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ChongDae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편집] 천문학 분류의 식현상에 대하여

분류:식현상이라는 이름은 억지 인것 같습니다. 동음이의 처리 규정에 따라 식(천문)으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수정 부탁드립니다. 식이라는 단어 자체에 '어떤 천체가 다른 천체의 그늘에 들어가거나, 뒤로 가려지는 현상.'이라는 뜻이 들어간 이상 중의적인 표현이 되어 부적절하다고 봅니다.--이강철 2007년 1월 1일 (화) 18:34 (KST)

"분류:식 (천문)", "분류:천문 현상"으로 옮겨주시기겠습니까? 부탁드립니다.--이강철 2007년 1월 28일 (월) 19:56 (KST)

[편집] Username change

Hi ChongDae, I am Ryulong of the English Wikipedia. A few weeks ago, I registered accounts at all Wikipedia projects, but my name here was taken already by a user who I was involved with banning at the English Wikipedia, and I had to register with this name, Ryulong-en. When I first discovered that the user had taken my name, I visited the IRC channel and klutzy was able to block the user. However, I would like to regain the username Ryulong for use at the Korean Wikipedia. Could you assist me with this? If you need to confirm, you can ask either stewards or contact me by e-mail. Thank you. Ryulong 2007년 1월 5일 (금) 07:49 (KST)

ChongDae, I am a steward and can confirm that this is the same user. Please usurp the account name Ryulong for him. Bastique 2007년 1월 5일 (금) 07:51 (KST)
Done. -- ChongDae 2007년 1월 5일 (금) 10:00 (KST)

[편집] 테크노라티

안녕하세요. 봇이 한국어 링크를 영어판 문서에만 달았던데, 무슨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지요? -- 파란로봇군 2007년 1월 5일 (금) 13:34 (KST)

전부 다 달면 시간이 꽤 걸리는 경우가 많아, 보통은 한국어와 영어에만 달도록 동작시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5일 (금) 14:07 (KST)

[편집] 그림토론:Himiko.png

그림토론:Himiko.png에 올린 글처럼 Himiko.png 그림의 저작권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회니 2007년 1월 10일 (수) 11:06 (KST)

[편집] 통천군 문서

종대님, 통천군 문서를 만들어 주세요. 원래는 그게 저작권을 침해 안 했던 문서였는데, 제가 네이버에서 가져와서 이차저작물로 만들었어요. 그러니까 저작권을 침해안했던 문서를 제가 이차저작물로 만들었던 거에요.

일단 내용은 이겁니다. "통천군(通川郡)은 북조선강원도에 속해있는 군이다. 정주영 전 현대회장이 통천군에서 태어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금강산과 가까워 사람들이 휴양하려 오는 곳인데, 최근 대한민국과 합작으로 금강산 관광 사업을 하고 있다."라고 해서 이게 저작권을 침해안했어요. 그런데 제가 그걸 이차저작물로 만들었어요. 죄송합니다ㅜㅜ. 저 때문에 삭제되었습니다. 정말로 죄송합니다.

지금은 문서를 만들 순 없지만, 이 부분만 살려주세요. 그 대신 아는 것만 추가하겠습니다. --루스 2007년 1월 10일 (목) 19:51 (KST)

"2차 저작물"의 뜻이 뭔지 아시나요? 영어로 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번역한 경우가 2차 저작물의 예입니다. 원래 저작물에 대한 권한이 없을 경우, 2차 저작물은 저작권을 누릴 수 없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10일 (목) 19:54 (KST)
아, 그렇습니다?ㅜㅜ 아쉽군요ㅜㅜ. 저 때문에 그렇게 되다니... 2차 저작물이 영어로 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번역한 경우가 2차 저작물이라니 전 몰랐습니다. 죄송합니다ㅜㅜ. 저는 님께 도움을 요청해서 도와달라고 한 뜻으로 그랬습니다. 죄송합니다ㅠㅠ. 용서해 주세요ㅠㅠ. 제가 정말 잘 할려고 했는데 잘 안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걸 복원시킬까요? 도와주세요. --루스 2007년 1월 10일 (목) 19:58 (KST)

[편집] 호세 리살의 분류 삭제

왜 삭제하신거에요? 아직 쓸 수도 있는데도요. --루스 2007년 1월 12일 (금) 11:08 (KST)

호세 리살의 조상 중에 중국인과 일본인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중국계 필리핀인, 일본계 필리핀인 분류를 붙이는 건 너무한 것 아닌가요? "XX계 XX인" 분류를 너무 심하게 붙이는 듯 싶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12일 (금) 11:20 (KST)
하지만 알릴 수도 있잖아요. 예를 들면, XX계 XX인이라고 해서 그 사람에 대해 잘 알 수도 있고, 조상이 XX다라고 해서 그 사람의 조상도 알 수 있잖아요. --루스 2007년 1월 12일 (금) 11:22 (KST)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해서는 저는 중국계 필리핀인, 에스파냐계 필리핀인만 붙이는 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루스

그거 제가 붙였습니다만 저는 그냥 영어 위키백과를 베껴온 것 뿐입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7년 2월 2일 (토) 21:30 (KST)

[편집] 분류의 이동권한은 아무에게도 없습니까?

