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불 정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불 정책(三不政策)은 1999년에 도입된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제도 및 공교육 제도의 근간을 형성하는 교육 정책으로 ‘기여 입학제’, ‘본고사’, ‘고교 등급제’의 3가지를 금지하는 것을 말한다.
목차 |
[편집] 연혁
- 1980년 7월 30일 - 〈교육정상화 및 과열 과외 해소 방안〉발표 (본고사 폐지, 졸업정원제, 전일수업제 및 입학 정원의 증대)
- 1980년 9월 5일 - 문교부, 〈대학교육개혁시안〉발표
[편집] 3불 정책
[편집] 개요
- 기여입학제 금지
- 기여입학제는 대학에 일정한 돈을 주고 특례입학을 하는 제도를 말한다.
- 본고사 금지
- 본고사는 대학에서 지체적으로 주요과목에 대한 시험(면접,논술,실기시험등 대학별고사 제외)을 실시하여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를 말한다.
- 고교등급제 금지
- 고교등급제는 모든 대한민국 소재 고등학교를 입학 결과등으로 나눠 등급화 한 다음, 그 결과를 입시에 반영하는 제도를 말한다.
[편집] 법적 근거
[편집] 존폐 논란
[편집] 유지 찬성
- 기여입학제 - 부모의 사회, 경제적 능력과 배경에 따른 교육기회의 불평등이 조장된다.
- 본고사 - 사교육 난립의 폐해가 발생한다.
- 고교등급제 - 고교 서열화와 학교간 경쟁이 심화된다.
[편집] 폐지 찬성
주로 주요 상위권 대학 및 사립대학 총장 등의 주장으로 현행 입시제도가 교육의 하향평준화를 유도하고 대학의 학생선발 자율권 침해하는 제도이므로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