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경왕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년~1557년)는, 조선 중종의 첫 부인으로, 본관은 거창이다.

거창 신씨 익창부원군 신수근과 안동 권씨 권람의 딸인 어머니 밑에서 태어난 그녀는, 1499년(연산군 5년)에 당시 진성대군에 봉해져 있던 중종과 결혼하였다.

그녀의 아버지 신수근이 연산군의 처남(폐비 신씨의 오빠)인 관계로, 1506년(중종 원년) 9월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중종)을 왕위에 앉힌 반정세력에 의해 폐위되어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그녀가 폐위된 후 중종의 왕비가 된 장경왕후 윤씨가 1515년 사망하자, 담양 부사 등이 그녀의 복위를 간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으나, 복위를 반대하는 중신들에 의해 복위되지 못 하였다. (훗날 단경왕후의 복위를 간한 사람들은 유배에 처해짐.)

중종은 높은 산에 올라 그녀가 거처하고 있던 사가를 바라보는 일이 많았고, 그 사실을 안 그녀의 사가에서도 왕에게 잘 보이는 곳에 그녀가 자주 입던 붉은 치마를 펼쳐놓았다는 야사가 전해져 오고, 또한 중종의 임종 직전에 신씨를 궁궐 내에 들였다는 헛소문이 돌기도 하였다. 그만큼 중종은 그녀를 폐위하려는 생각이 없었으며, 그녀를 매우 사랑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중종실록 등에는 그녀를 폐위함에 있어서 중종이 크게 반대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위의 야사가 단순히 지어낸 이야기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녀는 폐위된 이후 쓸쓸히 지내다가 1571년 음력 12월 7일에 71세로 승하하였다.

그녀는 계속해서 시호 없이 폐비 신씨로 불리우다가, 영조 때에 김태남 등의 건의로 복위되었다. 그 때 단경왕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녀의 능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위치한 온릉이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