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하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하영(尹夏榮, 1867년 ~ ?)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해평(海平)이다. 윤승구(尹升求)의 아들이다. 1894년 식년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파격적으로 16일 만에 수찬·부교리에 임명되었다.
그 뒤 독립협회운동, 특히 1898년 이후 윤치호 등이 독립협회를 주도하여 활발하게 민권운동을 하던 시기에 적극 참여하여 총대위원(總代委員) 등으로 선출되어 의회설립운동을 하였다. 그해 11월 4일 중추원의관선출을 하루 앞두고 수구파 조병식(趙秉式) 등이 독립협회 회원들이 공화정치를 하려 한다고 고종을 속여 그를 포함한 중요회원 17명을 체포하였다.
그러나 정부는 만민공동회의 시위로 그들을 석방하였고, 중추원의관도 임명하였는데 그도 그 중에 포함되었다. 중추원의관들이 정부 대신 후보자 11명을 선출하는 데에는 참석하지 않았지만, 역적의 혐의를 받고 일본으로 망명한 박영효(朴泳孝)를 소환하여 법부에서 그의 죄의 유무를 재판하자고 할 때에는 고발위원으로 선정되었다.
독립협회가 해산된 뒤 정부인사와 몰래 통하여 광무연간에 부사과·시독관·장례원상례(掌禮院相禮)를 지냈다.
1906년 보부상 단체인 공진회(共進會)의 평의원이 되어 회장 이준과 함께 이유인(李裕寅)·구본순(具本淳)을 혹세무민하는 자라 하여 평리원(平理院)에 송치하였다가 체포되었다.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 관료 부문에 선정되었다.
[편집] 참고자료
- 고종실록(高宗實錄)
- 문품안(文品案)
- 구한국관원이력서(舊韓國官員履歷書)
- 속음청사(續陰晴史)
- 이준선생전(李儁先生傳, 柳子厚, 東方文化社, 1947)
- 독립협회연구(獨立協會硏究, 愼鏞廈, 一潮閣, 1976)
-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 1867년 태어남 | 조선의 문신 |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