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러시아어 русский язык(IPA: [ru.skʲi jɪ.'zɨk]) |
||
---|---|---|
쓰는 나라들 | 러시아, 옛 소련 소속 국가. | |
지역 | 동유럽, 북아시아. | |
언어 인구 | 제일 언어: 1억 4500만여명 제이 언어: 1억 1000만여명 |
|
사용 순위 | 8위 | |
언어의 계통 |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
|
공용어/표준 | ||
공용어로 쓰는 국가 | 러시아, 우크라이나(크림공화국), 벨라루스, 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국제 연합. | |
표준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 |
언어 부호 | ||
ISO 639-1 | ru | |
ISO 639-2: | rus | |
ISO/DIS 639-3: | rus |
러시아어(русский язык 루스키 야지크[*] 듣기 )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한 언어이며 슬라브어파의 언어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이다.
유엔에서 정한 7개 공용어중 하나이며 독립국가연합 소속 국가들에서 주로 사용된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몽골, 동유럽(폴란드,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에서는 상용어로 사용된다. 방언은 북부(러시아 북부에서 시베리아), 중부(러시아 중앙부), 남부(카프카스와 러시아 남서부)로 나뉘며, 표준어는 모스크바 방언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졌다. 모스크바 방언은 원래 남부 방언에 속했으나 북부방언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중부 방언으로 탄생했다.
그외에도 각 민족마다 러시아어 억양이 다르다. 예로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억양의 러시아어, 주로 서부지역과 오데사에서 많이 사용), 카프카스의 러시아어(카프카스억양의 러시아어, 러시아의 북카프카스지방의 여러 민족과 코카서스 3국에서 사용), 중앙아시아의 러시아어(터키억양의 러시아어, 중앙아시아5개공화국에서 많이 사용) 등이 있다.
1997년에 발행된 <<Language Monthly>>(No. 3)에 의하면 전세계에서 2억 8500만명이 러시아어를 쓰고, 그 중 1억 6천만명이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목차 |
[편집] 문자
키릴 문자(러시아 문자)를 쓴다. 다음 표는 현재 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와 각 문자의 전형적인 발음을 IPA로 전사한 것이다.
А /a/ |
Б /b/ |
В /v/ |
Г /ɡ/ |
Д /d/ |
Е /jɛ/ |
Ё /jo/ |
Ж /ʐ/ |
З /z/ |
И /i/ |
Й /j/ |
К /k/ |
Л /l/ |
М /m/ |
Н /n/ |
О /o/ |
П /p/ |
Р /r/ |
С /s/ |
Т /t/ |
У /u/ |
Ф /f/ |
Х /x/ |
Ц /ʦ/ |
Ч /ʨ/ |
Ш /ʂ/ |
Щ /ɕː/ |
Ъ /◌ˠ/ |
Ы /ɨ/ |
Ь /◌ʲ/ |
Э /ɛ/ |
Ю /ju/ |
Я /ja/ |
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의 부르는 법은 다음과 같다.
아 | 베 | 붸 | 게 | 데 | 예 | 요 | 줴 | 제 | 이 | 이 크라트코에 |
카 | 엘 | 엠 | 엔 | 오 | 페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
엘 | 에스 | 테 | 우 | 에프 | 하 - | 체 | 쳬 | 샤 | 시샤 (시챠) |
트뵤르드이 즈낙 |
의 | 먀흑키 즈낙 |
에 | 유 | 야 |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А,Ы,У,Э,О는 경모음이고, Я,И,Ю,Е,Ё는 연모음이다. Й(은)는 반자음이다.
[편집] 발음
[편집] 모음
러시아어의 모음의 개수에 대해서는 학파에 따라 이견이 있다. 모스크바 음운학파에 따르면 러시아어의 모음은 모두 <а>, <э>, <и>, <о>, <у> 5개이고 페테르부르크 음운학파 (레닌그라드 음운학파)에 따르면 /а/, /э/, /и/, /о/, /у/, /ы/ 6개이다.
