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의 저작권에 대한 적절한 소명이 없다면 정책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해당 글의 토론을 참고해주세요.

삼성경제연구소는 한국의 대표 민간연구기관이자 세계적 싱크탱크이다.

목차

[편집] History

창업의 시대 Inception

1986. 7 삼성생명 부설 연구기관으로 설립

1986. 7 임동승 연구소장 취임

1987. 7 제1회 창립기념 국제심포지엄 개최


성장과 교류 Growth & Exchange

1990. 7 경영컨설팅사업 진출

1991. 4 주식회사 삼성경제연구소로 전환

1991. 12 분기별 『소비자 태도조사』 발표

1993. 1 『1초를 잡아라』 출간으로 도서출판 및 판매사업 진출

1993. 9 부설 삼성지구환경연구소 설립

1993. 10 『SERI CLUB』발족으로 정보회원제사업 진출

1994. 7 삼성생명빌딩에서 삼성본관으로 사옥 이전


경쟁기반구축 21st Century SERI and Korea

1995. 5 최우석 연구소장 취임

1995. 8 지역별 상공인, 학계 등이 참여하는 『지역경제포럼』 출범

1995. 8 주간 이슈진단지 『CEO Information』창간

1996. 2 창립 10주년 기념 대학(원)생 논문 현상공모

1996. 7 『삼성경제연구소 10년사』발간

1996. 9 삼성본관에서 국제센터빌딩으로 사옥 이전

1996. 10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www.SERI.org)

1997. 7 연구자료 DB 외부 공개

1997. 12 삼성지구환경연구소를 삼성엔지니어링으로 이관


한국의 SERI로 to SERI of Korea

1998. 12 <IMF DB> 구축(「석학이 본 한국경제」로 개칭)

1999. 4 지식경영심포지엄 개최, <지식 DB> 구축

1999. 4 사이버 커뮤니티인 『Cyber SERI Club』 발족

2000. 2 세계경제에 대한 분석과 조망을 제공하는 「World Report」창간

2000. 3 벤처 심포지엄 개최

2000. 4 디지털 심포지엄 1차 개최

2000. 5 나눔의 경제 심포지엄 개최

2000. 9 ‘한국경제의 관문'으로서의 영문사이트, Koreaeconomy.org 개설

2000. 10 '디지털 심포지엄 2차' 개최

2000. 11 '한•중•일 산업협력방안' 심포지엄 개최

2001. 1 글로벌연구네트워크 구축 서비스인 EBITzone 오픈

2001. 5 인터넷사이트 SERI, 인터넷 리서치 기관인 Alexa가 선정한 전세계 싱크탱크 사이트 중 1위

2001. 5 '산업경쟁력' 심포지엄 개최

2001. 7 『삼성경제연구소 15년사』발간

2001. 10 경영층을 위한 멀티미디어서비스, SERICEO 오픈

2001. 11 '근로복지정책'토론회 개최

2001. 12 '여성인력활용 선진화 방안'심포지엄 개최

2002. 2 SERICEO 외부 오픈

2002. 3 '중국'심포지엄 개최

2002. 4 '최근경기와 산업' 심포지엄 개최

2002. 4 '벤처의 위기와 새싹' 심포지엄 개최

2002. 9 사이버SERI회원 30만 돌파

2002. 10 '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 심포지엄 개최

2002. 11 '벤처농업 미래가 보인다' 심포지엄 개최

2002. 12 성균관대와 KGSS(한국종합사회조사)협약


세계의 SERI로 to SERI of the world

2003. 4 Korea Herald와 영문 심포지엄 개최("The Korean Economy after the War in Iraq")

