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P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는 영상 저작권 보호 기술의 하나다.

[편집] 개요

최신의 디지털AV 기기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가 탑재되어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지만, HDMI는 원래 PC와 디스플레이를 접속하기 위한 표준 규격으로서 넓게 채용된 DVI(Digital Visual Interface)를 기초로 하고 있다. DVI는 광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충분히 여유가 있는 전송 속도도 확보 할 수 있으며 HDTV 시대라고도 말할 수 있는 오늘의 AV 세계를 지탱하는 중요한 규격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때까지도 HD신호의 전송용으로서 D단자가 있었지만, 전송 할 수 있는 것은 영상 신호 뿐이고 음성은 별도 케이블이 필요했다. 게다가, 아날로그 전송이므로 화질이나 음질이 케이블의 질 등에 좌우될 가능성도 있었다. HDMI는 1개의 케이블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2004년 5월에는 DVD오디오의 전송이 가능한 Ver.1.1이, 2005년 8월에는 SACD의 전송이 가능한 Ver.1.2가, 같은 해 12월에는 Ver.1.2a로 발전했다. 이와 같이 많이 가능성이 있는 규격이지만 선명한 정보가 디지털인 채 전송 할 수 있게 되면 저작권 보호의 관점에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는 이러한 상황에서 탄생했다. HDCP는 영상 재생 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등의 표시 기기에 디지탈 신호를 송수신 하는 경로를 암호화해 컨텐츠가 부정하게 카피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작권 보호 기술 중 하나다.

각사의 DVI나 HDMI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암호화에 이용되고 있지만, 아날로그 신호의 경우 디지털 신호와 같은 암호화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작권 보호 장치의 제거도 용이하다고 추측된다. 그러므로, BD나 HD DVD, AACS 등의 새로운 기술로, HD 신호의 출력을 제한하려고 했다. 구체적으로는 소프트에 있는 영상을 HD화질로 보기 위해서는 HDMI 단자의 HDCP를 필수로 하고, D-Sub 등의 아날로그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강제적으로 하향 변환해 출력하는 것. 만약 저작권 보호 장치의 제거에 의해 해적판 등이 만들어진다고 해도 그 화질은 종래의 SD화질이며, HD는 될 수 없다.

저작권 보호의 관점에서 획기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지만, 1990년대 까지 발매된 아날로그 HDTV나 구식의 프로젝터 등에는, HDMI 단자가 탑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기기에서는 HDTV 대응인 것에도 불구하고, HD의 고정밀 영상으로 즐길 수 없는 것이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AV 팬에게서는 반발의 소리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