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다 요시타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로다 요시타카(黑田孝高 1546년 12월 22일 ~ 1604년 4월 19일)는 센고쿠시대 무장이자 다이묘이다. 부젠국(豊前國) 나카츠(中津)성주. 요시타카란 이름은 휘(諱)로써 원래는 간베에(官兵衛)란 이름으로 불렸다. 출가후에는 죠스이(如水)란 호(號)을 사용하여 유명해졌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으로 섬기면서 조략(調略)과 다른 다이묘등과의 교섭에 종사하여 활약했다. 돈 시메온(Don Simeon) 이란 이름의 세례명을 갖고 있는 크리스챤 다이묘이기도 하다. 확인결과 인장(印掌)도 있었다.

목차

[편집] 생애

[편집] 젊은시절

덴분(天文)15년 11월 29일(1546년 12월 22일) 구로다 모리타카(黑田職隆)의 장남으로 히메지(姬路)에서 태어났다. 구로다씨는 [관정중수제가보(寬政重修諸家譜)]등에 의하면 오우미국(近江國) 이카군(伊香郡) 구로다마을 출신의 무가(武家)에서 나왔다고 하는데 명확하지는 않다. 요시타카의 조부 구로다 시게타카(黑田重隆)의 대에 하리마에 들어와 고챠쿠성(御着城)을 중심으로 반슈(반州) 평야을 통치하던 소다이묘 고데라 마사모토(小寺政職)을 섬겼다. 마사모토는 구로다씨을 높게 평가하여 시게타카을 중신으로 삼아 히메지성 성주대리로 임명했다. 또한 시게타카의 아들 모리타카에게 자신의 양녀를 시집보내어 고데라의 성씨(姓氏)을 사용하게 하였다.

에이로쿠(永祿) 10년(1567년)에 요시타카는 가문을 물려받고 결혼하여 히메지성 성주대리가 되었다. 덴쇼(天正) 원년(1573년) 하리마의 고데라씨는 기나이에서 세력을 확대하던 오다 노부나가와 산요(山陽;지금의 효고현,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을 통칭하는 말), 산인(山陰;효고현 다지마, 단바, 단고, 돗도리현등을 말한다.)에 세력을 갖고 있던 모리씨(毛利氏)란 2대 세력에게 둘러쌓이게 되었다.

덴쇼 3년(1575년) 노부나가는 중신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명령하여 하리마에 진군하여 머물도록 하였다. 요시타카는 노부나가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재빨리 주군 마사모토에게 오다가문에 신종할것을 설득하고 주위의 여러 세력의 회유에 나섰다. 그런데 덴쇼 6년(1578년) 하리마의 대세력 미카(三木)성주 벳쇼 나가하루(別所長治)가 오다씨에게 반기을 들자 주위 여러세력도 크게 동요하였다. 거기에 노부나가의 중신으로 셋쯔국(攝津國)을 맡고 있었던 아라키 무라시게(荒木村重)가 노부나가에 대해 모반을 일으키고 아리오카성(有岡城)에서 농성을 하게 되었다. 그 시기 요시타카는 무라시게을 설득하기 위해 아리오카성에 들어갔으나 교섭은 실패하고 역으로 붙잡혀 아리오카성의 토굴에 갇히게 되었다.

1년후 아리오카성이 함락되고 요시타카의 가신 구리야마 도시야스(栗山利安)에 의해 구출되었으나 기나긴 토굴생활 때문에 다리 관절에 큰 지장을 가져와 평상시처럼 걸음을 걷는일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이후 전투의 지휘는 말위에서는 하지 못하고 가마에 올라서 하게 되었다. 그때 주군 고데라 마사모토도 무라시게의 모반에 동조하여 노부나가에게 반기를 들었기 때문에 노부나가의 장남 오다 노부타다(織田信忠)에 의해 토벌당했다. 그래서 모반인의 이름을 갖고 있는것은 별로 안좋다고 판단하여 본래의 쿠로다란 이름으로 고치게 되었다. 동시에 노부나가로부터 하리마 국내에 1만석의 영지를 하사받았다.

