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집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발자 | 이스트소프트 |
---|---|
최근 버전 | 6.7 / 2006년 12월 7일 |
운영체제 | 윈도 98, ME, NT, 2000, XP, Vista |
환경 | x86, x64 |
종류 | 압축 소프트웨어 |
라이선스 | 개인 사용자에게 공개, 기업, 기관, 피씨방용 라이선스 |
알툴스 |
알집은 이스트소프트에서 개발하는 압축 소프트웨어로, ZIP, RAR, ACE, ALZ 등을 비롯해 35종류의 압축 파일 포맷을 지원한다. 대한민국에서 지배적인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자체 파일 포맷과 같은 몇 가지 부분에서 논쟁을 안고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알집은 1999년에 민영환 이스트소프트 이사가 사내용으로 만든 압축 소프트웨어였다. 당시 널리 쓰이던 WinZip이 한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아 한국어 사용자에게 불편하다는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만들었으나, 좋은 평가를 받아 이후 일반 자료실에 공개되면서 이스트소프트의 대표 소프트웨어가 되었다. 알집에 포함된 이스터 에그에 따르면, 알집이라는 이름을 쓰기 전에는 ‘똥집’이나 ‘한집’이라는 이름을 쓰려 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프리웨어로 배포되었으나, 2001년 10월부터 기관 사용자는 라이선스를 구입해야 사용할 수 있도록 바뀌었고 2002년 4월에는 기업 사용자도 라이선스를 구입해야 하도록 바뀌었다. 이 때문에 알집 대신 다른 공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기업들도 있다.
알집이 성공하면서 이스트소프트는 이미지 뷰어, 미디어 재생기 등 여러가지 기능을 갖고 있는 소프트웨어들을 개발하였고 이를 알툴즈라는 이름으로 통합하여 현재까지 유지 개발하고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이름이 ‘알-’로 시작하고, 알 모양의 마스코트를 사용하고 있다.
[편집] 이스터 에그
알집은 두 종류의 이스터 에그로 잘 알려져 있다.
하나는 알집의 버전 정보 등을 보여주는 ‘알집은...’ 메뉴의 내용으로 알집의 개발 과정과 라이선스 전환 등의 주요한 사건을 익살스럽게 기술한 것이다. 여기에는 민영환 이사가 채팅을 하다가 자신이 알집을 만들었다고 했으나 모두 거짓말로 생각했다는 일화나, 알집의 라이선스 변경, ALZ 포맷의 추가 등에 대한 내용이 들어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새’로 끝나지 않는 새들의 이름으로 폴더를 만들어 주는 ‘새 폴더’ 기능으로, 한국어에서 조류와 새로움을 뜻하는 말이 같다는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위트이다.
[편집] 논란
알집은 많이 사용되면서도 다양한 이유로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 중 대표적인 논란으로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편집] 안정성과 버그
과거 알집이 시스템 레지스트리를 과도하게 변경하고, 상당한 버그가 존재하며 개중에는 황당한 수준의 버그도 있다는 주장이 계속 있었다. 예를 들어, 알집은 한때 압축 파일의 CRC를 전혀 확인하지 않아서 손상된 압축 파일을 그대로 풀 수 있게 되어 있었다. 현재는 버전업을 통하여 과거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편집] ALZ 파일 포맷
[편집] 배경
ALZ는 알집이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압축 포맷이다. 알집은 초기에 ZIP과 같은 공개된 압축 포맷만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당시 에는 ZIP 포맷이 공식적으로 분할 압축을 지원하지 않아 압축 프로그램 개발사마다 ARJ, RAR과 같은 분할 압축 포맷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또한 무료로 공개된 압축 포맷 중에는 분할 압축을 지원하는 포맷이 없었고, 내부 파일 크기를 4바이트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2GB가 넘는 파일을 다루는 것도 불가능하였다.
