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
![]() |
||||||||
생물 분류 | ||||||||
|
나방은 나비목에 속하는 곤충 중 나비류를 제외한 곤충의 총칭이다. 애벌레가 번데기 과정을 거쳐서 어른벌레가 되는 완전변태를 한다.
[편집] 생태
나방은 어른벌레가 먹이식물에 산란하여 번식하여 농업이나 임업에 해를 끼치기도 하며, 일부 자나방 애벌레(자벌레)는 작은 곤충을 사냥하는 육식성의 습성을 갖고 있다. 또한 누에나방의 애벌레인 누에처럼 사람의 보살핌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탈바꿈을 거쳐서 성숙한 애벌레는 번데기가 되어서 어른벌레가 되는 준비를 하는데, 누에나방나 산누에나방 유충처럼 고치속에서 자라거나 박각시 나방처럼 번데기가 땅속에 들어가서 어른벌레가 되기를 기다린다. 어른벌레가 된 나방은 밤이나 낮에 활동하며 빛을 좋아하는 습성을 갖고 있으며 꽃의 꿀이나 나무의 즙을 먹는다.
[편집] 나방의 천적
나방은 성충과 유충 모두 천적을 갖고 있다. 애벌레의 천적으로는 구멍벌과의 나나니벌, 감탕벌,호리병벌,쌍살벌등의 사냥벌, 기생파리나 박각시고치벌이 있다. 나나니벌과 감탕벌은 애벌레를 마취시켜서 땅을 파거나 진흙을 이겨서 만든 집에 넣은뒤 알을 낳으며, 알에서 깨어난 벌의 애벌레는 마취가 되어 아직 살아있는 나방애벌레의 채액을 먹고 자란다. 말벌과에 속하는 호리병벌도 나방애벌레를 마취시켜서 호리병모양의 진흙집에 넣은뒤 알을 낳는데, 부화한 애벌레는 나방애벌레의 채액을 먹으면서 자라다가 번데기를 거쳐서 어른벌레가 된다. 기생파리와 박각시고치벌은 나방애벌레의 몸에 알을 낳는 기생곤충들로써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숙주의 몸을 먹고 자란다. 이중 박각시고치벌의 애벌레는 숙주인 박각시나방의 애벌레에 기생하여 자라다가 고치를 만들어 어른벌레가 된다. 쌍살벌은 나방이나 나비애벌레를 짓이겨서 애벌레의 먹이로 사용한다. 성충의 천적으로는 곤충을 먹는 새, 거미,박쥐,사마귀,파리매등이 있다.
[편집] 같이 읽기
![]() |
이 문서는 동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