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매카트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폴 매카트니 | |
---|---|
![]() 폴 매카트니 경, 2004년 6월 6일 체코 프라하 공연 중 |
|
본명 | {{{본명}}} |
국적 | 영국 |
출생 | 1942년 6월 18일 |
사망 | |
장르 | 록 로큰롤 아트 록 소프트 록 팝 록 싸이키델릭 록 |
활동 시기 | 1957년 ~ 현재 |
그룹 활동 | |
http://www.paulmccartney.com/ |
제임스 폴 매카트니 경(Sir James Paul McCartney, 1942년 6월 18일 ~ )은 영국의 가수이자 작곡가로, 비틀즈의 멤버였다. 그는 베이스 기타뿐만 아니라 보컬, 기타리스트, 피아니스트, 드러머로서도 상당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20세기 대중음악의 상징적인 인물로 손꼽히는 매카트니는,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대중음악가'로 기네스 북에 올라가 있기도 하다. 그는 미국에서 21개의 싱글 1위곡을 냈으며, 솔로와 비틀즈곡을 합치면, 폴 매카트니가 썼거나 공동 작곡한 곡(레논-매카트니) 중 차트 톱10에 든 노래는 50곡이 넘는다.
매카트니와 존 레논은 비틀즈의 주요한 노래들을 작곡했는데, "Hey Jude", "Eleanor Rigby", "Yesterday", "Let It Be" 등은 모두 그의 작품이다. 또한 매카트니는 헤비 메탈의 시초라 불리는 "Helter Skelter"라는 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그는 비틀즈 해체 이후 솔로 및 밴드 윙스로서 활동했으며, 영국과 미국에서 "Maybe I'm Amazed", "Live and Let Die", "Band on the Run", "Silly Love Songs" 등 30곡이 넘는 톱 10 싱글을 선보였다.
이러한 음악적 활동들 외에도 매카트니는 화가, 동물 운동가, 지뢰 반대 활동, 채식주의자, 음악 교육가로서도 활동한다.
목차 |
[편집] 생애
[편집] 어린시절
폴 매카트니는 영국 리버풀 북부에 있는 월튼 병원에서 태어났다. 이곳은 그의 어머니가 간호사로 일했던 곳이기도 하며, 그의 동생 마이클 매카트니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그는 카톨릭 세례를 받았으나 무교로 자라났다. 그의 아버지인 제임스 매카트니는 독학으로 피아노를 배운 댄스 밴드의 리더였는데, 이는 폴 매카트니가 음악을 접하는데에 큰 역할을 했다. 그의 아버지는 폴에게 트럼펫을 선물했는데 그의 윗입술에 경렬이 생긴 이후에는 그만 두었다. 매카트니는 이 트럼펫을 가지고 그가 아직도 가지고 있는, £15짜리 제니스 어쿠스틱 기타로 바꾸었다.
1956년 10월 31일, 폴이 14세 되던 해에 어머니 매리 매카트니가 유방암으로 사망한 것은 그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쳤다. 레논의 어머니 줄리아는 1958년 7월 15일, 레논이 17세 되던 해애 사망했는데, 후에 매카트니는 존 레논과의 이러한 공통분모를 통해, 더욱 친해질 수 있었다.
매카트니의 부모는 모두 아일랜드 계통인데, 그의 증조부 제임스 매카트니는 아일랜드에서 태어났고(그의 조부 제임스 매카트니 2세도 아일랜드에서 태어났다는 증거가 발견되기도 한다), 그의 외조부와 외조모 역시 아일랜드에서 태어났다. 즉 매카트니 피의 5/8은 아일랜드 계통이라는 뜻이다.
[편집] 비틀즈
폴 매카트니는 1957년 7월 6일, 교회 축제에서 처음 만나게 되는데, 이때 레논의 밴드 쿼리맨의 기타리스트로 초대받는다. 후에 매카트니의 교우 조지 해리슨이 세 번째 기타리스트로, 스튜어트 서트클리프는 베이스로 참여하게 된다. 여기에 피트 베스트가 드럼으로 참여함으로써 비틀즈의 최초 라인업이 탄생한다. 하지만 1962년, 스튜어트의 탈퇴로 매카트니는 베이스 기타를 맡게 되었고, 링고 스타가 베스트를 대채함으로써 비틀즈의 최종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편집] 작곡가
매카트니는 레논과 여러 곡들을 작곡했다. 하지만, 모든 곡들 중 27곡만이 두 명이서 1:1로 작곡한 곡이며, 보통은 한 명이 대부분의 곡을 작곡하며 다른 한명이 이를 완성하거나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식이었다. 비틀즈 초반에 있었던 매카트니와 레논 간의 합의에 따라, 두 명은 누가 작곡했던 간에 "레논 & 매카트니"라는 크래딧을 사용하기로 한다. 그런데 앨범 《Please Please Me》의 경우에는 모든 곡과 싱글 〈From Me To You〉, 그 B 사이드 〈Thank You Girl〉까지 "매카트니-레논"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비틀즈 시절 매카트니가 작곡한 곡 중 가장 유명한 곡인 〈Yesterday〉는 현재까지 2,500명 이상의 음악가들이 커버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이는 꿈 속에서 들었던 멜로디가 그 원곡이라고 한다. 매카트니에 따르면 원래 가사는 "Scrambled eggs, Oh my baby how I love your legs"라고 한다. 그는 혹시 이게 어딘가에서 들었었던 멜로디가 꿈 속에서 기억난 것이 아닌가 하여 여러 사람들 앞에서 사람들이 이를 들어 보았는지 확인해 보았다고 한다.
