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잔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당고개 방면 | (450) 중앙 | (451) 고잔 | (452) 공단 | 오이도 방면 |
고잔 | |
---|---|
![]() |
|
고잔역 외관 | |
역 정보 | |
노선 | 안산선(수도권 전철 4호선) |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453-53 |
개업일 | 1937년 8월 6일 |
역 종별 | 을종대매소(중앙역 관리) |
역 등급 |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왼쪽 문 하차 |
전화번호 | 031-482-7788 |
GPS 좌표 | {{{GPS}}} |
고잔역(古棧驛, Gojan)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이다. 인근에 안산시청, 고대안산병원 등이 있다.
[편집] 출구 정보
[편집] 역사
고잔역은 수인선의 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 부근은 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전형적인 어촌 지역으로, 역에서 바다가 보일 정도였다. 안산선이 생길 때에도 고잔역 부근은 어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서, 1988년 안산선 개통 때 전철역을 만들지 않았다가, 1992년에 전철역이 생겼다.
[편집] 승차량 변동
2003~2004년의 승차량 하락이 그리 크지 않은 역이며, 전반적으로 상당한 수준의 승차량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 북쪽의 각종 공공기관 및 상업지역의 밀도 증대와 남쪽의 대단위 아파트 단지 증가가 이러한 승차량 증가에도 반영되어 있는 것 같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4호선 | 3123 | 4507 | 6309 | 7842 | 7369 | 7921 | 8327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4호선: 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삼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과천선: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공단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분류: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시의 전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