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와스미 아야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 내용의 외래어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습니다.

카와스미 아야코,가와스미 아야코[*](일본어: 川澄 綾子/かわすみ あやこ, 1976년 3월 30일 - )는 일본의 여성 성우이다. 도쿄 도출신으로 혈액형은 B형이다.


목차

[편집] 약력

도호 음악 단기대학 졸업.

저체중아로 위험한 상태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만일을 각오를 한 부모님이 처음의 「아」로 시작되는 이름으로 서둘러 명명해졌다고 한다. 출산 예정일은 5월 3일이었다. 친척에 의하면 「우유 팩보다 작았다」고한다. 1996년의 SME 성우 오디션으로 요요기 애니메이션 학원상을 수상한다.

소녀·미녀·악녀까지 여러가지 역을 해낸다. 역할로는 쿨한 여자나 비련의 히로인, 활발한 여자 아이 역이 많지만, 「노다메 칸타빌레」의 노다 메구미와 처럼 코믹컬한 역도 연기하고, 작품에 따라서는 노래를 담당하는 것도 있어, 뿌리깊은 인기를 자랑하는 성우이다.

TX계 애니메이션 「성방무협 아웃로스타」의 메르피나역으로 애니메이션 성우 데뷔(이미 CM나레이션에는 출연했었다).

CX계 애니메이션 「이니셜 D」의 모기 나츠키 역과 U애니메이션 「To Heart」의 카미기시 아카리역으로 일약 브레이크 한다.

애칭은 공모로 정해진 「아야치―」가 일반적이다. 그 밖에는 「아야스미」, 「아야네」 등 몇개가 존재한다.

3살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해, 절대 음감을 가지고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 또 음대 출신으로, 성우계의 유능한 피아니스트로 알려진다.

「성방무협 아웃로 스타」의 캐릭터송 「A DATE」를 작사 작곡 했을 때, 악보를 제출하여 디렉터를 놀라게 했다. 이것을 계기로 오랫동안 피아노를 했기에 솔로 앨범을 만들수 있지 않느냐고 말이 나와 만들어진 1st앨범「Primary」에서는, 보컬 5곡과 인스트루멘탈 5곡 모두 작사 작곡을 담당했다.

「PIANO」에서는 주연 성우 뿐만이 아니라, 음악 스탭으로서 작중 BGM 몇곡의 제작을 담당했다. 애니메이션판 오프닝 테마 「...to you」의 작곡, 연주도 하고있다.

통상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시력이지만, 종종 안경을 쓴 사진이 잡지나 웹 사이트에 게재되고 있다. 「PONY CANYON STYLE 마루나비!?」의 BSQR489판(2006년 3월 31일 종료)에서는 안경을 쓴 채인 모습이 많았다.


[편집] 에피소드

데뷔후 얼마 되지 않을 무렵 「serial experiments lain」로 주인공 이와쿠라 레이네의 가상 가족으로 언니, 「미카」의 목소리를 담당한다. 신을 자칭 하는 남자·컴퓨터 세계의 기사단 등 많은 세력이 교착하는 세계에서, 그녀는 컴퓨터가 만들어 낸 가짜 「미카」에 의해 소거되고, 그 가짜도 컴퓨터에 의해 점차 인격이 붕괴해간다는 설정이었다. 카와스미는 인격 붕괴 연기의 단 한마디의 신음을 위해 몇번이나 연습했다는 한결같은 모습을 보여 이 모습이 마음에 든 스탭이 마지막 화에서는 카와스미를 위해 대사를 증가시키도록, 각본을 변경한 일화가 있다.

인터넷 박람회의 첫기획으로서 방송된 인터넷TV 프로그램 「카와스미 아야코BestCommunication」은 대호평속에서 종료하여, 담당 대신인 사카이야 타이치로부터 표창을 받았을 정도였다.

극작가인 아이카와 쇼로부터는 「오디션 아라시-」라고 하는 이명을 받았다.

현재, 출연하는 애니메이션이 많고, 그 역할의 대부분이 히로인이기에 「히로인 성우」라고 하는 직함을 가지며, 그 출연작이 많은 것에서는 「인기 성우(원문은 팔리는 성우)」로서도 알려져 있다. 덧붙여서 출연하는 애니메이션은, 골든 타임이나 어린이용 작품보다,비교적 심야 애니메이션이 많다.

본인은 「계산적인 여자(원문은 계산 높은 여자)」라고 자칭 하지만, 그에 비해 보케(멍하거나 어리버리)나 도지(실수투성이)인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디카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데이트를 하드 디스크등에 전송하고 메모리를 지우는 것을 익히지 않아, 카드의 용량이 꽉 찰때마다 새로운 카드를 샀다고 말한다.

애니메이션 「박살 천사 도쿠로짱 」의 라디오 프로그램 「민감 도쿠로짱」에서는 「전 계산적인 여자에요」라고 말하면서, 라디오 이야기의 흐름 속에서 유니크(unique-독특한)라고 하는 단어의 의미를 전자 사전으로 조사해달라고 바디랭귀지로 표현했지만, 퍼스널러티였던 지바 사에코가 「종이에 쓰면 되잖아요!」라고 어이없어했던 경우도 있었다.

