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교 卍

불교

기본 교의
불교의 삼보 : 법보 불보 승보
삼과설 연기설 법인설
사제설(팔정도)
주요 대승경전
반야경 화엄경 금강경 법망경 유마경
법화경
주요 소승경전
아함경 법구경
유명한 인물
석가모니 십대제자 조사 달마 원효
용수 구마라습
불교의 분류
사상: 소승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시대: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지역: 남방불교 북방불교
한국의 불교 종단
조계종 천태종 태고종 보문종
관음종 원효종 진각종 법화종

용수(龍樹, 150년(?) - 250년(?))는 중관(中觀)을 주창한 인도의 불교 승려이다. 원래 이름은 나가르주나(nagarjuna)이나 한역되면서 용수로 알려졌다. 베트남, 중국, 대한민국, 일본 등에서는 흔히 용수 불리며 티베트에서는 Klu Sgrub 이라 한다.

목차

[편집] 생애

용수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자세하지 않다. 불교에서 전해오는 기록들에 의하면 용수는 인도 남부의 안드라 주 나가르주나코다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용수는 구마라습과 같이 브라만 출신이었다고 하며, 이 때문에 용수는 당시 불경 기록의 주된 언어였던 팔리어 대신 산스크리트어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는 불교의 초기경전을 연구하여 중관(中觀, Mahāyāna)을 주창하였으며 자신의 사상을 담아 <<중론(中論)>>을 저술하였다.

용수
용수

[편집] 저서

용수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중론(中論)>>이 전한다.

  • 중론
  • 공칠십론
  • 회쟁론
  • 십주비바사론
  • 광파론
  • 십이문론

고려대장경에 용수의 <<중론>>이 한역되어 있다.

[편집] 사상

중론은 불교의 핵심 사상 중의 하나인 공에 대해 그것이 절대적인 무(無,없음)이 아니라 모든 것이 서로 관계를 맺는 연기론의 관계에서 파악한다. <<중론>>은 그 후 대승불교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대승불교에서는 용수를 팔종(八宗)의 조사로 칭한다.

[편집] 바깥 고리

  •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검색 메뉴를 통해 중론의 한글번역본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