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 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주도 | 멜버른 | ||||||
정부 총독 주지사 |
입헌 군주제 David de Kretser 존 브룸비, (ALP) |
||||||
국회 의석 상원 하원 |
12 석 37 석 |
||||||
주내 총생산 생산량(백만$) 일인당 생산량 |
(2004-05년) $222,022 (국내 2위) $44,443 (국내 5위) |
||||||
인구 - 전체 - 인구밀도 |
2006년 9월 5,110,500 명 (국내 2위) 22.47/km² (국내 2위) |
||||||
면적 - 전체 - 토지 - 물 |
(국내 6위) 237,629 km² 227,416 km² 10,213 km² |
||||||
높이 - 최고 - 최저 |
보공 산 1,986 m 해수면 |
||||||
시간대 | UTC+10, (+11서머 타임) | ||||||
약자 - ISO 3166-2 |
VIC AU-VI |
||||||
상징 꽃 수생 동물 새 동물 색 |
핑크 히스 나뭇잎해룡 노란머리꿀빨이새 리드베아터의 포섬 네이비블루 |
||||||
웹사이트 | www.vic.gov.au |
빅토리아 주 (Victoria)는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에 있는 주(州)이며, 본토에 있는 주 중 가장 작은 주이다. 그러나, 가장 인구 밀도가 높고 도시화 된 곳이다. 1830년 빅토리아 주는 원래 농업 지역 이였으나, 1851년 금광의 발견으로 공업과 상업 중심지로 변모했다. 2006년 9월 현재 빅토리아 주의 인구는 5,110,500명으로 뉴사우스웨일스 주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주이다. 주도(州都)는 멜버른이며, 70% 이상의 빅토리아 주민이 이곳에 산다.
목차 |
[편집] 역사
1788년 대륙을 반으로 갈라 한쪽은 뉴 홀란드라 이름 붙이고, 나머지 한쪽은 뉴사우스웨일스 주라 이름 짓고 식민지를 건설하고, 시드니에 식민지 정부가 세워졌다. 빅토리아 주로의 첫 이주는 현재 빅토리아 주의 서부 해안에 있는 포트랜드에서 이루어졌으며, 멜버른은 1835년에 존 배트맨에 의해 발견됐다.
멜버른으로의 이주는 필립 항만 주변으로 알려져 있다. 1851년에 뉴사우스웨일스로 부터 독립하여 빅토리아 식민지를 선포한다.
1851년 발라랏에서 금이 발견되고, 이어서 벤디고등 빅토리아 전역을 가로질러 수많은 금광이 발견됐다. 이것은 전례 없는 골드러시의 계기가 된다. 이로 인해 식민지는 인구와 경제력이 빠르게 증가하여 10년 후 빅토리아의 인구는 76,000명에서 540,000명으로 늘어났다. 금 채광의 성과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금광 지대"라는 말과 세계에서 가장 큰 금 덩어리로 나타났다. 1851년부터 10년간 빅토리아 주는 2천만 온스의 금을 생산해내 세계 생산량의 1/3을 차지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금을 찾기 위한 이주자들이 찾아왔으며, 주로 아일랜드, 중국사람들이었다. 대부분의 중국인 광부들은 벤디고근교에서 일을 하며 대를 이었으며, 그들을 향한 인종 차별이 일기도 했으나 뉴사우스웨일스의 래밍 플랫 폭동같은 반 중국 폭동의 수준에는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1857년 브라이트인근의 버크랜드 계곡에서 폭동이 일어났으며, 1854년 버크랜드 계곡에서의 장티푸스 발생은 비좁고 비위생적인 금광지대의 조건으로 인해 10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1854년에는 빅토리아 정부의 채굴세(유레카 스토케이드)에 광부들이 반발해 무장 반란군 세력이 영국군과 충돌한다. 그러나 반란군의 몇몇 지휘자는 그 후 빅토리아 의회의 의원이 되었으며, 호주 민주주의의 발전의 계기가 됬다. 첫 해외 군사 작전으로는 뉴질랜드의 마오리 전쟁에 병력과 전함을 보내는 것 이었고, 뉴사우스웨일스의 병력은 그 이전 크림 전쟁에 참전했다.
