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은 대한민국의 통화이다. 현재의 원화는 1962년 '환화'에서 변경한 이후 계속 사용되고 있다. 1원은 100전에 해당한다. 圓(원)은 1953년 화폐 개혁 이전에 사용하던 표기로서, 지금은 한글로만 표기한다. 경상북도에 있는 한국조폐공사 화폐본부에 있는 은행권 전용 제조동에서 발행한다.
한국어 및 원어 | 대한민국 원 |
기호 | ₩ |
영어 | South Korean Won |
ISO 4217 코드 | KRW |
발행처 | 한국은행 |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
목차 |
[편집] 주화
[편집] 1982년부터 현재까지의 주화
1982년부터 현재까지의 주화 [1] | |||||||||||
---|---|---|---|---|---|---|---|---|---|---|---|
사진 | 가치 | 규격 | 도안 | 발행 | |||||||
앞면 모습 | 뒷면 모습 | 지름 | 무게 | 재질 | 앞면 도안 | 뒷면 도안 | 제작년도 | 최초 발행일 |
발행 중단 | ||
![]() |
![]() |
₩1 | 17.2 mm | 0.729 g | 100% 알루미늄 | 무궁화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83년 | 1983년 1월 15일 | ||
![]() |
![]() |
₩5 | 20.4 mm | 2.95 g | 황동 65% 구리 35% 아연 |
거북선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83년 | 1983년 1월 15일 | ||
![]() |
![]() |
₩10 | 22.86 mm | 4.06 g | 다보탑 | ||||||
![]() |
![]() |
₩10 | 18 mm | 1.22 g | 구리 도금 알루미늄 48% 구리 52% 알루미늄 |
다보탑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2006년 | 2006년 12월 18일 | ||
![]() |
![]() |
₩50 | 21.6 mm | 4.16 g | 70% 구리 18% 아연 12% 니켈 |
벼이삭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83년 | 1983년 1월 15일 | ||
![]() |
![]() |
₩100 | 24 mm | 5.42 g | 백동 75% 구리 25% 니켈 |
이순신 | |||||
![]() |
![]() |
₩500 | 26.5 mm | 7.7 g | 두루미 | 1982년 | 1982년 6월 12일 | ||||
₩500 | 26.5 mm (가운데구멍-5.5mm) |
6.7 g | 스테인리스스틸 | 두루미 사슴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2007년 | 2007년 1월 22일 |
현재 1원과 5원짜리 동전은 시중에 잘 유통되지 않아 보기가 힘들다.
1원, 5원, 10원짜리는 1966년 8월 16일부터 발행되였다. 1968년 8월 26일 1원 주화의 재료가가 액면가를 넘자 소재를 구리와 아연에서 알루미늄으로 변경했으며, 5원짜리와 10원짜리는 1970년 소재 배합 비율이 변경되었다. 500원짜리를 제외한 모든 현행 주화는 1983년에 도안이 변경되었다.
[편집] 1966년-1972년까지의 주화
1966년부터 1972년까지의 주화[2] | ||||||||||||
---|---|---|---|---|---|---|---|---|---|---|---|---|
사진 | 가치 | 규격 | 도안 | 발행 | ||||||||
앞면 모습 | 뒷면 모습 | 지름 | 무게 | 재질 | 앞면 도안 | 뒷면 도안 | 도안 년도 |
최초 발행일 |
발행 중단 | |||
![]() |
![]() |
₩1 | 17.2 mm | 1.7 g | 황동 60% 구리 40% 아연 |
무궁화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66년 | 1966년 8월 16일 | 1980년 12월 1일 | ||
![]() |
![]() |
₩1 | 17.2 mm | 0.729 g | 100% 알루미늄 | 무궁화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68년 | 1968년 8월 26일 | |||
![]() |
![]() |
₩5 | 20.4 mm | 3.9 g | 황동 88% 구리 12% 아연 |
거북선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66년 | 1966년 8월 16일 | |||
![]() |
![]() |
₩5 | 20.4 mm | 2.95 g | 황동 65% 구리 35% 아연 |
거북선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70년 | 1970년 7월 16일 | |||
![]() |
![]() |
₩10 | 22.86 mm | 4.22 g | 황동 88% 구리 12% 아연 |
다보탑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66년 | 1966년 8월 16일 | |||
![]() |
![]() |
₩10 | 22.86 mm | 4.06 g | 황동 65% 구리 35% 아연 |
다보탑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70년 | 1970년 7월 16일 | |||
![]() |
![]() |
₩50 | 21.6 mm | 4.16 g | 70% 구리 18% 아연 12% 니켈 |
벼이삭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72년 | 1972년 12월 1일 | |||
![]() |
![]() |
₩100 | 24 mm | 5.42 g | 커프로니켈 75% 구리 25% 니켈 |
이순신 | 가치 (숫자), 은행 이름, 만들어진 해 | 1970년 | 1970년 11월 30일 |
위 사진들 중 10원, 50원, 100원 짜리 동전은 지금도 볼 수 있으며, 위 100원 짜리 동전은 흔히 사용된다.
