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방점(傍點: 글자 옆에 찍은 점) 또는 사성점(四聲點: 네 성조를 나타낸 점)은 중세 한국어에서 한글 표기법에 쓰였던, 성조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이것은 중세 한국어에 있었던 성조를 표기하기 위한 방편으로 쓰였다. 그러나 근대 한국어, 즉 조선 후기 쯤의 기록을 보면 방점이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쯤 한국어에서 성조가 사라진 것으로 추측한다.
[편집] 특징
- ㄱ. 방점은 음절의 발음상의 높낮이를 나타낸다(방점이 없으면 낮은 소리, 방점이 하나면 높은 소리, 방점이 둘이면 낮다가 높아지는 소리).
- ㄴ. 음절의 발음상의 장단도 동시에 나타낸다.
- ㄷ. 현대국어로 변천하면서 ㄱ의 높낮이는 소멸되었으나 ㄴ의 장단은 변화가 적다. 곧 중세국어의 상성이 현대 국어의 장음이 된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상성은 장음이었다.
- ㄹ. 성조는 16세기 말엽에 한국어에서 완전히 소멸되었다.
- ㅁ. 입성은 높낮이와 아무 관련이 없다. 종성이 ㄱ, ㄷ, ㅂ, ㅅ으로 끝나는 음절은 모두 입성이며 동시에 평성, 거성, 상성 셋 중의 한 성조를 취한다.
[편집] 사성
- 평성(平聲) : 방점이 없다. 낮고 짧은 소리(저조: 低調)이다.
- 거성(去聲, ᅟ〮) : 방점이 하나 있다. 높고 짧은 소리(고조: 高調)이다.
- 상성(上聲, ᅟ〯) : 방점이 둘 있다. 낮은 음에서 높은 음으로 올라가는 긴소리이다.
- 입성(入聲) : 종성이 'ㄱ, ㄷ, ㅂ, ㅅ'인 음절의 소리이다.
[편집] 참고 자료
한글 낱자 | |
---|---|
현대 한글: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옛한글: | ㅿ | ㆁ | ㆆ | 치두음과 정치음(ᄼ·ᄽ·ᄾ·ᄿ·ᅎ·ᅏ·ᅐ·ᅑ·ᅔ·ᅕ) ㆍ 방점(ᅟ〮·ᅟ〯) |
한글 겹낱자 | 한글 낱자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