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에서 다섯 명 중 하나는 김 씨이다.
한국에는 현재 약 250개의 성이 사용되고 있다. 각 성씨마다 한개 이상의 본관이 있다. 한국의 성씨는 중국의 성씨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고려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성씨가 고정되기 시작했다. 대부분 한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흔한 네 개의 성(김, 이, 박, 최)를 가진 사람이 한국인의 약 반을 차지하고 10대 성씨가 약 64%를 차지하고 있다. 조선 말기까지 성씨를 갖지 않은 인구가 70% 정도 되었으나 개화기에 노비 제도가 없어지면서 전 주인의 성씨를 따르거나 임금의 성씨인 이씨를 따랐다. 이때 이씨성을 갖는 인구가 급격히 늘었다.
목차 |
[편집] 대한민국의 10대 성씨
순위 | 성씨 | 가구수 | 인구수 |
1 | 김(金) | 3,102,537 | 9,925,949 |
2 | 이(李) | 2,113,007 | 6,794,637 |
3 | 박(朴) | 1,215,918 | 3,895,121 |
4 | 최(崔) | 676,773 | 2,169,704 |
5 | 정(鄭) | 626,265 | 2,010,117 |
6 | 강(姜) | 325,288 | 1,044,386 |
7 | 조(趙) | 306,022 | 984,913 |
8 | 윤(尹) | 294,708 | 948,600 |
9 | 장(張) | 287,195 | 919,339 |
10 | 임(林) | 237,145 | 762,767 |
[편집] 논란
조선 말기까지 성씨를 가지지 않은 인구가 전체 인구의 70% 정도 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조선 후기의 장적, 호구단자, 수원성 축조시의 임금 노동자 기록, 소송 문건 등을 분석해 보면 일반 평민은 물론이고 노비들도 성씨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다. 제대로 된 본관까지 갖춘 명실상부한 성관(姓貫)이었는지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나, 70%라고 추정되던 퍼센티지는 상당히 낮아질 여지가 있다.
[편집] 읽어보기
- 한국의 성씨 목록
- 한국의 사라진 성씨
- 대한민국의 인구순 성씨 목록
[편집] 바깥 고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모은 한국의 성씨 가문 그리고 인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