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삭제 토론/2007년 1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삭제 토론 |
◀ 2007년 1월 ▶ |
새로운 삭제 토론 올리기 |
새로 고침 |
보존문서 |
목차 |
[편집] 시랜드 달러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별도의 문서로 존재할 필요가 있나요? 영문판 en:Sealand Dollar은 en:Sealand로 넘겨주기입니다. --Luciditeq 2007년 1월 11일 (목) 02:05 (KST)
삭제 --정안영민 2007년 1월 11일 (목) 10:39 (KST)
바로 삭제하였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11일 (목) 10:56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이육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태어나자마자 유아기에 죽은 사람은 아무리 황손이라고 해도 독립 문서로 만들 필요까지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우 (고종 왕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고종만 해도 이런 식으로 유아기에 죽은 아들이 다섯인데, 이런 식으로 문서를 만들다가는 끝도 없을 것입니다. 만드신 분의 노고가 아깝기는 하지만, 삭제를 건의합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월 11일 (금) 19:06 (KST)
삭제 --Luciditeq 2007년 1월 11일 (금) 19:08 (KST)
삭제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7년 1월 11일 (금) 19:14 (KST)
삭제 독립 기사로서의 자격에 미치지 못합니다. --Hun99 2007년 1월 11일 (금) 19:39 (KST)
삭제 삭제하고, 내용은 고종 문서에 통합하면 될 것 같습니다.--WaffenSS 2007년 1월 11일 (금) 21:34 (KST)
삭제 -- 루스 2007년 1월 11일 (금) 21:40 (KST)
삭제 어차피 개요만 있던 문서였습니다.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11일 (금) 21:41 (KST)
삭제 내용도 크게 채울 것이 없어보입니다. 아참, 이건 여담이지만 영어판을 보니 그냥 '삭제' '유지'만 내면 안되고 명확한 이유를 제시하라고 하는데(en:Wikipedia:Articles for deletion/IPhone (Linksys)를 보니 AfD is not a vote count. Please provide good reasoning for your !vote.라고 하더군요) 한국어판에서도 그런 규정이 있나요?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파란로봇군(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아직 삭제 토론에 대한 빡빡한 규정은 없습니다.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찬반 의견을 받은 후 관리자가 삭제/유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 없이 삭제/유지 표만 낸다면 관리자가 삭제/유지를 판단할 때 그 표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겠죠? 다른 백과사전에서도 이런 유연한(적당한?) 방식을 사용하는 곳이 여럿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영어판의 경우 en:WP:DGFA#Rough consensus). --Klutzy 2007년 1월 13일 (일) 17:06 (KST)
삭제특기사항 없음.----효리♪(H.L.LEE) 2007년 1월 12일 (금) 14:58 (KST)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7년 1월 19일 (금) 10:24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분류:독재자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특정 인물을 분류:독재자로 분류하는 데에 있어서 위키백과:중립적 시각 시비를 결코 막을 수 없습니다. 더우기 독재자와 나아가 독재에 대한 합의된 주관적이지 않고 비중립 시비의 소지가 없는 정의도 없는 상태인데 말이죠. 심지어 한국어판에는 아예 독재자와 독재 문서 자체도 없군요. en:Category:Dictators도 비슷한 이유로 삭제되어 재생성이 금지된 상태입니다(en:Category talk:Dictators 참조). 이러한 유용하지도 않고, 문제의 소지만 안고 있는 분류:독재자의 삭제를 제안합니다. --Sjhan81 2007년 1월 2일 (수) 16:48 (KST)
[편집] 삭제
삭제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7년 1월 17일 (목) 19:57 (KST)
삭제 --루스 2007년 1월 17일 (목) 20:08 (KST)
삭제 객관적이지도 않은 ‘독재자’라는 분류가 필요할까요? -- IRTC1015(論·與·情) 2007년 1월 23일 (수) 18:00 (KST)
삭제 너무 주관적 내용 Crowbar 2007년 2월 24일 (일) 17:59 (KST)
삭제 주관적이네요--Rachelle 2007년 3월 8일 (목) 14:19 (KST)
삭제 누군가에게는 독재자일수도 있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구세주(?)일수도 있죠. --눈사람 2007년 7월 1일 (일) 13:39 (KST)
삭제 독재자라는 개념의 객관성을 부정할 수 없다고 봅니다만, 이 분류를 넣을 때마다 격론을 해야할 것을 생각하면 분쟁유발형 분류로 전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다양한 견해를 소개할 수 있는 일반 문서와는 달리, 분류는 yes or no(분류에 들어가냐, 안 들어가냐)이므로 분류는 명확한 내용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Hun99 2007년 7월 1일 (일) 14:05 (KST)
삭제 지극히 주관적인 분류.--Kakaru 2007년 7월 1일 (일) 14:09 (KST)
[편집] 유지
유지 중립이란 말이 모든 사람 전체가 다 동의하는 중립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객관적인 사실들을 근거로한 기준을 통해 독재자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Jjw 2007년 4월 29일 (월) 15:58 (KST)
해당 분류를 삭제하였습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7년 7월 26일 (목) 16:06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반달 실적 기록용?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분류:차단된 사칭 계정
- 분류:공산주의 반달 계정
반달 사용자가 자신의 반달 실적을 볼 때 이외에 어떤 경우에 이 분류가 필요할까요? --마소리스 2007년 1월 14일 (월) 18:16 (KST)
실질적 필요도 없고 다른 언어판에서도 삭제되었으며 어차피 '여기를 가리키는 글' 기능을 이용하면 확인이 가능하다고 판단해서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7년 1월 15일 (화) 20:52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쿠도넷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저번에 가가X 온라인 웹 게임도 삭제 토론 넣으려다 말았는데 꼭 이런 커뮤니티까지 문서화할 필요가 있을까 궁금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만약 이 커뮤니티가 팬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고 잘 알려져 있다면 명탐정 코난 문서의 외부 링크란에 이 커뮤니티 웹사이트 링크만 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 파란로봇군 2007년 1월 17일 (목) 22:24 (KST)
삭제 특기할 사항이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가가X도 독립된 문서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봅니다. --Luciditeq 2007년 1월 17일 (목) 22:26 (KST)
