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의 에드워드 6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드워드 6세
재 위
1547년 ~ 1553년
성 명 {{{성명}}}
별 명 {{{별명}}}
왕 비
황 후 {{{황후}}}
왕 후 {{{왕후}}}
부 군 {{{부군}}}
부 왕 {{{부왕}}}
부 황 {{{부황}}}
모 비 {{{모비}}}
모 후 {{{모후}}}
앞선 왕 헨리 8세
앞선 황제 {{{이전 황제}}}
다음 왕 제인 그레이
다음 황제 {{{다음 황제}}}
잉글랜드의 왕

에드워드 6세(영어: Edward VI, 1537년 10월 12일 - 1553년 7월 6일)는 튜더 왕가 출신으로 잉글랜드 왕국아일랜드 왕국국왕이다(재위 1547년 1월 28일 - 1553년 7월 6일). 잉글랜드의 헨리 8세와 그의 세 번째 왕비제인 시무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역사가들로부터 에드워드 6세와 메리 1세까지의 10년 기간을 영국 역사상 가장 황폐했던 연대로 평가받는다. 그의 치세에는 전례 통일법 제정과 영문성공회공동기도문(공도문) 발표 (1549년)등에 의해, 성공회의 탈 로마 가톨릭화가 진행되었다. 훗날 마크 트웨인의 작품 《왕자의 거지》의 주인공으로 설정되었다.

[편집] 생애

에드워드 6세의 어머니 제인 시무어는 산후병으로 그를 낳은 지 12일 만에 죽었다. 에드워드 본인도 아버지로부터 선천성 매독이 유전되어, 어릴 때부터 건강이 좋지 않아 매우 병약했다. 그러나 남달리 지성이 높고 이해력이 높아 라틴어·그리스어·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줄 알았으며, 신학에 대한 조우 역시 깊었다.

헨리 8세의 유일한 적자였던 에드워드는 아버지가 죽자마자 9살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1547년 2월 20일 대관식을 거행하였다. 헨리 8세는 자신의 어린 아들이 권력자들에게 휘둘려지는 것을 염려하여, 에드워드가 어른이 될 때까지 섭정 위원회가 그를 보좌해줄 것을 유언으로 남겼지만, 서머싯 공작인 에드워드 시모어는 이를 묵살했다. 서머싯 공작은 에드워드의 외가의 백부로 에드워드 6세의 즉위날과 같은 날인 2월 20일에 스스로 호국경(Lord Protector)의 자리에 올라, 사실상 왕국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었다.

생전에 헨리 8세는 에드워드를 스코틀랜드여왕메리 스튜어트와 결혼시켜, 스코틀랜드의 실권까지 잡으려는 구상을 가지고 있었다. 서머싯 공작은 이를 계승하여, 스코틀랜드를 침공하여 메리를 데리고 가려고 했지만 좌절되고 만다. 1549년 메리의 모후로 스코틀랜트의 섭정 왕대비인 메리 드 기즈가 자신의 모국인 프랑스의 왕세자와 결혼시키려는 목적으로, 메리를 프랑스에 보냈던 것이다.

1552년 서머싯 공작이 실각하면서 노섬벌랜드 공작 존 더들리가 역시 호국경으로서 실권을 잡았다. 1553년 5월 21일 에드워드의 병세가 심해지자, 노섬벌랜드 공작은 어린 왕이 죽을 날이 가까워졌다는 것을 깨닫고 에드워드의 2명의 이복 누이 메리와 엘리자베스를 왕위계승에서 배제하고자 자신의 아들인 길드포드 더들리를 에드워드의 사촌자매인 제인 그레이와 결혼시켜, 제인에게 왕위를 물려줄 것을 유언으로 남기라고 에드워드에게 강요하였다.

왕위 계승법으로 볼 때, 제인보다는 메리와 엘리자베스의 계승 순위가 더 높았지만, 메리는 열렬한 로마 가톨릭교도이며, 엘리자베스는 당시 스캔들의 기억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에드워드가 스스로의 의지로 제인을 선택했을 가능성도 있다. 제인은 에드워드와 같은 가정교사로부터 학문을 배운 데다가 열렬한 성공회 신자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민중은 이러한 처사를 납득하지 않았으며, 제인은 훗날 9일 여왕으로서 역사에 이름을 남기게 된다.

1553년 7월 6일, 에드워드 6세는 재위한 지 6년 만에 15살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편집] 같이보기

이전
헨리 8세
영국의 군주
1547년 - 1553년
다음
제인 그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