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품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사(数詞)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수사를 양수사와 서수사로 나눈다. 단독으로 쓰이거나, 관형사 또는 셀 수 있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과 함께 사용된다.

목차

[편집] 주요 언어의 수사

언어 1 2 3 4 5 6 7 8 9 10
한국어(고유어) 하나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한국어(한자어) 육(륙)
일본어(고유어) ひと(ぴ) ふた(ぷ) いつ なな ここ とお(そ)
일본어(한자어) いち さん ろく しち はち く(きゅう) じゅう
중국어보통화 èr sān liù jiǔ shí
스페인어 uno dos tres cuatro cinco seis siete ocho nueve diez
프랑스어 un, une deux trois quatre cinq six sept huit neuf dix
영어 one two three four five six seven eight nine ten
독일어 eins zwei drei vier fünf sechs sieben acht neun zehn
에스페란토 unu du tri kvar kvin ses sep ok naŭ dek

[편집] 양수사

사물의 수량을 나타낼때 쓰이는 수사이다.

[편집] 한국어의 양수사

한국어에는 고유어로 된 것과 한자어로 된 것이 있는데, 고유어는 고유어끼리 한자어는 한자어끼리 결합하는 특징이 있다. 많은 고유어 수사들이 한자어 수사에 밀려 사라졌다.

[편집] 고유어로 된 대표적인 양수사

  • 하나
  • 스물
  • 온 (한자어의 영향으로 사라졌다. 100을 나타낸다.)
  • 즈믄 (한자어의 영향으로 사라졌다. 1000을 나타낸다.)

[편집] 한자어로 된 대표적인 양수사

  • 일(一)
  • 이(二)
  • 삼(三)
  • 사(四)
  • 십(十)
  • 백(百)
  • 천(千)

[편집] 서수사

사물의 순서를 나타낼때 쓰이는 수사이다.

[편집] 한국어의 대표적인 서수사

  • 첫째
  • 둘째
  • 셋째
  • 넷째
이 문서는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