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각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오각형
정오각형

기하학에서 오각형이 다섯 개인 도형이다. 하지만 오각형은 주로 정오각형을 말하는 데 쓰인다. 정오각형의 한 각의 크기는 108o이고 내각의 합은 540o이다.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오각형의 넓이

A = \frac{5a^2}{4}\cot \frac{\pi}{5} = \frac {a^2}{4} \sqrt{25+10\sqrt{5}} \approx 1.72048 a^2

이다.

[편집] 정오각형 작도

Constructing a pentagon

정오각형은 작도가 가능한 도형이다.

  1. (초록색) O를 중심으로 하는 을 그린다.
  2. 원 O 위의 점 A를 골라 직선 OA를 그린다.
  3. 직선 OA와 수직인 직선을 그린다. 이 직선이 원 O와 만나는 곳을 점 B라고 한다.
  4. 점 O와 점 B의 가운데에 있는 점 C를 그린다.
  5. (빨간색) 점 C를 중심으로 하면서 점 A를 지나가는 원을 그린다. 원 C가 직선 OB와 만나는 곳을 점 D라고 한다. (이 때 원 C가 직선 OB와 만나는 점은 두 개가 있다. 이 중 원 O 안에 있는 점)
  6. (파란색) 점 A를 중심으로 하면서 점 D를 지나가는 원을 그린다. 원 A가 원 O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점 E와 점 F라고 한다.
  7. 점 E를 중심으로 하면서 점 A를 지나가는 원을 그린다. 원 E가 원 O와 만나는 곳을 점 G라고 한다.
  8. 점 F를 중심으로 하면서 점 A를 지나가는 원을 그린다. 원 F가 원 O와 만나는 곳을 점 H라고 한다.
  9. (검정색) 오각형 AEGHF를 그린다.
다각형
삼각형 · 사각형 · 오각형 · 육각형 · 칠각형 · 팔각형 · 구각형 · 십각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