ヵ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ゝ」 | 가나 오십음도 | ||||||||||
---|---|---|---|---|---|---|---|---|---|---|---|
ん | わ | ら | や | ま | は | な | た | さ | か | あ | |
っ | ゐ | り | み | ひ | に | ち | し | き | い | ||
ヴ | る | ゆ | む | ふ | ぬ | つ | す | く | う | ||
ヵ ヶ | ゑ | れ | め | へ | ね | て | せ | け | え | ||
ー | を | ろ | よ | も | ほ | の | と | そ | こ | お |
ヵ는 일본어의 조수사표기에 사용되는 문자이다. 가타카나의 カ를 작게 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엄밀히 가나문자에 속하는 문자는 아니다. 또한 비슷한 용법으로 쓰이는 ヶ와 같이 한자의 일종(약자체)으로 볼 수도 없다.
일본어 문장에서는 원래 ヵ라는 문자가 쓰이지 않았는데, 个,箇의 약자인 ヶ가 一ヶ月와 같이 사용될 때, 발음이 잇카게츠와 같이 か소리가 나므로, 가타카나 ケ와 혼동되는 ヶ대신 발음에 맞추어 ヵ로 잘못표기한 것으로부터 사용이 확대되었다.
따라서 ヵ는 ~개라는 조수사적 용법과 ~의 라는 문어체 소유격의 두가지 용법에 두루 쓰이는 ヶ와는 달리 조수사적 용법에만 사용이 한정된다. 또한, 애초에 잘못된 인식에서 생겨난 것이므로, ヵ표기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언론사에 따라서는 ヵ로 표기를 통일한 곳도 있다.
"ヵ"를 사용하는 경우
- 一ヵ所 일 개소(잇카쇼로 읽음)
- 一ヵ月 일 개월(잇카게츠로 읽음))
- 十ヵ条 십 개조(쥬카죠로 읽음)
"ヵ"를 쓸 수 없는 경우
- 関ヶ原 関ヵ原(X) 세키가하라
- 一ヶ(잇코로 읽음)
- 個,箇条書き(한자로 써야할 경우)
[편집] 함께 보기
- 요음
- 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