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장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호장(信號場)은 철도역의 한 종류로, 보통 여객이나 화물이 아닌, 열차의 교행을 위해 설치된 역이나, 여객 취급을 하는 경우도 있다.

신호소(信號所)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신호소는 철도의 분기점 등에 신호기가 설치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역으로서의 기능은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신호장은 반면, 분기를 위한 것이 아닌 교행이나 열차 운전상의 필요에 의해서 설치한 것이다.

목차

[편집] 신호장 목록

[편집] 경부선

[편집] 경전선

[편집] 광양제철선

  • 초남역
  • 황길역

[편집] 동해남부선

  • 선암역
  • 동방역

[편집] 영동선

  • 문단역
  • 심포리역
  • 상정역
  • 도경리역

[편집] 전라선

  • 아중역

[편집] 중앙선

  • 능내역
  • 신원역
  • 아신역
  • 석불역
  • 매곡역
  • 판대역
  • 유교역
  • 금교역
  • 창교역
  • 연교역
  • 죽령역
  • 안정역
  • 서지역
  • 업동역
  • 비봉역
  • 갑현역
  • 송포역
  • 율동역

[편집] 태백선

  • 청령포역
  • 탄부역
  • 연하역
  • 조동역

[편집] 호남선

  • 채운역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