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챔피언스리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EFA 챔피언스리그 |
---|
![]() |
시작년도 |
1955년 |
대륙 |
유럽 (UEFA) |
참가 팀 수 |
32 (조별 리그 참가팀 수) 76 (총 참가팀 수) |
최근 우승팀 (2006-07) |
![]() |
2008년 결승전이 열리는 곳 |
루즈니키 스타디움![]() |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한 팀 |
![]() (9회 우승) |
웹사이트 |
UEFA 챔피언스리그((영어)) UEFA 챔피언스리그((한국어)) |
UEFA 챔피언스리그(UEFA Champions League)은 1955년부터 시작된 UEFA가 주관하는 유럽 내 가장 성공적인 축구 클럽들을 위한 정기적인 클럽 축구 대회이다. 유럽 챔피언 클럽의 컵은 스포츠계에서 가장 일류의 클럽 트로피로 여겨진다.
덜 중요하게 여겨지며 챔피언스리그에 비해 약간 수준이 떨어지는 팀들이 나가는 UEFA컵과 이미 폐지된 UEFA 컵 위너스컵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가 분리되었다.
본선은 몇 개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세 개의 녹아웃 형식의 예선전부터 시작한다. 그 예선전을 뚫고 나온 16개 팀들과 16개 최상위 팀으로 분류된 32개팀이 8개조로 나뉘어 조별로 4팀씩 역시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뤄 1,2위 팀은 매 해 2월달부터 시작하여 5월달에 결승전을 끝으로 끝나는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을 하고 3위 팀은 UEFA컵의 32강(이 역시 조별 리그전 형식으로 치뤄진다)에 진출한다.
가장 최근의 챔피언스리그 트로피를 가진 팀은 AC 밀란으로, 2007년 5월 23일에 그리스 아테네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리버풀을 꺾으며 차지했다.
그리고 모스크바에서 챔피언스리그 2007-08시즌 결승전을 개최하게 된다.
목차 |
[편집] 역사
-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러피언 컵과 챔피언스리그의 역사입니다.
유럽의 각 국 리그의 우승팀간의 경기로, 유럽 챔피언 클럽 대회에서 유러피언컵 대회로 간소화된 이 대회는 일반적으로 생각될 만한 것과 달리 UEFA에 의해 시작된 대회가 아니라 프랑스 스포츠지 레퀴프의 편집자인 가브리엘 아노에 의해 1955년에 시작되었다. [1]
이 대회는 양 팀간 녹아웃 형식으로 1955/56년 시즌부터 시작되었다. 각 팀들은 두 경기씩 치뤄야 했는데, 한 경기는 홈에서, 또 다른 경기는 원정에서 치뤄야 하며 더 많은 승점(혹은 득점)을 얻은 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자격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 대회의 참가는 각 국내 리그에서 우승한 팀들로만 제한이 되었고 거기에 더하여 유러피언컵 보유자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예선 방식은 1992년까지 계속되었다. 1992/92시즌에 이 대회는 UEFA 챔피언스클럽으로 개명되었고 참여 자격이 각국 리그의 챔피언만 참여하던 것에서 성적이 좋은 2위팀들도 UEFA 점수에 따라서 대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되었다. [2] UEFA 점수 방식에 따르면, 스페인의 프리메라리가 2위 팀이 폴란드 프리미어리그의 1위팀보다 챔피언스리그의 자동 진출을 할 가치가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대회 방식은 상대적으로 실력이 낮은 국가의 리그의 우승팀을 본선을 향한 예선을 통과하도록 강요했고 그 반면에 상대적으로 실력이 높은 국가의 리그 2위팀은 자동적으로 본선 자리를 얻게 되었다.
대회 방식은 1991/92년 시즌부터 바뀌었다. 현재의 시스템은 2003년부터 적용되고 있다. 1960년부터 2004년까지의 본선 우승팀은 현재는 없어진 인터컨티넨탈컵(남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우승자와의 시합)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그 이후로는 FIFA가 대회를 인계받아, 우승팀은 자동적으로 다른 대륙의 클럽 선수권대회 우승팀들과 함께 FIFA 클럽 월드컵의 출전권을 획득한다.
