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자 어린이
여자 어린이

어린이나이가 어린 사람을 말한다. 구체적인 정의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많은 경우 초등학교의 재학 연령인 만 6세부터 12세 까지, 혹은 사춘기에 도달하지 않은 사람을 어린이라고 한다. 다른 말로는 '아이', '아동'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은 어린이의 권익 향상을 위해 1957년 어린이 헌장을 선포하고, 1975년부터 어린이날5월 5일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편집] 어원

한국어의 '어리-'는 한글이 처음 창제된 15세기 무렵 주로 '어리석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16세기 이후에 '나이가 어리다'라는 의미를 얻게 되었고, 18세기에는 후자의 의미만 남게 되었다.[1] "어린이"라는 단어는 17세기의 《가례언해》와 《경민편언해》에 나이가 어린 사람을 뜻하여 "어리니"의 형태로 나타나며,[2] 후에 방정환이 '젊은 사람을 젊은이라고 하듯이 나이가 어린 사람도 어린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며 대중화했다.

[편집] 발달 과정

Bouguereau의 A Calling.
Bouguereau의 A Calling.
혀를 내민 흑인 남자 어린이
혀를 내민 흑인 남자 어린이

다음의 정의들은 엄격한 조건이 아니며, 일상 언어에서는 불분명하게 쓰이는 경우가 많다.

  • 접합체(zygote)는 수정이 이루어진 직후의 생식 세포를 말한다.
  • 태아는 임신 2개월 이후부터 탄생할 때까지를 말한다.
  • 탄생은 태아가 모체로부터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 영아는 젖을 먹는 어린 아기를 말한다.
  • 유아는 약 생후 1년부터 6년까지의 어린 아이를 말한다.
  • 어린이는 약 생후 6년부터 12년까지의 아이를 말한다.
  • 사춘기는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시기로, 대체로 만 12세에서 16세 사이이다.
  • 청소년은 약 생후 12년부터 18년까지의 사람을 말한다.
  • 청년은 약 생후 19년부터 30년을 기준으로 보는 어른을 말한다.
  • 장년은 약 생후 30년부터 45년을 기준으로 보는 어른을 말한다.
  • 중년은 약 생후 45년부터 64년을 기준으로 보는 어른을 말한다.
  • 노인은 약 생후 64년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를 기준으로 보는 어른을 말한다.

[편집] 참고자료

  1. 조항범. 《다시 쓴 우리말 어원이야기》, 106쪽.
  2. 류영남. [기고] '어린이'란 말의 어제와 오늘. 2007-07-04에 읽어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