⅤPSP판(2005년 4월 1일 발매))
삼국지ⅥPSP판(2005년 10월 6일 발매))
삼국지ⅦPSP판(2006년 2월 9일 발매))
삼국지ⅧPSP판(2007년 3월 21일 발매))
[편집] 관련사건
PC판 삼국지Ⅲ의 개조데이타을 판매했던 회사을 상대로 코에이가 저작권 침해소송을 법원에 제기했다. 고등재판소는 개조데이타을 배포한일 자체가 저작권 침해는 아니기에 청구을 기각했다. [1] [삼국지Ⅳ]이후 게임내용을 확장한 <파워업 키트>을 꼭 발매하게 되었는데, 거기엔 데이타편집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얘기는 개조데이타의 배포에 대한 대항조치라 할 수 있었다.
파워업 키트가 발매되면서 이와 마찬가지로 데이타을 개조하는 프리 소스가 작성되어 돌아다니게 되었다. 그 이유로는 프리웨어에서는 파워업 키트에 들어있는 편집기능 이상의 편집이 가능한 것과 파워업 키트가 나오기 전부터 데이타을 개조할수 있는것등이 꼽을 수 있었다. 현재는 중국에서 만든 소스(통칭 대륙소스)을 사용하는 사람도 상당수 존재한다. 또한 특히 PC판 소비자들로부터 [파워업 키트]와 플레이스테이션2 이식판에서의 개량을 전제로 통상판에서는 불완전한 내용을 그대로 발매한것에 대해서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건에 대해서 코에이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의 찬불을 참조하면 좋다.
한국의 경우 삼국지 11 PK가 정식 발매되지 않고 있다. 코에이 코리아의 고가 정책에 인한 판매 부진도 이유지만, 무엇보다도 한국 게이머의 불법 복제로 인한 게임 시장의 축소가 가장 큰 이유라 할 수 있다.
[편집] 관련항목
-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 푸른 늑대와 하얀 암사슴도 합쳐 3작품을 [역사삼부작]이란 호칭을 잠시 사용하였다.
- 역대 패키지 일러스트 담당자
오우라이 노리요시(生頼範義) 2탄 ~ 4탄까지 그외 파생된 이식작을 담당
나가노 즈요시(長野剛) 5탄과 7탄이후, 그외 파생된 이식작을 담당. 6탄 패키지는 인물일러스트는 하지 않았다.
- 역대 음악작곡자
칸노 요코(菅野よう子)(I(초대))
무카이야 미노루(向谷実) (II、III)
나가오 준(長生淳) (IV)
핫토리 다카유키(服部隆之) (V)
쓰노 고우지(つのごうじ) (VI)
하세가와 토모키(長谷川智樹) (VII)
하세베 토오루(長谷部徹) (VIII)
구리야마 가즈키(栗山和樹) (IX)
이케 요리히로(池頼広) (X、11)
[편집] 외부 링크
- ((일본어)) 삼국지
분류: 삼국지 (게임) | 턴제 전략 게임 | 컴퓨터·비디오 게임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