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산별곡(靑山別曲)은 고려 시대 이래 널리 불린 고려 가요이다. 작가는 알려지지 않았는데, 유랑민, 실연한 사람, 지식인이란 의견들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고려 가요는 오랜 기간 구전되다가 조선 시대에 와서야 문자로 정착되었기 때문에 한 개인의 작품으로는 볼 수 없고 많은 사람들의 참여와 첨삭이 이루어진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전체적 구성은 8연으로 되어 있으며 분절체의 노래이다. 각 연은 4구로 되어 있으며 연이 나뉠 때마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라는 후렴구가 있다(1연은 ‘얄랑셩’).
또한 3·3·2조의 3음보 율격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