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틀즈 | |
---|---|
기본 정보 | |
국적 | 영국 |
활동 시기 | 1960년 - 1970년 1994년 - 1996년(레논 없이) |
장르 | 록 |
웹사이트 | http://www.beatles.com/ |
멤버 | |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 |
더 비틀즈(The Beatles)는 멤버 전원이 영국 리버풀 출신인 록 밴드이다. 비틀즈의 노래는 발라드, 레게, 싸이키델릭, 블루스에서 헤비메탈까지 여러 장르를 아우르는데 이는 현대 음악 스타일의 장을 열어 놓았다고 할 수 있다. 비틀즈의 영향력은 단순한 음악 뿐만이 아니라 1960년대의 사회 및 문화적 혁명을 야기하였다.
비틀즈는 20여 곡의 미국 차트 1위곡을 포함하여 50여 곡 넘는 톱 40 싱글들을 발표하였다. 이들은 미국 내에서만 1억 6백여 장[1], 전 세계적으로 10억장 이상의 음반을 판매[2]하는 등, 기록적인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비평가들에게도 인정을 받은, "대중 음악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밴드"로 불리어 지고 있다.[3]
"The Fab Four"라 불리는 비틀즈의 구성원은 존 레논 (John Winston Lennon, 1940-1980), 폴 매카트니 (James Paul McCartney, 1942-), 조지 해리슨 (George Harrison, 1943-2001), 링고 스타 (Ringo Starr; 본명 Richard Starkey, 19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논과 매카트니는 밴드의 주요 곡들을 작곡했으며, 해리슨은 후기 비틀즈에 큰 공헌을 했다. 처음 비틀즈가 레코딩을 시작한 이래, 조지 마틴은 비틀즈의 모든 곡 레코딩의 시작부터 끝까지를 맡아왔다. 이러한 이유로 조지 마틴은 비틀즈의 음악적 성장에 있어 중대한 자리를 차지했다.
비틀즈는 1963년 말 영국에서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켰는데 비틀즈에 감명 받은 어린 여성들(오빠부대)을 주목할 만 하다. 이 현상은 영국 언론들에게 "비틀마니아"(Beatlemania)라는 단어로 표현되었다. 비틀마니아는 1964년 초에 북미에 상륙했고 이후 비틀즈의 인기는 전 세계로 뻗어 나갔다. 소위 "브리티시 인베이전"(영국의 침략)이라 하여, 비틀즈는 미국의 초기 로큰롤 및 R&B 가수들의 노래를 커버하기 시작했다. 비틀즈는 엘비스 프레슬리, 버디 홀리, 칼 퍼킨스와 같은 백인 음악가들과 척 베리, 리틀 리처드, 레이 찰스, 레리 윌리엄스와 같은 흑인 음악가 양 쪽 모두에게 칭송받았다. 비틀즈 스스로의 작곡은 비틀즈 멤버 자신들이 영웅시하는 음악가들의 양식을 모방한 것이었다. 얼마 후 비틀즈는 그들 특유의 타고난 음악적 악상을 바탕으로 비틀즈만의 개성이 돋보이는 음악을 만들기 시작한다. 5년동안 그들의 음악은 단순했던 초기 히트곡들(예를 들어 "She Loves You", "I Want to Hold Your Hand") 에 비해 예술적인 꾸밈같은 것이 상당히 풍부해졌다.(앨범 Sgt.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나 Abbey Road에서 처럼.) 그들의 노래를 작곡하면서, 스튜디오 레코딩의 가능성을 확인한 그들은, 전례 없는 퀄리티(질)의 레코딩을 발표하는 모든 곡들에 선보였고, 비틀즈는 동시대 팝 뮤직보다 앞선 효과들을 적용시켰다.
