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O.T.(에이치오티) | |
---|---|
[[그림:|250px|]] |
|
국적 | 대한민국 |
활동 시기 | 1996년 ~ 2001년 |
장르 | 댄스, 힙합, 랩 |
멤버 | |
문희준 (리더, 보컬) 장우혁 (랩) 토니안 (보컬,랩) 강타 (리드보컬) 이재원 (랩) |
|
이전 멤버 | |
{{{이전멤버}}} | |
공식 웹사이트 |
H.O.T.(에이치오티)는 1990년대 말에 활동했던 대한민국의 남성 5인조 보이 댄스 그룹이다.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넘나들었던 이 다섯명의 멤버로 구성된 보이밴드는 이후에 나온 젝스키스, 핑클, S.E.S., 그리고 신화 등과 함께 한국형 아이돌그룹의 시초이자 한국의 아이돌그룹 전성기를 이끌었다.
한국의 많은 그룹들처럼, 그들의 그룹명도 영문 두문자이다. H.O.T.는 "High-five Of Teenagers". 곧 "십대들의 승리"를 의미한다. 그들은 1996년 데뷔 이후 2001년 공식적인 활동을 종료할 때까지 대한민국의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현재 모든 멤버들은 솔로로서 경력을 쌓아가고 있으며, 적어도 한장의 앨범을 내고 활동하고 있다.
대표곡으로는 데뷔곡인 〈전사의 후예〉를 포함해, 〈캔디〉, 〈늑대와 양〉, 〈행복〉, 〈we are the Future〉, 〈열맞춰!〉, 〈빛〉, 〈아이야!〉, 〈투지〉, 〈환희〉, 〈Outside Castle〉, 〈for 연가〉, 〈그래 그렇게〉 등이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H.O.T.는 한동안 가수와 MC로 활약했던 SM 엔터테인먼트(당시 SM기획)의 이수만 대표에 의해 현진영과 한동준,유영진에 이어 탄생한 가수이다. 그들의 노래는 랩, 백스트리트 보이스식의 발라드, 댄스, 그리고 99년에 시도했던 록까지 그 장르의 폭이 넓었다. 그들은 독특한 캐릭터와 재능을 가지고 있는 5명의 고교생 - 강타(안칠현), 문희준, 이재원, 토니안, 장우혁 - 으로 기획사의 철저한 계획에 의해 준비되었다.
그룹에 참여하게 된 첫번째 멤버는 롯데월드 근처에서 서성대고 있었던 안칠현(강타)이었다. 회사 매니저가 그의 춤과 노래실력을 보고 깊은 인상을 받고 멤버가 될 것을 제의했다. 두번째는 문희준이었다. 회사 자체 오디션을 통해 뽑히게 되었다. 희준은 그의 친한 동생 이재원을 오디션에 참가시켰고, 재원 역시 오디션을 통과했다. 그후 네번째로 참여하게 된 멤버는 장우혁이다. 서울에서 열린 댄스콘테스트에서 1등을 한 그에게 멤버제의가 들어왔고, 그가 승락함으로써 계약이 체결되었다. 마지막으로, 토니안과 그의 가까운 친구 앤디(Andy Lee, 이선호)가 미국에서 이수만 대표에게 발굴되었는데, 앤디의 부모님이 갑자기 승락을 철회하면서, 앤디는 H.O.T.에 참여하지 못하고 신화에 속하게 되었다.
많은 대중들에게 그들이 단순히 '십대 소녀들을 겨냥한 보이밴드'로 기억되는것과는 달리, H.O.T. 멤버들은 그들의 앨범을 제작하는 데 작사와 작곡을 통해 많은 부분에 참여했다. 세번째 앨범 《Resurrection: 부활》의 발매로부터, 그들은 그들의 대부분의 가사를 직접 쓰기 시작했고, 그들의 마지막 두 앨범인 《아이야!》와 《They Are Nothing Different with Us》에서는 앨범 전곡의 작사, 작곡은 물론 편곡(프로듀싱)까지도 직접 해내는 음악적 발전을 보였다는 점에서 H.O.T.는 단순한 기획사의 꼭두각시가 아닌 아티스트가 되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멤버였던 문희준과 장우혁은, 그들의 노래에 어울리는 안무를 직접 만들었으며, 그들의 뮤직비디오에 현란한 솔로 댄스를 선보일 만큼 춤 실력에 조예가 깊었다.
