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우트캐스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샤우트캐스트(SHOUTcast)는 개인 방송의 한역사를 그었다고 할 수 있는 샤우트 케스트는 누구나 윈앰프 방송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샤우트 케스트가 나오던 당시에는 개인 음악 방송에 대해선 일반인은 누구도 손대기 힘든 영역이라고 할 정도로 난감한 분야였으나 널소프트에서 MP3를 이용한 스트리밍 기술인 샤우트 케스트 기술로 누구나 쉽게 윈앰프를 이용하여 방송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즉 샤우트 케스트는 널소프트에서 만든 스트리밍 기술의 명칭입니다
[편집] 역사
ShoutCast Source DSP 1.5.X은 윈도우 내장 프라운호퍼 MP3로 제한적 56KB까지의 제한적 방송이 가능하였으나 (코덱설치하면 늘릴수 있습니다) ShoutCast Source DSP 1.8.X버전에서는 LAME 인코더를 사용하여 MP3가 제공 할 수 있는 모든 KB를 지원합니다 ShoutCast Source DSP 1.9.X버전 부터는 AAC PLUS V2를 지원하여 더욱더 고품질 방송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편집] 특징
샤우트 케스트를 사용하기 위해선 윈앰프가 필요하며 윈앰프의 DSP플러그인인 ShoutCast Source DSP를 이용해 방송 서버인 샤우트 케스트 서버에 MP3데이터를 전송을 하여 MP3파일을 스트리밍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이로서 다른 사용자들도 사용자 아이피 만으로 샤우트 케스트서버에 접속하여 방송을 감상 할 수 있습니다 샤우트 케스트의 기본 포트는 8000이며 사용자가 임이적으로 바꿀수 있으나 포트 변경시 다른 사용자에게도 포트 번호를 알려줘야 합니다 예제 : dansun.shoutcast.com:8000 변경=> dansun.shoutcast.com:1004 이외에도 국내 여러 방송서버 서비스로 서버를 빌려서 음악 방송을 하여 사용자를 100명이상 늘려서 방송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편집] 문제점
ShoutCast Source DSP 1.5.x에서까지는 한글이 지원하였으나 1.8.0부터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아 방송 재생시 음악 정보가 영어만 나오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1.9.0에서도 이문제는 해결되지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1.9.0에서 지원하는 aac+v2에 경우 윈앰프가 아니면 감상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소프트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