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안내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단축:
백:안내
길라잡이


안내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안내소는 위키백과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 분들을 위해
위키백과에 관한 각종 질문을 나누는 곳입니다.

이 페이지는 위키백과의 사용 방법과 편집 방법을 질문하기 위한 페이지 입니다. 일반적인 건의 사항과 토론은 사랑방에 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새로운 질문을 하려면 아래에 있는 새 질문 쓰기를 클릭해 주세요.
  2. 질문을 다 적은 뒤에는 커서를 문장 끝에 놔 둔 뒤, 편집 상자 위의 그림:Signature icon.png을 누르거나 ~~~~로 서명을 해 주세요.
  3. 저장하시기 전에 미리보기를 눌러서 확인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4. 스패머의 수집 방지를 위해 전자 우편과 같은 개인적인 정보를 남기지 마세요.

새 질문 쓰기

처음 오신 분은 길라잡이를 읽어보시고, 연습장에서 편집 연습을 해 보세요.

보존 문서 :/2006년, /20070818

목차

[편집] 그림의 수평 정렬은 어떻게 정하나요?

그냥 그림을 추가하면 오른쪽 정렬되어 나오는데, 왼쪽 정렬로 바꿀 수도 있나요? -- lemonedo 2007년 8월 20일 (월) 21:29 (KST)

보통은 그림 넣을 때 [[그림:그림이름.jpg|thumb|정렬위치|크기|설명]] 식으로 넣고, 정렬 위치는 right, left, center로 지정하고 크기는 px로 지정하지요. --Sjhan81 2007년 8월 20일 (월) 21:32 (KST)
그리고, <br clear="all"/> 태그를 문단 아래에 넣으면 태그 이후의 글이 그림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고, 그림 아래부터 나오도록 할 수 있습니다.--Sjhan81 2007년 8월 20일 (월) 21:38 (KST)


예를 들자면,
[[그림:Flag of South Korea.svg|thumb|left(정렬 위치)|200px(가로 크기)|대한민국 국기]]

이외에도 'thumb' 대신 'frame'이 있습니다. 'frame'를 넣으면 크기 지정이 먹히지 않고 원본 크기 그대로 나와요 :).-- iTurtle 2007년 8월 20일 (월) 21:33 (KST)

고맙습니다~ -- lemonedo 2007년 8월 20일 (월) 21:37 (KST)

[편집] 새로운 글을 쓰고 다른 언어판에 연결할 때

여태까지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다른 언어판 문서에 [[ko:문서 이름]]을 추가했는데, 너무 많아서 엄두가 나지 않을 경우 영문판에만 추가합니다. 나중에 봇이 알아서 해주나요? -- lemonedo 2007년 8월 20일 (월) 22:43 (KST)

네. 하지면 동음이의어가 있거나, 뜻이 미묘한 경우라면 봇이 처리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주일 쯤 후에 다시 확인해보세요. -- ChongDae 2007년 8월 30일 (목) 18:27 (KST)

[편집] 제안 문서는 어떻게 만드나요?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Feature Article과 비슷한 개념을 한국어 위키백과 대문에 도입할 것을 제안하는 문서를 만드려고 합니다만, 어떻게 만들지를 몰라서 질문합니다. BongGon 2007년 8월 20일 (월) 23:42 (KST)

위키백과:한국어판 Featured Article에 비슷한 취지의 문서가 개설되었습니다. 제안문서를 만들 때는 위키백과:ㅇㅇㅇㅇ 를 만드시고 제안 틀을 다시면 됩니다. --Hun99 2007년 8월 20일 (월) 23:45 (KST)

[편집] 표는 어떻게 만드나요?

표를 만들고 싶은데요

위키백과:표에 간단한 설명이 있습니다. 맘에 드는 표가 있는 문서를 참고하는 것도 방법이고요. -- ChongDae 2007년 8월 30일 (목) 18:26 (KST)

[편집] 목차는 어떻게 넣는 것인가요?

문서를 보면 어떤 문서들은

목차가 들어가 있습니다. 숨기기도 가능하구요...