비틀즈의 초기 시절 이러한 작곡 활동에 따라 매카트니는 음악가로서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 당시 그는 버디 홀리와 리틀 리처드에 큰 영향을 받았다.
[편집] 디스코그라피
비틀즈 시절의 디스코그라피는 비틀즈를 참고하라.
[편집] 솔로
- 스튜디오 앨범
- McCartney (1970년 4월 17일) 영국 #2; 미국 #1
- McCartney II (1980년 5월 16일) 영국 #1; 미국 #1
- Tug of War (1982년 4월 26일) 영국 #1; 미국 #1
- Pipes of Peace (1983년 10월 31일) 영국 #4; 미국 #15
- Press to Play (1986년 9월 1일) 영국 #8; 미국 #30
- Снова в СССР (소련 내(內) 발매: 1988년 10월 31일, 기타 국가: 1991년 9월 30일) 영국 #63; 미국 #109
- Flowers in the Dirt (1989년 6월 5일) 영국 #1; 미국 #24
- Off the Ground (1993년 2월 1일) 영국 #5; 미국 #17
- Flaming Pie (1997년 5월 5일) 영국 #2; 미국 #2
- Run Devil Run (1999년 10월 4일) 영국 #12; 미국 #27
- A Garland for Linda (2000년 4월 25일) 영국#7 미국#5
- Driving Rain (2001년 11월 12일) 영국 #26; 미국 #26
- Chaos and Creation in the Backyard (2005년 9월 12일) 영국 #10; 미국 #6
- 라이브 앨범
- Tripping the Live Fantastic (1990년 11월 5일) 영국 #16; 미국 #26
- Tripping the Live Fantastic: Highlights! (1990년 11월 12일) 미국 #141
- Unplugged (The Official Bootleg) (1991년 5월 20일) 영국 #7; 미국 #14
- Paul Is Live (1993년 11월 15일) 영국 #34; 미국 #78
- Back in the U.S. (2002년 11월 26일) 미국 #8
- Back in the World (2003년 5월 17일) 영국 #5
- 컴필레이션 앨범
- All the Best! (1987년 11월 2일) 영국 #2; 미국 #62
- The Paul McCartney Collection (1993년 11월)
- Never Stop Doing What You Love (2005년)
- 클래식 앨범
- Paul McCartney's Liverpool Oratorio (1991년 10월 11일) 미국 #177
- Paul McCartney's Standing Stone (1997년 (9월 22일) 미국 #194
- Paul McCartney's Working Classical (1999년 11월 1일)
- Ecce Cor Meum (2006년 9월 26일)
- 린다 매카트니와 함께한 앨범
- 퍼시 스릴스 스릴링턴이란 가명으로 발매한 앨범
- 사운드트랙
- The Family Way (1967년 1월 6일)
- Give My Regards to Broad Street (1984년 10월 22일) 영국 #1; 미국 #21
- Rupert and the Frog Song (1985년 5월 23일)
[편집] 윙스
윙스의 디스코그라피를 참고하라.
[편집] 참조 항목
[편집] 바깥 고리
- 폴 매카트니 공식 사이트
- 폴 매카트니 애니매이션 사이트
- 폴 매카트니의 매카트니 프로덕션스
- 공식 영/미 디스코그라피
- 폴 매카트니 앨범
- 2002년도 폴 매카트니 미술작 전시
- 폴 매카트니 가사
- 매카 센트럴, 권위있는 비공식 폴 매카트니 팬사이트
폴 매카트니 |
---|
스튜디오 앨범 |
McCartney | Ram | McCartney II | Tug of War | Pipes of Peace | Press to Play | Снова в СССР | Flowers in the Dirt | Off the Ground | Flaming Pie | Run Devil Run | Driving Rain | Chaos and Creation in the Backyard |
윙스 시절 |
Wild Life | Red Rose Speedway | Band on the Run | Venus and Mars | Wings at the Speed of Sound London Town | Back to the Egg |
사운드트랙 |
Give My Regards to Broad Street |
실험적 앨범 |
Thrillington | Strawberries Oceans Ships Forest | Rushes | Liverpool Sound Collage |
클래식 앨범 |
Paul McCartney's Liverpool Oratorio | Paul McCartney's Standing Stone | Paul McCartney's Working Classical | Ecce Cor Meum |
관련 문서 |
디스코그라피 |비틀즈 | 퍼시 스릴스 스릴링턴 | 린다 매카트니 | 헤더 밀스 매카트니 | MPL 커뮤니케이션스 | 폴 매카트니 사망설 | 스텔라 매카트니 |
비틀즈 |
---|
존 레논 | 폴 매카트니 | 조지 해리슨 | 링고 스타 피트 베스트 | 스튜어트 서트클리프 |
매니저 |
브라이언 엡스틴 | 앨런 클라인 | 애플 레코드 |
제작 |
조지 마틴 | 제프 에머릭 | 노먼 스미스 | 필 스펙터 | 애비 로드 스튜디오 | 제프 린 |
공식 스튜디오 음반 |
Please Please Me (1963) | With the Beatles (1963) | A Hard Day's Night (1964) | Beatles for Sale (1964) | Help! (1965) | Rubber Soul (1966) | Revolver (1966)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67) | Magical Mystery Tour (1967) | The Beatles (White Album, 화이트 앨범) (1968) | Yellow Submarine (1969) | Abbey Road (1969) | Let It Be (1970) |
영화 |
A Hard Day's Night (1964) | Help! (1965) | Magical Mystery Tour (1967) | Yellow Submarine (1968) | Let It Be (1970) |
관련 문서 |
레논-매카트니 | 비틀마니아 | 영향 | 다섯 번째 비틀 | 폴 매카트니 사망설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애플 레코드 | 오노 요코 | 지미 니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