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키가하라 전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키가하라 전투 (센고쿠 시대의 일부) |
|||
![]() (에도시대 그려진 세키가하라 전투 병풍도) |
|||
|
|||
|
|||
|
|||
교전국 | |||
동군(東軍) | 서군(西軍) | ||
지휘관 | |||
도쿠가와 이에야스 | 이시다 미쓰나리 | ||
병력 | |||
104,000(여러설이 있음) | 82,000(여러설이 있음) | ||
피해 상황 | |||
정확히는 알 수 없음 | 정확히는 알 수 없음 |
세키가하라 전투(일본어: 関ヶ原の戦い 세키가하라노 다타카이[*])는 1600년 10월 21일 (음력 9월 15일) 일본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에 일어난 유명한 전투이다.
전투의 성격은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후 정권을 놓고 도쿠가와 이에야스파와 이시다 미쓰나리파의 다툼이 전쟁으로 표출된 형태였고, 일본 전국의 다이묘(大名)들이 두 세력으로 나뉘어 싸운 결과 도쿠가와측이 승리했다. 전투는 규모에 비해 단 하루만에 승패가 결정되었기에 큰 의미는 없지만 전투로 이어지는 과정과 전후처리 과정을 통한 정치적인 의미는 매우 크다.
도쿠가와가문은 이 전투의 승리로 확고부동한 패자(覇者)의 자리에 올라 에도 막부를 세우게 된다. 이것은 또한 일본의 센고쿠 시대가 사실상 종언(終焉)되었다고 말할 수 있었다.
그외에 동군, 서군이라 불려지기 시작한것은 후세에 일이다. 도요토미가문 자체는 이 전투를 그저 관망하는 자세로 일관했고, 사실상 신하격이었던 두 파벌의 싸움이라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오해할 수 있는게 있는데, 서군의 총대장은 이시다 미쓰나리라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모리 데루모토가 총대장이었다. 그러나 서군이 이시다 미쓰나리을 중심으로한 파벌이라는것에는 변함이 없다.
목차 |
[편집] 배경
일본 통일사업을 달성한 도요토미 정권 내부에서는 주로 도요토미 정권 성립에 군사적으로 기여하며 임진왜란에도 참여한 무단파(武斷派)라 불리는 무장 세력과 행정이나 경제, 병참, 군사, 종교등 전투 밖의 분야로 활약했던 이료파(吏僚派) 말하자면 관료파간의 대립이 있었는데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동생인 도요토미 히데나가(豊臣秀長) 형제때문에 표면화되지 않고 있었다.
1591년에 히데나가가 죽고, 임진왜란의 출병과 퇴각으로 인해 양쪽 파벌의 대립이 더 깊어졌다. 히데요시는 죽기 전에 오대로(五大老) 오봉행(五奉行) 제도를 만들어 여러 다이묘들에게 친자식 도요토미 히데요리(豊臣秀頼)에게 복종할 것을 맹세시키고 1598년 8월에 후시미 성(伏見城)에서 죽었다. 이때부터 양쪽의 대립은 표면화되었다. 즉, 오대로의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는 금지된 다이묘간의 결혼과 영토 분배를 통해 영향력을 강화하자 이것을 다른 오대로인 마에다 도시이에(前田利家)가 엄중하게 경고했다.
한때 후시미(도쿠가와측)와 오사카(마에다측)사이에서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이르렀는데, 다행히 마지막에 서로 서약서를 교환하는 것으로 대립은 피했지만, 이때부터 무단파 다이묘나 인척관계가 된 다이묘들이 도쿠가와 관저로 모여들면서, 도요토미 가문 내부는 빠른 분열의 양상을 띄기 시작했다.
- 도쿠가와 관저로 모여든 주요 다이묘들
-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
-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正則)
- 구로다 요시타카(黒田孝高) & 구로다 나가마사(黒田長政) 부자
- 이케다 데루마사(池田輝政)
- 호소카와 유사이(細川幽斎) &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忠興) 부자
- 하치스가 이에마사(蜂須賀家政)
- 가토 요시아키라(加藤嘉明)
- 도도 다카토라(藤堂高虎)
- 아사노 나가마사(浅野長政) & 아사노 유키나가(浅野幸長) 부자
- 야마우치 가쓰토요(山内一豊)
- 아리마 노리요리(有馬則頼) & 아리마 도요우지(有馬豊氏) 부자
- 교고쿠 다카쓰구(京極高次) & 교고쿠 다카토모(京極高知) 형제
-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
- 다테 마사무네(伊達政宗)
- 신죠 나오요리(新庄直頼)
- 오타니 요시쓰구(大谷吉継) 등.
- 마에다 관저에 모여든 주요 다이묘들
- 모리 데루모토(毛利輝元)
- 우에스기 가게카쓰(上杉景勝)
- 우키다 히데이에(宇喜多秀家)
-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
- 마시다 나가모리(増田長盛)
- 나즈카 마사이에(長束正家)
- 마에다 겐이(前田玄以)
- 사타게 요시노부(佐竹義宣)
-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 쵸소가베 모리치카(長宗我部盛親)등.
다음해 윤(閏)3월 도시이에가 사망하자, 무단파의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 구로다 나가마사, 이케다 데루마사, 호소카와 타다오키, 가토 요시아키라, 아사노 유키나가 등 7명(<<의연회후일기(義演准后日記)>>에서는 그외 도도 다카토라, 하치스카 이에마사, 와키자카 야스하루등 3명이 더 참가하였다고 한다)에 의해, 관료파의 우두머리격인 오봉행의 이시다 미쓰나리에 대한 습격이 자행되었다.
