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매니아 IIDX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트매니아 IIDX(beatmania IIDX, 일본어: ビートマニア IIDX)는 1999년 일본의 코나미에서 발매한 음악 게임으로 비트매니아의 후계 기종이며, 한국의 플레이어들은 대체로 투디엑스(IIDX)를 줄여 투덱이라 부른다. 기존 비트매니아와는 달리 시스템, 그래픽적으로 많은 변화를 시도한 기종이다. 특히 시리즈가 진행될수록 매니악하고 실험적인 곡이 많이 수록된 비트매니아와는 달리 대중적인 음악이 많이 수록되어 음악 게임 초보자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얻었다.
목차 |
[편집] 기체
비트매니아 IIDX의 기체는 플레이어 2명분의 건반과 턴테이블, 이펙터 등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비트매니아와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건반이 7개로 2개 많은 것과 스크래치의 방향이 다른 것 등이 있다. 모니터 부분에는 16:9 사이즈의 와이드 모니터와 곡 제목과 정보 등이 흐르는 LED 창이 있다. 플레이어가 서서 플레이하는 스테이지는 중저음에 반응하여 진동한다.
이펙터는 2개의 버튼과 5개의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다. 8th Style 이전까지의 기기는 VEFX 버튼으로 이펙터 종류(KEY CONTROL, ECHO, SURROUND1~3)를 정하고, VEFX(VEFX 효과의 정도), low-EQ(저음역), hi-EQ(고음역), track volume(배경음의 볼륨), play volume(연주하는 키음의 볼륨)를 조절할 수 있다. 9th Style을 거친 10th Style부터는 이펙터의 활용 용도가 달라져서 EFFECT 버튼으로 이펙터 효과를 끄고 켤 수 있다. 또한, VEFX 버튼으로는 EFFECTOR ON(VEFX 효과 켜기), EQ Only(이퀄라이저만 켜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GOLD부터는 PITCH(음정) 이펙터가 추가되었다. 슬라이더로는 VEFX(ECHO5~1, REVERB1~3), low-EQ, hi-EQ(저고음역), filter(하이패스 필터), play volume(연주하는 키음의 볼륨)을 설정할 수 있다.
9th Style 이후에는 기체에 e-AMUSEMENT라는 코나미 게임 전용 카드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카드 리더가 장착되어 있는데, 게임 내용에는 이 카드 시스템을 사용해야 플레이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 8th Style 이전까지는 플레이스테이션 2 기반의 Twinkle 기판을 이용하였고, 9th Style 이후부터는 기반 시스템을 윈도우 시스템으로 교체하였다.
[편집] 게임 방법
곡에 맞춰 표시되는 노트에 해당하는 키를 눌러 음악을 연주하는데 조작하는 타이밍의 정확도에 따라 5단계의 판정을 받는다. 판정은 JUST GREAT(반짝이는 GREAT), GREAT, GOOD, BAD, POOR의 5가지로 나뉜다. GOOD 이상은 그루브 게이지가 올라가고, BAD 이하는 그루브 게이지가 떨어진다. GOOD 이상의 판정을 연속적으로 받으면 콤보가 쌓인다. POOR의 경우에는 노트를 치지 못했을 경우와 노트가 없는 곳에서 조작했을 경우로 나뉘는데 두 경우 다 그루브 게이지는 떨어지지만 노트가 없는 곳에서 POOR를 냈을 경우에는 그루브 게이지가 깎이지 않는다. 7th Style 이후 시리즈의 경우에는 노트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POOR를 50개 이상 연속으로 내면 게임이 자동으로 종료된다.
그루브 게이지가 80% 이상인 상태(HARD 옵션을 걸었거나, EXPERT 모드를 플레이한 경우에는 게이지를 2% 이상 남긴 상태)로 곡을 끝내면 그 곡을 클리어한 것이 된다. 클리어 후에는 게임 성적을 판정받는데 이는 AAA, AA, A, B, C, D, E, F로 나뉜다. 특정한 조건을 만족한 상태로 게임을 끝내면 추가로 1스테이지를 더 플레이할 수 있는 ‘엑스트라 스테이지’가 출현한다. 이 엑스트라 스테이지에서 특정한 곡을 특정한 조건으로 클리어하면 게임의 최고난이도 곡이 출현하는 ‘원 모어 엑스트라 스테이지’를 플레이할 수 있다. 점수는 20만점 만점제를 사용하며, EXPERT 모드의 경우에는 JUST GREAT, GREAT을 각각 2점, 1점으로 판정하는 EX스코어를 사용한다.
