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구약성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사야서(영어: The book of Isaiah; 히브리어: Sefer Y'sha'yah ספר ישעיה)는 히브리성경의 한 책이자, 기독교 구약성서의 23번째 책으로, 총 66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통적으로 이사야가 저자로 알려져 있다.

구약성서
공통부분
정교회, 로마 가톨릭
  • 토비트
  • 유딧
  • 마카베오상
  • 마카베오하
  • 지혜서
  • 벤 시라
  • 바룩
  • 예레미야의 편지
    - 로마 가톨릭 전통에서는 바룩서의 일부로 간주
  • 다니엘 추가본
  • 에스텔 추가본
정교회
  • 에스드라 1서
  • 마카베오 3서
  • 마카베오 4서
  • 시경
  • 므나쎄의 기도
  • 시편 151편
  • 에스드라 2서
동방 정교회
  • 희견서
  • 에녹서

목차

[편집] 이사야의 인물

이사야 혹은 Yeshayáhu (יְשַׁעְיָהוּ "여호와/야웨는 구원이시다", 표준 히브리어 Yəšahyáhu, 티베리안 히브리어 Yəšahăyāhû) 그는 아모스의 아들이었으며 일반적으로 이사야서의 저자라고 생각되었다. 그는 전통적인 자료들을 취하기 위하여 왕이나 다른 지도자들에게 쉽게 접촉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참조, 사 7:3; 8:2). 이사야는 왕족으로서 웃시야 왕의 사촌이거나 혹은 고위직 가문 출신이었으리라고 생각된다.

이사야는 '여선지자'(사 8:3)라고 불리는 여성과 결혼을 했으며, 그녀가 그렇게 불렸던 것은 사사 드보라 (삿 4:4), 그리고 여선지자 훌다(왕하 22:14-20)와 같이 야웨의 말씀을 전하는 '예언(預言)'을 했거나, 혹은 단순히 그녀가 '예언자'의 아내였기 때문에 그렇게 불려졌을 것이다(사 38:1). 그에게는 두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 이름들은 모두 상징적이었다(사 8:18). 한 아들은 "Shear-jashub' 곧 '남은 자들이 돌아올 것이다'(7:3)였고, 다른 아들은 Maher-shalal-hash-baz, '그가 잡은 먹이가 빨리 부패함' 혹은 '파멸이 임박했다'(8:1-4)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이사야는 누구인가?

이사야는 아모스의 아들로 유다 출신이며 예루살렘 사람이다(사 1:1). 이사야는 이사야 6장 1절로 보아 웃시야가 죽던 해부터 시작해서 히스기야 시대를 지나 므낫세 통치 때까지 활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역대하 26장 22절 - "웃시야의 남은 시종 행적은 아모스의 아들 선지자 이사야가 기록하였더라" - 을 통해서는 이사야가 웃시야의 죽기 전부터 활동을 시작하였음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웃시야가 죽던 해는 이사야가 소명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사야가 웃시야의 행적을 기록한 정황으로로 보았을 때 그는 왕의 연대기나 행적을 기록하는 궁중 서기관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사야가 궁중 서기관이었다면 그의 예언에 세계사적 시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주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사야는 '여선지자'(사 8:3)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낳았으며(사 7:3 - 스알야숩; 사 8:3 - 마헬살랄하스바스), 그 밖에 이사야의 신상에 대하여 더 이상 알려진 것은 없다. 하지만 이사야가 왕이나(사 7:3) 제사장에게(사 8:2) 쉽게 다가 갈 수 있었다는 사실을 통하여 이사야가 웃시야의 사촌이거나 혹은 아마샤의 조카였을 것이다.

