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quote http://ko.wikiquote.org/wiki/Wikiquote:%EB%93%A4%EB%A8%B8%EB%A6%AC MediaWiki 1.10alpha first-letter Media 특수기능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Wikiquote Wikiquote토론 그림 그림토론 MediaWiki MediaWiki토론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사용자:PuzzletChung 2 1 2004-10-19T01:19:37Z PuzzletChung 1 <small>| [[:m:User:PuzzletChung|m:]] | '''ko:''' | pedia [http://ko.wikipedia.org/wiki/User:PuzzletChung en:] - [http://ko.wikipedia.org/wiki/%EC%82%AC%EC%9A%A9%EC%9E%90:PuzzletChung ko] | [http://wikisource.org/wiki/User:PuzzletChung source] |</small> 2 2004-10-19T01:20:25Z PuzzletChung 1 <small>| [[:m:User:PuzzletChung|m:]] | '''ko:''' | pedia [http://ko.wikipedia.org/wiki/User:PuzzletChung en:] - [http://ko.wikipedia.org/wiki/%EC%82%AC%EC%9A%A9%EC%9E%90:PuzzletChung ko:] | [http://wikisource.org/wiki/User:PuzzletChung source] |</small> [[드래곤 라자]] 1021 2004-10-19T01:31:05Z PuzzletChung 1 <small>| [[:m:User:PuzzletChung|m:]] | '''ko:''' | pedia [http://ko.wikipedia.org/wiki/User:PuzzletChung en:] - [http://ko.wikipedia.org/wiki/%EC%82%AC%EC%9A%A9%EC%9E%90:PuzzletChung ko:] | [http://wikisource.org/wiki/User:PuzzletChung source] |</small> [[드래곤 라자]] - [[속담]] 1033 2005-04-04T10:28:40Z PuzzletChung 1 {| class="toccolours" style="float:right" |- ! bgcolor="#ccccff" | Wikipedia | [[wikipedia:en:User:PuzzletChung|en]] | [[wikipedia:ja:&#21033;&#29992;&#32773;:PuzzletChung|ja]] | [[wikipedia:ko:&#49324;&#50857;&#51088;:PuzzletChung|ko]] | [[wikipedia:zh:User:PuzzletChung|zh]] |- ! bgcolor="#ccccff" | Wikiquote | | | [[ko:&#49324;&#50857;&#51088;:PuzzletChung|ko]] | |- | colspan="0" align="center" | [[wikisource:User:PuzzletChung|Wikisource]] | [[commons:User:PuzzletChung|Commons]] <br/> [[meta:User:PuzzletChung|Meta-wiki]] |} [[드래곤 라자]] - [[속담]] 1053 2005-04-19T11:29:18Z 61.255.107.103 {| class="toccolours" style="float:right" |- ! bgcolor="#ccccff" | Wikipedia | [[wikipedia:en:User:PuzzletChung|en]] | [[wikipedia:ja:&#21033;&#29992;&#32773;:PuzzletChung|ja]] | [[wikipedia:ko:&#49324;&#50857;&#51088;:PuzzletChung|ko]] | [[wikipedia:zh:User:PuzzletChung|zh]] |- ! bgcolor="#ccccff" | Wikiquote | | | [[ko:&#49324;&#50857;&#51088;:PuzzletChung|ko]] | |- | colspan="5" align="center" | [[wikisource:User:PuzzletChung|Wikisource]] | [[commons:User:PuzzletChung|Commons]] <br/> [[meta:User:PuzzletChung|Meta-wiki]] |} [[드래곤 라자]] - [[속담]] 1056 2005-06-08T11:56:18Z PuzzletChung 1 {| class="toccolours" style="float:right" |- ! bgcolor="#ccccff" | Wikipedia | [[wikipedia:en:User:PuzzletChung|en]] | [[wikipedia:ja:利用者:PuzzletChung|ja]] | [[wikipedia:ko:사용자:PuzzletChung|ko]] | [[wikipedia:ru:Участник:PuzzletChung|ru]] | [[wikipedia:zh:User:PuzzletChung|zh]] |- ! bgcolor="#ccccff" | Wikiquote | | | [[ko:사용자:PuzzletChung|ko]] | |- | colspan="6" align="center" | [[wikisource:User:PuzzletChung|Wikisource]] | [[commons:User:PuzzletChung|Commons]] <br/> [[meta:User:PuzzletChung|Meta-wiki]] |} [[드래곤 라자]] - [[속담]] 1977 2005-06-14T02:36:12Z PuzzletChung 1 {| class="toccolours" style="float:right" |- ! bgcolor="#ccccff" | Wikipedia | [[wikipedia:en:User:PuzzletChung|en]] | [[wikipedia:ja:利用者:PuzzletChung|ja]] | [[wikipedia:ko:사용자:PuzzletChung|ko]] | [[wikipedia:ru:Участник:PuzzletChung|ru]] | [[wikipedia:zh:User:PuzzletChung|zh]] |- ! bgcolor="#ccccff" | Wikiquote | | | [[ko:사용자:PuzzletChung|ko]] | |- | colspan="6" align="center" | [[wikisource:User:PuzzletChung|Wikisource]] | [[commons:User:PuzzletChung|Commons]] <br/> [[meta:User:PuzzletChung|Meta-wiki]] |} [[드래곤 라자]] - [[속담]] * [[/Template:Delete]] 3417 2005-07-14T08:22:49Z PuzzletChung 1 {| class="toccolours" style="float:right" |- ! bgcolor="#ccccff" | Wikipedia | [[wikipedia:en:User:PuzzletChung|en]] | [[wikipedia:ja:利用者:PuzzletChung|ja]] | [[wikipedia:ko:사용자:PuzzletChung|ko]] | [[wikipedia:ru:Участник:PuzzletChung|ru]] | [[wikipedia:zh:User:PuzzletChung|zh]] |- ! bgcolor="#ccccff" | Wikiquote | [[en:User:PuzzletChung|en]] | | [[ko:사용자:PuzzletChung|ko]] | |- | colspan="6" align="center" | [[wikisource:User:PuzzletChung|Wikisource]] | [[commons:User:PuzzletChung|Commons]] <br/> [[meta:User:PuzzletChung|Meta-wiki]] |} [[드래곤 라자]] - [[속담]] * [[/Template:Delete]] [[en:User:PuzzletChung]] 3418 2005-07-14T08:23:04Z PuzzletChung 1 {| class="toccolours" style="float:right" |- ! bgcolor="#ccccff" | Wikipedia | [[wikipedia:en:User:PuzzletChung|en]] | [[wikipedia:ja:利用者:PuzzletChung|ja]] | [[wikipedia:ko:사용자:PuzzletChung|ko]] | [[wikipedia:ru:Участник:PuzzletChung|ru]] | [[wikipedia:zh:User:PuzzletChung|zh]] |- ! bgcolor="#ccccff" | Wikiquote | [[:en:User:PuzzletChung|en]] | | [[ko:사용자:PuzzletChung|ko]] | |- | colspan="6" align="center" | [[wikisource:User:PuzzletChung|Wikisource]] | [[commons:User:PuzzletChung|Commons]] <br/> [[meta:User:PuzzletChung|Meta-wiki]] |} [[드래곤 라자]] - [[속담]] * [[/Template:Delete]] [[en:User:PuzzletChung]] 드래곤 라자 3 1978 2004-10-19T01:30:06Z PuzzletChung 1 == 인사말 == 그랑엘베르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레티 :"칼날 위에 실을 수 있는 가장 거대한 이름의 영광에 의지하여" :"창조가 닿을 수 없는 미를 찬미하며." 아샤스 :"영광의 창공에 한줄 섬광이 되어" :"그 날개에 뿌려진 햇살처럼 정의롭게." 에델브로이 :"바람속에 흩날리는 코스모스를." :"폭풍을 잠재우는 꽃잎의 영광을." 오렘 :"정의가 닿는 그 어느곳에서라도 피어오르는 장미를." :"열정의 꽃잎처럼 불타는 마음을." 카리스 누멘 :"카리스 누멘의 가호가 있기를." :"그 모루와 망치의 불꽃의 정수가 그대에게." 테페리 :"필요한 때를 위한 작은 행운을." :"마음가는 길은 죽 곧은 길." 3605 2005-11-02T01:47:41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공정사용}} == 인사말 == 그랑엘베르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레티 :"칼날 위에 실을 수 있는 가장 거대한 이름의 영광에 의지하여" :"창조가 닿을 수 없는 미를 찬미하며." 아샤스 :"영광의 창공에 한줄 섬광이 되어" :"그 날개에 뿌려진 햇살처럼 정의롭게." 에델브로이 :"바람속에 흩날리는 코스모스를." :"폭풍을 잠재우는 꽃잎의 영광을." 오렘 :"정의가 닿는 그 어느곳에서라도 피어오르는 장미를." :"열정의 꽃잎처럼 불타는 마음을." 카리스 누멘 :"카리스 누멘의 가호가 있기를." :"그 모루와 망치의 불꽃의 정수가 그대에게." 테페리 :"필요한 때를 위한 작은 행운을." :"마음가는 길은 죽 곧은 길." 3706 2005-11-28T10:39:26Z PuzzletChung 1 분류 {{공정사용}} == 인사말 == 그랑엘베르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레티 :"칼날 위에 실을 수 있는 가장 거대한 이름의 영광에 의지하여" :"창조가 닿을 수 없는 미를 찬미하며." 아샤스 :"영광의 창공에 한줄 섬광이 되어" :"그 날개에 뿌려진 햇살처럼 정의롭게." 에델브로이 :"바람속에 흩날리는 코스모스를." :"폭풍을 잠재우는 꽃잎의 영광을." 오렘 :"정의가 닿는 그 어느곳에서라도 피어오르는 장미를." :"열정의 꽃잎처럼 불타는 마음을." 카리스 누멘 :"카리스 누멘의 가호가 있기를." :"그 모루와 망치의 불꽃의 정수가 그대에게." 테페리 :"필요한 때를 위한 작은 행운을." :"마음가는 길은 죽 곧은 길." [[분류:소설]] 속담 4 1979 2004-10-19T01:31:43Z PuzzletChung 1 * [[한국 속담]] 한국 속담 5 1050 2004-10-19T01:34:05Z PuzzletChung 1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젊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1980 2005-05-15T01:31:48Z Aphaia 5 interlang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젊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en:Korean proverbs]] [[fr:Proverbes coréens]] [[ja:朝鮮語の諺]] 3733 2005-11-28T11:09:20Z PuzzletChung 1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젊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분류:격언]] [[en:Korean proverbs]] [[fr:Proverbes coréens]] [[ja:朝鮮語の諺]] 4131 2006-02-21T19:33:55Z 221.154.247.237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젊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뱁새가 황새를 따라간다 *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분류:격언]] [[en:Korean proverbs]] [[fr:Proverbes coréens]] [[ja:朝鮮語の諺]] 4269 2006-05-09T06:45:56Z 210.118.104.2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점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뱁새가 황새를 따라간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분류:격언]] [[en:Korean proverbs]] [[fr:Proverbes coréens]] [[ja:朝鮮語の諺]] 4270 2006-05-09T06:47:05Z 210.118.104.2 /* 다른 속담 */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점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뱁새가 황새를 따라간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분류:격언]] [[en:Korean proverbs]] [[fr:Proverbes coréens]] [[ja:朝鮮語の諺]] 5366 2006-09-04T10:37:30Z 80.141.8.23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점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뱁새가 황새를 따라간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분류:격언]] [[bs:Korejske poslovice]] [[en:Korean proverbs]] [[hu:Koreai közmondások]] [[ja:朝鮮語の諺]] [[ko:한국 속담]] [[ru:Корейские пословицы]] [[sk:Kórejske príslovia]] [[sl:Korejski pregovori]] [[tr:Kore atasözleri]] 5367 2006-09-04T10:37:48Z 80.141.8.23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점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뱁새가 황새를 따라간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분류:격언]] [[bs:Korejske poslovice]] [[en:Korean proverbs]] [[hu:Koreai közmondások]] [[ja:朝鮮語の諺]] [[ru:Корейские пословицы]] [[sk:Kórejske príslovia]] [[sl:Korejski pregovori]] [[tr:Kore atasözleri]] 5368 2006-09-04T13:16:52Z 80.141.8.23 +de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점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뱁새가 황새를 따라간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분류:격언]] [[bs:Korejske poslovice]] [[de:Koreanische Sprichwörter]] [[en:Korean proverbs]] [[hu:Koreai közmondások]] [[ja:朝鮮語の諺]] [[ru:Корейские пословицы]] [[sk:Kórejske príslovia]] [[sl:Korejski pregovori]] [[tr:Kore atasözleri]] 5473 2007-01-03T22:05:24Z 88.22.106.53 /* 다른 속담 */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점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뱁새가 황새를 따라간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 한살 버릇이 여든간다. * 한길 속은 알아도 사람 속은 모른다. [[분류:격언]] [[bs:Korejske poslovice]] [[de:Koreanische Sprichwörter]] [[en:Korean proverbs]] [[hu:Koreai közmondások]] [[ja:朝鮮語の諺]] [[ru:Корейские пословицы]] [[sk:Kórejske príslovia]] [[sl:Korejski pregovori]] [[tr:Kore atasözleri]] 5474 2007-01-03T22:06:23Z 88.22.106.53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동·식물에 은유한 속담 ==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개는 잘 짖는 다고 좋은 개가 아니다 * 개도 닷새만 되면 주인을 안다 *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고슴도치에 놀란 호랑이 밤송이 보고 절한다 *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단다 * 고양이 죽은데 쥐 눈물만큼 * 돼지 발톱에 봉숭아 들이기 * 똥묻은개 가 겨묻은개를 나무란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 *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점잖은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조용한 고양이가 쥐를 잡는다 *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산다 * 뱁새가 황새를 따라간다 == 다른 속담 ==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 도둑도 제 말하면 온다. *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 우물가에서 숭늉달라 한다. *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 *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 한살 버릇이 여든간다. * 한길 속은 알아도 사람 속은 모른다. [[분류:격언]] [[bs:Korejske poslovice]] [[de:Koreanische Sprichwörter]] [[en:Korean proverbs]] [[hu:Koreai közmondások]] [[ja:朝鮮語の諺]] [[ru:Корейские пословицы]] [[sk:Kórejske príslovia]] [[sl:Korejski pregovori]] [[tr:Kore atasözleri]] Wikiquote:들머리 6 move=sysop 918 2004-10-29T13:38:54Z 200.243.8.18 <!-- links --> [[pt:]] 919 2004-12-25T01:42:44Z 220.121.51.94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백과사전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 links --> [[pt:]] 921 2004-12-25T01:44:08Z 220.121.51.94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백과사전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대문 주제 나누기}} <!-- links --> [[pt:]] 928 2004-12-25T03:38:46Z 220.121.51.94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백과사전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div> <!-- links --> [[pt:]] 931 2004-12-25T05:36:06Z 220.121.51.94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백과사전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 links --> [[pt:]] 956 2004-12-25T23:27:32Z 220.121.51.94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 links --> [[pt:]] 957 2004-12-29T08:40:42Z 220.121.51.94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위키세계}} <!-- links --> [[pt:]] 958 2004-12-29T08:41:40Z 220.121.51.94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백과:위키미디아|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1017 2004-12-29T08:44:19Z 220.121.51.94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1019 2005-03-08T08:03:29Z 61.242.178.231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ilsons-leather.html">wilsons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jacket.html">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html">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oats.html">leather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ofa.html">leather sofa</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ants.html">leather pan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furniture.html">leather furnitur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riefcase.html">leather briefcas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jacket.html">man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italian-leather.html">italian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gloves.html">leather glov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handbag.html">leather hand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hair.html">leather chai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lingerie.html">leather lingeri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omens-leather-jacket.html">womens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wallet.html">leather wall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kirt.html">leather skir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motorcycle-jacket.html">leather motorcycle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shopping-fur-leather.html">shopping fur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oot.html">leather boo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otorcycle-leather.html">motorcycle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coats.html">man leather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recliner.html">leather reclin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elt.html">leather bel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omens-leather-coats.html">womens leather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journal.html">leather journal</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tandy-leather.html">tandy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goods.html">leather good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ackpack.html">leather backpack</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ortfolio.html">leather portfolio</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ag.html">leather 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urse.html">leather purs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ouch.html">leather couch</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coach-leather.html">coach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repair.html">leather repai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lothing.html">leather clothin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danier-leather.html">danier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omber-jacket.html">leather bomb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hap.html">leather chap</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holesale-leather.html">wholesale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vest.html">leather ves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luggage.html">leather luggag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cleaning-leather.html">cleaning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apparel.html">leather apparel</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and-lace.html">leather and lac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iquid-leather.html">liquid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wallet.html">man leather wall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tore.html">leather stor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lazer.html">leather blaz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man.html">leather man</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hoto-album.html">leather photo album</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racelet.html">leather bracel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jennifer-leather.html">jennifer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raft.html">leather craf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hat.html">leather ha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messenger-bag.html">leather messenger 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ectionals.html">leather sectional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trench-coats.html">leather trench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lothes.html">leather cloth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puma-mostro-leather.html">puma mostro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ottoman.html">leather ottoman</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money-clip.html">leather money clip</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harley-davidson-leather-boot.html">harley davidson leather boo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puma-h-street-leather.html">puma h street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keds-leather.html">keds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orset.html">leather cors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biker-leather.html">biker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factory.html">leather factory</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gay-leather.html">gay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dress.html">leather dres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buy-converse-bomber-leather-shoes.html">buy converse bomber leather sho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non-leather-new-balance-shoes.html">non leather new balance sho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all-star-whistle-converse-patent-leather.html">all star whistle converse patent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converse-all-star-whistle-patent-leather-shoes.html">converse all star whistle patent leather sho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dog-collar.html">leather dog colla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office-chair.html">leather office chai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jewelry-box.html">leather jewelry box</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ectional-sofa.html">leather sectional sofa</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leaner.html">leather clean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tote-bag.html">leather tote 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eat-cover.html">leather seat cov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ase.html">leather cas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travel-bag.html">leather travel 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ectional.html">leather sectional</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gloves.html">man leather glov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hoes.html">leather sho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are.html">leather car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oman-leather-jacket.html">woman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black-leather.html">black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ady-leather-jacket.html">lady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accessory.html">leather accessory</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hide.html">leather hid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pants.html">man leather pan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ide-selection-of-leather-coats.html">wide selection of leather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watch-band.html">leather watch band</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vanson-leather.html">vanson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pelle-pelle-leather-jacket.html">pelle pelle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armor.html">leather armo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fetish.html">leather fetish</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roduct.html">leather product</a> 1020 2005-03-31T00:37:28Z 82.117.192.193 +sr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ilsons-leather.html">wilsons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jacket.html">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html">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oats.html">leather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ofa.html">leather sofa</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ants.html">leather pan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furniture.html">leather furnitur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riefcase.html">leather briefcas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jacket.html">man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italian-leather.html">italian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gloves.html">leather glov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handbag.html">leather hand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hair.html">leather chai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lingerie.html">leather lingeri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omens-leather-jacket.html">womens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wallet.html">leather wall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kirt.html">leather skir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motorcycle-jacket.html">leather motorcycle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shopping-fur-leather.html">shopping fur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oot.html">leather boo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otorcycle-leather.html">motorcycle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coats.html">man leather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recliner.html">leather reclin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elt.html">leather bel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omens-leather-coats.html">womens leather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journal.html">leather journal</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tandy-leather.html">tandy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goods.html">leather good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ackpack.html">leather backpack</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ortfolio.html">leather portfolio</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ag.html">leather 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urse.html">leather purs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ouch.html">leather couch</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coach-leather.html">coach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repair.html">leather repai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lothing.html">leather clothin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danier-leather.html">danier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omber-jacket.html">leather bomb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hap.html">leather chap</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holesale-leather.html">wholesale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vest.html">leather ves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luggage.html">leather luggag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cleaning-leather.html">cleaning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apparel.html">leather apparel</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and-lace.html">leather and lac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iquid-leather.html">liquid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wallet.html">man leather wall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tore.html">leather stor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lazer.html">leather blaz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man.html">leather man</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hoto-album.html">leather photo album</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bracelet.html">leather bracel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jennifer-leather.html">jennifer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raft.html">leather craf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hat.html">leather ha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messenger-bag.html">leather messenger 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ectionals.html">leather sectional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trench-coats.html">leather trench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lothes.html">leather cloth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puma-mostro-leather.html">puma mostro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ottoman.html">leather ottoman</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money-clip.html">leather money clip</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harley-davidson-leather-boot.html">harley davidson leather boo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puma-h-street-leather.html">puma h street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keds-leather.html">keds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orset.html">leather cors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biker-leather.html">biker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factory.html">leather factory</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gay-leather.html">gay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dress.html">leather dres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buy-converse-bomber-leather-shoes.html">buy converse bomber leather sho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non-leather-new-balance-shoes.html">non leather new balance sho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all-star-whistle-converse-patent-leather.html">all star whistle converse patent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converse-all-star-whistle-patent-leather-shoes.html">converse all star whistle patent leather sho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dog-collar.html">leather dog colla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office-chair.html">leather office chai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jewelry-box.html">leather jewelry box</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ectional-sofa.html">leather sectional sofa</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leaner.html">leather clean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tote-bag.html">leather tote 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eat-cover.html">leather seat cov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ase.html">leather cas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travel-bag.html">leather travel bag</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ectional.html">leather sectional</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gloves.html">man leather glov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shoes.html">leather shoe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care.html">leather car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oman-leather-jacket.html">woman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black-leather.html">black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ady-leather-jacket.html">lady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accessory.html">leather accessory</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hide.html">leather hide</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man-leather-pants.html">man leather pan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wide-selection-of-leather-coats.html">wide selection of leather coats</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watch-band.html">leather watch band</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vanson-leather.html">vanson leathe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pelle-pelle-leather-jacket.html">pelle pelle leather jacket</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armor.html">leather armor</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fetish.html">leather fetish</a>&nbsp;&nbsp;&nbsp; <a href="http://www.leatherfamous.com/leather-product.html">leather product</a> [[sr:]] 1022 2005-03-31T12:42:48Z 220.79.45.156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sr:]] 1025 2005-04-10T12:06:08Z 220.79.45.153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그러타니까백과사전]] [[sr:]] 1046 2005-04-16T10:56:39Z 220.79.45.174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sr:]] 1981 2005-04-29T22:03:46Z Aphaia 5 interlang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3429 2005-07-15T16:58:58Z 203.113.66.9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3430 2005-07-25T09:21:51Z 61.96.162.209 <div style="font-size:90%">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3em .3em .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8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border-right-width:2px; border-bottom-width:2px; padding:0em 1em 0em 1em; background-color:#f4f3f9; line-height:16pt;">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div>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3548 2005-08-29T07:54:48Z 218.149.34.36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 '''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 9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margin-bottom: 1em; padding: 1em; background-color:#f4f3f9;">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3620 2005-11-02T13:16:16Z 143.248.205.17 삭제된 그림 고침 <div style="margin-top:0; margin-bottom:.5em; border: 1px solid #0066aa; padding:.4em .5em 1em 1em; background-color:#f8fefe;"> '''위키인용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 <div style="margin-left:2em; margin-right:2em;"> [[위키인용집]]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유로운 다국어 인터넷 인용집입니다. 2002년 10월에 시작한 한국어 [[위키인용집]]에는 현재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padding:.3em; border:2px solid #7E0000; background-color:#ffffff; font-size: 95%"> 참여자, 특히 [[IP|아이피]] 참여자에게 알립니다. * 다른 사이트를 그대로 복사한 내용은 위키인용집에 써넣지 않기를 바랍니다. * [[저작권]]에 저촉이 되는 내용은 발견 즉시 삭제됩니다. 모두가 쓸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권을 추구하는 위키인용집에 법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 #0066aa; margin-bottom: 1em; padding: 1em; background-color:#f4f3f9;"> {{대문 주제 나누기}}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편집]])</div> </div> ---- <big>'''위키세계'''</big> 위키미디아 재단(Wikimedia Foundation)의 관리 밑에 추진중인 '''자매 프로젝트''': {| align="center" cellpadding="2" width="100%" | [[그림:Wiktionary-logo-en.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tionary.org/wiki/%EB%8C%80%EB%AC%B8 '''위키낱말사전''']<br />Wiktionary | [[그림:Wikisource-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wikisource.org/wiki/Main_Page:%ED%95%9C%EA%B5%AD%EC%96%B4 '''위키자료집''']<br />Wikisource | [[그림:Wikimedia-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m:대문|'''메타 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Commons-logo.svg|center|35px|<nowiki></nowiki>]] | [[commons:대문|'''위키미디아 공용''']]<br />Wikimedia Commons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books.org/wiki/%EB%8C%80%EB%AC%B8 '''위키참고서''']<br />Wikibooks | [[그림:Wikiquote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ko.wikiquote.org/wiki/%EB%8C%80%EB%AC%B8 '''위키인용집''']<br />Wikiquote | [[그림:Wikinews-logo2.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en.wikinews.org/wiki/Main_Page '''위키뉴스''']<br />Wikinews | [[그림:Wikispecie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http://species.wikipedia.org '''위키스페시스''']<br />Wikispecies |}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3721 2005-11-28T11:00:44Z PuzzletChung 1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3724 2005-11-28T11:03:07Z PuzzletChung 1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3927 2005-12-01T11:29:16Z PuzzletChung 1 [[대문]] moved to [[들머리]]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3932 2005-12-01T11:43:35Z PuzzletChung 1 [[들머리]] moved to [[Wikiquote:들머리]]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4207 2006-03-04T06:26:39Z 220.121.51.68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이 위키 인용집에는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 개]]의 글이 있으며 유명한 사람의 명언과 이야기를 인용한걸 쓰는 곳입니다.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4211 2006-03-04T17:39:08Z PuzzletChung 1 Reverted edit of 220.121.51.68, changed back to last version by PuzzletChung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zh:]] 4274 2006-06-16T06:08:30Z 81.213.182.131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tr:]][[zh:]] 4850 2006-07-30T18:30:11Z Koavf 40 [[Wikiquote:들머리]]을(를) [[Wikiquote:대문]](으)로 옮김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tr:]][[zh:]] 4854 2006-07-31T01:21:16Z PuzzletChung 1 [[Wikiquote:대문]]을(를) [[Wikiquote:들머리]](으)로 옮김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tr:]][[zh:]] 4858 2006-07-31T01:21:45Z PuzzletChung 1 Protected "[[Wikiquote:들머리]]" [move=sysop]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tr:]][[zh:]] 4859 2006-08-22T21:36:30Z 221.154.247.219 /^폰트크기를 바꿈/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font style= font-size:20pt><font style= font-weight:bold>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font></font>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tr:]][[zh:]] 4860 2006-08-22T21:37:09Z 221.154.247.219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font style= font-size:20pt><font style= font-weight:bold><font color=green>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font></font>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tr:]][[zh:]] 5440 2006-12-06T07:47:52Z 143.248.220.103 rv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tr:]][[zh:]] 5484 2007-01-14T13:11:26Z Theoteryi 65 간단한 소개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width="50%" colspan="4" style="padding: 1em;" | <big><big>안녕하세요, [[Wikiquote:소개|위키인용집]]입니다.</big></big> |- {{대문 주제}} |} '''위키인용집'''은 90여개 언어로 여러분들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인용집이며, 신뢰할수 있는 사람들은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한국어 위키인용집은 2004년 10월 29에 처음 문을 열었으며 현재에는 [[특수기능:Statistics|'''{{NUMBEROFARTICLES}}'''개의 인용문]]이 수록 되어 있습니다. ---- {{자매 위키}} [[ar:]][[bg:]][[de:]][[en:]][[es:]] [[fr:]][[he:]][[it:]][[ja:]][[nl:]] [[pl:]][[pt:]][[ru:]][[sr:]][[tr:]][[zh:]] MediaWiki:Monobook.css 9 sysop 5 2004-12-17T06:54:20Z MediaWiki default /* edit this file to customize the monobook skin for the entire site */ 1059 2004-12-17T07:30:49Z MediaWiki default /* edit this file to customize the monobook skin for the entire site */ 1060 2005-06-14T02:50:06Z PuzzletChung 1 /* edit this file to customize the monobook skin for the entire site */ #globalWrapper {font-size:medium;} .minor, .newpage { font-size: smaller; } 1984 2005-06-14T02:55:38Z PuzzletChung 1 #globalWrapper {font-size:medium;} .minor, .newpage { font-size: smaller; } 3409 2005-07-01T05:10:38Z PuzzletChung 1 globalWrapper {font-size:medium;} .minor, .newpage { font-size: smaller; } 3410 2005-07-01T05:11:28Z PuzzletChung 1 globalWrapper {font-size:small;} .minor, .newpage { font-size: smaller; } 3411 2005-07-01T05:12:13Z PuzzletChung 1 .globalWrapper {font-size:small;} .minor, .newpage { font-size: smaller; } MediaWiki:Copyrightwarning 132 sysop 128 2004-12-17T06:54:20Z MediaWiki default {{SITENAME}}에 당신이 기여한 것은 모두 GNU 자유 문서 사용허가서(GFDL) ($1참조)에 따라 배포됩니다. 당신이 써 넣은 내용이 제한없이 고쳐지고, 재배포되는 것이 싫다면, 저장하지 마십시오.에 반대할 때에는, 여기에 쓰지 마시길 바랍니다.<br /> 또한, 여기 써 넣은 내용을 스스로 썼음을, 혹은 모두에게 공개된 자료에서 빌어왔음을 같이 약속해야 합니다. <strong>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내용을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보내지 마십시오!</strong> 1187 2004-12-17T07:30:56Z MediaWiki default {{SITENAME}}에 당신이 기여한 것은 모두 GNU 자유 문서 사용허가서(GFDL) ($1참조)에 따라 배포됩니다. 당신이 써 넣은 내용이 제한없이 고쳐지고, 재배포되는 것이 싫다면, 저장하지 마십시오.에 반대할 때에는, 여기에 쓰지 마시길 바랍니다.<br /> 또한, 여기 써 넣은 내용을 스스로 썼음을, 혹은 모두에게 공개된 자료에서 빌어왔음을 같이 약속해야 합니다. <strong>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내용을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보내지 마십시오!</strong> 2107 2005-06-25T11:11:16Z MediaWiki default {{SITENAME}}에 당신이 기여한 것은 모두 GNU 자유 문서 사용허가서(GFDL) ($1참조)에 따라 배포됩니다. 당신이 써 넣은 내용이 제한없이 고쳐지고, 재배포되는 것이 싫다면, 저장하지 마십시오.에 반대할 때에는, 여기에 쓰지 마시길 바랍니다.<br /> 또한, 여기 써 넣은 내용을 스스로 썼음을, 혹은 모두에게 공개된 자료에서 빌어왔음을 같이 약속해야 합니다. <strong>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내용을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보내지 마십시오!</strong> 4266 2006-04-09T12:00:22Z PuzzletChung 1 <div id="editpage-specialchars" style="margin-top:15px;border-width:1px;border-style:solid;border-color:#aaaaaa;padding:2px;">특수 문자 입력: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¹</charinsert> <charinsert>²</charinsert> <charinsert>³</charinsert></div> MediaWiki:Mainpage 351 sysop 347 2004-12-17T06:54:20Z MediaWiki default 대문 1406 2004-12-17T07:31:08Z MediaWiki default 대문 2326 2005-06-25T11:11:17Z MediaWiki default 대문 3923 2005-12-01T11:26:02Z PuzzletChung 1 Project:들머리 Project:들머리 3926 2005-12-01T11:26:03Z PuzzletChung 1 들머리 3938 2005-12-01T11:54:26Z PuzzletChung 1 Wikiquote:들머리 MediaWiki:Portal 520 sysop 516 2004-12-17T06:54:20Z MediaWiki default Community portal 1575 2004-12-17T07:31:19Z MediaWiki default Community portal 2495 2005-06-25T11:11:17Z MediaWiki default Community portal 3924 2005-12-01T11:26:23Z PuzzletChung 1 사랑방 사랑방 MediaWiki:Portal-url 521 sysop 517 2004-12-17T06:54:20Z MediaWiki default Project:Community Portal 1576 2004-12-17T07:31:19Z MediaWiki default Project:Community Portal 2496 2005-06-25T11:11:17Z MediaWiki default Project:Community Portal 3925 2005-12-01T11:26:29Z PuzzletChung 1 Project:사랑방 Project:사랑방 틀:대문 주제 922 920 2004-12-25T01:48:32Z 220.121.51.94 <big>'''��'''</big><br/> [[�Ӵ�]] &#903; [[���]] &#903; [[�ݾ�]] &#903; [[���ڼ���]] <big>'''�ǿ�'''</big><br/> [[����]] &#903; [[����]] &#903; [[����]] &#903; [[���]] &#903; [[�긲]] &#903; [[��ǻ��]] &#903; [[�����]] <big>'''�ι�'''</big><br/> [[�����]] &#903; [[��������]] &#903; [[����]] &#903; [[����]] &#903; [[�ɸ���]] &#903; [[�����]] &#903; [[����]] &#903; [[ö��]] <big>'''��ȸ'''</big><br/> [[�濵��]] &#903; [[�����]] ([[���|�û�]]) &#903; [[���]] &#903; [[����]] &#903; [[��ȸ��]] &#903; [[�η���]] &#903; [[�ġ��]] ([[�ġ|�û�]]) <big>'''��ȭ'''</big><br> [[�̼�]] &#903; [[����]] &#903; [[��ȭ]] &#903; [[���]] &#903; [[����]] &#903; [[����]] &#903; [[��ȭ]] &#903; [[���]] &#903; [[���]] &#903; [[�м�]] <big>'''��Ÿ'''</big><br/> [[��]] &#903; [[��ȭ]] &#903; [[������]] &#903; [[�丮]] &#903; [[��ǻ�Ϳ� ���ͳ�]] &#903; [[����]] 922 2004-12-25T03:37:30Z 220.121.51.94 <big>'''속담'''</big><br/> [[아프리카속담]] 923 2004-12-25T05:15:32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 · [[영화]] · [[만화]] · [[사극]]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924 2004-12-25T05:15:42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 · [[영화]] · [[만화]] · [[사극]]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929 2004-12-25T05:21:43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 · [[영화]] · [[만화]] · [[사극]]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930 2004-12-25T05:38:31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932 2004-12-25T05:59:21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934 2004-12-25T23:28:17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955 2004-12-26T02:55:53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964 2004-12-29T08:33:47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968 2005-01-01T23:47:53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연설문'''</big><br/> [[95조 반박문]] 969 2005-01-04T05:37:53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유머이야기]] 970 2005-01-04T05:47:12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유머이야기]] 972 2005-01-04T05:58:25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973 2005-01-05T07:32:50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975 2005-01-05T23:29:21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979 2005-01-09T01:16:41Z 211.244.231.213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981 2005-01-14T06:11:25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983 2005-01-14T06:28:21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산림법]] 987 2005-01-14T06:30:12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991 2005-01-17T06:30:03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992 2005-01-21T06:32:46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The Short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995 2005-01-21T06:33:16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영국 문화개관]] 999 2005-01-25T02:12:52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1000 2005-02-02T00:37:23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2005년 1월17일 자유청년동지회성명전문]] 1012 2005-02-04T09:21:00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학교대사전]] 1013 2005-02-07T01:06:56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1018 2005-02-07T01:28:40Z 220.121.51.9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BBI 영영사전]] 1026 2005-03-25T19:58:45Z 220.79.45.149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삼국사기]] 1028 2005-04-16T10:58:37Z 220.79.45.174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천자문]] 1029 2005-04-16T22:31:04Z 220.79.45.155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농사직설]] 1034 2005-04-18T08:35:39Z 220.79.45.171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GPDL From Pruna]] 1044 2005-04-22T06:44:37Z 220.79.45.169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독일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 1055 2005-04-23T22:32:41Z 220.121.51.70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아프리카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big>'''유머 · 이야기'''</big><br/> [[수수께끼]] · [[센스퀴즈]] · [[금기담]] · [[부도지]] · [[성경]] · [[불경]] <big>'''[[법]]'''</big><br/> [[헌법]] · [[민법]] · [[부가가치세법]] · [[산림법]] · [[상법]] [[]] 2897 2005-06-08T21:27:28Z 220.79.45.155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아프리카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3716 2005-11-28T10:49:08Z PuzzletChung 1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 moved to [[Template:대문 주제]] <big>'''속담'''</big><br/> [[인도속담]] · [[미국속담]] · [[영국속담]] · [[중국속담]] · [[아프리카속담]] · [[이집트속담]] · [[북한속담]] · [[아프가니스탄속담]] · [[고사성어]] <big>'''명대사'''</big><br/> [[드라마명대사]] · [[영화명대사]] · [[만화명대사]] · [[사극명대사]] <big>'''명언'''</big><br/> [[미국명언]] · [[아프리카명언]] · [[인도명언]] · [[일본명언]] <big>'''노래'''</big><br/> [[팝송]] · [[동요]] · [[O.S.T.]] · [[가요]] <big>'''영화'''</big><br/> [[공포영화]] · [[SF영화]] · [[코미디영화]] · [[판타지영화]] 3720 2005-11-28T10:59:35Z PuzzletChung 1 <noinclude> {| width="100%" border=0 style="font-size: 95%;" |+ colspan="6" | 어서오세요, 위키인용집입니다. |- </noinclude> | width="10%" align=center valign=center | {{그림고리|그림=P literature.png|너비=60px|고리=분류:매체}} | width="23%" align=left valign=center | '''[[:분류:매체|매체]]'''<br/>[[:분류:격언|격언]] · [[:분류:노래|노래]] · [[:분류:만화|만화]] · [[:분류:소설|소설]] · [[:분류:영화|영화]] … | width="10%" align=center valign=center | {{그림고리|그림=P philosophy.png|너비=60px|고리=분류:사람}} | width="23%" align=left valign=center | '''[[:분류:사람|사람]]'''<br/> | width="10%" align=center valign=center | {{그림고리|그림=P art.png|너비=60px|고리=분류:주제}} | width="23%" align=left valign=center | '''[[:분류:주제|주제]]'''<br/> <noinclude> <!-- | width="10%" align=center valign=center | {{그림고리|그림=Wikipedia-logo.png|너비=60px|고리=위키백과}} | width="39%" align=left valign=center | '''[[위키백과]]'''<br/>[[Help:목차|도움말]] · [[위키백과:사랑방|사랑방]] · [[위키백과:모래상자|연습장]] · [[:분류:위키백과 사용자|사용자]] · [[:분류:위키백과 정책|정책]] · [[위키백과:저작권|저작권]] · [[위키백과:대사관|대사관]] … --> |} </noinclude> 북한속담 923 925 2004-12-25T05:26:01Z 220.121.51.94 == 가 == *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을 검다한다. 남보다 잘못이나 결함이 많은 사람이 제 흉은 모르고 남의 잘못이나 흉을 본다는 것을 비유한 말. 남한속담 :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 가까운 집은 깍이고 먼데 절은 비친다.</b> 좋은 사람이라도 늘 접촉하면 그 진가를 알지 못하고 그 반재로 멀리 있는 사람은 직접 잘 모르면서도 과대평가하기 쉽다는 뜻. * 감은 눈 못본다. 눈을 감고 있으면 무엇이나 볼 수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애당초 하려고 하지 않으면 능히 할 수 있는 것도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강한 장수에게는 약졸이 없다. 강한 장수에게는 내버릴 병사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은 누구나 잘 이끌어주면 훌륭해진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 개미가 정자나무 건드린다. 약자가 힘이 센 사람에게 대담하게 맞서나가는 경우에 이르는 말. * 겨울이 다 되어야 솔이 푸르름을 안다. 어려운 때를 당해야 사람의 진가를 알 수 있다는 말. * 고양이 닭알 굴리듯. 무슨 일이나 맵시나고 재간 있게 해나가는 것을 빗대어하는 말. *고양이뿔 외에 다 있다. 재산이나 물건이 없는 것 없이 풍족하게 갖춰졌거나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 비유적으로 하는 말. 남한속담 : 산호랑이 눈썹도 그리울 것 없다. * 고인물도 밟으면 솟구친다. 아무말 없이 가만히 있는 순한 사람도 함부로 건드리거나 얕보면 맞서 반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구운 게도 다리를 떼고 먹으라. 무슨 일이나 앞뒤를 신중히 고려하여 안전하게 행동하라고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남한속담 :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 *까마귀 열두소리 하나도 들을 것 없다. 검은 속마음을 가진 자가 아무리 남을 속이기 위해 별 소리를 다해도 믿을 말은 하나도 없다는 뜻. *깐깐 오월, 미끄럼 유월, 어정 칠월에 건들 팔월이라. 오월부터 팔월까지는 특히 변화가 심하다는 뜻으로 오월은 보리고개의 절정이므로 힘들고 지루하게 지나가고 유월은 밀보리가 나고 모심는데 바빠서 어느새 지나가는지 모르고 칠월은 김이나 매면서 어정거리는 동안에 지나가고보니 어느새 건들바람이 부는 팔월이 되였다는것을 비겨 이르는 말. * 꿀도 약이라면 쓰다. 도움이 되는 것도 권하면 잘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를 두고 이르는 말. == 나 == * 나간사람 몫은 있어도 자는 사람 몫은 없다. 거으른 자, 일하지 않는 자를 돌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용. * 나그네 귀는 석자다. 나그네는 주인의 눈치를 잘 알아차리므로 손님이 있는 데서 그에 대한 말을 함부로 소곤거리지 말라고 이르는 말. * 나비도 밝은 불을 찾아온다. 모든 것이 마음에 드는 곳으로 따라가기 마련이라는 말을 김정일 우상선전에 이용하는 말. *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 내가 허물할 일을 도리어 상대방이 들고 나선다는 뜻. *나중에 꿀 한식기보다 당장에 엿 한가락이 더 달다. 당면한 작은 이득이 먼 장래의 큰 이득보다 마음을 끄는 힘이 더 강하다는 것. *노루도 악이 나면 뒷다리를 문다.</b> 아무리 순한 사람이라도 막다른 지경에 이르면 대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눈엔 익어도 손엔 설다.</b> 눈으로 보면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으나 실제 손을 대 해보면 잘 안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보는데만 그치지 말고 직접 해보면서 익숙해져야 함을 이르는 말. <li><b>늙은 말이 콩을 더 달란다.</b> 늙어서 남처럼 일은 못하면서도 명예와 보수를 더 많이 기대하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li><b>달 보고 짖는 개.</b> 정세나 물정도 모르고 아무런 뜻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부정적으로 비겨 이르는 말. <li><b>담배씨로 뒤웅박을 판다.</b> 매우 세밀하고 자질구레하여 어렵고 품이 많이 드는 일을 함을 비겨 이르는 말. 하는 일이 배우 좀스럽고 자질구레함을 비겨 이르는 말. <li><b>대가리를 잡으려다 꼬리를 잡는다.</b> 큰 것을 바라다가 겨우 조그마한 성과밖에 이루지 못한 경우를 두고 하는 말. <li><b>대구멍으로 하늘 쳐다보기.</b> 사물현상을 전면적으로 넓게 보지 못하고 일면적으로 좁게 보는 것을 이르는 말. <li><b>독안에서 푸념.</b> 마음이 옹졸하여 하는 짓이 답답함을 이르는 말. <li><b>두꺼비 콩대에 올라 세상이 넓다 한다.</b> 생각하는 것이나 하는 일이 너무 근시안적이고 옹졸한 사람을 이르는 말. <li><b>매를 꿩으로 본다.</b> 사물현상을 잘 분간하지 못하였음을 이르는 말. 순하지 않은 사람을 순한 사람으로 잘못 보있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며느리보자 손자본다.</b> 며느리를 맞이한 기쁨에 손자까지 생겨 더 기쁘다는 뜻인데 생활의 기쁨이 하나에만 그치지 않고 겹치는 경우에 이르는 말. <li><b>명주옷은 사촌까지 덥다.</b> 명주옷이 덥다는 것을 이르는 말. 가까운 친척이 유복하게 살면 그 덕을 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모기다리에서 피 빼먹겠다.</b>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는 아주 적은 것까지도 인색하게 긁어들이는 사람을 욕하는 말. <li><b>목수가 많은면 집을 무너뜨린다.</b> 일이 잘 진행 되려면 반드시 옳은 지도자가 있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못입어 잘난 놈 없고 잘입어 못난 놈 없다.</b> 옷을 잘 입으면 누구나 다 잘나보인다는 뜻. 남한속담 : 옷이 날개다. <li><b>바람부는 날 가루 팔러가듯.</b> 조건이 나쁜 때에 할 수 없는 일을 벌임을 비겨 이르는 말. <li><b>받는 소는 찍소리 없이 받는다.</b> 소문없이 일을 해치우는 것을 이컫는 말. <li><b>밭 팔아 논은 사도 논 팔아 밭은 사지 말라.</b> 지난날에 밭보다 논이 귀중하다는데서 살림을 늘리려면 좋은 방향에서 늘려나가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범 무서워 산으로 못가랴.</b> 어떠한 곤란이나 난관이 있다 해도 해야 할 일은 반드시 끝을 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남한속담 :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li><b>범보고 애 보라기.</b> 믿지 못할 사람에게 중요한 일을 맡긴다는 뜻으로 위험성이 있거나 하는 짓이 어리석음을 조롱하는말. 남한속담 : 고양이에게 생선 맡기기 <li><b>벼짚에도 속이 있다.</b> 변변치 않은 것에도 속대가 있는데 하물며 사람에게 대가 없겠느냐는 의미로 사람을 함부로 얕잡아보거나 멸시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 <li><b>병에 가득찬 물은 저어도 소리가 안난다.</b> 실제로 아는 것이 많고 머리에 든 것이 많은 사람은 겸손하여 아는 티를 내지 않는다는 뜻. 남한속담 : 물도 반병짜리가 출렁인다. <li><b>봄볕에 그슬리면 보던 님도 몰라본다.</b> 따뜻한 봄볕에 그슬리면 까맣게 타서 몰라보게 달라진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li><b>봄에는 생말가죽이 마른다.</b> 봄철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가물다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li><b>부모가 착해야 효자 난다.</b> 자식들에 대한 교양에서 부모들의 실천적 모범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li><b>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li><b>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li><b>비단위에 꽃.</b>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겹침을 이르는 말. <li><b>사과가 되지 말고 토마토가 되라.