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페어 플레이 랭킹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EFA 페어 플레이 랭킹은 UEFA가 UEFA 컵 예선 1차전의 3개의 참가 자격을 주어주기 위한 순위이다. 1995년부터 존재하였지만, 순위에 따라 참가 자격을 추가로 주어주는 것은 1999년에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목차 |
[편집] 클럽
국내 페어 플레이 랭킹에서 UEFA 주관대회에 참가하지 않는 가장 높은 순위의 클럽이 3개의 나머지 참가 자격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페어 플레이 랭킹 1위인 축구협회의 리그의 수상 클럽이 자동으로 UEFA 컵의 1차전에 참가하고 나머지 두 자리는 최소경기기준을 충족하고 8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축구협회들 가운데 추첨으로 주어진다.
[편집] 산정 방식
축구협회 산하의 모든 클럽들은 그 축구협회의 점수에 기여를 하게 된다. 이 것은 UEFA 주관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국가대표와 클럽팀을 포함한다. 6월 1일부터 이듬해 5월 31일까지의 경기들을 바탕으로 산정한다. 기준은 당연히 페어 플레이이다.
[편집] 기준
팀들은 다음의 기준들로 평가가 된다.
- 경고와 퇴장: 카드를 받지 않을 경우 점수는 10점이다. 경고를 받을 때마다 1점씩 감하고 퇴장을 당할 때 마다 3점 씩 감해진다. 두번 경고를 받아 퇴장을 당한 경우에는 경고로 받은 2점 대신 3점으로 계산한다. 하지만 경고를 받은 후 퇴장을 당한 경우 합쳐서 4점으로 계산한다. 이 점수는 음수가 될 수도 있다.
- 긍정적인 경기: 긍정적인 경기 항목에서는 최대 10점 최소 1점을 받을 수 있다.
- 상대에 대한 존중: 예로는 상대의 스로우-인에 공을 건네주는 행위 등이 해당한다. 최대 5점 최소 1점이다.
- 심판에 대한 존중: 최대 5점 최소 1점.
- 감독의 행실: 최대 5점 최소 1점.
- 팬들의 행실: 최대 5점 최소 1점.
- 이 항목은 UEFA의 징계로 인해 무관중 경기를 치르거나 관중이 무시할만큼 적은 경우에는 계산하지 않는다.
이 점수들을 합계한 다음 최대 점수(40점이나 35점)으로 나누고 10을 곱해서 0에서 10점 사이의 점수로 산정한다.
[편집] 역대 선정 리그 및 팀
연도 | 우승 | 추첨 | |
1995 | 노르웨이 | ||
1996 | 스웨덴 | ||
1997 | 노르웨이 | ||
1998 | 잉글랜드 애스턴 빌라 FC |
||
1999 | 스코틀랜드 킬마넉 FC |
노르웨이 FK 보도 그림트 |
에스토니아 JK 빌리얀티 툴레비크 |
2000 | 스웨덴 IFK 노르쾨핑 |
벨기에 K 리에르서 SK |
스페인 AD 라요 바예카노 |
2001 | 벨라루스 FC 샤크티오르 솔리고르스크 |
핀란드 밀리코스켄 팔로-47 |
슬로바키아 FK 마타도어 푸초프 |
2002 | 노르웨이 SK 브란 |
잉글랜드 입스위치 타운 FC |
체코 SK 시그마 올로모우츠 |
2003 | 잉글랜드 맨체스터 시티 FC |
프랑스 RC 랑스 |
덴마크 에스비에르 fB |
2004 | 스웨덴 외스테 IF |
아르메니아 FC 미카 |
우크라이나 FC 일리치베츠 마리우폴 |
2005 | 노르웨이 비킹 FK |
독일 FSV 마인츠 05 |
Denmark 에스비에르 fB |
2006 | 스웨덴 가블레 IF |
벨기에 KSV 루셀라러 |
노르웨이 SK 브란 |
2007 | 스웨덴 BK 헤켄 |
핀란드 밀리코스켄 팔로-47 |
노르웨이 릴레스톰 S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