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하계 올림픽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80년 하계 올림픽 | |
참가국 | 80 |
참가 선수 | 5,217 (남자 4,093명, 여자 1,124명) |
경기 | 21 종목, 203경기 |
개회식 | 1980년 7월 19일 |
폐회식 | 1976년 8월 3일 |
공식 개회 선언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선수의 선서 | 니콜라이 안드리아노프 |
심판의 선서 | 알렉산드르 메데프 |
올림픽 성화 점화 | 세르게이 벨로프 |
주경기장 | Luzhniki Stadium |
1980년 하계 올림픽(제 22회 올림픽)은 1980년 7월 19일부터 8월 3일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수도 모스크바에서 개최되었다. 로스앤젤레스도 개최도시 후보였으나 1974년 10월 23일 IOC 미팅에서 모스크바에 19표 차이로 탈락했다.
[편집] 하이라이트
- 1976년 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한 24개국은 출전했으나, 1979년 소비에트 연방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인해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 64개국이 출전을 완전히 거부하거나, 개인자격의 선수만 파견하였다. 미국을 비롯하여 대한민국, 서독, 일본, 캐나다 등은 선수들의 출전을 완전히 거부하였고(일부 경기에 심판은 파견함),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등은 경기에서 국기 대신 올림픽기를 내세워 개인적으로만 출전했다. 하계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할 예정이었던 중화인민공화국도 불참하였다.
- 유로비전, 소련의 TV와 라디오, 인터비전, 등이 주요 중계 방송사였다.
- IOC에 소비에트 연방이 제출한 공식 리포트에 의하면 올림픽 준비에 총 8억 6279만 루블이 들었고 총 7억 4480만 루블을 벌었다.
- 소비에트 연방 소속의 알렉산드르 디탸틴이 체조에서 금메달 3개를 포함하여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한 올림픽 대회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것이다.
- 전 대회에서 각각 금메달 3개를 획득한 여자체조선수 루마니아의 나디아 코마네치와 소련의 한국계 체조선수 넬리 김은 이번에도 각각 2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두 선수는 마루 종목에서는 공동으로 금메달을 수상하였다.
- 소련의 블라디미르 사르니코프가 수영에서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 소련의 울라드지미르 파르피아노비치가 카누에서 총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 에티오피아의 무루수 예프터가 육상 5000m 와 10000m에서 우승했다.
- 동독의 발데마르 치에르핀스키가 남자 마라톤에서 전 대회에 이어 두 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 여자 필드하키가 처음으로 올림픽 종목이 되었다. 오스트리아, 인도,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짐바브웨, 소비에트 연방 등 6개 국가가 출전하였고, 짐바브웨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필드하키에서는 인도가 이 종목에서 8번째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편집] 메달 집계
(개최국은 진하게 표시됨.)
1980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 ![]() |
||||
---|---|---|---|---|---|
순위 | 나라 | 금 | 은 | 동 | 합계 |
1 | ![]() |
80 | 69 | 46 | 195 |
2 | ![]() |
47 | 37 | 42 | 126 |
3 | ![]() |
8 | 16 | 17 | 41 |
4 | ![]() |
8 | 7 | 5 | 20 |
5 | ![]() |
8 | 3 | 4 | 15 |
6 | ![]() |
7 | 10 | 15 | 32 |
7 | ![]() |
6 | 6 | 13 | 25 |
8 | ![]() |
6 | 5 | 3 | 14 |
9 | ![]() |
5 | 7 | 9 | 21 |
10 | 그림:Flag of Poland PRL.png 폴란드 | 3 | 14 | 15 | 32 |
11 | ![]() |
2 | 2 | 5 | 9 |
틀:See |
[편집] 올림픽의 주요 보이콧
- 1976년 하계 올림픽 – 몬트리올, 퀘벡, 캐나다 — 검은대륙 아프리카의 보이콧
- 1980년 하계 올림픽 – 모스크바, 러시아 SFSR, 소비에트 연방 — 서방 세계의 보이콧
- 1984년 하계 올림픽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동구권의 보이콧
올림픽 |
하계 올림픽 |
1896 | 1900 | 1904 | 1906¹ | 1908 | 1912 | (1916)² | 1920 | 1924 | 1928 | 1932 | 1936 | (1940)² | (1944)²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동계 올림픽 |
1924 | 1928 | 1932 | 1936 | (1940)² | (1944)²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
¹IOC의 공식 대회는 아님. ²전쟁으로 취소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