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증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증한(金曾漢, 1920년 6월 5일 ~ 1988년 10월 7일)은 대한민국법학자이자 교육자이다.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논치리에서 태어났다. 해방 이후 민법 연구에서 많은 저작과 연구를 낳았으며, 대한민국 민법학의 토대를 닦았다. 아버지는 일제 시대때 충주·강원·평양·함흥지법 판사와 평양복심법원 판사를 지내고, 해방 이후에는 대법관과 검찰총장을 지낸 김익진이며, 동생은 법무법인 김장리의 설립자 김흥한이다.

[편집] 약력

[편집] 주요 저작

  • 《담보물권법》
  • 《독일사법사》
  • 《물권법》
  • 《물권법강의》
  • 《물권적기득권》
  • 《민법》
  • 《민법논선》
  • 《민법대의》
  • 《민법총칙》
  • 《법제원론》
  • 《법학개론》
  • 《법학통론》
  • 《서양법제사》
  • 《채권각론》
  • 《채권각칙》
  • 《채권총론》
  • 《채권총칙》

[편집] 참고자료

  • 〈고시계인터뷰(김증한박사님 정년퇴임기념 인터뷰)-나의 인생, 나의 학문〉, 고시계사, 《고시계》 1985년 9월호
  • 대한민국학술원 김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