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다와라 선 (일본어: 小田原線 오다와라 센[*])은, 도쿄 도 신주쿠 구의 신주쿠 역에서 가나가와 현 오다와라 시의 오다와라 역까지를 잇는 오다큐 전철의 철도 노선이다. 오다큐 전철의 중심 노선에 해당하며, 보통 '오다큐 선'이라 불리는 노선은 이 오다와라 선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노선거리:82.5 킬로미터
- 궤도 간격:1067 밀리미터
- 역 수:총 47개 역 (시작역, 종점역을 포함)
- 복선화 구간: 전 선
- 복복선화 구간 : 일부 (현재 공사중)
- 전력화 구간: 전 선(직류 1500볼트)
- 폐쇄 방식 : 자동폐쇄식
- 최고속도 : 시속 110 킬로미터
[편집] 개요
이용객 수로 세계에서 손꼽히는 신주쿠 역과 가나가와 현의 서쪽 지역의 관광지역인 오다와라 사이의 82.5 킬로미터 구간을 이어주는 사철 노선이며, 오다큐 철도의 중심 노선이다.
오다와라에서는 하코네 등산철도와 직접 연결되며, 추가 비용이 드는 유료특급인 오다큐 로망스카가 자주 운행되고 있다. 두개의 지선인 에노시마 선, 다마 선로 직접 연결되는 열차도 많이 있고, 요요기 우에하라 역을 통해 지요다 선, JR 조반 선과 직접 연결을 하고 있으며, 일부의 특급 열차는 JR 고텐바 선으로도 직통 운행을 하고 있다.
통근, 통학노선과 관광 노선의 두가지 성격을 띠고 있는 노선이며, 신주쿠 역에 가까운 쪽으로는 복복선화도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다른 전철에 비해, 정시출발율이 비교적 나쁜 편이며, 2~3분 정도의 열차 지연은 거의 매일 발생하고 있다. 이는 교통사고와 승객에 의핸 트러블 등의 사고가 많고, 시간대에 따라서는 한시간에 3번 이상 지나가는 특급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있으며, 시간표에 여유 간격이 모자라는 등의 여러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편집] 열차의 종별
[편집] 특급 로망스 카
- 별도의 추가 요금이 드는 고급 특급 열차이며, 여러가지 애칭을 가진 다른 방면의 열차들이 있다.
-
- 신주쿠에서 18시 이후에 발차하는 하행선 열차는, 방향에 관계없이 (다마선 통과 구간도 포함) 전부 홈 웨이(ホームウェイ) 라 불림.
[편집] 그 외의 열차 종별
식별색 | 종별 | 일본어 이름 | 영어 이름 | 주요 정차역 | 연결 노선 |
---|---|---|---|---|---|
오렌지 | 쾌속 급행 | 快速急行 | Rapid Express | 신주쿠 <-> 오다와라 (사가미 오노) | 에노시마 선 |
빨강 | 급행 | 急行 | Express | 신주쿠 <-> 오다와라 | 에노시마 선, 다마 선, 하코네 등산철도, 지요다 선, JR 조반 선 |
분홍 | 다마 급행 | 多摩急行 | Tama Express | 요요기 우에하라 <-> 신유리가오카 <-> 가라키다 | 다마 선, 지요다 선, JR 조반 선 |
녹색 | 준급행 | 準急 | Semi Express | 신주쿠 <-> 오다와라 (혼아츠기) | 하코네 등선 철도 |
하늘색 | 구간 준특급 | 区間準急 | Section Semi Express | 신주쿠 <-> 신마쓰다 (신유리가오카) | 다마 선 |
파랑 | 각 역정차 | 各駅停車 | Local | 신주쿠 <-> 오다와라 (혼아츠기) | 에노시마 선, 다마 선, 하코네 등산철도 |
[편집] 역사
- 1927년 4월 1일 오다와라 급행철도에 의해, 전 선을 개통함.
- 1927년 10월 15일 전 선 복선화가 완료됨.
- 1942년 5월 1일 도쿄 급행 전철에 합병되어 '다이도큐'가 됨. '오다와라 선'이라는 명칭이 생겨남.
- 1948년 6월 1일 오다큐 전철이 발족함.
- 1950년 8월 1일 하코네 등산철도 하코네 유모토 역까지 직통연결을 개시함.
- 1955년 10월 1일 신마쓰다 역~마쓰다 역 사이의 연결 노선이 완성되어 국철 (현재의 JR 동해) 고텐바 선으로의 진입 운행을 개시함.
- 1957년 6월 오다큐 3000형 SE열차가 등장함. 이는 이후의 오다큐 로망스카의 기초가 되는 차량임.
