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한국의 국가 우주개발관련 기관이다. 한국의 우주개발을 전담하고 있다. 미국에는 NASA, 일본에는 JAXA가 있다면, 한국에는 KARI(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가 우주개발을 전담하는 국가기관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45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설립근거가 되는 법률은 과학기술분야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설립·운영및육성에관한법률이며, 1989년에 설립되었다.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도 관련조문이 존재한다.

2005년 현재, 559명의 연구원과 약 3천억원 정도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2006년도 예산은 2922억 3100만원의 자체수입금과 257억 6900만원의 정부출연금 합계 3180억원이다.

[편집] 목표

2015년까지 항공우주산업 세계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한다.[1]

  • 항공분야
  1. 성층권 비행선 개발
  2. 스마트 무인기 개발
  3. 헬리콥터 독자개발능력 확보
  • 우주분야
  1. 2007년에 전라남도 외나로도에 우주로켓 발사장, 즉 나로우주센터를 완공할 예정
  2. 2008년까지 소형위성 자력발사 능력을 확보하여 KSLV-I 로켓을 발사할 예정

[편집] 성과

  • 1993년
    • 고체연료 추진기관을 사용한 과학로켓 KSR-I 1, 2호기 발사성공
  • 1997년
    • 고체연료 추진기관을 사용한 과학로켓 KSR-II 1, 2호기 발사성공
  • 1998년
    • 6미터 해상도 관측위성 아리랑 1호 발사성공
  • 2002년 11월 28일
    • 액체연료 추진기관을 사용한 과학로켓 KSR-III의 발사성공
  • 2006년 7월 28일
    • 세계 일곱번째로, 1미터 해상도 관측위성인 아리랑 2호 발사성공

[편집] 바깥 고리


항공에 관한 목록들

비행기 | 비행기 제조업체 | 비행기 엔진 | 비행기 엔진 제조업체

공항 | 항공사 | 공군 | 항공무기 | 미사일 | 항공 연대표

대한민국의 우주개발
개발기관 로켓 아리랑위성 우리별 위성 무궁화 위성
  • 과학로켓 1호
  • 과학로켓 2호
  • 과학로켓 3호
  • KSLV
  • 우리별 1호
  • 우리별 2호
  • 우리별 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