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준보호 신규 사용자나 비등록 사용자가 이 문서를 고치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서울대학교
{{{그림}}}
표어 진리는 나의 빛
(라틴어: Veritas lux mea)
설립 1946년
종류 국립
총장 이장무
학장 {{{학장}}}
국가 대한민국
위치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종로구
캠퍼스 {{{캠퍼스}}}
학생 수 학부: 14,047 (2007)
대학원: 9,194 (2007)
학생 수 {{{학생수}}}
교수진 1,807 (2007)
상징
기타 설명 {{{기타}}}
웹사이트 http://www.snu.ac.kr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는 여러 개의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한민국 최초, 최대의 국립 종합대학이다.[1][2][3]

목차

발자취

서울대학교 정문. 국립 서울대학교의 'ㄱ', 'ㅅ', 'ㄷ'을 따서 만들어졌다.
서울대학교 정문. 국립 서울대학교의 'ㄱ', 'ㅅ', 'ㄷ'을 따서 만들어졌다.
현 서울대 총장 이장무
현 서울대 총장 이장무

1946년 7월 13일 미군정청 문화교육부는 '국립서울종합대학안'(국대안 파동 참조)을 공식발표했다. 서울대학교에 의하면, 조선교육심의회에서 현대적 국립대학을 건립하는데에 경성대학을 중심으로 여러 관ㆍ공립 및 사립의 전문학교를 통합하자는 구상이 있었다고 한다.[4] 1946년 8월 22일에 「국립서울대학교 설립에 관한 법령」(미군정 법령102호)이 공포됨으로써 서울대학교는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이 법령의 내용은 경성대학을 중심으로 여러 관·공·사립 전문학교들을 통합하여 종합 대학을 설립하는 것이었다. 초대 총장으로 엔스테드(Harry B. Ansted)해군대위가 취임하였다.[5] 이 과정에서 기존 대학에 있던 교수,직원,학생들이 반대운동을 했으며 이를 국대안 파동이라 부른다.

1975년이전까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문리과대학, 법과대학), 연건동(의학부), 을지로(상과대학), (현) 노원구 공릉동(공과대학), 경기도 수원시(농과대학) 등 곳곳에 나뉘어 있던 단과대학들을, 농과대학(현재 농업생명과학대학, 수의과대학)과 의과대학 본과를 제외하고, 1975년에 현재의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다.[6] 2003년에는 농업생명과학대학과 수의과대학도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다.[7]

위치

서울대학교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있는 관악캠퍼스와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에 있는 연건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대학 본부가 있는 관악캠퍼스는 1975년 서울대학교 종합화 계획에 따라 조성되었다. 현재 약 200개의 건물이 있으며, 이 중 절반은 1990년 이후에 지어진 건물이다.[8] 옛 경성제대 의학부 자리에 터를 잡은 연건캠퍼스에는 의대, 치의대, 간호대가 있으며, 서울대병원 본원도 이곳에 위치해있다.

과거에 농업생명과학대학, 수의과대학이 있던 수원캠퍼스는 이들 단과대학이 2003년 관악캠퍼스로 이전함에 따라 매각이 추진 중이지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9]. 서울대는 또한 전라남도 구례군광양시 등지에 200㎢에 가까운 연습림을 소유하고 있다[10]. 현재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한국과학기술원과 함께 국제과학복합연구단지를[11], 경기도 수원시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을[12], 강원도 평창군에 그린바이오 첨단연구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13].

대학 및 개설 학과

서울대학교 병원이 함께 있는 연건 캠퍼스
서울대학교 병원이 함께 있는 연건 캠퍼스

학부과정

현재 16개의 단과대학이 있다.[14]

  
  
  
  
  
  
  
  • 작곡과
  • 기악과
  
  
  
  • 약학과
  • 제약학과

일반대학원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은 석사과정은 5계열, 71학과(부), 27협동과정이 있으며, 박사과정에는 전문대학원과정도 포함되어 있다.

