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없음 | |||||
국가: 소우오우드 에멜리 | |||||
![]() |
|||||
수도 | 카불 34°30′N 69°10′E |
||||
공용어 | 파슈토어, 다리어 | ||||
정부 형태
대통령
부통령 |
이슬람 공화국 하미드 카르자이 아흐마드 지아 마소우드 칼림 칼릴리 |
||||
독립 • 독립 |
영국으로부터 독립 1919년 8월 19일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652,090 km² (41위) 0% |
||||
인구 • 2005년 어림 • 1979년 조사 • 인구 밀도 |
29,863,000명 (38위) 13,051,358명 46명/km² (150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2006년 어림값 $319억 (91위) $1,310 (162위) |
||||
HDI • 1993년 조사 |
0.229 (미포함위) |
||||
통화 | 아프가니 (ISO 4217:AFN )(화폐단위: -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UTC+4:30) UTC+4:30 |
||||
ISO 3166-1 | |||||
·Alpha-2 | |||||
·Alpha-3 | |||||
인터넷 도메인 | .af | ||||
국제 전화 | +93 |
||||
이 나라는 1919년에서 1973년까지는 아프가니스탄 왕국이었다.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다리어: 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جمهوریت, 파슈토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فغانستان)는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나라이다.
북쪽은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 북동쪽은 중국, 동쪽과 남쪽은 파키스탄, 서쪽은 이란에 닿아 있다. 수도는 카불이다.
목차 |
[편집] 역사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지역은 오랫동안 역사적으로 페르시아 제국의 영역에 속해 있었고,많은 민족과 국가가 거쳐갔다. 18세기에 파슈툰 족인 아흐마드 샤 압달리가 두라니왕국을 세웠으며, 이것이 독립왕국으로서 아프가니스탄의 시초로 여겨진다. 1919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첫 국명은 아프가니스탄 왕국).
1973년 군주제 폐지 이후 정치 불안, 내전, 소련군의 침략 등으로 국토와 민심이 황폐해졌고, 이로 인해 국기와 국가(國歌)가 바뀐 적도 있었다.
1996년부터 5년간 탈레반의 지배를 받았는데, 탈리반은 여성 학교를 폐교시켰고 외국의 매체들을 접하지 못하게 하는 등 엄청난 인권 탄압을 자행했다.
2007년 2월 27일에는 폭탄 테러로 한국군 장병 1명이 사망했고, 그리고 2007년 7월 19일에 가즈니 주 카라바그 부근에서 독일인과 한국인 봉사단 23명이 탈레반에 의해 납치되어 한국인 2명 (목사 1명, 봉사자 1명)이 살해 당했다.(참조 : 2007년 탈레반 한국인 납치 사건)
[편집] 지리
이 나라는 중앙아시아의 십자로로 불리는 곳으로 북부와 동부는 산악지대이다. 그리고 서부와 남부는 사막이 위치해 있다. 기후가 몹시 추운 대륙성 기후의 특징이 많이 나타난다.
아무다리야 강이 북쪽 국경을 형성하고 있으며 힌두쿠시 산맥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국경을 형성하고 있다.
[편집] 행정 구역
- 이 부분의 본문은 아프가니스탄의 행정 구역입니다.
아프가니스탄은 34개의 주(벨라야트)로 나뉘며, 주는 다시 군으로 나뉜다.
[편집] 주민
주요 민족 (2003년 추계)
- 파슈툰족 44%
- 타지크족 25%
- 하자라족 10%
- 우즈베크인 8%
- 투르크멘인과 기타
[편집] 언어
2004년에 제정한 현행 헌법 1부 16조는 “파슈토어, 다리어, 우즈베크어, 투르크멘어, 발루치어, 파샤이어, 누리스탄어 및 국내에서 말하는 다른 언어들 중에서 파슈토어와 다리어는 국가의 공용어다. 국가는 아프가니스탄의 모든 언어의 강화 및 발전을 위하여 효과적인 계획을 채택하며 이행한다.
