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조선의 최고교육기관에 관한 것이다. 이 기관에 뿌리를 둔 대한민국의 대학교에 대한 내용은 성균관대학교에 있다.

성균관(成均館)은 고려 말부터 이어진 조선의 최고교육기관이다. 고려의 최고교육기관인 국자감고려 충렬왕성균으로 바뀌었다가 충선왕 때 성균관으로 바뀌었다. 고구려 때부터 나라의 최고교육기관을 가리키던 이름인 태학(太學)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었다. 정삼품 대사성이 최고 책임자이다.

진사시와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에게는 우선적으로 성균관 입학 기회가 주어졌고, 그 외에 선발시험인 승보(升補)나 음서를 통해 입학할 수 있었다. 정원은 200명이었다.

1910년 일제에 의한 국권침탈 이후 그 기능이 상실되었고 명칭 또한 경학원으로 바뀌어 경전을 가르치는 사설 전문학원으로 전락하였다.

1945년 광복 이후, 원래의 성균관이 가지고 있던 최고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은 근대적 형태의 종합대학인 성균관대학교로 이관되었다. 현재의 성균관은 유교 및 전통문화 전문교육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1][2]

[편집] 주요 인물

[편집] 바깥 고리


조선의 행정기관
의정부
승정원 의금부 사헌부 사간원 집현전 규장각 훈련도감 포도청 한성부 개성부
종친부 충훈부 의빈부 돈녕부 봉조하 중추부 내금위 겸사복 오위도총부 경연
이조 충익부 내시부 상서원 종부시 사옹원 내수사 액정서
호조 내자시 내섬시 사도시 사섬시 군자감 제용감 사재감 풍저창 광흥창 전함사 평시서 사온서 의영고 장흥고 사포서
양현고 오부
예조 홍문관 예문관 성균관 춘추관 승문원 통례원 봉상시 교서관 내의원 예빈시 장악원 관상감 전의감 사역원
세자시강원 종학 소격서 종묘서 사직서 빙고 전생서 사축서 혜민서 도화서 활인서 귀후서 사학 문소전 연은전
병조 5위 훈련원 사복시 군기시 전설사 세자익위사
형조 장례원 전옥서
공조 상의원 선공감 수성금화사 전연사 장원서 조지서 와서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