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척식주식회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동척)은 조선의 경제 독점과 토지·자원의 수탈을 목적으로 일제가 한국 내에 세운 국책회사이다.
이는 대영제국의 동인도 회사를 본뜬 것으로, 1908년 제정한 동양척식회사법에 의해 세워졌다. 자본금 1,000만 원이며 한국은 설립자본금의 30%에 해당하는 국유지를 출자했지만 주요 목적은 일본의 식민지로부터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토지와 금융을 장악하고 일본인들의 식민지 개척 및 활동을 돕는 것이었다.
1909년 1월부터 한국에서 활동을 개시하였다. 원래는 한국, 일본의 양쪽 국적의 회사였으나 1917년 본점을 도쿄로 옮기고 일본 국적의 회사가 되었으며 한국에 지점들을 두었다. 소유는 일본인에 한하였으며 활동지역은 이후 만주까지 확대되고 1938년 부터는 다른 식민지인 타이완, 사할린, 남양군도등으로 영업지역이 확대되었다. 1938년에는 9개 지점과 831명의 직원을 두었다. 한국인 간부로는 부총재 민영기(閔泳綺)와 이사 한상룡(韓相龍)이 있었다.[1]
목차 |
[편집] 사업내용
농업용 토지의 매매, 임차, 경영, 관리, 건물의 건설,매매,대차 그리고 특히 일본 농민들의 한국으로의 이민을 지원하는 동척농업이민계획을 펼쳐서 한국 각지에 일본인 촌락을 건설하고 정착을 위한 많은 특혜를 베풀었다. 동양척식주식회사는 조선식산은행과 더불어 일제 강점기 내내 조선을 경제적으로 착취하는 대표적 기관이 되었다. 1917년까지는 토지수탈을 목적으로 한 일본인 이주, 농업경영, 토지경영, 토지개량, 임업경영이 주력 사업이였지만 1930년대 이전까지는 금융업을 확장하면서 산미증식계획을 추진했다. 1930년대이후에는 광공업부분으로 확장하고 군수공업을 지원했다.
[편집] 동척과 토지수탈
처음 한국으로 부터 토지 1만7,714정보를 자본으로 출자 받은후 토지매입으로 1913년까지 4만1,148정보를 매입하였으며 조선 총독부에 의한 토지조사사업으로 국유지불하에 의해 1917년말 7만 5178정보의 토지를 소유하여 한국에서 조선총독부 다음으로 최대 지주가 되었다. 이후 계속 늘어나서 1942년말에는 20만722정보를 소유했다. 동척은 소작인들에게 5할이나 되는 고액의 소작료를 요구하거나, 춘궁기에 양곡을 빌려주었다 2할 이상의 이자를 받는 등 경제수탈에 앞장서 농민들의 원성을 샀다.
소작민들에 대한 수탈은 한국인들의 대규모 해외 이주를 불렀다. 1933년까지 일본으로 113만 5852명, 만주와 연해주로 150만여명이 이주한 것으로 집계된다.
[편집] 북률동척농장소작쟁의
1922년 황해도 재령군의 동척 소유인 북률농장에서 이몽서를 주동으로 한 소작쟁의가 일어났다. 북률면 나무리들은 원래 조선왕조의 소유로 소작료는 1/4~1/3수준이였다. 그러나 1908년 재실급국유재산정리로 대부분의 궁장토가 역둔토로 편입되면서 소작료가 4~4.5할로 오르고 소작기간은 5년간으로 되었다. 복률면에서만 역둔토 2300정보를 점탈하였다. 1924년 11월 2일부터 4일간 동척 사리원지점에서 농민들은 흉작이 계속되어 먹을 것이 동이나자 소작료 감면을 요구하며 연좌시위를 벌였는데, 동척에서 이를 거부하고 일본인 이민자 40여명에게 총을 주어 유혈 사태까지 일어났다. 소작농민들의 요구가 계속되자 아예 동척은 소작권을 빼앗고 일본 이주농민에게 땅을 분배할 계획을 세웠는데, 이에 농민들이 더욱 격렬히 투쟁해 일시적인 타협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미납 소작료 문제가 다시 불거져 교섭은 결렬되었고, 엽총을 쏘며 강제집행에 들어갔다. 이소작쟁의는 실패로 돌아갔으며 대표자 5인은 6~8개월의 실형을 살았으며 370여호의 소작인들은 만주로 떠나게 되었다. 이후 북률 출신인 나석주 의사는 동척 간부를 죽이고 식산은행과 서울 동척 지사에 폭탄을 던졌다(1926년). 1927년부터는 일본인 이민촌이 들어서서 이들을 대신했다.
[편집] 일본인 이민
수탈한 토지를 기반으로 일본인 농업 이민자들을 한국 각지에 정착시키는 사업을 추진하였다. 1917년까지 매년 1천호, 1926년까지는 매년 360호정도의 이민을 받아 1926년까지 9,096호가 한국에 정착하였다. 이들은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지원 아래 직접 경작하기 보다는 지주가 되었다.
[편집] 금융사업
식민지 개척을 위한 척식자금을 운영하는 것은 주요업무의 하나였다. 1920년대에 만주 및 몽고 지역 진출을 위해 농공업개발자금의 공급 사업을 벌였다.
[편집] 투자사업
1920년대 이후 광공업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사업을 확대하여 동척계라 불리는 기업집단이 되었다. 1945년에는 이러한 회사가 52개사에 달했다. 이중에는 조선유연탄, 동척광업, 비봉농사, 북선개발, 삼화광업, 조선아연광업, 조선도시경영, 해남농사등이 있었다.
[편집] 해방 이후
일본제국의 패망 이후 한국을 지배한 미군정은 1945년 9월 25일 제정된 "패전국 소속 재산의 동결 및 이전제한의 건"과 1945년 12월 6일 제정된 "조선 내 일본인 재산의 권리귀속에 관한 건"에 의해 모든 한국내 일본인 소유재산은 미군정청 소유가 되었다. 이때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소유재산을 인수 개편하여 "신조선회사"로 개명하였으며 1946년 2월 21일, 신한공사(新韓公社)를 창설하였다. 이회사의 소유경지는 한국 논밭 경지의 12.3%에 달했으며 소속된 소속농가는 58만7974호로 전체농가 217만 2435호의 27.1%였다. 1948년 3월 22일에는 중앙토지행정처로 바뀌었다. 이후 토지는 농지개혁을 통해 한국 농민들에게 귀속되었다.
[편집] 동척의 잔재
현재 대한민국에는 동척 지점 건물이 남아있는 곳은 목포와 부산이 있다. 동양척식주식화사 목포지점건물은 전라남도 기념물 17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옛 일본인 거류지에 아직 남아있다. 1998년에 철거의 위기를 겪었으나 일제 강점기를 잊지않기 위해 남겨두어 사적지화 해야한다는 의견에 따라 보존되었다.
- ^ 김삼웅, 《친일정치100년사》(동풍, 1995년) 14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