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Jtm71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환영합니다!

Jtm71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작업에 참여하시려면 우선 백과사전에 어울리는 내용인지, 중립적인 시각인지, 다른 사람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지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 처음 오신 분들을 위한 길라잡이가 있습니다. 꼭 한번 읽어 봐주세요.
  • 연습을 한번 해보고 싶다면? ☞ 연습장
  • 궁금한 점이 있다면? ☞ 안내소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의견 뒤에 서명을 해주세요. 물결표 4개를 ~~~~ 입력하시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목차

[편집] 사용자 페이지

사용자 페이지는...다른 사용자 페이지 가서 양식 복사해다가 약간 고치면 된답니다. 참고하시라구요. -- WonYong 2005년 12월 28일 (수) 11:25 (KST)

감사합니다. 이제 슬슬 만들어 보아야겠군요. 페이지 양식 참조하겠습니다. jtm71 2006년 5월 26일 (금) 18:53 (KST)

[편집] 환단고기

삭제하신 부분은 사실이 아니라서 지운 건가요? 전 환단고기 얘기는 위서일 거라는 얘기 빼고는 전혀 몰라서.. 어떤 게 맞고 틀린지 잘 모르겠거든요. --Klutzy 2006년 4월 8일 (토) 00:24 (KST)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옳을 듯합니다.
환단고기에 대한 중국의 태도에 대한 설명이었는데, 치우천황을 인정한다고 해서 환단고기의 진실성이 뒷받침되는 것은 아니어서요.
치우천왕은 중국 사기의 삼황오제에 대한 설명을 비롯하여, 소수민족의 전승, 규원사화에도 이미 등장하고 있었습니다.
환단고기의 내용이 일반에 알려진 것은 가장 늦은 시기인 1980년에 가까와서였습니다.
따라서, 삭제 내용은 직접적인 관련도 없고, 오히려 혼동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있습니다.

[1] 부분은 일본어 위키백과에 의견을 남기는 것만으로 충분할 것 같네요. 아마 사용자:LERK 씨에게 부탁드리면 될 겁니다. --Puzzlet Chung 2006년 4월 8일 (토) 01:13 (KST)

그렇군요 ...
고칠 방법을 몰라서 발만 굴렀는데 ...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위키백과:대사관 왼편에 보시면 다른 언어판 위키백과로 가는 링크가 보일 겁니다. 거기를 통해 ja:Wikipedia:大使館 페이지로 갈 수 있는데, 거기에서 ‘대사’를 찾으셔도 됩니다. --Puzzlet Chung 2006년 4월 8일 (토) 01:41 (KST)

지명을 받은 LERK입니다. 제 회화 페이지에서 답장했습니다.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LERK (회화 / 기여) 2006년 4월 9일 (일) 14:33 (KST)

[편집] 미리보기

미리보기 버튼을 애용해 주세요. 여러번 조금씩 조금씩 저장을 하시면 역사가 이렇게 남게 되는데, 언제 무엇을 고쳤는지 찾기가 약간 어려워집니다. --Puzzlet Chung 2006년 4월 8일 (토) 01:41 (KST)

저장 단추 옆의 미리보기 단추를 이용해 주세요. xAOs 2006년 5월 25일 (목) 11:57 (KST)

죄송합니다. '미리보기'를 사용하기는 해도, 글을 고치는 버릇이 ... 앞으로 주의하겠습니다.
미리보기 단추를 애용해 주세요. 편집 역사 보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천어/토론 2007년 6월 21일 (금) 18:16 (KST)
'임시저장'이나 '필터링'이라도 있으면 좋을텐데 ... 불안정한 시스템에서 편집을 오래 하다 보니 생긴 버릇인 듯합니다. 스스로도 의식하고는 있습니다.
그런데, 대체 어떤 문서가 편집 역사 보기가 어렵던가요 ... jtm71 2007년 6월 22일 (토) 21:41 (KST)
죄송하지만 저는, jtm71님이 편집하신 문서 중 제가 보고자한 문서 거의 대부분입니다.   천어/토론 2007년 6월 22일 (토) 23:37 (KST)
그런 대답이 나올 줄 알았네요. 정말로 그렇습니까 ... 같은 문서에 편집이 많아 보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항목이 다른 것이고, 한 항목에 수정이 많은 경우에는 '잔글'로 표시하고 있습니다만 ... jtm71 2007년 6월 23일 (토) 06:32 (KST)
어쨌거나, 의도적인 것은 아니며, 앞서의 지적도 있어서 가능하면 편집 횟수를 줄이려 하고는 있습니다. 현재 수준이 한계라고 생각합니다만, '미리보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하지요. jtm71 2007년 6월 23일 (토) 07:27 (KST)

