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Yes0song/한국어의 아프리카식 로마자 표기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것은 제가 구상한 한국어아프리카로마자 표기법(영어: African Romanization of Korean)입니다. 실제 학술적으로나 실용적으로 쓸 목적으로 만든 게 아니라,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이렇게 만들어 볼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실험적 목적으로 고안한 것입니다.

일부 아프리카 언어의 로마자 표기법들의 특징은, 기본 로마자 자모로 나타낼 수 없는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빌려온 것입니다. 예컨대 에우에어(en:Ewe language)는 기본 로마자 외에 Ɛ/ɛ, Ɣ/ɣ, Ŋ/ŋ, Ɔ/ɔ, Ʋ/ʋ를 추가로 사용합니다. 마찬가지로 제가 구상한 이 표기법은 기본 로마자로 표현하기 어려운 한국어 음소를 IPA에서 빌려와 표기합니다(대문자는 IPA에 포함된 소문자를 대문자 크기로 확대한 것을 사용함).

이 표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하 존대말을 쓰지 않습니다.

목차

[편집] 현대 한국어(전사법)

1음소 당 1글자를 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 전사법(轉寫法; 또는 표음법)이므로 소리나는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편집] 자음

초성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1 2 3 5
G g N n D d R r
L l
M m B b S s J j CH ch K k T t P p H h
6 6 6 5/6
K* k* T* t* P* p* S* s* CH* ch*
1. ㄴ의 구개음화는 반영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구개음화임을 명시할 때에는 ñ로 쓰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ñ 뒤의 y는 제거해도 되고 보존해도 된다.
  • 예: 냐옹 nyaoŋ (원칙) ñyaoŋ ñaoŋ(허용)
2. 초성 ㄹ은 받침 ㄹ 뒤에서는 l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r로 적는다.
  • 예: 골라 golla, 나라 nara, 라면 ramyʌn
3. ㅅ은 구개음화가 일어날 때 sh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sh 대신에 š로 대체하거나 s 그대로 보존할 수도 있다. sh나 š를 쓸 때는 y는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보존하는 것도 허용한다.
  • 예: 시 shi (원칙) ši si (허용), 샤 sha (원칙) shya ša šya sya (허용)
4. 초성 ㅇ은 표기하지 않는다.
  • 예: 아기 agi
5. ch는 č나 c로 적는 것도 허용한다.
  • 예: 총 choŋ (원칙) čoŋ coŋ (허용)
6. ㅅ을 제외한 된소리는 원칙적으로 거센소리를 표기하는 로마자에 *로 적는다. 단, 대신에 평음을 표기하는 로마자에 *를 붙이는 것이나, 평음 또는 거센소리를 표기하는 로마자를 2자로 표기하는 것도 허용한다.
  • 예: 꿈 k*um (원칙) g*um kkum ggum (허용)

종성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7 7/8 9 7
K k N n T t L l M m P p Ŋ10 ŋ
7. 종성 ㄱ, ㄷ, ㅂ는 k, t, p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대신에 g, d, b로 적는 것을 허용한다.
  • 예: 막 mak (원칙) mag (허용)
8. 종성 ㄷ 뒤에 ㅅ이나 ㅆ 초성이 오면 t 대신에 s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t로 보존하거나 d로 바꿔 쓰는 것도 허용한다.
  • 예: 게맛살 gemassal (원칙) gematsal gemadsal (허용)
9. 종성 ㄹ을 r로 적는 것은 절대 허용하지 않는다.
10. 대문자 Ŋ(엥)은 Ŋ으로 적을 수도 있다.

그 다음은 기타 원칙이다.

11. 종성 ㄱ, ㄷ, ㅂ 뒤에 초성 ㅎ이 올 경우, 소리나는대로 쓰지 않고 한글 철자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예: 박하[바카] bakha
12. 자음접변으로 인한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예: 학교[학꾜] hakgyo
13. 자음접변이 이외의 된소리되기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이때 된소리로 발음된 문자 위에 점을 찍어서 발음상 혼란을 방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점을 찍지 않는 것도 허용한다.
  • 예: 대가(代價)[대까] dɛġa (원칙) dɛga (허용)
14. 고유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고, 합성어이면 어절마다 첫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15. 성(姓)과 이름 사이는 띄어쓴다.
16. 두음 법칙에 의한 발음 변동임을 밝히고자 할 때에는 해당 음운 앞에 위첨자로 원음을 표기한다(소문자). ㄹ은 r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l도 허용한다.
  • 예: 노인(←로인 老人) rnoin, 영변(←녕변 寧邊) nYʌŋbyʌn, 영토(←령토 領土) ryʌŋto

[편집] 모음

모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단모음
A a Ɛ ɛ Ʌ ʌ E e O o U u Ɯ ɯ I i
y계
복모음
1 1
YA ya YƐ yɛ YɅ yʌ YE ye YO yo YU yu YƜ yɯ YI yi
w계
복모음3
1 1 w+ㅡ1
WA wa WƐ wɛ WɅ wʌ WE we WO wo WU wu WƜ wɯ Ø ø2 WI wi
ɰ계
복모음
ɰI ɰi
1. 현대 한국어 음운으로 인정되지 않지만, 부정확한 발음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음운으로 보아 이 표에 추가시켰다.
2. 단모음으로 발음될 때를 기준으로 하였다.
3. w를 한글에 따라서 적고자 할 경우에는 ow, uw와 같이 자세히 적는 것을 허용한다. 이때 ㅚ는 owi나 owe로 적을 수도 있다.
4. 장모음임을 명시할 때에는 음절 핵이 되는 모음 위에 macron( ̄)을 붙일 수 있다.
  • 예: 말ː māl

[편집] 전자법(옛한글 포함)

한글 복원을 전제로 하거나 옛한글을 표기할 때 전자법(轉字法)에 따른다.

1. 음절 사이에는 하이픈(-)을 긋는다.
2. ㅇ은 초성은 적지 않고 종성은 /ŋ/으로 발음되는 경우에만 ŋ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발음이 되지 않는 종성 ㅇ(옛한글)은 표기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2와 달리, ㅇ 표기를 보이고자 하는 경우(완전한 전자법으로 쓰려는 경우)에는 ㅇ 부분을 @로 표기한다. 이것은 발음과는 상관이 없다.
  • 예: 앙 @a@
4. ㄱ, ㄲ, ㄷ, ㄸ, ㄹ, ᄙ, ㅂ, ㅃ, ㅊ은 각각 g, gg, d, dd, r, rr, b, bb, c로 통일하여 적는다.
5. 모음은 복모음일 경우 모두 풀어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e, ɛ, w, ø를 쓰지 않는 게 원칙이 된다).
  • 예: 개구리 gai-gu-ri, 혼례 hon-ryʌi, 과자 goa-ja, 괴물 goi-mur
6. 옛한글과 로마자의 대응은 다음과 같다.
L l μ μ V v VV vv Z z Ŋ̇ ŋ̇ Ś ś S̀ s̀ J́ j́ J̀ j̀ Ć ć C̀ c̀ Ɂɂ 7 Ə ə
7. 일부 웹브라우저에서는 해당 글자가 안 보일 수 있다. 대체 문자는 ʔ 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