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법정의 명령에 의해 독약을 마시는 철학자, 소크라테스
법정의 명령에 의해 독약을 마시는 철학자, 소크라테스

철학 (哲學,고대 그리스어 : Φιλοσοφία)은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는 고대희랍어에서 유래했는데, 이 때 지혜라 함은, 일상생활의 실용적 지식이 아닌, 인간 자신과 그것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관조적(speculative) 지식을 의미한다. 이른바, 우리가 일상적으로 세계관, 인생관, 가치관이라고 부르는 것들이 대강 포함된다고 보면 되겠다. 지금 언급한, 일반적인 정의로서의 철학은 어느 문화권에나 존재해왔던 것이다. 심지어는 문자가 없는 사회에서도, 세계에 대한 인식은 발견된다. 서구화 이후에,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철학'이라함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로부터 시작하는, 서구 철학의 전통을 의미한다. 철학과 깊은 관계를 가진 학문으로는 신학,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역사, 교육, 수학, 물리학, 등을 들 수 있겠다.

목차

[편집] 철학의 대상

소크라테스 이전은 철학의 연구대상은 자연이었다. 이걸 그리스 철학이라고 한다. 자연은 스스로 움직이는 것으로 생각하여 했다. BC 5세기 후반 즉, 소크라테스때는 철학은 인간의 혼을 대상으로 두었다. 특히 윤리적 문제에 관심을 두었다. 소크라테스는 그리스 철학과 반대하는 생각을 하였다. 소크라테스이후 플라톤과 아리스토 텔레스가 나온다. 이 사람들은 소크라테스의 철학의 대상과 그리스 철학의 대상을 동시해 하여 철학체계를 정립하였다. 중세시대에서는 철학적대상은 신이었다. 그때는 그리스도교 사상이었기 대문에 종교가 강하게 띠게 되어 신에 대한 고찰이 결국 중신 문제였다고 한다. 근대는 인간이 여러 사물을 어떤 범위 내로 인식할수 있나가 대상이었다. 그래서 데카르트의 합리론과 로크의 경험론이 나오게 되었다(자세한 것은 합리론과 경험론을 읽어보시요). 칸트의 철학이 나왔는데 합리론과 경험론은 동시에 한 것이다. 이것은 19세기와 20세기의 철학의 과제가 되었다.

[편집] 철학의 분야

철학의 인식,존재,가치로 나누어 진다. 인식은 논리학과 인식론이 포함된다. 인식에서 알아야 할 것은 인식이 무엇인가와 사고의 규칙에 대해 탐구하는것이다. 존재는 개개 존재자를 갖고 있는 특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게 연구대상이다. 가치는 윤리학과 미학등이 들어 간다. 가치는 몇몇 학자들은 학문에 성립될수 없다는 의견을 내기도 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아주 필요하다고 하다.

[편집] 철학의 어원

철학(哲學)이란 낱말은 영어 philosophy를 번역한 것으로서, 처음 일본에서 번역된 것으로 여겨진다.¹ 서양에서 쓰여지는 philosophy와 비슷한 뜻을 가진 낱말이 동양에는 없기 때문에 약간 애매 모호한 한자어 哲學이 한국, 일본을 비롯한 한문 문화권에서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간혹 philosophy를 사학(思學) 혹은 다른 낱말로 풀이하자는 제안이 있긴 하지만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Philosopy는 고대 그리스어 필레인(Φιλειν, philein, 사랑하다)와 소피아(σοΦία, sophia, 지혜)가 합쳐서 된 말로서, 직역을 한다면 지혜를 사랑한다라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앎, 즉 배움과 깨달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랑하는 것은 모든 학문의 출발점이다. 따라서 지식과 지혜를 사랑하는 삶의 태도로 철학을 정의한다면, 철학은 하나의 특정한 학문이라기보다는 학문 일반에서 요구되는 기본 자세인 동시에 실천 방법이라 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철학'이라는 말은 일상 어법에서 '세계관', '사고 방식' 등으로 약간 포괄적인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1. philosophy를 철학(哲學)으로 번역한 사람은 일본의 니시 아마네라고 한다.
- 출처: <<노자(곽점초묘죽간본)>> 90p, 최재목 역주, 을유문화사, 2006, 서울

[편집] 철학적 문제의 특징

철학과 다른 학문을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는 철학이 제기하는 문제가 다른 학문의 그것과 구분되는 점을 살펴 보는 것이다. 18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물리학은 철학과 독립된 학문이 아니라 자연 철학으로 인식되었다. 물론 여기서 당시에서 통용된 물리학은 오늘날 자연 과학에서 다루는 물리와 엄청난 차이가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철학의 고유한 문제들은 18세기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네 가지 물음으로 요약될 수 있다.