제가 근래 '곰열여섯', '에멜무지로' 이 두분과 사소한 토론이 있었습니다. 일단 저는 '천문현상'이라는 분류가 띄어쓰기가 맞다고 생각했으며, 그를 주장했으나 국립국어연구원에 문의 한 결과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단어는 띄어쓰기가 원칙이라고 하더군요. 이에 따라 분류를 수정해야 하는데 삭제 후 생성 및 연결 재설정을 해야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역사'는 소실됩니다. 저는 이부분을 안타까워하고 있으며, 분류의 이동권한이 운영자 분들에게 있는지 질문드립니다.--이강철 2007년 1월 13일 (일) 22:50 (KST)

[편집] 제이콥 닐슨

제이콥 닐슨은 야곱 닐센 혹은 야코브 넬슨 등으로 불리우지 않습니다. http://www.devsource.com/article2/0,1895,1937615,00.asp# 참조 하시죠. 인명에대한 특히 현존하는 외국인 인물의 명칭 발음에 대한 편협한 Assumption은 위키의 정확성의 추구에 위배됩니다. 주의하시길. --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Alfpooh(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덴마크에서 대학까지 나온 사람을 영어식 발음으로 부르는 것도 편협한 발상 아닐까요? -- ChongDae 2007년 1월 20일 (토) 08:48 (KST)
제이콥 닐슨의 토론 페이지에서 그러한 발음에 대한 근거를 제시 하였습니다. 당연히 저 혼자의 발상은 아니지요. 편협성에 대해서는 영어식 발음을 배척하거나 대한민국의 국립국어연구원에 대한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논란을 벌일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전혀 다른 주제 다른 이야기가 될것입니다. --Alfpooh 2007년 1월 21일 (일) 01:11 (KST)

본인(Jakob Nielsen)과 본인의 친구 또한 이분야의 모든 사람이 그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섣부른 추정을 하지 말아주십시요.다음의 두가지 이유에서 그렇게 생각합니다. 1. 실용상 닐슨박사를 찾을경우 검색에서 이사람을 찾을수 없습니다. 2. 현실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3. 덴마크 출생이라는 이유외에 다른 근거가 없습니다. 실제 발음의 예는 위의 비디오 인터뷰에서 찾아보세요. --Alfpooh 2007년 1월 20일 (일) 15:19 (KST)

그리고 일단 이러한 의문이 있을경우 토론을 거치는것이 어떻까요? 뚜렸한 반달리즘이나 위키백과의 기본원칙에 벗어나지 않은 경우가 아닌경우 더욱더 그러합니다. 사소한 편집이 아닌 표제어를 바꾸는 경우 다시 돌려놓는 시간의 낭비가 심하군요. --Alfpooh 2007년 1월 20일 (일) 15:21 (KST)

위에 이유로는 불분명한지요? 어디서 야코브 넬슨으라고 불리우는 것을 보셨는지요? 진실왜곡은 밴달리즘과 다를바가 없습니다. 관리자 계정을 남용한 사례가 되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풀어주시고 제이콥 닐슨으로 회복시켜주시길 요청드립니다 --Alfpooh 2007년 1월 20일 (일) 20:41 (KST)

ChongDae님 본인이 관여된 논란에서 관리자 권한을 행사하는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ChongDae님이 나중에 설명하신 이유로는 '이동'기능을 사용하지 않은 Copy&Paste기능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하셨는데 이는 문서를 보호모드로 둘만한 이유는 아니라고 생각 되는 군요. 또한 위키백과의 정신과 원칙상 분명한 글의 내용에 있어 거짓이나 밴달리즘에 의한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치를 한다는 것은 과잉조치이며 권한 남용이라고 생각됩니다. --Alfpooh 2007년 1월 21일 (일) 01:08 (KST)

Alfpooh 님의 copy&paste 결과 제이콥 닐슨야코브 닐센 (전산학자)라는 두 문서로 나뉘었습니다. 나중에 최종 결론이 나서 문서를 옮긴다고 할 때, 어느 문서가 본문인지 혼동이 생길 여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잘못 만들어진 문서 쪽을 잠궈둔 것입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2일 (월) 10:47 (KST)

