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사회민주당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연방공화국의 정당
창립 1863년 5월 23일
노선 사회민주주의
당의장 쿠르트 벡(2006~)
본부소재지 독일 베를린
빌리 브란트 하우스

독일 사회민주당 (SPD, 에스페데, 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은 독일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이다. 정치 성향은 중도 좌파이며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사회주의 인터네셔널 가맹. 독일 언론등에서 빨간색은 사회민주당을 상징한다.

중도우파인 기독교 민주연합 (CDU, 체데우. 독일에서는 Die Union이라 부름)와 함께 독일의 2대 정당 중 하나이다. 2005년까지 독일 녹색당과 연합(적록연합정권)하여 정부를 구성, 국정을 담당하였다. 현재 제7대 연방총리(1988~2005)였던 게르하르트 슈뢰더와 당시 하원의장 볼프강 티에르제, 현 연방수도 베를린의 시장 클라우스 보버라이트(2001~)등이 소속되어 있다.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이며, 프랑스 사회당, 영국 노동당, 이탈리아 올리브나무동맹, 스페인 사회민주노동당 등과 함께 유럽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주도적 존재이다. 2005년 독일연방공화국 국회의원(연방하원) 총선거에서 222석(34.3%)을 확보, 현재 대연정의 공동주역(파트너)이다. 지지율은 2007년 4월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서 35%대를 상회하나, 기독교민주연합에 약간 뒤쳐져있다.


목차

[편집] 당의 구성

미국과는 달리, 매달 일정금액의 당비를 내는 진성당원(철저한 기초당원중심)들이 운영하는 정통 유럽식 운영체계를 갖추고 있다. 대한민국 민주노동당의 운영모델이기도 하다.

현재 약 60만명의 진성당원들은 각 지역마다 의결권을 가지고 지역의 일꾼들을 지역전당대회에서 직접 선출하며, 여기서 선출된 대의원들은 연방(전국)전당대회에서 기초당원들의 의견을 전달하고 당의장선출 및 당의 강령과 핵심정책 등의 결정에 찬반의사를 표시한다.

또한, 당의 주요 정치인들은 전통적으로 산업별노동조합의 지도자도 겸하는데, 주요 지지층인 중산층 및 서민 노동자들과의 긴밀한 연대를 위한 조치이다. 일례로 23년동안 최장수 당의장을 역임한 빌리 브란트 제4대 독일연방공화국 총리의 경우, 제지 및 언론노조 위원장을 겸직하였다.

당의장 쿠르트 벡(2006~)과 아울러,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상임중앙위원들이 현재 당을 이끌고 있다.

[편집] 사회민주당의 역사

1932년 사회민주당 선거 포스터.
1932년 사회민주당 선거 포스터.

[편집] 공화국 이전 (1863-1918)

사회민주당은 1863년 5월 23일 페르디난드 라살레가 라이프치히에서 만든 전독일노동자협회와 아우구스트 베벨과 빌헬름 리프크네히트의 주도로 1869년 8월 아이젠나흐에서 만들어진 독일사회민주주의노동자당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두 조직은 "독일 문제"에 대한 의견차이로 갈라졌었다. 라살레주의자들은 소독일주의를 아이젠아흐 쪽은 대독일주의를 주장했다. 그러나 독일제국이 성립되면서 그 차이는 의미가 없어지게 되고 1875년 5월 고타에서 합동 대회를 열어 독일 사회주의 노동자당으로 통합하게 된다.

독일 제2제국 시기 사민당은 제국의 내외 정책 아주 비판적 입장을 견지한다. 1878년 비스마르크의 제국의회에서 "사회주의자 탄압법" 제정되면서 12년간 어려움을 겪는다. 이 법이 폐지되는 1890년 독일 사회민주당 (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으로 당명을 개정한다.

초기 사민당은 노동조합과 가까웠으며 19세기 유럽의 사회주의 또는 사회민주주의당과 비슷하게 이념적으로 혁명적 마르크스 주의를 지향했다. 19세기말과 20세기 초 베른스타인이 수정주의이론이 제기된다. 민주적 선거를 통해 정권을 획득하여 사회주의으로 사회를 변화시킨다는 것이 주요 내용인 수정주의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야 받아 들여지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당은 정식으로 채택하기 이전부터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를 곳곳에 받아들이고 있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전시 공채 발행 문제로 당은 심각한 내분을 겪게 된다. 대부분의 당원 및 의원들이 전시 공채 발행에 찬성표를 던졌고, 소수 세력들이 이에 반발했던 것이다. 결국 이 두 세력 간의 갈등의 골은 깊어져 한동안 두 개의 당으로 분열되기도 했다. 찬성표를 던지 다수파 세력들은 다수파사회민주당이라 불렸으며, 소수파는 독일 독립사회민주당이라는 당을 창설했다. 후자는 로자 룩셈부르크카를 리프크네히트 등이 주요 지도자였다. 그러나 독립사회민주당은 그들보다 더 급진적 좌익인 독일공산당(KPD)과 다수파 사회민주당 사이에서 모호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어 결국 다수파 사회민주당과 다시 통합하게 된다.

[편집] 바이마르 공화국 (1918-1933)

[편집] 나치 독재정권 시절 (1933-1945)

[편집] 바트 고데스베르크강령 전후 국민정당으로의 도약 (1945~1969)

[편집] 브란트-슈미트 정부 : 중흥기 (1969~1982)

[편집] 독일 통일전후의 암흑기 (1982~1998)

[편집] 슈뢰더정부와 제3의 길, 그리고 현재 : 도약기 (1998~)

[편집] 주요인물

[편집] 제 1차 세계대전 전의 주요 지도자

[편집] 양 세계대전 사이의 주요 지도자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 필립 샤이데만
  • 구스타프 바우어
  • 파울 헤르만 뮐러

[편집] 역대 당의장

  • 아우구스트 베벨, 파울 징거 1892-1911
  • 아우구스트 베벨, 후고 하아제 1911-1913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후고 하아제 1913-1916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1916-1917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필립 샤이데만 1917-1919
  • 오토 벨스 and 헤르만 뮐러 1919-1922
  • 아르투어 크리스피엔, 오토 벨스, 헤르만 뮐러 1922-1928
  • 아르투어 크리스피엔, 오토 벨스 1928-1931
  • 아르투어 크리스피엔, 오토 벨스, 한스 포겔 1931-1933
  • 오토 벨스와 한스 포겔 in exile 1933-1939
  • 한스 포겔 in exile 1939-1945
  • 커트 슈마허 1946-1952
  • 에리히 올렌하워 1952-1963
  • 빌리 브란트 1964-1987
  • 한스-요헨 포겔 1987-1991
  • 비외른 엥골름 1991-1993
  • 요하네스 라우 (acting) 1993
  • 루돌프 샤핑 1993-1995
  • 오스카 라퐁텐 1995-1999
  • 게르하르트 슈뢰더 1999-2004
  • 프란츠 뮌테페링 2004-2005
  • 마티아스 플라첵 2005-2006
  • 쿠르트 벡 2006-

[편집] 역대 독일연방공화국 총리(사회민주당 출신)

[편집] 역대 독일연방공화국 대통령(사회민주당 출신)

  • (자당 출신으로는 유일한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으로 프리드리히 에버트(초대, 1919~1925)가 있다.)
  • 구스타프 하이네만(제3대, 1969~1974)
  • 요하네스 라우(제8대, 1999~2004)

[편집] 역대 독일연방공화국 부총리(사회민주당 출신)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