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닝구무스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닝구무스메。 モーニング娘。 |
|
---|---|
![]() 모닝구무스메。 |
|
기본 정보 | |
국적 | ![]() |
활동 시기 | 1997년 ~ 현재 |
웹사이트 | 헬로! 프로젝트 공식 사이트 |
멤버 | |
다카하시 아이 (리더) 니이가키 리사 (서브리더) 카메이 에리 / 미치시게 사유미 다나카 레이나 / 쿠스미 코하루 미츠이 아이카 / 쥰쥰 / 링링 |
|
이전 멤버 | |
후쿠다 아스카 / 이시구로 아야 이치이 사야카 / 나카자와 유코 고토 마키 / 야스다 케이 아베 나츠미 / 쯔지 노조미 카고 아이 / 이이다 카오리 야구치 마리 / 이시카와 리카 콘노 아사미 / 오가와 마코토 요시자와 히토미 / 후지모토 미키 |
대표 작품 | ||
---|---|---|
〈LOVEマシーン〉 | 1999.9.9 | 싱글 |
〈恋のダンスサイト〉 | 2000.1.26 | 싱글 |
〈ハッピーサマー ウェディング〉 |
2000.5.17 | 싱글 |
〈恋愛レボリューション21〉 | 2000.12.13 | 싱글 |
최근 발매한 작품 | ||
〈笑顔YESヌード〉 | 2007.2.14 | 싱글 |
《SEXY 8 BEAT》 | 2007.3.21 | 앨범 |
〈悲しみトワイライト〉 | 2007.4.25 | 싱글 |
〈女に幸あれ〉 | 2007.7.25 | 싱글 |
모닝구무스메 | |
---|---|
관련 표기 | |
일본식 한자 표기: | モーニング娘。 |
가나 표기: | モーニングむすめ |
외래어 표기법 표기: | 모닝구무스메 |
로마자: | Morning Musume |
모닝구무스메 (モーニング娘。) 는 1997년에 결성되어 1998년에 메이저에 데뷔한, 일본을 대표하는 여성 아이돌 그룹이다. 대부분의 악곡의 작사, 작곡, 프로듀스를 층쿠♂가 담당하고 있다. 약칭은 모무스이며, 예능사무소 업프런트 에이전시 소속이다.
1990년대말부터 2000년대 전반에 걸쳐 일본을 대표할 정도의 폭발적인 인기를 자랑하며, 결성 10주년이 되는 2007년에도 싱글이 오리콘 차트 베스트 5위 안에 랭크인하는 등의 인기를 유지하면서 활동을 계속해 오고 있다.
목차 |
[편집] 멤버
[편집] 2007년 9월 시점의 멤버
- 다카하시 아이(리더 · 5기)
- 니이가키 리사(서브리더 · 5기)
- 카메이 에리(6기)
- 미치시게 사유미(6기)
- 다나카 레이나(6기)
- 쿠스미 코하루(7기)
- 미츠이 아이카 (8기)
- 쥰쥰 (8기 · 유학생)
- 링링 (8기 · 유학생)
※가입순 (같은 기는 생년월일순) 으로 기재.
[편집] 졸업 및 탈퇴 멤버
이 그룹에서는 공식적으로 그룹을 그만두는 것을 「졸업」 혹은 「탈퇴」라고 한다. 졸업 (탈퇴) 의 발표는 공식 홈페이지에서의 발표와 기자 회견 등 매스미디어를 통해서 하며, 콘서트 최종 공연 일정 등을 사전에 팬들에게 고지하고 있다. 음악 그룹에 있어 불화로 인한 결별의 경우에 자주 사용되는「탈퇴」라는 표현에 비해「졸업」은 훗날로 이어지는 듯한 적극적인 의미를 포함한 단어이다.
초기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탈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지만 (결성부터 나카자와 졸업까지의 모닝구무스메。의 역사가 게재되어있는 ASAYAN 공식 사이트 등에서는 지금도 탈퇴라는 표현으로 통일되어 있다), 2001년 이후에는 공식적으로 주로 졸업이라는 표현을 쓰게 되어 (「졸업 메모리얼」굿즈 등),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졸업이라는 표현으로 통일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콘서트 MC에서의「졸업 멤버」호칭 등). 그 외에 2005년 4월의 야구치 마리의 경우는 사진 주간지 FRIDAY에 배우 · 오구리 슌과의 교제가 보도된 것을 이유로 공식 홈페이지에는「모닝구무스메。를 그만두고 솔로 활동을 한다」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1]. 이에 따라 야구치 자신도 졸업이나 탈퇴가 아닌「모닝구무스메。를 그만두었다」라는 표현을 사용한 적이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후지모토 미키도 개그맨 · 쇼지 토모하루와의 교제가 FRIDAY에 보도된 것을 이유로 2007년 6월 1일자로 탈퇴하였다. 한편 「졸업」이라는 표현 자체는 처음에 그룹을 그만둔 후쿠다 아스카 때부터 자신의 팬에 대한 메세지 등에서 사용되어, 자서전「또 한 명의 아스카」에 수록된 연표에는「모닝구무스메。를 졸업, 연예계 은퇴」라고 표기되었다. 2007년에 출판된 공식북인「모닝구무스메。탄생 10년 기념책」에 수록된 연표에는, 야구치와 후지모토만「탈퇴」, 그 외 멤버는「졸업」으로 분류되어 있다.
나카자와 유코 이후의 멤버는 졸업 (탈퇴) 후 솔로 혹은 그룹으로서 그대로 헬로! 프로젝트에 재적되어 연예 활동을 계속해 나가고 있지만, 콘노 아사미는 학업에 전념하기 위해 완전히 탈퇴하였다 (현재는 복귀하여 활동을 재개하였다). 또한 오가와 마코토는 헬로! 프로젝트에 소속된 채, 해외에 유학하고 있다.
졸업 (탈퇴) 발표는 고토 마키 이전에는 1, 2개월 정도 전에 발표되었지만, 고토와 동시에 졸업이 발표된 야스다 이후로는 긴급 탈퇴한 야구치와 후지모토를 제외하고 졸업 반년에서 1년 정도 전에 발표되었다. 그리고 콘노 · 오가와 · 요시자와는 3, 4개월 전으로, 그 전까지의 관례보다 약간 짧아졌다. 또한 지금까지 졸업 발표와 졸업이 동시에 열린 것은 졸업 후에 유닛을 결성해 활동하는 것이 예정되었던 쯔지 노조미와 카고 아이뿐이지만, 그 전에도 시기를 달리하여 졸업하는 복수 멤버의 졸업이 동시에 발표된 적도 있다 (고토와 야스다, 이이다와 이시카와, 콘노와 오가와).
「졸업」의 발표와 그 후 콘서트에 의한「졸업 공연」은, 「ASAYAN」외 텔레비전 방송에서 대대적으로 보도되어, 그「서프라이즈 인사」적 요소와 함께 모닝구무스메。인기의 부양, 주목도 상승, 나아가서 멤버의 결속을 강화시켜 왔다. 하지만 원래는「모닝구무스메。는 빨리 졸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좋다」라는 자립적 의미를 가진「졸업」이지만, 헬로! 프로젝트에 소속된 채로 모닝구무스메。와의 합동 공연도 많기 때문에 완전한 자립이라고는 할 수 없는 상황으로 보아, 일시적으로 연예계를 은퇴한 콘노와 연예 활동을 쉬고 있는 오가와를 제외하고, 나카자와 이후의 졸업은 헬로! 프로젝트 내에서의 연중 행사화된「정기 인사 이동」같은 색채가 짙다.
이름 | 발표일 | 졸업시 나이 | 기 | 하로프로 재적 상황 |
---|---|---|---|---|
졸업 · 탈퇴일 | 졸업 공연 개최지 | |||
후쿠다 아스카 | 1999년 1월 17일 | 14 | 1기로서 최초 | 하로프로도 졸업 |
1999년 4월 18일 | 도쿄 후생 연금 회관 | |||
이시구로 아야 | 1999년 12월 5일 | 21 | 1기 | 하로프로도 졸업 |
2000년 1월 7일 | 오사카 후생 연금 회관 | |||
이치이 사야카 | 2000년 5월 7일 | 16 | 2기로서 최초 | 하로프로도 졸업 |
2000년 5월 21일 | 일본 무도관 | |||
나카자와 유코 | 2001년 3월 7일 | 27 | 1기 | 솔로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
2001년 4월 15일 | 오사카죠 홀 | |||
고토 마키 | 2002년 7월 31일 | 17 | 3기로서 유일 | 솔로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
2002년 9월 23일 | 요코하마 아리나 | |||
야스다 케이 | 2002년 7월 31일 | 22 | 2기 | 솔로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
2003년 5월 5일 | 사이타마 수퍼 아리나 | |||
아베 나츠미 | 2003년 7월 27일 | 22 | 1기 | 솔로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
2004년 1월 25일 | 요쿄하마 아리나 | |||
쯔지 노조미 | 2004년 1월 3일 | 17 | 4기로서 최초 |
|
2004년 8월 1일 | 요요기 제1체육관 | |||
카고 아이 | 2004년 1월 3일 | 16 | 4기로서 최초 |
|
2004년 8월 1일 | 요요기 제1체육관 | |||
이이다 카오리 | 2004년 5월 23일 | 23 | 1기로서 마지막 | 솔로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
2005년 1월 30일 | 요코하마 아리나 | |||
야구치 마리 | 2005년 4월 14일 | 22 | 2기로서 마지막 | 솔로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
2005년 4월 14일 | 전술한 이유로 인해 열리지 않음※ | |||
이시카와 리카 | 2004년 5월 23일 | 20 | 4기 | 유닛으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
2005년 5월 7일 | 일본 무도관 | |||
콘노 아사미 | 2006년 4월 28일 | 19 | 5기로서 최초 |
|
2006년 7월 23일 | 요요기 제1체육관 | |||
오가와 마코토 | 2006년 4월 28일 | 18 | 5기 | 솔로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활동 중지 중) |
2006년 8월 27일 | 신쥬쿠 코마 극장 | |||
요시자와 히토미 | 2007년 1월 2일 | 22 | 4기로서 마지막 | 솔로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
2007년 5월 6일 | 사이타마 수퍼 아리나 | |||
후지모토 미키 | 2007년 6월 1일 | 22 | 6기로서 최초 | 솔로로서 하로프로에 재적 |
2007년 6월 1일 | 전술한 이유로 인해 열리지 않음※ |
※야구치의 모닝구무스메。멤버로서 마지막 스테이지는 2005년 4월 10일 오사카 후생 연금 회관 공연이었다.
