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곽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성곽(서울城郭)
대한민국사적
지정 번호 사적 10호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 산 1-3번지 외
제작 시기 조선 초기
1963년 1월 21일 지정

서울 성곽(-城郭)은 조선시대 서울을 둘러쌌던 성곽이다.

1395년(태조 4년)에 서울을 방위하기 위해 북악산·낙산·남산·인왕산을 따라 쌓았다. 성곽을 천자문의 하늘 천(天) 자부터 조상할 조(弔) 자까지 97개 구역으로 나누었다. 여덟 방위로 4대문(동 흥인지문, 서 돈의문, 남 숭례문, 북 숙정문)과 4소문(동북 홍화문, 동남 광희문, 서북 창의문, 서남 소덕문)을 지었다. 숙정문은 숨겨진 문으로 문루를 만들지 않았다.

1422년(세종 4년)에 흙으로 쌓은 곳을 모두 돌로 다시 쌓는 등 성을 대대적으로 고쳤다. 1451년(문종 1년)에도 성을 고쳤지만 임진왜란 때 일부가 부수어졌다. 1616년(광해군 8년), 1704년(숙종 30년), 1743년(영조 19년) 고쳐졌다.

일제 시대 때 도시계획과 한국 전쟁으로 성문과 성벽이 많이 부수어졌다. 지금은 삼청동·성북동·장충동 일대에 성벽이 남아있고, 흥인지문·숭례문·홍화문이 남아 있다.

서울 성곽
정문: 숭례문(남) 흥인지문(동) 돈의문(서) 숙정문(북)

소문: 광희문(동남) 혜화문(동북) 소덕문 (서남) 창의문(서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