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슬점은 공기 안의 수증기가 처음으로 이슬로 변화될 때의 온도를 말한다. 보통 100m 올라갈 때마다 이슬점은 0.2℃씩 내려가며, 공기의 온도와 이슬점의 온도가 같아지는 순간 공기 안의 수증기가 액화된다. 이슬점이 높이 올라갈수록 떨어지는 이유는 기압이 변하기 때문인데, 기압이 떨어지면 공기의 부피가 커져 수증기압이 줄어들어 수증기가 쉽게 이슬로 변할 수 없게 된다.

이 문서는 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