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ES(Data Encryption Standard)는 블록 암호의 일종이다.

메시지를 보내려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56비트의 동일한 열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보내려는 사람은 열쇠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지 않은 채널로 전송하면, 받는 사람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받아 보낸 사람의 열쇠와 동일한 열쇠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DES는 상당히 널리 쓰이고 있으나, 상당히 복잡하여 많은 부분이 알려져있지 않다. 심지어는 미국안전보안국(NSA)이 DES로 암호화된 정보를 모두 해독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백도어(backdoor)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보안은 보장하는 편이라 널리 사용되어왔으며, 최근에는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라는 보완된 암호체계로 대체되었다.

[편집] 역사

DES의 역사는 197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72년에 미국 NB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오늘날의 NIST)는 암호 기술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미국 정부 규모의 표준적인 암호 알고리즘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에 1974년 8월 27일, IBM에서 알고리즘을 제안했고, 이것을 수정하여 DES로 정했다.

DES를 처음 도입한 이후 컴퓨터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해서 더욱 안전한 암호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되었다. 2001년에 NIST는 내부 공모를 통해 AES를 새로운 암호 기술 표준으로 선정하기로 했다. 다섯 가지의 최종 후보 중에서, Rijndael이 AES로 선택되었다.

블록 암호 편집하기
알고리즘: 3-Way | AES | Akelarre | 아누비스 | 블로우피시 | 카멜리아 | CAST-128 | CAST-256 | CMEA | CS-Cipher | DEAL | DES | DES-X | FEAL | FOX | FROG | G-DES | GOST | ICE | IDEA | 이라크 블록 암호 | KASUMI | KHAZAD | Khufu and Khafre | LOKI89/91 | LOKI97 | 루시퍼 | MacGuffin | Madryga | MAGENTA | MARS | MISTY1 | MMB | NewDES | Noekeon | RC2 | RC5 | RC6 | REDOC | Red Pike | S-1 | SAFER | SEED | Serpent | SHACAL | SHARK | Skipjack | Square | TEA | 3DES | Twofish | XTEA
설계: Feistel network | Key schedule | Product cipher | S-box | SPN   공격법: 무작위 대입법 | Linear / Differential cryptanalysis | Mod n | Related key | XSL   표준: AES process | CRYPTREC | NESSIE   기타: Avalanche effect | Block size | IV | Key size | Modes of operation | Piling-up lemma | Weak key


이 문서는 암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