바로 삭제했습니다. 길게 토론할 필요가 없어보입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17일 (목) 23:30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가가X 온라인 웹 게임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작성자분께서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오픈 소스 웹 게임을 개발하고 배포하는 커뮤니티라고 하셨습니다만, 사이트를 둘러보니 드루팔의 특성을 타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보기에는 '개발' 분야보다는 '커뮤니티적' 성향이 강한 '회원들이 즐길 수 있는 게임을 배포하는' 웹사이트인것 같습니다. 채팅 모듈이 있는 것만으로도 알 수 있죠. 이 외에도 사이트의 분위기를 고려해볼 때 삭제를 제안합니다. -- 파란로봇군 2007년 1월 20일 (일) 19:39 (KST)
유지 제가 쓴 article인데, 자료실에 가보시고 해당하는 소스들을 인터넷에서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다른 곳에서 대부분 찾기 힘들며, 배포면에서 국내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해당하는 사이트 또한 GPL 라이센스의 가가전쟁, 가가스페이스 및 녹색용의 전설 소스를 직접 제작 배포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그 뒷 받침하는 커뮤터니가 존재합니다. 국내 웹 게임 소스 배포면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이에 유지를 원합니다. Visualizt 2007년 1월 20일 (일) 22:03 (KST)
의견 사이트 구성이 저한테는 정말 이해하기 힘들게 되어 있네요. ; 일단 자료실에 확인한 결과 일단 파일들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orz 일단 삭제 토론을 철회하는 바입니다. -- 파란로봇군 2007년 1월 20일 (일) 23:31 (KST)
삭제 일단 저는(제 주변 사람들도) 처음 듣는 곳이고, 신문 기사 등을 검색해보는데도 걸리는게 없네요. 기사를 작성해 주신 분께는 죄송합니다만, 백과사전에 등재할 만한 곳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월 26일 (금) 14:43 (KST)
유지 원래 위키 사용자는 아닌데, 우연히 웹 게임 소스 찾다가 여기까지 오게되었는데, 신문에 없지만 위키에 있는 것 엄청 많습니다. 삭제해도 크게 지장은 없을 듯하나, 국내 소스 유지위해 놔두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됩니다(우선 저에겐 좋은 참고 자료 되었습니다). 자신이 처음 듣고 신문에 나오지 않는다고 지우면 한글 위키 너무 많이 지워질 것 같습니다 -_-; 전 유지에 투표 but 지워도 큰 지장은 없을 듯 but 위키 발전위해 놔두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됨. Krowbar 2007년 1월 27일 (일) 20:21 (KST)
유지 커뮤니티적 형평성에 의거 유지를 주장합니다. - Ellif 2007년 2월 17일 (일) 21:40 (KST)
삭제 검색엔진에서도 관련된 내용이 10여건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단순히 찾기 힘든 자료들을 제공한다고 해서 일반 커뮤니티를 올려놓는다면 수많은 커뮤니티가 다 등록되어야겠지요. --Luciditeq 2007년 2월 17일 (일) 21:45 (KST)
유지 검색엔진을 기준으로 꼭 위키를 해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 있으면 누구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될것 같고, 추가되어도 위키에 피해가 없는 것들은 놔두는게 이득인 듯. Crowbar 2007년 2월 24일 (일) 18:02 (KST)
유지 일단 선전 같지는 않으니 유지에 한 표.―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Yeom0609(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사용자:Krowbar(계정작성후 6분후에 투표)과 사용자:Crowbar(계정작성후 1분후에 투표)는 계정을 만들고 곧 투표하는 등 부정투표가 의심됩니다. 의뢰자도 철회했는데...--hyolee2♪/H.L.LEE 2007년 3월 8일 (목) 12:10 (KST)
유지--Naohiro19(Talk Page/Contributions/mail) 2007년 3월 9일 (토) 15:59 (KST)
유지합니다. --Klutzy 2007년 3월 14일 (목) 21:00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분류:두음법칙 폐지론자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두음법칙 폐지론자라는 이름으로 사용자 분류로 사용해도 되는 건가요? 실제 "두음법칙 폐지론자"들과 헷갈릴 가능성도 있을 뿐만 아니라 굳이 사용자들을 "두음법칙 폐지론자"란 이름으로 분류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3일 (화) 14:58 (KST)
삭제. 이제까지 지원진 다른 사용자 분류보다도 더 작위적이네요. -- ChongDae 2007년 1월 23일 (수) 16:34 (KST)
삭제. 사용자간의 갈등을 일으키는 분류.----효리♪(H.L.LEE) 2007년 1월 23일 (수) 17:13 (KST)
삭제. --WaffenSS 2007년 1월 23일 (수) 19:03 (KST)
삭제 분쟁의 소지가 있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7년 1월 23일 (수) 19:09 (KST)
토론을 새로 열 필요도 없이, 이전의 토론과 동일한 맥락으로 삭제합니다. --Klutzy 2007년 1월 23일 (수) 19:19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자유방송, 서화방송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세계의 수많은 방송국 중의 하나이면서 내용의 대부분도 가상상의 설정에 불과합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15:53 (KST)
- 그렇지 않습니다. 이 중 대부분은 실제 시민월드연방국에서의 사실을 그대로 반영한 것입니다. 시민월드연방국은 다다월즈 (www.dadaworlds.com)에 속하는 가상국가입니다. 가상방송국에서도 나름대로의 개성있는 방송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프란츠 2007년 1월 23일 (수) 15:58 (KST)
-
-
- 그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NBC 카페를 참조바라겠습니다. http://cafe.naver.com/tvradio 특히, JBC라디오도 현재 인터넷으로 실제로 방송중입니다. http://cast.joouso.com/free_franz.pls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한구전망대, 라디오 24시 등이 있습니다. 물론 '개성이 있는 방송'은 JBC의 캐치프라이즈죠. JBC는 방송에 대한 설문조사를 최근 실시하고 있는데, 대부분 개성있고 참신하다는 반응입니다. 한구전망대는 오후 7시, 라디오 24시는 오후 8시에 방송됩니다. 프란츠 2007년 1월 23일 (수) 15:59 (KST)
-
-
-
- 그 시민월드연방국에 대해서는 님께서 직접 다다월즈를 방문해보십시오. 프란츠 2007년 1월 23일 (수) 16:03 (KST)
-
-
- 저도 프란츠님과 같은 입장입니다. 관련 방송프로그램에 관해서는 NBC 카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상방송이 왜 상업적인 목적이 되는지 이해가 가질 않는군요. 그런 논리라면 삭제되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Av3037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16:35 (KST)
-
-
- 아무도 가상방송이 상업적인 목적이 된다고 말한 적 없습니다 :) 해당 가상 방송이 수 많은 인터넷 방송 중에서 위키백과에 등재되어야 하는 객관적인 자료가 부족하며 이러한 자료가 없을 경우 단지 광고에 지나지 않는 다는 것이었습니다.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를 참고하세요.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16:40 (KST)
-
