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PuzzletChung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난 토론: 2004 2005 2006

목차

[편집] 기타

여기에 PuzzletChung님의 답변을 기다리는 글이 있습니다. 답변 주시면 새해 복 많이 드리지요. --맑은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218.147.118.26(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2007.1.5(금) 음, 그렇게 하는 겁니껴? 잘 알겠습니다. 아참, 답변 안주셔도 새해 복은 많이 드릴 것이니 걱정 마셔유. --맑은―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218.147.118.26(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서명은 오른 쪽에서 두번째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서명할 수 있습니다.----효리♪(H.L.LEE) 2007년 1월 5일 (금) 14:58 (KST)
"로그인 오류:맑은 사용자 이름은 다음의 이유로 인해 가입이 금지되었습니다: Contains unassigned or deprecated character. 다른 이름으로 가입해주세요." '효리'라는 계정은 어떻게 만든 것일까요? '맑은'이는 왜 계정을 만들 수가 없을까요? --맑은

[편집] 보인정보산업고등학교

보인정보산업고등학교는 제가 졸업한 학교입니다. 지금 이곳에 그림이 하나 올라갔는데, 구글어스에서 상업적인 용도 에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풀어놓았다고 합니다. 사실 저작권이 있기는 하지만, 상업적인 용도로 쓰지 않을 경우에는 위키에 이미지를 올려놓아도 될지 여쭙고 싶습니다. 만약 위키의 방침상 안되는 경우에는 삭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 2007년 1월 7일 (일) 09:32 (KST)

위키백과의 텍스트는 GFDL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상업적인 용도로도 쓸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림 파일 등 미디어 자료는 각 위키백과마다 정책이 다르기는 하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상업적인 용도로 쓰는 데에도 제한이 없는 것만을 올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CopyrightedFreeUse}}는 그 설명대로 어떤 용도로도 쓰는 데 제한이 없을 때에 붙이는 것입니다.
--Puzzlet Chung 2007년 1월 7일 (일) 11:32 (KST)

[편집] 퍼온글로 의심되는 문서들

분류없는 문서에 분류연결을 시키던 중 퍼온글로 의심되는 문서는 아우스터리츠 전투, 이강숙, 장기려, 종교학으로 종교학은 이전에도 한번 의심받은 적이 있는게 확인되었습니다. 덤으로 우르가는 장난인 것 같습니다. --눈사람 2007년 1월 14일 (일) 02:12 (KST)

[편집] 날짜별 내용에

날자별 탄생 내용에 동방신기 멤버 생일이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여 삭제했습니다. 음 이유는 동방신기의 팬 이외의 사람들에게는 그닥 필요없는 정보이고, 동방신기 페이지에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이강철 2007년 1월 28일 (월) 16:35 (KST)

[편집] 기타2

PuzzletChung님 여기에 질문이 있습니다. 꼭 좀 읽어 보시고 답변해 주십시오. --맑은 2007.01.29(월)

[편집] 틀:한국사틀:중국사

한국사와 중국사에 대한 틀에 적용되는 기준이 달라서 문의합니다. 한국사는 신화적 존재인 환국과 배달국이 빠져있는데, 중국사에는 신화적 존재인 삼황오제가 버젓이 들어있더군요. 두개 다 공평하게 신화적 존재를 빼던지, 아니면 넣던지 해야할 것 같습니다. 관리자님의 현명한 판단 기다립니다. 참고로 일본의 역사에는 신화라기보다는 까마득한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의 이야기(기원전 10만년전부터 시작한다고 써있습니다)인 조몬 시대도 들어가 있습니다.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화) 03:33 (KST)

