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블레스 오블리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블레스 오블리주(프랑스어: Noblesse oblige, IPA: /nɔblɛs ɔbliʒ/)란 프랑스어로 "귀족의 의무"를 의미한다. 보통, 부와 권력, 명성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함께 해야한다는 의미로 스인다. 이 말은 때로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목차 |
[편집] 로마
"고귀하게 태어난 사람은 고귀하게 행동해야 한다"는 뜻이다.
노블리스 오블리주는 과거 로마제국 귀족들의 불문율이었다.
초기 로마 귀족들은 솔선하여 명장 한니발의 카르타고와 벌인 포에니 전쟁에 참여하였고, 16년 간의 제2차 포에니 전쟁 중 13명의 집정관(Consul)이 전사하였다. 집정관은 로마의 관리 중에 최고위 관직으로 오늘날의 대통령과 비슷한 직위이다. 고대 로마에서는 자신의 재산을 들여 공공시설을 신축하거나 개보수한 귀족에 대해서 "아무개 건물" "아무개가 이 도로를 보수하다" 이런 식으로 귀족의 이름을 붙여주었는데, 귀족들은 이를 최고의 영광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법을 제안한 정치인의 이름을 따서 법의 이름을 만들었다.
- 아피아 가도 (Via Appia): "아피우스의 길" 이라는 뜻이다. 기원전 312년, 재무관이었던 아피우스가 입안하고 원로원이 가결하고 아피우스 자신이 총감독을 맡아서 건설한 길이다.
- 라티나 가도 (Via Latina)
- 티부르티나 가도 (Via Tiburtina)
- 노멘타나 가도 (Via Nomentana)
- 셈프로니우스 도로법: 셈프로니우스가 제안한 도로법
- 율리우스 농지법: 율리우스기 제안한 농지법
이렇듯 로마의 귀족들은 사회적인 의무를 충실하게 실천했으며, 나라에서도 장려책을 사용해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었다.
[편집] 미국
고대 로마의 노블리스 오블리주 전통은 현재 미국에도 전승되어, 미국 법령에 제안자의 이름이 들어가 "맥케인-파인골드법"(McCain-Feingold Act) 같이 법률명칭을 부른다던가, 철강왕 앤드류 카네기가 세운 카네기멜론 대학교, 은행가 존스 홉킨스가 세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식으로 설립자의 이름을 붙인 대학 등이 현재 미국에 존재한다. 또한, 미국은 로마와 같이 상업주의를 추구하며, 법률이 매우 발달해 있으며, 영향력은 전세계적인 점에서, 로마와 매우 닮았다. 원로원과 민회로 구성된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도 하원과 상원으로 모방하고 있다.
[편집]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사회 저명인사나 소위 상류계층의 병역기피가 매우 오래된 병폐로 잔존하고 있다. 또한 정훈이라고 하여, 군인 정신교육에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매우 강조하고 있으나 고대 로마와 로마를 따라하는 미국처럼, 법률 명칭이나 공공시설 명칭 등에 귀족의 이름을 붙여서 "혜택"을 부여하거나 해서, 귀족계층 내부의 유행을 일으키지는 못하고 있다.현재 대한민국에서 기증자의 이름을 붙인 유명한공공시설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딴 김대중 도서관이 있다.
[편집] 기타
현재 영국의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는 1945년 조국을 위해 봉사하고 싶다며,아버지 조지 6세의 허락을 얻어 또래 소녀들이 봉사하고 있는 영국 여자 국방군의 구호품 전달 서비스부서에서 군복무하였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초대주석인 마오쩌둥은 큰 아들이 한국전쟁때 전사하자 인민들과의 형평성을 우려하여, 시체수습을 거부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편집] 주석과 참고자료
- 시오노 나나미, 로마인 이야기: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한길사, 2002
[편집] 외부 링크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