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부통령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합중국의 부통령은 미합중국 헌법에 의해 만약 미합중국 대통령이 사망하거나 사임, 탄핵당할 경우 대통령 자리를 승계하게 되는 가장 첫번째 순위이다. 미국의 부통령은 또한 미국 상원의 의장의 역할을 겸임한다. 상원의장으로서 만약 투표의결시 같은 수의 찬반표로 나뉘어질때 결정표를 던질 권한이 있다. 현재 미국의 부통령은 딕 체니이다. 일반적으로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로서 임기중의 보조자로서 임무를 끝내고 난후 다음 선거에서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는 경우가 많지만 현 부통령인 딕 체니는 다음 2008년 선거에 출마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현재 미국 공화당 및 민주당 모두 당의 후보지명을 위한 당내의 치열한 경선과정에 있다.
목차 |
[편집] 자격
부통령이 되기위해서는 반드시 미국에서 태어난 미국 시민이어야하며 최소한 만35세 이상이어야 하며 14년 이상을 미국에서 거주하였어야 한다. 하지만 제2항에서는 이러한 자격조건을 대통령에만 해당되고 부통령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 결국 미국 제12차 수정헌법에서 대통령과 같은 자격조건을 부통령에게도 요구하는것으로 하였으며 22차수정헌법에서는 2회이상 임명될수 없게 하였다. 두번의 임기동안 대통령을 역임한 사람은 부통령이 될수 없다. 하지만 만약 한번의 임기와 2년이하의 2번째임기를 역임한 전직 대통령은 부통령을 역임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편집] 선서
대통령과는 틀리 미국 헌법은 부통령의 선서내용을 명시하고 있지는 않다. 1789년이래로 몇번의 개정 끝에 현재의 선서는 1884년 부터 쓰여지고 있다.
나는 미합중국의 헌법을 어떠한 관념적 제한 혹은 회피를 목적으로 하지 않은 자유로운 의지로부터 또한 본인이 들어가게된 정부의 의무에 대한 진정한 책임을 가지고 모든 적과,외국과 국내로 부터 진정한 믿음과 또한 같은 충섬심으로 지키고 수호 할것을 엄숙히 선서합니다. 신이여 저를 도우소서.
여기서 신이여 저를 도우소서(So help me God)을 말할 것인가는 미국의 어떠한 선서에 있어서도 자유의사로 넣거나 뺄수 있다. 하지만 부통령의 선서에서 아직까지 이부분을 말하지 않은 예는 없다.
[편집] 미국의 역대 부통령과 대통령
- 미국 역대 부통령과 대통령
[편집] 기호설명
1 조지 워싱턴대통령 당선자보다 존 애덤스는 뉴욕시에 9일 먼저 도착하여 부통령으로 선서하였다.
2 재임 중 사망.
3 재임 도중 사직함.
4 대통령의 죽음 또는 사직하는 경우 승계하는 법에 의해 대통령직을 승계함.
5 미국영토 밖(쿠바의 하바나)에서 승계한 유일한 부통령.
6 제25차수정헌법에 의해 부통령이 되었음
7 제25차수정헌법에 의해 대통령의 역할을 수행하였음
[편집] 부통령에 관한 다양한 사실들
2명의 다른 대통령 밑에서 부통령을 지낸 두사람
재임 중 죽은 7사람
- 1812년에 죽은 조지 클린턴
- 1814년에 죽은 엘브리지 게리
- 1853년에 죽은 윌리엄 R. 킹
- 1875년에 죽은 헨리 윌슨
- 1885년에 죽은 토머스 A. 헨드릭스
- 1899년에 죽은 개럿 A. 호바트
- 1912년에 죽은 제임스 S. 셔먼
재임 도중 사임한 두사람
- 존 C. 칼훈
- 스피로 T. 애그뉴
재임 도중 다른 사람을 총으로 쏜 부통령들
- 에런 버 부통령은 1804년 7월 11일 알렉산더 해밀턴과 결투를 하여 총으로 쏴 죽였다.
- 리처드 B. 체니는 2006년 2월 11일 사냥하던중 친구인 해리 휘팅톤을 오발로 상처를 입혔다.
투표로 선출되지 않은 부통령들
- 제럴드 R. 포드 : 1973년에 스피로 T. 애그뉴 부통령이 사직해서 리처드 닉슨 대통령에 의해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 넬슨 A. 록펠러 : 1974년에 제럴드 포드에 의해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대통령직을 승계한 9명의 부통령들
- 존 타일러 : 윌리엄 헨리 해리슨 대통령이 병사함으로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 밀러드 필모어 : 재커리 테일러 대통령이 콜레라로 병사해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 앤드류 존슨 :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암살되어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 체스터 A. 아서 : 제임스 A. 가필드 대통령이 암살되어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이 암살되어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 캘빈 쿨리지 : 워런 G. 하딩 대통령이 병사함으로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 해리 S. 트루먼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병사함으로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 린든 B. 존슨 :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되어서 대통령직을 승계되승계하였다.
- 제럴드 R. 포드 : 리처드 M. 닉슨 대통령이 사임함으로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2번의 임기를 거친 부통령이 다음 선거에서 대통령에 당선된 4명의 부통령
- 존 애덤스 : (1789년-1797년)을 부통령으로 재임하고 1796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토머스 제퍼슨 : (1797년-1801년)을 부통령으로 재임하고 1800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마틴 밴 뷰런 : (1833년-1837년)을 부통령으로 재임하고 1836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조지 H. W. 부시 : (1981년-1989년)을 부통령으로 재임하고 1988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현직 부통령이 아닌 전직 부통령으로서 대통령에 당선된 경우
리처드 M. 닉슨 : 미국의 1968년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의 정부 밑의 부통령으로 1953년 부터 1961년까지 부통령으로 재임하였었다.
닉슨은 또한 (대통령으로서 두번째 임기를 마치지 못했다.) 2번의 임기동안 부통령으로 재임하고 2번의 임기동안 대통령으로 당선된 유일한 사람이었다.
임시 대통령이었던 두명의 부통령
- 조지 H. W. 부시 :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재임중인 1985년 7월 13일에 임시 대통령이었다.
- 리처드 B. 체니 : 조지 W. 부시 대통령 재임중인 2002년 6월 29일에 임시 대통령이었다.
이들은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하지 못할 상황이였기 때문에 임시 대통령으로 임무를 수행했다. (미국제25회수정헌법).
현재 살아있는 4명의 전직 부통령
이들 중에, 부시는 대통령에 두번 재임하는데 성공했다. 먼데일과 고어는 대통령 후보로 나섰지만, 대통령 당선에 실패하였다. 퀘일은 당의 후보로 지명되는 데 실패하였다.
"존슨"이라는 이름을 가진 3명의 부통령들
2번의 임기를 모두 채운 7명의 부통령들
- 존 애덤스
- 다니엘 D. 톰킨스
- 토머스 R. 셜
- 존 N. 가너
- 리처드 M. 닉슨
- 조지 H. W. 부시
- 앨버트 A. 고어
[편집] 참고
[편집] 바깥 고리
![]() |
이 문서는 미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문서는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