출판과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은 국내에서 말하는 모든 다른 언어들로 자유롭게 한다.”고 했다. 공용어인 파슈토어는 35%, 다리어는 50% 정도가 사용한다. 투르크멘어는 11%를 차지하며, 기타(러시아어, 우즈베크어, 키르기스어, 타지크어, 힌디어, 우르두어 등)도 사용된다.
[편집] 종교
이 나라는 이슬람교가 다수를 차지하는 나라이다. 시아파가 다수인 이란과는 달리 수니파가 다수이다.
[편집] 교육
문해율은 남성 71%, 여성 57%이다. 탈레반 정권하에서는 여성의 교육 및 사회활동이 전면 금지되었으나, 탈레반 축출이후에 교육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그러나 불안한 정세와 이로 인한 교육인프라 부재가 문제이다.
[편집] 최근 상황
[편집] 2007년 6월
- 6월 5일 아프가니스탄군과 연합군은 6월 4일 4시간의 교전 끝에 24명 정도의 적을 죽였다.[1]
- 6월 6일 나토군 대변인은 두 명의 나토군이 죽었다고 밝혔다. 국적과 작전지역은 발표하지 않았다. 한편 10명의 무장세력이 체포되었다.[2]
[편집] 2007년 7월
- 7월 10일 아프가니스탄 내무장관은 폭력자살폭탄테러가 발생하여 12명의 어린이를 포함한 17명의 민간인이 죽었다고 발표했다. 7명의 네덜란드 군인을 포함한 30명이 부상당했다.[3]
- 7월 12일 아프간 주 경찰 관리는 6명의 아프간 경찰이 미군 주도 부대의 호송 참여 중 길가의 폭탄이 폭발하여 죽었다고 말했다.[4]
- 7월 15일 아프간의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은 파키스탄 출신의 14세 자살폭탄 테러 미수범을 사면하였다. 그는 아프간의 주지사 한명을 죽일 계획이었다. [5]
- 7월 16일 계속되는 아프간-파키스탄 국경에 대한 폭격으로 파키스탄-탈리반의 휴전이 깨질 위기이다. 그 지역은 탈레반이 훈련과 재정비를 하는 곳이다. [6]
- 7월 18일 카불-칸다하르 고속도로 매복, 로가르 주에서의 매복 공격, 코스트 지역의 경찰서 자살폭탄테러 등으로 17명의 아프간 경찰이 살해되었다. 다른 한 건의 자살폭탄 테러범은 사살하여 희생자가 없었다.[7]
- 7월 19일하루 전 납치된 2명의 독일인에 대한 수색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탈레반 대변인 자비울라 무자히드는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8]
- 7월 21일 아프간의 탈레반측은 자신들의 요구가 무시됨에 따라 두번째 독일인 인질을 살해했다고 밝혔다.[9]
- 7월 22일 2003년 미스 아프가니스탄이었던 비다 사마드자이가 봉사활동을 이유로 05-06 미즈 아메리카(Ms America 05-06)에 선정되어 미국 대통령상을 받았다.[10]
- 7월 23일 아프간의 마지막 국왕이었던 모하마드 자히르 샤가 92세를 일기로 영면했다. 사촌의 쿠데타에 의해 폐위되었던 그는 29년의 망명생활 끝에 2002년 고국에 돌아왔었다.[11]
- 7월 24일 독일 정부는 아프간 경찰의 훈련을 돕기 위해 교관을 더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12]
- 7월 27일 아프간군과 미군 주도 연합군은 아편 경작의 심장부에서 12시간의 격렬한 전투를 벌여 50명의 탈레반 대원을 죽였다고 말했다.[13]
- 7월 28일 아프간 당국자는 2건의 충돌로 3명의 나토군과 1명의 아프간군이 사망했다고 밝혔다.[14]
- 7월 28일 아프간 내무부 장관은 2명의 지역 경찰서장을 태만을 이유로 해임시켰다고 밝혔다. [15]
- 7월 29일 파키스탄의 연방 및 개척지역 장관은 2009년 말까지 자국에 있는 아프간인 난민 수용소를 폐쇄하겠다고 밝혔다. 아프간에 평화가 오면 더 이상 파키스탄에 수용소가 있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16]
- 7월 30일 영국 국방부는 영국 해병대원 1명이 아프간 남부에서 작전 중 전사했다고 밝혔다.[17]
- 7월 30일 탈레반 무장세력이 연합군의 병참 호송을 공격하여 아프간의 사설 경호 대원 13명을 죽였다고 아프간 경찰이 밝혔다.[18]
- 7월 30일 아프간 주둔 캐나다군 전 사령관인 팀 그랜트 준장은 도로개선과 어린이 건강 개선이 자신의 재임 9개월의 유산이라고 말했다. [19]
