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출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음 방법 |
장애음 |
파열음 |
불파음 |
비파음 |
마찰음 |
파찰음 |
치찰음 |
접근마찰음 |
반찰음 |
공명음 |
비음 |
비찰음 |
탄음 |
전동음 |
유음 |
접근음 |
홀소리 |
반모음 |
공명강 |
구강음 |
비강음 |
비모음 |
기류의 방향 |
설측음 |
치측음 |
중설음 |
기류의 근원 |
폐장기류음 |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
흡착음 |
방출음 |
내파음 |
성대의 울림 |
유성음 |
무성음 |
기식 |
유기음 |
무기음 |
근육의 긴장 |
긴장음 |
이완음 |
조음 위치 |
틀 편집 |
방출음(放出音, 영어:Ejective)은 폐에서 나온 호기를 쓰지 않고 조음하는 닿소리의 하나.
성대를 닫고 동시에 후두보다 위에 있는 조음 기관에서 폐쇄를 만들어서 닫은 공간에 공기를 가둔다. 폐쇄를 지속한 채 후두 전체를 위에 움직이면 공간의 기압이 높아져서 폐쇄가 개방되고 기압이 높은 구강 안에서 기압이 낮은 밖으로 공기가 나간다. 이 공기의 흐름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가 방출음이다.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인 암하라어 등 아프리카의 언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편집] 국제 음성 기호
- [pʼ] - 양순 방출음
- [tʼ] - 치조 방출음
- [kʼ] - 연구개 방출음
- [sʼ] - 치조 방출마찰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