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세이 전철 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게이세이 전철 본선(일본어: 京成本線)은 게이세이 전철이 운영하는 기차노선의 하나이다. 일본 도쿄 도 다이토 구에 있는 게이세이 우에노 역지바 현 나리타 시에 있는 나리타 공항역을 잇는다.

목차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69.3km
  • 궤간: 1435mm (표준궤)
  • 역 수: 42
  • 복선 구간: 게이세이 우에노 역 ~ 아오토 역, 게이세이 다카사고 역 ~ 고마이노 신호장
  • 복복선 구간: 아오토 역 ~ 게이세이 다카사고 역
  • 전철화 구간: 모든 구간
  • 전철화 방식: 직류 1500V
  • 보안 장치: ATS

[편집] 역사

  • 1912년 11월 3일 - 오시아게 역 ~ 마가리카네 역 (현재의 게이세이 다카사고 역) ~ 이요다 역 (현재의 에도가와 역) 개통
  • 1913년 6월 26일 - 마가리카네 역을 다카사고 역으로 명칭 변경
  • 1914년 8월 30일 - 에다가와 역 ~ 이치카와신덴 역이 개통.
  • 1914년 12월 11일 - 이치카와코노다이 역을 이치카와 역 (현재의 이치카와마마 역) 으로 명칭 변경
  • 1915년 11월 3일 - 이치카와신덴 역 ~ 나카야마 역이 개통.
  • 1916년 2월 9일 - 스가노 역이 영업개시.
  • 1916년 12월 30일 - 나카야마 역 ~ 후나바시 역이 개통.
  • 1921년 4월 6일 - 이치카와 역을 이치카와코노다이 역으로, 이치카와신덴 역을 이치카와마마 역으로 각각 명칭 변경.
  • 1921년 7월 17일 - 후나바시 역 ~ 쓰다누마 역이 개통.
  • 1926년 12월 9일 - 쓰다누마 역 ~ 시스이 역이 개통
  • 1926년 12월 24일 - 시스이 역 ~ 나리타하나사키초 역(임시역)이 개통
  • 1927년 8월 21일 - 하나와 역(현재의 후나바시 경마장역)이 영업개시.
  • 1928년 3월 18일 - 시즈 역이 영업개시.
  • 1928년 4월 1일 - 소고 역(현재의 소고산도 역)이 영업개시.
  • 1928년 11월 1일 - 아오토 역이 영업개시.
  • 1930년 4월 25일 - 나리타하나사키초 역(임시역) ~ 나리타 역이 개통. 나리타하나사키초 역을 폐지.
  • 1931년 12월 19일 - 닛포리 역 ~ 아오토 역이 개통.
  • 1932년 5월 15일 - 게이세이 고이와 역이 영업개시.
  • 1933년 12월 10일 - 우에노 공원역(현재의 게이세이 우에노 역) ~ 닛포리 역이 게통.
  • 1934년 4월 18일 - 도칸야마도리 역이 영업개시
  • 1935년 5월 1일 - 신야와타 역(현재의 게이세이 야와타 역)이 영업개시.
  • 1935년 6월 1일 - 니시센주 역이 영업개시.
  • 1935년 8월 3일 - 나카야마오니고에 역 (현재의 오니고에 역)이 영업개시.
  • 1935년 10월 4일 - 나카야마 경마장역(임시역, 현재의 히가시나카야마 역)이 영업개시.
  • 1936년 4월 10일 - 야쓰 해안역을 야쓰 유원역으로 명칭 변경. 1939년 야쓰 해안역으로 변경.
  • 1942년 11월 1일 - 신야와타 역을 게이세이 야와타 역으로 명칭 변경
  • 1943년 2월 1일 - 나카야마오니고에 역을 오니고에 역으로 명칭 변경
  • 1943년 10월 간에이자키 역, 도칸야마도리 역, 니시센주 역을 휴지
  • 1944년 우에노 공원역 ~ 게이세이 나리타 역을 본선으로 변경. 오시아게 역 ~ 아오토 역을 오시아게 선으로 분리.
  • 1945년 6월 10일 - 우에노 공원역 ~ 닛포리 역을 휴지. 10월 1일 복구.
  • 1948년 4월 1일 - 이치카와코노다이 역을 고노다이 역으로, 야쓰 해안역을 야쓰 유원역으로 명칭 변경.
  • 1950년 7월 5일 - 게이세이 하나와 역을 후나바시 경마장역으로 변경.
  • 1951년 7월 1일 - 소고 역을 소고산도 역으로 명칭 변경
  • 1953년 5월 1일 - 우에노 공원역을 게이세이 우에노 역으로 명칭 변경.
  • 1953년 9월 1일 - 나카야마 경마장역 (임시역)을 히가시나카야마 역으로 명칭 변경. 일반역으로 승격.
  • 1956년 3월 20일 - 야치요다이 역이 영업개시.
  • 1959년 10월 14일 - 소고산도 역 ~ 게이세이 나리타 역 궤간을 1435mm로 변경. 11월 30일에는 모든 구간의 궤간 변경이 완성.
  • 1963년 12월 1일 - 후나바시 경마장역을 센터 경마장앞역으로 명칭 변경.
  • 1968년 5월 1일 - 가쓰타다이 역이 영업개시.
  • 1970년 8월 24일 - 오하나자야 역 ~ 아오토 역이 입체화.
  • 1973년 6월 16일 ~ 12월 15일 - 게이세이 우에노 역 ~ 닛포리 역이 휴지.
  • 1973년 12월 30일 - 스카이라이너 운행 시작.
  • 1978년 5월 21일 - 게이세이 나리타 역 ~ 나리타 공항역(현재의 히가시나리타 역)이 개통.
  • 1982년 11월 1일 - 유카리가오카 역이 영업개시.
  • 1984년 11월 24일 - 야쓰 유원역을 야쓰 역으로 명칭 변경.
  • 1985년 8월 12일 - 아오토 역 ~ 게이세이 다카사고 역을 복복선화
  • 1987년 4월 1일 - 가쓰시카 역을 게이세이 니시후나 역으로, 센터 경마장앞역을 후나바시 경마장역으로 명칭 변경.
  • 1991년 3월 19일 - 나리타 공항역을 히가시나리타 역으로 명칭 변경. (게이세이 나리타 역 ~) 고마노이 신호장 ~ 나리타 공항역이 개통. (게이세이 나리타 역 ~) 고마노이 신호장 ~ 히가시나리타 역을 히가시나리타 선으로 분리.
  • 1992년 12월 3일 - 공항 제2 빌딩 역이 영업개시.
  • 1994년 4월 1일 - 소고산도 역 ~ 게이세이 나리타 역 경로 변경. 고즈노모리 역이 영업개시.
  • 1997년 4월 1일 - 박물관 동물원역을 휴지. (2004년 4월 1일 폐지)
  • 2006년 11월 25일 - 가이진 역 ~ 후나바시 경마장역이 입체화.

