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비시 F-1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쓰비시 F-1 지원기는 일본 항공자위대가 1978년에 채택한 단좌형 공격기이다. 이 전투기는 T-2 초음속 훈련기에 대지/대함 공격 능력을 부여하여 개발한 소형 경량급 전투기다. '지원기'는 일본식 명명법이며, 세계 표준으로는 공격기에 포함된다. 6개의 무장 장착용 하드포인트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산 대함미사일과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한다. 이 외에 고정무장으로 M-61A1 20mm 발칸포가 있다.
목차 |
[편집] 개발 배경
1970년대에 이르러 일본은 F-86 세이버 전투기가 노후화되자 이를 대체할 전투기를 찾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기존에 보유 중이던 F-104 스타파이터 전투기는 잦은 추락사고로 악명을 떨치던 중이어서 새로운 전투기 확보가 절실해졌다(그나마 일본의 F-104는 전 세계 동기종 보유 국가 중 가장 사고율이 낮았다). 한편으로는 F-4J를 확보하면서도 일본은 자체 전투기 개발을 결정하게 된다.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때까지만 하더라도 제로센 같은 걸작 항공기를 개발한 기술과 경험이 있으나 전후에 제트 전투기 개발 경험과 기술은 전혀 없는 상태였다. 이 때문에 일본은 초음속 훈련기를 먼저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국 소요에 맞는 공격기(일본식 명명으로는 '지원기) 개발을 결정한다(대한민국의 T-50 골든이글과 A-50 개발도 이러한 일본식 개발방법론과 동일하다).
[편집] 개발 역사
미쓰비시 T-2 훈련기를 개발한 미쓰비시 중공업이 T-2 훈련기를 기반으로 F-1개발 사업을 수행하였다. 1972년에 설계를 시작하고, 1975년 6월 시험비행을 실시한 후 1978년부터 일본 항공자위대에 실전배치하였다. 1978년에 18대가 생산되어 납품된 이래 총 77대가 생산/도입되었고, 1986년에 생산 종료되었다. 설계에서 생산 시작까지 기간이 대단히 짧은데 이는 기존 T-2 훈련기를 개량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시간 단축이 가능했다.
[편집] 주요 제원 및 성능
[편집] 외관
F-1 지원기는 외관이 유럽의 다국적공동개발 기체인 재규어 전투기와 흡사하며, 주날개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F-104 스타파이터 전투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주익은 고익으로 동체 상부와 거의 일직선을 이룬다.
[편집] 주요 제원
전장 | 58.6ft (17.9m) | 기폭 | 25.9ft(7.9m) | 높이 | 14.4ft(4.4m |
자중 | 14,017lbs | 최대이륙중량 | 30,203lbs | 최대무장적재량 | 약 4t |
엔진추력 | 7,305lbs×2(6,358kg) | 엔진 | Rolls-Royce Turbomeca Adour MK-801A 터보팬 엔진 | ||
최대속도 | 마하1.6 | 실용 상승고도 | 50,025ft | 전투 행동반경 | 218NM(350km) |
항속거리 | 1,400NM(2.593km) | 최대상승률 | 35,000fpm | 제작사 | 미쓰비시 중공업 |
- 엔진은 Rolls-Royce사에서 직접 납품한 것이 있고,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중공업에서 면허 생산한 것이 있다.
[편집] 무장
고정 무장 | M-61A1 20mm 발칸포 1문 (750발 탑재) |
공대공 | AIM-9 사이드와인더 적외선 유도 방식 공대공 미사일 최대 4발 |
범용 폭탄 | 500파운드급 폭탄 최대 12발 (약 2.7t) |
공대함 | ASM-1 공대함 미사일 또는 ASM-2 2발 |
무장장착대 | 동체 및 주익 하부에 총 5개 |
레이더 | J/AWG-12 공대공/공대지 레이더, 전방시현장비, Ferranti 6 TNJ-F1 관성항법 장비, J/ASQ-1 화력통제 장비 |
- ASM-1과 ASM-2는 미국제 AGM-84 하푼이나 프랑스제 엑조세 대함미사일에 버금가는 대함미사일이다.
[편집] 배치 현황
이 전투기를 채용한 국가는 일본 뿐이다. 일본은 평화헌법 관계로 자국산 무기를 해외에 수출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일본 자위대의 무기가 성능 대비 가격이 항상 세계 최고 기록을 경신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 일본은 미쓰비시 F-2 지원기를 실전 배치하면서, F-1 지원기는 거의 대부분 퇴역시켰다. 2004년 11월 현재 F-1 지원기는 18대 운용하고 있었으나, 2005년에 모두 퇴역시켰다. 그러나 F-2 지원기의 비용 대비 성능 문제로 인해 F-35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