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공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전자 gene 를 조작 engineering 하여, 인간에게 이로운 산물을 얻어내는 기술. DNA를 조작하여 특정한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거나 또는 농산물의 특성을 개량하는데에 사용된다. 다음과 같은 활용법이 있다.
- 일반적으로 인간의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백질은 인간에게서만 얻어 쓸 수 있다. (면역 참조) 따라서 과거에는 극히 소량의 단백질만을 얻을 수 있었던 단백질들을 현재는 유전공학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얻어낼 수 있다. (예: 인슐린, 성장호르몬 등)
- 식물 또는 가축의 특성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고전적인 육종기술은, 확률에 의존하며 교배 후 안정적인 형질군을 얻어낼 때까지의 시간이 대단히 오래 걸린다. 이에 비해 직접적인 유전자 조작에 의한 새로운 형질의 도입은 대단히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유전공학을 통해 만들어진 새로운 식물 또는 가축을 유전자변형생물 GMO 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유전자변형생물을 도입하는데에는 여러가지 생태학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선진국과 후발국 간의 경제적인 문제 또한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해 많은 정치적/윤리적 토의가 있다. (유전학과 윤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