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삭제 토론/2006년 8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삭제 토론 |
◀ 2006년 8월 ▶ |
새로운 삭제 토론 올리기 |
새로 고침 |
보존문서 |
목차 |
[편집] LG전자 싸이언 휴대폰 오류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중요한가요? --Klutzy 2006년 8월 5일 (일) 23:47 (KST)
유지 - 삭제할 필요까지는 없을것 같은데요.--으음~ 2006년 8월 5일 (일) 23:54 (KST)
삭제 - 당연히 --정안영민 2006년 8월 5일 (일) 23:55 (KST)
삭제 --WaffenSS 2006년 8월 6일 (일) 00:14 (KST)
삭제 - 왜 필요한지 궁금한 정도입니다. -- E.C.L. 2006년 8월 6일 (일) 10:23 (KST)
삭제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8월 6일 (일) 10:52 (KST)
삭제 - 이 문제로 리콜이 이루어지거 하여 화제가 된다면, 싸이언의 한 섹션으로 처리해 주면 됩니다. 정확하게 어떤 기종에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부족하고요. xAOs 2006년 8월 6일 (일) 10:55 (KST)
삭제 - 이런 문제는 싸이언의 섹션으로 처리합시다. -- peremen U·T·C 2006년 8월 6일 (일) 13:06 (KST)
의견 - 싸이언으로 합치는 게 어떨까요? -- Nerocyan 2006년 8월 7일 (화) 18:44 (KST)
삭제 - 합칠 이유도 없고, 이런 글이 있는지도 몰랐습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8월 7일 (화) 18:46 (KST)
삭제 - 이건 여기에 삭제 토론을 올릴 필요까지는 없고 그냥 "빠른 삭제"로도 충분한 문서입니다.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8월 8일 (화) 09:44 (KST)
삭제 완료. --Klutzy 2006년 8월 14일 (월) 01:03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틀:섹션 토막글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재로서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남용될 소지가 높습니다. 그렇게 되면 문서들이 상당히 지저분해지리라 생각하여 삭제를 건의합니다. :) --정안영민 2006년 8월 9일 (수) 13:49 (KST)
의견 글쎄요 저도 영문판을 사용하면서 template:stub에 존재이유에 관해서 의심을 많이 가졌는데요, 굳이 지울 것 까지야 있나요? 쓸모있을 때도 꽤 있던데요..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2일 (토) 03:10 (KST)
유지 삭제에 강력 반대합니다. 부득이하게 일부 섹션만 stub 상태로 남겨둬야 할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6년 9월 30일 (토) 13:35 (KST)
유지 삭제 제안이 올려졌을 당시에는 지워도 된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상황이 꽤 달라졌네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30일 (토) 13:46 (KST)
현재 실제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유지합니다. Klutzy 2006년 12월 18일 (월) 08:48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동문관련의 분류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분류:대한민국의 대학교 동문
- 분류:경희대학교 동문
- 분류:고려대학교 동문
- 분류:서울대학교 동문
- 분류:연세대학교 동문
- 분류: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동문
- 분류:연희전문학교 동문
이들의 분류는 동문이란 기준이 애매하며, 다른 언어판에서는 이러한 분류는 만들고 있지 않다. 모두 인물목록으로 대용가능. (영어판은 en:Category:Lists of people by university 일어판은 ja:Category:大学に関する人名一覧이 있다. 한국어판에도 분류:대학에 관한 인물목록이 있다. )--효리♪ (H.L.LEE) 2006년 8월 10일 (목) 12:41 (KST)
의견 연세대학교의 인물목록이나 서울대학교의 인물목록은 업데이트 하기에 너무나 불편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분류 기능을 사용하면 더 편리하게 같은 목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영어판이나 일본어판이 참고 사항은 될 수 있지만, 모범 정답은 아닐 것입니다.Nichetas 2006년 8월 10일 (목) 12:56 (KST)
삭제 출신학교가 인물을 분류하는 우선적인 기준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 인물이 백과사전에 수록될만한 업적으로 분류가 잘 되기도 전에 누구라도 프로필만 알면 분류가 가능한 출신학교 분류는 미루어 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xAOs 2006년 8월 10일 (목) 13:48 (KST)
삭제 --E.C.L. 2006년 8월 13일 (월) 19:11 (KST)
삭제 저도 아직은 시기 상조라 여겨집니다. 지역별 출신자 분류도 생각해본적있으나, 특별히 언급은 안하겠으나, 그런 문제때문에 유보하는 중인데, 대학동문별 분류도 마찬가지 이유로 미루었으면 하는군요(게다가 연희전문학교, 세브란스 동문을 별도로 나눌 이유도 모르겠고요. 고대 같은 경우 보성전문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그냥 고대 교우로 뭉뚱그립니다) --WaffenSS 2006년 8월 14일 (월) 10:27 (KST)
의견 삭제의견이 압도적으로 나오니 저도 수긍하겠습니다.하지만 언젠가는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의견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Nichetas 2006년 8월 14일 (월) 10:34 (KST)