삭제 상업적 이유에서가 아니라, 수많은 인터넷 방송 중 하나일 뿐입니다. 최소한 "가상 국가" 등의 홍보성 설명보다는 인터넷 방송 자체에 대한 내용이 되도록 고쳐야 합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3일 (수) 16:41 (KST)
- STV의 영상이라면 수 없이 많이 제작해놓은 상태입니다. 그중 ID영상을 소개해드리려고 했는데 아쉽게도 위키페디아에는 AVI나 WMV를 올리기가 불가능하군요. http://cafe.naver.com/tvradio/1730 에 들어가셔서 보시기 바랍니다.Av3037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16:51 (KST)
-
-
- 참고가 되시라고 해서 사진등을 몇몇 첨부해놨으니 참고바랍니다. Av3037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17:12 (KST)
-
삭제 우선 저도 가상방송이 어떤 개념인지 약간이나마 아는 사람으로서 어디까지나 수많은 인터넷 방송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삭제한다면 저도 반대하겠습니다만, en:Radio Paradise처럼 여러 언론사들을 통해 알려진 경우도 아니며 게다가 픽션(fiction)이기 때문에 저도 삭제에 한 표를 던지겠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사실을 전달하는 매체는 방송으로 볼 수 없다고 생각하며, 어디까지나 시나리오, 또는 재미, 연구 등으로 그저 하는 것 일뿐입니다. 2006년 12월 13일 RTBF 속보 사건에서 보듯이 실제 방송에서 픽션을 소재로 방송을 할 경우 엄청난 파장이 오기 때문에 더더구나 이러한 활동을 방송으로 보지 않는 이유입니다. 아무리 '가상'이라는 말이 앞에 붙는다고 해도 말이죠. -- 파란로봇군 2007년 1월 23일 (수) 17:37 (KST)
삭제[1]에 프란츠라는 ID로 선전목적으로 쓴 것을 인정. ----효리♪(H.L.LEE) 2007년 1월 23일 (수) 17:40 (KST)
의견[2]를 보다 보니 한국 위키페디아, 방송 관련 정보량 적어라는 헤드라인이 보이네요. 문제가 무엇이냐면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 -- 파란로봇군 2007년 1월 23일 (수) 17:54 (KST)
삭제 기여를 하실 거라면 가상 방송사가 아닌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방송사에 대한 항목을 보충해 주셨으면 합니다. 일반에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가상방송사를 위키백과에 올리는 것은 홍보로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 IRTC1015(論·與·情) 2007년 1월 23일 (수) 17:59 (KST)
삭제알겠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존중해서 자진 삭제신청을 하였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리고 가상방송사에 대해서만 쓰고, 실제방송사에 관한 항목을 작성하지 않느냐는 어투로 말씀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실제로도 전 SBS와 KNN등의 방송국의 정보보충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아뭏튼, 여러분 죄송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Av3037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19:43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구모소포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ja:Wikipedia:削除依頼/グモソ語20061228에서 6144님이 グモソ語로 구글로 조사한 213건. 게다가 위키백과,블로그,게시판,정리한 사이트 뿐이었다 합니다.(제가 검색해도 같음) 게다가 일본에서 일반적인 사용이 확인되지 않습니다. 제가 구글을 구모소포,구모소어 에서 조사한 결과,각각22건(유사사이트 빼면5건),2건.전 일어판에서 투표를 했는데 찬반표명을 하지 않습니다.----효리♪(H.L.LEE) 2007년 1월 24일 (수) 14:49 (KST)
삭제 악질.--Naohiro19(T/H) 2007년 1월 25일 (목) 13:32 (KST)
삭제 지엽적 - 등재 가치 없음. --hnc197 2007년 1월 25일 (목) 14:50 (KST)
의견 특정 언어판 기사를 번역하여 다른 언어로 옮겼을 경우, 최초 언어판의 해당기사가 삭제될때, 번역판 기사도 삭제해야 한다는 위키의 국제(?)적 기준이 있습니까? "일본어판" 말고요. 모든 위키에 해당되는 규칙말입니다. 이 기사가 작성된지 꽤 오랜 시일이 흘렀는데 이제 와서 일본어판이 삭제를 결의했으니 너희도 삭제해..라는건 납득하기 힘들군요. Noropdoropi 2007년 1월 27일 (토) 13:46 (KST)
의견번역이 아니고 일본에서 일반적인 사용이 확인되지 않다는 것입니다.----효리♪(H.L.LEE) 2007년 1월 27일 (토) 14:13 (KST)
유지일본어 위키에서 삭제를 한다고 해서 여기서도 삭제를 한다는 건 납득이 안됩니다. 그리고 여기는 일어 기준을 적용하는 곳이 아닙니다. --루스 2007년 1월 27일 (일) 15:22 (KST)
삭제 구모소포는 혐한 성향이 강한 2ch 이용자를 중심으로 사용되어 '아버지니다'나 '김치타로'등의 혐한적 어휘의 양성소로 변질되고 네티즌들의 유희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더구나 일본에서만 거의 접할 수 있는 인공어임에도 불구하도 일본 위키페디아에서도 백과사전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삭제되었습니다. 구모소포는 언어로서 중요한 사회성과 통용성을 갖추지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타민족에 대한 배타적 감정의 표출과 유희대상로서의 인공어라면 위키백과에 등재할 가치가 없습니다. --Hun99 2007년 1월 28일 (월) 15:47 (KST)
의견 It is a misunderstanding. These words has no political intention. They are a father and a daughter, and are drawn as a good man. --60.237.152.66 2007년 1월 28일 (월) 16:39 (KST)
의견 문제점을 좀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단 제가 일차적으로 문제삼고 싶은 것은 앞에서도 밝혔듯이 번역기사판의 경우, 원판위키백과에서 삭제가 의결되었다고 해서 번역기사판을 삭제해야 한다는 위키백과 공용의 원칙이 있냐는 것입니다. 한국계 일본인 목록등 다른 기사에서도 효리님과 다른 이용자분들이 같은 문제로 논쟁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한국어-일본어판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닌 모든언어의 위키백과에 있는 규칙이라면 따르겠지만, 현재로서는 그렇지 않은 것 같고, 따라서 일본어위키에서 삭제를 의결했기 때문에 한국어 위키에서도 삭제해야 한다는 논리에 반대합니다. 아울러 효리님 말고 예를 들면 영어판 기사에서 해당기사가 삭제된 경우 영어판 이용자가 한국어판에 원문기사삭제를 이유로 번역기사삭제를 요구해온 사례가 있는지 아시는 분이 계시면 알려주십시오.
- 두번째로 구모소의 기사내용으로서의 가치문제인데, 여기에는 인공어에 흥미가 있으신 분들과 그렇지 않은 분들의 의견이 꽤 다를 듯 합니다. 구모소가 다른 수많은 인공어와 구별해서 특기할 만한 것은 어느 특정개인이 아닌 불특정다수의 참여자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인공어란 점입니다. 즉, 누구나 새로운 어휘나 문법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고, 그것을 다른 다수의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취사선택함으로서 발전해가는 형식이라는 점이 특이하기 때문입니다.
- 구모소의 혐한성에 대해서는 역시 참가계층이라는 점에서 오는 문제입니다.
- 즉, 구모소자체가 "혐한"을 목적으로 제작되고 있지는 않은데, 구모소개발에 참가하는 이용자들이 혐한성향이 많은 2채널유저들이다보니, 자연스레 한국관련 어휘들에는 2채널에서 사용되는 한국폄하어휘들이 섞여 들어가는 것입니다. 직접 2채널이용자와 이야기를 해보니,2채널자체가 워낙 악플의 천국이다보니,특별히 한국에 적대적이지 않은 사람도 자연히 한국폄하어휘들을 배워서 별 의도없이 쓰고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디시인사이드같은 사이트에서 구모소와 유사한 인공어프로젝트가 시작된다면, 디시특유의 표현들이 다수 섞여들어갈 것은 자명합니다.
