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메그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메그마(Smegma)란 오줌이나 정액, 바르톨린선의 잔류 분비물등이 성기주변에 쌓여서 생기는 노폐물이다. 남성은 귀두 아래의 오목한 부분에 여성은 음핵 주변에 잘 생긴다. 모든 포유류의 암수에 일반적이다. 스메그마의 생성에는 미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라는 세균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차 |
[편집] 용어
그리스어의 σμήγμα에서 유래하였다. 속성상 많은 속어나 은어를 가지고 있으며, 비속어에도 종종 사용된다. 일례로 영어에서는 dick cheese,dick butter등의 말을 쓴다. 한자어로는 치구(恥垢)라고 부르며, 한국어의 속된 표현으로는 좆밥이라고 한다.
[편집] 포유류의 스메그마
건강한 포유류의 경우, 스메그마는 성기의 윤활과 청결을 돕는 역할을 한다. 수의학에서 스메그마의 관찰은 비뇨기계통의 질병(특히 트리코모나스증)의 감염여부를 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가축의 건강을 위해 스메그마의 정기적인 제거를 권하고 있다.
[편집] 인간의 스메그마
스메그마는 상당히 축적되기 전까지는 습기있는 상태의 조직으로 눈에 잘 보이지 않으며, 보통 "치즈냄새"나 "오징어 썩는 냄새"등으로 표현되는 특유의 냄새를 통해 인지된다. 남성의 경우 귀두아래부분의 표피에 쌓이기 때문에 포경수술을 받은 남성의 경우는 덜하다.
성기 분비물의 끈적함은 귀두와 표피의 윤활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것들이 축적되고 표피의 공동에서 부패하게 되면 세균서식에 적합한 조건이 되어 버린다. 최근의 의학여론은 스메그마의 축적을 방치하는 것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스메그마는 귀두염의 원인이 되거나 이를 악화시킬 수 있다.Plaut (1947)이나 Heins(1958)의 주장에 따르면 스메그마의 축적은 음경암을 유발한다고 하나, 최근 미국의 암학회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주장을 충분히 입증하는데 실패했다.
스메그마의 생성을 예방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스메그마가 생기는 부위를 따뜻한 물로 행구는 것이다. 여성의 경우 클리토리스의 개부부분을 부드럽게 씻고 되돌려 놓아야 한다. 몇몇 주장에 따르면 비누는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피부분비물을 고갈시키고, 여러가지 피부염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고 한다. 극단적으로 고약한 냄새는 심각한 의학적 문제의 징조이거나, 대인관계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방향제나 탈취제의 사용이 어느 정도 효과적이다.
스메그마는 포경수술의 찬반양쪽이 모두 내세우는 논제이다. 포경수술 찬성쪽은 포경수술로 인해 성기의 노폐물의 생성을 막음으로서 건강에 유익하다고 주장한다. 일부는 포경수술율이 높은 집단에서 자궁경부암의 발생비율이 낮다는 의학적 연구결과를 제시하기도 한다. 반대로 포경수술 반대쪽은 스메그마의 생성이 자연적인 신체정화 및 생리기능으로, 포경수술은 이러한 자체정화기능을 빼앗는 것이라고 주장하다. 의학적 견해(미국의)는 양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