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은 흩날리는 벚꽃처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것은 흩날리는 벚꽃처럼 | |
---|---|
플랫폼 | 윈도 98/2000/ME |
배급사 | 바실 소프트 |
발매일 | 2002년 6월 28일 2002년 8월 9일(DVD판) |
장르 | 연애 어드벤처 게임 |
이용 등급 | CERO: Z |
화면 | 640×480 16bit |
BGM 포맷 | PCM |
이름 설정 | 불가능 |
엔딩 수 | 해피엔딩(5개) 배드엔딩(5개) 기타(1개) |
세이브파일 수 | 무제한 |
음성 | 풀보이스 |
CG 모드 | 있음 |
음악 모드 | 있음 |
회상 모드 | 있음 |
스킵 기능 | 가능 |
오토 모드 | 가능 |
그것은 흩날리는 벚꽃처럼(일본어: それは舞い散る桜のように 소레와 마이치루 사쿠라노 요니[*])은 지금은 해체된 바실 소프트에서 제작한 작품이며, 일반적으로 일본어 이름은 それは舞い散る桜のように에서 일부를 따서 소레치루(それ散る)라고 부른다. 원래는 후속작인 그래도 빛나는 밤하늘처럼(けれど輝く夜空のような)이 예정되어 있었다고 하나, 제작사가 파산신청은 하지 않고 해체되었기 때문에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어보인다.
CD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후, DVD로 재출시되었을때는 DVD 1장과 CD 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
[편집] 캐릭터
- 사쿠라이 마이토(桜井 舞人)
- 낙천적인 성격의 고교생. 사쿠라자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학생이며 학급 반장을 맡고 있다. 원래는 인간이 아니었으며 언덕에 있던 신, 혹은 그에 준하는 존재였다. 어떤 인간과의 우연한 만남으로 인간 세상을 긍정하게 되고, 그것이 계기가 되어 인간 세상에 나오게 된다. 위트와 유머로 넘쳐서 외향적인 성격으로 보이지만 이것은 내면의 고독과 연약함의 반발심에서 나오는 것이다. 실제로 언급된 작중 인물 외에는 친구가 거의 없으며 그나마 있는 친구들조차도 마이토가 타인과 깊은 관계가 되는 것을 꺼려하고 있다는 것에 섭섭하게 여기고 있다. 작 중 친구로 등장하는 야마히코는 그것을 '파이어 월'이라고 칭한 바가 있다. 그러나 그런 비난에도 불구, 마이토는 전인격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을 두려워한다. 이것은 작 중 주요 갈등으로 작용하게 된다. 마이토라는 이름은 그러한 내면적 불안과 고독 속에서 해학으로 달관할 수 밖에 없는 스스로를 자조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舞人, 즉 춤추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편집] 히로인
- 호시자키 노조미(星崎 希望)
- 학급 회의에서 우연히 마이토랑 만난 적이 있다. 하지만 그 이전에 마을에 있는 언덕에서 만난 적이 있으며 그것은 마이토가 세상과 인간을 좋아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노조미 로열가드라는 것이 있을 정도로 출중한 외모를 가지고 있지만 스스로는 자각하지 못한다. 그렇게 성적이 좋은 편은 아니지만 마이토 만큼 나쁜 것은 아니다. 제복이 귀엽다는 이유로 학교 근처 찻집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결국 마이토와 사랑에 빠지게 되지만 그들의 관계가 예전에 언덕에서 있었던 헤어짐처럼, 똑같은 이별을 반복하게 될까봐 불안함을 느끼고 이것은 노조미가 마이토를 망각하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된다. 그러나 결국 그것을 사랑으로써 극복하고 마침내 맺어지게 된다. 노조미라는 이름은 만남과 만남이 부르는 불안 속에서 작은 희망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다.
