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록수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당고개 방면 | (447) 반월 | (448) 상록수 | (449) 한대앞 | 오이도 방면 |
상록수역(常綠樹驛, Sangnoksu)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으로, 역명은 심훈의 소설 상록수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지역인데서 제정되었다.
[편집] 역 정보
[편집] 승차량 변동
2002, 2003년의 승차량을 이상 증가라고 간주한다고 하면, 전반적으로 안정세 이후 감소세가 오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감소의 원인은 서해안고속도로 등 도로망의 확충일 수 있다. 안산지역 역 가운데 가장 승차자가 많은 역으로, 주변 지역엔 고층 고밀도 지역과 저층 고밀도 지역이 고르게 분포하며, 배후지가 매우 넓고, 안산 시가지의 마지막 역이기 때문에 주변 교통망의 결절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에 승차자가 많은 것 같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4호선 | 20700 | 20834 | 22973 | 23678 | 18568 | 17939 | 17939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4호선: 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삼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과천선: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공단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분류: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시의 전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