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포머스 더 무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랜스포머 더 무비 | |
장르 | {{{장르}}} |
---|---|
감독 | 넬슨 신 |
각본 | 론 프리드만 |
주연 | 주드 넬슨 오슨 웰스 |
음악 | 빈스 디콜라 |
개봉 | 미국 1986년 8월 8일 일본 1989년 8월 9일 |
시간 | 84분 |
언어 | 영어 |
등급 | {{{등급}}} |
IMDb 영화정보 |
《트랜스포머 더 무비》(The Transformers: The Movie)는 인기있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더 트랜스포머》의 극장 애니메이션이다. 영화는 1986년 8월 8일에 북미에서 개봉되었고 일본에서는 1989년 8월 9일에 개봉되었다.
영화는 오리지널 트랜스포머스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만들었던 넬슨 신이 감독을 맡았고 에릭 아이들, 주드 넬슨, 오슨 웰스(그의 마지막 역할), 레너드 니모이, 케이시 카셈, 로버트 스택, 존 모치타, 피터 컬런, 그리고 프랭크 웰커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이야기는 TV 시리즈의 두번째 시즌의 20년 이후에 일어나고 세번째 시즌에 대한 가교로서의 역할을 한다. 정력적인 록 음악 사운드트랙을 사용하고 영화는 텔레비전 시리즈보다 분명하게 더 어두운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디셉티콘 악당들은 더욱 위협적이며 주저없이 생명을 빼앗는다. 영화의 캐치프레이즈는 "Beyond Good. Beyond Evil. Beyond Your Wildest Imagination"이다.
목차 |
[편집] 줄거리
[편집] 배역
배우 | 역할 |
---|---|
노먼 앨덴 | 크라닉스 |
잭 엔젤 | 아스트로트레인 |
마이클 벨 | 스크랩퍼 | 정키온 | 붐셸 |
그렉 버거 | 그림록 |
수잔 블루 | 알시 |
코니 버튼 | 브라운 | 쇼크웨이브 |
로저 C. 카멜 | 퀸테스 리더 |
빅터 카로딕 | 나레이터 |
레지스 크로딕 | 퀸테스 심판관 |
스캇맨 크로더스 | 재즈 |
피터 쿨렌 | 아이언하이드 |
폴 에이딩 | 퍼셉터 |
에드 길버트 | 블리츠윙 |
단 길브잰 | 범블비 |
에릭 아이들 | 렉가 |
부스터 존스 | 블라스터 |
스탠 존스 | 스컬지 |
캐시 카셈 | 클리프점퍼 |
크리스 라타 | 스타스크림 |
데이비드 멘델홀 | 다니엘 |
돈 메식 | 스캐벤져 |
존 모치타 | 블러 |
레너드 니모이 | 갈바트론 |
할 레일 | 샤프넬 |
클라이브 레빌 | 킥백 |
네일 로스 | 훅 | 스프링거 | 슬래그 |
로버트 스택 | 울트라 매그너스 |
라이오넬 스탠더 | 컵 |
프랭크 웰커 | 사운드웨이브 | 럼블 | 프렌지 | 윌리 | 정키온 |
오슨 웰스 | 유니크론 |
[편집] 새로운 캐릭터들
오토봇
|
디셉티콘
|
그외
|
[편집] 확인된 영화의 사상자들
오토봇
|
디셉티콘
|
[편집] 연속성의 문제
[편집] 비판적인 반응
영화는 북미내의 관객 동원수를 포함하여 표 판매로 5,849,647달러들 수익으로 거둬들였다. 영화는 1986년 영화중에서 최악의 수익을 거둔 영화중 하나였고 대부분의 아이들은 영화가 더이상 극장에서 상영되어 지지 않을 때까지 영화에 대해 전혀 들어보지 못했다(아주 적은 상영관만이 영화 상영을 시작했다). 영화는 성공적이라고 여겨지지 않았고 하스브로사로 하여금 G.I. Joe: The Movie를 연기하게 하고 Jem and Holograms같은 다른 계획중인 프로젝트들은 중단되었다.
