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 알리기에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란테 델리 알리기에리(이탈리아어: Durante degli Alighieri, 1265년 6월 1일경 ~ 1321년 9월 13일 또는 14일)는 두란테의 약칭인 단테(Dante)로 널리 알려진 이탈리아의 시인이다. 피렌체의 알리기에리 혹은 알라기에리(Alagh(i)eri) 가문의 일원이다(단테의 아들 야코포의 설명: “Durante olim vocatus Dante, condam Alagherii de Florentia”). 두란테 알리기에리는 "장수하는 날개가 달린 자"라는 뜻인데 그것은 그의 작품이 남긴 다양한 영향들의 결과를 예언한 실로 상징적인 이름이라 할 수 있다. [1]
목차 |
[편집] 생애
단테는 1265년 이탈리아의 중부의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출생 일자에 관해서는 학계에서 의견이 구구하며, 5월 30일이 실제 출생일이라는 설이 있다. 유년 시절의 단테의 삶에 관해서는 무엇보다도 소년 시절에 경험한 베아트리체와의 인연을 주제로 하는 자서전적인 《새로운 삶(Vita nuova)》에서 어느정도 짐작할 수 있다.
단테가 9살이 되었을 때 동갑내기 폴코 포르티나리 (Folco Portinari)의 딸 베아트리체를 처음으로 멀리서 보고 애정을 느끼며, 이 진귀한 유년 시절의 경험은 단테의 인생 행로를 좌우하게 된다. 1277년 단테는 그러나 젬마 도나티(Gemma Donati)와 약혼을 하게되며 1291년 결국 그와 결혼하게 된다. 즉 베아트리체가 24세로 사망할 때까지 단테는 베아트리체에게 혼과 열을 쏟은 것으로 보인다.
단테는 피렌체에서 1275년에서 1294년에 걸쳐 약 20여년간 신학을 비롯하여 다방면에 걸쳐 교육을 받은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단테는 특히 브루네토 라티니 밑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술회하고 있다. 《신곡》에서 여실히 드러나듯이 단테는 중세의 스콜라 철학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스콜라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또한 배운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단테는 1290년대에 피렌체와 피사를 중심으로 일어난 당파 싸움에 가담하였으며, 1230년에는 피렌체 시협의회 회장(Priorat)직을 맞아 1233년까지 적극적으로 정치무내에서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단테는 피렌체가 로마 교황의 세력에서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를 옹호하는 구엘프파 (Guelf)를 지지하여 교황을 받드는 기벨린파(Ghibelline)와 적대관계에 있었다. 1301년 11월 피렌체에서 추방되었던 기벨린파가 다시 시의 정권를 탈취하자 당시 로마에 머무르던 단테는 시로 돌아갈 뜻을 포기하고 귀양살이를 하게된다.
[편집] 작품 세계
단테는 행동만이 사람들을 비참함으로부터 행복으로 이끌어올릴 수 있다고 설파한 뒤, 비길데 없는 시구(詩句)로 씌여진 자신의 작품을 "코메디아"라고 했다. 그는 자신의 표현 방법을 "볼품없고 저급한" 것이라고 변명했으나 자신의 작품에 대해 자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것은 곧 "여자들도 서로 대화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언어"였던 것이다.
단테는 자신의 아내가 아닌, 한번도 소유하지 못하고 끝나버린 한 여성에 대한 불타는 사랑을 원동력으로 삼아 《신곡》에 뒤지지 않는 유명한 연애시도 썼으나, 그는 근본적으로 여성 경시론자였다. 단테는 자신의 부인에 대해서는 자신의 시 속에서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결혼생활의 사랑은 그에게 상상력을 자극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는 "내 마음의 여주인"인 베아트리체를 로맨틱한 열정을 기울여서, 또한 그녀의 죽음까지도 초월하여 정열적으로 사랑했다. 찬양받아 마땅한 여성, 천국과 같이 해맑은 그녀는 살아 생전에는 다른 남자와 결혼했으나, 사후에는 하늘에 올라가게 되었고 동정녀 마리아와 견주어졌다. [2]
[편집] 단테의 영향
[편집] 문학어로서 이탈리아어
[편집] 세계문학사에서 신곡의 위치
[편집] 신곡과 미술
[편집] 읽어보기
[편집] 저서
- 《신곡》: La Divina Commedia. A cura di E. Pasquini e A. Quaglio, 밀라노 19947.
- 《향연》: Convivio. A cura di G. Inglese, 밀라노 1993.
- 《새로운 삶》: La Vita nuova. Introduzione di Edoardo Sanguineti, note di Alfonso Berardinelli, 밀라노 199411.
- 《토착어에 관하여》: De vulgari eloquentia. Introduzione, traduzione e note di Vittorio Coletti, 밀라노 19953.
[편집] 참고서
- 단테 백과사전: Enciclopedia Dantesca. In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 6권, 로마 1970-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