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뮤온 | |
---|---|
구성 | 기본입자 |
가족 | 페르미온 |
무리 | 렙톤 |
세대 | 2세대 |
반입자 | 반뮤온 |
발견 | 칼 데이비드 앤더슨(1936) |
기호 | μ |
질량 | 105.658369(9) MeV/c |
전하 | -1 e |
스핀 | 1/2 |
뮤온(muon) 또는 뮤 입자는 렙톤의 3 세대중 두번째 세대의 전하를 띤 기본입자이다.
[편집] 성질
뮤온의 붕괴실험에 의해 표준모형의 가장 중요한 변수인 페르미 결합상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표준모형 이론과 비교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실험이다. 99.9%이상의 붕괴형태가 전자와 전자 반중성미자 뮤온 중성미자이기 때문이다.
[편집] 역사
1937년 J. C. Street and E. C. Stevenson이 안개상자에서 발견했다.
[편집] 참고문헌
- J. C. Street and E. C. Stevenson, "New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a Particle Intermediate Between the Proton and Electron", Physcal Review 52, 1003 (1937).
물리학의 기본입자 | |
---|---|
페르미온 | 쿼크: 위 | 아래 | 야릇한 | 맵시 | 바닥 | 꼭대기 |
렙톤: 전자 | 뮤온 | 타우온 | 중성미자 | |
게이지 보존 | 광자 | W 보존 | Z 보존 | 글루온 |
미관측 입자 | 힉스 보존 | 중력자 | 기타 가설 입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