</b> 사과처럼 안팎이 다르지 말고 토마토와 같이 겉과 속이 같아야 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안팎이 같아야 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산보다 골이 더 크다.</b> 따린 것이 주된 것보다 크거나 더 많음을 비유할 때 쓰이는 말. 남한속담 :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li><b>산전수전을 다 겪었다.</b> 세상의 어려운 일을 겪을대로 다 겪는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li><b>삼동서 김 한장 먹듯.</b> 김 한장을 세동서가 먹는다는 뜻으로 눈깜박할 사이에 먹어치움을 비겨 이르는 말. 무슨 일을 매우 날쌔게 해치우는 경우에 비겨 이르는 말. <li><b>상전이 벽해되어도 비켜설 곳이 있다.</b> 뽕밭이 푸른 바다가 된다 해도 비켜설 곳이 있다는 뜻으로 아무리 큰 재해가 닥쳐오더라도 살아날 희망이 있다는 뜻. 남한속담 :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li><b>생감 등때기 같다.</b> 몹시 뻔뻔스럽고 염치없음을 생감의 껍질에 비겨 이르는 말. <li><b>서툰 의원이 사람 잡는다.</b> 의술도 없는 의원이 모르면서 아는체 분별없이 행동하다가 사람을 잡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소년 고생은 사서 하랬다.</b> 어린 시절에 어려운 일을 이겨내는 생활체험을 많이 하는 것이 장래를 위하여 아주 귀중한 것이라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소리없는 고양이 쥐잡듯.</b> 고양이가 소리없이 날쌔게 쥐를 잡아채듯이 말없이 솜씨있게 무슨 일을 해치우는 경우를 비겨 이르는 말. <li><b>속병에 고약.</b> 속에 병이 들었는데 당치 않게 고약을 바른다는 뜻으로 당치않은 처사를 비겨 이르는 말. <li><b>손끝이 거름.</b> 농사에서는 사람의 손이 많이 가서 밭을 잘 가꾸면 그것이 곧 거름을 많이 주는 것처럼 농사를 잘 짓게 하는 요인이라는 뜻. <li><b>숙인 머리 베지 않는다.</b> 잘못을 진실로 뉘우치는 사람은 관대히 용서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어린아이 병엔 어미만한 의사가 없다.</b>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정성은 그 무엇에도 비길 수 없이 지극하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여름비는 잠비고 가을비는 떡비다.</b> 여름철에 비가 오면 김도 맬수 없기때문에 잠이나 자기 좋고 가을철에 비가 오면 떡이나 쳐먹기 좋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li><b>열 놈이 백 소리 해도 듣는 이 짐작.</b> 남에게서 아무리 불명예스러운 말을 듣는다 해도 자기만 청백하면 그만이고 마음쓸 것이 없다는 것을 빗대어 이르는 말. <li><b>염통이 곪은 줄은 몰라도 손톱 곪은 줄은 안다.</b> 눈에 보이는 사소한 결함은 알아도 보이지 않는 큰 결함은 모른다는 것을 빗대서 이르는 말. <li><b>영계 울고 장다리꽃 피면 밤이 좀 길어진다.</b> 추운 때 깨운 병아리가 자라 엄지닭이 되여 울게 되면 이때쯤은 장다리꽃도 피게 되고 한창 길던 낮도 차차 짧아진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외상이라면 소도 잡아먹는다.</b> 훗날은 생각하지 않고 당장 좋으면 그만이라는 행동을 경계하여 이르는 말. <li><b>이마에 땀을 내고 먹어라.</b> 노력한 사람에게 성과가 주어져야 함을 나타내는 뜻으로 주로 놀고 먹는 자를 욕하여 이르는 말. <li><b>자가사리가 룡을 건드린다.</b> 도저히 맞서 상대할 수 없는 강한 상대를 멋도 모르고 함부로 건드리는 것을 형상적으로 이르는 말. 자가사리 = 자라. 룡 = 용. <li><b>잔 잡은 팔이 밖으로 휘지 못한다.</b> 술잔을 잡은 팔이 안으로 구부러져 술을 마시게 마련이라는 의미에서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롭거나 친근해지는 쪽으로 마음이 쏠리기 쉽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팔은 안으로 굽는다. <li><b>장님이 외나무다리 건너간다.</b>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이 외나무다리를 용케 건너가듯이 극복하기 어려운 난관을 극복해나가는 경우를 두고 하는 말. <li><b>정직한 사람의 자식은 굶어죽지 않는다.</b> 사람이 정직하면 남의 동정과 사랑을 받게 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제앞에 안떨어지는 불은 뜨거운 줄 모른다.</b> 흔히 제가 직접 당한 일이 아니면 아무리 어렵고 곤란한 일도 그 괴로움을 잘 모르기가 일쑤임을 비겨 이르는 말. <li><b>집안이 흥하면 손님이 많다.</b> 집안이 화목하고 또 덕망이 높으면 사람들이 찾아오기를 꺼리지 않고 따라서 손님이 많아진다는 뜻. <li><b>참새는 굴레를 씌울 수 없어도 호랑이는 길들일 수 있다.</b> 힘은 꾀로 이길 수 있으나 꾀는 힘으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을 빗대어 하는 말. <li><b>큰 고기를 낚기 위하여 작은 미끼를 아끼지 말라.</b>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호박씨 까서 한 입에 넣기.</b> 호박씨 까는 식으로 힘들게 조금씩 장만한 물건을 소비할 때는 보람없이 한꺼번에 소비하거나 남에게 몽땅 빼앗기는 경우를 이르는 말.</ol> 926 2004-12-25T05:26:43Z 220.121.51.94 /* 나 */ == 가 == *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을 검다한다. 남보다 잘못이나 결함이 많은 사람이 제 흉은 모르고 남의 잘못이나 흉을 본다는 것을 비유한 말. 남한속담 :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 가까운 집은 깍이고 먼데 절은 비친다.</b> 좋은 사람이라도 늘 접촉하면 그 진가를 알지 못하고 그 반재로 멀리 있는 사람은 직접 잘 모르면서도 과대평가하기 쉽다는 뜻. * 감은 눈 못본다. 눈을 감고 있으면 무엇이나 볼 수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애당초 하려고 하지 않으면 능히 할 수 있는 것도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강한 장수에게는 약졸이 없다. 강한 장수에게는 내버릴 병사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은 누구나 잘 이끌어주면 훌륭해진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 개미가 정자나무 건드린다. 약자가 힘이 센 사람에게 대담하게 맞서나가는 경우에 이르는 말. * 겨울이 다 되어야 솔이 푸르름을 안다. 어려운 때를 당해야 사람의 진가를 알 수 있다는 말. * 고양이 닭알 굴리듯. 무슨 일이나 맵시나고 재간 있게 해나가는 것을 빗대어하는 말. *고양이뿔 외에 다 있다. 재산이나 물건이 없는 것 없이 풍족하게 갖춰졌거나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 비유적으로 하는 말. 남한속담 : 산호랑이 눈썹도 그리울 것 없다. * 고인물도 밟으면 솟구친다. 아무말 없이 가만히 있는 순한 사람도 함부로 건드리거나 얕보면 맞서 반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구운 게도 다리를 떼고 먹으라. 무슨 일이나 앞뒤를 신중히 고려하여 안전하게 행동하라고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남한속담 :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 *까마귀 열두소리 하나도 들을 것 없다. 검은 속마음을 가진 자가 아무리 남을 속이기 위해 별 소리를 다해도 믿을 말은 하나도 없다는 뜻. *깐깐 오월, 미끄럼 유월, 어정 칠월에 건들 팔월이라. 오월부터 팔월까지는 특히 변화가 심하다는 뜻으로 오월은 보리고개의 절정이므로 힘들고 지루하게 지나가고 유월은 밀보리가 나고 모심는데 바빠서 어느새 지나가는지 모르고 칠월은 김이나 매면서 어정거리는 동안에 지나가고보니 어느새 건들바람이 부는 팔월이 되였다는것을 비겨 이르는 말. * 꿀도 약이라면 쓰다. 도움이 되는 것도 권하면 잘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를 두고 이르는 말. == 나 == * 나간사람 몫은 있어도 자는 사람 몫은 없다. 거으른 자, 일하지 않는 자를 돌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용. * 나그네 귀는 석자다. 나그네는 주인의 눈치를 잘 알아차리므로 손님이 있는 데서 그에 대한 말을 함부로 소곤거리지 말라고 이르는 말. * 나비도 밝은 불을 찾아온다. 모든 것이 마음에 드는 곳으로 따라가기 마련이라는 말을 김정일 우상선전에 이용하는 말. *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 내가 허물할 일을 도리어 상대방이 들고 나선다는 뜻. *나중에 꿀 한식기보다 당장에 엿 한가락이 더 달다. 당면한 작은 이득이 먼 장래의 큰 이득보다 마음을 끄는 힘이 더 강하다는 것. *노루도 악이 나면 뒷다리를 문다.</b> 아무리 순한 사람이라도 막다른 지경에 이르면 대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눈엔 익어도 손엔 설다. 눈으로 보면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으나 실제 손을 대 해보면 잘 안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보는데만 그치지 말고 직접 해보면서 익숙해져야 함을 이르는 말. *늙은 말이 콩을 더 달란다.</b> 늙어서 남처럼 일은 못하면서도 명예와 보수를 더 많이 기대하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li><b>달 보고 짖는 개.</b> 정세나 물정도 모르고 아무런 뜻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부정적으로 비겨 이르는 말. <li><b>담배씨로 뒤웅박을 판다.</b> 매우 세밀하고 자질구레하여 어렵고 품이 많이 드는 일을 함을 비겨 이르는 말. 하는 일이 배우 좀스럽고 자질구레함을 비겨 이르는 말. <li><b>대가리를 잡으려다 꼬리를 잡는다.</b> 큰 것을 바라다가 겨우 조그마한 성과밖에 이루지 못한 경우를 두고 하는 말. <li><b>대구멍으로 하늘 쳐다보기.</b> 사물현상을 전면적으로 넓게 보지 못하고 일면적으로 좁게 보는 것을 이르는 말. <li><b>독안에서 푸념.</b> 마음이 옹졸하여 하는 짓이 답답함을 이르는 말. <li><b>두꺼비 콩대에 올라 세상이 넓다 한다.</b> 생각하는 것이나 하는 일이 너무 근시안적이고 옹졸한 사람을 이르는 말. <li><b>매를 꿩으로 본다.</b> 사물현상을 잘 분간하지 못하였음을 이르는 말. 순하지 않은 사람을 순한 사람으로 잘못 보있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며느리보자 손자본다.</b> 며느리를 맞이한 기쁨에 손자까지 생겨 더 기쁘다는 뜻인데 생활의 기쁨이 하나에만 그치지 않고 겹치는 경우에 이르는 말. <li><b>명주옷은 사촌까지 덥다.</b> 명주옷이 덥다는 것을 이르는 말. 가까운 친척이 유복하게 살면 그 덕을 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모기다리에서 피 빼먹겠다.</b>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는 아주 적은 것까지도 인색하게 긁어들이는 사람을 욕하는 말. <li><b>목수가 많은면 집을 무너뜨린다.</b> 일이 잘 진행 되려면 반드시 옳은 지도자가 있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못입어 잘난 놈 없고 잘입어 못난 놈 없다.</b> 옷을 잘 입으면 누구나 다 잘나보인다는 뜻. 남한속담 : 옷이 날개다. <li><b>바람부는 날 가루 팔러가듯.</b> 조건이 나쁜 때에 할 수 없는 일을 벌임을 비겨 이르는 말. <li><b>받는 소는 찍소리 없이 받는다.</b> 소문없이 일을 해치우는 것을 이컫는 말. <li><b>밭 팔아 논은 사도 논 팔아 밭은 사지 말라.</b> 지난날에 밭보다 논이 귀중하다는데서 살림을 늘리려면 좋은 방향에서 늘려나가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범 무서워 산으로 못가랴.</b> 어떠한 곤란이나 난관이 있다 해도 해야 할 일은 반드시 끝을 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남한속담 :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li><b>범보고 애 보라기.</b> 믿지 못할 사람에게 중요한 일을 맡긴다는 뜻으로 위험성이 있거나 하는 짓이 어리석음을 조롱하는말. 남한속담 : 고양이에게 생선 맡기기 <li><b>벼짚에도 속이 있다.</b> 변변치 않은 것에도 속대가 있는데 하물며 사람에게 대가 없겠느냐는 의미로 사람을 함부로 얕잡아보거나 멸시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 <li><b>병에 가득찬 물은 저어도 소리가 안난다.</b> 실제로 아는 것이 많고 머리에 든 것이 많은 사람은 겸손하여 아는 티를 내지 않는다는 뜻. 남한속담 : 물도 반병짜리가 출렁인다. <li><b>봄볕에 그슬리면 보던 님도 몰라본다.</b> 따뜻한 봄볕에 그슬리면 까맣게 타서 몰라보게 달라진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li><b>봄에는 생말가죽이 마른다.</b> 봄철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가물다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li><b>부모가 착해야 효자 난다.</b> 자식들에 대한 교양에서 부모들의 실천적 모범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li><b>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li><b>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li><b>비단위에 꽃.</b>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겹침을 이르는 말. <li><b>사과가 되지 말고 토마토가 되라.</b> 사과처럼 안팎이 다르지 말고 토마토와 같이 겉과 속이 같아야 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안팎이 같아야 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산보다 골이 더 크다.</b> 따린 것이 주된 것보다 크거나 더 많음을 비유할 때 쓰이는 말. 남한속담 :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li><b>산전수전을 다 겪었다.</b> 세상의 어려운 일을 겪을대로 다 겪는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li><b>삼동서 김 한장 먹듯.</b> 김 한장을 세동서가 먹는다는 뜻으로 눈깜박할 사이에 먹어치움을 비겨 이르는 말. 무슨 일을 매우 날쌔게 해치우는 경우에 비겨 이르는 말. <li><b>상전이 벽해되어도 비켜설 곳이 있다.</b> 뽕밭이 푸른 바다가 된다 해도 비켜설 곳이 있다는 뜻으로 아무리 큰 재해가 닥쳐오더라도 살아날 희망이 있다는 뜻. 남한속담 :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li><b>생감 등때기 같다.</b> 몹시 뻔뻔스럽고 염치없음을 생감의 껍질에 비겨 이르는 말. <li><b>서툰 의원이 사람 잡는다.</b> 의술도 없는 의원이 모르면서 아는체 분별없이 행동하다가 사람을 잡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소년 고생은 사서 하랬다.</b> 어린 시절에 어려운 일을 이겨내는 생활체험을 많이 하는 것이 장래를 위하여 아주 귀중한 것이라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소리없는 고양이 쥐잡듯.</b> 고양이가 소리없이 날쌔게 쥐를 잡아채듯이 말없이 솜씨있게 무슨 일을 해치우는 경우를 비겨 이르는 말. <li><b>속병에 고약.</b> 속에 병이 들었는데 당치 않게 고약을 바른다는 뜻으로 당치않은 처사를 비겨 이르는 말. <li><b>손끝이 거름.</b> 농사에서는 사람의 손이 많이 가서 밭을 잘 가꾸면 그것이 곧 거름을 많이 주는 것처럼 농사를 잘 짓게 하는 요인이라는 뜻. <li><b>숙인 머리 베지 않는다.</b> 잘못을 진실로 뉘우치는 사람은 관대히 용서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어린아이 병엔 어미만한 의사가 없다.</b>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정성은 그 무엇에도 비길 수 없이 지극하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여름비는 잠비고 가을비는 떡비다.</b> 여름철에 비가 오면 김도 맬수 없기때문에 잠이나 자기 좋고 가을철에 비가 오면 떡이나 쳐먹기 좋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li><b>열 놈이 백 소리 해도 듣는 이 짐작.</b> 남에게서 아무리 불명예스러운 말을 듣는다 해도 자기만 청백하면 그만이고 마음쓸 것이 없다는 것을 빗대어 이르는 말. <li><b>염통이 곪은 줄은 몰라도 손톱 곪은 줄은 안다.</b> 눈에 보이는 사소한 결함은 알아도 보이지 않는 큰 결함은 모른다는 것을 빗대서 이르는 말. <li><b>영계 울고 장다리꽃 피면 밤이 좀 길어진다.</b> 추운 때 깨운 병아리가 자라 엄지닭이 되여 울게 되면 이때쯤은 장다리꽃도 피게 되고 한창 길던 낮도 차차 짧아진다는 것을 이르는 말. <li><b>외상이라면 소도 잡아먹는다.</b> 훗날은 생각하지 않고 당장 좋으면 그만이라는 행동을 경계하여 이르는 말. <li><b>이마에 땀을 내고 먹어라.</b> 노력한 사람에게 성과가 주어져야 함을 나타내는 뜻으로 주로 놀고 먹는 자를 욕하여 이르는 말. <li><b>자가사리가 룡을 건드린다.</b> 도저히 맞서 상대할 수 없는 강한 상대를 멋도 모르고 함부로 건드리는 것을 형상적으로 이르는 말. 자가사리 = 자라. 룡 = 용. <li><b>잔 잡은 팔이 밖으로 휘지 못한다.</b> 술잔을 잡은 팔이 안으로 구부러져 술을 마시게 마련이라는 의미에서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롭거나 친근해지는 쪽으로 마음이 쏠리기 쉽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팔은 안으로 굽는다. <li><b>장님이 외나무다리 건너간다.</b>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이 외나무다리를 용케 건너가듯이 극복하기 어려운 난관을 극복해나가는 경우를 두고 하는 말. <li><b>정직한 사람의 자식은 굶어죽지 않는다.</b> 사람이 정직하면 남의 동정과 사랑을 받게 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제앞에 안떨어지는 불은 뜨거운 줄 모른다.</b> 흔히 제가 직접 당한 일이 아니면 아무리 어렵고 곤란한 일도 그 괴로움을 잘 모르기가 일쑤임을 비겨 이르는 말. <li><b>집안이 흥하면 손님이 많다.</b> 집안이 화목하고 또 덕망이 높으면 사람들이 찾아오기를 꺼리지 않고 따라서 손님이 많아진다는 뜻. <li><b>참새는 굴레를 씌울 수 없어도 호랑이는 길들일 수 있다.</b> 힘은 꾀로 이길 수 있으나 꾀는 힘으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을 빗대어 하는 말. <li><b>큰 고기를 낚기 위하여 작은 미끼를 아끼지 말라.</b>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li><b>호박씨 까서 한 입에 넣기.</b> 호박씨 까는 식으로 힘들게 조금씩 장만한 물건을 소비할 때는 보람없이 한꺼번에 소비하거나 남에게 몽땅 빼앗기는 경우를 이르는 말.</ol> 927 2004-12-25T05:31:57Z 220.121.51.94 /* 나 */ == 가 == *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을 검다한다. 남보다 잘못이나 결함이 많은 사람이 제 흉은 모르고 남의 잘못이나 흉을 본다는 것을 비유한 말. 남한속담 :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 가까운 집은 깍이고 먼데 절은 비친다.</b> 좋은 사람이라도 늘 접촉하면 그 진가를 알지 못하고 그 반재로 멀리 있는 사람은 직접 잘 모르면서도 과대평가하기 쉽다는 뜻. * 감은 눈 못본다. 눈을 감고 있으면 무엇이나 볼 수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애당초 하려고 하지 않으면 능히 할 수 있는 것도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강한 장수에게는 약졸이 없다. 강한 장수에게는 내버릴 병사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은 누구나 잘 이끌어주면 훌륭해진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 개미가 정자나무 건드린다. 약자가 힘이 센 사람에게 대담하게 맞서나가는 경우에 이르는 말. * 겨울이 다 되어야 솔이 푸르름을 안다. 어려운 때를 당해야 사람의 진가를 알 수 있다는 말. * 고양이 닭알 굴리듯. 무슨 일이나 맵시나고 재간 있게 해나가는 것을 빗대어하는 말. *고양이뿔 외에 다 있다. 재산이나 물건이 없는 것 없이 풍족하게 갖춰졌거나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 비유적으로 하는 말. 남한속담 : 산호랑이 눈썹도 그리울 것 없다. * 고인물도 밟으면 솟구친다. 아무말 없이 가만히 있는 순한 사람도 함부로 건드리거나 얕보면 맞서 반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구운 게도 다리를 떼고 먹으라. 무슨 일이나 앞뒤를 신중히 고려하여 안전하게 행동하라고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남한속담 :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 *까마귀 열두소리 하나도 들을 것 없다. 검은 속마음을 가진 자가 아무리 남을 속이기 위해 별 소리를 다해도 믿을 말은 하나도 없다는 뜻. *깐깐 오월, 미끄럼 유월, 어정 칠월에 건들 팔월이라. 오월부터 팔월까지는 특히 변화가 심하다는 뜻으로 오월은 보리고개의 절정이므로 힘들고 지루하게 지나가고 유월은 밀보리가 나고 모심는데 바빠서 어느새 지나가는지 모르고 칠월은 김이나 매면서 어정거리는 동안에 지나가고보니 어느새 건들바람이 부는 팔월이 되였다는것을 비겨 이르는 말. * 꿀도 약이라면 쓰다. 도움이 되는 것도 권하면 잘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를 두고 이르는 말. == 나 == * 나간사람 몫은 있어도 자는 사람 몫은 없다. 거으른 자, 일하지 않는 자를 돌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용. * 나그네 귀는 석자다. 나그네는 주인의 눈치를 잘 알아차리므로 손님이 있는 데서 그에 대한 말을 함부로 소곤거리지 말라고 이르는 말. * 나비도 밝은 불을 찾아온다. 모든 것이 마음에 드는 곳으로 따라가기 마련이라는 말을 김정일 우상선전에 이용하는 말. *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 내가 허물할 일을 도리어 상대방이 들고 나선다는 뜻. *나중에 꿀 한식기보다 당장에 엿 한가락이 더 달다. 당면한 작은 이득이 먼 장래의 큰 이득보다 마음을 끄는 힘이 더 강하다는 것. *노루도 악이 나면 뒷다리를 문다.</b> 아무리 순한 사람이라도 막다른 지경에 이르면 대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눈엔 익어도 손엔 설다. 눈으로 보면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으나 실제 손을 대 해보면 잘 안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보는데만 그치지 말고 직접 해보면서 익숙해져야 함을 이르는 말. *늙은 말이 콩을 더 달란다.</b> 늙어서 남처럼 일은 못하면서도 명예와 보수를 더 많이 기대하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 다 == *달 보고 짖는 개.</b> 정세나 물정도 모르고 아무런 뜻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부정적으로 비겨 이르는 말. *담배씨로 뒤웅박을 판다.</b> 매우 세밀하고 자질구레하여 어렵고 품이 많이 드는 일을 함을 비겨 이르는 말. 하는 일이 배우 좀스럽고 자질구레함을 비겨 이르는 말. *대가리를 잡으려다 꼬리를 잡는다.</b> 큰 것을 바라다가 겨우 조그마한 성과밖에 이루지 못한 경우를 두고 하는 말. *대구멍으로 하늘 쳐다보기.</b> 사물현상을 전면적으로 넓게 보지 못하고 일면적으로 좁게 보는 것을 이르는 말. *독안에서 푸념.</b> 마음이 옹졸하여 하는 짓이 답답함을 이르는 말. *두꺼비 콩대에 올라 세상이 넓다 한다.</b> 생각하는 것이나 하는 일이 너무 근시안적이고 옹졸한 사람을 이르는 말. == 마 == *매를 꿩으로 본다.</b> 사물현상을 잘 분간하지 못하였음을 이르는 말. 순하지 않은 사람을 순한 사람으로 잘못 보있다는 것을 이르는 말. *며느리보자 손자본다.</b> 며느리를 맞이한 기쁨에 손자까지 생겨 더 기쁘다는 뜻인데 생활의 기쁨이 하나에만 그치지 않고 겹치는 경우에 이르는 말. *명주옷은 사촌까지 덥다.</b> 명주옷이 덥다는 것을 이르는 말. 가까운 친척이 유복하게 살면 그 덕을 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모기다리에서 피 빼먹겠다.</b>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는 아주 적은 것까지도 인색하게 긁어들이는 사람을 욕하는 말. *목수가 많은면 집을 무너뜨린다.</b> 일이 잘 진행 되려면 반드시 옳은 지도자가 있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못입어 잘난 놈 없고 잘입어 못난 놈 없다.</b> 옷을 잘 입으면 누구나 다 잘나보인다는 뜻. 남한속담 : 옷이 날개다. == 바 == *바람부는 날 가루 팔러가듯.</b> 조건이 나쁜 때에 할 수 없는 일을 벌임을 비겨 이르는 말. *받는 소는 찍소리 없이 받는다.</b> 소문없이 일을 해치우는 것을 이컫는 말. *밭 팔아 논은 사도 논 팔아 밭은 사지 말라.</b> 지난날에 밭보다 논이 귀중하다는데서 살림을 늘리려면 좋은 방향에서 늘려나가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범 무서워 산으로 못가랴.</b> 어떠한 곤란이나 난관이 있다 해도 해야 할 일은 반드시 끝을 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남한속담 :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범보고 애 보라기.</b> 믿지 못할 사람에게 중요한 일을 맡긴다는 뜻으로 위험성이 있거나 하는 짓이 어리석음을 조롱하는말. 남한속담 : 고양이에게 생선 맡기기 *벼짚에도 속이 있다.</b> 변변치 않은 것에도 속대가 있는데 하물며 사람에게 대가 없겠느냐는 의미로 사람을 함부로 얕잡아보거나 멸시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 *병에 가득찬 물은 저어도 소리가 안난다.</b> 실제로 아는 것이 많고 머리에 든 것이 많은 사람은 겸손하여 아는 티를 내지 않는다는 뜻. 남한속담 : 물도 반병짜리가 출렁인다. *봄볕에 그슬리면 보던 님도 몰라본다.</b> 따뜻한 봄볕에 그슬리면 까맣게 타서 몰라보게 달라진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봄에는 생말가죽이 마른다.</b> 봄철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가물다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부모가 착해야 효자 난다.</b> 자식들에 대한 교양에서 부모들의 실천적 모범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비단위에 꽃.</b>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겹침을 이르는 말. == 사 == *사과가 되지 말고 토마토가 되라.</b> 사과처럼 안팎이 다르지 말고 토마토와 같이 겉과 속이 같아야 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안팎이 같아야 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산보다 골이 더 크다.</b> 따린 것이 주된 것보다 크거나 더 많음을 비유할 때 쓰이는 말. 남한속담 :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산전수전을 다 겪었다.</b> 세상의 어려운 일을 겪을대로 다 겪는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삼동서 김 한장 먹듯.</b> 김 한장을 세동서가 먹는다는 뜻으로 눈깜박할 사이에 먹어치움을 비겨 이르는 말. 무슨 일을 매우 날쌔게 해치우는 경우에 비겨 이르는 말. *상전이 벽해되어도 비켜설 곳이 있다.</b> 뽕밭이 푸른 바다가 된다 해도 비켜설 곳이 있다는 뜻으로 아무리 큰 재해가 닥쳐오더라도 살아날 희망이 있다는 뜻. 남한속담 :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생감 등때기 같다.</b> 몹시 뻔뻔스럽고 염치없음을 생감의 껍질에 비겨 이르는 말. *서툰 의원이 사람 잡는다.</b> 의술도 없는 의원이 모르면서 아는체 분별없이 행동하다가 사람을 잡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소년 고생은 사서 하랬다.</b> 어린 시절에 어려운 일을 이겨내는 생활체험을 많이 하는 것이 장래를 위하여 아주 귀중한 것이라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소리없는 고양이 쥐잡듯.</b> 고양이가 소리없이 날쌔게 쥐를 잡아채듯이 말없이 솜씨있게 무슨 일을 해치우는 경우를 비겨 이르는 말. *속병에 고약.</b> 속에 병이 들었는데 당치 않게 고약을 바른다는 뜻으로 당치않은 처사를 비겨 이르는 말. *손끝이 거름.</b> 농사에서는 사람의 손이 많이 가서 밭을 잘 가꾸면 그것이 곧 거름을 많이 주는 것처럼 농사를 잘 짓게 하는 요인이라는 뜻. * 숙인 머리 베지 않는다.</b> 잘못을 진실로 뉘우치는 사람은 관대히 용서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아 == *어린아이 병엔 어미만한 의사가 없다.</b>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정성은 그 무엇에도 비길 수 없이 지극하다는 것을 이르는 말. *여름비는 잠비고 가을비는 떡비다.</b> 여름철에 비가 오면 김도 맬수 없기때문에 잠이나 자기 좋고 가을철에 비가 오면 떡이나 쳐먹기 좋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열 놈이 백 소리 해도 듣는 이 짐작.</b> 남에게서 아무리 불명예스러운 말을 듣는다 해도 자기만 청백하면 그만이고 마음쓸 것이 없다는 것을 빗대어 이르는 말. *염통이 곪은 줄은 몰라도 손톱 곪은 줄은 안다.</b> 눈에 보이는 사소한 결함은 알아도 보이지 않는 큰 결함은 모른다는 것을 빗대서 이르는 말. *영계 울고 장다리꽃 피면 밤이 좀 길어진다.</b> 추운 때 깨운 병아리가 자라 엄지닭이 되여 울게 되면 이때쯤은 장다리꽃도 피게 되고 한창 길던 낮도 차차 짧아진다는 것을 이르는 말. *외상이라면 소도 잡아먹는다.</b> 훗날은 생각하지 않고 당장 좋으면 그만이라는 행동을 경계하여 이르는 말. *이마에 땀을 내고 먹어라.</b> 노력한 사람에게 성과가 주어져야 함을 나타내는 뜻으로 주로 놀고 먹는 자를 욕하여 이르는 말. *자가사리가 룡을 건드린다.</b> 도저히 맞서 상대할 수 없는 강한 상대를 멋도 모르고 함부로 건드리는 것을 형상적으로 이르는 말. *잔 잡은 팔이 밖으로 휘지 못한다.</b> 술잔을 잡은 팔이 안으로 구부러져 술을 마시게 마련이라는 의미에서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롭거나 친근해지는 쪽으로 마음이 쏠리기 쉽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팔은 안으로 굽는다. *장님이 외나무다리 건너간다.</b>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이 외나무다리를 용케 건너가듯이 극복하기 어려운 난관을 극복해나가는 경우를 두고 하는 말. *정직한 사람의 자식은 굶어죽지 않는다.</b> 사람이 정직하면 남의 동정과 사랑을 받게 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제앞에 안떨어지는 불은 뜨거운 줄 모른다.</b> 흔히 제가 직접 당한 일이 아니면 아무리 어렵고 곤란한 일도 그 괴로움을 잘 모르기가 일쑤임을 비겨 이르는 말. *집안이 흥하면 손님이 많다.</b> 집안이 화목하고 또 덕망이 높으면 사람들이 찾아오기를 꺼리지 않고 따라서 손님이 많아진다는 뜻. *참새는 굴레를 씌울 수 없어도 호랑이는 길들일 수 있다.</b> 힘은 꾀로 이길 수 있으나 꾀는 힘으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을 빗대어 하는 말. *큰 고기를 낚기 위하여 작은 미끼를 아끼지 말라.</b>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호박씨 까서 한 입에 넣기.</b> 호박씨 까는 식으로 힘들게 조금씩 장만한 물건을 소비할 때는 보람없이 한꺼번에 소비하거나 남에게 몽땅 빼앗기는 경우를 이르는 말. 2898 2004-12-25T05:32:33Z 220.121.51.94 /* 아 */ == 가 == *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을 검다한다. 남보다 잘못이나 결함이 많은 사람이 제 흉은 모르고 남의 잘못이나 흉을 본다는 것을 비유한 말. 남한속담 :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 가까운 집은 깍이고 먼데 절은 비친다.</b> 좋은 사람이라도 늘 접촉하면 그 진가를 알지 못하고 그 반재로 멀리 있는 사람은 직접 잘 모르면서도 과대평가하기 쉽다는 뜻. * 감은 눈 못본다. 눈을 감고 있으면 무엇이나 볼 수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애당초 하려고 하지 않으면 능히 할 수 있는 것도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강한 장수에게는 약졸이 없다. 강한 장수에게는 내버릴 병사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은 누구나 잘 이끌어주면 훌륭해진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 개미가 정자나무 건드린다. 약자가 힘이 센 사람에게 대담하게 맞서나가는 경우에 이르는 말. * 겨울이 다 되어야 솔이 푸르름을 안다. 어려운 때를 당해야 사람의 진가를 알 수 있다는 말. * 고양이 닭알 굴리듯. 무슨 일이나 맵시나고 재간 있게 해나가는 것을 빗대어하는 말. *고양이뿔 외에 다 있다. 재산이나 물건이 없는 것 없이 풍족하게 갖춰졌거나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 비유적으로 하는 말. 남한속담 : 산호랑이 눈썹도 그리울 것 없다. * 고인물도 밟으면 솟구친다. 아무말 없이 가만히 있는 순한 사람도 함부로 건드리거나 얕보면 맞서 반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구운 게도 다리를 떼고 먹으라. 무슨 일이나 앞뒤를 신중히 고려하여 안전하게 행동하라고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남한속담 :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 *까마귀 열두소리 하나도 들을 것 없다. 검은 속마음을 가진 자가 아무리 남을 속이기 위해 별 소리를 다해도 믿을 말은 하나도 없다는 뜻. *깐깐 오월, 미끄럼 유월, 어정 칠월에 건들 팔월이라. 오월부터 팔월까지는 특히 변화가 심하다는 뜻으로 오월은 보리고개의 절정이므로 힘들고 지루하게 지나가고 유월은 밀보리가 나고 모심는데 바빠서 어느새 지나가는지 모르고 칠월은 김이나 매면서 어정거리는 동안에 지나가고보니 어느새 건들바람이 부는 팔월이 되였다는것을 비겨 이르는 말. * 꿀도 약이라면 쓰다. 도움이 되는 것도 권하면 잘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를 두고 이르는 말. == 나 == * 나간사람 몫은 있어도 자는 사람 몫은 없다. 거으른 자, 일하지 않는 자를 돌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용. * 나그네 귀는 석자다. 나그네는 주인의 눈치를 잘 알아차리므로 손님이 있는 데서 그에 대한 말을 함부로 소곤거리지 말라고 이르는 말. * 나비도 밝은 불을 찾아온다. 모든 것이 마음에 드는 곳으로 따라가기 마련이라는 말을 김정일 우상선전에 이용하는 말. *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 내가 허물할 일을 도리어 상대방이 들고 나선다는 뜻. *나중에 꿀 한식기보다 당장에 엿 한가락이 더 달다. 당면한 작은 이득이 먼 장래의 큰 이득보다 마음을 끄는 힘이 더 강하다는 것. *노루도 악이 나면 뒷다리를 문다.</b> 아무리 순한 사람이라도 막다른 지경에 이르면 대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눈엔 익어도 손엔 설다. 눈으로 보면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으나 실제 손을 대 해보면 잘 안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보는데만 그치지 말고 직접 해보면서 익숙해져야 함을 이르는 말. *늙은 말이 콩을 더 달란다.</b> 늙어서 남처럼 일은 못하면서도 명예와 보수를 더 많이 기대하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 다 == *달 보고 짖는 개.</b> 정세나 물정도 모르고 아무런 뜻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부정적으로 비겨 이르는 말. *담배씨로 뒤웅박을 판다.</b> 매우 세밀하고 자질구레하여 어렵고 품이 많이 드는 일을 함을 비겨 이르는 말. 하는 일이 배우 좀스럽고 자질구레함을 비겨 이르는 말. *대가리를 잡으려다 꼬리를 잡는다.</b> 큰 것을 바라다가 겨우 조그마한 성과밖에 이루지 못한 경우를 두고 하는 말. *대구멍으로 하늘 쳐다보기.</b> 사물현상을 전면적으로 넓게 보지 못하고 일면적으로 좁게 보는 것을 이르는 말. *독안에서 푸념.</b> 마음이 옹졸하여 하는 짓이 답답함을 이르는 말. *두꺼비 콩대에 올라 세상이 넓다 한다.</b> 생각하는 것이나 하는 일이 너무 근시안적이고 옹졸한 사람을 이르는 말. == 마 == *매를 꿩으로 본다.</b> 사물현상을 잘 분간하지 못하였음을 이르는 말. 순하지 않은 사람을 순한 사람으로 잘못 보있다는 것을 이르는 말. *며느리보자 손자본다.</b> 며느리를 맞이한 기쁨에 손자까지 생겨 더 기쁘다는 뜻인데 생활의 기쁨이 하나에만 그치지 않고 겹치는 경우에 이르는 말. *명주옷은 사촌까지 덥다.</b> 명주옷이 덥다는 것을 이르는 말. 가까운 친척이 유복하게 살면 그 덕을 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모기다리에서 피 빼먹겠다.</b>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는 아주 적은 것까지도 인색하게 긁어들이는 사람을 욕하는 말. *목수가 많은면 집을 무너뜨린다.</b> 일이 잘 진행 되려면 반드시 옳은 지도자가 있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못입어 잘난 놈 없고 잘입어 못난 놈 없다.</b> 옷을 잘 입으면 누구나 다 잘나보인다는 뜻. 남한속담 : 옷이 날개다. == 바 == *바람부는 날 가루 팔러가듯.</b> 조건이 나쁜 때에 할 수 없는 일을 벌임을 비겨 이르는 말. *받는 소는 찍소리 없이 받는다.</b> 소문없이 일을 해치우는 것을 이컫는 말. *밭 팔아 논은 사도 논 팔아 밭은 사지 말라.</b> 지난날에 밭보다 논이 귀중하다는데서 살림을 늘리려면 좋은 방향에서 늘려나가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범 무서워 산으로 못가랴.</b> 어떠한 곤란이나 난관이 있다 해도 해야 할 일은 반드시 끝을 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남한속담 :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범보고 애 보라기.</b> 믿지 못할 사람에게 중요한 일을 맡긴다는 뜻으로 위험성이 있거나 하는 짓이 어리석음을 조롱하는말. 남한속담 : 고양이에게 생선 맡기기 *벼짚에도 속이 있다.</b> 변변치 않은 것에도 속대가 있는데 하물며 사람에게 대가 없겠느냐는 의미로 사람을 함부로 얕잡아보거나 멸시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 *병에 가득찬 물은 저어도 소리가 안난다.</b> 실제로 아는 것이 많고 머리에 든 것이 많은 사람은 겸손하여 아는 티를 내지 않는다는 뜻. 남한속담 : 물도 반병짜리가 출렁인다. *봄볕에 그슬리면 보던 님도 몰라본다.</b> 따뜻한 봄볕에 그슬리면 까맣게 타서 몰라보게 달라진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봄에는 생말가죽이 마른다.</b> 봄철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가물다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부모가 착해야 효자 난다.</b> 자식들에 대한 교양에서 부모들의 실천적 모범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비단위에 꽃.</b>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겹침을 이르는 말. == 사 == *사과가 되지 말고 토마토가 되라.</b> 사과처럼 안팎이 다르지 말고 토마토와 같이 겉과 속이 같아야 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안팎이 같아야 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산보다 골이 더 크다.</b> 따린 것이 주된 것보다 크거나 더 많음을 비유할 때 쓰이는 말. 남한속담 :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산전수전을 다 겪었다.</b> 세상의 어려운 일을 겪을대로 다 겪는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삼동서 김 한장 먹듯.</b> 김 한장을 세동서가 먹는다는 뜻으로 눈깜박할 사이에 먹어치움을 비겨 이르는 말. 무슨 일을 매우 날쌔게 해치우는 경우에 비겨 이르는 말. *상전이 벽해되어도 비켜설 곳이 있다.</b> 뽕밭이 푸른 바다가 된다 해도 비켜설 곳이 있다는 뜻으로 아무리 큰 재해가 닥쳐오더라도 살아날 희망이 있다는 뜻. 남한속담 :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생감 등때기 같다.</b> 몹시 뻔뻔스럽고 염치없음을 생감의 껍질에 비겨 이르는 말. *서툰 의원이 사람 잡는다.</b> 의술도 없는 의원이 모르면서 아는체 분별없이 행동하다가 사람을 잡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소년 고생은 사서 하랬다.</b> 어린 시절에 어려운 일을 이겨내는 생활체험을 많이 하는 것이 장래를 위하여 아주 귀중한 것이라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소리없는 고양이 쥐잡듯.</b> 고양이가 소리없이 날쌔게 쥐를 잡아채듯이 말없이 솜씨있게 무슨 일을 해치우는 경우를 비겨 이르는 말. *속병에 고약.</b> 속에 병이 들었는데 당치 않게 고약을 바른다는 뜻으로 당치않은 처사를 비겨 이르는 말. *손끝이 거름.</b> 농사에서는 사람의 손이 많이 가서 밭을 잘 가꾸면 그것이 곧 거름을 많이 주는 것처럼 농사를 잘 짓게 하는 요인이라는 뜻. * 숙인 머리 베지 않는다.</b> 잘못을 진실로 뉘우치는 사람은 관대히 용서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아 == *어린아이 병엔 어미만한 의사가 없다.</b>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정성은 그 무엇에도 비길 수 없이 지극하다는 것을 이르는 말. *여름비는 잠비고 가을비는 떡비다.</b> 여름철에 비가 오면 김도 맬수 없기때문에 잠이나 자기 좋고 가을철에 비가 오면 떡이나 쳐먹기 좋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열 놈이 백 소리 해도 듣는 이 짐작.</b> 남에게서 아무리 불명예스러운 말을 듣는다 해도 자기만 청백하면 그만이고 마음쓸 것이 없다는 것을 빗대어 이르는 말. *염통이 곪은 줄은 몰라도 손톱 곪은 줄은 안다.</b> 눈에 보이는 사소한 결함은 알아도 보이지 않는 큰 결함은 모른다는 것을 빗대서 이르는 말. *영계 울고 장다리꽃 피면 밤이 좀 길어진다.</b> 추운 때 깨운 병아리가 자라 엄지닭이 되여 울게 되면 이때쯤은 장다리꽃도 피게 되고 한창 길던 낮도 차차 짧아진다는 것을 이르는 말. *외상이라면 소도 잡아먹는다.</b> 훗날은 생각하지 않고 당장 좋으면 그만이라는 행동을 경계하여 이르는 말. *이마에 땀을 내고 먹어라.</b> 노력한 사람에게 성과가 주어져야 함을 나타내는 뜻으로 주로 놀고 먹는 자를 욕하여 이르는 말. == 자 == *자가사리가 룡을 건드린다.</b> 도저히 맞서 상대할 수 없는 강한 상대를 멋도 모르고 함부로 건드리는 것을 형상적으로 이르는 말. *잔 잡은 팔이 밖으로 휘지 못한다.</b> 술잔을 잡은 팔이 안으로 구부러져 술을 마시게 마련이라는 의미에서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롭거나 친근해지는 쪽으로 마음이 쏠리기 쉽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팔은 안으로 굽는다. *장님이 외나무다리 건너간다.</b>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이 외나무다리를 용케 건너가듯이 극복하기 어려운 난관을 극복해나가는 경우를 두고 하는 말. *정직한 사람의 자식은 굶어죽지 않는다.</b> 사람이 정직하면 남의 동정과 사랑을 받게 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제앞에 안떨어지는 불은 뜨거운 줄 모른다.</b> 흔히 제가 직접 당한 일이 아니면 아무리 어렵고 곤란한 일도 그 괴로움을 잘 모르기가 일쑤임을 비겨 이르는 말. *집안이 흥하면 손님이 많다.</b> 집안이 화목하고 또 덕망이 높으면 사람들이 찾아오기를 꺼리지 않고 따라서 손님이 많아진다는 뜻. == 카 == *참새는 굴레를 씌울 수 없어도 호랑이는 길들일 수 있다.</b> 힘은 꾀로 이길 수 있으나 꾀는 힘으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을 빗대어 하는 말. == 카 == *큰 고기를 낚기 위하여 작은 미끼를 아끼지 말라.</b>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 하 == *호박씨 까서 한 입에 넣기.</b> 호박씨 까는 식으로 힘들게 조금씩 장만한 물건을 소비할 때는 보람없이 한꺼번에 소비하거나 남에게 몽땅 빼앗기는 경우를 이르는 말. 3729 2005-11-28T11:07:18Z PuzzletChung 1 == 가 == *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을 검다한다. 남보다 잘못이나 결함이 많은 사람이 제 흉은 모르고 남의 잘못이나 흉을 본다는 것을 비유한 말. 남한속담 :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 가까운 집은 깍이고 먼데 절은 비친다.</b> 좋은 사람이라도 늘 접촉하면 그 진가를 알지 못하고 그 반재로 멀리 있는 사람은 직접 잘 모르면서도 과대평가하기 쉽다는 뜻. * 감은 눈 못본다. 눈을 감고 있으면 무엇이나 볼 수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애당초 하려고 하지 않으면 능히 할 수 있는 것도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강한 장수에게는 약졸이 없다. 강한 장수에게는 내버릴 병사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은 누구나 잘 이끌어주면 훌륭해진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 개미가 정자나무 건드린다. 약자가 힘이 센 사람에게 대담하게 맞서나가는 경우에 이르는 말. * 겨울이 다 되어야 솔이 푸르름을 안다. 어려운 때를 당해야 사람의 진가를 알 수 있다는 말. * 고양이 닭알 굴리듯. 무슨 일이나 맵시나고 재간 있게 해나가는 것을 빗대어하는 말. *고양이뿔 외에 다 있다. 재산이나 물건이 없는 것 없이 풍족하게 갖춰졌거나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 비유적으로 하는 말. 남한속담 : 산호랑이 눈썹도 그리울 것 없다. * 고인물도 밟으면 솟구친다. 아무말 없이 가만히 있는 순한 사람도 함부로 건드리거나 얕보면 맞서 반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구운 게도 다리를 떼고 먹으라. 무슨 일이나 앞뒤를 신중히 고려하여 안전하게 행동하라고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남한속담 :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 *까마귀 열두소리 하나도 들을 것 없다. 검은 속마음을 가진 자가 아무리 남을 속이기 위해 별 소리를 다해도 믿을 말은 하나도 없다는 뜻. *깐깐 오월, 미끄럼 유월, 어정 칠월에 건들 팔월이라. 오월부터 팔월까지는 특히 변화가 심하다는 뜻으로 오월은 보리고개의 절정이므로 힘들고 지루하게 지나가고 유월은 밀보리가 나고 모심는데 바빠서 어느새 지나가는지 모르고 칠월은 김이나 매면서 어정거리는 동안에 지나가고보니 어느새 건들바람이 부는 팔월이 되였다는것을 비겨 이르는 말. * 꿀도 약이라면 쓰다. 도움이 되는 것도 권하면 잘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를 두고 이르는 말. == 나 == * 나간사람 몫은 있어도 자는 사람 몫은 없다. 거으른 자, 일하지 않는 자를 돌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용. * 나그네 귀는 석자다. 나그네는 주인의 눈치를 잘 알아차리므로 손님이 있는 데서 그에 대한 말을 함부로 소곤거리지 말라고 이르는 말. * 나비도 밝은 불을 찾아온다. 모든 것이 마음에 드는 곳으로 따라가기 마련이라는 말을 김정일 우상선전에 이용하는 말. *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 내가 허물할 일을 도리어 상대방이 들고 나선다는 뜻. *나중에 꿀 한식기보다 당장에 엿 한가락이 더 달다. 당면한 작은 이득이 먼 장래의 큰 이득보다 마음을 끄는 힘이 더 강하다는 것. *노루도 악이 나면 뒷다리를 문다.</b> 아무리 순한 사람이라도 막다른 지경에 이르면 대항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눈엔 익어도 손엔 설다. 눈으로 보면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으나 실제 손을 대 해보면 잘 안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보는데만 그치지 말고 직접 해보면서 익숙해져야 함을 이르는 말. *늙은 말이 콩을 더 달란다.</b> 늙어서 남처럼 일은 못하면서도 명예와 보수를 더 많이 기대하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 다 == *달 보고 짖는 개.</b> 정세나 물정도 모르고 아무런 뜻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부정적으로 비겨 이르는 말. *담배씨로 뒤웅박을 판다.</b> 매우 세밀하고 자질구레하여 어렵고 품이 많이 드는 일을 함을 비겨 이르는 말. 하는 일이 배우 좀스럽고 자질구레함을 비겨 이르는 말. *대가리를 잡으려다 꼬리를 잡는다.</b> 큰 것을 바라다가 겨우 조그마한 성과밖에 이루지 못한 경우를 두고 하는 말. *대구멍으로 하늘 쳐다보기.</b> 사물현상을 전면적으로 넓게 보지 못하고 일면적으로 좁게 보는 것을 이르는 말. *독안에서 푸념.</b> 마음이 옹졸하여 하는 짓이 답답함을 이르는 말. *두꺼비 콩대에 올라 세상이 넓다 한다.</b> 생각하는 것이나 하는 일이 너무 근시안적이고 옹졸한 사람을 이르는 말. == 마 == *매를 꿩으로 본다.</b> 사물현상을 잘 분간하지 못하였음을 이르는 말. 순하지 않은 사람을 순한 사람으로 잘못 보있다는 것을 이르는 말. *며느리보자 손자본다.</b> 며느리를 맞이한 기쁨에 손자까지 생겨 더 기쁘다는 뜻인데 생활의 기쁨이 하나에만 그치지 않고 겹치는 경우에 이르는 말. *명주옷은 사촌까지 덥다.</b> 명주옷이 덥다는 것을 이르는 말. 가까운 친척이 유복하게 살면 그 덕을 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모기다리에서 피 빼먹겠다.</b>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는 아주 적은 것까지도 인색하게 긁어들이는 사람을 욕하는 말. *목수가 많은면 집을 무너뜨린다.</b> 일이 잘 진행 되려면 반드시 옳은 지도자가 있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못입어 잘난 놈 없고 잘입어 못난 놈 없다.</b> 옷을 잘 입으면 누구나 다 잘나보인다는 뜻. 남한속담 : 옷이 날개다. == 바 == *바람부는 날 가루 팔러가듯.</b> 조건이 나쁜 때에 할 수 없는 일을 벌임을 비겨 이르는 말. *받는 소는 찍소리 없이 받는다.</b> 소문없이 일을 해치우는 것을 이컫는 말. *밭 팔아 논은 사도 논 팔아 밭은 사지 말라.</b> 지난날에 밭보다 논이 귀중하다는데서 살림을 늘리려면 좋은 방향에서 늘려나가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범 무서워 산으로 못가랴.</b> 어떠한 곤란이나 난관이 있다 해도 해야 할 일은 반드시 끝을 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남한속담 :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범보고 애 보라기.</b> 믿지 못할 사람에게 중요한 일을 맡긴다는 뜻으로 위험성이 있거나 하는 짓이 어리석음을 조롱하는말. 남한속담 : 고양이에게 생선 맡기기 *벼짚에도 속이 있다.</b> 변변치 않은 것에도 속대가 있는데 하물며 사람에게 대가 없겠느냐는 의미로 사람을 함부로 얕잡아보거나 멸시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 *병에 가득찬 물은 저어도 소리가 안난다.</b> 실제로 아는 것이 많고 머리에 든 것이 많은 사람은 겸손하여 아는 티를 내지 않는다는 뜻. 남한속담 : 물도 반병짜리가 출렁인다. *봄볕에 그슬리면 보던 님도 몰라본다.</b> 따뜻한 봄볕에 그슬리면 까맣게 타서 몰라보게 달라진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봄에는 생말가죽이 마른다.</b> 봄철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가물다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부모가 착해야 효자 난다.</b> 자식들에 대한 교양에서 부모들의 실천적 모범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b> 어떤일의 결과가 전혀 관련이 없는 다른 사람에게 돌려져 감사를 받거나 칭찬을 받는 경우를 놓고 이르는 말. 남한속담 :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챙긴다. *비단위에 꽃.</b>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겹침을 이르는 말. == 사 == *사과가 되지 말고 토마토가 되라.</b> 사과처럼 안팎이 다르지 말고 토마토와 같이 겉과 속이 같아야 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안팎이 같아야 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산보다 골이 더 크다.</b> 따린 것이 주된 것보다 크거나 더 많음을 비유할 때 쓰이는 말. 남한속담 :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산전수전을 다 겪었다.</b> 세상의 어려운 일을 겪을대로 다 겪는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삼동서 김 한장 먹듯.</b> 김 한장을 세동서가 먹는다는 뜻으로 눈깜박할 사이에 먹어치움을 비겨 이르는 말. 무슨 일을 매우 날쌔게 해치우는 경우에 비겨 이르는 말. *상전이 벽해되어도 비켜설 곳이 있다.</b> 뽕밭이 푸른 바다가 된다 해도 비켜설 곳이 있다는 뜻으로 아무리 큰 재해가 닥쳐오더라도 살아날 희망이 있다는 뜻. 남한속담 :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생감 등때기 같다.</b> 몹시 뻔뻔스럽고 염치없음을 생감의 껍질에 비겨 이르는 말. *서툰 의원이 사람 잡는다.</b> 의술도 없는 의원이 모르면서 아는체 분별없이 행동하다가 사람을 잡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소년 고생은 사서 하랬다.</b> 어린 시절에 어려운 일을 이겨내는 생활체험을 많이 하는 것이 장래를 위하여 아주 귀중한 것이라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소리없는 고양이 쥐잡듯.</b> 고양이가 소리없이 날쌔게 쥐를 잡아채듯이 말없이 솜씨있게 무슨 일을 해치우는 경우를 비겨 이르는 말. *속병에 고약.</b> 속에 병이 들었는데 당치 않게 고약을 바른다는 뜻으로 당치않은 처사를 비겨 이르는 말. *손끝이 거름.</b> 농사에서는 사람의 손이 많이 가서 밭을 잘 가꾸면 그것이 곧 거름을 많이 주는 것처럼 농사를 잘 짓게 하는 요인이라는 뜻. * 숙인 머리 베지 않는다.</b> 잘못을 진실로 뉘우치는 사람은 관대히 용서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아 == *어린아이 병엔 어미만한 의사가 없다.</b>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정성은 그 무엇에도 비길 수 없이 지극하다는 것을 이르는 말. *여름비는 잠비고 가을비는 떡비다.</b> 여름철에 비가 오면 김도 맬수 없기때문에 잠이나 자기 좋고 가을철에 비가 오면 떡이나 쳐먹기 좋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열 놈이 백 소리 해도 듣는 이 짐작.</b> 남에게서 아무리 불명예스러운 말을 듣는다 해도 자기만 청백하면 그만이고 마음쓸 것이 없다는 것을 빗대어 이르는 말. *염통이 곪은 줄은 몰라도 손톱 곪은 줄은 안다.</b> 눈에 보이는 사소한 결함은 알아도 보이지 않는 큰 결함은 모른다는 것을 빗대서 이르는 말. *영계 울고 장다리꽃 피면 밤이 좀 길어진다.</b> 추운 때 깨운 병아리가 자라 엄지닭이 되여 울게 되면 이때쯤은 장다리꽃도 피게 되고 한창 길던 낮도 차차 짧아진다는 것을 이르는 말. *외상이라면 소도 잡아먹는다.</b> 훗날은 생각하지 않고 당장 좋으면 그만이라는 행동을 경계하여 이르는 말. *이마에 땀을 내고 먹어라.</b> 노력한 사람에게 성과가 주어져야 함을 나타내는 뜻으로 주로 놀고 먹는 자를 욕하여 이르는 말. == 자 == *자가사리가 룡을 건드린다.</b> 도저히 맞서 상대할 수 없는 강한 상대를 멋도 모르고 함부로 건드리는 것을 형상적으로 이르는 말. *잔 잡은 팔이 밖으로 휘지 못한다.</b> 술잔을 잡은 팔이 안으로 구부러져 술을 마시게 마련이라는 의미에서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롭거나 친근해지는 쪽으로 마음이 쏠리기 쉽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남한속담 : 팔은 안으로 굽는다. *장님이 외나무다리 건너간다.</b>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이 외나무다리를 용케 건너가듯이 극복하기 어려운 난관을 극복해나가는 경우를 두고 하는 말. *정직한 사람의 자식은 굶어죽지 않는다.</b> 사람이 정직하면 남의 동정과 사랑을 받게 된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제앞에 안떨어지는 불은 뜨거운 줄 모른다.</b> 흔히 제가 직접 당한 일이 아니면 아무리 어렵고 곤란한 일도 그 괴로움을 잘 모르기가 일쑤임을 비겨 이르는 말. *집안이 흥하면 손님이 많다.</b> 집안이 화목하고 또 덕망이 높으면 사람들이 찾아오기를 꺼리지 않고 따라서 손님이 많아진다는 뜻. == 카 == *참새는 굴레를 씌울 수 없어도 호랑이는 길들일 수 있다.</b> 힘은 꾀로 이길 수 있으나 꾀는 힘으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을 빗대어 하는 말. == 카 == *큰 고기를 낚기 위하여 작은 미끼를 아끼지 말라.</b> 큰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쯤은 희생시키며 대담하게 행동해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 하 == *호박씨 까서 한 입에 넣기.</b> 호박씨 까는 식으로 힘들게 조금씩 장만한 물건을 소비할 때는 보람없이 한꺼번에 소비하거나 남에게 몽땅 빼앗기는 경우를 이르는 말. [[분류:격언]] 이누야사 925 2900 2004-12-25T05:42:37Z 220.121.51.94 카고메: 사혼의 조각, 돌려 주러 가야지.. 하지만... 싫어 ! 무서워 ! 이걸 건네 줘 버리면... 더 이상 이누야샤랑은 만날 수 없어 ! 이누야샤: 미안해, 카고메.. 나는.. 키쿄우와 함께 할거야. 카고메: 듣고 싶지 않아!! 그런 말은... 키쿄우.. 키쿄우따위, 꺼져 버렸으면 좋을텐데!! 나... 이렇게나 못 된 애였나? 나.. 지금 틀림없이 무지하게 못 된 얼굴을 하고 있을 거야... 이런 얼굴로 이누야샤를 만날 수는 없어.. 사혼의 조각이...신목(神木)..!!! 그래, 이 나무... 이거... 이누야샤가 봉인되어 있던 나무였지.. 500년 전에.. 나... 여기서 처음으로 이누야샤를 만났어.. 이누야샤 3기 극장판 천하패도의검에서 셋쇼마루 : 가시는 겁니까? 아버님. 투아왕 : 말리는 건가? 셋쇼마루. 셋쇼마루 : 말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가시기전에 송곳니를.. 소오운가(叢雲牙.총운아)와 텟사이가(鐵鎖牙.철쇄아)를... 이 셋쇼마루에게 주고 가십시오. 투아왕 : "줄 수 없다."고 하면 이 아버지를 죽이겠는가? 셋쇼마루 : ... 투아왕 : 그렇게도 힘이 필요한가? 어찌 너는 힘을 필요로 하는가? 셋쇼마루 : 제가 가야할 길을 패도(覇道). 힘이야 말로 그 길을 열 수 있습니다. 투아왕 : 패도...라... 셋쇼마루여, 네게 지켜야 할 것은 있는가? 셋쇼마루 : 지켜야 할 것? 그런 것은.... 이 셋쇼마루에겐 필요 없습니다. ---- 투아왕 : 이누야샤. 세츠나 타케마루 : 뭐라고? 투아왕 : 아이 이름이다. 그 아이 이름은 이누야샤. 이자요이 : 이누야샤.. 투아왕 : 빨리 가거라. 이자요이 : 예. 투아왕 : 이자요이..계속 살아남아야 한다. 그 이누야샤와 함께.. ---- "셋쇼마루여, 어찌 너는 힘을 원하는 가?" 아버님. 저는 최강자인 당신을 쓰러뜨리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아버님은 인간 여자와 이누야샤 따위를 위해서 돌아가셨어. 이 셋쇼마루가 싸워서 쓰러뜨려야 했던 최강의 존재를.. 이누야샤..너희들 모자가 비참하게 죽게 만들었다. ---- 카고메 : 이누야샤는 지금까지 아버지에 대한 말을 하려하지 않았어. "왜?"라고 물으니까 "얼굴도 모르니까." 라고 했어. 하지만...그렇다면 왜 "아버지 검..아버지 검" 이라고 집착하는 건데? 왜 혼자서 해결하려고 하는 거야? 미로쿠 : 남자라는 건 그런 겁니다. 아버지 존재가 언제나 머리를 짓누르고 있어서 뭐랄까...이렇게 답답한 것입니다. 아버지가 할 수 있던 건 나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언젠가는 아버지를 뛰어넘고 말거야. 결국 아버지를 기준으로 생각하는 겁니다. 싯포 : 그럼 아버지가 너무 훌륭하면 힘들겠구나. 미로쿠 : 뭐, 그렇지. ---- 켁...아버님 얼굴도 모르면서..라.. 넌 좋겠다. 셋쇼마루. 아버지 얼굴을 아니까.. 아버지와 말을 한적이 있으니까... ---- 이누야샤 : 너희들. 미로쿠 : 당황하는 것 아닙니까? 이누야샤. 이누야샤 : 쓸데없는 짓하지마. 싯포 : 섭섭하잖아. 이누야샤! 이누야샤 : 너희들한텐 상관없잖아!! 산고 : 그래! 관계 같은 건 없어! 하지만..우리는 동료잖아. ---- 미로쿠 : 이젠 카자아나(風穴.풍혈)로 해치우겠습니다. 자, 빨리! 산고 : 법사님. 카자아나는... 미로쿠 : 모두들 이제 한계잖아요. 그리고 사랑하는 여자를 위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이런 게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산고 : 법사님... ---- 세츠나 타케마루 : 요괴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누야샤 : 당연하지. 난 반요야. 어떤 생물보다고 자아가 강하고 욕망은 끝없는.... 그것이 인간이라며. 그런 피가 흐르고 있는 나니까 포기 못 한다고! 그리고 말이야. 인간이란 건 지켜야 할 것이 있으면 그 힘은 몇배나 부풀어 커진다고! 덕분에 널 죽일 수 있어. 어머니한테 감사하지. ---- 이자요이 : 타케마루.. 타케마루 : 이자요이.. 이자요이 : 조금이라도 빨리 떠나거라. "조금이라도 빨리 밖에 병사들과 함께 떠나거라." 타케마루 : 이자요이님... 당신은.. 당신을 죽이고 싶지 않습니다. 날 지키려 했었어.. 소오운가 : 타케마루..왜 그런가? 타케마루. 타케마루 : 생각 났어.. 난 이자요이님을 미워하진 않았다.. 계속 이자요이님을.. 이자요이님을... ---- 셋쇼마루 : 방해하지마! 미로쿠 : 나는 셋쇼마루가 이누야샤를 감싸준 거처럼 보였는데.. 산고 : 응.. ---- 이누야샤 : 어쩌고 저쩌고 시끄럽단 말이야! 난 지켜야 할 것이 있어. 그러니까 절대로 포기하지 않아! 셋쇼마루 : (텐세이가...) "네게 지켜야 할 것이 있는가?"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네게 지켜야 할 것이 있는가?" 셋쇼마루 : 지킬 것이라고? 이 셋쇼마루.. 지킬 것 따위...없다! ---- 셋쇼마루 : (아버님....) 소운가칼집, 묘오가, 토토사이 : 대장님.! 이누야샤 : 아버지라고? 저게? 투아왕 : 셋쇼마루, 이누야샤. 둘 다 드디어 답을 찾았구나. 이제 소오운가는 영원히 저승에 봉인 되었다. 이제 너희들에게 남길 말은 없다. 이누야샤 : 아버지! 셋쇼마루 : (아버님..) 소오운가칼집 : 대장님은 두 아드님을 믿고서 모든 것을 밑기셨구나. 이누야샤 : 무슨 말인데? 소오운가칼집 : 재난의 검. 소오운가를 봉하기 위해서는 저승의 문이 열린 그 때가 유일한 기회. 그리고 그것은 텟사이가와 텐세이가의 힘을 합쳤을 때 처음으로 가능하지. 대장님은 그리 원하셨던 것이지. 이누야샤 : 켁, 태평스럽군. 셋쇼마루 : 시시하군. ---- 카고메 : 아. 맞다. 이누야샤 일어나 봐. 이누야샤 : 뭐야? 카고메 : 좋은 것 줄테니까. 이누야샤 : 귀찮아.. 카고메 : 부탁이야. 잠깐 눈 감아 봐 봐. 이누야샤 : 쳇. 좋아. 이누야샤 : 응? 으와~! 뭐야? 이건. 코토다마의 염주잖아. 너 지금 좋은 거라고 했잖아. 카고메 : 너, 지금 야한 생각했지? 이누야샤 : 무....무슨? 카고메 : 역시. 이누야샤 : 이제 이런것 필요 없잖아. 날 안 믿는 거야? 카고메 : 믿어. 하지만 또 혼자 어디 가버리면 싫잖아. 이누야샤 : 안 가. 이누야샤 : 빼줘! 카고메 : 싫어! 이누야샤 : 빼줘~~ 카고메 : 오 스 와 리 ♡ ---- 소운가칼집 : 아버님이 가지고 계시던 텟사이가, 텐세이가, 소오운가는 천하패도의 세검이라고 불리고 그 힘은 삼계를 지배한다고 했지. 카고메 : 삼계? 미로쿠 :삼계라는 건 천(天), 지(地),인(人)의 세가지 세상을 말하는 겁니다. 천계(天界)란 건 즉, 석가모니와 하나님이 계시는 곳. 지계(地界)란 건 저승, 저 세상을 말하고 인계(人界)란 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을 말합니다. 소운가칼집 : 세 검은 각각 세계로 대응하고 있어서 말이지. 천(天)의 텐세이가(天生牙)는 한번 휘두르면 백의 목숨을 살릴 수 있다. 지(地)의 소오운가(叢雲牙)는 명계를 열고 한번 휘두르면 백의 망자를 되살릴 수 있다. 사람을 지켜주는 칼 텟사이가(鐵鎖牙)는 한번 휘두르면 백의 적을 쳐버린다. 산고 : 그것 전부 이누야샤의 아버님이 가지고 계셨구나. 싯포 : 욕심쟁이로군. 3612 2005-11-02T01:50:36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카고메: 사혼의 조각, 돌려 주러 가야지.. 하지만... 싫어 ! 무서워 ! 이걸 건네 줘 버리면... 더 이상 이누야샤랑은 만날 수 없어 ! 이누야샤: 미안해, 카고메.. 나는.. 키쿄우와 함께 할거야. 카고메: 듣고 싶지 않아!! 그런 말은... 키쿄우.. 키쿄우따위, 꺼져 버렸으면 좋을텐데!! 나... 이렇게나 못 된 애였나? 나.. 지금 틀림없이 무지하게 못 된 얼굴을 하고 있을 거야... 이런 얼굴로 이누야샤를 만날 수는 없어.. 사혼의 조각이...신목(神木)..!!! 그래, 이 나무... 이거... 이누야샤가 봉인되어 있던 나무였지.. 500년 전에.. 나... 여기서 처음으로 이누야샤를 만났어.. 이누야샤 3기 극장판 천하패도의검에서 셋쇼마루 : 가시는 겁니까? 아버님. 투아왕 : 말리는 건가? 셋쇼마루. 셋쇼마루 : 말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가시기전에 송곳니를.. 소오운가(叢雲牙.총운아)와 텟사이가(鐵鎖牙.철쇄아)를... 이 셋쇼마루에게 주고 가십시오. 투아왕 : "줄 수 없다."고 하면 이 아버지를 죽이겠는가? 셋쇼마루 : ... 투아왕 : 그렇게도 힘이 필요한가? 어찌 너는 힘을 필요로 하는가? 셋쇼마루 : 제가 가야할 길을 패도(覇道). 힘이야 말로 그 길을 열 수 있습니다. 투아왕 : 패도...라... 셋쇼마루여, 네게 지켜야 할 것은 있는가? 셋쇼마루 : 지켜야 할 것? 그런 것은.... 이 셋쇼마루에겐 필요 없습니다. ---- 투아왕 : 이누야샤. 세츠나 타케마루 : 뭐라고? 투아왕 : 아이 이름이다. 그 아이 이름은 이누야샤. 이자요이 : 이누야샤.. 투아왕 : 빨리 가거라. 이자요이 : 예. 투아왕 : 이자요이..계속 살아남아야 한다. 그 이누야샤와 함께.. ---- "셋쇼마루여, 어찌 너는 힘을 원하는 가?" 아버님. 저는 최강자인 당신을 쓰러뜨리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아버님은 인간 여자와 이누야샤 따위를 위해서 돌아가셨어. 이 셋쇼마루가 싸워서 쓰러뜨려야 했던 최강의 존재를.. 이누야샤..너희들 모자가 비참하게 죽게 만들었다. ---- 카고메 : 이누야샤는 지금까지 아버지에 대한 말을 하려하지 않았어. "왜?"라고 물으니까 "얼굴도 모르니까." 라고 했어. 하지만...그렇다면 왜 "아버지 검..아버지 검" 이라고 집착하는 건데? 왜 혼자서 해결하려고 하는 거야? 미로쿠 : 남자라는 건 그런 겁니다. 아버지 존재가 언제나 머리를 짓누르고 있어서 뭐랄까...이렇게 답답한 것입니다. 아버지가 할 수 있던 건 나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언젠가는 아버지를 뛰어넘고 말거야. 결국 아버지를 기준으로 생각하는 겁니다. 싯포 : 그럼 아버지가 너무 훌륭하면 힘들겠구나. 미로쿠 : 뭐, 그렇지. ---- 켁...아버님 얼굴도 모르면서..라.. 넌 좋겠다. 셋쇼마루. 아버지 얼굴을 아니까.. 아버지와 말을 한적이 있으니까... ---- 이누야샤 : 너희들. 미로쿠 : 당황하는 것 아닙니까? 이누야샤. 이누야샤 : 쓸데없는 짓하지마. 싯포 : 섭섭하잖아. 이누야샤! 이누야샤 : 너희들한텐 상관없잖아!! 산고 : 그래! 관계 같은 건 없어! 하지만..우리는 동료잖아. ---- 미로쿠 : 이젠 카자아나(風穴.풍혈)로 해치우겠습니다. 자, 빨리! 산고 : 법사님. 카자아나는... 미로쿠 : 모두들 이제 한계잖아요. 그리고 사랑하는 여자를 위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이런 게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산고 : 법사님... ---- 세츠나 타케마루 : 요괴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누야샤 : 당연하지. 난 반요야. 어떤 생물보다고 자아가 강하고 욕망은 끝없는.... 그것이 인간이라며. 그런 피가 흐르고 있는 나니까 포기 못 한다고! 그리고 말이야. 인간이란 건 지켜야 할 것이 있으면 그 힘은 몇배나 부풀어 커진다고! 덕분에 널 죽일 수 있어. 어머니한테 감사하지. ---- 이자요이 : 타케마루.. 타케마루 : 이자요이.. 이자요이 : 조금이라도 빨리 떠나거라. "조금이라도 빨리 밖에 병사들과 함께 떠나거라." 타케마루 : 이자요이님... 당신은.. 당신을 죽이고 싶지 않습니다. 날 지키려 했었어.. 소오운가 : 타케마루..왜 그런가? 타케마루. 타케마루 : 생각 났어.. 난 이자요이님을 미워하진 않았다.. 계속 이자요이님을.. 이자요이님을... ---- 셋쇼마루 : 방해하지마! 미로쿠 : 나는 셋쇼마루가 이누야샤를 감싸준 거처럼 보였는데.. 산고 : 응.. ---- 이누야샤 : 어쩌고 저쩌고 시끄럽단 말이야! 난 지켜야 할 것이 있어. 그러니까 절대로 포기하지 않아! 셋쇼마루 : (텐세이가...) "네게 지켜야 할 것이 있는가?"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네게 지켜야 할 것이 있는가?" 셋쇼마루 : 지킬 것이라고? 이 셋쇼마루.. 지킬 것 따위...없다! ---- 셋쇼마루 : (아버님....) 소운가칼집, 묘오가, 토토사이 : 대장님.! 이누야샤 : 아버지라고? 저게? 투아왕 : 셋쇼마루, 이누야샤. 둘 다 드디어 답을 찾았구나. 이제 소오운가는 영원히 저승에 봉인 되었다. 이제 너희들에게 남길 말은 없다. 이누야샤 : 아버지! 셋쇼마루 : (아버님..) 소오운가칼집 : 대장님은 두 아드님을 믿고서 모든 것을 밑기셨구나. 이누야샤 : 무슨 말인데? 소오운가칼집 : 재난의 검. 소오운가를 봉하기 위해서는 저승의 문이 열린 그 때가 유일한 기회. 그리고 그것은 텟사이가와 텐세이가의 힘을 합쳤을 때 처음으로 가능하지. 대장님은 그리 원하셨던 것이지. 이누야샤 : 켁, 태평스럽군. 셋쇼마루 : 시시하군. ---- 카고메 : 아. 맞다. 이누야샤 일어나 봐. 이누야샤 : 뭐야? 카고메 : 좋은 것 줄테니까. 이누야샤 : 귀찮아.. 카고메 : 부탁이야. 잠깐 눈 감아 봐 봐. 이누야샤 : 쳇. 좋아. 이누야샤 : 응? 으와~! 뭐야? 이건. 코토다마의 염주잖아. 너 지금 좋은 거라고 했잖아. 카고메 : 너, 지금 야한 생각했지? 이누야샤 : 무....무슨? 카고메 : 역시. 이누야샤 : 이제 이런것 필요 없잖아. 날 안 믿는 거야? 카고메 : 믿어. 하지만 또 혼자 어디 가버리면 싫잖아. 이누야샤 : 안 가. 이누야샤 : 빼줘! 카고메 : 싫어! 이누야샤 : 빼줘~~ 카고메 : 오 스 와 리 ♡ ---- 소운가칼집 : 아버님이 가지고 계시던 텟사이가, 텐세이가, 소오운가는 천하패도의 세검이라고 불리고 그 힘은 삼계를 지배한다고 했지. 카고메 : 삼계? 미로쿠 :삼계라는 건 천(天), 지(地),인(人)의 세가지 세상을 말하는 겁니다. 천계(天界)란 건 즉, 석가모니와 하나님이 계시는 곳. 지계(地界)란 건 저승, 저 세상을 말하고 인계(人界)란 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을 말합니다. 소운가칼집 : 세 검은 각각 세계로 대응하고 있어서 말이지. 천(天)의 텐세이가(天生牙)는 한번 휘두르면 백의 목숨을 살릴 수 있다. 지(地)의 소오운가(叢雲牙)는 명계를 열고 한번 휘두르면 백의 망자를 되살릴 수 있다. 사람을 지켜주는 칼 텟사이가(鐵鎖牙)는 한번 휘두르면 백의 적을 쳐버린다. 산고 : 그것 전부 이누야샤의 아버님이 가지고 계셨구나. 싯포 : 욕심쟁이로군. [[분류:만화]] 3727 2005-11-28T11:06:30Z PuzzletChung 1 [[이누야사명대사]] moved to [[이누야사]] {{공정사용}} 카고메: 사혼의 조각, 돌려 주러 가야지.. 하지만... 싫어 ! 무서워 ! 이걸 건네 줘 버리면... 더 이상 이누야샤랑은 만날 수 없어 ! 이누야샤: 미안해, 카고메.. 나는.. 키쿄우와 함께 할거야. 카고메: 듣고 싶지 않아!! 그런 말은... 키쿄우.. 키쿄우따위, 꺼져 버렸으면 좋을텐데!! 나... 이렇게나 못 된 애였나? 나.. 지금 틀림없이 무지하게 못 된 얼굴을 하고 있을 거야... 이런 얼굴로 이누야샤를 만날 수는 없어.. 사혼의 조각이...신목(神木)..!!! 그래, 이 나무... 이거... 이누야샤가 봉인되어 있던 나무였지.. 500년 전에.. 나... 여기서 처음으로 이누야샤를 만났어.. 이누야샤 3기 극장판 천하패도의검에서 셋쇼마루 : 가시는 겁니까? 아버님. 투아왕 : 말리는 건가? 셋쇼마루. 셋쇼마루 : 말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가시기전에 송곳니를.. 소오운가(叢雲牙.총운아)와 텟사이가(鐵鎖牙.철쇄아)를... 이 셋쇼마루에게 주고 가십시오. 투아왕 : "줄 수 없다."고 하면 이 아버지를 죽이겠는가? 셋쇼마루 : ... 투아왕 : 그렇게도 힘이 필요한가? 어찌 너는 힘을 필요로 하는가? 셋쇼마루 : 제가 가야할 길을 패도(覇道). 힘이야 말로 그 길을 열 수 있습니다. 투아왕 : 패도...라... 셋쇼마루여, 네게 지켜야 할 것은 있는가? 셋쇼마루 : 지켜야 할 것? 그런 것은.... 이 셋쇼마루에겐 필요 없습니다. ---- 투아왕 : 이누야샤. 세츠나 타케마루 : 뭐라고? 투아왕 : 아이 이름이다. 그 아이 이름은 이누야샤. 이자요이 : 이누야샤.. 투아왕 : 빨리 가거라. 이자요이 : 예. 투아왕 : 이자요이..계속 살아남아야 한다. 그 이누야샤와 함께.. ---- "셋쇼마루여, 어찌 너는 힘을 원하는 가?" 아버님. 저는 최강자인 당신을 쓰러뜨리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아버님은 인간 여자와 이누야샤 따위를 위해서 돌아가셨어. 이 셋쇼마루가 싸워서 쓰러뜨려야 했던 최강의 존재를.. 이누야샤..너희들 모자가 비참하게 죽게 만들었다. ---- 카고메 : 이누야샤는 지금까지 아버지에 대한 말을 하려하지 않았어. "왜?"라고 물으니까 "얼굴도 모르니까." 라고 했어. 하지만...그렇다면 왜 "아버지 검..아버지 검" 이라고 집착하는 건데? 왜 혼자서 해결하려고 하는 거야? 미로쿠 : 남자라는 건 그런 겁니다. 아버지 존재가 언제나 머리를 짓누르고 있어서 뭐랄까...이렇게 답답한 것입니다. 아버지가 할 수 있던 건 나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언젠가는 아버지를 뛰어넘고 말거야. 결국 아버지를 기준으로 생각하는 겁니다. 싯포 : 그럼 아버지가 너무 훌륭하면 힘들겠구나. 미로쿠 : 뭐, 그렇지. ---- 켁...아버님 얼굴도 모르면서..라.. 넌 좋겠다. 셋쇼마루. 아버지 얼굴을 아니까.. 아버지와 말을 한적이 있으니까... ---- 이누야샤 : 너희들. 미로쿠 : 당황하는 것 아닙니까? 이누야샤. 이누야샤 : 쓸데없는 짓하지마. 싯포 : 섭섭하잖아. 이누야샤! 이누야샤 : 너희들한텐 상관없잖아!! 산고 : 그래! 관계 같은 건 없어! 하지만..우리는 동료잖아. ---- 미로쿠 : 이젠 카자아나(風穴.풍혈)로 해치우겠습니다. 자, 빨리! 산고 : 법사님. 카자아나는... 미로쿠 : 모두들 이제 한계잖아요. 그리고 사랑하는 여자를 위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이런 게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산고 : 법사님... ---- 세츠나 타케마루 : 요괴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누야샤 : 당연하지. 난 반요야. 어떤 생물보다고 자아가 강하고 욕망은 끝없는.... 그것이 인간이라며. 그런 피가 흐르고 있는 나니까 포기 못 한다고! 그리고 말이야. 인간이란 건 지켜야 할 것이 있으면 그 힘은 몇배나 부풀어 커진다고! 덕분에 널 죽일 수 있어. 어머니한테 감사하지. ---- 이자요이 : 타케마루.. 타케마루 : 이자요이.. 이자요이 : 조금이라도 빨리 떠나거라. "조금이라도 빨리 밖에 병사들과 함께 떠나거라." 타케마루 : 이자요이님... 당신은.. 당신을 죽이고 싶지 않습니다. 날 지키려 했었어.. 소오운가 : 타케마루..왜 그런가? 타케마루. 타케마루 : 생각 났어.. 난 이자요이님을 미워하진 않았다.. 계속 이자요이님을.. 이자요이님을... ---- 셋쇼마루 : 방해하지마! 미로쿠 : 나는 셋쇼마루가 이누야샤를 감싸준 거처럼 보였는데.. 산고 : 응.. ---- 이누야샤 : 어쩌고 저쩌고 시끄럽단 말이야! 난 지켜야 할 것이 있어. 그러니까 절대로 포기하지 않아! 셋쇼마루 : (텐세이가...) "네게 지켜야 할 것이 있는가?"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셋쇼마루님." "네게 지켜야 할 것이 있는가?" 셋쇼마루 : 지킬 것이라고? 이 셋쇼마루.. 지킬 것 따위...없다! ---- 셋쇼마루 : (아버님....) 소운가칼집, 묘오가, 토토사이 : 대장님.! 이누야샤 : 아버지라고? 저게? 투아왕 : 셋쇼마루, 이누야샤. 둘 다 드디어 답을 찾았구나. 이제 소오운가는 영원히 저승에 봉인 되었다. 이제 너희들에게 남길 말은 없다. 이누야샤 : 아버지! 셋쇼마루 : (아버님..) 소오운가칼집 : 대장님은 두 아드님을 믿고서 모든 것을 밑기셨구나. 이누야샤 : 무슨 말인데? 소오운가칼집 : 재난의 검. 소오운가를 봉하기 위해서는 저승의 문이 열린 그 때가 유일한 기회. 그리고 그것은 텟사이가와 텐세이가의 힘을 합쳤을 때 처음으로 가능하지. 대장님은 그리 원하셨던 것이지. 이누야샤 : 켁, 태평스럽군. 셋쇼마루 : 시시하군. ---- 카고메 : 아. 맞다. 이누야샤 일어나 봐. 이누야샤 : 뭐야? 카고메 : 좋은 것 줄테니까. 이누야샤 : 귀찮아.. 카고메 : 부탁이야. 잠깐 눈 감아 봐 봐. 이누야샤 : 쳇. 좋아. 이누야샤 : 응? 으와~! 뭐야? 이건. 코토다마의 염주잖아. 너 지금 좋은 거라고 했잖아. 카고메 : 너, 지금 야한 생각했지? 이누야샤 : 무....무슨? 카고메 : 역시. 이누야샤 : 이제 이런것 필요 없잖아. 날 안 믿는 거야? 카고메 : 믿어. 하지만 또 혼자 어디 가버리면 싫잖아. 이누야샤 : 안 가. 이누야샤 : 빼줘! 카고메 : 싫어! 이누야샤 : 빼줘~~ 카고메 : 오 스 와 리 ♡ ---- 소운가칼집 : 아버님이 가지고 계시던 텟사이가, 텐세이가, 소오운가는 천하패도의 세검이라고 불리고 그 힘은 삼계를 지배한다고 했지. 카고메 : 삼계? 미로쿠 :삼계라는 건 천(天), 지(地),인(人)의 세가지 세상을 말하는 겁니다. 천계(天界)란 건 즉, 석가모니와 하나님이 계시는 곳. 지계(地界)란 건 저승, 저 세상을 말하고 인계(人界)란 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을 말합니다. 소운가칼집 : 세 검은 각각 세계로 대응하고 있어서 말이지. 천(天)의 텐세이가(天生牙)는 한번 휘두르면 백의 목숨을 살릴 수 있다. 지(地)의 소오운가(叢雲牙)는 명계를 열고 한번 휘두르면 백의 망자를 되살릴 수 있다. 사람을 지켜주는 칼 텟사이가(鐵鎖牙)는 한번 휘두르면 백의 적을 쳐버린다. 산고 : 그것 전부 이누야샤의 아버님이 가지고 계셨구나. 싯포 : 욕심쟁이로군. [[분류:만화]] 아프리카명언 926 2901 2004-12-25T20:59:32Z 220.121.51.94 == 가 == == 나 == == 다 == == 라 == == 마 == == 바 == == 사 == *사람들의 점검 과정이 끝난 기계만 받아들여야 한다. (줄리어스 니에레레 전(前) 탄자니아 대통령) == 아 == == 자 == *저는 백인들의 지배에 대항해 싸워왔고 또 흑인들의 지배에 대해서도 싸워 왔습니다. (넬슨 만델라 전(前) 남아프리카 대통령) == 차 == == 카 == == 파 == == 하 == 4284 2006-06-24T18:02:22Z Truelight 38 [[분류:격언]] == 가 == == 나 == == 다 == == 라 == == 마 == == 바 == == 사 == *사람들의 점검 과정이 끝난 기계만 받아들여야 한다. (줄리어스 니에레레 전(前) 탄자니아 대통령) == 아 == == 자 == *저는 백인들의 지배에 대항해 싸워왔고 또 흑인들의 지배에 대해서도 싸워 왔습니다. (넬슨 만델라 전(前) 남아프리카 대통령) == 차 == == 카 == == 파 == == 하 == [[분류:격언]] 팝송 927 935 2004-12-25T23:31:48Z 220.121.51.94 == A == * [[About You]]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960 2004-12-26T06:23:46Z 220.121.51.94 /* A */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961 2004-12-30T04:52:27Z 220.121.51.94 /* A */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965 2004-12-31T12:10:18Z 220.121.51.94 /* A */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Adventures In A Yorkshire Landscape]]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974 2005-01-03T00:47:08Z 220.121.51.94 /* A */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Adventures In A Yorkshire Landscape]] * [[Aeroplane Head Woman]]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977 2005-01-07T06:22:04Z 220.121.51.94 /* A */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Adventures In A Yorkshire Landscape]] * [[Aeroplane Head Woman]] * [[Afterglow Of Your Love]]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1035 2005-01-12T10:10:50Z 220.121.51.94 /* A */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Adventures In A Yorkshire Landscape]] * [[Aeroplane Head Woman]] * [[Afterglow Of Your Love]] * [[Afternoons & Coffeespoons]]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1036 2005-04-22T06:46:03Z 220.79.45.169 /* A */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Adventures In A Yorkshire Landscape]] * [[Aeroplane Head Woman]] * [[Afterglow Of Your Love]] * [[Afternoons & Coffeespoons]] * [[Ain't It Hard]]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1037 2005-04-22T06:47:45Z 220.79.45.169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Adventures In A Yorkshire Landscape]] * [[Aeroplane Head Woman]] * [[Afterglow Of Your Love]] * [[Afternoons & Coffeespoons]] * [[Ain't It Hard]]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 읽어보기 == {{위키책방}} 2902 2005-04-22T06:48:15Z 220.79.45.169 /* 읽어보기 */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Adventures In A Yorkshire Landscape]] * [[Aeroplane Head Woman]] * [[Afterglow Of Your Love]] * [[Afternoons & Coffeespoons]] * [[Ain't It Hard]]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 읽어보기 == {{위키책방}} {{위키백과사전}} 4128 2006-02-19T09:47:18Z 217.225.121.174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Adventures In A Yorkshire Landscape]] * [[Aeroplane Head Woman]] * [[Afterglow Of Your Love]] * [[Afternoons & Coffeespoons]] * [[Ain't It Hard]]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 읽어보기 == 4130 2006-02-19T09:47:40Z 217.225.121.174 == A == * [[About You]] * [[Across The Universe]] * [[Across The Windowsill]] * [[Adventures In A Yorkshire Landscape]] * [[Aeroplane Head Woman]] * [[Afterglow Of Your Love]] * [[Afternoons & Coffeespoons]] * [[Ain't It Hard]] == B == == C == == D == == E == == F == == G == == H == == I == == J == == K == == L == == M == == N == == P == == Q == == R == == S == == T == == U == == V == == W == == X == == Y == == Z == == 읽어보기 == {{위키책방}} {{위키백과사전}} 공포영화 930 954 2004-12-26T23:37:58Z 220.121.51.94 == 가 == == 나 == == 다 == == 라 == == 마 == == 바 == == 사 == == 아 == == 자 == == 차 == == 카 == == 타 == == 파 == == 하 == 2905 2004-12-29T08:21:58Z 220.121.51.94 /* 바 */ == 가 == == 나 == == 다 == == 라 == == 마 == == 바 == * [[빌리지]] == 사 == == 아 == == 자 == == 차 == == 카 == == 타 == == 파 == == 하 == 4281 2006-06-24T17:58:55Z Truelight 38 [[분류:영화]] == 가 == == 나 == == 다 == == 라 == == 마 == == 바 == * [[빌리지]] == 사 == == 아 == == 자 == == 차 == == 카 == == 타 == == 파 == == 하 == [[분류:영화]] 백 투 더 퓨쳐 932 941 2004-12-27T00:16:28Z 220.121.51.94 == 1탄의 첫번째부터 마티가 1955년으로 가는곳 까지의 대사 == 라디오 광고 : ....재고 정리의 달 10월을 맞아 여러분의 스테이틀러 토요타 상사는 1985년 전 토요타 모델을 파격적인 가격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힐 밸리에서도 토요타만큼 품질 좋고 서비스 좋고 가격 좋은 차를 발견하실 수는 없을 것입니다. 힐 밸리 1번가의 스테이틀러 토요타 상사를 많이 찾아 주시기 바랍니다. TV 뉴스 : ....상원은 오늘 이 안건을 표결에 붙일 예정입니다. 다음 뉴스....태평양 핵 연구소 간부들은 2주일 전 연구소에서 없어진 한 상자분의 플루토늄이 실제로 보관실로부터 도난당한 것이라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리비아의 한 테러단체는 자신들이 그것을 훔쳤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오늘 회견에서 연구소 간부들은 그것이 수량 파악 과정에서의 단순한 착오였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 문제를 조사하고 있는 FBI는 여전히 언급을 유보하고 있습니다....