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2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2호선(首都圈電鐵 2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의 시청역에서 성수역, 잠실역, 사당역, 신도림역, 신촌역을 경유하여 시청역까지 순환하는 서울메트로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노선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녹색이다. 수도권 전철을 이루는 노선 중 하나이다.
수도권 유일의 순환선이며 두개의 지선을 가지고 있다. 구자춘 서울시장의 3핵도시 구상(기존 도심권, 강남권, 영등포권)에 따라 1972년의 계획을 파기하고 결정된 노선이며, 서울 지하철의 체계, 나아가 서울의 도시 구조를 바꾼 노선으로 평가받고 있다. 1996년 12월 31일부터 1999년 11월 22일까지 당산철교가 공사중일 때는 내선 순환선은 당산역까지, 외선 순환선은 합정역까지만 운행해 순환선이 끊어진 적이 있다.
아침 8~9시, 교대 - 강남구간은 아침 출근시간 대한민국 철도 노선 중 최고의 혼잡률인 223%의 혼잡률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호선 순환선의 전동차의 정원은 1576명이므로, 이는 이 시간동안 한 편의 전동차가 평균 3514.5명의 인원을 수송했음을 알려준다.
목차 |
[편집] 개요
- 회사: 서울메트로 (시청-시청, 신도림-까치산, 성수-신설동)
- 복선 구간: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1500 V)
- 궤간: 1435 mm(표준궤)
- 통행 방향: 우측 통행
- 신호 체계: ATS, 2005년 이후 신조도입차량에 한해 ATO 설비, 2004년부터 단계적 승강장 ATO 설비중. 로드맵 상으로 2006년 연말 완료예정이었으나, 철도건설 특유의 지연이 발생, 1~2년정도 늦춰짐.
[편집] 개통 연혁
- 1980년 10월 31일 - 신설동- 종합운동장 개통
- 1982년 12월 23일 - 종합운동장- 교대 개통
- 1983년 9월 16일 - 을지로입구-성수 개통, 신설동-성수 구간이 성수지선으로 분리
- 1983년 12월 12일 - 교대-서울대입구 개통
- 1984년 5월 22일 - 서울대입구-을지로입구 개통
- 1992년 5월 22일 - 신정지선 신도림-양천구청 개통
- 1996년 2월 29일 - 양천구청-신정네거리 개통
- 1996년 3월 20일 - 신정네거리-까치산 개통
- 2005년 10월 20일 - 성수지선 신답-신설동 사이에 용두역이 설치되어, 영업 개시
[편집] 운행 계통
[편집] 을지로 순환선
시청-성수-강남-신도림-시청을 순환하는 주 운행 계통이다. 시계 방향으로 도는 것을 내선 순환,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을 외선 순환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열차가 몇 바퀴를 순환한 뒤 신도림행이나 성수행으로 운행한 후 운행을 종료한다.
[편집] 성수 지선
성수-신설동 구간의 지선 운행 계통이다. 신설동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본래 차량기지로의 인입선을 여객선화한 것이다.
[편집] 신정 지선
신도림-까치산 구간의 지선 운행 계통이다. 까치산에서 수도권 전철 5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본래 차량기지로의 인입선을 연장, 여객선화한 것이다.
[편집] 역 목록
[편집] 을지로 순환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201 | 시청 | City Hall | 市廳 | ●수도권 전철 1호선 | 0.0 | 0.0 | 서울특별시 | 중구 |
202 | 을지로입구 | Euljiro 1(il)-ga | 乙支路入口 | 0.7 | 0.7 | |||
203 | 을지로3가 | Euljiro 3(sam)-ga | 乙支路3街 | ●수도권 전철 3호선 | 0.8 | 1.5 | ||
204 | 을지로4가 | Euljiro 4(sa)-ga | 乙支路4街 | ●수도권 전철 5호선 | 0.6 | 2.1 | ||
205 | 동대문운동장 | Dongdaemun Stadium | 東大門運動場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
1.0 | 3.1 | ||
206 | 신당 | Sindang | 新堂 | ●수도권 전철 6호선 | 0.9 | 4.0 | ||
207 | 상왕십리 | Sangwangsimni | 上往十里 | 0.9 | 4.9 | 성동구 | ||
208 | 왕십리 | Wangsimni | 往十里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수도권 전철 5호선 ●분당선 |
0.8 | 5.7 | ||
209 | 한양대 | Hanyang Univ. | 漢陽大 | 1.0 | 6.7 | |||
210 | 뚝섬 | Ttukseom | 1.1 | 7.8 | ||||
211 | 성수 | Seongsu | 聖水 | ●성수지선 | 0.8 | 8.6 | ||
