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틀림(torsion) 또는 비틂은 물체에 돌림힘이 재하되었을 때 나타나는 (변형)상태이다. 비틀림은 비틀림 각(φ) 또는 재축 방향 단위 길이 당 비틀림 각()으로 측정되며, 비틀림으로 인하여 반지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전단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선형 탄성 재료로 된 단면 반지름 r, 극관성 모멘트 Ip인 원형 단면 봉이 돌림힘 T을 받을 때 발생하는 중심으로부터 반지름을 따라 잰 거리 ρ에 위치한 지점에서의 전단 응력은 다음과 같다.
재료의 전단 탄성 계수가 G이고, 부재의 길이가 L일 때, 비틀림 각은 다음과 같다.
목차 |
[편집] 비틀림 상수
비틀림 각은 비틀림 상수 J를 도입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 비틀림 상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중실원형단면의 지름 d일 때,
- 중공원환단면의 바깥족 지름 do, 안쪽 지름 di일 때,
- 얇은 두께의 관의 벽면 평균 중심선의 길이 Lm, 벽면 중심선에 연한 벽면 두께 t, 벽면의 평균 중심선 안쪽의 면적 Am일 때,
- 벽면 중심선에 연하여 두께가 일정한 경우
- 극관성 모멘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편집] 비틀림 변형 에너지
비틀림이 부재에 저장되는 탄성 변형 에너지는
[편집] 함께 읽기
[편집] 참고 문헌
- Gere & Timoshenko (1997). Mechanics of Materials, 4th edition, PWS Publishing Company, pp. 187-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