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대학의 연혁
고등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과학기술부 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 비고 - KJIST에서 GIST로 영문 명칭 변경
구분 교육연구기관 설립연도 1993년 11월 17일 소재지 광주 북구 오룡동 1번지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내 설립목적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한 인재 양성 주요활동 교육 및 산업계와의 협동, 외국과의 연구 교류 규모 2개 위원회, 5개 학과
[편집] 대학의 자랑
첨단과학기술의 혁신을 선도할 고급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광주과학기술원법(법률 4580)을 근거로 1993년 11월 17일 설립되었다. 이사회를 비롯하여 원장·부원장 및 감사, 학사연구심의위원회·기획관리위원회, 정보통신공학과·신소재공학과·기전공학과·환경공학과·생명과학과의 5개 학과와 기획연구처, 교학처, 사무처, 도서·정보센터로 조직되어 있다.
국내 유일의 이공계 대학원만으로 이루어진 교육연구기관이다. 주요 기능 및 사업은 ① 소수 정예주의에 입각한 석·박사 과정만의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원으로서 첨단과학기술 혁신을 선도할 우수 과학기술 인재 양성 ② 첨단과학기술 분야의 5개 학과를 개설하여 첨단과학기술 이론 창출 및 연구개발 ③ 광전자산업 육성 등 지역발전을 위한 산학협력 활성화로 국토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광주 첨단과학산업단지 활성화 및 지역산업체와의 산학협동 등이다.
모든 과목은 영어로 강의하며, 교수 대 학생 비율이 1:5 이하로 개인지도 형식의 소수 정예주의 교육이 이루어진다. 또 교수의 개별적인 연구보다는 과제와 팀워크 중심의 공동 대형 연구를 수행하여 여러 학과의 교수와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도록 하고, 이론 위주의 교육보다는 학생을 일정 기간 산업체에서 실습하게 하는 실기 위주의 교육을 실시한다.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1번지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내에 있다. 등록금및 생활비를 지원하며 전원 기숙사생활을 하며 기혼자에게는 학내 아파트도 임대되는 장점이 있으며, 해마다 전국 각지에서 우수한 학생들이 몰려드는 추세이다. 교수/학생 1인당 SCI논문개재수와 지원예산은 국내 TOP 수준이며 국내보다는 국제적으로 많이 알려진 대학원이다. 많은 외국인 학생들이 아시아및 유럽등에서 유학을 와 있기 때문에, 강의및 논문제작, 학내시설 이용은 영어로 통일하고 있다.
현재 학부설립추진중에 있으며 세계일류의 연구중심대학으로 발돋움 하기위한 노력이 진행중이다.
web:: www.gist.ac.kr
[편집] 개설학과
정보기전공학부(정보통신공학과, 기전공학과), 생명과학과, 신소재공학과, 환경공학과, 광과학기술학제학부(2007년신설)
[편집] 바깥 고리
- [www.kjist.ac.kr/ 광주과학기술원]
![]() |
이 문서는 대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