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반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조반정(仁祖反正)는 1623년 음력 3월 12일, 서인광해군을 쫓아내고 인조를 왕으로 세운 사건이다. 소중화주의에 근거한 친명 세력이었던 서인은 신흥 강국인 청나라와 쇠퇴해가는 명나라 사이에서 사실상 중립정책을 펼친 광해군의 실리외교를 못마땅하게 여겼으며, 이귀·김류·김자점 등이 모의하여 정변이 일어났다. 이이반이 이 일을 사전에 밀고하였고, 또한 반정 당일에 반정군을 지휘해야 할 김류가 예정시각에 제때 도착하지 못하는 등 혼란이 있었으나, 이괄이 김류가 맡은 일을 대신하여 반정은 성공하였으며, 광해군은 강화도로 유배, 이이첨·정인홍·유희분 등 광해군 때의 권세가들이 대역죄로 참형(斬刑)당하여 대북은 몰락하였다. 후에 광해군제주도로 다시 유배되었으며,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일부 학자들은 인조반정을 보수세력의 반동적인 쿠데타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인조반정은 이후 커다란 파장을 예고하는 예시이기도 했다. 반정에 큰 공을 세웠던 이괄서인의 일부 기득권세력과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켜 서울이 함락되고 인조공주까지 피난가는 사태가 일어났으며, 국제정세의 흐름을 제대로 간파하지 못한 채 명분만을 중시하여 구체적인 전략도 없이 무조건적인 친명배금정책을 실시한 것은 정묘호란이 일어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결국 1637년(양력), 병자호란에서 참패한 인조가 삼전도의 굴욕을 당하게 된다.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