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리터의 눈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리터의 눈물》(일본어: 1リットルの涙 이치릿토루노 나미다[*])은 한 명의 젊은 여성이 중학생 때 발병한 난치병과 싸운 실화를 기록한 서적의 제목으로 영화,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목차 |
[편집] 개요
아이치 현 도요하시 시에 사는 기토 아야(木藤亜也, 1962년 7월 19일 ~ 1988년 5월 23일)는 중학교 3년 때, 갑자기 구르고 마는 등의 체의 부조리함을 호소하여 고세이카이병원에서 진찰받고, 그 뒤 의사로부터, 손발이나 말의 자유를 점차 뺏기고 몸의 모든 기능이 중단되고 마는 난치병 「척수소뇌변성증」를 진단받는다.
척수쇠뇌변성증은, 소뇌, 뇌간, 척추가 점차 위축하는 질환으로, 원인은 지금도 거의 불명이다. 젓가락도 쓰기 힘들어지고, 자주 구르는 증상증에서 시작해, 진행함에 따라 걷지 못하게 되거나, 글씨를 쓸수 없게 된다. 마지막으로는 말도 못하게 되어, 자기만 하게 되어, 아주 안좋은 경우는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소뇌, 다리, 척추가 위축되어도 대뇌는 정상으로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지식에는 전혀 장애가 없다. 즉, 몸이 부자연스럽게 되어가는 것을 자기자신이 확실히 의식하게 되고 만다. 그 의미로 이 병은 아주 잔혹한 병이다. 그녀는 몸의 자유가 없어지는 것과 자신의 의식이 변하지 않는 현실의 좁은 사이에서 살아남아 간다.
그녀가 투병중에 손이 움직여지지 않을때까지 쓴 일기를 정리하여 1986년, 나고야 시의 출판사에서 출판하였다. 아이치 현등, 도카이 지방를 중심으로 커다란 반향을 불러, 2005년 2월에는 겐토샤가 문고책으로서 출판. 합계 120만부를 넘은 배스트셀러가 되었다.
1988년 5월 23일, 기토 아야는 척수소뇌병성증의 진행에 따라 쇠약해져, 거기에 따라 요독증에 의해 25년의 짦은 삶을 마쳤다. 그 뒤, 아야의 어머니인 기토 시오카가 딸과의 추억을 쓴 단행본 「생명의 손잡이」가 출판되었다.
덧붙여, 「1리터의 눈물」의 끝에는, 아야의 주치의였던 후지다 보건 위생 대학의 야마모토 히로코 교수의 회고가 기고되어 있다. 문고판에서는 시오카의 후기와 『추기』로서의 아야의 마지막의 모습이 실려있다.
2006년, NHK에서 「마음의 시대-1리터의 눈물에서 20년」이 방송되었다.
[편집] 영화
1리터의 눈물의 영화판은 2004년에 제작되었고, 문부과학상을 수상했다.
2005년 2월 10일에 극장 이케부쿠로에서 공개되었으며, 지방의 공민관 등을 중심으로 1년이라는 오랜 시간동안 공개되었다. (2006년 현재도 계속 상영하고 있는 지방이 있다) 비디오와 DVD는 2006년 1월 21일 도에이 비디오에 의해 발매되었다.
촬영은 아야의 생활의 장이었던 도요하시 시로, 2004년 4월 29일부터 5월 26일까지 행해졌다. 실제로 아야가 다녔던 학교에서 촬영하는 등, 현지에 밀착한 작품이 되었다.
드라마에서는 사와지리 에리카의 감정적 연기가 TV 시청자에게 평가된 것에 비해, 본 작품에서는 오니시 아사에의 척수소뇌변성증을 훌륭하게 몸으로 표현한 연기가 영화의 관객에서 평가되었다. 거의 연애물에서 드라마틱한 전개의 드라마에 견주자면, 이 쪽은 어디까지나 원작의 주요장면을 집어올린 진짜같은 작품이 되었다는 평을 받았다.
[편집] 배역
- 기토 아야 : 오니시 아사에
- 기토 시오카 : 가토 가즈코
- 기토 미치오 : 하마다미 미쯔오
- 아마모토 히로코: 도리이 카호리 - 아야의 주치의
- 아시카와 요시미
- 환자: 모리야마 슈이치로
- 환자: 하야미 료
오니시 아사에와 가토 가즈코는 드라마에서도 친자로 출연하였다. 모친인 기토는 한 장면에서 출연하였다. 고교에서의 촬영 장면에서는 아야가 실제로 다녔던 고교의 많은 재학생이 엑스트라로서 참가하였다.
