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기독교의 역사
예수

사도, 교부
대분열
종교 개혁

기독교 신학
삼위일체(성부, 성자, 성령)

죄, 구원, 믿음, 율법, 은총
교회, 성사(성례전)
종말론
천국
성서비평학
역사적 예수

경전
구약성서 (모세오경)

신약성서
사복음서
산상수훈
파울루스 서신
외경
위경

기독교의 분파
로마 가톨릭

동방정교회
성공회
개신교

기독교 운동
에큐메니컬 운동

근본주의
복음주의
자유주의 신학
신정통주의
해방신학

성령이 비둘기 모양으로 임재하는 모습을 그린 스테인드글래스, 성 베드로 대성당.
성령이 비둘기 모양으로 임재하는 모습을 그린 스테인드글래스, 성 베드로 대성당.

성령(聖靈, 라틴어: Spiritus Sanctus, 영어: Holy Spirit)은 기독교삼위일체에서 하느님을 이루는 세 가지 위격(페르소나) 중 제 3위를 가리키는 칭호로서, 성신(聖神)이라고도 한다. 구약성서에서는 히브리어 르아하(רוח הקודש), 신약 성서에서는 그리스어 프네우마(πνευμα)의 한역 성서로부터의 용어이다.

신약성서의 사도행전에 따르면, 성령은 사도들에게 임하여 교회가 시작되게 하였다. 그래서 교회력에서는 성령이 강림하여 교회가 시작된 날을 성령강림주일로 기념한다. 니케아 공의회에서 고백한 초대 교회의 신앙고백니케아 신경에서는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분으로써 같은 경배와 영광을 받으신다’고 고백한다. 단, 동방정교회에서는 ‘성령께서는 성부로부터 나오신다’로, 로마 가톨릭에서는 ‘성령께서는 성부와 성자로부터 나오신다’고 고백한다.

목차

[편집] 개략

성령은 삼위일체 세 위격의 하나로서, 삼위의 구분은 구원과 관련된 사역에서 주로 나타난다.

  • 성부: 구원을 계획하신다.
  • 성자: 구원에 필요한 일을 완수하신다. 성자의 육체적 현현(顯現)이 예수 그리스도이다.
  • 성령: 성자가 완수한 공효를 구원받을 사람에게 적용시키신다.

때론 성령을 어떤 힘 또는 에너지와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는 경향도 있는데, 이는 성령은 성부, 성자와 더불어 하나의 인격이라는 삼위일체론에 따른 것은 아니다.

[편집] 신학 유파별 세부 이론

[편집] 로마 가톨릭

성령이란 ‘이 세상의 모든 것은 하느님의 뜻대로 된다’라는 생각에서 필수 불가결이 된 개념이다. 특히 로마 가톨릭에서는 이 성령을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모든 것은 결국 하느님의 예정대로 되기 때문에 개인의 의지나 행동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강하다. 고로, 기독교권의 문학이나 미술로 대표되는 예술 활동에서는 종교 개혁 이전과 이후로 그리스도인이 인간성을 바라보고 파악하는 방법이 정반대로 나뉘어진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애매한 표현] 확실히, 프랑스 동부(리옹)에서 스위스 서부(제네바) 또는 잉글랜드 지역에서 종교 개혁이 인간관에 끼친 영향력이 강하지만, 그 외의 지역에서는 르네상스에서의 인문주의 활동이 기독교에게 준 영향력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집] 세대주의

기독교 신학 유파 중 세대주의를 따르는 자들은 그리스도가 탄생하기 이전에는 하느님이 직접 이스라엘 백성들과 대화를 나누었던 시대로 ‘성부의 시대’로, 그리스도가 탄생하여 승천할 때까지의 시대를 ‘성자의 시대’, 그리고 그리스도가 승천한 뒤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를 ‘성령의 시대라고 나눈다. 왜냐하면, 하느님이 직접 인간과 대화를 나누지도 않고, 그리스도도 이미 승천한 지 오래이므로, 다음은 성령만이 직접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편집] 개혁주의

개혁주의에서 강조하는 성령의 역할은 성자가 이룬 구속의 공효를 신자들에게 적용하는 것이다. 구속의 공효라고 할 때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 죄책의 면제: 죄에 대한 형벌로부터 면제된다. 이것은 성자께서 신자들을 대신해서 형벌을 받았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 죄의 권세로 부터의 해방: 죄성(罪性)이 신자를 지지누르는 것으로 부터 자유롭게 한다. 이것은 성자께서 신자들을 사탄의 권세에서 하나님의 나라로 옮기셨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위의 설명은 좁은 의미에 대한 것이다. '죄의 권세로 부터의 해방'을 넓은 의미에서 보자면 신자들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의 도리를 깨닫게 하고 그것을 실증하게 하는 내용이 들어간다. 이 때 개혁주의가 강조하는 성령이 신자에게 역사하시는 방식은, 꿈이나 소리나 시각 등 외부의 그 무엇 보다는 신자 자신의 인격적 활동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를 유기적 역사(organic operation)라고 한다. 이 때 신자 자신이 갖고 있는 수 많은 생각 중 무엇이 성령께서 이끄시는 방향과 일치하는 가는 오직 성경이 유일한 기준이 된다는 것이 또한 개혁주의의 중요한 내용이다.

[편집] 같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