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음 위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 바깥 입술, 2. 안쪽 입술, 3. 이, 4. 치경5. 후치경, 6. 전경구개, 7. 경구개, 8. 연구개9. 구개수, 10. 인두, 11. 성문, 12. 후두개, 13. 설근14. 후설, 15. 전설, 16. 설단, 17. 설첨, 18. 혀 밑
1. 바깥 입술, 2. 안쪽 입술, 3. , 4. 치경
5. 후치경, 6. 전경구개, 7. 경구개, 8. 연구개
9. 구개수, 10. 인두, 11. 성문, 12. 후두개, 13. 설근
14. 후설, 15. 전설, 16. 설단, 17. 설첨, 18.
조음 위치
입술소리
양순음
순치음
혀끝소리
설순음
치음
치간음
치경음
설첨음
설단음
후치경음
치경구개음
권설음
혓바닥소리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목구멍소리
인두음
후두개음
성문음
조음 방법
틀 편집

조음 위치자음를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고 소리가 만들이지는 부분이다. 조음 위치의 명칭은 주로 조음을 돕는 조음기관 중 위턱에 있는 조음기관의 명칭으로 결정한다.

[편집] 조음

  • 비음 - 경구개를 내려서 비강에서 소리를 냄. 상기의 모든 조음 위치와 병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서 조음 위치이지만 조음 방법으로 분류한다.

다음은 이러한 비음화가 불가능한 조음 위치이다.

[편집]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