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헌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 헌종
[[그림:{{{그림}}}|200px]]
재 위
1834년 ~ 1849년
왕 비 효현왕후
효정왕후
황 후 {{{황후}}}
왕 후 {{{왕후}}}
부 군 {{{부군}}}
앞선 왕 순조
앞선 황제 {{{이전 황제}}}
다음 왕 철종
다음 황제 {{{다음 황제}}}
조선의 제24대 국왕

헌종(憲宗, 1827년 - 1849년)은 조선의 제24대 임금(재위 1834년 - 1849년)이다. 는 환(奐), 는 문응(文應), 는 원헌(元軒), 시호는 헌종장숙체건계극중정광대지성광덕홍운장화경문위무명인철효대왕(獻宗莊肅體健繼極中正光大至聖廣德弘運章化經文緯武明仁哲孝大王)이며 대한제국 때 헌종성황제(憲宗成皇帝)로 추존되었다.

[편집] 생애

효명세자(나중에 익종으로 추대되었음)와 신정왕후 조씨의 아들로 태어나 왕세손에 책봉되었다. 1830년에 효명세자가 세상을 떠나고 1834년에 순조가 승하하자 8살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나이가 어려서 대왕대비인 순원왕후가 7년 동안 수렴청정을 했으나 15살이 되던 해에 직접 정치하기 시작했다.

헌종이 나라를 다스리던 시기는 조선 사회를 지탱해 왔던 신분 질서와 봉건 제도의 붕괴가 여기저기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때였다. 또 수재와 전염병 때문에 삶이 점차 어려워져 집을 버리고 떠돌아다니는 유민들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순조 때부터 시작된 로마 가톨릭 탄압이 계속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강화되어 조선에 들어와 있던 프랑스 신부와 유진길, 정하상 등 로마 가톨릭 신자들을 대거 처형하는 기해박해가 일어났다.

이처럼 사회가 불안하다 보니 임금을 배반하여 군사를 일으킨 모반 사건이 2번에 걸쳐 일어났다. 1836년에는 충청도에 있던 남응중이 정조의 동생인 은언군의 손자를 임금으로 추대하고자 했으며 1844년에는 민진용이 역시 은언군의 손자를 임금으로 추대하려 했으나 모두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2번의 모반 사건 모두 별다른 정치적 세력도 없는 중인과 몰락한 양반이 일으킨 것으로 이 시기에는 누구나 왕권에 도전할 수 있었을 만큼 임금이 우습게 여겨지고 있었다.

1845년에는 영국 군함 사마랑 호가 조정의 허락 없이 제주도와 서해안을 측정하고 돌아가는 일이 있었으며 1846년에는 프랑스 제독 세실이 로마 가톨릭 탄압을 구실로 삼아 군한 3척을 몰고 와 임금에게 국서를 전하고 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고 1848년에는 외국의 배들이 경상도와 전라도, 황해도 등지에 빈번하게 출몰하여 백성들이 크게 동요했다. 바로 이 때부터 조선은 서구 열강들의 통상 위협과 문호 개방 요구를 맞게 되었지만 조선은 국제 정세에 어두웠던 탓에 별다른 대책도 세우지 않고 각 당의 권력 장악에만 신경썼다.

9년 동안의 친정 기간 동안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권력 투쟁에 휘말렸던 헌종은 국내는 물론, 조선 주변의 상황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으며, 다가오는 열강 세력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하지 못한 채 1849년 6월, 23살의 나이로 승하하였다.

[편집] 가족 관계

  • 아버지: 익종(翼宗, 1809년 - 1830년)
  • 어머니: 신정익황후 조씨 (神貞翼皇后, 1808년 - 1890년)
  • 비(妃): 효현성황후(孝顯成皇后) 김씨(김조근(金祖根)의 딸, 자식없음)
  • 계비: 명헌왕후(明憲王后) (혹은 효정왕후) 홍씨 (홍재룡(洪在龍)의 딸)- 1녀(일찍 죽음)
  • 후궁: 궁인 김씨

[편집] 같이 보기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문서는 군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조선대한제국역대 국왕
조선: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대한제국: 고종 | 순종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