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
![]() |
기독교의 역사 |
예수 |
기독교 신학 |
삼위일체(성부, 성자, 성령) |
경전 |
구약성서 (모세오경) |
기독교의 분파 |
로마 가톨릭 |
기독교 운동 |
에큐메니컬 운동 |
미사(라틴어: missa)는 로마 가톨릭과 성공회의 공적인 예배로 7가지 성사 중 하나인 성체 성사를 포함한다. 가톨릭처럼 서방교회의 전례를 갖고 있는 성공회에서도 미사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감사성찬례라는 전례용어를 사용한다. 정교회에서는 미사라는 용어대신 성찬예배라고 부른다. 미사는 사제 이상의 성직자가 부제나 시종직, 혹은 복사의 도움을 받아 집전한다. 가톨릭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때 미사 전례가 개편되면서 평신도에게도 일부 역할분담이 이루어졌으나, 미사를 집전하는 것은 가톨릭 성직자에게만 허락된 고유 권한이다.
미사는 크게 성서 봉독, 복음, 강론을 통해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말씀 전례 부분과 예수 그리스도의 최후 만찬을 재현하고 성체를 모시는 성찬 전례 부분으로 나뉜다.
목차 |
[편집] 어원
미사(missa)는 '보냄, 파견'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missa’에서 유래하였다.
라틴 전례의 미사에서, 마침 예식의 맨 마지막에 이르면 사제가 '가십시오. 나는 그대를 보냅니다.'(Ite, missa est)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missa’가 미사 전례 자체를 일컫는 말로 변화하였다.
[편집] 라틴 미사 전례
[편집] 현대의 로마 가톨릭 전례
로마 가톨릭 교회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결정으로 미사를 집전할 때 국가와 장소에 상관 없이 라틴어로 이루어진 라틴 전례만을 허용해 왔으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인 1965년부터 각 나라의 언어로 된 미사 전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으며, 양식에 있어서도 해당 지역의 실정에 맞추어 약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허용했다. 단, 이 경우 반드시 사전에 교황청(사도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한국의 천주교회에서도 로마 교황청의 승인을 받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가 출판한 '미사통상문'[1]에 따라 미사를 행한다.
[편집] 가톨릭교회의 미사
I. 시작 예식
- 입당
- 입당송 또는 입당 성가
- 참회
- 통회 기도
- •대림 시기와 사순 시기에는 대영광송을 생략한다.
- 본기도
II. 말씀 전례
- 제1독서
- 화답송
- •화답송은 주로 시편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제1독서에 대한 응답이다.
- 제2독서
- 부속가
- •부속가는 특별한 축일 미사 때 부르는 찬미가이다.
- 복음 환호송 (알렐루야 Alleluia)
- 복음
- 강론
- 신앙고백 :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 또는 사도신경 (크레도 Credo)
- 보편 지향 기도 (신자들의 기도)
III. 성찬 전례
- 예물 준비
- 감사기도
- 감사송
- 거룩하시도다 (상투스 Sanctus)
- 성령 청원(에피클레시스) : 축성 기원
- 성찬 제정과 축성문
- 기념과 봉헌
- 성령 청원 : 일치 기원
- 전구
- 마침 영광송
- 주님의 기도 (주기도문 Pater Noster)
- 평화 예식
- 하느님의 어린 양 (아뉴스 데이 Agnus Dei)
- 영성체 전 기도
- 영성체
- 영성체송
- 감사 침묵 기도
- 영성체 후 기도
IV. 마침 예식
- 강복
- 파견
- 파견 성가
위령미사, 혼인미사처럼 특수한 목적을 가진 미사나, 대축일이나 성주간 등 특정 시기에 행해지는 특별한 미사의 경우에는 별도로 정해진 전례를 따른다.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