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 1977년 1978년 1979년 - 1980년 - 1981년 1982년 1983년 |
연대 1960년대 1970년대 - 1980년대 - 1990년대 200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목차 |
[편집] 사건
- 5월 18일 - 광주민주화운동.
- 7월 - 이용태, 삼보 컴퓨터 설립.
- 8월 1일 - 대한민국,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약칭 "국보위"). 신원기록 일제정리와 연좌제 폐지 결정 발표
- 8월 2일 - 컬러TV 대한민국 내 시판 개시
- 8월 4일 - 삼청계획 발표.
- 8월 11일 - 조오련이 대한해협을 수영으로 건너는 데 성공하다.
- 8월 13일 -대한민국, 김영삼 신민당 총재, 정계은퇴 발표
- 8월 14일 -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 김대중 등 재야인사 24명의 내란음모혐의에 대한 첫 재판 열림.
- 8월 16일 - 최규하 대통령, 대규모 학생 소요와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10대 대통령에서 하야.
- 8월 19일 - 대한민국, 국가보위비상대책회의, 사학 쇄신책 발표.
- 8월 21일 - 대한민국 국군,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전두환을 국가원수로 추대키로 결의
- 8월 22일 - 대한민국,신군부 실권자 전두환, 대장으로 전역
- 8월 25일 - 짐바브웨, 국제연합 가입
- 8월 27일 - 전두환이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다.
- 8월 28일 - 대한민국, 계엄사, 5월 17일 내렸던 전국 대학 휴교령을 107일만에 해제
- 8월 31일 - 폴란드 자유노조 `연대'(Solidarity), 레흐 바웬사 주도로 설립
- 9월 1일 - 전두환, 대한민국의 제 11대 대통령으로 취임.
- 9월 2일 - 전두환 대통령, 남덕우(南悳祐) 총리를 중심으로 한 새 내각 구성
- 9월 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휴전선 11개 지역에서 대남비방방송 재개
- 9월 4일 -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전국의 호화묘지 모두 정리키로 결정 발표
- 9월 5일 - 대한민국 문화교육부, 대학교육시안으로 졸업정원제 채택
- 9월 11일 -
대한민국, 새마을지도자중앙협의회 창립
- 9월 16일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제 연합 가입
- 9월 16일 - 금성사(현 LG전자),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태국과 TV생산기술 수출계약 체결
- 9월 17일 -
대한민국 제5공화국: 계엄사 보통군법회의, 야당지도자 김대중에 내란음모 혐의로 사형선고.
- 9월 19일 -
대한민국과
프랑스, 어업협정 체결
- 9월 22일 -
이라크가
이란을 침공하여 이라크·이란 전쟁이 시작되었다. 국경지대 유전 장악을 둘러싼 전쟁이었다.
- 9월 29일 - 대한민국 정부, 제5공화국 헌법개정안(제 8차개헌안) 공고
- 10월 10일 - 조선로동당 제6차당대회
- 10월 10일 -
알제리에 대지진이 발생하여 2만여명 사망하다.
- 10월 12일 -
대한민국 제주도의 하멜 기념비 제막
- 10월 14일 - 국제연합 특별총회,
아프가니스탄 주둔 소련군 철수결의안 가결
- 10월 15일 - 경주시 ~ 포항시를 연결하는 국도의 4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되다.
- 10월 31일 - 서울지하철 2호선 신설동 ~종합운동장 구간 준공.
- 11월 6일 - 조치훈, 일본 바둑 명인위 획득
- 11월 14일 - 11월 30일 정부의 언론통폐합 조치에 따라 방송 통합
[편집] 문화
[편집] 탄생
- 1월 21일 - 미즈키 나나, 일본의 성우.
- 1월 26일 - 고바야시 사나에, 일본의 성우.
- 2월 6일 - 노토 마미코, 일본의 성우.
- 3월 29일 - 김태희, 대한민국의 탤런트.
- 3월 31일 - 사카모토 마아야, 일본의 성우.
- 5월 2일 - 사토 리나, 일본의 성우.
- 5월 29일 - 타카하시 미카코, 일본의 성우.
- 6월 9일 - 우에다 카나, 일본의 성우.
- 7월 8일 - 로비 킨, 아일랜드 출신 축구 선수.
- 7월 25일 - 차두리,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8월 17일 - 레네 말린, 노르웨이의 가수.
- 9월 8일 - 카도와키 마이, 일본의 성우
- 9월 12일 - 유세윤, 대한민국의 희극인.
- 9월 24일 - 욘 아르네 리세, 노르웨이 출신 축구 선수.
- 10월 11일 - 스기타 토모카즈, 일본의 성우.
- 10월 30일 - 최홍만,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 11월 16일 - 이은주,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 11월 18일 - 치하라 미노리 일본의 성우.
- 11월 25일 - 아론 모코에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축구 선수.
- 12월 5일 - 이토 시즈카, 일본의 성우.
- 12월 10일 - 장영주, 한국계 미국인 바이올리니스트.
- 12월 19일 - 제이크 질렌할, 미국의 배우.
[편집] 사망
- 3월 31일 - 미국의 육상 선수 제시 오언스
- 4월 15일 - 프랑스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
- 4월 21일 - 러시아의 생물학자, 생화학자 알렉산드르 오파린
- 4월 29일 - 미국의 영화감독 앨프리드 히치콕
- 5월 24일 - 한국 중앙정보부장 김재규
- 7월 27일 - 이란의 국왕 모하메드 레자 팔레비
- 9월 15일 - 러시아 과학자 미하일 라프렌티예프
- 9월 16일 - 장 피아제, 스위스 교육학자.
- 10월 31일 - 체코 소설가 얀 베리흐
[편집] 노벨상
- 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