두문서에 있어 저는 한문서 제이콥 닐슨만을 만들었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싶습니다. 저의 생각은 반대로 야코브 닐센 (전산학자)야코브 닐센이 적당한 내용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어쨌든 이 논란에 있어서 ChongDae님은 논쟁의 당사자이시고 이에 대한 관리자의 권한을 행사하신다면 큰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제가 관리자였다면 양쪽문서를 놔두고 서로 연결하는 링크와 논란에 대한 설명을 달것입니다만 어쨌든 저는 관리자가 아니고 또한 제이콥 닐슨을 가장 관용적이고 실제적인 명명으로 보기 때문에 저의 주장을 되풀이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야코브 닐센(전산학자)를 같이 보호모드로 하신다는 생각에는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저의 관심은 어디까지나 제이콥 닐슨의 정보가 제대로 살아나고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것 뿐입니다. 원하신다면 얼마든지 야코브 닐센 (전산학자)와 싱크하거나 독자적 발달을 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Fact가 꼭 하나여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혼돈을 피하기 위해 하나가 되어야한다는것은 물리적 한계가 있는 종이 백과사전에는 진리일지 모르나 위키백과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야코브나 제이콥이 같이 공존하고 서로 연결되는것이 가능하니까요. 어쨌든 더 이상의 다른 오해가 없다면 제이콥 닐슨의 문서 보호를 풀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논란의 당사자로서 토론 페이지에서 진행형의 논의를 펼쳤으면 합니다. 만약에 관리자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오해를 피하기 위해 다른 관리자의 중재를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Alfpooh 2007년 1월 22일 (화) 20:40 (KST)

많이 바쁘신데 죄송합니다만 답변이 없어서 글을 남깁니다. 제가 남긴 몇가지 질문과 요청사항에 대해 ChongDae님의 답변이 궁금합니다. 오해가 풀리셨다면 제이콥 닐슨에 대한 보호모드 해제의 요청에 대해 특히 고려 바랍니다. --Alfpooh 2007년 1월 25일 (목) 01:08 (KST)

이동의 결과 두 문서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1][2]의 두 문서 역사를 합치는 게 간단해보이지는 않네요. 그래서 일단 한 문서를 잠궈뒀던 건데, 일단 둘 다 잠궜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5일 (목) 10:13 (KST)
문서를 계속 잠그는 식으로의 관리는 너무 행정편의를 위한 bureaucratism 이지 않은가 염려됩니다. 두문서를 모두 푸시고 자연스러운 두문서가 발전하는 과정을 보는것이 어떨까 생각됩니다. 저의 관심은 오직 제이콥 닐슨문서의 발달에 기여하는것 뿐입니다. 또한 문서를 합치고 발전시키는 것은 전적인 편집의 활동으로 관리자의 활동과는 구분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열정적인 위키백과의 기여하는 사용자로서 ChongDae님의 발전적 기여를 기대합니다. 하지만 관리자로서 권한에 따르는 책임에 보다 신중한 고려를 해주실것을 부탁들립니다. --Alfpooh 2007년 1월 25일 (금) 15:32 (KST)

Jakob Nielsen에 대한 토론 페이지를 이동및redirect방식으로 야코브 닐센으로 옮기신것은 적절한 편집이 아니라고 봅니다. 이 토론은 이제까지 계속 토론:제이콥 닐슨에서 이루어졌으니 계속 거기서 토론 되는것이 맞는것 같습니다. 만약 처음부터 같이 이동하셨다면 좋았겠으나 이미 갈라져서 발달하고 있었고 잘못된 페이지(저의 주장입니다.)에서 계속 토론하는것도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듯 합니다. 토론:제이콥 닐슨을 되돌리기에는 정상적인 '되돌리기'기능을 사용하였습니다. 가능하다면 보다 토론에 신경을 써주시길 부탁드립니다.--Alfpooh 2007년 1월 25일 (금) 18:27 (KST)

바쁘신데 죄송합니다. 제가 요청드린 사항에 대해 검토하셨는지요. 계속적인 토론을 바라지만 대답이 없으시고 다른 사용자의 참여도 없는지라 궁금합니다. ChongDae님께서 말씀하신 이유 "Copy&paste"의 이슈는 이미 사라진 만큼 문서의 보호모드를 풀어주시기 바랍니다. 혹은 제가 제안한 바와 같이 다른 관리자의 도움을 받으시길 권합니다. 감사합니다.--Alfpooh 2007년 1월 28일 (일) 14:31 (KST)

제이콥 닐슨의 문서가 잠긴지도 10일이넘어갑니다. 더이상 다른 의견없으시면 보호모드를 풀어 주세요. 언제까지 보호모드로 놔두실건지 궁금합니다. --Alfpooh 2007년 1월 31일 (수) 14:25 (KST)

벌써 15일째입니다. 조속한 조치를 바랍니다. --Alfpooh 2007년 2월 4일 (일) 14:24 (KST)

본의 아니게 도배를 하게 되어 죄송합니다. 2월1일에 보호모드 해제를 하시겠다고 하신후 아직 소식이 없군요. 어서 풀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Alfpooh 2007년 2월 8일 (목) 10:59 (KST)

