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행정 구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市)는 행정 구역 중의 하나이다.
목차 |
[편집]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시는 대부분 자치시로서 도의 하부 행정 구역이다. 군, 구와 같이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인구가 50만명 이상이 되면 일반구를 하부 행정 구역으로 둘 수 있고 100만명 이상이 되면 광역시로 승격될 수 있다. 인구가 50만명 이하일 경우 하부 행정 구역은 읍·면·동이다. 이와 달리 행정시는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의 지위가 없다.
[편집] 조건
보통 군에서 시로 승격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시가지를 구성하는 지역안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60% 이상이며 상업·공업 기타 도시적 산업에 종사하는 가구의 비율이 전체가구의 60% 이상으로 인구가 5만명 이상.
위의 조건에 못 미치지만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도농복합형태의 시로 승격될 수 있다.
- 설치된 시와 군을 통합한 지역.
- 인구 5만 이상의 도시형태를 갖춘 지역이 있는 군.
- 인구 2만 이상의 도시형태를 갖춘 2개 이상의 지역의 인구가 5만 이상이며 군 전체의 인구가 15만 이상인 군.
- 국가의 정책으로 인하여 도시가 형성되고, 도의 출장소가 설치된 지역으로서 그 지역의 인구가 3만 이상이고, 인구 15만 이상의 도농복합형태의 시의 일부인 지역. [1]
[편집] 일본
일본의 경우는 지방자치법 (地方自治法)에 따라 시가 도(都, 道), 부(府), 현(県)에 설치된다. 시는 군(郡)에 속하지 않고 군을 가지지 않는다.
원칙 인구 5만인을 넘음, 중심 시가지에 있는 집 수효가 시 전체의 60%를 넘음, 상공업등 도시적인 업태에 종사하는 세대수가 시 전체의 60%를 넘음이 각각 만족시킴이 필요하다. 한번 시가 되면 정(町)이나 촌(村)으로 강격함은 없고, 일본에는 시가 정이나 촌으로 강격한 자치체는 없다.
[편집] 관련
[편집] 미국
- 미국의 행정 구역 문서도 참고하십시오.
미국에서 시의 조건은 주에 따라 다르다. 보통 인구가 많은 곳은 시이고 그렇지 않은 곳은 읍으로 불리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뉴잉글랜드에서는 인구 대신 시장의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