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화방송 주식회사(文化放送株式會社) 또는 MBC(영어: Munwha Broadcasting Corporation)는 SBS, KBS, EBS와 함께 대한민국의 전국 4대 지상파 방송국 중 하나이다. 방송센터과 경영센터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있고, 양주 스튜디오와 일산제작센터가 2007년에 완공할 예정이다.
목차 |
[편집] MBC캠페인
- 정정당당 KOREA (2002~2003년)
- 희·망·한·국 (2004년)
- MBC·EBS 공동 캠페인 교육이 미래다 (2005년)
- 여성의 힘 희망한국 (2006년)
- 힘내라! 한국경제 (2007년 현재)
[편집] 연혁
[편집] 1960년대
- 1961년 2월 21일 서울민간방송㈜가 설립 등기 (대표이사 김지태)
- 1961년 3월 8일 한국방송㈜로 사명을 변경 (한국방송공사(KBS)와 관계 없음)
- 1961년 7월 11일 MBC 회사마크 현상공표 가작
- 1961년 10월 2일 한국문화방송㈜로 사명을 변경
- 1961년 11월 11일 라디오방송 시험전파 발사
- 1961년 12월 2일 MBC 라디오 방송 개국 (호출부호 HLKV, 주파수 900kHZ, 출력 10kW)
- 1963년 8월 8일 대구MBC, 라디오 개국(호출부호 HLCT, 출력 1㎾, 주파수 810㎑)
- 1964년 MBC, 경영 규모 확대에 따라 불입자본금 2,000만원으로 증액
- 1964년 4월 12일 전국 네트워크 구축(대전, 대구, 광주, 전주)
- 1964년 6월 13일 광주MBC, 라디오 개국(호출부호 HLCN, 출력 1㎾, 주파수 820㎑)
- 1964년 9월 26일 대전MBC, 라디오 개국(호출부호 HLCQ, 출력 1㎾, 주파수 580㎑)
- 1965년 2월 20일 전주MBC, 라디오 개국(호출부호 HLCX, 출력1㎾, 주파수 855㎑)
- 1966년 라디오의 질적 심화와 발전 위해 ‘뉴라디오이론’ 도입(한국방송사상 처음 생활정보방송 실시, 자율심의기관인 방송편성심의위원회·농어촌방송자문위원회 등 설치)
- 1966년 1월 23일 라디오 방송출력 50kW로 증강
- 1967년 사세 확장과 TV 개국 준비에 맞춰 신사옥 건립 결정
- 1967년 7월 신사옥 기본설계 계약
- 1967년 2월 3일 정동사옥 기공
- 1968년 4월 10일 울산민간방송주식회사(현 울산MBC), 라디오 개국(호출부호 HLAU, 출력 10㎾, 주파수 1020㎑)
- 1968년 5월 11일 전주MBC, 출력1㎾에서 10㎾로 증강 (주파수 855㎑에서 1140㎑로 변경)
- 1968년 5월 17일 대전MBC, 출력 1㎾에서 10㎾로 증강(주파수 580㎑에서 765㎑로 변경)
- 1968년 5월 31일 진주민간방송주식회사, 설립(호출부호 HLAK, 주파수 1320㎑, 출력 10㎾)
- 1968년 6월 22일 영동방송주식회사(현 강릉MBC) 설립, 라디오방송 시작(호출부호 HLAF, 주파수 1287㎑, 출력 10㎾)
- 1968년 6월 26일 대구MBC, 출력 1㎾에서 20㎾로 증강
- 1968년 7월 13일 강원방송주식회사(현 춘천MBC) 설립(호출부호 HLAN, 주파수 1430㎑, 출력 10㎾)
- 1968년 8월 1일 주식회사 라디오목포(현 목포MBC) 설립(호출부호 HLAM, 주파수 1390㎑, 출력10㎾)
- 1968년 8월 20일 울산민간방송주식회사, TV중계국 가허가(채널 10, 호출부호 HLAU)
- 1968년 9월 14일 남양방송주식회사(현 제주MBC) 설립, 라디오 개국(호출부호 HLAJ, 출력 10㎾, 주파수 770㎑)
- 1968년 11월 9일 광주MBC, 출력 1㎾에서 20㎾로 증강
- 1968년 12월 31일 TV, 시험전파 방송 개시
- 1969년 3월 10일 한국연합광고㈜ 설립
- 1969년 7월 4일 TV개국을 앞두고 (영문 소문자 MBC) 형태 고안 정탁영 제작
- 1969년 7월 7일 영남방송주식회사, 주파수 1020㎑에서 850㎑로 변경
- 1969년 8월 2일 정동사옥 준공
- 1969년 8월 8일 MBC 텔레비전 방송개시(호출부호 HLAC-TV, 채널 11, 출력 2kW)
[편집] 1970년대
- 1970년 1월 24일 부산문화방송이 TV방송을 개시
- 1970년 4월 20일 부산문화방송이 FM방송을 개시
- 1971년 9월 19일 MBC FM 방송시작 (호출부호 HLKV-FM, 주파수 91.9MHz)
- 1971년 9월 29일 20개 지역 민방사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음.
