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게임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Wii)
개발사 닌텐도
유형 가정용 게임기
컨트롤러 위모트
연결성 Wi-Fi
블루투스
USB 단자 2개
이더넷
온라인 서비스 닌텐도 와이파이 커넥션
위 커넥션 24
버추얼 콘솔
위 메뉴
많이 팔린 게임 위 스포츠
호환되는 기종 게임큐브
이전 기종 게임큐브

(영어: Wii)는 닌텐도의 차세대 게임기이다. 위라는 이름의 뜻은 영어 단어 We를 이미지화 해서 가족 누구나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컨셉을 표방한다고 한다. 2006년 4월 27일, 정식으로 지금의 이름을 발표했으며 같은 해 9월 14일, 일본,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아시아, 유럽에서 발매 예정일을 발표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7년 말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게임기 개발 코드네임은 레볼루션(Revolution)이었다.

목차

[편집] 개요

패밀리 컴퓨터, 슈퍼 패미컴, 닌텐도 64, 게임큐브에 이은, 닌텐도의 다섯번째 가정용 게임기이다.

지금까지 없었던 컨트롤러와 그 사용방법, 예전에 판매되었던 게임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판매, 게임 이외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컨텐츠의 탑재, 인터넷을 활용한 풍부한 기능, 서비스 등이 Wii의 주요 특징이다. 이상의 특징에서 볼 수 있듯이, Wii는 처리능력 및 화면 표현력의 향상 면에서, 같은 시기에 경쟁 기종인 플레이스테이션 3엑스박스 360과는 전혀 다른 특징을 띄고 있다.

개발 당시의 코드 네임은 '레볼루션'(Revolution, 혁명)이었으며, 이는, '비디오 게임의 혁명'이 되는 게임기라는 뜻으로 붙여졌다. 현재 본체 및 주변기기의 모델 번호는 Revolution을 줄여 'RVL'로 붙여져 있다.

[편집] Wii의 명칭에 관하여

코드네임인 'Revolution'에서 정식 명칭인 Wii로 정해진 것은 2006년 4월 27일이었다. 'Wii'라는 명칭은, 영어의 'we' (우리들)을 이미지로 하여 '가족의 누구라도 즐길 수 있게'라는 컨셉트를 표방하고 있으며, Wii의 'ii'는 이 기종의 독특한 형태의 컨트롤러, 혹은 두 사람이 서있는 모습에서 사람들이 모여있는 모습을 이미지화시킨 것이다. [1][2]

이 명칭이 공개되었을 당초에는, 이전 모델인 '게임큐브'의 이름에서 변형된 형태로 짓자는 의견으로 찬반양론이 일었으나, 공개 후 시간이 지난 현재 그러한 의견은 잦아들었다. 또한, 레지날드 피자메 NOA 회장은 2006년 E3에서, 이 명칭에 대해서 'LEXUS나 ACURA같은 명칭 또한 최초에는 찬반양론이 있었으나, 지금은 받아들여지고 있다. Wii 또한 처음은 이상하다 생각되어질 지도 모르나, 사람들에게 계속 침투되게 되면 받아들여지게 될 것이다'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서드파티 소프트웨어의 TV광고 또는 포스터 등에는, '닌텐도 위'(일본에서는 ニンテンドーWii,任天堂Wii)라 표기되는 경우도 있으나, 정식 명칭은 'Wii'이다.

개발 코드 네임이었던 'Revolution'에도 전용 로고가 준비되어 있었다. 'o' 문자가 디스크의 형태를 띄고 있었으며, 'v' 뒤의 'o'는 크게, 'i'뒤의 'o'는 작게 그려져 있었다. 이는 각각 Wii의 12cm 디스크와, 게임큐브용 8cm디스크를 표현한 것으로, 호환성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편집] 하드웨어 본체

E3에서 발표된 Wii본체. 전용 세로 스탠드로 세워져있다.
E3에서 발표된 Wii본체. 전용 세로 스탠드로 세워져있다.

Wii 본체는 닌텐도가 지금까지 발매하여온 거치형 게임기 중에서는 가장 작으며, 3장의 DVD 케이스를 겹쳐놓은 것과 비슷한 크기이다. 옆으로 또는 세로로 세워놓을 수 있으며, 세로로 세울 수 있는 전용 스탠드가 동봉되어 있다. 이를 이용하여 세웠을때, 본체가 약간 기울어진 형태로 보이나, 이는 스타일을 좋게 하기 위해, 또한 어린이가 디스크를 삽입할 때에 잘 안떨어지도록 하기 위해'라고 한다. [3] 본체의 색상은 현재까지는 흰색(화이트) 뿐이다. 2005년 Revolution이라는 코드네임으로 발표되었을 당시에는 녹색과 흑색 등의 다양한 색상이 공개된 바가 있다. 본체 케이스는 Hon-Hai사에서 제작하였다.

