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MU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 내용은 최근에 벌어진 사건에 대한 것으로, 사건이 진전됨에 따라 내용이 바뀔 수 있습니다.
HEMU(가칭)
양 수 2M2T 4량
전기 방식 교류 25,000V 60Hz
제어 방식 VVVF-IGBT 2레벨 1C2M제어
기관 형식 {{{기관형식}}}
기어비 {{{기어비}}}
차륜 배열 {{{차륜배열}}}
동륜 배열 {{{동륜배열}}}
기동가속도 2.5 Km/h/s
영업최고속도 {{{영업최고속도}}} Km/h
설계최고속도 150 Km/h
감속도 3.5(상용), 4.5(비상) Km/h/s
전동기 출력 250 kW
편성 출력 2,000 kW
출력 {{{출력}}} hp
견인력 {{{견인력}}}
주 용도 간선 특급
차량 정원 {{{차량정원}}}명
편성 정원 {{{편성정원}}}명
전장 {{{전장}}} mm
전폭 {{{전폭}}} mm
전고 {{{전고}}} mm
차량 중량 {{{차량중량}}} t
편성 중량 {{{편성중량}}} t
대차간 거리 {{{대차간거리}}} mm
축중 {{{축중}}} t
궤간 1,435mm
구동 장치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MT비}}}
보안 장치 {{{보안장치}}}
제작사 히타치 제작소, SLS중공업
제작 연도 2008년
비고

HEMU(가칭)는 2008년 한국철도공사수도권 전철경부선장항선 연장개통을 대비해 연장되는 수도권 전철에서의 고급화된 급행운용을 위해 도입할 예정으로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특급형 전동차이다. 32년만에 일본 히타치 제작소에서 제작수주를 받았기 때문에 "HEMU"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도입 후 정확한 차량번호가 부여될 예정이다. 여기서 HEMU는 Hitachi-Electric Multiple Unit 의 약자이다.

목차

[편집] 기술적 사양

[편집] A-Train 기술의 적용

히타치 제작소에서는 1999년부터 알루미늄을 이용한 차량 구체설계방법으로서 A-Train 이라는 설계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인 구체는 알루미늄 더블스킨 구조를 사용하여 FSW 용접 공법을 사용하며 특히 차량의 용도에 맞춰 모듈화된 설계를 적용하기 때문에 설계비용 및 제작비용의 절감을 꾀하고 있다. 이외에도 HEMU에는 일본에서 이미 많은 수가 사용되고 있는 링크암 방식의 경량대차, 싱글암 팬터그래프 등의 여러가지 경량화 설계가 적용될 예정이다.

[편집] 저상, 고상홈 겸용 차량

HEMU는 수도권 전철 구간에서만 운용되나 실제로는 경부 본선(여객열차선)구간에서 집중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저상홈 및 고상홈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유압식 리프트 장치를 탑재할 예정이다.

[편집] 편성

편성은 제어기기, 전동기 등이 탑재되는 제어차인 Mc,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보조전원장치등이 탑재되며 장애인 대응시설 및 수유실이 설치된 T1, 아무것도 탑재되지 않는 T2차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두부에 장비된 전공일체 자동병결장치를 통해 중련운행이 가능하다.

  • 4량편성 : Mc-T1-T2-Mc

[편집] 특이사항

[편집] 향후 운용

2008년 HEMU 도입시 현재 통근형 전동차로 운용되고 있는 경부선의 급행열차는 전부 HEMU로 대체되며, 이를 여객열차사업부에서 운용하기 때문에 무궁화호에 준하는 열차로서 따로 분리될 예정에 있다. 이에 대해 기존 수도권 전철 요금의 적용여부 및 운영방식에 대해 논란이 있으며 기존 급행을 대체하는 것은 통근여객 수요분산 원칙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있다.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