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2007년 12월 19일에 실시될 예정이다.
목차 |
[편집] 선거 정보
[편집] 투표일
헌법에 따라 대통령선거는 임기만료일로 부터 70일전 이후 첫 번째 수요일에 실시해야 한다. 대통령의 임기개시일은 현행헌법의 부칙에 의하여 헌법의 시행일로부터 개시되도록 정하였고, 현행헌법이 1988년 2월 25일에 시행되었으므로 임기만료일은 취임 후 5년이 경과한 해의 2월 24일이다. 따라서 현행 대통령선거는 5년마다 12월 16일에서 12월 22일 사이의 수요일에 실시하여야 하므로 제17대 대통령선거는 2007년 12월 19일에 실시하게 되었다.
[편집] 선거 일정
- 2007년 2월 28일 인구 기준일.
- 2007년 4월 23일 ~ 예비 후보자 등록.
- 2007년 11월 21일 ~ 11월 25일 선거인명부 작성 및 부재자 신고, 명부 작성.
- 2007년 11월 25일 ~ 11월 26일 후보자 등록 신청.
- 2007년 12월 12일 선거인명부 확정.
- 2007년 12월 13일 ~ 12월 14일 부재자투표소 투표.
[편집] 선거권자
1988년 12월 19일에 생일을 맞은 만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은 선거권이 있다.
[편집] 선거 전의 동향
7월 24일에는 열린우리당·중도통합민주당의 탈당파, 손학규측 일부 세력과 이른바 시민사회세력이 미래창조대통합민주신당(가칭)의 창립을 준비하기로 합의했다. 이른바 ‘제3지대 신당’이지만, 구성원이 당적을 자주 변경하는 등의 모습을 보인데에 대한 비판도 있다.[1] 이명박 후보가 8월 20일 한나라당의 17대 대선후보로 확정되었다.
[편집] 여론조사
날짜 | 이명박 | 박근혜 | 손학규 | 정동영 | 문국현 | 주 | 비고 |
---|---|---|---|---|---|---|---|
5월 16일 | 48.9 | 22.4 | 4.6 | 2.5 | [2] | ||
5월 26일 | 47.3 | 23.4 | 6.6 | 3.1 | [3] | ||
6월 9일 | 41.3 | 24.9 | 6.1 | 1.9 | [4] | ||
6월 21일 | 37.8 | 26.1 | 6.5 | 1.8 | [5] | ||
7월 1일 | 39.4 | 27.6 | 5.3 | 2.4 | [6] | ||
7월 14일 | 40.0 | 25.8 | 7.3 | 3.3 | [7] | ||
7월 21일 | 37.2 | 27.6 | 6.7 | 2.0 | [8] | ||
9월 20일 | 50.6 | 4.8 | 8.5 | 3.3 | [9] | 한나라당 후보선출 |
[편집] 출마 후보 및 예정자
다음은 각 정당별 주요 출마 예정자이며, 표에 기재되어 있는 사람은 예비후보자로 등록한 사람이다.
[편집] 한나라당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한나라당 후보자 선출 선거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 이명박 후보가 한나라당의 공식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되었다.
[편집] 대통합민주신당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대통합민주신당 후보자 선출 선거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편집] 민주당
이름 | 성별 | 생년 | 직업 | 등록일 | 비고 |
---|---|---|---|---|---|
박재완 | 남 | 1950년 | 건설업 | 6월 11일 | |
김영환 | 남 | 1955년 | 정당인 | 6월 18일 | 전 국회의원 |
김영주 | 남 | 1951년 | 종교인 | 6월 18일 | 2002 한일 월드컵 주심 |
김태희 | 남 | 1960년 | 정당인 | 6월 20일 | |
강성현 | 남 | 1965년 | 정당인 | 6월 27일 | |
이인제 | 남 | 1948년 | 국회의원 | 7월 5일 | 제15대 대선 후보 |
강용섬 | 남 | 1965년 | 정당인 | 7월 10일 | |
신국환 | 남 | 1939년 | 국회의원 | 7월 30일 | |
조순형 | 남 | 1935년 | 국회의원 | 8월 10일 |
[편집] 민주노동당
이름 | 성별 | 생년 | 직업 | 등록일 | 비고 |
---|---|---|---|---|---|
심상정 | 여 | 1959년 | 국회의원 | 4월 23일 | |
노회찬 | 남 | 1956년 | 국회의원 | 4월 23일 | |
권영길 | 남 | 1941년 | 국회의원 | 5월 10일 | 제15대·제16대 대선 후보 |
권영길 후보가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로 확정되었다.
