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코포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87년에 제정된 프랑코포니의 기.
1987년에 제정된 프랑코포니의 기.

프랑코포니(프랑스어: La Francophonie)란 "국제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를 뜻한다. 중심 국가는 프랑스어공용어프랑스이다.

목차

[편집] 프랑코포니의 역사

1970년에 설립했다.

[편집] 프랑코포니의 사무총장

이 부분의 본문은 역대 프랑코포니 사무총장입니다.

이집트 출신의 아랍인으로 콥트파 정교도인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1997년에서 2002년까지 맡았고, 2003년부터는 아브두 듀프(Abdou Diouf / 월로프어로는 Abdu Juuf 아브두 주우프)전 세네갈 대통령이 맡고 있다. 2006년 9월 28-29일에 개최된 부쿠레슈티 정상회담에서 재선되어 2010년까지 이끌게 되었다.

[편집] 프랑코포니 정상 회담

[편집] 프랑코포니 가맹국

프랑코포니 회원국과 참가국.
프랑코포니 회원국과 참가국.

프랑코포니에 가입한 나라들은 과거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은 나라들 뿐만 아니라(알제리 측은 '식민주의 잔재'라는 이유로 가입을 거절함) 아랍 국가들(이집트)과 기타 국가들(불가리아, 루마니아 등)이 가맹하고 있다.

2006년 9월말 현재 50개의 정회원 독립국, 3개의 정회원 지방정부, 2개의 준회원 독립국, 13개의 참관원 독립국으로 구성되었다. 본부는 프랑스 파리에 있다. 2년마다 정상 회담(프랑스어: Sommet de la Francophonie 솜메 드 라 프랑코포니)을 개최한다.

2006년에는 9월 28일9월 29일 이틀간 루마니아부쿠레슈티에서 열렸다. 이 정상회담의 결과 과거의 4개 준회원국(알바니아, 안도라, 마케도니아, 그리스)이 정회원국이 되었고, 영연방가나키프로스가 준회원국이 되었고, 영연방모잠비크 및 구 유고의 세르비아, 구 소련의 우크라이나가 신규 참관국이 되었다.

13개의 참관국에는 그루지야, 아르메니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모잠비크, 세르비아, 우크라이나가 있다.

한편, 이번 정상회담에 참관국 자격을 요청한 타이, 수단, 몰타기사단등은 가입이 거부되었다.

50개 정회원 독립국에서 프랑스어를 유일하게 아니면 여럿중 하나의 공식어로 채택하고 있는 나라는 29개에 불과하다.

한편, 에스토니아는 2008년 정상회담에 가입하기 위하여 가입여부를 국민투표에 붙이기로 했다. 그리고 2006년 12월에는 우루과이가 프랑코포니에 관심을 표명하였다.

이 부분의 본문은 프랑코포니 가맹국입니다.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