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한민국, 2005)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주당 | |
---|---|
당수 | {{{당수}}} |
의장 | {{{의장}}} |
대표 | 박상천 |
원내대표 | 최용규 |
창당 | 1987년 11월 12일(평화민주당) 1995년 9월 5일(새정치국민회의) 2000년 1월 20일(새천년민주당) 2005년 5월 6일(민주당) 2007년 6월 27일(중도통합민주당) 2007년 8월 13일(민주당) |
중앙 당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5-4번지 |
이념 | |
국제 | |
웹사이트 | www.minjoo.or.kr |
대한민국의 정당 |
---|
대통합민주신당 |
한나라당 |
민주당 |
민주노동당 |
국민중심당 |
민주당(民主黨)은 대한민국의 정당(政黨)이다. 당대표는 박상천이고, 당사(黨舍)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5-4번지이다.
목차 |
[편집] 뿌리
- 1987년 11월 12일 평화민주당으로 창당하였다.
- 1991년 3당 합당으로 거대 여당 탄생 이후, 민주당의 잔류파와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창당하였다.
- 1995년 9월 5일 김대중 총재에 의해 기존의 민주당을 새정치국민회의로 개편하여 창당하여, 1997년 12월 18일 김대중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됨으로써, 집권 여당이 되었다.
[편집] 역사
- 2000년 1월 20일 기존의 여당이었던 새정치국민회의를 확대 개편해 새천년민주당으로 창당하였다.
- 2002년 2월, 제 16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후보를 뽑는 대통령 후보 경선에 국민 경선 제도를 도입하여 노무현 후보를 선출하였다.
- 2003년 11월 11일 당내 개혁을 요구하던 세력이 떨어져 나가 열린우리당을 창당하여 분당함으로써 당세가 약화되었다.
- 2004년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과 함께 노무현 대통령 탄핵을 주도하였다가, 국민의 지지를 잃어 17代 국회의원선거에서 총 9명의 의원만이 당선되어, 원내교섭단체에서 제외되었다.
- 2005년 5월 6일 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 2006년 4월 25일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김대중씨의 차남 김홍업씨가 당선되었다.
- 2007년 2월 6일 열린우리당 김한길 전 원내대표 등 의원 23명이 중도개혁세력과 함께 통합신당을 구성할 것을 밝히면서 열린우리당에 대한 집단 탈당을 하였다.
- 2007년 2월 12일 열린우리당 탈당파 24명이 중도개혁통합 신당추진 모임이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국회에 교섭단체에 대한 등록을 하였다.
- 2007년 4월 3일 민주당 박상천 전 의원이 장상후보를 누르고 대표에 선출되었다.
- 2007년 4월 30일 국민중심당 공동대표 신국환의원이 국민중심당을 탈당해 중도개혁통합 신당추진 모임에 합류했다.
- 2007년 5월 7일 중도개혁통합 신당추진 모임이 김한길의원을 대표로 하여 중도개혁통합신당을 창당했다.
- 2007년 5월 17일 국민중심당 이인제의원이 민주당에 입당했다.
- 2007년 6월 27일 민주당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이 합당하여 소속의원 34명의 중도통합민주당이 되었다.
- 2007년 7월 23일 김홍업·유선호 의원, 박광태 광주광역시장·박준영 전라남도지사가 동반 탈당하였다.
- 2007년 8월 3일 김한길 공동대표를 포함한 19명이 탈당하였다.
- 2007년 8월 13일 당명과 로고를 민주당으로 원상복구하였다.[1]
[편집] 역대 당수
1. 총재
- 김대중 (金大中)
ㄱ. 김대중 총재 하의 대표최고위원
-
- 서영훈
- 김중권
2. 대표최고위원
- 한화갑 (韓和甲)
- 정대철 (鄭大哲)
- 박상천 (朴相千)
- 조순형 (趙舜衡)
- 한화갑
- 2006년 6월 장상 (한화갑과 공동대표)
- 2006년 12월 22일 - 장상 단일 대표(한화갑, 의원직 상실로 대표직 사퇴)
- 2007년 4월 3일 - 박상천 민주당 단일 대표, 2007년 5월 7일 김한길 중도개혁통합신당 대표
- 2007년 6월 27일 - 박상천, 김한길 공동 대표
- 2007년 8월 3일 - 박상천 단일대표 (김한길 공동 대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