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친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친왕(義親王,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5일)은 대한제국의 황족이자 독립 운동가로 본관은 전주, 는 강(堈), 초명은 평길(平吉), 는 만오(晩悟)이다.

목차

[편집] 생애

고종의 다섯째 아들로 1877년에 태어났다. 어머니 귀인 장씨는 의친왕을 낳고 명성황후의 박해를 피해 궁 밖에서 살다가, 1900년 숙원(淑媛) 칭호를 받고 1906년에야 겨우 귀인(貴人)에 봉해졌다. 귀인 장씨가 언제 죽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1911년 묘소를 이장했다는 기록이 있어, 1906년과 1911년 사이인 것은 분명하다.[1]

1892년 1월 28일 의화군(義和君)에 봉해졌고, 1893년 12월 6일 김사준의 딸 김수덕(金修德)을 아내로 맞았다. 1894년 청일전쟁에서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보빙대사가 되어 일본을 방문하였다. 일본의 게이오 대학교를 거쳐 1900년, 미국으로 건너가 버지니아 주 세일럼의 로어노크 칼리지와 오하이오 주 델라웨어의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 및 하와이샌프란시스코 등지를 돌아다니며 학업을 계속하였으며 같은 해 8월, 의친왕에 봉해졌다.

1905년,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그 해 6월, 대한적십자사 총재에 취임하였으며 이듬해 대한제국 최고의 훈장인 금척대훈장(金尺大勳章)을 수여받았다. 1910년, 국권 피탈 이후에는 주색에 빠진 부랑자 행세를 하여 일본의 삼엄한 감시를 피해 항일 독립 투사들과 끊임없이 접촉, 묵묵히 독립 운동을 지원하였다. 황실인사를 망명하게 하여 독립운동을 활성화하고자 한 대동단(大同團)의 전협(全協) 등과 탈출을 모의하여 대내외적인 화제를 일으켰으나 도중 만주 안동에서 발각, 강제로 본국에 송환되어 당시 대한제국 황족들에게 허용되었던 한반도내 여행의 자유를 박탈당하는 곤욕을 치렀다. [1]

이후, 일본으로부터 계속해서 도일 강요를 받았던 그는 끝까지 저항하여 배일 정신을 지켜내었으며 광복 후에도 망국의 황자로서 고난의 세월을 보내다가 1955년 8월 15일, 서울 성북구의 별저 성락원(城樂苑)에서 79살의 나이로 타계하였다. 능은 부황이신 고종황제의 능인 홍유릉내에 위치한 의왕묘(義王墓)이다.

[편집] 가족 관계

12남 9녀[2] [3]

순서 황실명 아명 호적명 출생 사망 생모 거주지
1남 이건(李鍵) 용길 X 1909년 1991년 수관당 정씨 X
2남 이우(李鍝) 성길 X 1912년 1945년 수인당 김홍인 X
3남 이방(李鎊) 흥길 해진 1914년 1951년 수현당 정운석 X
4남 이창 창길 해직 1915년 사망 조병숙 X
5남 이주(李鑄) 수길 해일 1918년 1982년 수인당 김홍인 X
6남 이곤(李錕) 명길 X 1920년 사망 수인당 김홍인 X
7남 이광(李鑛) 형길 해청 1921년 1952년 송씨 X
8남 이현(李鉉) 경길 X 1922년 1996년 수경당 김씨 X
9남 이갑(李鉀) 충길 해룡 1938년 생존 함씨 뉴욕 거주
10남 이석(李錫) 영길 해석 1941년 생존 홍정순 전주 거주
11남 이환 문길 해선 1944년 생존 김혜수 산호세 거주
12남 이정 정길 해준 1947년 생존 홍정순 LA 거주
1녀 이영 길순 해완 1915년 1981년 수덕당 이회춘 X
2녀 이진 길운 해원 1919년 생존 수덕당 이회춘 하남시 거주
3녀 이찬 길연 해춘 1920년 생존 수완당 김씨 서울 거주
4녀 이숙 길영 해숙 1920년 사망 수길당 박영희 X
5녀 이공 길상 해경 1930년 생존 김금덕 뉴욕 거주
6녀 이장 회자 회자 1940년 생존 김혜수 순천 거주
7녀 이용 숙기 해란 1944년 생존 홍정순 LA 거주
8녀 이현 숙향 해련 1950년 생존 홍정순 서울 거주
9녀 이민 창희 창희 1953년 생존 김혜수 산호세 거주

[편집] 참고 문헌

  1. ^ 《제국의 후예들》, 371-372p, 정범준, 2006.

[편집] 바깥 고리

  •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 대한제국 황실 종묘제례 주관 공식 단체. 조선왕실계보, 선원계보(황실 족보) 등

[편집] 주석

  1. 《우리역사의 수수께끼》/이덕일외 공저/김영사
  2. 의친왕비 김씨에 의해 만들어진 의친왕 가계 족보에 따르면 12남 9녀로 등재되어 있다.
  3. 전해종 (이해종) 이 아홉번째 아들로 등재되어 13남 9녀이라는 설이 있으나 사실로 확인된 바 없다.
대한제국 고종의 자녀
  완친왕 | 순종 | 의친왕 | 의민태자 | 이문용 | 덕혜옹주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