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구석기 시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구석기 시대 유적은 산악지대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현재 약 90여 군데가 발굴되었다. 한데(노천) 집단거주 유적이 큰 강가나 물줄기 언저리를 중심으로 발견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주로 강가에 살았고, 물고기를 잡고 협동적으로 사냥을 하였다고 추측된다.
한반도의 구석기 시대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60년대 이후에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목차 |
[편집] 전기.중기 구석기
불을 사용하였고, 간단한 타제석기를 제작.사용하였다.
[편집] 주요 유적
[편집] 후기 구석기
대략 4 ~ 3만 년 전 이후 ~ 1만 년 전의 시기에 해당된다. 2만년 전 ~ 1만년 전의 시기는 해수면이 낮아 황해가 남쪽으로 후퇴, 한반도와 중국 본토는 서로 이어져 있었다.
[편집] 특징
- 유적은 현생인류가 남긴 것이 대부분이다.
- 한데유적과 발달된 타제석기와 세석기가 주로 발굴된다.
- 한반도와 발해 북부, 시베리아의 구석기 유적에서 토기 조각, 초기의 마제석기가 발굴되었다.
- 충북 청원군 소로리에서는 벼농사의 흔적이 발굴되었다.
[편집] 주요 유적
- 전라북도 용담댐 내 진안 진그늘 유적 ... 대규모 살림터가 발굴되었다.
- 공주의 석장리 유적
- 임진강과 한탄강 연안 ... 주먹도끼 등이 출토되었다.
- 충청북도 진천 송두리 유적 ... 4만 5천 년 전의 다량의 타제석기 등 구석기인의 흔적이 발굴되었다.
- 충청북도 청원군 두루봉 동굴 ... 4만 년 전으로 추정되며, 5 ~6세 가량 되는 현생인류 아이의 화석인 '흥수아이'가 발굴되었다.
- 충청북도 청원군 소로리 ... 1만 5천 년의 세계 최초의 볍씨가 발굴되었다.
- 울산 반구대의 암각화(확실치 않음) ... 고래, 사슴 등의 사냥 모습이 석각되어 있는데, 고대인의 생활상과 예술활동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