[편집] EWI, EVI

안녕하세요. 이미 말씀하신 en:EWIen:EVI 참고했습니다. EWI는 관련 내용이 맞으나 굳이 따로 문서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고, EVI의 경우 영어 표제어와 제 글에서 말하는 EVI가 기술하는 대상이 다릅니다. 약자만 동일한 경우이지요. 제가 이곳에 적은 윈드 컨트롤러는 주로 ja:ウインドシンセサイザー의 틀에 en:Wind controlleren:EWI, 그리고 별로 눈에 많이 안뜨이지만 제가 아는 내용을 더하여 적었습니다. --Daybreak

[편집] 문서의 이동규칙

관리자 요청에 "문서의 이동 규칙을 계속 어겨서 잠궈놓은 것입니다. (이동이 아닌 copy&paste를 통한 중복 문서 생성이기에..) 발음에 대해서는 마침 영어 위키백과의 토론 란에도 답변이 올라와있어 그 결과를 보고 결정하겠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0일 (일) 21:00 (KST)" 와 같이 올려주신 코멘트에 대해 문서의 이동 규칙을 공부하려고 찾아보았지만 실패하였고 오히려 그런 규칙은 위키백과에 존재하지 않지 않느냐는 의구심만 들고 있습니다. 좀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또한 저의 경우는 중복 문서의 생성이라기 보다는 두 문서 (제이콥 닐슨야코브 닐센)의 상이에서 일어난 편집 논란이기 때문에 히스토리의 변환과 Redirect기능의 사용을 하였는데 (사실은 ChongDae님이 하신 것을 돌려 놓으려 한것입니다. 가능한 비슷하게 반대로 하려 했지만 처음엔 힘들었습니다.) 이는 당시 저의 생각으로는 위키백과:정책과 지침에 합당한것으로 생각했었습니다. 위키백과:문서의 이동규칙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Alfpooh 2007년 1월 22일 (화) 20:54 (KST)

자문자답합니다. http://ko.wikipedia.org/wiki/MediaWiki:Articleexists 을 오늘 만드신 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내용이 아직 이해하기 힘들고 또한 어투가 적당하지 않은듯합니다. 이 페이지의 토론에 영문판을 기본으로 간략히 번역을 해두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하면 copy&paste의 문제는 히스토리의 문제인듯 합니다. 그외에 다른 이유가 있는지요? 또한 이 copy&paste의 문제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흔히 만들수 있는 문제이지 보통은 어떤 악의나 밴달리즘 혹은 장난의 문제이지 않은것 같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페이지를 업데이트 하시길 바랍니다.(이미 보호모드로 되어있더군요. 질문: 이런 문서는 처음 부터 보호모드로 만들어지는지요?)--Alfpooh 2007년 1월 25일 (금) 19:11 (KST)

또한 다른 논건으로 이렇게 아직 토론이나 합의 혹은 문서화가 안되어있는 사항으로 다른 사용자의 편집행위를 비판한거나 나무라는것은 관리자로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위키백과의 편집 인터페이스의 구조적인 사용성의 문제가 단지 사용자의 문제일지는 논의가 필요하고 개선이 되어야한다고 여겨집니다. --Alfpooh 2007년 1월 25일 (금) 19:11 (KST)

[편집] 비번 분실 관련

제가 실수로 비번을 분실했는데, 이걸 되 살릴 수는 없습니까? Email도 등록도 못한 것 같은데, 해결방법이 없는지 알고 싶습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 2007년 1월 23일 (화) 05:05 (KST)

관리자나 뷰로크랫에게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알거나 고칠 권한이 없습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3일 (화) 10:00 (KST)
결국 새로 계정(Caomengde1)을 만들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 2007년 1월 23일 (수) 22:24 (KST)

[편집] POV, NPOV

초보자들이 자주 접할 수 있는 약자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위키백과내에서 관련 내용을 검색 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만들었습니다.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이러한 redirect나 동음이의어 문서를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redirect 또는 동음이의어 문서가 있는 것이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에 도움을 줄지, 없는 것이 이용자에게 좀더 나은 환경을 제공할지 의견 주셨으면 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1월 23일 (수) 17:14 (KST)

NPOV는 redirect로 되살렸습니다. POV는 다른 뜻으로도 쓰일 수 있어 일단 작업을 보류합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23일 (수) 17:21 (KST)

[편집] 잠깐만 이야기할 수 없을까요?