게임큐브때처럼 CPU와 그래픽 칩은 각각 IBMATI가 개발을 담당하였다. 메인 메모리도 게임큐브에 탑재된 것과 같은 1 T-SRAM을 채용한다. 지원하는 매체는 Wii 소프트웨어 용으로 직경 12cm의 광디스크(단층/2층)와, 게임큐브 전용 8cm 광디스크이다. 데이터의 보존 영역으로, 512MB의 플래시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것은 게임의 세이브 데이터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서비스인 WiiConnect24로 수신받은 데이터, 버철 콘솔 용의 소프트웨어의 저장 등에도 이용된다. SD 메모리 카드 슬롯이 붙어 있어, SD 메모리 카드에 들어 있는 이미지 및 음악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본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부를 보존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는 에너지 절약 모드가 내장되어 있어, 대기 상태에서도 꼬마전구 1개 분 정도의 전력으로 24시간 인터넷에 접속하여 여러가지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것이 가능하다.

[편집] 컨트롤러

Wii 리모콘
Wii 리모콘

Wii의 기본 컨트롤러는 위 리모콘(Wiiリモコン)이라 불리는 리모콘 형태의 컨트롤러이다. 위 리모콘 이외에도 '눈차크', '클래식 콘트롤러'라 불리는 위 리모콘의 외부확장 커넥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확장 컨트롤러'들이 있다.

이 부분의 본문은 위 리모콘입니다.

컨트롤러는 2005년도쿄 게임 쇼에서 처음으로 알려졌다. 동시에 4명까지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컨트롤러로 앞쪽에 장착된 광학 센서에 의해 지시하고 있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다이렉트 포인팅 디바이스를 탑재하였다. 가리키고 있는 방향뿐만 아니라 기울기나 거리감도 인식이 가능하다.

[편집] 호환성

게임큐브 용 컨트롤러를 Wii에 접속한 모습
게임큐브 용 컨트롤러를 Wii에 접속한 모습
게임큐브용 소프트웨어
Wii는 게임큐브와 호환성을 가지고 있어, 게임큐브용으로 발매된 모든 소프트웨어 [4][5] 및 컨트롤러, 메모리 카드 슬롯에 접속하는 주변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단, 게임큐브용 게임 소프트를 기동시킬 때는 게임큐브 전용 컨트롤러를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위 리모콘으로는 게임큐브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다.), 게임큐브용 게임 소프트의 세이브 데이터는 게임큐브용 메모리 카드에만 저장이 가능하며, Wii 본체 내장 메모리 및 SD 메모리 카드에는 저장할 수 없다.
또한 게임보이 플레이어는 연결이 불가능하므로, 게임보이, 게임보이 칼라, 게임보이 어드밴스용 소프트웨어는 작동이 불가능하다. [6]
Wii와 게임큐브와의 연동
버추얼 콘솔 용 소프트웨어와 Will 전용 소프트 중 일부 [7]는 게임큐브 전용 컨트롤러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진동기능은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Wii 전용 소프트와 그 소프트의 이전작품(게임큐브 용)의 세이브 데이터가 들어있는 게임큐브 전용 메모리카드의 연동이 가능한 소프트도 있다. 파이어 엠블렘 동틀녁의 여신이 그 예임.
Wii와 닌텐도 DS와의 연동
Wii는 닌텐도 DS와 통신이 가능하며, 지원되는 소프트에 따라 여러가지 연동이 가능하다.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 등에서 이미 일부 기능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아직 실용화되지 않았으나, 장래에는 DS용 소프트의 체험판 등을 다운로드하여 DS에 전송하는 기능도 가능해질 예정이다.

[편집] 인터넷 접속

Wii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 및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현시점에서 Wii의 인터넷 접속률은 약 40% 정도 된다. [8]

[편집] 음향

Wii는 돌비 프롤로직 2 서라운드를 지원하고 있다. [9]

닌텐도는 돌비 사와 계약을 체결하여, Wii 전용 게임 소프트가 돌비 프롤로직2를 사용할 수 있도록 수락받았다. 이 계약으로 인해, 게임 개발사들이 직접 돌비와 계약을 맺을 필요 없이 Wii 본체를 통해 서라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단, 소리를 멀티채널로 제작해야 한다.

[편집] 패러럴 컨트롤

Wii에서는,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특정 소프트의 플레이, 버추얼 콘솔 소프트의 다운로드, 위 포인트의 사용, 인터넷 채널 등의 이용에 제한을 가할 수 있는 기능인 '패런털 콘트롤'(parental control)을 탑재하고 있다. Wii 소프트에 관해, 여러나라의 등급 심사단체 (CERO, ESRB, PEGI 등)가 제정한 대상연령에 맞춰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일부 항목은 Wii 본체를 업데이트한 후에 사용이 가능하다.

