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السلطة الوطنية الفلسطينية
팔레스타인의 국기 팔레스타인의 문장
(국기) (문장)
표어:
국가: 조국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의 위치
수도 가자 지구, 서안 지구
5°33′ N 0°15′ W
공용어 아랍어
정부 형태
수반
총리
이스라엘 자치령
마흐무드 압바스
이스마일 하니야
자치령
 •
이스라엘 자치령
1993년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20, 770 km² (150위)
3.52%
인구
 • 어림
 • 2006년 조사
 • 인구 밀도
 

3,888,292명
623.52명/km² (19위)
GDP (PPP)
 • 전체
 • 일인당
어림값

$768,000,000
가자 지구 기준
통화 디나르, 세켈 (ISO 4217:JOD)
(화폐단위:-)
시간대
 • 여름 시간
UTC+2 (UTC+2)
UTC+3 
ISO 3166-1 (없음)
ISO 3166-2 -
ISO 3166-3 준비 중
인터넷 도메인 .ps
국제 전화 +970
아랍 국가들은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아랍어: فلسطين 필라스타니야, 문화어: 팔레스티나)은 이스라엘에 둘러싸여 있는 비독립 국가이다. 정식 명칭은 Palestinian National Authority(PNA : 아랍어:

السلطة الوطنية الفلسطينية 아스-술타 알-와타니야 알-필라스타니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하마스가 팔레스타인을 독립시키기 위해 투쟁하고 있다.

잘 알려진 아라파트는 이 나라의 첫 수반이며,최근 자치정부 총선거에서 하마스가 압승하였다.이는 이스라엘군의 점령으로 인한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불만이 크기 때문이다.


목차

[편집] 역사

팔레스타인에 사는 아랍인들은 자신의 역사가 2천년 이상임을 주장하고 있다. 수십년 간 이스라엘과 다툰 결과, 1993년이스라엘과 자치를 합의한 결과 자치 정부가 세워졌다. 하지만 독립의 목소리가 높기는 마찬가지이다.

[편집] 행정 구역

[편집] 주민과 언어

아랍인이 대다수이며 또한 아랍어를 쓴다.

[편집] 종교

대다수가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편집] 바깥 고리

아시아의 나라 아시아 대륙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속령
마카오5 | 홍콩5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