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 지하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북 지하철 노선도
대북 지하철 노선도

타이베이 첩운(중국어 정체: 台北大眾捷運系統, 병음: Táiběi Dàzhòng Jiéyùn Xìtǒng)은 중화민국 타이베이 시내와 그 주변 인 타이베이 현 판교시·영화시·중화시·신점시·담수진 의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설치된 도시 철도 체계이다. 외국인에게는 MRT 또는 타이베이 지하철(Metro Taipei)이라 알려져 있으며, 정식 명칭은 타이베이 도회구 대중 첩운 계통(중국어 정체: 台北都會區大衆捷運系統, 병음: Taipei Rapid Transit System)이다. 타이베이 대중 첩운 공사(중국어 정체: 台北大眾捷運公司, 병음: Táiběi Dàzhòng Jiéyùn Gōngsī, TRTC)에 의해 운영된다.

지금도 타이베이 시 내호구, 남항구, 신의구, 송산구와 타이베이현 삼중시, 신장시, 노주시에서 지하철을 짓고 있으며 앞으로 10년이내에 모두 완공될 예정이다.

목차

[편집] 노선

노선명 구간 장도(키로) 비고
  종선(棕線) 목책선(木柵線) 동물원(動物園)~중산초등학교(中山國中) 10.5km  
내호선(内湖線) 중산처등학교(中山國中)~남항잔란관(南港展覽館) 14.8km 공사중
  홍선(紅線) 담수선(淡水線) 담수(淡水)~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23.2km  
신북투지선(新北投支線) 북투(北投)~신북투(新北投) 1.2km  
신의선(信義線)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상산(象山) 6.4km 공사중
  귤선(橘線) 중화선(中和線) 남세각(南勢角)~고정(古亭) 5.4km  
신장선(新莊線) 고정(古亭)~회용(迴龍) 19.7km 공사중
노주지선(蘆洲支線) 대교국민학교(大橋國小)~노주(蘆洲) 6.4km 공사중
  녹선(綠線) 신점선(新店線) 신점(新店)~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9.3km  
소남문선(小南門線)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서문(西門) 1.6km  
소벽담지선(小碧潭支線) 칠장(七張)~소벽담(小碧潭) 1.9km  
송산선(松山線) 서문(西門)~송산역(松山車站) 8.5km 공사중
  남선(藍線) 판남선(板南線) 곤양(昆陽)~부중(府中) 20.6km
 
 
토성선(土城線) 부중(府中)~영녕(永寧) 7.5km | &ndsp;
  황선(黄線) 환장선(環状線) 동물원(動物園)~검남로(劍南路) 34.5km 계획중
  자선(紫線) 대만도원국제공항첩운(台灣桃園國際機場捷運) 대북역(台北車站)~대만도원국제공항(台灣桃園國際機場) 35.7km 공사중

[편집] 운영방식

[편집] 고수송량계통

  • 판남선(板南線)과 토성선(土城線)이 서로 연결해서 운영하고 있다. 운전구간은 "곤양(昆陽)─영녕(永寧)", "곤양(昆陽)─아동병원(亞東醫院)" 두 가지가 있다.
  • 담수선(淡水線)과 신점선(新店線)이 서로 연결해서 "담수(淡水)신점(新店)" 구간 운영하고 있다.
  • 담수선(淡水線)과 중화선(中和線)이 서로 연결해서 "북투(北投)남세각(南勢角)" 구간 운영하고 있다. (야간에는 "타이베이역(臺北車站)남세각(南勢角)" 구간으로 바뀐다.)

이상 노선은 두 궤도 두웨이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고 여섯 량의 열차를 사용한다.

  • 소벽담지선(小碧潭支線) : "소벽담(小碧潭)칠장(七張)"
  • 소남문선(小南門線) : "서문(西門)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 신북투지선(新北投支線) : "북투(北投)신북투(新北投)" (아침과 깊은 밤에 버스로 운영한다.)

이상노선은 한 궤도 두웨이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고 세 량이나 여섯 랑의 열치를 사용한다.

[편집] 중수송량계통

이제는 목책선(木柵線)만 중수송량계통이다. 네 량의 차간인 열차가 "중산처등학교(中山國中)─동물원(動物園)" 구간에서 운전하고 있다.


[편집] 구간운임

거리
(km)
≤5 5~8 8~11 11~14 14~17 17~20 20~23 23~27 27~31 ≥31
운임
(뉴 타이완 달러)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편집] 차량

[편집] 중수송량계통

  • VAL256형 열차
    • 제조원: 프랑스 Matra
    • 수량: 52조 (26열)
    • 운영노선: 목책선(木柵線)

[편집] 고수송량계통

  • C301형 열차
    • 제조원: 일본 카와사키
    • 수량: 44조(22열)
    • 운영노선: 담수선(淡水線), 신북투지선(新北投支線), 신점선(新店線), 중화선(中和線), 판남선(板南線)
  • C321형 열차
    • 제조원: 독일 시멘스
    • 수량: 72조(36열)
    • 운영노선: 담수선(淡水線), 신점선(新店線), 중화선(中和線), 판남선(板南線), 토성선(土城線), 소남문지선(小南門支線), 소벽담지선(小碧潭支線)
    • 이제의 주력차량
  • C341형 열차
    • 제조원: 독일시멘스
    • 수량: 12조(6열)
    • 운영노선: 판남선(板南線), 토성선(土城線)
  • C371형 열차
    • 제조원: 일본 카와사키
    • 수량: 107조
    • 운영노선: 미결정

[편집] 역사

[편집] 개통일정

  • 1986년
    • 3월
      • 대만 행정원(行政院)은 타이베이 지하철계통을 연구하고 다음해 노선을 결정했다.
  • 1988년
    • 12월
      • 다북 지하철 공사시작.
  • 1996년
    • 3월
      • 목책선(木柵線) 전선개통.
  • 1997년
    • 3월
      • 담수선(淡水線) 담수(淡水) -중산(中山) 구간 개통.
      • 신북투지선(新北投支線) 전선개통.
    • 12월
      • 담수선(淡水線) 중산(中山)-대북역(台北車站) 구간 연장.
  • 1998년
    • 12월
      • 중화선(中和線) 전선개통.
      • 신점선(新店線)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고정(古亭) 구간 연장.
      • 담수선(淡水線) 타이베이역(臺北車站)-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구간 연장되어서 전선개통.
  • 1999년
    • 11월
      • 신점선(新店線) 고정(古亭)-신점(新店) 연장되어서 전선개통.
    • 12월
      • 판남선(板南線) 용산사(龍山寺)-시정부(市政府) 구간 개통.
  • 2000년
    • 8월
      • 판남선(板南線) 용산사(龍山寺)-신포(新埔) 구간 연장.
      • 소남문선(小南門線) 전선개통.
    • 12월
      • 판남선(板南線) 시정부(市政府)-곤양(昆陽) 구간 연장.
  • 2004년
    • 9월
      • 소벽담지선(小碧潭支線) 전선개통.
  • 2006년
    • 5월
      • 판남선(板南線) 부중(府中)-신포(新埔) 연장되어서 전선개통.
      • 토성선(土城線) 전선개통.

[편집] 바깥 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Taipei MRT
위키자료집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zh:大眾捷運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