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기독교의 역사
예수

사도, 교부
대분열
종교 개혁

기독교 신학
삼위일체(성부, 성자, 성령)

죄, 구원, 믿음, 율법, 은총
교회, 성사(성례전)
종말론
천국
성서비평학
역사적 예수

경전
구약성서 (모세오경)

신약성서
사복음서
산상수훈
파울루스 서신
외경
위경

기독교의 분파
로마 가톨릭

동방정교회
성공회
개신교

기독교 운동
에큐메니컬 운동

근본주의
복음주의
자유주의 신학
신정통주의
해방신학

장로교칼뱅주의 성격의 개신교 종파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개혁교회를 포함한다.

목차

[편집] 특징

장로교의 가장 큰 특징은 신학적으로 개혁주의를 표방한다는 것이다. 개혁주의의 정신 중 하나는 생활의 기준을 성경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고, 교회 역시 그 제도의 근거를 성경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장로교는 교회의 지도자 직위에 대해 성경이 다음과 같이 가르친다고 본다:

  • 교회의 지도자 직임을 받은 자를 장로라고 칭한다.
  • 목사는 장로 위에 있는 직임이 아니고 '가르치는 장로'에 해당한다.
  • 성경에 등장하는 '감독'이란 말은 '장로'의 또 다른 표현이다.
  • 장로는 교회의 회중이 선출한다.

이러한 교회 정치 제도에서 장로교의 이름이 연유한다. (그리스어로 장로는 presbuteros (πρεσβύτερος)이며, 장로교를 영어로는 Presbyterian Church 라고 한다.)

주요 교회 문서로 영국 청교도들의 신앙고백인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과 그 대/소요리 문답, 니케아 신경, 사도신경 등을 통해 신앙을 고백한다.


[편집] 역사

장로교는 개혁주의에 기반하여 시작된 교회이기 때문에 그 시작은 종교개혁 때로 올라간다. 근대적인 장로교 형태는 스코틀랜드에서 발전된 형태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장로교 내에서도 많은 분파가 생겼고, 오늘날엔 엄밀한 의미에서 장로교라고 할 수 없는 교파 조차 장로교라는 이름이 갖는 역사성 때문에 장로교의 이름을 따는 경우 또한 있다. 그래서 개혁주의에 더 충실하고자 하는 교회의 경우 '개혁교회'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편집] 한국전래

  • 한국에는 미국 장로교회의 언더우드(Underwood)목사등의 선교활동으로 들어왔다.
  • 1950년대 보수적인 대한 예수교 장로회와 진보적인 한국 기독교 장로회로 분열되었다.
  • 이후 대한예수교 장로회는 세계교회협의회 가입문제로 통합과 합동으로 갈라졌으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및 대·소요리를 신경(Creed)로 삼고 있다.

[편집] 기타

대개 장로는 임기가 정해져 있고 회중에 의해 선출되기 때문에 장로교의 정치 제도는 민주주의에 가깝다. 하지만, 한국 장로교회에서는 장로가 일종의 종교 귀족 처럼 왜곡 되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편집] 더 보기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