미쓰나리는 이에야스의 중개로 사건의 책임을 묻지않기로 하고, 봉행직을 해임당하고 근거지인 사와야마 성(佐和山城)으로 은거했다. (이때 미쓰나리가 이에야스의 저택으로 도망쳐 도움을 요청했다는 속설이 있으나, 이것은 후세 《일본야사》(日本野史)]에 나오는 이야기로 신뢰성은 없다.) 미쓰나리의 실각과 다른 오대로들이 자신의 영지로 귀환함에 따라 이에야스의 대항세력은 사라졌고, 이에야스는 후시미성에서 오사카성으로 들어가 정무(政務)을 맡아 지휘했다.
[편집] 전투 이전 주요 다이묘들의 석고(石高)
※석고는 일본의 센고쿠시대 사용된 단어로 주로 다이묘들의 영역을 표시하는데 사용하였다. 쌀의 생산량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다.
주요 동군, 서군 다이묘 (석고의 수치와 ○전투에 참가한 자, ●전투중 배신한자)
동군 | 다이묘 | 석고(만석) | 서군 | 다이묘 | 석고(만석) | |
---|---|---|---|---|---|---|
○ | 도쿠가와 이에야스 | 255 | 모리 데루모토 | 120.5 | ||
마에다 도시나가 | 83 | 우에스기 가게카쓰 | 120 | |||
다테 마사무네 | 58 | ○ | 우키다 히데이에 | 57 | ||
가토 기요마사 | 24.5 | ○ | 시마즈 요시히로 | 56 | ||
○ | 후쿠시마 마사노리 | 20 | ● |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 35.7 | |
○ | 호소카와 타다오키 | 18 | ○ | 이시다 미쓰나리 | 19.4 | |
○ | 아사노 유키나가 | 16 | ○ | 고니시 유키나가 | 20 | |
○ | 이케다 데루마사 | 15.2 | 마시다 나가모리 | 20 | ||
○ | 구로다 나가마사 | 18 | ● | 오가와 스게타다 | 7 | |
○ | 가토 요시아키라 | 10 | ○ | 오타니 요시쓰구 | 5 | |
○ | 다나카 요시마사 | 10 | ● | 와키자카 야스하루 | 3.3 | |
○ | 도도 다카토라 | 8 | ○ | 안고쿠지 에케이 | 6 | |
모가미 요시아키 | 24 | 사타게 요시노부 | 54.4 | |||
○ | 야마우치 가쓰토요 | 6.9 | 오다 히데노부 | 13.5 | ||
하치스카 요시시게 | 17.7 | ○ | 쵸소가베 모리치카 | 22 | ||
○ | 혼다 다다카쓰 | 10 | ● | 구즈키 모토쓰나 | 1 | |
○ | 데라자와 히로타카 | 8 | ● | 아카자 나오야스 | 2 | |
○ | 이고마 가쓰마사 | 15 | ● | 깃가와 히로이에 | 14.2 | |
○ | 이이 나오마사 | 12 | 나카츠 마사이에 | 5 | ||
○ | 마쓰다이라 타다요시 | 10 | ○ | 모리 히데모토 | 20 | |
○ | 쓰쓰이 사다쓰구 | 20 | ○ | 도다 카쓰시게田勝成 | 1 |
- 혼다 다다카쓰, 이이 나오마사, 마쓰다이라 타다요시의 영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영지, 모리 히데모토, 깃가와 히로이에의 영지는 모리 데루모토의 영지와 합쳤다.
[편집] 발단
이에야스는 마에다 도시이에의 장남 도시나가가 주모자로 지목된 이에야스 암살계획이 존재하는것을 알고, 용의자로써 오봉행의 아사노 나가마사와 오노 하루나가(大野治長), 히지가타 가쓰히사(土方雄久)에게 칩거(蟄居)을 명령했다. 그리고는 마에다 도시나가에 대해 모반혐의을 씌우고 도요토미군에게 마에다가문을 정벌할 계획을 세운다. 도시나가는 친모인 호슈인(芳春院)을 인질로 내놓으면서 복종의 태도를 취했고, 마에다가문의 지위는 보전되었다.
1600년(게이쵸 5년)에 이르자, 이에야스는 우에스기씨의 옛 가신인 후지다 노부요시(藤田信吉)의 출분(出奔;모시던 가문을 떠나는것을 일컫는말)을 계기로 아이즈(会津)의 우에스기 가게카쓰에 대해 군비증강을 비난하면서 교토로 올라와 해명하라는 경고를 내렸다. 가게카쓰의 중신이었던 나오에 카네쓰구(直江兼続)는 이에야스의 경고를 무시하였고, 그에 따라 이에야스를 총대장으로 한 도요토미군이 우에스기 정벌을 개시한다. 도요토미측 다이묘들 다수가 참가한 원정이었다.
실각한 이시다 미쓰나리는 오타니 요시쓰구, 오봉행 마시다 나가모리, 모리씨의 사신승려이며, 이요국의 다이묘였던 안고쿠지 에케이등과 모의하여 오대로 모리 데루모토을 옹립하여 서군을 조직하고 여러다이묘의 처자식을 인질로 삼아 거병하였다. 그러나 그 속에서 호소카와 타다오키의 아내였던 호소카와 가라샤는 이시다측의 인질이 되는것을 거부하고, 자살하려고 했지만 크리스챤이기에 자살을 할수없어 가신의 창에 스스로 뛰어들어 죽었다.
