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경선(江景線)은 충청남도 논산시의 강경역과 연무대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호남선의 지선이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9.0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 역 수: 3
- 복선 구간: 강경~채운(호남선 공유구간?) 3.2km
- 전철화 구간: 강경~채운(호남선 공유구간?) 3.2km
- 보안 장치: 자동폐색, ATS-S
[편집] 역 목록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강경 | Ganggyeong | 江景 | 0.0 | 0.0 | 호남선 | 충청남도 | 논산시 | |
채운신호장 | Chaeun | 彩雲 | 3.2 | 3.2 | 호남선 | |||
연무대 | Yeonmudae | 鍊武臺 | 5.8 | 9.0 |
[편집] 노선 특징
강경에서 채운간의 노선은 호남선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채운~연무대 구간이 고유의 노선이나, 영업거리표상에서는 강경역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
강경선을 정기운행하는 열차는 전무하다. 다만 동 지역에 위치한 군 훈련소가 유발하는 화물과 여객이 있기 때문에 임시열차가 종종 운행한다.
[편집] 역사
[편집] 개요
강경선은 1958년에 처음 건설되었다. 당초 훈련소에 출입하는 인원을 위하여 군과 협력하에 건설되었으나, 당시 부족한 인프라로 인해 교통에 불편을 겪던 면회객을 위하여 일반 여객수송도 병행하여 이루어졌다. 이후 이러한 여객 수송은 폐지되었으나, 훈련소발착의 교통량이 있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편집] 연혁
[편집] 관련 항목
코레일의 노선 목록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