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톨릭대학교 | |
{{{그림}}} | |
표어 | 가톨릭 정신에 입각한 진리, 사랑, 봉사 |
설립 | 1855년 |
종류 | 사립 |
총장 | 임병헌 |
학장 | {{{학장}}}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기도 부천시 |
캠퍼스 | {{{캠퍼스}}} |
학생 수 | 학부: {{{학부}}} |
학생 수 | {{{학생수}}} |
교수진 | {{{교수진}}} |
상징 | {{{상징}}} |
기타 설명 | {{{기타}}} |
웹사이트 | http://www.cuk.ac.kr/ |
가톨릭대학교는 1855년에 개교한 최초의 기독교계 사립대학교이다. 1368년 개교한 성균관대학교 다음으로 역사가 깊은 대학교이며, 1995년 성심여자대학교와 통합하여 종합대학교가 되었다. 한국 최초의 멀티캠퍼스 체제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에 성신교정,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에 성의교정,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에 성심교정이 있다.
목차 |
[편집] 대학의 연혁
- 가톨릭대학
조세프 메스트르신부가 충청북도 제천시에 '성요셉신학교'를 세운 것이 시초다. 초대 교장으로 C. Pourthie 신부가 취임한다. 최초의 크리스트교계열 신학교이다.
병인박해로 인해 교장과 교수신부들이 순교당하자 신학교 교육이 중단되었다.
강원도 원주시 부엉골에 '예수성심신학교를 재건하여 2대 교장 L. Liouville신부가 취임한다.
현재 성심여자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 4가으로 이전하였다.
예수성심신학교를 대신학교와 소신학교로 분리하여 소신학교를 남대문상업학교(현재의 동성고등학교)에 둔다.
소신학교의 이름이 동성신학원으로 개칭된다.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저동1가 39번지에 성모병원을 개원한다. 초대 원장으로 박병래박사가 취임한다.
일제의 핍박으로 인해 용산의 예수성심신학교가 폐교되어 베네딕토회가 운영하던 함경남도 덕원의덕원신학교로 통합이 되었다.
파리외방선교회가 가지고 있던 혜화동의 옛 베네딕토회 백동수도원 부지와 용산의 예수성심신학교 부지를 교환하기로 합의 하였 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이 위치한곳이다.)
1945년 5월
일제의 핍박으로 인해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지금의 대구가톨릭대학교)가 폐교되어 예수성심신학교로 통폐합이 되었으며 교명을 [[경성 천주공교신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1947년 4월 30일
성신대학으로 교명이 개정되고 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초대 학장에 장금구신부가 취임하였으며, 천주공교신학교의 예과와 소신학교를 분리하여 성신중학교를 개설한다. 초대 교장으로 한공렬신부가 취임한다.
1951년 1월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지금의 제주도 제주시 서흥동으로 학교가 피난한다.
1951년 2월
학교가 제주 신성여자중학원(현재의 신성여자고등학교)로 이전한다.
1951년 4월
학교가 부산 영도로 이전했으며, 성신중학교는 밀양으로 이전한다.
1953년 9월
학교가 서울 혜화동 교사로 복귀한다.
-성신대학 의학부가 증설 인가 되었다. 정원은 300명이었고 입학정원은 50명이었다. 의예과 2년, 의학과 4년으로 구성이 되었다. 명동성당 소속 2층 기와건물을 할양받아 사무실과 강의실로 쓰였다.
-약현성당(지금의 중림동 성당)에 성요셉간호기술학교가 개교하였다.
-의학부 부속병원으로 중구 저동1가 1번지 소재 성모병원(대지 1,008평, 건물 3동 603평, 병상수 120개)을 제1부속 성모병원으로, 서대문구 중림동 149번지 소재 성요셉자선병원(대지 2,300평, 건물 3동 740평, 병상수 98개)을 제2부속 자선병원으로 재단에서 이양받음.
-의학부 제 1 부속성모병원이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가 1번지 소재(현재, 가톨릭회관)에 신축기공하였다.
-성신대학이 가톨릭대학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대학원 석사과정이 인가 되었다. 신학부 10명, 의학부 10명.