이에야스는 후시미성에 남겨둔 신하 도리이 모토다다의 보고을 시모즈케국(下野国) 고야마(小山)에 이르러 알게 되었다. 이에야스는 즉시 행군을 중지하고 따르던 다이묘들에게 이후의 동향을 물었다. 우에스기 토벌은 중지되어 사나다 마사유키와 타마루 타다마사등의 다이묘는 이에야스곁에서 떠났지만 대부분은 그대로 이에야스을 따르기로 결정하고 군을 되돌려 서쪽으로 향하였다.
이에야스의 우에스기 정벌은 이시다 미쓰나리을 거병시키기 위해 이루어진 책략이라는 견해도 있다. 기나이에서 모습을 감추면 미쓰나리의 거병을 유인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설을 따른다면, 도리이 모토다다는 이에야스측이 미쓰나리을 공격하기 위한 구실을 만들기위해 죽음을 맞이해야하는 임무을 맡게 되는 것이었다.
[편집] 진행과정
7월 1일 우키다 히데이에가 도요쿠니신사에서 전대미문의 성대한 출진식을 치루고, 이 장소에 기타만도코로(北政所)는 측근 東殿局(오타니 요시쓰구의 어머니)을 대신 참석하게 했다. 7월 11일 미쓰나리는 동군에 가담할 예정이던 친구 오타니 요시쓰구에게 [이에야스 타도]을 밝히고, 자신의 진영에 끌어들였다.
이 점때문에 히데이에가 먼저 궐기하고, 미쓰나리는 이것을 받아들이면서 거병을 결정했다는 측이 최근의 연구에서 매우 유력시되었다.(유력한 미쓰나리파 무장인 사나다 마사유키가 미쓰나리의 협력요청에 대해 [어째서 사전에 알려주지 않았는가!]란 글이 써져있는 편지가 현존해 있는걸로 미루어보아 이끌려서 궐기했기에 준비공작이 후속으로 이루어져, 사타케 요시노부, 쓰가루 다메노부(津軽為信)등 미쓰나리와 친밀한 무장들이 서군에 참가하지 못하고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황에 빠진것도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요시노부는 아버지 요시시게의 반대에 부딪쳐 중립을 지키지 못하였고, 다메노부는 히데요시에게 영지를 안정받았을때 미쓰나리가 많은 도움을 받은 큰 빚이 있었지만 주위 모두가 동군측에 있다보니 자신도 어쩔수 없이 이에야스측에 섰다. 다메노부는 전투 후 미쓰나리의 아들 시게나리와 사에요시을 보호했다. 또 고다인의 양녀였던 미쓰나리의 3녀 辰姫는 후에 다메노부의 아들이며 2대 번주였던 쓰가루 노부히라(津軽信牧)에게 시집가서 3대번주인 쓰가루 노부요시(津軽信義)을 낳았다.)
7월 12일 사와야마성(佐和山城)에서 미쓰나리는 요시쓰구, 마시다 나가모리, 안고쿠지 에케이와 비밀회의을 나누고, 모리 데루모토을 서군 총대장으로 삼기로 결정했다. 같은날 아이치가와(愛知川)에서 동군에 참가예정이던 여러 장수들을 저지하기 위해 관소(関所;관문)을 설치했기에, 조소가베 모리치카, 나베시마 가쓰시게(鍋島勝茂)등이 움직일수가 없어 결과적으로 서군에 참가할 수밖에 없었다.
7월 17일 기어코 미쓰나리는 거병을 선언하고 다음날 이에야스의 가신인 도리이 모토타다가 지키던 후시미성에 항복요구을 권했으나 모토타다는 거절하고 7월 19일부터 공성전이 시작되었다. 후시미성은 우키다 히데이에, 시마즈 요시히로등이 공격에 나서, 모토다다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8월 1일 함락되었다.(후시미성 전투) 그후 단고국(丹後国)의 다나베성(田辺城), 이세국(伊勢国)의 아노쓰성(安濃津城), 마쓰사카성(松坂城)등을 공략해 8월까지 모두 함락시켰다. 미쓰나리 자신은 미노방면을 견제하기위해 8월 10일 사와야마성에서 서군의 거점인 오가키성(大垣城)에 들어갔다.
한편 동군은 에도에서 머물던 이에야스을 제외하고 도카이도(東海道)을 따라 서진했고, 후쿠시마 마사노리, 이케다 데루마사가 선봉부대로 8월 22일 고우다(河田;현재의 이치노미야 시(一宮市))에서 기소가와(木曽川)을 건너 고메노무라(米野村)부근에서 서군과 격돌했다. 동군은 이들을 격파하고 진군을 계속해 다음날 오다 히데노부가 성주로 있던 기후성을 함락했다. 이에야스는 에도에서 여러 무장들에게 편지을 보내었다. 도도 다카토라, 구로다 나가마사등을 사자로 삼아, 도요토미측 다이묘의 동군저지을 막고, 서군을 내부로부터 무너뜨리는것을 기도했다. 기후성이 함락된것을 알게된 이에야스는 무거운 몸을 일으켜 약 3만의 군사을 이끌고 도카이도을 출발해 오사카방면을 목표로 서진했다.
이에야스의 3남 도쿠가와 히데타다는 약 3만 8천의 병력을 이끌고 나카센도(中山道)을 따라 전진했으나, 도중에 사나다 마사유키가 지키던 우에다성을 공략했다가 여기서 발목을 잡혀 세키가하라 전투에는 참전하지 못했다. 이에야스는 결전 전날밤인 9월 14일 아카사카(赤坂)의 오카야마(岡山)에 진지를 설치하고 본진을 세웠다. 미쓰나리는 가신인 시마 기요오키(島清興;사콘(左近))의 진언에 따라 아카사카부근을 흐르던 구이세가와(杭瀬川)에 병사을 내보내 동군의 일부을 유인해 이들을 격파했다. 이것을 구이세가와 전투라고 부른다.
