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DPA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는 W-CDMA를 확장한 고속 패킷통신 규격이다. W-CDMACDMA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와이브로와 함께 3.5세대 이동통신 방식으로 불린다.

3세대 비동기식 이동통신기술 표준화 기구인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가 2002년 3월 발표한 릴리스 5의 핵심기술인 고속데이터패킷접속은 W-CDMA 표준에서 패킷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가리킨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W-CDMA보다 5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속도는 최대 14.4Mbps이다. 기지국에 대한 별도의 투자 없이 W-CDMA 시스템을 개량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2005년 CES에서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HSDPA의 휴대단말기를 선보였으며, 2006년 5월 16일 한국의 SK텔레콤에서 세계 최초로 상용화 하였으며, 첫 상용 단말기는 삼성전자의 SCH-W200이다

[편집] 같이보기

  • 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이 문서는 무선통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