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역사
한국의 선사 시대
현대사
군정기
·

동예(東濊)는 기원전 3세기 이전 ~ 3세기경에 한반도 동해안 일대에 자리잡았던 한민족의 초기 고대국가의 하나이다. (濊)라고 불리웠으나, 만주 지방의 예와 구별하기 위해 통상 '동예'로 부른다.

목차

[편집] 위치

강원도 북부의 동해안을 중심으로 하였는데, 토지가 비옥하고 해산물이 풍부하여 농경, 어로 등 경제 생활이 윤택했다. 산과 하천을 경계로 읍락이 구분되어 각 읍락을 삼로(三老)가 통치했다. 《삼국지》「동이전」에 2만 호의 인구가 기록되어 있다.

[편집] 문화

공열(孔列)토기로 대표되는 무문토기문화이다. 언어는 고구려와 유사했다고 한다. 중기 이후로는 고구려의 압력을 받아 크게 성장하지 못하였다.

[편집] 특산물

  • 단궁(檀弓)
  • 과하마(果下馬) - 나무 밑을 지나갈 수 있는 키 3척의 말
  • 반어피(班魚皮) - 이병도는 바다표범의 가죽이라고 하였다.
  • 명주(비단)와 삼베 - 방직 기술이 발달

[편집] 풍습

  • 무천(舞天) - 매년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 족외혼(族外婚)을 엄격하게 지켰다.
  • 책화 - 다른 부족의 생활권을 침범하면 노비와 소, 말로 변상하였다.
  • 별점 - 새벽에 별자리를 관찰하여 그 해의 풍흉을 점쳤다.

[편집] 기타 의견

윤내현 교수는 예(濊)는 원래 고조선의 제후국으로 요서지방의 난하 유역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위만조선이 멸망한 후 낙랑군을 피하여 동으로 이동하여 강원도 일대에 정착했다고 보고 있다.[출처 필요]

[편집] 참고문헌 및 링크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