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1 운동(三一運動)은 일제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1919년 3월 1일 독립을 선언하고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다. 기미독립운동이라고도 부른다.
목차 |
[편집] 경과
- 이 운동의 기폭제가 된 것은 독립선언문 낭독이며, 민족대표 33인이 주도했다.
순수한 평화적 시위였으나 일본군은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였으며 시위 도중 사상자가 생기는 일도 많았다.
- 서울에서 시작되어 불과 수 개월만에 전국으로 퍼져나갔으며 일본, 연해주 등 해외에서도 벌어져 1년여 동안이나 지속되었다.
- 공식적인 집계로는 진압과정에서 553명이 사망, 12,000명이 체포되었다. 중립적인 정보에 의하면, 7,500명이 사망, 45,000명이 체포되었다.
[편집] 개별 사건 개요
[편집] 평남 강서군 사천장터 시위
- 일시: 1919년 3월 4일[1][2][3]
- 장소: 평안남도 대동군, 강서군
- 경과: 3월 4일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에서 약 3천여명의 군중이 모여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의 사천시장 방면으로 시위 행진을 벌였다. 이때 사천시장 부근에 있던 사천헌병대에 이 지역에서 만세 시위를 조직하던 기독교 계열의 인사들이 사전 적발되어 구금되어 있던 상태였기 때문이다. 사천헌병주재소의 소장 사토(일본어: 佐藤實五郞)와 헌병보조원 강병일, 김성규, 박요섭 등은 미리 매복해 있다가 행진하는 시위대에게 무차별 총격을 가하여 시위 참가자 수십명을 살상했다. 이들은 돌을 던지며 맞선 시위대에게 그 자리에서 함께 살해당했다[4][5][6]. 이 사건은 3·1 운동 최초의 사망자가 3월 1일 평안북도 선천과 안주에서 발생한 이래 가장 규모가 큰 유혈 사태였다.
- 관련자: 조진탁 (사형), 고지형, 지석용 등
[편집] 일본의 입장
3.1운동에 대한 당시 일본측의 공식적 사건 명칭은 “조선만세소요사건”(朝鮮萬歲騷擾事件)이고, 기본적 시각은 ‘소요’(뭇사람이 들고 일어나서 폭행·협박을 함으로써 한 지방의 공공질서(公共秩序)를 문란하게 하는 행위)였다.
[편집] 함께 보기
- 2·8 독립 선언
[편집] 바깥 고리
- 3·1독립선언과 만세시위운동 - 서울 육백년사
[편집] 주석
- ↑ 민족정기선양센터, 독립유공자 공훈록 - 조진탁
- ↑ 민족정기선양센터, 독립유공자 공훈록 - 지석용
- ↑ 《디지털보훈신문》 (2006.8.8) 광복 61주년, 독립운동가 313명 포상
-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6년도 조사보고서 II〉, 548~551쪽: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이유서 - 강병일 (2006.9.12)
-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6년도 조사보고서 II〉, 552~555쪽: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이유서 - 김성규 (2006.9.12)
-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6년도 조사보고서 II〉, 556~559쪽: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이유서 - 박요섭 (2006.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