※후지모토의 모닝구무스메。멤버로서 마지막 스테이지는 2007년 5월 6일 사이타마 수퍼 아리나 공연이었다.
[편집] 역대 리더
역대 | 이름 | 기간 |
---|---|---|
초대 | 나카자와 유코 | 결성 - 2001년 4월 15일 |
2대 | 이이다 카오리 | 2001년 4월 16일 - 2005년 1월 30일 |
3대 | 야구치 마리 | 2005년 1월 31일 - 4월 14일 |
4대 | 요시자와 히토미 | 2005년 4월 15일 - 2007년 5월 6일 |
5대 | 후지모토 미키 | 2007년 5월 7일 - 6월 1일 |
6대 | 다카하시 아이 | 2007년 6월 2일 - |
- 초대 리더는 5만장 직접 판매를 달성하여 메이저 데뷔가 결정되면서부터 결정되었다. 이이다가 리더를 맡고 싶다고 발언하였지만 결국 나카자와로 결정되었다. 초대 리더로 나카자와가 선택된 이유는「최연장자기 때문」(「쭉 뒤에서부터 지켜봐왔다」(나카자와 유코 저, 2003년 11월 17일 와니북스) 에 기술).
[편집] 역대 서브 리더
2001년 4월 16일에 이이다 카오리가 제2대 리더에 임명된 것에 맞추어 창설되었다. 초대에 야스다 케이가 취임하였다.
역대 | 이름 | 기간 |
---|---|---|
초대 | 야스다 케이 | 2001년 4월 16일 - 2003년 5월 5일 |
2대 | 야구치 마리 | 2003년 5월 6일※ - 2005년 1월 30일 |
3대 | 요시자와 히토미 | 2005년 1월 31일 - 4월 14일 |
4대 | 후지모토 미키 | 2005년 4월 15일※ - 2007년 5월 6일 |
5대 | 다카하시 아이 | 2007년 5월 7일 - 6월 1일 |
6대 | 니이가키 리사 | 2007년 6월 2일 - |
※야구치와 후지모토의 서브 리더 취임일에 대해 상기의 표에서는 전임자가 퇴임한 다음날로 되어 있지만, 야스다, 요시자와, 다카하시에 대해서는 취임 전에 서브 리더에 취임한다는 취지의 발표가 있었던 것에 비해, 야구치와 후지모토의 경우는 취임 시점에서 발표되지 않고 어느 정도 기간이 경과되고 나서 텔레비전 방송 (야구치:「하로모니。」2003년 8월 3일 방송분, 후지모토:「음악전사 MUSIC FIGHTER」2005년 7월 15일 방송분) 에서의 토크 중에 그 시점에 서브 리더라는 취지의 발언이 있었기 때문에, 취임한 일시가 정확하지 않을 (공석인 기간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 서브 리더에 대해서는 왜 창설되었는지는 공표되지 않았다. 당초 모닝구무스메。탄생 이래 그룹을 이끌어 왔던 나카자와의 그룹 탈퇴에 따라 그를 승계한 이이다에 대한 불안감으로 창설되었을 거라고 생각되어졌다. 하지만 2001년 3월 7일 나카자와 졸업 발표시에는 이이다, 아베, 야스다, 야구치에 의한 집단 지도 체제가 될 거라는 발표도 있었다. 하지만 이이다의 리더 취임이 나카자와 졸업 직후인 4월 16일에 기자 회견에서 발표된 것, 서브 리더에 또다른 초기 멤버 아베 나츠미가 취임하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후임 인사 선택에 맞추어 멤버 내 최연장자인 야스다를 처우하기 위한「명예직」으로써 창설되었을 거라고도 생각된다. 야구치 이후로는 실질적으로「서브 리더 = 차기 리더 (후보)」가 되었다.
- 야스다 취임 이전 (나카자와 리더 시절) 에는 서브 리더라는 직책은 공표되지 않았다. 또한 이시구로 재적시에 그녀가 나카자와 다음의 연장자라는 점에서 No.2로 보는 의견도 있었지만 서브 리더라는 발표는 없었다.
[편집] 그룹 편성
[편집] 멤버 구성 추이
이 그룹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여성 아이돌 그룹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멤버가 계속해서 바뀐다는 점이다.
멤버수가 유동적으로, 5명 (결성시) ~ 16명 (6기 가입부터 야스다 졸업까지) 으로 폭넓다. 또한 연령차가 크다 라는 것도 특징으로, 결성 당시에는 약 12살차, 4기 가입시에 약 15살차로 최다이며, 최소는 야구치 탈퇴로부터 7기 가입까지의 5살차이다. 대부분의 기간 (1999년 4월 ~ 8월 및 2005년 4월 이외) 에 20대와 중학생 멤버가 동시에 있다. 2007년 6월 1일 시점의 평균 연령은 17.00세이다.
[편집] 추이 연표
일시 | 멤버 | 증감 | 인수 | 평균 연령 |
---|---|---|---|---|
1997년 9월 7일 결성 | 【1기】나카자와 유코 · 이시구로 아야 · 이이다 카오리 · 아베 나츠미 · 후쿠다 아스카 | - | 5명 | 17.40 |
1998년 5월 3일 | 【2기】야스다 케이 · 야구치 마리· 이치이 사야카 가입 | +3 | 8명 | 16.75 |
1999년 4월 18일 | 후쿠다 아스카 탈퇴 | -1 | 7명 | 18.29 |
1999년 8월 22일 | 【3기】고토 마키 가입 | +1 | 8명 | 18.00 |
2000년 1월 7일 | 이시구로 아야 탈퇴 | -1 | 7명 | 18.14 |
2000년 4월 16일 | 【4기】이시카와 리카 · 요시자와 히토미 · 쯔지 노조미 · 카고 아이 가입 | +4 | 11명 | 16.55 |
2000년 5월 21일 | 이치이 사야카 탈퇴 | -1 | 10명 | 16.60 |
2001년 4월 15일 | 나카자와 유코 졸업 | -1 | 9명 | 16.56 |
2001년 8월 26일 | 【5기】다카하시 아이 · 콘노 아사미 · 오가와 마코토 · 니이가키 리사 가입 | +4 | 13명 | 15.77 |
2002년 9월 23일 | 고토 마키 졸업 | -1 | 12명 | 16.92 |
2003년 1월 19일 | 【6기】후지모토 미키 · 카메이 에리 · 미치시게 사유미 · 다나카 레이나 가입 | +4 | 16명 | 16.56 |
2003년 5월 5일 | 야스다 케이 졸업 | -1 | 15人 | 16.47 |
2004년 1월 25일 | 아베 나츠미 졸업 | -1 | 14명 | 16.86 |
2004년 8월 1일 | 카고 아이 · 쯔지 노조미 졸업 | -2 | 12명 | 17.42 |
2005년 1월 30일 | 이이다 카오리 졸업 | -1 | 11명 | 17.64 |
2005년 4월 14일 | 야구치 마리가 모닝구무스메。를 그만두고 솔로 활동 | -1 | 10명 | 17.40 |
2005년 5월 1일 | 【7기】쿠스미 코하루 가입 | +1 | 11명 | 16.91 |
2005년 5월 7일 | 이시카와 리카 졸업 | -1 | 10명 | 16.70 |
2006년 7월 23일 | 콘노 아사미 졸업 | -1 | 9명 | 17.78 |
2006년 8월 27일 | 오가와 마코토 졸업 | -1 | 8명 | 17.75 |
2006년 12월 10일 | 【8기】미츠이 아이카 가입 | +1 | 9명 | 17.78 |
2007년 3월 15일 | 【8기】(유학생) 쥰쥰 · 링링 가입 | +2 | 11명 | 17.82 |
2007년 5월 6일 | 요시자와 히토미 졸업 | -1 | 10명 | 17.50 |
2007년 6월 1일 | 후지모토 미키가 모닝구무스메。를 그만두고 솔로 활동 | -1 | 9명 | 17.00 |
[편집] 모닝구무스메。의 결성일에 대해
모닝구무스메。의 결성일에 대해서는 공식 자료와 매스미디어 보도 등에서 다른 날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모닝구무스메。의 결성일」로써 해석할 수 있는 날이 여럿이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모닝구무스메。의 결성일」로써 해석할 수 있는 날은,
- 1997년 8월 20일 - 그룹의 결성에 대해 실제로 멤버에 대해 의사확인을 한 날
「모닝구무스메。5+3-1」(다카라지마사) 에서는 이때를 「모닝구무스메。탄생의 순간」이라고 하였다. - 1997년 9월 7일 - 그룹 결성이 발표된 날 (8월 20일 수록분의 ASAYAN 방송일). 공식 사이트와 공식 자료에서는 이날을 모닝구무스메。의 결성일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2]。
- 1997년 9월 8일 - 프로듀서 층쿠♂가「모닝구무스메」를 발안한 날(「。」는 아직 붙지 않았다)
- 1997년 9월 14일 - 모닝구무스메。라는 그룹명이 결정되었다는 것이 공표된 날 (ASAYAN 방송일)
- 1997년 11월 3일 - 5만장 직접 판매 첫날 (인디즈 데뷔일)
- 1997년 11월 30일 - 5만장 직접 판매를 달성하여 메이저 데뷔가 결정된 날
「모닝구무스메。×층쿠♂」(소니 매거진즈) 에서는 결성시의 멤버 재적 기간을 이날부터 세고 있다. - 1998년 1월 28일 - 메이저 데뷔일
등이 있다. 한편 층쿠♂의 모닝구무스메。탄생 10년 기념대에 대한 코멘트에「모닝구무스메。는 1997년 9월 8일에 후지테레비의 어느 대기실에서 내가 명명할 때에 혼이 들어갔다」라는 부분과「2007년 11월 3일이 10살 생일」(즉 결성일은 1997년 11월 3일) 이라는 부분이 있다[3]. 또한 이 외에 CD 판매 관련 사이트와 자료와 매스미디어 등에서는 인디즈 데뷔일을 모닝구무스메。가 시작된 날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편집] 추가 멤버의 가입일에 대해
추가 멤버의 가입일에 대해서도 공식자료와 매스미디어 보도에서 다른 날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도 결성일과 마찬가지로「가입일」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날이 여럿이기 때문이다.
