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수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 체계
기초

\mathbb{N}\sub\mathbb{Z}\sub\mathbb{Q}\sub\mathbb{R}\sub\mathbb{C}

복소수의 확장
기타

i 허수 단위 = \sqrt{-1}
π 파이 ≈ 3.14159 26535 ...
e (상수) ≈ 2.71828 (∉ \mathbb{Q})
무한대

주요 상수

π - e - √2 - √3 - γ -
φ - β* - δ - α - C2 -
M1 - B2 - B4 - Λ - K -
K - K - B´L - μ - EB -
Ω - β - λ - D(1) - λμ -
Cah. - Lap. - A-G - Λ - K-L -
Apr. - θ - Bac. - Prt. - Lb. -
Niv. - Sie. - Kin. - F - L

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해 온 추상적인 개념이다. 수의 개념이 확장되고 복소수가 등장하면서 수는 양만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이 아니게 되었다.

완전 순서를 제외하면 의 주요 개념을 유지함으로써 정역의 원소로써 수를 정의할 수 있다.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