[편집] 역 목록

역 이름 일본어 이름 쾌특 모/이 소재지
게이세이 우에노 京成上野 도쿄 도 다이토 구
닛포리 日暮里 아라카와 구
신미카와시마 新三河島
마치야 町屋
센주 대교 千住大橋 아다치 구
게이세이 세키야 京成関屋
호리키리 창포원 堀切菖蒲園 가쓰시카 구
오하나자야 お花茶屋
아오토 青砥
게이세이 다카사고 京成高砂
게이세이 고이와 京成小岩 에도가와 구
에도가와 江戸川
고노다이 国府台 지바 현 이치카와 시
이치카와마마 市川真間
스가노 菅野
게이세이 야와타 京成八幡
오니고에 鬼越
게이세이 나카야마 京成中山 후나바시 시
히가시나카야마 東中山
게이세이 니시후나 京成西船
가이진 海神
게이세이 후나바시 京成船橋
다이진구시타 大神宮下
후나바시 경마장 船橋競馬場
야쓰 谷津 나라시노 시
게이세이 쓰다누마 京成津田沼
게이세이 오쿠보 京成大久保
미모미 実籾
야치요다이 八千代台 야치요 시
게이세이 오와다 京成大和田
가쓰타다이 勝田台
시즈 志津 사쿠라 시
유카리가오카 ユーカリが丘
게이세이 우스이 京成臼井
게이세이 사쿠라 京成佐倉
오사쿠라 大佐倉
게이세이 시스이 京成酒々井 인바 군 시스이 정
소고산도 宗吾参道
고즈노모리 公津の杜 나리타 시
게이세이 나리타 京成成田
(고마이노 신호장) 駒井野信号場
공항 제2빌딩 空港第2ビル
나리타 공항 成田空港

[편집] 약칭의 설명

  • 급 → 급행 (일본어: 急行, きゅうこう) 정차역
  • 쾌 → 쾌속 (일본어: 快速, かいそく) 정차역
  • 공 → 공항쾌속 (일본어: エアポート快速, エアポートかいそく) 정차역
  • 통 → 통근특급 (일본어: 通勤特急, つうきんとっきゅう) 정차역
  • 특 → 특급 (일본어: 特急, とっきゅう) 정차역
    • ▲은 이벤트가 있는 경우 임시적으로 정차함을 나타낸다.
  • 괘특 → 쾌속특급 (일본어: 快特, かいとく) 정차역
    • 快特의 약칭이지만 정식 명칭은 快特이다.
  • 모/이 → 모닝 라이너, 이브닝 라이너 (일본어: モーニングライナー, イブニングライナー) 정차역
  • 스 → 스카이라이너 (일본어: スカイライナー) 정차역
    • ○은 일부 정차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편집] 접속 노선

[편집] 바깥 고리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