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5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5호선(首都圈電鐵 5號線)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의 방화역과 서울특별시 강서구의 상일동역,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마천역을 잇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노선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보라색이다. 수도권 전철을 구성하는 노선 중 하나이다.
2005년 일평균 승차인원은 약 59만 8천명이며 하차인원은 약 58만 4천명이다.[1] 여의나루역은 해발고도 -27.55m에 있어,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역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52.3km
- 운영 기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우측 통행
- 역 수: 51
- 복선 구간: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전 구간(직류 1500V)
- 보안 장치: ATC/ATO
[편집] 철도 차량
수도권 전철 5호선은 8량이 1편성이며, 차량은 현대정공에서 제작하였다. 차량 불연재 개조는 흥일기업에서 했다.
경정비는 방화차량사업소와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진행하며, 중정비는 고덕차량사업소에서만 진행한다.
[편집] 역 목록
[편집] 본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510 | 방화 | Banghwa | 傍花 | 0.0 | 0.0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
511 | 개화산 | Gaehwasan | 開花山 | 0.9 | 0.9 | |||
512 | 김포공항 | Gimpo Int'l Airport | 金浦空港 | ━인천공항철도 | 1.2 | 2.1 | ||
513 | 송정 | Songjeong | 松亭 | 1.2 | 3.3 | |||
514 | (마곡) | (Magok) | (麻谷) | 1.1 | 4.4 | |||
515 | 발산 | Balsan | 鉢山 | 1.2 | 5.6 | |||
516 | 우장산 | Ujangsan | 雨裝山 | 1.1 | 6.7 | |||
517 | 화곡 | Hwagok | 禾谷 | 1.0 | 7.7 | |||
518 | 까치산 | Kkachisan | 까치山 | ● 신정지선 | 1.2 | 8.9 | ||
519 | 신정 | Sinjeong | 新亭 | 1.3 | 10.2 | 양천구 | ||
520 | 목동 | Mok-dong | 木洞 | 0.8 | 11.0 | |||
521 | 오목교 | Omokgyo | 梧木橋 | 0.9 | 11.9 | |||
522 | 양평 | Yangpyeong | 楊坪 | 1.1 | 13.0 | 영등포구 | ||
523 | 영등포구청 | Yeongdeungpo-gu Office | 永登浦區廳 | ●수도권 전철 2호선 | 0.8 | 13.8 | ||
524 | 영등포시장 | Yeongdeungpo Market | 永登浦市場 | 0.9 | 14.7 | |||
525 | 신길 | Singil | 新吉 | ●수도권 전철 1호선 | 1.1 | 15.8 | ||
526 | 여의도 | Yeouido | 汝矣島 | 1.0 | 16.8 | |||
527 | 여의나루 | Yeouinaru | 1.0 | 17.8 | ||||
528 | 마포 | Mapo | 麻浦 | 1.8 | 19.6 | 마포구 | ||
529 | 공덕 | Gongdeok | 孔德 | ●수도권 전철 6호선 | 0.8 | 20.4 | ||
530 | 애오개 | Aeogae | 1.1 | 21.5 | ||||
531 | 충정로 | Chungjeongno | 忠正路 | ●수도권 전철 2호선 | 0.9 | 22.4 | 서대문구 | |
532 | 서대문 | Seodaemun | 西大門 | 0.7 | 23.1 | 종로구 | ||
533 | 광화문 | Gwanghwamun | 光化門 | 1.1 | 24.2 | |||
534 | 종로3가 | Jongno 3(sam)-ga | 鍾路3街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 |
1.2 | 25.4 | ||
535 | 을지로4가 | Euljiro 4(sa)-ga | 乙支路4街 | ●수도권 전철 2호선 | 1.0 | 26.4 | 중구 | |
536 | 동대문운동장 | Dongdaemun Stadium | 東大門運動場 | ●수도권 전철 2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
0.9 | 27.3 | ||
537 | 청구 | Cheonggu | 靑丘 | ●수도권 전철 6호선 | 0.9 | 28.8 | ||
538 | 신금호 | Singeumho | 新金湖 | 0.9 | 29.1 | 성동구 | ||
539 | 행당 | Haengdang | 杏堂 | 0.8 | 29.9 | |||
540 | 왕십리 | Wangsimni | 往十里 | ●수도권 전철 2호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 |
0.9 | 30.8 | ||
541 | 마장 | Majang | 馬場 | 0.7 | 31.5 | |||
542 | 답십리 | Dapsimni | 踏十里 | 1.0 | 32.5 | |||
543 | 장한평 | Janghanpyeong | 長漢坪 | 1.2 | 33.7 | 동대문구 | ||
