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일본어:東京六大学野球連盟,とうきょうろくだいがくやきゅうれんめい, 영어:TOKYO BIG6 BASEBALL LEAGUE)은, 도쿄 내의 유명한 여섯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대학 간의 야구 선수권은 현존하는 대학 리그 중 역사가 가장 길다.
목차 |
[편집] 역사
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은 1903년에 시작된 와세다 대학(早稲田大學)과 게이오기주쿠 대학(慶応義塾大學)의 대항전이 시초가 되고 있다. 1906년, 응원의 과열 등으로 대학 간 경기는 중단되었지만, 1914년에 메이지 대학(明治大學)을 더한 3대학에서 리그전을 개시. 1917년에 호세 대학(法政大學), 1921년 릿쿄 대학(立教大學)이 참가해, 5대학 간의 리그전을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러는 사이에도 와세다 대학과 케이오 기쥬쿠 대학 간의 대항경기에 관해서는 관계자가 과열을 염려해 실시되지 않는 상황이 계속 되어, 변칙적인 리그전 운용이 되었다.
1925년 가을, 도쿄 제국대학 (현재의 도쿄 대학(東京大學))이 참가하면서, 처음으로 조직을 만들어 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이 정식으로 발족했다. 또, 동시에 리그전으로서의 체재를 정비하고 경기가 재개되었다. 다음 해에는 진구 구장(明治神宮野球場)이 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의 협력 하에 완성되어, 실질적인 연맹 전용 구장으로서 운용되게 된다.
[편집] 연혁
- 1903년 와세다 대학과 케이오 기주쿠 대학의 대항경기 개시
- 1906년 와세다 대학과 케이오 기주쿠 대학의 대항경기 중단
- 1914년 와세다,케이오 기주쿠, 메이지 3대학의 리그전을 시작
- 1917년 호세 대학이 리그전에 참가
- 1921년 릿쿄 대학이 리그전에 참가
- 1925년 도쿄대학이 가맹해 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 발족, 대학과 대학의 대항경기 재개
- 1926년 진구 구장 완성
- 1943년 문부성의 명령에 의해 해산
- 1946년 연맹 부활, 천황배 하사
- 1947년 대학야구 왕좌 결정전 개최를 위해, 도토대학 야구 연맹(東都大學野球聯盟), 칸사이 대학 야구 연합(關西大學野球聯合)/간사이 육대학 야구 연맹(關西六大學野球聯盟)과 함께 전국 대학야구 연맹을 결성
- 1950년 쇼와 천황(昭和天皇)이 와세다 대학과 케이오 기주쿠 대학의 대항경기를 관람. 가을부터 전후 최초로 리그전 전시합을 진구 구장에서 개최
- 1952년 대학야구의 통일 조직인 전일본 대학야구 연맹의 결성에 협력, 동연맹 산하가 됨
[편집] 특징
와세다 대학과 케이오 기주쿠 대학의 대항경기를 기원으로 하기 때문에, 최종전의 대전 카드는 반드시 두 대학의 대항경기가 되도록 리그전의 스케줄이 짜여진다. 와세다 대학과 케이오 기주쿠 대학의 대항경기는, 과거에는 국민적인 주목을 끌었던 시대가 있어, 현재도 양 학교의 학생이나 졸업생, 열성 야구 팬의 사이에서 뿌리 깊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도쿄 육대학 야구 자체가 현재의 프로야구가 탄생하기 이전부터 이미 인기의 스포츠로서 정착해 있어, 일본의 프로야구 창설기의 운영 방법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현재 일본 전국에 있는 다른 대학야구 연맹의 운영 방법에도, 이 육대학 야구 연맹이 채용해 온 방법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많다.
또 그 인기를 이유로, 육대학 야구가 성립하기 이전부터도, 가맹 타진을 요구하는 대학이 몇몇 나타나, 아시아 태평양전쟁종전 후의 리그전 재개시에는, 같은 도쿄 도내의 대학야구유력교가 많이 소속해 있는 도토 대학 야구 연맹측에서의 합병을 타진해오는 등의 일도 있었지만, 그대로 변함없는 가맹교 구성을 견지한 채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동연맹에 가맹하고 있는 대학을 도쿄 육대학(東京六大學)이라고 불러, 야구 시합 외에도 다양한 경기나 예술, 문화에 대한 육대학간의 학생 교류가 활발하다. 도쿄 육대학(약칭으로 육대학(六大學)이라고도 함)이라고 하는 대학군의 명칭은 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으로부터 파생한 것이지만, 현재는 야구의 범위를 넘어 일본을 대표하는 대학군의 총칭으로서 이용될 정도이다.
아메리카 합중국에 존재하는 미식 축구의 연맹인 동부 지구의 명문 대학, Ivy League 아이비리그를 모방해 「일본제 아이비리그」라고 하는 표현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연혁대로, 1946년에는 천황배가 하사되고 있다. 천황배는 원칙적으로 한 종목에 대해 하나 밖에 하사 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종목에서는 천황배가 그 종목 전체의 최우수자에 대해서 주어지는(예를 들면 축구의 천황배는 전클럽 팀의 최우수 팀에게만 줄 수 있다) 것으로 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경식 야구종목에서는 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의 우승 대학에만 주어지는 변칙적인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또,1976년의 진구구장 준공 50주년과 1996년의 메이지진구 외원(明治神宮外苑) 창건 70주년 시에는, 같은 진구구장을 본거지로 하고 있는 도토 대학 야구 연맹과 대전했었다.
[편집] 순위 결정 방법
춘계와 추계에 리그전이 운용되고 있어, 같은 상대에게 먼저 2승을 올린 대학에 승점 1을 주어 최종적으로 승점을 많이 획득한 대학이 우승이 된다. 승점이 같을 경우에는 승률이 높은 대학이 상위가 된다.
[편집] 시합 회장
주말을 중심으로, 모두 진구구장에서만 행해진다.
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은, 진구구장의 건설시에 다대한 협력을 한 관계로, 구장의 사용 할당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최우선의 배려를 받고 있어, 리그전 개최 시기는 리그전 종료 후에 행해지는 신인전까지 포함하고, 토요일·일요일은 물론, 평일도 월요일~수요일까지의 낮시간은 도쿄 육대학 야구 연맹이 우선적으로 진구구장을 사용해 시합을 개최할 수 있다.
또, 리그전 기간중에 각 학교 응원단이 이용하는 응원 리더대는, 기본적으로는 일개 학생 주체 조직의 모임인 도쿄 육대학 응원단 연맹의 공유 소유물이지만, 그 응원 리더대의 설치를 위해, 구장 설비의 일부인 펜스 지주에 응원 리더대 고정용의 돌기 쇠장식이 용접되어 있는 등, 구장측의 연맹에 대한 편의는 상당한 것으로, 이처럼 구장과 대학야구 연맹의 관계가 깊은 곳은 전국에서도 유일하다고 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