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순남(金順男, 1917년 5월 28일 - 1983년?)은 작곡가이며 피아니스트이다. 본명은 김현명(金顯明).

대표작으로는 김소월의 시에 부친 《산유화》, 월북하면서 대한민국에 남긴 딸을 그리워 하며 작곡한 《자장가》등이 있다. 방송인 김세원은 김순남의 하나뿐인 딸이다.

서울 낙원동에서 태어났고, 경성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으로 건너가 1938년에는 동경고등음악학원 본과 작곡부에 입학하였다. 당시 일본 프롤레타리아 음악계의 하라 타로를 만나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귀국후에는 첫 해방가요 《건국행진곡》을 작곡하였다. 《농민가》, 《해방의 노래》, 임화의 시에 곡을 붙인 《인민항쟁가》도 그의 작품으로서 널리 불리워졌다. 극작가 함세덕 원작으로 인민 봉기를 다룬 연극 《태백산맥》(1947)의 음악 담당자를 맡기도 했다.

남로당 당원이었으며 좌익 예술가 단체인 조선음악건설본부, 조선음악가동맹에 가입해 활동한 그는, 1947년 이후 좌익활동이 불법화되자 월북하였다. 북조선에서 연극 《산사람》(1948)의 음악을 맡는 등 존경을 받는 음악인으로 활동하였고 모스크바의 차이코프스키음악원으로 유학도 다녀왔다. 모스크바 유학 시절에는 프로코피예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하차투리안에게 사사 받았다.

그러나 1954년부터 북조선 내부의 사상투쟁에 연루되어 모든 직함과 창작권리를 박탈당하고 쓸쓸하게 죽었다. 남로당 계열이 급격히 몰락하면서 김순남과 가깝게 지내던 임화, 설정식 등이 처형당했기 때문이다. 함경남도의 신포조선소에서 일반 노동자로 근무하던 중 병사했다는 설만 있을 뿐, 자세한 사망 일시나 경위는 불분명하다.

대한민국에서는 1988년이 되어서야 해금되었고, 그 이후에 재평가 되었다. 외동딸 김세원은 세계 각국에서 직접 아버지의 지인들을 만나고 자료를 모아 《나의 아버지 김순남》(1995)을 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