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 1990년 1991년 1992년 - 1993년 - 1994년 1995년 1996년 |
연대 1970년대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201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목차 |
[편집] 사건
- 1월 7일 - 우암상가 아파트 붕괴사건이 일어나다.
- 1월 19일 - 슬로바키아, 체코, 국제연합 가입
- 1월 20일 - 빌 클린턴, 미국 제42대 대통령으로 취임.
- 2월 25일 - 김영삼,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으로 취임.
- 3월 28일 - 부산 구포역에서 무궁화호 열차 탈선 이 일어나다.
- 4월 8일 - 마케도니아 공화국, 국제연합 가입
- 5월 21일 - 인도네시아 법원, 동티모르 독립투사 구스마오 유죄 인정해 종신형 선고했으나 그후 20년으로 감형
- 5월 28일 - 모나코, 에리트레아, 국제연합 가입
- 6월 10일 - 예비군부대 폭발사고가 발생하다.
- 6월 14일 - 영화촬영 헬기추락사고가 발생하다.
- 7월 26일 - 전남 화원반도에서 아시아나 항공기 추락 .
- 7월 28일 - 안도라, 국제연합 가입
- 8월 3일 -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팀, 북조선 핵시설 임시사찰 위해 평양 도착
- 8월 5일 -박은식, 신규식, 노백린, 김인전, 안태국 등 애국선열 5위의 유해, 상해에서 운구
- 8월 6일 - '93 대전 EXPO, `새로운 도약에의 길' 이란 주제로 개막
- 8월 7일 - 대한민국이 건조한 두번째 잠수함 `최무선호', 대우 옥포조선소서 진수
- 8월 10일 - 대한민국 정부, 국립중앙박물관을 서울 용산 가족공원으로 신축 이전키로 확정
- 8월 12일 - 성주군 해군헬기추락사고 발생.
- 8월 12일 - 대한민국,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긴급 재정명령' 으로 금융 실명제 실시.
- 8월 16일 - 퍼듀 대학의 학생이던 랜 머독에 의해 데비안 리눅스가 발표되다.
- 8월 19일 - 대한민국 국회, 금융실명제 실시에 따른 대통령 긴급명령승인안 통과
- 8월 19일 - 대한민국, 초고속정보통신망 기본계획 수립
- 8월 20일 - 대한민국, 제 1차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시.
- 8월 20일 - 대한민국 정부, 경부고속철도 차종을 프랑스 알스톰 사의 TGV로 결정.
- 8월 31일 - 대한민국 감사원, `평화의 댐' 특별감사 결과 금강산 댐의 수공위협은 과장됐다고 발표
- 9월 7일 - 대한민국, 국회, 행정부, 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1급 이상 고위공직자와 국영기업체 상근 임원 등 1,166명의 재산을 일괄 공개하는 공직자 재산 공개 단행.
- 9월 7일 - 재벌그룹의 비업무용 부동산 과다보유실태를 폭로했다가 면직되었던 이문옥 전 감사원 감사관에 무죄 선고됨.
- 9월 13일 - PLO의 야세르 아라파트 의장과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가 오슬로 평화 협정에 서명하다.
- 9월 14일 -
대한민국 김영삼 대통령과
프랑스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정상회담.
- 9월 14일 -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북미자유무역협정 서명
- 9월 19일 -
세인트키츠 네비스가 독립하다.
- 9월 23일 -
대한민국 김영삼 대통령, 새 대법원장에 윤관 대법관 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지명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우리별 2호 위성,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우주기지서 발사 성공
- 10월 3일 - 모가디슈 전투:
소말리아 모가디슈에서 미국 특수부대원(레인저, 델타 포스로 구성된 특임대)와 모하메다 파라 아이디드 군벌 간에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로 미군 19명 사망, 76명 부상, 블랙호크 헬기 두대가 격추당하여 추락하고, 소말리아인 사상자는 천여명(추정)에 이르렀다.
- 10월 3일 -
러시아 보리스 옐친 대통령, 반옐친 유혈시위와 관련 모스크바 일원에 국가비상사태 선포
- 10월 7일 -
미국 소설가 토니 모리슨, 노벨문학상 수상자 선정
- 10월 10일 -
대한민국 전라북도 부안군 앞바다서 110톤급 여객선 서해페리호 침몰사고가 발생하여 268명이 사망하다.
- 10월 15일 -
대한민국 청와대, 일제때의 일본 총독부 관저였던 청와대의 구 본관 철거 시작
[편집] 문화
[편집] 탄생
[편집] 사망
- 1월 20일 - 영화배우 오드리 헵번.
- 11월 4일 - 조계종 종정 성철 스님 열반
- 11월 8일 - 러시아의 수학자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티호노프
- 11월 23일 - 시인 김광균.
- 12월 16일 - 일본의 정치가 다나카 가쿠에이.
[편집] 노벨상
- 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