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oalto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aloalto aka Charlie Brown / 맨하탄박 / John Harper
*Charlie Brown이라는 이름은 믹싱/마스터링 등의 후작업 때 쓰인다
*맨하탄박이라는 이름은 메인스트림적 사운드를 프로듀싱할 때 쓰인다
*John Harper라는 이름은 과거에 잠깐 등장했으며 현재는 쓰지 않고 있다
목차 |
[편집] 바이오그래피
본명은 전상현. Paloalto라는 이름은 그에게 좋은 유년시절 추억을 남긴 미국의 마을 이름 Palo Alto에서 왔다. 2002년 경 Memories (솔로 버전)라는 곡으로 클럽 공연을 중심으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2003년 초에는 Mojoradio라는 인터넷 방송을 Elcue와 진행했다.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게 된 것은 2003년 나온 People & Places vol.1이라는 컴필레이션 앨범에 참여하면서부터로, 이를 계기로 그 해 레이블 신의의지의 창립 멤버로 들어가게 되었다.
2004년 2월 첫 앨범 '발자국'을 내고, 그다음 LP가 나오기까지 여러 피쳐링을 통한 많은 콜라보 작품을 만들었다. LP Resounding은 그의 데뷔 때부터 함께 해왔으나 빛을 볼 기회가 그다지 많지 않았던 개화산 크루를 소개하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2005년 12월에는 신의의지에서 나와 레이블 한량사에 들어갔고 한량사 소속 DJ 팀인 Bust This와 함께 Buffalo라는 팀을 결성하여 앨범을 내려했으나 군복무 문제와 시기상조라는 판단으로 팀을 해체하고 한량사에서 나왔다.
2006년에는 The Quiett와 P&Q Radio라는 인터넷 방송을 진행했으며, 그해 7월 Soul Company를 통해 The Quiett와 P&Q라는 듀오를 조직하여 앨범을 냈다. 이와 함께 현재 Tiger JK, T 등이 소속된 Jungle Ent.와 계약을 맺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군대에 입대, 현재는 군복무 중이다.
대표곡 : Memories, It Ain't No Eazy, It Ain't No Eazy pt.2, I Feel Love, Family
[편집] 속해있는 크루
Paloalto는 현재 개화산, Elementree, Last Poets Avenue 등 세 개의 크루에 속해있다.
[편집] 앨범
2004년 2월 EP 발자국
2005년 6월 LP Resounding
[편집] 앨범 발자국에 관한 trivial fact
- The Quiett이 참여한 Memories는 그의 데뷔곡이 아니다. 원곡은 Paloalto가 프로듀싱했으며 솔로 버전이지만 앨범에 실린 버전에는 Critikal P의 아름다운 비트와 The Quiett의 피쳐링이 가미되어있다.
- 타이틀곡이라 할 수 있는 It Ain't No Eazy pt.2는 1절까지의 노래를 담은 짧은 홍보영상이 제작되기도 했다.
- Memories 뒤에는 Paloalto가 직접 육성으로 전하는 Thanks to가 들어가있다.
[편집] 앨범 Resounding에 관한 trivial fact
- 9815가 참여한 천국은 결코 멀지 않아요라는 트랙을 비롯해서, 군데군데에 기독교적 색채가 가해져있고, 이 때문에 거슬린다는 이유없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 Soul One이 참여한 I Feel Love는 뮤직비디오도 찍어서 공개되었다.
- 이후 발매된 Resounding 재판에는 보너스 트랙인 It Ain't No Eazy pt.3와 Verbal Definition 대신 I Feel Love (Original)이 들어가 있다. The Quiett이 프로듀싱한 새로운 버전에 비해, 오리지널은 Saatan이 프로듀싱하고 쿤타가 보컬로 참여해있다. 앨범 발매 전부터 유출이 되어 소리바다 등에 나돌던 이 곡은 희소성과 퀄리티 등이 맞물려 오히려 더 인기를 끌었다.
- 그의 앨범 초판에는 오타로 Verbal Definition이 Varbal Definition, 빗나간 탄환 Remix가 빛 나간 사랑 등으로 표기되어있다.
- 히든 트랙으로 Jerry,K가 참여한 빗나간 탄환 Remix가 들어가있다. 이 곡은 Jerry,K 본인은 군복무 중일 때 원곡의 아카펠라만을 이용하여 Paloalto가 직접 프로듀싱한 비트위에 덧씌우는 방식으로 완성된 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