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글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글꼴컴퓨터로 보는 글자들의 모양새를 뜻한다.

목차

[편집] 표시 방식

크게 비트맵 방식과 벡터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크기가 고정된 점으로 이루어진 비트맵 방식의 글꼴들은 처리 속도가 빠르지만, 정해진 크기에서만 제대로 보인다. 벡터 방식의 글꼴들은 크기를 변화시켜도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처리 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

과거 OS에서 사용되는 UI 글꼴은 벡터 방식에 비트맵 글꼴을 임베딩하여 넣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는 비트맵 글꼴만으로는 축소, 확대, 출력에 문제가 있어(일반적으로는 확대축소가 가능한 비트맵정보를 넣지 않기 때문에 : 실제 폰트 스펙에는 확대축소가 가능한 비트맵 정보를 넣을 수 있다.) 벡터방식을 같이 이용하는 것이다.

비트맵 방식은 화면에서 해당 비트맵 그대로 보여지는 반면, 벡터 방식은 아웃라인이 화면에 표현되면서 왜곡이 발생하게 되고 원치 않는 형태로 깨져보이는 경우가 생기게 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특정 크기에 맞추어 비트맵 디자인을 한 후, 벡터 방식에 임베딩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편집] 폭의 변화

글꼴을 글자들의 폭 변화에 따라 고정폭 글꼴과 가변폭 글꼴로 나눌 수 있다. 고정폭 글꼴은 글자에 상관없이 일정한 폭을 할당하며, 가변폭 글꼴은 W와 같은 글자에는 넓은 폭을 할당하고 i와 같은 글자에는 좁은 폭을 할당한다. 좀 더 세밀하게 모습을 조정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이 도입되었는데, 예를 들어 'VA'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커닝(자간 여백)이 많은 경우 폰트 자체에 커닝 문자 쌍의 정보가 있거나 수동으로 커닝을 직접 지정해 주는 방법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문자들에 따라서 가변폭 글꼴을 많이 쓰지 않거나 아예 쓰기 힘든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한자는 가변폭 글꼴을 만들기 힘들며, 그 영향으로 가나한글 글꼴도 고정폭인 경우가 많다.

[편집] 관련 기술

[편집] 웹 폰트

웹폰트는 동적폰트(dynamic font)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동적폰트는, 폰트가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볼 수 있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개념이라 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웹폰트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웹폰트의 포맷은 비트스트림의 .pfr 포맷과 마이크로소프트의 .eot 포맷의 2가지가 있었다. 하지만, .pfr은 netscape과 mozilla까지 지원을 하고 파일의 포맷을 공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사용이 안되고 있다. 반면, .eot는 MS의 특정 버전 이상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지원되고 파일포맷은 공개가 되지 않아 다른 인터넷 브라우저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eot 포맷은 MS의 WEFT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제작이 가능하며, 웹폰트가 사용될 사이트의 URL을 넣을 수 있어 해당 URL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어 불법사용 또한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

웹폰트가 사용된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웹폰트를 접속자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웹폰트로 보여준다. 따라서, 웹폰트의 파일 용량이 크면 클수록 다운로드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되고, 실제 웹페이지가 웹폰트로 대체되어 보여지는데 약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일부 포털에서 사용되는 웹폰트의 경우, 비트맵폰트를 웹폰트로 제작한 것으로 출력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 외에도, eot와 pfr 외에도 GlyphGate에서 개발한 웹폰트 형태가 있다.

[편집] 클리어타입

클리어타입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기술로, 액정 화면에서 더욱 깨끗하게 글자를 표시할 수 있는 기술이다. 액정 화면의 한개 픽셀은 RGB(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3개의 서브픽셀(sub-pixel)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특징을 최대한 활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반면, 클리어타입은 가로방향으로만 RGB의 서브픽셀을 이용한 안티알리아싱 효과가 나기때문에, 세로측에 대해서는 계단현상 느낌이 그대로 나올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리어타입에 세로측으로 안티알리아싱 효과를 추가한 래스터라이징 기술을 개발하여 발표하였고, 그로 인해, 아웃라인의 계단현상이 최소화되어 보다 나은 래스터라이징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다양한 해상도에서도 정확한 래스터라이징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힌팅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거의 모든 상용 한글 글꼴에는 제대로 된 힌팅 정보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클리어타입의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선명성에서 큰 향상은 없는 편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비스타에 기본 글꼴로 사용되는 한글 글꼴 ‘맑은 고딕’은 한글 글꼴의 힌팅 정보를 포함하여 클리어타입 기술이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최초의 한글 글꼴이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