전문대학원

6개의 전문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 보건학과
  • 환경보건학과
  
  • 환경계획학과
  • 환경조경학과

부속 시설

도서관

중앙도서관 통로의 야경
중앙도서관 통로의 야경

1946년 개교하면서 경성대학의 건물과 서적을 이어받아 개관하였다. 1949년 도서관 명칭을 '국립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에서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변경하였다. 1975년 1월 본관을 관악캠퍼스로 옮기면서 도서관 명칭을 '서울대학교도서관'으로 변경하였고, 1992년 다시 '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으로 변경하였다.[16]

개교 당시 각 단과대학별로 존재하던 분관이 1966년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 분관규정을 만들어 시행함에 따라 공학, 교육, 문리, 미술, 법률, 상경, 약학, 음악, 의학, 치의학, 행정, 농학도서관으로 구성된 12개 분관으로 체계화되었다. 그리고 2년 후인 1968년에는 신문도서관, 교양도서관이 추가로 설치되어 총 14개 분관이 되었다. 그러나 1975년 본관을 관악캠퍼스로 옮기면서 교육, 문리, 법률, 상경, 행정, 신문, 교양, 약학도서관이 본관에 통합되었다. 이듬해 미술, 음악도서관도 본관에 통합되었고, 치의학도서관은 의학도서관과 통합하여 의학도서관이 되었다. 1979년 공학도서관도 본관에 통합됨으로써 농학, 의학도서관만 분관으로 남았다. 1983년 동문의 재원을 바탕으로 법학도서관이 설치되었고, 1992년 규장각이 서울대학교 부속 독립 기관으로 도서관에서 분리되었다. 1991년 단암 이필석의 기금과 설비 기증으로 설립된 비법정도서관인 단암도서관이 1993년 경영도서관으로 법정화되어 분관이 되었고, 1995년 사회과학과 치의학도서관, 2006년 국제학도서관이 본관에서 분리되었다. 수원캠퍼스에 있던 농업생명과학대학이 관악캠퍼스로 이전함에 따라 2005년 농학도서관도 수원캠퍼스에서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006년 현재 분관으로 사회과학도서관, 경영학도서관, 농학도서관, 법학도서관, 의학도서관, 치의학도서관, 국제학도서관 이렇게 7개가 있다.

현 관장은 박명진 사회과학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2006년 취임했다. 중앙도서관은 관악캠퍼스 62동으로 대학본부 뒤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1층 열람실을 흔히 '수족관'이라 부른다. 2005년 12월 31일 현재, 분관을 포함한 총 장서량은 약 260만 권이다.

또한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은 전자도서관을 구축하여 소장 자료 외에 학내간행물, 고문헌, 학위논문 등 책자자료와 교수 강의자료 슬라이드, 곤충, 등의 천만면의 이미지자료와 학내에서 개최되는 학술행사, 심포지움, 세미나등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박물관

서울대학교 박물관은 관악캠퍼스에 있는 부속박물관이며, 1946년 대학의 설립과 함께 '서울대학교부속박물관'이란 이름으로 개관하였다. 이는 1941년 세워진 경성제국대학 진열관의 동숭동 건물과 유물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다. 1975년 중앙도서관 6층으로 옮겨졌으며 이름도 '서울대학교 박물관'으로 변경되었다. 1993년 동원관 옆에 있는 현재의 신축건물로 이전되었다.[17] 현 박물관장은 박낙규이다.

미술관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대학교 미술관

1995년 동양화과 이종상 교수의 건립 건의안을 냈으며, 삼성문화재단의 기증으로 만들어졌다. 설계는 네덜란드의 건축가 렘 콜하스가 맡았으며, 지상 3층, 지하 3층, 연면적 1357평의 규모로 삼성물산에서 시공을 맡았다. 건물의 절반이 지면에서 떨어져 떠있는 것이 특징이다. 2003년 관악 캠퍼스 정문 옆에 착공해서, 2005년 완성, 2006년 6월 8일 개관하였다. 현재 2006년 취임한 정형민 교수가 미술관장을 맡고 있다.

관악사(기숙사)

서울대학교 관악사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및 가족들이 거주하는 기숙사이다. 1975년 8월 서울대학교 설치령 제 14조에 의거하여 관악사 5개동과 후생동 1개동 개사하였으며 당시 수용인원은 남학생 970명이었다. 여학생 거주동은 1983년 2월에 개사되었고 관리동은 1989년 9월에 개사했다. 1996년 8월 대학원 가족생활동이 200세대의 수용규모로 개사하였다. 2007년 6월을 기준으로 관리동 1동, 후생동 2동, 학부동 12동, 대학원동 6동이 있고 1인실, 2인실, 6인실으로 구분되며 총 3,666명의 수용 규모를 갖추고 있다.[18] 현재 사감은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이건수 교수이다.[19] 다른 학교들과 달리 특별히 제한된 출입시간은 없는 것이 특징이다.[20]

