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Hnc197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편집] 앨범 커버

앨범 커버는 엄연히 저작권이 있는 자료입니다. 올리지 말아주세요. -- ChongDae 2006년 3월 19일 (일) 21:40 (KST)

영어판 wikipedia에 있는 beatles discography란에 올라와 있는 사진이라 사용한 것입니다. 이쪽에서 사용을 해서는 안되는지요?
대한민국의 저작권법은 공정사용(FAIR USE)을 인정하지 않습니다.--효리♪(H.L.LEE)2006년 3월 19일 (일) 21:48 (KST)
그렇군요. Hnc197 2006년 3월 19일 (일) 21:53 (KST)
대한민국의 저작권법이라기보다는 한국어 위키의 현재 방침일 뿐이죠. 대한민국 저작권법에도 걸리는지는 확실치 않습니다만, 아마 관계 없으리라 봅니다. --정안영민 2006년 3월 21일 (화) 17:59 (KST)

[편집] 안녕하세요

같은 90년생인데 관심사까지 비슷한 면이 있어서 반가운 마음에 쪽지 남깁니다 :) (저는 오래 전부터 정치에 관심이 많았고 최근에는 경제학도 공부해보고 싶다는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꿈을 이루시길 :) --Yuyudevil 2006년 7월 23일 (일) 12:59 (KST)

반갑습니다=) 친하게 지내 봅시다. --Hnc197 2006년 7월 23일 (일) 13:03 (KST)

[편집] Brian May

Hello, Nhc 197. I'm a Japanese fan of British band Queen. I also went to see their concert in Saitama, Japan with my friend in 2005. I write down Minako Honda's name in May's Korean article because she is so important singer, I think. (especially, now) but mentioning her is not too much in wikipedia's foreign language version except Japanese. She died of leukemia in 2005. [1] After her death, Brian May made a comment on her on these contributions ([2] [3] [4]) of his official page. Although she is dead, I'm too interested in her in recent. I'll buy her CDs and listen to them. If I can understand Korean language, I'd like to write about her substantially. In addition, I'm waiting for being editting her article in detail in English wiki because I'm not good at English language and also inserted "section-expand stub" in her English article. I'd like you to know her and be interested in her and so I contributed here. Would you expand and improve her article in Korean and English wikipedia after you made an effort to look into her using the Internet etc if you are OK? --Hatto 2006년 7월 30일 (일) 00:24 (KST)

  • something extra

Crazy Nights - aThis song was composed by Brian May but sung by Minako Honda.

[편집] 영어판의 그림 옮기기

GFDL 그림이라면 commons로 옮겨주세요. 그러면 여러 위키백과 프로젝트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8월 9일 (목) 19:14 (KST)

그 사실을 잊었군요. 앞으론 유념하도록 하겠습니다=) --Hnc197 2006년 8월 9일 (목) 19:25 (KST)

[편집] 월트 휘트먼 로스토

다시 되돌렸습니다. Whiteman의 h 발음이 약하게 나긴 하지만 그건 가수 휘트니 휴스턴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윗니 유스턴"라고 적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로스토우에서 "오우" 식으로 복모음을 적지는 않지 않나요? 영국의 도시 Glasgow도 글래스고로 적습니다. -- ChongDae 2006년 8월 15일 (화) 11:54 (KST)

일단 미들네임은 알겠습니다만, 성(姓)은 여러 문서들에서 "로스토"보단 "로스토우"로 더 많이들 쓰는 것 같아 로스토우로 한 것입니다. 여튼 이 문서때문에 넘겨주기 문서들이 복잡하게 얽혀버린 것 같네요. --Hnc197 2006년 8월 15일 (화) 14:00 (KST)

[편집] 새 글에 분류 꼭 달아주세요.

