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망우선(忘憂線)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의 망우역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성북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중앙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삼각선 기능을 수행하는 노선이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4.9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 역 수: 2
- 복선 구간: 없음
- 전철화 구간: 전 구간(4.9km)
- 보안 장치: 자동폐색, ATS-S
[편집] 역 목록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망우 | Mangu | 忘憂 | 0.0 | 0.0 | 중앙선 | 서울시 | 중랑구 |
이문(폐지) | Imun | 里門 | 2.3 | 2.3 | |||
성북 | Seongbuk | 城北 | 2.6 | 4.9 | 경원선 |
[편집] 노선 특징
노선은 신이문역 북단부터 성북역까지 경원선과 병행하고 있으나, 운행체계가 분리되어 있으며, 따라서 영업거리 계산도 별도로 이루어진다.
이 구간은 화물 전용 노선으로 쓰이고 있으며, 수도권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 중앙선 구간 전동차의 회송용 선로로도 이용되고 있다. 여객열차의 운행은 임시열차에 한정되어 있다. 다만, 과거에 이른바 카레일이라고 하는, 여객과 자동차를 함께 운반하는 열차가 하계 이 구간을 경유하여 운행한바 있다. 카레일은 성북에서 출발하여 망우선을 거쳐, 강릉까지 운행하는 열차로 여름 한정으로 운행되었으나 호응이 높지 못하여 현재는 폐지되었다.
2005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망우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선구 | 선로용량 | 일반여객 | 전동차 | 화물열차 | 운행총계 |
---|---|---|---|---|---|
망우~성북 | 26 | - | - | 7 | 7 |
[편집] 역사
[편집] 개요
망우선은 1963년에 건설되었다. 망우선의 건설은 경원선과 중앙선을 연결하여 두 노선을 경유하는 화물의 수송력 확대와 운행 장애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이문동에 무연탄 저탄장을 설치하여 서울시 지역의 에너지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것이었다. 저탄장은 총 5개 선(A, B, C, D, D`)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석탄을 중력식으로 하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이후 중앙선 수도권전철 운행이 결정되고, 동시에 해당 지역을 운행하는 전동차의 총량이 늘어나면서 동부지역의 차량 총괄기지인 이문전동차기지를 건설하기로 결정하고, 이미 도시의 팽창으로 인해 환경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망우 무연탄 하화장을 폐지, 이를 부지로 활용하기로 하였다. 이후 기지 건설이 시작되면서 이문역은 2004년부로 폐쇄되어, 해당 노선이 가진 화물취급은 폐지되었으며, 현재 삼각선 기능과 이문기지 입출고 차량의 회송용 선로로 활용되고 있다.
[편집] 연혁
- 1963년 8월 19일 - 망우선 망우~성북간 착공.
- 1964년 1월 11일 - 망우~성북간 4.9km 완공.
- 1964년 5월 1일 - 망우 무연탄 하화장 착공.
- 1966년 11월 11일 - 이문역 개역.
- 1966년 12월 30일 - 무연탄 하화장 구내 A, B선 완공으로 일부 가동 개시.
- 1969년 2월 22일 - 하화장 준공.
- 1973년 6월 20일 - 전철화 공사 완공(중앙선과 동시 시공).
- 1999년 11월 18일 - 이문 전동차 기지 건설 실시계획 승인.
- 1999년 12월 29일 - 이문 전동차 기지 착공.
- 2004년 7월 5일 - 이문역 폐지.
- 2005년 7월 5일 - 이문 전동차 기지 완공.
[편집] 미래
이문전동차기지의 건설로 인해서 이 노선에 계획된 건설 계획은 일단 완료된 상태이다. 향후 추가적인 건설이 가시화된 바는 없다. 다만, 경춘선의 수도권전철화 과정에서 신상봉역접속을 위해 현 망우선의 일부구간이 전용될 가능성이 있다.
[편집] 관련 항목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