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삭제 토론/2007년 5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삭제 토론 |
◀ 2007년 5월 ▶ |
새로운 삭제 토론 올리기 |
새로 고침 |
보존문서 |
목차 |
[편집] 김태일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김태일씨는 국회의원이 된 적이 없고 열린우리당 대구시당 위원장을 맡고 있는 영남대학교 교수입니다. 비중으로 봐서 삭제하는게 마땅하다고 봅니다. 편집된 적도 한번밖에 없습니다. 전에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으로 분류가 잘못 되어 있었습니다. --Sangil 2007년 4월 23일 (월) 12:22 (KST)
유지 정당 단체의 위원장,대학교 교수라는 것이 비중이 적다는것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편집된 적이 한번밖에 없는것이 삭제이유가 될 수는 없습니다. 참여자의 관심차이일뿐입니다. -- Allen 2007년 4월 23일 (월) 12:42 (KST)-- Allen 2007년 4월 23일 (월) 12:42 (KST)
삭제지구당위원장 레벨에서 문서를 만드는 필요도 없고 교수라도 해도 저작(학위논문, 자비출판,소속대학,출신대학의 논문집은 안됨)이 없는 사람의 문서는 필요 없음.----hyolee2♪/H.L.LEE 2007년 5월 3일 (목) 09:55 (KST)
유지 천어/토론 2007년 5월 3일 (금) 19:21 (KST)
유지 참여자의 관심차이라는 말에 동의합니다. --큰스님 2007년 5월 5일 (토) 00:27 (KST)
의견이 교수는 단독저작이 하나도 없는 상태입니다. 위키백과는 인명록이 아닙니다.----hyolee2♪/H.L.LEE 2007년 5월 6일 (일) 10:03 (KST)
의견 단독저작이 없으면 문서를 만들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라도 있나요? --퇴프 2007년 5월 6일 (일) 11:11 (KST)
의견대한민국에 교수(부교수,조교수 포함)만으로도 몇 명 계신다고 생각합니까? ----hyolee2♪/H.L.LEE 2007년 5월 6일 (일) 11:16 (KST)
의견 그러니까 어째서 교수 중 등록할 가치가 있는지를 따지는게 1건 이상의 단독저작인가 하는것입니다. 단독저작이 없는 교수가 있는 교수보다 더 중요한 경우가 꽤나 많을텐데요. 그말은 저작물만 있으면 등재하기 충분하다는 말처럼 들립니다. 명문화된 근거 없이 단독저작 1건 이상을 주장하신 겁니까? 규정을 만들던가, 아니면 그저 중요하지 않은 인물이라고 주장하면 충분한것 아닌가요. 마치 단독저작 1건이 절대적 기준인듯 말하셔서 물어본겁니다. --퇴프 2007년 5월 7일 (화) 18:30 (KST)
삭제 --정안영민 2007년 5월 6일 (일) 10:15 (KST)
삭제 --Hun99 2007년 5월 7일 (월) 14:32 (KST)
삭제 특별히 등록될 이유가 없다고 생각됩니다.--Kys951 2007년 5월 18일 (토) 16:39 (KST)
삭제 - 특별히 등록될 사유가 충분하다고 보기 힘듭니다.--WaffenSS 2007년 5월 27일 (일) 02:56 (KST)
삭제 - tiens 2007년 6월 1일 (금) 10:48 (KST)
삭제 --눈사람 2007년 6월 13일 (목) 22:12 (KST)
비중이 크지 않다는 의견이 많네요. 삭제합니다. --Klutzy 2007년 7월 8일 (일) 21:29 (KST)
위 토론은 보존된 것입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마십시오.
[편집] 정치적입장을 주장하기 위한 사용자 틀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백:오해에 위반하는 사용자 틀.백과사전은 개개인의 사상이나,신조를 주장,표명하는 것이 아닙니다.
