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리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타리그는 온게임넷이 개최하는 스타크래프트 개인전 대회이다. 1999년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을 시초로 온게임넷이 개최한 것이 시작이다.

목차

[편집] 역대 스타리그

[편집] 99 프로게이머 코리아오픈

  • 리그기간 : 1999-10-02 ~ 1999-12-30
  • 특이사항
    • 대한민국 최초의 게임방송
    •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전신
    • 유일한 플레이오프 방식의 4 강전
    • 4강 입상선수에게 다음 시즌 시드배정
  • [우승 최진우, 준우승 국기봉, 3위 이기석, 4위 김태목]

[편집] 2000 하나로통신배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0-02-16 ~ 2000-05-16
  • 특이사항
    • 최초로 "스타리그" 명칭을 사용한 대회
    • 4강 입상선수에게 다음 시즌 시드배정
    • 최초로 자체 제작맵을 대회 공식맵으로 사용
  • [우승 기욤, 준우승 강도경, 3위 최인규, 4위 변성철]

[편집] 2000 왕중왕전

  • 리그기간 : 2000-12-04 ~ 2000-12-28로그인
  • 특이사항
    • 6인 Full League
    • 최초의 왕중왕전으로 후원사가 없는 유일한 대회(1999 PKO 제외)
    • 우승, 준우승 선수에게 차기 리그 시드배정
    • 최초로 공식맵에 Neo라는 접두어를 사용하기 시작
  • [우승 기욤, 준우승 국기봉]

[편집] 2001 한빛소프트배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1-02-16 ~ 2001-05-05
    • 특이사항 : 전 대회 우승자가 시드를 못 받은 유일한 대회(왕중왕전 우승자 시드배정)
    • 메가웹 생방송 시작
    • 맵공모전으로 공식맵 선정
      • (우승작 Hall of Valhalla(김진태 작), 준우승작 Legacy of Char(이왕영 작)
    • 후원사 유니폼 첫 등장
  • [우승 임요환, 준우승 장진남, 3위 기욤, 4위 박용욱]

[편집] 2001 코카콜라배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1-06-15 ~ 2001-09-08
  • 특이사항
    • 1.08 패치이후 첫 리그
    • 유일하게 동률경기 점수제로 승패 결정(16강 재경기)
    • 사상 최초 2연패 선수 배출(임요환)
    • 게임대회 사상 최초 체육관 결승전
  • [우승 임요환, 준우승 홍진호, 3위 조정현, 4위 이근택]

[편집] 2001 SKY배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1-10-19 ~ 2001-12-28
  • 특이사항
    • 유일하게 온라인 예선(KBK)으로 본선진출자 선발(김재훈, 안형모, 세르게이, 김승엽)
    • 두번째 외국인 선수 8강 진출(세르게이)
    • 사상 최초 3연속 결승진출(임요환)
    • 사상 첫 역대 리그 우승자들간 결승전(김동수 vs 임요환)
    • 2번째 2회 우승선수 탄생(김동수)
    • 자원봉사자 모집 시작
    • 노동환 방식 최초 도입
  • [우승 김동수, 준우승 임요환, 3위 김정민, 4위 홍진호]

[편집] 2001 KT 왕중왕전

  • 리그기간 : 2002-01-12 ~ 2002-02-22
  • 특이사항
    • Full League 출전선수 6명 제한을 위한 와일드카드 경기 실시
    • 참가선수별 테마적용
    • 선수당 1일 2경기 부분적용
    • 우승, 준우승 선수 차기리그 시드배정
    • 엄정김 트리오 중계진의 마지막 방송
  • [우승 홍진호, 준우승 조정현]

[편집] 2002 NATE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2-03-29 ~ 2002-06-09
  • 특이사항
    • 4인 시드 방식 적용 시작
      • Top시드 결정전 실시
      • 최초의 지명식 조편성
      • 마지막 예선전실시 - 챌린지리그 도입
    • 엄전김(엄재경, 전용준, 김태형) 트리오 첫방송
    • 시드배정자 전원 8강 탈락, 소속팀 유니폼 첫 등장
    • 공식맵에 최초로 프로텍트 및 네오컬러, 텍스트 로고 등장
  • [우승 변길섭, 준우승 강도경, 3위 최인규, 4위 한웅렬]

[편집] SKY 2002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2-07-12 ~ 2002-10-12
  • 특이사항
    • 지명식 조편성 생중계 시작
    • 듀얼토너먼트 방식의 예선전 도입
    • 1위~3위 차기 스타리그 시드배정
    • 4강전 5판 3선승제로 변경
    • 기욤 이후 최초의 외국인 4강진출(베르트랑)
    • 최다연승 수립(임요환 - 10연승)
    • 공식맵에 국어이름 표기(개마고원)
    • 게임대회 최초의 야외 결승전(올림픽 공원)
  • [우승 박정석, 준우승 임요환, 3위 홍진호, 4위 베르트랑]

[편집] Panasonic 2002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2-11-15 ~ 2003-02-14
  • 특이사항
    • 챌린지리그 1위 첫 시드(4번)배정(서지훈)
    • 이윤열 선수 첫 출전 대회 우승
    • 처음으로 종전 공식맵의 수정 재사용(Avant-gardeⅡ)
    • 결승전 통해 사상 최초로 프로게이머 은퇴식 실시(김동수)
    • 사상 최초로 8강에 2종족만 편성(테란, 저그)
  • [우승 이윤열, 준우승 조용호, 3위 홍진호, 4위 박경락]

[편집] Olympus 2003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3-04-04 ~ 2003-07-13
  • 특이사항
    • 사상 최초 4시즌 동안 사용된 맵 탄생(Neo Bifrost)
    • 최초로 공식맵에서 섬맵 제외
    • Zerg 정규리그 준우승 징크스 지속
    • 2시즌 연속 8강에 플토 입성 실패
  • [우승 서지훈, 준우승 홍진호, 3위 임요환, 4위 박경락]

