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로고 등에 대한 공정한 인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천어의 제안
이상 본 토론이 가리키는(?) 문서의 내용을 제안합니다. 의견 좀 주세요, 굽신굽신. 천어/토론 2007년 7월 25일 (수) 16:30 (KST)
- 로고 예시(1만 픽셀)
- 내용 예시
[편집] 다른 위키백과의 예
다음은 항목이 많은 위키백과들을 대상으로 로고의 인용을 허락하는지 조사한 결과입니다.
- 10만 항목 이상 수록
언어 이름 | 예시 | 언어 이름 | 예시 |
네덜란드어 | 불인정 | 독일어 | de:Yahoo! |
러시아어 | ru:Microsoft | 스웨덴어 | sv:Microsoft |
스페인어 | 불인정 | 영어 | en:Microsoft |
이탈리아어 | it:Microsoft | 일본어 | 불인정 |
포르투갈어 | 불인정 | 프랑스어 | fr:Microsoft |
- 2만 항목 이상 수록
언어 이름 | 예시 | 언어 이름 | 예시 |
노르웨이어 | 불인정 | 덴마크어 | 불인정 |
루마니아어 | ro:Google | 리투아니아어 | lt:Google |
불가리아어 | bg:Майкрософт | 세르비아어 | sr:Мајкрософт |
슬로바키아어 | sk:Google | 슬로베니아어 | sl:Google |
에스토니아어 | et:BMW | 에스페란토 | eo:BMW |
우크라이나어 | uk:Microsoft | 인도네시아어 | id:Microsoft |
중국어 | zh:微软 | 체코어 | 불인정 |
카탈루냐어 | ca:Google | 크로아티아어 | hr:Google |
터키어 | tr:Google | 핀란드어 | fi:Microsoft |
한국어 | 불인정 | 헝가리어 | hu:Microsoft |
히브리어 | he:מיקרוסופט |
사용자:정안영민/로고을 옮긴 건가요? 대원칙인 위키백과:라이선스 예외 원칙에 대한 토론이 끝난 후에 이야기했으면 합니다. -- ChongDae 2007년 8월 7일 (화) 02:01 (KST)
[편집] 중복된 논의
위키백과토론:공정 사용에서 총괄적인 공정사용 도입여부에 대해 총의가 수렴중입니다. 이 제안에 대해서는 찬성할래야 할 수가 없는 것이, 공정사용이 위키백과 정신이나 GFDL 등에 문제가 있다는 건, 저작권법 모르는 가운데 나온 주장입니다. 이세상 어떤 저작물과 라이센스도 공정사용과는 충돌하지 않습니다. 명백한 오류가 있는 것인데, 여기에 찬성을 해 줄 수는 없겠군요. 그런 해석이 없이 그냥 로고만을 도입합시다 한 줄이었다면 바로 찬성입니다. 왜? 저는 전체 공정사용을 지지하니까요. 사실, 이건 법이 하라고 한 거라서 지지 반대도 필요없는데, 영어 위키에서도 다른 위키에서도 여기서도 그게 다수결 투표로 토의되어야 한다니까 그렇지, 원래 법률사항입니다. 지지하고 반대하고를 떠나 각국 국회의원들이 법으로 이건 해라 하고 못박아놓은 사안이죠. 그러니까 일반 국민이나 단체에서 공정사용이 된다 안된다 할 수 있는게 아니고 국회의원들이 법률로 공정사용은 해라. 못박아 놓은 사안입니다. 전혀 쓸데없는 논의인데, 난 법률 모른다 투표를 하자고 하니, 투표로 할 수 밖에요. 그래서 투표를 하자고 하니까 왜 너 마음대로 투표를 하냐 공정사용은 원래 안된다는 이들도 있더군요. 제가 2년 가까이 이야기 한 거 같은데, 공정 사용은 법률에서 "하라"고 못을 박아놓은 사안입니다. 누가 함부로 이 자유를 차단하지 못합니다.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전부 다 "해라" 하고 못을 박아 놨답니다. -- WonYong (토론 • 기여 • 총편집횟수 • 로그 • e-Mail) 2007년 8월 9일 (목) 16:57 (KST)