[편집] 게임 모드
- BEGINNER (9th Style-) : 초보자를 위한 모드로, LIGHT 난이도보다 더 낮은 난이도의 전용 채보(BEGINNER)를 고를 수 있다. (10th Style 이전까지는 난이도 1의 LIGHT7(현재의 LIGHT), NORMAL(현재의 HYPER) 채보를 고를 수 있었다.) 난이도는 易(쉬움), 普(보통), 難(어려움) 3단계로 나뉜다. HI-SPEED, 5KEYS, AUTO SCRATCH 이외의 모든 옵션을 사용할 수 없으며, 강제적으로 EASY 게이지와 BATTLE 옵션이 적용된다. 또 곡의 속도와 상관없이 채보의 속도가 일정하게 등장한다. 더블 플레이에는 BEGINNER 모드가 없다.
- STANDARD (HAPPY SKY-) : 보통의 게임 모드로, IIDX RED 이전의 LIGHT7(14), 7(14)KEYS가 통합된 모드이다. 통합 전에는 더블 모드로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2인의 요금을 내야 했으나, 통합 후에는 싱글 모드와 가격이 같다. 난이도는 12단계로 나뉘며, 보통 곡마다 NORMAL, HYPER, ANOTHER의 3가지 채보가 있다. 1스테이지에서 난이도 5 이하의 곡을 플레이한 경우에는 클리어하지 못해도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 3스테이지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엑스트라 스테이지를 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 스테이지에서 특정한 곡을 특정한 조건에 맞추어 클리어하면 원 모어 엑스트라 스테이지를 플레이할 수 있다.
- EXPERT (1st Style-) : 5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코스를 플레이하는 모드. 게이지는 100%로 시작하며, 코스의 끝까지 게이지가 2%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코스를 클리어한 것이 된다. EXPERT 게이지는 보통의 게이지보다 POOR을 냈을 때의 감소량이 적으며, 비트매니아와는 달리 GREAT를 연속으로 내면 조금씩 회복된다.
- 인터넷 랭킹 코스 : 인터넷 랭킹에 대응하는 코스로, 랭킹은 NORMAL과 HYPER 난이도로만 참여할 수 있다. 코스 선택시에 EFFECT 버튼을 누르면 어나더 코스를 플레이할 수 있다.
- 랭킹 코스 : 선곡 순위에 따라 집계된 인기곡들로 짜여진 코스로, 기체 내부, 전일본, 전일본 주간의 세 종류가 있다. 각각 PLATINUM(5위~1위), GOLD(10위~6위), SILVER(15위~11위), BRONZE(20위~16위)로 모두 12개의 코스가 있다.
- 로컬 오리지널 코스 : 기체마다 설정된 곡들로 짜여진 코스로, 게임센터의 직원이 직접 설정할 수 있다. 게임센터에 따라서는 이 코스의 선정에 플레이어의 의견을 반영하기도 한다.
- 플레이어 오리지널 코스 : 핸드폰 사이트, 혹은 휴대용 프로그램(IIDX WAVE)에서 설정한 4곡으로 이루어지는 코스. 게이지의 증감이 보통의 EXPERT 코스보다 크다.
- 단위인정 (段位認定) (7th Style-) : 플레이어의 실력을 급수로 나누어 평가받는 모드로, 설정된 4곡(더블 플레이는 3곡)을 플레이한다. 급수는 7급~1급~초단~10단~개전(더블 플레이어의 경우 5급~개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HAPPY SKY 이전까지는 HI-SPEED 만을 설정할 수 있었지만, DistorteD 이후부터는 HIDDEN, SUDDEN 등의 옵션도 설정할 수 있게 바뀌었다. e-AMUSEMENT에 연결된 기계에서 카드를 사용해 플레이할 경우 공식 웹사이트에 등록되며, 웹사이트에서 플레이어들의 성취율을 확인할 수도 있다.
- FREE (4th Style-) : 연습용 모드로, 클리어 여부에 상관 없이 2곡을 플레이할 수 있다.
[편집] 과거 버전의 모드
- LIGHT7(14) (3rd Style-IIDX RED)
- 7(14)KEYS (1st Style~IIDX RED)
- 4KEYS (1st Style~2nd Style) : 7KEYS 채보에서 하얀 건반 4개만을 플레이하는 모드로, 전용 채보는 없으며, 단순히 검은 건반 3개가 자동으로 플레이된다.