「가입일」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날은,
- 가입이 실제로 결정된 날
- 가입이 본인에게 전달된 날
- 가입이 공표된 날 (합격이 발표된 방송의 방영일)
- 처음으로 합류한 콘서트 등의 날
- 처음으로 참가한 CD 발매일
등이 있다. 이중에서 1, 2에 대해서는 공표되지 않은 것이 많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3 이후의 것중의 하나를 가입일로 보고 있다. 공식 자료에서는 가입이 공표된 날을 가입일로 보는 것이 많다.
가입이 나중이 되면 될수록 합격 발표로부터 합류까지의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나중이 되면 될수록 콘서트에 출연했을 때에 외워둘 필요가 있는 곡이 많아지는 등의 사정이 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또한 합격 발표로부터 콘서트 투어에 본격적으로 합류하기까지의 사이에 「피로회」성격으로, 본격 합류하기 이전의 콘서트 (하나 전의 콘서트 최종 공연 등) 에 인사만을, 혹은 한곡에만 참가하기 위해 나오는 경우가 있다. 6기 멤버 이후는 그 사이에 팬클럽 전원을 대상으로 한 악수회를 열고 있다. 이러한 상황상, 신멤버가 참가한 날 이후에 릴리즈한 CD와 사진집에 신멤버가 참가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텔레비전 방송의 수록도 첫참가 CD곡 피로까지는 별도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도 2001년 10월 13일 방송된「메챠×2이케테루!」 (후지테레비 계열) 내의 코너「사립 오카무라 여자 고등학교」의 수학 여행 기획에서 5기 멤버가 참가하지 않은 것과, 2003년 4월 5일에 방송된 이 방송의 기말시험 기획에 6기 멤버가 참가하지 않은 것도, 첫참가 CD곡 피로를 위한 TV 출연보다 이전이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기 | 공표일 | 피로회일 | 콘서트 정식 합류일 | 첫참가CD발매일 |
2 | 1998년 5월 3일 | - | 1998년 7월 12일※1 | 1998년 5월 27일 |
3 | 1999년 8월 22일 | 1999년 8월 23일 | 1999년 9월 19일 | 1999년 9월 9일 |
4 | 2000년 4월 16일 | - | 2000년 5월 20일 | 2000년 5월 17일 |
5 | 2001년 8월 26일 | - | 2001년 10월 21일※2 | 2001년 10월 31일 |
6(후지모토) | 2003년 1월 7일 | 2003년 5월 5일 | 2003년 5월 31일※3 | 2003년 7월 30일 |
6(후지모토 이외) | 2003년 1월 19일 | 2003년 5월 5일 | 2003년 7월 19일 | 2003년 7월 30일 |
7 | 2005년 5월 1일 | 2005년 5월 6일 | 2005년 7월 10일 | 2005년 7월 27일 |
8 | 2006년 12월 10일 | 2007년 1월 27일 | 2007년 3월 17일 | 2007년 2월 14일 |
8 (유학생) | 2007년 3월 15일 | 2007년 5월 6일 | 2007년 7월 15일 | 2007년 7월 25일 |
※1:모닝구무스메。로서 첫 콘서트 날이며 초기 멤버에게 있어서도 첫 콘서트이기 때문에, 엄밀히는「이날부터 합류했다」라는 표현은 이상하다고도 할 수 있다.
※2:콘노 아사미만 TV 프로그램 녹화 중에 부상 때문에 이날은 인사만. 노래에 합류한 것은 2001년 11월 3일부터이다.
※3:뮤지컬「江戸っ娘。忠臣蔵」첫날. 통상 콘서트에서의 합류는 다른 6기 멤버들과 같다 2003년 7월 19일.
[편집] 가입 · 탈퇴 (졸업) 를 반복하는 그룹 편성
「모닝구무스메。는 가입과 탈퇴 (졸업) 를 반복하면서 진화해가는 그룹이다.」라는 공식적인 발표가 있었다. 이러한 멤버 체인지를 반복하면서 그룹을 존속시켜나가는 방법은, 멤버를 탈퇴시켜도 해산하지 않는 그룹으로서 푸에르토리코의 아이돌 그룹 메누드를 참고하여, 결성에 깊이 관계된 음악 평론가 후쿠다 이치로 (고인) 가 제안하여 그룹을 편성했다고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하지만 1997년 ~ 1999년경에 출연한 텔레비전 방송 내의 상황, 그리고 방송 내에서의 층쿠♂와 멤버의 발언, 콘서트 MC와의 모순점도 있어, 1997년 결성 당시부터 가입과 탈퇴 (졸업) 을 반복하는 시스템을 고려하였었는지 혹은 그 시스템이 결성 당시부터 확립되어 있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은 점이 많다.
- 나중에 층쿠가♂「모닝구무스메。는 그해 (1998년) 홍백에 나온 후 해산시킬 예정이었다.」라고 한 점(「모닝구무스메。×층쿠♂」에서의 인터뷰 등).
- 메이저 데뷔 조건이었던 CD 5만장 직접 판매에 실패했을 때, 멤버의 추가 탈퇴가 없는 채로 바로 해산될 가능성이 있었던 점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모닝구무스메。역사 참고)
- 그룹명의 후보에 제1기 멤버의 속성에서 연상되는 이름 (都道府や87) 이 거론되었던 점. 멤버 체인지를 전제로 하고 있다면 그러한 이름은 후보로서 거론될 수 없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모닝구무스메。그룹명의 유래 참고)
- 1997년 ~ 2000년의 모닝구무스메。오디션과 활동을 다큐멘터리풍으로 따라간 텔레비전 프로그램「ASAYAN」에 있어서 후쿠다 이치로가 위 제안을 하는 장면이 방송되지 않았던 점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모닝구무스메。역사 참고)
- 멤버가 가입 · 탈퇴를 단 한번뿐이라고 생각한다는 발언이 있었고, 사무소와 스탭으로부터 반복되는 그룹이라는 설명을 받지 않은 점. (후쿠다 아스카 탈퇴 발표 후에 출연한 1999년 3월 23일 방송된「토쿠방」(TBS계열) 에서 사회자 이시바시 타카아키가 멤버 충원을 하느냐는 질문에 나카자와는「안하지 않을까요」, 아베는「늘지 않을거라고 생각해요」라고 대답한 점).
- 이것이 2003년 11월 후쿠다 이치로의 고별식 회장에서 발표되어, 발표가 늦었던 점
단, 이에 대해 사무소의 선배이기도 한 다나카 요시타케가 자신의 블로그에 KAN과 모리타카 치사토의 히트 비화와 함께 당시의 에피소드로써 소속사무소 사장 (당시) 야마자키 나오키의 지시에 따라 메누드를 참고하여 그룹을 결성하였다고 하는 경위가 게재되어 있고, ASAYAN은 모닝구무스메。의 PR을 의한 방송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소속사무소가 모든 정보를 이 방송에 제공했을까 하는 의문이 있다. 또한 이 방송은 과장 연출이 많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송에서의 발언도 연출에 지나지 않다고 하는 의견이 많다. 실제로 당시에 방송되었던 내용과 멤버들이 실제로 경험한 것에 차이가 있는 것은 1999년에 출판되었던 이 방송의 공식북인「모닝구무스메。5+3-1」에 밝혀져있다. 후쿠다 이치로는 음악평론가이며 작가가 본직이기 때문에 탤런트와는 달리 미디어 노출도 당연히 적으며, 야마자키 등 소속사 상층부의 출연도 전혀 없었던 것처럼, 이 방송에 출연한 것은 프로젝트에 관련된 모든 사람이 아닌, 관계자 중 극히 일부인 것은 틀림없다. 따라서 후쿠다 이치로가 이 방송에 출연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관계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리고 메이저 데뷔 불과 3개월 후에 2기로서 신멤버를 추가로 가입시킨 사실을 고려하면, 늦어도 이 시점에서 멤버의 증가를 고려한 그룹 편성이 있지 않았을지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이 사실이 발표된 상황도 후쿠다 이치로의 고별식이라는 엄정한 장소라는 점에서 신빙성이 높고, 고인의 앞에서 졸업 & 현역 멤버 전원이「LOVEマシーン」을 피로한 점, 나카자와 유코가 밝힌 비화 등, 후쿠다 이치로가 모닝구무스메。와 깊은 관련이 있었던 것은 틀림없다.
