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트로 2000호대 GEC전동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메트로 2000호대 GEC전동차
구의역에서 촬영
구의역에서 촬영
양 수 6M4T 10량
전기 방식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제어 방식 전기자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기관 형식 {{{기관형식}}}
기어비 {{{기어비}}}
차륜 배열 {{{차륜배열}}}
동륜 배열 {{{동륜배열}}}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최고속도 {{{영업최고속도}}} Km/h
설계최고속도 110 Km/h
감속도 3.5(상용), 4.5(비상) Km/h/s
전동기 출력 165 kW
편성 출력 3960 kW
출력 {{{출력}}} hp
견인력 {{{견인력}}}
주 용도 지하철구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차량 정원 {{{차량정원}}}명
편성 정원 {{{편성정원}}}명
전장 {{{전장}}} mm
전폭 {{{전폭}}} mm
전고 {{{전고}}} mm
차량 중량 {{{차량중량}}} t
편성 중량 {{{편성중량}}} t
대차간 거리 {{{대차간거리}}} mm
축중 {{{축중}}} t
궤간 1,435mm
구동 장치 직류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MT비}}}
보안 장치 {{{보안장치}}}
제작사 대우중공업,한진중공업
제작 연도 1983년
비고

서울메트로 2000호대 GEC전동차는 80년 서울지하철 순환선 개통과 함께 도입되어 현재까지 운용중인 서울메트로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영국 GEC사의 전장품을 사용했기 때문에 "영국형 쵸퍼", 혹은 "GEC 쵸퍼"라고 칭한다.

목차

[편집] 기술적 사양

서울메트로 2000호대 MELCO전동차와 동일한 전기자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를 사용하며 영국 GEC(현재의 마르코니)에서 도입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1기의 제어기기가 한량분 4개의 전동기를 제어한다. 대차, 실내구성은 MELCO전동차와 동일하며 제동장치는 웨스팅하우스(WABCO)사 제품을, 신호제어기기는 유니온 시그널사의 제품을 채용하고 있다.

[편집] 편성, 배속

편성은 제어실이 있는 Tc, 팬터그래프와 제어기기, 공기압축기가 탑재된 M2, 제어기기와 보조전원장치, 축전지가 탑재된 M1, 아무것도 탑재되어있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1. 20XX - Tc
  2. 21XX - M1(MG, 축전지, 제어기기)
  3. 22XX - M2(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제어기기)
  4. 23XX - M1(MG, 축전지, 제어기기)
  5. 24XX - M2(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제어기기)
  6. 25XX - T
  7. 26XX - T
  8. 27XX - M1(SIV, 축전지, 제어기기)
  9. 28XX - M2(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제어기기)
  10. 29XX - Tc

배속은 2061~2095까지 군자차량기지 배속

[편집] 도입 역사

[편집] 1차 도입분

83년부터 86년까지 도입된 최초 도입분. 처음부터 6량편성으로 도입되었다.

[편집] 2차 도입분

89년부터 도입된 6량 증차 도입분.

[편집] 3차 도입분

92년 10량 증비사업에 의해 도입된 증차분 차량. 객실 창문이 2단 낙창식에서 상부계폐식으로 변경되었다.

[편집] 4차 도입분(4호선 이적차량)

93년 4호선과 과천,안산선 직통운행으로 인해 4000호대 전동차가 새로 도입됨에 따라 기존에 있던 GEC쵸퍼차량중 17개 편성이 2호선 증차분으로 이적하였다. 도색 및 신호장비가 교체되어 도입되었다. 차체는 광폭형으로서 기존에 있던 2호선 차량들과 외형상으론 차이가 크나 내부구조상 차이는 없다.

[편집] 5차 도입분

95년 최후의 증차도입분. 3개편성이 도입되었다.

[편집] 특이사항

[편집] 내장 불연재 리뉴얼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으로 인해 2005년까지 내구연한이 충분한 86년 이후 도입분 차량에 대해 내장재 리뉴얼이 완료되었다. 리뉴얼 사업에는 흥일기업과 로윈이 참여하였다. 전체적으로 노선색에 맞추어 내장이 리뉴얼 된것이 특징이며, 시트는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를 채용하였다. 리뉴얼 되지 못한 차량은 객실 좌석 시트만이 불연재로 교체되었고, 화재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인터컴 등이 보강되었다.

[편집] 향후 변화

2008년부터 83년 최초제작분 차량이 퇴역하게 되는데 2000호대 VVVF제어 전동차가 2008년 2차도입분으로 대체될 예정이며 남는 차량을 재 조성하며 일부는 선두차로 개조될 예정이다. 86년 도입분 차량까지 순차적으로 퇴역하면서 일부 남는 91~92년 증비분 차량은 신조될 VVVF제어 전동차의 T차로 전환되며 일부는 신정지선 차량을 대체할 예정이다. 또한 퇴역되는 차량은 전량 폐차되지 않고 베트남으로 수출될 예정이다.

[편집] 함께 보기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