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한국어 낱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어떤 낱말이 가장 긴 한국어 낱말인지에는 논란이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낱말 중에서는 독일의 막스 베버의 서명 《프로테스탄티즘의윤리와자본주의의정신》이 18자로 제일 긴 단어로 수록되어 있지만 고유명사를 제외하면 니코틴아미드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란 단어가 16자로 가장 긴 단어이다. 그밖에도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중합체(chlorotrifluoroethylene polymer)가 15자이고 프로그램가능판독전용메모리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13자의 단어들로 긴 단어의 대부분이 학술 전문 용어들이다. 동식물의 학명 중에는 얼룩보금자리산세비에리아가 12자,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모시금자라남생이잎벌레, 송곳벌레살이납작맵시벌, 어리등에살이뭉툭맵시벌이 각각 11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려 있지 않은 것 중에는 작은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13자)가 있다.

고유명사와 전문 용어를 제외한 단어 중에는 ‘작고 단단한 물건이 약간씩 튀면서 잇따라 굴러 가는 모양’이라는 뜻의 북조선 말 딱다그르르딱다그르르하다와 이보다 느낌이 큰 말인 떡더그르르떡더그르르하다가 12자로 제일 긴 단어이다.

[편집] 고유 명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초등학교 이름으로 여겨진다.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초등학교 이름으로 여겨진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진 학교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21자)이다.

고려의 사경(寫經)의 하나인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정원본(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貞元本)은 27자이고 천수경의 한 종류인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은 23자이다.

수도권 전철 8호선의 역인 남한산성입구 (성남법원·검찰청)역의 이름은 특수 문자를 제외하고 모두 13자로 부역명을 포함한 대한민국의 철도역명 중 가장 길다. 두 번째로 긴 역 이름은 수도권 전철 6호선상월곡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역으로 특수 문자를 제외하고 모두 12자이다. 단, 코레일이 영리를 목적으로 판매한 부역명까지 포함한다면, 1호선의 역인 가산디지털단지 (마리오쇼핑센터)가 14자로 제일 길어진다. 하지만, 이 판매된 부역명은 2006년부터 3년단위로 임대되므로, 2009년에 재계약이 없을경우 가산디지털단지역은 가장 긴 역명자리를 남한산성입구에 되돌려줘야 할것이다.[1]

고종실록의 원래 이름은 고종순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덕요준순휘우모탕경응명입기지화신열외훈홍업계기선력건행곤정영의홍휴수강문헌무장인익정효태황제실록(高宗純天隆運肇極敦倫正聖光義明功大德堯峻舜徽禹謨湯敬應命立紀至化神烈巍勳洪業啓基宣曆乾行坤定英毅弘休壽康文憲武章仁翼貞孝太皇帝實錄)으로 65자이다. 대한민국의 법률 가운데는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상호방위조약제4조에의한시설과구역및대한민국에있어서의합중국군대의지위에관한협정의시행에따른국가및지방자치단체의재산의관리와처분에관한법률(82자)이 있다. 이는 하나의 낱말이 아니라 낱말을 띄어 쓰지 않아서 길어진 것이다. 2005년부터 제정되는 법률 제목에는 띄어쓰기가 들어가므로 이런 예는 더이상 나오지 않을 것이다.

[편집] 더 보기

[편집]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