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시의 프란체스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시시의 성 프란체스코(이탈리아어: San Francesco d'Assisi, 1181년 ~ 1226년)는 로마 가톨릭의 수도사이다. 13세기 초에 프란체스코회 설립으로 세속화된 로마 가톨릭의 개혁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로마 가톨릭 이외의 그리스도교 교파들에서도 존경을 받아서, 대한 성공회의 수도원 중에도 성 프란시스 수도회라는 성공회 수사 공동체가 있다. 로마 가톨릭의 성인. 축일은 10월 4일. 흔히 갈색 수도복에 밧줄 허리띠를 맨 모습으로 그려진다. 상징물은 비둘기·5개의 성흔·프란체스코회 수도복·십자가·해골이다.
목차 |
[편집] 행적
[편집] 유년기 및 청년기
1181년 이탈리아의 아시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부유한 상인 피에트로 디 베르나르도네였다. 피에트로가 사업상 프랑스로 갔을 때에 그의 아내 피카가 프란체스코를 낳았다. 피에트로가 아시시로 돌아왔을 때 그 아기가 산 루피노 대성당에서 세례를 받고 조반니라는 이름을 받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피에트로는 그 이름을 좋아하지 않았으므로, 아들의 이름을 프랑스에서 유래한 프란체스코라고 다시 지어 주었다.
아시시 내에서의 긴장은 1198년경부터 생겨났다. 그 해에,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선출되었다. 정치적이었던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세속에서조차도 교회의 지상권을 주장하였다. 그 해 봄,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이름으로 로카 성을 관리하던 콘라드 백작이 로마 교황청에게 스폴레토에 있는 공작령을 양도하기 위해 스폴레토로 떠났다. 이 때, 아시시 시민들은 그가 없는 틈을 타 로카 성을 점령하였다. 그러자 시민과 귀족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 당시 프란체스코는 16살쯤 되었을 때였는데, 그도 이 일에 참여하였다.
1202년 페루자로 피난을 갔던 아시시의 귀족들이 아시시의 시민들과 마주치게 되었다. 프란체스코는 Collestrada 전투에 참여하였는데, 이 전투에서 아시시군은 포로가 되어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프란체스코는 1년간을 감옥에서 지냈는데, 부자인 아버지가 낸 보속금으로 풀려나게 되었다. 감옥 생활을 통해 그의 건강은 매우 악화되었고, 1204년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에서 지내게 되었다.
프란체스코는 건강을 얻게 되자, 더 높은 이상을 갖기 시작했다. 이번에 그는 기사가 되길 꿈꾸었다. 십자군 원정에 참전하는 명성과 더불어서 기사도의 낭만은 당시 많은 젊은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었다. 1204년 그는 십자군 원정에 참여할 목적으로 이탈리아 남부에 있는 풀리에로 출정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는 십자군에 합류했으나 얼마 안 가 아시시로 되돌아갔다. 전기 작가들은 어떤 환시와 꿈 때문이었다고 기록했다.
그 후 프란체스코는 친구들과 어울려 사치스럽게 연회를 보내 세월을 보내었다. 그러나 그도 얼마 지나지 않아 지겨워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그는 늘 아시시 변두리를 배회하기 시작했다. 한 이름 모를 사람과 함께 한적한 장소에 가곤 했으며, 스스로 동굴에 가서 몇 시간 동안을 보내곤 하였다. 그가 다시 돌아왔을 때는 완전히 멍한 상태였다고 한다. 그는 아시시 밑에 있는 평원으로 말을 타고 나가곤 하였는데, 거기에는 나환자촌이 있었다. 그는 어느 나환자와 정면으로 마주치게 되었는데, 비록 그는 그 나환자를 보고 놀랬지만 말에서 내려와 그 사람에게로 가서 돈을 쥐어 주고는 평화의 입맞춤을 하였다. 그는 그의 삶 전체를 통해서 이 만남을 가장 소중히 여겨 마음에 간직하였는데, 심지어는 죽음을 맞이하면서도 이 기억을 떠올릴 정도였다.
1205년에 가서는 또 다른 만남이 그를 전적으로 변화시켜 주었다. 이번에는 낡고 반쯤은 버려진 아시시 밑에 쪽에 위치한 성 다미아노 성당에서였다. 그 성당은 한 가난하고 늙은 신부가 담당하고 있었는데, 그 신부는 너무 가난해서 십자가 앞에 불을 밝힐 기름을 살 돈도 없었다. 프란체스코는 그 십자가를 바라보는 것에 매료되었다. 그래서 그는 그 성당의 보수를 위해 아버지의 가게로 가서 값비싼 포목을 꺼내 가지고는 폴리노 시장에 가서 죄다 팔았고 거기서 말도 팔았다. 그런 다음, 그는 자기가 번 돈을 그 성당의 신부에게 갖다 주기 위해 돌아왔는데, 그 신부는 그 돈을 정중히 거절하였다. 그 대신 프란체스코에게 봉사자로서 교회에 봉사를 해주는 것은 허락해주었다.
