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조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언어의 모음조화(母音調和)는 여러 음절로 된 낱말에서 첫음절의 모음에 속한 모음군에 따라 뒷음절의 모음이 바뀌면서 낱말 전체의 모음이 모두 같은 모음군에 속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언어는 적어도 두 개의 모음군을 가지고 있다. 모음조화는 일종의 음운 동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모음조화는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나타난다. 핀우그르어족의 모음조화가 독일어족의 움라우트에 영향을 줬다고 생각하는 학자도 있다.
목차 |
[편집] 우랄어족
[편집] 핀란드어
전설 | ä | ö | y |
---|---|---|---|
중립 | e | i | |
후설 | a | o | u |
핀란드어의 모음은 전설모음, 중립모음, 후설모음으로 나뉜다. 핀란드어 낱말에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이 같이 들어갈 수 없지만, 중립모음은 전설이나 후설모음과 함께 들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aaltoileva"는 후설모음과 중립모음으로 되어 있고 "äidillä"는 전설모음과 중립모음으로 되어 있다.
단, 합성어는 이런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편집] 헝가리어
후설 | a á | o ó | u ú |
---|---|---|---|
전설 비원순 (중립) | e é | i í | |
전설 원순 | ö ő | ü ű |
핀란드어와 가까운 헝가리어는 핀란드어 ä와 e의 구분이 없이 e를 쓴다는 점만 빼고 모음조화의 모습이 비슷하다.
[편집] 알타이어족
[편집] 몽골어
여성 | e | ö | ü |
---|---|---|---|
남성 | a | o | u |
중성 | i |
몽골어에서는 전설모음이 여성모음, 후설모음이 남성모음으로 불린다.
[편집] 타타르어
전설 | ä | e | i | ö | ü | |
---|---|---|---|---|---|---|
후설 | a | ı | í | o | u | é |
타타르어에는 중성모음이 없다. é는 차용어에서만 쓰인다.
[편집] 카작어, 키르기스어
카작어와 키르기스어는 전설모음/후설모음 조화가 있다. 또한 원순모음/비원순무음 조화도 있는데, 카작어의 원순모음조화의 경우 글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편집] 터키어
전설 | 후설 | |||
---|---|---|---|---|
비원순 | 원순 | 비원순 | 원순 | |
고모음 | i | ü | ı | u |
저모음 | e | ö | a | o |
터키어에는 전설/후설, 원순/비원순, 고/저에 따른 세 가지 모음조화가 있다.
터키어 낱말에는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이 같이 올 수 없다. 이는 조사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 Türkiyede ("터키에서"), kapıda ("문에서")
원순모음 뒤에 붙은 조사의 i와 ı는 각각 원순모음인 ü와 u로 바뀐다. 예: Türkiyedir ("터키이다"), kapıdır ("문이다"), gündür ("낮이다"), paltodur ("옷이다")
외래어나 몇몇 예외에 속하는 낱말 경우 그 마지막 음절의 모음을 기준으로 조사가 바뀐다. 예: İstanbuldur("이스탄불이다")
[편집] 한국어
15세기 한국어 | |||||
---|---|---|---|---|---|
양성 | ㅏ | ㅑ | ㅗ | ㅛ | ㆍ |
음성 | ㅓ | ㅕ | ㅜ | ㅠ | ㅡ |
중성 | ㅣ | ||||
현대 한국어 | |||||
양성 | ㅏ | ㅑ | ㅗ | ㅛ | |
음성 | ㅓ | ㅕ | ㅜ | ㅠ | |
중성 | ㅡ | ㅣ |
한국어에는 양성모음, 음성모음, 중성모음이 있다. 15세기에는 엄격한 모음조화가 있었지만(Ex.훈민정음), 조선 후기에 아래아(ㆍ)가 ㅡ를 비롯한 갖가지 홀소리로 바뀌게 되면서 모음조화가 깨졌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의태어, 강조어, 술어의 어간이나 어미에 모음조화가 남아 있다. 한글의 복모음을 만들 때에 양성모음은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이 섞이지 않게 만든다. (예: ㅘ, ㅝ 등)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는 모음조화가 그 증거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편집] 다른 언어
모음조화가 있는 다른 언어로는 텔루구어과 반투어족, 아칸어족, Nez Perce, Coeur d’Alene, Yokutsan languages, Maiduan languages, Utian languages, Takelma, Coosan languages, Dusun languages, Nilotic languages에 속하는 언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