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日本国
일본의 국기 일본의 문장
(국기) (문장)
표어: 없음
국가: 기미가요
일본의 위치
수도 도쿄
북위 35°41′, 동경 139°46′
공용어 일본어1
정부 형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아키히토 (明仁)
아베 신조 (安倍晋三)
정부수립
 • 건국신화
 • GHQ 점령
 • 독립

기원전 660년 2월 11일
1945년 9월 2일
1952년 4월 28일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377,873 km² (62위)
0.8%
인구
 • 2005년 어림
 • 2004년 조사
 • 인구 밀도
 
128,085,000명 (10위)
127,333,002명
337명/km² (30위)
GDP (PPP)
 • 전체
 • 일인당
2006년 어림값
$4조 2200억 (3위)
$33,100 (12위)
HDI
 • 2004년 조사

0.949 (7위)
통화 (JPY, ¥) (ISO 4217:JPY)
(화폐단위:-)
시간대
 • 여름 시간
JST (UTC+9)
없음 
ISO 3166-1 392
·Alpha-2 JP
·Alpha-3 JPN
인터넷 도메인 .jp
국제 전화 +81
1법적인 공용어는 아니다.

일본(일본어: 日本)은 아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 자리잡고 있는 섬나라이다. 국토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의 4개 큰 섬을 중심으로 이들 주변에 수천개의 작은 섬이 밀집해 있다. 수도는 도쿄(東京)이며, 면적은 37만 7873㎢이다. 노르웨이,독일과 비슷한 크기이며 면적순으로 61위이다. 동해를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러시아(오호츠크 해와도 접함)가 있고, 동중국해를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이 있다. 오가사와라 제도 남쪽에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있다.

인구는 1억2천8백만명이며 세계에서 가장 발달된 대도시로 손꼽히는 도쿄에만 3천만명이 살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국이였지만 20세기 후반 경제발전을 계속해 현재는 세계 2위의 경제력을 갖춘 국가로 성장했다. 유엔, G8 그리고 APEC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목차

[편집] 자연환경

[편집] 지질

유라시아대륙과 태평양(太平洋)과의 경계에 위치하는 일본은, 환태평양에 있는 해구, 지진, 화산 지역에 속해 있다. 지질 구조는 고생대 말에서 중생대에 걸쳐 조산운동으로 되어 윤곡이 있었으나 신생대쯤에 현재의 지질 구조와 지형이 형성되어 일본이 됐다. 환태평양 조산대 지역에 있다.

[편집] 국명

정식 명칭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나, 일본국(일본어: 日本国/にほんこく 니혼코쿠[*])이 쓰이는 일이 많으며, 이는 '해의 근본이 되는 나라' 라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은 일본이다. 일본이라는 이름을 쓰기 이전에는 단순히 왜(倭)또는 왜국(倭国)이라고 했다. 처음에는 ‘日本’이라고 표기하고 ‘야마토’(일본어: やまと) 또는 ‘히노모토’(일본어: ひのもと)라 부르기도 하였으나[출처 필요], 나라 시대 이후 뜻을 읽는 훈독이 아닌 음을 읽는 음독을 하게 되면서 ‘니호무’(일본어: にほむ)라고 부르기 시작하였으며, 무로마치 시대에 접어들면서 지금의 ‘니혼’(일본어: にほん, Nihon) 또는 ‘닛폰’(일본어: にっぽん, Nippon)이라는 발음으로 굳어졌다. 두 가지 모두 맞는 표현이지만, 2005년의 일본의 국립국어연구소의 조사에서는, ‘니혼’ 쪽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발음을 정식으로 정하지는 않았으나 지폐나 우표 등에서는 “NIPPON”으로 표기하는 등, 공식기관에서는 ‘닛폰’으로 읽는 경우가 많다.

