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비 회의주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회의주의가 신념으로 받아들여질 경우 발생하는 것이 사이비회의주의이다. 과학을 맹신하는 경우 과학주의라고 하며, 과학주의는 사실상 근거가 없듯이 사이비회의주의는 회의주의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개념은 마르첼로 트루지에 의해서 만들어졌으며, 화성효과와 관련된 논쟁으로 자신이 공동으로 설립했던 CSICOP을 탈퇴하면서 일부 회의주의자들을 겨냥해서 만든 것이지만, 개념 자체는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편집] 사이비회의주의의 대표적인 사례
투르지는 사이비회의주의의 대표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 의심하기 보다는 부정하려는 경향
- 비평을 함에 있어서 이중적인 기준을 적용함
- 조사하기 보다는 무시함.
- 논증과 더불어 조롱하고 인신공격을 함.
- 지지자들을 'promoter', 사이비과학자 혹은 병적과학을 수행하는 사람이라는 등의 조롱적인 명칭을 붙임.
- 증거에 대한 불충분한 증거를 제시함
- 비평에는 증거를 증명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함.
- 타당하지 않은 반대주장을 함.
- 실험적인 증거가 아닌 그럴듯한 것을 가지고 반대주장을 함.
- 설득될 만한 증거가 아니므로 무시해야 한다고 제안함.
[편집] 개념의 혼동
회의주의는 어떤 주장에 대해서 회의를 한다는 것이므로, 일부는 현대의 과학등을 향해 회의를 하며, 그들 역시 자신을 회의주의자라고 말하기도 한다. 사이비과학자들보다는 동양의학 혹은 한의학자들은 자연과학에 대한 회의주의자라고 불릴 수 있으며, 또한 자연의학을 주장하는 사람들 역시 현대과학에 대한 회의주의자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은 과학에 대한 오해 및 폭 넓은 검토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과학적 회의주의자는 사이비회의주의자라고 생각한다.
[편집] 사이비회의주의 논쟁
회의주의자간에도 사이비회의주의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가장 오래된 논쟁은 화성효과로 인한 마르첼로 투르지와 CSICOP의 논쟁이었다. 마르첼로 투르지는 CSICOP의 일부를 사이비회의주의자라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칼세이건은 회의주의자로 널리 알려지기는 하지만, 실제로 마틴 가드너와 같은 CSICOP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사람들과 친한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그의 저서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는 마틴 가드너를 포함하여 CSICOP의 운동방식에 대해서 완전히 동의하지 않는것을 표현하는 대목이 있다.
그렇지만 내가 보기에 회의주의 운동의 중요한 결함은 흑백논리에 있다. 우리대 그들. 즉 우리가 진리를 독점하고 있고 그런 어리석은 이론을 믿는 사람들은 멍청이들이며, 너희가 분별력이 있다면 우리의 의견에 귀기울일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구제 불능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것은 건설적이지 못하다. 이렇게 해서는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으며 회의주의는 영원히 소수 집단으로 남을 것이다. 처음부터 사이비 과학과 미신이 가진 인간적 뿌리를인식하고 온건하게 접근할 때, 더욱 널리 받아들여질 것이다.
— <악령이 출목하는 세상 342쪽>
뿐만 아니라 회의주의자의 사전의 로버트 캐롤은 초기에는 진화심리학을 사이비과학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상호 지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정한 회의주의자들에게는 단순한 오류 내지 실수가 될 수 있다. 사실 칼 세이건은 저서 "에덴의 공룡"에서 침팬치가 수화로 말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후에 철회되었으나 칼 세이건 같은 유명한 회의주의자도 실수를 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분류: 출처가 필요한 문서 | 중립적 시각 분쟁 | 정리가 필요한 문서 | 과학 철학 | 회의주의 | 인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