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주광역시 | |
---|---|
![]() |
|
자치구 | 5개 (광산구, 동구, |
행정 읍,면,동 | |
법정 동,리 | |
일반자료 | |
세대 | 488,273가구 (2006.6.30) |
총인구 | 1,403,278명 (2006.6.30) |
남자 | 695,479명 (2004.12) |
여자 | 705,693명 (2004.12) |
행정구분 | 5구 91동 (2006.6.30) |
인구밀도 | 2794.9명/Km2 (2004.12) |
면적 | 501.34Km2 (2004.12) |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광역시이다. 전라남도에 둘러싸여 있고, 북위 35도 10분, 동경 126도 55분에 있다.
목차 |
[편집] 개요
인구는 약 140만명이다. 광주광역시는 인구가 약 500만명인 호남 지방의 유일한 광역시이며, 호남 지방의 중심으로서 호남 지방 전체를 관할하는 여러 기업의 지사 및 지역 자회사 등이 집중된 광역 도시의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공업은 잘 발달하지 않아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백제 시대부터 번창한 도시였다.
남북국시대 말기로 접어든 9세기 말, 신라가 지방호족들의 반정부운동 및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나 무척 혼란한 상태로 빠져들었을 때 비장이었던 견훤이 금성군(지금의 나주)에서 신라로부터의 자립을 선포하고 이곳을 공략하여 점령한 뒤 후백제를 건국하면서 8년간 왕도(892~900, 900년에 완산주[전주]로 천도)로 삼았던 곳이기도 하다.
광주광역시를 본거지로 하는 프로 스포츠 팀으로는 프로 축구팀 광주 상무와 프로야구팀 기아 타이거즈가 있다.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광주대학교 호남대학교 등의 대학이 있으며 광주 비엔날레가 2년 마다 개최되고 있다. 방언으로는 전라도 방언이 주로 쓰인다.
[편집] 역사
- 1895년 나주부 광주군이 됨
- 1896년 전라남도의 도청소재지가 됨
-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남(서울, 개성, 신의주, 평양, 원산 등 전국적으로 확산)
- 1931년 광주읍으로 승격
- 1935년 광주부로 승격
- 1949년 광주시로 개칭
- 1963년 1월 1일 서호동, 방하동 및 신호동를 관할로 광산군 서창면이, 송석동, 등룡동 및 학승동을 관할로 광산군 대촌면이 각각 설치되었다.[1]
- 1973년 구제 실시로 인해 동구, 서구로 나뉨
- 1980년 동구에서 북구 분리, 신설
-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 발발
- 1986년 광주직할시로 승격
- 1988년 송정시와 광산군을 합쳐 광산구로 편입
- 1995년 광주광역시로 개칭
- 1995년 서구에서 남구 분리, 신설
[편집] 명칭
삼한 시대에 마한에 속했다가, 백제 시대 무진주(武珍州)로 불리게 되었다.(이는 백제의 3주 중 하나였다) 신라의 삼국통일 후에 신라의 행정구역상 9주의 하나인 무주에 속했으며 이때에도 역시 무진주라 불리며 무주의 주치소가 있었던 곳이다. 후삼국통일 후 고려시대부터 광주(光州)로 칭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정치적 상황에 따라 광주목, 광주부, 광주현, 광주군 등으로 불리웠고, 1895년 나주부 광주군, 그리고 1896년부터 2005년까지 전라남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어 전라남도의 중심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편집] 지리
시의 동부에 무등산(해발 1,186m)이 있고, 도시의 중심에 광주천(光州川)이 흐르며 구 시역과 광산구와의 사이에 영산강(榮山江)의 지류인 극락강(極樂江)이 흐른다. 광산구 서부에는 광활한 평야지대가 있다.