[편집] 은행권
[편집] 2006, 2007년에 변경된 화폐 도안
한국은행은 2006년 위조의 위험을 줄인 새로운 오천원권 지폐를 새로 출시했고, 2007년 1월 22일에는 천원권과 만원권 지폐도 출시했다. 새 화페에는 위조방지기능(홀로그램, 색변환잉크, 용판잠상, 숨은은선, 앞뒤판 맞춤, 미세문자, 숨은그림, 돌출은화, 숨은막대, 볼록인쇄, 형광색사, 엔드리스 무늬, 무지개색 인쇄)이 많이 추가되었다.
2007년에 새로 나온 천원권의 뒷면에는 정선의 계상정거도가, 만원권의 뒷면에는 일월오봉도가 들어가 있다.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의 인물 초상은 각각 이유태, 이종상, 김기창 화백이 그렸다.
2006년- 2007년 변경된 새 화폐 [3] | ||||||||||
---|---|---|---|---|---|---|---|---|---|---|
구분 | 사진 | 가치 | 크기 | 색상 | 도안 | 최초 발행일 | ||||
앞면 | 뒷면 | 앞면 | 뒷면 | |||||||
천원권 | ![]() |
![]() |
₩1,000 | 136 × 68 mm | 파란색 | 이황, 성균관, 매실 | 계상정거도 | 2007년 1월 22일 | ||
오천원권 | ![]() |
![]() |
₩5,000 | 142 × 68 mm | 빨간색과 노란색 | 이이, 오죽헌(강릉시 소재) |
초충도 | 2006년 1월 2일 | ||
만원권 | ![]() |
![]() |
₩10,000 | 148 × 68 mm | 연두색 | 세종대왕 | 혼천시계 천상열차분야지도 |
2007년 1월 22일 |
[편집] 1983년-2002년에 도안된 지폐
1983년-2002년에 만들어진 지폐 [4] | |||||||||
---|---|---|---|---|---|---|---|---|---|
구분 | 사진 | 가치 | 크기 | 색상 | 도안 | 최초발행일 | 변경사항 | ||
앞면 | 뒷면 | 앞면 | 뒷면 | ||||||
천원권 | ![]() |
![]() |
₩1,000 | 151 × 76 mm | 자주색 | 이황 | 도산서원 | 1983년 6월 11일 |
|
오천원권 | ![]() |
![]() |
₩5,000 | 156 × 76 mm | 주황색 | 이이 | 오죽헌 (강릉시 소재) |
1983년 6월 11일 |
|
![]() |
![]() |
2002년 6월 12일 |
색변환 잉크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인쇄, 숨은 은선, 저작권 표시 |
||||||
만원권 | ![]() |
![]() |
₩10,000 | 161 × 76 mm | 연두색 | 세종대왕, 자격루 |
경회루 | 1983년 10월 8일 |
|
![]() |
![]() |
1994년 1월 20일 |
숨은 은선, 자격루 밑에 미세문자 인쇄. 워터마크에서 모아레 제거, 요판잠상 |
||||||
![]() |
![]() |
2000년 6월 19일 |
색변환 잉크와 맹인을 위한 점자 인쇄, 저작권 표시, 모아레 제거, 기계 인식을 돕기 위한 성좌 그림 |
[편집] 대한민국의 역대 통화조치
- 1950년 8월 28일: 조선은행권 원 → 한국은행권 원. 교환비율 1:1
- 1953년 2월 17일: 원 → 환. 교환비율 100:1
- 1962년 6월 10일: 환 → 원. 교환비율 10:1, 기존의 환화는 1975년 3월 22일 유통 정지.
[편집] 환율
2007년 8월 3일 기준
- 1 유로 (EUR) = ₩1263.14
- 1 영국 파운드 (GBP) = ₩1876.76
- 1 미국 달러 (USD) = ₩921.90
- 100 일본 엔 (JPY) = ₩773.60
- 1 중국 위안 (CNY) = ₩121.83
[편집] 발행계획
2007년 5월 2일 한국은행은 2009년 상반기 경에 5만원 권과 10만원 권을 발행하기로 공식 발표하였다.
[편집] 주석
- ↑ Korean Currency in Use (English). 한국은행. 2007년 5월 25일에 접속 확인.
부산본부 (2006-12-12). 새 10원 동전, 12. 18(월)부터 발행 (Korean) (hwp). 한국은행. 2006년 12월 12일에 접속 확인. - ↑ 화폐연대표 1962년~1970년 (Korean). 한국은행. 2007년 5월 25일에 접속 확인.
화폐연대표 1970년~1982년 (Korean). 한국은행. 2007년 5월 25일에 접속 확인. - ↑ 화폐연대표 2006년 이후 (Korean). 한국은행. 2007년 5월 25일에 접속 확인.
- ↑ 화폐연대표 1982년~2005년 (Korean). 한국은행. 2007년 5월 25일에 접속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