그들은 한국 가수로는 최초로 5만을 넘는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서울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콘서트를 개최(1998.09.18)했는데, 이것은 그들의 팬층이 너무나 거대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가수로서 뿐만 아니라 하나의 상표로서의 가치를 지녔으며, 실제로 음료수, 스티커, 책 등에 그들의 캐릭터를 이용, 부가가치를 올리는데 성공하였다. 그만큼 국내의 여타 가수보다도 10대들에게 막강한 영향력을 주게 되었고 그들을 둘러싼 해프닝도 많았다. 실례로 1998년 12월 31일에는 H.O.T. 팬클럽 회원과 젝스키스 팬클럽 회원들간에 시비가 붙어 편싸움을 하는 일이 일어났으며, 2000년 2월 그들의 마지막 콘서트 티켓 예매 때에는 예매시작 10여분만에 5만여 표가 전부 매진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그들은 〈우리들의 맹세〉 뮤직비디오에서 애니메이션을 최초로 차용(천계영 작)하기도 했다.
4번째 앨범 발매 후, 그들은 영화 《평화의 시대-Age of Peace》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이 영화는 일본-한국 합작으로 제작되었고, 영화가 개봉함과 동시에 배경음악과 H.O.T.의 주제곡이 담긴 사운드트랙 앨범이 발매되었다. 그들의 앨범 홍보와 더불어 일본에서 영화 시사회를 가졌다. 영화 속에서 다섯멤버의 모든것은 컴퓨터로 제작되었으며, 영화를 위한 사운드트랙 또한 훌륭했다. 그 해 그들은 KMTV에서 대상을 수상했으며, 한국 문화방송에서 단독 쇼프로그램(Log in H.O.T.)이 제작, 방송되기도 했다.
10대 청소년으로 구성된 아이돌 그룹으로서, H.O.T.는 그 당시 10대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고 문제가 되었던 여러 사회 문제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노래들을 발표하여 그 당시 10대들의 많은 공감을 얻어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 (이를테면 가수들이 군입대를 미루는 것(또는 면제받는 것), 낙태, 외설, 범죄, 마약 등의)
이들은 젝스키스와 같은 라이벌 그룹과 경쟁하며 성장했으나 실제로는 우정이 돈독한 동료들이었다. 가까운 친구였던 NRG의 김환성이 사망했을때 강타는 그의 친구의 죽음을 누구보다 가슴아파했다. 그리고 NRG가 김환성의 죽음 후에 4번째 앨범을 발매했을 때, 강타는 그들의 타이틀곡 〈비(悲)〉을 작곡해주었다.
H.O.T.는 그들의 마지막 히트곡인 〈For 연가〉에서 한국 드라마 《가을 동화》의 장면들을 사용했다. 이때부터 드라마 클립이 사용된 뮤직비디오가 제작되기 시작했다.
이들의 인기 비결은 비단 춤잘추고 노래 잘하는 아이돌 스타 그룹과는 확실히 차별화된 전략으로 출발한 데에 있다. 처음에는 그저 곱상한 외모, 개성 강한 멤버들의 개인별 인기로 시작했을 지 몰라도 이들의 팀웍은 그 어떤 팀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확실하며 멤버들 개개인 역시 한자리에 머무르려고 하지 않았다.
