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Iceager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녕하세요? 종성이입니다. 여기에 님들의 의견 남겨주세요.

  • 외국어 표기법 때문에 자꾸 헷갈리네요. Fridtjof Nansen을 어떻게 표기해야 할지 표기법대로 따르니 "프리드호프 난센"이 나왔어요. 발음나는 대로 적으려면 차라리 '프리쇼프' 또는 '프리초프'가 더 가까울텐데.. 'tj'의 [ç] 발음은 'ㅎ'으로 적으라니 전혀 안맞는 것 같고.. --Iceager 2004년 4월 10일 (土) 06:18 (UTC)
국어연구원의 표기법 규정에 따르는 걸 원칙으로 하고, 리디렉트를 적당히 이용해서 자주 쓰는 표기 혹은 발음에 가까운 표기로도 갈 수 있도록 합시다. 그리고 덧붙이면, 외국어 표기법은 발음기호가 아닌 표기법일 뿐이란 걸 명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원어에 가까운 발음을 항목설명에 넣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겠고요. 엉망
님이 주신 의견 감사합니다. 국어연구원 홈페이지에 가니까 노르웨이어에 관한 규정도 있어서 "살았다"라는 심정이었습니다. 규정에 따라서 '프리티오프'로 쓰도록 하겠습니다.. --Iceager

저와 관심사가 비슷하신듯 하여 반갑습니다. 몇가지 논의를 공동으로 진행해도 좋을거 같아서 내용 남깁니다. --거북이

목차

[편집] 올림

안녕하십니까? Iceager씨는 영어 위키 Korean language 무서 의해서 "올림"이 "선물"이란 말을 들으신 적이 없다라고 쓰셨지마는 저의 대구에서 살고 있는 조카 OO은 저에게 선물을 주면서 "OO 올림"이라고 했으니 제가 "아, 아랫사람은 윗사람한테 올린 선물은 올림이라"고 생각했지만 "올림"은 "선물" 아니라 "올리는 것"을 나태내죠? 착각했습니다! --Sewing 2004년 8월 21일 (土) 19:19 (UTC)


사용자:Iceager/외국어의 한글 표기 페이지를 위키백과:외국어의 한글표기 페이지로 옮기고 각각의 경우별로 페이지를 분화했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PuzzletChung 2004년 9월 1일 (水) 11:08 (UTC)

[편집] 영국의 군주

사용자:ChongDae/작업장에서 작업 중입니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초기 왕, 그리고 덴마크의 왕 이름을 살펴봐주세요. -- ChongDae 2005년 11월 16일 (水) 09:42 (UTC)

[편집] 저에게 의견을 보내주면서...

안녕하세요? 저는 Russ입니다.


당신이 저에게 전에 저보고 쉬라고 했잖아요... 물론 저도 의견에 동의합니다.


앞으론 러시아에 대한 것 말고도, 한국에 대한 것도 약간 모아볼께요.


친러파가 안 좋다고 하셧는데, 사실 저는 님이 말한대로 친러파입니다.


하지만 친러파가 여러가지가 있어요.


  • 1. 완전 친러파(러시아를 극도로 너무 좋아하는 사람들)
  • 2. 친러 성향이 좀 있는 사람들
  • 3. 친서적인 경우가 있지만 러시아를 좋아하는 것.
  • 4. 중도적인 친러파(친서 성향과 중립이 각각 절반씩)

저는 4번에 속하는 친러파입니다. 다음부터는 좀 건설적인 내용을 만들겠고, Iceager님도 저에게 새 쪽지를 주세요. - Russ

[편집] 쪽지 보내면서

쪽지 보내주신 것 감사합니다.^^


다음에 건설적인 것을 해드릴께요... 그리고 너무 걱정을 하신 것 같은데,


저는 친러파이지만 다음부터는 조심을 할께요. 죄송합니다.


사실은 제가 위키백과에 처음 가입했을 때부터 한국어 위키백과는 너무 문서량이 적었어요.


그래서 문서량을 늘렸어요. 그러면 도와주시겠습니까?


저는 이제부터 러시아의 도시, 정치, 문화, 경제, 역사뿐만 아니라,


북한과 남한의 도시, 정치, 문화, 경제, 역사를 포괄한 건설적인 문장을 만들겠습니다.


죄송합니다..ㅠㅠ 저는 위키백과를 위해 문서량을 늘렸습니다.


다음부터는 님의 말씀을 새겨들으면서 건설적인 내용과 간단한 내용을 만들겠습니다.


잠깐! 그리고 님께서 사용자들에게 저에 대한 오해를 풀어주세요.


대부분이 저에 대해서 오해를 하고 있어요.


그래서 좀 겁이 났어요. 죄송합니다. 약속을 지키겠습니다.


님께서 저에 대한 오해를 풀어주시면, 저는 당신과 모든 사용자들의 신신당부를 듣겠습니다.


