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생물 분류 읽는 법
생물 분류 읽는 법
래브라도 리트리버의 모습.
래브라도 리트리버의 모습.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색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개과
속: 개속
종: 이리
아종:
학명
Canis lupus familiaris
Linnaeus, 1758

식육목 개과에 속하는 동물이다. 이 동물은 가축으로 많이 기른다.

목차

[편집] 역사

개는 야생의 늑대인간이 가축화한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개는 인간에 이끌려 수많은 곳에 정착하게 되었다, 새로운 품종이 개발돼면서, 애완용으로 기르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원래는 사냥이 주 목적이였으나, 지금은 맹인견, 애완견, 사냥견 등으로 갈라졌다. 하지만 조상인 늑대의 기질을 잊지는 않아서 서열제도, 주인에 대한 충성심등의 특징들을 갖고 있다. 일부 개들은 야생으로 다시 돌아가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오스트레일리아의 딩고이다. 딩고는 원래 오스트레일리아의 토종 동물이 아니나, 인간이 오스트레일리아를 개척하면서 그쪽 사람들이 기르던 개 일부가 도망쳐 나와서, 야생에 적응하게 되었다. 이들의 먹이는 캥거루등이 있는데, 가축을 해쳐서 농장운영자들의 미움을 받기도 한다.

[편집] 한국의 개

진돗개의 옆모습
진돗개의 옆모습

한국의 대표적인 개로, 진돗개, 풍산개, 삽살개 등이 있다.

진돗개는 천연기념물 제 53호로 지정하였고, 삽살개는 한 때 멸종되었으나 복원되어 천연기념물 제 368호로 지정되었다.

풍산개는 북한에서 천연기념물 제 368호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28호로 지정되었으나 1968년에 해제되었다.)

[편집] 생활 속의 모습

  • 충직한 개를 소재로 여러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주인의 목숨을 살린 '오수의 개'가 있다.
  • 주인을 따라나선 개는 종종 풍속화나 풍경화의 소재가 되었다.
  • 개는 십이지 중 열 한 번째 동물이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위키낱말사전에서 의 뜻을 찾을 수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Do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