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수도권 전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목을 서울 전철로 해야 하지 않을까요? "수도권"은 모호한 데에다가 중립성 면에서 문제가 있을 것 같습니다. --Klutzy 2006년 5월 4일 (목) 02:11 (KST)
제목을 광역 전철에 변경해야 합니다. (2005년에 수도권 전철에서 광역 전철에 용어를 변경했기 때문.) --효리♪ (H.L.LEE) 2006년 8월 21일 (월) 11:17 (KST)
광역 전철이라 함은 서울와 수도권에 가는 철도만 말하는게 아니므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수도권 광역 전철이 아닐까. 따라서 광역 전철의 명칭은 수도권 전철에만 사용할 수 없다. 수도권 전철을 광역 전철로 바꾸느니 문서를 따로 만드는게 낫고, 당장 부산과 울산을 잇는 것 동해남부선 전철화 사업도 있습니다. 59.10.204.137 2006년 8월 21일 (월) 11:29 (KST)
수도권의 도시철도와 광역전철이 정확합니다. 광역전철이라는 것은 전철이라는 말 보다는 정확한 것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광역전철은 서울 1호선과 직결되어 1호선으로 표기되는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중앙선과 3호선으로 표기되는 일산선, 4호선으로 표기되는 과천선과 안산선, 그리고 독립적으로 표기되는 분당선만을 이야기하는 것일 뿐입니다.
즉, 서울메트로가 관할하는 도시철도 구간인 1기 지하철(1호선 서울역~청량리 구간, 2호선 전 구간, 3호선 지축~수서 구간, 4호선 남태령~당고개 구간)과 서울도시철도공사가 관할하는 도시철도 구간인 2기 지하철(5, 6, 7, 8호선 전 구간), (주)서울메트로9호선이 관할하는 도시철도 구간인 3기 지하철(9호선)을 반영하지 못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수도권 전철이라는 말 보다는 수도권 광역전철이, 또 그 보다는 수도권 도시철도와 광역전철이라는 말이 정확하고 합리적인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철은 전철화 된 모든 철도 노선을 다 이르는 말이고, 지하철은 지하로 다니는 철도 노선만을 이르는 말이며, 광역전철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광역전철을 이르는 말이고(위에서 말씀하신 울산-부전 간 동해남부선 광역전철도 포함됩니다), 도시철도는 도심과 도심을 잇는 도시 내부의 철도 노선을 이르는 말이니 말입니다. --Manse5 2007년 3월 5일 (월) 01:09 (KST)
[편집] 인천지하철 문제
인천지하철을 수도권전철에 포함시킬수 없다.. 그럼 경춘선이나 용인전철 생기면 그건 어떻게 분류해야 할지 이 분류만으로는 애매합니다. 수도권 전철은 인천, 서울, 국철, 기타의 지하철을 모두 포함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서울 지하철을 따로 떼는 것을 건의합니다. - Ellif 2006년 11월 7일 (화) 02:35 (KST)
- 인천 지하철은 1, 2, 3, ...호선으로 계속 확장될 예정이기 때문에 따로 문서를 두는 것입니다. 때문에 부득이하게 수도권 전철 문서에서는 빼야 합니다(인천 지하철이 수도권 전철이 아니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부득이하게 문서에서 설명을 제외한다는 말입니다).
- 서울 지하철은 공식적으로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구간만을 가리킵니다. 국철과 연동되는 수도권 전철의 특성상 서울지하철만 따로 떼는 것은 무의미해 보입니다.
- 경춘선, 용인 전철은 당연히 수도권 전철에 들어가게 될텐데 왜 걱정하시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경춘선은 중앙선, 분당선의 경우처럼 당연히 수도권 전철로 분류될테고, 용인 경전철도 따로 넣을 데가 없으니 당연히 수도권 전철로 분류되겠지요(만약 훗날 용인에 경전철이 여러개 더 들어서게 된다면 인천 지하철처럼 따로 문서를 만드는 것도 검토할 수 있겠죠).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7일 (목) 18:24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