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력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만력제
재 위
1572년 ~ 1620년
성 명 {{{성명}}}
별 명 {{{별명}}}
왕 비 {{{왕비}}}
황 후 {{{황후}}}
왕 후 {{{왕후}}}
부 군 {{{부군}}}
부 왕 {{{부왕}}}
부 황 {{{부황}}}
모 비 {{{모비}}}
모 후 {{{모후}}}
앞선 왕 {{{이전 왕}}}
앞선 황제 융경제
다음 왕 {{{다음 왕}}}
다음 황제 태창제
명나라의 황제

만력제(萬曆帝, 1563년 ~ 1620년)는 명나라의 제13대 황제이다. 는 익균(翊鈞, 이준). 융경제의 아들이다. 1572년부터 1620년까지 48년간 재위하였다. 그의 치세는 역대 명나라 황제들의 통치 기간 중 가장 길며, 명나라가 건국된 지 200년쯤 지난 때라 왕조가 서서히 몰락해가는 시기였다.

[편집] 생애

만력제는 정치를 잘 알지 못했던 등극 초기에는 모든 일을 재상 장거정(張居正)에게 맡겼다. 오랫동안 그의 스승이었던 인연 때문이었다. 장거정의 교육 방식은 너무 엄격해 어린 만력제의 숨통을 끊어 놓기 일쑤였다. 공론을 줄이고 명실상부, 기강 확립, 명령 복종, 군비 확충 등을 중시한 그는 ‘철혈 재상’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사심 없이, 그러면서도 단호하게 국사를 처리했으며 개혁에도 열심이었다. 덕분에 명나라는 그런대로 모양새를 갖출 수 있었다.

만력제가 제위에 오른 지 10년째 되던 해 그런 장거정이 세상을 떠났다. 그동안 기를 펴지 못했던 반대파들은 입을 모아 장거정의 비리를 들추며 공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장거정을 편들었던 만력제도 그의 재산이 자신을 능가한다는 소문을 듣고는 장거정의 가산을 몰수했다. 그것은 돈에 대한 콤플렉스였다. 돈에 대한 콤플렉스가 만력제의 장래는 물론 나아가 명나라의 장래를 망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그는 나라에 아무리 위급한 일이 생겨도 동전 한 닢 내놓지 않는 지독한 구두쇠가 되어 갔다. 반면 돈이 되는 일이라면 무슨 일이라도 했다. 황제의 재산은 날이 갈수록 늘어 갔으나 국고는 점점 줄어 들었다. 황제가 돈을 밝히니 고관과 환관들은 매관매직을 일삼는 탐관오리가 되어갔고 정치에 관심이 없었던 만력제는 아부하는 자를 재상에 앉혀 놓고 오로지 치부에만 열성을 보였다. 거기다 술과 여자까지 밝혔다.

만력제가 죽은 뒤로 3명의 황제가 대를 이었으나 이미 만력제 때 뒤숭숭해진 민심은 이자성의 난을 불러왔고, 그가 죽은 지 24년째 되던 해 명나라는 멸망을 맞이하고 말았다. 역사가들은 한결같이 “명나라가 망한 것은 숭정제 때가 아니라 만력제 때였다”고 썼다.

평판이 매우 좋지 못한 군주이지만, 임진왜란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매우 적극적으로 정책을 펼친 편이다. 물론 현명하다고 할 수 없는 어리석은 패착의 연속이긴 했지만 그 적극성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래서 당대와 후대 중국인들에게서는 만력제를 가리켜 ‘고려의 천자(天子)’ 또는 ‘조선의 황제’라고 일컫기까지 했다. 조선에서 명나라에 대한 호감이 생겨난 배경도 이때 만력제가 보여준 적극적인 우호 정책 탓이 매우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