유지 다른 언어판 특히 영어판 같은 경우에 en:Category:Seoul National University alumni또는 en:Category:Stanford University alumni등이 있습니다. 죄송합니다만 삭제해야되는 이유를 잘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영어판이 기준은 될 수 없겠지만 '분류:1957년 출생' 같은 것 보다는 훨씬 더 그 의미가 있지 않나요?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2일 (토) 03:09 (KST)
삭제 매년 졸업생의 명단을 확인하여 인명을 모두 추가해야 할까요? 누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어떤 노력을 기울여서 추가하죠? 추가할 이유도 없고 유지할 이유도 없습니다.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20:11 (KST)
의견 위키백과에 아무나 다 등록되는 건 아니겠죠? Janviermichelle 2006년 10월 20일 (금) 14:45 (KST)
유지 동문이라는 기준이 애매하다는 것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당연히 해당 학교 출신이면 해당 학교 동문인거죠. 그리고, 출신학교가 인물을 분류하는 우선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지만 생몰년도로 인물을 분류하는 것처럼 하나의 기준이 될 수는 있는 겁니다. 또, 해당 학교의 모든 동문을 매년 다 추가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건 당연한 거니 따로 이야기 않합니다. 위에서 언급하신 것처럼 관리 측면에서도 분류가 목록 문서보다 편하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Sjhan81 2006년 10월 20일 (토) 15:52 (KST)
유지 --정안영민 2006년 10월 30일 (월) 02:49 (KST)
유지 이제는 결론을 내도 좋을런지요? Nichetas 2007년 3월 6일 (수) 19:53 (KST)
의견 살펴보니 동문 분류도 안 되고 "XXX대학교의 인물목록"도 안 되는 모양인데(모두 삭제 신청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런 쪽에 대해 명확한 기준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이 토론은 삭제 토론 글타래에 다시 붙여놨습니다. --Scott Rhee 2007년 3월 15일 (금) 15:14 (KST)
삭제 모든 졸업생을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누구를 추가하고 누구를 빼야할지에 대한 기준도 모호합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3월 15일 (금) 15:25 (KST)
유지 - 학연(+지연)이 특히 한국에선 그다지 긍정적인 역할을 못하지만, 한 인물을 구분짓는 중요한 기준이라는 사실은 분명합니다. —석 · 07.3.15 23:09 +09
유지 - 어느 학교를 졸업한 모든 졸업생을 추가하자는 것이 아니라, 위키백과에 이미 문서가 실린 모든 졸업생을 추가하자는 것입니다. 이것이 불가능할 이유가 없습니다.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Acepectif(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유지 유지하되, 동문이란 명칭을 '출신', '졸업' 정도로 바꾸었으면 좋겠습니다. --hnc197 2007년 3월 27일 (수) 22:46 (KST)
유지 위키백과가 무슨 온라인 전자 앨범도 아니고, 그 학교의 모든 출신자의 명단을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여기 위키백과에 올릴만한 출신자만 적고, 중퇴한 사람은 대학에서 인정하지 아니하는 사람이므로 넣지 않아도 되고,“출신”이 적당하다 봅니다. --눈사람 2007년 4월 9일 (월) 03:43 (KST)
삭제 천어/토론 2007년 5월 3일 (금) 19:24 (KST) 누가 결론좀[...] 대학에 관한 인물 목록이 있네요.
유지 유명한 대학들입니다.계속해,좋은 걸 잡았군.Kfc1864 2007년 5월 19일 (토) 02:46 (KST)
유지 유지하되 출신으로 바꾸는 것이 옳겠습니다. '동문'은 지나치게 내부적 관점이고 '졸업'은 졸업하지 않은 동문도 있기 때문입니다. (동문을 입학 기준으로 하는 대학이 상당히 있는 편인데, 과거 군부독재 시대 때 민주화운동을 하다 퇴학을 당한 이들이 졸업을 할 수 없었기 때문) 어쨌든 결론을 이제 내는 것이 좋겠습니다 --Hun99 2007년 5월 26일 (일) 15:27 (KST)
유지로 결정합니다. --Puzzlet Chung 2007년 6월 27일 (목) 22:49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생물학자 목록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토막글}}, {번역중}이 붙은 채 1년 넘도록 방치되어 있습니다. 허준이 생물학자의 분류에 들어가는지도 애매하네요. --Puzzlet Chung 2006년 8월 11일 (토) 20:55 (KST)
삭제 --정안영민 2006년 8월 11일 (토) 22:30 (KST)
삭제 - 이 문서 말고도 이런 문서들은 많을텐데요. 특히 사람 목록이나, 화학에 관한 문서 같은 것들 말입니다. 삭제처리 했으면 합니다. --WaffenSS 2006년 8월 12일 (토) 03:56 (KST)
유지 -- 구지 지울 필요가 있나요? xAOs 2006년 8월 12일 (토) 04:18 (KST)
삭제 어차피 분류:생물학자와 같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문서가 있지 않나요? 목록을 따로 관리해야 할 이유를 모르겠네요. --Klutzy 2006년 8월 13일 (월) 19:01 (KST)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6년 8월 31일 (금) 16:29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서울-천안 급행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과연 필요가 있을까요? 차라리 천안행 급행을 만드느니 못합니다. 경인선 급행 내용이 경인선에 실려 있는 것도 있고.. (당연히 경부선에다가 싣는 것은 어불성설이겠습니다만. -_-;) - Ellif 2006년 8월 15일 (수) 18:17 (KST)
의견 수도권 전철 1호선에 경인급행과 함께 통합을 하는건 어떤가요. 59.10.204.229 2006년 8월 15일 (수) 18:18 (KST)
- 조건부
유지 경인선 급행과 천안 급행 추후 경춘선, 경의선 급행 같이 급행 전용 페이지로 이동함을 전제로 유지를 건의합니다. direct-h 2006년 9월 7일 (목) 11:07 (KST)
