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노테 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마노테 선(일본어: 山手線)은 동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도쿄의 철도 노선이다. 야마노테 선은 도쿄 중심부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시부야 구, 신주쿠 구, 이케부쿠로(도시마 구) 등의 지역을 순환한다.
공식적으로 야마노테 선은 시나가와에서 시부야 역, 신주쿠 역, 이케부쿠로 역을 지나 다바타 역까지를 잇는 20.6km의 노선을 이르는 말이지만, 여기에서는 운행 계통으로서의 야마노테 선을 다룬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편집] 개관
전쟁 후부터의 도쿄 시 ~ 도쿄 부의 시내교통 공영주의 정책으로 인해 사철은 야마노테 선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각 사철은 야마노테 선 각 역에 인접한 도심 측에 터미널을 설치했다. 야마노테 선의 각 역은, 도내 교통으로의 중계지가 되어 시부야, 신주쿠, 이케부쿠로 등의 발전을 촉진시키기도 했다. 이런 신도심을 서로 연결해주는 야마노테 선은 도쿄의 교통망의 기본 노선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쟁 후 사철과 지하철의 상호 직결 운전이 일반화되어 교외에서 전철이 직접 도심권으로 진입하게 되었음에도 도쿄 교통망에 있어서의 야마노테 선의 지위는 흔들리지 않았으며, 오히려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단 지하철망의 발달과 병행하는 야마노테 화물선의 여객화나, 6문 차량 도입으로 인한 11량화로 인한 혼잡이 이전보다 상당히 완화된 것도 사실이다. 현재 아침 통근 시간 최고 혼잡 구간은 외선순환 우에노→오카치마치 구간이지만, 이것도 도호쿠 종관선(도호쿠 본선의 우에노 ~ 도쿄 간 열차선 연장)의 개통으로 완화될 전망이다.
[편집] 역사
1885년에 시나가와 선이라는 이름으로, 시나가와와 아카바네를 잇는 화물 노선으로서 건설되었다. 1903년에는 이케부쿠로와 다바타 구간이 건설되었으며, 1909년 이 두 노선은 야마노테 선이라는 이름으로 합쳐졌다. 1925년 나머지 구간이 건설되면서 순환선 운영을 시작했고, 1956년에는 게이힌 도호쿠 선과 야마노테 선이 분리되었다.
[편집] 운행
열차는 아침에는 2.5분 간격, 낮에는 4분 간격, 저녁에는 3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시계 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는 외선 순환(外回り 소토마와리[*]), 반시계 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는 내선 순환(内回り 우치마와리[*])라고 하는데, 안내 방송이나 발차 안내에서는 부근의 큰 역 2개의 명칭을 사용한다. 야마노테 선이 한바퀴를 도는 데에는 약 1시간이 걸리며, 급행 운행 없이 모든 열차가 모든 역에 정차한다.
[편집] 차량
- 차체의 폭이나 출입문의 창이 커졌다. E231계에는 출입문 위에 LCD 모니터가 달려있는데, 역명이나 다음 역 안내, 지연 상황 등이 표시된다.