위서인지 여부가 붉어진 몇몇 사서에 등장하는 환국과 배달국과 저명한 역사적 연원으로 인정받는 "사기"에 나오는 중국사의 삼황오제를 같은 수준으로 취급할 수 있는지 묻고 싶네요.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30일 (화) 11:32 (KST)
기준은 관리자가 정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에 관심있는 사용자들이 정하는 것입니다. --Puzzlet Chung 2007년 1월 30일 (화) 12:25 (KST)
중국사에서 삼황오제를 빼자는 것이 저분인 듯하네요. 다른 사람들이 모두 반대하는 것을 고집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배달국은 최남선에 의해 설명된 것으로, '박달'에서 왔으며, 박달임금의 나라인 단군조선이었는데 환단고기에서 뜻을 바꾸어 부른 것입니다. 그리고, 죠몽문화는 엄연히 존재합니다. 하지만, 일본인들이 죠몽시대를 아마테라스가 통치했다고 주장하지는 않죠. 어쨌든, 저 분이 손대는 문서가 한둘이 아닌데, 여러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것 같습니다. jtm71 2007년 1월 30일 (수) 16:14 (KST)
실제로 토론 중에 rv를 감행하고 일방적인 편집을 하신 분은 이 분이 아닌 사용자:68.254.218.167 이분이었습니다. (관리자 요청에 의해 현재 차단중입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30일 (수) 16:17 (KST)
그렇군요.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IP가 차단된 이후로는 동일한 문서들에서 저분이 같은 주장을 하고 계십니다. jtm71 2007년 1월 30일 (수) 16:29 (KST)
동일한 주장을 한다고 하더라도 같은 인물이라고 보는 건 섣부른 판단이 아닐까요? :) (그래도 저분은 중국사틀에 대해서 일방적인 편집을 하시지는 않고 계십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30일 (수) 16:35 (KST)
저분이 보호되고 있는 중국사 틀을 일방적으로 바꾸셔서 제가 되돌려 놓았습니다. 다른 IP사용자:69.223.133.124도 동일한 인물로 의심됩니다만, 당분간은 지켜볼 필요는 있을 듯하네요. jtm71 2007년 1월 30일 (수) 17:09 (KST)
위서인지 아닌지 의심을 받다뇨... 규원사화는 진서입이 확증된 기록입니다. 그리고 규원사화에는 신시의 기록이 있어요. 규원사화를 위서라고 하시는 분들은 공부좀 더 하고 토론에 참가하세요.
한번 따져보죠. 규원사화의 신시의 기록에보면, 중국의 신화인 삼황오제중 하나로 헌원이라는 자가 있는데 그 헌원과 신시의 임금중 하나인 치우와의 전쟁기록이 있어요. 그리고 이 치우와 신시와의 전쟁기록은 중국의 사서와도 일치합니다. 그런데, 한국사에 있는 신시는 신화로도 인정 못하면서, 중국의 헌원은 신화로 인정한다는게 말이되나요? 똑같은 기록을 나타내고 있는 것인데 한쪽은 거짓이고 한쪽은 사실이다라는것은 무슨논리인지 모르겠군요. 둘다 신화던지 둘다 거짓이던지 둘다 사실이던지해야죠. 이상한 논리 펴지마세요.
사기의 기록과 규원사화의 기록이 일치합니다. 치우에 대해서는 사기의 기록과 한단고기의 기록도 일치합니다. 아주 이상한 생각을 가지고 계시는데요.. 둘다 똑같은 기록을 하고 있는데 사기에 나오는 치우와 헌원은 진짜이고, 규원사화에 나오는 치우와 헌원은 가짜인가요? 아이리디님 뭘 잘 알고나 대답하세요.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수) 18:45 (KST)
'진서임이 확실'이라는 말은 어폐가 있습니다. 규원사화의 경우에는 진서의 주장과 위서의 주장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 옳습니다. jtm71 2007년 1월 30일 (수) 18:58 (KST)
사기의 기록과 일치하면 진서입니까? 그럼 제가 사기의 기록에 부합하는 내용을 적어내면 그것또한 예전에 만들어진 진서이겠네요? 규원사화가 진서임이 확증되었다는 얘기야 말로 처음들어봅니다. 특정 사기의 기록과 같거나 부합하다고 해서 그 역사서의 진위여부는 가려질 수 없습니다. 님의 주장은 규원사화와 사기가 동시대에 기록되었다는 전제를 가정하기에 규원사화가 부정되면 사기마저 부정되어야 하지 않느냐고 주장하십니다만, 이미 전제자체가 잘못되었습니다. (그 어디에도 규원사화가 사기와 비슷한 시기에 작성되었다는 기록은 없지만, 사기가 오랜 고대에 작성되었다는 증거는 넘처나서 일일이 언급하기도 힘들정도입니다)
덧) "아이리디님 뭘 잘 알고나 대답하세요." 등은 인신공격으로 간주할 소지가 큽니다. 그런 의도가 없었다고 넘어가겠습니다만, 계속해서 이와 같이 상대방을 무시하고 깔보는 듯한 태도로 토론에 임하신다면 인신공격으로 이해하겠습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30일 (수) 18:59 (KST)
규원사화가 진서인것을 첨을어보다니요 하하 규원사화 에 가서 한번 읽어보세요 규원사화가 무슨책인지... 규원사화는 이미 진서임이 확정된기록입니다. 규원사화가 진서임이 이미 확정되었고, 규원사화에 나타난 치우와 헌원과의 전쟁기록이 일치하므로, 삼황오제가 신화로 인정받는다면 신시국도 신화로 인정받는것입니다. 똑같은 기록을 보고도 한국사는 신화도 아니고 중국사는 신화라는 논리는 올바르지 않는것입니다. 즉, 신시국의 신화도 아니고 삼황오제는 신화라는 님의 주장은 틀린것입니다.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수) 19:05 (KST)
님께서나 제대로 읽어보시고 토론에 임하시지요. "규원사화의 저작 연대는 인정하는 추세이나, 그 내용은 조선 후기에 전래되는 야승을 모아 검증 없이 정리한 것으로 간주, 사서로서의 인정을 보류"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31일 (목) 15:39 (KST)
이런 주장은 이곳이 아니라 틀토론:중국사에서 하는 것이 옳을 듯합니다. jtm71 2007년 1월 30일 (수) 20:00 (KST)
'저 분'이 IP가 차단된 분이 맞다고 판단됩니다. 신시 문서의 변경 과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jtm71 2007년 1월 30일 (수) 20:39 (KST)
의견이 같다고 같은 사람인가요? 의견이 같은 사람은 많습니다.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수) 21:54 (KST)
의견 뿐 아니라 행동도 같은데요 ... jtm71 2007년 1월 30일 (수) 22:03 (KST)
무슨 형사 취조하나요? 정말 이상하시네.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수) 22:07 (KST)
알겠습니다. 다른 분이라고 계속 주장하시니, 할 수 없습니다. 주장과 행동은 같지만 다른 분일 수도 있겠습니다. 두 분이 같은 곳에 살고 있다는 것도 우연의 일치이고요. jtm71 2007년 1월 30일 (수) 22:11 (KST)

