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Majulah Singapura (마줄라 싱가푸라, 전진하는 싱가포르) |
|||||
국가: 전진하는 싱가포르 | |||||
![]() |
|||||
수도 | 싱가포르 시 1°17′N 103°51′E |
||||
공용어 | 말레이어(국어), 영어, 중국어, 타밀어 | ||||
정부 형태
대통령
총리 |
공화제 셀라판 라마나단 리셴룽(李顯龍) |
||||
독립 • 독립 |
말레이시아으로부터 독립 1965년 8월 9일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692.7 km² (175위) 1.444% |
||||
인구 • 2005년 어림 • 2000년 조사 • 인구 밀도 |
4,425,720명 (118위) 4,017,700명 6,389명/km² (2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2005년 어림값 $1,310억 (55위) $29,700 (22위) |
||||
HDI • 2003년 조사 |
0.907 (25위) |
||||
통화 | 달러 (ISO 4217:SGD )(화폐단위: -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SST (UTC+8) (없음) |
||||
ISO 3166-1 | (없음) | ||||
ISO 3166-2 | - | ||||
ISO 3166-3 | 준비 중 | ||||
인터넷 도메인 | .sg | ||||
국제 전화 | +65 ¹ |
||||
¹ 02는 말레이시아에서 전화를 걸 때 사용하는 번호이다. |
싱가포르(말레이어: Singapura 싱가푸라, 영어: Singapore, 타밀어: சிங்கப்பூர் 싱카푸르)는 동남아시아의 도시 국가이며, 법률이 매우 엄격한 나라로 유명하다.
정식 명칭은 싱가포르 공화국(말레이어: Republik Singapura 레푸블리크 싱가푸라,영어: Republic of Singapore, 중국어 간체: 新加坡共和国, 병음: Xīnjiāpō Gònghéguó, 타밀어: சிங்கப்பூர் குடியரசு 싱카푸르 쿠디야라수)이다. 한문으로 음차한 신가파(新加坡)라고도 부른다.
목차 |
[편집] 역사
싱가포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3세기 중국의 문헌에 나온다. 14세기경에는 스리비자야 왕국에 속하며 자바어로 바다마을이라는 뜻의 "테마섹"(Temasek, Tumasek)이라 불리었다. 테마섹은 중요한 무역도시로 떠올랐으나, 이후 14세기 경에는 쇠락의 길을 걷는다.
16세기와 19세기 사이에 싱가포르는 조호르 술탄국의 일부였다. 1617년 말레이시아-포르투갈 전쟁 중에 싱가포르는 포르투갈 군대에 의해 불태워졌다. 이후 16세기 동안에는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았으며 17세기에는 덴마크의 영향권안에 있었다. 하지만 이때는 그저 어민과 가끔식 해적들이 나타나는 지역이였을 뿐이였다.
1819년 영국 동인도회사의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경이 이지역에 상륙하여 조호르의 술탄과 계약을 맺고, 싱가포르를 국제무역항으로 개발하였으며, 이 때부터 크게 성장하였다. 영국의 인도 정부가 1858년 부터 이지역을 관할 하였으며 1867년 부터는 정식으로 영국제국의 식민지로 편입되었다. 1869년까지 싱가포르의 인구는 100,000명에 달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일본제국군대가 말레이지아를 침공하여 싱가포르를 점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6일간 영국군은 치열한 방어를 하였으나 1942년 2월 15일 항복을 한다. 일본은 싱가포르를 쇼난(昭南)으로 개명하고 1945년 9월 12일 일본이 항복한후 영국군이 탈환할때까지 지배했다.
1959년에 리콴유(Lee Kuan Yew)수상과 유솝 빈 이샥( Yusof bin Ishak)에 의해 자치주가 되었으며 1962년에는 말레이지아에 합병되었다. 그러나 2년후 말레이지아와의 이념적인 차이에 의해 독립하게 되고 1965년 8월 9일 독립국가로서 새로운 국가를 시작하였다. 유솝 빈 이샥이 초대 대통령으로 이콴유가 초대수상으로 계속 집권하였다.
새로운 국가로서 싱가포르는 당면한 실업과 자급자족의 문제가 심각했다. 그러나 1959년부터 1990년까지 이콴유수상의 장기집권기간동안 놀라운 경제성장을 이루어 홍콩에 버금가는 경제력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관주도의 경제 사회정책의 집행은 공산주의보다 더 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90년에 고촉통(Goh Chok Tong)이 수상직을 승계하였으며 2004년에는 리콴유 전수상(현재 국가자문)의 큰아들인 리셴룽(Lee Hsien Loong)이 3대 수상으로 집권하고 있다.