교내 언론

관악캠퍼스 75동에 자리잡은 대학신문사
관악캠퍼스 75동에 자리잡은 대학신문사

주간지로 ‘대학신문’이 있다. 1952년 2월 4일 한국전쟁 피난 중에 창간되었다. 1953년 서울 동숭동으로 이전하였고, 1958년부터는 고교판을 발행한 적도 있다. 1960년 재정난으로 한때 발간이 중지되기도 하였다. 1975년 관악캠퍼스로 옮겼으며 오늘날까지 발행해오고 있다. 창간 당시에는 유료(500원)였고 한때 주 2회 찍어내던 적도 있으나, 현재는 매주 월요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방학이나 시험기간에는 발행하지 않는다.

월간지 ‘서울대저널’은 1995년 총학생회에서 ‘우리세대’란 이름으로 창간했다. 1997년 총학생회에서 벗어났으며, 2001년 ‘서울대저널’로 이름을 바꾸었다.[21] ‘교지 관악’은 1990년 창간되었으며, 계간지의 형태로 발행되고 있다. 본래 총학생회 산하에 있었으나, 2006년 총학생회회칙에서 해당조항이 삭제되었다. 여성주의 자치언론 ‘쥬이쌍스’는 2002년 시작하여 꾸준하게 발행되오고 있으며, 2001년 문을 연 인터넷 뉴스 ‘스누나우’는 2007년 종간하였다.[22]

명성

  • 대한민국 정부가 시행한 대학입학 자격시험의 수석들이 주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다. [23] (서울대학교 유명 졸업생 참조)
  • 영국의 The Times Higher Education Supplement 2006년 보고서에서는 서울대학교를 세계 63 위로 기록했다.
  • 상해 교통 대학에서 발행하는 "ARWU" 2007년 보고에서는 서울대를 세계 500대 대학중 151-202위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19-24위로 기록했다.[24]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은 동문이나 오랫동안 봉직한 교수 중에 학교를 빛낸 인물로, 매년 서울대에서 공식적으로 선정한다.

횟수 연도 성명
1 1991 이혜구, 이태영
2 1992 장기려
3 1993 김원룡, 허문회
4 1994 임석재, 김재근
5 1995 김태길, 조순탁
6 1996 송영욱, 오창영, 장발, 한만년, 한상기
7 1997 강진구
8 1998 이문호, 기창덕
9 1999 김원복, 피천득
10 2000 이희호, 허웅
11 2001 안철수, 변주선
12 2002 이호왕, 박맹호, 손길승
13 2003 이길여, 홍라희
14 2004 김윤범, 박영주
15 2005 이종욱, 정석규
16 2006 권이혁, 김성호, 김재순, 박영희, 이어령

[25][26]

참고 문헌

  1. 서울대학교 연혁
  2. 교육인적자원부 2005년도 10월말 기준 자금집행실적 및 집행전망 제출
  3. 토론:서울대학교 참조.
  4. 서울대학교 연혁
  5. http://archives.snu.ac.kr/main/cyber/histo/page5_1.html
  6. 서울대학교 발자취 1970년대
  7. 서울대학교 발자취 2000년대
  8.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54068.html
  9.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6/11/13/200611130084.asp
  10. http://economy.hankooki.com/lpage/news/200503/e2005032717424947590.htm
  11.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7041106121
  12. http://www.dailian.co.kr/news/n_view.html?id=61062
  13. http://www.kwnews.co.kr/view.asp?aid=207042400090&s=501
  14. 서울대학교 대학현황-통계자료
  15. 치의예과 및 치의학과는 2002년 학번 50명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신입생을 받지 않으며, '치의학전문 대학원' 제도로써 대학원에 통합되었다.
  16.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연혁
  17. 서울대학교 박물관 발자취
  18. 서울대학교 관악사 연혁 및 현황
  19. 서울대학교 관악사 구성원 소개
  20. 서울대학교 관악사 생활수칙
  21. http://www.snujn.com/introd.php
  22.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129
  23. 현원섭, "대입 수석 합격자 23인의 인생 스토리", 월간중앙 2월호 (2000)
  24. http://ed.sjtu.edu.cn/rank/2007/ARWU2007_102-202.htm
  25. 서울대학교 기록관 -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26. 조선일보: 개교 60주년…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선정

둘러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