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옛한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첫가끝

은 자모 바탕 설치했는데도 파이어폭스로 보면 글이 잘 안 나옵니다. 메모장에는 아무 문제도 없으면서요. 독일바퀴 2006년 7월 17일 (월) 16:59 (KST)

토론:옛한글에서 복사해왔습니다. --Kjoonlee 2006년 7월 29일 (토) 14:59 (KST)
저는 윈도용 파폭 2.0 beta 1에서도 데비안용 파폭 1.5.0.4에서도 은자모바탕이 잘 보입니다. 어떤 OS를 쓰시나요? 혹시 파이어폭스 설정 상 문제일 순 없을까요? --Kjoonlee 2006년 7월 29일 (토) 15:03 (KST)

[편집] 첫가끝 대응 무료 글꼴 다운로드

잘못된 정보입니다. 은자모바탕은 옛한글자모가 들어있지 않습니다. 단지 탈네모틀 글꼴일 뿐입니다. 단, 은바탕글꼴에 옛한글 자모가 들어있는 글꼴이 비공개적으로 있습니다만, 은글꼴과 함께 배포되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WkPark 2006년 9월 23일 (일) 18:00 (KST)
제가 헷갈리고 있었네요. IP 사용자라서 더욱 의심했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런데 저는 언젠가 un-fonts 패키지를 직접 받았던 것 같은데 옛한글 자모가 들어 있더군요. 혹시 현재 받을 수 있는 주소나 그런 게 있을까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23일 (일) 18:17 (KST)
죄송합니다. 좀 서둘러 편집하다보니 ㅡㅡ;; 아무튼 관련 이야기가 좀 오래되어서 머리속에 별로 남은게 없지만, 옛한글 글꼴은 총 4가지 정도로 실험되고 있었습니다. 1) 옛자모만 첨가된 은바탕 변형 글꼴(비교적 널리 알려진) 2) 은바탕+비트맵 옛자모 글꼴-1번 글꼴의 예전 버전 3) OldGulim을 신정식님과 저의 노력으로 GSUB jamo feature를 넣은 버전(배포되면 안되는 버전) 4) OldGulim대신에 비트맵으로 대치한(비트맵은 아니고 비트맵을 윤곽선으로 바꾼) GSUB jamo feature적용된 글꼴. 이게 진정한 GSUB jamo 지원(uniscribe 지원) 은바탕 변형 글꼴이죠. 이것이 제대로 된 옛한글 글꼴인데, 잘못 알려진 사실은, 은바탕 자모를 손으로 제대로 그려넣은 글꼴이 아니라 윤곽선으로 변형된 비트맵이 들어있어서 잘 사용되지 않고 있고, 은자모바탕 혹은 은바탕에 자모가 들어있으나 GSUB는 없는 반쪽짜리 옛한글 지원 글꼴이 옛한글을 지원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스토리가 좀 복잡 ㅡㅡ;; Please see GSUB --WkPark
헉 확인해 보니 은자모바탕에 자모가 들어있긴 들어있네요. 은바탕과 은자모바탕 모두 옛자모가 들어있군요. 이것은 은바탕의 옛자모를 그대로 집어넣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옛한글 부분은 좀 균형이 엉성하고요. 이것까지 합하면 옛 자모를 지원하는 글꼴은 은바탕+은자모바탕 두종류 추가입니다 ㅡㅡ;; --WkPark

kldp.net이나 packages.debian.org에서 받은 은 바탕으로는 첫가끝 틀이 잘 작동하는 것 같지가 않습니다. fontforge에서 보면 자모가 보이는데, 자소 결합이 안 되는 것 같습니다. 관련 링크: 위키백과:사랑방/2007년 1월#틀:첫가끝 에러 언저 정정? --Kjoonlee 2007년 1월 9일 (수) 21:52 (KST)

윈도용 FF에서는 작동 안하고, IE6에서 될 때도 안 될 때도 있고, X에서는 잘 되는 것 같습니다. --Kjoonlee 2007년 1월 9일 (수) 22:5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