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테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사람에 대해서는 안테나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안테나(영어: antenna)는 특정 영역대의 전자기파를 송신 혹은 수신하기 위한 변환장치이다. 안테나는 라디오 주파수대의 전기 신호를 전자기파로 바꾸어 발신하거나 그 반대로 전자기파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라디오나 텔레비젼등 방송과 전파를 이용한 무전기, 무선LAN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장치 그리고 레이다와 우주 탐사용 전파망원경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주로 지상 혹은 공중의 대기중이나 우주 공간에서 작동하며 물속이나 땅속에서는 작동에 제한을 받는다.

물리적으로 안테나는 어떤 전압이 변조된 전류와 함께 가해질때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방사하는 전도체의 배열이다. 또는 전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안테나 안에 유도되는 전류와 전압이 그 말단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파라볼라 안테나나 혼 안테나같은 종류는 자유공간에 전도체를 배치하여 안테나 효과를 내기도 한다.

목차

[편집] 역사

1885년 토마스 에디슨에 의해 처음 안테나가 쓰여졌으며 특허를 받았다.[1] 이후 1888년 하인리히 헤르쯔에 의해 사용되어 제임스 클럭 맥스웰이 예견한 전자기장을 증명하는 데 이용되었다. 헤르쯔는 파라볼라형 반사체의 촛점 위치에 다이폴 방사체를 설치하여 실험 하였다.

안테나(Atenna)란 용어는 1895년 구리엘모 마르코니가 만든 무선 장치에 쓰여지게 되면서 쓰여졌다. 스위스 알프스지역의 살반에서 마르코니는 초기 무선 장치 실험을 하였는데 그는 2.5미터길이의 다이폴 안테나를 이용하였으며 텐트의 지지대를 이탈리아어로 "l'antenna centrale"라고 하였다. 그의 안테나는 이 지지대 사이에 설치하여서 간단히 "l'antenna"라고 불렀는데 이후 그가 사용한 "Atenna"라는 용어가 널리 알려지게 되면서 현재와 같이 뜻이 굳혀졌다. 한편 "Aerial"이라는 용어도 쓰이는데 주로 고체의 정형화 되지 않은 형태나 그냥 선으로 된 안테나를 그렇게 부른다. 특히 영국식 영어에서는 안테나라는 뜻 대신으로 널리 쓰이기도 한다.

[편집] 개괄

안테나는 라디오, 텔레비젼등 방송, 무선교신등을 위해 실용적 목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대부분의 안테나들은 사용하는 전파의 파장에 따라 그 길이가 정해진다. 가장 많이 쓰여지는 형태중 간단한 것은 전파 파장의 4분의 1크기의 전도체 막대이다. 이런 안테나는 무지향성이며 수신과 송신에 따른 제약이 없다. 다만 안테나 양끝 방향으로의 수신이 되지않는 음영지역이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안테나의 경우에는 전도체를 급전되는 방사체 주위에 적절히 배열하여 지향성을 가지게 하는 안테나가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전도체 막대나 코일을 추가 함으로서 전파의 지향성을 만들어 낼수 있다. 이러한 지향성 안테나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야기-우다 안테나가 있다.(보통 야기 안테나라고도 많이 부른다.) 또한 이러한 하나의 안테나를 여러개 그룹으로 묶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쓰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향성 안테나는 특정 방향으로 만 송수신이 잘되기 때문에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편집] 안테나의 종류

다음은 대표적인 안테나의 종류들이다.

  • 아이소트로픽 라디에이터
  • 다이폴 안테나
  • 야기-우다 안테나
  • 파라볼라 안테나
  • 혼 안테나

[편집] 바깥 고리

  • "Antenna". 햄라디오, Hamradio.co.in. (ed. 햄을 위한 라디오/ 아마추어 라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