[편집] 지리
싱가포르는 63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리로 말레이지아의 조호르와 북쪽에서 조호-싱가포르 코즈웨이를 통해, 서쪽에서 투아스 제2 연결점에 의해 연결 되어 있다. 주롱섬, 풀라 테콩, 플라 우빈, 센토사가 주요 섬들이며 가장 높은산은 부킷 티마 힐로 해발 166미터이다. 본섬의 중심에 위치한 싱가포르 강의 남쪽이 원래 도시의 발당이였으며 현재는 다운타운 코어로 불리운다. 이전에 그외 지역은 농장과 열대우림이였으나 현재는 새로운 도시의 확장과 함께 거주와 쇼핑 그리고 산업단지로 바뀌어졌다.
싱가포르는 계속적인 간척사업으로 1960년대에는 581.5 평방 킬로미터의 면적에서 현재는 697.2 평방킬로미터로 확장되었다. 2030년까지 100평방킬로미터를 더 확장하는 것이 정부의 목표이다. 이과정에서 많은 작은 섬들이 본섬과 연결되었는데 주롱섬이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편집] 행정 구역
싱가포르는 도시국가의 형태를 띄고 있다. 마치 다이아몬드 심볼 형태를 가진 싱가포르는 서부,북부,북동부,동부,중부의 5개 지역으로 크게 나누어지며 퀸즈타운, 센트럴에리어등 66개 도시 계획 구역으로 이루어 진다.
[편집] 기후
싱가포르는 전형적인 열대우림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계절의 구분이 없다. 기온은 보통 22°C 에서 34 °C (72°–93°F)사이이며 습도는 60~90%사이이다. 역사상 가장 추웠을 때는 18.4 °C (65.1 °F)였으며 가장 더웠을 때는 37.8 °C (100.0 °F)였다. 하루중 비가 올때가 잦으며 이때는 습도가 100%에 달하기도 한다. 싱가포르를 여행하는 여행자들은 꼭 우산을 가지고 다니는것이 권장된다.
[편집] 정치
싱가포르는 성문헌법을 가진 영국식 의회 정부의 공화국이다. 행정권은 내각에 있으며 내각책임제로서 총리가 주도하게 된다. 싱가포르 대통령은 보다 상징적인 존재로서 일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1991년 개정된 의회의원 선거법에서 복수정당을 기반으로 하는 민주적 투표로 의회가 구성되게 되었다.
1959년부터 현재까지 싱가포르는 리콴유가 이끄는 인민행동당(PAP, People's Action Party)이 집권하고 있다. 야당으로는 싱가포르노동자당, 싱가포르민주당, 싱가포르민주연합등이 있으나 존재가 미미하다. 이러한 장기집권과 강력한 정권의 힘이 싱가포르를 보통의 민주국가로 보다는 오히려 공산주의 국가나 사회주의 국가 보다 더 강력한 독재국가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는 검열, 선거구조작과 민주화 운동 탄압등의 정치적 행동을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사법권 또한 인민행동당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싱가포르 정부는 상당히 효율적이고 청렴도가 높은 편이며 투명한 시장 경제를 지지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1960년대 부터 시작한 주택개발위원회에 의한 "플랫"(Flat)이라고 불리우던 대규모 정부 공급 아파트 정책이나 경쟁력이 우수한 교육 시스템이 유명하다. 미디어, 사회간접시설, 교통등 대부분의 지역 경제는 정부소유의 회사들에 의해 주도 되고 있다.
싱가포르의 법은 영제국과 영인도의 법 그리고 영국 일반 법에 기반하고 있으나 인민행동당은 서양의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그대로 따르는 것은 반대하고 있다. 특히 발언의 자유와 같은 법은 다민족, 다종교 사회인 싱가포르의 국가적 이익을 위해서는 제한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다. 만약 집회나 반국가적 발언을 한다면 쉽게 2~3개월정도는 감옥에 수감된다고 한다.
특히 수많은 무거운 벌금체계와 마약거래에 대한 중형이 유명하다. 국제사면위원회 암네스티는 싱가포르를 세계에서 가장 사형률이 높은 나라중 하나로 보고 있다.
[편집] 언어
말레이어, 영어, 중국어, 타밀어가 공용어이다. 하지만 이것은 명목적인 것으로, 영어가 유일한 공용어 역할을 한다. 타밀어를 공용어로 한 이유는 단순히 타밀인을 배려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일상적인 경우에도 영어를 많이 쓰는 편이며 특히 직장에서는 영어 혹은 중국어가 많이 쓰인다. 하지만 중국어의 경우는 광동어나 다른 지역 중국어 사투리를 구사하는 인구가 많기 때문에 중국계 싱가폴인 사이에서도 영어가 많이 쓰인다.
