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이강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강철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작업에 참여하시려면 우선 백과사전에 어울리는 내용인지, 중립적인 시각인지, 다른 사람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지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의견 뒤에 서명을 해주세요. 물결표 4개를 ~~~~ 입력하시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 환영위원회 |
목차 |
[편집] 토막글
하인리히 올버스 문서의 내용이 너무 짧습니다. 일단 제가 내용을 담듬어 놨습니다. 이 사람이 어느 나라의 천문학자인지,영어 표기,생년월일 등의 기본적인 내용과 분류등을 표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llen R Francis 2006년 8월 26일 (일) 23:53 (KST)
[편집] 트리톤
다시 되돌리셨더군요. 허셜과 라셀은 다른 사람입니다. 조금만 더 신중한 편집을 부탁드립니다. --정안영민 2006년 8월 26일 (일) 23:57 (KST)
[편집] 위키프로젝트 소행성
저는 소행성을 직접 연구하는 사람입니다. 제 생각에는 "A,B,C,D,E,F..."와 같이 세부적인 유형별 문서가 아직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중요한 분광형에 대해서는 문서가 있으면 좋겠지만, 상당수의 유형들은 저에게도 생소합니다. 아직 계속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토막글에 불과한 유형별 문서는 별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몇몇 유명한 것들을 제외하고는 그냥 하나의 문서에서 설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굳이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천체가 큰 활동이 없는데, 하위 프로젝트를 따로 발족해서 활동하실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 --정안영민 2006년 11월 11일 (일) 20:29 (KST)
아 이런 소행성을 직접 연구 하시는 분이셨군요. 충고 감사합니다. 그래도 천체 쪽은 거의 지침이고 소행성쪽은 자료가 부족한 듯 했기에 따로 발족해 봤습니다만. 역시 아직 위키에서 천문학에 관심을 가지는 이는 너무 적은 듯 합니다.전 조금 관심이 있습니다만...신화 관련된 걸로 소행성 분류를 열심히 해보고 있습니다만 여태껏 혼자 편집했더군요... OTL 큼 그나저나 기왕만든 프로젝트를 어쩌나... 아 삭제틀을 달아서 프로젝트를 취하해야할지... 큼 그러면 프로젝트는 삭제해 주십시오. 혼자서라도 열심히 영어위키백과를 번역해봐야겠군요. 흠 출처를 밝히면 되려나.. 아마 원출처는 국체천문연맹 소행성센터인듯하고, 영어위키백과는 그 내용을 거의 가져왔더군요. 두개다 표기해야겠습니다. 그나저나 혜성은 또 어떻게 정리되어야 할른지 그것들도 1P, 2P 식의 고유번호가 있는데, 현재로는 이름 식입니다만. 천체 쪽에 지침을 뭐라고 써줘야 할지. 아차 그런데 프로젝트 천체에 시정이 필요하더군요. 메시에 목록과 NGC목록은 겹치므로 처리가 필요하겠습니다.--이강철 2006년 11월 11일 (일) 20:57 (KST)
[편집] 소행성 목록
"January 1, 1801"을 "1월 1일, 1801년"으로 옮긴다고 번역된게 아니죠. :( 한국어 어순에 맞게 "1801년 1월 1일"로 적어주세요. -- ChongDae 2006년 11월 16일 (금) 18:01 (KST)
[편집] 파리
동음이의어입니다. -- ChongDae 2006년 12월 8일 (토) 16:21 (KST)
[편집] 식현상?
