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Дaяp Moнгoл (다야르 몽골) | |||||
국가: 뷔그드 나이람다흐 몽골 | |||||
![]() |
|||||
수도 | 울란바타르 47°55′N 106°53′E |
||||
공용어 | 몽골어 | ||||
정부 형태
대통령
총리 |
인민공화국제 남바린 엥흐바야르 미예곰보 엥흐볼드 |
||||
독립 • 독립선언 |
중국으로부터 독립1 1921년 7월 11일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1,564,116 km² (19위) 0.6% |
||||
인구 • 2005년 어림 • 2000년 조사 • 인구 밀도 |
2,646,000명 (139위) 2,650,952명 1.7명/km² (227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2005년 어림값 $55억 6,000만 (147위) $2,175 (138위) |
||||
HDI • 2004년 조사 |
0.691 (116위) |
||||
통화 | 터그럭 (ISO 4217:MNT )(화폐단위: -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UTC+7) UTC + 8 |
||||
ISO 3166-1 | |||||
·Alpha-2 | |||||
·Alpha-3 | |||||
인터넷 도메인 | .mn | ||||
국제 전화 | +976 |
||||
1청나라가 멸망되기 1년 전인 1911년에 신정 군주제로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의 여파로 공산주의 국가가 된 것으로 본다. |
몽골국(몽골어: Монгол Улс 몽골 울스, 통용: 몽고(蒙古))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나라이다. 북쪽은 러시아, 남쪽은 중국과 맞닿아 있다. 면적은 아시아에서 6번째로 넓지만 인구는 매우 적은 나라에 속한다. 수도는 울란바타르이다. 카자흐스탄 다음으로 큰 내륙국이기도 하다.
목차 |
[편집] 역사
- 이 부분의 본문은 몽골의 역사입니다.
고대로부터 몽골 초원에는 흉노, 돌궐 등 여러 유력한 유목 민족들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1206년 칭기즈 칸이 등장해 몽골 초원을 통일하고 역사상 최대의 대제국을 건설했다. 14세기 말에 몽골 제국이 몰락하자 몽골 초원에는 다시 여러 부족이 나타났다.
명나라에 이어 중국을 지배한 청나라의 강희제는 몽골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몽골을 내몽골과 외몽골로 분리시켰다. 이후 내몽골은 중국과 호흡을 같이하고 외몽골은 중국에서 신해 혁명이 일어난 1911년에 신정 군주제로 독립을 선언하였다.
1917년 이후 한때 러시아 내전의 여파에 휘말렸으나 1921년 수흐바토르 초이발산이 전란을 수습하고 1924년 국호를 몽골 인민 공화국이라 함에 따라 아시아의 두번째 사회주의 국가가 되었다. 그 이후 소련의 영향력이 막강해졌으며, 중, 소분쟁이 발생할 때 옛 소련을 지원하였다(그에 힘입어 코메콘 가맹 국가도 몽골에게 경제적 지원을 해 주었다). 1992년에 복수정당제를 원칙으로 하는 자본주의 국가로 변화, 사회주의 체제를 버리고 자본주의 경제를 도입했다.
[편집] 지리
이 나라는 바다가 없고 거의 사막이나 평야이다.
[편집] 행정 구역
- 이 부분의 본문은 몽골의 행정 구역입니다.
수도는 울란바토르이며 뜻은 '붉은 영웅'이라는 뜻이다.
[편집] 기후
고비사막의 영향을 받아 매우 건조하고 온도의 차가 심하다. 일년 평균강수량이 200mm 정도이다.
[편집] 정치
이 나라는 1924년부터 1992년까지는 구 소련의 지원을 매우 많이 받은 사회주의 국가였으나 1992년 선거로 민주화되었다. 그러나 헌법에서는 여전히 '인민공화국제'라고 되어 있다.
[편집] 종교
몽골인의 주된 종교는 티베트 불교로 역사적으로는 티베트와의 관계가 깊다. 하지만 1992년 선거로 민주화된 이후 개신교가 선교사들에 의해 유입되고 있으며, 그 이전부터 러시아의 영향으로 정교회 신자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편집] 주민
대부분의 몽골인은 인종적으로는 한국인과 같은 황색인종으로 몇 가지의 유전 형질의 경향이 일치하고, 몽골어와 한국어가 문법적으로 닮았다.
[편집] 민족
서부의 바얀욀기 주는 카자흐족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학교 교육도 카자흐어로 행해진다. 투바인, 부랴트족(몽골인 후손), 중국인, 러시아인 등 소수 민족도 거주한다.
[편집] 언어
몽골어가 공용어이며 러시아어가 2언어로 많이 알려졌다. 또한 소수의 카자흐어, 중국어 사용자도 있다. 일본어, 한국어, 독일어, 영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몽골어는 알타이제어의 하나로 넓은 뜻으로는 몽골민족이 과거에 사용했고 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몽골계 언어 전반을 가리킨다. 좁은 뜻으로는 위구르계 몽골문자로 쓰인 몽골어 문어를 뜻한다.
현재 몽골어는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한다.
[편집] 몽골어를 쓰는 곳
사용지역은 네이멍구와 몽골을 중심으로 중국 변경지구 ·아프가니스탄 ·볼가강(江) 유역 등 광대한 지역에 미친다.
현대 몽골어는 동서의 대방언군(大方言群)으로 나뉘고 그 밖에 약간 고립된 방언이 있으나, 지역적 언어차는 별로 심하지 않다. 그러나 2,3개의 고립된 방언은 어형(語形) 변화가 심하여 다른 방언과의 차이가 크다.
몽골어를 대표하는 방언은 동(東)몽골방언군에 속하는 할하어 계(系)의 언어로 현재 몽골 전지역의 공통어 구실을 한다.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몽골어는 13세기부터 16세기 말에 이르는 중세 몽골어시대, 17세기부터 현대까지의 근세 몽골어시대 등 두 시기로 나뉜다.
[편집] 교육
[편집] 군대
이 나라는 건강한 남자라면 군대에 갈 의무가 있다(징병제 채택).
몽골군은 몽골 인민군 (육군)과 몽골 인민 공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8세에서 25세 사이의 모든 몽골의 인민은 병역의무가 있다. 이들 인력은 몽골 인민군 및 경찰 병력으로 편성되어 12개월간 복무한다. 양성 모두 의무적으로 군복무에 임해야 하나 여성은 몽골 인민군 규정상 해외파병에는 제외된다.
[편집] 대한 관계
이 나라는 현재 남북한 동시수교국이다. 대한민국과는 1990년 3월 26일 수교하였다.
[편집] 바깥 고리
[편집] 몽골
- ((몽골어/영어)) 몽골 정부 공식 사이트
- ((몽골어/영어)) 몽골 대통령 홈페이지
- ((몽골어/영어)) 몽골 관광
- ((영어/스페인어)) The UB Post 몽골의 독립 신문 / 주간지
- ((영어)) 몽골리아 투데이
- GMNnews 한국어로된 몽골 및 제 3, 4세계 소식지
[편집] 대한민국
-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 ((몽골어/영어/한국어)) 주한 몽골 대사관
- 재몽골 한인회
- 한국몽골협력협회
[편집] 해외
- ((영어)) 론리플래닛의 정보(몽골편)
- ((영어)) CIA의 세계 정보(몽골편)
[편집] 기타
아시아의 나라 | ![]() |
---|---|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
|
속령 | |
마카오5 | 홍콩5 | |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 |
상하이 협력 기구 (SCO) | |
러시아 | 중화인민공화국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
입회국: 파키스탄 | 인도 | 이란 | 몽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