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궁화호(無窮花號)는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열차 등급이다. 1980년 우등형 전기 동차의 운행 개시에 맞추어 새마을호와 특급의 중간 등급으로 우등을 신설한 것을 시작으로 하며, 1983년 12월 23일에 무궁화호로 개칭했다. 무궁화호란 이름 자체는 이승만 대통령 시절 처음 명명된 것이나 이는 현재의 무궁화호와 전혀 관계가 없다.
무궁화호는 KTX가 운행하기 전에는 전국을 연결하는 가장 대중적인 열차이기도 하였다. 고속 철도의 등장 이후 이러한 기능 일부는 새마을호로 대체되었다. 무궁화호는 고속 열차나 새마을호가 정차하지 않는 역에도 정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고속 열차나 새마을호가 운행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급행과 일반열차의 기능을 모두 가지기도 한다. KTX 개통 이전에 운행되던 통근형 통일호 열차는 대부분 무궁화호로 승격되었다. 이러한 무궁화호는 '전역정차 무궁화호', 동호인 간의 은어로는 '통궁호'라고도 불린다.
목차 |
[편집] 개요
새마을호를 보완하는 역할로, 거의 모든 노선을 망라하고 있다. KTX 개업과 함께 통일호가 폐지되어 많은 노선에서 각역정차 열차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무궁화호가 이것을 계승하게 되었다. 하지만, 모든 열차가 각역정차는 아니며 주요 노선에서는 열차마다 정차역을 달리하는 선택정차를 해 소요 시간은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최대한 많은 역에 정차하도록 운영되고 있다.
부산·경남권에서는 디젤 동차로도 운행되고 있지만, 이 디젤동차는 1편성을 제외하고 전부 폐차되어 거의 모든 중장거리 열차는 모두 객차이다. 현재는 디자인리미트사의 신형 객차로 교체가 진행되고 있다.
[편집] 차량
무궁화호의 객차는 한국 철도의 차량 중에서 가장 많다. 우등으로부터의 개칭 초기에는 창문이 작은 구형 객차였지만, 1986년 새마을호에 스테인리스 신형 객차가 도입됨과 함께 구 새마을호로부터 격하된 객차로 바뀌고 창문이 작은 객차는 모두 통일호로 격하되었다. 그 후, 무궁화호용으로 문 주위를 개량하고 좌석을 증설한 객차가 새로 도입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차체의 길이를 23미터로 늘린 장대형 객차를 생산하고, 차체의 스커트를 둥글게 하였으며, 시트간 간격을 넓혔다. 2000년부터는 객차 제조 회사를 통폐합하여 새로 생긴 디자인리미트사가 신형 객차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예전에는 새마을호 도입 초기의 차량이 무궁화호로 격하된 후에 다시 통일호로 격하되었지만 객차를 운용하는 통근 열차의 폐지로 옛 새마을호 출신의 차량은 바로 폐차 혹은 매각되고 있다. 폐차될 구형 무궁화호 객차를 개발도상국에 보내는 계획이 세워져 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새마을호에 전후동력형 디젤 동차가 대량으로 도입되었기 때문에, 남는 스테인리스 객차 일부가 유선형 무궁화호로 격하되었다. 이 객차들은 특실 전용 열차로서 운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 제작된 무궁화호 객차는 새마을호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정도의 객실 설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2000년대에 특실 전용 열차가 폐지되었다. 특실 전용 무궁화호 열차의 폐지와 함께 모든 유선형 무궁화호 차량은 KTX 개업과 함께 정기 운용으로부터 제외되었으며 다른 무궁화호 열차의 특실도 폐지되었다. 그러나 2007년 10월부터 영동 지역의 서비스 개선을 위해 청량리역을 출발하는 일부 무궁화호 열차에 한해 새마을호 일반실 열차를 개조하여 특실을 편성할 예정이다.
현재의 침대차는 모두 디자인리미트 사의 신차로, 정규 열차에는 편성되지 않고 금강산 관광 열차 등에 한해서 운행되고 있다.
