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토끼군/customized.js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설명
customized.js는 토끼군이 위키백과질을 편하게 하기 위해 만든 스크립트들의 모음입니다. 여러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기능을 따로 설정하거나 일부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이 스크립트는 모노북(기본 스킨)을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다른 스킨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스크립트가 상대적으로 자주 바뀌기 때문에 아래에 나오는 설치 방법을 정확히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 다른 스크립트와 궁합이 맞을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알아서 쓰세요 :p
[편집] 설치
사용자:(사용자이름)/monobook.js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해서 설치합니다.
// 모듈 설정 (아래 참고) $JavascriptConsole = {}; $SimpleInterwiki = {}; document.write('<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ko.wikipedia.org/w/' + 'index.php?title=User:%ED%86%A0%EB%81%BC%EA%B5%B0/customized.js&' + 'action=raw&ctype=text/javascript&dontcountme=s' + // '&oldid=(OLDID HERE)' + '"></'+'script>');
- 모듈 설정은 기술적으로 변수 선언으로 이루어집니다. 보통 ‘$모듈이름 = {설정 내용};’ 식으로 이루어지며, 각 모듈의 설명을 참고하십시오. 위와 같이 하면 JavascriptConsole과 SimpleInterwiki가 활성화됩니다.
- 특정 모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해당 선언을 지워도 되고, /*와 */로 감싸서 주석 처리해도 됩니다.
- document.write 부분은 파일의 어느 부분에 있더라도 동작합니다.
스크립트가 나중에 바뀌는 것과 상관 없이 특정 버전의 스크립트만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 사용자:토끼군/customized.js에 가서 사용할 버전을 찾습니다. 현재 버전을 쓰려면 ‘고유링크’ 메뉴를 쓰면 됩니다.
- 주소창에 ‘oldid=550389’ 같은 내용이 뜹니다. 이제 '&oldid=(OLDID HERE)' + 앞에 있는 //를 빼시고, (OLDID HERE)에 여기 나온 숫자를 적어 넣습니다.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이 고칩니다.
'action=raw&ctype=text/javascript&dontcountme=s' + '&oldid=550389' +
- 나중에 새 버전으로 갈아 타려면 같은 방법으로 oldid를 바꿔 주면 됩니다.
[편집] 모듈 목록
다음은 현재 버전에서 지원하는 모듈들의 목록과 사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모듈 선언은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모듈이름 = { 설정이름1: 설정값1, 설정이름2: 설정값2, ... };
주의할 점은, 목록 같은 경우 뒤에 쉼표(,)가 붙는데 이게 빠지면 모든 스크립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니 꼭 붙여 줘야 합니다. 또한 설명에서 작은 따옴표('...')로 묶여 있는 내용은 항상 '...'나 "..."로 묶어 줘야 합니다. (이 안에서 ', ", \를 쓸 때는 \', \", \\로 씁니다)
[편집] EditPageRedesign
$EditPageRedesign = { label: '툴바 앞에 뜨는 내용 (생략 가능)', chartable: [ // 툴바에 뜰 메뉴 목록 ['단축키', '툴바에 뜨는 링크', '입력할 텍스트'], ['단축키', '툴바에 뜨는 링크', ['감싸는 내용 앞부분', '감싸는 내용 뒷부분']], ... ], };
이 모듈은 편집창에서 특수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하는 툴바를 추가합니다. 현재 모질라 계열 브라우저에서만 정상 작동합니다.
label 옵션은 툴바 앞에 뜨는 내용입니다. 기본값은 ‘특수 문자 입력:’입니다.
chartable 옵션은 실제로 툴바에 뜰 내용을 지정합니다. 각 줄은 ['단축키', '툴바에 뜨는 링크', (입력할 내용)],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단축키에는 예를 들어 '3'이나 '$' 같은 것을 넣을 수 있는데, '3'은 Alt-3을, '$'은 Alt-Shift-4를 단축키로 쓴다는 뜻입니다. 쓰지 않으려면 ''로 지정합니다. 특수문자가 아닌 단축키('x' 같은...)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 툴바에 뜨는 링크는 말 그대로 링크에 표시될 문자열입니다.
- (입력할 내용)은 그 링크를 눌렀을 때, 또는 단축키가 있다면 단축키를 눌렀을 때 입력되는 내용입니다. 다음 중 하나입니다.
'텍스트'
와 같이 하면 항상 해당 텍스트가 입력됩니다.['시작', '끝']
과 같이 하면 현재 선택된 텍스트 앞뒤에 해당 문자열을 넣어 줍니다. 예를 들어서['《', '》']
와 같이 씁니다.- {{llang}} 같이 별도의 인자가 필요한 경우,
{text: (입력할 내용), deftext: '기본값', prompt: '대화창에 뜨는 내용'}
과 같이 씁니다. (입력할 내용)은 앞에서 설명한 두 경우와 같습니다. 이렇게 하면 단축키를 누를 때 사용자에게 텍스트를 입력받아서, 입력할 내용의 모든$
에 그 텍스트를 넣어서 사용합니다. (아래의 예시를 참고하세요) - 그 밖에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넣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chartable의 예시입니다.
// 단축키 Alt-0, 현재 위치에 ‘…’를 입력함 ['0', '…', '…'], // 단축키 Alt-Shift-/, 선택된 내용 앞뒤에 <ref>와 </ref>를 넣음 ['?', '<ref>', ['<ref>', '</ref>']], // 단축키 없음, 사용자에게 언어 코드를 입력받아서, 선택된 내용 앞뒤에 {{llang|언어코드|와 }}를 넣음 // 입력받을 때는 "insert language code"라는 메시지가 뜨고, 입력창에는 처음에 en(영어)가 떠 있다. ['', '{{llang}}', {text: ['{{llang|$|', '}}'], deftext: 'en', prompt: 'insert language code'}],
[편집] JavascriptConsole
$JavascriptConsole = {};
디버깅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콘솔을 띄워 줍니다. 콘솔은 전체 페이지의 맨 아랫부분(Powered by MediaWiki 같은 배너가 뜨는...)의 빈 공간을 더블클릭하면 뜨고, 다시 더블클릭하면 사라집니다.
[편집] SimpleInterwiki
TODO
[편집] 의견
의견은 이 아래에 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