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장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장(劉璋)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웅으로 자는 계옥(季玉)이다. 유언(劉焉)의 아들이다.

194년, 유언이 죽자 그의 관직을 계승하였다. 한중(漢中)의 장로(張魯)는 유장에게 복종하지 않았음으로 그의 어머니와 동생을 죽여 불화하였고, 서로 싸우기에 급급했다. 유언 대부터 모셔왔던 방희(龐羲)를 파서태수로 임명하여 장로를 막게 하였고, 방희와 우정의 우정에 틈이 벌어졌다. 유장은 판단력이 부족하고 남들을 잘 믿었기 때문에 내부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조조(曹操)의 세력이 형주(型州)까지 확장되자 그에게 복종하여 관직을 얻었다. 유비(劉備)와 화친하였으나 그와 곧 불화하였고, 되레 유비의 공격을 받아 서촉을 그에게 넘겨주었다.

유비에게 항복한 후, 공안(公安)으로 옮겨졌고, 손권(孫權)이 형주를 탈취했을 때 익주목으로 임명되었다.


삼국지의 주요 등장 인물
군주 후한: 영제 - 소제 - 헌제
: 조조 - 조비 - 조예 - 조방 - 조모 - 조환
: 유비 - 유선
: 손견 - 손책 - 손권 - 손량 - 손휴 - 손호
: 사마염
기타: 공손찬 - 도겸 - 동탁 - 마등 - 여포 - 원소 - 원술 - 유요 - 유장 - 유표 - 장각 - 장로 - 장수 - 한복
참모 : 가후 - 곽가 - 만총 - 사마사 - 사마소 - 사마의 - 종요 - 순욱 - 순유 - 유엽 - 정욱 - 신비 - 진군
: 간옹 - 강유 - 등지 - 미축 - 방통 - 비의 - 손건 - 장완 - 제갈량 - 서서 - 마량 - 법정 - 동윤
: 고옹 - 노숙 - 육손 - 육항 - 장굉 - 장소 - 제갈근 - 제갈각 - 주유 - 보즐 - 노번 - 장제
: 가충 - 장화 - 진수
기타: 심배 - 봉기 - 이유 - 저수 - 전풍 - 진궁 - 신평 - 허유 - 괴량 - 괴월 - 곽도 - 진등 - 장송
장군 : 종회 - 등애 - 서황 - 악진 - 우금 - 이전 - 장합 - 장료 - 전위 - 하후돈 - 하후연 - 허저 - 관구검 - 제갈탄
: 관우 - 관평 - 관흥 - 마초 - 위연 - 장비 - 장포 - 조운 - 황충 - 요화 - 이엄 - 황권 - 마대 - 하후패
: 감녕 - 능통 - 서성 - 여몽 - 정보 - 한당 - 조무 - 황개 - 주연 - 주태 - 태사자 - 주환 - 정봉 - 여대
: 양호 - 두예 - 왕준 - 왕혼
기타: 기령 - 문추 - 안량 - 하진 - 화웅 - 고순 - 장연 - 문빙 - 장임
비한족 어부라(흉노) - 가비능(선비) - 답돈(오환) - 맹획(남만) - 부건(저족) - 황난(산월) - 아차새(강인) - 비미호(일본) - 동천왕(고구려)
기타 관로 - 남화노선 - 사마휘 - 손상향 - 우길 - 좌자 - 초선 - 화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