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EpicDream86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EpicDream86님, 안녕하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위키백과와 함께 해 주셨으면 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또한 처음 오신 분들을 위한 길라잡이가 있습니다. 꼭 읽어 보시기 바라며,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로그인 상태에서 편집 창에 물결표를 이렇게 ~~~~ 네 개 이어서 써 넣으시면 자동으로 서명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 환영위원회 |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10월 30일 (화) 17:18 (KST)
이번 마법사에게 소중한 것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Ellif 2006년 10월 30일 (화) 17:30 (KST)
- 아니에요 아니에요, 유익한 정보는 함께 나눠야하는 법. 힘닿는한 계속 채워넣겠습니다. - 눈사람 2006년 10월 30일 (화) 18:04 (KST)
목차 |
[편집] 요구르팅 로고
올려주신 그림은 저작권 문제로 삭제합니다. -- ChongDae 2006년 11월 10일 (토) 15:14 (KST)
- 역시...죄송합니다. 눈사람 2006년 11월 10일 (토) 15:16 (KST)
[편집] 일본 64식 소총의 '평가', '저격소총 버전'에 대해
번역기 사용하셨습니까? 비문이 너무 많습니다. 번역기 돌린 후 남들에게 정리해 달라고 하는 것은 넌센스입니다. 번역기 돌리는 거야 금방이지만 비문 정리하는 데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립니다. 위키백과에선 번역기 돌린 후 그대로 올린 것들은 삭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자신의 편집에 대해 책임감을 가져주시고, 비문이나 잘못된 정보는 아예 올리지 않는 다는 생각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Shotgunlee 2006년 11월 19일 (월) 23:52 (KST)
- 번역기는 쓰지 않았습니다. 제가 성의가 부족했던거지요. 다시 번역하도록 하겠습니다. --눈사람 2006년 11월 20일 (월) 00:21 (KST)
-
- 번역기는 사용하지 않으셨군요. 번역하시느라 수고 많으십니다. 관심분야가 같은 분을 만나서 반갑습니다. -- Shotgunlee 2006년 11월 20일 (월) 00:40 (KST)
[편집] PSG1 그림
헤클러 코흐의 웹사이트[1]를 봐서는 public domain일 리 없어보이는데요? -- ChongDae 2006년 11월 21일 (수) 20:03 (KST)
- 그림은 넣어야 겠는데 저작권 표기에 뭘 넣어야할지 알수없어서 public domain으로 해버렸습니다. 영어 위키쪽은 출처만 써놨고...--눈사람 2006년 11월 21일 (수) 20:07 (KST)
- 저작권이 확실하지 않아 삭제합니다. -- ChongDae 2006년 11월 22일 (수) 12:12 (KST)
[편집] M3 그리스건
구글에서 찾아보시면 아시겠지만, 보통 M3 그리스건이라고 씁니다. M3 그리스로 쓰는 예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 Shotgunlee 2006년 11월 27일 (화) 22:49 (KST)
- 말씀대로 구글님께 여쭈어봤더니, 우리나라에선 "M3 Grease"가 M3 그리스건으로 통일되어 있는것 같군요. 다음부터는 가급적 정식명칭으로 쓰되, 따로 부르는 명칭이 있을시 따로 부르는 명칭으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 --눈사람 2006년 11월 27일 (화) 23:32 (KST)
- 구글님께 여쭈어 보면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영어권에서도 보통 M3 Grease가 아닌 M3 Grease Gun으로 씁니다. 영어 위키도 마찬가지입니다. (en:M3 Grease Gun) M3 Grease가 정식 명칭이라는 주장을 어디서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보통 M3 Grease보다는 M3 Grease Gun으로 표기합니다. Grease Gun은 어차피 별명이니 어느 것이 정식명칭이냐 하는 것은 무의미한 논쟁입니다. -- Shotgunlee 2006년 11월 27일 (화) 23:51 (KST)
[편집]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의 편집에 대해
제가 미처 문서 역사[2]를 확인하지 않아서, 귀하께서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를 번역하고 계신지를 모르고 제가 섣부르게 편집을 했습니다-_-; 미안합니다. 번역에 방해가 되었다면 되돌리셔도 상관없습니다. 부디 언찮게 생각하시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Sjhan81 2006년 12월 24일 (월) 15:49 (KST)
