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R 역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자역학에서 EPR 역설(EPR Paradox)은 물리량의 관측값과 물리 이론 사이의 관계에 대한 오랜 관념을 흔들어놓은 사고실험이다. 1935년 아인슈타인(Einstein)과 포돌스키(Podolsky) 및 로젠(Rogen)은 양자역학이 완전한 물리 이론이 아님을 보이기 위해 이 역설을 발표했으며, "EPR"은 그들 이름의 머릿글자를 딴 것이다.
EPR 실험은 다음의 이분법을 낳는다.
- 양자계의 한 부분 A에서 이루어진 측정의 결과가 멀리 떨어진 다른 부분 B의 물리적 상태에 비국소적으로 작용하여, 멀리 떨어진 곳에서 행해진 실험의 결과를 즉각적으로 알게 되는 일이 발생하거나, 혹은
- 양자역학은 불완전한 이론으로, B에서 일어난 특수한 현상을 설명할 수 없으며 추가적인 변수를 필요로 한다.
원래 이 사고실험은 양자역학의 불완전성을 보이기 위해 고안되었으나 실제 실험 결과는 저자들의 목적과는 달리 국소성 원리가 사실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을 실재를 묘사하는 완전한 이론으로서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목숨이 다할 때까지 양자론적 측정 결과들에 대해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 해석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편집] 함께 보기
- 벨의 정리
- 국소적 숨은 변수 이론
- 양자 이동
- 동시성
분류: 물리학의 역설 | 사고 실험 | 양자 측정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