의견 수도권 1호선 문서로 합쳤으면 합니다. 노선이 아닌 운행 계통별로 나눈다면 경부선도 경부선 새마을호, 경부선 무궁화호 등이 별도의 문서가 되야 할까요? -- ChongDae 2006년 9월 19일 (화) 10:10 (KST)
의견 급행 문서를 만들던 수도권 1호선으로 통합하던 이 문서가 따로 존재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위키는 백과사전이니까 운행 계통을 그렇게 자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 IRTC1015 2006년 10월 4일 (목) 16:05 (KST)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6년 12월 18일 (월) 09:01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된장녀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대중적으로 많이 쓰고 적게 쓰고의 문제가 아니라, 이런 표제어의 설명은 위키낱말사전에서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며, 삭제를 건의합니다. --정안영민 2006년 8월 16일 (목) 23:47 (KST)
유지 이런 표제가 아니면 무엇을 위키백과에 올립니까? --마소리스 2006년 8월 16일 (목) 23:53 (KST)
-
-
- 이런 거 아니더라도 백과사전 표제어 올릴 거 수만개는 족히 됩니다.--WaffenSS 2006년 8월 24일 (목) 13:37 (KST)
-
-
- 방금 KBS뉴스에서 나온 단어이며, 영문 위키에는 'fuck, pussy, juicy girl' 같은 단어도 표제어로 쓰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논쟁이 되는 단어인 만큼, 그 신조어가 생긴 사회적 배경과, 그와 유사한 단어 또는 파생되는 단어를 실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조어에 관한 정보를 찾고 싶을 때, 위키백과가 아니면 어디에서 믿을만한 자료를 찾을 수 있겠습니까? 위키백과라도 이런것을 허용하여, 다른 백과사전과 차별적인 백과사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소리스 2006년 8월 17일 (금) 21:37 (KST)
삭제 된장녀라는말은 인터넷 신조어이며, 이 낱말이 사용되는 용도등을 생각할때 삭제되는것이 옳다고 봅니다 --Dewyeyed
삭제 이 말의 정확한 의미도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WaffenSS 2006년 8월 17일 (목) 02:23 (KST)
보류 일단 전 중립입니다. 만약 된장녀를 삭제한다면 아햏햏도 같이 삭제해야 한다고 봅니다. 살릴려면 둘 다 살리고요. --Hnc197 2006년 8월 17일 (목) 12:11 (KST)
유지 저는 위키백과에는 어떠한 것이든 중립성만 벗어나지 않는다면 모두 올릴 수 있다고 봅니다. 다만, 아무리 특정 인물이 밉다 하더라도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고이즈미 죽이기 게임' 같은 걸 올릴 수는 없겠죠. 고이즈미가 어떤 일을 해서 욕을 먹든, 그건 주관적인 평가에 불과하니까요.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Miracleezz(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유지 Masoris님의 의견에 따라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8월 18일 (금) 00:07 (KST)
유지 속어 분류가 왜 있겠습니까? --peremen 2006년 8월 18일 (금) 00:08 (KST)
유지 전적으로 유지입니다. 중앙일보에도 나왔더군요 -_-; - Ellif 2006년 8월 18일 (금) 13:02 (KST)
유지 저도 마소리스님의 의견에 동의하며 유지에 표를 던집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8월 18일 (금) 14:04 (KST)
- 위키낱말사전에 이동 --효리♪ (H.L.LEE) 2006년 8월 21일 (월) 12:14 (KST)
의견 언론에 보도되었다고 해서 위키백과에 올릴만한 어떤 가치가 검증된 것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면 `인포러스트`들은 다 알아요에 소개된 ‘투글족’, ‘Rec족’ 등은 실제로는 잘 쓰지 않는 생소한 말들이죠. --Puzzlet Chung 2006년 8월 27일 (월) 16:13 (KST)
의견 쿠키뉴스(국민일보) 기사에서는 ‘된장녀’가 네티즌들이 만든 허상이라면서 ‘귀족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기사에서는 ‘쌈장녀’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8월 27일 (월) 16:17 (KST)
의견 지금까지 나온 ‘-녀’ 신조어가 한 두 개가 아닌데, 된장녀 등의 단어를 그대로 놔두면 다른 신조어들도 모두 올려야 합니다. 차라리 이런 종류의 신조어를 모두 한 문서로 합치고 된장녀 등의 단어를 이 쪽으로 넘겨주기하면 어떨까요. 다만
된장녀가 시발점이었으니 여기언급할만한 주요 단어들에 대한 설명은 넣고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1일 (토) 19:40 (KST)유지 정보가 없어서 문제지 많은데 문제는 아니겠죠? 다른 곳에 가서 뜻 알아봐...이거 보다는 지구상의 모든 정보는 다 모았으면 합니다. 전, 사실 위키낱말사전..별로입니다. -- 멀뚱이(Talk / Contrib) 2006년 9월 11일 (월) 09:59 (KST)
유지 의견이 많으므로 이에 따르도록 하겠습니다. :) --정안영민 2006년 10월 16일 (월) 09:59 (KST)
[편집] 취소된 투표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211.203.46.4(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유지 위키피디아의 매력이 뭔가요? 어느 정도 틀은 있지만 자유롭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요? 그런 면에서 된장녀 또한 표제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투표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하거나 계정을 만들라는 것 또한 이해가 되지 않는군요. 같은 사람이 여러번 의사 표시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인가요? 하지만 위키피디아의 경우 한 사람이 여러 계정을 만드는 것 자체가 손쉽습니다.