[편집] 역 목록
역명 | 일본어 역명 | 역간 거리 |
소재지 | |
---|---|---|---|---|
도쿄 | 東京 | 간다에서 1.3 |
도쿄 도 | 지요다 구 |
유라쿠초 | 有楽町 | 0.8 | ||
신바시 | 新橋 | 1.1 | 미나토 구 | |
하마마쓰초 | 浜松町 | 1.2 | ||
다마치 | 田町 | 1.5 | ||
시나가와 | 品川 | 2.2 | ||
오사키 | 大崎 | 2.0 | 시나가와 구 | |
고탄다 | 五反田 | 0.9 | ||
메구로 | 目黒 | 1.2 | ||
에비스 | 恵比寿 | 1.5 | 시부야 구 | |
시부야 | 渋谷 | 1.6 | ||
하라주쿠 | 原宿 | 1.2 | ||
요요기 | 代々木 | 1.5 | ||
신주쿠 | 新宿 | 0.7 | 신주쿠 구 | |
신오쿠보 | 新大久保 | 1.3 | ||
다카다노바바 | 高田馬場 | 1.4 | ||
메지로 | 目白 | 0.9 | 도시마 구 | |
이케부쿠로 | 池袋 | 1.2 | ||
오쓰카 | 大塚 | 1.8 | ||
스가모 | 巣鴨 | 1.1 | ||
고마고메 | 駒込 | 0.7 | ||
다바타 | 田端 | 1.6 | 기타 구 | |
니시닛포리 | 西日暮里 | 0.5 | 아라카와 구 | |
닛포리 | 日暮里 | 1.1 | ||
우구이스다니 | 鶯谷 | 1.1 | 다이토 구 | |
우에노 | 上野 | 1.1 | ||
오카치마치 | 御徒町 | 0.6 | ||
아키하바라 | 秋葉原 | 1.0 | 지요다 구 | |
간다 | 神田 | 0.7 | ||
도쿄 | 東京 | 1.3 |
[편집] 접속 노선
- 도쿄 역 - 도카이도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 주오 쾌속선(주오 본선), 도카이도 본선, 게이힌 도호쿠 선, 소부 쾌속선(소부 본선), 요코스카 선, 게이요 선, 도쿄 메트로 마루노유치 선
- 유리쿠초 역 - 게이힌 도호쿠 선,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 신바시 역 - 도카이도 본선, 게이힌 도호쿠 선, 도쿄 도영 지하철 아사쿠사 선, 도쿄 메트로 긴자 선, 유리카모메
- 하마마쓰초 역 - 게이힌 도호쿠 선,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선
- 다마치 역 - 게이힌 도호쿠 선
- 시나가와 역 - 도카이도 신칸센, 게이힌 도호쿠 선, 도카이도 본선, 요코스카 선,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
- 오사키 역 - 사이쿄 선, 도쿄 임해고속철도 린카이 선
- 고탄다 역 - 도쿄 도영 지하철 아사쿠사 선, 도쿄 급행 전철 이케가미 선
- 메구로 역 - 도쿄 급행 전철 메구로 선, 도쿄 메트로 난보쿠 선, 도쿄 도영 지하철 미타 선
- 에비스 역 - 사이쿄 선,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
- 시부야 역 - 도쿄 메트로 긴자 선, 도쿄 메트로 한조몬 선,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 도쿄 급행 전철 전원도시선,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 하라주쿠 역 - 도쿄 메트로 지요다 선 (메이지 신궁앞역)
- 요요기 역 - 주오·소부 완행선(주오 본선), 도쿄 도영 지하철 오에도 선
- 신주쿠 역 - 사이쿄 선, 주오 본선,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 선, 도쿄 도영 지하철 신주쿠 선, 도쿄 도영 지하철 오에도 선,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세이부 신주쿠 역)
- 다카다노바바 역 -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 도쿄 메트로 도자이 선
- 이케부쿠로 역 - 사이쿄 선(아카바네 선),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 선, 도부 철도 도조 본선,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 선
- 오쓰카 역 - 도쿄 도 교통국 노면전차 아라카와 선
- 스가모 역 - 도쿄 도영 미타 선
- 고마고메 역 - 도쿄 메트로 난보쿠 선
- 다바타 역 - 게이힌 도호쿠 선
- 니시닛포리 역 - 게이힌 도호쿠 선, 도쿄 메트로 지요다 선
- 닛포리 역 - 조반 쾌속선(조반 선), 게이세이 전철 본선
- 우에노 역 - 도호쿠 신칸센, 우쓰노미야 선(도호쿠 본선), 조반 쾌속선
- 오카치마치 역 - 게이힌 도호쿠 선,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나카오카치마치 역), 도쿄 도영 지하철 오에도 선(우에노 오카치마치 역), 도쿄 메트로 긴자 선(우에노 히로코지 역)
- 아키하바라 역 - 게이힌 도호쿠 선, 주오·소부 완행선(소부 본선),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 쓰쿠바 익스프레스
- 간다 역 - 주오 쾌속선(주오 본선), 게이힌 도호쿠 선, 도쿄 메트로 긴자 선
[편집] 바깥 고리
- ((한국어)) 야마노테 선 (히사큐 철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