212 | 건대입구 | Kunkuk Univ. | 建大入口 | ●수도권 전철 7호선 | 1.2 | 9.8 | 광진구 | |
213 | 구의 (광진구청) |
Guui (Gwangjin-gu Office) |
九宜 (廣津區廳) |
1.6 | 11.4 | |||
214 | 강변 (동서울터미널) |
Gangbyeon (Dongseoul Bus Terminal) |
江邊 (東서울터미널) |
0.9 | 12.3 | |||
215 | 성내 | Seongnae | 城內 | 1.8 | 14.1 | 송파구 | ||
216 | 잠실 (송파구청) |
Jamsil (Songpa-gu Office) |
蚕室 (松坡區廳) |
●수도권 전철 8호선 | 1.0 | 15.1 | ||
217 | 신천 | Sincheon | 新川 | 1.2 | 16.3 | |||
218 | 종합운동장 | Sports Complex | 綜合運動場 | 1.2 | 17.5 | |||
219 | 삼성 (무역센터) |
Samseong (World Trade Center Seoul) |
三成 (貿易센터) |
1.0 | 18.5 | 강남구 | ||
220 | 선릉 | Seolleung | 宣陵 | ●분당선 | 1.3 | 19.8 | ||
221 | 역삼 | Yeoksam | 驛三 | 1.2 | 21.0 | |||
222 | 강남 | Gangnam | 江南 | 신분당선 | 0.8 | 21.8 | ||
223 | 교대 (법원·경찰청) |
Seoul Nat'l Univ. of Education (Court &Public Prosecutor's Office) |
敎大 (法院·檢察廳) |
●수도권 전철 3호선 | 1.2 | 23.0 | 서초구 | |
224 | 서초 | Seocho | 瑞草 | 0.7 | 23.7 | |||
225 | 방배 | Bangbae | 方背 | 1.7 | 25.4 | |||
226 | 사당 | Sadang | 舍堂 | ●수도권 전철 4호선 | 1.6 | 27.0 | 동작구 | |
227 | 낙성대 | Nakseongdae | 落星垈 | 1.7 | 28.7 | 관악구 | ||
228 | 서울대입구 (관악구청) |
Seoul Nat'l Univ. (Gwanak-gu Office) |
서울大入口 (冠岳區廳) |
1.0 | 29.7 | |||
229 | 봉천 | Bongcheon | 奉天 | 1.0 | 30.7 | |||
230 | 신림 | Sillim | 新林 | 1.1 | 31.8 | |||
231 | 신대방 | Sindaebang | 新大方 | 1.8 | 33.6 | |||
232 | 구로디지털단지 | Guro Digital Complex | 九老디지털團地 | 1.1 | 34.7 | 구로구 | ||
233 | 대림 (구로구청) |
Daerim (Guro-gu Office) |
大林 (九老區廳) |
●수도권 전철 7호선 | 1.1 | 35.8 | ||
234 | 신도림 | Sindorim | 新道林 | ●수도권 전철 1호선 ●신정지선 |
1.8 | 37.6 | ||
235 | 문래 | Mullae | 文來 | 1.2 | 38.8 | 영등포구 | ||
236 | 영등포구청 | Yeongdeungpo-gu Office | 永登浦區廳 | ●수도권 전철 5호선 | 0.9 | 39.7 | ||
237 | 당산 | Dangsan | 堂山 | 1.1 | 40.8 | |||
238 | 합정 | Hapjeong | 合井 | ●수도권 전철 6호선 | 2.0 | 42.8 | 마포구 | |
239 | 홍대입구 | Hongik Univ. | 弘大入口 | 1.1 | 43.9 | |||
240 | 신촌(지하) | Sinchon | 新村 | 1.3 | 45.2 | |||
241 | 이대 | Ewha Womans Univ. | 梨大 | 0.8 | 46.0 | |||
242 | 아현 | Ahyeon | 阿峴 | 0.9 | 46.9 | |||
243 | 충정로 (경기대입구) |
Chungjeongno (Kyonggi Univ.) |
忠正路 (京畿大入口) |
●수도권 전철 5호선 | 0.8 | 47.7 | 서대문구 | |
201 | 시청 | City Hall | 市廳 | ●수도권 전철 1호선 | 1.1 | 48.8 | 중구 |
[편집] 성수지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211 | 성수 | Seongsu | 聖水 | ●을지로 순환선 | 0.0 | 0.0 | 서울특별시 | 성동구 |
211-1 | 용답 | Yongdap | 龍踏 | 2.3 | 2.3 | |||
211-2 | 신답 | Sindap | 新踏 | 1.0 | 3.3 | |||
211-3 | 용두 (동대문구청) |
Yongdu (Dongdaemun-gu Office) |
龍頭 (東大門區廳) |
0.9 | 4.2 | 동대문구 | ||
211-4 | 신설동 | Sinseol-dong | 新設洞 | ●수도권 전철 1호선 | 1.2 | 5.4 |
[편집] 신정지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234 | 신도림 | Sindorim | 新道林 | ●수도권 전철 1호선 ●을지로 순환선 |
0.0 | 0.0 | 서울특별시 | 구로구 |
234-1 | 도림천 | Dorimcheon | 道林川 | 1.0 | 1.0 | |||
234-2 | 양천구청 | Yangcheon-gu Office | 陽川區廳 | 1.7 | 2.7 | 양천구 | ||