프란체스코는 아버지와 갈등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피에트로는 프란체스코가 성당 수리를 위해 벽돌을 구걸하러 돌아다니고, 거지들과 어울리면서 그들에게 돈을 주는 모습을 못마땅해 하였다. 그러나 프란체스코는 아버지의 뜻을 거스르고 민중들과 함께 살기 위해 스스로 가난한 사람이 되었다. 실례로 그는 “나는 청빈이라는 부인과 결혼했다” 라고 말하면서 청빈을 실천했다. 부자의 아들로 자란 그는 부(富)가 선망의 대상이 아닌, 인생의 족쇄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그는 아버지로부터 상속권을 박탈당할 위기에 놓였다. 피에트로는 프란체스코에게 상속권을 주지 않겠다고 선언하기 위해 시의 집정관들에게 데리고 갔다. 그러나 이 문제는 종교적 문제였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주교의 권한에 달려있었다. 시의 집정관들은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었으므로 이 문제에 개입하지 않았다. 그래서 산타 마리아 마기오레 성당에서 가까운 주교관에서 재판이 열렸다. 아시시의 주교 귀도는 프란체스코가 가지고 있는 돈을 아버지에게 돌려주라고 권유하였다. 이에 프란체스코는 순명하여, 가지고 있던 돈을 모두 주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옷을 다 벗고는 옷들과 자기가 가지고 있던 모든 것을 다 아버지에게 돌려주었다. 그리고 그는 “이제부터 저는 하느님께로 방향을 돌려, 그 분을 하늘에 계신 저의 아버지라고 부르겠습니다” 라고 말하였다. 피에트로는 당황한 채로 집에 돌아갔고, 프란체스코는 가난한 은수자의 옷을 입고 아시시를 떠났다. 가는 길에 프란체스코는 강도의 습격을 받았는데, 그는 자신이 위대한 왕의 사자라고 말하였다. 그 강도들은 그를 정신병자 정도로 생각하여 그를 구덩이에 던져 넣고 떠났는데, 프란체스코는 거기에서 하느님을 찬양하였다.
[편집] 성년기
1206년 여름에 프란체스코는 아시시로 되돌아가 구걸 행위를 통해 성 다미아노 성당을 수리하였다. 그런 다음 그는 다른 성당들, 즉 성 베드로 성당과 천사들의 성 마리아 성당, 혹은 포르치운쿨라 성당을 수리하는 일을 계속하였다. 이 포르치운쿨라 성당은 아시시 아래쪽에 있는 움브리아 평원에 자리잡고 있으며, 프란체스코가 시작한 운동(프란치스칸 운동)이 태동하는 자리가 된다.
이러한 프란체스코의 신앙의 실천에 감동을 받은 사람들이 생겼고, 공동체가 생겨났다. 프란체스코는 이들을 작은 형제들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가 수도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모범을 따라 진정한 형제들로서, 그리고 진정한 의미의 수도자로 살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이 작은 형제 공동체는 그 숫자가 꾸준하게 늘어갔다. 프란체스코의 작은 형제 공동체는 노동과 묵상으로 하느님을 섬겼다. 프란체스코는 고향 아시시에서 수바시오(Subassio) 산에 운둔처를 세웠는데, 이는 후에 카르세리 수도원이 되었다.
1209년 프란체스코는 형제들을 위해 간단한 회칙을 써 주었다. 그리고 12명의 동료들과 함께 로마로 가서 교황을 알현하여 자신들의 수도회를 인가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처음에는 프란체스코가 제출한 회칙의 생활 양식이 너무나도 이상적이며 엄격하다 하여 인가를 거절하였으나, 그날 밤 꿈 속에 쓰러져가는 성 베드로 대성당을 프란체스코가 어깨로 부축하여 세우는 것을 보고 프란체스코가 교회를 쇄신시킬 인재라는 것을 깨달아, 다음날 회칙과 수도회를 정식 승인하였다.
1211년 그리스도의 수난 성지주일 날, 귀도 주교의 허락 아래 클라라가 아시시의 자기 집에서 뛰쳐나와 포르치운쿨라로 왔다. 클라라는 프란체스코를 비밀리에 만나 자기도 프란치스칸 운동에 동참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그래서 그녀는 성모상 밑에서 머리를 자른 다음 자신의 귀족 옷을 벗고 회개자의 옷으로 갈아입었다. 프란체스코는 몇몇 수도자들과 함께 그녀를 안전한 장소인 아바데세의 한 수녀원으로 피신시켰다. 클라라의 가족들은 그녀에게 집으로 되돌아올 것을 요청하기 위해 수도원을 찾아갔지만, 외부인에게 대해서는 출입이 허락되지 않은 수도원의 규칙 덕분에 클라라는 그 곳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었다. 얼마 후 클라라의 동생 카테리나도 언니를 따라 프란치스칸 운동에 참여하였다. 삼촌인 모나르도가 와서 강제로 카테리나를 집으로 데리고 가려고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나중에는 클라라의 어머니 오토라나와 또다른 여동생 베아트리스도 입회하였다. 프란체스코는 클라라들을 성 다미아노 성당으로 보냈다. 훗날 클라라들은 그 곳에서 산 다미아노의 가난한 자매들의 수녀회(Order of Poor Ladies of San Damiano)를 창설하였다.