좀 죄송하지만, 잠깐만 이야기 할 수 없을까요? 부탁합니다. --루스 2007년 1월 24일 (목) 15:26 (KST)

이야기를 하는데 일일이 허락을 받을 것까지 있나요? 그냥 토론 란에 글 남겨주세요. -- ChongDae 2007년 1월 24일 (목) 15:35 (KST)
혹시 여호와의 증인하고 성경 연구한 적이 있습니까? 저는 전에 한 적이 있습니다. --루스 2007년 1월 24일 (목) 15:40 (KST)
없습니다. 뜬금없이 묻는 이유는요? -- ChongDae 2007년 1월 24일 (목) 15:53 (KST)
제가 왜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이건 자랑거리가 아닙니다. 제가 여호와의 증인하고 같이 성경 연구를 한 것은 사실입니다. 평화를 이뤄야 해요. 제가 님들하고 같이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아직 할 얘기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잠깐만 시간을 내달라고 한 겁니다. --루스 2007년 1월 24일 (목) 15:54 (KST)
포교 활동인가요? 지금 이 대화의 주제가 뭐죠? -- ChongDae 2007년 1월 24일 (목) 16:03 (KST)
뭔가 오해가 있으신데 포교 활동은 아닙니다. 잠깐만 이야기 하는 것뿐입니다. 포교 활동으로 생각했다면 죄송합니다ㅠㅠ. 저는 그냥 님하고 이야기 하고 싶은 것 뿐입니다ㅠㅠ. 정말입니다. --루스 2007년 1월 24일 (목) 16:12 (KST)

[편집] 오해를 빚게 해서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ㅠㅠ. 경솔하게 말해서 사죄드립니다ㅠㅠ. 원래는 님하고 얘기를 나눌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잠시 이야기를 나눌겸 님하고 대화를 할려고 했습니다. 절대로 표교를 한다는가 그런 것은 아닙니다. 포교 활동으로 생각하게 해서 죄송합니다ㅠㅠ. 앞으로는 이것에 대해서 더욱 주의하겠습니다. --루스 2007년 1월 24일 (목) 16:31 (KST)

[편집] '한국 행정구역의 변천사' 문서를 다시 '한국 행정 구역'으로 바꾸신데 대한...

'한국의 행정구역' 문서를 '한국 행정구역의 변천사'로 수정한데 대하여 다시 '한국 행정 구역'으로 바꾸신데 대하여 다소 다른 의견이 있습니다. 제 관점에서 이 문서는 '고대 조선(단군 왕검)'부터 '현대 대한민국 및 조선인민주의공화국'에 이르기까지의 행정구역의 변화를 도단위에서 기록하고 있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이는 행정구역이 변화한 역사 즉 변천사를 다루고 있는 것이지 행정구역 그 자체를 다루고 있는 문서가 아닙니다. 따라서 수정하신 이름에 역사라는 의미의 사가 덧붙여 '한국 행정 구역사'라고 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봅니다. 제가 바꾼 취지 또한 그런 것이었습니다. 제 의견은 여기까지입니다. 반론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 '한국의 행정 구역' 문서의 연결이 사라졌길래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조선인민주의공화국의 행정 구역'에 연결 했습니다. 이건 좀 처리가 곤란해서 redirect 곤란하길래 ^^;;;;--이강철 2007년 1월 24일 (목) 19:58 (KST)

아. 잘못 옮겼군요. 지금의 한국의 행정 구역처럼 정리하는게 어떨까요? 나중에 역사 부분은 양이 늘면 "조선의 행정 구역, 고려의 행정 구역" 식으로 분리해나가고요. -- ChongDae 2007년 1월 25일 (목) 11:53 (KST)
답변 감사합니다. 전보다 산뜻한 것 같습니다. 음 그리고, 한국의 도 문서에 대해 삭제 처분 부탁드립니다. 더이상 논의의 가치가 없습니다. 애초에 영어 백과의 province of korea를 직역해 두줄 내용만 담은 문서 인데다 3년째 통합 안되는 문서라... 소거 부탁드립니다. --이강철 2007년 1월 25일 (금) 18:30 (KST)

[편집] 국가명 한자 음차 표기

제가 편집하면 되돌리실 것 같아, 미리 문의 합니다. 현재 통용적으로 한자 음차에서 온 표기를 사용하고 있는 국가명[3]틀:통용 표기 목록을 사용하여, 표제어 옆 괄호에 병기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1월 25일 (목) 11:10 (KST)

