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산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안산선은 수도권 전철 노선 중 하나로, 2007년 6월경 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노선이 발표될 예정이다. 당초 이 노선은 서울 3기 지하철 노선 중 10호선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IMF 구제금융으로 인하여 3기 지하철 10, 11, 12호선이 백지화되면서 무산되었다가 다시 중앙정부에서 광역 전철로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에서는 이 노선을 광역 A선으로 부르기도 한다.
목차 |
[편집] 노선
신안산선은 안산시에서 출발하여, 시흥시를 거쳐, 광명역을 지나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신풍역, 영등포역 등을 지나 여의도에 이르게 된다. 여의도 이북 구간은 서울역 경유 노선과 신촌역 경유 노선 두 가지 안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청량리역에서 경춘선과 이어질 예정이다.
[편집] 논란 구간
- 광명역 이남 구간에 대해서 안산시와 시흥시가 대립하고 있다. 무조건 안산시에서 출발하고 시흥시를 반드시 경유하게 되어 있으나, 각 자치단체에 좀 더 유리한 경로로 노선을 유치하려 하고 있다.
- 신풍역부터 여의도까지의 구간이 불확실하다. 기존에는 신풍역 ~ (신길로 경유)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역 ~ 9호선 국회의사당역 노선만이 알려져 있었으나, 2006년 11월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공개했던 노선도에는 신풍역 ~ (도림로 경유) ~ 영등포역 ~ 여의도역 노선이 단독 반영되어 있다.
- 여의도부터 청량리역까지의 구간이 불확실하다. 신촌역을 경유하여 독립문역, 혜화역, 안암오거리를 지나 청량리역에 이르는 노선과, 공덕역, 서울역을 거쳐 청계천변을 따라 청량리역에 이르는 노선이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기존노선과의 중복이 지적되고 있다.
[편집] 개통 계획
- 2007년 6월 : 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
[편집] 같이 보기
- 소사-원시선
[편집] 바깥 고리
노선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수인선 | 경춘선 | |||
차량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2030호대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