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권도(跆拳道)는 대한민국의 국기이자, 현재 세계에서 많은 사람들이 수련하는 무술이다. 주먹 기술이나 잡기 기술을 강조하는 대부분의 맨손 격투기와는 달리 빠르고 강력한 발차기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편집] 연혁
공수도 오도관(吾道館) 관장인 최홍희(崔泓熙)는 한반도에서 택견, 일본열도에서 공수도(松涛館空手道)를 수련하였다고 한다. 그는 군대격투기 교육을 맡으며 공수도를 지도하는 중 1950년 대한공수도협회(大韓空手道協會)가 창립되었다.
여러 격투기를 연구하여 새 나라에 어울린 국기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공수도에 비해 발차기를 유연하게 발탈되고 체중이동을 적극적으로 보이는 보범이 되었다. 공중에서 반자를 파괴하는 ‘격파’쇼우가 정착했다. 눈이 띄는 그 시범은 한국 무술을 상징하게 되었다. 명칭이 외국풍이란 문제가 있었고 해서 1954년 명칭제정위원회(名称制定委員会)는 이승만(李承晩)대통령의 “택견과 비슷하다”라는 발언을 받고 민속적인 “택견”의 오감을 포함하는 “태권도(Taekwondo)”를 채택했다.
1959년 대한 태권도 협회(大韓跆拳道協會)의 창립과 함께 전국적으로 태권도 기술이 체계화되면서 현대 태권도가 등장하였다.1961년 최홍희가 마레이시아대사로써 출국했다. 박정희(朴正熙)정변 때문에 구정권에 가까운 최홍희는 군직을 물러났다. 그 동안인 9월 ‘대한태수도(跆手道)협회’로 개칭되었다. WTF는 그 시점부터 연혁을 공인하고 있다.)
1965년 귀국한 최홍희는 다시 ‘대한태권도협회’로 개칭하였다. 1년 후 회장직을 물러나고 캐나다로 이주했는데 국제태권도연맹(후술)의 발표에 의하면 이유는 박정희 암살계획 용의 때문에 망명하였단다. 1966년 대한태권도협회를 중심으로 국제태권도연맹(ITF)기 창립되었다. 1971년 ‘국기 태권도’란 휘호를 받게 되었고 1973년 국기원(國技院)이 완성되었다.
1973년 최홍희가 캐나다로 망명한 김에 ITF 본거지를 토론트에 이동시켰으니 대한태권도협회는(KTF) 독자로 세계태권도연맹(WTF)를 창립하였다. ITF쭉의 국내조직은 대한태권도연맹(KITF)이라고 하게 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고,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부터 정식 메달종목으로 채택되었다. WTF총재이고 IOC부회장였던 김운룡(金雲龍)의 진력에 인한다.
[편집] 단체
- ITF
- 최홍희(崔泓熙)가 중심족 인물이다. 국제 태권도연맹 (Th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은, 1966년에 9개국의 승인을 받아서 서울에서 발족했다. 라이트 콘택트제의 룰이지만, 공수(가라데)에 의해 가깝다. 둘에서는 조선의 역사나 신화의 인물에 관한 독자적인 형태이름이 붙여지고 있다. 중근(重根), 세종(世宗)등. 태권도의 기원에 관하여 공수도를 바탕으로 택견 등을 연구했다고 한다.
- WTF
- 세계 태권도연맹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은, 최홍희가 망명한 것을 받아서 1973년에 설립되었다. 올림픽의 정식경기가 되고 있는 것은 이쪽이다. 두부, 몸통부를 보호하는 방구를 착용하는등, 보다 스포츠적이어지고 있어, 공수도(가라데)와의 차별화를 염두에 두어져 있다. WTF의 풍세에는 고려(高麗), 금강(金剛)등의 명칭이 사용되어져 있다. 태권도의 기원은 " 가깝게는 택견으로, 멀게는 삼국시대의 화랑도와 수박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주로 택견 기술을 연마하던 무술가들이 해방 이후 여러가지 명칭으로 도장을 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