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선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서선교(文書宣敎)는 출판을 통해서 선교하는 방식을 말한다.
목차 |
[편집] 기독교
[편집] 유형
- 기독교잡지나 신문등의 정기간행물을 통한 발행
- 기독교성격의 일반잡지나 신문 발행(월간지좋은생각, 국민일보)
- 교회주보나 소식지 발행(큰 교회의 경우는 잡지수준의 소식지를 발행한다.)
- 기독교출판사의 기독교 단행본이나 기독교성격의 일반단행본 출판
- 성서번역 및 출판
[편집] 문서선교역사
- 한국의 문서선교역사
한국의 문서선교는 천주교에 의해 시작되었고, 개신교에서는 스코틀랜드의 매킨타이어 선교사의 전도로 신앙을 갖게 된 북한의 개신교 신자인 서상륜의 누가복음전서(루가의 복음서) 번역으로 문서선교가 시작되었다.소위 개화기때 개신교 선교사들에 의해서 기독교 소설인 천로역정, 한글성서 및 찬송가가 번역 및 출판되었다. 물론, 그 이전부터 중국에서 들어온 기독교 변증서인 《천주실의》가 읽히고 있었고, 천주교 선교사 다블뤼 주교에 의해 교리서가 번역되었으나 문서선교가 활발히 진행된 시대는 개화기였다.실제로 19세기 조선을 방문한 영국 지리학자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저서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에서 조선에서 전도한 영국 성공회 선교사 존 코프 주교와 5명의 사제들이 인쇄소를 통해서 문서선교를 했다고 했으며, 개신교 선교사들도 앞에서 말한 기독교 문서보급외에도, 출판사 운영(대한기독교서회)등의 문서선교를 하였다. 물론 천주교에서도 가톨릭출판사를 설립하여 기독교 문서들을 발행하고 있었다. 현재 한국 문서선교계는 약 200여개의 기독교출판사, 5백여개의 기독교서점이 있을 정도로 크게 자랐으며[1], 해외에서의 성서번역선교 및 지원, 문서선교에 필요한 기자재(컴퓨터, 인쇄기) 보급도 하고 있다.
- 미국의 문서선교역사
미국의 경우 개신교 선교사인 아도니람 저드슨이 미국성서공회의 도움으로 버마말로 성서를 번역하여 문서선교를 하였으며, 1950년대이후 빌리 그래함이 창간한 복음주의 잡지인 《크리스처니티 투데이》(Christianity Today)창간, 팀 라헤이등의 보수 기독교계 저자들의 활발한 저작활동등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편집] 바깥고리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