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척선(三陟線)은 강원도 동해시의 동해역과 강원도 삼척시의 삼척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영동선의 지선이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편집] 역 목록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동해 | Donghae | 東海 | 0.0 | 0.0 | 영동선,묵호항선,북평선 | 강원도 | 동해시 | |
추암 | Chuam | 湫岩 | 6.4 | 6.4 | ||||
삼척해변 | Samcheok haebyeon | 三陟海邊 | 1.4 | 7.8 | 삼척시 | 구 후진역 | ||
삼척 | Samcheok | 三陟 | 5.1 | 12.9 |
[편집] 노선 특성
이 노선의 열차 운행은 과거 통일호 등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화물 전용 노선으로 쓰이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 이르러 정기열차의 운행은 현재 전무한 상태다. 현재 발전소, 시멘트 공장 등을 위한 인입철도로서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7년 7월 25일부터 강릉 - 삼척 간 전용 관광열차가 1일 3-4회 운행할 예정이 있다.
[편집] 차량
[편집] 역사
[편집] 개요
삼척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동해선 건설 과정에서 추진되었던 노선이다. 동해남부선과 동해북부선의 건설 구간 사이에 삼척철도주식회사에 의한 철암선(현 영동선 철암~동해간 및 묵호항선) 건설이 이루어지자, 여기에 편승하여 일부 구간의 공사와 함께 오노다(小野田) 시멘트 삼척 공장의 인입선 등을 국철구간으로서 1939년에 착공, 1944년에 완공하였는데, 이 구간이 현재의 삼척선이 되었다.
자료상으로 초기 건설시 23.0km의 연장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후 영업거리가 12.9km가 된 사유는 불명확하다. 항만 및 공장 전용선 구간의 제외 등이 이유로 추정된다.
[편집] 연혁
- 1939년 11월 1일 - 삼척선 북평~삼척간 착공.
- 1944년 2월 11일 - 북평~삼척간 23.0km 완공.
- 1956년 3월 1일 - 삼척발전소선 후진~발전소간 착공.
- 1956년 5월 1일 - 삼척발전소선 후진~발전소간 1.8km 완공.
- 1991년 8월 20일 - 여객취급 중지.
- 1999년 5월 1일 - 무배치간이역 추암역 신설(동해기점 6.4km).
- 2001년 7월 1일 - 무배치간이역 후진역 신설(동해기점 7.8km).
- 2003년 1월 1일 - 후진역, 삼척해변역으로 개명.
- 2007년 7월 25일 - 강릉~삼척간 바다열차 운행 개시.
[편집] 미래
삼척선에 대한 개량 계획은 현재 전무한 상황이다.
삼척선의 여객운행에 관해서 연선 지자체 등이 철도청과 합작으로 관광열차 성격의 열차인 "바다열차"의 운행을 추진중에 있다. 열차는 강릉~동해~삼척 간을 운행할 예정이며, 2007년 7월 25일부터 운행에 들어간다. [1].
[편집] 관련 항목
한국철도공사 삼척선
동해 - 추암 - 삼척해변 - 삼척
코레일의 노선 목록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
분류: 삼척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