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라스무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1466년 10월 27일 ~ 1536년 7월 12일)는 네덜란드태생의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인문주의자이다.

1523년의 에라스무스
1523년의 에라스무스

목차

[편집] 생애

[편집] 어린시절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로마 가톨릭 신부와 10대 소녀간의 사생아로 태어났으며, 공동생활형제단에서 교육을 받았다. 후에 가톨릭 신부가 된 에라스무스는 파리대학교에서 그리스어를 공부했다.

[편집] 교회개혁

에라스무스는 교회의 절대권위에 대해 비판적인 인문주의자였다. 당시 인문주의자들은 고대언어(라틴어, 그리스어)를 공부하면서 성서도 같이 연구했기 때문에 교회의 절대권위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교회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는 로마 가톨릭의 도덕적인 타락을 비판한《우신예찬》(Moriae Encomium)저술로 실천되었다. 우신예찬은 영국 방문기간동안 토마스 모어(Thomas More, 1478년-1535년)의 집에서 쓴 교회비판서로쎠, 부패한 중세 로마 가톨릭 교회의 방종과 폐습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야유를 보내는 내용을 담고 있다. 1516년에는 그리스어판 신약성서를 출판했다. 에라스무스판 성서는 그리스어 원본과 라틴어 번역을 같이 달아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으며, 10여개의 성서번역본을 사용했다. “모든 성서가 전 세계의 여러 말로 번역되고, 시골 농부와 베짜는 아낙네 그리고 여행객이 성서 읽기로 지루함을 달래길 바랍니다."라는 번역자의 서문[1]에서 알 수 있듯이 에라스무스의 성서번역은 잘못된 성서해석을 막는다는 명분으로 성직자들이 성서를 독점하던 교회의 잘못을 바로 잡기 위한 교회개혁운동중 하나였다. 이러한 에라스무스의 개혁적인 신학성격은 종교개혁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에라스무스는 종교개혁의 알을 낳아 주고, 루터가 그것을 부화시켰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2] 하지만 그는 루터의 과격한 종교개혁을 동조하지는 않아서, 1524년 루터를 비판하는 글을 썼다. 이에 대해서 루터는 에라스무스가 자신의 신학에 대해서 핵심적인 비판을 했다고 말했다.

[편집] 바깥고리

루터와 에라스무스간의 토론 기사

이 문서는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