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문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20) 석계 | (121) 신이문 (한국예술종합학교) |
(122) 외대앞 | 인천·천안 방면 |
신이문 | |
---|---|
![]() |
|
신이문 북부역사 | |
역 정보 | |
노선 | 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3동 220-1 |
개업일 | 1980년 1월 5일 |
역 종별 | 운전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상대식 (2면 2선) |
전화번호 | 02-960-1871 |
GPS 좌표 | {{{GPS}}} |
신이문역(新里門驛, Sinimun)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있는 역으로, 부역명은 한국예술종합학교(韓國藝術綜合學校)이다. 주변에 한국철도공사 이문차량기지가 있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 : 왼쪽
[편집] 출구 정보
- 1번: 한국예술종합학교, 이문3동사무소, 이문초등학교, 석관중학교
- 2번: 이문1동
- 3번: 이문차량사무소
- 4번: 이문초등학교
- 5번: 중랑천
[편집] 역사
[편집] 역명 제정
신이문역은 이문동에 위치하고 있지만 신(新)이문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 역의 이름이 그렇게 정해진 데는 근처에 있던 망우선 이문역(里門驛) 때문이었다. 이문역은 망우선의 전용역으로 1966년 개업했으나, 이문차량기지 건설로 2004년 7월 5일 폐지되었다.
[편집] 승차량 변동
2003~2004년 및 2005~2006년의 감소폭이 크며, 2001~2003년에는 일반적 상승이 아닌 진동이 있었기에, 이 역의 승차량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주변 지역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으나, 전반적으로 철도의 역할이 감소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14527 | 14579 | 13513 | 15929 | 13698 | 13014 | 11397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