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갈나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생물 분류 읽는 법
생물 분류 읽는 법
떡갈나무
떡갈나무의 잎과 줄기
떡갈나무의 잎과 줄기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문: 속씨식물문
강: 쌍덕잎식물강
목: 참나무목
과: 참나무과
속: 참나무속
종: 떡갈나무
학명
Quercus dentata
Thunberg

떡갈나무는 참나무속에 속하는 낙엽활엽수로 중국, 일본, 대한민국에 자생한다. 열매인 도토리는 식용으로 쓰인다.

목차

[편집] 생태

온대 및 냉대 지역에 자라는 낙엽활엽수의 교목으로 다 자라면 20m - 25m에 이른다. 열매인 도토리가 떨어져 주변에서 싹을 틔워 군락을 형성한다. 한반도의 경우 서어나무 및 다른 참나무들과 함께 극상종이다.

[편집]

1cm - 1.5cm의 잔털로 덮인 잎자루에 큰 을 지니고 있으며 여러장의 잎이 모여 난다. 잎의 길이는 10cm - 40cm 정도이며 폭은 15cm - 30cm 정도로, 참나무속의 나무들 가운데 잎의 크기가 가장 크다. 비슷한 모양의 잎을 가진 참나무속의 나무로는 유럽, 소아시아 및 북아프리카 등에서 자생하는 Quercus robur가 있다. 가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고 봄에 새 잎이 돋는다.

[편집] 줄기

다른 참나무속 나무들 처럼 특유의 그물 모양의 홈이 패인 나무거죽이 있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생장속도가 달라 나이테를 형성한다.

[편집]

5월에 초록색의 꽃을 피운다. 꽃은 암술과 수술이 따로 피며 강아지 꼬리 모양이다. 참나무속이나 밤나무속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꽃의 모양을 을 미상(尾狀)꽃차례라 한다.

[편집] 열매

이 부분의 본문은 도토리입니다.

열매는 도토리라 부르며 식용으로 쓰인다. 도토리묵을 만들거나 녹말을 얻어 음식의 재료로 쓰인다. 한국의 역사에서 도토리는 선사시대부터 음식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삼국시대까지 주식으로 이용되었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인 밀돌은 도토리를 갈기위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