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P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QRP 운영(-運用)은 아마추어 무선에서 저출력으로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목차

[편집] 용어의 정의

[편집] Q 부호

QRP는 Q 부호 중의 하나인데, 무전기 상에서 "QRP?" 라고 물으면 "송신출력을 좀 줄여주시겠어요?" 라는 의미이다.

QRP의 반대 용어는 QRO이다. 고출력 운영을 의미한다.

[편집] 출력

QRP 운영이 정확히 몇 와트의 출력을 의미하는지는 아직 합의된 적이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CW; AM; FM; 데이타 통신 모드에서 송신 출력은 5와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SSB 모드에서는 최대 출력이 얼마인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일부는 10와트 PEP를 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5와트를 넘어서는 안된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QRPer는 5 와트를 넘지 않는 송신출력으로 무전기를 운영하는 이들을 의미하는 용어로 쓰인다. QRPer들만을 위한 어워드, 컨테스트, 클럽, 컨벤션이 존재한다.

[편집] QRPp

때때로 어떤 QRPer들은 100 밀리와트 정도의 송신출력으로 무선국을 운영한다. 극히 저출력인 1와트 이하의 송신출력 운영을 애호가들은 QRPp라고 부른다.

[편집] 장비

무전기 제조사에서 시판하는 무전기들도 QRP 운영이 가능하지만, 일부 QRPer들은 자신만의 무전기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것을 선호한다. 즉, 시판되는 고출력 무전기들도 모두 QRP 운용이 가능하다. 송신출력을 5와트로 줄이기만 하면 된다.

대부분의 아마추어 무선국은 50와트에서 120와트의 송신출력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사항은 아니다.

무전기의 송신출력이 크면, 전자파 방해를 일으켜서, 주변의 텔레비전, 라디오, 전화기 등의 사용을 방해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아마추어 무선사는 통신에 반드시 필요한 정도인, 최소한의 출력을 사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FCC Part 97 rule)

QRP용 무전기는 1960년대 후반부터 시장에 상품이 나오기 시작했다.

1969년에, 미국 제조사인 Ten-Tec에서, Powermite-1 (PM-1)을 시판하기 시작했다. 이 무전기는 Ten-Tec의 첫 트랜시이버 중의 하나이다. (MR-1도 출시되었는데, 같은 모델의 무전기이다. 단지 조립되지 않은 키트 형식의 제품이다.)

QRP는 최근에 더 인기를 얻었다. 무전기 회사들은 QRP 애호가들을 위한 모델들을 출시했다. 인기있는 모델은 [Elecraft K2, Yaesu FT-817, Icom IC-703, TenTec의 Argonaut V가 있다.

HFPack 애호가들은 QRP 무전기와 휩 안테나를 배낭에 넣고 다니면서 이동중에 무선교신을 한다.

[편집] 운용 모드

QRP는 특히 모르스 부호(CW) 운영에서 인기가 있다. 요즘엔 디지탈 모드인 PSK31 모드도 유명하다.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