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읖)은 한글 낱자의 열셋째 글자이다.

현대 한국어 첫소리에서는 입술소리(발음 기관)이고, 거센터짐소리(발음법)이며, 안울림소리이다. 끝소리에서는 과 같다.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입술소리이다. 제자 원리는 에 획을 더해 , 거기에 획을 다시 더해 ㅍ을 만들었다고 한다.

훈몽자회에서 초성 독용 8자 안에 넣어 ‘피(皮)’라는 이름이 붙었다. 현재 ‘피읖’이라는 이름은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정한 것이다.

[편집] 코드 값

종류 글자 유니코드 HTML
한글 호환 자모 U+314D ㅍ
한글 자모
영역
첫소리 ᄑᅠ U+1111 ᄑ
끝소리  ᇁ ᅟᅠᇁ U+11C1 ᇁ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첫소리  U+F7F8 
끝소리    U+F8ED 
반각 U+FFBD ᄑ
한글 낱자
현대 한글: | | | | | | | | | | | | |
| ㅑ | | ㅕ | ㅗ | ㅛ | ㅜ | ㅠ | |
옛한글: | | | 치두음과 정치음(ᄼ·ᄽ·ᄾ·ᄿ·ᅎ·ᅏ·ᅐ·ᅑ·ᅔ·ᅕ)

방점(ᅟ〮·ᅟ〯)
한글 겹낱자 | 한글 낱자 목록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