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치아 공화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네치아 공화국
Serenissima Repubblica di Venezia
국기 문장

공용어 이탈리아어
수도 베네치아
정치체제 공화정부제
성립 8세기
해체 1797년
성립 이전 동로마 제국의 일부
해체 이후 오스트리아 대공국
편집

베네치아 공화국(이탈리아어: Serenissima Repubblica di Venezia)은 이탈리아 북부의 도시 베네치아에 있던 도시국가이다. 8세기부터 1797년까지 약 1,000년 동안 독자적인 공화정 정부 형태를 갖추고 독립 도시국가로 존재했고 한때 지중해의 해양 강국으로 지중해 무역을 독점하였다.

목차

[편집] 역사

[편집] 성립

베네치아는 5세기게르만족의 일파가 북이탈리아를 침입하면서부터 시작한다. 당시 고트족롬바르드족 등 야만족의 침입을 피해 몇몇 주민들이 아드리아해의 해안가 척박한 석호에 집을 짓고 마을을 형성하기 시작했고 세월이 흐르면서 이것이 점차 도시를 이루게 되었다. 약 7세기에 이르자 주민들은 자체적으로 그들의 지도자를 뽑았고 동로마 황제로부터 인정을 받아 자치를 시작했다. 이를 도제라고 하는데 전하는 바에 따르면 697년 최초의 도제 파올로 루치오 아나페스토가 선출되었다고 한다.

베네치아의 정식 명칭은 이탈리아어Serenissima Repubblica di Venezia로, 이를 번역하면 가장 고귀한 베네치아 공화국이다. 베네치아의 수호성인성 마르코로 상징동물은 사자이다. 이는 828년 이집트알렉산드리아에서 베네치아 상인 두 명이 성 마르코의 유해를 몰래 베네치아로 밀반입했다고 전해지기 때문이다.

[편집] 중세

중세기 동안 베네치아는 프랑크 왕국동로마 제국의 사이에서 조금씩 그 세력을 넓혔다. 산물이라고는 소금과 생선 뿐인 척박한 석호의 섬에서 베네치아는 무역 중계와 상업으로 존재했다. 당시 가장 큰 교역물품은 목재와 노예였다. 뛰어난 상술과 항해술로 베네치아는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특혜를 얻었고 점차 십자군 원정을 통해 점차 그 세력이 강대해졌다.

베네치아는 동로마 제국의 간섭에서 완전히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으로 발전했으며 결국 1204년 제4차 십자군 당시에는 당대 최대의 도시이자 동로마 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침공하여 함락시키기도 하였다. 중세 동안 베네치아는 아드리아 해는 물론 동지중해에 무역거점도시를 줄줄히 건설하여 무역강국으로 발전했으며 로마 교황청의 권위에도 굴복하지 않았다. 또한 강력한 무역과 해상의 라이벌인 제노바 공화국과 120여년에 걸쳐 네 번의 전쟁을 벌여 결국 승리했다.

1450년경 동지중해의 판도
1450년경 동지중해의 판도

[편집] 15세기에서 17세기까지

15세기에 베네치아 공화국은 전성기를 맞이한다. 키프로스에게해의 여러 섬들을 복속하고 이탈리아 본토에 속주를 차지했으며 달마티아알바니아 연안에 베네치아 귀족이 통치하는 속국을 만들었다. 1453년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자 베네치아는 르네상스의 주역으로 떠오른 한편,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킨 오스만 제국과 경쟁하며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

16세기에 이르러 베네치아에 대항하는 교황령 주도의 이탈리아 동맹인 캉브레 동맹이 결성되었고 1508년 캉브레 동맹 전쟁에서 승리하지만 이후로는 더 이상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토를 넓힐 수 없었다.

