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화와 지역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제화지역화는 동일 문화권이 아닌 환경(특히 다른 국가나 문화)에서 만들어진 출판물이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특정 환경에 맞춰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낱말은 비슷한 주제를 다루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국제화가 앞으로 가능성 있는 다른 환경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지역화는 이미 존재하는 환경에 맞춘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다.

[편집] 영역

국제화와 지역화는 아래의 영역들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 언어
    • 컴퓨터의 문자 인코딩: 여기에는 문자뿐만 아니라 숫자 표기 방법, 글자를 쓰는 방향 등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최근 시스템들은 유니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딩 문제를 해결하였다.
    • 글자의 그림 표현(인쇄물이나 텍스트를 담고 있는 이미지)
    • 녹음된 음성
    • 영상물의 자막
  • 날짜/시간 형식, 다른 역법의 사용
  • 시간대
  • 통화(通貨, Currency)
  • 이름과 직함
  • 정부 지정 번호(주민등록번호, 미국의 사회보장번호 등)와 여권
  • 전화 번호, 주소, 국제 우편 번호
  • 중량과 치수
  • 종이 크기

다음은 지역화에만 적용되는 내용이다.

  • 번역
  • 동아시아 언어(한자 문화권) 등에 대한 특별한 지원
  • 지역의 관습
  • 기호
  • 정렬의 순서
  • 미학(미적 감각)
  • 문화적인 값어치, 사회적인 환경

[편집] 이름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를 I18N이나 i18n으로, 지역화(localization)를 L10N이나 l10n 등으로 대신 쓰는 경우도 있다. 이 낱말들이 너무 길기 때문에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만 뺀 나머지 글자들을 그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I18N은 ‘I’ + 18글자 + ‘N’을 뜻한다) L의 소문자와 I의 대문자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보통 i18n과 L10n을 많이 사용한다. 그 외에 국제화와 지역화를 묶어서 세계화(globalization, g11n)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