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약은 중독성이 있는 약물로, 수면을 유발하고 기분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마약은 환자의 고통을 줄이는 등 의학적인 목적으로도 쓰이지만, 적절치 않은 마약의 사용은 중독과 함께 심하면 사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사회 질서를 어지럽혀 많은 나라에서 이런 사용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목차 |
[편집] 약물의존 현상
- 신체적 의존 : 내성과 금단증상
- 심리적 의존 : 학습 및 불안
[편집] 억제제(진정제)
중추신경을 마비시킨다. 다음과 같은 물질이 있다.
- 술 : 행동을 억제하는 신피질을 억제, 판단력의 저하(탈억제)를 가져오게 된다.
- 바비트레이트산염 : 진정 및 향경련 효과가 있지만, 술과 함께 복용하면 위험하다.
- 벤조다이아제핀 : 신경안정의 효과가 있지만, 술과 함께 복용하면 위험하다.
[편집] 아편제(마취제)
아편, 모르핀, 헤로인, 코데인 등이 있다. 통증 억제용으로 사용되며, 엔돌핀과 유사하다. 실제로 모르핀의 경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부상병들의 통증을 줄여주는데 사용되었다.
[편집] 흥분제
- 카페인 : 커피, 청량음료, 초콜렛에 주로 들어있는데, 사용중단시 두통 및 우울상태가 나타난다.
- 니코틴 : 심박동 수를 증가 시키며, 역시 흥분제의 하나이다. 금단증상이 미묘하고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 임페타민 : 강력한 중추신경 흥분제이며, 내성이 신속하게 증가하게 된다. 장기 사용시 환각과 피해 망상이 나타나게 된다.
- 코카인 : 각성, 심리적 행복감, 자신감 증가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금단시 초조, 우울 증상이 나타난다. 장기 사용시 환각과 피해망상 및 코카인 중독이 나타나게 된다.
- 필로폰 : 암페타민이나 코카인과 유사하다.
[편집] 환각제
지각 과정에 영향을 끼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