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WaffenSS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편집] 제2차 대전 프로젝트 관련

[편집] 오키나와 전투

아직 오키나와 전투 번역 안했죠? --루스 2007년 1월 3일 (수) 11:54 (KST)

무슨 일로 그러시죠? --WaffenSS 2007년 1월 3일 (수) 14:02 (KST)

[편집] 베르마흐트

제가 베르마흐트를 편집/번역 중인데 HTML 사용법엔 문외한이라 그림을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영문 위키백과에서 찾아서 올려주시거나 더 좋은 자료가 있다면 글에 붙여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Heythatslife 2007년 1월 4일 (목) 02:17 (KST)

위키에선 어차피 HTML 문법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P태그를 쓰셨던데, 엔터키로 띄워주면 되므로 사용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림은 [[그림:Example.jpg]]와 같은 형식으로 문법을 쓰고, Example.jpg에 해당하는 파일명을 쓰면 됩니다만, 영어 위키에 있는 것 중에서 저작권 문제로 사용할 수 없는 그림들이 있습니다. 공용(commons.wikipedia.org)에 있는 것이면 저렇게 문법을 써주면 업로드 없이 문서에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시간 나는대로 추가 작업하도록 하죠. --WaffenSS 2007년 1월 4일 (목) 02:45 (KST)

[편집] 일 났습니다.

제가 이전에 한 무장친위대 항목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해졌습니다. 근래, 읽다말은 원 히틀러유겐트 작전참모 후베르트 마이어 씨의 "SS 제 12 기갑사단사"를 다시 보고 있는데, 영어 위키백과와 내용이 상당히 다른 부분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7월 9일까지 즉 쿠르트 마이어 SS대령이 캉에서 '총통 명령'을 무시하고 무단 퇴각을 한 날까지 사단이 입은 피해는 약 3,000명 정도입니다. 클루게 원수가 히틀러유겐트 사단의 피해에 대해 언급한 공문서도 존재합니다. 영어 위키백과에 언급된 피해는 팔레즈 포위망에서 벗어난 후 집계된 피해입니다. 사단은 노르망디 전역이 종료될 때까지 약 9,000명을 손실했습니다. 행방불명자 중 다수가 사단에 복귀했죠. 전멸했다고 생각된 몽케 전투단 등 패잔병들이 대거 복귀하면서 전력을 50%정도 회복했습니다(SS 제 1 기갑군단에서는 히틀러유겐트 사단이 포위망 안에서 아예 소멸했다고 여기고 있었습니다).

영어 위키백과에 대한 맹신은 버려야 할 듯 싶습니다. 곧 관련 항목 보수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아래 언급된 멀뚱이 님에 관한 건과 선거자 관리 건 등에 대해서는 초지일관하셨으면 합니다. 이유는 이미 블로그에서 말씀드렸죠. 누가 알겠습니까. 무엇이 답인지 말입니다.장갑냐옹이 2007년 2월 8일 (금) 19:57 (KST)

얼마 전 두 권의 책을 샀습니다. WaffenSS Encyclopedia와 Handbook입니다. 관련 내용이 있는 지 찾아보죠. --WaffenSS 2007년 2월 9일 (금) 02:04 (KST)

[편집] 분류 이야기

[편집] 편집 이야기

[편집] 무기체계 프로젝트 관련

[편집] 문서 내용 관련

[편집] 각종 요청/제안

제가 영어 위키에서 en:Ch'onma-ho라는 문서를 발견했습니다. 영어 위키에선 천마호라는 전차라고 설명하고 있어요. --루스 2007년 2월 13일 (수) 19:50 (KST)

천마호, 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은 맞습니다. 현재 북쪽의 주력 전차 중 하나입니다. --WaffenSS 2007년 2월 14일 (수) 01:04 (KST)
그래서 부탁하는 건데 이걸 번역해 주실수 없겠습니까? --루스 2007년 2월 14일 (수) 01:07 (KST)

[편집] 기타

[편집] 읽는법

혹시 Panzerfaust를 한국어로 읽었을때 "판저파우스트"와 "판처파우스트", 어느것이 맞는지 아십니까? PanzerSchreck는 뭘로해도 검색되지 않길래 일단 "판처슈렉커"로 해둘 작정입니다. 햇갈리지 않도록 한가지로 통일시켜둘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 --눈사람 2007년 1월 14일 (일) 12:59 (KST)

