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정찰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이시온 호커 800
레이시온 호커 800
레이시온 호커 800
레이시온 호커 800
호커 800SP
호커 800SP
영국 공군의 Hawker Siddeley Dominie
영국 공군의 Hawker Siddeley Dominie

금강/백두 정찰기는 대한민국 육군 정보사령부에서 운용중이 정찰기를 말한다. 금강산까지 정찰이 가능하다고 하여 금강정찰기로 불린다. 해상도 30cm급 합성개구레이더(SAR)를 장비하고 있으며, 휴전선 이북 100킬로미터 지역까지 정찰이 가능하여, 한국은 대북첩보의 40%를 자체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성남 공항에서 운용중이다.[1]

목차

[편집] 사업 경과

1991년부터 「백두 금강사업」이란 암호명으로 비밀리에 추진되었다.

정보사령부는 미군 U2 정찰기와 한국군 금강 정찰기 등이 촬영한 정보를 항공사진 전송체계장비(KCITS)를 통해 감청부대인 5679부대에 제공한다.

「금강」이란 이름의 영상레이더 체계(LAIRSⅡ)는 평양 이남의 지상에 있는 축구공 크기의 물체까지도 식별, 이 레이더영상자료를 한국군의 중앙처리장비와 육군 1군 및 3군의 이동처리장비에 전송해 이를 처리하는 영상장비다.

이들 장비를 탑재해 고도 11㎞의 상공을 비행하며 첩보임무를 수행할 정찰기 호크800XP 정찰기는 미국의 기존 U2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분계선(MDL)남쪽 40∼50㎞ 지역의 상공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이 정찰기는 체공시간이 5시간(항속거리 4천7백㎞). 따라서 24시간 정찰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5교대 임무가 필요하다. 정찰기가 최소 5대 필요하다는 얘기다. 국방부가 이 정찰기를 10여대 구입키로 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당국자는 설명했다.

이들 장비는 이제부터 생산에 들어가 3년후에 제작되며 이 기간 중 한국군 요원이 운영훈련을 받게 된다. 「금강」에는 60여명이, 「백두」에는 36명이 각각 미국에서 훈련을 받는다. 처음 2년동안은 미국측이 기술지원을 한다.[2]

1996년 3월 공개입찰에서 미국의 로랠사가 2억7,000만달러를 제시, 선정됐으며 2001년에 전력화되었다. 당시 입찰에 참여한 캐나다의 맥도널드 뎃윌러사는 2억2,000만달러를 제시했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백두·금강사업에서 장비를 모두 미국에서 사들이기로 결정한 것은 미국정부가 유일하게 보증을 해주는 대외군사판매(FMS)조건인데다 한미연합정보를 고려한 것이었다”고 말했다.[3]

