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해양대학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포해양대학교(木浦海洋大學校)는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이다. 1948년 목포수산상선고등학교로 개교했다.
[편집] 연혁
목포수산상선고등학교 창립
1950. 04. 05 목포수산상선고등학교 개교 1952. 04. 15 도립 목포상선고등학교로 문교부장관 정식 인가 1956. 07. 14 목포해양고등학교로 변경
1964. 12. 31 목포해양고등전문학교로 개편(항해, 기관, 통신학과)
1979. 03. 01 목포해양전문대학으로 개편
1985. 03. 01 목포해양전문대학 항해과, 기관과 3년제로 개편
1993. 03. 01 4년제 대학(목포해양대학)으로 개편 1993. 03. 31 목포해양대학 초대 오정철 학장 취임
1993. 10. 30 실습선 새유달호 취항 (3,5141톤, 승선인원 202명) 1994. 03. 01 "목포해양대학교"로 교명 변경 1995. 03. 01 해양전자공학과 및 조선해양공학과 신설 1996. 03. 01 학부제 도입에 따른 학과 통폐합 및 학부제 운영 1997. 03. 01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개설 1999. 03. 01 해상운송시스템학부 및 기관공학부에 해양경찰학 전공 신설 1999. 06. 29 교훈 변경 ( 진실탐구, 성실봉사, 해양개척 ) 1999. 11. 02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승인
2000. 01. 01 목포해양대학교 학생군사교육단(ROTC) 창설 2001. 07. 26 목포해양대학교해양산업대학원 신설승인(입학정원 30명) 2001. 09. 01 대학조직 개편(본부 4과, 대학원, 부속시설 10개) 2003. 04. 25 실습선 새누리호 취항(4,701톤, 승선인원 208명)
[편집] 개설학부
1. 해사계열
졸업후 승선을 의무복무로 하고 재학시 국가의 재정지원을 받는 학부이다. 항해학을 전공하는 운송시스템공학부와 기관학을 전공하는 기관공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2. 공학계열
일반공과대학으로 해양관련분야에 특화되어 있다. 전자통신분야를 전공하는 해양전자통신공학부와 해양관련 공학을 전공하는 해양시스템공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1) 해양시스템공학부
현재 조선, 토목, 환경의 3개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공은 1학년의 교양과정을 마친 후 2학년에 진학하면서 전공을 선택하게된다. 각 전공은 독립적으로 운영되나 학문의 특성상 토목전공과 조선전공은 공통점이 많다. 현재 토목전공과 환경전공은 약 3일간의 승선실습을 필수로 하고 있으며 조선전공은 1개월정도의 승선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
[편집] 바깥 고리
![]() |
이 문서는 대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