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리학(心理學, Psychology)은 인간의 마음과, 뇌, 행동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목차

[편집] 심리학의 기본 연구방향 및 이론

  • 신경생리학적 이해방법
  • 행동적 이해방법
  • 인지적 이해방법
  • 정신분석적 이해방법
  • 현상학적 이해방법

[편집] 심리학의 방법론

  • 관찰
  • 실험
  • 진찰
  • 통계
  • 검사 (테스트)

[편집] 심리학의 분야

  • 건강심리학

1. 학문적 성격

건강심리학은 건강의 유지와 증진,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심리학적 지식과 기법을 적용하는 학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국내에서 건강심리학이 비교적 생소한 학문이므로 다른 심리학(예, 임상심리학) 분야와의 차이점을 통하여 학문적 성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건강 심리학은 신체적 병리(예, 심혈관계 질환, 암, 당뇨병 등)에 일차적 관심을 갖는다. 전통적으로 임상 심리학자들은 정신적 병리(예, 우울 장애, 불안장애, 성격 장애 등)에 주로 관심을 보여 왔다.

(2) 건강 심리학은 건강의 회복이나 질병의 치료와 함께 건강의 유지 또는 증진, 그리고 질병의 예방을 강조한다; 반면에 전통적인 임상심리학에서는 질병의 치료와 건강의 회복에 강조를 두어 왔다.

2. 학문적 역사

건강심리학은 1978년에 미국 심리학회의 제 38번째 분과로서 건강심리학회가 창립된 시점을 기원으로 삼고 있다. 한국에서는 1994년도에 한국 건강심리학회가 심리학회의 9번째 분과회로서 설립되었다. 참고적으로 건강심리학은 비록 일천한 역사에도 불구하고 구미를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이렇게 건강심리학이 급성장하는 배경에는 현대인이 경험하고 있는 주요 질병이나 사망 원인에서 심리사회적 요인이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건강의 회복, 유지, 및 증진에 관하여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건강심리학이 전 세계적으로 현저하게 발전하고 있는 동인이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주요 관심 영역

건강심리학의 관심 영역은 매우 넓다. 하지만, 아래에서 건강심리학적 주요 영역을 몇 가지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건강행동(흡연, 폭주, 불균형된 식사, 운동 부족, 스트레스)

건강 보호(금연, 절주, 균형된 식사, 적절한 운동, 스트레스 관리, 치아 관리, 자가 검진)

주요 만성질병(심장질환, 뇌졸중, 암, 소화 장애, 당뇨병, 통증)

주요 치료 기법(명상법, 이완법, 바이오피드백, 최면법, 인지행동치료)

인지적 요인(건강 신념, 내적 통제, 자기-효능감)

건강 보호 전달(의사-환자간의 관계, 의료적 수술 준비, 치료사항 준수)


4. 교과목

건강심리학과 관련되는 교과목은 매우 다양하다. 그 가운데 주요 교과목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건강심리학, 건강심리학적 평가, 건강심리 치료기법, 건강심리학 연구방법론, 성격심리학, 신경심리학, 사회심리학, 인지심리학, 학습심리학, 생리심리학, 임상심리학, 산업심리학, 발달심리학, 통증심리학, 재활심리학, 스트레스 관리, 건강관리, 정서심리학 등

5. 자격증 한국건강심리학회는 2000년부터 자격증 제도를 실시되고 있다. 이 자격증 제도에 의하면 건강심리학의 하위 영역으로서 '스트레스 관리,' '통증 관리,' '건강 관리,' '행동 의학,' '일반'으로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다.

6. 주요 활동 영역

건강심리학자들은 아래와 같은 영역에서 주로 활동하게 된다.

대학교

종합 병원

개인 의원

보건소

대기업 건강 관련 부서

상담 기관

연구 기관

건강 증진 부서

신체 재활 부서

복지관

기타


7. 외국 학회와의 자매 결연

한국건강심리학회는 1994년도에 창립된 이후 매우 활발한 국제 교류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예컨대, 국내 건강심리학자들이 주요 국제학술회의에서 기조 강연(Keynote Address)을 비롯하여 매우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으며, 외국의 저명한 건강심리학자들이(예, 미국 심리학회장, 국제응용심리학회장) 국내를 자주 방문해 오고 있다.

특히 한국건강심리학회는 미국 건강심리학회, 일본 건강심리학회 등과 자매 결연을 원칙적으로 합의한 바 있다. 따라서 학술지 교환, 연구 협력, 및 다양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2003년에는 아시아 건강심리학회를 한국에서 개최할 예정으로 있어서, 심리학회에 소속된 분과학회로서는 처음으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8. 연락처

건강심리학에 대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전 화: 053-650-8296

FAX : 053-651-9020

Email: kkchon@taegu.ac.kr

Home page: www.healthpsych.or.kr

  • 인지심리학


  • 약물심리학
  • 인지심리학
  • 발달심리학
  • 성격심리학
  •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동기심리학
  • 임상심리학
  • 사회심리학
  • 상담심리학
  • 산업심리학
  • 조직심리학
  • 공학심리학
  • 법정심리학
  • 범죄심리학
  • 소비자심리학
  • 교정심리학

[편집] 참고 저서

[편집] external links

[편집] 국제 주요 심리학 연구소

[편집] 국내 및 국제 주요 심리학 학술잡지

KPA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APA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American Psychologist

Behavioral Neuroscience

Clinician's Research Digest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Contemporary Psychology: APA Review of Book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Developmental Psychology

Dreaming

Emotion

European Psychologist

Experimental & Clinical Psychopharmacology

Families, Systems, & Health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Health Psychology

History of Psych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Journal of Comparative Psychology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nimal Behavior Process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pplied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Neuropsychology

Prevention & Treatment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Psychoanalytic Psychology

Psychological Assessment

Psychological Bulletin

Psychological Methods

Psychological Review

Psychological Services

Psychology and Aging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Psychology of Men and Masculinity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Rehabilitation Psycholog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School Psychology Quarterly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편집] 심리학 관련 웹사이트

  • 한국 심리학회 [1]
  • 한국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2]
  • 소비자 광고 심리학회 [3]
  • 한국 임상심리학회 [4]
  • 한국 상담심리학회 [5]
  • 한국 인지심리학회 [6]
  • 한국 건강심리학회 [7]
  • 한국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8]
  • 한국 사회문제심리학회 [9]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