[편집] 행정구역
광주광역시에는 모두 5개 구(광산구, 동구, 서구, 남구, 북구)와 90개 동이 있다. 동구는 전통적으로 광주의 중심지로, 구 전라남도청과 구 광주시청이 자리잡고 있다. 5.18 운동의 중심이 된 금남로와 충장로가 위치하고 있으며 황금동, 대인동 등의 번화가가 자리잡고 있다. 북구 역시 광주의 중심지로 북구 중흥동에는 광주 교통의 중심지였던 광주역이 위치한다. 남구는 주월동, 봉선동 등의 주택가가 자리잡고 있으며 서구에는 상무 신시가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 시청이 이곳에 위치하고 있다. 또, 아시아자동차(기아자동차) 공장이 위치하고 있다. 광산구는 원래 광산군 지역이었으며 송정리역 주변의 송정동이 광산구의 주요 시가지이다. 또한, 광산구에는 첨단 신시가지 및 수완신도시, 신창지구, 운남지구, 하남지구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첨단 신시가지에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삼성전자 공장 등이 자리잡고 있다. 또한, 전라도의 주요 공업지대 중 하나인 하남공단이 위치하고 있다.
[편집] 주요 기관
본디 동구에 전라남도청이 위치하였으나 전라남도청이 무안군의 신도시로 이전하게 되었다. 현재는 서구에 광주시청이 자리잡고 있다. 또한 서구 상무동에 광주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5.18 기념공원이 조성되었으며 북구 망월동에 광주 민주화 운동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국립 5.18 민주묘지가 있다.
[편집] 문화
[편집] 교육
[편집] 대학교
[편집] 대학
[편집] 교통
[편집] 도로교통
호남고속도로가 도시의 북부를 관통하며 광산나들목, 동림나들목, 산월분기점, 서광주나들목, 용봉나들목, 동광주나들목가 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도심을 순환하는 제1순환도로와, 도심 외부를 순환하는 도로인 제2순환도로가 있으며, 이 도로는 1구간(각화나들목~장원나들목), 2구간(장원나들목~효덕나들목), 3구간(효덕나들목~서창나들목), 4구간(서창나들목~산월분기점)로 분류되어있다. 유료구간은 2구간(장원나들목~지원나들목), 3구간(효덕나들목~풍암나들목), 4구간(서창나들목~산월분기점)이다. 또한, 광천동 종합버스터미널은 한 때 동양 최대규모를 자랑하였던 버스 터미널로서, 2006년 8월경 '유스퀘어'라는 이름으로 새로 단장했다. 이 터미널에서는, 서울로 향하는 고속버스가 약5분 간격으로 출발하며, 종합버스터미널이라서, 고속버스뿐만 아니라 시외버스도 승차 가능하다.
[편집] 철도교통
광주시 서부로 송정리역을 지나는 호남선이 위치하며, 이곳의 송정리역에서 광주선이 분기하여 광주역으로 연결되며, 광주역과 송정리역에는 KTX가 연결된다. 또한 송정리역에서는 순천 방면으로 경전선이 연결된다. 본디 경전선은 송정리역 - 극락강역 - 광주역 - 남광주역 - 효천역 구간이었으나 도심 철도의 문제성, 그리고 주변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하여 송정리역 - 서광주역 - 효천역으로 이전되게 되었다. 2004년 4월 동구의 소태동과 서구 상무 신시가지를 잇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8년에는 2단계 구간 서구 상무 신시가지 - 평동이 개통될 예정이다.
[편집] 항공교통
광산구에 위치한 광주국제공항에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의 여객기가 김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등과 중국 상하이 등의 해외 도시로 연결하고 있다.
[편집] 현대사 속의 광주
광주민주화운동(1980년 5월) 과 광주학생항일운동(1929년 11월) 등이 일어난 곳으로,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큰 영향을 끼쳐 ‘민주화의 성지’라 불리기도 한다.
[편집] 국제교류
[편집] 자매도시
[편집] 바깥 고리
[편집] 주석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
---|---|
특별시 | 서울특별시 |
광역시 | 부산광역시 | 인천광역시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광주광역시 | 울산광역시 |
특별자치도 | 제주특별자치도 |
도 | 강원도 | 경기도 | 경상남도 | 경상북도 | 전라남도 | 전라북도 | 충청남도 | 충청북도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