영어가 많이 쓰이긴 하지만 싱글리쉬라는 일종의 싱가폴인들이 구사하는 사투리가 있기도 하다. 싱글리쉬는 영국식 영어를 기반으로 중국이나 말레이식 억양에 짧고 간단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말끝에 "라~"(Lah~)를 붙이는 말버릇이 있다.[1]
홍콩과 비교해서도 영어가 더 폭넓게 쓰여지고 있으며 일반 상점가나 택시기사들의 영어구사 능력도 보통 홍콩보다 더 뛰어나다. 이렇게 유창한 영어구사 가능인구가 많은 덕분에 영국, 미국과 다른 서방국가에서는 홍콩과 함께 아시아에 진출하기 쉬운 거점도시로서 싱가포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간판, 컴퓨터, 학교, 국가 등의 생활 속에서도 영어가 많이 쓰인다.
[편집] 주민과 이민정책
싱가포르는 미국과 비슷한 이민온 사람들에 의해 건설된 이민국가이다. 현재 나라의 70%가 중국계이며 나머지는 말레이인, 태국인, 영국인, 타밀인 등의 기타 민족이 거주한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 국가에서 이민을 장려하고 있으며 한해 태어나는 싱가포르의 아기보다 이민으로 유입되는 새로운 시민의 숫자가 더 많다. 특히 향후 싱가포르의 국가에 도움이 될만한 인재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이민을 유치하려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체류비자나 취업비자, 영주권을 얻기가 다른나라에 비해 용이하며 투자및 사업이민의 경우 100% 외국인 투자가 가능하다.
[편집] 종교와 휴일
싱가포르에는 국교는 없으며, 불교, 크리스트교, 이슬람교, 힌두교등 다양한 종교를 믿는 인종들이 같이 살고 있다. 국가 공휴일을 보면 하리라야하지,부처탄신일,디파발리(힌두음력설),하리라야푸아사(라마단),크리스마스등 다양한 종교의 휴일들이 국가공휴일 (Public Holiday)로 지정되어 있다. 강력한 정부권력에 의해 다른 국가에서 볼수 있는 정치적 종교관여나 종교분쟁은 찾아볼수 없다.
이렇게 다양한 싱가폴의 종교는 일상생활에서도 잘나타나는데 돼지비계기름(Lard)의 사용 유무를 표시한 레스토랑을 쉽게 볼수 있으며 무슬림을 위한 하람식 음식점과 채식주의자를 위한 음식점이 나란히 모여 있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다.
[편집] 교육
2000년 부터 초등교육이 의무화 되었으며 문맹률은 아시아에서 가장 우수한 편인 5%미만이다. 1997년 TIMSS 자료에서는 싱가포르가 수학과 과학에서 일본(수학및 과학 3위), 한국(수학2위, 과학4위),, 미국(수학28위,과학17위)를 제치고 모두 1위를 차지한바가 있다. (1995,1999,2003년에 1위를 차지했다)
사립학교와 공립학교가 섞여있으나 싱가포르 교육부에서 표준 과정을 설정하고 있으며 사립학교의 구분도 분명치 않은 것이 어떤 학교는 정부에의해 운영되고, 어떤학교는 정부 보조를 받고, 자율운영, 독립 혹은 개인재정에 의한 학교 재정등 다양하다. 또한 수준 높은 다양한 국제학교가 외국인 파견근무자들의 가족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
학교 생활에서의 스트레스는 다른 한국, 일본, 대만등 아시아 국가와 같이 심한편이다. 대단히 경쟁적으로 교육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초등학교를 마친후에는 초등졸업시험(PSLE, Primary School Leaving Examination)이라는 시험을 치루고 중등과정 이후에는 이후 진학진로에 따라 시험과정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다.
대학과정으로는 국립 싱가포르 대학교, 난양 기술 대학교와 싱가포르 매니지먼트 대학교가 유명하다. 이외에 기술대학으로 테마섹,싱가포르,니안,난양,리퍼블릭 폴리테크닉이 있다.
[편집] 군대
1971년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말레이지아와 함께 5개국 방위 조약에 가입되어 있어 공동 작전과 인사및 시스템간 교류를 하고 있다. 싱가포르군(Singapore Armed Forces, SAF)는 육,해,공군이 있으며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어 모든 싱가폴 시민 성인 남자는 2년간 복무한다. 특히 다민족의 다양한 종교를 가진 장병들이 함께 복무하게 되여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측면도 있다.
[편집] 경제
싱가포르의 경제정책은 국가에서 통제하는 사회주의식 자본주의이다. 국민총생산(GDP)으로 볼때 현재 세계에서 22번째로 부유한 국가이며 외환보유고는 1조190억달러(미국)에 이른다. 싱가포르는 고도로 발달된 시장기반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수출입 무역에 의존하여 발달하여 왔다. 제조업도 발전한 편인데 2005년 기준으로 국민총생산의 28%가 제조업으로 부터 나왔다. 주요 생산품은 전자, 석유화학, 기계공학과 의약품제조이다.