라디오 프로그램등에서 여성 퍼스널리티와 대화하면 끝없이 분위기가 고조되어, 하이 텐션 보케 자폭 성우이다. 그러나, 「. hack//Radio 아야코·마스미의 스미스미 나이트」에서는 아사노 마스미에게 날카롭게 츳코미(태클)를 넣는 입장으로 만났다.

2003년경에 레귤러 프로그램이 급감하고(2004년 초 겨울에는 레귤러가 1개도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관련 이벤트에도 대부분 출연하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어, 팬들을 걱정시켰지만, 잠시 뒤 아무일도 없었던것처럼 레귤러 프로가 급증하고, 그에 맞추어 이벤트등 공적 장소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음감에 관해서는 정평이 났지만, 그 능력이 가창력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아서, 노래에 관해서는 종종 팬 사이에서도 네타로 쓰이고 있다. 「사모님은 여고생」OP, 「유메츠카이」ED, 「딸기 마시마로」에서 즉흥으로 노래한 「엄청난 노래(의역. 원문-でっかいものの歌)」 등은, 전파송(그야말로 전파를 탔다는 의미)으로 쓰인적도 있었다.


[편집] 취미·기호

취미는 야구 관전으로 굉장한 야쿠르트 팬이다. 일찌기 소속해 있던 비장의 카드 대타 죠 토모히로(1999년에 한신으로 이적)에 집착했던것 같아, 항상 죠 선수의 성적을 노트에 기록했었다고 한다.

2006년 잡지 인터뷰에서, 작년(2005년)의 프로야구 시리즈는 재미없었기에 거의 보지 않았지만, WBC는 봤었다고 말했다.

프로레슬링이나 종합 격투기에도 눈이 가는것 같아, 이상형으로 요시다 히데히코를 꼽고있다. 요시다가 유도선수였던 시절부터 팬으로, 그가 종합 격투기 선수로 전향했기 때문에 PRIDE를 보게 되었다고 말한다. 복싱이나 선 자세로 방어를 하는 K-1 등, 때리는 격투기에는 서투른것 같다.

잘하는 요리는 라자니아. 또, 그녀가 만드는 나베가 무척 맛있어, 노토 마미코를 시작으로 동료들 사이에서도 평판이 나있는것 같다. (나바타메 히토미는 「아야코 나베」라고 부른다. )

벌레가 무척이나 골칫거리. 가족 여행때, 노천탕에 가려고 했을 때 도중에 벌레를 보고 비명을 질러버려, 지나친 소리에 모친은 기막혀 했다고 한다. 또, 노토 마미코와의 프라이빗 여행에서도 함께 노천탕에 가는중 벌레를 보고 도망친 적이 있다.

2007/04/12일자 「Fate/stay tune」의 리스너의 「이 음식에는 익숙치 않다?」라는 질문에 대한 회답은 토마토.

아무리 오랜시간의 이동이라도, 전차안에서는 졸았던 적이 없다.


[편집] 교우 관계

같은 소속사의 후배인 노토 마미코가 존경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고,그에 카와스미도 노토에게 「아야」라고 부르게 해, 팬들 사이에서는 자매처럼 여겨지는 일도 있다. 프라이벳으로 둘이 자주 여행을 가기도.

또 애니메이션 「딸기 마시마로」에 공동출연한 나바타메 히토미·치바 사에코·오리카사 후미코, 앞에 기술했던 노토 마미코와 「마시마로회」라고 하는 친목회를 결성해 친교를 쌓고 있다.

2005년은 노토 마미코·나바타메 히토미·세키 도모카즈와의 공동 출연 작품이 많았지만, 그것들도, 「스타쉽오퍼레이터즈」, 「딸기 마시마로」, 「극상 생도회」, 「작안의 샤나」등 왜인지 미디어 워크스, 제네온 관련 작품들 이었다. 덧붙여서 「딸기 마시마로」 「작안의 샤나」 「극상 생도회」의 음향 감독은 모두 아케다 카와히토가 담당하고 있으며, 똑같이 아케다 카와히토가 음향 감독을 맡았던 「2x2 시노부전」 「현시연」 「노다메 칸타빌레」라는 작품들에도 카와스미를 포함한 면면이 출연한 경우가 많았다.

[편집] 출연작

[편집] TV 애니메이션

1999년
  • 투하트(카미기시 아카리)
  • GTO(노무라 토모코)
2001년
  • 시스터 프린세스(치카게)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 딸기 마시마로(사쿠라기 마츠리)
  • 사모님은 여고생(오노하라 마사미)
  • 이 사람이 나의 주인님(스기타 타카미)
  • 작안의 샤나(요시다 카즈미)
  • Canvas2~무지개 빛의 스케치~(호센 안나)
2006년
2007년
  • 노다메 칸타빌레(노다 메구미)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츠게 유핀리)
  • 히토히라(이치노세 노노)

[편집] OVA

2000년
2002년
  • ONE~빛나는 계절에~(나가모리 미즈카)
2004년
  • 메모리즈 오프 3.5~추억의 저편으로~(나루미 이사코)
  • 푸른바다의 트리스티아(나노카 플랑카)
2005년
2006년
  • 작안의 샤나 OVA(요시다 카즈미)
2007년

[편집] 극장판

2003년
  • 라제폰 다원변주곡(시도우 메구미)

[편집] 게임

[편집] PC

2005년

[편집] 비디오게임

1997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