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XP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웹사이트 | Windows XP |
개발사/ 개발자 |
마이크로소프트 |
계열 | 윈도 NT |
소스 형태 | 클로즈드 소스 |
최신 버전 | Service Pack 2 (서비스 팩 2) / 2004년 |
업데이트 방식 | 윈도 업데이트 |
지원되는 플랫폼 | x86, AMD64 |
커널 형태 | 하이브리드식 커널 |
라이센스 | 마이크로소프트 EULA |
상태 | 판매중 |
윈도 XP는 윈도 NT 커널을 기반으로 하면서 윈도 95 및 그 후계작의 사용자 편의성을 살린 버젼으로, 윈도 Me와 윈도 2000을 하나로 합친 운영체제이다. "홈 에디션"과 "프로페셔널 에디션"으로 나뉘어서 출시되는데, 프로페셔널에는 홈 에디션에서 제외된 고급 보안 및 네트워킹 옵션들이 포함되어 있다. "미디어 센터" 에디션이 2003년에 출시되었는데, 이는 DVD/TV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고, 프로그램 녹화 및 원격 조정을 지원한다. 이 외에도 터치 스크린 입력을 지원하는 "태블릿 PC 에디션"이 출시되었으며, AMD64 프로세서 및 EM64T 확장을 지원하는 인텔 프로세서를 위한 "x64 에디션"이 출시되었다.
윈도 XP가 개발 당시에는 휘슬러라는 가명으로 불려졌다. XP는 experience에서 x와 p를 따 만들었다.
목차 |
[편집] 종류(용도)
[편집] 윈도 xp 홈에디션
가정용 PC에 맞춰 나온 보급형 윈도 XP로서, 윈도 서버에 연결하는 도메인 기능 및 일부 기업용 기능이 빠져 있다. 32비트 프로세서 전용이다.
[편집] 윈도 xp 프로페셔널
윈도 XP 프로페셔널은 기업에서 쓰기 알맞도록 여러 기술을 더한 개인용 윈도 XP의 고급 버전이다. 도메인 연결, 원격 데스크톱 연결, 최대 2개의 CPU 개수 지원, 최대 1개의 사이트를 구동할 수 있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 등 다양한 기술이 들어 있어 사무 효율성을 높여준다. 32비트 프로세서 전용이다.
[편집] 윈도 xp 미디어센터
윈도 xp의 보급이 일반화된 시점에서 가정용 PC에 대한 인지나 목적이 하드웨어 및 프로세서 제조 업체들에 의하여 변화를 맞이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나온 특별판이다. 즉, 컴퓨터 모니터 앞에 앉아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아닌 일반 가전 기기로서의 컴퓨터라는 이미지에 알맞는 기능과 소프트웨어를 내장한 특별판이다. 미디어센터는 윈도 xp 프로페셔널을 기초로하여 미디어센터라는 별도의 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 및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콘을 이용하여 컴퓨터 안에 저장된 음악, 사진, 동영상을 보거나 들을 수 있고, TV 수신 카드와의 연동을 통하여 TV 시청 및 TV 녹화 기능도 제공한다. 미디어센터는 2003년 처음 선보였고 현재는 2005년 버전이 최신 버전에 해당한다. 윈도 비스타 출시 후에는 직접 미디어센터가 윈도 비스타의 기본 구성 요소로 제공되기 시작하였다. 32비트 프로세서 전용이다.
[편집] 윈도 xp 태블릿 pc
태블릿 PC라는 특수한 형태의 휴대용 컴퓨터가 업계에 등장한 직후 마이크로소프트가 이에 대응하여 만든 윈도 xp의 한 버전이다. 터치 스크린 방식의 펜 입력을 지원하고 필기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하여 전용 IME를 채택한 것이 특징이며, 별도의 필기장 뷰어 및 편집 프로그램과 함께 필기장 뷰어도 제공되었다. 태블릿 pc에서 작성한 필기장 문서는 다른 윈도 운영 체제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가 무료로 배포하는 윈도 필기장 뷰어를 설치하면 볼 수 있다.