[편집] 운용국가

[편집] 민간용

[편집] 군용

[편집] 파생형

  • DH.125 Series 1 - 첫 생산 버전, 8대 제작
  • DH.125 Series 1A/1B - upgraded Bristol Siddeley Viper 521 (Series 1A) or 522 (Series 1B) engines with 3,090 lbf (13.8 kN) of thrust each
  • HS.125 Series 2 - 군사용
    • Dominie T.Mk.1, T.Mk.2 - navigation trainer for Royal Air Force
    • CC.Mk.1, Mk.2, and Mk.3 - liaison aircraft for Royal Air Force
  • HS.125 Series 3 - 엔진 업그레이드
  • HS.125 Series 400 - 엔진 업그레이드
  • HS.125 Series 600 - 3 ft 1 in (0.94 m) fuselage stretch to increase capacity to 14 passengers
  • HS.125 Series 700 - 각각 3,720 lbf (16.6 kN)의 추력을 발생하는 Honeywell TFE731-3RH 터보팬 엔진을 장착함. 1976년 6월 19일 초도비행
  • HS.125 Protector - 700 시리즈에 기반한 해상 탐색 레이더와 카메라를 장착한 해상 초계기
  • BAe.125 Series 800 - 날개폭이 늘어났다. streamlined nose, tail fin extension, 연료량을 늘림, EFIS 조종석을 처음으로 채택했다. 엔진이 업그레이드 되었다. 1983년 5월 26일에 초도비행함.
  • Hawker 800 - BAe.125-800 after 1993
  • Hawker 800XP - 각각 4,660 lbf (20.8 kN)의 추력을 내는 TFE731-5BR1H 터보팬 엔진 장착
  • Hawker 800SP and 800XP2 - New designation for 800A/B and 800XP aircraft when upgraded with aftermarket winglets
  • C-29A - 미국 공군에서 사용된 800 시리즈의 제식번호. 록히드 C-140A를 대체한 기종이다. 첫번째 걸프전에서 사막의 방패 작전과 사막의 폭풍 작전에 사용되었다.
  • U-125 - 800 시리즈에 기반한, 일본 수출형. 탐색 구조에 쓰임
  • BAe.125 Series 1000 - 800 시리즈의 대륙간 횡단 버전, 2 ft 9 in (0.84 m) fuselage stretch to increase capacity to 15, increased fuel capacity, Pratt & Whitney Canada PW-305 turbofans with 5,200 lbf (23.2 kN) thrust each, first flight 16 June 1990, 52 built
  • Hawker 1000 - BAe.125-1000 after 1993

[편집] 제원 (호커 800XP)

  • 비행시간: 5 시간
  • 순항속도: 466 kt (536 mph) 863 kph
  • 운용고도: 41,000 ft 12,496 m
  • 순항거리: 2,615 nm (3,007 m) 4,843 km
  • 엔진: AlliedSignal TFE 731-5BR 4,660 lb
  • 기본 작전 중량(Std. BEW plus required crew at 200 lb): 16,100 lb 7,303 kg
  • 탑재중량: 12,020 lb 5,452 kg
  • 날개폭: 51.4 ft 15.67 m
  • 길이: 51.1 ft 15.58 m
  • 높이: 17.4 ft 5.30 m
  • 객실길이: 256 in 650 cm
  • 객실폭: 72 in 183 cm
  • 객실높이: 69 in 175 cm
  • SAR 해상도: 30cm

[편집] 제원 (호커 850XP)

일반 특성

  • 승무원: 2
  • 용량: 8
  • 길이: 51 ft 2 in (15.6 m)
  • 날개폭: 54 ft 4 in (16.6 m)
  • 높이: 18 ft 1 in (5.5 m)
  • 윙 면적: ft² (m²)
  • 공중량: 15,670 lb (7,110 kg)
  • 유효탑재량: 11,790 lb (5,350 kg)
  • 최대이륙중량: 28,000 lb (12,700 kg)
  • 엔진: 2× Honeywell TFE731-5BR turbofans, 4,660 lbf (20.8 kN) each

성능

  • 최대속도: 514 mph (446 knots, 830 km/h)
  • 순항속도: 463 mph (402 knots, 745 km/h)
  • 항속거리: 2,522 mi (2,191 nm, 4,059 km)
  • 최대고도: 41,000 ft (12,500 m)
  • 상승률: 1,950 ft/min (9.9 m/s)

[편집] 비판

3개월 동안 실시된 27회 시험 비행 중 항법장비 문제로 비행이 4번 중단했고, 레이더 수집체계(RDCS)ㆍ레이더처리체계(RDRS) 결함과 영상정보 수집체계와 지상기지를 연결하는 데이터 링크 결함이 각각 8회 확인됐다.