플로리다 경찰은 대규모 코케인 밀매단을 검거하고 다량의 코케인을 증거물로 압수했습니다. 어제 플로리다 경찰 마약 단속반에 의해 검거된.... 마티 : 박사님....? 박사님!....어, 아무도 없어요? 아인슈타인, 어딨니? (휘파람)....어, 어떻게 된 거야....맙소사, 난장판이군. 아침먹은 거 넘어오겠는데. 마티 : ....로큰롤다운데.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니? 마티 : 네. 박사님, 어디 계세요, 네? 브라운 박사 : 너 마침 아주 잘 와 있었구나. 오늘 밤 1시 15분에 트윈 파인스 상가로 나와주겠니? 굉장한 걸 만들었는데 네 도움이 필요해. 마티 : 아, 가만, 가만요....새벽 1시 15분에 말이예요? 브라운 박사 : 아, 그래, 그래! 마티 : 어떻게 된 거예요, 박사님? 일주일 내내 어디 계셨었어요? 브라운 박사 : 일했다. 마티 : 아인슈타인은요? 데리고 계세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내 곁에 있어. 마티 : 박사님 기구들이 일주일 내내 켜져 있었다는 거 아세요? 브라운 박사 : 내 기구들?....그 말 들으니 생각이 나는구나. 앰프는 쓰지 않는 게 좋을 거다. 과전류가 흐를 위험이 있으니까 만지지 않는 게 좋아. 마티 : 네네.... 근처에도 안 가겠어요. 브라운 박사 : 아, 그래. 이따 밤에 보자. 잊지 마라, 마티. 1시 15분에 트윈 파인스 상가다, 응? 마티 : 네,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내 시계들이 종을 치고 있는 거냐? 마티 : 네. 아, 지금....8시를 치고 있어요! 브라운 박사 : 성공이구나! 내 실험이 성공한 거야! 그 시계들은 전부 정확히 25분 느린 거다! 마티 : 뭐라구요? ....아, 뭐라구요, 박사님? 그럼 지금이 사실은 8시 25분이란 말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래, 정확히! 마티 : 아으---, 학교에 지각이예요! (배경음악) 'THE POWER OF LOVE' performed by Huey Lewis and the News 마티 : 아, 제니퍼. 제니퍼 : 마티, 이쪽은 위험해. 스트리클런드 선생이 지키고 있어. 이번에 잡히면 넌 네 번째 지각이잖아. (학교 복도) 제니퍼 : 됐어, 나와. 이쪽은 안전한 것 같애. 마티 : 오늘은 내 잘못이 아니라는 거 알아? 박사님이 시계를 전부 25분 늦게 맞춰 놓은 탓이라구. 스트리클런드 : 박사? 그 말은 요즘도 에멧 브라운 박사 꽁무니를 따라다닌다는 뜻이냐, 맥플라이? 쯧쯧....지각 경고장이다, 파커 양. 그리고 맥플라이, 너도 하나. 이게 네 번째 옐로우 카드지, 아마? 널 위해서 공짜로 충고 한마디 해 주겠다, 맥플라이. 그 브라운 박사란 사람은 위험 인물이야. 진짜 미치광이지. 그 사람과 어울리다간 신세 망치기 딱 알맞아! 마티 : 아, 네, 네.... 스트리클런드 : 넌 그 시큰둥한 태도가 문제다, 맥플라이. 넌 얼간이야! 부전자전이라더니, 어쩌면 그렇게 네 아버지하고 똑 같니! 마티 : 아....가도 될까요, 스트리클런드 선생님? 스트리클런드 : 방과 후에 있을 댄스 반주 오디션 명단을 보니까 네 밴드도 신청을 했던데, 미안하지만 헛수고 마라, 맥플라이. 넌 가망이 없어. 네 아버지하고 너무 똑 같으니까. 힐 밸리 학교나 마을 역사상 맥플라이가 성공한 예는 한 번도 없었단 말이다. 마티 : ....하지만 그 역사는 바뀔 겁니다. (오디션 장소) 음악감독선생 : 다음 후보! 마티 : 아, 좋아....시작하자....고맙습니다. 우리 그룹명은 멍텅구리들입니다!....하나, 둘, 셋!! 음악감독선생 : 됐다. 그만해라! 음악이 너무 요란한 것 같다. 내려 와라....... 내려 와라, 그만.... 미안하지만 음악이 너무 요란스럽다. 다음 후보! 다음 오디션 후보 올라가라! (시계탑 광장) 선거 유세차 : 우리의 골디 윌슨을 다음 시장으로 재선출합시다. 그의 이름은 발전의 대명사입니다. 골디 윌슨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 정책만이.... 마티 : 아 젠장, 믿을 수가 없어. 이러다 난 연주할 기회 한번 제대로 가져보지 못할 거라구. 제니퍼 : 마티, 한번 딱지 맞았다고 세상 끝나는 거니? 마티 : 아니야, 난 음악을 할 인물이 못 되나 봐. 제니퍼 : 하지만 넌 재능이 있단 말야, 정말이야. 네가 만든 이 오디션 테입은 최고야! 레코드 회사에 보내라니까 왜 망설이는 거지? 박사님이 언제나 하시는 말, 몰라? 마티 : 아, 그래. 알아, 알아! 하고자만 하면 안될 일이 없다는 얘긴 백 번도 더 들었다구.... 제니퍼 : 그건 좋은 충고야, 마티. 마티 : 아, 그래, 제니퍼. 하지만....테입을 보냈다가 퇴짜맞으면 난 뭐가 되니. 시원찮다고 하면 말이야. 그 사람들이 '관둬라, 꼬마야. 넌 희망이 없다' 이러기라도 하면 그 창피를 어떻게 견디니. 난 그게 두려운 거라구....아, 맙소사, 나도 우리 아버지 말투가 돼 가는구나. 제니퍼 : 네 아빠도 그 정도는 아니셔. 적어도 내일 차는 빌려주시기로 했잖아.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 시계탑을 도와주세요. 마티 : 와! 4단 변속 4륜 구동차잖아! 와, 진짜 멋있는데! 테리 : 됐어, 뒤로 좀 빼! 마티 : .......두고 봐, 제니퍼. 두고 보라구....얼마나 멋질까. 저런 차를 몰고 호숫가에 가서-- 뒷자리에 던져 둔 슬리핑 백 속에 나란히 들어가서....별을 보며 누워 있으면 말이야. 제니퍼 : 그만 두시지. 마티 : 뭘...... 제니퍼 : 엄마한테 말했어? 내일 밤에 대해서.... 마티 : 하핫, 내가 짱구니? 우리 엄만 내가 남자애들하고 캠핑가는 줄 안다구. 생각해 봐, 엄마한테 너하고 같이 간다고 이실직고했다가는 그 자리에서 설교가 시작될 거란 말이야. 엄마가 어렸을 때는 그런 일을 상상도 못했다느니 하시면서....우리 엄만 수녀 체질인 것 같애. 제니퍼 : 널 건전하게 키우려고 그러시는 거야. 마티 : 그거라면 보나마나 실패하실 걸. 제니퍼 : 흠, 끔찍하구나.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시계탑을 보존합시다..... 윌슨 시장은 저 시계를 새걸로 갈자는 사람들을 후원하고 있지만은, 말도 안 돼요! 30년 전에 저 시계탑에 번개가 떨어져서 그때부터 시계가 저렇게 멈췄어요. 그리고 우리 힐 밸리 보존 협회는 저 시계를 지금 있는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우리 마을의 역사적 유물로서 말이예요. 마티 : 자요, 아주머니. 25센틉니다. 시계탑 아주머니 : 고마와요. 전단도 받아 가구요. 마티 : 네.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 마티 : 아, 어디까지 갔었지? 제니퍼 : 이 지점까지..... 파커 씨 : (차 빵빵 -_-) 제니퍼! 제니퍼 : ....우리 아빠야. 마티 : 아, 그래.... 제니퍼 : 가야 되겠어. 마티 : 밤에 전화할께! 제니퍼 : 아, 나 할머니 댁에 갈거야....가만, 저, 번호 적어 줄게.... 안녕. (배경음악) 'THE POWER OF LOVE' performed by Huey Lewis and the News (맥플라이네 집) 경찰 : 지금 사고 차량 소유자의 집에 와 있다. 주소는 라이언 주택단지 625번지. 차량은 완전 파손됐지만 운전자는 다치지 않았다.... 마티 : 죽여주는군.... 맙소사, 쳇! 비프 : 그게 말이 되냐, 맥플라이! 자동차에 문제가 있다는 걸 뻔히 알면서 그걸 나한테 빌려 줬다는 걸 믿을 수가 없어. 조지 : 아, 문제가 있었다구......? 비프 : 난 죽을 뻔 했다구! 조지 : 아, 가만가만... 비프, 가만...... 너한테 빌려주기 직전까지만 해도 차엔 아무 문제도 없었어. 정말이야..... 아, 어서와라, 얘야. 비프 : 넌 눈도 없냐, 맥플라이! 저 밖을 보란 말이야. 문제가 없었다면 왜 저렇게 돼! 조지 : 아, 저, 비프... 수리비는 그러니까.... 네 보험에서 나오는 걸로 생각해도 되는 거겠지......? 비프 : 내 보험에서? 저건 네 차야! 네 보험으로 고쳐야지 무슨 소리야. 아, 그리고...... 이, 이건 어떻게 할 거야! 차가 쭈그러질 때 옷에다 맥주를 몽땅 흘렸다구. 세탁비는 누가 낼거야! 조지 : 아.. 아, 알아. 비프 : 아참, 그리고 내 보고서는! 조지 : 아....... 사실은 아직 못 끝냈어. 보고 날짜..... 보고 날짜가 여유가 있길래.... 비프 : 아아, 계세요, 계십니까. 안에 누구 있어요? 조지 : 아.... 알았어. 그래 그래... 그래..... 비프 : 생각해 봐, 맥플라이. 생각을 해. 난 그걸 타자맡길 시간이 필요해. 네가 손으로 쓴 걸 그냥 내면서 이게 내 보고서입니다 했다간 내가 어떻게 되겠니. 난 당장 뭐가 돼. 내가 그렇게 되길 바라는 건 아니겠지? ......그런 거야??! 조지 : 아아, 물론 그건 아니야, 비프. 절대로 그렇게 되길 바라진 않는다구....... 알았어, 비프. 오늘 밤을 새서라도 완전히 정리를 해서 말이야, 해뜨자 마자 쏜살같이 너희 집으로 갖다 줄게. 비프 : 아, 너무 일찍 말구, 나 토요일엔 늦잠자니까. 너 구두끈 풀렸다. 조지 : 아..... 알았어. 비프 : 이제 그만 좀 속아라, 맥플라이...... 그래도 집안은 잘 꾸며 놨구나.... 야, 차를 집 앞까지 끌고 왔는데 냉장고에 준비해 둔 게 겨우 깡통 맥주냐? .....넌 뭘 째려보냐, 꼬맹아..... 네 엄마한테 안부나 전해라. 조지 : 아아..... 네가 뭐라고 하고 싶은지 아빠는 안다. 아, 그래, 네가 옳아요!.... 네가 옳아. 하지만.... 비프는 어쨌든 내 상관이고 게다가 난..... 난 누구와 싸우는 데는 전혀 소질이 없단다. 마티 : 저 차를 좀 보세요, 아버지! 완전히 찌그러뜨려 놨어요. 작살을 냈다구요! ......전 내일 밤에 차가 필요하단 말이예요, 아버지. 그 일이 저한테 얼마나 중요한지 알기나 하세요? 생각이나 해 보셨어요? 조지 : 안다, 마티. 아빠가 할 수 있는 말은.... 미안하다는 말 뿐이야. (식당, 저녁식사) 조지 : 내 말을 믿어라, 마티. 댄스파티 반주같은 성가시고 골치아픈 일을 못하게 된 것 때문에..... 낙심할 건 없어요. 데이브 : 아버지 말씀이 맞는 거야, 마티. 골치아픈 일 맡아봐야.... 골치만 아파. 로레인 : 얘들아.... 이 케잌은 아무래도 우리끼리 먹어야겠다. 조이 삼촌은 이번에도 가석방이 안됐어.... 너희들 모두 위로편지 써 보내도록 해라. 마티 : 감옥 간 조이 삼촌한테요? 데이브 : 아, 정말 엄마 동생이예요? 린다 : 그러게 말이야. 친척이 감옥에 들어가있는 것처럼 챙피한 일은 없다구..... 로레인 : 누구나.... 실수할 때가 있는 법이다. 데이브 : 이런 젠장, 늦었잖아! 로레인 : 데이빗, 입조심해라! 출근하기 전에 엄마한테 뽀뽀하는 거 잊지 말고... 어서 이리 와라, 어서..... 데이브 : 아이, 엄마, 빨리 하세요, 버스 놓치겠어요...... 저녁에 봐요, 아버지...... 어휴~ 머리에 오일 교환좀 하세요, 아버지! 조지 : 까 까 까 까 까....자아식...... -_-; 린다 : 얘, 마티, 이 누나가 네 전화비서 아니다. 네가 밖에서 찌그러진 차 보면서 우는 동안 제니퍼 파커가 두 번 전화했어. 로레인 : 엄만 그아이 싫다. 남자한테 전화질하는 여자앤 제대로 돼먹은 아이가 아니야. 린다 : 엄마, 남자한테 전화거는 게 어때서 그래요? 로레인 : 그건 끔찍한 일이다. 여자애가 남자애를 쫓아다니다니. 내가 너희들만한 나이땐 남자애 쫓아다니며 전화질같은 거 안 했구, 남자애하고 단둘이 차안에 앉아있지도 않았어. 린다 : 아...... 전 남자만나 시집가긴 틀렸군요. 로레인 : 얘야, 다 되게 돼 있어. 내가 너희 아빠 만난 것처럼. 린다 : 하! 그렇게 바보같이요? 아빠가 외할아버지 차에 치어가지고..... 로레인 : 그게 운명이란 거야. 아무튼 외할아버지가 아빠를 치지 않았으면 너희들도 생겨나지 않았을 거야. 린다 : 네...... 그랬겠죠. 아빠가 길 한가운데서 뭘 하고 있었는지 난 아직 모르겠지만요. 로레인 : 뭐 하고 있었죠, 조지? 새 관찰이었나요? 조지 : 뭐, 로레인, 뭐....? 로레인 : 아무튼 외할아버지가 아빠를 치어가지고는 집안으로 부축해 들어오셨어.... 아빤 너무나 측은해 보였단다. 길잃은 강아지처럼..... 난 동정하지 않을 수 없었어. 린다 : 엄마, 알아요. 그 얘긴 백만번도 더 들었어요. 엄만 아빠가 불쌍해졌고, 그래서 댄스 파티에 같이 가 줬죠. 바다의 물고기들 댄스파티에요. 로레인 : 오, 아니다. 그건 바다의 매혹의 댄스파티였어. 우리의 첫 데이트, 오..... 영원히 잊지 못할 거야. 무섭게 천둥이 치던 밤이었죠, 생각나요, 조지? .....그날 밤 춤을 추면서 너희 아빤 나한테 처음으로 키스를 했단다...... 엄만 그 순간 확실히 깨달았지. 아빠하고 평생을 같이 하게 될 거라는 걸. 조지 : 아 까 까 까...... 저것 좀 봐....... 까 까 오 호 호.......... -_-;; (배경음악) 'TIME BOMB TOWN' performed by Lindsey Buckingham (마티의 방)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 잠들어 버린 건 아니지? 마티 : 아, 아뇨, 박사님. 잠들긴요. 아니예요....그건 말도 안 되죠.... 브라운 박사 : 마티, 잘 듣고 잊지 마라. 비디오 카메라를 깜박 했는데 오는 길에 내 방에 들러서 그걸 좀 가지고 오겠니? 응? 마티 : 네....지금 갈께요. (트윈 파인스 쇼핑몰) 마티 : 아,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박사님 어딨니, 응? 어디계셔? (딜로리언 등장) 마티 :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마티! 와 줬구나. 마티 : 네...! 브라운 박사 : 내 최신 발명품을 소개하마. 이건 보통 물건이 아니다. 내가 한평생 꿈꿔 온 거야! 마티 : 아, 저, 이건 딜로리언....이걸 개조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가만, 가만, 기다려라, 마티. 곧 모든 것을 보게 돼. 테잎을 돌려라. 기록을 해 놔야 돼.... 마티 : 네....알았어요. 박사님, 그건 특수복인가요? 브라운 박사 : 아, 신경쓰지 마라, 신경쓰지 마. 그건 나중에, 나중에.... 마티 : 네네, 어서 시작하세요. 브라운 박사 : 아, 안녕하십니까. 저는 에멧 브라운 박사고 여기는 트윈 파인스 상가 주차장입니다. 지금은 토요일 새벽, 1985년 10월 26일 01시 18분, 이것은 제 1차 예비실험입니다. ....자, 아인슈타인, 하하..... 이리 오너라. 어서 타..... 옳지, 옳지..... 그렇지, 자자, 어서 타거라. 그리 앉아. 자, 안전벨트도 매고, 옳지, 됐다, 됐다.... 자, 어디보자. 튼튼하지? 됐어, 됐어..... 똑바로 앉고 말이야..... 자, 보십시오.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지금 내 시계와 1초의 차이도 없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렇지? 마티 : 아, 네, 박사님, 네. 브라운 박사 : 좋아...... 잘 다녀와라, 아인슈타인. 머리 조심하고. 마티 : 아, 그걸로 조종한단 말이예요? 차를요? 브라운 박사 : 넌 어서 찍어. 마티 : 예에...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차를 찍으란 말야, 차를 찍어!! ......내 계산이 틀리지만 않았다면, 저 차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기절초풍할 일이 벌어질거다. 브라운 박사 : 이걸 찍어, 이걸 찍어야 돼! (딜로리언 사라짐) 브라운 박사 : ......봐라아! 내가 말한 대로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사라졌어! 하하하하[[사용자:220.121.51.94|220.121.51.94]]!!!! 정확히 01시 20분 00초에 역사상 최초의 시간대 이동이 기록된 거야! 마티 : 아, 하나님 맙소사....아, 하나님 맙소사! 아인슈타인이 분해됐잖아요! 브라운 박사 : 진정해라, 마티. 분해된 건 아무것도 없어. 아인슈타인과 자동차의 분자 구조에는 아무 변화도 발생하지 않았으니까 말이야. 마티 : 그럼....어디로 갔냐구요! 브라운 박사 : 정확히 질문하려면 말이다, 언제로 갔느냐고 해야 돼. 알겠니? 아인슈타인은 방금 지구 사상 최초의 시간 여행자가 된 거란 말이야. 나는 아인슈타인을 미래로 보낸 거야!....정확히 말해서 1분 후의 미래로 보냈지. 그리고 정확히 01시 21분 00초에 우린 아인슈타인과 타임머신을 따라잡게 되는 거야! 마티 : 가만 계세요, 가만 계셔봐요, 박사님... 아, 저 그럼 타임 머신을 만드셨단 말씀이예요? .....딜로리언으로요? 브라운 박사 : 나쁠 것도 없잖니. 기왕 자동차로 타임 머신을 만들 바에는 멋진 차로 만드는 게 좋잖아. 게다가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는 시간대를 통과할 때...... 피해!! (딜로리언 나타남) 브라운 박사 : 으와악[[사용자:220.121.51.94|220.121.51.94]]!! 마티 : 아, 왜 그러세요, 뜨거워요? 브라운 박사 : 아, 차가와, 아주 차가와...... 하하하하[[사용자:220.121.51.94|220.121.51.94]] 아.인.슈.타.인! 이 귀여운 녀석!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내 것보다 정확히 1분 느리다. 여전히 이상 없이 가고 있어. .....자, 내려라. 마티 : 말짱하잖아요. 브라운 박사 : 말짱하고 말고! 시간대 이동 때도 전혀 충격을 받지 않은 거야. 아무것도 못 느낄 만큼 순간적이었다는 얘기가 되는 거지. 그래서 시간의 차이도 정확히 1분인 거야. 내 말 알겠니? 1분 후의 미래로 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시간의 손실이 전혀 없었던 거라구. 이리 와, 조종법을 설명해 줄게. 마티 : 아, 예,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먼저 이걸로 시간 회로를 켜야 된다. 이건 네가 가고자 하는 시간이고, 이건 현재 시간이고, 이건 조금 전에 갔던 시간이야. 가고자 하는 시간은 이 키 패드로 입력이 되는 거구. 예를 들어서 독립선언문 발기 현장으로 가볼 수도 있고...... 예수의 탄생을 볼 수도 있고...... 과학의 혁명을 예고해 준 날을 입력해 볼까...... 1955년 11월 15일. 그래! ......맞았어, 1955년 11월 15일이었지. * 모두 아시다시피 원래 날짜는 1955년 11월 5일입니다. 번역자분께서도 옳게 넘기셨을 테지만, 완호님께서 실수를 하신 것 같군요...^^; 마티 : 뭔데요, 그게 무슨 날인데요?....그게 무슨 날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날이 내가 시간여행을 생각해낸 날이야.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화장실 벽에 시계를 걸려고 변기 끝에 올라섰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욕조에 사정없이 머리를 부딪혔는데, 정신을 차렸을 때 그것이 보였어. 그 그림이!....머리 속에 들어 있었어. 그것의 그림이 말이야! .....이것이 바로 시간여행을 가능케 하는 장치다, 마티....시간 변환 장치! 마티 : 시간 변환 장치요....? 브라운 박사 : 그 날의 환상을 실현하기 위해 난 가산을 모두 바쳐가며 30년간 연구를 했다....맙소사, 벌써 그렇게 오래 됐나! ......그러고 보니 여기도 많이 변했구나. 그때 여긴 온통 농토였어. 눈에 보이는 건 밭과 과수원 뿐이었지.... 피바디 할아버지, 전부 그 노인 땅이었다. 그 노인의 취미는..... 소나무를 기르는 거였구 말이야. 마티 : 아, 이건 정말....정말 헤비급 발명이군요. 진짜 굉장해요! 연료는 보통 무연 휘발유를 쓰는 건가요,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불행히도 그렇지가 않아. 좀 더 특수한 연료를 사용해야 된다. 플루토늄! 마티 : 아.... 플루토늄....? 가만있어봐, 저, 그럼.... 아니, 박사님, 그럼 이 물건이 핵 자동차란 말씀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마티, 마티, 계속 찍어, 계속 찍어야 돼! 그건 핵이 아니라 전기 자동차다. 하지만 1.21 기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핵 반응의 힘을 빌리는 것일 뿐이야. 마티 : 박사님, 플루토늄이란 건 아무데서나 파는 물건도 아니지 않습니까..... 훔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 리비아 테러단체로부터 얻었다. 핵폭탄을 만들어 달라길래 플루토늄은 내가 가지고 그놈들한테는 폭탄 껍데기에다가 회전 당구놀이 기계 부속을 잔뜩 넣어 줬지. 이리 와라, 플루토늄을 갈아 넣으려면 방사선 차단복을 입어야 돼. 마티 : 아, 맙소사...... (플루토늄 주입) 브라운 박사 : 이제 안전하다. 모든 건 납으로 봉해져 있어....너 그 테입을 잘 간수해야 된다. 기록으로 남겨야 되니까....자, 이건 여기 도로 넣으면 되는 거구.... 호오, 옷가방을 잊을 뻔 했구나! 미래 세계엔 면 내의가 없을지도 모르잖니. 난 합성 수지 내의엔 알레르기거든. 마티 : 미래 세계요?....거길 가시려구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마티. 25년 후의 미래로 가려는 거다. 난 우리 후대들이 사는 세상을 구경하는 게 꿈이었어. 인류의 발전상을 미리 보는 거야. 마티 : 좋죠! 브라운 박사 : 앞으로 25년간의 월드 시리즈 우승팀도 알게 될 거구. 마티 : 아....박사님. 브라운 박사 : 응? 마티 : 거기 가시면....절 찾아 주세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돌려라. ....... 으흠흠, 나, 에멧 브라운 박사는 이제 역사적인 여행길에 오르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하하하! 내가 정신이 나갔나 보다! 예비 플루토늄 가져가는 걸 잊을 뻔 했어. 돌아오지도 못할 뻔 했잖아. 여행 한 번에 한 통씩인데 정말 정신이 어떻게 됐나 봐! (아인슈타인 멍멍) 브라운 박사 : 왜 그러니? 브라운 박사 : 맙소사, 놈들이 오고 있어. 저놈들이 어떻게 알아냈을까...... 도망쳐라, 마티!! 마티 : 누군데 그래요?! 브라운 박사 : 누구겠니 --- 리비아 놈들이지!! 마티 : 아아니, 뭐라구요.......!! 브라운 박사 : 내가 놈들하고 싸우겠어! 마티 : 아, 박사님, 안 돼요!! ......안돼애[[사용자:220.121.51.94|220.121.51.94]] 2004년 12월 27일 (月) 00:16 (UTC)!! 나쁜 놈들!! 테러범 : 앞으로! .....젠장, 가! 어서 가! 어서 가!! (총격전!) 마티 : 제발 달려라..... 젠장, 맙소사! .....오, 하나님! .......네놈들이 90마일도 따라오는지 보자! 942 2004-12-27T00:17:49Z 220.121.51.94 /* 1탄의 첫번째부터 마티가 1955년으로 가는곳 까지의 대사 */ == 1탄의 첫번째부터 마티가 1955년으로 가는곳 까지의 대사 == 라디오 광고 : ....재고 정리의 달 10월을 맞아 여러분의 스테이틀러 토요타 상사는 1985년 전 토요타 모델을 파격적인 가격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힐 밸리에서도 토요타만큼 품질 좋고 서비스 좋고 가격 좋은 차를 발견하실 수는 없을 것입니다. 힐 밸리 1번가의 스테이틀러 토요타 상사를 많이 찾아 주시기 바랍니다. TV 뉴스 : ....상원은 오늘 이 안건을 표결에 붙일 예정입니다. 다음 뉴스....태평양 핵 연구소 간부들은 2주일 전 연구소에서 없어진 한 상자분의 플루토늄이 실제로 보관실로부터 도난당한 것이라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리비아의 한 테러단체는 자신들이 그것을 훔쳤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오늘 회견에서 연구소 간부들은 그것이 수량 파악 과정에서의 단순한 착오였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 문제를 조사하고 있는 FBI는 여전히 언급을 유보하고 있습니다....플로리다 경찰은 대규모 코케인 밀매단을 검거하고 다량의 코케인을 증거물로 압수했습니다. 어제 플로리다 경찰 마약 단속반에 의해 검거된.... 마티 : 박사님....? 박사님!....어, 아무도 없어요? 아인슈타인, 어딨니? (휘파람)....어, 어떻게 된 거야....맙소사, 난장판이군. 아침먹은 거 넘어오겠는데. 마티 : ....로큰롤다운데.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니? 마티 : 네. 박사님, 어디 계세요, 네? 브라운 박사 : 너 마침 아주 잘 와 있었구나. 오늘 밤 1시 15분에 트윈 파인스 상가로 나와주겠니? 굉장한 걸 만들었는데 네 도움이 필요해. 마티 : 아, 가만, 가만요....새벽 1시 15분에 말이예요? 브라운 박사 : 아, 그래, 그래! 마티 : 어떻게 된 거예요, 박사님? 일주일 내내 어디 계셨었어요? 브라운 박사 : 일했다. 마티 : 아인슈타인은요? 데리고 계세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내 곁에 있어. 마티 : 박사님 기구들이 일주일 내내 켜져 있었다는 거 아세요? 브라운 박사 : 내 기구들?....그 말 들으니 생각이 나는구나. 앰프는 쓰지 않는 게 좋을 거다. 과전류가 흐를 위험이 있으니까 만지지 않는 게 좋아. 마티 : 네네.... 근처에도 안 가겠어요. 브라운 박사 : 아, 그래. 이따 밤에 보자. 잊지 마라, 마티. 1시 15분에 트윈 파인스 상가다, 응? 마티 : 네,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내 시계들이 종을 치고 있는 거냐? 마티 : 네. 아, 지금....8시를 치고 있어요! 브라운 박사 : 성공이구나! 내 실험이 성공한 거야! 그 시계들은 전부 정확히 25분 느린 거다! 마티 : 뭐라구요? ....아, 뭐라구요, 박사님? 그럼 지금이 사실은 8시 25분이란 말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래, 정확히! 마티 : 아으---, 학교에 지각이예요! (배경음악) 'THE POWER OF LOVE' performed by Huey Lewis and the News 마티 : 아, 제니퍼. 제니퍼 : 마티, 이쪽은 위험해. 스트리클런드 선생이 지키고 있어. 이번에 잡히면 넌 네 번째 지각이잖아. (학교 복도) 제니퍼 : 됐어, 나와. 이쪽은 안전한 것 같애. 마티 : 오늘은 내 잘못이 아니라는 거 알아? 박사님이 시계를 전부 25분 늦게 맞춰 놓은 탓이라구. 스트리클런드 : 박사? 그 말은 요즘도 에멧 브라운 박사 꽁무니를 따라다닌다는 뜻이냐, 맥플라이? 쯧쯧....지각 경고장이다, 파커 양. 그리고 맥플라이, 너도 하나. 이게 네 번째 옐로우 카드지, 아마? 널 위해서 공짜로 충고 한마디 해 주겠다, 맥플라이. 그 브라운 박사란 사람은 위험 인물이야. 진짜 미치광이지. 그 사람과 어울리다간 신세 망치기 딱 알맞아! 마티 : 아, 네, 네.... 스트리클런드 : 넌 그 시큰둥한 태도가 문제다, 맥플라이. 넌 얼간이야! 부전자전이라더니, 어쩌면 그렇게 네 아버지하고 똑 같니! 마티 : 아....가도 될까요, 스트리클런드 선생님? 스트리클런드 : 방과 후에 있을 댄스 반주 오디션 명단을 보니까 네 밴드도 신청을 했던데, 미안하지만 헛수고 마라, 맥플라이. 넌 가망이 없어. 네 아버지하고 너무 똑 같으니까. 힐 밸리 학교나 마을 역사상 맥플라이가 성공한 예는 한 번도 없었단 말이다. 마티 : ....하지만 그 역사는 바뀔 겁니다. (오디션 장소) 음악감독선생 : 다음 후보! 마티 : 아, 좋아....시작하자....고맙습니다. 우리 그룹명은 멍텅구리들입니다!....하나, 둘, 셋!! 음악감독선생 : 됐다. 그만해라! 음악이 너무 요란한 것 같다. 내려 와라....... 내려 와라, 그만.... 미안하지만 음악이 너무 요란스럽다. 다음 후보! 다음 오디션 후보 올라가라! (시계탑 광장) 선거 유세차 : 우리의 골디 윌슨을 다음 시장으로 재선출합시다. 그의 이름은 발전의 대명사입니다. 골디 윌슨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 정책만이.... 마티 : 아 젠장, 믿을 수가 없어. 이러다 난 연주할 기회 한번 제대로 가져보지 못할 거라구. 제니퍼 : 마티, 한번 딱지 맞았다고 세상 끝나는 거니? 마티 : 아니야, 난 음악을 할 인물이 못 되나 봐. 제니퍼 : 하지만 넌 재능이 있단 말야, 정말이야. 네가 만든 이 오디션 테입은 최고야! 레코드 회사에 보내라니까 왜 망설이는 거지? 박사님이 언제나 하시는 말, 몰라? 마티 : 아, 그래. 알아, 알아! 하고자만 하면 안될 일이 없다는 얘긴 백 번도 더 들었다구.... 제니퍼 : 그건 좋은 충고야, 마티. 마티 : 아, 그래, 제니퍼. 하지만....테입을 보냈다가 퇴짜맞으면 난 뭐가 되니. 시원찮다고 하면 말이야. 그 사람들이 '관둬라, 꼬마야. 넌 희망이 없다' 이러기라도 하면 그 창피를 어떻게 견디니. 난 그게 두려운 거라구....아, 맙소사, 나도 우리 아버지 말투가 돼 가는구나. 제니퍼 : 네 아빠도 그 정도는 아니셔. 적어도 내일 차는 빌려주시기로 했잖아.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 시계탑을 도와주세요. 마티 : 와! 4단 변속 4륜 구동차잖아! 와, 진짜 멋있는데! 테리 : 됐어, 뒤로 좀 빼! 마티 : .......두고 봐, 제니퍼. 두고 보라구....얼마나 멋질까. 저런 차를 몰고 호숫가에 가서-- 뒷자리에 던져 둔 슬리핑 백 속에 나란히 들어가서....별을 보며 누워 있으면 말이야. 제니퍼 : 그만 두시지. 마티 : 뭘...... 제니퍼 : 엄마한테 말했어? 내일 밤에 대해서.... 마티 : 하핫, 내가 짱구니? 우리 엄만 내가 남자애들하고 캠핑가는 줄 안다구. 생각해 봐, 엄마한테 너하고 같이 간다고 이실직고했다가는 그 자리에서 설교가 시작될 거란 말이야. 엄마가 어렸을 때는 그런 일을 상상도 못했다느니 하시면서....우리 엄만 수녀 체질인 것 같애. 제니퍼 : 널 건전하게 키우려고 그러시는 거야. 마티 : 그거라면 보나마나 실패하실 걸. 제니퍼 : 흠, 끔찍하구나.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시계탑을 보존합시다..... 윌슨 시장은 저 시계를 새걸로 갈자는 사람들을 후원하고 있지만은, 말도 안 돼요! 30년 전에 저 시계탑에 번개가 떨어져서 그때부터 시계가 저렇게 멈췄어요. 그리고 우리 힐 밸리 보존 협회는 저 시계를 지금 있는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우리 마을의 역사적 유물로서 말이예요. 마티 : 자요, 아주머니. 25센틉니다. 시계탑 아주머니 : 고마와요. 전단도 받아 가구요. 마티 : 네.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 마티 : 아, 어디까지 갔었지? 제니퍼 : 이 지점까지..... 파커 씨 : (차 빵빵 -_-) 제니퍼! 제니퍼 : ....우리 아빠야. 마티 : 아, 그래.... 제니퍼 : 가야 되겠어. 마티 : 밤에 전화할께! 제니퍼 : 아, 나 할머니 댁에 갈거야....가만, 저, 번호 적어 줄게.... 안녕. (배경음악) 'THE POWER OF LOVE' performed by Huey Lewis and the News (맥플라이네 집) 경찰 : 지금 사고 차량 소유자의 집에 와 있다. 주소는 라이언 주택단지 625번지. 차량은 완전 파손됐지만 운전자는 다치지 않았다.... 마티 : 죽여주는군.... 맙소사, 쳇! 비프 : 그게 말이 되냐, 맥플라이! 자동차에 문제가 있다는 걸 뻔히 알면서 그걸 나한테 빌려 줬다는 걸 믿을 수가 없어. 조지 : 아, 문제가 있었다구......? 비프 : 난 죽을 뻔 했다구! 조지 : 아, 가만가만... 비프, 가만...... 너한테 빌려주기 직전까지만 해도 차엔 아무 문제도 없었어. 정말이야..... 아, 어서와라, 얘야. 비프 : 넌 눈도 없냐, 맥플라이! 저 밖을 보란 말이야. 문제가 없었다면 왜 저렇게 돼! 조지 : 아, 저, 비프... 수리비는 그러니까.... 네 보험에서 나오는 걸로 생각해도 되는 거겠지......? 비프 : 내 보험에서? 저건 네 차야! 네 보험으로 고쳐야지 무슨 소리야. 아, 그리고...... 이, 이건 어떻게 할 거야! 차가 쭈그러질 때 옷에다 맥주를 몽땅 흘렸다구. 세탁비는 누가 낼거야! 조지 : 아.. 아, 알아. 비프 : 아참, 그리고 내 보고서는! 조지 : 아....... 사실은 아직 못 끝냈어. 보고 날짜..... 보고 날짜가 여유가 있길래.... 비프 : 아아, 계세요, 계십니까. 안에 누구 있어요? 조지 : 아.... 알았어. 그래 그래... 그래..... 비프 : 생각해 봐, 맥플라이. 생각을 해. 난 그걸 타자맡길 시간이 필요해. 네가 손으로 쓴 걸 그냥 내면서 이게 내 보고서입니다 했다간 내가 어떻게 되겠니. 난 당장 뭐가 돼. 내가 그렇게 되길 바라는 건 아니겠지? ......그런 거야??! 조지 : 아아, 물론 그건 아니야, 비프. 절대로 그렇게 되길 바라진 않는다구....... 알았어, 비프. 오늘 밤을 새서라도 완전히 정리를 해서 말이야, 해뜨자 마자 쏜살같이 너희 집으로 갖다 줄게. 비프 : 아, 너무 일찍 말구, 나 토요일엔 늦잠자니까. 너 구두끈 풀렸다. 조지 : 아..... 알았어. 비프 : 이제 그만 좀 속아라, 맥플라이...... 그래도 집안은 잘 꾸며 놨구나.... 야, 차를 집 앞까지 끌고 왔는데 냉장고에 준비해 둔 게 겨우 깡통 맥주냐? .....넌 뭘 째려보냐, 꼬맹아..... 네 엄마한테 안부나 전해라. 조지 : 아아..... 네가 뭐라고 하고 싶은지 아빠는 안다. 아, 그래, 네가 옳아요!.... 네가 옳아. 하지만.... 비프는 어쨌든 내 상관이고 게다가 난..... 난 누구와 싸우는 데는 전혀 소질이 없단다. 마티 : 저 차를 좀 보세요, 아버지! 완전히 찌그러뜨려 놨어요. 작살을 냈다구요! ......전 내일 밤에 차가 필요하단 말이예요, 아버지. 그 일이 저한테 얼마나 중요한지 알기나 하세요? 생각이나 해 보셨어요? 조지 : 안다, 마티. 아빠가 할 수 있는 말은.... 미안하다는 말 뿐이야. (식당, 저녁식사) 조지 : 내 말을 믿어라, 마티. 댄스파티 반주같은 성가시고 골치아픈 일을 못하게 된 것 때문에..... 낙심할 건 없어요. 데이브 : 아버지 말씀이 맞는 거야, 마티. 골치아픈 일 맡아봐야.... 골치만 아파. 로레인 : 얘들아.... 이 케잌은 아무래도 우리끼리 먹어야겠다. 조이 삼촌은 이번에도 가석방이 안됐어.... 너희들 모두 위로편지 써 보내도록 해라. 마티 : 감옥 간 조이 삼촌한테요? 데이브 : 아, 정말 엄마 동생이예요? 린다 : 그러게 말이야. 친척이 감옥에 들어가있는 것처럼 챙피한 일은 없다구..... 로레인 : 누구나.... 실수할 때가 있는 법이다. 데이브 : 이런 젠장, 늦었잖아! 로레인 : 데이빗, 입조심해라! 출근하기 전에 엄마한테 뽀뽀하는 거 잊지 말고... 어서 이리 와라, 어서..... 데이브 : 아이, 엄마, 빨리 하세요, 버스 놓치겠어요...... 저녁에 봐요, 아버지...... 어휴~ 머리에 오일 교환좀 하세요, 아버지! 조지 : 까 까 까 까 까....자아식...... -_-; 린다 : 얘, 마티, 이 누나가 네 전화비서 아니다. 네가 밖에서 찌그러진 차 보면서 우는 동안 제니퍼 파커가 두 번 전화했어. 로레인 : 엄만 그아이 싫다. 남자한테 전화질하는 여자앤 제대로 돼먹은 아이가 아니야. 린다 : 엄마, 남자한테 전화거는 게 어때서 그래요? 로레인 : 그건 끔찍한 일이다. 여자애가 남자애를 쫓아다니다니. 내가 너희들만한 나이땐 남자애 쫓아다니며 전화질같은 거 안 했구, 남자애하고 단둘이 차안에 앉아있지도 않았어. 린다 : 아...... 전 남자만나 시집가긴 틀렸군요. 로레인 : 얘야, 다 되게 돼 있어. 내가 너희 아빠 만난 것처럼. 린다 : 하! 그렇게 바보같이요? 아빠가 외할아버지 차에 치어가지고..... 로레인 : 그게 운명이란 거야. 아무튼 외할아버지가 아빠를 치지 않았으면 너희들도 생겨나지 않았을 거야. 린다 : 네...... 그랬겠죠. 아빠가 길 한가운데서 뭘 하고 있었는지 난 아직 모르겠지만요. 로레인 : 뭐 하고 있었죠, 조지? 새 관찰이었나요? 조지 : 뭐, 로레인, 뭐....? 로레인 : 아무튼 외할아버지가 아빠를 치어가지고는 집안으로 부축해 들어오셨어.... 아빤 너무나 측은해 보였단다. 길잃은 강아지처럼..... 난 동정하지 않을 수 없었어. 린다 : 엄마, 알아요. 그 얘긴 백만번도 더 들었어요. 엄만 아빠가 불쌍해졌고, 그래서 댄스 파티에 같이 가 줬죠. 바다의 물고기들 댄스파티에요. 로레인 : 오, 아니다. 그건 바다의 매혹의 댄스파티였어. 우리의 첫 데이트, 오..... 영원히 잊지 못할 거야. 무섭게 천둥이 치던 밤이었죠, 생각나요, 조지? .....그날 밤 춤을 추면서 너희 아빤 나한테 처음으로 키스를 했단다...... 엄만 그 순간 확실히 깨달았지. 아빠하고 평생을 같이 하게 될 거라는 걸. 조지 : 아 까 까 까...... 저것 좀 봐....... 까 까 오 호 호.......... -_-;; (배경음악) 'TIME BOMB TOWN' performed by Lindsey Buckingham (마티의 방)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 잠들어 버린 건 아니지? 마티 : 아, 아뇨, 박사님. 잠들긴요. 아니예요....그건 말도 안 되죠.... 브라운 박사 : 마티, 잘 듣고 잊지 마라. 비디오 카메라를 깜박 했는데 오는 길에 내 방에 들러서 그걸 좀 가지고 오겠니? 응? 마티 : 네....지금 갈께요. (트윈 파인스 쇼핑몰) 마티 : 아,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박사님 어딨니, 응? 어디계셔? (딜로리언 등장) 마티 :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마티! 와 줬구나. 마티 : 네...! 브라운 박사 : 내 최신 발명품을 소개하마. 이건 보통 물건이 아니다. 내가 한평생 꿈꿔 온 거야! 마티 : 아, 저, 이건 딜로리언....이걸 개조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가만, 가만, 기다려라, 마티. 곧 모든 것을 보게 돼. 테잎을 돌려라. 기록을 해 놔야 돼.... 마티 : 네....알았어요. 박사님, 그건 특수복인가요? 브라운 박사 : 아, 신경쓰지 마라, 신경쓰지 마. 그건 나중에, 나중에.... 마티 : 네네, 어서 시작하세요. 브라운 박사 : 아, 안녕하십니까. 저는 에멧 브라운 박사고 여기는 트윈 파인스 상가 주차장입니다. 지금은 토요일 새벽, 1985년 10월 26일 01시 18분, 이것은 제 1차 예비실험입니다. ....자, 아인슈타인, 하하..... 이리 오너라. 어서 타..... 옳지, 옳지..... 그렇지, 자자, 어서 타거라. 그리 앉아. 자, 안전벨트도 매고, 옳지, 됐다, 됐다.... 자, 어디보자. 튼튼하지? 됐어, 됐어..... 똑바로 앉고 말이야..... 자, 보십시오.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지금 내 시계와 1초의 차이도 없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렇지? 마티 : 아, 네, 박사님, 네. 브라운 박사 : 좋아...... 잘 다녀와라, 아인슈타인. 머리 조심하고. 마티 : 아, 그걸로 조종한단 말이예요? 차를요? 브라운 박사 : 넌 어서 찍어. 마티 : 예에...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차를 찍으란 말야, 차를 찍어!! ......내 계산이 틀리지만 않았다면, 저 차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기절초풍할 일이 벌어질거다. 브라운 박사 : 이걸 찍어, 이걸 찍어야 돼! (딜로리언 사라짐) 브라운 박사 : ......봐라아! 내가 말한 대로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사라졌어! 하하하하[[사용자:220.121.51.94|220.121.51.94]]!!!! 정확히 01시 20분 00초에 역사상 최초의 시간대 이동이 기록된 거야! 마티 : 아, 하나님 맙소사....아, 하나님 맙소사! 아인슈타인이 분해됐잖아요! 브라운 박사 : 진정해라, 마티. 분해된 건 아무것도 없어. 아인슈타인과 자동차의 분자 구조에는 아무 변화도 발생하지 않았으니까 말이야. 마티 : 그럼....어디로 갔냐구요! 브라운 박사 : 정확히 질문하려면 말이다, 언제로 갔느냐고 해야 돼. 알겠니? 아인슈타인은 방금 지구 사상 최초의 시간 여행자가 된 거란 말이야. 나는 아인슈타인을 미래로 보낸 거야!....정확히 말해서 1분 후의 미래로 보냈지. 그리고 정확히 01시 21분 00초에 우린 아인슈타인과 타임머신을 따라잡게 되는 거야! 마티 : 가만 계세요, 가만 계셔봐요, 박사님... 아, 저 그럼 타임 머신을 만드셨단 말씀이예요? .....딜로리언으로요? 브라운 박사 : 나쁠 것도 없잖니. 기왕 자동차로 타임 머신을 만들 바에는 멋진 차로 만드는 게 좋잖아. 게다가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는 시간대를 통과할 때...... 피해!! (딜로리언 나타남) 브라운 박사 : 으와악[[사용자:220.121.51.94|220.121.51.94]]!! 마티 : 아, 왜 그러세요, 뜨거워요? 브라운 박사 : 아, 차가와, 아주 차가와...... 하하하하[[사용자:220.121.51.94|220.121.51.94]] 아.인.슈.타.인! 이 귀여운 녀석!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내 것보다 정확히 1분 느리다. 여전히 이상 없이 가고 있어. .....자, 내려라. 마티 : 말짱하잖아요. 브라운 박사 : 말짱하고 말고! 시간대 이동 때도 전혀 충격을 받지 않은 거야. 아무것도 못 느낄 만큼 순간적이었다는 얘기가 되는 거지. 그래서 시간의 차이도 정확히 1분인 거야. 내 말 알겠니? 1분 후의 미래로 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시간의 손실이 전혀 없었던 거라구. 이리 와, 조종법을 설명해 줄게. 마티 : 아, 예,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먼저 이걸로 시간 회로를 켜야 된다. 이건 네가 가고자 하는 시간이고, 이건 현재 시간이고, 이건 조금 전에 갔던 시간이야. 가고자 하는 시간은 이 키 패드로 입력이 되는 거구. 예를 들어서 독립선언문 발기 현장으로 가볼 수도 있고...... 예수의 탄생을 볼 수도 있고...... 과학의 혁명을 예고해 준 날을 입력해 볼까...... 1955년 11월 15일. 그래! ......맞았어, 1955년 11월 15일이었지. * 모두 아시다시피 원래 날짜는 1955년 11월 5일입니다. 번역자분께서도 옳게 넘기셨을 테지만, 완호님께서 실수를 하신 것 같군요...^^; 마티 : 뭔데요, 그게 무슨 날인데요?....그게 무슨 날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날이 내가 시간여행을 생각해낸 날이야.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화장실 벽에 시계를 걸려고 변기 끝에 올라섰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욕조에 사정없이 머리를 부딪혔는데, 정신을 차렸을 때 그것이 보였어. 그 그림이!....머리 속에 들어 있었어. 그것의 그림이 말이야! .....이것이 바로 시간여행을 가능케 하는 장치다, 마티....시간 변환 장치! 마티 : 시간 변환 장치요....? 브라운 박사 : 그 날의 환상을 실현하기 위해 난 가산을 모두 바쳐가며 30년간 연구를 했다....맙소사, 벌써 그렇게 오래 됐나! ......그러고 보니 여기도 많이 변했구나. 그때 여긴 온통 농토였어. 눈에 보이는 건 밭과 과수원 뿐이었지.... 피바디 할아버지, 전부 그 노인 땅이었다. 그 노인의 취미는..... 소나무를 기르는 거였구 말이야. 마티 : 아, 이건 정말....정말 헤비급 발명이군요. 진짜 굉장해요! 연료는 보통 무연 휘발유를 쓰는 건가요,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불행히도 그렇지가 않아. 좀 더 특수한 연료를 사용해야 된다. 플루토늄! 마티 : 아.... 플루토늄....? 가만있어봐, 저, 그럼.... 아니, 박사님, 그럼 이 물건이 핵 자동차란 말씀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마티, 마티, 계속 찍어, 계속 찍어야 돼! 그건 핵이 아니라 전기 자동차다. 하지만 1.21 기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핵 반응의 힘을 빌리는 것일 뿐이야. 마티 : 박사님, 플루토늄이란 건 아무데서나 파는 물건도 아니지 않습니까..... 훔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 리비아 테러단체로부터 얻었다. 핵폭탄을 만들어 달라길래 플루토늄은 내가 가지고 그놈들한테는 폭탄 껍데기에다가 회전 당구놀이 기계 부속을 잔뜩 넣어 줬지. 이리 와라, 플루토늄을 갈아 넣으려면 방사선 차단복을 입어야 돼. 마티 : 아, 맙소사...... (플루토늄 주입) 브라운 박사 : 이제 안전하다. 모든 건 납으로 봉해져 있어....너 그 테입을 잘 간수해야 된다. 기록으로 남겨야 되니까....자, 이건 여기 도로 넣으면 되는 거구.... 호오, 옷가방을 잊을 뻔 했구나! 미래 세계엔 면 내의가 없을지도 모르잖니. 난 합성 수지 내의엔 알레르기거든. 마티 : 미래 세계요?....거길 가시려구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마티. 25년 후의 미래로 가려는 거다. 난 우리 후대들이 사는 세상을 구경하는 게 꿈이었어. 인류의 발전상을 미리 보는 거야. 마티 : 좋죠! 브라운 박사 : 앞으로 25년간의 월드 시리즈 우승팀도 알게 될 거구. 마티 : 아....박사님. 브라운 박사 : 응? 마티 : 거기 가시면....절 찾아 주세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돌려라. ....... 으흠흠, 나, 에멧 브라운 박사는 이제 역사적인 여행길에 오르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하하하! 내가 정신이 나갔나 보다! 예비 플루토늄 가져가는 걸 잊을 뻔 했어. 돌아오지도 못할 뻔 했잖아. 여행 한 번에 한 통씩인데 정말 정신이 어떻게 됐나 봐! (아인슈타인 멍멍) 브라운 박사 : 왜 그러니? 브라운 박사 : 맙소사, 놈들이 오고 있어. 저놈들이 어떻게 알아냈을까...... 도망쳐라, 마티!! 마티 : 누군데 그래요?! 브라운 박사 : 누구겠니 --- 리비아 놈들이지!! 마티 : 아아니, 뭐라구요.......!! 브라운 박사 : 내가 놈들하고 싸우겠어! 마티 : 아, 박사님, 안 돼요!! ......안돼애 테러범 : 앞으로! .....젠장, 가! 어서 가! 어서 가!! (총격전!) 마티 : 제발 달려라..... 젠장, 맙소사! .....오, 하나님! .......네놈들이 90마일도 따라오는지 보자! 943 2004-12-27T00:19:54Z 220.121.51.94 /* 1탄의 첫번째부터 마티가 1955년으로 가는곳 까지의 대사 */ == 1탄의 첫번째부터 마티가 1955년으로 가는곳 까지의 대사 == 라디오 광고 : ....재고 정리의 달 10월을 맞아 여러분의 스테이틀러 토요타 상사는 1985년 전 토요타 모델을 파격적인 가격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힐 밸리에서도 토요타만큼 품질 좋고 서비스 좋고 가격 좋은 차를 발견하실 수는 없을 것입니다. 힐 밸리 1번가의 스테이틀러 토요타 상사를 많이 찾아 주시기 바랍니다. TV 뉴스 : ....상원은 오늘 이 안건을 표결에 붙일 예정입니다. 다음 뉴스....태평양 핵 연구소 간부들은 2주일 전 연구소에서 없어진 한 상자분의 플루토늄이 실제로 보관실로부터 도난당한 것이라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리비아의 한 테러단체는 자신들이 그것을 훔쳤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오늘 회견에서 연구소 간부들은 그것이 수량 파악 과정에서의 단순한 착오였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 문제를 조사하고 있는 FBI는 여전히 언급을 유보하고 있습니다....플로리다 경찰은 대규모 코케인 밀매단을 검거하고 다량의 코케인을 증거물로 압수했습니다. 어제 플로리다 경찰 마약 단속반에 의해 검거된.... 마티 : 박사님....? 박사님!....어, 아무도 없어요? 아인슈타인, 어딨니? (휘파람)....어, 어떻게 된 거야....맙소사, 난장판이군. 아침먹은 거 넘어오겠는데. 마티 : ....로큰롤다운데.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니? 마티 : 네. 박사님, 어디 계세요, 네? 브라운 박사 : 너 마침 아주 잘 와 있었구나. 오늘 밤 1시 15분에 트윈 파인스 상가로 나와주겠니? 굉장한 걸 만들었는데 네 도움이 필요해. 마티 : 아, 가만, 가만요....새벽 1시 15분에 말이예요? 브라운 박사 : 아, 그래, 그래! 마티 : 어떻게 된 거예요, 박사님? 일주일 내내 어디 계셨었어요? 브라운 박사 : 일했다. 마티 : 아인슈타인은요? 데리고 계세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내 곁에 있어. 마티 : 박사님 기구들이 일주일 내내 켜져 있었다는 거 아세요? 브라운 박사 : 내 기구들?....그 말 들으니 생각이 나는구나. 앰프는 쓰지 않는 게 좋을 거다. 과전류가 흐를 위험이 있으니까 만지지 않는 게 좋아. 마티 : 네네.... 근처에도 안 가겠어요. 브라운 박사 : 아, 그래. 이따 밤에 보자. 잊지 마라, 마티. 1시 15분에 트윈 파인스 상가다, 응? 마티 : 네,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내 시계들이 종을 치고 있는 거냐? 마티 : 네. 아, 지금....8시를 치고 있어요! 브라운 박사 : 성공이구나! 내 실험이 성공한 거야! 그 시계들은 전부 정확히 25분 느린 거다! 마티 : 뭐라구요? ....아, 뭐라구요, 박사님? 그럼 지금이 사실은 8시 25분이란 말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래, 정확히! 마티 : 아으---, 학교에 지각이예요! (배경음악) 'THE POWER OF LOVE' performed by Huey Lewis and the News 마티 : 아, 제니퍼. 제니퍼 : 마티, 이쪽은 위험해. 스트리클런드 선생이 지키고 있어. 이번에 잡히면 넌 네 번째 지각이잖아. (학교 복도) 제니퍼 : 됐어, 나와. 이쪽은 안전한 것 같애. 마티 : 오늘은 내 잘못이 아니라는 거 알아? 박사님이 시계를 전부 25분 늦게 맞춰 놓은 탓이라구. 스트리클런드 : 박사? 그 말은 요즘도 에멧 브라운 박사 꽁무니를 따라다닌다는 뜻이냐, 맥플라이? 쯧쯧....지각 경고장이다, 파커 양. 그리고 맥플라이, 너도 하나. 이게 네 번째 옐로우 카드지, 아마? 널 위해서 공짜로 충고 한마디 해 주겠다, 맥플라이. 그 브라운 박사란 사람은 위험 인물이야. 진짜 미치광이지. 그 사람과 어울리다간 신세 망치기 딱 알맞아! 마티 : 아, 네, 네.... 스트리클런드 : 넌 그 시큰둥한 태도가 문제다, 맥플라이. 넌 얼간이야! 부전자전이라더니, 어쩌면 그렇게 네 아버지하고 똑 같니! 마티 : 아....가도 될까요, 스트리클런드 선생님? 스트리클런드 : 방과 후에 있을 댄스 반주 오디션 명단을 보니까 네 밴드도 신청을 했던데, 미안하지만 헛수고 마라, 맥플라이. 넌 가망이 없어. 네 아버지하고 너무 똑 같으니까. 힐 밸리 학교나 마을 역사상 맥플라이가 성공한 예는 한 번도 없었단 말이다. 마티 : ....하지만 그 역사는 바뀔 겁니다. (오디션 장소) 음악감독선생 : 다음 후보! 마티 : 아, 좋아....시작하자....고맙습니다. 우리 그룹명은 멍텅구리들입니다!....하나, 둘, 셋!! 음악감독선생 : 됐다. 그만해라! 음악이 너무 요란한 것 같다. 내려 와라....... 내려 와라, 그만.... 미안하지만 음악이 너무 요란스럽다. 다음 후보! 다음 오디션 후보 올라가라! (시계탑 광장) 선거 유세차 : 우리의 골디 윌슨을 다음 시장으로 재선출합시다. 그의 이름은 발전의 대명사입니다. 골디 윌슨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 정책만이.... 마티 : 아 젠장, 믿을 수가 없어. 이러다 난 연주할 기회 한번 제대로 가져보지 못할 거라구. 제니퍼 : 마티, 한번 딱지 맞았다고 세상 끝나는 거니? 마티 : 아니야, 난 음악을 할 인물이 못 되나 봐. 제니퍼 : 하지만 넌 재능이 있단 말야, 정말이야. 네가 만든 이 오디션 테입은 최고야! 레코드 회사에 보내라니까 왜 망설이는 거지? 박사님이 언제나 하시는 말, 몰라? 마티 : 아, 그래. 알아, 알아! 하고자만 하면 안될 일이 없다는 얘긴 백 번도 더 들었다구.... 제니퍼 : 그건 좋은 충고야, 마티. 마티 : 아, 그래, 제니퍼. 하지만....테입을 보냈다가 퇴짜맞으면 난 뭐가 되니. 시원찮다고 하면 말이야. 그 사람들이 '관둬라, 꼬마야. 넌 희망이 없다' 이러기라도 하면 그 창피를 어떻게 견디니. 난 그게 두려운 거라구....아, 맙소사, 나도 우리 아버지 말투가 돼 가는구나. 제니퍼 : 네 아빠도 그 정도는 아니셔. 적어도 내일 차는 빌려주시기로 했잖아.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 시계탑을 도와주세요. 마티 : 와! 4단 변속 4륜 구동차잖아! 와, 진짜 멋있는데! 테리 : 됐어, 뒤로 좀 빼! 마티 : .......두고 봐, 제니퍼. 두고 보라구....얼마나 멋질까. 저런 차를 몰고 호숫가에 가서-- 뒷자리에 던져 둔 슬리핑 백 속에 나란히 들어가서....별을 보며 누워 있으면 말이야. 제니퍼 : 그만 두시지. 마티 : 뭘...... 제니퍼 : 엄마한테 말했어? 내일 밤에 대해서.... 마티 : 하핫, 내가 짱구니? 우리 엄만 내가 남자애들하고 캠핑가는 줄 안다구. 생각해 봐, 엄마한테 너하고 같이 간다고 이실직고했다가는 그 자리에서 설교가 시작될 거란 말이야. 엄마가 어렸을 때는 그런 일을 상상도 못했다느니 하시면서....우리 엄만 수녀 체질인 것 같애. 제니퍼 : 널 건전하게 키우려고 그러시는 거야. 마티 : 그거라면 보나마나 실패하실 걸. 제니퍼 : 흠, 끔찍하구나.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시계탑을 보존합시다..... 윌슨 시장은 저 시계를 새걸로 갈자는 사람들을 후원하고 있지만은, 말도 안 돼요! 30년 전에 저 시계탑에 번개가 떨어져서 그때부터 시계가 저렇게 멈췄어요. 그리고 우리 힐 밸리 보존 협회는 저 시계를 지금 있는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우리 마을의 역사적 유물로서 말이예요. 마티 : 자요, 아주머니. 25센틉니다. 시계탑 아주머니 : 고마와요. 전단도 받아 가구요. 마티 : 네.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 마티 : 아, 어디까지 갔었지? 제니퍼 : 이 지점까지..... 파커 씨 : (차 빵빵 -_-) 제니퍼! 제니퍼 : ....우리 아빠야. 마티 : 아, 그래.... 제니퍼 : 가야 되겠어. 마티 : 밤에 전화할께! 제니퍼 : 아, 나 할머니 댁에 갈거야....가만, 저, 번호 적어 줄게.... 안녕. (배경음악) 'THE POWER OF LOVE' performed by Huey Lewis and the News (맥플라이네 집) 경찰 : 지금 사고 차량 소유자의 집에 와 있다. 주소는 라이언 주택단지 625번지. 차량은 완전 파손됐지만 운전자는 다치지 않았다.... 마티 : 죽여주는군.... 맙소사, 쳇! 비프 : 그게 말이 되냐, 맥플라이! 자동차에 문제가 있다는 걸 뻔히 알면서 그걸 나한테 빌려 줬다는 걸 믿을 수가 없어. 조지 : 아, 문제가 있었다구......? 비프 : 난 죽을 뻔 했다구! 조지 : 아, 가만가만... 비프, 가만...... 너한테 빌려주기 직전까지만 해도 차엔 아무 문제도 없었어. 정말이야..... 아, 어서와라, 얘야. 비프 : 넌 눈도 없냐, 맥플라이! 저 밖을 보란 말이야. 문제가 없었다면 왜 저렇게 돼! 조지 : 아, 저, 비프... 수리비는 그러니까.... 네 보험에서 나오는 걸로 생각해도 되는 거겠지......? 비프 : 내 보험에서? 저건 네 차야! 네 보험으로 고쳐야지 무슨 소리야. 아, 그리고...... 이, 이건 어떻게 할 거야! 차가 쭈그러질 때 옷에다 맥주를 몽땅 흘렸다구. 세탁비는 누가 낼거야! 조지 : 아.. 아, 알아. 비프 : 아참, 그리고 내 보고서는! 조지 : 아....... 사실은 아직 못 끝냈어. 보고 날짜..... 보고 날짜가 여유가 있길래.... 비프 : 아아, 계세요, 계십니까. 안에 누구 있어요? 조지 : 아.... 알았어. 그래 그래... 그래..... 비프 : 생각해 봐, 맥플라이. 생각을 해. 난 그걸 타자맡길 시간이 필요해. 네가 손으로 쓴 걸 그냥 내면서 이게 내 보고서입니다 했다간 내가 어떻게 되겠니. 난 당장 뭐가 돼. 내가 그렇게 되길 바라는 건 아니겠지? ......그런 거야??! 조지 : 아아, 물론 그건 아니야, 비프. 절대로 그렇게 되길 바라진 않는다구....... 알았어, 비프. 오늘 밤을 새서라도 완전히 정리를 해서 말이야, 해뜨자 마자 쏜살같이 너희 집으로 갖다 줄게. 비프 : 아, 너무 일찍 말구, 나 토요일엔 늦잠자니까. 너 구두끈 풀렸다. 조지 : 아..... 알았어. 비프 : 이제 그만 좀 속아라, 맥플라이...... 그래도 집안은 잘 꾸며 놨구나.... 야, 차를 집 앞까지 끌고 왔는데 냉장고에 준비해 둔 게 겨우 깡통 맥주냐? .....넌 뭘 째려보냐, 꼬맹아..... 네 엄마한테 안부나 전해라. 조지 : 아아..... 네가 뭐라고 하고 싶은지 아빠는 안다. 아, 그래, 네가 옳아요!.... 네가 옳아. 하지만.... 비프는 어쨌든 내 상관이고 게다가 난..... 난 누구와 싸우는 데는 전혀 소질이 없단다. 마티 : 저 차를 좀 보세요, 아버지! 완전히 찌그러뜨려 놨어요. 작살을 냈다구요! ......전 내일 밤에 차가 필요하단 말이예요, 아버지. 그 일이 저한테 얼마나 중요한지 알기나 하세요? 생각이나 해 보셨어요? 조지 : 안다, 마티. 아빠가 할 수 있는 말은.... 미안하다는 말 뿐이야. (식당, 저녁식사) 조지 : 내 말을 믿어라, 마티. 댄스파티 반주같은 성가시고 골치아픈 일을 못하게 된 것 때문에..... 낙심할 건 없어요. 데이브 : 아버지 말씀이 맞는 거야, 마티. 골치아픈 일 맡아봐야.... 골치만 아파. 로레인 : 얘들아.... 이 케잌은 아무래도 우리끼리 먹어야겠다. 조이 삼촌은 이번에도 가석방이 안됐어.... 너희들 모두 위로편지 써 보내도록 해라. 마티 : 감옥 간 조이 삼촌한테요? 데이브 : 아, 정말 엄마 동생이예요? 린다 : 그러게 말이야. 친척이 감옥에 들어가있는 것처럼 챙피한 일은 없다구..... 로레인 : 누구나.... 실수할 때가 있는 법이다. 데이브 : 이런 젠장, 늦었잖아! 로레인 : 데이빗, 입조심해라! 출근하기 전에 엄마한테 뽀뽀하는 거 잊지 말고... 어서 이리 와라, 어서..... 데이브 : 아이, 엄마, 빨리 하세요, 버스 놓치겠어요...... 저녁에 봐요, 아버지...... 어휴~ 머리에 오일 교환좀 하세요, 아버지! 조지 : 까 까 까 까 까....자아식...... -_-; 린다 : 얘, 마티, 이 누나가 네 전화비서 아니다. 네가 밖에서 찌그러진 차 보면서 우는 동안 제니퍼 파커가 두 번 전화했어. 로레인 : 엄만 그아이 싫다. 남자한테 전화질하는 여자앤 제대로 돼먹은 아이가 아니야. 린다 : 엄마, 남자한테 전화거는 게 어때서 그래요? 로레인 : 그건 끔찍한 일이다. 여자애가 남자애를 쫓아다니다니. 내가 너희들만한 나이땐 남자애 쫓아다니며 전화질같은 거 안 했구, 남자애하고 단둘이 차안에 앉아있지도 않았어. 린다 : 아...... 전 남자만나 시집가긴 틀렸군요. 로레인 : 얘야, 다 되게 돼 있어. 내가 너희 아빠 만난 것처럼. 린다 : 하! 그렇게 바보같이요? 아빠가 외할아버지 차에 치어가지고..... 로레인 : 그게 운명이란 거야. 아무튼 외할아버지가 아빠를 치지 않았으면 너희들도 생겨나지 않았을 거야. 린다 : 네...... 그랬겠죠. 아빠가 길 한가운데서 뭘 하고 있었는지 난 아직 모르겠지만요. 로레인 : 뭐 하고 있었죠, 조지? 새 관찰이었나요? 조지 : 뭐, 로레인, 뭐....? 로레인 : 아무튼 외할아버지가 아빠를 치어가지고는 집안으로 부축해 들어오셨어.... 아빤 너무나 측은해 보였단다. 길잃은 강아지처럼..... 난 동정하지 않을 수 없었어. 린다 : 엄마, 알아요. 그 얘긴 백만번도 더 들었어요. 엄만 아빠가 불쌍해졌고, 그래서 댄스 파티에 같이 가 줬죠. 바다의 물고기들 댄스파티에요. 로레인 : 오, 아니다. 그건 바다의 매혹의 댄스파티였어. 우리의 첫 데이트, 오..... 영원히 잊지 못할 거야. 무섭게 천둥이 치던 밤이었죠, 생각나요, 조지? .....그날 밤 춤을 추면서 너희 아빤 나한테 처음으로 키스를 했단다...... 엄만 그 순간 확실히 깨달았지. 아빠하고 평생을 같이 하게 될 거라는 걸. 조지 : 아 까 까 까...... 저것 좀 봐....... 까 까 오 호 호.......... -_-;; (배경음악) 'TIME BOMB TOWN' performed by Lindsey Buckingham (마티의 방)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 잠들어 버린 건 아니지? 마티 : 아, 아뇨, 박사님. 잠들긴요. 아니예요....그건 말도 안 되죠.... 브라운 박사 : 마티, 잘 듣고 잊지 마라. 비디오 카메라를 깜박 했는데 오는 길에 내 방에 들러서 그걸 좀 가지고 오겠니? 응? 마티 : 네....지금 갈께요. (트윈 파인스 쇼핑몰) 마티 : 아,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박사님 어딨니, 응? 어디계셔? (딜로리언 등장) 마티 :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마티! 와 줬구나. 마티 : 네...! 브라운 박사 : 내 최신 발명품을 소개하마. 이건 보통 물건이 아니다. 내가 한평생 꿈꿔 온 거야! 마티 : 아, 저, 이건 딜로리언....이걸 개조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가만, 가만, 기다려라, 마티. 곧 모든 것을 보게 돼. 테잎을 돌려라. 기록을 해 놔야 돼.... 마티 : 네....알았어요. 박사님, 그건 특수복인가요? 브라운 박사 : 아, 신경쓰지 마라, 신경쓰지 마. 그건 나중에, 나중에.... 마티 : 네네, 어서 시작하세요. 브라운 박사 : 아, 안녕하십니까. 저는 에멧 브라운 박사고 여기는 트윈 파인스 상가 주차장입니다. 지금은 토요일 새벽, 1985년 10월 26일 01시 18분, 이것은 제 1차 예비실험입니다. ....자, 아인슈타인, 하하..... 이리 오너라. 어서 타..... 옳지, 옳지..... 그렇지, 자자, 어서 타거라. 그리 앉아. 자, 안전벨트도 매고, 옳지, 됐다, 됐다.... 자, 어디보자. 튼튼하지? 됐어, 됐어..... 똑바로 앉고 말이야..... 자, 보십시오.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지금 내 시계와 1초의 차이도 없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렇지? 마티 : 아, 네, 박사님, 네. 브라운 박사 : 좋아...... 잘 다녀와라, 아인슈타인. 머리 조심하고. 마티 : 아, 그걸로 조종한단 말이예요? 차를요? 브라운 박사 : 넌 어서 찍어. 마티 : 예에...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차를 찍으란 말야, 차를 찍어!! ......내 계산이 틀리지만 않았다면, 저 차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기절초풍할 일이 벌어질거다. 브라운 박사 : 이걸 찍어, 이걸 찍어야 돼! (딜로리언 사라짐) 브라운 박사 : ......봐라아! 내가 말한 대로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사라졌어! 하하하하!!!! 정확히 01시 20분 00초에 역사상 최초의 시간대 이동이 기록된 거야! 마티 : 아, 하나님 맙소사....아, 하나님 맙소사! 아인슈타인이 분해됐잖아요! 브라운 박사 : 진정해라, 마티. 분해된 건 아무것도 없어. 아인슈타인과 자동차의 분자 구조에는 아무 변화도 발생하지 않았으니까 말이야. 마티 : 그럼....어디로 갔냐구요! 브라운 박사 : 정확히 질문하려면 말이다, 언제로 갔느냐고 해야 돼. 알겠니? 아인슈타인은 방금 지구 사상 최초의 시간 여행자가 된 거란 말이야. 나는 아인슈타인을 미래로 보낸 거야!....정확히 말해서 1분 후의 미래로 보냈지. 그리고 정확히 01시 21분 00초에 우린 아인슈타인과 타임머신을 따라잡게 되는 거야! 마티 : 가만 계세요, 가만 계셔봐요, 박사님... 아, 저 그럼 타임 머신을 만드셨단 말씀이예요? .....딜로리언으로요? 브라운 박사 : 나쁠 것도 없잖니. 기왕 자동차로 타임 머신을 만들 바에는 멋진 차로 만드는 게 좋잖아. 게다가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는 시간대를 통과할 때...... 피해!! (딜로리언 나타남) 브라운 박사 : 으와악!! 마티 : 아, 왜 그러세요, 뜨거워요? 브라운 박사 : 아, 차가와, 아주 차가와...... 하하하하[[사용자:220.121.51.94|220.121.51.94]] 아.인.슈.타.인! 이 귀여운 녀석!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내 것보다 정확히 1분 느리다. 여전히 이상 없이 가고 있어. .....자, 내려라. 마티 : 말짱하잖아요. 브라운 박사 : 말짱하고 말고! 시간대 이동 때도 전혀 충격을 받지 않은 거야. 아무것도 못 느낄 만큼 순간적이었다는 얘기가 되는 거지. 그래서 시간의 차이도 정확히 1분인 거야. 내 말 알겠니? 1분 후의 미래로 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시간의 손실이 전혀 없었던 거라구. 이리 와, 조종법을 설명해 줄게. 마티 : 아, 예,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먼저 이걸로 시간 회로를 켜야 된다. 이건 네가 가고자 하는 시간이고, 이건 현재 시간이고, 이건 조금 전에 갔던 시간이야. 가고자 하는 시간은 이 키 패드로 입력이 되는 거구. 예를 들어서 독립선언문 발기 현장으로 가볼 수도 있고...... 예수의 탄생을 볼 수도 있고...... 과학의 혁명을 예고해 준 날을 입력해 볼까...... 1955년 11월 5일. 그래! ......맞았어, 1955년 11월 5일이었지. 마티 : 뭔데요, 그게 무슨 날인데요?....그게 무슨 날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날이 내가 시간여행을 생각해낸 날이야.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화장실 벽에 시계를 걸려고 변기 끝에 올라섰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욕조에 사정없이 머리를 부딪혔는데, 정신을 차렸을 때 그것이 보였어. 그 그림이!....머리 속에 들어 있었어. 그것의 그림이 말이야! .....이것이 바로 시간여행을 가능케 하는 장치다, 마티....시간 변환 장치! 마티 : 시간 변환 장치요....? 브라운 박사 : 그 날의 환상을 실현하기 위해 난 가산을 모두 바쳐가며 30년간 연구를 했다....맙소사, 벌써 그렇게 오래 됐나! ......그러고 보니 여기도 많이 변했구나. 그때 여긴 온통 농토였어. 눈에 보이는 건 밭과 과수원 뿐이었지.... 피바디 할아버지, 전부 그 노인 땅이었다. 그 노인의 취미는..... 소나무를 기르는 거였구 말이야. 마티 : 아, 이건 정말....정말 헤비급 발명이군요. 진짜 굉장해요! 연료는 보통 무연 휘발유를 쓰는 건가요,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불행히도 그렇지가 않아. 좀 더 특수한 연료를 사용해야 된다. 플루토늄! 마티 : 아.... 플루토늄....? 가만있어봐, 저, 그럼.... 아니, 박사님, 그럼 이 물건이 핵 자동차란 말씀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마티, 마티, 계속 찍어, 계속 찍어야 돼! 그건 핵이 아니라 전기 자동차다. 하지만 1.21 기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핵 반응의 힘을 빌리는 것일 뿐이야. 마티 : 박사님, 플루토늄이란 건 아무데서나 파는 물건도 아니지 않습니까..... 훔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 리비아 테러단체로부터 얻었다. 핵폭탄을 만들어 달라길래 플루토늄은 내가 가지고 그놈들한테는 폭탄 껍데기에다가 회전 당구놀이 기계 부속을 잔뜩 넣어 줬지. 이리 와라, 플루토늄을 갈아 넣으려면 방사선 차단복을 입어야 돼. 마티 : 아, 맙소사...... (플루토늄 주입) 브라운 박사 : 이제 안전하다. 모든 건 납으로 봉해져 있어....너 그 테입을 잘 간수해야 된다. 기록으로 남겨야 되니까....자, 이건 여기 도로 넣으면 되는 거구.... 호오, 옷가방을 잊을 뻔 했구나! 미래 세계엔 면 내의가 없을지도 모르잖니. 난 합성 수지 내의엔 알레르기거든. 마티 : 미래 세계요?....거길 가시려구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마티. 25년 후의 미래로 가려는 거다. 난 우리 후대들이 사는 세상을 구경하는 게 꿈이었어. 인류의 발전상을 미리 보는 거야. 마티 : 좋죠! 브라운 박사 : 앞으로 25년간의 월드 시리즈 우승팀도 알게 될 거구. 마티 : 아....박사님. 브라운 박사 : 응? 마티 : 거기 가시면....절 찾아 주세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돌려라. ....... 으흠흠, 나, 에멧 브라운 박사는 이제 역사적인 여행길에 오르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하하하! 내가 정신이 나갔나 보다! 예비 플루토늄 가져가는 걸 잊을 뻔 했어. 돌아오지도 못할 뻔 했잖아. 여행 한 번에 한 통씩인데 정말 정신이 어떻게 됐나 봐! (아인슈타인 멍멍) 브라운 박사 : 왜 그러니? 브라운 박사 : 맙소사, 놈들이 오고 있어. 저놈들이 어떻게 알아냈을까...... 도망쳐라, 마티!! 마티 : 누군데 그래요?! 브라운 박사 : 누구겠니 --- 리비아 놈들이지!! 마티 : 아아니, 뭐라구요.......!! 브라운 박사 : 내가 놈들하고 싸우겠어! 마티 : 아, 박사님, 안 돼요!! ......안돼애 테러범 : 앞으로! .....젠장, 가! 어서 가! 어서 가!! (총격전!) 마티 : 제발 달려라..... 젠장, 맙소사! .....오, 하나님! .......네놈들이 90마일도 따라오는지 보자! 953 2004-12-27T00:40:24Z 220.121.51.94 == 1탄의 첫번째부터 마티가 1955년으로 가는곳 까지의 대사 == 라디오 광고 : ....재고 정리의 달 10월을 맞아 여러분의 스테이틀러 토요타 상사는 1985년 전 토요타 모델을 파격적인 가격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힐 밸리에서도 토요타만큼 품질 좋고 서비스 좋고 가격 좋은 차를 발견하실 수는 없을 것입니다. 힐 밸리 1번가의 스테이틀러 토요타 상사를 많이 찾아 주시기 바랍니다. TV 뉴스 : ....상원은 오늘 이 안건을 표결에 붙일 예정입니다. 다음 뉴스....태평양 핵 연구소 간부들은 2주일 전 연구소에서 없어진 한 상자분의 플루토늄이 실제로 보관실로부터 도난당한 것이라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리비아의 한 테러단체는 자신들이 그것을 훔쳤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오늘 회견에서 연구소 간부들은 그것이 수량 파악 과정에서의 단순한 착오였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 문제를 조사하고 있는 FBI는 여전히 언급을 유보하고 있습니다....플로리다 경찰은 대규모 코케인 밀매단을 검거하고 다량의 코케인을 증거물로 압수했습니다. 어제 플로리다 경찰 마약 단속반에 의해 검거된.... 마티 : 박사님....? 박사님!....어, 아무도 없어요? 아인슈타인, 어딨니? (휘파람)....어, 어떻게 된 거야....맙소사, 난장판이군. 아침먹은 거 넘어오겠는데. 마티 : ....로큰롤다운데.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니? 마티 : 네. 박사님, 어디 계세요, 네? 브라운 박사 : 너 마침 아주 잘 와 있었구나. 오늘 밤 1시 15분에 트윈 파인스 상가로 나와주겠니? 굉장한 걸 만들었는데 네 도움이 필요해. 마티 : 아, 가만, 가만요....새벽 1시 15분에 말이예요? 브라운 박사 : 아, 그래, 그래! 마티 : 어떻게 된 거예요, 박사님? 일주일 내내 어디 계셨었어요? 브라운 박사 : 일했다. 마티 : 아인슈타인은요? 데리고 계세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내 곁에 있어. 마티 : 박사님 기구들이 일주일 내내 켜져 있었다는 거 아세요? 브라운 박사 : 내 기구들?....그 말 들으니 생각이 나는구나. 앰프는 쓰지 않는 게 좋을 거다. 과전류가 흐를 위험이 있으니까 만지지 않는 게 좋아. 마티 : 네네.... 근처에도 안 가겠어요. 브라운 박사 : 아, 그래. 이따 밤에 보자. 잊지 마라, 마티. 1시 15분에 트윈 파인스 상가다, 응? 마티 : 네,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내 시계들이 종을 치고 있는 거냐? 마티 : 네. 아, 지금....8시를 치고 있어요! 브라운 박사 : 성공이구나! 내 실험이 성공한 거야! 그 시계들은 전부 정확히 25분 느린 거다! 마티 : 뭐라구요? ....아, 뭐라구요, 박사님? 그럼 지금이 사실은 8시 25분이란 말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래, 정확히! 마티 : 아으---, 학교에 지각이예요! (배경음악) 'THE POWER OF LOVE' performed by Huey Lewis and the News 마티 : 아, 제니퍼. 제니퍼 : 마티, 이쪽은 위험해. 스트리클런드 선생이 지키고 있어. 이번에 잡히면 넌 네 번째 지각이잖아. (학교 복도) 제니퍼 : 됐어, 나와. 이쪽은 안전한 것 같애. 마티 : 오늘은 내 잘못이 아니라는 거 알아? 박사님이 시계를 전부 25분 늦게 맞춰 놓은 탓이라구. 스트리클런드 : 박사? 그 말은 요즘도 에멧 브라운 박사 꽁무니를 따라다닌다는 뜻이냐, 맥플라이? 쯧쯧....지각 경고장이다, 파커 양. 그리고 맥플라이, 너도 하나. 이게 네 번째 옐로우 카드지, 아마? 널 위해서 공짜로 충고 한마디 해 주겠다, 맥플라이. 그 브라운 박사란 사람은 위험 인물이야. 진짜 미치광이지. 그 사람과 어울리다간 신세 망치기 딱 알맞아! 마티 : 아, 네, 네.... 스트리클런드 : 넌 그 시큰둥한 태도가 문제다, 맥플라이. 넌 얼간이야! 부전자전이라더니, 어쩌면 그렇게 네 아버지하고 똑 같니! 마티 : 아....가도 될까요, 스트리클런드 선생님? 스트리클런드 : 방과 후에 있을 댄스 반주 오디션 명단을 보니까 네 밴드도 신청을 했던데, 미안하지만 헛수고 마라, 맥플라이. 넌 가망이 없어. 네 아버지하고 너무 똑 같으니까. 힐 밸리 학교나 마을 역사상 맥플라이가 성공한 예는 한 번도 없었단 말이다. 마티 : ....하지만 그 역사는 바뀔 겁니다. (오디션 장소) 음악감독선생 : 다음 후보! 마티 : 아, 좋아....시작하자....고맙습니다. 우리 그룹명은 멍텅구리들입니다!....하나, 둘, 셋!! 음악감독선생 : 됐다. 그만해라! 음악이 너무 요란한 것 같다. 내려 와라....... 내려 와라, 그만.... 미안하지만 음악이 너무 요란스럽다. 다음 후보! 다음 오디션 후보 올라가라! (시계탑 광장) 선거 유세차 : 우리의 골디 윌슨을 다음 시장으로 재선출합시다. 그의 이름은 발전의 대명사입니다. 골디 윌슨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 정책만이.... 마티 : 아 젠장, 믿을 수가 없어. 이러다 난 연주할 기회 한번 제대로 가져보지 못할 거라구. 제니퍼 : 마티, 한번 딱지 맞았다고 세상 끝나는 거니? 마티 : 아니야, 난 음악을 할 인물이 못 되나 봐. 제니퍼 : 하지만 넌 재능이 있단 말야, 정말이야. 네가 만든 이 오디션 테입은 최고야! 레코드 회사에 보내라니까 왜 망설이는 거지? 박사님이 언제나 하시는 말, 몰라? 마티 : 아, 그래. 알아, 알아! 하고자만 하면 안될 일이 없다는 얘긴 백 번도 더 들었다구.... 제니퍼 : 그건 좋은 충고야, 마티. 마티 : 아, 그래, 제니퍼. 하지만....테입을 보냈다가 퇴짜맞으면 난 뭐가 되니. 시원찮다고 하면 말이야. 그 사람들이 '관둬라, 꼬마야. 넌 희망이 없다' 이러기라도 하면 그 창피를 어떻게 견디니. 난 그게 두려운 거라구....아, 맙소사, 나도 우리 아버지 말투가 돼 가는구나. 제니퍼 : 네 아빠도 그 정도는 아니셔. 적어도 내일 차는 빌려주시기로 했잖아.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 시계탑을 도와주세요. 마티 : 와! 4단 변속 4륜 구동차잖아! 와, 진짜 멋있는데! 테리 : 됐어, 뒤로 좀 빼! 마티 : .......두고 봐, 제니퍼. 두고 보라구....얼마나 멋질까. 저런 차를 몰고 호숫가에 가서-- 뒷자리에 던져 둔 슬리핑 백 속에 나란히 들어가서....별을 보며 누워 있으면 말이야. 제니퍼 : 그만 두시지. 마티 : 뭘...... 제니퍼 : 엄마한테 말했어? 내일 밤에 대해서.... 마티 : 하핫, 내가 짱구니? 우리 엄만 내가 남자애들하고 캠핑가는 줄 안다구. 생각해 봐, 엄마한테 너하고 같이 간다고 이실직고했다가는 그 자리에서 설교가 시작될 거란 말이야. 엄마가 어렸을 때는 그런 일을 상상도 못했다느니 하시면서....우리 엄만 수녀 체질인 것 같애. 제니퍼 : 널 건전하게 키우려고 그러시는 거야. 마티 : 그거라면 보나마나 실패하실 걸. 제니퍼 : 흠, 끔찍하구나.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시계탑을 보존합시다..... 윌슨 시장은 저 시계를 새걸로 갈자는 사람들을 후원하고 있지만은, 말도 안 돼요! 30년 전에 저 시계탑에 번개가 떨어져서 그때부터 시계가 저렇게 멈췄어요. 그리고 우리 힐 밸리 보존 협회는 저 시계를 지금 있는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우리 마을의 역사적 유물로서 말이예요. 마티 : 자요, 아주머니. 25센틉니다. 시계탑 아주머니 : 고마와요. 전단도 받아 가구요. 마티 : 네. 시계탑 아주머니 : 시계탑을 보존합시다..... 마티 : 아, 어디까지 갔었지? 제니퍼 : 이 지점까지..... 파커 씨 : (차 빵빵 -_-) 제니퍼! 제니퍼 : ....우리 아빠야. 마티 : 아, 그래.... 제니퍼 : 가야 되겠어. 마티 : 밤에 전화할께! 제니퍼 : 아, 나 할머니 댁에 갈거야....가만, 저, 번호 적어 줄게.... 안녕. (배경음악) 'THE POWER OF LOVE' performed by Huey Lewis and the News (맥플라이네 집) 경찰 : 지금 사고 차량 소유자의 집에 와 있다. 주소는 라이언 주택단지 625번지. 차량은 완전 파손됐지만 운전자는 다치지 않았다.... 마티 : 죽여주는군.... 맙소사, 쳇! 비프 : 그게 말이 되냐, 맥플라이! 자동차에 문제가 있다는 걸 뻔히 알면서 그걸 나한테 빌려 줬다는 걸 믿을 수가 없어. 조지 : 아, 문제가 있었다구......? 비프 : 난 죽을 뻔 했다구! 조지 : 아, 가만가만... 비프, 가만...... 너한테 빌려주기 직전까지만 해도 차엔 아무 문제도 없었어. 정말이야..... 아, 어서와라, 얘야. 비프 : 넌 눈도 없냐, 맥플라이! 저 밖을 보란 말이야. 문제가 없었다면 왜 저렇게 돼! 조지 : 아, 저, 비프... 수리비는 그러니까.... 네 보험에서 나오는 걸로 생각해도 되는 거겠지......? 비프 : 내 보험에서? 저건 네 차야! 네 보험으로 고쳐야지 무슨 소리야. 아, 그리고...... 이, 이건 어떻게 할 거야! 차가 쭈그러질 때 옷에다 맥주를 몽땅 흘렸다구. 세탁비는 누가 낼거야! 조지 : 아.. 아, 알아. 비프 : 아참, 그리고 내 보고서는! 조지 : 아....... 사실은 아직 못 끝냈어. 보고 날짜..... 보고 날짜가 여유가 있길래.... 비프 : 아아, 계세요, 계십니까. 안에 누구 있어요? 조지 : 아.... 알았어. 그래 그래... 그래..... 비프 : 생각해 봐, 맥플라이. 생각을 해. 난 그걸 타자맡길 시간이 필요해. 네가 손으로 쓴 걸 그냥 내면서 이게 내 보고서입니다 했다간 내가 어떻게 되겠니. 난 당장 뭐가 돼. 내가 그렇게 되길 바라는 건 아니겠지? ......그런 거야??! 조지 : 아아, 물론 그건 아니야, 비프. 절대로 그렇게 되길 바라진 않는다구....... 알았어, 비프. 오늘 밤을 새서라도 완전히 정리를 해서 말이야, 해뜨자 마자 쏜살같이 너희 집으로 갖다 줄게. 비프 : 아, 너무 일찍 말구, 나 토요일엔 늦잠자니까. 너 구두끈 풀렸다. 조지 : 아..... 알았어. 비프 : 이제 그만 좀 속아라, 맥플라이...... 그래도 집안은 잘 꾸며 놨구나.... 야, 차를 집 앞까지 끌고 왔는데 냉장고에 준비해 둔 게 겨우 깡통 맥주냐? .....넌 뭘 째려보냐, 꼬맹아..... 네 엄마한테 안부나 전해라. 조지 : 아아..... 네가 뭐라고 하고 싶은지 아빠는 안다. 아, 그래, 네가 옳아요!.... 네가 옳아. 하지만.... 비프는 어쨌든 내 상관이고 게다가 난..... 난 누구와 싸우는 데는 전혀 소질이 없단다. 마티 : 저 차를 좀 보세요, 아버지! 완전히 찌그러뜨려 놨어요. 작살을 냈다구요! ......전 내일 밤에 차가 필요하단 말이예요, 아버지. 그 일이 저한테 얼마나 중요한지 알기나 하세요? 생각이나 해 보셨어요? 조지 : 안다, 마티. 아빠가 할 수 있는 말은.... 미안하다는 말 뿐이야. (식당, 저녁식사) 조지 : 내 말을 믿어라, 마티. 댄스파티 반주같은 성가시고 골치아픈 일을 못하게 된 것 때문에..... 낙심할 건 없어요. 데이브 : 아버지 말씀이 맞는 거야, 마티. 골치아픈 일 맡아봐야.... 골치만 아파. 로레인 : 얘들아.... 이 케잌은 아무래도 우리끼리 먹어야겠다. 조이 삼촌은 이번에도 가석방이 안됐어.... 너희들 모두 위로편지 써 보내도록 해라. 마티 : 감옥 간 조이 삼촌한테요? 데이브 : 아, 정말 엄마 동생이예요? 린다 : 그러게 말이야. 친척이 감옥에 들어가있는 것처럼 챙피한 일은 없다구..... 로레인 : 누구나.... 실수할 때가 있는 법이다. 데이브 : 이런 젠장, 늦었잖아! 로레인 : 데이빗, 입조심해라! 출근하기 전에 엄마한테 뽀뽀하는 거 잊지 말고... 어서 이리 와라, 어서..... 데이브 : 아이, 엄마, 빨리 하세요, 버스 놓치겠어요...... 저녁에 봐요, 아버지...... 어휴~ 머리에 오일 교환좀 하세요, 아버지! 조지 : 까 까 까 까 까....자아식...... -_-; 린다 : 얘, 마티, 이 누나가 네 전화비서 아니다. 네가 밖에서 찌그러진 차 보면서 우는 동안 제니퍼 파커가 두 번 전화했어. 로레인 : 엄만 그아이 싫다. 남자한테 전화질하는 여자앤 제대로 돼먹은 아이가 아니야. 린다 : 엄마, 남자한테 전화거는 게 어때서 그래요? 로레인 : 그건 끔찍한 일이다. 여자애가 남자애를 쫓아다니다니. 내가 너희들만한 나이땐 남자애 쫓아다니며 전화질같은 거 안 했구, 남자애하고 단둘이 차안에 앉아있지도 않았어. 린다 : 아...... 전 남자만나 시집가긴 틀렸군요. 로레인 : 얘야, 다 되게 돼 있어. 내가 너희 아빠 만난 것처럼. 린다 : 하! 그렇게 바보같이요? 아빠가 외할아버지 차에 치어가지고..... 로레인 : 그게 운명이란 거야. 아무튼 외할아버지가 아빠를 치지 않았으면 너희들도 생겨나지 않았을 거야. 린다 : 네...... 그랬겠죠. 아빠가 길 한가운데서 뭘 하고 있었는지 난 아직 모르겠지만요. 로레인 : 뭐 하고 있었죠, 조지? 새 관찰이었나요? 조지 : 뭐, 로레인, 뭐....? 로레인 : 아무튼 외할아버지가 아빠를 치어가지고는 집안으로 부축해 들어오셨어.... 아빤 너무나 측은해 보였단다. 길잃은 강아지처럼..... 난 동정하지 않을 수 없었어. 린다 : 엄마, 알아요. 그 얘긴 백만번도 더 들었어요. 엄만 아빠가 불쌍해졌고, 그래서 댄스 파티에 같이 가 줬죠. 바다의 물고기들 댄스파티에요. 로레인 : 오, 아니다. 그건 바다의 매혹의 댄스파티였어. 우리의 첫 데이트, 오..... 영원히 잊지 못할 거야. 무섭게 천둥이 치던 밤이었죠, 생각나요, 조지? .....그날 밤 춤을 추면서 너희 아빤 나한테 처음으로 키스를 했단다...... 엄만 그 순간 확실히 깨달았지. 아빠하고 평생을 같이 하게 될 거라는 걸. 조지 : 아 까 까 까...... 저것 좀 봐....... 까 까 오 호 호.......... -_-;; (배경음악) 'TIME BOMB TOWN' performed by Lindsey Buckingham (마티의 방)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 잠들어 버린 건 아니지? 마티 : 아, 아뇨, 박사님. 잠들긴요. 아니예요....그건 말도 안 되죠.... 브라운 박사 : 마티, 잘 듣고 잊지 마라. 비디오 카메라를 깜박 했는데 오는 길에 내 방에 들러서 그걸 좀 가지고 오겠니? 응? 마티 : 네....지금 갈께요. (트윈 파인스 쇼핑몰) 마티 : 아,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박사님 어딨니, 응? 어디계셔? (딜로리언 등장) 마티 :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마티! 와 줬구나. 마티 : 네...! 브라운 박사 : 내 최신 발명품을 소개하마. 이건 보통 물건이 아니다. 내가 한평생 꿈꿔 온 거야! 마티 : 아, 저, 이건 딜로리언....이걸 개조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가만, 가만, 기다려라, 마티. 곧 모든 것을 보게 돼. 테잎을 돌려라. 기록을 해 놔야 돼.... 마티 : 네....알았어요. 박사님, 그건 특수복인가요? 브라운 박사 : 아, 신경쓰지 마라, 신경쓰지 마. 그건 나중에, 나중에.... 마티 : 네네, 어서 시작하세요. 브라운 박사 : 아, 안녕하십니까. 저는 에멧 브라운 박사고 여기는 트윈 파인스 상가 주차장입니다. 지금은 토요일 새벽, 1985년 10월 26일 01시 18분, 이것은 제 1차 예비실험입니다. ....자, 아인슈타인, 하하..... 이리 오너라. 어서 타..... 옳지, 옳지..... 그렇지, 자자, 어서 타거라. 그리 앉아. 자, 안전벨트도 매고, 옳지, 됐다, 됐다.... 자, 어디보자. 튼튼하지? 됐어, 됐어..... 똑바로 앉고 말이야..... 자, 보십시오.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지금 내 시계와 1초의 차이도 없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렇지? 마티 : 아, 네, 박사님, 네. 브라운 박사 : 좋아...... 잘 다녀와라, 아인슈타인. 머리 조심하고. 마티 : 아, 그걸로 조종한단 말이예요? 차를요? 브라운 박사 : 넌 어서 찍어. 마티 : 예에...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차를 찍으란 말야, 차를 찍어!! ......내 계산이 틀리지만 않았다면, 저 차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기절초풍할 일이 벌어질거다. 브라운 박사 : 이걸 찍어, 이걸 찍어야 돼! (딜로리언 사라짐) 브라운 박사 : ......봐라아! 내가 말한 대로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사라졌어! 하하하하!!!! 정확히 01시 20분 00초에 역사상 최초의 시간대 이동이 기록된 거야! 마티 : 아, 하나님 맙소사....아, 하나님 맙소사! 아인슈타인이 분해됐잖아요! 브라운 박사 : 진정해라, 마티. 분해된 건 아무것도 없어. 아인슈타인과 자동차의 분자 구조에는 아무 변화도 발생하지 않았으니까 말이야. 마티 : 그럼....어디로 갔냐구요! 브라운 박사 : 정확히 질문하려면 말이다, 언제로 갔느냐고 해야 돼. 알겠니? 아인슈타인은 방금 지구 사상 최초의 시간 여행자가 된 거란 말이야. 나는 아인슈타인을 미래로 보낸 거야!....정확히 말해서 1분 후의 미래로 보냈지. 그리고 정확히 01시 21분 00초에 우린 아인슈타인과 타임머신을 따라잡게 되는 거야! 마티 : 가만 계세요, 가만 계셔봐요, 박사님... 아, 저 그럼 타임 머신을 만드셨단 말씀이예요? .....딜로리언으로요? 브라운 박사 : 나쁠 것도 없잖니. 기왕 자동차로 타임 머신을 만들 바에는 멋진 차로 만드는 게 좋잖아. 게다가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는 시간대를 통과할 때...... 피해!! (딜로리언 나타남) 브라운 박사 : 으와악!! 마티 : 아, 왜 그러세요, 뜨거워요? 브라운 박사 : 아, 차가와, 아주 차가와...... 하하하하[[사용자:220.121.51.94|220.121.51.94]] 아.인.슈.타.인! 이 귀여운 녀석!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내 것보다 정확히 1분 느리다. 여전히 이상 없이 가고 있어. .....자, 내려라. 마티 : 말짱하잖아요. 브라운 박사 : 말짱하고 말고! 시간대 이동 때도 전혀 충격을 받지 않은 거야. 아무것도 못 느낄 만큼 순간적이었다는 얘기가 되는 거지. 그래서 시간의 차이도 정확히 1분인 거야. 내 말 알겠니? 1분 후의 미래로 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시간의 손실이 전혀 없었던 거라구. 이리 와, 조종법을 설명해 줄게. 마티 : 아, 예,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먼저 이걸로 시간 회로를 켜야 된다. 이건 네가 가고자 하는 시간이고, 이건 현재 시간이고, 이건 조금 전에 갔던 시간이야. 가고자 하는 시간은 이 키 패드로 입력이 되는 거구. 예를 들어서 독립선언문 발기 현장으로 가볼 수도 있고...... 예수의 탄생을 볼 수도 있고...... 과학의 혁명을 예고해 준 날을 입력해 볼까...... 1955년 11월 5일. 그래! ......맞았어, 1955년 11월 5일이었지. 마티 : 뭔데요, 그게 무슨 날인데요?....그게 무슨 날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날이 내가 시간여행을 생각해낸 날이야.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화장실 벽에 시계를 걸려고 변기 끝에 올라섰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욕조에 사정없이 머리를 부딪혔는데, 정신을 차렸을 때 그것이 보였어. 그 그림이!....머리 속에 들어 있었어. 그것의 그림이 말이야! .....이것이 바로 시간여행을 가능케 하는 장치다, 마티....시간 변환 장치! 마티 : 시간 변환 장치요....? 브라운 박사 : 그 날의 환상을 실현하기 위해 난 가산을 모두 바쳐가며 30년간 연구를 했다....맙소사, 벌써 그렇게 오래 됐나! ......그러고 보니 여기도 많이 변했구나. 그때 여긴 온통 농토였어. 눈에 보이는 건 밭과 과수원 뿐이었지.... 피바디 할아버지, 전부 그 노인 땅이었다. 그 노인의 취미는..... 소나무를 기르는 거였구 말이야. 마티 : 아, 이건 정말....정말 헤비급 발명이군요. 진짜 굉장해요! 연료는 보통 무연 휘발유를 쓰는 건가요,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불행히도 그렇지가 않아. 좀 더 특수한 연료를 사용해야 된다. 플루토늄! 마티 : 아.... 플루토늄....? 가만있어봐, 저, 그럼.... 아니, 박사님, 그럼 이 물건이 핵 자동차란 말씀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마티, 마티, 계속 찍어, 계속 찍어야 돼! 그건 핵이 아니라 전기 자동차다. 하지만 1.21 기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핵 반응의 힘을 빌리는 것일 뿐이야. 마티 : 박사님, 플루토늄이란 건 아무데서나 파는 물건도 아니지 않습니까..... 훔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 리비아 테러단체로부터 얻었다. 핵폭탄을 만들어 달라길래 플루토늄은 내가 가지고 그놈들한테는 폭탄 껍데기에다가 회전 당구놀이 기계 부속을 잔뜩 넣어 줬지. 이리 와라, 플루토늄을 갈아 넣으려면 방사선 차단복을 입어야 돼. 마티 : 아, 맙소사...... (플루토늄 주입) 브라운 박사 : 이제 안전하다. 모든 건 납으로 봉해져 있어....너 그 테입을 잘 간수해야 된다. 기록으로 남겨야 되니까....자, 이건 여기 도로 넣으면 되는 거구.... 호오, 옷가방을 잊을 뻔 했구나! 미래 세계엔 면 내의가 없을지도 모르잖니. 난 합성 수지 내의엔 알레르기거든. 마티 : 미래 세계요?....거길 가시려구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마티. 25년 후의 미래로 가려는 거다. 난 우리 후대들이 사는 세상을 구경하는 게 꿈이었어. 인류의 발전상을 미리 보는 거야. 마티 : 좋죠! 브라운 박사 : 앞으로 25년간의 월드 시리즈 우승팀도 알게 될 거구. 마티 : 아....박사님. 브라운 박사 : 응? 마티 : 거기 가시면....절 찾아 주세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돌려라. ....... 으흠흠, 나, 에멧 브라운 박사는 이제 역사적인 여행길에 오르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하하하! 내가 정신이 나갔나 보다! 예비 플루토늄 가져가는 걸 잊을 뻔 했어. 돌아오지도 못할 뻔 했잖아. 여행 한 번에 한 통씩인데 정말 정신이 어떻게 됐나 봐! (아인슈타인 멍멍) 브라운 박사 : 왜 그러니? 브라운 박사 : 맙소사, 놈들이 오고 있어. 저놈들이 어떻게 알아냈을까...... 도망쳐라, 마티!! 마티 : 누군데 그래요?! 브라운 박사 : 누구겠니 --- 리비아 놈들이지!! 마티 : 아아니, 뭐라구요.......!! 브라운 박사 : 내가 놈들하고 싸우겠어! 마티 : 아, 박사님, 안 돼요!! ......