[편집] 예선
- UEFA 점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편집] 본선
본선은 몇 개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3단계로 이루어진 예선전부터 시작하게 된다. 서로 다른 팀들은 각 팀들의 국내 리그 성적과 해당 리그의 UEFA 점수에 따라 그들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단계에서 시작하게 되지만 몇 개의 특정 리그(프리미어리그, 프리메라리가, 세리에 A 등 소위 빅 3라 일컫어지는 리그와 그 외 몇개의 리그들)의 최상위 팀들 16개팀은 조별 리그전에 직행한다.
이은 예선전에서는 참가한 팀들은 두 팀씩 묶이며 두 팀끼리 벌인 경기의 승자들은 다음 단계로 진출한다. 예선전은 7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이어진다. 3차 예선전의 패자 16개 팀은 UEFA컵 본선 1차전에 합류하며, 3차 예선전의 승자 16개팀은 자동적으로 조별 리그전에 진출한 16개 팀과 합류하게 된다.
본선에 진출한 32개의 팀은 8조 4개팀으로 나뉘어서 조별 리그전을 치루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특정 팀과 2번씩 총 6경기를 치루게 된다. 조별 리그전은 9월 중순부터 12월 초순 사이에 치뤄진다. 조별 리그전이 다 끝난 뒤에, 1위와 2위팀은 토너먼트 형식의 16강전에 진출하며 3위팀은 UEFA컵 본선 32강전으로 자리를 옮긴다. 1,2위팀 16개 팀이 치루는 16강전은 2월 말부터 결승전과 함께 5월에 끝난다.
모든 예선전과 토너먼트전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총 2번의 경기를 치룬다. 골 수의 총 합이 더 높은 팀이 다음 단계로의 진출권을 획득한다. 여기서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된다. 필요한 때에는 승자를 가리기 위해 연장전과 승부차기도 사용된다. 여기서 예외는 결승전으로, 이미 예정된 어느 팀의 홈도 아닌 중립 지역에서 단판으로 승자를 결정한다.
최근에 팀 추첨은 같은 국가의 협회에 속하는 팀들은 8강까지는 서로 만날 수 없도록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시드 배정시에 UEFA 점수도 사용된다. 대회 방식은 1991/92 시즌부터 변화되었다. 현재의 방식은 2003년에 적용되었다.
[편집] 결승
챔피언스리그 결승은 유럽 클럽 축구에서 그 시즌의 가장 중요한 경기이다. 결승 경기를 유치한 경기장은 UEFA에 의해 경기가 치뤄지기 2년 전에 결정된다.
시즌 | 우승팀 | 득점 | 준우승팀 | 경기장 |
---|---|---|---|---|
2008/09 세부 정보 |
![]() 올림피코 경기장 |
|||
2007/08 세부 정보 |
![]() 루츠니키 경기장 |
|||
2006/07 세부 정보 |
![]() |
2 - 1 | ![]() |
![]() 아테네 올림픽 경기장 |
2005/06 세부 정보 |
![]() |
2 - 1 | ![]() |
Stade de France, 파리 ![]() |
2004/05 세부 정보 |
![]() |
3 - 3 (연장전), 3-2 (승부차기) |
![]() |
아타튀르크 올림픽 경기장, 이스탄불 ![]() |
2003/04 세부 정보 |
![]() |
3 - 0 | ![]() |
아레나 아우프샬케, 겔젠키르헨 ![]() |
2002/03 세부 정보 |
![]() |
0 - 0 (연장전), 3-2 (승부차기) |
![]() |
올드 트래포드, 맨체스터 ![]() |
2001/02 세부 정보 |
![]() |
2 - 1 | ![]() |
Hampden Park, 글래스고 ![]() |
2000/01 세부 정보 |
![]() |
1 - 1 (연장전), 5-4 (승부차기) |
![]() |
산 시로, 밀라노 ![]() |
1999/00 세부 정보 |
![]() |
3 - 0 | ![]() |
Stade de France, 파리 ![]() |
1998/99 세부 정보 |
