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낙랑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낙랑군
이 문서는 BC 108년 한무제가 설치하여, 313년 고구려 미천왕이 멸망시킨 낙랑군에 대한 설명이 맞나요? 기원전 1세기 중엽에 있었던 정체불명의 정권이라는 설명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 --정안영민 2006년 7월 15일 (토) 10:03 (KST)
- 역사에 무지하지만, 《우리역사의 수수께끼》(이덕일, 김병기著)라는 책에서 낙랑군과 낙랑국이 서로 다른 것이라는 주장을 읽었습니다. 아마 그런 주장에 근거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xAOs 2006년 7월 15일 (토) 18:48 (KST)
- 낙랑에 대해서는 그 말들이 많습니다. 그 설치부터 시작하여 멸망까지 사서마다 기록이 다릅니다. 한사군 설치는 사마천의 사기 조선열전에 나오기는 하나 낙랑이란 지명이 언급되지는 않았습니다. 후에 후한서에 낙랑이란 말이 나옵니다. 그 멸망에 대해서는 삼국사기도 자기모순에 빠져있어요. 낙랑이 백제의 동쪽에 있다고 기록하는가하면 호동왕자가 있는 낙랑을 멸한후 7년쯤뒤에 다시 낙랑을 또 멸합니다. 멸망시킨것을 다시 또 멸망시키는 꼴이지요. 후한의 왕이 고구려가 낙랑을 멸하자 낙랑을 다시 공격하여 열수(패수인지 잘 기억이 안나네요. 이 강이 현재 대동강이니 요하니 말이 많습니다)이남으로는 중국의 땅이 되죠. 그리고 다시 313년에 낙랑이 고구려에 다시 멸망합니다. 이때 분명 고구려는 요동을 먼저 공격한 후에 낙랑을 공격합니다. 즉, 낙랑은 요동의 서쪽이라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뒤에 다시 낙랑 대방 2개의 국이 신라에 투항합니다. 무엇이 맞는지는 아무도 모르고 서로 주장만 합니다. 아마 낙랑이 3개 이상은 되는것 같습니다.―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8.254.148.179이 2006년 12월 31일 (일) 01:13(토론 / 2006년 12월 31일 (일) 01:13 IP 정보)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고구려가 서쪽의 요동을 쳐 협공을 막고 다음에 남쪽의 낙랑을 친 것이라 여기는 것이 정상적인 해석일 것입니다. 낙랑과 대방이 고구려를 피해 남하하여 신라에 투항한 것은 당연하다 할 수 있습니다. jtm71 2007년 4월 13일 (토) 21:24 (KST)
- 낙랑에 대해서는 그 말들이 많습니다. 그 설치부터 시작하여 멸망까지 사서마다 기록이 다릅니다. 한사군 설치는 사마천의 사기 조선열전에 나오기는 하나 낙랑이란 지명이 언급되지는 않았습니다. 후에 후한서에 낙랑이란 말이 나옵니다. 그 멸망에 대해서는 삼국사기도 자기모순에 빠져있어요. 낙랑이 백제의 동쪽에 있다고 기록하는가하면 호동왕자가 있는 낙랑을 멸한후 7년쯤뒤에 다시 낙랑을 또 멸합니다. 멸망시킨것을 다시 또 멸망시키는 꼴이지요. 후한의 왕이 고구려가 낙랑을 멸하자 낙랑을 다시 공격하여 열수(패수인지 잘 기억이 안나네요. 이 강이 현재 대동강이니 요하니 말이 많습니다)이남으로는 중국의 땅이 되죠. 그리고 다시 313년에 낙랑이 고구려에 다시 멸망합니다. 이때 분명 고구려는 요동을 먼저 공격한 후에 낙랑을 공격합니다. 즉, 낙랑은 요동의 서쪽이라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뒤에 다시 낙랑 대방 2개의 국이 신라에 투항합니다. 무엇이 맞는지는 아무도 모르고 서로 주장만 합니다. 아마 낙랑이 3개 이상은 되는것 같습니다.―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68.254.148.179이 2006년 12월 31일 (일) 01:13(토론 / 2006년 12월 31일 (일) 01:13 IP 정보)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