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원(書院)은 조선 시대의 사립 교육 기관이다. 선현을 모시고 후학을 가르치는 것이 목적이었다.
서원은 유학의 성현들을 모시는 사당 또는 사묘의 역할, 향약 등의 향촌 질서를 정하고 백성들을 계도하는 역할, 단순한 교육이 아닌 학문 연구와 발전의 기능을 하는 연구소 역할을 담당했다.
1865년 고종 때, 흥선대원군은 전국의 서원과 사우 1000여 곳을 헐어 버리고 47개소만 남겼으며[1], 서원의 전결(田結)을 거두어 공전(公田)에 귀속시켰다.[2]
목차 |
[편집] 존치된 서원
[편집] 도학서원
서원명 | 위치 | 건립년 | 사액년 | 비고 |
---|---|---|---|---|
서악서원(西嶽書院) | 경상도 경주 | 1561년 | 1623년 | |
무성서원(武城書院) | 전라도 태인 | 1615년 | 1696년 | 주향은 최치원 |
소수서원(紹修書院) | 경상도 순흥 | 1543년 | 1550년 | 주향은 안향 |
숭양서원(崇陽書院) | 경기도 개성 | 1573년 | 1575년 | 주향은 정몽주 |
도동서원(道東書院) | 경상도 현풍 | 1605년 | 1607년 | 주향은 김굉필 |
남계서원(藍溪書院) | 경상도 함양 | 1552년 | 1566년 | 주향은 정여창 |
심곡서원(深谷書院) | 경기도 용인 | 1650년 | 1650년 | 조광조와 송시열이 병향. |
옥산서원(玉山書院) | 경상도 경주 | 1573년 | 1574년 | 주향은 이언적 |
필암서원(筆巖書院) | 전라도 장성 | 1590년 | 1662년 | 주향은 김인후 |
도산서원(陶山書院) | 경상도 예안 | 1574년 | 1575년 | 주향은 이황 |
문회서원(文會書院) | 황해도 배천 | 1568년 | 주향은 이이 | |
파산서원(坡山書院) | 경기도 파주 | 1568년 | 1650년 | 주향은 성혼 |
돈암서원(遯巖書院) | 충청도 연산 | 1634년 | 1660년 | 주향은 김장생 |
강한사(江漢祠) | 경기도 여주 | 1779년 | 1785년 | 주향은 김장생 |
흥암서원(興巖書院) | 경상도 상주 | 1702년 | 1705년 | 주향은 송준길 |
봉양서원(鳳陽書院) | 황해도 장연 | 1695년 | 1696년 | 주향은 박세채 |
[편집] 충렬서원 및 사우
- 경기도
- 강화 충렬사(忠烈祠)
- 광주 현절사(顯節祠)
- 김포 우저서원(牛渚書院)
-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
- 과천 사충서원(四忠書院)
- 양성 덕봉서원(德峰書院)
- 과천 노강서원(鷺江書院)
- 고양 기공사(紀功祠)
- 충청도
- 홍산 창렬서원(彰烈書院)
- 청주 표충사(表忠祠)
- 노성 노강서원(魯岡書院)
- 충주 충렬사(忠烈祠)
- 전라도
- 광주 포충사(褒忠祠)
- 강원도
- 영월 창절사(彰節祠)
- 철원 포충사(褒忠祠)
- 김화 충렬서원(忠烈書院)
- 황해도
- 평산 태사사(太師祠)
- 해주 청성사(淸聖祠)
- 함경도
- 북청 노덕서원(老德書院)
- 평안도
- 영유 와룡사(臥龍祠)
- 안주 충민사(忠愍祠)
- 영변 수충사(酬忠祠)
- 평양 무열사(武烈祠)
- 가산 표절사(表節祠)
[편집] 주석
- ↑ 《증보문헌비고》에서는 조선 말의 서원을 원(院) 388개, 사(祠) 286개로 도합 674개, 《대한계년사》에서는 1천여 개로, 《운하견문록》에서는 1천7백여 개라고 밝혔다. 그리고 최근 자료에서는 다음(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는 679개, 이춘희 교수의 연구(〈이조서원문헌목록〉, 국회도서관, 1969년)에서는 935개, 정만조 교수의 연구(〈17~18세기의 서원 사우에 대한 시론〉, 《한국사론》 2, 1975년)에서는 903개, 전용우 교수의 연구(〈조선조 서원·사우에 대한 일고찰〉, 《호서사학》 13, 1985년)에서는 서원 465개, 사우 504개로 도합 969개, 박진효의 연구(〈흥선대원군의 書院정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학위 논문, 2005년)에서는 총 1721개, 허은의 연구(〈興宣大院君의 政策 硏究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 논문, 2003년)에서는 철종대에 전국에 서원이 680여 개라고 밝히고 있고, 국사 편찬 위원회와 국정 도서 편찬 위원회에서 공편한 국사 교과서(《고등 학교 국사》, 2004년 3월 1일 발행, 333쪽)에서는 600여 개소라고 기술하였다.
- ↑ 《승정원일기》 고종 8년 3월 20일; 정교(鄭喬), 《대한계년사》을축년(1865)고종 2년.
[편집] 외부고리
- 우리문화 바로 알기 "서원"
- 서원에 관한 정보 사이버 유교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