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DSL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회선(加入者回線))은 ADSL에 이어 등장한 초고속 디지털 전송기술의 하나이다. 일반 가정에서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해 양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VDSL에는 변복조 방식이 2가지 있으며, 이들은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ADSL과는 달리 가입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하고,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공급가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설치 공간도 덜 차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전송기술이 상용화되면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양방향 전송도 가능하다.

가입자측(하향) 전송 속도는 13~52Mbps, 교환국측(상향) 전송 속도는 1.5~2.3Mbps, 전송 거리는 0.3~1.5㎞이다. 그래서 ADSL에 비해서 2~10배 정도 넓은 대역폭을 사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 1월 처음으로 개발되어 2002년KT, 하나로통신, 데이콤 등 대한민국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에 의해서 상용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