[편집] 내용

이사야서는 예언 전집이라고 부를 만하다. 예언자 이사야와 직접 관계되는 것은 <이사야>의 첫 부분(1-39장)뿐인 듯하다. 이사야의 활동 초기에 대한 내용은 6장 1절부터 9장7절까지에 나오고, 말기에 대해서는 22장, 28-32장, 36-39장(서기전 701년 예루살렘의 포위)에서 다룬다. 그 중간 시기에 속하는 것이 1-5장, 9장 8절부터 12장 6절에 나오는 여러 가지 진술이다. 다른 여러 부분은 그 시기와 저자를 확실히 알아낼 수 없다. 13-23장은 이방 민족들에 대한 심판 선언을 담고 있는데, 부분적으로만 이사야와 관련시킬 수 있다. 24-27장은 세상 끝에 관한 묵시문학적인 본문인데 그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33-35장이 역사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는 거의 알 수가 없다. 36-39장의 이사야 이야기는 대부분 글자 그대로 열왕기하 18-20장과 일치한다.

40-55장에서는 문체가 완전히 바뀐다. 여기서 말하는 사람은 서기전 6세기 바벨론 포로기* 중반기에 등장한 것이 틀림없어 보이는 이름 없는 예언자이다. 이 예언자는 하나님이 유다 사람들을 포로 생활에서 해방하여 고향으로 돌아가게 하실 것과 예루살렘이 재건될 것에 대해 말하는데, 따라서 서기전 587년 유다 왕국의 멸망은 이미 지난 날의 사건으로 되어 있다.

56-66장은 고향으로 돌아온 뒤의 시기를 보여주는데, 한 사람의 작품은 아닌 듯하다. 이 부분은 <이사야>에 대한 일종의 부록인데, 재건 시기에 생긴 여러 가지 구원의 말씀과 가르침을 바로 여기에 모아둔 것 같다.

이사야 자신도 두 군데에서(8:16; 30:8) 첫 예언들을 묶어두는 것에 대해 말하는데, 지금 우리가 보는 모습의 <이사야> 전체는 빨라도 서기전 4세기에 완결된 것으로 보이므로, 거의 400년에 걸치는 형성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의 말씀 1-12장
  • 이방 민족들에 대한 심판의 말씀 13-23장
  • 하나님의 열방에 대한 심판 24-27장
  • 이스라엘과 유다에 대한 말씀 28-39장
  • 바벨론 포로에 대한 위로의 말씀 40-55장
  • 종말에 대한 소망의 말씀 56-66장


  • 이사야의 시대 배경

이사야가 활동하던 시대는 유다왕국에게는 참으로 힘든 시기였다. 시리아와 북 이스라엘의 동맹을 통해, 이스라엘을 침공하는 사건이 있었으며, 히스기야 왕 때에는 앗시리아의 산헤립에 의해 예루살렘이 포위공격 당하여 유다왕국의 존폐가 달린 일도 있었다. 이사야는 그 때마나 위대하신 하나님을 의지할 것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호소하였다.

  • 이사야의 저작 문제

이사야서 전체 66장을 한명의 저자가 기록했다고 생각하는 학자도 있다. 그러나 이사야서에 등장하는 역사적 배경이나, 페르시아의 왕인 고레스에 대한 언급, 문체, 신학적 차이 등은 이사야서가 한 명이 아닌 두 명 이상의 사람에 의해 기록되었다는 것으로 생각하게 한다. 이사야 1-39장까지를 제1이사야로 부르며, 이사야 40-66장을 제2이사야 또는 다른 이사야라고 부른다. 제2이사야는 또 제2이사야(40-55장), 제3이사야(56-66)로 나눌 수 있다. 제1이사야의 시대적 배경은 서기전 8세기 후반이다. 제2이사야에는 서기전 6세기 중엽의 페르시아 왕인 고레스가 나타난다. 제1이사야가 이상적인 왕에 의한 다윗 왕조의 회복을 강조하는 반면, 40-66장은 하나님에 의한 이스라엘의 구원을 강조하고 있다.

  • 이사야서와 사해사본의 이사야 사본

1947년에 쿰란에서 이사야서와 관련 있는 두 개의 사본이 발견되었다. 이사야서 전체를 담고 있는 사본은 쿰란 제1동굴에서 발견되었다. 다른 하나도 같은 동굴에서 발견되었지만 이사야서의 일부분만 기록, 보존되어 있는 것이다.

