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크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자크어
Қазақ тілі/قازاق تءىلءي
쓰는 나라들 카자흐스탄,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중국, 러시아, 몽골, 파키스탄, 이란
지역 중앙아시아
언어 인구 8백만여명
사용 순위 93위
언어의 계통 알타이어족
 투르크어족
  서투르크어파
   Aralo-Caspian
    카자크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카자흐스탄
표준 없음.
언어 부호
ISO 639-1 kk
ISO 639-2: kaz
ISO/DIS 639-3: kaz

카자크어카자흐스탄의 공용어이다. 카자흐어라고도 한다. 중국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그리고 몽골러시아, 중앙아시아, 우크라이나, 터키,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에 분포한다.

[편집] 문자

소련; 1929년에 라틴 문자화되고, 1940년에는 키릴 문자로 쓴다.

중국; 1965년에 아랍 문자가 라틴 문자화되어 병용되었는데, 지금은 전면적으로 아랍 문자가 쓰이고 있다.

[편집] 문법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이며 접미사나 후치사 등에 따라 문법 범주가 표현된다.

[편집] 차용어

역사적으로 보면 몽골어아랍어, 페르시아어에서 차용된 말이 많다. 아랍어는 이슬람교와 코란를 통해 도입되었는데 일반적으로 페르시아어를 매개로 한다. 근년에는 러시아어중국어, 특히 러시아어로부터의 문화어 어휘의 차용어가 많이 쓰인다.

서부투르크어
불가르조어(오구르어파) 불가르어* | 추바시어 | 하자르어*
차카타이어파 아이니어 | 차카타이어* | 일리 투르크어 | 로프어 | 위구르어 | 우즈베크어
킵차크어파 바라바어 | 바시키르어 | 크림 타타르어 | 쿠만어* | 발카르어 | 카라임어 | 카라칼파크어 | 카자흐어 | 킵차크어* | 크림착어 | 쿠미크어 | 노가이어 | 타타르어 | 우룸어
오구즈어파 아프샤르어 | 아제르바이잔어 | 크림 타타르어 | 가가우스어 | 호라산 터키어 | 오스만 터키어* | 페체네그어* | 카슈카이어 | 살라르어 | 터키어 | 투르크멘어 | 우룸어
동부투르크어
칼라지어파 칼라지어
북서투르크어파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북동투르크어파 출림어 | 돌간어 | 푸위 기르기스어 | 하카스어 | 북부 알타이어 | 쇼르어 | 토파어 | 투바어 | 서부위구르어 | 야쿠트어
* 사어
위키백과
카자흐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