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천하 (드라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드라마 《여인천하》는 월탄 박종화의 역사소설 《여인천하》를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이다. 중종, 문정왕후,윤임, 정난정, 윤원형등의 실존 인물들의 권력투쟁과 몰락을 다루고 있다. 2001년 2월 5일부터 2002년 7월 22일까지 서울방송에서 월화드라마로 방영되었으며, 연출자는 김재형 PD이다.

목차

[편집] 출연자

  • 강수연(정난정 역)
  • 김영란(정난정의 어머니 역)
  • 전인화(문정왕후 역)
  • 박상민(길상 역)
  • 김정은(능금 역)
  • 이휘향(중국의 거상 장씨 역)
  • 이덕화(윤원형 역)
  • 백윤식(정윤겸)
  • 최종환(중종)
  • 도지원(경빈 박씨)
  • 김민희(희빈 홍씨)
  • 한인수(당추 스님)
  • 임혁(갖바치/가죽신을 만드는 노동자)
  • 이보희(자순대비, 중종의 어머니)
  • 안연홍(옥련)
  • 이효정(윤임)
  • 박병선(희량)
  • 박주미(기생 옥매향)
  • 이민우(임백령)
  • 정태우(세자, 인종)
  • 김나운(기생 소월향)
  • 정수혜(어린시절 난정)
  • 주한울(어린시절 길상)
  • 박규리(어린시절 능금)
  • 주슬기(어린시절 옥매향)
  • 박진하(어린시절 옥련)
  • 장근석(어린시절 정렴)
  • 김희정(어린시절 달래)

[편집] 주요 내용

여인천하는 1부, 2부, 3부로 나누어서 구성되었다. 1부는 난정의 어린시절과 기묘사화, 2부는 난정의 결혼생활과 문정왕후 보필, 3부는 난정의 몰락을 다루었다.

[편집] 배경음악

여인천하의 배경음악은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 산조 및 병창 보유자인 안숙선 명창(1947년-)이 불렀으며, 안숙선 명창은 종영후 방영된 특집프로그램에도 출연하였다.

[편집] 종영후 특집프로그램 편성

여인천하는 종영다음날인 2002년 7월 23일 〈대하사극 여인천하, 찬란한 꿈의 기록들〉이라는 이름의 특집프로그램이 편성되어 방영되었다. 진행자는 한선교와 김미화이며, 제작자 김재형 PD와 출연자들이 게스트로 출연하여 드라마 제작중에 있었던 일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편집] 바깥 고리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