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자위대(日本自衛隊, JSDF, Japan Self-Defense Forces, 일본어: じえいたい)는 일본의 방위조직으로서 육·해·공 3개 자위대로 이루어진 군사 조직이다. 일본방위성에 소속되어 있다. 1950년 창설된 경찰예비학교와 52년 창설된 해상경비대를 모체로 52년에 보안대, 경비대로 각각 개편된 뒤, 1954년 7월 1일 자위대법에 의해 자위대로 통합·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최고 지휘·감독권은 내각에 있으며, 총리가 최고지휘관이다. 방위성대신은 총리의 지휘·감독을 받아 자위대를 지휘한다. 방위성은 자위대의 관리·운영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는데, 내국(內局)과 육·해·공 자위대의 막료감부(幕僚監部), 통합막료감부, 방위시설청(外局) 및 부속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위대는 각각 막료감부와 막료장의 감독을 받는다. 총병력은 23만 9430명(2005년 현재)이고 18세에서 27세 사이의 남여가 지원하여 복무하는 지원제이다. 49세까지 근무할 수 있다. 국방예산은 443조 달러(2005년 현재)이며 GDP의 약 1%정도이다.
평화 헌법이라 불리는 일본국 헌법에의해 현재까지 자위대는 전쟁행위가 금지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국제적 평화유지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새로운 헌법 개정으로 자위대의 지위와 임무를 정식 군대로 만들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으며 이에 대해 주변국인 한국, 중국, 러시아, 북한 등이 민감하게 반응하여 새로운 일본 제국주의의 재등장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목차 |
[편집] 조직 및 편성
2005년 현재 육상자위대 규모는 14만 7737명이며, 부대는 5개 방면대와 장관직할부대로 편성된다. 해상자위대는 4만 4327명 규모로, 자위함대, 5개 지방대, 교육항공집단 및 장관직할부대로 편성된다. 주요함정 171척, 항공기 182기로서 함정규모는 세계 제 6 위, 대잠수함 작전 능력은 세계 제 2 위이다. 항공자위대는 4만 5517명 규모로, 항공총대, 항공교육집단 등과 직할부대로 편성된다. 작전용 항공기는 450대이나 방공능력 등을 고려하면 세계적인 수준이다. 이외 함참본부에 1849명이 있으며 예비병은 5만 7899명이다.
- 일본 방위성(MOD, Ministry of Defense) & 일본자위대(JSDF, Japan Self-Defense Forces)
[편집] 일본방위성(MOD) & 일본자위대(JSDF)
- 통합막료감부(JSO, Joint Staff Office)
- 정보본부(DIH, Defence Intelligence Headquarters)
[편집] 일본 육상자위대(JGSDF)
- 북부방면대(北部方面隊) - 홋카이도(北海道) 삿포로(札幌)시
- 동북방면대(東北方面隊) - 미야기(宮城)현 센다이(仙台)시
- 동부방면대(東部方面隊) - 도쿄(東京)근교 아사카(朝霞)
- 중부방면대(中部方面隊) - 효고(兵庫)현 이타미(伊丹)시
- 서부방면대(西部方面隊) - 쿠마모토(熊本)현 쿠마모토(熊本)시
[편집] 일본 해상자위대(JMSDF)
- 자위함대(自衛艦隊) - 사령부: 카나가와(神奈川)현 요코스카(橫須賀)시
- 호위함대(護衛艦隊)
- 항공집단(航空集團) - 사령부: 아츠기(厚木)항공기지
- 잠수함대(潜水艦隊)
- 오미나토 지방대(大湊地方隊) - 오미나토(大湊)항
- 요코스카 지방대(橫須賀地方隊) - 요코스카(橫須賀)항
- 마이즈루 지방대(舞鶴地方隊) - 마이즈루(舞鶴)항
- 쿠레 지방대(吳地方隊) - 쿠레(吳)항
- 사세보 지방대(佐世保地方隊) - 사세보(佐世保)항
[편집] 일본 항공자위대(JASDF)
- 항공총대사령부(航空總隊司令部) - 후추(府中)기지
- 북부항공방면대(北部航空方面隊) - 미사와(三澤)기지
- 중부항공방면대(中部航空方面隊) - 이루마(入間)기지
- 서부항공방면대(西部航空方面隊) - 카스가(春日)기지
- 남서항공혼성단(南西航空混成團) - 나하(那覇)기지
[편집] 자위관의 계급구성표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
---|---|---|---|---|---|
