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방화 방면 | (511) 개화산 | (512) 김포공항 | (513) 송정 | 상일동·마천 방면 |
시종착역 | (A05) 김포공항 | (A06) 계양 | 인천국제공항 방면 | |
시종착역 | (A05) 김포공항 | (A10) 인천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 방면 |
김포공항역(金浦空港驛, Gimpo Int'l Airport)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5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의 환승역이다. 김포국제공항의 국내선 청사와 국제선 청사의 중간쯤에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편집] 역 정보
[편집] 5호선
-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744번지
- 전화번호 : 02-6311-5120~3
- 내리는 문의 위치 : 오른쪽
- 승강장 형태 : 상대식 승강장
- 스크린도어 : 있음
- 화장실 위치 : 개찰구 바깥
[편집] 인천국제공항철도
-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738번지
- 전화번호 : 032-745-7788
- 내리는 문의 위치 : 왼쪽
- 승강장 형태 : 단선 승강장 두 개(지하 3층 일반열차, 지하 4층 직통열차)
- 스크린도어 : 있음
- 화장실 위치 : 개찰구 내·외
[편집] 출구 정보
- 1번: 국내선 주차장, 국내선 청사, 한국관광공사
- 2번: 주차장, 도심공항터미널
[편집] 승차량 변동
인천국제공항의 개장이 가장 큰 변동을 불러온 것으로 보인다. 2004년 있었던 KTX의 개통과 서울-대구노선의 궤멸, 서울-부산 노선의 대폭 축소가 가져온 영향은 인천국제공항 개장에 비해 미약한 것 같다.
한편 공항철도는 신뢰할만한 승차량 자료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8만 명으로 승객량을 추정하기도 하지만, 이는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한 인원수 전체이므로 결코 그 정도의 인원이 공항철도를 사용할 가능성은 없다. 하루 이용객 1~2만명을 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5호선 | 15275 | 11685 | 8980 | 10250 | 9807 | 9305 | 9138 |
[편집] 주석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본선: 방화 - 개화산 - 김포공항 - 송정 - (마곡) - 발산 - 우장산 - 화곡 - 까치산 - 신정 - 목동 - 오목교 - 양평 - 영등포구청 - 영등포시장 - 신길 - 여의도 - 여의나루 - 마포 - 공덕 - 애오개 - 충정로 - 서대문 - 광화문 - 종로3가 - 을지로4가 - 동대문운동장 - 청구 - 신금호 - 행당 - 왕십리 - 마장 - 답십리 - 장한평 - 군자 - 아차산 - 광나루 - 천호 - 강동 - 길동 - 굽은다리 - 명일 - 고덕 - 상일동
마천지선: 강동 - 둔촌동 - 올림픽공원 - 방이 - 오금 - 개롱 - 거여 - 마천
마천지선: 강동 - 둔촌동 - 올림픽공원 - 방이 - 오금 - 개롱 - 거여 - 마천
분류: 수도권 전철 5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서울 강서구의 전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