9월 14일 밤 이에야스는 아카사카을 나와 나카센도을 따라 서쪽으로 나아가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것을 보고 오사키성에 있던 이시다 미쓰나리는 세키가하라로 전진했다.
[편집] 전투진행
9월 15일 동서양군은 세키가하라에 집결했다. 구(舊)일본육군 참모분부가 편찬한 일본전사 세키가하라 전투에 의하면 동군 104,000명, 서군 82,000명 합계 18만이 넘는 병력이 좁은 세키가하라의 분지에 집결했던 것이었다.
메이지 시대 군사고문으로 방일한 독일의 클레멘스 메켈소령은 세키가하라에서 양군의 포진을 보고 그자리에서 서군의 승리을 단언했다고 한다. 서군측은 미쓰나리가 있던 [笹尾山], 우키다 히데이에가 있던 [天満山], 고바야가와 히데아키(小早川秀秋)가 있던 [松尾山], 그리고 모리 히데모토(毛利秀元)가 포진한 [南宮山]의 라인으로 동군을 감싸안은 학익진(鶴翼の陣)을 형성하고 있어 승리는 눈앞에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세키가하라는 이른아침부터 깊은 안개가 생겨 근처 아군의 모습도 보이지 않았다. 그런와중에 이에야스로부터 선봉의 약속을 받은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곧바로 개전의 뚜껑을 여는 기회을 엿보고 있었다.
[편집] 전투개시
짙은안개 속에 양군은 2시간정도 대치가 계속되었다. 서서히 안개가 걷힐때쯤 후쿠시마부대의 옆을 마쓰다이라 타다요시의 소부대와 이이 나오마사가 박차고 나갔다. 이에야스로부터 선봉을 맡고 있었던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급히 그들을 저지하고 왜 그러는지 묻자, [정찰]이라고 말하면서 후쿠시마부대 전방으로 나아갔다. 타다요시의 소부대는 돌연 서군의 주력이었던 우키다부대을 향해 발포하고, 여기서 세키가하라 전투의 서막이 열리게 되었다.
이 공격에 대해 우키다부대는 즉시 응사했고, 세키가하라는 순식간에 격전의 장소로 변했다. 후쿠시마부대 6,000과 우키다부대 17,000은 치고받으면서 양쪽은 한걸음도 물러서지 않았고, 구로다 나가마사부대 5,400, 호소가와 타다오키부대 5,100등은 일제히 미쓰나리을 향해 공격에 나섰다. 미쓰나리부대도 휘하의 시마 기요오키와 가모 사토이에(蒲生郷舎)의 분전으로 공격해온 적을 격퇴했다.
미쓰나리는 전투을 시작한 후 2시간을 경과할때쯤 아직 참전하지 않은 무장들에게 전투에 참여할것을 촉구하는 노로시(狼煙;말하자면 봉화)을 올렸다. 거기에 시마즈부대에게 응원요청의 사자를 보냈다. 서군의 총병력중 전투을 벌이던 병력은 겨우 35,000에 불과했기에 전투상황을 유리한 상황으로 옮길 수 있었다. 여기서 마쓰오야마(松尾山)의 고바야가와부대와 남궁산의 모리부대가 동군의 측면과 배후을 공격한다면 서군의 승리는 확정적이 될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그러나 시마즈는 응원요청을 거부했다. 또한 모리 히데모토는 깃카와 히로이에(吉川広家)에게 길이 막혀 참전할 수 없었다. 깃카와 히로이에는 모리가문의 소유영지을 보장한다는 조건으로 이에야스측과 내통하고 있었다. 이것을 사이쇼도노의 노카라벤토(일본어:宰相殿の空弁当(재상의 비어있는 도시락)라고 한다.
[편집] 고바야가와 히데아키의 배반
정오가 지나자, 이에야스는 배반을 약속했던 고바야가와 히데아키부대가 움직이지 않는것을 보고 초조해한 끝에 마쓰오야마을 향해 위협사격을 가하라고 명령했다. 당시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던 고바야가와 히데아키는 이에야스의 독촉을 받고 뜻을 결정하고 마쓰오야마을 내려갔다.
고바야가와부대는 오타니 요시쓰구부대 우익을 공격하였다. 요시쓰구는 히데아키의 배반을 예측하여 온존하게 남아있던 500명의 직속부대로 맞아싸워 15,600명의 고바야가와군을 300m정도 후퇴시켰다. 이때 고바야가와군 무장인 마쓰노 시게모토(松野重元)는 [방패속의 반역은 무사로써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하면서 한부대을 이끌고 방관했다. 그런데, 도도 다카토라등의 모반책에 의해 그때까지 관망태세을 보이던 와키자카 야스하루, 오가와 스게타다, 아카자 나오야스, 구쓰키 모토쓰나등의 서군 여러부대도 고바야가와군에 호응하여 동군으로 돌아섰다. 예측하지 않았던 4부대의 배신으로 전황은 순식간에 변하게 되었다. 서군은 유리한 학익진을 형성하였지만, 학익의 날개부분에 해당하던 상당수의 여러무장들 다수가 배신하거나 방관하는 자세로 일관하게 되어 전투를 그르치게 되었다.
