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기본 성질 |
색상 채도 명도 |
삼원색 색상환 |
색공간 |
RGB CMYK HSB YCbCr |
색의 이용 |
웹 색상 보호색 경계색 |
색 목록 |
무채색: 흰색 회색 은색 검정 |
유채색: 빨강 주황색 노랑 |
녹색 파랑 남색 보라 |
하늘색 바다색 옥색 |
자청색 자주색 청록색 |
관련 항목 |
광학 시각 미술 |

HSV에 따라 RGB로 표현된 색상
색상(영어: Hue, 色相)은 명도, 채도와 함께 색의 주요한 세 속성 가운데 하나이다. HSV 색공간에서 색상(Hue)은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 Value)와 함께 하나의 색을 지정하는 좌표를 이룬다.
색상은 노랑, 빨강과 같은 색이름으로 구분지어 불리며 흔히 밝은 노랑이나 어두운 빨강과 같이 명도 및 채도를 형용하는 낱말과 같이 표현되기도 한다. 고유한 색의 이름도 색상의 기준에 따라 다르게 이름 붙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갈색은 어두운 주황색으로, 분홍색은 밝은 빨강이라 표현될 수 있다.
목차 |
[편집] HSV 색공간과 색상
HSV 색공간에서 색상 값 H는 먼셀의 색 체계를 기반으로한 색상환에 대응하여 빨강을 기준으로한 각도로 표현된다. 아래의 표와 오른쪽의 그림을 참조하기 바란다.
웹 색상 | H 값 | HSB 좌표 | 색 이름 | RGB 가산혼합 |
---|---|---|---|---|
#FF0000 | 0 | (0,100,100) | 빨강 | 원색 |
#FF7F00 | 30 | (30,100,100) | 주황색 | 빨강과 라임색의 3:1 혼합색 |
#FFFF00 | 60 | (60,100,100) | 노랑 | 빨강과 라임색의 1:1 혼합색 |
#80FF00 | 90 | (90,100,100) | 연두색 | 빨강과 라임색의 1:3 혼합색 |
#00FF00 | 120 | (120,100,100) | 라임색 | 원색 |
#00FF80 | 150 | (150,100,100) | . | 라임색과 파랑의 3:1 혼합색 |
#00FFFF | 180 | (180,100,100) | 옥색 | 라임색과 파랑의 1:1 혼합색 |
#0080FF | 210 | (210,100,100) | 바다색 | 라임색과 파랑의 1:3 혼합색 |
#0000FF | 240 | (240,100,100) | 파랑 | 원색 |
#8000FF | 270 | (270,100,100) | 보라색 | 파랑과 빨강의 3:1 혼합색 |
#FF00FF | 300 | (300,100,100) | 자청색 | 파랑과 빨강의 1:1 혼합색 |
#FF007F | 330 | (330,100,100) | 자주색 | 파랑과 빨강의 1:3 혼합색 |
#FF0000 | 360 | (360,100,100) | 빨강 | 원색, 0도와 360도는 같은 의미임 |
[편집] 채도와 색상
빨강을 기준으로 채도 변화에 따른 색상의 변화는 다음의 표와 같다.
웹 색상 | H 값 | HSB 좌표 |
---|---|---|
#FF0000 | 0 | (0,100,100) |
#FF3333 | 0 | (0,80,100) |
#FF6666 | 0 | (0,60,100) |
#FF9999 | 0 | (0,40,100) |
#FFCCCC | 0 | (0,20,100) |
#FFFFFF | 0 | (0,0,100) |
[편집] 명도와 색상
빨강을 기준으로 명도 변화에 따른 색상의 변화는 다음의 표와 같다.
웹 색상 | H 값 | HSB 좌표 |
---|---|---|
#FF0000 | 0 | (0,100,100) |
#CC0000 | 0 | (0,100,80) |
#990000 | 0 | (0,100,60) |
#660000 | 0 | (0,100,60) |
#330000 | 0 | (0,100,20) |
#000000 | 0 | (0,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