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문학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상문학상(李箱文學賞)은 한국의 문학상이다. 요절한 소설가 이상을 기려 출판사 문학사상사에서 1977년 제정하여 1년에 한 번 시상한다. 해마다 시상 후 펴내는 수상작품집은 항상 서점가의 베스트셀러에 오른다.
심사대상은 전년도의 1월부터 12월까지 문예지를 비롯한 각 잡지에 발표된 중편 및 단편의 순수문학 소설이며, 수상작품집은 1월에 발매한다. 작품집의 제목은 《****년 제**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대상 수상작 제목]》의 형식을 가진다. 대상 수상작의 경우 시상 규정에 따라 저작권이 문학사상사에 귀속되기 때문에(단, 2차 저작권은 작가에게), 수상에 대한 수락 의사를 본인에게 확인하게 되어 있다.
1987년 수상작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영화화로도 유명하다.
[편집] 역대 대상 수상작
- 제1회 (1977년) - 김승옥 〈서울의 달빛 0장〉
- 제2회 (1978년) - 이청준 〈잔인한 도시〉
- 제3회 (1979년) - 오정희 〈저녁의 게임〉
- 제4회 (1980년) - 유재용 〈관계〉
- 제5회 (1981년) - 박완서 〈엄마의 말뚝〉
- 제6회 (1982년) - 최인호 〈깊고 푸른 밤〉
- 제7회 (1983년) - 서영은 〈먼 그대〉
- 제8회 (1984년) - 이균영 〈어두운 기억의 저편〉
- 제9회 (1985년) - 이제하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 제10회 (1986년) - 최일남 〈흐르는 북〉
- 제11회 (1987년) - 이문열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제12회 (1988년) - 임철우 〈붉은 방〉, 한승원 〈해변의 길손〉
- 제13회 (1989년) - 김채원 〈겨울의 환幻〉
- 제14회 (1990년) - 김원일 〈마음의 감옥〉
- 제15회 (1991년) - 조성기 〈우리 시대의 소설가〉
- 제16회 (1992년) - 양귀자 〈숨은 꽃〉
- 제17회 (1993년) - 최수철 〈얼음의 도가니〉
- 제18회 (1994년) - 최윤 〈하나코는 없다〉
- 제19회 (1995년) - 윤후명 〈하얀 배〉
- 제20회 (1996년) - 윤대녕 〈천지간〉
- 제21회 (1997년) - 김지원 〈사랑의 예감〉
- 제22회 (1998년) - 은희경 〈아내의 상자〉
- 제23회 (1999년) - 박상우 〈내 마음의 옥탑방〉
- 제24회 (2000년) - 이인화 〈시인의 별〉
- 제25회 (2001년) - 신경숙 〈부석사〉
- 제26회 (2002년) - 권지예 〈뱀장어 수프〉
- 제27회 (2003년) - 김인숙 〈바다와 나비〉
- 제28회 (2004년) - 김훈 〈화장〉
- 제29회 (2005년) - 한강 〈몽고반점〉
- 제30회 (2006년) - 정미경 〈밤이여, 나뉘어라〉
- 제31회 (2007년) - 전경린 〈천사는 여기 머문다〉
[편집] 그 외
- 12회 수상자 한승원은 29회 수상자 한강의 아버지이며, 그의 아들 한동림 역시 소설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