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 (격투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박(手搏)이란 한반도 등에서 부렀던 맨손 격투기의 명칭이다. 또는 현대 한국의 무도이기도 하다.
[편집] 고전
고구려 시대의 벽화에 기원을 구한다. 고려사, 동사강목, 왕조실록 등에 기록이 남아 있다. 태껸(택견), 태권도의 전신이라고도 하는데 각 항목으로 섬세한 검증이 필요하다.
「고려사」에서는 충혜왕 3년 5월에 "왕이 상춘전에 나가 수박희를 구경하였다". 「동사강목」에는 왕이 직접 수박희를 하였다. 의민이 주목으로 기둥을 쳐서 서거래를 움직이고, 두경이 주먹이 벽에 파묻다. 「태종실록」에서 "의흠부에서 군사를 뽑는데 수박희를 시켜 세 사람을 이긴 자를 방패군으로 삽았다"고 한다.
무술인들이 한국의 맨손 격투기의 원형이라고 전하고 있다. 금강역사상(金剛力士像)에서도 관련지운 경우가 있다. 手搏이란 한어는 중국에서도 맨손 격투기, 또는 어리석은 폭력이도라도 사용하는 단어다. 그러므로 한국의 手搏도 특정된 무술 종묵이 아닐 것 같다. 1777-1880년의 기록인 재물보(才物譜)에서는 “卞 手搏爲卞 角力(씨름)卞 若 今之 택견”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보면 근세까지 맨손 경기를 세분화하는 인식이 일반적이 않았던 모양이다.
[편집] 근대
무덕관(武徳館) 관장인 환기(黄琦)가 1953년 당수도(唐手道)를 시도하고 대한당수도협회를 결성했다. 1960년 ‘수박도(手搏道)회’로 개칭 무예도보통지 바탕으로 개발하고 있었다. 그 1960년대부터 해외활동을 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