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 1945년 1946년 1947년 - 1948년 - 1949년 1950년 1951년 |
연대 1920년대 1930년대 - 1940년대 - 1950년대 196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목차 |
[편집] 사건
- 1월 23일 - UN, 유엔한국임시위원단 파견.
- 2월 8일 - 조선인민군 창설
- 2월 26일 - UN, UN의 감시가 가능한 38線 이남 지역에서만의 선거 결의.
- 3월 27일 - 북조선로동당 제2차당대회
- 4월 3일 - 제주 4.3사건.
- 4월 19일 - 미얀마 국제연합 가입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제헌 국회 구성을 위한 첫 총선거가 실시되다.
- 5월 14일 - 이스라엘 공화국 건국.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헌법이 공포됨. 존 하지, 미군정 폐지 공식 선언.
-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9월 9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정부 수립.
- 10월 19일 - 여순 14연대 반란사건.
- 11월 6일 - 폴라로이드 사진기 등장
- 11월 26일 - 반민법개정안 국회통과
- 11월 26일 - 유고슬라비아 티토 수상, 공산주의 독자 노선 선언
- 12월 12일 - 제 3차 유엔총회,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 합법정부로 승인.
[편집] 문화
[편집] 탄생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대수.
- 3월 15일 - 브라질의 외교관, 세르지우 비에이라 데 멜루.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 4월 1일 - 대한민국의 의학자 문신용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기자, 문학평론가, 김훈.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동양철학자, 김용옥.
- 7월 30일 - 장 르노, 에스파냐 출신 프랑스 배우
- 8월 8일 - 대한민국의 승려, 정치인, 김길수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전태일.
- 9월 14일 - 한국의 사업가, 정몽헌.
- 10월 9일 - 폴란드의 정치가, 한나 수호츠카.
- 12월 3일 - 영국의 가수, 오지 오스본(블랙 사바스).
- 아르헨티나 출신 작가, 알베르토 망구엘
[편집] 사망
[편집] 노벨상
- 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