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창암(朴蒼岩,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은 만주군 출신으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1921년 생이라는 설도 있다.
목차 |
[편집] 약력
- 함경남도 북청 출생
- 옌지에서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교직에 근무
- 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3년 만주군의 간도 특설대에 입대, 광복 이틀후 귀국
- 미군정하에서 갑종 7기생으로 임관한 그는 한국 전쟁 이전부터 북조선에 대한 특수 임무에 종사했다. 대한민국 국군의 특수부대 창설에 깊이 관여하여 한국 전쟁 때도 유격대를 이끌고 특수전을 수행했다.
- 1961년 박정희의 5·16 군사정변 때는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으로서 사관생도들을 이끌고 가담했다. 그는 당시 육군 대령이었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5·16 지지 시가 행진을 하도록 하여 쿠데타 세력에게 큰 힘이 되어주었다. 쿠데타가 성공하자 부정축재자 등을 적발하는 국가재건최고회의 혁명검찰부장에 임명되었다.
- 1963년 쿠데타 세력 내의 함경도 인맥이 한꺼번에 연루된 반혁명사건으로 박임항, 김동하 등과 함께 전격 체포되었다. 그는 군사재판에 회부되었고, 혐의를 부인하였으나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 7년형에 처해졌다. 그러나 이 사건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박정희가 조작한 것으로 의심을 받고 있는 정치적인 사건이었다[1][2]. 관련자들은 선거가 끝난 뒤 오래지 않아 병보석이나 형집행정지로 풀려났다.
- 그는 권력의 핵심부에서 순식간에 밀려나 1968년부터 우익 민족주의 경향의 월간지 《자유》를 발간하였다.
- 1976년 이유립, 안호상, 유봉영, 문정창, 박시인, 임승국 등과 함께 국사찾기 협의회 조직
- 《환단고기》에 대한 사료를 조사, 발굴하는 등으로 소일하면서 여생을 보냈다.
- 만주군에 근무한 경력 때문에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에 선정되었다.
[편집] 기타 사항
부인 이겸희는 체육인 이상백의 조카이다.
[편집] 참고자료
- 《프레시안》 (2003.12.10) 인물 탐구/ 군인 박창암 (상) 독립ㆍ통일 지향하다 철저한 반공군인으로
- 《프레시안》 (2003.12.12) 인물 탐구/ 군인 박창암 (중) 5.16과 혁명검찰 시절
- 《프레시안》 (2003.12.13) 인물 탐구/ 군인 박창암 (하) 박창암과 장도빈 - 국사찾기운동
[편집] 주석
- ↑ 《신동아》 (2004년 1월호) 강원용 목사의 체험 한국 현대사 ③ - ‘박정희 축출’다짐했던 미국, 베트남 파병 대가로 정권 보장
- ↑ 백무현, 박순찬, 뉴스툰, 민족문제연구소 (2004-05-01). “제5장 권력을 강탈하다 - 7. 추악한 권력 쟁탈전 - 반혁명 사건”, 《만화 박정희 1》. 서울: 시대의창. ISBN 978895940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