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리스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이리스터(Thyristor)란, 게이트(G)로부터 음극(K)에 게이트 전류를 흘리는 것으로, 어노드(A)와 음극(K) 사이를 도통(導通)시킬 수 있는 3단자의 반도체 소자다.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이라고도 불린다. PNPN의 4중 구조를 하고 있다. P형 반도체로부터 게이트 단자를 꺼내고 있는 것을 P게이트, N형태 반도체로부터 게이트 단자를 꺼내고 있는 것을 N게이트라고 부른다.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이라고도 불린다. PNPN의 4중 구조이다. 원리로서는, 그림과 같이 PNP 트랜지스터와 NPN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복합 회로와 등가이다.
게이트에 일정한 전류를 통과시키면 어노드와 음극간이 도통(導通, turn on)한다.도통을 정지(턴 오프)하기 위해서는, 어노드와 음극간의 전류를 일정치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이 특징을 살려, 한 번 도통 상태로 하면, 통과 전류가 0이 될 때까지 도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용도에 사용된다(카메라의 strobe 제어 등). 특히, 대전력을 제어할 경우, 전류 0의 타이밍에 OFF가 되기 때문에 서지 방지가 뛰어나다.
목차 |
[편집] 쌍방향 사이리스터 (TRIAC)
쌍방향 사이리스터는, 2개의 사이리스터를 역병렬로 접속하여 쌍방향에 전류를 통하도록 하여 교직양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 소자가 2개의 소자를 접속한 것은 아니며,그림처럼 모노리식 구조를 하고 있다. TRIAC는 Triode AC Switch의 약어이며, 1964년 GE사에서 최초로 개발되었다.
교류의 쌍방향 스위칭 제어에 이용된다.
[편집] 역도통(逆導通) 사이리스터 (RCT)
역도통 사이리스터는, 사이리스터와 다이오드를 역병렬로 조합하여 한 소자로 구성한 것이다. RCT는 Reverse Conducting Thyristor의 약자다.초퍼, 인버터 회로에 많이 이용되었다.
[편집] 광(光) 사이리스터
광 사이리스터는, 광신호에 의해 직접 점호(点弧)시키는 사이리스터이다.
제어회로와 전력회로를 완전하게 절연할 수 있어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고전압 교류전원회로에 이용된다. 구체적인 적용예로서 주파수 변환 설비(FC)나 직류 송전 설비(HVDC)의 교직 변환 장치, 무효전력 보상 장치(SVC), 대용량 회전기의 시동 장치(SS) 등을 들 수 있다.
[편집] 관련 항목
반도체 | |
---|---|
분류 | P형 반도체 | N형 반도체 | 진성 반도체 | 불순물 반도체 |
종류 | 질화물 반도체 | 산화물 반도체 | 비결정 반도체 | 전계형 반도체 | 자성 반도체 |
반도체 소자 | 집적회로 | 마이크로프로세서 | 반도체 메모리 | TTL 논리 소자 |
띠 이론 | 띠구조 | 띠계산 | 제일원리 띠계산 | 전도띠 | 원자가띠 | 띠간격 | 페르미준위 | 불순물준위 | 전자 | 정공 | 도너 | 억셉터 | 물성 물리학 |
트랜지스터 | 사이리스터 | 접합형 트랜지스터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전력 MOSFET | 박막 트랜지스터 | 시모스 | 증폭 회로 |
관련 | 다이오드 | 태양 전지 |
기타 | PN 접합 | 공지층 | 쇼트키 접합 | MOS 접합 | 전자공학 | 전자 회로 | 반도체공학 | 니시자와 준이치 | 금속 | 절연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