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성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헤일-밥 혜성.
헤일-밥 혜성.
맥노트 혜성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의 Swift's Creek에서 2007년 1월 23 촬영
맥노트 혜성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의 Swift's Creek에서 2007년 1월 23 촬영

혜성(彗星)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중의 한 가지이다.

혜성의 핵은 대부분 얼음과 먼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수 km ~ 수십 km 정도이다. 이름은 발견자의 성을 붙이는 것이 관례이다. (동시 발견의 경우 3명 까지 가능하다.)

평소에는 태양계 외곽의 오르트 구름이라는 혜성의 밀집소에서 태양을 공전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인해 긴 타원의 궤도로 태양 근처로 떨어져 내려오면 표면의 얼음과 먼지가 증발하며 꼬리가 생긴다.

보통은 헤일-밥 혜성이나 햐쿠타케 혜성처럼 한 번 태양에 접근 했다가 멀리 사라지는 수 천년에서 수 만년의 주기를 돌지만, 목성 등 행성의 인력에 잡혀 핼리 혜성, 엥케 혜성처럼 짧은 주기를 돌게 된 혜성도 있다. 그런 혜성은 단주기 혜성이라 불리며, 반대로 수 천년의 주기를 가진 혜성은 장주기 혜성이라고 불린다. 혜성은 대부분 어두운 것이 보통이지만, 지구에 가깝게 접근하거나 매우 밝은 혜성이 지구 근처를 통과할 때는 멋진 장관을 연출한다. 그리고 혜성이 지나가며 남긴 먼지 찌꺼기는 혜성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다가 태양풍에 의해 서서히 밀려나게 되며, 그 궤도 사이를 지구가 통과하면 대기와의 마찰에 의해 불타면서 지구로 낙하하는데 그것이 바로 유성우이다.

또한 혜성은 궤도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과학자들은 공룡의 멸종이 혜성의 충돌로 인해 일어났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특히 1994년. 슈메이커-레비 9 혜성목성 충돌로 혜성의 지구 충돌 가능성이 일반인들의 큰 관심을 얻었다.

목차

[편집] 혜성 관측의 역사

[편집] 동양의 혜성 관측

  • 혜성의 정의

혜성 彗星은 요성 妖星으로 분류된다. 천문류초의 내용을 살펴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혜성 Comet'과 같은 의미는 조선시대의 '요성'에 해당된다. '혜성'의 명칭은 이 '혜성 Comet'의 종류 중 대표적인 경우에 해당된다. 여기에서는, 천문류초를 따라 혜성 대신 요성의 명칭을 사용한다.

  • 혜성의 분류

오행의 정기에 따라 다섯 가지 색깔이 있다고 하였다. 천문류초에서는 혜성을 포함하여 21가지 종류의 요성을 분류하고 있다.

  1. 혜성
    1. 오래된 것을 제거하고 새것을 펴는 의미에서 빗자루를 가리키는 소성 掃星이라고도 한다. 천문류초에 기록된 혜성의 묘사는 다음과 같다.
    1. "本類星 末類彗 小者數寸長 惑竟天 시작은 별과 비슷한데, 끝은 빗자루 같다. 작은 것은 손가락 몇 마디의 길이이고, 낮에 보이기도 한다."
    1. 이러한 혜성은 병란과 홍수의 징조로 여겼다. 혜성은 달의 정기가 모여 만들어졌다고도 하였다.
  1. 패성, 천봉, 천창, 천참, 치우기, 천충, 국황, 소명, 사위, 천참, 오잔, 육적, 옥한, 순시, 천봉, 촉성, 봉성, 장경, 사진성, 지유장광의 명칭들이 모두 혜성과 유사하거나 관련이 있는 천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편집] 한국의 혜성 관측

기록된 역사의 초기부터 혜성의 관측 기록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현존하는 최초의 기록은 《삼국사기》 〈신라본기〉 박혁거세 9년(기원전 49년 봄 3월의 기록이다.

"有星孛于王良 패성이 왕랑에 이르렀다."

이후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을 통하여 여러 특이한 혜성들이 기록되었다. 신라 진평왕 대에 혜성이 나타나자 이변이 사라질 것을 기원하며 신라의 승려인 융천사가 〈혜성가〉라는 향가를 지어 읊은 기록도 있다.

[편집] 서양의 혜성 관측

[편집] 참고문헌 및 외부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혜성
태양계
그림:Eight Planets.png
행성: 수성 - 금성 - 지구 - 화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
왜행성: 세레스 - 명왕성 - 에리스
기타: 태양 - 위성 - 유성체 - 소행성(소행성대) - 혜성 - 카이퍼 대 - 산란 분포대 - 오르트 구름
참조: 태양계 천체 목록(반지름순, 질량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