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부 기공식은 1901년 8월 21일 서울 영등포과 부산 초량에서 거행했다. 1904년 12월 27일 완공하여 1905년 1월 1일 전구간을 개통했다. 1908년에는 부산에서 신의주까지 가는 직통 급행열차인 융희호를 운행하고 1911년 11월 1일부터 만주까지 가는 직통급행을 운행함으로써 국제 철도의 기능을 갖게 되었다. 1933년 4월 1일 부산에서 선양간 국제 급행을 운행하였고, 1939년 11월쯤 베이징으로 가는 직통 급행열차도 운행되었다. 경부선에서 노선이 분기되는 형식으로 대한민국 철도의 중추를 이루고 있다.
목차 |
[편집] 수도권 전철 경부선
-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및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편집] 개통과 효과
수도권 전철 1호선 계획은 지하철 1호선 서울역~청량리구간과 연계된 경인선 전구간, 경부선 구로~수원구간 및 경원선 청량리~성북구간에 통근형 전동차를 운행하는 계획으로, 1970년 5월 당시 서울시장인 양택식에 의해 발의되었다. 박정희 행정부 내부에서도 서울 집중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지하철 및 광역전철 건설에 반대하는 의견과 서울 도심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하철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립하던 끝에 일본 등의 기술지원을 받아들여 지하철을 건설하는 것으로 결론이 내려지게 된다. [1]
1974년 8월 15일 지하철은 개통된다. 수원까지 통근전동열차가 운행되었고, 수원을 비롯하여 선변의 안양, 군포, 의왕, 광명시의 인구는 크게 늘어나게 된다. 경인선과 함께 수도권의 광역화를 시작시킨 노선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지선의 개념으로 반월지구(지금의 안산시)와 서울을 연결하는 안산선이 1988년 개통되었다. 안산선은 이후 평촌신도시와 과천을 서울과 이어주는 과천선이 건설된 1994년 이후에는 4호선과 직결, 수도권전철 4호선으로 편입된다.
2005년 현재 하루에 41만명 정도의 승하차인원이 탑승하고 있다[2].
[편집] 천안 등 충청도로의 연장
늘어나는 수도권전철의 차량으로 인해 구로기지의 용량이 부족해지고, 수도권의 광역도시화 또는 연담도시화 및 한국의 경제성장으로 인해 경부축이 부담하는 교통량이 커지자 수도권전철 경부선의 연장이 추진되었다. 2003년에는 4월에는 병점기지와 함께 수원-병점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5년 1월에는 병점-천안 구간이 개통되어 수도권 전철의 범주를 충남까지 확장시켰다. 철도공사는 서울과 천안을 오가는 전동차를 다른 노선과 전혀 다르지 않은 통근형 차량을 투입했으며 따라서 소요시간에 비해 적절하지 못한 열차가 아닌가 하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추가적인 연장 공사는 현재 천안에서 온양온천에 이르는 구간에서만 이뤄지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는 2008년 개통 목표로 공사가 진행중이다. 이 구간 공사의 주요 목적은 고속철도 천안아산역과 경부선 본선의 천안역을 연계시키는 데 있다.
현재 아산시 내부의 신창까지의 연장 사업이 착수될 예정이며, 장항선 방면의 홍성이나 경부선이나 충북선 방면의 청주나 대전까지의 연장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 전철을 그대로 연장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2005년 개통 첫 해 병점 이남의 경부선 광역전철의 승하차인원은 하루에 약 8만 5천명이었다[3].
[편집] 경부선의 교통량
[편집] 열차 통과량
오늘날 경부선은 경부선 본선과 경부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철도교통량을 모두 처리하는 한국의 기간 교통망으로 기능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노선의 모든 철도교통량이 모여들기 때문에 한국 철도 내에서 최대의 교통량을 처리하는 용산~시흥 구간은 2005년 11월 개정된 철도시간표에 따르면 하행선의 경우 일반열차 1102편성/주, 수도권전철 전동열차 36편성/주가 통과해 총 1144편성/주에 달하는 막대한 교통량을 처리하고 있다. 이를 용산역에서 열차가 출발한 시간으로 나누면 시격은 약 6.8분에 불과하다.
