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사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동사강(大東史綱)은 1929년(소화4년) 김광(金洸)이 저술한 책으로, 단군조선으로부터 순종황제에 이르기까지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근거가 되는 사료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서문을 쓴 규장각학사 민경호(閔京鎬)에 의하면, 역사와 야승을 수 년 간 모아 엮었다고 한다. 오진영(吳震泳)이 교정을 보았다.
목차 |
[편집] 출간사항
- 1929년, 대동사강사에서 상.하 2권으로 출간되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상.하 각 1권, 총독부에 압수되었던 하권 1권이 보관되어 있다.
- 1974년, 경문사에서 다시 합본하여 출간하였다.
현재 일부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편집] 내용 및 특기사항
- 권초에 '동국역대제왕전수통도(東國歷代帝王傳授統圖)'가 그려져 있다. 이에 따르면, 기씨조선 이후로는 기씨조선, 한, 부여, 예, 맥, 옥저, 숙신 등의 여러 나라로 나뉘었으며, 이들이 서로 합쳐지고 나뉘어지면서 단씨조선-기씨조선-마한-신라.고구려-고려-조선으로 이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 시대구분: 단군조선-기자조선-마한.삼국-삼국.발해-고려-조선-대한-강점기로 구분되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 단군조선: 단군조선은 '단씨조선'으로 기록하였으며, 규원사화와 거의 같은 47대 단군의 명칭과 재위년수, 일부 치세내용이 기록되었다.
- 기자조선: 기자조선의 기록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 야승을 참조하였다.
- 만주의 역사: 만주의 역사를 포함시켜, 발해, 요, 금의 역사가 기록되었다.
- 마한.삼국시대: 마한, 삼국의 기록은 각 왕의 재위연대를 비롯한 내용들은 기존의 기록과 대체로 부합하는데,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없는 내용도 수록되어 있다.
- 환단고기 관련: 규원사화 단군기의 일부 내용이 대동사강에 인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단군조선의 기록의 거의 대부분, 기자조선의 31대 도국왕 이후인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2세기의 주요 기록들과 유사한 내용들을 환단고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시대는 유사하나, 왕의 재위년수가 크게 차이가 난다.
[편집] 기자조선에 대한 기록
대동사강에는 기자조선의 기록이 상세한데, 그 내용들은 유래가 없는 것들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태조문성왕(太祖文聖王) 기자. 자서여. 재위 기원전 1126년 - 기원전 1082년: 남녀 5천명을 이끌고 조선에 들어가 단군조선으로부터 요동성 서쪽으로 2천리 떨어진 곳(단군조선의 서쪽 변경 수백 리)을 할애 받아 다스림. 8조의 규칙을 세움. 단씨(단군조선)의 제후들이 귀복하고 평양(요양)에 도읍하여 영토는 동서가 5천여리요 남북이 칠천여리에 이르렀다.
- 장혜왕(莊惠王) 송. 재위 기원전 1082년 - 기원전 1057년
- 경효왕(敬孝王) 순. 재위 기원전 1057년 - 기원전 1030년
- 공정왕(恭貞王) 백. 재위 기원전 1030년 - 기원전 1000년
- 문무왕(文武王) 춘. 재위 기원전 1000년 - 기원전 972년: 율.도.량.형 정비.
- 태원왕(太原王) 공. 재위 기원전 972년 - 기원전 968년
- 경창왕(景昌王) 장. 재위 기원전 968년 - 기원전 957년
- 흥평왕(興平王) 재위 기원전 957년 - 기원전 943년: 자모전(子母錢; 화폐로 추정) 주조.
- 철위왕(哲威王) 조. 재위 기원전 943년 - 기원전 925년
- 선혜왕(宣惠王) 삭. 재위 기원전 925년 - 기원전 896년
- 의양왕(誼襄王) 사. 재위 기원전 896년 - 기원전 843년
- 문혜왕(文惠王) 염. 재위 기원전 843년 - 기원전 793년
- 위덕왕(威德王) 월. 재위 기원전 793년 - 기원전 778년
- 도회왕(悼懷王) 재위 기원전 778년 - 기원전 776년
- 문열왕(文烈王) 우. 재위 기원전 776년 - 기원전 761년
- 창국왕(昌國王) 재위 기원전 761년 - 기원전 748년
- 무성왕(武成王) 평. 재위 기원전 748년 - 기원전 722년: 수군(水軍)을 처음으로 둠.
