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지하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쁜 노선도네요. 1호선을 어떻게 하실지 걱정이 우선 됩니다만.. (천안/인천/의정부를 한꺼번에 그리실껀가요? ^^)

  1. 공식 이름에 기차역은 "-역" 식으로 붙이고, 지하철 역은 "-역" 없이 씁니다. 이걸 빼면 이름이 겹치는 역이 생깁니다. 예컨데 경의선 신촌역과 지하철 2호선 신촌역은 꽤 멀죠? 아예 다른 도에 있는 곳일 수도 있습니다. 미리 계획을 세우셔야... :)
  2. 시청역은 서울 1/2호선에만 에만 있지 않습니다. 부산1호선에도 시청역이 있습니다.

박종대 2005년 4월 26일 (火) 14:10 (UTC)

1호선은 애매할 것 같아서 일단 놔뒀습니다.

  1. 서울역 같은 경우 지하철 안내방송에서는 "지하철 서울역"으로 부릅니다. "역"을 붙이지 않는 것보다는 이름을 그렇게 정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것 같습니다.
  2. 시청역은 고쳐야겠군요.

--Puzzlet Chung 2005년 4월 26일 (火) 14:38 (UTC)

목차

[편집] 역이름

[편집] 겹치는 역 이름

  • 교대 (수도권, 대구) - 교대앞 (부산) - 인천교대 (인천1)
  • 대공원 (수도권, 대구)
  • 시청 (수도권, 부산, 대전(계획))- 인천시청 (인천1)
  • 종합운동장 (수도권, 부산)
  • 신천 (수도권, 대구)
  • 신촌 (수도권), 신촌역 (경의선)
  • 수색 (6호선), 수색역(경의선)
위 두 역은 거리도 꽤 됩니다.
  • 중화 (7호선), 중화역(중앙선, 예정) - 같은 곳에 있지만 환승 불가!
  • 양평 (5호선), 양평역 (중앙선)
  • 증산 (6호선), 증산역 (태백선)
  • 평촌 (과천선), 평촌역 (전라선), 평촌역(경전선)
  • 삼성 (2호선), 삼성역 (경부선, 경북)
  • 신림 (2호선), 신림역 (강원)
  • 송정 (5호선), 송정역(동해남부선), 송정리역(호남선-경전선)
위 역은 아예 다른 곳입니다.
  • 광명사거리역(수도권), 광명역(고속철)
  • 개포역(경북선)과 개포동역(분당선)
  • 중앙로 (대구, 대전(계획))
  • 월드컵경기장 (수도권, 대전(계획)) - 문학경기장 (인천1)
  • 용산 (수도권, 대구 2호선(계획))

위 내용을 모으는데 다음 철도동호회 분들도 도와주셨습니다.

[편집] 부산 지역 기차역/지하철역 이름


아래 내용은 다음 철도동호회의 무궁화1202 님이 써 주신 내용입니다.

구포역(경부선-3호선), 사상역(경부선-2호선), 부산진역(경부선-1호선), 부산역(경부선-1호선), 가야역(가야선-2호선), 부전역(동해남부선-1호선), 거제역(동해남부선-1호선), 동래역(동해남부선-1호선-반송선), 안락역(동해남부선-반송선), 수영역(동해남부선-2호선), 해운대역(동해남부선-2호선)

이 중 구포역, 사상역, 부산진역(현재 여객 취급 중지), 부산역, 부전역, 해운대역은 철도역과 지하철역이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혼란의 여지가 적으나 나머지 역들은 좀 문제가 있습니다. 해운대역은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가야역 - 철도역과 지하철역 사이의 직선거리는 약 600m이며 차로 갈 경우 부암교차로 쪽으로 빙 돌아가야 합니다(1.7km 쯤 됨).

거제역 - 철도역과 지하철역 사이의 거리가 약 1.2km입니다. 부산교통공단에서는 노선계획시에 '남문구역'으로 명명했는데, 최근 역명을 확정하면서 거제역으로 정했습니다. 더구나 지하철역 부근에 남문구역(동해남부선)이 들어설 계획이기 때문에 '남문구역'으로 되돌려 놓아야 합니다.

