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축소가 아닌 다른 소에 관한 내용은 소속에, 다른 뜻에 관한 안내는 소 (동음이의)에 있습니다.
위키백과:생물 분류 읽는 법
생물 분류 읽는 법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색동물문
강: 포유강
목: 소목
과: 소과
속: 소속
종:
학명
Bos taurus
Linnaeus, 1758

는 소속에 속한 초식동물로, 가축화된 우제류의 하나이다. 소는 쇠고기, 송아지 고기 등 고기우유 등의 유제품, 가죽을 얻기 위한 목적과 수레, 쟁기 등의 짐을 끌게 하기 위해서 길러진다. 칡소처럼 고기를 얻기 위해서 키우는 소, 우유를 얻기 위해서 키우는 젖소 등이 있다. 산업화 이전에는 달구지나 쟁기를 끄는 데에 주로 이용되었다. 인도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 소는 종교 의식에서 예우를 받으며 숭배의 대상이 된다. 오늘날 지구상에는 약 14억 마리의 소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

소는 칼 폰 린네가 처음으로 세 종(種)으로 구별하였다. 하나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에 서식하는 소(학명: Bos taurus)이고, 또 하나는 인도 혹소(학명: Bos indicus), 그리고 멸종된 오록스(학명: Bos primigenius)이다. 오록스는 인도 혹소와 유럽 소의 조상이다. 문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소는 다른 비슷한 종들과 이종교배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목차

[편집] 용어

소를 뜻하는 영어 "Cattle"은 우과(牛科) 동물을 지칭하는 낱말이 아니었다. 이 말은 라틴어 caput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머리", "움직이는 재산"을 뜻하였는데 특히 종류 불문하고, 가축을 뜻하는 말이었다. [2] 이 단어는 오늘날 동산을 뜻하는 "chattel", 경제학 용어로서의 "capital"과 매우 관련되어 있다.[3][4] [5] [6] 즉, 소는 재산을 뜻했다. 영국인들이 일체의 동산을 뜻하는 'good and chattels' 대신 'goods and Chatals'를 사용했던 16세기까지는 동산 저당이 오랫동안 소 저당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7] [8]

제임스 왕 판 성서(영어: King James Version of the Bible)같이 좀 오래된 영어 문헌에서도 cattle을 일반적인 가축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소속(屬)의 다른 종(種)들도 때때로 "소(cattle)" 또는 "야생소(wild cattle)"라고 불린다. 이 문서에서는 cattle의 일반적의 의미, 즉 가축인 유럽 소를 다루기로 한다.

영어의 cattle은 복수 명사는 아니고 집합 명사이다. 따라서 "어떤 소(some cattle)"라고는 할 수 있지만 "소 세마리(three cattle)"라고는 쓰지 않는다. 현대 영어에서 소의 성(性)이나 연령의 차이에 따라 소를 지칭하는 용어는 다양하게 있으나 소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단수 명사로는 "cattle"이 유일하다. (단, "catr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솟과 가축을 지칭하는 단수 명사는 "ox"이다. "bull"은 수컷인 ox이고, "cow"는 암컷인 ox이다. 이 ox가 솟과 가축을 뜻하는 표준어이었다는 점은 "Oxford"와 같은 지명에서도 나타난다. "Ox"는 이제 이러한 일반적인 의미로는 사용이 드물고, 그 대신, 짐을 끌기 위해 길들여진 가축으로서 거세된 수컷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 대신에 암컷만을 뜻하던 용어인 "cow"가(고래코끼리같은 다른 동물의 암컷도 cow로 불린다.) 성별의 구별없이 많이 쓰인다. 이 동물을 성별 구별없이 특정한 수효를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ten head of cattle"(소 열마리)와 같이 조수사가 쓰인다. 소의 복수형(復數型)을 나타내는 고어체 단어는 "kine" 또는 "kyne"이다.".[9]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스코틀랜드의 일부 농부들은 "cattle beast" 또는 그냥 "beast"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미국 남부 지역(특히 애팔래치아 산맥 지방)의 토박이들은 소 한 마리를 "a beef critter"라고 한다. 이 것은 1960년대까지도 일반적이었다가[출처 필요] 점차 사라졌는데 아직도 일부 지방의 노인 거주자들은 이 용어를 사용한다.

