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영예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민영예상(일본어: 国民栄誉賞/こくみんえいよしょう)은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표창의 하나이다. ‘넓게 국민에게 경애를 받아, 사회에 밝은 희망을 주는데에 현저한 실적이 있는 경우에 대해 그 영예를 칭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하여, 후쿠다 다케오 총리 재임 당시인 1977년 8월에 창설되었다.
[편집] 수상자
수상 연월일 | 수상자 | 직업 | 수상 사유 | |
---|---|---|---|---|
1 | 1977년 9월 5일 | 오 사다하루 | 프로야구 선수 | 홈런 세계 신기록 달성 |
2 | 1978년 8월 4일 | 고가 마사오※ | 작곡가 | ‘고가 멜로디’로 불리는 수많은 악곡 작곡에 대한 공로 |
3 | 1984년 4월 19일 | 하세가와 가즈오※ | 배우 | 연기에 정진하여 영화 및 연극계에 탁월한 공헌 |
4 | 1984년 4월 19일 | 우에무라 나오미※ | 모험가 | 세계 5대륙 최고봉 등정 등 |
5 | 1984년 10월 9일 | 야마시타 야스히로 | 유도 선수 | 유도에 있어 진지한 정진과 전인미답의 기록 달성 등 |
6 | 1987년 6월 22일 | 기누가사 사치오 | 프로야구 선수 | 연속 시합 출장 세계 신기록 달성 |
7 | 1989년 7월 6일 | 가토 가즈에 (미소라 히바리) |
가수 | 진지하게 정진한 가요를 통해 국민에게 꿈과 희망을 주었다. (여성 첫 수상) |
8 | 1989년 9월 29일 | 아키모토 미쓰구 (지요노후지 미쓰구) |
스모 요코즈나 | 사상 제2위의 연승 기록, 스모계에 현저한 공헌 |
9 | 1992년 5월 28일 | 마스나가 다케오 (후지야마 이치로) |
가수 | 가요를 통해서 국민에게 희망을 주고, 격려한 공과 아름다운 일본어 보급에 공헌. |
10 | 1992년 7월 28일 | 하세가와 마치코※ | 만화가 | 가정 만화를 통해서 사회에 윤택함과 평온함을 주었다. |
11 | 1993년 2월 26일 | 핫토리 료이치※ | 작곡가 | 수많은 가요곡을 만들어 국민에게 희망과 윤택함을 주었다. |
12 | 1996년 9월 3일 | 다도코로 야스오※ (아쓰미 기요시) |
배우 | 영화 ‘남자는 괴로워’ 시리즈를 통해 인정미 풍부한 연기로 넓게 국민에게 기쁨과 윤택함을 주었다. |
13 | 1998년 7월 7일 | 요시다 다다시※ | 작곡가 | ‘요시다 멜로디’로 불리는 수많은 악곡을 작곡하여 국민에게 꿈과 희망과 윤택함을 주었다. |
14 | 1998년 10월 1일 | 구로사와 아키라※ | 영화 감독 | 수많은 불후의 명작을 통해 국민에게 깊은 감동을 주고, 세계 영화사에 훌륭한 족적을 남겼다. |
15 | 2000년 10월 30일 | 다카하시 나오코 | 육상 선수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여자마라톤에서 우승해 육상 경기에서는 일본 여자 선수 첫 금메달을 획득해 국민에게 깊은 감동과 용기를 주었다. |
수상자 15명중 9명은 사후의 수상이다(실종 선고된 우에무라 나오미를 포함한다. ※표시는 사후에 수상한 사람).
[편집] 상의 의의에 대한 논의
첫 수상자인 오 사다하루가 중국계 일본인이라 훈장을 수여하는 대신에 고육지책으로 만들어진 상은 아닌가 하는 의혹이 돌았다. 그러나 외국인에게 훈장을 수여한 예가 많았으므로, 이 의혹은 신빙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오히려 1977년 당시에는 문화 훈장 등도 70세부터 후보가 되는 것이 통상적인 사례였으므로, 당시 37세였던 오 사다하루가 훈장 수여자의 평균 연령을 크게 밑돌만큼 젊었다는 것이 새로운 상을 마련한 이유로 추측되고 있다.
또한 창설 당초부터 ‘지지율 침체로 고민하는 중인 내각이 인기를 얻기위한 행동의 도구가 아닌가’하는 비판이 있었다. 또한 사후 수여자가 많은 것에 대하여 ‘왜 살아있을 때 수여하지 않는 것인가’하는 비판도 많다. 이것은 수상 기준이 명료하지 못한 것이 최대의 원인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사자에 씨의 만화가 하세가와 마치코가 수상했는데, 만화 문화의 선구적 존재인 데즈카 오사무가 수상하지 않은 것이나 시드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다카하시 나오코가 수상했으니, 유도로 금메달을 획득한 다니 료코나 아테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노구치 미즈키, 대회 3연속 금메달을 획득한 유도의 노무라 다다히로 등도 수상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등이다. 하지만 국민영예상 수여를 부추기는 것은 결국 국민영예상을 비판하는 언론이라는 지적도 있다.
[편집] 수상을 고사한 사람
- 후쿠모토 유타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