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정화(鄭靖和, 1900년 8월 3일 ~ 1991년 12월 2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본명은 정묘희(鄭妙喜)이며 아호는 수당(修堂)이다.

서울에서 태어나 1910년 어린 나이에 김의한과 결혼했는데, 남편은 구한말 고위 관료로 조선귀족 작위를 갖고 있던 김가진의 맏아들이었다.

김가진은 1919년 상하이대한민국 임시정부로 전격 망명했고, 정정화는 시아버지와 남편을 따라 1920년 역시 상하이로 망명했다. 그는 감시가 덜한 여성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는 역할을 맡아서 중국과 국내를 오가면서 10여년간 자금 모금책, 연락책으로 활동했다.

1940년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을 조직하여 간부를 맡았고 충칭의 3·1 유치원 교사로도 근무했다. 1943년 대한애국부인회 훈련부장이 되는 등 임시정부를 대표하는 여성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다.

그러나 광복후 인생 행로는 순탄치 않았다. 미군정의 홀대 속에 1946년 개인 자격으로 귀국해야 했고, 오랫동안 임시정부에서 함께 활동했던 김구가 곧 암살되었기 때문이다. 한국 전쟁 중 김의한은 안재홍, 조소앙 등과 함께 북조선으로 갔으며, 남한에 남은 정정화는 부역죄로 투옥되는 등 고초를 치렀다.

저서로는 회고록 《녹두꽃》(1987, 개정판 《장강일기》[1])을 남겼다. 이 회고록을 토대로 연극 《장강일기》[2]와 《치마》[3], 《아! 정정화》[4] 등 정정화의 일생을 소재로 한 연극이 공연되었다.

1990년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 받았다.

[편집] 참고자료

[편집] 주석

  1. 정정화 (1998-08-15). 《장강일기》. 서울: 학민사. ISBN 9788971931011.
  2. 축제를 만드는 사람들, 《장강일기
  3. 《동아일보》 (2001.8.30) 원영애, 내 작품을 말한다 - 연극 '치마' 여장부 정정화 일대기 그려
  4. 《한겨레21》 (1998.8.13) 내 인생의 전환점/ 연극배우 원영애씨
2000년········2001년 선정, 이 달의 독립 운동가 ········2002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기삼연 윤세복 이승훈 유림 안규홍 나창헌 김승학 정정화 심훈 유근 민영환 이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