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성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트남인의 성씨는 성, 미들 네임, 그리고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성씨 제도는 중국에서 도입된 것이다. 한자가 폐지되면서 자신의 이름을 한자로 쓸 수 있는 베트남인은 극소수이지만, 이름 뒤에는 한자의 의미가 숨어 있다. 베트남어는 성조 언어로서 6종의 높낮이를 가지고 있는데, 베트남 이외의 국가에서는 보통 이 복잡한 성조 부호를 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목차 |
[편집] 성
베트남의 모든 성씨는 중국에서 유래되었으나, 남부의 일부에서는 참 족계통에서 유래된 성씨도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모두 베트남화되어 구별하기 어렵다. 한국의 성씨와 비슷하게 상위권의 일부 성씨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넓다. 특히 가장 많은 성씨인 '응우옌 阮(원)'씨는 무려 그 비율이 38.4%나 된다. 이 성씨는 중국인(특히 남부)에게도 있으나, 그 비율은 베트남과 같이 높지 않다. 발음은 루앤(보통화) 위엔(광동어)이다.
일부 베트남인들은 부계와 모계의 성을 모두 표기한다.
- 응우옌 Nguyễn 阮 (38.4%)
- 쩐 Trần 陳 (11%)
- 레 Lê 黎 (9.5%)
- 후엉/후인/호앙 Huang/Huỳnh/Hoàng 黃 (5.1%)
- 팜 Phạm 范 (5%)
- 판 Phan 潘 (4.5%)
- 부 Vũ/Võ 武 (3.9%)
- 당 Đặng(2.1%)
- 부이 Bùi 裴 (2%)
- 도 Đỗ 杜 (1.4%)
- 후 Hồ 胡 (1.3%)
- 응오 Ngô 吳 (1.3%)
- 주엉 Dương 楊 (1%)
- 리 Lý 李 (0.5%)
[편집] 미들 네임
미들 네임은 아이의 부모에 따라 매우 제한된 범위 내에서 선택되었는데, 여성의 경우는 극단적으로 편중되어 있었다. 일례로 과거의 거의 대부분의 베트남 여성은 티 Thị를 미들 네임으로 가지고 있었다. (오늘날은 사실상 구별의 의미가 없으므로 아예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남성의 경우는 반 Văn, 흐우 Hữu, 득 Đức, 꽁 Công, 꽝 Quang등이 많았고, 그 밖에도 선택의 여지가 있었다. 미들 네임은 보통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 세대 구분: 형제나 자매는 보통 같은 미들 네임을 붙이기 때문에, 그들은 그들의 부모 대나 자식 대와 구별되었다.
- 성씨의 세부 분류를 표시: "Nguyễn Hữu" "Nguyễn Sinh"(같은 응우옌 씨라도 미들 네임으로 구별) 그러나 이 부분은 논쟁의 여지가 많으며, 동일성의 세부 구분이 아니라 서로 다른 두 성씨를 병용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 가족 내의 서열을 표시: 장유에 따라 다르게 붙인 경우 등(이 기능은 앞의 두 기능보다 매우 드물게 사용된다)
[편집] 이름
이름에는 모두 고유한 의미가 있는데, 여성은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꽃의 이름, 남성에게는 부모가 그 아이에게 바라는 덕목이나 품성 등을 반영하는 이름을 붙였다. 베트남인은 보통 호칭할 때 서로의 이름을 부른다. 성씨로 서로 호칭하는 경우는 전혀 없지는 않지만 매우 드물며, 공식적인 경우에도 이름에 필요한 직함이나 경칭을 붙여서 호칭하는 것이 보통이다. 단 문서나 공식적으로 이름을 밝힐 때에는 성씨도 사용한다. 여러 모로 대조적인 남부와 북부 사이에는 호칭에서도 차이가 존재하는데, 과거의 북부 기혼여성은 성에 티 Thị를 붙여서 호칭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최근에 북부의 의사 집단은 성+호칭을 다른 어떤 집단보다 자주 사용하고 있다. 매우 유명한 몇몇 사람들은 성+애칭만으로 호칭되는데 베트남의 국부인 호찌민 Hồ Chí Minh(호 아저씨)이 그 좋은 예이다.
[편집] 베트남인 호칭의 예
현 베트남의 총리인 응우옌 떤 중 Nguyễn Tấn Dũng은 성이 응우옌, 턴이 미들 네임, 둥이 이름이다. 공식적으로 그는 이름+경칭으로 호칭(Mr. Dũng)되며, 응우옌 씨라고 하지 않는다. 이것은 성의 가짓수가 적고 일부 성씨에 편중되어 있어 구별이 곤란한 것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