이와 함께 정찰기의 임무비행 시간이 5시간 이상이 되어야 하지만 시험비행중 평균 임무비행시간은 2시간15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4]

이번에 드러난 금강사업의 문제점은 장비 인수 전에 받도록 돼 있는 최종 단계(국내수락시험)까지 통과된 뒤에 갖가지 결함이 드러났다. 국방부에선 2003년 2월까지로 돼 있는 하자보증기간 중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주장비와 함께 도입됐어야 할 동시조달수리부속(CPS)에 대한 계약이 국내수락시험이 끝난 뒤에야 체결됐다는 사실도 납득하기 어렵다.[5]

[편집] 주석과 참고자료

  1. <정밀 추적> 눈치보는 군 수뇌부 겨냥한 한철용의 ‘쿠테타’, 신동아, 2002-11-01
  2. 북 「음성신호」 모두 듣는다/최첨단 정보무기 성능 어떤가, 동아일보, 1996-06-29
  3. 금강사업이란? , 한국일보, 2000-05-06
  4. <국감자료> 對北 정보戰力 증강사업 구멍, 한국일보, 2001-09-10
  5. <사설> 날지도 못하는 정찰기, 동아일보, 2001-09-11

[편집] 외부링크

[편집] 관련 항목

관련된 개발

  • 레이시온 호커 400XP
  • 레이시온 호커 4000

비교가능한 비행기

  • Bombardier Challenger
  • Cessna Citation
  • Dassault Falcon
  • Learjet 25

제식번호 순서별

  • DH/HS/BAe:
    • DH.110 - DH.112 - HS121 - BAe 125 - BAe 146
  • US Military:
    • C-26 - C-27 - C-28 - C-29 - C-30 - C-31 - C-32

관련된 목록

  • 영국의 군용기 목록
  • 영국 공군의 비행기 목록
  • 여객기 목록
  • 미국의 군용기 목록

 


항공에 관한 목록들

비행기 | 비행기 제조업체 | 비행기 엔진 | 비행기 엔진 제조업체

공항 | 항공사 | 공군 | 항공무기 | 미사일 | 항공 연대표


대한민국 공군 장비

수송기
C-130
CN-235



전투기
F-15K
F-16
KF-16
F-4
F-5

정찰기
금강정찰기
백두정찰기
EO-X
RF-4
KO-1

UAV
비조
서처 II
하피


훈련기
T-50 골든이글
T-37
T-38
T-41
T-57

공격기
A-50
A-37



공대공미사일
사이드와인더
암람



공대지미사일
하푼
슬램ER
팝아이
메버릭

폭탄
JDAM




방공무기
나이키
호크




레이시온
현재 생산품

AGM-129 ACM | JSOW | 메버릭 | | 암람 | 피닉스 | 사이드와인더 | ALE-50 견인식 디코이 시스템 | ALR-67 레이더 경보 수신기 | AN/ASQ-228 ATFLIR | AN/TPQ-36 대포병 레이더 | AN/TPQ-37 대포병 레이더 | APG-63 및 APG-70 레이더 | APG-65, APG-73, 및 APG-79 레이더 | APQ-181 레이더 | AQM-37 제이호크 | ASARS-2 | AWG-9 레이더 | APG-71 레이더 | 토마호크 |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 | 비치크래프트 1900 | 비치크래프트 베이런 | 비치크래프트 보난자 | 비치크래프트 킹에어 | 비치크래프트 모델99 | 재블린 | FIM-92 스팅어 | GMD | 패트리어트 | MIM-23 호크 | MPQ-64 센티넬 | 마크48 어뢰 | PAVE PAWS | 페이브웨이 | 페이브위에 IV | 팔랑스 CIWS | RAYDAC | RIM-116 램 | 레이시온 호커 4000 | 레이시온 호커 400XP | 레이시온 호커 800 | 레이시온 센티넬 | 함사용 X밴드 레이더 | SLQ-32 Electronic Warfare Suite | SQQ-32 Mine-hunting sonar | 스탠다드 | T-1 제이호크 | T-6 텍산2

회사정보

웹사이트 | 연간 매출액: $000 billion USD (FY2004) | 종업원수: 000명 | 종목명칭: NYSE: R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