동래역 - 철도역과 지하철역 사이의 직선거리가 약 1.5km입니다. 걸어서 갈 경우 약 2km 쯤 됩니다. 지하철역을 '내성역'으로 개명하면 어떨까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만, 그럴 가능성은 희박해 보입니다.

안락역 - 이 곳도 철도역과 지하철역 사이의 거리가 900m 가량 됩니다. 역시 양 기관이 협의하여 역명을 다시 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영역 - 동해남부선을 개량하면서 철도역(해운대구 우동에 소재)을 '우동역'으로 개명할 예정이기 때문에 혼란의 여지를 다소 줄일 수 있습니다.

해운대역 - 지금은 철도역과 지하철역이 서로 인접해 있어 별다른 혼란이 없지만, 동해남부선 해운대역이 좌동신시가지로 이설되기 때문에 양 기관이 협의하여 역명을 다시 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반송선은 미남~안평 구간에 건설될 예정인 경전철입니다. 부산교통공단에서는 3호선으로 부르고 있으나 기존노선과 시스템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편의상 반송선으로 불렀습니다.

위 내용은 다음 철도동호회의 무궁화1202 님이 써 주신 내용입니다.

흠. 막막하군요.

[편집] 이수/총신대입구역

정확히 하자면 4호선은 충신대입구(이수)역, 7호선은 이수역입니다. 사실 충신대는 7호선 남성역에서 더 가깝습니다. 통합 역이름은 이수역으로 하죠.

이수로 하는게 낮겠습니다. 현재 7호선과 4호선 충돌문제로 어느곳에도 '총신대입구'(충신대 아닙니다!)를 붙인 곳이 없습니다. 4호선의 기존 총신대입구는 '남성'으로, 7호선의 신 총신대입구 시도역은 '이수'로 하는것이 도리에 옳습니다. - 갈라드리엔 2005년 4월 27일 (水) 12:16 (UTC)

[편집] 구로공단역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다른 역도 이름이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박종대 2005년 4월 28일 (木) 03:42 (UTC)

[편집] 가리봉역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역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짧게 하면 될거 가지고 왜 길게 가는건지.. -_-; - 갈라드리엔 2005년 7월 24일 (日) 10:35 (UTC)

[편집] 노선별

[편집] 수도권 1호선

1호선은 인천-의정부북부 사이를 주노선으로 하는게 어떨까요? 역번호도 그 쪽이 세자리 숫자, 수원쪽은 P를 앞에 붙여 표시합니다.

용산-청량리 구간은 K를 붙이죠. 2005년 말에 중앙선 복선전철화가 되면 용산-청량리-양평-용문 쪽으로 노선이 개편된다고 합니다. 청량리-춘천간 경춘선도 전철 노선으로 바뀔 계획이고요.

참고: 미래철도 데이터베이스


1호선은 우선 구로까지만 1호선으로 표시하고, 구일~인천은 인천행, 가리봉~천안은 천안행으로 표시하고, 용산~회기는 국철로 표기하는 것이 어떨까요?

[편집] 지하철역 표.

역 이름을 채우기 전에 우선 깔끔한 표준 틀을 만드는게 어떨까요?

위는 http://www.websubway.co.kr 에 있는 사당역 정보입니다. 첫번째 그림같은 지도는 못 만들겠지만, 두번째 그림의 정보는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읍니다. (PDA 사용자 모임 등에서요..)

각 역마다 노선의 고유색과 역번호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만든다면 깔끔하지 않을까요? 모든 역을 다 그릴 수도 있겠지만, CSS의 position을 이용하면 그림 없이도 처리할 수 있을겁니다.

