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렝고 전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렝고 전투 (나폴레옹 전쟁의 일부) |
|||
![]() 루이스 프란스시 레제뉘(Louis-François Lejeune) 의 마렝고 전투 |
|||
|
|||
|
|||
|
|||
교전국 | |||
프랑스 | 오스트리아 | ||
지휘관 |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루이 드제 |
미하일 폰 멜라스 | ||
병력 | |||
28,000 대포 24문 |
31,000 대포 100문 |
||
피해 상황 | |||
사망 1,100명, 부상 3,600명, 900명 실종 및 포로 루이 드제 전사 |
사망 963명, 부상 5,518명, 2,921명 포로 |
마렝고 전투(영어:Battle of Marengo, 프랑스어:Bataille de Marengo 1800년 6월 14일)는 이탈리아 피에몽테주(州) 알렉산드리아 도시 근교 남동쪽 5km 떨어진 마렝고 평원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 군대가 미하일 폰 멜라스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의 기습 공격을 받아 격전끝에 승리한 전투을 말한다.
목차 |
[편집] 배경
1798년 오스트리아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고 프랑스에 대한 선전포고을 개시하고 1800년까지 북 이탈리아의 대부분을 탈환했다. 1799년 제 1통령에 취임하여 프랑스 독재권을 확립한 나폴레옹은 반격을 위해 제네바에 군을 집결시켰다. 1800년 5월 37,000명을 이끌고 그랑 상 베르나도 고개(Gran San Bernardo)을 넘어 북 이탈리아에 진출했다.
그때 오스트리아군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군을 몰아내는 임무를 맡은 미하일 폰 멜라스가 10만의 병력을 갖고 이탈리아방면 사령관 마세나을 압도하여 이탈리아의 요충지 제노바을 포위하고 있었다.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군의 배후에 있던 밀라노와 파비아을 점령하여 멜라스와 오스트리아-알프스방면군을 분단시키는 작전에 나섰으나 제노바의 프랑스군 부대는 한계에 달하여 6월 4일 항복했다. 오스트리아군은 토리노에 집결했다.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군의 후방차단을 노리고 폰강을 건너 6월 9일 전위부대가 제노바에서 진출한 오스트리아군과 충돌하여 승리했다. 오스트리아군은 퇴로가 차단당할 위험이 있었으나, 사령관 멜라스는 동쪽으로 진군할것을 결정하고 알렉산드리아에 집결하고 프랑스군과 대결하기 위해 전진했다. 이에 대해 나폴레옹의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군 주력이 알렉산드리아엔 없고, 제노바방면으로 퇴각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분산하여 서진했다. 루이 드제군단의 별동대는 제노바에 대한 차단을 위해 파견하고, 주력은 멜라스와 맞아 싸우기 위해 마렝고로 향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군 주력은 이미 알렉산드리아에서 전진하고 있었고, 이렇게 양군은 6월 14일 알렉산드리아 근교의 마렝고 평원에서 서로 만나게 된 것이다.
[편집] 경과
6월 14일 이른아침 오스트리아군 31,000명은 알렉산드리아에서 마렝고로 전진하고, 오전 9시 마렝고 마을에 있던 빅토르의 프랑스군 부대를 공격했다. 그 시기 나폴레옹은 전장에서 5km 후방에 있었다. 나폴레옹은 멜라스의 주력군은 취리히에 있고, 더불어 제노바의 오스트리아군도 이미 퇴각하고 있을것이라고 판단하여 부대을 각지역에 파견하고 주력을 데리고 숙영중에 마렝고 전투가 개시된것을 알았다.
마렝고는 전략목표로써 오스트리아군 차단을 위해 전위부대로써 진출한 빅토르의 부대가 숙영중이었으나,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군 주력이 예상보다 빨리 진출한것이라 판단하고 드제의 별동대에게 돌아오라는 메세지을 담은 전령을 보내는 한편, 급히 진격해 오전 11시에 전장에 도착했다. 뮈라의 기병대을 돌격시켜 오스트리아군을 측면공격하는 동시에 랑메부대을 방어에 나서게 했다.
