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Knight2000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환영합니다!

Knight2000님, 안녕하세요! 한국어판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또한, 첫 기여와 함께 위키백과의 일원이 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위키백과와 함께 해주셨으면 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그리고,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 자주 사용하시게 될 팁을 한 가지 알려드립니다. 로그인 상태에서 편집창에 물결표를 이렇게 ~~~~ 네 개 이어서 써 넣으시면 자동으로 자신의 서명을 남길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Can't speak Korean?

--효리♪ (H.L.LEE) 2006년 6월 25일 (일) 12:56 (KST)

[편집] 태음태양력

한국의 음력은 태음태양력이 맞습니다. (순)태음력은 이슬람력처럼 달의 움직임만을 기준으로 하는 달력을 말합니다. -- ChongDae 2007년 3월 21일 (수) 13:56 (KST)

[편집] 과 이름에 사이시옷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생물#생물의 과 이름에서 사이시옷 생략에서 과 이름 앞에 있는 사이시옷을 빼기로 한 후 꽤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습니다. 만약 바뀌기를 원하신다면 일괄적으로 다 바꿔야 하니 토론을 거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Puzzlet Chung 2007년 3월 26일 (월) 13:33 (KST)

넣어야 옳습니다만 대부분의 백과사전에서는 표제어와 설명에서 사이시옷을 빼고 있습니다. 옳지 않지만 관례를 따르느냐, 아니면 옳은 표기를 하느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을 거쳐야 한다면 토론을 해 주십시오. 참고로 국어사전에서는 사이시옷을 넣고 있습니다. 벼(민중국어사전) - 1. 볏과 벼속의 한해살이풀. (이하 생략) / 벼(표준국어사전) - 󰃃〖식물〗 ①볏과의 한해살이풀. --Knight2000 2007년 3월 27일 (화) 00:55 (KST)

[편집] 하박국의 이동

성서의 표기는 가톨릭과 개신교 측이 서로 다릅니다.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기독교/구약성서 등을 참고해주시고, 이동 등은 신중하게 처리해주세요. -- ChongDae 2007년 4월 5일 (목) 10:56 (KST)

예, 알겠습니다. 다음부터는 더 신중히 처리하겠습니다. 그리고 본문에 "종파에 따라 하바꾹이라고도 한다"라는 내용을 넣었으니 문제는 없으리라 봅니다. 또한 애초에 이미 밝힌 대로 본문에 "하바꾹"이라는 말이 단 한 번이라도 나왔다면 옮기려고도 하지 않았을 터입니다. --Knight2000 2007년 4월 5일 (목) 11:33 (KST)
'종파에 따라서 하바꾹이라고도 한다' 라는 말은, 읽기에 따라서는 원 단어가 '하박국'이고 다른 쪽을 언급하는, 즉 개신교 입장에서의 말로 보입니다. 즉, 중립적 시각에 문제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 tiens 2007년 4월 5일 (목) 11:40 (KST)
옳은 말씀. 그래서 제목은 "하바꾹"으로 두고, 본문의 "하박국"을 "하바꾹"으로 모두 고쳤습니다(용어의 일치 문제). 아무래도 그쪽이 더 중립에 가깝고, 공정해 보여서요. --Knight2000 2007년 4월 5일 (목) 11:42 (KST)
수고하셨습니다. 참고로 '하바꾹' 자체의 표기는 가톨릭/개신교 입장에 확실하니, 이 부분을 자세하게 써주셔도 좋을 듯 합니다. -- tiens 2007년 4월 5일 (목) 11:47 (KST)
내용을 살펴보니, 본문의 내용은 웬지 개신교의 신학관련 자료처럼 보이는군요. 용어의 정립 및 편집이 필요할 듯 합니다. -- tiens 2007년 4월 6일 (금) 13:55 (KST)
처음에 있던 용어(하박국)를 보니 아마도 그런 것 같습니다. 당분간은 손을 대지 못할듯합니다. --Knight2000 2007년 4월 6일 (토) 15:0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