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종착역 | (133) 서울1 | (139) 영등포2 | 천안 방면 | |
1. 완행 전철이 사용하는 역은 지하철 서울역이다. 2. 하행 열차는 영등포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
서울 | |
---|---|
![]() |
|
서울역 승강장 | |
역 정보 | |
노선 | 경부선 경의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43-205 |
개업일 | 1900년 8월 8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특1급 |
승강장 | |
전화번호 | 02-392-1324 |
GPS 좌표 |
대한민국의 사적 | |
![]() |
|
지정 번호 | 사적 284호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 122번지 |
제작 시기 | 일제강점기 (1922년~1925년) |
1981년 9월 25일 지정 |
서울역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기차역으로, 경부선과 경의선의 시종착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급행 열차를 취급하기도 한다. 주로 부산으로 향하는 경부선 KTX와 도라산으로 향하는 통근열차를 운행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급행 열차 일부도 운행하고 있다(지하철 서울역과 무료 환승 가능). 2004년 12월 이후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는 모두 용산역을 거점으로 하여 착발하고 있다.
서울역은 1900년, "경성역"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장했고 1905년에는 "남대문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칭했다. 1910년 서울시의 명칭이 한성(漢城)에서 경성(京城, 일본어 발음 : 게이조)으로 바뀜에 따라, 1915년에는 다시 경성역으로 역 이름이 바뀌었다. 경성역은 동경제국대학 교수였던 쓰카모토 야스시가 디자인 했으며, 1925년 완공되었다. 당시의 붉은 벽돌은 도쿄 역의 모습과 닮아있다. 경성역은 1947년에 "서울역"으로 개명하여 한국 전쟁 후 확장되었다. 이후 KTX 운행에 맞추어 역사 신축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현재의 역사는 2004년에 완공된 것이다.
과거에는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 모든 장거리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된 이후 모든 열차를 서울역에서 처리할 수 없게 되자 대부분의 호남, 전라, 장항선 기차들은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있음
- 발매기 코드 : 001
- AFC 코드 : 1001
[편집] 타는 곳 안내
1 | ●수도권 전철 1호선 | A급행열차 시흥·수원·천안 방면 |
2~4 | 경부선 | 새마을호·무궁화호 대전·김천·동대구·부산 방면 |
5~8 | 경부선 | KTX 광명·대전·동대구·부산 방면 |
9·10 | 하차 전용 | |
11·12 | 경의선 | 새마을호·통근열차 일산·금촌·문산·도라산 방면 |
[편집] 옛 서울역사
옛 서울역사는 철도공사측에서 신역사 개장 후 더 이상 역사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철도문화재단의 관할 하에 시네마테크를 비롯한 문화시설로 용도변경할 것을 추진했다. 그러나 사적 284호로 지정된 서울역 건물이 철도공사 소유인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원형 보존을 내세운 문화재청에서 철도공사에게 소유권 이전을 요구하여 2006년 말에 문화재청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2007년 7월 초에 문화관광부에 의해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전환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그 사이 구 역사는 관리 소홀로 방치되다시피 다뤄졌었다.
[편집] 이용 현황
- 수도권 전철 서울역에 대해서는 지하철 서울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부선 승객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KTX의 개통으로 반전하였다. 새마을, 무궁화 승차량의 감소는 고속철 개통뿐만 아니라 2004년 호남·전라·장항선의 착발역이 용산역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그리고 2005년 1월 말에는 경부선 광역전철이 개통되어 평택, 천안 방면의 승객이 대거 전동열차로 옮겨갔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경의선 통근열차의 승차량 또한 급격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경의선 주변 도시인 고양시와 파주시의 인구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경의선 상행은 서울역 방면을 뜻하고, 하행 방면은 문산역 방면을 뜻한다.
연도와 승하차방향 | 이용 인원[1] | |||||||
---|---|---|---|---|---|---|---|---|
경부선 | 경의선 | |||||||
KTX | 새마을 | 무궁화 | 통일 | 총계 | 통일(통근) | |||
2001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3788985 | 8602006 | 138899 | 12529890 | 279261 |
하차 | 미개통 | 종착 | 종착 | 종착 | 종착 | 종착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시발 | 시발 | 시발 | 시발 | 시발 | |
하차 | 미개통 | 4054445 | 9258021 | 153425 | 13465891 | 499348 | ||
2002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3555498 | 7920088 | 125829 | 11601415 | 635919 |
하차 | 미개통 | 종착 | 종착 | 종착 | 종착 | 종착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시발 | 시발 | 시발 | 시발 | 시발 | |
하차 | 미개통 | 3837797 | 8694785 | 153425 | 12686007 | 855218 | ||
2003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3264157 | 7388559 | 76985 | 10729701 | 963397 |
하차 | 미개통 | 종착 | 종착 | 종착 | 종착 | 종착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시발 | 시발 | 시발 | 시발 | 시발 | |
하차 | 미개통 | 3549812 | 8117821 | 92607 | 11760240 | 1355848 | ||
2004년 | 하행 | 승차 | 6088919 | 1681539 | 4101142 | 17128 | 11888728 | 1288230 |
하차 | 81 | 종착 | 6854 | 종착 | 6935 | 1284 | ||
상행 | 승차 | 0 | 시발 | 시발 | 시발 | 0 | 시발 | |
하차 | 6117402 | 1783472 | 4144625 | 21314 | 12066813 | 1854197 | ||
2005년 | 하행 | 승차 | 9032639 | 885016 | 2374704 | 9 | 12292368 | 1642397 |
하차 | 114 | 3 | 32 | 9 | 158 | 160 | ||
상행 | 승차 | 2 | 시발 | 시발 | 폐지 | 2 | 시발 | |
하차 | 9356211 | 901585 | 2142666 | 폐지 | 12400462 | 2344744 |
[편집] 주석
[편집] 사진자료
[편집] 바깥 링크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인천국제공항철도 | 한국고속철도 | 경부선 | 경의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1900년 설립 | 대한민국의 사적 | 수도권 전철 환승역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서울 중구의 전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