새 글에 분류를 꼭 달아주세요. 그리고 인터위키도 신경써주시기 바랍니다. --WaffenSS 2006년 8월 17일 (목) 02:26 (KST)

솔직히 분류는 다소 직관적이지 못한 면이 있어서 잘 넣지 않았었습니다. 이에 대해선 앞으로 유념하겠습니다. 허나 인터위키의 경우 거의 모든 글에서 신경을 씁니다. 그리고 제 최근 집필(문학의 관점들)의 경우 타국어와 연결될만한걸 찾지 못했기 때문에 그냥 한국어에서만 놔둔겁니다.(물론 이는 제 능력 부재도 한몫을 했습니다. 전 타국어 문학 전공자가 아닌 일반 고교생일 뿐이니까요). 혹여나 제 집필 중 인터위키가 잘못된 것이 있으면 언제든지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Hnc197 2006년 8월 17일 (목) 07:43 (KST)

[편집] 사용자:Galadrien/한오백년

어떠실까 해서 의견을 묻습니다. 찬동하신다면 회원 명부에 이름을 추가해 주시고, 혹시 '우리의 주장' 부분에 이의가 있다면 토론에 글을 남겨주셨으면 합니다. - Ellif 2006년 8월 30일 (수) 10:52 (KST)

[편집] 나우루 이동?

이유가 있나요? 일단 원상복구했습니다. -- ChongDae 2006년 9월 1일 (토) 22:24 (KST)

정식명칭이 '나우루 공화국'이며 본문에서도 '''나우루 공화국'''로 나와 있으며, 나우루 공화국을 나우루로 넘겨주는 쪽 보단 이동시켜 놓는 쪽이 낫다는 판단하에 옮겼습니다. 합당치 않다 생각하시면 그냥 놔두시고 넘겨주기 문서를 만들어 주세요. --Hnc197 2006년 9월 1일 (토) 22:54 (KST)

[편집] 그림:Unix han.png

Unix han.png에 사용한 한글 폰트가 혹시 산돌 맑은고딕 아닌가요? 혹시 이것 때문에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진 않을까요? 이에 대해서 한국어 위키피디아의 정책은 어떤가요? 시간 파리 2006년 9월 3일 (월) 21:41 (KST)

비트맵 글꼴의 저작권에 관해서 각 나라마다 해석이 약간씩 다릅니다. 그러나 '맑은 고딕'체는 분명히 '저작권 위반'인만큼 윈도 비스타 출시까지 사용을 금하는 것이 좋겠네요. :)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3일 (월) 21:42 (KST)
문제가 된다 하시니 한겨레 신문사에서 영리 및 비영리 목적 모두로 사용할 수 있게 허락한 한겨레결체[5]로 바꿔서 올리겠습니다. --Hnc197 2006년 9월 3일 (월) 21:45 (KST)
좋습니다. 고친 다음 같은 파일명으로 올려주시면 됩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3일 (월) 21:47 (KST)
그림이나 도안에서는 문체부 돋움체도 무난할 것 같습니다. 사용상의 저작권 문제도 전혀 없습니다. 문체부에서 배포한 것 말고 (이건 영문자, 문장 부호가 없습니다) 켄 룬데씨가 오픈타입으로 만든 문화 폰트를 쓰시면 좋을 겁니다. ftp://ftp.oreilly.com/pub/examples/nutshell/cjkv/adobe/samples/ 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시간 파리 2006년 9월 3일 (월) 21:52 (KST)
이미 PNG파일을 하나하나 고치는 작업 착수한 상태에서 그런 말씀을 하시면..:( 일단 그냥 가렵니다. 이후 참고하겠습니다. --Hnc197 2006년 9월 3일 (월) 21:59 (KST)

[편집] 너무 많은 넘겨주기

'포춘 지'로 가는 많은 넘겨주기 문서를 만드신 것을 보았습니다. '포츈'을 보통 '포춘 지'를 가리키는 말로 쓴다면, 넘겨주기를 만들어도 괜찮을 것입니다. 하지만 가령 '포천'같은 말은 포천시를 가리키는 말로 더 자주 쓰입니다. 이런 혼동의 가능성을 생각하면 어떤 표제어를 가리킬 수 있는 '모든' 명칭을 넘겨주기로 만들 것까지는 없고 주로 쓰이는 이름만 넘겨주기하는 편이 나을 것 같습니다. --한동성 2006년 9월 13일 (목) 22:00 (KST)

이런 지적이 들어올 것이란 생각을 하긴 했습니다만 '포천'은 미처 생각치 못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언론에서 fortune의 발음을 자기 맘대로 쓰고 있는 실정이라서 참 난감합니다. 특히 '포천'의 경우, fortune을 포천이라 표기한다는 것이 신기하긴 합니다만, 동아일보 등 유력 언론에서도 가끔 그런 형태로 언급되기도 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고요. 일단 포천은 경기도 포천으로 넘기는 쪽이 좋겠습니다. --Hnc197 2006년 9월 14일 (금) 16:29 (KST)

[편집] 반갑습니다.

