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익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재익(梁在翼)은 일진회 회원을 지낸 친일 인물이다.

1904년 송병준이용구가 결성한 일진회의 평의원이 되었고, 간사와 총무원 등을 지냈다. 송병준은 러일전쟁일본군 통역관으로 일하다가 친일파의 실세가 되었는데, 양재익은 이런 송병준에게 잘 보여 일진회 간부 자리를 얻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대한제국의 실권을 장악한 일본이 일진회 회원들을 등용하면서 1906년 경기도 양주군 군수에 임명되었고, 이듬해에는 충청남도 관찰사로 승진했다.

1909년에는 대한노동회 부총재와 대한측량연합회 회장을 역임했다. 일진회 원임총무원 겸 간사를 거쳤고, 일진회가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성사로 목적을 달성하고 해산될 때에는 잔무정리위원을 맡았다. 특히 1909년 말에 일진회 내에서 내분이 일어나면서 합방청원에 반대하는 홍긍섭 등이 밀려났을 때 이들을 사퇴시키기 위한 임시총회에서 임시회장을 맡은 바 있다.

1911년 일진회가 한일합방에 세운 공을 기록하기 위해 발간된 전4권 《원한국일진회역사》의 편집위원이었다.

한일합방 후에 일진회가 해산되었을 때 일본 정부에서 상금격으로 내려준 해산금 700원을 수령했으며, 1934년 흑룡회가 세운 일한합방기념탑 석실에 합방 공로자로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공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들어 있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자료

[편집] 주석

  1. 송병준에게 잘 보여~: 정교(鄭喬), 변주승 (옮긴이) (2004-06-30). “정미년(1907) 광무(光武) 11년 - 1907년 7월”, 《대한계년사 8》. 서울: 소명출판. ISBN 8956260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