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구 지하철(大邱地下鐵)은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에서 운영하는 도시철도 체계의 총칭이다. 2006년 현재, 2개 노선이 영업중이다.
목차 |
[편집] 1호선
대구 지하철 1호선은 시가지 서남부에서 도심을 거쳐 시가지 동부를 연결하는 전체 29.5km의 중량 전철로 1992년에 기공하여 1997년 11월 26일 부분개통(진천역 ~ 중앙로역)하였고, 1998년 5월 2일에 전구간이 개통한 후 2002년 5월 10일, 남쪽 연장 구간(대곡역 ~ 진천역)이 개통 되어 운행중이다. 총 30개 역이 있다.
차량기지는 안심차량기지와 월배차량기지가 있으며, 현재 6량으로 운행 중이다.
반월당역에서 2호선과 환승 가능하다.
[편집] 2호선
대구 지하철 2호선은 시가지 서부에서 도심을 거쳐 시가지 동남부를 연결하는 28.0km의 중량 전철로 1997년에 기공하여 2005년 10월 18일에 전구간 개통되어 운행중이다. 총 26개 역이 있다.
차량기지는 문양차량기지가 있으며, 현재 6량으로 운행 중이다. 현재 경산시의 영남대학교까지 동쪽으로 3.32km의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반월당역에서 1호선과 환승 가능하다.
[편집] 운임
전구간을 대상으로 학생/성인은 1100원, 어린이는 500원. 교통카드 이용시 성인은 약 15% 인하된 가격으로, 청소년은 약 30% 인하된 가격이 적용되며, 버스와의 무료, 할인 환승이 가능하다.
[편집] 향후 계획
현재 1호선과 2호선 모두 양 끝 방향으로 연장 계획이 있으며, 2호선의 동쪽 연장(사월-영남대, 3개역, 3.35km, 2007.6.4. ~ 2011년 목표)은 이미 건설중이다.
4호선까지의 노선과 신 교통수단의 건설이 예정되어 있으며, 현재 논의 중인 노선은 아래와 같다.
- 1호선 남쪽 연장 계획(대곡-명곡, 2개 역, 2.3km)
- 1호선 동쪽 연장 및 대구선 직결 계획 (안심-하양, 총 9.1km, 새로 건설하는 구간 3.2km, 대구선 이용 구간 5.9km).
- 2호선 서쪽 연장 계획.
- 3호선 건설 계획(모노레일, 30개 역, 동호-범물, 23.95km, 2008 ~ 2014).
- 신교통수단 계획(자기부상열차, 14개 역, 13.2km, 엑스코-수성유원지, 시범노선 유치 중).
[편집] 노선
[편집] 연혁
- 1989년 대구지하철 기본계획 확정
- 1991년 12월 7일 대구지하철 1호선 착공
- 1995년 11월 20일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
- 1996년 12월 19일 대구지하철 2호선 착공
- 1997년 11월 26일 대구지하철 1호선 1단계 (진천~중앙로) 개통
- 1998년 5월 2일 대구지하철 1호선 2단계(전구간) (진천~안심 24.9Km) 개통
- 2002년 5월 10일 대구지하철 1호선 연장구간 (진천~대곡 1.0Km) 개통
- 2005년 10월 18일 대구지하철 2호선 전구간 (문양~사월 28.0Km 구간) 개통
- 2008년 10월(예정) 대구지하철 3호선 착공 (칠곡~범물) * 건설 예정지
[편집] 이용 인원
[편집] 2006년 승하차 인원
대구 지하철은 대구 내부 통행의 약 8%를 처리한다. 2005년 10월 2호선 개통으로 인해 그 비율이 크게 늘어난 상태다. 아직 2호선이 개통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승차량은 안정되지 않았다. 1997년에서 2006년에 이르는 승차량 변동은 각 노선별 페이지 및 각 역별 페이지를 보라.
노선명 | 노선 구간 | 승차 인원 | 하차 인원 | ||
---|---|---|---|---|---|
한 해 | 하루 평균 | 한 해 | 하루 평균 | ||
1호선 | 대곡 - 안심 | 62,854,206 | 172,255 | 63,907,988 | 175,140 |
2호선 | 문양 - 사월 | 45,477,291 | 124,598 | 43,808,439 | 119,686 |
합계 | 108,331,497 | 296,852 | 107,716,427 | 294,825 |
[편집] 사고
[편집]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 이 부분의 본문은 대구 가스 폭발 사고입니다.
1995년 4월 28일 대구광역시 상인동 영남중고교 앞 네거리 지하철 1호선 제1∼2구간 공사장에서 일어난 가스폭발 사건으로 인근의 대구백화점 상인점 신축 공사장(현재 롯데백화점 상인점 터)에서 지반공사중 가스관을 파손하여 이 가스가 하수관을 타고 공사장으로 흘러들어 폭발한 사고로 버스를 포함한 차량 150대가 파손되고 주택, 건물 등 80여 채가 파괴되었는데, 사고가 아침 출근길에 일어났기 때문에 사상자가 더욱 컸다. (사망 101명, 부상 202명)
[편집]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 이 부분의 본문은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입니다.
2003년 2월 18일 중앙로역에서 50대의 한 정신지체장애인이 자신의 신병을 비관하다 플라스틱통에 들어 있는 휘발유에 불을 붙인 뒤, 바닥에 던져 객차에 옮겨 붙어 객차는 다 타버렸고, 역사는 거의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타버렸다. (사망 192명, 부상 148명)
이후 1년여간 1호선은 파행으로 운행하였고, 예전의 승객수를 회복하는데 수 년이 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