판저파우스트로 읽습니다. Panzer + Faust의 합성어인데, Pazner를 판저라고 표기합니다. Panzerschreck도 "판저슈레크"가 맞을 겁니다.--WaffenSS 2007년 1월 14일 (월) 16:09 (KST)
전자가 맞고, "판저슈레크"는 검색에서 찾아지는군요. 고맙습니다. 이제 표기를 맞추는것만 남았습니다. 한가지 문제 해결에 달성입니다~! :) --눈사람 2007년 1월 15일 (월) 02:22 (KST)
독어 Z는 'ㅊ' 아니면 'ㅉ'쪽으로 발음 소리가 나니 판처파우스트가 맞지 않은가요?--삽질랜드 2007년 2월 2일 (금) 12:39 (KST)
그게 통일되지 않고 제각각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검색해보니 제일 많이 나오는 단어는 “팬저파우스트” 1,280개, 판저파우스트는 365개, 판처파우스트는 4개네요. 그래서 지금 엄청나게 고민되는 문제에요. -┏(...) --눈사람 2007년 2월 2일 (금) 13:32 (KST)
통상적인 표기는 눈사람님이 찾은 것처럼 팬저파우스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게 오랜동안 독일 -> 미국 -> 일본 -> 한국 또는 독일 -> 일본 -> 한국 등의 유입 과정에서 Panzer란 말을 "팬저" "판처" "팬처" "판저" 등등으로 통일되지 않고 사용되어온 (한때는 Panther도 같은 말로 오용된 적이 있습니다) 흔적입니다. 발음기호 /ts/면 "ㅊ"이 맞을 것 같은데, 국립국어원 독어 표기 세칙엔 내용이 없고, 영어에 어말 또는 자음 앞의 [ts, [dz]는 '츠', '즈'로 적고]라고 되어 있습니다.--WaffenSS 2007년 2월 2일 (토) 15:12 (KST)

[편집] 제가 WaffenSS님을 관리자 선거에 추천하려 합니다.

그동안의 활동 실적으로 봐서 관리자로도 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어 WaffenSS님을 관리자 선거에 추천하려 합니다. 추천해도 되겠습니까? 만약 승낙한다면 1월 25일중으로 관리자 선거에 이름을 올리겠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7년 1월 24일 (목) 20:19 (KST)

아마 반대표가 좀 나오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만, 기회만 되면 나름대로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affenSS 2007년 1월 24일 (목) 23:47 (KST)

[편집] 미쓰비시 F-2에 관해서

일단 초벌본을 제 토론란에 올렸습니다. 전투기 항목은 처음이라 기본 틀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더욱이 참고 문헌 항목이 원문 병기로 난잡해져서 보기 좀 그렇더군요. 이외도 선장 님처럼 객관성을 위해서 "일어 위키백과 항목을 참고했으며, 참고 문헌 역시 그대로 표기했다"고 적어 놓지 않아서 상당히 문제가 될 듯 싶더군요. 이전 무장친위대 사단 항목도 마찬가지죠. 일일이 추가를 해야겠습니다. 모쪼록, 시간나면 한 번 봐주셨으면 합니다. 미츠비시 등 외국어 표기법에 맞지 않는 표기는 무시하십시오. 사소한 건 금방 손을 보도록 할 테니 말입니다.

중요한 건 중립적인 시각이죠. 중립적인 시각을 어느 정도 만족시켰다고 생각하면 바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검토에 대한 필요성이 줄어들지는 않겠지만, 그건 선장 님께 맡깁니다. 제가 뭘 알아야죠 ㅇㅅㅇ; 나름대로 공부 좀 했지만 언어 이해가 중점이지 내용 자체는 이해도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협동 검토가 필요한 거고, 이전처럼 많은 부분에서 도움을 얻고 싶습니다. 무장친위대 프로젝트(?)로 돌아가기 전에 이것저것 손 좀 될려고 합니다. 장갑냐옹이 2007년 1월 24일 (목) 23:22 (KST)

네, 알겠습니다. 2주 정도 시간을 두고 같이 검토하도록 하죠.--WaffenSS 2007년 1월 24일 (목) 23:47 (KST)
참 저번에 베를린 공방전처럼 문서를 사용자:Panzerkatz/미쓰비시 F-2로 하는 것이 어떨까 하네요. --WaffenSS 2007년 1월 25일 (목) 01:23 (KST)