통용 표기는 "널리" 쓰이는 표기에 대해서만 쓰는 것 아닌가요? 호주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통용 표기지만, 희랍을 그리스의 통용 표기라 보기는 힘들 듯 싶은데요? 그리스에 "희랍"을 넣는 것이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할지 고민해보고 결정했으면 합니다. 노르웨이가 "락위"라는 데에까지 이르면... -- ChongDae 2007년 1월 25일 (목) 11:32 (KST)
저는 "希臘을 그리스의 통용 표기라 보기는 힘들 것 같지만, 佛蘭西정도는 괜찮지 않을 까요?" 정도의 답변을 기대하고 질문 드린 것인데, 좀 아쉬운 답변 이로군요. 그래서 다시 질문 하겠습니다. 어느 정도까지 통용 표기로 표기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까? --마소리스 2007년 1월 25일 (목) 11:39 (KST)
이젠 불란서 역시 "통용되는" 표기라 보기 힘들지 않나요? (신문기사에서 "불", "인니" 식으로 줄여쓰기 위해 쓰이는 용도를 제외하고는요.) 어느 정도까지를 허용할지는 제 개인의 의견보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묻는게 어떨까요? 일단 어느 정도 사용되는지 먼저 조사해보시눈개 어떨까요? -- ChongDae 2007년 1월 25일 (목) 11:42 (KST)
佛蘭西, 伊太利, 西班牙만 병기하였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1월 25일 (목) 12:04 (KST)
통용 표기는 외국어의 한글 표기법 차이가 아닌가요? 이 경우 통용 표기 틀을 사용하는 것은 맞지않아보입니다. 적당한 설명을 풀어서 달아줘야 하지 않을까요? -- ChongDae 2007년 1월 25일 (목) 13:37 (KST)
타 사용자 분들의 문제이지만 저도 한마디 하겠습니다. 일단 통용 표기라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이것은 국립국어연구원의 외국어 한국어간 차이를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그리고 이제 더이상 통용되지 않는 추세이거든요. 애초에 이러한 음차라는 것 자체가 중국 즉, 청이 외국 이름을 번역한 것을 따온 경우가 많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지 않아 젊은 세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한 때 사용되었다는 이름이라는 그리고 과거 번역 된 책들에 남아있는 이상, 역사적 측면으로 본문에 달아주는 정도로 충분하다고 봅니다. 굳어버린 음차(독일,영국, 미국, 호주, 인도)등을 제외 한것은 아마 앞으로 거의 쓰이지 않을 듯하고요. --이강철 2007년 1월 25일 (금) 19:33 (KST)

[편집] 보호 문서 찬반 투표에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위키백과:사랑방에서 진행되고 있는 보호문서 찬반 투표에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이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에 직접연관된 만큼 관리자분들의 의사와 토론의 참여가 중요할듯합니다. 감사합니다.--Alfpooh 2007년 2월 1일 (금) 20:15 (KST)

[편집] 렌민비?

'런민비'입니다. 위키백과:중국어의 한글 표기 참조.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7년 2월 2일 (토) 21:32 (KST)

[편집] 화학 관련 문서에 관하여

대한화학회 규정에 맞도록 IUPAC 명명법을 대충 수정했습니다만 잘 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수고스러우시겠습니다만 보시고 수정 부탁드립니다. --박재우 2007년 2월 3일 (토) 03:04 (KST)

[편집] 위키백과 법률자문팀

지난 12월에 박종대 님께서 사랑방에서 말씀하신 위키백과 법률자문팀 선임건은 일이 어떻게 진척되고 있나요? 궁금하네요.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12일 (화) 19:58 (KST)

그 후로 따로 연락해보지 않았습니다. 사랑방이나 오프 모임 등을 통해 확실히 위임을 받은 것도 아니라 혼자서 일을 무작정 진행하기도 애매하고요. -- ChongDae 2007년 2월 16일 (금) 11:18 (KST)

[편집] 틀:User eo-0 이 왜 삭제 대상인가요?

초보자의 실수를 늘 고쳐주셔 고맙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미 여러 언어 바벨에서 -0 틀이 만들어져 있는걸로 압니다. 특정 언어에서는 -0과 -4를 만들면 안되는 것인가요? --퇴프 2007년 2월 15일 (금) 20:28 (KST)

바벨 틀은 사용자간의 의사소통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0은 아무런 정보를 주지 못하고 개인적인 취향을 나타낼 뿐이죠. 이에 관한 과거의 토론은 사랑방이나 삭제 토론을 살펴봐주세요. -- ChongDae 2007년 2월 16일 (금) 11:16 (KST)

[편집] 꼭 컨택하고 싶습니다만...

뜬금없이 이런 자리에 죄송합니다. 다만, 님의 메일 주소를 알 수 없어 이자리를 빌어서...

미디어위키, 위키피디아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개 개인입니다. 저는 반승환(vansw@naver.com)으로 대학때 화학을 전공하였고 중학 과학 교사를 한 적이 있으며 지금은, 미디어위키를 활용하여, 무언가를 구축하고자 하는 중입니다.

님의 메일 주소 알려주시면, 구체적인 말씀 드리겠습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편집] 국기 틀은 어떻게 만드는거죠???

피파 랭킹이나 UEFA 챔피언스리그에 세르비아 틀이 없어서 그런데요. 국기 틀은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 꼭 좀 알려주세요...--Ph 2007년 2월 28일 (수) 08:53 (KST)

{{국기그림}}, {{국기나라}}를 쓰면 편합니다. {{국기그림|세르비아}}, {{국기나라|세르비아}}를 쓰면 세르비아, 세르비아 세르비아처럼 보입니다. -- ChongDae 2007년 2월 28일 (수) 09:31 (KST)

[편집] 인공지능과 전자공학

"인공지능"을 "인공 지능"에 덮어쓰신 근거가 국립국어원 표기라고 하셨는데, 출처가 일단 불명확했군요. 국립국어원 편찬 표준국어대사전 표제어 표기죠. 그럼 전자공학과 교수시니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그 표준국어대사전에 "전자^공학" 이라고 표기가 되어 있던데 이런 페이지는 왜 변경하시지 않으시는 것인지요? 그럼 저도 전자 공학 페이지를 열어놓고 전자공학의 내용을 덮어써도 되는 것인지요?

