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독자연구 금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위키백과:사랑방/2007년 9월에서 올라온 내용

Original research와 관련된 지적이 종종 나옵니다만,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아직 original research의 게재를 금지하는 정책 또는 지침이 명문화되어 있지 않아서, 백:아님#사견에 준하여 고유 연구 내용 게재를 금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몇몇 사용자들께서 해당 정책을 명문화할 필요성을 느끼고 정책안을 번역중입니다(Tiens님, Johyeongryeol님 등) . 저도 비슷한 필요를 느껴 정책안과 별개로 일단 original research가 의심되는 문서에 붙일 수 있는 {{고유연구}}{{고유연구?}}를 생성해두었습니다. 이런 상황과 관련해서, 정책안이 마련되기 전에 ‘original research’를 한국어로 어떻게 번역해야 마땅할지 여러 사용자들의 의견을 묻는 것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혹시 익숙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서 짧게 설명드리면, original research는 신뢰할만한 매체를 통해서 아직 공개적으로 발표된 바 없는 연구 성과를 의미합니다. 신뢰할만한 매체에 대한 엄밀한 정의도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논문, 책, 학술 저널 등을 포함합니다. Original research의 게재를 금지하는 것은 '중립적인 시각'과 '검증할 수 있어야 함' 등과 함께 위키백과 내용에 관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영어판 등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서 이미 명문화되어 있는 정책을 참고해 주십시오.

다음과 같은 번역이 제안된 상태입니다만 다른 의견도 좋습니다.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를 알아봅시다.

  • 독자적 연구
사용자:Tiens/독자적 연구는 안됩니다에 제안된 사용자:Tiens의 번역.
  • 독자연구
위키백과:독자연구 금지에 제안된 사용자:Johyeongryeol의 번역.
  • (기여자) 고유의 연구 성과
틀:고유연구, 틀:고유연구?등에 제안된 사용자:Sjhan81의 번역.

이 밖에,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독자연구,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원창연구로 표현하고 있답니다. (Airridi님의 토론 페이지 참조) --Sjhan81 2007년 9월 5일 (수) 15:12 (KST)

참고로 예전에 있었던 Original Research 의 한국어명에 대한 토론 내용[1]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tiens 2007년 9월 5일 (수) 15:22 (KST)
논외지만, original research 단속은 영어판보다 반 이상 느슨하게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큰스님 2007년 9월 5일 (수) 16:21 (KST)
논외이므로, 토론하고 싶다면 별도의 쓰레드를 작성해서 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울러 거기에는 느슨하게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도. -- tiens 2007년 9월 5일 (수) 16:26 (KST)

저는 '고유연구'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독자적'이라는 말에는 무엇가를 '혼자서' 한다는 의미가 있는데, 둘이 같이 해도 original research가 아닌 건 아니니까요. --Acepectif 2007년 9월 6일 (목) 11:32 (KST)

고유는 distinct나 unique에 가까운 의미가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독자'는 개인 한 사람 뿐만 아니라, 비슷한 부류의 그룹 하나, 아무튼 어떤 대상에서 의견을 같이 하는 사람들 또한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생각이 다른 두 사람이 토론을 통해 뭔가를 한다 해도, 그것이 널리 알려지지 않고 검증되지 않는다면, 둘 만의 탁상공론이고, 그것도 또한 그들만의 '독자적인 공론'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tiens 2007년 9월 6일 (목) 17:52 (KST)
'독자적'이라는 말은 '남들을 신경쓰지 않고 자기 주장대로 한다'는 느낌을 줍니다. 실제로 tiens님은 '탁상공론', '독자적인 공론'이라는 표현을 쓰고 계신데, 영어의 original research는 결코 부정적인 표현이 아닙니다. 의미를 생각해 직역하자면 "독창적인 연구"라고 해야겠죠. ('독창적인'과 '독자적인' 사이에 엄청난 어감의 차이가 있는 걸 느끼시겠지요.) 저는 original research의 금지가 '그런 애들 장난을 위키백과에 왜 올리냐' 보다는 '여기는 최신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곳이 아니니까 전문적인 학술지나 언론사에 보내는 게 어떻겠습니까'여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런 관점에서 비교적 덜 부정적인 어감의 '고유연구'가 낫다고 생각합니다. --Acepectif 2007년 9월 6일 (목) 18:06 (KST)
하시려는 말씀은 잘 알겠습니다. 에궁. 지금 일본 간토 지방에 태풍이 올라옵니다. 얼른 정리하고 집에 가야할 것 같아서 나중에 쓸게요. ^^; -- tiens 2007년 9월 6일 (목) 18:15 (KST)
확실히, '독자적'이라는 말에는 '남들을 신경쓰지 않고 자신의 주장을 내세움'이란 의미가 있습니다. 남들의 의견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의견을 내는 것도 '독자적'이므로, 비록 제가 '탁상공론', '독자적인 공론'이란 용어를 어쩌다가 쓰게 되어 '독자적'과 중첩되는 것처럼 보였으나, 이것이 부정적이냐 긍정적이냐 하는 것하고는 관계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때마침 최근에 original research 관련하여 벌어진 몇가지 토론의 영향으로, 조금 부정적인 뉘앙스를 제가 풍긴 모양입니다. 그러나 여러 많은 '독자적'이라 불리는 이슈들이, 설령 그 자체로는 의미가 있거나 부정/긍정과는 관계가 없다 하더라도, 이곳 위키백과를 통해서 이런 것들이 올라오는 것은, 위키백과의 질에는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위키백과를 어떻게 보고 있느냐의 제 관점이긴 합니다만). 다른 분들도 '독자적'에 그런 부정적인 뉘앙스가 풍겨지고, 더 나은 단어를 고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시면 저도 '독자적' 외의 다른 단어를 생각해보겠습니다. 밑의 '비검증 연구'도 괜찮아 보이는군요. 한편, 원 내용을 토대로 자신의 주장을 넣어 올리려는 시도 또한 'original research'의 한국어로 번역된 단어의 범주로 봐야 할까요? -- tiens 2007년 9월 7일 (금) 12:12 (KST)

