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erplexing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사용자는 자신의 기여 목록에 있는 문서를 다듬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70개 문서 중 8개 문서를 다듬었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종합격투기 프로젝트에 참여할 사람도 찾고 있습니다.
최근 공용에 올린 사진

(저작권자: )
위키백과:바벨
ko 이 사용자는 한국어모국어입니다.
en-2 This user is able to contribute with an intermediate level of English.
ja-1 この利用者は簡単日本語を話します。
-1 이 使用者는 簡單漢字의 理解가 可能합니다.
위키백과 참여
이 사용자는 위키프로젝트 컴퓨터·비디오 게임의 참여자입니다.
이 사용자는 한국어 위키백과IRC 채널을 방문합니다.

목차

[편집] 작업장

이 부분의 본문은 사용자:Perplexing/작업 노트입니다.
작업중인 문서
완료 문서

[편집] 기여 기록

이 사용자는 2007년 6월 27일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주로 게임종합격투기 관련 문서에 기여하고 있으며, 가장 처음 만들고 기여한 문서는 한국종합격투기 대회인 스피릿 MC이다. 최근 기여 목록을 참고하면 최근 어떻게 기여했는지 볼 수 있다. 이하는 참여하거나 만든 문서 목록이다.

  • 굵은 글씨 = 보완 필요
  • 기울은 글씨 = 각주 필요
  • '따옴표 둘러쌈' = 정리 필요
문서 분류 항목
게임
기본
'컴퓨터·비디오 게임', 게임 디자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게임학
개별 게임
크라이시스, 스팅 (게임), 스프린터 셀 시리즈, 톰 클랜시의 스프린터 셀, 톰 클랜시의 스프린터 셀: 판도라 투머로, 톰 클랜시의 스프린터 셀: 혼돈 이론, 스페셜 포스 (헤즈볼라 게임), 인종청소 (게임), 톰 클랜시의 스프린터 셀: 컨빅션, 비욘드 굿 앤 이블, 쿠마\워, XIII (게임), OXO, 테니스 포 투, 완다와 거상, 시스템 쇼크 2, 어쌔신 크리드, 아이온: 영원의 탑
허구 요소
샘 피셔
회사
유비소프트, 드래곤플라이, 그래스호퍼 매뉴팩쳐, 마이크로소프트 게임 스튜디오
인물
라프 코스터, 코지마 히데오, 리처드 개리엇
단체
게임물등급위원회,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 한국e스포츠협회
문화
게임회사 이야기, GPM 커뮤니티, '모드 (게임)', e스포츠, 게임 개발자 회의, 컴퓨터·비디오 게임 등급 심의 체계
언론
이스케이피스트
기술
게임 엔진, 이드 테크 5, 레벨 에디터,
격투기/종합격투기
기본
종합격투기, 격투 스포츠, 래빗 펀치
선수
추성훈, 권아솔, 데니스 강, 사쿠라바 카즈시, '최홍만', 랜디 커투어
단체
스피릿 MC, K-1, 엘리트 익스트림 컴뱃, 판크라스, 얼티밋 파이팅 챔피언십
그 외
소설
레인보우 식스, '눈물을 마시는 새'
라프 코스터의 재미 이론
만화/애니메이션
총몽, 최종병기 그녀
야구
허구연, 2007년 한국 프로 야구
프로레슬링
루챠 리브레
영화
워쇼스키 형제
그 외 중의 그외
'대중 문화 속에 묘사된 북한', 카더라, 묻지마, 장충체육관, 대한가수협회, 태왕사신기, 알레고리
동음이의 문서
나나, 모드, ,
틀:유비소프트 스크린샷, 틀:종합격투가 정보, 틀:종합격투기 프로젝트
삭제된 문서
이현기 (게임 디자이너)
처음 만든 문서들 (61), 참여한 문서들 (9), 삭제된 문서 (1)
추가하거나 참여할 문서들

게임종합격투기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서에 기여할 예정이다.

