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플루오린화 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플루오린화황 SF6 |
|
---|---|
|
|
일반 | |
이름 | 육플루오린화황 |
화학식 | SF6 |
물리적 성질 | |
원자량 | ? amu |
분자량 | ? g/mol |
녹는점 | 222.45K -50.7 °C -59.26°F |
끓는점 | 336.15K 63 °C 145.4°F |
밀도 | ?g/ml |
상온에서의 상태 | 기체 |
상온에서의 색 | 무색 |
열화학적 성질 | |
ΔfH0gas | ? KJ/mol |
ΔfH0liquid | ? KJ/mol |
ΔfH0solid | ? KJ/mol |
S0gas, 1 bar | ? J/Kmol |
S0liquid, 1 bar | ? J/Kmol |
S0solid, 1 bar | ? J/Kmol |
안전성 | |
섭취 | 무해 |
흡입 | 무해 |
피부 | 무해 |
눈 | 무해 |
기타 정보 |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가스중에 하나 |
가능한 한 SI 단위계를 사용했고, 따로 언급되지 않았을 때에는 표준 온도 압력 조건이다. Disclaimer and references |
육플루오린화황(화학식: SF6 통용: 육불화황, 헥사플루오린화 황)은 플루오린과 황의 화합물로, 황 원자를 중심으로 플루오린 원자가 정팔면체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인체에 무해하나 지구 온난화를 추진시키는 가스이며, 1960년대부터 절연제 등으로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 기체는 인공적인 온실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체이다. 사용량은 많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서 수요량이 늘어나고 있다. 이산화탄소,HFCs, PFCs와 함께 대표적인 온실 가스이다.
[편집] 특징
이산화탄소와 같이 끓는점에서 승화한다. 비중은 5.1로, 공기보다 약 5배 넘게 무거운 기체이며 절연성이 뛰어나다.
[편집] 용도
높은 절연성으로 변압기, 절연 개폐 장치 등의 절연 매체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반도체 제품이나 액정 파넬의 제조 과정에서도 사용된다. 특수한 예로 어뢰의 엔진 연료에도 사용된다.
[편집] 같이 보기
- 온실 기체
- 사플루오린화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