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電鐵 1號線)은 경기도 동두천시의 소요산역, 충청남도 천안시의 천안역, 인천광역시 중구의 인천역, 경기도 광명시의 광명역을 잇는 도시 철도 운행 계통이다. 수도권 전철을 이루는 노선 중 하나이다. 이 노선의 고유색은 ●남색이다.
청량리~서울역 구간은 서울메트로가 운영하고 있고 그 외의 구간은 코레일이 운영하고 있다. 첫 번째 1기 지하철 노선으로, 최초의 도심 입체 교통망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목차 |
[편집] 역사
- 1974년 8월 15일 - 지하철 1호선 청량리-서울, 서울-수원, 구로-인천, 청량리-성북 구간 38개 역 개통.
- 1978년 12월 9일 - 용산-청량리 간 4개 역 (현재의 용산-덕소선 용산-청량리 구간) 개통.
- 1979년 2월 1일 - 성대앞역 개통
- 1980년 1월 5일 - 신이문역 개통
- 1980년 4월 1일 - 서빙고, 회기, 한남역 개통
- 1982년 8월 2일 - 석수역 개통
- 1984년 5월 22일 - 신도림역 개통
- 1984년 11월 20일 - 백운역 개통
- 1985년 1월 14일 - 석계역 개통
- 1985년 8월 22일 - 월계, 녹천역 개통
- 1985년 10월 18일 - 옥수역 개통
- 1986년 9월 22일 - 창동-의정부 간 6개 역 개통
- 1987년 10월 5일 - 의정부북부(현. 가능역)역 개통
- 1987년 12월 31일 - 중동역 개통
- 1988년 1월 16일 - 온수역 개통
- 1988년 10월 25일 - 금정역 개통
- 1994년 7월 11일 - 간석, 도원역 개통
- 1995년 2월 16일 - 구일역 개통
- 1996년 3월 28일 - 부개역 개통
- 1997년 4월 30일 - 소사역 개통
- 1998년 1월 7일 - 신길, 독산역 개통
- 1999년 1월 29일 - 부평-용산 간 복복선 개통
- 2001년 11월 30일 - 도화역 개통
- 2002년 3월 15일 - 주안-부평 간 복복선 개통
- 2003년 4월 30일 - 수원-병점 간 2개 역 개통
- 2005년 1월 20일 - 병점-천안 간 8개 역 개통
- 2005년 12월 16일 - 용산-회기 간 노선이 용산-덕소선으로 연장 분리(참고: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
- 2005년 12월 21일 - 동인천-주안 간 복복선 개통, 동묘앞역 개통
- 2005년 12월 27일 - 세마, 오산대역 개통
- 2006년 6월 30일 - 진위, 지제역 개통
- 2006년 12월 15일 - 의정부-소요산 연장 및 KTX 광명역 연장 개통
[편집] 운행 계통
[편집] 완행열차
- 인천-소요산: 인천과 소요산 사이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 인천-동두천등 다양한 세부 운행 계통이 있다.
- 병점-성북
- 천안-지하 청량리
- 용산-광명: KTX 광명역의 접근성을 높여주기 위해 만들어진 운행 계통. 용산-시흥-광명 간 모든 역에 정차한다. 배차 간격은 30~35분. 용산~구로에서는 경인 급행 선로를 따라 운행된다.
[편집] 급행열차
한국철도공사는 1호선의 노선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중거리 승객의 효율적인 수송을 위하여 급행 열차를 운행 중이다. 급행 열차의 요금은 모든 역을 정차하는 일반 열차와 같다.
[편집] 용산-동인천 급행
- 이 부분의 본문은 경인선#경인 급행선입니다.
용산역에서 동인천역까지 매일 운행하는 급행열차다. 용산역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동인천 급행, 용산 급행으로 표시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용산-노량진-대방-신길-영등포-신도림-구로-역곡-부천-송내-부평-동암-주안-동인천
[편집] 용산-천안 급행
용산역에서 천안역까지 운행하는 급행 열차다. 매일 서울-용산 급행이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 운행하며 용산역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천안 급행, 용산 급행으로 표시된다. 철도공사 내부에서는 ‘A급행’이라고 부른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용산-노량진-대방-신길-영등포-신도림-구로-가산디지털단지-안양-수원-병점-오산-서정리-평택-성환-두정-천안
[편집] 서울-천안 급행
월요일에서 토요일까지,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되는 급행열차다. 코레일에서 관리하는 지하철 서울역의 지상 승강장에서 타고 내리며 1호선 서울역 1번 출구로 드나들 수 있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천안 급행, 서울 급행으로 표시된다. 철도공사 내부에서는 ‘B급행’이라고 부른다. 경부선 새마을, 무궁화호 열차와 선로를 공유하며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서울-(영등포)-시흥-안양-군포-의왕-(성균관대)-수원-병점-오산-서정리-평택-성환-두정-천안
영등포역은 상행(서울 방향)에만 정차하고, 성균관대역은 아침 시간의 천안행 열차(K1503 열차)만 정차한다.
