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곡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45) 온수 | (146) 역곡 (가톨릭대) |
(147) 소사 | 인천 방면 |
용산 방면 | (141) 구로 | (146) 역곡 (가톨릭대) |
(148) 부천 | 동인천 방면 |
역곡 | |
---|---|
역 정보 | |
노선 |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소재지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역곡동 230 |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
역 종별 | 운전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혼합식 (2면 4선) |
전화번호 | 032-343-3119 |
GPS 좌표 | {{{GPS}}} |
역곡역(驛谷驛, Yeokgok)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있는 역이다. 부역명은 가톨릭대(가톨릭大)로, 인근에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聖心校庭)이 있다.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 : 오른쪽 (급행열차는 왼쪽)
[편집] 승차량 변동
2003~2004년의 감소 폭이 비교적 작은 역 가운데 하나다. 이는 주변 지역의 대단위 아파트단지의 증가 및 주변 저층 고밀도 지역의 밀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2000년의 승차량보다 2004년 이후의 안정된 승차량이 더욱 증가했기에, 이 시기의 주변 밀도 증가가 다른 지역보다 더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25476 | 29937 | 34432 | 35474 | 28515 | 28834 | 29090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부천시의 전철역 | 수도권 전철 1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