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조 (문학평론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원조(李源朝, 1909년 6월 2일 - 1955년?)는 한국의 문학평론가이며 언론인이다. 아호는 여천(黎泉), 임목아(林木兒). 시인 이육사의 친동생이다.
경상북도 안동 출생으로 일본에서 유학 생활을 했다. 1935년 호세이대학(法政大學)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돌아온 뒤 조선일보에서 기자로 일했다.
1930년대 초반 카프에 참여하고 《조선일보》와 《소년중앙일보》에 평론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1930년대 활발한 활동을 했다. 사회 현실의 인식과 비판을 강조하는 이념적인 내용의 평론을 썼으며, 특히 광복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서 '인민적 민주주의 민족문학론'을 설파했다.
왕족인 이재곤의 딸과 결혼했을 정도로 명망이 높은 가문에서 유교적 소양을 쌓은데다, 서구문학을 전공하고 학예부 기자 생활을 한 그는 세련된 교양을 갖춘 좌파 지식인이었다. 외조부 허형이 독립운동가이며 둘째형인 이육사를 포함한 형제들이 의열단에 가입할 정도로 민족주의와 반일주의에 충실한 집안 분위기속에서 성장했다. 1946년, 2년전 중국에서 옥사한 이육사의 유고 시집인 《육사시집》을 간행했다.
광복 직후에 임화, 김남천, 이태준 등과 함께 조선문학건설본부를 결성했으며, 조선문학가동맹에서 활동하다가 한국 전쟁 이전에 월북했다. 북조선에서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부부장을 지냈고, 한국 전쟁 때는 서울에서 종군했다.
남로당의 리승엽, 임화 등이 대거 간첩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을 때 함께 재판을 받았고, 이 재판에서 기소된 열두명 중에서 징역 15년형을 선고 받은 윤순달과 함께 단둘이 사형을 면했다. 이때 징역 12년형을 선고 받고 수감 중 옥사한 것으로 전해지나, 자세한 사망 경위 등은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조정래의 역사소설《태백산맥》에서는 부인과 아이들을 우익들에게 잃은 백색테러 피해자이자, 언론을 통해 '해방전쟁'을 지원하는 언론인으로 묘사되고 있다.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 피의자 |
---|
박헌영 | 리승엽 | 조일명 | 임화 | 박승원 | 이강국 | 배철 | 윤순달 | 이원조 | 백형복 | 조용복 | 맹종호 | 설정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