간부(幹部) | 장관(將官) | 장(將) | 육장(陸將) | 해장(海將) | 공장(空將) |
장보(將補) | 육장보(陸將補) | 해장보(海將補) | 공장보(空將補) | ||
좌관(佐官) | 1좌(一佐) | 1등육좌(一等陸佐) | 1등해좌(一等海佐) | 1등공좌(一等空佐) | |
2좌(二佐) | 2등육좌(二等陸佐) | 2등해좌(二等海佐) | 2등공좌(二等空佐) | ||
3좌(三佐) | 3등육좌(三等陸佐) | 3등해좌(三等海佐) | 3등공좌(三等空佐) | ||
위관(尉官) | 1위(一尉) | 1등육위(一等陸尉) | 1등해위(一等海尉) | 1등공위(一等空尉) | |
2위(二尉) | 2등육위(二等陸尉) | 2등해위(二等海尉) | 2등공위(二等空尉) | ||
3위(三尉) | 3등육위(三等陸尉) | 3등해위(三等海尉) | 3등공위(三等空尉) | ||
준위(准尉) | 준위(准尉) | 준육위(准陸尉) | 준해위(准海尉) | 준공위(准空尉) | |
조사(曹士) | 조(曹) | 조장(曹長) | 육조장(陸曹長) | 해조장(海曹長) | 공조장(空曹長) |
1조(一曹) | 1등육조(一等陸曹) | 1등해조(一等海曹) | 1등공조(一等空曹) | ||
2조(二曹) | 2등육조(二等陸曹) | 2등해조(二等海曹) | 2등공조(二等空曹) | ||
3조(三曹) | 3등육조(三等陸曹) | 3등해조(三等海曹) | 3등공조(三等空曹) | ||
사(士) | 사장(士長) | 육사장(陸士長) | 해사장(海士長) | 공사장(空士長) | |
1사(一士) | 1등육사(一等陸士) | 1등해사(一等海士) | 1등공사(一等空士) | ||
2사(二士) | 2등육사(二等陸士) | 2등해사(二等海士) | 2등공사(二等空士) | ||
3사(三士) | 3등육사(三等陸士) | 3등해사(三等海士) | 3등공사(三等空士) |
주: 자위대의 장관급 계급에서 장(將)은 타국 군대의 중장(3성 장성), 장보(將補)는 타국 군대의 소장(2성 장성)에 해당하며, 타국 군대의 준장(1성 장성)에 해당하는 계급은 없다. 단, 통합막료장 및 육해공 각 막료장은 공식적으로는 장(將)계급이지만, 4성 계급장을 착용하며 외국어로 계급을 번역할 때도 대장(4성 장성)으로 번역되는 등, 실질적으로는 타국 군대의 대장(4성 장성)에 해당한다.
[편집] 미군과의 관계
- 주일미군(USFJ)
[편집] 일본평화헌법과의 관계
[편집] 일본자위대의 해외파견
자위대는 1991년 4월 26일 페르시아 만에 6척 규모의 소해(掃海)부대를 파견하였고, 92년 6월 국제연합평화유지활동(PKO) 협력법안이 참의원과 중의원을 통과한 데 이어, 같은 해 9월 11일부터는 캄보디아에 유엔평화유지군(PKO파견부대)을 파견하는 등 해외 활동에 나섰다. 2003년에는 무력공격사태대처법, 자위대법 개정, 안정보장회의설치법을 만들었고 또한 2004년에는 "이라크복구지원특별조치법"에 의해 이라크 남부 사마와 지역에 2년 반동안 파병하였다. 2005년에는 해외파견에 따른 정보수집력을 강화하기위해 자위대에 정보수집 전문 부대를 만들었다. 2006년 북한의 핵실험에 자극 받은 일본은 2006년 10월 13일 아베 내각총리대신이 자위대를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해외 파병하고 정당방위를 벗어난 무기사용도 가능하게 하는 자위대 해외파견관련법인 국제평화협력법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치안유지, 경호활동, 선박검사 임무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주변국에서는 이러한 파병과 법개정이 교전권, 참전권을 금지하는 일본국 헌법 9조를 무효화 시키려는 음모로 평가하고 경계하고 있다.
[편집] 관련항목
[편집] 자위대 관련
[편집] 동맹 관련
[편집] 주변국 관련
[편집] 역사적 관련
[편집] 바깥 고리
- ((일본어/영어)) 방위성(MOD) & 일본 자위대(JSDF)
- ((일본어/영어)) 통합막료감부(JSO)
- ((일본어/영어)) 일본 육상자위대(JGSDF)
- ((일본어/영어)) 일본 해상자위대(JMSDF)
- ((일본어/영어)) 일본 항공자위대(JASDF)
- ((일본어/영어)) 정보본부(DIH)
- ((영어)) Japan Military Guide (globalsecurity.org)
- ((일본어)) 육상자위대의 이라크 인도부흥지원활동(人道復興支援活動)
- ((일본어)) 이라크 인도부흥지원활동 및 안전확보지원활동 실시에 관한 특별조치법
분류: 출처가 필요한 문서 | 일본의 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