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Alfpooh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편집] Ethnography

제목이 부적절하므로 모든 넘겨주기는 다 민족지로 하고 민족지로 옮기겠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2월 29일 (금) 10:58 (KST)

[편집] 저작권

산업 디자인 등은 다른 자료를 참고한 것으로 보입니다. 저작권이 확실한 자료들인가요? -- ChongDae 2006년 12월 29일 (금) 11:16 (KST) 저작권을 확인합니다 --Alfpooh 2007년 1월 20일 (토) 01:16 (KST)

[편집] 다른 언어로 된 넘겨주기

다른 언어로 된 넘겨주기는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만들지 않습니다. 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를 보십시오. 그리고 문서에 == 표제어 == 는 넣지 않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2월 30일 (토) 10:53 (KST)

[편집] 문서 이름 옮기기

"이동" 기능을 이용해서 문서를 옮겨주세요. -- ChongDae 2007년 1월 1일 (화) 17:25 (KST)

이동 기능을 통해 문서를 옮길 수 없는 경우는 copy&paste 대신에 위키백과:관리자 요청을 통해 처리해주세요. -- ChongDae 2007년 1월 20일 (토) 08:49 (KST)

[편집] 어록은 위키인용문에 올려주세요

:) -- 세오테뤼(··) 2007년 1월 14일 (월) 22:20 (KST)

위키인용문은 위키의 자매 프로젝트입니다. 저는 위키인용문은 지지할 생각이 없습니다. 당연히 카피해서 가져가는것은 자유입니다.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Alfpooh(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편집] 제이콥 닐슨

덴마크 사람이니 야코브 닐센로 읽는게 맞겠죠? -- ChongDae 2007년 1월 19일 (금) 13:59 (KST)

미국의 과학자로 미국에서 주로 활동하며 제이콥으로 읽으며 닐슨쪽이 더 발음에 가깝습니다. 다시 바꾸겠습니다. 본인과 그들의 친구들이 부르는 이름의 발음을 존중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로..스티븐 잡스는 스티븐 랍스가 아닙니다. Link의 비디오를 보시죠. http://www.devsource.com/article2/0,1895,1937615,00.asp#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Alfpooh(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미국에 가면 알베르트가 아닌 앨버트 아인슈타인으로 불릴겁니다. 영어식 발음이 아닌 원래 이름을 살려줘야 하는 것 아닐까요? -- ChongDae 2007년 1월 20일 (토) 08:20 (KST)

영어식이든 어떤식이든 그사람이 실제로 불리워지는 발음에 맞춰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혼란의 여지가 있는 이름을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 요청하면 자기를 어떻게 불러 달라고 보통 이야기를 하죠. 게다가 현존하는 인물의 경우에는 논란의 여지가 없을듯 합니다.--Alfpooh 2007년 1월 20일 (일) 15:05 (KST)

지금 cut & paste 식으로 문서를 옮기고 있느넥 Alfpooh 님입니다. 확실한 결정이 내려지기 전까지 중복 문서를 만들지 말아주세요. -- ChongDae 2007년 1월 20일 (일) 20:08 (KST)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히스토리를 살려하는 기능이 있다는것을 잘몰랐습니다. 하지만 국립국어원의 인명 표기의원칙 제1절 제3항에 보듯 '원지음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용을 따른다.' 라고 보면 현실적으로 불리우는 관용을 따르는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제시된 근거 자료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Alfpooh 2007년 1월 20일 (일) 21:04 (KST)

[편집] 위키는 위키백과의 하위 프로젝트가 아니며...

위 토론에서 위키인용집위키의 자매 프로젝트라 언급하셨는데. 잘못된 말입니다. 위키와 위키백과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사용자토론:아흔#Wiki != Wikipedia 참고. -- 세오테뤼(··) 2007년 1월 20일 (토) 00:36 (KST) 그런가요? 그렇다면 이해하기 힘들군요. 위키에서 삭제하고 그내용을 딴 프로젝트로 강제로 연결하려 하다니요--Alfpooh 2007년 1월 20일 (토) 00:40 (KST)

