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미역 | |
---|---|
역 정보 | |
노선 | 경부선 |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2동 1008-1번지 |
개업일 | 1916년 11월 1일 |
역 종별 | |
역 등급 | 보통역 |
승강장 | 쌍섬식 승강장 |
전화번호 | 054-458-6925 |
GPS 좌표 | {{{GPS}}} |
구미역(龜尾驛)은 경부선의 역으로,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2동에 있다. 1916년에 영업을 시작하였다. 현 역사는 1999년에 착공하여 역무시설을 개통하여 운영하고 있는 선상종합역사로, 착공 이전에는 단층 역사 1동과 승강장 및 이동 지하도를 갖추고 있었다.
목차 |
[편집] 연혁
- 1916년 1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대전건설사무소 관할).
- 1966년 10월 20일 역사 개축 착공.
- 1966년 12월 30일 역사 개축 준공.
- 1982년 7월 1일 역사 증축 준공.
- 1982년 9월 25일 구내 지하도 신축.
- 1999년 12월 선상종합역사 신축 착공.
- 2006년 9월 26일 선상종합역사 역무시설 개통.
- 2007년 6월 1일 하루 KTX 상·하행 각 2회 운행 시작.
[편집] 현황
[편집] 타는 곳
1・2 | 경부선(상행) | 서울, 대전, 김천방면 |
3・4 | 경부선(하행) | 동대구, 왜관, 부산, 경산방면 |
[편집] 정차 편성수
일요일을 기준으로 하루에 KTX 4편성(상하행), 새마을호 32편성(상하행 및 복합열차 포함)과 무궁화호 58편성(경부선 경유 경북선 포함)이 정차한다(2007년 현재).
[편집] 승차량 변동
01~03년간에는 당시 구미 부근에서 동대구 나들목까지 8차선으로 확장공사가 완료되었던 경부고속도로나, 여러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인한 도로교통 소통상황의 개선으로 인해 양방향 모두 약한 감소 추세를 보여주었다. 이는 2004년에 특히 동대구 방면에서 크게 반전되었는데, 이는 고속철 개통으로 인해 확보된 무궁화 열차들의 용량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며 대구지역에서는 동대구역에서만 주로 증가했기 때문에 지역간 교통을 위한 통행이 반영된 것일 수도 있다. 무궁화 서울, 대전 방면으로는 새마을 이용 비율이 크게 늘었다. 동대구 방면으로는 정기권 비율이 높다.
연도와 승하차방향 | 이용 인원[1] | |||||||
---|---|---|---|---|---|---|---|---|
경부선 | ||||||||
새마을 | 무궁화 | 통일 | 총계 | |||||
2001년 | 하행 | 승차 | 90684 | 1113683 | 45646 | 1250212 | ||
하차 | 217403 | 705720 | 10928 | 935402 | ||||
상행 | 승차 | 246637 | 689876 | 8466 | 945546 | |||
하차 | 84372 | 1119953 | 39543 | 1244114 | ||||
2002년 | 하행 | 승차 | 88674 | 1037652 | 44166 | 1170759 | ||
하차 | 214550 | 643914 | 8921 | 868217 | ||||
상행 | 승차 | 247115 | 632701 | 7632 | 888064 | |||
하차 | 81801 | 1048936 | 38646 | 1169811 | ||||
2003년 | 하행 | 승차 | 87876 | 1021043 | 48132 | 1157280 | ||
하차 | 224733 | 631989 | 7241 | 864921 | ||||
상행 | 승차 | 260001 | 611245 | 7899 | 880781 | |||
하차 | 82025 | 1049870 | 58029 | 1190391 | ||||
2004년 | 하행 | 승차 | 184395 | 1075248 | 11800 | 1271443 | ||
하차 | 365113 | 520186 | 1542 | 886841 | ||||
상행 | 승차 | 369310 | 510701 | 1538 | 881549 | |||
하차 | 171579 | 1131079 | 13713 | 1316371 | ||||
2005년 | 하행 | 승차 | 211813 | 1258895 | 폐지 | 1470708 | ||
하차 | 440294 | 494619 | 폐지 | 934913 | ||||
상행 | 승차 | 421607 | 499695 | 폐지 | 921302 | |||
하차 | 198763 | 1319622 | 폐지 | 1518385 |
[편집] KTX 이용량
KTX 운행을 시작한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구미역에서 승차한 승객은 6,431명이며, 수입액은 137,740,000원으로 나타났다. 철도공사는 서울에 가족을 둔 기업과 기관 단체 관계자들이 금·토요일에 서울로 이동한 뒤, 월요일에 KTX를 이용해 대전역에서 새마을호로 환승해 구미로 돌아오는 것으로 분석했다[2].
[편집] 선상종합역사 신축
1999년부터 2003년 완공을 목표로 역무시설과 상업시설, 근린시설 및 주차시설을 갖춘 지하 1층, 지상 5층, 총면적 12,271평 규모의 선상종합역사 신축공사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총 사업비 626억원 중 203억원의 민자 사업비 조달 계획이 실패하고, 예산 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 완공시기가 2005년말로 연기되었다가 다시 2006년말으로 연기되었다. 여러 차례의 공사 연기와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모습이 문제로 지적되자 한국철도공사에서 공사를 계속 추진하여, 2006년 9월 26일 총면적 1,226평의 역무시설을 우선 완공하고 영업을 시작했다.
[편집] KTX 정차
김천구미역 완공까지 많은 시간이 남았고, 구미시에서의 KTX 정차 요구가 끊임없이 지속되었으므로, 한국철도공사는 2007년 6월 1일부터 하루 상·하행 각 2회씩 기존 경부선을 경유하는 KTX 열차를 김천역과 구미역에 정차하기로 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