- 경부선의 구간별 여객열차(KTX, 새마을, 무궁화)의 교통량(1주, 2005년 11월 이후) [4]
구간명 | 하행선 | 시격(분) | 상행선 | 시격(분) | 분기하거나 합류하는 노선 |
---|---|---|---|---|---|
서울-용산 | 663 | 11.1387632 | 698 | 10.58022923 | 출발역 |
용산-시흥 | 1102 | 6.796733212 | 1137 | 6.495162709 | 호남방면 출발 |
시흥-대전조차장 | 505 | 505 | 경부고속선 구간 | ||
시흥-천안 | 597 | 632 | 천안->장항선 | ||
천안-조치원 | 433 | 527 | 조치원->충북선 | ||
조치원-대전조차장 | 475 | 562 | 대전조차장->호남선 | ||
대전조차장-대전 | 656 | 698 | |||
대전-옥천 | 642 | 663 | |||
옥천-신동 | 363 | 363 | 경부고속선 구간 | ||
옥천-김천 | 279 | 300 | |||
김천-신동 | 307 | 335 | 경북선->김천 | ||
신동-대구 | 670 | 698 | 경부고속선 | ||
대구-동대구 | 726 | 754 | 동대구->대구선 | ||
동대구-미전 | 617 | 638 | 미전->경전선 | ||
미전-가야 | 526 | 547 | 가야->동해남부선 | ||
가야-부산 | 512 | 533 | 종착역 |
[편집] 승객 통과량
경부선은 2004년 기준으로 1년에 약 6천 8백만명을 수송했으며, 이는 약 1억 1천만명인 한국철도 전체의 지역간 여객 수송량 가운데 약 62%에 달하는 양이다. 거리별 이동량을 나타내는 인거리(passenger-Km)수치 역시 압도적이며, 전체 약 179억인km 가운데 128억인km를 경부선이 담당하고 있다. 총인거리 가운데 72%가 경부선에 집중해 있는 셈이기 때문에, 이 노선은 한국철도 평균보다 좀 더 장거리 여객 비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서울~부산, 대구 사이를 연결하는데다가 경부고속선이 개통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음 자료는 한국철도공사 2004년도 백서의 여객수송부분을 이용하여 편집한 것이다.
승객 합류 지점명 | 하행선 탑승자 | 하행선 하차자 | 하행선 출발량 | 상행선 승차자 | 상행선 하차자 | 상행선 진입량 | 비고 |
---|---|---|---|---|---|---|---|
경의선 | 43179 | 0 | 43179 | 0 | 35975 | 35975 | |
서울역 | 11888728 | 6935 | 11924972 | 0 | 12066813 | 12102788 | |
경원선 | 3423 | 3833 | 11924562 | 4398 | 13381 | 12111771 | |
용산역 | 2670218 | 325 | 14594455 | 1627 | 2875146 | 14985290 | |
경부3선 | 3870 | 0 | 14598325 | 0 | 33680 | 15018970 | |
노량진역 | 12646 | 35 | 14623162 | 10 | 12078 | 15062891 | |
경부3선 | 0 | 0 | 14623162 | 0 | 19773 | 15082664 | |
영등포역 | 6226007 | 3889 | 20845280 | 5834 | 5835313 | 20912143 | |
시흥연결선 | 0 | 7292440 | 13552804 | 7492539 | 0 | 13419604 | 경부고속선 접속 |
안양역 | 160240 | 2028 | 13711558 | 2979 | 158447 | 13575433 | |
경부2선 | 0 | 6023 | 13705535 | 358287 | 0 | 13217146 | |
수원역 | 4445559 | 623043 | 17528051 | 676623 | 4430798 | 16971321 | |
경부2선 | 0 | 0 | 17528051 | 0 | 361200 | 17332521 | |
오산역, 서정리역 | 105491 | 274289 | 17366466 | 315379 | 93320 | 17110462 | |
평택역 | 675664 | 1674979 | 16367333 | 1621163 | 670105 | 16159404 | |
성환역, 직산역 | 17303 | 83916 | 16300720 | 83916 | 14652 | 16081290 | |
장항선 | 2186 | 1942923 | 14359983 | 1870466 | 2364 | 14213118 | |
천안역 | 1191565 | 2624696 | 12926852 | 2637909 | 1186374 | 12761653 | |
소정리, 전의, 전동역 | 16395 | 27091 | 12916156 | 25515 | 16670 | 12752808 | |
오송삼각선, 서창역, 충북선 | 207735 | 61540 | 13062351 | 59318 | 210767 | 12904257 | |
조치원역 | 593208 | 963790 | 12691769 | 951363 | 583074 | 12535968 | |
내판, 부강, 매포역 | 19212 | 28748 | 12682233 | 32938 | 14933 | 12567963 | |
신탄진, 회덕역 | 99366 | 334999 | 12446600 | 343855 | 92217 | 12266325 | |
