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문서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에 대해서는 수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울특별시

숭례문의 모습
행정구역
자치구 25
행정동 522
법정동 472
일반자료
세대 3,871,024가구(2005)[1]
총인구 10,297,004명(2005)[2]
인구밀도 17,009명/km2
면적 605.40km2(2005)[3]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한반도 중부지방에 위치한 대한민국수도[1]이다. 경기도인천광역시에 접하고 있다. 총 면적은 605.4킬로미터이고, 대한민국의 인구의 약 1/4인 10,297,004명(2005년 12월 집계)이 거주한다.

시화는 개나리이고, 시목은 은행나무이며, 시조는 까치이다. 서울특별시는 1988년 서울 올림픽, 2002년 한일 월드컵 대회가 개최된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목차

[편집] 역사

1900년대의 서울
1900년대의 서울
이 부분의 본문은 서울의 역사입니다.

선사시대 유적지로는 암사동 유적지가 있다. 삼국시대에는 시대에 따라 백제, 고구려, 신라 모두가 한강 유역을 서로 차지하였다. 서울에 최초로 남경을 세운 것은 고려 문종 23(1068)년으로 보인다(《고려사》 세가 8권). 공민왕은 1356년 이후 남경천도 작업을 진행하였으나 중단되었고, 천도 논의는 우왕, 공양왕 또한 진행했었으나 모두 기각되었다.

태조 이성계가 1392년 개경(개성)에서 조선을 건국하고 1394년 한양으로 수도를 천도했다. 천도 이후 한양에는 각종 공사가 잇따라 시행되어 수도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1910년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에 따라 한성부는 경성부로 개칭되고 경기도의 하부 조직의 하나가 되었다. 1945년 다시 경성을 서울로 고치고 1949년에는 서울특별시로 개칭되었으며 이후 경기도 주변으로 서울의 행정구역은 점차 넓어져 1973년 현재의 시계(市界)가 완성되었다. 1988년에는 제 24회 서울 올림픽을 개최하였고, 2002년에는 제 17회 한/일 월드컵을 개최한 도시 가운데 하나였다.

[편집] 자연

[편집] 지형

서울은 한반도의 중서부에 자리하고 있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류한 한강이 도시를 동에서 서로 가로질러 흐른다. 도시의 중심에는 남산, 외곽은 북한산, 관악산, 도봉산, 우면산등의 약 1000 m 높이의 산들로 둘러싸여져 있다. 그 밖에도 도심 곳곳에 인왕산, 안산 등등 다수의 산이 있다.

[편집]

관악산의 모습
관악산의 모습

북한산을 최고점으로 경기평야와 접하는 지대에 자리잡고 있다. 500 m 내외의 산과 구릉이 자연성벽처럼 둘려싸고 있다. 이것이 서울이 수도가 될 수 있었던 이유라고 여겨진다. 광주산맥의 한줄기인 도봉산의 백운대, 인수봉, 노적봉의 세 봉우리가 북한산을 이어지게 했다.

[편집]

한강이 서울의 동서를 W 형태로 가로질러 흐르며 도시를 강남과 강북으로 나눈다. 옛날에는 뚝섬과 마포에 하항(河港)이 있어 번창하였으나 육상교통의 발달로 인한 교량의 건설 등으로 현재는 그 모습이 사라졌다. 노량도, 양화도, 한남도,송파도, 광나루등의 나루터도 자취를 감추었다.

[편집] 기후

대륙성 동안기후에 속한다.

[편집] 기온

연평균 기온이 11.1°C이고 8월 평균기온 25.4°C, 1월 평균기온 -3.4°C로 같은 위도 상의 세계 다른 도시에 비해 낮은 기후에 속한다.

[편집] 강수량

겨울에는 고기압이고 여름에는 해양기단의 영향을 받아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 강수량이 1,370 mm이며, 계절상으로 6·7·8·9월에 연강수량의 약 72 %로 많이 내리고, 그중 7월에 20 %나 내린다.

[편집] 인구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잠정 집계에 따르면, 서울시의 총 인구는 9,796,113 명, 총 세대수는 3,312,858 가구, 인구밀도는 16,181 명/km2이다. 대한민국에 있는 도시 중에서 서울특별시가 가장 인구가 많다.

다음은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수행된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른 1949년부터의 인구변동이다. 직전 센서스는 1944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수행되었다.[2]

지역명 조사수행년도
1949년 1955년 1960년 1966년 1970년 1975년
시 전체 1446019 1574868 2445402 3793280 5433198 6889502
종로구 184900 224682 224761 211796 333970
중구 214985 175963 156761 133880 284832
용산구 193732 247263 303051 298343 336510
성동구 154218 332225 554822 803891 629539
동대문구 160556 323208 521148 724189 738231
성북구 265029 519510 963692 604732
도봉구 631606
서대문구 160556 335563 531744 770527 795911
마포구 162509 225012 306280 342650 422494
영등포구 149569 316407 675193 1184230 1050901
관악구 734393
강남구 326321
도심(종로,중,용산) 593617 647908 684573 644019 955312
동북(성북,도봉) 265029 519510 963692 1236338
성동(성동,동대문) 314774 655433 1075970 1528080 1367770
서북(서대문,마포) 323065 560575 838024 1113177 1218405
강서(영등포) 149569 316407 675193 1184230 1050901
강남강동(강남) 326321
서남(관악) 734393
한강이북 1231456 2128945 3118077 4248968 4777825
한강이남 149569 316407 675193 1184230 2111615


