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저항기 (抵抗器)는 저항성질을 띄는 회로 소자이다(일반적으로 저항기라는 용어 보다는 저항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저항기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종류를 나누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나누는 방법은 저항기가 소모할수 있는 최대 전력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저항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 = V \times I = \frac {V^2}{I} = I^2 \times R

P = 저항기에서 소모되는 전력
V = 저항기 양단에 걸린 전압
I = 저항기를 통해 흐르는 전류
R = 저항기의 저항

저항기에 따라 최대 허용전력이 다른 이유는, 저항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열 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이 열 에너지 때문에 저항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저항기의 허용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저항기가 타버리게 된다.

[편집] 저항값 읽는 법

저항기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으로 저항값을 표시하는데, 이 중 색 띠 4개를 저항 위에 그려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저항값을 읽는 방법을 살펴보자.(정밀저항의 경우에는 색 띠 5개로 표시하고, 칩저항의 경우에는 저항에 바로 숫자를 써 놓는다) 첫째 띠와 둘째 띠는 두자리 저항값 숫자를 나타내고 셋째 띠와 네째 띠는 저항값의 단위를 결정한다. 네번째 띠는 오차범위를 나타낸다. 각 색에 따른 숫자는 다음의 표에서 읽을 수 있다.

표준 EIA 색 코드 표. EIA-RS-279에 의함.

첫번째 띠 두번째 띠 세번째 띠 (단위) 4번째 띠 (오차) 열계수
검정 0 0 ×100    
갈색 1 1 ×101 ±1% (F) 100 ppm
빨강색 2 2 ×102 ±2% (G) 50 ppm
주황색 3 3 ×103   15 ppm
노랑색 4 4 ×104   25 ppm
초록색 5 5 ×105 ±0.5% (D)  
파랑색 6 6 ×106 ±0.25% (C)  
보라색 7 7 ×107 ±0.1% (B)  
회색 8 8 ×108 ±0.05% (A)  
흰색 9 9 ×109    
금색     ×0.1 ±5% (J)  
은색     ×0.01 ±10% (K)  
없음       ±20% (M)  

앞뒤를 구별하기 위하여, 오차는 금색, 은색, 무색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면 파랑색 회색 갈색 은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저항은, 저항값 680 옴에 오차 10퍼센트 내외라는 것을 뜻한다.


이 문서는 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