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클레멘스 7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레멘스 7세 | ||||||||||||||
|
교황 클레멘스 7세(라틴어: Clemens PP. VII, 이탈리아어: Papa Clemente VII)는 제219대 로마 교황(재위: 1523년 11월 26일 ~ 1534년 9월 25일)이다. 세속명은 줄리오 디 줄리아노 데 메디치(이탈리아어: Giulio di Giuliano de' Medici)이다.
[편집] 생애
1478년 5월 26일,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줄리아노 데 메디치와 고리니 가문의 안토니아 델 치타디노 사이에서 서자로 출생하였다. 파치 가문의 음모에 관련되어 아버지가 살해된 후 조부인 로렌초 데 메디치에 의해 양육되었다. 로렌초가 1492년 사망한 후 줄리오는 메디치 가문이 퇴출당하자 1494년부터 1512년까지 식구들과 함께 유럽의 여러 나라들을 여행하였다. 그 후 로마로 거처를 옮겼다.
1513년 5월 9일 삼촌인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피렌체의 대주교가 되었다. 서출이라는 신분이 장애가 되었으나 면제를 받아 무사하였다. 그 해 9월 22일 추기경이 되었다. 1517년 3월 9일 상서국 차장이 되어 교황청의 정책을 책임 지게 되었고 제5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활약하였다. 전임 교황의 선종 후 1523년 10월 8일에서 11월 19일까지 지속된 콘클라베에서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클레멘스 7세는 당장 종교 개혁이 확산되는 것을 막아야만 하였고 프랑스와 신성로마제국의 갈등 그리고 잉글랜드의 헨리 8세의 혼인 무효 소송을 해결해야만 했다. 그리고 교회는 전체적으로 쇄신을 기다리고 있었다.
클레멘스 7세는 뉘른베르크에 사절을 파견하였으나 마르틴 루터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었고 볼로냐에서 신성로마제국 황제 카를 5세와 2차례나 만났어도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카를 5세는 공의회를 열자고 하였으나 클레멘스 7세는 동의하지 않았다.
또한 합스부르크 가문과 발루아 가문의 대립으로 인해 유럽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져가고 있었다. 프랑스와 신성로마제국은 유럽 패권 다툼에서 이탈리아를 서로 먼저 손에 넣으려고 대립하고 있었다. 클레멘스 7세는 현 상태 유지를 강력히 주장하여 어느 쪽도 이탈리아를 점령하지 못하게 하였다. 교황권의 약세와 정치적 협상으로 인해 신성로마제국이 로마를 침공하여 점령하자 클레멘스 7세는 성천사 성에 7개월 가량 피신해 있다가 로마로 귀환하였다. 후에 카를 5세와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를 각각 만났으나 협상에는 실패하였다.
헨리 8세가 아라곤의 캐서린과의 혼인 무효를 청구하자 클레멘스 7세는 그 청을 반대하였다. 결국 6세기 휘트비종교회의 이후 로마교회의 지배를 받던 영국교회 즉, 영국 성공회는 영국 종교개혁으로 로마교회의 지배에서 벗어난다. 종교개혁에 반대한 토머스 모어와 로체스터의 주교 존 피셔 등은 순교하였다.
국제 정세와 상황이 이렇게 시시각각 악화되어만 가자 교회의 쇄신 요구는 사방에서 더 맹렬히 일어나고 있었다. 이로 인해 클레멘스 7세는 하드리아노 6세와 바오로 3세 사이에서 무능력한 교황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클레멘스 7세는 예술을 숭상하여 라파엘로와 세바스티아노 델 피옴보를 시켜 예술 진흥에 힘썼다.
전 임 하드리아노 6세 |
제219대 교황 1523년 11월 26일 ~ 1534년 9월 25일 |
후 임 바오로 3세 |
분류: 1478년 태어남 | 1534년 죽음 | 이탈리아 출신 교황 | 메디치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