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경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장(市場)은 재화를 팔고 사는 곳을 말한다. 일상 생활에서 시장은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과 같이 생활에 필요한 소매품을 파는 상점들이 밀집한 곳을 말한다. 그러나 경제에서는 거래의 목적물과 판매자, 구매자만 있으면 거래 장소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더라도 시장이라 표현한다.

목차

[편집] 기능

시장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의 합의 아래 물건을 팔고 살 수 있도록 해주는 공간이다. 이 공간이 꼭 현실에 있을 필요는 없다. 시장에서 판매자와 구매자는 재화의 종류, 가격, 대금의 지급 조건등을 서로의 약속에 따라 정하고 매매한다.

[편집] 일상 경제 활동과 시장의 종류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사고 파는 시장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규모와 방식에 따른 종류
    • 재래시장: 오래전 부터 자연히 발생된 시장으로 남대문시장, 경동시장 과 같이 지역 이름이 붙는다.
    • 상가: 복합 건물에 여러 종류의 상점이 모여 있는 곳을 말한다. 용산 전자상가처럼 전문적인 품목을 취급하는 곳도 있고 청계천상가처럼 다양한 물품을 취급하는 곳도 있다.
    • 할인매장: 대규모 유통회사가 운영하는 시장으로 월마트, 이마트, 롯데마트와 같이 고유의 브랜드명이 있다.
  • 취급 품목에 따른 종류: 취급 품목에 따라 분류 되는 시장은 전문 시장이라고도 하며 주로 도매로 거래한다.
    • 농산물 시장: 농산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 수산물 시장: 수산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편집] 추상적 시장

재화를 현실에서 직접 주고 받는 것이 아닌 추상적 공간에서 거래하는 시장이다.

  • 금융 시장: 금융 재화를 거래의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다.
    • 주식 시장: 주식을 거래하는 시장이다. 주식 뿐만 아니라 채권과 같은 유가 증권 및 주가 지수와 같은 추상적 재화도 함께 취급한다.
    • 외환 시장: 여러 나라의 통화를 거래의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다. 환율과 같은 추상적 재화도 함께 취급한다.

[편집] 국제 자원 시장

석유, 광물과 같은 자원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 지는 시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