'위키에서 삭제하고 그내용을 딴 프로젝트로 강제로 연결하려 하다니요' 무슨 말입니까? -- 세오테뤼(··) 2007년 1월 20일 (토) 00:41 (KST)

원래 내용을 Copy가 아닌 Cut해서 이동하는것은 부당하다고 봅니다. 그 두 시스템이 특별히 Integration이 되지 않은데다가 아시다시피 위키인용집의 검색기능은 아직 대단히 부족해서 검색의 성능이 대단히 미흡하더군요. 정보를 원래 모음에 두지 않고 계속 쪼개어서 분리시키는것은 사용성과 문맥면에서 부정적입니다.--Alfpooh 2007년 1월 20일 (토) 00:44 (KST)

이상하군요 위키백과 대문과 다음의 프로젝트 리스트로 봐서는 위키인용문은 위키의 자매 프로젝트로 이해 되는데요? http://meta.wikimedia.org/wiki/Complete_list_of_Wikimedia_projects --Alfpooh 2007년 1월 20일 (토) 00:54 (KST)

위키백과의 자매 프로젝트겠죠.. -- 세오테뤼(··) 2007년 1월 20일 (토) 01:00 (KST)

위키와 위키백과는 다르므로(위키백과는 위키라는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트입니다.), 위키인용문은 위키백과의 자매프로젝트는 될 수 있어도 위키인용집이 위키의 자매프로젝트가 될 수 없겠죠. 보통 위키백과를 위키라고 줄여 말하다보니 발생한 문제같고, 아무래도 세오테뤼님의 오해같군요. --121.131.80.43 2007년 1월 20일 (토) 01:01 (KST)

어록을 따로 때어서 (Cut)하여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에 대해 반대합니다. 그이유는 글의 문맥을 해치며 위키인용문은 검색및 연결이 대단히 미흡하여 신뢰하기 힘들며 (개인적인 판단입니다.) 정보의 접근단계를 너무나 세분화 혹은 다단계화하여 사용성을 저해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글이 아직 토막글일때 이후 발전적 추가/수정을 힘들게 하는군요 --Alfpooh 2007년 1월 20일 (토) 01:15 (KST)

[편집] 치와 찌

  • Tognazzini는 토냐찌니가 아니라 토냐치니로 표기됩니다. --루스 2007년 1월 20일 (일) 18:01 (KST)
  • 근거나 자료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찾은 자료로는 ci와 zi를 혼동한 걸로 보입니다.

--Alfpooh 2007년 1월 20일 (일) 18:04 (KST)

잠깐만 기다리세요. 일단 제가 찾아보고요. --루스 2007년 1월 20일 (일) 18:06 (KST)
지금 찾았는데, 표기법은 z는 ㅊ로 표기하는 것이 맞고, ci는 치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상입니다. --루스 2007년 1월 20일 (일) 18:12 (KST)
유명한 가수 움베르토 토찌(Umberto Tozzi)의 경우도 있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rpl0nbVzVmo&mode=related&search= --Alfpooh 2007년 1월 20일 (일) 18:10 (KST)

우선 국립국어원의 이탈리아어 표기법을 읽어보세요.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가능하면 ㄸ/ㅃ/ㅉ 등을 피하고 ㅌ/ㅍ/ㅊ을 씁니다. (예를 들어달라고요? 파리 시! 프랑스어 발음은 빠리와 빠히의 중간쯤 됩니다. ) -- ChongDae 2007년 1월 20일 (일) 20:13 (KST)
감사합니다. 국립국어원의 표기법에 따르면 그러하군요. 하지만 표기법 또한 인명.지명표기의 원칙 제1절 제3항에서는 '원지음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용을 따른다.'(http://korean.go.kr/06_new/rule/rule05_03_01.jsp) 라고 하는군요. Tognazzini씨에게 이메일로 본인 이름을 발음하는 것에 대한 질문 메일을 보냈습니다. 어쨌든 그동안은 표기법에 따르는것이 좋겠군요. 그리고 ChongDae님 께선 혹시 이탈리아어의 예를 들어 주시면 어떨런지요.