- 로그인하시고 투표해주십시오.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8월 18일 (금) 00:05 (KST)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211.208.45.84(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유지 Masoris님 말씀에 동감입니다.
- 죄송하지만 로그인한 상태에서 투표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8월 17일 (목) 11:53 (KST)
- 우선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만드시고 투표하시기 바랍니다.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8월 17일 (금) 23:59 (KST)[수정: 2006년 8월 17일 (금) 23:59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찬양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본래 찬양이란 단어의 의미를 특정 종교에서만 사용하는 의미로 왜곡할 뿐더러, 된장녀나 아햏햏처럼 국어 사전에 수록되지 않은 단어도 아닌데 이 곳에 올라오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Hellowiki 2006년 8월 18일 (목) 15:08 (KST)
의견 기독교의 찬양 또는 기독교의 찬양 음악으로 옮길 것을 제안합니다. 내용 자체는 중립적 시각에만 유의한다면 백과사전에 올라올 수 있는 내용입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8월 18일 (토) 15:10 (KST)
유지 중립적 시각에 유의하면 손질할 수 있는 문서인데 지울 이유가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8월 18일 (토) 15:18 (KST)
의견 토끼군 님의 의견처럼 기독교의 찬양 또는 기독교의 찬양 음악으로 옮길 것을 제안합니다. 단 본래 단어의 의미와 혼동될 수 있으니 본래 단어의 의미도 표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Aicreate 2006년 8월 18일 (토) 15:23 (KST)
의견 저도 일단 다른 적합한 제목으로 옮기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8월 18일 (토) 15:25 (KST)
유지 왜 지워야 하는지 잘 이해를 못하겠네요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1일 (토) 16:21 (KST)
유지 명백하지 않으면 유지한다...명백하지 않으면 무죄다를 개작하여 멀뚱이가 만든 표어입니다. ㅎㅎ -- 멀뚱이 (Talk / Contrib) 2006년 9월 15일 (토) 17:42 (KST)
제안 이후에 다른 의미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뀌었습니다.[1] 삭제하지 않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10월 13일 (금) 11:31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국립공원 대피소들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병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대상: 피아골 대피소, 노고단 대피소, 연하천 대피소, 벽소령 대피소
백과사전에 올리기에는 중요성이 너무 낮다고 봅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8월 18일 (토) 17:02 (KST)
의견 하나로 합치는 게 어떻겠습니까? 국립공원 대피소 목록 정도로 말입니다.--WaffenSS 2006년 8월 18일 (토) 19:20 (KST)
의견 하나로 합치는 데 동의합니다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2일 (토) 03:01 (KST)
의견 '국립공원 대피소 목록'같은 문서가 필요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전국 곳곳에 흩어져 있는 것이 국립공원들인데 그 국립공원들의 대피소의 일람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그 일람 자체도 백과사전에 올리기에는 중요성이 너무 낮은 문서가 되고 말 것입니다. 전 토끼군 님 말대로 각각의 국립공원 문서에 통합시키는 게 훨씬 더 상식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동성 2006년 9월 2일 (토) 04:41 (KST)
의견 각 국립공원별 페이지에 대피소에 대한 자료를 수록하는 편이 좋다고 봅니다. direct-h 2006년 9월 7일 (목) 11:07 (KST)
삭제 -
병합 태그가 있어야 할 거 같네요. 저도 병합을 지지합니다. 나중에 개별 대피소 별로 뜨는게 있다면, 따로 항목 작성하면 몰라도, 통합해도 될 정도로 보입니다만. -- 멀뚱이 (Talk / Contrib) 2006년 9월 15일 (토) 17:44 (KST)
유지하자는 의견이 없었고 어차피 대피소 정보는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으므로 모두 삭제했습니다합쳤습니다. --Klutzy 2006년 9월 21일 (목) 14:55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만주국임시정부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문서를 관리하는 사람도 없으며, 검색해 보아도 그 실체가 잘 드러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나마 있는 자료도 NPOV 위반이고, 참고 자료도 없으니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peremen 2006년 8월 21일 (화) 21:10 (KST)
삭제+백지보호- jawp에서 몇 번도 계속하고 만들어진데 삭제되어 백지보호 되어 있다.--효리♪ (H.L.LEE) 2006년 8월 23일 (수) 12:22 (KST)2006년 8월 23일 (목) 15:28 (KST)(밑줄부 추가)
- JA의 백지보호는 문서 생성 방지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peremen 2006년 8월 23일 (수) 12:59 (KST)
- JA의 백지보호는 삭제됐음에도 불구하고 몇 번도 문서가 생성됐을 때 다시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는 조치입니다. --효리♪ (H.L.LEE) 2006년 8월 23일 (목) 15:28 (KST)
- JA의 백지보호는 문서 생성 방지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peremen 2006년 8월 23일 (수) 12:59 (KST)
검증되지 않고 있는 정보라 삭제합니다. -- ChongDae 2006년 9월 14일 (목) 00:00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전국연합학력평가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삭제하고 글 내용을 모의고사로 옮겼으면 합니다. - Ellif 2006년 8월 24일 (목) 13:00 (KST)
유지-시용례 다수 있음. 그리고 일명에 옮겨야 하는 이유가 모릅니다.--효리♪ (H.L.LEE) 2006년 8월 24일 (금) 15:36 (KST)
유지 왜 옮겨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저게 더 정확한 이름 아닌가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8월 24일 (금) 16:07 (KST)