  • 나는 무엇을 아는가? : 인식론의 주요 문제. 외부의 사물(物)들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외부 사물은 실재하는가? 인간의 지각 능력에 독립해서 존재하는 실재란 과연 있는가? 있다면 인간의 인식은 어떻게 "거기 밖(out there)"에 있는 실재에 대응할 수 있는가? 인식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하나의 인식이 참이 될 수 있는 기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그리고 참인 인식으로부터 어떻게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가? 한편 형이상학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은 대부분 인간의 인식 방법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것들이다. 신은 존재하는가? 우주의 시작과 끝은 존재하는가? 시간과 공간은 연속하는가?
  •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윤리학 주요 문제. 옳고 그른 것들 사이 차이가 있는가?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어찌 증명할 수 있는가? 실제 상황에서 우리는 옳고 그름에 대한 이론적 관념들을 어떻게 적용하는가?
  • 나는 무엇을 바라는가? : 미학의 주요 문제. 예술은 인간에게 어떤 쾌를 주는가? 아름다움(美)란 무엇인가? 예술 작품의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 인간이란 무엇인가? : 사회 철학의 주요 문제. 인간은 어떻게 해서 사회를 이루는가? 국가는 어떻게 성립되고 또 어떻게 운영되는가?

[편집] 동서양의 철학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에 의해 출발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여러 나라에서 발전된 철학적 전통들을 서양철학이라 한다면, 동양철학은 중국에서 비롯된 철학사상에 바탕을 둔 한국, 일본 등지의 철학을 일컬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서는 인도의 고대철학을 동양철학의 범주에 넣기도 한다.

[편집] 동양 철학

[편집] 한국철학

  • 퇴계사상
  • 율곡사상
  • 실학사상
  • 한국의 현대철학

[편집] 중국 철학

  • 노장사상
  • 공맹사상
  • 성리학
  • 주자학
  • 양명학

[편집] 인도 철학

[편집] 서양 철학

[편집] 고대 그리스 철학

[편집] 중세철학

[편집] 근대철학

[편집] 현대철학

[편집] 철학의 기본이론과 사상 및 주의

[편집] 논리학

[편집] 인식론

현대 윤리학의 대안 '분석 윤리학'


종래 윤리학들의 부실과 허영에 불만스런 시선을 보내던 일단의 학자들이 형이상학적 윤리 설은 물론 목적론적 또는 규범적 윤리학들 모두가 부실한 것은 사용된 용어(명사)들의 실재할 수 없는 가상성에 있다고 보고 그 가상명사(假想名辭)들을 경험주의적 수술대에서 수술을 시도하는 것이 이모티비즘 이다. 즉 이모티비즘은 분석철학이라는 하나의 철학적 태도에 윤리학을 접목시킨 것으로 '윤리의 경험주의적 논리적 실증주의'이다.

분석철학에 의하면 철학의 사명은 궁극적 실제를 밝히거나 본질적인 근거로서의 「절대자」를 파악하는 일이 아니라, 사상의 의미를 논리적으로 명백히 함에 있다. 그리고 이 사명의 달성을 위한 올바른 방법은 사상의 전달에 사용되는 언어의 사실성을 전재로 한 분석이다. 이러한 인식 위에 그들은 기존의 윤리학들이 가상명사로 꾸며진 총체적인 허영에 있다고 보고 윤리학 자체를 부정하는 단계에까지 이른다.



