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록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록수(常綠樹)》는 작가 심훈1935년에 발표한 장편 소설이다. 동아일보 창간 15주년을 기념하는 장편 소설 공모에 1등으로 당선된 작품으로, 동아일보(1935년 9월 19일~1936년 2월 15일)에 연재되어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목차

[편집] 주요 등장인물

  • 채영신
  • 박동혁
  • 백현경
  • 박동화(동혁의 동생)
  • 강기천(고리대금업자)

[편집] 줄거리

아무개 신문사에서 주최한 농촌 운동가 보고 행사에 참여한 박동혁은 “지식인들은 자신의 안위를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면서 농촌운동가로서의 신념을 피력하는 신학생 채영신에게 호감을 갖는다. 당시 돈으로 3천 원이나 들여 지었다는 화려한 집에 사는 얼치기 농촌 운동가 백현경의 집에서의 저녁 식사 모임 등으로 채영신과 친해진 박동혁은 그녀를 농촌운동을 같이 할 동지로 생각한다. 이는 박동혁의 성실함에 감동받은 채영신도 마찬가지여서 박동혁과의 만남을 하느님께 감사해 한다. 논을 팔아서 학비를 대는 집안형편 때문에 다니던 고등농림을 그만둔 동혁은 고향 한곡리로, 영신은 활동 지역인 청석골로 돌아가 각자의 일에 몰두한다. 동혁은 농민들의 피를 빠는 고리대금업자 강기천 그리고 청년들의 공동 노동을 비판하는 마을 어른들과 투쟁하면서 농촌 환경 개선에 물두하고, 영신은 하숙집 아주머니인 원재 어머니를 비롯한 동네 아주머니들의 도움을 받아가면서 야학 선생으로 헌신한다. 하지만 이들의 활동은 수많은 난관과 부딪친다. 동혁은 부정 선거로 청년회장이 된 강기천의 횡포에 분노한 동화가 마을회관을 불태우려는 것을 말리려다가 공범으로 몰려 감옥에 갇힌다. 영신도 학교를 짓느라 무리하게 노동하는 바람에 몸이 허약해져서 정양을 겸해 일본의 기독교계 학교에서 유학하지만, 오히려 각기병에 걸린 채로 고향에 돌아온다. 결국 그녀는 각기병이 심해져서 마을 사람들과 동네 교회 교우들의 울음 속에 숨을 거두고, 마침 출소한 동혁은 영신의 장례식에 참여한다. 이때 동혁은 장례식에 모인 조문객들에게 영신의 농촌운동가로서의 정신을 계승하라고 연설한다.

[편집] 해설

등장인물 중 하나인 채영신은 감리교 전도사이자 농촌 운동가인 최용신(1909년~1925년)을 본보기로 하였다. 브나로드(민중 속으로) 운동을 농촌속에서 실천하던 농촌 운동가들의 삶을 채영신과 박동혁 그리고 박동혁의 동지들을 등장시켜서 있는 그대로 묘사했다. 또한 백현경과 강기천으로 상징되는 얼치기 지식인들과 고리대금업자들을 고발하고 있다. 하지만 농촌 운동을 하기 위해서 일본 유학을 할 만큼 조선 민중을 사랑한 약혼자를 이기적인 인간으로 묘사하는 등 실제 최용신의 삶과는 다른 부분 때문에 비판받기도 하였다.

[편집] 참고 자료

  • 《여인열전》/이덕일 지음/김영사
이 문서는 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