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파냐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스파냐어 español, castellano |
||
---|---|---|
지역 | 이베리아 반도,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의 대부분, 북아메리카와 서인도 제도. | |
언어 인구 | 3억 3천만여명 (제2언어를 포함하면 4억 1700만여명) |
|
사용 순위 | 2~4위 (추정치에 따라 다름) | |
언어의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칸어군 로망스어군 서부 로망스어군 갈리아이베리아어 이베리아로망스어 서이베리아어 카스티야어 에스파냐어 |
|
공용어/표준 | ||
공용어로 쓰는 국가 | 에스파냐, 남아메리카에서 브라질과 카리브해의 일부 섬들을 제외하고 모두, 미국 뉴멕시코 주, 서사하라, 유럽 연합, 적도 기니, 유럽 연합. | |
표준 | Asociación de Academias de la Lengua Española(Real Academia Española) | |
언어 부호 | ||
ISO 639-1 | es | |
ISO 639-2: | spa | |
ISO/DIS 639-3: | spa | |
|
에스파냐어는 에스파냐, 적도 기니, 멕시코, 중남미, 필리핀, 미국 등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2000년 현재 약 3억6천4백만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약 4억천만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로망스어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엔과 유럽 연합에서도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문자는 라틴 문자를 쓴다. 지난 5세기 동안 스페인 제국주의 시절 이후부터 중남미를 비롯한 전세계로 사용자가 확대되었다. 스페인어라고도 한다.
목차 |
[편집] 명명
[편집] 관계된 언어
[편집] 국가별 사용자 수
가나다순 | 내림차순 |
---|---|
|
|
모든 에스파냐어 구사자가 에스파냐어를 공식어로 사용하는 나라에 살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정확한 에스파냐어 구사자 수를 측정하는 것은 힘들다. |
[편집] 사용 지역 분포
[편집] 에스파냐어와, 다른 언어의 비교
에스파냐어와 별개의 공용어인 카탈루냐어가 속한 서 이베리안어군은 갈로-로망스어의 특징이 많이 보인다. 카탈루냐어는 에스파냐어와 포르투갈어 보다 더 오크어(Langue d'oc:프랑스 남부지방 방언)와 유사하다.
라틴어 | 에스파냐어 | 포르투갈어 | 카탈루냐어 | 이탈리아어 | 한국어, 그외 |
---|---|---|---|---|---|
nos | nosotros | nós | nosaltres | noi | 우리(-다른 것들)
(퀘벡-프랑스어: nous autres) |
germānum | hermano | irmão | germà | fratello | 남자 형제
(프랑스어:Frère) |
dies Martis (고전라틴어) |
martes | terça-feira (교회라틴어 tertia feria) |
dimarts | martedi | 화요일
(프랑스어: mardi) |
cantiōnem | canción | canção | cançó | canzone | 노래
(프랑스어: chanson) |
magis or plus | más | mais (초기 포르투갈어 chus) |
més | più | 더
(French plus, Romanian mai) |
manūm sinistram | mano izquierda | mão esquerda, sinistra (초기 포르투갈어 sẽestra) |
mà esquerra | mano sinistra | 왼손
(바스크어: esku ezkerra) |
nullam rem natam (lit. no thing born) |
nada | nada (초기 포르투갈어 rem) |
res | niente | 아무것도 없다.
(프랑스어: rien) |
[편집] 문법
[편집] 소리
[편집] 닿소리
- 이 부분의 본문은 Spanish phonology입니다.
양순 | 순치 | 치 | 치경 | 후치경 | 연구개 | 경구개 | 성문 | |||||||||
---|---|---|---|---|---|---|---|---|---|---|---|---|---|---|---|---|
비 | m | n | ɲ | (ŋ) | ||||||||||||
파열 | p | b | t | d | k | g | ||||||||||
마찰 | (β) | f | (v) | (θ) | (ð) | s | (z) | ʝ | x | (h) | ||||||
파찰 | tʃ | |||||||||||||||
접근 | (β̞) | (j) | (ɰ) | |||||||||||||
전동 | r | |||||||||||||||
탄 | ɾ | |||||||||||||||
설측 | l | ʎ |
에스파냐어 음소는 /m/, /n/, /ñ/, /p/, /b/, /t/, /g/, /f/, /z/, /s/, /y/, /j/, /r/, /l/./w/가 있다.
- /m/,/n/,/ñ/ - 비음 [m,n,ɲ], ñ은 모음 뒤에서만 나타나며, a,e,i,o,u의 모음을 [ɲa,ɲe,ɲi,ɲo,ɲu]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n의 변이음으로 [[ŋ]이 있다.
- /p/,/k(c)/,/t/ - 무성긴장파열음 [/p̰,k̰,t̰ ]k는 외래어나, 고유명사에나 조금 쓰일 뿐, 실제로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c는 auo앞에서만 [k̰]로 발음된다. ch는 [tʃ]로 발음된다.
- /b(v)(w)/,/g/./d/ - 유성파열음 [b,g,d], b(v)(w)의 변이음으로 [v,β,β̞]가 있다. g는 a,o,u앞에서만 [g]로 발음된다, g의 변이음으로, [ɰ]가 있다. w는 외래어나 사람 이름에서만 조금 발견된다.d의 변이음으로, [ð}]가 있다.
- /s(z)(c)/ - 무성긴장마찰음 [s̰], 변이음으로, [θ,z]가 있다. c는 i.e 뒤에 올 때만 [s̰]로 발음된다.
- /j(g)/ - 무성마찰음 [x], j는 외래어일때, 일부가 [dʒ]로 발음돼는 경우가 종종 있다. g는 e,i앞에서만 [x]로 발음된다.
- /f/ - 무성마찰음 [f], 변이음으로 [h]가 있다.
- /y/ - 유성마찰음 [ʝ], 변이음으로 [j]가 있다.
- /r(rr)/ - 탄음, 전동음 [r,ɾ]. 어두와 n,s,l다음에 오는 r과 어중에 오는 rr은 [r]로, 어중에 오는 r은 [ɾ]로 발음된다. rr은 어중에서만 나온다.
- /l/ - 설측 접근음 [l,ʎ], ll은 모음 뒤에서만 나타나며, a,e,i,o,u의 모음을 [ʎa,ʎe,ʎi,ʎo,ʎu]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편집] 긴장음 체계
에스파냐어는 긴장음을 가진 언어이다.
[편집] 바깥고리
![]() |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 | ![]() |
---|---|---|
그리스어 | 네덜란드어 | 덴마크어 | 독일어 라트비아어 | 리투아니아어 | 루마니아어 | 몰타어 | 불가리아어 | 스웨덴어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파냐어 | 영어 | 이탈리아어 | 체코어 포르투갈어 | 폴란드어 | 프랑스어 핀란드어 | 헝가리어 |
||
출처 : 유럽연합 공식 웹사이트 |
![]() |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