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전철의 확장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의 확장
목차 |
[편집] 건설교통부 및 도시철도 공사에 의한 사업
상당수 계획이 기존 철도망을 복선 전철화해 통근 전철을 운행한다는 계획이며, 새로운 노선의 신설 역시 상당히 많이 이뤄지고 있다.
[편집] 9호선
9호선은 김포공항, 염창동, 당산역, 여의도, 노량진, 반포동, 고속터미널, 강남, 잠실을 통과하는 3기 지하철의 노선이다. 김포 기지에서 강남대로에 이르는 25.5km의 구간은 2008년 말 완공 예정으로 현재 공사가 한창 진행 중에 있으며, 봉은사로를 통과하는 강남대로 - 잠실종합운동장 구간은 2007년 착공,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나머지 구간은 2015년을 개통을 목표로 하는 장기 사업으로 지정되어 있다. 건설은 서울지하철건설본부가 시행하지만 운영은 로템이 주간사가 된 민자 컨소시엄이 30년간 하게 된다. 공항철도와 직결 운행이 예정되어 있으며 완행열차보다 30 ~ 40% 빠른 급행열차가 운행될 예정이다. 서울지하철건설본부의 지하철건설현황:9호선 건설 웹 페이지에서 공구별 웹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다. 901 공구에서 914 공구까지 총 15개 공구로 나뉘어 공사가 진행 중이다. 3, 7호선 연장 구간 각 공구의 웹 페이지로도 접속할 수 있다.
[편집] 3호선 연장
3호선의 연장 구간은 수서역에서 5호선 오금역까지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남쪽의 동서 교통망을 확충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8호선 가락시장역과 연결할 예정이다. 2003년 착공하였고, 2009년 완공되며 운영은 서울메트로가 맡는다.
[편집] 7호선 연장
7호선의 연장 구간은 인천 1호선 부평구청역에서 7호선 서쪽 끝이자 경인선 온수역까지이다. 부천시 구시가지 및 중동 신도시와 상동 지구, 인천 삼산 지구 등에 동서 전철망을 제공하고, 2복선임에도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른 경인선의 혼잡을 덜기 위한 지하철 연장 공사다. 서울지하철건설본부 외에도 인천지하철건설본부도 인천 지역 구간 공사에 참여하고 있다. 2011년 초 완공 예정으로 공사가 진행 중이며,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할 예정이다.
[편집] 8호선 연장
중앙 정부의 국고를 지원받을 수 있는 광역 전철 사업으로 지정되어 사업이 진행 중이다. 암사역에서 구리시를 남북으로 관통한 후 퇴계원 및 별내 신도시까지 철도가 놓이게 된다. 2013년이 완공 목표이며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할 예정이다. 그 외에 우이동에서 신설동역에 이르는 강북경전철 등 지역 내부를 연결하는 경전철 사업이 서울시 및 각 자치구에 의해서 다수 추진되고 있다.
[편집] 경의선 복선 전철화
용산에서 문산에 이르는 구간에 이뤄진다. 서울시계 내의 성산까지는 2007년, 성산에서 용산까지는 2009년 완공을 목표로 현재 시공 중이다.
[편집]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을 서울과 잇기 위한 철도이다. 김포공항을 경유, 서울역과 용산역까지 운행한다. 김포공항까지는 2007년 초, 김포공항부터 서울시내 구간은 2010년 초에 완공 예정이다. 옛 용산선 구간에서는 경의선의 아래층 터널을 사용하게 된다.
[편집] 경원선 복선 전철화
의정부역에서 동두천시 동안에 이르는 구간에서 이뤄진다. 2006년 말 개통할 예정이다. == 경춘선 복선 전철화 경춘선 전 구간에 통근 전철을 운행하기 위한 사업이다. 2009년 말 개통 예정이다.
[편집] 중앙선 복선 전철화
중앙선 용문역까지 통근 전철을 운행하기 위한 사업이다. 복선 전철화는 중앙선 영주역까지 이뤄지고 있다. 팔당역까지는 2007년 말, 신원역까지는 2008년 말, 용문역까지는 2009년 말 개통 예정이다.
[편집] 수인선 복선 전철화
협궤 철도였다가 폐선되었던 수인선을 복선 전철화하는 사업이다. 수인선 주변 주민들의 민원으로 사업이 연기되어 개통 시기는 2012년경으로 잡고 있다.
[편집] 분당선 연장
죽전 지구에서 영통 지구를 거쳐 수원역에 이르는 남쪽 노선 및 선릉에서 왕십리에 이르는 서울시내 노선이다. 서울시내 노선은 2010년, 남쪽 연장선은 2011년경 완공이 예정되어 있다.
[편집] 신분당선
두산건설을 주간사로 하는 민자사업 컨소시엄이 시공과 운영을 모두 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 노선이다. 현재보다 강남역 진입 시간을 약 20분 앞당길 수 있는 노선이며 수도권 2기 신도시가운데 하나인 판교 신도시로 말미암아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노선이다. 이후 강남대로를 통과해 용산역에서 경의선과 직결할 계획이다. 강남역까지는 2010년 초, 강남대로 구간은 2011년 이후, 신사역에서 용산역에 이르는 구간은 2020년 정도에 개통되는 장기 계획으로 계획되어 있는 노선이다. 신분당선과 경의선을 합쳐 광역 B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편집] 신분당선 연장
분당과 강남을 빠르게 잇고 강남과 도심을 잇는 노선인 앞선 노선과는 분당선을 통해서만 연결되며 사업이 분리되어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분리했다. 난개발이 이뤄진 용인지역의 수지 지구 등과 수도권 2기 신도시 가운데 하나인 이의 신도시, 그리고 북부 수원 및 북서부 수원을 동서로 관통할 예정이다.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도시 철도이며 2014년 이후에 완공될 예정이다.
[편집] 신안산선
경부고속철도 광명역 및 안산시를 서울 영등포·여의도와 연결하는 노선과 여의도에서 청량리를 잇는 노선으로 분리되어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도심 구간은 중복 노선 때문에 노선 결정이 아직 이뤄지지 못하고 있으나, 고속철도 광명역 및 안산을 비롯한 수도권 남서부를 서울과 빠르게 잇는 구간은 올해 기본 계획 예산이 배정되어 사업이 착수된 상태다. 2015년경 완공이 예상된다. 안산시와 시흥시가 요구하는 노선이 달라 광명역 이남 노선도 확정적이지 않다. 신안산선과 중앙선, 경춘선을 합쳐 광역 C선이라고도 한다.
[편집] 소사 - 원시선
부천시 소사역에서 안산시 원시동까지 건설되는 철도이다. 시흥시에 최초의 광역 전철이 놓이게 된다. 경인선과 수인선을 남북으로 이어주게 될 것이다. 2013년 개통 목표로 사업이 착수되었다.
[편집] 중부내륙선
판교 신도시에서 분당선 이매역을 거쳐 경기도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를 잇게 될 노선이다. 중부내륙선 장기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노선이기도 하다. 2011년 완공 예정으로 사업이 진행 중이다.
[편집] 장기계획
이외의 장기 계획 노선은 국토연구원의 수도권정비계획 및 건교부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나타나 있는 노선들이다. 미래철도 DB, 한국철도시설공단 웹 사이트 및 각종 뉴스에서 장기 계획 노선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노선들은 전철 연계가 부족한 곳에 지어지거나 지속적으로 건설되는 신도시의 교통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건설되고 있는 것들이다. 수도권의 철도망은 타 대도시권에 비하면 매우 짧기 때문에 승용차를 이용한 이동이 너무 많으므로 반드시 대규모의 체계적인 철도망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