안돼애 테러범 : 앞으로! .....젠장, 가! 어서 가! 어서 가!! (총격전!) 마티 : 제발 달려라..... 젠장, 맙소사! .....오, 하나님! .......네놈들이 90마일도 따라오는지 보자! == 읽어보기 ==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1.htm 백 투 더 퓨쳐 1탄대본]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2.htm 백 투 더 퓨쳐 2탄대본]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3.htm 백 투 더 퓨쳐 3탄대본] * [http://ko.wikipedia.org/wiki/%EB%B0%B1_%ED%88%AC_%EB%8D%94_%ED%93%A8%EC%B3%90#Hill_Valley.EC.9D.98_.EC.9C.84.EC.B9.98 위키백과사전] 1023 2004-12-29T08:21:30Z 220.121.51.94 /* 1탄의 첫번째부터 마티가 1955년으로 가는곳 까지의 대사 */ == 1편:마티의 방에서 타임머신을 타고 1955년으로 가는데까지 == (마티의 방)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 잠들어 버린 건 아니지? *마티 : 아, 아뇨, 박사님. 잠들긴요. 아니예요....그건 말도 안 되죠.... *브라운 박사 : 마티, 잘 듣고 잊지 마라. 비디오 카메라를 깜박 했는데 오는 길에 내 방에 들러서 그걸 좀 가지고 오겠니? 응? *마티 : 네....지금 갈께요. (트윈 파인스 쇼핑몰) *마티 : 아,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박사님 어딨니, 응? 어디계셔? (딜로리언 등장) *마티 :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마티! 와 줬구나. *마티 : 네...! *브라운 박사 : 내 최신 발명품을 소개하마. 이건 보통 물건이 아니다. 내가 한평생 꿈꿔 온 거야! *마티 : 아, 저, 이건 딜로리언....이걸 개조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가만, 가만, 기다려라, 마티. 곧 모든 것을 보게 돼. 테잎을 돌려라. 기록을 해 놔야 돼.... *마티 : 네....알았어요. 박사님, 그건 특수복인가요? *브라운 박사 : 아, 신경쓰지 마라, 신경쓰지 마. 그건 나중에, 나중에.... *마티 : 네네, 어서 시작하세요. *브라운 박사 : 아, 안녕하십니까. 저는 에멧 브라운 박사고 여기는 트윈 파인스 상가 주차장입니다. 지금은 토요일 새벽, 1985년 10월 26일 01시 18분, 이것은 제 1차 예비실험입니다. ....자, 아인슈타인, 하하..... 이리 오너라. 어서 타..... 옳지, 옳지..... 그렇지, 자자, 어서 타거라. 그리 앉아. 자, 안전벨트도 매고, 옳지, 됐다, 됐다.... 자, 어디보자. 튼튼하지? 됐어, 됐어..... 똑바로 앉고 말이야..... 자, 보십시오.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지금 내 시계와 1초의 차이도 없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렇지? *마티 : 아, 네, 박사님, 네. *브라운 박사 : 좋아...... 잘 다녀와라, 아인슈타인. 머리 조심하고. *마티 : 아, 그걸로 조종한단 말이예요? 차를요? *브라운 박사 : 넌 어서 찍어. *마티 : 예에...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차를 찍으란 말야, 차를 찍어!! ......내 계산이 틀리지만 않았다면, 저 차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기절초풍할 일이 벌어질거다. *브라운 박사 : 이걸 찍어, 이걸 찍어야 돼! (딜로리언 사라짐) *브라운 박사 : ......봐라아! 내가 말한 대로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사라졌어! 하하하하!!!! 정확히 01시 20분 00초에 역사상 최초의 시간대 이동이 기록된 거야! *마티 : 아, 하나님 맙소사....아, 하나님 맙소사! 아인슈타인이 분해됐잖아요! *브라운 박사 : 진정해라, 마티. 분해된 건 아무것도 없어. 아인슈타인과 자동차의 분자 구조에는 아무 변화도 발생하지 않았으니까 말이야. *마티 : 그럼....어디로 갔냐구요! *브라운 박사 : 정확히 질문하려면 말이다, 언제로 갔느냐고 해야 돼. 알겠니? 아인슈타인은 방금 지구 사상 최초의 시간 여행자가 된 거란 말이야. 나는 아인슈타인을 미래로 보낸 거야!....정확히 말해서 1분 후의 미래로 보냈지. 그리고 정확히 01시 21분 00초에 우린 아인슈타인과 타임머신을 따라잡게 되는 거야! *마티 : 가만 계세요, 가만 계셔봐요, 박사님... 아, 저 그럼 타임 머신을 만드셨단 말씀이예요? .....딜로리언으로요? *브라운 박사 : 나쁠 것도 없잖니. 기왕 자동차로 타임 머신을 만들 바에는 멋진 차로 만드는 게 좋잖아. 게다가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는 시간대를 통과할 때...... 피해!! (딜로리언 나타남) *브라운 박사 : 으와악!! *마티 : 아, 왜 그러세요, 뜨거워요? *브라운 박사 : 아, 차가와, 아주 차가와...... 하하하하 아.인.슈.타.인! 이 귀여운 녀석!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내 것보다 정확히 1분 느리다. 여전히 이상 없이 가고 있어. .....자, 내려라. *마티 : 말짱하잖아요. *브라운 박사 : 말짱하고 말고! 시간대 이동 때도 전혀 충격을 받지 않은 거야. 아무것도 못 느낄 만큼 순간적이었다는 얘기가 되는 거지. 그래서 시간의 차이도 정확히 1분인 거야. 내 말 알겠니? 1분 후의 미래로 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시간의 손실이 전혀 없었던 거라구. 이리 와, 조종법을 설명해 줄게. *마티 : 아, 예,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먼저 이걸로 시간 회로를 켜야 된다. 이건 네가 가고자 하는 시간이고, 이건 현재 시간이고, 이건 조금 전에 갔던 시간이야. 가고자 하는 시간은 이 키 패드로 입력이 되는 거구. 예를 들어서 독립선언문 발기 현장으로 가볼 수도 있고...... 예수의 탄생을 볼 수도 있고...... 과학의 혁명을 예고해 준 날을 입력해 볼까...... 1955년 11월 5일. 그래! ......맞았어, 1955년 11월 5일이었지. *마티 : 뭔데요, 그게 무슨 날인데요?....그게 무슨 날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날이 내가 시간여행을 생각해낸 날이야.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화장실 벽에 시계를 걸려고 변기 끝에 올라섰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욕조에 사정없이 머리를 부딪혔는데, 정신을 차렸을 때 그것이 보였어. 그 그림이!....머리 속에 들어 있었어. 그것의 그림이 말이야! .....이것이 바로 시간여행을 가능케 하는 장치다, 마티....시간 변환 장치! *마티 : 시간 변환 장치요....? *브라운 박사 : 그 날의 환상을 실현하기 위해 난 가산을 모두 바쳐가며 30년간 연구를 했다....맙소사, 벌써 그렇게 오래 됐나! ......그러고 보니 여기도 많이 변했구나. 그때 여긴 온통 농토였어. 눈에 보이는 건 밭과 과수원 뿐이었지.... 피바디 할아버지, 전부 그 노인 땅이었다. 그 노인의 취미는..... 소나무를 기르는 거였구 말이야. *마티 : 아, 이건 정말....정말 헤비급 발명이군요. 진짜 굉장해요! 연료는 보통 무연 휘발유를 쓰는 건가요,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불행히도 그렇지가 않아. 좀 더 특수한 연료를 사용해야 된다. 플루토늄! *마티 : 아.... 플루토늄....? 가만있어봐, 저, 그럼.... 아니, 박사님, 그럼 이 물건이 핵 자동차란 말씀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마티, 마티, 계속 찍어, 계속 찍어야 돼! 그건 핵이 아니라 전기 자동차다. 하지만 1.21 기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핵 반응의 힘을 빌리는 것일 뿐이야. *마티 : 박사님, 플루토늄이란 건 아무데서나 파는 물건도 아니지 않습니까..... 훔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 리비아 테러단체로부터 얻었다. 핵폭탄을 만들어 달라길래 플루토늄은 내가 가지고 그놈들한테는 폭탄 껍데기에다가 회전 당구놀이 기계 부속을 잔뜩 넣어 줬지. 이리 와라, 플루토늄을 갈아 넣으려면 방사선 차단복을 입어야 돼. *마티 : 아, 맙소사...... (플루토늄 주입) *브라운 박사 : 이제 안전하다. 모든 건 납으로 봉해져 있어....너 그 테입을 잘 간수해야 된다. 기록으로 남겨야 되니까....자, 이건 여기 도로 넣으면 되는 거구.... 호오, 옷가방을 잊을 뻔 했구나! 미래 세계엔 면 내의가 없을지도 모르잖니. 난 합성 수지 내의엔 알레르기거든. *마티 : 미래 세계요?....거길 가시려구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마티. 25년 후의 미래로 가려는 거다. 난 우리 후대들이 사는 세상을 구경하는 게 꿈이었어. 인류의 발전상을 미리 보는 거야. *마티 : 좋죠! *브라운 박사 : 앞으로 25년간의 월드 시리즈 우승팀도 알게 될 거구. *마티 : 아....박사님. *브라운 박사 : 응? *마티 : 거기 가시면....절 찾아 주세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돌려라. ....... 으흠흠, 나, 에멧 브라운 박사는 이제 역사적인 여행길에 오르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하하하! 내가 정신이 나갔나 보다! 예비 플루토늄 가져가는 걸 잊을 뻔 했어. 돌아오지도 못할 뻔 했잖아. 여행 한 번에 한 통씩인데 정말 정신이 어떻게 됐나 봐! (아인슈타인 멍멍) *브라운 박사 : 왜 그러니? *브라운 박사 : 맙소사, 놈들이 오고 있어. 저놈들이 어떻게 알아냈을까...... 도망쳐라, 마티!! *마티 : 누군데 그래요?! *브라운 박사 : 누구겠니 --- 리비아 놈들이지!! *마티 : 아아니, 뭐라구요.......!! *브라운 박사 : 내가 놈들하고 싸우겠어! *마티 : 아, 박사님, 안 돼요!! ......안돼애 *테러범 : 앞으로! .....젠장, 가! 어서 가! 어서 가!! (총격전!) *마티 : 제발 달려라..... 젠장, 맙소사! .....오, 하나님! .......네놈들이 90마일도 따라오는지 보자! == 읽어보기 ==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1.htm 백 투 더 퓨쳐 1탄대본]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2.htm 백 투 더 퓨쳐 2탄대본]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3.htm 백 투 더 퓨쳐 3탄대본] * [http://ko.wikipedia.org/wiki/%EB%B0%B1_%ED%88%AC_%EB%8D%94_%ED%93%A8%EC%B3%90#Hill_Valley.EC.9D.98_.EC.9C.84.EC.B9.98 위키백과사전] 2907 2005-04-14T06:24:50Z 220.79.45.142 == 1편:마티의 방에서 타임머신을 타고 1955년으로 가는데까지 == (마티의 방)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 잠들어 버린 건 아니지? *마티 : 아, 아뇨, 박사님. 잠들긴요. 아니예요....그건 말도 안 되죠.... *브라운 박사 : 마티, 잘 듣고 잊지 마라. 비디오 카메라를 깜박 했는데 오는 길에 내 방에 들러서 그걸 좀 가지고 오겠니? 응? *마티 : 네....지금 갈께요. (트윈 파인스 쇼핑몰) *마티 : 아,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박사님 어딨니, 응? 어디계셔? (딜로리언 등장) *마티 :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마티! 와 줬구나. *마티 : 네...! *브라운 박사 : 내 최신 발명품을 소개하마. 이건 보통 물건이 아니다. 내가 한평생 꿈꿔 온 거야! *마티 : 아, 저, 이건 딜로리언....이걸 개조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가만, 가만, 기다려라, 마티. 곧 모든 것을 보게 돼. 테잎을 돌려라. 기록을 해 놔야 돼.... *마티 : 네....알았어요. 박사님, 그건 특수복인가요? *브라운 박사 : 아, 신경쓰지 마라, 신경쓰지 마. 그건 나중에, 나중에.... *마티 : 네네, 어서 시작하세요. *브라운 박사 : 아, 안녕하십니까. 저는 에멧 브라운 박사고 여기는 트윈 파인스 상가 주차장입니다. 지금은 토요일 새벽, 1985년 10월 26일 01시 18분, 이것은 제 1차 예비실험입니다. ....자, 아인슈타인, 하하..... 이리 오너라. 어서 타..... 옳지, 옳지..... 그렇지, 자자, 어서 타거라. 그리 앉아. 자, 안전벨트도 매고, 옳지, 됐다, 됐다.... 자, 어디보자. 튼튼하지? 됐어, 됐어..... 똑바로 앉고 말이야..... 자, 보십시오.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지금 내 시계와 1초의 차이도 없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렇지? *마티 : 아, 네, 박사님, 네. *브라운 박사 : 좋아...... 잘 다녀와라, 아인슈타인. 머리 조심하고. *마티 : 아, 그걸로 조종한단 말이예요? 차를요? *브라운 박사 : 넌 어서 찍어. *마티 : 예에...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차를 찍으란 말야, 차를 찍어!! ......내 계산이 틀리지만 않았다면, 저 차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기절초풍할 일이 벌어질거다. *브라운 박사 : 이걸 찍어, 이걸 찍어야 돼! (딜로리언 사라짐) *브라운 박사 : ......봐라아! 내가 말한 대로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사라졌어! 하하하하!!!! 정확히 01시 20분 00초에 역사상 최초의 시간대 이동이 기록된 거야! *마티 : 아, 하나님 맙소사....아, 하나님 맙소사! 아인슈타인이 분해됐잖아요! *브라운 박사 : 진정해라, 마티. 분해된 건 아무것도 없어. 아인슈타인과 자동차의 분자 구조에는 아무 변화도 발생하지 않았으니까 말이야. *마티 : 그럼....어디로 갔냐구요! *브라운 박사 : 정확히 질문하려면 말이다, 언제로 갔느냐고 해야 돼. 알겠니? 아인슈타인은 방금 지구 사상 최초의 시간 여행자가 된 거란 말이야. 나는 아인슈타인을 미래로 보낸 거야!....정확히 말해서 1분 후의 미래로 보냈지. 그리고 정확히 01시 21분 00초에 우린 아인슈타인과 타임머신을 따라잡게 되는 거야! *마티 : 가만 계세요, 가만 계셔봐요, 박사님... 아, 저 그럼 타임 머신을 만드셨단 말씀이예요? .....딜로리언으로요? *브라운 박사 : 나쁠 것도 없잖니. 기왕 자동차로 타임 머신을 만들 바에는 멋진 차로 만드는 게 좋잖아. 게다가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는 시간대를 통과할 때...... 피해!! (딜로리언 나타남) *브라운 박사 : 으와악!! *마티 : 아, 왜 그러세요, 뜨거워요? *브라운 박사 : 아, 차가와, 아주 차가와...... 하하하하 아.인.슈.타.인! 이 귀여운 녀석!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내 것보다 정확히 1분 느리다. 여전히 이상 없이 가고 있어. .....자, 내려라. *마티 : 말짱하잖아요. *브라운 박사 : 말짱하고 말고! 시간대 이동 때도 전혀 충격을 받지 않은 거야. 아무것도 못 느낄 만큼 순간적이었다는 얘기가 되는 거지. 그래서 시간의 차이도 정확히 1분인 거야. 내 말 알겠니? 1분 후의 미래로 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시간의 손실이 전혀 없었던 거라구. 이리 와, 조종법을 설명해 줄게. *마티 : 아, 예,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먼저 이걸로 시간 회로를 켜야 된다. 이건 네가 가고자 하는 시간이고, 이건 현재 시간이고, 이건 조금 전에 갔던 시간이야. 가고자 하는 시간은 이 키 패드로 입력이 되는 거구. 예를 들어서 독립선언문 발기 현장으로 가볼 수도 있고...... 예수의 탄생을 볼 수도 있고...... 과학의 혁명을 예고해 준 날을 입력해 볼까...... 1955년 11월 5일. 그래! ......맞았어, 1955년 11월 5일이었지. *마티 : 뭔데요, 그게 무슨 날인데요?....그게 무슨 날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날이 내가 시간여행을 생각해낸 날이야.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화장실 벽에 시계를 걸려고 변기 끝에 올라섰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욕조에 사정없이 머리를 부딪혔는데, 정신을 차렸을 때 그것이 보였어. 그 그림이!....머리 속에 들어 있었어. 그것의 그림이 말이야! .....이것이 바로 시간여행을 가능케 하는 장치다, 마티....시간 변환 장치! *마티 : 시간 변환 장치요....? *브라운 박사 : 그 날의 환상을 실현하기 위해 난 가산을 모두 바쳐가며 30년간 연구를 했다....맙소사, 벌써 그렇게 오래 됐나! ......그러고 보니 여기도 많이 변했구나. 그때 여긴 온통 농토였어. 눈에 보이는 건 밭과 과수원 뿐이었지.... 피바디 할아버지, 전부 그 노인 땅이었다. 그 노인의 취미는..... 소나무를 기르는 거였구 말이야. *마티 : 아, 이건 정말....정말 헤비급 발명이군요. 진짜 굉장해요! 연료는 보통 무연 휘발유를 쓰는 건가요,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불행히도 그렇지가 않아. 좀 더 특수한 연료를 사용해야 된다. 플루토늄! *마티 : 아.... 플루토늄....? 가만있어봐, 저, 그럼.... 아니, 박사님, 그럼 이 물건이 핵 자동차란 말씀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마티, 마티, 계속 찍어, 계속 찍어야 돼! 그건 핵이 아니라 전기 자동차다. 하지만 1.21 기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핵 반응의 힘을 빌리는 것일 뿐이야. *마티 : 박사님, 플루토늄이란 건 아무데서나 파는 물건도 아니지 않습니까..... 훔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 리비아 테러단체로부터 얻었다. 핵폭탄을 만들어 달라길래 플루토늄은 내가 가지고 그놈들한테는 폭탄 껍데기에다가 회전 당구놀이 기계 부속을 잔뜩 넣어 줬지. 이리 와라, 플루토늄을 갈아 넣으려면 방사선 차단복을 입어야 돼. *마티 : 아, 맙소사...... (플루토늄 주입) *브라운 박사 : 이제 안전하다. 모든 건 납으로 봉해져 있어....너 그 테입을 잘 간수해야 된다. 기록으로 남겨야 되니까....자, 이건 여기 도로 넣으면 되는 거구.... 호오, 옷가방을 잊을 뻔 했구나! 미래 세계엔 면 내의가 없을지도 모르잖니. 난 합성 수지 내의엔 알레르기거든. *마티 : 미래 세계요?....거길 가시려구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마티. 25년 후의 미래로 가려는 거다. 난 우리 후대들이 사는 세상을 구경하는 게 꿈이었어. 인류의 발전상을 미리 보는 거야. *마티 : 좋죠! *브라운 박사 : 앞으로 25년간의 월드 시리즈 우승팀도 알게 될 거구. *마티 : 아....박사님. *브라운 박사 : 응? *마티 : 거기 가시면....절 찾아 주세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돌려라. ....... 으흠흠, 나, 에멧 브라운 박사는 이제 역사적인 여행길에 오르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하하하! 내가 정신이 나갔나 보다! 예비 플루토늄 가져가는 걸 잊을 뻔 했어. 돌아오지도 못할 뻔 했잖아. 여행 한 번에 한 통씩인데 정말 정신이 어떻게 됐나 봐! (아인슈타인 멍멍) *브라운 박사 : 왜 그러니? *브라운 박사 : 맙소사, 놈들이 오고 있어. 저놈들이 어떻게 알아냈을까...... 도망쳐라, 마티!! *마티 : 누군데 그래요?! *브라운 박사 : 누구겠니 --- 리비아 놈들이지!! *마티 : 아아니, 뭐라구요.......!! *브라운 박사 : 내가 놈들하고 싸우겠어! *마티 : 아, 박사님, 안 돼요!! ......안돼애 *테러범 : 앞으로! .....젠장, 가! 어서 가! 어서 가!! (총격전!) *마티 : 제발 달려라..... 젠장, 맙소사! .....오, 하나님! .......네놈들이 90마일도 따라오는지 보자! == 읽어보기 ==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1.htm 백 투 더 퓨쳐 1탄대본]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2.htm 백 투 더 퓨쳐 2탄대본]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3.htm 백 투 더 퓨쳐 3탄대본] 3609 2005-11-02T01:49:44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 1편:마티의 방에서 타임머신을 타고 1955년으로 가는데까지 == (마티의 방) *마티 : ....여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너 잠들어 버린 건 아니지? *마티 : 아, 아뇨, 박사님. 잠들긴요. 아니예요....그건 말도 안 되죠.... *브라운 박사 : 마티, 잘 듣고 잊지 마라. 비디오 카메라를 깜박 했는데 오는 길에 내 방에 들러서 그걸 좀 가지고 오겠니? 응? *마티 : 네....지금 갈께요. (트윈 파인스 쇼핑몰) *마티 : 아,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박사님 어딨니, 응? 어디계셔? (딜로리언 등장) *마티 :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마티! 와 줬구나. *마티 : 네...! *브라운 박사 : 내 최신 발명품을 소개하마. 이건 보통 물건이 아니다. 내가 한평생 꿈꿔 온 거야! *마티 : 아, 저, 이건 딜로리언....이걸 개조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가만, 가만, 기다려라, 마티. 곧 모든 것을 보게 돼. 테잎을 돌려라. 기록을 해 놔야 돼.... *마티 : 네....알았어요. 박사님, 그건 특수복인가요? *브라운 박사 : 아, 신경쓰지 마라, 신경쓰지 마. 그건 나중에, 나중에.... *마티 : 네네, 어서 시작하세요. *브라운 박사 : 아, 안녕하십니까. 저는 에멧 브라운 박사고 여기는 트윈 파인스 상가 주차장입니다. 지금은 토요일 새벽, 1985년 10월 26일 01시 18분, 이것은 제 1차 예비실험입니다. ....자, 아인슈타인, 하하..... 이리 오너라. 어서 타..... 옳지, 옳지..... 그렇지, 자자, 어서 타거라. 그리 앉아. 자, 안전벨트도 매고, 옳지, 됐다, 됐다.... 자, 어디보자. 튼튼하지? 됐어, 됐어..... 똑바로 앉고 말이야..... 자, 보십시오.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지금 내 시계와 1초의 차이도 없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렇지? *마티 : 아, 네, 박사님, 네. *브라운 박사 : 좋아...... 잘 다녀와라, 아인슈타인. 머리 조심하고. *마티 : 아, 그걸로 조종한단 말이예요? 차를요? *브라운 박사 : 넌 어서 찍어. *마티 : 예에... 알았습니다. *브라운 박사 : 차를 찍으란 말야, 차를 찍어!! ......내 계산이 틀리지만 않았다면, 저 차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기절초풍할 일이 벌어질거다. *브라운 박사 : 이걸 찍어, 이걸 찍어야 돼! (딜로리언 사라짐) *브라운 박사 : ......봐라아! 내가 말한 대로지! 시속 88마일에 도달하는 순간 사라졌어! 하하하하!!!! 정확히 01시 20분 00초에 역사상 최초의 시간대 이동이 기록된 거야! *마티 : 아, 하나님 맙소사....아, 하나님 맙소사! 아인슈타인이 분해됐잖아요! *브라운 박사 : 진정해라, 마티. 분해된 건 아무것도 없어. 아인슈타인과 자동차의 분자 구조에는 아무 변화도 발생하지 않았으니까 말이야. *마티 : 그럼....어디로 갔냐구요! *브라운 박사 : 정확히 질문하려면 말이다, 언제로 갔느냐고 해야 돼. 알겠니? 아인슈타인은 방금 지구 사상 최초의 시간 여행자가 된 거란 말이야. 나는 아인슈타인을 미래로 보낸 거야!....정확히 말해서 1분 후의 미래로 보냈지. 그리고 정확히 01시 21분 00초에 우린 아인슈타인과 타임머신을 따라잡게 되는 거야! *마티 : 가만 계세요, 가만 계셔봐요, 박사님... 아, 저 그럼 타임 머신을 만드셨단 말씀이예요? .....딜로리언으로요? *브라운 박사 : 나쁠 것도 없잖니. 기왕 자동차로 타임 머신을 만들 바에는 멋진 차로 만드는 게 좋잖아. 게다가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는 시간대를 통과할 때...... 피해!! (딜로리언 나타남) *브라운 박사 : 으와악!! *마티 : 아, 왜 그러세요, 뜨거워요? *브라운 박사 : 아, 차가와, 아주 차가와...... 하하하하 아.인.슈.타.인! 이 귀여운 녀석! ......아인슈타인의 시계는 내 것보다 정확히 1분 느리다. 여전히 이상 없이 가고 있어. .....자, 내려라. *마티 : 말짱하잖아요. *브라운 박사 : 말짱하고 말고! 시간대 이동 때도 전혀 충격을 받지 않은 거야. 아무것도 못 느낄 만큼 순간적이었다는 얘기가 되는 거지. 그래서 시간의 차이도 정확히 1분인 거야. 내 말 알겠니? 1분 후의 미래로 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시간의 손실이 전혀 없었던 거라구. 이리 와, 조종법을 설명해 줄게. *마티 : 아, 예,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먼저 이걸로 시간 회로를 켜야 된다. 이건 네가 가고자 하는 시간이고, 이건 현재 시간이고, 이건 조금 전에 갔던 시간이야. 가고자 하는 시간은 이 키 패드로 입력이 되는 거구. 예를 들어서 독립선언문 발기 현장으로 가볼 수도 있고...... 예수의 탄생을 볼 수도 있고...... 과학의 혁명을 예고해 준 날을 입력해 볼까...... 1955년 11월 5일. 그래! ......맞았어, 1955년 11월 5일이었지. *마티 : 뭔데요, 그게 무슨 날인데요?....그게 무슨 날이예요? *브라운 박사 : 그날이 내가 시간여행을 생각해낸 날이야.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화장실 벽에 시계를 걸려고 변기 끝에 올라섰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욕조에 사정없이 머리를 부딪혔는데, 정신을 차렸을 때 그것이 보였어. 그 그림이!....머리 속에 들어 있었어. 그것의 그림이 말이야! .....이것이 바로 시간여행을 가능케 하는 장치다, 마티....시간 변환 장치! *마티 : 시간 변환 장치요....? *브라운 박사 : 그 날의 환상을 실현하기 위해 난 가산을 모두 바쳐가며 30년간 연구를 했다....맙소사, 벌써 그렇게 오래 됐나! ......그러고 보니 여기도 많이 변했구나. 그때 여긴 온통 농토였어. 눈에 보이는 건 밭과 과수원 뿐이었지.... 피바디 할아버지, 전부 그 노인 땅이었다. 그 노인의 취미는..... 소나무를 기르는 거였구 말이야. *마티 : 아, 이건 정말....정말 헤비급 발명이군요. 진짜 굉장해요! 연료는 보통 무연 휘발유를 쓰는 건가요, 박사님? *브라운 박사 : 불행히도 그렇지가 않아. 좀 더 특수한 연료를 사용해야 된다. 플루토늄! *마티 : 아.... 플루토늄....? 가만있어봐, 저, 그럼.... 아니, 박사님, 그럼 이 물건이 핵 자동차란 말씀이세요? *브라운 박사 : 마티, 마티, 마티, 계속 찍어, 계속 찍어야 돼! 그건 핵이 아니라 전기 자동차다. 하지만 1.21 기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핵 반응의 힘을 빌리는 것일 뿐이야. *마티 : 박사님, 플루토늄이란 건 아무데서나 파는 물건도 아니지 않습니까..... 훔치신 거예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 리비아 테러단체로부터 얻었다. 핵폭탄을 만들어 달라길래 플루토늄은 내가 가지고 그놈들한테는 폭탄 껍데기에다가 회전 당구놀이 기계 부속을 잔뜩 넣어 줬지. 이리 와라, 플루토늄을 갈아 넣으려면 방사선 차단복을 입어야 돼. *마티 : 아, 맙소사...... (플루토늄 주입) *브라운 박사 : 이제 안전하다. 모든 건 납으로 봉해져 있어....너 그 테입을 잘 간수해야 된다. 기록으로 남겨야 되니까....자, 이건 여기 도로 넣으면 되는 거구.... 호오, 옷가방을 잊을 뻔 했구나! 미래 세계엔 면 내의가 없을지도 모르잖니. 난 합성 수지 내의엔 알레르기거든. *마티 : 미래 세계요?....거길 가시려구요? *브라운 박사 : 그래, 마티. 25년 후의 미래로 가려는 거다. 난 우리 후대들이 사는 세상을 구경하는 게 꿈이었어. 인류의 발전상을 미리 보는 거야. *마티 : 좋죠! *브라운 박사 : 앞으로 25년간의 월드 시리즈 우승팀도 알게 될 거구. *마티 : 아....박사님. *브라운 박사 : 응? *마티 : 거기 가시면....절 찾아 주세요. *브라운 박사 : 물론이지....돌려라. ....... 으흠흠, 나, 에멧 브라운 박사는 이제 역사적인 여행길에 오르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하하하! 내가 정신이 나갔나 보다! 예비 플루토늄 가져가는 걸 잊을 뻔 했어. 돌아오지도 못할 뻔 했잖아. 여행 한 번에 한 통씩인데 정말 정신이 어떻게 됐나 봐! (아인슈타인 멍멍) *브라운 박사 : 왜 그러니? *브라운 박사 : 맙소사, 놈들이 오고 있어. 저놈들이 어떻게 알아냈을까...... 도망쳐라, 마티!! *마티 : 누군데 그래요?! *브라운 박사 : 누구겠니 --- 리비아 놈들이지!! *마티 : 아아니, 뭐라구요.......!! *브라운 박사 : 내가 놈들하고 싸우겠어! *마티 : 아, 박사님, 안 돼요!! ......안돼애 *테러범 : 앞으로! .....젠장, 가! 어서 가! 어서 가!! (총격전!) *마티 : 제발 달려라..... 젠장, 맙소사! .....오, 하나님! .......네놈들이 90마일도 따라오는지 보자! == 읽어보기 ==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1.htm 백 투 더 퓨쳐 1탄대본]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2.htm 백 투 더 퓨쳐 2탄대본] * [http://members.lycos.co.uk/hillvalley/bttf3.htm 백 투 더 퓨쳐 3탄대본] [[분류:영화]] 5445 2006-12-26T06:25:41Z 121.133.89.247 Replacing page with '== 알려진 것 == * Roads? Where we're going we don't need roads. ** 길? 우리가 갈곳은 길이 필요없어-백투더퓨쳐 2탄에서' == 알려진 것 == * Roads? Where we're going we don't need roads. ** 길? 우리가 갈곳은 길이 필요없어-백투더퓨쳐 2탄에서 20세기 소년 933 1014 2004-12-28T04:21:25Z 220.116.232.129 정의는 죽지 않아! -17권 표지- 2908 2005-02-23T05:39:26Z 220.116.232.129 정의는 죽지 않아! -17권 표지- 절망을 이길 방법은 없다. 단지 걸어나갈 뿐이다. -17권 131,132쪽- 3606 2005-11-02T01:47:49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정의는 죽지 않아! -17권 표지- 절망을 이길 방법은 없다. 단지 걸어나갈 뿐이다. -17권 131,132쪽- [[분류:만화]] 5446 2006-12-26T09:05:01Z 121.133.89.247 {{공정사용}} *정의는 죽지 않아!-17권 표지 *절망을 이길 방법은 없다. 단지 걸어나갈 뿐이다.-17권 131,132쪽 [[분류:만화]] 5447 2006-12-26T09:05:14Z 121.133.89.247 *정의는 죽지 않아!-17권 표지 *절망을 이길 방법은 없다. 단지 걸어나갈 뿐이다.-17권 131,132쪽 [[분류:만화]] 5448 2006-12-26T09:08:24Z 121.133.89.247 ==알려진 것 == *정의는 죽지 않아!-17권 표지 *절망을 이길 방법은 없다. 단지 걸어나갈 뿐이다.-17권 131,132쪽 [[분류:만화]] 프라네테스 934 946 2004-12-29T03:56:24Z 220.116.232.129 이 세상에 우주의 일부가 아닌 것은 없어. 나 조차도 연결되어 있었던 거야. 그래서 비로소 우주인 건가? -프라네테스 2권 244,255- 947 2004-12-29T03:56:37Z 220.116.232.129 이 세상에 우주의 일부가 아닌 것은 없어. 나 조차도 연결되어 있었던 거야. 그래서 비로소 우주인 건가? -프라네테스 2권 244,255- 948 2004-12-29T03:56:48Z 220.116.232.129 이 세상에 우주의 일부가 아닌 것은 없어. 나 조차도 연결되어 있었던 거야. 그래서 비로소 우주인 건가? -프라네테스 2권 244,255- 949 2004-12-29T03:57:06Z 220.116.232.129 이 세상에 우주의 일부가 아닌 것은 없어. 나 조차도 연결되어 있었던 거야. 그래서 비로소 우주인 건가? -프라네테스 2권 244,255- 2909 2004-12-29T03:57:17Z 220.116.232.129 이 세상에 우주의 일부가 아닌 것은 없어. 나 조차도 연결되어 있었던 거야. 그래서 비로소 우주인 건가? -프라네테스 2권 244,255- 3614 2005-11-02T01:50:41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이 세상에 우주의 일부가 아닌 것은 없어. 나 조차도 연결되어 있었던 거야. 그래서 비로소 우주인 건가? -프라네테스 2권 244,255- [[분류:만화]] 두더지 935 2910 2004-12-29T04:00:29Z 220.116.232.129 '나도 특별해'라고 생각하는 '보통'인 인간들이 보기 싫어 죽겠어. 전부 죽여버리고 싶어. -두더지 1권- 3615 2005-11-02T01:50:47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나도 특별해'라고 생각하는 '보통'인 인간들이 보기 싫어 죽겠어. 전부 죽여버리고 싶어. -두더지 1권- [[분류:만화]] 5449 2006-12-26T09:09:17Z 121.133.89.247 {{공정사용}} *'나도 특별해'라고 생각하는 '보통'인 인간들이 보기 싫어 죽겠어.전부 죽여버리고 싶어. -두더지 1권 [[분류:만화]] 빌리지 936 2911 2004-12-29T08:23:08Z 220.121.51.94 == 춤을 추고 싶다면 내가 춤추자고 한다는 대사 == *넌 왜 마음속에 있는 말을 멈추지 않는거야? *내가 이끌고 싶을때 왜 항상 너가 이끌어야 하는건데? *내가 춤추고 싶다면 너에게 춤추자고 말할거야 *내가 말하고 싶다면 내 스스로 입을열어 말할거야 *내가 솔직하게 말한다면 그들이 날 비난할거라 생각안해 *도대체 왜? *내가 일주일 동안이나 생각해온걸 너한테 말해서 좋을게 뭐가 있을까? *심지어 나조차도 잘 모르는 것들을 너한테 알려줘서 *도대체 좋을게 뭐가 있는데? *그럼 내가 한일이 정당해질까? *내가 너에게 말하려고 했던 것이라면 *그게 이기적이든 잘못된 것이든 *너한테 피해가 될거라고 생각했어 *그게 내가 여기 앉아있는 이유야 *아이비 워커 *무엇보다도 너의 안전이 걱정돼 *그래서 그래 *난 우리들의 결혼식에서 너랑 춤출거야 아프가니스탄속담 937 2912 2004-12-29T08:37:44Z 220.121.51.94 ==A== *Dari proverb: "AftAb ba du angushst put na-mesha." ** 태양은 2개의 손가락에의해 숨길. *"alao alao bE az palao." ** 불은, 밥보다는 잘 발사했다. *"archi bEkArEn, amu-ra mEdrawEn." ** 너가 수확한다 너가 뿌린다 무엇이건. *"ar sang ba pA-e bezelang." ** 각 바위는 영세민의 발을 친다. 3730 2005-11-28T11:08:45Z PuzzletChung 1 ==A== *Dari proverb: "AftAb ba du angushst put na-mesha." ** 태양은 2개의 손가락에의해 숨길. *"alao alao bE az palao." ** 불은, 밥보다는 잘 발사했다. *"archi bEkArEn, amu-ra mEdrawEn." ** 너가 수확한다 너가 뿌린다 무엇이건. *"ar sang ba pA-e bezelang." ** 각 바위는 영세민의 발을 친다. [[분류:격언]] 5375 2006-09-30T07:52:47Z 61.39.162.186 /* A */ {{정리 필요}} ==A== *Dari proverb: "AftAb ba du angushst put na-mesha." ** 태양은 2개의 손가락에의해 숨길. *"alao alao bE az palao." ** 불은, 밥보다는 잘 발사했다. *"archi bEkArEn, amu-ra mEdrawEn." ** 너가 수확한다 너가 뿌린다 무엇이건. *"ar sang ba pA-e bezelang." ** 각 바위는 영세민의 발을 친다. [[분류:격언]] 수수께끼 945 2919 2005-01-04T05:44:09Z 220.121.51.94 == 가 == *가죽 속에 털이 난 것은 ? 옥수수 *가만히 있어도 못 잡는 것은 ? 그림자 *가위 하나로 사람 모두가 다 쓰는 가위는? 팔월 한가위 *갓은 갓인데 못 쓰는 것은 ? 쑥갓 *갓을 쓰고도 갓 못 썼다는 것은 ? 갓모 *강은 강인데 물 없는 강은 ? 요강 *강(江)중에 은(銀)덩이는 ? 강에 비친 달그림자 *감은 감인데 못 먹는 감은 ? 대감, 영감 *개가 개를 물고 개를 넘다가 개한테 놀라 개 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 솔개가 조개를 물고 고개를 넘다가 번개한테 놀라서 안개 속으로 들어가는 것 *개 중에서 제일 큰 개는 ? 안개 *객(손님)이 들어가서 주인을 내쫓는 것은 ? 열쇠 *객(손님)이 오면 먼저 나가서 인사하는 것은 ? 개 *거꾸로 보나 바로 보나 옆으로 보나 바로 보이는 것은 ? 거울 *거꾸로 매달린 집에 천문 만호(천 개의 문과 만개의 방)가 무엇인가 ? 벌집 *거꾸로 걸어다니는 것은 ? 붓 *거꾸로 세운 3분의 1을 손해보는 글자는 ? 9 *거꾸로 커가는 것은 ? 고드름 *걸어가면서 빈대떡 부치는 것은 ? 쇠똥 *검은 개가 백사장을 다니면서 검은 똥을 누는 것은 ? 붓글씨 *검은 암탉이 붉은 알을 품고 백두산을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은 ? 다리미(옛날 다리미는 벌건 숯불을 다리미 안에다 넣고 천을 다리미질을 했기에) *검은 소가 하얀 밭을 가는 것은 ? 가위 *검은 암탉이 흰 알을 품고 있는 것은 ? 밥 지은 솥 *검어도 검고 붉어도 검은 것은 ? 그림자 *검은 입으로 붉은 밥을 먹는 것은 ? 아궁이 *계집이 아들 안은 글자는 ? 좋을 호(好)자 *고기는 고기이나 고기 아닌 글자는 ? 물고기 새기비(비)자 *고양이 4마리가 4분동안 쥐 4마리를 잡는다면, 10분동안 10 마리를 잡자면 고양이가 몇 마리 소용되나 ? 4마리 (4마리로도 충분하므로) *고기 22 마리가무슨 글자냐 ? 복 해(魚圭) 字 *고체를 쪼개면 액체요, 그 액체에 열을 가하면 또 고체로 변하는 것은 ? 달걀 *골은 골인데 원 없는 골은 ? 구들골 *공기는 공기지만 숨쉴 수 없는 공기는 ? 밥공기 *구멍 없는 병에 물 두 겹인 것은 ? 달걀 *구부러져도 벋었다 하는 나무는 ? 버드나무 *구멍이 크면 잘 안 나오고 작으면 잘 나오는 것은 ? 물총 *군사는 여럿인데 운수 나쁜 놈을 가려서 죽이는 것은 ? 채소 솎기 *군함과 바둑돌 중 어떤 것이 무거우냐 ? 바둑돌(군함은 물에 뜨는데 바둑돌은 가라앉아서) *굴 속에서 신선 할아버지 들어갔다 나갔다 하는 것은 ? 코 훌쩍 *궁둥이에 송낙 쓴 것은 ? 도토리 *궁둥이 끄슬리고 밥 얻어 먹지 못하는 것은 ? 부지깽이 *귀가 귀를 물고 귀로 가자 하는 것은 ? 까마귀가 뼉다귀를 물고 밭귀로 가자 하는 것 *귀는 귀인데 못 듣는 귀는 ? 뼈다귀 *귀는 넷이요, 눈이 천(千)인 것은 ? 갈대밭 *귀는 넷인데 못 듣는 것은 ? 자귀 *귀는 넷인데 눈은 수없이 많은 것은 ? 돗자리(여기서의 귀는 모서리를 뜻함) *귀 여덟에 발이 넷 있는 것은 ? 뒤주 *귀와 입이 각각 한 개씩 밖에 없는 것은 ? 전화통 *귀와 입과 눈은 있으나 머리가 없는 것은 ? 게 *"그니"가 "석"을 지고 "지"로 가자고 하는 이야기는 ? 늙은이가 멍석을 지고 양지(陽地)로 가자는 이야기 *그림을 그리려 해도 그릴 수 없는 것은 ? 소리 *그리면 둥글고 쓰면 모진 것은 ? 해(日) *그만 보면 순경이라도 도망치고, 옷 잘입은 이에게 욕 얻어 먹고, 비가 오면 일 없이 놀게 되는 것은 ? 물 뿌리는 사람(사수차) *길에 우물을 파며 가는 것은 ? 지팡이 *길 옆에 분지 엎어 놓은 것은 ? 산소(山所) *길위에 내린 비를 비가 아니라고 하는 것은 ? 이슬 *길거릴로 집을 가지고 다니는 것은 ? 가마 *기지승이 날짐승을 자으려고 팔문금쇄진을 치는 것은 ? 거미 *길바닥에 무주 붙이는 것은 ? 쇠똥 *금(金)과 은(銀)이 있는데, 금은 가운데 있고 은은 가장자리에 있는 것은 ? 달걀 *금은 금인데 금 아닌 금은 ? 임금, 능금, 소금 *금이 금을 먹고 체해서 금을 먹고 나은 이야기는 ? 임금이 능금을 먹고 체해서 금을 먹고 나았음 *근본 모르는 판재(板材) 두개가 무엇이냐 ? 천지(天地) *기둥 넷에 주추가 설흔 두 개가 무엇이냐 ? 말 편자 *기둥이 넷이고 주추돌이 여덟인 것은 ? 소의 굽 *기어가는 제비가 무엇이냐 ? 족제비 *기유일(己酉日)에 혼례를 행하는 글자는 ? 짝 배(配) 字 *기둥이 1, 가지가 12, 잎이 365개 있는 것은 ? 1년 *기둥 하나에 지은 집은 ? 버섯, 우산 *길거리로 그네 뛰며 가는 것은 ? 갓끈 *길 걷다가 눈 빠지는 것은 ? 담뱃대 통 *길면 길수록 짧아지는 것은 ? 낮과 밤 *길에 곶감 떨어진 것은 ? 말똥 *깎으면 깎을수록 커지는 것은 ? 구멍 *깎으면 깎을수록 길어지는 것은 ? 연필심 *꺾으면 한 뻠이요 펴면 반 뼘 되는 것은 ? 무릎(오무리면 살가죽이 늘어나고 펴면 펴지므로) *꽃이 필 때에는 아래로 향하고, 열매 열릴 때에는 위로 향하는 꽃은 ? 목화 *꽃이 핀 뒤 열매가 열리고 열매가 열렸다가 다시 흰 꽃이 피는 것은 ? 목화 *꽃 한 송이가 방안에 가득한 것은 ? 등잔불 *꽃도 각각 열매도 각각 열리는 것은 ? 옥수수 *꽃 중에 제일 좋은 꽃은 ? 목화 (실용성이 있으므로) *끊어도 끊어지지 않는 것은 ? 물 *끓여도 차다고 하는 것은 ? 차(차) *끼면 두 구멍이고 빼면 여섯 구멍인 것은 ? 담뱃대 고사성어 946 971 2005-01-04T05:49:21Z 220.121.51.94 == 가 == * 가가대소(呵呵大笑) 큰 소리로 껄껄 웃음. 몹시 우서워 큰소리를 내어 웃음을 뜻한다.비슷한말이 박장대소(拍掌大笑)이다. == 나 == == 다 == == 라 == == 마 == == 바 == == 사 == == 아 == == 자 == == 차 == == 카 == == 파 == == 하 == 2920 2005-01-05T07:29:08Z 220.121.51.94 /* 가 */ == 가 == * 가가대소(呵呵大笑) 몹시 우서워 큰소리를 내어 웃음을 뜻한다.비슷한말이 박장대소(拍掌大笑)이다. * 가가문전(家家門前) 집집마다의 문 앞이라는 뜻이다. == 나 == == 다 == == 라 == == 마 == == 바 == == 사 == == 아 == == 자 == == 차 == == 카 == == 파 == == 하 == 금기담 947 2921 2005-01-05T07:54:01Z 220.121.51.94 <B>금기담</b>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신성하게 여기거나 두렵다고 믿고, 그것에 대하여 말하거나, 보거나, 만지거나, 행동하는 것을 금하고 꺼리는 말을 가리킨다. 이 금기담은 예로부터 민간의 풍습으로 전해 내려오면서 우리의 생활 속에 자리잡아 왔다. 우리의 금기담은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 할 예의나 행동, 바른 몸가짐에 관한 내용이 많다. <ul><li>남에게 맨발로 인사하면 나쁘다. <li>남의 것을 훔쳐 먹으면 딸국질을 한다. <li>남의 신발을 훔치면 죽어서 구렁이가 된다. <li>다리를 떨면 복이 나간다. <li>문턱에 서 있으면 재수가 없다. <li>어린아이가 담배를 피우면 뼈가 삭는다. <li>엄지보다 검지발가락이 길면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신다. <li>엎드리거나 누워서 밥을 먹으면 죽어서 소가 된다. <li>가다 말면 안 가느니만 못하다. 어떤일을 하다가 도중에 그만 두려면, 처음부터 하지 않는 편이 낫다는 뜻. <li>귀장사 하지 말고, 눈 장사 하라. 귀로 많이 듣는 것보다는 실지로 눈으로 보는 것이 더 확실하니, 보지 않고는 애기하지 말라는 말. - 비 : 열번 듣는 것이 한번 본 갓민 못하다. <li>길이 아니면 가지 말고, 말이 아니면 탓하지 말라. 지나치게 옳고 그름에 어그러진 말을 하는 것은 어쩌면 그것을 탓하여 어떤 것이 옳으냐 시비를 할 필요조차 없다는 뜻. <li>낫으로 몸 가리기. 낫과 같이 그 폭이 좁은 것으로 어떻게 온몸을 가릴 수 있겠는가 ? 당치 않은 방법으로 자기 흔적을 숨기려고 할때 쓰는 말. <li>낮말은 새가 듣고 밤 말은 쥐가 듣는다. 아무도 안 듣는 데에서도 말은 조심하여야 한다는 뜻. 아무리 비밀로 해도 한 말은 결국 남의 귀에 들어 가게된다는 말. <li>닭벼슬이 될 망정 쇠꼬리는 되지 마라. 크고 훌륭한 자의 뒤꽁무니가 되는 것보다는 차라리 잘고 보잘 것 없는데서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좋다는 말. <li>뒷간과 사돈집은 멀어야 한다. 뒷간은 가까우면 냄새가 몹시 나고, 사돈집은 가까우면 들리는 말이 많으므로, 너무 가까이 있으면 좋지 않다는 뜻. <li>호랑이(범)도 제말하면 온다. 누구의 얘기를 하고 있을 때, 마침 그 사람이 왔을 경우에 하는 말. <li>열 형리 친하지 말고, 죄 짓지 말라. 죄를 짓고 사법관의 덕을 볼 생각은 하지 말고, 처음부터 죄를 짓지 말라는 뜻. <li>잠자는 사자를 건드리지 말아라. 사자가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다고 해서 무섭지 않은가 ? 즉, 남의 신경을 건드리는 행동을 하지 말라는 뜻. <li>정 들었다고 정담(情談)말라.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말은 조심해야 한다는 뜻.</ul> 모두 교훈이 담겨 있는데, 결과를 나쁘게 제시하여 바른 행동을 권장하고 있다. 이 중에 그릇된 행동을 하거나 나쁜 습관을 가지게 되면 죽어서 구렁이가 된다거나 소가 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는 사람의 영혼이 동물로 환생한다는 민간신앙에서 유래한 것이다. 신이나 조상의 혼을 인정하는 데서 생긴 금기담은 출산이나 상례에 관한 것이 많다. <ul><li>묏자리에 물이 나면 해로운 일이 생긴다. <li>상여가 나갈 때는 바가지를 밟아 깬다.</ul> 금기담은 신성하게 여기거나 두렵다고 믿는 것에 대하여 말하거나 보거나 만지거나 행동하는 것을금하고 꺼리는 말이며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 할 예의나 행동, 바른 몸가짐에 관한 내용이 많다. <ul><li><b>현상</b> : 현재의 상태. 지금의 형편. <li><b>신성하게</b> : 신과 같이 성스럽게. 더럽힐 수 없도록 거룩하게. <li><b>금하고</b> : 못 하게 말리고. 예)이 곳에는 출입을 금한다. <li><b>꺼리는</b> : 나쁜 영향이 돌아올까 하여 피하거나 싫어하는. <li><b>예의</b> : 사람이 지켜야 할 예절. 특히 남에게 실례가 되지 않도록 겸손하고 삼가는 몸가짐 <li><b>몸가짐</b> : 말하거나 행동하는 품. 비)거동, 태도. <li><b>딸꾹질</b> : 숨이 한때 막혔다가 갑자기 터져 나오려고 할 때에, 목구멍에 울려서 소리나는 증세 <li><b>삭는다</b> : 오래 되어서 본 바탕이 변해 썩은 것처럼 됨. <li><b>교훈</b> : 가르치고 이끌어 줌, 또는 본받을 만한 가르침. <li><b>제시</b> : 어떠한 뜻을 글이나 말로써 나타내어 보임. <li><b>권장</b> : 권하여 힘쓰게 함. <li><b>그릇된</b> : 일이 틀린. 그르게 된. <li><b>환생</b> : 사람이 죽었다가 형상을 바꾸어 다시 태어남. <li><b>민간신앙</b> :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 오는 믿음.</ul> 금기담과 마찬가지로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b>해몽담</b>이 있다. 해몽담은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꿈의 세계를 풀하여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려는 마음에서 생겨났다. 가령, 우리 선조들은 꿈에 소나, 돼지, 용이 나타나면 행운이 온다고 여겼다. <ul><li>꿈에 날고기를 먹으면 좋다. <li>꿈에 누렁소나 암소가 집에 들어오면 복이 들어온다. <li>꿈에 돼지를 품으면 그 날 횡재한다. <li>꿈에 써레질이나 쟁기질을 하면 해로운 일이 생긴다. <li>꿈에 용을 타고 하늘을 날면 승진하고 벼슬에 오른다. <li>꿈에 이가 빠지면 가족 중 한 사람에게 나쁜 일이 생긴다. <li>돼지꿈은 좋은 징조 <li>집이 불타는꿈은 집안이 흥할 징조다. <li>불이나는 꿈은 좋은징조. (활활 타오를수록 좋다.) <li>물에 쓸려 내려가는 꿈은 좋지 않은 징조. 4282 2006-06-24T17:59:55Z Truelight 38 [[분류:격언]] <B>금기담</b>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신성하게 여기거나 두렵다고 믿고, 그것에 대하여 말하거나, 보거나, 만지거나, 행동하는 것을 금하고 꺼리는 말을 가리킨다. 이 금기담은 예로부터 민간의 풍습으로 전해 내려오면서 우리의 생활 속에 자리잡아 왔다. 우리의 금기담은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 할 예의나 행동, 바른 몸가짐에 관한 내용이 많다. <ul><li>남에게 맨발로 인사하면 나쁘다. <li>남의 것을 훔쳐 먹으면 딸국질을 한다. <li>남의 신발을 훔치면 죽어서 구렁이가 된다. <li>다리를 떨면 복이 나간다. <li>문턱에 서 있으면 재수가 없다. <li>어린아이가 담배를 피우면 뼈가 삭는다. <li>엄지보다 검지발가락이 길면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신다. <li>엎드리거나 누워서 밥을 먹으면 죽어서 소가 된다. <li>가다 말면 안 가느니만 못하다. 어떤일을 하다가 도중에 그만 두려면, 처음부터 하지 않는 편이 낫다는 뜻. <li>귀장사 하지 말고, 눈 장사 하라. 귀로 많이 듣는 것보다는 실지로 눈으로 보는 것이 더 확실하니, 보지 않고는 애기하지 말라는 말. - 비 : 열번 듣는 것이 한번 본 갓민 못하다. <li>길이 아니면 가지 말고, 말이 아니면 탓하지 말라. 지나치게 옳고 그름에 어그러진 말을 하는 것은 어쩌면 그것을 탓하여 어떤 것이 옳으냐 시비를 할 필요조차 없다는 뜻. <li>낫으로 몸 가리기. 낫과 같이 그 폭이 좁은 것으로 어떻게 온몸을 가릴 수 있겠는가 ? 당치 않은 방법으로 자기 흔적을 숨기려고 할때 쓰는 말. <li>낮말은 새가 듣고 밤 말은 쥐가 듣는다. 아무도 안 듣는 데에서도 말은 조심하여야 한다는 뜻. 아무리 비밀로 해도 한 말은 결국 남의 귀에 들어 가게된다는 말. <li>닭벼슬이 될 망정 쇠꼬리는 되지 마라. 크고 훌륭한 자의 뒤꽁무니가 되는 것보다는 차라리 잘고 보잘 것 없는데서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좋다는 말. <li>뒷간과 사돈집은 멀어야 한다. 뒷간은 가까우면 냄새가 몹시 나고, 사돈집은 가까우면 들리는 말이 많으므로, 너무 가까이 있으면 좋지 않다는 뜻. <li>호랑이(범)도 제말하면 온다. 누구의 얘기를 하고 있을 때, 마침 그 사람이 왔을 경우에 하는 말. <li>열 형리 친하지 말고, 죄 짓지 말라. 죄를 짓고 사법관의 덕을 볼 생각은 하지 말고, 처음부터 죄를 짓지 말라는 뜻. <li>잠자는 사자를 건드리지 말아라. 사자가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다고 해서 무섭지 않은가 ? 즉, 남의 신경을 건드리는 행동을 하지 말라는 뜻. <li>정 들었다고 정담(情談)말라.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말은 조심해야 한다는 뜻.</ul> 모두 교훈이 담겨 있는데, 결과를 나쁘게 제시하여 바른 행동을 권장하고 있다. 이 중에 그릇된 행동을 하거나 나쁜 습관을 가지게 되면 죽어서 구렁이가 된다거나 소가 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는 사람의 영혼이 동물로 환생한다는 민간신앙에서 유래한 것이다. 신이나 조상의 혼을 인정하는 데서 생긴 금기담은 출산이나 상례에 관한 것이 많다. <ul><li>묏자리에 물이 나면 해로운 일이 생긴다. <li>상여가 나갈 때는 바가지를 밟아 깬다.</ul> 금기담은 신성하게 여기거나 두렵다고 믿는 것에 대하여 말하거나 보거나 만지거나 행동하는 것을금하고 꺼리는 말이며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 할 예의나 행동, 바른 몸가짐에 관한 내용이 많다. <ul><li><b>현상</b> : 현재의 상태. 지금의 형편. <li><b>신성하게</b> : 신과 같이 성스럽게. 더럽힐 수 없도록 거룩하게. <li><b>금하고</b> : 못 하게 말리고. 예)이 곳에는 출입을 금한다. <li><b>꺼리는</b> : 나쁜 영향이 돌아올까 하여 피하거나 싫어하는. <li><b>예의</b> : 사람이 지켜야 할 예절. 특히 남에게 실례가 되지 않도록 겸손하고 삼가는 몸가짐 <li><b>몸가짐</b> : 말하거나 행동하는 품. 비)거동, 태도. <li><b>딸꾹질</b> : 숨이 한때 막혔다가 갑자기 터져 나오려고 할 때에, 목구멍에 울려서 소리나는 증세 <li><b>삭는다</b> : 오래 되어서 본 바탕이 변해 썩은 것처럼 됨. <li><b>교훈</b> : 가르치고 이끌어 줌, 또는 본받을 만한 가르침. <li><b>제시</b> : 어떠한 뜻을 글이나 말로써 나타내어 보임. <li><b>권장</b> : 권하여 힘쓰게 함. <li><b>그릇된</b> : 일이 틀린. 그르게 된. <li><b>환생</b> : 사람이 죽었다가 형상을 바꾸어 다시 태어남. <li><b>민간신앙</b> :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 오는 믿음.</ul> 금기담과 마찬가지로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b>해몽담</b>이 있다. 해몽담은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꿈의 세계를 풀하여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려는 마음에서 생겨났다. 가령, 우리 선조들은 꿈에 소나, 돼지, 용이 나타나면 행운이 온다고 여겼다. <ul><li>꿈에 날고기를 먹으면 좋다. <li>꿈에 누렁소나 암소가 집에 들어오면 복이 들어온다. <li>꿈에 돼지를 품으면 그 날 횡재한다. <li>꿈에 써레질이나 쟁기질을 하면 해로운 일이 생긴다. <li>꿈에 용을 타고 하늘을 날면 승진하고 벼슬에 오른다. <li>꿈에 이가 빠지면 가족 중 한 사람에게 나쁜 일이 생긴다. <li>돼지꿈은 좋은 징조 <li>집이 불타는꿈은 집안이 흥할 징조다. <li>불이나는 꿈은 좋은징조. (활활 타오를수록 좋다.) <li>물에 쓸려 내려가는 꿈은 좋지 않은 징조. [[분류:격언]] 성경 950 2924 2005-01-09T01:17:12Z 211.244.231.213 *[[창세기]] 미국명언 952 2925 2005-01-11T05:56:06Z 220.121.51.94 * "Nothing must be postponed. Take time by the forelock. Now or never! You must live in the present, launch yourself on every wave, find your eternity in each moment."We shouldn't put anything off but seize the moment,living with all our being in the present. If we do that, he says, each moment will become eternity. "지금이야말로 좋은 때다. 놓치면 안된다! 자네는 현재를 살아가며 온갖 파도를 타고서 출범하여 매순간순간 영원을 보아 가지 않으면 안 된다. "언젠가"가 아니다. '지금' 이 기회다! 현재를 전력을 다해 살아가는 것이다. 그러면 '지금'이 '영원이 된다'!라는 외침이다. 인도속담 966 998 2005-01-30T09:08:11Z 220.116.232.129 == 가 == == 나 == *눈에 눈물이 없으면 그 영혼에는 무지개가 없다. == 다 == == 라 == == 마 == *마음이 평화로우면 어느 마을에 가서도 축제처럼 즐거운 일들을 발견한다. *미녀는 이 세상의 것이고, 추녀는 그대만의 것. == 바 == == 사 == *사랑은 스쳐서 지나가고, 또 도망쳐 가는 바람이다. *소송에서 이기는 것은 지는 것이고, 지는 것은 죽는 것과 매한가지다. == 자 == == 차 == == 카 == == 타 == == 파 == == 하 == 2929 2005-01-31T06:25:19Z 220.116.232.129 == 가 == *가장 귀여운 자식에게 여행을 시키라. *코끼리가 역경에 처했을 때는 개구리조차도 코끼리를 걷어 차 버리려 한다. == 나 == *너무 멀리 보는 사람은 자신 앞에 펼쳐져 있는 초원을 보지 못하는 법이다. *눈에 눈물이 없으면 그 영혼에는 무지개가 없다. == 다 == == 라 == == 마 == *마음이 평화로우면 어느 마을에 가서도 축제처럼 즐거운 일들을 발견한다. *만약 당신이 사랑하고 희구하고 또 괴로움 속에 있다면 그러함으로써 당신은 인간인 것이다. *미녀는 이 세상의 것이고, 추녀는 그대만의 것. == 바 == == 사 == *사랑은 스쳐서 지나가고, 또 도망쳐 가는 바람이다. *소송에서 이기는 것은 지는 것이고, 지는 것은 죽는 것과 매한가지다. == 아 == *아기는 울면서 태어나지만 많은 사람들이 기뻐한다. 이와는 달리 죽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서 슬퍼하며 울 수 있는 삶을 살도록 하라.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자 == *자기의 돈은 꽃이요, 술이다. 타인의 돈은 잡초에 지나지 않는다. *젊은 연인들은 희망을 품지만 결혼한 남자들은 후회한다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착하고 올바른 일을 미루지 말라. 왜냐하면 죽음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실천했는지 안 했는지 살피지 않고 찾아오기 때문이다. == 차 == == 카 == == 타 == == 파 == == 하 == *하나님을 불러라. 그러나 배가 암초에 부딪치지 않도록 계속 노를 저어라. *한 사람 죽이면 살인, 천 명 죽이면 영웅. 3595 2005-09-11T21:16:41Z Thomas 12 Interwiki == 가 == *가장 귀여운 자식에게 여행을 시키라. *코끼리가 역경에 처했을 때는 개구리조차도 코끼리를 걷어 차 버리려 한다. == 나 == *너무 멀리 보는 사람은 자신 앞에 펼쳐져 있는 초원을 보지 못하는 법이다. *눈에 눈물이 없으면 그 영혼에는 무지개가 없다. == 다 == == 라 == == 마 == *마음이 평화로우면 어느 마을에 가서도 축제처럼 즐거운 일들을 발견한다. *만약 당신이 사랑하고 희구하고 또 괴로움 속에 있다면 그러함으로써 당신은 인간인 것이다. *미녀는 이 세상의 것이고, 추녀는 그대만의 것. == 바 == == 사 == *사랑은 스쳐서 지나가고, 또 도망쳐 가는 바람이다. *소송에서 이기는 것은 지는 것이고, 지는 것은 죽는 것과 매한가지다. == 아 == *아기는 울면서 태어나지만 많은 사람들이 기뻐한다. 이와는 달리 죽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서 슬퍼하며 울 수 있는 삶을 살도록 하라.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자 == *자기의 돈은 꽃이요, 술이다. 타인의 돈은 잡초에 지나지 않는다. *젊은 연인들은 희망을 품지만 결혼한 남자들은 후회한다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착하고 올바른 일을 미루지 말라. 왜냐하면 죽음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실천했는지 안 했는지 살피지 않고 찾아오기 때문이다. == 차 == == 카 == == 타 == == 파 == == 하 == *하나님을 불러라. 그러나 배가 암초에 부딪치지 않도록 계속 노를 저어라. *한 사람 죽이면 살인, 천 명 죽이면 영웅. [[bg:Индийски пословици и поговорки]] [[de:Indische Sprichwörter]] [[en:Indian proverbs]] [[fr:Proverbes indiens (hindi)]] [[gl:Proverbios indios]] [[he:פתגמים הודיים]] [[it:Proverbi indiani]] [[nl:Indische spreekwoorden]] 도박 묵시록 카이지 969 2930 2005-02-28T08:17:05Z 220.116.232.187 생각하면, 돌이켜 보면 이 얼마나 고독한 레이스인가. 주위에 몇 사람이 있든, 그야말로 열 사람이 있든 스무 명이 있든, 말 그대로 그저 옆에 있을 뿐이다. 결코 서로를 지탱해주거나, 서로 도와줄 수 없다. 어쩔 도리 없이 각자 한 사람 한 사람. 한 사람 한 사람의 레이스. 세계에 57억의 인류가 있다면 57억의 고독이 있고 그리고 그 모두가 치유되지 못한 채 죽는다. 고독한 채로 사라져 간다. -도박 묵시록 카이지 8권, 72쪽 ~ 78쪽 3607 2005-11-02T01:48:36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공정사용}} 생각하면, 돌이켜 보면 이 얼마나 고독한 레이스인가. 주위에 몇 사람이 있든, 그야말로 열 사람이 있든 스무 명이 있든, 말 그대로 그저 옆에 있을 뿐이다. 결코 서로를 지탱해주거나, 서로 도와줄 수 없다. 어쩔 도리 없이 각자 한 사람 한 사람. 한 사람 한 사람의 레이스. 세계에 57억의 인류가 있다면 57억의 고독이 있고 그리고 그 모두가 치유되지 못한 채 죽는다. 고독한 채로 사라져 간다. -도박 묵시록 카이지 8권, 72쪽 ~ 78쪽 3608 2005-11-02T01:49:36Z PuzzletChung 1 분류 {{공정사용}} 생각하면, 돌이켜 보면 이 얼마나 고독한 레이스인가. 주위에 몇 사람이 있든, 그야말로 열 사람이 있든 스무 명이 있든, 말 그대로 그저 옆에 있을 뿐이다. 결코 서로를 지탱해주거나, 서로 도와줄 수 없다. 어쩔 도리 없이 각자 한 사람 한 사람. 한 사람 한 사람의 레이스. 세계에 57억의 인류가 있다면 57억의 고독이 있고 그리고 그 모두가 치유되지 못한 채 죽는다. 고독한 채로 사라져 간다. -도박 묵시록 카이지 8권, 72쪽 ~ 78쪽 [[분류:만화]] 연인 (만화) 970 2931 2005-03-03T15:20:02Z 218.152.54.203 앞으로 자신이 작고 추하고 더러운 것으로 밖에 느껴지지 않을 때도 올 거란다. 세상의 모든 것이 냉담해서 차가운 돌처럼 밖에 느껴지지 않을 때도 올 거란다. 괴롭고 괴로워서 울음소리조차 내지 못할 때도 올 거란다. 하지만 두려워 마렴. 그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란다. 무서워할 필요는 없단다. 잊지마렴. -최종권, 최종화 3611 2005-11-02T01:50:13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앞으로 자신이 작고 추하고 더러운 것으로 밖에 느껴지지 않을 때도 올 거란다. 세상의 모든 것이 냉담해서 차가운 돌처럼 밖에 느껴지지 않을 때도 올 거란다. 괴롭고 괴로워서 울음소리조차 내지 못할 때도 올 거란다. 하지만 두려워 마렴. 그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란다. 무서워할 필요는 없단다. 잊지마렴. -최종권, 최종화 [[분류:만화]] 3725 2005-11-28T11:06:24Z PuzzletChung 1 [[연인(AI-REN)]] moved to [[연인 (만화)]] {{공정사용}} 앞으로 자신이 작고 추하고 더러운 것으로 밖에 느껴지지 않을 때도 올 거란다. 세상의 모든 것이 냉담해서 차가운 돌처럼 밖에 느껴지지 않을 때도 올 거란다. 괴롭고 괴로워서 울음소리조차 내지 못할 때도 올 거란다. 하지만 두려워 마렴. 그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란다. 무서워할 필요는 없단다. 잊지마렴. -최종권, 최종화 [[분류:만화]] 중국속담 975 2932 2005-04-19T09:24:56Z 220.121.51.122 *A book holds a house of gold. *A book is like a garden carried in the pocket. *A dog in a kennel barks at his fleas; a dog hunting does not notice them. *A sly rabbit will have three openings to its den. *A smile will gain you ten more years of life. *A weasel comes to say "Happy New Year" to the chickens. *Add legs to the snake after you have finished drawing it. *After three days without reading, talk becomes flavorless. *An inch of time is an inch of gold, but you can't buy that inch of time with an inch of gold. *Better to light a candle, than to curse the darkness. *Crows everywhere are equally black. *Dream different dreams while on the same bed. *Even a hare will bite when it is cornered. *Every day cannot be a feast of lanterns. *Have a mouth as sharp as a dagger, but a heart as soft as tofu. *He painted a tiger, but it turned out a dog. *He who governs by his moral excellence may be compared to the Pole star which abides in its place while all other stars bow towards it. *He who rides the tiger can never dismount. *I dreamed a thousand new paths... I woke and walked my old one I was angered, for I had no shoes. Then I met a man who had no feet. *If you are patient in one moment of anger, you will escape a hundred days of sorrow. *It is not necessary to light a candle to the sun. *It is not the knowing that is difficult, but the doing. *Looking for the ass on its very back. *Men trip not on mountainsl they trip on molehills. *No wind, no waves. *Of all the strategems, to know when to quit is the best. *Once on a tiger's back, it is hard to alight. *One monk shoulders water by himself; two can still share the labor among them. When it comes to three, they have to go thirsty. *Paper can't wrap up a fire. *Pure gold does not fear furnace. *Some prefer carrot while others like cabbage. *Sour, sweet, bitter, pungent, all must be tasted. *Steal a bell with one's ears covered. *The beginning and the end reach out their hands to each other. *The beginning of wisdom is to call things by their right names. *The Gods cannot help those who do not seize opportunities. *The longer the night lasts, the more our dreams will be. *The man who removes a mountain begins by carrying away small stones. *The more you sweat in Peacetime, The less you bleed during War. *The wise adapt themselves to circumstances, as water moulds itself to the pitcher. *There are always ears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There is no one to sweep a common hall. *There are many paths to the top of the mountain, but the view is always the same. *Those who do not read...are no better off than those who can not. *Vicious as a tigeress can be, she never eats her own cubs. *Virtue never dwells alone; it always has neighbours. *We are not so much concerned if you are slow as when you come to a halt. *With money you are a dragon; with no money, a worm. *Without rice, even the cleverest housewife cannot cook. *When a finger points at the moon, the imbecile looks at the finger. *When you bow, bow low. 3594 2005-09-11T21:13:56Z Thomas 12 Interwiki *A book holds a house of gold. *A book is like a garden carried in the pocket. *A dog in a kennel barks at his fleas; a dog hunting does not notice them. *A sly rabbit will have three openings to its den. *A smile will gain you ten more years of life. *A weasel comes to say "Happy New Year" to the chickens. *Add legs to the snake after you have finished drawing it. *After three days without reading, talk becomes flavorless. *An inch of time is an inch of gold, but you can't buy that inch of time with an inch of gold. *Better to light a candle, than to curse the darkness. *Crows everywhere are equally black. *Dream different dreams while on the same bed. *Even a hare will bite when it is cornered. *Every day cannot be a feast of lanterns. *Have a mouth as sharp as a dagger, but a heart as soft as tofu. *He painted a tiger, but it turned out a dog. *He who governs by his moral excellence may be compared to the Pole star which abides in its place while all other stars bow towards it. *He who rides the tiger can never dismount. *I dreamed a thousand new paths... I woke and walked my old one I was angered, for I had no shoes. Then I met a man who had no feet. *If you are patient in one moment of anger, you will escape a hundred days of sorrow. *It is not necessary to light a candle to the sun. *It is not the knowing that is difficult, but the doing. *Looking for the ass on its very back. *Men trip not on mountainsl they trip on molehills. *No wind, no waves. *Of all the strategems, to know when to quit is the best. *Once on a tiger's back, it is hard to alight. *One monk shoulders water by himself; two can still share the labor among them. When it comes to three, they have to go thirsty. *Paper can't wrap up a fire. *Pure gold does not fear furnace. *Some prefer carrot while others like cabbage. *Sour, sweet, bitter, pungent, all must be tasted. *Steal a bell with one's ears covered. *The beginning and the end reach out their hands to each other. *The beginning of wisdom is to call things by their right names. *The Gods cannot help those who do not seize opportunities. *The longer the night lasts, the more our dreams will be. *The man who removes a mountain begins by carrying away small stones. *The more you sweat in Peacetime, The less you bleed during War. *The wise adapt themselves to circumstances, as water moulds itself to the pitcher. *There are always ears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There is no one to sweep a common hall. *There are many paths to the top of the mountain, but the view is always the same. *Those who do not read...are no better off than those who can not. *Vicious as a tigeress can be, she never eats her own cubs. *Virtue never dwells alone; it always has neighbours. *We are not so much concerned if you are slow as when you come to a halt. *With money you are a dragon; with no money, a worm. *Without rice, even the cleverest housewife cannot cook. *When a finger points at the moon, the imbecile looks at the finger. *When you bow, bow low. [[de:Chinesische Sprichwörter]] [[en:Chinese proverbs]] [[es:Proverbios chinos]] [[fr:Proverbes chinois]] [[gl:Proverbios chineses]] [[he:פתגמים סיניים]] [[it:Proverbi cinesi]] [[ja:中国の諺]] [[nl:Chinese spreekwoorden]] [[pt:Provérbios chineses]] [[sv:Kinesiska ordspråk]] [[zh:中文谚语]] 3732 2005-11-28T11:09:14Z PuzzletChung 1 *A book holds a house of gold. *A book is like a garden carried in the pocket. *A dog in a kennel barks at his fleas; a dog hunting does not notice them. *A sly rabbit will have three openings to its den. *A smile will gain you ten more years of life. *A weasel comes to say "Happy New Year" to the chickens. *Add legs to the snake after you have finished drawing it. *After three days without reading, talk becomes flavorless. *An inch of time is an inch of gold, but you can't buy that inch of time with an inch of gold. *Better to light a candle, than to curse the darkness. *Crows everywhere are equally black. *Dream different dreams while on the same bed. *Even a hare will bite when it is cornered. *Every day cannot be a feast of lanterns. *Have a mouth as sharp as a dagger, but a heart as soft as tofu. *He painted a tiger, but it turned out a dog. *He who governs by his moral excellence may be compared to the Pole star which abides in its place while all other stars bow towards it. *He who rides the tiger can never dismount. *I dreamed a thousand new paths... I woke and walked my old one I was angered, for I had no shoes. Then I met a man who had no feet. *If you are patient in one moment of anger, you will escape a hundred days of sorrow. *It is not necessary to light a candle to the sun. *It is not the knowing that is difficult, but the doing. *Looking for the ass on its very back. *Men trip not on mountainsl they trip on molehills. *No wind, no waves. *Of all the strategems, to know when to quit is the best. *Once on a tiger's back, it is hard to alight. *One monk shoulders water by himself; two can still share the labor among them. When it comes to three, they have to go thirsty. *Paper can't wrap up a fire. *Pure gold does not fear furnace. *Some prefer carrot while others like cabbage. *Sour, sweet, bitter, pungent, all must be tasted. *Steal a bell with one's ears covered. *The beginning and the end reach out their hands to each other. *The beginning of wisdom is to call things by their right names. *The Gods cannot help those who do not seize opportunities. *The longer the night lasts, the more our dreams will be. *The man who removes a mountain begins by carrying away small stones. *The more you sweat in Peacetime, The less you bleed during War. *The wise adapt themselves to circumstances, as water moulds itself to the pitcher. *There are always ears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There is no one to sweep a common hall. *There are many paths to the top of the mountain, but the view is always the same. *Those who do not read...are no better off than those who can not. *Vicious as a tigeress can be, she never eats her own cubs. *Virtue never dwells alone; it always has neighbours. *We are not so much concerned if you are slow as when you come to a halt. *With money you are a dragon; with no money, a worm. *Without rice, even the cleverest housewife cannot cook. *When a finger points at the moon, the imbecile looks at the finger. *When you bow, bow low. [[분류:격언]] [[de:Chinesische Sprichwörter]] [[en:Chinese proverbs]] [[es:Proverbios chinos]] [[fr:Proverbes chinois]] [[gl:Proverbios chineses]] [[he:פתגמים סיניים]] [[it:Proverbi cinesi]] [[ja:中国の諺]] [[nl:Chinese spreekwoorden]] [[pt:Provérbios chineses]] [[sv:Kinesiska ordspråk]] [[zh:中文谚语]] 틀:위키책방 977 2934 2005-04-22T06:47:54Z 220.79.45.169 {| border="0" width="35%" align="right" cellpadding="5" class="noprint" style="float:right; clear:both; border:solid #008 2px; margin:0em 0em 0.5em 0.5em; width:35%;" |- || [[그림:Wikibook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width="100%" | '''[http://ko.wikibook.org/wiki/ 위키북]에는 [[b:ko:{{PAGENAME}}|{{PAGENAME}}]]관련된 문서가 있다.'''. |} 4126 2006-02-18T18:12:34Z 217.225.80.134 {| border="0" width="35%" align="right" cellpadding="5" class="noprint" style="float:right; clear:both; border:solid #008 2px; margin:0em 0em 0.5em 0.5em; width:35%;" |- || [[그림:Wikibooks-logo.svg|center|35px|<nowiki></nowiki>]] | width="100%" | '''[http://ko.wikibook.org/wiki/ 위키북]에는 [[b:ko:{{PAGENAME}}|{{PAGENAME}}]]관련된 문서가 있다.'''. |} 틀:위키백과사전 978 1038 2005-04-22T06:50:01Z 220.79.45.169 {| border="0" width="35%" align="right" cellpadding="5" class="noprint" style="float:right; clear:both; border:solid #008 2px; margin:0em 0em 0.5em 0.5em; width:35%;" |- || [[그림:Wikipedias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width="100%" | '''[http://ko.wikipedia.org/wiki/ 위키백과사전]에는 [[ko:{{PAGENAME}}|{{PAGENAME}}]]관련된 문서가 있다.'''. |} 1039 2005-04-22T06:50:15Z 220.79.45.169 {| border="0" width="35%" align="right" cellpadding="5" class="noprint" style="float:right; clear:both; border:solid #008 2px; margin:0em 0em 0.5em 0.5em; width:35%;" |- || [[그림:Wikip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width="100%" | '''[http://ko.wikipedia.org/wiki/ 위키백과사전]에는 [[ko:{{PAGENAME}}|{{PAGENAME}}]]관련된 문서가 있다.'''. |} 1040 2005-04-22T06:50:33Z 220.79.45.169 {| border="0" width="35%" align="right" cellpadding="5" class="noprint" style="float:right; clear:both; border:solid #008 2px; margin:0em 0em 0.5em 0.5em; width:35%;" |- || [[그림:Wikip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width="100%" | '''[http://ko.wikipedia.org/wiki/ 위키백과사전]에는 [[p:ko:{{PAGENAME}}|{{PAGENAME}}]]관련된 문서가 있다.'''. |} 2935 2005-04-22T06:50:45Z 220.79.45.169 {| border="0" width="35%" align="right" cellpadding="5" class="noprint" style="float:right; clear:both; border:solid #008 2px; margin:0em 0em 0.5em 0.5em; width:35%;" |- || [[그림:Wikipedia without text.png|center|35px|<nowiki></nowiki>]] | width="100%" | '''[http://ko.wikipedia.org/wiki/ 위키백과사전]에는 [[w:ko:{{PAGENAME}}|{{PAGENAME}}]]관련된 문서가 있다.'''. |} 4129 2006-02-19T09:47:25Z 217.225.121.174 {| border="0" width="35%" align="right" cellpadding="5" class="noprint" style="float:right; clear:both; border:solid #008 2px; margin:0em 0em 0.5em 0.5em; width:35%;" |- || [[그림:Wikipedia-logo.png|center|35px|<nowiki></nowiki>]] | width="100%" | '''[http://ko.wikipedia.org/wiki/ 위키백과사전]에는 [[w:ko:{{PAGENAME}}|{{PAGENAME}}]]관련된 문서가 있다.'''. |} 아프리카속담 980 2936 2005-04-23T22:36:13Z 220.121.51.70 *A big fish is caught with big bait. *A cat may go to a monastery, but she still remains a cat. *A cow must graze where she is tied. *A good deed is something one returns. *A little rain each day will fill the rivers to overflowing. *A roaring lion kills no game. *A silly daughter teaches her mother how to bear children. *A strawberry blossom will not sweeten dry bread. *A wise man who knows proverbs, reconciles difficulties. *After a foolish deed comes remorse. *An intelligent enemy is better than a stupid friend. *As the wound inflames the finger, so thought inflames the mind. *By the time the fool has learned the game, the players have dispersed. *Children are the reward of life. *Death does not sound a trumpet. *Do not call the forest that shelters you a jungle. *Do not call to a dog with a whip in your hand. *Do not step on the dog's tail, and he will not bite you. *Do not tell the man who is carrying you that he stinks. *Earth is the queen of beds. *Evil enters like a needle and spreads like a oak tree. *God conceals himself from the mind of man, but reveals himself to his heart. *Good millet is known at the harvest. *He who asks questions, cannot avoid the answers. *He who does not cultivate his field, will die of hunger. *He who learns, teaches. *He who marries a beauty marries trouble. *He who runs after good fortune runs away from peace. *If you're not living on the edge... you're taking up too much room. *If your mouth turns into a knife, it will cut off your lips. *In all the world, things are two and two. *It is better to be loved than feared. *It is easy to become a monk in one's old age. *It is Mr. Old-Man-Monkey who marries Mrs. Old-Woman-Monkey. *It is the calm and silent water that drowns a man. *It takes a whole village to raise a child. *Knowledge is like a garden: it is not cultivated, it cannot be harvested. *Knowledge is not the main thing, but deeds. *Little by little grow the bananas. *Love is like a baby: it needs to be treated tenderly. *Man is like palm-wine: when young, sweet but without strength; in old age, strong but harsh. *Men fall only in order to rise. *Money is sharper than a sword. *Move your neck according to the music. *No one tests the depth of a river with both feet. *No matter how long the night, the day is sure to come. *No matter how long the winter, spring is sure to follow. *One camel does not make fun of the other camel's hump. *One falsehood spoils a thousand truths. *One is born, one dies; the land increases. *Poverty is slavery. *Proverbs are the daughters of experience. *Rain beats a leopard's skin, but it does not wash out the spots. *Rain does not fall on one roof alone. *Restless feet may walk into a snake pit. *Sleep is the cousin of death. *Snake at your feet - a stick at your hand ! *Talking with one another is loving one another. *The cricket cries, the year changes. *The fool is thirsty in the midst of water. *The fool speaks, the wise man listens. *The friends of our friends are our friends. *The heart of man and the bottom of the sea are unfathomable. *The heart of the wise man lies quiet like limpid water. *The miserly man is like a fattened ox: he will give of his fat only when he has been deprived of his life. *The moon moves slowly, but it crosses the town. *The ruin of a nation begins in the homes of its people. *The witness of a rat is another rat. *There is no medicine to cure hatred. *Those who are absent are always wrong. *Thought breaks the heart. *Time destroys all things. *To love someone who does not love you, is like shaking a tree to make the dew drops fall. *To one who does not know , a small garden is a forest. *To try and fail is not laziness. *When a king has good counselors, his reign is peaceful. *When one is in love, a cliff becomes a meadow. *When one is in trouble, one remembers God. *When spider webs unite, they can tie up a lion. *When the cock is drunk, he forgets about the hawk. *When the heart overflows, it comes out through the mouth. *When you are rich, you are hated; when you are poor, you are despised. *Wisdom does not come overnight. *Woman without man is like a field without seed. *You cannot build a house for last year's summer. *You do not teach the paths of the forest to an old gorilla. 