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전 (광둥 성)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선전(중국어: 深圳, 병음: Shēnzhèn, 심천)은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의 부성급시로서 면적은 2,020 평방킬로미터이고 인구는 약400만명으로 1980년에 설치되었다. 이중 경제특구는 시내의 391.71 평방킬로미터를 차지하고, 중국인이라도 출입 허가가 필요한 지역으로 중국에서 가장 먼저 개방한 경제 특별구역이다. 홍콩(23,125달러)과 마카오에 뒤이어서 소득이 높다. 2003년의 한사람당 국민 소득은 136,071위안(약16,430달러)으로 중국에서 세번째로 높은 지역이다. 1979년 덩샤오핑은 인구 30만명의 농촌과 어촌이었던 곳을 특별 구역으로 지정하여 개혁과 개방의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는 중국 전체의 성공 모델이 되었다.
경제 특구로 지정된 후, 막대한 외국투자를 유치하여 제조업이 주로 발달하였지만, 최근에 정보통신산업이나 서비스업도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수출액에서는 홍콩을 제치고, 상해에 비슷해져가고 있다. 1990년에는 증권거래소가 설치되어 상해 증권거래소와 함께 외국인이 투자할 수 있는 주식을 취급한다. 홍콩에 비교하면 물가가 싸기 때문에 홍콩 주민은 인접의 선전의 쇼핑타운에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범죄율이 높다고 알려지고 있다.
목차 |
[편집] 인구
약 400만명인 거주민의 평균 연령은 30세 미만으로 선전은 매우 젊은 도시이고, 인구 구조는 양극화되어 있는데 고등교육을 받은 지식인과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한 노동자들로 나뉘어 있다. 2002년 홍콩 상공회의소의 조사에 따르면, 홍콩에서 선전으로 출근하는 사람은 매일 7200명이며, 22000명의 학생이 매일 선전에서 홍콩으로 등교를 한다. 이들은 매일 경계를 벗어날 때, 출입사무소를 통과하여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03년 북경 그리고 상하이와 함께 선전과 광조우 남부도시에 거주하는 개인들도 홍콩을 방문할 있도록 제한이 완화되었다. 이전에는 중국 본토 주민은 단체 여행으로만 홍콩을 방문할 수 있었다. 공장에 많은 여공들이 취업하고 있으므로 성비가 매우 불균형한데, 남여 성비가 1:7에 이른다.
[편집] 경제
화웨이나 ZTE 같은 중국의 성공한 첨단기술 회사의 본사는 대부분 선전에 자리를 잡고 있다. 외국계 IT 기업도 선전에 영업장을 가지고 있는데, Foxconn은 선전에 제조 공장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서 애플 컴퓨터의 아이포드나 노트북 컴퓨터를 제조하고 있다. 새로 만들어지는 인텔기반의 노트북의 대부분이 선전에서 선적되고 있다. 선전시 상업은행도 이곳에 자리를 잡고 있다.
[편집] 항구
선전의 서항은 링딩양의 동쪽에 놓여 있는데 수심이 깊어 항구로 좋은 입지를 가지고 있다. 이곳은 홍콩으로부터 20해리 떨어져 있고, 북쪽에 있는 광저우로부터 60해리 떨어져 있다. 동항은 다펭만의 북쪽에 놓여 있는데, 이 부두는 넓고 잔잔해서 남중국에서 가장 천연적 조건이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서부지역의 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선전은 2005년 전세계에서 네번째로 많은 컨네이너를 운송했다. 허치슨 황포 주식회사와 중국 상업 지주 회사, 그리고 그외 다른 항구 운영사들은 2006년 1억 6200백만 개의 표준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으며, 이것은 19%가 증가한 숫자이다.
[편집] 바깥 고리
- ((중국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
---|---|
성 | 간쑤 성 | 광둥 성 | 구이저우 성 | 랴오닝 성 | 산둥 성 | 산시 성 (산서성) | 산시 성 (섬서성) | 쓰촨 성 | 안후이 성 | 윈난 성 | 장시 성 | 장쑤 성 | 저장 성 | 지린 성 | 칭하이 성 | 푸젠 성 | 하이난 성 | 허난 성 | 허베이 성 | 헤이룽장 성 | 후난 성 | 후베이 성 |
자치구 | 광시 좡족 자치구 | 네이멍구 자치구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티베트 자치구 |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
직할시 | 베이징 | 상하이 | 충칭 | 톈진 |
특별행정구 | 마카오 | 홍콩 |
분류: 부성급시 | 중화인민공화국의 도시 | 광둥 성의 행정 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