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종상(大鐘賞)은 대한민국 정부가 주관하는 영화상이다. 한국 영화인협회 대종상 영화제 사무국에서 상을 준비한다.
목차 |
[편집] 역대 작품상 및 감독상
회차 | 작품상 제목 (감독) | 감독상 (영화) |
---|---|---|
제1회 1962년 | 연산군 (신상옥) | 신상옥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제2회 1963년 | 열녀문 (신상옥) | 유현목 (아낌없이 주련다) |
제3회 1964년 | 혈맥 (김수용) | 이만희 (돌아오지 않는 해병) |
제4회 1965년 | 벙어리 삼룡이 (신상옥) | 신상옥 (벙어리 삼룡이) |
제5회 1966년 | 갯마을 (김수용) | 유현목 (순교자) |
제6회 1967년 | 귀로 (이만희) | 이수용 (안개) |
제7회 1968년 | 대원군 (신상옥) | 신상옥 (대원군) |
제8회 1969년 | . | . |
제9회 1970년 | . | . |
제10회 1971년 | 무명의 교사 (?) | 유현목 (분례기) |
제11회 1972년 | 의사 안중근 (주동진) | 신상옥 (평양폭격대) |
제12회 1973년 | 홍의 장군 (이두용) | 최훈 (수선화) |
제13회 1974년 | 토지 (김수용) | 김수용 (토지) |
제14회 1975년 | 불꽃 (유현목) | 이만희 (삼포가는 길) |
제15회 1976년 | 어머니 (임원식) | 설태호 (원산공작) |
제16회 1977년 | 난중일기 (장일호) | 최인현 (집념) |
제17회 1978년 | 경찰관 (이두용) | 임권택 (족보) |
제18회 1979년 | 깃발없는 기수 (임권택) | 정진우 (심봤다) |
제19회 1980년 | 사람의 아들 (유현목) | 이장호 (바람불어 좋은날) |
제20회 1981년 | 초대받은 성웅들 (최하원) | 임권택 (만다라) |
제21회 1982년 | 낮은데로 임하소서 (이장호) | 이장호 (낮은데로 임하소서) |
제22회 1983년 | 여인잔혹사 물레야 물레야 (이두용) | 이두용 (여인잔혹사 물레야 물레야) |
제23회 1984년 | 자녀목 (정진우) | 정진우 (자녀목) |
제24회 1985년 | 어미 (박철수) | 배창호 (깊고 푸른밤) |
제25회 1986년 | 안개기둥 (박철수) | 임권택 (티켓) |
제26회 1987년 | 연산일기 (임권택) | 임권택 (연산일기) |
제27회 1989년 | 아제아제 바라아제 (임권택) | 김호선 (서울 무지개) |
제28회 1990년 |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장길수) | 장길수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제29회 1991년 | 젊은날의 초상 (곽지균) | 곽지균 (젊은날의 초상) |
제30회 1992년 | 개벽 (임권택) | 김호선 (사의 찬미) |
제31회 1993년 | 서편제 (임권택) | 임권택 (서편제) |
제32회 1994년 | 두 여자 이야기 (이정국) | 장선우 (화엄경) |
제33회 1995년 | 영원한 제국 (박종원) | 박종원 (영원한 제국) |
제34회 1996년 | 애니깽 (김호선) | 김호선 (애니깽) |
제35회 1997년 | 접속 (장윤현) | 정지영 (블랙잭) |
제36회 1999년 | 아름다운 시절 (이광모) | 이광모 (아름다운 시절) |
제37회 2000년 | 박하사탕 (이창동) | 이창동 (박하사탕) |
제38회 2001년 | 공동경비구역 JSA (박찬욱) | 한지승 (하루) |
제39회 2002년 | 집으로... (이정향) | 송해성 (파이란) |
제40회 2003년 | 살인의 추억 (봉준호) | 봉준호 (살인의 추억) |
제41회 2004년 |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 (김기덕) | 박찬욱 (올드보이) |
제42회 2005년 | 말아톤 (정윤철) | 송해성 (역도산) |
제43회 2006년 | 왕의 남자 (이준익) | 이준익 (왕의 남자) |
제44회 2007년 | 가족의 탄생 (김택용) | 봉준호 (괴물) |
[편집] 역사
다음은 대종상의 간략한 역사이다. [1]
- 1958년, 당시 문교부(현 교육부)에서 "국산영화상"이 제정되었다.
- 1961년, 주관 기관을 공보부(현 문화관광부)로 옮기면서 1961년 대종상으로 이름을 바꾸다.
- 1962년, 제 1회 시상식.
- 1969년, 제 8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영화 부문)"으로 이름을 바꾸다.
- 1971년, 제 10회, 다시 "대종상"으로 이름을 바꾸다.
- 1998년에는 IMF경제위기로 인해 열리지 못하고 이듬해 4월에 36회 대종상 시상식이 열렸다.[1]
[편집] 기타
- 지하철 3, 4호선 충무로역 안에는 대종상 도안과 수상자의 사진이 있다.
- 5회부터 반공관련 영화상(우수반공영화상, 반공영화각본상 등)을 수여하였는데, 1985년 제 24회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수여하지 않았다.[2]
- 1966년부터 외화수입 자유화가 된 1980년대까지 대종상을 타면 부상으로 외화수입쿼터를 주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