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산선(安山線)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금정역~오이도역까지를 부르던 말이다. 2000년 이후 과천선과 함께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일부로 완전히 편입되었으나, 한국철도공사 내부에서는 아직도 사용되고 있다. 노선도같은 공식적인 문서에서는 안산선이라는 이름을 쓰지 않는다.
안산선은 1988년에 경부선의 지선 형태로 개통된 지상 노선이다. 1994년 과천선의 모든 구간이 열리고 난 이후에는 남태령역까지의 수도권 전철 4호선, 남태령역~금정역까지의 과천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해 현재의 수도권 전철 4호선 운행 계통을 확립, 서울 시내와 평촌신도시, 산본신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이 되었다.
수인선이 표준궤 복선 전철로 다시 운행을 시작하면 한대앞역에서 오이도역의 구간은 수인선과 선로를 공유하게 된다. 다만, 수인선 전철 1차 개통 (오이도역-송도역) 직후에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연장 성격으로서 운행될 예정이다.
[편집] 개통 연혁
- 1988년 10월 25일 : 금정역-안산역
- 1992년 3월 2일 : 고잔역
- 1992년 5월 1일 : 산본역
- 1994년 1월 10일 : 공단역
- 2000년 7월 28일 : 안산역-오이도역 연장
- 2003년 7월 18일 : 수리산역
[편집] 같이 보기
지하철 4호선: 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삼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과천선: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공단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코레일의 노선 목록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