- 1971년 10월 1일 MBC 제휴 지방상업방송국, 소재지 도시명 다음에 문화방송 표기토록 사명 변경 통일(제주 남양문화방송 제외)
- 1972년 2월 28일 문화관광(주)를 설립
- 1972년 4월 15일 TV호출부호를 HLAC-TV에서 HLKV-TV로 변경.
- 1972년 7월 TV, 7개의 네트워크망 형성
- 1973년 3월 3일 아침방송 중단
- 1974년 11월 1일 ㈜문화방송, 경향신문으로 발족
- 1975년 9월 8일 문화체육관 개관 (현재의 팝콘하우스)
- 1977년 4월 9일 문화관광이 폐업
- 1979년 7월 19일 주식상장이 폐지됨.
- 1979년 9월 11일 현 소재지인 여의도 사옥이 기공.
[편집] 1980년대
- 1980년 12월 1일 정권의 언론통폐합으로 신아일보를 흡수통합하고, 전국 네트워크 가맹사의 주식 51%를 인수하여 계열화하여 현재까지 계열사 체제가 유지되고 있음.
- 1980년 12월 22일 본사가 TV 컬러방송을 시작
- 1981년 1월 1일 TV 컬러방송이 전국화됨.
- 1981년 4월 1일 언론기본법 제정에 따라 문화방송과 경향신문사가 분리됨.
- 1982년 1월 26일 프로야구단 MBC 청룡이 창단함.
- 1982년 3월 17일 여의도 현 사옥이 준공됨.
- 1982년 4월 2일 TV 출력 증강(10㎾→50㎾)
- 1983년 4월 20일 FM 출력 증강(1㎾→10㎾)
- 1984년 9월 20일 경기도 양주시에 소재한 사원체력단련장이 준공됨.
- 1984년 12월 1일 송신·중계운영 KTA에 위탁
- 1985년 5월 1일 여의도 현 사옥의 증축공사가 착공함.
- 1986년 1월 1일 MBC CI 첫 도입
- 1986년 4월 19일 관악산 TV중계소가 준공됨.
- 1986년 4월 29일 정동방송시설, 여의도로 이전 송출 시작
- 1986년 5월 30일 여의도 사옥 증축공사가 완공됨.
- 1987년 12월 9일 노동조합이 설립함.
- 1987년 12월 15일 관악산에서 송출하는 표준FM방송 개시.
- 1987년 12월 28일 표준FM 개국
- 1988년 7월 AM·FM 종일방송 개시
- 1988년 9월 17일 88서울올림픽로 생방송으로 KBS와 중계
- 1988년 12월 31일 방송문화진흥회 설립
- 1989년 12월 13일 프로야구단 MBC 청룡을 LG그룹130억원에 매각함.