  • 이사야의 메시지

시리아와 북 이스라엘의 동맹으로 인한 남 유다 침공, 앗시리아의 예루살렘 포위, 그리고 공격 등의 이스라엘의 존폐 위기에서도 이사야는 변함없이 하나님만을 신뢰할 것을 강조하였다. "너희가 믿지 아니하면 정녕히 굳게 서지 못하리라"(사 7:9). 이 말씀은 이사야 전체 메시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하나님만을 신뢰하고, 말씀에 순종한다면, 예루살렘을 적들의 손으로부터 구원하여 주신다는 것이다. 이사야는 이렇게 담대하게 하나님의 구원을 선포하였다. 이사야의 예언대로 예루살렘은 두 번의 위기를 무사히 넘기게 되었다. 이 때로부터 예루살렘은 하나님께서 보호하시기 때문에 어떤 적도 함락시킬 수 없다는, 예루살렘 신학이 확립되었다. 그리고 이사야는 앞으로 도래할 하나님의 영원한 평화가 있을 비전을 보여 주었으며, 메시야 출현의 꿈을 이스라엘에게 심어 주었다. 또한 에덴의 회복을 갖게 해 주었다.

  • 신약에서의 이사야 인용

신약에서는 이십 번 이상 이사야를 인용되고 있다. 요한은 "주의 영광을 보고 주를 가리켜 말한 것"(요 12:41)을 인용하고 있다. 누가는 빌립이 에디오피아의 내시에게 다가갈 때 그 내시가 선지자 이사야의 글을 읽고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내시가 읽던 성경은 이사야서 53장 7-8절이었다. 이사야서에 대한 신약의 인용구들은 열 두 개의 장으로부터 나온 것들이다. 일곱 개는 1-39장의 내용이며, 다섯 개는 40-66장에서 인용된 것이다.

  • 문학적인 분석

이사야서는 구약의 다른 몇 권의 책들과 아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사야서의 첫 부분은 이스라엘에 임박한 심판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사 1-12), 다음 장들에는 이방의 여러 나라들에 대한 심판에 초점을 맞춘 내용들이 나오고 있다(사 13-35). 그리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미래의 축복을 기술하고 있다(사 40-66). 36-39장은 본문의 관심이 앗시리아에 의한 위기로부터 포로시대 및 그 이후 시대의 관심사들로 바뀌어지는 전환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비슷한 구조는 에스겔서, 스바냐서, 요엘서, 예레미야서의 본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편집] 해석

이사야서는 기존에 소개된 신학을 이야기함은 물론 새로운 신학 사상을 소개하고 있다. 이사야서의 이러한 내용과 견줄 수 있는 구약 본문들은 거의 없을 만큼 독특한 것이다. 이사야서는 옛 사상과 새로운 사상을 조화롭게 엮어냄으로서 중요한 신학문헌이 된다. 이사야서도 다른 예언서와 마찬가지로 독특한 신학적 관점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대부분의 신학자들은 이사야의 핵심 요지가 "하나님의 거룩함"이라고 진술한다. 이사야 1-12장은 책망하시며 호출하시는 하나님을 소개하면서 예언을 시작한다. 13-27장은 여호와를 교만한 열방을 파하시는 하나님으로 묘사한다. 28-39장은 사악한 자에게 임할 일련의 화를 선포하면서 심판 주제를 계속해 나간다. 40-55장에서는 현재의 고통과 미래의 희망은 계속 교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끝으로 이사야 56-66장은 만물을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을 소개한다. 이사야에 나타난 하나님을 통한 유일신 사상은 결코 변함이 없다. 다른 우상들과 기타 다른 경배의 대상들이 나타나지만, 이러한 것들은 하나님의 경륜에는 참여할 수가 없다.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다른 열방의 신들보다 더 뛰어나다. 하지만 그의 우월함을 스스로 입증하려고 하지는 않으신다.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온 세상의 유일한 하나님이시다. 이러한 이사야의 메시지는 남은 모든 자들에게 희망을 준다. 하지만 이 메시지를 무시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야웨의 날'에 임할 심판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