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NavFrame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NavFrame 클래스(NavFrame class)와 그것을 활용하는 동적 둘러보기 틀에 대한 도움말 문서입니다.
2007년 9월 20일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NavFrame 클래스가 사용됩니다. 참고로, 2007년 9월을 기점으로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는 en:Wikipedia:Collapsible tables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동적 둘러보기 틀(Dynamic navigation boxes)은 CSS와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내용을 "숨겼다가 보였다가"할 수 있는 둘러보기 틀을 말합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동적 둘러보기 틀은 MediaWiki:Common.css의 스타일 쉬트 정의와 MediaWiki:Common.js의 자바스크립트 정의로 구성됩니다.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숨기기], [보이기] 버튼을 누르십시오.)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과천선: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공단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목차 |
[편집] 사용 방법
[편집] NavFrame div
태그 div를 사용하면 보이는 거의 모든 것들을 숨길 수 있습니다. 세 개의 주요클래스(class)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NavFrame, NavHead, NavContent. 초기 상태는 안의 내용이 숨겨진 상태이며, 오른쪽 위에 "보이기" 버튼 링크가 보이는 상태입니다.
[편집] 간단한 예제
세 개의 div
엘레멘트를 사용하십시오.
<div class="NavFrame"> <div class="NavHead">[... 제목입니다. ...]</div> <div class="NavContent"> [... 내용입니다. ...] </div> </div>
[... 내용입니다. ...]
[편집] 타 클래스(class) 사용례
다른 클래스(class)들에도 NavFrame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클래스(class)를 사용했을 때보다 스타일리쉬한 디자인이 가능해집니다:
<div class="messagebox standard-talk NavFrame"> <div class="somerandomclass NavHead"> [... 제목입니다; 문자열만이 아니라 다른 것이 될 수도 있습니다....]</div> <div class="NavContent anotherclass"> [... 숨기고 싶은 내용입니다. ...] </div> </div>
[편집] 호환성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는 거의 모든 웹 브라우저는 제대로 보여줍니다. 즉, IE. 5/6/7, 파이어폭스, 사파리 / KHTML, 오페라 8/9, 등등의 브라우저(단,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5.5 버전 이상)은 제대로 엘리먼트 안의 내용을 "숨겼다가 보였다가"해 줄 것입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5 버전과 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는 다른 브라우저들은 [숨기기/보이기] 링크를 보여주지 않을 것이며, 엘리먼트 안의 내용을 그대로 표시해 줄 것입니다.
[편집] 같이 보기
분류: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2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둘러보기 틀 | 위키백과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