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도네시아어
Bahasa Indonesia
쓰는 나라들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지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언어 인구 제일 언어: 1700만~3000만여명
전체: 1억 6500만여명
사용 순위 56위
언어의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Malayo-Polynesian
  Western
   Sundic
    Malayic
     Malayan
      Local Malay
       인도네시아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인도네시아
표준 Pusat Bahasa dan Terjemahan
언어 부호
ISO 639-1 id
ISO 639-2: ind
ISO/DIS 639-3: ind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는 인도네시아공용어이다. 이 지역의 교역어인 말레이어의 한 방언을 지정한 것으로, 따라서 말레이어와 아주 유사하여 서로 통할 뿐만 아니라, 정서법도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말레이어와 마찬가지로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형태론적으로는 한국어, 일본어 등과 함께 교착어에 속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

목차

[편집] 유래

앞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원래 인도네시아어는 말라카 해협 주변에서 사용되던 교역 목적의 언어였다(해협 말레이어). 이러한 인도네시아어가 민족 언어로서 인정된 것은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한 민족주의 운동기, 특히 1928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제2회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의 다음과 같은 결의가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청년의 맹세

  • 우리 인도네시아 청년 남녀는 인도네시아라는 단 하나의 조국을 가짐을 확인합니다.
  • 우리 인도네시아 청년 남녀는 인도네시아 민족이라는 단 하나의 민족임을 확인합니다.
  • 우리 인도네시아 청년 남녀는 인도네시아어라는 통일 언어를 사용합니다.

민족주의 운동 초기에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자바인의 언어, 즉 자바어를 국어로 하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이 청년의 맹세로 인해 그러한 자바 우선주의는 거부되었다. 그 후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언론, 출판 활동, 민족주의 운동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는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가게 되었다.

인도네시아가 독립한 후 인도네시아어는 국어로 정비되었으며, 국어 교육이 초등학교 과정에 도입되고 관청에서의 용어도 인도네시아어로 통일되었다. 또 출판,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인도네시아어 사용도 이 언어의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내력을 통해, 원래 인도네시아어를 모국어로 삼는 인구는 적었지만, 민족주의 운동기, 독립 후의 과정을 거쳐 서서히 많아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에 대한 지방어의 지위도 쇠약해진 것은 결코 아니었다. 예를 들어, 자바의 학교에서는 수업은 인도네시아어로 행해지지만, 학생들 간에는 자바어로 이야기한다. 이렇게 "공식적인 말"인 인도네시아어와 "자신의 말"인 지방어의 사용 구분은 학교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것은 인도네시아인들의 생활의 모든 면에서 볼 수 있는 광경으로, 지금도 공용어와 수백 개의 지방어가 병존하여 인도네시아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구는 불과 6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덧붙여서,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한 동티모르에는 민족 언어로 테툼어가 있지만, 인도네시아 통치 시기의 인도네시아어 교육으로 인해 지금까지도 인도네시아어가 통용된다. 다만 동티모르의 공용어는 테툼어포르투갈어이다.

[편집] 문자

로마자를 사용한다. 발음 구별 기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A B C D E F G H I J K KH L M N NG NY O P Q R S SY T U V W X Y Z
/a/ /b/ /ʧ/ /d/ /e/ /f/ /g/ /h/ /i/ /ʤ/ /k/ /x/ /l/ /m/ /n/ /ŋ/ /ɲ/ /o/ /p/ /r/ /s/ /ʃ/ /t/ /u/ /f/ /w/ /y/ /z/

[편집] 문법

교역용 공용어로서 사용되던 언어였기 때문에 문법은 간단한 편이다.

[편집] 어형변화

  • 문법적 , 성이 없다.
  • 시제가 없다. 과거, 현재, 미래를 표현하고 싶을 때에는 ‘어제’와 같은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한다.
  • 어형변화는 접두사, 접미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원칙적으로 어간은 변화하지 않는다.
    • 단, 특정 접두사가 붙었을 경우 어간 어두의 자음이 비음화하는 경우가 있다.
    • 구어체에서는 위와 같이 접두사가 붙어 비음화한 단어의 접두사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 모든 변화는 규칙 변화이다.

[편집] 어순

  • S-V-O 어순이며 주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 수식어는 피수식어의 뒤에 붙는다.
    • 단, 숫자,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단어는 앞에 붙는다.
위키백과
인도네시아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