‘일본’이 처음으로 쓰인 예는 645년 7월에 고구려백제가 교서에 사용한 ‘아키쓰미카미토아메노시타시라스야마토노스메라미코토’(일본어: 明神御宇日本天皇)라는 설이 있다. 또한 일본이라는 국호가 처음으로 정해진 것은, 701년의 다이호 율령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그 의미로서의 ‘일본’은 《수서》 대업 3년(607년)의 기사에 쇼토쿠 태자가 보낸 국서에서 ‘해 뜨는 곳의 천자’라고 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수서》에서 일본 사신은 문전박대를 당하여 수나라 황제를 알현조차 못하였다고 기술하고 있으므로, 다른 나라로부터 인정받지는 못하였다는 지적도 있다.

영어로는 Japan이라고 표기하며, 중국의 당나라가 ‘지펀’(Jippon)이라고 발음하던 것을 마르코 폴로가 그의 저서 동방견문록 일본을 ‘Jipangu’라고 표현한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편집] 정치

일본 국회
일본 국회
이 부분의 본문은 일본의 정치입니다.

일본은 주권이 국민에게 유래하는 국민 주권을 원리로 하는 의회제 민주 정치의 국가이다.

일본국 헌법은 국가 원수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지 않았다. 천황이 원수인가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있다. 자세한 것은 천황을 참조.

일본은 삼권 분립을 채용하고 있다. 입법권은 국회에 있다. 일본 국회중의원참의원의 양원제이다. 중의원과 참의원은 어느쪽이나 전 국민을 대표하는, 선거에 의해 뽑힌 국회의원(각각 중의원 의원, 참의원 의원)으로 조직되어 있다. 단, 법률이나 예산, 조약의 의결, 내각총리대신의 지명, 내각불신임 결의 등에서 중의원은 참의원보다 강한 권한이 주어져 있다. (이는 몇가지 안건에서 중의원의 의결이 참의원보다 우선함을 의미하나, 서열상으로 중의원이 참의원보다 높다는 뜻은 아님을 주의할 것.) 한편 중의원은 해산이 있으며, 임기 또한 참의원보다 짧다.(중의원은 4년, 참의원은 6년)

행정권은 내각·지방 공공 단체·행정 기관이 담당한다. 내각이 의회에 대해서 책임을 지고, 의회의 신임을 내각 존립의 조건으로 한다는 의원내각제를 채용한다. 사법권은 재판소가 행사한다.

국회는 1955년 이후, 1993년부터 1996년까지의 기간을 제외하고 자유민주당이 계속해서 여당의 자리에 있다.

[편집] 수도

일본의 수도는 도쿄이다. 도쿄에는 천황이 사는 황거국가의 최고기관인 국회내각, 최고재판소가 있으며, 일본의 정치와 경제의 중심이므로, 수도를 명확히 정한 법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수도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1950년 공포한 수도 건설법, 1956년 공포한 수도권 정비법에 의해 수도는 도쿄 도의 구역 안이라고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도쿄를 수도로 한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일본 이외의 나라에서도 도쿄가 수도로 여겨지고 있다.

언제 교토에서 도쿄로 옮겨졌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1868년 도쿄부가 놓여졌을 때와 1868년 에도성을 도쿄성으로 했을 때, 1869년 도쿄성을 황성으로 했을 때 등이 있다.

현재 수도에 집중된 입법·행정·사법의 중추 기능을 분산시키기 위한 논의가 국회에서 진행되고 있다.

[편집] 역사

이 부분의 본문은 일본의 역사입니다.

‘일본’(日本)이라는 국호가 성립한 시기는 7세기 후반이라고 추정된다. 현존하는 문헌에서 등장한 것은 701년의 견당사(遣唐使)가 처음이다. ‘일본’의 의미는 외교로 대륙과 대등한 입장이라는 선언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당시의 일본 영역은 기나이를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만이었고, 간토 지방 이북과 규슈 지방 이남은 야마토 조정의 지배 밖에 있었다. 그 후, 일본은 주변의 민족을 소탕·흡수하는 것으로 서서히 확대를 계속했다. 그 사이에 전면적인 대외 전쟁은 한반도원나라와의 사이에서 몇 차례 있었던 정도이다. 그러다가 1871년 번(藩)을 폐지하고 현(県)을 설치한 것(廢藩置縣)과 1872년의 류큐 처분(琉球處分)을 통해서, 현재의 영토와 같아졌다. 또한 대일본제국 헌법 제정으로 군사정권인 막부가 일본을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도쿠가와 막부 체제에서 헌법상으로 ‘천황이 주권을 가지는’ 일본제국으로 국가체제가 바뀌었다.