아아,이렇게 옮기는 거군요. 이제까지 잘 몰랐습니다. 그래서 이전에도 실수를 해서 운영자 분들의 도움을 받았죠. 일단 옮겨놓겠습니다.장갑냐옹이 2007년 1월 25일 (금) 16:49 (KST)

[편집] Dein Name

Ich frage mich, warum du dich WaffenSS nennst. Das ist kein besonders guter Name, denn die Waffen-SS war verantwortlich für eine große Zahl von Kriegsverbrechen und war an der Vernichtung der Juden Europas aktiv beteiligt. Wenn du einen solchen Namen wählst, entsteht kein guter Eindruck von dir und auch nicht von der koreanischen Wikipedia, vor allem dann, wenn Administrator werden solltest. Ich würde den Namen ändern. Unbedingt. 84.128.105.58 2007년 2월 4일 (월) 17:39 (KST)

Sorry I do not read and write Korean and probably you do not read German. Your user name is inacceptable to anybody familiar with European history. I think, it would be better for you and for Wikipedia, if you would choose a less offensive user name.

I can`t use german. I roughly understood you German message. Nazi, WaffenSS, and SS is pregnant term in European and World History. So, they are my scholastic matter of concern. Do you doubt me with Neo-Nazi? Although i don`t know your country(where are u from?), it`s none your business. (제대로 쓴건가 모르겠네. 영작은 엉망이라.)--WaffenSS 2007년 3월 2일 (금) 02:16 (KST)

죄송합니다만은 위에 글쓰신분 말이 옳습니다. 위키피디아는 한국만이 아니고 세계모든곳에서 모든 사람이 볼수있는 자료입니다. 나찌당과 SS는 2차대전중 수백만명을 살해한 전범집단이며 한국판 위키피디아를 세계인 앞에서 대표하는분이 WaffenSS라는 이름을 쓰신다는것은 부합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WaffenSS님은 나찌당의 추종자가 아니란것을 확신합니다. 하지만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굳이 혐오스러운 이름을 쓰셔야됩니까? 가능한대로 빨리 이름을 바꾸세요. h27kim 2007 March 26, 6:15am (PST)

[편집] Ordnungs-Polizei의 번역에 관해서

경찰사단 항목을 작성하면서 확실히 정해야겠다 싶어서 이렇게 적습니다. 오르트눙스-폴리차이는 아시다시피 이하처럼 대개 3가지로 번역됩니다.

  • 1. 질서경찰(秩序警察): Ordnung은 독어로 질서를 의미한다.
  • 2. 치안경찰(治安警察): Ordnung은 독어로 치안을 의미하기도 한다.
  • 3. 통상경찰(通常警察): 오르트눙스 폴리차이는 보안경찰 조직으로서 비밀경찰형사경찰(범죄경찰)로 번역되는 게슈타포와 크리포와 같은 지허하이트 폴리차이(Sicherheit-polizei)와 대조되는 조직이기에 통상 경찰조직으로 번역되어야 한다. 또한 Sicherheit는 Ordnung처럼 독어로 치안, 보안, 안전을 의미한다.
  • 정리: 오르트눙스 폴리차이도 치안을 담당하고, 지허하이트 폴리차이도 치안을 담당하나 후자는 보안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뉘앙스가 다릅니다. 따라서 치안, 질서 모두 뉘앙스의 차이일 뿐 결국 동일한 치안담당 일반조직을 의미합니다. 지허하이트 폴리차이는 치안담당 비밀조직일 뿐이죠. 질서=치안=보안. 결국 이런 입장이다 보니 뉘앙스 문제가 절실합니다. 지금처럼 질서경찰로 밀고 나가실지 아니면 치안경찰도 좀 생각해 보실지 궁금합니다. 덧붙여, 통상경찰(=오르포)은 비밀경찰(=게슈타포)와 대조적인 명칭이라 사용하기 껄끄럽습니다. 이러면 보안경찰 소속인 형사경찰(범죄경찰)이 갈 곳이 없으니까요.장갑냐옹이 2007년 2월 4일 (월) 19:08 (KST)
더 나은 번역이(더 정확하든지, 같은 의미지만 어감이 부드럽다든지 등등) 있다면, 안쓸 이유가 없겠죠. 통상경찰이란 말은 확실히 어색해보입니다만, 나머지 두 번역, 질서경찰(기존에 제가 썼던 표현)과 치안경찰 쪽에서 택1 하는 것으로 가야할 듯 하군요. 아직 깊이 생각해보질 않아서 좀 더 생각해보고, 혹시 또 다른 분들 의견도 있을 수 있으니 며칠 더 생각해봅시다. --WaffenSS 2007년 2월 4일 (월) 23:51 (KST)
Ordnungspolizei도 원래 있던 조직들을 묶어서 상급 조직급으로 만든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 조직들과 Ordnungspolizei의 담당 업무를 나열해놓고 보면 뭔가 실마리가 나올 듯 합니다. "통상경찰"이란 말보단 "일반 경찰"이란 말이 좀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우선 그 조직이 무슨 일을 했는지를 살펴봅시다(지금 사무실이라 ..) --WaffenSS 2007년 2월 5일 (월) 09:19 (KST)

