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순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제국 순종
재 위
1907년 ~ 1910년
성 명 {{{성명}}}
별 명 {{{별명}}}
왕 비 {{{왕비}}}
황 후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왕 후 {{{왕후}}}
부 군 {{{부군}}}
부 왕 {{{부왕}}}
부 황 {{{부황}}}
모 비 {{{모비}}}
모 후 {{{모후}}}
앞선 왕 고종
앞선 황제 {{{이전 황제}}}
다음 왕 의민태자
(명목상)
다음 황제 {{{다음 황제}}}
조선의 제27대 국왕
대한제국 제2대 황제

순종(純宗, 고종 11년 2월 8일(1874년 3월 25일)~1926년 4월 24일)은 조선의 마지막(27대)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융희효황제(隆熙孝皇帝 : 재위 1907~1910년)이다. 는 척(拓), 는 군방(君邦), 는 정헌(正軒), 시호는 순종문온무영돈인성경황제(純宗文溫武寧敦仁誠敬皇帝). 고종명성황후의 아들이다.

[편집] 생애

1874년에 고종과 명성황후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1875년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가 1897년에 대한제국 수립되면서 황태자로 격상되었다. 1907년에 있었던 헤이그 밀사 사건 이후, 일본와 친일파의 모략으로 고종이 강제로 제위에서 물러나자 그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으며(고종 양위 사건 참조) 연호를 융희(隆熙)라 하였다.

이 무렵 일본러일 전쟁을 통해 한반도에서 다른 식민지 열강 세력을 몰아내고 대한제국의 이른바 후견국을 자처하면서 한일 합방의 발판을 공고히 하였다. 여기에 이토 히로부미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09년 안중근에 의해 이토 히로부미하얼빈에서 암살을 당하자, 순종은 1910년 일본으로부터 한일 병합 조약에 공식적으로 서명할 것을 강요당하였으나 조약에 끝까지 조약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당시 총리대신인 이완용이 대신 서명하였다. 황제가 서명을 안 했으므로 이 조약은 무효였다. 이와 더불어 이씨 황조의 치세는 끝을 맺게 되었다. 이후, 황제에서 으로 강등되어 창덕궁에 거처하였다. 3년여에 걸친 재위 기간 동안 순종은 이름만 황제였을 뿐, 그 어떤 일도 자기 뜻대로 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는 1926년, 세상을 떠났는데 그의 장례식에 6.10 만세 운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능은 유릉(裕陵)이다.

순종 재위 중에 나철 등이 대종교를 창시하였다.

[편집] 가계

[편집] 같이 보기

대한제국 고종의 자녀
  완친왕 | 순종 | 의친왕 | 의민태자 | 이문용 | 덕혜옹주  
전 임
고종
제2대 대한제국 황제
1907년 - 1910년
후 임
의민태자
조선대한제국역대 국왕
조선: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대한제국: 고종 | 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