[편집] 스테프
- 감독: 오카무라 치카라
- 제작: ALL OUT, 도에이, 도에이 비디오, 후지 TV
- 주제가: 가토 이쿠코「하늘로」(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 삽입곡: 오모리 요헤이「글라이더」(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 배급: 도에이
[편집] 촬영지
- 도요하시 시 내
- 아이치 현립 도요하시 양호학교 (실제로 아야는 오카자키 양호학교에 통학했다)
- 아이치 현립 도요하시 히가시 고등학교
- 도요하시 시민병원
- 도요가와 하천부지
- 도요하시 바이패스
- 아이치 현립 오카자키 양호학교
[편집] TV 드라마
[편집] 개요
하이비전이 제작한 후지 TV계의 2005년 가을계 드라마로서 2005년 10월 11일부터 12월 20일까지 매주 수요일 21:00~21:54(제1화는 ~22:04, 마지막 화는 ~22:09)에 방송되었다. 아오모리 방송는 토요일 12:00~12:54로 약 3개월 늦다.
후지 TV가 2005년 가을, 눈물과 감동을 선사하는 휴먼 드라마로서 제작.
오프닝은 아야가 썼다고 생각되는 일기에 쭈굴쭈굴하게 뭉처진 1장의 종이가 펼쳐저, 그 위에『눈물』이 몇 방울이나 떨어져, 드라마의 타이틀이 떠오르도록 한 것. 그 뒤, 1권의 공백에 마주보는 2쪽 분량의 필적이 비춰진다. 내용은 모두 격려하는 메시지이다.
오프닝은 교실이나 병원의 진료실 또는, 방영한 에피소드에 관련된 풍경이나 들의 풀과 꽃이나 하늘을 찍은 사진과 함께, 기토 아야의 살아온 일의 사진이 찍혀나온다. 또, 제7화에서, 아야가 써남긴 작문이 원문인채로, 텔레비전 오페이크 프로젝터로 소개되도록 되었다(※제6화까지는 그녀가 쓴 공책에 적었던 문장이 비칠 뿐이었다). 마지막 화의 에피소드는 드라마의 메인테마에 맞춰 가족의 현재 근황도 소개하였다.
그리고, 주인공인 아야의 학교의 합창 과제곡으로, 레미오 로멘의「3월 9일」이 씌여, 오리콘 차트 랭크 밖에서 다시 랭크 안으로 올린다. 같은 삽입곡인 「싸락눈」도 최고2위를 기록하였다. 드라마에 맞는 애절한 곡조로, 분위기를 띄웠다.
일본 PTA 전국협의회의 여론 조사에서, 2005년의 「아이에게 보여주고픈 방송」의 1위에 빛났다. 오리콘집계의 『2005년 드라마 만족도 순위』에서는 『전차남』, 『드래곤 사쿠라』, 『노부타를 프로듀스』를 누르고 제5위에 빛나고, 주연의 사와지리 에리카는 이 드라마로 대 브레이크하였다..
또한, 유튜브등에서도 대량으로 관련 동영상이 올려져, 많은 코멘트가 달린 점에서 해외에서도 아주 인기가 높고, 특히 홍콩에서는 실제로 2006년 10월 15일에서 12월 30일까지 방송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편집] 원작과 영화의 차이점
- 실화에서는 1980년대의 아이치 현 도요하시 시에 사는 소녀의 투병기지만, 드라마에서는 아야가 통학한 동고(도요하시 히가시 고등학교)이「메이와 다이토 고교」(지바 시에 있는 고교가 촬영지)로 되어있다. 또, 전학한 양호학교는 현립 오카자키 양호학교에서「카주시립 카주 양호고교」(도쿄 도에 있는 양호학교가 촬영지)로 되어있다. 그리고, 1980년대에는 옛날에 취급되지 않은 휴대폰이 연락도구가 되어 있어, 다이어식이었던 공중전화가 부스식으로 바꾸어서, 아야의 장애의 진행과 비극성을 여실하게 표현했다.
- 가족의 성씨가「이케우치」로 바뀌었다.
- 아버지·미즈오는 두부 가게를 경영하고 있지만, 실화에서는, 아버지·기토 미즈오는 직장에 통근하고 있다(『생명의 손잡이』에서).
- 실화에서는 5인 남매(2나 3여)지만, 드라마에서는 4인 남매(1남3여)이다. 이건 차남인 겐타로가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 주치의도 여성에서 남성으로 바뀌었다.(이건 후지키 나오히토를 특별출연시키기 위해서라고 생각됨.)
