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K텔레콤
SK Telecom
종류 주식회사
시장 정보
한국 017670 1989년 10월 상장
본사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2가
설립일 1984년 3월 29일
업종 전기 통신업
대표 조정남,김신배
자본금 44,639,000,000원
자산 총액 15,184,053,326,000원
총 사원수 4,349명
주요 주주 SK(주) 21.75%
SK텔레콤(자사주) 10.50%
국민연금 3.28%
(주)포스코 2.88%
바깥 고리 SK텔레콤 T월드

목차

[편집] SK텔레콤

SK텔레콤은 1984년 3월 ‘한국이동통신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988년 ‘한국이동통신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1994년 공개입찰을 거쳐 SK그룹(당시 선경그룹)에 인수, 민영화되었다. 3년 후인 1997년 3월, 사명을 ‘SK텔레콤’으로 바꾸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999년 신세대 전용 이동통신 브랜드인 ‘TTL’을 출시하였으며, 2000년에는 베트남 CDMA 이동전화 사업에 진출하였다. 2004년에 DMB용 위성을 일본과 공동으로 쏘아 올리기도 하였으며, 2006년 美 EarthLink사와‘Helio’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미국에 진출, 이동통신 사업을 하고 있다.

[편집] 주요 연혁

1984년 3월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식회사 설립
1984년 5월 차량전화 서비스 개시


1988년 4월 공중전기통신사업자 지정
1988년 5월 한국이동통신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1989년 7월 휴대전화 서비스 개시
1989년 10월 기업 공개(64억원 공모 증자)


1992년 4월 무선호출 가입자 100만 돌파


1994년 6월 SK그룹, 최대 주주로 경영 참여


1995년 1월 이동전화 가입자 100만 돌파, 무선호출 가입자 400만 돌파
1995년 2월 21세기 비전 `MOVE21` 선포


1996년 1월 세계 최초 CDMA 이동전화 상용서비스 개시(인천, 부천 지역)
1996년 4월 서울 지역 CDMA 디지털 이동전화 상용서비스 개시
1996년 6월 민간기업 최초 뉴욕증시(NYSE) 상장(ADR) / 미국 S&P社의 신용평가(A+)
1996년 7월 미국 Moody`s社의 신용평가(A+) (세계 이동통신사업자 중 최고 신용등급 획득)


1997년 3월 제13기 주주총회에서 SK Telecom으로 사명 변경
1997년 8월 차세대 이동통신 IMT-2000 시험시스템 개발 성공
1997년 10월 인터넷 멀티미디어 온라인서비스 `NETSGO` 상용서비스 개시
1997년 11월 사이버 고객센터 오픈
1997년 12월 CDMA 이동전화 가입자 300만 돌파


1998년 6월 SK Telink㈜, `00700 국제전화` 상용서비스 개시
1998년 12월 SK Teletech㈜, 이동전화 단말기 `SKY` 출시


1999년 4월 몽골 이동전화 사업참여(SkyTel)
1999년 6월 고객만족지수(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 이동전화 서비스 부문 1위 수상
1999년 8월 이동전화 IS-95B 세계최초 상용화/무선인터넷 브랜드 `n.TOP` 출시
1999년 12월 국가고객만족지수(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PC통신 서비스 부문 1위 수상


2000년 1월 부천지역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개시
2000년 2월 China Unicom과 포괄적 통신협력 체결
2000년 3월 국가고객만족도 조사(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이동전화 서비스 부문 1위 수상
2000년 4월 신세기 통신과의 기업결합 공정위의 공식승인 / 이동전화 가입자 700만 돌파
2000년 5월 중국 인터넷 사업 진출
2000년 7월 신세대를 위한 이동전화 브랜드 `TTL` 출시
2000년 8월 넷츠고 분사
2000년 9월 CDMA2000 1X 세계 최초 시범서비스 개시 / 신세기 통신 및 China Unicom과 임대로밍 서비스 계약 체결
2000년 10월 이동전화 가입자 900만 돌파 / 베트남 이동통신 시장 진출


