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술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술희(朴述熙 또는 朴述希, ? ~ 945년)는 면천 박씨(沔川朴氏)의 시조로 고려 전기의 무신(武臣)이자, 개국공신으로 시호는 엄의(嚴毅)이다. 대승(大丞) 득의(得宜)의 아들이다.

[편집] 생애

《고려사》열전에 의하면 그는 고기를 좋아하여 개구리·뱀·개미에 이르기까지 즐겨먹는 특이한 식성이 있었으나, 성격이 호탕하고 전장에서 용전분투하는 맹장이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혜성의 호족 출신으로 18세 때 궁예의 호위병이 되고, 뒤에 왕건(고려 태조)의 휘하로 들어와 그를 섬겨 많은 공을 세워 두터운 신임을 얻어 대광(大匡)이 되었다. 왕무를 정윤(왕태자)로 책봉할 때, 장화왕후가 왕건의 의중을 박술희에게 전달하게 하여 왕무가 정윤이 되었으므로, 박술희가 왕무의 후견인이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935년에는 견훤을 탈출시키기 위한 작전의 일환으로 보이는 나주 탈환 작전에 홍유와 더불어 지원하였으나 백성의 마음을 얻기 힘들다는 것을 이유로 왕건은 그들 대신 유금필을 파견하였다. 943년 태조가 사망하기 직전에 태조로부터 군국대사(軍國大事)를 부탁받고,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전수받았으며, 자신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혜종의 강력한 후원자가 되었다.

그러나, 이후 호족 세력과 왕권, 그리고 왕규 사이에 얽힌 복잡한 권력 투쟁은 단순한 군인이었던 박술희에게는 버거운 것이었다. 혜종의 세력 기반은 미약하였고, 이복동생인 왕요왕소는 외할아버지의 세력인 충주 호족 세력과 왕식렴을 중심으로 한 서경 세력의 지원을 받아 강력한 세력을 갖고 있었다. 여기에 외척인 왕규(王規)도 왕위를 탈취하려고 하고 있었다.

태조가 아니면 유지되기 힘들었던 고려 초기의 불안한 정치 상황은 박술희에게는 불운이었다. 권력 투쟁의 과정에서 박술희는 왕요와 그를 지지하는 서경 세력에 의해 강화 갑곶이로 귀양을 가게 되어 얼마 후 조정의 밀명을 받은 자객에 의해 살해당하고, 그가 지키려 했던 혜종도 2년을 못넘기고 죽었다.

태사삼중대광(太師三重大匡)에 추증, 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편집] 대중문화 속의 박술희

  •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배우 김학철이 연기한 박술희는 아자개의 딸이며 견훤의 누이인 대주도금을 사모하는 것으로 등장하여, 아자개와 더불어 정극에서 보기 드문 코믹한 연기를 선보인 바 있다. 후반부에서는 이계인이 연기한 후백제의 장군 애술과 더불어 코믹한 연기를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