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138) 신길 (139) 영등포 (140) 신도림 인천·천안 방면
서울역 방면 (133) 서울 (139) 영등포1 (P144) 시흥 천안 방면
용산 방면 (138) 신길 (139) 영등포 (140) 신도림 동인천·천안 방면
1. 상행(서울 급행) 열차만 당역에 정차함.
영등포
역 정보
노선 경부선(수도권 전철 1호선)
소재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1가 618
개업일 1899년 9월 18일
역 종별 보통역
역 등급 1급
승강장 혼합식 (5면 9선)
전화번호 02-2675-1109
GPS 좌표 {{{GPS}}}


영등포역(永登浦驛, Yeongdeungpo Station)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1가에 있는 경부선 철도의 역이며, 또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이기도 하다. 서울역, 용산역과 더불어 서울특별시의 중추 역 중 하나로, 서울 서남부권의 많은 여행자가 영등포역을 이용한다. 하루에 새마을호 62편과 무궁화호 112편이 정차한다. 또한 민자역사로, 롯데백화점 영등포점과 연결되어 있다.

목차

[편집] 연혁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수도권 전철) : 왼쪽

[편집] 타는 곳 정보

[편집] 수도권 전철

[편집] 일반열차

[편집] 출구 정보

  • 1번: 롯데백화점, 영등포시장, 영등포문고 버스 정류지, 영등포신세계백화점 버스 정류지, 영등포역 버스 정류지, 신세계백화점 버스 정류지
  • 2번: 신길동, 영등포역후문 버스 정류지
  • 3번: 영등포세무서, 영등포역광장, 영등포우체국, 롯데백화점
  • 4번: 소화물취급소

[편집] 승차량 변동

[편집] 수도권 전철

2003~2004년 사이의 감소는 수도권에서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이유는 분명하지 않으며, 감소세는 추가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역 노선 승차 인원[1]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1호선 54839 62829 66940 71506 50991 48257 47898

[편집] 일반 열차

소폭 감소가 진행되다가 고속철 개통으로 인해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것 같다. 01~05년간 하행 승차 감소는 약 280만명으로, 광명역의 05년 승차량 183만명보다 약 백만명가량 많다. 일부는 인근 용산역의 호남·전라·장항선 착발역화로 인해 흡수된 것 같으며, 또 일부는 고속철로 이동한 것 같다. 이로 인해 서울지역의 철도 승객이 감소한 것은 아닌데, 이는 이 역과 광명역 및 서울역과 용산역을 합산한 같은 기간의 승객 증가량은 약 360만명에 달하기 때문이다.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2]
경부선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2001년 하행 승차 1256300 6196782 82843 7535925
하차 317 3681 64 4062
상행 승차 45 2357 9 2411
하차 1190751 5177016 90630 6458397
2002년 하행 승차 1290841 6003625 94899 7389365
하차 185 4597 989 5771
상행 승차 38 3975 902 4915
하차 1200982 5051834 106311 6359127
2003년 하행 승차 1306868 5821898 87644 7216410
하차 242 11682 107 12031
상행 승차 37 16985 23 17045
하차 1200226 5052869 95928 6349023
2004년 하행 승차 1154633 5051113 20261 6226007
하차 174 3684 31 3889
상행 승차 747 5085 2 5834
하차 1132820 4679139 23354 5835313
2005년 하행 승차 990199 3743994 폐지 4734193
하차 209 18764 폐지 18973
상행 승차 1713 20239 폐지 21952
하차 946673 3442406 폐지 4389079
  1.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2. 원자료는 철도통계연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