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신의 가호, 인민의 사랑, 덴마크의 힘(Guds hjælp, Folkets kærlighed, Danmarks styrke) | |||||
국가: 데르 에르 에트 인디즈트 란트 | |||||
![]() |
|||||
수도 | 코펜하겐 55°43′ N 12°34′ E |
||||
공용어 | 덴마크어 | ||||
정부 형태
여왕
국무총리 |
입헌 군주제 마르그레테 2세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
||||
건국 • |
8세기경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43,094 km² (131위) 1.6% |
||||
인구 • 2005년 어림 • 인구 밀도 |
5,415,978명 (108위) 126명/km² (62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2005년 어림값 $1880억 (43위) $34,718 (8위) |
||||
HDI • 2003년 조사 |
0.941 (13위) |
||||
통화 | 크로네 (ISO 4217:DKK )(화폐단위: -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CET (UTC+1) CEST (UTC+2) |
||||
ISO 3166-1 | |||||
·Alpha-2 | |||||
·Alpha-3 | |||||
인터넷 도메인 | .dk | ||||
국제 전화 | +45 |
||||
이 나라의 자치령인 페로 제도와 그린란드는 그 지방의 언어와 함께 덴마크어도 공용어이다. |
덴마크 왕국(덴마크어: Kongeriget Danmark 콩게리게트 단마르크 듣기 , 문화어: 단마르크, 통용: 정말(丁抹))은 유럽에 있는 입헌 군주국이며 수도는 코펜하겐이다.
목차 |
[편집] 역사
- 이 부분의 본문은 덴마크의 역사입니다.
[편집] 고대 덴마크
고대부터 윌란 반도(유틀란트 반도)에는 데인 족이 살고 있었다. 카를 대제의 북진정책의 결과 세상에 그 존재가 알려졌다. 811년 프랑크 왕국과 아이더 강을 국경으로 하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바이킹의 해상원정은 8세기 말부터 시작되었다. 구드프레드 왕은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의 공격을 잘 막아내었다. 10세기에 기독교가 전래되었다. 11세기초 크누트 대왕 때에 덴마크-노르웨이-잉글랜드 동군연합이 결성되었으나 1대에 그쳤다.
[편집] 동군연합의 성립
12세기에 접어들어 왕위 요구자들이 각지에서 일어나 자웅을 겨루었다. 13세기 말부터 1년 단위의 의회제도가 정착되었다. 14세기 이후 독일의 한자 동맹의 경제적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노르웨이-스웨덴과의 왕족들의 통혼을 통하여 1397년 3왕국의 완전한 동군연합이 성립되었다. 1523년 스웨덴이 연합에서 탈퇴하자 덴마크-노르웨이만의 동군연합이 되었다.
[편집] 노르웨이가 스웨덴령이 되기까지
16세기에 내란을 수습하고 루터교를 국교로 정착하였다. 17세기에 발트해의 주도권을 놓고 덴마크와 스웨덴의 대결이 계속되었으며 1660년 코펜하겐 조약의 결과 3왕국의 국경선이 확정되었다. 18세기에는 소강상태로 접어들었으며 19세기 초 나폴레옹전쟁의 혼란 속에서 1814년의 조약으로 덴마크-노르웨이 동군연합이 스웨덴-노르웨이 동군연합으로 전환됨에 따라 덴마크는 지금의 윌란 반도국으로 전락하였다.
[편집] 프로이센과의 전쟁
1864년 프로이센과의 전쟁에 패배하여 홀스텐(홀슈타인)과 슬레스비(슐레스비히)를 상실했으며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1920년, 북슬레스비를 수복하였다.
[편집]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중립을 지켰으나 독일 바로 근처였기 때문에 민간인 상선들이 독일 잠수함에 격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나치 독일에게 점령되어 1944년까지 고초를 겪었다. 1945년 5월에 덴마크 전체가 연합군에 의하여 해방되었다.
[편집] 한국 전쟁과 덴마크
한국전쟁 당시 덴마크는 의료 지원을 했는데 병원선 유틀란트 호를 보내 유엔군과 민간인 구호활동을 크게 폈다. 전쟁후 병원(국립의료원/메디칼센타) 을 지어 한국의 의료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편집] 덴마크의 아랍인 폭동
2006년, 덴마크에서 예언자 무함마드를 마치 테러리스트로 비하하는 만화를 신문에 넣었다는 이유로 많은 아랍인들이 덴마크 대사관을 불지르거나 파손하는 사건이 잇따랐으며, 덴마크인들도 언론의 자유를 이유로 시위를 벌였다. 사망자와 부상자도 잇따랐다. 급기야는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사태 수습에 나설 정도였다. 어떤 국가에서는 덴마크산 물건을 팔지 말자고 주장하는 이도 있었다.