2001년 1월 세계 최초 국가간(韓-日간) 이동 중에 IMT-2000 영상통화 성공
2001년 3월 SK Teletech, 이동전화 단말기 `SKY` 이스라엘 등 해외시장수출 개시 / SK IMT㈜ 법인 설립
2001년 4월 SK Telecom, 몽골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작 / n.TOP 국내 최초 무선뱅킹 서비스 개시
2001년 5월 베트남 무료 의료지원 (베트남 얼굴기형 어린이 무료시술)
2001년 6월 세계 최초 이동전화 동영상 상용서비스 개시 / 美 HP와 1천만불 Joint Venture Fund 설립
2001년 8월 세계 최초 패킷 이동 화상전화 서비스 개발 / 베트남 CDMA 이동전화사업 투자승인 획득
2001년 9월 국내 금융 6개사, OK 캐쉬백과 제휴, ‘MONETA 카드’ 발급 / CDMA2000 1X 상용서비스 제공
2001년 10월 유무선 통합 포탈 ‘NATE’ 오픈
2001년 12월 비동기 방식(W-CDMA) IMT-2000 서비스 사업권 획득


2002년 1월 캄보디아 CDMA 이동전화 사업권 획득 2002년 2월 MONETA 폰 서비스 개시 / 서울지역 동기식 IMT-2000 상용서비스 개시 / NATE Drive 서비스 출시
2002년 3월 SK IMT㈜ 법인 설립
2002년 4월 SIM카드방식 韓中 자동로밍서비스 개시 / 네이트 플랫폼 수출
2002년 5월 차세대 동영상 압축기술 개발 / SK Telecom-日 KDDI, MMS 연동
2002년 7월 美 퀄컴과 1천만불 Joint Venture Fund 설립
2002년 11월 전자화폐 ‘NEMO’ 출시
2002년 12월 캐나다, 뉴질랜드 CDMA 자동로밍 서비스 개시 / KT와 상호 자기주식 취득 추진


2003년 1월 세계 최초 동기식 IMT-2000 상용서비스 개시
2003년 2월 SK IMT, SK Telecom과 합병 승인
2003년 3월 China Unicom과 공동사업협력 계약 체결
2003년 4월 KDDI와의 CDMA 자동로밍 서비스
2003년 5월 SK Telecom, KT지분 참여(11.34%)
2003년 7월 베트남 CDMA상용서비스 개시
2003년 8월 June, 3G 세계 최초 100만 가입자 돌파


2004년 3월 세계최초 DMB용 위성 발사 성공 / 무디스 신용등급 A3로 상향
2004년 4월 중국합작법인 UNISK 공식 출범
2004년 5월 2005년말까지 시장점유율 합병 당시인 52.3% 이하 유지키로 발표
2004년 8월 세계 최초 무선 공인인증 상용서비스 개시
2004년 11월 유/무선 통합 뮤직 포털서비스 『멜론』출시
2004년 12월 본사 사옥 이전 / 알카텔과『3G RC 서울』설립계약


2005년 1월 美이통서비스 JV설립 발표
2005년 4월 1mm` 서비스 본격 론칭 / 휴대폰 3D게임 『GXG』 출시 / 프로게임단『SK텔레콤 T1(티원)』창단
2005년 5월 SK텔레콤-경찰청, 치매노인 찾기 협정 체결 / 한국인삼공사ㆍ신세계아이앤씨와 함께 RFID 시범사업
2005년 6월 한일간 최초 영상통화 개시 / 온라인 고객 체험공간 『SKTWorld』오픈
2005년 10월 韓-美 JV 『SK-EarthLink』, 신규 브랜드『HELIO』발표
2005년 11월 국내최초 유럽지역에 `WCDMA 자동로밍` 서비스 개시