[편집] 서군패배
서군의 붕괴속에서 시마즈 요시히로부대는 일제히 사격을 퍼붓고는 곧장 이에야스 본진을 통과하면서 철수하는 이른바 [전진철수](유명한 시마즈부대의 적중돌파퇴각전)을 개시했다. 이 행동에 후쿠시마부대는 그대로 그들을 보내주었으나, 이들을 쫓았던 부대중 이이 나오마사와 마쓰다이라 타다요시는 저격을 당해 부상을 입었고, 혼다 다다카쓰는 타던 말이 총에 맞아 낙마했다. 시마즈부대는 시마즈 도요히사(島津豊久)와 아다 모리아쓰(阿多盛惇; 조주인 모리아쓰(長寿院盛惇)의 희생으로 약 80기 전후의 소수만이 살아남아 철수에 성공했다. 모리아쓰는 요시히로가 히데요시에게서 선물받았던 진바오리(陣羽織;무장이 전장에서 입던 겉옷)을 몸에 걸치고, 요시히로 대신 [효고두(요시히로를 말함). 무운이 다하여 여기서 최후를 맞이하겠다]라고 말하면서 할복했다고 전해진다. 다른 서군부대는 괴멸하여 패주했다.
[편집] 지역별 파급효과
세키가하라 전투과 벌어지는 동안 전국 각지에서도 동군, 서군을 각각 지지하던 다이묘들간의 교전이 벌어졌었다.
[편집] 도호쿠(東北)
우에스기정벌에 관해선 호리 히데하루(堀秀治)의 참언때문이라는게 정설이었으나, 근년에 들어 히데하루가 서군측에 가담하려는 의사을 표시한 편지등이 발견되었다. 이에야스는 미쓰나리 거병으로 인해 회군할때 유우키 히데야스(結城秀康)을 주력으로 남기고, 우에스기영지와 맞닿아 있던 모가미 요시아키(最上義光)와 그 주변의 히데하루, 다테 마사무네에게 가게카쓰의 감시을 명령받았다.
이때 바다가 욕심나던 모가미 요시아키는 이것을 호기로 보고 우에스기영지에 대해 마사무네와 모의하여 침공할것을 기도했으나 이를 알아챈 우에스기가의 중신 나오에 가네쓰구로부터 선제공격을 받았다. 9월 9일 요네자와성(米沢城)방면에서 모가미영지을 압박해 들어간 나오에 가네쓰구군은 수일만에 모가미 요시아키의 거성 야마가타성(山形城)을 고립시켰다.
다테 마사무네는 동군에 가담하면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전투에 승리한 후에는 마사무네의 옛영지 7군(郡)을 더해 100만석의 영지을 내려주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다테군은 우에스기영지인 시로이시성(白石城)을 공격해 점령했다. 모가미 요시아키는 빠른 침공에 놀라 마사무네에게 원군을 요청했다.
다테가문 내에서는 [우에스기군과 모가미군을 서로 싸우게 한뒤 피로에 쌓인 우에스기군을 공격하면 쉽게 물리칠 수 있고, 그다음엔 야마가타도 힘들이지 않고 우리것이 될 수 있습니다.]라고 중신 가타쿠라 가게쓰나의 진언이 있었으나, 모가미가 괴멸은 우에스기 가게카쓰의 위협을 그대로 받는것과 같은것이었기에(일설에는 야마가타성에 살던 모친을 마사무네가 걱정했다는 말도 있다) 루수 마사카게(留守政景)을 총대장대리로 내세워 9월 17일 원군을 보냈다. 마사무네의 원군이 가세하고, 가네쓰구군이 사케노베 히데쓰나(鮭延 秀綱)의 용맹에 눌리고, 시무라 미쓰야스(志村 光安)가 수비하던 소수병력이 있는 하세도성(長谷堂城)을 공략하지 못하자 전황은 교착상태에 빠지게 되었으나, 9월 29일 세키가하라 전투의 소식이 양군 진영에 전해지자, 흐름은 일거에 모가미군에게 기울어졌다.
가네쓰구는 즉시 철수를 명령했고, 자신은 후군을 맡아 철수을 개시했다. 한편 요시아키는 곧바로 추격을 명령하고 직접 맹공에 나섰다. 이 추격전은 대혼전이 벌어져, 요시아키는 투구에 총탄을 맞을 정도로 대고전하였으나, 모가미 요시야스등의 군세가 달려와 어려움을 벗어났다. 가네쓰구군은 10월 4일 요네자와성으로 귀환했다. 이 전투를 하세도성 전투라고 부른다.
[편집] 호쿠리쿠(北陸)
마에다 도시나가는 우에스기가 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7월 26일 가네자와(金沢)을 출발해 8월에 야마구치 무네나가(山口宗永)가 지키던 大聖寺城을 포위하고 3일만에 함락시키고 아오키 가즈노리(青木一矩)의 기타노쇼성(北ノ庄城)을 포위했다. 그러나 [오타니 요시쓰구의 대군이 후방에서 다가온다]라는 헛소문(요시쓰구 자신이 흘려보냈다는 얘기가 있다)을 듣고 놀라서 급히 가네자와로 회군하였다.
도시나가는 도중 군대를 둘로 나눠 니와 나가시게(丹羽長重)가 지키던 고마쓰성(小松城)에 별동대을 보냈다. 8월 9일 나가시게는 농성군을 이끌고 별동대을 기습해 별동대를 격파하고 뒤이어 도시나가의 본대도 기습을 가해 도시나가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교착상태에 빠진 나가시게는 서로 화친을 맺고, 고마쓰성을 다음날 도시나가에게 넘겨주었다. 겨우 가네자와에 돌아온 도시나가는 급히 군을 재정비하고 9월 12일에 다시 가네자와을 출발했으나, 결국 세키가하라에 도착하지 못했다. 이때 大聖寺城 공격에 참가했던 동생 마에다 도시마사는 거성인 나나오성(七尾城)에서 농성하며 움직이지 않고, 동군에는 가담하지 않았다. 도시마사는 계속 서군에 참가할것을 주장했기에 결과적으로 전투후 영지를 몰수당하는 불행한 일을 당한다.
