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프림 커맨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프림 커맨더 | |
---|---|
개발사 | Gas Powered Games |
배급사 | THQ |
디자이너 | Chris Taylor |
출시일 | 2007년 2월 |
장르 | RTS |
모드 | |
언어 | 영어 한국어 |
이용등급 | 전체이용가 |
플랫폼 | PC |
미디어 | DVD |
시스템 요구사양 |
최소 : Pentium4 1.8GHz 또는 동급의 AMD CPU / RAM 512MB / GeForce 6800 이상 / HDD 여유공간 8GB 이상 권장 : 3.0GHz 이상의 CPU, 듀얼코어 권장 / RAM 1GB / DirectX 10 지원 VGA / HDD 여유공간 10GB 이상 |
수프림 커맨더(영어: Supreme Commander; 슈프림 커맨더, 서프림 커맨더로 불리기도 함)는 크리스 테일러에 의해 개발된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RTS) 게임이다. 2005년 8월 PC Gamer 잡지에 처음으로 토탈 어나힐레이션의 정신적 후속작으로서 발표되었다. 유럽에서는 2007년 2월 16일에, 미국에서는 2007년 2월 20일, 한국에서는 2007년 2월 21일에 정식 출시되었다.
육해공을 아우르는 다양한 유닛들과 전술과 개개의 유닛 컨트롤보다는 전략과 부대 단위 컨트롤을 보다 강조하고 있으며, 제작자인 크리스 테일러는 역사상 가장 큰 스케일의 RTS 게임임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
[편집] 배경 및 종족
수프림 커맨더에는 3가지의 종족이 존재한다. 모두 인간이지만 인류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서로 대립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
사이브란과 에이온의 탄생과 함께 일어난 반란으로 지구 제국(영어: the Earth Empire)은 와해되었다. 그 후로 세 종족은 천 년 이상 지속된 끝나지 않는 전쟁을 계속하고 있다.
[편집] UEF (United Earth Federations)
지구 제국의 잔해로부터 다시 성립된 UEF는 일반적인 인간 편이다. 이들은 인류를 다시 하나로 통합시키고 전 은하에 걸쳐 지구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고자 한다.사이브란과 에이온에 비해 보다 현대적인 사회를 닮았다. 그러나 게임은 이들이 강제적 통합 이데올로기와 심비온트(영어: Symbiont)라 불리는, AI와 뇌를 연결한 사람들을 노예로 부린다는 점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세력으로 묘사하고 있다.
UEF의 주요 유닛은 큰 스플래시 대미지를 가지는 탱크와 곡사포이다. 세 종족 중에 가장 강력해보이지만 화력과 다른 능력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구조물 디자인은 에이온의 외계인 스타일이나 사이보그와 결합된 형태의 사이브란과는 달리 현대 기술에서 유래한 것이다.
[편집] 사이브란 네이션즈(영어: Cybran Nations)
사이브란은 AI를 다운로드한 임플란트로 컴퓨터와 결합된 뇌를 가진 심비온트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은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사고할 수 있다. 그들은 심비온트들의 잠재력을 두려워하고 일반적인 컴퓨터 노동을 대신하게 하려는 UEF의 강압적인 통제로부터 자유를 얻기 위해 싸운다. UEF는 사이브란이 계속해서 자연 인류에게 종속되어 봉사할 것을 원하지만 사이브란은 그들만의 사회를 구성하고 인간들에게 종속되기를 거부한다. 이들의 사회는 심비온트 기술을 개발한 천재 브랙만 박사(영어: Dr. Brackman)가 이끌고 있다.
사이브란 유닛들은 사이보그·기계적 스타일을 따르고 있다. 뛰어난 적응력과 스텔스 기능에 집중되어 있고, 다른 것들이 할 수 없는 일들을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사이브란의 디스트로이어(영어: Destroyer)는 배임에도 불구하고 다리를 펴고 땅 위로 천천히 기어올라오는 것이 가능하며, 몽키로드 스파이더봇(영어: Monkeyloard Spider Bot)은 물 속에서 기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장 약한 직접 화력을 가지고 있다.