- 결론적으로 한국인으로서 구모소는 그렇게 배우고 싶은,좋은 느낌이 드는 인공어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나름대로 언어의 운용방식에 특기할 점도 있다고 생각해서 기사를 올렸습니다. 저는 번역문자동삭제라는 논리에는 반대하며, 나머지는 위키유저분들의 의견에 따르려고 합니다.Noropdoropi 2007년 1월 29일 (월) 08:27 (KST)
-
-
의견 위에서부터 천천히 읽어보면 아시겠지만 원판위키에서 삭제되었으니 자동으로 변역문의 삭제를 주장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효리님은 일본어 정책을 무리하게 위키백과로 끌어오는 우를 이따금 범하지만, 이번 사례는 일본어에서조차도 일반적 사용이 없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Hun99 2007년 1월 29일 (월) 11:31 (KST)
의견 It is a misunderstanding that you think these vocabularies to be anti-Korea. I think that it is a prejudice. I came here to erase the misunderstanding. --220.102.69.198 2007년 1월 30일 (수) 22:47 (KST)
-
의견 설령 구소모포가 혐한적 성향을 가지지 않는다고 해도 삭제 의견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이유는 위에서도 밝혔듯, 일본어권에서만 접할 수 있는 인공어임에도 일본어 위키백과에서조차 언어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인 사회성의 불비로 삭제된 마당에 일본어 外의 위키백과에서는 유지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구소모포가 혐한적 성격이 없다는 증거와 자료를 제시해주시면 충분히 참조하겠습니다. --Hun99 2007년 1월 31일 (수) 01:29 (KST)
-
의견 If you said so, I didn't care. Probatio diabolica? It is difficult. It is problem of verifiability. YOU should show reason. --220.102.69.198 2007년 1월 31일 (수) 02:21 (KST)
-
의견악마의 증명을 하라는 것이 아니라, 구소모포 중 혐한적 언어가 있어서 혐한성이 추정되기에 그 추정을 깨뜨릴 자료가 있는지 묻는 겁니다. 그나저나 이 문제는 언어의 사회성 요건 부재때문에 어짜피 실익이 없습니다. 실익이 없는 논의는 종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Hun99 2007년 1월 31일 (수) 02:36 (KST)
-
의견 혐한적인 성향이 언어에서 드러난다 하더라도 등재될 만한 가치가 있다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구소모포의 커뮤니티는 양적으로 또는 질적으로 얼마나 되며 실제로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되겠습니까. 제가 볼 때에는 구소모포의 (그 자신으로서는 아니지만, 한국어로서) 공격적인 어휘보다도 언어로서의 가치가 더 문제 같네요. --Puzzlet Chung 2007년 1월 31일 (수) 02:08 (KST)
삭제 저도 많이 생각해 봤는데, 이제는 삭제하는 쪽으로 바꿔야 합니다. 그래서 전 삭제에 한 표를 추가합니다. --루스 2007년 1월 31일 (수) 09:46 (KST)
의견아까부터 보고 있지만 왜 혐한이야기가 나오는지... 이들 단어는 신빙성조차 없는 것습니다. 그리고 루스님은 이중투표가 되어있습니다.----효리♪(H.L.LEE) 2007년 1월 31일 (수) 10:59 (KST)
유지 어떤 의미에서도 보존되어야 합니다. 일단 인공어들판에 보존되어 있음 언어성은 있다 싶고, 어휘도 상당하고, 스레드도 상당하니 삭제할 이유까지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이게 지엽적이라면 피카츄부터 시작해서 다 삭제해야죠. 인공어 보존론자로서, 이번 건에 절대 반대합니다. - Ellif 2007년 1월 31일 (수) 11:26 (KST)
의견(화제에 대한 의견 표명이 아닙니다) 왜 난데없이 피카츄를 걸고 넘어지시는지... 뉴쓰위끄에서 올해의 인물로도 선정한 적이 있는데요 ~_~ 조만간 신 시리즈의 신규 몬스터 한국어 이름이 확정되면 위키프로젝트 포켓몬스터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히호군 2007년 1월 31일 (수) 13:11 (KST)
의견 피카츄보다 훨씬 지엽적인 것 같습니다. --퍼틴 2007년 2월 2일 (토) 23:11 (KST)
의견현재까지 스레드는 3스레드 (1스레는 1000정도의 가사) ----효리♪(H.L.LEE) 2007년 1월 31일 (수) 11:37 (KST)
의견얼마나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2ch 스레드가 접속불능 상태여서 확인할 수 없지만, 과연 사전 항목으로 등록될만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지는 의문이군요. --Luciditeq 2007년 1월 31일 (수) 11:40 (KST)
일본어판에서 뭔가 변동이 생길때마다 한국어판에 똑같은 조치을 요구하는게 이상합니다. 물론, 명백히 틀리거나 왜곡된 문제가 있는 정보라면 모르겠지만, 유지시켜도 별 문제 안되는 기사까지 일본어판 기준으로 한다는 것은좀 문제가 있어 보이네요. 생긴지 한 참이 지났지만, 그동안 아무도 이의제기하는 사람이 없었고, 지엽적인 정보라곤 하지만 인공어에 흥미있는 분들에게는 참고가 될 정보로 보입니다.혐한문제는 핵심적인 문제가 아닌 것 같네요. 에스페란토 판에도 관련 기사가 있던데, 거기에는 삭제토론 안거십니까? 168.131.53.218 2007년 1월 31일 (수) 13:06 (KST)유지
삭제 - 2채널 용어 사전화가 걱정된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2월 2일 (금) 08:12 (KST)
삭제 --Luciditeq 2007년 2월 2일 (토) 22:58 (KST)
삭제 혐한 문제와는 상관 없이, Hyolee2님께서 적어두신 결과가 사실이라면 non-notable. 지엽적. --퍼틴 2007년 2월 2일 (토) 23:11 (KST)
의견 I have some doubts. (1) In Japanese Wikipedia, it is agreeing to exclude the constructed languages in WWW. Is this policy valid in Korean? (2) Not to be divided, it is making only in 2ch. Isn't it natural to be few? (3) Because it is making in 2ch. Is it a valid reason? --220.102.69.34 2007년 2월 4일 (일) 00:06 (KST)
삭제 -- Allen 2007년 2월 10일 (일) 19:18 (KST)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7년 2월 17일 (일) 19:53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사용자토론:Masoris/한국어 위키백과 불만 수집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용자:Johyeongryeol님의 요청으로, 제 사용자 페이지를 삭제 토론에 붙입니다. 저는 이 페이지를 위키백과외 다른 사이트에서의 위키백과의 평판과 일반적으로 초보자들이 겪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였으나, Johyeongryeol님께서는 오히려 이러한 감정적인 표현이 많은 글들을 모음으로서, 위키백과 내의 불신과 편견만 늘어날 수 있으며, 불만에 대한 옳은 대응 방식이 아니라고합니다. 제가 모은것은 어디까지나 한국어 위키백과와 관련된 불만 수집이므로, 감정적인 글들이 있을 수 밖에 없으며, 개인적으로 수집하였으므로, POV일 수 밖에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글을 모음으로 해서, 도움말 강화와 토론을 통해 불만이 있을 수 있는 부분을 점차 해결할 수 있고, 초보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해를 방지하는데 참조용으로 쓰고자 이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이에 대한 의견을 부탁드리며, 이 토론에서 하라는데로 따르도록 하겠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1월 25일 (목) 09:33 (KST)
의견 다른 사람의 불만을 보고 덩달아 불만을 가질 사람도 있을까요? 마소리스님의 말씀대로 충분히 생산적인 방향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5일 (금) 17:43 (KST)
의견 애초에 이러한 불만이 발생한 원인, 이 불만에 대한 해결책 등 이 언급 되지 않고, 단순한 불만 그자체를 표현하고 있으므로, 문제가 되었다고 봅니다. 안그러면 이러한 불만은 소모적으로 흐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제가 거기에 일단 반론 또는 해명을 제시하겠습니다.
- 적은 정보를 적을 거면 차라리 아예 적지 말라는 신조를 가지신 일부 관리자 분이 계셨었는데 지금은 잘 모르겠네요.
- '에 관리자 분의 요청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런 상황을 제가 몇 번 접해본결과 대부분 문서의 내용이 다섯 줄이 넘지 않는 문서 였습니다. 지나치게 적은 내용의 문서는 백과사전이라는 취지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또한 토막글의 양산으로 부피에 비해 내실이 떨어질 수 있고요.'
- 한글 위키피디아의 운영상 딱딱한 점에 감정이 있는 사람들이 좀 있으시더군요.
-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이 곤란한 것이... 어떤 문제인지 판단이 곤란합니다. '일단 절차적 문제가 제기 된 것으로 보고 반론하면, 애초 백과사전이 자유 편집이긴 하지만 이느 정도 틀의 제약이 필요하고 타인이 만든 문서에 대해서 비판이 나올 수 있으며, 처리 과정이 관료적으로 절차를 밟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경색된 경우 비판이 있을 수 있습니다.'정도 겠네요.
- 전 한글 위키보면 성질 나서(정작 본인은 위키에 도움 준 것도 없으면서!!) 아예 안 가요
- 이것도 원인 또는 문제 제기가 없으니 판단 불가.
- 대화를 거부하는 100표 행사자와 더 이상 대화하고 싶은 생각이 없다.
- 어느 분인지는 저도 짐작은 합니다만... 사용자, 관리자 양측 모두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일단 관리자 측이 문제가 있거나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문서(토론 중인 경우도 있습니다)를 통지 없이 삭제 또는 이동하고 그 문제에 연관있는 사용자가 약간 감정적으로 항변 그리고 관리자가 반침묵하는 식으로 반복되는 패턴이 있더군요. 일단 사용자 측은 자신의 행동이 무효가 될 경우 상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도 그랬습니다.관리자 측은 수분 마다 편집 및 삭제하는 활동으로 바쁩니다. 엄청난 작업량을 수행해야 하지요.
