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과거 제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과거(科擧)는 조선 시대에 관리를 뽑기 위해 치르던 시험이다.

목차

[편집] 역대 과거 합격자 명단

[편집] 성종

성희안(成希顔)

[편집] 영조

홍계희(洪啓禧)

조엄(趙儼)

[편집] 순조

김정희(金正喜)

[편집] 철종

김성근(金聲根)

[편집] 고종

박정양(朴定陽)

어윤중(魚允中)

민태호(閔台鎬)

김윤식(金允植)

김기수(金綺秀)

민영휘(閔泳徽)

민병석(閔丙奭)

이완용(李完用)

박제순(朴齊純), 임선준(任善準)

이해창(李海昌)

강수철(姜洙哲), 김기현(金冀鉉), 김남제(金南齊), 김덕한(金德漢), 김병수(金炳洙), 김용곤(金龍袞), 김용섭(金容燮), 김유홍(金裕弘), 김제룡(金濟龍), 김종관(金鍾琯), 김종하(金宗夏), 김학모(金學模), 김홍락(金鴻洛), 명광석(明光錫), 민영적(閔泳迪), 박봉주(朴鳳柱), 박세익(朴世翼), 박해용(朴海容), 박해창(朴海昌), 배철순(裵哲淳), 서병태(徐炳泰), 서상룡(徐相龍), 신영학(辛泳學), 신종익(愼宗翼), 안종화(安鍾和), 여봉준(呂鳳駿), 오계련(吳啓鍊), 오수근(吳洙根), 오재은(吳在殷), 윤덕영(尹德榮), 윤진삼(尹鎭三), 윤하영(尹夏榮), 이문구(李文求), 이상설(李相卨), 이석진(李錫晉), 이수근(李壽根), 이수인(李守寅), 이의로(李義魯), 이일찬(李日贊), 이조영(李肇榮), 이종태(李鍾泰), 이찬의(李燦儀), 이채연(李采淵), 이헌영(李憲榮), 임식(林埴), 임홍준(任弘準), 장국한(張國翰), 장석신(張錫藎), 전형용(全炯龍), 정홍석(鄭鴻錫), 조범석(趙範錫), 차은조(車殷祚), 최병직(崔秉直), 최종덕(崔鍾德), 허영복(許永福), 홍우석(洪祐晳), 홍종우(洪鍾宇)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문서는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