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당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분당선(新盆唐線)은 수도권 전철 노선 중 하나로, 2010년 개통이 예정되어 있다. 1990년대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인해 백지화된 수도권 3기 지하철 11호선의 노선 중 일부를 조금 바꾸어 광역 전철로서 기획된 노선이다. 서울시에서는 이 노선을 광역B선으로 부르기도 한다.
목차 |
[편집] 노선
신분당선은 분당선 정자역에서 출발, 판교신도시를 거쳐 강남구 권역으로 진입한 후 용산역까지 가는 노선이다. 최종적으로는 용산역에서 경의선 복선 전철과 직결하여 광역 전철이 된다. 분당선이 성남시의 시가지를 지나는데 비해, 신분당선은 경부고속도로와 나란히 달린다.
그리고 정자역에서 광교신도시를 거쳐 화서역으로 가는 연장 노선도 계획되어있다.
[편집] 분쟁
- 서울시측에서 양재IC에 역을 신설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건설교통부에서는 예정된 포이역을 양재IC쪽으로 조금 옮겨 건설하는 계획을 세웠다.
- 차량 기지의 위치와 관련해서 경기대학교의 반발이 있다.
- 계획된 연장 노선을 동시에 개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정자역 뿐만 아니라 미금역도 신분당선과의 환승역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편집] 개통 계획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노선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수인선 | 경춘선 | |||
차량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2030호대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
분류: 진행중 | 수도권 전철 | 계획중인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