덴쇼 8년(1580년)에는 [히메지성은 하리마을 통치하기엔 최고의 땅입니다.]라고 자신의 거성을 히데요시에게 제공하고 자신은 시키토우군(飾東郡)의 국부산성으로 이동했다. 덴쇼 9년(1581년) 이나바(因幡) 돗토리성(鳥取城)을 병량공격으로 몰아넣어 함락시켰다. 그 시기 톳토리성은 완전봉쇄당해 성안은 처참하기 그지없는 기아지옥에 몰아넣었는데, 이 작전을 히데요시에게 헌책한것이 요시타카라는 말이 있다.

덴쇼 10년(1582년) 모리씨의 명장 시미즈 무네하루(淸水宗治)가 수비하던 빗츄(備中) 다카마쓰성(高松城) 공격에 있어서도 히데요시는 거대한 제방(堤防)을 쌓아 성에 수공(水攻)을 가했는데, 이 작전을 헌책한 사람도 요시타카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갑자기 사건이 터졌다.

다카마쓰성 공략와중에 교토에서 혼노지의 변이 일어나 노부나가는 비극의 죽음을 맞이한다. 노부나가의 죽음을 알아챈 요시타카는 히데요시에게 [주군에게 행운이 열릴 기회가 찾아왔군요.]라고 대담무쌍한 진언을 했다는 말이 전해진다. 그리고 모리 데루모토(毛利輝元)와의 화의을 맺고 쥬고쿠에서 철수한 것도 모두 요시타카의 진언에 의한 것이란 말이 전해진다.

[편집] 도요토미정권 아래에서

덴쇼 11년(1583년) 스즈카타케 전투와 덴쇼 12년(1584년) 고마키-나가쿠테(小牧-長久手) 전투에도 참가했다. 덴쇼 13년(1585년)에는 시코쿠(四國)정벌에 참가하여 적장 쵸소가베 모토치카(長宗我部元親)의 책략을 간파하고 오히려 역공을 가해 차례로 적성을 함락시켰다.

덴쇼 14년(1586년)에 종5위하 카게유차관(勘解油次官)에 서임(敍任)되었다. 덴쇼 15년(1587년) 히데요시의 규슈정벌에서는 모리씨, 우키타씨(宇喜多氏)등의 군대의 군목부(軍目付;군대감시역)을 맡아 전쟁의 승리에 공헌하였다. 그 때문에 전후 논공행상에서 부젠 나카츠에 12만 5천석의 영지을 하사받았다.

그리고 규슈에서 불온한 움직임을 보였던 국인세력인 키이 시게후사(城井鎭房), 노나카 시게자네(野中鎮兼)등이 잇키(一葵)을 일으키자 요시타카는 이들을 격파하고 다음해 4월에 키이씨을 모살하여 영내의 안정에 성공했다. 이에 앞서 요시타카는 다카야마 우콘(高山右近)과의 교분으로 인해 크리스트교에서 세례을 받았다.

그런데 덴쇼 15년(1587년) 7월에 히데요시에 의해 크리스트교 금교령이 발표되자, 다카야마 우콘은 이에 반항하다 추방되었지만 요시타카는 솔선하여 크리스트교를 폐교하였다. 히데요시의 측근인 요시타카의 폐교는 선교사와 크리스트교을 신앙으로 믿는 제후(諸侯)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는데, 루이스 프로이스가 책에 그 사실을 기록할 정도였다.

덴쇼 17년(1589년) 가문을 장남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에게 물려주고 은거하여 죠스이칸(如水軒)이란 호를 사용했다. 그러나 그후에도 히데요시의 측근으로써 일하며 덴쇼 18년(1590년) 오다와라(小田原)정벌에도 참가해 호죠씨(北條氏)의 거성 오다와라성에 들어가 호죠 우지마사(北條氏政), 호죠 우지나오(北條氏直)부자을 설득해 오다와라성을 무혈항복시키는 공적을 세웠다. 그때 호죠 우지나오에게서 日光一文字의 명도를 선물로 받았다.(이것은 국보가 되어 후쿠오카시 박물관에 소장중이다.)

