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사병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흑사병(黑死病)은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크게 임파선 흑사병과 폐 흑사병의 두 종류로 나뉜다. 흑사병이라는 이름은 걸리면 피부가 검은 빛으로 변하는 증상에서 온 것이다.

[편집] 사회에서의 영향

초창기 흑사병의 근원을 바르게 알지못하여 유대인들이 병을 전파하였다는 의심을 받기도 하였다. 그래서 유대인들이 집단으로 화형당하는 참사가 벌어지기도 했는데, 교황학살을 금지했음에도 유대인들에 대한 불만이 폭발한 유럽인들의 야만성은 멈추지 않았다. 그리고 점점 흑사병의 근원이 중국몽골지역을 통해서 전래됐다는 사실이 설득력을 얻었다.

[편집] 전염통로

주로 와 벼룩이 옮기며, 중세에 유행하여 유럽 인구의 1/3을 죽이기도 하였다. 유럽에는 배에 페스트균의 숙주인 쥐들이 얻어타면서 상륙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