비록 5집활동 후기의 강타의 음주운전 사건 등 약간의 흠이 있었지만 그들은 한 시대를 풍미했던 10대의 아이콘이었고, 대중적인 음악과 코디로서 10대의 눈과 귀를 오랫동안 사로잡았었다. 이수만으로 인한 그들에 대한 혹평은 꽤나 많지만, 한국대중음악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편집] 그룹 해체와 솔로활동
2001년 5월 강타와 문희준은 SM 엔터테인먼트와 재계약을 맺었으나 장우혁, 이재원, 토니안이 소속사를 옮기면서 당시 절정의 인기를 구가하던(유료 팬클럽 회원수 10만명 돌파) H.O.T.는 사실상 해체되었다. 멤버들의 SM 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이 만료가 임박한 시점에서 인세문제를 비롯한 여러 사안들이 한꺼번에 터져나오며 해체설이 나돌기 시작했다. 인세 문제등의 각종 루머들이 원인이라 짐작되지만 해체의 정확한 이유는 아직까지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사실 H.O.T.가 5집까지 활동하리란 것은 암묵적으로 예정된 일이었다. H.O.T. 멤버들 개개인의 선택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없으나 적어도 이수만의 생각은 확실히 그러했고, 모 여성지와의 인터뷰에서 흘렸다가 일파만파로 퍼져나간 문희준 강타 솔로설 역시 그의 계획 중 일부일 뿐이었던 것이다. 비교적 인지도가 낮고 타멤버 대비 재량이 부족해 보였던 토니 안을 내보내고 문희준과 강타, 장우혁, 이재원을 남기려던 이수만의 계획은 그러나 장우혁과 이재원의 탈퇴 선언으로 틀어지고 말았다.
팀 해산 이후, 강타와 문희준은 SM 엔터테인먼트와 재계약을 선언하며 솔로앨범을 발표했다. 그리고 꽤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강타는 주로 소울과 R&B를 중심으로 음악활동을 시작했고, 문희준은 처음에는 강타와 비슷한 R&B로 출발했으나, 1집앨범 중반 이후에는 록음악에 도전하며 경력을 쌓아나갔다. 그러나 희준은 그의 아이돌 스타 이미지에 가려 지금까지도 날카로운 비판(을 넘어선 인신공격, 악성 루머 등)에 시달리고 있다.
SM 엔터테인먼트에서 나온 장우혁, 토니안, 이재원은 프로젝트 그룹 JTL을 결성했으나 한동안 전 기획사의 보이콧에 시달리며 방송에 한동안 출연하지 못했으며, 그 해(2001년) 통산 음반판매량 2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가요시상식에 참가조차 못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그러나 그들은 세 장의 정규앨범과 콘서트앨범을 내며 성공적인 활동을 했다. JTL 이후 세 명은 각각 솔로 앨범을 내어, 모든 멤버가 개별 활동을 하게 된다.
그 후, 장우혁은 그가 이끄는 댄스 아카데미 "Newest"를 설립, 운영했다. 이 역시 SM 엔터테인먼트의 직간접적 보이콧(핵심 멤버들을 빼돌리고 자금줄을 끊는)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현재 리더였던 문희준은 2005년 SM을 떠나고 PS 엔터테인먼트를 설립, 새 앨범을 내고 군에 입대, 연예병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장우혁은 2집 앨범을 내고 활동 중이다. 토니안은 SM 엔터테인먼트와 스쿨룩스 경영하고 있는 CEO이면서 가수활동을 병행하고 있으며 곧 3집 앨범을 낼 예정이다. 강타는 동료가수 이지훈, 신화의 신혜성과 함께 프로젝트 그룹 S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현재 범 중화권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2006년에는 F4의 오건호와 함께 Kangta And Vanesse라는 프로젝트 그룹으로 활동했다. 그룹의 막내인 이재원은 2006년 12월 솔로 데뷔이후 2번째 콘서트를 했으며 지금 싱글앨범 준비중에 있다.
[편집] 멤버
- 안칠현 (Ahn Chil Hyun ; 安七炫) - 백업래퍼,리드보컬;
캔디 숫자/색깔: 27 / 초록. 1979년 10월 10일(음)생, 동국대 연극영상 학과 졸.