분로쿠(文祿) 원년(1592년) 히데요시의 조선출병(임진왜란;일본에선 분로쿠 케이쵸의 역)에도 참가하였으나, 분로쿠 2년(1593년)에 5봉행중에 한명인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와 다툼이 일어난것이 히데요시의 노여움을 샀기 때문에 죠스이엔쿄(如水圓淸)이란 호을 쓰면서 출가-은퇴하였다. 그후에는 나카츠성에서 유유자적한 은거생활을 보내었다고 한다.

게이쵸 3년(1598) 8월 히데요시가 죽었다. 죠스이는 히데요시의 사후 12월에 상락해 후시미(伏見) 저택에 거주하였다고 한다. 즉 그 때 죠스이의 심정을 비춰진 사료로써 죠스이가 깃카와 히로이에(吉川廣家)에게 보낸 편지가 남아 있었다.

[かようの時は仕合わせになり申し候。はやく乱申すまじく候。そのお心得にて然るべき候] ]

이것은 죠스이가 가까운 시일내 반드시 천하의 패권을 둘러싼 대란이 일어날 것임을 예측했다는것을 나타낸것이기도 했다.

[편집] 세키가하라 전투

게이쵸 5년(1600) 5대로(大老)중 한명인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아이즈(會津)의 우에스기 카게카쓰(上杉景勝)을 토벌하기위해 동진하자 미쓰나리가 서군을 이끌고 거병하여 세키가하라 전투가 일어났다. 장남 나가마사는 이에야스의 양녀을 아내로 맞이했기 때문에 고토 모토쓰구(後藤基次;훗날 고토 마타베에란 이름으로 오사카 전투에서 사나다 유키무라와 함께 용맹을 떨쳤다.)등과 함께 구로다군의 주력을 이끌고 동군에 참가해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측에서 전투를 벌여 무공을 세웠다.

그에 상응하여 죠스이도 규슈에서 동군으로써 거병했다. 그런데 병력의 대부분은 나가마사가 이끌고 상경해 버렸기에 병력이 부족했다. 때문에 죠스이는 영내의 백성들에게 돈을 주고 병사로 고용하였다. 그 결과 1만명정도의 백성들로 이루어진 속성군단이 결성되게 되었다. 죠스이는 이 병력을 이끌고 9월 9일(10월 15일) 분고에 침공했다.

그런데 같은날 가문재흥을 목표로 서군에 참가한 오토모 요시무네(大友義統)도 모리 데루모토의 지원을 받아 분고에 침공하여 동군의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忠興)의 속령(屬領)이었던 杵築城을 포위공격했다. 수비장수 마쓰이 야스유키(松井康之)와 아리요시 타치유키(有吉立行)는 죠스이에게 원군을 요청했다.

죠스이는 원군요청에 응하여 9월 13일(10월 19일) 이시가키바루(石垣原)에 이르러 오토모 요시무네군과 충돌했다. 구로다 24기(騎)을 대표하는 모리 토모노부(母里友信;훗날 모리 타베에란 이름으로 후쿠시마 마사노리와 창을 두고 술먹기 내기를 벌인 호걸)등의 활약도 있어서 구로다군은 오토모군에게 승리했다.

그후도 죠스이는 서군에 속하던 구마가이 나오모리(熊谷直盛)의 安岐城, 垣見一直의 富來城, 오오타 이치요시(太田一吉)의 우스키성(臼杵城), 모리 타카마사(毛利高政)의 쯔노무레(角牟礼城)과 히구마(日隈城), 佐伯城, 모리 카쓰노부(毛利勝信)의 오구라성(小倉城), 모리 노부토모(毛利信友)의 香春岳城등을 차례로 함락시켰다. 그 때 죠스이의 행동은 규슈을 통일하고 그 병력을 이끌고 상락해 이에야스와 결전을 벌여 천하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는 야망을 갖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세키가하라 전후 나가마사는 이에야스로부터 공적 제 1위로써 치쿠젠 후쿠오카(福岡) 52만 3천석을 하사받았다. 그 때문에 죠스이도 나카츠성에서 후쿠오카성으로 이동해 그후로는 정치에는 관여하지 않고 은거생활을 보냈다. 케이쵸 9년 3월 20일(1604년 4월 19일) 교토 후시미 관저에서 서거했다. 향년 59세였다.

