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함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역함수란 어떤 함수가 있을 때, 그 함수의 결과값을 넣으면 원래 입력값이 나오는 함수이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x에 대한 함수 y = f(x)에서 각 y에 해당하는 x의 값이 하나뿐일 경우, 즉 f가 전단사 함수일 경우에 이 함수의 역함수는 f − 1(y) = x가 된다. 이때 f − 1이라는 기호에서 -1은 거듭제곱이 아니다.
어떤 함수가 전단사 함수가 아닐 경우에도, 그 함수의 정의역을 제한하여 그 범위 내에서는 전단사 함수가 되게 한 다음 역함수를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삼각함수의 역함수는 이러한 방식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y = sinx는 x의 정의역이 실수 전체일 경우는 전단사 함수가 아니지만, −π/2 ≤ x ≤ π/2의 범위에서는 전단사 함수가 되고, 이 함수의 역함수 x = arcsiny는 이 범위 내에서 정의된다.
[편집] 성질
- 만약 어떤 함수의 역함수가 존재한다면, 그 역함수는 단 하나뿐이다.
- 함수 f와 함수 g의 합성함수의 역함수는 g의 역함수와 f의 역함수를 합성한 함수와 같다. 즉,
과 같다.
- 역함수의 미분은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