그리고 1895년에는 대만, 1910년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전국이 된 후에는 남태평양 제도 위임 통치를 맡고, 만주국을 통해 중국 대륙의 일부, , 사이판, 미크로네시아 등을 지배하기도 했다.

1945년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함으로써 확대한 영토의 대부분을 잃고, 국호도 이전의 ‘대일본제국’에서 ‘일본국’으로 고쳤다.

1999년 8월 13일,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국기국가법)을 제정해, “일본의 국기일장기로 하며, 국가기미가요로 한다”고 법제화되었으나 일부에서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

[편집] 지리

인공위성에서 본 일본
인공위성에서 본 일본

일본은 크게 7개의 섬과 그 부속도서로 이루어진다. 큰 섬 4개는 북쪽으로부터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이다. 면적은 약 37.8만 평방미터이다.

일본의 최동단은 도쿄 도 미나미토리 섬 서단은 오키나와현 요나쿠니 섬, 남단은 도쿄도 오키노토리 섬 북단은 홋카이도의 소야(宗谷) 곶이나, 일본은 러시아가 점유하고 있는 에토로후 섬(擇捉島, 러시아명 이투루프)이라고 주장한다.

남쪽은 필리핀 해 (태평양의 일부), 동쪽은 태평양, 북서쪽은 동해, 서쪽은 동중국해이고, 북쪽은 오호츠크 해와 접새 있다. 혼슈와 시코쿠 사이에 있는 바다는 세토 내해라고 불린다.

일본은 지진이 많은 나라이다. 일본 주변은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북아메리카판이 있기 때문에 지진이 일어나기 쉽다.

화산의 활동이 활발했기 때문에 화산성 토양이 많다. 또한 온천도 많다.

일본은 자연 생태계를 국립공원국정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편집] 기후

일본태평양의 영향으로 기후가 대체로 온난하다. 대부분이 온대 기후에 속한다. 남쪽(오키나와 현이나 오가사와라 제도)은 아열대이고, 북쪽(홋카이도 등)은 아한대이다. 여름에는 장마가 지며, 태풍의 피해를 크게 입는다. 계절풍의 영향을 받기 쉽다.

겨울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지고 북서쪽에서부터 계절풍이 분다. 일본에 오는 길에 있는 동해를 지나가기 때문에 습도가 높아진다. 그 이유로서 동해에 면한 지역(호쿠리쿠 지방이나 도호쿠 지방 등)은 눈이 많이 온다. 산을 사이에 두는 반대쪽인 태평양쪽(간토 지방 등)에는 건조한 바람이 불며 맑은 날씨가 많아진다.

여름에는 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많이 받고 고온 다습의 나날이 계속한다. 다만 홋카이도나 도호쿠 지방은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지면 저온이 되며 자주 농업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일본은 비교적 강수량이 많은 지역이다. 주된 요인은 동해쪽의 겨울 강설이나, 6월부터 7월까지 있는 장마(오키나와에서는 5월부터 6월까지, 홋카이도에서는 없다)나 여름부터 초가을까지에 남쪽 해상에서부터 접근·상륙하는 태풍 등이 있다.

[편집] 사람과 언어

[편집] 민족구성

일본사회는 고대 조몬인(繩文人)과 야요이인(彌生人)의 혼혈의 야마토계 일본인(야마토민족, 大和民族)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수민족인 류큐인(류큐민족, 琉球民族), 아이누족(아이누민족, Ainu, アイヌ民族), 윌타족(Uilta, ウィルタ民族), 니브히족(Nivkh, ニヴフ民族)이 있다.