이후 에스파냐포르투갈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여 부와 무역의 주도권은 대서양으로 넘어가자 지중해 무역의 중요성은 점차 떨어졌다. 동방과의 교역은 지중해가 아니라 대서양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무역에 의존하는 베네치아는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1571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레판토 해전에서 승리하지만 이후 1606년 교황 바오로 5세는 베네치아에게 선전 포고를 하고 베네치아를 파문해 버렸다. 이미 무역에서 주도권을 상실한 베네치아는 이후 수공업을 장려하며 부흥을 꾀했으나 이미 이탈리아 본토의 속주로 주도권과 중심이 옮겨가 베네치아는 점차 쇠락의 길을 걸었다.

[편집] 공화국의 몰락

1714년 오스만 제국은 모레아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전쟁을 선포했다. 이에 맞선 오스트리아와 베네치아는 결국 오스만을 굴복시키긴 했지만 오스트리아가 많은 영토를 얻은 데 비해 베네치아는 모레아를 잃었다. 이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고 팽창하는 열강의 틈바구니 속에서 1792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비무장의 중립을 선언하지만 1796년 나폴레옹의 군대가 오스트리아군을 쫓아 베네치아를 침공했고 결국 약 1200년의 역사를 가진 베네치아 공화국은 나폴레옹에게 멸망하고 만다.

[편집] 정부형태

[편집] 베네치아 공화국 도제

[편집] 7세기

  • Paolo Lucio Anafesto (697-717)

[편집] 8세기

  • Marcello Tegalliano (717-726)
  • Orso Ipato (726-737) assassinated perhaps at the instigation of Eutychius, Exarch of Ravenna
  • Brief Interregnum (737-742)
  • Teodato Ipato (742-755) deposed, blinded, and exiled
  • Galla Gaulo (755-756) deposed, blinded, and exiled
  • Domenico Monegario (756-764) deposed, blinded, and exiled
  • Maurizio Galbaio (764-787)
  • Giovanni Galbaio (787-804) fled to Mantua in 803 with family, where they all probably died

[편집] 9세기

  • Obelerio Antenoreo (804-811) exiled, attempted to return to power, killed & head displayed in the market
  • Angelo Participazio (811-827) forced into exile at Zara by his eldest son Giustiniano
  • Giustiniano Participazio (827-829)
  • Giovanni I Participazio (829-837) arrested, and tonsured (head shaved like monk)
  • Pietro Tradonico (837-864) assassination, although in this case his successor arrested and executed the assassins
  • Orso I Participazio (864-881)
  • Giovanni II Participazio (881-887) resigned due to poor health
  • Pietro I Candiano (887-888) killed in open battle while invading the Narentines
  • Pietro Tribuno (888-912)

[편집] 10세기

  • Orso II Participazio (912-932)
  • Pietro II Candiano (932-939)
  • Pietro Participazio (939-942)
  • Pietro III Candiano (942-959)
  • Pietro IV Candiano (959-976) People of Venice locked him in palace with son while it burned.
  • Pietro I Orseolo (976-978)reisgned to become a Camaldolese hermit in Abbey of Sant Miguel de Cuxa in the Pyrenees
  • Vitale Candiano (978-979)
  • Tribuno Memmo (979-991)
  • Pietro II Orseolo (991-1009) gave the majority of his wealth to the poor and the Church, and retired to a monastery

[편집] 11세기

  • Otto Orseolo (1009-1026) arrested, beard shaved, and banished to Constantinople for nepotism
  • Pietro Barbolano (1026-1032) abdicated under heavy pressure to reinstate Otto Orseolo
  • Domenico Flabanico (1032-1043)
  • Domenico Contarini (1043-1071)
  • Domenico Selvo (1071-1084) deposed peacefully to a monastery because of naval defeat, died three years later
  • Vitale Faliero (1084-1096)
  • Vital I Michele (1096-1102)

[편집] 12세기

  • Ordelafo Faliero (1102-1117)
  • Domenico Michele (1117-1130)
  • Pietro Polani (1130-1148)
  • Domenico Morosini (1148-1156)
  • Vital II Michele (1156-1172)
  • Sebastiano Ziani (1172-1178)
  • Orio Mastropiero (1178-1192)
  • Enrico Dandolo (1192-1205)