[편집] 에이온 일루미네이트(영어: Aeon Illuminate)
에이온은 매우 지능이 뛰어난 외계 종족인 세라핌(영어: Seraphim)이 표방했던 'The Way'의 철학과 발전된 기술들을 받아들인 종교적 성격을 지닌 인간들이다. 평화적이고 관대한 외계인들을 통해 공동체 인식을 배운 그들은 지구 제국의 멸망이 논리적 오판 때문이었다고, 또한 인류의 번영과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유일한 길은 그들과 같은 철학과 과학적 세계관을 가지는 것뿐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다른 인류들을 그들의 방식으로 동화시키는 것이 그들의 주요한 목표이며 에이온이라는 단어는 시대(age), 영원(eternity)라는 말로부터, 일루미네이트(Illuminate)는 계몽하다(to enlighten)라는 말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에이온은 깔끔하고 은빛을 띠는 외형 디자인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 무기를 사용한다. 유닛들의 이름인 Oblivion, Sacred Assault Bot, Harbinger 등은 그들에게 주어진 임무를 상징한다. UEF와 사이브란의 잠수함들이 어뢰 외에도 수면 위에서 쏘는 포를 가지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에이온 유닛들은 하나의 무기만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편집] 게임 플레이
[편집] 자원
토탈 어나힐레이션이 금속(Metal)과 에너지를 자원으로 사용했다면, 수프림 커맨더는 물질(Mass)과 에너지를 자원으로 사용한다. 전작과 똑같이 현재 생산량, 현재 소모량 개념을 사용하며, 다량의 에너지를 소모하여 물질로 변환하는 Mass Fabricator(전작의 Metal Maker에 해당)라는 건물도 있다.
어느 RTS 게임이나 그렇듯 원활한 자원 수급이 매우 중요하다. 자원이 부족하면 전체적으로 생산/건설 시간이 길어져 상대방이 시간을 벌 수 있게 해주는 셈이 된다. 특히 에너지는 항상 충분하게 유지하여야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고급 유닛들을 원활히 운용할 수 있다.
[편집] 화면의 확대/축소
화면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축소하면 유닛들이 너무 작아져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수프림 커맨더는 그러한 유닛들을 특별한 아이콘으로 표시해주는데, 공격 유닛, 생산 유닛, 건물, 특수 유닛 등으로 아이콘 테두리 모양이 구분되고, 어떤 형태의 무기를 사용하는지 등에 따라 내부 모양이 바뀐다. 따라서 아이콘만으로 어떤 유닛인지 구분이 가능하다. 축소된 상태에서도 확대되었을 때와 동일하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편집] 티어
티어는 유닛들의 기술 레벨을 뜻하는 용어로 '테크'라는 말이 더 많이 쓰인다. 게임이 시작되면 커맨더 혼자 놓여있고 이 커맨더는 테크1 건물들 중 공장을 포함한 일부를 만들 수 있다. 테크1 공장에서는 테크1 엔지니어를 만들어 커맨더가 만들지 못하는 다른 테크1 건물들을 지을 수 있다.
전작과는 달리, 테크2 공장을 별도로 짓는 것이 아니라 테크1 공장을 테크2로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테크2 유닛과 엔지니어를 만들 수 있다. 다시 테크2 공장은 테크3 공장으로 업그레이드되어 테크3 유닛과 엔지니어를 만들 수 있게 된다. 테크4라고 불리는 실험 유닛들은 그 거대한 크기 때문에 공장에서 만들어지지 않고 테크3 엔지니어가 마치 건물을 짓는 것처럼 만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테크가 높은 유닛과 테크가 낮은 유닛들이 붙었을 경우 테크가 낮은 유닛들이 아주 압도적인 숫자를 가지지 않은 이상 당해내지 못한다.
[편집] 보호막
쉴드(Shield)라 불리는 보호막이 있다. 테크2의 이동형 보호막 생성기 차량이나 보호막 생성기 건물이 만들어내는 구형의 장막이다. 유닛 통과에는 아무 지장이 없으나 적군의 미사일, 레이저, 대포 등을 막아준다. (단, 핵미사일은 막지 못하며, 이를 막으려면 별도의 디펜더 미사일 런처가 있어야 한다) 에너지가 부족하거나 보호막 건물 업그레이드 중일 때는 보호막이 사라진다. 보호막 자체의 HP가 있어 일정량 이상의 손상을 받으면 보호막이 사라지고 일정 시간 후 다시 생겨난다. 주로 장거리 곡사포가 기지를 공격하는 것을 막을 때 사용한다.
[편집] 건물 붙여짓기
자원 관련 건물이나 공장들을 서로 붙여 지으면 건물들이 서로 연결된다. 게임 상에서는 작은 선이 땅에 그어지는 형태로 보인다. 자원 생산 건물과 공장을 연결하면 공장에서 유닛 생산시 소모하는 자원이 적어지고, 에너지 생성기와 매스 생성기(Mass Fabricator)를 연결하면 매스 생성기가 소모하는 에너지가 줄어든다. 또한 에너지 저장고를 에너지 생성기에 연결하면 더 많은 에너지가 생산되고, 매스 저장고를 매스 생성기나 매스 추출기에 연결하면 더 많은 매스가 생산된다. (이런 시너지 효과는 보통 테크2 이상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건물들을 붙여지을수록 자원 활용에서 유리해지지만, 스플래시 데미지가 큰 장거리 곡사포 등에 취약해진다. 특히 매스 생성기는 자신이 파괴될 때 그 폭발력으로 주변의 건물도 쉽게 부서진다. 보호막을 함께 건설하는 것이 좋다.