- 정경왕(貞敬王) 궐. 재위 기원전 722년 - 기원전 703년: 크게 가물어 노나라 말을 능히 통역하는 자 수십인을 보내어 물고기, 소금, 동, 철을 싣고 바다를 건너 쌀 만여곡(斛)으로 바꾸어 돌아와 굶주린 자를 구휼하였다.
- 낙성왕(樂成王) 회. 재위 기원전 703년 - 기원전 675년
- 효종왕(孝宗王) 존. 재위 기원전 675년 - 기원전 658년: 제양원을 도읍에 두어 환.과.독.연고가 없는 이들을 거하게 하고, 의.식을 주기를 연말까지 하였다. 북적 추장 액니도두가 내공하였다.
- 천노왕(天老王) 효. 재위 기원전 658년 - 기원전 634년
- 수도왕(修道王) 배. 재위 기원전 634년 - 기원전 615년
- 휘양왕(徽襄王) 재위 기원전 615년 - 기원전 594년
- 봉일왕(奉日王) 삼. 재위 기원전 594년 - 기원전 578년
- 창덕왕(昌德王) 근. 재위 기원전 578년 - 기원전 560년
- 수성왕(壽聖王) 삭. 재위 기원전 560년 - 기원전 519년
- 영걸왕(英傑王) 재위 기원전 519년 - 기원전 503년
- 일민왕(逸民王) 강. 재위 기원전 503년 - 기원전 486년
- 제세왕(濟世王) 혼. 재위 기원전 486년 - 기원전 465년
- 청국왕(淸國王) 재위 기원전 465년 - 기원전 432년
- 도국왕(導國王) 증. 재위 기원전 432년 - 기원전 413년: 자문충이 장군을 칭하고 무리 수만을 모아 북쪽 지방 36군을 공격하면서 난을 일으켜 3년 만에 진압되었다.
- 혁성왕(赫聖王) 재위 기원전 413년 - 기원전 385년
- 화라왕(和羅王) 재위 기원전 385년 - 기원전 369년: 연나라 사람이 변경의 고을을 침범하여 묘춘장이 이를 물리쳤다.
- 설문왕(說文王) 하. 재위 기원전 369년 - 기원전 361년: 연나라 사람이 2만의 병사로 요서로 들어와 위문신이 3만으로 연군을 크게 파하였다.
- 경순왕(慶順王) 재위 기원전 361년 - 기원전 342년
- 가덕왕(嘉德王) 재위 기원전 342년 - 기원전 315년
- 삼로왕(三老王) 재위 기원전 315년 - 기원전 290년
- 현문왕(顯文王) 석. 재위 기원전 290년 - 기원전 251년
- 장평왕(章平王) 재위 기원전 251년 - 기원전 232년
- 종통왕(宗統王) 자부. 재위 기원전 232년 - 기원전 220년: 북호(北胡) 우두머리 산지객륭이 영주(寧州)를 습격하고 크게 약탈하여 돌아갔다. 연나라에서 이 틈을 노리어 진개 장군을 보내어 서쪽 지방을 침략, 만번한에 이르는 2천여리를 차지하였다. 평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 애왕(哀王) 기준. 재위 기원전 220년 - 기원전 195년: 연나라의 신하 위만이 천여명의 병사를 이끌고 투항하였다. 왕이 위만에 박사의 지위를 주고 서쪽 경계를 지키게 하였으나, 위만이 왕을 속이고 병사를 이끌고 도읍에 이르러 왕이 수천의 무리를 이끌고 남해로 달아났다.
[편집] 참고문헌 및 링크
- 김광, 《대동사강(大東史綱)》, 대동사강사, 1929
![]() |
이 문서는 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