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Noropdoropi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환영합니다!

Noropdoropi님, 안녕하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위키백과와 함께 해 주셨으면 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또한 처음 오신 분들을 위한 길라잡이가 있습니다. 꼭 읽어 보시기 바라며,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로그인 상태에서 편집 창에 물결표를 이렇게 ~~~~ 네 개 이어서 써 넣으시면 자동으로 서명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효리♪ (H.L.LEE) 2006년 2월 13일 (월) 16:10 (KST)

목차

[편집] 고・에스페란토

가운데점이 한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것이네요. 한국어 사용자는 입력을 할 수 없습니다. 일단 고 에스페란토로 옮깁니다. 가운뎃점이 있을 이유가 없어보입니다. 번역을 copy-paste로 할 때에 문장부호나 특수문자 등에 신경써 주세요. 특히 가운데점이나 괄호 등은요. -- ChongDae 2006년 3월 3일 (금) 23:44 (KST)

알겠습니다. 주의하도록 하죠. Noropdoropi
고 에스페란토라는 어정쩡한 이름대신 그냥 "Arcaicam Esperantom"을 한글로 전사한 것을 쓰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2006년 3월 4일 (토) 22:32 (KST)
처음에 그냥 한글로 옮길까 했습니다만, 의역한 쪽이 에스페란토와의 관계를 잘 나타낼것 같아서 일단 의역해 본 겁니다. "어정쩡"하시다면야... 굳이 명칭에 연연할 이유는 없겠죠. 뜻대로 하십시오. Noropdoropi

[편집] 다이토

위키백과보다는 위키낱말사전에 어울리는 항목 아닐까요? -- ChongDae 2006년 3월 5일 (일) 01:20 (KST)

분류상으로보면 그렇겠죠. 하지만, 일반 단어로 분류하기에는 특기할 점이 있다고 봅니다. Noropdoropi 2006년 3월 5일 (일) 01:27 (KST)

특이한 한자가 여러 개 있는 것으로 아는데, 별난 한자 정도를 만드는 게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6년 3월 5일 (일) 01:28 (KST)

그것도 좋은 생각이네요* Noropdoropi 2006년 3월 5일 (일) 01:30 (KST)

일본어의 한자에 적어도 되고요. -- ChongDae 2006년 3월 5일 (일) 01:47 (KST)

특이한 한자가 생겨서 거기로 옮겼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10월 28일 (토) 08:03 (KST)

[편집] 번역할 때

후지모토 나나미에서 번역의 출처없이 기사를 만들었지만 GFDL위반으로 삭제대상이 됩니다. --효리♪ (H.L.LEE) 2006년 6월 7일 (수) 13:59 (KST)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네요. "번역출처"없이 기사를 만들면 삭제대상이 된다는 말입니까? 아니면 기사내용자체가 번역하면 안되는 내용이란 말입니까? 참고로 번역출처(jawp)는 기사작성할때 깜빡 잊고 빠뜨린 것으로, 의도적으로 뺀 것은 아닙니다. Noropdoropi
아닙니다.번역할 때는 출처를 명시해야 한다는 뜻입니다.--효리♪ (H.L.LEE) 2006년 6월 7일 (수) 14:29 (KST)
무슨 말인지 알겠습니다.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기사작성시에는 누락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Noropdoropi

[편집] 문장 부호나 특수 기호

일본어 위키백과의 글을 번역할 때 일본어의 문장 부호나 특수 기호를 그대로 사용하십니다. 한국어 문법에서 쓰이는 기호와 특수 문자로 바꿔주세요. 위키백과:스타일북의 기준도 참고하시고요. -- ChongDae 2006년 6월 8일 (목) 09:34 (KST)

지적내용을 참고하여, 앞으로 좀 더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겠습니다. Noropdoropi

[편집] 아인슈타인의 예언

한국사회에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은 일본사회에서나 화제가 된 헛소문에 대한 내용인데, 과연 한국어 위키백과사전에 필요한 내용일까요? xAOs 2006년 7월 31일 (월) 21:38 (KST)