- 7월 31일 아프간군 대변인은 수도 카불에서 자살폭탄차량으로 인해 아프간 민간인 2명이 죽고 미군 주도 연합군 4명, 아프간군 3명이 부상했다고 말했다.[20]
[편집] 2007년 8월
- 8월 1일 아프간 경찰은 거의 2주 전 납치됐던 법원 직원 4명의 시체가 발견되었다고 말했다.[21]
- 8월 1일 아프간 여자 축구 대표팀은 이번달 파키스탄을 방문해 최초의 해외 원정경기를 가질 것이라고 코치가 밝혔다.[22]
- 8월 1일 독일 외무부 장관은 독일과 나토군이 아프간에서 더 많은 민간인 납치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탈리반은 이를 통해 외국군의 철수 에 영향을 주려는 것이라고 했다.[23]
- 8월 2일 호주 국방부는 지난 주 아프간에서 민간인을 죽이고 두 명의 어린이에게 부상을 입힌 군인들을 적절히 조치했다고 밝혔다.[24]
- 8월 2일 일본 야당의 마에하라 세이지는 일본이 미국이 이끄는 아프간 전쟁에 대한 지원을 더 확대해야 된다고 말했다. [25]
- 8월 2일 호주의 외무장관은 아프간 한국인 인질 사태 해결을 위해 한국에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26]
- 8월 2일 하미드 카라자이 아프간 대통령이 수 일 내에 미국을 공식 방문할 것이라고 그의 대변인이 밝혔다.[27]
- 8월 2일 한국의 대표단이 탈레반과의 직접 협상을 위해 아프간에 도착했다. 한국 정부는 인질 석방에 대한 엄청난 압력을 받고 있으나 탈레반 죄수석방이라는 탈레반의 요구를 들어줄 힘이 없다. 아프간 정부는 앞으로 납치를 부추길 뿐이라며 요구를 거절했다. 그 자신도 한국인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파키스탄 대통령에게 인질 석방을 위한 협조를 요청했다. 파키스탄 대통령 대변인은 우리는 탈레반과 아무런 연결도 없고 접촉도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28]
- 8월 3일 아프간 경찰은 미국 주도의 공습에서 아프간 민간인 20명이 부상당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이 공습이 2명의 탈리반 사령관에 대한 정밀 폭격이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방 경찰은 탈리반의 범죄자 공개 처형에 모인 군중들이 폭격당했다고 말했다. [29]
- 8월 3일인도 육군의 관리는 북카시미르 지역에서 50시간의 교전 끝에 군인 1명과 8명의 아프간 테러리스트가 죽었다고 말했다.[30]
- 8월 3일 인권단체 앰네스티 인터네셔널은 탈레반 납치세력에게 인질 석방을 촉구했다. 또 인질 납치는 국제 인권법 위반, 인질 살해는 전쟁범죄이며 여기에는 예외가 없다. 전쟁 범죄자는 반드시 법정에 서야할 것이라고 했다. [31]
- 8월 4일 아프간의 양귀비 수확이 올해 기록을 세울 전망이다. 아프간은 세계 수확의 95%로 예상되는 최대의 헤로인 공급처이다. 미국과 나토 동맹국이 지원하는 4억7천5백만달러에 달하는 양귀비 제거 계획의 효용성 때문에 발표가 지연되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32]
- 8월 4일 미군 주도 연합군의 남부지역 공습으로 최소 3명의 탈레반 고위 인물이 죽었다.[33]
- 8월 4일 아프간 남부 칸다하르에서 자살 폭탄 차량이 연합군을 덮쳐 연합군 부상자 2명이 후송되었다. 2001년 탈레반 축출 이후 최근 18개월간 폭력이 가장 심하다고 현장의 아프간 군인이 말했다. <로이터> [34]
- 8월 4일 한국정부는 탈레반측에게 탈레반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우리의 영향력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35]
- 8월 4일 아프간 동부 지역 나토군 사령관인 미군 보텔 준장은 아프간군의 경쟁력 향상을 치하했다. 아프간 군은 나토군뿐 아니라 국경 넘어 파키스탄 군과의 협조도 잘한다고 했다.[36]
- 8월 4일타지키스탄 대통령은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이 함께 1,000메가 와트급 수력발전소를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 계획의 자금은 아시아 개발은행,이슬람 개발은행, 세계은행 등이 조성한다.[37]
