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소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에서 쌍둥이 소수(Twin prime)는 두 수의 차가 2인 소수의 쌍, 즉 (p, p+2)이다. (2, 3)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두 소수의 차는 2 이상이다. 쌍둥이 소수의 예에는 (5, 7), (11, 13), (821, 823) 등이 있다.

작은 순서대로의 쌍둥이 소수 35쌍은 다음과 같다.

(3, 5), (5, 7), (11, 13), (17, 19), (29, 31), (41, 43), (59, 61), (71, 73), (101, 103), (107, 109), (137, 139), (149, 151), (179, 181), (191, 193), (197, 199), (227, 229), (239, 241), (269, 271), (281, 283), (311, 313), (347, 349), (419, 421), (431, 433), (461, 463), (521, 523), (569, 571), (599, 601), (617, 619), (641, 643), (659, 661), (809, 811), (821, 823), (827, 829), (857, 859), (881, 883)

[편집] 같이 보기

  • 사촌 소수 - 두 소수의 차가 4인 소수의 쌍, 즉 (p, p+4)이다.
  • 섹시 소수 - 두 소수의 차가 6인 소수의 쌍, 즉 (p, p+6)이다.
  • 세 쌍둥이 소수 - 소수 세개가 연달아 온 쌍, 즉 (p, p+2, p+6) 또는 (p, p+4, p+6) 이다.
이 문서는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