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18) 월계 | (119) 성북 (광운대앞) |
(120) 석계 | 인천·천안 방면 |
성북 | |
---|---|
성북역 | |
역 정보 | |
노선 | 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 경춘선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4동 85 |
개업일 | 1939년 7월 25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1급 |
승강장 | 혼합식 (3면 5선) |
전화번호 | 02-917-7445 |
GPS 좌표 | {{{GPS}}} |
성북역(城北驛, Seongbuk Station)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있는 역이다. 부역명은 ‘광운대앞’(光云大앞)이다. 병점역 방향에서 온 열차는 이 역까지만 운행한다. 또한 경춘선 열차도 이 역에서 정차한다. 2005년 12월까지 용산발 성북행 국철 전동차의 종착역이기도 했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수도권 전철) : 왼쪽(소요산 방면), 오른쪽(인천과 천안 방면이나 종착 열차)
[편집] 주변 정보
[편집] 역사
- 1939년 7월 25일: 경춘철도주식회사(京春鐵道株式會社) 소속 연촌역으로 영업 개시
- 1946년 5월 3일: 미군정, 사철 접수령 반포. 국유화
- 1963년 3월 5일: 성북역으로 역명변경
- 1971년 10월 5일: 성동 - 성북간 경춘선 시내구간 폐선
[편집] 미래
2009년 경춘선 복선 전철화가 개통되면 성북 - 갈매간 경춘선 철도가 이설되어 성북역은 무궁화호 정차역의 기능을 잃고 수도권 전철만 운행하게 된다.
[편집] 승차량 변동
2003~2004년의 변동이 역시 발견되지만, 지속적인 감소세를 더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변 지역의 밀도 감소가 발생하고 있는 것 같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18259 | 18223 | 16990 | 17673 | 13992 | 13818 | 12455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원선 | 경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