유지 왜 옮기나요? 그리고 제목은 원래 정식 명칭으로 짓는 거 아니었나요? --peremen 2006년 8월 24일 (금) 16:09 (KST)
유지 "모의고사"를 "전국연합학력평가"로 넘겨주면 좋겠다고 봅니다. -- LERK (회화 / 일지) 2006년 8월 24일 (금) 16:17 (KST)
유지 토끼군님의 의견에 따라.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8월 24일 (금) 17:34 (KST)
유지 정식 명칭이 전국연합학력형가가 맞지 않나요?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8월 24일 (금) 18:31 (KST)
유지 전국연합학력평가가 공식 명칭입니다. 미키위키 2006년 8월 25일 (금) 00:22 (KST)
의견 사설모의고사쪽 문제가 있습니다. - Ellif 2006년 8월 30일 (수) 10:44 (KST)
의견 이 글의 삭제 토론 틀을 삭제했습니다. 삭제하자는 의견이 전혀 없었고, 그리고 나머지 의견들도 유지하자는 의견에 동의했다는 판단하에 내려진 결정이었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시간도 충분히 주어졌다고 생각됩니다. 미키위키 2006년 8월 31일 (목) 01:07 (KST)
- 판정은 관리자가 합니다. --효리♪ (H.L.LEE) 2006년 8월 31일 (목) 07:23 (KST)
의견 그렇다면, 관리자분들은 좀 빨리 제거해주시기 바랍니다. 삭제쪽을 손 든 분은 아무도 없는데도, 이 무의미한 토론을 계속 시간 끄는 자체가 이상하군요. 미키위키 2006년 8월 31일 (금) 23:50 (KST)
- 판정은 관리자가 합니다. --효리♪ (H.L.LEE) 2006년 8월 31일 (목) 07:23 (KST)
7표 중 삭제의견이 없으므로 유지합니다. --Klutzy 2006년 9월 1일 (금) 14:49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국사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동음이의 문서 처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줄짜리 토막글이며 국사의 정의가 한국사를 다르게 이르는 말이라고 했는데 차라리 한국사로 넘겨주기를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더 이상 채울 내용도 없어보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Allen R Francis 2006년 8월 24일 (금) 18:36 (KST)
의견 국어를 국가언어로 옳긴것 처럼, 국사를 국가역사로 옭기는건 어떨까요?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Masoris(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유지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채울 내용이 없다고 하셨는데, 중.고등학교 교과목 국사에 대한 구성과 내용 라던가 대한민국 국정 교과서인 국사 교과서에 대한 비판 이라던가에 대해 충분히 채울게 있다고 봅니다. 제가 생성한 문서라 애착이 갈 수도 있는거지만, 어쨌던 최근에 제가 잡고 있던 기획 방향이 앞서 말한 내용들이었습니다. 다만, 교과목 국사를 채울려면 국사 (교과목) 으로의 이동이 필요하다고는 봅니다. 그리고 넘겨주기 문서를 하실꺼면 굳이 삭제 토론까지 올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직접 REDIRECT를 하셔도 될 것 같은 상황이었습니다. 미키위키 2006년 8월 25일 (금) 00:18 (KST)
- 지난번에도 말씀드렸지만 중·고등학교 교과목에 관한 것이라면 [대한민국의 교육]]이나, 대한민국의 교육 과정 같은 문서를 만들어서 거기에서 다루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8월 30일 (수) 13:34 (KST)
넘겨주기-한국사에 넘겨주면 좋다.--효리♪ (H.L.LEE) 2006년 8월 27일 (일) 14:42 (KST)
유지 교과목으로서의 국사로 보강하는 것도 좋을 것 같고, 삭제 토론 빨리 끝냅시다. --peremen 2006년 10월 13일 (토) 17:24 (KST)
일단 교과목에 대한 내용을 국사 (교과목)로 옮기고 국사는 동음이의 문서로 만들었습니다. 교과목별 문서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분께서는 별도의 삭제 토론을 써 주시길 바랍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일) 14:34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이해남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노조위원장 정도에서는 기사화의 필요가 없다. 노동운동가가 아님.--효리♪ (H.L.LEE) 2006년 8월 29일 (수) 16:29 (KST)
- 제발 subst 쓰지 말아 주세요. 그리고 이 정도 문서는 {{afd}}가 아닌, {{delete}} 끼워도 됩니다. 지난번에도 비슷한 문서가 만들어진 적이 있었는데, 그 때는 delete 날렸습니다. --peremen 2006년 8월 29일 (수) 16:31 (KST)
- 과거에 삭제된 기록은 없습니다.그리고 {{afd}}는 Subst에서 전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효리♪ (H.L.LEE) 2006년 8월 29일 (수) 16:46 (KST)
- 이 문서가 아니라, 이것과 비슷한 내용의 문서였습니다. 그리고 한국어판에서의 {{afd}}는 굳이 subst까지 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근거로 ja 같은 것은 들어 주지 마세요. 일본어를 못하는 한국어판 사용자도 있으며(저 포함), 이곳은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 --peremen 2006년 8월 29일 (수) 16:49 (KST)
- 사실 subst를 붙여도 afd 틀이 붙은 문서를 못 찾는 건 아닙니다. '분류'가 같이 붙여지게 되니까요.-- 파란로봇군 2006년 8월 29일 (수) 16:50 (KST)
- subst는 되도록이면 쓰지 말아주세요. 그리고 이 문서는 그냥 빠른 삭제로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여기는 한국어판입니다. 일본어판이 아닙니다.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8월 29일 (수) 16:55 (KST)
- 이 문서가 아니라, 이것과 비슷한 내용의 문서였습니다. 그리고 한국어판에서의 {{afd}}는 굳이 subst까지 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근거로 ja 같은 것은 들어 주지 마세요. 일본어를 못하는 한국어판 사용자도 있으며(저 포함), 이곳은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 --peremen 2006년 8월 29일 (수) 16:49 (KST)
삭제 동의합니다.--Janviermichelle 2006년 9월 2일 (토) 03:03 (KST)
삭제했습니다.. --2006년 9월 18일 (화) 20:50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필요 없는 사용자 분류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종교별 사용자를 제외하고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다음 사용자 분류를 (재귀적으로, 하위 분류까지 모두) 삭제할 것을 제안합니다.
