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은중경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교 卍

불교

기본 교의
불교의 삼보 : 법보 불보 승보
삼과설 연기설 법인설
사제설(팔정도)
주요 대승경전
반야경 화엄경 금강경 법망경 유마경
법화경
주요 소승경전
아함경 법구경
유명한 인물
석가모니 십대제자 조사 달마 원효
불교의 분류
사상: 소승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시대: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지역: 남방불교 북방불교
한국의 불교 종단
조계종 천태종 태고종
관음종 원효종 진각종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은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으로도 불리는 불경으로, 부모의 은혜의 높고 넓음을 가르치고, 이에 보답할 것을 가르치고 있다. 출가하여 깨달음을 얻으라는 불교의 가르침이 중국을 거쳐 전래되면서 유교적 효를 배척하지 않고, 불교적인 효도를 설한 경전이다. 한국, 중국, 일본에 널리 퍼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유교가 성행하던 조선 시대에 널리 읽혀졌으며, 삽화를 곁들인 언해본 출판도 성행했다.

부처님께서 길을 가시다가 한 무더기의 뼈를 보고 절을 하시는 장면으로부터 시작되어, 어머니가 자식을 잉태하는 10개월 동안의 태아의 상태를 생태학적으로 설명하고, 부모의 10대 은혜, 은혜를 저버리는 불효한 행동, 부모님의 은혜 갚기의 어려움, 불효한 자의 과보, 은혜를 갚는 길을 설명하고 있다. 주로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은혜를 강조하고 있다. 유교의 효경은 효도를 강조하지만, 부모은중경은 은혜를 강조한다.

[편집] 같이 보기

위키자료집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부모은중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