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로스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법학전문대학원혹은 로스쿨(law school)이라고 불리우며 법조인을 양성하는 전문대학원을 말한다. 3년 J.D.(Juris Doctor)과정과 1년 L.L.M. 그리고 SJD과정들이 있으며 JD과정이 대표적이다. 미국의 사법시험(bar exam)은 주별로 실시되며 대부분 응시조건을 로스쿨 졸업으로 하고 있다. 미국 학부과정에는 법학과가 없으며 법학전문대학원 입학조건중 하나는 전공제한 없이 학사학위 이상으로 하고있다.
목차 |
[편집] J.D. (Juris Doctor)
명칭
법학박사(Juris Doctor, Doctor of Jurisprudence)라고 번역되기도 하며 아직 명칭에 논란이 있다. 일반적 대학원 박사과정과는 달리 법조인 양성의 전문과정이나 명칭은 석사(master)가 아닌 박사(doctor)이고 이와 유사한 의대의 경우 MD(Doctor of Medicine)이라고 불리우고 호칭역시 의사(doctor)라고 불리운다. 일반적 로스쿨 교수들은 JD만 가지고 있고 실무경력으로 지식을 쌓았기 때문에 SJD출신은 드물다.
입학절차
학부성적(GPA)과 LSAT성적이 입학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교과과정
미국변호사협회(ABA, American Bar Association) 정한 지침에 따라 약 200개의 법학대학원이 미국과 캐나다에 운영중이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변호사협회 인가를 받지 않는 학교 졸업생은 사법시험응시가 제한된다. 협회에서는 세밀한 부분까지 교과과정을 통제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로스쿨 교육내용이나 운영방식 선발절차등이 동일하다. 대부분의 법학대학원 1학년 과정은 1L로 불리우며 다음 6개의 기초과목을 수강하게 된다.
헌법 (Constitutional Law)
민법 (Criminal Law)
민사소송법 (Civil Procedure)
불법행위법 (Torts)
계약법 (Contracts)
재산법 (Property)
로스쿨의 교육목표는 규칙을 많이 가르치는 것이 아닌 변호사처럼 생각하는 사고력을 기르는 것이다. 학생은 불확실성에 익숙해지고 한가지 쟁점에 감정적으로 몰입되지 않고 모든 것에 질문하도록 훈련받는다. IRAC (Issue, Rule, Analysis, Conclusion)방법으로 법률문제를 분석한다.
- 주제(ISSUE)
사실과 관련사항들은 무엇인가?
- 법률(RULE)
관련법률은 무엇인가?
- 분석(ANALYSIS)
법률이 사실에 어떻게 적용되는가?
- 결론 (CONCLUSION)
법원이 어떤 판결을 내렸는가?
수업준비 수업진도표(syllabus)에 따라 진행되며 교과서인 판례집과 법령집을 읽고 분석하게 된다. 법적 이슈를 IRAC방식으로 정리하여 브리프를 작성한다. 다양한 참고서적을 사용하는데 다음과 같다. 1. 판례집(casebook)
실질적인 교과서이며 판례를 모아놓은 책이다. 수업전에 정해진 부분을 읽고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혼북(hornbook)
자세히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키이스북과 강의로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있을 때 찾아보면 도움이 된다. 3. 판례요약서 (case brief outline)
판례집의 주요 내용과 법적 이슈를 IRAC방식으로 단순하게 요약한 것이다. 케이스북의 주요 판례를 요약해 놓았다. 대표적인 판례요약서로는 Emanuel과 Gilbert에서 출판된 것이 있다.
성적 1학년 과정 성적은 보통 단한번의 기말고사로 결정나며 상대평가로 실시되고 석차가 매겨진다. 이때성적이 여름 인턴십과 졸업후 취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학생들은 열심히 공부한다. 학습량도 아주많고 수업강도도 높다. 학부교육과 달리 미국 법학대학원은 소크라틱 메소드로 교육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2학년과 3학년에는 선택과목을 들을수 있다.
[편집] L.L.M.
법학사라고도 하며 보통 법학을 전공한 사람들을 위한 1년짜리 과정이다. 한국의 변호사들이 미국 연수로 많이 가는 과정이다. 주마다 다르나 LLM졸업후 미국변호사 시험에 응시할수 있다.
[편집] 상위 20 법학전문대학원 순위
1 예일법학대학원
2 하버드법학대학원
2 스탠포드법학대학원
4 뉴욕법학대학원
5 컬럼비아법학대학원
6 시카고법학대학원
6 펜실베니아법학대학원
8 UC버클리법학대학원
8 미시간법학대학원
10 듀크법학대학원
10 버지니아법학대학원
12 노스웨스턴법학대학원
13 코넬법학대학원
14 조지타운법학대학원
15 UCLA법학대학원
16 남가주법학대학원
16 벤더벨트법학대학원
18 텍사스주립오스틴법학대학원
19 워싱턴세인트루이스법학대학원
20 보스턴법학대학원
20 미네소타법학대학원
US 뉴스&월드 리포트 2008[1]
[편집] 변호사시험
졸업후 각 주별 변호사 시험을 치른다. 많은 학생이 Barbri라는 사설학원에서 변호사 시험을 준비한다.
[편집] 졸업후진로
보통 로펌이나 개인 변호사 개업등이나 공공기관 혹은 비영리 단체에서 일한다. 대형 로펌에 취직하는 것은 높은 연봉과 경험을 쌓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많이 선호되고 경쟁도 매우 치열하다. 로펌, 공직 그리고 교수직 세계로
[편집] 로펌
전국적인 대형로펌과 지역적인 소형 로펌으로 구분해 볼수있다.
[편집] 사내변호사
[편집] 공직
판사 검사등
[편집] 교수직
[편집] 참조
미국의 로펌
세계의 로펌
미국 법학전문대학원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