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스노야르스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라스노야르스크 | |
시 문장![]() |
|
지역 |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 |
---|---|
군 | |
설립 | 1628년 |
도시 등록 | 1690년 |
위도 | 북위 56° 04' |
경도 | 동경 92° 45' |
인구 (명) | 87만100명 (2002년) |
OKATO 번호 | 04401 |
전화 번호 | 3912 |
모스크바와 시차 | +4 시간 |
크라스노야르스크(러시아어: Красноярск)는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의 중심지이다. 예니세이 강의 하류에 면해있다. 인구는 922,500명(2004년)으로, 시베리아에서 3번째로 큰 도시이다. 시베리아 연방 관할구역의 본부가 놓여져 있다. 시베리아 철도가 통과하고, 모스크바로부터는 약 4,100km떨어져 있다.
1628년에 요새로 건설되었는데 크라스니야르(Красный Яр)라고 불려졌다. 금광이 발견되고 나서부터는, 시베리아 철도의 건설에 의해 급속하게 발전했다. 1934년부터는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의 중심지가 되었다. 알루미늄 정련과 조선업이 왕성하고 부근에는 1971년에 완성한 거대한 크라스노야르스크 수력 발전소가 있다.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대학,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 농업 대학 등의 고등교육 기관이 있다. 현재는 지하철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1997년 11월에는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하시모토 류타로 수상과 보리스 옐친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은 20세기에는 영토 문제를 해결하고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목표를 정한다는 내용의 크라스노야르스크 합의를 주고 받았다.
[편집] 인구
크라스노야르스크의 인구 변화
1897년 | 26,600 | 1962년 | 465,000 | 1982년 | 833,000 | 2000년 | 875,500 |
1923년 | 60,400 | 1967년 | 576,000 | 1986년 | 885,000 | 2001년 | 875,900 |
1926년 | 72,200 | 1970년 | 648,000 | 1989년 | 912,600 | 2002년 | 909,341 |
1939년 | 190,000 | 1973년 | 707,000 | 1992년 | 925,000 | 2005년 | 917,200 |
1956년 | 328,000 | 1976년 | 758,000 | 1996년 | 871,100 | ||
1959년 | 412,000 | 1979년 | 796,300 | 1998년 | 875,300 |
크라스노야르스크의 구의 인구 (2002년 조사):
- 키롭스키 구: 117,156
- 레닌스키 구: 146,943
- 옥탸브리스키 구: 138,521
- 소베츠키 구: 231,696
- 스베르들롭스키 구: 130,518
- 중앙구: 54,503
- 젤레즈노도로즈니 구: 90,004
크라스노야르스크의 인구중 대부분이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타타르족, 독일인과 벨라루스인이다. 타지크족, 우즈벡족등 다른 중앙아시아와 카프카스에서 돈벌이를 하러 온 사람들도 거주한다.
[편집] 바깥 고리
- ((러시아어/영어/독일어)) 공식사이트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의 도시 |
크라스노야르스크 | 아르툐몹스크 | 아친스크 | 보고톨 | 보로디노 | 디브노고르스크 | 두딘카 | 예니세이스크 | 젤레즈노고르스크 | 자오조르니 | 젤레노고르스크 | 이가르카 | 일란스키 | 칸스크 | 코딘스크 | 레소시비르스크 | 미누신스크 | 나자로보 | 노릴스크 | 소스노보고르스크 | 우주르 | 우야르 | 샤리포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