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 몬스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켓몬스터(일본어: ポケットモンスター, 영어: Pokémon) 또는 그 줄임말인 포켓몬(일본어: ポケモン, 영어: Pokémon)은 닌텐도에서 제작한 RPG 게임과 그 게임을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을 통칭하는 말이다. 영어 외, 알파벳 사용어권에서의 제목은 Pocket Monsters가 아니라 Pokémon인데, 영어에서의 pocket monster는 속어로서 이미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Pokémon이라는 제목을 채용하게 되었다.

이하, 본문에서 사용되는 '포켓몬'은 한국어의 줄임말이며, '포케몬'은 고유명사이다.

목차

[편집] 개요

1996년 2월 27일에 발매된 '포켓몬스터 적/녹(赤/綠)'은 일본에서 초등학생들이 소문을 퍼뜨린 것이 유행의 시작이었다. 후에 타 기종을 포함해 수많은 속편, 관련 게임, 관련 제품이 발매되며 2004년 여름까지 동 타이틀로 제작된 게임이 1억 1천만장이 팔렸다(주식회사 포케몬의 발표). 개발원은 게임 프리크, 컨셉트 메이커이자 디렉터로서 게임 프리크의 사장이기도 한 다지리 사토시가 자리했다.

1997년 4월 1일에 TV도쿄 계열 방송국에서 애니메이션화되어 주인공인 사토시(지우)와 그 친구들 및 포켓 몬스터들의 모험 이야기로 대호평을 받게 된다. 이후 시리즈는 속속 발표되며, 극장판 애니메이션도 제작된다.

애니메이션 컨텐츠가 충분해 질 무렵, 미국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에서 'Pokémon' 명칭으로 진출하며 게임과 애니메이션 양쪽에서 호조를 보였다.

미디어 믹스 및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캐릭터 전략의 성공사례로서 일본 케이자이 신문에 소개되어 주목을 받았다. 동 신문사 주최로 경제 세미나 등에서 '포케몬'을 테마로 강연한 적이 있다.

현재 포켓몬스터의 발매원은 주식회사 포케몬이며, 1998년에 세워진 '포케몬센터 주식회사'가 그 전신이다. 원래는 포켓 몬스터의 캐릭터 사업을 진행하던 회사엿으나, 2000년에 사명을 바꾸며 게임 관련사업에도 진출했다.

[편집] 게임 시리즈(본편)

RPG로서의 포켓 몬스터는 '포케몬(포켓몬)'이라는 신기한 생물과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세계에서 몬스터를 잡아, 파트너로서 상대 트레이너의 몬스터와 맞서 싸우며 여러 이벤트를 거쳐 마지막으로 세계 최강자 및 주인공의 라이벌을 쓰러뜨리는 것이 목표인 게임이다. 그러나, 엔딩 이후에 갈 수 있는 곳이 늘어난다거나, 일반적인 경우 엔딩을 거쳐야 모든 몬스터를 모을 수 있게 되는 구조로 시스템이 짜여져 있어 사실상 게임 플레이로서의 목표는 엔딩이 아닌 셈이다. 이 경우, 전 시리즈에서 초반에 만나는 '포켓몬 박사'에게서 받게 되는 '포켓몬 도감'의 완성이 플레이어의 목표가 된다.

첫 작품인 '포켓몬스터 적/녹(赤/綠)' 발매 당시, 게임보이용 소프트 중 통신 케이블을 사용한 게임은 대전 액션 이외에는 거의 없었기에, 대전(포케몬 배틀) 말고도 몬스터의 교환을 적극적으로 제안하는 '교환시에만 진화하는 포켓몬', '타 버전에서만 잡을 수 있는 포켓몬' 등은 수많은 초등학생이 친구와 함께 게임을 시작하게 되는 계기를 낳았다.

[편집] 시리즈 일람

제 2작인 '포켓몬스터 금/은(金/銀)'이 한국어판으로 발매되었다. 이하 발매 정보는 최초 언어인 일본어판을 기준으로 한다. 각 소프트의 색은 '버전'으로 칭한다. (예: 포켓 몬스터 피카츄 버전)

[편집] 적/녹 계열

도감에 등록되는 몬스터는 151종이다. 아래 소프트 중 게임보이로 발매된 적/녹, 청, 피카츄는 각각 몬스터의 그래픽이 다르다.