비틀즈는 1970년 공식 해산되었다. 이후 35년 후인 2005년 미국의 연예산업잡지 버라이어티는 비틀즈를 20세기 연예인의 대표 우상(icon)이라 표현하였다.[4]
목차 |
[편집] 밴드 멤버
- 존 레논 : 보컬, 리듬 기타 - 때때로 하모니카, 키보드, 베이스 기타 및 기타 악기 (1960-1970)
- 폴 매카트니 : 보컬, 베이스 기타 - 때때로 기타, 키보드, 드럼, 프루겔 혼 및 기타 악기 (1960-1970)
- 조지 해리슨 : 보컬, 리드 기타 - 때때로 시타르, 탐부라, 베이스 기타, 키보드 및 기타 악기 (1960-1970)
- 링고 스타 : 드럼 - 때때로 보컬, 작은북, 키보드 및 기타 악기 (1962-1970)
[편집] 전 멤버
- 스튜어트 서트클리프(Stuart Sutcliffe) : 베이스, 보컬 (1960-1961)
- 피트 베스트(Pete Best) : 드럼 (1960-1962)
[편집] 결성 (1957년 - 1960년)
[편집] 쿼리맨의 결성
1957년 3월, 쿼리 뱅크 그래머 스쿨을 다니던 존 레논은 "쿼리맨"(The Quarrymen)이라는 스키플 그룹을 결성한다.[5] 1957년 7월 6일, 레논과 쿼리맨은 기타리스트 폴 매카트니를 울튼이라는 교회 축제에서 만나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폴 매카트니는 쿼리맨에 합류하게 된다.[6]
[편집] 조지 해리슨의 합류
폴 매카트니와 조지 해리슨은 리버풀 인스티튜트의 학교 버스에서 만나 친해졌고, 폴 매카트니는 1958년 2월 6일, 리버풀의 윌슨 홀에서 열린 쿼리맨의 공연에 조지 해리슨을 초대하게 되었다. 이후 계속된 매카트니의 설득 끝에, 해리슨은 1958년 3월, 다른 멤버들 앞에서 리허설을 마친 후 쿼리맨의 리드 기타리스트로 가입했다. 당시 레논은 해리슨이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가입을 거절했다고 한다.[7] 쿼리맨의 라인업은 계속적으로 변했으나, 레논과 그의 친구 스튜어트 서트클리프(베이스), 매카트니, 해리슨을 주축으로 한다는 것은 변함이 없었다.[8] 당시 이들이 부른 노래들의 녹음 자료 몇 개는 아직도 남아있다.
[편집] "비틀즈"의 탄생
쿼리맨이란 밴드의 이름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조니 엔 더 문독스"(Johnny and The Moondogs), "롱 존 엔 더 비틀즈"(Long John and The Beatles), "더 실버 비틀즈"(The Silver Beetles) 등으로 바뀌어갔다. 이들은 1960년 8월 17일 마침내 "더 비틀즈"(The Beatles)라는 이름으로 결정을 내리게 된다.
비틀즈라는 이름과 그 흔치 않은 표기(Be"a"tles)의 기원에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대체적으로 이 이름은 레논이 지었다고 여겨지는데, 레논은 비틀즈라는 이름이 "딱정벌래들"(beetles; 이는 버디 홀리의 밴드 크리캣츠(The Crickets; 귀뚜라미들)를 따라한 것으로 추정된다)과 "beat"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말장난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한 레논은 후에 "Beat-less"를 변형해서 만든 것이라 얘기하기도 했다.
신시아 레논은 존 레논이 "비틀즈"(Beatles)라는 이름을 "랜쇼 홀 바에서 술에 취한 상태에서 한 브레인스토밍의 결과"로서 정했다고 주장했다. [9] 신시아에 따르면 존 레논은 그 장소에서, 'les beat'와 같은 "프랑스어 느낌의" 밴드명을 정하자고 제한하기도 했다고 한다.[9]
후에 존 레논은 한 잡지와의 1961년 인터뷰에서 이렇게 농담하기도 했다. "불타는 파이(flaming pie) 위에 갑자기 어떤 사람이 나타나서 우리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오늘부터 당신들은 "A"를 쓰는 비틀즈다!'(From this day on you are Beatles with an "A".)"[10] (후에 레논의 이 얘기는 폴 매카트니의 솔로 앨범 《Flaming Pie》의 제목과 동명의 곡에 영향을 주었다.)
[편집] 음악적 분석
[편집] 영향
비틀즈는 주로 다음 가수(그룹)에게 영향을 받았다.
- 엘비스 프레슬리 - 비틀즈는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많은 수의 엘비스 커버를 녹음했다. 또한 도큐멘터리 앤솔리지에서 맴버 4명 모두 프레슬리에게 스승(guru)라는 표현까지 써 가면서 극찬했다.
- 척 베리 - 비틀즈는 "Roll Over Beethoven"이나 "Rock and Roll Music"과 같은 척 베리의 노래를 그들의 초기 앨범에 수록했었고, 라이브로 공연한 적도있다. 레논이 처음 베리를 만났을 때, 레논은 "척 베리! 당신은 내 영웅이에요!"라고 소리쳤다는 일화도 있다.
- 비비 킹 - 킹은 비틀즈에 블루스적인 성격에 영향을 주었다. 그의 영향은 "Get Back"이나 "I Me Mine"에서의 해리슨의 기타 연주에서 발견할 수 있다.
- 버디 홀리 - 초기에 영향을 미쳤다. 비틀즈는 "Words of Love"를 레코드 한 적 있다. 또한 비틀즈라는 이름이 홀리의 배킹 그룹 크리켓츠(The Crickets)에서 왔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이다. 스튜어트 서트클리프가 Beetles를 제안했고, 레논은 이를 Beatles로 살짝 변형했다.