[편집] 자음
양순음 | 순치음 | 치음과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 | p pʲ |
b bʲ |
t tʲ |
d dʲ |
k | ɡ | |||||
파찰음 | ʦ |
ʨ |
|||||||||
마찰음 | f fʲ |
v vʲ |
s sʲ |
z zʲ |
ʂ ɕ |
ʐ ʑ |
x | ||||
비음 | m mʲ |
n nʲ |
|||||||||
전동음 | r rʲ |
||||||||||
접근음 | ɫ lʲ |
j |
- 자음 Й은 모음 뒤에서 오는 것 이외에는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외래어에서는 Йокогама(요코하마)와 같이 단어의 앞에 오기도 한다.
- Ё에는 반드시 액센트가 있다.
- У이외의 모음은 악센트가 없으면 소리가 탁해진다. 엑센트의 앞뒤 및 위치에서는 소리가 바뀌지만, 자세히 들리지는 않는다. а,о는[ъ]и와, э는[иэ](и склонно к э)
- 서구어에는 없는 /z-/ 로 시작되는 자음 연속이 있다. 예: знание /zna-/(지식)
[편집] 러시아어의 지위
[편집] 문법
[편집] 명사
명사에는 남성, 중성, 여성의 3개의 성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복수 외에는 가위나 바지라고 하는 조수가 있다. 남성명사는 자음 -й, ь으로 끝나고, 여성명사는 ―а,-я,-ь의 어미로 끝나고, 중성명사는 ―о, -е, -мя로 끝난다.
복수인 경우에는 남성 및 여성 명사는 어미의 경·연으로 ―ы와 ―и로 끝고, 중성 명사는―а와 ―я로 끝난다.
명사의 격은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의 6개의 격종류 외에도 일부는 호격으로 변화된다(예: Боже мой! 나의 신이여!).
수사와 수사에 관련된 명사는 특수한 변화를 보인다. 1은 단수 주격이지만, 2-4 은 단수생격, 5이상이 복수생격을 받는다. 2-4의 단수생격은 쌍수형의 자취이다.
[편집] 인칭대명사
단수 | 복수 | |
---|---|---|
1인칭 | я -나는(I) | мы -우리들은(we) |
2인칭 | ты -너는(you) Вы -당신은 |
вы -당신들은(you) |
3인칭 | он -그는(he) она -그녀는 оно -그것은 (it) |
они -그들은 그녀들은 그것들은 |
모두 주격을 이용하고 있다. 경칭으로의 Вы은 "В"가 대문자가여야 한다.
소유자 | 단수 | 소유 | 피소유자 |
나 | я | мой | 남성 |
моя | 여성 | ||
моё | 중성 | ||
мои | 복수 | ||
너 | Вы 혹은 ты | твои | 남성 |
твоя | 여성 | ||
твоё | 중성 | ||
твои | 복수 | ||
그 | он | его | 남성 |
그녀 | она | егё | 여성 |
그것 | оно | его | 중성 |
их | 복수 | ||
우리 | мы | наш | 남성 |
наша | 여성 | ||
наше | 중성 | ||
наши | 복수 | ||
너희 | вы | ваш | 남성 |
ваша | 여성 | ||
ваше | 중성 | ||
ваши | 복수 | ||
그들 | они | их | 남성 |
их | 여성 | ||
их | 중성 | ||
их | 복수 |
[편집] 동사
동사는 완료체과 불완료체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 형용사
형용사는 명사와 같이 성·수·격에 의해서 변화되고, 한정적 용법에는 형용사가 일치한다. 서술적 용법에서는 어미가 짧은 "단어미형"도 이용된다.
[편집] 기본표현
- 네 Да.
- 아니오 Нет.
- 안녕하세요 Здра́вствуйте!
- 안녕? Приве́т.
- 안녕? Здра́вствуй.
- 안녕하세요 (아침) До́брое у́тро.
- 안녕하세요 (낮) До́брый день.
- 안녕하세요 (저녁) До́брый ве́чер.
- 안녕히 주무세요Споко́йной но́чи.
- 안녕히 가세요/계세요 До свида́ния!
- 내일 봐요 До за́втра!
- 고마워요 Спаси́бо! - 천만에요 Не́ за что.
- 미안해요 Извини́те. - 괜찮아요 Ничего́
- 이름은 뭐에요? Как вас зову́т?
- 저는 ~라고 합니다. Меня зовут ~.
- 만나서 반갑습니다. О́чень прия́тно.
