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Arbi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환영합니다!

Arbi님, 안녕하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위키백과와 함께 해 주셨으면 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또한 처음 오신 분들을 위한 길라잡이가 있습니다. 꼭 읽어 보시기 바라며,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로그인 상태에서 편집 창에 물결표를 이렇게 ~~~~ 네 개 이어서 써 넣으시면 자동으로 서명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Do not copy & paste other Wikipedia's article. Please, translate it into korean. --peremen 2006년 9월 3일 (월) 16:06 (KST)

User pages are not for your articles. Introduce yourself instead of copy and paste an articl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please consider that here is Korean Wikipedia. --peremen 2006년 9월 3일 (월) 16:14 (KST)

Do not copy article document into your user page. it's for information about yourself and babels. etc. See en:Wikipedia:User page.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9월 3일 (월) 18:37 (KST)[Modified: 2006년 9월 3일 (월) 18:38 (KST)]

[편집] 박정희

왜 기존 내용을 삭제하셨나요? 기존 내용을 삭제하실 때, 그 이유를 ‘편집 요약’이나 토론 게시판에 적어주시면 다른 사용자가 이해하기 수월합니다. 일단 되돌리겠습니다. :) --2006년 9월 23일 (일) 23:24 (KST)

[편집] 질보다 양?

전 양보다 질이라고 주장하고 싶군요. 이미 한국어 위키백과는 양적으로 어느 정도 틀이 잡힐만큼 성장해 있으며, 단순한 문서 숫자보다는 그 문서 내용에 더 집중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만 페이지도 안 되던 때에는 간단한 글 하나만 적을 때에도 빨간 색 링크가 대부분이었는데, 이제는 특이한 문서가 아니라면 이런 문제는 점차 줄어듭고 있습니다. 이제 곧 3만 페이지가 머지 않았는데, Arbi 님 생각엔 언제쯤 되어야 양보다 질에 치중할 때라고 생각합니까? -- ChongDae

그런데 왜 위키백과에 대한 보도 자료엔 하나같이 한국어 위키백과의 양적인 부족함을 지적하는건지요? 최근엔 자괴감 이라는 단어까지 써가면서 한국어 위키백과의 양적인 부실함을 지적하고 있던데.. 한국어 위키백과 내부에서도 양적인 부족함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관리자 그룹만 부정하는건 너무 심한 괴리 아닐까요? 관리자 그룹이 전부 그런건지 아니면 ChongDae님의 성향이 그런것인지는 모르겠지만 한번쯤은 위키백과를 처음 접한다는 심정으로 한국어 위키백과를 들어와 보시죠. --Arbi 2006년 10월 6일 (토) 16:34 (KST)
양이 충분한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질보다 양을 추구하는 건 좀 아니네요. Luciditeq 2006년 10월 6일 (토) 16:41 (KST)
왜 아닌지 물어봐도 되겠습니까? --Arbi 2006년 10월 6일 (토) 16:47 (KST)
개인적으론 제가 찾고자 하는 정보가 아예 없었으면 없었지 있으나 마나 한 정보 한 줄 있는게 더 짜증나더군요. 물론 이건 지극히 개인적인 것입니다. --Hnc197 2006년 10월 6일 (토) 17:08 (KST)
엉뚱한 분이 대변을 하시는군요. 개인적으론 위키백과의 부실한 자료의 양에 전 더 눈길이 가는군요. 물론 이건 지극히 개인적인 것입니다. --Arbi 2006년 10월 6일 (토) 17:12 (KST)
양이라는 것이 "문서 숫자"를 의미하나요, 아니면 한 문서의 충실함을 의미하나요? "부실한 자료"의 양이라는 뜻이 애매하군요. "양보다 질"이라는 것은 믿을 수 있고 충실한 문서를 늘려가자는 뜻입니다. "질보다 양"이라면 "한 줄"이건, "퍼온 글"이건 일단 채우자는 뜻으로 전 받아들여지는데요? -- ChongDae 2006년 10월 6일 (토) 17:20 (KST)
"부실한 자료"의 양 이 아닌 부실한 "자료의 양" 입니다. 자료의 양이 부실하다는 뜻이에요. 제가 말하는 "질보다 양" 이라는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선 현제 정책들이 보다 유연해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솔직한 말로 한국의 넷 문화라는 것이 아직까지는 생산이라는 것에 익숙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너무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면 사용자가 먼저 질립니다. 위키 문화가 한국에 정착하려면 한국어 위키 백과가 먼저 입지를 굳혀야 한다고 보거든요. 그런데 위키 백과가 입지를 굳히는데 필요한 '유연한 정책'에 대해 관리자 그룹이 너무 배타적 태도를 보인다는게 문제라는 거지요. 엄격한 잣대는 양적으로 문서가 팽창한 이후에 해도 늦지 않을 겁니다. 한 줄짜리 문장도 나중에 누군가 채워놓을 여지가 있는 것이고, 소위 말하는 펌질 역시 미묘하게 문장을 수정한 상태라면 그냥 두는 것이 한국인들이 위키에 친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거라고 생각합니다. --Arbi 2006년 10월 6일 (토) 17:3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