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육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 ROKA, ROK Army)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목차 |
[편집] 역사
[편집] 창설기
일제강점기 시대의 독립군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의 광복군을 기원으로 삼기도 하지만, 실질적인 대한민국 육군의 시작은 남조선국방경비대와 미군정이 설립한 군사영어학교가 모태이다.
[편집] 한국전쟁 중
한국전쟁 초기 대한민국 육군은 개성 방면의 국군 1 보병사단(사단장 : 백선엽 대령)과 춘천 방면의 6사단 (사단장 : 김점곤 대령)을 제외하면 나머지 사단급 부대 모두 괴멸당하는 패배를 겪고 밀려나야 했다. 중국 국민당군 3성 장군 출신의 김홍일 장군이 시흥지구 전투사령부를 조직하여 임시로 패잔병들을 수습하였으나 전쟁 초기 상기 2개 사단과 웅진 반도에 주둔하고 있던 17연대를 제외하면 사실상 조직적인 군사행동은 불가능한 수준까지 떨어졌다.
초기 창군 과정에서 장교들이 고속 승진을 거듭한 끝에 장군이라고 해봐야 김홍일 장군을 제외한 나머지 장성들이 20대 후반 ~ 30대 중반이었던 관계로 지휘 경험과 대규모 군대 운영 및 행정 경험이 일천하여 전쟁 기간 내내 지휘력, 전투력 부족 문제로 시달려야 했다. 사단급 부대가 다시 10개 사단으로 늘어난 후에도 군단 편성이 늦어진 점이나 편성된 군단도 다른 나라 "군단" 급 부대에 비하면 보병사단 3개를 모아둔 것에 불과할 뿐 군단으로서 전투력을 가지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실제로 이들 1, 2군단은 모두 해체되는 아픔을 겪었고, 현재의 1군단은 1952년에 지리산 공비 토벌전을 위해 임시 편성인 Task Force 성격의 백야전사령부를 모태로 새로 창설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한국군은 투지는 강했으나, 훈련의 양과 질, 장교의 지휘 능력, 보유 장비 등에서 부족함이 많았다. 백선엽은 회고록에서 "1개 보병사단 전체를 105mm 1개 포병대대가 지원하고, 연대는 4.2인치 박격포 중대가 지원하는" 상황이었다고 술회했다. 당시 미군 보병사단은 1개 155mm 대대와 3개 105mm 대대로 사단 포병을 구성하고 있었다(현재 한국군의 1개 사단 당 포대는 155mm 자주포 내지는 견인포로 1개 연대 정도다. 물론 편제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으며 105mm포는 지역 예비군만 사용할뿐 현역 사단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1951년 이후 미국이나 대한민국 모두 한국군의 군사력 증강을 위하여 노력을 기울였다. 미국도 NATO의 창설과 염전 분위기 등으로 인해 한국에서 병력을 빼야 하는 상황이었다. 백선엽의 회고록에 따르면 1951년까지 미국과 이승만은 증강에는 동의했지만, 그 방식에서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했다. 이승만은 기존 10개 사단 외에 10개 사단 추가 증설을 위한 지원을 요구했고, 미국은 기존 사단들도 전투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데 무슨 10개 사단 증설이냐면서 기존 사단들의 전투력 배양이 먼저라고 맞받아쳤다. 즉, 양이냐, 질이냐에서 이승만은 전자를, 미국은 후자를 주장한 것이다.
이 와중에 현리 전투에서 한국군(3군단)은 맥없이 패배하여 수십Km를 후퇴했고, 이웃한 미군 사단들이 급히 수습에 나서야 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 전투에서 한국군이 보여준 무기력한 모습은 결국 미국 제8군 사령부와 유엔군 사령부의 중대 결단을 낳게 했다. 당시 육본은 최전방에 전방지휘소를 두고 국군 군단에 대해 어느 정도의 작전지휘를 하고 있었다. 1950년 7월 협정으로 이승만이 미국에 한국군의 전체 지휘권을 넘겨주었지만, 미군은 적당히 융통성을 발휘해 육본의 독자 지휘를 어느 정도 인정해주고 있었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전방지휘소 뿐만 아니라 3군단마저 폐지하고 모든 한국군 사단을 미군 군단에 배속시키게 된다. 군단급 이상 상급 부대가 모두 폐지된 것은 한국군에게는 치욕이었으나, 이승만도 미군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전쟁 중 한국군의 1차 증강은 미군의 주장에 따라 기존 사단들의 전투력 배양과 장교에 대한 교육 과정 강화를 우선 사업으로 시작하게 된다.
