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할린 주
Flag of Sakhalin Oblast
Flag of Sakhalin Oblast

사할린 주(러시아어: Сахали́нская о́бласть, 문화어: 싸할린 주)는 사할린 섬쿠릴 열도로 이루어진 러시아 의 주이다. 면적은 87,100 km²이며, 인구는 546,695 명(2002년 조사)이다. 주도는 유즈노사할린스크이다.

목차

[편집] 지리

사할린 섬쿠릴 열도로 구성되었으며 극동 연방관구에 속해 있다. 라페루즈 해협, 오호츠크 해를 통해 일본홋카이도와 접해 있다.

[편집] 주민

러시아인 84,3 % (460 778), 한국인 5,41 % (29 592), 우크라이나인 4,0 % (21 831)이 차지하고 있다. 6,29 %는 기타이다(대부분이 길랴크족과 아이누족, 몰도바인, 타타르족, 약간의 일본인).

[편집] 역사

사할린 주에 위치한 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는, 19세기이후로 일본의 에도 막부러시아 제국사이에서 영유권을 놓고 서로 다퉜지만, 1875년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사할린 섬 전체와 그 부속 섬들이 러시아의 영토로 인정받고 러일국경이 확정되었다. 러시아는 블라디보스토크가 주도인 연해주를 사할린 섬에 편입했다.

러일 전쟁말기인 1905년 7월에 일본군이 사할린 섬에 진주했다. 그리고 포츠머스 조약으로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남사할린 섬을 받았다. 50도선 이북은 러시아령이었지만, 러시아 혁명이 시작되면서 러시아가 혼란해지자, 시베리아 출병으로 잠시 일본군에게 사할린 섬 전체를 장악당한 적도 있었다.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한 뒤 탄생한 소련은 당시에는 사할린 개발에는 소극적이었다. 그리고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사할린 섬의 석유 개발권을 일본에게 양도했다. 또, 레닌은 사할린 영유를 로마노프 왕조제국주의에 의한 불법 점유라고 했고, 일본도 사할린 섬 전체를 반환할려고 했지만 실행하지는 않았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일소 중립 조약으로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1945년 8월 9일에, 소련이 조약을 파기하면서 일본에 선전포고한 다음 사할린 섬전체와 쿠릴 열도 전체를 소련으로 편입했다. 1946년에 소련은 병합을 선언했고, 1947년에 남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를 사할린 주로 편입했다.

소련은 사할린 전체를 소련령으로 포함시키고 당시 가라후토 청의 중심지였던 도요하라 시를 유즈노사할린스크로 개칭하고, 결국 남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를 포함한 이 지역은 소련 영토로 변했다. 나중에 사할린 주에 러시아인의 이주가 시작되면서, 일본인이 많았던 지역도 현재는 러시아인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편집] 일본과의 교류 및 문제점

소련 붕괴와 냉전이 끝남으로, 일본과 사할린 섬의 교류는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 예로 왓카나이에서는 사할린 주로 떠나는 페리가, 삿포로하코다테에선 사할린 주로 떠나는 항공기가 왕래한다. 사할린 주에서 오는 러시아 어선이 왓카나이 항이나 네무로항으로 입항하고 해산물을 실어 나른다. 사할린 주와의 교류 활성화로 왓카나이 시나 네무로 시에서는 러시아어 표기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일본과 사할린 섬과의 관계가 발전될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크다. 하지만 풀리기 어려운 영토 문제는 일본과 사할린 주 사이에서 숙제로 남아 있다.

[편집]

  •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군
  • 아닙스키 군
  • 돌린스키 군
  • 홀름스키 군
  • 코르사콥스키 군
  • 쿠릴스키 군
  • 마카롭스키 군
  • 네벨스키 군
  • 노글릭스키 군
  • 오힌스키 군
  • 포르나이스키 군
  • 세베로쿠릴스키 군
  • 스미르니홉스키 군
  • 토마린스키 군
  • 티몹스키 군
  • 우글레고르스키 군
  • 유즈노쿠릴스키 군
사할린 주의 군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군 | 아닙스키 군 | 돌린스키 군 | 홀름스키 군 | 코르사콥스키 군 | 쿠릴스키 군 | 마카롭스키 군 | 네벨스키 군 | 노글릭스키 군 | 오힌스키 군 | 포로나이스키 군 | 세베로쿠릴스키 군 | 스미르니홉스키 군 | 토마린스키 군 | 티몹스키 군 | 우글레고르스키 군 | 유즈노쿠릴스키 군

[편집] 도시

[편집] 바깥 고리


러시아행정 구역 Flag of Russia
연방 구성체
공화국 다게스탄 | 마리옐 | 모르도바 | 바시키르 | 부랴트 | 사하 | 세베로오세티야 | 아디게야 | 알타이 | 우드무르트 | 인구시 | 체첸 / 이츠케리아 체첸
추바시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 카렐리야 | 카바르디노발카르 | 칼미크 | 코미 | 타타르 | 투바 | 하카스
크라이 스타브로폴 | 알타이 |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야르스크 | 페름 | 프리모르스키 (연해주) | 하바롭스크
노보시비르스크 | 노브고로드 | 니즈니노브고로드 | 랴잔 | 레닌그라드 | 로스토프 | 리페츠크 | 마가단 | 모스크바 | 무르만스크 | 벨고로드
보로네시 | 볼고그라드 | 볼로그다 | 브랸스크 | 블라디미르 | 사라토프 | 사마라 | 사할린 | 스몰렌스크 | 스베르들롭스크 | 아르한겔스크
아무르 | 아스트라한 | 야로슬라블 | 오렌부르크 | 오룔 | 옴스크 | 울리야놉스크 | 이르쿠츠크² | 이바노보 | 첼랴빈스크 | 치타 | 칼루가
칼리닌그라드 | 캄차카³ | 케메로보 | 코스트로마 | 쿠르간 | 쿠르스크 | 키로프 | 탐보프 | 톰스크 | 툴라 | 튜멘 | 트베리 | 펜자 | 프스코프
연방시 모스크바 | 상트페테르부르크
자치주 유대인 자치주
자치구 네네츠 | 아긴스크부랴트 | 야말로네네츠 |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¹ | 축치 | 코랴크² | 한티만시

1. 2008년 1월 1일,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 자치구가 이르쿠츠크 주로 통합된다.
2. 2005년 10월 23일, 캄차카 주와 코랴크 자치구를 캄차카 크라이로 통합하는 안이 주민투표를 통과하였다. 2007년 7월 1일에 통합된다.

연방관구
중앙 | 남부 | 서북 | 극동 | 시베리아 | 우랄 | 프리볼시스키


이 문서는 러시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