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충혜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혜왕(忠惠王, 1315년 ~ 1344년)은 고려의 제28대 왕(재위: 1330년 ~ 1332년, 복위 1339년 ~ 1344년)이다. 휘는 정(禎), 몽골식 이름은 보탑실리(普塔失里), 시호는 충혜헌효대왕(忠惠獻孝大王). 충숙왕과 명덕태후(明德太后) 홍씨(洪氏)의 아들이다.
[편집] 생애
충혜왕은 충숙왕과 공원왕후 사이의 맏아들로 1315년 1월에 태어났다. 1328년 1월 원나라의 인정을 받아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330년 2월 스스로 물러난 충숙왕에 이어 왕위에 올랐다. 이때 그의 나이 16살이었다.
충혜왕은 성격이 포악하고 나랏일에 관심이 없었다. 때문에 그는 왕위에서 쫓겨나 원나라에서 붙잡혀 지냈다. 원나라는 충혜왕을 불러들여 따끔하게 혼내고 다시 교육시키는 한편 충숙왕을 다시 왕위에 앉혔다. 하지만 충혜왕은 원나라에 가서도 계속 건달처럼 행동했다. 원나라에서도 결국 그를 포기하고 몇년 만에 고려로 돌려보냈다.
1336년 고려로 돌아온 충혜왕은 1339년 3월 충숙왕이 승하하자 다시 왕이 되었다.
충혜왕은 다시 왕위에 오르자 더 악독한 행동을 일삼았다. 이때부터 차마 눈 뜨고는 볼 수 없는 그의 횡포가 시작되었다.
그는 부왕의 후궁인 수비 권씨를 자기 후궁으로 삼았고, 수비는 그 때문에 괴로워하다가 죽었다. 그리고 부왕의 아내인 숙공휘령공주도 후궁으로 차지했다. 원나라의 왕족이었던 숙공휘령공주는 충혜왕에게 당한 수모에 분노해 원나라로 돌아가려고 했다. 그러나 충혜왕의 방해로 뜻을 이룰 수 없었다.
충혜왕의 횡포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는 아름다운 여자만 보면 누구든지 가리지 않고 자기 여자로 만들어 버렸다. 신하들의 부인에서부터 일반 백성의 부인까지 닥치는 대로 욕보이곤 했다. 충혜왕의 횡포는 하루도 그칠 날이 없었으니 나랏일이 엉망이 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충혜왕의 이 같은 행동에 대한 소문은 고려 전체에 퍼졌지만 원나라에서는 이를 알지 못했다. 원나라에서는 충혜왕이 다시 왕이 된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기 위해 고려로 사신을 보냈다.
원나라 사신은 개경에 도착하자 숙공휘령공주를 찾아가 원나라에서 가져온 술을 선물로 건넸다. 숙공휘령공주는 이때를 놓치지 않고 자신이 당한 일을 모두 털어놓았다. 자초지종을 듣고 크게 분노한 원나라 사신은 곧바로 충혜왕과 그 신하들을 붙잡아 원나라로 다시 끌고 갔다. 충혜왕은 1340년 3월 원나라의 감옥에 갇혔으며 그의 신하들도 함께 갇혀 심문을 받았다.
하지만 충혜왕은 원나라의 권력자인 탈탈대부의 도움을 받아 한 달 뒤에 곧 풀려나 다시 고려로 돌아왔다. 충혜왕은 정신을 차리기는커녕 더 심한 횡포를 부리고 다녔다. 충혜왕의 짐승 같은 범죄가 어찌나 심했던지 심지어 거리의 불량배들이 스스로 왕이라 주장하면서 관리의 부인을 욕보이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충혜왕은 날마다 잔치를 벌이고 백성들의 재산을 강제로 약탈했으며 새 궁궐을 짓는다고 백성들을 강제로 노역에 동원하기도 했다. 이런 충혜왕을 두고 볼 수 없다며 현효도라는 사람이 독살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얼마 뒤 기철이 충혜왕을 폐위시켜 달라는 건의문을 원나라에 보냈다. 이 무렵 원나라에서는 고려의 여자 기씨를 원나라 순제의 후궁으로 맞아들였는데 그녀가 바로 기철의 여동생이었다. 기철의 건의문을 읽은 순제는 충혜왕을 다시 잡아 오기로 했다.
충혜왕을 잡아가기 위해 고려에 온 원나라 사신들은 혹시라도 그가 달아나거나 저항할까 봐 하늘에 제사를 지내라는 황제의 조서를 가지고 왔다고 속였다. 원나라 사신들은 자신들을 마중하러 나온 충혜왕을 보자마자 발로 걷어차고 밧줄로 묶어 버렸다. 이때 왕과 함께 있던 관리들은 놀라서 달아났고 호위하던 무장들은 죽임을 당했다.
1343년 다시 원나라에 붙잡혀 간 충혜왕은 귀양 가던 도중 1344년 1월 30살의 나이로 승하하였다. 충혜왕이 죽었다는 소식에 고려의 백성들은 오히려 기뻐했으며, 그의 시신은 1344년 6월 개경에 도착해 묻혔다. 능호는 영릉(永陵)이다.
[편집] 가족 관계
전 임 충숙왕 |
제28대 고려왕 1330년 ~ 1332년, 1339년 ~ 1344년 |
후 임 충목왕 |
고려의 역대 국왕 |
---|
고려: 태조 | 혜종 | 정종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정종 |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숙종 | 예종 | 인종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 원종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