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레산스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레산스이(일본어: 枯山水, かれさんすい)는 일본정원이나 일본화의 양식 또는 방식의 하나이다.

못이나 농업용수 등의 을 사용하지 않고 돌과 모래 등에 의해 산수의 풍경을 표현하는 정원 양식이다. 그 예로 흰 모래와 작은 돌을 깔고 수면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고, 다리가 놓여 있으면 그 아래는 로 간주한다. 돌 표면의 문양으로 의 흐름을 표현하는 것도 있다.

특히 무로마치 시대선종 사원에서 만들어지고 발달했다. 종래의 정원에서도 기법으로서 정원의 일부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었으나, 차차 독립된 정원으로서 만들어지게 되었다. 일본정원은 을 얻을 수 있는 장소에 세웠지만, 가레산스이 양식이 등장한 후에는 꼭 을 쓰지 않더라도 정원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유명한 가레산스이 정원으로는 사이호지(西芳寺, 아래쪽은 못이 있는 치센카이유시키 정원(池泉回遊式庭園)이고, 윗쪽은 가레산스이 정원이 있음)와 다이토쿠지(大徳寺)의 정원 등이 있다. 특히 료안지(竜安寺)의 돌 정원은 나무나 풀 없이,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에 흰 모래와 15개의 돌만으로 표현한 특이한 것이라 그 해석을 둘러싸고 다양한 설이 오가고 있다.

위의 예들은 돌 정원을 기본으로 하는 가레산스이이지만, 타이산지(太山寺)의 안요인정원(安養院庭園) 같이 모래를 쓰지 않고 돌로만 풍경을 표현하는 가레이케시키(枯池式) 가레산스이도 존재한다.


[편집] 역사

  • 헤이안 시대 ~ 가마쿠라 시대 : 당나라에서 수묵화가 전해지다.
  • ‘가레산스이’라는 표기는 헤이안 시대 후기에 쓰인 것으로 보이는《사쿠테이키(作庭記)》에 나온다. 다만 무로마치 시대에 유행했던 의미(을 쓰지 않고 을 표현하는 기법)와는 달리, 이 없는 곳에 돌을 세우는 것을 가리켰다.《사쿠테이키》의 편저자는 《군쇼루이주(群書類従)》의 안쪽 표기에 의하면 구조 요시쓰네(九条良経, 교고쿠 요시쓰네(京極良経)로도 불림)이지만, 다치바나 도시쓰나(橘俊綱)라는 설 등, 다른 설도 많다.
  • 무로마치 시대명나라산수화·파묵산수화의 영향을 받아, 완성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