지금, 영어 위키백과 오르트눙스 폴리차이 항목을 번역 중입니다. 조만간 작업이 끝나면 대충 해답이 나올 듯 합니다. 확실한 건 정복을 입고 공식적으로 법을 집행하는 치안 조직이라는 의미로 오르포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는 점입니다. 반대로 지허하이트 폴리차이는 사복 혹은 특수 복장으로 비밀리에 법을 집행했죠. 영어 위키백과는 큰 범주에서 이런 식으로 분류했습니다. 좀 더 봐야 알겠지만 치안경찰이나 질서경찰은 아무래도 문제가 있는 거 같습니다.장갑냐옹이 2007년 2월 5일 (화) 16:26 (KST)

2/3 정도 했는데, 이거 답이 안 나오는군요. 깜빡했는데 오르포 안에 소위 아르바이트 경찰인 시간제 근무요원도 있었죠. 철도 경찰 말입니다. 게다가 슈츠 폴리차이(Schutz polizei = Suit police)라 불리는 정복 경찰 말고도 의용소방단, 일반친위대 부대도 있었으니 완전히 잡(雜) 조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복장 터지게도 히믈러가 준군사조직인 경찰 부대까지 오르포에 넣고, 여기에 닥치는 대로 공무 조직을 섞어놔서 경찰이 맞는지조차 의심스럽습니다. 엄밀하게 따지면 독일 경찰부대(police force)는 경찰이 아닙니다. 아시다시피-군대 기준으로는 함량 미달이지만-진짜 싸움을 할려고 만들어놓은 조직이라 경전차와 돌격포까지 보유하고 있었고, 편제도 정규군과 비슷했습니다(단치히 우체국 전투에서 활약한 경찰부대가 유명하죠).
굳이 분류하면 전투경찰로서 철모단 같은 우익 경찰군단이라고 해야겠죠. (돌격대를 때려잡던 독일 주경찰이 생각납니다. 주경찰 시절 디트리히가 어찌 그리 싸움질을 잘 하나 싶어서 알아보니 군 부사관 출신이었기 때문이었죠. 주경찰 상당수가 군필자고 이런 군필자들이 경찰부대를 운용했으니 그럭저럭 전투도 할 만 했겠죠.) 이런 준군사조직이 사법집행기관인 경찰(=치안경찰)과 통합되었으니 과연 이걸 뭐라고 불러야 할지 고민스럽습니다. 전혀 일반적이이지 않은 해괴한 잡(雜) 조직, 오르포를 일반경찰이라고 부르기는 어려울 거 같습니다. 후우, 그럼 다시 작업하러 갑니다.장갑냐옹이 2007년 2월 5일 (화) 19:48 (KST)
히믈러가 생각이 있었다면, 체계가 애매한 종래의 주경찰에서 전투경찰 즉 경찰부대를 독립시키고 나머지 조직으로 치안 경찰을 구성했어야 된다고 봅니다. 이랬으면 그냥 치안경찰이니 질서 경찰 혹은 일반 경찰이라는 용어도 간단히 사용이 가능했겠죠. 베르사이유 조약 후 독일정부가 10만 명으로 제한된 국방군을 보조하기 위한 반쪽짜리 군대로서 경찰부대를 육성했으니 당초 목적에 맞게 전투경찰이라는 조직이 분화했어야 하는데, 오히려 일반경찰과 혼연일체가 돼서 뭐가 뭔지 더욱 알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나중에는 SS와 섞여서 임무도 중첩되는 거 투성이고, 지휘 계통도 엉망진창이 되었으니 한숨이 절로 나옵니다.장갑냐옹이 2007년 2월 5일 (화) 20:02 (KST)

