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신성문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집트 신성문자(Hieroglyph)는 고대 이집트의 돌이나 나무에 새긴 (상형)문자를 지칭하는 낱말로서, 고대 그리스어 "히에로글리피카 그람마타"(Hieroglyphica grammata: "신성하게 새긴 말")의 줄인 말이다. "능력의 말"이라는 뜻의 이집트어 "메두 네테르"(Medu Neter)를 번역한 데서 온 이 용어는 기원전 약 4세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후 두루 쓰이기 시작하였다. 더러는 마야 문명·아스테카 문명의 문자 등 기타 상형문자를 지칭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히에로글리프 이외에 두가지 다른 문자들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집트 민중문자, 이집트 신관문자

비석에 새긴 이집트 신성문자, Ashmolean Museum, Oxford
비석에 새긴 이집트 신성문자, Ashmolean Museum, Oxford

이집트의 히에로글리프는 로제타석의 발견과 더불어 19세기 초엽에 프랑스의 이집트학 학자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에 의해 해독되었다.

[편집] 문자의 구성

각 글자들은 각종 동물이나 사물, 신체의 모습을 본뜬 모습을 하고 있다. 글자들은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번째는 소리 글자로, 그 모습과 상관없이 단어의 소리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두번째는 의미 글자(Determinatives)로, 소리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의 맨 뒤에 붙어 그 단어의 뜻을 결정한다. 세번째는 소리-의미 글자(Ideograms)인데, 그 자체로 소리와 의미를 모두 가진다.

[편집] 문자의 해독

이집트 신성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 오른쪽에서 왼쪽, 위에서 아래의 세 가지 방법으로 기록된다. 문자에 등장하는 사람, 동물, 새의 머리는 언제나 글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문자 속의 인물이나 동물들이 바라보는 방향에서 시작하면 된다. 아래에서 위쪽으로 읽는 법은 없다. 모아쓰기가 이루어지는데 한글처럼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며, 모아쓰기된 글자들은 원래 읽는 방향대로 차례로 읽어가면 된다.

왕의 이름은 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를 카르투슈(Cartouche)라고 한다.

[편집] 문자와 소릿값

A B C D/J E F G
G1
(
D36
)
D58
V31
D46
I10
M17
I9
W11
H I J K L M N
O4
M17
M17
N29
E23
G17
N35
O P Q R S S SH (쉬) T U
G43
Q3
N29
G43
D21
O34
S29
N37
X1
G43
V W X Y Z Ch(히) Ch(흐)
I9
Z7
V31
S29
M17
X1
S29
F32
Aa1
p
t
wA l
M
i i s
P
T
O L
M
I I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