[편집] 기타 정당 및 무소속
이름 | 성별 | 생년 | 직업 | 등록일 | 비고 |
---|---|---|---|---|---|
최수환 | 남 | 1938년 | 정당인 | 7월 23일 | 기독민주복지당 |
최용기 | 남 | 1950년 | 교수 | 4월 23일 | 시민당 |
지만원 | 남 | 1941년 | 정당인 | 6월 29일 | 시스템미래당 |
김호일 | 남 | 1942년 | 정당인 | 6월 12일 | 신미래당 |
안광양 | 남 | 1944년 | 정당인 | 4월 23일 | 통일한국당 |
금민 | 남 | 1962년 | 정당인 | 8월 7일 | 한국사회당 |
서상록 | 남 | 1937년 | 정당인 | 4월 23일 | |
장기표 | 남 | 1945년 | 정치인 | 8월 9일 | |
문국현 | 남 | 1949년 | 기업인 | 8월 23일 |
[편집] 불출마 선언
- 고건은 이른바 중도·개혁 세력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2007년 1월 16일 불출마를 선언했다.[10]
- 정운찬은 2007년 4월 30일 불출마를 선언했다.[11]
- 김근태는 2007년 6월 12일 불출마를 선언했다.[11]
- 유시민은 2007년 9월 6일 불출마를 선언했고 이해찬 후보에 합류하였다.
[편집] 선거 결과
- 투표자수
- 투표율
- 후보자 별 득표
[편집] 주석
- ↑ <`제3지대 신당' 누가 참여하나>(종합), 연합뉴스, 2007년 7월 24일.
- ↑ 李, 소폭 상승(48.9%)- 朴, 변화 없어(22.4%), 문화일보-한국사회여론연구소, 5월 17일.
- ↑ 이 47%, 박 23%… 대선구도 8개월째 변화없어, 조선일보-한국리서치, 5월 28일.
- ↑ 이·박 충청서 박빙… 영·호남선 이(李)가 10~12%P 앞서, 조선일보-한국갤럽, 6월 11일.
- ↑ 李·朴 지지율差 11%P로 줄어, 문화일보-한국사회여론연구소, 2007년 6월 17일.
- ↑ 이·박, 충청·영남서 접전… 수도권선 이 44·박 25%, 조선일보-한국갤럽, 2007년 7월 2일.
- ↑ 이·박 격차, 남성에선 22%P… 여성에선 6.7%P, 조선일보-한국리서치, 2007년 7월 16일.
- ↑ 이명박 37.2% 박근혜 27.6%, 조선일보-한국갤럽, 2007년 7월 23일.
- ↑ [1], 중앙일보-미디어다음·리서치앤리서치, 2007년 9월 20일.
- ↑ 고일환 기자. "고건 "대통령 선거 불출마"", 연합뉴스, 네이버 - 연합뉴스, 2007-1-16. 2007년 6월 16일에 읽어봄.
- ↑ 11.0 11.1 정용관 기자. "김근태 “대선불출마… 탈당”, 이해찬 19일 공식 출마선언", 동아일보, 동아닷컴, 2007-6-13. 2007년 6월 16일에 읽어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 ![]() |
---|---|
제1공화국 : 1948년 (제1대) | 1952년 (제2대) | 1956년 (제3대) | 1960년 (제4대*) | |
제2공화국 : 1960년 (제4대) | |
제3공화국 : 1963년 (제5대) | 1967년 (제6대) | 1971년 (제7대) | |
제4공화국 : 1972년 (제8대) | 1978년 (제9대) | 1979년 (제10대) | 1980년 (제11대) | |
제5공화국 : 1981년 (제12대) | |
제6공화국 : 1987년 (제13대) | 1992년 (제14대) | 1997년 (제15대) | 2002년 (제16대) | 2007년 (제17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