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역장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통역장교는 군내에서 통역및 번역의 일을 하는 장교로 외국군과 의사소통, 정보교류에 주로 기여한다.
목차 |
[편집] 역사
군 특성상 외국과 싸우는 임무를 가지고 있어 외국군과 교섭, 협상시 통역을 하는 사람은 오래전 부터 있어왔다. 현대적 의미의 통역장교는 6.25때 미군이 들어오면서 영어 통역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생겼다.
[편집] 선발
육군에선 1년에 1회 통역사관을 사관후보생 특수사관의 하나로 선발하며 선발인원은 20명 안밖이다. 지원자격은 학사학위 이상자로 TOEIC 900점 (TEPS 870점) 이상이 필요하나 실제 실력은 그이상이야 한다. http://www.army.mil.kr/recruit/recruit1_7.htm 선발이되면 육군3사관학교에서 3개월간 장교훈련을 받고 임관한다.
공군에선 일년에 2기수로 한번에 10명 안팎 선발한다. 통역시험을 공군사관학교에서 실시하며 보통 경쟁률은 1:5-8정도이다. 삼군중 규모도 크고 경쟁률도 센편이다. http://www.airforce.mil.kr/PC/PCD/PCDAC0100.html
해군 역시 통역장교를 선발한다.
[편집] 통역교육
공군의 경우 임관후 3개월간 오산 작전사령부 기획조정실에서 통역실무교육을 받는다.
[편집] 보직
국방부, 합참등 상위부서에서 통역, 번역, 부관일등을 한다. 영어교육업무를 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