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펑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이버펑크(Cyberpunk)는 1980년대 이후 등장한 과학 소설의 한 장르이며 인간 본성, 기술 그리고 이 둘이 엮어지게 되면서 근 미래에 발생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 장르는 특히 발달된 과학기술과 이에 의한 사회적 병폐, 부조리, 계급갈등 등을 소재로 하고 있다. '사이버네틱스'(인공두뇌학,Cybernetics)와 '펑크'(70년대식 반항적 패션경향, Punk)를 합하여 만든 단어로 브루스 배스케의 단편 <사이버펑크>(1980년)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가드너 도조이스가 이 단어를 그가 편집하는 출판물에서 쓰기 시작하여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사이버펑크의 이야기는 자주 해커, 인공지능 그리고 거대기업간에 일어나는 분쟁에 촛점을 맞추고 있으며 외계나 먼 미래를 다루는 다른 과학소설과는 틀리 가까운 미래의 지구가 중심이다. 여기서 그려지는 사회는 주로 후기 고도 정보 기술 사회가 디스토피아의 우울한 사회상으로 그려진다. 이 장르의 소설들은 때때로 필름느와르의 영화나 탐정소설의 형식을 빌어서 구성되어지기도 한다.
사이버펑크가 다룬 후기모던니스트 적인 탐구는 학계에서도 흥미로운 주제로 많이 다루어 졌으며 미국의 헐리우드 영화계의 관심을 끌어 블레이드 런너, 매트릭스 삼부작등 이 장르에 속하는 영화들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한편 일본에서는 아키라,공각기동대등의 사이버 펑크 장르 애니메이션이 대표적이다.
1990년대 초기에 이 장르는 다른 패션이나 디자인, 음악, 게임 등에도 영향을 주기 시작했으며 새로운 장르로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또한 비슷한 장르로서 스팀펑크나 생물학적 기술 발달을 주제로 유전공학기술등이 등장하는 바이오펑크등이 계속 등장한다.
목차 |
[편집] 사이버펑크의 특징
과학 소설의 장르적 특징으로서 사이버펑크는 과학과 기술에 대해 무정부주의적이며 급진적, 반항적인 분위기가 풍기는 것이 보통이다. 과학 기술이 인간을 소외시키고 인간을 불행하게 만들고 있으며 스스로 언젠가는 멸망할 것이라는 식의 태도에 비해 오히려 반대로 기술을 좀 더 적극적이고 급진적으로 받아들임으로서 발전하거나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기술이 인간과 융합되는 것등 이런 면에서 사이버펑크는 급진적이다.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같은 작품에는 이러한 기술에 융합되는 것을 마치 마약과 같은 환상적인 경험의 확장으로 보았다. 이러한 새로운 감각과 가능성의 확장에 의해 기존의 도덕관념과 사회체제는 흔들리게 되고 새로운 이해의 시각이 필요하게 된다. 영화 <블레이드 런너>에서는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인조인간(레플리카)를 통해 인간이라는 존재와 인간이 창조한 새로운 인간이 어떤 차이가 있는가? 가상과 실제의 구별이란 무었인가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편집] 사이버펑크의 유행
사이버펑크의 트랜드는 80년대말에서 90년대초 까지의 정보화시대 여명기와 일치한다. 소설에서 부터 시작하여 영화, 에니메이션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패션과 디자인에도 많은 영감을 주었다.
[편집] 문학
1984년 발표된 윌리엄 깁슨의 소설<뉴로맨서>는 사이버펑크 문학을 거론할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작품이다. 그는 어두운 필름느와르의 분위기를 새로운 테크놀러지와 이국적인 문화를 섞어 재창조하고 또한 반영웅적인 주인공이 엮는 전형적인 탐정소설의 이야기를 풀어냄으로서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하였다고 평가 받고 있다. 이외 대표적인 사이버펑크 장르의 작가로는 필립 K. 딕, 브루스 스털링, 팻 캐디건, 루디 럭커와 존 셜리등이 있다.
[편집] 영화
1982년 영화 블레이드 런너는 필립 K. 딕의 소설 안드로이드도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를 각색하여 영화로 만든것이다. 이 작품에서 나오는 2019년의 로스엔젤리스는 전형적인 사이버펑크식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를 가진 도시이다. 이외에 <자니 니모닉>(1995),<스크리머>(1996),<마이너리티 리포트>(2002),<페이첵>(2003),<A Scanner Darkly>(2006)등이 미국 영화계에서 만들어 졌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서적
- 사이버펑크란 무언인가
- 기술과 운명 - 사이버펑크에서 철학으로, 이정우 지음, 한길사,ISBN(13) : 9788935653492
[편집] 바깥 고리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