저번에 제 페이지에 '틀'에 오류가 있다고 하셔서, 그 때 확인하면서 Hnc197님의 페이지를 들르게 되었는데, 저랑 나이가 같더군요^-^; 앞으로 친하게 지냈으면 좋겠습니다. 근데 지금 제가 시험기간이 임박한 터라 더 이상은 못들어올 것 같군요 추석 연휴 전 까지요 ㅎㅎ 그럼 추석 뒤에 보았으면 합니다. ^^ 미키위키 2006년 9월 19일 (수) 23:52 (KST)


[편집] 노래 말입니다

혹시 보헤미안 랩소디말고 노래 정보를 또 편집하신 거 있으신가요? 혹시 있다면 그 문서의 분류는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앨범 분류야 상관이 없지만은, 곡은 몇 개 없다보니 분류를 하는데 이만 저만 문제가 아니네요. 미키위키 2006년 9월 30일 (일) 19:44 (KST)

아직 각 곡에 대한 정보는 지필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비틀즈의 앨범들을 모두 완성한 후 비틀즈에서 음악/문화적으로 중요한 것들(Helter Skelter, A Day In The Life, Let It Be 정도)을 지필할 예정입니다. 언젠간 비틀즈가 만들었거나 연주한 300여개의 곡을 채울 예정입니다만, 비틀즈 본문과 퀸 등을 다듬기 위해서 올해엔 그정도가 목표입니다. --Hnc197 2006년 9월 30일 (일) 19:48 (KST)
그렇다면, 각 노래들은 각 앨범 분류의 하위 분류로 넣는 것은 어떨까요? 이것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정해서 대중음악프로젝트에 규칙으로 실었으면 합니다. 미키위키 2006년 9월 30일 (일) 19:49 (KST)
먼저 발매 연도를 분류로 삼고, 해당 앨범 분류에다가 넣으면 될 것 같습니다. 즉 BR의 경우 분류:1975년 곡(노래), 분류:A Night At The Opera로 하면 되겠네요.
그런데 곡까지 연도별로 구분해야 할까요? 그냥 앨범의 하위 분류로 하면 그 앨범을 따라 자동적으로 연도를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앨범에 연도 분류가 이미 되어 있으니까요. 미키위키 2006년 9월 30일 (일) 19:57 (KST)
제가 제안하는 것은 분류:비틀즈의 음반에 하위 목록으로 분류:비틀즈의 노래를 하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미키위키 2006년 9월 30일 (일) 19:58 (KST)
그것에는 찬성합니다. 그런데, ~년 노래는 필요합니다. 비틀즈의 그 유명한 "Hey Jude"의 경우, 어떤 앨범에도 속해있지 않습니다.(물론 컴필레이션은 제외입니다.) 싱글로만 발매된 노래들을 위해선 ~년 노래가 있어야 합니다. --Hnc197 2006년 9월 30일 (일) 20:00 (KST)
그러고 보니 그렇네요. 아, 근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어떤 앨범에도 들어가지 않는 곡이 있나요? 만약에 싱글 앨범이라면 싱글 앨범 자체를 앨범으로 만들어도 되고, 뭐 특정 사운드트랙에 참여했다면 그곳 앨범에 들어가지 않나요? 미키위키 2006년 9월 30일 (일) 20:02 (KST)
싱글 앨범까지 앨범으로 넣는다면 무진장 많아지고 복잡해집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 상태로는 무리라 봅니다. --Hnc197 2006년 9월 30일 (일) 20:06 (KST)

[편집] Sergeant Pepper's의 발음

비틀즈 틀의 앨범 제목 표기에 대해서 오해하고 계신 것 같군요. sergeant 의 발음이 원래 [sɑːʤənt] 사전트입니다. 미국식 영어라도 서전트라고 발음하진 않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이 이상하고 일관성이 없어서 그런 게 아니랍니다. 흔히들 서전트라고 한국 사람들이 발음하는 건 그냥 철자만 보고 추측한 잘못된 발음일 뿐입니다. --시간 파리 2006년 10월 6일 (금) 14:32 (KST)