동일인물 같습니다.. korealife도 다른 인물하는걸 너무 어설프게 해서 실패했죠. Breathejustice님의 지금 모습은 명찰만 바꿔달고 난 다른 사람입니다..라고 하는것으로 보이네요. 간단한 단적인 증거입니다. 토론:기자조선#문서수정의 방향 보시면 차단된 ip사용자가 NOR을 강조표시해가며 글을 쓰고 있는데 바로 밑에 Breathejustice님이 말하는것도 완벽 판박이죠. 그거 아십니까? Puzzlet님 외 다른 분들도 다른 사용자들의 경험을 통해 아시겠지만 다중계정을 판단하는 방법은 문서편집취향,말투,편집스타일 등입니다.. 저 섹션 보면 두 사람이 완전 동일인물인양 말하고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끼여들어서 논지를 펼치는게 아니라 완전한 동일인물입니다. 이정도면 동일인물이 맞다고 확실합니다. -- Allen 2007년 1월 30일 (수) 22:35 (KST)

다른사람이거든요--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수) 22:42 (KST)
그렇습니까. 위키백과의 영웅 Korealife도, 김유나라는 이름의 크로스드레서임을 주장한 Unpoly님도 다른사람이라고 말했다가 결국 차단당해서 사라졌습니다. 도둑보고 너 도둑이지?라고 하면 예 그렇습니다. 라고 답할 사람이 몇 사람이나 되겠습니까? 증거 대보라고 일단 발뺌하지요. : ) 사람의 심리라는건 참 재미있습니다. -- Allen 2007년 1월 30일 (수) 22:45 (KST)
여담이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에 체크유저 권한 관리자가 없어서 발생된 문제일거라고 생각됩니다 :-| -- 세오테뤼(··) 2007년 1월 30일 (수) 22:46 (KST)
저의 ip는 지금 192.168.0.100으로 나옵니다.--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수) 22:58 (KST)
재미있군요. 예전에 사용하던 아이피와는 다르게 지금은 사설ip라는 건가요? ip가 자유자재로 바뀌시는군요. -- Allen 2007년 1월 30일 (수) 23:01 (KST)
먼소리를 하시는건가요? 이해할수있기말을하세요. 사설아이피가 머에요--Breathejustice 2007년 1월 30일 (수) 23:02 (KST)
I say again, was I invade in on your secrets or what? -- Allen 2007년 1월 30일 (수) 23:04 (KST)
PuzzletChung님 제가 직접 로그인 안하고 편집해서 아이피 알아봤는데요... 저 그 아이피 아니에요. ㅠ.ㅠ 69.223.133.124입니다. 여기가보세요[1]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1일 (수) 00:05 (KST)
차단된 IP로는 편집이 불가능하니 당연히 다른 아이피를 사용하겠지요. 게다가 유동아이피군요. 고정 ip가 아니니 더 의심갑니다만. -- Allen 2007년 1월 31일 (수) 00:08 (KST)
기자조선 '역사'에서 1월 27일 수정 내용을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우연히 지구 반대편의 같은 지역에 사시는 분이 같은 시간에 로그인해서 차례를 기다리면서 같은 문서에 같은 문단의 글을 고쳤다는 것이네요. jtm71 2007년 1월 31일 (수) 00:13 (KST)
하하하하.. 문서 역사의 편집요약을 봤는데 어설퍼도 이렇게 어설플 수가 없네요. 편집요약이 "나 동일인물이요."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PuzzletChung님 현명한 판단하셨으면 합니다. -- Allen 2007년 1월 31일 (수) 00:19 (KST)
Allen님 유동아이피쓰는 사람은 다 저아이피랑 같은 사람이겠네요? 지구반대편에 사는 사람이 저 혼자라고 생각하세요 Jtm71님?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1일 (수) 00:24 (KST)
그래요 ... 그렇다면, 저 IP로 로그인하여 덧붙인 글이 전혀 없었다고 주장하시는 것입니까 ... jtm71 2007년 1월 31일 (수) 00:27 (KST)
이미 다 말했습니다. 아니라고요. 똑같은 말 반복하게 하지 마세요. 그리고 비슷하다고 또 심증이 간다고 해서 그렇게 말하면 안되는거 아시죠?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1일 (수) 00:29 (KST)
그러면, 지금까지 편집하신 글을 찾아보시면서, 저 68.~ IP로 로그인해서 작성하신 글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시죠. 문제가 되어 차단한 IP가 바로 저 IP입니다. 정말로 저 IP로 로그인해서 작성한 글이 전혀 없습니까 ... (사용자토론:68.254.218.167을 참조하셔도 되겠네요.) jtm71 2007년 1월 31일 (수) 00:35 (KST)

