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찰음(摩擦音, Fricat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다. 갈이소리라고도 한다. 통과하는 공기가 이빨 쪽으로 빠져나갈때를 치측 마찰음이라 한다.
[편집] 국제 음성 기호
[편집] 설측음
- [ɬ] - 무성 치조 설측마찰음
- [ɮ] - 유성 치조 설측마찰음
- [ɬ̢] 무성 권설 설측마찰음
- [ʎ̥] 무성 경구개 설측마찰음 (다른 기호: [ʎ̝̊])
- [ʟ̝̊] 무성 경구개 설측마찰음
[편집] 치측음
- [s̪] - 무성 치 치찰음
- [z̪] - 유성 치 치찰음
- [s] - 무성 치조 치찰음
- [z] - 유성 치조 치찰음
- [ʃ] - 무성 치조후 치찰음
- [ʒ] - 유성 치조후 치찰음
- [ɕ] - 무성 치조구개 치찰음
- [ʑ] - 유성 치조구개 치찰음
- [ʂ] - 무성 권설 치찰음
- [ʐ] - 유성 권설 치찰음
[편집] 방출음
[편집] 방출음
[편집] 마찰음과 접근음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는 마찰음 (접근마찰음)
[편집] 반찰음 (기식에 의해 마찰됨)
[편집] 이중 조음
- [ʍ] - 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
- [ɧ] - 무성 치조후 연구개 마찰음
[편집] 한글
- ㅅ, ㅆ - 무성 치조 치측마찰음 [s] (/ㅣ/나 /ㅑ, ㅕ, ㅛ, ㅠ, ㅖ, ㅒ/ 앞에서는 무성 치조구개 마찰음 [ɕ])
- ㅎ - 무성 성문 마찰음 [h] (/ㅣ/나 /ㅑ, ㅕ, ㅛ, ㅠ, ㅖ, ㅒ/ 앞에서는 무성 경구개 마찰음 [ç]), /ㅡ/, /ㅢ/ 앞에서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 [x]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유성 성문 마찰음 [ɦ])
닿소리 |
|
|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회색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부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