또한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등록자 수는 2006년말 현재 총 2,084,919명으로 이중 재일한국인(재일조선인 포함)이 598,219명(28.7%), 재일중국인(재일대만인 포함)이 560,741명 (26.9%), 재일브라질인(주로 일본계 브라질 국적인)이 312,979명(15.0%), 재일필리핀인이 193,488명(9.3%), 재일페루인이 58,721명(2.8%), 재일미국인이 51,321명(2.5%), 그 외의 재일외국인이 309,450명(14.8%)이 있다. 이들 영주자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 등록하여야만 하며 참정권 등은 주어지지 않는다.

[편집] 언어

대부분의 경우 일본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실상 공용어의 역할을 하고 있는 언어가 일본어이다. 하지만 일본어는 법률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언어이다. 국회에선 아이누어나 류큐어 등의 사용도 인정되고 있다.

일본에서 일본어 이외의 사용 언어에 대해선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류큐어
일본어의 방언으로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 수는 오키나와 현이나 아마미 제도의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수만 명~수십만 명이다.
한국어/조선어
사용자 수는 재일 한국인을 중심으로 100만 명 정도이다. 이 중 한국어가 모국어인 사용자 수는 (재일 교포 1세와 조선학교 출신자) 17만 명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중국어・타이완어
재일 중국인・재일 대만인을 중심으로 사용자 수는 수십만 명이다.
아이누어니브히어・윌타어
사용자 수는 100명 이하이다. 이들 언어 커뮤니티는 이미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일본 국내의 비일본어 사용자 비율과 세계 인구에 대한 일본어 사용자 비율은 대개 같은 정도이다(2% 정도).

[편집] 종교

신토불교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1990년대에는 바하이교를 포함한 신흥종교와 이슬람교가 일본에 들어왔다. 하지만 아직은 이들이 소수로 남아있다. 소수종교는 종교인의 1%를 차지하는 기독교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일본교회는 개신교, 일본 성공회, 일본 정교회, 로마 가톨릭이 있으며, 이중 로마 가톨릭은 일본 교회사의 첫장을 열였다. 일본 개신교는 일본 기독교회라는 이름의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등이 있다.

[편집] 관련문서

[편집] 언론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다. 국내방송에는 공영 방송NHK민영 방송후지 텔레비전 등이 있다. 국제방송은 NHK가 전담한다. 신문에는 아사히신문 등이 있다.

[편집] 행정구역

일본의 행정구역은 도도부현으로 나뉜다.
일본의 행정구역은 도도부현으로 나뉜다.
이 부분의 본문은 일본의 행정 구역입니다.

2006년 현재 일본의 행정 구역은 1도(일본어: , 도쿄 도), 1도(일본어: , 홋카이도), 2부(府, 오사카 부교토 부), 43현(일본어: )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상으로 별도의 정령지정도시, 중핵시, 특별구로 정해진 경우를 뺀 모든 도시는 모두 도도부현에 속하며, 더 작은 행정 단위인 시정촌(일본어: 市町村 시초손[*])과 도시와 시골을 몇 개씩 묶어 정리한 이 있다.

일본을 편의상 8개 혹은 10개의 지방으로 나누어서 보기도 하는데, 일본의 4대 섬에 있는 지방과 이에 소속되는 도도부현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편집] 홋카이도

[편집] 혼슈

[편집] 시코쿠

[편집] 규슈

[편집] 외교 문제

[편집] 역사 왜곡

이 부분의 본문은 일본의 역사왜곡문제입니다.

일본과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이다. 후소샤 교과서와 새역모 교과서에선 역사 교과서를 왜곡하고 있다고 주변 국가들은 주장한다. 이들 역사 교과서에는 종군위안부 문제와, 난징 대학살 등 일본이 일으킨 범죄가 빠져 있다.

