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폭풍 작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8월폭풍 작전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 |
|||
![]() 소련의 SU-76M 자주포가 만주국 수도 창춘에 진입하고 있다. |
|||
|
|||
|
|||
|
|||
교전국 | |||
![]() ![]() ![]() |
![]() ![]() |
||
지휘관 | |||
야마다 오츠조 | 바실레프스키 말리노프스키 말리노프스키 자하로프 |
||
병력 | |||
일본군 병력 1,040,000명 각종포 6,700문 전차 1,000대, 항공기 1,800대 각종차량 1,215대 |
소련군 병력 1,577,255명 각종포 26,137 문 지원포 1,852문 전차 3,704대 항공기 5,368대 |
||
피해 상황 | |||
소련군집계 전사 83,717명 포로 594,000명 일본군집계 전사 21,000+ 명 포로 ?명 |
소련군전사자료 전사 12,031명 전상 24,425명 일본군집계 전사 20,000+ 명 전상 50,000+ 명 |
8월 폭풍 작전 또는 만주 전투는 8월 8일 소련이 일본에 대한 괴뢰정권인 만주국과 일본의 북방열도에 대한 침공을 말한다. 이 전투는 일본의 다른 괴뢰정권인 몽장국, 일본의 점령지였던 한반도, 사할린, 쿠릴열도에 대한 공격도 포함된다. 이 전투는 1939년에 할힌골 전투 (또는 노몬한 사건) 이후 소련-일본 불가침조약를 파기하고 이루어진 것이다. 얄타회담에서 소련은 유럽전쟁이 끝난후 3개월 후,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기로 이미 다른 연합국과 약속을 한 바 있었다.
공격은 정확히 독일이 항복한 5월 8일부터 3개월 지난 8월 8일에 이루어졌다. 이미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졌고, 8월 9일에는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었으며, 소련의 공격은 이 두 폭탄 못지 않게 일본에 충격을 주었다.
전쟁이 계속되었더라면 소련은 다른 연합군이 큐슈에 도달하기 전에 사할린을 거쳐 홋카이도까지 점령할 생각이었다. [2][3] 소련군은 유럽 전선에서 경험을 쌓은 군대와 풍부한 물량으로 침공해오는데 대하여, 일본군은 전력이 태반이 남방으로 가 잇는 데다가, 신규 모집한 병사들은 훈련부족에, 심지여 물질적으로만 봐도 10만 명 이상의 병사에게 소총을 줄 수 조차 없었다. 곳곳에서 일본 관동군은 격파당하고 8월 16일의 통고로 정전 교섭을 하였지만, 열악한 통신 사정과 소련군의 그치지 않는 공격으로 8월 말까지 계속되었다.
분류: 1945년 |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 태평양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 일본의 전투 | 소비에트 연방의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