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SR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이 문서는 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의 저작권에 대한 적절한 소명이 없다면 정책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해당 글의 토론을 참고해주세요. |
Data Gathering Sensor Routing (DGSR) 프로토콜은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proactive 방식(Table-Driven)의 multi-hop 센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기본 동작은 크게 경로 설정(Route Setup) 과정과 데이터 전송(Data Transmission) 과정 그리고 설정된 경로의 관리(Route Management)로 나눌 수 있다.
경로 설정 과정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node)가 싱크(sink) 노드로의 경로를 설정하도록 하기 위해 싱크 노드가 경로 설정(Route Setup, RS) 메시지를 네트워크 전체로 브로드캐스트 한다. 이 과정에서 RS를 수신한 노드는 싱크 노드로의 경로를 알 수 있고, 이를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에 기록한다. 이때 네트워크 전체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라우팅 루프(Routing loop)를 피하기 위해 최단 홉(Shortest hop) 경로를 설정한다. 또한 신뢰성 있는 전송 및 균형 있는 에너지 소비를 위해 다중 경로(Multiple path)를 설정한다.
경로가 설정되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균형 있는 에너지 소비를 위해 전송 시 라우팅 테이블에서 에너지가 가장 많은 개체(entry)를 다음 홉(next hop) 노드로 선정하여 메시지를 보낸다. 이를 위해서는 각 노드는 이웃 노드에게 자신의 에너지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메시지에 에너지 정보를 담아서 전송해야 하고, 각 노드는 메시지를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여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축적(Data Aggregation) 전송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을 관리 하고 특정 명령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브로트캐스팅 메시지를 네트워크 전체에 플러딩하여 특정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노드들은 네트워크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의 변화에 따른 경로 관리를 해야 한다. 센서 네트워크는 노드의 이동성이 거의 없으므로 대부분의 링크 단절은 노드의 고장이나 에너지 소비로 인한 노드의 죽음으로 인한 영구적인 단절과 한시적인 높은 네트워크 트래픽으로 인한 순간적인 단절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단절에 대처하기 위해 미리 다중 경로를 설정하며 단절을 감지하면 미리 설정된 다른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이미 초기화된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가입과 탈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했다.
분류: 저작권 위반 | 정리가 필요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