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승인 국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승인 국가(未承認國家)는 실질적으로 독립 상태에 있으나 국제 사회로부터 국가의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를 말하며, 본국에서 갈라져 나온 신흥국가들이다.
목차 |
[편집] 일부 국가에게만 승인을 받은 사실상 독립국
[편집] 승인을 받지 못한 사실상 독립국
[편집] 독립 선언을 하지 않은 정치체
- 남서소말리아
- 푼트란드
- 타밀엘람
[편집] 일부 국가가 승인했으나 실질적으로 점령 상태인 국가
[편집] 국제 관리 영토
독립적인 실재물으로 인식하지 않아 1999년부터 세르비아의 국제연합의 정의 밑에 독립적으로 작용하였다. 법적으로 세르비아의 자치 지방이다.
[편집] 부분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 한국 전쟁이 끝나고 남은 자본주의, 북은 공산주의 체제의 정부를 만들었는데, 그 후 전자는 자본주의 국가들에게 인정되었으며 후자는 공산주의 국가들에게 인정되었다. 1991년 둘 다 UN에 가입했으나 아직도 일부는 그 둘 중 하나만 인정하고, 그 둘 서로가 자기가 정통 정부라고 주장한다. 남쪽 정부는 1990년대 초반에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 등 과거에 북쪽 정부만을 승인했던 공산주의 국가들과 수교하게 되면서 실제적으로 한반도의 공식 정부로 인정 받게 되었다. 하지만 시리아와 쿠바 등의 국가는 여전히 북쪽 정부만을 승인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키프로스
- 키프로스는 대부분의 국가들에게 국가로 인정되지만, 터키가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대신 터키 정부는,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이 국가라는 것을 인정한다. 터키가 키프로스를 포함하는 유럽 연합에 가입하는 것을 시도할 때 문제가 된 것도 바로 그것 때문이었다.
이스라엘
바티칸 시국
[편집] 옛 미승인/부분승인 국가
[편집] 아시아
- 만주국(1932년~1945년): 일본만 승인하였으며 2키 3스케가 실제 권력을 잡는 괴뢰 국가였다.
- 쿠르드 자치주(1991년~2003년): 이라크 내의 실질적인 독립 상태. 2004년 6월 28일부터 이라크와 통합되었다. 이때 쿠르드어도 이라크의 공용어가 되었다.
- 투바 인민 공화국(1921년~1944년): 타누 투바는 1921년, 구 소련의 지원을 받고 독립하였으며 후에 구 소련에 충성하였다. 1944년에 합병되었으며 현재는 투바 공화국으로 있다.
- 아자리야 공화국(1991년~2005년}: 그루지야 소속 하에 있다.
- 카친(1962년~1994년)
- 나히체반(1990년): 아제르바이잔 소속 하에 있다.
- 트란스카우카시안 민주당 연합 공화국(1918년)
- 탈리쉬-머겐 공화국(1993년)
[편집] 아프리카
[편집] 유럽
[편집] 아메리카
- 남부 동맹((1861년~1865년): 미국 남부 동맹
- 캘리포니아 공화국(1846년~1848년)
- 텍사스 공화국(1836년~1845년): 다섯 국가가 승인했다.
- 하와이 왕국(1810년~1894년)
- 하와이 공화국(1894년~1898년)
- 에크레(1899년~1903년)
- 리오그란데 공화국(1840년)
- 유카탄 공화국(1841년~1843년)
- 버몬트 공화국(1771년~1791년)
- 피라티니 공화국(1836년~184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