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이트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누이트어
ᐃᓄᒃᑎᑐᑦ, Inuktitut, Inuttitut, Inuktitun, Inuinnaqtun, Inuttut 등
쓰는 나라들 캐나다(누나부트 준주, Nunavik, 노스웨스트 준주, 누나트시아부트)
지역 북아메리카
언어 인구 3만여명
언어의 계통 이누이트알류트어족
 이누이트어군
  이누이트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캐나다(누나부트 준주, 누나빅(퀘벡 주), 노스웨스트 준주, 누나트시아부트)
표준 Inuit Tapiriit Kanatami를 비롯한 각종 지역 기관.
언어 부호
ISO 639-1 iu
ISO 639-2: iku
ISO/DIS 639-3: variously:
iku — 이누이트어 (표준)
ike — 동부 방언 Inuktitut
ikt — 서부 방언 Inuktitut
이누이트어군 언어의 사용 지역과 방언

이누이트어군 언어의 사용 지역과 방언

이누이트어(ᐃᓄᒃᑎᑐᑦ 이눅티투트)는 알래스카 서부에서 그린란드까지 퍼져 있는, 이누이트의 언어이다. 러시아에도 이누이트어 사용자가 약간 있다. 그린란드와 캐나다 누나부트 준주노스웨스트 준주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퀘벡 주의 누나빅에서는 이누이트 학교에서 언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법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목차

[편집] 문법

이누이트어는 접사를 붙여 표현하는 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낱말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tusaatsiarunnanngittualuujunga
나는 잘 들을 수 없습니다.

위 문장은 ‘듣다’라는 뜻의 tusaa에 여러 개의 접사를 붙여서 만들어진다.

-tsiaq-
-junnaq- ..할 수 있다
-nngit- (부정문을 만든다)
-tualuu- 아주
-junga 1인칭 단수

사람들 사이에 이누이트들에게는 눈이라는 뜻의 낱말이 아주 많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위와 같은 이누이트어의 특성을 잘못 이해한 것에서 비롯된다. 이누이트어로 눈이라는 뜻의 낱말은 qanik와 aput이 있다. 이누이트어에서는 여기에 여러 접사를 붙여서 길고 다양한 ‘낱말’을 만들어 내는데, 이는 한국어에서 용언을 더해서 낱말의 주체를 더 자세히 말해주는 것과 비슷하다. (‘내리는 눈’, ‘흩날리는 눈’ 등)

[편집] 음성

IPA Inuujingajut 비고
전설 비원순 저모음 단모음 /a/ a
장모음 // aa
전설 비원순 고모음 단모음 /i/ i 단모음 i는 가끔 [e][ɛ]로 소리낸다.
장모음 // ii
후설 비원순 고모음 단모음 /u/ u 단모음 u는 가끔 [o][ɔ]로 소리낸다.
장모음 // uu
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비고
무성 파열음 p /p/ t /t/ k /k/ q /q/
  • 모든 파열음은 무기음이다.
  • /q/r로 쓰기도 한다.
무성 마찰음 s /s/
ł /ɬ/
(h /h/)
  • Kivallirmiutut와 Natsilingmiutut에서는 hs를 대신하며 Inuinnaqtun에서는 hs, ɫ를 대신한다.
  • ɫ&, l로 표기하기도 한다.
유성음 v /v/ l /l/ j /j/
(j /ɟ/)
g /g/ r/ɢ/
  • /ɟ/는 대부분의 방언에서 쓰이지 않으며 따로 쓰이는 글자가 없다.
  • Siglitun에서 [ɣ]/g/를 대신하고, 다른 방언에서도 홀소리 사이, 홀소리와 반홀소리 사이에서는 [ɣ]로 소리내기도 한다.
  • /ɢ/는 비음 앞에서 [ɴ]로 동화한다.
비음 m /m/ n /n/ ng /ŋ/
  • ng의 중복은 nng로 쓴다.

[편집] 표기 체계

이누이트어 음절 문자. 각각의 문자 오른쪽에 해당하는 로마자 표기가 쓰여 있다. 점이 찍힌 것은 장모음을 나타내며, 이를 로마자로 쓸 때에는 모음을 중복해서 쓴다.
이누이트어 음절 문자. 각각의 문자 오른쪽에 해당하는 로마자 표기가 쓰여 있다. 점이 찍힌 것은 장모음을 나타내며, 이를 로마자로 쓸 때에는 모음을 중복해서 쓴다.

이누이트어를 기록하는 방법은 지방마다 다르다. 위에서 쓰인 로마 문자 표기는 누나부트 주에서 쓰이는 Inuujingajut이다. 서부 누나부트와 노스웨스트 테러토리에서는 이누이트어의 방언을 쓰기 때문에 표기가 다르다. 알래스카에서 쓰이는 표기도 앞서 설명한 것과 다른 것이다. Nunatsiavut에서는 독일어를 쓰는 선교사가 고안한 표기법을 쓰고 있으며, 여기엔 크라(ĸ)도 쓰인다.

1970년대에 캐나다의 Inuit Cultural Institute에서는 선교사 제임스 에번스가 크리어를 위해 고안한 음절 문자를 표기 체계로 받아들였다. 음절 문자로 불리지만 이를 아부기다로 여기는 사람도 있다. 이 문자는 유니코드 문자집합에 포함되어 있다.

[편집] 바깥 고리

위키백과
이눅티투트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