- 1964년 2월 17일 신주쿠 역 1차 대 개량공사가 완료됨. 지상 3개선, 지하 2개선의 입체식 터미널이 됨.
- 1977년 7월 1일 신주쿠 역 - 혼아쓰기 역 구간에, 급행의 10량 열차 편성이 개시됨.
- 1978년 3월 31일 영단 지하철(현 도쿄 메트로)의 지요다 선과 상호진입을 개시함.
- 1982년 3월 31일 신주쿠 역 2차 대 개량공사가 완료됨. 지상 및 지하 5개선에 10량 210m 홈이 됨.
- 1991년 3월 16일 JR 동해와 신주쿠 - 누마즈 구간의 상호 진입을 개시함.
- 2002년 3월 23일 쇼난 급행과 다마 급행을 신설함.
- 2004년 12월 11일 쇼난 급행을 폐지하고 쾌속급행과 구간준급행을 신설함.
[편집] 연속 입체 교차로, 복복선화 사업
출퇴근 시간의 단축과 혼잡 완화를 위해, 요요기 우에하라 - 무코가오카 유원지 사이의 구간을 오다큐 전철이 복복선화 사업을, 도쿄 도에서 연속입체 교차로 건설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우메가오카 - 이즈미 다마가와 구간이 완성됨.
- ((일본어))오다큐 전철 복복화 공사 안내 페이지
[편집] 여성 전용 차량
다음 시간대 및 구간에는 여성 전용 차량이 실시되고 있다.
- 평일 아침 7:30~9:30에 신주쿠 역에 도착하는 상행 쾌속 급행·급행·준급행의 진행방향 기준 맨 마지막 차량 (실시 구간: 오다와라 -> 신주쿠)
- 평일 아침 7:10~9:30에 요요기 우에하라 역에 도착하는 도쿄 메트로 지요다 선 직통 운행의 급행열차의 진행방향 기준 맨 마지막 차량 (실시 구간: 시발역 -> 아야세 역, 지요다 선 내에서는 9:30 이후에는 여성 전용 차량의 운용이 끝남)
[편집] 역 목록
- 일부 약자의 의미
- 각역: 각 역정차, 구간: 구간 급행, 준급: 준급행, 다마: 다마급행, 쾌급:쾌속 급행
기호 | 의미 |
---|---|
● | 정차함 |
▲ | 일부 열차가 정차함 |
| | 통과함 |
역 이름 | 일본어 이름 | 역간거리(km) | 누적거리(km) | 구간 | 준급 | 다마 | 급행 | 쾌급 | 소재지 | ||
---|---|---|---|---|---|---|---|---|---|---|---|
신주쿠 | 新宿 | - | 0.0 | ● | ● | 지요다 선으로 직통 운행 | ● | ● | 도쿄 도 | 신주쿠 구 | |
미나미신주쿠 | 南新宿 | 0.8 | 0.8 | | | | | | | | | 시부야 구 | |||
산구바시 | 参宮橋 | 0.7 | 1.5 | | | | | | | | | ||||
요요기 하치만 | 代々木八幡 | 1.2 | 2.7 | | | | | | | | | ||||
요요기 우에하라 | 代々木上原 | 0.8 | 3.5 | ● | ● | ● | ● | ● | |||
히가시키타자와 | 東北沢 | 0.7 | 4.2 | | | | | | | | | | | 세타가야 구 | ||
시모키타자와 | 下北沢 | 0.7 | 4.9 | ● | ● | ● | ● | ● | |||
세타가야 다이타 | 世田谷代田 | 0.7 | 5.6 | | | | | | | | | | | |||
우메가오카 | 梅ヶ丘 | 0.7 | 6.3 | ● | | | | | | | | | |||
고토쿠지 | 豪徳寺 | 0.7 | 7.0 | ● | | | | | | | | | |||
교도 | 経堂 | 1.0 | 8.0 | ● | ▲ | ● | ▲ | | | |||
지토세 후나바시 | 千歳船橋 | 1.2 | 9.2 | ● | | | | | | | | | |||
소시가야 오쿠라 | 祖師ヶ谷大蔵 | 1.4 | 10.6 | ● | | | | | | | | | |||
세이조 학원 앞 | 成城学園前 | 1.0 | 11.6 | ● | ● | ● | ● | | | |||
기타미 | 喜多見 | 1.1 | 12.7 | ● | | | | | | | | | |||
고마에 | 狛江 | 1.1 | 13.8 | ● | | | | | | | | | 고마에 시 | ||
이즈미 다마가와 | 和泉多摩川 | 0.6 | 14.4 | ● | | | | | | | | | |||
노보리토 | 登戸 | 0.8 | 15.2 | ● | ● | ● | ● | | | 가나가와 현 | 가와사키 시 | 다마 구 |
무코가오카 유원지 | 向ヶ丘遊園 | 0.6 | 15.8 | ● | ● | | | ● | | | |||
