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 표기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선형대수학물리학에 응용하는 등의 상황에서, 아인슈타인 표기법(Einstein notation)은 좌표계에 관한 공식을 다룰 때 유용한 표기 규칙이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6년에 도입했다. [1]

이 표기법에서, 한 항에 동일한 첨자가 윗첨자와 아랫첨자로 한 번씩 짝을 지어 나타날 경우, (마치 시그마 기호가 항의 앞에 있을 때처럼) 해당 첨자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값에 대해 항의 값을 전부 더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여기에서 첨자는 보통 물리적 유클리드 공간의 세 차원을 나타내는 1,2,3이나 시공간 혹은 민코프스키 공간의 네 차원을 나타내는 0,1,2,3 혹은 1,2,3,4의 값을 취하나, 특정한 무한집합의 임의의 원소를 취할 수 있도록 놓는 경우도 있다.

[편집] 참고자료

  1. (1916) "The Foundation of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PDF). Annalen der Physik. 2006년 9월 3일에 읽어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