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국 표준시로 2006년 10월 9일 10시 35분 지하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주장했다.
목차 |
[편집] 배경
- 이 부분의 본문은 북핵 문제입니다.
- 1985년 북조선 핵무기 확산방지 조약(NPT)에 가입
- 1992년 북조선은 국제 원자력 기구 (IAEA)와 원자력 설비시설의 감찰에 관한 특별조약 체결
- 1993년 국제 원자력 기구측의 영변 원자력 발전소 감찰 요구 북조선측으로부터 거부
- 1994년 북조선과 미국간에 핵무기 개발에 관한 특별계약
- 1995년 국제 원자력 기구측에서 북조선과 협정 재시도
- 1997년 국제 원자력 기구는 북조선의 협조부실에 비판
- 2000년 미국의 핵무기 전문가 북조선의 지하 원자력 시설 감찰 결과 핵무기 생산에 필요한 시설이 없음 보고
- 2002년 북조선은 핵무기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을 공개적으로 인정. 이에 따라 미국은 북조선에 석유원조 중지시킴
- 2003년 북조선은 핵무기 확산방지 조약에서 일방적 탈퇴.
- 2004년 중국의 중재로 6개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미국, 러시아, 일본) 핵무기 분쟁 회담.
- 2006년 10월 9일 조선중앙통신사 보도를 통해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날 오전 10시35분께 함경북도 화대리 지역에서 진도 3.58에서 3.7 규모의 지진파를 감지했다고 밝혔다.
[편집] 조선중앙통신사의 공식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0월 9일, 핵실험을 한 지 한 시간만에 조선중앙통신사를 통해 다음과 같이 핵실험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1]
온 나라 전체 인민이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에서 일대 비약을 창조해 나가는 벅찬 시기에 우리 과학 연구 부문에서는 주체 95년 10월 9일 지하 핵시험을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 과학적 타산과 면밀한 계산에 의하여 진행된 이번 핵시험은 방사능 유출과 같은 위험이 전혀 없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핵시험은 100 % 우리 지혜와 기술에 의거하여 진행된 것으로서 강위력한 자위적 국방력을 갈망해 온 우리 군대와 인민에게 커다란 고무와 기쁨을 안겨준 역사적 사변이다. 핵시험은 조선반도와 주변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는 데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편집] 폭발 규모와 진위 여부
[편집] 실험 장소
한국 정부의 첫 발표에 따르면 함경북도 길주군 화대리의 무사단리의 산에서 폭발 실험이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후 한국의 국가정보원은 이를 수정하여 무사단리 50km 서쪽 김책시의 탄광지역 15km 떨어진 상평리를 지목하였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폭발 위치가 북위 40.81°, 동경 129.10°, 리히터 규모는 3.58로 추정하였다. 이에 반해 미국 지질조사국 USGS에서는 북위 41.294°, 동경 129.094°(수평 오차 ±7.3 km), 4.2 규모로 추정하였다. [2] 참고로 미국의 관측 자료는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 등의 각국에 위치한 관측소에서 얻은 자료로 분석한 것이다. 일본 기상청은 위치는 북위 41.2°, 동경 129.2°, 규모는 4.9로 추정하였다.[3] 러시아의 CEME에서는 북위 41.31°, 동경 128.96°, 규모 4.0으로 추정하였다.[4] 한국의 국회의원 김희정이 밝힌 한국 기상청의 지진 분석자료에 따르면 기상청은 일본과 미국의 분석과 대체로 비슷한 진앙지 북위 41.19°, 동경 129.15°, 규모 3.56으로 추정하였다고 한다. [5]
각국의 여러 관측 자료를 종합해 보면 한국의 분석 자료의 실험 장소 추정 위치가 나머지 관측 분석 결과에 비해 남쪽 방향으로 50km 정도 치우쳐 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이것은 통상적인 지진 진앙 오차 범위 5~10km를 크게 벗어나는 것이다.
여러 지진 관측 자료와 위성 사진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영국의 BBC와 미국 워싱턴의 핵 감시기구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에서는 길주군 평계리 직동의 만탑산 부근(북위 41.278°, 동경 129.0868°)을 가장 유력한 핵실험 장소로 지목하고 있다.[6][7] ISIS의 보고서에서는 추가로 북위 41.226°, 동경 129.106° 부근을 귀빈용 숙소 및 관측 장소로 폭발 전부터 계속 지목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만탑산은 몇 년 전부터 한국 정부와 주변국들이 유력한 핵실험 후보지로 예상하고 주시 해오던 곳이기도 하다. 특히 폭발 실험 직전 만탑산 주변에 인력, 차량, 장비의 이동이 포착이 되어서 더욱더 주목 받은 곳이었다. 한나라당 정형근 의원은 9월 20일, 국가정보원의 사전 정보를 인용하면서 “북한은 핵실험 준비를 위해 만탑산의 1500m 고지에서 수직으로 700m를 팠고, 인근의 다른 지점에서 각각 동서 방향으로 수평 갱도 두 개를 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8]
10월 13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국내외 추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 지진의 진앙 추정치를 북위 41.267°, 동경 129.179°로 수정 발표하였다. 이것은 미국과 일본의 추정치와도 비슷하고 한국 기상청의 분석과도 가까운 위치이다. [9]
[편집] 세계 각국의 반응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주석과 참고자료
- ↑ 조선중앙통신사 보도문 전문 - 서울 신문
- ↑ 미국 USGS 북핵 실험 관측 분석 자료
- ↑ 일본 기상청 북핵 실험 관측 분석 자료
- ↑ 러시아 CEME 북핵 실험 관측 분석 자료
- ↑ 〈북한 핵실험 장소, 누구 이야기가 맞을까?〉 국회의원 김희정의 보도자료
- ↑ BBC 북핵 실험 보도
- ↑ ISIS의 북핵 실험 장소 분석 보고서
- ↑ 〈북, 함북 만탑산서 핵실험 준비 지하 700m 갱도 팠다〉 - 중앙일보
- ↑ 〈지질硏, 북 핵실험 추정 장소 수정〉 - 머니투데이
[편집] 바깥 고리
분류: 2006년 | 남북 관계 | 분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