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왜구(倭寇)란, 고려와 원나라의 연합군이 일본 열도 원정에 실패한 이후인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연안부나 일부 내륙 및 동아시아 지역을 침략하고 약탈하고 사람들을 납치하며 밀무역을 행하던 일본인 해적들을 가리킨다.
14세기에서 16세기의 일본은 전국 시대로 천황은 막부에 실권을 잃고 각 지방으로 분열된 혼란한 시기였다. 일본 연안 일대의 생활이 궁핍한 중소 무사나 농민 및 어민 가운데 해적이 되는 자들이 생겨났다. 그들의 근거지는 막부의 통제력이 가장 약하고 한반도와 가까운 키타큐슈 연안 지역으로, 특히 대마도, 이키, 마쓰우라 등지가 주된 거점지였다.
삼국 시대에도 일본인 해적의 침입이 있었으나, 특히 고려 말기와 조선 시대 내내 한반도의 남부 연안 지방을 조직적으로 자주 침략하여 노략질을 일삼았다. 주된 약탈물은 식량이였으며 지방에서 조세를 거두어 서울로 올라가는 공선 등이 피해를 가장 많이 입었다. 그 규모는 100척에서 500척까지 이르는 선단을 이루어 연안 마을을 습격하는 형태였으니 때로는 내륙 깊숙히 들어오기도 하였다.
고려와 조선에 걸쳐 한반도에서는 일본의 무로마치 막부에 외교 사절을 보내어 왜구들에 대해 단속할 것을 수차례 요청하였으나 성과는 거의 없었다. 고려 말기에는 화통도감의 화약, 화포 등의 개발로 왜구를 격퇴하는데 효과를 보았는데 우왕 6년에 충남 진포를 침입한 왜구의 배 500척을 불태워 격퇴한 전과를 올리기도 하였다. 또한 이성계는 이때 왜구를 격퇴하는 전공을 올리기도 하였다.
세종 1년(1419년)에는 대마도를 정벌하고 3포를 폐쇄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하기도 했지만, 이후에는 부산포, 웅천, 염호 등 삼포를 개항하여 사절(使節)과 상왜(商倭)를 왜구와 구별하여 일본인들과의 정식적인 무역을 유도하는 유화책을 쓰기도 하였다. 이러한 강력한 조치와 유화책에 따른 교린 관계 정책을 펼쳤지만 삼포왜란(1510년), 사량진왜변(1544년), 을묘왜변(1550년)등 계속적으로 크고 작은 왜변을 일으켰다.
![]() |
이 문서는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