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구경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교 卍

불교

기본 교의
불교의 삼보 : 법보 불보 승보
삼과설 연기설 법인설
사제설(팔정도)
주요 대승경전
반야경 화엄경 금강경 법망경 유마경
법화경
주요 소승경전
아함경 법구경
유명한 인물
석가모니 십대제자 조사 달마 원효
불교의 분류
사상: 소승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시대: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지역: 남방불교 북방불교
한국의 불교 종단
조계종 천태종 태고종
관음종 원효종 진각종

<<법구경>>(영어: Dhammapada,法句經)은 서기 원년 전후의 인물인 인도의 법구(산스크리트어: Dharmatrata, 法救)가 편찬한 불교의 경전으로 석가모니 사후 삼백년 후에 여러 경로를 거쳐 기록된 부처의 말씀을 묶어 만들었다고 한다.[1]

[편집] 주요 내용

<<법구경>>은 불교의 수행자가 지녀야할 덕목에 대한 경구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내용은 폭력, 애욕 등을 멀리하고 삼보에 귀의하여 선한 행위로 덕을 쌓고 깨달음을 얻으라는 것이다. 판본에 따라 내용이 조금 씩 차이가 있으나 한역(漢譯) 법구경은 서문과 25개의 품(品)으로 이루어져 있다.

[편집] 번역

  • 원문은 팔리어로 작성된 <<다르마파다(영어: Dhammapada)>>과 산스크리트어로 작성된 <<우다나바르가(영어: Udanavarga)>>로 알려져 있다. 편집의 차이와 수록된 구절 수가 다를 뿐 내용은 비슷하다고 한다.
  • 한나라시대의 안식국 사람인 안세고, 도위, 불조가 <<법구경>>을 한문으로 옮겼다고 한다. 한역되면서 'Dhamma'는 법(法)으로 'Pada'는 구(句)로 번역 되었다.
  • 고려시대 팔만대장경에 한역 본이 수록되었다.
  • | 위키소스 영어판 법구경 전문

[편집] 각주

  1. <<법구경>>, 법구, 한명숙 옮김, 홍익출판사, 1999, 12~1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