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기채(朴基采, 1906년 ~ ?)는 한국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전라남도 광주 출신으로 일본에 유학하여 도지샤대학에서 영화를 공부했다. 귀국하여 1937년 〈춘풍〉을 연출해 데뷔했고, 1939년 이광수의 소설 〈무정〉을 영화화해 주목받는 신진 감독이 되었다. 이 영화는 한은진의 첫 출연작이다[1].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친일 영화를 감독했다. 〈나는 간다(일본어: 今ど我は行く)〉(1942년)와 〈조선해협〉(1943년)의 두 편으로, 모두 태평양 전쟁에 참전할 것을 부추기는 내용의 국책 영화이다. 특히 징병제 실시 기념으로 제작된 〈조선해협〉은 본격적인 친일 영화로 꼽히고 있다.
한국 전쟁 중에 북조선으로 납치되어 이후 행적은 알 수 없다[2].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파 목록 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
[편집] 참고자료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박기채
- 《FILM2.0》(2006.2.28) 1930-40년대 한국영화 수집발굴전
[편집] 주석
- ↑ 부천 판타스틱 영화제, 한국영화 명배우 회고전 : 한은진 (2002년)
- ↑ 《씨네21》 (2001.3.26) 59편의 영화, 그 첫발자욱 - 홍성기 감독밑에서의 감독수업과 데뷔작 〈여성일기〉
분류: 1906년 태어남 | 한국의 영화 감독 |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 광주광역시 출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