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지하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기 지하철2기 지하철 건설에도 여전히 남아 있던 도시철도 음영지역과 여전히 부족했던 네트워크 확충을 위한 서울시지하철 노선 확충 계획이었다. 9호선, 10호선, 11호선, 12호선 및 3호선 연장선이 계획되었으나 IMF의 권고에 의해 파기되었다. 이 가운데 9호선, 3호선 연장선 계획은 서울시에 의해 다시 추진, 현재 시공중이며 10호선, 11호선 계획 노선 가운데 일부는 광역전철 노선으로 전용되었다. 도시철도 음영지역에 대한 교통시설 확충계획은 2007년 5월 서울시가 발표한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에서 대략적으로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목차

[편집] 계획의 전개

[편집] 계획의 파기

[편집] 계획의 부활

[편집] 현재 추진되는 노선

[편집] 9호선

수도권 전철 9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호선은 김포공항, 염창동, 당산역, 여의도, 노량진, 반포동, 고속터미널, 강남, 잠실을 통과하는 3기 지하철의 노선이다. 김포 기지에서 강남대로에 이르는 25.5km의 구간은 2009년 이후 완공 예정으로 현재 공사가 한창 진행 중에 있으며, 봉은사로를 통과하는 강남대로 - 잠실종합운동장 구간은 2007년 착공,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나머지 구간은 2015년을 개통을 목표로 하는 장기 사업으로 지정되어 있다. 건설은 서울지하철건설본부가 시행하지만 운영은 로템이 주간사가 된 민자 컨소시엄이 30년간 하게 된다. 공항철도와 직결 운행이 예정되어 있으며 완행열차보다 30 ~ 40% 빠른 급행열차가 운행될 예정이다. 서울지하철건설본부의 지하철건설현황:9호선 건설 웹 페이지에서 공구별 웹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다. 901 공구에서 914 공구까지 총 15개 공구로 나뉘어 공사가 진행 중이다.

[편집] 3호선 연장

3호선의 연장 구간은 수서역에서 5호선 오금역까지다. 송파구 남쪽의 동서 교통망을 확충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8호선 가락시장역과 연결할 예정이다. 2003년 착공하였고, 2009년 완공되며 운영은 서울메트로가 맡는다.

[편집] 7호선 연장

7호선 의 연장 구간은 인천 1호선 부평구청역에서 7호선 서쪽 끝이자 경인선 온수역까지이다. 부천시 구시가지 및 중동 신도시와 상동 지구, 인천 삼산 지구 등에 동서 전철망을 제공하고, 2복선임에도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른 경인선의 혼잡을 덜기 위한 지하철 연장 공사다. 서울지하철건설본부 외에도 인천지하철건설본부도 인천 지역 구간 공사에 참여하고 있다. 2011년 초 완공 예정으로 공사가 진행 중이며,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할 예정이다.

[편집] 바깥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