- 누구 кто
- 무엇 что
- 어디 где
- 언제 когда́
- 왜 почему́
- 어떻게 как
- 얼마 ско́лько
- 1 оди́н
- 2 два
- 3 три
- 4 четы́ре
- 5 пять
- 6 шесть
- 7 семь
- 8 во́семь
- 9 де́вять
- 10 де́сять
- 사람 челове́к
- 남편 муж
- 아내 жена́
- 도시 го́род
- 저녁 ве́чер
- 사랑 любо́вь
- 군대 а́рмия
- 독일어 неме́цкий
- 프랑스어 францу́зский
- 영어 англи́йский
- 러시아 Росси́я / 모스크바 Москва́
- 미국 Аме́рика 또는 США
- 중국 Кита́й / 베이징 Пеки́н
- 일본 Япо́ния / 도쿄 То́кио
- 한국 Коре́я / 서울 Сеу́л
- 수도 столи́ца
- 다리 мост
- 책 кни́га
- 쌀 рис
- 생선 ры́ба
- 고기 мя́со
- 설탕 са́хар
- 나무 де́рево
- 해 (천체) со́лнце
- 달 (천체) луна́
- 별 звезда́
- 강 река́
- 산 гора́
- 년 год
- 월 ме́сяц
- 물 вода́
- 불 ого́нь
[편집] 러시아어에서 유래된 외래어
() 안은 러시아어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 아지트 - агитпункт (선동 본부)
- 이크라 - икра (캐비아)
- 인텔리겐치야(intelligentsia라고도) - интеллигенция (지식인)
- 보드카 - водка(물 + 지소말)
- 오호츠크 해 - Охотское море
- 조직투쟁 - кампания(캠페인)
- 코민테른 - Коминтерн ←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ий интернационал
- 소련의 집단농장(콜호즈) - колхоз ← коллективное хозяйство (집단농장)
- 콤비나트(combinat) - комбинат
- 사할린 - Сахалин
- 해마 - сивуч (바다사자)
- 소련(소비에트라고도 함) - Совет(회의)
- 구 소련의 국영 농장 - совхоз ← советское хозяйство (소련의 농장)
- 타이가 - тайга(밀림)
- 체카 - ЧК ← чрезвычайная комиссия по борьбе с контрреволюцией и саботажем (반혁명과 태업에 대한 투쟁을 위한 비상 위원회)
- 차르 - царь(황제)
- 툰드라(라프어에서 러시아어를 통해 차용) - тундра
- 데카브리스트 - декабрист (12월 당원)
- 토치카 - точка (점, 지점)
- 트로이카 - тройка (3번, 3조)
- 트로츠키스트(경멸의 의미를 담은 언어) - троцкист
- 할당량 - норма
- 발랄라이카 - балалайка
- 브나로드 - в народ (민중속으로)
- 페치카 - печка (난로)
- 페레스트로이카 - перестройка (재건)
- 볼셰비키 - большевики (다수파)
- 보르시치 - борщ
- 멘셰비키 - меньшевики (소수파)
[편집] 변형된 러시아어 방언
- 페니야어 또는 펜카는 고대 러시아어에서 유래된 알아들을 수 없는 러시아어이다. 문법적으로는 변형되었고, 어휘면에서도 별개의 언어이다.
- 퀠리아어는 독일어와 러시아어가 혼합된 언언이다.
- 수르지크어는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에서 쓰이는 우크라이나-러시아어이다.
- 트라샨카어는 벨라루스에서 쓰이는 벨라루스-러시아어이다.
- 러시아노르웨이어는 스발바르 제도와 콜라 반도에서 러시아인과 노르웨이인들이 의사소통을 위해 혼합된 언어였으나, 지금은 소멸되었다.
- 러시아 영어는 러시아식 영어이다.
- 러시아중국어는 러시아어와 중국어가 혼합된 중국 국경지대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이다.
[편집] 바깥 고리
- ((영어)) 에스놀로그 : 러시아어
- 러시아어 배우기
- ((한국어)) 위키북의 러시아어 배우기
|
|||
조어 | 고대 동슬라브어† | ||
고대 러시아어† | 러시아어 | ||
루테니아어† | 루신어 | 벨라루스어 | 우크라이나어 | ||
기타 |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 |
슬라브어파 |
---|
동슬라브어군 · 서슬라브어군 · 동부 남슬라브어군 · 서부 남슬라브어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