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사관학교 (일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군사관학교(일본어: 陸軍士官学校,りくぐんしかんがっこう)는 대일본제국 육군에 있어서,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기관을 말한다.
목차 |
[편집] 역사
[편집] 기원
1868년에 교토에 설치된 병학교(兵学校, 나중에 병학소<兵学所>로 개칭됨)가 그 기원이다. 1869년 오사카로 이전하여 병학료(兵学寮)가 되었다. 1871년에는 도쿄로 이정하였다.
[편집] 사관생도제도
1874년 10월에 제정된 조례에 따라, 12월에 육군사관학교가 개교하였다. 1875년 2월에 제1기 사관생도가 입학하였다. 교육제도는 프랑스식을 따랐다. 수업기간은 병과에 따라 다른데, 보병, 기병은 2년, 포병과 공병은 3년으로 하였다. 1876년에는 4년이 되고 1881년에는 5년으로 연장되었다. 소위로 임관된 후에도 학교에 남아 있는 경우에는 "생도소위"라 불렀다. 사관생도는 11기생까지 계속되다가 폐지되었다. (졸업생 1285명)
[편집] 출신자
- 이름(및 주요관직 또는 최종 계급 등)
[편집] 사관후보생 이후
- 11기(1899년 11월 21일 졸업, 1900년 6월 22일 임관, 670명)
- 15기(1903년 11월 30일 졸업, 1904년 2월 12일 임관, 708명)
- 류동렬, 박두영, 이갑
- 21기(1907년 입교, 1909년 5월 27일 졸업, 1909년 12월 25일 임관, 418명)
- 23기(1909년 입교, 1911년 5월 27일 졸업, 1911년 12월 26일 임관, 740명)
- 김경천(중위, 한국 독립군)
- 26기(1914년 5월 28일 졸업, 1914년 12월 25일 임관, 742명)[1]
- 27기(1915년 5월 25일 졸업, 1915년 12월 25일 임관, 761명)
[편집] 육군사관학교 본과 이후
- 45기(1933년 7월 11일 졸업, 1933년 10월 20일 임관, 337명)
- 이우(중좌)
- 49기(1937년 6월 졸업, 471명)
- 56기(1942년 12월 졸업, 1672명, 일부는 1943년 5월 졸업)
- 57기(1944년 4월 졸업, 1268명, 일부는 1944년 3월 졸업)
[편집] 주석
![]() |
이 문서는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