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한론(征韓論)은 일본의 에도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에 당시 정부의 수뇌인 사이고 다카모리, 이타가키 다이스케, 에토 신페이, 고토 쇼지로, 소에지마 다네오미 등에 의해 주장된, 무력을 이용해 조선을 정벌하자는 정책이다.
에도 시대 후기부터 고대 일본이 한반도를 지배했다고 주장하는 것이나, 국학이나 미토 학의 일부나 요시다 쇼인 등이 주창하는 것을 통해 존왕양이 운동의 정치적 주장으로도 이용되었다.
표면적으로는 메이지 유신 이후에 쓰시마 섬을 개입시켜 조선에 대해, 왕정복고를 한 신정부의 발족을 통고하고 개국을 강요하는 국교 교섭을 시도했지만 당시 흥선대원군의 집권아래 쇄국정책과 척왜정책을 지향하던 조선 정부가 외교문서가 종전과 다르다며 개수를 요구하고 사신의 접견을 거부하는 등 국교 교섭에 난항이 거듭되자 이를 계기로 일본 내에서 정한론이 수면 위로 부상했다. 1870년에는 사다 소이치로가 조선을 방문한 후 일본으로 돌아가 강경하고도 구체적인 정한론의 건백서(建白書)를 제출하는등 정한론이 유력하게 대두하였다. 1872년에는 외무대승 하나부사 요시모토가 군함을 이끌고 부산에 도착했지만, 조선측은 왜국(倭國)의 사신이 군함을 이끌고 온것에 대해 문제를 삼았으며, 수개월간 체류하였지만 아무런 소득을 얻지 못했다. 한편 조선정부는 부산 등지에서 성행하는 일본상인들의 밀무역을 방지하기 워한 전령서를 내렸는데 이것이 일본정부를 자극하였다. 특히 사이고 다카모리는 무력 침공을 주장하고 스스로 책임을 맡겠다고 자원하였다. 1873년 8월에 메이지 정부는 사이고 다카모리 등을 사절로 파견하기로 결정했지만, 같은 해 9월에 귀국한 이와쿠라 사절단의 오쿠보 도시미치나 이와쿠라 도모미, 기도 다카요시 등이 내치에 충실해야 한다며 시기상조를 이유로 이를 반대하자, 10월에 파견 중지가 결정되었다.
정한론이 중지되자 정한론을 주장하던 사람들이 일제히 하야하였으며(메이지6년 정변), 이때 하야한 사이고 다카모리 등은 1874년의 사가의 난부터 1877년의 세이난 전쟁까지의 반정부 운동을 이끌었다.
정한론이 대두한 것은, 메이지 유신을 전후로 하여 일본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의 해결책이나 성장의 방법으로 이를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전쟁이 논의되기 시작되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시발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정한론에 반대하던 이들 또한 근대화가 일정부분 진행된 이후에는 제국주의적 침략을 고려·진행했다는 점도 정한론의 찬성 여부와 관계없이 아시아 제국 침략에 관련되어 있었다는 증명이 된다.
[편집] 교과서 왜곡 논란
정한론은 일본 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서 자주 지적되는 내용이다. 많은 일본 교과서에서 정한론과 자유민권운동을 연관시켜 설명하고 있다. 후소샤에서 발행한 교과서에서는 정한론의 배경으로 조선 정부의 무례함을 들고 있다. 또한 사이고 다카모리를 무사도 정신에서 조선을 개방시키려는 사람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두고 사이고 다카모리와 정한론을 미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