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음악(音樂, 고대 그리스어 μουσική 에서 유래, 대개의 서양의 언어 "music")은 한자어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소리로서 혹은 소리를 들으므로서 사람이 느끼는 즐거움을 뜻한다. 이와 같은 음악이 가지는 원시적인 뜻은 사람이 동물과는 달리 소리를 듣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감성을 갖고 있다는 심리적 측면과 함께 또한 즐거움을 불러일으키는 소리를 만들어 이를 들으며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인류의 문화 발전사에서 음악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매우 일찍 인간 생활의 중요한 요소로서 자리를 잡았다. 소리와 관련된 기술로서 음악은 인류 문명의 발전과 발을 맞추어 여러가지 형식과 이론 그리고 악기의 발전을 가져왔다. 오늘날 음악의 분야는 음악을 연주, 작곡 하는 분야, 음악의 이론을 분석 연구하는 분야, 그리고 악기 제작 및 음악과 관련된 단체 및 여러 활동을 조직하는 일종의 서비스 분야 따위로 세분화 되어 있으며, 음악의 종류에 따라 전통 혹은 고전음악과 대중음악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음악의 발생 및 전통 그리고 여러 기술적 측변에서 동양음악과 서양음악은 필연적으로 달리 이해되고 있다.

목차

[편집] 음악의 기원

음악은 역사상 언제부터 어떻게 발생되었는가는 확실히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약 5만년으로부터 1만년쯤 전에 발생된것이라고 추정하고있다. 그때는 주술이나 마술등을 위해 발달하였고 마력적이라고 생각하여다. 악기로는 뼈로 만든 피리와 딱다기등이 있었다. 음악의 기원은 동물의 울음소리를 흉내내려고 생겼을지도 모른다는 가설도 나오고 춤의 동작에 맞추는 가설등이 나왔다. 그러나 자세한 것은 모른다.

다음은 가설의 종류이다.

  • 동물의 울음소리를 흉내내려는 시도의 가설
  • 언어의 억약에 점차 고저가 뚜렷해짐으로 음악이 나왔다는 가설
  • 노동작업을 할 떄 맞추기위해 음악이 만들어졌다는 가설
  • 춤동작에 맞출려고 만들어진 가설

[편집] 음악의 역사

한국음악사와동양음악사와서양음악사를 참조하시오.

[편집] 고대의 음악

고대의 음악에 관련된 악보등은 없지만 조각상과 회화등으로 추정한다. 기운전 3000년에서 4000년경 세계 4대문명의 발상지의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는 악기 하아프와 리라등을 사용하였으며 축제제례나 종교등으로 사영하였다. 기원전 3500년경 메소포타미아는 음악이 제례에 많이 쓰였다. 이스라엘에서는 기원전 1050년경 2시대로 나누는데 유목시대에는 킹노르(현악기)와 토프(큰북)등이 있다. 교회음악으로도 쓰이기도 하였다. 그리스음악은 시나 무용등으로 사용하였다.또한 국가적 행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있었다.



[편집] 음악의 분류와 장르

[편집] 동양음악

  • 한국의 종묘제례악
  • 한국 대중음악

[편집] 서양음악

[편집] 종교음악

[편집] 기독교

[편집] 불교

  • 찬불가

[편집] 음악의 형식에 따른 분류

[편집] 성악

[편집] 연주 악기에 따라서 (기악)

  • 교향곡 또는 관현악 합주
  • 현악 합주
  • 관악 합주

[편집] 연주하는 사람의 수에 따라서

[편집] 연주 음악의 종류에 따라서

[편집] 읽어보기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