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와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와어(자바어: Basa Jawa) 인도네시아 자와 섬의 중부와 동부의 자와족에 의해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화자수 약 7천5백만명으로서, 공용어의 지위를 갖고 있지 않은 지역어임에도 불구하고 인구만으로 봤을 때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모어로 사용하는 언어이며, 세계적으로도 대언어이다.(한국어 사용자수보다 약간 많다) 자와어는 인도네시아어,순다어,마두라스어등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많은 자와인들은 비 자와출신 인도네시아인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인도네시아어도 말할 수 있다. 말레이시아에도 자와어 사용자의 커뮤니티가 슬랑고르,조호르 주등에 존재한다. 자와어는 말레이어와도 가까우나 말레이어와의 상호의사소통은 불가능하다. 또한 남미 수리남에도 자와어사용자가 존재한다. 자와어는 한국어,일본어와 마찬가지로 까다로운 경어법이 존재하여, 자와어를 모어로 하지 않는 사람에게 습득을 어렵게 한다.

목차

[편집] 역사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언어중에 가장 오래되고 풍부한 문어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고 자와어(9세기~)
  • 중세 자와어(13세기~)
  • 신 자와어(16세기~)
  • 현대 자와어(20세기~ )

[편집] 문자

자와 문자는 짜라칸이라고 부르며, 900년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 쓰였다. 남 인도계열의 팔라바문자에서 발전된古 카위문자가 발전된 것으로, 인도계 문자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17세기 경의 일이다. 자와어 외에 이웃의 순다어나 말레이어를 표기하는 데도 쓰여졌다. 또한, 자와어는 이슬람 전래이후에 일부지만 아라비아문자로 쓰여지기도 하였으며, 네덜란드의 식민지배이후에는 로마자가 도입되어 점점 자와 문자의 사용이 줄어갔다. 일본이 인도네시아를 점령한 1942년부터 1945년간에는 자와 문자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오늘날에는 로마자의 사용이 일반적이며, 자와 문자는 장식용, 도로표지판, 학술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발리섬의 발리어를 표기하는 발리 문자는 자와 문자에서 발전한 것으로 자와문자가 좀 더 곡선화된 형태이다. 경어법이 발달한 자와어를 표기하는 문자답게 문자중에서도 경어에만 쓰는 문자가 따로 존재한다. 자와 문자의 배열순서는

ha, na, ca, ra, ka da, ta, sa, wa, la pa, dha, ja, ya, nya ma, ga, ba, tha, nga

인데 일본어이로하 노래처럼 뜻을 갖고 있다. 의미는 다음과 같다.

  • 두 명의 전사가 있었다.
  • 둘은 (서로에게)적의를 품었다.
  • 둘다 막상막하로 싸웠다.
  • 둘다 죽어버렸다

[편집] 어휘

자와어는 고유어와 외래어를 통틀어 매우 풍부한 어휘를 보유하고 있다. 자와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외래어는 산스크리트어로 자와어의 약 25%에 해당하는 어휘는 산스크리트어계열이라고 한다. 어휘뿐아니라 자와인의 인명또한 산스크리트어가 그 기원이다. 현대 자와인은 보통 고 자와어의 어휘와 산스크리트어계열의 어휘를 통틀어 카위라고 부른다. 기타 아랍어,네덜란드어,말레이어로부터도 어휘를 흡수했으나, 이들은 산스크리트어만큼 자와어에 강하게 동화하거나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자와어는 말레이어에 비해 아랍어의 영향이 덜하며, 그 대부분은 이슬람교와 관련된 것들이다. 네덜란드어계 어휘는 보통 인도네시아어의 네덜란드어계 어휘와 같으나, 약간의 예외가 있다.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가 각각 공용어가 되면서 이들 언어의 어휘가 자와어에 흡수되었는데, 특히 정치및 행정관계의 용어가 많다.


[편집] 경어법

자와어의 경어법은 상대의 사회적 지위, 신분의 고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경어법의 잘못된 사용은 상대에게 큰 실례가 된다. 각각의 경어법 체계를 체(體)라고 하며, 어휘,문법규칙 및 운율이 관여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다른 언어에도 경어법이 존재한다. 경어법에 대한 부담은 비 자와인은 물론 자와인들도 공적인 업무수행에 있어서는 인도네시아어를 선호하는 경향으로 연결되며,자와인들 스스로도 경어법을 완전히 숙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 응고코체:통상체,비격식체로서 친한 친구,아랫사람,연장자가 연소자에게,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 마댜체:응고코 체와 크라마체의 중간체이다. 예를 들어 길에서 만난 낯선 사람과 말을 주고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나, 너무 높이지도 낮추지도 않는 말씨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 크라마체:격식체. 같은 지위에 있지만, 서로 말을 놓고 싶지 않을 때나, 공적인 연설, 연소자가 연장자에게 지위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한다.

단어는 또한 경어와 겸양어로 나뉜다. 화자가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때는 겸양어(자신을 낮추는 표현)를 써야 하며, 자신보다 높은 신분이나 지위,연령인 사람에게는 경어를 써야 한다. 경어는 크라마 잉길, 겸양어는 크라마 안드합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자녀가 부모에게 말할 때, 보통 비격식체인 응고코체를 쓰지만, 단어에 있어서는 특정단어를 경어 또는 겸양어로 말한다. 즉, 체와 별도로 단어로서의 경어와 겸양어도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편집] 방언

지역에 따라 크게 서부방언, 중앙방언, 동부방언으로 나뉜다. 이들간의 차이는 주로 발음의 차이이며, 약간의 어휘적 차이도 존재한다. 이들 방언상호간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상호의사소통이 가능하다.

[편집]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