어쨌든 예상외로 탈퇴한 멤버 (후쿠다, 이시구로, 이치이) 를 보충하는 명목으로 이 방송에 계속해서 나오게 된 영향은 크다. Say a Little Prayer나 Dos (음악유닛) 등, 마찬가지로 이 방송 출신의 그룹과 아티스트는 모닝구무스메。메이저 데뷔 이전에 데뷔했었지만 데뷔 후에 이 방송에서 멀어짐에 따라 CD 등의 매상이 저하되고, 최종적으로 활동 정지, 해산에 이르게 된 경우도 있다. 이에 비해 추가 오디션을 여는 것으로『꿈의 오디션 버라이어티』를 표방하는 이 방송에 지속적으로 출연할 수 있었던 것이 방송 내에서의 PR 등 이후의 활동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편집] 다카라즈카 가극단과의 비교 고찰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관련성이 지적되는 대상으로서, 멤버 체인지를 반복하면서 존속하는 그룹이라는 점에서 다카라즈카 가극단 (이하 다카라즈카) 과의 유사성을 들 수 있다. 일본 연예계에 있어 멤버 체인지를 반복하면서 우수한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며 스타를 배출해가는 집단으로서 다카라즈카는 철벽의 지위를 자랑하며, 같은 여성 집단이라는 공통점도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 2003년 4월 방송된「엔타의 신」(니혼테레비 방송) 에서 모닝구무스메。와 다카라즈카가 함께『Mr.Moonlight ~愛のビッグバンド~』를 부르는 꿈의 공연을 가졌을 때에, 층쿠♂와 안무가인 나츠 마유미가 작곡과 안무에서 다카라즈카를 의식한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이 방송에서는 모닝구무스메。가 자주 행하는 단차가 있는 스테이지에서의 퍼포먼스는 원래 다카라즈카가 대계단에서 행하는 것이라는 것도 밝혀졌다. 또한 그룹에 들어오는 사람을 그 시기에 따라「기 (期)」라고 불러 나누는 방식과 그룹을 복수의 사쿠라구미와 오토메구미 등의「쿠미 (組)」로 나누어 활동시키는 방식도 다카라즈카와 공통된다. 그리고 다카라즈카의 퇴단은 많은 매스미디어가 관심을 가지고 보도하기 때문에 (「가부키는 세습피로 (습명피로) 로 돈을 벌고, 다카라즈카는 퇴단공연으로 번다」고들 한다) 그러한 부분도 공통된다. 또한 2006년 8월에 모닝구무스메。및 헬로! 프로젝트가 다카라즈카와 함께 데즈카 오사무 원작「리본의 기사」를 뮤지컬화 했을 때도 뮤지컬 구성을 담당한 다카라즈카 연출가 기무라 신시가「모닝구무스메。와 다카라즈카는 비슷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라고 코멘트하였다.
하지만 결성부터「ザ☆ピ~ス!」(2001년) 의 히트기까지는 다카라즈카와의 유사성에 대해 거론된 적은 없었다. 아래와 같이「기」와「쿠미」는 2002년 이후에 볼 수 있다.
- 1998년 5월에 가입한 제2기 멤버와 1999년 9월에 가입한 고토 마키 (제3기 멤버) 는 단순히「신멤버」혹은「추가 멤버」라고만 불리웠으며, 또한 2000년 4월 가입한 제4기 멤버는「제3차 추가 멤버」라고 불리웠으며 2001년 8월에 가입한 제5기 멤버도 가입 당시에는「신멤버」라고 불리웠다.「기」라고 불리운 것은 2002년에 모집된 제6기부터이며 그 시점부터 거슬러올라가 1기 ~ 5기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 여러 그룹 (유닛) 으로 나누어서 하는 활동도, 모닝구무스메。의 메이저 데뷔와 같은해에 탄포포로 시작되어 후에 풋치모니, 미니모니。로 계속되었다. 거기는 이름에「쿠미」는 붙지 않았다.
- 2000년 ~ 2001년 당시 아베 나츠미는 유닛에 소속되지 않았고, 야구치와 카고는 두개의 유닛에 참가, 나카자와 유코는 솔로로도 활동을 시키는 등 전원을 균등하게 그룹 분할을 시킨 것도 아니었다.
- 균등하게 그룹을 분할하여「쿠미」로 나누어 활동한다고 발표한 것은 2003년 1월 28일부터이다.
[편집] 그룹명의 유래
『모닝세트[4]처럼 득을 보는 기분으로 즐기는 유닛』이라는 취지로 명명되었다.
그리고 그 외의 후보로서는「87」(전원의 나이를 더해서),「도도부 (都道府)」(멤버의 출신지가 도쿄「도」, 홋카이「도」, 교토「부」이며「현」출신자는 없었기 때문),「타코야키 시스터스」,「모닝구서비스」,「모닝구파이브」등이 있었다.「모닝(세트)」은「바이킹」에서 연상된 것이라서「바이킹무스메。」가 되었을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모닝구무스메」가 채용되었다.
[편집] 「모닝구무스메。」의「。」에 대해
- 당초 층쿠♂가 명명했을 때는「。」가 붙어있지 않았다. 하지만 당시 ASAYAN에서는 화면에 표시되는 자막의 대부분에「。」를 붙였기 때문에, 유닛명 발표시 (1997년 9월 14일 방송) 에도 스테이지상의 화면에「유닛명은 모닝구무스메。」로 표시되었다. 그걸 본 사회자 나인티나인의 오카무라 타카시가「질문이 있는데 모닝구무스메의 뒤에『。』가 붙어있네요. (중략) 저『。』는 붙어있는건가요?」라고 물어보자 상대방인 야베 히로유키가「잠깐 기다려주십시오. (무대뒤를 보면서) 제가 의견을 내도 될까요? 아 그렇습니까? (정면을 돌아보며) 저『。』는··· 필요합니다!」라고 하였기 때문에「。」가 붙은 것이 정식 표기가 되었다. 그 후 감상에서, 한자 그룹명을 희망하던 당시 멤버 후쿠다 아스카가「한자도,『동그라미』도 들어가니 이득이네요~」라고 발언하였다.
- TBS계열 음악방송「우타방」에서「。」에 대해 물어봤을 때, 멤버들 대부분이 필요없다고 답하였다. 하지만 나카자와 유코의 생일 (26세) 전에 출연한 후지테레비계열 버라이어티방송「해피 버스데이!」(1999년 6월 13일 방송) 에서, 안자이 카츠히로에게 성명관상에서「『。』가 붙음으로써 획수가 23획이 되어 이상적인 그룹명이 되었다.」라는 말을 들은 후 긍정적인 발언을 하게 되었다.「。」가 없는 22획으로는 그룹이 분열된다고 하였기 때문에 나중에 다른 방송에서 리더 (당시) 인 나카자와 유코가「『。』는 중요」하다고 밝혔다.
- 심볼마크도 더블엠 (이중으로 된 소문자「m」) 에『。』가 붙은 모습으로, 상표등록된 영어 정식 명칭도「Morning Musume。」로「。」가 붙어있다.
- 모닝구무스메。와 헬로! 프로젝트에 관련된 그룹명, 유닛명, 프로그램명 등에도「。」가 붙어있는 것이 많다 (「칸토리무스메。」「코코낫츠무스메。」「미니모니。」「에코모니。」「하로모닝구。」「모。타이헨데시타」「에어모니。」「모닝구캅。」「에돗코。츄신구라」등).
- 단어에 구두점을 포함한 것이 모닝구무스메。가 처음은 아니지만 미디어에 그룹명이 자주 언급됨에 따라, 일본어의 파괴 혹은 그것을 널리 퍼뜨린 계기로써 거론되는 경우도 있다.
[편집] 「모무스。」라는 약칭 표현에 대해
- 멤버 (특히 초기 멤버) 들은 자신들의 그룹을「모닝구」혹은「무스메」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멤버에 관계없이 자신들을「모무스」로 부르는 것은 대본에 강제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없다. 팬들도 동조하여「모무스」라고는 기본적으로 부르지 않는다.
- 「모무스。」라는 표기 자체는 처음에 팬들과 매스미디어가 사용하기 시작한 호칭이지만 소속사무소에 의해 상표등록되어있으며, 영화「핀치러너」의 캐치카피로써「모무스。, 달린다!」로 사용되는 등 현재는 사무소측도 인정하고 있다.
- 「모무스。」라는 표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된 이후에 팬이 된 사람은 그다지 거부감없이「모무스。」라는 표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 모닝구무스메。의 열광적인 팬을 「모오타」라고 부른다. 이 모오타는 그녀들을 モー娘。(모무스) 가 아닌 娘。(무스메) 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모닝구무스메。」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모무스메」라고 부르기도 한다.
- 「モーニング娘。」,「Morning Musume。」및「モー娘。」는 모두 주식회사 업프런트그룹의 등록상표 (상표등록 제4555529호 · 제4566621호 · 제4555530호) 이며 등록 호칭은「모닝구무스메」및「모무스메」(「모무스」가 아닌 점에 주의) 이다. 존속 만료일은 2012년 (단 갱신 가능).
[편집] 모닝구무스메。의 역사
[편집] 탄생
- 1997년, 텔레비도쿄의 오디션 방송『ASAYAN』(현재는 종료)내의 “샤란Q 락보컬리스트 오디션”(우승은 헤이케 미치요)의 최종 심사에서 낙선한 사람들 중에서 아베 나츠미 · 이이다 카오리 · 나카자와 유코 · 후쿠다 아스카 · 이시구로 아야 등 다섯명이 선발되어 결성되었다(라는 것으로 되어있다. 후에 층쿠가 오디션 때에 합숙을 하는 이유로써, “그룹 활동에 필요한 협동성이 있는지 어떤지를 보기 위해서이다.”라고 말한 점에 비춰보면, 솔로 보컬리스트를 뽑는데 합숙을 하는 것은 부자연스러운 등의 이유 등으로, 처음부터 여성 보컬 그룹을 만들기 위해 오디션을 열지 않았을까 하는 설도 있다).
