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기본 교의 | |
불교의 삼보 : 법보 불보 승보 삼과설 연기설 법인설 사제설(팔정도) |
|
주요 대승경전 | |
반야경 화엄경 금강경 법망경 유마경 법화경 |
|
주요 소승경전 | |
아함경 법구경 | |
유명한 인물 | |
석가모니 십대제자 조사 달마 원효 | |
용수 구마라습 | |
불교의 분류 | |
사상: 소승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시대: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지역: 남방불교 북방불교 |
|
한국의 불교 종단 | |
조계종 천태종 태고종 보문종 관음종 원효종 진각종 법화종 |
|
대한불교 조계종(曹溪宗)은 한국의 불교종단이다. 조계종이라는 이름은 중국 선종이 크게 흥했던 조계산에서 비롯되었다. 금강경을 소의 경전으로 하며, 중국 선종의 조사들 중에서 초조 달마 6조 혜능의 법손임을 천명한다.
보조국사 지눌과 태고 보우국사, 도의국사 세 사람을 종조로 보고 있으며, 누가 사실상의 종조인지에 대해서는 학설이 다양하다. 보조국사를 종조로 보는 쪽은 돈오점수를 주장한다. 조계종 종정을 지낸 성철 스님은 돈오돈수를 주장하여, 돈오점수를 주장하면 6조의 법손이 아니라는 이야기를 한 바 있다. 이는 법맥과 전등을 중요시하면 사자상승, 즉 스승 없이 깨닫기는 석가모니 정도가 아니면 불가능하다는 입장에서 강조한 것이다. 조계종은 공식적으로는 도의국사를 종조로, 태고 보우국사를 중흥조로, 보조 지눌국사를 중천조로 보고 있다.
해방이후 비구승과 분규를 겪은 대처승단 측은 한국불교태고종으로 떨어져 나갔다. 조계종의 수장은 종정이나 실제 행정은 총무원장이 관할하고 있다.
동국대학교는 이 계열의 종합대학이다.
목차 |
[편집] 주요 사찰
[편집] 삼보 사찰
- 불보종찰 통도사
- 법보종찰 해인사
- 승보종찰 송광사
[편집] 오대 총림
- 해인총림 해인사
- 조계총림 송광사
- 영축총림 통도사
- 덕숭총림 수덕사
- 고불총림 백양사
[편집] 25개 교구 본사
- 경기도
- 용주사
- 봉선사
- 강원도
- 신흥사
- 월정사
- 충청북도
- 법주사
- 충첨남도
- 마곡사
- 수덕사
- 경상북도
- 직지사
- 은해사
- 고운사
- 불국사
- 대구광역시
- 동화사
- 경상남도
- 해인사
- 쌍계사
- 통도사
- 부산광역시
- 범어사
- 전라북도
- 금산사
- 선운사
- 전라남도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 제주도
- 관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