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국제공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포국제공항(金浦國際空港, Gimpo International Airport)은 대한민국국제공항이다. 근처에 김포공항역이 있다.

인천국제공항이 생기기 전까지 한국의 대표적인 국제 공항이었다. 2006년 현재,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한성항공이 김포발 국내선을 취항하고 있으며,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일본항공인터내셔널, 전일본공수가 김포발 국제선 취항을 하고 있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과해동 274번지이다. 현재는 국내 허브 공항이다.

목차

[편집] 부호

[편집] 역사

  • 1939년, 당시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 방화리에 일본군이 활주로를 건설하면서 시작.
  • 해방 이후 미군이 전투기 기지로 사용
  • 1954년부터 한국 사용 허가
  • 1958년 국제공항 여의도에서 김포로 이전
  • 1971년 국내선 청사 준공

[편집] 운항 노선

운항 항공사 운항지
대한항공 광주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도쿄 국제공항, 사천공항, 여수공항, 울산공항, 제주국제공항, 포항공항
아시아나항공 광주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도쿄 국제공항, 목포공항, 사천공항, 여수공항, 울산공항
일본항공인터내셔널 도쿄 국제공항
전일본공수 도쿄 국제공항
제주항공 김해국제공항, 양양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한성항공 제주국제공항[1]
내년 예정 취항 후쿠오카 공항, 간사이 국제공항, 주부 국제공항, 상하이 홍치아오 국제공항,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과 도쿄 국제공항 간 노선은 2003년 11월 개설된 이후, 2004년 61만명 수준이던 이용자 수가 2005년 94만명에 이어 2006년 130여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2006년 인천국제공항~나리타 국제공항 예상 이용객(249만명)을 합친 전체 서울~도쿄 노선의 항공 이용자(379만명)의 35%에 해당하는 수치다.[2] 1950년대에 시작해 1990년대를 거쳐 21세기 초 잠시 동안은 미국, 일본, 중국등 28개국을 운항하였다. 2001년 3월 29일 국제선이 인천국제공항으로 이관되어, 1990년대이전에는 이 공항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 가는 노선이 있다.)

[편집] 외부 고리

[편집] 주석

  1. 2006년 10월 2일 운항개시
  2. 《한국경제신문》(2006.10.1.)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