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차이-발카르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라차이-발카르어
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 qarachay-malqar
쓰는 나라들 러시아
지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카라차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언어 인구 241,000
언어의 계통 알타이어족(논란 있음)
 투르크어족
  킵차크어파
   폰토카스피어군
    카라차이-발카르어
언어 부호
ISO 639-1 (없음.)
ISO 639-2: krc
ISO/DIS 639-3: krc

카라차이-발카르어러시아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에서 쓰는 투르크계 언어이다. 문자는 키릴 문자를 쓴다. 주로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에서 사용된다. 중앙아시아, 터키, 중동에서도 사용된다. 러시아의 카라차이-발카르어 사용자는 303만명(2002년)이다.

카라차이-발카르어는 카라차예보-박사노-체겜스키어(карачаево-баксано-чегемский)과 말카르스키어(малкарский)의 2개 방언으로 나뉘어져 있다. 카라차이-발카르어 표준어는 카라차예보-박사노-체겜스키어를 기초로 해서 만들어졌다. 카라차이-발카르어 문자는 1920년 - 24년까지 아랍 문자를 사용하다가, 1924년 - 36년까지는 라틴 문자, 1936년부터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서부투르크어
불가르조어(오구르어파) 불가르어* | 추바시어 | 하자르어*
차카타이어파 아이니어 | 차카타이어* | 일리 투르크어 | 로프어 | 위구르어 | 우즈베크어
킵차크어파 바라바어 | 바시키르어 | 크림 타타르어 | 쿠만어* | 발카르어 | 카라임어 | 카라칼파크어 | 카자흐어 | 킵차크어* | 크림착어 | 쿠미크어 | 노가이어 | 타타르어 | 우룸어
오구즈어파 아프샤르어 | 아제르바이잔어 | 크림 타타르어 | 가가우스어 | 호라산 터키어 | 오스만 터키어* | 페체네그어* | 카슈카이어 | 살라르어 | 터키어 | 투르크멘어 | 우룸어
동부투르크어
칼라지어파 칼라지어
북서투르크어파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북동투르크어파 출림어 | 돌간어 | 푸위 기르기스어 | 하카스어 | 북부 알타이어 | 쇼르어 | 토파어 | 투바어 | 서부위구르어 | 야쿠트어
* 사어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