[편집] 기타 특징

CD 또는 DVD의 재생 기능은 없으나, Wii 공식 사이트 Q&A에서 2007년 후반기에는 DVD 재생 기능이 포함된 Wii가 발매될 예정이 발표되어 있다.

소프트웨어의 지역 코드는 게임큐브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어, 게임 소프트와 본체의 지역코드가 맞지 않을 경우, 소프트 기동이 불가능하다.

[편집] 기능 및 서비스

[편집] 버추얼 콘솔

Wii는 버추얼 콘솔이라는 시스템을 탑재하여 패밀리 컴퓨터, 슈퍼 패미컴, 닌텐도 64의 게임을 유료로 내려받아 즐길 수 있다고 한다. 앞서 말했듯이 게임큐브용 광 디스크에 대응하므로 게임큐브용 게임도 즐길 수 있다. 하지만 게임보이 플레이어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편집] 닌텐도 와이파이 커넥션

이 부분의 본문은 닌텐도 와이파이 커넥션입니다.

Wii는 닌텐도 DS와 같이 닌텐도 와이파이 커넥션에 접속하여 전세계의 사람들과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현재 대난투 스매쉬 브라더스(가칭)나 메트로이드 프라임 3(가칭), 젤다 시리즈, 마리오 시리즈 등이 개발중이다.

[편집] 위 채널

이 부분의 본문은 위 채널입니다.

'위 채널'(Wiiチャンネル)은, Wii에 내장되어 있거나 추가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통틀어 말한다.

[편집] WiiConnect24

'WiiConnect24'는, Wii 본체의 저소음 저전력 대기 모드 및 Wii 용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칭이다.

이 부분의 본문은 WiiConnect24입니다.
가정용 게임기
1세대
마그나복스 오디세이 • 퐁 • 콜레코 텔스타
2세대
아타리 2600 • 인터턴 VC 4000 • 페어차일드 채널 F • 오디세이² • 인텔리비전 아타리 5200 • 콜레코비전 • 아카디아 2001 • 벡트렉스
3세대
패밀리 컴퓨터마스터 시스템 • 아타리 7800
4세대
PC 엔진메가 드라이브 • 네오 지오 • 슈퍼 패미컴
5세대
3DO • 아미가 CD32 • 아타리 재규어세가 새턴플레이스테이션닌텐도 64
6세대
드림캐스트플레이스테이션 2게임큐브엑스박스
7세대
엑스박스 360플레이스테이션 3

[편집] 발매 일자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참고자료

  1. http://news.com.com/2100-1043_3-6065801.html
  2. Breaking: Nintendo Announces New Revolution Name - 'Wii'. Gamasutra. 2006-09-16에 읽어옴.
  3. 'MACPOWER 2월호 인터뷰
  4. 任天堂のコンパクトな据置機がゲームの世界を引き寄せる 닌텐도, 2005년 5월 17일
  5. '판타시 스타 온라인 에피소드 1&2'를 비롯한 일부 온라인 소프트웨어는 오프라인 모드에서만 작동. 또한 비공식 소프트 '프로 액션 리플레이' 등은 사용불가
  6. 게임큐브용 소프트 '포켓몬 박스 루비 & 사파이어'와 연동되는 GBA용 소프트 포켓몬스터 루비 사파이어는 예외.
  7. '드래곤 볼 Z Sparking! NEO', '대난투 스매쉬 브러더즈X', '파이어 엠블렘 동틀녁의 여신(暁の女神)' 등, 주로 클래식 컨트롤러를 지원하는 소프트가 대표적인 예
  8. 닌텐도 주식회사 2007년 3월기 (제67기) 결산설명회닌텐도、2007년 4월 27일
  9. 돌비 프롤로직2 지원 오디오 기기가 필요함
닌텐도 게임기
가정용 게임기 : 컬러 TV 게임 • 패미콤슈퍼 패미컴버추얼 보이닌텐도 64게임큐브 • 닌텐도 아이큐 •
휴대용 게임기 : 게임 앤드 워치게임보이/포켓/라이트게임보이 컬러게임보이 어드밴스/SP/마이크로 • 포켓몬 미니 • 닌텐도 DS/라이트
아케이드 : 닌텐도 클래식 • 닌텐도 Vs. 시리즈 • 플레이초이스-10 • 닌텐도 수퍼 시스템 • 트라이포스
게임보이 어드밴스 주변기기 : 게임 링크 • e-Reader • 게임보이 플레이어 • 게임큐브 케이블 • 게임보이 어드벤스 전용 무선 어댑터 • 플레이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