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왕성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왕성 천문 기호 (옛날 천문 기호)
천왕성
발견
발견자 윌리엄 허셜
날짜 1781년 3월 13일
궤도 특성 (원기 J2000)
반지름 2,870,972,220 km
19.191 263 93 AU
궤도 둘레 18.029 Tm
120.515 AU
이심률 0.047 167 71
근일점 2,735,555,035 km
18.286 055 96 AU
원일점 3,006,389,405 km
20.096 471 90 AU
공전 주기 30,707.4896 d
(84.07 a)
회합 주기 369.65 d
평균 공전 속도 6.795 km/s
최대 공전 속도 7.128 km/s
최소 공전 속도 6.486 km/s
궤도 경사 0.769 86°
(태양의 적도와는 6.48°)
승교점 경도 74.229 88°
근일점 인수 96.734 36°
위성 27개
물리적 성질
적도 지름 51,118 km
(지구의 4.007배)
극 지름 49,946 km
(지구의 3.929배)
편평도 0.0229
표면적 8.084×109km2
(지구의 15.849배)
부피 6.834×1013 km3
(지구의 63.086배)
질량 8.6832×1025 kg
(지구의 14.536배)
평균 밀도 1.318 g/cm3
적도 중력 8.69 m/s2
(0.886 g)
탈출 속도 21.29 km/s
자전 주기 −0.718 333 333 d
(17 h 14 min 24.000 00 s) 1
자전 속도 2.59 km/s = 9320 km/h
(적도 기준)
자전축 기울기 97.77°
북극점 적경 77.31° (5 h 9 min 15 s)
북극점 적위 +15.175°
반사율 0.51
구름 위의 온도 55 K
표면 온도
최소 평균 최대
59 K 68 K N/A K
대기 성질
대기압 120 kPa (구름 상단)
수소 83%
헬륨 15%
메탄 1.99%
암모니아 0.01%
에탄 0.00025%
아세틸렌 0.00001%
일산화 탄소
황화 수소
trace

천왕성(天王星, Uranus)은 태양계의 일곱번째 행성이다. 목성형 행성이며,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크고, 질량으로는 네 번째인 행성이다. 영어 이름 "Uranus"는 그리스의 신 우라노스에서 따온 것이다.

천왕성은 근대에 발견된 첫번째 행성이다. 1781년 3월 13일 허셜이 처음 발견했다. 천왕성은 맨눈이 아닌 기술(망원경)을 통해 발견한 첫번째 행성이기도 하다.

[편집] 탐사

미국항공우주국보이저 2호만이 천왕성을 탐사해보았으며, 다른 탐사 계획 역시 없는 상태이다. 1977년 발사된 보이저 2호는 1986년 1월 26일 천왕성에 최대로 근접하였다.

[편집] 위성

천왕성의 위성은 현재까지 27개가 발견되었다. 중요한 5개의 위성으로는 미란다, 아리엘, 움브리엘, 티타니아, 오베론를 들 수 있다.

태양계
그림:Eight Planets.png
행성: 수성 - 금성 - 지구 - 화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
왜행성: 세레스 - 명왕성 - 에리스
기타: 태양 - 위성 - 유성체 - 소행성(소행성대) - 혜성 - 카이퍼 대 - 산란 분포대 - 오르트 구름
참조: 태양계 천체 목록(반지름순, 질량순)
이 문서는 천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