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삭제 토론/분류:일본의 남자 성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분류:일본의 남자 성우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울러 분류:일본의 여자 성우도 삭제를 제안합니다. 영어판에서도 이런 분류는 없으며, 현재 대한민국의 성우의 경우에도 남녀를 분류하고 있지 않습니다. 참고로 위키백과:사랑방/2006년 2월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 바가 있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6일 (목) 15:24 (KST)
유지
영어판에는 직업별 여성이 있습니다(한번 둘러보세요).(실수)일본의 성우 세계는 남자 성우와 여자 성우의 비율이 거의 동등하고 그 숫자가 상당히 많습니다. 야겜 전문 성우까지 합치면 더 많고요. 정안님의 제안대로라면 성별이 아니라 합쳐서 분류:일본의 성우로 분류해야 합니다. 이 경우, 200개 기준에서 몇쪽이 나올지 두렵군요(그만큼 많습니다). 제 생각엔 정안님이 한국어 위키백과에 여자측 문서가 별로 없다보니, 제안하신것 같군요. 맞습니까? --크렌베리 2007년 9월 6일 (목) 15:41 (KST)의견 아닙니다. 제가 반대하는 이유는, 남녀를 구분하여 분류하는 것 자체가 남녀의 차이를 강조하는 것이고, 이는 별로 필요하지 않을 뿐더러 (제 판단에는)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성악가라면 파트 별로 나누는 것이 이해가 됩니다만, 성우까지 그래야 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물론 정치가나 과학자를 남녀로 나누겠다면 그것에 대해서는 결사반대고요. :) 약간 빗나간 이야기지만, 영어판 위키백과에는 직업별 여성 분류는 있지만, 직업별 남성 분류는 없습니다. 이야말로 더 큰 문제이고, 따라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안영민 2007년 9월 6일 (목) 17:12 (KST)
- 아래의 퍼플렉싱님 말씀대로 성우는 성별로 역할도 따르 있고, 이 업계쪽은 양성 다 사람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정치적인 사항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전 정치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는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이라 싫어합니다. --크렌베리 2007년 9월 6일 (목) 18:25 (KST)
유지 남성과 여성의 목소리가 다르고 그에 따라 남녀 성우들의 역할이 갈라지는 면도 있으니 구분해서 나쁠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퍼플렉싱 2007년 9월 6일 (목) 16:30 (KST)
의견 성우의 경우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이 차이가 있기는 하나, 그것이 어느쪽이 우월하고 열등한지를 구분하는 의도로 일본의 남자성우나 여자성우가 쓰이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혹 화가나 정치인 안에 여류화가, 여류 정치인을 구분한다면 다른 경우겠지만요. -- tiens 2007년 9월 6일 (목) 17:22 (KST)
유지 남녀를 구분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는 게 삭제 제안의 근거라면, 더 강력한
유지에 한표를 던집니다. 남녀를 구분해 분류하는 것 또는 사용자, 그런 분류를 필요로 하는 것 또는 사용자 어느 하나도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고 볼 수 없습니다. --Sjhan81 2007년 9월 6일 (목) 17:39 (KST)
의견 죄송합니다만, 마지막 문장의 구조가 이해가 되지 않네요. 다시 설명을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 --정안영민 2007년 9월 6일 (목) 18:20 (KST)
-
- 남녀를 구분해 분류함(categorising), 남녀를 구분해 분류하는 사용자(one who does that), 그런 분류를 필요로 함(demanding), 그런 분류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one who does so) 어느 하나도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고 볼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남녀를 구분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이유가 뭐죠? --Sjhan81 2007년 9월 6일 (목) 18:25 (KST)
