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라선(全羅線)은 익산역에서 여수역을 잇는 철도다.
목차 |
[편집] 역사
1913년 1월 전북철도 주식회사가 철도 부설면허를 받아 1914년 2월에 자본금 30만원으로 회사설립을 한 후에 자본금을 60만원을 증자하여 본사를 전주에 두고 1914년 5월에 토목공사를 착수, 1914년 10월에 준공하고, 1914년 11월 12일에 이르러 협궤철도의 부설을 완료하여 1914년 10월 17일부터 여객운송을 개시하였다. 화물 등 일반 운송업무는 1914년 12월 1일부터 시작했는데 본선철도 시설의 총건설비는 1927년 현재로 55만 3천원(1리당 34,000원)이었고 이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사설철도로는 부산초기전기선에 이어 가장 오랜 역사를 갖는 철도였다.
1927년 10월 조선총독부에서 매수하여 표준궤 개축과 함께 경전북부선이라고 개칭하였다. 이 당시 철도 종사원수는 모두 112명이었고, 기관고 1개소, 정차장 7개소, 차량으로는 기관차 6량, 객차 18량, 화물차 53량 등이 있었는데 매수가격을 90만원으로 매수전에 영업실적이 퍽 양호했던 것으로 평가되었었다. 1일 1리의 평균 수입은 1926년에 51원으로 사설철도 가운데 아주 우수한 것이었다.
그 뒤 1929년 4월 18일 이리(현, 익산)-여수간이 철도를 전주 방면에서부터 광궤도선으로 개축공사에 착공하여 역사등을 전면 신축하거나 개축하였다. 개축 건조물 가운데 특기할 것은 익산역의 근대식 사옥 건물 구조와는 대조적으로 전주역사를 한옥양식으로 세웠다는 점이다. 1931년 10월 전주-남원, 1933년 10월 남원-곡성, 1936년 12월 곡성-순천간이 광궤도선으로 개통되었으며 이것이 이미 개통되어 있던 광주선과 순천에서 연결됨으로써 명칭도 전라선으로 바뀌었다. 또한 본선 가운데 순천~여수간의 40Km(광궤도)는 1936년 9월 남조선공사선이었던 것을 국철에서 인수 대대적으로 칠복의 증설과 기타 선초보강공사를 실시하였고, 전주~순천간의 133.2Km는 국철에서 상기 전북철도와 남조선철도 등 2개의 사철을 매수하면서 공사에 착공하여 1937년 3월 익산~여수간의 전라선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그러나, 전라선은 단선이라서 여객,화물열차가 포화상태가 이뤄지자 전라선 직선화공사를 착공했다. 직선화착공의 목적은 선로용량 증대와 고속화를 꾀하는 공사이다. 1단계 착공일은 1989년 11월 18일과 2단계 착공일은 1998년 6월 12일이었다. 전라선 개량 1단계는 1999년 5월 18일자로 신리-임실, 금지-압록, 구례구-동순천간 64.3km로 개통했었고, 2단계중 압록-구례구(8.9km)간은 2001년 12월 27일에 단선운행했고 복선은 2002년 10월 15일에 개통했었다. 전라선 개량 임실-금지(49.4km)간은 2004년 8월 31일자로 임실-금지, 압록-구례구간등을 개통했었다. [1]
[편집] 개량계획
- 익산~신리 구간은 2012년 6월이후까지 복선전철화된다. 단선 개량 후 복선전철화 방식이 사업방식이었으나 감사원 지적으로 복선전철화가 이뤄지게 되었다.
- 신리~순천 구간도 복선전철화된다. 이 구간은 2012년 6월경에 완공될 예정이다. 익산~신리 구간의 복선전철화와 동시에 우선적으로 순천까지 한국산 고속철도가 전라선에 경부고속선 및 호남선과 직결운행될 예정이다.
- 순천~여수 구간의 복선전철화도 진행중이다. 개량은 2010년 이후에 개통할 예정이고, 2012년 6월경에 복선전철화가 완료될 것이며 고속철도가 순천에서부터 여수까지 추가 직결운행을 시작할 것이다.
[편집] 교통량
현재 해당 구간을 함께 달리는 고속도로가 없기 때문에 전라선의 수요는 상당한 편이다. 2010년경에 한국산 고속열차가 11량편성으로 투입될 예정이다.
- 전라선의 정기 여객열차(새마을, 무궁화)교통량 (1주)
구간 | 하행선 | 상행선 | 분기하거나 합류하는 노선 |
---|---|---|---|
익산-순천 | 105 | 105 | 순천->경전선 |
순천-여수 | 98 | 98 |
[편집] 통과하는 지역 및 주요 역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
[편집] 직결되는 노선
[편집] 간선
[편집] 지선
[편집] 주석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전라선 | 한국 토막글 | 철도 토막글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