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 |
---|---|
응용 계층 | FTP, HTTP, HTTPS, IMAP, IRC, NNTP, POP3, SMTP, SIP, SNMP, SSH, UUCP, DNS... |
전송 계층 | TCP, UDP, SCTP, DCCP, ... |
네트워크 계층 | IP, IPv4, IPv6, ICMP, ARP, IGMP, ... |
데이터링크 계층 | 이더넷, FDDI, PPP, ... |
물리적 계층 | RS-232, EIA-422, RS-449, EIA-485... |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은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사용하는 데이터 위주의 프로토콜이며,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기능을 담당한다. 줄여서 아이피(IP)라고도 한다.
IP의 데이터는 패킷 혹은 데이터그램이라고 부르는 덩어리로 전송된다. 특히, IP에서는 이전에 통신한 적이 없는 호스트에 패킷을 보낼 때 경로 설정이 필요없다.
IP는 비신뢰성(unreliability)과 비연결성(connectionlessness)의 특성을 가진다. 다시말해, 비신뢰성이란 전송되는 데이터의 안정성, 흐름에 관여하지 않아 전송되는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송과정에서 패킷이 손상될 수도 있고, 한 호스트에서 전송된 패킷의 순서가 뒤죽박죽이 될 수도 있고, 같은 패킷이 두번 전송될 수도 있으며, 아예 전송과정에서 없어질 수도 있다. 패킷 전송과 정확한 순서를 보장하려면, TCP 프로토콜과 같은 IP의 상위 프로토콜을 이용해야 한다. IP의 최대 패킷 크기는 65,535바이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