-의학부에 대학원 박사과정이 인가 되었다. 정원 10명.
-성 바오로 병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2동소재)이 제 2부속 병원으로 개원하였다.
-성요셉간호기술학교가 가톨릭대학 의학부 부속 간호학교로 승격하였다.
-가톨릭대학 의학부와 부속 병원들을 총괄하여 가톨릭중앙의료원(CMC)기구로 개편하였다.
-성모자애병원(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6동)이 제 3부속 병원으로 편입되었다.
-성가병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동)이 제 4부속 병원으로 개원하였다.
-신학부에도 대학원 박사과정이 인가 되었다.
-가톨릭대학 의학부 부속 간호학교가 가톨릭대학교 의학부 간호학과로 승격하였다.
-혜화동 신학부 교사에 최초의 신학 연구소인 대학부설 한국 교회사 연구소(초대 소장: 최석우신부)가 설립되었다. 최석우신부가 [[절두산 순교성지]]로 자리를 옮김에 따라 연구소도 같이 이전한다.
-성 빈센트 병원(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지동 소재)이 제 5부속 병원으로 개원하였다.
-의학부 명동교사가 경운동으로 이전한다.
-신학부에 교직과정이 설치되었다. (전공: 윤리, 부전공: 영어)
-가톨릭산업재해병원(서울특별시 중구 저동2가 2-1번지 소재, 지금의 평화방송건물)이 제 5부속병원으로 개원하였다.
-신학부에 수업을 개방하여 일반 평신도들의 입학을 허용하였고, 전 과목을 청강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남녀공학이 되었다.
-신학부 학생지인 성신학보가 창간되었다.
-대전성모병원(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 소재)이 제 6부속병원으로 편입되었다.
-의정부성모병원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 소재)이 제 7부속병원으로 편입되었다.
-성신학보가 가톨릭대학보로 명칭을 바꾸고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강남성모병원(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소재)가 제 8부속병원으로 개원하였다.
-신학부의 교직과정이 폐지되었다.
-신학부 학칙 개정. 입학 자격에서 <교회법> 제1362조에 따라 "성직 희망자는 남자로서 원칙적으로 영세한 후 만 3년 이상이 경과한 자라야 한 다"(제11조)는 규정 삽입
-의학부가 경운동교사에서 반포동으로 이전하였다. 그래서 강남성모병원이 가톨릭중앙의료원의 중앙병원이 되었다.
교황 요한바오로 2세가 한국천주교회 창설 200년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내한하여 가톨릭대학을 방문하였다.
예수성심신학교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대학 재단이었던 재단법인 경성구 천주교회 유지재단이 재단법인 서울대교구 천주교회 유지재단으로 개칭되었다.
-명동소재 성모병원이 여의도로 신축 이전 개원하였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소재)
-가톨릭대학 출판부가 독립하였다.
-김인순 루갈다 여사가 기증한 2,026점의 민속유물과 가톨릭 유물들을 정리하여 혜화동 신학부 교사안에 박물관이 설치되었다.
-가톨릭대학이 가톨릭대학교로 교명이 개칭되었으며 초대 총장으로 최창무 신부가 취임하였다.
-신학부가 신학대학으로 의학부가 의과대학으로 편제를 변경하였다.
1994년 9월
-가톨릭대학교의 재단인 재단법인 서울대교구 천주교회 유지재단에서 교육기관이 분리되어 학교법인 가톨릭학원이 설립되었으며 초대 이사장으로 김수환추기경이 취임하였다.
1994년 11월 가톨릭대학교와 성심여자대학교가 통합한 '가톨릭대학교'가 교육부에 인가되었다.
- 성심여자대학교
성심수녀회수녀들에 의해 강원도 춘천시에 성심여자대학이 설립되었다. 바바라 니콜스 수녀가 초대 학장에 취임했다.
성심여자대학 부천분교가 설립되었다.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역곡2동 소재)
성심여자대학 춘천본교가 폐쇄되고 부천분교로 통합되었다.
성심여자대학이 성심여자대학교로 교명이 개칭되었으며 초대 총장으로 박정미 수녀가 취임하였다.
