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홍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 운동가, 정치가이다.
1927년 《현대평론》이 창간되자 그 창간호에 이관용(李冠鎔)·김준연·이순탁(李順鐸)·백남운(白南雲)·홍명희·이긍종 등과 함께 참여하였다.[1] 1945년 8월 15일 밤 발족된 건국준비위원회의 부위원장을 맡았다. [2] 1945년 8월 16일 안재홍은 경성중앙방송국에 나가 방송 연설을 하였다. 안재홍은 건준의 결정 소식을 알리면서 질서 유지를 위한 경비대와 정규병의 편성, 식량 확보와 배급, 통화와 물가 안정, 미결의 정치범 석방 등의 문제를 언급하였다.[3]
건준에서 박헌영파의 영향력 강화는 안재홍을 매우 불편하게 만들었고, 급기야 1945년 9월 초 안재홍은 건준과의 결별을 선언하였다. 중경 임시정부에 대한 시각 차이도 안재홍이 건준을 떠난 중요한 이유였다. 방법의 차이는 있을망정 안재홍도 송진우처럼 '임정 봉대론'을 내세웠던 것이다. 안재홍은 '임정 절대 지지'를 표명한 뒤 자신의 지지자들과 함께 9월 4일 건준을 탈퇴하였다.
1945년 10월 23일에 열린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결성대회에 참석하여, 이승만을 회장으로 추대하였다.(독립촉성중앙협의회 참조)
1946년 2월 13일 비상국민회의(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비상정치회의 주비회 통합체)에서 최고정무위원직(총 28명)에 선출되었다.[4]
1947년 2월 5일, 미군정의 민정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48년 5월 5일, 군정장관 윌리엄 딘의 주도로, 안재홍, 경무부장 조병옥, 경비대사령관 준장 송호성 등이 제주를 방문해 비밀회의를 가졌다.
1948년 7월 20일, 1948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2표를 얻는데 그쳤다.
[편집] 참고자료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41, 104쪽.
[편집] 주석
- ↑ 1927년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 ↑ 1945년 8월 15일:~김재명, 〈안재홍: 민족애 실천했던 온건파 지식인〉,《한국현대사의 비극-중간파의 이상과 좌절》 (선인, 2003),244쪽 ; 여연구, 신준영 편집 《나의 아버지 여운형》(김영사, 2001),143쪽
- ↑ 1945년 8월 16일~: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 38쪽
- ↑ 946년 2월 13일~: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 206쪽
2001년········2002년 선정, 이 달의 독립 운동가 ········2003년 |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곽재기 | 한훈 | 이필주 | 김혁 | 송학선 | 민종식 | 안재홍 | 남상덕 | 고이허 | 고광순 | 신숙 | 장건상 |
전 임 최석화 |
제2대 국회의원(평택군)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무소속 |
후 임 ' |
분류: 1891년 태어남 | 1965년 죽음 | 한국의 독립 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