왜 이 페이지에서 플레임이 벌어지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런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Puzzlet Chung 2007년 1월 31일 (수) 01:49 (KST)

유동 ip인데 그게 일치한다고 해서 꼭 제가 한건가요? --Breathejustice 2007년 1월 31일 (수) 01:53 (KST)
유동 IP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제 의문제기는 정당합니다. 거짓주장은 그만하시기 바랍니다. (Breathejustice 사용자토론) jtm71 2007년 1월 31일 (수) 12:56 (KST)

[편집] 보호문서 찬반 투표에

바쁘시겠지만 위키백과:사랑방의 보호문서 찬반 투표에 참여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관리자에 대한 내용인 만큼 관리자분들의 참여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Alfpooh 2007년 2월 1일 (금) 20:17 (KST)

[편집] 분류:출신지별 한국 사람을 빨리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어 위키를 보니까 한국 사람 문서가 늘어나고 있어요. 그래서 하루 빨리 분류:출신지별 한국 사람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12일 (월) 00:37 (KST)

[편집] 독도의 분류 되돌리는 것은 좋은데

왜 일본의 섬은 남겨 두시면서 한국의 섬 부분은 삭제하시는 겁니까? 이것이 위키백과의 중립성입니까?--Okorea 2007년 2월 17일 (일) 22:35 (KST)

분류:경상북도의 섬과 중복되어서 그렇습니다. 마찬가지로 분류:시네마 현의 섬이 생긴다면 분류:일본의 섬도 떼일 겁니다. --Puzzlet Chung 2007년 2월 17일 (일) 22:38 (KST)
그렇다면 쓰시마섬에 한국의 섬 분류가 추가되어야 합니다.--Okorea 2007년 2월 17일 (일) 22:42 (KST)
그게 거꾸로도 적용된다는 데에는 동의하기 힘드네요. 쓰시마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행정부는 마산시 뿐 아닌가요 --Puzzlet Chung 2007년 2월 17일 (일) 22:54 (KST)
참고로 시네마 현의 섬이 아닌 시마네 현의 섬입니다. 분류:시마네 현의 섬을 만들어 주시고 [[:분류:일본의 섬을 말하신대로 떼주세요. 그래서 달라지는 건 없지만, 님이 싫다면 할수 없는거고..--Okorea 2007년 2월 17일 (일) 23:00 (KST)
이미 만드셨네요

[편집] 편집 전쟁

일으킨 것을 사과드리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쓰시마 영유권을 주장하는 공식적인 대한민국 정부 문서를 아신다면 알려 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저는 들은 적이 없네요) :)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2월 17일 (일) 23:00 (KST)

제게 사과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쓰시마에 대해서는 찾아보니 이런 일도 있었더군요. --Puzzlet Chung 2007년 2월 17일 (일) 23:51 (KST)
대단히 고맙습니다 :)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2월 18일 (일) 00:09 (KST)

[편집] 2100년 넘겨주기 문서에 대하여...

