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세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아세례는 기독교의 성직자어린이에게 집전(집례)하는 세례를 말한다.

[편집] 교파별 유아세례에 대한 입장

장로교에서는 유아세례를 인정한다. 장로교인들은 언약의 공동체(covenant community) 원리를 성경에서 도출하여 주장하며, 구약에서의 할례가 신약의 세례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세례는 믿는자가 받는 표징과 상징과 더불어 언약의 공동체에 속하는 신성한 성사로 보고 있다. 또한 로마 가톨릭,루터교,성공회에서도 유아세례를 인정한다. 이중 로마 가톨릭과 성공회의 경우 세례성사를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는' 은총과 구원의 성사로 보기 때문에, 세례자의 보증인인 대모와 대부가 세례자를 기독교 신앙으로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

침례교재세례파는 유아세례를 전면적으로 거부한다. 그들이 주장하는것은 신자의 침례(believer's baptism)로서 유아는 아직 예수를 믿을 지각적 성숙이 결여된다고 판단한다. 침례요한(세례요한)도 회개후 침례(세례)를 주장하였고, 예수님께서도 제자삼은뒤 침례(세례)를 주라고 분부하셨기 때문이다.

[편집] 같이보기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