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문관시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등문관시험(高等文官試驗)은 일본에서 1894년부터 1948년까지 치러진 고급 관리 채용을 위한 자격시험이었다. 한국인들도 상당수 합격하여 조선총독부 및 산하 행정기관의 관리로 채용되었다.
목차 |
[편집] 한국인 합격자 명단
[편집] 행정과
연도 | 이름 | 생년 | 직업 |
---|---|---|---|
1933년 | 계광순(桂珖淳) | 1909년 | 국회의원 |
1934년 | 한동석(韓東錫) | 1909년 | 국회의원 |
1934년 | 최창홍(崔昌弘) | 충청북도 참여관 겸 광공부장(參與官兼鑛工部長) | |
1934년 | 김재하(金在河) | ||
1934년 | 김성환(金聖煥) | ||
1934년 | 이태용(李泰鎔) | ||
1934년 | 이변욱(李釆郁) | ||
1934년 | 진숭(陳崇) | ||
1934년 | 임문환(任文桓) | ||
1934년 | 김상봉(金相鳳) | ||
1934년 | 朴○淳 | ||
1934년 | 최경진(崔慶進) | 1907년 | 경찰국장 대리 |
1934년 | 임탄(林坦) | ||
1934년 | 길원봉(吉元鳳) | ||
1934년 | 건승(乾昇) | ||
1934년 | 주진영(朱進英) | ||
1934년 | 홍헌표(洪憲杓) | ||
1934년 | 차윤홍(車潤弘) | ||
1934년 | 임웅(林雄) | ||
1935년 | 백봉제(白鳳濟) | ||
1935년 | 조병우(趙炳禹) | ||
1935년 | 손석경(孫錫慶) | ||
1935년 | 김영년(金永年) | ||
1935년 | 김광승(金廣昇) | ||
1935년 | 장수길(張壽吉) | ||
1943년 | 진의종(陳懿鍾) | 1921년 | 국무총리 |
1943년 | 신현확(申鉉碻) | 1920년 | 국무총리 |
1945년 [1] | 홍범희(洪範憙) | 1917년 | 국회의원(2선) |
미상 | 김광준(金光俊) | 1915년 | 국회의원(3선) |
미상 | 김영선(金永善) | 1918년 | 국회의원(3선) |
미상 | 윤길중(尹吉重) | 1916년 | 국회의원(6선) |
미상 | 이충환(李忠煥) | 1917년 | 국회의원(6선) |
[편집] 사법과
연도 | 이름 | 생년 | 직업 |
---|---|---|---|
1925년 | 조진만 | 1903년 | 법무부장관, 대법원장 |
1931년 | 신태악 | 1902년 | 정치인 |
1936년 | 민복기(閔復基) | 1913년 | 대법원장 |
1939년 | 이호 | 1914년 | 법무부장관 |
1940년 | 홍진기 | 1917년 | 법무부, 내무부장관 |
1942년 | 이영섭 | 1919년 | 대법원장 |
미상 | 김광준 | 1915년 | 국회의원(3선) |
미상 | 김용무 | 1915년 | 미군정 대법원장,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미상 | 김준태 | 1915년 | 국회의원(3선) |
미상 | 윤길중(尹吉重) | 1916년 | 국회의원(6선) |
미상 | 최병주(崔丙柱) | 1903년 | 대법관, 국회의원 |
[편집] 참고자료
- 행정과 1934년 : 일제침략하 36년사 (국사편찬위원회)
- 행정과 1935년 : 일제침략하 36년사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