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 (품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사의 다른 뜻은 동사에 있다.

동사(動詞) 또는 움직씨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품사이다. 형용사와 함께 용언에 속한다.

[편집] 동사의 역할

한국어에서 동사는 형용사와 함께 서술어의 역할을 한다. 보통 문장의 구조는 동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동사가 목적어를 필요로 하느냐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뉘고, 보어를 필요로 하느냐에 따라 완전동사와 불완전동사로 나뉜다.

  • 자동사: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
  • 타동사: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 완전동사: 보어가 필요 없는 동사.
  • 불완전동사: 보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편집] 활용

한국어의 품사들 중 용언에 속하는 동사와 형용사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서술격 조사는 용언이 아닌데도 활용할 수 있어서 많은 논란이 있다. 활용이란, 단어의 어간에 어미가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어떤 용언이 활용될 때,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변하는 활용을 규칙 활용이라 하고, 특수한 변화를 보이는 활용을 불규칙 활용이라고 한다.

동사도 용언에 속하므로 활용할 수 있다. 한국어에서는 동사를 활용함으로 시제나, , 피동 표현, 사동 표현 등을 자유롭게 나타낼수 있다. 다음은 '먹다'라는 동사를 활용한 예이다.

  • 먹는다 (현재 시제)
  • 먹었다 (과거 시제)
  • 먹겠다, 먹을것이다 (추측,의지,능력 표현)*
  • 먹이다 (사동 표현)
  • 먹히다 (피동 표현)
  • 먹어라 (명령법)
  • 먹자 (공동법)

참고-일반적으로 한국어에서 미래 시제의 설정은 불가능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