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마천 (司馬遷)은 중국 전한(前漢)시대의 역사가(기원전 145년? - 기원전 86년?)이다. 성은 사마(司馬)이고, 이름은 천(遷)이다. 자는 자장(子長)이며,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관직이었던 태사령(太史令)의 벼슬을 물려받아 태사령(太史令)으로 복무하였다. 태사공(太史公)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후에 이릉사건에 연루되어, 이릉을 변호하다 당시 황제인 한 무제(漢武帝)의 노염움을사서 궁형(宮刑)을 받게 된다. 『사기(史記)』의 저자로서 동양 최고의 역사가의 한 명으로 꼽힌다.
[편집] 생애
사마천은 한나라의 역사가로 주나라 역사가 집안인 사마 가문의 후손이며,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은 전한(前漢)의 천문, 달력, 기록을 맡아처리하는 부서의 장관인 태사령(太史令)으로 천문과 달력에 밝고, 고전에도 통달한 이였다. 20세경 낭중(郎中)이 되어 한 무제(漢武帝)를 수행하여 강남(江南)·산둥[山東]·허난[河南] 등의 지방을 여행하였다.
사마천이 36살 때인 기원전 110년, 사마담(司馬談)은 한 무제(漢武帝)가 태산(泰山)에서 거행된 봉선 의식에 참석하지 못하게 한 것을 분하게 여기다가 병이 나서 죽었는데, 죽을때 아들 사마천에게 생전부터 편찬하던 역사서의 편찬을 완료해 줄것을 부탁한다. 기원전 108년, 사마담(司馬談)이 세상을 떠나자 사마천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서 태사령(太史令)이 되었다.
사마천의 나이 42살쯤 역법을 개정하여 태초력(太初曆)을 기원전 104년 한 무제(漢武帝) (태초 원년)에 완성하였다. 그후 부친의 유언에 따라 역사서를 편찬하는 일에 착수하였다.
기원전 99년에 한 무제(漢武帝)의 명으로 흉노를 정벌하러 떠났던 장군 이릉(李陵)이 흉노족와의 전투에서 패전을 하여 포로가 된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을 보고받은 한 무제(漢武帝)는 매우 진노하여, 이릉(李陵)을 처분 문제를 결정하기 위한 중신(重臣) 회의를 열었다. 신하들은 모두들 이릉(李陵)을 비난하고는 이릉(李陵)의 가족들을 모두 능지 처참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사마천 이릉(李陵)의 충절과 용감함을 찬양하고 두둔했기 때문에 한 무제(漢武帝)의 노여움을 사게 되었다. 사마천은 태사령(太史令)의 직책에서 파면을 당하고 감옥에 갇히는 신세가 되었다. 그리고 궁형(宮刑)을 받았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은 궁형(宮刑)을 받느니, 죽음을 택하는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사회 풍조였다.
죽음을 모면한 사마천은 아버지의 대부터 편찬중이었던 역사서 사기(史記)의 편찬을 완료 하였다.
그후 한 무제(漢武帝)의 신임을 회복하여 환관의 최고의 관직인 중서령(中書令)으로 임명되었다.
[편집] 저서
보임안서 (報任安書)
사기 (史記)
분류: 기원전 145년 태어남 | 기원전 86년 죽음 | 중국의 역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