[편집] 인천-동두천 급행
인천역에서 동두천까지 운행하는 급행열차다. 대부분의 구간에서 완행 운전을 하고 일부 구간에서만 급행 운전을 하기 때문에 완급 혼합 열차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인천 급행, 동두천 급행으로 표시된다. 인천역에서 가능역까지는 모두 정차하고 가능 이후로 덕정, 동두천중앙, 동두천역에 정차한다.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143.6 km
- 한국철도공사
- 소요산-청량리: 43.2 km
- 서울역-천안: 96.6 km
- 시흥-광명: 4.7km
- 서울메트로
- 청량리(지하)-서울역: 7.8km
- 한국철도공사
- 운영 기관: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좌측 통행
- 역 수: 192
- 복선 구간:
- 3복선: 용산-구로
- 2복선: 구로-동인천, 구로-천안
- 복선: 동두천-용산, 동인천-인천, 시흥-광명
- 단선: 소요산-동두천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 보안 장치: ATS
[편집] 역 목록
[편집] 경원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1] |
---|---|---|---|---|---|---|
100 | 소요산 | Soyosan | 逍遙山 | - | 0.0 | |
101 | 동두천 | Dongducheon | 東豆川 | 2.5 | 2.5 | |
102 | 보산 | Bosan | 保山 | 1.6 | 4.1 | |
103 | 동두천중앙 | Dongducheonjungang | 東豆川中央 | 1.4 | 5.5 | |
104 | 지행 | Jihaeng | 紙杏 | 1.0 | 6.5 | |
105 | 덕정 (서정대학) |
Deokjeong | 德亭 | 5.6 | 12.1 | |
106 | (덕계) | Deokgye | 德溪 | (-) | (-) | |
107 | 주내 | Junae | 州內 | 8.2 | 20.3 | |
108 | 녹양 | Nogyang | 綠揚 | 1.6 | 21.9 | |
109 | 가능 | Ganeung | 佳陵 | 1.3 | 23.2 | |
110 | 의정부 | Uijeongbu | 議政府 | 서울교외선 | 1.2 | 24.4 |
111 | 회룡 | Hoeryeong | 回龍 | 1.6 | 26.0 | |
112 | 망월사 (신흥대학) |
Mangwolsa | 望月寺 | 1.4 | 27.4 | |
113 | 도봉산 | Dobongsan | 道峰山 | ●수도권 전철 7호선 | 2.3 | 29.7 |
114 | 도봉 | Dobong | 道峰 | 1.2 | 30.9 | |
115 | 방학 | Banghak | 放鶴 | 1.3 | 32.2 | |
116 | 창동 | Chang-dong | 倉洞 | ●수도권 전철 4호선 | 1.7 | 33.9 |
117 | 녹천 | Nokcheon | 鹿川 | 1.0 | 34.9 | |
118 | 월계 (인덕대학) |
Wolgye | 月溪 | 1.4 | 36.3 | |
119 | 성북 (광운대앞) |
Seongbuk | 城北 | 경춘선 | 1.1 | 37.4 |
120 | 석계 | Seokgye | 石溪 | ●수도권 전철 6호선 | 1.1 | 38.5 |
121 | 신이문 (한국예술종합학교) |
Sinimun | 新里門 | 1.4 | 39.9 | |
122 | 외대앞 |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外大前 | 0.8 | 40.7 | |
123 | 회기 (경희대앞) |
Hoegi | 回基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서울 지하철 1호선(직결) |
0.8 | 41.5 |
[편집] 서울 지하철 1호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
124 | 청량리 (지하) | Cheongnyangni (underground) | 淸凉里(地下) | 경원선(직결) | 1.4 | 42.9 |
125 | 제기동 | Jegi-dong | 祭基洞 | 1.0 | 43.9 | |
126 | 신설동 | Sinseol-dong | 新設洞 | ●수도권 전철 2호선 성수지선 | 0.9 | 44.8 |
127 | 동묘앞 | Dongmyo | 東廟앞 | ●수도권 전철 6호선 | 0.7 | 45.5 |
128 | 동대문 | Dongdaemun | 東大門 | ●수도권 전철 4호선 | 0.6 | 46.1 |
129 | 종로5가 | Jongno 5(o)-ga | 鍾路5街 | 0.8 | 46.9 | |
130 | 종로3가 | Jongno 3(sam)-ga | 鍾路3街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
0.9 | 47.8 |
131 | 종각 | Jonggak | 鐘閣 | 0.8 | 48.6 | |
132 | 시청 | City Hall | 市廳 | ●수도권 전철 2호선 | 1.0 | 49.6 |
133 | 서울역 | Seoul Station | 서울驛 | ●수도권 전철 4호선 경부선(직결·지상 서울역) |
1.1 | 50.7 |
[편집] 경부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
