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주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르주아(bourgeois)는 자본가 계급을 의미한다.
[편집] 단어의 유래와 역사
프랑스어로 ‘성’을 의미하는 bourg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부를 축적한 계급은 성안에 살고 그렇지 못한 계급은 성밖에서 살았기 때문에 생긴 명칭이다. 이러한 유래에 따라 부르주아는 자본가 계급을 뜻하게 되었으며, 반대말은 무산자를 의미하는 프롤레타리아이다. 이들은 근대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등장했으며 프랑스 대혁명 역사에서는 영세상인이나 일용직 노동자등의 민중들과 기득권층(가톨릭 성직자, 왕족, 귀족)사이의 제 3계층을 의미하는 뜻으로 쓰였다. 민중들과는 달리 재산과 학식을 갖고 있었지만 기득권층들의 권력을 갖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유럽 시민혁명으로 기득권층들이 몰락한 이후에는 자본가라는 이름으로 산업혁명시대의 지배계급이 되었으며, 노동자계급간의 갈등으로 사회주의의 도전을 받게 된다.
![]() |
이 문서는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