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글러스 맥아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더글러스 맥아더 | |
---|---|
1880년 1월 26일 - 1964년 4월 5일 | |
![]() |
|
태어난 곳 | 아칸소 주 리틀록 |
죽은 곳 | 워싱턴 D.C. |
복무 | ![]() |
복무 기간 | 1903년 ~ 1937년 1941년 ~ 1951년 |
최종 계급 | 원수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
서훈 내역 | 명예 훈장 육군 수훈 복무 훈장 해군 수훈 복무 훈장 수훈 비행 십자장 은성 훈장 동성 훈장 퍼플 하트 욱일장 |
기타 이력 | 일본역사 최초의 외국인 쇼군 |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1880년 1월 26일 ~ 1964년 4월 5일)는 미국의 군인이다.
목차 |
[편집] 생애
1880년 아칸소주 리틀록에서 스코틀랜드에서 이민한 군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아버지 아서 맥아더 주니어(Arthur MacAthur Jr.)는 행군때 자신도 사병들과 똑같이 걸음으로서, 어린 맥아더에게 지휘관이 먼저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주었다.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제1차세계대전당시 무지개부대라는 이름의 소대를 이끌었다. 미국이 일본을 지배할 당시 최고 통솔자를 맡았다.
[편집] 일본에서의 군정 활동
일본 역사 최초의 외국인 쇼군이기도 한 맥아더는 일본인을 쉽게 다스리기 위해 일본 천황의 “천황(덴노)은 인간” 발언을 이끌어 낸 것으로도 유명하며, 성서를 대량으로 유포하는 등 종교로써 일본을 순응시키려고 하였다. 즉, 일본 군국주의의 사상적 근거가 된다고 판단한 신토를 무력화시켜 전쟁 도발을 막고자 한 것이었다. 그외 일본에서의 맥아더의 탈군국주의화 정책으로는 사회주의와 노동운동 묵인을 통한 자본가 견제(자본가들이 군대와 협조하지 못하게 하려는 정책), 교과서 내 천황 신격화 금지 조치 등이 있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시도들은 한국전쟁 이후 일본 사회가 보수화(易 코스)되면서 의미가 없게 되었다.
[편집] 한국전쟁
한국전쟁 당시 인천 상륙 작전에서 원수의 계급으로 전투를 성공적으로 지휘, 전쟁의 양상을 뒤바꿔 놓았다. 그러나 그는 전쟁에서 독단적인 행동에 대한 당시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의 불신으로 인해, 한국 전쟁 후 미국에서 매카시스트 즉, 극단적 반공주의인 매카시즘 추종자로 낙인찍힌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 정규군(중국인민해방군)의 개입을 무시하다가 중국이 전쟁에 사단급 병력을 보내어 개입하자 만주에 원자폭탄 투하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의 이러한 무모하고 극단적인 주장들은 만약 그가 트루먼에 의해 해임되지 않았다면, 세계대전이 한번 더 일어났을 것이라는 비판의 근거가 되고 있다. 또한 미군정 당시 행정공백을 명분으로 친일파를 청산하지 않았다는 것 등도 맥아더가 비판받는 이유이다.
[편집] 자세한 행적
[편집] 주석
- ↑ 조용중, 《미군정하의 한국정치현장》(나남, 1990) 36~37쪽.
[편집] 바깥 고리
![]() |
이 문서는 미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문서는 군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미국 토막글 | 군인 토막글 | 1880년 태어남 | 1964년 죽음 | 미국의 군인 | 미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 |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 육군 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