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마 천 (司馬遷)은 중국 전한(前漢)시대의 역사가(기원전 145년? - 기원전 86년?)이다. 사마가 성, 천이 이름, 자는 자장(子長)이며, 태사공(太史公)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사기(史記)』의 저자로서 동양 최고의 역사가의 한 명으로 꼽힌다.
[편집] 생애
사마 천은 한나라의 역사가인데, 주나라 역사가 집안인 사마 가문의 후손으로 아버지인 사마 담(司馬談)은 천문과 달력에 밝고, 고전에도 통달해 있었다.
사마 담은 싼시 성 출신이었는데, 한 무제(武帝)가 즉위하자 그를 섬겨 천문, 달력, 기록을 맡아보는 장관인 태사령(太史令)이 되었다.
사마 천은 어릴 때부터 아버지에게서 학문을 배웠기 때문에 그가 10살이 되었을 때에는 이미 어려운 글들이 씌어진 책도 읽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20살이 되자 사마 천은 중국대륙 각지를 돌아다니며 여행을 한 다음 2년 후에야 비로소 한 무제를 섬겼다. 그 후에도 공무로 여러차례 여행을 하였는데, 이렇게 여행을 많이 함으로써 견문을 넓히게 되어 역사를 쓰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사마 천이 36살 때인 기원전 110년, 사마 담은 한 무제가 태산에서 거행된 봉선 의식에 참석하지 못하게 한 것을 분하게 여기다가 병이 나서 죽었는데, 죽을 때 사마 천을 불러서 머리맡에 앉혀놓고 생전에 춘추 전국 시대부터 한나라까지의 역사를 쓰지 못한 것이 한이라며 자기 대신 써 달라고 부탁했다.
사마 천은 아버지의 유언을 듣고 역사를 써서 남겨야겠다고 굳게 결심했다. 기원전 108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사마 천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서 태사령이 되었다. 그리하여 올바른 역사를 쓸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태사령의 직책인 달력을 고치는 일을 해야 했고, 또 한 무제가 자주 전국 각지를 순행했기 때문에 따라다녀야 했으므로 역사를 쓸 시간적 여유가 좀처럼 생기지 않았다.
사마 천이 역사를 쓰는 일에 착수하게 된 것은 그가 42살쯤 되었을 때였다. 그 동안 해 오던 태초력(太初曆)을 기원전 109년에 완성하자,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통사(通史)를 편찬하는 일에 착수했다. 집에는 그의 아버지가 생전에 모아 둔 자료가 많이 있었고, 궁중에도 중요한 기록이 많이 있었다. 사마 천은 될 수 있는 대로 사실대로 쓰려고 했다.
그의 역사 편찬 작업은 6년 가량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었다. 그런데, 사마 천에게 뜻밖의 재난이 닥치게 된다.
때마침 기원전 99년에 사마 천의 친구였던 한나라의 이 릉(李陵)이란 장군이 흉노족과 싸우다가 패전을 하여 포로가 된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의 보고를 듣고 한 무제는 몹시 화가 나서, 이 릉을 처분하는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서 중신(重臣)들을 불러 모아서 회의를 열었다. 신하들은 모두들 이 릉을 비난하고는 이 릉의 가족들을 모두 능지 처참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사마 천 혼자서만 이 릉의 충절과 용감함을 찬양하고 두둔했기 때문에 한 무제의 노여움을 사게 되었다. 마침내는 태사령의 직책에서 파면을 당하고 감옥에 갇히는 신세가 되었다. 그리고 궁형(宮刑)이라고 하는, 죄인을 거세하는 수치스러운 형벌을 받았다. 당시 궁형에 처해진 지식인들은 대부분 수치를 견디지 못하고 자살하였으나, 그는 자살하지 않고 도리어 용기를 내어 살아남아 몇 해 후에 출옥하여 집에 돌아와 다시 역사 편찬 작업에 몰두하였다.
이윽고 한 무제도 진노가 풀려 사마 천을 비서관장인 중서령(中書令)으로 임명했다. 사마 천은 역사를 계속 써서 마침내 『사기(史記)』 1백 30권을 완성했다. 사기를 완성한 날은 기원전 91년경이지만 그것을 고치는 일은 죽을 때까지 그만두지 않았다고 한다.
분류: 기원전 145년 태어남 | 기원전 86년 죽음 | 중국의 역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