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랑은 좋아하고 아끼는 마음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가족이나 연인에 대한 사랑을 들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는 사람 이외의 대상, 즉 조국이나 아이스크림에 대한 사랑도 포함된다.
[편집] 과학적 관점
역사상 사랑에 대한 탐구는 대체로 철학과 종교의 영역이었다. 그러나 20세기에 심리학이 발전하면서 이 주제를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길이 나타났으며, 최근에는 진화심리학, 진화생물학, 인류학 및 생물학 등을 통해 사랑의 실재에 대해 보다 심도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었다.
[편집] 생물학적 측면
생물학은 대체로 사랑을 공복이나 갈증과 같은 동물적 욕구의 일종으로 본다. 사랑에 관해 많은 연구를 한 인류학자 헬렌 피셔는 사랑을 크게 정념(lust)과 연심(attraction) 및 애정(attachment)의 세 단계로 나누는데, 각 단계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정념은 사람을 다른 사람에게로 이끌고, 연심은 사람들이 연애 관계에 자신들의 노력을 집중시키도록 하며, 애정을 통해 아기가 태어나 자라는 동안 배우자와의 관계를 지속하게 된다고 한다.
정념은 초기에 사람들을 이성관계로 이끄는 감정으로,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 등의 화학물질 분비량의 증가와 관계가 있다. 이 효과는 대체로 몇 주에서 몇 달 이내에 끝난다. 그 다음 단계인 연심은 연애의 대상을 특정한 개인으로 집중시키는 감정이다. 뇌과학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은 사랑에 빠질 때 뇌에서 페로몬, 도파민, 노레피네프린 및 세로토닌 등의 화학물질이 분비되어 쾌락중추를 자극하고, 이로 인해 심박수의 증가와 식욕과 수면욕의 감퇴 및 강한 흥분 상태 등을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연구는 이 상태가 대체로 1.5년에서 3년 가량 지속됨을 보여준다.[1]
[편집] 출처
- ↑ Winston, Robert (2004). Human. Smithsonian Institution.
감정 |
---|
행복 · 우울 · 의심 · 죄책감 · 혐오 · 실망 · 기대 · 놀라움 · 충격 · 공포 · 성욕 · 욕망 · 기피 · 후회 · 사랑 |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