- 악곡의 권리 관계에 대해. “愛の種” 및 “モーニングコーヒー”에 대해서는, “업프런트 음악출판”과 함께 “테레비도쿄 뮤직”이 공동 권리자로 되어있어, 프로모션 관계 등의 여러 경비를 아마도 공동제작비의 일환으로써 테레비도쿄측이 부담하는 대신 반대급부로 모닝구무스메。에 대한 권리의 절반을 양도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두번째 싱글 이후의 곡에 대해서는 업프런트 음악출판만이 권리자로 되어있다.
- 업프런트 그룹의 야마자키 나오키 회장은, 후에 “모닝구무스메。는 사실 10명으로 시작하고 싶었다. 하지만 다섯 명으로도 한 달에 500만 엔의 경비가 들기 때문에 성공할지 어떨지 모르는 상황에서 10명이서 시작하는 것은 도저히 무리였다. 사람 수를 늘려도 해나갈 수 있을 거라는 목표가 선 시점에서 멤버를 늘리게 되었다.”라고 발언했다. 또한 이때, “모닝구무스메。의 음악적인 부분은 층쿠가 결정하고 있지만, 멤버를 늘릴지 어떨지에 대해서는 모두 내가 결정하고 있다.”라고 하여, 당시의 ASAYAN의 연출과 관계자의 발언을 전면 부정하는 발언도 동시에 하여, 일부에서 물의를 빚었다.
- 최초의 추가 멤버 모집시에, 내용을 알지 못하고 “중대 발표가 있다”라는 말만을 들은 초대 리더 나카자와 유코는, 그 중대 발표의 내용은 “모닝구무스메。의 해산”이라고 생각했다고 후에 밝혀, 당시의 현장에는 그러한 분위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 히트함과 동시에 급격히 상황은 개선되어갔지만, 데뷔곡의 시점에서는 노래 의상이 한벌 밖에 준비되어있지 않아, 의상의 세탁 등도 직접 하였으며 구멍이 나면 스스로 꿔메야했다. 또한 노래 의상 이외에는 전부 자신의 사복이며, 가족이나 친구로부터 빌린 옷을 입고 TV에 나오는 일도 자주 있었다. 또한 ASAYAN 등이 밀착 취재를 할 때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현지 집합 · 현지 해산이라서 매니저도 없는 상황에서 이동시와 사생활시의 사진이 마구 찍혀지는 상황이었다.
[편집] 히트기
- 1998년 1월 28일, 메이저 데뷔를 달성한다. 데뷔곡인『モーニングコーヒー』는 오리콘 싱글 차트 6위에 입성. 직후인 5월, 추가 멤버로서 야스다 케이 · 야구치 마리 · 이치이 사야카가 가입. 두번째 싱글『サマーナイトタウン』이 발표되어, 오리콘 싱글 차트 4위에.
- 1998년 9월 6일 신문의 편성표에 처음으로 “모무스”라는 약칭 표기가 등장한다.
- 이어지는 세번째 싱글에서『抱いてHOLD ON ME!』(1998년 9월 9일 발매)로 첫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를 획득. 오리콘 가라오케 차트에서는 8주연속 1위를 달성. 이 곡으로 1998년 제40회 일본 레코드 대상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 또한 NHK홍백가합전 첫출장도 달성한다.
- 1999년 1월, 후쿠다가 학업우선을 이유로 탈퇴를 표명하여 4월의 콘서트를 기해 탈퇴한다.
- 후쿠다 탈퇴 이후 잠시동안 인기 전망이 어두워 보여, 스즈키 아미가 TM NETWORK의 히트곡을 커버한 “BE TOGETHER”와 같은날 발매함으로써 ASAYAN에서 부추긴 여섯번째 싱글 “ふるさと”에서는 오리콘 싱글 차트 5위까지 추락한다.
- 하지만 같은해 9월, 제3기 멤버 고토 마키 가입후에 발매한『LOVEマシーン』(1999년 9월 9일 발매)으로 다시 히트. 밀리언셀러(195만장)를 달성. 오리콘 가라오케차트에서는 당시의 신기록인 17주 연속 1위를 달성한다. 18주째의 1위를 저지한 것은 모닝구무스메。의 그룹내 유닛인 “풋치모니”의『ちょこっとLOVE』였다.
- 그 “풋치모니”의『ちょこっとLOVE』도 밀리언을 돌파하여 단숨에 스타덤에 올랐던 것이 이 시기。
[편집] 황금기
- 2000년에는, 더욱이『恋のダンスサイト』가 오리콘에 의하면 약 123만장,『ハッピーサマーウエディング』와『恋愛レボリューション21』도 100만장에 육박하는 대히트를 기록했다.
- 이시구로가 2000년 1월에, 이치이가 같은해 5월에 졸업. 그 한편으로 4월에는 4기멤버로서 이시카와 리카 · 요시자와 히토미 · 쯔지 노조미 · 카고 아이가 가입한다.
- 야무챠로(JT)와 Dream Net을 시작으로, CM에도 많이 출연하게 된다.
- 2000년 5월에 토에이계에서 주연영화 “핀치런너”가 공개된다.
- 2000년 4월 “하로모니”(테레비도쿄)와 “금요일밤에는 부탁해요! 모닝구”(테레비이와테)의 방송이 스타트.
- 2000년 3월 세번째 앨범 “3rd-LOVEパラダイス-”로 모닝구무스메。의 앨범으로는 처음으로 밀리언을 달성.
- 2001년경부터, 멤버 각각의 개인활동이 많아진다. 멤버마다 솔로 사진집이 발매된다.
- 같은해 연말에 발매된 베스트 앨범 “ベストモーニング娘。1”이 트리플 밀리언에 육박하는 매상을 기록.
- 이때쯤, 거의 매주 “우타방”(TBS)에 출연. 개인의 지명도가 단숨에 향상된다.
- 또한, “메챠x2 이케테루!”(후지)에서도,『오카무라여자고등학교』로써 각 멤버의 개성에 클로즈업한 기획이 몇번인가 방송된다. 이 방송에서는 국민적 아이돌 그룹으로 소개되어, 이후 매스미디어 각사도 국민적 아이돌로 부르게 되었다.
- 그 해 1월에 야구치를 리더로 결성된 미니모니。가 저연령층에게 받아들여져 단숨에 팬층을 확대시킨다.
- 이 그룹 첫 골든 타임 레귤러 TV 방송 “모。타이헨데시타”(니혼테레비방송망)도 시작된다.(2002년 3월 종료)
- 2001년 4월, 초대리더였던 나카자와가 졸업. 후임 리더에 이이다가 취임, 이이다보다 연상이었던 야스다가 서브리더에 취임.
- 그 해, 인기연예인의 증표라고 불리는 24시간테레비 “사랑은 지구를 구한다”(니혼테레비계)의 메인 진행자가 된다. 이 해의 기획과 드라마『마지막 여름방학』(아베 나츠미 주연)이 호평을 받아, 다음해에도 2년 연속으로 메인 진행자를 맡았다.
- 2001년 8월 26일, 5기 멤버로서 다카하시 아이 · 콘노 아사미 · 오가와 마코토 · 니이가키 리사가 가입. 사상최다(당시)의 13인 체제가 된다.
[편집] 이후의 전개
- 2002년 7월 31일에, 고토 · 야스다의 졸업 발표, 탄포포 · 풋치모니 · 미니모니。의 멤버 체인지를 단행하였지만 각각의 팬들로부터 큰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모닝구무스메。팬사이트 및 졸업 멤버 팬사이트 상에서, 이 하로프로 구조 개혁은 “7 · 31” “하로마게돈”으로 불린다.(2007년 현재는 “이 멤버 체인지가 반드시 인기저하의 원인은 아니며, 하로프로 자체는 구조 개혁 후에 전성기를 맞고 있다”라는 의견도 있다.)
- 또한 이 후, 멤버 졸업 발표는 졸업일보다 상당히 전에 발표되게 된다. 특히 2004년 8월 아베의 졸업 결정부터 2005월 이시카와의 졸업까지의 사이는 항상 “졸업일이 이미 결정되어 있는 멤버”가 재적되어 있다.
- 2003년 1월, “LOVE 오디션 2002”의 합격자 발표(최종 심사에 남은 카메이 에리 · 미치시게 사유미 · 다나카 레이나 세명 모두 가입)전에, 솔로로 활동하고 있던 후지모토 미키의 가입이 발표된다. 후지모토도 포함하여, 멤버는 사상 최다(당시)인 16명이 된다(단지 16명으로의 활동은 그해 5월에 개최된 야스다의 졸업콘서트뿐).
- 2003년 9월에 새로운 전개로써, 15인의 멤버를 “모닝구무스메。사쿠라구미,” “모닝구무스메。오토메구미”의 두 개조로 나눈 활동도 개시. 싱글 CD를 두장씩 발매하여, 각각의 전국 투어를 가졌다. 쯔지 · 카고의 졸업 후에는 정식 발표없이, 두 개조 모두 활동 휴지 상태이다.
- 2004년 1월에 오랫동안 에이스격으로 활동해 온 아베가 졸업. 더욱이 그해 8월, 쯔지 · 카고가 함께 졸업, 5월에는 이이다 · 이시카와의 졸업도 발표되어, 인기 멤버가 연이어 졸업하게 된다.
- 2004년 5월 마쿠하리에서 제1회 모닝구무스메。문화제 개최. 이 시기 코이케 유리코 환경 대신을 예방하는 등, 환경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임하는 이벤트가 늘어난다.
