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P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HP(영어: Analytic Hierachy Process)는 다수 대안에 대한 다면적 평가기준을 통한 의사결정지원 방법의 하나이다.
[편집] 역사
1980년 미국의 토머스 셔티(Thomas Saaty)교수의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논문에서 처음 개발되었다.
[편집] 적용
AHP는 경제, 경영, 국방, 정치 등의 여러분야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몇단계를 거쳐 완성되는 프레임웍이 제시되고 있다. 여기서는 4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웍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 의사결정문제를 상호관련된 의사결정 사항들의 계층으로 분류하여 의사결정계층-의사결정모형을 설정한다.
- 일반적으로 기업의 의사결정문제는 다요소의사결정의 속성을 갖고 있으며, 복잡하고-상호연관적인 경우가 많다.
-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된 의사결정 요소-기준을 명문화하여 계층적인 구조로 만들어 낸다.
- 계획이나, 정책을 세울경우 전향과정(Forwarding), 후향과정(Backwarding)을 거쳐 좀 더 구체적인 미래(목표)를 수립한다.
- 최소 구현 모델은 3단 구성으로, 최상위단인 목표(Goal), 평가의 기준단인 기준(Criteria), 최하위 단인 대안(Alteranative)로 구성이 된다.
- 의사결정 요소들 간의 쌍대비교로 판단자료를 수집한다.
- 고유치(eigen-value)방법을 사용하여 의사결정요소의 상대적 가중치를 추정한다.
- 평가대상이 되는 여러대안들에 대한 종합순위를 얻기 위하여 의사결정 요소들의 상대적인 가중치를 종합화한다.
![]() |
이 문서는 경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경제 토막글 |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