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륙국(內陸國)은 바다와 접하지 않는 나라를 말한다.

역사적으로 내륙국은 여러 면에서 불리하다고 여겨졌다. 낚시 등을 통해 해양 자원을 얻을 수 없을 뿐 아니라, 바다를 통한 무역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개 해안 지방은 내륙에 비해 더 부유하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고 있다.

많은 나라들이 내륙국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을 계속해 왔다. 콩고 민주 공화국앙골라를 양분하는 4킬로미터의 짧은 해안을 가지고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네움 인근의 21킬로미터 해안을 통해 크로아티아를 양분하며 아드리아 해로 접근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는 국제 하천인 다뉴브 강을 통해 바다로 나갈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폴란드발트 해로 연결되는 폴란드 회랑이라는 좁은 통로를 확보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독일동프로이센과 나머지 지역이 나뉘게 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의 불씨가 되었다.

바다로의 통로가 막히는 것은 그 나라에 있어 큰 타격이 된다. 볼리비아칠레와의 태평양 전쟁(1879~1884)에서 바다로 가는 통로를 잃어버렸다. 1993년 에리트레아가 독립하면서 에티오피아는 내륙국이 되었다. 몬테네그로는 2006년 5월 22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 분리되어 세르비아는 내륙국이 되었다. 러시아는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이 북극해와 접해 있어 대부분 얼음으로 말미암아 사용이 불가능하다. 발트 해, 흑해, 태평양 등으로 확장을 해 온 것은 부동항을 얻기 위한 노력이었다.

카스피 해아랄 해와 같은 내륙해와 인접한 나라는 이 바다(또는 호수)를 해상 무역에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카자흐스탄은 내륙국으로 분류한다.

목차

[편집] 내륙국 목록

내륙국
내륙국

세계 여러 나라 중 44개 나라가 내륙국이다.

[편집] 불인정 국가

다음 미승인 국가가 바다와 접하지 않는다.

[편집] 이중 내륙국

리히텐슈타인우즈베키스탄은 내륙국에 둘러쌓인 이중 내륙국이다. 이 나라에서 바다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른 두 나라를 거쳐야만 한다.

[편집] 회랑

다음 나라는 바다로 연결된 좁은 통로를 가진 나라이다.

[편집]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