[편집] 영토 문제

일본은 러시아(남쿠릴4도),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조어도 제도/센카쿠 제도), 대한민국(독도/다케시마) 등 주변 나라들과의 영토 문제를 떠안고 있다.

[편집] 남쿠릴4도

남쿠릴4도는 일본에서 북방영토, 북방사도라 부르는 여러 섬이다.

이 문제는 원래 일본이 영유하고 있던 하보마이 열도, 시코탄 섬, 이투루프 섬, 쿠나시르 섬제2차 세계대전 말에 소비에트 연방이 점령해, 그대로 실효 지배를 계속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현재도 2국간에 교섭이 계속되고 있지만, 이 섬들의 주변의 바다는 풍부한 어장이기도 해, 아직도 일본의 영유권 주장은 끊이지 않고 있다. 또, 최근에는 사할린 섬(일본 이름: 가라후토(일본어: 樺太))과 쿠릴 열도(일본 이름: 지시마 열도(千島列島)) 전체의 반환을 주장하는 소리도 커지고 있다.

[편집] 센카쿠 제도

센카쿠 제도에서 가장 큰 우오쓰리 섬
센카쿠 제도에서 가장 큰 우오쓰리 섬

한국에서는 한국식 한자음으로는 “조어도” 열도라고 부르고, 중국에서는 “댜오위다오” 열도라고 부르는 여러 섬이다.

센카쿠 제도(尖閣諸島)는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는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으로서는 전호의 경제수역 문제의 관련도 있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간의 문제도 관련되어 복잡화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센가쿠 제도의 영토 문제가 표면화된 것은 1970년대 초에 동중국해에서 천연가스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그후 중화인민공화국은 영토 주장의 소리를 높였다.이러한 주장에 대항하기 위해, 일본의 우익 단체가 종종 여기에 상륙하였고, 마침내 등대를 건설했다. 이 등대는 현재 일본 정부의 관리 아래 있다. 2005년, 중화민국의 어민이 일본의 해상보안청에 의한 단속에 대해 해상에서 항의 시위를 실시했다.

[편집] 독도

독도(일본 이름: 다케시마, 일본어: 竹島)의 영유권은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함께 주장하고 있다. 1948년 이후로 대한민국이 실효적인 지배를 하고 있다. 일본의 시마네 현에서는 다케시마의 날 등을 통해 독도가 일본 영토임을 주장하고 있다. 돗토리 현도 시마네 현과 함께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심지어는 주코쿠 5개 현(야마구치 현, 시마네 현, 돗토리 현 등)이 연합주코쿠 블록을 형성해서 독도 탈환 운동을 벌이고 있다.

[편집] 그 외

엄밀한 의미의 영토 문제는 아니지만, 중국이 2004년부터 오키노토리 섬을 유엔 해양법 조약 121조 3항에 근거해서 오키노도리 섬은 섬이 아니고 암초라고 주장하고 일본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인정하지 않아 양국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일본은 제국주의 시대 때 대한민국, 타이완, 중국에게 많은 해를 끼쳤지만 사과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편집] 경제

도쿄 시부야
도쿄 시부야
이 부분의 본문은 일본의 경제입니다.

일본은 일반적으로 세계 제2위의 경제대국으로 GDP는 세계 제2위이며, 일본의 경제 동향은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준다. 통화는 (¥).

일반적으로 천연자원이 부족하지만, 시멘트 원료인 석회석과 유리는 풍부하고, 이전에는 ··, 석탄이 대량으로 채굴되었다.

한때는 유럽 경제권, 미국 경제권, 아시아 경제권, 일본 경제권으로 나뉠 만큼 일본 경제의 영향은 매우 컸다. 그러나 IT산업을 미국이 주도하면서 그 영향력이 감소되고, 이는 곧 일본 금융계의 무분별한 투자로 인한 토지의 불량채권화를 가속화하여 경제에 치명타를 가한 격이 되었다.

