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사람에 대해서는 박용철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박용철(朴龍喆, 1904년 6월 21일 ~ 1938년)은 한국의 시인이다. 문학평론가, 번역가로도 활동했다. 아호는 용아(龍兒).

전라남도 광산군(현 광주광역시)에서 출생했다. 배재고보를 거쳐 일본에서 수학하였다.

일본 유학 중 시인 김영랑과 교류하며 1930년 《시문학》을 함께 창간해 문학에 입문하였다. 1931년 《월간문학》, 1934년 《문학》을 창간하여 순수문학 계열에서 활동했다. "나 두 야 간다/나의 이 젊은 나이를/눈물로야 보낼거냐/나 두 야 가련다"로 시작되는 대표작 〈떠나가는 배〉 등 시작품은 초기에 많이 발표했고, 이후로는 주로 극예술연구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해외 시와 희곡을 번역하고 평론을 발표하는 방향으로 관심을 돌렸다.

1938년 결핵으로 요절하여 자신의 작품집은 생전에 내보지 못했다. 박용철이 사망하고 1년 뒤에 《박용철전집》이 시문학사에서 간행되었다. 전집의 전체 내용 중 번역이 차지하는 부분이 절반이 넘어, 박용철의 번역 문학에 대한 관심을 알 수 있다. 괴테, 하이네, 릴케 등 독일 시인의 시를 많이 번역했다. 번역 희곡으로는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 입센의 《인형의 집》 등이 있다. 극예술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번역한 작품들이다.

박용철은 1930년대 문단에서 임화카프로 대표되는 경향파 리얼리즘 문학, 김기림으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문학과 대립하여 순수문학이라는 하나의 흐름을 이끌었다. 김영랑, 정지용, 신석정, 이하윤 등이 박용철과 함께 순수시를 옹호하는 시문학파 시인들이다.

광주에 생가가 보존되어 있고 광주공원에는 〈떠나가는 배〉가 새겨진 시비도 건립되어 있다[1]

[편집] 참고자료

  • 권영민 (2004-02-25).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361~362쪽. ISBN 8952104617.

[편집] 주석

  1. 광주광역시 문화콘텐츠 - 용아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