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제법(國際法)은 국가, 국제기구 그리고 특별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회사나 개인의 행동을 국제적으로 규율하는 법률이다. 국제사법과 대비해서 국제공법(國際公法)이라고 하기도 한다.

국제법은 20세기를 지나면서 상당히 중요해졌다. 그 주된 이유는 국제적인 무역, 갈등, 교류의 증가 때문이었다.

한국에는 만민공법(萬民公法)이란 이름으로 19세기말에 최초로 도입되었다.

목차

[편집] 각국의 국제법 이론

[편집] 자연법

현대 국제법의 정신적인 시원은 로마 교황청의 패권이 점점 약해지던 16세기와 17세기에 형성되었다.

스페인 스콜라주의의 교부이며 살라만카 대학에서 살라만카학파를 창시한 비토리아(Francisco de Vitoria, 1492~1549)가 국제법의 창시자로 불리며, 그는 신학에 기초하여 jus inter gentis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그 후 비토리아의 국제법을 전 유럽에 소개한 휴고 그로티우스가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 후 제레미 벤담이"International law"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편집] 주석

[편집] 참고자료

법의 분류 헌법 행정법 민법 상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노동법 국제법 (조약) 국제사법
법체계 대륙법 영미법 관습법 종교법
법의 연원 성문법  헌법 법률 명령 조례 규칙 조약
불문법  관습법 판례 조리
법학 법철학 법사회학 법제사학 비교법학
법해석학 법정책학
주요 개념 로마법 만민법 게르만법 법언 법의 해석 법률행위 의사표시 재판 형벌 권리 의무
법치주의 물건 ( 동산 | 부동산 ) 인권 국가 민주주의
세계의 법 경국대전 대한민국 헌법 ( 역사 ) 행정수도법 결정
대일본제국 헌법 일본국 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마그나 카르타
아메리카 합중국 헌법 아메리카 합중국 수정헌법 바이마르 헌법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법률 영역의 목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