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패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패스는 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서 발행하는 선불식 전자화폐이다. 1996년에 상용화된 서울교통카드와 같은 계열의 카드이다. 참고로 (주)이비에서도 '유패스'라는 이름으로 2006년에 카드를 발매한 적이 있으나 이것은 한국스마트카드와의 T머니 브랜드 사용 계약 만료로 인해, 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의 협의없이 무단으로 사용한 것이며, 2006년 말부터는 발매하지 않고 있다.
목차 |
[편집] 기술
필립스 사의 MIFARE Standard 1k, Ultralight 기술을 이용하였다. 이들, 특히 MIFARE Ultralight를 채택한 이유는 Ultralight가 단순한 메모리로 암호화 없는 512비트의 저장 용량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 카드의 가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1] MIFARE은 세계적으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 널리 쓰이고 있다.
[편집] 역사
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기존의 회수권과 토큰을 대신하여 새로운 버스 요금 지불 수단으로 사용할 카드식 승차권을 도입하기로 결정한 것은 1995년이다. 우선 1995년 9월 15일, 고덕동 ~ 잠실운동장간을 운행하는 21-2번 차량 12대에 시범적으로 설치하여 테스트를 거친 뒤 1996년 1월 1일부터는 27개 노선, 3월 2일 65개 노선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1996년 7월 1일부터는 모든 서울 시내버스에서 버스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금액을 충전하고 그것으로 대중교통 요금을 낼 수 있는 '교통카드'가 세계 최초로 서울에서 탄생하였다. 당시에는 버스정류장 인근의 충전소에서만 구입/충전이 가능했으며, 1만원 및 2만원 충전시에는 5%의 보너스 금액을 추가로 충전해줬다. 이러한 5% 충전 보너스제는 1998년도에 폐지되었으며, 대신 1999년에 카드 사용시 할인 혜택을 주는 제도로 대체되었다.
시행 초기에는 카드 보증금 제도를 시행하여 1500원의 보증금을 충전금액과 별도로 구입할 때 지불하게 하고, 카드 반납시에는 보증금 1500원을 돌려주는 제도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한 누적 적자가 심해지자 2001년부터는 보증금 제도를 폐지하고, 카드 구입시 2000원을 지불하되, 1년 이내 카드 고장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환불해주지 않는 판매제가 실시되었다. 또한, 카드 파손시 3850원을 충전금액에서 공제하던 기존의 방식을 수정하여, 카드 파손시에도 충전금액을 전액 환불해주는 제도로 변경하였다.
한편, 서울에 이어서 1998년 경기도와 인천에서도 교통카드제가 시행되었는데, 시스템 대행사는 인텍크(현 (주)이비)로 같았으나, 사업자가 각 지역 버스운송사업조합이었기 때문에 서로간의 호환이 되고 있지 않았다. 이에 서울/경기/인천버스운송사업조합측이 각각 협의를 하였고, 1998년 하순에 비로소 경기, 인천에서 자유롭게 서울의 버스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버스에서는 충전식, 지하철에서는 후불식(국민카드)으로 이원화되어 있던 시스템을 서로 호환하여 2000년 1월부터 버스카드를 지하철에서, 또 후불카드를 버스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2000년부터는 서울교통카드라는 명칭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리고 2002년에는 마을버스와 서울시 공영주차장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다가 2004년에는 서울시에서 대중교통 체계를 개편하면서, 한국스마트카드에서 새로운 교통카드로 티머니를 출시하였다. 하지만 당시 티머니의 경기, 인천지역 버스에서의 호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많은 사람들이 예전처럼 서울교통카드를 사용하였다. 이후 2006년 1월에는 기존에 판매하던 서울교통카드의 이름을 유패스로 바꾸고, 에이캐시의 부도로 마이비에서 새로 맡게 된 강원도 원주 지역의 교통카드로도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2007년부터는 서울지하철 및 서울버스·서울마을버스 이용 요금이 각각 5000원 이상일 때 한해서 현금 영수증을 발급해주기 시작하였다.
[편집] 이용
[편집] 사용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원주시의 대중교통 요금 결제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요금 결제
- 경기도 소속 시외버스의 요금 결제. 버스 출입문 옆에 교통카드 사용가능 스티커가 붙어있는 차량만 해당된다. 버스조합 유패스와 eB 유패스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주의 사항
- eB유패스는 원주시에서 이용할 수 없다. 그리고 eB유패스 카드는 제주시에서 충전만 불가능하다.
- 청소년 할인을 적용받으려면 첫 사용 후 10일 이내에 인터넷로 등록하여야 하며, 등록 후 최대 3일 후부터 적용된다.
- 일부 체크·신용카드중 서울교통카드 로고가 새겨진 카드는 모두 유패스처럼 사용할 수 있다.
[편집] 구입/충전/환불
- 구입 : 서울·원주 시내 지정 판매점
- 충전 : 서울·경기·인천·원주지역 버스정류장 인근 가판대, 수도권 전 지역 지하철 매표소
- 환불 : 서울·원주 시내 지정 판매점, 서울 시내 소재 우리은행, 서울버스조합
- 정상카드 및 사용자 과실로 인한 파손카드 : 잔액만 환불
- 첫 사용 후 1년 이내 고장 카드 : 잔액 + 카드값 환불
공식적으로는 서울 시내 가판대에서도 환불 업무를 수행하나, 실제로는 가판대에서 환불 업무를 기피하므로 우리은행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우리은행에서 접수시 정상/파손/고장카드 모두 약 7일 정도 소요되며, 서울버스조합에 정상카드를 들고 가면 즉시 환불이 가능하다.
[편집] 관련 항목
[편집] 바깥 고리
대한민국의 교통 카드 |
---|
대경교통카드(카드넷) - 마이비카드(마이비) - 유패스(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 - 이비카드(이비) - 케이캐쉬(금융결제원) - 티머니(한국스마트카드) - 하나로교통카드(하나로교통카드) - 한꿈이카드(한국스마트카드)
유사 교통 카드 : KB 프리 패스(KB카드) - KTX 패밀리 카드(인터내셔널 패스 앤 커머스)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