21세기와 2100년은 개념이 다르잖아요.... 2100년에 상황이 올테니까 분리시켜놓아야되지 않을까요? --Jang ju-seong 2007년 3월 17일 (일) 16:22 (KST)

[편집] 일본의 섬 명칭 편집기준

최근 편집된 일본의 섬 편집기준이 애매합니다. 그리 길지 않은 기사가 여러차례 바뀌어 있는데, 다케시마 섬은 시마+섬으로 되어 있고, 미나미토리시마에서는 시마를 빼고 섬을 붙였구요.(오키노토리시마도 마찬가지) 이건 마치 단어의 길이가 길면 시마를 빼고, 짧으면 시마를 포함한다는 것 같습니다만. 그리고 일본의 섬은 -시마 뿐아니라 -지마로 끝나거나, 극히 드물지만, -토(우리말 도)로 끝나기도 합니다. Noropdoropi 2007년 3월 28일 (수) 13:05 (KST)

여기 답변이 되어 있네요. 같은 기준입니다. --Puzzlet Chung 2007년 3월 28일 (목) 21:44 (KST)

[편집] 국수 동음이의어 처리

제가 처음에 만든 국수의 동음이의어 처리 페이지를 삭제하셨더군요. 제가 만든 Disambiguation 페이지에서 보였듯 국수는 먹는 국수, 바둑의 국수, 의사의 국수, 고문에 나타나는 강의 이름인 국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3개이상의 의미를 구분해야 하는 만큼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이유에서 편집하고 삭제하였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편집하는것은 위키백과의 일원으로서 당연한것이지만 삭제는 관리자의 권한인 만큼 신중하게 행동에 옮기셨으면 합니다. 이렇게 밴달리즘이나 다른 결함이 있는 글이 아닌경우 당연히 토론에 먼저 의견제시후 행동하셔도 별로 늦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Alfpooh 2007년 4월 3일 (수) 21:44 (KST)

[편집] 오름 토막글

오름은 제주도에서 한라산 주변의 기생화산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제주 이외의 지역에서 산봉우리오름이라고 부르는 용례는 본 적이 없습니다. 일단 토막글 형태로 문서 내용을 편집하였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제대로 편집하겠습니다. Jjw 2007년 4월 11일 (수) 03:50 (KST)

[편집] 왜 한국에선 위키백과가 찬밥신세여야 합니까

일전에 한 판사가 "한국 사람도 위키피디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라는 취지의 글을 쓴 걸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웹2.0의 모범 케이스로 여겨지는 위키피디아가 한국에선 왜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할까요? 위키백과가 탄생한 지도 꽤 지났는데,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음은 홍보 부족때문인가요,아니면 우리 한국 네티즌 문화에 부적합하기 때문일까요? 그리고 위키백과가 거듭나기 위해선 어떤 행동(조치)가 필요할까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토론 참여를 기대합니다.

http://blog.joins.com/edwdkim

--Edwdkim 2007년 4월 26일 (금) 22:50 (KST)

[편집] 사칭 계정을 정리해 본 결과를 말씀드립니다.

오늘 제가 사용자:Yes0song/사칭 계정 정리를 작성했습니다. {{사칭}}이 포함된 사용자문서들을 사칭당한 계정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정리 결과 퍼즐릿 정 님을 사칭한 계정수가 무려 37개나 됩니다(다른 사람도 동시에 사칭한 계정 2개 포함). 퍼즐릿 님의 봇을 사칭한 계정도 1개 있습니다. 그리하여 퍼즐릿 님이 사칭 계정수 1위를 차지하셨습니다 ㅡㅡ;;

사칭 계정이 많아봤자 도움이 될 것은 없겠지만 알려드립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4월 30일 (월) 00:23 (KST)

[편집] 궈티에만두로 합쳐주세요.

궈티에를 만드신 사용자:Talmolee님이 합치기 제안에 찬성하셨습니다. 문서를 합쳐주세요. 그리고 오늘 처음 참여하신 분이라 아직 이모저모 모르시는게 많아서 그런데 합치기 하신 후 사용자토론:Talmolee에도 글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Jjw 2007년 5월 1일 (화) 01:24 (KST)

[편집] 선거권자 분쟁

관리자 선거에 분쟁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Peace001님께서는, 자신이 과거에 ip유저로 활동한 적이 있으므로 선거 공시 이후의 계정이라 할지라도 선거권이 있음을 주장하십니다. Kys951님께서는, 선거권자는 공시 이전의 계정으로 정상적 편집이 있었던 자라는 임시 선거 규정에 따라 Peace001님의 선거권이 없다고 봅니다. 저는 후자의 견해가 현 규정과 맞다고 생각합니다. 분쟁의 해결을 관리자님께 요청합니다. --Hun99 2007년 5월 5일 (일) 23:30 (KST)

[편집] 일반 회원이 선거 열어도 됩니까?