[편집] 전후 재편과 발전
2004년 현재, 한국 육군은 K1, K1A1, T-80U 등 3세대급 최신예 전차 1,180여대를 포함, 2,300여대의 전차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차기전차인 K-2 전차를 XK-2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개발완료 하였으며, 2007년 현재 시험운행중에있다. 한편, 공중기동전력의 확보를 위해 한국형 헬기 사업((Korean Helicopter Program, KHP)을 추진하고 있다.
[편집] 베트남 전쟁 참전
- 이 부분의 본문은 베트남 전쟁입니다.
[편집] 율곡 계획과 육군
[편집] 유엔평화유지활동차원에서 해외파병
[편집] 아픈 역사
[편집] 조직과 편성
2006년 현재 3개 야전군 체제로 유지되고 있으며, 3개 야전군 외에 별도로 한미연합사령부가 있다. 한미연합사령부는 전시 작전을 총괄하는 기구이며, 연합사 지상군구성군은 산하에 대한민국 육군 1,3군과 미 육군 8군을 예하에 둔다.
- 육군본부
-
-
-
-
- 화학전방호사령부
- 유도탄사령부
- 항공작전사령부
-
- 제1항공여단
- 제2항공여단
- 제203특공여단
-
- 수도방위사령부
-
-
- 제1화학전 방호여단
- 제122통신여단
- 제10방공단
- 제1113공병단
- 경비단
- 제52향토사단
- 제56향토사단
- 제57향토사단
- 제60동원사단
- 제71동원사단
-
- 특수전사령부
-
-
-
- 707특수임무대대
- 특수전교육단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5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공수특전여단
-
-
- 육군군수사령부
- 육군교육사령부
-
- 육군대학
- 육군병과학교
- 육군전투발전단
- 육군사관학교
-
- 제1야전군 사령부
-
-
-
- 제3기갑여단
- 제11야전포병단
- 제12항공단
- 제1107공병단
- 제1170공병단
- 제11기계화보병사단
- 제1군수지원사령부
-
- 제2군단
-
-
- 제2포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102통신여단
- 제702특공연대
- 제302경비연대
- 제7보병사단
- 제15보병사단
- 제27보병사단
-
- 제3군단
-
-
- 제3포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103통신여단
- 제703특공연대
- 제303경비연대
- 제2보병사단
- 제12보병사단
- 제21보병사단
-
- 제8군단
-
-
- 제8포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22보병사단
- 제23보병사단
-
-
- 제2야전군 사령부
-
-
-
- 제21항공단
- 제1117공병단
- 제1120공병단
- 제5군수지원사령부
-
- 제9군단 (2010년 해체)
-
-
- 제201특공여단
- 제31향토사단
- 제32향토사단
- 제35향토사단
- 제37향토사단
-
- 제11군단 (2010년 해체)
-
-
- 제205특공여단
- 제39향토사단
- 제50향토사단
- 제53향토사단
-
-
- 제3야전군 사령부
-
-
-
- 제1방공포병여단
- 제1101공병단
- 제1173공병단
- 제1175공병단
- 제2군수지원사령부
- 제3군수지원사령부
-
- 수도군단
-
-
- 수도포병여단
- 제103보병여단
- 제100통신여단
- 제700특공연대
- 제17보병사단
-
- 제1군단
-
-
- 제2기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01통신여단
- 제11항공단
- 제701특공연대
- 제301경비연대
- 제1포병여단
-
- 제2야전포병단
- 제3야전포병단
- 제7야전포병단
- 제1보병사단
- 제9보병사단
- 제25보병사단
- 제30기계화보병사단
-
- 제5군단
-
-
- 제1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105통신여단
- 제15항공단
- 제705특공연대
- 제305경비연대
- 제5포병여단
-
- 제1야전포병단
- 제5야전포병단
- 3보병사단
- 6보병사단
- 제8보병사단
-
- 제6군단
-
-
- 제5기갑여단
- 제6공병여단
- 제106통신여단
- 제16항공단
- 제706특공연대
- 제306경비연대
- 제6포병여단
-
- 제6야전포병단
- 제9야전포병단
- 제5보병사단
- 제26기계화보병사단
- 제28보병사단
-
- 제7군단
-
-
-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 제107통신여단
- 제17항공단
- 제7강습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 제20기계화보병사단
-
-
-
[편집] 주요 장비
[편집] 개인화기
[편집] 기갑장비
- K55 자주포