박종대 2005년 4월 27일 (水) 04:18 (UTC)

[편집] 제2 참조 데이터

[1] 상당히 놀랐습니다 -_-;

이미 알고 있지만 그곳에 적힌 저작권 관련 정보 때문에 여기에 적지는 않았습니다. -- ChongDae 2005년 7월 24일 (日) 10:52 (UTC)

Meis운영자분 같은 경우에는 존메트로나 DCinside 철도갤러리, 운영자분 개인 블로그등의 방법으로 접촉해보시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 늘게씨 2007년 2월 20일 (火) 17:12 (UTC+9)

[편집] 지하철 역 정보와 역 주소

지하철 역 이전역, 현재역, 다음 역 등의 표시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은 양식대로 하는 것이 어떨까요?

충무로 424 명동 회현

아울러, 저는 역 주소 등은 현재 명동역 페이지에 있는 '역 정보'같은 곳에 통합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환승역등의 경우, 어떤 노선의 주소와 다른 노선의 주소가 다른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 김종국 2005년 8월 18일 (木) 05:32 (UTC)

[편집] wikitable 대안

(330) 을지로3가 (331) 충무로 (332) 동대입구
(422) 동대문운동장 (423) 충무로 (424) 명동


분기역. 운행 계통이 같은 경우(구로, 회기, ...)

(140) 신도림 (141) 구로역 (142) 구일
(P142) 가산디지털단지


운행계통이 다른 경우(용산, 2호선 지선 ...)

(134) 남영 (135) 용산 (136) 노량진
(K131) 이촌 (135) 용산 -


또는

(134) 남영 (135) 용산 (136) 노량진
(K131) 이촌 -


[편집] 토론


오른쪽과 같이 "방면"을 써 주는 것은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5년 8월 18일 (木) 10:30 (UTC)

대화 방면 (330) 을지로3가 (331) 충무로 (332) 동대입구 수서 방면
당고개 방면 (422) 동대문운동장 (423) 충무로 (424) 명동 오이도 방면


방면을 함께 써 주니 더 나아보이네요. 종점이나 분기점에서 어떻게 처리할 지 따져봐야겠네요. 시청에서 서울역 방향을 "인천,천안 방면"? 혹은 "구로 방면"? 그리고 같은 계통색을 표 전체에 깔아주는건 어떨까요? 옆의 표는 임시로 대충 비슷한 색을 골라서 써 본 겁니다. -- ChongDae 2005년 8월 19일 (金) 07:38 (UTC)

대화 방면 (330) 을지로3가 (331) 충무로 (332) 동대입구 수서 방면
당고개 방면 (422) 동대문운동장 (423) 충무로 (424) 명동 오이도 방면


종착역의 경우, 아래와 같이 표시하는 것이 어떨까요?

장암 방면 (749) 천왕 (750) 온수 종착역

아울러, 저도 같은 계통 색을 표 전체에 적용시키는 데에는 어떤 노선과 다른 노선의 구분이 가능하기에 찬성합니다. 그리고 시청역에서 서울역 방향은 인천·천안 방면으로 표시하는 것이 어떨까요?- 김종국 2005년 8월 19일 (金) 08:36 (UTC)


[편집] 1호선 의정부북부 ~ 신설동역

현재 이 구간의 역 번호는 110 ~ 127번 이지만 2005년 12월에 1호선 동묘앞 역이 개통하면 역 번호가 109 ~ 126번으로 모두 바뀝니다. 이 구간을 적용시킬 때 아래와 같이 적용시키고 표 밑에 임시 설명문을 써 주고 1호선 동묘앞 역이 개통되면 이 임시 설명문을 모두 삭제해 주는 것이 어떨까요? 아니면은 현재의 역 번호인 110 ~ 127로 그대로 적용시키고 동묘앞역 개통 이후에 모두 바꾸는 것이 좋을까요?

소요산 방면 (123) 회기 (124) 청량리(지하) (125) 제기동 인천·천안 방면
이 역의 역 번호는 동묘앞 역 개통 이후(2005년 12월 이후)의 역 번호이다.
이 역의 정확한 역 번호는 125번이다.

