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산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종착역 | (100) 소요산 | (101) 동두천 | 인천·천안 방면 |
소요산 | |
---|---|
역 정보 | |
노선 | 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 |
소재지 |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126 |
개업일 | 1976년 1월 11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상대식 (2면 2선) |
전화번호 | 031-865-7788 |
GPS 좌표 | {{{GPS}}} |
소요산역(逍遙山驛, Soyosan)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원선 통근 열차를 이용할 수 있는 역이다. 개업 당시에는 경원선 비둘기호만 운행했던 작은 역이었으나, 2006년 수도권 전철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종착역이 되었고, 역에도 변화가 일어나 열차 교행이 가능한 직영역으로 성장하였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 : 오른쪽(수도권 전철), 왼쪽(경원선 통근 열차)
- 승강장 형태 : 상대식 승강장으로, 역사가 있는 쪽의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을 탈 수 있는 고상홈이고 반대쪽의 승강장은 경원선 통근 열차를 탈 수 있는 저상홈이며 전차선이 없다. 개찰구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편집] 주변 정보
[편집] 역사
- 1976년 1월 1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1982년 9월 21일: 역사(驛舍) 신축
- 2006년 5월 7일: 기존 역사 철거, 임시역사 영업
- 2006년 12월 15일: 보통역으로 승격,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 전철역사 신축
[편집] 참고
- 인접역인 동두천역과의 전철화 구간은 단선으로 경원선 통근 열차와 수도권 전철이 같이 운행하고 있어서 대한민국 도시철도 운행 구간 중에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소태-녹동 다음으로 열차가 뜸하게 운행되는 구간이다.
- 역의 이름처럼 소요산으로 가는 입구에 해당되어 주말에는 등산객들로 역은 붐비고 과거 통근 열차만이 운행할 때에는 오후 시간 대에 엄청나게 혼잡하였으나 수도권 전철 개통으로 인하여 그 혼잡도가 많이 완화되었다. 이런 요인 때문에 단선으로 운행 간격이 뜸하지만 수도권 전철이 이 역까지 연장되었다. 처음 계획은 현재의 동두천역인 동안역이 수도권 전철의 종점이었다.
- 2006년 12월 15일에 복선 전철화되어 연장 개통된 수도권 전철 경원선가능-소요산 구간은 대부분 고가 및 높은 노반을 설치하여 새로 노선을 만들었지만 유일하게 동두천-소요산 구간만은 지상에 전차선만 추가된 방식으로 전철화되었다.
- 개통 전에 비해 이용객 수가 500% 이상 증가해 역 구내 확장 및 열차 운행 증편을 고려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개통 이전의 소요산역에 관한 글이 소요산역엔 아름다운 마음이 있다는 제목으로 제 7차 교육 과정 중학교 2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에 실려있다.
[편집] 승차량 변동
주변 역에 비해 승차량이 그리 많은 수준은 아니므로, 단선으로 운영되는 역 시설 부족이 혼잡 원인으로 보인다. 주변엔 저밀도로 공업과 주거가 분포해 있다.동두천 소요산 구간은 세계의 단선 통근 철도 구간 가운데 가장 혼잡한 구간으로[출처 필요], 열차의 이용 밀도는 시간당 최대 10회이며, 최저 간격도 4회나 되는 구간이다. 그 전에는 일본의 쇼난 모노레일이 7분 30초 간격으로 운행하던 것이 가장 높은 단선 철도의 운행 밀도였으나, 이제는 대한민국의 경원선이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밀도 기록은 한 동안 깨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2226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출처 없는 문장이 포함된 문서 | 경원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기도의 철도역 | 동두천시의 전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