소를 뜻하는 폐어 중에 "neat"(이는 뿔 달린 소를 뜻하며, 우족유(牛足油, 영어: neatsfoot oil)도 여기서 유래함), "beef"(어린 소), "beefing"(도살하기에 알맞은 어린 짐승)가 있다. 사람이 소비하기 위하여 기르는 소를 "beef cattle"이라고 부른다. 미국의 어떤 지역의 목축 산업에서는 "beef"(복수형 beeves)가 성별의 구별 없이 어떤 동물을 지칭하는 의미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우유를 얻기 위하여 길러지는 소는 젖소(영어: dairy cows)라고 부른다.

어린 소는 "송아지"(영어: calf)라 부른다. 어린 암컷 송아지 중에서 아직 새끼를 낳지 않은 소를 ""heifer" 또는 "heifer"라고 부른다. [10] [11] 어린 수컷은 "bullock"이라고 한다. "bullock" 또는 "steer"는 또한 거세된 수컷을 지칭할 때도 쓰인다.(단, 짐을 끌기 위한 용도의 숫소일 경우에는 "ox"라 한다. 사향소를 뜻하는 "musk ox"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거세된 다 큰 수컷은 "stag"라 부른다. 거세되지 않은 다 큰 수컷은 "bull"이라 한다. 다 큰 암컷 중 송아지가 두 마리 이 낳은 소를 "cow"라 한다. 소의 형용사는 "bovine"을 쓴다.

[편집] 생물학적 특징

소는 네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한 개의 를 가진다. 네 개의 부분은 반추위, 벌집위, 겹주름위, 주름위인데 반추위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소는 때로 벌집위( 중에서 가장 작은 부분이다.)에 비축해 둔 금속 물질을 소비한다. 여기가 소의 외상성 위염이 일어나는 곳이다. 벌집위(영어: reticulum)는 "Honeycomb"이라고도 한다. 겹주름위의 주요 기능은 소화된 먹이로부터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것이다. 겹주름위(영어: omasum)는 또한 "Many Plies"로도 알려져 있다. 주름위는 사람의 위와 매우 비슷해서 "true stomach"이라고도 한다.

소는 반추 동물인데 이 말은 소는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먹이를 반복하여 게워내고 이를 새김질감으로 다시 씹을 수 있는 소화 계통을 가졌다는 뜻이다. 새김질감은 다시 삼켜지고 반추위에 서식하는 특별한 미생물에 의하여 좀 더 소화가 된다. 이 미생물들은 섬유소와 기타 탄수화물을 휘발성 지방산으로 변화시키는데, 소는 신진대사의 주요한 에너지로 이 휘발성 지방산을 사용한다. 반추위에 서식하는 이 미생물들은 요소나 암모니아 같이 단백질이 아닌 질소 성분들로부터 아미노산을 합성해 낸다. 이러한 특징으로 소는 풀과 기타 초목을 먹고 잘 자란다.

이 미생물 중 일부는 메탄생성경로라 불리는 혐기성(嫌氣性) 과정에 의하여 장(腸) 내에서 호흡을 한다. 소는 많은 양의 메탄을 배출하는데 그 중 95%는, 방귀가 아닌, 트림을 통해서 배출된다. 메탄 내에 들어있는 탄소는, 광합성에 의하여 만들어진 목초를 소화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므로 이 과정에 의하여 탄소가 대기로 배출되는 것은 해롭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광합성에 의하여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는 제거되고 이 것이 메탄으로 전환되는 것이기 때문 대기 중의 탄소의 양을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23배 강력한 온실 기체이다. [12] 그리고 가축에 의하여 생산되는 메탄 가스는 온실 기체를 증가시키는 명백한 요인이다.[13] 보충적으로 식이요법을 쓰고 메탄을 생성하는 미생물을 비율을 줄이는 처치, 백신 처방 등으로 이러한 메탄을 줄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4]

암소의 수태 기간은 9개월이다. 막 태어난 송아지의 몸무게는 대략 35~45kg이다. 아주 큰 숫송아지는 4,000파운드까지도 나간다. 소의 최장 수명은 25년이다.