- 김종국 2005년 9월 13일 (火) 10:50 (UTC)


[편집] 한국철도(용산-옥수-청량리-회기)

이 구간은 회기-망우-덕소 개통이후 중안선으로서 운행되니까 색깔 변경 부탁한다.--Hyolee2 2005년 11월 2일 (水) 10:42 (UTC)

[편집] Template:수도권 중앙선

위키백과:사랑방을 보세요. - 갈라드리엔 2006년 1월 6일 (금) 11:44 (KST)

[편집] (제안) 템플릿의 노선 색상 변경

제가 템플릿을 만든 것도 있지만 현재 쓰이는 색상은 조금 옅은 것 같습니다. 특히 5호선은 많이 옅은 것 같습니다. 각 템플릿(예: Template:수도권 1호선)의 노선 색상을 아래와 같이 원래 쓰이는 색상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어떨까요? 아래는 한글 2004에서 작업한 색을 16진법으로 옮겨놓은 것입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5월 6일 (토) 20:10 (KST)

수도권 1호선 #0000AA
수도권 2호선 #00CC00
수도권 4호선 #0099FF
수도권 5호선 #9900CC
수도권 6호선 #CC6600
수도권 8호선 #FF00CC
분당선 #FFCC00
용산-덕소선 #00CCCC
인천 1호선 #00CCFF
  • 3호선, 7호선은 현재 색상 그대로
제가 위키백과:사랑방#템플릿의 노선 색상에 쓴 바와 같이, 저도 색상 변경에 찬성합니다.--Yes0song 2006년 5월 6일 (토) 21:17 (KST)
파란색 계통의 노선들은 글자 색은 검정색이 아닌 흰색으로 고치는 센스도 발휘해야 할 것 같군요 ^^ --Yes0song 2006년 5월 7일 (일) 01:32 (KST)

[편집] 용산-덕소선/중앙선 문제

명칭 문제(용산-덕소선인가 중앙선인가)와 노선 성격(1호선의 지선인가 독립된 노선인가)에 관해 토론:수도권 전철 중앙선에 제가 의견을 개진해 놓은 글들이 있습니다.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Yes0song 2006년 5월 6일 (토) 21:14 (KST)

[편집] 세부 정보 작성 문제

[편집] 부역명

부역명(副驛名)에 대한 정보가 취약한 것 같습니다. 부역명에 대해서도 DB를 작성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부역명을 작성할 때는 부역명이 다른 역(예를 들면 수도권 전철 종로3가역: 1, 3호선은 부역명 없음, 5호선은 '탑골공원'. 참고로 5호선 종로3가역 플랫폼의 역명판에서는 '탑골공원·인사동문화거리'라고 해 놓으나 정식 부역명은 아니고 서울도시철도공사 측에서 자체적으로 병기한 것이라 합니다. 이에 관해서는 다음 카페 철도동호회에 제가 올린 글을 참조해 주십시오)에도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Yes0song 2006년 5월 6일 (토) 21:32 (KST)

[편집] 다른 문자·언어

[편집] 과거의 운행 계통을 설명하는 글 작성 제안

이것은 현재의 노선이 아니라 과거의 노선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해당 글에 들어가는 정보(노선 색, 역명·부역명의 한글·한자·영문 표기, 역 번호, 환승역)는 현재의 것이 아니라, 그 당시를 기준으로(예를 들면 노선이 폐지되기 직전의 역 정보) 작성하는 것입니다. 제가 이것의 일환으로서 먼저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을 작성해 보았습니다(급히 만들어서 솔직히 엉성합니다. 수정이 필요합니다). --Yes0song 2006년 5월 6일 (토) 21:43 (KST)

[편집] 새로운 정보

[편집] 노량진-광명 노선

관련 기사
시흥역 남단에서 경부전철선경부고속선 쪽으로 분기, KTX 광명역까지 전동차가 운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운행 구간은 노량진-광명이라고 합니다. 우선 1호선 갈래 중 하나로 운영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신안산선 착공이 늦어지면서 임시로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하는 것 같습니다. --Yes0song 2006년 5월 8일 (월) 17:46 (KST)

