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교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조교제(援助交際)의 문자적 의미는 도와주는 교제이지만 종종 성매매의 완곡어로 사용된다. 일본에서 여고생 또래가 금전을 받고 어른과 데이트해주고 종종 성적 봉사도 하는것을 말한다. 많은 사람들 특히 일본 밖에서는 이를 어린이 성매매으로 간주한다. 성적 관계가 없었더라도 그렇다. 그러나 많은 원조교제 구매자는 성관계를 꼭 기대한다.

원조교제는 일본의 코갸루(노는 여고생들) 하위문화와 연관이 있다. 1980년대 후반 일본의 경제 버블이 꺼지면서 가정경제가 어려워졌다. 하지만 소녀들은 그동안의 생활방식을 유지하려고 원조교제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연구자들 특히 일본내 연구자들은 원조교제가 성인연령에 도달하는 여학생들의 통과의례로서 발달했다고 본다. 현대 일본 자본주의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겼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 이후 성매매은 불법화되었다.(성매매의 범위는 좁게 정의됨 : 성기-성기접촉이 있어야 위법임.) 원조교제에 관한 특별법은 1990년대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일본 정부에 의한 실직적인 규제는 없어왔다. 왜냐하면 이 법에서는 명시적으로 성을 위해 돈을 지불한게 아니면 처벌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 그러는 경우는 드물다. 간접적인 방식으로 돈이 건네지는 거래이다. 또 일본 사법당국에 의하면 13세~17세의 연령에서 법률적 동의가 인정되기 때문에 원조교제 고객은 법적 강간으로 처벌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편집] 휴대전화와의 관계

원조교제를 둘러싼 사회환경은 복합적이다. 테레쿠라(전화방)을 통해 최초 접촉이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부스 안에서 남성이 전화를 걸면 여성이 전화를 받으며 여성이 원하면 데이트를 약속할 수 있다. 요즘에는 전화방에서 단순히 휴대 전화 번호를 제공해 주기도 하며, 전자 우편을 기반으로 하는 메루쿠라(메일클럽)도 있다.

2000년 기준 일본의 휴대전화 사용 인구가 6380만 명 정도 된다.일본인터넷연합(민간단체)에 의하면 여고생들의 1/3 이상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폰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편집] 대한민국의 원조교제

대한민국의 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장에서는 현재 이러한 종류의 행위를 금하고 있다.


[편집] 참고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