133 | 서울(B급행 전용) | Seoul | 서울 지하철 1호선(지하철 서울역) | - | (50.7) | |
134 | 남영 | Namyeong | 南營 | 서울 지하철 1호선(직결) | 1.7 | 52.4 |
135 | 용산 | Yongsan | 龍山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1.5 | 53.9 |
136 | 노량진 | Noryangjin | 鷺梁津 | 2.6 | 56.5 | |
137 | 대방 | Daebang | 大方 | 1.5 | 58.0 | |
138 | 신길 | Singil | 新吉 | ●수도권 전철 5호선 | 0.8 | 58.8 |
139 | 영등포 | Yeongdeungpo | 永登浦 | 1.0 | 59.8 | |
140 | 신도림 | Sindorim | 新道林 | ●수도권 전철 2호선 | 1.5 | 61.3 |
141 | 구로 | Guro | 九老 | 경인선 | 1.1 | 62.4 |
P142 | 가산디지털단지 | Gasan Digital Complex | 加山디지털團地 | ●수도권 전철 7호선 | 2.4 | 64.8 |
P143 | 독산 (하안동입구) |
Doksan | 禿山 | 2.0 | 66.8 | |
P144 | 시흥 | Siheung | 始興 | 경부고속선 | 1.2 | 68.0 |
P145 | 석수 | Seoksu | 石水 | 2.3 | 70.3 | |
P146 | 관악 | Gwanak | 冠岳 | 1.9 | 72.2 | |
P147 | 안양 | Anyang | 安養 | 2.4 | 74.6 | |
P148 | 명학 (성결대앞) |
Myeonghak | 鳴鶴 | 2.2 | 76.8 | |
P149 | 금정 | Geumjeong | 衿井 | ●수도권 전철 4호선 | 1.4 | 78.2 |
P150 | 군포 (한세대앞) |
Gunpo | 軍浦 | 2.2 | 80.4 | |
P151 | 의왕 (철도대학) |
Uiwang | 義王 | 4.2 | 84.6 | |
P152 | 성균관대 | Sungkyunkwan Univ. | 成均館大 | 2.9 | 87.5 | |
P153 | 화서 | Hwaseo | 華西 | 2.6 | 90.1 | |
P154 | 수원 | Suwon | 水原 | 2.1 | 92.2 | |
P155 | 세류 | Seryu | 細柳 | 2.9 | 95.1 | |
P156 | 병점 (한신대) |
Byeongjeom | 餅店 | 4.3 | 99.4 | |
P157 | 세마 | Sema | 洗馬 | 2.4 | 101.8 | |
P158 | 오산대 (물향기수목원) |
Osan College | 烏山大 | 2.7 | 104.5 | |
P159 | 오산 | Osan | 烏山 | 2.7 | 107.2 | |
P160 | 진위 | Jinwi | 振威 | 4.0 | 111.2 | |
P161 | 송탄 | Songtan | 松炭 | 3.8 | 115.0 | |
P162 | 서정리 (국제대학) |
Seojeongni | 西井里 | 2.2 | 117.2 | |
P163 | 지제 | Jije | 芝制 | 4.8 | 122.0 | |
P164 | 평택 | Pyeongtaek | 平澤 | 3.7 | 125.7 | |
P165 | 성환 (남서울대) |
Seonghwan | 成歡 | 9.4 | 135.1 | |
P166 | 직산 | Jiksan | 稷山 | 5.4 | 140.5 | |
P167 | 두정 | Dujeong | 斗井 | 3.8 | 144.3 | |
P168 | 천안 | Cheonan | 天安 | 장항선 | 3.0 | 147.3 |
[편집] 경인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
141 | 구로 | Guro | 九老 | 경부선 | 1.1 | 62.4 |
142 | 구일 (동양공전) |
Guil | 九一 | 1.4 | 63.8 | |
143 | 개봉 | Gaebong | 開峰 | 1.0 | 64.8 | |
144 | 오류동 | Oryu-dong | 梧柳洞 | 1.3 | 66.1 | |
145 | 온수 (성공회대입구) |
Onsu | 溫水 | ●수도권 전철 7호선 | 1.9 | 68.0 |
146 | 역곡 (가톨릭대) |
Yeokgok | 驛谷 | 1.3 | 69.3 | |
147 | 소사 (서울신대) |
Sosa | 素砂 | 1.5 | 70.8 | |
148 | 부천 (부천대입구) |
Bucheon | 富川 | 1.1 | 71.9 | |
149 | 중동 | Jung-dong | 中洞 | 1.7 | 73.6 | |
150 | 송내 | Songnae | 松內 | 1.0 | 74.6 | |
151 | 부개 | Bugae | 富開 | 1.2 | 75.8 | |
152 | 부평 | Bupyeong | 富平 | ●인천 지하철 1호선 | 1.5 | 77.3 |
153 | 백운 | Baegun | 白雲 | 1.7 | 79.0 | |
154 | 동암 | Dongam | 銅岩 | 1.5 | 80.5 | |
155 | 간석 | Ganseok | 間石 | 1.2 | 81.7 | |
156 | 주안 (인하대학교) |
Juan | 朱安 | 1.2 | 82.9 | |
157 | 도화 | Dohwa | 道禾 | 1.0 | 83.9 | |
158 | 제물포 (인천대앞 |
Jemulpo | 濟物浦 | 1.0 | 84.9 | |
