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대주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기독교의 역사
사도 / 교부

대분열
종교 개혁

기독교 신학
삼위일체:

성부 하느님/하나님
성자 그리스도
성령

구원 · 은총

예배
미사

개신교 예배

성서:
구약성서

율법
신약성서
사복음서
산상수훈
파울루스 서신
외경
위경

기독교의 분파:
가톨릭

정교회
개신교

기독교 운동:
에큐메니칼 운동

근본주의/복음주의

총대주교(總大主敎, Patriarcha)는 유대인들의 가부장(家父長), 씨족장, 부족장을 의미하는 말에서 나와 4세기부터 기독교에 쓰이기 시작하였으며 동로마 제국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 이후로는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등 5개 주요 교구들의 최고권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1054년의 교회 대분열 이후 로마 가톨릭에서는 총대주교의 중요성이 급격히 감소되었으나 동방 정교회에는 특정 지방이나 같은 전례가 행해지는 지역의 교황 다음의 최고권자로 총대주교가 건재하고 있다. 이들은 모든 대주교주교의 선출을 확인하고 이들에게 주교 서품을 집행하며, 관하 주교들을 처벌하고 전체 지역의 상소심(上訴審)을 심판하며 수도원을 주교의 관할권으로부터 면속시키는 등 실제적인 재치권(裁治權)을 행사하고 있다.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