[편집] 엔지니어의 활용
테크 3까지 해당 테크의 건물들을 지을 수 있는 엔지니어 유닛이 존재한다. 이들은 건물을 짓는 것 외에도 몇 가지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 도와주기 : 엔지니어에게 일반 유닛들을 대상으로 도와주기(Assist) 명령을 주면 HP가 달았을 때 자동으로 수리한다. 공장이나 다른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생산이나 건설을 도와주게 되며 자원이 충분할 경우 자신의 건설 능력만큼 더 빨라진다.
- 정찰하기 : 엔지니어들을 나무가 많은 곳이나 돌이 많은 곳에 정찰시켜두면 자원이 부족할 때 알아서 흡수(reclaim)하여 자원으로 만들어준다. 또한 근처에 건설/생산 중인 유닛이 있으면 도와주기도 한다. (전작에서는 흡수 기능이 자동으로 되지 않아 일일이 찍어주어야 했다)
전작과 달리 엔지이너가 물 위에서도 이동 속도의 저하 없이 이동이 가능하며 수상/해저 건물들을 모두 지을 수 있다. 단, 비행기로만 이동 가능한 지역은 수송선으로 실어다 날라야 한다.
[편집] 수송선의 활용
전작과 달리 하나의 수송선이 여러 개의 유닛을 실을 수 있게 되었다. 새로이 추가된 기능으로는 'Ferry'라는 것이 있는데, 현재 수송선이 있는 곳과 Ferry 기능으로 찍은 지역을 왔다갔다하며 자동으로 유닛을 실어 날라준다. 현재 수송선이 있던 곳에는 Transport Beacon이라는 작은 마크가 생기는데, 지상 유닛들을 이곳에 이동하도록 하면 수송선이 알아서 날라주고, 공장의 랠리포인트를 그 마크에 찍어둘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수송선들에게 이 마크를 도와주라는 명령을 내리면 여러 대가 함께 날라주게 된다.
[편집] 커맨더 업그레이드
공장이나 보호막 생성기 업그레이드와 비슷하게 커맨더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커맨더의 왼쪽 팔, 오른쪽 팔, 몸체 부분별로 종족마다 다른 업그레이드 옵션이 있다. 스텔스 기능, 텔레포트 기능, 전술핵 발사 기능, 테크2/테크3 건설 기능 등이 있다.
[편집] 실험 유닛 (미완성)
각 종족 별로 테크4에 해당하는 실험 유닛들이 있다. 상대방이 같은 급의 유닛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1~2대만으로도 게임을 끝낼 수 있는 정도의 파워를 가지고 있지만 생산하는 데 드는 자원과 시간이 매우 크다. 따라서 여러 개의 엔지니어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편집] UEF
- Fatboy : 6개의 장거리포와 자체 유닛 생산 시설을 갖춘 이동형 차량이다. 물 속과 땅 위를 모두 갈 수 있으며 강력한 보호막을 가지고 있다.
- Atlantis : 4문의 어뢰 발사기와 4문의 지대공 미사일이 탑재되어 있는 잠수함이다. 그 외에 비행기를 수납할 수 있는 거대한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 Mavor : 초장거리 지원사격형 대포. 명중률이 매우 높아 완성되면 절대 승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제작 시간이 매우 길다.
[편집] 사이브란
- Monkeylord Spider Bot : 스파이더라는 이름답게 거미모양 같은 여러개의 다리로 움직이는 유닛으로 무장은 레이저 캐논과 지대공미사일과 근접 유닛을 상대하는 기관총이 있다. 스텔스 기능이 있으며, 주무장의 레이저 캐논의 위력이 상당하나 타 유닛들에 비해 내구도가 부족하다.
- Scathis :
- Soul Ripper : 테크2와 테크3의 유닛인 건쉽의 초 업그레이드 유닛으로 거대한 몸집으로 날아다니며 엄청난 화력을 퍼붇는다. 기타 건쉽들에비하여 화력과 내구도가 상당하다.
