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미시 (경상북도) | |
---|---|
![]() |
|
현황 | |
면적 | 616.25km² |
세대 | 143,411가구 (2006년) |
총인구 | 386,465명 (2006년) |
법정동 | 개 |
행정동 | 19개 |
읍 | 2개 |
면 | 5개 |
단체장 | 남유진 |
홈페이지 | 구미시청 |
상징 | |
시목 | 느티나무 |
시화 | 개나리 |
시조 | 까치 |
군목 | {{{군목}}} |
군화 | {{{군화}}} |
군조 | {{{군조}}} |
구목 | {{{구목}}} |
구화 | {{{구화}}} |
구조 | {{{구조}}} |
구미시 (龜尾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한 시이다. 1970년대 초 정부의 수출주도정책에 힘입어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내륙 최대의 첨단 수출 산업단지를 보유한 도시로 발돋움했다. 구미시는 첨단 전자산업ㆍ정보통신산업을 위주로 1999년에는 전국 단일공단 최초로 수출 100억불을 돌파했고, 2003년에는 수출 205억 6,600만 불을 달성하고, 2005년에는 305억 2,900만 불 수출을 달성하였다.
목차 |
[편집] 지리
경상북도의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남쪽에는 칠곡군, 서쪽에는 김천시, 북쪽에는 상주시, 동북쪽으로는 군위군과 의성군과 접하고 있다. 지세는 대개 서북방으로부터 동남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시의 중앙을 낙동강이 북에서 남으로 관통한다. 서남단에는 해발 976m의 금오산, 동쪽에는 사면석벽의 천생산, 동북쪽에는 청화산과 냉산 등이 위치하고 있다.
[편집] 역사
[편집] 연혁
- 1963년 1월 1일 구미면이 구미읍으로 승격.[1]
-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과 칠곡군 인동면을 관할하는 경상북도구미지구출장소 설치.
- 1978년 2월 15일 선산군 구미읍과 칠곡군 인동면을 합쳐 구미시 설치.[2]
- 1979년 5월 1일 선산면이 읍으로 승격.[3]
- 1995년 1월 1일 구미시와 선산군을 다시 합쳐 도농복합형 구미시를 설치하고, 구미시선산출장소를 설치함.[4]
[편집] 역대 구미 시장
- 이 부분의 본문은 구미 시장입니다.
대수 | 이름 | 임기 |
---|---|---|
2대 3대 |
김관용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2002년 7월 1일 ~ 2006년 2월 27일 |
|
남유진 | 2006년 7월 1일 ~ |
[편집] 행정 구역
구미시는 2읍 5면 19동(행정동)으로 이뤄져 있다.
[편집] 읍
|
|
[편집] 면
|
|
|
|
[편집] 동
|
|
|
|
|
[편집] 교육
[편집] 대학교
국립
사립
[편집] 대학
사립
[편집] 고등학교
국립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공립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외국어고등학교, 구미고등학교, 구미여자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구미정보여자고등학교, 금오고등학교, 금오공업고등학교, 인동고등학교, 상모고등학교, 사곡고등학교, 선산고등학교, 선산여자종합고등학교, 선주고등학교
사립 경구고등학교, 금오여자고등학교, 도개고등학교, 오상고등학교, 현일고등학교
[편집] 중학교
공립 구미신평중학교, 구미여자중학교, 구미중학교, 금오중학교, 도송중학교, 무을중학교, 봉곡중학교, 산동중학교, 상모중학교, 선산여자중학교, 선산중학교, 선주중학교, 송정여자중학교, 옥계중학교, 인동중학교, 진평중학교, 해평중학교, 형곡중학교, 형남중학교
사립 경구중학교, 도개중학교, 오상중학교, 현일중학교
[편집] 초등학교
공립 고아초등학교, 광평초등학교, 구미초등학교, 구미사곡초등학교, 구미신평초등학교, 구미오산초등학교, 구운초등학교, 구평초등학교, 구평남부초등학교, 금오초등학교, 남계초등학교, 덕촌초등학교, 도개초등학교, 도량초등학교, 도봉초등학교, 도산초등학교, 무을초등학교, 문장초등학교, 비산초등학교, 산동초등학교, 상모초등학교, 선산초등학교, 선주초등학교, 송정초등학교, 신기초등학교, 야은초등학교, 양포초등학교, 예산초등학교, 오태초등학교, 옥계초등학교, 옥성초등학교, 원남초등학교, 원호초등학교, 인동초등학교, 인의초등학교, 임봉초등학교, 장천초등학교, 지산초등학교, 진평초등학교, 해평초등학교, 형곡초등학교, 형남초등학교, 형일초등학교, 황상초등학교
[편집] 교통
[편집] 철도 교통
경부선 철도가 도심을 동서로 관통한다. 서울기점 276.7km 지점의 구미역과 281.3km 지점의 사곡역이 위치하고 있다. 연간 구미역의 이용객 숫자는 약 485만 명으로, 하루 평균 1만 3천여 명이 이용하며 사곡역은 연간 1만 1천여 명이 이용해 하루 평균 약 30명이 이용한다.