차호에 따른 각 차량의 구분은 아래 목록을 참고하라.
- 51~59: 구형 스낵카
- 71: PC방 객차. 현재는 운용하지 않는다.
- 84~87: 신형 식당차
- 10xxx: 장애인 시설
- 110xx: 구형 특실 (1991~1994)
- 112xx: 신형 해태중공업 특실. 일부 차량이 "TLX Lady Bird"로 개조되었다. (1998)
- 11201~11250(11222, 11241, 11242 제외): 유선형 무궁화호 일반실 (구 특실전용 무궁화호) (1986~1987)
- 11265~11290(총 17량, 결차 있음): 새마을호 개조 특실 (1998~1999)
- 11581~11959: 대만 탕엥사 제작 무궁화호. 옛 객차형 통일호와 같은 형태의 일자형 출입문으로 승차감과 차량 상태가 좋지 않은 편이며 대부분 폐차되었으며 남아있는 차량도 현재는 정기운용에 이용되지 않는다. (1980~1981)
- 11501~11999: 장대형 무궁화호(대수선). 좌석 배열이 2*3에서 2*2로 개조된 차량이다. (1985~1989)
- 11526~11563: 장대형 무궁화호(대수선). 좌석 배열이 2*3에서 2*2로 개조된 차량이다. (1989~1993)
- 12001~12189(10101, 10102 포함): 장대형 무궁화호. 베이지색 벽면의 클래식 디자인. (1994~1996)
- 12190~12318: 장대형 무궁화호. 벽면 무늬가 나뭇결무늬이다. 애칭은 "나무나라" (1996~1998)
- 12319~12537: 장대형 무궁화호. 벽면 무늬가 나뭇결무늬이며 승차감이 상대적으로 좋은 KT23 대차를 이용하였다.(1997~1999)
- 12538~12698: 장대형 무궁화호. 로템과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한 2000년형 밀레니엄 무궁화호 차량으로 승차감이 좋은 KT23 대차를 사용하였으며, 간접조명을 채용하였다. 기존 장대형보다 출입문 수가 2개 줄어들고 서비스 공간이 늘어났다. 공조장치가 차량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시 디스크에서 일어나는 분진이 공조기로 스며들어 초기형 차량은 한때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2000~2002)
- 12699~12780: 장대형 무궁화호.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한 2003년형 밀레니엄 무궁화호 차량으로 승차감이 좋은 KT23 대차를 사용하였으며, 객실내 LCD 모니터를 설치하였고 간접조명을 채용하였다. 기존에 도입한 일부 차량에서 발생한 공조장치 문제는 이 세대의 차량에서 모두 해결되었다. (2003)
[편집] 운영
정기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일부 노선에서는 전역정차 무궁화호도 함께 운행하고 있다.
다음 노선에서는 2007년 10월부터 무궁화호 특실이 운영될 예정이다.
[편집] 함께 보기
[편집] 바깥 고리
고속 열차 | KTX·HSR-350x·KTX-2·HEMU-400X |
---|---|
증기 기관차 | 모가·4륜·푸러·아메·터우·발틱·고로·시그·마터·사타·혀기·소리·파시·미카·901호 |
디젤 기관차 | 2000·2100·3000·3100·3200·4000·4100·4200·4400·5000·6000·6100·6200·6300·7000·7100·7200·7300· |
디젤 동차 | 3등 동차·협궤 동차·니가타·가와사키·DEC·DHC·NDC·CDC·가솔린 동차 |
전기 기관차 | 데로·8000·8100·8200 |
전동차 | EEC·TTX·HEMU·수도권 전철·부산 지하철·대구 지하철·인천 지하철·광주 도시철도·대전 도시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AUTS |
객차 | 새마을호 객차·무궁화호 객차·통근열차(구 통일호) 객차·비둘기호 객차 (2000년에 폐지)·귀빈 객차·협궤 객차·특실 객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