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4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4호선은 수도권 전철의 노선 중 하나이다.
이 노선은 당고개역에서 남태령역까지는 서울메트로가 운영하고 있으며, 이 구간의 통행 방식은 우측 통행이다. 반면 선바위역에서 오이도역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으며 좌측 통행 방식으로 운행한다.
4호선 본선의 경우 1975년 구자춘에 의해 기존 계획이 파기된 이후 1980년 3호선과 함께 건설업체 컨소시엄에 의해 사철로 건설될 것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사철 건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대기업의 부동산 투자를 제한하는 1978년 8.8조치로 인해 대부분이 운임이었으며, 따라서 사업성이 떨어지게 되어 사철의 건설은 실패하고 서울시 지하철건설본부에 의해 건설되고 서울지하철공사(현 서울메트로)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한편 안산선은 1988년 완공되었을 당시에는 철도청의 수도권 전철의 일부였으며, 과천선은 1기 신도시 가운데 하나인 평촌신도시의 서울 연결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이 노선의 고유색은 ●파란색이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회사 : 서울메트로 (당고개-남태령), 한국철도공사 (선바위-오이도)
- 송전 방식 : 직류 1500볼트 (당고개-남태령), 교류 25000볼트 (선바위-오이도)
- 궤간 : 표준궤
- 통행 방향 : 우측 통행 (당고개-남태령), 좌측 통행 (선바위-오이도)
- 신호 체계 : ATC (당고개-금정), ATS (금정-오이도)
[편집] 역 목록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409 | 당고개 | Danggogae | - | 0.0 | 서울특별시 | 노원구 | ||
410 | 상계 | Sanggye | 上溪 | 1.2 | 1.2 | |||
411 | 노원 | Nowon | 蘆原 | ●수도권 전철 7호선 | 1.0 | 2.2 | ||
412 | 창동 | Chang-dong | 創洞 | ●수도권 전철 1호선 | 1.4 | 3.6 | 도봉구 | |
413 | 쌍문 | Ssangmun | 雙門 | 1.3 | 4.9 | |||
414 | 수유 | Suyu | 水踰 | 1.5 | 6.4 | 강북구 | ||
415 | 미아 | Mia | 弥阿 | 1.4 | 7.8 | |||
416 | 미아삼거리 | Miasamgeori | 弥阿삼거리 | 1.5 | 9.3 | |||
417 | 길음 | Gireum | 吉音 | 1.3 | 10.6 | 성북구 | ||
418 | 성신여대입구 | Sungshin Univ. | 誠信女大入口 | 1.4 | 12.0 | |||
419 | 한성대입구 | Hansung Univ. | 漢城大入口 | 1.0 | 13.0 | |||
420 | 혜화 | Hyehwa | 惠化 | 0.9 | 13.9 | 종로구 | ||
421 | 동대문 | Dongdaemun | 東大門 | ●수도권 전철 1호선 | 1.5 | 15.4 | ||
422 | 동대문운동장 | Dongdaemun Stadium | 東大門運動場 | ●수도권 전철 2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
0.7 | 16.7 | 중구 | |
423 | 충무로 | Chungmuro | 忠武路 | ●수도권 전철 3호선 | 1.3 | 17.4 | ||
424 | 명동 | Myeong-dong | 明洞 | 0.7 | 18.1 | |||
425 | 회현 | Hoehyeon | 会賢 | 0.7 | 18.8 | |||
426 | 서울역 | Seoul Stn. | 서울驛 | ●수도권 전철 1호선 | 0.9 | 19.7 | 용산구 | |
427 | 숙대입구 | Sookmyung Women's Univ. | 淑大入口 | 1.0 | 20.7 | |||
428 | 삼각지 | Samgakji | 三角地 | ●수도권 전철 6호선 | 1.2 | 21.9 | ||
429 | 신용산 | Sinyongsan | 新龍山 | 0.7 | 22.6 | |||
430 | 이촌 (국립중앙박물관) |
Ichon | 二村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1.3 | 23.9 | ||
431 | 동작 | Dongjak | 銅雀 | 2.7 | 26.6 | 동작구 | ||
432 | 총신대입구 (이수) |
Chongshin Univ. | 總神大入口 | ●수도권 전철 7호선 | 1.8 | 28.4 | ||
433 | 사당 | Sadang | 舎堂 | ●수도권 전철 2호선 | 1.1 | 29.5 | ||
434 | 남태령 | Namtaeryeong | 南泰嶺 | 1.6 | 31.1 | 서초구 | ||
435 | 선바위 | Seonbawi | 1.0 | 32.1 | 경기도 | 과천시 | ||
436 | 경마공원 | Seoul Racecourse Park | 競馬公園 | 1.0 | 33.1 | |||
437 | 대공원 | Seoul Grand Park | 大公園 | 0.9 | 34.0 | |||
