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망원경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주 망원경(Space Telescope)는 지구 대기권 바깥 우주 공간에 올려져서, 천문학 관측을 수행하는 일체의 과학 기기들을 가리킨다. 지구상에 건설된 지상 망원경에 비해, 대개의 경우 최초 발사 후에 추가적인 정비/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므로, 지상 망원경에 비해서 가동 기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지구 대기권 바깥에서 관측을 수행함으로써, 지구 대기 요동에 의한 화상 질 저하를 피할 수 있고, 지구 대기로 인한 관측 파장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같은 우주 망원경의 장점으로 인해, 가장 잘 알려진 허블 우주 망원경을 비롯하여 이미 많은 우주 망원경이 우주 공간에서 가동되고 있다.

[편집] 여러 우주 망원경들

  • 허블 우주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발사되고 운용되는 광학 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이 찍은 여러 천체 사진들로 인해, 허블 우주 망원경은 역사상 가장 유명한 천체 망원경이 됐다.
  •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 2013년 미국항공우주국에 의해서 발사될 예정인 망원경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을 차세대 우주 망원경이다. 다만, 자외선부터 광학에 이르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관측 파장대와는 좀 다르게, 적외선 파장대의 관측을 주로 할 예정이다.
  • 찬드라 엑스레이 천문대(Chandra X-ray Observatory)
  • 스피처 우주 망원경(Spitzer Space Telescope)
  • 갈렉스 우주 망원경(GALEX)- Galaxy Evolution Explorer의 머릿글자를 따서 명명된 자외선 우주 망원경으로서, 미항공우주국 산하 제트추진연구소와 캘리포니아 공대, 우리나라의 연세대학교 및 다수의 연구 기관이 참여하여 제작한 망원경이다. 2003년 4월에 발사되었다.
  • 과학기술위성1호 - 2003년 9월에 러시아의 발사체를 이용해서 발사된 우주망원경으로서 FIMS(Far 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라는 자외선 관측 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이 공동 개발하였다.
  • 아카리(AKARI) - 일본의 우주항공개발기구(JAXA) 산하 우주과학연구본부(ISAS)이 중심이 되어 제작한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서, 우리나라의 서울대학교, 유럽 우주국(ESA) 및 유럽 대학 컨소시엄이 참여하였다. 2006년 2월에 발사되었다.

[편집] 바깥 링크

이 문서는 천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