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그리스어: Ιωάννης ο Χρυσόστομος, 349년경 – 407년) 또는 요한 크리소스톰은 초기 기독교의 교부이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였다. 그는 뛰어난 설교자로 초기 교회의 중요한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고 끊임없이 교리에 대해 설전을 펼쳤다. 동로마 황제 아르카디우스와 그의 아내 아일리아 유독시아에 의해 박해를 받고 유배를 당해 유배지에서 죽었다. 그의 죽음 이후 ‘황금의 입을 가진’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인 크리소스토무스라는 별칭이 붙었고, 이것이 그의 이름처럼 쓰인다.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 모두 그를 성인으로 추대하였고, 축일은 각각 9월 13일과 11월 13일이다.
목차 |
[편집] 행적
[편집] 초기 생애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는 349년 안티오키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로마 군단의 장교였고 그가 어려서 죽었기 때문에 주로 어머니 밑에서 양육되었다. 법학과 수사학을 공부하면서 신학도 함께 공부했으나 결국 기독교에 헌신하기로 하고 은둔 수사가 되어 성서를 공부하였다. 지나치게 공부를 많이 한 탓에 건강이 나빠지자 안티오키아로 돌아온 그는 381년 멜레티우스에 의해 부제로 임명되었고 곧이어 386년 사제가 되어 12년 동안 안티오키아 교회에서 설교자로 일했다.
387년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의 즉위 10주년을 맞아 안티오키아에 특별세가 부과되자, 시민들이 폭동을 일으켰는데 시민들은 테오도시우스와 그 가족의 석상을 부수고 공중목욕탕을 파괴하였다. 이 때의 폭동은 요한네스의 부추김을 받은 것이었는데, 안티오키아 당국의 과잉 진압으로 참혹한 학살극으로 끝나는 결과를 낳았다.
[편집]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
398년 요한네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로 추대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도 그는 특유의 명쾌한 설교와 강의로 그 곳 시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권력자와 부자들의 사치와 인색함을 신랄하게 비판[1]하였기 때문에 많은 물의를 일으켰고, 적도 많이 만들었다.
그 중 가장 강력한 적은 바로 동로마의 황제 아르카디우스의 황후인 아일리아 유독시아였다. 유독시아는 사치스럽고 방탕한 행실로 요한네스에게 공공연하게 비난을 받았고, 황후는 요한네스를 제거하려고 하였다. 또한 그는 청빈의 의무를 실천하지 않는 성직자들을 교회에서 추방하는 강직하고 까다로운 성격으로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인 테오필루스와도 불화를 일으켰다. 403년 테오필루스는 오크 종교회의에서 요한네스와 설전을 벌였다. 종교회의에서 여러 가지 죄목으로 크리소스토무스를 기소하였는데, 요한네스가 출두하지 않자 그를 단죄한 뒤 대주교직에서 해임시켜 버렸다. 이를 기회로 유독시아는 남편 아르카디우스를 부추겨 그를 비티니아로 유배시켰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민들은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가 유배되자 폭동을 일으켰고, 알렉산드리아 지지자들과 충돌했다. 그 날 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지진이 일어나고 유독시아가 유산을 하자 황제는 그를 다시 불러 들였다. 그러나 이후 유독시아의 은상(銀像)을 둘러싸고 다시 황후와 요한네스는 대립했고 결국 다음 해에 벌어진 종교회의에서 크리소스토무스는 다시 추방당했다.
그는 유배를 떠나기 직전 로마의 주교인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억울함을 호소했고 교황은 서로마 황제 호노리우스의 도움을 받아 이 사태에 개입을 시도했다. 호노리우스와 교황은 아르카디우스를 압박하여 크리스소토무스 주교를 돕고자 하였으나 아르카디우스는 응하지 않았다. 406년 서방 황제와 교황은 대표단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파견했으나 아르카디우스는 이들을 도시에 들어가지도 못하게 하고 감금한 후 이탈리아로 다시 돌려보냈다.
407년 가을,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는 소아시아 폰투스의 외딴 유배지에서 죽었다. 그의 죽음으로 로마의 서방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동방교회는 감정의 골이 깊어졌다. 그가 죽은 뒤 약 31년 후인 438년 요한네스는 공식적으로 명예 회복을 받았고 그의 유해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다. 당시 동로마 황제이자 유독시아의 아들인 테오도시우스 2세가 엄숙히 장례를 치루어주었다.
그러나 1204년 제4차 십자군 원정 당시 서유럽의 가톨릭 세력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침공하여 약탈을 벌일 때 그의 유해는 십자군에 의해 파헤쳐져 로마로 옮겨졌다. 800년 후인 2004년 11월 27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크리소스토무스의 유해는 다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다.
[편집] 주석
[편집] 바깥고리
- The Saint John Chrysostom Webpage
- The Divine Liturgy of St, John Chrystosom
- Symposium Commemorating the 1600th Anniversary of St. John's Repose
- 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 Jewish Encyclopedia: CHRYSOSTOMUS, JOANNES
- Writings of Chrysostom in the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edition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 On the Priesthood, Ascetic Treatises, Select Homilies and Letters, Homilies on the Statutes
- Homilies on the Gospel of St. Matthew '
- Homilies on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e Epistle to the Romans
- Homilies on First and Second Corinthians
- Homilies on the Epistles to the Galatians, Ephesians, Philippians, Colossians, Thessalonians, Timothy, Titus, and Philemon
- Homilies on the Gospel of St. John and the Epistle to the Hebrews
- Was St. John Chrysostom Anti-Semitic? Orthodoxinf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