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주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의주시(新義州市)는 평안북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경의선의 개통으로 의주읍 대신 발달한 북조선의 국경 도시이다. 1913년 조선총독부는 신의주를 부(府)로 지정했다.[1] 압록강 철교로 단동시와 통한다. 면적은 약 11㎢. 신의주시를 포함한 부근 일대에 신의주특별행정구가 설치되여있다. 바다와 가까운 지역이다.
목차 |
[편집] 인문자료
[편집] 산업
특히 공업이 잘 발달하여 종이를 생산하는 신의주시제지공장과 팔프공장이 있고, 화장품을 생산하는 신의주화장품공장이 있다. 신의주시의 화장품 공장은 그중에서 "봄향기"라는 살결물으로 유명하며, 외화벌이사업의 주요한 사업이 되여지고 있다. 일용품(일화제품)을 생산하는 신의주 일용품 공장과 신의주 신발 공장 등 30여 개 공장들이 집중되여 있다. 한편, 교육기관으로는 신의주교원대학, 초등교육기관이 있다.
지난해 김정일 국방위원회위원장이 시찰한 신의주교원대학부속유치원은 음악과 외국말학습에서 다양한 재능을 가진 어린이들이 공부하고 있는 곳이다. 이 유치원은 신의주교원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다. 신의주시에서는 인민들의 문화정서생활을 반변하기 위해 여러가지 유치원과 탁아소를 운영하고 있다.
[편집] 제3차 산업
교통시설은 평의선의 마지막 종착역인 신의주역이 있으며, 의주군과 룡천군로 향하는 산업도로가 건설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과 신의주를 연결하는 산업도로가 건설되고 있다는 소문이 있다. 수상교통수단으로는 룡천항과 함께 신의주 항이 있으며, 유람선과 화물선이 1차례씩 출항한다.
관광·숙박시설은 식당인 압록강각이 있는데, 숙박객들은 이 식당에서 요리하는 북조선식 자장면의 맛을 볼 수 있다. 또한 재중동포나 중국인 여행객들을 위해 건설된 압록강려관이 있으며, 최근 외국인숙소를 건설하고 있다. 한편, 신의주시에서 살고있는 학생들을 위하여 건설된 신의주학생소년궁전이 있다.
[편집]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신의주시는 압록강을 통해 단둥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단둥과는 중조우의교로 연결되어 있다. 중조우의교는 북조선과 중국을 연결하고 있으며 신의주을 통해 중국으로, 단둥을 통해 북조선으로도 갈 수 있다. 그 외에도 신의주시는 중국과 연결된 몇 개의 다리가 위치해 있다.
[편집] 행정구역
신의주시는 광명구역, 남구역, 강안구역이 있다.
신의주시는 다음과 같은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 역전동
- 압강동
- 남흥리
- 남상동
- 친선동
신의주시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 압록각
- 신의주학생소년궁전
- 압록강려관
- 신의주역
- 신의주화장품공장
[편집] 관광지
[편집] 참고자료
- ^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한길사, 2004) 27쪽.
- 데일리엔케이
[편집] 같이 보기
- 관서대학
- 다사도선
- 압록강철교
- 중조우의교
- 신의주평야
- 관서공업지역
- 신의주공업지구
[편집] 바깥 고리
평안북도의 행정 구역 |
---|
신의주시 | 구성시 | 정주시 | 구장군 | 곽산군 | 녕변군 | 동림군 | 동창군 | 대관군 | 룡천군 | 박천군 |
벽동군 | 삭주군 | 선천군 | 신도군 | 창성군 | 천마군 | 철산군 | 태천군 | 피현군 | 향산군 | 염주군 | 운산군 | 운전군 | 의주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