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센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게센어 게센식 로마자 표기:keseng̃ó |
||
---|---|---|
쓰는 나라들 | 일본 이와테 현 게센 군 | |
지역 | 동아시아 | |
언어 인구 | 7만 4천명 |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형용사-명사 후치사 사용 |
|
언어의 계통 | 알타이어족(논란 있음) 일본어족 일본어파 도호쿠 방언 엔간 방언 게센 방언 게센어 게센어 |
|
공용어/표준 | ||
공용어로 쓰는 국가 | 없음 | |
표준 | 없음 | |
언어 부호 | ||
ISO 639-1 | (없음.) | |
ISO 639-2: | — | |
ISO/DIS 639-3: | 준비 중. |
게센어(keseng̃ó,ケセン語)는 일본의 이와테 현(岩手県) 게센군(気仙郡)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이 지역출신의 의사인 야마우라 하루쓰구(山浦玄嗣)가 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구어를 일본어에 대비하여 일본어의 일개방언이 아닌 대등한 언어라는 의미로서 부여한 명칭이다. 가나가 아닌 로마자를 변용한 정서법을 가지고 있다. 2002년 7월에 NHK교육방송에 소개됨으로서 그 존재를 일본사회에 알렸다. 야마우라씨는 게센어가 에조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독자적 언어로서 일본어와 다른 음운체계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현재 게센어판 신약성서와 대사전등이 출판되어 있다.
목차 |
[편집] 명칭의 유래
게센이라는 명칭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901년 편찬된 일본의 사서 일본삼대실록에 게세마-計仙麻(ケセマ) 라는 지명에 대한 기록이다. 전전 게센지방의 교육장을 지냈던 가네노 키쿠사부로의 견해에 따르면 게센의 유래는 아이누어에 두고 있다고 하며 그 의미는 "남단에 있는 강의 어귀"라는 뜻을 지닌 게세모리 또는 침삭된 장소를 뜻하는 게세마가 후대에 게센으로 발음이 바뀌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한자표기 気仙을 야마토 왕권수립이후에 붙여진 명칭이라 하여 거부하고 가타카나 표기인 게센으로 하고 있다.
[편집] 역사
이와테현 게센지방의 언어는 통상의 일본어의 표준어-방언의 차원에서 정의할 때, 일본어의 하위방언인 도호쿠방언의 분파로서 정의되는 "방언"이나, 야마우라 하루츠구는 게센지방의 방언을 일본어의 하부방언으로 보는 종속적 관계를 거부하고 일본어와 대등한 독립된 언어로서 정립시키기 위하여 게센방언이 아닌 게센어라는 독립된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문자사용에 있어서도 일본어의 가나한자혼용문이 아닌 24문자로 이루어진 로마문자를 기초로한 문자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과거 일본에서 만연했던 방언박멸운동과 도호쿠인차별에 대한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하는 동시에 자신의 고장을 고대 일본의 도호쿠지방에 존재했고 현재 일본의 주류민족인 야마토민족에게 이민족시 되었던 별개의 역사와 혈통을 지닌 히타카미국(ヒタカミ国)으로 부르고 있다. 야마우라 하루츠구의 이와 같은 인식은 표준어의 억압에 짓눌렸던 지방어의 복권운동및 그 지방어를 독립된 언어로 재정립하기 위한 이데올로기의 일환으로서 평가 할 수 있다.
[편집] 게센어 문자
a b c d e f g g~ h i i(점없는 i) j k m n o p r r(뜨레마) s t u v w y y(뜨레마) z
[편집] 출판물
현재 게센어대사전 및 게센어판 신약성서가 출판되어 있다.
[편집] 평가
유럽에서는 아주 빈번하지만, 일본에서는 외국어인 아이누어나 사실상 외국어인 류큐어의 예를 제외하면, 거의 예를 찾아 볼 수 없는 지방어복권운동의 일환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으나, 게센어를 독립된 언어라는 개념으로 보급하는 운동을 하는 것은 사실상 야마우라 하루츠구및 소수의 지지자들에 한정되어, 대중적 지지에 이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편집] 참고문헌
『ケセン語入門』(1986),山浦玄嗣,共和印刷企画センター
[편집] 바깥고리
((일본어))게센어판 성서의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