- 저서에 없는 연인역의 남성 반 친구의 설정이 있다. 이것은 드라마화에 맞춰, 「아야에게도 연애를 하게 해주고 싶었다.」라고 한 모친의 바람을 후지 TV 사이트가 그린 것이다. 덧붙여, 하루토는 생물부에 소속되어 있지만, 원작에서도 생물부에 소속된 생도가 등장하기에 완전 독자적인 등장인물이지는 않다(자세한 것은 배정을 참조).
- 아야가 화장실에 가려고 침대에서 휠체어에 옮겨 갈때 굴러 떨어져 오줌을 누고만 참에 하루토이 병실에 들어와 버린 장면이있다 .
- 주인공이 태어난 해를 1989년에 설정했기에, 미래에 일어난 일로 하지 않기 위해 양호학교에 전학한 때 이후의 시간축은 애매해졌다(20세의 시점에서는 2009년이며 고치면 사망한 시점이 2014년이 되고 만다). 이케우치 아야가 「장애자 수첩」에서는 생년이 「쇼와 원년」으로 되어 있어, 물론「헤세이 원년」이 올바르다. 이케우치아 야가 양호학교를 졸업한 것은 2008년, 즉 헤세이 20년 3월이 되어, 이것은 2007년도 말이기에, 졸업식 장면에서는 「헤세이 17년도」라고 적혀있다. 제1화 머릿글에서 시오카가 읽은 아야의 마지막 일기는 「2015년」가 되어 있어, 마지막 화에서의 아야의 마지막이 2015년으로, 마지막 장면의 성묘는 일주기의 설정이기에 2016년이 무대이다.
[편집] 배역
※ 괄호안은 등장인물의 연령. 화살표 뒤의 연령은, 드라마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한 때의 연령을 드라마의 시간축를 기초로 계산하였다.
- 이케우치 아야(15세→20세)(사와지리 에리카)
- 주인공으로 활발하고 적극적으로 누구에게도 사랑받는다. 집의 두부가게 돕기도 확실히 하는 마음이 상냥한 우등생으로 중학교 시절부터 농구를 하였다. 고교수험을 치룬 2005년 3월, 15세라고 하는 젊은 나이에 척수소뇌변성증이 발병하였다. 병이 진행해가면서 여러가지 일에 갈등하여, 눈물을 흘리면서도, 병과 운명에 맞선다. 절망에 打ちひしがれるなか 어머니인 시오카에게 설득되어, 『일기(=문장)을 쓴다』 일로 자신의존재의 식을 내보여,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라고 줄곳 바라였다. 마지막 화에서 25세의 나이로 영원한 잠에 빠진다.
- ※여기서는 5년 후(=아키의 마지막)를 연기한 인물이 사와지리 본인인지 누구인지 일부에서 의문스러워한 탓에 , 20세로 하였다.
- 이케우치 시오카(40세→51세)(야쿠시마루 히로코)
- 아야의 어머니로 보건사. 주부로서 다른 사람의 아이를 돌봐주는 착실한 사람으로 총명하고 자비심이 깊은 여성이다. 허나, 때론 엄격한 일면도 보인다. 병이 점차 진행해 가는 아야와 마주하는 가운데 불안과 갈등를 품으면서도, 보건사로서의 지식과 어머니로서의 애정과 용기로 가족과 함꼐 아야를 열심히 계속 지지한다. 마침내, 그녀의 말이 아야의 인생에 커다란 방향성을 끼치게 된다.
- 아소 하루토(15세→20세) (니시키도 료(関ジャニ∞, NEWS)
- 아야의 반 친구로 연인으로 생물부 소속, 혼자 생각하고 혼자 행동에 옮기는 타입이다. 서투르고 완고한 성격은 아버지를 닮았다. 어떤 사고를 계기로 아버지와 대립하고, 굳어진 마음을 닫았지만, 아야와 관계해 가면서 그녀를 사랑하고, 곁에서 일편으론 그녀를 지키게 된다. 그 생각과 행동은 마침내, 그의 나아가야할 길을 결정짓게 된다.
- ※생물부의 쥐를 아주 좋아하는 소녀, 학교 건너편에 있는 과자가게의 아주머니 등, 실제로 기토 아야에게 상냥하게 대한 사람들을 모델로 하고있다. 그리고, 일기에 쓰인 아야의 마음의 목소리를 대신하여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역활도 맡고 있다.