[편집] 에이온
- Czar : 자원이 적게 들어 만드는 시간이 빠르다 많이 만들어서 적 상공에 뛰우면 인디펜던스데이에 나오는 우주선이랑 같은 느낌, 다수의 비행기을 수납할수 있으며 수직(적의 상공에 위치해야 공격)으로 쏘는 광선포는 엄청난 위력이다.
- Galatic Colossus : ACU 거인화 버전인것 같지만 유닛 생산기능은 없고 오직 전투능력만으로 나아가는 유닛. 강한 위력의 레이저캐논과 전략핵을 5번 맞아도 죽지 않는 맺집을가지고 있지만 그에 반해 엄청나게 느린 이동속도를 가지고 있다.
- Tempest :
[편집] 주요 기능
토탈 어나힐레이션의 특징들을 많이 닮아있다.
- Shift 키를 이용한 무한 예약 명령. 아무 유닛도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모든 유닛들의 예약 명령을 볼 수 있고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실시간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 자유로운 확대/축소 기능. 미니맵 화면이 제공되기는 하지만, 마우스 휠을 스크롤하여 맵 전체가 다 들어오는 상태와 커맨더 하나가 한 화면에 들어오는 상태를, 중간 단계를 거치며 매우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
- 듀얼모니터 및 듀얼뷰 지원. 두 개의 모니터를 사용하여 한쪽은 축소화면을 한쪽은 확대화면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모니터일 경우에도 Home/End 키를 이용하여 화면을 분할하여 볼 수 있다.
- 매우 높은 수준의 사용자 정의(Customizing)가 가능한 게임 환경. 특히 modding을 공식적으로 지원하며 게임을 시작할 때 어떤 모드를 사용할 것인지 고를 수도 있다. 아직 공식적인 개발 도구들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내부적으로 lua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편집] 캠페인
각 종족별로 6개씩, 총 18개의 오퍼레이션(다른 게임에서 흔히 미션이라고 하는 단위; Operation)이 있다. 일반적인 게임들에 비해 적은 수이지만 실시간으로 추가되는 임무 목표와 맵의 확장으로 인해 하나의 오퍼레이션이 상당한 시간을 요구한다. 이 오퍼레이션들의 목표는 끝없는 전쟁을 끝내는 것이다.
[편집] 시스템 요구 사항
[편집] 최소 사양
- Microsoft Windows XP Service Pack 2, Windows Vista
- 1.8 GHz CPU
- 512 MB RAM
- 8GB의 하드디스크 여유 공간
- 128MB 이상의 비디오 메모리
- Video card must support geometry instancing
- December 2006 release of DirectX 9.0c
[편집] 권장 사양
- Windows Vista (차후 DirectX 10 지원을 위해서)
- 3.0 GHz Intel 또는 동급의 AMD CPU 이상 (보다 나은 성능을 위해 듀얼코어가 강력히 권장된다.)
- 2GB RAM
- 10GB의 하드디스크 여유 공간
- 256MB 이상의 비디오 메모리 (DirectX 9의 버텍스 셰이더/픽셀 셰이더 2.0 지원, Nvidia GeForce 6800 이상)
- Cable/DSL 이상의 속도를 가진 인터넷 연결
수프림 커맨더는 Windows Vista와 DirectX 10의 특별한 기능들을 살릴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DirectX 9에서도 지원하고 있는 듀얼모니터 기능은 DirectX 10에서 더욱 향상된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사용자는 그래픽의 세밀함(게임 내에서는 'Fidelity'라고 쓰임)을 조절할 수 있고, 게임 도중 실시간으로 게임 속도를 바꿀 수 있다. 멀티플레이 게임에서는 가장 사양이 낮은 컴퓨터가 따라올 수 있는 속도로 맞춰진다.
[편집] 바깥 고리
- 공식 웹사이트 - 플래시8 이상 필요
- 공식 포럼
- Gas Powered Games의 커뮤니티 사이트 목록
- 공식 게임 가이드 및 FAQ Beta
- GameSpy preview - 온라인 최초의 수프림 커맨더 미리보기
- bit-tech.net review - 성능 벤치마크 및 다중 디스플레이 분석이 포함된 리뷰
- Gamespot profile - 고해상도 스크린샷이 포함된 리뷰
- An interview with game designer Chris Taylor - 플래시 필요
- 크리스 테일러와의 전화 인터뷰
- GamePro Review
[편집] 커뮤니티 사이트
- Supreme Commander Universe
- Supreme Commander Source
- Replays, Strategies, Discussion - Game Replays
- SupCom RTSC-News, Media, Downloads, and more
- Supreme Commander HQ
- Wargrounds - a GameSpy Community site
- Supreme Commander Units Database
- 한국 팬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