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쿄(동경, 일본어:
목차 |
[편집] 개요
'도쿄'라고 하는 명칭은, 1868년 9월 (메이지 원년 또는 게이오 4년 7월)에 반포된 칙서인 '에도를 칭하여 도쿄라고 삼음'(江戸ヲ称シテ東京ト為スノ詔書)에 따라, 에도의 마치부교(町奉行)가 관할하던 지역을 관할하는 '도쿄 부'(東京府)가 설치된 것에서 유래한다. 교토에서 볼 때 '동쪽의 도읍지'라는 의미를 뜻한다. 메이지 중기까지는 '東亰'라는 표기 또한 사용되었다. (亰는 京의 속자)
메이지 유신에 의한 신 정부 수뇌진은 에도로 천도하는 것을 검토하였으나, 교토의 귀족 및 관인들의 반발이 컸던 이유로, 일단 '에도 또한 도읍지이다'라는 선언을 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에도 또한 도읍지가 된 이상, 전황은 에도(도쿄)에서도 행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라는 빌미로 천황의 이동[1]이 계획되었다. 메이지 천황은 1868년 11월(메이지 원년 10월)에 도쿄 성(구 에도 성)에 들어, 그후 한번은 교토에 돌아온다. 1869년 5월 (메이지 2년 3월)에 다시 도쿄(이 당시 도쿄 성이 '황성'이 되었음)로 이동하며, 대정관(太政官) 또한 이동하게 되었다. 이후, 천황과 정부가 교토로 돌아오는 일은 없이, 사실상의 '도쿄 천도'가 이루어 진 것이라 전해진다. (지금에 이르기까지 '도쿄 천도' 자체는 법령에 의해 명시되지 않고, 도쿄를 수도로 직접 정한 법령 또한 존재하지 않으나, 간토 대지진 직후에 나온 다이쇼 천황의 칙어 중에 '도쿄는 제국의 수도 하여'(東京ハ帝国ノ首都ニシテ)라는 문헌이 남아 있다.) 그러나 한편 도쿄 어소는 현재에 이르니까지 폐지되지 않고, 경내의 시신덴(紫宸殿)에는 천황이 있는 곳임을 나타내는 어좌가 안치되어있어, 이에 따라 천도를 부정하는 의견 또한 있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일본국 헌법에 따라 주권을 천황이 아닌 국민에게 있다는 선언을 하였기 때문에, 국권의 최고기관인 국회의 소재지인 도쿄를 수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 또한 있다. 한편, 최근에 들어 수도기능을 도쿄에서 도치기 및 후쿠시마 지역(나스(那須)), 기후 및 아이치지역(도노(東濃)), 미에 기오(畿央) 지역 등지로 이전하려는 계획('수도기능이전')이 부상하여,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
일본 전국의 교통 수단을 볼 때 특히 도쿄에 철도 및 고속도로가 집중적으로 건설되었고, 도쿄 지역의 뉴스가 전국 뉴스가 되는 등, 도쿄 및 (간토 지역)이 특별취급을 받는 예가 많다. 또한 지진 등의 피해로 인해 도쿄의 도시기능이 마비되는 경우 일본 전역에 걸쳐 중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편집] 정의
도쿄라고 했을 때는 대개 다음 지역을 말한다.
- 도쿄 도심(약 33만 명) - 지요다 구, 주오 구, 미나토 구
- 도쿄 23구(약 852만 명) - 옛 도쿄 시의 35개 구 지역
- 도쿄 15구 - 옛 군 지역인 나카노 구, 시부야 구 등을 제외한 지역. 1878년 도쿄 시 설립 당시의 지역
도쿄 에어리어라고 했을 때는 다음 지역을 말한다.
- 도쿄 도(약 1268만 명)
- 도쿄 대도시권(약 3173만 명) - 도쿄 23구의 10% 통근권[2]
- 간토 대도시권(약 3461만 명) - 도쿄 23구 지역 및 근교의 정령시 중심 1.5% 통근통학권
- 도쿄 권 (약 3439만 명) - 도쿄 도심에서 반경 70km 이내
- 미나미칸토 (약 3447만 명)
- 수도권 (약 4237만 명) - 도쿄 도와 인접 7현
- 도쿄 지방 - 기상청에서 일기 예보 시에 사용하는 도쿄 도에서 도서 지역을 제외한 지역.
[편집] 인구
현재 도쿄 23구의 인구는 852만명(2006년 8월 현재)이다. 도쿄 도 전체는 1264만명, 도쿄 권으로 보면 3400만명 이상이다.
[편집] 교통 면에서 본 도쿄
- 철도로는 도쿄 역을 도쿄로 보는 경우가 많다. 장거리 열차에 적용되는 '도쿄도 구내' 및 '도쿄 야마노테 선내'를 발착하는 승차권은, 도쿄역 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운임이 계산되어 있다.
- 항공으로는 도쿄 국제공항 (하네다 공항)을 가리킨다. 단, 지바 현 나리타 시에 위치하는 신도쿄 국제공항(나리타 공항) 또한 '도쿄(나리타)' 로 취급하며, 국내선 운임 취급은 하네다 공항과 동일하다.
- 도로 상으로는, 도메이 고속도로에 '도쿄 인터체인지'가 세타가야 구에 존재한다. 단, 도메이 고속도로는 도심과 연결되는 수도고속도로와 직접 연결이 되어 있어, 도쿄 인터체인지 자체는 '도쿄에 진입했다'는 정도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도로상의 안내 표지에 나오는 '도쿄'까지의 거리는, 주오 구 니혼바시가 기준이 되고 있다.
- 선박으로는 도쿄 항을 가리킨다.
[편집] 경제
도쿄 도심(33만명)의 총 GDP는 약 1조 2천억 달러로 추산되며, 도심인구로서는 세계최고를 달리고 있다. 도쿄는 2006년까지 14년 연속으로 세계에서 물가가 가장 비싼 도시로 꼽혔다. [출처 필요]
[편집] 도쿄의 주요 거리
[편집] 도심부의 거리
|
[편집] 다마지구의 거리
|
|
|
[편집] 갤러리
[편집] 함께 보기
- 도쿄 마라톤
[편집] 바깥 링크
- ((일본어))도쿄 도 공식 웹사이트
- WikiMapia 도쿄
[편집] 주석
분류: 출처 없는 문장이 포함된 문서 | 도쿄 도 | 일본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