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앰프3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편집] 제목

이 문서를 윈앰프 문서와 합치자는 제안이 있습니다. (토론)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Winamp3
개발자 저스틴 프랭크 (최초개발자)
널소프트
최근 버전 4.88d / 2003년 3월 6일
운영체제 윈도98,ME,2000,XP
환경 윈도,리눅스
종류 미디어 플레이어
라이선스 클로즈 소스
공식 웹사이트

윈앰프3는 윈앰프2를 재작한 널소프트에서 3년의 공을 들여 만든 윈앰프2의 후속작입니다 겉모양은 윈앰프2와 거의 동일한 디자인을 하고 있으나 전혀 다른 새로운 엔진인 와사비엔진으로 제작되었으며 그리고 기존에 윈엠프2는 사운드 재생플레이어 였다면 윈엠프3에선 미디어 플레이를 지향으로 제작된 플레이어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윈앰프3에서도 동물 라마 케릭터가가 여전히 존재하는대 이건 윈앰프 제작자 져스틴 프랭크분이 라마보호단체에 있었기에 그런 것입니다

[편집] 역사

공식버전

윈앰프3는 2001년 1월 21일 첫 알파버전인 Turbo 버전이 공개되었으며 내장된 스킨인 Boxr스킨은 애니메이션효과 및 디자인은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모으게 됩니다 여러 알파버전을 거친후

첫 베타 버전인 빌드448 Love를 2001년 10월 9일 공개 정식버전인 2002년 8월8일 488 파이널 버전을 공개하였으며 이후 2003년 3월 6일까지 빌드 488d버전을 공개로 정식버전은 종료되었습니다

공식버전에서 488마이너 빌드 업데이트에 경우 자살 한 버그를 수정한 버전이나 윈앰프3 모던 스킨의 미리 보기 기능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건 488b~d버전까지 동일 한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비공식 버전

윈앰프3의 공식버전과 달리 비공개로 공개되었으며 일종에 베타 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윈앰프3의 플러그인 호환성이 없으며 자잘한 버그및 여러문제점등이 있습니다

2002년 11월 15일 491빌드버전을 비공개로 2003년 10월 31일 499c 까지 나오다가 499g빌드를 기준으로 와사비 플레이어로 이름을 바꾸며 홈패이지도 새롭게 만들고 오픈소스화 할려고 했으니 결국 되지 못했습니다

비공식 버전의 특징은 기존 윈앰프 488빌드에 좀더 더 강화된 채재로 가는 것입니다 일단 한폴더에 모든 플러그인이 있던 488빌드에 비해 윈앰프3에서는 모든 폴더에 플러그인을 넣어 정리를 하였으며 그리고 폰트에 안티에일리어스를 지원하여 폰트가 상당히 부드러워졌으나 궁극적인 단점으로 한글,한문,일어등이 완벽하게 지원을 못하는 길로 가게 됩니다

[편집] - 특징 -

윈앰프3는 크로스 플랫폼을 기준으로 제작된 것으로 그중 윈도우와 리눅스와의 호환성을 위해 와사비 엔진을 설계 하였으며 스킨에 대한 제작환경이 고정화 되어 있던 윈앰프2에 비해 스킨제작자 분들을 위해 WasabiXML를 설계 하였습니다

와사비 XML의 스킨시스템인 모던 스킨은 애니메이션효과와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 할 수 있게 하였으며 PNG이미지 지원및 XML의 구죠로 스킨제작할때 이미지 위치가 틀려도 좌표값으로 수정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설정값으로 편하게 투명화및 애니메이션값을 넣 을수 있게 제작되었습니다 또 스킨으로 인한 모든 매뉴및 버튼들이 스킨화가 되어 통합된 디자인이 되어서 스킨과 플레이어와의 완벽한 통합성과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미디어 라이브러리 기능 지원으로 모든 음악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하여 관리가 편해졌으며 동영상 재생 기능 지원 및 플레이리스트에 엘범 기능 추가 크로스패이팅으로 음과 음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며 THINGER 기능지원으로 윈앰프의 여러 기능을 퀵 링크화 하여 사용법이 간편하되었습니다 그리고 널소프트가 새롭게 준비한 NSV (널소프트 스트리밍 비디오)을 지원합니다

[편집] 기능

  • MIDI, MOD, MP1, MP2, MP3, AAC, OGG, WAV, WMA 등 다양한 오디오 포맷 지원
  • AVI, MPEG, 그리고 NSV(널소프트 스트리밍 비디오) 같은 비디오 포맷도 지원
  • 사운드 효과나 시각 효과를 위한 플러그인을 추가로 지원
  • WasabiXML로 모던 스킨 지원
  • 윈앰프 2의 클래식 스킨 지원
  • 기존 윈앰프2 단축키 호환
  • 샤우트 캐스트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스트리밍 방송 재생을 지원
  • 미디어 라이브러리로 음악 관리기능 지원

