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큐리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머큐리얼
개발자 맷 맥콜
최근 버전 0.9.4 / 2007년 6월 25일
운영체제 유닉스 유사, 윈도, 맥 오에스 텐
종류 버전 관리
라이선스 GPL
머큐리얼 위키

머큐리얼(영어: Mercurial)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크로스-플랫폼 분산 버전 관리 툴이다.

머큐리얼의 대부분은 파이썬을 사용하여 개발되었으며, diff 부분은 C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머큐리얼은 기본적으로 명령 줄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다. 모든 명령은 hg로 시작하는데, hg라는 것은 수은원소 기호이기도 하다.

머큐리얼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고도의 퍼포먼스와 스케일러빌리티이다; 다시 말해,서버가 불필요해야 하며(serverless), 분산된(distributed) 협동 개발 플랫폼 형태이어야 한다; 또한 플레인 텍스트 및 바이너리 파일들을 견고히(robustly) 지원해야 한다; 기술적으로 진보된 브랜칭(branching)과 머징(merging) 기능도 가지고 있되, 개념적으로는 간결해야 한다. 머큐리얼은 통합 웹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머큐리얼의 최초 개발자와 현재 수석(lead) 개발자는 맷 맥콜이다. 소스 코드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하에 배포된다.

목차

[편집] 기술적 사양

Git (소프트웨어)와 모노스톤 (소프트웨어)와 마찬가지로 머큐리얼은 리비전(revision)을 구별하는 데 SHA-1 해시을 사용한다.

머큐리얼은 효율성을 높인 HTTP 기반의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새로운 접속을 한다든지, 데이터를 전송한다든지 한다. 또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왕복 리퀘스트(round-trip request)를 처리한다.

머큐리얼은 시큐어 쉘 상에서 작동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토콜은 HTTP 기반 프로토콜과 매우 유사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머큐리얼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맥 오에스 텐, 유닉스-유사 시스템 등에 포팅되었다.

[편집] 문서

레퍼런스 매뉴얼은 Distributed revision control with Mercurial를 보면 된다. [1] 이 책은 브리이언 오설리번(영어: Bryan O'Sullivan)이 저술하였다. 이 매뉴얼은 오픈 퍼블리케이션 사용 허가서에 규정에 의거 자유롭게 배포된다.

[편집] 역사

[편집] 관련 소프트웨어

그림:Hgk.png
Screenshot of hgk in action.
이 문서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편집] 같이 보기

  • 버전 관리 소프트웨어 목록
  • 버전 관린 소프트웨어 비교

[편집] 주석

  1. Bryan O'Sullivan. 《Distributed revision control with Mercurial》.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