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미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성미자(中性微子) 또는 뉴트리노(neutrino)는 약한 상호작용만을 하는, 질량이 매우 작은 기본입자이다. 스핀 1/2인 페르미온이고, 렙톤이며 약 아이소스핀이 -1/2이고 전자기 전하가 0이다. 90년대 말까지 질량이 없다고 생각했으나, 1999년 수퍼 가미오칸데의 실험 이후 여러 실험을 통해 질량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전자기의 전하가 없어 중성입자라는 뜻의 neutro-라는 말과 작다라는 이탈리아어의 접미어 -ino가 합쳐져 생긴 단어이다. 이 접미사는 중성자(neutron)과 구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처음 이름을 붙인 사람은 이를 처음 예측한 파울리이다.

[편집] 뉴트리노의 종류

오른쪽의 표와 같이 중성미자는 3세대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렙톤 수를 보존한다.

표준모형의 왼손 중성미자
이름 기호 질량
1세대 (전자-)
전자 중성미자 \nu_e\, < 2.5 eV
전자 반중성미자 \bar{\nu}_e\, < 2.5 eV
2세대 (뮤온)
뮤온 중성미자 \nu_\mu\, < 170 keV
뮤온 반중성미자 \bar{\nu}_\mu\, < 170 keV
3세대 (타우온)
타우 중성미자 \nu_{\tau}\, < 18 MeV
타우 반중성미자 \bar{\nu}_\tau\, < 18 MeV

[편집] 역사

  • 1930년대 베타 붕괴 실험에서, 기존의 알고 있던 물리지식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에너지 스펙트럼이 발견되다. 붕괴 에너지 스펙트럼이 연속적이라는 데 착안하여 볼프강 파울리는 질량이 아주 작은(또는 0인) 입자를 상정하면 스펙트럼을 맞출 수 있다고 생각하여 중성미자라는 입자를 제시했다.
물리학기본입자
페르미온 쿼크: | 아래 | 야릇한 | 맵시 | 바닥 | 꼭대기
렙톤: 전자 | 뮤온 | 타우온 | 중성미자
게이지 보존 광자 | W 보존 | Z 보존 | 글루온
미관측 입자 힉스 보존 | 중력자 | 기타 가설 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