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분절음운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립분절음운론((영어: Autosegmental phonology)은 존 골드스미스((영어: John Goldsmith)가 1976년 그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소개한 생성음운론의 변형이다.

자립분절이론의 주된 요지는 음운론은 연구되는 현상을 음소의 선형순서와 이 순서를 나타내는 변화를 기술하는 과정의 집합체로 더 이상 간주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골드스미스는 언어의 확실한 특징을 나타내는 개개의 분절음과 일치하는 계층의 집합체로서 음운론적 현상을 의미한다고 제안한다.


자립분절음운론은 비연속형태론처럼 음운론에서 그 이상의 발전을 위한 토대의 역할을 하였다.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