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호항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묵호항선(墨湖港線)은 강원도 동해시의 동해역에서 묵호항역을 경유, 묵호역에서 합류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항만인입선 기능을 하는 영동선의 지선이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5.9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 역 수: 3
- 복선 구간: 없음
- 전철화 구간: 없음
- 보안 장치: 자동폐색, ATS
[편집] 역 목록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동해 | Donghae | 東海 | 0.0 | 0.0 | 영동선,삼척선,북평선 | 강원도 | 동해시 |
묵호항 | Mukhohang | 墨湖港 | 5.1 | 5.1 | |||
묵호 | Mukho | 墨湖 | 0.8 | 5.9 | 영동선 |
[편집] 노선 특징
이 구간은 화물 전용 노선으로 쓰이고 있으며, 여객열차는 1961년 이래로 운행하지 않는다.
2005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묵호항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선구 | 선로용량 | 일반여객 | 전동차 | 화물열차 | 운행총계 |
---|---|---|---|---|---|
동해~묵호항 | 35 | - | - | 1 | 1 |
[편집] 차량
- 기관차
- 7500호대 디젤 기관차
- 4400호대 전기 기관차
[편집] 역사
[편집] 개요
묵호항선은 최초에 삼척철도주식회사에 의해서, 삼척탄전 일대의 석탄을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해 묵호~철암간에 건설된 사철 철암선이 그 시초이다. 당시의 건설에서 이 노선은 상당히 험준한 삼척탄전의 조건과, 당장에 화물 수송에 치중하여 속성으로 부설했기 때문에 스위치백 구간 및 인클라인 구간 등 애로개소를 많이 가진 것이었다. 이후, 해방과 분단 과정에서 이 철암선의 연장과 타 노선과의 연장을 통해 강원도 및 동해안 일대의 노선망을 영동선으로 정비하면서, 항만인입선으로 부설된 묵호항선은 본선에서 제외되어 지선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이르러 석탄 및 양회의 수송량 증가로 해당 지역의 철도용량이 부족하게 되어, 묵호항 인입 철도의 정비가 착수되었다. 이 과정에서 옥계발 석탄화물의 취급을 위한 묵호~묵호항간의 단선 인입선로가 추가 건설되었고, 또한 북평~묵호항간의 철도 역시 초기 부설된 구간을 상행선으로, 부분 병행하는 영동선을 하선으로 활용하도록 배선을 정비하여 복선화를 달성, 지금에 이르고 있다.
[편집] 연혁
- 1936년 3월 2일 - 삼척철도주식회사, 정라~도계간 35.7km의 철도부설면허 취득.
- 1937년 3월 25일 - 정라~도계간 에서 묵호~도계간 41.7km로 부설면허 변경.
- 1940년 8월 1일 - 철암선 묵호~도계간 41.7km 완공.
- 1960년 2월 7일 - 동해북부선 북평~경포대간 착공.
- 1961년 5월 5일 - 여객 취급 중지.
- 1962년 11월 6일 - 북평~경포대간 50.3km 완공.
- 1963년 5월 27일 - 영암선(영주~철암), 철암선(철암~북평), 동해북부선(북평~경포대)를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개명, 북평~묵호항 간은 지선으로 전환.
- 1968년 1월 4일 - 묵호항선 용량 증대를 위한 복선화 공사 착공.
- 1968년 12월 30일 - 묵호항선 북평~묵호항 간 5.1km 및 묵호~묵호항 간 0.8km 완공.
- 1984년 6월 1일 - 북평역, 동해역으로 개명.
- 2006년 8월 21일 - 도로확장에 따른 송정철도가도교 개량 공사 착공.(~2008년 3월 3일)
[편집] 미래
묵호항선에 대해서 해당 지역 도로 확장에 따른 교량 재시공을 제외하면, 향후 별다른 개량 계획은 없으나, 묵호항선은 동해지역의 주요 항만의 인입철도로서 노선 폐지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
[편집] 관련 항목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