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살(自殺)은 스스로의 목숨을 끊는 행위이다.

자살에 대한 관점은 문화, 종교, 법, 사회제도에 따라 다양하다. 이는 대부분의 종교에서 죄나 부도덕한 행위로 여겨지며, 일부 법에서는 범죄로 보고 있다. 때로는 어떤 문화에서는 수치에서 벗어나야 하거나 희망이 없는 상태에서 명예로운 행위로 보는 경우도 있다. 자살하는 사람은 대개 유서를 남긴다.

목차

[편집] 응급 처치

[편집] 자살 예방

[편집] 자살 가능성이 높은 집단

  • 교주를 신격화하는 광신적인 사이비 종교집단[1]
  • 성격이 내성적이어서 스트레스취미 활동 등의 건강한 방법으로 배출하지 못하는 사람
  • 우울증 병력이 있거나 우울증 환자인 사람
  • 자신의 자녀에게 가난을 대물림할지도 모른다는 부담을 갖고 있는 빈곤층
  • 학교나 인근 지역에서의 괴롭힘이나 공갈/협박으로 인하여 쌓이는 스트레스(인간관계의 비활성)

[편집] 치료

[편집] 자살 동기

[편집] 명예 자살

수치를 면하기 위한 자살선택이다. 고대 로마와의 전쟁에서의 패배로 로마군에게 쫓기던 한니발 장군의 자살이나 네로황제가 스승인 세네카에게 자살을 명한 사건을 명예를 지키기 위한 자살의 사례로 볼 수 있다. 소설 《쿠오바디스》에도 저명한 예술가이자 네로황제의 측근인 페트로니우스가 자신이 모시던 황제에게 숙청당하기전에 미리 자살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편집] 진화론적 설명

[편집] 자살 방법

[편집] 자살시도와 의사자살

[편집] 역사상의 자살

자살한 유명인으로는 부디가, 커트 코베인, 버지니아 울프, 아돌프 히틀러, 마크 트웨인, 어네스트 헤밍웨이, 앨런 튜링, 루트비히 볼츠만, 빈센트 반 고흐가 있다.

[편집] 군대

[편집] 사회 저항

유대독립전쟁당시 마사다에서 항전하던 혁명당원들이 전원 자결한 바 있다.

[편집] 철학자들

[편집] 자살의 법률적 개념

[편집] 자살에 대한 종교적 견해

[편집] 불교

[편집] 기독교

  • 기독교에서는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자살을 죄라고 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좋게 보지는 않는다.

[편집] 힌두교

[편집] 이슬람교

[편집] 유대교

[편집] 자살에 대한 문화론적 견해

[편집] 주석

  1. 실제로 1978년 인민사원의 신도들과 교주인 존슨 목사가 기이아나에서 집단 자살한 사건이 있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