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산 방면 | (K119) 중랑 | (K121) 망우 | (K122) 양원 | 덕소 방면 |
망우 | |
---|---|
역 정보 | |
노선 | 중앙선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상봉1동 72 |
개업일 | 1940년 4월 1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2급 |
승강장 | 섬식 (1면 4선) |
전화번호 | 02-432-7788 |
GPS 좌표 | {{{GPS}}} |
망우역(忘憂驛, Mangu Station)은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역이다. 후에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의 분기점이 될 예정이다.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 : 왼쪽
[편집] 출구 정보
- 1번: 망우지구대, 망우2동사무소, 상봉터미널, 혜원여자고등학교
[편집] 승차량 변동
역 북쪽엔 신내택지지구가 자리잡고 있으나, 승차량은 역시 그리 많지 않다. 이 노선이 제공하는 동선이 수단선택 변동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중앙선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1611 | 2924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청량리 - 회기 - 중랑 - 망우 - 양원 - 동교(폐역)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미개통) - 팔당 - 능내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 석불 - 구둔 - 매곡 - 양동 - 판대 - 간현 - 동화 - 만종 - 원주 - 유교 - 반곡 - 금교 - 치악 - 창교 - 신림 - 연교 - 구학 - 봉양 - 제천조차장 - 제천 - 고명 - 삼곡 - 도담 - 단양 - 단성 - 죽령 - 희방사 - 풍기 - 안정 - 북영주 - 영주 - 문수 - 승문(폐역) - 평은 - 옹천 - 마사 - 이하 - 서지 - 안동 - 무릉 - 운산 - 단촌 - 업동 - 의성 - 비봉 - 탑리 - 우보 - 화본 - 봉림 - 갑현 - 신녕 - 화산 - 북영천 - 영천 - 송포 - 임포 - 아화 - 건천 - 모량 - 율동 - 서경주(폐역) - 금장 - 경주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중앙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철도 토막글 | 서울 중랑구의 전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