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철도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철도청(鐵道廳, 영어: Korean National Railroad)는 1963년 9월 1일부터 2005년 1월 1일까지 존재한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부처이다. 철도 영업과 연구, 시설 관리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다.
[편집] 연혁
- 1963년 9월 1일 : 교통부 철도국이 철도청으로 분리, 개청.
- 1967년 8월 31일 : 증기기관차 운행 종료.
- 1967년 9월 1일 : 경부선에 특급 비둘기호 운행 개시.
- 1969년 2월 10일 : 경부선에 관광호 운행 개시. 나중에 새마을호로 개칭된다.
- 1973년 6월 20일 : 8000호대 전기 기관차 운행 개시.
- 1980년 11월 1일 : 우등형 전기 동차가 우등 열차로 운행 개시.
- 1984년 1월 1일 : 열차 등급 및 열차명 개정.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
- 1987년 7월 6일 : 동차형 새마을호 첫 운행.
- 1989년 12월 30일 : 철도 공사화 추진.
- 1992년 6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기공.
- 1994년 7월 28일 : 한국철도산업기술연구원 출범.
- 1994년 5월 10일 : 철도공사 설립준비단 출범.
- 1995년 11월 20일 :〈국유철도의운영에관한특례법〉 제정.
- 1998년 7월 31일 : 정부대전청사로 이전.
- 1999년 9월 18일 : 외국인 전용 "KR Pass" 발행.
- 2000년 11월 14일 : 비둘기호 운행 종료.
- 2002년 12월 24일 : 철도회관 준공.
- 2004년 3월 31일 : 통일호 운행 종료.
- 2004년 4월 1일 : 한국고속철도 개통.
- 2005년 1월 1일 : 철도청이 폐지되고, 철도 영업 부문은 한국철도공사로, 철도 시설 건설·관리·연구 개발 부문은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분할됨.
[편집] 역대 청장
이름 | 대수 | 재임기간 | 비고 |
---|---|---|---|
박형훈(朴亨勳) | 1 | 1963.09 ~ 1964.07 | |
김진식(金鎭軾) | 2 | 1964.07 ~ 1966.01 | |
양택식(梁鐸植) | 3 | 1966.01 ~ 1967.10 | |
이훈섭(李勳燮) | 4 | 1967.10 ~ 1970.04 | |
김준배(金俊培) | 5 | 1970.04 ~ 1970.10 | |
이 용 (李 龍) | 6 | 1970.10 ~ 1971.06 | |
오용운(吳龍雲) | 7 | 1971.06 ~ 1973.08 | |
이동화(李東和) | 8 | 1973.08 ~ 1976.03 | |
김재현(金在鉉) | 9 | 1976.03 ~ 1977.11 | |
이용식(李鏞植) | 10 | 1977.11 ~ 1980.07 | |
황해중(黃海重) | 11 | 1980.07 ~ 1981.05 | |
안창화(安昌和) | 12 | 1981.05 ~ 1983.01 | |
최기덕(崔璂德) | 13 | 1983.01 ~ 1988.12 | |
김하경(金夏經) | 14 | 1988.12 ~ 1990.06 | |
신영국(辛永國) | 15 | 1990.06 ~ 1991.12 | |
최평욱(崔枰旭) | 16 | 1991.12 ~ 1992.03 | |
강신태(姜信泰) | 17 | 1992.03 ~ 1993.03 | |
최 훈 (崔 燻) | 18 | 1993.04 ~ 1994.08 | |
김인호(金仁浩) | 19 | 1994.08 ~ 1996.03 | |
김경회(金坰會) | 20 | 1996.03 ~ 1998.03 | |
정종환(鄭鍾煥) | 21 | 1998.03 ~ 2001.03 | |
손학래(孫鶴來) | 22 | 2001.04 ~ 2003.02 | |
김세호(金世浩) | 23 | 2003.03 ~ 2004.09 | |
신광순(申光淳) | 24 | 2004.10 ~ 20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