[편집] 1990년대
- 1990년 7월 2일 MBC방송강령 선포
- 1990년 10월 15일 TV문자방송(MINDS) 개국
- 1991년 1월 10일 MBC 프로덕션, MBC 미디어텍 창립
- 1991년 6월 1일 MBC방송문화원 창립
- 1991년 7월 11일 미주방송지사 설립
- 1991년 9월 9일 MBC 예술단 창립
- 1992년 7월 1일 MBC 미술센터 창립
- 1993년 1월 12일 사내복지기금 설립
- 1993년 3월 17일 강성구 사장 취임
- 1993년 4월 10일 문자방송(MINDS) 폐지
- 1993년 7월 22일 신사풍운동추진팀 구성
- 1994년 4월 25일 일산신사옥 부지 매입 및 부지 착수
- 1994년 6월 18일 사원이사회 출범
- 1995년 2월 팀제 전사적 도입
- 1995년 3월 6일 SNG 5원 생방송 성공
- 1995년 4월 1일 음악FM 종일 방송 실시
- 1995년 10월 1일 MBC인터넷 TV프로그램 실시간 생중계
- 1995년 11월 13일 방송용 헬리콥터 도입
- 1995년 12월 9일 전국문화방송노동조합 출범
- 1996년 9월 MBC인터넷 통해 TV프로그램 실시간 생중계 개시
- 1996년 10월 유럽 3개 지사 통합 운영(파리, 런던, 본)
- 1996년 11월 방송용 헬리콥터 도입(벨-412)
- 1997년 7월 2일 한솔PCS 유상증자에 32억원 청약키로 의결
- 1997년 8월 1일 양주 스튜디오 준공
- 1997년 9월 DSNG 네트워크(M-SAT) 완전 개통
- 1998년 IMF 비상대책 노사협의회 구성
- 1999년 3월 9일 노성대 사장 취임
- 1999년 12월 30일 공적기여금 100억 기탁
[편집] 2000년대
- 2000년 3월 11일 인터넷MBC 창립
- 2000년 4월 10일 MBC 프로덕션,예술단 합병
- 2000년 7월 7일 인터넷MBC 개국
- 2000년 9월 1일 경영센터 입주
- 2001년 2월 21일 ‘MBC Plus’ 설립
- 2001년 3월 9일 김중배 사장 취임
- 2001년 4월 2일 CATV ‘MBC 스포츠‘개국
- 2001년 4월 6일 방송센터 개수공사 착공
- 2001년 4월 11일 일본 FM 후쿠오카와 방송협력협정 체결
- 2001년 4월 14일 방송사 최초 프로그램 모니터 그룹 ‘아이러브 엠비씨’ 개설
- 2001년 6월 4일 양주 다목적 스튜디오 착공식
- 2001년 9월 10일 MBC 방송편성규약 제정
- 2001년 12월 2002 연중캠페인 ‘정정당당 코리아’확정/ DTV 방송 개시
- 2002년 5월 30일 디지틀 TV를 이용한 데이터방송 실험서비스 실시
- 2002년 12월 16일 MBC MOVIES 개국
- 2003년 3월 이긍희 사장 취임
- 2003년 7월 유니버시아드 대회 주관방송 협약 체결
- 2003년 12월 일산 제작센터 개발 약정서 조인/ DTV 중계시설용 파주 TVR 건립
- 2004년 7월 일산 제작센터 착공 몬테카를로TV페스티벌 드라마 부분 최고 작품상 <베스트극장_늪>
- 2004년 9월 ABU상 TV 어린이 청소년 부문 대상 <사과나무_수동이의 과거를 묻지 마세요>
- 2004년 12월 아시아TV Award 올해의 지상파 방송사 상, 최우수 작품상(4개 부문)
- 시사 <PD수첩_탄핵정국,기로에 선 국민>
- 다큐멘터리<MBC스페셜_해외 입양 50년 특별 기획2부>
- 드라마 <다모>, 예능 <러브 하우스>
- 대장금 테마파크 개장
- 지상파 DMB채널 운용협정
- 2005년 MBC-EBS 2005년 공동캠페인 “교육이 미래다”중장기 MBC 글로벌 전략 : "One MBC, Worldwide MBC"
- 2005년 1월 3일: MBC 새 CI(Corporate Identity) 도입.
