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통 감기로 알려져 있는 병은 급성 바이러스 코인두염이다. 이 병은 코, 목구멍 등 상부 호흡계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다. 증상은 재채기, 코를 훌쩍거리기, 콧물, 코의 울혈 등이 있다. 또 목이 그렁거리고 아프고 가래가 나온다. 기침, 두통, 피로도 증상이다. 심하고 드문 경우지만 결막염도 동반될 수 있다. 또 몸이 쑤실 수도 있다. 감기는 보통 5일에서 7일 정도 지속된다. 기침과 콧물은 1~2주 지속될 수도 있다. 감기는 성인 평균 1년에 2~4회 정도, 학동기 아동의 경우 1년에 12회까지 걸리기도 하는 흔한 병이다. 어린이나 어린이의 부모,, 학교 경비원 등은 감기에 매우 걸리기 쉽다. 감기는 학교의 밀집단 인구집단에서 잘 퍼지기 때문이다.
감기는 독감과는 다르다. 독감은 더 심한 호흡기계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감기에는 보통 없는 발열, 오한, 근육통이 있다. 감기 자체는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다. 감기 합병증인 폐렴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목차 |
[편집] 병리
보통 리노바이러스(rhinovirus)가 원인이다. 다른 원인 바이러스로는 코로나바이러스, 사람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사람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장바이러스,메타누모바이러스 등이 있다.
[편집] 기전
[편집] 증상
[편집] 합병증
[편집] 예방
[편집] 치료
감기는 심하지 않으면 휴식과 따뜻한 물의 섭취로 충분하다.
[편집] 고식적 치료
[편집] 항생제
[편집] 항바이러스제
[편집] 수퍼마켓구매약품 (증상완화 약품)
[편집] 약초
[편집] 비타민 씨
[편집] 아연
[편집] 인터페론
[편집] 증기 흡입
[편집] 닭고기 스프
[편집] 사회적 영향력
[편집] 역사
[편집] 추우면 걸린다는 오해
[편집] 대중문화 속의 감기
[편집] 국제 질병 분류 기호(ICD-10)
ICD-10 J00.0
[편집] 외부 링크
- eMedicin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