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만화·애니메이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제목
가장 급한 불부터 끄도록 하죠. 제목을 일본어판 원제목으로 맞출까요, 한국어판 제목으로 할까요? 예를 들면
는 일본어판 제목으로 맞추어져 있지만,
은 한국어판 기준으로 되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의견은 정식 출간이 된 경우는 한국어판, 아닌 경우는 일본어판으로 했으면 좋겠는데요. --Klutzy 2006년 4월 1일 (토) 23:36 (KST)
-
- 찬성: 그럽시다. 일본어판을 기준으로 할 경우 번역이 애매하고, 한국어판을 기준으로 하려면 한국어판이 없는 것도 있고, 정식 출간이 된 경우 한국어판으로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겠네요. --한동성 2006년 4월 8일 (토) 08:38 (KST)
- 의견: 음... 러브히나의 경우 만화책은 러브 인 러브이지만 또 DVD는 러브히나 입니다. 물론 원작이 만화책이니 큰 상관은 없다고 생각되지만 이거 조금 애매해요. --Hohonn 2006년 4월 16일 (일) 01:57 (KST)
- 수정제안 가장 많이 쓰이는 걸 기반으로 하되, 한국어판 제목이 들어올 때는 그걸 우선적으로 참조하는 것으로 하죠. 그리고 뉴타입도 기준의 대상으로 삼는게 어떨까요? 아무래도 그쪽이 상당한 agenda setting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니까요. - Ellif 2006년 6월 10일 (토) 16:01 (KST)
그런데 국내에 들어올 때 만화 제목과 애니메이션 제목, 라이트 노벨 제목이 다른 경우도 있나요? 오래된 작품은 충분히 가능성이 있을 것 같은데요. Klutzy 2006년 5월 8일 (월) 01:02 (KST)
- 오래된 작품이 아니라도 있습니다. 정들면 고향 코스모스장의 경우 만화책은 원제와 같지만 투니버스에선 황당용사 욜라세다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었죠. 음.. 라이트 노벨의 경우는 없는것 같네요. --Hohonn 2006년 5월 8일 (월) 14:51 (KST)
- .....제멋대로네요. 우선은 "원제에 가까운 제목"으로 할까요? 괜찮은 기준이 생각이 안나네요. Klutzy 2006년 5월 8일 (월) 16:35 (KST)
- 개구리 중사 케로로가 대표적인 예죠. 원래 뉴타입에서 케로로 중사로 표기 했었는데, 애니가 들어오면서 개구리 중사 케로로로 바뀌었다가 만화는 개구리 하사 케로로고, 팬층에서는 케로로 군죠도 동기하는 실정입니다. 뭐. 결국 전반적인 상황을 봐서 개구리 중사 케로로로 확정되었습니다만. - Ellif 2006년 6월 10일 (토) 16:01 (KST)
[편집] 라이트 노벨
이것도 나름대로 귀찮은 문제입니다. 라이트 노벨(ライトノベル)의 번역어로 적당한 게 뭐가 있을까요? "경소설"? "라이트 소설"? "라이트 노벨"? 이 용어를 정해야만 현재 어정쩡하게 특정 회사의 상표명인 NT 노벨이 일반 명사로 쓰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Klutzy 2006년 4월 8일 (토) 09:13 (KST)
- 찬성: 저도 동의합니다. 대원의 NT 노벨이 말고도 학산문학사도 익스트림 노벨이라는 이름으로 라이트 노벨을 출판하고 있으니까요. --Hohonn 2006년 4월 16일 (일) 01:57 (KST)
그냥 라이트 노벨로 정했습니다. 토론:라이트 노벨을 참조하세요. Klutzy 2006년 5월 6일 (토) 01:31 (KST)
[편집] 템플릿에 대해서요.
영어 위키에선 애니메이션(굳이 말하자면 아니메;アニメ)와 만화(역시 망가..) 를 같이 묶어서 토막글 템플릿을 만들었더군요. 한글위키엔 애니메이션 템플릿은 있는데 만화는 없습니다. 어떻하죠? 같이 묶어야 하나요? 아님 따로따로? 또 아니메와 망가를 따로 처리 해야 하나요? --Hohonn 2006년 4월 21일 (금) 00:17 (KST)
토막글 정도야 대충 다 합쳐도 상관 없죠. 아니면 따로따로 만들고 둘 중 맘에 드는 걸 달거나요. 어차피 토막글이라는 것의 의미가 "관심있으면 채워주세요~"의 의미니까 딱딱하게 분류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Klutzy 2006년 5월 8일 (월) 01:02 (KST)
- 으아! en:Template:Anime-stub 처럼 애니메이션/만화 이렇게 토막글을 만들려고 하는데 아무리 해봐도 안됩니다. 좀 만들어 주실래요? ㅜ.ㅜ 아무래도 애니메이션과 만화는 관련이 깊어서 따로 만들기는 뭐 하네요. --Hohonn 2006년 5월 8일 (월) 15:27 (KST)
[편집] Photos
Hi there,
A french user recently took pictures of manhwaga, but unfortunately we don't have articles on them, on none of the Wikipedia. You will find the photos here, in case you need them for new articles: commons:Category:Manhwaga.
