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공 (식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미경으로 관찰한 기공의 모습
현미경으로 관찰한 기공의 모습

기공(氣孔)은 과 어린줄기의 표피에 있고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작은 구멍으로 잎술 모양으로 생겼다. 기공에서는 뿌리에서 올라온 물이 잎에서 수증기 상태로 기공을 통해 밖으로 빠져 나가게 하고,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기공을 통해 식물체 내로 들어오고, 광합성의 결과 만들어진 산소가 기공을 통에 빠져 나가는 역할을 한다.

이 문서는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