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교 卍

불교

기본 교의
불교의 삼보 : 법보 불보 승보
삼과설 연기설 법인설
사제설(팔정도)
주요 대승경전
반야경 화엄경 금강경 법망경 유마경
법화경
주요 소승경전
아함경 법구경
유명한 인물
석가모니 십대제자 조사 달마 원효
불교의 분류
사상: 소승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시대: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지역: 남방불교 북방불교
한국의 불교 종단
조계종 천태종 태고종
관음종 원효종 진각종

승보 (僧寶, 산스크리트Sangha)는 삼귀의 가운데 마지막으로 귀의해야 할 대상이 승가(상가)라는 것이다.

승려(비구와 비구니)의 생활과 그들의 조직

상가 (Sangha)는 대략적으로 "association 연맹" 또는 "assembly 연합"을 뜻하는 팔리어 또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이다.

상가는 불교도나 자이나교도들이 그들의 교단을 부를 때 일상적으로 사용한다.

전통적으로, 불교 상가에서는 거의 항상 두가지 중 하나의 뜻을 가진다. 거의 대부분, 상가는 비구와 비구니로 구성된 승려 상가를 의미한다.

엄격한 의미에서는 arya-sangha 또는 유명한 상가에서 볼 수 있듯이, 상가는 높은 경지에 이른 이들을 모두 합쳐서 부르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 문서는 주로 승려 상가를 다룬다. 불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승려의 삶은 깨닫기 위한 삶이다. 상가는 붓다의 가르침을 널리 펼치고, 발전시키고, 번역하고, 유지하는 책임을 가진다.


목차

[편집] 승려의 생활

[편집] 승려의 조직

[편집] 승단의 분열

석가모니 생존당시, 상가는 제바닷다(조달)에 의해 첫 분열이 있었다. 제바닷다는 석가모니의 사촌으로서, 채식만을 할 것 등 엄격한 계율을 주장하며, 새로운 교단을 만들어 분리하였다가, 후에 다시 석가모니 교단으로 돌아왔다.


삼귀의 불보, → 삼귀의 법보

[편집] 주석

    [편집] 더 보기

    • 사찰
    • 상가 (자이나교)
    • World Buddhist Sangha Council

    [편집] 외부링크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