[편집] 환단고기 일본어판 기사에 대하여

수고하십니다. LERK입니다. 일본어판 위키백과에 있는 환단고기에 대해서 입니다. 먼저 지적하신 부분을 한국어로 번역합니다.

이 책(= 환단고기) 은 1976년 대한민국에서 출판되었고 역사 학자들이 반대함에 불구하고 민간 역사 학자의 국민적인 운동에 의해서 역사 국정(國定) 교과서에도 1987년 "환단고기"에서 인용되었다. (이하는 북한에 대해서 니까 생략함)

이 글을 다음과 같이 고치면 되는겁니까?

이 책은 1979년 대한민국에서 출판되었다. 일부 민간 (재야?) 역사 학자들이 역사 국정 교과서에도 싣자는 운동이 있었는데 결과 역사 국정 교과서에는 인용되지 (실리지) 않았다.

잘못이나 모자람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LERK (회화 / 기여) 2006년 4월 10일 (월) 18:46 (KST)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에 실었습니다. 보고합니다. LERK (회화 / 기여) 2006년 4월 17일 (월) 11:32 (KST)

예. 잘 고쳐졌었는데 ... 내용이 원래대로 돌아왔습니다. jtm71 2006년 4월 17일 (월) 23:42 (KST)

[편집] 즉위년과 원년

아시고 계실 수도 있겠지만, 조선왕조는 선왕의 연호를 바꿀 수 없다는 생각 때문에, 즉위 다음해를 원년으로 잡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한 세조, 중종, 인조의 경우에는 그러한 예의를 지킬 필요가 없기에 즉위년과 원년이 일치합니다. 또한 대한제국으로 바뀐 이후인 순종의 경우도 즉위년과 원년을 일치시켰습니다. :) --정안영민 2006년 7월 17일 (월) 00:45 (KST)

복잡하네요. 시대와 왕조에 따라 기준이 다르니 ... 그래도 삼국시대에는 즉위년 원년이었고, 이후로 나라가 하나였던 것이 다행입니다. jtm71 2006년 7월 17일 (월) 05:36 (KST)

[편집] 문서를 옮길 때는 이동 기능을 사용하세요.

그냥 복사 붙여넣기로 이동을 하면 정보의 옛 편집 기록이 정보 (컴퓨터)로 옮겨 가지 않습니다. 이동 기능으로 문서를 옮긴 뒤, 넘겨주기 된 문서로 들어 가서 ‘(...로 넘겨주기)’에 있는 링크를 누르면 원래 문서가 나옵니다. 여기서 (아마도 #redirect로 시작하는) 내용을 고치시면 됩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23일 (토) 07:49 (KST)

그렇네요. 거기까지는 생각을 못했습니다. 위의 절차에 따라 옮겨 놓겠으니 정보 (컴퓨터)는 삭제 부탁드립니다. jtm71 2006년 9월 23일 (토) 07:55 (KST)

[편집] 대종교의 바깥 고리

기독교 교단의 페이지 대신에 대종교 홈페이지를 링크해주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2006년 10월 9일 (화) 17:13 (KST)

아무래도 타 종교라서 중립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겠죠. '한민족문화사전'과 대종교 홈페이지로 대체하겠습니다. jtm71 2006년 10월 9일 (화) 22:29 (KST)

