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09) 가능 | (110) 의정부 | (111) 회룡 | 인천·천안 방면 |
의정부 | |
---|---|
역 정보 | |
노선 | 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 교외선 |
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2동 168 |
개업일 | 1911년 10월 15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2급 |
승강장 | 혼합식 (3면 6선) |
전화번호 | 031-872-7788 |
GPS 좌표 | {{{GPS}}} |
의정부역(議政府驛, Uijeongbu)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있는 역 이다.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는 이 역까지만 운행한다. 이 역은 경기도 의정부시의 이름을 그대로 역명에 사용하고 있다. 의정부 시청, 의정부 예술의 전당과 가깝다. 2004년 3월 31일까지는 교외선이 운행되었고, 2006년 12월 14일까지는 경원선 통근열차의 시종착역이었다.
[편집] 역 정보
[편집] 승차량 변동
2003~2004년의 변동은 역시 발견된다. 이후 소폭의 감소세가 이어지는데, 이는 경원선 동선의 역할이 감소했기 때문이거나 의정부 구시가지의 밀도가 조금씩 낮아지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수원역처럼 경원선 가능~소요산 구간의 개통으로 전동차 승객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나, 의정부발 통근열차가 2006년 12월 이후부터 운행되지 않으므로 승객 감소도 예상된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26025 | 27858 | 27725 | 26707 | 22659 | 21632 | 21362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의정부시의 전철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원선 | 서울교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