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는 한글 낱자의 스물넷째 글자이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전설 모음, 평순 모음, 고모음이다. 강약 또는 음양으로는 중성 모음이 된다.

《훈민정음해례 제자해》에서 제자 원리는 사람을 본뜬 것이라 하고 그 소릿값은 혀가 펴지고, 소리는 얕다고 했다.

ㄷ, ㅌ 끝소리를 뒤이어서 모음 ㅣ를 포함하는 조사나 접미사 등의 종속적 관계를 가진 형식 형태소가 나오면 ㄷ, ㅌ이 구개음화하여 ㅈ, ㅊ으로 바뀐다. (한글 맞춤법 제6항)

  • 맏이 → [마지]
  • 밭이 → [바치]

ㅣ는 중성 모음이므로 양성 모음·음성 모음과 모두 합쳐질 수 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ㅣ 모음과 다른 모음이 결합할 때 ㅣ 모음이 반드시 마지막에 합쳐진다. 다른 모음과 합쳐질 때의 ㅣ는 특별히 딴이라고 부른다.

  • 양성 모음
    • +ㅣ= [ɛ]
    • +ㅣ=ㅒ []
    • ㅗ+ㅣ=ㅚ [ø]([we])
    • ㅗ++ㅣ=ㅙ []
  • 음성 모음
    • +ㅣ= [ɰi]
    • +ㅣ= [e]
    • ㅕ+ㅣ=ㅖ [je]
    • ㅜ+ㅣ=ㅟ [y]([wi])
    • ㅜ++ㅣ=ㅞ [we]

[편집] 코드 값

종류 글자 유니코드 HTML
한글 호환 자모 영역 U+3163 ㅣ
한글 자모 영역  ᅵ ᅟᅵ U+1175 ᅵ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  U+F84F 
반각 U+FFDC ᅵ
한글 낱자
현대 한글: | | | | | | | | | | | | |
| | | ㅕ | ㅗ | ㅛ | ㅜ | ㅠ | |
옛한글: | | | 치두음과 정치음(ᄼ·ᄽ·ᄾ·ᄿ·ᅎ·ᅏ·ᅐ·ᅑ·ᅔ·ᅕ)

방점(ᅟ〮·ᅟ〯)
한글 겹낱자 | 한글 낱자 목록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