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 없는 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승용차 없는 날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조직되는 행사인데, 이는 어떤 날을 정하여 하루 종일 또는 일시적으로 상당한 숫자의 승용차를 도시의 가로 또는 어떤 특정 목표 지역 또는 근린(neighborhood)에서 줄이는 공통된 목표를 지닌 행사다. 이 행사는 이것이 이뤄지는 지역 주변에서 거주하거나 일하는 이들에게 그들의 도시가 훨씬 적은 승용차 통행이라는 변화로 인해 어떻게 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생각해 볼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다. 이는 1973~4년에 있던 1차 석유파동으로 인해 기본적인 시작점을 지니게 된 것 같으나, 1994년에 이르러서야 그와 같은 계획에 대하여 잘 구성된 요청이 에릭 브리턴에 의해 국제 도시 접근성 협회 회의에서 제기되었다.

2년 사이에 최초의 승용차 없는 날이 레이캬비크(아이슬랜드), 바스(영국), 라 로셸(프랑스)에서 조직되었으며, 승용차 없는 날을 범세계적으로 후원하기 위해 비공식적인 세계 승용차 없는 날 협의회가 1995년에 조직되었다. 최초의 국가적 프로그램인 ‘도시에서는 내 차를 타지 않기!(In town, without my car!)’는 프랑스에서 1998년 시작되었으며 전 유럽적인 발의는 유럽 위원회에 의해 2000년에 이뤄졌다. 같은 해, 위원회는 이 프로그램을 이제 위원회의 중심적 관심사인 ‘유럽 이동성 주간’ 행사로도 확대하였고, 자동차 없는 날은 많은 새로운 이동성을 전반적으로 가지고 왔다. 또한 2000년에는, 승용차 없는 날은 세계 승용차 없는 날 프로그램으로 이제는 ‘세계 승용차에 대한 자유 네트워크World Carfree Network’가 된 ‘자동차 부수는 사람들Carbusters’에 의해 발족되었고, 같은 해에 지구의 날 네트워크와 세계 승용차 없는 날의 협동 계획으로 지구를 위한 차 없는 날 행사가 이뤄졌다.


목차

[편집] 이뤄지는 방식

[편집] 세계 승용차 없는 날

[편집] 유럽

[편집] 대한민국

[편집] 역사와 연표

[편집] 첫 10년간

[편집] 연표 : 승용차 없는 날과 관련되었던 몇몇 행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