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유전체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교유전체학은 1990년대 중반에 생긴 생명과학 용어로서, 유전체 정보를 처리함에 있어서, 이종들간의 차이와 상동성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여, 중요한 단백질, 유전차 및 리간드 타겟을 발굴해내는 분자세포생물학 및 생정보학의 소분야이다.
비교유전체학의 초기 연구는 영국케임브리지의 MRC 센터에서 생어가 유전체 수준의 유전정보 비교를 시작한데 부터 기원들 두고 있고, 그 이후 생정보학의 급속한 발달로 기틀이 잡혔다. 1995년 최초의 박테리아 유전체 서열이 3개가 동시에 발표되면서, 본격적인 유전체간의 비교연구가 확립된다. 비교유전체학은 유전체학의 가장 기초적인 소분야이다.
비교유전체학은 기존의 종다양성 분야와 접목이 되면서, Biodiversity(생물다양성) 혹은 Bioversity(생명다양성)을 연구하는 첨단 연구분야이다. 2007년 현재 생물 바코드 연구등이 추가되고 생정보학의 급속한 진전으로 앞으로서 많은 성장을 할 분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