- 5KEYS (1st Style~6th Style) : 7KEYS 채보에서 왼쪽 건반 5개만을 플레이하는 모드로, 전용 채보는 없으며 단순히 건반 2개가 자동으로 플레이된다. 7th 이후부터는 게임 옵션으로 이동하여, ANOTHER 채보에서도 5KEYS로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 RANK (4th Style~6th Style) : 현재의 EXPERT 인기곡 랭킹 코스로, 7th 이후 EXPERT 모드로 통합되었다.
[편집] 게임 옵션
[편집] 발매된 버전
[편집] 아케이드용
- beatmaniaIIDX (1999년 2월 26일) : 게임의 첫 작품으로, 신곡 22곡과 비트매니아 시리즈의 곡 10곡으로 모두 32곡이 수록되었다. 비트매니아 시리즈에서 이식된 곡은 7KEYS 채보가 없으며, 7KEYS로 플레이해도 5건반 채보가 나온다.
- beatmaniaIIDX substream (1999년 7월 27일) : 댄스 댄스 레볼루션과의 연동 시스템인 club version의 강화를 위해 발매된 마이너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신곡 11곡이 추가되어 43곡이 수록되었다. EXPERT에 어나더 코스가 추가되었다.
- beatmaniaIIDX 2nd Style (1999년 9월 30일) : 신곡 28곡이 추가되어 71곡이 수록되었다. 표기 난이도가 5에서 7로 늘어났으며 HI-SPEED가 최초로 도입되었다.
- beatmaniaIIDX 3rd Style (2000년 2월 25일) : 비트매니아 시리즈에서 이식된 곡이 모두 삭제되어 전작의 곡 중 40곡이 남고 32곡이 추가되어 72곡이 수록되었다. 4KEYS 모드가 삭제되고 그 대신 LIGHT7 모드가 추가되었다. 더블 플레이의 인터넷 랭킹이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 beatmaniaIIDX 4th Style (2000년 9월 28일) : 전작의 곡 중 60곡이 남고 44곡이 추가되어 104곡이 수록되었다. 인기곡 랭킹 코스와 EASY 게이지가 최초로 추가되었다. 악곡 공모 이벤트에서 당선된 2곡(starmine, Clione)이 수록되었다.
- beatmaniaIIDX 5th Style (2001년 3월 27일) : 전작의 곡 중 80곡이 남고 35곡이 추가되어 115곡이 수록되었다. 보통의 7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인 반짝이는 7(통칭 7禁, 7+)이 추가되었다.
- beatmaniaIIDX 6th Style (2001년 9월 28일) : 전작의 곡 중 93곡이 남고 40곡이 추가되어 133곡이 수록되었다. BGA 데이터의 매체가 CD에서 DVD로 변경되었다. HARD 게이지가 최초로 추가되었다.
- beatmaniaIIDX 7th Style (2002년 3월 27일) : 전작의 곡 중 103곡이 남고 43곡이 추가되어 149곡이 수록되었다. 5KEYS 모드가 게임 옵션으로 변경되었다. 플레이어의 실력을 평가받는 모드인 단위인정 모드가 추가되었으며 전작까지는 별도의 모드로 분리되어 있었던 인기곡 랭킹 모드가 EXPERT로 통합되었다.
- beatmaniaIIDX 8th Style (2002년 9월 27일) : 전작의 곡 중 121곡이 남고 50곡이 추가되어 171곡이 수록되었다.
- beatmaniaIIDX 9th Style (2003년 6월 25일) : 기체의 기판이 윈도우 XP 기반으로 바뀌어, 각종 사운드, 그래픽 데이터가 DVD가 아닌 하드디스크에 수록되게 되었다. 또한 카드 시스템인 e-AMUSEMENT가 도입되었으며 BEGINNER 모드가 추가되었다.
- beatmaniaIIDX 10th Style (2004년 2월 18일) : 299곡이 수록되었다.
- beatmaniaIIDX11 IIDX RED (2004년 10월 28일) : 337곡이 수록되었다. 제목은 IIDX Revolutionary Energetic Diversification의 약자.
- beatmaniaIIDX12 HAPPY SKY (2005년 7월 13일) : 기존의 LIGHT7, 7KEYS 모드가 STANDARD로 통합되었으며 난이도 체계도 기존의 8단계에서 12단계로 확장되었다. HIDDEN+, SUDDEN+, S-RANDOM 옵션이 추가되었다.