![]() |
2 - 1 | ![]() |
캄프 누, 바르셀로나 ![]() |
1997/98 세부 정보 |
![]() |
1 - 0 | ![]() |
암스테르담 아레나, 암스테르담 ![]() |
1996/97 세부 정보 |
![]() |
3 - 1 | ![]() |
올림피아스타디온, 뮌헨 ![]() |
1995/96 세부 정보 |
![]() |
1 - 1 (연장전), 4-2 (승부차기) |
![]() |
올림피코 경기장, 로마 ![]() |
1994/95 세부 정보 |
![]() |
1 - 0 | ![]() |
Ernst Happel Stadium, 비엔나 ![]() |
1993/94 세부 정보 |
![]() |
4 - 0 | ![]() |
스피로스 루이스 올림픽 경기장, 아테네 ![]() |
1992/93 세부 정보 |
![]() |
1 - 0 | ![]() |
올림피아스타디온, 뮌헨 ![]() |
1991/92 세부 정보 |
![]() |
1 - 0 (연장전) | ![]() |
웸블리 경기장, 런던 ![]() |
1990/91 세부 정보 |
![]() |
0 - 0 (연장전), 5-3 (승부차기) |
![]() |
Stadio San Nicola, 바리 ![]() |
1989/90 세부 정보 |
![]() |
1 - 0 | ![]() |
Prater Stadium, 비엔나 ![]() |
1988/89 세부 정보 |
![]() |
4 - 0 | ![]() |
캄프 누, 바르셀로나 ![]() |
1987/88 세부 정보 |
![]() |
0 - 0 (연장전), 6-5 (승부차기) |
![]() |
Neckarstadion, 슈투트가르트 ![]() |
1986/87 세부 정보 |
![]() |
2 - 1 | ![]() |
Prater Stadium, 비엔나 ![]() |
1985/86 세부 정보 |
![]() |
0 - 0 (연장전), 2-0 (승부차기) |
![]() |
Sánchez Pizjuán, 세비야 ![]() |
1984/85 세부 정보 |
![]() |
1 - 0 (참조: 헤이젤 참사) |
![]() |
Heysel Stadium, 브뤼셀 ![]() |
1983/84 세부 정보 |
![]() |
1 - 1 연장전, 4-2 승부차기 |
![]() |
올림피코 경기장, 로마 ![]() |
1982/83 세부 정보 |
![]() |
1 - 0 | ![]() |
스피로스 루이스 올림픽 경기장, 아테네 ![]() |
1981/82 세부 정보 |
![]() |
1 - 0 | ![]() |
De Kuip, 로테르담 ![]() |
1980/81 세부 정보 |
![]() |
1 - 0 | ![]() |
Parc des Princes, Paris ![]() |
1979/80 세부 정보 |
![]() |
1 - 0 | ![]() |
Santiago Bernabéu, 마드리드 ![]() |
1978/79 세부 정보 |
![]() |
1 - 0 | ![]() |
올림피아스타디온, 뮌헨 ![]() |
1977/78 세부 정보 |
![]() |
1 - 0 | ![]() |
웸블리 경기장, 런던 ![]() |
1976/77 세부 정보 |
![]() |
3 - 1 | ![]() |
올림피코 경기장, 로마 ![]() |
1975/76 세부 정보 |
![]() |
1 - 0 | ![]() |
Hampden Park, 글래스고 ![]() |
1974/75 세부 정보 |
![]() |
2 - 0 | ![]() |
Parc des Princes, 파리 ![]() |
1973/74 세부 정보 |
![]() |
1 - 1 (연장전), 4 - 0 (재경기) |
![]() |
Heysel Stadium, 브뤼셀 ![]() |
1972/73 세부 정보 |
![]() |
1 - 0 | ![]() |
Crvena Zvezda Stadium, 베오그라드 ![]() |
1971/72 세부 정보 |
![]() |
2 - 0 | ![]() |
De Kuip, 로테르담 ![]() |
1970/71 세부 정보 |
![]() |
2 - 0 | ![]() |
웸블리 경기장, 런던 ![]() |
1969/70 세부 정보 |
![]() |
2 - 1 (연장전) | ![]() |
산 시로, 밀라노 ![]() |
1968/69 세부 정보 |