싱가포르는 런던, 뉴욕, 도쿄에 이는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외환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사업가들에게 친화적인 정책과 환경으로 평가 받고 있다. 홍콩, 한국, 대만과 함께 싱가포르는 종종 아시아의 4마리의 호랑이로 불리워지곤 한다.
싱가포르는 관광산업으로도 유명한데 2006년에는 97백만명의 관광객이 싱가포르를 방문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2005년에는 관광산업을 진흥하기 위해 도박을 합법화시켰으며 마리나 사우스와 센토사섬에 새로운 테마파크를 세우는 계획을 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음식 축제,칭게이 축제등의 관광 이벤트를 추진하고 있다.
2001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GDP가 2.2% 떨어지는 어려움을 겪게되자 2001년 12월에 경제검토위원회(ERC, The Economic Review Committee)를 세우고 경제에 다시 활력을 심어주기 위한 정책수정을 제시하였으며 이로부터 침체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2004년에는 8.3%, 2005년에는 6.4%의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편집] 조세
한국의 부가가치세와 비슷한 싱가포르의 상품 및 서비스 세금(GST, Goods and Services Tax)는 1994년 4월 1일부터 3%로 부과 되었다. 이를 통해 16억달러의 정부재원을 조달할수 있었다. GST 는 2003년에는 4%로 2004년에는 5%로 인상되었으며 2007년 7월 1일까지 7%로 인상할 예정이였다.
[편집] 문화
싱가포르는 원래 살던 말레이 민족 인구와 3대에 걸친 중국인,이민온 인도인과 아랍인 그리고 현대에 이민오거나 현지파견된 한국인을 포함한 여러 민족과 문화가 다양하게 섞여 만들어 내는 복합적 문화를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영국 식민지 문화와 페라나칸(Peranakan, 해협 중국인 사회)의 문화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근래에 들어 미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나 싱가포르 사람들이 주로 쓰는 영어는 식민지 문화의 영향을 받은 영국식 영어이다. 여기에 다양한 중국어 방언, 말레이어, 인도어가 뒤섞여서 싱글리쉬라는 일종의 영어 방언을 만들고 쓰게 되었다. 교육제도에 있어서 영어가 주된 언어로 쓰이기 때문에 싱가포르의 문학은 주로 영어로 쓰여진다.
리틀인디아나 차이나타운같은 민족성이 나타나는 지역이 아직도 존재하며 이것은 식민지시대에 이민자들을 분리수용하는 정책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교의 사원들이 시내에 건축되었다. 1990년이래로 싱가포르 정부는 싱가포르를 동과 서를 아울를수 있는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로 진정한 코스모폴리턴의 관문으로 만들고자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노력중 하나는 2002년 10월 12일 문을 연 에스프란데 극장이다.
내부적으로는 기존 싱가폴인과 이민자 사이에 잘 보이지 않는 긴장과 반목이 존재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이또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으로 억제되고 있다. 실제로 미래에 17~19세기의 미국 사회와 같은 새로운 이민문화가 생길 수 있을지는 두고봐야할 과제이다.
[편집] 대한 관계
싱가포르와 대한민국 사이에는 1970년 12월 싱가포르에 통상경제대표부를 개설한 이래로 이 대표부가 1971년 7월 총영사관으로 승격되었고 1972년에 양국간 항공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75년 8월 정식으로 대사관계로 승격되었다. 1979년 11월에는 이중과세방지협정이 체결되었다. 특히 건설업계의 교류가 활발한데 싱가포르의 창이공항을 비롯한 많은 주요건물들이 한국 건설업체에의해 건설되었다.
양국은 상호 10위권 내의 교역상대국이며 주로 전자전기제품, 기계류가 수출입 품목이며 특히 1998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에의 투자가 많이 이루어졌다. 2000년에 정점을이루다가 줄어들었으나 현재는 다시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싱가포르 투자청(GIC, Government of Singapore Investment Corporation)은 199년 잠실 시그마타워, 2000년에는 프라임타워, 서울파이낸스타워,무교빌딜,코오롱빌딩등의 대형 부동산들을 매입했으며 2005년에는 서울 역삼동의 스타타워빌딩을 매입하였다. 이러한 한국의 부동산 투자과정에서 탈루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편집] 바깥 고리
- ((영어)) 싱가포르 정부 공식 사이트
- 싱가포르 한인회
- 주싱가포르 대한민국 대사관
- ((한국어)) 유니클리 싱가포르
아시아의 나라 | ![]() |
---|---|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
|
속령 | |
마카오5 | 홍콩5 | |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