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라그랑주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문학회 용어집에 따르면 "라그랑주점"이라고 되어 있고, "라그랑주 점"이 아닙니다. 다시 옮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Wikier 2005년 12월 19일 (월) 23:15 (KST)

옮겼습니다. 그런데 천문학회 용어집에 있는 용어는 모두 띄어쓰기가 없는 건 아닌가요? '라그랑주행성운동방정식'도 띄어서 써야 할 것 같은데 붙여 쓰여 있네요. 천체 망원경 같은 경우도 표준국어대사전을 따르자면 띄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서 쓰고요. --Puzzlet Chung 2005년 12월 19일 (월) 23:20 (KST)

저도 천문학회 용어집을 참조하면서 상당히 곤혹스럽습니다만, sun grazing comet(태양을 빗겨 가는 혜성), 우주의 가속팽창(cosmological acceleration)과 같은 경우 띄어쓰기를 해주기도 합니다. 아마 천문학회 내부에서 용어를 정할 때 문장/서술을 제외한 모든 경우는 붙여쓰기를 원칙으로 하기로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다른 사람이 번역할 때도 천문학회 용어집을 사용할 것을 생각하면, 용례를 따르는 것이 일관성에 도움을 주지 싶습니다. 물론 이해를 쉽게하거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위해서는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 제 생각이긴 하지만요 -- Wikier 2005년 12월 19일 (월) 23:28 (KST)

큰 틀에서는 국립국어원의 띄어쓰기의 원칙을 따르는게 맞다 봅니다. 천문학 용어집의 원칙만 따르다보면 또 천체물리학 등에서 물리학 용어와 또 충돌이 있을테고요. 예외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예컨데 XX학은 다 붙여쓰죠?)이 있다면 위키백과 내의 기준을 정하는 식으로 했으면 합니다. -- ChongDae 2005년 12월 19일 (월) 23:56 (KST)

사용자토론:곰열여섯 등에서 이미 토론이 있었던 듯한데, 띄어쓰기 및 한글 표기에 따른 결론은 어떻게 났나요? 띄어쓰기만 문제가 되는게 아니라 지금 물리학회 표준화안을 참조해보니 "라그랑지"로 현재 위키백과의 대다수 표기인 "라그랑주"와 엇갈리게 표준화를 시켜놨던데 말이죠. 전에 번역한 "일반협정" 같은 경우도 "일반 협정"으로 안 쓴 이유가 정부 문서 표기법이 전자이기 때문이었는데, 이렇게 기준이 될 만한 권위를 지닌게 하나이면 그것을 따르는게 별 문제 없겠지만, 권위를 지닌 것이 다수이며 상충할 경우 표기에 관한 특정한 정책이 있습니까? 또 다른 이야기로, 1. 국립국어원 일반표기법, 2. 학회 및 정부 표준안, 3. 신문 기사에서의 다수 표기법, 4. 단어 검색 다수순, 등이 존재할 때, 어느 것에 우선을 두십니까? -- Wikier 2005년 12월 20일 (화) 00:3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