- K-9 자주포 및 K10 탄약보급차량
- K1 전차 및 K1A1 전차
- T-80U
- K200
- BMP-3
- KNIFV
- 바라쿠다 장갑차
- KM6614 차륜 장갑차
- KM9 전투공병차
- 천마 대공미사일
- 비호 자주대공포
[편집] 화포류
- KH-179 155mm 견인포
- MLRS
- 구룡 다연장포
- K-55 자주포 - 미국의 M106A2를 삼성항공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것
- K-9 자주포
- K-10 탄약보급차
- 기타 박격포
[편집] 일반 차량류
[편집] 항공전력
대한민국 육군 장비 | ||||||||
---|---|---|---|---|---|---|---|---|
대한민국 해군 장비 | 대한민국 공군 장비 |
[편집] 역대 참모총장
순서 | 이름 | 계급 (재직 당시) |
취임년도 | 취임일 | 퇴임년도 | 퇴임일 |
---|---|---|---|---|---|---|
1대 | 이응준 | 소장 | 1948년 | 12월 15일 | 1949년 | 5월 8일 |
2대 | 채병덕 | 소장 | 1949년 | 5월 9일 | 1949년 | 9월 30일 |
3대 | 신태영 | 소장 | 1949년 | 10월 1일 | 1950년 | 4월 9일 |
4대 | 채병덕 | 소장 | 1950년 | 4월 10일 | 1950년 | 6월 29일 |
5대 | 정일권 | 중장 | 1950년 | 6월 30일 | 1951년 | 6월 22일 |
6대 | 이종찬 | 중장 | 1951년 | 6월 23일 | 1952년 | 7월 22일 |
7대 | 백선엽 | 대장 | 1952년 | 7월 23일 | 1954년 | 2월 13일 |
8대 | 정일권 | 대장 | 1954년 | 2월 14일 | 1956년 | 6월 26일 |
9대 | 이형근 | 대장 | 1956년 | 6월 27일 | 1957년 | 5월 17일 |
10대 | 백선엽 | 대장 | 1957년 | 5월 18일 | 1959년 | 2월 22일 |
11대 | 송요찬 | 중장 | 1959년 | 2월 23일 | 1960년 | 5월 22일 |
12대 | 최영희 | 중장 | 1960년 | 5월 23일 | 1960년 | 8월 28일 |
13대 | 최경록 | 중장 | 1960년 | 8월 29일 | 1961년 | 2월 16일 |
14대 | 장도영 | 중장 | 1961년 | 2월 17일 | 1961년 | 6월 5일 |
15대 | 김종오 | 대장 | 1961년 | 6월 6일 | 1963년 | 5월 31일 |
16대 | 민기식 | 대장 | 1963년 | 6월 1일 | 1965년 | 3월 31일 |
17대 | 김용배 | 대장 | 1965년 | 4월 1일 | 1966년 | 9월 1일 |
18대 | 김계원 | 대장 | 1966년 | 9월 2일 | 1969년 | 8월 31일 |
19대 | 서종철 | 대장 | 1969년 | 9월 1일 | 1972년 | 6월 1일 |
20대 | 노재현 | 대장 | 1972년 | 6월 2일 | 1975년 | 2월 28일 |
21대 | 이세호 | 대장 | 1975년 | 3월 1일 | 1979년 | 1월 31일 |
22대 | 정승화 | 대장 | 1979년 | 2월 1일 | 1979년 | 12월 12일 |
23대 | 이희성 | 대장 | 1979년 | 12월 13일 | 1981년 | 12월 15일 |
24대 | 황영시 | 대장 | 1981년 | 12월 16일 | 1983년 | 12월 15일 |
25대 | 정호용 | 대장 | 1983년 | 12월 16일 | 1985년 | 12월 15일 |
26대 | 박희도 | 대장 | 1985년 | 12월 16일 | 1988년 | 6월 11일 |
27대 | 이종구 | 대장 | 1988년 | 6월 12일 | 1990년 | 6월 10일 |
28대 | 이진삼 | 대장 | 1990년 | 6월 11일 | 1991년 | 12월 5일 |
29대 | 김진영 | 대장 | 1991년 | 12월 6일 | 1993년 | 3월 8일 |
30대 | 김동진 | 대장 | 1993년 | 3월 9일 | 1994년 | 12월 26일 |
31대 | 윤용남 | 대장 | 1994년 | 12월 27일 | 1996년 | 10월 18일 |
32대 | 도일규 | 대장 | 1996년 | 10월 19일 | 1998년 | 3월 27일 |
33대 | 김동신 | 대장 | 1998년 | 3월 28일 | 1999년 | 10월 2일 |
34대 | 길형보 | 대장 | 1999년 | 10월 3일 | 2001년 | 10월 12일 |
35대 | 김판규 | 대장 | 2001년 | 10월 13일 | 2003년 | 4월 6일 |
36대 | 남재준 | 대장 | 2003년 | 4월 7일 | 2005년 | 4월 7일 |
37대 | 김장수 | 대장 | 2005년 | 4월 7일 | 2006년 | 11월 7일 |
38대 | 박흥렬 | 대장 | 2006년 | 11월 17일 | 재임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