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취음(取音) 또는 군두목은 원래 한자어가 아닌 낱말을 소리가 비슷한 한자를 써서 표기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생각을 ‘生覺’으로, 편수(공장 두목)를 ‘編首’ 또는 ‘변수(邊首)’로, 각시를 ‘閣氏’로 적는 것이다.

조선시대 서리(胥吏)들이 처음 쓰기 시작했다.

특히 뜻도 비슷하게 한자를 붙이는 경우 후세 사람들에게 어원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아, 역으로 한자어에서 비한자어가 파생되어 나왔다는 민간 어원설이 생기기도 한다.

《군두목(軍都目)》이라는 책이 있는데, ‘군도목(軍都目)’ 역시 ‘군두목’을 소리나는 대로 한자로 표기한 군두목이다.

[편집] 바깥고리

  • 서울대학교 소장도서 가운데 《군두목》 — [1][2]
이 문서는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