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0 콰오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50000 콰오아 | |
---|---|
{{{그림설명}}} | |
발견 | |
발견자 | 차드 트루히요, 마이클 브라운 |
발견일 | 2002년 6월 4일 |
임시이름 | 2002 LM60 |
궤도 특성 | |
이심율(e) | 0.034 |
궤도장반경(a) | 43.405 AU |
근일점(q) | 41.914 AU |
원일점(Q) | 44.896 AU |
공전 주기(P) | 285.97 년 |
평균 공전 속도 | 4.52 km/s |
궤도 경사(i) | 7.983˚ |
승교점 경도(Ω) | 188.791˚ |
근일점 인수(ω) | 154.850˚ |
50000 콰오아(Quaoar)는 해왕성 바깥 천체로 카이퍼 대를 이루고 있다.
2002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차드 트루히요와 마이클 브라운이 팔로마 천문대에 있는 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하였다. 지름이 약 1250 킬로미터로[1] 현재까지 발견된 카이퍼 대 천체 중에서 명왕성 다음으로 크다. 발견 당시 명왕성은 행성의 범주로 분류되었으므로, 콰오아는 발견된 소행성 중에는 가장 큰 천체였다. 이 후 콰오아보다 더 큰 에리스나 세드나와 같은 천체들이 발견되면서, 콰오아는 명왕성과 같은 왜행성을 포함하여 7번째로 큰 소행성으로 전락하였다.
임시명칭은 2002 LM60였으며, 콰오아라는 공식 명칭은 미국내 아메리카 원주민 통바족의 신화에서 유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