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희준 | ||
---|---|---|
기본 정보 | ||
출생 | 1978년 3월 14일![]() |
|
장르 | 록 | |
활동 시기 | 2001년 ~ 현재 | |
그룹 활동 | H.O.T.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문희준(文熙俊, 1978년 3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남성 록 가수이다. 댄스그룹 H.O.T.의 일원으로 활동하다가 팀이 해체된 후 솔로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에서 1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나 문정초등학교, 문정중학교, 중산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 경기대학교를 졸업했다. 1996년 H.O.T.의 멤버로 데뷔했다.
대표곡으로 <Alone>, <Red&White>, <아낌없이 주는 나무>, <G.선상의 아리아>, <전설>, <기억이란 작은 마을> 등이 있다.
목차 |
[편집] 앨범
H.O.T. 때의 앨범은 해당 페이지 참고.
- 1집 《Alone》(2001년)
- 2집 《Messiah》(2002년)
- 콘서트 라이브 앨범 《Live Revolution》(2002년)
- 3집 《Legend》(2003년)
- 베스트 앨범 《A Soaring For Dream》(2004년)
- 싱글 《Winter Letter》(2004년)
- 4집 《Triple X》(2005년)
[편집] 수상 경력
- 2001년 MBC 연기대상 인기상 (라디오 진행자 부문)
- 2002년 SBS 가요대전 록부문상
- 2003년 코리안 뮤직 어워드(KMA) 올해의 가수상, 시청자 인기상
- 2004년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파란상
- 2005년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네티즌 인기상
[편집] 안티
H.O.T. 활동 시절부터 남자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안티 세력이 생겼다. 그들은 문희준의 여성 팬들을 술집 여자를 지칭하는 빠순이라 비하해서 불렀으며, 디시인사이드나 웃긴대학과 같은 웹사이트에서 문희준을 희화화한 합성사진과 유행어들이 끊임없이 폭발적으로 만들어졌다.
한 웹사이트에서 주최한 <2003 최악의 딴따라 워스트 어워드>에서 “최악의 가수 부문” 및 무려 네 개 부문에 후보로 오를 정도로 가수 문희준에 대한 안티 행위는 특히 2002년 무렵부터 집요해졌다. 문희준에 대한 안티 행위에는 문희준의 음악 실력에 대한 비판도 있었지만, 대개 단순한 인신 공격 수준의 비판(그의 외모나 발언내용을 중심으로)이 많았다.
그를 향한 가히 전국민적 안티행위가 행해졌던 2003년 당시 “문희준”이라는 이름은 네티즌들의 쌓여있던 욕망이 분출되었던, 거리낌없이 욕해도 되는 하나의 키워드였다. 문희준에 대한 안티행위는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비춰질 정도로 그 규모가 방대했는데, 한 가수에 대한 안티행위의 본질(음악실력이 주가 되는)보다는 엉뚱하게도 그의 외모나 기사내용을 통해서 그의 인격이 저울질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졌다. 그것이 문희준이 인터넷에서 벌어지는 집단적 군중심리와 “마녀사냥”의 대표적인 희생양으로 알려져 있는 이유이다.
문희준에 대한 안티 활동이 매우 거칠었던 이유는 아이돌 스타, 댄스 가수가 일명 ‘저항의 상징’인 록을 한다는 데 대한 기존 록 팬들의 거부감이 심했기 때문이었다. 또 문희준이 댄스가수일 때 팬이었던 여성들이나 소녀들이 록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하는 록 팬들의 시각도 존재하였다.
그의 발언들은 이른바 ‘문희준 어록’이라고 불리며 인터넷을 통해 퍼졌는데, 이 중에는 문희준 자신이 직접 말한 내용도 있으나 안티들이 지적하는 이른바 ‘건방진’언행들은 대부분 신문 기사나 네티즌들의 입을 통해 과장된 내용이 많았으며(H.O.T.시절부터 그가 쇼프로그램에서 보여준 ‘농담을 잘하고 재미있는’ 가장 밝은 이미지의 멤버), 또한 일부는 팬들의 웹상에서의 말 실수를 문희준의 말 실수로 오해한 것도 있었다.
[편집] 팬클럽
- 2001-2004: Club H.I.T. (SM 엔터테인먼트)
- 2005: Junist (PS 엔터테인먼트)
[편집] 군입대와 근황
2005년말 논산 훈련소에 입소, 운전병으로 복무하다 2006년 연예병사에 지원, 발탁되었으며, 2007년 현재 KFN 국군방송 FM 〈문희준의 Music Talk Show〉 진행을 맡고 있다. 그의 입대는 당시 여러 남성 연예인들이 군복무 기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것과는 대조적으로 비춰졌다.
[편집] 참고
그에 대한 비난의 선두에 섰던 디시인사이드와의 인터뷰 내용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