호남선 | 629 | 4580266 | 7866963 | 3685083 | 619 | 8581861 | |
대전연결선 | 6707731 | 0 | 14574964 | 0 | 6776006 | 15357867 | 경부고속선 접속 |
대전선, 대전조차장, 호남선 | 7502 | 3817 | 14577474 | 592361 | 2022 | 14766940 | |
대전역 | 2086772 | 3423194 | 13241052 | 3483882 | 2052661 | 13334719 | |
세천, 옥천역 | 40395 | 87640 | 13193807 | 91465 | 37787 | 13281041 | |
옥천연결선 | 0 | 6383774 | 6810033 | 6325697 | 0 | 6955344 | 경부고속선 접속 |
이원, 지탄, 심천, 각계역 | 1985 | 33374 | 6778644 | 39268 | 1758 | 6917834 | |
영동역 | 124229 | 395183 | 6507690 | 369547 | 126012 | 6674299 | |
황간, 추풍령, 직지사역 | 12016 | 31531 | 6488175 | 34075 | 11076 | 6651300 | |
경북선 | 240317 | 1128 | 6727364 | 1949 | 228556 | 6877907 | |
김천역 | 634837 | 498083 | 6864118 | 501066 | 634864 | 7011705 | |
대신, 아포역 | 3348 | 128 | 6867338 | 225 | 3842 | 7015322 | |
구미역 | 1271443 | 886841 | 7251940 | 881549 | 1316371 | 7450144 | |
사곡, 약목역 | 36434 | 4046 | 7284328 | 6776 | 29952 | 7473320 | |
왜관역 | 418991 | 164250 | 7538019 | 165155 | 417679 | 7725844 | 연화역 승하차량 포함 |
신동연결선 | 6383774 | 0 | 13921793 | 0 | 6325679 | 14051541 | 경부고속선 접속 |
신동, 지천역 | 7848 | 867 | 13928774 | 1371 | 4570 | 14054740 | |
대구역 | 1133830 | 1679365 | 13383239 | 1789041 | 1134664 | 13400363 | |
대구선 | 1375 | 440112 | 12944502 | 416486 | 3896 | 12987773 | |
동대구역 | 1834492 | 4627527 | 10151467 | 4563491 | 1785932 | 10210214 | |
경산역 | 404295 | 412569 | 10143193 | 420482 | 396436 | 10186168 | 고모역 승하차량 포함 |
삼성, 남성현, 청도역 | 189065 | 299640 | 10032618 | 298515 | 191093 | 10078746 | |
신거, 상동역 | 27707 | 12092 | 10048233 | 13583 | 28952 | 10094115 | |
밀양역 | 829433 | 572510 | 10305156 | 570596 | 853314 | 10376833 | |
미전선, 미전 | 0 | 715586 | 9589570 | 654937 | 3675 | 9725571 | 경전선 접속 |
경전선 | 127268 | 0 | 9716833 | 177934 | 122189 | 9669826 | |
삼랑진 | 165999 | 47284 | 9835548 | 47966 | 171276 | 9793135 | |
원동, 물금, 화명역 | 79696 | 90800 | 9824444 | 105952 | 74366 | 9761550 | |
구포역 | 22085 | 1653448 | 8193081 | 1802132 | 25055 | 7984473 | |
가야선 | 0 | 237336 | 7955745 | 229807 | 0 | 7754666 | |
사상역, 동해남부선, 부산진역 | 211 | 108384 | 7847572 | 98938 | 18735 | 7674463 | |
부산역 | 330 | 7847902 | 종착 | 7674879 | 416 | 출발 |
[편집] 역 목록
[편집] 경부고속철도
- 이 부분의 본문은 경부고속철도입니다.
[편집] 직결 노선
[편집] 인접 간선
[편집] 지선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주석과 참고자료
- ↑ 자세한 과정은 1기 지하철참고.
- ↑ 철도공사 광역전철 승하차인원
- ↑ 철도공사 광역전철 승하차인원
- ↑ 한국철도공사 여객열차 시간표를 이용한 계산
[편집] 바깥 고리
간선 | 경부선(경부고속선)·경의선·호남선·경원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대전선·대구선·가야선·서울교외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충북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오송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 |
계획중 | 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 |
분류: 경부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