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4절기 중의 하나인 소설은 소설 (절기) 문서를 참조하라.

소설(小設)은 대개 서사시에서 발달한 이야기 쓰기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산문이라는 큰 범주에 속하며 허구적 장치를 통해 이야기를 구성한다. 이러한 이야기를 쓰는 작가소설가라 한다. 흔히 한국에서는 영어의 Novel소설이라고 간단히 번안하여 소설 전반을 범칭하고 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Novel은 소설 전반을 아우르는 범용어가 될 수 없다. Novel장편소설만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많이 쓰여지는 단편소설의 경우 Novel 대신 Short Story라 한다. 중편소설은 이태리어인 Novella를 쓴다. NovelNovella는 "이야기"와 "소식"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영어권 국가에서 소설은 60,000개 ~ 200,000개의 단어 또는 300 ~ 1,300쪽의 길이로 중편, 단편, 콩트와 구별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장편, 중편, 단편 모두 소설로 분류한다. 희곡이나 운문에 비해 구성면이나 음률면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소설은 그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행위를 다루게 된다.

목차

[편집] 소설의 특징

  • 허구성 : 작가가 상상을 통해 실제로 있음직한 일을 꾸며냄.
  • 진실성 : 참다운 삶을 통해 인생을 깨닫게 하는 문학.
  • 예술성 : 형식미와 예술미를 갖춰야 하는 예술의 형식.
  • 산문성 : 운문과 달리 자유롭게 지은 문장.

[편집] 소설의 요소

[편집] 소설의 3요소

  • 주제 : 작품을 통하여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중심 사상.
  • 구성 :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건을 질서 있게 배열하는 것.
  • 문체 : 문장에 나타난 작가의 독특한 개성.

[편집] 구성의 3요소

  • 인물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사람.
  • 배경 : 인물이 행동하는 때(시간)와 곳(장소).
  • 사건 : 인물들이 일으키고 겪는 일과 행위 .

[편집] 화자의 시점

  • 일인칭 주인공 시점 : 주인공인 '나'가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하는 방법.
  • 일인칭 관찰자 시점 : 부수적인 인물인 '나'는 소설 속의 보조적 역할을 하면서, 주인공과 등장 인물들의 이야기를 서술해 나가는 방법.

[편집] 소설의 단계

  • 발단 : 인물과 배경이 소개되고, 사건의 실마리가 나타남.
  • 전개 : 사건이 전개되면서 인물들 사이에 갈등이 나타남.
  • 위기 : 갈등과 대립이 심화되고, 위기감이 고조된다. 때로는 반전이 나타나기도 함.
  • 절정 : 갈등, 대립이 최고조에 이르며, 주제가 뚜렷하게 나타남.
  • 결말 : 갈등이 해결되고, 사건이 종결됨.

[편집] 한국의 소설

[편집] 19세기 이전 소설

[편집] 주제

  • 권선징악(勸善懲惡): 착하게 사는 것을 권하고 악하게 사는 것을 벌준다. 대체로 유교 사상에 근거하여 착함과 악함을 나누는 기준은 삼강오륜(三綱五倫: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어른과 아이, 친구와 친구 사이의 도리)에 따른다.

[편집] 구성

  • 형식 : 평면적 구성, 전기적 구성
  • 인물 : 유형적, 전형적, 평면적
  • 사건 : 우연성, 전기성(비현실성)
  • 배경 : 한국, 중국
  • 결말 : 주인공의 승리, 행복한 결말(Happy ending)

[편집] 문체

  • 유형적 묘사 : 관념적, 상투적 비유의 사용, 관용어구의 사용
  • 운문체
  • 설화체, 문어체

[편집]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시점의 이동, 작가의 개입도 보임

[편집] 일제강점기 소설

[편집] 남한 소설

[편집] 북조선 소설

[편집] 외국의 소설

[편집]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