- 8월 5일 탈레반 세력은 한국과의 직접 협상 장소를 정하는데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로이터> [38]
- 8월 5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하미드 카라자이 아프간 대통령을 캠프 데이비드에서 맞을 예정이다. 2일간의 회담에서 아프간의 재건, 증가하는 민간인 희생자, 테러와의 전쟁, 부패와 마약 거래 등이 논의될 것이다. 한국인 인질 상황도 주제가 될 것 같다. 카불 정부는 탈레반의 요구를 거절한 상태다. 한국은 카불정부와 와싱턴에 협조를 요청한 상황이다.[39]
[편집] 바깥 고리
[편집] 정부
- ((영어)) 정부 공식 홈페이지
- ((영어)) 외무부 홈페이지
[편집] 기타
- ((한국어)) 주아프가니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 주대한민국 아프가니스탄 대사관
- ((영어)) CIA의 세계정보 (아프가니스탄편)
[편집] 사진 화랑
[편집] 참조
- ↑ http://www.cnn.com/2007/WORLD/europe/06/04/monday/index.html?iref=newssearch
- ↑ http://www.cnn.com/2007/WORLD/asiapcf/06/06/afghanistan.violence/index.html?iref=newssearch
- ↑ http://www.cnn.com/2007/WORLD/europe/07/10/afghan.bombs.reut/index.html?iref=newssearch
- ↑ http://www.cnn.com/2007/WORLD/asiapcf/07/12/afghan.blast.reut/index.html?iref=newssearch
- ↑ http://www.cnn.com/2007/WORLD/asiapcf/07/15/afghanistan.pardon.reut/index.html?iref=newssearch
- ↑ http://www.cnn.com/2007/WORLD/asiapcf/07/16/pakistan.alqaeda/index.html?iref=newssearch
- ↑ http://www.cnn.com/2007/WORLD/asiapcf/07/18/afghanistan.violence.ap/index.html?iref=newssearch
- ↑ http://www.cnn.com/2007/WORLD/asiapcf/07/19/afghan.kidnappings/index.html?iref=newssearch
- ↑ http://www.theage.com.au/news/World/Afghan-Taliban-say-killed-second-German/2007/07/21/1184560104556.html
- ↑ http://timesofindia.indiatimes.com/Cities/City_Supplements/Ahmedabad_Times/US_awards_Afghan_beauty/articleshow/2223277.cms
- ↑ http://news.bbc.co.uk/2/hi/south_asia/6913105.stm
- ↑ http://www.bloomberg.com/apps/news?pid=20601100&sid=ayZqGXHZRadc&refer=germany
- ↑ http://www.dailytimes.com.pk/default.asp?page=2007%5C07%5C27%5Cstory_27-7-2007_pg7_52
- ↑ http://www.canada.com/nationalpost/news/story.html?id=78b10a78-9f9e-49cb-b19f-576668526196&k=78375
- ↑ http://newsblaze.com/story/20070728180859tsop.nb/newsblaze/TOPSTORY/Top-Stories.html
- ↑ http://www.dailytimes.com.pk/default.asp?page=2007%5C07%5C30%5Cstory_30-7-2007_pg7_10
- ↑ http://www.guardian.co.uk/uklatest/story/0,,-6815108,00.html
- ↑ http://timesofindia.indiatimes.com/World/Rest_of_World/Taliban_attack_kills_13_injures_eight_Afghan_guards/articleshow/2244089.cms
