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철 (鄭澈, 1536년 - 1593년)은 조선의 시인이자 정치가이다.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이고 호는 송강(松江)이다.

명종 17년(1562년) 진사시와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전라도.강원도 관찰사, 예조판서, 대사간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

목차

[편집] 생애

[편집] 사후

[편집] 문학사적 업적

《성산별곡(星山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續美人曲)》, 《훈민가(訓民歌)》 등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가사와 많은 단가를 남겼다.

시풍은 호탕하고 비장하며, 한문투를 벗어나 자유자재로 우리말을 구사하여, 구운몽을 지은 김만중은 그의 저서 《서포만필》에서 '예로부터 우리나라(左海)의 참된 문장(眞文章)은 오직 이 세편(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뿐'이라 평가하는 등, 한국 시가문학의 대가로 인정받고 있다.

저서로는, 그 후손이 시조와 가사를 엮은 《송강가사》가 있다.

[편집] 부록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자료

[편집] 관련 링크

위키자료집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정철

[편집] 주석

  1. 1883년~: 《고종실록》20년 3월 16일: 敎曰: "故相臣文淸公鄭澈祠板, 遣地方官致祭。"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