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메드 2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메메드 2세 | |
---|---|
![]() |
|
재 위 | |
1444년 ~ 1446년 1451년 ~ 1481년 |
|
성 명 | {{{성명}}} |
별 명 | {{{별명}}} |
왕 비 | {{{왕비}}} |
황 후 | {{{황후}}} |
왕 후 | {{{왕후}}} |
부 군 | {{{부군}}} |
부 왕 | {{{부왕}}} |
부 황 | {{{부황}}} |
모 비 | {{{모비}}} |
모 후 | {{{모후}}} |
앞선 왕 | 무라드 2세 무라드 2세 |
앞선 황제 | {{{이전 황제}}} |
다음 왕 | 무라드 2세 바예지드 2세 |
다음 황제 | {{{다음 황제}}} |
오스만 제국 술탄 |
메메드 2세 (오스만 터키어: محمد ثانى , 터키어: II. Mehmet), (1432년3월 30일-1481년5월 3일)는 오스만 제국의 제 7대 술탄이었다. 1444년부터 1446년까지 짧은 기간 통치히다가 퇴위되고 후에 1451년부터 다시 술탄에 즉위하여 1481년 죽을때 까지 술탄으로 있었다. 그의 나이 21살에,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하고 비잔티움 제국을 멸망시켰으며 오스만 제국의 판도를 대폭으로 넓혀 [정복자(Fatih)]란 이름으로 불렸다.
목차 |
[편집] 생애
메메드 2세는 1432년 3월 30일 당시 오스만 제국의 수도인 에디르네에서 술탄 무라드 2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당시 세르비아의 흄지방(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코비나)출신의 기독교 노예로 알려져 있다. 태어난지 2년 만에 메메드는 맏형이 총독으로 있던 소아시아의 도시 아마시아로 옮겨갔다. 3년뒤 메메드가 다섯살이 되었을때 맏형이 죽자 아마시아의 총독에 임명되었다. 나중에 둘째형아 아마시아 총독으로 메메드는 마니사로 자리를 바꾸어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443년 둘째형이 죽자 메메드는 술탄의 계승자가 되었고 다음해 아버지 무라드 2세는 아나톨리아의 카라만 연합군과 평화협정을 맺고나서 돌연 은퇴를 선언하고 12살의 메메드에게 술탄의 지위를 넘겨주고 남부 아나톨리아도 돌아가서 은둔했다.
메메드는 아버지가 다시 돌아와 헝가리군과 싸워주길 바랬는데 아버지 무라드는 처음에는 거절했다. 메메드는 결국 이런 아버지에게 썼다고 한다. "당신이 술탄이시거든, 돌아와 당신의 군대를 이끌어주소서, 만약 내(메메드 2세)가 술탄이라면 나 지금 당신에게 명령하노니, 돌아와 나의 군대를 이끌어주시오.."
결국 무라드는 전장으로 돌아와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게 되고 2년후 아들 메메드를 다시 퇴위 시키고 술탄에 복귀한다. 그러한 무라드 복귀의 배후에는 재상 할릴 파샤가 있었다고 하는데 그와 메메드는 서로 반목했다고 전해지며 나중에 할릴파샤는 메메드가 다시 정권을 잡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할때 비잔티움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죄로 처형당했다.
메메드는 퇴위당하여 수도에서 멀리떨어진 마니사에 머물면서 남색,여색을 불문하고 난행에 젖어 지내는 것으로 이름을 날렸다고 한다. [1]
[편집] 비잔티움 제국의 정복
1451년 아버지 무라드가 죽자, 그는 다른 형제들을 죽이고 정식으로 술탄에 즉위했다. 2번째로 치세를 시작하면서 아나톨리아 내륙부에 있던 카라만 제후국을 격파하고, 1452년 귀환하던 도중 보스포러스 해협에 루메리 히사르(Rumelihisari)라는 요새를 건설하고 비잔틴 제국을 압박했다.