사용자:Panzerkatz/OrdnungsPolizei

  • 후우, 오르포 영어 위키백과 해석판입니다. 테크니셰 노틸페를 제외하곤 일단 처리했습니다. 용어 선택에 짜증이 나서 원문과 함께 기재했습니다. 눈알이 빠져라고 했는데, 그다지 건진 게 없습니다. 아무거나 선택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무장친위대 계급명처럼 본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뭔가 답이 나올 줄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자료를 좀 더 모을지 아니면 여기서 결단을 내릴지 선택은 선장 님께 달려있습니다.장갑냐옹이 2007년 2월 6일 (화) 00:53 (KST)

[편집] 잘못된 단어 선택과 문장 표현에 관해

물론 저같은 새내기가 위키백과의 고정 이용자로 자리잡은 님께 이의를 제기하는 것 자체가 이상한 행동입니다만, WaffenSS님께선 일부 항목이나 이용자 문서에서 잘못된 단어 선택을 하시는 것 같습니다. 다른 사용자들에게 "짜증나는 뒤치다꺼리" 라는 표현을 어떻게 쓸 수 있습니까-물론 이 글을 쓰면서도 저도 님의 뒤치다꺼리로 낙인찍힐까 두렵습니다-. 다른 이용자들이 님의 짜증나는 뒷일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말입니까, 사용자들의 의견은 다를 수 있습니다. 물론 멀뚱이 님 같은 경우엔 부적절한 언어 사용과 위키백과를 놀이터로 보는 시각도 약간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만, 다른 분들은 건전한 의견 교환과 여러 분의 참여를 유도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런 분들까지 짜증나는 뒤치다꺼리 정도로 넘겨버리는 것은 오류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정휘준 2007년 2월 5일 (월) 11:20 (KST)

전 WaffenSS님이 아니지만, 소유즈 우주선과 같은 문서를 봐 보시면, 한국어 문장이라고 할 수도 없는 엉터리 번역에, 영어를 그대로 써 놓는 등(제가 좀 처리하긴 했습니다.) "뒤치다꺼리"를 할 수 밖에 없는 기여를 남기신게 많습니다. WaffenSS님은 사용자:멀뚱이씨가 남기신 이러한 점들에 대한 불만으로 그런 글을 남기신게 아닌가 합니다. --hnc197 2007년 2월 5일 (월) 12:26 (KST)
hnc197님 얘기처럼 그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다른 분들에겐 해당 사항없습니다. --WaffenSS 2007년 2월 5일 (화) 16:03 (KST)

[편집] Username

Hello, please request bureaucrat to change your username as soon as. I see already a recommendation above in respect of the present problem. It may be advisable to make clear in your case. --아흔(A-heun) 2007년 3월 13일 (화) 03:15 (KST)

한국어 잘 하시는 분이 한국어판 위키에서, en-1이라고 표시한 분께 굳이 영어로 말을 거시는 것은 그리 좋아보이지 않는군요. :) --정안영민 2007년 3월 13일 (화) 13:06 (KST)
일부러 영어로 남기신 의도가 뭔지 궁금하군요. --WaffenSS 2007년 3월 16일 (금) 11:12 (KST)
위키"낱말"사전의 관행이겠죠. 그쪽은 한국어보다는 영어와 독일어가 주 언어인듯.. -- ChongDae 2007년 3월 23일 (토) 15:24 (KST)
웬만하면 위키 낱말 사전의 관행은 위키 낱말 사전에서 지키시죠.--WaffenSS 2007년 3월 25일 (일) 14:42 (KST)

[편집] WaffenSS라는 사용자명에 관한 메타 토론

혹시 모르고 계실지도 몰라서 알려드립니다. m:Metapub#WaffenSS on the Korean Wikipedia에서 WaffenSS씨의 사용자명이 적절한지에 대해 논의가 벌어졌네요. --Klutzy 2007년 4월 9일 (화) 18:13 (KST)

논의하라고 하십시오. 논의를 막을 이유나 필요가 없죠(방법도 없지만). 나를 나치주의자로 의심하는 모양인데, 그런 의심 또한 개인적 자유이므로 내가 관여할 문제가 아닙니다. 집단의 힘으로 개인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려는 시도로 생각되며, 그 사람들이야 말로 히틀러 추종자라는 의심이 드는군요. --WaffenSS 2007년 4월 10일 (수) 19:2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