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종문화회관
세종문화회관

세종문화회관(世宗文化會館,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53,202m²크기의 종합예술시설이다.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과 가깝다.

일제 강점기에 부민관이라는 이름의 공연장이 자리잡고 있었으나,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 그 자리에 1961년 11월에 준공·개관한 시민회관도 1972년에 화재로 재차 소실되었기 때문에, 서울특별시에서 대규모 종합 공연장을 세울 계획을 마련하고 1974년 1월에 착공했다.

1978년 4월 14일에 준공과 동시에 개관되었고, 남북 통일시 회의장 사용을 염두에 두고 지은 3800석 이상의 대극장과 532석의 소극장 등 당시 최대 규모의 시설을 갖추어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1980년대에 예술의 전당 등 다른 종합 공연장들이 개관하면서 입지가 약해지기 시작했고, 서울특별시 측의 안이한 운영 체계에 문제점이 있다는 지적도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결국 1999년에 재단법인 공연장으로 독립했고, 2003년부터 약 1년 2개월 가량 노후화된 대극장의 보수와 개축 작업이 이루어졌다. 2006년에는 세종체임버홀이 개관되었고, 소극장도 보수·개축 중이다.

목차

[편집] 시설 소개

대극장

개축하면서 기존의 좌석에서 800석 가량을 없애 3022석이 되었으며, 1층과 2층 좌석 뒷쪽에는 액정 모니터를 설치해 가사와 공연 정보 등이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아시아 최대의 파이프 오르간을 갖추고 있으며, 회전식 무대와 오케스트라 피트를 갖추어 연극이나 오페라, 뮤지컬 등 무대 작품의 공연도 소화하고 있다.

소극장

2007년 8월 현재 개축 작업이 진행 중이며, 좌석을 늘려 약 670석의 중극장 수준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무대 장치와 설비의 보완과 오케스트라 피트의 설치로 소규모 무대 작품의 공연장으로도 쓰일 예정이다.

세종체임버홀

대극장과 소극장 사이에 자리잡고 있던 컨벤션센터를 실내악 전문 공연장으로 개축한 곳으로, 443석의 좌석을 갖추고 있다. 독주회부터 실내 관현악단이나 합창단 등의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술관

본관은 소극장 밑에 위치하고 있다. 총 네 개의 전시실을 갖추고 있으며, 주로 순수미술 계통에 속하는 국내외 작품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인근 지하철역인 광화문역 지하 1층에는 '광화문갤러리' 라는 이름의 별관이 있으며, 어린이들을 위한 특별 전시나 신진 작가, 만화가 들의 작품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2005년에는 역시 인근 지하보도인 세종로사거리 지하보도 중앙 부지를 이용한 '광화랑' 이라는 별관이 하나 더 개관했다.

그 외 시설

세종로 뒷편 야외 분수대에도 가설 무대가 마련되어 야외 공연이 개최되고 있으며, 주차장이었던 분수대 옆 공간도 공원으로 개축되어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대극장과 소극장 사이의 공간에는 레코드점, 악기점, 식품점, 어린이 놀이방, 예매처, 카페 등이 입점해 있어서 관람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극장 3층과 4층에는 각종 악기와 과거 공연의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는 자료관이 있다.

2001년에는 대통령 비밀 안가로 사용되던 삼청각이 전통예술 공연장으로 개축되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면서 회관 관할로 편입되었으나, 2005년 8월에 파라다이스 그룹으로 운영권이 넘어가 사설 공연장이 되었다.

[편집] 상주 단체

서울특별시 소속인 서울시 국악 관현악단, 서울시 청소년 국악 관현악단, 서울시 합창단, 서울시 소년소녀 합창단, 서울시 청소년 교향악단, 서울시 무용단, 서울시 뮤지컬단, 서울시 극단과 서울시 오페라단이 상주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회관과는 별도의 재단법인체가 되어 독립한 서울 시립 교향악단도 대극장을 주요 공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편집] 교통편

  • 지하철 :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하차 (1, 8번 출구)
  • 버스 : 5001, 5500, 9301, 9400, 9401, 9402, 9411, 9600, 9601, 9602, 9706, 9713 (이상 광역버스), 150, 162, 200, 401, 402, 406, 704 (이상 간선버스), 0015, 1011, 1711, 7018, 7022, 7023, 삼청마을버스 (이상 지선버스)

대극장 지하에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으나, 주차 공간은 부족한 편이다. 소극장 뒤편의 지상 주차장도 폐지되었기 때문에, 인근 세종로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편집] 바깥 고리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