[편집] 역 정보표 새로운 제안

소요산 방면 (129) 종로5가 (130) 종로3가
Jongno 3(sam)-ga
鍾路3街
(131) 종각 인천·천안 방면
대화 방면 (328) 안국 (329) 종로3가
Jongno 3(sam)-ga
鍾路3街
(330) 을지로3가 수서 방면
방화 방면 (533) 광화문 (534) 종로3가 (탑골공원)
Jongno 3(sam)-ga (Tapgol Park)
鍾路3街 (塔骨公園)
(535) 을지로4가 상일동·마천 방면

왼쪽의 표는 제가 수정한 새로운 역 정보표 안(案)입니다. 기존에 없던 한국어(한글 전용) 부역명, 한국어(한자 혼용) 역명·부역명, 영어 역명·부역명까지 첨가한 것입니다.

종로3가의 경우 1·3호선에는 부역명이 없고, 5호선에는 부역명이 있습니다. 그래서 왼쪽 표에서는 호선마다의 차이를 반영하여 달리 적었습니다. 이것은 4호선 총신대입구-7호선 이수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당고개 방면 (431) 동작 (432) 총신대입구 (이수)
Chongshin Univ. (Isu)
總神大入口 (梨水)
(433) 사당 오이도 방면
장암 방면 (735) 내방 (736) 이수
Isu
梨水
(737) 남성 온수 방면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6년 9월 30일 (일) 17:23 (KST)

굳이 로마자랑 한자를 적어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한글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만···. (이건 제가 한글 전용론자여서 그런 게 아니라, 왠지 별 필요가 없다고 느껴져서입니다.) ―에멜무지로 2006년 9월 30일 (일) 21:11 (KST)

[편집] (다시 제안) 역명판

좀 더 많은 정보(한자, 영문, 부역명)를 제공하는 역명판입니다. 이런 식으로 개편하면 어떨까요?

소요산 방면 (129) 종로5가 (130) 종로3가
Jongno 3(sam)-ga
鍾路3街
(131) 종각 인천·천안 방면
대화 방면 (328) 안국 (329) 종로3가
Jongno 3(sam)-ga
鍾路3街
(330) 을지로3가 수서 방면
방화 방면 (533) 광화문 (534) 종로3가 (탑골공원)1
Jongno 3(sam)-ga (Tapgol Park)
鍾路3街 (塔骨公園)
(535) 을지로4가 상일동·마천 방면
1. 역명판에는 '(탑골공원·인사동 문화거리)'로 적혀 있다.


외선 순환 (208) 왕십리 (209) 한양대
Hanyang Univ.
漢陽大
(210) 뚝섬 내선 순환


소요산 방면 (118) 월계 (119) 성북 (광운대앞)
Seongbuk (Kwangwoon Univ.)
城北 (光云大앞)
(120) 석계 인천·천안 방면


소요산 방면 (149) 중동 (150) 송내1
Songnae
松內
(151) 부개 인천 방면
용산 방면 (148) 부천 (150) 송내
Songnae
松內
(152) 부평 동인천 방면
1. 한국철도공사 안내 방송에는 '(한국폴리텍2대학)'을 부역명처럼 병용하고 있다.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6년 12월 17일 (월) 20:04 (KST)

부역명을 함께 적는 건 찬성이지만, 한자/로마자 표기까지 추가하는 건 역명판을 너무 복잡하게 만듭니다. 안내 방송에서 나오는 부역명은 굳이 적을 필요가 있을까요? 지하철 안내 방송에 역 근처 학원 등의 광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12월 18일 (월) 14:02 (KST)
한자/로마자는 본문에서 언급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식은 어떨까요?
소요산 방면 (129) 종로5가 (130) 종로3가 (131) 종각 인천·천안 방면
대화 방면 (328) 안국 (329) 종로3가 (330) 을지로3가 수서 방면
방화 방면 (533) 광화문 (534) 종로3가 (탑골공원)1 (535) 을지로4가 상일동·마천 방면
1. 역명판에는 '(탑골공원·인사동 문화거리)'로 적혀 있다.
좀 다른 얘기지만, 역명에 따라 틀 폭이 변하는 것도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 IRTC1015(··) 2006년 12월 18일 (화) 17:28 (KST)

[편집] 수도권 전철은 2005년1월에서 이름을 광역전철로 변경됐는데...