혹시 예를 들어 달라거나 근거/자료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신다면 죄송합니다. 하지만 위키백과의 관리자쯤 되시면 이해하시리라 믿습니다.--Alfpooh 2007년 1월 20일 (일) 20:59 (KST)

관용을 허락하는 것은 "쾨벤하운" 대신 코펜하겐, "스흐라벤하허" 대신에 헤이그를 쓰는 것 같은 경우를 말하는 겁니다. "찌"/"치"의 음 차이 정도에 대해서도 "관용적" 표기를 허용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0일 (일) 21:09 (KST)
이 건에 대한 것은 현존하는 사람이름에 관한 것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논쟁의 다른 예인 "제이콥 닐슨"에 비해 Tognazzi의 경우는 찾을 수 있는 뒷받침 근거가 많지 않군요. 표기법에 따르는 것에 동의합니다만 국립국어원의 외국 인명 지명의 표기에 좀 문제가 있는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다른 주제, 다른 토론에 더 적합하겠군요. 어쨌든 수정시에 '편집 요약'을 가능한 기입해주기를 요청 드린 것을 상기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Alfpooh 2007년 1월 20일 (일) 21:18 (KST)

앞에서 이탈리아어 표기에서 z를 "ㅉ" 대신 "ㅊ"를 쓰는 것에 대한 예를 들어달라는 것이라면, 표기일람표의 Firenze(피렌체)나 drizza(드리차)가 있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5일 (금) 15:53 (KST)

늦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Alfpooh 2007년 2월 20일 (수) 16:01 (KST)

[편집] 동명이인 처리

직업이나 출생년도로 하고 있습니다. 호를 쓰는 것보다 직업/출생년도 쪽이 어떨까요? -- ChongDae 2007년 2월 20일 (수) 15:02 (KST)

좋은 의견이십니다. 그런데 두 이순신 장군의 경우 직업도 같고 활동시기도 워낙 비슷해서 좀 예외로 했으면 합니다. 사실 그 두분이 헷갈리는것이 재밋는 이야깃거리를 제공하기도 하고요. 실제 무의 이순신 장군의 경우 본의아니게 명의도용이라는 오해를 당대와 그이후에도 계속 받았다고 합니다. --Alfpooh 2007년 2월 20일 (수) 16:00 (KST)
이순신의 예는 그나마 나은거죠. 안상수의 경우 두 정치인이 활동 기간도 같고, 출생년도도 같습니다. -_- -- ChongDae 2007년 3월 24일 (일) 22:52 (KST)

[편집] IP 사용자

비등록 사용자가 문서를 지을 때는 IP 주소가 자동적으로 기록됩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4월 16일 (화) 16:16 (KST)

저도 착각한 것이로군요. xxx.xx.xxx.216님도 아마 LERK님이 하신것으로 오해하신듯 합니다. 죄송합니다. --Alfpooh 2007년 4월 16일 (화) 17:31 (KST)
테스트 해봤는데 자동으로 붙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가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사용자 이름 또는 IP)(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이라고 쓰면 붙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경우에 xxx.xx.xxx.216사용자는 LERK님의 대신 서명한 행위를 오해하여 IP를 공개하는 행위로 여긴듯 합니다. 한국에서는 IP를 공개하는 것은 어떤의미에서 실명이나 주민등록번호를 공개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또한 다른이가 자신의 글에다가 직접적인 토를 다는 것에 대해 비위가 상할 수도 있고요. 좀 미묘한 예의의 문제인 듯 합니다. --Alfpooh 2007년 4월 16일 (화) 17:38 (KST)
그러니까 {{서명2}} 틀을 쓰지 않아도 IP주소가 기록돼 있습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4월 16일 (화) 18:03 (KST)
그리고 테스트하신 내용이 이것입니까? 역시 IP 주소가 기록돼 있습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4월 16일 (화) 18:16 (KST)
네 어쨋든 이것은 기록된 내용을 서명을 추가함으로서 노출되는 데에서 비롯된 오해이지만, 새로운 사용자가 늘 하는(저를 포함해서) 실수입니다. 관리자 선거에 추천될만큼의 능숙한 사용자이신 LERK님께서 좀 배려를 하였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맞상대하여 문제를 커지게 하기 보다는 잘 납득시켜서 오해를 잘 풀어내는 쪽이 백:쫓하지 않고 더 바람직할 것입니다. --Alfpooh 2007년 4월 16일 (화) 18:21 (KST)

