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다루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제 다루왕 | |
---|---|
[[그림:{{{그림}}}|200px]] | |
재 위 | |
28년 ~ 77년 | |
왕 비 | {{{왕비}}} |
황 후 | {{{황후}}} |
왕 후 | {{{왕후}}} |
부 군 | {{{부군}}} |
앞선 왕 | 온조왕 |
앞선 황제 | {{{이전 황제}}} |
다음 왕 | 기루왕 |
다음 황제 | {{{다음 황제}}} |
백제의 제2대 국왕 |
다루왕(多婁王, ? ~ 77년, 재위: 28년 ∼ 77년)은 백제의 제2대 왕이다.
[편집] 생애
온조왕(溫祚王)의 첫째아들이다. 10년에 태자(太子)로 책봉되었고 28년에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성격이 관대하고 후덕하며 위망(威望)이 있었다고 한다. 29년 봄 정월에 시조 동명(東明)의 묘(廟)에 배알하고 제사를 지낸 기록이 있고, 33년에는 남부 주군(州郡)으로 하여금 벼농사를 짓게 하였다고 한다. 63년 겨울 10월에 낭자곡성(娘子谷城, 현재의 청주)까지 영토를 넓히고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만나기를 청하였으나 신라 탈해 이사금이 이에 응하지 않았다. [1] 64년 가을 8월에 군사를 보내 신라의 와산성(蛙山城)을 공격하였다. 겨울 10월에 또 신라의 구양성(狗壤城)을 공격하자 신라의 탈해 이사금은 기병 2천 명을 보내 쳐서 쫓아보냈다. [2] 66년 다시 와산성을 빼앗고 수비병 2백을 주둔시켰으나 신라에게 곧 다시 빼앗겼다. [3] 70년에 다시금 신라를 침공하였으나 [4] 자세한 것은 전하지 않는다. 74년에 신라의 변방을 노략, 탈해 이사금이 병사를 보내 격퇴당했다. [5] 75년 10월 신라의 와산성을 다시 공격, 함락하였다. [6] 그러나, 76년 가을 9월에 신라는 군사를 보내 백제를 정벌하여 와산성을 다시 빼앗고, 백제로부터 와서 살던 사람 2백여 명을 모두 죽였다. [7]
[편집] 참고
[편집] 주석
- ↑ 63년~:《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탈해 이사금 條>,七年 冬十月 百濟王拓地 至娘子谷城 遣使請會 王不行
- ↑ 64년~:《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탈해 이사금 條>, 八年 秋八月 百濟遣兵 攻蛙山城 冬十月 又攻狗壤城 王遣騎二千 擊走之
- ↑ 66년~:《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탈해 이사금 條>, 十年 百濟攻取蛙山城 留二百人居守 尋取之
- ↑ 70년~:《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탈해 이사금 條>, 十四年 百濟來侵
- ↑ 74년~:《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탈해 이사금 條>, 十八年 秋八月 百濟寇邊 遣兵拒之
- ↑ 75년~:《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탈해 이사금 條>, 十九年 ... 冬十月 百濟攻西鄙蛙山城 拔之
- ↑ 76년~:《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탈해 이사금 條>, 二十年 秋九月 遣兵伐百濟 復取蛙山城 自百濟來居者二百餘人 盡殺之
앞선 왕 온조왕 |
제 2 대 28년 - 77년 |
다음 왕 기루왕 |
백제의 역대 국왕 |
---|
백제: 온조왕 | 다루왕 | 기루왕 | 개루왕 | 초고왕 | 구수왕 | 사반왕 | 고이왕 | 책계왕 | 분서왕 | 비류왕 | 계왕 | 근초고왕 | 근구수왕 | 침류왕 | 진사왕 | 아신왕 | 전지왕 | 구이신왕 | 비유왕 | 개로왕 | 문주왕 | 삼근왕 | 동성왕 | 무령왕 | 성왕 | 위덕왕 | 혜왕 | 법왕 | 무왕 | 의자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