[편집] - 문제점 -

윈앰프3의 큰 변화에 문제점은 당시로선 무거운 플레이어 였다는 것입니다 윈앰프2처럼 빠른 실행을 기대한 사람들에게 있어 윈앰프3는 느린 실행속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메모리양도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와사비 XML으로 인한 오타 버그로 스킨이 단어 하나라도 잘못 만들어 졌으면 윈앰프 전체가 에러가 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으며 윈앰프의 모든 설정 정보가 XML 파일 하나로로 저장되다 보니 플러그인 설정 정보가 에러가 나면 윈앰프 자체가 오류가 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윈앰프3~5의 모던 스킨에 전형적인 문제점이던 폰트 임시파일 문제점도 있습니다 모던 스킨에 경우 스킨에 적용할 폰트파일을 불러올때 윈도우 기본 temp폴더에 wt1.tmp~wt2.tmp등의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런 파일이 윈앰프 실행할때마다 계속 생성 되는대 폰트에 따라 용량이 다르지만 기본이 500kb라고 감안하면 윈앰프를 사용할때마다 파일이 늘어 다나 보니 결국 100매가 이상이 나가는 문제점

국제화 언어를 지원하지 않아 한글이 깨지는 경우와 그리고 미디어 라이브러리의 음악 정보가 축적 될 수록 에러가 나는 문제점

한글을 재대로 지원하지 않아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있는 음악들이 한글이 깨지고 검색 기능에서 한글파일을 검색하지 못하는 문제점

윈앰프3를 한글화 하기 위해 UTF-8 국제화 언어 플러그인 베타 버전을 이용하여 윈앰프3 언어지원 언어팩이 나왔으나 UTF-8국제화 언어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몇몇 한글 파일을 리스트에 읽지 못하는 문제점과 윈앰프3의 다른 몇몇 플러그인과 호환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

윈앰프에 내장된 동영상 기능에 경우 내장된 코덱만 사용하다 보니 실질적으로 사용할때는 재생이 안돼는 동영상이 많았다는 문제점

윈앰프2의 다양하고 유용한 플러그인을 전혀 사용 할 수 없고 이걸 해결하기 윈앰프2 플러그의 DSP,기본 플러그인 호환용 윈앰프3 플러그인이 존재하였으나 호환성이 낮고 불안하다는 문제점

윈앰프3의 플러그인 제작환경은 분명 뛰어나나 너무나도 방대했다는 점과 엔진자체가 안정화를 가지지 못한 것과 플러그인 설정 매뉴가 너무 단순화 되어서 새부 설정을 요구하는 사람들에게 재대로 재공 되지 못한 문제등이 있습니다


[편집] 윈앰프3 프로젝트 포기 큰원인

문제점도 문제점이나 실질적으로 AOL의 만행으로 인해 널소프트팀은 무너졌다고 할 수있습니다 1999년 널소프트가 AOL에 인수되면서 널소프트로서는 더욱더 큰 도약의 길로 갈 줄 알았으나 당시 윈앰프 계발에 핵심을 이루었던 제작분들이 윈앰프의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제한을 AOL에서 대부분 묵살하였으며 재대로된 지원을 해주지 못하였습니다

윈앰프 핵심 개발자 게디키안은 마지막으로 신세대 감각의 최첨단의 미디어 플레이어를 만들것을 제안하였으나 그러나 이는 AOL 고위간부들의 반대에 묵살당하여 결국 취소 되어 버렸고 지난 달 게디키안은 자신의 웹로그에 이제 윈앰프에서 나간다고 밝혔습니다

이 글에서 게디키안은 그의 후원자들에게 애정과 감사의 뜻을 밝혔으며 자신의 팀에 대한 지난 몇 년에 걸쳐 자신이 속한 개발팀과 윈앰프에 대한 AOL의 태도가 바뀌었다고 전하였습니다

그의 마지막 말로 "우리는 발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지원을 요청했지만 그것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결국 우리는 지쳤다"며 "더욱 중요한 것은 나도 더 이상 윈앰프에 긍정적인 충격을 만들만한 어떠한 힘도 남아있지 않다는 것" 이라고 남기고 갔었습니다

이러한 AOL에 만행에 의해 윈앰프 핵심 제작팀이 AOL에 만행에 참다 못해 나가버렸으며 애플사로 입사한 분들도 있습니다 윈앰프3에서도 그나마 버티고 있던 윈앰프2의 제작자 져스틴 프랭크분도 2003년에 개인 파일 교환자가 그룹을 형성하도록 해주는 웨이스트(Waste)를 발표하였으나 AOL은 재빨리 두 가지 제품을 자신들의 제품군에 포함시켜 버렸으며 이는 프랭크측의 큰 반발을 사게하였으며 결국 프랭크는 2004년 1월 AOL을 나와버렸습니다

이로인해 남아 있는 계발자분들은 AOL의 부사장인 테드 레온시스등의 고위간부들의 지원을 받으면서 윈앰프5에서는 널소프트가 가진 윈앰프만의 특징이 퇴색되어 버리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