234-3 | 신정네거리 | Sinjeongnegeori | 新亭네거리 | 1.9 | 4.6 | |||
234-4 | 까치산 | Kkachisan | 까치山 | ●수도권 전철 5호선 | 1.4 | 6.0 | 강서구 |
[편집] 운용중인 차량
- 서울메트로 2000호대 MELCO전동차 - 일본 미쓰비시 저항 및 쵸퍼 제품을 사용한 전동차
- 서울메트로 2000호대 GEC전동차 - 영국 GEC사의 쵸퍼제품을 사용한 전동차 및 4호선에서 이적한 전동차
- 서울메트로 2000호대 VVVF전동차 - 2005년 로템에서 제작된 전동차
[편집] 승차량 변동
노선 전체에 걸쳐 소폭의 증가가 있었다. 증가세는 특히 강남과 서남지역을 중심으로 관찰된다. 이는 일대에 특히 현재 주변의 산업 밀도가 상승하는 지역이 많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예로 강남, 구로디지털단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미 건설한지 20년 이상 된 노선에서도 주변지역 산업의 집적 강화 등으로 인해 승차량 증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지하철같은 대용량 교통수단이 도심부 토지의 집약적 활용과 산업 집적에 얼마나 크게 기여하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다.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역당 승차량 평균값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테헤란로는 강남에 포함되는 지역이지만 특히 밀도가 높은 지역이기 때문에 드러내기 위해 따로 이탤릭으로 표기하였다.
구간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호선 전체 | 1403567 | 28644 | 1413009 | 28837 | 1437622 | 29339 | 1424944 | 29080 |
순환선 | 1369491 | 31849 | 1377220 | 32028 | 1401890 | 32602 | 1390199 | 32330 |
도심(충정로~동대문운동장) | 135854 | 22642 | 137643 | 22941 | 140319 | 23387 | 137656 | 22943 |
성동(신당~강변) | 223129 | 24792 | 222052 | 24672 | 225775 | 25086 | 221599 | 24622 |
강남(성내~사당) | 496082 | 41340 | 498815 | 41568 | 503244 | 41937 | 501343 | 41779 |
테헤란로(삼성~강남) | 249059 | 62265 | 253591 | 63398 | 259627 | 64907 | 263204 | 65801 |
서남(낙성대~당산) | 342966 | 31179 | 353042 | 32095 | 365317 | 33211 | 365022 | 33184 |
서북(합정~아현) | 171460 | 34151 | 165668 | 33723 | 167235 | 34289 | 164579 | 33587 |
성수지선 | 10840 | 3613 | 10779 | 3593 | 10548 | 3516 | 10282 | 3427 |
신정지선 | 23236 | 7745 | 25010 | 8337 | 25184 | 8395 | 24463 | 8154 |
구간 | 승차 인원[2] | |||||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호선 전체 | 1441774 | 29424 | 1442947 | 28859 | 1451283 | 29026 |
순환선 | 1406805 | 32716 | 1409259 | 32773 | 1417598 | 32967 |
도심(충정로~동대문운동장) | 140754 | 23459 | 138299 | 23050 | 135439 | 22573 |
성동(신당~강변) | 223495 | 24833 | 221316 | 24591 | 218823 | 24314 |
강남(성내~사당) | 501466 | 41789 | 503223 | 41935 | 508577 | 42381 |
테헤란로(삼성~강남) | 268513 | 67128 | 267857 | 66964 | 270452 | 67613 |
서남(낙성대~당산) | 373605 | 33964 | 380370 | 34579 | 390698 | 35518 |
서북(합정~아현) | 167485 | 34209 | 166051 | 34166 | 164061 | 33814 |
성수지선 | 10584 | 3528 | 11560 | 2890 | 11033 | 2758 |
신정지선 | 24383 | 8128 | 23487 | 7829 | 22649 | 7550 |
[편집] 주석 및 참고 자료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편집] 같이 보기
- 1기 지하철
- 3핵도시 구상
- 구자춘
- 을지로 순환선-성수 지선 직결 노선
노선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수인선 | 경춘선 | |||
차량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2030호대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