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사람에 대해서는 늑대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위키백과:생물 분류 읽는 법
생물 분류 읽는 법
늑대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색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개과
속: 개속
종: 늑대
학명
Canis lupus
Linnaeus, 1758

늑대식육목 개과의 동물로 이리, 말승냥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어깨 높이 0.6 ~ 0.9 미터, 몸무게 25 ~ 65 킬로그램으로 개과 야생동물 중에 가장 크며, 수컷이 암컷에 비해 큰 편이다. 한때는 북아메리카유라시아 지역에 넓게 분포하였지만, 지금은 서식지 파괴와 목축업자들과의 갈등으로 인한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이전에 비해 매우 제한된 지역에서만 분포한다.

늑대는 의 조상으로 유전자가 서로 비슷하다. 개에 비해서 가 크고, 귀가 항상 빳빳하게 서 있다. 큰 발과 노란 눈, 긴 다리, 큰 이빨은 늑대를 다른 개과 동물들과 구분짓는 특징이다. 이리 즉, 서열이 있는 부계사회의 무리를 지어서 활동하며, 사슴 등의 초식동물 사냥도 무리를 지어서 한다.

목차

[편집] 분류

늑대는 개과 개속의 동물이다. 개속의 다른 동물인 붉은늑대(Canis rufus), 인도늑대(Canis indica), 히말라야늑대(Canis himalayaensis), 동캐나다늑대(Canis lycaon), 에티오피아늑대(Canis simensis)도 늑대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늑대의 아종을 분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늑대를 어떻게 아종으로 나눌 것인지는 학자들에 따라 의견이 다르다.

늑대의 기원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지만 플라이스토세동남아시아에서 처음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편집] 아종

늑대의 아종은 한때 50여 아종까지 나뉘었으나, 공통 의견은 없으나 대략 13~15 종류의 아종으로 묶을 수 있다.

  • 아랍늑대 Canis lupus arabs
  • 북극늑대 Canis lupus arctos
  • 카스피늑대 Canis lupus cubanensis
  • 딩고 Canis lupus dingo
  • Canis lupus familiaris
  • 이집트늑대 Canis lupus lupaster
  • 유라시아늑대 Canis lupus lupus
  • 그레이트플레인늑대 Canis lupus nubilus
  • 이탈리아늑대 Canis lupus italicus
  • 맥킨지계곡늑대 Canis lupus occidentalis
  • 멕스코늑대 Canis lupus baileyi
  • 러시아늑대 Canis lupus communis
  • 동남아시아늑대 Canis lupus pallipes
  • 툰드라늑대 Canis lupus albus

[편집] 논란중인 아종

  • 동부팀버늑대 Canis lupus lycaon - 동캐나다늑대(Canis lycaon)이 분리되었지만, 나머지 아종의 지위가 불확실하다.
  • 이베리아늑대 Canis lupus signatus - 유라시아늑대(C. l. lupus)의 일부일 수도 있다.

[편집] 독립종

  • 히말라야늑대 Canis himalayensis - 한때 늑대의 아종인 C. l. chanco로 분류했다
  • 인도늑대 Canis indica - 동남아시아늑대(C. l. pallipes)의 변종이라고 생각되었다.

[편집] 멸종한 아종

  • 홋카이도늑대 Canis lupus hattai
  • 일본늑대 Canis lupus hodophilax

한국늑대(Canis lupus coreanus 또는 Canis lupus chanco)는 대한민국에서 멸종위기 야생 동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하지만 1980년 경북 문경에서 발견된 이래로 발견된 적이 없어 멸종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1960년대 경북 영주에서 포획된 야생 늑대의 마지막 후손이 1996년 서울대공원에서 죽었다.

[편집] 바깥 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동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