- 2004년 9월에, 메인으로 노래할 수 있는『에이스』가 될 7기 멤버의 모집을 행한다(“럭키 7 오디션”). 단지, 2005년 1월의 최종 심사 결과, 에이스라고 불리울 정도의 인재가 없다는 이유로, 전대미문의 “해당자 없음”이라는 결과로 종료.
- 2005년 1월, 2대 리더 이이다가 졸업하여, 결성당시의 멤버는 모두 졸업하게 된다.
- 2005년 4월 15일, 3대 리더였던 야구치가 긴급 탈퇴(이유는 전술). 요시자와가 4대 리더에 취임.
- 2005년 2월부터 “모닝구무스메。오디션 2005”를 행해, 5월에 쿠스미 코하루가 신멤버로서 가입한다.
- 2005년 8월 27일, 27번째 싱글 “色っぽいじれったい”로 “LOVEマシーン” 이래 6년만의 악수회 이벤트를 요코하마 · 나고야 · 오사카에서 개최. 싱글 CD의 매상 회복을 노린다. 7기 멤버 가입과 동시의 이벤트 효과에 의해 오리콘 초동은 과거 두작품의 누계를 넘어서 22번째 싱글의 수준까지 회복한다.
- 2005년 10월 요코하마에서 제2회 모닝구무스메。문화제 개최. 이번에도 환경문제를 중요하게 받아들여,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필사적으로 어필하여 자연의 소중함을 호소한다.
- 2005년 12월 31일 제56회 NHK홍백가합전에서는, 졸업멤버(은퇴 혹은 사무소를 탈퇴한 후쿠다 · 이시구로 · 이치이는 제외)를 포함한 19명의 특별 편성으로 출장하여, 좋아하는 곡 홍조 1위의 곡에 오른 “LOVEマシーン”을 부른다.
[편집] 특징
여기에서는 모닝구무스메。에서만 볼 수 있는 현상에 대해 기술한다.
[편집] 교육계
모닝구무스메。에는 “교육계”라는 명목으로, 선배가 후배를 지도하는 관례가 있다. 그중에서도 3, 4기 멤버는 ASAYAN에서 교육지도 모습이 방송되었다.
- 2기 멤버
- 교육계 제도는 없었다. 단지 ASAYAN에서는 나카자와가 꾸짖는 모습이 방송되었다.
- 3기 멤버
- 이치이→고토
- 4기 멤버
- 야스다→이시카와(테마 : 노래)
- 야구치→요시자와(테마 : 표현력)
- 이이다→쯔지(테마 : 리듬)
- 고토→카고(테마 : 인사, 예의)
- 5기 멤버
- 교육계 제도는 없다.
- 2001년 11월 2일에 방송된 뮤직스테이션에서 5기 멤버 첫등장시에 요시자와→다카하시, 이시카와→오가와, 아베→콘노, 야구치→니이가키 라는 구성으로 신멤버를 소개했기 때문에 이 구성이 교육계라고 불린 적도 있었지만, 후에 멤버들의 발언에 의해 명확히 부정되었다.
- 6기 멤버
- 교육계라고는 불리지 않았지만 대신「6기멤버와 거의 교체로 졸업하는 야스다가 6기 멤버에게 모닝구무스메。의 정신을 전해준다」라는 기획이 2003년 5월 11일 하로모니 (테레비도쿄 계열) 에서 방송되었다.
- 7기 멤버
- 미치시게→쿠스미
- 8기 멤버
-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편집] 메인 파트 · 센터 포지션
초기 악곡이 메인 (주선율) 과 하모니로 구성된 점으로부터「ASAYAN」에서 메인 파트 논쟁이 문제되엇다.「LOVEマシーン」이후의 릴레이식 가창에서도 후렴부 가창을 중심으로 하여 가창 파트가 많은 메인과 그 외로 구별할 수 있다.
인수의 증가에 따라 가창의 중심에 있는「메인」과 함께, 자켓사진과 댄스 퍼포먼스 위치의 중심 (센터 포지션) 에 있는「센터」도 주목받게 되었다. 메인과 센터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메인과 센터를 한번도 경험하지 못하고 모닝구무스메。를 졸업한 멤버도 많다.
메인과 센터에 대해 공식 발표된 적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공식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누가 보더라도 명확한 경우도 있는 반면, 누가 메인이며 센터인지 확실하지 않아 의견이 나뉘는 경우도 많다.
[편집] 그룹 내 유닛, 렌탈
모닝구무스메。는 그룹 내 유닛으로서의 “탄포포,” “풋치모니,” “미니모니。” 등의 활동도 활발했다.
애초에 이 그룹 내 유닛은, 결성부터 계속 메인 가창을 맡아 온 아베 나츠미에 대해 코러스 담당이 되어 있던 이이다 카오리와 이시구로 아야의 가창력을 살리기 위해, 무스메。내 유닛인 탄포포가 발안되어 결성된 것이 시작이다. 추가 멤버 세명 중에서는 목소리의 상성을 중시하여 야구치 마리가 선발되었다. ASAYAN 기획으로서도 주목을 모았으며 “멤버의 개성을 높여 모닝구무스메。에 환원한다”라는 순환의 성공 사례가 되었다.
이 그룹에 이어, 풋치모니가 결성되어, 모닝구무스메。에 이은 밀리언셀러가 된다. 그에 이은 미니모니。는, 헬로! 프로젝트에서 미카 타레사 토드를 맞이하여 성공한다. 이 방향성을 더욱 모아서, 모닝구무스메。의 멤버를 기존의 하로프로 유닛에 가입시키는 렌탈도 개시한다.
2002년의 유니트 개편(탄포포, 풋치모니, 미니모니。의 멤버 교체. 각 항목 참조)는, 각각의 팬들로부터 반발을 사게 된다. 그 결과 개편 후 탄포포는 싱글 1장, 풋치모니는 싱글 발매 없이 활동 중지 상태가 된다. 미니모니。도 개편 후의 노선 변경을 전후로 매상이 반감, 2004년 5월에 미카의 졸업을 기해 활동을 정지하게 된다.
[편집] 수상 음악상
- 일본 골드디스크대상 7년 연속 (1998년 ~ 2004년)
- 베스트 히트 아티스트 8년 연속 (1998년 ~ 2005년)
- 제40회 일본 레코드 대상 최우수 신인상 (1998년)
- 제31회 전 일본 유선방송 대상「신인상」(1998년)
- 제36회 골든 애로우 상「음악 신인상」(1998년)
- 제13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뉴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1999년)
- 제32 · 33회 일본 유선 대상「유선 음악 우수상」(1999년 · 2000년)
- 제41회 일본 레코드 대상「우수작품상」(1999년)
- 제37회 골든 애로우상「음악상」(1999년)
- 제14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송 오브 더 이어」(LOVEマシーン · 恋のダンスサイト) (2000년)
- 제42회 일본 레코드 대상「우수작품상」(恋のダンスサイト) 및「특별상」(2000년)
- 제24회 일본 아카데미상「신인배우상」및「화제상」(핀치런너) (2001년)
- 제15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송 오브 더 이어」(ハッピーサマーウェディング) (2001년)
- 제44회 일본 레코드 대상「특별상」(Hello! Project로서 수상) (2002년)
[편집] 그 외
- 전체적으로 키가 큰 멤버가 적고, 역대 멤버 중에서 신장 160cm 이상인 사람은 이시구로 · 이이다 · 요시자와 · 미치시게 등 네명뿐(고토 마키도 160cm 전후로 보이지만, 공식적으로 발표되지는 않았다). 최대 신장차는 이이다와 야구치의 23cm 차. 현역 멤버에서는 요시자와와 다나카의 13cm 차가 최대로, 평균 신장은156.3cm.
- 중학생 멤버는 금발, 피어스는 금지. 중학생 때에 피어스를 한 것은 고토와 다나카 두명 모두 오디션 때. 이시구로는 귀 외에 코에도 피어스를 하였다.
- 2003년 6월 3일, 요코하마시와 일본연극흥행협회가 구조개혁특구의 하나로써 오후 10시까지 연장하는 “아역특구”를 제안했다. 코노이케 담당 대신이 “모닝구무스메。특구”로 명명하여, 실시를 계획하였지만, 사카구치 후생 노동 대신은 “의무 교육을 받기 위해서도 한계가 있다”라며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내각부에서 열린 9월 3일 회담에서 사카구치 후생 노동 대신이 “9시까지는 인정한다”라고 말한 것에 대해, 코노이케 담당 대신이 “그걸로 좋습니다”라고 답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2004년 11월 16일 노동 대책 심의회에 대한 답신에서, 2005년 1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연극 등에 13살 미만의 청소년의 출연이 종래의 오후 8시까지에서 오후 9시까지로 연장되었다.
- 2004년 1월 23일, 테레비 도쿄의 스가야 사다히코 사장은, 연두 기자 친목회에서 “후지모토 미키와 이시카와 리카의 투톱으로 하는게 좋지 않을까. 그렇게 하면(앞으로도)괜찮을 것이다”라고 발언하여, 테레비도쿄가 앞으로도 모닝구무스메。등의 층쿠 패밀리를 리드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모닝구무스메。출연 테레비도쿄계 레귤러 방송은 음악 제작자 연맹(업프런트 그룹도 가맹)과 저작권 · 초상권문제로 대립하고 있기 때문에 BS저팬에서 방송되고 있지 않으며(전에 BS저팬에서 방송된 것은 BS저팬과 공동제작이었던 “MUSIX!”와 단발 방송의 일부 등으로 매우 적다), 계열국이 적기도 하여, 테레비도쿄와 업프런트 그룹이 반드시 밀월관계라고는 할 수 없다.
