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P143) 독산 (P144) 시흥 (P145) 석수 천안 방면
(K410) 광명 광명 방면
서울역 방면 (139) 영등포 (P144) 시흥 (P147) 안양 천안 방면
시흥
역 정보
노선 경부선(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고속선(광명 셔틀)
소재지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1동 113-77
개업일 1908년 4월 1일
역 종별 보통역
역 등급 3급
승강장 상대식 (2면 4선)
전화번호 02-803-0019
GPS 좌표 {{{GPS}}}

시흥역(始興驛, Siheung)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있는 역이다. 경부고속선과의 분기역이며, 역사 내부에 금천구 현장민원실이 있다.

목차

[편집] 역사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 : 오른쪽 (급행열차는 왼쪽)

[편집] 역명에 관한 이야기

역명이 시흥역인 탓에, 이 역을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역으로 착각하는 여행자가 많다. 개찰구에는 '여기는 서울시 금천구 시흥동입니다. 경기도 시흥시를 찾아가실 분은 목적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신 후에 소사역, 안양역 등에서 버스를 이용하시거나 4호선 오이도역, 정왕역 등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가 붙어있다.

원래 이 지역은 1963년까지 당시 경기도 시흥군 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조선시대 금천현의 중심지로 관아가 위치했고, 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이 근처의 지명인 '시흥'을 따 시흥군이라고 하였다. 이후 1910년까지는 시흥군의 중심지이자, 시흥군청이 위치하던 곳이었다. 하지만 1911년 영등포로 군청이 옮겨져서, 자연히 시흥군의 중심지는 영등포로 옮겨지게 되었다. 1936년 경성부의 시계 확장 때 영등포읍이 경성부에 편입되어, 이후 시흥군의 중심지는 영등포에서 안양으로 이동하였고, 군청도 안양으로 이전하였다.

시흥군의 중심지 기능을 상실한 시흥리 지역은 1963년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옛날에 이 곳이 시흥군의 중심지였다는 사실은 시흥동이라는 지명에서나 남아 있다.

한편 시흥군은 주변 지역의 성장으로 1973년 안양시를 시작으로 차례로 광명시, 안산시, 과천시, 군포시, 의왕시가 시로 독립하였고, 1989년 시흥군의 남은 지역인 소래읍(현 시흥시 대야동, 신천동 일대), 군자면(현 시흥시 거모동, 정왕동 일대), 수암면(현 안산시 안산동 일대, 1995년 시흥시에서 안산시로 편입) 지역을 남겨놓은 채 현재의 시흥시가 되었다. 이렇게 되어 현재의 시흥시 지역은 금천 지역에서 따온 '시흥' 이라는 지명과는 아무 상관없는 지역이 되어 버렸다.

현재의 시흥시 중 옛 소래읍 지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부천역, 소사역 등에서 버스를 통해 갈 수 있으며, 옛 군자면 지역은 수도권 전철 4호선 정왕역오이도역이 위치하고 있다.

[편집] 승차량 변동

2003~2004년 사이의 감소는 이 역에서도 발견된다. 이후 승차량은 약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역 노선 승차 인원[1]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1호선 9990 11785 12063 14641 11264 10838 10914
  1.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