렙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물리학에서 렙톤(Lepton) 또는 경입자는 스핀 1/2인, 즉 페르미온이면서 강한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입자이다. 렙톤은 쿼크와 함께 기본입자인 페르미온을 구성한다.
목차 |
[편집] 렙톤의 특성
렙톤에는 전자, 뮤온, 타우온의 세 맛깔이 존재한다. 각 맛깔은 약한 아이소스핀이라는 입자쌍으로 표현된다. 입자쌍 중 하나는 각 맛깔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높은 전하를 지닌 입자이며, 다른 하나는 거의 질량이 없는 중성의 입자인 중성미자이다. 예를 들면, 전자는 전하를 지닌 전자와 전하를 지니지 않고 거의 질량이 없는 전자 반중성미자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 모든 6개의 입자는 각각 반입자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와 양전자는 서로 반입자이다. 모든 알려진 전하를 지닌 렙톤은 기본 전하만큼의 전하를 지니고 있으며, 음인지 양인지는 입자인지 반입자인지에 따라 좌우된다. 반면 모든 중성미자 및 반중성미자는 전하를 지니고 있지 않다.
입자가 상호작용할때, 같은 맛깔(전자와 전자 중성미자, 뮤온과 뮤온 중성미자, 타우온과 타우온 중성미자)의 렙톤 수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 원리는 렙톤 수의 보존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맛깔(예를 들면, 전자 수와 뮤온 수)의 렙톤 수는 때로 지켜지지 않는다. 중성미자 진동이 그 예이다.
[편집] 렙톤 표
하전 입자 / 반입자 | 중성미자 / 반중성미자 | ||||||
---|---|---|---|---|---|---|---|
이름 | 기호 | 전하 | 질량 (MeV) | 이름 | 기호 | 전하 | 질량 (MeV) |
전자 / 양전자 | ![]() |
−1 / +1 | 0.511 | 전자 중성미자 / 전자 반중성미자 | ![]() |
0 | <0.000003 |
뮤온 / 반뮤온 | ![]() |
−1 / +1 | 105.6 | 뮤온 중성미자 / 뮤온 반중성미자 | ![]() |
0 | <0.19 |
타우온 / 반타우온 | ![]() |
−1 / +1 | 1777 | 타우온 중성미자 / 타우온 반중성미자 | ![]() |
0 | <18.2 |
[편집] 어원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그리스어 loptos에서 유래한 "렙톤"이라는 이름은 1948년 물리학자 Léon Rosenfeld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 C. Møller 교수의 제안을 따라, 가벼운 질량을 가진 입자를 작고, 얇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λεπτός로부터 "렙톤"이라 명명한다.[1]
렙톤이라는 이름은 1970년대 양성자의 거의 두 배나 무거운 타우온의 발견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편집] 같이 보기
- 입자 목록
[편집] 참고 문헌
- ^ "Nuclear Forces," Rosenfeld, Léon,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48
[편집] 바깥 고리
- The Particle Data Group
- 렙톤에 관한 간략한 정리 - 조지아 주립대
물리학의 기본입자 | |
---|---|
페르미온 | 쿼크: 위 | 아래 | 야릇한 | 맵시 | 바닥 | 꼭대기 |
렙톤: 전자 | 뮤온 | 타우온 | 중성미자 | |
게이지 보존 | 광자 | W 보존 | Z 보존 | 글루온 |
미관측 입자 | 힉스 보존 | 중력자 | 기타 가설 입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