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A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팜 파일럿 5000
팜 파일럿 5000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정보 단말기). 한 손에 들어올 만큼 작고 가벼운 컴퓨터로 터치 스크린을 주 입력장치로 사용한다. 개인의 일정관리, 주소록, 계산기 등의 기본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데스크탑과 노트북과의 자료 교환이 용이하다. 과거 PDA가 기본적인 개인 일정관리가 중심적이었다면, 지금 PDA는 점점 더 멀티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기기로 진화하고 있다.

목차

[편집] 개요

이 용어는 1992년 라스베이거스 전자 전시회(CES; en: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소개된 애플사의 뉴턴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96년 Psion 3 와 팜 파일럿이 최초로 PDA 시장에서 상업적 성공을 하였다.

현재 PDA의 주요 운영 체제로는 팜소스사의 팜 OS,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 CE, 리눅스, 심비안 등이 사용되고 있다.

초기에서는 개인 일정 관리 위주의 수첩 대용이었나, PDA폰으로 대중화된 이후, 이동통신 기능뿐 아니라, 카메라, 무선랜, GPS 등의 다기능으로 발전하고 있다.

[편집] 역사

최초의 PDA는 영국의 Psion plc.가 출시한 Psion Organiser이다. 최초의 PDA는 PDA보다 계산기에 가까운 형태였지만 POPL 프로그래밍 언어를 쓸 수 있고,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RS232C 케이블을 연결하여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현재의 모습을 지닌 PDA가 나온 것은 1991년 HP 사에서 Lotus 1-2-3을 휴대하기 편리하게 쓰는 방법을 생각하다가 만든 HP95LX이다. 이 제품은 MS-DOS를 사용하였고, Lotus 1-2-3과 PIMS를 롬에 내장시켰다. 하지만 비표준 디스플레이 및 카드 슬롯과 제한된 메모리 용량으로 인해 일반적인 도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힘들었다. 그래서 1994년에 HP200LX를 출시했다. HP200LX는 640*240 해상도의 CGA 디스플레이와, 2M 메모리, 표준 PCMCIA 슬롯을 사용했고,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특히 이것을 국내 모 보험사에서 보험설계사 공급용으로 대량 수입도 했다. 1998년에 단종되었다. 키보드 입력과 텍스트 애플리케이션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PDA의 대중화에 한 몫 하였다.

[편집] 쓰임새

[편집] Calendar

하루의 일정을 한눈에 볼수 있으며 약속시간에 늦지 않도록 알람 기능을 제공한다. 데스크탑 컴퓨터와 동기화가 가능하여 컴퓨터에 입력한 것을 동기화 시킬 수 있다.

[편집] 주소록

가나다 순으로 조회를 할수있는 주소록은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과 연동할 수 있다.

[편집] PDA의 종류

[편집] PDA의 운영 체제

PDA의 운영 체제는 크게 3가지가 있다. 팜 OS마이크로소프트의 포켓 피씨와 그리고 심비안의 EPOC 등 크게 3가지가 있다. 또 리눅스와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진 셀빅도 있다.

[편집] 팜 OS

1996년에 처음으로 출시하였다. 팜은 세계 PDA의 약 60%를 차지한다.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가 많고 배터리 소비가 적으며 많은 반MS 기업과 제휴를 맺었다.(삼성,소니등)

[편집] 윈도 CE

PC용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와 유사하며 대개 배터리 소모가 많다. 초기 윈도 CE 1.0의 경우는 엄청나게 많은 전력 소모와 느린 처리 시간 때문에 외면당했지만, 많은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개선되었다.

[편집] 셀빅

대한민국 기업인 제이텔이 만든 PDA이자 OS의 이름이다. 셀빅 OS라는 독립적인 OS를 자체 개발하였는데 한글 지원이 내장되어 있어 사용에 편리하다. 셀빅 OS는 팜 OS와 상당 부분 비슷한 점이 있으나 어플리케이션의 상호 호환성은 없다. 컬러를 지원하는 2.0까지 개발되었으나 경영난으로 인해 현재는 사실상 회사가 없어진 상태로 더 이상의 지원은 없다.

[편집] 리눅스

리눅스를 기본 OS로 탑재한 PDA는 여러 가지가 있다. Sharp 사에서 만든 자우루스(Zaurus)는 가장 많은 소프트웨어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우루스의 OS는 Qtopia로 Linux Kernel 2.4.20을 기반으로 한다. [오픈 자우루스(open zaurus)]로 Sharp 사와는 별도로 만들어진 Linux도 있다. 또한 대한민국 벤처기업인 지메이트사에서 만든 요피(YOPY) 시리즈가 있으나,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사업을 접어 현재는 제품이 단종되고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참고로 요피의 os인 Linupy는 커널 2.4 기반의 X-Window 시스템을 사용한다. 현재 HP iPaq, Palm 및 다른 여러 기기에 리눅스를 탑재하려는 노력이 개인 또는 회사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편집] Pocket PC

윈도 CE 코어를 기반으로 하는 운영 체제이다. 320x240, 640x480, 320x320의 해상도를 지원하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엄격한 심사를 거친 기기만이 Pocket PC 라이센스를 취득할수 있다. 2006년 현재 가장 최신의 PocketPC 운영 체제는 Windows Mobile 2005 Premium Edition 이며, 윈도 CE 5.0의 코어를 기반으로 한다. 코드명은 Magneto이다.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