- 이케우치 아코(13세→18세)(나루미 리코)
- 아야의 여동생. 제2차 반항기에 한중간으로, 아버지인 미치오에게 시비거는 말투를 쓴다. 오렌지를 아주 좋아하고 그림 그리기가 특기. 아야의 병세가 진행하는 것과 비례하여, 원래의 상냥한 성격을 겉으로 내보여가게 된다.
- 이케우치 히로키(11세→16세)(사나다 유마(제니스 주니어))
- 아야의 남동생으로 축구를 하고 있다. 아야의 병에 대해 눈치챈적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활발한 성격의 건강한 소년.
- 이케우치 리카(5세→10세)(미요시 아이)
- 아야의 여동생으로 어린 시절에는「리카도」가 입버릇이었다. 아코와 똑같이 그림에 재능이 있다.
- ※성장에 따라, 제10화와 제11화는 미요시 유키가 리카를 연기했다.
- 가와모토 유지(17세)(마쓰야마 겐이치)
- 아야의 중학교시절부터의 동경하는 선배으로 남자 농구부에서 소속하고 있다. 그 자신도 아야에게 눈을 두고 있었지만…….
- 니시노 요미(30세)(사토 시케유키)
- 아야의 히가시 고에서의 담임으로 여자 농구부의 고문. 명랑쾌활하고 학생에게도 존경받고 있지만, 안이한 주의로 안일한 일면도 보인다.
- 스기우라 마리(15세→18세)(고이데 사오리)
- 아야의 급우로 아야의 중학교 시절부터의 친구. 여자 농구부에 소속한다.
- 마쓰무라 사키(15세→18세)(마쓰모토 카나)
- 아야의 동급생으로 같은 반으로 같은 부에 들어가면서, 아야들과 사이좋게 된다.
- 혼다 가오리(15세→18세)(미즈타니 모모스케)
- 아야의 동급생으로, 하루토의 중학교 시절부터의 친구. 낙천가로 おちゃらけ者. 생물부에 소속하며, 아야들과 교류를 깊이하게 된다.
- 나카하라 게이타(15세→18세)(하시즈메 료)
- 아야의 급우로, 진지함을 그림에 그린듯한 성격의 소유자. 생물부에 소속하며, 생물에 대해 범상치 않은 조예를 품고있다.
- 아소 간바시문(50세→55세)(가쓰노 히로시)
- 하루토의 아버지. 아야가 생애를 신세를 지는 쇼난대부속병원에서 외과부장을 맡고 있다. 고지식하고 완고하고 서툰 성격이다. 어떤 사고로 하루토와 거리를 두게 되었지만, 항상 하루토를 걱정하고 있다. 후에 하루토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인물중 한명이다.
- 다카가와 아스미(16세→17세)(오니시 아사에)
- 아야의 양호학교의 반친구로, 기숙사에서는 아야와 같은 방이다. 아야보다 한살 연상으로, 미즈노의 원래 환자이며 14세 떄 척수소뇌변성증이 발병했다. 제7화와 제9화에 등장하여 아야이상으로 병세가 진행되어 있어, 천성인 해맑음과 다부짐으로 병과 어울리고 있다. 아야의 좋은 친구이자, 좋은 선배이며, 좋은 언니기도 하다.
- 다카가와 기쿠에(?)(가토 가즈코)
- 아스미의 어머니로 제7화에 등장한다. 같은 병으로 앓는 딸을 가진 모친의 『선배』로서 미즈노의 소개로 양호학교를 방문한 시오카를 격려한다
- ※아스미를 연기한 오니시와 기쿠에를 연기한 가토는 위의 내용대로 영화에서 아야와 시오카를 연기하여, 드라마에서는『게스트』란형태로 출연하였다.
- 후지무라 마도카(?)(하마오카 마야)
- 아야의 양호학교에서의 담임. 제9화와 제10화에 등장.나날이 진행해 가는 병세와 장해를 받아들이기를 두려워하는 아야에게 있어 엄한 말도 하지만, 그것은 그녀가 양호학교의 교사로서. 니시노보다도 젊지만, 그 이상으로 아야를 인정하고, 마음에서 받아들였다. 10화에서 다카노와 결혼하였다.
- 다카노 요시이치(?)(도네사쿠 도시히데)
- 양호학교의 자원봉사자로, 마도카의 연인. 제9화부터 마지막 화까지 등장하며, 본업은 「주식회사 문예연합출판」의 영업사원이다. 제10화에서 시오카의 근무처에 찾아와, 마도카와의 초대하는 동시에, 시오카에 어떠한 일을 의뢰한다. 그녀의 의뢰는 결국 아야의 마음으로부터의 바람을 실현하고 된다.
