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후음(喉音) 또는 목구멍소리(목소리)는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의 뜻으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말이다. 오음의 하나이다.

[편집] 훈민정음 초성 체계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 '', '', ''의 4가지 닿소리를 목구멍소리에 분류한다. 현대 음성학에서는 성문음이 여기에 포함된다.

오음 전청 차청 전탁 불청불탁
후음
(목구멍소리)
ㆆ 挹
[ʔ]
ㅎ 虛
[h]
ㆅ 洪
[h͈ ]
ㅇ 欲
ø, [ɦ]

[편집] 중국 음운학

중국 음운학에서 성모(聲母, 두자음)를 분류한 오음(五音) 중의 하나다.

현대 음성학에서는 성문 마찰음, 연구개 마찰음, 경구개 반모음에 해당되고 또 음절이 두자음 없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영성모(零聲母) 자모도 분류되어 있다.

중국어 중고음(中古音, 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두자음)을 표기하는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오음 전청 차청 전탁 차탁
후음
ø
     

[x]
 
[ɣ]
 
     
[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