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스모어 대학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와스모어 대학교 (Swarthmore College)은 미국 동부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에서 20분 정도 떨어진 스와스모어에 위치한 대학원 과정이 없는 소규모 학부 중심의 사립4년제 대학교이다. 1864년, 평화론자로 종교집단으로서는 유일하게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퀘이커교도들에 의해서 설립되었다. 현재는 퀘이커교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느나 다양성을 존중하고 사회적 책임감을 우선시하는 퀘이커 교도의 가치가 교육이념에 뚜렷이 남아있다.

설립이래 미국 US News 선정 미국에서 가장 들어가기 힘든(Selectivity) 학부대학(Liberal Arts College)으로 알려져있다. 여러 유명 대학 안내 책자에서 스와스모어는 중부의 시카고 대학교 서부의 리드 대학교와 더불어 미국에서 공부를 가장 많이 시키는 대학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스와스모어 대학은 미국에서 가장 성적을 받기 힘든 대학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스와스모어 대학은 1400여명의 작은 학생수로 소수 정예의 교육을 추구하고 있으며, 학생이 교수를 이름으로 부를 수 있게 하는등 학부생을 교수와 동등한 학자로서 대우하는 개방적인 교육철학으로 유명하다.

유명한 동문으로는 1975년 37세의 나이로 노벨 의학상을 수상한 캘리포니아 공대의 총장 (1997-2006) 데이비드 볼티모어, 현 미국 국무부 차관 로버트 졸릭, 투자가 로우 프라이스, 미시간 주 상원의원 칼 레빈, 메릴렌드 주 하원의원 크리스 반 홀렌, 하이퍼 텍스트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만들어낸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테드 넬슨, 세계 최초로 블로깅을 시작한 저스틴 홀, 성격 유형 검사 MBTI의 개발자 이자벨 마이어스, 첼리스트 이강호, 여성으로서 미국 최초로 박사학위를 수여한 헬렌 화이트, 여성 참정권 운동가 알리스 폴 198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지 H. W. 부시 전대통령의 상대 후보였던 미국 민주당 출신의 마이클 듀카키스, 우주를 밟은 첫 미국 여성 샐리 라이드, 미 주간지 버라이어티 편집장 피터 바트, 미 월간지 글래머 편집장 씬디아 리브, 디볼드 그룹 설립자 존 디볼드, 전 미국 연방은행장 토마스 B. 맥케이브, 소설가 미치너, 문화인류학자 린턴, 사회심라학자 카트라이트, 소설가 조나단 프랜즌 등이 있다.

폴란드 태생의 미국 사회심리학자 솔로몬 아쉬와 게슈탈트 심리학의 선구자 쾰러, 철학자 비어즐리가 이 대학에서 가르쳤다.

스와스모어 대학은 2006년 현재 10억 달러 이상 (한화 1조원)의 재정으로 세계에서 학생 1인당 재정이 가장 많은 학교중 하나이다.

'스와스모어' 또는 '스워스모어'라고 읽는다.

목차

[편집] 연혁

[편집] 개설 학과

고전학, 교육학, 경제학, 독어독문학, 라틴 아메리카학, 러어러문학, 무용, 물리학, 미술, 미술사, 불어불문학, 비교문학, 사학, 사회학, 수학, 생물학, 생화학, 서어서문학, 심리학, 아시아학 (Asian Studies), 아프리카계 미국인학, 언어학, 엔지니어링, 여성학, 연극학, 영어영문학, 영화학 (Film and Media Studies), 음악학, 이슬람 문화학, 인류학, 인지과학 (Cognitive Science), 일어일문학, 정책학 (Public Policy), 정치외교학, 종교학, 중세학, 중어중문학, 천문학, 철학, 컴퓨터 과학, 통계학, 평화/분쟁학 (Peace and Conflict Studies), 프랑스어권 연구학 (Francophone Studies), 화학, 환경과학, 해석학 (Interpretation Theory, Hermeneutics[1])

[편집] 노벨상 수상자

이름 전공/졸업년도 수상분야/년도 업적 노벨 프로필
크리스천 B. 앤핀슨 [2] 화학, 1937 화학, 1972 효소 화학에 기초 공헌 [3]
데이비드 볼티모어 생물학, 1960 생리학·의학, 1975 종양 바이러스와 세포의 유전 물질 사이의 관계 [4]
하워드 M. 테민 [5] 생물학, 1955 생리학·의학, 1975 종양 바이러스와 세포의 유전 물질 사이의 관계 [6]
에드워드 C. 프레스콧 [7] 수학, 1962 경제학, 2004 Theory of dynamic macroeconomics [8]
존 C. 매더 물리학, 1968 물리학, 2006 Discovery of the black body form and anisotropy of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9]

[편집] 관련 링크

[편집] 관련 기사

[편집] 대한민국내 번역 출간 도서

  • 동문
    • 마커스 놀란 (Marcus Noland) 김정일 이후의 한반도
    • 클라이드 프레스토위츠(Clyde Prestowitz) 부와 권력의 대이동
    • 클라이드 프레스토위츠(Clyde Prestowitz) 깡패국가
    • 프랭크 오스키(Frank A. Oski) 오래 살고 싶으면 우유 절대로 마시지 마라
    • 피터 코핸 (Peter S. Cohan) 테크놀로지 리더
    • 마이클 하트 (Michael Hardt) 제국
    • 마이클 하트 (Michael Hardt) 들뢰즈 사상의 진화
    • H.C.로빈스랜던 1791, 모차르트의 마지막 나날
    • 로버트 쿠터 - 법경제학 [10]
    • 제임스 미치너 (James A. Michener) 작가는 왜 쓰는가
    • 제임스 미치너 (James A. Michener) 소설
    • 레지 핀레이슨 - 넬슨 만델라 (선생님도 놀란 인물뒤집기)
    • 피터 셀윈 (Peter A. Selwyn) 절망에서 살아남기
  • 교수
    • 배리 슈워츠 (Barry Schwartz) 선택의 심리학 (선택의 패러독스)
    • 스코트 길버트 (Scott F. Gilbert) 발생생물학
    • 도나 조 나폴리(Dona Jo Napoli) 알버트
    • 크느투 슈미트-닐슨(Knut Schmidt-Nielsen)(박사후과정) 낙타의 코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