- 사용자:Russ/틀/타이완독립
- 사용자:Russ/틀/체첸 공화국 독립
- 사용자:Russ/틀/러시아-벨라루스연방
- 사용자:Russ/틀/소련부활
- 사용자:Russ/틀/압하스합병
- 사용자:Russ/틀/압하스합류
- 사용자:Russ/틀/압하스독립
- 사용자:Russ/틀/남오세티야독립
- 사용자:Russ/틀/크림통합
- 사용자:Russ/틀/크림합류
- 사용자:Russ/틀/크림독립
- 사용자:Russ/틀/트란스니스트리아독립
- 사용자:Russ/틀/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 사용자:Russ/틀/서사하라독립
- 사용자:Russ/틀/서사하라합류
- 사용자:Russ/틀/타이완합류
- 사용자:Russ/틀/중화연방공화국
- 사용자:Russ/틀/신장독립
- 사용자:Russ/틀/신장중국
- 사용자:Russ/틀/한국통일
- 사용자:Russ/틀/류큐공화국
- 사용자:Russ/틀/류큐합류
- 사용자:Russ/틀/홋카이도독립
- 사용자:Russ/틀/일본홋카이도
- 사용자:Russ/틀/티베트독립
- 사용자:Russ/틀/티베트합류
--hyolee2♪/H.L.LEE 2007년 5월 3일 (목) 10:25 (KST)
그렇다면 말이지요... 이거 말고도 많은게 있어요 예를 들면 동북공정반대 라던가, 반일주의, 반미주의같을 것을 나태내는 거요... 이거 말고도 그것도 삭제하실 생각인가요? --Jang ju-seong 2007년 5월 20일 (일) 12:45 (KST)
유지 그 내용을 사용자 페이지에까지 적용하는건 무리라고 봅니다. -- 피첼 (다과방 + · 일대기) 2007년 6월 24일 (월) 17:13 (KST)
유지 사용자간 합의로 한 번 정책이나 지침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는 사항이기는 한데, 사용자 페이지 내에서 유저박스 형태로 단순히 정치적 입장의 일면을 드러내는 것은 충분히 허용될 수 있다고 봅니다. --Hun99 2007년 6월 27일 (목) 22:41 (KST)
의견 작성자는 무기한 차단되어 있습니다.----hyolee2♪/H.L.LEE 2007년 6월 28일 (목) 09:39 (KST)
삭제 백:아님·백:시각 위반으로 삭제에 한 표 던집니다. 모든 정책과 지침은 네임스페이스와 관계없이 적용해야한다에 한 표 던집니다. --Kjoonlee 2007년 6월 30일 (토) 02:53 (KST)
삭제 회부자인 Hyolee2님과 Kjoonlee님의 의견에 따름. --Sjhan81 2007년 8월 19일 (일) 15:03 (KST)
의견 특정 정치적 신조를 사용자 페이지에서 구체적으로 논설 등의 형태로 표명하는 것은 위키백과와 상치되는 면이 있습니다만, 유저박스로 단순히 신조와 사상의 일면만을 드러내는 것은 취향이나 취미 기호 등의 유저박스와 하등 다를 것이 없다고 봅니다. 사용자의 관심사와 상태를 표명하는 유저박스에서 - 정치적 동물로서의 인간적 본질을 조명해볼 때 - 정치적 신조를 다루는 유저박스라고 해서 배제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영문 위키에는 다양한 정치적 유저박스들이 있습니다. 한편, 자신의 정치적 신조를 미리 유저박스로 표명한 사용자는 관련 이슈에 관한 편집에 있어서 pov시비를 앞서 조심하게 되는 효과도 있습니다. 그리고 정치와 사상과 관련된 문서의 협업에도 조력하는 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사용자는 스트레스가 있습니다"의 유저박스 (이 유저박스도 유용하고 존재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보다는 정치적 신조의 일면만을 담은 유저박스가 위키백과의 협업과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Hun99 2007년 8월 29일 (수) 17:24 (KST)
유지 관련 문서의 편집에 정치적 신념이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해당 개인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유저박스라 여겨집니다. 중립적 시각은 문서 내용에 관련된 문제이지, 개인의 성향까지 반드시 중립적 시각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WaffenSS 2007년 8월 29일 (수) 17:33 (KST)
유지 WaffenSS 님의 의견에 찬성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다시 German userbox solution의 도입 문제도 다시 논의했으면 합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8월 31일 (금) 00:01 (KST)