[편집] 금/은 계열

도감에 등록되는 몬스터는 251종이다. 적/녹/청/피카츄와 통신이 가능하다.

[편집] 루비/사파이어 계열

이전 버전과 호환되지 않는다. 적/녹 버전의 리메이크인 파이어 레드/리프 그린 및, 게임큐브로 발매된 '포켓몬스터 XD', 3종의 소프트 시리즈를 전부 플레이함으로써 전 시리즈에 걸친 386종의 몬스터를 모을 수 있게 된다.

[편집] 다이아몬드/펄 계열

게임보이 어드밴스용 소프트(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파이어 레드/리프 그린)에서만 DS의 더블 슬롯 기능으로 몬스터를 전송할 수 있다. GBA 소프트로의 전송은 불가능하다.

[편집] 그 외

미국에서 발매될 당시, 첫 시리즈 적/녹 버전이 레드/블루(Red/Blue) 버전으로 발매되었다. 블루 버전은 녹 버전에 해당하며, 그러므로 '포켓 몬스터 청(靑)'과 'Pokémon Blue'는 내용상으로도 다른 게임이다.

위의 이유로 청 버전에서는 수정된 버그가 블루 버전에는 그대로 존재한다. 단, 청 버전에서 변경된 몇 사항은 레드/블루에 적용되었다.

  • 몬스터 그래픽의 변경.
  • 엔딩 후 '뮤투(ミュウツ, MewTwo)'가 나오는 던전의 지도. (적/녹 버전의 각기 다른 지도 대신 변경된 청 버전의 지도를 채용)

. 미국에서의 발매일은 1998년 9월 30일이며, 이후 '포켓 몬스터 피카츄'가 'Pokémon Yellow'로 1999년 10월 1일에 발매되었다.

[편집] TV 애니메이션

  • 타이틀 : 포켓몬스터
  • 종류 : 액션 어드밴처
  • 편수 : 276화
  • 작품구성 : 30분 1화 완결식 연속 스토리
  • 방송 : 서울방송/애니원TV
  • 제작사 : 일본 소학관 프로덕션

[편집] 성우 출연

  • 최덕희-한지우(1999 ~ 2002년 포켓몬스터)
  • 이선호-한지우(2003 ~ 2004년 포켓몬스터 Advanced Generation)
  • 지미애-이슬, 봄이(포켓몬스터 Advanced Generation 극장판)
  • 구자형-웅(1999 ~ 2002년 포켓몬스터, 포켓몬스터 Advanced Generation 극장판), 오박사
  • 박영희-웅(2003 ~ 2004년 포켓몬스터 Advanced Generation)
  • 이영주-관찰
  • 김일-로이, 포켓컴
  • 이선-로사, 간호순
  • 최원형-나옹
  • 이선주-여경, 오바람
  • 장호비-꼬부기

[편집]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토리적으로 TV판과의 연관은 없는 평행세계(패러렐 월드)적인 개념의 전혀 다른 전개가 이루어진다.

  • 1. 뮤츠의 역습 (1998년작, 극장 개봉) '포켓 몬스터 피카츄'는 이 극장개봉을 기념하여 발매되었다.
  • 2. 루기아의 탄생 (1999년작, 극장 개봉)
  • 3. 결정탑의 제왕 엔테이 (2000년작, 챔프 TV)
  • 4.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 (2001년작, 챔프 TV)
  • 5. 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 (2002년작, 챔프 TV)
  • 6. 이레 밤의 소원성 지라치 (2003년작)
  • 7. 열공(裂空)의 방문자 데오키시스 (2004년작)
  • 8. 뮤와 파도의 용자 루카리오 (2005년작)
  • 9. 포켓몬 레인저와 바다의 왕자 마나피 (2006년작, 극장 개봉)

[편집] 더보기

[편집] 바깥고리

포켓몬스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