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컴퓨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슈퍼컴퓨터(영어: supercomputer)는 주로 과학기술연산에 사용되는 초고속 컴퓨터이다.
이 개념은 절대적 기준이 아닌 상대적인 것으로, 당대 최상급 처리 능력(특히 연산 속도)을 보유한 고성능 컴퓨터를 가리키는 말이며, 간혹 단순히 HPC(High-Perfomance Computer)라고 부르기도 한다.
최초의 슈퍼컴퓨터는 1964년 미국 CDC의 세이무머 크레이(Seymour Cray)가 설계한 CDC 6600이며, 슈퍼컴퓨터가 대중적으로 알려진 것은 1985년 미국 크레이(Cray Research, Inc.)에서 발표한 Cray-2가 시초이다.
2006년 11월 현재 최고의 슈퍼컴퓨터는 미 국립 핵 안전부서와 IBM이 동시에 발표한 BlueGene/L로 최신 테스트에서 207.3teraFLOPS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1] 이 기기는 64 랙 시스템으로 무려 131,072개의 PowerPC 440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
[편집] 대한민국의 슈퍼컴퓨터
대한민국 최초의 슈퍼컴퓨터는 1988년 11월 연구전산망(KREOnet)의 중앙전산기로 도입된 2GFlops 성능의 Cray-2S이며, 1993년 11월에는 슈퍼컴퓨터 2호기로 16GFlops 성능의 Cray-C90가 도입되었다.
2005년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 순위 500위에 포함되는 슈퍼컴퓨터 7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산하에 슈퍼컴퓨팅센터를 두고 있고 그밖에 한국슈퍼컴퓨팅센터협의회(KSCA)가 구성되어 모두 15개 기관이 가입하고 있다.
[편집] 한국의 슈퍼컴퓨터 목록
- 기상청
- 1호: NEC SX-5/28M2. 1999년 6월 도입.
- 2호: CRAY X1. 2004년 11월 도입. 2007년 5월 현재 한국 최고속도. 세계 29위.
- 서울대학교
- 3호: 5.15 테라플롭스. 세계 33위(2005년 6월 기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2]
- 1호: 2 기가플롭스. 1988년 도입. 자동차 설계, 기후 예측 등의 응용 분야와 계산과학 분야에 주로 사용
- 2호: 16 기가플롭스 1993년 도입. 자동차 설계, 기후 예측 등의 응용 분야와 계산과학 분야에 주로 사용
- 3호: 정식 명칭 "노벨". IBM p690 와 NEC SX-5 벡터형 슈퍼컴퓨터 2가지로 구성. 이론속도 4.3 테라플롭스, 실측속도 2.8 테라플롭스. 2003년 12월 도입. 2004년 11월 현재 세계 156위. 단백질 접힘 구조 분석, 유체역학 등 첨단 응용과학에 사용[3][4][5]
- 4호: 2007년 상반기 도입예정. 30 테라플롭스 이상.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포스데이타
- 대법원
[편집] 미국과 일본의 개발 경쟁
세계에서 슈퍼컴퓨터를 개발하는 선두주자는 미국과 일본이다.
2005년 11월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런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에 세계 1위의 블루진/L(280.6 테라플롭(teraflops): 초당 280조 6,000억 번의 연산처리 속도), 세계 2위의 ASC 퍼플(100 테라플롭)이 있다. 모의 핵실험에 쓰인다. 블루진/L이 등장하기 전까지 세계 1위의 슈퍼컴류터는 NEC가 제작해 해양연구개발기구가 보유하고 있는 36 테라플롭 규모의 지구시뮬레이션이었다. 그러나 2005년 11월 현재 4위로 떨어졌다. 기상 예측에 쓰인다. 지구시뮬레이션은 미국의 독무대였던 슈퍼컴퓨터 분야에서 사상 최초로 세계 1위를 달성했다. 2005년, 다시 미국에게 1위자리를 내준뒤, 일본 문부과학성은 초당 1경회 연산능력을 갖는 경속 슈퍼컴퓨터를 1000억엔(약 1조원)의 개발비를 들여서 개발키로 확정했다.[8]
1997년에 러시아가 미국 캘리포니아의 실리콘 그래픽 사에서 미국 상무부의 허가없이 슈퍼 컴퓨터 4대를 구입해서 보도된 적이 있다. 미국 실리콘 그래픽사에서 수입한 슈퍼 컴퓨터를 모의 핵실험에 사용할 것이라고 빅토르 미하일로프 러시아 에너지장관이 밝혔었고, 해당 슈퍼컴퓨터는 러시아 연구소들의 컴퓨터 보다 10배 정도의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만이 제작가능하다고 보도되었었다.[9]
그 후 1999년에, 모스크바를 방문한 빌 리처드슨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 예브게니 아다모프 러시아 원자력 장관은 컴퓨터 2000년 인식오류(Y2K)에 공동대처하고, 광범위한 핵물질 감독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협정에 서명하였고, 이 협정으로 러시아는 실제 핵실험을 하지 않더라도 모의 실험이 가능한 슈퍼컴퓨터를 미국으로부터 수입할 수 있게 되었다.[10]
[편집] 슈퍼 컴퓨터의 용도
슈퍼컴퓨터는 기상 예측과 모의 핵실험 분야에서 발전해 왔다.[11]
[편집] 기상 예측
2007년 2월 13일 현재, 한국은 기상 예측용 슈퍼컴퓨터를 보유한 세계 11개국 가운데 유럽연합,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의 슈퍼컴퓨터(연산 처리 속도인 테라플롭스 기준)를 보유하고 있다. 이 슈퍼컴퓨터는 2004년 11월에 1천억여원을 들여서 수입한 기상용 슈퍼컴퓨터 2호이다. 그러나 수치예보 모델(기상예측용 방정식)의 품질은 최하위인 러시아에 이어 10위로 평가되었다.[12]
[편집] 한국의 기상용 슈퍼컴퓨터 도입
- 시스템공학연구소의 슈퍼컴퓨터: 대한민국 최초의 슈퍼컴퓨터. 기상청이 1990년 부터 이 컴퓨터로 수치예보.[13]
- 기상용 슈퍼컴퓨터 1호: 1999년 6월 도입
- 기상용 슈퍼컴퓨터 2호: 18.3 테라플롭스 (초당 18만 5130억 번의 수치 연산 속도) 2004년 11월 도입. 도입 당시 국내 2위, 세계 86위의 슈퍼컴퓨터. 가격 1천억여원.
