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34) 남영 | (135) 용산 | (136) 노량진 | 인천·천안 방면 |
시종착역 | (135) 용산 | (136) 노량진 | 동인천·천안 방면 | |
시종착역 | (K110) 용산 | (K111) 이촌 | 덕소 방면 |
용산 | |
---|---|
용산역 | |
역 정보 | |
노선 | 경부선(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수도권 전철 중앙선) 용산선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 40 |
개업일 | 1900년 7월 8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1급 |
승강장 | 혼합식 (6면 13선) |
전화번호 | 02-749-8963 |
GPS 좌표 | {{{GPS}}} |
용산역(龍山驛, Yongsan Station)은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의 역이며, 동시에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환승역이다. 광주, 목포 방면의 호남선과 여수 방면의 전라선, 장항 방면의 장항선 열차의 시종착역으로 쓰이고 있으며, 호남고속철도의 서울 출발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경인선 급행열차와 경부선(용산-천안) 급행열차, 그리고 경부고속철도 광명역으로 운행하는 광명 셔틀이 출발하는 역으로 하루에도 수많은 승객으로 붐비고 있다.
인근에는 용산전자상가가 있어, 전자제품을 구입하려는 이들이 많이 찾는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수도권 전철) : 왼쪽 (1호선과 중앙선 모두 동일함)
- 발매기 코드 : 104
- AFC 코드 : 1003
- 철도 승차권 발매: 창구 발매, 자동 발매기 설치
[편집] 타는 곳 정보
1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왕십리·회기·구리·덕소 방면 출발·도착 |
2 | ●수도권 전철 1호선 | 동인천·천안행 급행열차, 광명행 열차 출발 |
3 | ●수도권 전철 1호선 | 급행열차 도착 승강장 |
4 | ●수도권 전철 1호선 | 영등포·부평·인천·금정·수원·천안 방면 |
5 | ●수도권 전철 1호선 | 종로3가·동묘앞·청량리·성북·의정부·소요산 방면 |
7·8 | 호남선·전라선·장항선 | 새마을호·무궁화호 광주·목포·여수·장항 방면 |
9·10 | 호남선 | KTX 서대전·익산·송정리·목포 방면 |
11·12 | 하차 전용 | 새마을호·무궁화호 |
[편집] 출구 정보
- 역사 내: 아이파크몰, CGV
- 1번: 한강로, 한강초등학교, 용산공업고등학교, 중앙대학교부속용산병원
- 2번: 용산전자상가 (터미널전자상가, 전자랜드, 나진상가, 선인상가 등)
- 인근에 수도권 전철 4호선 신용산역이 있으며, 1번 출구에서 150m 정도 떨어져 있다.
[편집] 역사
- 1900년 7월 8일: 경인선 2차 개통(남대문 - 노량진), 개업
- 1932년 3월 5일: 역 신축
-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서울역 - 인천/수원) (출구 2개)
- 1990년 6월 4일: 서부역사 준공
- 2004년 4월 1일: KTX 운행 개시, 용산민자역사 준공
[편집] 미래
2010년 경의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 일산신도시를 거쳐 문산으로 가는 전철이 개통되어 용산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편집] 승차량 변동
[편집] 수도권 전철
2003~2004년 사이의 감소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몇 안되는 철도공사 수도권 전철역이다. 2004년 신역사의 개업과 호남·전라·장항선 열차의 거점역이 된 것으로 인해 승객이 증가하고 있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27223 | 29718 | 28184 | 27338 | 26233 | 33418 | 35989 |
[편집] 일반 열차
연보의 2001~3 년 자료는 일반 승차량의 합산량과 전체 승차량이 다른데, 이는 서울 인근의 군 병력이 주로 이 역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합계에는 일반 승차량의 합산량만 기록하였다. 2004년부터 승차량이 급증한 것은 신역사가 개업하였고, 호남·전라·장항선 열차의 거점역으로 기능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연도와 승하차방향 | 이용 인원[2] | |||||||
---|---|---|---|---|---|---|---|---|
경부선 | ||||||||
KTX | 새마을 | 무궁화 | 통일 | 총계 | ||||
2001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무정차 | 16490 | 13006 | 29496 | |
하차 | 미개통 | 무정차 | 6 | 5 | 11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무정차 | 3 | 13 | 16 | ||
하차 | 미개통 | 무정차 | 1976 | 6568 | 8544 | |||
2002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무정차 | 5656 | 7917 | 13573 | |
하차 | 미개통 | 무정차 | 1 | 6 | 7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무정차 | 0 | 0 | 0 | ||
하차 | 미개통 | 무정차 | 1993 | 6688 | 8681 | |||
2003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무정차 | 5058 | 8118 | 13176 | |
하차 | 미개통 | 무정차 | 6 | 12 | 18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무정차 | 0 | 2 | 2 | ||
하차 | 미개통 | 무정차 | 2083 | 8946 | 11029 | |||
2004년 | 하행 | 승차 | 1164205 | 254220 | 1249843 | 1950 | 2670218 | |
하차 | 112 | 20 | 175 | 18 | 325 | |||
상행 | 승차 | 1375 | 70 | 180 | 2 | 1627 | ||
하차 | 1343186 | 253208 | 1277903 | 849 | 2875146 | |||
2005년 | 하행 | 승차 | 1870912 | 387980 | 1613833 | 폐지 | 3872725 | |
하차 | 179 | 3 | 8 | 폐지 | 190 | |||
상행 | 승차 | 1335 | 3 | 0 | 폐지 | 1338 | ||
하차 | 2124765 | 355473 | 1668100 | 폐지 | 4148338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 ↑ 원자료는 철도통계연보[1].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한국고속철도 | 경부선 | 용산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서울 용산구의 전철역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