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응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계응규(桂膺奎, 1869년 2월 2일 ~ 1920년 9월 1일)는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 관료이다.

1902년평안북도 관찰부의 주사로 관직을 시작했으며, 이후 평북 선천과 용천 등지에서 학교 교사로도 일했다. 1909년 선천의 농림학교 교장으로 근무하면서, 이토 히로부미안중근에게 살해되었을 때 '각도대표 지방위원 추도회'를 거행하는데 참가했다. 이 무렵 의주와 선천에서 친일적 자문기관인 지방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1910년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후 평북 태천군의 군수에 임명되었고,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1914년부터 국경 지역인 후창군 군수로 재직하다가 1920년 이탁의 지시로 이 지역에 침투한 서로군정서 단원 이창덕에게 사살되었다. 계응규는 3·1운동 때 군내에서 만세 시위가 활발하게 일어나자 시위대를 위협한 바 있고, 그가 독립군을 탄압한다는 정보가 독립군 측에 들어가 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1]. 이창덕은 이듬해 사형이 집행되었고 계응규에게는 훈6등 서보장이 추서되었다.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조사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편집] 참고자료

[편집] 주석

  1. 전갑생, 반민특위 와해 후 첫 정부 발표 친일파 106명 《오마이뉴스》 (2006.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