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옥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토지가 비옥

함경도와 두만강 일대가 토지가 비옥해서 농사가 잘되다니... 참 믿지 못할 일입니다. 옥저의 위치를 잘못잡았아요. 일제시대때 연구한 일본사학자들의 말을 그대로 인용하는 현대 사학자들이 문제요--Breathejustice 2007년 1월 1일 (월) 06:07 (KST)

옥저의 위치는 함흥평야를 중심으로 하는 듯합니다. (예와 비슷하죠.) 함흥평야에서도 농사는 됩니다. jtm71 2007년 1월 1일 (화) 23:58 (KST)
그렇군요. 그러나 주로 중국 사서에서 말하는 옥저는 동옥저를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윤내현 교수는 옥저와 예는 요서에 있었고 열국시대에 함경도와 강원도로 이주하며 동옥저와 동예로 불렀다고 나옵니다. 저도 아직 공부중이라서 뭐라 확실한 얘기는 못하겠어요. 나중에 다시 확실하게 공부해서 올께요--Breathejustice 2007년 1월 3일 (수) 07:04 (KST)
삼국지 동옥저조에 의하면, '옥저는 개마대산의 동쪽 대해에 접해 있으며, 지형은 동북이 좁고 서남이 길어 천 리에 이른다'고 합니다. 윤내현 교수는 한사군을 요하 서쪽으로 밀어내기 위해 그렇게 주장하는 듯한데, 한국사에서는 남옥저의 중심지는 함흥 부근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jtm71 2007년 1월 5일 (토) 23:39 (KST)
삼국지 기록을 제대로 보셔야죠. 옥저가 개마대산 동쪽에 있다하지 않고 동옥저가 개마대산 동쪽에 있다 했습니다. 윤내현교수는 원래 옥저와 동옥저를 구분하여 요서지방에 있던 옥저가 원래 옥저이고 개마대산 동쪽에 있는 옥저를 삼국지의 기록에 따라서 동옥저라고 한것입니다. 즉 지금 본문에 나오는 옥저에 대한 설명은 대부분 고조선 멸망 이후 ㅇ이주한 동옥저에 대한 설명입니다. --Breathejustice 2007년 1월 6일 (토) 14:24 (KST)
그렇다면, 따로 항목을 만들어 윤내현 교수의 주장을 그 근거가 되는 논문과 함께 소개하면 될 것입니다. 어쨌거나, 사학계의 의견은 중론으로서 존중될 필요가 있습니다. jtm71 2007년 1월 6일 (일) 23:06 (KST)

[편집] 옥저가 함경도에 올수 없는 이유

이러한 이유는 많지만... 한가지만 골라서 말해볼께요. 삼국지에 보면요.
"以沃沮城爲玄菟郡 後爲夷貊所侵 徙郡句麗西北"
옥저성을 현토군으로 하였는데 나중에 이맥(夷貊, 고구려라고 생각됨)이 침략하므로 군을 구려(句麗, 고구려라고 생각됨)의 서북으로 옮겼다

함약 옥저가 함경도에 있었다면 현토가 침략을 받았을때 구려(고구려)의 서북방면으로 가기 어렵습니다. 구려의 서북방면이라고 하면 지금의 요서와 내몽골지방으로 대략 생각이 되는데... 함경도땅에 있던 옥저가 요서와 내몽골지방으로 이동하려면 고구려의 중심부를 횡단해서 가야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죠. 그리고 함경도 지방에 공격받았다고 해서 현토군을 저 멀리 요서나 내몽골로 옮긴다는 것은 논리적으로도 말이 안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은 옥저가 요서지방에 있다면 설명이 가능해지죠.

윤내현 교수의 말대로 원래 옥저와 한나라가 원래의 옥저위치에 사군 설치한 후 동으로 이동한 동옥저와는 구별되어야만 합니다. 이는 예와 동예에서도 마찬가지죠. 사서에서 옥저가 함경도에 있는 것으로 묘사된 것은 모두 동옥저입니다. --Breathejustice 2007년 1월 6일 (일) 15:50 (KST)

그런 주장이 있다면, 개인적인 의견은 배제하고 윤내현 교수의 의견을 별도 항목으로 정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jtm71 2007년 1월 6일 (일) 23:07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