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성공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공회 |
![]() |
서론 |
---|
기독교 종교 개혁 사도 계승 로마 가톨릭 주교 행정 |
인물 |
토머스 크랜머 헨리 8세 리처드 후커 엘리자베스 1세 존 웨슬리 |
교회법 |
캔터베리 대주교 램버스 회의 자문 회의 주교 회의 |
전례와 예배 |
성공회 기도서 고교회파 · 저교회파 광교회파 옥스퍼드 운동 39개조 신조 설교집 신부 감사성찬례 성인 |
각국의 성공회 |
영국 성공회·미국 성공회 아일랜드 성공회·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 뉴질랜드 성공회·캐나다 성공회 대한 성공회·대만 성공회 일본 성공회·홍콩 성공회 |
영국 성공회(Church of England), 영국 국교회는 16세기 종교 개혁으로 형성된 영국의 국교이다. 세계 성공회의 원조(元祖)와도 같은 교회이다.
예수의 제자 아리마태아 요셉이 영국으로 건너와 전도를 함으로써 영국 그리스도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6세기 말에는 아우구스티노가 초대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어 영국 교회를 더욱 발전시켰다. 15세기 서방 교회 대분리(로마와 아비뇽에서 동시에 교황이 나온 사건) 때는 로마측을 지지하였다.
16세기에 유럽 대륙 종교 개혁의 여파와 국내외의 정치적 요인 등으로 헨리 8세는 캔터베리 대주교 토머스 크랜머의 건의로 영국 교회의 로마 교회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 영국 종교개혁으로 영국 성공회의 기틀이 잡혔다. 메리 여왕 때 가톨릭 복귀 운동으로 한때 탄압을 받았으나,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즉위하여 성공회를 부활시켰고, 명실공히 영국의 국교로 만들었다.
17세기 말 권리장전의 확립으로 사실상 왕권의 간섭을 받지 않고 순수 종교 활동에 전념하였다. 19세기 초에는 옥스퍼드 운동이 일어났다.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의 성공회는 공식적으로 영국 성공회와는 다른 계통으로 조직되어 있다.
[편집] 교구
[편집] 캔터베리 대교구
- 바스-웰스 교구 (웰스 대성당)
- 버밍엄 교구 (성 빌립 성당)
- 브리스톨 교구 (브리스톨 대성당)
- 캔터베리 교구 (캔터베리 대성당)
- 첼름스퍼드 교구 (첼름스퍼드 대성당)
- 치체스터 교구 (치체스터 대성당)
- 코벤트리 교구 (성 미가엘 성당)
- 다비 교구 (모든 성인 성당)
- 일리 교구 (일리 성 삼위일체 성당)
- 엑세터 교구 (엑세터 대성당)
- 지브롤터 교구 (지브롤터 성 삼위일체 성당)
- 글로스터 교구 (글로스터 대성당)
- 길퍼드 교구 (길퍼드 대성당)
- 헤러퍼드 교구 (헤러퍼드 대성당)
- 레스터 교구 (성 마틴 성당)
- 리치필드 교구 (리치필드 대성당)
- 링컨 교구 (링컨 대성당)
- 런던 교구 (세인트 폴 대성당)
- 노리지 교구 (노리지 대성당)
- 옥스퍼드 교구 (그리스도 교회당)
- 피터버러 교구 (피터버러 대성당)
- 포츠머스 교구 (포츠머스 대성당)
- 로체스터 교구 (로체스터 대성당)
- 세인트 올번스 교구 (성 앨번 성당)
- 세인트 에드먼드베리-입스위치 교구 (성 에드먼드 성당)
- 솔즈베리 교구 (솔즈베리 대성당)
- 서덕 교구 (서덕 대성당)
- 트루로 교구 (트루로 대성당)
- 윈체스터 교구 (윈체스터 대성당)
- 우스터 교구 (우스터 대성당)
[편집] 요크 대교구
- 블랙번 교구 (블랙번 대성당)
- 브래드퍼드 교구 (브래드퍼드 대성당)
- 칼라일 교구 (칼라일 대성당)
- 체스터 교구 (체스터 대성당)
- 더럼 교구 (더럼 대성당)
- 리버풀 교구 (리버풀 대성당)
- 맨체스터 교구 (맨체스터 대성당)
- 뉴카슬 교구 (뉴카슬 대성당)
- 리펀-리즈 교구 (리펀 대성당)
- 셰필드 교구 (셰필드 대성당)
- 소더-맨 교구 (필 대성당)
- 사우스웰-노팅엄 교구 (사우스웰 대성당)
- 웨이크필드 교구 (웨이크필드 대성당)
- 요크 교구 (요크 대성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