카포테를 들고 투우하는 모습
카포테를 들고 투우하는 모습

소에 관한 흔한 오해는 특히 비거세 숫소가 빨간 색에 흥분한다는 것이다. 이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소들은 대부분이 색맹이기 때문이다. [15] [16] [17]. 이러한 미신은 투우에서 빨간 망토를 사용하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실제로 두 종류의 망토가 쓰인다. 하나는 카포테라는 후드 달린 긴 망토로서 이는 자홍색과 노랑색이고 미끈하게 처진 망토이다. 이 보다도 더 흔히 알려진 것이 물레타(muleta)라는 망토인데 이는 더 작고 빨간색이다. 이 것은 특히 투우에서 마지막, 죽음의 차례가 되었을 때 사용된다. 그러나 비거세 숫소를 흥분하게 만드는 것은 이 빨간색이라는 점이 아니라 이 망토를 소의 주위로 맴돌게 하는 것이다. [18].

소의 눈에는 파랑색과 노랑색이 보이지 않는다.

[편집] 쓰임새

소는 늦어도 신석기 시대 초기에 가축화된, 인류 역사상 가장 독보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가축이다. 소는 고기(고기소), 우유(젖소) 그리고 가죽을 얻기 위해서 길려진다. 또한 짐을 끄는 가축으로서 또 스포츠에서도 쓰인다. 일부에서는 소가 가장 오래된 재산의 형태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하고 또 소 도둑이 절도의 가장 오래된 형태라는 점도 주장되고 있다.

포르투갈, 스페인, 남부 프랑스와 일부 남미 국가에서 소(비거세 숫소)는 투우 경기에 쓰인다. 남부 인도에도 이와 유사한 "Jallikattu"라는 것이 있다. 그러나 투우는 그 밖의 나라에서는 불법이다. 특히 미국 북부에서는 로데오의 일부분으로서 소 타기 같은 스포츠도 볼 수 있다.

황소 뛰어넘기(영어: Bull-leaping)는 청동기 시대 미노스 문명의 중심적인 의식의 하나였으며 현재도 남서부 프랑스에서 행해진다.

광우병의 발병은 소의 뇌나 척수를 먹는 식습관을 가진 지역에 한정된다. 미국에서는 근세에 들어서 소를 농업경진대회(영어: agricultural competitions)에 출품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 경진대회에는 살아 있는 소나 쇠고기 모두 그 대상이 되었다.

[편집] 방목 사육

소는 흔히 무리지어 방목장의 넓은 구역에서 풀을 뜯어 먹으며 자란다. 이렇게 방목식으로 소를 키우는 것은 작물을 재배하기에는 적당치 않은 땅을 생산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소를 키우며 소와 대면하는 가장 일상적인 것은 먹이주기, 씻기기, 그리고 젖짜기이다. 또한 사육에 있어서 정형화된 일 중에는 귀에 꼬리표 달기, 뿔 뽑기, 외과 수술, 백신 주사, 발굽 다듬기 또한 농업경진대회를 대비한 준비 등이다. 소 사육도 문화적 차이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플라니족 남자들은 소를 모는 기술에 의지하여 소를 사육하는가 하면, 유럽에서는 울타리와 같이 물리적인 수단을 써서 소 몰이를 한다. [19]

소 사육업자는 선택적인 사육과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을 피하여 소의 건강을 유지함으로써 주로 공기를 통하여 감염되는 우형 결핵균(영어: Mycrobacterium bovis)을 줄이려면 방목장에서 소를 사육하여야 한다. 소는 쇠고기, 송아지고기, 유제품, 가죽을 얻기 위해 길러진다. 때로는 영국의 에핑 포레스트(영어: Epping Forest)의 경우처럼 야생의 잔디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되기도 한다. 소는 가축을 기르기에 가장 험한 곳에서도 길러진다.

[편집] 한국의 소

농경을 위주로 했던 조선시대 이전의 한국 사회는 소를 중요시 했으며, 농사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한국에서의 소는 힘과 고집이 세나 순하고 듬직한 존재로 여겨졌고, 인격체로 다루어지기도 했다.

