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번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편번호(郵便番號)는 우편물 발송시 주소별 구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코드로, 일정한 기준 하에 주소를 숫자로 변환한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 7월 1일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각 나라별로 독자적인 체계의 우편번호를 이용하고 있다.

목차

[편집]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편집] 역사

  • 1970년 7월 1일에 처음 도입하였다. 우체국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하였는데, 동지역이 우편번호를 가질 때는 3자리와 2자리를 병기하여 120-01(서울 서대문구 수색동), 구지역의 경우는 3자리로 100(서울 중구)과 같이 부여하였다.
  • 1988년 2월 1일에 행정구역별로 읍면동 단위의 6자리 우편번호를 새로 부여하였다.
  • 2000년 5월 1일에 행정구역별 우편번호에 우편물 배달이 더욱 용이하도록 집배원의 담당구역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하였다. 1998년에 부여한 우편번호를 기본 골자로 한다.

[편집] 구조

한국의 우편번호는 현재 지역별 발송번호 3자리와 세부주소 발송번호 3자리를 합쳐 6자리의 우편번호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가장 이른 번호를 사용하는 지역은 서울 중구 충무로1가로 100-011을 사용하고, 우정사업본부가 위치한 광화문 우체국은 서울 종로구 서린동의 100-011을 사용하고 있다.

발송용 번호

우편물의 도착지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부여한 번호로, 우편집중국에서 발송구분용으로 사용한다. 첫째자리는 광역행정구역(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 등) 별로 부여하고, 둘째자리는 주민생활권이나 집중국 권역, 셋째자리는 ·· 별로 부여한다.

지역 번호 0 1 2 3 4 5 6 7 8 9




10 중구
11 종로구
12 서대문구 마포구 은평구
13 동대문구 중랑구 도봉구 성동구 강동구 강남구 성북구 서초구 송파구 노원구
14 용산구 강북구 광진구
15 영등포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강서구 양천구


20 춘천시 화천군
21 강릉시 양양군 속초시 고성군
22 원주시 횡성군
23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태백시
24 동해시 삼척시
25 홍천군 인제군 양구군
26 철원군


·


·

30 대전 동구 대전 중구 대전 서구 대전 유성 대전 대덕
31 금산군 공주시
32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서천군
33 천안시 아산시 연기군
34 예산군 당진군 청양군
35 홍성군 보령시 서산시 태안군
36 청주 상당 청주 흥덕 청원군 진천군 괴산군 증평군 음성군
37 영동군 옥천군 보은군
38 충주시
39 제천시 단양군


·

40 인천 중구 인천 동구 인천 남구 인천 부평 인천 서구 인천 남동 인천 연수 인천 계양 옹진군
41 고양일산동 고양일산서 고양 덕양 파주시 김포시 강화군
42 부천 원미 부천 오정 부천 소사 광명시 안산 단원 안산 상록 과천시 시흥시
43 안양 만안 안양 동안 군포시 의왕시
44 수원 장안 수원 권선 수원 팔달 수원 영통 화성시 용인 기흥 오산시 용인 수지 용인 처인
45 평택시 평택 읍·면[1] 안성시 평택 송탄[2]
46 성남 수정 성남 중원 성남 분당 광주시 하남시 이천시 여주군
47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 가평군
48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포천시


·


·

50 광주 북구 광주 동구 광주 서구 광주 남구 광주 광산
51 영광군 장성군 곡성군 담양군 화순군
52 나주시 함평군 영암군 강진군 장흥군
53 목포시 무안군 신안군 해남군 완도군 진도군
54 순천시 구례군 광양시 보성군 고흥군
55 여수시 여수시[3] 여수시[4]
56 전주 완산 전주 덕진 완주군 임실군 진안군 무주군
57 익산시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58 정읍시 고창군
59 남원시 순창군 장수군


·


·


·

60 부산 중구 부산 동구 부산 서구 부산 사하 부산 영도 부산 동래 부산 남구 부산 금정
61 부산 연제 부산해운대 부산 수영 부산부산진 부산 북구 부산 사상 부산 강서 기장군
62 김해시 양산시 밀양시
63 마산 회원[5] 마산 합포[6] 창녕군 의령군 함안군 고성군
64 창원시 진해시
65 통영시 거제시
66 진주시 사천시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67 거창군 함양군 합천군
68 울산 남구 울산 중구 울산 동구 울산 북구 울주군
69 제주시 서귀포시


·

70 대구 중구 대구 동구 대구 북구 대구 서구 대구 달서 대구 남구 대구 수성
71 달성군 경산시 청도군 군위군 고령군 칠곡군 성주군
72
73 구미시
74 김천시 상주시 문경시
75 영주시 봉화군 예천군
76 안동시 봉화군 예천군
77 영천시
78 경주시
79 포항 남구 포항 북구 울릉군
  1. ^  1995년의 평택시·평택군·송탄시 통합 이전의 평택군 지역.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를 참조.
  2. ^  1995년의 평택시·평택군·송탄시 통합 이전의 송탄시 지역.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를 참조.
  3. ^  1998년의 여수시·여천시·여천군 통합 이전의 여천시 지역.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를 참조.
  4. ^  1998년의 여수시·여천시·여천군 통합 이전의 여천군 지역.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를 참조.
  5. ^  2000년의 마산시 구청 폐지 이전의 회원구 지역. 자세한 내용은 마산시를 참조.
  6. ^  2000년의 마산시 구청 폐지 이전의 합포구 지역. 자세한 내용은 마산시를 참조.

배달용 번호

우편물을 수신자에게 전달할 때 사용하기 위한 번호로, 집배원별 담당구역과 일치하도록 세분화하여 부여한다. 동이나 면 단위로 구분하나, 그 이하로 건물이나 사서함 단위까지 구분하기도 한다. 법정동을 기준으로 부여하며, 법정동 내에 행정동이 여러개 존재할 때에는 법정동과 행정동 모두 각각 우편번호를 부여한다. 예외적으로 여러개의 법정동에 하나의 행정동이 존재할 경우에는 법정동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하며, 행정동에는 우편번호를 부여하지 않는다.

공동주택의 경우 1일 500통, 빌딩이나 기관 등의 경우는 1일 300통 이상의 우편 배달 물량이 있을때에 개별 우편번호를 부여한다. 다량배달처의 우편번호 부여는 해당 지역의 관할 우체국장의 허가가 필요하다.

[편집] 세계의 우편번호

독일의 지역별 우편번호
독일의 지역별 우편번호

[편집] 일본

3자리의 발송용 번호와 4자리의 숫자를 이용한다. 100-0000은 도쿄 도 지요다 구의 우편번호이다.

[편집] 미국

Postal code(postcode) 혹은 ZIP code라고 불리는 독자적인 형식의 우편번호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5자리의 발송용 번호(ZIP)로 대표되는 지역을 세분화하여 4자리의 숫자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편집] 영국

5자리에서 7자리 내외의 문자나 숫자를 이용한 우편번호를 사용한다.

[편집] 독일

지역을 나타내는 2자리의 숫자와 3자리의 발송용 번호를 사용한다.

[편집] 캐나다

문자와 숫자를 모두 이용한 발송용 번호 3자리와 배달용 번호 3자리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편집] 오스트레일리아

주 혹은 준주를 나타내는 한자리의 숫자와 발송용 번호 3자리를 조합해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