- 사용자 측은 그러한 문서의 생성이유를 토론에 기재하는 것으로 삭제를 미연에 막고, 관리자는 삭제를 했을 경우 이유를 분명히 제시할 필요(번거롭더라도 사용자토론에 남기는 정도면 충분하다고 봅니다)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정중하게 하며, 관리자 측은 이에 대해 성실한 답변을 하면 된다는 게 이론적 해결책이기는 합니다만. 일부 사용자 관리자 간의 충돌은 이미 너무 틀어져서... 그래도 단순히 일방의 의견을 담은 마소리스님의 행위에는 문제의 불씨가 있음을 알려드립니다.--이강철 2007년 1월 25일 (금) 19:19 (KST)
- 저도 아이리디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WaffenSS 2007년 1월 26일 (금) 01:50 (KST)
- 투표는 안하고 아이리디님쪽에 동의합니다. - Ellif 2007년 2월 12일 (월) 02:10 (KST)
의견 우선 마소리스님은 정말 생산적이며 열심히 하시는 사용자라고 생각합니다. 그에 비하면 저는.. 정말 부끄럽네요. ^^; (그러고 보니 한달만에 의견을 씁니다. ㅡㅡ) 이 문서에 대한 제 의견은 이미 대부분 사용자토론:Masoris/한국어 위키백과 불만 수집에 적혀 있습니다. 여기서는 추가 의견을 더 적어 보고자 합니다. 마소리스님의 말씀대로 불만을 수집하여 자료로서 쓰는 것은 충분히 유용한 문제 해결의 한 방법입니다. 그렇지만 내용에 있어서, 저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약간의 오해가 발생할 여지가 있는 거 같습니다. 그 부분은 이미 제가 문서 토론에도 남겼던 감정적인 부분과 사용자를 쫓아냈다고 암시하는 부분입니다. 이 내용을 전후 사정을 잘 아는 사용자가 보게 된다면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만약 새로운 사용자가 보게 된다면 역시 제가 토론에 남겼던 오해로 인한 불신과 편견이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렇지만 이러한 내용을 전혀 다루지 말거나, 아예 적지 말자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만 제가 마소리스님의 문서에서 문제점으로 생각하는 것은, 이강철님께서도 지적하셨듯이, 일부 사용자가 피해를 볼 수도 있는 이러한 문서에 관련자들이 전혀 반론 또는 의견을 적을 수 없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랑방, 위키 프로젝트 같은 공개된 장소를 사용하신다면, 저도 마소리스님의 생산적인 활동에 그리 반대하지 않습니다. --Johyeongryeol 2007년 2월 26일 (월) 01:53 (KST)
이러한 문서는 사용자 네임스페이스에 모아놓는 것 보다는 사랑방에 올려서 공론화하는 게 더 나은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불만이 있는데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지도 않고 '위키백과는 잘못되어간다'로 하는 것은 서로에게 도움이 안 되니까요.
어쨌거나 문서 자체는 유지합니다. 이러한 문서가 위키백과 삭제 정책에 해당하는 것도 아니고요. --Klutzy 2007년 3월 2일 (토) 15:24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패러랠 라이프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삭제 틀을 붙였을 때 삭제 틀을 삭제당했기에, 정당한 이유라 생각하여 삭제 토론에 부칩니다.
- 출처가 불분명하다. (자그마치 "서프라이즈")
- 서프라이즈의 내용은 일본 프로그램 "언빌리버블"(역시 "세상은 이런 일이" 류의 프로그램)을 베꼈다.
- 조셉 프랑크가 썼다는 책은 실존하지 않는다.
- 계속 넘겨주기로 주장하시는 이그나치우스 신드롬이란 말은 검색 결과로서 걸려나오지 않으며, 출처 및 증거라고 제시한 블로그 포스트(어디선가 퍼온글)에서는 "이구나치우스"라고 표기하며, 해당 표기는 일본어 표기이다. (일본에서 전해져 온 "소문"의 가능성이 높음)
- 패러렐 라이프라는 말은 훨씬 이전부터 있던 말이다.
그 외는 삭제 토론에 붙였던 참고 링크를 첨부합니다. [3] 일본에서의 프로그램 소개, [4] 이그나치우스 신드롬의 검색 결과(0건), [5] 조셉 프랑크와 패러렐 라이프의 복합 검색 결과
단, 링컨과 케네디의 예 자체는 "심각한 우연의 일치의 예"로서 종종 등장합니다. 그런데 이 세상에는 자기 아버지가 나온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를 졸업하고 결혼해 아버지가 손자를 본 나이와 같은 나이에 손자를 보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지요. --히호군 2007년 1월 26일 (금) 04:37 (KST)
삭제 위키백과는 잡학사전이 아닙니다. 그런 지식은 위키백과 말고 다른 데나 올라갈 내용입니다. 게다가 그 문서에 있는 내용을 뒷받침해주는 마땅한 자료가 없더군요. 그래서 삭제에 찬성합니다.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7년 1월 26일 (금) 04:56 (KST)
삭제 참고문헌도 없고 non-notable. Caffelice 2007년 1월 26일 (금) 05:03 (KST)
유지 제가 처음 글을 쓴 사람입니다만, 하나의 글이 올라왔을 때, 자기 마음에 안든다고 무조건 삭제를 하면 위키 백과의 지침에 맞지 않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근거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하에 쓴 글임을 밝힙니다. 확실한 근거를 찾을 떄까지 보호 모드 하에 유지를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 2007년 1월 26일 (금) 06:42 (KST)
- 문서 내용에 대한 흥미를 떠나서, 저는 그 블로그 포스트 하나만 가지고는 이그나치우스에 대한 그 내용이 사실일 가능성도 인정할 수 없습니다. 아쉬우시겠지만 지금 상태라면 제 생각에 삭제된다고 하더라도 이상할 게 없어요. --Puzzlet Chung 2007년 1월 26일 (금) 12:38 (KST)
유지 저는 이글이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페러렐 라이프는 여러 소설및 SF 드라마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소재입니다. 좀더 내용이 충실해 졌으면 합니다.--Alfpooh 2007년 1월 27일 (토) 04:34 (KST)
-
- 병렬 우주는 많이 봤지만 병렬 인생은 본 적이 없네요. 예를 들어 주시겠습니까? (진짜 본 적이 없어 묻는 겁니다) 그리고 삭제 토론에 부친 이유는 그런 말이 없어서가 아니라, 내용에 신뢰도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조셉 프랑크가 만들어낸 말도 아니고요. 저는 오히려, 일본에서 만들어낸 말이 건너온 게 아닐까 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영어로 검색해 봤을 때 케네디와 링컨이 같이 언급되는 문서 자체가 거의 없고 이것에 대해 이야기하지도 않더군요. --히호군 2007년 1월 27일 (토) 10:53 (KST)
-
의견 패러랠 라이프에 관한 책 있습니다. "Synchronicity & You"라는 타이틀이 붙었군요. 네이버 지식 한글 야후 지식 검색 구글 검색 결과 영문 야후 검색 결과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
2007년 2월 2일 (금) 01:25 (KST)2007년 2월 2일 (금) 02:17 (KST)의견 http://www.newdawnbooks.info/Reviews/Synchronicity_And_You.html 여기 링컨과 케네디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참고 바랍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
2007년 2월 2일 (금) 01:36 (KST)2007년 2월 2일 (금) 02:17 (KST)- 그러니 결국 표제어가 패러렐 라이프가 아니며, 현재 문서의 위조된 부분을 없애고 저 책(이나 리뷰)을 참조해 제대로 된(번역되면서 첨가된, 방송되면서 날조된 부분이 없는) 문서를 작성해서 올리시면 된다는 거군요. --히호군 2007년 2월 2일 (금) 02:22 (KST)
- 융은 모든 것은 아니지만 일부의 우연의 일치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말 그대로 동시발생이거나 보편적인 사상을 만들어내는 힘의 연속성에 의한 것이라고 믿었다. 이 힘들에 의해 직관적인 의식 등등의 행동이 공조하는 과정을 '개체화'라고 이름붙였으며, 집단적 무의식에 의한 개체화된 인간의 의식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현실의 사건이 형성된다는 것이 그 주장이었다.