- 분류:한자 혼용론자
- 분류:MBTI 유형별 사용자
- 분류:공정사용 지지자
- 분류:드보락 사용자
- 분류:세벌식 사용자
- 분류:종교별 사용자
- 분류:쿼티 사용자
- 분류:한글 전용론자
사용자 분류는 기본적으로 그 사용자가 위키백과를 이용하거나 위키백과에 기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주는 게 원칙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위에 열거한 많은 수의 분류는 그러한 정보를 주지 못 합니다. 예를 들어, 공정사용 지지를 한다고 해도 정책이 바뀌지 않는 한 공정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건 계속 유지될 것이고, 두벌식을 쓰든 세벌식을 쓰든 날 수 있는 오타에는 영향을 줄 망정 편집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한글 전용론자/혼용론자 분류를 만드느니 사랑방에서 토론을 하는 게 그나마 낫고 MBTI 유형별 사용자는 왜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_-;;;; 유저박스를 만드는 것까진 그런가보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거기에 맞춰서 필요 없는 사용자 분류를 만드는 것은 피해야 할 것입니다. 꼭 필요한 사람은 유저박스의 역링크를 확인해도 충분하고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8월 29일 (수) 20:50 (KST)
삭제 - 내버려 둬서 좋을 게 뭐가 있나요? 이런 분류는 필요없어 보입니다.--peremen 2006년 8월 30일 (수) 07:59 (KST)
삭제 - 정안영민 2006년 8월 30일 (수) 08:33 (KST)
* 삭제 --효리♪ (H.L.LEE) 2006년 8월 30일 (수) 08:37 (KST)
삭제 -- Shotgunlee 2006년 8월 30일 (수) 09:15 (KST)
삭제 - '사용자분류'라는 다른 네임스페이스가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고, 이런 식의 분류는 백과사전에 실릴 만한 인물들을 분류할 때나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유저박스 만드는 건 몰라도 분류까지 만드는 건 정말 뭣하네요. 따로 분류를 해서 무슨 득이 있는지도 모르겠고요. 토끼군 님 생각에 동의합니다. --한동성 2006년 8월 30일 (수) 09:44 (KST)
유지 - 그렇게 따지자면, '윈도 사용자', '리눅스 사용자', '매킨토시 사용자'도 지워야 하겠군요. 위키백과 편집에 영향을 주는건, 브라우저지 운영체제가 아니지 않습니까? 한명도 안달고 있는 바벨 언어 분류가 얼마나 많은데, 그런것이 있다고 위키백과 사용에 문제가 생기는건 아니잖습니까? 저게 있다고 뭐가 문제인지 이해 할 수 없습니다. 단, 문제라면 한국 위키백과 사용자 수가 적어서, 해당 분류를 쓰는 사람이 적다는게 문제겠지요. 세세한 사용자 분류까지 만들 수 있는 영문위키백과가 너무나 부럽니다. 여기를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마소리스 2006년 8월 30일 (수) 10:01 (KST)
의견 - '윈도 사용자'와 '한글 전용론자'는 맥락이 좀 다르지 않을까요. 바벨 분류의 경우 어떤 언어를 누가 할 줄 아는지 알려주는 기능을 하니까, 그 사람에게 특정 언어의 해석을 부탁할 수도 있고 번역에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경우, 특정 운영체제상에서만 작동하는 브라우저들이 있고(익스플로러는 윈도에서만, 컹커러는 리눅스에서만, 사파리는 매킨토시에서만 구동할 수 있는 등), 따라서 예컨대 특수한 태그를 사용한 템플릿을 만들었는데 어떤 브라우저에서는 깨지는 것이 아닐지 확인하자면 어떤 사용자가 어떤 운영체제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있을 때 더 수월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예가 조악합니다만… 한편 '한글 전용론자'는 그런 식의 유의미한 정보가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기술적으로 어려워서 못하고 한글 전용론자에게만 가능한 일 같은 게 있나요? 이건 위키백과의 기여를 위해 도움이 되는 정보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MBTI 유형별 사용자도 마찬가지이고, 토끼군 님이 제시한 나머지 분류들도 모두 가치 있는 정보를 주는 분류가 아닙니다. 세세한 사용자 분류까지 만들 수 있는 영어 위키백과가 부럽다고 하셨는데 meta:Userbox_speedy_deletions를 보면 얼마나 많은 무의미하고 쓸데없는 유저박스들이 만들어지고 삭제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일이 한국어 위키백과에도 있어선 곤란합니다. --한동성 2006년 8월 30일 (수) 10:23 (KST)
유지 - 저도 유지를 택하겠습니다. 이러한 일은 다섯원칙중 어디에도 제한되어 있지 않다고 보는 것이 공식적 입장임을 밝힙니다. - Ellif 2006년 8월 30일 (수) 10:17 (KST)