의견 협업에 있어 서로의 의견이 무엇인지 미리 알아볼 수 있으며, 생산적인 토론이 가능할거라고 생각합니다. -- 피첼 (다과방 + · 일대기) 2007년 8월 31일 (금) 01:13 (KST)
해당 틀을 유지하겠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6일 (목) 14:31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틀:전후방송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의미가 모호하며, 복잡하게 사용될 수 있어 오히려 헷갈릴 수 있습니다. 내용에 방영시간대를 적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 프로그램의 전/후 시간대에는 무슨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지 안내
- 프로그램이 생기기 전이나 종영된 후에는 이 시간대에 무슨 프로그램이 방영되었는 지 안내
작성자분께서는 후자의 의미로 만드신 듯 합니다만, 보기에는 전자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두번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 편성이 바뀌는 경우가 많아서, 오히려 혼란을 줄 것으로 생각됩니다. 생기기 전이나 종영 후의 새 프로그램의 시간대가 이번 방송과 똑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요. 예를 들어, 성장드라마 반올림 같은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보다 더 복잡해질 수도 있습니다.
첫번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프로그램에 따라 너무 복잡해 질 수 있습니다. --퍼틴 2007년 5월 3일 (목) 13:00 (KST)
유지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후자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유지에 1표입니다만, 틀 자체에 보완이 필요할거 같군요. -- 포프리 2007년 6월 24일 (월) 17:17 (KST)
(철회)유지 포프리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전자의 의미로는 틀이 한 문서에 여러개 불러들여지는 등의 복잡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눈사람 2007년 6월 24일 (월) 23:09 (KST)
유지 삭제할 이유 없다고 보여집니다 BongGon 2007년 6월 24일 (월) 23:22 (KST)
삭제 일본과 달리 한국의 방송/드라마는 시즌에 대한 개념이 약합니다. 편성도 쉽게 바뀌고요. (드라마는 좀 덜하지만 다큐멘터리나 오락 프로의 경우...). 앞뒤 시즌에 방영하는 드라마가 같은 시간대라는 것 말고는 연결성도 약합니다. -- ChongDae 2007년 8월 12일 (일) 02:48 (KST)
삭제 이러한 틀은 일일이 방송중/후에도 갱신해줘야 합니다. 유지보수가 어려워 보입니다. 시간대가 바뀌는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악몽일것 같습니다. --크렌베리 2007년 8월 12일 (일) 22:38 (KST)
삭제 아직은...윗 분 말씀대로 유지보수가 좀 힘들지 않을까요...^^;; sirdnly 2007년 8월 20일 (월) 13:39 (KST)
의견 기존의 유지 결정을 철회했습니다. BongGon 2007년 8월 20일 (월) 18:34 (KST)
의견 굳이 문제가 생기는 프로그램이라면 억지로 틀을 사용할 것까진 없다고 생각됩니다. -- 피첼 (다과방 + · 일대기) 2007년 8월 21일 (화) 18:44 (KST)
삭제하겠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8월 29일 (수) 11:09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틀:컨센서스 찬성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틀:컨센서스 반대도 포함입니다.
이게 굳이 필요한가요?
게다가
간접투표, 대리투표, 기타 견해를 알고 있는 경우 대신 표시할 수 있습니다.
