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시간 파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환영합니다!

시간 파리님, 안녕하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위키백과와 함께 해 주셨으면 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또한 처음 오신 분들을 위한 길라잡이가 있습니다. 꼭 읽어 보시기 바라며,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로그인 상태에서 편집 창에 물결표를 이렇게 ~~~~ 네 개 이어서 써 넣으시면 자동으로 서명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3일 (일) 01:52 (KST)

[편집] 元, 圓 라는 한자가 정확히 어느 한자에서 유래합니까?

어느 한자에서 유래하는지 정확히 밝혀야 유래라는 용어를 쓸수 있습니다.--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3:03 (KST)

圓, 円, 元 모두 둥글다라는 뜻을 가지고 발음도 같은 일종의 변이자들입니다. 환(圜)도 발음은 다르지만 둥글다는 뜻이므로 圓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문 위키피디아 en:Renminbi, en:Yen, en:South Korean won, en:Korean won에 나온 어원에 대한 내용들을 참조하세요.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월) 13:24 (KST)
그렇다면 에 뜻의 유래(둥글다, 발음이 비슷하다.)를 적는것이 좋겠네요. 원의 한자 유래를 다 적자면 위안에도 써야하고 북조선 원에도 써야하고 남한 원에도 써야하는데 그렇게 하는 것은 비효율적인듯 하네요.--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3:34 (KST)
지금의 대한민국의 원도 비록 공식적으로는 한자 표기를 하지 않지만 圓에서 유래되었다는 사실은 명백합니다. 따라서 한중일의 화폐단위들은 모두 같은 한자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이 왜 애써 이런 사실을 부정하려고 하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지금의 원이 한자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라면 그 어원을 제시해 주세요. 그렇지도 않으면서 편집 분쟁을 계속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월) 14:30 (KST)
누가 부정했나요? 애초에 부정확한 어휘를 사용하여 오해를 부른것은 생각하지 않으십니까?--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4:34 (KST)
저는 Okorea님을 지칭하여 말한 것도 아니니 오해 마십시오. 또한 "모두 같은 글자를 쓰는 셈이다"라는 표현이 부정확하지도 않고 제가 쓴 문장도 아닙니다. "모두 같은 글자를 쓴다"는 것이 아니라 "쓰는 셈이다"라는 것은 결국 어원상으로 모두 같은 글자를 쓰는 것이라는 겁니다. 그런데도 대한민국의 원에 대한 언급까지 완전히 삭제하는 행위야말로 (Okorea님을 지칭하는 것이 아닙니다) 편집 분쟁을 초래한 것이 아닐까요?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월) 14:53 (KST)
저를 지칭했다고 가정하고 쓰는 것이 아니니 걱정마세요. 그리고 대한민국 원에 대한 언급을 지운 것은 저입니다. 그냥 저를 비난하고 싶으시면 하세요. (굳이 인터넷에서까지 예의차리려는 모습을 보니 안타깝네요 -_-. 위안, 원에 대한 언급을 지운것은 문서 제목과 맞지 않는다고 보였기 때문입니다. 제 생각엔 엔, 위안, 원의 어원은 동음이의어 문서인 에서 다루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하고, 어원을 찾은건 님이니 이제부턴 함부로 지우지 않겠습니다.--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4:59 (KST)
제가 언급한 삭제 부분은 Okorea님의 편집이 아닌 [1] 이 편집에서 대한민국의 원에 대한 설명이 삭제된 걸 말합니다. Okorea님이 그 문장을 삭제하신 기록은 찾을 수가 없네요.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화) 15:25 (KST)
위안, 원의 어원은 해당 문서에 써 주시기 바랍니다. --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4:45 (KST)
핵심은 그게 아니죠. 한중일 화폐 단위가 모두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는 내용을 서술하는데 왜 개별적으로만 서술해야 하고 종합적인 내용을 적으면 안 되는 겁니까? 엔화를 설명하는 문서에서 어원을 같이하는 다른 화폐의 내용을 서술하면 안 됩니까?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화) 15:03 (KST)
알았습니다. 되돌려 놓았습니다. 님의 생각이 그렇다면 어쩔 수 없는거죠. 그리고 주제넘게 고친것 죄송합니다.--Okorea 2007년 2월 19일 (화) 15:04 (KST)
그런데 한가지 이해 안되는것이 있습니다. 圓에서 어떻게 圓이 유래합니까? (제가 진짜 궁금한건 그것입니다.) 단순히 한자가 같은 것 뿐인데 어원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Okorea 2007년 2월 19일 (화) 15:10 (KST)
圓의 둥글다라는 뜻에서 화폐 단위의 뜻이 유래했다고 이해하면 바르게 이해한겁니까?--Okorea 2007년 2월 19일 (화) 15:12 (KST)
단어의 어원을 설명할 때 그런 방식의 서술은 아주 흔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의 image란 단어는 프랑스어 image에서 유래한 것이다"라고 하는 것과 비슷하죠.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화) 15:25 (KST)

[편집] 재버워키 번역

언젠가 이 말씀을 드리려고 했었는데, 잊어버리고 지나간 모양입니다.

재버워키의 번역은 어딘가에 있는 한국어 번역을 참고한 것인가요? --Puzzlet Chung 2007년 4월 13일 (금) 11:32 (KST)

한국에서 번역 출판된 책에서는 그런 식으로 번역한 경우를 본 적이 없어서 인용하거나 참고할 번역본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나름대로 번역을 해 본 겁니다. 혹시 이것이 위키백과의 NOR 정책에 위반 될까요? 저는 그냥 그 시를 원작의 취지를 살려서 한국어로 번역한다면 이렇게 할 수도 있다는 예를 든 것이었습니다. --시간 파리 2007년 4월 13일 (금) 14:1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