멜라스는 프랑스군 우익을 공격해 빅토르부대는 중과부적으로 무너졌다. 약 1시간의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3km 가까이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서전은 오스트리아군 우위로 전개되었다. 후퇴하게된 프랑스군을 보고 오스트리아군은 승리를 확신했다. 멜라스는 전투의 승전소식을 빈으로 보냈다. 또한 지휘권을 부관에서 넘겨주고 자신은 알렉산드리아로 물러났다.
그리고 부대를 행군대형으로 변형시킬것을 명령하고 오스트리아군은 종대을 조직하여 원만하게 추격에 나섰다. 그러나 후퇴한 나폴레옹은 아직 패배하지 않았다. 군을 재집결시켜 재편성을 마친 후 드제가 이끄는 별동대 5,000명이 증원을 위해 달려왔기에 프랑스군은 오후 5시부터 전세를 역전시켰다. 중앙에 드제군을 포진시키고, 말몽이 지휘하는 포병대에게 원호을 맡겼다. 그리고 양익에 재편성된 빅토르부대, 랑메부대을 배치하고, 뮈라의 기병단안에서도 직접타격력으로써 발탁된 카라만 기병여단이 사이를 매웠다.
오후 5시 나폴레옹은 방심한 상태로 추격하던 오스트리아군에 역습을 가했다. 종대에 포격을 가하고, 혼란이 일어난 오스트리아군 정면에 드제군이 돌격을 감행했다. 거기에 켈레르만의 기병여단이 오스트리아군 북쪽에서 주력에 타격을 가하고 랑메군단이 친위대와 협조하여 돌격해 오스트리아군을 붕괴시켰다. 오스트리아군은 앞뒤로 분단되어 혼란속에 각각 패주했다. 오스트리아군 전위 2,000명은 항복하고 패주하던 본대도 보르미다강에 익사자가 다수 생겨, 거의 괴멸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격전중에 프랑스군 승리에 큰 공헌을 했던 드제는 총탄에 맞아 전사했다.
[편집] 전후처리
6월 15일 멜라스는 항복하고, 북 이탈리아는 다시 프랑스의 수중에 넘어갔다. 12월 3일 모로가 이끄는 프랑스의 라인방면군이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한 호엔리덴 전투로 인하여 오스트리아군은 전의를 상실하고 뤼네빌 조약에 응했다. 이로써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다.
[편집] 일화
- 마렝고 전투의 밤에 전장의 혼란중에 나폴레옹의 요리인은 아무런 재료가 없는 닭요리을 고안했다. 이 요리가 [닭의 마렝고풍]이라고 알려져 있다.
- 푸치니의 오페라 <<토스카>>에서는 제 1막에 나폴레옹이 마렝고 전투에서 패배했다는 오보가 묘사되었으나, 제 2막에는 나폴레옹이 승리했다고 고친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집] 참고문헌
일본쪽 참고문헌입니다.
- アントニーノ・ロンコ(著), 谷口勇(訳), 『ナポレオン秘史―マレンゴの戦勝』, 而立書房, 1994/3 ISBN 4880591939
- 松村劭(著), 『ナポレオン戦争全史』, 原書房, 2005/12 ISBN 4562039531
- 역사군상시리즈 <<전략전술병기사전>> <유럽근세편>
[편집] 바깥고리
- The Battle of Marengo - A Bicentennial Review An overview of the battle, including short summaries for beginning students and detailed analysis for more serious readers.
- The French Army 1600-1900
- Consular Guard at Marengo
- Gaspar Cugnac, Campaign of the Army of the Reserve in 1800 This link is really a taster for purchase of the whole thing: it is not live for the second volume (covering Marengo) or for the second half of the first volume
- Alex. Berthier, Relation of the Battle of Marengo
- A wargame on the battle of Marengo Interesting, but Berthier "lies like a bulletin"; the French loss of Marengo village is actually described straight-faced as a planned withdrawal to previously-prepared positions.
분류: 1800년 | 나폴레옹 전쟁의 전투 | 프랑스의 전투 | 오스트리아의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