- beatmaniaIIDX13 DistorteD (2006년 3월 15일)
- beatmaniaIIDX14 GOLD (2007년 2월 21일)
- beatmaniaIIDX15 DJ TROOPERS (현재 로케이션 테스트중)
[편집] 플레이스테이션 2용
- beatmaniaIIDX 3rd style (2000년 11월 2일)
- beatmaniaIIDX 4th style -new songs collection- (2001년 3월 29일)
- beatmaniaIIDX 5th style -new songs collection- (2001년 8월 30일)
- beatmaniaIIDX 6th style -new songs collection- (2002년 7월 18일)
- beatmaniaIIDX 7th style (2004년 5월 13일)
- beatmaniaIIDX 8th style (2004년 11월 18일)
- beatmaniaIIDX 9th style (2005년 3월 24일)
- beatmaniaIIDX 10th style (2005년 11월 17일)
- beatmaniaIIDX11 IIDX RED (2006년 5월 18일)
- beatmaniaIIDX12 HAPPY SKY (2006년 12월 14일)
- beatmaniaIIDX13 DistorteD (2007년 8월 30일)
[편집] 점수 체계
투덱의 점수체계는 퍼스트 버전부터 계속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 각 곡에서 노트를 처리해서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는 20만 점이며, 여기에 아래에서 설명된 보너스 점수가 추가될 수 있다.
노트를 굿이나 그레잇 혹은 저스트 그레잇으로 처리하면 다음의 공식에 따라 점수가 부여된다:
- N = 곡의 총 노트 수
- B = 100000 / N
- C = 현재 콤보(지금 처리하는 노트까지 포함)
- V = 50000 / (10 * N - 55)
- S = 노트를 처리함으로서 올라가는 점수
콤보가 10 이하일 경우,
- GOOD: S = 0.2 * B + (C - 1) * V
- GREAT: S = 1.0 * B + (C - 1) * V
- JUST GREAT: S = 1.5 * B + (C - 1) * V
콤보가 11 이상일 경우,
- GOOD: S = 0.2 * B + 10 * V
- GREAT: S = 1.0 * B + 10 * V
- JUST GREAT: S = 1.5 * B + 10 * V
보너스 점수
- 보더 보너스(하드게이지 옵션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히 80% 게이지로 클리어한 경우): 5,730점
- 올그레잇 보너스(굿이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콤보를 이은 경우): 3,110점
- 퍼펙트 보너스(모든 노트를 저스트 그레잇으로 처리해 20만점을 받은 경우): 4,620점
- 올그레잇과 보더를 동시에 달성한 경우: 11,900점
- 20만점과 보더를 동시에 달성한 경우: 19,990점[1]
게임 도중의 점수는 부동 소숫점 형태로 저장되지만 정수로 표시된다. 이로 인해 최종 점수에 반올림 오류(rounding error)가 발생해, 받아야 할 점수보다 1점 적은 점수를 받는 경우도 있다. 이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알고리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
소프트웨어 버그로 인해, 7th CS 버전은 3,110점 보너스를 받아야 할 상황에 4,620점 보너스를 부여한다.
[편집] 주요 아티스트
- 이시카와 다카유키 (石川貴之, dj TAKA, TAKA, D.J.Amuro, D.J.SETUP, Lion MUSASHI, Risk Junk, Risk Junk-G, 金獅子 등) : 10th Style 이전까지 IIDX의 사운드 프로듀서를 맡았다.
- 나구모 레오 (南雲玲生, dj nagureo, tiger YAMATO 등) : 비트매니아 시리즈의 사운드 프로듀서로, 2nd Style 이전까지 IIDX의 사운드 프로듀서를 맡았다. 현재는 코나미를 퇴사하여 비마니에서의 활동을 중단했다.
- 시미즈 다쓰야 (清水達也, Tatsh, dj Killer, Tatsh Assault X, 白虎 등)
- 니시무라 요시타카 (西村宜隆, DJ Yoshitaka, DJ YOSHITAKA-G, 朱雀 등)
- 사카키바라 타쿠 (榊原琢, TaQ) : 2nd Style에서 처음으로 참여하여 주로 테크노와 빅비트 계열의 곡을 제작하였다. 10th Style 이후로 비마니에 곡 제공을 중단하였으며, Ongaq 레이블을 만들어 현재도 활동중이다.
- 후지 다케히코 (藤井岳彦, SLAKE, SPARKER 등)
- 가쿠타 도시유키 (角田利之, L.E.D, L.E.D.LIGHT, L.E.D.-G 등)
- 우치다 도모유키 (内田智之, Mr.T, ucchie 등)
- 와키타 준 (脇田潤, wac, DJ.W, 少年ラジオ, LEGO STUDIO, ELE BLOCK, virkato, 玄武 등)
- 후루카와 다쓰야 (古川竜也, good-cool)
- 도고 히로유키 (藤後浩之, Togo) : 컨슈머판 비트매니아, 비트매니아 IIDX의 사운드 프로듀서로, 주로 R&B, 발라드 계열의 보컬곡을 제작하였다. 컨슈머판 IIDX RED 이후로 코나미를 퇴사하였다.
