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행성 433 에로스의 사진
소행성 433 에로스의 사진

소행성(小行星)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보다 작은 천체이다. 태양계 밖에서도 소행성을 정의할 수는 있으나, 당분간 발견될 가능성은 없다. 처음으로 발견된 소행성은 1 세레스이다. 현재 국제천문연맹 국제소행성센터에서 150106개의 소행성이 공식적으로 공인됐다.

목차

[편집] 위치

대부분의 발견된 소행성은 화성목성 궤도 사이의 소행성대에 존재한다. 소행성대는 태양으로부터 2.2에서 3.3 AU에 있으며, 가장 큰 소행성은 1 세레스이다. 이 영역에 있는 모든 소행성들을 모아도 그 질량은 의 약 4% 정도에 불과하다.

트로이 소행성군으로 불리는 소행성 무리는 목성라그랑주점 L4와 L5 주변에 위치한다. 이 영역에서 가장 큰 소행성은 624 헥토르이다. 2005년까지 약 2000개의 소행성이 발견되었으며, 소행성대에 분포하는 소행성 수의 절반 정도가 이 곳에 있으리라 보인다.

433 에로스와 같은 지구 근접 소행성이나, 136199 에리스와 같이 카이퍼 대에 분포하는 소행성도 있다.

[편집] 분류

, 반사도, 그리고 스펙트럼형에 따라 C형, S형, M형으로 흔히 구분한다. 약 75%의 소행성은 C형으로, 반사도가 낮아 매우 어두우며, 광물에 의한 강한 흡수선에 보이지 않는다. 나머지 소행성은 대부분은 S형인데, 감람석에 의한 강한 흡수선이 나타난다. M형은 이나 니켈에서 나타나는 스펙트럼을 보인다. V형은 4 베스타와 일부 소행성에서 나타나는데, S형에 비해 휘석에 의한 강한 흡수선이 보인다.

[편집] 회전

대부분의 소행성은 관성주축 가운데 최단축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이는 최단축을 중심으로 도는 것이 가장 에너지가 낮은 상태이며, 이 상태로 떨어지는 시간이 대체로 짧기 때문이다. 자전 주기는 소행성의 크기에 따라 특징적인 분포를 보여준다. 지름이 200미터보다 큰 것들의 자전 주기는 대부분 2.2 시간보다 짧지 않는데, 이는 이러한 소행성의 내부가 중력으로만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단 하나의 예외(2001 OE84)만이 발견되었다. 지름이 200미터보다 작은 것들은 대체로 이러한 한계를 넘어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데, 이는 이들이 약간이나마 인장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Asteroids
태양계
태양 수성 금성 달 지구 화성 세레스 소행성대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카이퍼 벨트 에리스 산란 분포대 오르트 구름
About this image
행성: 수성 - 금성 - 지구 - 화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
왜행성: 세레스 - 명왕성 - 에리스
기타: 태양 - 위성 - 유성체 - 소행성(소행성대) - 혜성 - 카이퍼 대 - 산란 분포대 - 오르트 구름
참조: 태양계 천체 목록(반지름순, 질량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