한국사회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씀하셨는데, 이 글을 옮기기 훨씬 전에, 한국사이트에서 바로 저 내용을 들어서 아인슈타인이 친일발언을 했다는 내용의 글이 돌아다니는 걸 본 적이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이 개인적으로 일본의 과학자들과 교류가 있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므로, 그때는 그대로 믿어도 이상할게 없었습니다. 나중에 일본괴담일부를 번역하기 시작하면서야 저게 "헛소문"이란걸 알게 되었지요. 물론 한국사회에 널리 알려진 사실은 아니겠습니다만, 한국인터넷일각에서는 그릇된 정보를 가지고 위대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진 사람이 있었을 겁니다. 그렇게 본다면, 한국사회와 아주 무관한 기사는 아닐것이며, 그런 헛소문이 언제고 퍼질때, 그건 헛소문이라는 사실을 알려줄 자료가 될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런 효용성을 떠나서라도 한국에 알려지지 않은 외국의 것을 한국어로 번역해서 한국인에게 참고가 될 수 있다면 기사작성의 의미는 있는거 아니겠습니까. Noropdoropi

[편집] 중국어를 번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중국어 가오리방즈를 번역해 주셨는데, 중국어를 아시는 분인가요? --루스 2007년 2월 2일 (토) 18:46 (KST)

유감스럽게도 중국어는 못합니다. 한자,한문지식에, 모르는 단어는 네이버 중국어사전을 이용해서 의미를 벌충하고 해서 번역해 봤습니다. 단문이라 가능했죠.Noropdoropi 2007년 2월 2일 (토) 18:50 (KST)

아, 그렇군요. 어쨌든 번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루스 2007년 2월 2일 (토) 18:52 (KST)

[편집] 뉘노르스크?/뉘노쉬크?

en:Talk:Nynorsk을 보면 지역에 따라 뉘노르스크[nynorsk]와 뉘노쉬크[nynoʃk]이 갈리네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 ChongDae 2007년 3월 2일 (토) 17:00 (KST)

[1]명지출판사 알기쉬운 노르웨이어 입문의 발음설명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북구언어는 r이 모음화되거나, 자음 앞에서 탈락하거나 음이 변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러나 뉘노쉬크 사용지역도 방언에 따라 발음이 다르게 날 가능성은 충분히 있겠네요. 다른 언어판들은 nynorsk 철자를 그대로 쓰니 발음을 알 수 없고, 우크라이나어판,일본어판은 뉘노쉬크쪽에 가깝게,Нюношк,ニーノシュク 러시아어판은 Нюнорск 뉴노르스크에 가깝게 쓰는군요. Noropdoropi 2007년 3월 2일 (토) 17:27 (KST)

[편집] 다카시마 섬 (가고시마 현)

기여해주신 문서들은 잘 보고 있습니다. ^^ 그런데 다카시마 섬은 jawp에서 번역했다고 하셨는데, 연결하신 일어문서는 존재하지 않네요. 혹시 일어판에서도 사소하다하여 삭제된 것은 아닌지요? 그리고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일본에 있는 0.04km^2 크기의 암초를 독립문서로 만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정안영민 2007년 3월 28일 (수) 13:59 (KST)

아.. 지금 확인해보니 동음이의 문서에 있는 요약 설명을 번역하셨더군요. 다른 언어 판은 연결하실 때는 이미 존재하는 문서에 대해서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 --정안영민 2007년 3월 28일 (수) 14:06 (KST)

다카시마 섬 기사에 대해서는 대부분 지적하신대로입니다. 다만, 제가 이 문서에서 흥미를 느낀 점은 "하찮은 암초"로서라기보다는 "행정구역미정"이라는 부분이었죠. 삭제토론[2]의 결론이 어떻게 날지 모르겠지만, 완전삭제보다는 병합이 괜찮을 것 같네요. 링크문제에 대해서는 주의하도록 하죠. 아, 그리고 저는 원래 자질구레하고 사소한걸 꽤 좋아하는 편입니다. :)

귀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Noropdoropi 2007년 3월 28일 (목) 22:58 (KST)

무인도의 행정 구역은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나라 사이의 영토 분쟁까지는 아니더라도 대한민국에도 사수도와 같은 예도 있습니다. -- ChongDae 2007년 3월 28일 (목) 23:23 (KST)
그렇군요. 그러고보니 사수도 문서는 언젠가 본 것도 같습니다. 그럼 대한민국 내에서도 찾아보면 행정구역 미정의 경우가 더 있을 수 있겠네요. Noropdoropi 2007년 3월 28일 (목) 23:2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