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화(士禍)는 조선시대에 선비와 신하 등이 반대파에 의하여 화를 입은 사건을 말한다. 사화에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등이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다.
사화 | 발생 년도 | 발생 원인 | 가해자 | 피해자 |
---|---|---|---|---|
무오사화 | 1498년 | 김종직의 <조의제문> 사건 | 유자광, 이극돈, 윤필상 | 김종직, 김일손, 김굉필 |
갑자사화 | 1504년 | 폐비 윤씨 사건 | 연산군, 임사홍, 신수근 | 윤필상, 이극균, 김굉필 이세좌, 한명회 |
기묘사화 | 1519년 | 조광조의 개혁정치 반발 | 남곤, 심정, 홍경주 | 조광조 |
을사사화 | 1545년 | 외척간의 대립 |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