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향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
![]() Santalum haleakalae
|
||||||||
생물 분류 | ||||||||
|
||||||||
과 | ||||||||
본문 참조
|
단향목은 전세계적으로 분포하지만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쌍떡잎식물의 한 분류이다. 목(目)의 대부분은 기생 생물이고, 대개 반기생생물이며 광합성을 통해 당(糖)을 생산할 수 있지만, 물과 무기질을 얻기 위하여 다른 식물의 줄기나 뿌리에 기생한다. 겨우살이류는 단향목에 있는 기생식물의 공통 명칭이고 겨우살잇과와 꼬리겨우살잇과가 있다.
일부(예를 들어 아르큐토비움속)는 숙주에 거의 모든 것을 의존하는 기생 동물이고, 자신의 가지에 지니는 엽록소의 농도(자신의 숙주 잎들에서 발견되는 것의 1/5에서 1/10)가 낮다. 숙주의 관 조직으로부터 자신의 자양분(물,자당(蔗糖))의 대부분을 채취한다.
2003년의 APG II 체계(1998년 APG 체계와 다르지 않다.)는 다음 범위에서 사용된다.:
- 단향목 (Santalales)
-
- 꼬리겨우살이과 (Loranthaceae)
- Misodendraceae과
- 철청수과 (Olacaceae)
- Opiliaceae과
- 단향과 (Santalaceae)
AP-웹사이트는 발라노포라과 또한 이 목(후-APG II)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Opiliaceae과 또한 적절한 과 분류가 아니고, 분리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게다가 단향과(sensu APG II) 분류에 대해서도 의심스럽다고 지적한다.
크론키스트 체계 (1981년)는 다음 범위에서 사용된다.:
- 단향목 (Santalales)
-
- Medusandraceae과
- Dipentodontaceae과
- 철청수과 (Olacaceae)
- Opiliaceae과
- 단향과 (Santalaceae)
- Misodendraceae과
- 꼬리겨우살이과 (Loranthaceae)
- 겨우살이과 (Viscaceae)
- Eremolepidaceae과
- 발라노포라과 (Balanophoraceae)
APG 체계에서는 겨우살이과와 Eremolepidaceae과를 단향과에 포함시킨다. Dipentodon속(Dipentodontaceae과)과 Medusandra(Medusandraceae과)는 APG II 체계에 의해 발라노포라과로 재분류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Medusandraceae과는 2개의 속(Soyauxia속과 Medusandra속)으로 구성된다. 전자는 분자생물학적 증거에 의해 범의귀목의 Peridiscaceae과로 포함시키고 있고, 후자는 Malpighiales목에 포함시킨다.
[편집] 참고
- Hawksworth, Hawksworth. 《Dwarf mistletoes : biology, pathology, and systematics》. USDA For. Serv. Agric. Handb.
- Soltis, Soltis, PK Endress, MW Chase, DE Soltis (ed). 《Phylogeny & Evolution of Angiosperms》. Sinauer Associates.
- Santalales at Parasitic Plants
- NCBI Taxonomy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