3593 2005-09-11T21:11:17Z Thomas 12 Interwiki *A big fish is caught with big bait. *A cat may go to a monastery, but she still remains a cat. *A cow must graze where she is tied. *A good deed is something one returns. *A little rain each day will fill the rivers to overflowing. *A roaring lion kills no game. *A silly daughter teaches her mother how to bear children. *A strawberry blossom will not sweeten dry bread. *A wise man who knows proverbs, reconciles difficulties. *After a foolish deed comes remorse. *An intelligent enemy is better than a stupid friend. *As the wound inflames the finger, so thought inflames the mind. *By the time the fool has learned the game, the players have dispersed. *Children are the reward of life. *Death does not sound a trumpet. *Do not call the forest that shelters you a jungle. *Do not call to a dog with a whip in your hand. *Do not step on the dog's tail, and he will not bite you. *Do not tell the man who is carrying you that he stinks. *Earth is the queen of beds. *Evil enters like a needle and spreads like a oak tree. *God conceals himself from the mind of man, but reveals himself to his heart. *Good millet is known at the harvest. *He who asks questions, cannot avoid the answers. *He who does not cultivate his field, will die of hunger. *He who learns, teaches. *He who marries a beauty marries trouble. *He who runs after good fortune runs away from peace. *If you're not living on the edge... you're taking up too much room. *If your mouth turns into a knife, it will cut off your lips. *In all the world, things are two and two. *It is better to be loved than feared. *It is easy to become a monk in one's old age. *It is Mr. Old-Man-Monkey who marries Mrs. Old-Woman-Monkey. *It is the calm and silent water that drowns a man. *It takes a whole village to raise a child. *Knowledge is like a garden: it is not cultivated, it cannot be harvested. *Knowledge is not the main thing, but deeds. *Little by little grow the bananas. *Love is like a baby: it needs to be treated tenderly. *Man is like palm-wine: when young, sweet but without strength; in old age, strong but harsh. *Men fall only in order to rise. *Money is sharper than a sword. *Move your neck according to the music. *No one tests the depth of a river with both feet. *No matter how long the night, the day is sure to come. *No matter how long the winter, spring is sure to follow. *One camel does not make fun of the other camel's hump. *One falsehood spoils a thousand truths. *One is born, one dies; the land increases. *Poverty is slavery. *Proverbs are the daughters of experience. *Rain beats a leopard's skin, but it does not wash out the spots. *Rain does not fall on one roof alone. *Restless feet may walk into a snake pit. *Sleep is the cousin of death. *Snake at your feet - a stick at your hand ! *Talking with one another is loving one another. *The cricket cries, the year changes. *The fool is thirsty in the midst of water. *The fool speaks, the wise man listens. *The friends of our friends are our friends. *The heart of man and the bottom of the sea are unfathomable. *The heart of the wise man lies quiet like limpid water. *The miserly man is like a fattened ox: he will give of his fat only when he has been deprived of his life. *The moon moves slowly, but it crosses the town. *The ruin of a nation begins in the homes of its people. *The witness of a rat is another rat. *There is no medicine to cure hatred. *Those who are absent are always wrong. *Thought breaks the heart. *Time destroys all things. *To love someone who does not love you, is like shaking a tree to make the dew drops fall. *To one who does not know , a small garden is a forest. *To try and fail is not laziness. *When a king has good counselors, his reign is peaceful. *When one is in love, a cliff becomes a meadow. *When one is in trouble, one remembers God. *When spider webs unite, they can tie up a lion. *When the cock is drunk, he forgets about the hawk. *When the heart overflows, it comes out through the mouth. *When you are rich, you are hated; when you are poor, you are despised. *Wisdom does not come overnight. *Woman without man is like a field without seed. *You cannot build a house for last year's summer. *You do not teach the paths of the forest to an old gorilla. [[de:Afrikanische Sprichwörter]] [[en:African proverbs]] [[fr:Proverbes africains]] [[it:Proverbi africani]] [[pt:Provérbios africanos]] 3731 2005-11-28T11:09:08Z PuzzletChung 1 *A big fish is caught with big bait. *A cat may go to a monastery, but she still remains a cat. *A cow must graze where she is tied. *A good deed is something one returns. *A little rain each day will fill the rivers to overflowing. *A roaring lion kills no game. *A silly daughter teaches her mother how to bear children. *A strawberry blossom will not sweeten dry bread. *A wise man who knows proverbs, reconciles difficulties. *After a foolish deed comes remorse. *An intelligent enemy is better than a stupid friend. *As the wound inflames the finger, so thought inflames the mind. *By the time the fool has learned the game, the players have dispersed. *Children are the reward of life. *Death does not sound a trumpet. *Do not call the forest that shelters you a jungle. *Do not call to a dog with a whip in your hand. *Do not step on the dog's tail, and he will not bite you. *Do not tell the man who is carrying you that he stinks. *Earth is the queen of beds. *Evil enters like a needle and spreads like a oak tree. *God conceals himself from the mind of man, but reveals himself to his heart. *Good millet is known at the harvest. *He who asks questions, cannot avoid the answers. *He who does not cultivate his field, will die of hunger. *He who learns, teaches. *He who marries a beauty marries trouble. *He who runs after good fortune runs away from peace. *If you're not living on the edge... you're taking up too much room. *If your mouth turns into a knife, it will cut off your lips. *In all the world, things are two and two. *It is better to be loved than feared. *It is easy to become a monk in one's old age. *It is Mr. Old-Man-Monkey who marries Mrs. Old-Woman-Monkey. *It is the calm and silent water that drowns a man. *It takes a whole village to raise a child. *Knowledge is like a garden: it is not cultivated, it cannot be harvested. *Knowledge is not the main thing, but deeds. *Little by little grow the bananas. *Love is like a baby: it needs to be treated tenderly. *Man is like palm-wine: when young, sweet but without strength; in old age, strong but harsh. *Men fall only in order to rise. *Money is sharper than a sword. *Move your neck according to the music. *No one tests the depth of a river with both feet. *No matter how long the night, the day is sure to come. *No matter how long the winter, spring is sure to follow. *One camel does not make fun of the other camel's hump. *One falsehood spoils a thousand truths. *One is born, one dies; the land increases. *Poverty is slavery. *Proverbs are the daughters of experience. *Rain beats a leopard's skin, but it does not wash out the spots. *Rain does not fall on one roof alone. *Restless feet may walk into a snake pit. *Sleep is the cousin of death. *Snake at your feet - a stick at your hand ! *Talking with one another is loving one another. *The cricket cries, the year changes. *The fool is thirsty in the midst of water. *The fool speaks, the wise man listens. *The friends of our friends are our friends. *The heart of man and the bottom of the sea are unfathomable. *The heart of the wise man lies quiet like limpid water. *The miserly man is like a fattened ox: he will give of his fat only when he has been deprived of his life. *The moon moves slowly, but it crosses the town. *The ruin of a nation begins in the homes of its people. *The witness of a rat is another rat. *There is no medicine to cure hatred. *Those who are absent are always wrong. *Thought breaks the heart. *Time destroys all things. *To love someone who does not love you, is like shaking a tree to make the dew drops fall. *To one who does not know , a small garden is a forest. *To try and fail is not laziness. *When a king has good counselors, his reign is peaceful. *When one is in love, a cliff becomes a meadow. *When one is in trouble, one remembers God. *When spider webs unite, they can tie up a lion. *When the cock is drunk, he forgets about the hawk. *When the heart overflows, it comes out through the mouth. *When you are rich, you are hated; when you are poor, you are despised. *Wisdom does not come overnight. *Woman without man is like a field without seed. *You cannot build a house for last year's summer. *You do not teach the paths of the forest to an old gorilla. [[분류:격언]] [[de:Afrikanische Sprichwörter]] [[en:African proverbs]] [[fr:Proverbes africains]] [[it:Proverbi africani]] [[pt:Provérbios africanos]] Wikiquote:관리자 981 2937 2005-04-26T00:54:26Z PuzzletChung 1 '''관리자'''는 사이트를 관리하는 사람입니다. 현재 위키인용집의 관리자는 없습니다. 모든 관리자의 목록은 [[특수기능:Admins]] 페이지에 있습니다. ---- 제가 [[meta:Requests for permissions|메타위키]]에 관리자를 임명할 수 있는 권한을 신청해 놓은 상태입니다. --[[사용자:PuzzletChung|PuzzletChung]] 2005년 4월 26일 (火) 00:54 (UTC) 사용자토론:PuzzletChung 983 1047 2005-04-30T14:38:14Z Aphaia 5 Hi, PuzzletChung, Would you like to help us on Japanese Wikiquote? There is an article for Korean proverbs, [[ja:朝鮮語の諺]], but I suspect strongly the contributor(s) are not on a good faith. Most of listed proverbs contain sexual discrention and each contributor add only one proverb and doesn't come again. (So strongly doubting sockpupetty). If you add more positive Korean proverbs (and translation, in Japanese or other language), it wll be very helpful for us. How do you think? --[[사용자:Aphaia|Aphaia]] 2005년 4월 30일 (土) 14:38 (UTC) 1048 2005-05-05T10:58:35Z Angela 6 Administrator Hi, PuzzletChung, Would you like to help us on Japanese Wikiquote? There is an article for Korean proverbs, [[ja:朝鮮語の諺]], but I suspect strongly the contributor(s) are not on a good faith. Most of listed proverbs contain sexual discrention and each contributor add only one proverb and doesn't come again. (So strongly doubting sockpupetty). If you add more positive Korean proverbs (and translation, in Japanese or other language), it wll be very helpful for us. How do you think? --[[사용자:Aphaia|Aphaia]] 2005년 4월 30일 (土) 14:38 (UTC) ==Administrator== Hello, you are now an administrator here. I have also made you a bureaucrat so that you can turn other users into sysops. This is done using the [[Special:makesysop]] page. There are instructions on using this at [[m:Bureaucrat]]. If you have any problems, let me know on my [[w:en:User talk:Angela|talk page]], or leave a note on [[meta:Requests for permissions]]. Good luck. [[사용자:Angela|Angela]] 2005년 5월 5일 (木) 10:58 (UTC) 2938 2005-05-06T00:18:58Z PuzzletChung 1 Hi, PuzzletChung, Would you like to help us on Japanese Wikiquote? There is an article for Korean proverbs, [[ja:朝鮮語の諺]], but I suspect strongly the contributor(s) are not on a good faith. Most of listed proverbs contain sexual discrention and each contributor add only one proverb and doesn't come again. (So strongly doubting sockpupetty). If you add more positive Korean proverbs (and translation, in Japanese or other language), it wll be very helpful for us. How do you think? --[[사용자:Aphaia|Aphaia]] 2005년 4월 30일 (土) 14:38 (UTC) ==Administrator== Hello, you are now an administrator here. I have also made you a bureaucrat so that you can turn other users into sysops. This is done using the [[Special:makesysop]] page. There are instructions on using this at [[m:Bureaucrat]]. If you have any problems, let me know on my [[w:en:User talk:Angela|talk page]], or leave a note on [[meta:Requests for permissions]]. Good luck. [[사용자:Angela|Angela]] 2005년 5월 5일 (木) 10:58 (UTC) :Thank you! --[[사용자:PuzzletChung|PuzzletChung]] 2005년 5월 6일 (金) 00:18 (UTC) 사용자:Aphaia 984 2939 2005-04-30T14:41:08Z Aphaia 5 [[m:User:Aphaia|meta User page]] Aphaia is a Japanese Wikimedian, mainly active on [[:ja:User:Aphaia|Japanese]] and [[:en:User:Aphaia|English]] Wikiquote. Please leave your message on [[:ja:User talk:Aphaia|my talk on there]]. Cheers. [[ja:User:Aphaia]] [[en:User:Aphaia]] 호밀밭의 파수꾼 985 2940 2005-05-06T00:40:32Z PuzzletChung 1 '''[[w:호밀밭의 파수꾼|호밀밭의 파수꾼]]''' [[en:The Catcher in the Rye]] 3713 2005-11-28T10:43:39Z PuzzletChung 1 '''[[w:호밀밭의 파수꾼|호밀밭의 파수꾼]]''' [[분류:소설]] [[en:The Catcher in the Rye]] Wikiquote:사랑방 987 2942 2005-05-06T01:01:31Z PuzzletChung 1 위키자료집으로 옮겨야 할 것을 옮기는 중입니다. --[[사용자:PuzzletChung|PuzzletChung]] 2005년 5월 6일 (金) 01:01 (UTC) 4275 2006-06-18T10:49:14Z 211.61.73.137 위키자료집으로 옮겨야 할 것을 옮기는 중입니다. --[[사용자:PuzzletChung|PuzzletChung]] 2005년 5월 6일 (金) 01:01 (UTC) == 관리자 직책을 남용하지 마십시오 == 저는 Russ라고 합니다. 어떻게 그럴수 있습니까? 당신이 정말로 한국어 위키의 관리자입니까? 너무 관리자 직책 남용이 심하네요. 그리고 잘못은 제가 범했으니 따질수 있지만, 그렇다고 당신이 계정을 무제한 차단합니까? 그러고도 당신이 관리자입니까? 그렇다면 당신은 고질병에 걸린 것이 분명합니다. 만약에 당신이 저를 이해했다면 무제한 차단하지도 않았을 겁니다. 그리고 관리자도 사람을 이해해야 합니다. 물론 공산주의나 반달리즘한 사용자는 계정을 차단하세요. 하지만 저는 한국어 위키의 사용자입니다. 한국어 위키에서는 누구나 편집을 할 권리를 갖고 있습니다. 제가 잘못했지만, 노력하면 됩니다. 누구나 노력하면 나아질수 있습니다. 그런데 당신은 무조건 계정을 차단합니다. 그것도 여러번 차단했습니다. 당신은 저에 대한 고질병에 걸린 게 분명합니다. 사용자는 위키백과에서 편집할 권리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도 그런 권리를 갖고 있고요. 물론 공산주의 반달리즘이나 반달리즘 사용자는 박탈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 계정을 차단한 것은 사실상 제 권리를 박탈한 것으로, 너무 보면 제 계정을 여러번 차단한 게 관리자로서 너무 심하지 않습니까? - Russ 4276 2006-06-19T13:10:45Z 211.61.73.137 /* 관리자 직책을 남용하지 마십시오 */ 위키자료집으로 옮겨야 할 것을 옮기는 중입니다. --[[사용자:PuzzletChung|PuzzletChung]] 2005년 5월 6일 (金) 01:01 (UTC) 4842 2006-07-27T22:10:10Z 143.248.220.103 wikizine banner added request by [[:meta:User:Walter]] <div style="border: solid #aaa 1px; margin: 0 0 1em 1em; font-size: 90%; background: #f9f9f9; width: 140px; padding: 4px; spacing: 0px;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그림:Wikizine.png|110x30px]] Wikimedia News [http://cur.wikizine.org 읽기] [mailto:request@wikizine.org?subject=subscribe 구독하기]</div> 위키자료집으로 옮겨야 할 것을 옮기는 중입니다. --[[사용자:PuzzletChung|PuzzletChung]] 2005년 5월 6일 (金) 01:01 (UTC) 4848 2006-07-28T09:29:38Z Walter 41 + interwiki links; + create new topic (needs translation) __NEWSECTIONLINK__ [[Category:Wikiquote|Village pump]] [[bs:Wikipedia:Čaršija]] [[de:Wikiquote:Ich brauche Hilfe]] [[el:Βικιφθέγματα:Ο ιστοχώρος της κοινότητας]] [[es:Wikiquote:Café]] [[eu:Wikiesanak:Txokoa]] [[fa:ویکی‌گفتاورد:قهوه‌خانه]] [[fi:Wikisitaatit:Kahvihuone]] [[fr:Wikiquote:Le Bistro]] [[hu:Wikidézet:Kocsmafal]] [[id:Wikiquote:Warung Kopi]] [[it:Wikiquote:Bar]] [[ja:Wikiquote:井戸端]] [[la:Vicicitatio:Taberna]] [[nl:Wikiquote:De kantine]] [[no:Wikiquote:Tinget]] [[pl:Wikicytaty:Bar]] [[ro:Wikiquote:Cafenea]] [[sk:Wikicitáty:Krčma]] [[sv:Wikiquote:Bybrunnen]] [[zh:Wikiquote:互助客栈]] [[he:ויקיציטוט:מזנון]] [[pt:Wikiquote:Esplanada]] <div style="border: solid #aaa 1px; margin: 0 0 1em 1em; font-size: 90%; background: #f9f9f9; width: 140px; padding: 4px; spacing: 0px;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그림:Wikizine.png|110x30px]] Wikimedia News [http://cur.wikizine.org 읽기] [mailto:request@wikizine.org?subject=subscribe 구독하기]</div> ---- <div style="padding: 5px; font-size: 150%; text-align:center;">'''[{{SERVER}}{{localurl:Wikiquote:Wikiquote:사랑방|action=edit&section=new}} Create a new topic]''' </div> ---- 위키자료집으로 옮겨야 할 것을 옮기는 중입니다. --[[사용자:PuzzletChung|PuzzletChung]] 2005년 5월 6일 (金) 01:01 (UTC) 4849 2006-07-28T14:32:37Z Klutzy 42 __NEWSECTIONLINK__ [[Category:Wikiquote|Village pump]] [[bs:Wikipedia:Čaršija]] [[de:Wikiquote:Ich brauche Hilfe]] [[el:Βικιφθέγματα:Ο ιστοχώρος της κοινότητας]] [[es:Wikiquote:Café]] [[eu:Wikiesanak:Txokoa]] [[fa:ویکی‌گفتاورد:قهوه‌خانه]] [[fi:Wikisitaatit:Kahvihuone]] [[fr:Wikiquote:Le Bistro]] [[hu:Wikidézet:Kocsmafal]] [[id:Wikiquote:Warung Kopi]] [[it:Wikiquote:Bar]] [[ja:Wikiquote:井戸端]] [[la:Vicicitatio:Taberna]] [[nl:Wikiquote:De kantine]] [[no:Wikiquote:Tinget]] [[pl:Wikicytaty:Bar]] [[ro:Wikiquote:Cafenea]] [[sk:Wikicitáty:Krčma]] [[sv:Wikiquote:Bybrunnen]] [[zh:Wikiquote:互助客栈]] [[he:ויקיציטוט:מזנון]] [[pt:Wikiquote:Esplanada]] <div style="float: right; clear: both; border: solid #aaa 1px; margin: 0 0 1em 1em; font-size: 90%; background: #f9f9f9; width: 140px; padding: 4px; spacing: 0px;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그림:Wikizine.png|110x30px]] Wikimedia News [http://cur.wikizine.org 읽기] [mailto:request@wikizine.org?subject=subscribe 구독하기]</div> <div style="float: right; clear: both; width: 140px; padding: 5px; font-size: 150%; text-align:center; border: 1px solid #aaa;">'''[{{SERVER}}{{localurl:Wikiquote:Wikiquote:사랑방|action=edit&section=new}} 새 글 쓰기]''' </div> 위키자료집으로 옮겨야 할 것을 옮기는 중입니다. --[[사용자:PuzzletChung|PuzzletChung]] 2005년 5월 6일 (金) 01:01 (UTC) 토머스 에디슨 988 2943 2005-06-05T05:27:09Z PuzzletChung 1 == 출처가 밝혀진 것 == * 천재는 1 퍼센트의 영감과 99 퍼센트의 땀이다. 따라서 '천재'란 그의 일을 다 끝마친 한 재능있는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 Genius is one per cent inspiration and ninety-nine per cent perspiration. Accordingly, a 'genius' is often merely a talented person who has done all of his or her homework. ** <Harper's Monthly>, 1932 == 에디슨에 관한 것 == * 만약 에디슨이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다면, 그는 찾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일벌의 부지런함으로 건초 하나하나를 집어서 살펴볼 것이다. (중략) 나는 작은 이론과 계산이 그의 일의 90 퍼센트를 덜어 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켜보는 것이 유감이었다. &mdash; [[니콜라 테슬라]] ** If Edison had a needle to find in a haystack, he would proceed at once with the diligence of the bee to examine straw after straw until he found the object of his search. [...] I was a sorry witness of such doings, knowing that a little theory and calculation would have saved him ninety per cent of his labor. — Nikola Tesla [[bg:Томас Алва Едисън]] [[de:Thomas_Alva_Edison]] [[en:Thomas Alva Edison]] [[fr:Thomas Alva Edison]] [[ja:トーマス・エジソン]] [[pt:Thomas Edison]] 3712 2005-11-28T10:43:17Z PuzzletChung 1 == 출처가 밝혀진 것 == * 천재는 1 퍼센트의 영감과 99 퍼센트의 땀이다. 따라서 '천재'란 그의 일을 다 끝마친 한 재능있는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 Genius is one per cent inspiration and ninety-nine per cent perspiration. Accordingly, a 'genius' is often merely a talented person who has done all of his or her homework. ** <Harper's Monthly>, 1932 == 에디슨에 관한 것 == * 만약 에디슨이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다면, 그는 찾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일벌의 부지런함으로 건초 하나하나를 집어서 살펴볼 것이다. (중략) 나는 작은 이론과 계산이 그의 일의 90 퍼센트를 덜어 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켜보는 것이 유감이었다. &mdash; [[니콜라 테슬라]] ** If Edison had a needle to find in a haystack, he would proceed at once with the diligence of the bee to examine straw after straw until he found the object of his search. [...] I was a sorry witness of such doings, knowing that a little theory and calculation would have saved him ninety per cent of his labor. — Nikola Tesla [[분류:발명가]] [[bg:Томас Алва Едисън]] [[de:Thomas Alva Edison]] [[en:Thomas Alva Edison]] [[fr:Thomas Alva Edison]] [[ja:トーマス・エジソン]] [[pt:Thomas Edison]] 3715 2005-11-28T10:44:26Z PuzzletChung 1 == 출처가 밝혀진 것 == * 천재는 1 퍼센트의 영감과 99 퍼센트의 땀이다. 따라서 '천재'란 그의 일을 다 끝마친 한 재능있는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 Genius is one per cent inspiration and ninety-nine per cent perspiration. Accordingly, a 'genius' is often merely a talented person who has done all of his or her homework. ** <Harper's Monthly>, 1932 == 에디슨에 관한 것 == * 만약 에디슨이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다면, 그는 찾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일벌의 부지런함으로 건초 하나하나를 집어서 살펴볼 것이다. (중략) 나는 작은 이론과 계산이 그의 일의 90 퍼센트를 덜어 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켜보는 것이 유감이었다. &mdash; [[니콜라 테슬라]] ** If Edison had a needle to find in a haystack, he would proceed at once with the diligence of the bee to examine straw after straw until he found the object of his search. [...] I was a sorry witness of such doings, knowing that a little theory and calculation would have saved him ninety per cent of his labor. — Nikola Tesla [[분류:발명가|에디슨, 토머스 앨바]] [[bg:Томас Алва Едисън]] [[de:Thomas Alva Edison]] [[en:Thomas Alva Edison]] [[fr:Thomas Alva Edison]] [[ja:トーマス・エジソン]] [[pt:Thomas Edison]] 4271 2006-05-21T06:20:47Z PuzzletChung 1 [[토머스 앨바 에디슨]] moved to [[토머스 에디슨]] == 출처가 밝혀진 것 == * 천재는 1 퍼센트의 영감과 99 퍼센트의 땀이다. 따라서 '천재'란 그의 일을 다 끝마친 한 재능있는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 Genius is one per cent inspiration and ninety-nine per cent perspiration. Accordingly, a 'genius' is often merely a talented person who has done all of his or her homework. ** <Harper's Monthly>, 1932 == 에디슨에 관한 것 == * 만약 에디슨이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다면, 그는 찾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일벌의 부지런함으로 건초 하나하나를 집어서 살펴볼 것이다. (중략) 나는 작은 이론과 계산이 그의 일의 90 퍼센트를 덜어 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켜보는 것이 유감이었다. &mdash; [[니콜라 테슬라]] ** If Edison had a needle to find in a haystack, he would proceed at once with the diligence of the bee to examine straw after straw until he found the object of his search. [...] I was a sorry witness of such doings, knowing that a little theory and calculation would have saved him ninety per cent of his labor. — Nikola Tesla [[분류:발명가|에디슨, 토머스 앨바]] [[bg:Томас Алва Едисън]] [[de:Thomas Alva Edison]] [[en:Thomas Alva Edison]] [[fr:Thomas Alva Edison]] [[ja:トーマス・エジソン]] [[pt:Thomas Edison]] 블레이드 러너 989 2944 2005-06-07T19:18:14Z 자네도 9 * 로이 : 그 기억이 모두 곧 사라지겠지. 빗속의 내 눈물처럼. 죽을 시간이야. 3610 2005-11-02T01:49:52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 로이 : 그 기억이 모두 곧 사라지겠지. 빗속의 내 눈물처럼. 죽을 시간이야. [[분류:영화]] 오렌지로드 990 1054 2005-06-08T20:26:47Z 자네도 9 쿄스케 : 대답해 주겠니? Like or Love? 마도카 : Like! 한없이 Love에 가까운... 2945 2005-06-08T21:04:46Z 자네도 9 줄바꿈 쿄스케 : 대답해 주겠니? Like or Love? 마도카 : Like! 한없이 Love에 가까운... 3613 2005-11-02T01:50:40Z PuzzletChung 1 {{공정사용}} 쿄스케 : 대답해 주겠니? Like or Love? 마도카 : Like! 한없이 Love에 가까운... [[분류:만화]] 사용자:PuzzletChung/Template:Delete 991 1057 2005-06-14T02:36:37Z PuzzletChung 1 <div style="border:4px solid #e85210; background-color:#faf4ea; padding: 1em;"> [[그림:Logo-12.jpg|left]] '''관리자에게: 이 글을 지워주세요.<br />Administrator: please delete this page.''' 어떤 사용자가 본 글을 보고선 [[위키백과:문서삭제 지침|문서 삭제 지침]]에 부합하여, 위키백과에 알맞지 않는 내용 내지는 문서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함에 따라 원 내용을 지우고 <nowiki>{{delete}}</nowiki> 템플릿을 넣고 삭제를 요청하였습니다. <br clear="both" /> # 삭제를 요청한 사용자가 잘못 판단 했다고 생각 되는 경우에는 [[위키백과: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기|다시 되살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위키백과:자서전|자기 자신에 대한 글]]은 특별한 경우를 빼면 하지 마십시요. 특히 글이 없는 경우 자신에 대한 새 글을 쓰는 것은 기다렸다가 남이 새 글을 열었을때 참여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자신에 대한 소개는 사용자 등록 하신 후 [[위키백과:사용자 페이지|사용자 페이지]]에서 하세요. #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을 참고하세요. </div> 1058 2005-06-14T02:40:59Z PuzzletChung 1 <div style="border:4px solid #e85210; background-color:#faf4ea; padding: 1em;"> [[그림:Wikiquote-logo.png|left]] '''관리자에게: 이 글을 지워주세요.''' 어떤 사용자가 본 글을 보고선 [[위키백과:문서삭제 지침|문서 삭제 지침]]에 부합하여, 위키백과에 알맞지 않는 내용 내지는 문서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함에 따라 원 내용을 지우고 {{[[Template:Delete|delete]]}} 템플릿을 넣고 삭제를 요청하였습니다. <br clear="both"/> # 삭제를 요청한 사용자가 잘못 판단 했다고 생각 되는 경우에는 [[위키백과: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기|다시 되살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위키백과:자서전|자기 자신에 대한 글]]은 특별한 경우를 빼면 하지 마십시요. 특히 글이 없는 경우 자신에 대한 새 글을 쓰는 것은 기다렸다가 남이 새 글을 열었을때 참여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자신에 대한 소개는 사용자 등록 하신 후 [[위키백과:사용자 페이지|사용자 페이지]]에서 하세요. #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을 참고하세요. </div> 1061 2005-06-14T02:49:09Z 61.247.148.38 <table> <tr valign="top"> <td style="border:4px solid #e85210; background-color:#faf4ea; padding: 1em;"> [[그림:Logo-12.jpg|left]] '''관리자에게: 이 글을 지워주세요.''' 어떤 사용자가 본 글을 보고선 [[위키백과:문서삭제 지침|문서 삭제 지침]]에 부합하여, 위키백과에 알맞지 않는 내용 내지는 문서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함에 따라 원 내용을 지우고 {{[[Template:Delete|delete]]}} 템플릿을 넣고 삭제를 요청하였습니다. <br clear="both" /> # 삭제를 요청한 사용자가 잘못 판단 했다고 생각 되는 경우에는 [[위키백과: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기|다시 되살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위키백과:자서전|자기 자신에 대한 글]]은 특별한 경우를 빼면 하지 마십시요. 특히 글이 없는 경우 자신에 대한 새 글을 쓰는 것은 기다렸다가 남이 새 글을 열었을때 참여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자신에 대한 소개는 사용자 등록 하신 후 [[위키백과:사용자 페이지|사용자 페이지]]에서 하세요. #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을 참고하세요. </td> </tr> </table> [[분류:삭제 신청]] 2946 2005-06-14T02:57:32Z PuzzletChung 1 <div style="border:4px solid #e85210; background-color:#faf4ea; padding: 1em;"> [[그림:Logo-12.jpg|left]] '''관리자에게: 이 글을 지워주세요.''' 어떤 사용자가 본 글을 보고선 [[위키백과:문서삭제 지침|문서 삭제 지침]]에 부합하여, 위키백과에 알맞지 않는 내용 내지는 문서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함에 따라 원 내용을 지우고 <nowiki>{{[[Template:Delete|delete]]}}</nowiki> 템플릿을 넣고 삭제를 요청하였습니다. <br clear="both" /> # 삭제를 요청한 사용자가 잘못 판단 했다고 생각 되는 경우에는 [[위키백과: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기|다시 되살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위키백과:자서전|자기 자신에 대한 글]]은 특별한 경우를 빼면 하지 마십시요. 특히 글이 없는 경우 자신에 대한 새 글을 쓰는 것은 기다렸다가 남이 새 글을 열었을때 참여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자신에 대한 소개는 사용자 등록 하신 후 [[위키백과:사용자 페이지|사용자 페이지]]에서 하세요. #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을 참고하세요. </div> [[분류:삭제 신청]] 그림:Logo-12.jpg 992 2947 2005-06-14T02:47:53Z PuzzletChung 1 [[Wikipedia:ko:Image:Logo-12.jpg]] [[Wikipedia:ko:Image:Logo-12.jpg]] 블레즈 파스칼 993 1062 2005-06-23T15:38:31Z PuzzletChung 1 [[w:ko:블레즈 파스칼]] (1623-1662) == 확인된 것 == * "Le nez de Cléopâtre, s'il eût été plus court, toute la face de la terre aurait changé." ** 출처: 팡세 ** 번역: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더 낮았더라면 세계의 모든 면이 달라져 있을 것이다." * "L'homme est un roseau, le plus faible de la nature, mais c'est un roseau pensant." ** 출처: 팡세 ** 번역: 인간은 갈대, 자연에서 가장 약한 존재이다. 그러나 그것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cs:Blaise Pascal]] [[de:Blaise Pascal]] [[en:Blaise Pascal]] [[fr:Blaise Pascal]] [[it:Blaise Pascal]] [[ja:ブレーズ・パスカル]] [[pl:Blaise Pascal]] 2948 2005-06-23T15:39:23Z PuzzletChung 1 [[w:ko:블레즈 파스칼|블레즈 파스칼]] (1623-1662) == 확인된 것 == * "Le nez de Cléopâtre, s'il eût été plus court, toute la face de la terre aurait changé." ** 출처: 팡세 ** 번역: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더 낮았더라면 세계의 모든 면이 달라져 있을 것이다." * "L'homme est un roseau, le plus faible de la nature, mais c'est un roseau pensant." ** 출처: 팡세 ** 번역: 인간은 갈대, 자연에서 가장 약한 존재이다. 그러나 그것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cs:Blaise Pascal]] [[de:Blaise Pascal]] [[en:Blaise Pascal]] [[fr:Blaise Pascal]] [[it:Blaise Pascal]] [[ja:ブレーズ・パスカル]] [[pl:Blaise Pascal]] 3422 2005-07-14T08:50:18Z PuzzletChung 1 '''[[w:ko:블레즈 파스칼|블레즈 파스칼]]'''(1623-1662)은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이다. == 확인된 것 == * "Le nez de Cléopâtre, s'il eût été plus court, toute la face de la terre aurait changé." ** 출처: 팡세 ** 번역: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더 낮았더라면 세계의 모든 면이 달라져 있을 것이다." * "L'homme est un roseau, le plus faible de la nature, mais c'est un roseau pensant." ** 출처: 팡세 ** 번역: 인간은 갈대, 자연에서 가장 약한 존재이다. 그러나 그것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 알려진 것 == "만일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서 신을 믿는 자가 잃는 것은 없다. 반면 신이 존재한다면, 신을 믿지 않는 자는 모든 것을 잃게 될 것이다." [[분류:수학자]] [[분류:철학자]] [[cs:Blaise Pascal]] [[de:Blaise Pascal]] [[en:Blaise Pascal]] [[fr:Blaise Pascal]] [[it:Blaise Pascal]] [[ja:ブレーズ・パスカル]] [[pl:Blaise Pascal]] 3424 2005-07-14T08:52:01Z PuzzletChung 1 '''[[w:ko:블레즈 파스칼|블레즈 파스칼]]'''(1623-1662)은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이자 신학자이다. == 확인된 것 == * "Le nez de Cléopâtre, s'il eût été plus court, toute la face de la terre aurait changé." ** 출처: 팡세 ** 번역: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더 낮았더라면 세계의 모든 면이 달라져 있을 것이다." * "L'homme est un roseau, le plus faible de la nature, mais c'est un roseau pensant." ** 출처: 팡세 ** 번역: 인간은 갈대, 자연에서 가장 약한 존재이다. 그러나 그것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 알려진 것 == "만일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서 신을 믿는 자가 잃는 것은 없다. 반면 신이 존재한다면, 신을 믿지 않는 자는 모든 것을 잃게 될 것이다." [[분류:물리학자]] [[분류:수학자]] [[분류:신학자]] [[cs:Blaise Pascal]] [[de:Blaise Pascal]] [[en:Blaise Pascal]] [[fr:Blaise Pascal]] [[it:Blaise Pascal]] [[ja:ブレーズ・パスカル]] [[pl:Blaise Pascal]] 3425 2005-07-14T09:01:14Z PuzzletChung 1 '''[[w:ko:블레즈 파스칼|블레즈 파스칼]]'''(1623-1662)은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이자 신학자이다. == 확인된 것 == * "Le nez de Cléopâtre, s'il eût été plus court, toute la face de la terre aurait changé." ** 출처: 팡세 ** 번역: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더 낮았더라면 세계의 모든 면이 달라져 있을 것이다." * "L'homme est un roseau, le plus faible de la nature, mais c'est un roseau pensant." ** 출처: 팡세 ** 번역: 인간은 갈대, 자연에서 가장 약한 존재이다. 그러나 그것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 알려진 것 == "만일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서 신을 믿는 자가 잃는 것은 없다. 반면 신이 존재한다면, 신을 믿지 않는 자는 모든 것을 잃게 될 것이다." [[분류:물리학자|파스칼, 블레즈]] [[분류:수학자|파스칼, 블레즈]] [[분류:신학자|파스칼, 블레즈]] [[cs:Blaise Pascal]] [[de:Blaise Pascal]] [[en:Blaise Pascal]] [[fr:Blaise Pascal]] [[it:Blaise Pascal]] [[ja:ブレーズ・パスカル]] [[pl:Blaise Pascal]] MediaWiki:Sidebar 1349 sysop 3335 2005-06-26T17:51:30Z MediaWiki default * navigation ** mainpage|mainpage ** portal-url|portal ** currentevents-url|currentevents ** recentchanges-url|recentchanges ** randompage-url|randompage ** helppage|help ** sitesupport-url|sitesupport 3484 2005-07-29T10:49:08Z MediaWiki default * navigation ** mainpage|mainpage ** portal-url|portal ** currentevents-url|currentevents ** recentchanges-url|recentchanges ** randompage-url|randompage ** helppage|help ** sitesupport-url|sitesupport 3536 2005-08-19T23:21:37Z MediaWiki default * navigation ** mainpage|mainpage ** portal-url|portal ** currentevents-url|currentevents ** recentchanges-url|recentchanges ** randompage-url|randompage ** helppage|help ** sitesupport-url|sitesupport 3576 2005-09-05T09:33:42Z MediaWiki default * navigation ** mainpage|mainpage ** portal-url|portal ** currentevents-url|currentevents ** recentchanges-url|recentchanges ** randompage-url|randompage ** helppage|help ** sitesupport-url|sitesupport 3664 2005-11-09T22:39:38Z MediaWiki default * navigation ** mainpage|mainpage ** portal-url|portal ** currentevents-url|currentevents ** recentchanges-url|recentchanges ** randompage-url|randompage ** helppage|help ** sitesupport-url|sitesupport 3866 2005-11-29T21:14:00Z MediaWiki default * navigation ** mainpage|mainpage ** portal-url|portal ** currentevents-url|currentevents ** recentchanges-url|recentchanges ** randompage-url|randompage ** helppage|help ** sitesupport-url|sitesupport 3935 2005-12-01T11:50:51Z PuzzletChung 1 * navigation ** mainpage-url|mainpage ** portal-url|portal ** currentevents-url|currentevents ** recentchanges-url|recentchanges ** randompage-url|randompage ** helppage|help ** sitesupport-url|sitesupport 3937 2005-12-01T11:54:04Z PuzzletChung 1 * navigation ** mainpage-url|mainpage-text ** portal-url|portal ** currentevents-url|currentevents ** recentchanges-url|recentchanges ** randompage-url|randompage ** helppage|help ** sitesupport-url|sitesupport 팡세 1410 3412 2005-07-06T07:51:14Z 220.121.51.110 * "'''인간은 자연에서 가장 연약한 한 줄기 갈대일 뿐이다. 그러나 그는 생각하는 갈대다.''' 그를 박살내기 위해 전 우주가 무장할 필요가 없다. 한번 뿜은 증기, 한 방울의 물이면 그를 죽이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우주가 그를 박살낸다 해도 인간은 그를 죽이는 것보다 더 고귀할 것이다. 인간은 자기가 죽는다는 것을, 그리고 우주가 자기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우주는 아무것도 모른다. 그러므로 우리의 모든 존엄성은 사유(思惟)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가 스스로를 높여야 하는 것은 여기서부터이지, 우리가 채울 수 없는 공간과 시간에서가 아니다. 그러니 올바르게 사유하도록 힘쓰자. 이것이 곧 도덕의 원리이다. " * "클레오파트라의 코, 만약 그것이 조금만 낮었더라도 온 지구의 모습은 달라졌을 것이다" 3413 2005-07-10T04:20:59Z 61.247.144.108 #redirect [[블레즈 파스칼]] #redirect [[블레즈 파스칼]] 잘못된 인용문의 목록 1411 3414 2005-07-10T04:42:50Z PuzzletChung 1 *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다."''' ** 원문: "종교는 억압받는 피조물들의 한숨이요, 심장없는 세상의 심장이며, 영혼없는 상태의 영혼이다. 이는 인민의 아편이다." [[카를 마르크스]]의 의도는 잘못된 인용문보다 더 약한 것이다. * '''"Et tu, Brute?"''' ** 번역: '''"브루투스, 너마저?"'''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있는 문장은 "Et tu, Brute?"이다. 그는 로마인이 그리스어로 했던 말을, 영어 연극상에서 라틴어로 넣었다. ** 원문: "Kai su, teknon?" ([[수에토니우스]]에 의함) *** 번역: "내 아이여, 너마저?" ** 그러나 카이사르가 진짜로 이 말을 했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 '''"나 타잔, 너 제인."''' **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원작 소설과 [[타잔]] 영화 중에서 이 대사가 나오는 것은 하나도 없다. ** 타잔을 연기하는 배우가 인터뷰에서 그의 대화 방식이 그만큼 복잡해졌다면서 언급한 말이다. 참고 문헌: * Ralph Keyes: "Nice guys finish seventh - False phrases, spurious sayings and familiar misquotations", HarperCollins 1992. [[en:List of misquotations]] 3415 2005-07-10T04:43:09Z PuzzletChung 1 [[잘못된 인용문]] moved to [[잘못된 인용문의 목록]] *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다."''' ** 원문: "종교는 억압받는 피조물들의 한숨이요, 심장없는 세상의 심장이며, 영혼없는 상태의 영혼이다. 이는 인민의 아편이다." [[카를 마르크스]]의 의도는 잘못된 인용문보다 더 약한 것이다. * '''"Et tu, Brute?"''' ** 번역: '''"브루투스, 너마저?"'''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있는 문장은 "Et tu, Brute?"이다. 그는 로마인이 그리스어로 했던 말을, 영어 연극상에서 라틴어로 넣었다. ** 원문: "Kai su, teknon?" ([[수에토니우스]]에 의함) *** 번역: "내 아이여, 너마저?" ** 그러나 카이사르가 진짜로 이 말을 했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 '''"나 타잔, 너 제인."''' **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원작 소설과 [[타잔]] 영화 중에서 이 대사가 나오는 것은 하나도 없다. ** 타잔을 연기하는 배우가 인터뷰에서 그의 대화 방식이 그만큼 복잡해졌다면서 언급한 말이다. 참고 문헌: * Ralph Keyes: "Nice guys finish seventh - False phrases, spurious sayings and familiar misquotations", HarperCollins 1992. [[en:List of misquotations]] 4264 2006-04-09T11:50:59Z 61.247.145.155 *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다."''' ** 원문: "종교는 억압받는 피조물들의 한숨이요, 심장없는 세상의 심장이며, 영혼없는 상태의 영혼이다. 이는 인민의 아편이다." [[카를 마르크스]]의 의도는 잘못된 인용문보다 더 약한 것이다. * '''"Et tu, Brute?"''' ** 번역: '''"브루투스, 너마저?"'''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있는 문장은 "Et tu, Brute?"이다. 그는 로마인이 그리스어로 했던 말을, 영어 연극상에서 라틴어로 넣었다. ** 원문: "Kai su, teknon?" ([[수에토니우스]]에 의함) *** 번역: "내 아이여, 너마저?" ** 그러나 카이사르가 진짜로 이 말을 했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 '''"나 타잔, 너 제인."''' **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원작 소설과 [[타잔]] 영화 중에서 이 대사가 나오는 것은 하나도 없다. ** 타잔을 연기하는 배우가 인터뷰에서 그의 대화 방식이 그만큼 복잡해졌다면서 언급한 말이다. *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 ** 조선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이승복은 "우리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말했다. == 참고 문헌 == * Ralph Keyes: "Nice guys finish seventh - False phrases, spurious sayings and familiar misquotations", HarperCollins 1992. [[en:List of misquotations]] 4267 2006-04-09T12:01:23Z PuzzletChung 1 *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다.”''' ** 원문: “종교는 억압받는 피조물들의 한숨이요, 심장없는 세상의 심장이며, 영혼없는 상태의 영혼이다. 이는 인민의 아편이다.” [[카를 마르크스]]의 의도는 잘못된 인용문보다 더 약한 것이다. * '''“Et tu, Brute?”''' ** 번역: '''"브루투스, 너마저?"'''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있는 문장은 "Et tu, Brute?"이다. 그는 로마인이 그리스어로 했던 말을, 영어 연극상에서 라틴어로 넣었다. ** 원문: “Kai su, teknon?” ([[수에토니우스]]에 의함) *** 번역: “내 아이여, 너마저?” ** 그러나 카이사르가 진짜로 이 말을 했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 '''“나 타잔, 너 제인.”''' **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원작 소설과 [[타잔]] 영화 중에서 이 대사가 나오는 것은 하나도 없다. ** 타잔을 연기하는 배우가 인터뷰에서 그의 대화 방식이 그만큼 복잡해졌다면서 언급한 말이다. *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 ** 조선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이승복은 “우리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말했다. == 참고 문헌 == * Ralph Keyes: "Nice guys finish seventh - False phrases, spurious sayings and familiar misquotations", HarperCollins 1992. [[en:List of misquotations]] 잘못된 인용문 1412 3416 2005-07-10T04:43:09Z PuzzletChung 1 [[잘못된 인용문]] moved to [[잘못된 인용문의 목록]] #redirect [[잘못된 인용문의 목록]] 백남준 1413 3419 2005-07-14T08:33:53Z PuzzletChung 1 작곡가이자 비디오 아티스트 '''[[w:ko:백남준]]''' * "나는 가난한 나라에서 온 가난한 사람이다. 따라서 매순간마다 즐거운 사람이어야 한다." * "전기가 없으면 예술도 없다." [[en:Nam June Paik]] 3420 2005-07-14T08:34:26Z PuzzletChung 1 작곡가이자 비디오 아티스트 '''[[w:ko:백남준|백남준]]''' * "나는 가난한 나라에서 온 가난한 사람이다. 따라서 매순간마다 즐거운 사람이어야 한다." * "전기가 없으면 예술도 없다." [[en:Nam June Paik]] 3708 2005-11-28T10:40:54Z PuzzletChung 1 작곡가이자 비디오 아티스트 '''[[w:ko:백남준|백남준]]''' * "나는 가난한 나라에서 온 가난한 사람이다. 따라서 매순간마다 즐거운 사람이어야 한다." ** "I am a poor man from a poor country, so I have to be entertaining every second." * "전기가 없으면 예술도 없다." ** "Without electricity, there can be no art." [[분류:예술가]] [[en:Nam June Paik]] 4098 2006-01-31T04:37:34Z 221.153.157.74 작곡가이자 비디오 아티스트 '''[[w:ko:백남준|백남준]]''' * "나는 가난한 나라에서 온 가난한 사람이다. 따라서 매순간마다 즐거운 사람이어야 한다." ** "I am a poor man from a poor country, so I have to be entertaining every second." * "전기가 없으면 예술도 없다." ** "Without electricity, there can be no art." * "원래 예술이란 게 반이 사기입니다. 속이고 속는 거지요. 사기 중에서도 고등사기입니다. 대중을 얼떨떨하게 만드는 것이 예술이거든요." [[분류:예술가]] [[en:Nam June Paik]] 4837 2006-07-12T17:28:30Z 221.163.173.171 남을 작곡가이자 비디오 아티스트 '''[[w:ko:백남준|백남준]]''' * "나는 가난한 나라에서 온 가난한 사람이다. 따라서 매순간마다 남을 즐겁게 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 "I am a poor man from a poor country, so I have to be entertaining every second." * "전기가 없으면 예술도 없다." ** "Without electricity, there can be no art." * "원래 예술이란 게 반이 사기입니다. 속이고 속는 거지요. 사기 중에서도 고등사기입니다. 대중을 얼떨떨하게 만드는 것이 예술이거든요." [[분류:예술가]] [[en:Nam June Paik]] 김일성 1414 3421 2005-07-14T08:38:46Z PuzzletChung 1 '''[[w:ko:김일성|김일성]]'''(1912-1994)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 -- 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3704 2005-11-28T10:38:15Z PuzzletChung 1 '''[[w:ko:김일성|김일성]]'''(1912-1994)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 -- 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분류:정치가]] 4023 2006-01-03T18:33:17Z 61.247.145.155 '''[[w:ko:김일성|김일성]]'''(1912-1994)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 -- 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 --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분류:정치가]] 4024 2006-01-03T21:00:19Z 221.154.247.237 <font face=batang size=3><b>[[김일성]]</b>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p> <center><font face=dotum size=4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p> * <font face=dotum size=3><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ont face=batang size=2>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font face=dotum size=3><b>《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face=batang size=2>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분류:정치가]] 4025 2006-01-03T21:10:44Z 221.154.247.237 <font face=batang size=3><b>[[김일성]]</b>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p> <center><font face=dotum size=4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p> * <font face=dotum size=3><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ont face=batang size=2>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font face=dotum size=3><b>《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face=batang size=2>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face=dotum size=3><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font face=dotum size=3><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 [[분류:정치가]] 4026 2006-01-03T21:11:52Z 221.154.247.237 <font face=batang size=3><b>[[김일성]]</b>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p> <center><font face=dotum size=4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p> * <font face=dotum size=3><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ont face=batang size=2>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font face=dotum size=3><b>《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face=batang size=2>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face=dotum size=3><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font face=dotum size=3><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 * <font face=dotum size=3><b>《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 [[분류:정치가]] 4029 2006-01-06T09:12:14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font face=바탕><font style= font-size:9pt><b>[[김일성]]</b>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p> <center><font face=dotum size=4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p> * <font face=dotum size=3><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ont face=batang size=2>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font face=dotum size=3><b>《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face=batang size=2>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face=dotum size=3><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font face=dotum size=3><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 * <font face=dotum size=3><b>《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 [[분류:정치가]] 4030 2006-01-06T09:14:47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b>[[김일성]]</b>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ont face=batang size=2>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face=batang size=2>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 * <b>《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 [[분류:정치가]] 4031 2006-01-06T09:15:24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b>[[김일성]]</b>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face=batang size=2>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 * <b>《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 [[분류:정치가]] 4032 2006-01-06T09:16:56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b>[[김일성]]</b>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33 2006-01-06T09:18:29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b>[[김일성]]</b>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34 2006-01-06T09:19:12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b>[[김일성]]</b>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35 2006-01-06T09:20:17Z 221.154.247.237 /명언*/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36 2006-01-06T09:20:52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37 2006-01-06T09:21:36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40 2006-01-06T14:50:18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table> <tr bgcolor=yellow> <td>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td> </tr> <table>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41 2006-01-06T14:50:38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table> <tr bgcolor=yellow> <td>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td> </tr> </table>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42 2006-01-06T14:51:12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table> <tr align=center, bgcolor=yellow> <td>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td> </tr> </table>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43 2006-01-06T14:57:57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table border=2 bgcolor=gold> <tr> <td background=green>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td> </tr> </table>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44 2006-01-06T14:59:40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table border=2 bgcolor=green> <tr> <td bgcolor=gold> <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td> </tr> </table>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45 2006-01-06T15:18:48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TABLE BORDER=2 align=center> <tr> <td bgcolor=FFE4C4><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td> </tr> </table>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46 2006-01-06T15:19:21Z 221.154.247.237 <div style= line-height:150%> <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 <b><font size=2>[[김일성]]</b></font>동지(1912-1994)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원수이시며, 국가주석이시다.<br><br> <TABLE align=center> <tr> <td bgcolor=FFE4C4><center><font size=3 color=red><b>그이께서 남기신 불멸의 어록</b></font></center> </td> </tr> </table>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개구리는 해충을 잡아먹는 아주 리로운 동물입니다.》