[편집] 인물평

  • 일반에게 전해지는 요시타카의 활약에 대해서는 군사의 활약을 멋지게 묘사했던 에도시대의 군기물(軍記物)등에서 과장되어진 부분도 많았다고 전해진다.
  • 다케나카 한베에(竹中半兵衛)와 함께 히데요시의 쌍벽이라 일컬어지며 [양쪽의 베에(兩兵衛)], [두명의 베에(二兵衛)]라 칭해졌다.
  • 요시타카는 매독에 걸려, 머리에 흉칙한 부스럼이 있었다고 한다.
  • 일반에게는 호시탐탐 천하을 노린 야심가로써 책에 설명된 부분이 많았으나, 주군을 배신한 적은 한번도 없었던 의외의 일면도 있었다. 고데라 마사모토의 경우에도 [배신이다]라고 하지않고 [배신당했다]라고 말해지는 경우가 많고, 세키가하라 전투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관계에서도 두사람의 입장은 같은 토요토미가문의 가신일뿐 주종관계가 아니었다. 소설가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는 [천재였지만 다만 전쟁매니아로써 야심은 2류]라고 평하였다.

[편집] 일화

  • 혼노지의 변에서 오다 노부나가가 죽었을때 요시타카는 히데요시에게 [주군의 운이 열릴 기회가 찾아왔군요]라고 발언했다. 이것을 계기로 히데요시는 요시타카의 지모을 두려워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히데요시가 요시타카을 중앙에서 멀리 떨어진 부젠 나카츠 12만석을 하사한것도 이것을 나타낸 것이다.
  • 히데요시가 요시타카을 두려워했다는 것을 나타낸 사료로써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고 한다.

[히데요시는 항상 세상에서 제일 두려워 한것은 도쿠가와와 쿠로다 밖에는 없다. 도쿠가와는 온화한 사람이다. 쿠로다는 瘡天窓は何にとも心を許し難きものなりと言はれしとぞ ] (명장언행록)

  • 요시타카가 나가마사에게 가문을 물려주고 은거한것은 44세때였는데, 왕성하게 활동할 연령에 은거을 하게된 이유는 히데요시에게 주살당할것 같은 두려움 때문이었다고 한다. 또한 그때쯤 이시다 미쓰나리등과 같은 젊은 인재들의 대두등도 또 하나의 이유라고 할 수 있다.
  • 히데요시는 어느날 [간베에가 그 재능을 제대로 발휘한다면, 내가 살아있는 동안에도 천하를 얻을 수 있을것이다.]라고 측근에게 이야기할 정도였다고 한다.
  • 만년에 가신에게 차갑게 대했다고 한다. 이것은 순사자(殉死者)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이기도 하고, 또한 자신의 장남 나가마사가 당주로써 가신단의 단결을 얻게 하기위한 배려였다고 전해진다.
  • 아라키 무라시게가 반란을 일으켰을때 노부나가는 요시타카가 귀환하지 않자 무라시게에게 넘어간것으로 판단하고 당시 인질로 맡겨졌던 나가마사을 살해할것을 명령했다. 그러나 타케나카 한베에는 기지를 발휘하여 나가마사을 구했다. 그 때문에 다케나카 시게하루(타케나카 한베에)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잊지않기 위해 쿠로다가문의 문장에 타케나카가문의 문장을 함께 사용하였다.(이 가문문장에는 검은떡(黑餠)을 가리킨다. 검은떡에는 석고의 증가을 염원하는 문장이라고 한다.) 찾아본 결과 가문의 문장이 2개가 있네요.
  • 세키가하라 전투후 돌아온 나가마사가 [이에야스님이 제손을 잡고 공로를 치하하셨습니다.]라고 자신만만해 할때 요시타카는 [그때 너의 왼손은 무엇을 하고 있었느냐! (남아 있는 손으로 이에야스를 살해했었으면....)]라고 말하였다고 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