1453년 대재상 할릴파샤의 반대을 누르고 출병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략하고 비잔티움 제국을 멸망시켜 역사의 무대에서 끌어내렸다. 이 정복이후 아나톨리아와 발칸반도에 남아있던 비잔틴계 제후들을 정복하기 시작해, 1460년 펠로폰네소스의 모레아, 1461년 아나톨리아 북서부에 있던 200년간 존속하던 비잔티움계 국가 트레비존드 제국을 차례로 멸망시켰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이후 메메드는 자신이 로마 제국의 황제로 자처하고 나섰다. 330년 로마 제국의 수도가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바뀌었고 비잔티움 제국이 로마 제국을 계승하였기 때문에 이를 점령한 자신에게 로마 황제의 권한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 800년에 샤를마뉴가 교황 레오 3세로 부터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임명되어 로마 제국의 승계자 처럼 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의 주장은 빛을 잃었다.
[편집] 아시아와 유럽의 정복
발칸반도에서는 베네치아 공화국등 여러나라와 싸워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세르비아을 정복했다. 이후 그의 관심은 아나톨리아지방으로 쏠렸다. 아나톨리아에서는 룸 셀주크 왕조의 해체이래 각지에 할거한 여러 제후국을 정복하고 현재의 터키 공화국의 국토라 할 수 있는 아나톨리아 전부를 손안에 넣었다.
1475년에는 크림반도에 할거하던 몽골제국의 후예국가인 크리미아 칸국을 복속시키고 흑해를 오스만 제국의 바다로 만들었다. 30년에 걸친 2번째 치세에 이르러 메메드 2세는 콘스탄티노플과 발칸반도의 여러 왕국, 아나톨리아의 투르크계 여러 세력을 정복해 오스만 제국의 세력을 급속도로 확대시켰다. 이로인해 오스만 왕조는 제국이라 불릴 수 있는 내실을 획득할 수 있었다.
소아시아가 안정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으로 힘을 얻은 메메드는 그 자신이 로마 제국의 황제의 계승자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기 때문에 1480년 이탈리아를 침공한다. 로마를 점령하여 로마 제국을 재통합하려는 그의 의도는 좋았으나 때마침 알바니아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배후를 차단당하고 교황 식스토 4세의 강력한 군대에 밀려 퇴각했다. 그러나 그는 발칸지방에서 작은 군주국을 제압하는데 성공하여 오스만의 세력을 발칸지방으로 확대하고 베오그라드까지 진출했다. 그의 죽음에 대해선 독살설이 있어 [유대인 시의가 가담했다]라는 이야기가 있다.
[편집] 내정
내정에서는 수도를 지금까지의 에디르네에서 새롭게 정복한 콘스탄티노플로 옮기고 새로운 수도에 이슬람교도을 불러모아 살게 하면서 비잔틴 제국시대부터 살아왔던 정교도와 서양으로부터 온 카톨릭교도, 아르메니아 정교도나 유대교도들도 살게했고, 모스크와 상업시설등의 인프라를 건설해 이스탄불이란 새로운 이름으로 붙여진 이 도시를 부활시키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또한 관습법이나 법령을 집대성한 카눈나메라 불리는 법전집을 편찬하고, 카프쿠르라 불리는 자식같은 군인관료을 재상이나 주지사등의 고관으로 임용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중앙집권적인 통치기구를 정비했다.
[편집] 군주평
메메드 2세 자신은 페르시아어로 시를 짓고, 아라비아어로 풀이할 정도로 경건하고 교양있는 무슬림이었으나, 동시에 전통적인 이슬람 문화만을 고집하는 마음을 갖지않아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와 예술가를 모았고, 자신의 유명한 초상화을 베네치아 출신의 화가 젠티네 발리네(Gentile Bellini)에게 그리게 하는등 고전적인 이슬람 국가의 이미지에 머물지 않고 코스모폴리탄적인 제국의 군주로써 군림했다. 그는 이슬람 남성에게 존재하던 남색을 애호하여 인질로 있던 크리스트교국의 젊은 왕자나 비잔티움의 귀족 자신들을 사랑하였다.
[편집] 주석
- ↑ 시오노 나나미 저, 최은석 역,《콘스탄티노플 함락》(제2판), 한길사, 2002, p.35
전 임 무라드 2세 무라드 2세 |
오스만 제국의 술탄 1444 - 1446 1451 - 1481 |
후 임 무라드 2세 바예지드 2세 |
분류: 1432년 태어남 | 1481년 죽음 | 오스만 제국의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