그런데 이 목차를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항목을 여러개 만들면, 자동적으로 생겨납니다. --큰스님 2007년 8월 31일 (금) 20:26 (KST)
서명을 안 넣어서 다시 들어 왔더니 벌써 답을 달아 주셨네요....그런데 혹시 저도 그럴 것 같아서 연습장(모래상자)에서 해 보았는데 안되는 것 같더라구요....다시 해봐야 겠네요. 감사합니다.Negative and Positive 2007년 8월 31일 (금) 20:29 (KST)
사실 어려운 문제입니다. 원칙적으로는 여러 개의 항목이 생기면, 목차가 자동으로 생성되어야합니다. 하지만 연습장에는 __NOTOC__라는 명령어가 {{연습장 안내문}} 안에 숨겨져 있기 때문에 목차가 만들어 지지 않습니다. 강제로 목차를 만들고 싶으면, __TOC__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1일 (토) 14:32 (KST)

__TOC__이나 __NOTOC__이 입력돼 있지 않은 문서에서는 섹션이 4개 이상이면 자동으로 목차가 생깁니다(그 위치는 첫 섹션 위입니다). 4개가 안 되면 목차가 안 생기고요. __TOC__과 __NOTOC__은 그 규칙을 무시하고 1. 무조건 목차를 생성하거나(__TOC__) 2. 무조건 생성하지 않게(__NOTOC__)하는 겁니다. __TOC__은 목차가 있었으면 하는 위치에 입력하십시오. 예컨대 첫문단 밑에 __TOC__을 쓰면, 본문에서는 첫문단 아래에 목차가 생성될 것입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9월 5일 (수) 12:10 (KST)

참고로 TOC은 table of contents의 약어입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9월 5일 (수) 12:11 (KST)

[편집] 틀 설명에서 '매개변수'의 의미는?

아래는 틀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여기에서 매개변수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틀을 만들거나 고칠 때에는 틀의 이름 앞에 틀:을 붙인 문서를 만들면 됩니다. 예를 들어, {{토막글}} 틀을 편집하고 싶을 때는 틀:토막글을 편집하면 됩니다. [편집] 매개변수 틀 내부에서 매개변수를 이용하려면 {{{1}}}와 같이, 각 매개변수의 순서 값을 중괄호 세 개로 감싸줍니다. 만약 틀을 사용할 때 {{사용하려는 틀|123|456}} 와 같이 사용하였다면, {{{1}}}에는 123, {{{2}}}에는 456의 값이 들어가게 됩니다. 매개변수에 이름을 붙인 경우에는 {{{매개변수 이름}}}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하려는 틀|값1=123|값2=456}} {{{값1}}}=123, {{{값2}}}=456

그리고 어떤 문서를 링크할 때, 링크된 문서안의 특정 세부제목으로 바로 가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예를 들어 '위키백과:틀' 문서에서 중간제목인 '매개변수'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를 걸수는 없을까요? Negative and Positive 2007년 8월 31일 (금) 20:43 (KST)

특정 세부제목으로 바로 가게 할려면 [[대한민국#기원]] (대한민국#기원)과 같이 #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틀을 쓸 때, {{토막글|메롱}} 과 같이 | 를 구분기호로 하여 틀에 일정한 값을 전해줄 수 있습니다. 이걸 매개변수라 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거기 있네요. -- 피첼 (다과방 + · 일대기) 2007년 9월 1일 (토) 20:07 (KST)

[편집] 최근 바뀜에서 '★★★의 버전으로 되돌림'은 어떻게 표시하나요?

궁금했던 것인데 좀 알려주세요. BongGon 2007년 9월 2일 (일) 02:11 (KST)

위키백과:안내소; 역사 기능을 보면 (편집 취소)라는 링크가 있습니다. 눌러보세요. -- 피첼 (다과방 + · 일대기) 2007년 9월 2일 (일) 02:15 (KST)

[편집] 환영글은 어떻게 지우나요?

환영위원회에서 작성해주신 글은 잘 보았습니다. 그런데 환영글은 어떻게 해야 지우나요? 모두 읽고 나면 지우라고 하는데요.

--채혁기 2007년 9월 5일 (수) 09:56 (KST)

편집창에서 지우시고자하는 내용을 선택하고(마우스 등으로) 키보드의 Delete키를 누르고 나서, 편집창의 저장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 리듬 2007년 9월 5일 (수) 10:08 (KST)
편집 화면에 보시면 {{환영}} 또는 {{환영합니다}}가 있을겁니다. 그걸 지우면 됩니다. Yeom0609 2007년 9월 5일 (수) 10:13 (KST)

[편집] 언어유희

안녕하세요, 다음과 같은 언어유희를 뭐라고 부르는지 아시나요?