표준국어대사전의 표기에 대한 설명 중 ^는 ⌒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쓸 수 있는 전문 용어나 고유 명사 표시 <예>성격⌒묘사라고 나와있습니다. 즉 인공지능도 틀린 것이 아닙니다. 게다가 "인공 지능"이 아닌 "인공지능"이 이 분야를 연구하는 한국어권 사람들의 현실을 반영한 표기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전자 공학"이 아닌 "전자공학"이라는 표기를 사람들이 많이 쓰듯이요. 전자공학또한 이 분야에 실질적으로 종사하는 많은 분들이 전자공학이라고 표기하지 전자 공학이라고 표기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국어사전 백과사전 용어사전의 표제어 또한 전자공학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은 왜 안고치시나요? 그 밖에 공학 페이지를 보면 비슷한 식으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써도 되는 표제어가 왕창 나옵니다. 위키백과에 찾아보면 그 표준국어대사전의 표기에 띄어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써도 되는 표제어와 표기가 수백 수천개는 나올겁니다. 왜 인공지능만 가지고 이러시는지요?

제가 바꾼 것은 반달리즘 같은 것과 아무런 상관이 없으며,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언어 현실을 반영하고 싶었을 뿐입니다. 위키백과의 장점이 그것 아니었습니까? 시중에 권위를 자랑하는 백과사전에서 수용하지 못하는 현실을 적극적으로 사용자가 참여하여 반영할 수 있는 것 말이지요. -- daybreak 2007년 3월 3일 (토) 13:54 (KST)

"~학"으로 끝나는 경우는 여러 파생어를 위해 붙여쓰자는 합의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용어에 대해서는 아직 기준이 없습니다. 띄어쓰기와 관계된 넘겨주기도 꽤나 많고요. 한국어에서 가장 어려운게 띄어쓰기인데 누군가 초안을 잡아줬으면 합니다. -- ChongDae 2007년 3월 7일 (수) 10:52 (KST)
개인적으로 바로 위에있는 제이콥 닐슨의 경우도 그렇지만 관리자로서 좀 더 신중하고 유연하게 행동하셔야 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daybreak 2007년 3월 11일 (일) 23:23 (KST)
새 사용자가 올 때마다 기존의 사랑방 토론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자고요? -- ChongDae 2007년 3월 11일 (월) 23:27 (KST)
구체적인 행동은 관리자께서 하실 일이겠지요. 그 행동이 무엇인가는 관리자의 역량이겠구요. 저는 개인적인 바램을 적었을 뿐입니다. 필요 이상으로 비약하시거나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daybreak 2007년 3월 12일 (월) 13:23 (KST)
새 사용자에게 기존의 관례를 설명하고 위키백과의 정신을 알려주는 것은 "관리자만의" 역할은 아닙니다. 기존 사용자 전체가 함께 해야 할 일입니다. 현재까지 이런 일을 열심히 하는 사람을 계속 관리자로 추천하다보니 어느새 "관리자만이" 이런 일을 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듯 싶습니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일이 아니라면 일반 사용자도 위키백과를 가꾸는 일에 적극 참여해주세요. -- ChongDae 2007년 3월 12일 (월) 14:21 (KST)
어느 곳이든 관리자는 사용자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사이트의 올바른 사용을 지향할 의무와 권한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관리자의 발언이 권위를 가질 수 있는 것 아닐까요? 저는 관례가 아닌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문서화된 가이드라인을 원합니다. --daybreak 2007년 3월 16일 (토) 15:11 (KST)

[편집] 위키백과:오늘의 역사/3월 4일

[4]에서 "1824년 -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선거인단 수와 총 득표 수에서 모두 뒤졌던 존 퀸시 애덤스미국제6대 대통령에 취임하다." 이게 무슨 말입니까? 1824년 이야기를 하는데 난데없이 2004년 대선이 왜 나오는지요?

일단 '2004년~뒤졌던' 부분은 삭제했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3월 4일 (월) 23:11 (KST)

[편집] 저우제룬

Please revert an unnecessary move by 사용자:Russ (move 저우저룬 back to 저우제룬). Thank you. --70.131.197.134 2007년 3월 10일 (토) 13:20 (KST)

저우제룬 being the correct transcription into Korean, not 저우저룬. --70.131.197.134 2007년 3월 10일 (토) 13:22 (KST)

[편집] 항공사 띄어쓰기 문제

항공사 이름의 띄어쓰기 기준이 뭔가요? 대한항공을 대한 항공이라고 써야하는건가요? Yeom0609 2007년 3월 11일 (일) 02:43 (KST)

