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피에르 세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피에르 세르(Jean-Pierre Serre, 1926년 9월 15일 - )는 프랑스 수학자로, 20세기 대수기하학정수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1954년, 필즈상(Fields prize)을 수상하였고, 2003년에는 아벨상(Abel prize)을 수상하였다.

수학연보(Annals of Mathematics)에 불어로 실린 역사적인 논문 '대수적 코히어런트 층'(Faisceaux Algébriques Cohérents)에서, 대수다양체의 개념을 최초로 엄격하게 정의하였으며, 알렉산더 그로텐디크(Alexander Grothendieck)과 더불어서 현대 대수기하학 발전의 기초를 닦은 사람으로 간주된다. 세르의 대수다양체 정의는 그로텐디크의 스킴 이론으로 일반화 되며, 이것은 현대 대수기하학과 정수론을 연결하는 중요한 고리가 된다.

또 다른 대표적인 위대한 업적들로는

  • 세르 쌍대 정리(Serre duality)
  • 가가 정리(GAGA Theorem; Géométrie Algébrique et Géométrie Analytique)
  • Serre vanishing theorem

등 많은 결과들이 있다.

그로텐디크와 세르가 위의 업적들을 발달시킬 단계에서 주고 받은 서신들의 모음집(Grothendieck-Serre correspondences)이 최근 프랑스 수학회와 미국 수학회에 의해 공동 출판되었다.


필즈상 수상자

2006: 오쿤코프 | 페렐만 | 타오 | 베르너 ||
2002: 라포르그 | 보예보츠키 || 1998: 보처즈 | 고워스 | 콘체비치 | 맥멀린 || 1994: 젤마노프 | 리옹 | 부르갱 | 요코즈
1990: 드린펠트 | 존스 | 모리 | 위튼 || 1986: 도널드슨 | 팔팅스 | 프리드먼 || 1982: 콘느 | 서스턴 | 야우
1978: 들리뉴 | 페퍼먼 | 마르굴리스 | 퀼런 || 1974: 봄비에리 | 멈퍼드 || 1970: 베이커 | 히로나카 | 노비코프 | 톰프슨
1966: 아티야 | 코헨 | 그로텐디크 | 스메일 || 1962: 회르만데르 | 밀노어 || 1958: 로스 |
1954: 고다이라 | 세르 || 1950: 슈와르츠 | 셀베르그 || 1936: 알포르스 | 더글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