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일반적 성질 | |||||||||||||||||||||||||
---|---|---|---|---|---|---|---|---|---|---|---|---|---|---|---|---|---|---|---|---|---|---|---|---|---|
이름, 기호, 번호 | 인, P, 15 | ||||||||||||||||||||||||
화학 계열 | 비금속 | ||||||||||||||||||||||||
족, 주기, 구역 | 15, 3, p | ||||||||||||||||||||||||
모양 | 무색/붉은색/은백색![]() |
||||||||||||||||||||||||
원자 질량 | 30.973761(2) g/mol | ||||||||||||||||||||||||
전자 배열 | [Ne] 3s2 3p3 | ||||||||||||||||||||||||
껍질 별 전자 수 | 2, 8, 5 | ||||||||||||||||||||||||
물리적 성질 | |||||||||||||||||||||||||
상태 | 고체 | ||||||||||||||||||||||||
밀도 (대략 실온) | (흰인) 1.823 g/cm³ | ||||||||||||||||||||||||
밀도 (대략 실온) | (붉은인) 2.34 g/cm³ | ||||||||||||||||||||||||
밀도 (대략 실온) | (검은인) 2.69 g/cm³ | ||||||||||||||||||||||||
녹는점 | (흰인) 317.3 K (44.2 °C, 111.6 °F) |
||||||||||||||||||||||||
끓는점 | 550 K (277 °C, 531 °F) |
||||||||||||||||||||||||
융해열 | (흰인) 0.66 kJ/mol | ||||||||||||||||||||||||
기화열 | 12.4 kJ/mol | ||||||||||||||||||||||||
열용량 | (25 °C) (white) 23.824 J/(mol·K) |
||||||||||||||||||||||||
|
|||||||||||||||||||||||||
|
|||||||||||||||||||||||||
원자의 성질 | |||||||||||||||||||||||||
결정 구조 | 단사결정계 | ||||||||||||||||||||||||
산화 상태 | ±3, 5, 4 (약산성 산화물 ) |
||||||||||||||||||||||||
전기 음성도 | 2.19 (폴링 척도) | ||||||||||||||||||||||||
이온화 에너지 (더...) |
1차: 1011.8 kJ/mol | ||||||||||||||||||||||||
2차: 1907 kJ/mol | |||||||||||||||||||||||||
3차: 2914.1 kJ/mol | |||||||||||||||||||||||||
원자 반지름 | 100 pm | ||||||||||||||||||||||||
원자 반지름 (계산) | 98 pm | ||||||||||||||||||||||||
공유 반지름 | 106 pm | ||||||||||||||||||||||||
반데발스 반지름 | 180 pm | ||||||||||||||||||||||||
그밖의 성질 | |||||||||||||||||||||||||
자기적 질서 | 자료 없음 | ||||||||||||||||||||||||
열전도율 | (300 K) (white) 0.236 W/(m·K) |
||||||||||||||||||||||||
부피 탄성 계수 | 11 GPa | ||||||||||||||||||||||||
CAS 등록번호 | 7723-14-0 | ||||||||||||||||||||||||
주요 동위 원소 | |||||||||||||||||||||||||
|
|||||||||||||||||||||||||
참고 자료 |
인(燐)은 화학 원소로 원자 기호는 P이고 원자 번호는 15다. 질소족에 속하는 다가 원자로 인산염과 모든 생물 세포 내에서 발견된다. 반응성이 높아 자연 상태에서는 순수한 인의 형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러 동소체가 존재하며, 비료의 주요 성분이기도 하다. 그밖에 화약, 성냥, 불꽃놀이, 농약, 치약, 세제 등에도 쓰인다.
![]() |
이 문서는 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