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수도권 버스 개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는 서울특별시의 버스 체계를 개편했다.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다.

  • 노선을 빨강(R), 파랑(B), 초록(G), 노랑(Y)으로 구분하여 빨강은 광역 노선, 파랑은 간선 노선, 초록은 지선노선, 노랑은 순환 노선으로 하였다.
  • 서울시를 0부터 7까지 여덟 개의 번호 구역으로 나눠서 이를 토대로 버스의 번호를 정했다. 종점의 구역 번호가 A이고 기점의 번호가 B라면 노선 번호는 파랑색일 경우 ABX, 초록색일 경우 ABXX가 된다. 노랑색은 순환하는 구역의 번호 C에 따라 CX로 정해진다. 빨강색은 기점의 구역 D에 따라 9DXX가 된다.
  • 강남대로, 수색로를 포함한 많은 도로에 중앙 버스 전용 차로를 만들었다.
  • 지하철에서 버스, 버스에서 지하철, 버스끼리 갈아탈 때에 요금 할인을 적용했다.

[편집] 비판

  • 서울시의 이러한 개혁은 여론 수렴의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고 독단적으로 시행되었다.
  • 버스 앞면에 쓰여 있는 행선지와 버스 번호의 채도 대비가 적어서 움직이는 버스의 그것을 읽기엔 불편하다.
  • 시행 초기 강남의 버스 전용 차로는 버스량을 감당치 못하여 그야말로 교통지옥을 야기시켰으며 이로 인해 강남대로를 다니는 버스의 일부를 버스전용차로 밖에서도 다니도록 시정하였다.
  • 버스전용차로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했던 적색 아스팔트가 시공한지 2년도 안되어 벗겨지기 시작해서 시공상의 오점이 드러났다.
  • 초기에는 경기도인천광역시와는 아무런 호환성이 없어서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에서 출퇴근하는 시민들은 아무런 혜택을 받지 못해 불만을 불러일으켰다.
  • 시스템 통합을 담당한 LG CNS에서 제대로 테스트를 거치지 못한 상황에서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은 무리이므로 일정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묵살당했다. 그 덕분에 초기에는 잦은 오류가 발생하여 불편을 초래했다.

[편집] 함께 보기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