-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구별하는 것 자체가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사실상 차이가 없는데도 차이를 강조하는 것은 일종의 ‘차별’을 조장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남성 과학자/여성 과학자에 해당하는 분류를 각각 따로 만든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러한 구분은 남성 과학자와 여성 과학자가 근본적으로 다를 수 있다는 편견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에 피하자는 것이지요. 다른 예로 ‘(소규모) 지역별 출신자’의 경우는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분류가 차별을 조장하리라 생각되지는 않기 때문에 굳이 반대하지도 않습니다. 물론 여성의 정치 참여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이 된 사람들을 학술적인 의미에서 빨리 검색하기 위해 ‘여성 대통령’과 같은 분류를 만들자고 주장한다면 (찬성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고 봅니다. 성우도 ‘과학자 예시’의 연장선상에서 판단하여 삭제를 건의한 것입니다. 물론 성우는 과학자와 꼭 같은 경우는 아니기에, 성별 구분이 이 직업에서 중요하다는 중론이 모아진다면 따르겠습니다. 그런데 Sjhan81님은 성우의 경우에 한해 말씀을 하시는 것인가요? 아니면 모든 직업에 있어서 남녀 구분을 해도 상관이 없다는 쪽인가요? --정안영민 2007년 9월 6일 (목) 19:53 (KST)
- 저는 모든 직업에 대해서 남녀 구분을 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는 데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인물을 남자와 여자로 구별하는 것은 나라별로 구분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남성과 여성은 그 자체로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그런 차이를 구분의 기준으로 삼는 데에 대해서, 차별을 조장할 수 있다는 식의 관점을 갖는 것은 특정한 정치적 시각에 기반한 것으로, 중립적인 시각에 위배된다고 봅니다. 각 나라별 인물 분류가 '차별'을 조장한다고 생각하지 않으시지요? 물론 분류:과학자와 분류:대통령을 둔 채로 분류:여자 과학자, 분류:여자 대통령 등 '여자'만 따로, 또는 분류:남자 과학자, 분류:남자 대통령 등 '남자'만 따로 구분하는 것에는 반대합니다만(그런 경우는 비중립적 관점이라는 공격에 반박할 수 없겠죠), 분류:남자 과학자와 분류:여자 과학자를 함께, 분류:여자 대통령과 분류:남자 대통령을 함께 생성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고 할 수 없습니다.--Sjhan81 2007년 9월 6일 (목) 20:49 (KST)
- 이 문제에 있어서는 정말 여러가지 입장이 있는 것 같네요. 마음에 드는 것은 아니지만, 영어 백과의 경우 en:Category:Female heads of government와 같은 분류는 존재하지만, 남성에 대한 분류는 없습니다. 이에 대한 규칙은 en:Wikipedia:Categorization/Gender, race and sexuality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저도 딱히 어디까지 선을 그어서 성에 대한 구분을 어떻게 허용해야할지 입장이 분명하지 못하니, 이번 기회에 같이 고민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다만, 해당 직업에 의미가 없는 성별의 차이를 굳이 분류로 나누는 것은, 차별을 조장한다는 것은 둘째치고, 이미 그 직업에 있어서도 남자와 여자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를 하고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중립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위키백과에 있는 사람을 ABO혈액형으로 전부 분류한다면(가능한 경우) 이는 인간은 ABO 혈액형이 분류할 필요와 가치가 있다는 전제를 하고 있는 것이지요. 이러한 분류는 마치 fact만을 가지고 기술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가치중립적이지 않습니다. 마치 지난 세대의 저명했던 과학자들이 인간의 인종별로 머리크기를 열심히 재고 기록했던 것을 가치중립적인 연구활동으로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정안영민 2007년 9월 7일 (금) 01:11 (KST)
- 남자와 여자를 구분하는 것이 가치중립적이지 않다는 것은 오히려 그 자체가 가치중립적이지 않은 시각에 의한 것일 수 있습니다. 일종의 필터를 통해서 바라볼 때는 '남녀는 똑같고 평등하고 차이가 없으므로 구분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할 수 있겠지만, 현실에서 어떤 직업을 갖는 인물을 '남자' 또는 '여자'로 분류해 바라보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 '중립적이지 않은 가치'가 부여되어서, 또는 '중립적이지 않은 가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일이 아닙니다. 혹 여성주의 입장의 사람들은 종종 '여자 대통령', '여자 교수', '여자 과학자' 식으로 '여성'임을 강조하는 것을 거부하거나, 또는 반대로 그렇게 하는 것을 장려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히려 남/녀라는 '당연한 구분(분류)'에 대해서 임의로 '가치'를 부여 또는 '가치 부여를 의심'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죠.
