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하철 3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산 지하철 3호선은 대한민국의 부산의 대중교통이다. 반송선과 수영선 합쳐서 총 31.0km이고 모든 역에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량의 전동차를 사용하며 전동차 칸을 나누는 문이 없다.
2005년 11월 28일 길이 18.3km의 수영선이 개통되었다. 미남역에서 갈라지는 반송선 지선이 계획되어 있으며, 경전철로 건설할 예정이다. 반송선 지선은 동래구, 해운대구 반여동과 반송동을 거쳐 기장군 안평까지 건설된다.
수영선은 수영역과 연산동역 사이, 연산동역과 덕천 사이를 연결해서 종전에 30분 이상 걸렸던 이 두 구간 사이의 시간을 대폭 단축하였다.
초기 수송량은 적은 편이었다.2005년 일평균 4만 7천명이 승차했으며 4만 4천명이 하차했다.[1]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편집] 수영선
- 총 연장 : 18.3km(영업연장 18.1km)
- 궤도 폭 : 1,435mm(표준궤)
- 운영
- 전동차 : 중형전동차(4량 1편성, 20편성 보유)
- VVVF-IGBT, 2M2T
- 한국형 표준전동차(국내최초 100% 국산화 모델)
- 총 17개 역, 1개 차량기지 운영
- 가전전압 : 직류 1500V
[편집] 반송선
- 총 연장 : 12.7km(미개통)
- 운영(미개통)
- 전동차 : 경전철(6량 1편성, 17편성 수주)
- 한국형 경량전철(K-AGT)모델 : 무인 운전
- 총 12개 역, 1개 차량기지 운영
[편집] 역 목록
[편집] 수영선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301 | 수영 | Suyeong | 水營 | ●부산 지하철 2호선 | - | 0.0 | 부산광역시 | 수영구 |
302 | 망미 | Mangmi | 望美 | 1.0 | 1.0 | |||
303 | 배산 | Baesan | 盃山 | 1.2 | 2.2 | 연제구 | ||
304 | 물만골 | Mulmangol | 1.1 | 3.3 | ||||
305 | 연산동 | Yeonsan-dong | 蓮山洞 | ●부산 지하철 1호선 | 1.1 | 4.4 | ||
306 | 거제 | Geoje-dong | 巨堤 | 0.7 | 5.1 | |||
307 | 종합운동장 | Sports Complex | 綜合運動場 | 0.7 | 5.8 | |||
308 | 사직 | Sajik | 社稷 | 0.8 | 6.6 | 동래구 | ||
309 | 미남 | Minam | 美南 | 0.8 | 7.4 | |||
310 | 만덕 | Mandeok | 萬德 | 3.3 | 10.7 | 북구 | ||
311 | 남산정 | Namsanjeong | 南山亭 | 1.1 | 11.8 | |||
312 | 숙등 | Sukdeung | 淑嶝 | 1.0 | 12.8 | |||
313 | 덕천 | Deokcheon | 德川 | ●부산 지하철 2호선 | 0.7 | 13.5 | ||
314 | 구포 | Gupo | 龜浦 | 경부선 | 1.1 | 14.6 | ||
315 | 강서구청 | Gangseo-gu Office | 江西區廳 | 1.6 | 16.2 | 강서구 | ||
316 | 체육공원 | Sports Park | 體育公園 | 1.1 | 17.3 | |||
317 | 대저 | Daejeo | 大猪 | 0.8 | 18.1 |
[편집] 역사
- 1997년 11월 25일 1단계 대저 ~ 수영 18.3km구간 착공
- 2003년 12월 3일 2단계 미남 ~ 안평 12.7km구간 착공
- 2005년 11월 28일 1단계 대저 ~ 수영 18.3km구간 개통
- 대저, 체육공원, 강서구청, 구포, 덕천, 숙등, 남산정, 만덕,
- 미남, 사직, 종합운동장, 거제, 연산동, 물만골, 배산, 망미, 수영 정거장(17개 정거장)
- 대저 차량기지(1개 차량기지)
[편집] 주석 및 참고 자료
부산 지하철 3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