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안부(慰安婦)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일본군의 성적 욕구를 해소하기 위하여, 강제·집단적으로 징용되어 성적인 행위를 강요 받은 여성을 말한다. 위안부의 대부분은 일본인과 조선인이었으며, 중국인과 대만인도 희생되었다. 그밖에 필리핀, 타이,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일본이 점령한 국가 출신의 여성도 일본군에게 희생되었다. 생존한 사람들은 그들이 하루에 30번 이상 강간당했다고 증언하였고, 인도네시아에서 살다가 강제로 위안부가 된 네덜란드 할머니는 달아나도 다시 잡혀왔다고 회상하였다.
위안부라는 단어 자체는 1973년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고, 그 해에 출판된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센다 가고(千田夏光) 지음)라는 소설에 처음 등장했다. 이것에 대해서 일본의 일부에서는 위안부의 일본군에 의한 강제 연행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1992년부터 서울 종로구 일본 대사관 앞에서는 매주 수요시위가 열린다.
목차 |
[편집] 인원
일본군 위안부 총인원은 정확한 자료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쥬오대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의 계산법 에 의하면 약 2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편집] 소송
한국인 등을 중심으로 위안부였던 사람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한일 기본 조약으로 해결 완료 등을 이유로 패소했다.
2002년에 도쿄에서 있었던 여성국제전범법정을 통해, 히로히토 천황과 일본 정부에 유죄를 선언했지만, 피고인 부재의 강제력이 없는 민간 재판이었으므로, 이 선언은 현재의 상황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편집] 용어
일부에서 여자정신대(女子挺身隊)와 위안부를 혼용해서 사용하지만, 여자정신대와 위안부는 다르다. 여자정신대는 일본 정부에 징용되고, 일반의 노동을 강요당한 여자를 일컫는 반면 위안부는 일반의 노동 대신에 성적인 행위를 강요당한 여자를 일컫는다.
한국 관계법령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고 사용하고 있으며 1998년 유엔 인권소위원회 특별 보고관의 보고서에는 일본군 성노예(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일본정부는 공식적으로 종군위안부라는 말을 사용한다.[1]
[편집] 논쟁
위안부 관계 조사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에 위안부 모집에 구 일본군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이에 관여하였으며 강제연행을 인정하고 있으나 일부 일본 우익 중에는 위안부는 강제연행은 없었으며 단순한 매춘부로, 인권침해는 없었다고 주장하며 고노 담화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편집] 미국 하원 본회의의 관련 결의안


- 일본 정부에게 위안부 존재를 인정하고 이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하는 위안부 관련 결의안 H. Res. 759은 2001년 처음 미국 하원에 소개되었고 2006년 현재 미 하원 국제관계 위원회에서 통과된 상태이다. 일본계 하원의원을 포함, 공화당과 민주당 통틀어 50명이 넘는 의원의 지지를 받고 있는 이 결의안은 일본정부의 강한 로비활동에도 끝내는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정식 통과하였다.[2]
- 일본 정부가 결의안 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하원의장과 주일 미국 대사를 지낸 민주당의 거물 토머스 폴리를 로비스트로 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3]
- 현지 시간으로 2007년 6월 26일, 39대 2의 표차로 미 하원 외교위원회에서 결의안이 채택되었다.[4]
[편집] 경과
- 1999년 미국 민주당 레인 에반스(Lane Evans) 의원,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 사실을 주장하여 미 의회 의사록에 기록으로 남기면서 이 문제를 이슈화
- 2001년 - 1차 결의안 제출, 상정되지 못함
- 2005년 - 2차 결의안 제출, 상정되지 못함
- 2006년 9월 12일 - 3차 결의안 제출, 상정되고 심의됨. 회기가 지나 폐기됨.
- 2006년 말 - 에반스(Evans) 의원 파킨슨병으로 정계은퇴
- 2007년 1월 31일 - 미국 민주당 마이클 혼다(Honda) 의원, 4차 결의안 제출
- 2007년 2월 15일 - 하원 외교위원회 아태 환경소위원회에서 위안부 청문회 처음 개최
- 2007년 6월 26일 - 결의안 외교위원회 상정, 찬성 39 대 반대 2로 통과
- 2007년 7월 30일 - 하원 본회의에서 만장일치 투표로 결의문 채택
- 마이클 혼다 의원은 이 날 하원 본회의에서 "이 결의안은 나의 스승이자 동료 의원이었던 에반스 전 의원의 끊임없는 노력 덕분"이라고 말함[7]
[편집] 증거
1945년 4월 당시 중국 쿤밍에서 포로들을 조사했던 미 육군 조사보고서에는 일본 공장의 여직공을 뽑는다는 모집 공고를 보고 속아서 모집됐다는 당시 증언의 내용이 공개됐으며[8], 1937년 12월 21일 중국 상하이 주재 일본 총영사관 소속 경찰관이 보낸 문서에 ‘황군장병 위안부녀 도래에 관한 의뢰의 건’ 이라는 제목의 공문이 공개됐다.[9]
미국 의회조사국(CRS) 보고서에 미군이 미얀마에서 발견한 20여명의 한국인 출신 '위안부'의 증언과 호레이스 언더우드 박사가 미국 정부에 보고한 일본군의 한국인 위안부 강제동원 기록, 네덜란드 정부문서기록보관소에 보관된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자료 등을 증거로 제시했다.[10]
일본군이 조선인 부녀자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위안부를 강제로 징집했음을 뒷받침해주는 판결문 기록이 발견되었다.