1994년 11월
가톨릭대학교와 성심여자대학교가 통합한 '가톨릭대학교'가 교육부에 인가되었다.
- 통합'가톨릭대학교'
1995년 3월
-가톨릭대학교와 성심여자대학교가 통합하여 통합 '가톨릭대학교'가 출범하였다.
-초대 총장에 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주교인 강우일 주교가 취임하였다.
-신학대학이 위치한 혜화동 교정을 '성신교정'으로 의과대학이 위치한 반포동 교정을 '성의교정'으로 그 외의 종합대학이 위치한 부천교정을 '성심교정'으로 개칭하여 멀티 캠퍼스 체제를 수립하였다.
-의과대학 간호학과가 간호대학으로 승격되었다.
-7개 단과대학, 25개 학과 체제.
1995년 10월
-신학대학 부속 학과였던 '철학과'가 '인문과학대학'소속으로 이전하였다.
-학과 통폐합으로 학부제가 실시되었다.
-7개 단과대학, 13개학부, 6개학과로 개편
1998년 6월
-이사장 김수환추기경의 은퇴로 인해, 제 2대 이사장으로 서울대교구 교구장인 정진석대주교가 취임하였다.
1998년 11월
4개 단과대학이 폐지되고 3개 단과대학, 13개 학부, 5개 학과로 개편
-제 2대 총장에 최승룡 신부가 취임하였다.
-3개 단과대학 12개 학부 5개 학과로 개편
-제 3대 총장에 오창선 신부가 취임하였다.
-3개 단과대학, 13개 학부, 8개 학과로 개편
-제 3대 이사장으로 서울대교구 보좌주교인 이한택주교가 취임하였다.
-3개 단과대학 15개 학부, 8개 학과로 개편
-이사장 이한택주교가 신설된 천주교 의정부교구 교구장으로 전임됨에 따라 서울대교구 교구장인 정진석대주교가 4대 이사장으로 취임
-제 4대 총장 임병헌 신부 취임하였다.
[편집] 이념
- 건학이념
- "인간존중의 대학"
- 교육이념
- 가톨릭정신에 바탕을 둔 “ 진리ㆍ사랑ㆍ봉사 ”
[편집] 학교현황
- 학부생현황
-성신교정:223명
-성심교정:6,933명
-성의교정:942명
총: 8,098명
- 대학원생현황
-일반대학원:1,115명
-사회복지대학원:246명
-행정대학원:50명
-문화영성대학원:55명
-보건대학원:169명
-임상치과학대학원:61명
-교회음악대학원:12명
-상담심리대학원:148명
-경영대학원:31명
-교육대학원:347명
-의료경영대학원:81명
-임상간호대학원:105명
총:2,420명
[편집] 개설학과
- 성신교정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신학과
- 성심교정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역곡2동)
1.인문과학예능계열
-종교학과
-음악과
2.사회과학계열
-법학부(법학전공)
-경영학부(경영학전공, 회계학전공)
-특수교육과(사범계열)
-심리학과(야)
3.국제계열
-국제학부(국제관계학전공, 국제통상학전공, 미국학전공, 중국학전공)
4.자연생활계열
-생활과학부(아동학전공, 소비자주거학전공, 의류학전공, 식품영양학전공)
5.공학계열
-컴퓨터정보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정보시스템공학전공)
-정보통신전자공학부(정보통신공학전공, 반도체시스템공학전공)
-디지털문화학부(디지털문화컨텐츠전공, 멀티미디어시스템전공)
- 성의교정(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4동)
-간호학과
[편집] 부속병원
1. 성모병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 강남성모병원(서울특별시 강남구 반포동)
3. 의정부성모병원(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
4. 성가병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동)
5. 성바오로병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2동)
6. 성모자애병원(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6동)
7. 성빈센트병원(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지동)
8. 대전성모병원(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
- 2009년을 목표로 강남성모병원 인근에 국내에서 가장 많은 병상의 새 병원을 짓고 있다.
- 인천 성모자애병원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6동에서 인천광역시 서구 연희동으로 이전할 준비를 하고 있다.
[편집] 바깥 고리
![]() |
이 문서는 대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