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토론:기여자 고유의 연구 성과로 의심되는 문장이 포함된 문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분류 명칭에 대한 의견

명칭을 한글로 의역함으로서 초보자도 이해하기 쉬울 수 있지만, "Original Research"를 "기여자 고유의 연구 성과"로 의역한 것은 조금 과한 의역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위키백과의 "Original Research"가 아닌 문자 그대로 "기여자가 어떤 학자인데 자신만의 고유한 연구 성과이다"란 의미도 담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무엇보다도 "Original Research"에 대한 한국어 명칭이 먼저 정해져야 겠지만, 그 전에는 굳이 모든 용어를 한국어로 옮길 필요없이 간단히 "Original Research를 포함하는 문서" 등의 정도로 만드는 건 어떨까요?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8월 30일 (목) 19:44 (KST)

한국어가 아닌 이름을 분류명에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는 것 같아서 의역했습니다만, 과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데요. 기여자가 저명한 학자인 경우라도 다른 신뢰할만한 매체(저널, 책, 논문 등)에 사전에 발표(publish)되지 않은 고유의 연구 성과를 위키백과에 포스팅하는 것도 original research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Sjhan81 2007년 8월 30일 (목) 19:55 (KST)
예, 물론 그러합니다만, "기여자가 저명한 학자인 경우에 다른 신뢰할만한 매체에 사전에 발표된 경우"도 "기여자 고유의 연구 성과로 의심되는 문장이 포함된 문서"의 여러 해석 중에 가능한 해석같습니다. 또한 original research의 정식 한국어 명칭이 아직 명시되지 않았다고 해서 이를 의역하기 보다는 정식 명칭을 정하는 게 먼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8월 30일 (목) 19:59 (KST)
분류명으로 그런 해석까지 예상하는 것은 좀 섣부르다고 생각합니다. 오해 소지를 막는다고 Original research로 의심되는 문장이 포함된 문서를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분류:다른 신뢰할만한 매체에 발표되지 않은 기여자 고유의 연구 성과로 의심되는 문장이 포함된 문서 정도가 되겠지만 분류명으로 쓰기에는 너무 길고요. 먼저 'Original research'라는 용어의 한국어 번역을 정하는 데에 애써주세요. 분류명은 추후에 고칠 수 있습니다. --Sjhan81 2007년 8월 30일 (목) 20:02 (KST)
네, 제가 말한게 "정식 명칭을 정하는 게 먼저" 였습니다. :)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8월 30일 (목) 20:05 (KST)
위에서 "그 전에는 굳이 모든 용어를 한국어로 옮길 필요없이 간단히 "Original Research를 포함하는 문서" 등의 정도로 만드는 건 어떨까요?"라고 하셔서 정식 명칭을 정해지기 전에 일단 이 분류명을 바꾸자는 소리로 이해했네요. 사실 'original research를 포함하는 문서'도 정식 명칭이 아닌 바에야 바꿀 필요가 없죠. 어차피 'original research'의 정식 번역이 정해지면 바꿔야 할거니까요. --Sjhan81 2007년 8월 30일 (목) 20:08 (KST) (해당 부분에 강조 표시를 하시기 전에는 그렇게 오해할 수 있었습니다^^) --Sjhan81 2007년 8월 30일 (목) 20:10 (KST)

참 그리고 틀토론:고유연구에서도 언급한 것 처럼, 한국어 위키백과No Original Research 정책이 미처 도입되지 않았더라도 백:아님#사견 정책에 준해서 이해(해석)할 수 있습니다. --Sjhan81 2007년 8월 30일 (목) 20:19 (KST)

"독창적 의견이 포함된 문서" 혹은 "독창적 의견으로 보이는 내용이 포함된 문서"라고 하면 어떨까요? 문맥에서 original의 의미를 생각하면 "독창적"이 적절한 번역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Atreyu 2007년 9월 6일 (목) 10:57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