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접대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접대차의 예(KTX 차량의 객차)
연접대차의 예(KTX 차량의 객차)

연접대차(連接臺車)란, 철도차량대차 중 두 차체 사이에 1개의 대차를 설치한 것을 가리킨다. 연접대차를 채용하고 있는 차량을 연접 차량·연접차·연절차라고도 부른다.

목차

[편집] 특징

[편집] 장점

  1. 두 차체가 연결기를 개입시키지 않고 대차에 의해 직접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진동이 적다.
  2. 대차의 총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량화에 공헌한다(6량 편성의 경우, 보기 대차라면 12개의 대차가 되는데 비해 연접대차라면 7개로 끝난다).
  3. 차체에 대한 대차의 변위각이 작아지기 때문에 곡선통과가 용이해진다.
  4. 곡선통과시 차체가 원래의 점유범위를 초과하는 양이 작아지므로 점유폭이 작아진다. 때문에 같은 건축한계라면 보다 넓은 폭의 차체를 이용할 수 있다.
  5. 차실과 대차가 분리되기 때문에 실내의 주행소음을 경감할 수 있다.
  6. 대차의 회전축이 두 차체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상고를 내릴 수 있고 중심도 내려가므로 안정성이 높아진다.

[편집] 단점

  1. 편성을 개개의 차량으로 떼어낼 수 없기 때문에, 편성의 자유도가 낮아지며 보수에도 시간이 든다.
  2. 대차간격은 차량한계를 고려하여 길게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만큼 차체장은 보기 대차 편성에 비해 짧게 해야 한다.
  3. 차축이 적기 때문에 축중이 증가하여 궤도 부담이 커진다.

[편집] 채용 사례

프랑스고속철도 TGV일본E331계 전동차 다수의 철도차량이 이 연접대차를 채용하고 있다.

[편집]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