[편집] 13세기

  • Pietro Ziani (1205-1229)
  • Jacopo Tiepolo (1229-1249)
  • Marino Morosini (1249-1252)
  • Reniero Zeno (1252-1268)
  • Lorenzo Tiepolo (1268-1275)
  • Jacopo Contarini (1275-1280)
  • Giovanni Dandolo (1280-1289)
  • Pietro Gradenigo (1289-1311)

[편집] 14세기

  • Marino Zorzi (1311-1312)
  • Giovanni Soranzo (1312-1328)
  • Francesco Dandolo (1328-1339)
  • Bartolomeo Gradenigo (1339-1342)
  • Andrea Dandolo (1342-1354)
  • Marino Faliero (1354-1355) - convicted of treason and executed
  • Giovanni Gradenigo (1355-1356)
  • Giovanni Dolfin (1356-1361)
  • Lorenzo Celsi (1361-1365)
  • Marco Cornaro (1365-1367)
  • Andrea Contarini (1367-1382)
  • Michele Morosini (1382-1382)
  • Antonio Venier (1382-1400)
  • Michele Steno (1400-1413)

[편집] 15세기

  • Tommaso Mocenigo (1413-1423)
  • Francesco Foscari (1423-1457) - forced to abdicate by the Council of Ten
  • Pasqual Malipiero (1457-1462)
  • Cristoforo Moro (1462-1466)
  • Nicolo Tron (1466-1473)
  • Nicolo Marcello (1473-1474)
  • Pietro Mocenigo (1474-1476)
  • Andrea Vendramin (1476-1478)
  • Giovanni Mocenigo (1478-1485)
  • Marco Barbarigo (1485-1486)
  • Agostino Barbarigo (1486-1501)

[편집] 16세기

  • Leonardo Loredan (1501-1521)
  • Antonio Grimani (1521-1523)
  • Andrea Gritti (1523-1538)
  • Pietro Lando (1538-1545)
  • Francesco Donato (1545-1553)
  • Marcantonio Trivisan (1553-1554)
  • Francesco Venier (1554-1556)
  • Lorenzo Priuli (1556-1559)
  • Giorolamo Priuli (1559-1567)
  • Pietro Loredan (1567-1570)
  • Alvise I Mocenigo (1570-1577)
  • Sebastiano Venier (1577-1578)
  • Nicolo da Ponte (1578-1585)
  • Pasqual Cicogna (1585-1595)
  • Marino Grimani (1595-1606)

[편집] 17세기

  • Leonardo Donato (1606-1612)
  • Marcantonio Memmo (1612-1615)
  • Giovanni Bembo (1615-1618)
  • Nicolo Donato (1618-1618)
  • Antonio Priuli (1618-1623)
  • Francesco Contarini (1623-1624)
  • Giovanni Corner (1624-1630)
  • Nicolo Contarini (1630-1631)
  • Francesco Erizzo (1631-1646)
  • Francesco Molin (1646-1655)
  • Carlo Contarini (1655-1656)
  • Francesco Corner (1656-1656)
  • Bertuccio Valier (1656-1658)
  • Giovanni Pesaro (1658-1659)
  • Domenico II Contarini (1659-1674)
  • Nicolo Sagredo (1674-1676)
  • Luigi Contarini (1676-1683)
  • Marcantonio Giustinian (1683-1688)
  • Francesco Morosini (1688-1694)
  • Silvestro Valier (1694-1700)
  • Alvise II Mocenigo (1700-1709)

[편집] 18세기

  • Giovanni Corner (1709-1722)
  • Sebastiano Mocenigo (1722-1732)
  • Carlo Ruzzini (1732-1735)
  • Alvise Pisani (1735-1741)
  • Pietro Grimani (1741-1752)
  • Francesco Loredan (1752-1762)
  • Marco Foscarini (1762-1763)
  • Alvise Giovanni Mocenigo (1763-1779)
  • Paolo Renier (1779-1789)
  • Ludovico Manin (1789-1797) - forced to abdicate by Napoleon

[편집]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