[편집] Mycube 2003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3-08-01 ~ 2003-11-09
  • 특이사항
    • 최초의 야구장 결승전
    • 사상 첫 같은 종족간 결승전 (플토 VS 플토)
    • 최초로 4강에 플토 3명 (박용욱, 강 민, 박정석)
    • 스타리그 엠블럼 도입
    • 맵 이름에 스폰서 명칭 추가 - Paradoxxx(Mycube)
  • [우승 박용욱, 준우승 강민, 3위 박경락, 4위 박정석]

[편집] NHN한게임 03~04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3-12-12 ~ 2004-03-21
  • 특이사항
    • 2연속 동일종족 결승전 (플토 VS 플토)
    • 박태민선수 공식경기 11연승
  • [우승 강민, 준우승 전태규, 3위 나도현, 4위 변은종]

[편집] Gillette 2004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4-04-30 ~ 2004-08-01
  • 특이사항
    • 박성준의 온게임넷 본선 최단경기 3분 37초
    • 3시즌만에 저그의 결승진출, 그리고 온게임넷최초로 저그의 우승
    • 8강을 4개조로 3전2선승제 토너먼트형식
    • 온게임넷 2차 맵공모전을 통해 선별된 우승맵을 공식맵으로 사용
      • 우승작-Requiem(지근영 작), 준우승작-Serapis Temple(고승훈 작), 3위작-Dual Space(조승연 작)
  • [우승 박성준, 준우승 박정석, 3위 최연성, 4위 나도현]

[편집] EVER 2004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4-08-27 ~ 2004-11-20
  • 특이사항 : 프로토스의 가을의 전설 깨짐
    • 8강진출자중 테란 우승자 클럽 모두 8강진출(임요환,변길섭,이윤열,서지훈)
    • 4시즌 만에 테란의 결승진출, 그리고 최초의 테란 VS 테란 결승
  • [우승 최연성, 준우승 임요환, 3위 박정석, 4위 홍진호]

[편집] IOPS 04~05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4-12-17 ~ 2005-03-05
  • 특이사항
    • 모든 8강 경기가 2:0으로 2주만에 끝남
    • Neo Guilotine이 공식맵으로 재사용
  • [우승 이윤열, 준우승 박성준, 3위 박태민, 4위 이병민]

[편집] EVER 2005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5-04-08 ~ 2005-07-02
  • 특이사항
    • 2기 프로게이머 협회가 발족하며 양방송사 공식맵을 1개씩 공유하여 사용
      • Neo Requiem, Luna the Final)
    • 온게임넷 맵제작팀이 결성되며 제작한 맵이 공식맵으로 투입됨
  • 사상 최초로 결승전에서 저그가 테란을 이기고 우승
  • [우승 박성준(POS), 준우승 이병민, 3위 서지훈, 4위 박태민]

[편집] 2005 SO1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5-08-05 ~ 2005-11-05
  • 특이사항
    • 맵돌이닷컴을 통한 오픈베타 테스트 시스템이 처음으로 가동된 2005년 2차 시즌
    • OSL 3회 우승자에게 황금마우스 수여 정책 발표
    • 3회 우승자에게 차차기 시즌 시드를 준다고 하여 논란이 일음
    • 최초로 테란대 테란전 경기가 없던 리그
    • 역대 최고 시청률 갱신(결승전)
  • [우승 오영종, 준우승 임요환, 3위 최연성, 4위 박지호]

[편집] 신한은행 05~06 스타리그

  • 리그기간 : 2005-11-25 ~ 2006-03-04
  • 특이사항
    • 최초의 금융권 스폰서가 유치된 대회
    • 중립건물을 사용한 최초의 공식맵 투입(개척시대)
  • [우승 최연성, 준우승 박성준(POS), 3위 박지호, 4위 한동욱]

[편집]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편집]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1
  • 리그기간 : 2006-04-12 ~ 2006-06-24
  • 특이사항
    • 11개 프로게임단이 모두 참여하여 맵테스트 진행
    • 방송국 관계자, 맵제작자 및 게임단 코치진으로 구성된 맵TF팀 구성
    • 특수에디터를 활용하여 정글타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윗쪽 방향 언덕입구' 제작(백두대간)
    • 스타리그 최초 연간대회 스폰서로 3개대회 및 연말에 '신한 마스터즈' 개최
    • 주최가 신한은행으로 이전되고 온게임넷은 주관방송사 역할 담당.
    • 16강이었던 본선대진이 24강으로 확대되며 시드가 3장에서 6장으로 늘어남.
  • [우승 한동욱, 준우승 조용호, 3위 홍진호, 4위 변은종, 5위 박성준(삼성), 6위 변형태]

[편집]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2
  • 리그기간 : 2006-08-18 ~ 2006-11-18
  • 특이사항
    • 24강 제도의 유지
    • 16강부터의 조지명식을 다시 진행하는 등의 약간의 리그 방식 변화가 특징인 리그
    • 최초로 제주도에서 결승전이 열림
    • 최초의 3회 우승자[골든 마우스 수상자]탄생(이윤열)
  • [우승 이윤열, 준우승 오영종, 3위 전상욱, 4위 이병민, 5위 박태민, 6위 박성준(삼성)]

[편집]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3
  • 리그기간 : 2006-12-13 ~ 2007-02-24
  • 특이사항
    • 2006년의 마지막 스타리그
    • 3회 MSL 재패만으로 최강자의 반열에 오른 마재윤의 첫 스타리그 도전으로 화제를 모은 리그
  • [우승 마재윤, 준우승 이윤열, 3위 변형태]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