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음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개음화(口蓋音化)는 닿소리가 가까운 구개음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즉 자음의 조음점이 경구개와 가까워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보통은 [i], [e] 등의 전설모음의 앞이나 경구개 접근음인 [j] 앞에서 많이 일어난다.
[편집] 한국어의 구개음화
한국어에서 구개음화는 닿소리 뒤에 ㅣ나 ㅑ, ㅒ, ㅕ, ㅖ, ㅛ, ㅠ 등이 올 때에 생기는데, 대부분의 낱말에 적용된다.
본디 닿소리 | 바뀌는 닿소리 |
---|---|
ㄷ[t]/[d] | ㅈ[ʨ]/[ʥ] |
ㅌ[tʰ]/[dʰ] | ㅊ[ʨʰ]/[ʥʰ] |
ㄴ[n] | ㄴ[ɲ] |
ㄹ[ɾ] | ㄹ[ʎ] |
ㅎ[h] | ㅎ[ç] |
ㅅ[s] | ㅅ[ɕ] |
예를 들어 "굳이", "같이"는 각각 /구지/, /가치/로 발음한다. 한국어의 구개음화는 일부 외래어에도 적용되어서 광복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이 주로 라디오(radio), 비디오(video)를 /라지오/, /비지오/로 불렀고, 지금도 적잖은 사람들이 센티미터(centimeter)를 /센치미터/, 스티로폼(styrofoam)을 /스치로폼/으로 발음하지만, 네 개 모두 국어연구원에서 정한 표준 발음법에 어긋난다. 또한 "힘"을 /심/, "기름"을 /지름/으로 소리내는 사투리도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이런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사투리도 있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에서는 'ㅅ'의 구개음화를 하지 않고 함경도 등의 지역에서는 치조음 전반에 대한 구개음화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ㄷ, ㅌ의 구개음화를 제외한 나머지 자음의 구개음화한 자음들은 한국어의 독립적인 음운 요소로 인식이 되지 않는 변이음이므로 실제 한국어 화자들은 구개음화가 발생하는 것을 거의 인식하지 못한다.
구개음화에는 특정한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디디다"와 "느티나무"는 구개음화하지 않는데, 이와 같이 ㄷ, ㅌ의 구개음화는 뒤이어서 모음 ㅣ를 포함하는 조사나 접미사 등의 종속적 관계를 가진 형식 형태소가 나올 때 주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문이 있다"의 "문이"는 구개음화하지만 "무늬가 있다"의 "무늬"는 구개음화하지 않는다. 20세기 초에는 구개음화한 소리가 나지 않는 말을 ㅣ 소리가 나더라도 의도적으로 ㅢ를 썼다. 이런 낱말로 '잔듸'가 있다.
[편집] 다른 언어에서의 구개음화
고대영어에서 [sk]는 대부분 [ʃ]로 변화한 적이 있다. Shirt의 옛 철자는 <scyrt>였는데, 이 철자를 보면 음운변화가 완료된 후 유입된 외래어인 skirt는 shirt와 동일한 어원을 지님을 알 수 있다.
라틴어에서는 [ke]와 [ki]였던 발음이 이탈리아어에서는 [tʃe], [tʃi]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탈리아어에서는 그래서 [tʃe] 발음을 <ce>로 표기하는 한 편 [ke]/[ki]발음은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표시로 <h>를 덧붙혀 <che>/<chi>로 적는다.
![]() |
이 문서는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