일본 요시미 교수가 1980년 위안부 관련 서류를 우연히 발견한 서류에는 중국 북부를 점령한 구 일본군의 참모가 위안소의 설치를 명령하는 내용 이 담겨져 있었다.[11]
1956년에 중국에서 행해진 일본인 전범 재판으로 스즈키 히라쿠 중장의 자필진술서에서 조선인과 중국인 여성을 유괴해 위안부로 만들었다는 진술이 적혀있다.
교토시에서 열린 종군위안부 문제를 주제로 한 ‘전쟁의 진실을 말하는 모임’에서 1942년 싱가포르에서 육군 헌병대 통역관으로 근무했던 나가세 다카시(永瀨隆·89)씨는 “조선 위안부들은 모두 군용선에 실려 왔다”고 증언 당시 상부 명령으로 한반도에서 온 여성들에게 일본어를 가르쳤으며 여성들은 “싱가포르의 일본군 식당에서 일하기로 돼 있었는데, 이곳에 도착하자 (일본군이) 위안부를 할 것을 강요했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고 증언했다.[12]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위안소를 운영했던 일본인(아오치 와시오, 1967년 야스쿠니에 합사) 네덜란드에서 진행된 전범재판소의 재판에서 "아오치는 1943년 6월 2일 군정감부로부터 매춘업소를 개설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의를 제기했지만 재차 지시를 받은 후 이를 수용했다"라고 군이 위안소 설치를 지시했음을 인정했다.[13]
일본 국립국회 도서관 보관되어 있는 극동국제군사재판의 문서 중에 인도네시아 모어섬에서의 일본 육군중위에 대한 심문조서에서는 현지 여성을 강제로 '위안부'로 만든 사실이 진술되어 있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 나눔의 집
- 아래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홍보 만화(또는 동영상) “다시 태어나 꽃으로”이다.
- 다시 태어나 꽃으로 : 한글판/만화
- Born again as a flower : 영어/만화
- もう一度生まれたら 花に : 일본어/동영상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여성가족부
- 일본군 위안부 독도수호지기
- 미국립문서보관소 태평양 전쟁 시기에 미군이 조선인 군위안부를 조사한 자료가 보관되어 있다.
[편집] 주석
- ↑ 위안부란 용어해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 ↑ 미 하원 결의안 관련 기사: Congress backs off wartime Japan rebuke
- ↑ 日정치인, 지지율 떨어지면 한국에 도발? 노컷뉴스 2007-03-07
- ↑ '미 하원, 위안부결의안 ‘39:2’ 압도적 다수로 채택', 한겨레신문, 2007.6.27.
- ↑ '美하원, 35분 만에 위안부결의안 만장일치 통과' 2007.7.31. 매일경제
- ↑ '美하원 위안부 결의안 일지' KBS뉴스, 2007.7.31.
- ↑ 99년부터 3차례 발의… 이슈화, 조선일보 2007-08-01
- ↑ "위안부 동원 강제성 있어" 미 정부 기밀문서 발견(조선일보)
- ↑ "일제, 위안부 강제동원 영사관까지 개입했다" 당시 일본 문, 군대ㆍ경찰 역할분담 입증
- ↑ 美의회보고서, 아베총리 위안부발언 공개반박 연합뉴스 2007-04-09.
- ↑ 요시미 교수 “日 정부는 위안부 진실을 외면”, 2007년 03월 12일 경향신문.
- ↑ 日軍 통역관 “위안부 군용선으로 강제연행”, 2007년 07월 09일 경향신문.
- ↑ "일본군 위안소 설치 지시 판결문 발견"<교도> 연합뉴스 2007-04-11.
[편집] 참고 자료
- H. Res. 759 : 위안부 관련 결의안
- H. RES. 121 (Engrossed-in-House) : 미국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결의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