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 반도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성반도체란 불순물을 첨가하지 않은 순수한 반도체를 가르킨다. 영국말 intrinsic semiconductor 로부터 I형 반도체라고도 한다.
목차 |
[편집] 특징
[편집] 캐리어 밀도
도핑된 경우는 도펀트의 밀도로 정재지는 캐리어밀도이지만, 진성 반도체는 불순물 밀도가 아니고 재질자체가 캐리어 밀도를 결정한다. 이 캐리어 밀도를 진성 캐리어 밀도 (ni)라고 한다. 이 진성 캐리어 밀도는 매우 낮은 값 (~1010 /cm3)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도핑으로 얻을 수 있는 캐리어 밀도보다 약 10 자리수만큼 낮은값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반도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핑을 하는 경우가 많다.
진성 반도체의 홀밀도 p와 전자밀도 n는 의 관계가 성립된다. (NC는 전도띠 전자밀도이고 NV는 원자가띠 홀밀도임)
[편집] 페르미 준위
도핑된 경우에 페르미 준위는 도너 준위나 억셉터 준위 근처에 존재하지만, 진성 반도체는 띠간격의 띠 중앙에 위치한다. 전도띠의 에너지를 EC, 원자가띠의 에너지를 EV, 전자와 홀의 유효질량을 me, mh라고 했을 때 진성 반도체의 페르미 준위의 에너지 Ei는
의 형태로 표기된다.
[편집] 캐리어 이동도
진성 반도체는 불순물의 도핑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캐리어는 이온화 불순물 산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렇기에 도핑되었을 때와 비교해서 매우 빠른 이동도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전에 말했듯이 진성 반도체는 캐리어 밀도가 매우 낮기때문에 용도또한 한정된다. 탄소구조에 의한 이차원 전자 가스 를 이용한 반도체소자 (예시 HEMT)가 있다.
[편집] 도핑
진성 반도체는 캐리어 밀도가 낮기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진성 반도체에 불순물을 도핑한 불순물 반도체 (외인성 반도체)가 사용된다. 불순물 반도체는 도너나 억셉터의 열여기에 의한 캐리어가 전도에 기여한다. 캐리어가 홀 (전공)인 P형 반도체와 캐리어가 전자인 N형 반도체로 크게 구별된다. 캐리어의 종류는 불순물의 최외각 전자의 수에 의하여 결정되며 최외각 전자가 4보다 크면 N형 반도체, 최외각 전자가 4보다 작으면 P형 반도체가 된다. 실리콘에서 인, 비소를 도핑했을 때는 N형 반도체, 붕소를 도핑했을 때는 P형 반도체가 된다.
[편집] 같이 보기
반도체 | |
---|---|
분류 | P형 반도체 | N형 반도체 | 진성 반도체 | 불순물 반도체 |
종류 | 질화물 반도체 | 산화물 반도체 | 비결정 반도체 | 전계형 반도체 | 자성 반도체 |
반도체 소자 | 집적회로 | 마이크로프로세서 | 반도체 메모리 | TTL 논리 소자 |
띠 이론 | 띠구조 | 띠계산 | 제일원리 띠계산 | 전도띠 | 원자가띠 | 띠간격 | 페르미준위 | 불순물준위 | 전자 | 정공 | 도너 | 억셉터 | 물성 물리학 |
트랜지스터 | 사이리스터 | 접합형 트랜지스터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전력 MOSFET | 박막 트랜지스터 | 시모스 | 증폭 회로 |
관련 | 다이오드 | 태양 전지 |
기타 | PN 접합 | 공지층 | 쇼트키 접합 | MOS 접합 | 전자공학 | 전자 회로 | 반도체공학 | 니시자와 준이치 | 금속 | 절연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