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초등학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참 잘했어요' 도장.
'참 잘했어요' 도장.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교육은 입학년도의 3월 1일에 만 6세를 넘은 아동들부터 시작된다. 3월 1일이 삼일절로 공휴일이기 때문에 보통은 3월 2일이, 3월 2일이 일요일이면 3월 3일에 입학식과 함께 교육 과정이 시작된다. 6년간의 교육과정으로 의무교육이다. 만 5세 아동도 입학을 희망하는 학교의 만 5세 아동 취학허용 정원을 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학교장의 허락을 받아 입학할 수 있다. 또한 만 6세가 되었어도 1년 단위로 취학 유예가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초등학교를 1996년 이전에는 국민학교라고 불렀다.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라는 명칭으로 바꾸게 된 계기는 '국민학교의 국민이라는 말에는 황국신민(皇國臣民)의 뜻이 담겨져 있으며 이는 일제의 잔재이기 때문에' 일제의 잔재를 없애기 위한 시도로 이루어졌다.

[편집] 교육과정

대한민국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으로서 교과, 재량활동, 특별 활동으로 편성되어 있다. 교과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6학년
  • 우리들은 1학년
  • 말하기·듣기
  • 읽기
  • 쓰기
  • 수학
  • 바른생활
  • 슬기로운생활
  • 즐거운생활
  • 말하기·듣기
  • 읽기
  • 쓰기
  • 수학
  • 바른생활
  • 슬기로운생활
  • 즐거운생활
  • 말하기·듣기
  • 읽기
  • 쓰기
  • 수학
  • 사회
  • 과학
  • 도덕
  • 영어
  • 음악
  • 미술
  • 체육
  • 말하기·듣기·쓰기
  • 읽기
  • 수학
  • 사회
  • 과학
  • 도덕
  • 영어
  • 음악
  • 미술
  • 도덕
  • 체육
  • 말하기·듣기·쓰기
  • 읽기
  • 수학
  • 사회
  • 과학
  • 도덕
  • 영어
  • 음악
  • 미술
  • 체육
  • 실과

재량 활동은 교과 재량 활동(한자, 즐거운컴퓨터)과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별 활동은 5개 영역인 자치 활동, 적응 활동, 계발 활동, 봉사 활동, 행사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 참조문서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