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법(民法)은 사인과 사법인 등 사적 법률주체 사이의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사법(私法)의 일반법이다. 독일 등 대륙법계 국가의 경우에는 성문법으로 되어 있으나, 영국이나 미국 등 영미법계의 경우는 불문법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구성은 판덱텐(Pandekten) 방식이나 인스티투치오네스(Institutiones) 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판덱텐 체계에서는 대체로 물권법, 채권법, 친족법, 상속법 등과 이에 대한 총칙 등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집] 읽어보기
[편집] 바깥 고리
- 민법 전문 - 법제처
![]() |
법 | ![]() |
|
법의 분류 | 헌법 행정법 민법 상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노동법 국제법 (조약) 국제사법 | ||
---|---|---|---|
법체계 | 대륙법 영미법 관습법 종교법 | ||
법의 연원 | 성문법 헌법 법률 명령 조례 규칙 조약 불문법 관습법 판례 조리 |
||
법학 | 법철학 법사회학 법제사학 비교법학 법해석학 법정책학 |
||
주요 개념 | 로마법 만민법 게르만법 법언 법의 해석 법률행위 의사표시 재판 형벌 권리 의무 법치주의 물건 ( 동산 | 부동산 ) 인권 국가 민주주의 |
||
세계의 법 | 경국대전 대한민국 헌법 ( 역사 ) 행정수도법 결정 대일본제국 헌법 일본국 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마그나 카르타 아메리카 합중국 헌법 아메리카 합중국 수정헌법 바이마르 헌법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
||
법률 영역의 목록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