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 터키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스만 터키어
لسان عثمانی 리사니 오스마니
쓰는 나라들 오스만 제국
사멸 1928년현대 터키어로 바뀜.
언어의 계통 알타이어족(논란 있음)
 투르크어족
  북서투르크어파
   오구즈어파
    오스만 터키어
언어 부호
ISO 639-1 (없음.)
ISO 639-2: ota
ISO/DIS 639-3: ota

오스만 터키어(لسانه عثمانى 리사니 오스마니, 터키어: Osmanlı Türkçesi 오스만르 튀르크체시) 또는 오스만 투르크어오스만 제국공용어였다.

현대 터키어와 연결되는 언어를 기초로 하고 있지만 어휘, 어법의 면에서 현대 터키어에도 크게 차이가 나는 만큼 아랍어,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 외에는 그리스어 등의 언어로부터의 차용어도 많이 존재한다.

문장에 따라서는 터키어 고유의 말이 거의 나오지 않은 것이 존재해 현대 터키어와는 큰 단절을 보인다. 문자는 아랍 문자를 사용하였다.

오스만 제국의 공용어로서 제국 영내(領內)의 발칸이나 아나톨리아, 시리아, 아라비아 반도, 북아프리카 등에서 행정 언어로서 넓게 이용되었다. 또, 제국의 지배층 엘리트가 공유해야 할 교양의 하나로서 기능을 했기 때문에 오스만 제국이 지배 하의 여러 민족들을 통합하는 데 있어서 큰 역할을 완수했다.

목차

[편집] 역사

역사적으로 오스만 터키어는 시기에 따라 3개로 구분된다.

  • 고(古) 오스만 터키어(Eski Osmanlıca 에스키 오스만르카)
고(古) 아나톨리아 터키어라고도 불린다. 16세기 무렵까지 셀주크 왕조나 아나톨리아의 군후(君侯)국(Beylik 베이릭), 초기의 오스만 제국에서 사용된 언어를 가리킨다.
  • 고전 오스만 터키어(Orta Osmanlıca 오르타 오스만르카)
오스만 제국 전성기의 16세기부터 19세기 중반의 탄지마트 개혁기까지 사용된 언어를 가리킨다. 주로 행정 문서나 법학서, 문학(운문, 산문)등에서 사용되었다. 아랍어, 페르시아어의 현저한 영향 아래에서 매우 복잡하고 세련된 문체가 형성되었다. 일반적으로 오스만 터키어라고 하면 이 언어를 가리키는 것이 많다.
  • 신 오스만 터키어(Yeni Osmanlıca 예니 오스만르카)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사용된 언어. 신문이나 소설 등의 근대적인 매체의 등장에 의해 성립했다. 고전기에 비해 문체는 간략화 되어 서서히 구어(口語)의 표현에 가까이 하려는 노력을 했다. 또 프랑스어를 비롯한 많은 외래어가 오스만 터키어에 받아들여 졌다. 현대 터키어의 직접적인 기원으로 여기고 있다.

[편집] 현재 상황

터키 공화국의 성립과 케말 아타튀르크의 언어 개혁에 의해 오스만 터키어는 공용어로서의 지위에서 멀어졌다. 현재로서는 실질적인 사어가 되었지만, 오스만 제국을 연구하는 학자들을 중심으로 지금도 배워지고 있다. 터키 국내에도 보수 지식인의 일부 가운데 오스만 터키어 부활론자가 존재한다.

[편집] 주요 단어

한국어 오스만 터키어 현대 터키어
필요 واجب (바지브) zorunlu(조룬루)
문제 مشکل (뮈쉬퀼) güçlük, sorun(귀츨뤼크, 소룬)
도시 شهر (셰히르) kent(켄트)

[편집] 문자

단독 끝자리 가온자리 첫자리 이름 현대 터키어
엘리프 a, e
헴제 ', a, e, i, u, ü
b
p
t
s
c
ç
h
h
d
z
r
z
j
s
ş
사트, 사드 s
ﺿ 다트, 다드 d, z
t
z
아인 ', h
가인 g, ğ
f
카프 k
케프 k, g, ğ, n
게프¹ g, ğ
네프, 사기르 케프 n
l
m
n
바브 v, o, ö, u, ü
h, e, a
라멜리프 la
y, ı, i

1A correct Ottoman variant of gef will have the "mini-kaf" of ﻙ and the doubled upper stroke of گ. This feature is surely rare in current fonts.

[편집] 관련항목

[편집] 링크하기

서부투르크어
불가르조어(오구르어파) 불가르어* | 추바시어 | 하자르어*
차카타이어파 아이니어 | 차카타이어* | 일리 투르크어 | 로프어 | 위구르어 | 우즈베크어
킵차크어파 바라바어 | 바시키르어 | 크림 타타르어 | 쿠만어* | 발카르어 | 카라임어 | 카라칼파크어 | 카자흐어 | 킵차크어* | 크림착어 | 쿠미크어 | 노가이어 | 타타르어 | 우룸어
오구즈어파 아프샤르어 | 아제르바이잔어 | 크림 타타르어 | 가가우스어 | 호라산 터키어 | 오스만 터키어* | 페체네그어* | 카슈카이어 | 살라르어 | 터키어 | 투르크멘어 | 우룸어
동부투르크어
칼라지어파 칼라지어
북서투르크어파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북동투르크어파 출림어 | 돌간어 | 푸위 기르기스어 | 하카스어 | 북부 알타이어 | 쇼르어 | 토파어 | 투바어 | 서부위구르어 | 야쿠트어
* 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