이모우티비즘(emotivizm)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흄(hume)은 말한다. 신학에 관한 것이든 스콜라의 형이상학에 관한 것이든 어떤 책을 손에 들거든 물어보아라. 그것이 양과 수에 관한 어떤 추상적 추리를 포함하고 있는가? 아니다. 그러면 그 책 가운데 사실과 존재에 관한 경험적 추리가 실려 있는가? 그것도 아니다. 그렇거든 그 책을 불 속에 던져 버려라. 이 경험주의적 경향과 맥을 이은 논리적 실증주의자들에 의해 규범윤리학은 폐기처분되는 치욕을 입게 된다. 그들에 의하면 이른바 「도덕판단」에는 험증(險證)의 가능성이 없다. 예컨대 "약속을 지켜야 한다." "남의 것을 훔치는 것은 악이다." 따위의 발언이 어떠한 사실을 우리에게 알려 주는가. 그것은 오직 발언자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듣는 이의 감정을 유발하는 구실을 할 뿐이다. 이런 관념에 철저했던 두 학자로 카르납(carnap)과 에어(ayer)가 있다.

카르납 (rudolf carnap1891∼)

"살생은 악이다."와 "죽이지 말라."는 말은 근본에 있어서 같은 뜻이다. 사실인 즉 평가 적 언명은 사람으로 하여금 그릇된 판단을 내리기 쉽게 하는 문법적 형식으로 표현된 명령문에 불과하다. 이른바 「가치판단」즉 평가 적 언명이 어떠한 사실도 서술하지 아니함은 주어진 가치판단의 진위를 밝히는 증거가 될 수 있는 어떤 장래의 경험을 생각할 수 없다는 사실에 의하여 명백하다. 따라서 명령문에 진위가 있을 수 없듯이 이른바 '가치판단'에도 진위가 있을 수 없다. 참도 거짓도 될 수 없는 주장인 까닭에 그것은 엄밀한 의미의 판단이 될 수 없는 한갓 발언이며 판단의 축에도 못 드는 것인 까닭에 도시 학문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에어(a.j.ayer1910∼)

어떤 문장이 논리적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으려면 그것은 「의미가 있는」문장이 아니면 안 된다. 어떤 문장이 의미를 가지려면 그 문장은 Ⅰ.그 문장에 사용된 언사의 정의에 의하여 진위를 밝힐 수 있는 비사실적 논리적 언명이거나 또는 Ⅱ. 경험적인 관찰을 통하여 그 진위를 확률적으로 밝힐 수 있는 사실적 언명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른바 도덕판단은 이상 두 가지 판단가운데 어느 쪽에 속한다고도 볼 수 없는 성질의 것인 까닭에, 그것은 논리적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발언을 대상으로 삼는 철학의 분과 즉 「윤리학」이라는 학문이 성립할 자리가 없다. ------------*(金泰吉, [倫理學], 博英社, 1988.)


[비판적 고찰] 이 이모티비즘 의 논 조를 면밀히 관찰하면 그들의 논리 속에 잠재된 허점이 있음을 보게 된다. 우리가 옳음, 그름, 또는 좋음, 나쁨 을 말할 때 그 말의 의미에는 전제된 대상이 존재함을 주목해야 한다. 즉 언어에는 목적어로서의 기능을 하는 말과 과정어로서의 기능을 하는 말이 있다.

예를 들면「망우리」고개에서 승용차로 빠른 시간에「홍천」을 갈 일이 생겨서 "어디로 가는 것이 빠를까?" 하고 두 친구에게 물었을 때「양수리 를 통해 홍천을 가라」는 친구와 「춘천을 통해 홍천을 가라」는 친구의 언명 중에서 "양수리 로 해서 홍천을 가라"는 언명이 옳은 것은 당연하다.

그것은 춘천을 경유해서 가면 삼각의 2변을 돌고 양수리 를 거쳐가면 1변의 가까운 길을 갈 뿐만 아니라, 길도 넓고 또 포장도 잘돼있기 때문이다. 이때「홍천」은「춘천방향」과「양수리 방향」의 언명에 대해 옳고 그름 또는 좋고 나쁨을 단정지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대상이다. 즉 결과 어 또는 목적어에는 사실여부가 문제되지만 결과와의 상응성에 따라 평가되는 과정 어인 언명에는 사실과 상관없이 합리성 여부로써 그 기능에 만족한다.

