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표는 우편요금을 납부하였음을 증명하기 위해 정부가 발행하는 증표이다. 이우표는 1884년 발행된 한국 최초의 문위 유표는 우초라 하였으며 1895년 발행된 태극우표부터 우표라고 불렸다.

우표의 시작은 1840년 영국에서 힐에 의해 우편요금을 전납하는 제도가 실시되었다. 우편요금을 부담하는등의 불편이 없어졌으며 이 근대 우편 제도와 함께 당시 빅토리아 여왕을 넣은 블랙패니우표가 발행하였다. 이 것으로 인하여 프랑스독일등의 나라가 차레로 발행되어 최초의 우표과 발행된 당시 155년 동안 세계 각국에서 발행된 우표가 약 33만종이라고 한다.

초기에는 우표에는 국가원수와 숫자등을 넣었으나 제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하여 여러가지로 도안되었다.

목차

[편집] 종류

우표의 종류는 분류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기능별 분류와 수집가의 입장에서 우표의 가치를 논하기 위해 분류한 시대적 분류와 시대적 분류에 따른 우표의 종류로 나누인다.

[편집] 기능적 분류

[편집] 보통우표 (북조선:고정우표)

흔히 쓰는 기본적인 우표로 우편요금에 맞게 액면이 다른 여러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도안의 기준은 인물,자연 동식물,유적등이 있으며 5~10년 동안 사용하다 바뀐다.

대한민국: 최저액면 10원(태극기)(2003년 3월 6일 발행), 최고액면 5000원 (민화 호랑이) (1983년 12월 1일 발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저액면 1원(만경대 고양집)(2002년 발행), 최고액면 200원(2002년 발행)

[편집] 기념우표와 특별우표

국내외의 중요 행사나 사건이나 인물 홍보를 위해 발행하는 우표로 사용 기간과 발행량이 제한 되었있다. 그러나 별다른 기념의 의미 없는 시리즈 우표도 있고, 국가나 목록에 따라 별도의 종류로 구분하거나 보통 우표로 넣는 경우도 있다.

소형시트

연쇄시트(북조선:묶음시트)

우표첩(북조선:우표수첩)

[편집] 자선 우표

사회복지,구제사업,문화사업과 같은 특정한 목적에 사용하는 우표이다. 우편요금 이외에 일정 금액을 첨가하여 발행하며 부가금 우표라고도 부른다.

[편집] 항공우표

항공 우편에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우표로 항공요금이 비싸 이 우표는 고액이다. 보통우편처럼 일정기간 계속 쓰이는 것이 원칙이지만 특정한 날에 쓸때도 있다.

[편집] 시대적 분류

4가지가 있다.

[편집] 클래식 우표

수집가도 거의 없고 우표상 거의 없어서 우연히 우표가 남을 경우를 제외하고 우표가 모두 사용되던 시절에 발견한 우표이다. 1840~1870년대 발행한 우표로 가치가 높다.

[편집] 세미 클래식 우표

1870~1900년에 발행한 우표로 우표수집이 본격화 되고 우표상 생긴 이후 등장하였다.

[편집] 현대 우표

2차 세계대전이후의 우표로 우리나라에서는 6.25전쟁때 발행된 우표를 말한다.

[편집] 테마 우표

테마를 어떻게 선정하느냐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