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계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19) 성북 | (120) 석계 | (121) 신이문 | 인천·천안 방면 |
응암 순환 | (643) 돌곶이 | (644) 석계 | (645) 태릉입구 | 봉화산 방면 |
석계 | |
---|---|
![]() |
|
석계역 1,6번 출구 | |
역 정보 | |
노선 | 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6호선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1동 36 |
개업일 | 1985년 1월 14일 |
역 종별 | 운전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섬식 (1면 2선) |
전화번호 | 02-943-7788 |
GPS 좌표 | {{{GPS}}} |
석계역(石溪驛, Seokgye)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6호선이 서로 만나는 역이다. 환승 거리가 긴 편으로, 지하 환승 통로에는 무빙 워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과 1호선 신이문역 사이에 2005년 7월 5일부터 운영중인 한국철도공사 이문차량기지가 있다.
석계역 광장은 서울 동부의 버스 환승지점으로, 많은 이용객들이 버스편을 이용하여 석계역을 찾는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편집] 1호선
- 내리는 문의 위치 : 오른쪽
[편집] 6호선
[편집] 주변 정보
- 이문차량기지
[편집] 역사
[편집] 1호선
[편집] 6호선
[편집] 역명 유래
석계역은 성북구 석관동과 노원구 월계동에 거쳐있는 역으로 석관동의 첫번째 글자인 "석(石)" 자와 월계동의 두번째 글자인 "계(溪)" 자를 합쳐 "석계(石溪)"라고 부르게 되었다.
[편집] 승차량 변동
역의 동쪽과 북쪽엔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서남부는 전반적으로 저층 고밀도 상태다. 1호선역의 경우 6호선 개통으로 인해 환승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2000~2001년 사이의 변동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다른 지역과는 달리 2003~2004년 사이에 1호선역의 승차량이 상승하였다. 버스 개편의 영향이 있는 것 같다. 6호선역은 2003~2005년간 안정되어 있다 2006년 다시 약간의 상승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상황의 이유는, 6호선이 제공하는 동선이 동북지역에서도 이전보다 조금씩 더 매력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 때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22239 | 14579 | 14969 | 14907 | 19308 | 20234 | 19197 |
6호선 | 6256 | 10842 | 13225 | 14578 | 14458 | 14704 | 15331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