- ↑ http://www.canada.com/nationalpost/news/story.html?id=17fb218d-eb4f-44b4-b266-3a1c2d082dd9&k=20001
- ↑ http://www.signonsandiego.com/news/world/20070731-0642-afghan-violence-.html
- ↑ http://www.eurasianet.org/insight/af080107.shtml
- ↑ http://uk.reuters.com/article/sportsNews/idUKISL2607120070801
- ↑ http://www.bloomberg.com/apps/news?pid=20601087&sid=aCh3FAQ.61v8&refer=home
- ↑ http://www.theage.com.au/news/National/Australian-troops-injure-two-Afghan-kids/2007/08/02/1185648036200.html
- ↑ http://www.signonsandiego.com/news/world/20070802-0421-japan-usa-opposition.html
- ↑ http://globalnation.inquirer.net/news/breakingnews/view_article.php?article_id=80161
- ↑ http://paktribune.com/news/index.shtml?185794
- ↑ http://www.cnn.com/2007/WORLD/asiapcf/08/02/taliban.hostage.reut/index.html?iref=newssearch
- ↑ http://abc.net.au/news/stories/2007/08/03/1996567.htm?section=justin
- ↑ http://www.khabrein.info/index.php?option=com_content&task=view&id=3536&Itemid=88
- ↑ http://au.christiantoday.com/article/the-killing-of-hostage-constituted-a-war-crime-warns-amnesty-international/3047.htm
- ↑ http://www.guardian.co.uk/worldlatest/story/0,,-6827538,00.html
- ↑ http://lfpress.ca/newsstand/News/International/2007/08/04/4393222-sun.html
- ↑ http://ca.today.reuters.com/news/newsArticle.aspx?type=topNews&storyID=2007-08-04T070511Z_01_ISL73157_RTRIDST_0_NEWS-AFGHAN-VIOLENCE-COL.XML
- ↑ http://www.canada.com/nationalpost/story.html?id=3a4a8648-25c3-402c-82a1-fad43d4171f0
- ↑ http://www.rferl.org/featuresarticle/2007/08/e05828fe-b5dc-4ea3-b6be-ef2397bad593.html
- ↑ http://www.rferl.org/featuresarticle/2007/08/7EB37BF7-9217-4737-8E4E-668E550B7B21.html
- ↑ http://thestar.com.my/news/story.asp?file=/2007/8/5/worldupdates/2007-08-05T115227Z_01_NOOTR_RTRMDNC_0_-288250-1&sec=Worldupdates
- ↑ http://www.voanews.com/english/2007-08-05-voa9.cfm
아프가니스탄의 행정 구역 |
---|
가즈니 | 구르 | 낭가르하르 | 누리스탄 | 님루즈 | 다이쿤디 | 라그만 | 로가르 | 바글란 | 바다흐샨 | 바드기스 바르다크 | 바미얀 | 발흐 | 사르이폴 | 사망간 | 우루즈간 | 자불 | 주즈잔 | 카불 | 카피사 | 칸다하르 쿠나르 | 쿤두즈 | 타하르 | 파라 | 파르반 | 파르야브 | 팍티야 | 팍티카 | 판지시르 | 헤라트 | 헬만드 | 후스트 |
아시아의 나라 | ![]() |
---|---|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
|
속령 | |
마카오5 | 홍콩5 | |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