[편집] 동양 천문학

동아시아의 천문학 정도로 옮기는게 어떨까요? 동양이라고 하면 넓게는 인도까지 포함하기도 하거든요. 인도의 천문학은 동아시아쪽과는 체계가 다르지 않나요? -- ChongDae 2006년 10월 23일 (월) 11:06 (KST)

동의합니다. 그런 생각을 하고는 있었는데, 옮기는 것이 좋을 듯하네요. 동아시아의 천문학이 적당한 것 같습니다.
링크 포함하여 새이름으로 옮겼고, 동양 천문학 문서는 현재 비어 있습니다. jtm71 2006년 10월 23일 (월) 12:09 (KST)

[편집] 동예

혹시 이것 검토해 주실 수 있으시겠어요. --Puzzlet Chung 2006년 10월 29일 (월) 17:03 (KST)

내용 자체는 전자교과서, 두산대백과사전을 참조한 듯합니다. 내용 자체는 일반적인 설명과 틀리지 않습니다.
추가로, digital한국학 사이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990년 국사교과서 고대사 쪽을 집필했던 분의 글입니다. jtm71 2006년 10월 29일 (월) 21:23 (KST)

[편집] 기자조선

기자조선후조선은 제가 어떻게 검토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서 {{논란중}}을 붙였습니다. 후조선의 경우 하나의 학설일 따름이라면 시조 구태설처럼 ‘-설’이나 ‘-론’ 등을 붙이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Puzzlet Chung 2007년 1월 2일 (수) 22:40 (KST)

감사합니다. 토론을 통해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jtm71 2007년 1월 3일 (수) 02:07 (KST)

[편집] 안녕하세요

틀토론:중국사에서 제글에 답글을 잘못 다신게 아닌가 하는데("인격..") 아닌가요? --Sok 2007년 1월 30일 (수) 21:06 (KST)

예. 그 윗분의 글에 대한 답글이었는데 ... 오해의 소지가 있으니 옮겨 놓겠습니다. jtm71 2007년 1월 30일 (수) 21:08 (KST)

[편집] 69.223.133.124

위 사용자는 차단되었는데 다른 ip로 계속 편집하고 있습니다. 차단된 사용자는 편집할 권리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토론페이지 등에 저 사람이 글을 남기거나 문서 편집을 해도 대응하지 마시고 그냥 문서역사를 되돌려주세요. -- Allen 2007년 2월 1일 (목) 13:57 (KST)

알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나저나 저 분이 합친 문서는 되돌릴 방법이 묘연하군요. jtm71 2007년 2월 1일 (금) 16:33 (KST)

[편집] 동해와 북해가 관련이 있나요??

제목 그대로.. 동해와 북해가 관련이 있어서 내부링크를 넣으셨는지요??--Kys951 2007년 5월 7일 (화) 18:10 (KST)

바다의 이름에 방향이 포함된 경우의 예로 제시한 것인데, 내용에 의문이 제기된다면 다른 방식을 찾아보겠습니다. jtm71 2007년 5월 7일 (화) 18:14 (KST)
아하, 그렇군요. 방향이 포함된 경우였다니.. 저는 위치 관련이 있는지 여쭈어 봤는데. 넵.--Kys951 2007년 5월 7일 (화) 18:15 (KST)

[편집] 문서가 쓸모없어 졌을때 (분류:일제 시대)

문서의 내용만 비우지 마시고 {{delete}}로 삭제 신청을 넣으세요. 쓸모없어졌을때에는 방치해신 안됩니다. --눈사람 2007년 5월 26일 (토) 00:15 (KST)

삭제 의사는 표시했는데 ... 어쨌든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jtm71 2007년 5월 27일 (일) 12:23 (KST)

[편집] 주목과와 주목은 다릅니다.

