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덕대왕신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덕대왕신종
대한민국국보
지정 번호 국보 29호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제작 시기 신라시대
1962년 12월 20일 지정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은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한국 최대의 종이다. 에밀레종 혹은 봉덕사종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 종은 신라 성덕왕을 기리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그의 손자 혜공왕 대인 771년에 완성되었다. 조선시대인 1460년 봉덕사에서 영묘사로 이전되었으며, 다시 1915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높이는 3.75미터, 지름은 2.27미터, 두께는 11~25센티미터이다. 무게는 약 25톤이다.

1992년 제야(除夜)에 서른세번 종을 친 뒤 한동안 타종을 중단하였다가, 1996년 학술조사를 위해 시험으로 타종하였다. 그 뒤 2001년 10월 9일, 2002년 10월 3일, 2003년 10월 3일에 타종행사를 열었으나, 이후로는 보존을 위해 이를 금하고 있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