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관중의 소설에 대한 내용은 삼국지연의 문서에 있다.

삼국지》(三國志)는 서진(西晉)의 진수(陳壽)가 쓴 중국 삼국시대의 역사서이다. 후한의 운세가 기울기 시작하던 189년부터 진나라사마염이 천하를 통일하는 280년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다. 소설인 삼국지연의와 구분하기 위해 '정사 삼국지'로도 불린다.

총 65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지(魏志) 30권(본기 4권, 열전 26권), 촉지(蜀志) 15권, 오지(吳志) 20권으로 구성돼 있다.

삼국지는, 촉(蜀)을 정통으로 삼은 삼국지연의와는 달리, 삼국지는 위나라(魏)를 정통으로 세워 제호를 붙인 것은 오직 위나라 뿐이다. 유비유선은 각각 선주(先主)와 후주(後主)로 기술하였고, 의 제왕들은 주(主)를 붙이거나 심지어 이름을 그대로 적기도 했다. 이는 진수진나라는 위나라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워진 나라이기에 위를 정통으로 삼고 촉과 오는 비정통으로 본 것이다. 진수의 이러한 사관(史觀)은 훗날 정통론(正統論)의 논쟁을 불러온다.

삼국지는 사기(史記)와는 달리, 연표를 담은 표(表)나 당시의 경제·문화를 기록한 서(書)가 없으며, 진수가 고른 인물들은 정치인에 한정되어 있다. 권(券)의 이름을 붙일 때에도, 방기전을 제외하고는, 인물의 특징을 담은 제목을 별도로 두지 않고 단순히 인물들의 성씨를 취합하여 제목으로 삼았다.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와 함께 중국 전사사(前四史)로 불리며 이십사사(二十四史) 중의 하나이다.

삼국지는 원래 위지, 촉지, 오지라는 표제로 구성되었는데, 송나라 이후 위서, 촉서, 오서라는 표제를 더 많이 사용해왔다.

위지 동이전에는 부여, 고구려, 옥저 등의 한국 고대사에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어 한국사의 중요한 연구자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에서는 김원중 교수에 의하여 1994년 완역됐다.

[편집] 목차

  • 위서(魏書)
    • 卷1  魏書一 무제기
    • 卷2  魏書二 문제기
    • 卷3  魏書三 명제기
    • 卷4  魏書四 삼소제기
    • 卷5  魏書五 후비전
    • 卷6  魏書六 동이원유전
    • 卷7  魏書七 여포장홍전
    • 卷8  魏書八 이공손도사장전
    • 卷9  魏書九 제하후조전
    • 卷10 魏書十 순욱순유가후전
    • 卷11 魏書十一 원장양국전왕병관전
    • 卷12 魏書十二 최모서하형사마전
    • 卷13 魏書十三 종요화흠왕랑전
    • 卷14 魏書十四 정곽동유장유전
    • 卷15 魏書十五 유사마양장온가전
    • 卷16 魏書十六 임소두정창전
    • 卷17 魏書十七 장악우장서전
    • 卷18 魏書十八 이이장문여허전이방염전
    • 卷19 魏書十九 임성진소왕전
    • 卷20 魏書二十 무문세왕공전
    • 卷21 魏書二十一 왕위이유부전
    • 卷22 魏書二十二 환이진서위노전
    • 卷23 魏書二十三 화상양두조배전
    • 卷24 魏書二十四 한최고손왕전
    • 卷25 魏書二十五 신비양부고당륭전
    • 卷26 魏書二十六 만전견곽전
    • 卷27 魏書二十七 서호이왕전
    • 卷28 魏書二十八 왕관구제갈등종전
    • 卷29 魏書二十九 방기전
    • 卷30 魏書三十  오환선비동이전
  • 촉서(蜀書)
    • 卷31 蜀書一 유이목전
    • 卷32 蜀書二 선주전
    • 卷33 蜀書三 후주전
    • 卷34 蜀書四 이주비자전
    • 卷35 蜀書五 제갈량전
    • 卷36 蜀書六 관장마황조전
    • 卷37 蜀書七 방통법정전
    • 卷38 蜀書八 허미손간이진전
    • 卷39 蜀書九 동유마진동여전
    • 卷40 蜀書十 유팽요이유위양전
    • 卷41 蜀書十一 곽왕향장양비전
    • 卷42 蜀書十二 두주두허맹내윤이초극전
    • 卷43 蜀書十三 황이여마왕장전
    • 卷44 蜀書十四 장완비의강유전
    • 卷45 蜀書十五 등장종양전
  • 오서(吳書)
    • 卷46 吳書一 손파로토역전
    • 卷47 吳書二 오주전
    • 卷48 吳書三 삼사주전
    • 卷49 吳書四 유요태사자사섭전
    • 卷50 吳書五 비빈전
    • 卷51 吳書六 종실전
    • 卷52 吳書七 장고제갈보전
    • 卷53 吳書八 장엄정감설전
    • 卷54 吳書九 주유노숙여몽전
    • 卷55 吳書十 정황한장주진동감능서반정전
    • 卷56 吳書十一 주치주연여범주환전
    • 卷57 吳書十二 우육장낙육오주전
    • 卷58 吳書十三 육손전
    • 卷59 吳書十四 오주오자전
    • 卷60 吳書十五 하전여주종리전
    • 卷61 吳書十六 반준육개전
    • 卷62 吳書十七 시의호종전
    • 卷63 吳書十八 오범유돈조달전
    • 卷64 吳書十九 제갈등이손복양전
    • 卷65 吳書二十 왕누하위화전

위의 목차는 송나라 이후에 보편화된 삼국지 목록 체계에 따른 것이다.

위키자료집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zh:三國志


삼국지의 주요 등장 인물
군주 후한: 영제 - 소제 - 헌제
: 조조 - 조비 - 조예 - 조방 - 조모 - 조환
: 유비 - 유선
: 손견 - 손책 - 손권 - 손량 - 손휴 - 손호
: 사마염
기타: 공손찬 - 도겸 - 동탁 - 마등 - 맹획 - 여포 - 원소 - 원술 - 유요 - 유장 - 유표 - 장각 - 장로 - 장수 - 한복
참모 : 가후 - 곽가 - 만총 - 사마사 - 사마소 - 사마의 - 서서 - 순욱 - 순유 - 유엽 - 정욱 - 허유
: 간옹 - 강유 - 등지 - 미축 - 방통 - 비의 - 손건 - 장완 - 제갈량
: 고옹 - 노숙 - 육손 - 육항 - 장굉 - 장소 - 제갈근 - 제갈각 - 주유
: 가충 - 장화 - 진수
기타: 심배 - 이숙 - 이유 - 저수 - 전풍 - 진궁
장군 : 등애 - 서황 - 악진 - 우금 - 이전 - 장합 - 장료 - 전위 - 하후돈 - 하후연 - 허저
: 관우 - 관평 - 관흥 - 마초 - 위연 - 장비 - 장포 - 조운 - 황충
: 감녕 - 능통 - 서성 - 여몽 - 정보 - 주연 - 주태 - 태사자 - 한당 - 황개
: 양호 - 두예 - 왕준 - 왕혼
기타: 기령 - 문추 - 안량 - 하진 - 화웅
기타 관로 - 남화노선 - 사마휘 - 손상향 - 우길 - 좌자 - 초선 - 화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