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사업본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정사업본부는 대한민국 정보통신부의 직할기관으로, 핵심 업무인 우편물의 접수·운송·배달과 같은 우정 사업을 비롯하여 우체국예금·우체국보험 등 금융 관련 사업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일을 담당한다.
목차 |
[편집] 우정사업본부의 출범
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국영 체제하에서 공공성 위주로 계획된 우정 및 금융 사업은 우편물량 증가의 둔화, 금융시장 개방에 다른 금융기관의 대형화, 금융 및 물류 산업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기간산업인 우정 및 금융사업을 국가경영체제로 유지하면서,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취지에서 우정사업본부의 설치가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 7월 1일 우정사업본부가 출범하였다. 우정사업본부가 출범함에 따라 정보통신부 본부에서 관할하던 우정사업 기능을 우정사업본부로 이관하였으며, 소속기관으로 체신청·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정보통신부지식정보센터 및 정보통신부조달사무소를 두고, 계약직·임기제·성과급 연봉제를 적용하는 본부장을 공개채용을 통해 선발토록 하였다. 이를 통해 선발된 본부장은 장관과 경영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 내용에 따라 경영의 독립성 및 자율성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사업을 운영하며, 경영결과에 대해 책임을 진다.
[편집] 연혁
- 1883년 1월 12일 우정사 설립.
- 1884년 4월 22일 우정총국 설립.
- 1884년 11월 18일 근대 우편업무 개시, 우표 발행.
- 1900년 1월 1일 국제우편업무 개시, 만국우편연합 가입.
- 1900년 5월 10일 우편엽서 도입.
- 1902년 10월 18일 고종황제 즉위 40주년 기념우표 발행.
- 1905년 4월 1일 통신권을 일본에 빼앗기고, 우체사와 전보사를 우편국으로 개편.
- 1905년 7월 우편환 및 저금업무 개시.
- 1908년 10월 1일 사서함 제도 및 약속우편제도 실시.
- 1909년 2월 8일 주재집배원 제도 실시.
- 1910년 10월 우편대체 및 속달우편제도 실시.
- 1911년 5월 내용증명우편제도 실시.
- 1912년 4월 요금후납우편제도 실시.
- 1929년 10월 1일 조선간이생명보험 업무 개시.
- 1931년 4월 외국 우편 대체 업무 개시.
- 1935년 8월 1일 사설우체통제도 실시.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체신부 발족.
- 1949년 8월 지방체신국은 체신청으로, 우편국은 우체국으로 개칭.
- 1950년 9월 22일 군사우편제도 실시.
- 1952년 12월 16일 우편연금법 및 국민생명보험법 제정.
- 1956년 6월 1일 항공서간 발행.
- 1957년 12월 11일 연하우표 발행.
- 1959년 3월 1일 서울중앙우체국, 야간업무 개시.
- 1962년 12월 31일 규격봉투제도 실시.
- 1966년 3월 1일 광고우편제도 실시.
- 1968년 4월 1일 우편물 당일 배달제와 자기앞수표 발행 개시.
- 1969년 5월 1일 그라비아 인쇄 우표 발행.
- 1969년 5월 21일 전신환현금배달 및 경조전신환제도 실시.
- 1970년 7월 1일 우편번호 도입.
- 1977년 1월 1일 보험 업무 농협으로 이관.
- 1977년 3월 1일 예금 업무 농협으로 이관.
- 1979년 7월 1일 국제특급우편 개시.
- 1979년 8월 1일 국제우편환 개시.
- 1980년 9월 10일 우편물 자동 소인기를 서울중앙우체국에 설치.
- 1981년 10월 5일 국내특급우편 개시.
- 1982년 1월 1일 민원우편제도 실시.
- 1983년 7월 1일 예금 및 보험 업무 재개.
- 1983년 12월 27일 우편취급소 설치.
- 1990년 7월 서울우편집중국 개국으로 우편물 처리 자동화.
- 1994년 12월 23일 대한민국 정보통신부 출범.
- 2000년 7월 1일 우정사업본부 출범.
- 2004년 7월 1일 우편물류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2004년 11월 15일 우체국금융 새브랜드 ‘에버리치’ 제정.
- 2006년 3월 1일 빠른우편을 폐지하고, 익일특급 제도 신설.
[편집] 주요 업무
[편집] 우편 사업
우편법 제2조에서는 ‘우편사업은 국가가 경영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타인을 위한 신서의 송달행위’를 그에 해당하는 사업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우편사업은 국가가 경영하는 독점 사업이지만, 같은 조항에서 ‘정보통신부장관은 우편사업의 일부를 개인·법인 또는 단체등으로 하여금 경영하게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우정사업본부가 우편사업을 통괄·경영하고 있다.
[편집] 조직
[편집] 우정사업본부
- 감사팀
- 총무팀
-
- 관장업무 : 우정사업본부의 운영 및 인사관리, 업무 관리, 우정사업분야 제반계획 수립·조정, 우정시설 방호, 안전관리
- 경영기획실
-
- 경영혁신팀
- 재정관리팀
- 경영정보팀
- 6시그마팀
- 노사협력팀
- 투자기획팀
- 홍보팀
- 우편사업단
-
- 우편정책팀
- 마케팅기획팀
- 물류기획팀
- 국제사업팀
- 소포사업팀
- 우표팀
- 우편정보기술팀
- 금융사업단
-
- 금융총괄팀
- 예금사업팀
- 보험기획팀
- 보험사업팀
- 자금운용팀
- 리스크관리팀
- 전자금융팀
[편집]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편집] 소관업무
- 교육훈련에 관한 계획의 수립
- 교육훈련수요의 조사 및 교육훈련제도의 연구
- 교육훈련과정과 교과편성 및 교수요목의 제정
- 교육생의 교육훈련성적평가 및 교육훈련성과의 분석
- 교육훈련자료의 수집, 교안작성 및 교재의 편찬·간행
- 교육생의 등록·제증명발급 및 학적관리
- 교육준비, 교육생 생활지도 및 보건
- 교육용 시설·기기 및 교육용 보조자료와 시청각교재의 관리 및 제작
[편집] 조직
- 지원과
- 교학과
- 정보통신교육팀
- 기획연구과
[편집] 정보통신부지식정보센터
[편집] 소관 업무
- 우체국예금·우체국보험·우편환·우편대체 등에 관한 원부관리와 수불금의 계리·결산
- 우편·우체국금융·무선국 허가·전파사용료 등 정보통신업무의 전산프로그램개발 및 운용
- 한국은행과의 자금 및 보유한도 초과금의 관리·결제
- 전산장비 및 부대설비의 설치 및 유지·관리
[편집] 조직
- 업무과
- 경영지원실
- 금융시스템과
- 인터넷우체국
[편집] 정보통신부조달사무소
[편집] 소관 업무
- 정보통신사업용 물자의 조달·저장 및 보급
- 정보통신사업용 건축물의 건설 및 유지·보수
- 우편작업 기계화 시설의 건설 및 유지·보수
[편집] 조직
- 지원과
- 계약과
- 보급과
- 설계과
- 건축1과
- 건축2과
- 기계과
- 전기과
- 서울중앙우체국건립공사전담팀
[편집] 체신청
체신청은 우정사업본부의 기관으로, 우편물의 접수·운송 및 배달, 우체국예금·우체국보험 등의 금융사업, 지역 정보통신·정보화에 관한 사업 및 전파·방송에 관련된 사항의 일부를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