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 2000년 2001년 2002년 - 2003년 - 2004년 2005년 2006년 |
|||
연대 1980년대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2020년대 |
|||
세기 19세기 20세기 - 21세기 - 22세기 23세기 |
|||
음력 | 첫날 | 끝날 | 대소 |
---|---|---|---|
1월 | 2월 1일 | 3월 2일 | 큰달 |
2월 | 3월 3일 | 4월 1일 | 큰달 |
3월 | 4월 2일 | 4월 30일 | 작은달 |
4월 | 5월 1일 | 5월 30일 | 큰달 |
5월 | 5월 31일 | 6월 29일 | 큰달 |
6월 | 6월 30일 | 7월 28일 | 작은달 |
7월 | 7월 29일 | 8월 27일 | 큰달 |
8월 | 8월 28일 | 9월 25일 | 작은달 |
9월 | 9월 26일 | 10월 24일 | 작은달 |
10월 | 10월 25일 | 11월 23일 | 큰달 |
11월 | 11월 24일 | 12월 22일 | 작은달 |
12월 | 12월 23일 | + 1월 21일 | 큰달 |
공휴일 | 날짜 | ||
신정 | 1월 1일(수) | ||
설날 | 2월 1일(토) | ||
삼일절 | 3월 1일(토) | ||
식목일 | 4월 5일(토) | ||
어린이날 | 5월 5일(월) | ||
석가탄신일 | 5월 8일(목) | ||
현충일 | 6월 6일(금) | ||
제헌절 | 7월 17일(목) | ||
광복절 | 8월 15일(금) | ||
추석 | 9월 11일(목) | ||
개천절 | 10월 3일(금) | ||
크리스마스 | 12월 25일(목) |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목차 |
[편집] 사건
-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가 일어나다 - 350명 이상 사망.
- 2월 25일 - 노무현(盧武鉉), 대한민국 제 16代 대통령으로 취임하다.
- 2월 27일 - 고건(高建)씨가 국무총리에 취임하다.
- 3월 19일 - 이라크 전쟁이 開戰하다.
- 4월 9일 - 이라크 전쟁: 美·英軍이 바그다드를 함락시키다.
- 8월 4일 - 정몽헌(鄭夢憲) 현대아산 이사회장이 투신자살하다. (對北 송금사건)
- 8월 5일 -현대자동차, 주5일 근무제 시행 등 노사협상 타결로 47일간의 파업 마감
- 8월 7일 - 한총련 소속 일부 대학생들, 경기도 포천 미군 사격훈련장 불법진입기습시위
- 8월 8일 - 대구에서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 화물열차와 추돌사고로 2명 사망 99명 부상
- 8월 10일 - 이탈리아에서 세계 최초 복제 망아지 ‘프로메테아’ 탄생
- 8월 11일 - 권노갑 민주당 전 고문, 현대 비자금 수수혐의로 긴급체포.
- 8월 11일 - NATO, 아프가니스탄에서 평화 유지 활동을 시작하면서 54년 역사에서 처음으로 유럽 외의 지역에서 작전을 개시했다.
- 8월 14일 - 서울 지방법원, 간첩누명 쓴 수지 김 유족에 42억 국가 배상 판결
- 8월 14일 - 북동쪽 미국과 중부 캐나다에서 광범위한 정전이 일어나다.
- 8월 18일 - 박세리, LPGA 제이미 파크로거 클래식 우승
- 8월 19일 -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헌법재판소 재판관에 전효숙 부장판사 지명.
- 8월 21일 - 제 22회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대구광역시에서 개막
- 8월 24일 - 반북 시민단체들과 제 22회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북조선 취재기자들 간에 충돌 사건 발생.
- 8월 25일 - 대한민국 정부, 신용불량자 81만명 구제 대책 발표
- 8월 27일 - 화성이 지구에 6만년만에 처음으로 55,758,006 km까지 대접근하다.
- 8월 27일 - 베이징에서 남·북·러·미·일·중 여섯 나라가 모여 첫 육자 회담을 열다.