편이틀에대한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의견을 묻고싶은데 말입니다. --큰스님 2007년 5월 8일 (수) 15:38 (KST)

투표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Puzzlet Chung 2007년 5월 12일 (토) 06:31 (KST)

[편집] 소행성 이름의 한국어 표기

안녕하십니까? 위키인 이강철입니다. 한 동안 접속하지 않은 사이 '번역틀'이 '불확실한 외래어틀'로 바뀌었는데요, 괄호 안에 있는 원어가 없습니다. 한국어만 남아 있는데요? 다른 분들의 참여를 위해 원어를 옆에 추가하는게 적절할까요? 그리고 번역 후에도 다른 사람의 재정정을 위해 남겨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이강철 2007년 5월 26일 (일) 21:29 (KST)

[편집] 위키백과:봇/등록 신청

The "bot flag request" page of this wiki seems to have been abandonned for a few months, and there are several demands pending. Would one of you mind checking it ?

thanks in advance

Darkoneko 2007년 5월 30일 (수) 01:56 (KST)

[편집] 내부 아이디라는 게 무슨 뜻인가요?

"퍼즐릿의 내부 ID는 완전수입니다." 다른 분들의 사용자 페이지에서도 가끔 비슷한 문구를 볼 수 있는데, 혹시 내부 ID라는 걸 설정하는 방법이 있는 건가요? --Acepectif 2007년 6월 1일 (금) 02:49 (KST)

특수기능:Preference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사용자 ID’로 되어 있네요. 아마 가입한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질 겁니다. --Puzzlet Chung 2007년 6월 1일 (금) 11:08 (KST)

[편집] 약과 약물

네이버 사전참고로

약물 [藥物] [명사]
<약학> 약의 재료가 되는 물질
약 [藥] [명사]
1 병이나 상처 따위를 고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먹거나 바르거나 주사하는 물질. ≒약품(藥品).
2 해로운 동식물을 없애는 데 쓰는 물질.
3 =화약(火藥).

현 분류:약물 에 있는 내용을 분류:약 으로 옮기면 어떨까요? 약이라 하면 보통 의약품을 뜻하는 것이니 화약이나 농약같은 경우는 본문을 따로 따로 쓰는것이 좋은 아이디어 같은데. 퍼즐릿님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Yoonhan 2007년 6월 5일 (화) 09:51 (KST)

맞는 말이네요. 분류:약물에 있는 페이지를 분류:약으로 옮겼습니다. --Puzzlet Chung 2007년 6월 5일 (화) 11:35 (KST)

[편집] Your bot on french wiki

Hello,

Please request the bot flag on fr:Wikipédia:Bot/Statut for your bot to continue running it.

Regards,

fr:User:Chico 2007년 6월 24일 (일) 00:04 (KST)

[편집] Erik Mongrain

Hello PuzzletChung, Sorry to disturb you, but could you please write a stub http://ko.wikipedia.org/wiki/Erik_Mongrain - just a few sentences based on http://en.wikipedia.org/wiki/Erik_Mongrain? Just 2-5 sentences would be sufficient enough. Please! --Antaya 2007년 6월 27일 (수) 08:10 (KST)

[편집] Hi

Hi, I'm a user of english and turkish wikipedias. If you're not busy, can you translate some of this article from english to korean? If you can do, I'll be very glad. Thank you very much. Only a few sentences are enough. Thank you. Here's the english article : [2]

Barışhan tr:Kullanıcı:Morphosis

[편집] 통용표기틀

틀:통용 표기 사용 으로 작성된 고다 구미,간노 요코와 같은 문서는 통용 표기식 표제어로 이동해야된다는 글을 토론페이지에 남기셨는데, 자세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통용 표기틀 생성당시 그러한 결정이 있었나요? -- Allen 2007년 7월 7일 (토) 00:27 (KST)