1901년 빅토리아 주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일원이 됐다. 골드러시의 결과, 멜버른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금융 중심지가 되었다. 멜버른은 1901년~1927년 사이에는 개발 중인 캔버라를 대신해 오스트레일리아의 수도였다. 그 당시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큰 도시였으며, 대영 제국 당시의 도시 중에 런던 다음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기도 했다. 그 후 멜번은 계속 중요한 다국적 기업과 금융의 중심지로 남았지만, 1970년~1980년에 걸쳐 천천히 시드니에게 역전 당하고 만다.
[편집] 지리
- 이 부분의 본문은 빅토리아 주의 지리입니다.
빅토리아 주의 북부 경계는 머리 강을 따라 그레이트디바이딩 산맥의 남쪽을 가로지른다. 서쪽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와 맞대고 있고, 남쪽은 태즈메이니아와 맞대고 있다. 빅토리아 주와 태즈메이니아의 주 경계는 39°12' S로 윌슨곶에서 남쪽으로 85m 떨어진 배스 해협을 가로지르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주 경계 중 가장 짧은 곳이다[1][2]. 빅토리아 주는 매우 다양한 지형, 지질, 기후를 지니고 있다. 남동쪽의 깁슬랜드의 따뜻한 날씨부터 눈덮힌 오스트레일리아알프스와 북서쪽의 반건조초원같이 말이다.
빅토리아 주는 나머지 주들과는 달리 강수량이 높기 때문에 많은 강이 흐르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강은 머리 강이며, 그 밖에도 오븐스 강, 거번 강, 킹 강, 캄파스페 강, 로돈 강, 위메라 강, 엘진 강, 바원 강, 톰슨 강, 스노이 강, 러트로브 강, 야라 강, 마리버농 강, 미타 강, 홉킨스 강, 메리 강, 키와 강이 있다.
빅토리아의 주도인 멜버른에는 70% 이상의 인구가 몰려있어 주의 경제, 매체,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다른 도시는 빅토리아 주의 지방 자치 행정 구획, 빅토리아 주의 지역 목록에서 볼 수 있다.
[편집] 기후
빅토리아 주의 매달 평균 최고 기온 | ||||
월 | 멜버른 | 밀두라 | ||
---|---|---|---|---|
1월 | 25.8 °C | 32.8 °C | ||
2월 | 25.8 °C | 32.7 °C | ||
3월 | 23.8 °C | 29.3 °C | ||
4월 | 20.2 °C | 24.1 °C | ||
5월 | 16.6 °C | 19.6 °C | ||
6월 | 14.0 °C | 16.0 °C | ||
7월 | 13.4 °C | 15.4 °C | ||
8월 | 14.9 °C | 17.7 °C | ||
9월 | 17.2 °C | 21.1 °C | ||
10월 | 19.6 °C | 25.0 °C | ||
11월 | 21.8 °C | 29.0 °C | ||
12월 | 24.1 °C | 31.7 °C | ||
출처: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 |
빅토리아 주의 기후는 작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꽤 다양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북서부는 반건조지역이며 해안쪽으로 갈수록 온대 지역과 선선한 기후가 나타난다. 빅토리아 주의 그레이트디바이딩산맥은 주의 중심부에 서늘한 산악 기후를 조성한다.
빅토리아 주는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의 다른 주와는 달리 최남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른 곳보다 서늘하고 습한 날씨가 나타난다. 그레이트디바이딩산맥 남부의 해안 평야는 남극해의 바람 덕분에 여름의 열기와 겨울의 냉기로부터의 영향을 덜 받는다. 그렇기때문에 멜버른과 같은 도시들은 이 지역에 위치한다. 말레와 위메라는 사막과 가까워 빅토리아 주에서 가장 더운 곳이다. 빅토리아 주의 여름 평균 기온은 30 °C이며, 1939년 1월 10일 밀두라에서 47.2°C를 기록한적이있다. 겨울의 평균 기온은 15°C이며, 1947년 8월 13일 호담 산에서 -12.8°C가 기록된적이있다.
강수량
빅토리아 주는 태즈메이니아 다음으로 비가 많이 내리는 주이다. 빅토리아 주의 강수량은 북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데 특히 고산지대에 많은 비가 내린다. 북동부 지방의 몇몇 곳은 연간 강수량이 1,800mm를 넘어가기도하지만, 북서부에서는 연간 250mm도 안내리는 곳도 있다. 남부 빅토리아 주의 오트웨이 국립공원과 북동부의 깁슬랜드가 특히 많은 비가 내린다. 덕분에, 깁슬랜드지역의 땅은 농경지로 주로 쓰이고 있다. 눈은 보통 산맥과 구릉지대인 주의 중심부에만 내린다. 빅토리아 주의 하루 최고 강수량 기록은 375mm로 오트웨이 국립공원의 1983년 3월 22일 태니브린에 내린 비이다.
