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스토리우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네스토리우스(Nestorius) (386년? ~ 451년)는 콘스탄티노플의 대주교이며, 재직기간은 428년 4월 10일 ~ 431년 6월 22일이다. 그는 터키의 안티오키아에서 Theodore of Mopsuestia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그의 설교가 명성을 얻어 테오도시우스 2세 때 시시니우스 1세의 후임으로 428년에 대주교가 되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인설, 성모 마리아의 신모설을 거부하였다. 신인설이란 예수 그리스도가 신이자 인간이며 이를 떼어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지만, 네스토리우스는 이 두가지가 구별된다는 이성설을 주장하였다. 마찬가지로 성모 마리아도 인간으로서의 예수의 어머니일 뿐, 하느님의 어머니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결국 431년 에페수스 공의회에서 그의 교리는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그의 가르침을 따르던 이른바 '이단'인 네스토리우스파 사람들은 박해를 피해서 북아프리카(이집트)와 아랍지역 일부로 도망치게 되었고, 심지어는 이슬람교가 지배하던 지역과 중국, 몽골로까지 넘어가게 되었다. 네스토리우스파를 경교(京敎)라고도 부르는데, 중국에서 네스토리우스파를 서방에서 온 종교라는 뜻에서 경교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몽골에서는 복음을 받드는 자라고 하여 야리기온이라고 했다.
개신교 신학자 김양선 목사는 경주에서 출토된 돌십자가, 마리아관음상 등을 근거로 네스토리우스파가 신라에도 들어왔다고 주장했으나, 아직 확실한 근거는 없다.
이슬람교가 지배하던 지역으로 넘어간 네스토리우스파는 아랍세계에 그리스,로마의 문명을 전해주게 되어, 훗날 르네상스 시기에 유럽에서는 소멸되어 버린 그리스-로마의 문명을 다시 유럽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네스토리우스파는 이란, 인도 남부에 10만여명의 신도들이 갈대아 교회, 아시리아 교회등의 이름으로 남아 있어 성 토마가 세운 남부 인도 교회 등과 더불어 동방 그리스도교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분류: 386년 태어남 | 451년 죽음 | 기독교의 신학자 |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