아무 것도 결정된 것은 없습니다. {통용 표기}를 쓰는 쪽이든 쓰지 않는 쪽이든 ‘지침’이 합의된 적이 없고 언제 쓸 것이냐 하는 기준도 마련된 것도 없습니다. 다만 나름대로 합당한 이유에서 널리 쓰이고 있기 때문에 크게 반대에 부딪히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것은 어디서 결정되거나 합의된 것이 아니라, 순전히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본문에 ‘코다 쿠미’라고 되어 있으면서 정작 페이지 이름이 고다 구미라면 통용 표기 틀을 붙인 의미가 없습니다. 페이지 이름을 바꾸던가, 통용 표기를 소극적으로 하던가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Puzzlet Chung 2007년 7월 7일 (토) 15:40 (KST)

[편집] 그리스 인명의 Eu에 관하여

아일리아 유독시아, 아일리아 유도키아, 유도키아 잉게리나 등에서 ευ를 ‘유’로 표기하는 문제에 대하여...

저도 처음 항목을 쓰면서 많이 생각을 해보았는데 한참을 망설이다가 "유"로 정했습니다. 정확하게 발음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네요.

제가 가지고 있는 한글판 브리테니커 백과사전에서는 "에우" 로 표기했고 제가 비잔티움 제국관련으로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는 존 줄리어스 노리치의 《비잔티움 연대기》의 남경태씨 번역판 책에서는 "유"로 표기하고 있더군요. (사실 에우보다는 유가 더 여성의 이름으로는 예쁘다는 상당히 주관적 관점이 들어간 것은 사실입니다만..^^) 유프라테스 강에서도 "유"로 표기하기하는 예도 있기에 그렇게 했습니다만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한 부분은 맞는 것 같네요. 참여자들이 더 의견을 주시면 넘겨주기로 이름을 바꿀 수도 있겠지요.

관심에 감사드립니다.--Che! 2007년 7월 16일 (월) 09:29 (KST)

[편집] 문서 내용을 옮기신 이유

NT 노벨의 내용을 대원씨아이에 합치셨던데,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예전처럼 따로 놔두는게 낫지 않을까요? --크렌베리 2007년 7월 31일 (화) 23:20 (KST)

저는 합치는 게 낫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했습니다. NT 노벨이라는 브랜드가 얼마나 성공해서 어떤 지명도를 갖고 있느냐 등등은 대원씨아이가 한 일이니까요. --Puzzlet Chung 2007년 8월 4일 (토) 19:44 (KST)
그렇게 보신다면, 익스트림 노벨 외 다른 라이트노벨 브랜드들도 합쳐야 됩니다. 실질적으로는 회사가 하는게 아니라 그 부서의 노력일텐데요? --크렌베리
네, 다른 브랜드도 회사와 합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NT 노벨만 충동적으로 한 거긴 해요. --Puzzlet Chung 2007년 8월 4일 (토) 20:15 (KST)
그건 곤란합니다. 라이트노벨 브랜드 외에도 그러한 전제를 적용했을때, 합쳐야 하는 문서가 굉장히 많아질 것입니다. 회사 문서는 회사에 대해, 브랜드는 브랜드에 대해 따로 다루는게 읽기 편합니다.--크렌베리 2007년 8월 4일 (토) 20:36 (KST)
그렇군요. 되돌리겠습니다. --Puzzlet Chung 2007년 8월 4일 (토) 23:00 (KST)

[편집] Please change my name

Can you please change my name from Edmundkh to EdmundEzekielMahmudIsa, then leave me a message in English Wikipedia? Thanks a lot! --Edmund the King of the Woods! 2007년 8월 20일 (월) 20:26 (KST)

[편집] Artur Balder

I let some messeges to some wikipedist here in korean Wikipedia, but NO ONE is able to answer. This is not normal in the other wikipedias, so may be I will have to make a formal request at the Wikipedia Foundation. This article will be translate into korean. --TR 2007년 8월 24일 (금) 03:23 (KST)

[편집] 레몽 백작

네. 레몽은 동음이의어 문서로 하는것이 타당하겠습니다. --SALAMANDER 2007년 9월 1일 (토) 12:44 (KST)

[편집] 레몽 백작

이 레몽은 생질의 레몽으로 1차 십자군에 참가한 사람입니다. --SALAMANDER 2007년 9월 1일 (토) 12:44 (KST)

[편집] Bot status for PipepBot

Hi PuzzletChung, I'd like to request you to set a bot bit for PipepBot with reference to 위키백과:봇/등록 신청/2007년#PipepBot. Thank you. it:User:Pipep 2007년 9월 2일 (일) 03:15 (KST)

[편집] 과학과 종교를 복구 해 주시길 바랍니다.