- 밥 딜런 - 특히 1965년부터 영향을 미쳤다. "You've Got to Hide Your Love Away" (Help!),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 (Rubber Soul)과 같은 곡에서 그 영향을 찾을 수 있다. 딜런은 뉴욕의 호텔방에서 비틀즈에게 마리화나를 처음 소개시켜 준 사람이기도 하다.
- 에벌리 브라더스 - 레논과 매카트니는 돈 에벌리와 필 에벌리의 독특한 이중창을 모방했다. "Love Me Do"나 "Please Please Me"는 에벌리의 "Cathy's Clown"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고, "Two of Us"는 완벽한 에벌리 스타일 노래였다.
- 초기 모타운 음악 - 비틀즈는 초기에 배럿 스트롱의 모타운 레코딩인 "Money (That's Wat I Want)"나 마블릿츠의 히트곡 "Please Mr. Postman"을 카피한 곡을 앨범에 수록한 적이 있다.
- 리틀 리처드 - 초기의 몇몇 곡들은 리처드의 "Long Tall Sally"에서와 같은 가성 스크림이 등장한다. 1962년, 리처드는 함부르크에서 비틀즈와 교제한 적 있으며, "Long Tall Sally"는 초기 비틀즈 콘서트에서 꾸준히 등장했던 곡이다.
[편집] 디스코그라피(영국)
다음은 영국에서 발매된 정규 스튜디오 앨범과 발매일, 차트에서의 순위 및 앨범의 수록곡이다. 컴필레이션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Please Please Me (1963년 3월 22일) - #1 - I Saw Her Standing There, Misery, Anna (Go to Him), Chains, Boys, Ask Me Why, Please Please Me, Love Me Do, P.S. I Love You, Baby It's You, Do You Want to Know a Secret, A Taste of Honey, There's a Place, Twist and Shout |
With the Beatles (1963년 11월 22일) - #1 - Side one: It Won't Be Long, All I've Got to Do, All My Loving, Don't Bother Me, Little Child, Till There Was You, Please Mr. Postman - Side two: Roll Over Beethoven, Hold Me Tight, You Really Got a Hold on Me, I Wanna Be Your Man, Devil in Her Heart, Not a Second Time, Money (That's What I Want) |
A Hard Day's Night (1964년 6월 10일) - #1 - Side one: A Hard Day's Night, I Should Have Known Better, If I Fell, I'm Happy Just to Dance With You, And I Love Her, Tell Me Why, Can't Buy Me Love - Side two: Any Time At All, I'll Cry Instead, Things We Said Today, When I Get Home, You Can't Do That, I'll Be Back |
Beatles for Sale (1964년 12월 4일) - #1 - No Reply, I'm a Loser, Baby's in Black, Rock and Roll Music, I'll Follow the Sun, Mr. Moonlight, Medley: Kansas City w/ Hey, Hey, Hey, Hey, Eight Days a Week, Words of Love, Honey Don't, Every Little Thing, I Don't Want to Spoil the Party, What You're Doing, Everybody's Trying to Be My Baby |
Help! (1965년 8월 6일) - #1 - Help!, The Night Before, You've Got to Hide Your Love Away, I Need You, Another Girl, You're Going to Lose That Girl, Ticket To Ride, Act Naturally, It's Only Love, You Like Me Too Much, Tell Me What You See, I've Just Seen a Face, Yesterday, Dizzy Miss Lizzie |
Rubber Soul (1965년 12월 3일) - #1 - Drive My Car,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 You Won't See Me, Nowhere Man, Think For Yourself, The Word, Michelle, What Goes On, Girl, I'm Looking Through You, In My Life, Wait, If I Needed Someone, Run For Your Life |
Revolver (1966년 8월 5일) - #1 - Side one: Taxman, Eleanor Rigby, I'm Only Sleeping, Love You To, Here, There and Everywhere, Yellow Submarine, She Said She Said - Side two: Good Day Sunshine, And Your Bird Can Sing, For No One, Doctor Robert, I Want to Tell You, Got to Get You Into My Life, Tomorrow Never Knows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67년 6월 1일) - #1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With a Little Help from My Friends,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Getting Better, Fixing a Hole, She's Leaving Home, Being for the Benefit of Mr. Kite!, Within You Without You, When I'm Sixty-Four, Lovely Rita, Good Morning Good Morning,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Reprise), A Day in the Life |