여기서 우리는 이모우티비즘이 문제삼는 지적에 허점이 어떤 것인지 확인하게 된다. 카르납이 "살생(살인)은 악이다."라는 가치판단의 언명에 진위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은 살생이라는 행위를 평가할 기준 즉 윤리의 존재를 간과한 것으로 마치 앞의 예에서‘춘천을 통해가라’와 ,양수리 를 통해가라 ’는 두 언명에 홍천 이라는 대상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서 옳음, 그름을 단정지을 수 없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 예로 똑같은 국가의 실정법이라도 법률적으로 정당하게 사형수를 살인하는 행위가 옳은 것은 그 살인하는 법의 행위가 윤리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재 정권에서 항거하는 반정부 인사들을 강제로 다스리는 법이 옳지 못한 것은 그 법이 권력자의 이기적인 도구로서 윤리성을 잃고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가 적 언명은 명령문에 불과하다.」는 카르납의 말은 옳았다. 그러나 거기에서 옳음 그름의 평가를 찾으려는 것은 잘못이었다. 그것은 평가 적 언명은 목적 적 명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함에도 이모티비즘의 가치는 중요하다. 그것은 윤리학의 미래가 불가피하게 그러한 경험주의적 분석적 태도에 의존하지 안으면 안 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카르납이 "살생(살인)은 악이다."라는 언명에 기준이 없어서 진위를 밝힐 수 없었지만 윤리적 평가어의 기준(대상)을 찾아 세우기만 한다면 이모티비즘은 학문으로서의 가치를 확고히 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평가적 언명의 기준(대상)을 세운 한국적 이모티비즘 여기에 현대 윤리학의 대안 '분석 윤리학(分析 倫理學)이 성립하는 것이다. -dbsfl3412-

[편집] 존재론(형이상학)

[편집] 철학사

[편집] 철학의 주의와 이론

개념론 · 개연론 · 경험론 · 계몽주의 · 공리주의 · 관념론 · 교부철학 · 구성주의 · 기계론 · 실증주의 · 도구주의 · 명목론 · 목적론 · 물질주의 · 실재론 · 분석철학 · 비판론 · 상대론 · 생기론 · 선험주의 · 스콜라 철학 · 스토아 · 실용주의 · 역사주의 · 유물론 · 직관론 · 쾌락주의 · 탐미주의 · 플라톤주의 · 신플라톤주의 · 합리론 · 허무주의 · 실존주의 · 구조주의 · 탈구조주의 · 마르크스주의 · 후기마르크스주의

[편집] 시대에 따른 대표 철학자

[편집] 중국의 철학자

[편집] 선진시대 철학자

노자 · 공자 · 묵자 · 장자 · 혜자 · 맹자 · 순자 · 한비자

[편집] 한대

동중서 · 왕충

[편집] 위진 현학

왕필 · 혜강 · 곽상 · 『열자』

[편집] 중국 불학

[편집] 당-송대

한유 · 주돈이 · 소옹 · 장재 · 정의 · 정호 · 주희 · 육상산

[편집] 명-청대

왕양명 · 이지

[편집] 청말과 민국시기

강유위 · 손문

[편집] 공산혁명기

모택동

[편집] 서양의 철학자

[편집] 고대 그리스 철학자

전소크라테스 철학자 · 소피스트 ·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 에피쿠로스 · 플로티노스 · 프로클로스

[편집] 중세 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 · 안셀무스 · 둔스 스코투스 · 피에르 아벨라르

[편집] 르네상스(15 - 16세기)의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 ·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 지오르다노 브루노 · 몽테뉴 · 니콜로 마키아벨리

[편집] 17 - 18세기의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 · 존 로크 · 토머스 홉스 · 조지 버클리 · 데이비드 흄 · 임마누엘 칸트 · 프리드리히 헤겔 · 프리드리히 셸링 · 베네딕튀스 더 스피노자 ·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 장 자끄 루소

[편집] 19세기의 철학자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 프리드리히 니체 · 쇠렌 키르케고르 · 카를 마르크스

[편집] 20세기의 철학자

에드문드 후설 고틀로프 프레게 · 버트런드 러셀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앙리 베르그송 · W.V.O. 콰인 · 마르틴 하이데거 · 모리스 메를로 퐁티 · 장 폴 사르트르 · 쟝 삐아제 · 시몬 베유 · 미셸 푸코 · 존 롤즈 · 자크 데리다 · 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안토니오 네그리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