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교 卍

불교

기본 교의
불교의 삼보 : 법보 불보 승보
삼과설 연기설 법인설
사제설(팔정도)
주요 대승경전
반야경 화엄경 금강경 법망경 유마경
법화경
주요 소승경전
아함경 법구경
유명한 인물
석가모니 십대제자 조사 달마 원효
용수 구마라습
불교의 분류
사상: 소승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시대: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지역: 남방불교 북방불교
한국의 불교 종단
조계종 천태종 태고종 보문종
관음종 원효종 진각종 법화종
파키스탄에서 1세기에 만들어진 불상.
파키스탄에서 1세기에 만들어진 불상.

싯다르타 고타마는 고대 인도의 종교 지도자로, 불교의 창시자이다.[1] 석가족 출신으로서 진리를 깨달은 자라는 의미에서 석가모니라고 불리고, 줄여서 석가라고도 한다. 불교인들은 그를 가장 위대한 부처들 중의 한 사람으로 여기며, 평신도들은 부처와 석가모니를 동의어로 생각하기도 한다.

석가의 출생 및 사망 시기는 확실치 않다. 20세기의 역사가들은 대체로 그가 기원전 563년 무렵에 태어나 기원전 483년 무렵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나, 최근 일부 연구자들은 그가 기원전 410년에서 400년 무렵에 사망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 그러나 이 주장에 대해서 다른 역사가들은 대체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3]

목차

[편집] 탄생 연대와 생애

아버지 숟도다아나 (Śuddohodāna, 정반왕)과 어머니 마야 (Māyā) 사이에서 인도의 아쇼카왕국의 카필라 (Kapila)의 룸비니 동산에서 탄생하다. 붇다의 출생연대에 관해서는 불교계와 종교학자 사이에서 오래동안 논의되었으며, 오늘날 세가지설로 의견이 모아져 있다.

  • 1. 기원전 624년
  • 2. 기원전 565년
  • 3. 기원전 463년

[편집] 출가

석가모니는 인디아의 소왕국의 왕자였다가 인생의 즐거움과 슬픔을 목격한후 출가했다는 것이 종교학자들의 주요 의견이다.하지만 자신이 태어난 나라가 이웃나라와 전쟁을 벌이려는 것에 반대하여 출가했다는 주장도 있다.

[편집] 성도

[편집] 전법

[편집] 열반

[편집] 8상

  1. 우리가 여기에 태어났다는 것은 바로 아픔의 뿌리이다 (生).
  2. 태어나서 늙게되는 것은 또한 아픔이다 (老).
  3. 살아가면서 병이 들면 아픔을 뼈저리게 깨닫는다 (病).
  4. 삶을 언젠가는 마무리지어야 한다는 것에 아픔을 깨닫는다 (死).
  5. 사랑하고 헤어지는 아픔을 깨닫는다 (愛別離).
  6. 미워하고 한숨지으며 아픔을 깨닫는다 (怨憎會).
  7. 무엇을 얻고자 하나 얻지 못하면서 아픔을 깨닫는다 (求不得).
  8. 사람으로 태어나 가진 다섯가지 조건에서 비롯되는 아픔을 깨닫는다 (五取蘊).

[편집] 주석

  1. http://www.ancientindia.co.uk/buddha/home_set.html
  2. The Dating of the Historical Buddha: A Review Article
  3. Hans Wolfgang Schumann (2003). The Historical Buddha: The Times, Life, and Teachings of the Founder of Buddhism, p. xv. Motilal Banarsidass Publ. ISBN 8120818172. Alex Wayman (1993) Untying the Knots in Buddhism: Selected Essays, pp 37-58. Motilal Banarsidass Pu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