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0호대 디젤 기관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7000호대 디젤 기관차
양 수 {{{량수}}}량
전기 방식 {{{전기방식}}}
제어 방식 {{{제어방식}}}
기관 형식 16-645F3B
기어비 57:20
차륜 배열 Co-Co
동륜 배열 {{{동륜배열}}}
기동가속도 {{{기동가속도}}} Km/h/s
영업최고속도 {{{영업최고속도}}} Km/h
설계최고속도 150 Km/h
감속도 {{{감속도}}} Km/h/s
전동기 출력 {{{전동기출력}}} kW
편성 출력 {{{편성출력}}} kW
출력 {{{출력}}} hp
견인력 3,300 HP
주 용도 {{{용도}}}
차량 정원 {{{차량정원}}}명
편성 정원 {{{편성정원}}}명
전장 {{{전장}}} mm
전폭 {{{전폭}}} mm
전고 {{{전고}}} mm
차량 중량 119 t
편성 중량 {{{편성중량}}} t
대차간 거리 12,497 mm
축중 {{{축중}}} t
궤간 1,435mm
구동 장치 {{{구동장치}}}
제동 방식 공기제동,발전제동
MT비 {{{MT비}}}
보안 장치 {{{보안장치}}}
제작사 EMD, 현대정공
제작 연도 {{{제작연도}}}
비고 {{{비고}}}

7000호대 디젤 기관차한국철도공사의 여객열차 견인용 전기식 디젤 기관차이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대비하여 새롭게 제작된 유선형 새마을호(지금의 무궁화호구특전)를 견인하는 전용기관차로서 도입되었다. 여태 도입되었던 디젤 기관차들과는 다른 유선형 디자인으로서 승합차와 비슷해 봉고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다.

목차

[편집] 기술적 사양

본 기관차의 모델명은 FT36HCW-2로서 여객열차만을 견인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타 특대형 기관차보다도 축중이 16.5t으로서 가볍고 부수적으로 사용하는 교류발전기가 없다. 전기적 구성은 6병렬 고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운행중간 회로전이에 의한 충격이 없으나 초반 가속력이 약한 점이 있다.

특히 부수적인 발전차 견인을 없애기 위해 엔진과 직결되는 객차전원공급기(HEP)를 장착하였으며 특유의 유선형 구조로 운전실은 한방향만을 지향한다. 후방 시야를 볼 수 없기때문에 후진운행은 25km/h로 제한되고 있다.

[편집] 도입 역사

1986년 1차 도입분으로 9량이 도입되었으며 1987년 차 외관 형상이 약간 변경된 2차 도입분이 6량 추가도입되어 현재 15량이 재적되어 있다.

[편집] 특이 사항

[편집] HEP의 철거

객차전원공급기는 운영 초기부터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 HEP를 사용하게되면 기관차의 엔진을 계속 운전상태로 고정해야 하기때문에 운행대기시 연료와 매연문제를 발생했으며 발전기 축의 고장이 잦아 결국 HEP를 철거하게 되었다.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