544 | 군자 | Gunja | 君子 | ●수도권 전철 7호선 | 1.5 | 35.2 | 광진구 | |
545 | 아차산 | Achasan | 峨嵯山 | 1.0 | 36.2 | |||
546 | 광나루 | Gwangnaru | 1.5 | 37.7 | ||||
547 | 천호 | Cheonho | 千戶 | ●수도권 전철 8호선 | 2.0 | 39.7 | 강동구 | |
548 | 강동 | Gangdong | 江東 | ●마천지선 | 0.8 | 40.5 | ||
549 | 길동 | Gil-dong | 吉洞 | 0.9 | 41.4 | |||
550 | 굽은다리 | Gubeundari | 0.8 | 42.2 | ||||
551 | 명일 | Myeongil | 明逸 | 0.7 | 42.9 | |||
552 | 고덕 | Godeok | 高德 | 1.2 | 44.1 | |||
553 | 상일동 | Sangil-dong | 上一洞 | 1.1 | 45.2 |
[편집] 마천지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548 | 강동 | Gangdong | 江東 | ●본선 | 0.8 | 40.5 | 서울특별시 | 강동구 |
P549 | 둔촌동 | Dunchon-dong | 遁村洞 | 1.2 | 41.7 | |||
P550 | 올림픽공원 | Olympic Park | 올림픽公園 | 1.4 | 43.1 | 송파구 | ||
P551 | 방이 | Bangi | 芳荑 | 0.9 | 44.0 | |||
P552 | 오금 | Ogeum | 梧琴 | ●수도권 전철 3호선 | 0.9 | 44.9 | ||
P553 | 개롱 | Gaerong | 開籠 | 0.9 | 45.8 | |||
P554 | 거여 | Geoyeo | 巨余 | 0.9 | 46.7 | |||
P555 | 마천 | Macheon | 馬川 | 0.9 | 47.6 |
[편집] 승차량 변동
강서 지역에서는 여전히 적은 수치지만 승차량 증가가 일어나고 있는 반면, 강동 지역에서는 승차량이 소폭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통행방향의 변동으로 인한 효과일 수 있으며, 버스 개편 또는 2006년 단행된 5호선의 배차시간 증가가 그 원인일 수도 있다. 승차량이 증가한 강서지역 인근에 있는 목동지역의 경우 조성된지 20년이 지난 2000년대 후반 밀도 증가가 다시 시작되었고[2], 또한 강서구의 인구는 서울에서 보기 드물게 2000~2005 센서스 사이의 기간동안 4만여명 증가하였는데[3], 이는 5호선의 거대한 교통 용량으로 인해 주변부 토지이용의 변화가 무리 없이 일어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가시성을 높히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구간 | 승차 인원[4]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호선 전체 | 557874 | 11158 | 590926 | 11819 | 594786 | 11896 | 607508 | 12150 |
강서(방화~오목교) | 160046 | 14550 | 168255 | 15296 | 172279 | 15662 | 183916 | 16720 |
영등포-마포(양평~애오개) | 91604 | 10178 | 93266 | 10363 | 92421 | 10269 | 93102 | 10345 |
도심(충정로~동대문운동장) | 64307 | 10718 | 68691 | 11449 | 68691 | 11449 | 69536 | 11589 |
성동-강동(청구~강동) | 141838 | 11820 | 154644 | 12887 | 155225 | 12935 | 156429 | 13036 |
길동~상일동 | 49009 | 9802 | 52353 | 10471 | 52130 | 10426 | 50844 | 10169 |
마천지선 | 51074 | 7296 | 53717 | 7674 | 54045 | 7721 | 53686 | 7669 |
구간 | 승차 인원[5] | |||||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호선 전체 | 602153 | 12043 | 598239 | 11965 | 590495 | 11810 |
강서(방화~오목교) | 183943 | 16722 | 186657 | 16969 | 187780 | 17071 |
영등포-마포(양평~애오개) | 90628 | 10070 | 89059 | 9895 | 88230 | 9803 |
도심(충정로~동대문운동장) | 71500 | 11917 | 72085 | 12014 | 70892 | 11815 |
성동-강동(청구~강동) | 154920 | 12910 | 152406 | 12701 | 148657 | 12388 |
길동~상일동 | 47998 | 9600 | 45428 | 9086 | 44073 | 8815 |
마천지선 | 53162 | 7595 | 52603 | 7515 | 50863 | 7266 |
[편집] 주
- ↑ 서울 도시철도공사 수송실적 및 수입
- ↑ 오목교역 페이지를 참고하라.
- ↑ 센서스로 조사된 인구변동에 관한 자세한 자료는 서울특별시#인구 및 그 원자료인 국가통계포털[1]페이지에서 확인하라.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노선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수인선 | 경춘선 | |||
차량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2030호대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철도 토막글 | 수도권 전철 5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