저는 서명을 해달라고 요청을 했을 뿐입니다. 왜 그게 쫓아내려는 모습으로 보인다고 말씀하시는지 모르겠네요.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4월 16일 (화) 19:09 (KST)

LERK님이 잘못이있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백:쫓에서 말하듯 본의아닌 오해가 있었던것은 사실입니다. 이러한 오해의 사례에 대해서 위키백과토론:토론 문서에는 서명을 해 주세요에서 의견을 게제하였습니다. --Alfpooh 2007년 4월 16일 (화) 19:32 (KST)

위키백과:토론 문서에는 서명을 해 주세요한국어 위키백과의 지침입니다. LERK님은 이 지침대로 행동한 것 뿐입니다. 그리고 IP 사용자의 편집에 서명을 대신 달아주는 것이 옳은가 그른가에 관한 문제는 이곳 보다는, 위키백과토론:토론 문서에는 서명을 해 주세요에서 토론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4월 16일 (화) 19:23 (KST)

[편집] 센카쿠 제도의 이동

민감한 주제에 대해 너무 빠른 결정 아닌가요? -- ChongDae 2007년 4월 23일 (월) 02:58 (KST)

나름대로는 끄는것 보다 어느정도 납득될만한 시간이였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빠르다고 생각하실 분도 있으시리라 이해합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조어도 제도 내용의 POV편향의 기술을 바로잡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물론 앞으로 일본이름,중국이름,서구권이름 중 하나거나 다른 안이 있다면 더 논의가 얼마든지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시간여유에 관한 문제는 좀 애매한데 일주일이건 한달이건 관리자측에서 이러한 사안에 대해 권장하는 다른 기간이 있다면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Alfpooh 2007년 4월 23일 (월) 08:11 (KST)

[편집] 일본 제국의회

일본제국의회의 어디에 편향적 시각이 있다는 것인지 자세히 말씀해 주시겠습니카? --천어 2007년 5월 1일 (화) 12:59 (KST)

단순 번역의 문제 입니다. --Alfpooh 2007년 5월 1일 (화) 13:01 (KST)
그럼 손보셔도 괜찮으셨을텐데, 좋지는 않군요. “제국주의적 혹은 일본 국수주의적 잔재로 느껴질수 있는 어투로 오해의 문제를 불러일으킬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부분을 조정해주시겠습니까? --천어 2007년 5월 1일 (화) 13:03 (KST)
죄송합니다만 현재 오해를 받고 계십니다. 조정이라는 말씀이 삭제나 변경을 요청하시는 것이라면 실례입니다만 이유가 납득이 안가는 군요. 일본 제국의회나 다른 일본어 위키백과의 단순 번역문서들의 문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현재 저의 관심사항입니다. --Alfpooh 2007년 5월 1일 (화) 13:13 (KST)
문맥상 일본 제국의회 항목이 “제국주의적 혹은 일본 국수주의적 잔재로 느껴질수 있는 어투로 오해의 문제를 불러일으킬수 있다고 생각”된다고 해석될 여지가 많으므로, 이를 조정해주시기를 부탁드리는 것입니다. 번역투의 문맥을 지적하시면서 해당 문장이나, 지금의 답변이 이상한 표현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저뿐입니까? --천어 2007년 5월 1일 (화) 13:34 (KST)
질문을 잘못 해석했군요. 죄송합니다. 위에 말씀하신 내용중 "부분을" 이라는 것을 제가 말한 부분으로 여겼습니다. 실례되지만 그런 뜻이셨다면 : 질문을 좀 다르게 말씀하셨으면 이해가 빠랐으리라 생각됩니다. 만약에 질문하신 내용중 마지막 부분인 "부분을 조정~~" 를 "에 관련된 일본 제국의회의 문서 부분을 고쳐주시겠습니까?" 라고 하셨다면 잘 이해했으리라고 봅니다.