</b> * <b> <font style= font-size:9pt> 《경평축구경기를 5월 1일경기장에서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b></font><font style= font-size:9pt>--불멸의 로작 <b>《경평축구대회를 개최할 데 대하여》</b> 중에서 [[분류:정치가]] 4048 2006-01-14T07:30:05Z PuzzletChung 1 '위대한 수령' [[w:김일성|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분류:정치가]] 4050 2006-01-24T23:28:21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8<font style font-size:9pt><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br>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br>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분류:정치가]] 4051 2006-01-24T23:28:48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br>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br>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분류:정치가]] 4052 2006-01-24T23:29:09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분류:정치가]] 4053 2006-01-24T23:37:13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님께서 1989년에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1989년 7월 29일에 하신 담화) [[분류:정치가]] 4054 2006-01-24T23:37:41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님께서 1989년에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1989년 7월 29일에 하신 담화) [[분류:정치가]] 4055 2006-01-24T23:42:01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분류:정치가]] 4056 2006-01-24T23:42:2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분류:정치가]] 4057 2006-01-24T23:44:1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분류:정치가]] 4058 2006-01-24T23:47:21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분류:정치가]] 4059 2006-01-24T23:47:41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분류:정치가]] 4060 2006-01-24T23:50:09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분류:정치가]] 4061 2006-01-24T23:51:53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table border=2 bordercolor=red> <tr> <td>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62 2006-01-24T23:52:15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table border=2 bgcolor=red> <tr> <td>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63 2006-01-24T23:52:43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table border=2> <tr> <td color=orange>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64 2006-01-24T23:53:36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table border=2> <tr> <td color=orange><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65 2006-01-24T23:53:59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table border=2> <tr> <td color=orange>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66 2006-01-24T23:54:29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table bg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67 2006-01-24T23:56:1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바탕>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font> <table bg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68 2006-01-24T23:56:39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r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table bg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69 2006-01-24T23:56:58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table bg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70 2006-01-24T23:59:22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김일성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 <table bg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71 2006-01-24T23:59:44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 <table bg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72 2006-01-25T00:00:08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 <table bg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font style= font-size:9pt>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73 2006-01-25T00:08:20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74 2006-01-25T00:10:30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 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 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 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 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 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 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 《〈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 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 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b><font face=dotum> 《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75 2006-01-25T00:10:5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 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 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 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 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 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 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 《〈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 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 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b><font face=dotum> 《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4076 2006-01-25T00:11:54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b><font face=dotum> 《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4077 2006-01-25T00:12:24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b><font face=dotum><b> 《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4078 2006-01-25T00:12:52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4079 2006-01-25T00:14:04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0 2006-01-25T00:15:41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hy견고딕그이께서 남기신 명언</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1 2006-01-25T00:16:04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hy견고딕>그이께서 말씀하신 교시</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2 2006-01-25T00:16:2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hy견고딕>그이께서 말씀하신 교시</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3 2006-01-25T00:16:49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hygyeongothic>그이께서 말씀하신 교시</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4 2006-01-25T00:17:10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hygothic-bold>그이께서 말씀하신 교시</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5 2006-01-25T00:17:3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hy gothic-bold">그이께서 말씀하신 교시</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6 2006-01-25T00:18:2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gungseo color=red>그이께서 말씀하신 교시</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7 2006-01-25T00:18:4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goongso color=red>그이께서 말씀하신 교시</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8 2006-01-25T00:19:0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dotum color=red><b>그이께서 말씀하신 교시</b></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89 2006-01-25T00:19:3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dotum color=red><b>그이의 명언</b></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90 2006-01-25T04:48:59Z PuzzletChung 1 Reverted edit of 221.154.247.237, changed back to last version by PuzzletChung '위대한 수령' [[w:김일성|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b>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font style= font-size:9pt>--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 [[분류:정치가]] 4091 2006-01-25T16:53:2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dotum color=red><b>그이의 명언</b></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div style= line-height:150%>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b>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92 2006-01-25T16:56:37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dotum color=red><b>그이의 명언</b></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div style= line-height:150%>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b>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93 2006-01-25T16:56:59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dotum color=red><b>그이의 명언</b></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div style= line-height:150%>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b>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br>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94 2006-01-25T16:57:18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dotum color=red><b>그이의 명언</b></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div style= line-height:150%>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b>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95 2006-01-25T17:00:42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dotum color=red><b>그이의 명언</b></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div style= line-height:150%>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b>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96 2006-01-25T17:01:00Z 221.154.247.237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dotum color=red><b>그이의 명언</b></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div style= line-height:150%>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b>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099 2006-02-01T13:24:11Z 218.150.36.40 김일성에 대해서 북한이 주장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위대한 령도자 <b>김정일</b>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br><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font size=2>김일성</font>동지이십니다.》</b><br>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 <b>김일성</b>동지께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시다.<p> <p align=center><font style= font-size:16pt><font face=dotum color=red><b>그이의 명언</b></font></p> <table bordercolor=orange border=2> <tr> <td> <div style= text-align:justify><div style= line-height:150%> * <font face=dotum><font style= font-size:9pt><b>《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b><font face=batang>--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font>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b>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b></font>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batang>--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font><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br> * <font face=dotum> <font style= font-size:9pt> <b>《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를 생각합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정일</font>동지와 잘 어울립니다.…<font size=2>김정일</font>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font size=2>김일성</font>의 백두산인 동시에 <font size=2>김정일</font>의 백두산입니다》</b><br>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b> <font face=batang> --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동명왕릉〉을 더욱 보전할 데 대하여》</b>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b> <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발표하신 로작</font> <b>《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b> <br> * <font style= font-size:9pt><font face=dotum><b>《조선 사람들은 누구나 일본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ㅌ.ㄷ〉제국주의동맹 만세!》</b><font face=batang>--위대한 수령님께서 무송소학교를 다니시였을때 구호나무에 세긴 말씀.</font> </td> </tr> </table> [[분류:정치가]] 4100 2006-02-01T13:32:55Z PuzzletChung 1 '''[[w:김일성|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확인된 것 == * 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 --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 == 알려진 것 == * 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김정일동지를 생각합니다. 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김정일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와 잘 어울립니다.…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김일성의 백두산인 동시에 김정일의 백두산입니다. == 김일성에 관한 말 == * 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김일성동지이십니다. --[[김정일]] [[분류:정치가]] 4838 2006-07-26T12:45:52Z 59.7.76.187 '''굵은 글씨'''[[w:김일성|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김일성 만세'''''' == 확인된 것 == * 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 --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 -- 김일성 만세. 북한노동당만세 . 북한 공산당이여 영원하라 == 알려진 것 == * 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김정일동지를 생각합니다. 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김정일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와 잘 어울립니다.…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김일성의 백두산인 동시에 김정일의 백두산입니다. == 김일성에 관한 말 == * 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김일성동지이십니다. --[[김정일]] [[분류:정치가]] 4839 2006-07-26T13:00:45Z 143.248.220.103 rv '''[[w:김일성|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확인된 것 == * 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 --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 == 알려진 것 == * 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김정일동지를 생각합니다. 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김정일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와 잘 어울립니다.…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김일성의 백두산인 동시에 김정일의 백두산입니다. == 김일성에 관한 말 == * 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김일성동지이십니다. --[[김정일]] [[분류:정치가]] 4861 2006-08-22T21:46:58Z 221.154.247.219 '''[[w:김일성|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확인된 것 == * 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 --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 == 알려진 것 == * 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김정일동지를 생각합니다. 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김정일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와 잘 어울립니다.…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김일성의 백두산인 동시에 김정일의 백두산입니다. *《〈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 == 김일성에 관한 말 == * 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김일성동지이십니다. --[[김정일]] [[분류:정치가]] 4862 2006-08-22T21:47:22Z 221.154.247.219 /* 알려진 것 */ '''[[w:김일성|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확인된 것 == * 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 --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 == 알려진 것 == * 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김정일동지를 생각합니다. 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김정일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와 잘 어울립니다.…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김일성의 백두산인 동시에 김정일의 백두산입니다. *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 == 김일성에 관한 말 == * 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김일성동지이십니다. --[[김정일]] [[분류:정치가]] 5373 2006-09-19T20:48:12Z Thomas 12 +zh '''[[w:김일성|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이다. == 확인된 것 == * 우리의 민주주의는 반제적인 민주주의자들과는 손잡고나가면서도 인민의 원쑤들과는 비타협적으로 투쟁할것을 요구합니다. --1945년 10월 3일 평양로농정치학교 강의 * 돈 있는 자는 돈으로 지식 있는 자는 지식으로 노력을 가진 자는 노력으로 참으로 나라을 사랑하고 민주를 사랑하는 전민족이 완전히 대동단결하여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자. --1945년 10월 14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해방축하집회 연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제국주의자들과 반민족행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날에 친일파에게 빼앗긴 토지와 재산들은 모두 몰수하여, 고통받던 인민들에게 인차 보상할것입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장》 == 알려진 것 == * 조선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조선에 대하여 배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나는 백두산을 볼 때면 김정일동지를 생각합니다. 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아들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의 고향이며 그의 담을 키워준 요람입니다. 김정일동지의 사상이나 성격을 보아도 그렇고 취미와 습관을 보아도 그렇고 그는 신통히 백두산을 닮았습니다. 백두산의 정기와 기상이 그의 온 정신과 온몸에 차넘치고있습니다. 김정일동지야말로 백두산형의 인간입니다. 백두산은 김정일동지와 잘 어울립니다.…김정일동지는 백두산의 장군입니다. 백두산은 김일성의 백두산인 동시에 김정일의 백두산입니다. *동명왕릉에 있는 양상을 세우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양은 조선인민들과 관련이 없으며, 고구려인민들도 기르는 동물이 아닙니다. 이 것은 조선사람들이 양고기를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알수 있습니다. == 김일성에 관한 말 == * 조선민족의 원시조는 단군이지만, 사회주의조선의 시조는 김일성동지이십니다. --[[김정일]] [[분류:정치가]] [[zh:金日成]] 분류:수학자 1415 3423 2005-07-14T08:50:38Z PuzzletChung 1 [[분류:직업]] 4119 2006-02-11T03:02:23Z PuzzletChung 1 {{위키백과|분류:수학자}} [[분류:직업]] [[en:Category:Mathematicians]] 4120 2006-02-11T03:04:16Z PuzzletChung 1 로봇이 더함: cs, de, fr, hu, it, pt, ro, zh {{위키백과|분류:수학자}} [[분류:직업]] [[cs:Kategorie:Matematici]] [[de:Kategorie:Mathematiker]] [[en:Category:Mathematicians]] [[fr:Catégorie:Mathématicien]] [[hu:Kategória:Matematikusok]] [[it:Categoria:Matematici]] [[pt:Categoria:Matemáticos]] [[ro:Categorie:Matematicieni]] [[zh:Category:数学家]] 분류:물리학자 1416 3426 2005-07-14T09:01:27Z PuzzletChung 1 [[분류:직업]] 3547 2005-08-23T21:10:12Z 62.194.241.152 interwiki [[분류:직업]] [[bg:Категория:Физици]] [[cs:Kategorie:Fyzikové]] [[de:Kategorie:Physiker]] [[en:Category:Physicists]] [[es:Categoría:Físicos]] [[fr:Catégorie:Physicien]] [[it:Categoria:Fisici]] [[ja:Category:物理学者]] [[pt:Categoria:Físicos]] [[th:Category:นักฟิสิกส์]] 갈릴레오 갈릴레이 1417 3427 2005-07-14T09:05:23Z PuzzletChung 1 '''[[w:ko:갈릴레오 갈릴레이|갈릴레오 갈릴레이]]'''(1564-1642)는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이다. == 알려진 것 == * '''''Eppur si muove''''' ** "그래도 그것은[지구는] 돈다."는 그가 [[w:ko:종교 재판|종교 재판]]을 받기 전 그의 주장을 철회하고 나서 했던 말로 잘못 알려져 있다. [[분류:물리학자]] [[분류:천문학자]] [[en:Galileo Galilei]] 4047 2006-01-07T00:22:04Z Thomas 12 Interwiki '''[[w:ko:갈릴레오 갈릴레이|갈릴레오 갈릴레이]]'''(1564-1642)는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이다. == 알려진 것 == * '''''Eppur si muove''''' ** "그래도 그것은[지구는] 돈다."는 그가 [[w:ko:종교 재판|종교 재판]]을 받기 전 그의 주장을 철회하고 나서 했던 말로 잘못 알려져 있다. [[분류:물리학자]] [[분류:천문학자]] [[bg:Галилео Галилей]] [[cs:Galileo Galilei]] [[de:Galileo Galilei]] [[en:Galileo Galilei]] [[eo:Galilejo]] [[es:Galileo Galilei]] [[fr:Galileo Galilei]] [[he:גליליאו גליליי]] [[it:Galileo Galilei]] [[ja:ガリレオ・ガリレイ]] [[pl:Galileusz]] [[pt:Galileu Galilei]] 분류:직업 1418 3428 2005-07-14T09:07:39Z PuzzletChung 1 [[분류:사람]] 3695 2005-11-28T10:28:11Z PuzzletChung 1 [[분류:사람]] [[cs:Kategorie:Profese]] [[de:Category:Beruf]] [[en:Category:Occupations]] [[es:Categoría:Ocupaciones]] [[fa:Category:شغل‌ها]] [[fr:Category:Profession]] [[he:קטגוריה:מקצועות]] [[pt:Categoria:Ocupação]] [[zh:Category:职业]] 4117 2006-02-11T02:45:25Z PuzzletChung 1 로봇이 더함: ar, bg, el, ro, ru, sl, th [[분류:사람]] [[ar:تصنيف:اختصاصات]] [[bg:Категория:Занятия]] [[cs:Kategorie:Profese]] [[de:Kategorie:Beruf]] [[el:Κατηγορία:Επαγγέλματα]] [[en:Category:Occupations]] [[es:Categoría:Ocupaciones]] [[fa:رده:شغل‌ها]] [[fr:Catégorie:Profession]] [[he:קטגוריה:מקצועות]] [[pt:Categoria:Ocupação]] [[ro:Categorie:Ocupaţii]] [[ru:Категория:Персоналии]] [[sl:Kategorija:Poklici]] [[th:Category:อาชีพ]] [[zh:Category:职业]] 철학자의 유명한 말 1419 3431 2005-07-28T04:48:54Z PuzzletChung 1 ====[[탈레스]]==== * 모든 것이 신으로 가득 차 있다. (출처: [[아리스토텔레스]], 영혼에 관하여, ''de anima'' 411a8) ====[[피타고라스]] ==== * 바람이 불면 바람 소리에 귀를 기울려라. (출처: [[아쿠스마타]], 7) * 고향을 떠날 때는 뒤돌아 보지 마라, 다시 말해 죽음에 이르러서는 삶에 매달리지 마라 (출처: [[포르퓌리오스]], 피타고라스 전기, 42) ====[[헤라클레이토스]] ==== * 전쟁은 만물의 아버지다 (출처: [[히폴뤼토스]], 이단에 대한 반박, 9.9.4) * 황금을 캐는 사람은 흙을 엄청나게 파헤치고 찾기는 매우 조금 밖에 못한다. (출처: [[클레멘스]], 스트로마타, 3.21) * 어리석은 사람은 말 한 마디에도 넑을 잃곤 한다. (출처: [[플루타르크]], 듣는 것에 관하여, 41a) ==== [[데모크리토스]] ==== * 빈 자리에 나눌 수도 없고 ([[원자]]) 구별 할 수도 없는 무수한 양의 물질이 흩어져 떠다닌다 (출처: [[플루타르코스]], 콜로테스에 대한 반박 1110f). * 남들 앞에서 만큼이나 자기 스스로에 대해 부끄러워 할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모든 사람이 알아 차리는 만큼처럼 누가 알아 차리지 못한다고 해서 나쁜 짓을 하면 안 된다. 오히려 자신 앞에 무엇보다도 부끄러워 할 줄 알아야 하며, 이것은 영혼을 위한 규범으로 삼아 그릇된 짓을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스토바이오스]], 발췌집 4권 210페이지 13줄). ==== [[파르메니데스]] ==== * 어떻게 존재자가 소멸할 수 있으며, 생겨날 수 있단 말인가? 그것이 생겨났으면, (지금은)있지 않은 것이며, 그것이 미래에는 있겠지 할 때에도 역시 (지금은) 있지 않은 것이다. 이렇게 해서 생성은 사라지며, 소멸은 자취를 감춘다. (단편 8,19f) ====[[소크라테스]]==== * 잘못된 행위(부정)을 저지르는 것보다 부정을 당하는 편이 오히려 낫다. (출처: [[플라톤]], [[플라톤:고르기아스|고르기아스]], 469c) ====[[프로타고라스]]==== *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 (출처: [[플라톤]], [[플라톤:테아이테토스|테아이테토스]], 152a) ====[[아리스토텔레스]]==== * 인간은 천성적으로 정치적(사회적) 동물이다. (출처: [[아리스토텔레스:정치학|정치학]], 1235a2f.) * 우리는 목표에 대해서가 아니라, 목표에 이르는 길에 대해서 이리 저리 궁리한다. (출처: [[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윤리학]], 1112b11f.)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한다.(틀린 말이나 그때의 아리스토 텔레스의 지위 등에 의해 데모크리토스의 의견은 묵살, 이 의견이 받아 들여 졌다고 한다.)(첨삭.teroer99) ====[[에피쿠로스]] ==== * 어떠한 쾌락도 그 자체로서는 나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쾌락을 만들어 (있게 해)주는 것들이 쾌락보다 더 큰 불쾌를 가져오게 한다. (출처: 명언집, ''Ratae Sententiae'' 9)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세네카]] ==== * 실수에 대해서는 화를 내어서는 안된다. 즉 어두움 때문에 발을 약간 더듬거리는 사람을 두고 화를 낸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출처: 화에 관하여, de ira, 2.10.1) * 정의는 어떠한 부정에도 해를 입지 않는다. 왜냐하면 반대되는 것은 서로 합쳐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부정은 부정한 수단을 거치지 않고서는 저질러 질 수 없다. (출처: 슬기로운 사람의 굳은 태도에 관하여, de constantia sapientis, 8.1) ====[[토마스 아퀴나스]]==== * 이성이 자신을 스스로에게 돌이키기 때문에, 이성은 이 돌이킴을 통하여 자신의 인식과 그의 인식하는 모습을 깨닫는다. 그래서 이성의 모습은 두번째로 인식되어지는 것이다 (''id quo intelligitur''). 그러나 첫번째로 인식되어지는 것은 정신적인 인식모습과 닮았다. (출처: [[신학대전]], I, 85.2) ====[[데카르트]]==== *''cogito ergo sum''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출처: [[방법서설]], 4. 1). * 1. 어떤 사실을 내가 참이라고 확신하기 전에는 그것을 절대 진리로 받아들이지 말자.<br>2. 내가 다루고자하는 문제의 쉬운 해결을 위해서 될 수 있는대로 그리고 필요한만큼 나누어 살펴보자.<br>3. 사유는 가장 간단하고 쉽게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것에서 시작하자.<br>4. 자세히 차례를 정하고 개관을 세우자. (출처: [[데카르트:방법서설|방법서설]], 2. 7-10) ====[[스피노자]]==== * 이성을 따르는 사람은 오직 자신의 뜻에만 귀를 기울려 사는 고독 속에서 보다는 사회 규칙에 따라 살아가는 국가 안에서 더욱 자유롭다. (출처: 윤리학 IV, 명제(Proposition) 73) ====[[칸트]]==== * '''정언명령 (Kategorischer Imperativ)''': 네 의지의 준칙이 언제나 그리고 동시에 보편적 법규에 맞도록 행위하라 (출처: [[실천이성비판]], ''아카데미판'' 30페이지). * 평화스럽지 못한 한 민족의 기질은 강제법을 사용하여 사람들을 욱박지름으로서 평화상태로 끌려 가도록 해야만 한다 (출처: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아카데미판'' 366페이지) ====[[헤겔]]==== * 백과사전으로서의 학문은 자신의 특수성을 낱낱이 설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학문들의 기원이나 기본 개념들의 설명에 국한된다. <code>[...]</code> 철학적 백과사전은 다른 흔히 보는 백과사전과 구별된다. 즉 흔히 보는 백과사전을 학문들의 퇴적물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우연히 그리고 경험에 비추어 백과사전에 올려져 있으며, 이들 가운데에는 또한 학문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것들도 있긴 하지만, 실제로는 지식의 모음에 불과한 것이다. 학문들이 이와 같은 퇴적물 안에서 겉으로 보기에 일체를 이루게 되었을 때, 이를 표면상의 질서라고 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그리고 더군다나 담고 있는 자료들이 우연성을 띠고 있기때문에 이 표면상의 질서는 하나의 시도에 불과하며, 언제나 적당하지 않은 면을 보이게 될 수 밖에 없다. (출처: [[헤겔:백과사전|백과사전]] I, 서문 §16). ==== [[쇼펜하우어]] ==== * 우리 안에서, 즉 가장 명료하고 투철한 의식 안에서 스스로를 드러내 보이는 것을 의지 (Wille)라고 부른다. 의지와 그때 그때의 목표 사이에 놓인 장애 때문에 짓눌리는 것을 괴로움이라 부른다. [...] 우리는 노력이 언제나 짓눌리는 것을 보게된다. 우리가 짓눌린 상태에 있으면 거기에서 언제나 괴로움이 따르며, 노력이 삼는 마지막 목표가 있을 수 없기에 괴로움은 끝도 한도 없다 [...] 모든 삶이 본질적으로 괴로움이라는 것을 여기서 누구든지 깨닫게 된다. (출처: 의지의 표상으로서의 세계 I, §56) * 길을 잘못 들은 사람에게 바른 길을 알려 주기를 거부하는 자는 그 사람에게 부정한 짓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에게 틀린 길을 가르쳐주는 자는 부정을 저지르는 것이다. (출처: 의지의 표상으로서의 세계 I, §62) ==== [[프리드리히 니체|니체]] ==== * 우리가 양심을 길들이게 되면, 양심은 우리를 입맞춤과 동시에 깨물어 뜯는다. (출처: [[니체:선악의 피안|선악의 피안]], 98) * '''가장 큰 무게'''<br>어느 날 혹은 밤에 악령이 너의 지독한 고독에 살며시 다가와 이르기를: "이 삶은, 네가 지금 살고 있고 살았던 삶처럼 네가 다시 한 번 그리고 끝도 없이 살아야만 한다. 거기엔 새로운 것이라곤 전혀 없을게다. 온갖 아픔, 온갖 희열, 온갖 상념과 한탄 그리고 네 삶의 모든 말할 수 없이 크고 작은 것들이 너에게 되풀이 될 것이다. 즉 모든 것을 똑같은 차례와 결과에 따라서, 그리고 나무들 사이로 보이는 거미와 달 빛, 그리고 이 순간, 그리고 나 자신. 여기 있음의 영원한 모래시계는 언제나 다시 뒤집어 설 것이다. - 그리고 너와 시계, 먼지의 티끌!" 너는 무릎을 꿇고 이를 갈며 이 처럼 이야기를 건네는 악령을 저주하지 않을 것인가? 혹은 너는 그에게 대꾸해 볼 수 있는 어떤 끔직스런 순간을 체험해 본적이 있는가? "너는 신이군, 나는 신 따위에는 귀를 기울인 적이 없어." 만일 이와 같은 상념이 너를 지배한다면, 이는 네가 있는 그대로 너를 변화시킬 것이며, 더군다나 짓이겨 버릴지도 모른다. '''너는 이를 다시 한 번 그리고 셀 수 없이'''라는 물음은 모든 것 가운데 가장 큰 무게로서 네 행위를 짓누를 것이다. 혹은 너는 아무 것도 원치 않기 위하여 이 마지막 확증과 보증 이외에 어떻게 네 스스로 그리고 삶을 잘 되게 꾸려나갈 수 있겠는가? (출처:[[니체:즐거운 학문|즐거운 학문]], 341) ==== [[에드문드 후설|후설]] ==== * 세계는 가능한 경험과 경험적 인식 대상의 전체 개념이다. 즉 이들 대상은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올바른 이론적 사유 안에서 인식되어진다. (출처: 후설리아나 III,1: 순수 현상학의 이념, p. 11) ====[[버트런드 러셀|러셀]]==== * 과학은 우리가 아는 것이고 철학은 우리가 모르는 것이다. * 종교는 인류에게 커다란 해악을 저질렀으니, 모든 두려움은 나쁘다고 생각하게 만든 것이다. 나는 내가 죽으면 썩어 없어질 뿐 나의 에고 따위가 남을 거라곤 생각하지 않는다. 내 나이는 젊지 않지만 삶을 사랑한다. 그러나 내가 허무로 돌아간다는 생각에 공포로 몸을 떠는 모습에 대해선 경멸한다. 행복이 진정한 행복일 수 있는 건 그것에 끝이 있기 때문이며, 사고나 사랑이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고 해서 그것들이 제 가치를 잃는 것도 아니다. ====[[비트겐쉬타인]]==== * '''5.6''' 나의 언어의 한계는 나의 세계의 한계를 뜻한다. * '''5.61''' 논리는 세계를 채운다: 세계의 한계는 또한 논리의 한계이다. * '''7.''' 말로 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논리적으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없다: 이러 이러한 것은 세계에 있으나 저런 것은 없다 이는 마치 우리가 어떤 특정한 가능성을 제외시키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으며, 이것은 마땅한 경우라고 볼 수 없다. 즉 논리가 이 한계를 다른 측면에서 관찰해 본다면 논리는 세계의 한계를 벗어나야만 할 것이다. 우리가 생각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우리는 사유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생각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또한 말 할 수 없다. (출처: [[비트겐쉬타인:논리철학연구|논리철학연구]]) * 철학에서 당신의 목표가 무엇인가? 파리를 보기 위해 병 밖으로 꺼내는 방식. ====[[장 폴 사르트르|사르트르]] ==== * 지옥 그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l'enfer, c'est les Autres''). (출처: 닫힌 사회 Huis Clos, 제 5막) * "헤겔 철학의 전통도 없고 마르크시즘을 가르칠 대가들이나 교과과정 그리고 사상을 설명할 도구들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 세대는 우리의 전 세대나 이후의 세대들과 마찬가지로 사적 유물론에 대해 전적으로 무지했다. 그 대신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과 기호논리학은 아주 자세히 배웠다. 바로 그 즈음에 나는 <<자본론>>과 <<독일 이데올로기>>를 읽었는데, 책의 내용 자체는 아주 분명하게 이해했으나 아무것도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이해한다는 것은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스스로를 넘어서는 일이다. 마르크스의 책을 읽는 일이 나를 변화시키지는 않았다. 나를 변화시키기 시작했던 것은 마르크시즘의 현실, 즉 마르크시즘을 겪고, 실제로 체험하면서 멀리서나마 쁘띠 부르주아 지식인들을 저항할 수 없는 마력으로 이끌던, 나의 지평으로 다가온 어둡고 거대한 노동자 대중의 묵직한 현존이었다." <방법의 탐구> ====[[앰브로스 비어스]]==== * 아무 데도 아닌 곳에서 아무 것도 아닌 것에 이르는 많는 길들 가운데 하나. 주사위 1482 3599 2005-10-28T06:56:05Z PuzzletChung 1 [[w:주사위]]에 관한 이야기. ---- * "Alea iacta est." --[[율리우스 카이사르]] ** 뜻: "주사위는 던져졌다." ** 루비콘 강을 건너며 한 말. ==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 == * 양자 역학은 정말로 인상적이다. 하지만 나의 내면의 목소리는 내게 이것이 아직 진짜가 아니라고 말한다. 이론은 많은 것을 설명해 주지만 이전 것의 비밀에 우리를 가까이 데려다주지 않는다. '''나는 어떤 경우에도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고 확신한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원문: Quantum mechanics is certainly imposing. But an inner voice tells me that it is not yet the real thing. The theory says a lot, but does not really bring us any closer to the secret of the Old One. '''I, at any rate, am convinced that He does not throw dice.''' ** 아인슈타인이 1926년 12월 12일 [[막스 보른]]에게 쓴 편지. Einstein: The Life and Times, p. 414. ISBN 0-380-44123-3. * 신이 주사위로 하는 일에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마시오. ** Stop telling God what to do with his dice. ** [[닐스 보어]] 또는 [[엔리코 페르미]]가 했다고 알려진 말. * 아인슈타인의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는 말은 틀렸다. 블랙홀을 생각해 보면 신이 주사위를 던질 뿐만 아니라 어쩌면 그가 가끔 우리를 혼동시키기 위해 주사위를 안 보이는 곳으로 던지는지도 모른다.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 원문: So Einstein was wrong when he said "God does not play dice". Consideration of black holes suggests, not only that God does play dice, but that He sometimes confuses us by throwing them where they can't be seen. ** The Nature of Space and Time ([http://arxiv.org/abs/hep-th/9409195 온라인으로 읽기]) *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가끔 소수(素數)에서는 이상한 일이 일어난다. --헝가리의 수학자 [[폴 에르되스]] ** 원문: God may not play dice with the universe, but something strange is going on with the prime numbers. *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그는 보드 게임을 즐기고 있다.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페데리코 펠리니]] ** God may not play dice but he enjoys a good round of [[w:en:Trivial Pursuit]] every now and again. ** [on God], A Fellini Lexicon, Edited by D Pettigrew (2003) 3600 2005-10-28T06:56:40Z PuzzletChung 1 /*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 */ [[w:주사위]]에 관한 이야기. ---- * "Alea iacta est." --[[율리우스 카이사르]] ** 뜻: "주사위는 던져졌다." ** 루비콘 강을 건너며 한 말. ==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 == * 양자 역학은 정말로 인상적이다. 하지만 나의 내면의 목소리는 내게 이것이 아직 진짜가 아니라고 말한다. 이론은 많은 것을 설명해 주지만 이전 것의 비밀에 우리를 가까이 데려다주지 않는다. '''나는 어떤 경우에도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고 확신한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원문: Quantum mechanics is certainly imposing. But an inner voice tells me that it is not yet the real thing. The theory says a lot, but does not really bring us any closer to the secret of the Old One. '''I, at any rate, am convinced that He does not throw dice.''' ** 아인슈타인이 1926년 12월 12일 [[막스 보른]]에게 쓴 편지. Einstein: The Life and Times, p. 414. ISBN 0-380-44123-3. * 신이 주사위로 하는 일에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마시오. ** Stop telling God what to do with his dice. ** [[닐스 보어]] 또는 [[엔리코 페르미]]가 했다고 알려진 말. * 아인슈타인의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는 말은 틀렸다. 블랙홀을 생각해 보면 신이 주사위를 던질 뿐만 아니라 어쩌면 그가 가끔 우리를 혼동시키기 위해 주사위를 안 보이는 곳으로 던지는지도 모른다.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 원문: So Einstein was wrong when he said "God does not play dice". Consideration of black holes suggests, not only that God does play dice, but that He sometimes confuses us by throwing them where they can't be seen. ** The Nature of Space and Time ([http://arxiv.org/abs/hep-th/9409195 온라인으로 읽기]) *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가끔 소수(素數)에서는 이상한 일이 일어난다. --헝가리의 수학자 [[폴 에르되스]] ** 원문: God may not play dice with the universe, but something strange is going on with the prime numbers. *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그는 보드 게임을 즐기고 있다.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페데리코 펠리니]] ** God may not play dice but he enjoys a good round of [[w:en:Trivial Pursuit]] every now and again. ** [on God], A Fellini Lexicon, Edited by D Pettigrew (2003) 3711 2005-11-28T10:42:18Z PuzzletChung 1 분류 [[w:주사위]]에 관한 이야기. ---- * "Alea iacta est." --[[율리우스 카이사르]] ** 뜻: "주사위는 던져졌다." ** 루비콘 강을 건너며 한 말. ==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 == * 양자 역학은 정말로 인상적이다. 하지만 나의 내면의 목소리는 내게 이것이 아직 진짜가 아니라고 말한다. 이론은 많은 것을 설명해 주지만 이전 것의 비밀에 우리를 가까이 데려다주지 않는다. '''나는 어떤 경우에도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고 확신한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원문: Quantum mechanics is certainly imposing. But an inner voice tells me that it is not yet the real thing. The theory says a lot, but does not really bring us any closer to the secret of the Old One. '''I, at any rate, am convinced that He does not throw dice.''' ** 아인슈타인이 1926년 12월 12일 [[막스 보른]]에게 쓴 편지. Einstein: The Life and Times, p. 414. ISBN 0-380-44123-3. * 신이 주사위로 하는 일에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마시오. ** Stop telling God what to do with his dice. ** [[닐스 보어]] 또는 [[엔리코 페르미]]가 했다고 알려진 말. * 아인슈타인의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는 말은 틀렸다. 블랙홀을 생각해 보면 신이 주사위를 던질 뿐만 아니라 어쩌면 그가 가끔 우리를 혼동시키기 위해 주사위를 안 보이는 곳으로 던지는지도 모른다.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 원문: So Einstein was wrong when he said "God does not play dice". Consideration of black holes suggests, not only that God does play dice, but that He sometimes confuses us by throwing them where they can't be seen. ** The Nature of Space and Time ([http://arxiv.org/abs/hep-th/9409195 온라인으로 읽기]) *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가끔 소수(素數)에서는 이상한 일이 일어난다. --헝가리의 수학자 [[폴 에르되스]] ** 원문: God may not play dice with the universe, but something strange is going on with the prime numbers. *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그는 보드 게임을 즐기고 있다.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페데리코 펠리니]] ** God may not play dice but he enjoys a good round of [[w:en:Trivial Pursuit]] every now and again. ** [on God], A Fellini Lexicon, Edited by D Pettigrew (2003) [[분류:주제]] 앤드루 와일스 1483 3601 2005-10-29T07:43:26Z PuzzletChung 1 '''[[w:앤드류 와일즈|앤드류 와일즈]]'''(1953-) == 확인된 것 == * "이쯤에서 끝내는 게 좋겠습니다." ** 1993년 6월 23일 [[피에르 드 페르마|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에 관한 공개 강연을 마치며. ** 원래는 "I think I'll stop here." [[분류:수학자]] 3602 2005-10-29T07:44:21Z PuzzletChung 1 '''[[w:앤드류 와일즈|앤드류 와일즈]]'''(1953-) == 확인된 것 == * "이쯤에서 끝내는 게 좋겠습니다." ** 1993년 6월 23일 [[피에르 드 페르마|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에 관한 공개 강연을 마치며. ** 원래는 "I think I'll stop here." [[분류:수학자|와일즈, 앤드류]] 3603 2005-10-29T07:44:44Z PuzzletChung 1 de '''[[w:앤드류 와일즈|앤드류 와일즈]]'''(1953-) == 확인된 것 == * "이쯤에서 끝내는 게 좋겠습니다." ** 1993년 6월 23일 [[피에르 드 페르마|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에 관한 공개 강연을 마치며. ** 원래는 "I think I'll stop here." [[분류:수학자|와일즈, 앤드류]] [[de:Andrew Wiles]] 3621 2005-11-05T00:56:23Z PuzzletChung 1 앤드류 와일즈 moved to 앤드루 와일스 '''[[w:앤드류 와일즈|앤드류 와일즈]]'''(1953-) == 확인된 것 == * "이쯤에서 끝내는 게 좋겠습니다." ** 1993년 6월 23일 [[피에르 드 페르마|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에 관한 공개 강연을 마치며. ** 원래는 "I think I'll stop here." [[분류:수학자|와일즈, 앤드류]] [[de:Andrew Wiles]] 3623 2005-11-05T00:56:44Z PuzzletChung 1 '''[[w:앤드루 와일스|앤드루 와일스]]'''(1953-) == 확인된 것 == * "이쯤에서 끝내는 게 좋겠습니다." ** 1993년 6월 23일 [[피에르 드 페르마|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에 관한 공개 강연을 마치며. ** 원어: "I think I'll stop here." [[분류:수학자|와일스, 앤드루]] [[de:Andrew Wiles]] 분류:만화 1485 3616 2005-11-02T01:52:18Z PuzzletChung 1 [[en:Category:Comics]] 3691 2005-11-28T10:24:09Z PuzzletChung 1 [[분류:작품 장르]] [[en:Category:Comics]] 3703 2005-11-28T10:36:23Z PuzzletChung 1 [[분류:매체]] [[분류:작품 장르]] [[en:Category:Comics]] 너클볼 1487 3619 2005-11-02T13:10:30Z PuzzletChung 1 '''[[w:너클볼|너클볼]]''' *"너클볼은 잡는 게 아니라 막는 것이다." -- 조 토어, 현역 감독이자 전 포수 *"너클볼은 구르다 멈추면 그 때 가서 주워라." -- 밥 위커, 현 방송인이자 전 포수 *"너클볼을 어떻게 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이론이 있다. 불행히도, 둘 다 맞는 것 같다." -- 찰리 로, 유명 타자 코치 *"그러니까, 너클볼을 잡는 건, 젓가락으로 파리를 잡으려는 짓 같다." -- [[제이슨 배리텍]], 포수 *"높으면, 날게 냅둬라. 낮으면, 가게 냅둬라." -- 너클볼을 치는 법에 대한 조언을 요구받은 [[뉴욕 양키스]] 타자들 *"너클볼을 스트라이크 존으로 던지려는 건 길 건너 이웃집 우편함에 나비를 던져 넣으려는 거나 마찬가지다." -- 윌리 스타겔 3696 2005-11-28T10:29:14Z PuzzletChung 1 분류 '''[[w:너클볼|너클볼]]''' *"너클볼은 잡는 게 아니라 막는 것이다." -- 조 토어, 현역 감독이자 전 포수 *"너클볼은 구르다 멈추면 그 때 가서 주워라." -- 밥 위커, 현 방송인이자 전 포수 *"너클볼을 어떻게 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이론이 있다. 불행히도, 둘 다 맞는 것 같다." -- 찰리 로, 유명 타자 코치 *"그러니까, 너클볼을 잡는 건, 젓가락으로 파리를 잡으려는 짓 같다." -- [[제이슨 배리텍]], 포수 *"높으면, 날게 냅둬라. 낮으면, 가게 냅둬라." -- 너클볼을 치는 법에 대한 조언을 요구받은 [[뉴욕 양키스]] 타자들 *"너클볼을 스트라이크 존으로 던지려는 건 길 건너 이웃집 우편함에 나비를 던져 넣으려는 거나 마찬가지다." -- 윌리 스타겔 [[분류:스포츠]] 앤드류 와일즈 1488 3622 2005-11-05T00:56:23Z PuzzletChung 1 앤드류 와일즈 moved to 앤드루 와일스 #REDIRECT [[앤드루 와일스]] 도움말:Contents 1528 3686 2005-11-18T03:28:37Z 200.21.69.70 [http://www.dralex.info 0] 슬램 덩크 1529 3689 2005-11-24T12:10:17Z 61.104.122.49 {{공정사용}} 안선생: 나뿐인가...? 아직 이길수 있다고 생각하는건.. 강백호: 포기한거 아녜요? 영감님? 안선생: 포기? 포기하면 그 순간이 바로 시합 종료예요. -완전판 21권 205,206쪽- [[분류:만화]] 그림:Wiki.png 1530 move=sysop:edit=sysop 3690 2005-11-28T10:21:36Z PuzzletChung 1 한국어 위키인용집에 쓰이는 로고입니다. 미디어위키에는 '''Wiki.png'''라는 이름을 가진 그림 파일을 로고로 쓸 수 있는 설정이 있어서 여기에 그림을 올리면 바로 로고가 됩니다. {| align="CENTER" 한국어 위키인용집에 쓰이는 로고입니다. 미디어위키에는 '''Wiki.png'''라는 이름을 가진 그림 파일을 로고로 쓸 수 있는 설정이 있어서 여기에 그림을 올리면 바로 로고가 됩니다. {| align="CENTER" style="width:80%; background-color:#FFFFCC; border:2px solid #8888aa; padding:5px;" | [[그림:Wikimedia-logo.png|64px|위키미디어 로고]]<br/> [[그림:Red copyright.png|64px|저작권]] | <center>이 그림 파일의 [[위키백과:저작권|저작권]]은 '''[http://wikimediafoundation.org/wiki/%EB%8C%80%EB%AC%B8 위키미디어 재단]'''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공식 로고이거나 위키미디어 재단 또는 그 프로젝트가 사용하고 있는 도안입니다. '''이 웹페이지에 어떤 다른 문구가 있다 할지라도 이 그림 파일은 GFDL 라이선스로 배포되지 않습니다.'''<br/>'''&copy; & &trade; All rights reserved, Wikimedia Foundation, Inc.'''</center> |} {{NowCommons|Image:Wikiquote-logo-en.png}} 분류:작품 1532 3693 2005-11-28T10:25:58Z PuzzletChung 1 [[en:Category:Literary works]] 3694 2005-11-28T10:26:17Z PuzzletChung 1 [[en:Category:Literary works]] [[es:Categoría:Obras literarias]] [[fa:Category:آثار ادبی]] [[fr:Catégorie:Œuvre littéraire]] [[he:קטגוריה:יצירות ספרותיות]] [[pl:Kategoria:Dzieła literackie]] [[pt:Categoria:Livros]] 분류:스포츠 1533 3697 2005-11-28T10:30:05Z PuzzletChung 1 [[분류:주제]] [[en:Category:Sports]] [[it:Categoria:Sport]] [[pl:Kategoria:Sport]] [[pt:Categoria:Esportes]] 분류:주제 1534 3698 2005-11-28T10:30:38Z PuzzletChung 1 [[cs:Kategorie:Témata]] [[de:Kategorie:Thema]] [[en:Category:Themes]] [[es:Categoría:Temas]] [[fa:Category:موضوع‌ها]] [[he:קטגוריה:נושאים]] [[fr:Catégorie:Thème]] [[it:Categoria:Argomenti]] [[pl:Kategoria:Tematy]] [[pt:Categoria:Temas]] [[ja:Category:主題別]] [[zh:Category:主题]] 3699 2005-11-28T10:31:06Z PuzzletChung 1 [[분류:분류]] [[cs:Kategorie:Témata]] [[de:Kategorie:Thema]] [[en:Category:Themes]] [[es:Categoría:Temas]] [[fa:Category:موضوع‌ها]] [[he:קטגוריה:נושאים]] [[fr:Catégorie:Thème]] [[it:Categoria:Argomenti]] [[pl:Kategoria:Tematy]] [[pt:Categoria:Temas]] [[ja:Category:主題別]] [[zh:Category:主题]] 4121 2006-02-11T13:32:59Z 203.128.185.20 * [[책]] [[분류:분류]] [[cs:Kategorie:Témata]] [[de:Kategorie:Thema]] [[en:Category:Themes]] [[es:Categoría:Temas]] [[fa:Category:موضوع‌ها]] [[he:קטגוריה:נושאים]] [[fr:Catégorie:Thème]] [[it:Categoria:Argomenti]] [[pl:Kategoria:Tematy]] [[pt:Categoria:Temas]] [[ja:Category:主題別]] [[zh:Category:主题]] 4124 2006-02-12T13:29:02Z PuzzletChung 1 Reverted edit of 203.128.185.20, changed back to last version by PuzzletChung [[분류:분류]] [[cs:Kategorie:Témata]] [[de:Kategorie:Thema]] [[en:Category:Themes]] [[es:Categoría:Temas]] [[fa:Category:موضوع‌ها]] [[he:קטגוריה:נושאים]] [[fr:Catégorie:Thème]] [[it:Categoria:Argomenti]] [[pl:Kategoria:Tematy]] [[pt:Categoria:Temas]] [[ja:Category:主題別]] [[zh:Category:主题]] 분류:분류 1535 3700 2005-11-28T10:31:42Z PuzzletChung 1 [[de:Category:!Hauptkategorie]] [[en:Category:Categories]] [[es:Categoría:Índice de categorías]] [[fr:Catégorie:Principale]] [[it:Category:Categorie]] [[ja:Category:基本カテゴリ]] [[la:Categoria:Categoriae]] [[nl:Categorie:Alles]] [[pt:Categoria:Principal]] [[sv:Kategori:Topp]] [[zh:Category:Categories]] 분류:영화 1536 3701 2005-11-28T10:35:26Z PuzzletChung 1 [[분류:매체]] [[de:Kategorie:Film-Zitate]] [[en:Category:Films]] [[es:Categoría:Películas]] [[fa:Category:فیلم‌ها]] [[fi:Luokka:Elokuvat]] [[fr:Catégorie:Film]] [[it:Categoria:Film]] [[no:Kategori:Filmer]] [[pl:Kategoria:Filmy]] [[pt:Categoria:Filmes]] [[ru:Категория:Фильмы]] 분류:매체 1537 3702 2005-11-28T10:35:52Z PuzzletChung 1 [[분류:분류]] 분류:정치가 1538 3705 2005-11-28T10:38:57Z PuzzletChung 1 [[분류:직업]] [[ca:Categoria:Polítics]] [[da:Kategori:Politikere]] [[de:Kategorie:Politiker]] [[en:Category:Politicians]] [[eo:Kategorio:Politikistoj]] [[es:Categoría:Políticos]] [[fi:Luokka:Poliitikot]] [[fr:Catégorie:Homme d'État]] [[he:קטגוריה:מנהיגים פוליטיים]] [[it:Categoria:Politici]] [[ja:Category:政治家]] [[nl:Categorie:Politicus]] [[no:Kategori:Politikere]] [[pl:Kategoria:Politycy]] [[pt:Categoria:Políticos]] [[ru:Category:Политики]] [[sv:Kategori:Politiker]] [[zh:Category:政治領袖]] 분류:소설 1539 3707 2005-11-28T10:40:12Z PuzzletChung 1 [[분류:매체]] [[en:Category:Novels]] 분류:예술가 1540 3709 2005-11-28T10:41:31Z PuzzletChung 1 [[분류:직업]] [[ca:Categoria:Artistes]] [[de:Kategorie:Künstler]] [[en:Category:예술가]] [[es:Categoría:Artistas]] [[fr:Catégorie:Artiste]] [[nl:Categorie:Kunstenaar]] [[pt:Categoria:Artistas]] [[zh:category:藝術家]] 3710 2005-11-28T10:41:34Z PuzzletChung 1 [[분류:직업]] [[ca:Categoria:Artistes]] [[de:Kategorie:Künstler]] [[en:Category:Artists]] [[es:Categoría:Artistas]] [[fr:Catégorie:Artiste]] [[nl:Categorie:Kunstenaar]] [[pt:Categoria:Artistas]] [[zh:category:藝術家]] 분류:발명가 1541 3714 2005-11-28T10:43:55Z PuzzletChung 1 [[분류:직업]] [[de:Kategorie:Erfinder]] [[en:Category:Inventors]] [[ja:Category:発明家]] [[pt:Categoria:Inventores]] 틀:대문 주제 나누기 1542 3717 2005-11-28T10:49:08Z PuzzletChung 1 [[Template:대문 주제 나누기]] moved to [[Template:대문 주제]] #REDIRECT [[Template:대문 주제]] 틀:그림고리 1543 3718 2005-11-28T10:49:55Z PuzzletChung 1 <div style="position: relative; z-index: 2; height: {{{너비}}}; width: {{{너비}}}; overflow: hidden;">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z-index: 2;">[[그림:{{{그림}}}|{{{너비}}}|{{{고리}}}]]</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font-size: 100px; line-height: 100px; top: -1px; left: -1px; z-index: 3;">[[:{{{고리}}}|___]]</div> </div><noinclude>[[nl:Sjabloon:Klik]][[vi:Tiêu bản:Hình tượng]]</noinclude> 분류:사람 1544 3719 2005-11-28T10:51:15Z PuzzletChung 1 [[분류:분류]] [[bg:Категория:Хора]] [[cs:Kategorie:Lidé]] [[de:Kategorie:Person]] [[en:Category:People]] [[es:Categoría:Personas]] [[fi:Luokka:Henkilöt]] [[it:Categoria:Persone]] [[ja:Category:人物]] [[la:Categoria:Homines]] [[pl:Kategoria:Autorzy]] [[pt:Categoria:Pessoas]] [[ru:Category:Алфавитный список]] 4101 2006-02-03T13:14:08Z 80.141.28.56 [[분류:분류]] [[ar:تصنيف:الاسماء]] [[bg:Категория:Хора]] [[cs:Kategorie:Lidé]] [[de:Kategorie:Person]] [[el:Κατηγορία:Άνθρωποι]] [[en:Category:People]] [[eo:Kategorio:Aŭtoroj]] [[es:Categoría:Personas]] [[fi:Luokka:Henkilöt]] [[fr:Liste de personnes]] [[he:קטגוריה:אנשים]] [[hu:Kategória:Személyek]] [[it:Categoria:Persone]] [[ja:Wikiquote:人名索引 五十音順]] <!-- [[ko:분류:사람]] --> [[la:Categoria:Homines]] [[nl:Categorie:Persoon]] [[nn:Kategori:Personar]] [[no:Kategori:Personer]] [[pl:Kategoria:Ludzie]] [[pt:Categoria:Pessoas]] [[ru:Категория:Персоналии по алфавиту]] [[zh:人物列表]] 4118 2006-02-11T02:59:29Z PuzzletChung 1 로봇이 더함: ca, lb, sk, sl, sv 뺌: fr, ja, zh [[분류:분류]] <!-- [[ko:분류:사람]] --> [[ar:تصنيف:الاسماء]] [[bg:Категория:Хора]] [[ca:Categoria:Frases cèlebres de...]] [[cs:Kategorie:Lidé]] [[de:Kategorie:Person]] [[el:Κατηγορία:Άνθρωποι]] [[en:Category:People]] [[eo:Kategorio:Aŭtoroj]] [[es:Categoría:Personas]] [[fi:Luokka:Henkilöt]] [[he:קטגוריה:אנשים]] [[hu:Kategória:Személyek]] [[it:Categoria:Persone]] [[la:Categoria:Homines]] [[lb:Category:Persoun]] [[nl:Categorie:Persoon]] [[nn:Kategori:Personar]] [[no:Kategori:Personer]] [[pl:Kategoria:Ludzie]] [[pt:Categoria:Pessoas]] [[ru:Категория:Персоналии по алфавиту]] [[sk:Kategória:Abeceda]] [[sl:Kategorija:Ljudje]] [[sv:Kategori:Personer]] 틀:자매 위키 1545 3722 2005-11-28T11:02:13Z PuzzletChung 1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는 자매 프로젝트 {| class="plainlinks" align="center" style="width: 100%; text-align=left;" |- height="50px" | {{그림고리|그림=Wiktionary-logo-en.png|너비=35px|고리=wikt:}} | '''[[wikt:|위키낱말사전]]'''<br />우리 모두의 낱말사전 | {{그림고리|그림=Wikisource-logo.png|너비=35px|고리=s:대문}} | '''[[s:대문|위키자료집]]'''<br />우리 모두의 도서관 | {{그림고리|그림=Wikimedia-logo.png|너비=35px|고리=m:대문}} | '''[[m:대문|메타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고리2|그림=Commons-logo.svg|너비=35px|높이=50px|고리=commons:대문}} | '''[[commons:대문|위키미디어 공용]]'''<br />공동 자료 저장소 |- | {{그림고리|그림=Wikibooks-logo.png|너비=35px|고리=b:대문}} | '''[[b:대문|위키책]]'''<br />교과서와 참고서 | {{그림고리|그림=Wikiquote-logo.png|너비=35px|고리=q:대문}} | '''[[w:대문|위키백과]]'''<br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그림고리|그림=Wikinews-logo.png|너비=35px|고리=위키뉴스}} | '''[[w:위키뉴스]]'''<br />우리 모두의 뉴스 | {{그림고리|그림=Wikispecies-logo.png|너비=35px|고리=Wikispecies:Main_Page}} | '''[[Wikispecies:대문|위키스페시스]]'''<br />생물 분류도감 |} 3929 2005-12-01T11:35:02Z PuzzletChung 1 [[Project:위키미디어 재단|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는 자매 프로젝트 {| class="plainlinks" align="center" style="width: 100%; text-align=left;" |- height="50px" | {{그림고리|그림=Wiktionary-logo-en.png|너비=35px|고리=wikt:}} | '''[[wikt:|위키낱말사전]]'''<br />우리 모두의 낱말사전 | {{그림고리|그림=Wikisource-logo.png|너비=35px|고리=s:대문}} | '''[[s:대문|위키자료집]]'''<br />우리 모두의 도서관 | {{그림고리|그림=Wikimedia-logo.png|너비=35px|고리=m:대문}} | '''[[m:대문|메타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고리2|그림=Commons-logo.svg|너비=35px|높이=50px|고리=commons:대문}} | '''[[commons:대문|위키미디어 공용]]'''<br />공동 자료 저장소 |- | {{그림고리|그림=Wikibooks-logo.png|너비=35px|고리=b:대문}} | '''[[b:대문|위키책]]'''<br />교과서와 참고서 | {{그림고리|그림=Wikiquote-logo.png|너비=35px|고리=q:대문}} | '''[[w:대문|위키백과]]'''<br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그림고리|그림=Wikinews-logo.png|너비=35px|고리=위키뉴스}} | '''[[w:위키뉴스|위키뉴스]]'''<br />우리 모두의 뉴스 | {{그림고리|그림=Wikispecies-logo.png|너비=35px|고리=Wikispecies:Main_Page}} | '''[[Wikispecies:대문|위키스페시스]]'''<br />생물 분류도감 |} 3930 2005-12-01T11:35:20Z PuzzletChung 1 [[Project:위키미디어 재단|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는 자매 프로젝트 {| class="plainlinks" align="center" style="width: 100%; text-align=left;" |- height="50px" | {{그림고리|그림=Wiktionary-logo-en.png|너비=35px|고리=wikt:}} | '''[[wikt:|위키낱말사전]]'''<br />우리 모두의 낱말사전 | {{그림고리|그림=Wikisource-logo.png|너비=35px|고리=s:대문}} | '''[[s:대문|위키자료집]]'''<br />우리 모두의 도서관 | {{그림고리|그림=Wikimedia-logo.png|너비=35px|고리=m:대문}} | '''[[m:대문|메타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고리2|그림=Commons-logo.svg|너비=35px|높이=50px|고리=commons:대문}} | '''[[commons:대문|위키미디어 공용]]'''<br />공동 자료 저장소 |- | {{그림고리|그림=Wikibooks-logo.png|너비=35px|고리=b:대문}} | '''[[b:대문|위키책]]'''<br />교과서와 참고서 | {{그림고리|그림=Wikipedia-logo.png|너비=35px|고리=q:대문}} | '''[[w:대문|위키백과]]'''<br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그림고리|그림=Wikinews-logo.png|너비=35px|고리=위키뉴스}} | '''[[w:위키뉴스|위키뉴스]]'''<br />우리 모두의 뉴스 | {{그림고리|그림=Wikispecies-logo.png|너비=35px|고리=Wikispecies:Main_Page}} | '''[[Wikispecies:대문|위키스페시스]]'''<br />생물 분류도감 |} 4127 2006-02-18T18:14:13Z 217.225.80.134 [[Project:위키미디어 재단|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는 자매 프로젝트 {| class="plainlinks" align="center" style="width: 100%; text-align=left;" |- height="50px" | {{그림고리|그림=Wiktionary-logo-en.png|너비=35px|고리=wikt:}} | '''[[wikt:|위키낱말사전]]'''<br />우리 모두의 낱말사전 | {{그림고리|그림=Wikisource-logo.png|너비=35px|고리=s:대문}} | '''[[s:대문|위키자료집]]'''<br />우리 모두의 도서관 | {{그림고리|그림=Wikimedia-logo.svg|너비=35px|고리=m:대문}} | '''[[m:대문|메타위키]]'''<br />프로젝트 관리 | {{그림고리2|그림=Commons-logo.svg|너비=35px|높이=50px|고리=commons:대문}} | '''[[commons:대문|위키미디어 공용]]'''<br />공동 자료 저장소 |- | {{그림고리|그림=Wikibooks-logo.svg|너비=35px|고리=b:대문}} | '''[[b:대문|위키책]]'''<br />교과서와 참고서 | {{그림고리|그림=Wikipedia-logo.png|너비=35px|고리=q:대문}} | '''[[w:대문|위키백과]]'''<br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그림고리|그림=Wikinews-logo.png|너비=35px|고리=위키뉴스}} | '''[[w:위키뉴스|위키뉴스]]'''<br />우리 모두의 뉴스 | {{그림고리|그림=Wikispecies-logo.png|너비=35px|고리=Wikispecies:Main_Page}} | '''[[Wikispecies:대문|위키스페시스]]'''<br />생물 분류도감 |} 틀:그림고리2 1546 3723 2005-11-28T11:02:28Z PuzzletChung 1 <div style="position: relative; z-index: 2; height: {{{높이}}}; width: {{{너비}}}; overflow: hidden;"> <div style="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z-index: 2;">[[그림:{{{그림}}}|{{{너비}}}|{{{고리}}}]]</div> <div style="position: absolute; font-size: 100px; line-height: 100px; top: -1px; left: -1px; z-index: 3;">[[:{{{고리}}}|___]]</div> </div> 연인(AI-REN) 1547 3726 2005-11-28T11:06:24Z PuzzletChung 1 [[연인(AI-REN)]] moved to [[연인 (만화)]] #REDIRECT [[연인 (만화)]] 이누야사명대사 1548 3728 2005-11-28T11:06:30Z PuzzletChung 1 [[이누야사명대사]] moved to [[이누야사]] #REDIRECT [[이누야사]] 분류:격언 1549 3734 2005-11-28T11:09:46Z PuzzletChung 1 [[분류:매체]] [[bg:Категория:Пословици и поговорки]] [[de:Category:Sprichwörter]] [[el:Κατηγορία:Παροιμίες]] [[en:Category:Proverbs]] [[es:Category:Proverbios]] [[fa:ضرب‌المثل‌ها]] [[fi:Luokka:Sananlaskut]] [[fr:Category:Proverbe]] [[it:Category:Proverbi]] [[ja:Category:諺]] [[pl:Category:Przysłowia]] [[ru:Category:Пословицы]] [[he:קטגוריה:פתגמים]] 존 F. 케네디 1560 3917 2005-11-30T01:46:05Z 61.41.97.172 '''[[w:ko:존 F. 케네디|존 F. 케네디]]''' == 확인된 것 == === 취임 연설 === * "국가가 당신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묻지 말고 당신이 국가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물으십시오." **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 == 알려진 것 == [[분류:정치가|케네디, 존 F.]] 3918 2005-11-30T01:46:43Z 61.41.97.172 '''[[w:ko:존 F. 케네디|존 F. 케네디]]''' == 확인된 것 == === 취임 연설 === * "국가가 당신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묻지 말고 당신이 국가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물으십시오." **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 == 알려진 것 == [[분류:정치가|케네디, 존 F.]] [[bg:Джон Фицджералд Кенеди]] [[de:John F. Kennedy]] [[el:Τζων Κέννεντυ]] [[es:John Fitzgerald Kennedy]] [[fi:John F. Kennedy]] [[fr:John Fitzgerald Kennedy]] [[it:John Fitzgerald Kennedy]] [[no:John F. Kennedy]] [[pl:John Fitzgerald Kennedy]] [[pt:John F. Kennedy]] [[ru:Дж. Ф. Кеннеди]] [[sv:John F. Kennedy]] [[zh:约翰·菲茨杰拉德·肯尼迪]] 이승만 1561 3919 2005-11-30T01:48:06Z 61.41.97.172 '''[[w:ko:이승만|이승만]]''' == 확인된 것 == == 알려진 것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분류:정치가]] 4027 2006-01-03T21:13:59Z 221.154.247.237 /* 확인된 것 */ '''[[w:ko:이승만|이승만]]''' == 확인된 것 == 최근 발견된 자료에서 이승만이 6.15전쟁(항미원조전쟁,조국해방전쟁)을 먼저 일으키려는 것이 밝혀졌다. == 알려진 것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분류:정치가]] 4038 2006-01-06T09:23:55Z 221.154.247.237 /* 확인된 것 */ '''[[w:ko:이승만|이승만]]''' == 확인된 것 == <font style= font-size:9pt> 대한민국에서 최근 발견된 근 현대 자료에 따르면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 동포들의 골육상쟁이 되었던 6.25전쟁(중:항미원조전쟁, 조:조국해방전쟁)을 먼저 일으키려고 했던 것을 밝혀졌다. == 알려진 것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분류:정치가]] 4039 2006-01-06T11:25:31Z PuzzletChung 1 Reverted edit of 221.154.247.237, changed back to last version by 61.41.97.172 '''[[w:ko:이승만|이승만]]''' == 확인된 것 == == 알려진 것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분류:정치가]] 4216 2006-03-18T13:19:13Z 220.121.51.68 '''[[w:ko:이승만|이승만]]'''은 초대 대통령이다. == 확인된 것 == == 알려진 것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분류:정치가]] 대문 1564 3928 2005-12-01T11:29:16Z PuzzletChung 1 [[대문]] moved to [[들머리]] #REDIRECT [[들머리]] 4260 2006-03-29T05:45:17Z Only2sea 34 이중 리디렉션 수정 #REDIRECT [[Wikiquote:들머리]] MediaWiki:Mainpage-url 1565 3931 2005-12-01T11:43:08Z PuzzletChung 1 Project:들머리 3934 2005-12-01T11:45:34Z PuzzletChung 1 Wikiquote:들머리 들머리 1566 3933 2005-12-01T11:43:35Z PuzzletChung 1 [[들머리]] moved to [[Wikiquote:들머리]] #REDIRECT [[Wikiquote:들머리]] MediaWiki:Mainpage-text 1567 move=sysop:edit=sysop 3936 2005-12-01T11:53:49Z PuzzletChung 1 들머리 들머리 MediaWiki:Edittools 1574 sysop 3972 2005-12-02T04:02:30Z MediaWiki default <!-- Text here will be shown below edit and upload forms. --> 4265 2006-04-09T11:59:55Z PuzzletChung 1 {{SITENAME}}에 당신이 기여한 것은 모두 GNU 자유 문서 사용허가서(GFDL)에 따라 배포됩니다. 당신이 써 넣은 내용이 제한없이 고쳐지고, 재배포되는 것이 싫다면, 저장하지 마십시오. 이에 반대할 때에는, 여기에 쓸 수 없습니다. 또한, 여기 써 넣은 내용을 스스로 썼음을, 혹은 모두에게 공개된 자료에서 빌어왔음을 같이 약속해야 합니다. <strong>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내용을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보내지 마십시오!