- 미즈노 히로시(33세→44세)(후지키 나오히토(특별출연))
- 아야의 담당의사로 쇼난대학부속병원의신경내과에서 근무한다. 척수소뇌변성증의 치료와 연구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아야와 양친을 지지해 가는 한편, 그 자신도 열심히 병에 맞서는아야의 모습에 영향을 받아간다. 하루토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인물중 한명이다.
- 이케우치 미치오(45세→56세) (진나이 타카노리)
- 아야의 아버지로 두부 가게의 가게주인. 곧은 성격으로 단순하고 배짱이 두둑한 한편, 애같은 면이 있어, 정에 무른 일면을 가진 순수한 변두리 태생이다. 시오카나 아이들과 함께 아야를 지지하며, 아버지로서 그녀를 줄곳 지켜본다. 이케우치 가에서 아야 다음으로 묘사가 많았던 인물이다.
[편집] 스테프
- 각본: 에가시라 미치오, 오시마 사토미, 요코다 리에
- 기획: 세키야 마사유키(후지 TV), 나카무라 유리유코(후지 TV)
- 프로듀서: 가사카와 사토코(교토 TV)
- 연합 프로듀서: 오구라 히사오(교토 TV), 에모리 히로코 (교토 TV)
- 연출: 무라카미 쇼스케(교토 TV), 기노시타 다카오(교토 TV)
- 음악: 우에다 스스무
- 주제가: K「Only Human」
- 삽입곡: 레미오로멘「싸락눈」, 「3월 9일」
- 제작: 후지 TV, 교토 TV
[편집] 부제목과 방영일, 시청률
방영 화수 | 방송일자 | 부제목(원어) | 부제목(풀이) | 시청률 |
---|---|---|---|---|
제1화 | 10월11일 | ある青春の始まり | 어느 청춘의 시작 | 13.5% |
제2화 | 10월18일 | 15才, 忍びよる病魔 | 15살, 숨어드는 병마 | 15.1% |
제3화 | 10월25일 | 病気はどうして私を選んだの? | 병은 어째서 날 고른걸까? | 13.5% |
제4화 | 11월01일 | 二人の孤独 | 두 사람의 고독 | 12.3% |
제5화 | 11월08일 | 障害者手帳 | 장애자 수첩 | 14.6% |
제6회 | 11월15일 | 心ない視線 | 마음없는 시선 | 15.2% |
제7회 | 11월22일 | 私のいる場所 | 내가 잇는 장소 | 16.2% |
제8회 | 11월29일 | 1リットルの涙 | 1리터의 눈물 | 15.4% |
제9회 | 12월06일 | 今を生きる | 지금을 살아간다 | 15.5% |
제10회 | 12월13일 | ラブレター | 연애편지 | 16.6% |
제11회 | 12월20일 | 遠くへ, 涙の尽きた場所に | 먼 곳으로, 눈물이 다하는 곳으로 | 20.5% |
- 평균 시청률 15.3%
최종회에서는 20% 넘기를 달성했다. 또, 최종회 22시의 아야와 하루토의 장면에서는 순간 최고 시청률은 25.8%를 찍었다.
[편집] 서적
- 『1리터의 눈물~난치병과 싸워온 소녀 아야의 일기~』 (기토 아야 저 · 겐토샤 문고 ISBN 4344406109)
- 『생명의 손잡이~「1리터의 눈물」엄마의 수기~』 (기토 시오카 저 · 겐토샤문고 ISBN 4344406117)
- 『마지막 편지~「1리터의 눈물」아키의의 58통의 편지~』 (기토 아야 저 · 겐토샤 ISBN 4344010337)※문고판은 ISBN 4344407709
- 『1리터의 눈물~난치병과 싸워온 소녀 아야의 일기~』 (기토 아야 저 · FA 출판단행본 ISBN 4900435260)
- 『생명의 손잡이~「1리터의 눈물」엄마의 수기~』 (기토 시오카 저 · FA 출판 ISBN 4900435783)
[편집] 촬영협력
- 도쿄대학 의학부부속병원
『87%』의 촬영에서도 협력하였고, 본 방송에서의 협력은 TV 드라마로서는 2번째이다. 봉건적이고 폐쇠적이었던 국립대학병원이 독립행정볍인화에 의해, 보다 국민에 가까운 존재로 탈피해 가는 모습의 상징이라고도 볼수 있다. 그 한편으로는 촬영협소는 비유하자면 사기업이 하는것도 같은 수익향상을 노린 선전 활동에 지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