[편집] 로고나 휘장 등은 공정 사용 허용할 필요가 있어
어떤 분은 뭐 사진이 없어서 위키백과가 정적이라는 말씀을 하시는데 글쎄...... 그건 좀 비약이 심한 것 같구요. 다만, '정안영민'님의 제안대로 로고와 휘장 부분에 한해서는 분명 허용이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제가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 왜 비정부기구인 국제축구협회의 '로고'조차 위키백과에 붙일 수 없어야 하는 겁니다. 물론, 공정 사용의 '공'자조차 반대하시는 일부 보수적인 분들에게는 씨도 안먹히겠지만요. BongGon 2007년 8월 9일 (목) 20:19 (KST)
- 사진이 없어서 정적이라는 건 상당히 표현을 애매모호하게 한 거 같네요. 사진이 없어서 반 이상 그 백과사전 가치가 사라지는 거겠죠. 아무개 하면 일단 사진. 무슨 건물 하면 일단 사진. 무슨 화가의 작품 하면 일단 사진, 무슨 음악가의 음악 하면 일단 음악샘플, 기타 동영상이 필요한 곳에서는 동영상, 뭐 이런 건 기본입니다. 글로 백만장 써봐야, 아무개가 누군지 아무도 모릅니다. 백번 소리로 듣고 글로 읽어도 한 번 눈으로 직접 그림이나 동영상이나 음악을 들어보고 눈으로 보는 거 보다 못한 겁니다. 한마디로 글자만 있는 백과사전은 이미 그 효용가치가 확 사라지는 거겠죠. 그리고 영어 위키백과에서 공정 사용하는 모습의 사용례에도 나오지만, 어디까지나 자유저작권 사진이나 동영상, 음향자료가 없는 경우에만 임시적으로 쓰는 겁니다. 자유사진이 있는데 괜히 비자유사진을 까다로운 공정 사용의 요건을 따져가면서 쓸 일이 없겠죠. 자유사진이 없으니까, 어디까지나 임시로 쓰는 겁니다. 그리고 전세계 대부분의 저작권법은 다 공정사용 허락하고 있습니다. 확인해 보세요. -- WonYong (토론 • 기여 • 총편집횟수 • 로그 • e-Mail) 2007년 8월 10일 (금) 15:41 (KST)
- 지금도 무슨 건물 사진 정도는 직접 찍거나 저작권을 가진 사용자의 허락만 받으면 되는거 아닙니까? BongGon 2007년 8월 10일 (금) 16:10 (KST)
-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만 제가 드린 말씀은 '좋은 뜻'으로 말씀드린겁니다. 취소선을 그었기는 그었습니다만, 좋은 뜻으로 이해해주셨으면... ^^; -- iTurtle 2007년 8월 10일 (금) 18:22 (KST)
- 직접 찍거나 직접 허락받는 게 쉽다고 보시나 보네요. 그게 쉬우면 GFDL이네 자유라이센스 운동이 일어나지도 않았고, 미국이 저작권법에 정부 저작물은 다 저작권이 없다고 명문화하지도 않았을 겁니다. 미국 정부 사진 펌질되는 것과 다른 나라 정부 사진 특히 우리나라 국가기록물보존소의 그 많은 사진들이 펌질되는 경우를 비교해 보면 알겠죠. 허락받으면 되는데, 뭐가 그리 어렵다고? 어렵습니다. 그래서 전세계 법률은 다 공정사용이라고 저작권자 허락없이 무단펌질을 가능하게 해놨습니다. 전세계 저작권 전문가들이 직접 만들거나 직접 허락받으면 간단한데 뭣하러 무단사용권인 공정사용을 규정했을까요? 말이 계속 같은 말 쉬운 말이 반복되고 있네요. 2년 동안 -- WonYong (토론 • 기여 • 총편집횟수 • 로그 • e-Mail) 2007년 8월 10일 (금) 20:16 (KST)
- 공정사용이고 인용이건 다 저작권자에게 물어보지도 않고 알리지도 않고 퍼가는 것(무단펌질)을 말한답니다. -- WonYong (토론 • 기여 • 총편집횟수 • 로그 • e-Mail) 2007년 8월 22일 (수) 13:3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