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 공산주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산주의

이론 체계

역사유물론·사회주의
세계 혁명·계획 경제
좌익·노조·아나키·종교


공산주의의 역사
동맹 혁명·세계 운동
국제당: 제1·제2·제3·제4


공산주의의 정파
마르크스·레닌
트로츠키·스탈린
마오쩌둥·주체·티토
좌익·의회·유럽


공산당
소련·중국·쿠바·조선
베트남·라오스·유고 앙골라
인도네시아·이탈리아·독일



공산국가
조선·중국·쿠바
라오스·베트남·앙골라

관련: 반공·신좌파

이 표를 편집하기

기독 공산주의기독교를 중심으로 하는 종교적 공산주의이다. 예수의 가르침에 따르면 그리스도인들이 공산주의를 이상적인 사회 체제로서 지지해야 한다는 시각에 근거 발달한 신학적이며 정치적인 이론이다. 기독 공산주의가 정확히 언제 생겼는지에 대한 보편적 합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신약성서의 사도행전에 따르면 예루살렘교회에서는 재산을 공유하는 기독교 사회주의 공동체를 유지하였다. 예루살렘교회와 신학성격이 달랐던 사도 바울로나 사도 야고보도 교회에서는 교우들간의 불평등이 없어야 한다고 믿었다. 종교개혁기에도 재세례파등의 진보적인 개신교 교파들은 재산공유를 주장하면서 평등사회 구현을 기독교를 통해 이루고자 하였다.

기독 공산주의는 (더 온건한) 기독교 사회주의와 (더 급진적인) 기독교 아나키즘의 사이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다. 기독 공산주의자들은 마르크스주의의 몇몇 부분에 이견을 제시한다. 이들은 물론 대부분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이 가지는 무신론적인 시각을 공유하지 않으나 경제적인 강령은, 예를 들어 자본주의가 노동 계급에게서 잉여가치를 착취해 이익을 본다는 분석에 부분 동의한다. 기독 공산주의자들은 또한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정치적인 강령 일부를, 예를 들어 자본주의가 사회주의로 교체되어 결국에는 공산주의로 발전한다는 역사발전론에 동의 한다.

그러나 기독 공산주의자들은 가끔 마르크스주의자들, 특히 레닌주의자들과 이견을 보일때가 있다. 이는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 사회가 조직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보편적으로 기독 공산주의는 마르크스주의에서 독립적으로 분화하였음으로 마르크스 공산주의자들의 "결론"을 공유하지만 그 "전제"에는 동의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편집] 참고

  • 제럴드 윈스탠리 Gerrard Winstanley
  • 기독 사회주의
  • 기독 아나키즘
  • 기독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