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록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록도(小鹿島)는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 속하는 섬이다. 섬의 이름은 그 형상이 작은(小) 사슴(鹿)과 같다고 하여 붙여졌다. 고흥반도 끝의 녹동항에서 배로 불과 5분 거리에 있다.
[편집] 소록도의 역사
소록도는 한센병 환자들이 모여사는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기원은 구한말 개신교 선교사들이 1910년 세운 시립나요양원에서 시작되었다. 1916년에는 주민들의 민원에 따라 조선총독부에 의해 소록도자혜병원으로 정식으로 개원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한센병 환자를 강제 분리,수용하기 위한 수용시설로 사용되면서, 전국의 한센병 환자들이 강제 수용되기도 하였다. 당시 한센병 환자들은 일본인 수호 원장이 환자에게 살해당할 정도로 가혹한 학대를 당하였으며, 강제노동, 일본식 생활강요, 불임시술 등의 인권침해와 불편을 받았다. 소록도내에는 일제시대 한센병 환자들의 수용생활의 실상을 보여주는 소록도 감금실과 한센병 자료관, 소록도갱생원신사등 일제시대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역사적인 건물과 표지판등이 많이 남아 있다.
소록도병원은 해방후에도 한센병 환자의 격리정책을 고수하여 환자들의 자녀들이 강제적으로 소록도병원밖의 학교에서 공부해야 하였으나, 이후 한센병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고, 환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완화되면서,한센병의 치료,요양 재생,한센병 연구등을 기본사업으로 하는 요양시설로 변모하였다. 또한 1965년 부임한 한국인 원장에 의해 과일농사, 가축사육에 종사하여 자신의 힘으로 살수 있도록 경제적인 배려를 받았으며, 일부는 소록도 축구단을 결성하여 한센인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완화시켰다.
섬의 주민은 국립소록도병원의 직원및 이미 전염력을 상실한 음성 한센병 환자들이 대부분이며, 환자의 대부분은 65세를 넘긴 고령이다. 환자들의 주거구역은 외부인들이 접근할 수 없도록 차단되어 있다.
삼림과 해변이 잘 보호되어 있어서 정취가 뛰어나며, 관광지는 아니지만, 걸어다니면서 섬 주변을 둘러볼 수 있게 길이 잘 닦여 있다. 우체국,도양읍 소록지소등 관공서와 가톨릭 교회, 개신교회, 원불교당등의 종교시설, 초등학교 분교등 교육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편집] 참고자료
- 월간 GEO, 한센인들의 마음의 고향-소록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