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노모리 호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메노모리 호슈(일본어: 雨森芳洲 1668년-1755년)는 에도 시대 일본의 의사이자 주자학계열의 유학자이다. 한문,조선어,중국어에 능통했으며, 조선무역의 중개역할을 하던 쓰시마 번에서 외교담당 문관으로 활약하였다. 일본최초로 조선어 교과서인 교린수지(交隣須知)를 집필하였으며, 전문 통역관으로서 통역양성학교도 설립하였다. 대등한 외교관계를 강조했으며, 양국우호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편집] 생애

현재의 시가 현 이카 군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가문인 아메노모리씨(雨森氏)는 지역의 영주였으나, 오다 노부나가 휘하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고 몰락하였다. 부친은 무사의 신분을 버리고 의사가 되었으며, 호슈도 가업을 잇기 위해 의사수업을 받았으나, 도중에 유학자의 길을 택한다. 22세때 쓰시마 번의 진문관(한문담당관리)이 되어 근무하면서 당시 일본유일의 해외공관이었던 부산의 왜관을 차왜로서 오가면서 조선어를 습득하였는데, 지적 호기심이 대단하여 조선의 선비들은 천대했던 한글에도 매우 관심을 보이면서 배웠다고 한다. 조선통신사 사절을 쓰시마에서 에도까지 안내하는 직책도 맡아 통신사들과도 친분을 쌓았다. 통신사 신유한이 작성한 해유록을 보면 호슈의 학식에 감탄하는 기술이 여러곳에서 보인다. 역시 유학자이자 평생을 거쳐 교류하였던 아라이 하쿠세키와는 일본국왕 호칭문제로 대립하였다. 일본국왕 호칭문제란 양국가의 최고위급인 조선 국왕과 일본의 쇼군의 문서상 호칭에 관한 문제였는데, 이는 일본의 체제가 형식적 국가상징인 천황과 실권자인 쇼군으로 이원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다. 아라이 하쿠세키는 일본의 쇼군을 조선과 동등한 일본국왕으로 호칭할 것을 주장했고, 호슈는 대등한 교류관계를 들어 이에 반대하였다. 관직을 사임한 후에는 저술활동과 문화상대주의적 사상을 제창하였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