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일레 셀라시에 1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하일레 셀라시에 1세(1892년 7월 23일 - 1975년 [[8월 27일, 재위 1930년~1974년, 암하라어: ኃይለ፡ሥላሴ I)는 에티오피아 제국을 통치한 마지막 황제였다. 1974년 공산 쿠데타로 쫓겨났다. 암하 셀라시에 1세가 잠깐 통치했으나 그 또한 쫓겨 나서 솔로몬 왕조는 끝을 맺게 되었다.

본명은 라스 타파리 마콘넨(암하라어: ቀዳማዊ፡ኃይለ፡ሥላሴ)이다.

목차

[편집] 생애

1916년쿠데타로, 메넬리크 2세의 딸로 여황제로 즉위한 자우디투의 황태자가 되어 에티오피아 제국의 실권을 잡았다(사실상 강권을 쥔 총리나 다름없었다). 자우디투가 사망한 뒤인 1930년에 제위(帝位)에 올라 즉위식이 거행되었다. 그리고 그의 즉위 당시 타임지 앞면에서는 그의 초상화를 붙일 만큼 그는 유럽 대륙에서도 인기가 높았다.

[편집] 황제 즉위

1930년에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1936년부터 1941년까지는 이탈리아 군대의 침략으로 영국에 망명하였다. 1968년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당시 서울 시민들로부터 열렬한 환호와 박수를 받았다.

[편집] 몰락

1974년 멩기스투가 이끄는 육군에 의한 쿠데타로 폐위되었고, 이듬해 감금 중에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1992년 舊 궁전 안에서 발굴되어, 2000년아디스아바바의 트리니티 대성당 내 묘지에 묻혔다.

[편집] 업적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근위대를 파견하게 하여 대한민국을 지원하였다. 전후(戰後),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현 AU)의 창설에 기여했으며, 외교면에서 능력을 발휘했다. 주요 업적은 국민 의무교육 강화, 노예제 폐지 등을 꼽을 수 있다. 그가 재위한 당시에는 에티오피아의 국민 소득이 3천 달러였다고 한다(지금의 100달러와는 비교가 안 되었다).

[편집] 바깥 고리

전 임
자우디투 1세
(재위 1916 ~ 1930)
에티오피아 제국황제
1930년 - 1974년
후 임
암하 셀라시에 1세
(1974년 9월 12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