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중앙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중앙선(首都圈 電鐵 中央線)은 코레일이 운영하는 광역 전철 중 하나이다. 관계 기관에서는 (수도권 전철) 용산-덕소선이라고 부르며, 정식 명칭은 용산-회기간이 경원선, 회기-덕소간이 중앙선이다. 위키백과에서는 당분간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통일하기로 한다.
중앙선의 고유 색상은 ●옥색이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29.9km
- 운영 기관: 코레일(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좌측 통행
- 역 수: 27
- 복선 구간: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전 구간(교류 25000V)
- 보안 장치: ATS
[편집] 역 목록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
K110 | 용산 | Yongsan | 龍山 |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 | 0.0 | 서울특별시 | 용산구 |
K111 | 이촌 | Ichon | 二村 | ●수도권 전철 4호선 | 1.9 | 1.9 | ||
K112 | 서빙고 | Seobinggo | 西氷庫 | 1.7 | 3.6 | |||
K113 | 한남 | Hannam | 漢南 | 1.9 | 5.5 | |||
K114 | 옥수 | Oksu | 玉水 | ●수도권 전철 3호선 | 1.6 | 7.1 | 성동구 | |
K115 | 응봉 | Eungbong | 鷹峰 | 1.8 | 8.9 | |||
K116 | 왕십리 | Wangsimni | 往十里 | ●수도권 전철 2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분당선(미개통) |
1.4 | 10.3 | ||
K117 | 청량리 | Cheongnyangni | 淸凉里 | 중앙선 경춘선 |
2.4 | 12.7 | 동대문구 | |
K118 | 회기 | Hoegi | 回基 | ●수도권 전철 1호선 | 1.4 | 14.1 | ||
K119 | 중랑 | Jungnang | 中浪 | 1.8 | 15.9 | 중랑구 | ||
K121 | 망우 | Mangu | 忘憂 | 1.4 | 17.3 | |||
K122 | 양원 | Yangwon | 養源 | 1.7 | 19.0 | |||
K123 | 구리 | Guri | 九里 | 3.2 | 22.2 | 경기도 | 구리시 | |
K124 | 도농 | Donong | 陶農 | 1.7 | 23.9 | 남양주시 | ||
K125 | 양정 | Yangjeong | 養正 | 3.7 | 27.6 | |||
K126 | 덕소 | Deokso | 德沼 | 중앙선 | 2.3 | 29.9 |
[편집] 차량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차량을 공유하고 있다. 2006년 말 제작된 6000호대의 차량은 교류전용으로써 1호선 직류구간에는 운행되지 않고, 중앙선에서만 운행되고 있다.
[편집] 역사
- 1978년 12월 9일 -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일부로 용산-청량리간 4개역 (현재의 용산-청량리 구간) 개통.
- 1980년 4월 1일 - 서빙고역, 회기역, 한남역 개통.
- 1985년 10월 18일 - 옥수역 개통.
- 2005년 12월 16일 -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운행 계통이 됨. 회기-덕소간 7개역 개통.
[편집] 미래
건설교통부의 광역전철 사업에 의하여 용문역까지 중앙선 광역전철화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편집] 승차량 변동
경원선 구간은 철도공사 노선 전체에서 볼 수 있는 2003~2004년의 감소 이후 승차량이 안정세를 띄고 있는 것 같다. 중앙선의 경우 주변 도시의 인구밀도 상승, 연장 개통 등으로 앞으로도 승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가시성을 높히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구간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경원선 구간 | 43524 | 6218 | 45268 | 6467 | 46221 | 6603 | 50850 | 7264 |
구간 | 승차 인원[2] | |||||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호선 전체 | 27884 | 3983 | 27927 | 1995 | 53205 | 3800 |
경원선 구간 | 27884 | 3983 | 27130 | 3876 | 27454 | 3922 |
중앙본선 구간 | 미개통 | 미개통 | 18185[3] | 2598 | 25751 | 3679 |
[편집] 주석 및 참고 자료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 ↑ 16일 평균값이다. 노선 전체에는 365일 값으로 전체 값을 나눠 반영하였다.
[편집] 같이 보기
노선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수인선 | 경춘선 | |||
차량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2030호대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