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기독교의 역사
예수

사도, 교부
대분열
종교 개혁

기독교 신학
삼위일체(성부, 성자, 성령)

죄, 구원, 믿음, 율법, 은총
교회, 성사(성례전)
종말론
천국
성서비평학
역사적 예수

경전
구약성서 (모세오경)

신약성서
사복음서
산상수훈
파울루스 서신
외경
위경

기독교의 분파
로마 가톨릭

동방정교회
성공회
개신교

기독교 운동
에큐메니컬 운동

근본주의
복음주의
자유주의 신학
신정통주의
해방신학

가톨릭의 교부는 가톨릭신학의 주춧돌을 놓은 교부들을 일컫는다. 여기서 말하는 가톨릭 신학은 로마 가톨릭 신학이 아닌, 사도신경니케아 신경에서 말하는 공교회의 신학 즉, 보편적인 교회의 신학을 말한다. 이들의 신학을 교부신학이라 부르며 종교철학에서는 교부철학으로 나누어 연구하고 있다. 가톨릭의 교부는 2세기에서 8세기에 걸쳐 기독교의 이론을 세우고 또한 이단과의 열띤 논쟁을 벌여 사도로부터 계승된 공교회를 수호하는데 앞장섰다.

목차

[편집] 교부의 자격과 구분

신학을 연구하였다고 하여서 아무나 교부로 받들어지지 않는다. 교부로 인정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몇몇 조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 전래의 교회에 (antiquitas ecclesiae) 관하여 저술을 써서 인용되는 자.
  • 정통교리를 (doctrina orthodoxa) 세운 자.
  • 성스런 삶을 (sanctitas vitae) 꾸린 자.
  • 교회로부터 (approbatio ecclesiae) 특히 가톨릭의 교황에 의해 인정을 받은 자.

교부는 그들이 활동한 시대에 따라 크게 세 무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이 활동한 혹은 출생한 지역에 따라 무슨 무슨 교부라고 부르기도 한다.

  1. 사도들의 제자 혹은 그들의 가르침을 직접 들은 교부 (1세기 말 - 2세기초).
  2. 니케아공의회 이전의 교부 (2 - 3세기).
  3.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교부 (4 - 8세기).

[편집] 2세기의 교부

  • 로마교구의 클레멘스 : 일부 교회사학자들은 로마교구의 클레멘스 주교를 신약성서의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의 클레멘스로 보기도 한다.[1]
  • 폴뤼카르프
  • 이그나티우스
  • 이레니우스

[편집] 니케아 공의회 이전의 교부

[편집] 알렉산드리아의 교부

  • 오리게네스
  • 알렉산드리아 교구의 클레멘스
  • 예루살렘의 키릴루스
  • 디뒤무스 알렉산드리아누스

[편집] 북아프리카의 교부

[편집] 로마교구의 교부

[편집]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교부

[편집] 그리스 교부

[편집] 라틴 교부

[편집] 주석

  1. 쉽고 재미있는 교회사/유재덕 지음/작은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