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경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순경음(脣輕音) 또는 입술가벼운소리훈민정음에서 순음 아래 ㅇ을 연서해서 표시한 소리. 즉 , ㆄ, ㅹ, ㅱ을 가리킨다. 순경음 중에 실제로 국어표기에 사용된 것은 ㅸ만이었으며, 나머지은 한자음의 표기에만 쓰였다.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는 들지 않았고 후록 부분 연서법에 설명이 있다.

(순경음 비읍)은 유성 양순 마찰음 β라고 추정된다. 이 발음은 15세기 중엽에 없어졌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