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수도권 버스 개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는 서울특별시의 버스 체계를 개편했다.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다.
- 노선을 빨강(R), 파랑(B), 초록(G), 노랑(Y)으로 구분하여 빨강은 광역 노선, 파랑은 간선 노선, 초록은 지선노선과 마을버스, 노랑은 순환 노선으로 하였다.
- 서울시를 0부터 7까지 여덟 개의 번호 구역으로 나눠서 이를 토대로 버스의 번호를 정했다. 종점의 구역 번호가 A이고 기점의 번호가 B라면 노선 번호는 파랑색일 경우 ABX, 초록색일 경우 ABXX가 된다. 단, 마을버스의 경우 지자체명XX 이다. 노랑색은 순환하는 구역의 번호 C에 따라 CX로 정해진다. 빨강색은 기점의 구역 D에 따라 9DXX가 된다.
- 강남대로, 수색로를 포함한 많은 도로에 중앙 버스 전용 차로를 만들었다.
- 지하철에서 버스, 버스에서 지하철, 버스끼리 갈아탈 때에 요금 할인을 적용했다.
-
- 요금 체계의 개편은 다음과 같다. (2004년 7월 1일 현재. 성인 교통 카드 사용 기준)
- - 개편전 : 대중교통별 개별 운임체계 적용 (교통카드 이용 환승시 50원 할인)
- 도시형버스 : 650원 / 마을버스 : 400원 / 일반좌석 : 1,200원 / 고급좌석 : 1,300원
- - 개편후 : 대중교통간 통합 운임체계 적용 (광역버스노선 제외)
- 간선,지선버스 : 800원 / 일부 지선버스, 마을버스, 순환버스 : 500원 / 광역버스 : 1,400원
- ※ 환승시 10km 이내에는 기본요금 부과, 갈아탄 대중교통 동합거리가 10km 초과할 경우 매 5km마다 100원 추가. 최고 5회까지 통합요금제 적용
[편집] 비판
- 서울시의 이러한 개혁은 여론 수렴의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고 독단적으로 시행되었다.
- 버스 앞면에 쓰여 있는 행선지와 버스 번호의 채도 대비가 적어서 움직이는 버스의 그것을 읽기엔 불편하다. 결과적으로 버스의 행선지 표기 방식이 여러 차례에 걸쳐 변경되고, 이에 따른 낭비도 발생하였다.
- 시행 초기 강남의 버스 전용 차로는 버스량을 감당치 못하여 그야말로 교통지옥을 야기시켰으며 이로 인해 강남대로를 다니는 버스의 일부를 버스전용차로 밖에서도 다니도록 시정하였다. 그러나,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업체인 경기고속과 대원고속 소속의 버스들이 전용차로 안에서 오랜 시간 대기하는 일이 잦아 강남대로의 버스전용차로는 현재까지도 제대로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 버스전용차로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했던 적색 아스콘이 시공한지 2년도 안되어 벗겨지기 시작해서 시공상의 오점이 드러났다.
- 초기에는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와는 아무런 호환성이 없어서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에서 출퇴근하는 시민들은 아무런 혜택을 받지 못해 불만을 불러일으켰다.
- 시스템 통합을 담당한 LG CNS에서 제대로 테스트를 거치지 못한 상황에서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은 무리이므로 일정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묵살당했다. 그 때문에 초기에는 잦은 오류가 발생하여 불편을 초래했다.
[편집] 함께 보기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