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제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оссiйская Имперiя
러시아 제국
국가깃발(1914-1917) 문장(1883-1917)
1914년 당시의 영토
국가 보제, 차랴 흐라니
공용어 러시아어
수도 페트로그라드(1914-1924)
체제 전제 군주제
1905년부터 총리제 시행
면적 22,400,000 km²
인구 128, 200, 000 명(1917년 통계)
인구밀도 13. 8 / km²
건국 년도 1721년
해체 년도 1917년
통화 루블
국교 러시아 정교회
로마노프 왕조의 깃발(1858-1883)
로마노프 왕조의 깃발(1858-1883)
러시아의 역사
초기 동슬라브족
하자르족
키예프 루시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
노브고로드 공국
볼가불가르족
몽골 침략
황금 군단
모스크바 대공국
카잔 한국
러시아 제국
1905년의 혁명
1917년의 혁명
내전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러시아 제국(러시아어: Pоссiйская Имперiя 로시스카야 임페리야[*], 문화어: 짜리 로씨야, 통용 : '제정 러시아')은 표트르 대제가 세운 이후부터 제1차 세계대전 도중 러시아 혁명(1917년 3월)에 의해서 타도될 때까지 존재하였다.

케렌스키 주도의 임시 정부는 1917년 10월 혁명 이전까지 존속하였고, 그 이후로는 1991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이 러시아의 국토를 통치했다.

[편집] 역사

표트르 대제 시절에 서유럽화가 진행되었다. 표트르 대제는 "수염을 깎지 않으면 수염세를 매길 각오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등 국가주도의 개혁을 강요했다. 하지만, 정작 근대화가 필요한 농촌에는 개혁의 바람이 불지 않아, 농노제는 폐지되지 않았고 농민들은 톨스토이의 단편소설에 언급될 정도로 비참한 삶을 살았다.

알렉산드르 2세 황제가 즉위하고부터 근대화를 하기 시작했다. 크림 전쟁 당시 영국프랑스의 지원을 받은 오스만 제국에 패하였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은 '농노 해방령'인데, 이는 마름을 통해 착취당하던 농노에게는 오래 전부터 소원이었다. 하지만 정작 농노들이 살 토지를 마련해주지 않아, 도시에서는 농민출신의 빈곤 노동자들이 등장했다. 귀족에게도 징병제를 실시하였고, 병역 기간을 25년에서 6년으로 줄였다.

농노 해방 이외에도 군비 증강에도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알렉산드르 황제는 1881년에 암살당하었고, 알렉산드르 3세에 이르면 부황이 행했던 대학자치제 등의 자유주의가 제한되었고, 전제정치는 더더욱 강해졌다.

니콜라이 2세도 낡은 사상만 고집하긴 마찬가지여서,러일 전쟁 패배와 개혁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이 공권력에 의해서 살해당한 사건인 피의 일요일 사건 등을 맛본 뒤에야 비로소 개혁을 실시하게 된다. 입헌 군주제와 총리 제도는 1906년에야 실현될 수 있었고, 실천기간은 11년도 되지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는 100만 정도의 정규군을 가지고 있었고, 1200만 명이 징집되었으나 그들 중 3분의 2는 초등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무식(無識)'한 자들이었다. 게다가 계속된 패배, 계속된 동원령(러시아 농민들이 농사를 짓는데 반드시 필요한 가축까지도 전쟁터에 가야했다), 식량 부족과 민심 불안은 혁명의 도화선이 된다.

2월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는 물러났고, 최초의 공화정인 임시 정부가 통치하게 된다. 그러나 임시정부는 언론 자유 확대와 사형제 폐지를 실시하였으나, 식량 부족은 여전하여 10월 혁명으로 폐지된다. 그 이후, 소련 공산당이 세계 최초의 공산국가인 소비에트 연방이라는 이름으로 1991년까지 러시아의 전 국토를 통치하게 된다.

[편집] 역대 황제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러시아 제국의 크라이입니다.

크라이가 4개로 구분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