문서명을 광역전철로 바꾸도록 부탁드립니다.----효리♪(H.L.LEE) 2006년 12월 19일 (수) 21:44 (KST)

광역전철이란 수도권 전철만을 말하는 게 아니라, 2개 이상의 도시를 연결하는 철도 그 자체를 말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장 대구광역시구미시 등을 잇는 경부선, 대구선이나 부산광역시에서 울산광역시를 잇는 동해남부선이 광역전철로서 계획되고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만을 광역전철로 부르는 것은 상당한 오류입니다. --121.131.80.43 2006년 12월 19일 (수) 21:55 (KST)
또 일본어 위키백과를 근거로 하는 것인가요?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광역전철이라고 쓰는 것은 심각한 오류입니다. 일본어 위키백과 Chatsubo에 제가 오류 지적한 바 있는데 일본어판에서 아무런 반응이 없더군요.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고집 피우지 말고 한국어판을 따라서 수도권 전철로 통일하는 게 마땅합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6년 12월 26일 (수) 19:01 (KST)
일어판이 아니고 한국철도공사가 2005년1월에 안내표시를 수도권 전철에서 광역전철에 변경하고 있습니다.----효리♪(H.L.LEE) 2007년 1월 5일 (금) 10:17 (KST)
수도권 전철 내의 한국철도공사 운영구간 대부분이 광역전철에 해당하기 때문이지, 수도권 전철이라는 명칭이 광역전철로 바뀐 것이 아닙니다. 광역전철은 수도권 전철에만 해당하는 개념이 아니라 다른 개념입니다. 그리고, ‘수도권 전철’에는 서울메트로나 서울도시철도공사, 인천지하철공사가 운영하는 도시철도도 포함되는데, 이것을 광역전철의 범주 내에 포함시키실 겁니까? -- IRTC1015(··) 2007년 1월 5일 (금) 13:36 (KST)
일어판의 '광역전철 = 수도권전철'은 Hyolee2님이 만든 결과로군요. --Luciditeq 2007년 1월 5일 (토) 21:16 (KST)
일본어판 명칭 당장 바뀌어야 합니다. '광역전철' 말도 안 되는 용어 사용입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1월 21일 (월) 17:19 (KST)
관련 글: 위키백과:사랑방/2007년 1월#일본어판에서 수도권 전철 용어가 '크게' 잘못됐는데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1월 21일 (월) 17:10 (KST)

[편집] 역정보 틀화(化)

열심히 삽질을 반복하곤 있지만, 역마다 조건이 달라서 어렵군요. 일반역을 구현하는 건 간단했습니다.

※대충 한거라 지저분합니다.

{{사용자:IRTC1015/틀:주변역}}
{{사용자:IRTC1015/틀:주변역}}

나머지 형태의 역은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IRTC1015(··) 2006년 12월 20일 (목) 23:25 (KST)

거의 다 만들어져 있는데, 굳이 틀을 써야 할까요? -- ChongDae 2006년 12월 21일 (금) 18:26 (KST)

아무리 봐도 역 페이지를 새로 만들때 표를 새로 만드는 게 낭비(삽질)같아서 다시 만듭니다.[1]
완성되면 수도권 전철만이 아닌 지방지하철(특히 대구는 전혀 안 돼있더군요), 넓게는 외국의 도시철도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 IRTC1015(··) 2007년 1월 17일 (수) 14:21 (KST)

