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전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0년 전쟁 | |||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후의 유럽모습. 붉은라인이 신성 로마 제국의 영역이었고, 그 안에 보이는 작은 독일 국가들이 있다. |
|||
|
|||
|
|||
|
|||
교전국 | |||
![]() ![]() ![]() ![]() ![]() ![]() ![]() ![]() |
![]() (카톨릭 동맹) ![]() ![]() ![]() |
||
지휘관 | |||
틀:Flagicon 프레드릭 5세 = ![]() 틀:Flagicon 요한 베너 ![]() ![]() ![]() ![]() ![]() ![]() |
![]() ![]() ![]() ![]() ![]() ![]() ![]() |
||
병력 | |||
~475.000, 150.000 스웨덴, 75,000 dutch, ~100,000 독일, 150,000 프랑스 |
~450,000, 300,000 에스파냐, ~100-200,000 독일 |
30년 전쟁(영어 : Thirty year's War ; 1618년~1648년)은 신성 로마 제국이 있던 독일을 중심으로 벌어진 신교와 구교 사이의 종교전쟁이다. 하지만 초기 벌어진 종교전쟁의 색채는 점차 각국의 영토 및 통상에 대한 적대관계등 이권에 관련된 무력 대결로 변질되었고, 30년간 벌어진 전쟁은 유럽의 지도 및 종교, 문화등을 크게 변화시켰다.
목차 |
[편집] 역사
전세기에 일어난 종교개혁운동은 17세기에 들어서 바이에른을 중심으로 한 구교동맹(리가)와 팔츠을 맹주로 한 신교동맹(유니온)의 대립이 일어났다. 1618년 보헤미아의 신교도가 반란을 일으키면서 전화는 확대되었다. 이 전쟁은 전쟁의 주재국을 기초로 4기로 나눠 구분한다. 즉 제 1기는 보헤미아-팔츠시대, 제 2기는 덴마크시대, 제 3기는 스웨덴시대, 제 4기는 프랑스-스웨덴시대였다.
[편집] 보헤미아-팔츠시대(1618년 ~ 1624년)
1619년 보헤미아의 신교도가 칼뱅주의자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을 보헤미아의 왕으로 선택하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페르디난트 2세는 바이에른군을 이끌고 보헤미아에 침공했다. 유니온측이 칼팽파와 루터파의 대립으로 발이 묶여있는 사이 황제는 카톨릭 세력의 연대를 강화해 교황의 원조금과 스페인 원군, 리가의 병력을 합세해 우위을 차지함으로써 이 시점에서 승부는 이미 결정되었다. 1620년 11월 8일 보헤미아군은 바이센베르크 전투에서 괴멸적인 타격을 받고 보헤미아의 수도 프라크(프라하)는 저항하지 못하고 항복했다. 프리드리히 5세는 브레슬라우로 퇴각하고, 신교도 제후는 토지를 몰수당해 유니온 세력은 완전히 굴복했다.
[편집] 덴마크시대(1625년 ~ 1629년)
황제는 프리드리히에 대한 처벌로 영방의 라인팔츠와 오버팔츠에 있던 선제후위을 빼앗고, 새로이 전공을 세운 바이에른공 막시밀리안 1세가 선제후가 되었다. 황제권력 앞에 정세는 긴박하게 움직여 황제 대 제후라는 정치적 대립관계가 종교상의 대립과 미묘하게 교체하게 되었다.
또한 이 라인팔츠의 영유를 둘러싼 문제는 국제적 이해관계까지 얽히게 되었다. 에스파냐 국왕 펠리페 3세는 이미 1617년 페르디난트 2세에게 오스트리아 계승권을 인정해주는 댓가로 선대 황제 마티아스로부터 알자스 지방의 영토을 할양받는다는 밀약을 얻고 있었다. 이 지역은 북 이탈리아에서 프랑슈, 코덴을 거쳐 네델란드로 군을 보낼 시기에 중요한 전략적 루트였다.
그래서 이 지역 문제는 그대로 프랑스의 이해관계와 맞아떨어진다. 이 당시 프랑스는 구교국이었기 때문에 행동에 나서지는 않고, 1624년 리슐리에 정권하에 반 합스부르크 정책이 수립되면서 신교국을 비밀리에 지원하기에 이르렀는데, 즉 최초로 황제에게 직접 칼을 들이된 이는 덴마크왕 크리스티앙 4세였다. 그는 독일 신교측에 참가해 1625년 스스로 군을 이끌고 황제군에 맞섰다. 그러나 믿고 있던 프랑스의 지원을 얻지 못해 1626년 8월 루터 전투에서 황제군 지휘관 틸리 장군에게 완패를 당했다. 거기에 보헤미아의 대용병대장 발렌슈타인의 군이 가세한 구교군은 덴마크에 침입해 크리스티앙을 홀슈타인에서 몰아내고, 유틀란드를 정복했다. 그 결과 1629년 뤼베크 조약이 체결되면서 덴마크는 독일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또한 같은해 황제가 발령한 회복칙령은 광대한 사교령과 수도원령의 카톨릭으로의 복귀을 성공시켰다.
[편집] 스웨덴시대(1630년 ~ 1635년)
[편집] 참고 및 참조문헌
영문판 위키 참고 문헌입니다.
- Åberg, A., "The Swedish army from Lützen to Narva", in M. Roberts (ed.), Sweden’s Age of Greatness, 1632-1718 (1973).
- Benecke, G. Germany in the Thirty Years War (1978).
- Gindely, Antonín. History of the Thirty Years' War, Putnam, 1884.
- Gutmann, Myron P. "The Origins of the Thirty Years' War",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 Vol. 18, No. 4. (Spring, 1988), pp. 749–770. in JSTOR
- Kamen, Henry. "The Economic and Social Consequences of the Thirty Years' War", Past and Present, No. 39. (Apr., 1968), pp. 44–61. in JSTOR
- Kennedy, Paul. 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s: Economic Change and Military Conflict from 1500 to 2000 (1988).
- Langer, Herbert. The Thirty Year's War. Poole, England: Blandford Press, 1980.
- Murdoch, Steve; Scotland and the Thirty Years' War, 1618-1648 Brill, 2001
- Parker, Geoffrey. The Thirty Years' War.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84. recent scholarly synthesis
- Polišenský, J.V. "The Thirty Years' War", Past and Present, No. 6. (Nov., 1954), pp. 31–43. in JSTOR
- Polišenský, J.V. "The Thirty Years' War and the Crises and Revolutions of Seventeenth-Century Europe", Past and Present, No. 39. (Apr., 1968), pp. 34–43. in JSTOR
- Prinzing, Friedrich. Epidemics Resulting from Wars, Oxford: Clarendon Press, 1916.
- Roberts, Michael. Gustavus Adolphus: A History of Sweden, 1611-1632 (2 vols, 1953, 1958).
- A. W. Ward, ed.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vol 4: The Thirty Years War 1902. 1006 pp
- Wedgwood, C.V.; Kennedy, Paul. Thirty Years War. New York: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Inc., 2005 (ISBN 1-59017-146-2).
![]() |
이 문서는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