지역명 조사수행년도
1980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비고
시 전체 8364379 9639110 10612577 10231217 9895217 9820171
종로구 292483 265897 243331 190283 170118 156018
중구 242584 209658 188118 135583 135173 128443
용산구 333525 326076 303022 253841 231484 217708
성동구 687707 751418 799039 334464 325251 327566
광진구 382269 381568 366746
동대문구 848081 942617 503394 415709 367596 373232
중랑구 448390 439931 440863 413760
성북구 588759 583791 551540 490310 460511 442426
강북구 390046 340765 339147
도봉구 753302 846972 671795 356037 352702 368716
노원구 480004 569392 606394 604161
은평구 382891 441939 469891 485287 442604 447611
서대문구 419541 404582 387089 359873 351625 343593
마포구 432814 441810 435630 386042 367220 373057
양천구 490500 460655 459643 474247
강서구 501182 674270 391139 503063 504480 538997
구로구 568737 683968 748072 365039 392541 406299
금천구 284997 268586 252446
영등포구 431992 446600 470109 413952 390035 398251
동작구 392916 405979 403724 422468 401133 409519
관악구 501624 556156 574255 548318 505036 530833
서초구 395699 384830 368339 372795
강남구 474880 771205 491062 534724 523350 510221
송파구 634338 636845 633956 579040
강동구 511361 886172 532436 487259 474244 445339
도심(종로,중,용산) 868592 801631 734471 579707 536775 502169
동북(성북,도봉,강북,노원) 1342061 1430763 1703339 1805785 1760372 1754450
성동(성동,동대문,중랑,광진) 1535788 1694035 1750823 1572373 1515278 1481304
서북(서대문,마포,은평) 1235246 1288331 1292610 1231202 1161449 1164261
강서(영등포,강서,양천,구로) 1501911 1804838 2099820 1742709 1746699 1817794
강남강동(강남,서초,송파,강동) 986241 1657377 2053535 2043658 1999889 1907395
서남(관악,동작,금천) 894540 962135 977979 1255783 1174755 1192798
한강이북 4981687 5214760 5481243 5189067 4973874 4902184
한강이남 3382692 4424350 5131334 5042150 4921343 4917987

[편집] 행정 구역

서울특별시에는 25개 자치구와 522개 행정동이 있다.

[편집] 자치구

[편집] 경제

[편집] 교통

[편집] 항공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공항으로는 김포국제공항이 있다. 김포국제공항에서는 김해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광주공항, 포항공항, 사천공항, 울산공항, 양양국제공항, 원주공항, 청주국제공항, 군산공항, 목포공항, 여수공항, 제주국제공항 등과 연결된 국내선 및 일본 하네다 공항 등으로 가는 국제선 여객기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의 국제선 노선은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한다.

[편집] 철도

경부선중앙선 철도의 시발점이며, 서울역에서는 경부선 열차, 용산역에서는 호남·전라·장항선 열차, 청량리역에서는 경춘·중앙·영동·태백선 열차를 탈 수 있다. 2007년에는 대한민국의 유일한 사설 철도인 공항철도가 개통되어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을 연결하고 있다.

[편집] 도로

서울의 지하철 내부
서울의 지하철 내부

경부고속도로중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가 남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시 외곽에는 순환고속도로가 대부분 완공되었다. 두 번째 순환고속도로가 계획중이다. 도시 내부에는 남부순환로,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등 고속화 도로가 건설되어 있다.

[편집] 지하철

수도권 전철 및 승용차, 버스가 주된 시내 교통 수단이다. 이들 대중 교통 수단의 재배치는 서울 도시 구조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쳐왔다. 대표적인 예로 1기 지하철, 특히 당초 계획과는 달리 거대 순환선으로 변경된 2호선이 서울의 공간에 끼친 영향을 들 수 있다. 현재 3기 지하철이 건설중이며 아직 중앙정부에 의한 많은 계획이 집행을 기다리고 있다.

[편집] 주요 기관

서울특별시청
서울특별시청

[편집] 교육기관

중등 교육기관은 각 구별 문서에 있습니다.

