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서양 고전 음악의 양식에 관한 것입니다. 현대자동차의 승용차 모델에 대해서는 현대 쏘나타를 참고하십시오.

서양 고전 음악에서 소나타(Sonata)는 기악을 위한 음악 형식의 하나이다.

소나타는 16세기 말엽에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에서 성악을 위한 칸타타와 구분하는 용어로 시작되었다. 17세기에 소나타는 코렐리에 의해 두 종류로 구분되었다:

  • 실내 소나타 (Sonata da camera): 전주곡 + 2 ~ 4 악장
  • 교회 소나타 (Sonata da chiesa): 4 악장 (천천히 - 빨리 - 천천히 - 빨리)

소나타는 사실상 독주곡과 비슷한 뜻으로 쓰이며 주로 피아노나 통주저음의 반주 악기를 더불어 연주한다.

[편집] 구성

이후 고전시대 소나타의 작곡양식은 3 내지 4 악장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확립된다. 보편적인 소나타의 양식은 다음과 같다:

1악장. 보통 빠르기. 소나타 형식을 따른다.
2악장. 2부 형식의 느린 곡.
3악장. 미뉴에트. 이 악장은 흔히 생략되기도 한다.
4악장. 빠른 곡. 론도가 많이 쓰인다.

하지만 월광 소나타처럼 느린 악장으로 시작하여 2악장으로 미뉴에트를 거쳐서 소나타 형식의 3악장으로 마치는 곡도 있다.

[편집] 형식으로서의 소나타

소나타의 대표적 악장 주기

전주
가단조
앨러만드
가단조
코랜트
가단조
가보트
가단조

코렐리, 트리오 소나타 (작품번호 4-5): 실내 소나타

그라베이
가단조
푸가
가단조
안단테
다장조
알레그로
가단조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제 2번 가단조(바하 작품번호 1003): 교회 소나타

알레그로
라장조
안단테
사장조
알레그레토
라장조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쾨헬번호 306): 3악장 소나타

3중주 소나타 악기구성

기본 피아노 현악 3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