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08) 녹양 | (109) 가능 | (110) 의정부 | 인천·천안 방면 |
동두천 방면 | (105) 덕정 | (109) 가능 | (110) 의정부1 | 인천 방면 |
1. 동두천발 급행열차는 이 역 이후로 각 역에 정차한다. |
가능역(佳陵驛)[1]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있는 역이다. 예전 이름은 의정부북부역(議政府北部驛)이며 의정부역 내부에서 관리하는 임시역이었고 2005년 8월에 임시 역사 사용을 마치고, 고가역에서 영업이 시작되었다. 2006년 12월 15일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소요산역까지 개통하면서 역명을 가능역으로 바꾸었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편집] 연혁
- 1987년 10월 5일: 역사 준공, 영업 개시.
- 2005년 8월 19일: 신축 역사 개업.
- 2006년 12월 15일: 경원선 전철화가 소요산역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가능역으로 역명 변경.
[편집] 참고 사항
- 의정부북부역 시절에는 서울메트로의 열차가 이 역까지 운행하였으나, 가능역으로 바뀐 이후에는 의정부역까지만 운행하고 이 역으로 열차가 들어오지 않는다.
[편집] 각주
- ↑ 두음법칙으로는 '가릉'이 옳으나, 관용에 따라 역명을 '가능'으로 한다.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