본인도 모르는새에 다른사람이 자기 의견을 말한다는건데, 악용/오용의 소지가 있습니다. --퇴프 2007년 5월 5일 (일) 15:28 (KST)
삭제 뭐든 본인이 직접하지 않는 이상 무효. --눈사람 2007년 5월 5일 (일) 18:03 (KST)
삭제 위키백과:총의도 받아들여지지 못했는데, 이런 틀이 필요한가요? 대리투표가 가능하다는 것도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 IRTC1015(論·與·情) 2007년 5월 5일 (일) 19:56 (KST)
삭제 만드신 이유가 이해가 되지 않네요. --Hun99 2007년 5월 5일 (일) 23:16 (KST)
- 뭐, 없어도 됩니다. 편의상 만든거라서요. 원래 컨센서스는 비정형적 절차라 뭐든 다 되거든요. 그냥 투표절차랑 구별되라고 하나 만든 거지, 꼭 필요한 건 아니에요. 편리하라고 만든 거죠. -- 멀뚱이 (토론 • 기여 • 카운터 • 로그 • e-Mail) 2007년 5월 7일 (월) 13:25 (KST)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7년 5월 7일 (화) 17:51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E-copyleft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그림:Ko 3div chart.png
- 그림:Hobn.png
- 그림:Te1.gif
- 그림:John316kr.jpg
- 그림:Tengwar-tinco.png
GFDL과 비호환이라서 삭제신청합니다. “위키백과용”으로 표시가 돼있으면 정작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상업적 사용 전 통보가 필요하다는 내용도 GFDL 위반인데, 그림 페이지와 라이센스 페이지의 내용이 서로 맞지 않습니다. --Kjoonlee 2007년 5월 13일 (월) 19:29 (KST)
- 참고: http://makemal.new21.net/wiki/moniwiki/wiki.php/ECopyleft --Kjoonlee 2007년 5월 13일 (월) 19:40 (KST)
- 참고로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상업적 이용을 제한하는 그림이나 위키백과용으로 용도가 제한된 그림은 즉시 삭제 대상입니다. en:Template:Db-noncom --Kjoonlee 2007년 5월 13일 (월) 22:56 (KST)
삭제 그림:Ko 3div chart.png는 영문판은 PD가 되어 있고 함부로 copyleft선언은 불가.너머지는 GFDL위반의 조건이 되어 있는데 삭제.----hyolee2♪/H.L.LEE 2007년 5월 14일 (월) 10:55 (KST)
- Galadrien 씨의 해명을 들어본 다음 처리하도록 하죠. 사실 예전에 Galadrien 씨가 직접 '알아서 해라'고 말했으니 그냥 삭제해도 됩니다만.. -_- Klutzy 2007년 5월 18일 (토) 16:46 (KST)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7년 5월 20일 (일) 00:59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정보공유라이선스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틀:정보공유라이선스 허용 및 이를 따르는 모든 그림.
- 틀:CopyrightedFreeUse 및 이를 따르는 모든 그림.
정보공유라이선스와 CopyrightedFreeUse는 미디어위키에서 규정하는 자유 저작물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엄밀히 말해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이러한 저작물을 허용해서는 안 됩니다. 공정사용이나 이에 관련된 정책이 나올 때 까지 이러한 항목을 삭제할 것을 요청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5월 18일 (금) 10:15 (KST)
의견 - 혹시 상용적인 사용이나 대한민국 밖에도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할수 있다면 삭제하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판단을
보류합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5월 18일 (토) 16:24 (KST)
의견 CopyrightedFreeUse는 공용에도 있는 틀이고(commons:Template:Copyrighted free use)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아예 No right reserved로 바뀌었습니다(위키백과:사랑방/2007년 4월#CopyrightedFreeUse). freedomdefined의 해당 문서를 자세히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두 라이선스 모두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자세한 설명을 해 주실 수 있나요? --Klutzy 2007년 5월 18일 (토) 16:44 (KST)
- 유지. http://freedomdefined.org/Licenses 여기 없더라도 http://freedomdefined.org/Definition 여기의 조건을 만족하면 괜찮은 것 아닌가요..?
