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고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조 고왕(太祖高王, 재위 698년~719년)은 발해의 시조이며, 휘는 대조영(大祚榮)이다. 대조영은 대중상의 장자로서 고구려의 마지막 태왕인 보장왕때 고구려의 장수였다. 대조영의 민족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북조선, 일본의 역사가들은 대개로 고구려인이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중국의 역사가들은 속말말갈족에 가까울 것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 속말말갈족이 민족이 아니라 지역의 이름이라는 주장도 있다.
목차 |
[편집] 고구려 무장
대조영은 그의 아버지를 따라 고구려의 무장이 되었다. 그가 고구려 군대를 들어간 그 정확한 날자는 모르나, 평양성에서 부모달로 지내 왔다고 한다. 당시 고구려의 상황은 연개소문이 죽은 후, 그의 세 아들인 연남생과 연남건, 연남산이 권력 다툼이 일어나 국력이 많이 쇠진된 상태였는데, 결국 권력다툼에서 패배한 연남생이 당나라에 항복했다. 당나라는 667년 연남생을 앞세워 고구려를 침공한다. 당나라는 수십 개의 고구려 성들을 함락시키고, 평양성으로 진격했다. 고구려군은 용맹하게 맞서 싸웠으나, 668년 평양성이 함락되고 고구려는 멸망하였다. 이 때 대중상 부자도 당나라에 저항하다가 포로로 붙잡힌 것으로 추정된다.
[편집] 고구려 부흥운동과 발해의 건국
고구려가 멸망한 후 고구려 땅에는 안동도호부가 세워지고, 남아있던 고구려 세력도 671년 안시성 함락을 끝으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안동도호부는 고구려 유민들을 여러 지역으로 끌고 갔는데, 대중상 부자는 영주로 끌려가게 되었다. 한편, 696년 영주에서 당나라에 대한 거란족의 반란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생겨난 혼란을 틈타 대중상과 말갈의 족장 걸사비우는 탈출을 감행했고, 측천무후의 회유책에도 불구하고 동쪽으로 이동, 당의 장수 이해고가 이끄는 추격군과 전투를 벌인다. 이 때 걸사비우와 대중상이 죽고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속말말갈족을 이끌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대조영은 698년 천문령 전투에서 당나라 추격군에게 승리하고 동모산(東牟山)에서 "대진(大震)"이라는 국호로 발해를 건국하게 된다.
[편집] 발해 초기의 국제관계
발해와 당나라는 처음부터 외교관계가 좋지 않았다. 당나라는 처음에 발해를 견제하기 위해 대조영에게 벼슬을 주거나 군사적으로 위협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해를 국제적으로 고립시키려 하였다. 이에 대조영은 돌궐족과 동맹을 맺으며 고립관계에서 벗어나려고 하였다. 그래서 713년, 당나라도 결국에는 발해를 인정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이에 따른 화답으로 대조영은 아들인 대무예를 당나라에 사신으로 보냈다. 신라와의 관계도 대체로 좋지 못했는데, 이는 신라가 고구려를 멸망시켰기 때문이다. 신라의 유학자 최치원은 "발해의 왕인 대조영이 신라와 수교를 맺고 싶어 사람을 보냈는데, 신라의 왕인 효소왕이 이를 기특하게 여겨 대조영에게 대아찬이라는 관작을 하사하였다"라는 기록을 남겼다. 신라와 발해는 몇 차례 교류가 있었으나 친선 관계를 맺지는 않았다.
[편집] 죽음
719년 고왕이 승하하고 그의 아들 대무예가 발해의 2번째 임금이 되었다..
[편집] 환단고기
진위여부가 판별되지 않은 환단고기의 "대진국역대제왕연표"에 따르면 고왕의 연호는 "천통(天統)"이라고 한다.
[편집] 기념
대한민국 해군의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제 3번함의 이름은 '대조영함(ROKS DDH 977)'이다.
[편집] 참고
앞선 왕 대중상 |
제 1 대 699년 - 719년 |
다음 왕 발해 무왕 |
발해의 역대 국왕 |
---|
발해: 고왕 | 무왕 | 문왕 | 대원의 | 성왕 | 강왕 | 정왕 | 희왕 | 간왕 | 선왕 | 화왕 | 안왕 | 경왕 | 대위해 | 애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