우리 그러면 다같이 서로 도와줍시다!! 님께서도 저에게 메세지를 남겨주세요. - Russ

[편집] Münster

Thank you for your question about the Korean spelling for Münster. There are pretty well-established rules for transcribing German names in Korean, and the Korean Wikipedia adheres to that. While I do not agree with everything about the rules, it works well and is for the most part pretty straightforward. Münster does come out as '뮌스터' according to the rules, and to my ears it is a pretty good approximation, although I am no German speaker. The Korean open-mid back unrounded vowel 'ㅓ' doesn't really sound like 'o'; it is the vowel used to represent many foreign schwa sounds and their kin. For example, the English word 'centre' would be transcribed as '센터' in Korean. --Iceager

Thanks for the explanation. I know how to read Hangeul and 터 doesn't sound wrong, even if 타 might be a little closer in my opinion. But if there are thouse rules, it is probably the best to stick to them. We do the same with Korean names by using the Revised Romanisation, even if there are some problems (for example J is spoken like a Y in German, so many Germans would read Hanya instead of Hanja). -- IGEL 2005년 12월 8일 (목) 18:40 (KST)

[편집] 러시아의 행정 구역 옮기기

차근차근 했으면 합니다. 분류명 등도 정리해야 하는데, 이건 손으로 하는 것보다 로봇을 쓰는 게 나을 듯 싶네요. 로봇을 써서 분류명을 옮기는 건 제가 돕겠습니다. 일단 러시아의 행정 구역을 용례집에 따라 옮긴게 사용자:ChongDae/작업장입니다. 용례집에 없는 것도 있고, 용례집 표기 기준이 바뀐 것도 있고 해서 아직 확인이 끝난 건 아닙니다.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의 경우 용례집에서는 바시키르 공화국 쪽을 적어놓고 있습니다. 타타르 공화국도 이런 경우입니다. 이런 거야 선택사항이긴 해도 정리는 하고 가야 하겠죠? 용례집을 보면 몇몇 이상한 게 눈에 띄기도 합니다. 유대인 자치주의 수도를 용례집에서는 "비로디잔"이라고 적어놨는데 비로비잔의 오기로 보입니다. 니즈니노브고로드 주의 경우는 "니제고로드 주"라는 이름을 들고나왔는데 어디서 온 건지 알 수 없습니다. -- ChongDae 2006년 1월 20일 (금) 13:50 (KST)

[편집] Alexander Grothendieck 페이지의 한국어 표기들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편집하신 몇가지 사항을 보았습니다. 우선, 그로센딕인가 그로텐디크 인가는 어떻게 하건 큰 상관이 없을듯 하나, 수학계, 특히 대수기하학을 전공으로 하는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그로텐디크라고 표기하는 것은 극히 드문 듯합니다. 몽페이에<->몽펠리에의 경우는, 어떤 것이 불어 발음에 더 가까운가에 따라서 몽페이에로 설정을 한 것입니다. 많은 불어단어들 중 lle로 끝나는 발음들이 영어식으로 잘못 표기되고 있습니다. 몽펠리에도 그런 경우중 하나입니다. 그로센딕이 영어 발음이라 그로텐디크를 택하셨다면 어째서 몽페이에를 몽펠리에로 바꾸셨는지....? 한가지만 더 예로 들면, Dieudonné의 경우 디외돈네 라고 바꾸어 놓으셨는데요, 이것은 굉장한 실수입니다. Dieu는 불어로 신 이라는 뜻의 단어로 한국어 표기로는 듀 혹은 '디우'를 빠르게 발음한것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디외'라고 바꾸신것은 굉장한 넌센스라고 생각되는군요. Jinhyun 2006년 1월 22일 (일) 02:32 (KST)

[편집] Categorization

Please remember to categorize your articles. Looking them up in other languages (if they exist, that is...) is an almost surefire method. Thanks. Yuyudevil 2006년 2월 7일 (화) 19:38 (KST)

Interesting thought there - I'd like to add, however, that categories serve as nice supplements to intros; combined, they're great for getting the gist of an article, and also for finding similar articles to research/work on. Hope that steers you toward this seemingly ugly world of categorization ;) Yuyudevil 2006년 2월 7일 (화) 20:03 (KST)

[편집] 벨기에의 행정 구역

한국어 위키백과의 현지어 중시라는 원칙이 시험에 빠졌습니다. -- ChongDae 2006년 2월 7일 (화) 22:51 (KST)

[편집] 캐서린 은데레바

케서린 은데레바가 이미 있습니다. 혹시 캐서린 은데레바가 바른 표기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의문이네요. 답변이 오면 둘 중 하나는 합치거나 지우겠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2월 9일 (목) 13:39 (KST)

[편집] 위키프로젝트 언어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언어를 만들었습니다. 아직 정해진 것도 없고 막막하니 의견을 주셨으면 합니다. --Puzzlet Chung 2006년 2월 15일 (수) 13:10 (KST)

[편집] 관리자 추천

Iceager 님의 허락을 미리 얻지 않고 관리자 후보로 추천했습니다. 부디 사양하지 마시길... -- ChongDae 2006년 2월 25일 (토) 20:27 (KST)

[편집] 우크라이나어의 표기

Iceager 님이 저에게 메세지를 보내신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기로는 Iceager 님께서 정하신 표기법은 정해도 좋습니다. 그런데 사실 сь, ць가 러시아어에 없는 표현인것은 사실입니다.

