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 종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흥 종교(新興宗敎)는 기성 종교와 비교할 때 성립 시기가 새로운 종교를 의미한다.

[편집] 역사속의 신흥종교

[편집] 대한민국의 신흥 종교

대한민국에서는 19세기 서구 열강의 쇄도와 함께 천주교를 둘러싼 논쟁 끝에, 1860년 최제우천도교를 창시하였고, 19세기청일전쟁의 피폐함 속에 강일순증산교가 교세를 팽창시켰다. 국조 단군을 신봉하는 종교로는 나철이 창시한 대종교가 있다. 박중빈이 창시한 원불교는 불교적 기반 위에서의 혼합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일본에서 들어온 선린회는 옛날 일본이 한국에 저지른 죄과의 참회를 표방하여 한국 내에서 많은 호응을 얻었다. 하지만 교주 조희성과 추종자들의 살인과 암매장으로 악명높은 영생교나 일제강점기때 일제의 묵인하에 기승을 부렸던 백백교등의 사이비종교들도 존재한다.

[편집] 신흥 종교에 대한 논란

일부 신흥 종교는 기성 종교에서 이단으로 취급되기도 하며, 앞에서 말한 영생교나 백백교처럼 사이비종교로 취급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