- 2005년 1월 사회공헌센터 신설, 공적 기여 시스템 강화
- 2005년 6월 Worldwide MBC, 글로벌전략 본격 추진
- 글로벌사업본부 신설 (6월)
- 일본, 중국지사 설립 (11월)
- 2005년 9월 MBC 윤리강령 제정, 윤리 경영 강화
- 2005년 10월 INPUT (국제 공영TV 컨퍼런스),
2011년 MBC 개최, 유치 (창사 50주년 기념)
- 2005년 11월 신입사원(36명), 경력사원(5명) 채용
- 2005년 12월 MBC 지상파 DMB 개국
- 2005년 12월 <대장금 테마파크> 개장 1주년, 연 인원 30만 명 방문
- 2006년 MBC 창사 45주년 연중기획 <여성의 힘, 희망한국>
-
- DTV 데이터방송 시험서비스 및 본방송 준비
- 일산 제작센터 건설 중 (2007년 완공)
- 용인 MBC 드라미아 건설 준비
- 2006년 6월 28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DMC내 방송시설 용지(34,840)% MBC 신사옥 매매계악을 체결하고 1만 8000평 건설 용도로 부지를 매입
[편집] CI 변천과정
라디오 개국 1961.12~1969.7 MBC 최초의 CI 텔레비젼 개국 1969.7~1974.7 mbc 소문자 문화.경향 통합 1974.7~1981.4 mbc 소문자 컬러방송 초기 1981.4~1981.11 mbc 소문자 여의도 시대 초기 1981.12~1985.12 MBC 대문자 1986.1.1~2004.12 권명광 교수 작업 MBC 대문자 2005.1.3~현재 MBC 대문자 NEW CI 2005년 1월 3일에 공영적 상업방송이라는 독특한 구조를 역으로 장점으로 살려 방송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 선도할 수 있는 구성원들의 발전의지 요구 기대이미지 MBC의 새CI는 심볼마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영문 워드만을 시각화한 워드마크 채택한으로써 MBC 새 CI 빨간네모를 형상화한 디자인회사인 올커뮤니케이션에 제작한을 새로운 CI(Corporate Identity)를 도입했다. MBC의 새 CI는 빨간네모는 방송을 다각화하는 종합 미디어 그룹으로서의 도약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굵고 간결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성 있는 비율의 서체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앞선 기술과 콘텐츠를 바탕으로 디지털 방송시대를 선도할 MBC의 위상(의지)을 상징합니다. 다채널 멀티미디어 시대 환경과 어울릴 수 있는 확장성, 일체성 포함 이라는 미래비전을 휴머니티가 있는 MBC, 미래 사회를 선도할 첨단 디지털 방송사로서의 유연함을 강조하기 위해 Main Color를 고정화 시키지 않음으로써 모든 색상을 포용할 수 있는 과감하고 유연한 MBC의 자세를 상징합니다. MBC가 ‘좋은친구 MBC’라는 컨셉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한 새로운 캐릭터 로미, 가비, 버티를 개발하고 본격적으로 선보이고 있다.심볼마크 개발방향 - 공영적 상업방송이라는 독특한 구조를 역으로 장점으로 살려 방송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써 대처, 선도할 수 있는 구성원들의 발전의지 요구 - 컨텐츠 중심의 종합미디어 그룹 이라는 미래비전을 휴머니티가 있는 MBC, 동적인 이미지의 MBC로 표현 ■ 심볼(레터마크) 다각화하는 종합미디어 그룹으로서의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레터마크만 사용 적용성이 뛰어나고, 단순하면서도 강력하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워드마크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남.