- 어라~~ sjhan81님꼐서도 번역하고 계셨군요. 그렇다면, 병합하는게 어떨까요? iRC에 들어오실수 있으시면, 자세하게 상의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눈사람 2006년 12월 24일 (월) 15:53 (KST)
- 제가 IRC를 하지 않아서요; 번역 끝내신 거는 확인 했습니다. 계속 관심 분야에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Sjhan81 2006년 12월 26일 (화) 12:25 (KST)
[편집] 화류
화류의 설명 중에 일본어에서 번역으로 일본어나 일본사회에는 유효하지만, 한국어나 한국사회에는 적당하지 않은 것들이 보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xAOs 2007년 2월 7일 (수) 00:55 (KST)
- 번역할때도 느꼈지만, 딱 일본에만 적용될 내용이더군요, 그 다음으로 번역한 베드타운의 경우는 규모가 좀 컸지만 마찬가지이고요. 생각할거 없이 고쳐야합니다. 그런데 그런걸 누가 번역 요청을 한거지...? --눈사람 2007년 2월 7일 (수) 01:04 (KST)
- 그냥 제 추측이지만, 위키백과:번역 요청문서를 편집하는 사람은 거의 Russ님 밖에 없습니다. 아마 Russ님이 아닌가 합니다. 어디까지나 추측입니다. -- Allen 2007년 2월 7일 (수) 01:07 (KST)
[편집] 조언 고맙습니다 :)
병합하고 잠시 바쁜일 하는사이... 삭제 신청 되어있네요.
고맙습니다. --퇴프 2007년 2월 16일 (금) 00:12 (KST)
[편집]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갑니다.
안녕하세요. 한오백년의 관리자 Ellif입니다. 이번에 Yes0song님의 제안으로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지금까지 한오백년이 어떠한 단체인지에 대한 인식이 없었고,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여러분들과 다시 한 번 한오백년의 정체성과 Manifesto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마련해 보고자 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이 글을 보는 회원 여러분들께서는 1) 어디에서 살고 계시는지와 2) 수도권 지역에서 오프를 한다면 참여가 가능하신지, 3) 모임이 가능한 일자 (19일, 26일 주간, 평일에 한함)등을 답신해 주셨으면 합니다. 또한 아직도 KAIS 정책이 인준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투표를 하시지 않으신 여러분들께서는 여기의 투표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오백년에게 바라는 점이 있으시다면 한오백년 토론이나 정책을 통해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매일 체크하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Ellif 2007년 2월 16일 (금) 01:42 (KST)
p.s 다시 한 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편집] 디제이맥스 포터블 잘못 수정하신듯 합니다.
포터블과 포터블 인터네셔널은 다른 소프트웨어이고, 따라서 서로 다른 내용과 구성을 가지므로 독립된 틀을 사용해 차이를 보여준 것입니다. 합치는편이 오히려 더 이상하지 않을까요? 합치려면 발매일, 이용등급, 시스템사양, 지원언어를 모두 병기해야 합니다. --퇴프 2007년 2월 17일 (토) 01:45 (KST)
- 최근 저도 알았지만, 게임쪽에서는 그런 경우가 허다하더군요. 독립적인 게임으로 볼수없다면 합치는게 좋습니다만, 언어항목이 게임 정보 틀에 없군요. 저도 그런 비슷한 경우가 있어서 줄바꿈 태그를 써서 모두 기입했었습니다. 제가 작성한 것 중에서 예를 들자면,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가 적격이군요. --눈사람 2007년 2월 17일 (토) 02:04 (KST)
-
-
- 그렇죠? 일본어판은 시리즈물일 경우, 같은 문서에 합쳐서 쓰기 때문에(예로 들어드릴수 있는게 아주 많음), 읽기도 힘들고 인터위키를 넣기도 어정쩡하지요. 하지만, 저럴 필요없이 게임의 이름 뒤에 단순히 인터네셔널이 붙고 현지적응화를 거친거 뿐이니까, 일본어판처럼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는게 제 생각이에요. 굳이 다른 언어판을 따라할 필요없어요. 내용이 적든 많든 독자에게 전해져야 것은 바로 이 문서는 이러이러한 것을 담고 있는 문서라고는 한번에 알수 있도록 해야하죠. --눈사람 2007년 2월 17일 (토) 14:10 (KST)
-
[편집] 분류를 만들 때...
