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베르제의 법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뒤베르제의 법칙: 다수투표제(소선거구제)는 양당제와 친화성이 높다는 법칙.
프랑스의 정치학자 모리스 뒤베르제(Moris Duverger)가 그의 저서 정당론(1951)에서 각국의 선거제도와 정당수 간의 관계에 관한 가설과 법칙을 제안하였다. 이 법칙은 첫째, "단순 다수제는 양당제와 친화성이 있"고 둘째, "결선투표제와 비례대표제는 다당제와 친화성이 있"다는 것이었다. 후에 리커(Riker)는 첫번째 가설은 작동원리에 의해 지지되지만 둘번째 가설은 경험적으로 부정된다고 주장했다. 양당이 경쟁하는 선거에서 군소 정당이나 군소후보가 있다고 해도 유권자가 당선가능성이 있으면서 자기가 진정으로 선호하는 정당(후보)와 정책적으로 유사한 곳에 투표하는 전략적 투표에 의해 군소정당(후보)는 쇠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양당제가 강화된다고 봤다. 아래의 반례에서와 같이 법칙이 많은 공격은 받고 있지만 툴록(Tullock)같은 학자는 "뒤베르제의 법칙이 진리라고 주장한다. 단지 법칙이 실현되는데 2백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지만."
반증
단순다수대표제가 양당제와 친화성이 높다는 주장에 반례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