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정 (1869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윤정(金潤晶, 일본식 이름: 淸道金次郞[1], 1869년 ~ ?)은 대한제국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다.

서울 출신으로 구한말에 대한제국의 학부가 선발한 유학생으로 뽑혀 1897년부터 미국에 유학했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를 1903년 졸업한 뒤 주미공사관에서 서기생, 참서관, 대리공사 등을 지내며 외교관으로 근무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어 대한제국이 외교권을 빼앗긴 뒤 귀국했다. 태인군 군수를 거쳐 1906년 인천부윤으로 발령받았다. 김구의 《백범일지》에 따르면 1896년 치하포에서의 일본인 살인 사건으로 인천에 압송된 김구가 김윤정에게 심문받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2], 손세일은 김윤정의 나이와 유학 시기, 인천부윤 발령 시점을 고려할 때 연대가 맞지 않는다며 이를 김구의 착각으로 보고 있다[3].

이후 인천실업학교의 교장직을 맡았다가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 개화파 친일 관료로서 등용되어 조선총독부전라북도 참여관에 임명되었고, 1921년 경기도 참여관, 1925년에는 충청북도 도지사를 지냈다. 1926년 도지사 직에서 퇴임한 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에 처음 임명되었고, 이후 참의직을 6차례나 연임하다가 광복 직전인 1945년 중추원 고문직에 올랐다.

윤치오의 부인이며 한국 최초로 양장을 입은 여성이라는 설이 있는 윤고라가 김윤정의 딸이다[4]. 윤고라는 본래 김씨이나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꾸었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광복회와 함께 선정한 친일파 708인 명단2005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1차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 두 명단에는 사위 윤치오도 포함되어 있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자료

[편집] 주석

  1. 백기완, 송건호, 임헌영 (2004-05-20). 《해방전후사의 인식 (1)》. 서울: 한길사, 223쪽. ISBN 8935655422.
  2. 김구, 《백범일지》 상권 - 1.2 기구한 젊은 때
  3. 손세일, 위의 글
  4. 《뉴스플러스》 (1999.4.1) 20세기 한국의 풍물 풍속사⑫ 옷 - '미니스커트 단속' 그 때를 아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