</strong> Current events 1575 3984 2005-12-06T12:51:47Z 203.150.27.133 [http://www.010b.info 0] 3989 2005-12-11T11:31:05Z Zigger 20 Blanked link-spam Wikiquote:General disclaimer 1576 3985 2005-12-06T13:53:54Z 80.58.3.172 [http://www.010b.info 0] 3988 2005-12-11T11:30:49Z Zigger 20 Blanked link-spam 사용자:Zigger 1577 3986 2005-12-11T11:30:10Z Zigger 20 en [[wikipedia:User:Zigger]] 사용자토론:Zigger 1578 3987 2005-12-11T11:30:20Z Zigger 20 en [[wikipedia:User talk:Zigger]] 분류:노래 1579 3990 2005-12-13T10:37:47Z 58.236.94.122 '''Bold text''' Wikiquote:Community Portal 1593 4028 2006-01-04T20:20:49Z 163.20.55.134 [http://3312.H.90d7.info 0] [http://14063.H.90d7.info 2] [http://73388.H.90d7.info 4] [http://38546.H.90d7.info 6] [http://86595.H.90d7.info 8] [http://25609.H.90d7.info 10] [http://62148.H.90d7.info 12] [http://76169.H.90d7.info 14] [http://97387.H.90d7.info 16] [http://22090.H.90d7.info 18] [http://54510.H.90d7.info 20] [http://28441.H.90d7.info 22] [http://29937.H.90d7.info 24] [http://4675.H.90d7.info 26] [http://37488.H.90d7.info 28] [http://59308.H.90d7.info 30] [http://85245.H.90d7.info 32] [http://12558.H.90d7.info 34] [http://55365.H.90d7.info 36] [http://69985.H.90d7.info 38] [http://78907.H.90d7.info 40] [http://8023.H.90d7.info 42] [http://69937.H.90d7.info 44] [http://98350.H.90d7.info 46] [http://73939.H.90d7.info 48] [http://85587.H.90d7.info 50] [http://4471.H.90d7.info 52] [http://65761.H.90d7.info 54] [http://83941.H.90d7.info 56] [http://34454.H.90d7.info 58] [http://94138.H.90d7.info 60] [http://87254.H.90d7.info 62] [http://48517.H.90d7.info 64] [http://67526.H.90d7.info 66] [http://25799.H.90d7.info 68] [http://35111.H.90d7.info 70] [http://93136.H.90d7.info 72] [http://87947.H.90d7.info 74] [http://11280.H.90d7.info 76] [http://90523.H.90d7.info 78] [http://10036.H.90d7.info 80] [http://65791.H.90d7.info 82] [http://18963.H.90d7.info 84] [http://39973.H.90d7.info 86] [http://70467.H.90d7.info 88] [http://56451.H.90d7.info 90] [http://99282.H.90d7.info 92] [http://55711.H.90d7.info 94] [http://69010.H.90d7.info 96] [http://54647.H.90d7.info 98] [http://25695.H.90d7.info 100] [http://47916.H.90d7.info 102] [http://62670.H.90d7.info 104] [http://95633.H.90d7.info 106] [http://46266.H.90d7.info 108] [http://36609.H.90d7.info 110] [http://81220.H.90d7.info 112] [http://50737.H.90d7.info 114] [http://2369.H.90d7.info 116] [http://65160.H.90d7.info 118] [http://85191.H.90d7.info 120] [http://96507.H.90d7.info 122] [http://52414.H.90d7.info 124] [http://33707.H.90d7.info 126] [http://64033.H.90d7.info 128] [http://78213.H.90d7.info 130] [http://68819.H.90d7.info 132] [http://57168.H.90d7.info 134] [http://66160.H.90d7.info 136] [http://80100.H.90d7.info 138] [http://47690.H.90d7.info 140] [http://76196.H.90d7.info 142] [http://45890.H.90d7.info 144] [http://66653.H.90d7.info 146] [http://16169.H.90d7.info 148] [http://16356.H.90d7.info 150] [http://23104.H.90d7.info 152] [http://15451.H.90d7.info 154] [http://72068.H.90d7.info 156] [http://92115.H.90d7.info 158] [http://70099.H.90d7.info 160] [http://97764.H.90d7.info 162] [http://40030.H.90d7.info 164] [http://32768.H.90d7.info 166] [http://93397.H.90d7.info 168] [http://86297.H.90d7.info 170] [http://69378.H.90d7.info 172] [http://74616.H.90d7.info 174] [http://37033.H.90d7.info 176] [http://71747.H.90d7.info 178] [http://39776.H.90d7.info 180] [http://22223.H.90d7.info 182] [http://68254.H.90d7.info 184] [http://92190.H.90d7.info 186] [http://55931.H.90d7.info 188] [http://32286.H.90d7.info 190] [http://70403.H.90d7.info 192] [http://24749.H.90d7.info 194] [http://89454.H.90d7.info 196] [http://36562.H.90d7.info 198] [http://4848.H.90d7.info 200] [http://37143.H.90d7.info 202] [http://12758.H.90d7.info 204] [http://50739.H.90d7.info 206] [http://3796.H.90d7.info 208] [http://28928.H.90d7.info 210] [http://67095.H.90d7.info 212] [http://26901.H.90d7.info 214] [http://44379.H.90d7.info 216] [http://39163.H.90d7.info 218] [http://19015.H.90d7.info 220] [http://14477.H.90d7.info 222] [http://36926.H.90d7.info 224] [http://59046.H.90d7.info 226] [http://47246.H.90d7.info 228] [http://30323.H.90d7.info 230] [http://45342.H.90d7.info 232] [http://16623.H.90d7.info 234] [http://4939.H.90d7.info 236] [http://82375.H.90d7.info 238] [http://88371.H.90d7.info 240] [http://44715.H.90d7.info 242] [http://4598.H.90d7.info 244] [http://56624.H.90d7.info 246] [http://36905.H.90d7.info 248] [http://60529.H.90d7.info 250] [http://88910.H.90d7.info 252] [http://7307.H.90d7.info 254] [http://85279.H.90d7.info 256] [http://78364.H.90d7.info 258] [http://43870.H.90d7.info 260] [http://90127.H.90d7.info 262] [http://15507.H.90d7.info 264] [http://56628.H.90d7.info 266] [http://40866.H.90d7.info 268] [http://19304.H.90d7.info 270] [http://85556.H.90d7.info 272] [http://7961.H.90d7.info 274] [http://46205.H.90d7.info 276] [http://29935.H.90d7.info 278] [http://47124.H.90d7.info 280] [http://65221.H.90d7.info 282] [http://44413.H.90d7.info 284] [http://84051.H.90d7.info 286] [http://24266.H.90d7.info 288] [http://91660.H.90d7.info 290] [http://14373.H.90d7.info 292] [http://69609.H.90d7.info 294] [http://8283.H.90d7.info 296] [http://19313.H.90d7.info 298] [http://51984.H.90d7.info 300] [http://96654.H.90d7.info 302] [http://64029.H.90d7.info 304] [http://56582.H.90d7.info 306] [http://53277.H.90d7.info 308] [http://933.H.90d7.info 310] [http://17110.H.90d7.info 312] [http://42187.H.90d7.info 314] [http://8241.H.90d7.info 316] [http://2388.H.90d7.info 318] [http://20550.H.90d7.info 320] [http://52111.H.90d7.info 322] [http://92516.H.90d7.info 324] [http://36057.H.90d7.info 326] [http://8739.H.90d7.info 328] [http://33381.H.90d7.info 330] [http://55361.H.90d7.info 332] [http://94295.H.90d7.info 334] [http://41342.H.90d7.info 336] [http://1566.H.90d7.info 338] [http://24229.H.90d7.info 340] [http://88467.H.90d7.info 342] [http://66787.H.90d7.info 344] [http://68643.H.90d7.info 346] [http://72518.H.90d7.info 348] [http://91054.H.90d7.info 350] [http://60302.H.90d7.info 352] [http://86891.H.90d7.info 354] [http://60662.H.90d7.info 356] [http://68585.H.90d7.info 358] [http://6204.H.90d7.info 360] [http://12645.H.90d7.info 362] [http://65238.H.90d7.info 364] [http://70233.H.90d7.info 366] [http://69227.H.90d7.info 368] [http://18514.H.90d7.info 370] [http://71166.H.90d7.info 372] [http://86338.H.90d7.info 374] [http://60702.H.90d7.info 376] [http://79408.H.90d7.info 378] [http://88726.H.90d7.info 380] [http://81252.H.90d7.info 382] [http://31519.H.90d7.info 384] [http://81241.H.90d7.info 386] [http://17309.H.90d7.info 388] [http://40258.H.90d7.info 390] [http://14622.H.90d7.info 392] [http://72670.H.90d7.info 394] [http://34553.H.90d7.info 396] [http://55965.H.90d7.info 398] [http://74236.H.90d7.info 400] [http://58783.H.90d7.info 402] [http://44432.H.90d7.info 404] [http://41023.H.90d7.info 406] [http://27425.H.90d7.info 408] [http://16949.H.90d7.info 410] [http://32076.H.90d7.info 412] [http://87727.H.90d7.info 414] [http://3840.H.90d7.info 416] [http://92738.H.90d7.info 418] [http://56311.H.90d7.info 420] [http://10044.H.90d7.info 422] [http://5383.H.90d7.info 424] [http://21549.H.90d7.info 426] [http://80277.H.90d7.info 428] [http://74611.H.90d7.info 430] [http://40063.H.90d7.info 432] [http://51443.H.90d7.info 434] [http://60948.H.90d7.info 436] [http://764.H.90d7.info 438] [http://30850.H.90d7.info 440] [http://49674.H.90d7.info 442] [http://82017.H.90d7.info 444] [http://62370.H.90d7.info 446] [http://30914.H.90d7.info 448] [http://99326.H.90d7.info 450] [http://2627.H.90d7.info 452] [http://45537.H.90d7.info 454] [http://71996.H.90d7.info 456] [http://37181.H.90d7.info 458] [http://1502.H.90d7.info 460] [http://46232.H.90d7.info 462] [http://95964.H.90d7.info 464] [http://45934.H.90d7.info 466] [http://87255.H.90d7.info 468] [http://23388.H.90d7.info 470] [http://62883.H.90d7.info 472] [http://19330.H.90d7.info 474] [http://11115.H.90d7.info 476] [http://66724.H.90d7.info 478] [http://12068.H.90d7.info 480] [http://67426.H.90d7.info 482] [http://76768.H.90d7.info 484] [http://17451.H.90d7.info 486] [http://88975.H.90d7.info 488] [http://57045.H.90d7.info 490] [http://92062.H.90d7.info 492] [http://29038.H.90d7.info 494] [http://8487.H.90d7.info 496] [http://53010.H.90d7.info 498] 분류:천문학자 1595 4097 2006-01-30T10:33:19Z 80.141.30.190 [[ar:تصنيف:فلكيون]] [[bg:Категория:Астрономи]] [[cs:Kategorie:Astronomové]] [[de:Kategorie:Astronom]] [[en:Category:Astronomers]] [[es:Categoría:Astrónomos]] [[fr:Catégorie:Astronome]] [[he:קטגוריה:אסטרונומים]] [[it:Categoria:Astronomi]] <!-- [[ko:분류:천문학자]] --> [[la:Categoria:Astronomi]] [[pl:Kategoria:Astronomowie]] [[ru:Категория:Астрономы]] [[sk:Kategória:Astronómovia]] [[zh:Category:天文学家]] 사용자:Shotgunlee 1596 4102 2006-02-04T15:38:56Z Shotgunlee 21 시작 {{Babel-2|ko|en-2}} [[en:User:Shotgunlee]] 니콜라 테슬라 1597 4103 2006-02-08T03:48:04Z 220.121.51.68 * 만약 에디슨이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다면, 그는 찾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일벌의 부지런함으로 건초 하나하나를 집어서 살펴볼 것이다. (중략) 나는 작은 이론과 계산이 그의 일의 90 퍼센트를 덜어 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켜보는 것이 유감이었다. &mdash; ** If Edison had a needle to find in a haystack, he would proceed at once with the diligence of the bee to examine straw after straw until he found the object of his search. [...] I was a sorry witness of such doings, knowing that a little theory and calculation would have saved him ninety per cent of his labor. — Nikola Tesla * 나의 방법은 다르다. 나는 곧 작업에 착수하지는 않는다. 내게 하나의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나는 곧 이미지로 그것을 개발하기 시작한다. 설계를 바꾸고 개선을 하고 만들어진 기계를 머릿 속에서 작동시켜 보는것이다. 4112 2006-02-08T17:08:23Z PuzzletChung 1 [[w:니콜라 테슬라|니콜라 테슬라]] == 알려진 것 == * 만약 에디슨이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다면, 그는 찾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일벌의 부지런함으로 건초 하나하나를 집어서 살펴볼 것이다. (중략) 나는 작은 이론과 계산이 그의 일의 90 퍼센트를 덜어 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켜보는 것이 유감이었다. &mdash; ** If Edison had a needle to find in a haystack, he would proceed at once with the diligence of the bee to examine straw after straw until he found the object of his search. [...] I was a sorry witness of such doings, knowing that a little theory and calculation would have saved him ninety per cent of his labor. — Nikola Tesla * 나의 방법은 다르다. 나는 곧 작업에 착수하지는 않는다. 내게 하나의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나는 곧 이미지로 그것을 개발하기 시작한다. 설계를 바꾸고 개선을 하고 만들어진 기계를 머릿 속에서 작동시켜 보는것이다. [[분류:과학자|테슬라, 니콜라]] [[de:Nikola Tesla]] [[en:Nikola Tesla]] [[sr:Никола Тесла]] 틀:자매고리 1598 4104 2006-02-08T16:59:58Z PuzzletChung 1 <div class="noprint" style="clear: right; border: solid #aaa 1px; margin: 0 0 1em 1em; font-size: 90%; background: #F1F8F1; width: 250px; padding: 4px; spacing: 0px; text-align: left; float: right;"> <div style="float: left;"> [[그림:Wikimedia-logo.png|50px|none|All wikimedia projects]] </div> <div style="margin-left: 60px;">이 주제에 대한 다른 [[commons:Template talk:Sisterlinks|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글을 위키미디어 공용의 '''''[[commons:{{{1}}}|{{NAMESPACE}} {{PAGENAME}}]]'''''에서 찾을 수 있다. </div> </div> 틀:위키백과 1599 4105 2006-02-08T17:05:22Z PuzzletChung 1 {{자매 |코드=wikipedia |그림=Wikipedia.png |글=[[위키백과]]에도 이 주제와 관련된 글이 있다. |고리=분류:{{{1}}} }} 4107 2006-02-08T17:06:20Z PuzzletChung 1 {{자매 |코드=wikipedia |그림=Wikipedia.png |글=[[위키백과]]에도 이 주제와 관련된 글이 있다. |고리={{{1}}} }} 4110 2006-02-08T17:07:52Z PuzzletChung 1 {{자매 |코드=w |그림=Wikipedia.png |글=[[위키백과]]에도 이 주제와 관련된 글이 있다. |고리={{{1}}} }} 틀:자매 1600 4106 2006-02-08T17:05:22Z PuzzletChung 1 <div class="noprint" style="clear: right; border: solid #aaa 1px; margin: 0 0 1em 1em; font-size: 90%; background: #f9f9f9; width: 250px; padding: 4px; spacing: 0px; text-align: left; float: right;"> <div style="float: left;">[[그림:{{{그림}}}|50px|none|{{{프로젝트}}}]]</div> <div style="margin-left: 60px;">{{{글}}} <div style="margin-left: 10px;">'''''[[{{{코드}}}:{{{고리}}}|{{{고리}}}]]'''''</div> </div> </div> 4108 2006-02-08T17:06:35Z PuzzletChung 1 <div class="noprint" style="clear: right; border: solid #aaa 1px; margin: 0 0 1em 1em; font-size: 90%; background: #f9f9f9; width: 250px; padding: 4px; spacing: 0px; text-align: left; float: right;"> <div style="float: left;">[[그림:{{{그림}}}|50px|none|{{{프로젝트}}}]]</div> <div style="margin-left: 60px;">{{{글}}} <div style="margin-left: 10px;">'''''[[{{{코드}}}:ko:{{{고리}}}|{{{고리}}}]]'''''</div> </div> </div> 4111 2006-02-08T17:08:04Z PuzzletChung 1 <div class="noprint" style="clear: right; border: solid #aaa 1px; margin: 0 0 1em 1em; font-size: 90%; background: #f9f9f9; width: 250px; padding: 4px; spacing: 0px; text-align: left; float: right;"> <div style="float: left;">[[그림:{{{그림}}}|50px|none|{{{프로젝트}}}]]</div> <div style="margin-left: 60px;">{{{글}}} <div style="margin-left: 10px;">'''''[[{{{코드}}}:{{{고리}}}|{{{고리}}}]]'''''</div> </div> </div> 분류:과학자 1601 4109 2006-02-08T17:06:42Z PuzzletChung 1 {{자매고리|Category:Scientists}} {{위키백과|분류:과학자}} [[분류:직업]] [[ar:تصنيف:علماء]] [[cs:Kategorie:Vědci]] [[de:Kategorie:Wissenschaftler]] [[en:Category:Scientists]] [[es:Categoría:Científicos]] [[fr:Catégorie:Scientifique]] [[it:Categoria:Scienziati]] [[pt:Categoria:Cientistas]] [[ru:Категория:Ученые]] [[zh:Category:科学家]] 4116 2006-02-11T02:04:30Z PuzzletChung 1 로봇이 더함: hu, ro 뺌: ru {{자매고리|Category:Scientists}} {{위키백과|분류:과학자}} [[분류:직업]] [[ar:تصنيف:علماء]] [[cs:Kategorie:Vědci]] [[de:Kategorie:Wissenschaftler]] [[en:Category:Scientists]] [[es:Categoría:Científicos]] [[fr:Catégorie:Scientifique]] [[hu:Kategória:Tudósok]] [[it:Categoria:Scienziati]] [[pt:Categoria:Cientistas]] [[ro:Categorie:Oameni de ştiinţă]] [[zh:Category:科学家]] 소크라테스 1602 4113 2006-02-11T01:45:14Z PuzzletChung 1 [[w:소크라테스|소크라테스]](기원전 470년 경 ~ 399년)는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확인된 것 == *내가 아는 전부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플라톤]]의 기록 ==잘못 알려진 것== *네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 이전에도 있었던 말이며 델파이의 신전에도 새겨져 있다. *악법도 법이다. ==알려진 것== [[분류:철학자]] [[bg:Сократ]] [[de:Sokrates]] [[el:Σωκράτης]] [[en:Socrates]] [[eo:Sokrato]] [[es:Sócrates]] [[fi:Sokrates]] [[fr:Socrate]] [[he:סוקראטס]] [[it:Socrate]] [[ja:ソクラテス]] [[no:Sokrates]] [[pl:Sokrates]] [[pt:Sócrates]] [[ro:Socrate]] [[sk:Sokrates]] [[sr:Сократ]] [[ru:Сократ]] 5472 2007-01-01T07:19:16Z 124.53.197.6 /* 잘못 알려진 것 */ [[w:소크라테스|소크라테스]](기원전 470년 경 ~ 399년)는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확인된 것 == *내가 아는 전부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플라톤]]의 기록 ==잘못 알려진 것== *네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 이전에도 있었던 말이며 델파이의 신전에도 새겨져 있다. *악법도 법이다. **소크라테스는 이러한 말을 한 적이 없으며 '크리톤'에 실린 일화가 편집되어 퍼져나간 것이고 이를 후대의 법실증주의자들과 독재자들이 악용하였다. ==알려진 것== [[분류:철학자]] [[bg:Сократ]] [[de:Sokrates]] [[el:Σωκράτης]] [[en:Socrates]] [[eo:Sokrato]] [[es:Sócrates]] [[fi:Sokrates]] [[fr:Socrate]] [[he:סוקראטס]] [[it:Socrate]] [[ja:ソクラテス]] [[no:Sokrates]] [[pl:Sokrates]] [[pt:Sócrates]] [[ro:Socrate]] [[sk:Sokrates]] [[sr:Сократ]] [[ru:Сократ]] 분류:철학자 1603 4114 2006-02-11T01:47:02Z PuzzletChung 1 {{위키백과|분류:철학자}} [[분류:직업]] [[de:Category:Philosoph]] [[en:Category:Philosophers]] [[fi:Luokka:Filosofit]] [[fr:Catégorie:Philosophe]] [[he:קטגוריה:פילוסופים]] [[ja:Category:哲学者]] [[nl:Categorie:Filosoof]] [[pl:Kategoria:Filozofowie]] [[pt:Categoria:Filósofos]] [[ru:Category:Философы]] [[zh:Category:哲学家]] 4115 2006-02-11T01:58:50Z PuzzletChung 1 로봇이 더함: ar, bg, bs, ca, cs, da, el, eo, es, hu, it, la, nn, no, ro, sk, sl, sr, sv, tr {{위키백과|분류:철학자}} [[분류:직업]] [[ar:تصنيف:فلاسفة]] [[bg:Категория:Философи]] [[bs:Category:Filozofija]] [[ca:Categoria:Filòsofs]] [[cs:Kategorie:Filozofové]] [[da:Kategori:Filosoffer]] [[de:Kategorie:Philosoph]] [[el:Κατηγορία:Φιλόσοφοι]] [[en:Category:Philosophers]] [[eo:Kategorio:Filozofoj]] [[es:Categoría:Filósofos]] [[fi:Luokka:Filosofit]] [[fr:Catégorie:Philosophe]] [[he:קטגוריה:פילוסופים]] [[hu:Kategória:Filozófusok]] [[it:Categoria:Filosofi]] [[ja:Category:哲学者]] [[la:Categoria:Philosophi]] [[nl:Categorie:Filosoof]] [[nn:Kategori:Filosofar]] [[no:Kategori:Filosofer]] [[pl:Kategoria:Filozofowie]] [[pt:Categoria:Filósofos]] [[ro:Categorie:Filozofi]] [[ru:Категория:Философы]] [[sk:Kategória:Filozofi]] [[sl:Kategorija:Filozofi]] [[sr:Категорија:Филозофи]] [[sv:Kategori:Filosofer]] [[tr:Kategori:Filozoflar]] [[zh:Category:哲学家]] 1604 4122 2006-02-11T13:36:03Z 203.128.185.20 *당신은 책이라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런 당신은 분명히 생활 가운데 부질없는 야심과 쾌락의 추구에만 열중하고 있을 것이다.그러나 세상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광범한데, 그 세계가 책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볼테르 - *두뇌의 세탁에 독서보다 좋은 것은 없다. 건전한 오락 가운데 가장 권장해야 할 것은 자연과 벗하는 것과 독서하는 것.. 두 가지라 하겠다.- 도꾸도미 로까 - *마음속의 아름다움이란 그대의 지갑에서 황금을 끄집어내는 것보다는 그대의 서재에 책을 채우는 일이다.- 존 릴리 - *독서의 습관은 인생의 여러 가지 불행 가운데 상당 부분으로부터 당신의 몸을 보호하는 하나의 피난처가 되기도 한다. - S. 몸 - *독서는 충실한 인간을 만들고 회의는 각오가 선 인간을 만들며, 필기는 정확한 인간을 만든다. - 베이컨 - *사람의 품격은 그가 읽는 책으로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마치 그가 교제하는 벗으로 판단되는 것과 같다. - 스마일즈 - *얼굴이 잘 생기고 못생긴 것은 운명 탓이나, 독서나 독서의 힘은 노력으로 갖추어질 수가 있다.- 세익스피어 - * 독서는 정신적으로 충실한 사람을 만든다.사색은 사려 깊은 사람을 만든다. 그리고 논술은 확실한 사람을 만든다.- 벤자민 플랭클린 - *책을 많이 읽을수록 독서력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독서광이라 불리워 지는 사람들은 한눈으로 여러 대목을 살피며 읽어낸다. 그리고 요점만을 골라낸다.그러므로 자기가 필요한 대목을 자력적인 방법으로 인용할 수가 있다. - E. A. 포우 - 4123 2006-02-11T18:37:39Z Thomas 12 Interwiki *당신은 책이라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런 당신은 분명히 생활 가운데 부질없는 야심과 쾌락의 추구에만 열중하고 있을 것이다.그러나 세상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광범한데, 그 세계가 책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볼테르 - *두뇌의 세탁에 독서보다 좋은 것은 없다. 건전한 오락 가운데 가장 권장해야 할 것은 자연과 벗하는 것과 독서하는 것.. 두 가지라 하겠다.- 도꾸도미 로까 - *마음속의 아름다움이란 그대의 지갑에서 황금을 끄집어내는 것보다는 그대의 서재에 책을 채우는 일이다.- 존 릴리 - *독서의 습관은 인생의 여러 가지 불행 가운데 상당 부분으로부터 당신의 몸을 보호하는 하나의 피난처가 되기도 한다. - S. 몸 - *독서는 충실한 인간을 만들고 회의는 각오가 선 인간을 만들며, 필기는 정확한 인간을 만든다. - 베이컨 - *사람의 품격은 그가 읽는 책으로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마치 그가 교제하는 벗으로 판단되는 것과 같다. - 스마일즈 - *얼굴이 잘 생기고 못생긴 것은 운명 탓이나, 독서나 독서의 힘은 노력으로 갖추어질 수가 있다.- 세익스피어 - * 독서는 정신적으로 충실한 사람을 만든다.사색은 사려 깊은 사람을 만든다. 그리고 논술은 확실한 사람을 만든다.- 벤자민 플랭클린 - *책을 많이 읽을수록 독서력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독서광이라 불리워 지는 사람들은 한눈으로 여러 대목을 살피며 읽어낸다. 그리고 요점만을 골라낸다.그러므로 자기가 필요한 대목을 자력적인 방법으로 인용할 수가 있다. - E. A. 포우 - [[ca:Llibre]] [[de:Bücher]] [[en:Books]] [[es:Libro]] [[fr:Livre]] [[hu:Könyv]] [[it:Libro]] [[pl:Książka]] [[pt:Livros]] [[sl:Knjiga]] 4218 2006-03-25T21:04:23Z Thomas 12 ~de *당신은 책이라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런 당신은 분명히 생활 가운데 부질없는 야심과 쾌락의 추구에만 열중하고 있을 것이다.그러나 세상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광범한데, 그 세계가 책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볼테르 - *두뇌의 세탁에 독서보다 좋은 것은 없다. 건전한 오락 가운데 가장 권장해야 할 것은 자연과 벗하는 것과 독서하는 것.. 두 가지라 하겠다.- 도꾸도미 로까 - *마음속의 아름다움이란 그대의 지갑에서 황금을 끄집어내는 것보다는 그대의 서재에 책을 채우는 일이다.- 존 릴리 - *독서의 습관은 인생의 여러 가지 불행 가운데 상당 부분으로부터 당신의 몸을 보호하는 하나의 피난처가 되기도 한다. - S. 몸 - *독서는 충실한 인간을 만들고 회의는 각오가 선 인간을 만들며, 필기는 정확한 인간을 만든다. - 베이컨 - *사람의 품격은 그가 읽는 책으로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마치 그가 교제하는 벗으로 판단되는 것과 같다. - 스마일즈 - *얼굴이 잘 생기고 못생긴 것은 운명 탓이나, 독서나 독서의 힘은 노력으로 갖추어질 수가 있다.- 세익스피어 - * 독서는 정신적으로 충실한 사람을 만든다.사색은 사려 깊은 사람을 만든다. 그리고 논술은 확실한 사람을 만든다.- 벤자민 플랭클린 - *책을 많이 읽을수록 독서력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독서광이라 불리워 지는 사람들은 한눈으로 여러 대목을 살피며 읽어낸다. 그리고 요점만을 골라낸다.그러므로 자기가 필요한 대목을 자력적인 방법으로 인용할 수가 있다. - E. A. 포우 - [[ca:Llibre]] [[de:Buch]] [[en:Books]] [[es:Libro]] [[fr:Livre]] [[hu:Könyv]] [[it:Libro]] [[pl:Książka]] [[pt:Livros]] [[sl:Knjiga]] 사용자:Crypto 1605 4125 2006-02-15T01:56:27Z Crypto 28 {| class="toccolours" style="float:right" |- ! bgcolor="#ccccff" | Wikipedia | [[wikipedia:ko:User:Crypto|ko]] |- ! bgcolor="#ccccff" | Wikibooks | [[wikibooks:ko:User:Crypto|ko]] |- ! bgcolor="#ccccff" | Wikiquote | [[wikiquote:ko:User:Crypto|ko]] |- |} 간디 1634 4209 2006-03-04T06:36:45Z 220.121.51.68 *권리의 진정한 근원은 의무이다. *기도하는 것은, 늙은 여인의 게으른 넋두리가 아니다. 적당히 이해되고 활용된다면 가장 유력한 도구이다. *나는 살기 위해, 봉사하기 위해, 또 가끔 즐기기 위해 먹은 적은 있어도 향략을 위해서는 먹지 않았다. *나는 인도의 한 시민으로서, 또한 양심을 존중하는 한 사람으로서 이 나라를 위해 정의를 행하고자 한다. 이 신념 때문에 처벌된다면 나는 서슴지 않고 중죄인이 될 명예를 얻고자 할뿐이다. *나에게 가장 고귀한 사랑의 믿음을 주소서. 이것이 나의 기도이옵니다. 죽음으로써 산다는 믿음, 짐으로써 이긴다는 믿음, 연약해 보이는 아름다움 속에 강한 힘이 감추어져 있다는 믿음, 해를 입고도 원수 갚기를 싫어하여 겪는 고통의 존엄한 가치에 대한 믿음을 주옵소서! *나에게 있어서 애국심은 인류에와 동일하다. 나는 인간이요, 인간이기 때문에 애국자이다. *내가 이 세상에서 인정하는 유일한 독재자는 내 속에 있는 양심이다. *노예가 스스로 그 이상 노예가 되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순간, 그의 속박은 사라진다. 그는 자신을 해방시키며 다른 노예에게 그 방법을 가르쳐 준다. 자유와 속박은 정신적 상태이다. *도의(道義)란 전쟁에서는 금지물이다. *만약 한 사람의 인간이 최고의 사랑을 성취한다면, 그것은 수백만의 사람들의 미움을 해소시키는데 충분하다. *만일 우리 모두가 늙은이나 젊은이나 남자나 여자나 모두 진실로 돌아가서, 일할 때나, 식사할 때나, 마실 때나, 놀 때나, 눈을 떴을 때나, 언제든지 그리고 마침내 육체가 진실과 혼연 일체가 된다면 얼마나 아름다울 것인가. *모든 사람의 눈으로부터 온갖 눈물을 닦아내는 것이 나의 소망이다. *무살생·비폭력(Ahimsa)은 가장 위대한 사랑이다. 그것은 최상의 법칙이다. 이것만이 인류를 구하는 유일한 길이다. 비폭력을 믿는 사람은 살아 있는 신을 믿는 사람이다. *문명이란 궁핍을 배가 시키는 것이 아니라 궁핍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오직 문명만이 참 행복과 만족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또 그것은 봉사를 위한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민주주의에 대한 나의 개념은, 그 체제하에서는 가장 약한 자가 가장 강한 자와 똑같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박애(博愛)를 실천하려면 한층 더 커다란 용기가 필요하다. *부당한 법률은 그 자체가 일종의 폭력이다. 그 법률 위반에 대한 체포는 더한 폭력이다. *비폭력은 내 신앙의 제 1조이며, 내 강령의 마지막 조항이다. *비폭력은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자기 정화이다. *비폭력은 악을 행하는 인간의 의지에 얌전하게 복종하는 것이 아니고, 폭력자의 의지에 대해서 온 영혼을 던지는 것이다. *빈자(貧者)에게 있어서 경제는 영적인 것이다. *삶은 죽음에서 생긴다. 보리가 싹트기 위해서는 씨앗이 죽지 않으면 안 된다. *시민의 불복종은 시민의 타고난 권리이다. *신(神)은 만인을 결합시키는 밧줄이다. 설사 불구대천(不俱戴天)의 원수 사이라 할지라도 이 밧줄을 끊는 것은 신 그 자체를 갈기갈기 찢어놓는 일이다. 아무리 악독한 사람에게라도 인간성은 있다. *신은 1900년 전에만 십자가를 졌던 것이 아니고, 오늘도 지고 있고 또 날마다 죽으면서 소생(부활)한다. 2천년 전에 죽은 역사상의 신에게만 의지해야 한다면 그것은 덧없는 위로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역사상의 신을 말하기보다는 오늘 살아 있는 인간을 통해서 신의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신을 심판할 능력을 가진 사람은 없다. 우리는 자비의 무한한 대양(大洋)에 있는 물방울이다. *애국심이란 인류애와 같다. 나는 인간이며 인간적이기 때문에 애국자다. *어떤 사람이든 추위, 더위, 배고픔, 목마름을 이기지 못하고, 불쾌한 일을 참고 견디는 힘이 없다면, 그는 결코 인생의 승리자가 될 수 없다. 그런 사람은 결코 빛나는 명성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인내는 정신의 숨겨진 보배이다. 그것을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이다. *여성의 직관은 때때로 남성의 오만한 지식에서 오는 자부심을 능가한다. 외국 지배의 여러 가지 죄악 가운데 역사상 가장 악랄한 범죄는 피지배 지역에서 모국어를 빼앗는 일이다. 우리들은 정신의 창문을 모든 방면에서 열어놓지 않으면 안 되는데, 거기에서 날려가서는 안 된다. 인간은 누구나 하나님의 피조물(被造物)이다. 누구나 각각 신성한 불멸(不滅)의 힘을 갖고 있다. 일을 선택할 때에는 자신의 소질과 사회의 수요를 함께 생각해 보아야 한다. 전쟁은 절대악이다. 그러나 그것은 확실히 한 가지 좋은 일을 한다. 그것은 공포를 몰아내고 표면상 용기를 자져다 준다. *조국을 위해, 민족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이것만이 나의 희망이요, 나의 목표이다. *지구상의 어떤 나라도 자국의 나쁜 정부보다 다른 나라의 좋은 정부를 원하지 않는다. *진리가 나를 인도해 주는데 무엇이 두려우랴. *진리를 추구하는 사람은 흙보다도 더한 겸허를 지녀야 한다. *진리의 신에 대한 충성은 다른 모든 충성을 능가한다. *진실은 정당한 명분을 결코 해치지 않는다. *추위를 피하거나 더위를 피하는 사람들은 차츰 춥고 더운 것에 대한 저항을 잃게 되고, 그만큼 약한 사람이 된다. -간디 *틈만 나면 이런 기도를 하자. "나에게 사랑할 수 있는 최상의 용기를 주소서. 이것이 나의 기도이옵니다. 말할 수 있는 용기, 행동할 수 있는 용기, 당신의 뜻을 따라 고난을 감수할 수 있는 용기, 일체의 모든 것을 버리고 홀로 남을 수 있는 용기를 주옵소서 " 홀로 서서 세파를 헤쳐 나가는 용기있는 사람으로 거듭나자. -간디 *폭력이 짐승의 법칙인 것 같이 비폭력은 인간의 법칙이다. -간디 *하나님 이외에는 그 누구도, 그 무엇도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 -간디 *한 나라의 위대함은 짐승을 다루는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간디 *훌륭하게 이행된 의무로부터 나오지 않은 권리는 가질 가치가 없다. -간디 4210 2006-03-04T06:37:45Z 220.121.51.68 *권리의 진정한 근원은 의무이다. *기도하는 것은, 늙은 여인의 게으른 넋두리가 아니다. 적당히 이해되고 활용된다면 가장 유력한 도구이다. *나는 살기 위해, 봉사하기 위해, 또 가끔 즐기기 위해 먹은 적은 있어도 향략을 위해서는 먹지 않았다. *나는 인도의 한 시민으로서, 또한 양심을 존중하는 한 사람으로서 이 나라를 위해 정의를 행하고자 한다. 이 신념 때문에 처벌된다면 나는 서슴지 않고 중죄인이 될 명예를 얻고자 할뿐이다. *나에게 가장 고귀한 사랑의 믿음을 주소서. 이것이 나의 기도이옵니다. 죽음으로써 산다는 믿음, 짐으로써 이긴다는 믿음, 연약해 보이는 아름다움 속에 강한 힘이 감추어져 있다는 믿음, 해를 입고도 원수 갚기를 싫어하여 겪는 고통의 존엄한 가치에 대한 믿음을 주옵소서! *나에게 있어서 애국심은 인류에와 동일하다. 나는 인간이요, 인간이기 때문에 애국자이다. *내가 이 세상에서 인정하는 유일한 독재자는 내 속에 있는 양심이다. *노예가 스스로 그 이상 노예가 되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순간, 그의 속박은 사라진다. 그는 자신을 해방시키며 다른 노예에게 그 방법을 가르쳐 준다. 자유와 속박은 정신적 상태이다. *도의(道義)란 전쟁에서는 금지물이다. *만약 한 사람의 인간이 최고의 사랑을 성취한다면, 그것은 수백만의 사람들의 미움을 해소시키는데 충분하다. *만일 우리 모두가 늙은이나 젊은이나 남자나 여자나 모두 진실로 돌아가서, 일할 때나, 식사할 때나, 마실 때나, 놀 때나, 눈을 떴을 때나, 언제든지 그리고 마침내 육체가 진실과 혼연 일체가 된다면 얼마나 아름다울 것인가. *모든 사람의 눈으로부터 온갖 눈물을 닦아내는 것이 나의 소망이다. *무살생·비폭력(Ahimsa)은 가장 위대한 사랑이다. 그것은 최상의 법칙이다. 이것만이 인류를 구하는 유일한 길이다. 비폭력을 믿는 사람은 살아 있는 신을 믿는 사람이다. *문명이란 궁핍을 배가 시키는 것이 아니라 궁핍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오직 문명만이 참 행복과 만족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또 그것은 봉사를 위한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민주주의에 대한 나의 개념은, 그 체제하에서는 가장 약한 자가 가장 강한 자와 똑같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박애(博愛)를 실천하려면 한층 더 커다란 용기가 필요하다. *부당한 법률은 그 자체가 일종의 폭력이다. 그 법률 위반에 대한 체포는 더한 폭력이다. *비폭력은 내 신앙의 제 1조이며, 내 강령의 마지막 조항이다. *비폭력은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자기 정화이다. *비폭력은 악을 행하는 인간의 의지에 얌전하게 복종하는 것이 아니고, 폭력자의 의지에 대해서 온 영혼을 던지는 것이다. *빈자(貧者)에게 있어서 경제는 영적인 것이다. *삶은 죽음에서 생긴다. 보리가 싹트기 위해서는 씨앗이 죽지 않으면 안 된다. *시민의 불복종은 시민의 타고난 권리이다. *신(神)은 만인을 결합시키는 밧줄이다. 설사 불구대천(不俱戴天)의 원수 사이라 할지라도 이 밧줄을 끊는 것은 신 그 자체를 갈기갈기 찢어놓는 일이다. 아무리 악독한 사람에게라도 인간성은 있다. *신은 1900년 전에만 십자가를 졌던 것이 아니고, 오늘도 지고 있고 또 날마다 죽으면서 소생(부활)한다. 2천년 전에 죽은 역사상의 신에게만 의지해야 한다면 그것은 덧없는 위로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역사상의 신을 말하기보다는 오늘 살아 있는 인간을 통해서 신의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신을 심판할 능력을 가진 사람은 없다. 우리는 자비의 무한한 대양(大洋)에 있는 물방울이다. *애국심이란 인류애와 같다. 나는 인간이며 인간적이기 때문에 애국자다. *어떤 사람이든 추위, 더위, 배고픔, 목마름을 이기지 못하고, 불쾌한 일을 참고 견디는 힘이 없다면, 그는 결코 인생의 승리자가 될 수 없다. 그런 사람은 결코 빛나는 명성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인내는 정신의 숨겨진 보배이다. 그것을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이다. *여성의 직관은 때때로 남성의 오만한 지식에서 오는 자부심을 능가한다. *외국 지배의 여러 가지 죄악 가운데 역사상 가장 악랄한 범죄는 피지배 지역에서 모국어를 빼앗는 일이다. *우리들은 정신의 창문을 모든 방면에서 열어놓지 않으면 안 되는데, 거기에서 날려가서는 안 된다. *인간은 누구나 하나님의 피조물(被造物)이다. 누구나 각각 신성한 불멸(不滅)의 힘을 갖고 있다. *일을 선택할 때에는 자신의 소질과 사회의 수요를 함께 생각해 보아야 한다. *전쟁은 절대악이다. 그러나 그것은 확실히 한 가지 좋은 일을 한다. 그것은 공포를 몰아내고 표면상 용기를 자져다 준다. *조국을 위해, 민족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이것만이 나의 희망이요, 나의 목표이다. *지구상의 어떤 나라도 자국의 나쁜 정부보다 다른 나라의 좋은 정부를 원하지 않는다. *진리가 나를 인도해 주는데 무엇이 두려우랴. *진리를 추구하는 사람은 흙보다도 더한 겸허를 지녀야 한다. *진리의 신에 대한 충성은 다른 모든 충성을 능가한다. *진실은 정당한 명분을 결코 해치지 않는다. *추위를 피하거나 더위를 피하는 사람들은 차츰 춥고 더운 것에 대한 저항을 잃게 되고, 그만큼 약한 사람이 된다. -간디 *틈만 나면 이런 기도를 하자. "나에게 사랑할 수 있는 최상의 용기를 주소서. 이것이 나의 기도이옵니다. 말할 수 있는 용기, 행동할 수 있는 용기, 당신의 뜻을 따라 고난을 감수할 수 있는 용기, 일체의 모든 것을 버리고 홀로 남을 수 있는 용기를 주옵소서 " 홀로 서서 세파를 헤쳐 나가는 용기있는 사람으로 거듭나자. -간디 *폭력이 짐승의 법칙인 것 같이 비폭력은 인간의 법칙이다. -간디 *하나님 이외에는 그 누구도, 그 무엇도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 -간디 *한 나라의 위대함은 짐승을 다루는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간디 *훌륭하게 이행된 의무로부터 나오지 않은 권리는 가질 가치가 없다. -간디 4283 2006-06-24T18:00:57Z Truelight 38 [[분류:정치가]] *권리의 진정한 근원은 의무이다. *기도하는 것은, 늙은 여인의 게으른 넋두리가 아니다. 적당히 이해되고 활용된다면 가장 유력한 도구이다. *나는 살기 위해, 봉사하기 위해, 또 가끔 즐기기 위해 먹은 적은 있어도 향략을 위해서는 먹지 않았다. *나는 인도의 한 시민으로서, 또한 양심을 존중하는 한 사람으로서 이 나라를 위해 정의를 행하고자 한다. 이 신념 때문에 처벌된다면 나는 서슴지 않고 중죄인이 될 명예를 얻고자 할뿐이다. *나에게 가장 고귀한 사랑의 믿음을 주소서. 이것이 나의 기도이옵니다. 죽음으로써 산다는 믿음, 짐으로써 이긴다는 믿음, 연약해 보이는 아름다움 속에 강한 힘이 감추어져 있다는 믿음, 해를 입고도 원수 갚기를 싫어하여 겪는 고통의 존엄한 가치에 대한 믿음을 주옵소서! *나에게 있어서 애국심은 인류에와 동일하다. 나는 인간이요, 인간이기 때문에 애국자이다. *내가 이 세상에서 인정하는 유일한 독재자는 내 속에 있는 양심이다. *노예가 스스로 그 이상 노예가 되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순간, 그의 속박은 사라진다. 그는 자신을 해방시키며 다른 노예에게 그 방법을 가르쳐 준다. 자유와 속박은 정신적 상태이다. *도의(道義)란 전쟁에서는 금지물이다. *만약 한 사람의 인간이 최고의 사랑을 성취한다면, 그것은 수백만의 사람들의 미움을 해소시키는데 충분하다. *만일 우리 모두가 늙은이나 젊은이나 남자나 여자나 모두 진실로 돌아가서, 일할 때나, 식사할 때나, 마실 때나, 놀 때나, 눈을 떴을 때나, 언제든지 그리고 마침내 육체가 진실과 혼연 일체가 된다면 얼마나 아름다울 것인가. *모든 사람의 눈으로부터 온갖 눈물을 닦아내는 것이 나의 소망이다. *무살생·비폭력(Ahimsa)은 가장 위대한 사랑이다. 그것은 최상의 법칙이다. 이것만이 인류를 구하는 유일한 길이다. 비폭력을 믿는 사람은 살아 있는 신을 믿는 사람이다. *문명이란 궁핍을 배가 시키는 것이 아니라 궁핍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오직 문명만이 참 행복과 만족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또 그것은 봉사를 위한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민주주의에 대한 나의 개념은, 그 체제하에서는 가장 약한 자가 가장 강한 자와 똑같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박애(博愛)를 실천하려면 한층 더 커다란 용기가 필요하다. *부당한 법률은 그 자체가 일종의 폭력이다. 그 법률 위반에 대한 체포는 더한 폭력이다. *비폭력은 내 신앙의 제 1조이며, 내 강령의 마지막 조항이다. *비폭력은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자기 정화이다. *비폭력은 악을 행하는 인간의 의지에 얌전하게 복종하는 것이 아니고, 폭력자의 의지에 대해서 온 영혼을 던지는 것이다. *빈자(貧者)에게 있어서 경제는 영적인 것이다. *삶은 죽음에서 생긴다. 보리가 싹트기 위해서는 씨앗이 죽지 않으면 안 된다. *시민의 불복종은 시민의 타고난 권리이다. *신(神)은 만인을 결합시키는 밧줄이다. 설사 불구대천(不俱戴天)의 원수 사이라 할지라도 이 밧줄을 끊는 것은 신 그 자체를 갈기갈기 찢어놓는 일이다. 아무리 악독한 사람에게라도 인간성은 있다. *신은 1900년 전에만 십자가를 졌던 것이 아니고, 오늘도 지고 있고 또 날마다 죽으면서 소생(부활)한다. 2천년 전에 죽은 역사상의 신에게만 의지해야 한다면 그것은 덧없는 위로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역사상의 신을 말하기보다는 오늘 살아 있는 인간을 통해서 신의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신을 심판할 능력을 가진 사람은 없다. 우리는 자비의 무한한 대양(大洋)에 있는 물방울이다. *애국심이란 인류애와 같다. 나는 인간이며 인간적이기 때문에 애국자다. *어떤 사람이든 추위, 더위, 배고픔, 목마름을 이기지 못하고, 불쾌한 일을 참고 견디는 힘이 없다면, 그는 결코 인생의 승리자가 될 수 없다. 그런 사람은 결코 빛나는 명성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인내는 정신의 숨겨진 보배이다. 그것을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이다. *여성의 직관은 때때로 남성의 오만한 지식에서 오는 자부심을 능가한다. *외국 지배의 여러 가지 죄악 가운데 역사상 가장 악랄한 범죄는 피지배 지역에서 모국어를 빼앗는 일이다. *우리들은 정신의 창문을 모든 방면에서 열어놓지 않으면 안 되는데, 거기에서 날려가서는 안 된다. *인간은 누구나 하나님의 피조물(被造物)이다. 누구나 각각 신성한 불멸(不滅)의 힘을 갖고 있다. *일을 선택할 때에는 자신의 소질과 사회의 수요를 함께 생각해 보아야 한다. *전쟁은 절대악이다. 그러나 그것은 확실히 한 가지 좋은 일을 한다. 그것은 공포를 몰아내고 표면상 용기를 자져다 준다. *조국을 위해, 민족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이것만이 나의 희망이요, 나의 목표이다. *지구상의 어떤 나라도 자국의 나쁜 정부보다 다른 나라의 좋은 정부를 원하지 않는다. *진리가 나를 인도해 주는데 무엇이 두려우랴. *진리를 추구하는 사람은 흙보다도 더한 겸허를 지녀야 한다. *진리의 신에 대한 충성은 다른 모든 충성을 능가한다. *진실은 정당한 명분을 결코 해치지 않는다. *추위를 피하거나 더위를 피하는 사람들은 차츰 춥고 더운 것에 대한 저항을 잃게 되고, 그만큼 약한 사람이 된다. -간디 *틈만 나면 이런 기도를 하자. "나에게 사랑할 수 있는 최상의 용기를 주소서. 이것이 나의 기도이옵니다. 말할 수 있는 용기, 행동할 수 있는 용기, 당신의 뜻을 따라 고난을 감수할 수 있는 용기, 일체의 모든 것을 버리고 홀로 남을 수 있는 용기를 주옵소서 " 홀로 서서 세파를 헤쳐 나가는 용기있는 사람으로 거듭나자. -간디 *폭력이 짐승의 법칙인 것 같이 비폭력은 인간의 법칙이다. -간디 *하나님 이외에는 그 누구도, 그 무엇도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 -간디 *한 나라의 위대함은 짐승을 다루는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간디 *훌륭하게 이행된 의무로부터 나오지 않은 권리는 가질 가치가 없다. -간디 [[분류:정치가]] 사용자:Alpha for knowledge 1635 4212 2006-03-05T08:33:53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nbsp;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 |} 4217 2006-03-18T13:51:49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s: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 |} 4219 2006-03-26T08:15:12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s: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 곳의 글 수 : [[Special:Statistics|{{NUMBEROFARTICLES}}편]] |- |} 4220 2006-03-26T08:18:34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곳 위키인용집({{SITENAME}})은 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This Site "{{SITENAME}}" needed cleanup.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s: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 곳의 글 수 : [[Special:Statistics|{{NUMBEROFARTICLES}}편]] |- |} 4221 2006-03-26T08:46:15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곳 위키인용집({{SITENAME}})은 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This Site "{{SITENAME}}" needed cleanup.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s: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참고서''' || [[:b: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 곳의 글 수 : [[Special:Statistics|{{NUMBEROFARTICLES}}편]] |- |} 4222 2006-03-26T08:46:41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곳 위키인용집({{SITENAME}})은 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This Site "{{SITENAME}}" needed cleanup.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s: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참고서''' || [[:b: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 곳의 글 수 : [[Special:Statistics|{{NUMBEROFARTICLES}}편]] |- |} 4262 2006-03-31T14:17:06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곳 위키인용집({{SITENAME}})은 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This Site "{{SITENAME}}" needed cleanup.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s: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참고서''' || [[:b: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주 도메인''' || [[oldwikisourc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위키자료집]]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 곳의 글 수 : [[Special:Statistics|{{NUMBEROFARTICLES}}편]] |- |} 4263 2006-04-07T13:27:53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곳 위키인용집({{SITENAME}})은 인터페이스를 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This Site "{{SITENAME}}" is needed interface cleanup.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s: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참고서''' || [[:b: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주 도메인''' || [[oldwikisourc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위키자료집]]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 곳의 글 수 : [[Special:Statistics|{{NUMBEROFARTICLES}}편]] |- |} 4273 2006-05-22T14:47:48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곳 위키인용집({{SITENAME}})은 인터페이스를 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This Site "{{SITENAME}}" is needed interface cleanup.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s: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참고서''' || [[:b: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wikispecies:User:Alpha for knowledge|species]]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주 도메인''' || [[oldwikisourc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위키자료집]]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 곳의 글 수 : [[Special:Statistics|{{NUMBEROFARTICLES}}편]] |- |} 4864 2006-08-26T11:41:16Z Alpha for knowledge 29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곳 위키인용집({{SITENAME}})은 인터페이스를 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This Site "{{SITENAME}}" is needed interface cleanup.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백과''' || [[:w: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en: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en]] || [[:w: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낱말사전''' || [[:wikt:ko:User:Alpha for knowledge|ko]] || [[:wikt:en:User:Alpha for knowledge|en]] || [[:wikt:simpl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simple]] || &nbsp; || &nbsp; ||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자료집''' || [[:s: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인용집''' || [[: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style="background-color:#ccf;"| '''위키참고서''' || [[:b:ko:User:Alpha for knowledge|ko]] || &nbsp; || &nbsp; || &nbsp; || &nbsp; |- | align="center" colspan="5" | [[:m:User:Alpha for knowledge|meta]] | [[:commons:User:Alpha for knowledge|commons]] | [[wikispecies:User:Alpha for knowledge|species]]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 style="background-color:#ccf;"| '''주 도메인''' || [[oldwikisource:User:Korean alpha for knowledge|다국어 위키자료집]] |- |} {| class="toccolours" style="float:center;" |- |이 곳의 글 수 : [[Special:Statistics|{{NUMBEROFARTICLES}}편]] |- |} Wikiquote토론:들머리 1636 4213 2006-03-14T13:46:09Z 220.121.51.68 *[[결혼]] 4841 2006-07-27T21:54:19Z Walter 41 *[[결혼]] == Request == Hi, I am user [[meta:user:Walter]]. I respectfully request this community to consider my following request; I write a newsletter about what is going on in the Wikimedia projects in all languages. It is my hope that every community, like this one, has some people who read [http://www.wikizine.org Wikizine]. Then I can maybe receive some news from those readers about your project and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n inform there community in your own language about the Wikimedia news possibly. I would like to ask this community to include on your local "Village pump" page, community portal or other relevant page a small banner for Wikizine. I could find your local village pump. This is the reason I have posted this here. If a banner is placed on the correct page the change that someone here will think about Wikizine and report some local news will increase highly I suspect. Or that people will take a look and read the Wikimedia news. And maybe even share it locally. Here are the banners; [[meta:Wikizine/banners]] My apologies that this is in English and the Wikizine is also in English. But there is not other way to do this. If there are questions please ask it here. I will be watching this page for at least two weeks from now on frequently. Greeting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7일 (목) 21:54 (UTC) 4843 2006-07-27T22:11:05Z 143.248.220.103 *[[결혼]] == Request == Hi, I am user [[meta:user:Walter]]. I respectfully request this community to consider my following request; I write a newsletter about what is going on in the Wikimedia projects in all languages. It is my hope that every community, like this one, has some people who read [http://www.wikizine.org Wikizine]. Then I can maybe receive some news from those readers about your project and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n inform there community in your own language about the Wikimedia news possibly. I would like to ask this community to include on your local "Village pump" page, community portal or other relevant page a small banner for Wikizine. I could find your local village pump. This is the reason I have posted this here. If a banner is placed on the correct page the change that someone here will think about Wikizine and report some local news will increase highly I suspect. Or that people will take a look and read the Wikimedia news. And maybe even share it locally. Here are the banners; [[meta:Wikizine/banners]] My apologies that this is in English and the Wikizine is also in English. But there is not other way to do this. If there are questions please ask it here. I will be watching this page for at least two weeks from now on frequently. Greeting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7일 (목) 21:54 (UTC) :I added banner at Village pump, [[Wikiquote:사랑방]]. --[[meta:User:Klutzy]], [[사용자:143.248.220.103|143.248.220.103]] 2006년 7월 27일 (목) 22:11 (UTC) 4844 2006-07-27T22:11:33Z 143.248.220.103 == Request == Hi, I am user [[meta:user:Walter]]. I respectfully request this community to consider my following request; I write a newsletter about what is going on in the Wikimedia projects in all languages. It is my hope that every community, like this one, has some people who read [http://www.wikizine.org Wikizine]. Then I can maybe receive some news from those readers about your project and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n inform there community in your own language about the Wikimedia news possibly. I would like to ask this community to include on your local "Village pump" page, community portal or other relevant page a small banner for Wikizine. I could find your local village pump. This is the reason I have posted this here. If a banner is placed on the correct page the change that someone here will think about Wikizine and report some local news will increase highly I suspect. Or that people will take a look and read the Wikimedia news. And maybe even share it locally. Here are the banners; [[meta:Wikizine/banners]] My apologies that this is in English and the Wikizine is also in English. But there is not other way to do this. If there are questions please ask it here. I will be watching this page for at least two weeks from now on frequently. Greeting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7일 (목) 21:54 (UTC) :I added banner at Village pump, [[Wikiquote:사랑방]]. --[[meta:User:Klutzy]], [[사용자:143.248.220.103|143.248.220.103]] 2006년 7월 27일 (목) 22:11 (UTC) 4846 2006-07-27T22:13:36Z Klutzy 42 서명 == Request == Hi, I am user [[meta:user:Walter]]. I respectfully request this community to consider my following request; I write a newsletter about what is going on in the Wikimedia projects in all languages. It is my hope that every community, like this one, has some people who read [http://www.wikizine.org Wikizine]. Then I can maybe receive some news from those readers about your project and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n inform there community in your own language about the Wikimedia news possibly. I would like to ask this community to include on your local "Village pump" page, community portal or other relevant page a small banner for Wikizine. I could find your local village pump. This is the reason I have posted this here. If a banner is placed on the correct page the change that someone here will think about Wikizine and report some local news will increase highly I suspect. Or that people will take a look and read the Wikimedia news. And maybe even share it locally. Here are the banners; [[meta:Wikizine/banners]] My apologies that this is in English and the Wikizine is also in English. But there is not other way to do this. If there are questions please ask it here. I will be watching this page for at least two weeks from now on frequently. Greeting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7일 (목) 21:54 (UTC) :I added banner at Village pump, [[Wikiquote:사랑방]]. --[[사용자:Klutzy|Klutzy]] 2006년 7월 27일 (목) 22:13 (UTC) 4847 2006-07-28T09:26:55Z Walter 41 == Request == Hi, I am user [[meta:user:Walter]]. I respectfully request this community to consider my following request; I write a newsletter about what is going on in the Wikimedia projects in all languages. It is my hope that every community, like this one, has some people who read [http://www.wikizine.org Wikizine]. Then I can maybe receive some news from those readers about your project and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n inform there community in your own language about the Wikimedia news possibly. I would like to ask this community to include on your local "Village pump" page, community portal or other relevant page a small banner for Wikizine. I could find your local village pump. This is the reason I have posted this here. If a banner is placed on the correct page the change that someone here will think about Wikizine and report some local news will increase highly I suspect. Or that people will take a look and read the Wikimedia news. And maybe even share it locally. Here are the banners; [[meta:Wikizine/banners]] My apologies that this is in English and the Wikizine is also in English. But there is not other way to do this. If there are questions please ask it here. I will be watching this page for at least two weeks from now on frequently. Greeting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7일 (목) 21:54 (UTC) :I added banner at Village pump, [[Wikiquote:사랑방]]. --[[사용자:Klutzy|Klutzy]] 2006년 7월 27일 (목) 22:13 (UTC) ::Thanks. And I have added a interwiki link to the EN wikiquote village pump to yours that I see as the masterlist for thi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8일 (금) 09:26 (UTC) 4852 2006-07-30T18:30:11Z Koavf 40 [[Wikiquote토론:들머리]]을(를) [[Wikiquote토론:대문]](으)로 옮김 == Request == Hi, I am user [[meta:user:Walter]]. I respectfully request this community to consider my following request; I write a newsletter about what is going on in the Wikimedia projects in all languages. It is my hope that every community, like this one, has some people who read [http://www.wikizine.org Wikizine]. Then I can maybe receive some news from those readers about your project and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n inform there community in your own language about the Wikimedia news possibly. I would like to ask this community to include on your local "Village pump" page, community portal or other relevant page a small banner for Wikizine. I could find your local village pump. This is the reason I have posted this here. If a banner is placed on the correct page the change that someone here will think about Wikizine and report some local news will increase highly I suspect. Or that people will take a look and read the Wikimedia news. And maybe even share it locally. Here are the banners; [[meta:Wikizine/banners]] My apologies that this is in English and the Wikizine is also in English. But there is not other way to do this. If there are questions please ask it here. I will be watching this page for at least two weeks from now on frequently. Greeting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7일 (목) 21:54 (UTC) :I added banner at Village pump, [[Wikiquote:사랑방]]. --[[사용자:Klutzy|Klutzy]] 2006년 7월 27일 (목) 22:13 (UTC) ::Thanks. And I have added a interwiki link to the EN wikiquote village pump to yours that I see as the masterlist for thi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8일 (금) 09:26 (UTC) 4856 2006-07-31T01:21:16Z PuzzletChung 1 [[Wikiquote토론:대문]]을(를) [[Wikiquote토론:들머리]](으)로 옮김 == Request == Hi, I am user [[meta:user:Walter]]. I respectfully request this community to consider my following request; I write a newsletter about what is going on in the Wikimedia projects in all languages. It is my hope that every community, like this one, has some people who read [http://www.wikizine.org Wikizine]. Then I can maybe receive some news from those readers about your project and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n inform there community in your own language about the Wikimedia news possibly. I would like to ask this community to include on your local "Village pump" page, community portal or other relevant page a small banner for Wikizine. I could find your local village pump. This is the reason I have posted this here. If a banner is placed on the correct page the change that someone here will think about Wikizine and report some local news will increase highly I suspect. Or that people will take a look and read the Wikimedia news. And maybe even share it locally. Here are the banners; [[meta:Wikizine/banners]] My apologies that this is in English and the Wikizine is also in English. But there is not other way to do this. If there are questions please ask it here. I will be watching this page for at least two weeks from now on frequently. Greeting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7일 (목) 21:54 (UTC) :I added banner at Village pump, [[Wikiquote:사랑방]]. --[[사용자:Klutzy|Klutzy]] 2006년 7월 27일 (목) 22:13 (UTC) ::Thanks. And I have added a interwiki link to the EN wikiquote village pump to yours that I see as the masterlist for this. --[[사용자:Walter|Walter]] 2006년 7월 28일 (금) 09:26 (UTC) 결혼 1637 4214 2006-03-14T13:49:20Z 220.121.51.68 * "모든 지식중에서 결혼에 관한 지식이 가장 늦어지고 있다."-발자크 *"연애결혼, 그것은 과오를 아버지로 하고 불가피한 필요를 어머니로 한다."-니체 *"좋은 결혼은 있어도, 즐거운 결혼은 좀체로 없다."-라 로슈푸꼬 4215 2006-03-14T21:04:13Z Thomas 12 Interwiki * "모든 지식중에서 결혼에 관한 지식이 가장 늦어지고 있다."-발자크 *"연애결혼, 그것은 과오를 아버지로 하고 불가피한 필요를 어머니로 한다."-니체 *"좋은 결혼은 있어도, 즐거운 결혼은 좀체로 없다."-라 로슈푸꼬 [[de:Heirat]] [[it:Matrimonio]] [[no:Bryllup]] 사용자토론:Gangleri 1669 4261 2006-03-30T20:14:03Z Gangleri 35 __TOC__ 열역학 1670 4268 2006-05-05T14:56:00Z PuzzletChung 1 [[w:열역학|열역학]]. * “열역학은 그 틀안에서 우주의 모든 것을 다룰 수 있는 유일한 물리 이론이다. 나는 이 이론이 무너질 수 없으리라 믿는다.” &mdash;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Thermodynamics is the only physical theory of universal content whic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pplicability of its basic concepts, I am convinced will never be overthrown.” == 농담 == * 리사가 시간이 지날 수록 에너지가 ‘증가하는’ [[영구 기관]]을 만들고 난 뒤 *: “이 집 안에서는 열역학 법칙을 따라야 한다! (In this house, we obey the laws of thermodynamics!)” &mdash; [[호머 심슨]] * 열역학 법칙에 관한 과학적 농담 *: 제0법칙: 당신은 게임을 해야만 한다. *: 제1법칙: 당신은 이길 수 없다. *: 제2법칙: 당신은 본전밖에 챙길 수 없다. *: 제3법칙: 당신은 게임을 끝낼 수 없다. [[en:Transwiki:Quotes & humor (thermodynamics)]] 4278 2006-06-24T17:53:30Z Truelight 38 [[분류:열역학]] [[w:열역학|열역학]]. * “열역학은 그 틀안에서 우주의 모든 것을 다룰 수 있는 유일한 물리 이론이다. 나는 이 이론이 무너질 수 없으리라 믿는다.” &mdash;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Thermodynamics is the only physical theory of universal content whic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pplicability of its basic concepts, I am convinced will never be overthrown.” == 농담 == * 리사가 시간이 지날 수록 에너지가 ‘증가하는’ [[영구 기관]]을 만들고 난 뒤 *: “이 집 안에서는 열역학 법칙을 따라야 한다! (In this house, we obey the laws of thermodynamics!)” &mdash; [[호머 심슨]] * 열역학 법칙에 관한 과학적 농담 *: 제0법칙: 당신은 게임을 해야만 한다. *: 제1법칙: 당신은 이길 수 없다. *: 제2법칙: 당신은 본전밖에 챙길 수 없다. *: 제3법칙: 당신은 게임을 끝낼 수 없다. [[en:Transwiki:Quotes & humor (thermodynamics)]] [[분류:열역학]] 4279 2006-06-24T17:53:47Z Truelight 38 분류:열역학 -> 과학 [[w:열역학|열역학]]. * “열역학은 그 틀안에서 우주의 모든 것을 다룰 수 있는 유일한 물리 이론이다. 나는 이 이론이 무너질 수 없으리라 믿는다.” &mdash;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Thermodynamics is the only physical theory of universal content whic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pplicability of its basic concepts, I am convinced will never be overthrown.” == 농담 == * 리사가 시간이 지날 수록 에너지가 ‘증가하는’ [[영구 기관]]을 만들고 난 뒤 *: “이 집 안에서는 열역학 법칙을 따라야 한다! (In this house, we obey the laws of thermodynamics!)” &mdash; [[호머 심슨]] * 열역학 법칙에 관한 과학적 농담 *: 제0법칙: 당신은 게임을 해야만 한다. *: 제1법칙: 당신은 이길 수 없다. *: 제2법칙: 당신은 본전밖에 챙길 수 없다. *: 제3법칙: 당신은 게임을 끝낼 수 없다. [[en:Transwiki:Quotes & humor (thermodynamics)]] [[분류:과학]] 토머스 앨바 에디슨 1671 4272 2006-05-21T06:20:48Z PuzzletChung 1 [[토머스 앨바 에디슨]] moved to [[토머스 에디슨]] #REDIRECT [[토머스 에디슨]] 분류:과학 1672 4277 2006-06-24T17:53:05Z Truelight 38 [[분류:주제]] 사용자:Truelight 1673 4280 2006-06-24T17:57:16Z Truelight 38 [[w:ko:사용자:Truelight]] 베니토 무솔리니 1674 4285 2006-06-27T15:21:46Z 61.85.58.59 '''베니토 아미칼레 안드레아 무솔리니'''(1883년 7월 29일 ~ 1945년 4월 28일)는 이탈리아를 통치한 독재자였다. 1922년 로마 입성으로 인해 권력을 잡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에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1945년 4월 28일에 처형되었다. == 관련 항목 == == 바깥 고리 == {{위키백과}} [[bg:Бенито Мусолини]] [[bs:Benito Mussolini]] [[ca:Benito Mussolini]] [[en:Benito Mussolini]] [[es:Benito Mussolini]] [[it:Benito Mussolini]] [[ja:ベニート・ムッソリーニ]] [[pl:Benito Mussolini]] [[pt:Benito Mussolini]] [[ru:Муссолини, Бенито]] [[sl:Benito Mussolini]] 4286 2006-06-27T15:22:25Z 61.85.58.59 /* 바깥 고리 */ '''베니토 아미칼레 안드레아 무솔리니'''(1883년 7월 29일 ~ 1945년 4월 28일)는 이탈리아를 통치한 독재자였다. 1922년 로마 입성으로 인해 권력을 잡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에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1945년 4월 28일에 처형되었다. == 관련 항목 == == 바깥 고리 == {{위키백과|베니토 무솔리니}} [[bg:Бенито Мусолини]] [[bs:Benito Mussolini]] [[ca:Benito Mussolini]] [[en:Benito Mussolini]] [[es:Benito Mussolini]] [[it:Benito Mussolini]] [[ja:ベニート・ムッソリーニ]] [[pl:Benito Mussolini]] [[pt:Benito Mussolini]] [[ru:Муссолини, Бенито]] [[sl:Benito Mussolini]] 사용자:Walter 1780 4840 2006-07-27T21:52:27Z Walter 41 {| | [[Image:Wikizine.png|180px|wikizine]] <tt>An independent internal news bulletin for the members of the Wikimedia community</tt><br><em>[http://cur.wikizine.org Read the most current edition of Wikizine]</em> To subscribe by email [mailto:request@wikizine.org?subject=subscribe click here] or go to [http://www.wikizine.org Wikizine.org].