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6 기갑사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 경기계화여단
1 경기갑사단
6 기갑사단
독일 6 기갑사단 1937년 10월, 프랑스의 Division Légère Mécanique를 모방하여 창설된 자동차화부대를 개편한 1 경기계화여단을 모태로 한 기갑사단이다.
목차 |
[편집] 부대 역사
1 경기계화여단은 군(Army)급 단위의 부대에서 전통적으로 기병의 임무였던 수색 및 정찰 임무를 담당하도록 구성되어 예하에 정찰부대, 자동차화 보병, 전차대대를 두었다. 1938년에 이 부대는 1 경기계화사단으로 확대되었다(문건에 따라서 이 부대의 이름이 Light Mechanized 나 Light Panzer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이 명칭은 후대의 "경보병사단"과는 다른 것이다). 1939년 다른 경기갑사단들과 함께 폴란드 전역에 참전했으나, 일반 기갑사단(1 ~ 5기갑사단)에 비해 능력의 한계가 밝혀져 1939년 10월(폴란드전 종료 직후) 일반 기갑사단으로 확대 개편되면서 6 기갑사단이란 단대호를 부여받았다.폴란드 전투 당시 사단의 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다.[1]
- 2호 전차(PzKpfw II) - 65대
- 4호 전차(PzKpfw IV) - 41대
- 35(t)전차 - 112대
- 총계 - 226대
1940년 프랑스 전투에 참가했고, 그후 동쪽으로 이동하여 1940년의 남은 기간을 그곳에서 보냈다.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가하여 중부집단군 예하에서 첫번째 전투를 치렀으며, 모스크바 전투와 Rzhev-Vyazma Salient에 참가했다. 6 기갑사단은 4 기갑집단군(사령관 : 에리히 회프너 상급대장) 예하 한스 게오르그 라인하르트 기갑대장의 41 차량화군단 소속으로 동프로이센에서 출발하여 리투아니아쪽으로 진격했다. 그런데 전쟁 2일째인 6월 23일에 라세냐이아에서 6 기갑사단은 소련군의 최신예 중(重)전차인 KV-1을 장비한 소련군 2 전차사단에 만 하루를 진격을 정지당했다. 6 기갑사단이 보유한 독일제 4호전차와 체코슬로바키아의 스코다 사제 35(t) 경전차로는 KV-1을 당해낼 수가 없었고, 사단이 보유한 대전차포들도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이 사건은 뒤에 닥칠 T-34 충격과 더불어 소련군이 만만한 상대가 아님을 알려주는 사건이었지만, 승장구하던 독소전 초기 독일군은 전투가 마무리된 후 41군단은 드비나 강까지 3주 동안 750Km를 주파하는 동안 잊혀졌다.
1942년 5월, 사단은 손실을 보충하고자 프랑스로 철수하였다. 그해말에 다시 러시아 전선으로 이동한 6 기갑사단은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된 6군 구출작전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했다. 그 후 사단은 하르코프 전투와 쿠르스크 전투에 참가했고, 우크라이나와 백러시아 후퇴전에 투입되기도 했다. 사단은 1945년 초 부다페스트 구원 작전에 투입된 후 오스트리아로 밀려났고, 종전과 함께 오스트리아에서 소련군에 항복하였다.
[편집] 주요 참전 전투
[편집] 역대 지휘관
[편집] 부대 편제
[편집] 시기별 배치 현황
[편집] 기사십자장 수훈자
연도 | 날짜 | 이름 |
---|---|---|
1940년 | 06월 03일 | 베르너 켐프 중장 |
요한 라벤쉬타인 대령 | ||
06월 24일 | 에리히 외켈 중령 | |
07월 04일 | 한스 카를 에제벡 대령 | |
09월 04일 | 한스 귄터 베트케 중위 | |
에리히 제켄도르프 중령 | ||
11월 28일 | 베르나르드 클루트 | |
12월 21일 | 헤르만 단처 소위 | |
1941년 | 07월 15일 | 리하르트 콜 대령 |
한스 스턴 대위 | ||
07월 27일 | 테오도어 포풀로 소위 | |
10월 11일 | 에어하르트 라우스 대령 | |
루돌프 프라이어 폰 반덴펠스 대령 | ||
10월 18일 | 알로이스 즈무흐 하사 | |
칼 히르쉬 상사 | ||
프란츠 밀로니히 중령 | ||
12월 04일 | 하인리히 몬다본 중령 | |
12월 31일 | 핫소 폰 만토이펠 대령 | |
1942년 | 12월 22일 | 발터 휘네르스도르프 대령 |
1943년 | 01월 11일 | 프란츠 베케 소령 |
01월 24일 | 하인츠 바그너 소위 | |
02월 08일 | 한스 요아힘 비제만 대위 | |
프리드리히 퀸틴 소령 | ||
05월 15일 | 빌헬름 클뢰핑 상병 | |
07월 28일 | 구스타프 라이마 대위 | |
08월 26일 | 베른하르트 미쿠스 소위 | |
09월 10일 | 마틴 운라인 대령 | |
09월 13일 | 에리히 제르닌 중위 | |
1944년 | 04월 06일 | 루드비히 블로스 |
05월 04일 | 파울 스탈 소령 | |
05월 14일 | 게르하르트 무르만 | |
프란츠 리터 | ||
06월 04일 | 이그나츠 횐스브뢰쉬 대위 | |
빌헬름 쉬텐 상급상사 | ||
08월 08일 | 지그프리트 베트케 중위 | |
08월 14일 | 막스 그리이저 소위 | |
09월 21일 | 하인리히 휠스 | |
후고 바이스만 하사 | ||
10월 26일 | 군터 쉠므 대위 | |
11월 18일 | 오토 비토프 | |
12월 26일 | 빌헬름 라이만 대위 | |
1945년 | 04월 30일 | 빌리 랑겐놀 소위 |
[편집] 더 읽어보기
- 사단 (군사), 군사 조직
-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군 사단 목록
- 전차, 기갑사단
- 독일 육군 (제2차대전)
- 독일 연방군 육군 (현재)
[편집] 주석
[편집] 외부 추가 정보
![]() |
이 문서는 제2차 세계 대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