한국어로 된 경우와 번역어의 차이죠. "유니아티드 항공"의 경우 "항공" 부분은 번역어입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특별한 띄어쓰기 규정은 없는 듯 싶지만, 대체로 발음을 그대로 옮긴 부분은 붙여쓰고 있고, "동-" "서-" 등의 한자식 접두어도 붙여쓰지만, 뒤에 붙는 단어는 띄어쓰고 있습니다. -- ChongDae 2007년 3월 11일 (월) 16:11 (KST)

[편집] 틀:스타크래프트 표

실제 스타크래프트 문서에는 틀:게임 정보를 사용하고 이 틀을 사용하지 않습니다만?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3월 19일 (월) 14:05 (KST)

일단 문서 편집 역사가 있어 되돌려놓은 겁니다. 사용하지 않는 틀은 굳이 delete 틀이 없어도 쉽게 찾아 지울 수 있으니깐요. -- ChongDae 2007년 3월 19일 (월) 14:07 (KST)

[편집] 단어의 뜻

지적 감사합니다. 일단 단어의 뜻을 등재하고 추가적인 내용을 편집하려는 의도 였는데요. 좀더 내용을 정리해서 한번에 올리려고 노력해야 하겠군요 ^^;

[편집] 사랑방 그림

토론없이 위키백과:사랑방/보존의 그림을 변경해서 문서 편집을 되돌린 것인가요? 그렇다면, 제가 너무 경솔했군요. 그런데 ChongDae님 역시, 토론없이 바로 되돌리시는군요. -- 리듬 2007년 3월 24일 (토) 14:13 (KST)

커피잔 그림이 정자보다 사랑방에 더 가깝다고 생각되지 않네요. 더 한국적/한국어적 그림도 아니고요. -- ChongDae 2007년 3월 24일 (일) 15:05 (KST)
그렇게 생각하셨군요. 전, 정자보다는 커피잔이 대화를 연상시켜, 더 사랑방의 이미지에 어울리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토론없이 곧바로 문서를 되돌리시니까 기분이 썩 좋지만은 않군요. 그리고, 그 그림이 꼭 한국적이어야 할 이유가 있나요? -- 리듬 2007년 3월 24일 (일) 21:22 (KST)

[편집] 식민지 colony

누군가는 영어로 검색할 가능성이 있지 않겠습니까? 또는 장래에 영문판 위키의 colony 항목과 연결될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요? 그저 사소한 편집이었습니다만. 그러고 보니 제 답변을 듣기도 전에 수정부터 하셨군요. 너무하세요. colony 다시 붙여 넣습니다. ((식민지)) 항목 좀더 세세한 것 추가하였고 계속 추가하기 위해 주시 중이니 문의 사항있으시면 제 사용자 토론 칸에 넣어주세요 Jjw 2007년 3월 25일 (일) 14:52 (KST)

아 그렇군요. 님의 의견 참조하겠습니다. 식민지 항은 이미 많은 추가내용을 첨가 하였습니다. colony 와 관련해서는 고대 식민지 항의 어원 정도를 남겨두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식민지란 단어는 colony를 일본에서 번역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단어이니 말이죠.Jjw 2007년 3월 26일 (월) 02:13 (KST)

[편집] 분류별 찾기, 띄어쓰기

대문의 하단에서, 분류별 찾기를 분류별 찾기로 고쳐 주세요. -- 리듬 2007년 3월 27일 (수) 17:47 (KST)

대문은 고쳤습니다. 곰열여섯님 작품이군요. -_- -- ChongDae 2007년 3월 27일 (수) 18:04 (KST)

[편집] 일본의 섬 이름 편집기준

최근 편집된 일본의 섬 편집기준이 애매합니다. 다케시마 섬은 시마+섬으로 되어 있고, 미나미토리시마에서는 시마를 빼고 섬을 붙였구요.(오키노토리시마도 마찬가지) 이건 마치 단어의 길이가 길면 시마를 빼고, 짧으면 시마를 포함한다는 것 같습니다만. 일본명 + 섬으로 하든가 일본명-시마+섬으로 하든가 어느 하나로 통일해야 하지 않을까요? 게다가 일본 섬 이름은 시마 뿐아니라 -지마나 드물게 -토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요. Noropdoropi 2007년 3월 28일 (수) 13:20 (KST)

국립국어원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을 따른 것입니다. 이름이 한자 한 글자로 되어 있는 경우는 뒤의 시마까지 읽고, 이름이 한자 두 글자 이상이면 시마를 빼고 읽습니다. -- ChongDae 2007년 3월 28일 (수) 14:25 (KST)

[편집] ==홍콩의 지명==

홍콩의 Kowloon지역의 지명 표기에 대해 홍콩의 토론 페이지에 글을 올렸습니다.[5] ChongDae님이 이전에 이지명의 편집에 관여하셔서 알려드립니다. --Alfpooh 2007년 3월 30일 (토) 18:32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