[편집] 기나이(畿內)
단고 다나베성에는 호소카와 유사이(細川幽斎;호소카와 후지타카)가 아들 타다오키가 출진한 뒤 500명의 병사들과 함께 성을 지키고 있었다. 이곳을 서군측에 가담한 후쿠치야마성(福知山城) 성주 오노키 시게카쓰(小野木重勝)을 총대장으로 한 고이테 히데마사(小出秀政), 요시마사(吉政)부자, 아카마쓰 히로히데(赤松広秀)등이 15,000여 병력을 이끌고 와서 다나베성을 포위했다. 양쪽의 전투가 벌어졌으나, 서군측 여러무장들 중에는 유사이에게 와카(和歌)의 배웠던 다니 모리토모(谷衛友)란 자들도 있어, 격렬한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전황은 서서히 유사이에게 불리한 상황이었다. 죽음을 각오한 유사이는 비전의 [古今伝授]의 증서을 제자인 하치조노미야 도시히토친왕(八条宮 智仁親王)에게 의탁하기로 결심하고, 증서일체을 하치조노미야에 헌상했다. 이일이 하치조미야에서 고요제이천황(後陽成天皇)의 귀에 들어가자 유사이의 상실을 두려워한 고요제이천왕은 마에다 겐이을 통해 서군측에 성을 넘겨주라는 칙명을 보냈다. 그러나 서군측에는 그런 의사는 없었고, 또한 유사이도 성을 넘겨주는것을 거절했다. 9월 12일쯤에 이르러 고요제이천황은 나카노인 미치카쓰(中院通勝), 가라스마루 미쓰히로(烏丸光広), 산조니시 사네키(三条西実枝)등 3명을 칙사로써 다나베성으로 보내 유사이에게 화의에 응하도록 설득해 9월 18일 오노키에게 성을 넘겨주고 퇴거했다.
그러나 유사이 퇴거직후, 시게카쓰는 세키가하라 전투의 패배소식을 전해듣자, 시게카쓰는 후쿠치야마성으로 돌아갔으나, 순식간에 승리의 여세를 몰아 달려온 타다오키와 배반한 다니등의 군대에 포위당해 시게카쓰는 목숨을 탄원했으나 11월 18일 자결하고 말았다.
[편집] 시코쿠(四國)
이요(伊予)에서도 동군에 가담한 가토 요시아키라(加藤嘉明)의 마쓰마에성(松前城)에 대해 모리군이 공격을 가했다. 무라카미 다케요시(村上武吉), 무라카미 모토요시(村上元吉)등 이요에 인연을 가지고 있던 모리가신들은 옛 영지회복을 목표로 히라오카 나오후사(平岡直房), 소네 타카후사(曽根高房)등이 미쓰하마(三津浜)에 상륙해 진지를 구축했다. 마쓰마에성에 항복을 요구했다가 가토가의 수비대장인 쓰구다 가쓰나리(佃十成)의 야습을 받고, 무라카미 모토요시, 소네 타카후사가 전사하고 말았다. 그후에도 모리측이 불리함이 계속돼 세키가하라의 서군측 패배을 접하고 모리군은 후퇴했다.
[편집] 규슈(九州)
규슈에서는 구로다 조스이, 가토 기요마사,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등이 본국에 머물고 있었고, 기요마사와 나오시게는 당초 중립을 지켰기에 적극적으로 움직인 사람은 동군에 가담한 조스이 뿐이었다. 조스이는 나카츠성(中津城)에 모아둔 금과 병량을 아끼지않고 풀어서 이것을 미끼로 모은 낭인을 중심으로 약 3,500여명의 군대을 만들었다.
한편 서군측에서는 동서대결의 상황을 지켜보지않고 데루모토의 지원을 받아 분고(豊後)탈환을 노리던 오토모 요시무네(大友義統)가 있었다. 9월 9일 요시무네는 추방된 이래 오랫만에 분고의 땅을 밟고, 오토모 옛신하들을 모아 이시오키하라(石垣原;현재의 벳푸시(別府市)에서 조스이군과 대치했다. 9월 13일 양군이 격돌하여 격전을 벌여 요시무네군의 용장이 전사하는등 패색이 짙자 9월 15일 요시무네는 출가하여 모리 타베에(母里太兵衛)의 진지에 출두하여 조스이군에 항복했다. 조스이군에 가담하기 위해 구마모토성을 나온 기요마사는 조스이군 승리을 듣고, 군대를 돌려 서군측의 고니시 유키나가의 영토을 침공했다.
조스이군은 이후에도 북규슈 여러성을 함락하고, 세키가하라에서 귀환한 다치바나 무네시게(立花宗茂)가 지키던 야나가와성(柳川城)을 기요마사, 나오시게와 더불어 포위하여 무네시게을 항복시켰다. 조스이 연합군은 마지막으로 시마즈가 공격을 계획하고, 유키나가의 영지에 남아있던 수비대장이 시마즈 요시히사에게 구원을 요청하자 요시히사는 이에 응하여 군대를 파견하는등 규슈의 긴장은 최고조에 달했으나, 시마즈 공격직전 이에야스로부터 전투중지명령이 내려와 시마즈 공격은 중지되었다.
[편집] 기타지역
간토(關東) 사타케 요시노부는 아버지 사타케 요시시게(佐竹義重)의 [동군에 가담해야 한다.]라는 의견과 자신과 미쓰나리의 친교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어서 애매한 태도로 일관했다. 휘하의 다가야 시게쓰네(多賀谷重経)와 작인세력 야마가와 도모노부(山川朝信), 소마 요시타네(相馬義胤)는 가게카쓰와 손을 잡고 있었다.