2006년 5월 HSDPA 세계최초 상용서비스 개시
2006년 7월 새 대표 브랜드 T 출시
2006년 8월 중국 정부와 중국 3G통신기술 협력 MOU 체결
2006년 9월 광대역 무선인터넷 접속 서비스 `T LOGIN` 개시


2007년 1월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2007년 2월 비자인터내셔널과 3G기반 금융서비스 사용화
2007년 6월 베트남 U-City 사업협력 MOU 체결
2007년 8월 중국 차이나유니콤 2대주주 지위 확보


==브랜드==

  • Digital 011
  • SPEED 011, SPEED 012
  • SPEED 011 010
  • T
  • T 3G+
  • TTL
  • Ting
  • CARA
  • Leaders Club
  • Cyper NET
  • n.TOP
  • NATE
  • NATE Drive
  • june
  • MONETA
  • M BANK
  • NEMO
  • Melon
  • GxG
  • T interactive (舊 1mm)
  • T LOGIN

[편집] 기술

1. CDMA CDMA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가입자 수용 용량이 8~10배에 달하고 보안성이 탁월하며, 통화품질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주파수 효율성과 고품질 데이터 제공 등의 장점을 지닌다. 1996년 1월 1일, 한국이동통신 (SK텔레콤의 전신)은 CDMA 방식의 디지털 이동전화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개시하고 상용화 9개월 만인 1996년 9월, 대한민국의 전국 주요 도시에 디지털 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2. CDMA2000 1X SK텔레콤은 2000년 9월 1일 세계 최초로 CDMA 시범 서비스를 개시하여, 한 달간의 테스트를 거친 후 10월 1일부터 서비스를 상용화하였다. 이로써 기존 시스템보다 최고 10배 이상 빠른 144Kbps의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또한 2001년 6월 1일에는 전국 23개 지역에서 이동전화 단말기를 통한 VOD와 AOD 서비스 등 멀티미디어 상용서비스를 개시하면서, 휴대폰 하나로 영화나 뉴스를 보고,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무선 인터넷 멀티미디어 시대를 열었다. VOD 서비스는 CDMA2000 1X 망을 통해 최고 153Kbps의 속도로 동영상 데이터를 이동전화에 저장해 놓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꺼내 볼 수 있는 다운로드 방식 중심으로 제공되며, 뉴스 및 연예정보와 같은 서비스는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무선인터넷 상에서 바로 접속해 볼 수 있다.

3. CDMA2000 1X EV-DO CDMA2000 1X EV-DO 서비스는 전송 속도가 CDMA2000 1X 망의 144Kbps에 비해 16배 이상 빠른 최고 2.4Mbps로, 이동 중에도 고속의 인터넷 검색은 물론 쌍방향 데이터 전송까지 가능한 서비스이다. SK텔레콤이 2002년 1월 28일 세계 최초로 동기식 IMT-2000 (CDMA2000 1X EV-DO) 시대를 연 이후, 이동 중에도 자연스런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해졌으며 포토메일 서비스 또한 본격화되었다.

4. HSDP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는 3세대 이동전화 기술인 WCDMA가 진화한 것으로, 최대 14.4Mbps의 다운로드 속도가 가능하고 화상통화를 포함하여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글로벌 스탠다드 기술이다. 이는 기존의 이동통신이 ‘듣는 전화’에서 ‘보는 전화’로 진화된 개념으로, 화상통화뿐만 아니라 대용량 정보도 단시간에 다운로드 할 수 있고 기존보다 훨씬 깨끗한 동영상을 즐길 수도 있다.

5. HSUPA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는 기존 HSDPA 기술에 데이터 상향 전송 속도를 더욱 높인 기술로, 고속 데이터 이동통신이라 할 수 있다. HSUPA 네트워크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가 수신하는 하향 전송속도가 최대 14.4Mbps, 상향 전송속도는 최대 5.76Mbps로 향상되어, User Create Contents 동영상의 제작 및 공유, 단말기 자동 업로드 서비스, 개인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편집] 관련항목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무선통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