<워드마크>는 글자를 이용한 심벌마크이며, 글자 하나로 읽히기보다 영상 오디오와 결합돼 표현되는 이미지로 보아야 함. 로고로 심벌 기능을 겸하고 있음. 다채널 멀티미디어 시대 환경과 어울릴 수 있는 확장성, 일체성 포함 굵고 간결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성 있는 비율의 서체는 앞선 기술과 콘텐츠를 바탕으로 디지털 방송시대를 선도할 MBC의 위상(의지)을 상징.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첨단 디지털 방송사로서의 유연함을 강조하기 위하여 Red포인트 색상으로 선정. 시청자들에게 따뜻함과 친근감을 주는 동시에 미래지향적이고 세계적인 방송이 되겠다는 MBC의 의지를 Red 컬러로 표현. Main color를 고정화시키지 않음으로써 모든 색상을 포용할 수 있는 과감하고 유연한 MBC의 자세를 상징.* 레터마크의 중앙에 위치한 정사각형은 - 문화방송의 정직함 · 공정함 · 균형감을 표현- CONTENTS(꾸러미,보따리)> 정보의 상자, 재미의 상자, 내 마음의 보석상자, 선물 상자 감동의 상자, 내 마음의 창 ■ 일반시청자들은 MBC의 새로운 CI에 대해 미래지향적 이미지와 신뢰감, 독창적인 이미지를 기대하고 있고, 내부직원들은 친근함, 세련된 이미지를 보다 기대하고 있음. 출처 : imbc.com
[편집] 사장
- 1대 김지태 (1961년 2월 ~ 1963년 3월)
- 2대 고원증 (1963년 3월 ~ 1964년 8월)
- 3대 황용주 (1964년 8월 ~ 1965년 3월)
- 4대 조증출 (1965년 3월 ~ 1971년 6월 30일)
- 5대 이환의 (1971년 6월 30일 ~ 1980년 7월 8일)
- 6대 이진희 (1980년 7월 8일 ~ 1982년 6월 7일)
- 7대 이웅희 (1982년 6월 7일 ~ 1986년 2월 17일)
- 8대 황선필 (1986년 2월 17일 ~ 1988년)
- 9대 강성구 (1993년 3월 17일 ~ 1996년)
- 10대 이득렬 (1996년 ~ 1999년)
- 11대 노성대 (1999년 3월 9일 ~ 2001년 3월 9일)
- 12대 김중배 (2001년 3월 9일 ~ 2003년 3월)
- 13대 이긍희 (2003년 3월 ~ 2005년 1월)
- 14대 최문순 (2005년 1월 ~ 현재)
[편집] 회사
[편집] 인원
[편집] 자본 및 주주 현황
- 자본금 : 10억원
- 총 발행주식 : 20만 주 (주당 액면가 5,000원)
- 주주현황
주주 | 소유주식 수 | 소유 지분 | 액면가 |
---|---|---|---|
방송문화진흥회 | 14만 주 | 70% | 7억원 |
정수장학회 | 6만 주 | 30% | 3억원 |
합계 | 20만 주 | 100% | 10억원 |
[편집] 브랜드
- 문화방송 성우극회
- MBC 프로덕션(문화방송 영상사업부)
- 문화방송 광고기획부
- 문화방송 꿈나무축구재단
- 문화방송 노동조합
[편집] 뉴스
- 뉴스데스크: 메인 뉴스. 매일 밤 9시에 방영.
- 뉴스투데이: 아침 뉴스. 월~토요일 오전 6시에 방영.
- 930 뉴스: 월~금요일 오전 9시 30분에 방영.
- 뉴스와 경제: 정오 뉴스. 월~금요일 정오(오후 12시)에 방영. 2005년 12월 1일부로 지상파 낮방송이 허용됨에 따라 신설된 뉴스 프로그램. 원래는 MBC 뉴스현장.
- 4시 뉴스: 월~금요일 오후 4시에 방영.
- 5시 뉴스: 월~금요일 오후 5시에 방영.
- 저녁 뉴스: 월~금요일 오후 6시 30분에 방영.
- 뉴스 24: 마감 뉴스. 월~금요일 자정에 방영.
- 스포츠 뉴스: 매일 뉴스데스크가 끝난 뒤 방영, 국내외 스포츠 소식을 전달.
