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한국의 역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공화국의 구분
저는 제 6공화국이 노태우 정권만을 뜻하는 줄 알았는데, 김영삼·김대중·노무현 정권을 포함하는 말인가요? --PuzzletChung 2004년 9월 19일 (日) 09:08 (UTC)
- 헌법의 개정 여부에 따라서 숫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엉망 2004년 9월 19일 (日) 12:48 (UTC)
윗분 틀리셨읍니다.ㅜ 사실은 대통령 바뀔때마다임
[편집] 모든 것은 일반적인 내용을 ...
모든 이들이 이용하는 사전이라면 일반적인 내용을 싣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jtm71 2006년 10월 21일 (일) 22:14 (KST)
[편집] 수정부탁 틀렸음
우리 한국에 있는 친일파는 그렇게 경제 발전, 등 좋은 일을 하지 안았습니다. 주로 탄압하는 일을 했지요 수정 부탁합니다...
우리 한국에 있는 친일파는 그렇게 경제 발전, 등 좋은 일을 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한국인 인데요 주로 사람들을 혹사시키고 세금을 너무 많아 부과하고 먹을 것도 썩은 것만 주는 등 민족의 자존심을 빼먹을 사람들입니다.
[편집] 영문판의 한국사내용 반영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영문판의 한국사내용 반영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저는 편집기술이 매우 미숙하여 그림자료나 여러 표를 첨부할 수 없으니, 여러분께서 도움을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웹사이트에서 퍼온 글
아래는 사용자:58.230.59.119님이 쓰신 위키백과의 쓰신 글
숙종 때에 이르러 붕당 정치가 변질되고 그 폐단이 심화되면서 특정 붕당이 정권을 독점하는 일당 전제화의 추세가 대두되었다. 붕당 정치가 변질되자 정치 집단 간의 세력 균형이 무너지고 왕권 자체도 불안하게 되었다. 이에 영조와 정조는 특정 붕당의 권력 장악을 견제하기 위하여 탕평 정치를 추진하였다. 탕평 정치는 특정 권력 집단을 억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붕당 정치의 폐단을 일소하지는 못하였다.
아래는 웹사이트에 있는 글
붕당 정치가 변질되고 그 폐단이 심화되면서 일당 전제화의 경향이 나타났다. 영조와 정조는 특정 붕당의 권력 장악을 견제하기 위하여 탕평 정책을 추진하였다. 탕평 정치는 특정 권력 집단을 억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붕당 정치의 폐단을 일소하지는 못하였다. 탕평 정치로 강화된 왕권을 순조 이후 왕이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면서 외척을 중심으로 한 소수 가문에 권력이 집중되고 정치 기강이 문란해지는 세도 정치가 전개되었다. 이로써 부정부패가 널리 퍼지고 백성에 대한 수탈이 심하여졌다. 이에 광범위한 농민들의 저항 운동이 전개되었다.
-- 리듬 2007년 1월 24일 (수) 13:46 (KST)
[편집] 환국과 배달국
한반도에 유적이 없는 환국과 배달국은 어떻게 설명할 건가요 ... 대책이 없다면 '신화'란으로 따로 빼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jtm71 2007년 3월 21일 (수) 11:10 (KST)
일단 유적에 따른 분류와 분리해 놓았습니다. jtm71 2007년 3월 24일 (토) 09:00 (KST)
[편집] '일제시대'는 옛 말 ...
'일제시대'라는 용어는 '일제강점기'로 바뀌어야 합니다. '일제 시대' 토론에도 적어 놓은 내용입니다만, 그 설명대로라면, 현재 '일제시대'라는 용어를 표준어로 사용하고 있는 나라는 없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일제시대'는 '일제강점기'의 옛말로 되어 있고, '일제시대'라는 말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일제강점기'로 바꾼 후 사용하기를 '지양'하는 말입니다. 대한민국 내의 언론.출판물(논문을 포함)은 '일제강점기'라는 명칭을 따르고 있습니다. jtm71 2007년 3월 24일 (토) 08:5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