- 8월 28일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 6차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 합의문 발표
- 8월 29일 - 대한민국 국회, 주5일 근무제를 골자로 한 근로기준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 8월 31일 - 대한민국, 권노갑 전 민주당 고문, 현대비자금 200억 수수혐의로 구속기소
- 9월 1일 - 대한민국 정부, 종합부동산세 신설 등 관련 세법 개정 추진 발표
- 9월 3일 - 대한민국 국회,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 해임 건의안 가결
- 9월 10일 -
멕시코 칸쿤에서 세계 무역 기구(WTO) 협상 반대시위 벌이던 이경해 전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 할복 자살
- 9월 11일 -
아르헨티나, 국제통화기금(IMF)과 3년간 채무상환 유예 등을 골자로 금융구제안에 합의
- 9월 12일 - 태풍 매미가 한반도의 남부를 강타하여 127명의 사망 실종자와 4조 7,810억원의 재산피해를 내다.
- 9월 14일 -
에스토니아 국민 투표에서
유럽 연합 가입 가결
- 9월 17일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 8차 남북군사실무회담에서 '동·서해지구 남북관리구역 임시도로통행의 군사적 보장 위한 잠정합의서의 보충합의서' 채택
- 9월 20일 -
대한민국, 민주당 신당파, 국민참여통합신당으로 국회에 교섭단체 공식 등록
- 9월 26일 - 대한민국 국회, 윤성식 감사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부결
- 9월 27일 - 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대한민국의 첫 과학기술위성 무궁화 1호, 발사 성공
- 9월 28일 - 대한민국 노동부, 퇴직연금제 등 '급여자 퇴직급여 보장법안' 입법예고 발표
- 9월 29일 - 노무현 대통령 민주당 탈당 공식 선언
- 10월 1일 - 한국통신, 국내기업사상 최대규모 5,500여명 명예퇴직 실시
- 10월 5일 -
미국 조지 W. 부시 대통령, 부분분만 낙태 금지법(Partial-Birth Abortion Ban Act)에 서명.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노무현 대통령,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중화인민공화국의 원자바오 총리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3국 정상회담을 갖고 14개 분야에 합의하다.
- 10월 8일 - 대한민국 검찰, 최도술이 SK그룹으로부터 11억 수수 확인.
- 10월 8일 - 연예계 비리 관련 서세원, 이수만 구속
- 10월 10일 - 노무현 대통령, 재신임 국민투표를 제안하다.
- 10월 12일 -
이라크 바그다드 도심 바그다드 호텔 부근에서 차량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7명이 사망하다.
- 10월 15일 -
중화인민공화국이 神舟 5호를 발사하다.
- 11월 5일 -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시행되다.
- 11월 1일 - 열린우리당 창당
- 11월 23일 -
그루지야의 세바르드나제 대통령이 퇴진하다 (장미혁명).
- 11월 26일 - 콩코드 초음속 여객기가 운항을 중단하다.
- 12월 13일 - 이라크 전쟁: 사담 후세인 이라크 前 대통령이 체포되다.
- 12월 19일 -
리비아, 대량살상무기(WMD) 포기를 발표하다.
[편집] 문화
- 9월 26일 - 이승엽이 55호 홈런으로 한국 프로야구 시즌 신기록을 세우다.
- 10월 2일 - 프로야구 선수 이승엽, 56호 홈런으로 아시아 최다기록 수립
- 교수신문이 정한 2003년의 사자성어: 右往左往
[편집] 탄생
[편집] 사망
- 1월 12일 - 아르헨티나의 前 대통령 레오폴도 갈티에리 (*1926)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이문구(李文求) (*1941)
- 3월 8일 - 대한민국의 시인 조병화(趙炳華) (*1921)
- 3월 28일 - 러시아 화학자 일리야 프리고진
- 4월 1일 - 홍콩의 영화배우 장궈룽(張國榮) (*1956)
- 7월 22일 - 사담 후세인 당시 이라크 대통령의 두 아들 우다이 후세인(*1964)과 쿠사이 후세인(*1966)
- 8월 4일 - 대한민국의 기업가 정몽헌 (*1948)
- 8월 9일 - 미국의 무용가 그레고리 하인즈 (*1946)
- 9월 8일 - 독일의 영화감독 레니 리펜슈탈 (*1902)
- 9월 28일 - 미국의 영화감독 엘리아 카잔 (*1909)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극작가 이근삼(李根三) (*1929)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가 김윤환(金潤煥)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