  • 아반녀벙하바세베요보, 이비와바 가밭으븐 어번어버유부희비를 뭐버라바고보 부부르브느븐지비 아바시비나바요보?

반모음 탈락 규칙은 제가 만든(?) 규칙일지도 모릅니다. 제 친구 몇몇은 어머니를 통해 배운 듯 한데요, 전국적으로 발견되는 놀이인지도 궁금합니다. 저희 어머니는 경기도 출신이십니다. --Kjoonlee 2007년 9월 17일 (월) 07:19 (KST)

이름이 따로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영어에서는 비슷한 걸 Pig Latin이라고 한다고 들었습니다. (별반 도움이 안되는 내용이라 죄송.) Atreyu 2007년 9월 20일 (목) 15:19 (KST)
Pig Latin보다는 Ubbi Dubbi에 가깝겠네요. 그리고 제가 아는 한에서는 경상도에서는 이와 같은 말놀이가 있다는 얘길 들어본 적이 없네요.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9월 20일 (목) 15:38 (KST)

영어 위키백과 사용자가 IRC에서 링크를 던져줬습니다. en:Language game에 보시면 귀신말이 등록되어있고 실제로 이에 대한 내용을 웹에서 쉽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도깨비말이라고도 부르며 비읍 소리 대신 시옷 소리를 쓰는 변종도 있습니다. --Kjoonlee 2007년 9월 21일 (금) 03:11 (KST)

[편집] 큰 글씨는 어떻게 만듭니까.

단순히 텍스트 자체만 크게 하려면.. --큰스님 2007년 9월 19일 (수) 16:09 (KST)

{{크기|120%|이렇게 하면 글자가 커집니다.}} → 이렇게 하면 글자가 커집니다. --정안영민 2007년 9월 20일 (목) 14:23 (KST)

[편집] 제 문서 좀 번역 도와주세요

[[1]] 그리고 이 빨간 거 뭐죠 도와주세요 --이형주] 2007년 9월 20일 (목) 10:02 (KST)

옆에 영한사전 해놓고 보면 번역하는데 큰 지장은 없습니다. 그리고 저 빨간건 문서가 없다는 뜻입니다. 저 문서는 사용자문서로 묶어두고, 두고두고 번역을 하시는것이 좋겠네요... --책읽는달팽 2007년 9월 20일 (목) 23:26 (KST)

[편집] 영어위키에서 한국대학 치니까 영어로 설명이 나오네요.

영문위키가서 한국대학을 쳐보니까 한국대학이 쫙 나오네요. 그런데 A부터 D까지는 거의 파란색으로 링크가 걸려있었습니다. 그 밑에는 아직 못한부분도 많던데요. 그러면 지금 A부터 순서대로 편집하고 있는겁니까? 그럼 언제쯤 다 채워질까요? 이것에 대해 누구 아는사람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Shim 2007년 9월 21일 (금) 20:08 (KST)

영어판 사정은 영어판에 맡겨야 합니다. 따로 나뉘어져 있어서 거기서 작업해도 여기 한국어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제가 보기엔 유명한 대학이 아니면, 다른 대학에 대한 자료가 너무 적어서, 해당 대학의 학생이 아니면 문서를 생성하고 내용을 채우는건 무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혹시 Shim님도 다니시는 대학이 있으시면, 해당 대학에 대해 조금이라도 써주셨으면 합니다. --크렌베리 2007년 9월 21일 (금) 23:06 (KST)

[편집] pywikipedia replace.py -ref

-ref 옵션 정상적으로 사용되시는 분 있나요?

정식버전과 스냅샷 모두 파싱 에러 메세지가 뜨네요 --퇴프 2007년 9월 21일 (금) 17:36 (KST)

사용한 커맨드 라인 좀 보여주세요 ^^;; --풀빵 2007년 9월 21일 (금) 19:02 (KST)
replace.py -ref:"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틀린게 있는건가요 --퇴프 2007년 9월 21일 (금) 19:26 (KST)
Revision: 4339 (2007-09-21)에서는 위와 같은 명령줄 넣고 정상 동작 확인했어요.... --풀빵 2007년 9월 21일 (금) 19:37 (KST)

[편집] 주석?

주석은 무었인가요? --다음 2007년 9월 23일 (일) 13:49 (KST)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