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P153) 화서 (P154) 수원 (P155) 세류 천안 방면
서울역 방면 (P151) 의왕 (P154) 수원 (P156) 병점 천안 방면
용산 방면 (P147) 안양 (P154) 수원 (P156) 병점 천안 방면
수원
수원역
역 정보
노선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인선 (영업 중단(휴지) 상태)
소재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 18
개업일 1905년 1월 1일
역 종별 보통역
역 등급 1급
승강장 혼합식 (4면 8선)
전화번호 031-253-2724
GPS 좌표 {{{GPS}}}

수원역(水原驛, Suwon Station)은 경기도 수원시의 중앙 철도역으로, 경부선 새마을호무궁화호 전 열차가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도 운행하며 급행열차가 정차하는 큰 역이다. 한때는 협궤 철도인 수인선수려선이 교차하여 주변 교통의 중심지였고, 두 철도가 사라진 지금은 버스로 대체되었지만 역시 수원시 지역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2010년 이후 분당선 철도가 수원역까지 연장되면, 다시 철도 교차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목차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수도권 전철) : 오른쪽 (천안 방면), 왼쪽 (소요산 방면)

[편집] 역사

[편집] 승차량 변동

[편집] 수도권 전철

2003년의 급격한 감소는 수도권 전역에서 발견되는 현상이다. 2004~2005년 사이의 증가는 연 약 110만명으로, 무궁화 승객량의 감소와 거의 일치한다.

역 노선 승차 인원[1]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1호선 41786 45382 48178 48256 35786 38661 40273

[편집] 일반열차

통근전동열차를 함께 고려할 경우, 2004~2005년도의 승객은 새마을이 약간 늘어난 것을 제외하면 크게 변하지 않았다. 천안, 대전 방면의 승객량은 크게 변동이 있지는 않았으며, 04년 정차편수 증가로 인해 승객이 새마을로 약간 이전한 것 같다. 서울 방면의 경우 04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반전되나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2]
경부선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2001년 하행 승차 748280 3834258 37340 4619878
하차 14901 573801 22811 611513
상행 승차 28266 512253 18008 558527
하차 772963 3622920 43038 4438921
2002년 하행 승차 759056 3645265 34876 4408804
하차 17315 558907 27269 603491
상행 승차 26521 517159 25960 614244
하차 786284 3424978 40224 4251486
2003년 하행 승차 788388 3600647 35157 4393216
하차 16374 505516 26470 557007
상행 승차 21600 481156 23001 562954
하차 813571 3384273 40224 4204189
2004년 하행 승차 1020359 3415932 9268 4445559
하차 47286 569635 6122 623043
상행 승차 49647 621322 5654 676623
하차 1031518 3389578 9702 4430798
2005년 하행 승차 1097371 2226309 폐지 3323680
하차 64791 634239 폐지 699030
상행 승차 59804 690046 폐지 749850
하차 1078275 2213057 폐지 3291332
  1.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2. 원자료는 철도통계연보[1].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