도네츠크가 도네치크로, 루한스크가 루한시크로 변한다는 데에는 그렇네요. 제 생각로는 이것을 сь, ць라도 러시아어 표기법을 적용시킵시다. сь, ць가 나와도 도네츠크는 도네츠크로, 루한스크는 루한스크로요. сь, ць가 나와도 러시아식 표기법으로는 스, 츠입니다. 혹시 러시아어를 좀 배우실 생각이에요? 러시아어는 좀 알고 있어요? - Russ 2006년 3월 4일 (토) 16:30

сь, ць는 사실 러시아어 표기법으로도 '시', '치'가 됩니다. 이들 음운은 러시아어에 나오지 않으니 러시아어 표기법에는 특별히 이에 대한 규정이 없지만 굳이 러시아어 표기법을 적용하라면 "연음 부호 ’(ь)은 '이'로 적는다."라는 규정에 따라 '시', '치'로 적어야 합니다. 그러나 제가 제안한 우크라이나어 표기안에서 '시', '치'를 쓰기로 한 것은 러시아어 표기법을 따른 것이 아닙니다. 비슷한 문자로 쓰였다해도 우크라이나어는 러시아어가 아니고 더군다나 сь, ць는 러시아어에 없는 음운이니 억지로 러시아어 표기법을 적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비슷한 음운이 있는 폴란드어나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 ś, ć가 '시', '치'로 적힌다는 데에서 따왔습니다. '도네츠크', '루한스크'라는 표기가 낯익은 것은 'Donetsk', 'Luhansk'라는 영어 이름을 그대로 옮긴 것이기 때문인데 가능하면 영어식 표기를 쓰는 것보다 우크라이나어 발음을 따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표기안을 내놓은 것입니다.
저는 러시아어를 정식으로는 공부한 적은 없고 우크라이나에서 생활할때 주워들은 것이 전부라 인사말, 간단한 표현 밖에 못합니다. --Iceager 2006년 3월 4일 (토) 16:48 (KST)

[편집] 관리자 권한을 드렸습니다.

잘 사용해주세요. -- ChongDae 2006년 3월 10일 (금) 23:00 (KST)

축하합니다. -- Alpha for knowledge - (토론 / 기여) 2006년 3월 10일 (금) 23:44 (KST)

[편집] 그리스어 표기법에 대해

얼마 되지 않는 식견이지만 그리스와 그리스어를 좋아해서 그리스어 표기법에 대해 나름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외국어 표기법에 대해 위키피디아 내에 별도로 정리되어 있는 공간이 있는지를 모른채 토론:그리스어란에 올려버렸네요.

개인적으로 현재 위키백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리스어 표기법이 영어를 매개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옳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그리스어를 직접 반영하면서 동시에 현행 표기법과의 마찰을 최대한 줄이는 한으로 논의를 마무리 지어 보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아무쪼록 한번이라도 훑어보고 고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Airridi 2006년 4월 24일 (월) 22:50 (KST)

[편집] 새로운 바벨색상 변경안에 대해

기존의 바벨체계가 중간 여러 단계가 서로 구분되지 않았던 이유로 다시 바벨색상 변경에 대해 제안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제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이미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사용중인 바벨 색상 체계입니다. 기존의 바벨 색상 체계와 크게 다르지 않을 뿐더러 이미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전례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에서는 새로운 색상체계를 도입하는 데의 문제점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예들은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구체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예들입니다.

es-0 Este usuario no entiende español
(o lo entiende con dificultad).




es-1 Este usuario puede contribuir con un nivel básico de español.




es-2 Este usuario puede contribuir con un nivel intermedio de español.




es-3 Este usuario puede contribuir con un nivel avanzado de español.




es-4 El nivel de este usuario corresponde al de un hablante nativo del español.




es El nivel de este usuario corresponde al de un hablante nativo del español.




관련 내용에 대한 토론은 위키백과토론:바벨#새 바벨색상 변경 제안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 아이리디 2006년 10월 7일 (일) 21:32 (KST)

[편집] 언어 계통 및 분류 방법 세우기에 참여 부탁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언어 계통 및 분류 방법 세우기에 참여를 다소 부탁드리고 해서 왔습니다. 해당 내용은 학술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단순히 찬반으로 결정지을 수 없는 문제라서 여러 많으신 분들의 의견 교환과 합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 '어족' '어파' '어군' 이하의 규모가 큰 언어 집단 등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제어' 등의 명칭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분류체계 종합적인 토론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아무쪼록 시간을 좀 더 내 주셔서 문제점이나 또는 새로운 제안, 개선안 등의 의견을 달아 주시면 좋겠습니다. - 아이리디 2006년 10월 15일 (월) 17:4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