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체크유저 권한 결의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예전 의견
체크유저 권한으로 인해 개인정보 침해가 발생하지는 않는가: 체크유저의 특성상,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체크유저가 공개적으로 "이 사용자의 IP는 xx입니다!"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체크유저 두세명에게라도 IP가 공개되는 것을 싫어하시는 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체크유저가 과연 필요하기는 한가: 이 권한이 실제로 유용한 경우는 악의적 다중 계정이 나타났을 때 뿐이고, Greenlife/Korealife를 제외하면 이러한 일은 거의 없었습니다. 앞으로도 이 권한을 사용할 일이 별로 없을 수도 있고요. 또한 스튜워드에게 요청하면 (부족하나마) 약간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요. 만약 체크유저 권한을 받는다면, 누가 받아야 하는가: 관리자 중에서? 아니면 뷰로크랫 중에서? 많은 의견 바랍니다. ;) --Klutzy 2006년 8월 21일 (화) 17:46 (KST)
체크유저 권한으로 인해 개인정보 침해가 발생하지는 않는가 - 옳은 일에 사용된다면 전혀 공개를 꺼릴 이유가 : 없겠지요. 다만, 저는 이러한 기능의 불필요한 사용을 지양하기 위해 사용 기록을 공개했으면 좋겠습니다. 체크유저가 필요하기는 한가 - 저는 일단 글쎄요.라고 답하겠습니다. 체크유저 권한을 받는다면 누가 받아야 하는가 : '뷰로크랫' 분들 정도면 충분할 것 같네요. -- 파란로봇군 2006년 8월 21일 (화) 18:11 (KST)
프로젝트 문서 본문에 있던 내용을 토론란으로 옮깁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9일 (일) 23:41 (KST)
[편집] 컨센서스
이미, 위키백과:사랑방에서도 도입의견이 제기되었는 상황에 '논의'차원이 아닌 '행동'차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활발한 토론을 부탁드립니다.--Kys951 2007년 7월 25일 (수) 19:09 (KST)
[편집] 체크유저 권한을 받아야 할 사람
저는 일단 한국어 위키백과에 체크유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차단 회피 악용자가 많으니 꼭 필요합니다.
저는 만약 3명에게 체크유저 권한을 준다면 2명의 권한은 관리자나 뷰로크랫에게 주고, 1명의 권한은 다른 권한 없는 일반 회원에게 줄 것을 제안합니다. 만약 체크유저 권한을 뷰로크랫에게만 준다면 그들은 너무나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게 됩니다. 그래서 권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당분간 세번째 이후의 체크유저 지명은 일반 회원으로 하는 게 어떨까요? 괜히 불필요한 방안을 내놓았는진 모르겠습니다만….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7월 26일 (목) 02:33 (KST)
- 잠시만요. 저는 체크유저 권한 결의안을 한국어 위키백과의 도입 유무를 결의하는것이지, 이를 받는자, 선출하는자 등은 이 문서가 통과된 뒤에 결정할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이 결의안은 자세한 규칙 또는 그러한 세칙을 정하자는게 아니고 다만 도입이 필요한가, 필요하지 않는가를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에게 묻는것입니다.--Kys951 2007년 7월 26일 (목) 20:19 (KST)
-
- 그렇다면 도입 "결의안"이라는 제목에 "제안" 틀은 과한 것 아닌가요? 여론을 묻는 거라면 사랑방 정도에서 좀 더 의견을 묻고 해도 충분했습니다. 위키백과: 공간에서라면 정책이나 지침을 만들기 위한 준비를 해야죠. 누구에게 어떤 식으로 배정할 지도 정하지 않고 "그래 도입합시다"는 결정이 내려지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 ChongDae 2007년 7월 26일 (목) 20:48 (KST)
- 그러니까 컨센서스와 토론을 통한 충분한 논의를 하자고 위에서 밝혔는데요. 그리고 여론을 묻는다는건 솔직히 제가 잘못쓴 표현인것 같구요, 일단 먼저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만약 통과가 된다면 구체적인 규칙 등을 정하자는 것입니다.--Kys951 2007년 7월 26일 (목) 21:14 (KST)
-
- 체크유저 권한이 꼭 "관리자"일 필요는 없지만, "체크유저 권한을 맡길만큼 신뢰가 가는" 사용자라면 관리자로 추천하는 건 어떨까요? 굳이 뷰로크랫 권한까지는 필요없겠지만요. -- ChongDae 2007년 7월 27일 (금) 16:29 (KST)
뷰로크랫이 체크유저 권한을 가지게 되면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체크유저는 말 그대로 ‘열람’의 능력만 있는 것인데요. 관리자인지 여부를 따지지 않고, 그냥 우선 결의안이 완성되는데로 2명만 뽑는 것이 어떨까요? 그리고 임기는 1년으로 하고요. :) --정안영민 2007년 8월 29일 (수) 15:07 (KST)
[편집] 사생활 침해
사생활 침해로 오용될 가능성이 큽니다.asdf 2007년 7월 26일 (목) 18:35 (KST)
- 따라서 엄격한 기준에 따라 체크유저 권한이 행사되어야죠. -- ChongDae 2007년 7월 27일 (금) 16:28 (KST)
- 체크유저 권한 사용은 전부 기록에 남게 됩니다. 누가 무엇을 조회했는지 말이지요. 따라서 무분별한 사생활 침해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8월 29일 (수) 15:00 (KST)
[편집] 체크유저?