이세(伊勢) 세키가하라에서 진출하여 북상하던 모리군은 도중에 있던 아노쓰성등 이세의 여러성을 공격했다. 아노쓰성의 도미다 노부타카(富田信高)는 항복하여 출가하고, 마쓰사카성의 후루다 시게카쓰는 화친을 맺어 시간을 끌었다.
[편집] 전후처리 및 논공행상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전투에서 승리 후 서군측 다이묘들의 처벌 및 동군측 다이묘들에게 포상을 내렸다.
- 서군
- 전투후 9월 21일 이시다 미쓰나리는 옛 친구 다나카 요시마사(田中吉政)부대에 의해 체포되었다. 또한 고니시 유키나가는 9월 19일에, 안코쿠지 에케는 9월 23일에 각각 체포되었다. 이들은 이후 오사카, 사카이을 끌려다니다가 로쿠조가와라에서 참수되었다.
- 우키다 히데이에는 세키가하라 전투후 사쓰마로 도망쳤다가 1603년말 시마즈 다다쓰네(島津忠恒)에 의해 이에야스에게 끌려갔다. 다다쓰네와 아내의 친가인 마에다 도시나가에 의한 구명 탄원으로 죽음은 면했으나, 스루가 구능산에서 유폐된 후, 하치조시마(八丈島)에 유배되었다. 그는 4대 쇼군 이에쓰나의 치세때까지 살았고, 그의 자손은 마에다가의 지원을 받아 메이지 유신때까지 가문을 지켰다.
- 나쓰가 마사이에는 거성 오우미 미즈구치성으로 도망쳤으나, 동군의 이케다 데루마사 부대의 추격을 받자 10월 3일 자결했다. 오타니 요시쓰구는 고바야가와 히데아키의 배신으로 인해 공격을 받던 중 자결했다.
- 시마즈 요시히로의 처벌은 여러 방면의 회유 끝에 1602년 4월 이에야스는 [요시히로의 행동은 당주가 인정한 것으로 나쁘지 않다]라고 요시히로의 형 시마즈 요시히사에 대해 영지을 인정해주고, 가문을 시마즈 다다쓰네에게 물려주는 것으로 죄를 용서했다.
- 모리씨에 있어서 모리가의 당주 모리 데루모토가 서군의 총대장으로 오사카 성에 있었기 때문에, 깃카와 히로이에의 영지 안전의 약속은 파기되고, 영지를 몰수하고, 대신 히로이에에게는 스오와 나가토의 2개국을 내려주게 되었다. 이에 놀란 히로이에는 이에야스에게 자신의 영지를 모리가의 영지로 내려 달라고 요청했다. 히로이에의 간청은 수락되어 모리가는 2개국의 영지는 인정받았으나, 결과적으로 모리가의 영지는 대삭감당해, 깃카와 히로이에는 모리가로부터 본가을 팔았다는 비난과 함께 운신의 폭이 좁아지게 되었다.
- 다치바나 무네시게와 마에다 도시나가를 통쾌하게 격파했던 니와 나가시게도 영지를 몰수당했으나, 나중에 무네시게와 시게나가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계획에 따라 다이묘로 복귀하고, 무네시게는 옛 영지까지 돌려받게 되었다.
- 조소가베 모리치카는 사죄했지만, 오해와 가신의 참언이 원인이 되어 형 쓰노 치카타다(津野親忠)를 살해하여 이에야스의 분노를 사서 영지을 몰수 당했다.
- 우에스기 가게카쓰는 아이즈(会津) 120만석에서 나오에 가네쓰구의 영지였던 요네자와 30만석으로 크게 삭감되었다.
- 사타케 요시노부도 히타치(常陸) 미토(水戸) 54만석에서 데와(出羽) 아키다(秋田) 18만석으로 크게 삭감되었다.
- 서군을 배신하고 동군으로 돌아섰던 고바야가와 히데아키는 제쿠젠(筑前) 나지마(名島) 36만석에서 비젠(備前) 오카야마(岡山) 57만석으로 증감하여 옮겼다. 그러나 히데아키는 1602년에 겨우 21살의 젊은 나이로 미쳐서 죽었기때문에, 후사가 없어 가문은 단절되었다.
- 히데아키의 배신에 호응하여 돌아섰던 와키자카 야스하루와 구쓰키 모토쓰나는 영지를 그대로 인정받았으나, 오가와 스게타다와 아카자 나오야스는 영지를 물수당하고, 히데아키, 야스하루, 모토쓰나 이외의 배신한 자들에 대해선 이에야스는 엄중히 처단하였다. 스게타다는 배신한 과거가 많았고, 거기에 아들이 미쓰나리와 친했던 일 때문이었고, 나오야스는 [총성에 놀라서 배신했다]라고 말한 이유가 원인이었다. 스게타다는 전투 후 다음 해에 죽고, 나오야스는 마에다 도시나가을 섬기다가 1606년 엣츄(越中)에서 익사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한 사쓰마번(薩摩藩)의 시마즈씨와 조슈번(長州藩)의 모리씨는 도쿠가와씨에 대한 원한이 그대로 남아 250년후 막부말기에 이르러 에도막부의 막부타도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일컬어 진다.
- 동군
동군의 여러 다이묘들은 대폭의 증감이 있었다.