2003. 5 그룹 임직원을 위한 싱글토픽 SERI 오픈

2003. 6 '한국의 국가경쟁력, 이대로 괜찮은가' 심포지엄

2003. 9 정구현 연구소장 취임

2003. 9 'DDA대응 농촌경제활성화와 어메니티자원 개발' 심포지엄

2003. 10 박물관 입체정보, 『SERIMUSE』 오픈

2003. 10 'The Outlook of the Korean Economy in 2004' 심포지엄

2003. 11 '2003, 벤처농업 미래가 보인다' 심포지엄

2004. 5 'Outlook for the Korean Economy in the Second Half of 2004' 심포지엄

2004. 5 농촌관광 & 생태관광 이야기, 『TOURLAB』 오픈

2004. 6 '한국인의 가치지향 : 국제비교' 국제 심포지엄 개최

2004. 6 '한국의 기업가정신, 진단과 과제' 심포지엄 개최

2004. 6 '한ㆍ중ㆍ일 금융산업에서의 외국자본의 역할' 국제 심포지엄 개최

2004. 7 '농촌관광, 미래가 보인다' 심포지엄 개최

2004. 9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의 대응' 국제 심포지엄 개최

2004. 9 '경제재도약을 위한 10대 긴급제언' 심포지엄 개최

2004. 9 군인공제회 온라인학습시스템, 『엠키스』 오픈

2004. 9 '한중 금융개혁과 발전의 경험' 한중경제포럼 창립세미나 개최

2004. 10 '한국 경영학 교육의 혁신' 심포지엄 개최

2004. 10 '한국경제 2만불 달성을 위하여' 심포지엄 개최

2004. 10 사이버 세리회원 85만명 돌파

2004. 10 지식맞춤사이트 오픈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카드, 하나은행)

2004. 11 세계를 향한 한국경제의 창, 『SERIWORLD』 (www.SERIWorld.org)

2004. 11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중소기업 협력모델 모색’ 심포지엄

2004. 12 ‘한•일 FTA의 파급영향과 추진과제’ 심포지엄 개최

2004. 12 ‘Defining The US-Korea Alliance : Economic and Security Challenges’ 국제 심포지엄


2005 National Regional Global

2005. 1 '2005년 환율전망과 외환 위험관리' 심포지엄 개최

2005. 2 Digital2 열린연구 프로젝트 개시

2005. 4 '21C 한미관계: 도전과 대응' 심포지엄 개최

2005. 5 FCC(외신기자클럽) 회신기자회견 개최

경제∙경영지식포털 SERI.org 100만 회원 돌파
'한국인의 경제 및 시민의식과 사회연결망: 국제비교' 심포지엄 개최

2005. 6 한・일 지식의 연결가교 SERIjapan 사이트 오픈 (www.SERIJapan.org)

열린연구공간 Digital2 사이트 오픈 (www.digital2.or.kr)
'海神, 글로벌 전략가 장보고' 심포지엄 개최
'대학혁신과 경쟁력' 심포지엄 개최
'매력 있는 한국, G10 in Y10 프로젝트 : 2015년 10대 선진국 진입 전략' 국회 심포지엄 개최

2005. 7 삼성경제연구소 북경대표처(SERI China) 설립 인가

'농촌관광, 개발이 아니라 경영이다' 심포지엄 개최

2005. 8 6시그마 이노베이션 게이트, SERI6sigma 사이트 오픈 (www.SERI6sigma.org)

2005. 11 복잡계 네트워크, Complexity 사이트 오픈 (www.complexity.or.kr)

FCC(외신기자클럽) 회신기자회견 개최
'멋있는 한국농업을 위해서' 심포지엄 개최
'BRICs 재조명-잠재력과 리스크 요인' 심포지엄 개최
'대한민국이 열어가는 디지털 르네상스, Digital2' 심포지엄 개최


2006년(창립 20주년)

2006. 1 SERI 사이트 개편으로 열린 지식생태계 구현 (www.SERI.org)

SERI KMS(지식경영시스템) 오픈

2006. 2 열린연구센터 신설(디지털연구센터, 복잡계센터)

일본 JRI와 상호협력 조인식
경제안보팀, 글로벌 경제실 소속으로 변경(3본부 9실 2센터)
'글로벌 기업의 동북아 R&D 전략' 국제 컨퍼런스 개최

2006. 3 자원봉사센터 발족

2006. 3 삼성경제연구소 북경대표처(SERI China) 사이트 오픈 (www.SERIChina.org)

2006. 4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부협약(한사랑 캠페인 약정)

2006. 4 SERIJapan.org, 일본 Allabout 선정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2006. 5 2006년 한중 국제포럼 개최

KGSS 심포지엄(세대, 일 그리고 신뢰: 국제비교) 개최
FCC(외신기자클럽) 기자회견 개최

2006. 6 창립 20주년 기념 심포지엄 개최

- 주제: 한국경제의 역사적 전환과 도전(한국경제 20년의 재조명)

2006.7.1 창립 20주년 기념일

2006. 7 '농촌관광, 문화를 만나다' 심포지엄 개최

2006. 9 '인도 시장 어떻게 볼 것인가' 심포지엄 개최

'한국 정책지식 생태계 활성화 전략' 심포지엄 개최

2006. 9 SERIWorld 한ㆍ중ㆍ일ㆍ글로벌 중심으로 사이트 개편 (SERIWorld.org)

2006. 11 농업, 농촌의 명품화 전략' 심포지엄 개최

'중국, 2006년 평가와 2007년 전망' 심포지엄 개최

2006. 12 제 1회 복잡계 컨퍼런스 개최

2006. 12 SERICEO 매출 100억원 시대 개막(수주 기준)


