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치무라 간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치무라 간조(일본어: 内村鑑三, 1861년 3월 26일 - 1930년 3월 28일)는 일본기독교 사상가이다. 서구적인 기독교가 아닌, 일본인들에게 말씀하시는 하느님의 가르침 즉, 일본적인 기독교를 찾고자 한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편집] 생애

미국 농학자인 클라크가 세운 삿포로농과대학교를 다니던 중 친구의 전도로 그리스도인이 되었다. 대학생 시절 그는 친구들과 기도 모임을 구성하여 신앙생활했는데, 모임은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이 없는 민주적인 공동체였다. 이러한 새로운 신앙경험은 우치무라의 기독교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대학교를 졸업한 1882년 우치무라와 친구들은 삿포로 독립교회를 통해 서구의 교회가 아닌 일본적 교회를 설립하고자 했다. 교회는 5명의 위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운영되었는데, 일상적인 교회의 일은 그들이 함께 처리했고 그 외의 것은 언제나 투표로 처리했다. 또 교회의 회원은 의무적으로 교회를 위한 일을 해야만 했다. 1884년 미국에서의 사회운동과 에머스트대학교 유학으로 신앙의 실천의 중요성과 신앙에 대한 생각을 굳혔고, 하드포드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했다. 하지만, 성직을 특권으로 보아서 성직자가 되지는 않았다. 1888년 일본에 돌아왔고, 도쿄에 있는 제일고등학교 교원으로 취직했다. 하지만, 1891년 천황의 절대권력의 상징인 <교육칙어> 봉독식 때 정성 들여 예를 다하지 않은 '불경사건'으로 천황을 숭배하는 극우파들에게 미움을 받아, 극우테러로 아내와 자식 그리고 직장을 잃었다. 우치무라는 교원으로 활동하면서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나는 왜 기독교인이 되었는가?>(영문), <구안록>등을 저술했다. 또한 <만조보>지의 기자와 월간지 <성서지 연구>의 간행인으로도 일하는등 바쁘게 활동했다. 1921년에는 도쿄의 한복판에서 일요일마다 신약성서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를 강의하여 수많은 청중들이 크게 감동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 그에게 영향을 받은 제자로는 한국의 무교회주의 기독교 운동가인 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등이 있다.

[편집] 참고자료

  • 나는 하느님을 나의 하느님으로 고백할 수 있는가.<참길로 간 사람들①>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신앙, 김진아 기자, 인터넷 기독교 신문 에큐메니안[1]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