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닝 M1919 기관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1919A6
브라우닝 M1919 기관총
종류 중기관총 (中)
개발국가 미국 미국
역사
개발년도 1919년
생산기간 1919년 ~ 1945년
사용기간 1919년 ~ 1970년대
사용국가 미국 미국
사용된 전쟁 제2차 세계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잠시동안)
변형 변형 참조
제원
종류 다목적 기관총
구경 7.62 mm
7.82 mm (한국전쟁 이후)
탄약 .30-06 스프링필드
7.62 × 51 mm NATO (한국전쟁 이후)
장탄 탄띠 급탄식
작동방식 반동 작동식, 쇼트 리코일
총열 길이 609 mm (24 인치)
전장 1,219 mm (48 인치) (M1919A4)
1,346 mm (53 인치) (M1919A6)
중량 14 kg (M1919A4)
발사속도 400~600발/분
최대 사거리 1,370 mm

브라우닝 M1919 기관총(영어: Browning M1919 Machine Gun)는 존 브라우닝이 설계한 화기중 하나로서, 수냉식인 브라우닝 M1917 중기관총을 간단하게 공냉식으로 바꾼 것이다.

베트남 전쟁에서까지 쓰인 브라우닝 M1919는 전쟁 초기에 잠시동안 주력으로 쓰이다가 M60 기관총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목차

[편집] 역사

[편집] 변형

[편집] 미국군 변형

M1919A1
경량형 총열과 양각대가 추가됨.
M1919A2
"기병대" 기관총으로 짦고 중형 충열과 특수한 삼각대로 교체되었다. 삼각대는 브라우닝 M2 중기관총의 표준 장비가 되었다. 수냉식인 브라우닝 M1917 중기관총보다 휴대성이 강화되도록 디자인되었다.
M1919A3
M1919A2의 개량형.
M1919A4/A4E1
다루기 쉽도록 장비에 고정시켜 보병에 의해 디자인 되었다. 하부 변형인 A4E1는 A4를 A5처럼 연장된 장전 손잡이로 재정비되었다.
M1919A5
A4의 장비 장착형으로 A5의 특징은 연장된 장전 손잡이이다.
M1919A6
보병이 경기관총으로 쓸수 있도록 M1919A4를 개조하였다. A6의 특징은 개머리와 양각대, 그리고 키트가 예전 모델에 비해 설치하게 쉬워졌다.

[편집] 수출판 변형

[편집] 같이 보기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Browning M1919
이 문서는 화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