[편집] 보도·시사
보도 프로그램
- MBC 100분 토론
- 경제매거진 M
- 뉴스 후
- 시사매거진 2580
- 지구촌 리포트
- 통일전망대
(종영) 보도 프로그램
- 신강균의 뉴스 서비스 사실은
- 뉴스플러스 암니옴니
- 성공시대
시사 프로그램
- 이슈앤이슈
[편집] 교양
- TV속의 TV
- MBC스페셜
- 명곡의 고향
- 토크쇼, 임성훈과 함께
- 안전시대
- 우리시대
- 톡톡톡! 오후 2시
- 6MM 세상탐험
- 스포츠 매거진
- 사과나무
- 경찰청 사람들
- 이제는 말할 수 있다
- MBC스포츠특선
- 생방송 화제집중 (수도권)
- 생방송 전국시대 (지방계열사)
- 생방송 아주 특별한 아침
[편집] 오락·예능
방영프로그램
- 개그야
- 느낌표 (MBC)
- 일요일 일요일밤에(일밤)
- 행복주식회사
- TV특종 놀라운 세상
- 신비한TV 서프라이즈
- 놀러와
- 섹션TV 연예통신
- 기분 좋은날
- 찾아라 맛있는 TV
- 무한도전
- 김동률의 포유
- 황금어장
- MBC 가요큰잔치
- 쇼 음악중심
- NG스페셜 해피타임
- 환상의 짝꿍
종영프로그램
- 강력추천 토요일
- 에너지 (MBC)
- TV 완전정복
- CSI 마이애미 시즌4
- 퀴즈! 영화탐험
- 꼭 한번 만나고싶다
- 퀴즈가 좋다
- 타임머신 (텔레비전)
- 질풍노도 라이벌
- 천생연분
- god 육아일기
- 이소라의 사랑할까요
- 칭찬합시다
- 사랑은 아름다워
- 전파견문록
- 21세기 위원회
- 스타스페셜
- 오아시스 (텔레비전)
- 명량운동회
- 내 친구들의 세상
- 코미디 닷컴
- 사랑의 스튜디오
- 웃는날 좋은날
- 목표달성 토요일
- 토요일 (텔레비전)
- CSI 라스베가스 시즌5
- 안녕, 프란체스카
- TV게임 스타워즈
- 오늘 밤 좋은 밤
- 스타스페셜
- 국악초대석
- 두근두근체인지
- 수요예술무대
- 미라클
- 박상원의 아름다운 TV 얼굴
- 임성훈 안연홍 의 비디오쇼
- 웹투나잇
- 와! e-멋진세상
- 음악캠프
- MBC 가요콘서트
[편집] 드라마
[편집] 1970,80년대
- 제1공화국 (드라마) 1981년
- 제2공화국 (드라마) 1989년
- 여인열전 장희빈 1982년
- 전원일기 1980~2002년
- 행복 (드라마) 연도불명.
- 수사반장 (드라마) 1971~89년
- 장희빈 (드라마) 1971년
- 여고 동창생 1976년
- 강력반 (드라마) 연도불명.
- 한지붕 세가족 1986~94년
- 아들의 여자 연도불명.
- 여자의 남자 연도불명.
- 도시의 얼굴 1987년
- 조선왕조 오백년 (드라마) 1983~90년
[편집] 1990년
-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편집] 1991년
- 여명의 눈동자 1991년
- 베스트극장 1991~07년
- 짝 (드라마) 1991년
[편집] 1992년
- 일출봉 (드라마) 1992년
[편집] 1993년
- 제3공화국 (드라마) 1993년
- 파일럿 (드라마)
- 푹풍의 계절
[편집] 1994년
- 사랑을 그대품안에
- 종합병원 (드라마)
- 마지막 승부
- 서울의 달 1994~1998년
[편집] 1995년
- 제4공화국 (드라마) 1995년
[편집] 1996년
- 황금깃털 1996년
- 사랑한다면
[편집] 1997년
- 별은 내 가슴에 1997년
- 의가형제 1997년
- 복수혈전
[편집] 1998년
- 해바라기 (드라마) 1998년
- 보고또보고 1998년
- 애드버킷
- 내일을 향해 쏴라
[편집] 1999년
- 허준 (드라마)
- 국희
- 햇빛속으로 1999년
[편집] 2000년
- 이브의 모든 것 (드라마)
- 뜨거운 것이 좋아 2000년
- 진실 (드라마) 2000년
- 아줌마 (드라마)
[편집] 2001년
- 맛있는 청혼
- 홍국영
