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외래어(外來語)란 고유어가 아닌 외국에서 들여와 국어처럼 사용하는 말을 일컫는다.[1] 같은 의미의 용어로 '차용어'(借用語)가 있다.[2]

영어에서 외래어에 해당되는 단어는 'loanword' 또는 'loan word'이며, 번역이 없이 또는 거의 최소한의 번역만으로 다른 언어에서 직접 가져온 단어를 의미한다. 이 단어와 유사하나, '차용'이라는 의미의 단어가 부각되는 'calque' 또는 'loan translation'는 언어의 구문(lexical item) 그 자체가 아니라 뜻 또는 그 쓰임새가 차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3]. 'loanword' 자체는 독일어의 Lehnwort의 calque에 해당한다.[4]

목차

[편집] 외래어가 차용되는 경우

  •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이 큰 언어권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어휘를, 주변의 언어들이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큰 언어권에서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만들어지어, 주변 언어권에서 해당 의미를 표기하기 위해 그 단어 자체를 차용하는 것이 빠르다는 편리상의 이유를 들 수 있다. 한국어가 고대에서부터 근세에 이르러 중국어에서, 근현대에 들어와 영어를 비롯한 서구 언어 및 일본어에서 적지 않은 단어들을 차용하여 온 것이 그 예가 될 것이다.
  • 또다른 한가지 경우로, 속령 또는 식민지 등의 형태로 지배측의 언어가 강요되는 경우, 지배층 언어의 어휘의 일부가 피지배층의 언어에 녹아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근대 한반도가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받은 이래, 일본어의 일부 단어가 한국어에서도 활용이 되는 경우, 한때 일본의 식민지였던 팔라우 등지에서 일부 일본어가 현지어가 되어버린 경우가 그 예가 될 것이다.
  • 특정 언어의 문화권이 정치적 영향력을 끼치지 않는 경우에도, 독특한 문화체계의 경우 그곳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주변 언어에 차용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만화, 오타쿠 관련 용어가 이에 해당된다.
  • 특산물, 지역의 독특한 사물에 관련된 단어, 또는 지명 등은 정치적 또는 문화적인 영향력에 관계없이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있다. 한국어의 김치, 베트남의 아오자이, 아이누 어 기원의 홋카이도 일부 지명 등의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편집] 함께 읽기

[편집] 외부 링크

위키낱말사전에서 외래어의 뜻을 찾을 수 있습니다.

[편집] 주석

  1. 표준국어대사전, '외래어' 항목
  2. 일본의 경우, 일상에서는 외래어, 언어학에서는 차용어로 일컫는 것이 일반적이라 한다. 일본어판 위키백과에서
  3. 영어판 위키백과의 loanword의 서두에서
  4. http://www.etymonline.com/index.php?term=loan
이 문서는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