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나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 나이 또는 동 아시아 전통 나이계산법은 나이를 세는 방법의 하나이다. 원래 중국에서 비롯되었으며, 한국,일본,베트남등 한자 문화권 국가들 사이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통용되었다. 이 방법은 갓 태어난 아이에게 한 살을 부여하며, 그 후에 해가 바뀌면 생일에 관계없이 한 살을 추가한다. 이 방법으로는 12월 31일에 태어난 아이가 바로 다음날에 두 살로 간주된다. 영어로는 East Asian age reckoning라고 한다. 이 계산법은 현재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대한민국에서만 공식적, 일상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본고장인 중국에서는 문화대혁명 이후, 공식적으로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1902년 법적으로 만 나이를 공식적으로 채용한 이래 일상적으로 거의 쓰이지 않고,몇몇 노년층사이에만 통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중국,일본 공히 옛 문헌의 연령은 이 방법으로 표기되어 있다. 베트남 역시 프랑스 식민지 시대를 거쳐 한자 문화권에서 멀어진 현재는 이를 사용하지 않는다.
목차 |
[편집] 중국
전통 중국 나이(=한국 나이)는 중국어로 xusui (중국어 간체: 虚岁, 정체: 虛歲, 병음: xūsuì)라고 부르고, 만 나이는 (중국어 간체: 周岁, 정체: 週歲, 병음: zhōusùi) 또는 shisui (중국어 정체: 實歲, 간체: 实岁, 병음: shísùi)라고 부른다.
[편집] 일본
일본의 나이에 해당하는 단어는 sai (歳 이며, 전통 나이 및 만 나이 양쪽에 모두 이 이름을 쓴다. 전통 나이는 가조에토시 (数え年)라고 부르는데, 1902년 서구의 법률제도의 예에 따라 이를 폐지하였으며, 만넨레이 (満年齢)를 정식으로 사용한다. 1950년에는 당시까지 사용습관이 남아 있던 전통 나이 대신 만 나이를 쓸 것을 권장하는 법령이 추가로 선포되었다. 오늘날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보통 말하는 나이는 곧 만 나이이다. 일본의 나이계산법은 서양과도 약간 차이가 있는데, 서양에서는 태어난 아이는 기본적으로 0세이고, 새해가 되면 일률적으로 한 살을 추가하는데, 일본에서는 그 생일이 지나야 한 살을 추가한다.
[편집] 베트남
베트남은 프랑스의 지배기에 베트남어의 표기법을 비롯하여 제반 제도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연령 계산법도 서구식의 만 나이를 쓴다. 또한 베트남인은 같은 유교 문명권이나 나이에 따른 경어의 사용이나 까다로운 호칭이 그다지 발달하지 않아, 나이를 크게 따지지 않는다.
[편집] 한국
한국에서는 나이를 세는 단위로 ~"살"을 쓴다. 보통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나이는 전통적 나이이며, 만 나이는 반드시 만 OO세 라는 형식으로 별도로 강조된다. 한국에서 나이는 언어사용(경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준이므로, 서로의 나이를 묻고 답하는 일이 많은데, 이 경우도 기준이 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전통나이이다. 만 나이는 일상적으로 자주 쓰지 않으므로,간혹 환산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있는데, 이럴 경우는 혼돈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탄생년도를 말하기도 한다. 법률적으로는 이와 달리 만 연령이 기준이 되는 일이 많으나, 이 경우에도 만(滿) 몇 세이상이라는 형식으로 "만 나이"임을 별도 표시한다. 특히 미성년자/성년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성년의 기준이 각각 한국 나이와 만 나이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이전의 세대들은 음력생일이라는 방식으로 생일을 세는 일이 많다. 이는 양력달력으로는 매 년 날짜가 바뀌게 되며, 따라서 한국의 달력에는 음력 날짜가 양력 날짜 밑에 작게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서류상에도 생년월일이 양력인가 음력인가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란이 마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