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 공의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루살렘 공의회는 율법준수가 구원의 조건이냐는 논쟁이 계기가 된 공의회이다. 신약성서에서는 사도행전 15장에 언급되어 있으며 초대교회의 교리가 율법준수론자들과의 투쟁을 믿음을 통해서 구원받는다는 교리로 극복한 과정을 보여주는 공의회중 하나이다.
[편집] 공의회와 발단과 진행
몇몇 교우들이 안티오키아 교회에서 율법준수를 강조하는 교리를 주장하면서 벌어진 교리논쟁이 사건의 발단이다. 교회에서는 사도 성 바울로와 성 바르나바와 일부 교인들을 예루살렘에 보내어 다른 사도들과 원로(사제)들에게 이 문제를 의논하게 하였다. 오랜 토론끝에 사도 성 베드로가 "하느님앞에서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므로 이방인들도 주님이신 예수의 은총으로 구원을 얻는다"고 선언했고, 공의회 참석자들은 그의 말에 침묵으로 동의하였다. 또한 예루살렘교회에서 지도자의 위치에 있던 야고보가 나서서 교리를 이렇게 정리한다.
그래서 사도들과 원로들은 교회 대표 및 성 바울로 그리고 바르나바 편에 야고보의 주장을 안티오키아에 편지로 알렸다.
공의회 | |
---|---|
초기 | 예루살렘 |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
니케아(1차) | 콘스탄티노플(1차) | 에페소스 | 칼케돈 | 콘스탄티노플(2차) | 콘스탄티노플(3차) | 퀴니섹스트 공의회 | 니케아(2차) | 콘스탄티노플(4차) |
동방정교회 | 콘스탄티노플(5차) | 예루살렘 교회회의 |
로마가톨릭 | 수트리 | 라테란(1차) | 라테란(2차) | 라테란(3차) | 라테란(4차) | 리용(1차) | 리용(2차) | 비엔 | 피사 | 콘스탄츠 | 시에나 | 바젤 라테란(5차) | 트리엔트 | 바티칸(1차) | 바티칸(2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