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조선)의 철도에 대해 기술한다.

[편집] 개요

북조선의 철도는 많은 노선이 대한민국과 마찬가지로 일제 시대에 부설된 것이다. 가장 처음으로 개통한 것은 경의선으로, 1906년 4월 3일서울~신의주간이 개통했다. 이후 경원선1919년, 함경선이 1928년에 순차적으로 개통되었으며, 평원선도 1942년경에 개통했다. 종전 후, 남북에 각각 국가가 세워지고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철도는 공격 대상이 되어 많은 시설이 파괴되었지만, 소비에트 연방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으로 복구되었다.

현재 북조선의 국민에게는 일부의 특권계층을 제외하고 자가용 자동차가 없으며, 고속버스등의 다른 교통수단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철도가 유일한 도시간 교통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 에너지 부족이나 보선 상태·차량의 정비 상태의 악화 때문에 운휴나 지연이 항상 일어났으며, 적어도 주요 간선은 운행되지 않는 듯 하다.

또한 북조선이 남한보다 복선화율은 낮으나(3%) 전철화율이 높다고(80%) 하며, 남만주철도나 조선총독부철도에서 이어받은 증기기관차도 근래까지 남아있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국제 열차로는 평양 ~ 선양 ~ 베이징·모스크바 간을 운행하는 열차와 평양 ~ 하바로프스크 ~ 모스크바 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존재한다. 전자는 외국 여행자에게도 북한을 방문할 때에는 베이징부터 승차가 가능하지만, 국제 열차와 일반 국민이 승차하는 차량 사이에 식당차가 연결 되어, 양쪽의 열차 사이의 왕래는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북조선에서는 최우등열차라고 인식되어 있는 경의선의 국제 열차에서도 신의주 ~ 평양 간에 5~6시간(거리는 225km, 표정속도는 45~37.5km/h) 정도를 필요로 한다. 후자는 평양 ~ 두만강 간의 운행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는 운행되지 않고 있다고 추측된다.

또한, 평양에서는 지하철이나 노면전차, 트롤리 버스 등도 운행되고 있다.

덧붙이자면 김정일 국방위원장·조선로동당 총 서기는 비행기를 싫어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외국에 나갈 때에는 전용 특별열차가 자주 사용된다. 2001년 7, 8월에는 러시아의 모스크바를, 2004년 4월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을 방문했다.

[편집] 대표 차량

  • 주체호 (전동차)
  • 붉은기 1(전기기관차)
  • 만경대 (전기기관차)
  • 강행군 (전기기관차)
  • 새별 (내연기관차)
  • 금성 (내연기관차)

[편집] 주요 노선

  • 평의선 (평양 ~ 신의주)
  • 평부선 (평양 ~ 부산. 실질적으로는 평양 ~ 개성이며, 이남은 개성 ~ 도라산이 분단되었으며, 더 남쪽은 대한민국 통치 하의 경의선·경부선이다)
  • 평남선 (평양 ~ 남포)
  • 평북선 (정주청년 ~ 청수)
  • 평덕선 (덕천 ~ 구장청년)
  • 황해청년선 (사리원청년 ~ 해주항)
  • 옹진선 (은파 ~ 철광)
  • 평라선 (평양 ~ 라진)
    • 이 노선은 본래 평원선(평양 ~ 고원) 및 함경선(원산 ~ 청진)으로 건설되었지만, 후에 개칭되었다. 남은 함경선 원산 ~ 고원은 경원선의 북조선 구간과 합쳐 강원선이라 불리고 있다.
  • 강원선 (평강 ~ 고원)
    • 경원선(용산 ~ 원산. 신탄리 ~ 평원 간이 분단되어 이남은 한국철도공사 운영)의 북조선 구간과 평라선에 편입되지 않은 함경선의 원산 ~ 고원 구간을 합친 것.
  • 청포선 (청진 ~ 라선)
  • 함북선 (회령 ~ 라진)
  • 청년이천선 (평산 ~ 세포청년)
  • 만포선 (순천 ~ 만포국경)
  • 백무선 (백암청년 ~ 무산)
  • 백두산청년선 (길주청년 ~ 혜산청년)
  • 금강산청년선 (원주 ~ 금강산청년)
    • 한국 전쟁 전에는 동해북부선(안변 ~ 양양)이었지만, 한국 전쟁으로 인해 폐지. 1997년 구 동해북부선을 따라 개통했지만, 실제로는 운행되지 않는다고 보인다. 한편, 금강산청년 ~ 양양 구간은 방치되어 왔지만 경의선과 함께 동해선도 남북간의 연결 및 동해남부선과의 접속이 합의되었기 때문에 금강산청년 ~ 제진 간은 복구 공사가 조금씩 진행되었다.
  • 평양시내교통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