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노루비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다우노루비신
|
|
IUPAC 명명법에 의한 물질명 | |
(8S,10S)-8-acetyl-10-[(2S,4S,5S,6S)- 4-amino-5-hydroxy-6-methyl-oxan- 2-yl]oxy-6,8,11-trihydroxy-1-methoxy- 9,10-dihydro-7H-tetracene-5,12-dione |
|
식별 | |
CAS 등록번호 | 20830-81-3 |
ATC 코드 | L01DB02 |
PubChem | 30323 |
DrugBank | APRD00521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7H29NO10 |
분자량 | 527.52 g/mol 563.99 g/mol (염산염) |
약물동태학적 정보 | |
생화학적 이용룰 | ? |
대사 | 간 |
반감기 | 26.7 시간 |
배설 | 소변과 담즙 |
치료상의 참고사항 | |
태아 위험도 분류 |
D (미국) |
의약품 분류 |
처방전 약품 |
투여방법 | 반드시 정맥주사 |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은 급성 림프성 백혈병(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의 치료를 위한 주요 항생물질로 사용된다. Streptomyces peucetius에서 추출한다. 강력한 골수억제, 심독성, 신경독성이 부작용이다. 적용시에는 시타라빈 등 보조적 화합물과 함께 사용된다.
[편집] 투여 경로
다우노루비신은 반드시 정맥주사로만 투여되어야 한다. 만약 근육주사나 피하주사할 경우 주사부위에 괴사를 일으키며, 척수강내로 투여하면 신경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혀 사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