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하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산 지하철(釜山地下鐵)은 부산광역시의 도시 철도이며, 현재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1985년 7월 19일 1호선 범어사역-범내골역 구간이 최초 개통되면서 영업을 시작하였고 2006년 현재 3개 노선(90개 역사), 총연장(건설) 90.2km(영업연장 88.6km)를 보유하고 있다. 2호선 연장구간(양산선)과 3호선 2단계(반송선) 건설이 마무리되면 총연장은 114.2km로 늘어난다.
성인 현금승차 기준 10km 이하는 1,100원(1구간), 그 이상은 1,300원(2구간)이다. 하나로교통카드 등 교통카드로 요금을 지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0%를 할인받을 수 있다. 학생(대학생포함)이라면 20%를 할인 받을 수 있다. 2007년 5월 14일 부터 버스와 지하철간에 환승을 할 수 있다.
목차 |
[편집] 노선
현재 영업 중인 노선은 총 3개이다.
공사중인 노선은 총 2개이다.
- 2호선 3단계 - 2호선 양산 구간
- 3호선 2단계 - 3호선 반송 구간, 경량 전철 시스템 사용
IMF 구제금융사건 이전에 4호선과 5호선 건설 계획이 있었다. 현재의 3호선은 계획상 4호선이었으며, 3호선은 부산역과 해상신시가지, 5호선은 가덕도와 사상을 잇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1]그러나 해상신도시 사업 자체가 취소되면서 4호선이 현재의 3호선이 되었으며, 5호선 사업은 가덕도 경전철로 대체되었다.
한편 총연장 7.6km의 1호선 연장선 다대포선에 설계비가 반영, 건설 추진중이고 송정으로 이어지는 2호선 연장선 계획이 추진중에 있다.
[편집] 이용 인원
[편집] 2006년 기준 이용 인원
부산 지하철은 부산 내부 통행의 약 15%를 처리하고 있다. 2002~2006년간의 변동은 각 노선 및 각 역별 페이지를 참조하라. 이 기간동안 승객수 감소가 이어져 왔는데, 여기에는 여러 간선도로 개통과 같은 타 교통체계의 개선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주석
[편집] 바깥 고리
- ((한국어))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노선명 | 노선 구간 | 승차 인원 | 하차 인원 | ||
---|---|---|---|---|---|
한 해 | 하루 평균 | 한 해 | 하루 평균 | ||
1호선 | 노포동 - 신평 | 141,895,477 | 388,755 | 143,172,915 | 392,254 |
2호선 | 호포 - 장산 | 81,087,309 | 222,157 | 80,674,241 | 221,025 |
3호선 | 수영 - 대저 | 20,386,007 | 55,852 | 19,752,109 | 54,115 |
합계 | 243,368,793 | 666,764 | 243,599,265 | 667,3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