  • 소는 십이지 중 두 번째 동물이다.
  • 농경시대에는 짐을 나르거나 밭을 가는 용도로 이용되었으며, 석기시대, 청동기시대에는 소의 가 점을 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 '우두주(牛頭州)', 우이동 등 소와 관련된 지명이 많다.
  • 별자리견우는 '소를 끄는 사람'을 의미하며, 종종 '소(牛)'로 표시되기도 한다.
  • 황소는 종종 씨름대회의 상으로 주어지기도 했다.

[편집] '황희정승과 소' 이야기

이 이야기는 '불언장단(不言長短:남의 장단점을 말하지 않음)'이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옛날에 황희정승이 벼슬하기 전에 길을 가니, 길에서 쉬다가
농부가 두 마리의 소에 멍에를 씌워 밭가는 것을 보고,
묻기를, "두 소 중 어느 것이 더 나은가 ?"
농부가 대답하지 않고, 밭갈기를 거두고 당도하여, 귀에 대고 작게 말하기를, "이 소가 낫습니다."
공이 괴이하게 여겨 말하기를, "왜 귀에 대고 말하는가 ?"
농부가 말하기를, "비록 가축이지만, 그 마음은 사람이나 마찬가지요. 이 소가 나으면 저 소는 못한 것이니 소에게 이를 듣게 하면 어찌 불평의 마음이 없겠습니까 ?"
그리하여 다시는 남의 장단점을 말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편집] 세계의 소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편집] 주석

  1. http://cattle-today.com/
  2. 하퍼(Harper), 더글러스(Douglas) (2001). Cattle.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2007년 8월 21일에 접속 확인.
  3. 하퍼(Harper), 더글러스(Douglas) (2001). Chattel.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2007년 8월 21일에 접속 확인.
  4. 하퍼(Harper), 더글러스(Douglas) (2001). Capital.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2007년 8월 21일에 접속 확인.
  5. 리프킨, 제러미 [2002] (2002-01-18). “신석기 시대의 카우보이”, 《육식의 종말》, 초판 (한국어), 서울: 시공사, 38쪽2007-08-21에 확인. “'소'를 뜻하는 'cattle'은 '자본'을 뜻하는 'capital'과 동일한 어원을 갖고 있다. 많은 유럽어에서 '소'는 '자본' 및 '동산(chattel)'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6. 패트리지(Patridge), 에릭(Eric) [1983]. 《유래:현대 영어의 어원 소사전 Origin:A Short Etymological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영어). 뉴욕: Greenwich House, 84쪽.
  7. 리프킨, 제러미 [2002] (2002-01-18). “신석기 시대의 카우보이”, 《육식의 종말》, 초판 (한국어), 서울: 시공사, 38쪽2007-08-21에 확인. “소는 재산을 뜻했다.... 영국인들이 일체의 동산을 뜻하는 'good and chattels' 대신 'goods and Chatals'를 사용했던 16세기까지는 동산 저당이 오랫동안 소 저당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8. 펑크(Funk), 윌프레드(Wilfred) [1979]. 《단어의 어원과 그 낭만적 이야기들 Word Origins and Their Romantic Stories》 (영어). 뉴욕: Crown.
  9. Harper, Douglas (2001). Kine.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2007년 8월 29일에 접속 확인.
  10. heifer의 정의. Merriam-Webster. 2007년 9월 1일에 접속 확인.
  11. Warren, Andrea. Pioneer Girl: Growing Up on the Prairie (PDF). Lexile. 2007년 9월 1일에 접속 확인.
  12. (pie charts)
  13. Spencer Weart: The Discovery of Global Warming: "Other Greenhouse Gases". June 2007.
  14. Triad bid to stop belching. 2006년 1월 4일에 접속 확인.
  15. http://www.beef-cattle.com/beef-cattle-biology-and-terminology.htm
  16. http://www.itla.net/index.cfm?sec=Longhorn_Information&con=handling
  17. http://iacuc.tennessee.edu/pdf/Policies-AnimalCare/Cattle-BasicCare.pdf
  18. http://www.beef-cattle.com/beef-cattle-biology-and-terminology.htm
  19. Lott, Dale F., Hart, Benjamin L. (October 1979). "Applied ethology in a nomadic cattle culture". Applied Animal Ethology 5 (4): 309-319. DOI:10.1016/0304-3762(79)90102-0. 2006년 11월 7일에 읽어봄.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