이에 이스트 소프트는 파일의 크기를 최대 8바이트로 표현하여 다룰 수 있는 파일 크기의 한계를 확장하고 분할 압축을 지원하는 ALZ라는 자체 포맷을 개발하여 알집 4.9부터 기본 압축 포맷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압축 파일의 확장자는 .alz이고 분할 압축된 경우 .ALZ, .A00, .A01... 과 같이 만들어진다.
[편집] ALZ 포맷의 특징
ALZ 포맷은 ZIP 포맷과 매우 유사하지만, ZIP 포맷에서 각종 OS를 지원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필드를 다수 제거하였고 파일 이름을 표현하기 위한 인코딩 방식 중 UTF-8이나 UCS2를 지원하지 않는다. ALZ 포맷은 파일 크기를 나타내는 필드의 크기를 1바이트에서 8바이트까지 가변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2GB보다 큰 파일을 압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분할 압축도 지원한다.
ALZ 포맷은 자체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는다. 처음 ALZ 포맷을 선보인 알집 4.9는 BZIP2를 변형한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5.0부터는 DEFLATE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편집] ALZ 포맷의 독점성 논란
ALZ 포맷이 처음 소개된 알집 4.9가 발표된 2001년은 여러 국산 압축 프로그램이 경쟁하던 시기였다.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았던 알집이 자체 압축 포맷인 ALZ 포맷을 사용하기 시작하고, 경쟁사들이 이를 지원하지 못하게 되자 다른 압축 프로그램들은 경쟁에서 탈락하였다. 특히 ALZ 포맷이 사용한 변형된 BZIP2 압축 알고리즘은 원래 BZIP2 알고리즘에서 일부 비트를 제거하였기 때문에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하지 않는 이상 원래의 알고리즘을 분석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이스트 소프트가 ALZ 포맷을 독점화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압축 포맷을 변형하였다는 의심을 받았다. 알집 5.0부터는 DEFLATE 알고리즘을 그대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압축 포맷을 쉽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스트 소프트가 압축 포맷이나 알고리즘을 공개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ALZ 포맷의 압축을 풀기 위한 라이브러리 파일을 제공하였다면 독점에 관한 의혹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현재 각종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압축 포맷(ZIP,RAR,ARJ,LZH,ACE,CAB,7Z 등)중개발사가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소스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지 않는 포맷은 ALZ 포맷이 유일하다.
[편집] ALZ 포맷에서 사용된 BZIP2/DEFLATE 알고리즘의 라이선스 위반 여부
흔히 ALZ포맷은 압축 알고리즘을 훔쳐 썼다거나 라이선스를 위반하였다는 비판을 받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BZIP2 (BSD 라이센스)와 DEFLATE (zlib 라이센스) 알고리즘은 공개되어 있고 수정할 수 있으므로 라이선스를 위반한 것이 아니다.
[편집] ALZ 포맷의 리버스 엔지니어링
ALZ 포맷은 빵집의 개발자인 양병규씨가 빵집을 공개하면서 처음으로 알집 이외의 프로그램에서 압축을 해제할 수 있게 되었다. 알집 5.0에서 사용된 ALZ 포맷은 공개된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어 비교적 분석하기 쉬웠지만, 4.9에서 사용된 포맷은 양병규씨가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변형된 BZIP2 알고리즘이라는 것을 밝혀냈다.[1] 양병규씨는 자신이 작성한 ALZ 압축 해제 라이브러리를 판매하였지만 소스를 공개하지는 않았고, 이와 관련하여 밤톨이 사건이 발생하게 되었다.[2]
ALZ 포맷의 압축 해제 라이브러리는 트집이 발표되면서 zilb 라이센스로 공개되었다. 트집은 ALZ 포맷 파일을 풀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여기서 개발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BSD/리눅스/OS X 등의 콘솔에서 사용이 가능한 UNALZ도 개발되어 공개되었다. 이후, 이 소스를 토대로 ALZ 포맷 파일을 압축 해제하는 토탈 커맨더 플러그인이나 ALZ 포맷 파일을 ZIP 포맷으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편집] 참고 자료
[편집] 바깥 고리
![]() |
이 문서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