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종류 | 주식회사 |
시장 정보 | |
본사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
설립일 | 1982년 12월 10일 |
업종 | 통신업 |
대표 | 남중수 |
자본금 | 1,560,998,000,000원 (2006년) |
총 수입액 | 11,772,070,000,000원 (2006년) |
자산 총액 | 17,962,333,000,000원 (2006년) |
주요 주주 | KT (25.6%), 우리사주조합 (6.3%), 국민연금관리공단 (2.3%) |
주요 자회사 | 케이티프리텔, 케이티링커스, 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
바깥 고리 | 케이티 |
KT(케이티, Korea Telecom)는 대한민국의 통신회사다.
[편집] 연혁
- 1885년 9월 28일 한성 인천간 전신이 개통 이였다.
- 1981년 12월 한국전기통신공사가 설립 되었다.
- 1984년 세계에서 10번째로 전전자교환기 TDX-1 개발
- 1987년 전국전화자동화를 완성
- 1982년 450만에 불과하던 전화회선을 1993년 2000만여 회선으로 증가하여 정보화 구축에 바탕을 마련하였다.
- 1997년 정부 투자기관에서 출자기관으로 전환
- 1991년부터 한국통신으로 약칭.
- 1993년 10월의 가입전화수는 1994만 1314회선(이중 전자식은 1947만 3114회선), 공중전화는 28만 4245대, 장거리통신은 97만 5403회선으로 증가. 국제통신망으로는 위성통신 7930회선, 해저케이블 7995회선 등 총 1만 5925회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제통신은 전신급 835회선·음성급 8930회선이다. 이용지역은 189개국 229지역이며, 북한을 제외한 전국가와의 국제전화가 가능해졌다. 그 밖에 ESS 특수서비스(단축다이얼·착신통화전화·부재중 안내·통화중 대기)를 비롯, 무선호출 서비스, 전화시보제, 이동가입전화, 전화번호 안내 등 서비스 업무와 중단파통신·단파무선전신 25회선 등의 선박무선통신을 가동하고 있다.
- 1995년 무궁화위성 1호 발사
- 1996년 무궁화위성 2호 발사
- 1996년 PCS및 CT-2 사업권을 획득하고 한국통신프리텔(주)을 설립.
- 1997년 정부출자기관으로 전환
- 1998년 12월 신규 상장하였다.
- 1999년에는 무궁화위성 3호 발사
- 2000년 6월 한솔엠닷컴(주)의 경영권을 인수, 12월 IMT-2000 사업권을 획득.
- 2001년 4월 전화 발신번호서비스(CID)를 시작하였으며,
- 1998년 12월 상장.
- 2001년 12월 민영화를 선언. 창립 20주년을 맞아 현재의 사명을 한국통신에서 KT으로 CI 변경. 사명 변경과 함께 전화국을 지사로 바꿈으로써 1923년 경성중앙전화국에서 출발한 전화국 명칭이 70년만에 자취를 감추었다.
- 2002년 SK텔레콤이 최대주주가 됨으로써 완전히 민영화가 완료되었다. 예전 이름은 한국전기통신공사이다.
- 2003년 1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가 500만 명을 넘어섰다.
- 2005년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KT 그룹의 계열사는 12개이며, 자산총액은 29조3150억원으로 재계 대기업 순위 8위에 올랐다.
[편집] 계열사
- 케이티프리텔
- 케이티하이텔
- 케이티네트웍스
- 케이티링커스
- 케이티파워텔
- 케이티서브마린
- 케이티커머스
- 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 케이티렌탈
- 싸이더스FNH
[편집] 홈페이지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한국 토막글 | 대한민국의 통신기업 | 1981년 설립 | 기업 토막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