![]() |
4 - 1 | ![]() |
Santiago Bernabéu, 마드리드 ![]() |
1967/68 세부 정보 |
![]() |
4 - 1 (연장전) | ![]() |
웸블리 경기장, 런던 ![]() |
1966/67 세부 정보 |
![]() |
2 - 1 | ![]() |
Estádio Nacional, 오에이라스 ![]() |
1965/66 세부 정보 |
![]() |
2 - 1 | ![]() |
헤이젤 경기장, 브뤼셀 ![]() |
1964/65 세부 정보 |
![]() |
1 - 0 | ![]() |
산 시로, 밀라노 ![]() |
1963/64 세부 정보 |
![]() |
3 - 1 | ![]() |
Prater Stadium, 비엔나 ![]() |
1962/63 세부 정보 |
![]() |
2 - 1 | ![]() |
웸블리 경기장, 런던 ![]() |
1961/62 세부 정보 |
![]() |
5 - 3 | ![]() |
Olympisch Stadion, 암스테르담 ![]() |
1960/61 세부 정보 |
![]() |
3 - 2 | ![]() |
Wankdorf Stadium, 베른 ![]() |
1959/60 세부 정보 |
![]() |
7 - 3 | ![]() |
Hampden Park, 글래스고 ![]() |
1958/59 세부 정보 |
![]() |
2 - 0 | ![]() |
Neckarstadion, 슈투트가르트 ![]() |
1957/58 세부 정보 |
![]() |
3 - 2 (연장전) | ![]() |
헤이젤 경기장, 브뤼셀 ![]() |
1956/57 세부 정보 |
![]() |
2 - 0 | ![]() |
Santiago Bernabéu, 마드리드 ![]() |
1955/56 세부 정보 |
![]() |
4 - 3 | ![]() |
Parc des Princes, 파리 ![]() |
승리한 클럽은 트로피 수여식 때 트로피를 소유하게 되지만 다음 시즌의 결승전 두 달 전에 UEFA 본부에 돌려주어야만 한다. UEFA는 승리한 팀에게 영구히 보유할 수 있는 트로피의 축소된 모형을 수여하며, 우승팀은 실제 트로피의 복제품임이 분명히 표시되어있으며 실제 트로피의 80% 크기를 넘지 않는 복제품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또한 2007년 현재 규정상 3년 연속 우승을 하거나 통산 5회 우승을 한 팀에게는 실제 트로피가 영구 수여된다.[3]
현재까지 5개의 클럽이 UEFA 영예의 배지와 트로피를 영구히 보유할 권리를 부여받았다.
- 레알 마드리드, 1956년부터 1960년까지 연속 우승, 1966년, 1998년, 2000년, 2002년에 다시 우승.
- 아약스 암스테르담,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연속 우승, 1995년에 다시 우승.
- 바이에른 뮌헨,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연속 우승, 2001년에 다시 우승.
- AC 밀란, 1994년에 5회 우승, 2003년, 2007년에 다시 우승.
- 리버풀, 2005년에 5회 우승.
같은 나라의 두 개 팀이 결승전에서 대결을 벌인 것은 스페인의 최강팀인 레알 마드리드와 발렌시아가 결승에 올라온 2000년이 처음이었다. 2003년에는 이탈리아의 AC 밀란과 유벤투스가 결승에서 맞붙었는데, 한 국가의 두 클럽이 결승에서 만난 것은 1955년 UEFA 챔피언스리그가 시작된 이래 단 두 번뿐이다.
[편집] 기록과 통계
-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러피언 컵과 챔피언스리그의 기록과 통계입니다.
[편집] 테마곡
[편집] 상금
[편집] 둘러 보기
[편집] 주석
- ↑ UEFA 한국어 공식 사이트 - 챔피언스리그의 역사
- ↑ UEFA 한국어 공식 사이트 - 챔피언스리그의 시합 방식
- ↑ UEFA (2007-05-24). Regulations of the UEFA Champions League 2007/08 (영어) (PDF).
[편집] 바깥 고리
세계 클럽 축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