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없음 | |||||
국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국가 | |||||
![]() |
|||||
수도 | 타슈켄트 북위 41°16′, 동경 69°13′ |
||||
공용어 | 우즈베크어 | ||||
정부 형태 | 공화정 이슬람 카리모프 샤브카트 미르지야예프 |
||||
건국 • 소련에 합병 • 독립 |
1747년, 부하라 한국 1920년 1991년 12월 8일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447,400 km² (56위) 4.9% |
||||
인구 • 2005년 어림 • 인구 밀도 |
26,851,195명 (42위) 60명/km² (111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2005년 어림값 $522.1억 (74위) $1,900 (144위) |
||||
HDI • 2003년 조사 |
0.694 (111위) |
||||
통화 | 우즈베크 솜 (ISO 4217:UZS )(화폐단위: -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UTC+5) (UTC+6) |
||||
ISO 3166-1 | (없음) | ||||
ISO 3166-2 | - | ||||
ISO 3166-3 | 준비 중 | ||||
인터넷 도메인 | .uz | ||||
국제 전화 | +998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우즈베크어: O‘zbekiston Respublikasi/Ўзбекистон Республикаси 우즈베키스톤 레스푸블리카시, 문화어: 우즈베끼스딴)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다.
수도는 타슈켄트이고 우즈베크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구 소련의 영향으로 러시아어도 소수 사용한다. 현재는 독립국가연합(CIS)의 일원이다.
목차 |
[편집] 역사
1747년, 부하라 한국이라는 이름으로 독립하였다. 그러나 수십년 못 가 러시아 제국에 의해 1918년까지 합병당하였다. 잠시 독립을 되찾기는 했지만 다시 소련에 합병되었다. 유목민과 무슬림들은 스탈린의 집단 농장 체제에 강력하게 반대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우즈베키스탄은 1991년 12월 8일에 독립하게 되었다.
[편집] 지리
동쪽은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 남쪽은 아프가니스탄, 남서쪽은 투르크메니스탄, 북쪽과 북서쪽은 카자흐스탄과 국경을 접한다. 북서 일부는 아랄 해에 면한다.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중부에 위치한 나라이다. 이곳도 사막성 기후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곳이다. 아랄 해가 위치해 있지만, 구 소련 시절엔 강을 개간용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현재는 호수 면적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편집] 행정 구역
- 이 부분의 본문은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입니다.
수도는 타슈켄트이다. 우즈베키스탄은 12개의 주와 1개의 자치 공화국(카라칼파크 공화국), 1개 특별시로 구성되어 있다.
주 | 중심지 | 면적 (km²) |
인구 | Key |
---|---|---|---|---|
안디잔 주 | 안디잔(우즈벡어로는 안디존(Andijon)) | 4,200 | 1,899,000 | 2 |
부하라 주 | 부하라 (우즈벡어로는 부호로(Buxoro)) | 39,400 | 1,384,700 | 3 |
페르가나 주 | 페르가나 (우즈벡어로는 페르고나(Farg'ona)) | 6,800 | 2,597,000 | 4 |
지자흐 주 | 지자흐 | 20,500 | 910,500 | 5 |
호라즘 주 | 우르겐치 | 6,300 | 1,200,000 | 13 |
나망간 주 | 나망간 | 7,900 | 1,862,000 | 6 |
나보이 주 | 나보이 | 110,800 | 767,500 | 7 |
카슈카다료 주 | 카르시 | 28,400 | 2,029,000 | 8 |
카라칼팍스탄 공화국 | 누쿠스 | 160,000 | 1,200,000 | 14 |
사마르칸트 주 | 사마르칸트 | 16,400 | 2,322,000 | 9 |
시르다료 주 | 굴리스톤 | 5,100 | 648,100 | 10 |
수르혼다료 주 | 테르메즈 | 20,800 | 1,676,000 | 11 |
타슈켄트 주 | 타슈켄트 (우즈벡어로는 토슈켄트(Toshkent)) | 15,300 | 4,450,000 | 12 |
타슈켄트 시 | 타슈켄트 | ??? | ??? | 1 |
[편집] 기후
[편집] 정치
우즈베키스탄은 1995년 12월부터 총리 제도를 만들었다. 총리는 대통령(현재는 이슬람 카리모프)이 임명한다.
[편집] 주민
우즈베크족이 80%를 차지한다. 5.5%의 러시아인외에도 타지크족(5%), 카자흐인(3%),카라칼파크족(2.5%) 등의 소수 민족이 거주한다. 소련 시대에 연해주에서 강제 이주 당한 고려인이 인구의 1%에 해당하는 22 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편집] 인구
2001년 통계를 기준으로 2, 515 만 명이 거주한다.
[편집] 언어
공용어는 우즈베크어를 사용한다. 우즈베크어 등의 투르크제어가 중심이지만,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우즈베크어(74.3%), 러시아어(14.2%), 기타 언어(타지크어, 카자흐어, 투르크멘어) (4.4%)순으로 되어 있다.
[편집] 종교
이슬람교가 국교이자 대부분이 믿고 있다. 러시아 정교회도 소수 존재한다.
[편집] 군대
[편집] 육군
[편집] 공군
[편집] 교육
우즈베키스탄은 여성 교육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는데다, 문맹률도 만만치 않다.
[편집] 경제
우즈베키스탄은 농업이 주요 공업이다.
[편집] 문화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편집] 대한 관계
남북 모두 수교 국가이다.
[편집] 바깥 고리
- ((우즈베크어/러시아어/영어)) 우즈베키스탄 정부 공식 홈페이지
- ((한국어)) 주 우즈베키스탄 대사관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정보
- 우즈베키스탄 개요
- 우즈베키스탄 이야기
- ((영어)) 론리플래닛의 정보(우즈베키스탄편)
- ((영어)) CIA의 세계정보(우즈베키스탄편)
- 우즈베키스탄 여행
- ((영어)) 우즈벡 에어 항공사
아시아의 나라 | ![]() |
---|---|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
|
속령 | |
마카오5 | 홍콩5 | |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 |
독립국가연합 (CIS) | ![]() |
그루지야 | 러시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즈베키스탄 | 우크라이나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준회원국: 투르크메니스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유라섹 : EURASEC) | |
벨라루스 | 러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상하이 협력 기구 (SCO) | |
러시아 | 중화인민공화국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
입회국: 파키스탄 | 인도 | 이란 | 몽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