[편집] 관심

[편집] 관심 토막글

E스포츠, GTA, MMOFPS, MMORPG, 가정용 게임기, 논플레이어 캐릭터, 닌텐도, 다이토, 리니지 (게임), 모드 (게임), 세컨드 라이프, 소닉 더 헤지호그 시리즈, 아타리 쇼크,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프로게이머, 화이트데이 (게임),

[편집] 관심가는 다른 언어 백과의 문서

영어 백과
en:Simulated reality (모의 현실), en: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en: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en:History of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s (MMOG의 역사), en:First video game (최초의 컴퓨터 게임), en:Pong (퐁), en:Atari video game burial (아타리의 게임 카트리지 매립), en:History of video games (컴퓨터·비디오 게임의 역사)

[편집] 지켜보는 기여자들

[편집] 냉동고

[편집]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의 기본적인 특징은 플레이어가 도시의 범죄자가 되어 게임이 진행될 수록 명성을 얻어나간다는 것이다. 지하 세계의 우두머리들로부터 범죄와 관련된 임무를 받게 되고 이야기를 이어나가려면 반드시 완수해야만 한다. 주인공은 대체로 불행한 일을 겪게 되고, 그것을 동기로 여러 일을 맡게 되고 플레이어는 그를 성공으로 이끌어야 한다.

특히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는 플레이어에게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플레이어는 직접 자신이 맡을 임무를 선택할 수 있고, 그 선택에 따라 다양한 권력 관계와의 관계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게임 속의 거대한 도시 환경은 아무 때나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으며 건물에 들어가거나 소소한 임무를 맡는 것도 가능하다. 주로 맡게 되는 임무인 강도나 암살 같은 범죄들과 달리 택시 운전이나 소방, 거리 경주 등 별개의 일도 해볼 수 있다.

특히 《그랜드 테프트 오토 3》와 그 이후의 게임들은 이야기나 성우 연기, 라디오 스테이션으로 인기를 끌었다. 라디오 스테이션에서는 운전 도중에 음악이나 토론 방송을 들을 수 있어 게임의 배경이 되는 시대의 미국 문화를 느낄 수 있다. 시리즈는 대체로 미국의 도시와 문화, 그리고 범죄를 묘사하고 있으며 그를 묘사하는 모든 요소가 끊김없이 연결되어 사실적인 분위기를 구축한다.

이 게임은 십대와 어른들 모두에게 컬트에 가까운 인기를 얻어냈다. 게임 자체의 장점은 물론이고, 게임 상의 음악이나 분위기, 의상, 욕설과 도시가 그들이 좋아했던 1980년대1990년대 미국의 향수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점이 큰 매력이었다.

시리즈의 특징인 차량으로 탐험할 수 있는 도시 환경이나 열린 방식의 분위기는 다른 게임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트루 크라임》 시리즈와 《심슨즈 히트 앤 런》이 좋은 예이다.

한 편, 시리즈는 《그랜드 테프트 오토 3》 이후로 큰 논란 거리가 되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주로 다른 게임이 제공하는 영웅 역할에 대비되는 범죄 행위에 맞춰지고 있다. 주인공은 어떤 이유도 없이 경찰이나 군인을 죽이기도 하는 등 다양한 범죄나 폭력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 이 게임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이것이 모방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편집] 펜타비전

펜타비전
종류
창립
위치 대한민국 대한민국
핵심 인물 차승희, 대표
산업 게임 개발
제품 디제이맥스
웹사이트 http://pentavision.co.kr/

펜타비전 엔터테인먼트(Pentavision Entertainment)는 대한민국컴퓨터·비디오 게임 개발사이다. 음악 게임 《이디투디제이》의 개발진을 주축으로 만들어진 회사로, 그를 잇는 온라인 음악 게임 《디제이맥스》 시리즈를 개발했다. 2006년 4월 네오위즈에 인수되었고[1], 액션 게임 《S4 리그》를 개발하고 있다.

[편집] 게임

[편집] 참조

  1. 네오위즈, 게임개발사 펜타비전 인수 - 이데일리

[편집] 바깥 링크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