직접 발음을 들어보시면 분명 "사전트"하고는 다릅니다. 차라리 서전트가 더 가깝습니다. [6] --Hnc197 2006년 10월 6일 (금) 14:42 (KST)
sergeant의 발음은, lieutenant처럼 발음이 애매한 경우와는 달리, 발음 표기에 혼란이 생길 여지가 거의 없습니다. 물론 영어의 [ɑː] 발음은 한국어의 'ㅏ'와는 혀의 위치가 다르니 발음도 정확히 같지가 않습니다. 영어의 경우 좀 더 혀의 위치가 낮고 안쪽으로 들어 갑니다. 그리고 미국식 영어에선 sergeant에서 모음화된 r 발음도 들어가니 마치 [ɚ]가 뒤따르는 듯해서 그렇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음성학적으로도 한국어의 'ㅓ'보다는 'ㅏ'에 더 가깝고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에도 'ㅏ'로 표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sergeant를 줄여서 sarge로 애칭이나 친근하게 부르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도 결코 '써지'란 발음에 가깝지도 않죠. 아마도 지금까지 서전트가 정확한 발음이라고 생각해 와서 굳어진 탓에 실제 영어 발음을 듣더라도 서전트에 가깝다고 들릴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리 실제 발음이 그렇게 들린다고 하더라도 sergeant를 서전트라고 표기하는 것이 더 일관성이 없고 이상한 표기가 될 겁니다. 그런 식이라면 father도 퍼더로 쓰고 march도 머치로 써야할 겁니다. --시간 파리 2006년 10월 6일 (토) 15:39 (KST)
그렇게 깊게 말씀하시니 제 얇은 얼음판 지식이 깨져 버리는군요:) 잘 알겠습니다. --Hnc197 2006년 10월 6일 (토) 16:58 (KST)

[편집] 더 비틀즈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명문화된 문서도 없고 잘 소개되지도 않았지만 영문 위키백과에는 en:Wikipedia:Don't disrupt Wikipedia to illustrate a point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제 나름대로 설명해 보자면 어떤 주장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위키백과 자체의 문서를 임의로 고치는 것은 삼가자는 이야기입니다. The Beatles더 비틀즈로 옮기고, 이렇게 편집하신 것은 아마도 한동성 씨가 주장하는 대로 고치면 어떤 안 좋은 점이 있느냐를 보여주기 위한 것인 모양인데, 저는 문서 자체에 대한 평가는 하지 않겠습니다만 그 행위 자체는 정말 보기 안 좋습니다. 무엇보다도 Hnc197의 소신이 들어간 편집이 아니고, 마치 Hnc197 씨가 저렇게 고친 내역에 대한 모든 책임이 한동성 씨에게 있는 것으로 보일 위험마져도 있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10월 7일 (토) 01:26 (KST)

en:Wikipedia:Don't disrupt Wikipedia to illustrate a point는 잘 읽어 보았습니다. 연결하신 문서의 내용은 이해가 갔습니다. 일부분만 따와서 프로젝트 토론란에 옮기려고 생각은 했습니다만 아예 원 문서 전체를 바꾸어 놓은 제 생각이 짧았네요. rv하도록 하겠습니다. --Hnc197 2006년 10월 7일 (토) 07:42 (KST)

[편집] 사람 이름에는 언어 틀을 붙이는 것이 아닙니까?

흠, 고치다보니 제가 헷갈려지네요. 사실, 고유명사에다가 llang을 붙이기라. 또 그렇네요. 어디서든지 이름이란 통할 수 있는 것이니...... 만약에 언어 틀을 떼는 것이 옳다면, 장제스마오쩌둥을 오히려 고쳐야 되겠네요. 미키위키 2006년 10월 7일 (일) 15:48 (KST)

사람 이름같은 고유 명사에 llang을 붙이려면 인텔이나 코카콜라 같은 회사 이름 및 비틀즈, 퀸, 딥 퍼플 등등.. 다 붙여줘야겠죠. 다만 중국어는 간체와 번체에서 사용하는 한자간의 차이가 있으니 붙여놓아도 무관하다고 봅니다. --Hnc197 2006년 10월 7일 (일) 15:52 (KST)
음..그렇다 하더라도... 좀 고려해 봐야 겠네요. 미키위키 2006년 10월 7일 (일) 21:05 (KST)

