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 이진 바이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SI 접두어 | 이진 접두어 (IEC 60027-2) |
|||
이름 (기호) |
대중화된 사용 |
표준 SI |
이름 (기호) |
크기 |
kilobyte (kB) | 210 | 103 | kibibyte (KiB) | 210 |
megabyte (MB) | 220 | 106 | mebibyte (MiB) | 220 |
gigabyte (GB) | 230 | 109 | gibibyte (GiB) | 230 |
terabyte (TB) | 240 | 1012 | tebibyte (TiB) | 240 |
petabyte (PB) | 250 | 1015 | pebibyte (PiB) | 250 |
exabyte (EB) | 260 | 1018 | exbibyte (EiB) | 260 |
zettabyte (ZB) | 270 | 1021 | zebibyte (ZiB) | 270 |
yottabyte (YB) | 280 | 1024 | yobibyte (YiB) | 280 |
메가 이진 바이트(영어: mega binary byte, MiB)는 정보위나 컴퓨터 저장장치의 단위이다.
메가 이진 바이트와 비슷한 동의어인 메가 바이트 (MB)는 상황(이진 접두어 참조)에 따라서 106 바이트 = 1,000,000 바이트로 사용된다. 두개는 거의 비슷하지만 착오를 일으키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생긴다. 예를들면 파일의 크기나 저장 장치의 빈공간의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 혼란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제가 1000 킬로 바이트로 똑같이 세번째 숫자로 우리에게 크기를 보고하기 때문에 더욱 가중된다.
이 단위는 IEC에 의하여 1998년 11월에 정의되었다. 메가 이진 바이트와 관련 이진 바이트 단위는 IEEE와 CIPM에 의하여 빠르게 보급되었다.
1 메가 이진 바이트는 1024 (= 210) 킬로 이진 바이트와 같고 1024 메가 이진 바이트는 1 기가 이진 바이트와 같다.
Mibibyte는 약자나 주변 접두어(예 "kibi", "gibi")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혼돈하여 "i"에서오는 일반적으로 잘못된 표기법이다. 실제로 "i"는 접두어의 마지막부분이다. Tebi- 과 pebi- 는 비슷하게 줄여서 Ti- 과 Pi-이 있지만 이것 역시 저장장치 크기 (와 응답 속도)가 현재는 전문화된 상황이기 때문에 잘못된 표기법이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 ((영어))이진 곱셈을 위한 NIST 접두어
- ((영어))이진 곱셈을 위한 IEC 접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