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살바도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pública de El Salvador
엘살바도르의 국기 엘살바도르의 문장
(국기) (문장)
표어: Dios, Unión, Libertad
(스페인어: 하나님, 화합, 자유)
국가: Saludemos la Patria orgullosos
엘살바도르의 위치
수도 산살바도르
13°40′N 89°10′W
공용어 에스파냐어
정부 형태
대통령
대통령제
안토니오 사카
독립
 • 독립
에스파냐로부터 독립
1821년 9월 15일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21,040 km² (153위)
1.5%
인구
 • 2005년 어림
 • 1992년 조사
 • 인구 밀도
 
6,881,000명 (98위)
5,118,599명
318.7명/km² (32위)
GDP (PPP)
 • 전체
 • 일인당
2005년 어림값
$341.5억 (93위)
4,700 (108위)
HDI
 • 2003년 조사

0.722 (104위)
통화 미국 달러 (ISO 4217:USD)
(화폐단위:-)
시간대
 • 여름 시간
(UTC-6)
(없음) 
ISO 3166-1
·Alpha-2
·Alpha-3
인터넷 도메인 .sv
국제 전화 +503

엘살바도르(스페인어: República de El Salvador, 문화어: 쌀바도르)는 중앙아메리카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산살바도르이다.

면적은 2만 1041㎢로 경상북도 정도의 크기이며, 인구는 651만 5000명(2003)이며 인구밀도는 309.6명/㎢(2003)이다. 공용어로는 에스파냐어이다.

스페인어권 나라중 유일하게 나라이름에 정관사(el)을 붙인다.

목차

[편집] 역사

마야문명권에 속하였으나, 화산분화이후 기존의 주민들이 피난하고, 남은 자들은 작은 부족국가를 이루었으나, 1524년에 코르테스의 침입아래 정복되었다. 국명 엘살바도로는 구세주라는 뜻으로 알바라도 장군이 산맥을 넘어 이 땅에 도달한뒤 구세주에게 감사하라고 하여 명명하였다. 에스파냐의 지배이후 과테말라 총독의 관할하에 놓였으나, 19세기들어 독립의 기운이 높아졌다. 1821년 과테말라가 독립하자, 엘살바도르지역도 에스파냐의 지배에서 해방되었다.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등과 함께 중앙 아메리카 연방을 결성하였으나, 각자의 입장차이와 이권다툼으로 연방은 와해되고, 엘살바도르 공화국으로 독립한다. 그러나, 이후 내전과 군사독재가 이어지면서 정국이 줄곳 혼미한 상태가 된다.

20세기 들어서도 쿠데타가 빈번하여 세계공황기에 집권한 마르니테스 군사정권기간에는 3만에 달하는 국민이 학살당했다. 1944년 다시 쿠데타에 의해 마르니테스 정권은 붕괴하였으나, 이후에도 쿠데타에 의한 정권교체가 계속되었다. 혼란의 와중에서 많은 사람들이 주변각국 및 미국으로 경제이민이 되어 떠나가 엘살바도르인의 해외인구비율은 세계적으로 높은 편에 속한다. 1969년에는 국경분쟁 및 온두라스로 유입된 엘살바도르인들의 지위문제등 알력이 있었던, 온두라스와 축구시합을 계기로 축구전쟁이 벌어졌다. 1980년대에는 좌파계열의 인민해방전선과 우익군사독재정권[1]간에 내전이 발생한다. 당시 레이건 행정부의 미국은 엘살바도르 군사독재정권을 지원하였는데,전투 및 우익정부군에 의한 민간인테러등으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또한 사회구원을 강조하는 설교[2]로 기독교인의 민주화운동 참여를 격려해온 오스카 로메로 주교도 군사정권에 의해 암살당한다. 이 시기의 엘살바도르와 대주교 암살사건은 올리버 스톤 감독의 《살바도르》로 영화화되기도 하였다.