[편집] Mission & Vision

Mission

  • 창의성과 종합력을 바탕으로 양질의 지식을 창출하여 기업과 국가사회를 선도한다
  •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략 • 정보를 창출하는 Think-Tank
- 경영여건 변화와 추세 파악을 통한 조기경보 발신
- 지속적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전략 및 시스템 제시
  • 국가와 사회를 선도하는 권위있는 오피니언 창조자
- 풍요로운 사회건설을 위한 범국가적 의제 설정(Agenda Setting)
- 자유시장경제 정착을 위한 정책 발굴


Vision

  • Knowledge Hub for Creative Solutions
- Knowledge : 환경변화의 근원과 향후 변화의 방향을 예견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정제화된 지식을 창출
- Hub : 전세계 다양한 지식이 상호 知的자극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지식교류의 場 (Newwork의 中心)을 형성
- Creative : 새롭고 도전적인 시각에서 기존 연구 패러다임을 극복하는 연구주제의 참신성과 연구방법의 창의성을 지향
- Solutions : 글로벌 • 동아시아 경제 통합시대를 대비, 기업 및 국가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 • 전략 제시
Problem Difiner : 환경변화의 근원과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가 • 사회발전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Agenda를 선제적으로 제시
Problem Solver : 대증적 접근방식을 지양하고 장기적, 구조적 관점을 견지 /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대안 제공(實事求是)



[편집] SERI 연구분야

경제연구

• 급변하는 경제동향을 점검 • 분석하여 경제 실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거시경제를 전망함으로써 기업경영 및 한국경제 정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 세계경제의 글로벌화에 대응하여 각국의 거시경제 동향은 물론 자원, 국제금융, 국제기업 전략 등 주요 글로벌 경제현안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합니다.

• 급속히 변화하는 국제금융의 흐름 속에서 국내 금융시장과 금융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합니다.


경영연구

•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개발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합니다. 미래의 환경변화를 고려하고, 전체 최적화를 염두해 두며, 기업경영에 직접 도움이 되는 현장 밀착형 연구를 통해 해답을 제시합니다.

• 국내외 경영환경의 변화와 흐름속에서 한국 기업이 당면한 새로운 인사조직 및 노사관계의 방향을 모색하고 실천적 전략을 제시합니다.

• 급변하는 산업 및 기술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 ∙ 연구하여 국가 및 기업에 대한 올바른 정책대안과 전략을 제시합니다.


정책연구

• 국가발전에 도움이 되는 공공정책 과제를 연구함으로써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정책결정 및 문제해결을 지원합니다.「기업하기 좋은 나라」실현을 위한 시장경제 이념과 제도를 모색하고,사회 속에서 제기되는 핫이슈에 대한 대안을 민간 시각에서 제시합니다.

• 각 지역의 SOC투자, 특화산업, 개발사업 등에 대한 전략 구상과 타당성 검토에 도움을 주어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또한 경제효율과 삶의 질의 조화를 위해 교육, 문화, 복지, 여가 등 다양한 사회시스템 연구를 수행합니다.

[편집] SERI 컨설팅 분야

경영전략

• 글로벌 경영전략

• 미래수종사업전략

• M&A 전략


• 비전 • 전략계획 수립

• 신사업개발전략

• BPR


• 시장 • 경쟁전략

• 구조조정방안

• e-BIZ 전략


인사 • 조직

• 전략적 토탈 인사시스템

• 조직설계

• 기업문화


• e-BIZ하의 인사전략(e-HRM)

• 핵심인력 채용 • 유지전략

• 리더십 개발


• 인적자원개발

• 평가 • 보상체계


기술 • 산업

• 산업전망 및 예측(수급 및 가격예측)

• 기술정책 및 전략

• 국내외 시장 분석(IT, BT, NT 등 신산업, 주력산업, 서비스산업)


• 기술 트랜드 분석

• 글로벌 R&D 전략


• 산업정책 및 전략

• 신사업 타당성 검토


정책 • 지역개발

• 금융정책

• 지역개발

• 경영수익사업


• 중소기업정책

• 관광 및 레저사업


• 교육 • 복지 • 여성 정책 등

• 농산업 발전방안


6시그마

• 6시그마 경영혁신을 위한 전문가 양성 컨설팅(DMAIC, DFSS, Black Belt 양성)

• 성공적인 6시그마 전개를 위한 경영 컨설팅(경영자 세미나, 추진전략)

• 6시그마 방법론을 심화하는 연구개발



[편집] 관련사이트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