글쎼요. 사생활침해성만 있고, 실효성이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IP의 경우, 대부분 초고속 인터넷 하나포스 메가패스 등등을 쓸텐데, 이들은 고정 IP가 아니라 유동 IP이며, 유동 IP는 IP가 계속 변하지 않나요? IP 변경해서 재할당받는 명령어도 있는 걸로 알구요. 물론 상당한 경우에 추적이 되기도 하겠으나, 해당 IP가 차단되면, 다른 IP로 또 공격할 거고, 괜히 IP 변경하지 않고 하나로 계속 쓰는 일반 사용자들의 IP만 노출됩니다. 별로 좋지는 않구요.
만약 체크유저 권한이 있다면, 해당 권한자는 신분증과 직업 실명 전화번호 주소 등의 정보가 어디에 등록이 되어 있어서, 권한남용시 바로 고소고발이 가능하다던지, 이상한 사람은 아니라는 증명이 있다던지, 여하튼 뭔가 신원확인과 검증절차가 필요할 겁니다.
뭐 그렇게 대단한 거라고? 글쎄요, 개인정보 노출 및 유출은, 극소수의 범죄자를 색출하기 위해서라지만, 선량한 절대다수에게 피해가 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정보이용권한자의 신분증명과 신분조회는 반드시 필요하겠죠.
누가 누군지도 모른채로 인터넷상에서 그냥 투표로 권한을 준다? 위험합니다. 투표자가 동일인인지도 모릅니다. 아무것도 정확한 것을 알 수 없는 이가 모든 이들의 IP를 볼 수 있고, 유출시킬 수도 있다는 것은...끔찍한 일입니다.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WonYong(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편집] 모두 안녕히 계세요~~
개인적인 사정으로 위키백과를 접게되었습니다. 모두, 안녕히 계시구요.
이 문서의 관리를 관리자님께 맡기겠습니다. 제가 관리를 할 수 없으니 관리자님께 모든 권한을 양도합니다.(투표종료선언, 답변등을 관리자님께 넘긴다는것을 말합니다.)
--Kys951 2007년 8월 17일 (금) 19:50 (KST)
[편집] 편집로그와 읽기로그
체크 유저 권한이란 access.log를 볼 수 있는 권한을 말씀하시는 것이지요? 매우 민감한 주제입니다. 이것을 통해서 잠재적 기여자를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영어백과에서 경험하는 것에 의하면 이것은 어떻든 필요에 의해서 누군가 봐야하는 정보입니다. 그리고 또한 이것은 아주 중요한 정보입니다. 그리고 부작용도 큰 정보입니다. 완전공개를 하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을 것 같습니다.
또한 다른 논의이긴 합니다만, 편집 로그 외에 단순히 항목을 읽은 기록은 유용한 정보가 됩니다.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개해서 활용하도록 허용합시다. session 단위로 IP address를 md5같은 방식으로 hash해서 공개를 하면 비밀성도 보장되고 이를 위키백과 발전 및 순수 연구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많이 접근하는 페이지나 검색요청 키워드들을 공개하고 이것들에 대한 공동 작업을 권유하여 우선적으로 질을 높힐 수 있습니다. -- 개굴 2007년 8월 17일 (금) 23:08 (KST)
- IRC에서 개굴(Ryuch)님께 확인한 결과, 윗 글은 오해에서 비롯된 내용입니다. 논의에 참고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8월 29일 (수) 14:5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