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성찬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공회 |
![]() |
서론 |
---|
기독교 종교 개혁 사도 계승 로마 가톨릭 주교 행정 |
인물 |
토머스 크랜머 헨리 8세 리처드 후커 엘리자베스 1세 존 웨슬리 |
교회법 |
캔터베리 대주교 램버스 회의 자문 회의 주교 회의 |
전례와 예배 |
성공회 기도서 고교회파 · 저교회파 광교회파 옥스퍼드 운동 39개조 신조 설교집 신부 감사성찬례 성인 |
각국의 성공회 |
영국 성공회·미국 성공회 아일랜드 성공회·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 뉴질랜드 성공회·캐나다 성공회 대한 성공회·대만 성공회 일본 성공회·홍콩 성공회 |
감사성찬례는 성공회 미사를 말한다. 성공회 감사성찬례는 초대교회의 전례로 비정되는 말씀의 전례와 성찬의 전례가 균형을 이루는 전례이며,구체적으로 입당예식, 말씀의 전례, 성찬의 전례, 파송예식으로 이루어진 전례이다. 현재 대한 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감사성찬례만 발췌한 기도서(대한 성공회 출판부)를 사용한다.
[편집] 감사성찬례 순서
다음은 기도서에 나온 감사성찬례 순서이다.
1. 말씀의 전례
- 입당성가[1]
- 죄의 고백과 용서의 선포[2]
- 영광송
- 본기도[3]
- 제1독서(구약성서)[4]
- 성시(聖詩)[5]
- 제2독서(서신서)[6]
- 층계성가[7]
- 복음서[8]
- 설교
- 니케아 신경(The Nicene Creed)
- 신자들의 기도[9]
2. 성찬의 전례
- 평화의 인사[10]
- 봉헌성가[11]
- 성찬기도[12]
- 거룩하시다(상투스,Sanctus)[13]
- 주의 기도
- 하느님 어린양(Agnus Dei)[14]
- 영성체 성가[15]
- 성체후 기도[16]
3. 파송예식
- 축복기도
- 교회소식
- 파송성가
참고로 기리에(Kyrie,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는 사순절기간동안 회개의 뜻으로 고백한다.
[편집] 주석
- ↑ 입당성가는 감사성찬례의 시작을 알리는 성가를 말한다.입당성가와 함께 교회력절기에 맞추어 예복을 갖춘 집전자와 복사가 성공회 성당에 들어와 미사를 집전하는 제대를 향해 걸어간다. 이때 집전자와 복사는 제대에 서기 전, 그리스도에 대한 경배의 표현으로 제대와 십자고상을 향해 경배를 표시한다.
- ↑ 합당한 성찬례(미사)를 하느님께 봉헌하기 위해서 하느님께 죄를 고백하는 전례이다. 감사성찬례의 집전자인 사제또는 주교는 죄의 용서를 선언한다.
- ↑ 본기도는 집전자에 의해서 선언되는 교회의 공적인 기도를 말한다.집전자는 성공회기도서의 내용을 따르기 때문에 모든 성공회 교회가 같은 내용의 본기도를 드린다.
- ↑ 전례봉사자가 구약성서를 낭독하는 전례를 말한다.이때 청중은 "하느님께 감사합니다."라고 말함으로서 하느님의 말씀이 예수공동체에 선언됨에 따른 감사를 표한다.물론 독서때 전례봉사자가 읽는 성서말씀은 성서정과에 나온 성서의 장절을 기준으로 한다.
- ↑ 시편에 곡을 붙여서 하느님을 찬양하는 전례를 말한다.이때 선창자가 먼저 시편을 부르고, 청중은 이를 따라감으로서 하느님을 찬양하며,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이제부터 영원토록. 아멘"으로 마무리한다.
- ↑ 전례봉사자가 신약성서의 서신서를 낭독하는 전례를 말한다.이때 청중은 "하느님께 감사합니다."라고 말함으로서 하느님의 말씀이 예수공동체에 선언됨에 따른 감사를 표한다.
- ↑ 층계성가는 서신서와 복음서 낭독 사이에 부르는 성가를 말한다.
- ↑ 복음서는 전례봉사자가 신약성서의 복음서를 낭독하는 전례를 말한다. 이때 집전자는 '이것은 성 ( )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라고 선언하며,청중은 십자성호를 그으면서 '주님께 영광을 드립니다.'라고 화답한다.물론 독서때 전례봉사자가 읽는 성서말씀은 성서정과에 나온 성서의 장절을 기준으로 한다.
- ↑ 전례봉사자에 의해서 선언되는 교회와 세상을 위한 기도이다.
- ↑ 십자가로 평화를 이룬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라서 신도들이 서로 인사를 나누는 전례이다.
- ↑ 봉헌은 하느님께 물질을 드리는 전례를 말한다.이때 예수공동체에서 부르는 성가가 봉헌성가이다.
- ↑ 집전자가 성찬의 전례를 집전하면서 면병과 포도주를 축성하는 기도를 말한다.'마음을 드높이'로 시작하여 그리스도께서 가르쳐주신 기도인 주의 기도로 끝난다.
- ↑ '거룩하시다,거룩하시다,거룩하시도다'로 시작하는 성가이다.이사야 6:1-3에 근거하며 유대교의 예배에서 사용되었다.기독교에서는 3세기에 '거룩하시다.'를 예배 즉, 전례에 포함시켰다.
- ↑ 하느님의 어린양은 라틴어 Agnus Dei를 번역한말로써 Agnus는 양,Dei는 하느님의라는 의미이며, 예수를 하느님의 어린양으로 묘사한 성서말씀(이사야 53:7,요한 1:29)에 근거한 전례용어이다. 감사성찬례시 집전자와 청중은 노래나 말로써 하느님의 어린양 예수에게 기도를 드리는데, 기도내용은 다음과 같다."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 ↑ 그리스도의 성체와 보혈을 모시는 전례인 영성체때 드리는 성가이다.
- ↑ 그리스도의 성체와 보혈을 모시는 영성체후에 드리는 기도이다. 그리스도의 보혈과 성체를 먹여주심에 감사하며, 사랑안에서 상통/교제하며 주님이 명하신 일을 행하게 해주실 것을 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