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인기영합주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중인기영합주의(영어: Populism)은 정치적 투쟁에 대중을 앞세워 권력을 유지하는 정치 체제를 말한다. 포퓰리즘, 대중주의 라고도 하며, 인기영합주의•대중영합주의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소수의 지배집단이 통치하는 엘리트주의와 대립적인 의미이다.

어원은 1891년 미국에서 결성된 파퓰리스트당(Populist Party), 즉 인민당(People's Party)에 기인한다. 파퓰리스트당은 당시 미국의 양대 정당으로서 1792년에 창당된 민주당 (미국)(Democratic Party)과 1854년에 결성된 공화당 (미국)(Republican Party)에 대항하기 위해 농민과 노조의 지지를 목표로 경제적 합리성을 도외시한 과격한 정책을 내세웠다.

대중인기영합주의는 민중의 지지를 바탕으로 하였으나, 실제로는 특정 지도자나 독재자의 권력을 공고히 하는 정치행태이다. 근본 요소는 개혁을 내세우는 정치 지도자들의 정치적 편의주의(便宜主義)나 기회주의(機會主義)이다. 선거를 치를 때 유권자들에게 경제논리에 어긋나는 선심 정책을 남발하는 일이 전형적이다. 대중인기영합주의를 이끌어가는 정치인들은 자신들의 지지기반으로 다수의 의견을 내세우며, 여론이 원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로 입지를 다져나간다. 권력과 대중의 정치적 지지를 얻으려고 겉모양만 보기 좋은 개혁을 내세운다. 민중 또는 대중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친 인기 영합주의로 빠지기 쉽고, 합리적인 정치•사회 개혁보다 집권세력의 권력유지에 악용되기도 한다.통상 정치 지도자는 반대편 정치세력 또는 정치엘리트들의 저항에 직면할 때 국민에게 직접 호소하고, 그 대중적 지지를 권력유지의 기반으로 삼는다.


[편집] 대표적인 예

제2차 세계대전 후 노동대중의 지지를 얻어 대통령에 당선된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후안 페론의 정권이 대표적이다. 집권 당시 아르헨티나는 산업화의 물결로 빈민 노동자가 넘쳐났고, 이 때 페론은 친노동 정책을 펼쳐 많은 인기를 얻었다. 개혁이라는 미명으로 노동자들의 임금을 인상하고, 근로 환경을 개선했으며, 언론의 보도를 억제하고 자원의 국유화를 단행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페론의 정책은 단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고, 한 때 노동자들의 찬사와 함께 '페로니즘'이라고까지 불렸던 페론 정권은 헌법을 개정하여 독재 권력을 휘두르기 시작하였다. 결국 페론 정권은 페론이 군부의 혁명으로 국외로 추방당하면서 막을 내렸다. 그러나 페론의 포퓰리즘은 현재까지도 아르헨티나에 커다란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한 때 세계 5위의 경제 대국이었던 아르헨티나는 불과 1세기만에 급격하게 몰락하기 시작하여, 전반적인 소득 감소로 중산층이 무너져 빈곤층이 50%에 달하는 결과를 낳았다.

[편집] 한국에서의 예

한국에서는 현재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가 포퓰리즘의 전형이라는 지식인들의 평가를 받고 있다. 그 이유는, 참여정부의 정책이 국민들의 시야를 '적'과 '우리'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몰아가며 지지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개발독재에 대한 불만을 재조직하는 점과 평준화를 강조하는 교육정책과 부자들을 적대시하는 부동산 정책도 포퓰리즘의 전형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편집] 바깥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