답변을 다시 말씀드리면 시간이 나거나 그 문서에 대해 좀더 아는 내용이 생긴다면 앞으로 참여해보도록 하겠습니다.--Alfpooh 2007년 5월 1일 (화) 13:43 (KST)

표현이 조금 이상했나보군요. Alfpooh님이 말씀하신 부분이 맞습니다. “제국주의적 혹은 일본 국수주의적 잔재로 느껴질수 있는 어투로 오해의 문제를 불러일으킬수 있다고 생각”된다고 표현하신 토론:대일본제국의 말씀이, 발언하신 문맥상 예로 드신 일본 제국의회 항목에서 제국주의 또는 국수주의적 잔재로 느껴질 수 있는 어투가 있다는 표현으로 느껴지니 조정해달라는 요청이었습니다. --천어 2007년 5월 1일 (화) 13:54 (KST)

[편집] 왜구

설명 감사합니다. : ) -- Allen 2007년 6월 10일 (월) 17:54 (KST)

[편집] 긴급 재정 경제 명령 제 16호

원문 자료는 위키자료집을 이용해주세요. -- ChongDae 2007년 8월 17일 (금) 09:39 (KST)

죄송합니다만 위키자료집을 지지하지 않습니다. --Alfpooh 2007년 8월 17일 (금) 11:14 (KST)
지지의 문제가 아닙니다. 단어 정의를 위키낱말사전에 올리듯, 원문자료는 위키자료집에 올리고 있습니다. 지금 상태로라면 위 문서는 삭제할 수밖에 없습니다. -- ChongDae 2007년 8월 17일 (금) 22:40 (KST)
개인적으로 위의 자료와 같은 간단하고 내용이 많지 않은 자료가 왜 위키자료집으로 가야하는지 실용적 목적을 모르겠군요. 자료는 모두 함께 있는것이 더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위키자료집에 옮기시고 삭제하는 것은 관리자 권한이니 알아서 하시면 되겠습니다만 아직 저는 위키자료집및 기타 위키백과가 아닌 것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Alfpooh 2007년 8월 18일 (토) 03:02 (KST)
한가지더 http://en.wikipedia.org/wiki/Wikipedia:Deletion_policy와 위키백과:삭제 정책에 상의한점이 있더군요. 영문판에서는 Move라고 되있습니다. 그냥 삭제만 하시면 안되실듯. 귀찮게 해드려서 유감입니다.--Alfpooh 2007년 8월 18일 (토) 03:06 (KST)
위키백과:삭제 정책의 문장은 "원문 자료는 위키자료집이라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라는 '안내문'일 뿐 이동 없이 삭제만 한다는 disclaimer는 아닙니다. --; 어쨌든 s:긴급 재정 경제 명령 제 16호에 해당 내용은 옮겨 놓았습니다. 만약 긴급 재정 경제 명령 제 16호라는 문서 자체에 추가할 만한 백과사전적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그런 게 아니라면 삭제하도록 할게요. --Klutzy 2007년 8월 19일 (일) 22:10 (KST)
금융 실명제에 통합하고 넘겨주기 처리했습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15:30 (KST)

[편집] re: 발음하기 어려운 한국어

“위키인용집은 이런 내용을 넣기 위해 만들어진 장소입니다. 예문은 위키인용집에, 설명은 위키백과에가 각 프로젝트의 취지에 맞습니다.” 삭제토론에 적은 대로 Alfpooh님의 의견에 반대합니다. 원하시면 가장 대표적인 예문은 다시 복사해오셔도 되겠습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14:44 (KST)

[편집] 자매 프로젝트

자매 프로젝트를 애용해주시기 바랍니다. 간단하든 내용이 많지 않든 재미가 있든 간에, 각 내용을 위해 지정된 장소를 애용해주시기 바랍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15:37 (KST)