- ABO식 혈액형 분류는 현실적으로 가능하지야 않지만(ABO혈액형이 공개된 사람이 별로 없음), 분류의 필요성과 타당성이 널리 인정될 때에는 마땅히 분류를 인정할 수 있는 것이지, '가치중립적이지 않다'는 딱지를 붙여서 분류를 막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이유는 좋습니다.
- 우리가 하는 일은 사실에 근거한 분류를 제공하는 것이지, 머리크기와 인종을 연관지으려는 것이 아닙니다. 분류:여자 대통령과 분류 남자 대통령을 근거로 해서 누군가가 나름대로의 결론, 예를 들어 '여자 대통령은 남자 대통령에 비해 어떠어떠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고, 그런 결론이 멍청하고 가치중립적이지 못할 수는 있는 겁니다만, 남자/여자로 분류하는 것 자체가 그런 멍청하고 가치중립적이지 못한 일은 절대로 아닙니다.
- 영어판의 분류 방식(어떤 직업에서 여자 분류를 따로 하기)이 이해가 되는 것도, 현실을 반영하고(en:WP:CATGRS: the vast majority of political leaders have been male by default) 필요에 따라서(en:WP:CATGRS: valid as a topic of special encyclopedic interest) 분류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충분히 이해가 되고요. 애초에도 말씀드렸듯이,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는 분류'라는 이유로 삭제를 제안한다면 타당할 수 있지만(그래도 지금 토론 대상인 성우 분류 대해서는 유지에 한 표),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는 이유로 삭제 제안된 데에는 삭제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Sjhan81 2007년 9월 7일 (금) 10:12 (KST)
- 이 문제에 있어서는 정말 여러가지 입장이 있는 것 같네요. 마음에 드는 것은 아니지만, 영어 백과의 경우 en:Category:Female heads of government와 같은 분류는 존재하지만, 남성에 대한 분류는 없습니다. 이에 대한 규칙은 en:Wikipedia:Categorization/Gender, race and sexuality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저도 딱히 어디까지 선을 그어서 성에 대한 구분을 어떻게 허용해야할지 입장이 분명하지 못하니, 이번 기회에 같이 고민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다만, 해당 직업에 의미가 없는 성별의 차이를 굳이 분류로 나누는 것은, 차별을 조장한다는 것은 둘째치고, 이미 그 직업에 있어서도 남자와 여자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를 하고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중립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위키백과에 있는 사람을 ABO혈액형으로 전부 분류한다면(가능한 경우) 이는 인간은 ABO 혈액형이 분류할 필요와 가치가 있다는 전제를 하고 있는 것이지요. 이러한 분류는 마치 fact만을 가지고 기술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가치중립적이지 않습니다. 마치 지난 세대의 저명했던 과학자들이 인간의 인종별로 머리크기를 열심히 재고 기록했던 것을 가치중립적인 연구활동으로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정안영민 2007년 9월 7일 (금) 01:11 (KST)
- 저는 모든 직업에 대해서 남녀 구분을 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는 데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인물을 남자와 여자로 구별하는 것은 나라별로 구분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남성과 여성은 그 자체로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그런 차이를 구분의 기준으로 삼는 데에 대해서, 차별을 조장할 수 있다는 식의 관점을 갖는 것은 특정한 정치적 시각에 기반한 것으로, 중립적인 시각에 위배된다고 봅니다. 각 나라별 인물 분류가 '차별'을 조장한다고 생각하지 않으시지요? 물론 분류:과학자와 분류:대통령을 둔 채로 분류:여자 과학자, 분류:여자 대통령 등 '여자'만 따로, 또는 분류:남자 과학자, 분류:남자 대통령 등 '남자'만 따로 구분하는 것에는 반대합니다만(그런 경우는 비중립적 관점이라는 공격에 반박할 수 없겠죠), 분류:남자 과학자와 분류:여자 과학자를 함께, 분류:여자 대통령과 분류:남자 대통령을 함께 생성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고 할 수 없습니다.--Sjhan81 2007년 9월 6일 (목) 20:49 (KST)