- 마에다 나오키 (前田尚紀, NAOKI, N.M.R, No.9, Ω, Reven-G 등)
- 구보타 오사무 (久保田修, Osamu Kubota)
- 후지모리 소타 (藤森崇多, Sota Fujimori)
- 아키라 야마오카 (山岡晃, AKIRA YAMAOKA)
- 나카하라 류타로 (中原龍太郎, Ryu☆, 靑龍 등)
- 사이토 코스케 (斎藤広祐, kors k)
- 후나키 도모스케 (舟木智介, TOMOSUKE, Orange Lounge, Zektbach 등)
- 스기모토 기요타카 (杉本清隆, DJ SIMON)
- 히라타 쇼이치로 (平田祥一郎, Shoichiro Hirata)
- 호소에 신지 (細江慎治, sampling masters MEGA)
- 사소 아야코 (佐宗綾子, sampling masters AYA)
- teranoid & MC natsack
- Y&Co. : DJ BOSS와 DJ Remo-con으로 구성된 리믹서 유닛으로, IIDX 이외에서도 다양한 클럽 뮤직을 다룬다.
- BeForU
- 가라시마 준코 (jun)
- 신타니 사나에 (Sana) : 원래는 코나미의 사원으로 취직하였으나, 비마니 스탭에 의해 보컬로 채택되어 비마니 시리즈에서 많은 곡의 보컬을 맡았다. ‘비마니의 가희’, ‘코나미의 가희’라고도 불린다.
- 호시노 카나코 (星野奏子, 와타나베 가나코 渡辺奏子)
[편집] 그래픽 아티스트
- VJ GYO (에구치 교) : 시리즈 초기부터 참가하였으며, 3D 폴리곤을 사용한 BGA를 자주 만든다.
- HES (헤시키 요시아키) : 6th Style 이후의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고 있다. 사이버 계통의 BGA를 자주 만든다.
- MAYA (마코토 다카무라) : IIDX RED에서 처음 참가, 3D 계통과 2D 일러스트 계통을 고루 다룬다.
- F-FLY (마쓰자키 호타루) : 비트매니아 시리즈의 그래픽을 맡았으며, 비트매니아 시리즈가 끝난 후 IIDX에 참가하였다.
- shiro : 범용 무비(데이터 용량이나 제작 시간의 관계상 모든 곡에 전용 BGA를 만들 수 없을 때 사용되는 BGA)를 주로 만들었다.
- VJ YUZ : 3rd Style부터 참여하여 BGA 제작을 맡은 그래픽 스탭. 키보드매니아 시리즈의 그래픽 디렉터로서도 활동하였다. 최근 시리즈에는 참여하지 않고 있다.
- GOLI (GOLI Matsumoto) : substream에서 처음 참가하여 포스터, 이미지 캐릭터 디자인 등 2D 일러스트레이터로서 활동했다. 범용 무비에 덧입혀지는 레이어 이미지를 많이 제작하기도 하였으며 5th Style까지의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제작하였다.
[편집] 대한민국에서의 비트매니아 IIDX
대한민국에서는 1999년 유니아나에서 2nd Style을 정식으로 수입한 적이 있는데, 이는 ‘beatstage II 2nd Style’로 수입되었다. 이 버전은 일본어 보컬곡이 삭제되는 등 많은 부분에서 삭제가 이루어져 반쪽짜리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정식 수입판은 일본에서 발매가 취소된 소형 기체를 사용하는 계획이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제목에 DX가 없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이 소형 기체는 일본 본국에는 정작 단 한대도 없지만 서울에 1대가 가동되고 있다.
그 후에 정식으로 수입된 것은 없고, 현재는 서울과 부산의 몇몇 게임 센터에서 자체적으로 기기를 가동하고 있다. 2007년 9월 기준으로, 압구정의 조이플라자에서 GOLD(1인 1000원, 2인 1500원)와 7th(300원)을 가동하고 있으며, 부산 보우오락실 GOLD(1인 1000원 2인 1500원), 부산 삼보게임센터 GOLD(1인 1000원, 2인 1500원), 방학동 우리들의 놀이터 8th(1인 300원, 2인 400원), CS DistorteD 4분에 100원, 건대입구 우리들의 놀이터 CS DistorteD 4분에 100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