…대강 완성했습니다. IE 7에서 설명을 넣었을 때 버그가 발생하는 것 외에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정상 작동했습니다. 문제는 사용법 정도일까요. 사용자:IRTC1015/작업/틀:전철역 정보#예시에서 테스트 결과물(이라기보다 사용 예)을 보실 수 있습니다.
틀 이름은 적당히 바꿔야 하는데, 뭐가 좋을까요? -- IRTC1015(··) 2007년 1월 22일 (월) 14:55 (KST)
사용자:IRTC1015/작업/틀:전철역 정보 좀 "인간의 언어"로 바꿔주실 분? ;; -- IRTC1015(··) 2007년 1월 27일 (토) 14:24 (KST)

[편집] 부역명에 관해

지하철역에 부역명이 들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붙여 쓰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떼서 설명하는것이 좋을까요? 저는 부역명을 떼서 설명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혼란을 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동음이의어도 아닌데 괄호를 쓰는 것은 부적절해 보입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2월 21일 (금) 17:47 (KST)

[편집] 전철 틀 관련...

2010년 이전에 추가될 역들은 주석 처리 할까요? -- 세오테뤼(··) 2006년 12월 25일 (화) 15:57 (KST)

미리 입력해 두는 것도 나쁘진 않겠지요. -- IRTC1015(··) 2006년 12월 29일 (토) 22:11 (KST)

[편집] 유저박스

이 프로젝트도 하나 만드는 건 어떨까요? -- IRTC1015(··) 2006년 12월 29일 (토) 22:11 (KST)

이 사용자는 위키프로젝트 지하철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나 뭐한거지;) -- IRTC1015(··) 2007년 1월 16일 (화) 13:37 (KST)
제 사용자 페이지에 달았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1월 21일 (월) 18:40 (KST)

[편집] {{주변역}}의 위치

현재 {{주변역}} 및 그 이전에 이미 이 프로젝트에서 달아놓은 이전/다음역 표는 문서의 오른쪽 위에 위치해 있습니다만, 역명의 길이에 따라 이 표(틀)의 폭도 늘어나서 공간을 잡아먹게 됩니다. 사용자:IRTC1015/위키프로젝트 철도/전철역 가이드라인에서 표를 아래쪽으로 옮길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만,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IRTC1015(··) 2007년 2월 26일 (월) 14:17 (KST)

급행 등의 운행 계통에 따른 정보는 아래로 옮기고, 단순한 인접역 정보는 지금 위치에 놓는게 어떨까요? 역명이 긴 경우는 글꼴을 줄이거나 줄나눔을 하거나 하면 될 듯 싶네요. -- ChongDae 2007년 3월 15일 (목) 11:31 (KST)
외국 역명일 경우에도 문제지요(기요스미시라카와 역 등). 디자인 변경도 고려해 볼 가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사용자:IRTC1015/tmp03). 줄바꿈은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IRTC1015(··) 2007년 3월 15일 (목) 12:24 (KST)
급행 정보는 일단 기존에 입력되어 있던 것이기에 그대로 변환한 것(사실 {주변역} 자체가 기존의 표를 틀로 변환한 거지요)이지만, 저도 문서 오른쪽 위에 붙어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등급이 많아지거나 한다면 그걸 줄줄이 달아야 하니까요. 괜히 복잡해 보입니다. -- IRTC1015(··) 2007년 3월 15일 (목) 12:26 (KST)

[편집] 위키프로젝트 철도? 철도역?

지하철 관련 문서는 대충 뼈대 정리는 끝난 듯 싶네요. 일반 철도역에 관한 프로젝트로 확대하는 게 어떨까요? 일본 철도 관련 문서도 계속 만들어지는데 함께 관리하고요. -- ChongDae 2007년 3월 13일 (화) 09:37 (KST)