- 호텔리어 (드라마) 2001년
- 상도 (드라마) 2001년
- 선희진희 2001년
[편집] 2002년
- 현정아 사랑해
- 인어아가씨
- 위기의 남자 2002년
- 네 멋대로 해라 2002년
- 막상막하 2002년
- 호텔리어
[편집] 2003년
- 내 인생의 콩깍지
- 다모
- 대장금
- 회전목마 (드라마)
- 앞집여자
- 좋은사람 2003년
- 옥탑방 고양이 2003년
- 남자의 향기 2003년
- 눈사람 (드라마) 2003년
- 러브레터 (드라마) 2003년
- 귀여운 여인 (드라마) 2003년
[편집] 2004년
- 영웅시대
- 왕꽃선녀님
- 단팥빵 (드라마) 2004년
- 결혼하고 싶은 여자 2004년
- 사랑한다 말해줘 2004년
- 한뼘 드라마
- 열정 (드라마)
[편집] 2005년
- 영재의 전성시대
- 달콤한 스파이
- 슬픈연가
- 내 이름은 김삼순
-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변호사들
- 사랑찬가
- 환생-NEXT
- 한강수타령
- 원더풀 라이프 2005년
- 굳세어라 금순아
- 봄날의 미소 2005년
- 떨리는 가슴 2005년
- 제5공화국 (드라마) 2005년
- 비밀남녀 2005년
- 김약국의 딸들 (드라마) 2005년
- 신입사원 (드라마) 2005년
<주말연속극>
- 결혼합시다: 2005년 10월 7일~2006년 4월 2일 방영.
<아침드라마>
- 자매바다: 2005년 8월 1일~2006년 1월 27일 방영.
<주말드라마(특별기획)>
- 신돈 (드라마): 2005년 9월 24일~2006년 5월 7일 방영.
[편집] 2006년
<일일연속극>
- 사랑은 아무도 못말려: 2006년 1월 2일~6월 30일 방영.
- 얼마나 좋길래: 2006년 7월 3일~2006년 12월 29일 방영.
<주말연속극>
- 진짜 진짜 좋아해: 2006년 4월 8일~8월 6일 방영.
- 누나 (드라마): 2006년 8월 12일~2007년 2월 18일 방영.
<월화드라마>
- 늑대: 2006년 1월 16일~1월 24일 방영.
- 내 인생의 스페셜: 2006년 2월 6일~2월 28일 방영.
- 너는 어느 별에서 왔니: 2006년 3월 13일~5월 2일 방영.
- 주몽 (드라마): 2006년 5월 15일~2007년 3월 13일 방영.
<수목드라마>
- 궁: 2006년 1월 11일~3월 30일 방영.
- Dr.깽: 2006년 4월 5일~5월 25일 방영.
- 어느 멋진날: 2006년 5월 31일~7월 20일 방영.
- 오버 더 레인보우: 2006년 7월 26일~9월 14일 방영.
- 여우야 뭐하니: 2006년 9월 20일~11월 9일 방영.
- 90일, 사랑할 시간: 2006년 11월 15일~2007년 1월 4일 방영.
<아침드라마>
- 이제 사랑은 끝났다: 2006년 1월 31일~7월 14일 방영.
- 있을때 잘해: 2006년 7월 17일~2007년 3월 9일 방영.
<주말드라마(특별기획)>
- 불꽃놀이 (드라마): 2006년 5월 13일~7월 21일 방영.
- 발칙한 여자들: 2006년 7월 29일~9월 24일 방영.
- 환상의 커플: 2006년 10월 14일~12월 3일 방영.
<특집극·단막극>
- 우리 다시 사랑할까요: 2006년 3월 18일 방영.
- 도로시를 찾아라: 2006년 7월 15일~7월 23일 방영.
- 기적: 2006년 12월 9일~12월 17일 방영.
[편집] 2007년
<일일연속극>
- 나쁜여자 착한여자: 2007년 1월 1일~7월 13일 방영.
- 아현동마님: 2007년 7월 16일 월~ 방영.
<주말연속극>
- 문희: 2007년 2월 24일~8월 12일 방영.
- 깍두기 (드라마): 2007년 8월 18일 토~ 방영.
<월화드라마>
- 히트: 2007년 3월 19일~5월 22일 방영.
