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문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흠무 (大欽茂)는 발해의 3번째 왕이다. 737년 ~ 793년까지 발해를 통치했다. 일본을 비롯한 다른 나라들과 외교관계를 맺었으며, 속여진과 생여진을 포섭하여 발해의 영토를 확장했다. 수도를 상경 용천부로 정했다가 다시 동경 용원부로 옮겼다. 문왕은 관직제도를 제정, 사적(史籍) 수입, 주자감(胄子監) 설립 등 정치 ·문화발전에 힘을 기울였다. 또한 당나라 등과 활발하게 교역을 하여 국가재정을 강화하였다. 문왕은 제5대 왕인 성왕의 조부이다. 그가 죽자 대원의가 왕위를 계승한다.

[편집] 외교활동

대흠무는 폭 넓은 외교정책을 통하여 자신을 '고구려왕' 또는 '고려왕'으로 칭할 것을 일본 천황에게 요구했다. 그는 발해고구려의 계승국임을 주장해 남진정책을 실시하였다. 남진정책 이후에 발해의 영토는 용흥강 주변까지 넓혀졌다.

[편집] 참고

전 임
무왕
제3대 발해왕
737년 - 793년
후 임
대원의
발해역대 국왕
발해: 고왕 | 무왕 | 문왕 | 대원의 | 성왕 | 강왕 | 정왕 | 희왕 | 간왕 | 선왕 | 화왕 | 안왕 | 경왕 | 대위해 | 애왕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