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무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사람에 대해서는 이무영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무영(李無影, 1908년 ~ 1960년 4월 21일)은 한국소설가이다. 아명은 이용구(李龍九), 본명은 이갑용이다.

목차

[편집] 생애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출생하여 휘문의숙에서 수학하다가 일본으로 건너가 문학 수업을 받았다. 일본 소설가인 가토 다케오(일본어: 加藤武雄)의 집에서 숙식을 하며 소설을 공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26년 발표한 장편 《의지할 곳 없는 청춘》이 데뷔작이다. 1929년에는 귀국하여 교사와 《동아일보》 기자로 근무하며 작품 활동을 했다. 1931년에는 극예술연구회에, 1933년 순문학을 추구하는 구인회에 동인으로 참가하였다.

일제 강점기 말기인 1943년 친일 소설 〈토룡〉과 〈향가〉를 발표한 바 있고, 《매일신보》에 〈가련한 처칠의 말로〉(1942) 등 친일 논설을 실은 바 있다.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2005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파 목록 문학 부문에 포함되었다. 총 친일 작품 수는 소설 두 편, 논설 네 편의 여섯 편이다[1].

1933년 경기도 군포로 귀농하였고, 이때부터 작품 경향에도 변화가 왔다. 이 시기부터는 농민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을 주로 썼기 때문에 한국 농민 문학 또는 농촌 소설의 선구자로 불린다.

한국 전쟁대한민국 해군 정훈장교로 참전한 뒤로는 남녀간 애정을 주로 다룬 소설을 발표하여 또 한번 작풍에 변화가 있었다. 1956년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수상했고, 숙명여자대학교단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고향인 음성군 설성공원에 문학비가 세워져 있고, 1994년 그를 추모하는 '무영제'가 제정되었다. 2000년부터 동아일보사 주최로 이무영 문학상도 시상하고 있다.

[편집] 주요 작품

[편집] 소설

[편집] 단편

  • 〈제1장 제1과〉
  • 〈흙의 노예〉

[편집] 장편

  • 《의지할 곳 없는 청춘》
  • 《폐허》
  • 《먼동이 틀 때》
  • 《농민》

[편집] 희곡

  • 《팔각정 있는 집》

[편집] 참고자료

[편집] 주석

  1. 김재용, 친일문학 작품목록 《실천문학》 (2002년 가을호)
구인회 회원
창립회원: 김기림 | 이효석 | 이종명 | 김유영 | 유치진 | 조용만 | 이태준 | 정지용 | 이무영
대체회원: 박태원 | 이상 | 박팔양 | 김유정 | 김환태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