[편집] 관광
빅토리아 주의 주요 관광지
- 주도 멜버른 도심가는 크라운 카지노, 멜버른 동물원, 멜버른 박물관, 멜버른 수족관으로 유명하며, 근교에는 멜버른 도크랜드, 사우스뱅크, 성 킬다, 아트센터, 빅토리아 주 국립 미술관, 연방 광장, 멜버른 크리켓 경기장이 가볼만하다.
- 이전 금광지대로써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발라랏, 비치워스, 벤디고, 캐슬메인, 몰든, 데일리스포드같은 곳도 가볼만하다.
- 자연 경관으로는 12 사도, 윌슨곶, 그램피언스국립공원, 필립 섬의 페어리 펭귄, 버컨동굴, 깁슬랜드 호가 유명하다.
- 단데농 언덕은 퍼핑 빌리와 힐즈빌 야생동물 보호구역로 유명하다.
- 머레이 강이 가로지르는 마을 에추카와 밀두라도 추천한다.
- 절롱에서는 호주 국제 에어쇼가 개최된다.
- 벨라닌 반도에는 아름다운 해변으로 유명한 벨스비치와 토키 그리고 유서깊은 휴양 도시인 퀸스클리프가 있다.
- 모닝톤 반도는 포도주 양조장과 한적한 해변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곳을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아서의 시트도 놓칠 수 없다. 해안선을 따라 있는 포트시와 소렌토도 가볼만하다.
- 또한, 야라 밸리도 포도주 양조장으로 유명하다.
- 그레이트 오션 로드는 12 사도로 유명하며, 인근에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 포트 페어리 ,포트랜드가 있다. 고래 관찰을 할 수 있는 휴양지인 론도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알프스지역은 스키로 유명하다.
기타 유명한 관광 활동으로는 글라이딩, 행글라이딩, 열기구, 스쿠버다이빙이 있다.
커다란 행사 개최도 빅토리아 주의 관광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주로 멜버른에서 개최되지만, 필립 섬에서 열리는 V8 슈퍼카와 오스트레일리아 모터사이클 그랑프리, 워넘불의 장애물경마대회, 절롱에서 열리는 오스트레일리아 국제 에어쇼, 포트 페어리 민속 축제, 퀸스클리프 음악 축제, 벨스비치의 서프클래식, 브라이트의 가을 축제와 같은 많은 지역 축제가 있다.
[편집] 문화와 스포츠
- 이 부분의 본문은 빅토리아 주의 스포츠입니다.
빅토리아 주는 호주식 풋볼의 본고장이며, 오스트레일리아 풋볼 리그의 16개의 클럽중 10개의 클럽이 이 곳에 자리잡고 있다. 전통적으로 AFL시즌 최종 경기는 멜버른 크리켓 경기장에서 9월의 마지막 토요일에 열린다.
빅토리아 주의 크리켓팀인 빅토리안 부쉬레인져스는 전국 푸파 컵에서 경기를 뛰고 있다.
빅토리아 주의 멜버른 스톰과 멜버른 레벨스으로 각각 전국 럭비 리그와 호주 럭비 선수권 대회의 주 대표 팀으로 참가하고 있다.
축구 종목에서는 빅토리아 주의 멜버른 빅토리 FC와 A리그에서 4번이나 전국 선수권을 거머쥔 사우스 멜버른 FC가 그 이름을 빛내고 있다.
[편집] 바깥 고리
- ((영어))빅토리아 주 정부 공식 홈페이지
- ((영어))빅토리아 주의 역사와 정보
- ((영어))빅토리아 주 온라인 사진 도서관
- ((영어))멜버른 대중 교통
- ((영어))필립 섬 관광 정보
- 빅토리아 주 정부 관광청
- 빅토리아 주 한인회
|
![]() |
---|---|
본토의 주와 준주 | |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 뉴사우스웨일스 주 | 노던 준주 | 퀸즐랜드 주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 태즈메이니아 | 빅토리아 주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 |
자비스 베이 준주 | |
속령 | |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 |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 크리스마스 섬 | 코코스 제도 | 산호해 제도 | 허드 맥도널드 제도 | 노포크 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