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국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이칠란트인의 노래(독일어: Das Lied der Deutschen, Das Deutschlandlied, 리트 데어 도이첸)는 도이칠란트의 국가이다.
목차 |
[편집] 역사
도이칠란트 국가의 역사는 17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은 이 노래를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였던 프란츠 1의 생일때 헌상했는데, 후에 이곡은 후에 가사를 붙여 "하나님, 프란츠 황제를 지키소서"로 바뀌어 명실상부한 오스트리아의 국가로 자리매김하였다. 하이든은 후에 이 멜로디에 맞춰 황제 사중주 라는 변주곡을 썼다.
이 노래는 황제가 바뀔때마타 프란츠 부분을 페르디난트로 바꿔부르는 등 여러 변형을 거쳐왔다. 그러나 1917년, 오스트리아 왕정의 붕괴후 이 노래는 오스트리아에서 사리지게 되었고 도이칠란트로 건너가,바이마르 공화국 시절부터 쓰여졌다. 1922년 8월 11일 국가로 채택하고부터 1945년 5월 7일 도이칠란트가 연합국에 항복할 때 까지는 도이칠란트, 가장 뛰어난 도이칠란트(독일어: Deutschland, Deutschland über alles)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졌다.
[편집] 제작
1848년 당시 민족주의 시인이자 대학 교수였던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독일어: August Heinrich Hoffmann von Fallersleben)이 가사를 썼다. 그리고 요제프 하이든의 현악 4중주 <황제> 2악장인 황제 찬가에 맞추어 불렀다.
[편집] 현재 쓰이는 가사
- 1949년부터는 이 가사만을 사용하고 있다.
- Einigkeit und Recht und Freiheit
- Für das deutsche Vaterland!
- Danach laßt uns alle streben
- Brüderlich mit Herz und Hand!
- Einigkeit und Recht und Freiheit
- Sind des Glückes Unterpfand; -
-
- Blüh im Glanze dieses Glückes,
- blühe, deutsches Vaterland!
[편집] 한국어 독음본
- 아이니히카이트 운트 레흐트 운트 프라이아이트
- 퓌어 다스 도이체 파테얼란트!
- 다나흐 라스트 운스 알레 슈트리벤
- 브뤼데얼리히 미트 헤어쯔 운트 한트!
- 아이니히카이트 운트 레흐트 운트 프라이아이트
- 진트 데스 글뤼케스 운테업판트;
-
- 블뤼 임 글란쩨 디제스 글뤼케스,
- 블뤼에, 도이체스 파테얼란트!
[편집] 한국어 번역본
- 통일과 정의와 자유를
- 조국 도이칠란트를 위하여!
- 우리 모두 형제 되어
- 온몸으로 노력하세!
- 통일과 정의와 자유는
- 번영의 토대일지니
-
- 이 번영의 빛 속에서 피어나라
- 피어나라, 조국 도이칠란트여!
[편집] 과거에 사용되었던 가사
[편집] 1절 가사
- Deutschland, Deutschland über alles,
- über alles in der Welt,
- Wenn es stets zu Schutz und Trutze
- Brüderlich zusammenhält,
- Von der Maas bis an die Memel,
- Von der Etsch bis an den Belt. -
-
- Deutschland, Deutschland über alles,
- über alles in der Welt
[편집] 한국어 번역본
- 도이칠란트, 가장 뛰어난 도이칠란트
-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도이칠란트
- 도이칠란트가 형제 되어 서로 굳게 뭉치면
- 공격적으로 방어적으로 굳게 뭉치면
- 마스에서 메멜까지
- 에치에서 발트 해까지
-
- 도이칠란트, 가장 뛰어난 도이칠란트
-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도이칠란트!
[편집] 한국어 독음
- 도이칠란트, 도이칠란트 위베어 알레스,
- 위베어 알레스 인 데어 벨트,
- 벤 에스 슈테츠 추 슈츠 운트 트룻체
- 브뤼데얼리히 추자멘핼트,
- 폰 데어 마스 비스 안 디 메멜,
- 폰 데어 에치 비스 안 덴 벨트. -
-
- 도이칠란트, 도이칠란트 위베어 알레스,
- 위베어 알레스 인 데어 벨트
[편집] 2절 가사
- Deutsche Frauen, deutsche Treue,
- Deutscher Wein und deutscher Sang,
- Sollen in der Welt behalten
- Ihren alten schönen Klang,
- Uns zu edler Tat begeistern
- Unser ganzes Leben lang. -
-
- Deutsche Frauen, deutsche Treue,
- Deutscher Wein und deutscher Sang!
[편집] 한국어 번역본
- 도이칠란트의 여자, 도이칠란트의 성실,
- 도이칠란트의 술, 도이칠란트의 노래
- 이들을 세상에 간직해야 하리
- 이들의 아름다운 모습은
- 우리가 온 생애를 사는 동안
- 우리가 고귀한 행동을 하도록 영감을 주네
-
- 도이칠란트의 여자, 도이칠란트의 성실,
- 도이칠란트의 술, 도이칠란트의 노래!
[편집] 한국어 독음
- 도이체 프라우엔, 도이체 트로이에,
- 도이체어 바인 운트 도이체어 장,
- 졸렌 인 데어 벨트 비할텐
- 이렌 알텐 쇼넨 클랑,
- 운스 추 에들레어 타트 비가이스테언
- 운제어 간체스 레벤 랑, -
-
- 도이체 프라우엔, 도이체 트로이에
- 도이체어 바인 운트 도이체어 장!
[편집] 1절과 2절이 쓰이지 않는 이유
[편집] 1절
1절 가사는 1848년 작사 당시 게르만 문화가 퍼져 있는 범위를 경계선으로 하는 통일 국가 개념을 우위에 놓자는 호소였지만(1848년 당시 도이칠란트는 강력한 통일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나치는 이를 도이칠란트 팽창주의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해석했고 일부 사람들은 도이칠란트의 유럽 대륙 지배를 당연한 것으로 요구할 수 있는 근거로 잘못 해석하기도 하였다.
나치는 이 노래를 국가로 부르며 호르스트 베셀(Horst Wessel)이라는 노래를 지어 함께 국가처럼 불렀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더 이상 부르지 않게 되었고 명맥만 겨우 유지되었다고 한다.
[편집] 2절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2절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여성을 비하하고 향락을 즐기는 듯한 내용 때문에 1949년 이후에는 금지되었다고 전해진다.
[편집] 바깥 고리
독립 국가 그루지야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마케도니아 공화국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시국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체코 | 카자흐스탄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터키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미승인 국가 또는 기타 지역 올란드 제도(핀란드) | 바스크 지방(스페인) | 브르타뉴(프랑스) | 카탈루냐(스페인) | 잉글랜드(영국) | 체첸 공화국(러시아) | 페로 제도(덴마크) | 지브롤터(영국) | 북아일랜드(영국) | 맨 섬(영국) | 건지 섬(영국) | 저지 섬(영국) | 카렐리야 공화국(러시아) | 나고르노카라바흐(아제르바이잔) | 스르프스카 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스코틀랜드(영국) | 시랜드 섬(영국) | 스발바르 제도(노르웨이) | 타타르 공화국(러시아) | 트란스니스트리아(몰도바)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키프로스) | 웨일스(영국) | 왈로니(벨기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