[편집] 윈도 xp x64 에디션
64비트 호환 프로세서가 AMD에 의하여 처음 발표된 이후 마이크로소프트가 여기에 맞추어 발표한 새 버전의 윈도 xp 운영 체제로, 프로페셔널 버전과 기능이 동일하며 코드 기반은 윈도 서버 2003을 기반으로 한다. x64 에디션이 지원하는 프로세서는 AMD64 호환 프로세서 및 EM64T 호환 프로세서이며 아이태니엄 프로세서와는 호환되지 않는다. 윈도 서버 2003의 64비트 버전 서비스 팩이 출시될 때 같이 서비스 팩이 발표된다.
[편집] 종류(라이센스)
[편집] 리테일
정품 박스에 포장되어 판매되는 것으로, 일반 소매점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편집] 업그레이드
윈도 98, 윈도 밀레니엄, 윈도 2000과 같은 기존 버전의 윈도가 설치되어있지 않은 PC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버전이다.
[편집] OEM
PC 전문 제조 업체가 직접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계약을 맺어 전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기존 버전의 윈도로부터 업그레이드하는 것에 제약이 있고, 지정된 유형과 모델 이외의 PC에서 OEM 버전의 윈도 XP를 설치하는 것은 계약 위반에 해당한다.
[편집] DSP
조립 PC에 적용되는 것으로 OEM 라이센스의 일종이다.
이것은 IBM PC 호환 기종은 직접 조립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PC 제조업체에 공급되는 일반 OEM과 달리 미디어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작하여 배포하며, 미디어의 내용은 리테일 버전과 거의 일치하지만, 포장이 간소하며 판매 방식에 차이가 있다. 본래 DSP 버전은 반드시 새로 조립되는 시스템과 결합되어야 하는 것으로 단품으로 거래될 수 없으며, 전체 시스템의 구성품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중요 하드웨어에 종속된 상태로만 유통될 수 있다. 즉, DSP 버전은 시스템빌더(PC 조립업체)에게 공급되는 특수한 OEM 형태로서 원칙적으로 최종사용자에게 직접 판매되는 제품이 아니므로 최종사용자 지원 및 제품 보증은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개인사용자도 DSP 버전을 직접 구입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최종사용자 자격이 아니라 그 자신이 시스템빌더로서 구매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므로, DSP 버전은 반드시 새로운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 사용되어야 하며 해당 시스템에 전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DSP 버전은 일반 OEM 버전과 마찬가지로, 그 라이센스는 최초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시스템으로 이전될 수 없다.
[편집] 볼륨 라이센스
윈도 XP부터 강력하게 적용되는 정품 인증 기능은 개인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다수의 컴퓨터에 같은 운영 체제를 동시에 설치해야 하는 기업의 경우 상당히 번거로운 부분이 되는데, 이것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이 라이센스를 대상으로한 해적판이 범람하자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버전의 윈도 XP에 대하여 정품 인증 혜택 기능을 누릴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최신 버전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7.0과 윈도 미디어 재생기 11.0을 비롯한 정품 인증 혜택으로 다운로드가 가능한 구성 요소 및 업데이트 상당 수를 제공받을 수 없다.
[편집] 종류(패치)
[편집] RTM
Release to Manufacturer의 줄인말로 PC제조사에 처음 보내지는 완성형 프로그램을 말하며, 골드 버전이라고도 한다. 윈도우 업데이트 서비스등의 많은 제한을 받으니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
[편집] SP1
[편집] SP1a
Sp1과 SP1a의 릴리스 정보 [1]
[편집] SP2
윈도 XP패치중 가장 새로운것이다. 대용량 하드디스크 기술(48비트 LBA), NX비트, 방화벽을 비롯한 보안 기술이 더해져 새로 나온 PC와 가장 잘 맞는다.
MS-DOS/9x 계열: 1.0 | 2.0 | 2.1x | 3.0 | 3.1x | 95 | 98 | Me
NT 계열: NT 3.1 | NT 3.51 | NT 4.0 | 2000 | XP | 서버 2003 | FLP | 비스타
CE 계열: CE | 모바일 – 개발 중: 홈 서버 | 서버 2008 | 7 – 다른 프로젝트: 넵튠 | 내쉬빌 | 카이로 | OS/2
분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 윈도 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