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명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명종(明宗, 1131년 - 1202년)은 고려 제19대 임금(재위: 1170년 - 1197년)이다. 휘는 호(晧), 자는 지단(之旦), 시호는 명종황명광효대왕(明宗皇明光孝大王). 인종과 공예태후(恭睿太后) 임씨(任氏)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편집] 생애
1170년에 무신정변으로 의종이 폐위되고 무신들에게 추대되어 즉위하였다.
이후 무신 정권 집권자들을 서로 견제하게 만들고 왕족들의 단합을 이끌어내어 무신들의 손아귀로부터 부단히 왕실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1173년에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김보당이 무신 정권 타도와 전(前) 임금인 의종의 복위를 천명하며 군사를 일으켰으나, 무신 정권에 의하여 진압되고 의종은 시해되었다.
1179년 정중부의 전횡을 탐탁지 않게 여긴 경대승이 정변을 일으켜 정중부를 죽이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경대승이 죽자, 명종은 경주로 달아난 이의민을 다시 불러들였다. 이의민은 새로운 무신 권력자가 되어 자신의 아들들을 모두 요직에 앉히고 부정부패를 일삼아 갖은 횡포를 부리다가, 나중에 가서는 스스로 임금이 되려는 야심까지 품게 된다.
1196년 4월, 최충헌이 이의민을 참살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최씨 정권 시대가 열리게 된다. 이 때 최충헌은 거사의 명분을 얻기 위하여 앞으로의 국정개혁안의 내용을 담은 봉사 10조(封事十條)를 올리고 명종은 이를 기꺼이 받아들인다.
그러나 1197년에 최충헌 형제의 정변으로 폐위를 당하고 창락궁(昌樂宮)에 유폐된 지 6년 후에 병을 얻어 죽는다.
[편집] 가계
- 의정왕후 김씨(義靜王后)
- 강종
- 연희궁주(延禧宮主)
- 수안궁주(壽安宮主)
- 선사
- 홍기
- 홍추
- 홍규
- 홍균
- 홍각
- 홍이
전 임 의종 |
제19대 고려왕 1170년 - 1197년 |
후 임 신종 |
고려의 역대 국왕 |
---|
고려: 태조 | 혜종 | 정종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정종 |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숙종 | 예종 | 인종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 원종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