- 유키무라 코마치(雪村 小町)
- E컵. 마이토의 소꿉친구. 유키무라 세탁소의 막내딸. 마이토가 어릴 적 같이 놀아준 것이 원인이 되어 그를 따르게 된다. 그녀의 복종은 중증에 가까운 것이라서, 마이토가 있다는 이유로 학교를 결정하고 방을 구할 정도다. 훌륭한 입담을 가진 천부적인 만담꾼이지만 야한 농담 앞에서는 약하다. 또다른 소꿉친구인 무기베와 친한 친구 사이지만 조금 어색해한다. 와쿠도나루도에서 햄버거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마이토와 코마치의 관계는 만담이나 실없는 대화가 아니면 더 이상 지속될 수 없을 정도로 비인격적이지만 마이토가 어릴 적 일을 떠올리고 코마치에게 사과하는 것으로써 두 사람의 사이는 마침내 그것을 극복하게 된다. 하지만 그 와중에서도 어릴 적 있었던 아픔이 다시 일어나는 것이 아닐까하는 불안을 느끼게 되고 이것은 결별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마이토와 무기베의 싸움으로 마이토는 다시 사랑할 수 있는 용기를 얻게 되고 결국 유키무라와 이어지게 된다. 엔딩 장면에서의 '유키무라 일직선'이라는 대사는 두 사람이 의미없는 만담 대화가 만드는 평행적인 관계를 극복하고 진정한 관계를 맺게 되는 것을 집약적으로 드러내 주는 것이다.
- 야에가시 츠바사(八重樫 つばさ)
- 우등생. 야마히코와 마찬가지로 1학년 때의 동급생이다. 상당히 쿨한 성격이며 마이토의 파이어 월과 비슷한 연애혐오 감정을 가지고 있어서 친구 이상의 관계를 만드는 것을 극도로 꺼려한다. 근처 찻집에서 일하고 있다.
- 사토미 코다마(里見 こだま)
- 문예부 부원. 썩 좋은 성적은 아니다. 동화 작가 지망생. 신장은 유아이나 체형은 마이토의 역설적인 표현에 의하면 '어덜트 무드 만점'. 글을 쓰고 있으나 부끄러워서 잘 보여주지 못한다. 마이토를 '창의적'이라고 표현하는 지구상에서 몇 안 되는 생명체.
- 모리 아오바(森 青葉)
- 옆집에 사는 중학생. 천진난만하지만 한편으로는 상당한 테크니컬이다. 카구라와 상당히 친하며 단짝이다. 만화책을 보는 것과 요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매일 마이토를 깨우러 와준다. 명랑하지만 외로움을 잘 타는 성격이다. 시계 아저씨가 어디간 사이에 발칙하게도 마이토와 동거를 하게 된다.
[편집] 그 외 등장인물
- 유우키 히카리 (結城 ひかり)
- 문예부 부장. 그녀의 남성혐오는 마이토와 야미히코의 장난스러운 문예부 가입에서부터 시작한다. 마이토가 문예부 유령부원인 걸 알고 있지만 눈감아 준다. 자기를 '현자'라고 칭하는 웃기는 아마죠네스.
- 세리자와 카구라(芹沢 かぐら)
- 아오바의 친구이자, 주인공을 사모(?) 하는 인물.
- 사에키 카즈토(佐伯 和人)
- 마이토의 어머니의 후배 사에키 카즈미씨의 외동 아들. 에이,미즈네,츠바키 무리와 다니며, 주인공에게 결정적 충고까지 주는 존재.
- 미나즈키 에이(水無月 瑛)
- 카즈토의 여자 친구. 보기엔 명랑하기만 한 꼬마지만, 그녀의 펀치는 놀라운 따름이다.
- 카와하라 미즈네(川原 瑞音)
- 에이와 마찬가지로 카즈토의 여자친구. 에이 와는 정 반대의 성격으로 마이토의 여동생타입을 자극(?) 하는 존재.
- 이쿠하라 이쿠나(郁原 郁奈)
- 에미 츠바키(恵美 椿)
- 다른 두사람(에이,미즈네) 와 마찬가지로 카즈토의 여자친구. 마이토로 하려금, 300명의 친구? 들을 하늘로 보내는 존재(진위는 게임에서)
사쿠라자카로 전학 오며, 친구도 없이 홀로 지내려 하나, 카즈토의 설득으로 친구가 된것 같은 존재다.
- 아사히(朝日)
- 인간의 관계를 부정하는 신적 존재. 마이토와 대립한다. 그는 인간의 관계가 덧없다고 믿고 있으며 그것은 결국 파국으로 이어질거라고 예언한다.
- 오우카(桜花)
- 인간의 관계를 부정하는 신적 존재였으나 사랑하고 있다면 그것이 덧없든 허무하든 지금 이 순간에 최선을 다 할 수 밖에 없다는 마이토의 의지에 설득당한다. 마이토가 히로인들과 재결합하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카즈토와 오우카의 관계는 마이토와 노조미의 관계와 유사하다.
[편집] 한글화
- 아르카디아 스튜디오 :: 2003년 10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