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환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P164) 평택 | (P165) 성환 | (P166) 직산 | 천안 방면 |
서울역 방면 | (P164) 평택 | (P165) 성환 | (P167) 두정 | 천안 방면 |
용산 방면 | (P164) 평택 | (P165) 성환 | (P167) 두정 | 천안 방면 |
성환 | |
---|---|
역 정보 | |
노선 | 경부선(수도권 전철 1호선) |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성환리 449-128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혼합식 (4면 6선) |
전화번호 | 041-581-7788 |
GPS 좌표 | {{{GPS}}} |
성환역(成歡驛, Seonghwan)은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에 있는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한다. 부역명은 남서울대(南서울大)이다. 그 전에는 완행열차였던 비둘기호/통일호만 정차한 작은 역이었으나, 2005년 1월 20일부터 전철운행개시를 한 역이다. 현재는 일부 무궁화호와 급행전철, 그리고 일반전철이 정차를 한다.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 : 왼쪽
[편집] 주변 정보
[편집] 승차량 변동
천안, 평택같은 주변 도시들보다 인구가 훨씬 적음에도 전철 승객은 인구에 비해 더 많다. 이는 이 도시의 주변 지역 의존도가 높고 또한 이 도시가 의존하고 있는 주요 축선이 경부선 철도가 되었다는 점을 알려준다. 또한 근처에 있는 남서울대학교와 천안연암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역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3004 | 3430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서울 - 용산 - 노량진 - 영등포 - 구로 - 시흥 - 안양 - 군포 - 의왕 - 수원 - 병점 - 오산 - 송탄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직산 - 천안 - 소정리 - 전의 - 전동 - 서창 - 조치원 - 내판 - 부강 - 매포 - 신탄진 - 회덕 - 대전조차장 - 대전 - 세천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각계 - 영동 - 미륵(폐역) - 황간 - 추풍령 - 신암 - 직지사 - 김천 - 대신 - 아포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연화 - 신동 - 지천 - 대구 - 동대구 - 고모 - 가천 - 경산 - 삼성 - 남성현 - 청도 - 신거 - 상동 - 밀양 - 미전 - 삼량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진 - 부산
분류: 천안시 | 충청남도의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