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강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등급: 절멸 | ||||||||||||||||||||||
생물 분류 | ||||||||||||||||||||||
|
||||||||||||||||||||||
삼명법 | ||||||||||||||||||||||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
일본강치(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또는 Zalophus japonicus)는 동해 연안에 서식하던 강치의 아종이다. 강치의 다른 두 아종과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있어 독자적인 종으로 보기도 한다. 독도를 비롯한 동해 연안에 서식했으나 서커스 훈련, 가죽, 한약 재료 등으로 쓰기 위해 남획하여 현재는 멸종한 것으로 여겨진다.[1]
목차 |
[편집] 분포
일본강치는 일본 연안에서 번식하는 유일한 물개과 동물이다. 태평양 측에서는 큐슈 연안부터 홋카이도, 쿠릴 열도, 캄차카 반도까지, 동해는 한반도에서 사할린 섬 남부까지 회유하며, 주로 동해 쪽에 많이 서식했다. 일본 주위의 섬에서 번식하며, 특히 이즈 제도와 독도가 주요 번식지이다.
[편집] 특징
일본강치는 강치의 다른 두 아종인 캘리포니아강치나 갈라파고스강치에 비해 그 덩치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수컷은 키 240cm, 몸무게 490kg까지 자란다. 암컷은 덩치가 작아 키 180cm, 몸무게 120kg로 추정된다. 기본아종인 캘리포니아강치와 달리 암컷의 색이 조금 옅다.
오징어나 문어, 물고기 등을 잡아먹었다고 생각된다. 수컷은 십여 마리로 이루어진 하렘을 형성하며, 5월에서 6월까지가 번식기이다. 보통 한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19세기 독도에 서식하던 일본강치 수는 대략 3만에서 5만 마리로 추정되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일본인의 남획으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1879년 가나가와 현 미우라 시 미나미시타우라 정 연안에서 잡힌 일본강치 암컷의 정밀한 그림이 도쿄 국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00년 무렵에는 사가미 만이나 도쿄 만 등의 태평양 연안에서도 모습을 보였다고 생각되지만, 그후 곧바로 급속히 사라졌다. 1958년에는 독도 연안에 소수(200~500 마리 정도)가 생존한다고 보고되었으나, 보호 정책이 취해지지 않고 포획이 계속되었다. 독도에서의 번식은 1972년까지 확인되었으며, 1975년 마지막으로 목격된 이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연안이나 사할린 섬, 쿠릴 열도 등에서 생존해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으나 조사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IUCN의 레드리스트에는 아직 멸종위기종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생존이 확인되어서가 아니고 최종 발견으로부터 아직 50년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편집] 멸종 원인
고래와 마찬가지로 물고기를 잡기 위해 제거되기도 했고, 가죽과 지방을 얻기 위해 난획되어 멸종되었다. 일본 각지에 퍼져있던 개체군은 20세기 초에는 거의 다 멸종되고 서식지는 독도 한 곳으로 좁혀지고 결국 멸종으로 연결되었다.
독도에서는 1985년 경부터 오키 제도의 어민들이 가죽과 지방을 얻기 위해 강치를 잡을 수 있었다. 이 강치 사냥은 190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한해 평균 1,300~1,400 마리를 잡을 수 있었다. 그 후 개체수 감소와 함께 포획량도 줄어들어 1935년 경에는 매년 20~50 마리 정도로 줄어버렸다. 포획량이 최전성기의 40분의 1 정도로 격감했기에 곧 강치 사냥은 시들해젔지만 1958년까지 작은 규모의 포획은 계속되었다고 한다. 이 시점에서 멸종 위험이 드러났지만 특별한 보호 움짐인은 취해지지 않았다. (덧붙여 일본 연안에서도 점박이물범이나 잔점박이물범도 비슷한 경로로 개체수가 줄고 있었다. 특히 잔점박이물범에 대한 천연기념물 지정은 어업 관계자의 반대로 인해 보류되기도 했다.)
대한민국도 따로 보호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일본에 주둔중인 연합군의 폭격 연습지로 독도가 사용되면서 강치의 멸종을 가져왔을 수도 있다. 포획된 강치가 대한민국의 동물원에서 새끼를 낳았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진위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편집] 박제와 사진
오사카 시 텐노지 동물원에 6 마리의 박제가 있다. 이 박제는 오랫동안 다른 종의 물개나 바다사자라고 생각되었으나, 독도에서 잡혀 텐노지 동물원에서 기르던 강치임이 최근 밝혀졌다. 시마네 대학이나 시마네 현의 여러 고등학교에도 박제를 소장하고 있다.
2006년 11월 3일 텐노지 동물원에서 열린 “멸종 위기에 있는 동물전”에서 처음으로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이외에 당시의 생태를 전하는 10 점의 사진이 있으며, 1992년에는 요나고 시의 민가에서 1940년 독도에서 촬영한 8 밀리 필름 영상이 발견되기도 했다.
[편집] 참고 자료
- ↑ Seal Specialist Group (1996). Zalophus japonicus. 2006 IUCN 레드리스트. IUCN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