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임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임학(李林學, 1922년 - 2005년 1월 9일)은 한국수학자이다. 군론(Group theory)에 관해 많은 업적을 남겼다.

1922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났다. 1939년 경성제국대학 물리학과에 입학하였는데, 이것은 당시에 수학과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1947년, 우연하게 남대문 시장에서 미군들이 버린 책 중에서 미국 수학회지(Bulletin of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를 발견하여 읽다가 미해결문제를 해결하여 막스 초른(Max Zorn)에게 편지를 보냈고, 막스 초른은 이를 이임학의 이름으로 미국 수학회지에 대신 투고하여 채택되었다. (Ree, Rimhak On a problem of Max A. Zorn. Bull. Amer. Math. Soc. 55, (1949). 575--576. )

이를 계기로, 1953년 캐나다 밴쿠버의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에 유학하여 캐나다의 첫 한국인 유학생이 되었으며, 후에 이 대학에 교수로 재직하며 유한 단순군의 연구에 크게 기여하였다. Ree Group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는 1955년에 받았으며, 지도교수는 스티븐 제닝스(Stephen Jennings)였다. 학위 논문의 제목은 <Witt algebras>였다.

초른에 의해서 출판 된 첫 논문부터 은퇴하기 까지 총 32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중에는 수학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수학 연보에 실린 논문도 두편이나 있다.

[편집] 연구 논문 몇편

  • Ree, Rimhak, Commutator groups of free products of torsion-free abelian groups. Ann. of Math. (2) 66 (1957), 380--394.
  • Ree, Rimhak, Lie elements and an algebra associated with shuffles. Ann. of Math. (2) 68 (1958), 210--220.
  • Paul Erdos, Rimhak Ree,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Vol. 65, No. 10 (Dec., 1958), p. 782
  • Alexander Oppenheim, Rimhak Ree,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Vol. 65, No. 6 (Jun., 1958), pp. 452--453.
  • Rimhak Ree, The Simplicity of Certain Nonassociative Algebra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9, No. 6 (Dec., 1958), pp. 886--892.
  • Rimhak Ree, Robert J. Wisner, A Note on Torsion-Free Nil Group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7, No. 1 (Feb., 1956), pp. 6--8 .
  • Rimhak Ree, The Existence of Outer Automorphisms of Some Group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7, No. 6 (Dec., 1956), pp. 962--964.
  • Rimhak Ree,Commutators in Semi-Simple Algebraic Group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15, No. 3 (Jun., 1964), pp. 457--460.
  • Rimhak Ree, The Existence of Outer Automorphisms of Some Groups, II,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9, No. 1 (Feb., 1958), pp. 105--109.
  • Rimhak Ree, Lie Elements and an Algebra Associated With Shuffles, The Annals of Mathematics, 2nd Ser., Vol. 68, No. 2 (Sep., 1958), pp. 210--220.
  • Rimhak Ree, A Family of Simple Groups Associated with the Simple Lie Algebra of Type (G2),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Vol. 83, No. 3 (Jul., 1961), pp. 432--462.
  • Rimhak Ree, On Some Simple Groups Defined by C. Chevalley,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84, No. 2 (Mar., 1957), pp. 392--400.
  • Rimhak Ree, On Projective Geometry over Full Matrix Ring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6, No. 1 (Feb., 1955), pp. 144--150.
  • Rimhak Ree, A Family of Simple Groups Associated with the Simple Lie Algebra of Type (F4),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Vol. 83, No. 3 (Jul., 1961), pp. 401--420.
  • Rimhak Ree, Commutator Groups of Free Products of Torsion-Free Abelian Groups, The Annals of Mathematics, 2nd Ser., Vol. 66, No. 2 (Sep., 1957), pp. 380--394.
  • S. A. Jennings, Rimhak Ree, On a Family of Lie Algebras of Characteristic p,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84, No. 1 (Jan., 1957), pp. 192-207.
  • Rimhak Ree, On Generalized Witt Algebra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83, No. 2 (Nov., 1956), pp. 510-546.

[편집] 이임학의 계보

[편집] 관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