그의 예명 강타(Kang ta)는 한국어로 '강한 돌풍'을 의미한다(또는 한국의 음반산업에 강력한 힘이 될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대부분의 H.O.T.의 유명한 노래구절들은 강타가 불렀다; 그는 최고의 보이스컬러를 가진 가수의 하나로 이야기되기도 한다. 곡에서 그의 랩의 비중은 다섯 중 가장 작았다. 비록 그의 랩을 들을수 있는 것은 H.O.T.의 잘 알려진 노래들 중 한두개 정도였으나, 그는 상당한 실력의 래퍼였다.
- 문희준 (Moon Hee jun; 文熙俊) - 래퍼, 팀의 리더이며 보컬;
캔디 숫자/색깔: 27 / 노랑. 1978년 3월 14일생, 서울예대 방송연예 학과 졸.
실력있는 보컬이며, 몸이 약한 댄서이다. 희준은 그의 아이같은 외모로 가장 잘 알려졌다. 그의 부드러운 랩과, 그리고(H.O.T.의 4번째 앨범에서) 그는 마치 프레디 크루거(Freddy Krueger)의 스타일과 흡사한 날카로운 집게발 장갑을 착용했다. 또한 그는 머리 색깔과 스타일을 자주 바꾸기로 유명하다; H.O.T.의 5번째 앨범 자켓에서 그는 여성적으로 보이는 진홍색 머리를 했다.
- 안승호 (Ahn Seung Ho; 安勝浩) - 래퍼, 백업보컬;
캔디 숫자/색깔: 07 / 빨강. 1978년 6월 7일생, 동국대 연극영상 학과 졸.
그는 그의 영어이름 토니안(Tony An)을 본명보다 더 많이 사용한다. 그는 공연때 대부분의 영어 랩를 하며, 그것들을 매우 훌륭하게 작사한다. 비록 그는 대부분 랩을 했으나, 그는 좋은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그는 몇몇 곡에서는 메인보컬을 맡았다.
- 장우혁 (Jang Woo hyuk; 張佑赫) - 한국어 리드래퍼;
캔디 숫자/색깔: 35 / 파랑. 1978년 5월 6일생, 백제예전 졸.
그는 다섯 멤버 중 가장 재능있는 래퍼이다. 그의 랩은 미국의 힙합 아티스트들에게 영향을 받았다. 희준과 함께, 그는 H.O.T.에서 가장 훌륭한 댄서이다. 그의 랩 스타일은 대부분의 노래에서 날카롭게 소리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그룹의 4번째 앨범의 타이틀곡인 '아이야'(I-Yah)에서와 같이). 그는 '환희'(It's Been Raining Since You Let Me)같은 곡에서는 재원과 비슷하게 속삭이듯 랩을 하기도 했다.
- 이재원 (Lee Jae won; 李在元) - 한국어 래퍼, 백업보컬;
캔디 숫자/색깔: 48 / 오렌지. 1980년 4월 5일생, 경기대 연극영상 학과 졸.
재원은 멤버들 중 나이가 가장 어리다. 그의 랩 스타일은 부드러우며, 때로는 속삭이는 것처럼 들린다. 비록 그의 춤이 희준과 우혁이 했던 것 처럼 전달되지는 않았으나, 그도 또한 비교적 좋은 댄서이다. 재원은 그룹에서 보컬과 랩을 동시에 맡았으나 그의 역할은 대부분 랩이었다.