영화는 비평가들로 부터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인기있는 레퍼런스 카탈로그(Mick Martin과 Marsha Porter의 비디오 무비 가이드 그리고 레너드 말틴의 가이드)로 부터 가능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으면서 아동 시청자들로 하여금 어두운 분위기와 옵티머스 프라임과 같은 인기있는 캐릭터들의 죽음으로 혹평을 받았다.
[편집] 잡동사니 정보
- 이 영화가 오슨 웰스의 마지막 영화였다. 소문은 그의 모든 대사가 녹음되기 전에 그가 레너드 니모이를 후임자로서 남겨둔채 죽었다고 주장하지만 음성감독 왈리 버는 이런 주장에 반박했다. 나중에 영화에서 알시 목소리를 맡았던 수잔 블루에 의해 확인되었다.(영화개봉 순서로서 웰스의 마지막 영화는 1년 후에 개봉된 헨리 자글롬의 Someone to Love였다.)
- 웰스는 영화를 싫어했다. 그가 죽기 바로전 그는 그의 전기 작가 바바라 리밍에게 자신은 장난감들이 서로 끔찍한 짓
을 하는 영화에서 장난감을 연기하는데 하루를 소비했다고 말했다. 그는 영화의 이름을 기억하지 않으려 했고 영화를 일본에서 출시된 장난감에 관한 영화라고 지칭했다.
- 갈바트론으로서 니모이의 역할은 만화의 초기 시즌에서 메가트론 목소리를 맡았던 프랭크 웰커에 의해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재현되었다. 이것은 웰커와 니모이가 동일한 캐릭터를 공유한 첫 번째 시도는 아니었다. 스타트랙 3 : 스팍을 찾아서에서 웰커는 다시 태어난 스팍의 비명을 연기했었다.
- 유니크론이 문베이스 1을 집어삼켜 버리는 장면에서 스파이크는"Oh, Shit! What we gonna do now?"라고 걱정스러운 듯이 소리친다. 이 대사는 추후 발매된 것에는 삭제되었다 그리고 어반 리젠드로서 때때로 여겨졌다. 매버릭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발매된 2001년 DVD 그리고 리노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발매된 2002년판 발매판과 메트로돔에 의해 발매된 2005년 영국판에는 복원되었다. 이것은 소니 BMG에 의해 발매된 트랜스포머 더 무비 20주년 기념 DVD에도 리노 발매판 처럼 DVD 챕터중 한 챕터가 "Swear Word"라는제목으로 또한 복원되었다.
- 영국 상영버전은 영화 시작부분의 배역 크레디트를 대체하는 스타워즈풍의 스크롤되는 타이틀화면과 나레이션이 추가 되었다. 그리고 옵티머스 프라임은 돌아올 것이라는 시청자들을 확신시키는 나레이션이 추가되었다. 일본 상영버전에도 이러한 추가적인 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본 영화에서 일반적인 관행인 각각의 캐릭터들의 이름을 화면아래에 나열하는 것도 포함하고 있다.
- 영화의 크레디트는 등장하지 않거나 대사가 없는 캐릭터들을 열거하고있다.
- 많은 두번째 시즌 캐릭터들이 영화에선 등장하지 않는다. 그들이 존재하지 않거나 애니메이션 모델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되어 왔다. 이런 주장은 에어리얼봇, 스턴티콘들에게는 사실일 수 있지만 영화에서 등장하지 않는 대다수의 오토봇들에 대해서는 확실히 사실이 아니다. 왜냐하면 모든 두번째 시즌 디셉티콘들은 등장하기 때문이다(버즈쏘우, 스턴티콘, 컴뱃티콘들은 제외하면)
- 영화는 썬보우/마블사에 의해 G.I. Joe: The Movie와 동시에 제작되고 있는 중이었다. G.I. Joe 영화의 작가는 하스브로로 부터 듀크라는 캐릭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했다. 하스브로는 그 요청을 승인하는 것 뿐만 아니라 트랜스포머 더 무비에서 옵티머스 프라임에게 동일한 운명을 적용하도록 작가에게 지시하였다.