이는 백:오해의 공식적인 정책에도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15:45 (KST)
sorry my device doesn't support Korean now. I appreciate your kind explanation but I don't support those sister project and against idea of separating unnecessary information. It often make fragmented information and not easy to concentrate on context of the content. --Alfpooh 2007년 8월 26일 (일) 19:41 (KST)
That's just your own personal preference; you still have to abide by policies.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20:12 (KST)
자매 프로젝트에 참여할 의사가 없는 것을 강제하는 정책이란 있을 수 없겠지요. 그리고 위키인용의 문제에 대해 별로 관여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물론 내용의 복사는 문제가 없지만 위키피디아의 내용을 부분 혹은 전체 삭제를 해야한다는 의견이 있으시다면 삭제 토론을 거칠 것을 당부드립니다.--Alfpooh 2007년 8월 26일 (일) 23:03 (KST)
백:오해의 "인용문을 모으는 곳으로는 위키인용집이,"이라는 부분에서 인용문이라는 해석을 자의적으로 하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왜 그부분이 인용문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이유를 설명하시길 바라며 역시 문제가 제기된만큼 자의적으로 판단하여 삭제 혹은 옮기지 마시고 진행중인 토론에 의견을 개진하시길 바랍니다.--Alfpooh 2007년 8월 26일 (일) 23:06 (KST)
아뇨, “위키백과는 잡학사전이 아닙니다. 단순히 정보를 모아 놓는다고 백과사전이 되지는 않습니다. 어떤 정보가 사실이라는 것만으로는 이 정보가 백과사전에 포함할만한 내용이라는 걸 뜻하지는 않습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23:32 (KST)
죄송하지만 그것은 Kjoonlee님의 독자적 판단입니다. 반대의견이 있는 만큼 토론을 존중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Alfpooh 2007년 8월 26일 (일) 23:33 (KST)
이유없는 반대는 반대의견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습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23:37 (KST)
반대하시는 의도나 위키인용집을 이용하시겠다는 의도는 알겠습니다만 혼자 결정하시는 것은 본토론에 참여중인 십여명의 사용자를 존중하는 태도라보는데 오해의 소지가 큽니다. 일단 토론에 참여하시고 그 결론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부탁드립니다. 삭제/이동은 아시다시피 신중하여야 할 것입니다.--Alfpooh 2007년 8월 26일 (일) 23:40 (KST)
모든 목록을 위키백과에 유지해야한다고 말한 사람은 없던 것 같던데요.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23:50 (KST)
아시겠지만 그렇게 상당 부분을 지우시겠다면 그 의견을 일단 토론에 붙이심이 좋겠습니다. 한창 토론이 진행되고 있는 문서에 대한 성급한 행동은 오해를 부릅니다.--Alfpooh 2007년 8월 26일 (일) 23:52 (KST)
정보는 모두 살아있으므로 지워지지 않았습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23:55 (KST)
맥락이 파괴된 정보는 좋은 정보라고 더이상 보기 어렵겠지요. 주장하시는 바는 알겠으니 일단 무리한 편집행동을 자제하시고 본인이 원하시는 바를 이성적 토론을 거쳐 논하는 것이 좋겠다고 건의드립니다. --Alfpooh 2007년 8월 26일 (일) 23:57 (KST)
원글에서 링크가 되있으므로 맥락이 파괴되었다고 보기 힘들다에 한 표 던집니다. 정책위반은 피해주시기 바랍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6일 (일) 23:58 (KST)
정책 위반이라는 판단을 자의적으로 하시면 곤란합니다. 또한 정책이란 잣대를 모든 경우에 들여 쓰는것도 상당히 곤란한 주장이십니다. 그러나 Kjoonlee님의 주장 또한 가치가 있는 만큼 어떤면에서 이것이 편집되지 않고 없어져야하는지 의견을 부탁드립니다.--Alfpooh 2007년 8월 27일 (월) 00:01 (KST)
문서가 없어져야한다는 생각은 철회하였습니다. (삭제토론을 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위키인용집은 위와 같은 내용을 올리기 위해 만들어진 곳이므로 더 적당한 장소입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0:04 (KST)
그렇게 주장하시는 것을 존중합니다. 다만 삭제토론을 보시면 유지의견이 더 많음을 볼때 Kjoon님의 편집이 오해를 살수 있음을 말씀드립니다.--Alfpooh 2007년 8월 27일 (월) 00:06 (KST)
이유없는 의견은 의견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정당한 유지표를 던진 사람들도 “인용문만 가지고는 안된다”라는 의견이 대다수 아니었나요?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0:09 (KST)
네, 그래서 저도 참여하여 내용을 더 발전시키려 하였습니다. 유지의견이 일단 다수인 만큼 발전적 방향으로 참여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Alfpooh 2007년 8월 27일 (월) 00:11 (KST)
발전적 방향은 무조건적인 되살림이 아니라 설명의 구체화일 것입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0:12 (KST)
삭제는 더욱더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보다 충실한 내용에 힘을 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Alfpooh 2007년 8월 27일 (월) 00:13 (KST)
중복 자료의 삭제는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0:15 (KST)