주목은 주목과에 속하는 식물이고, 주목과에는 비자나무 등 다른 나무가 속해 있습니다. 따라서 주목 페이지에 주목과처럼 굵은 글씨로 표시하시면 안 됩니다. 한편 개구리 같은 경우는 하나의 종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개구리목 동물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말이므로 개구리목과 동의어로 처리되어 있습니다. 주목이렇게 바꿨습니다. --Puzzlet Chung 2007년 5월 29일 (화) 01:15 (KST)

'계수나무'를 참조해서 작성해서 그렇게 되었네요. 표제어 외에는 굵은 글씨는 지양하고 상위 항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링크로 처리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지 ... 어쨌든, 수고하셨습니다. jtm71 2007년 5월 29일 (화) 10:47 (KST)
생물 분류 틀에서 굵은 글씨로 쓰는 건 표제어에 해당하는 분류 뿐입니다. 은행나무처럼 은행나무문에 단 한 종이 있다면 모두 다 굵은 글씨로 표시해주고, 나비나방처럼 분류학상의 이름이 아닐 경우, 굵은 글씨 처리를 해 주지 않고 있습니다. -- ChongDae 2007년 8월 21일 (화) 09:57 (KST)
이런저런 규칙들을 모아 문서로 작성하면 어떨까요 ... 이미 작성되어 있다면 좀 더 접근이 간편하게 되었으면 합니다. jtm71 2007년 8월 23일 (목) 11:05 (KST)

[편집] Erik Mongrain

Hello Jtm71, Sorry to disturb you, but could you please write a stub http://ko.wikipedia.org/wiki/Erik_Mongrain - just a few sentences based on http://en.wikipedia.org/wiki/Erik_Mongrain? Just 2-5 sentences would be sufficient enough. Please! --Antaya 2007년 6월 27일 (수) 12:15 (KST)

Done as you wish. (에릭 몽그레인) jtm71 2007년 6월 27일 (수) 13:20 (KST)
Hello Jtm71,
I really want to thank you to help me with the article about Erik Mongrain. You've done a great job that was impossible for me to do so; because I don't speak your language (even english is pretty hard sometimes!!!). I don't know if you had time to take a look about this guitarist, but you should see that video clip : AirTap!... This guy is absolutely amazing! Anyway thanks again, take care and long life to you. --Antaya 2007년 6월 29일 (금) 15:45 (KST)
I agree. He is a good musician. jtm71 2007년 6월 29일 (금) 22:41 (KST)

[편집] 작성하신 토론란에 대한 지침 잘 보았습니다.

작성하신 위키백과:토론란에 대한 지침 문서는 잘 보았습니다. 많은 부분 공감하고, 동의할 만한 내용이더군요. 좋은 문서 감사합니다. 저도 시간이 나는데로 최선을 다해 문서를 완성시키는데 협조하고 싶네요. 우선 번역이나 글을 다듬고, 쉽게 하는 데에 주력해 보고자 합니다. --Johyeongryeol 2007년 8월 13일 (월) 13:00 (KST)

감사합니다. 토론 중에 생기는 불필요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시작한 번역이었습니다. 링크된 문서인 'Verifiability'나 'No original research'의 한글 문서도 같이 소개되었으면 하는 것이 제 희망사항입니다. jtm71 2007년 8월 14일 (화) 07:33 (KST)
위키백과:독자연구 금지(No original research) 문서의 번역을 시작했습니다. 아래 ChongDae님의 글을 보기는 했지만, 우선은 다른 사람들의 오해가 없도록 설명을 추가하여 위키백과 이름공간에 문서를 시작해 보았습니다. 번역은 시간이 날 때마다 조금씩 진행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Johyeongryeol 2007년 8월 28일 (화) 02:12 (KST)
저로서는 감사할 따름입니다. 그러면, 저는 '확인 가능' 문서를 번역하도록 하겠습니다. jtm71 2007년 8월 28일 (화) 05:51 (KST)

[편집] 위키백과:개인정보 정책 한국어

번역 작업을 위해서라면 사용자:Jtm71/개인정보 정책 정도에서 작업하는게 어떨까요? 지금처럼 위키백과: 위치에 있다면 다른 사람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 ChongDae 2007년 8월 14일 (화) 16:41 (KST)

문제가 있는 문서를 오랫동안 방치해 둔 것 같습니다. 제안하신 대로 옮겨놓겠습니다. jtm71 2007년 8월 15일 (수) 07:4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