[편집] 지리
덴마크는 윌란 반도와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빙하 침식에 의해 산이 별로 없으며, 평야가 많다. 예전에는 황무지가 많았으나 개간되었다.
[편집] 행정 구역
- 이 부분의 본문은 덴마크의 행정 구역입니다.
[편집] 기후
[편집] 정치
- 이 부분의 본문은 덴마크의 정치입니다.
현재 덴마크는 여왕인 마르그레테 2세가 통치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덴마크 왕실의 상징에 불과하며 총리가 강력한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
[편집] 주민
주민은 게르만계의 덴마크인이 대부분이며 다른 민족은 적게 존재한다.
[편집] 언어
덴마크어가 공용어이다. 영어와 독일어, 프랑스어도 외국인들 사이에서 사용된다. 덴마크의 문자 해독률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을 자랑한다.
[편집] 종교
루터교가 국교로 인정받으며 그외 감리교,모라비안,구세군등의 타 개신교 종파들과 동방정교회가 존재한다. 로마 가톨릭의 경우는 0.55% 존재한다. 이슬람교, 유대교 등의 다른 종교는 아주 적게 존재하며, 특히 이슬람은 아랍이나 이란에서 온 이민들이 믿는다.
[편집] 교육
이 나라는 문맹률이 매우 낮은 나라이며 높은 교육열을 자랑한다. 이 나라의 자치령인 페로 제도와 그린란드 역시 높은 교육열을 자랑한다.
[편집] 군대
이 나라에서는 징병제를 실시한다.
[편집] 경제
이 나라의 자치령인 페로 제도와 그린란드는 2005년도부터 지리 관계 상 경제적으로나 외교적으로도 자치를 얻었다. 덴마크 본토 또한 세계적인 높은 경제률을 자랑한다.
[편집] 문화
설명이 필요없는 동화작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1805-1875)이 있다.
[편집] 대한 관계
한국 전쟁 때 대한민국에 의료 지원을 했다( 병원선 유틀란트호) 전쟁이 종전이 되고 병원선의 의료 기자재를 한국에 기증하고 한국의 국립의료원(메디칼센터)를 설립하여 한국의 의료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2007년 현재 약 9000 명의 한국 입양자가 있으며 교민은 250 여명 한국 대사관, 코트라, 한인교회. 한국센터, 한글학교 가 있고 정한친선협회(입양자부모), 유틀란트 회(의료지원 의사들), 코리안 클럽(입양자) 한인회(교민) 가 있다.
[편집] 덴마크의 대외 관계
[편집] 바깥 고리
- ((영어/독일어/프랑스어/스페인어)) 덴마크 정부 공식 홈페이지
- 주덴마크 대한민국 대사관
- ((한국어)) 덴마크 관광
유럽의 나라 | ![]() |
---|---|
그루지야¹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¹ |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마케도니아 공화국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바티칸 시국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¹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¹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체코 카자흐스탄¹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² | 터키¹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속령 | |
건지 섬 | 맨 섬 | 스발바르 제도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² | 올란드 제도 | 저지 섬 | 지브롤터 | 페로 제도 | |
비독립 국가 | |
나고르노카라바흐¹ | 남오세티아¹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² | 압하스 공화국¹ | 코소보 | 트란스니스트리아 | |
¹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입 후보국: ![]() ![]() ![]() |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국 | ![]() |
---|---|
원가맹국(1949년 가입) | |
![]() ![]() ![]() ![]() ![]() ![]() ![]() ![]() ![]() ![]() ![]() ![]() |
|
1950년 이후 가입 | |
![]() ![]() ![]() ![]() |
|
냉전 후 가입4,5 | |
![]() ![]() ![]() ![]() ![]() ![]() ![]() ![]() ![]() ![]() |
|
1.군대가 없는 조건으로 가입 2. 1966년 탈퇴, 1992년 재가입 3.1955년 서독으로 가입,1990년에 동독으로 확대 4.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이던 체코, 폴란드, 헝가리 등은 1999년 3월 12일 가입했다. 5.옛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이던 루마니아,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와 구 소비에트 연방 구성국이던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는 2004년 3월 29일 NATO에 가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