ChongDae님이 잘 알지 못하시고 지우셨는데, 복구를 해주세용. 참고:en: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cience--큰스님 2007년 9월 3일 (월) 21:29 (KST)

상황 설명을 차근차근히 해주시겠어요. --Puzzlet Chung 2007년 9월 3일 (월) 21:30 (KST)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관한 내용을 다루기 위해서 과학과 종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만, ChongDae(이하 총대)님이 개인적인 사설이라 생각하시어 지워버리셨습니다. 그런데 찾아보니 영어판에도 같은 내용을 다룬 문서가 있더군요. --큰스님 2007년 9월 3일 (월) 21:32 (KST)

그런데 총대님은 토론 페이지를 잘 안 보시는지 다른 분들 질문에도 답이 안 달려있고 제 복구 요청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으십니다... --큰스님 2007년 9월 3일 (월) 21:34 (KST)

ChongDae 씨가 개인적인 사설이라 생각했는지 어쨌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하지만 제대로 된 설명도 없고 구조도 불충분해서 복구하더라도 다시 삭제될 것입니다. 여기다 붙여넣을테니, 만약 글을 쓰던 중이었다면 사용자:Vgs16/과학과 종교를 만들고 거기서 작업해 주세요.

이 문서는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문서이다.
== 인용문 ==
<div style="float: left; background-color: white;">
{{인용문2|종교는 과학에 없는 희망이다.|스콧 아트란}}
</div>
</br></br></br></br></br>
<div style="float: left; background-color: white;">
{{인용문2|종교와 과학은 충돌할 수 밖에 없는 제로섬 게임이고, 과학은 종교를 파괴해야 한다.|샘 해리스}}
</div>
{{토막글|종교}}
{{토막글|과학}}

--Puzzlet Chung 2007년 9월 3일 (월) 23:51 (KST)

[편집] 밴댕이속

토론:밴댕이속으로 옮김. --Puzzlet Chung 2007년 9월 8일 (토) 14:17 (KST)


[편집] 어, 안녕하세요

어, 여기 관리자이시군요.
위키미디어로 법학사전 만들고 있는데 도움이 필요해요.
썸네일도 안 붙고 목차가 만들어지지 말아야 하는데 목차가 붙고 레퍼런스 붙이고 싶은데 안되고
RSS 읽어오는 파일이 위키미디어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던데 설치가 안되고 있고 그래요. 허엉Winnie 2007년 9월 11일 (화) 00:54 (KST)
http://law4u.net/wiki 입니다.
저는 http://law4u.net 운영자입니다.
제 블로그는 http://law4u.net/winnie 구요.--Winnie 2007년 9월 11일 (화) 00:54 (KST)

저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내용만을 관리할 권한만 있습니다. MediaWiki 자체는 권한이 없어서 잘 못 접해봤습니다. --Puzzlet Chung 2007년 9월 12일 (수) 00:12 (KST)

[편집] 봇에 플래그 좀 달아주세요

봇 신청 했는데, 예전에 한 건 지웠구요. 플래그 좀 달아주세요. -- WonYong (토론기여총편집횟수로그e-Mail) 2007년 9월 16일 (일) 16:34 (KST)

[편집] 한국어의 홀소리 체계를 1970년 기준으로 나누신 근거를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지금 한국어 음운론 페이지가 영문판/한글판에서 "ㅡ"의 음가를 서로 다르게 적고 있어서 관련 자료를 찾아보고 있는데, PuzzletChung 님이 2006년 3월 14일 페이지를 만드시면서 "한국어의 홀소리 체계는 대략 1970년대를 기준으로 나뉜다."라고 적으셨더군요. 이에 대한 참고자료를 얻을 수 있을까요? (어쩌면 국어학계에서는 상식이고 저만 모르는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리고 적으신 내용을 보면 마치 1970년대를 기준으로 "ㅡ"의 음가가 후설 고모음 /ɯ/에서 중설 고모음 /ɨ/으로 바뀐 것처럼 표현이 되어 있는데, 이것 역시 실제 그런 변화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표기체계의 혼선 탓인지 궁금합니다.

토론:한국어 음운론에 답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꾸벅. Atreyu 2007년 9월 21일 (금) 10:35 (KST)

음성학에 대해서 나름대로 공부를 하다가 /ɨ/로 알게 된 것이고, 제 스스로도 역시 사람들이 /ɨ/로 발음하고 있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적었습니다. 자세한 것은 토론:한국어 음운론에 쓰겠습니다. --Puzzlet Chung 2007년 9월 22일 (토) 11:35 (KST)

[편집] 스핑크스

스핑크스스핑크스 (동음이의) 합쳤습니다...

--SALAMANDER 2007년 9월 21일 (금) 16:44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