-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구별하는 것 자체가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사실상 차이가 없는데도 차이를 강조하는 것은 일종의 ‘차별’을 조장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남성 과학자/여성 과학자에 해당하는 분류를 각각 따로 만든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러한 구분은 남성 과학자와 여성 과학자가 근본적으로 다를 수 있다는 편견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에 피하자는 것이지요. 다른 예로 ‘(소규모) 지역별 출신자’의 경우는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분류가 차별을 조장하리라 생각되지는 않기 때문에 굳이 반대하지도 않습니다. 물론 여성의 정치 참여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이 된 사람들을 학술적인 의미에서 빨리 검색하기 위해 ‘여성 대통령’과 같은 분류를 만들자고 주장한다면 (찬성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고 봅니다. 성우도 ‘과학자 예시’의 연장선상에서 판단하여 삭제를 건의한 것입니다. 물론 성우는 과학자와 꼭 같은 경우는 아니기에, 성별 구분이 이 직업에서 중요하다는 중론이 모아진다면 따르겠습니다. 그런데 Sjhan81님은 성우의 경우에 한해 말씀을 하시는 것인가요? 아니면 모든 직업에 있어서 남녀 구분을 해도 상관이 없다는 쪽인가요? --정안영민 2007년 9월 6일 (목) 19:53 (KST)
- 남녀를 구분해 분류함(categorising), 남녀를 구분해 분류하는 사용자(one who does that), 그런 분류를 필요로 함(demanding), 그런 분류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one who does so) 어느 하나도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고 볼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남녀를 구분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이유가 뭐죠? --Sjhan81 2007년 9월 6일 (목) 18:25 (KST)
유지 분류를 만든 사람으로써 질문하겠습니다. 정치적인 문제는 뒤로 미루고 과연 성우라는 직업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지 묻고 싶군요. 위에서도 언급됬지만 남자목소리와 여자목소리는 다르고 당연히 맡는 파트도 다릅니다.(간혹 여자성우가 변성기 전의 소년 목소리를 연기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더군다나 일본어에서는 분명 여자와 남자 성우를 분류하고 있습니다.(두 항목의 일어 링크를 참고하시길) 우리나라 성우는 분류하지 않는다 하셨는데 우리나라는 성우 시장이 빈약하기 때문에 손대는 사람이 적은 것이고(저 또한 거기엔 아는바가 없고) 일본은 성우들의 활동이 아주 활발하다는 사실 기억해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백화점에서 남성의류와 여성의류를 구분하는 것도 남녀차별이란 의미인지요? 참고로 말이 너무 공격적이었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 2007년 9월 7일 (금) --사용자:remmy1104 08:53 (KST)
의견 성우의 경우에는 남녀분류가 꼭 필요하다는 주장으로 요약해서 이해하겠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필요성을 느낀다고 하시고, 저도 어느 정도는 공감을 하기 때문에, 성우에 대해서는 제가 한 발 물러나겠습니다. 하지만 당분간은 토론을 닫지 말고 과학자/정치가/배우 등에 대해서 논의를 (기왕 이야기가 나온 김에) 여기서 더 이야기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7일 (금) 10:21 (KST)
의견 성우에 관해 결론이 나온다면(나왔다면), 일단 여기서는 토론을 닫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계속 ‘삭제 토론중입니다’ 틀이 붙어있는 것도 그렇구요. 지금 당장 남녀를 칭하는 것에 관해 토론할 문서가 없는 것 같은데, 그 주제는 사랑방으로 옮겨 토론함이 어떨지요. --퍼플렉싱 2007년 9월 7일 (금) 11:43 (KST)
- Perplexing 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토론의 흐름을 이을 수 있는 방향으로, 별도의 토론을 사랑방에서 계속하고, 이 항목은 정리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tiens 2007년 9월 7일 (금) 11:54 (KST)
해당 분류는 유지하겠습니다. --정안영민 2007년 9월 7일 (금) 12:02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