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번째(윤년일 경우도 32번째) 날에 해당한다.
1월 - 2월 - 3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007년 기준 2월 29일 (30일) 모두 보기 |
목차 |
[편집] 사건
- 1019년 - 고려 강감찬 장군, 거란군 맞아 귀주대첩 승리
- 1881년 - 파나마 운하 기공식.
- 1902년 - 청나라, 만주족과 한족간 결혼금지령 해제
- 1906년 - 일제, 조선병탄 예비공작 위해 한성에 통감부(統監府) 설치
- 1909년 - 미주 한국인단체, 통합하여 국민회(國民會) 발족.
- 1909년 - 중국 상하이에서 제2회 아편 금지 국제회의 개막
- 1917년 - 독일군 잠수함이 영국행 중립국 상선 공격 해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개입 초래
- 1919년 - 김동인, 주요한 등, 한국 최초의 종합문예동인지 《창조(創造)》 창간
- 1924년 - 영국, 소련 승인
- 1943년 - 철도국을 교통국으로 개편
- 1952년 -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창립
- 1963년 - 부산, 직할시로 승격.
- 1963년 - 서울 장충 체육관 개관.
- 1963년 - 국민은행 개점
- 1958년 - 이집트와 시리아, 아랍연합공화국 수립.
- 1968년 - 경부고속도로 착공.
- 1973년 - 비상국무회의, 국정감사폐지법안 의결
- 1974년 - 대한민국 한국방송협회 창립
- 1974년 - 상파울루 빌딩 화재. 189명 사망.
- 1979년 - 해외망명중이던 이란 지도자 아야툴라 호메이니 15년 만에 귀국
- 1989년 - 대한민국 세계일보 창간.
- 1989년 - 대한한국, 공산권 국가로는 최초로 헝가리와 수교.
- 1989년 - 대한민국, 북조선산 무연탄 2만t을 인천항 통해 첫 직수입
- 1991년 - F.W. 데 클레르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인종차별법 폐지 발표
- 1992년 -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 양국의 적대관계청산하는 캠프 데이비드 선언에 서명해 냉전 공식 종결
- 1994년 - 대한민국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농어촌발전위원회 발족
- 2000년 - 대한민국 국무회의,'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의결
- 2002년 - 대한민국 여야 의원 46명, 미국 국가 정보를 대한민국에 제공한 혐의로 복역중인 로버트 김 석방을 촉구하는 결의안 국회에 제출
- 2003년 - 미국 우주왕복선 컬럼비아 호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다 64km 상공에서폭발, 승무원 7명 전원 사망
[편집] 탄생
- 1707년 - 프레더릭 루이스, 영국왕 조지 2세의 장남.
- 1805년 - 프랑스의 사회주의자 루이 오거스트 블랑키
- 1902년 - 미국의 시인 랭스턴 휴즈
- 1931년 - 러시아의 정치인 보리스 옐친
- 1972년 - 대한민국의 개그맨 정선희
[편집] 사망
- 1328년 - 프랑스의 국왕 샤를 4세
- 1691년 - 교황 알렉산데르 8세, 241대 로마 교황.
- 1976년 - 독일의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편집] 기념일
[편집] 관련 항목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