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점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P155) 세류 | (P156) 병점 | (P157) 세마 | 천안 방면 |
서울역 방면 | (P154) 수원 | (P156) 병점 | (P159) 오산 | 천안 방면 |
용산 방면 | (P154) 수원 | (P156) 병점 | (P159) 오산 | 천안 방면 |
병점 | |
---|---|
역 정보 | |
노선 |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진안동 824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혼합식 (2면 6선) |
전화번호 | 031-234-7788 |
GPS 좌표 | {{{GPS}}} |
병점역(餠店驛, Byeongjeom)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있는 역이다. 부역명은 한신대(韓神大)이며, 한신대학교 이외에도 많은 대학이 밀집하고 있다.
인근에 병점차량기지가 있어서 전동차의 시종착역으로 쓰이며,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는 이 역까지만 운행한다. 또한, 이 역부터 천안역까지는 서울발 급행과 용산발 급행의 정차역이 똑같다. 인근에 동탄신도시가 개발되고 있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 : 무작위
[편집] 출구 정보
[편집] 역사
[편집] 승차량 변동
개통 이후 지속적으로 승객량이 증가하고 있다. 주변 지역의 밀도 증가와 더불어 2005년 초에 있었던 수도권전철 경부선의 연장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8494 | 9502 | 10854 | 11370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수도권 전철 1호선 | 화성시의 전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