- 사용의 자유 저작물을 사용하고 그에 따르는 편익을 즐길 자유
- 연구의 자유 저작물을 연구하고 거기서 얻는 지식을 활용할 자유
- 복제와 배포의 자유 저작물의 일부나 전체를, 그 안의 정보와 표현을, 복제하고 배포할 자유
- 수정과 개선의 자유 저작물을 수정·개선하고 2차저작물을 배포할 자유
- 이 조건만 만족한다면 괜찮을 듯 합니다. 또한 “원작자 표시”와 같은 제한은 괜찮다고 합니다. --Kjoonlee 2007년 5월 20일 (일) 00:14 (KST)
다시 자세히 읽어보았는데, 저의 영어 실력 부족으로 잘못 해석한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 의견은 토론을 철회하였으면 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5월 20일 (월) 17:57 (KST)
해당 틀과 그림을 유지하고 토론을 닫겠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9월 8일 (토) 00:05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신칸센 관련 문서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문서들은 제1판에서부터 기계 번역 의심이 있습니다. 한 번 모두 삭제를 요청합니다. 그리고
이 문서들은 도중에 기계 번역 의심이 있습니다. 특정판 삭제를 요청합니다. 토론:산요 신칸센도 참조해주세요.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5월 18일 (토) 16:36 (KST)2007년 6월 1일 (금) 10:50 (KST)에 "규슈 신칸센"을 추가함.
삭제 기계변역은 마땅히 삭제되어야 할것입니다.--Kys951 2007년 5월 18일 (토) 16:40 (KST)
삭제 현재 버전의 문서에 문제가 없을지라도, 역사에 남아있는 번역기 사용은 삭제되어야 합니다. - IRTC1015(論·與·情) 2007년 5월 18일 (토) 21:33 (KST)
삭제 -- tiens 2007년 6월 1일 (금) 10:46 (KST)
- 삭제 대상을 추가합니다. 규슈 신칸센입니다. 첫 편집 사용자는 67.71.248.226님입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6월 1일 (금) 10:50 (KST)
위의 9개는 삭제했습니다. 도카이도 신칸센과 신칸센은 어디부터 어디까지 삭제하면 될까요? --Puzzlet Chung 2007년 6월 9일 (일) 16:48 (KST)
- 고맙습니다. '도카이도 신칸센'는 2006년 11월 10일 (금) 02:50 버전 이후, '신칸센'은 2006년 11월 7일 (화) 05:30 버전 이후 각각 삭제를 부탁드리겠습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6월 9일 (일) 21:25 (KST)
처리했습니다. --Puzzlet Chung 2007년 7월 9일 (월) 15:02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편집] 다국어를 지원하는 북미 지역 엑스박스 360 게임 목록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최초 작성자에게 죄송하지만, 삭제 의뢰를 넣은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문서에 내용을 덧붙이려면 반드시 기기와 모든 엑스박스 360의 게임을 구입할수 있어야 하는 말도 안되는 재력이 필요합니다.
- 엑스박스 360의 게임이 언제까지 출시될지 알수 없으며, 일일이 하드웨어의 언어를 고치고 해보고 확인해야 됩니다.
- 내용자체가 거짓백과와 같은 곳에 어울리며, 어디까지나 original research일수 밖에 없습니다.
엑스박스 웹사이트에서도 언어지원에 관해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이 문서는 완성시킬 방법이 없습니다.
참조: 영어판 삭제토론 --눈사람 2007년 5월 26일 (토) 01:46 (KST)
삭제 Yeom0609 2007년 5월 29일 (화) 06:18 (KST)
유지 Hohonn 2007년 6월 7일 (금) 20:34 (KST)
삭제 iTurtle 2007년 6월 9일 (토) 13:58 (KST)
삭제 Saranghae honey 2007년 6월 24일 (월) 15:26 (KST)
삭제 게임, NTSC, 다국어, 엑스박스, 네가지의 부분집합을 굳이 알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분류:게임 분류:NTSC 분류:다국어지원 분류:엑스박스 네가지를 적당한 게임들에 달면 (장기적으로) 똑같은 결과를 낳을 것입니다. --Kjoonlee 2007년 6월 30일 (토) 02:51 (KST)
삭제했습니다. -- ChongDae 2007년 7월 3일 (화) 22:27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