User:GôTô 2006년 7월 6일 (목) 16:41 (KST)
[편집] 표기법에 관한 정리안의 제안
한국어판의 저작물이 나온 것이 있을 경우, 그것에 올라와 있는 인물 및 지명 명칭 등을 우선적으로 기술(위키백과:편집 지침#저작물의 명칭과 표기에 따라)하는 것은 합의가 되었으므로 이를 지켜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위키백과:일본어의 한글 표기를 따라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오란고교 호스트부에서처럼 한국어판 출판물이 있어 이를 정식 이름으로 표기할 때, 성우 부분까지 이른바 '통용표기'라는 방법을 적용시켜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이유는 이 부분은 편집자의 작업에 의해 정보 소스에서 참조되어 가져온 것일 뿐, 그 한국어판 출판물에 그 이름이 기술되어 있는 것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언급하는 이유는, 최근 일부 편집자들의 편집을 보면, 어느선까지는 표준 표기로 되어 있는 주인공 이름들의 부분을 이른바 '통용 표기' 비슷한 표기로 수정을 하고 있고, 최초부터 아무런 설명이 없이 '통용 표기'의 형태의 표기법으로 된 문서들을 양산하고 있는 부분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한쪽은 표준 표기법을 사용하는데, 다른 한쪽에서는 그와 다른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미 되어 있는 표기법을 수정하고, 그걸 다시 수정하는 식의 불필요한 작업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방치를 해둘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즉, 계속해서 편집자들이 늘어나 문서들이 보강되는데,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만화 관련 문서들은, 1)표기법의 통일이 지켜지지 않고 (이는 규정을 강제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또한 미디어 및 출판사 측에서 이를 지키지 않는 출판물을 계속 내고 있어서), 2) 지침을 따르는 표기법과 그렇지 않은 표기법의 혼용에 의해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합의안을 정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입니다.
위키백과가 무엇인가의 '주장'을 하는 곳은 아닌 이상, 편집자 입장에서는 어느쪽이든 현상을 기술하는 입장에서 기술을 하되, 단 어느것이 어떤 표기임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항에 대해 정확한 기술을 지향하는 것은 편집자의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위키백과:일본어의 한글 표기는 현재로는 강제적으로 따라야 할 원칙으로는 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한글표기에서 언급하는 국어연구원의 한글 표기 규정이 발표된 이후에 나온 출판물 가운데, 일본어 부분에 관하여 이 규정을 지키지 않은 형태로 발표된 출판물이 있을 경우, 그 출판물의 표기를 우선적으로 적되, 국어연구원의 규정에 따른 표기법 또한 적는 것도 허용하되, 이를 편집자의 재량에 따르는 식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정리를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의 원칙을 정했으면 합니다.
- 한국에 수입되지 않은 일본 관련 저작물의 표기는, 원칙으로 위키백과:일본어의 한글 표기에 따라 표준 표기법을 사용한다.
- 한국어판의 저작물이 나온 것이 있을 경우, 그것에 올라와 있는 인물 및 지명 명칭 등을 우선적으로 기술한다. (위키백과:편집 지침#저작물의 명칭과 표기에 따라)
- 한국어판의 저작물이 있으나, 이를 기술하기 위해 별도의 자료에서 참고를 할 때, 그 참고자료가 한국어로 되어 있고, 그 자료가 기술하는 대상에 대해 공식적인 관계를 맺고 있거나 저명성을 갖고 있는 경우(공식 브로마이드나, 좀 넓게 보면 유명한 잡지(예를 들면 뉴타입) 같은 것이겠지요.), 그 쪽에서 기술한 표기법을 쓸 수 있다. 그 외에는 위키백과:일본어의 한글 표기를 따라 표준 표기법을 사용한다.
- 한국어판의 저작물에 따라 표기를 할때, 그 표기법이 표준 표기법과 다른 식인 경우, 표준 표기법도 병기하며, 각자의 표기법에 대한 설명을 남긴다.(편집자의 재량에 따라 적용가능)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tiens 2007년 9월 13일 (목) 10:0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