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 |
---|---|
그림:http://alp.org.au 클릭. | |
오스트레일리아의 정파 | |
창립 | 1891년 |
노선 | 사회민주주의 |
지도자 | 케빈 러드(2006~) |
본부소재지 | 호주 캔버라(ACT) |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에이엘피, The Australian Labor Party, ALP)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정당이자, 진보-개혁세력을 대표하는 '중도 좌'의 정파이다. 영국식 표기의 영향을 받은 오스트레일리아 영어에서 '노동'은 주로 'Labour'로 사용되지만, 1912년부터 대중정당으로의 도약의지를 표명하며 미국식 표기로 바꿔 사용하고 있다.
목차 |
[편집] 당의 역사
1891년에 노동조합 정치세력화의 산물로 창당했으며, 20세기 초반에만 해도 사회주의에 매우 가까운 정통 좌파 정책들을 펴왔다. 자국 노동시장의 보호를 위해 백호주의를 지지하다 1973년 집권당시 폐기했다. 1970년대 초반 잠시 집권한 기록을 제외하고는 세계대전 이후 수십년동안 집권기록이 없었다가, 사회민주주의를 추구하는 중도진보적 대중정당으로 탈바꿈한 1983년에 가서야 밥 호크와 폴 키팅총리의 지도 아래 13년간 집권하였는데, 일부 신자유주의성향의 정책을 수용하는 등 유연성을 보이면서 경제개혁을 추진했다. 1996년 보수파의 수장 존 하워드의 총리 등극 이후 현재까지 야당생활을 하고 있으나 최근 케빈 러드당의장 취임(2006년 12월) 이후 혁신적인 정책들과 이미지를 내세워 지지율이 급상승, 2007년 선거에서 재집권(정권교체)을 목표로 정책을 수립(준비)하고 있다.
소선거구 선호투표제의 영향으로, 보수파에 반대하나 제도에 가로막혀 연방의회(국회)에 의석을 내지 못하는 군소정당 녹색당과 민주당의 절대다수 지지자들도 이 당을 지지(투표시 자신들의 지지정당을 1번, 노동당은 2번, 보수연립은 맨 아래)한다.
당의 운영방식은 독일 사회민주당의 틀과 유사하나, 최근들어 미국식 요소들이 많이 포함되었다. 국민들의 지지와 압력을 많이 받는 대의원들이 운영하고 있다.
[편집] 당의 주요 정책
2007년 4월 전국전당대회에서 결의한 핵심정책은 다음과 같다.
(http://alp.org.au/platform/index.php 에 업데이트되는 즉시 이곳에 요약, 작성 예정)
2007년 5월 현재 '더욱 빠른 초고속통신망 구축'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집권시 27억$의 공공투자를 통해 전국 98%의 지역에 현재보다 40배 더 빠른 속도(약 6Mbps)의 인터넷망을 구축하겠다고 발표, 평소 느린 속도에 불만이 많은 국민들(특히 젊은층)의 지지와 아울러 정보통신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1].
[편집] 당 출신 주요 정치인 명단
[편집] 역대 당의장
- Chris Watson 1901-08 (연방총리 1904)
- Andrew Fisher 1908-15 (연방총리 1908-09, 1910-13, 1914-15)
- Billy Hughes 1915-16 (연방총리 1915-23, 1916년에 당에서 제명됨)
- Frank Tudor 1916-22
- Mathew Charlton 1922-28
- James Scullin 1928-35 (연방총리 1929-32)
- John Curtin 1935-45 (연방총리 1941-45)
- Ben Chifley 1945-51 (연방총리 1945-49)
- Dr H.V. Evatt 1951-60
- Arthur Calwell 1960-67
- Gough Whitlam 1967-77 (연방총리 1972-75)
- Bill Hayden 1977-83
- Bob Hawke 1983-91 (연방총리 1983-91)
- Paul Keating 1991-96 (연방총리 1991-96)
- Kim Beazley 1996-2001
- Simon Crean 2001-03
- Mark Latham 2003-05
- Kim Beazley 2005-06
- Kevin Rudd 2006-현재
[편집] 현직 주지사(주 총리) 명단
2002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모든 연방주-준주포함-의 총리(주 수상, Premier)는 이 당의 정치인들이 역임중이다. 참고로, 2개 준주의 실권자는 '최고장관'이다.
- Peter Beattie (퀸즐랜드 주총리, 1998년 6월 20일부터 재임, 2006년 9월 3선.)
- Steve Bracks (빅토리아 주총리, 1999년 10월 19일부터 재임, 2006년 11월 3선.)
- Clare Martin (북부준주 최고장관, 2001년 10월 18일부터 재임, 2005년 6월 재선.)
- Jon Stanhope (호주수도준주 최고장관, 2001년 11월 5일부터 재임, 2004년 재선.)
- Mike Rann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총리, 2002년 4월 5일부터 재임, 2006년 3월 재선.)
- Paul Lennon (태즈메이니아 주총리, 2004년 3월 21일부터 재임, 2006년 3월 재선.)
- Morris Iemma (뉴사우스웨일스 주총리, 2005년 8월 3일부터 재임, 2007년 3월 재선.)
- Alan Carpenter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총리, 2006년 1월 25일부터 재임.)
[편집] 주석 및 참고자료
[편집] 바깥 링크
- ((영어)) 공식 홈페이지
- ((영어)) 당 정책연구소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