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통령 선거(大統領選挙)는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선거이다.
대한민국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한다.(대한민국 헌법 제67조 1항).
목차 |
[편집] 선거일 및 선거기간
후보자 등록 마감일 다음날부터 선거일까지의 선거기간은 23일이며(공직선거법 제33조), 대통령의 임기 만료일전 70일부터 첫번째로 돌아오는 수요일에 선거를 시행한다. 선거일이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민속절 또는 공휴일인 때와 선거일 전날이나 그 다음날이 공휴일인 때에는 그 다음주의 수요일로 한다.(공직선거법 제34조)
[편집] 선거권과 피선거권
- 선거권은 19세 이상, 피선거권은 선거일 현재 5년이상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40세이상의 국민에게 부여된다.
[편집] 후보자 등록
[편집] 추천
- 정당의 당원으로, 소속 정당의 추천을 받을 것.
- 하나의 시·도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선거권자 500인 이상씩, 5개 이상의 시·도에서 총 2,500명에서 5,000명의 추천을 받을 것.
위 두 가지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하여야 한다.
[편집] 기탁금
- 5억원
- 반환 (기탁금 부담비용은 제외함)
- 후보자가 당선 또는 사망하거나 유효투표총수의 100분의 15이상을 득표한 경우 전액을 반환한다.
- 후보자가 유효투표총수의 100분의 10이상 100분의 15미만을 득표한 경우에는 반액을 반환한다.
[편집] 기호의 결정
후보자등록마감일 현재 국회에 의석을 보유한 정당은 의석을 많이 보유한 순서대로, 의석이 없는 정당은 명칭의 가나다 순으로, 무소속은 후보자성명의 가나다 순으로 정하여 숫자로 기호를 결정한다.
[편집] 투표
- 투표시간 : 오전 6시 ~ 오후 6시
[편집] 당선인의 결정
-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
- 유효투표의 다수를 얻은 자 (단, 최고득표자가 2인 이상인 때에는 연장자순)
- 투표마감시각 전까지 후보자가 1인이 될 경우 그 후보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한다.
-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 유효투표의 다수를 얻은 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하고, 이를 국회의장에게 통지한다. 단 단독후보인 경우에는 득표수가 선거권자 전체 수의 3분의 1 이상이어야 당선인으로 결정한다.
- 최고득표자가 2인 이상일 때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통지에 의하여 국회의 재적의원 과반수가 출석한 공개회의에서 다수표를 얻은 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한다.
[편집] 대통령 선거 목록
대수 | 선거일 | 투표 방식 |
당선자 | 임기 | 법정 임기 |
비고 |
---|---|---|---|---|---|---|
초대 | 1948년 5월 10일 | 간선 | 이승만 | 1948년 8월 15일 ~ 1952년 8월 14일 |
4년 | |
제2대 | 1952년 8월 5일 | 이승만 |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
4년 | ||
제3대 | 1956년 5월 15일 | 이승만 |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6일 |
4년 | ||
제4대 | 1960년 3월 15일 | 이승만 | 미취임 | 4년 | 선거 무효 의결(1960년 4월 26일 국회) | |
제4대 | 1960년 8월 12일 | 간선 | 윤보선 | 1960년 8월 12일 ~ 1962년 3월 23일 |
4년 | |
제 5대 | 1963년 10월 13일 | 직선 | 박정희 | 4년 | ||
제 6대 | 1967년 5월 3일 | 직선 | 박정희 | 4년 | ||
제 7대 | 1971년 4월 27일 | 직선 | 박정희 | 4년 | ||
제 8대 | 1972년 12월 13일 | 간선 | 박정희 | 6년 | ||
제 9대 | 1978년 7월 6일 | 간선 | 박정희 | 6년 | 1979년 10월 26일 암살됨 | |
제 10대 | 1979년 12월 6일 | 간선 | 최규하 | 6년 | 신군부의 강압으로 사퇴 | |
제 11대 | 1980년 8월 27일 | 간선 | 전두환 | 6년 | ||
제 12대 | 1981년 2월 25일 | 간선 | 전두환 | 7년 | ||
제 13대 | 1987년 12월 16일 | 직선 | 노태우 | 1987년 2월 25일~1993년 2월 24일 | 5년 | |
제 14대 | 1992년 12월 18일 | 직선 | 김영삼 | 1993년 2월 25일~1998년 2월 24일 | 5년 | |
제 15대 | 1997년 12월 18일 | 직선 | 김대중 | 1998년 2월 25일~2003년 2월 24일 | 5년 | |
제 16대 | 2002년 12월 19일 | 직선 | 노무현 | 2003년 2월 25일~현재 | 5년 |
[편집] 같이 보기
- 대한민국의 선거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 ![]() |
---|---|
제1공화국 : 1948년 (제1대) | 1952년 (제2대) | 1956년 (제3대) | 1960년 (제4대*) | |
제2공화국 : 1960년 (제4대) | |
제3공화국 : 1963년 (제5대) | 1967년 (제6대) | 1971년 (제7대) | |
제4공화국 : 1972년 (제8대) | 1978년 (제9대) | 1979년 (제10대) | 1980년 (제11대) | |
제5공화국 : 1981년 (제12대) | |
제6공화국 : 1987년 (제13대) | 1992년 (제14대) | 1997년 (제15대) | 2002년 (제16대) | 2007년 (제17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