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북부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은 예전에 함경남도 안변과 강원도 양양군을 연결했던 선이었다. 군정기이후에는 열차로 화물들을 수송하지 못했다. 동해북부선은 원산에서 연결되었던 경원선에서 유래되었다. 1929년에 안변과 흡곡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시작되었고 1937년에 양양까지 연결되었으나 지금은 제진에서 감호방향 7Km만 남아있다. (그 이후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곳은 동해선으로 포항까지 연결되기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1945년에 일본의 지배가 끝난이후에는 이 계획이 휴지 조각이 되었다. 현재 제진역부터 군사분계선까지 철도가 완공되었고, 2010년 이내로 강릉까지 철도 연결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편집] 동해북부선 연혁
- 1929년 9월 11일 - 안변-흡곡 간 개통(31.4km).
- 1931년 7월 21일 - 흡곡-통천 간 개통(29.6km).
- 1932년 5월 21일 - 통천-두백 간 개통(14.7km).
- 1932년 8월 1일 - 두백-장전 간 개통(17.5km).
- 1932년 9월 16일 - 장전-외금강 간 개통(7.8km).
- 1932년 11월 1일 - 외금강-고성 간 개통(10.4km).
- 1935년 11월 1일 - 고성-간성 간 개통(39.3km).
- 1937년 12월 1일 - 간성-양양 전구간 개통(41.9km)
- 1950년 이후 - 6.25전쟁으로 영업중지
- 1997년 - 북측 안변-온정리 구간 개통
- 2000년 6월 15일 - 남북정상회담에서 경의선,동해선 연결 추진
- 2007년 5월 17일 - 저진-온정리 구간에서 열차시험운행 실시
[편집] 역 일람
- 1945년 이전
안변-오계-상음-자동-흡곡-패천-송전-고저-통천-벽양-염성-두백-남애-장전-외금강-삼일포-고성-저진-현내-거진-간성-공현진-문암-천진리-속초-대포-낙산사-양양(192.6km)
- 2007년 현재
안변-오계-상음-동정호-명고-금봉강-시중호-통천-동해-겸성-두포-남애-고성-금강산청년-삼일포-구읍리-감호-제진(←저진)
코레일의 노선 목록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동해북부선 | 철도 토막글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한국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