438 | 과천 | Gwacheon | 果川 | 1.0 | 35.0 | |||
439 | 정부과천청사 | Government Complex Gwacheon | 政府果川廳舍 | 1.0 | 36.0 | |||
440 | 인덕원 | Indeogwon | 仁德院 | 3.0 | 39.0 | 안양시 | ||
441 | 평촌 | Pyeongchon | 坪村 | 1.6 | 40.6 | |||
442 | 범계 | Beomgye | 1.3 | 41.9 | ||||
443 | 금정 | Geumjeong | 衿井 | ●수도권 전철 1호선 | 2.6 | 44.5 | 군포시 | |
444 | 산본 | Sanbon | 山本 | 2.3 | 46.8 | |||
445 | 수리산 | Surisan | 修理山 | 1.1 | 47.9 | |||
446 | 대야미 | Daeyami | 大夜味 | 2.6 | 50.5 | |||
447 | 반월 | Banwol | 半月 | 2.0 | 52.5 | 안산시 | ||
448 | 상록수 | Sangnoksu | 常緑樹 | 3.7 | 56.2 | |||
449 | 한대앞 | Hanyang Univ. at Ansan | 漢大앞 | 1.5 | 57.7 | |||
450 | 중앙 | Jungang | 中央 | 1.6 | 59.3 | |||
451 | 고잔 | Gojan | 古棧 | 1.4 | 60.7 | |||
452 | 공단 | Gongdan | 工團 | 1.5 | 62.2 | |||
453 | 안산 | Ansan | 安山 | 1.8 | 64.0 | |||
454 | 신길온천 | Singil oncheon | 新吉溫泉 | 2.2 | 66.2 | |||
455 | 정왕 | Jeongwang | 正往 | 2.9 | 69.1 | 시흥시 | ||
456 | 오이도 | Oido | 烏耳島 | 1.4 | 70.5 |
[편집] 승차량 변동
승차량은 대체로 정체를 보이거나 일부 감소세를 띄기도 한다. 이 감소세는 버스전용차로 개편이 비교적 먼저 수행된 서울 동북지역이 이 노선의 핵심 부분이기 때문인 것 같다.
구간 | 일평균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호선 전체 | 795,733 | 17299 | 823,198 | 17896 | 858,328 | 18659 | 861,935 | 18339 |
안산선 | 85083 | 6545 | 99067 | 7621 | 116083 | 8930 | 126979 | 9768 |
오이도~반월 | 62872 | 6287 | 73484 | 7348 | 87625 | 8763 | 94223 | 9422 |
과천선 | 79011 | 9876 | 91836 | 11480 | 101205 | 12651 | 106613 | 13327 |
서울메트로구간 | 631638 | 24294 | 632293 | 24319 | 641039 | 24655 | 628342 | 24167 |
동북(당고개~한성대입구) | 308338 | 28031 | 310094 | 28190 | 313193 | 28472 | 309758 | 28160 |
도심(혜화~회현) | 205416 | 34236 | 209125 | 34854 | 212302 | 35384 | 206648 | 34441 |
용산(서울~이촌) | 59330 | 11866 | 56722 | 11344 | 56349 | 11270 | 55349 | 11070 |
서남(동작역~남태령, 4역) | 58554 | 14639 | 56352 | 14088 | 59195 | 14799 | 56586 | 14147 |
구간 | 일평균 승차 인원[2] | |||||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호선 전체 | 826,062 | 17576 | 803,410 | 17094 | 811,934 | 17275 |
안산선 | 101456 | 7804 | 100264 | 7713 | 102401 | 7877 |
오이도~반월 | 76742 | 7674 | 75945 | 7595 | 78213 | 7821 |
과천선 | 85904 | 10738 | 83540 | 10443 | 81947 | 10243 |
서울메트로구간 | 638702 | 24565 | 630800 | 24262 | 627585 | 24138 |
동북(당고개~한성대입구) | 312909 | 28446 | 306861 | 27896 | 304072 | 27643 |
도심(혜화~회현) | 214397 | 35733 | 209437 | 34906 | 204366 | 34061 |
용산(서울~이촌) | 54024 | 10805 | 56275 | 11255 | 58819 | 11764 |
서남(동작역~남태령) | 57372 | 14343 | 58226 | 14557 | 60329 | 15082 |
[편집] 주석 및 참고 자료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편집] 같이 보기
노선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수인선 | 경춘선 | |||
차량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2030호대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철도 토막글 | 수도권 전철 4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