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도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 내용은 현재 진행중이거나 아직 논란이 있는 내용이 포함돼 있으므로, 시간이 지나면 그 내용이 바뀔 수 있습니다.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영어: platform screen doors)는 전철역 등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자동문을 말한다. 약칭 PSD이다.

이것은 열차가 도착하여 출입문이 열리면 자동으로 문이 열리고 열차의 출입문이 닫히면 자동으로 문이 닫힌다.

스크린도어는 영국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대한민국에는 2004년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처음 도입되었고, 신설되는 철도 노선에서는 아무쪼록 역 공사와 동시에 설치하는 추세이다.

스크린도어는 자살 방지, 무인운전 가능 등의 장점이 있으나, 설치비가 많이 드는 등의 단점이 있다.

목차

[편집] 스크린도어의 종류

[편집] 밀폐형

밀폐형 스크린도어는 지하 역사에 설치되며, 선로 공간과 승강장 공간을 완전 분리한다. 따라서, 열차풍 차단과 분진 제거, 또한 지하역사 내의 온도 조절에 효과가 크다.

[편집] 반밀폐형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는, 밀폐형 스크린도어와 기본적인 것은 같으나 승강장 공간이 완전 분리되어 있지 않고 윗 부분이 뚫려 있는 형태이다. 보통, 승강장 윗 부분을 막을 수 없는 지상 역사에 설치되나, 지하역사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편집] 난간형

난간형 스크린도어는 키 높이보다 낮은 크기의 작은 문이 달려 있는 형태로 높이는 밀폐형 스크린도어의 절반 정도이다. 밀폐형 스크린도어에 비해 설치비가 싸다는 장점이 있으나, 열차풍 차단 등의 효과는 없다. 과거에 서울도시철도공사 산하 5호선과 한국철도공사 산하 1호선이 환승하는 신길역에서 시범 운영 하였으나 반밀폐형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사라졌다.

[편집]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노선과 역

[편집] 대한민국

[편집] 수도권 전철

[편집] 부산 지하철

부산 지하철 3호선2005년 11월 28일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를 완비하여 개통하였다.

[편집] 대구 지하철

[편집] 광주 지하철

광주 지하철2004년 4월 28일 개통과 동시에 2개 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대한민국 최초의 스크린도어가 되었다.

[편집] 대전 지하철

대전 도시철도 1호선2006년 3월 16일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를 완비하여 개통하였다.

[편집] 일본

[편집] 규슈 여객철도

[편집] 다마 도시 모노레일

[편집] 도쿄 급행 전철

  • 도쿄 급행 전철 메구로 선 (반밀폐형)

[편집] 도쿄 도 교통국

[편집] 도쿄 모노레일

[편집] 도쿄 지하철

[편집] 사이타마 고속철도

  •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반밀폐형, 아카바네 이와부치 역에는 밀폐형)

[편집] 수도권 신도시 철도

[편집]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

[편집] 유리카모메

[편집] 같이 보기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Platform screen do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