한편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다고 하는 지적도 존재한다. OECD의 통계[1]에 따르면, 2000년도에는 빈곤율이 가맹국 중 멕시코, 미국, 터키, 아일랜드에 이어 세계 제5위가 되었다.

[편집] 문화

이 부분의 본문은 일본의 문화입니다.

일본의 문화는 외부의 문화를 받아 들이면서, 독자적으로 만들어낸 문화를 말한다.

[편집] 공휴일

일본의 공휴일은 다음과 같다.

날짜 한국어 표기 일본어 표기 비고
1월 1일 설날 元日 새해 첫날
1월 두째주 월요일 성인의 날 成人の日 1999년까지는 1월 15일이었음
2월 11일 건국기념일 建国記念の日 초대(初代) 진무 천황이 즉위했다고 추정하는 날.
3월 3일 히나마쓰리
3월 21일 춘분의 날 春分の日 3월 20일인 경우도 있음.
4월 29일 쇼와의 날 昭和の日 1988년까지는 “천황 탄생일”(쇼와 천황의 탄생일), 1989년부터 2006년까지는 “초록의 날”
5월 3일 헌법기념일 憲法記念日 1947년의 이날에 일본국 헌법이 시행되었음
5월 4일 초록의 날 みどりの日 2007년부터. 2006년까지도 축제일 사이에 있는 날이기 때문에 휴일이었음.
5월 5일 어린이날 こどもの日
7월 셋째주 월요일 바다의 날 海の日 1996년부터 2002년까지는 7월 20일
9월 셋째주 월요일 경로의 날 敬老の日 2002년까지는 9월 15일
9월 23일 추분의 날 秋分の日
10월 두째주 월요일 체육의 날 体育の日 1999년까지는 10월 10일 (1964년에 열린 도쿄 올림픽 개회일)
11월 3일 문화의 날 文化の日 메이지 천황의 생일
11월 23일 근로감사의 날 勤労感謝の日
12월 23일 천황 탄생일 天皇誕生日 아키히토의 생일
  • 휴일이 일요일과 겹칠 경우는 다음 월요일도 휴일이 된다.

[편집] 군사

[편집] 한일 관계

[편집] 관련항목

[편집] 바깥 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편집] 일본

[편집] 대한민국

[편집] 외국

[편집] 비공식 사이트


일본행정 구역
도도부현
가가와 현 | 가고시마 현 | 가나가와 현 | 고치 현 | 교토 부 | 구마모토 현 | 군마 현 | 기후 현 | 나가노 현
나가사키 현 | 나라 현 | 니가타 현 | 도야마 현 | 도치기 현 | 도쿄 도 | 도쿠시마 현 | 돗토리 현
미야기 현 | 미야자키 현 | 미에 현 | 사가 현 | 사이타마 현 | 시가 현 | 시마네 현 | 시즈오카 현
아오모리 현 | 아이치 현 | 아키타 현 | 야마가타 현 | 야마구치 현 | 야마나시 현 | 에히메 현
오사카 부 | 오이타 현 | 오카야마 현 | 오키나와 현 | 와카야마 현 | 이바라키 현 | 이시카와 현
이와테 현 | 지바 현 | 홋카이도 | 효고 현 | 후쿠시마 현 | 후쿠오카 현 | 후쿠이 현 | 히로시마 현
주요 도시 (정령지정도시)
가와사키 시 | 고베 시 | 교토 시 | 기타큐슈 시 | 나고야 시 | 니가타 시 | 사이타마 시 | 사카이 시 | 삿포로 시
센다이 시 | 시즈오카 시 | 오사카 시 | 요코하마 시 | 지바 시 | 하마마쓰 시 | 후쿠오카 시 | 히로시마 시
아시아의 나라 아시아 대륙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속령
마카오5 | 홍콩5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
G8
독일 독일 | 러시아 러시아 | 미국 미국 | 영국 영국 | 이탈리아 이탈리아 | 일본 일본 | 캐나다 캐나다 | 프랑스 프랑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