[편집] 도로 교통
경부고속국도가 도심을 동서로 관통하며, 중부내륙고속국도가 구미를 기점으로 여주와 연결되어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동측으로는 중앙고속국도가 통과한다. 경부고속국도 선상의 구미나들목과 남구미나들목, 중부내륙고속국도의 선산나들목이 있다. 구미나들목은 연간 492만여 대의 차량이 이용하며, 남구미나들목 433만 여대, 선산나들목 71만여 대의 차량이 이용하고 있다.
국도 33호선이 남북으로 관통해 선산읍과 고아읍을 연결하며, 남측으로 김천과 칠곡을 연결하는 국도 4호선이 국도 33호선과 연결된다. 북측으로는 국도 25호선이 국도 5호선과 연결되어 대구와 상주를 이으며 통과하고 있다. 또한 국도 67호선이 동측에서 남북으로 구미국가산업단지 제2단지와 제3단지를 통과해 상주와 칠곡을 연결하고 있다.
시외로의 대중교통은 구미종합터미널과 선산터미널의 2개 터미널과 고아·해평·도개·산동·장천의 5개 정류소가 분담하고 있으며, 구미종합터미널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공동으로 이용하고 있다.
[편집] 주요 문화재
[편집] 국보
- 선산 죽장동 오층석탑 (국보 제130호)
[편집] 보물
- 선산 낙산동 삼층석탑 (보물 제469호)
- 도리사 석탑 (보물 제470호)
- 금오산 마애보살입상 (보물 제490호)
- 선산 해평동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492호)
-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보물 제1122호)
- 조정 종손가 소장 문적 (보물 제1004-2호)
[편집] 천연기념물
- 선산 농소의 은행나무 (제225호)
- 선산 독동의 반송 (제357호)
[편집] 중요민속자료
- 해평 최상학 가옥 (제105호)
[편집] 사적
- 선산 낙산리 고분군 (제336호)
[편집] 주요 관광지
[편집] 금오산도립공원
- 금오산은 영남팔경의 하나로, 높이는 해발 976미터이다. 각종 유적과 풍경이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자연보호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2001년 5월 10일에 대한민국 최초로 ISO로부터 환경관리분야 국제표준인증 ISO 14001을 획득하였다.
- 약사암
- 금오산성
- 채미정
[편집] 천생산
- 천생산성
[편집] 주요 사찰
- 도리사
- 도리사는 신라에 불교를 처음 전파한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보물로 지정된 도리사 석탑은 신라 초기 불교의 흔적과 모전석탑의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이며, 도리사 극락전은 조선 후기의 목조 건물 양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도리사는 겨울에 산 중턱에 복숭아꽃(桃花)과 오얏꽃(李花)이 만발한 모습을 보고 지었다고 전한다.
- 대둔사
- 보천사
- 원각사
- 수다사
[편집] 일선리 문화재단지
일선리 문화재단지는 1987년에 임하댐이 건설되면서, 안동시(당시 안동군)에서 일부 고택을 이건하여 조성한 문화재단지이다. 수남위 종택, 만령초당, 삼가정, 용와종택 및 침간정, 동암정, 대야정, 호고와 종택, 근암 고택, 임하댁(수재 고택), 망천리 임당댁 등이 위치하여 있다.
[편집] 서원 및 향교
- 금오서원
- 야은 길재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조선 선조 3년에 건립되었다. 원 위치는 금오산이었으나, 선조 35년에 선산부사 김용이 지금의 선산읍 자리로 이건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 동락서원
- 사주는 여헌 장현광이다.
- 낙봉서원
- 사주는 강호 김숙자를 비롯하여 진락당 김취성, 용암 박운, 구암 김취문, 두곡 고응척 등이다.
- 선산향교
- 인동향교
[편집] 박정희대통령 생가
[편집] 자매도시
- 김제시 (대한민국)
- 오쓰 시 (일본 시가 현)
- 선양 시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 창사 시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성)
-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 메히칼리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 아인트호벤 (네덜란드 노르트브라반트 주)
[편집] 공공기관
우체국
-
- 관내국(6급) 구미원평동, 구미형곡동, 구미공단, 인동, 구미도량동, 구미옥계동, 구미구평동, 구미상모동, 구미봉곡동, 선산, 구미원호, 해평, 장천
- 관내국(7급) 금오공대, 구미엘지필립스, 구미삼성제2, 궁기
- 별정우체국 고아, 무을, 산동, 옥성
- 우편취급소 구미낙계, 구미신평, 구미황상동
도서관
경찰서
소방서
[편집] 바깥고리
[편집] 각주
- ^ 읍설치에관한법률 (제정 1962년 11월 21일 법률 1177호)
- ^ 구미시설치및부산시·경상남도간관할구역조정에관한법률 (제정 1977년 12월 19일 법률 3014호)
- ^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4월 7일 대통령령 제9409호)
- ^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제정 1994년 8월 3일 법률 4774호)
경상북도의 행정 구역 |
---|
경산시 | 경주시 | 구미시 | 김천시 | 문경시 | 상주시 | 안동시 | 영주시 | 영천시 | 포항시 |
고령군 | 군위군 | 봉화군 | 성주군 | 영덕군 | 영양군 | 예천군 | 울릉군 | 울진군 | 의성군 | 청도군 | 청송군 | 칠곡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