- 융의 설명에 따르면, 싱크로니시티는 "비인과적 연관 원리", 바꿔 말하면 인과관계의 외부, 혹은 인과관계에 이어져 활동하는 연결 형식이다.
- 융의 싱크로니시티에 대한 가장 유명한 예는 플럼 푸딩에 관한 이야기이다. 융의 이야기에 따르면 Deschamps라는 인물이 옆집의 de Fortgibu에게서 플럼 푸딩을 얻어먹은 적이 있었다. 그리고 10년 후, 그는 파리의 레스토랑에서 플럼 푸딩을 주문했는데 이미 다른 손님에게 마지막 플럼 푸딩이 제공되었다는 대답을 들었고, 그 사람이 de Fortgibu였다. 그리고 또 몇년 뒤, 그는 어느 모임에서 다시 플럼 푸딩을 주문했는데, 그는 예전 일이 생각나서 "de Fortgibu만 아니면 괜찮다"라고 친구에게 말했다. 그런데 막 그 순간, 늙은 de Forgibu가 마침 실수로 그 모임 장소의 방에 잘못 찾아왔다.
-
-
- 라고 합니다. --히호군 2007년 2월 2일 (금) 02:46 (KST)
- 또 한 예로, 16XX년, 17XX년, 18XX년에 같은 장소에서 배가 조난 당했는데, 그 세번의 조낭에서 살아남은 사람의 이름이 같은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저 위의 XX라는 숫자는 같은 숫자입니다. 히호군님 배에 관한 얘기 아세요? ^^;{{사용자:Caomengde/sig} 2007년 2월 2일 (금) 02:54 (KST)
- 제가 그걸 알고 자시고와 무슨 상관이 있는지는 모르겠고, 영국에는 3대가 같은 대학교를 나와 같은 나이에 손자를 봤고 같은 나이에 아들이 결혼을 한 케이스의 3부자가 한둘이 아닐 것이다하고 다를 바가 뭐가 있나요? 그게 뭔 큰일인가요?
- 다시 말하겠습니다. 고칠 점은 이미 맨 위에 다 쓰여있습니다. --히호군 2007년 2월 2일 (금) 12:51 (KST)
-
삭제 삭제표입니다만, 프랭크 조셉이 썼다는 책은 실제로 있습니다.[6] 간단히 아마존에서만 검색해 봐도 나오더군요. 다만, 아마존의 해당 책 소개에는 parallel이라는 단어를 찾을 수 없고, 그냥 단순히 동시성(synchronicity)을 다루는 책으로 보입니다. 글에서 다루어지는 개념과 비슷한 주제를 다룬 연구서나 SF 소설이 아무리 여러 권 있어도, "패러랠 라이프"(혹은 "parallel life")라는 표현 자체가 거기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다면 해당 문서의 존립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기껏해야 해당 문서를 동시성으로 넘겨줘야 할 근거가 될 뿐이죠. (그리고 패러랠 라이프와 동시성은 사실 그렇게 비슷한 개념도 아닙니다.) --Acepectif 2007년 3월 3일 (토) 07:14 (KST)
토론에 따라 삭제하겠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4월 21일 (토) 14:57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비의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삼국지 인물인 비의는 비위가 아닙니다. 이는 오역이며, 비의를 살려놓고, 비위를 연결 문서로 지정해야 합니다. --月兒 2007년 1월 26일 (금) 12:21 (KST)유지
유지되었습니다. 토론:비의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정안영민 2007년 5월 4일 (금) 09:27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브릭인사이드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커뮤니티입니다. 특기할 사항이 있나요? --Luciditeq 2007년 1월 26일 (금) 13:43 (KST)
삭제개인사이트.----효리♪(H.L.LEE) 2007년 1월 27일 (토) 11:14 (KST)
삭제--퍼틴 2007년 1월 31일 (수) 11:47 (KST)
중립입니다. 일단 삭제해 버리고 싶으나 소마랑 형평성이 서는 문제가 있어서요. - Ellif 2007년 1월 31일 (수) 12:41 (KST)
사이트만의 특징이 보이지 않아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7년 2월 17일 (일) 19:51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분류:삼국지 매니아
필요한가요?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7일 (일) 16:10 (KST)
유지 - 필요합니다. 영어위키같이 사용자수나 문서수가 많은 곳엔 이미 보편화되어 있는 분류들입니다. 단지 한국어판에 이때까지는 없던 것 뿐이고 이제 도입되고 생겨난것 뿐이지요. -- Allen 2007년 1월 29일 (월) 05:01 (KST)
유지 유지하되 이름을 바꾸지요. 사용자 분류는 뒤에 사용자를 붙여야 혼동이 가지 않을 듯 싶네요.--퍼틴 2007년 1월 29일 (월) 10:12 (KST)
의견 유지 이유는 Allen, Hun99님의 의견과 동일합니다. --퍼틴 2007년 2월 2일 (토) 23:36 (KST)
의견 쩝. 제가 제 개인 사용자 페이지에 그냥 재미삼아 붙인게, 이렇게 삭제 토론까지 올라왔군요. ^^; 전 여러분들의 생각에 맡기겠습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 2007년 1월 29일 (월) 10:16 (KST)
유지 조건부 유지에 한 표 던집니다. [[사용자분류:삼국지 매니아]]같은 것이 가능하다면 제일 좋지 않을까 생각되지만, 이건 미디어위키에서 지원되는 지 여부가 확인이 필요할 것 같고, 분류:위키백과 사용자가 있으니, 분류:위키백과 사용자 - 삼국지 매니아 같은 형식으로 변경하는 조건입니다. 뒤에 (위키백과 사용자)라고 넣어줘도 되겠고요 --WaffenSS 2007년 1월 29일 (월) 10:56 (KST)
삭제 개인적인 취향에 따른 위키백과 사용자 분류는 이제까지 모두 삭제 토론을 통해 삭제되었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9일 (월) 11:51 (KST)
의견 [7] 영어 위키백과의 경우 문서 관심사 뿐만 아니라 정치이념과 같은 분류들 또한 존재하고 있습니다. 다른 언어판에도 상당수 존재하고요. 한국어판에서 두음법칙 폐지론자나 한자 혼용론자같은 분류가 문제가 된건 분류자체가 문제가 있기보다는 분류를 다른 타 사용자들을 자극하기 위한 일종의 돌려말하기였다고 생각합니다. 에멜무지로님이 여러차례 지적받았던 뒤에서 혼잣말하는 그런 방법으로 한글전용론자 분류를 만들고.. 뭐 그래서 다른 사용자들도 자극받아서 한자 혼용론자 만들고 옥신각신했던걸로 기억합니다. 한국어판에서 굳이 문제소지가 발생할 분류에 제한을 두면 정치이념에 따른 사용자 분류등에 제한을 굳이 건다면 반대하지 않겠지만 삼국지 매니아라던가 축구를 좋아하는 사용자,아마추어 기타리스트,채식주의자 같은 분류는 전혀 문제의 소지가 없는 건전하고 편안한 분류 아닌가요? PuzzletChung님도 지난번 사용자분류 대거삭제가 있었던 토론에서 그러한 의견을 말씀주셨고 저도 당시 종교별 사용자정도면 문제소지가 없으니까 괜찮지 않냐는 의견을 내놓았고 결국 종교별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분류들이 모두 삭제되었습니다. 전 갈등소지가 있을만한 분류가 아니라면 만드는것이 좀 더 즐거운 위키백과를 만드는게 기여할 수 있다고 봅니다. -- Allen 2007년 1월 30일 (화) 00:38 (KST)
유지 Allen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갈등적 요소가 없는 사용자 분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의 연대와 작업 공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겁니다. --Hun99 2007년 1월 30일 (화) 00:58 (KST)
삭제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를 안보셨군요. [8] 여기를 보세요. 위키백과는 잡학사전이 아니에요. 즉, 위키백과는 단순히 정보를 모아 놓는 곳은 아닙니다. 어떤 정보가 사실이라는 것 만으로는 백과사전에 포함하기에는 모자랄 수 있습니다. 삼국지매니아를 모아놓은것은 위키를 잡학사전으로 만드는 것이죠. 백과사전에서는 포함될수 없는 하찮은 정보입니다. 위키가 무슨 네이버블로그인줄 착각하시는분들 많으시네요.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화) 03:23 (KST)
의견위키백과 사용자 분류에 어떤 정보가 사실이라는 것 만으로는 백과사전에 포함하기에는 모자랄 수 있습니다.를 적용하는게 논리적으로 맞다고 생각하십니까? -- Allen 2007년 1월 30일 (수) 22:31 (KST)
삭제 저 역시 취향에 따른 사용자 분류는 만들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논리적으로 그래야만 하는 이유가 있어서는 아니고, 위키백과 기사의 질적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기능(분류)이 강화되는 것은 저의 신념에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사용자 공간이 좀 더 블로그화되거나, 편집자 개인을 좀 더 드러내는 것이 결과적으로 위키백과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 것도 납득합니다. 우리 모두가 만드는 사전이니,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따르겠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2월 2일 (금) 00:14 (KST)
