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한묵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한묵(梁漢默, 1862년 ~ 1919년 5월 26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아호는 지강(芝江).
전라남도 해남 출생이다. 지방의 세무 관리로 일하다가 사직하고 베이징과 일본을 여행하던 중에, 일본에 망명 중이던 천도교(당시 동학) 교주 손병희와 전직 개화파 관료 출신인 권동진, 오세창 등을 만나 천도교에 입교했다.
1904년 러일 전쟁이 일어나자 손병희는 일본에 머무르면서 국내에 진보회를 결성하도록 하여 단발을 권하고 내정개혁을 촉구하는 등 계몽운동을 펼쳤는데, 이때 이용구의 일진회 계열이 친일파로 변신한 사건이 있었다. 망명 중이던 천도교 동료들보다 앞서 귀국한 양한묵은, 일진회에 대항하기 위하여 이준, 윤효정과 함께 공진회, 헌정연구회를 조직하였다. 헌정연구회는 근대적인 헌정 연구를 내세운 계몽 단체로 입헌군주제를 주장했으며, 이후 장지연, 나수연이 대한자강회로 이어받았다.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이 귀국한 뒤로는, 다시 천도교 기반 계몽 운동으로 돌아온다. 손병희의 교육 운동에 적극 동조하여 보성전문학교, 보성중학교, 동덕여학교 등 근대 교육 기관의 인수와 경영에 참여했고, 1919년 3·1 운동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참가했다가 서대문 형무소에서 사망했다. 민족대표 33인에게는 징역 3년형이 최고의 중형이었기에 대부분 옥고를 치르고 무사히 풀려났으나, 양한묵은 이들 가운데 유일하게 옥사한 사람이다.
저서로는 천도교 경전인 《동경대전(東經大全)》을 해설한 교리서 《동경연의(東經演義)》(1907)가 있다.
[편집] 참고자료
- 김삼웅 (1997). “16. 양한묵”, 《33인의 약속》. 서울: 산하. ISBN 8976501578.
- 민족정기선양센터, 독립유공자 공훈록 - 양한묵
민족대표 33인 | |
---|---|
그리스도교 : | 이승훈 박희도 이갑성 오화영 최성모 이필주 김창준 신석구 박동완 신홍식 양전백 이명룡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 |
천도교 : |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박준승 양한묵 권병덕 김완규 나용환 이종훈 홍병기 이종일 최린 |
불교 : | 한용운 백용성 |
분류: 1862년 태어남 | 1919년 죽음 | 옥사한 사람 | 한국의 독립 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