  • 찬성 동의합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3월 13일 (화) 14:08 (KST)
  • 찬성 확대에 동의합니다. (사용자:IRTC1015/위키프로젝트 철도에서 혼자 이것저것 해 보긴 했습니다) -- IRTC1015(··) 2007년 3월 13일 (수) 18:23 (KST)
  • 찬성 - tiens 2007년 5월 11일 (토) 18:27 (KST)
  • 찬성 철도 프로젝트는 지하철의 정리 틀과는 달라질 부분이 있을 듯 합니다만, 일단 철도 틀 자체를 한번 고려하고, 이 틀을 도시/광역 틀로 규정하는 식이 좋을 것 같군요. --조사부장 2007년 5월 31일 (목) 11:36 (KST)
  • 찬성 철도 문서가 많이 늘어나고 있으니, 일반 철도에 대해서도 어떠한 프로젝트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Integral 2007년 7월 15일 (일) 16:26 (KST)

[편집] 너무 세문화 된 분류

분류:대구광역시의 전철역(56역),분류:광주광역시의 철도역(14역),분류:부산광역시의 전철역(90역)이 구,군마다 세문화 되어 있지만 현 시점에서는 세문화의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거꾸로 보기 어렵게 되어 있습니다. ----hyolee2♪/H.L.LEE 2007년 3월 13일 (화) 14:27 (KST)

일관성을 위해 만드는 것입니다. 또 이들 도시에 다른 전철역이 생겨서 나중에 세분화를 해야 한다면 작업량이 더 늘어버리니 오히려 비효율적이라 하겠습니다. -- IRTC1015(··) 2007년 3월 13일 (수) 18:23 (KST)
광주광역시는 시기상조. 대구광역시는 3호선이후의 건설시기가 불명,부산광역시는 늘어도 110정도.----hyolee2♪/H.L.LEE 2007년 3월 14일 (수) 08:58 (KST)
도시구분없이 합칠경우 역명중복은 어떻게 해결하실지부터 말씀해주시죠. (수도권 전철상의 시청역, 부산지하철 상의 시청역, 대구, 광주, 대전지하철 상의 시청역은 모두 역이름기준으로 시청이라고 말할까요 아니면 역이름 무시하고 각각 서울시청, 부산시청, 대구시청, 광주시청, 대전시청역으로 표기할까요? 일관성뿐만 아니라, 보편적으로 쓰이는 시청역, 교대역등과 같은 문제로써도 이 이야기는 충분히 해결된거라고 보는데요. 여기는 한국어위키사전입니다. 찬미하시고 영광적으로 생각하시는 일본어위키사전의 룰을 채용하려고 하지 마시죠. 또 여기서 이 말씀 나오시게 하시는군요. 늘게씨 2007년 5월 15일 (수) 22:37 (KST)

[편집] '승차량 변동' 장 추가

현재 2호선 순환선(예:봉천역 (서울)) 전구간, 5호선 전구간(예:천호역), 1호선 종로선 구간(예:동대문역)의 2000/2001~2006 역별 승차량 변동 정리를 완료했습니다. 원자료는 메트로와 도철공의 승차자 자료입니다. 다른 노선의 역 또는 추가적으로 정리할 만한 사항이나, 좀 더 체계적으로 정보를 계열화 할 방법이 있다면 간단히 만들어 주십시오. Non organ 2007년 6월 3일 (월) 22:19 (KST)

수도권전철 전 역에 승차량 변동 장의 내용과 형식을 제작 완료 하였습니다. 승차량에 대한 해석 부분 정비와, 다른 도시 지하철역의 승차량 변동 역시 제작에 함께해 주시길 바랍니다. Non organ 2007년 6월 26일 (수) 18:02 (KST)

[편집] 틀:철도역 정보에 대해

틀:철도역 정보가 있고, 또 이러한 틀이 기존의 '역 정보' 부분을 상당 부분 담당할 수 있으므로 '역 정보' 부분을 틀:철도역 정보로 완전히 대체하면 어떨지 생각을 해 봤습니다. 일단 코레일 노선의 역에 넣어보고 있긴 한데, 지하철역의 경우 '지하철역 정보' 라는 새로운 틀을 만들어 내리는 문의 위치라던가, 스크린도어 설치 여부 등도 틀에 추가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어떨까요. Integral 2007년 8월 6일 (월) 22:2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