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부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부키(일본어: 歌舞伎)는 일본의 전통공연예술이다. 일본의 주요무형문화재이며, 유네스코 지정 세계무형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목차 |
[편집] 용어
가부키란 말은 '머리를 기울이며 맘대로 춤을 추기'란 의미를 가진 '가부쿠'(カブク, 傾く)란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이상한 동작이나 복장을 '가부키'라고 하고, 그런 동작및 복장을 하는 인물을 '가부키모노'라고 불렀다. 歌舞伎란 단어는 후대에 한자를 갖다 붙인 것이다.
[편집] 역사
전설에 의하면, 1603년 이즈모 신사의 무녀이며 예능인인 이즈모노 오쿠니가 교토의 기타노덴만구(신사)에서 공연한 춤이 원조라고 한다. 이즈모노 오쿠니의 신분에 대해서는 무녀설외에 가와라인(중세 일본의 주로 가죽세공에 종사한 피차별천민)이라는 설도 있으나 확실치는 않다. 그녀는 남장을 하고 무대로 나서 당시의 유행가와 더불어 "가부키"동작을 공연하여 널리 좋은 평을 얻았다. 그녀의 공연이 화제가 되면서 유녀들과 앞머리를 자르지 않은 소년들이 오쿠니의 동작을 따라하여 공연하기 시작했는데,종종 매춘이나 남색으로 이어지면서 1652년에 여성에 의한 가부키는 금지되었다. 현대의 가부키는 야로가부키라고 하여 그 이후 현재까지 모든 역을 남성이 맡는다.
[편집] 가부키에서 파생된 말들
- 오하코(十八番):제 7대 이치가와 단쥬로가 이에노게(가부키 배우 집안의 특기)로 선정한 18개의 비법을 가부키쥬하치반이라고 한다. 十八番을 오하코라고 훈독하는 것은, 그 비법을 적어놓은 문서를 상자(하코)에 넣어둔 것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여기에서 가장 자신있는 장기를 뜻하는 단어가 되었다. 한국어에도 "십팔번"이란 단어로 유입되어 있다.
- 구로코(黒子):얼굴까지 가리는 검은 색 복장을 착용하고 무대장치를 바꾸는 인물을 구로코라고 한다. 그들의 활동은 실제로 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관객과 약속되어 있다. 이런 특징때문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활개치는 인물을 구로코라고 하기도 한다. 독특한 존재감 탓에 일본만화나 게임등에 자주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