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를린에 있던 퍼플의 조각. 미국이 제 2차 세계대전을 끝내고 획득함.
베를린에 있던 퍼플의 조각. 미국이 제 2차 세계대전을 끝내고 획득함.

퍼플(PURPLE)은 일본의 외교 암호기기인 97-shiki oobun Inji-ki (九七式欧文印字機) (유럽 알파벳을 쓰는 97형식의 타자기)을 가리키는 미국의 코드명이다. 매직(MAGIC)은 미국의 퍼플 암호 해독을 가리키는 암호명이다. 퍼플은 1930년대말, 미군 암호학자인 윌리엄 F. 프리드먼과 그의 휘하에 있던 프랭크 로렛이 해독해 내었다. 미군 암호해독 기관인 SIS에서는 퍼플과 거의 유사한 기계를 만들어 냈고, 이 기계를 1939년1940년워싱턴에 가져다 놓았다. 거의 모든 일본 대사관은 퍼플머신을 활용했고, 일본영사관은 퍼플을 사용하였다. 전쟁이 끝날때즈음 일본영사관은 퍼플을 완전히 파괴해 버렸다. 그러나, 미군은 1945년부터 1952년동안 남아 있는 기계를 찾아 내는데 성공했다.

[편집] 진주만과 퍼플

퍼플은 1938년 6월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 암호학자들은 진주만이 공격당하기 직전에 약간의 메세지를 해독해 내었다. 진주만 공습전에 미국 암호학자들은 14개로 나눠진 일본선전포고 메세지를 미국시간으로 오후 한시까지 해독과 번역을 마치고 제출하였다. 워싱턴 시간으로 1941년 12월 7일 일본영사관미국정부에게 선전포고를 하였으나, 벌써 진주만은 공습을 당하고 있는 중이었고, 결국 일본은 선전포고를 하지 않은채 태평양 전쟁을 시작하게 되었다.

[편집] 그밖에

제 2차 세계대전동안 베를린주재 일본영사관에서는 나치의 군사력을 퍼플을 통해서 일본으로 보고 하였다. 이 보고를 매직을 갖고 있던 미국영국측에서는 퍼플을 통해서 대본영에 보내는 보고서를 볼수있게 되었다.

[편집] 바깥 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PURPLE
이 문서는 암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