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착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착어는 언어의 유형론적 분류의 하나인 형태론적 관점에서의 분류에 따른 언어의 한 유형이다. '교착'은 '아교로 붙인다'는 뜻인데, 이는 중핵이 되는 형태소(形態素, 어근)에 접두사와 접미사를 비롯한 다른 형태소들이 덧붙어 단어가 구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때 어근(語根)과 접사(接辭)는 굴절어의 경우와 비교할 때 그 결합이 느슨하여 제각기 자기의 어형을 항상 지키고 있으며, 둘이 융합해 버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어근의 형태가 변하는 굴절어와 달리 어근 자체는 변하지 않고 각자 고유한 의미를 지닌 형태소들을 병렬적으로 이어 하나의 구(句)와 문장을 만들게 된다. 터키어, 몽골어 등 알타이어족으로 분류되는 언어들이 대표적인 교착어이며, 한국어, 일본어, 아프리카의 반투어군 언어들도 교착어에 속한다.
![]() |
이 문서는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언어학 토막글 | 언어유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