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 김대건
성 김대건

김대건(金大建, 1821년 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신부는 한국교회사 최초의 천주교 신부이다. 세례명으로 쓰일 때는 대건 안드레아로 한다. 천주교의 성인으로 축일은 7월 5일이다.

목차

[편집] 출생과 유년시절

1821년 8월 21일 충청남도 솔뫼에서 김제준과 고 우르술라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증조부 이후 집안 대대로 천주교를 믿었기 때문에, 증조부가 감옥에서 옥사당할 정도로 가혹한 수난의 길을 겪었다. 박해를 피해 가족들은 흩어져야 했고, 김대건은 7살 때까지 고향인 충청남도 당진에서 살다가 박해를 피해 가족들과 함께 경기도 용인의 산골인 미리내 마을로 피신하였다. 당시 용인의 미리내 마을은 박해를 피해서 온 천주교 신자들의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현재도 한국천주교회에서는 미리내마을을 성지로 보고 있다. 아버지 김제준 이냐시오(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의 영향으로 천주교 신앙을 갖게 된 김대건은 1836년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선교사인 모방(Maubant)신부의 배려로 서울에서 라틴어 등의 기초적인 신학공부를 시작하였다.

[편집] 신학생 시절

수업을 마친 후 김대건은 후에 충청도의 공소(사제가 없는 교회)에서 사목하다가 과로로 순직한 최양업,마카오에서 병으로 별세한 최방제 등과 함께 비밀리에 마카오로 유학, 프랑스 외방전교회의 선교사들의 신학 지도를 받았다. 신학생시절 김대건은 하느님을 경외하는 신앙이 상당히 성숙하여 다음과 같은 글을 남긴다.

"네로황제가 로마 제국을 통치하던 시기에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박해받았습니다. 집에서 사자를 키우던 어느 그리스도인도 잡혀갔고, 경기장에서 사자와 마주쳤습니다. 사람을 보고 달려들던 사자는 갑자기 조용해졌습니다. 가만히 보니 그 사자는 그리스도인이 키우던 사자였습니다. 자신을 키우던 주인을 보고 조용해진 것입니다. 사자도 제 주인을 알건만, 왜 사람들은 천주님을 못 알아보는 것일까요?"

1842년 조선 잠입을 시도한 그는 의주검문소의 검문이 심해서 실패했으며, 마카오의 민중 반란을 피해 청나라로 옮겨서 신학 공부를 계속하였다.

[편집] 사목활동과 순교

1844년 부제 서품을 받았고, 1845년 8월 17일 천주교 조선교구장(한국 천주교는 1831년 천주교 조선교구로 설정되었다.)인 페레올 주교에게 사제 서품을 받았다. 김대건 신부는 날씨가 좋지 않아 성공회에서 신앙생활하는 영국인 선장의 도움을 받아 되돌아가야 했던 실패를 딛고, 그 해 10월 조선에 도착하여 12월까지 서울경기도 일대에서 사목했으며, 남편과 사별한 후 거지꼴을 면하지 못하던 어머니를 위로했다.

페레올 주교의 조선 입국을 돕기 위해 활동하던 김대건 신부는 1846년 6월 15일 경기도 연평도에서 관헌들에게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받았으며, 옥중에서 몇몇 대신들의 부탁으로 세계 지리에 관한 책을 만들었다. 또 영국에서 만든 세계 지도를 라틴어실력을 발휘하여 번역하기도 했다. 그해 9월 15일 반역죄로 사형을 선고받았고, 이튿날 새남터에서 참수형으로 처형당해 순교의 길을 걸었다. 당시 그의 유언은 "천주님, 어머니를 부탁드립니다."였다.

순교자 김대건은 그의 목이 군문에 걸리는 수모(군문효수)를 겪었으나, 비밀리에 교우들에 의해 미리내 성지로 모셔졌다. 1960년 7월 5일 김대건의 시신은 혜화동의 가톨릭대학교안의 교회에 이장되었다.

1857년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가경자로 선포되었으며, 1960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복자가 되었고, 1984년 5월 6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현재 한국 천주교회의 성직자들의 수호 성인으로 모셔지고 있다.

[편집] 참조 항목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