- 모닝구무스메。의 악곡 “THE マンパワー!!!”가 프로야구 토호쿠 라쿠텐 골든 이글스의 응원가가 되었다.
- 모닝구무스메。의 열광적인 팬을, 모오타라고 부른다. 또한 이 모오타는, 그녀들을 모무스。가 아닌, 무스메。라고 부르는 현상이 침투하고 있다.
- 모닝구무스메。는 해외에서도 열광적인 팬이 다수 존재하여, 특히 아시아(주로 대만, 홍콩, 한국)에서는 다른 일본 아이돌과 함께 인기가 높다.(중국어권에서의 표기는 早安少女組)단지 에이벡스와 쟈니스 사무소 등과 비교하면 해당 지역에의 프로모션 활동은 그다지 적극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렇다고 해도 그 외 영어 · 프랑스어 · 독일어로 된 팬사이트도 존재하며, 일본을 “쿨”하다고 보는 여러 외국인들로부터는 일정한 인지도를 얻어 세계적인 아이돌이라고도 할 수 있다.
- 모닝구무스메。, Morning Musume。및 모무스。는 주식회사 업프런트 그룹의 등록 상표(등록4555529, 등록4566621, 등록4555530)로, 등록 호칭은 “모닝구무스메” 및 “모무스메”(“모무스”가 아닌 것에 주의)이다. 존속 만료일은 2012년(헤이세이 24년).
- 2003년 9월에 모닝구무스메。및 헬로! 프로젝트 멤버에 의한 풋살 팀 Gatas Brilhantes H.P.가 결성되어, 현재는 다른 예능 프로덕션을 끌어들여 예능계 전체에 풋살 열풍이 불고 있다.
[편집] 음악
[편집] 싱글
- 愛の種 (1997년 11월 3일 인디즈 레벨『URANEBA RECORD 』5만장 한정 판매)(작사:사에키 켄조 · 작편곡:사쿠라이 테츠타로)
- 메이저 데뷔 퍼스트 싱글 “モーニングコーヒー”의 커플링 곡으로 수록
- モーニングコーヒー (1998년 1월 28일)(2005년 3월 2일 12cm판 발매)(편곡:사쿠라이 테츠타로)
- 커플링:愛の種(편곡:사쿠라이 테츠타로)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6위
- 커플링:愛の種(편곡:사쿠라이 테츠타로)
- サマーナイトタウン (1998년 5월 27일)(2005년 3월 2일 12cm판 발매)(편곡:마에시마 야스아키)
- 커플링:A MEMORY OF SUMMER '98 (편곡:다카하시 유이치)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후에 코코낫츠무스메。가 데뷔싱글로써 English Version으로 커버
- 2기 멤버(야스다 케이 · 야구치 마리 · 이치이 사야카)첫 참가 싱글
- 커플링:A MEMORY OF SUMMER '98 (편곡:다카하시 유이치)
- 抱いてHOLD ON ME!(1998년 9월 9일)(2005년 3월 2일 12cm판 발매)(편곡:마에시마 야스아키)
- 커플링:例えば:(편곡:스도 고&LH Project)
- 첫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 커플링:例えば:(편곡:스도 고&LH Project)
- Memory 青春の光 (1999년 2월 10일)(2005년 3월 2일 12cm판 발매)(편곡:마에시마 야스아키)
- 커플링:Happy Night(편곡:코니시 타카오), Never Forget(편곡:코니시 타카오)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2위
- 후에 층쿠♂가 “タイプ2”에서 셀프 커버
- 후쿠다 아스카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Happy Night(편곡:코니시 타카오), Never Forget(편곡:코니시 타카오)
- 真夏の光線 (1999년 5월 12일)(2005년 3월 2일 12cm판 발매)(편곡:코노 신)
- 커플링:恋の始発列車(편곡:코니시 타카오)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3위
- 커플링:恋の始発列車(편곡:코니시 타카오)
- ふるさと (1999년 7월 14일)(2005년 3월 2일 12cm판 발매)(편곡:코니시 타카오)
- 커플링:忘れらんない(편곡:코니시 타카오&시타마치 쿄다이)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5위
- 커플링:忘れらんない(편곡:코니시 타카오&시타마치 쿄다이)
- LOVEマシーン (1999년 9월 9일)(1999년 10월 6일 아날로그반 발매)(2005년 3월 2일 12cm판 발매)(편곡:댄스☆맨)
- 커플링:21世紀(편곡:스즈키 슌스케)
- 오리콘 싱글 차트 3주 연속 1위. 첫 밀리언셀러.
- 제56회 NHK 홍백가합전 앙케이트 “좋아하는 곡” 투표에서 홍조(여성)제1위 획득. 종합에서는 제4위.
- 3기 멤버(고토 마키)첫 참가 싱글
- 이시구로 아야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21世紀(편곡:스즈키 슌스케)
- 恋のダンスサイト (2000년 1월 26일)(2000년 2월 9일 아날로그반 발매)(2005년 3월 2일 12cm판 발매)(편곡:댄스☆맨)
- 커플링:恋はロケンロー(편곡:야마모토 류이치로)
-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는 아쉽게도 2위. 두작품 연속 밀리언셀러.
- 커플링:恋はロケンロー(편곡:야마모토 류이치로)
- ハッピーサマーウェディング (2000년 5월 17일)(편곡:댄스☆맨)
- 커플링:通学列車(편곡:AKIRA)
-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 4기 멤버(이시카와 리카 · 요시자와 히토미 · 쯔지 노조미 · 카고 아이)첫 참가 싱글
- 이치이 사야카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通学列車(편곡:AKIRA)
- I WISH (2000년 9월 6일)(편곡:코노 신)
- 커플링:あこがれMy Boy(편곡:AKIRA)
-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 TBS 시드니 올림픽 테마송
- 커플링:あこがれMy Boy(편곡:AKIRA)
- 恋愛レボリューション21 (2000년 12월 13일)(편곡:댄스☆맨)
- 커플링:インスピレーション!(편곡:스즈키 슌스케)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2위
- 커플링곡 “インスピレーション!”과 함께 사루틴반코 2000 테마송
- 나카자와 유코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インスピレーション!(편곡:스즈키 슌스케)
- ザ☆ピ~ス!(2001년 7월 25일)(편곡:댄스☆맨)
- 커플링:でっかい宇宙に愛がある(편곡:스즈키 슌스케)
-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 커플링인 “でっかい宇宙に愛がある”는 24시간테레비 “사랑은 지구를 구한다”의 테마송
- 커플링:でっかい宇宙に愛がある(편곡:스즈키 슌스케)
- Mr.Moonlight~愛のビッグバンド~ (2001년 10월 31일)(편곡:스즈키 슌스케)
- 커플링:ポップコーンラブ! (편곡:코노 신)
-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 후에 층쿠♂가 “TAKE 1”에서 셀프커버.
- 5기 멤버(다카하시 아이 · 콘노 아사미 · 오가와 마코토 · 니이가키 리사)첫 참가 싱글
- 커플링:ポップコーンラブ! (편곡:코노 신)
- そうだ! We're ALIVE (2002년 2월 20일)(편곡:댄스☆맨)
- 커플링:モーニングコーヒー (2002 ver.)(편곡:스즈키 슌스케)
-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 TBS 솔트레이크 시티 올림픽 테마송
- 커플링:モーニングコーヒー (2002 ver.)(편곡:스즈키 슌스케)
- Do it! Now (2002년 7월 24일)(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커플링:ちょっとイカしたPURE BOY(편곡:TATOO)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3위
- 키담 2002 이미지송
- 층쿠♂가 디너쇼에서 피로한 적이 있다.
