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컴플렉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드 컴플렉스(Red Complex)는 빨간색을 공산주의와 동일시,빨간색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극단적인 반공주의를 가리킨다.
목차 |
[편집] 역사속의 레드컴플렉스
한국전쟁이후 반공 교육에서 북한과 공산주의를 묘사할 때 ‘빨갱이’라고 비하해서 부를 정도로,붉은색은 공산주의의 혁명성을 나타내는 색깔 또는 공산주의를 가리키는 색으로 여겨졌다.
반공이라는 국시와 국가보안법이라는 강력한 반공법으로 레드 컴플렉스라고 불리는 반공 이데올로기는 분단 이후 한국 사회 모든 영역에 침투되어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해 왔다.
과거의 노동운동들이 노동운동을 공산주의운동으로 여기는 자본가들의 편견이라는 두터운 벽에 막혀 더 이상의 발전을 하지 못하였고, 진보정당 또한 좌파에 대한 거부감때문에 실패하였다.
시민들이 참여한 민주화운동으로 1987년이후 민주화되었고, 북조선 김일성 주석의 사망과 북조선의 경제의 위기로 레드컴플렉스는 줄어들기 시작하였지만,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때마다 색깔론 논쟁이 벌어졌고 그 때마다 각 당과 후보자들은 자신이 친북세력이 아님을 증명해야만 했다. 정치분야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빨간색을 꺼리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2002년 월드컵 때 축구 응원단 붉은악마의 활약과 붉은악마의 빨간색 티를 응원에 참가하는 모든 사람들이 입고, 거리 응원등을 함으로써, 레드 컴플렉스가 많이 완화되었다.
[편집] 유명한 사례
- ‘경쟁관계에 있지 않은 당사자들끼리 겨루는 시합’을 일본에서는 홍백전(紅白戰)이라고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청백전(靑白戰)이라고 한다.
- 한국논단의 발행자 이도형은 증권거래소에서 주가가 오르고 내린 것을 각각 붉은색과 푸른색으로 구분하는 현상을 개탄하기도 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주가가 오른 것을 붉은색으로 표시하면 국민들이 무의식적으로 붉은색을 선호하게 되어 공산주의가 침투할 위험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 붉은 악마가 활약할때 기독교 근본주의단체인 한국 기독교 총연합회에서 붉은악마를 화이트엔젤로 바꾸자는 제안을 하여 웃음거리가 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