국립 서울대학교 정문
국립 서울대학교 정문

국립

  • 한국체육대학교

시립

사립

[편집] 문화

[편집] 유적지

[편집] 관광 명소

복원된 청계천의 모습
복원된 청계천의 모습
  • 남산 - 남산 케이블카, 남산공원, 식물원, 시립도서관, N서울타워 등이 백범광장, 안중근의사 기념관, 소월시비, 유명하다.
  • 청계천 - 2005년에 복원 사업이 마무리되었다. 산책로, 폭포, 분수 등이 조성되어 있다.
  • 명동 - 쇼핑, 패션의 거리로 널리 알려져 있다.
  • 탑골공원 1919년 3·1 운동의 발상지 3·1 독립선명서와 원각사지 10층석탑 명소를 였다.
  • 여의도공원 - 여의도공원은 자연생태의 숲, 그늘아래문화마당, 구룡형잔디마당, 한국 전통의 숲등 주변의 명소는 KBS, MBC, 중권거래소, 증권가, LG트원타워, 앙카라공원, 순목음교회등 명소이다.
  • 예술의 전당 - 오페라하우스, 미술관, 서예관, 음악관등 이다.
  • 목동 - 목동 로데오거리, SBS, CBS, 방송국 목동종합운동장등 명소이다.
  • 무역센터 - 1988년 설립되어 무역센터, 도심공항 터미널, 인티콘티넨탈호텔, 현대백화점, 2000년 층축 아셈타워, 아셈컨벤션, 도심공항타워, 인티콘티넨탈호텔, 코엑스몰을 조성하였다.
  • 한강시민공원 - 한강을 따라 그 유역을 여러 지구로 나누어 공원을 조성하였다.
  • 인사동 - 화랑(갤러리), 전통 상품 상점, 전통 음식점 등으로 유명하다.
  • 이태원 -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거리로 유명하다.
  • 압구정동 - 압구정동은 쇼핑, 패션거리가 유명한 명소이다.
  • 국회의사당 - 1975년 준공되어 국회의사당, 국회도서관, 의원회관, 헌정기념관으로 구분되며, 입법 기관이다.
  • 전쟁기념관 - 한국의 전쟁 역사를 한눈에 볼수 있다.
  • 대학로 - 음악, 연극 등의 공연 문화가 활발한 곳이다. 마로니에 공원이 있다.
  • 63빌딩 - 여의도에 위치한 고층 빌딩으로 전망대, 영화관 등이 설치되어 있다.
  • 명동성당 - 명동에 위치한 천주교 성당이다.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 롯데월드 - 잠실에 위치한 놀이공원(테마파크)이다. 석촌호수와 닿아 있다.
  • 월드컵공원 - 서울 월드컵 경기장을 중심으로 조성된 공원이다.

[편집] 서울을 소재로 한 노래

  • 문희옥 - 사랑의 거리
  • 방실이 - 서울탱고
  • 배호 - 안개 낀 장충단공원
  • 설운도 - 나침반
  • 송대관 - 명동부르스
  • 이미자 - 서울이여 안녕
  • 조용필 - 서울 서울 서울
  • 주현미 - 신사동 그 사람, 비 내리는 영동교
  • 패티김 - 서울의 찬가
  • 한혜진 - 서울의 밤
  • 현인 - 럭키서울, 서울야곡
  • 혜은이 - 제3한강교

[편집] 갤러리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관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2년의 사회주의헌법이 제정되기 전에는 서울을 형식상의 수도로 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법으로 규정된 실질적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는 평양직할시이다.

서울은 군사분계선에서 약 60km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동서로 관통하는 한강의 상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 지방에도 속해 있다. 남북 양측의 금강산댐(임남댐)과 평화의 댐은 이와 같은 지리적 사실과 전략적인 이유로 인해 각각 건설되었다고도 알려져 있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편집] 주석

  1. 서울특별시가 대한민국 법률상 수도인지는 이론이 있다. 서울특별시는 서울특별시행정특례에관한법률(일부개정 1995.12.6 법률 5000호)에 따라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지위를 가지고 있었으나, 신행정수도법 위헌 확인 결정에서 헌법재판소는 “관습헌법”에 따라 서울특별시가 수도라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이론대로라면 결국 수도 서울은 역사적으로 볼 때, 강남을 제외한 강북만을 가리키기 때문에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2. 더욱 상세한 자료는 국가통계포탈에서 찾아볼 수 있다.

[편집] 참고 문헌

대한민국행정 구역
특별시 서울특별시
광역시 부산광역시 | 인천광역시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광주광역시 | 울산광역시
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강원도 | 경기도 | 경상남도 | 경상북도 | 전라남도 | 전라북도 | 충청남도 | 충청북도
하계 올림픽 개최지
아테네(1896) | 파리(1900) | 세인트루이스(1904) | 런던(1908) | 스톡홀름(1912) | 안트베르펀(1920) | 파리(1924) | 암스테르담(1928) | 로스앤젤레스(1932)
베를린(1936) | 런던(1948) | 헬싱키(1952) | 멜버른(1956) | 로마(1960) | 도쿄(1964) | 멕시코 시티(1968) | 뮌헨(1972) | 몬트리올(1976) | 모스크바(1980)
로스앤젤레스(1984) | 서울(1988) | 바로셀로나(1992) | 애틀랜타(1996) | 시드니(2000) | 아테네(2004) | 베이징(2008) | 런던(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