- 고토 마키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ちょっとイカしたPURE BOY(편곡:TATOO)
- ここにいるぜぇ! (2002년 10월 30일)(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커플링:純LOVER(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 후에 층쿠♂가 “TAKE 1”에서 셀프커버
- 커플링:純LOVER(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モーニング娘。のひょっこりひょうたん島 (2003년 2월 19일)(편곡:코니시 타카오)
- AS FOR ONE DAY (2003년 4월 23일)(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커플링:Never Forget(편곡:코니시 타카오)
-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 키담 2003 이미지송
- 야스다 케이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Never Forget(편곡:코니시 타카오)
- シャボン玉 (2003년 7월 30일)(편곡:다카하시 유이치)
- 커플링:涙にはしたくない(편곡:스즈키 슌스케)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2위
- 키담 2003 이미지송
- 6기 멤버(후지모토 미키 · 카메이 에리 · 미치시게 사유미 · 다나카 레이나)첫 참가 싱글
- 커플링:涙にはしたくない(편곡:스즈키 슌스케)
- Go Girl~恋のヴィクトリー~ (2003년 11월 6일)(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커플링:恋ING(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후지테레비계 스페셜 드라마 “VICTORY! ~풋살 걸즈의 청춘~”의 주제가
- 커플링:恋ING(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愛あらば IT'S ALL RIGHT! (2004년 1월 21일)(편곡:코니시 타카오)
- 커플링:出来る女(편곡:스즈키 슌스케)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2위
- 아베 나츠미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出来る女(편곡:스즈키 슌스케)
- 浪漫~MY DEAR BOY~(2004년 5월 12일)(편곡:스즈키 슌스케)
- 커플링:ファインエモーション!(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모닝구무스메。출연 뮤지컬 “HELP!! 뜨거운 지구를 식힌닷。” 테마송
- 커플링:ファインエモーション!(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女子かしまし物語(2004년 7월 22일)(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커플링:がんばれ 日本 サッカー ファイト!(편곡:코니시 타카오)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3위
- 쯔지 노조미 · 카고 아이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がんばれ 日本 サッカー ファイト!(편곡:코니시 타카오)
- 涙が止まらない放課後(2004년 11월 3일)(편곡:스즈키 슌스케)
- 커플링:寝坊です。デートなのに…(편곡:AKIRA)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커플링:寝坊です。デートなのに…(편곡:AKIRA)
- THE マンパワー!!!(2005년 1월 19일)(편곡:마츠바라 켄)
- 커플링:ラヴ&ピ~ス!HEROがやって来たっ。(편곡:스즈키 슌스케)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토호쿠 라쿠텐 골든 이글스 공식 응원가
- 이이다 카오리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ラヴ&ピ~ス!HEROがやって来たっ。(편곡:스즈키 슌스케)
- 大阪 恋の歌(2005년 4월 27일)(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커플링:NATURE IS GOOD! (편곡:다카하시 유이치)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2위
- 커플링곡 “NATURE IS GOOD!”이 ABC 환경 캠페인 “글래스의 지구를 구해라” 이미지송
- 후에 층쿠♂가 “タイプ2”에서 셀프커버
- 야구치 마리 · 이시카와 리카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NATURE IS GOOD! (편곡:다카하시 유이치)
- 色っぽい じれったい(2005년 7월 27일)(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커플링:愛と太陽に包まれて(편곡:AKIRA)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7기 멤버(쿠스미 코하루)첫 참가 싱글
- 커플링:愛と太陽に包まれて(편곡:AKIRA)
- 直感2~逃した魚は大きいぞ!~(2005년 11월 9일)(편곡:스즈키 슌스케)
- 커플링:恋は発想 Do The Hustle!(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6집 앨범 “愛の第6感” M5 “直感~時として恋は~”의 리메이크
- 커플링:恋は発想 Do The Hustle!(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SEXY BOY~そよ風に寄り添って~(2006년 3월 15일)(편곡:다카하시 유이치)
- 커플링:チャンス チャンス ブギ(편곡:다카하시 유이치)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커플링:チャンス チャンス ブギ(편곡:다카하시 유이치)
- Ambitious! 野心的でいいじゃん (2006년 6월 21일) (편곡:유아사 키미카즈)
- 커플링:わたしがついてる。 (편곡:스즈키 슌스케)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콘노 아사미 · 오가와 마코토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わたしがついてる。 (편곡:스즈키 슌스케)
- 歩いてる (2006년 11월 8일) (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커플링:踊れ!モニングカレ (편곡:히라타 쇼이치로)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1위
- 2003년의 "AS FOR ONE DAY" 이후 3년 7개월 만에 1위를 차지
- 커플링:踊れ!モニングカレ (편곡:히라타 쇼이치로)
- 笑顔YESヌード (2007년 2월 14일) (편곡:마쓰이 히로시)
- 커플링:サヨナラのかわりに (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4위
- 8기 멤버 (미쓰이 아이카) 첫 참가 싱글
- 커플링:サヨナラのかわりに (편곡:스즈키Daichi히데유키)
- 悲しみトワイライト (2007년 4월 25일) (편곡 : 야마자기 쥰)
- 커플링:Hand Made CITY (편곡 : 스즈키Daichi히데유키)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2위
- 요시자와 히토미 · 후지모토 미키 마지막 참가 싱글
- 커플링:Hand Made CITY (편곡 : 스즈키Daichi히데유키)
- 女に幸あれ (2007년 7월 25일) (편곡 : 에가미 코타로)
- 커플링 : Please! 自由の扉 (편곡 : 유아사 키미카즈)
-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2위
- 8기 멤버 (쥰쥰 · 링링) 첫 참가 싱글
- 커플링 : Please! 自由の扉 (편곡 : 유아사 키미카즈)
- モーニング娘。EARLY SINGLE BOX(2004년 12월 15일)
[편집] 앨범
[편집] 정규 앨범
- ファーストタイム (1998년 7월 8일)
- セカンドモーニング (1999년 7월 28일)
- 이 앨범 이후, 전곡 작사 · 작곡은 층쿠.
- 3rd -LOVEパラダイス- (2000년 3월 29일)
- 4th “いきまっしょい!” (2002년 3월 27일)
- No.5(ナンバーファイブ) (2003년 3월 26일)
- 愛の第6感 (2004년 12월 8일)
- レインボー7 (2006년 2월 15일)
- SEXY 8 BEAT (2007년 3월 21일)
[편집] 미니 앨범
- 7.5 冬冬モーニング娘。ミニ! (2006년 12월 13일)
[편집] 베스트 앨범
- ベスト! モーニング娘。1 (2001년 1월 31일)
- ベスト! モーニング娘。2 (2004년 3월 31일)
- モーニング娘。ALL SINGLES COMPLETE ~10th ANNIVERSARY~(2007년 10월 24일)
[편집] DVD/VHS(싱글)
통상의 PV에 더해 Dance Shot 버전이나 Close Up 버전 등 별도 버전의 PV, 메이킹(자켓 촬영 풍경, PV촬영 풍경)등이 수록되어 있다.
- ザ・ビデオ LOVEマシーン (1999년 10월 14일 VHS로만)
- ザ・ビデオ 恋のダンスサイト (2000년 2월 23일 VHS로만)
- 싱글V そうだ! We're ALIVE (2002년 4월 10일 이후 DVD/VHS 발매)
- 싱글V モーニング娘。シングルメドレー~ハワイアン~ (2002년 7월 24일)
- 싱글V Do it! Now (2002년 9월 26일)
- 싱글V がんばっちゃえ! /HEY!未来 (2003년 1월 29일)
- 싱글V モーニング娘。のひょっこりひょうたん島 (2003년 2월 19일)
- 싱글V AS FOR ONE DAY (2003년 4월 23일)
- 싱글V シャボン玉 (2003년 7월 30일)
- 싱글V GO Girl~恋のヴィクトリー~ (2003년 11월 6일)
- 싱글V 愛あらばIT'S ALL RIGHT! (2004년 1월 21일)
- 싱글V 浪漫~MY DEAR BOY~(2004년 5월 12일)
- 싱글V 女子かしまし物語(2004년 7월 22일)
- 싱글V 涙が止まらない放課後(2004년 11월 3일)
- 싱글V THEマンパワー!!!(2005년 1월 19일)
- 싱글V 大阪 恋の歌(2005년 4월 27일)
- 싱글V 色っぽい じれったい(2005년 8월 3일)
- 싱글V 直感2~逃した魚は大きいぞ!~(2005년 11월 23일)
- 싱글V SEXY BOY~そよ風に寄り添って~(2006년 3월 29일)
- 싱글V Ambitious! 野心的でいいじゃん(2006년 6월 28일)
- 싱글V 歩いてる(2006년 11월 15일)
- 싱글V 笑顔YESヌード(2007년 3월 7일)
- 싱글V 女に 幸あれ(2007년 8월 1일)
[편집] DVD/VHS(PV집)
- 映像ザ・モーニング娘。ベスト10 (2000년 6월 14일)
- 映像ザ・モーニング娘。2~シングルMクリップス~(2002년 12월 4일)
- 映像ザ・モーニング娘。3~シングルVクリップス~(2005년 3월 24일)
- 映像ザ・モーニング娘。4~シングルMクリップス~(2007년 5월 2일)
[편집] DVD/VHS(콘서트)
- Hello! FIRST LIVE AT SHIBUYA KOHKAIDO (1998년 12월 12일 VHS)
- Memory~青春の光~1999.4.18 (1999년 6월 30일)
- モーニング娘。ライブ初の武道館~ダンシング ラブ サイト 2000 春~ (2000년 8월 30일)
- モーニング娘。ライブレボリューション21 春~大阪城ホール最終日~ (2001년 6월 27일)
- GREEN LIVE (2001년 9월 5일)
- LOVE IS ALIVE! モーニング娘。CONCERT TOUR 2002 春 at さいたまスーパーアリーナ (2002년 7월 31일)
- モーニング娘。LOVE IS ALIVE! 2002夏 at 横浜アリーナ (2002년 11월 20일)
- Hello! FIRST LIVE AT SHIBUYA KOHKAIDO (2002년 12월 4일 DVD)
- モーニング娘。CONCERT TOUR 2003春 NON STOP! At saitama super arena (2003년 6월 25일)
- モーニング娘。CONCERT TOUR2003~15人でNON STOP!~ (2003년 12년 26일)
- MORNING MUSUME。 CONCERT TOUR 2004 SPRING The BEST of Japan (2004년 7월 14일)
- モーニング娘。コンサートツアー2004『The Best of Japan 夏~秋'04』(2004년 12월 8일)
- モーニング娘。コンサートツアー2005春~第六感 ヒット満開!~ (2005년 7월 6일)
- モーニング娘。コンサートツアー2005夏秋『バリバリ教室~小春ちゃんいらっしゃい!~』(2005년 12월 14일)
- モーニング娘。コンサートツアー2006春 ~レインボーセブン~(2006년 7월 19일)
- モーニング娘。コンサートツアー2006秋~踊れ!モーニングカレー~(2006년 12월 27일)
- モーニング娘。コンサートツアー2007春~SEXY8ビート~(2007년 7월 4일)
[편집] 주석
- ↑ 공식사이트『모닝구무스메。』리더「야구치 마리」에 대한 중요한 알림
- ↑ 공식사이트 헬로! 프로젝트 바이오그라피
- ↑ 층쿠♂ 공식 사이트의「모닝구무스메。10년 기념대」악곡 코멘트
- ↑ 모닝세트, 모닝서비스 : 일본 레스토랑이 이른 아침 시간대에 음료수와 토스트 등 특정 메뉴를 아침식사로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서비스
[편집] 외부 링크
- ((일본어)) 헬로! 프로젝트 공식 프로필
- ((일본어)) 층쿠♂ 공식 웹사이트의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