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 354년 11월 13일 ~ 430년 8월 28일)는 북아프리카의 소도시 타가스테에서 태어난 기독교의 교부이자 신학자이다. 그는 서양 철학사에서도 큰 영향을 미쳐 그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그는 주후 396년 북아프리카 힙포 레기우스(Hippo Regius)의 감독이 되었으므로, 힙포의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Hipponensis)라고도 불린다. 그의 신학은 기독교 발전에 끼친 영향은 구원에 대한 교리를 정리한 사도 성 바울로에 버금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의 이름을 어거스틴(Augustine) 혹은 성 어거스틴(St. Augustine)이라고 부를 때가 많고, 간혹 아우구스틴(Augustin)이라고 부를 때도 있다.
생애에 관한 기록은 아우구스티누스 자신의 고백록(Confessiones)과 제자 포시디우스가 쓴 전기를 통해 키케로 이후의 유명인물로서 유일하게 매우 자세히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가 쓴 책에 대한 자평인 재고록(Retractiones)에서 그의 삶의 흔적을 많이 엿볼 수 있다.
목차 |
[편집] 생애
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 로마 제국의 식민지였던 북아프리카의 소도시 타가스테에서 로마의 시민으로 태어났다. 어머니 모니카는 열렬한 기독교 신자였으나, 아버지는 이교도였다.
어린 시절 고향과 인근 도시 마다우로스 혹은 마다우라(Madaura)에서 초등교육을 받은 후, 카르타고에서 공부를 하려 하지만 어려운 집안 형편으로 잠시 학업을 중단하기도 했다. 370년 집안의 사정이 나아지자 아버지는 16세의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수사학을 배우게 하기 위해, 카르타고로 그를 유학보냈다. 카르타고에서 그는 키케로의 글 호르텐시우스를 읽고 철학에 심취하게 된다. (고백록 3, 7; 행복론 4; 독백론 1, 17)
어머니 모니카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자기와 같은 가톨릭 신자가 되기를 원했지만, 당시 철학에 심취해 있던 그는 마니교의 이성적이고 체계적인 교리에 매력을 느껴 마니교의 청강 신자로 10여년을 머무르기도 하는 등, 마니교를 지지했다. 또, 이 시기 (371년) 한 젊은 여성과 동거를 하며 아들 아데오다투스 (라틴어: A+DEO+DATUS 신으로부터 주어진)를 낳기도 한다. 이러한 아들의 행동을 받아들일 수 없던 어머니 모니카는 아들과 절교를 선언한다.
그러나 아우구스티누스는 곧 마니교 지도자들의 지적수준이 높지않다고 생각하여 회의를 느끼고 잠시 신플라톤주의자가 되었다가, 마니교도 동료의 추천으로 방문했던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시우스를 만난다. 암브로스라고도 하는 암브로시우스 주교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이, 수사학이나 철학에도 능한 언변의 달인이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설교에 큰 감동을 받아 결국 386년 여름, 그리스도인이 되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사도 바울로의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를 읽게 된 사건이 회개의 계기라는 말도 있다. 그것은, 그가 밀라노의 한 정원에서 Tolle, lege (= "집어 읽으라!")라는 어린 아이의 노랫소리를 듣고,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13:13,14(진탕 먹고 마시고 취하거나 음행과 방종에 빠지거나 분쟁과 시기를 일삼거나 하지 말고 언제나 대낮으로 생각하고 단정하게 살아갑시다.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온몸을 무장하십시오. 그리고 육체의 정욕을 만족시키려는 생각은 아예 하지 마십시오. )을 읽고, 수사가 되기로 결심했기 때문이다(Conf. VIII, xii, 29 참조).
그는 이 Tolle, lege의 체험 이후 밀라노에서의 화려했던 경력과 동거 생활을 모두 청산하고, 그는 387년 부활주일 암브로시우스에게 세례를 받고 이듬해 낙향해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그가 채 고향에 도착하기 전 그의 어머니와 아들이 안타깝게 세상을 떠나지만, 고향에 돌아온 아우구스티누스는 동료들과 스스로 수도회를 설립하는 등 수도사 생활에 전념한다.
391년 북아프리카의 도시 힙포에서 발레리우스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받은 후 아우구스티누스는 과거 자기가 몸 담았던 마니교를 비판하는 등 많은 설교 활동도 했으며, 395년 발레리우스 주교가 노쇠하자 그의 공동주교로 선출되었다가, 이듬해 그가 죽자, 힙포 교구의 주교가 되어 평생동안 힙포 교회와 북아프리카 교회를 위해 사목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430년 8월 28일, 반달족이 힙포 교구를 점령하기 얼마 전(반달족의 힙포 점령은 431년의 일) 피난민들을 돌보다가 걸린 열병으로 76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편집] 신학
[편집] 영향
그는 서양의 신학, 철학 및 사상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어거스틴주의(Augustinism)라는 말이 생겼을 정도다.
[편집] 신학적 영향
그는 특히 은혜론, 신학적 인식론, 교회론, 영성신학 등의 분야에서 많은 영향을 미쳤다.
[편집] 은혜론
펠라기우스주의에 반대하여, 인간의 공로보다 하느님의 은혜를 강조한 어거스틴의 입장은 중세 초기부터 은혜론을 둘러싼 신학논쟁에서 어거스틴주의자들의 모범이 되었다. 종교개혁자 루터, 쯔빙글리, 칼빈 등도 그의 은혜론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근대에 들어와 얀센주의자들도 어거스틴의 은혜론을 지지하였다.
[편집] 신학적 인식론
어거스틴은 신앙과 지식의 관계에 대해 신앙이란,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fides quaerens intellectum)이라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신학과 철학, 그리고 신학과 일반학문을 함께 연구하는 중세의 스콜라 학풍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편집] 저서
- 《고백록》 (Confessiones)
- 《행복론》 (De beata vita)
- 《독백록》 (Soliloquia)
- 《교사론》 (De magistro)
- 《신앙요리교육론》 (De catechizandis rudibus)
- 《신국론》 (De civitate Dei)
- 《삼위일체론》 (De Trinitate)
- 《재고록》 (Retractiones)
[편집] 바깥 고리
- 일반:
- At UPENN: Texts, translations, introductions, commentaries...
- EarlyChurch.org.uk Extensive bibliography and on-line articles.
- Life of St. Augustine of Hippo, from the Catholic Encyclopedia
- 어거스틴의 텍스트:
- 틀:Gutenberg author
- In Latin, at The Latin Library: books and letters by Augustine
- At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Translations of several works by Augustine, incl. introductions
- Augustine's writings
- At "New Advent": Several works by Augustine in English, incl. introduction
- The Enchiridion by Augustine
- [1] Full Latin and Italian text resource
- At "IntraText Digital Library": Works by Augustine in several languages, with concordance and frequency list
- 어거스틴에 관한 텍스트:
- 음악론
- 원죄론
- 어거스틴의 동거녀에 관한 글
- 오디오북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