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티엄 4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펜티엄 4(영어: Pentium 4)는 인텔이 생산하는 7세대 x86 아키텍처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1995년에 펜티엄 프로 이후로 넷버스트 아키텍처를 새롭게 디자인한 CPU이다.

펜티엄 II, 펜티엄 III, 셀러론들과는 다르다. 넷버스트 아키텍처의 특징은 매우 깊은 파이프라인 구조, 의도적인 높은 동작 클럭이다. 또한 SSE2와 64 Bit 부동 소수점 계산이 소개되었다.나중에 발표된 펜티엄4 모델에는 하이퍼스레딩, SSE3와 같은 새로운 기술이 소개되었다.

나중에 펜티엄 4의 듀얼코어 버전인 펜티엄 D가 발표되었다. 펜티엄 4는 2006년 7월 26일에 라인이 종료되었으며, 인텔 코어 2의 라인으로 대체되었다.

목차

[편집] 아키텍처

벤치마크의 평가에 의하면 넷버스트 아키텍쳐의 장점은 없었다. 응용프로그램의 코드를 활용 능력이 초기 펜티엄 4가 펜티엄 III보다 빠를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응용프로그램에서의 많은 x86 부동 소수점 명령어를 분기 명령을 실행할 때, 펜티엄 4는 이전 프로세서인 펜티엄 III보다 속도가 비슷하거나 뛰떨어졌다. 게다가 넷버스트 아키텍쳐는 인텔의 이전 프로세서와 AMD 프로세서 보다 발열이 더욱 심했다.

[편집] 프로세서 종류

[편집] 윌라멧

첫번째의 인텔의 펜티엄 4 프로세서 코어이다. 2000년 11월에 1.4GHz와 1.5GHz으로 발표되었다. 180nm의 제조공정을 가지며2 56KB의 L2 캐시를 가진다. 최초에 윌라멧 코어는 423 소켓을 사용하였으나 나중에 478소켓으로 교체되었다.

[편집] 노스우드

두번째의 인텔의 펜티엄 4 프로세서 코어이다. 2002년 1월에 1.6 GHz, 1.8 GHz, 2GHz, 2.2GHz가 발표되었다. 캐시는 윌라멧 코어가 가진 256KB보다 2배 증가된 512KB의 L2 캐시를 갖게 되었다. 또한 트랜지스터 집적 수도 4200만개에서 5500만개로 증가되었다.

[편집] 모바일 펜티엄 4

모바일 펜티엄 4는 데스크탑의 펜티엄 4의 칩의 문제점을 그대로 갖고 있었다. 데스크탑의 펜티엄 4는 82W의 전력을 소모하였는데 모바일 펜티엄 4도 거의 달라지지 않은 70W의 전력을 소모하였다.

[편집] 모바일 펜티엄 4 M

모바일 펜티엄 4 M은 노스우드 기반으로 2002년 4월 23일에 발표되었다. 인텔의 SpeedStep과 Deeper Sleep 기술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하이퍼스레딩 기술을 포함되지 않았다. 이 기술은 인텔 센트리노 기술로 더 많이 알려졌던 프로세서이기도 하다.

[편집] 프레스캇

2004년 1월에 발표되었다. 90nm의 제조공정으로 제조된 첫번째 프로세서이다. 800MT/s의 FSB을 가지며 최고 3.8GHz까지의 동작 클럭을 가지고 있다. 발열이 심해 프레스핫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478소켓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세서와 LGA 775소켓을 가지고 있는 프로세서가 있다. L2 캐시는 1MB를 가진다.

[편집] 프레스캇 2M

인텔은 2005년 1분기에 "6xx"의 이름을 가진 프레스캇 코어를 발표했다. 프레스캇과는 차이점은 L2 캐시가 기존 프레스캇 프로세서의 L2캐시가 1MB에서 2MB으로 증가되고 64 Bit을 지원하는 EM64T가 추가되었다. 2005년 2월 14일에 VT가 추가되었다.

[편집] 시더밀

펜티엄 4의 마지막 프로세서 코어이다. 기존 프레스캇과 차이는 없고 제조공정이 90nm에서 65nm로 제작된 프로세서 코어이다. 프로세서 번호는 "6x1"이다.


인텔마이크로프로세서

4004 | 4040 | 8008 | 8080 | 8085 | 8086 | 8088 | iAPX 432 | 80186 | 80188 | 80286 | 80386 | 80486 | i860 | i960
펜티엄 | 펜티엄 프로 | 펜티엄 II | 셀러론 | 펜티엄 III | XScale | 펜티엄 4 | 펜티엄 M | 펜티엄 D | 펜티엄 EE | 제온 | 코어 | 코어 2 | 아이테니엄 | 아이테니엄 2
  (기울임체x86 프로세서가 아닌 것을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