프란체스코는 1213년 모로코 선교를 시도하였고, 이어서 시리아와 아프리카에도 선교사로 가기를 원했지만 파선과 질병으로 모두 좌절되었으며, 무슬림들에게 복음을 전하려고 그들을 찾아갈 적이 있을 정도로 선교에 대한 열망으로 불타고 있었다. 그러다가 1219년에 십자군을 따라 이집트로 갔다가 술탄 말렉크 알 카멜을 만나 십자군 전쟁의 평화로운 해결을 위한 대화를 시도했으나, 포로 신세가 되었으며 술탄을 개종시키려는 시도를 했었다. 그 뒤 1220년에 예루살렘 순례를 하고 시리아까지 선교 활동을 벌였는데 이로써 예루살렘에 작은형제회가 살기 시작하였다.
1215년 11월에 프란체스코는 교회 역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건들 중의 하나인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 참석하였다. 프란체스코는 또다른 위대한 수도회의 창설자인 도미니코를 만난 것은 이 때였을 것이다. 이 공의회는 몇 가지 중요한 결정을 했는데, 그 중 하나가 새롭게 창설된 수도회들의 회칙을 승인해 주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프란체스코는 교황이 이미 1209년에 구도로 인준해 주었기 때문에, 1223년 회칙을 승인받게 되었다.
프란체스코는 성흔으로도 유명한데, 이는 예수 그리스도가 살아 생전 십자가에 매달릴 때 입은 상처가 성인들에게 그대로 나타나는 초자연적인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1224년 8월 15일부터 9월 29일 사이에 프란체스코는 라베르나 산에서 단식 기도를 하고 있었다. 성 십자가 현양 축일인 9월 14일 전후에 프란체스코는 기도를 하던 도중 갑자기 십자가에 못박힌 세라핌을 목격하고 그리스도가 받은 다섯 상처를 자신의 손과 발 그리고 옆구리에 똑같이 입었는데, 이것은 최초로 공식 확인된 성흔이다. 하지만 성흔 현상 이후 건강이 급속히 안 좋아져 눈이 반쯤 멀었고 심한 병까지 얻었다. 이 사건은 프란체스코에 관한 중세의 믿을만한 사료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1226년 10월 3일 토요일 해질 무렵에 프란체스코는 동료 수도자들에게 요한 복음서의 수난기를 읽어달라고 청하고 나서 시편 141편을 기도한 후에 “어느 누구도 죽음의 포옹에서 달아날 수 없습니다” 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로부터 2년 뒤 1228년 7월 16일 프란체스코는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성 프란체스코의 유해는 성 조르지오 성당에 잠시 묻혔다가, 1230년에 성 프란체스코 대성당으로 이장되었다. 1939년 프란체스코는 이탈리아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되었고, 1980년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생태학자들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되었다.
가톨릭 교회의 미사에서 그의 축일에 바치는 본기도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느님, 가난하고 겸손한 성 프란치스코를 통하여 살아 계신 그리스도의 모습을 저희에게 보여 주셨으니, 저희도 그를 본받아 성자를 따르게 하시고, 사랑과 기쁨으로 가득 차 주님과 하나 되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영원하신 하느님이신 우리 주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나이다. 아멘.
[편집] 태양의 찬가
성 프란체스코가 병상에서 쓴 성가이다.
지극히 높으신 전능의 하느님, 지고한 善의 주님이시여 당신을 찬양하며, 당신의 위대하심과 내려주신 복을 찬양합니다. 지극히 높으신 당신, 홀로 이 찬양 받으소서 썩어 없어질 우리의 입술은 당신의 이름을 감히 부를 수 없습니다. 주님, 모든 찬양 받으소서. 당신께서 만드신 모든 피조물과 우리에게 낮을 가져다주는 맏형 태양을 통하여... 당신은 그 태양으로 우리에게 빛을 선사하시나이다. 그 태양은 얼마나 아름답습니까? 그 광휘로움은 얼마나 빛납니까? 지극히 높으신 주님, 태양을 통해 당신의 형상을 봅니다.
[편집] 바깥고리
- Worldwide Franciscans (Friars Minor)
- Friars Minor Province of England
- The Capuchin-Franciscan Friars
- The Brothers of the Poor of St. Francis of Assisi, CFP located in the United States, Belgium, The Netherlands, and Brazil, Regular Third Order, official website
- Conventual Franciscans Worldwide
- The Franciscan Archive
- The Society of St. Francis (Anglican/Episcopal) in North America
- The Society of St. Francis (Anglican/ Episcopal) in Europe
- Franciscan Cyberspot: Sources for the Life of St. Francis
- ST. FRANCIS AND THE WOLF OF GUBBIO on Associazione Eugubini nel Mondo
- The Words of St. Francis
- Article on St Francis at Catholic Online
- detailed Article on Francis of Assisi
- Patron Saints@ Catholic Forum
- Musical Theatre about St. Francis of Assisi
- Friars Minor Conventual in North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Ireland
![]() |
이 문서는 종교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