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디자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불분명합니다. 참고 문헌·출처 등을 각주로 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의심받을 수 있으며 삭제될 수 있습니다. (토론)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게임 디자인(game design)은 게임의 규칙과 내용을 설계하는 과정을 지칭하는 말이다. 또한 이미 제작된 게임의 설계 양식이나 설계를 기술한 문서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게임 기획자(Game Designer or Planner) 게임 디자인을 하는 직업을 한국에서는 기획자라고 부른다. 그러나, *1국가적 차원에서 장래성 있는 IT직업군으로서 게임이 산업으로서 인정을 받기 시작한 것은 '스타크래프트'와 'PC방'이 보급되면서 였는데[출처 필요], 그 역사는 아직 15년이 안된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미국이나 일본과 비교하여 보면, 아직 게임 기획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고, 그 외에도 기획 공정 자체에 전문성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출처 필요]

게임 기획자를 영어로 나타내면 크게 두 단어로 나뉘는데, 그 중 하나가 앞서 언급한 게임 디자이너가 되겠고, 두번 째로는 플래너(Planner)를 들 수 있다.[출처 필요] 말 그대로 해석하면, 전자는 디자인을 하는 사람이 되겠고, 후자는 계획을 세우는 사람이 되겠다. 게임 개발 시에 투입 되는 직업을 구분해 보면, 크게 프로그래머와 그래픽 디자이너, 뮤지션, 기획자 등이 있는데, 국내에서는 보통 30명 이상 투입 되는 프로젝트는 적어서,[출처 필요] 그림이나 프로그램처럼 명확히 구분되는 일이 아닌, 생각이나 고민을 많이 해야하는 일 모든 분야에 대한 책임을 기획자에게 떠넘긴다. 즉, 국내에서는 그야말로 기획자가 만능이어야 한다. 마케팅/전략기획/품질관리/고객관리/유지보수 등에 이르기까지... 게임 기획이 아닌 기획을 기획자가 떠맡게 되며, 그것을 게임기획이라 인식하고 있다.[출처 필요]

  • 1

현재 한국에 대학에는 넘쳐나는 게임학부에, 심지어 게임학회까지 세계최초로 형성 되었고[출처 필요], 국가에서 주관하는 각종 자격 시험도 생겨났다.

게임 디자인 공정 1. 아이디어 구상 2. 문서화 3. 전달

게임 디자인 항목

- 컨셉 디자인: 주로 게임의 재미를 설정하는 것을 말하는데, 간혹 게임의 목적이나 제작 공정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 시스템 디자인: 컨셉을 토대로 구조적인 설계를 하는 것을 말한다.

- 밸런스 디자인: 말 그대로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으로, 주로 시스템 디자인에서 생성된 항목(프로그램에 사용 될 각종 변수 들)에 대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수치값을 찾아내는 것을 말한다.

- 레벨 디자인: 주로 유저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돋구고 게임에 몰입할 수 있도록 게임 속에 등장하는 배경 구조나 인공지능 오브젝트의 난이도 조절을 하는 것을 말하지만, 배경 맵 디자인과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된다.

- 인터페이스 디자인(UI 디자인): 게임 내의 기능 들을 유저가 이해하거나 조작하기 쉽게, 입력장치의 사용법을 정의 하거나 그래픽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디자인 하는 것을 말하며, 여타의 IT업종에서 사용되는 UI디자인과 의미가 같다.

- 기타:


콘솔(비디오/가정용) 게임 기획과 온라인 게임 기획의 차이 콘솔은 전용기기의 특정 매체로 게임디자인을 형상화 또는 구체화 시킨 프로그램을 집어 넣어야 하기때문에, 출시일에 맞춰 모든 개발 공정이 끝나야 한다. 반면에 온라인 게임 기획은 급변하는 소비자 동향과 같은 시장 정세에 맞춰, 유동적으로 대처 해왔기 때문에 서비스가 끝날 때까지 기획 내용은 조금씩 변화한다. 즉, 가정용 게임의 기획 기간은 디스크로 굽기전까지이고, 온라인 게임의 기획 기간은 서비스를 접을 때까지이다. 따라서, 더더욱더 기획자나 기획업무의 전문성이 쉽게 생기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문서는 게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