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마의(司馬懿, Sīmǎ Yì, 179년~251년)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군략가이며, 그의 손자 사마염이 세운 진나라의 기초를 세운 인물이다. 자는 중달(仲達)이며, 묘호는 고조(高祖), 시호는 선제(宣帝)이다.
위나라·촉나라·오나라로 중국이 솥발처럼 나누어진 삼국 시대에, 사마의는 위나라의 군대를 이끌어 그의 최대의 라이벌인 제갈량(諸葛亮)과의 치열한 지략싸움 끝에 결국 제갈량의 북벌을 막아냈다. 위 명제 조예가 죽은 이후 대장군 조상(曹爽)과의 권력투쟁에서 승리하고 승상(丞相)이 되어 정치의 실권을 그의 손아귀에 넣었다. 위나라 조정 내의 사마(司馬) 가문의 영향력이 지대해졌고 이것이 이후 진나라 건국의 기초가 되었다. 이후 그는 상국(相國)이 되었고 안평군공(安平郡公)에 봉해졌다. 사후 그의 손자인 사마염이 진나라를 건국했을 때 선제(宣帝)로 추증되었다.
후한이 쇠락의 길을 걸으면서 개막됐던 삼국지의 무대에서 수많은 영웅들이 천하통일을 위해 수많은 피를 뿌렸으나 결국 천하는 사마의를 통해 등장한 사마씨(司馬氏)의 품으로 돌아갔다.
[편집] 생애
사마의는 하내(河內) 온현(溫縣) 효경리(孝敬里) 사람으로, 그 선조는 고양제(전욱 고양씨)의 자손인 중려(重黎)로부터 나왔다. 아버지는 경조윤을 지낸 사마방(司馬防)으로, 사마의는 그의 둘째 아들이다. 형은 사마랑(司馬朗)이며, 셋째 아우는 사마부(司馬孚)이다. 사마의는 유년기 때부터 총명하여 대략(大略)을 지녔고, 식견이 넓었고 유학의 가르침을 가슴깊이 간직했다(伏膺儒教)고 한다. 후한 말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늘 천하를 걱정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최염(崔琰)은 사마랑에게 말하길, “당신의 동생(사마의)은 총명·성실하고 결단력 있고 영특하니 그대보다 낫다”고 했다.
201년에 사마의는 상계연(上計掾)으로 천거되었다. 조조가 사공이었을 때 사마의를 불렀으나 병을 핑계로 사양했다. 조조가 승상이 되었을 때 사마의를 다시 불렀는데 거절한다면 가두겠다는 엄포를 놓았고 사마의는 이를 두려워해 문학연에 취임했다. 조조의 아들 조비와 교제하여 황문시랑(黃門侍郎), 의랑(議郎), 승상 동조속(丞相 東曹屬), 그 뒤에는 주부(主簿)로 전임했다.
조조는 사마의가 마음 속에 큰 뜻을 품고 있음을 알아채고 그리 신임하지 않았다. 조조는 사마의가 낭고상(狼顧相)이란 소문을 듣고 사마의를 오게 하여 고개를 돌려보게 했는데, 몸을 움직이지 않고도 얼굴이 똑바로 뒤를 향했다. 또 조조는 세 마리의 말이 한 구유(槽:조씨의 曹와 음이 같다)에서 먹이를 먹는 꿈을 꾸어 이를 매우 언짢게 여겼다고 전해진다. 세 말은 훗날 위나라를 멸망의 길로 들게 하는 사마의, 사마사, 사마소를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조조는 조비에게 “사마의는 다른 사람의 신하가 될 사람이 아니다”라며 항상 경계할 것을 충고했다. 조비는 사마의와 평시 도움을 주고 받았었는데 조조의 말을 듣고 이 때문에 그를 멀리하였다. 사마의는 조조의 의심을 거두기 위해 하급 관리의 직무를 밤을 새며 보고 가축을 기르는 하찮은 일까지도 기꺼이 함으로써 조조를 안심시켰다.
조조가 한중의 장로를 토벌했을 때 사마의는 유비가 점령한 지 얼마 안 된 익주를 칠 것을 건하였으나 조조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익주의 민심을 달래고 군을 정비한 유비가 한중과 동천(東川) 일대를 점령하여 조조에게 큰 우환을 안겨다주었다. 우금과 방덕 등이 관우에게 대패하고 관우의 기세가 중원에까지 뻗치자, 조조는 하북으로의 천도를 검토했다. 이 때 사마의는 “천도한다면 적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니 인근의 백성들이 크게 불안해 할 것입니다. 손권과 유비는 겉으론 친밀하나 안으로는 소원하니 손권을 달래 관우의 후방을 기습하면 번성의 포위는 자연히 풀릴 것입니다”라고 건의했고 조조는 이를 따랐다. 결국 손권은 여몽으로 하여금 형주를 쳤고 결국 관우의 목을 베었다.
