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에멜무지로/초성 올려 쓰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성 올려 쓰기한국어 표기법 중 하나로, 현재 글자의 초성을 바로 앞 글자의 받침으로 올려 쓰는 것을 말한다.

[편집] 기본 규칙

  • 현대 한글 내부에서만 조합하고, 한글 맞춤법을 따라 쓴다. 옛한글 낱자까지 쓰지 않는다.
  • 한 낱말 안에서만 초성을 올려 쓴다. 띄어쓰기나 문장 부호로 갈라진 곳에 억지로 초성을 올려 쓰지 않는다.
  • 초성을 바로 앞 글자의 받침으로 옮기고, 겹받침으로 조합할 수 있을 경우 조합한다. 초성이 옮겨지고 난 빈 자리에는 을 붙여 준다.
  • 초성이 ㅇ, 이면 앞 글자로 올려 쓰지 않는다.
  • 초성이 , 이고 중성이 , , , , , , 인 경우 올려 쓰지 않는다. 올려 쓴 경우 ㄷ, ㅌ의 발음이 구개음화돼 , 으로 바뀌어 버리기 때문이다. ㄷ, ㅌ에 관련된 내용은 무조건 이 규칙을 따라야 한다.
  • 한자어에서 나는 사잇소리는 된소리로 적지 않고 글자 그대로 적는다. 예: 무조건 → 뭊옥언(O), 뭊옦언(X)
  • 굳이 원형을 밝혀 적어야 하는 경우 조사 초성을 앞 글자에 올려 쓰지 않아도 된다.

[편집] 예문

다음 예문들은 일반 한국어를 초성 올려 쓰기 방식으로 고친 것이다.

  • 위키백과는 모두가 함께 만들어 가며 누구나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다국어판 인터넷 백과사전이다. 배타적인 저작권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 → 윜입액관은 몯욱아 함께 만들어 감여 눅운아 자율옵게 쓸 수 있는 닥욱엎안 인턴엣 백괏앚언읻아. 뱉앚억인 젖악권을 갖익오 있지 않기 땜운에 사용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 한국어 위키백과는 위키백과의 한국어판으로 2002년 10월에 시작되었다. 현재 수록된 문서는 42,949개이다.
    • → 한국어 윜입액관은 윜입액과의 한국엎안을오 2002년 10월에 싲악되었다. 혅애 술옥된 문선은 42,949개이다.
  • 한국 또는 조선은 한민족의 나라를 어울러 이르는 말이다.
    • → 한국 똔은 좃언은 한민족의 날알을 어울러 일은은 말읻아.
  • 한글은 한국어의 고유 문자로서 1443년 조선 제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였다.
    • → 한글은 한국어의 고유 묹알옷어 1443년 좃언 제4대 임금 셎옹이 훈민정음일안은 일음을오 창제하였다.
  • 한반도 등지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한국말, 국어라고 부른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등지에서는 조선말, 조선어로,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로 불린다.
    • → 한반도 등지엣어 줄오 사용한은 언얼을 대한민국에선은 한국어, 한국말, 국얼악오 불은다. 좃언믽웆우의인민공확욱을 빌옷한 등지에선은 좃언말, 좃언얼오, 캊아흣읕안을 빌옷한 중앙앗이아의 골여인들 사이에선은 골여말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