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항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6월 항쟁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다. 6월 민주항쟁, 6월 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 등으로 불리운다. 2007년 6월 10일 정부 차원의 첫 기념식이 열렸다.
목차 |
[편집] 사건의 경과
[편집] 항쟁 이전
- 1987년 1월 14일 - 서울대 박종철, 경찰 고문으로 사망.
- 2월 7일 - 전국 주요 도시에서 "박종철군 범국민추도식" 및 도심 시위.
- 3월 3일 - "박종철군 49재와 고문추방 국민대행진" 및 시위.
- 4월 2일 - 서울대학교 학생 학부모 130여 명, 건대사태 등 시국관련 구속학생의 징계철회 요구하며 철야 농성.
- 4월 13일 - "개헌논의 유보"를 내용으로 하는 전두환 대통령 특별담화 발표 (4·13 호헌 조치).
- 4월 14일 - 김수환 추기경 등 각계 인사, 4·13 호헌 조치를 비난하는 시국 성명 발표.
- 4월 24일 - 가칭 "통일민주당 창당 방해 사건" 발생
- 5월 23일 - "박종철 고문살인은폐조작규탄 범국민대회 준비위원회" 결성 및 6월 10일에 규탄대회 갖기로 결정.
- 5월 26일 - 전두환 대통령, 고문치사사건에 대한 책임을 물어 노신영 총리를 이한기로 교체.
- 5월 27일 -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결성, "4·13 조치 철회 및 직선제개헌 공동쟁취 선언" 발표.
- 6월 9일 - 연세대생 이한열, 학교 앞 시위 중 부상 (7월 5일 사망).
[편집] 항쟁 기간
- 6월 10일 -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주최로 성공회서울주교좌대성당에서 "박종철군 고문치사 조작, 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 개최. 시민들도 택시운전사들이 저항의 뜻으로 차를 세우고 경적을 울리거나, 고등학생들이 민주화시위참여자에게 마실 물을 가져다 주는 등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으로 서울도심에서 민주화 시위가 있었다. 당시 성공회서울대성당에서는 감사성찬례때 피아노를 연주할 전례봉사자가 필요하다는 명분으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관계자가 경찰의 감시를 피해 교회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배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6월 26일 - 전국 37개 도시에서 국민평화대행진 시위가 전개되었고 3,467명이 경찰에 연행되었다.
- 6월 29일 - 노태우 민정당 대표위원이 8개항의 시국수습 내용을 포함한 6·29 선언을 발표.
-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와 재야 단체는 즉각적인 개헌작업 착수와 양심수 전원석방 및 수배해제를 촉구하는 성명 발표.
[편집] 항쟁 이후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이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