조비가 후한으로부터 선위를 받아 위나라의 황제가 되었을 때, 상서(尚書)로 임명되었다. 224년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가절(假節)로 전임되어 급사중(給事中)과 녹상서사(錄尚書事)의 벼슬이 더해졌다. 조비의 사마의에 대한 신뢰는 매우 두터웠는데 사마의에게 이르길, “짐이 동쪽에 있을 때는 그대가 서쪽을 맡고, 짐이 서쪽에 있을 때는 그대가 동쪽을 맡으시오”라고 했다. 조비가 죽음에 이를 때 사마의, 조진(曹眞), 진군(陳群) 등을 불렀고 황태자 조예에게 조서를 내려 말하길, “이 세 명의 신하와 틈이 생기더라도 결코 의심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조예가 황제에 올랐으나 조예는 사마의를 신임하지 않았다. 당시 사마의는 옹주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이것을 알아챈 촉의 승상 제갈량(諸葛亮)은 참군 마속(馬謖)의 의견을 받아들여 거짓 방을 장안과 낙양에 뿌렸고 이것을 본 조예는 대노하여 사마의의 군영으로 갔고 거기서 사마의의 직을 파면, 낙향시켜 버린다.
하지만, 맹달의 모반으로 사마의는 다시 돌아오게 된다.
230년, 사마의는 태위에 임명되고 대도독, 가황월의 벼슬이 더해졌다. 그 해에 조진과 더불어 촉한을 공격했지만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퇴각했다. 231년 제갈량이 천수를 공격했을 때 사마의는 조예의 명을 받아 장안에 주둔해 옹주와 양주의 군사를 총괄했다. 이후 역사상 유명한 제갈량과의 대결을 벌인다.
제갈량의 북벌은 227년부터 장장 7년 동안 6차례에 걸쳐 행해지는데, 1차 북벌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마의가 나섰고 총지휘한 것은 2번이다. 처음은 231년 조진의 죽음 이후 촉군의 약짐이 식량 보급에 있음을 간파한 사마의는 지구책을 쓰고 그 전략이 효과를 발휘해 촉한군이 퇴각하자 뒤를 쫓다가 장합이 전사한다.
두번째 대결은 234년, 제갈량은 장기전을 예상해 3년에 걸쳐 준비하는데, 오장원으로 출진한 제갈량에 대해 사마의는 또다시 지구전을 펼쳤다. 제갈량은 부인용 머리 장식과 여러 장신구들을 사마의에게 보내며 비웃었지만 사마의는 도발임을 눈치채고 편승하지 않았고 오히려 가지고 온 사자에게 제갈량의 안부를 물었다. 이때 사마의는 수시로 촉한군의 진영을 염탐해 제갈량이 죽음에 임박해 있음을 깨달았다고 한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제갈량의 죽음을 안 사마의가 즉시 전군에 공격 명령을 내렸으나 제갈량의 목상을 보고 아직 살아있는 줄 착각하고 놀라 도망쳤다고 한다.
촉한군이 퇴각한 뒤 진영을 살펴본 사마의는 제갈량을 ‘천하의 귀재’라고 평가했다.
[편집] 사마의의 친족 관계
- 사마방 (아버지)
- 사마사 (아들)
- 사마유 (손자, 사마소의 차남이나 사마사에게 자식이 없어 입양)
- 사마소 (아들)
- 사마염 (손자)
- 사마유 (손자)
- 왕숙 (사돈)
- 왕랑 (사돈)
- 사마주 (아들)
- 사마랑 (형)
- 사마부 (동생)
- 사마망 (조카)
[편집] 참고 자료
- 진서 선제기
- 삼국지
삼국지의 주요 등장 인물들 | |
군주 | 후한: 영제 - 소제 - 헌제 위: 조조 - 조비 - 조예 - 조방 - 조모 - 조환 촉: 유비 - 유선 오: 손견 - 손책 - 손권 - 손량 - 손휴 - 손호 진: 사마염 기타: 공손찬 - 도겸 - 동탁 - 마등 - 여포 - 원소 - 원술 - 유요 - 유장 - 유표 - 장각 - 장로 - 장수 - 한복 |
참모 | 위: 가후 - 곽가 - 만총 - 사마사 - 사마소 - 사마의 - 종요 - 순욱 - 순유 - 유엽 - 정욱 - 신비 - 진군 촉: 간옹 - 강유 - 등지 - 미축 - 방통 - 비의 - 손건 - 장완 - 제갈량 - 서서 - 마량 - 법정 - 동윤 오: 고옹 - 노숙 - 육손 - 육항 - 장굉 - 장소 - 제갈근 - 제갈각 - 주유 - 보즐 - 노번 - 장제 진: 가충 - 장화 - 진수 기타: 심배 - 봉기 - 이유 - 저수 - 전풍 - 진궁 - 신평 - 허유 - 괴량 - 괴월 - 곽도 - 진등 - 장송 |
장군 | 위: 종회 - 등애 - 서황 - 악진 - 우금 - 이전 - 장합 - 장료 - 전위 - 하후돈 - 하후연 - 허저 - 관구검 - 제갈탄 촉: 관우 - 관평 - 관흥 - 마초 - 위연 - 장비 - 장포 - 조운 - 황충 - 요화 - 이엄 - 황권 - 마대 - 하후패 오: 감녕 - 능통 - 서성 - 여몽 - 정보 - 한당 - 조무 - 황개 - 주연 - 주태 - 태사자 - 주환 - 정봉 - 여대 진: 양호 - 두예 - 왕준 - 왕혼 기타: 기령 - 문추 - 안량 - 하진 - 화웅 - 고순 - 장연 - 문빙 - 장임 |
비한족 | 어부라(흉노) - 가비능(선비) - 답돈(오환) - 맹획(남만) - 부건(저족) - 황난(산월) - 아차새(강인) - 비미호(일본) - 동천왕(고구려) |
기타 | 관로 - 남화노선 - 사마휘 - 손상향 - 우길 - 좌자 - 초선 - 화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