이후에도 휴전과 내전의 지리한 공방전이 계속되다가 1992년 UN의 중재에 의해 양측의 평화조약이 체결된다. 이후 한동안 평화유지군이 파견되었다. 그후 군사투쟁을 벌이던 인민전선도 정규정당으로 편입되는등, 1990년대 이후의 정치는 겨우 안정세로 돌아섰다.

[편집] 지리

서쪽으로 과테말라, 북·동쪽으로 온두라스에 접하며, 남쪽으로 태평양에 면한다. 중미에서 유일하게 대서양(카리브해)과 맞닿아 있지 않은 국가이며, 중미에서 가장 좁은 면적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멕시코를 제외한 중미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이다. 인구조밀도도 중미최고여서, 엘살바도르인의 근면한 이미지와 아울러 중미의 일본이라 부르기도 한다. 좁은 국토에 산악지형으로 이용가능한 토지자원, 혹은 지하자원이 거의 없어, 이용가능한 토지 전부와 산까지 농업용으로 개간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파괴정도가 심각한 국가이다. 지진및 화산활동이 활발한 곳으로 심각한 자연재해도 종종 입는다. 그러나, 화산인근의 화산재토양이 농업에 적합한 비옥한 토지이기에 인구가 모여살 수 밖에 없어, 주민의 불안한 생활이 계속되고 있다.

[편집] 행정구역

Mapa de El Salvador con señalamiento de sus departamentos.

엘살바도르의 행정구역은 헌법에 의하여 14개 주(departamentos)로 나뉘어져 있다. 14개 각 주는 다시 262개 지구(municipios)로 나뉜다. 각 주와 주도는 다음과 같다.

  1. 아우아차판 주 (아우아차판 시)
  2. 카바냐스 주 (센순테베케)
  3. 찰라테낭고 주 (찰라테낭고)
  4. 쿠스카틀란 주 (코후테베케)
  5. 라리베르다드 주 (누에바산살바도르)
  6. 라파스 (사카테콜루카)
  7. 라우니온 주 (라우니온)
  8. 모라산 주 (산프란시스코고테라)
  9. 산미구엘 주 (산미구엘)
  10. 산살바도르 (산살바도르)
  11. 산비센테 주 (산비센테)
  12. 산타아나 주 (산타아나)
  13. 손소나테 주 (손소나테)
  14. 우술루탄 주 (우술루탄)

[편집] 정치

엘살바도르는 다당제의 (실질적으로는 양당중심체제)의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고 있다. 2007년 현재, 보수정당인 공화국민동맹(ARENA) 소속의 안토니아 사카가 대통령이다. 주요야당은 내전기간중 우파정부를 향해 무장투쟁을 전개했던 파라분도 . 마르티 민족해방전선이다. 오랜 기간동안의 독재와 내전을 거쳤기 때문에, 정국이 불안정한 국가의 이미지가 강하다. 엘살바도르 정치의 근본적인 문제는 식민지시대의 지배계층인 에스파냐계 소수백인의 후손인 지주계층이 토지를 절대독점하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 "14가문"이라 부르는 이들이 나라의 부와 권력을 사실상 틀어쥐고 있다.

[편집] 주민

대다수의 주민(90%)이 메스티소(백인과 인디오의 혼혈)이며, 나머지는 백인(대부분이 에스파냐출신, 나머지는 포르투갈, 이탈리아, 프랑스출신)과(9%) 인디오(1%)다. 인구밀도는 과밀의 정도가 아니라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어, 국외로의 인구유출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인구 증가율도 3%를 넘는다. 내전기간중에 많은 엘살바도르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였고, 내전이 종식된 현재도 국외유출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다. 노동인구의 약 30%가 농업에 종사한다(1999).