'식현상'이 한 낱말인가요? ―에멜무지로 (nfj4alf·'vyvs·kdje·lta;v·kdyvx·icjdw) 2007년 1월 1일 (화) 17:27 (KST)
- 답변 하겠습니다. 저도 정확하게는 모릅니다. 단지 합성어는 띄어쓰기 붙여쓰기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사전에 등재한다면 아마 '식-현상'이라 표기될 것입니다. 그리고 일단 이미 등재된 이름인데다 맞춤법이 틀렸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에 원상복구 한 것입니다. 이를 국어연구원에 문의할 예정입니다.--이강철 2007년 1월 1일 (화) 17:33 (KST)
- '현상'은 당연히 접미사가 아니지 않나요? 그리고 '현상' 앞은 거의 다 띄어 쓰고요. ―에멜무지로 (nfj4alf·'vyvs·kdje·lta;v·kdyvx·icjdw) 2007년 1월 1일 (화) 17:35 (KST)
- 모든 접미사가 띄어쓰지는 않습니다. '-학자','-주의'은 붙여쓰기가 원칙입니다. 제가 문제제기한 것은 어문 규정등에 대한 명확한 언급없이 삭제 되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어문 규정 또한 예외 규정이 있는데다, 분류는 문서와 달리 이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잘못된 분류가 아닌 경우 삭제하는 것은 많은 수정 문제와 혼란을 야기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국립국어연구원에 질의요청 할 예정입니다. 답변이 왔을 때 거기에 대해 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이강철 2007년 1월 1일 (화) 17:42 (KST)
- '현상'은 당연히 접미사가 아니지 않나요? 그리고 '현상' 앞은 거의 다 띄어 쓰고요. ―에멜무지로 (nfj4alf·'vyvs·kdje·lta;v·kdyvx·icjdw) 2007년 1월 1일 (화) 17:35 (KST)
우선 이유도 제시하지 않고 지운 일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항목의 경우에는 문서 옮기기 기능이 있는데 분류의 경우에는 문서 옮기기 기능이 없어서 벌어진 일입니다. 그리고 식현상이나 천문현상은 띄어쓰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한단어로 굳어진 용어라고 보기 힘들고, 표준국어사전의 예문들도 보아도 모두 띄어쓰고 있습니다. 분류의 역사를 온존히 남기고 분류를 식현상을 "식 현상"으로 천문현상을 "천문 현상"으로 옮길 수는 없을까요? -- --곰열여섯
- 해명 감사드립니다. 제가 국립국어연구원 가나다 전화(02-771-9909)로 문의한 결과 사전에 등재 되지 있지 않은 경우는 띄어쓰기가 원칙이라는 군요. 보편적으로 쓰이게 되어 사전에 붙여쓰기로 명시 되지 않은 이상 띄어쓰는 게 맞겠습니다. 편집에 불편드린 점은 사과드리며, '천문 현상'으로 수정하시더라도 이의 달지 않겠습니다. 그러나 맞춤법 문제에 관해서는 앞으로 많이 논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위키백과에 관련 내용이 있으면 좋을 텐데요...--이강철 2007년 1월 4일 (목) 14:48 (KST)
- 옮기는 문제에 관해서는 운영자 분 들께 질의하는 것이 좋을 듯--이강철 2007년 1월 4일 (금) 19:32 (KST)
[편집] 한국의 행정 구역 이동
다시 되돌리겠습니다. 나중에 문서 내용이 많아지면 그때가서 분리하면 되지 않을까요? 별도로 "한국의 행정 구역"이라는 문서를 만들 필요가 당장은 없어보입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2일 (월) 11:13 (KST)
[편집] 제 기여 확인하셨나요?
전 분명히 작업장 문서를 넘겨주기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delete}}을 달아서 삭제되던 말던 큰 상관 하지 않습니다 :)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2월 15일 (금) 18:56 (KST)
[편집]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제 사용자토론에 충고를 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사실 위키피디아에 기여한지 얼마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미숙한 점이 많습니다. 네 소행성 이름의 번역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같은 알파벳이여도 발음하는 방법이 틀리기 때문이죠. 그러나 우리나라는 abc알파벳을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발음할려면 다른 나라의 방법을 빌려와야 합니다. 그래서 그냥 쉽게 영어식으로 발음하면 되지 않을까하고 생각했습니다.
무슨 방법이 가장 맞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참고로 라틴어를 왠만큼 읽고 쓸줄 압니다.)
1) 유럽언어 대부분의 뿌리인 라틴어식으로 (그렇지만 aeiou가 긴 발음인지 아닌지를 찾아봐야하겠지요)
2) 이름이 어떤 특정한 언어의 고유 언어일 경우 그 나라의 발음식을 따른다. 예) 마르세유
3) 행성을 찾은 이의 나라식으로
kerriek 2007년 5월 31일 (목) 10:36 (KST)
[편집] 외래어 틀 관련
PuzzletChung님의 토론 페이지에 남기신 질문(사용자토론:PuzzletChung/2007년#소행성 이름의 한국어 표기)에 대한 답변입니다. 해당 문서들의 경우 괄호 안에 원어가 없긴 하지만 영어판으로의 인터링크가 붙어있어서 원어를 바로 알 수 있으므로 굳이 수고해서 하나하나 붙일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이런 경우를 고려해서 틀의 문구를 고쳐 보려고 생각중입니다.) 외래어 틀의 구체적인 사용법에 대해서는 틀:외래어 및 분류:외래어의 한국어 표기가 불확실한 문서의 설명을 참고해 주세요. (제게 하신 질문은 아니지만 제가 만든 틀이고 해서 답변을 남겨 봅니다.) --Acepectif 2007년 6월 21일 (금) 16:1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