<br> You have news? Pretty please send it to [mailto:ihavenews@wikizine.org ihavenews@wikizine.org]. |} ---- {{babel-2|nl|en-2}} [[Image:Adoptfirefox.jpg|right|400px|Adopt Firefox]] *Timezone: UTC +1 Hi, I am user Walter (Walter Vermeir) form Belgium. My home Wiki is the dutch Wikipedia or "[[wikimedia:wikipedia:nl:Hoofdpagina|Wikipedia NL]]" like we call it. '''I am not active on this wiki''' For more info see my userpage on Wikimedia Meta; [[wikimedia:meta:user:Walter]] === Contact === *My talk page on Meta; [[wikimedia:meta:user:User_talk:Walter]] ---- *[[/request]] 사용자:Klutzy 1781 4845 2006-07-27T22:13:17Z Klutzy 42 사용자문서 인터위키 * [[meta:User:Klutzy]] * [[w:사용자:Klutzy]] Wikiquote:대문 1784 4855 2006-07-31T01:21:16Z PuzzletChung 1 [[Wikiquote:대문]]을(를) [[Wikiquote:들머리]](으)로 옮김 #REDIRECT [[Wikiquote:들머리]] Wikiquote토론:대문 1785 4857 2006-07-31T01:21:16Z PuzzletChung 1 [[Wikiquote토론:대문]]을(를) [[Wikiquote토론:들머리]](으)로 옮김 #REDIRECT [[Wikiquote토론:들머리]] 김정일 1786 4863 2006-08-22T21:49:05Z 221.154.247.219 신념과 의지의 화신 이인모 동지를 우리 당은 잊지 않고 있습니다 5374 2006-09-19T20:49:06Z Thomas 12 +zh 신념과 의지의 화신 이인모 동지를 우리 당은 잊지 않고 있습니다 [[zh:金正日]] 5444 2006-12-26T05:06:33Z 121.133.89.247 == 알려진 것 == *신념과 의지의 화신 이인모 동지를 우리 당은 잊지 않고 있습니다 [[zh:金正日]] 사용자:파란로봇군 1787 4865 2006-08-29T08:57:32Z 파란로봇군 45 위키백과에 주로 활동하는 파란로봇군이라고 합니다. 저에 대해 자세한 정보(주로 위키백과에 관한 이야기)를 알고 싶으시다면 [[:w:사용자:파란로봇군]]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독 1929 5369 2006-09-09T04:17:37Z 220.121.51.77 *니체-"예수교는 인류에게 커다란 저주이며,본질적인 타락이며, 영원한 오점이다. 기독교의 가치관이란 反인간적이고 또한 삶에 적대적인 것이다. 따라서, 예수교는 노예 근성의 소유자들, 나약한 자들, 그리고 무능한 자들에게만 적합한 것일 뿐이다"(인간적인, 너무나도 인간적인 1878)에서 *윌 듀란트-"기독교는 틀림없이 신성하다. 악행과 넌센스로 가득 차 있음에도 불구하고 1700년 동안이나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이상봉-"기독교도들은 이승도 모르면서 저승에 대해 다 알고 있는 듯이 설치고, 제 마음도 모르면서 하늘의 뜻을 다 알고 있는 듯이 설치고, 사랑이 뭔지도 모르면서 하느님의 사랑을 알고 있다고 설치고,같은 인간끼리 대화도 하지 못하면서 하느님과 언제나 대화를 하고 있다고 떠들고, 죄는 사람에게 저질러 놓고서 하느님 앞에 죄인이라고 떠들고, 이세상에 살고 있으면서 이 세상의 잣대로 자기를 판단하지 말라고 떠드는 자들의 집합체이다." *슈바이처-"예수는 머지않아 초자연적인 하나님 나라가 곧 출현하리라고 전했지만, 이 나라는 실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로서의 예수는 오류를 범했다" *토인비-"나는 신의 본질에 대해서 유태의 개념(구약의 하나님)을 믿지 않을뿐더러 그다지 존경하지도 않고 있습니다" *토인비-"신의 전능함을 그럴듯하게 꾸미기 위해 악마도 신이 만든 것이라고 보고 있어, 그러면서도 신은 자기가 만든 악마의 행위에는 책임이 없다는 거야" 5370 2006-09-09T04:17:59Z 220.121.51.77 *니체-"예수교는 인류에게 커다란 저주이며,본질적인 타락이며, 영원한 오점이다. 기독교의 가치관이란 反인간적이고 또한 삶에 적대적인 것이다. 따라서, 예수교는 노예 근성의 소유자들, 나약한 자들, 그리고 무능한 자들에게만 적합한 것일 뿐이다"(인간적인, 너무나도 인간적인 1878)에서 *윌 듀란트-"기독교는 틀림없이 신성하다. 악행과 넌센스로 가득 차 있음에도 불구하고 1700년 동안이나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이상봉-"기독교도들은 이승도 모르면서 저승에 대해 다 알고 있는 듯이 설치고, 제 마음도 모르면서 하늘의 뜻을 다 알고 있는 듯이 설치고, 사랑이 뭔지도 모르면서 하느님의 사랑을 알고 있다고 설치고,같은 인간끼리 대화도 하지 못하면서 하느님과 언제나 대화를 하고 있다고 떠들고, 죄는 사람에게 저질러 놓고서 하느님 앞에 죄인이라고 떠들고, 이세상에 살고 있으면서 이 세상의 잣대로 자기를 판단하지 말라고 떠드는 자들의 집합체이다." *슈바이처-"예수는 머지않아 초자연적인 하나님 나라가 곧 출현하리라고 전했지만, 이 나라는 실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로서의 예수는 오류를 범했다" *토인비-"나는 신의 본질에 대해서 유태의 개념(구약의 하나님)을 믿지 않을뿐더러 그다지 존경하지도 않고 있습니다" *토인비-"신의 전능함을 그럴듯하게 꾸미기 위해 악마도 신이 만든 것이라고 보고 있어, 그러면서도 신은 자기가 만든 악마의 행위에는 책임이 없다는 거야" 위키인용집:사랑방 1930 5371 2006-09-09T04:35:22Z 220.121.51.77 위키인용집에 대한 사랑방입니다. 사용자:Thomas 1931 5372 2006-09-19T20:37:38Z Thomas 12 Contact: [[:de:Benutzer_Diskussion:Thomas|Thomas]] @ German Wikiquote 틀:정리 필요 1932 5376 2006-09-30T07:53:20Z 61.39.162.186 <div class="messagebox cleanup">이 문서는 [{{SERVER}}{{localurl:{{NAMESPACE}}:{{PAGENAME}}|action=edit}} 다듬을] 필요가 있습니다.</div> <includeonly>[[분류:정리가 필요한 문서]]</includeonly><noinclude> [[분류:정리가 필요한 문서|*]] [[분류:위키백과 틀|{{PAGENAME}}]] </noinclude> 사용자:LERK 1933 5377 2006-10-08T06:48:47Z LERK 48 [[w:사용자:LERK]] [[commons:User:LERK]] [[ja:利用者:LERK]] 사용자:Airridi 1934 5378 2006-10-09T08:13:27Z Airridi 49 {| style="background:white; float: right; margin-left: 1em; margin-bottom: 0.5em; width: 252px; border: #99B3FF solid 1px;z-index:1" |- | &nbsp; |- ! Wikiquote |- |align=center| [[:en:User:Airridi|en]] | [[:ko:User:Airridi|ko]] |- | &nbsp; |- ! Wikimedia Projects |- |align=center| [[:w:User:Airridi|wikipedia]] | [[:b:User:Airridi|book]] | '''quote''' | [[:s:User:Airridi|source]] | [[wikt:User:Airridi|wiktionary]] |- |align=center| [[:meta:User:Airridi|meta]] | [[:commons:User:Airridi|commons]] |- | &nbsp; |} {| width="60%" height="60px" style="margin-bottom: 1ex; margin: 0.5em auto; border: solid #6AC07A 1px; background: #CAE5CA;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 #CAE5CA; color: black;" | [[Image:Welcome multilingual Guernsey tourism.jpg|300px]] |- | style="font-size: 16pt;" | '''반갑습니다! / Welcome! / ようこそ! / Bienvenue! <br /><small>¡Bienvenido! / Bem-vindo! / Willkommen!</small>''' |- | 이곳은 아이리디의 WikiBooks 사용자 페이지입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는 [[:w:ko:user:Airridi|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br />This is Airridi's Userpage. You can get more information [[:w:ko:user:Airridi|here]]. <br /> こちらはアイリディ''(Airridi)''の利用者ページです。もっと詳しい内容は[[:w:ko:user:Airridi|こちら]]へ。 <br /> C'est le page d'utilisateur Airridi. Cliquez [[:w:ko:user:Airridi|ici]] pour obtenir plus d'information. <br /> Ésta es la página usuario Airridi. Chascar [[:w:ko:user:Airridi|aquí]] para más información. <br /> Esta é a página do usuário Airridi. Estalar [[:w:ko:user:Airridi|aqui]] para mais informação. <br /> Dieses ist die Benutzerseite des Airridi. Sie können mehr Informationen [[:w:ko:user:Airridi|hier]] erhalten. |- | style="background: #FFFFFF;" | 이 사용자 페이지는 주로 '''사칭'''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것입니다.<br />This user account is probably used to prevent from '''false personation'''. <br />この利用者アカウントは'''詐称'''を未然に防ぐために大体使われます。<br />Ce compte d'utilisateur est probablement employé pour empêcher du personation faux. <br />Esta cuenta del usuario se utiliza probablemente para prevenir del personation falso. <br />Este cliente do usuário é usado provavelmente impedir do personation falso. <br />Dieses Benutzerkonto wird vermutlich verwendet, um am falschen personation zu verhindern |- | style="text-aligh: right;" | <small>You will get a faster response<br /> if you contact me through [[:w:en:User talk:Airridi|my English account's discussion]] or [[:w:ko:사용자토론:Airridi|my Korean account's discussion]].</small> |} [[en:User:Airridi]] 딕 체니 1935 5379 2006-10-24T18:49:31Z Sonnet 54 == 출처 있음 == === 럼스펠드에 대해 === * 내가 자네에게 돈 럼스펠드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건 이걸세. 자네는 결코 어떤 신뢰도 얻지 못할 거야. 그리고 그가 더 많은 일을 맡기는지 보고 자네가 일을 잘 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뿐이네. 만약 그렇다면 자네는 일을 잘 하고 있는 거야. (Here's what I can tell you about Don Rumsfeld. You're never going to get any credit. And you'll only know how well you're doing if he gives you more work. If that happens, you're doing fine.) ** Woodward, ''Bob, State of Denial: Bush at War, Part III'', Simon & Schuster, 2006 리처드 파인먼 1991 5439 2006-10-26T09:59:18Z Peremen 56 위키백과에서 가져옴 * "Dear Mrs. Chown, Ignore your son's attempts to teach you physics. Physics isn't the most important thing. Love is. Best wishes, Richard Feynman." : 친애하는 초운부인. 아드님이 부인께 물리를 가르치려 들면 무시하십시오. 물리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니니까요. 사랑이 가장 중요합니다. 행운을 빕니다. 리차드 파인만" * "Physics is to math what sex is to masturbation." : "물리와 수학과의 관계는 섹스와 자위행위의 관계와 같다." * "Physics is like sex: sure, it may give some practical results, but that's not why we do it." : "물리는 섹스같다. 그걸 하면 실용적인 결과를 얻긴 한다. 그러나 결과물 때문에 그걸 하는 건 아니다." * "Mathematics is not real, but it ''feels'' real. Where is this place?" : "수학은 진짜가 아니지만, 진짜같이 ''느껴진다''. 여기가 어디지?" * "The same equations have the same solutions." (Thus when you have solved a mathematical problem, you can re-use the solution in another physical situation. Feynman was skilled in transforming a problem into one that he could solve.) : "동일한 방정식은 동일한 답을 갖는다." * "When you are solving a problem, ''don't worry''. Now, ''after'' you have solved the problem, then ''that's the time to worry''." : "문제를 풀고 있을 때, ''걱정하지 마라''. 자 문제를 풀어낸 ''이후'' 그때가 바로 걱정을 시작할 때이다." * "The wonderful thing about [[science]] is that it's ''alive''." : "과학이 놀라운 건, 과학은 ''살아있다''는 점이다." * "All [[fundamental]] [[process]]es are reversible." : "모든 근본 현상은 대칭적이다." * "What does it mean, to [[understanding|understand]]? ... I don't know." : "이해한다는 게 뭐냐고? ... 나도 모른다." * "What I cannot create, I do not understand." : "내가 만들어 낼 수 없다면, 난 그걸 이해하지 못한다." * "But I don't ''have'' to know an answer. I don't feel frightened by not knowing things, by being lost in the mysterious universe without having any purpose—which is the way it really is, as far as I can tell, possibly. It doesn't frighten me." : * "To those who do not know mathematics it is difficult to get across a real feeling as to the beauty, the deepest beauty, of nature ... If you want to learn about nature, to appreciate natu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anguage that she speaks in." : "수학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자연의 아름다움, 궁극의 아름다움에 도달한 느낌은 갖기 힘들 것이다. 자연을 배우고 싶다면, 자연을 정말로 이해하고 싶다면, 자연이 말하고 있는 언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 "나는 두번은 못죽을 거야. (죽는다는게) 지루하네" (유언). 사용자:Yes0song 1992 5441 2006-12-07T08:04:59Z Yes0song 62 New page: 한국어 위키백과에 [[w:ko:사용자:Yes0song|사용자 소개글]]이 있습니다. ==관심이 있거나 직접 손댄 문서== *[[%ED%8A%B9%EC%88%98%EA%B8%B0%EB%8A%A5:Contributio... 한국어 위키백과에 [[w:ko:사용자:Yes0song|사용자 소개글]]이 있습니다. ==관심이 있거나 직접 손댄 문서== *[[%ED%8A%B9%EC%88%98%EA%B8%B0%EB%8A%A5:Contributions/Yes0song|한국어판 위키인용집 기여 목록]] 윤치호 1993 5442 2006-12-16T07:50:54Z Nichetas 64 New page: '''윤치호'''(尹致昊, 1865년 1월 16일 - 1945년 12월 9일)는 한국의 정치가이다. 본관은 해평, 호는 좌옹(佐翁)이다. 창씨명은 이토 치카우(伊東致昊)... '''윤치호'''(尹致昊, 1865년 1월 16일 - 1945년 12월 9일)는 한국의 정치가이다. 본관은 해평, 호는 좌옹(佐翁)이다. 창씨명은 이토 치카우(伊東致昊)이다. "우리 조선 민족으로서는 어디까지나 일본을 믿고 피아의 구별이 없어질 때까지 힘쓸 필요가 있는 줄로 생각하고……이후부터는 일본 여러 유지 신사와 교제하여서 일선(日鮮) 민족의 행복되는 일이든지 일선 양 민족의 동화에 대한 계획에는 어디까지 참여하여 힘이 미치는 대로 몸을 아끼지 않고 힘써 볼 생각이다"(《매일신보》, 1915. 3. 14). 105인 사건의 주모자로 체포되었다가 친일 전향을 조건으로 1915년 2월 13일 특사로 출감하면서 매일신보사 기자와 가진 인터뷰의 한 대목이다. [[분류:조선 말기의 정치인]] [[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5443 2006-12-16T07:55:42Z Nichetas 64 '''[[:w:윤치호|윤치호]]'''(尹致昊, 1865년 1월 16일 - 1945년 12월 9일)는 한국의 정치가이다. 본관은 해평, 호는 좌옹(佐翁)이다. 창씨명은 이토 치카우(伊東致昊)이다. "우리 조선 민족으로서는 어디까지나 일본을 믿고 피아의 구별이 없어질 때까지 힘쓸 필요가 있는 줄로 생각하고……이후부터는 일본 여러 유지 신사와 교제하여서 일선(日鮮) 민족의 행복되는 일이든지 일선 양 민족의 동화에 대한 계획에는 어디까지 참여하여 힘이 미치는 대로 몸을 아끼지 않고 힘써 볼 생각이다"(《매일신보》, 1915. 3. 14). 105인 사건의 주모자로 체포되었다가 친일 전향을 조건으로 1915년 2월 13일 특사로 출감하면서 매일신보사 기자와 가진 인터뷰의 한 대목이다. [[분류:조선 말기의 정치인]] [[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토머스 제퍼슨 1994 5450 2006-12-28T08:51:29Z 121.133.90.51 New page: ==알려진것 == *가끔 이러나는 대수롭지 않은 반역은 정부의 건강을 위해서 절대로 필요한 약이다. ==알려진것 == *가끔 이러나는 대수롭지 않은 반역은 정부의 건강을 위해서 절대로 필요한 약이다. 장 파울 1995 5451 2006-12-28T08:51:57Z 121.133.90.51 New page: == 알려진 것 == *가난과 희망은 어머니와 딸이다. 딸과 사귀고 있노라면 어머니는 어느 틈엔가 잊어버리고 만다. == 알려진 것 == *가난과 희망은 어머니와 딸이다. 딸과 사귀고 있노라면 어머니는 어느 틈엔가 잊어버리고 만다. 에머슨 1996 5452 2006-12-28T08:52:29Z 121.133.90.51 New page: ==알려진 것 == *가난은 가난하다고 느끼는 곳에 존재한다. ==알려진 것 == *가난은 가난하다고 느끼는 곳에 존재한다. 세네카 1997 5453 2006-12-28T08:52:54Z 121.133.90.51 New page: ==세네카 == * 가난이란 그리 고생스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을 때 사람들은 비로소 자기의 부를 마음껏 즐길 수 있다. ==세네카 == * 가난이란 그리 고생스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을 때 사람들은 비로소 자기의 부를 마음껏 즐길 수 있다. 주베르 1998 5454 2006-12-28T08:53:13Z 121.133.90.51 New page: ==알려진것 == *가난한 사람은 덕행으로, 부자는 선행으로 이름을 떨쳐야 한다. ==알려진것 == *가난한 사람은 덕행으로, 부자는 선행으로 이름을 떨쳐야 한다. 5455 2006-12-28T08:53:35Z 121.133.90.51 /* 알려진것 */ ==알려진것 == *가난한 사람은 덕행으로, 부자는 선행으로 이름을 떨쳐야 한다. *가르치는 것은 두번 배우는 것이다. 맹자 1999 5456 2006-12-28T08:53:59Z 121.133.90.51 New page: ==알려진것 == *가는 자는 쫓지 말지며, 오는 자는 막지 말라. ==알려진것 == *가는 자는 쫓지 말지며, 오는 자는 막지 말라. 겸손 2000 5457 2006-12-28T08:58:41Z 121.133.90.51 New page: *"겸손한 사람은 언제나 신을 그의 안내자로 삼을 것이다."-번연 *"도가 지나친 겸손은 허영심이다."-폰 코체뷰에 *"아무리 겸손한 사람이라도, ... *"겸손한 사람은 언제나 신을 그의 안내자로 삼을 것이다."-번연 *"도가 지나친 겸손은 허영심이다."-폰 코체뷰에 *"아무리 겸손한 사람이라도, 그를 알고 있는 친한 친구가 그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도 더 깊이 자기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에센바흐) *"인내는 힘이 낳은 딸, 고집은 약함이-다시 말하면 약한 이성이 낳아 놓은 딸이다."-에센바흐 *"인내란, 무거운 짐을 지고 불평 없이 달리고 있는 나귀의 덕이다."-죠지 그랜빌 *"인내를 지닐 수 있는 사람은 그가 바라는 것은 무엇이든 손에 넣을 수가 있다."-프랭클린 *"인내와 시간과 돈이 있으면 안되는 일이 없다. 인내와 온화는 힘이다."-레이 헌트 *"자신이 의식하고 있는 겸손은 죽어 있는 것이다."-에센바흐 *"畵像과 그 그림자와의 관계, 그것은 하나의 사건과 겸손과의 관계와 같다. 왜냐하면 후자는 전자에 힘과 표 현을 주기 때문에."-라 브르예르 5458 2006-12-28T08:59:02Z 121.133.90.51 *"겸손한 사람은 언제나 신을 그의 안내자로 삼을 것이다."-번연 *"도가 지나친 겸손은 허영심이다."-폰 코체뷰에 *"아무리 겸손한 사람이라도, 그를 알고 있는 친한 친구가 그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도 더 깊이 자기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에센바흐 *"인내는 힘이 낳은 딸, 고집은 약함이-다시 말하면 약한 이성이 낳아 놓은 딸이다."-에센바흐 *"인내란, 무거운 짐을 지고 불평 없이 달리고 있는 나귀의 덕이다."-죠지 그랜빌 *"인내를 지닐 수 있는 사람은 그가 바라는 것은 무엇이든 손에 넣을 수가 있다."-프랭클린 *"인내와 시간과 돈이 있으면 안되는 일이 없다. 인내와 온화는 힘이다."-레이 헌트 *"자신이 의식하고 있는 겸손은 죽어 있는 것이다."-에센바흐 *"畵像과 그 그림자와의 관계, 그것은 하나의 사건과 겸손과의 관계와 같다. 왜냐하면 후자는 전자에 힘과 표 현을 주기 때문에."-라 브르예르 계급 2001 5459 2006-12-28T09:01:45Z 121.133.90.51 New page: *"그대들은 씨를 뿌린다. 거두어들이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그대들은 부를 발견했다. 그것들을 모으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그대들은 ... *"그대들은 씨를 뿌린다. 거두어들이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그대들은 부를 발견했다. 그것들을 모으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그대들은 옷감을 짰으나 입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그대들은 무기를 만든다. 쓰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셀리 *"사람은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법률상 자유 및 평등이다."-세계인권선언 *"산이 높다고 해서 귀한 것이 아니다. 나무가 있기 때문에 귀하다. 사람이 살쪘다고 해서 귀한 것이 아니다. 지(知)가 있으므로 귀한 것이다."-러스킨 5460 2006-12-28T09:01:58Z 121.133.90.51 *"그대들은 씨를 뿌린다. 거두어들이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그대들은 부를 발견했다. 그것들을 모으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그대들은 옷감을 짰으나 입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그대들은 무기를 만든다. 쓰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셀리 *"사람은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법률상 자유 및 평등이다."-세계인권선언 *"산이 높다고 해서 귀한 것이 아니다. 나무가 있기 때문에 귀하다. 사람이 살쪘다고 해서 귀한 것이 아니다. 지(知)가 있으므로 귀한 것이다."-러스킨 고독 2002 5461 2006-12-28T09:04:34Z 121.133.90.51 New page: *"고독은 지혜의 최선의 유모다."-로런스 시테르네 *"나는 일찍이 고독만큼 사이좋은 친구를 찾아 본 일이 없다."-H D 도로 *"네가 고독했을 때, ... *"고독은 지혜의 최선의 유모다."-로런스 시테르네 *"나는 일찍이 고독만큼 사이좋은 친구를 찾아 본 일이 없다."-H D 도로 *"네가 고독했을 때, 나는 가장 고독하지 않다."-키케로 *"인간은 사회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영감을 받는 것은 오직 고독에 있어서만 가능하다."-괴테 *"최악의 고독이란, 한 사람의 친우도 없는 것이다."-프랜시스 베이컨 자유구속해방 2003 5462 2006-12-28T09:10:13Z 121.133.90.51 New page: *"만약 제군이 노예의 목에다 쇠사슬을 감는다면, 그 쇠사슬의 한 끝은 제군의 목에 얽혀 붙을 것이다."-에머슨 *"아아, 자유여! 네 이름으로서 ... *"만약 제군이 노예의 목에다 쇠사슬을 감는다면, 그 쇠사슬의 한 끝은 제군의 목에 얽혀 붙을 것이다."-에머슨 *"아아, 자유여! 네 이름으로서 그 얼마나 많은 범죄가 저질러졌는가?"-아담 장느 로랑 *"완전한 자유는 필연적으로 퇴폐를 뜻한다."-허버트 리이드 *"육체의 노예가 된 자가 어찌 자유를 찾겠는가."-세네카 *"자유는 새로운 종교이며 우리들 시대의 종교다."-하이네 *"자유란 모든 특권을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특권이다."-칸트 *"자유야말로 고도한 교양이 싹터 나가는 흙이다."-피프테 *"자유(自由) , 인간은 태어났을 때는 자유다. 그러나 그 후 도처에서 쇠사슬로 묶여진다."-루소 *"자유 정신은 경쟁을 싫어한다. 자유 정신은 자기의 적의 편을 든다."-봐레 리 *"정치적 자유는 우리들의 마음이 자유가 아닐 때는 우리에게 자유를 주지 않는다."-타골 *"편안하게 자유를 누리며 살고 싶다고 생각하거든 없어도 상관없는 사치물을 자기 주변에서 제거하라."-톨스트이 국가 2004 5463 2006-12-28T09:11:45Z 121.133.90.51 New page: *"공화국은 사치로 멸망하며, 전제주의 국가는 빈곤으로 멸망한다."-몽테스키에 *"국가란 인간이나 다름이 없다. 국가도 인간의 가지각색의 성... *"공화국은 사치로 멸망하며, 전제주의 국가는 빈곤으로 멸망한다."-몽테스키에 *"국가란 인간이나 다름이 없다. 국가도 인간의 가지각색의 성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플라톤 *"국가의 가치는 결국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인의 가치다."-J S 밀 *"배가 고파서는 누구나가 애국자가 될 수 없다."-W C 브란 *"부패한 사회에는 많은 법률이 있다."-사무엘 죤슨 근로 2005 5464 2006-12-28T09:31:05Z 121.133.90.51 New page: *그날의 일은 그날 해치우는 것이 나의 일상규칙이다.-웨링턴 *너는 네가 가장 가까이 있는 의무를 수행하라.-킹그슬리 *일을 쫓아라. 일에 쫓... *그날의 일은 그날 해치우는 것이 나의 일상규칙이다.-웨링턴 *너는 네가 가장 가까이 있는 의무를 수행하라.-킹그슬리 *일을 쫓아라. 일에 쫓기지 말라.-프랭클린 *한층 많이 하면 할수록 그만큼 능숙해진다. 다망하면 다망할수록, 그만큼 여가가 생긴다.-허츠리트 5465 2006-12-28T09:31:55Z 121.133.90.51 *"그날의 일은 그날 해치우는 것이 나의 일상규칙이다."-웨링턴 *"너는 네가 가장 가까이 있는 의무를 수행하라."-킹그슬리 *"일을 쫓아라. 일에 쫓기지 말라."-프랭클린 *"한층 많이 하면 할수록 그만큼 능숙해진다. 다망하면 다망할수록, 그만큼 여가가 생긴다."-허츠리트 나폴레옹 2006 5466 2006-12-30T01:57:34Z 203.128.181.58 New page: ==알려진 것== *사람은 그가 입은 제복대로의 인간이 된다. *사람은 덕보다도 악으로 더 쉽게 지배된다. *사람의 처세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 ==알려진 것== *사람은 그가 입은 제복대로의 인간이 된다. *사람은 덕보다도 악으로 더 쉽게 지배된다. *사람의 처세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에 쏠리지 않아야 하며, 동시에 이치에도 쏠리지 않고, 두 가지를 다 억제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사랑에 대한 유일한 승리는 탈출이다. *사치한 생활 속에서 행복을 구하는 것은 마치 그림 속의 태양이 빛을 발하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다. *산다는 것은 곧 고통을 치른다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성실한 사람일수록 자신에게 이기려고 애를 쓰는 법이다. *살아 있는 졸병이 죽은 황제보다 훨씬 가치가 있다. *성격의 씨앗을 뿌리면, 운명의 열매가 열린다. *숙고할 시간을 가져라. 그러나 일단 행동할 시간이 되면 생각을 멈추고 돌진하라. *승리는 노력과 사랑에 의해서만 얻어진다. 승리는 가장 끈기있게 노력하는 사람에게 간다. 어떤 고난의 한가운데 있더라도 노력으로 정복해야 한다. 그것뿐이다. 이것이 진정한 승리의 길이다. *신을 비웃는 자는 어리석은 자이다. *죽음은 아무것도 아니다.그러나 패배자로서 영광없이 사는 것, 그것은 매일 죽는 것이나 다름없다. *승리를 원한다면, 모든 것을 걸어야 한다. *1퍼센트의 가능성, 그것이 나의 길이다.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역사를 지배한 것은 항상 승리의 법칙이었다. 그 외의 다른 법칙은 없다. *숭배의 대상인 동시에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 이것이 통치다. *승부는 언제나 간단하다. 적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간파해야 한다. 그리고 적으로 하여금 원하는 것, 꿈꾸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게 하는 것이다.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자는 이미 패배한 자이다. *비범한 작전이란, 유용한 것과 불가피한 것만을 시도하는 것, 바로 그것이다. *모든 것을 걸어야 한다면, 저 어린 신병들 속에, 최전방에, 내가 던지는 내 목숨이야말로 최후의 카드가 아니겠는가. *왕좌란 벨벳으로 덮은 목판에 불과하다. *사람이란 처음에는 일을 끌고 가지만 조금 있으면 일이 사람을 끌고 가게 된다. *엉터리 행사로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은 감동적인 사상으로 사람을 신복시키는 것보다 훨씬 확실하다. *승리는 대군의 것이다. *아무리 위대한 천재의 능력일지라도 기회가 없으면 소용이 없다. *약속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은 약속을 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가 어느날 마주칠 재난은 우리가 소홀히 보낸 어느 시간에 대한 보복이다. *의지할 만한 것은 남이 아니라 자신의 힘이다.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실패했다고 낙심하지 않는 것이며 성공했다고 지나친 기쁨에 도취되지 않는 것이다. *사람은 그가 입은 제복대로의 인간이 된다. *사치한 생활 속에서 행복을 구하는 것은 마치 그림 속의 태양에서 빛을 기다리는 것과 같다. *비장의 무기가 아직 나의 손에 있다. 그것은 희망이다. *나의 사전에는 불가능이란 단어가 없다. 노동 2007 5467 2006-12-31T00:56:47Z 203.128.181.58 New page: *"가장 탁월한 천분도 무위도식에 의해서 멸망된다."-몽테뉴 *"노동은 생명이며 사상이며 광명이다."-위고 *"노동은 인생을 감미롭게 한다. 노... *"가장 탁월한 천분도 무위도식에 의해서 멸망된다."-몽테뉴 *"노동은 생명이며 사상이며 광명이다."-위고 *"노동은 인생을 감미롭게 한다. 노동을 미워하는 자만이 고뇌를 맛본다."-월 헤름 브르만 *"의심할 여지가 없는 순수한 희열의 하나는 근로 후의 휴식이다."-칸트 *"할 일을 많이 가지고 있지 않는 한 나태를 즐길 수는 없다."-J K 제롬 독서 2008 5468 2006-12-31T01:09:05Z 203.128.181.58 New page: *당신에게 가장 필요한 책은 당신으로 하여금 가장 많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마크 트웨인 *독서같이 값싸게 주어지는 영속적인 쾌락은 또 ... *당신에게 가장 필요한 책은 당신으로 하여금 가장 많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마크 트웨인 *독서같이 값싸게 주어지는 영속적인 쾌락은 또 없다.-몽테뉴 *악서는 읽지 않으려 해도 자주 접촉하게 되지만, 양서는 꼭 읽으려 해도 기회가 뒤로 밀린다는 것이 일반적인 독자들의 현실이다.-쇼펜하우어 *독서는 정신적으로 충실한 사람을 만든다. 사색은 사려깊은 사람을 만든다. 그리고 논술은 확실한 사람을 만든다.-벤자민 플랭클린 *전함없이 해전에서 승리할 수 없는 것 이상으로, 책 없이 사상전에서 이길 수는 없다.-플랭클린 루즈벨트 *과학에서는 최신의 연구서를 읽으라. 문학에서는 최고(最古)의 책을 읽으라. 고전은 항상 새로운 것이다.-리튼 *법률은 죽지만, 책은 죽지 않는다.-리튼 *책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지금까지의 세계 전체가 결국은 책으로 지배되어 왔기 때문이다.-볼테르 *과거의 이 세상 모든 것은, 다만 미개한 민족은 별문제로치고, 거의가 몇 권의 책으로 지배되어 왔다.학자란 책을 독파한 사람, 사상가·천재란 인류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고, 그 전진할 길을 알려 주는 사람들로서 세계라고 하는 책을 직접 독파한 사람을 말한다.-쇼펜하우어 *책이 없다면 신도 침묵을 지키고, 정의는 잠자며, 자연과학은 정지되고, 철학도 문학도 말이 없을 것이다. 신이 인간에게 책이라는 구원의 손을 주지 않았더라면, 지상의 모든 영광은 망각 속에 되묻히고 말았을 것이다.-리처드 베리 *벗삼아 읽은 책 평생의 스승-서울 청량리 지하철의 표어중 *책은 이를 펴보지 않으면 나무 조각이나 다름없다.-영국 속담 *인도의 재보를 준다 해도 독서의 즐거움과는 바꿀 수 없다. 인생은 짧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 책을 읽지 못한다.-러스킨 *친구를 선택하듯이 작가를 선택하라. -w.딜런 *고전 문학은 항상 현대적이다.-리튼 *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 과거의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이다.-데카르트 *읽은 책이 한 권이면 한 권의 이익이 있다. 하루 종일 글을 읽었다면 하루의 이익이 있다.-과문절 *독서와 마음의 관계는 운동과 육체의 관계와 같다.-r 스릴 경 *같은 책을 읽었다는 것은 사람들 사이를 이어주는 끈이다.-에머슨의 일기중 *읽는 것은 빌리는 것을 의미한다. 창작하는 것은 자기가 진 빚을 갚는 일이다.-g.c.리히렌베르크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로크 *독서의 진정한 기쁨은 몇 번이고 그것을 되풀이하여 읽는 데 있다.-h.로렌스 *책 속에 길이 있다.사고(思考)하는 데 필요한 기술, 책을 쓰는 데 필요한 기술뿐만 아니라, 독서하는 데도 필요한 기술이 있다.-디스레일리 *책을 읽되 전부를 삼켜버리지 말고, 한 가지를 무엇에 이용할 것인가를 알아야 한다.-h.입센 *자기의 전력을 다 사용하지 않으면 훌륭한 독서행위라고 할 수 없다. 만일 독서 후에 피로하지 않으면 그 독자는 상식이 없는 것이다.-a.베네트 *천천히 읽는 법을 배워라. 모든 다른 장점들이 적당한 곳에서 따라올 것이다.-w.워크 *많이 읽어라. 그러나 많은 책을 읽지 말라.-c. 폴리니우스 *읽고 표(標)해 두고 배우고 마음속으로 소화시켜라.-영국 국교 기도서 *독서에도 방법이 있다. 수동적 독서법은 효과가 적다. 읽은 것을 눈앞에 그려보도록 해야 한다.-에이버리 *무엇이든 하루에 다섯 시간 독서하라. 그러면 당신은 곧 박식하게 될 것이다.-s.존슨 보즈웰 *책을 읽음에 있어 어찌 장소를 가릴 것이랴.-이 황 *열 번 읽기보다는 한 번 베끼는 편이 낫다.-讀十遍不如字一遍 學林玉露 *서당 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한국 속담 *생각하지 않고 읽는 것은 잘 씹지 않고 먹는 것과 같다.-바이크 *아무리 어려운 글이라도 일백 번 되풀이하여 읽으면 그 참뜻을 스스로 깨우쳐 알게 된다.-朱子訓學育記 *유익한 책이란 독자에게 捕捉을 요구하지 않고는 못 배기게끔 하는 책이다.-볼테르 *책은 반드시 고전적 명저가 아니라도 좋다. 알려지지 않은 책 중에서도 상당히 좋은 책이 있다.-w. 차몬드 *신간 서적이 매우 괘씸한 까닭은 우리의 해묵은 책을 못 읽게 하기 때문이다.-a.쥬벨 *베스트셀러는 평범한 재능인의 금박 입힌 무덤이다.-l.p. 스미드 나쁜 책보다 더 나쁜 도적은 없다.-이탈리아 격언 *아주 중요하다는 책은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대 자신이 무엇을 생각하느냐 하는 것이다.-e. 허버트 *책만큼 매력적인 가구는 없다.-s.스미드 호전드 부인 *책이 없는 방은 영혼이 없는 육체와 같다.-기케로 루보크 *돈이 가득 찬 지갑보다는 책이 가득 찬 서재를 가지는 것이 훨씬 좋아 보인다.-j 릴리 *집은 책으로, 정원은 꽃으로 가득 채워라.-a. 챙 *장서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장한다.-a. 비절 *소유할 수 있는 책 전부를 읽을 수 없는 한, 읽을 수 있는 만큼의 책만을 소유하면 충분하다.-세네카 *큰 서재를 가진 것으로 자기가 학식이 많다고 세상 사람에게 설복하는 것은 허영이다.-j.풀러 *목적이 없는 독서는 산책이지 학습이 아니다.-b. 리튼 *단 한 권의 책밖에는 읽은 적이 없는 사람을 경계하라.-디즈레일리 *우리가 읽어야 할 것은 그 말이 아니라, 그 말 뒤에 있다고 느끼는 사람이다.-s.버틀러 *청년으로서 글을 읽는 것은 울타리 사이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고, 중년으로서 글을 읽는 것은 자기 집 뜰에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으며, 노년에 글을 읽는 것은 발코니에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다. 독서의 깊이가 체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임어당 *책이 없는 궁전에 사는 것보다 책이 있는 마구간에 사는 것이 낫다.-영국 격언 *책을 읽고 싶다는 열성적인 사람과 책을 원하는 지극한 사람과의 사이에는 굉장한 거리가 있다.-g.k. 체스터톤 *사람의 품격이 그 읽는 바의 서적으로 판단되는 것은 마치 그 사귀는 바 벗으로써 판단할 수 있음과 같다.-스마일즈 *지금까지 세계 전체는 책의 지배를 받아 왔다.-볼테르 *독서상우(讀書尙友)-맹자 5469 2006-12-31T01:09:42Z 203.128.181.58 *당신에게 가장 필요한 책은 당신으로 하여금 가장 많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마크 트웨인 *독서같이 값싸게 주어지는 영속적인 쾌락은 또 없다.-몽테뉴 *악서는 읽지 않으려 해도 자주 접촉하게 되지만, 양서는 꼭 읽으려 해도 기회가 뒤로 밀린다는 것이 일반적인 독자들의 현실이다.-쇼펜하우어 *독서는 정신적으로 충실한 사람을 만든다. 사색은 사려깊은 사람을 만든다. 그리고 논술은 확실한 사람을 만든다.-벤자민 플랭클린 *전함없이 해전에서 승리할 수 없는 것 이상으로, 책 없이 사상전에서 이길 수는 없다.-플랭클린 루즈벨트 *과학에서는 최신의 연구서를 읽으라. 문학에서는 최고(最古)의 책을 읽으라. 고전은 항상 새로운 것이다.-리튼 *법률은 죽지만, 책은 죽지 않는다.-리튼 *책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지금까지의 세계 전체가 결국은 책으로 지배되어 왔기 때문이다.-볼테르 *과거의 이 세상 모든 것은, 다만 미개한 민족은 별문제로치고, 거의가 몇 권의 책으로 지배되어 왔다.학자란 책을 독파한 사람, 사상가·천재란 인류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고, 그 전진할 길을 알려 주는 사람들로서 세계라고 하는 책을 직접 독파한 사람을 말한다.-쇼펜하우어 *책이 없다면 신도 침묵을 지키고, 정의는 잠자며, 자연과학은 정지되고, 철학도 문학도 말이 없을 것이다. 신이 인간에게 책이라는 구원의 손을 주지 않았더라면, 지상의 모든 영광은 망각 속에 되묻히고 말았을 것이다.-리처드 베리 *벗삼아 읽은 책 평생의 스승-서울 청량리 지하철의 표어중 *책은 이를 펴보지 않으면 나무 조각이나 다름없다.-영국 속담 *인도의 재보를 준다 해도 독서의 즐거움과는 바꿀 수 없다. 인생은 짧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 책을 읽지 못한다.-러스킨 *친구를 선택하듯이 작가를 선택하라. -w.딜런 *고전 문학은 항상 현대적이다.-리튼 *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 과거의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이다.-데카르트 *읽은 책이 한 권이면 한 권의 이익이 있다. 하루 종일 글을 읽었다면 하루의 이익이 있다.-과문절 *독서와 마음의 관계는 운동과 육체의 관계와 같다.-r 스릴 경 *같은 책을 읽었다는 것은 사람들 사이를 이어주는 끈이다.-에머슨의 일기중 *읽는 것은 빌리는 것을 의미한다. 창작하는 것은 자기가 진 빚을 갚는 일이다.-g.c.리히렌베르크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로크 *독서의 진정한 기쁨은 몇 번이고 그것을 되풀이하여 읽는 데 있다.-h.로렌스 *책 속에 길이 있다.사고(思考)하는 데 필요한 기술, 책을 쓰는 데 필요한 기술뿐만 아니라, 독서하는 데도 필요한 기술이 있다.-디스레일리 *책을 읽되 전부를 삼켜버리지 말고, 한 가지를 무엇에 이용할 것인가를 알아야 한다.-h.입센 *자기의 전력을 다 사용하지 않으면 훌륭한 독서행위라고 할 수 없다. 만일 독서 후에 피로하지 않으면 그 독자는 상식이 없는 것이다.-a.베네트 *천천히 읽는 법을 배워라. 모든 다른 장점들이 적당한 곳에서 따라올 것이다.-w.워크 *많이 읽어라. 그러나 많은 책을 읽지 말라.-c. 폴리니우스 *읽고 표(標)해 두고 배우고 마음속으로 소화시켜라.-영국 국교 기도서 *독서에도 방법이 있다. 수동적 독서법은 효과가 적다. 읽은 것을 눈앞에 그려보도록 해야 한다.-에이버리 *무엇이든 하루에 다섯 시간 독서하라. 그러면 당신은 곧 박식하게 될 것이다.-s.존슨 보즈웰 *책을 읽음에 있어 어찌 장소를 가릴 것이랴.-이 황 *열 번 읽기보다는 한 번 베끼는 편이 낫다.-讀十遍不如字一遍 學林玉露 *서당 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한국 속담 *생각하지 않고 읽는 것은 잘 씹지 않고 먹는 것과 같다.-바이크 *아무리 어려운 글이라도 일백 번 되풀이하여 읽으면 그 참뜻을 스스로 깨우쳐 알게 된다.-朱子訓學育記 *유익한 책이란 독자에게 捕捉을 요구하지 않고는 못 배기게끔 하는 책이다.-볼테르 *책은 반드시 고전적 명저가 아니라도 좋다. 알려지지 않은 책 중에서도 상당히 좋은 책이 있다.-w. 차몬드 *신간 서적이 매우 괘씸한 까닭은 우리의 해묵은 책을 못 읽게 하기 때문이다.-a.쥬벨 *베스트셀러는 평범한 재능인의 금박 입힌 무덤이다.-l.p. 스미드 *나쁜 책보다 더 나쁜 도적은 없다.-이탈리아 격언 *아주 중요하다는 책은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대 자신이 무엇을 생각하느냐 하는 것이다.-e. 허버트 *책만큼 매력적인 가구는 없다.-s.스미드 호전드 부인 *책이 없는 방은 영혼이 없는 육체와 같다.-기케로 루보크 *돈이 가득 찬 지갑보다는 책이 가득 찬 서재를 가지는 것이 훨씬 좋아 보인다.-j 릴리 *집은 책으로, 정원은 꽃으로 가득 채워라.-a. 챙 *장서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장한다.-a. 비절 *소유할 수 있는 책 전부를 읽을 수 없는 한, 읽을 수 있는 만큼의 책만을 소유하면 충분하다.-세네카 *큰 서재를 가진 것으로 자기가 학식이 많다고 세상 사람에게 설복하는 것은 허영이다.-j.풀러 *목적이 없는 독서는 산책이지 학습이 아니다.-b. 리튼 *단 한 권의 책밖에는 읽은 적이 없는 사람을 경계하라.-디즈레일리 *우리가 읽어야 할 것은 그 말이 아니라, 그 말 뒤에 있다고 느끼는 사람이다.-s.버틀러 *청년으로서 글을 읽는 것은 울타리 사이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고, 중년으로서 글을 읽는 것은 자기 집 뜰에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으며, 노년에 글을 읽는 것은 발코니에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다. 독서의 깊이가 체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임어당 *책이 없는 궁전에 사는 것보다 책이 있는 마구간에 사는 것이 낫다.-영국 격언 *책을 읽고 싶다는 열성적인 사람과 책을 원하는 지극한 사람과의 사이에는 굉장한 거리가 있다.-g.k. 체스터톤 *사람의 품격이 그 읽는 바의 서적으로 판단되는 것은 마치 그 사귀는 바 벗으로써 판단할 수 있음과 같다.-스마일즈 *지금까지 세계 전체는 책의 지배를 받아 왔다.-볼테르 *독서상우(讀書尙友)-맹자 5470 2006-12-31T01:11:35Z 203.128.181.58 *당신에게 가장 필요한 책은 당신으로 하여금 가장 많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마크 트웨인 *독서같이 값싸게 주어지는 영속적인 쾌락은 또 없다.-몽테뉴 *악서는 읽지 않으려 해도 자주 접촉하게 되지만, 양서는 꼭 읽으려 해도 기회가 뒤로 밀린다는 것이 일반적인 독자들의 현실이다.-쇼펜하우어 *독서는 정신적으로 충실한 사람을 만든다. 사색은 사려깊은 사람을 만든다. 그리고 논술은 확실한 사람을 만든다.-벤자민 플랭클린 *전함없이 해전에서 승리할 수 없는 것 이상으로, 책 없이 사상전에서 이길 수는 없다.-플랭클린 루즈벨트 *과학에서는 최신의 연구서를 읽으라. 문학에서는 최고(最古)의 책을 읽으라. 고전은 항상 새로운 것이다.-리튼 *법률은 죽지만, 책은 죽지 않는다.-리튼 *책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지금까지의 세계 전체가 결국은 책으로 지배되어 왔기 때문이다.-볼테르 *과거의 이 세상 모든 것은, 다만 미개한 민족은 별문제로치고, 거의가 몇 권의 책으로 지배되어 왔다.학자란 책을 독파한 사람, 사상가·천재란 인류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고, 그 전진할 길을 알려 주는 사람들로서 세계라고 하는 책을 직접 독파한 사람을 말한다.-쇼펜하우어 * 책이 없다면 신도 침묵을 지키고, 정의는 잠자며, 자연과학은 정지되고, 철학도 문학도 말이 없을 것이다. 신이 인간에게 책이라는 구원의 손을 주지 않았더라면, 지상의 모든 영광은 망각 속에 되묻히고 말았을 것이다.-리처드 베리 *벗삼아 읽은 책 평생의 스승-서울 청량리 지하철의 표어중 *책은 이를 펴보지 않으면 나무 조각이나 다름없다.-영국 속담 *인도의 재보를 준다 해도 독서의 즐거움과는 바꿀 수 없다. 인생은 짧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 책을 읽지 못한다.-러스킨 *친구를 선택하듯이 작가를 선택하라. -w.딜런 *고전 문학은 항상 현대적이다.-리튼 *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 과거의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이다.-데카르트 *읽은 책이 한 권이면 한 권의 이익이 있다. 하루 종일 글을 읽었다면 하루의 이익이 있다.-과문절 *독서와 마음의 관계는 운동과 육체의 관계와 같다.-r 스릴 경 *같은 책을 읽었다는 것은 사람들 사이를 이어주는 끈이다.-에머슨의 일기중 *읽는 것은 빌리는 것을 의미한다. 창작하는 것은 자기가 진 빚을 갚는 일이다.-g.c.리히렌베르크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로크 *독서의 진정한 기쁨은 몇 번이고 그것을 되풀이하여 읽는 데 있다.-h.로렌스 *책 속에 길이 있다.사고(思考)하는 데 필요한 기술, 책을 쓰는 데 필요한 기술뿐만 아니라, 독서하는 데도 필요한 기술이 있다.-디스레일리 *책을 읽되 전부를 삼켜버리지 말고, 한 가지를 무엇에 이용할 것인가를 알아야 한다.-h.입센 *자기의 전력을 다 사용하지 않으면 훌륭한 독서행위라고 할 수 없다. 만일 독서 후에 피로하지 않으면 그 독자는 상식이 없는 것이다.-a.베네트 *천천히 읽는 법을 배워라. 모든 다른 장점들이 적당한 곳에서 따라올 것이다.-w.워크 *많이 읽어라. 그러나 많은 책을 읽지 말라.-c. 폴리니우스 *읽고 표(標)해 두고 배우고 마음속으로 소화시켜라.-영국 국교 기도서 *독서에도 방법이 있다. 수동적 독서법은 효과가 적다. 읽은 것을 눈앞에 그려보도록 해야 한다.-에이버리 *무엇이든 하루에 다섯 시간 독서하라. 그러면 당신은 곧 박식하게 될 것이다.-s.존슨 보즈웰 *책을 읽음에 있어 어찌 장소를 가릴 것이랴.-이 황 *열 번 읽기보다는 한 번 베끼는 편이 낫다.-讀十遍不如字一遍 學林玉露 *서당 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한국 속담 *생각하지 않고 읽는 것은 잘 씹지 않고 먹는 것과 같다.-바이크 *아무리 어려운 글이라도 일백 번 되풀이하여 읽으면 그 참뜻을 스스로 깨우쳐 알게 된다.-朱子訓學育記 *유익한 책이란 독자에게 捕捉을 요구하지 않고는 못 배기게끔 하는 책이다.-볼테르 *책은 반드시 고전적 명저가 아니라도 좋다. 알려지지 않은 책 중에서도 상당히 좋은 책이 있다.-w. 차몬드 *신간 서적이 매우 괘씸한 까닭은 우리의 해묵은 책을 못 읽게 하기 때문이다.-a.쥬벨 *베스트셀러는 평범한 재능인의 금박 입힌 무덤이다.-l.p. 스미드 *나쁜 책보다 더 나쁜 도적은 없다.-이탈리아 격언 *아주 중요하다는 책은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대 자신이 무엇을 생각하느냐 하는 것이다.-e. 허버트 *책만큼 매력적인 가구는 없다.-s.스미드 호전드 부인 *책이 없는 방은 영혼이 없는 육체와 같다.-기케로 루보크 *돈이 가득 찬 지갑보다는 책이 가득 찬 서재를 가지는 것이 훨씬 좋아 보인다.-j 릴리 *집은 책으로, 정원은 꽃으로 가득 채워라.-a. 챙 *장서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장한다.-a. 비절 *소유할 수 있는 책 전부를 읽을 수 없는 한, 읽을 수 있는 만큼의 책만을 소유하면 충분하다.-세네카 *큰 서재를 가진 것으로 자기가 학식이 많다고 세상 사람에게 설복하는 것은 허영이다.-j.풀러 *목적이 없는 독서는 산책이지 학습이 아니다.-b. 리튼 *단 한 권의 책밖에는 읽은 적이 없는 사람을 경계하라.-디즈레일리 *우리가 읽어야 할 것은 그 말이 아니라, 그 말 뒤에 있다고 느끼는 사람이다.-s.버틀러 *청년으로서 글을 읽는 것은 울타리 사이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고, 중년으로서 글을 읽는 것은 자기 집 뜰에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으며, 노년에 글을 읽는 것은 발코니에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다. 독서의 깊이가 체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임어당 *책이 없는 궁전에 사는 것보다 책이 있는 마구간에 사는 것이 낫다.-영국 격언 *책을 읽고 싶다는 열성적인 사람과 책을 원하는 지극한 사람과의 사이에는 굉장한 거리가 있다.-g.k. 체스터톤 *사람의 품격이 그 읽는 바의 서적으로 판단되는 것은 마치 그 사귀는 바 벗으로써 판단할 수 있음과 같다.-스마일즈 *지금까지 세계 전체는 책의 지배를 받아 왔다.-볼테르 *독서상우(讀書尙友)-맹자 5471 2006-12-31T01:11:48Z 203.128.181.58 *당신에게 가장 필요한 책은 당신으로 하여금 가장 많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마크 트웨인 *독서같이 값싸게 주어지는 영속적인 쾌락은 또 없다.-몽테뉴 *악서는 읽지 않으려 해도 자주 접촉하게 되지만, 양서는 꼭 읽으려 해도 기회가 뒤로 밀린다는 것이 일반적인 독자들의 현실이다.-쇼펜하우어 *독서는 정신적으로 충실한 사람을 만든다. 사색은 사려깊은 사람을 만든다. 그리고 논술은 확실한 사람을 만든다.-벤자민 플랭클린 *전함없이 해전에서 승리할 수 없는 것 이상으로, 책 없이 사상전에서 이길 수는 없다.-플랭클린 루즈벨트 *과학에서는 최신의 연구서를 읽으라. 문학에서는 최고(最古)의 책을 읽으라. 고전은 항상 새로운 것이다.-리튼 *법률은 죽지만, 책은 죽지 않는다.-리튼 *책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지금까지의 세계 전체가 결국은 책으로 지배되어 왔기 때문이다.-볼테르 *과거의 이 세상 모든 것은, 다만 미개한 민족은 별문제로치고, 거의가 몇 권의 책으로 지배되어 왔다.학자란 책을 독파한 사람, 사상가·천재란 인류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고, 그 전진할 길을 알려 주는 사람들로서 세계라고 하는 책을 직접 독파한 사람을 말한다.-쇼펜하우어 * 책이 없다면 신도 침묵을 지키고, 정의는 잠자며, 자연과학은 정지되고, 철학도 문학도 말이 없을 것이다.신이 인간에게 책이라는 구원의 손을 주지 않았더라면, 지상의 모든 영광은 망각 속에 되묻히고 말았을 것이다.-리처드 베리 *벗삼아 읽은 책 평생의 스승-서울 청량리 지하철의 표어중 *책은 이를 펴보지 않으면 나무 조각이나 다름없다.-영국 속담 *인도의 재보를 준다 해도 독서의 즐거움과는 바꿀 수 없다. 인생은 짧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 책을 읽지 못한다.-러스킨 *친구를 선택하듯이 작가를 선택하라. -w.딜런 *고전 문학은 항상 현대적이다.-리튼 *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 과거의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이다.-데카르트 *읽은 책이 한 권이면 한 권의 이익이 있다. 하루 종일 글을 읽었다면 하루의 이익이 있다.-과문절 *독서와 마음의 관계는 운동과 육체의 관계와 같다.-r 스릴 경 *같은 책을 읽었다는 것은 사람들 사이를 이어주는 끈이다.-에머슨의 일기중 *읽는 것은 빌리는 것을 의미한다. 창작하는 것은 자기가 진 빚을 갚는 일이다.-g.c.리히렌베르크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로크 *독서의 진정한 기쁨은 몇 번이고 그것을 되풀이하여 읽는 데 있다.-h.로렌스 *책 속에 길이 있다.사고(思考)하는 데 필요한 기술, 책을 쓰는 데 필요한 기술뿐만 아니라, 독서하는 데도 필요한 기술이 있다.-디스레일리 *책을 읽되 전부를 삼켜버리지 말고, 한 가지를 무엇에 이용할 것인가를 알아야 한다.-h.입센 *자기의 전력을 다 사용하지 않으면 훌륭한 독서행위라고 할 수 없다. 만일 독서 후에 피로하지 않으면 그 독자는 상식이 없는 것이다.-a.베네트 *천천히 읽는 법을 배워라. 모든 다른 장점들이 적당한 곳에서 따라올 것이다.-w.워크 *많이 읽어라. 그러나 많은 책을 읽지 말라.-c. 폴리니우스 *읽고 표(標)해 두고 배우고 마음속으로 소화시켜라.-영국 국교 기도서 *독서에도 방법이 있다. 수동적 독서법은 효과가 적다. 읽은 것을 눈앞에 그려보도록 해야 한다.-에이버리 *무엇이든 하루에 다섯 시간 독서하라. 그러면 당신은 곧 박식하게 될 것이다.-s.존슨 보즈웰 *책을 읽음에 있어 어찌 장소를 가릴 것이랴.-이 황 *열 번 읽기보다는 한 번 베끼는 편이 낫다.-讀十遍不如字一遍 學林玉露 *서당 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한국 속담 *생각하지 않고 읽는 것은 잘 씹지 않고 먹는 것과 같다.-바이크 *아무리 어려운 글이라도 일백 번 되풀이하여 읽으면 그 참뜻을 스스로 깨우쳐 알게 된다.-朱子訓學育記 *유익한 책이란 독자에게 捕捉을 요구하지 않고는 못 배기게끔 하는 책이다.-볼테르 *책은 반드시 고전적 명저가 아니라도 좋다. 알려지지 않은 책 중에서도 상당히 좋은 책이 있다.-w. 차몬드 *신간 서적이 매우 괘씸한 까닭은 우리의 해묵은 책을 못 읽게 하기 때문이다.-a.쥬벨 *베스트셀러는 평범한 재능인의 금박 입힌 무덤이다.-l.p. 스미드 *나쁜 책보다 더 나쁜 도적은 없다.-이탈리아 격언 *아주 중요하다는 책은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대 자신이 무엇을 생각하느냐 하는 것이다.-e. 허버트 *책만큼 매력적인 가구는 없다.-s.스미드 호전드 부인 *책이 없는 방은 영혼이 없는 육체와 같다.-기케로 루보크 *돈이 가득 찬 지갑보다는 책이 가득 찬 서재를 가지는 것이 훨씬 좋아 보인다.-j 릴리 *집은 책으로, 정원은 꽃으로 가득 채워라.-a. 챙 *장서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장한다.-a. 비절 *소유할 수 있는 책 전부를 읽을 수 없는 한, 읽을 수 있는 만큼의 책만을 소유하면 충분하다.-세네카 *큰 서재를 가진 것으로 자기가 학식이 많다고 세상 사람에게 설복하는 것은 허영이다.-j.풀러 *목적이 없는 독서는 산책이지 학습이 아니다.-b. 리튼 *단 한 권의 책밖에는 읽은 적이 없는 사람을 경계하라.-디즈레일리 *우리가 읽어야 할 것은 그 말이 아니라, 그 말 뒤에 있다고 느끼는 사람이다.-s.버틀러 *청년으로서 글을 읽는 것은 울타리 사이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고, 중년으로서 글을 읽는 것은 자기 집 뜰에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으며, 노년에 글을 읽는 것은 발코니에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다. 독서의 깊이가 체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임어당 *책이 없는 궁전에 사는 것보다 책이 있는 마구간에 사는 것이 낫다.-영국 격언 *책을 읽고 싶다는 열성적인 사람과 책을 원하는 지극한 사람과의 사이에는 굉장한 거리가 있다.-g.k. 체스터톤 *사람의 품격이 그 읽는 바의 서적으로 판단되는 것은 마치 그 사귀는 바 벗으로써 판단할 수 있음과 같다.-스마일즈 *지금까지 세계 전체는 책의 지배를 받아 왔다.-볼테르 *독서상우(讀書尙友)-맹자 이순신 2009 5475 2007-01-06T12:32:28Z 121.133.90.51 New page: ==알려진 것== *집안이 나쁘다고 탓아지마라 *머리가 나쁘다 말하지마라 *좋은 직위가 아니라고 불평하지말하 *윗사람의 지시라 어쩔 수 없다... ==알려진 것== *집안이 나쁘다고 탓아지마라 *머리가 나쁘다 말하지마라 *좋은 직위가 아니라고 불평하지말하 *윗사람의 지시라 어쩔 수 없다고 말하지말라 *몸이 약하다고 고민 하지 마라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고 불평하지말라 *조직의 지원이 없다고 실망하지말라 *윗사람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불만 갖지말라 *자본이 없다고 절망하지말라 *옳지 못한 방법으로 가족을 사랑한다 말하지말라 *죽음이 두렵다고 말하지말라 5476 2007-01-06T12:34:05Z 121.133.90.51 Removing all content from page 5477 2007-01-06T12:38:58Z 121.133.90.51 == 알려진 것 == * 나를 알고 적을 알아야만 백 번 싸워도 위태함이 없다. * 만일 골라잡은 군졸들을 용지지장에게 맡겨 평소부터 정세에 따라 잘 지도만 하였다면 이처럼 큰 사변을 당하지는 않았사오리다. * 바다에 호국의 충성을 서약하니 어룡조차 감동하여 꿈틀거리고 태산에 맹세하니 초목도 다 알아채더라. * 분별없이 행동하지 말고 산처럼 무겁고 조용하게 일을 해야 한다. * 비가 오다 말다 했다. 아침에 흰 머리털 여남은 오라기를 뽑았다. 흰 머리털이 무엇이 어떠냐마는 다만 위로 늙으신 어머님이 계시기 때문이다. 5478 2007-01-11T13:21:54Z Theoteryi 65 :S == 알려진 것 == * 나를 알고 적을 알아야만 백 번 싸워도 위태함이 없다. * 만일 골라잡은 군졸들을 용지지장에게 맡겨 평소부터 정세에 따라 잘 지도만 하였다면 이처럼 큰 사변을 당하지는 않았사오리다. * 바다에 호국의 충성을 서약하니 어룡조차 감동하여 꿈틀거리고 태산에 맹세하니 초목도 다 알아채더라. * 분별없이 행동하지 말고 산처럼 무겁고 조용하게 일을 해야 한다. * 비가 오다 말다 했다. 아침에 흰 머리털 여남은 오라기를 뽑았다. 흰 머리털이 무엇이 어떠냐마는 다만 위로 늙으신 어머님이 계시기 때문이다. [[분류:격언]] 5479 2007-01-11T13:22:20Z Theoteryi 65 이게 아닌데 == 알려진 것 == * 나를 알고 적을 알아야만 백 번 싸워도 위태함이 없다. * 만일 골라잡은 군졸들을 용지지장에게 맡겨 평소부터 정세에 따라 잘 지도만 하였다면 이처럼 큰 사변을 당하지는 않았사오리다. * 바다에 호국의 충성을 서약하니 어룡조차 감동하여 꿈틀거리고 태산에 맹세하니 초목도 다 알아채더라. * 분별없이 행동하지 말고 산처럼 무겁고 조용하게 일을 해야 한다. * 비가 오다 말다 했다. 아침에 흰 머리털 여남은 오라기를 뽑았다. 흰 머리털이 무엇이 어떠냐마는 다만 위로 늙으신 어머님이 계시기 때문이다. [[분류:명언]] 분류:명언 2010 5480 2007-01-11T13:22:32Z Theoteryi 65 New page: [[분류:매체]] [[분류:매체]] 마태복음 강해 2011 5481 2007-01-12T05:16:12Z Kkaisokum 67 New page: <TABLE style="BORDER-RIGHT: #BED9AA 15px ridge; BORDER-TOP: #BED9AA 15px ridge; BORDER-LEFT: #BED9AA 15px ridge; BORDER-BOTTOM: #BED9AA 15px ridge; BACKGROUND-COLOR: #ffffff" width=580 hei... <TABLE style="BORDER-RIGHT: #BED9AA 15px ridge; BORDER-TOP: #BED9AA 15px ridge; BORDER-LEFT: #BED9AA 15px ridge; BORDER-BOTTOM: #BED9AA 15px ridge; BACKGROUND-COLOR: #ffffff" width=580 height=0><TBODY><TR><TD><TABLE cellSpacing=3 cellPadding=25 bgColor=white background="http://static4.grsites.com/textures/beige/beige069.gif" border=0><TBODY><TR><TD><table bgcolor="white" border="7" bordercolor="DAEAC8" cellpadding="2" cellspacing="2" width="580"><tr><td><TABLE cellSpacing=1 cellPadding=1 bgColor=white border=0><TR><TD WIDTH="100%"><center><img src="http://i.photo.empas.com/englandy/englandy_7/sp/156/%C3%B5%C1%F6%C3%A2%C1%B6%20%BB%E7%C1%F8.jpg" border=0 width="580" height="430"></center><p><br> <P><BR> <P><BR> <P><BR><PRE><UL><SPAN style="FONT-SIZE:9pt; LETTER-SPACING:0px"><FONT style="FONT-SIZE:9pt; LINE-HEIGHT: 16pt" face=굴림체>들어가는 말</FONT></SPAN> <SPAN style="FONT-SIZE:15pt; LETTER-SPACING:-2px"><FONT style="FONT-SIZE:15pt; LINE-HEIGHT:18pt" face=바탕체 color=brown><B>말씀 안으로</B></SPAN></FONT> <P> <P> <P> <P><SPAN style="FONT-SIZE:10pt; LETTER-SPACING:-1px"><FONT style="FONT-SIZE:10pt; LINE-HEIGHT:15pt" face="굴림체" color=red>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요 1:1)</font></span> <P> <P> <P> <P><SPAN style="FONT-SIZE:10pt; LETTER-SPACING:-1px"><FONT style="FONT-SIZE:10pt; LINE-HEIGHT:15pt" face="바탕체" color=#314732> 요한복음 1장 1절은 말씀에 대한 세가지 사상(事象)을 우리에게 전달하고 있다. 그 첫째는 말씀이 계시는 위치이며, 둘째는 말씀이 지향하는 방향,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말씀과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P> 먼저 말씀이 존재하는 위치에서부터 말을 풀어가 보자. 우리말 번역에는 '태초에'로 표현되어 있어 시간의 의미만 담고 있지만, 즉 말씀이 세상 만물의 창조 이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는 의미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지만, 사실「엔 아르케」(<font face=supergreek size=3>ejn ajrchv</font>)의 의미는 시간 뿐만 아니라 공간 차원에도 적용할 수 있다. <P> 기원전 5-6세기의 헬라 철학이 탐구의 주제로 삼은 것 중의 하나가「아르케」였음을 생각해 본다면, 그래서「아르케」라는 단어의 의미가「세계의 근본원질」등의 의미로 폭넓게 사용되어 왔음을 감안한다면, 요한복음 1장 1절의「엔 아르케」 (<font face=supergreek size=3>ejn ajrchv</font>)를 시간적인 의미로만 번역한 것은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요사이의 물리학적 용어를 빌린다면「아르케」는 '시공간의 근원'이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P> 물론「아르케」(<font face=supergreek size=3>ajrchv</font>)란 단어 하나를 번역하면서 '시공간의 근원' 같이 두 단어 이상으로 의미를 풀어낼 수는 없다. 이렇게 되면 번역이아니라 주석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렇다고「아르케」에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우리말을 찾는다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므로 번역에 종사하는 분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한다. 언어의 체계가 다르고 생각을 풀어가는 방법이 다른 두세계를 서로 연결한다는 것은 정말 새로운 창작이고 그것 자체로 예술이다. <P> 그렇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무엇보다 번역 작품을 읽는 독자들의 자세가 바로서야 할 것이다. 번역은 원전에 대한 하나의 해석이며, 그 해석은 번역자의 예술성에 전적으로 의존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성경의 영어 번역본은 이미 수십가지에 이르고 한글 번역본도 이래저래 열가지를 넘어서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번역의 어려움과 한계를 알 수 있을 것이다. <P> 여기서도 우리는 마음의 문을 열고 서로 다른 번역들을 참고하면서 원래 성경 저자들이 나타내고자 했던 생각들을 따라가야 할 줄 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을 믿는 개개인이 자신의 예술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자신의 성경을 하나씩 만들수 있어야 할 것이다. <P> 오늘 이 세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정작 중요한 것은 물질적인 풍요가 아니다. 국민소득이 만달러를 넘어서고 집집마다 한대씩 자가용을 몰고 돌아다니는 세상이 되었지만, 세상살기는 여전히 힘들고 정신적인 황폐와 빈곤은 단군 이래 그 아느 때 보다 심각한 형편이다. <P> 오늘 우리들은 임금 인상률을 5%로 할 것이냐 10%로 할 것이냐 보다는, 「엔 아르케」(<font face=supergreek size=3>ejn ajrchv</font>)의 의미가 무엇이며, 「호 로고스」(<font face=supergreek size=3>oJ lovgo"</font>)의 뜻이 무엇인지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P> 물론 이렇게 살면 서상적인 관점에서 잘 먹고 잘 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고기 대신 나물을 먹으면 무슨 대수이며,그 흔한 비디오도 한대없이 산다고 또 무슨 대수이랴. 오늘날 세상은 흔히 물질적인 풍요가 인생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줄 듯이 큰소리를 치고 있지만, 사실은 그 물질적인 풍요를 위하여 전심전력 움직이는 데서 인생의 온갖 문제가 파생되어 나온다는 것을 직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P> 모든 사람이 물질의 풍요를 향하여 줄달음치고 있으면서, 윤리 도덕의 타락을 나무라고, 인신매매 같은 강력 범죄의 발생을 개탄하고 있다. 오늘 우리 대다수의 삶이 지향하고 있는 이런 물질의 풍요를 버리기 전에는 그 어떤 대책이나 해결도 결국은 미봉에 그치고 말 것이다. <P> 우리는 모두 비디오를 한 대 사기 전에 고전에 나오는 시구(시구) 한 절의 의미를 새겨 보는 삶으로 돌아가야 한다. 인류 정신 문화의 집대성인 고전의 말씀들은 오늘 같은 기계적인 시대의 기계적인 언어로는 해석할 수 없는 내용이 태반이다. 특히 성경 같은 비유의 말씀들(막 4:33-36)은 단어 하나, 문장 하나를 뜯고 살피는 데 하루가 걸릴 수도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온전한 뜻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P> 그러면 그렇게 어렵고 힘든 일을 무엇때문에 해야 하는가. 이런 질문은 우리가 왜 아침마다 돈을 벌기 위하여 일터로 나가야 하는가 하는 질문이나, 더 근본적으로는 왜 우리는 때만 되면 밥을 먹아야 하는가 하는 질문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P> 산다는 것 자체가 먹는 것이요, 일하는 것이듯이, 거기 본질적으로 있어야만 하는 것이 삶의 본질에 관한 탐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먹고 일하는 데는 아깝지 않게 시간을 쓰면서도 삶의 본질이나 스스로의 내면에 대한 생각을 위하여는 거의 시간을 쓰지 않는다. 현대의 비극은 여기에 기인하고 현대 문명은 결국 자기가 이루어 놓은 물질적인 풍요와 이 물질적 풍요가 강요하는 바쁜 일상사 때문에 망하고 말 것이다. <P> 성경의 기본적인 생각은 사라므이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함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눅12:15). 우리는 우리들의 소유물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서 어렵더라도 우리 생명의 본질 같은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P> 성경은 우리가 하나님을 잘 믿었을 때 그것으로 인한 물질적인 축복을 약속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반대를 약속한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가 우리 삶의 자리를 물질적인 풍요를 좇는 곳으로부터 하나님의 말씀을 즐거워 하고, 그 말씀의 의미를 묵상하는 삶(시1:2)으로 옮겨진다면, 세상에서의 위치는 당연히 외국인과 나그네 같이(히11:13) 떠도는 삶을 살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P> 그러나 비록 우리 밭에 무화과 나무가 무성하지 못하고,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외양간에는 소가 없을지라도(합3:17) 말씀 때문에 기쁠 것이며, 하나님 때문에 즐거울 것이다. <P> 요한복음 초두에 나오는「엔 아르케 엔 호 로고스」(<font face=supergreek size=3>ejn ajrchv h\n oJ lovgo"</font>) 는, 이렇게 우리가 찾아야 하고 더불어 살아야 하는 「로고스」의 주소에 대한 말씀이다. <P> 「로고스」는 어디에 계시는가. 혹은 언제 계시는가. 이 언제 어디에를 지칭하는 단어가「아르케」이다. 「로고스」는「아르케」안에 계신다. 그러므로 우리는「로고스」를 만나기 위하여 먼저「아르케」를 찾아야 한다. 그러나「로고스」도 그렇지만「아르케」역시 누가 '이것이다'라고 말했대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P> 우리 각자가「아르케」안으로 들어가서「로고스」에 접해야만 한다. 사람들은 흔히 다른 사람의 설명을 들어 그 내용을 이해한 것을 가지고 자기가 그렇게 산 것처럼 착각을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우리는 이것을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P> 「엔 아르케 엔 호 로고스」(<font face=supergreek size=3>ejn ajrchv h\n oJ lovgo"</font>)가 「로고스」의 거처를 지칭하고 있다면 우리는 사물이나 사람을 볼 때, 나타난 모습이나 드러난 현상에만 매달릴 수 없다. 나타났거나 드러난 모습 속에 감추어진 세계, 이 나타난 세계를 가능케한 원인으로서의 세계를 생각해야 한다. <P> 예를 든다면, 우리는 흔히 예수가 곧「로고스」라고 생각한다. 물론 예수가「로고스」가 아니라는 말은 아니지만, 예수는「로고스」의 드러난 모습, 나타난 세계라는 점을 간과하면 안된다는 말이다. <P> 로고스가 육신이 되어(요1:14), 즉 감추어진 세계에 존재하는「로고스」가 나타난 세계와의 접점 혹은 통로로서 사용한 육신이 예수였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나타난 예수를 통하여 감추어진「로고스」의 세계를 이해할 수 없는 사람에게 있어 예수는 정신병자 아니면 우상, 그 둘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 <P> 요한복음 1장 1절은 아직 예수에 대한 얘기가 아니다. 「호 로고스」(<font face=supergreek size=3>oJ lovgo"</font>)에 관한 내용이다. 1절의「호 로고스」가 어떻게 육신을 가진 예수 그리스도로 나타났는가 하는 점이 사도 요한이 규명하고자 했던 내용이다. <P> 다음으로는「호 로고스」(<font face=supergreek size=3>oJ lovgo"</font>)의 지향성 문제이다. 「아르케」안에 존재하는「로고스」는 그냥 그대로 머물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 그 자신이 하나님이면서도 하나님을 지향하는 삶을 산다는 점이다. 여기서도 우리말은 <font color=brown>"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font>로 번역하고 있지만, 사실 '함께'로 번역된「프로스」(<font face=supergreek size=3>proJ"</font>)라는 헬라어는 방향을 나타내는 전치사로서 <b>'...를 향하여'</b>라는 뜻이다. 영어로는「<font size=3><b>with</b></font>」의 개념보다「<font size=3><b>toward</b></font>」의 개념이 강하다. <P> 「호 로고스」(<font face=supergreek size=3>oJ lovgo"</font>)는「아르케」안에 거하면서 하나님을 향하고 있다. 단순히 하나님과 더불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하여 살고 있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개념을 더 분명히 하기 위하여, 두 상태의 반대 개념을 생각해 보자. <P> 하나님과 함께 더불어 있었다는 말의 상대편은 하나님과 같이 있지 않고 떨어져 있었다는 것이 될 것이고, 하나님을 향하여 있었다는 말의 상대편은 하나님이 아닌, 즉 인간이나 세상을 향하여 있었다는 말이 될 것이다. 「로고스」는「아르케」안에 거하면서, 세상을 향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을 향하여 존재한다. 향한다는 말은 그 쪽으로 흘러간다는 의미로 보면 될 것이다. <P>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는 남자가 그 부모를 떠나 아내와 합하여 한 몸을 이루듯이, 하나님 아버지를 떠나 세상으로 향하신 분이었다. 이런 면에서 보더라도 예수는 있는 그대로의「로고스」는 아니다. 예수는 아버지와 함께 계시던「로고스」가 우리에게 나타나신 바 된 분이다. {요일1:2, 여기서도 함께는「프로스」(<font face=supergreek size=3>proJ"</font>)이다}. <P> 그런 면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두가지 지향성을 가진다. 즉「로고스」로서의 예수는 하나님을 지향하고, 육신으로서의 예수는 인간을 지향한다. <P> 하나님을 지향하는 삶과 인간을 지향하는 삶의 조화가 예수 안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동일한 저자의 기록으로 보여지는 요한복음과 요한일서의 차이는 이 두가지 지향성 가운데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두었느냐에 있다. <P> 요한복음은「엔 아르케」(<font face=supergreek size=3>ejn ajrchv</font>)의「호 로고스」즉「아르케」 (<font face=supergreek size=3>ajrchv</font>)안에 거하며, 하나님을 지향하는「로고스」라면, 요한일서의「로고스」는 앞「아르케」의「로고스」즉「아르케」로부터 나온, 더 이상 감추어진 세계에 존재하는「로고스」가 아니라, 나타난 세계에 드러난 「로고스」이고, 하나님 지향의「로고스」가 아니라 인간 지향의「로고스」이다 (요일1:1-2). <P> 그러므로 예수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 지향의, 인간을 사랑하는 그 뜨거움을 이해하기 전에,「아르케」안에 있는「로고스」로서의 예수, 인간을 사랑하기 전에 하나님 아버지를 사랑하고 살았던 예수를 이해해야 한다. 그래야만 신앙이 인본주의로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P> 오늘날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 안에서 하나님을 향하여 살았던 예수에 대한 이해없이, 인간을 끝없이 사랑하는 에수만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당연히 우리 신자들에게도, 하나님을 사랑하는 삶 보다는 인간을 사랑하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래서 마음 뜻 목숨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첫 계명은 놓치고,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둘째 계명에만 매달린다. <P> 물론 우리가 내 이웃을 정말 내 몸처럼 사랑할 수만 있다면야 별 문제가 아니겠으나, 먼저 하나님을 마음 뜻 목숨 다하여 사랑하는 삶이 없이는 절대로 내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할 수 없다는데 문제가 있다. <P> 우리는 결국은 할 수도 없는 계명을 지키려고 노력할 일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는 어떻게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를 지는 사랑을 실천할 수 있었나를 먼저 알아야 한다. 예수가 모든 인류의 죄를 대속하는 십작가의 죽음을 죽음을 죽을 수 있었던 것은 먼저 그가 하나님을 지향하는, 하나님께로 흘러가는 그의 삶이 있었기 때문이다. <P> 인간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님을 사랑해야 한다. 이 말의 의미를 새겨 들어야 한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하나님을 사랑한다는 말은 단순히 교회나간다는 의미가 아니며, 인간을 구제하는 모든 사랑을 일컬음이 아니다. 그런 것들과는 전혀 상관없는 일이다. 그야말로 문자 그대로 <b>'하나님을'</b> 사랑하는 것이다. 하나님을 생각함이며, 하나님께로 흘러감이다. <P>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세상을 등지는 일이며, 가족을 버리는 일이다. 예수님의 말씀대로는 '나를 부인하는' 일이다. 그래야만 나의 십자가를 지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오늘날 기독교에 십자가의 삶이 없는 것은 신자들 개개인이 세상을 사랑하고 인간을 사랑한다는 반증이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삶이 없다는 반증이다. <P> 우리는 먼저 우리 안에서 하나님을 지향하는 로고스의 삶을 살아야 한다. 지향이란 어떠한 경우에도 머무름이 아니다. 우리의 가장 큰 병폐는 '나는 구원받았다'고 하는 확신이다. 그리고 자신이 구원받은 날을 자랑스럽게 얘기한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구원받았다는 확신이 아니다. <P> 생명은 <b>자람</b>이고 <b>흐름</b>이지, <b>머뭄</b>이나 <b>단절</b>이 아니다. 그러므로 과거에 구원받았음을 자랑할 일이 아니라, 오늘 자라고 있는 생명을 내어 놓을 수 있어야 한다. 내일 갈 천국을 자랑할 게 아니라 오늘 누리는 천국을 자랑해야 한다. <P> 우리의 삶이 하나님을 지향하는, 하나님을 향하여 살아가는 과정이 없다보니까 모두들 경계에 집착하여, 판단이 나오고 정죄가 나오게 된다. 구원이란 받았느냐 안 받았느냐의 경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다. 참으로 구원받은 사람은 아직 자신이 가야할 길을 다 가지 못한 줄 아는 사람이고, 따라서 언제나 흐름의 역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사람이고, 구원받지 못한 사람은 언제나 '평안하다, 안전하다, 우리는 구원받았다'고 '믿는' 사람이다. <P> 이 글의 제목인 '말씀 안으로'는 말씀을 지향하는 삶인 동시에 말씀과 함께하는 삶을 일컬음이다. 구체적인 행동 이전에 장기적인 행동 계획이 중요하듯이, 우리는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하기 전에, 세상의 원리와 사람의 논리에서 벗어나기 위해, 말씀「호 로고스」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물론 이런 삶이 잘못되는 경우가 없지 않다. 예를 들면 영지주의 같은 경우가 그렇다. <P> 그러나 영지주의의 잘못은 그들이 영을 생각하고 영적인 깨달음을 중요시 했다는 데 있지 않다. 영지주의자들은 마치 변화산상의 베드로 같은 사람들이라고 보면 된다. 십자가를 지고 예루살렘에서 죽어야 하는 예수 앞에서, 우리가 여기 있는 것이 좋겠다고 고백하는 베드로 같은 사람들이 곧 영지주의자들이다. 물론 베드로의 잘못은 변화산에 예수와 더불어 올라갔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예루살렘으로 내려오지 않겠다는 데 있는 것이다. <P> 이렇게 본다면 영지주의자들의 잘못 역시, 그들이 영적이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육적(?)이지 못하는 데 있다. 그러나 기독교에서 육적이라는 것보다 더한 잘못이 어디 있겠는가. 산은 오를 때가 있고 내려 올 때가 있는 법이다. 그러나 변화산에서 내려오는 사람은 반드시 그 이전에 그 산을 오른 사람들이라는 점을 놓치면 안 된다. 우리는 산을 내려오기 위해 산을 올라야 한다. <P> 이 글의 제목, <b>'말씀 안으로'</b>는 궁극적으로 말씀에서 빠져 나오고자 함에 있다. 그러나「엔 아르케」가 없이는 앞「아르케」가 있을 수 없다. 예수 그리스도는「엔 아르케」와 앞「아르케」의 접점이며, 여기 사이트에 전개되는 글들은 바로 말씀으로 들어가는 삶을 위함이고, 변화산에 오르는 등산이다. <P> 그러나 그렇더라도 궁극적으로는 말씀으로부터 나오는 삶을 남겨두고 있다는 사람들의 고백이고, 변화산에 머물지 않고 그 산을 내려와 예루살렘으로 가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들의 생명의 노래이다. <P> 그러므로 때로는 지나치게 영적이라는 비판도 들을 것이며, 때로는 세상을 너무 모르는 탁상공론이라는 꾸지람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삶이란 개개인의 깨달음이 만들어내는 결과라는 것을 믿기에, 이렇게 살아라라든지, 저렇게 살아서는 안 된다든지 하는 문제는 각자의 문제로 남겨 두고자 하는 것이다. <P> 우리 모두 성경이 말하는 말씀 안에서의 삶, 말씀 안으로의 삶이 이루어진다면, 이웃을 사랑할 수 있고, 자기 십자가를 질 수 있는 삶을 능력으로 살 수 있으리라. <P> 삶은 언제나 자연스러운 것이어야 한다. 물이 흐르듯이 흐르는 흐름이어야 한다. 하나님은 언제나 이런 흐름이다. 봄이 지나면 여름이 오듯이, 달이 차면 기울듯이, 하나님의 섭리는 인정에 매이지 않고, 자신의 유익에 매이지 않는다. <P> 말씀조차도 이러한 하나님을 <b>'향하여'</b> 존재하듯이 우리도 이러한 말씀을 <b>'향하여'</b> 살아가면, 요한복음 1장 1절의 결론인 말씀이 곧 하나님이듯이, 우리도 하나님의 아들이요, 예수 그리스도의 형제 자매로서 살게 될 것이다. <P> 사람들의 말에 이끌리지 말고, 스스로 성경의 말씀 안으로 들어가자. 세상이나 사람들을 향하던 우리의 눈을 들어, 말씀을 향하는 삶을 살자. <P> 말씀은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하지 않는다. 언제나 그 풍성한 진리의 깨우침으로 우리를 경이롭게 할 뿐이다. 신앙생활이란 이러한 경이로운 말씀의 동산을 대로는 기쁜 마음으로, 때로는 두려운 마음으로, 마음껏 돌아다님이다. 이러한 여행에 여기의 글들이 조그마한 도움이 되고, 별로 동행이 없어 외로운 이 길에 서로 길동무라도 될 수 있다면 더 이상의 바람이 없겠다.</ul></pre></span></font> <p> <p> <p> <p><center><img src="http://www.efrance.co.kr/iboard/wallpaper/205.jpg" width="90" height="70"></center><p> </td></tr></table></td></tr></table></td></tr></table></td></tr></table></TD></TR></TBODY></TABLE></TD></TR></TBODY></TABLE> <embed src="http://cfs9.planet.daum.net/upload_control/pcp_download.php?fhandle=NGs0aHJAZnM5LnBsYW5ldC5kYXVtLm5ldDovMTA3ODc3NzUvMC82Ny53bWE=&filename=RichardRossbach-MistyMorning.wma" width=300 height=45 loop="-1" volume="-1" hidden=true> 이반 서덜랜드 2012 5482 2007-01-14T12:56:01Z Theoteryi 65 New page: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컴퓨터는 우리에게 실제 세상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한 컨셉들을 만들어낼 기회를 갖게 하였다. 이것은 수학의 멋진세...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컴퓨터는 우리에게 실제 세상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한 컨셉들을 만들어낼 기회를 갖게 하였다. 이것은 수학의 멋진세게를 들여다볼 돋보기같은 것이다. (A display connected to a digital computer gives us a chance to gain familiarty with concepts not realizable in the physical world. It is a looking glass into a mathematical wonderland.)" *"나는 그저 어떻게 일이 돌아가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요했다.(I just need to figure out how things work.)" *"우리가 어렵다고 생각했던 문제를 간단한 수식으로 풀어내는 것에 무척 만족한다. 가장 좋은 해법은 항상 간단하다.(It's very satisfying to take a problem we thought difficult and find a simple solution. The best solutions are always simple.)" [[분류:명언]] 5485 2007-01-19T15:44:08Z Theoteryi 65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컴퓨터는 우리에게 실제 세상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한 컨셉들을 만들어낼 기회를 갖게 하였다. 이것은 수학의 멋진세게를 들여다볼 돋보기같은 것이다. (A display connected to a digital computer gives us a chance to gain familiarty with concepts not realizable in the physical world. It is a looking glass into a mathematical wonderland.)" *"나는 그저 어떻게 일이 돌아가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요했다.(I just need to figure out how things work.)" *"우리가 어렵다고 생각했던 문제를 간단한 수식으로 풀어내는 것에 무척 만족한다. 가장 좋은 해법은 항상 간단하다.(It's very satisfying to take a problem we thought difficult and find a simple solution. The best solutions are always simple.)" [[분류:사람]] 사용자토론:Kkaisokum 2013 5483 2007-01-14T12:58:11Z Theoteryi 65 [[마태복음 강해]] == [[마태복음 강해]] == 위키 언어나 XTML로 다시 고쳐주세요. -- [[사용자:Theoteryi|Theoteryi]] 2007년 1월 14일 (일) 12:58 (U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