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가수협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단법인 대한가수협회가수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창립된 단체이다. 1959년 사단법인으로 인가받았다가 1961년 한국연예협회의 분과로 배치되었었다. 2006년 5월 1일 다시 창립총회를 가지고 같은 해 9월 29일 문화관광부에 의해 독립된 사단법인으로 인가받았다.[1]

[편집] 회원

  • 가수고문: 최희준, 남일해, 쟈니리, 박상규, 현미, 패티김, 이미자, 김상희, 윤복희, 김세레나, 장미화, 김부자, 나훈아, 신중현, 윤항기
  • 회장: 남진
  • 부회장: 박상민, 백순진 (사월과 오월), 양희은, 인순이, 정훈희, 태진아
  • 이사: 권인하, 김창렬, 김흥국, 박선주, 송대관, 신해철, 신형원, 옥주현, 유열, 윤종신, 이수미, 이자연, 최백호
  • 회원: 가비엔제이, 강달님, 강승모, 강원래(클론), 강은철, 강인원, 강은철, 고정숙 (바니걸스), 구준엽 (클론), 권성희 (새샘트리오), 권진경, 금사향, 김경남, 김광석 (소리새), 김광식, 김근영, 김도균, 김도균 (백두산), 김도향, 김동환, 김동효, 김명상, 김목경, 김민석, 김범룡, 김범수, 김선중, 김세화, 김세환, 김수철, 김연숙, 김완선, 김용임, 김장수 (높은음자리), 김장훈, 김정수, 김종서, 김종환, 김주일, 김준, 김진균, 김진복, 김태곤, 김태화, 김현철, 김혜연, 김활선, 남궁옥분, 노사연, 노영심, 도훈, 뚜띠, 래피, 류한승, 리아, 린, 마야, 말로, 명국환, 문정선, 문희옥, 문희준, 민해경, 박강성, 박만임, 박미경, 박상규, 박영일, 박윤경, 박일준, 박종규, 박진도, 박태희, 박학기, 박혜경, 방미, 배일호, 백지영, , 사랑의 하모니, 서원, 서문탁, 서수남, 서영은, 설운도, 소명, 소리새, 송대관, 송보경, 송창식, 송춘희, 송해춘, 신계행, 신자유, 신효범, 심은진, 양지영, 여운혁, 오승국, 오은정, 옥희, 왕소연, 우수민, 우순실, 우일, 원미연, 위일청, 유리 (), 유리, 유리상자, 유심초, 유익종, 유현상, 윤도현, 윤복희, 윤시내, 윤태규, 윤형주, 윤희상, 이경준, 이광조, 이동기, 이동원, 이루, 이미배, 이상, 이선희, 이숙, 이영화, 이용복, 이은미, 이은미, 이은하, 이정, 이정석 (가수), 이정희, 이진관, 이창용 (가수), 이치현, 이치현과 벗님들, 이태원, 이태호, 이현우, 이혜리, 임수정, 임지훈, 임희숙, 장계현, 장미화, 장윤정, 장은아, 전승희, 전영록, 정광태, 정광효, 정다정, 정두언 (가수), 정수라, 정재은, 조경식, 조경수, 조덕배, 조항조, 진미령, 진시몬, 최석준, 최석준, 최성수, 최영학, 최옥태, 최유나, 최진희, 최헌, 춘호, 표복민, 하동진, 하리수, 하춘화, 한경애, 한반도, 한승기, 한혜진, 해오른 누리, 해와달, 혜은이, 홍민, 홍주, 화요비, 황태철, 희승연, 플라이 투 더 스카이, 제이, KCM, L.P.G, 테오 [2][3]

[편집] 참조

  1. 대한가수협회 45년만에 재탄생 - 마이데일리
  2. 대한가수협회 회원정보 - 대한가수협회
  3. 대한가수협회 소식지 제1호 - 대한가수협회

[편집] 바깥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