의견 - 위키백과인이 위키백과를 편집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 하나는 위키백과를 편집하는것이 즐겁기 때문이죠. 위키백과를 편집해가며, 때로는 의견이 맞지 않는 사람들끼리 싸우기도 하지만, 자신과 비슷한 흥미를 가진 새로운 사용자를 발견하며 대화를 나누기도 합니다. 만일 위키백과가 즐겁지 않으면, 아무도 사용하려 들지 않을 것입니다. 어느 누가 사전식의 딱딱한 문체를 하루종일 처다보면서 즐기려고 하겠습니까? 위의 분류 같은경우, 어떻게 보면 단지 즐기기 위해 만든것입니다. 분류를 만들어 놓고, 자신과 같은 취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찾는것이죠. 그러면서 위키백과에 더욱더 정을 가지게 되는겁니다. 제가 위키백과를 좋아하는 이유는 바로 '사람이 있다'는 점입니다. 위키백과를 단지 사전으로써만 생각하고 계신다면 저 같은 사람은 이런곳에 남아있기 힘들어집니다. --마소리스 2006년 8월 30일 (수) 10:25 (KST)
의견 -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끼리 모이면 안 될 까닭은 없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과연 위키백과의 '분류'를 이용해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냐는 점입니다. 같은 주제에 대해서 의견을 나누며 편집하고 싶으면 위키프로젝트를 열면 되고, 사용자 페이지에 하위 페이지를 만들어 '~~라고 생각하는 위키백과사전가들은 여기 여기 붙어라'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삭제에 동의하시는 분들은 위키백과에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공동체를 부정하려 드는 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분류를 만들어 붙이는 방식은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소속자가 한 명 뿐인 사용자 분류가 수천 수만 개씩 만들어지는 상황도 올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세요. --한동성 2006년 8월 30일 (수) 10:32 (KST)
유지 - 왜냐하면, 우리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못하는 것이 많습니다. 영문 위키백과좀 보세요. 많은 것이 된답니다. 게다가 여기좀 보세요. 유저박스 종류가 많답니다. 우리 윙키백과도 그렇게 되면 좋겠다고 생각되서. -- 이한결 2006년 8월 30일 (수) 10:57 (KST)
의견. 위키백과가 즐거워야 한다는 위 마소리스 씨의 주장에는 동감하지만, 위 분류 가운데에는 위키백과를 즐겁게 만든다는 데에 있어서 의문이 있는 것이 일부 있습니다. 한글 전용론자와 한자 혼용론자 사이에는 광복 전후부터 끊임없는 갈등이 있어 왔습니다. 두벌식을 쓰는 사람 대부분이 관심없고 잘 모른다는 차이 뿐 세벌식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두벌식 사용자 분류를 만든다고 해도 두벌식 사용자 대부분은 분류를 달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한글 전용론’과 ‘한자 혼용론’ 역시 한자 사용에 대한 극단적인 두 견해일 뿐이므로, 그 분류를 붙이는 사용자 역시 극적인 견해를 가진 소수의 사람들밖에 없을 것입니다. 저는 좋아하는 음악 장르라든지, 좀더 편안한 주제에 관한 분류가 생겼으면 했었는데, 어떤 서로를 견제하기 위한 ‘연대’를 만들기 위해 사용자 분류가 생겨나는 것 같아서 씁쓸합니다. --Puzzlet Chung 2006년 8월 30일 (수) 12:20 (KST)
의견 - 조금 명확하게 설명하자면, 저는 유저박스를 지우자는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유저박스를 달면 자동으로 붙는 사용자 분류를 지우자는 것입니다. 유저박스의 특성상 사용자 분류는 유저박스의 역링크로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세세하게 분류를 달 필요가 없다는 얘기였지요. 다소 혼동을 드렸다면 죄송합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8월 30일 (수) 14:10 (KST)
삭제--Prepedia 2006년 8월 30일 (수) 14:49 (KST)
삭제 토끼군님의 의견에 따라.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8월 31일 (금) 16:31 (KST)
유지 Ellif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Janviermichelle 2006년 9월 2일 (토) 03:05 (KST)
의견 기본적으로 분류 네임스페이스는 위키백과 프로젝트를 위해 존재해야 합니다. 위키백과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역링크, 혹은 목록으로 하는 편이 더 낫습니다. 즉, 미디어위키의 기능을 활용하거나 사용자 네임스페이스 수준에서 '사용자 모임'을 개설하는 편이 훨씬 좋습니다. 실제로 갈라드리엔님이 주장하시는 German Userbox Solution의 경우에도, 근본적인 원인은 위키백과 프로젝트와 관련이 없는 유저박스가 틀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되었고, 많은 유저박스가 사용자 네임스페이스로 이동되었습니다. 이 분류들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습니다. --Klutzy 2006년 9월 2일 (토) 03:14 (KST)
앞으로 9월 10일까지 유지하자는 *그럴듯한* 주장이 나오지 않는다면 삭제하겠습니다. --Klutzy 2006년 9월 6일 (목) 16:48 (KST)
의견 그렇다면 사용자분류: 스페이스의 신축은 가능할까요? 미국쪽에서도 GUS가 되기는 하지만, 이와 동시에 분류는 놔두는 것 같던데요? - Ellif 2006년 9월 6일 (목) 19:41 (KST)