159 | 도원 | Dowon | 桃源 | 1.4 | 86.3 | |
160 | 동인천 | Dongincheon | 東仁川 | 1.2 | 87.5 | |
161 | 인천 | Incheon | 仁川 | 1.9 | 89.4 |
[편집] 경부고속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
P144 | 시흥 | Siheung | 始興 | 경부선 | 1.2 | 68.0 |
K410 | 광명 | Gwangmyeong | 光明 | 경부고속선 | 4.7 | 72.7 |
[편집] 운행차량
[편집] 승차량 변동
전반적으로 정체이거나 소폭 감소세를 보여주고 있으나, 최근 긴 새로운 노선이 개통된 경부선과 경원선은 큰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승차밀도(=역당 평균 승차량)가 갑작스럽게 떨어진 경우 이는 새로운 역이나 구간이 추가되었음을 의미한다. 서울메트로 구간과 경부선, 경원선의 역당 평균 승차량 감소는 바로 이 때문이다.
가시성을 높히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구간 | 일평균 승차 인원[2]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노선 전체 | 1,337,281 | 23880 | 1,413,232 | 24794 | 1,489,151 | 26125 | 1,565,101 | 26527 |
경부선 전체 | 399594 | 18163 | 424088 | 19277 | 460975 | 20953 | 511863 | 21328 |
서울~구로 | 229909 | 25546 | 232971 | 25886 | 245567 | 27285 | 265765 | 29530 |
가산디지털단지~병점 | 169684 | 13053 | 191116 | 14701 | 215407 | 16570 | 246098 | 16407 |
경인선 전체 | 405554 | 21345 | 455532 | 22777 | 497287 | 24864 | 518878 | 25944 |
역곡~송내(부천) | 142018 | 28404 | 166613 | 33323 | 188518 | 37704 | 198334 | 39667 |
부개~인천(인천) | 201671 | 20167 | 220033 | 20003 | 234739 | 21340 | 239577 | 21780 |
서울메트로구간 | 322367 | 35819 | 317212 | 35246 | 311045 | 34561 | 303390 | 33710 |
경원선 전체[3] | 209764 | 13984 | 216399 | 14427 | 219844 | 14656 | 230969 | 15398 |
회기~도봉산 | 146491 | 13317 | 146048 | 13277 | 146819 | 13347 | 157509 | 14319 |
망월사~가능역 | 63273 | 15818 | 70350 | 17588 | 73024 | 18256 | 73460 | 18365 |
구간 | 일평균 승차 인원[2] | |||||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범주구별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노선 전체 | 1,302,052 | 21701 | 1,352,811 | 19606 | 1,353,485 | 16919 |
경부선 전체 | 394968 | 16457 | 458766 | 13493 | 478040 | 12920 |
서울~구로 | 200447 | 22272 | 212375 | 23597 | 217908 | 24212 |
가산디지털단지~병점 | 153269 | 10218 | 203942 | 13596 | 210932 | 14062 |
세마~천안 | 미개통 | 미개통 | 42448 | 4245 | 48587 | 4049 |
경인선 전체 | 388702 | 19435 | 378282 | 18914 | 375091 | 18755 |
역곡~송내(부천) | 154838 | 30968 | 151566 | 30313 | 150696 | 30139 |
부개~인천(인천) | 173636 | 15785 | 168453 | 15314 | 167282 | 15208 |
서울메트로구간 | 315547 | 35061 | 318562 | 35396 | 307286 | 30729 |
경원선 전체[3] | 202834 | 13522 | 197195 | 13146 | 193066 | 8394 |
회기~도봉산 | 138331 | 12576 | 135054 | 12278 | 129909 | 11810 |
망월사~가능역 | 64502 | 16126 | 62141 | 15535 | 62626 | 15657 |
녹양~소요산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20173 | 2522 |
[편집] 주석 및 참고 자료
[편집] 같이 보기
노선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수인선 | 경춘선 | |||
차량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2030호대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