맵시 쿼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맵시 쿼크는 2세대의 쿼크로, +(2/3) e의 전하량을 지니고 있다. 모든 쿼크 가운데서 세번째로 무거운 쿼크이며, 질량은 양성자보다 약간 더 무거운 1.3GeV정도이다. 1970년 쉘던 글래쇼우, John Iliopoulos, Luciano Maiani에 의해 예측되었으며, 1974년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의 Burton Richter 연구진과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BNL)의 Samuel C. C. Ting 연구진이 J/ψ 맵시 입자와 함께 발견하였다. 그 당시 발견한 맵시 입자를 BNL 연구진은 J 입자로, SLAC 연구진은 ψ 입자로 이름 지었으며, 이후 타협을 통해 J/ψ라는 이름이 사용되게 되었다.

[편집] 맵시 쿼크를 지니는 강입자

다음과 같은 일부 강입자는 맵시 쿼크를 지니고 있다.

  • D 중간자는 하나의 맵시 쿼크(혹은 그 반입자)와 하나의 위 쿼크 또는 아래 쿼크를 지니는 중간자이다.
  • Ds 중간자는 하나의 맵시 쿼크와 하나의 야릇한 쿼크를 지닌다.
  • J/ψ을 비롯한 많은 맵시 입자가 존재한다. 이러한 입자는 "맵시 쿼크"와 "반 맵시 쿼크"로 이루어진다.
  • 맵시 바리온은 관측된 적이 있으며, 야릇한 바리온과 대응되도록 이름지어졌다.
물리학기본입자
페르미온 쿼크: | 아래 | 야릇한 | 맵시 | 바닥 | 꼭대기
렙톤: 전자 | 뮤온 | 타우온 | 중성미자
게이지 보존 광자 | W 보존 | Z 보존 | 글루온
미관측 입자 힉스 보존 | 중력자 | 기타 가설 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