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트 태권브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보트 태권브이(영어: Robot Taekwon V)는 1976년 대한민국의 김청기감독에 의해 제작된 극장용 장편만화영화 연재물의 주인공으로 출현하는 로봇의 이름이자 첫 만화영화의 원제이다. 태권브이는 1970년대를 살아간 대한민국의 30대 중·장년층의 추억이 담긴 로봇 애니메이션으로, 한 때는 태권브이 부활 프로젝트가 2007년현재 계속 추진되고 있다.
목차 |
[편집] 로보트 태권브이
[편집] 제원과 방어·공격체계
로보트 태권브이의 디지털복원판 영화 홈페이지에 따르면 키 56미터, 무게 1400톤, 파워 895만키로워트로 나와있다. 딴지일보 1999년 5월 31일 기사에 따르면 키 39~42미터, 무게 3,500톤(태권브이의 키를 40미터로 보았을 때), 파워는 시간당 최대 31,700키로워트로 나와있다.
[편집] 조종사와 제비호
조종사는 훈이와 영희로 최대 두명인데 이들은 제비호를 타고 태권브이의 머리 윗부분에 착륙하는 방식으로 태권브이에 타게되는데 제비호는 태권브이가 움직이는 도중에 분리되어 비행하며 주변상황을 조종사에 전파하므로 실질적인 태권브이 조종사는 훈이 한명으로 볼 수 있다.
[편집] 혼연일체
탑승한 뒤 훈이가 태권브이의 중앙부분으로 내려가 훈이의 머릿속 생각-뇌파-에 태권브이가 반응하여 움직이는 방식 등으로 태권브이를 조종한다. 이는 태권브이가 갖는 가장 큰 장점이자 바로 가장 큰 약점이 된다.
[편집] 태권도
태권브이는 당시의 다른 만화영화에서 등장하는 로보트와는 달리 무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이는 일본의 만화영화인 마징가제트에서 각종 무기를 이용하여 공격하는 것과 달리 태권브이는 기본적으로 태권도로서 적을 제압한다. 이는 혼연일체로 동작하는 태권브이의 조종사인 훈이가 태권도 유단자로 출연하는데 태권브이 또한 훈이의 태권도 실력을 그대로 갖는다.
[편집] 약점
태권브이에는 3번키를 누른다는 말이 나오는데, 이는 남자 주인공의 행동을 바로 태권브이의 행동으로 전환해주는 기술로 태권브이는 이 기술을 세계 최초로 적용한 작품이다. 태권브이에서 적용된 기술은 문제점이 있었다. 바로, 이 기술을 쓰고 난 다음 남자 주인공의 체력이 떨어진다는 것인데 엄밀히 말하면 기력이라 하겠다. 후에 다른 작품에서는 이 기술을 사람의 생각만으로 기계를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기술로 바꾸게 된다. 미국 드라마 에어울프에서도 이 기술이 적용이 되었다.[1]
[편집] 태권브이 부활 프로젝트
일본의 만화영화 마징가제트를 표절했다는 일부여론의 비판을 받은 시기도 있었던 이 작품은 1999년에 대한민국의 어려워진 경제여건 속에서 새로운 영웅을 그리워하던 그 때 그 시절의 사람들-태권브이의 추억을 간직한 이들-이 모여 태권브이 부활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이들의 꿈인 태권브이는 프로젝트가 시작된지 8년여 만에 2007년 부활했다.
[편집] 로보트 태권브이의 재개봉
1976년의 처녀작은 1981년 미국 수출 진행중 원판 필름을 발송하였고 이 과정에서 원판필름이 유실되었다. 나머지 복사본 필름도 대부분 폐기되거나 보존상태가 좋지않아 복원이 불가능한 듯 보였다. 하지만 2003년, 영화진흥위원회의 창고에서 복사본 필름이 발견되어 본격적인 필름의 복원작업이 이루어지고, 2007년 1월 18일 로보트 태권브이 디지털 복원판이 개봉, 이제는 아버지가된 당시의 세대들이 그들의 아이들과 함께 로보트 태권브이를 즐길 수 있었다. 태권브이가 첫개봉한 이후 30여년이 지나서의 일이다.
[편집] 출판
태권브이는 만화가 김형배 화백에 의해 만화책으로 출간이 되기도 했다. 만화책도 복간이 되었으며, 표지는 해당 작품의 포스터로 설정되었다.[2]
[편집] 최초의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최호섭군이 부른 이 만화영화의 주제가는 서라벌 레코드사에의해 발매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OST)이다. 영문판 주제가는 두 가지가 있다.
[편집] 태권브이의 재조명
- KBS에서 방영하는 스펀지(14회 2004년 2월 7일 방영분)에서 국기원 태권도 승단 심사위원들에게 의뢰한 결과 태권브이는 태권도 3단의 실력을 가진 것으로 감정되었다.
- 2006년 4월 5일 KBS 과학의 향기에서 태권브이 30주년을 맞아 실제로 부활시키겠다는 프로젝트가 논의되고 있다고 하며, 태권브이의 현실가능성과 거대로봇의 과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편집] 역사
- 서라벌 레코드가 로보트 태권브이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을 발매
- 1976년 7월 24일 로보트 태권브이 개봉
- 1976년 12월 13일 로보트 태권브이 2탄 우주작전 개봉
- 1978년 7월 20일 로보트 태권브이 3탄 수중특공대 개봉
- 1978년 7월 26일 로보트 태권브이 대 황금날개의 대결 개봉
- 1979년 7월 26일 날아라! 우주전함 거북선 개봉(로보트 태권브이 출연작)
- 1982년 7월 30일 슈퍼 태권브이 개봉
- 1984년 8월 3일 '84 태권브이 개봉
- 1990년 7월 28일 로보트 태권브이 90 개봉
- 1994년 여행스케치가 오래된 이야기라는 앨범에서 〈태권브이〉를 영어로 불렀다.
- 1999년 대중음악그룹인 지누션이 두번째 앨범에서 〈태권브이〉라는 곡을 발표했다.
- 2006년 7월 24일 태권브이30주년 기념 제작발표회
- 2007년 1월 18일 1976년 제작된 《로보트 태권브이》의 디지털 복원판이 개봉되었다.
- 2007년 2월 28일 국기원에서 태권브이에게 태권도 4단 명예 단증을 수여했다.[3]
[편집] 참고
- ↑ 당시의 이러한 상상은 현실로 이루어졌다. 현재의 의료기술은 고도로 발달되어 인공관절은 물론 인공시각, 인공청각 그리고 뇌의 일부분을 전기적 신호로 통제하거나 상호작용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 ↑ http://manhwa.chosun.com/site/data/html_dir/2002/03/21/20020321000007.html
- ↑ http://www.ytn.co.kr/news/issue_view.php?s_mcd=0810&s_hcd=13&key=200702281720526513
[편집] 바깥 고리
- 태권브이 팬클럽: 태권브이에 추억이 있으세요? 이곳부터 방문해서 과거로의 여행을 떠나세요! 여기 존재하는 문서는 물론 가장 잘 정리된 자료가 보존되어있습니다.
- 로보트 태권브이 디지털 복원판
- 베스트 애니메
- 로보트 태권 V - 미만부
- 텔레비전
- 뉴스
- '로보트태권브이' 의 비밀을 밝혀라 - 야후 뉴스
- 김청기 감독 “표절이라니…서글프다” - 스투
- ‘태권브이 복원’에 日네티즌들 비아냥 - 스투
- 기타
- 태권브이 광고(대림 아파트 e편한 세상) -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