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노나이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메노나이트(Mennonites)는 16세기 종교개혁으로 등장한 개신교 종파를 말한다. 다른 말로는 메노파라고도 하는데, 메노나이트가 메노의 신학을 따르는 자들이라는 뜻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편집] 역사
메노나이트 교회의 창시자는 17세기 네덜란드 가톨릭 사제로 사목했던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이다. 그는 가톨릭 신부였지만, 종교개혁에 가담하여 재세례파의 교리를 유아세례 불인정, 개인의 종교의 자유 인정 주장등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신약성서를 문자적으로 해석, 폭력에 반대하는 평화주의 교리를 주장하는 등 당시로서는 급진적인 종교개혁자로서의 모습을 보였다.하지만 재세례파는 1600년까지 1만명의 순교자를 낼 정도로 탄압을 받았기 때문에, 재세례파에서 파생된 메노나이트도 탄압받았다. 그래서 일부 유럽의 메노나이트 신자들은 미국에 이민가거나 종교의 자유를 존중하는 러시아에 정착하였다. 이들중 미국에 이주한 이들은 독일어 방언이라는 그들의 문화를 갖고 있으며, 미국 독립전쟁과 제1차세계대전당시 양심적 병역거부로 인해 갈등을 겪기도 했다. 물론 지금은 대체복무제를 통해 양심적 병역거부를 허용받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한국전쟁중인 1952년 경상도에서 구호활동을 한 바 있으며 주일마다 강남구에 모여서 하느님을 예배하고있다.
[편집] 주요특징
- 국가와 종교의 분리 주장
- 평신도들이 돌아가면서 메노나이트 목사로 사목하는 교회정치를 통한 만인제사장설실천
- 모든 그리스도인은 평화를 위해서 일하도록 부름을 받았다는 평화주의
- 병역을 사회봉사로 대체하는 종교적인 성격의 양심적 병역거부 실천
- 평화,정의, 단순한 삶, 공동체, 봉사와 섬김, 그리고 상호원조를 강조한다.
[편집] 바깥고리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