- 호소가와 타다오키는 단고 미야쓰 18만석에서 부젠 오구라 40만석
- 다나카 요시마사는 미카와 오카자키 10만석에서 치쿠고 야나가와 32만 5천석
- 구로다 나가마사는 부젠 나카쓰 18만석에서 치쿠젠 명도 53만석
- 가토 요시아키라는 이요 마쓰마에 10만석에서 같은 마쓰야마 20만석
- 도도 다카토라는 이요 사카시마 8만석에서 같은 이마하루 20만석
- 데자와 히로타카는 히젠(肥前) 가라쓰(唐津) 8만 3천석에서 12만 3천석
- 야마우치 가쓰토요는 도오토미 가쓰가와 7만석에서 도사 우라토 24만석
-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오와리 기요스 20만석에서 아키-빙고 히로시마 49만 8천석
- 이코마 가쓰마사는 사누키 다카마쓰 6만 5천석에서 17만 1천석
- 이케다 데루마사는 미카와 요시다 15만 2천석에서 하리마 히메지 52만석
- 아사노 유키나가는 가이 부츄 22만석에서 기이 와카야마 37만 6천석
- 가토 기요마사는 히고 구마모토 19만 5천석에서 51만 5천석
다만 여기서 보더라도 도요토미측과 인연이 있던 다이묘에 대해서 이에야스는 영토을 늘려주는 대신 서쪽 지역으로 이동시켰다.
- 다테 마사무네는 무츠 이와테야마 57만석을 62만석으로 모가미 요시아키는 데와 야마가타 24만석을 57만석으로 약속대로 늘려주었다. 다만 다테 마사무네에 대해선 [100만석의 보증]의 약속은 사실상 파기했다.
- 이에야스 자신의 직할령에 대해서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에는 250만석인 것을 400만석으로 대폭으로 늘려 전국에서 제일 많은 영지를 가진 다이묘가 되었다.
- 도요토미씨의 영토에 대해선 히데요시 시대 222만석에서 65만석으로 크게 삭감했다. 도요토미씨의 재정을 지탱하던 사카이와 나가사키의 교역항 등도 도쿠가와씨의 지배을 받게 되었다. 이것으로 인해 완전히 도쿠가와씨와 도요토미씨의 입장은 역전되고 말았다.
[편집] 세키가하라 전투에 관련된 논점
서군의 수뇌 이시다 미쓰나리와 그 밖의 장수들이 오가키 성에 머물지 않고 세키가하라로 전진한 것은 [오가키 성을 무시한 채, 사와야마 성을 함락한 뒤 오사카로 나가겠다]라는 소문 때문이라고 한다. 이 소문은 이에야스가 퍼트린 것이고, 이 소문에 미쓰나리가 보기 좋게 걸였다는 것이다. 이 설이 보편적이지만, 의문점이 많다.
혹시라도 이에야스가 위의 말처럼 거짓정보를 흘렸다고 본다면 부대의 통솔이 가장 취약한 행군중에 적의 습격을 받는다는 말이 된다. 이에야스가 유리한 상황에서 공격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 부자연스럽고, 또 미쓰나리가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에 오사카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리에게 출진을 여러번 요구했었다. 이 것은 결속력이 부족한 서군의 사기를 끌어올리기 위한 것이라 말할 수 있겠지만, 이에야스가 오사카로 향한다면 미쓰나리에게 있어 절호의 기회로 오사카 부근에서 이에야스의 배후를 칠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부근 하천의 범람으로 여러번 수해을 입었던 오가키성을 이에야스가 수공으로 공격하면 서군의 수뇌와 세키가하라 부근에 포진한 모리, 고바야가와등과의 연락이 끊어지는 일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이설은 세키가하라, 마쓰오야마 산에 설치된 축성공사가 새로운 성이라고 말할 수 있을정도로 대규모적으로 이루어 졌다는 것을 전제로 미쓰나리의 전략을 아래와 같이 추정할 수 있다.
- 세키가하라 서쪽의 마쓰오야마-사사오야마(笹尾山)라인에 야전축성을 실시해 동군의 진격을 저지한다.
- 마쓰오야마의 성채에는 서군주력인 모리 데루모토 이하 3만을 배치한다.
- 동군이 오사카로 향하기 위해 오가키 성을 무시하고 세키가하라로 진격한다면 오가키 성의 이시다 미쓰나리, 우키다 히데이에, 난구산의 모리가 동군을 추격해 1번 라인의 군과 함께 동쪽과 서쪽에서 협공한다.
- 동군이 오가키 성을 공격한다면 1번 라인에서 포진하던 오타니 요시쓰구, 모리 데루모토가 오가키 성을 공격하는 동군의 배후를 쳐 오가키성의 군과 협공한다.
결국 이 전략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더라도 서군은 동군을 협공할 수 있다.
그러나 세키가하라 서쪽의 마쓰오야마-사사오야마(笹尾山)라인의 중요한 곳인 마쓰오야마 성채에는 거취가 불분명한 고바야가와 군이 서군의 조반(城番:비상사태에 대비해 성을 수비하는 병사) 절반이나 몰아낸 형태로 앉아있는 일, 또 오가키 성이 수공에 취약하기때문에 수공을 당한다면 이미 성이 공격당하여 4번에서와 같이 오타니, 모리 군이 배후를 칠수 없어, 이 전략은 깨지고 만다. 그 때문에 미쓰나리는 세키가하라에 잠행한것이 아닌가 추측한다는것이 이 설의 요지이다.
[편집] 참고 및 참조문헌
일본쪽 참고문헌
- 藤井治左衛門「関ヶ原合戦」(関ヶ原観光協会)
- 藤井治左衛門「関ヶ原合戦史料集」(新人物往来社)
- 笠谷和比古「関ヶ原合戦四百年の謎」(新人物往来社)
- 白水正「図説 関ヶ原の合戦」(岐阜新聞社)
- 二木謙一「関ヶ原合戦」(中公新書)
- 宮川尚古「関原軍記大成1~4」(国史研究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