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파 방송 밀청 사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단파 방송 밀청 사건은 1942년에 서울의 경성방송국(현재 한국방송공사)에서 일어난 독립운동과 관련된 역사적인 사건이다. 단파 방송 수신 사건 이라고 한다.
목차 |
[편집] 전개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자 조선총독부는 외국의 정세가 한국인들에게 전파될까봐 '외국 단파 방송 청취 금지령'을 공포하고 한국에 와 있던 외국인 선교사들을 추방하는 등 단파방송 청취자 단속을 강화했지만, 경성방송국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직원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송출되는 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과 중국 국민정부가 송출하는 중경방송국 한국어방송을 듣곤 했다. 일제는 경찰을 통해 이것을 알아채고, 1942년 12월 말에서 1943년 초까지 대대적인 검거를 단행해 단파방송 을 듣거나 거기에 관련된 150명 가까운 방송인들과 민간인 150~300여 명이나 체포해 이 가운데 75명에게 유죄 판결을 내렸다. 이중 6명이 고문 후유증으로 옥사하였다. 일본의 의도적인 기록 말살로 인해 현재 남아있는 자료도 거의 없는 실정이고, 관련자에 대한 예우도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편집] 읽을 거리
단파방송은 전파 특성상 한쪽에서 송신되는 라디오가 세계 어느곳에서는 수신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기상태와 태양풍 등의 영향으로 그 수신이 일정치 않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방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이 주파수 대역은 아마추어 무선사와 해외방송을 위해 개척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해외방송은 제2차 세계대전과 냉전 시대에는 서로 상대방의 유일한 정보입수와 정치적 선전의 창구로 활용되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단파방송을 듣는 다는 것은 일종의 스파이 활동으로 의심받기도 하였다. 현재도 미국의 소리방송과 영국의 BBC방송은 다양한 단파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