왜 양쪽에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과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0:16 (KST)

우선 이문서의 토론에서 여러분들(다수)가 유지에 찬성을 하시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중복자료라는 주장은 이후 위키인용으로 복사를 하였기 때문에 생긴상황입니다. 이 상황에 그러한 편집은 적절치 못함을 말씀드리며 이러한 편집에 힘쓰시기보다 내용의 발전에 더 힘써주시길 또한 부탁드립니다. Kjoon의 주장 또한 존중하오니 토론을 거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Alfpooh 2007년 8월 27일 (월) 00:19 (KST)
제 주장을 말로만 존중한다고 하시면서 제가 주장한 핵심인 “무의미한 찬성”에 대해서는 신경도 안 쓰시는군요. 또한 중복자료라는 주장은 위키인용집이 더 적절한 장소라는 의견과 맞닿아있으며 이는 백:아님, 백:다섯 등의 공식 정책에서 “모든 자료에는 적당한 장소가 있다”와 맞닿아있습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0:22 (KST)
단호히 말씀드립니다. 정책에 대해 자의적 판단은 인정할 수 없습니다. 토론에 참여하신 분들을 의견을 무시하는 "무의미한 찬성"이라는 말씀은 지나치십니다. lee님이 의견이 아니라 독자적 판단에 의한 편집을 먼저 행동하신 점 또한 대단히 곤란한 적절치 못한 행동입니다.--Alfpooh 2007년 8월 27일 (월) 00:26 (KST)
다시 말하겠습니다. 이유없는 의견은 취향일 뿐 찬성으로 결코 인정할 수 없습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0:27 (KST)
본인의 편집을 고집하는 것은 별로 바람직하지 못함을 감히 충고 드립니다. 감정을 자제 하시고 서두르시기 보다 의견을 충분히 개진하시고 행동에 옮기셔도 늦지 않음을 아실것으로 믿습니다. --Alfpooh 2007년 8월 27일 (월) 00:29 (KST)

중복 목록은 위키백과의 유지와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충고는 사양하겠습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0:32 (KST)

문서의 내용과 위키백과의 정책·지침에 더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모든 편집에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고 자부하며 저는 남들에게도 근거 제시를 권하고 있습니다. (이유없는 의견은 취향에 지나지 않습니다.) 무작정 편집을 하고 있는 쪽은 제가 아니라 Alfpooh님 같습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7:20 (KST)

누누히 말씀드리듯 정책,지침을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주의 깊게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요약'에 다가 하는 것은 토론이라보기 힘듭니다. 토론칸을 이용해주시고, 어떤 정책.지침에 문제가 생겼다고 한다면 그것에 대한 이의 제기를 하고 토론을 거친 다음 편집해주십시요. 그리해도 늦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반달리즘이 아니고 어떠한 이의제기가 있는데 먼저 성급한 판단을 내려 부분,전체삭제,이동등 극단적 편집행동을 하는 것은 대단히 우려되는 행동입니다. 또한 문제를 남에게 전가시키기 보다 토론이라는 장을 적극 활용하여 뜻을 펼치시는 것이 위키백과에 가장 어울리는 행동입니다. Kjoonlee님이 생각하시는 만큼 상대방이 거기에 대해 반론을 가질때 특히 조심스럽게 행동하시는 것이 설서 본인이 100% 옮다고 믿더라도 말입니다.--Alfpooh 2007년 8월 27일 (월) 07:27 (KST)

[편집] 감마 보정 관련하여

토론란에 답변을 달 때, 부주의함 때문에 마지막 질문에만 답변하였었습니다. 사과 드립니다. -- Shotgunlee 2007년 9월 23일 (일) 01:56 (KST)

천만에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추석되시길!--Alfpooh 2007년 9월 23일 (일) 11:1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