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철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법철학(法哲學, 독일어: Rechtsphilosophie)은 법의 근본적 원리를 탐구의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법의 본질을 구명하고, 그 근본목적을 탐구하며, 법 현상에 관한 기본 문제를 고찰하고, 법학의 방법론을 확립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대체적으로는 실정법학이 실정법을 대상으로 삼는 것에 비하여, 법철학은 자연법이나 법의 본질 등의 실정법 이외의 영역을 탐구하는 분야로 구분한다. 도쿄 제국대학 교수였던 호즈미 노부시게는 이러한 법철학에 역사법학 등의 비형이상학적인 방법론을 채용한 분야도 포함하는 명칭으로 ‘법리학’(法理学)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법철학’이라는 용어는 독일어 ‘Rechtsphilosophie’를 번역한 것으로, 주로 헤겔 이후에 일반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그 이전에도 법철학이라고 할 수 있는 논의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편집] 같이 보기
- 구스타프 라드부르흐
- 이항녕
![]() |
법 | ![]() |
|
법의 분류 | 헌법 행정법 민법 상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노동법 국제법 (조약) 국제사법 | ||
---|---|---|---|
법체계 | 대륙법 영미법 관습법 종교법 | ||
법의 연원 | 성문법 헌법 법률 명령 조례 규칙 조약 불문법 관습법 판례 조리 |
||
법학 | 법철학 법사회학 법제사학 비교법학 법해석학 법정책학 |
||
주요 개념 | 로마법 만민법 게르만법 법언 법의 해석 법률행위 의사표시 재판 형벌 권리 의무 법치주의 물건 ( 동산 | 부동산 ) 인권 국가 민주주의 |
||
세계의 법 | 경국대전 대한민국 헌법 ( 역사 ) 행정수도법 결정 대일본제국 헌법 일본국 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마그나 카르타 아메리카 합중국 헌법 아메리카 합중국 수정헌법 바이마르 헌법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
||
법률 영역의 목록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