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토론:기본 분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편집] 분류 체계 참고

한국어 위키백과의 기본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몇가지 존재하는 분류 체계를 소개한다.

[편집] 영어 위키백과의 기본 분류

영어 기본분류는 정보(Information), 자연(Nature), 사회(Society), 구조(Structure), 사상(Thought)로 시작한다. 영어 위키백과의 분류체계도 계층적이지 않고 사이클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Nature는 Thought 밑의 Knowledge에 하위분류된다. 또한 Information도 Knowlege를 하위개념으로 가지고 있다.

[편집] 한국 도서관 10진분류

10진분류표를 보면 한국의 실정울 반영한 도서 10개의 도서 분류표가 있는데, 이것은 책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백과사전에는 적당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편집] 한국향토문화백과사전의 분류

한국학 중앙연구원의 향토문화백과서전의 분류 체계온리인 향토지의 편찬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위키백과의 체계 중 일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편집] 영어 워드넷의 기본 분류

영어 워드넷은 구체물(physical entity), 추상(abstraction), 미지정(thing not specified)라고 나누고 있다.

[편집] ISO의 표준 상위 온톨로지 워킹 그룹의 SUMO

SUMO는 Suggested Upper Merged Ontology인데 ISO에서 표준화하고 있다. 계층도를 보면, Abstract에서 추상적 계념을 나타내는 관계와 Physical의 하위분류를 통합하여 나타낸 것을 볼 수 있다. 말단 노드는 관계가 아니고 분류가 가능한 명사들이다. Abstract에는 약간의 온톨로지를 위한 로직들이 우선 들어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워드넷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SUMO의 전체 클래스를 볼 수도 있다.

-- 개굴 2007년 9월 5일 (수) 11:35 (KST)

[편집] 분류 체계 제안

  • 상위 분류를 SUMO안의 일부 분류(단말 노드)를 기본 분류로 채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사용자에게는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일이 될 것입니다. SUMO의 단말에 해당하지 않는 분류를 백과사전의 문서가 사용할 것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 SUMO가 tree가 아니라 사이클이 있는 그래프이기 때문에 어느 노드를 단말로 정할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단말 노드를 결정한 다음에 기본 분류를 이 단말 노드들을 백과사전의 기본 분류로 삼으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향후 기계를 사용한 온토로지 이용이 편리해 질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개굴 2007년 9월 5일 (수) 11:2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