- 신현모양처: 2007년 5월 28일~6월 26일 방영.
- 커피프린스 1호점: 2007년 7월 2일~8월 27일 방영.
- 이산 정조대왕: 2007년 9월 17일 월~ 방영.
<수목드라마>
- 궁S: 2007년 1월 10일~3월 15일 방영.
- 고맙습니다 (드라마): 2007년 3월 10일~5월 10일 방영.
- 메리대구공방전: 2007년 5월 16일 방영.
- 개와 늑대의 시간: 2007년 7월 18일~9월 6일 방영.
- 태왕사신기: 2007년 9월 11일 화~목요일, 9월 19일 수~ 방영.
<아침드라마>
- 내 곁에있어: 2007년 3월 12일 월~ 방영.
<주말드라마(특별기획)>
- 하얀 거탑: 2007년 1월 6일~3월 11일 방영.
- 케세라세라: 2007년 3월 17일~5월 13일 방영.
- 에어시티: 2007년 5월 19일~7월 8일 방영.
- 9회말2아웃: 2007년 7월 14일~9월 9일 방영.
- 겨울새 (드라마): 2007년 9월 15일 토~ 방영
<특집극·단막극>
시트콤
[편집] 어린이·만화
- 볼트론
- 빨간망토 차차
- 뽀뽀뽀
- 울트라맨
- 달려라 또뽀
- 팽킹라이킹
- 가이스터즈
- 귀여운 쪼꼬미
- 비스트 위즈
- 도라에몽
- 미래전사 런딤
- 바람돌이 소닉
- 전설의 마법 쿠루쿠루
- 로그인 싱싱뉴스
- 몬타나 존스
- 요정핑크
- 핑크팬더
- 미래소년 코난
- 닥터슬럼프
- 톰과제리
- 원시소년 로크
- 세느강의 별
- 심슨 가족
- 낚시왕 강바다
- 꼬마마법사 레미
- 꼬마마법사 레미 샵
- 꼬마마법사 레미 포르테
- 마법사 헌터
- 금발의제니
- 꽃의 천사 메리벨
- 이야기 여행
- 킬타의 영웅들
- 그림명작동화
- 동물보물섬
- 머털토사
- 보츠마스터
- 마이티 마우스
- 스탈라의마법여행
- 모험왕 걸리버
- 나디아
- 꿈돌이
- 만화동산
- 도전자 허리케인
- 재키와머피
- 동화 읽어주는 TV
- 바이오캅 윙고
- 피그마리오
- 팬텀2040
- 월리의 찿아라
- 귀여운 쪼꼬미
- 레카 삼국지
- 털보아저씨와 꾸러기
- 절대무적 라이징오
- 로봇수사대 K캅스
- 열대펭귄 페닝
- 영혼기병 라젠카
- 월드컵 이야기
- 요술소녀
- 요술천사 피치
- 섀도우파이터
- 소년기사 라무
- 시간탐험대
- 호빵맨
- 스피어즈
- 삼국지
- 슈퍼K
- 천사소녀 새롬이
- 가제트형사
- 사랑의큐피트
- 은하철도999
- 스타잔
- 레드바론
- 로빈슨스크로
- 태양소년에스태반
- 뚜루뚜루뚜 나롱이
- 천재소년 지미뉴트론
- 알렉스의 모험
- 기파이터 태랑
- 스튜어트 리틀
- 출동! 로봇브이
- 보거스
- 철인 28호
- 별나라 수퍼쭈리
[편집] 영화·외화시리즈
- 영화마당
- 맥가이버
- 레밍턴 스틸
- 출동 에어울프
- 머나먼 정글
- 아이언맨
- 립타이드
- 레니게이드
- 시카고 특별수사대
- 뉴욕경찰 24시(NYPD BLUE)
- 레이븐
- 스몰빌
- 밴드 오브 브라더스
- 24 (텔레비전)(TWENTY FOUR)
- CSI과학수사대
- CSI마이애미
- 도망자(TV시리즈)
[편집] 참조
[편집] 공식 홈페이지
![]() |
이 문서는 기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문서는 방송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