유지 사용자 분류는 기껏해야 1인당 수십에서 수백 바이트를 차지할 뿐입니다. "위키백과는 개인 홈페이지를 제공하지 않습니다"에서의 개인 홈페이지는 그보다 훨씬 무겁고 커다란 것을 가리키는 거죠. 삼국지에 관련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분류를 통한 교류가 위키백과에 줄 수 있는 도움은, 거기에 들어가는 비용보다 최소한 100배 이상 크다고 생각합니다. (비용 자체가 워낙 적으니까요.) 하지만 역시 위키백과 사용자 분류임을 나타내기 위해 이름을 적절히 바꿀 필요는 있습니다. --Acepectif 2007년 3월 3일 (토) 07:35 (KST)
삭제 분류는 이동이 불가능하기에 의견은 삭제입니다만, 이런 분류 자체는 반대하지 않습니다. 이름을 적절히 바꾸어야겠죠. - IRTC1015(論·與·情) 2007년 3월 15일 (목) 12:49 (KST)
의견 조건부 유지에 한표 넣도록 하겠습니다. 이 분류는 철도 매니아의 틀을 분류로 바꾼다고 볼때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관심사 분류는 누구누구가 삼국지에 대해 관심이 많은지 대해 확인하는데 편한 방법이지요. 틀로만 된 경우는 어디어디에 연결되어 있는지 보려고 치면 조금 복잡합니다. 그리고 위키백과에 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말하자면, 유저박스도 마찬가지가 됩니다. 정치성향과 같은 극단적인이 아니므로 굳이 삭제하지 않아도 되겠지요.
- 그건 그렇고 기껏 1인당 수십byte라...예를 들어서 조그만한 용량을 가진 그림을 올렸는데 그거 인기가 좋아서 몇벽명이 보려고 다녀갔다고 생각해보십시오, 그리고 그걸 트레픽으로 계산하면 수백MB는 훌쩍 넘습니다. 웹계정에 인기있는 작품의 번역물등을 올려보고, 트래픽 제한에 걸려보셨으면 그런 말 못하실 겁니다. :) --눈사람 2007년 3월 15일 (금) 19:19 (KST)
- 방문자가 같을 때 용량이 절반이면 트래픽도 절반이 아닌가요? 사용자 분류는 기본적으로 텍스트 파일입니다. 그림과는 비교할 수 없죠. --Acepectif 2007년 3월 16일 (금) 05:39 (KST)
[편집]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문서는 Original research에 해당되며 개인적인 의견을 위키백과사전으로 만들었으므로 위키백과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삭제되어야 합니다. 이 문서는 반달리즘을 제외하면 단독으로 사용자:Theoteryi에 의해서만 편집되었으며 참고문헌등도 존재하지 않으며 무슨 책과 이론을 근거로 이문서를 만들었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완전히 개인적인 생각을 위키문서로 만든것입니다. 삭제되어야합니다.
유지 저만 편집한것은 맞습니다만. 전 이것을 일어판에서 번역했습니다. :) 그러면 위키백과:위키백과인은 어떻게 설명할래요? 그리고 참고 문헌등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용자:Theoteryi, 사용자:Airridi등의 사용자 네임스페이스 서식은 어떻게 설명하실 거구요? 위키백과:편집 지침, 위키백과:특수 함수등등 이런건 어떻게 설명할래요?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12 (KST)
의견삭제의 근거는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이 위키편집원칙을 어겼냐 안어겼냐하는것에 판단되는것이지, 다른 문서의 보존여부에 따라 결정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문서는 Original research에 해당되며 참고문헌도 없습니다. 더군다나 객관적인 판단 근거가 없어요. 삭제되야죠. 위키백과:편집 지침, 위키백과:특수 함수는요 일종의 사용설명서에요. 문서종류가 다릅니다.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8.254.218.167(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하지만 참고 문헌이 없는걸요? 설명해 보세요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28 (KST)
- p.s 위키백과:~~의 네임스페이스가 달린 문서는 일반 문서완 다릅니다.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29 (KST)
- pps 그런 이유로 따지자면 사용자:Masoris/번역실/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도 삭제 토론에 넘겨주어야할 건데요?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31 (KST)
- 사용설명서는 적어도 original research는 아니죠. 사용설명서이므로 위키자체가 참고문헌이라고 할수도있죠. 왜냐면 사용설명서데로 편집하면 위키가 올바르게 편집되니까요. 그러나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 이 문서를 통해서 중동증이라고 나오면 정말로 그사람이 중독된것이라고 볼수있나요? 아닙니다. 그 문서에 나온 숫자들은 어디서 근거한 것인가요? 단순히 개인적인 생각이죠. 학술적인 방법에 근거하여 만든 문서가 아니에요. 위키가 무슨 개인홈페이지나 네이버블로그도 아니고 저런것은 삭제되야죠.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8.254.218.167(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pps 그런 이유로 따지자면 사용자:Masoris/번역실/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도 삭제 토론에 넘겨주어야할 건데요?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31 (KST)
- 위키백과:위키백과 사용자 참조. 당신과 같은 오해 때문에 삭제 요청이 많았던 프로젝트 문서입니다.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33 (KST)
- 그것과 차원이 다르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위키백과:위키백과 사용자 이 문서에 나온데로 편집하면 편집이 올바르게 되지만요, 위키중독증에 나온 문서대로 검사해서 중독증 나오면 정말로 중독된건가 아닌가 어떻게 알수있죠? 아무런 근거없는 저런 문서는 지워져야되요. 무작정 일본어위키에 있다고 그게 올바른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되죠.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8.254.218.167(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
||||||||||||||
---|---|---|---|---|---|---|---|---|---|---|---|---|---|---|
![]() |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등급: 취약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Homo wikipediens Wales, 2001 |
||||||||||||||
아종 | ||||||||||||||
Homo wikipediens sysopous† Homo wikipediens bureaucratous† Homo wikipediens userous |
-
-
-
- 이 생물 분류표는 증거가 전혀 없는 건데요?--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40 (KST)
- 토론의 촛점이 흐려집니다. 지금 이 토론은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 를 지워야하나 말아야하는 것을 토론하는거에요. 왜 자꾸 다른걸 얘기하는지 모르겠군요.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 가 위키사용지침을 어겼냐 안어겼냐를 말해야지 왜 자꾸 다른걸 빗대에서 말해요? 토론을 제대로 합시다. :위키백과:위키백과 사용자 가 지워져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는 그 문서의 토론에 가서 말하세요. 여기는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를 지워야하나 말아야 하나를 결정하는 토론에요. 주제를 제대로 파악하세요.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8.254.218.167(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이 생물 분류표는 증거가 전혀 없는 건데요?--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40 (KST)
-
-
- 정말 말이 안통하는군요.