- 무슨 분류요? en:Category:User templates를 말씀하시는 거라면 저 분류와 지금 논쟁중인 분류는 성격이 전혀 다릅니다. --Klutzy 2006년 9월 7일 (금) 15:05 (KST)
의견 - 영어판에서 사용자 분류는 삭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en:Category:Wikipedians_who_eat_pizza와 같은, 어찌보면 쓸데없어 보이는 분류가 여전히 존속되고 있고, 또한 아직 여기에 문제 제기된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영어판 위키백과 정책이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사실 확인 차원에서 말씀드립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6년 9월 9일 (토) 13:15 (KST)
- 무슨 분류요? en:Category:User templates를 말씀하시는 거라면 저 분류와 지금 논쟁중인 분류는 성격이 전혀 다릅니다. --Klutzy 2006년 9월 7일 (금) 15:05 (KST)
삭제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9월 6일 (목) 19:42 (KST)
유지 아직 한글 위키백과는 없애야 할것에 대한 얘기보다, 무엇을 만들어 갈 것인가에 대한 얘기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Airridi 2006년 9월 6일 (목) 20:54 (KST)
- 없애는게 도움이 더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한글/한자, 공정 사용 등의 분류는 위의 삭제 의견에 나와있다시피 사용자간의 무의미한 싸움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Klutzy 2006년 9월 7일 (금) 15:05 (KST)
의견 - 다른건 몰라도 '종교별 사용자'정도는 괜찮지 않나요? -- Allen R Francis 2006년 9월 7일 (금) 18:29 (KST)
의견 - 삭제 토론에 글을 올리기 전에 우선 afd틀을 붙여 놓아야 하는것 아닌가요? 몇가지 분류에만 afd틀이 붙어있네요. --마소리스 2006년 9월 9일 (토) 01:25 (KST)
의견 - 솔직히 한국어판에서는 안 되는 게 너무 많습니다. 무작정 삭제부터 할 게 아니라, 이제 다른 언어판 정책을 참고해서 GUS, 사용자 분류, 공정 사용 등에 대해 전향적으로 검토해야하지 않을까요?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6년 9월 9일 (토) 13:15 (KST)
- 일부삭제 - 사용자사이의 갈등을 야기하는 분류:한자 혼용론자, 분류:한글 전용론자, 분류:공정사용 지지자는 삭제 너머지는 유지.--효리♪ (H.L.LEE) 2006년 9월 9일 (토) 13:36 (KST)
일단 분류:종교별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는 삭제했습니다. 종교별 사용자는 의견이 분분하니 조금 더 의견을 받은 후 결정하겠습니다. --Klutzy 2006년 9월 11일 (월) 00:08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HTML 실제 참조 코드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이동 후 넘겨주기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필요 없거나, 위키자료집 같은 곳으로 옮겨야 하지 않을까요. 위키백과에는 어울리지 않는 문서입니다. --한동성 2006년 8월 30일 (수) 13:22 (KST)
의견 - 내용 자체는 HTML로 합치고 (이미 있던가?) [2]를 링크해서 리스트를 보여 주도록 합시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8월 30일 (수) 14:28 (KST)
* 유지 - 어울리지 않다니요? 영문 위키에도 있는 문서 입니다. 내용은 채워나가면 됩니다. --마소리스 2006년 8월 31일 (목) 09:46 (KST)
-
의견 - 아닙니다. en:List of XML and HTML character entity references는 다른 페이지입니다. 이것은 XML, HTML, XHTML 전반에 걸쳐서 적용되는 '문자 엔티티'라는 개념에 관해서 개념 해설과 레퍼런스를 모아둔 것인데 저기서 HTML의 레퍼런스 부분만 잘라낸 것이 HTML 실제 참조 코드입니다. 페이지 이름에서 이미 알 수 있는 것이죠. 더 채우려고 해도 채울 내용이 없습니다. HTML에 합치는 것이 상식적입니다. SGML의 서브셋들에 대해서 서술하다가 엔티티 관련 해설의 비중이 높아진다면 독립 페이지(지금 마소리스 님이 드신 en의 예에 해당하는)를 만들 수 있겠지만 HTML 실제 참조 코드라는 페이지가 필요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동성 2006년 8월 31일 (목) 10:36 (KST)
의견 - "HTML의 글자 엔티티"나 "HTML과 XML의 글자 엔티티" 정도로 옮기고 정리하는게 어떨까요? "실제 참조 코드"라는 용어는 어울리지 않으니 redirect없이 삭제하고요. -- ChongDae 2006년 9월 19일 (화) 09:56 (KST)
의견 - 제목을 바꾸거나, 다른 문서와 합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마소리스 2006년 9월 19일 (화) 10:02 (KST)
XML의 글자 엔티티로 이동하고 넘겨주기를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6년 12월 11일 (월) 08:07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