이쿠타 | 生田 | 2.1 | 17.9 | ● | ● | | | | | | | |||
요미우리 랜드 앞 | 読売ランド前 | 1.3 | 19.2 | ● | ● | | | | | | | |||
유리가오카 | 百合ヶ丘 | 1.3 | 20.5 | ● | ● | | | | | | | 아사오 구 | ||
신유리가오카 | 新百合ヶ丘 | 1.0 | 21.5 | ● | ● | ● | ● | ● | |||
가키오 | 柿生 | 1.9 | 23.4 | ● | ● | 다마 선으로 연결 | | | | | |||
쓰루카와 | 鶴川 | 1.7 | 25.1 | ● | ● | | | | | 도쿄 도 | 마치다 시 | ||
다마가와 학원 앞 | 玉川学園前 | 2.8 | 27.9 | ● | ● | | | | | ||||
마치다 | 町田 | 2.9 | 30.8 | ● | ● | ● | ● | ||||
사가미 오노 | 相模大野 | 1.5 | 32.3 | ● | ● | ● | ● | 가나가와 현 | 사가미하라 시 | ||
오다큐 사가미하라 | 小田急相模原 | 2.4 | 34.7 | ● | ● | | | | | ||||
소부다이 앞 | 相武台前 | 2.2 | 36.9 | ● | ● | | | | | 자마 시 | |||
자마 | 座間 | 2.3 | 39.2 | ● | ● | | | | | ||||
에비나 | 海老名 | 3.3 | 42.5 | ● | ● | ● | ● | 에비나 시 | |||
아쓰기 | 厚木 | 1.6 | 44.1 | ● | ● | | | | | ||||
혼아쓰기 | 本厚木 | 1.3 | 45.4 | ● | ● | ● | ● | 아쓰기 시 | |||
아이코 이시다 | 愛甲石田 | 3.1 | 48.5 | ● | ● | ● | ● | ||||
이세하라 | 伊勢原 | 3.7 | 52.2 | ● | ● | ● | ● | 이세하라 시 | |||
쓰루마키 온천 | 鶴巻温泉 | 3.7 | 55.9 | ● | ● | ● | ● | 하다노 시 | |||
도카이 대학 앞 | 東海大学前 | 1.1 | 57.0 | ● | ● | ● | ● | ||||
하다노 | 秦野 | 4.7 | 61.7 | ● | ● | ● | ● | ||||
시부사와 | 渋沢 | 3.9 | 65.6 | ● | ● | ● | ● | ||||
신마쓰다 | 新松田 | 6.2 | 71.8 | ● | ● | ● | ● | 아시가라카미 군 | 마쓰다 정 | ||
가이세이 | 開成 | 2.5 | 74.3 | ● | ▲ | | | 가이세이 정 | ||||
가야마 | 栢山 | 1.9 | 76.2 | ● | ▲ | | | 오다와라 시 | ||||
도미즈 | 富水 | 1.6 | 77.8 | ● | ▲ | | | |||||
호타루다 | 螢田 | 1.4 | 79.2 | ● | ▲ | | | |||||
아시가라 | 足柄 | 1.6 | 80.8 | ● | ▲ | | | |||||
오다와라 | 小田原 | 1.7 | 82.5 | ● | ● | ● |
[편집] 연결 노선
- 신주쿠 역 - 야마노테 선, 주오 쾌속선(주오 본선), 주오·소부 완행선(주오 본선), 사이쿄 선, 쇼난 신주쿠 라인, ○마루노우치 선(M-08), ○도영 신주쿠 선(S-01), ○도영 오에도 선(E-27, 신주쿠 니시구치: E-01)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 게이오 신선 - 요요기 우에하라 역 - ○지요다 선(C-01, 직결 운행)
- 시모키타자와 역 -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 고토쿠지 역 - 도쿄 급행 전철 세타가야 선 (야마시타 역)
- 노보리토 역 - 난부 선
- 신유리가오카 역 - 오다큐 다마 선 (직결 운행)
- 마치다 역 - 요코하마 선
- 사가미 오노 역 - 오다큐 에노시마 선 (직결 운행)
- 에비나 역 - 사가미 선, 사가미 철도 본선
- 아쓰기 역 - 사가미 선
- 신마쓰다 역 - 고텐바 선 (마쓰다)
- 오다와라 역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 쇼난 신주쿠 라인,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 (직결 운행), 이즈 하코네 철도 다이유잔 선
분류: 오다큐 전철 | 간토 지방의 철도 노선 | 도쿄 도의 교통 | 가나가와 현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