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르크멘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투르크멘어
Türkmen dili
쓰는 나라들 투르크메니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 터키(아시아쪽), 러시아, 이라크, 중국
언어 인구 600만여명
언어의 계통 알타이어족(논란 있음)
 투르크어족
  남투르크어군
   투르크멘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투르크메니스탄
언어 부호
ISO 639-1 tk
ISO 639-2: tuk
ISO/DIS 639-3: tuk

투르크멘어터키어·아제르바이잔어와 더불어 투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목차

[편집] 사용국가

투르크메니스탄(공용어), 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카자흐스탄러시아스타브로폴지방과 이란의 고르간(카스피해 남동안) 부근 및 호라산주 북동부와 아프가니스탄 북부에서 주로 쓰인다. 또 터키·시리아·이라크·중국에도 사용자가 다소 있다.

[편집] 방언

방언은 테케·요무드·에르살·사르크·사르르(또는 사라르)·쿄크렝, 노후르·아나우·에스키·스루흐·아라바추·크라치·찬두르·무쿠르·하타프·바야트·체게스 등으로 나뉜다.

언어상의 차이가 비교적 적으나, 스타브로폴방언은 노가이어와의 접촉으로 상당히 변형되었다.

[편집] 표준어

현재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쓰는 문어는 전자, 특히 요무드 방언에 토대를 두고 있다.

[편집] 문자

표기는 구소련권에서는 아랍 문자를 사용하다가 1940년부터 키릴 문자를 기본으로 하는 정서법을 쓰고 있다. 현재는 라틴 문자(로마자)를 쓰고 있다. 하지만 구소련밖에서는 지금도 아랍 문자를 쓰고 있다.

[편집] 문법

터키어·아제르바이잔어와 공통되는 특징이 많다. 오구스어군에서는 유일하게 장모음과 단모음이 음운론적으로 대립한다.

[편집] 바깥 고리

위키백과
투르크멘어 위키백과
서부투르크어
불가르조어(오구르어파) 불가르어* | 추바시어 | 하자르어*
차카타이어파 아이니어 | 차카타이어* | 일리 투르크어 | 로프어 | 위구르어 | 우즈베크어
킵차크어파 바라바어 | 바시키르어 | 크림 타타르어 | 쿠만어* | 발카르어 | 카라임어 | 카라칼파크어 | 카자흐어 | 킵차크어* | 크림착어 | 쿠미크어 | 노가이어 | 타타르어 | 우룸어
오구즈어파 아프샤르어 | 아제르바이잔어 | 크림 타타르어 | 가가우스어 | 호라산 터키어 | 오스만 터키어* | 페체네그어* | 카슈카이어 | 살라르어 | 터키어 | 투르크멘어 | 우룸어
동부투르크어
칼라지어파 칼라지어
북서투르크어파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북동투르크어파 출림어 | 돌간어 | 푸위 기르기스어 | 하카스어 | 북부 알타이어 | 쇼르어 | 토파어 | 투바어 | 서부위구르어 | 야쿠트어
* 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