- 유니크론 장난감은 설계되었지만 테스트 청중들로 부터 낮은 평가를 받았다. 유니크론 장난감은 2004년 전까지 일반대중에게 발매되지 않았다.
- 예고편이 영화를 "굉장한 와이드스크린 액션"이라고 선전함에도 불구하고 트랜스포머 더 무비는 실제로는 4:3 풀스크린 포맷으로 애니메이션화 되었다.(팬들이 얻은 애니메이션 셀과 메트로돔의 재구성한 DVD의 의해 증명되었다.) 영화는 극장 상영용 처럼 보이기 위해 세로로 크롭되었다.(70년대와 80년대 기간의 애니메이션 영화에서는 일반적인 방식)
- 노래 "The Touch"는 폴 토마스 앤더슨의 영화 부기 나이트에서 마크 왤버그가 연기한 캐릭터 더크 디글러에 의해 다뤄졌다.
- 매트릭스의 디자인은 수소폭탄으로 부터 영감을 받았다.
- 영화의 거의 처음 도입부에서 핫 로드는 관측소를 "Lookout Mountain"이라고 가리킨다. 이 대사는 몇몇 팬들에게 오토봇 시티가 실제 Lookout Mountain이 존재하는 테네시 주에 기반하고 있다는 의문을 들게 하였다.
- 칼리는 마지막 장면에서 사이버트론에서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등장하도록 스토리보드화 되었다. 그러나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등장하지 않는다. 칩이라는 캐릭터 또한 영화에서 보여지지 않는다.
[편집] 발매된 상품
[편집] 20주년 기념 DVD
Disc 1
- 16:9 와이드스크린 버전
- 넬슨 신(감독), 플린트 딜레(스토리 컨설턴트) 그리고 수 블루(알시 성우)의 음성해설
- 팬들의 음성해설
- 오리지널 극장 예고편과 TV 광고
- 포토 갤러리
- 리마스터링 비교
- 트랜스포머 (2007) 실사 영화 예고편과 미리보기
Disc 2
- 풀스크린 버전
- 새로운 단편영화들: "옵티머스 프라임의 죽음", "배역과 캐릭터들" 그리고 넬슨 신, 톰 그리핀, 죠 베이컬, 플린트 딜레, 수 블루와 함께 하는 "트랜스포머 Q&A"
- 광고 예고편에 대한 음성해설
- 삭제되거나 대체된 장면에 대한 음성해설
- 애니메이션화된 스토리보드
- "스크램블 시티" 광고
- 독점 컨텐트에 대한 바로가기
[편집] 만화책
[편집] 사운드트랙
1987년에 공식 사운드트랙이 북미에 발매되었다.
트랙목록:
- "The Touch" (Performed by Stan Bush) (Produced by Richie Wise)
- "Instrument of Destruction" (Performed by N.R.G.) (Produced by Ernie Burns)
- "The Death of Optimus Prime"(Performed by Vince DiCola) (Produced by Vince DiCola and Ed Fruge)
- "Dare" (Performed by Stan Bush)
- "Nothin's Gonna Stand in Our Way"
- "The Transformers (Theme)" (Performed by Spectre General)
- "Escape" (Perfomed by Vince DiCola) (Produced by Vince DiCola and Ed Fruge)
- "Hunger" (Performed By Spectre General)
- "Autobot/Decepticon Battle" (Performed by Vince DiCola) (Produced by Vince DiCola and Ed Fruge)
- "Dare to Be Stupid" (Performed by "Weird Al" Yankov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