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어 (언어유형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립어(孤立語, isolating language)는 대부분의 형태소가 그 자체로 낱말이 되는 언어를 말한다. 비교언어학에서 말하는 친연관계가 증빙된 언어가 없다는 의미의 고립어와는 다른 용어이다.

고립어에서는 낱말이 변화를 겪지 않기 않기 때문에 낱말의 순서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중국어와 영어는 낱말의 순서로 주어와 목적어의 관계를 정한다.

고립어의 대표적인 예는 중국어이다.

"내 친구가 달걀을 먹고 싶어 한다."
朋友
de péngyou yào chī dàn
펑유 야오
소유격 친구 원하다 먹다

위와 같이 중국어에서는 한두 개의 음절이 하나의 개념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서 한국어에서는 '나'가 '내'로 변한 것이나 ‘-가’, ‘-을’ 등의 조사와 같은 점 등 교착어의 특징이 드러난다.

중국어 이외의 언어로는 동남아시아타이어베트남어 등의 고립어이다.

불가리아어는 슬라브어계의 언어 중에서는 유일하게 고립어에 속하는데, 이는 독자적으로 고립어로 발전한 것이다.

이 문서는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