[편집] 경제

엘살바도르는 중미에서는 공업이 가장 발달하였으나, 농업이 여전히 국가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주요 재배작물은 커피,사탕수수,면화등이며 미국계 거대곡물자본도 진출해 있다. 농업생산량은 국내의 과밀한 인구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여, 부족분을 수입하고 있다. 해외 거주 엘살바도르인이 국내에 보내오는 송금도 국가경제의 중요한 바탕이 되고 있다. 산업시설은 수도인 산살바도르에 집중되어 있어 산살바도르 지역은 공해 및 지방에서 밀려드는 빈민계층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고, 지방은 저개발 농업지역으로서 지역불균형발전도 심각하다. 1인당 국민소득은 4,700 달러 정도이다. 독자화폐단위인 콜론을 1919년부터 2001년까지 사용하였으나, 그 후 페소로 바꾸었다가, 다시 미국 달러를 자국의 기축통화로 도입하였다.


[편집] 언어

공용어는 에스파냐어이다. 다수의 아메리카어는 식민통치이후 소멸했고, 소수의 원주민들은 나후아틀어를 사용하나, 이웃의 과테말라에 비하여 그 숫자가 많지 않으며,전 인구의 1%미만에 불과하다. 교육받은 사람들은 영어를 할 줄 아나, 관광국가가 아니기 때문에,방문객이 자주 찾는 산살바도르의 큰 호텔을 제외하고는 영어가 거의 통하지 않으므로, 방문시에는 기본적인 에스파냐어가 필수이다. 엘살바도르에서 사용되는 에스파냐어는 중앙 아메리카 에스파냐어의 일부로서, 지리상의 근접에도 불구하고 멕시코 보다는 콜롬비아쪽에 더 가깝다. 소통에는 문제가 없으나, 사용하는 특정어휘에 나라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으며,너(tu)를 vos라고 하는등, 기본어휘에 차이가 있는 경우도 있다. 다른 중앙아메리카 국가와 달리 엘살바도르에서만 사용되는 칼리체라는 슬랭이 유명하다.

[편집] 대외관계

유엔과 미주기구연합,중미공동시장,중미의회,중미안보위원회,세계무역기구등의 회원국이다. 중화민국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몇 안되는 국가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일본의 괴뢰국인 만주국을 승인하였다. 이웃나라 온두라스와는 축구경기로 전쟁을 치렀고 국경분쟁도 잦았으나, 국제사법재판소로 넘어가기전에 평화조약을 채결하였다. 미국과는 국방및 경제분야에서 강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다. 1962년 남한단독수교하였다, 대략 300명가량이 체류해 있으며, 순수교민은 30명정도이다.

[편집] 문화

국민의 절대다수가 로마 가톨릭신자이다. 엘살바도르 가톨릭교회는 문화적 영향력이 커서,주요 국경일도 가톨릭과 관계된 것이 많다.

[편집] 교육

국민의 문해율이 84%에 달하는등, 문맹율이 낮고, 높은 교육열을 자랑하며, 고등교육까지 학비의 면제혜택등이 갖추어져 있다.


[편집] 바깥 고리

[편집] 주석

  1. 미국의 메노나이트 목사인 한스 크리스토프 아놀드가 쓴《시련을 넘어 천국을 본다》(미션툴)에는 엘살바도르 군사독재정권과 가톨릭교회의 민주화운동에 대해서 나와 있는데, 당시 엘살바도르 군사독재정권은 소수가 권력과 부를 독점한 과두정부였고, 많은 농민들이 대부분 지주계급들로 구성된 과두정부에 의해 살해되거나 난민이 되었다. 당시 엘살바도르 가톨릭교회 지도자인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는 그를 지지한 사제들과 함께 군사독재정권에 반대하는 민주화운동에 참여하였다.
  2.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는 엘살바도르 기독교인들에게 "구원은 죽어서 피안의 세계로 가는 것이 아닌, 억압받는 이들을 해방시키는 것이다."라고 설교하여 기독교인들의 민주화운동 참여를 독려하였으며, 주일 강론시간때마다 군사독재정권을 비판해왔다.
북아메리카의 나라 북아메리카 대륙
독립국
과테말라 | 그레나다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미국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벨리즈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¹
비독립국
과들루프² | 그린란드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마르티니크² | 몬트세랫 | 버뮤다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생피에르 미클롱 | 아루바
앵귈라 | 케이맨 제도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푸에르토리코
¹.일부가 남아메리카에도 속한다. ².나라 목록 243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