'비검증 연구'는 어떨까요. Original research라는 단어를 그대로 번역하기 보단 그 뜻(Original research (OR) is a term used in Wikipedia to refer to unpublished facts, arguments, concepts, statements, or theories. - en:WP:OR의 첫 문장서 발췌)을 가지고 단어를 만드는게 나을 것 같은데요. --hnc197 2007년 9월 6일 (목) 18:15 (KST)

신규 연구, 새 연구, 미출판 연구도 검토 대상으로 제안합니다. --Kjoonlee 2007년 9월 7일 (금) 01:12 (KST)

讀者 연구도 제안합니다. --Kjoonlee 2007년 9월 11일 (화) 11:27 (KST)

이미 출판된 것도 신뢰성이 없다면 출처로 채택될 수 없습니다. 블로그 등의 인터넷 출판도 마찬가지입니다. '독자 연구'나 '자기 주장'이 괜챦을 듯합니다. jtm71 2007년 9월 7일 (금) 22:04 (KST)

신뢰성은 original research와도 어느정도 관련이 있지만 verifiability랑 더 관련된 사항 같습니다. --Sjhan81 2007년 9월 8일 (토) 20:09 (KST)

전에도 적은 적이 있지만, ‘자체 연구’는 어떤가요. --Puzzlet Chung 2007년 9월 8일 (토) 20:18 (KST)

[편집] 제안된 표현들

  • 기여자 자신(자신이 속한 집단을 포함)의 연구 성과라는 점을 좀 더 부각하는 용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안되었습니다. (띄어쓰기는 임의로 했습니다.)
    • 독자 연구 (독자적 연구)
    • 독자 연구 (讀者의 연구)
    • 고유 연구 (고유의 연구)
    • 자체 연구
    • 자기 주장
  • 검증되지 않은 점을 좀 더 부각하는 용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안되었습니다.
    • 비검증 연구
  • 공개되지 않은 점을 좀 더 부각하는 용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안되었습니다.
    • 신규 연구 (새 연구)
    • 미출판 연구

영어판 위키백과에서는 original research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Original research (OR) is a term used in Wikipedia to refer to unpublished facts, arguments, concepts, statements, or theories. The term also applies to any unpublished analysis or synthesis of published material that appears to advance a position — or, in the words of Wikipedia's co-founder en:Jimmy Wales, would amount to a "novel narrative or historical interpretation."

또한 같은 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도 있습니다.

Wikipedia:No original research (NOR) is one of three content policies. The others are Wikipedia:Neutral point of view (NPOV) and Wikipedia:Verifiability (V). Jointly, these policies determine the type and quality of material that is acceptable in articles. Since the policies complement each other,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isolation from one another, and editors should try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all three.

위의 내용을 참고로 하면, original research의 개념에서, OR에 해당되지 않으려면, 어떠한 내용이 verifiability(검증될 수 있어야 함)의 조건인 reliable sources(신뢰할만한 출처)에 발표되었어야 함은 당연하지만, 그것 보다는 OR의 개념 자체로써는 공개적으로 알려진 바 없음(unpublished)을 강조하고, verifiability와 관련된 내용은 따로이 정책으로 만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런 면에서, 가능하다면, 독자적인 연구 성과라는 점과 (신뢰할만한 매체에) 아직 발표된 바 없는 연구 성과라는 점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표현(예를 들어, 알려지지 않은 독자적 연구)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개념을 설명하는 데에는 반드시 verifiability를 만족해야 함을 명시하고요. --Sjhan81 2007년 9월 9일 (일) 10:40 (KST)

수고 많으십니다. 이상의 제안들 가운데 어느정도 의견이 결집되면, 그 글을 주제로 위키백과 네임스페이스의 글을 신규 작성하고, 내용은 영문판의 OR을 비롯해 관련 정보들을 넣는 식이 되어야겠죠? -- tiens 2007년 9월 10일 (월) 12:23 (KST)

사랑방에 있는 글을 이쪽으로 옮겼습니다. 문서 역사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이후의 토론은 되도록 새로운 섹션을 만들어서 했으면 좋겠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22일 (토) 10:4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