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복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생물 분류 읽는 법
생물 분류 읽는 법
개복치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색동물문
강: 조기어강
목: 복어목
과: 개복치과
속: 개복치속
종: 개복치치
학명
Mola mola
Linnaeus, 1758
헤엄치고 있는 개복치
헤엄치고 있는 개복치

개복치(Mola mola, Ocean Sunfish, 翻車魚, マンボウ)는 복어목 개복치과에 속하는 바닷 물고기이다. 온대및 열대 해역의 대양에 분포하느데 한국의 동해,서해,남해에 나타나며 일본의 북해도 이남지역에서 발견된다. 몸의 크기가 매우 크고 납작하고 넓으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눈과 아가미가 작으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가 매우크고 특이하게 생겼다. 입은 새의 부리모양으로 매우 단단하다. 18세기에 린네은 학명을 Mola mola라고 지었는데 라틴어로 맷돌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안진복, 골복짱, 깨복짱이라고도 한다.

개복치는 경골어류중에서는 가장 크며 가장 큰 뼈대를 가진 물고기이다. 기록 상에서는 2.2톤을 넘고 3.3미터가 넘는 것도 있었다. 또한 가장 많은 알을 낳는 어류이기도 한데 300만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는 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 해조류을 먹지만 특히 해파리가 주식으로 알려져있다. 그런데 해파리는 영양가가 낮기 때문에 많은 양을 먹어 치워야한다.

수면에서 가까이 헤엄칠 때는 지느러미가 수면으로 나와 상어와 비슷한데 가끔 배와 부딪혀서 사고를 내기도 한다. 최근에는 그물과 물위에 떠다니는 비닐백에 의해 죽는 경우도 많다.

최근에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 추적 연구를 통해 생태가 관찰되고 있는데 포획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줄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편집] 식용

한국과 일본에서는 식용으로 먹기도 하는데 몸체의 대부분이 먹을 수 있다. 맛과 모양은 기름기가 많아 하얗게 뽀얀 편이라 참치 흰살과 비슷하다. 회로 먹기도 하는데 비린내가 안나는 편이나 기름이 잘 소화가 안되 많이 먹으면 설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등을 쪽에서 나오는 흰색의 창자가 별미로 여겨지기도 하며 지느러미가 몸통의 살보다 별미로 여겨진다. 껍질은 삶으면 흐물흐물해지는 데 이것을 우묵가사리와 비슷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다. 한편 유럽 연방에서는 개복치를 식용으로 파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편집] 개복치의 일광욕

개복치는 때로 맑은 날 수면에 누워서 일광욕을 하는 것 처럼 보이는 모습이 옛부터 눈에 띄어 Sun fish라고도 한다. 이러한 행동에는 여러가지 가설이 있는데 휴식을 취하는 것이라는 설, 소화를 촉진하기 위해 몸을 따뜻하게 데우는 것이라는 설, 몸에 붙은 기생충을 바닷새들이 잡아먹도록 한다는 설이 있다. 또한 이렇게 물에 떠있을때 어부들이 쉽게 개복치를 잡아 올릴 수 있다.

바다 표면에 누운 개복치
바다 표면에 누운 개복치

[편집] 읽을 거리

개복치는 그 모습과 크기 때문에 수족관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어류이기도 하다. 일본 오사카의 카이유칸 수족관에서는 고래상어보다 더 관람객의 인기를 끈다고 한다. 2001년 11월 서울시 강남구에 있는 코엑스 아쿠아리움에서는 강원도에서 포획한 개복치 3마리를 잠깐 전시 하였으나 4일만에 폐사 하였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Mola mo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