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성시 | |
---|---|
![]() |
|
현황 | |
면적 | 554.2km² |
세대 | 63,042가구 (2007년) |
총인구 | 162,188명 (2007년) |
법정동 | 33개 |
행정동 | 3개 |
읍 | {{{읍}}}개 |
면 | {{{면}}}개 |
단체장 | |
홈페이지 | http://www.anseong.go.kr/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개나리 |
시조 | 까치 |
군목 | {{{군목}}} |
군화 | {{{군화}}} |
군조 | {{{군조}}} |
구목 | {{{구목}}} |
구화 | {{{구화}}} |
구조 | {{{구조}}} |
목차 |
[편집] 역사
- 1963년 1월 1일 용인군 고삼면이 안성군으로 편입되었다. [1]
- 1983년 2월 15일 원곡면 용이리·죽백리·청용리·월곡리와 공도면 소사리가 평택군 평택읍으로 편입되었다.[2]
- 1998년 4월 1일 안성군 일원을 관할로 안성시가 설치되었다.[3]
[편집] 하위 행정구역
- 공도읍
- 보개면
- 금광면
- 서운면
- 미양면
- 대덕면
- 양성면
- 원곡면
- 일죽면
- 죽산면
- 삼죽면
- 고삼면
- 안성1동
- 안성2동
- 안성3동
[편집] 관광
- 안성 남사당전수관: 보개면 소재. 4월~10월까지 매주 무료로 남사당 공연이 열린다.
- 안성술박물관: 금광면 소재.2004년 11월에 개관하였고 술 관련 자료 4만건이 전시되어 있다.[4]
[편집] 바깥고리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안성시청 홈페이지
[편집] 주석
경기도의 행정 구역 |
---|
도청 소재지: 수원시 |
고양시 | 과천시 | 광명시 | 광주시 | 구리시 | 군포시 | 김포시 | 남양주시 | 동두천시 부천시 | 성남시 | 수원시 | 시흥시 | 안산시 | 안성시 | 안양시 | 양주시 | 오산시 용인시 | 의왕시 | 의정부시 | 이천시 | 파주시 | 평택시 | 포천시 | 하남시 | 화성시 |
가평군 | 양평군 | 여주군 | 연천군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