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연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절연체 (영어: insulator)는 전기을 전달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물질의 총칭이다. 전기를 통하기 쉬운 도체 (전기 전도체)에 비교해서 부도체라고도 한다. 그리고 절연체는 유전체의 성질을 갖는다.

[편집] 정의

밴드 이론에서 절연체는 반도체와 동일하게 원자가띠전도대의 사이에 밴드갭이 존재하는 상태나 그 상태를 나타내는 물질을 말한다. 반도체보다 밴드갭이 큰것이 절연체이지만 이 차이는 명확하지않는 경우가 있다.

전연체는 공유결합성이나 이온결합성이 큰물질에 많이 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석묵은 층내결합이 큰 공유결합이어도 준금속이다.

[편집] 내열등급

내열등급은 일본 공업규격 (JIS)에서 절연체를 내열 온도별로 분류한 것이다. "내열등급 Y", "내열등급 200"이라고 호칭한다.

내열등급 최고 허용온도 주요재료 접착, 충전재료
Y 90℃ 솜, 종이, 폴리에틸렌, 폴리염화 비닐, 천연고무 없음
A 105℃ 절연유, 천연 니스
E 120℃ 폴리에스텔, 에폭시수지,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폴리우레탄같은 합성수지 없음
B 130℃ 운모, 석면, 유리섬유같은 무기재료 일반접착제
F 155℃ 실리콘 알키드수지
H 180℃ 실리콘수지
200 200℃ 생운모, 석면, 자기 없음
220 220℃
250 250℃

예전부터 180 ℃를 넘는 열을 견디는 절연체는 모두 "C종류"라고 여겨지고 있었다. 현재의 JISC4003에서 세분화된 상표의 250 ℃를 넘는것은 25 ℃간격으로 내열등급이 마련되어 있다.

[편집] 같이 보기

  • 모트 절연체
  • 절연파괴
  • 유전체
  • 절연 저항계
반도체
분류 P형 반도체 | N형 반도체 | 진성 반도체 | 불순물 반도체
종류 질화물 반도체 | 산화물 반도체 | 비결정 반도체 | 전계형 반도체 | 자성 반도체
반도체 소자 집적회로 | 마이크로프로세서 | 반도체 메모리 | TTL 논리 소자
띠 이론 띠구조 | 띠계산 | 제일원리 띠계산 | 전도띠 | 원자가띠 | 띠간격 | 페르미준위 | 불순물준위 | 전자 | 정공 | 도너 | 억셉터 | 물성 물리학
트랜지스터 사이리스터 | 접합형 트랜지스터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전력 MOSFET | 박막 트랜지스터 | 시모스 | 증폭 회로
관련 다이오드 | 태양 전지
기타 PN 접합 | 공지층 | 쇼트키 접합 | MOS 접합 | 전자공학 | 전자 회로 | 반도체공학 | 니시자와 준이치 | 금속 | 절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