[편집] 디스코그래피
[편집] 정규 음반
- 《We Hate All Kinds of Violence》 (1996년)
- 《Wolf and Sheep:늑대와 양》 (1997년)
- 《Resurrection: 부활》 (1998년)
- 《Iyah!: 아이야!》 (1999년)
- 《They Are Nothing Different with Us》 (2000년)
[편집] 활동곡
- 1996년 - 〈전사의 후예〉
- 1996년 - 〈캔디〉
- 1997년 - 〈늑대와 양〉
- 1997년 - 〈행복〉
- 1997년 - 〈We Are the future〉 - 1998년 MTV VMA 최고 해의 뮤직비디오 수상
- 1998년 - 〈열맞춰!〉
- 1998년 - 〈빛〉
- 1999년 - 〈아이야!〉
- 1999년 - 〈투지〉
- 1999년 - 〈환희〉
- 2000년 - 〈Outside Castle/A Castle Outsider〉
- 2000년 - 〈그래 그렇게〉
[편집] 수상 경력
- 1996년 -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골든디스크 부문 - SKC 신인상
- 1996년 - KMTV 가요대전 - 인기가수상, 시청자상
- 1996년 - SBS 10대 가수 가요대전 '신인가수상
- 1997년 - 서울 가요대상 '올해의 최고 가요 대상
- 1997년 -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골든디스크상 '대상
- 1997년 - KMTV 가요대전 '대상'
- 1997년 -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 1997년 - SBS 가요대전 '대상'
- 1997년 - MBC 가요제전 '가수상'
- 1998년 -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골든디스크 부문 '본상'
- 1998년 - KMTV 가요대전 '대상'
- 1998년 - 한국경제소비자대상 음반부문
- 1998년 - 제 9회 서울가요대상 '대상'
- 1998년 - SBS 가요대전 '대상'
- 1998년 - KBS 가요대상 '대상'
- 1998년 - MBC 가요제전 '대상'
- 1999년 -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대상'
- 1999년 - MTV VMA 'Korean Viewers Choice' 부문
- 1999년 - M.net 영상음악대상 '시청자 최고 인기상'
- 1999년 - M.net 영상음악대상 '그룹부문 최우수 뮤직비디오상'
- 1999년 - KOREA BEST DRESSER - 남자 가수 부문
- 1999년 - KMTV 가요대전 'ARS 인기상', '네티즌최고인기상', '최우수곡상', '최우수 댄스 가수상'
- 1999년 - 문화관광부장관 표창 (선행연예인) - 대표 : 문희준
- 1999년 - 제 10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 1999년 -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골든디스크상 '본상'
- 1999년 - MBC 가요대전 '본상'
- 2000년 - 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최고인기상'
- 2000년 - KMTV 가요대상 '본상', '네티즌 인기상'
- 2000년 - MBC 10대 가수상 '30대 미만이 뽑은 인기가수상'
[편집] H.O.T.멤버들이 설립한 회사와 스튜디오
- PS Studio: 문희준
- PS Entertainment: 문희준
- Tn Entertainment: 토니안
- Skoolooks: 토니안
- Shinenihs: 토니안
- T.I. Story: 이재원
- Newest Academy: 장우혁
- Kt Studio: 강타
- Sm Entertainment (주주): 강타
[편집] 팬덤
H.O.T.의 팬클럽은 하얀천사(White Angels)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공식 유료 팬클럽인 Club H.O.T.의 "팬 컬러"가 흰색이었기 때문이다. H.O.T.는 "팬 컬러"를 소유한 첫번째 그룹이었으며, 그 후 다른 한국 가수들도 이러한 유행을 따르게 되었다. 그리고 이 경향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유료공식팬클럽 9만2천명 [현재 국내 최고기록], 다음카페회원 17만8천명 [팬카페 최초 10만돌파 H.O.T.짱!! 카페], 비공식 집계 25만여명의 팬 인원과 같이 전성기 시절의 H.O.T.의 팬의 규모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대단했으며, 그들의 팬들은 그 많은 팬들이 H.O.T.만을 바라본다는것에 큰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한편 각종 언론매체에서는 그들의 열성(혹은 극성)팬들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하기도 했으며, 그들의 인기만큼이나 그들을 비판하는 세력도 많았기 때문에 PC통신과 인터넷에는 Anti H.O.T. 웹사이트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Anti H.O.T.는 대한민국 최초의 연예인 안티 사이트로 알려져있다.
H.O.T.의 해체 후에도, 팬들은 그들의 상징인 흰 풍선을 여전히 그들을 응원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아직까지 남아있는 그들의 열성적인 팬들은 그룹이 해체된 지 6년이 넘은 지금도 여전히 멤버들이 가까운 미래에 다시 H.O.T.의 이름으로 뭉치기를 바라고있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 |
이 문서는 가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가수 토막글 |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 골든디스크 대상 수상 음악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