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한국의 소설가 정인택(鄭人澤)에 관한 것입니다.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 정인택(鄭麟澤)에 대해서는 정인택 (관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정인택(鄭人澤, 1909년 9월 12일 ~ 1952년 8월 4일[1])은 한국의 소설가이다.

의친왕 망명을 꾀한 대동단 사건에 연루되었던 언론인 정운복의 아들이다[2]. 서울에서 태어났다.

일제 강점기에 《매일신보》, 《문장》 기자를 지내면서, 사소설, 심리소설 위주로 약 40여 편의 작품을 발표했다. 문단 데뷔작은 1936년 발표한 〈촉루〉이다. 작가의 자의식이 반영된 지식인 청년이 주인공인 〈촉루〉는 〈미로〉(1939)와 〈여수〉(1941) 연작으로 이어져 정인택의 대표작이 되었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 조선문인보국회에 참가하는 등 친일 행적이 있다. 이 무렵 만주 이주를 배경으로 쓴 〈검은 흙과 흰 얼굴〉(1942) 은 전형적인 친일 작품으로 꼽힌다[3]. 2002년 공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2005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1차 명단에 포함되었다. 친일 작품은 소설 6편과 창작집 1권을 포함해 총 13편이 밝혀져 있다[4].

절친한 친구였던 이상의 연인으로 알려진 권영희와 결혼했고, 한국 전쟁 중 가족과 함께 월북하였다[5]. 정인택은 일제 강점기부터 이념성과는 거리가 먼 작품을 썼고 광복 후에는 보도연맹 가입[6] 기록이 있을 뿐 문단 활동도 거의 하지 않았기 때문에, 북조선으로 가게 된 정확한 경위는 확인되지 않았다.

월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정인택은 병사하였다. 권영희는 몇년 후 정인택의 또다른 친구인 월북 작가 박태원과 재혼했으며, 박태원 슬하에서 자란 정인택의 차녀 정태은이 북조선의 유명 작가가 되었다[7]. 정인택의 월북 이후 행적 및 사망년도는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2006년 이산가족 상봉으로 북조선에 거주하는 누나를 만난 박태원의 차남 박재영이 자신의 블로그[8]를 통해 전해 들은 소식을 밝히면서 공개되었다.

[편집] 참고자료

  • 권영민 (2004-02-25).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859쪽. ISBN 8952104617.

[편집] 주석

  1. 행복한 꿈과 삶을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 블로그, 나의 아버지 구보 박태원 (43) 친구 이상과 정인택 (2007.8.15)
  2. 정범준 (2006-05-25). 《제국의 후예들》. 서울: 황소자리, 428쪽. ISBN 8991508189.
  3. 윤성효, "개척소설은 친일소설과 달라" 제기 - 소설가 김동민씨 〈한국 문학사의 탐색〉에서 지적 《오마이뉴스》 (2003.8.3)
  4. 김재용, 친일문학 작품목록 《실천문학》 (2002년 가을호)
  5. 《한겨레신문》 (2006.5.15) 월북작가 박태원 가족사랑 지극 - 북 행적 보여주는 가족사진·친필 편지 공개
  6. 광복 후에는~: 김기진 (2002-05-15).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 서울: 역사비평사, 80쪽. ISBN 8976962583.
  7. 퍼슨웹, 아버지의 흔적을 찾아 헤매는 반백(半白)의 아들 - 소설가 구보씨의 아들 박재영씨 인터뷰, 2006년
  8. 행복한 꿈과 삶을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 (다음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