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인선(水仁線)은 수원-하인천 간을 잇던 협궤 철도 노선이다. 1995년 12월 31일 이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현재 복선전철화 공사가 진행중이다. 서류상 폐선은 아니지만 현재 철도 노선으로서의 기능은 완전히 잃은 상태이다.
목차 |
[편집] 역사
1937년 8월 5일에 사철인 조선경동철도주식회사가 소래지역의 소금을 수송하려는 목적으로 부설하였다. 광복 이후 사철 국유화 정책에 따라 교통부 철도국 소유로 변경되었다.
1980년대 증기기관차에서 동차로 바뀌었으며 도로교통의 발전과 안산선의 개통으로 차츰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1973년 11월에 하인천-송도 구간의 협궤 여객취급이 중단되고 표준궤로 바뀌어 화물 업무만 취급하게 되었으며, 1992년에는 송도-소래 구간이, 1994년에는 소래-한대앞 구간이 폐선되었다. 1995년 12월 31일 폐선 직전까지 한국 유일의 협궤철도로 많은 관광객들의 관심을 받았다.
[편집] 역 목록
- 1937년 개통 당시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
수원 | 水原 | 경부선 | 0.0 | 0.0 |
고색 | 古索 | 3.9 | 3.9 | |
어천 | 漁川 | 4.9 | 10.7 | |
야목 | 野牧 | 3.0 | 13.7 | |
빈정 | 濱汀 | 1.4 | 15.1 | |
일리 | 一里 | 4.9 | 20.0 | |
성두 | 城頭 | 1.6 | 21.6 | |
원곡 | 元谷 | 6.3 | 27.9 | |
신길 | 新吉 | 1.3 | 29.2 | |
군자 | 君子 | 3.2 | 32.4 | |
소래 | 蘇萊 | 6.2 | 38.6 | |
논현 | 論峴 | 2.9 | 41.4 | |
남동 | 南東 | 0.9 | 42.4 | |
문학 | 文鶴 | 3.4 | 45.8 | |
송도 | 松島 | 1.5 | 47.0 | |
인천항 | 仁川港 | 5.0 | 52.0 |
- 영업거리표 상[1]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수원 | Suwon | 水原 | 경부선 | 0.0 | 0.0 | 경기도 | 수원시 |
어천 | Eocheon | 漁川 | 10.7 | 10.7 | 화성시 | ||
야목 | Yamok | 野牧 | 3.0 | 13.7 | |||
사리 | Sa-ri | 四里 | 4.2 | 17.9 | 안산시 | ||
한대앞 | Handaeap[2] | 漢大앞 | 수도권 전철 4호선 | 2.3 | 20.2 |
- 복선 전철화시
※미개통구간의 역명은 모두 가칭이며, 차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역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K243 | 수원 | Suwon | 水原 | 경부선(수도권 전철 1호선) | 경기도 | 수원시 |
K244 | 고색 | Gosaek | 古索 | |||
K245 | 봉담 | Bongdam | 峰潭 | 화성시 | ||
K246 | 어천 | Eocheon | 漁川 | |||
K247 | 야목 | Yamok | 野牧 | |||
K248 | 사리 | Sa-ri | 四里 | 안산시 | ||
449 | 한대앞 (구 일리) |
Hanyang Univ. at Ansan |
漢大앞 | 안산선 (수도권 전철 4호선) |
||
450 | 중앙 | Jungang | 中央 | |||
451 | 고잔 | Gojan | 古棧 | |||
452 | 공단 | Gongdan | 工團 | |||
453 | 안산 (구 원곡) |
Ansan | 安山 | |||
454 | 신길온천 | Singil oncheon | 新吉溫泉 | |||
455 | 정왕 | Jeongwang | 正往 | 시흥시 | ||
456 | 오이도 | Oido | 烏耳島 | |||
457 | 달월 | Dalwol | 達月 | |||
458 | 월곶 | Wolgot | 月串 | |||
459 | 소래 | Sorae | 蘇來 | 인천광역시 | 남동구 | |
460 | 논현택지 | 論峴宅地 | ||||
461 | 논현 | Nonhyeon | 論峴 | |||
462 | 남동 | Namdong | 南洞 | |||
463 | 승기 | Seunggi | 承基 | 인천 지하철 1호선(원인재) | 연수구 | |
464 | 연수 | Yeonsu | 延壽 | |||
465 | 송도 | Songdo | 松島 | |||
466 | 용현 | Yonghyeon | 龍現 | 남구 | ||
467 | 남부 (구 하인천, 혹은 남인천) |
Nambu | 南部 | |||
468 | 국제여객터미널 | 國際旅客터미널 | 동구 | |||
469 | 인천 | Incheon | 仁川 | 경인선(수도권 전철 1호선) |
[편집] 현재 상황과 미래
몇년 전까지 인천역부터 동양화학까지 하루에 몇번 열차가 오갔으나, 수인선 철도 복원 결정 이후 열차 수송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일부구간의 착공이 시작된 상황이다. 현재 기존 구간의 사용은, 이따금씩 인천역에서 구 남인천역까지 화물 운송 열차가 오가는 정도이다.
현재 복선 전철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대앞-안산 구간과 안산-오이도 구간은 각각 1988년과 2000년에 개통되어, 안산선(수도권 전철 4호선)에 편입되어 현재 운행 중이다. 오이도-송도 구간은 2009년 12월, 송도-인천 구간은 2013년 이후, 수원-한대앞 구간은 2015년 이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원-한대앞, 오이도-연수 구간은 지상으로, 인천-송도역까지는 지하를 달리며, 인천역은 현재의 역이 아닌, 새로 지하역을 개설하여 사용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급행 열차가 인천역 지하에서 직결하여 송도역까지 운행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한편 안산시 단원구에서는 안산시내의 수인선 구간에 레일바이크 사업을 계획중에 있다.
[편집] 주석 및 참고자료
-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영업거리표 2007년 6월 5일판 기준.
- ↑ 수도권 전철 4호선(안산선) 역의 영어 역명은 'Hanyang Univ. at Ansan이나, 수인선 역의 영어 역명은 Handaeap으로 되어 있다.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
분류: 진행중 | 폐지된 철도 노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수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