- 기상용 슈퍼컴퓨터 3호: 2010년 도입예정.[14]
[편집] 핵개발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이스라엘은 "핵실험 없는 핵개발 방법"으로 핵무기를 개발했다. "핵실험 없는 핵개발 방법"이란 "슈퍼컴퓨터를 통한 시뮬레이션"과 "임계질량 이하의 핵실험" 등을 말한다.[15]
[편집] 한국슈퍼컴퓨팅센터협의회 가입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슈퍼컴퓨팅센터
- 기상청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한국과학기술원(KAIST)
- 삼성종합기술원(SAIT)
- 금호아시아나그룹: 금호슈퍼컴센터
-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포항공대-휴렛펙커드 수퍼컴퓨팅 센터
- 서울대학교: 중앙전산원
- 부산대학교
- 전북대학교: 정보전산원
- 부경대학교: 정보전산원
- 서울시립대학교
- 건국대학교
- 명지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수리계산연구센터
- 동명대학교: 종합정보센터
[편집] 주석과 참고자료
- ↑ 2006년 11월 TOP500 슈퍼컴퓨터 순위
- ↑ 슈퍼컴퓨터센터 PC 모아모아 슈퍼컴 만든다/ 과학기술연구원 '코리아앳홈' 본격 추진 [서울신문]2005-04-28 20판 20면 2983자 정보통신·과학 뉴스
- ↑ KISTI에 국내 최대 슈퍼컴 도입 [한국일보]2003-07-18 30판 08면 566자 사회
- ↑ 사이버 천재 슈퍼컴...태풍진로도 척척 [세계일보]2002-07-19 50판 32면 2757자 정보통신·과학
- ↑ 과기연 슈퍼컴퓨터 3호기 가동 [한국일보]2002-07-15 10판 19면 483자 정보통신·과학 뉴스
- ↑ 슈퍼컴 이용 연구 급증… 내년도입 4호의 성능은? [동아일보]2006-11-10 40판 27면 2032자 정보통신·과학 뉴스
- ↑ 국력? 슈퍼컴에 물어봐…美-日 치열한 속도경쟁 ‘엎치락뒤치락’ [동아일보]2005-06-21 05판 37면 1453자 경제 뉴스
- ↑ [한마당] 윤재석 / 슈퍼컴 개발경쟁 [국민일보]2005-11-02 05판 27면 1253자 오피니언·인물 컬럼,논단
- ↑ 핵가상실험용 슈퍼컴 러 유출 파문 [경향신문]1997-02-20 08면 534자 국제·외신 뉴스
- ↑ 美·러, 核사고 공동대처 센터 개설 [서울신문]1999-10-04 05판 11면 948자 국제·외신 뉴스
- ↑ 국력? 슈퍼컴에 물어봐…美-日 치열한 속도경쟁 ‘엎치락뒤치락’ [동아일보]2005-06-21 05판 37면 1453자 경제 뉴스
- ↑ 기상청 실력 ‘낙제’ [한겨레]2007-02-14 06판 09면 501자 사회 뉴스
- ↑ 기고 / 디지털 기상예보시대 [문화일보]2004-12-08 03판 30면 1732자 오피니언·인물 컬럼,논단
- ↑ 기상 101년/ 전국 5㎞간격 이틀앞 날씨 ‘적중’ [서울신문]2005-07-18 20판 42면 3944자 특집 뉴스
- ↑ 核개발능력 어디까지 왔나/北 핵무기보유 가능단계 [세계일보]2002-08-03 50판 03면 1753자 종합 기획,연재
[편집] 더 보기
- 세종대왕급 구축함: 슈퍼 컴퓨터가 설치되었다.
[편집] 바깥 고리
- 슈퍼컴퓨팅센터
- 한국슈퍼컴퓨팅센터협의회
- TOP500 Supercomputer Sites 미국의 맨하임 대학교와 테네시 대학교가 공동으로 운영. 매년 두차례씩 전세계 슈퍼컴퓨터를 자체 개발한 린팩이란 성능비교테스트를 통해 순위를 매긴다.
![]() |
이 문서는 컴퓨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출처가 필요한 문서 | 컴퓨터 토막글 | 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