고민이 되는 게 분류를 만들 때 과연 어느 쪽에 넣어야 할 지 고민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자면, 소비에트 연방 분류가 그렇습니다. 소비에트 연방이 당시 15개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소비에트 연방 분류에는 이들 공화국 15개가 포함되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소비에트 연방은 한나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15개 공화국 모두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17일 (일) 23:06 (KST)
- 그런거였군요. 왜 그리 복잡하나 싶었더니 무려 역사적으로든 정치적으로든 15개국가와의 연관성 때문이었군요.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된 후에 여러나라로 나뉘였다고 기억하지만, 15개 공화국였던건 처음 알았습니다. 눈사람 2007년 2월 17일 (일) 23:29 (KST)
- 처음 알았다고요? 저는 처음부터 계속 알고 있었습니다. 소련은 15개 공화국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 중 소련에서 독립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3개 국가는 현재 유럽 연합에 가입했고, 나머지 12개 국가들은 독립국가연합에 가입했습니다. 자세한 것은 소비에트 연방, 독립국가연합,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18일 (일) 00:35 (KST)
- 루스님은 역사쪽에 관심이 많으시군요. 전 학교수업이 워낙 느리게 나가는 바람에 거기까지 듣지 못했습니다, 거기다가 공부에 적을 두지 않았던것도 있었구요. 덕분에 여러모로 지식을 쌓게 되는군요. ^^; --눈사람 2007년 2월 18일 (일) 00:39 (KST)
- 네, 제가 관심을 두고 있는 쪽은 구소련, 동유럽, 중앙아시아, 중국, 북한, 일본, 제주도, 아메리카와 관련된 문서들입니다. 그 중에서 동유럽, 구소련, 중앙아시아, 북한쪽에 관심이 있습니다. 역사는 북방 한국사에도 관심이 있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18일 (일) 00:42 (KST)
- 루스님은 역사쪽에 관심이 많으시군요. 전 학교수업이 워낙 느리게 나가는 바람에 거기까지 듣지 못했습니다, 거기다가 공부에 적을 두지 않았던것도 있었구요. 덕분에 여러모로 지식을 쌓게 되는군요. ^^; --눈사람 2007년 2월 18일 (일) 00:39 (KST)
- 처음 알았다고요? 저는 처음부터 계속 알고 있었습니다. 소련은 15개 공화국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 중 소련에서 독립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3개 국가는 현재 유럽 연합에 가입했고, 나머지 12개 국가들은 독립국가연합에 가입했습니다. 자세한 것은 소비에트 연방, 독립국가연합,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18일 (일) 00:35 (KST)
[편집] 테레비도쿄
"テレビ東京"를 회사명으로 쓰고 있습니다. -- ChongDae 2007년 3월 11일 (일) 01:34 (KST)
- 그 회사명은 일본내에서의 회사명입니다. 그 문제에 대해서 예전에 일본 방송국 이름을 얼핏 본 기억이 나길래, 설마해서 검색해보았습니다. 언론에서는 이미 테레비 도쿄는 TV 도쿄로, 테레비 아사히는 TV 아사히 또는 아사히 TV로 부르는것으로 정착되어 있던데요? --눈사람 2007년 3월 11일 (일) 01:48 (KST)
[편집] 곰팡이의 삭제 신청?
[3] 편집만 되돌리면 되는 것 아닌가요? -- ChongDae 2007년 3월 19일 (월) 09:55 (KST)
- 아, 전 삭제 신청을 넣을때, 문서가 장난으로 만들어진 거라 생각하고 신청을 넣었던 겁니다. 이제보니 편집만 되돌리면 되는군요. --눈사람 2007년 3월 19일 (월) 11:53 (KST)
[편집] 국가명 약자틀의 넘겨주기.
ISO 약자와 IOC 약자가 다른 경우에 념거주기를 만들어놓은 겁니다. -- ChongDae 2007년 3월 24일 (토) 12:59 (KST)
- 음 그렇군요. 알겠습니다. --눈사람 2007년 3월 24일 (토) 13:07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