The Beatles (혹은 "White Album") Apple Records (1968년 11월 21일) - #1 - Side A: Back in the U.S.S.R., Dear Prudence, Glass Onion, Ob-La-Di, Ob-La-Da, Wild Honey Pie, The Continuing Story of Bungalow Bill,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Happiness is a Warm Gun - Side B: Martha My Dear, I'm So Tired, Blackbird, Piggies, Rocky Raccoon, Don't Pass Me By, Why Don't We Do It in the Road?, I Will, Julia - Side three: Birthday, Yer Blues, Mother Nature's Son, Everybody's Got Something to Hide Except Me and My Monkey, Sexy Sadie, Helter Skelter, Long, Long, Long - Side four: Revolution 1, Honey Pie, Savoy Truffle, Cry Baby Cry, Revolution 9, Good Night |
Yellow Submarine (1969년 1월 17일) - #3 - Yellow Submarine, Only A Northern Song, All Together Now, Hey Bulldog, It's All Too Much, All You Need Is Love - Side two: Pepperland, Sea Of Time, Sea Of Holes, Sea Of Monsters, March Of The Meanies, Pepperland Laid Waste, Yellow Submarine In Pepperland |
Abbey Road (1969년 9월 26일) - #1 - Side A: Come Together, Something, Maxwell's Silver Hammer, Oh! Darling, Octopus's Garden, I Want You (She's So Heavy) - Side B: Here Comes the Sun, Because, You Never Give Me Your Money, Sun King, Mean Mr. Mustard, Polythene Pam, 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 Golden Slumbers, Carry That Weight, The End, Her Majesty |
Let It Be (1970년 5월 8일) - #1 - Two of Us, Dig a Pony, Across the Universe, I Me Mine, Dig It, Let It Be, Maggie Mae, I've Got a Feeling, One After 909, The Long and Winding Road, For You Blue, Get Back |
[편집] 기타
- 1993년, 고생물학자 엣지콤비(Edgecombe)와 채터튼은, 화석 삼엽충 종들에 애벌런처러스 레노니(Avalanchurus lennoni), 애벌런처러스 스타리(Avalanchurus starri), 스트러스치아 메카트니이(Struszia mccartneyi)라는 이름을 붙였다.
- 현재 비틀즈 멤버 4명의 이름을 딴 소행성이 소행성대의 궤도를 돌고 있다.
[편집] 참고 자료
- ↑ RIAA, 1999년 11월 10일
- ↑ 기네스 북
- ↑ The Beatles: Biography - 롤링 스톤의 비틀즈 소개 사이트
- ↑ 쿠버닉 켄. 2005년 10월 16일 - "Here, There & Everywhere. Variety Magazine's 100 Icons of the Century". 버라이어티 매거진.
- ↑ 스파잇츠 봅 (2005년). The Beatles, 47쪽. ISBN 0-316-80352-9
- ↑ 스파잇츠 봅 (2005년). The Beatles, 93쪽. ISBN 0-316-80352-9
- ↑ 스파잇츠 봅 (2005년). The Beatles, 126~127쪽. ISBN 0-316-80352-9
- ↑ 레이 오브라이언 (2001년). There are Places I'll Remember: Volume 1
- ↑ 9.0 9.1 레논, 신시아 (2005년). John. Hodder & Stoughton Ltd.
- ↑ [[데이비스, 헌터. The Beatles (1981년 판)
[편집] 바깥 고리
- ((영어)) 비틀즈 (애플) 공식 사이트
- ((영어)) 롤링 스톤의 비틀즈 소개 페이지
- ((영어)) 비틀즈 연대기
비틀즈 |
---|
존 레논 | 폴 매카트니 | 조지 해리슨 | 링고 스타 피트 베스트 | 스튜어트 서트클리프 |
매니저 |
브라이언 엡스틴 | 앨런 클라인 | 애플 레코드 |
제작 |
조지 마틴 | 제프 에머릭 | 노먼 스미스 | 필 스펙터 | 애비 로드 스튜디오 | 제프 린 |
공식 스튜디오 음반 |
Please Please Me (1963) | With the Beatles (1963) | A Hard Day's Night (1964) | Beatles for Sale (1964) | Help! (1965) | Rubber Soul (1966) | Revolver (1966)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67) | Magical Mystery Tour (1967) | The Beatles (White Album, 화이트 앨범) (1968) | Yellow Submarine (1969) | Abbey Road (1969) | Let It Be (1970) |
영화 |
A Hard Day's Night (1964) | Help! (1965) | Magical Mystery Tour (1967) | Yellow Submarine (1968) | Let It Be (1970) |
관련 문서 |
레논-매카트니 | 비틀마니아 | 영향 | 다섯 번째 비틀 | 폴 매카트니 사망설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애플 레코드 | 오노 요코 | 지미 니콜 |
분류: 영국의 밴드 | 영국의 록 음악 그룹 | 비틀즈 | 브리티시 인베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