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세조 무황제 사마염(晉世祖 武皇帝 司馬炎, 236년 ~ 290년)은 서진(西晉)의 초대 황제로, 자(字)는 안세(安世)이다. 그의 조부는 제갈량과 결전을 벌이고 노년에는 정권을 잡은 사마의(司馬懿)이며, 백부는 사마사(司馬師), 아버지는 사마소(司馬昭)이다.

사마의가 조상을 물리침으로써 정권을 획득한 사마씨는 3대 황제 조방(曹芳)과 4대 황제 조모(曹芼)를 폐위시켰고, 5대 황제 조환(曹奐) 대에 이르러서는 사마씨의 우두머리인 사마소가 승상에서 진공, 진공에서 진왕으로 봉해졌다. 사마소에게 황위에 오를 기회는 많이 주어졌으나, 그는 주문왕과 조조의 선례를 따르고자 황위에 오르지 않았다. 265년, 사마소가 죽고 진왕직을 승계한 사마염은 원제(元帝) 조환을 협박하여 그를 진류왕(陳留王)으로 봉하며, 낙양에서 국호를 진(晉)으로 바꾸고 제위에 오른다. 훗날 사마예가 건업에 세운 동진과 구별하기 위하여 역사에서는 사마염의 진을 서진(西晉)이라 부른다.

280년, 명장 두예와 왕준의 분투로 오나라를 멸망시킴으로써 60년간 삼국정립의 시대의 막을 내린다. 삼국을 통일한 뒤, 그는 성군(聖君) 노릇을 하며 검소한 생활을 입으로 말하면서도 끝내 말년엔 부패하여 서진(西晉)은 타락하였다.

290년 사마염(司馬炎)이 붕어하고, 그의 장자 사마충(司馬衷)이 황위를 이었다. 이후, 사마충의 황후이며 가충의 딸인 가남풍은 정권을 잡아 서진 황조를 타락시켰다.

전 임
-
(황조 성립)
제1대 중국 서진 황제
264년 - 290년
후 임
장남 서진 혜제 사마충
전 임
위 원제 조환
중국 황제
264년 - 290년
후 임
장남 서진 혜제 사마충


삼국지의 주요 등장 인물
군주 후한: 영제 - 소제 - 헌제
: 조조 - 조비 - 조예 - 조방 - 조모 - 조환
: 유비 - 유선
: 손견 - 손책 - 손권 - 손량 - 손휴 - 손호
: 사마염
기타: 공손찬 - 도겸 - 동탁 - 마등 - 여포 - 원소 - 원술 - 유요 - 유장 - 유표 - 장각 - 장로 - 장수 - 한복
참모 : 가후 - 곽가 - 만총 - 사마사 - 사마소 - 사마의 - 종요 - 순욱 - 순유 - 유엽 - 정욱 - 신비 - 진군
: 간옹 - 강유 - 등지 - 미축 - 방통 - 비의 - 손건 - 장완 - 제갈량 - 서서 - 마량 - 법정 - 동윤
: 고옹 - 노숙 - 육손 - 육항 - 장굉 - 장소 - 제갈근 - 제갈각 - 주유 - 보즐 - 노번 - 장제
: 가충 - 장화 - 진수
기타: 심배 - 봉기 - 이유 - 저수 - 전풍 - 진궁 - 신평 - 허유 - 괴량 - 괴월 - 곽도 - 진등 - 장송
장군 : 종회 - 등애 - 서황 - 악진 - 우금 - 이전 - 장합 - 장료 - 전위 - 하후돈 - 하후연 - 허저 - 관구검 - 제갈탄
: 관우 - 관평 - 관흥 - 마초 - 위연 - 장비 - 장포 - 조운 - 황충 - 요화 - 이엄 - 황권 - 마대 - 하후패
: 감녕 - 능통 - 서성 - 여몽 - 정보 - 한당 - 조무 - 황개 - 주연 - 주태 - 태사자 - 주환 - 정봉 - 여대
: 양호 - 두예 - 왕준 - 왕혼
기타: 기령 - 문추 - 안량 - 하진 - 화웅 - 고순 - 장연 - 문빙 - 장임
비한족 어부라(흉노) - 가비능(선비) - 답돈(오환) - 맹획(남만) - 부건(저족) - 황난(산월) - 아차새(강인) - 비미호(일본) - 동천왕(고구려)
기타 관로 - 남화노선 - 사마휘 - 손상향 - 우길 - 좌자 - 초선 - 화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