- 다시 정리해 봅시다. 위키백과:~~ 식의 네임스페이스는 일반 문서와 다르기 때문에 객관적인 증거가 필요 없어도 큰 상관 없습니다. 참고 서적도 필요 없습니다 :(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45 (KST)
- 우리 둘만이 토론하는건 별로 의미가 없군요 :(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1월 29일 (월) 03:46 (KST)
-
- 다른것을 빗대어 말하지 말라구요.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 이 문서가 위키지침을 어겼냐를 안어겼냐 말하는거에요. original research에요. 삭제되야죠. 객관적인 판단이 서지 않는 문서입니다. 그 문서를 통해서 중독이 됐는지 안됐는지 정확히 판단 할 수도 없고, 그 숫자는 어디서 나온 숫자인지 알수도 없습니다. 삭제되어야죠.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8.254.218.167(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개인적인 생각과 주관적인 숫자를 위키문서로 만든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네이버블로그에서나 볼수있는 문서에요. 위키문서의 수준을 위해서라도 지워져야합니다.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8.254.218.167(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
- 사용자 문서와 위키문서를 혼동하시는군요. 님의 그 문서를 굳이 유지하고자 한다면 님의 사용자문서에 옮겨 넣으세요. 위키백과로는 합당하지 않은 문서입니다. 더군다나 그 문서는 위키백과:~~의 문서로는 합당하지 않은 문서입니다. 개인사용자문서에나 어울리는 문서에요.
- 쉽게 설명하죠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에 나온 숫자들이 객관성을 갖나요? 어떤사람이 그 숫자를 임의로 바꾼다고 합시다. 그렇다고 그 사람이 틀렸다 맞았다라고 판단할수 없어요. 이렇게 객관성이 없고 판단근거가 없는 것을 위키문서에 넣으면 안된다는거에요. 님의 사용자문서에 넣으세요.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8.254.218.167(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의견 물론 위키백과에 Wikipedia:No original research와 같은 조항이 있고, 이것이 사용자스페이스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위키백과:위키백과 중독증 테스트"의 경우 이미 영어 위키백과에서나 일본어 위키백과 등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과 이와 같은 기준, 이와 같은 평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중독증 테스트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다만 이같은 중독증 테스트의 경우 정말 실제로 여기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자신이 심각한 중독증"에 걸렸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없으며, 실제로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도리어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68.254.218.167님께서 주장하시는 이 문서로 인한 "심각한 오해"는 사실상 기우에 불과합니다. (더군다나 아티클이 아니라 위키백과 스페이스입니다)
- 다만 이 문서의 경우 정리가 되지 않아 다소 조잡하고, 번역이 매끄럽지 않아 의미가 통하지 않으며 한국어 위키백과에 실정에 맞지 않는 부분이 매우 많습니다. 이에 따라 전면적인 수정과 보완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30일 (화) 00:21 (KST)
삭제중동증 문서는 위키백과:~ 문서로도 합당치 못하고 백과사전으로도 합당치못함. 삼류잡지에나 나오는 애들말장난같아 사전의 항목으로는 적절치못함.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화) 03:16 (KST)
의견 위키백과: 로 시작하는 문서가 "백과사전"의 "일부"에 해당합니까? --WaffenSS 2007년 1월 30일 (화) 03:37 (KST)
의견 백과사전은 아닙니다. 위키백과:~의 문서로 합당하지 않다는거죠. 저 숫자는 무엇을 근거로 하고 질문의 항목들은 무엇을 근거로합니까? 사람마다 저 숫자와 질문들에 대해 다르게 생각할 것입니다. 즉, 개인적인 생각을 옮긴 문서로 개인홈페이지에나 합당하다는겁니다.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화) 03:39 (KST)
- 영어위키백과나 일본어 위키백과의 중독증(중동증이 아닙니다:) 문서의 항목이나 숫자 모두 자의적이고 임의적입니다. 이것은 위키백과 내의 문화적 현상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 과정에 딸기님이 임의적으로 문서를 작성한데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30일 (화) 11:30 (KST)
유지 위키백과 커뮤니티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고, 영어 위키백과의 경우 Wikipedia 네임스페이스에는 정책이나 지침, 정책 제안, 지침 제안 외에 수필도 올라옵니다. 위키백과 네임스페이스에 위키백과와 관련된 내용이 올라오는 경우는 특별히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Kjoonlee 2007년 2월 5일 (월) 01:22 (KST)
의견 지금 이 문서는 일본측의 증독증을 번역해온거라고 하셨죠. 일본어판에 맞도록 작성된 것이니, 한국어판에는 안맞습니다. 차라리 한국어판 실정에 맞도록 독자적으로 작성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눈사람 2007년 2월 5일 (월) 02:33 (KST)
유지 이게 한오백년이 존재할수 밖에 없는 이유라니까요? 그리고 이건 일본만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위키백과의 스페이스에 있는 내용입니다. 그럼 백:GUS랑 위키백과:위키페탄은 어떻게 설명하시게요? - Ellif 2007년 2월 16일 (금) 02:05 (KST)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재미를 위해서 존재할 수 있는 문서로 다른 위키백과에서도 이미 비슷한 성격의 문서가 여럿 존재하기 때문에, 유지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한오백년 이야기는 왜 튀어나오는 거죠?) --Klutzy 2007년 2월 17일 (일) 18:05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반공법에 처벌에 대한 에피소드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는 문서로 판단됩니다. 정 필요하다면 정리/요약하여 본문에 넣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퍼틴 2007년 1월 29일 (월) 10:33 (KST)
의견 병합이 일단 나아보이는데, 내용을 보니 저작권 위반이 좀 의심되네요. --Hun99 2007년 1월 29일 (월) 11:40 (KST)
의견 내용을 다시 보니, 반공법 에피소드가 아니라 국가보안법에 관한 내용이네요;;.. 제목과는 다른 엉뚱한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일부 내용은 이미 국가보안법 문서에 들어가 있군요. 삭제 신청하겠습니다. --Hun99 2007년 2월 4일 (일) 01:33 (KST)
삭제되었네요. :) --정안영민 2007년 3월 10일 (일) 19:19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동북공정의 원인과 한국인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의견밖에 없습니다. 백과사전에 적합하지 않은 문서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토론 가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내용이 밑으로 가면 갈수록 개인 의견을 극을 달리는군요. -- Allen 2007년 1월 31일 (수) 01:27 (KST)
유지 유지해야합니다. 동북공정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지요. 그리고 현재 한국인의 의식도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1일 (수) 01:35 (KST)
작성자 스스로가 [9]라며 삭제요구를 했습니다. 빠른 삭제 부탁합니다. -- Allen 2007년 1월 31일 (수) 01:39 (KST)
삭제되었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3월 10일 (일) 19:20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