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 1976년 1977년 1978년 - 1979년 - 1980년 1981년 1982년 |
연대 1950년대 1960년대 - 1970년대 - 1980년대 199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목차 |
[편집] 사건
- 1월 16일 - 이란 국왕, 이집트로 망명.
- 3월 28일 - 미국 스리마일섬 원자력발전소 사고.
- 4월 1일 - 이란 이슬람 공화국 의 성립.
- 8월 13일 - 중화인민공화국, 산아제한 정책 발표
- 8월 25일 - 태풍 주디호, 대한민국의 남부 지방을 강타해 130여명 사망.실종
- 8월 27일 - IRA의 폭탄 테러로 마운트배튼 경 외 3명이 아일랜드 슬리고에서 사망했다. 그리고 북아일랜드 워런포인트에서 18명의 영국군이 사망했다.
- 9월 1일 - 파이오니어 11호가 토성을 처음으로 방문한 탐사선이 되다.
- 9월 6일 -
소비에트 연방의 지하 핵실험으로 시베리아에서 강도 7.1의 지진 기록
- 9월 18일 -
세인트루시아,
국제 연합 가입
- 9월 18일 -
대한민국, 국산 디젤 기관차 운행 개시
- 10월 4일 - 신민당 총재 김영삼이 국회의원직에서 제명되다. 이 사건은 부마 항쟁으로 이어지게 된다.
- 10월 5일 - 루홀라 호메이니(Ayatollah Khomeini)가
미국을 "대악마"로 선언하다.
- 10월 7일 -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 파리서 의문의 실종
- 10월 13일 - 마거릿 대처, 영국 역사상 처음으로 여성으로서 수상이 됨.
- 10월 13일 - 신민당과 통일당 의원 79명, 국회의 신민당 김영삼 총재 변칙 제명에 항의하여 의원직 사퇴서 제출
- 10월 15일 - 부마항쟁이 시작됨.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정희 사망.
- 11월 6일 - 계엄사, 박정희 대통령 살해사건 전모 발표
- 11월 26일 - 계엄사, YWCA 사건 발표. 이 사건은 결혼식을 위장하여 민주 세력들이 대통령의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선출을 반대한 시위 사건임. 총 96명을 포고령 위반이라는 이유로 검거
- 11월 26일 - 국제올림픽위원회, 중국의 올림픽 복귀 결정
- 12월 6일 - 대한민국 제 10대 최규하 대통령 취임.
- 12월 12일 - 12·12 쿠데타
[편집] 문화
[편집] 탄생
- 1월 3일 - 일본의 성우 다나카 리에
- 1월 8일 - 대한민국 축구 선수 설기현
- 1월 9일 - 일본의 가수 반 도미코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보영
- 2월 7일 - 일본의 성우 이시게 사와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나영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조용준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최희섭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연예인 노홍철
- 4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수영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효리
- 5월 30일 - 일본의 성우 쿠기미야 리에
- 6월 18일 - 일본의 성우 고바야시 유미코
- 6월 21일 - 일본의 배우 유민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지원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연예인 하하
- 11월 1일 - 일본의 성우 에노모토 아츠코
[편집] 사망
- 7월 8일 - 일본의 물리학자 도모나가 신이치로.
- 7월 25일 - 미국 작가 알렉산더 케이
- 10월 22일 - 프랑스 작곡가 나디아 불랑제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제 5~9대 대통령, 군인 박정희.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차지철.
[편집] 노벨상
- 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테레사 수녀.
- 화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