원래 {{lang}}은 안에 있는 텍스트가 특정한 언어로 되어 있을 때 알려주기 위해 씁니다. (HTMLlang 속성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한글로 음역된 고유명사라면 그 자체로는 한국어이기 때문에 언어를 밝혀 준다고 해도 의도한 효과가 나타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는 현재 한글로 쓰여지지 않은 텍스트만 lang으로 묶어 주고 있습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10월 8일 (월) 20:00 (KST)

[편집] 새로운 바벨색상 변경안에 대해

이전에 제가 제안한 바벨색상 변경안에 지지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전에 바벨색상 변경안이 별다른 변화없이 무마되어서 다시 바벨색상 변경에 대해 제안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이번에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제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이미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사용중인 바벨 색생 체계입니다. 기존의 바벨 색상 체계와 크게 다르지 않을 뿐더러 이미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전례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에서는 새로운 색상체계를 도입하는 데의 문제점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예들은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구체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예들입니다.

es-0 Este usuario no entiende español
(o lo entiende con dificultad).




es-1 Este usuario puede contribuir con un nivel básico de español.




es-2 Este usuario puede contribuir con un nivel intermedio de español.




es-3 Este usuario puede contribuir con un nivel avanzado de español.




es-4 El nivel de este usuario corresponde al de un hablante nativo del español.




es El nivel de este usuario corresponde al de un hablante nativo del español.




관련 내용에 대한 토론은 위키백과토론:바벨#새 바벨색상 변경 제안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 아이리디 2006년 10월 7일 (일) 21:32 (KST)

[편집] 그냥 사용자 문서의 비누상자를 읽고

※ 이건 그냥 제 생각일 뿐입니다.

not을 '놋'이 아니라 '낫'으로 바꾼다면 농기구 '낫'과 헷갈릴 수 있어서 '놋'으로 바꾸는 게 아닐까 합니다. ―에멜무지로 2006년 10월 14일 (토) 10:25 (KST)

어짜피 독해를 하다보면 전후 문맥상 not인지 "ㄱ"인지는 충분히 판단이 갑니다. --Hnc197 2006년 10월 14일 (토) 11:53 (KST)

[편집] 번역

제가 결정한 건데 이제부터 번역은 다른 사람과 같이하고, 아는 문서는 제가 작성할 겁니다. 제가 번역하는 거는 무리라고 보고 다른 사람과 같이 하겠습니다. 번역은 잠시 접어두고, 제가 외국어 실력을 더 키운다음에 번역하겠습니다. 나중에 절 도와주실래요? 같이 번역하게요. --루스 2006년 10월 17일 (수) 22:20 (KST)

제가 아는 바에 대해선 어느 정도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 역시 외국어 실력이 뛰어난건 아니지만요-.-;; --Hnc197 2006년 10월 17일 (수) 22:22 (KST)
감사합니다^^. --루스 2006년 10월 17일 (수) 22:23 (KST)

[편집] 수고 많으십니다.

오늘따라 '보면 참 기분이 뭣한' 글들이 많죠? 정안영민님도 오늘따라 유독 이런 글들과 사용자 분들 때문에 힘드셔서 중간에 GG를 치셨는데 Hnc197님께서 도와주시는군요.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24일 (수) 21:53 (KST)

감사합니다. 오늘 따라 유난히 많이 올라오는 것 같긴 하네요:( 파란로봇군님도 수고하십시오:) --Hnc197 2006년 10월 24일 (수) 21:54 (KST)

[편집] 넘겨주기의 삭제 신청

넘겨주기의 삭제신청을 하시려면 가리키는 글, 인터위키 등을 먼저 정리해주세요. -- ChongDae 2006년 11월 16일 (금) 23:34 (KST)

[편집] 미디어위키 설치 관련

사랑방에서 답변을 보고 찾아왔습니다. "root 계정 적는 데"와 "슈퍼유저 어카운트/패스워드" 적는 데가 같은 곳 아닌가요? ― Yes0song (談笑 筆跡) 2006년 11월 19일 (월) 23:02 (KST)

다시 질문 드립니다. 그럼 슈퍼유저 말고 Database name, DB username, DB password란에는 무얼 적으셨는지요? (미디어위키 설치하기 꽤 복잡하네요 ㅠㅠ) ― Yes0song (談笑 筆跡) 2006년 11월 21일 (화) 05:42 (KST)

자꾸 여쭤서 죄송합니다만, Hnc197님은 DB username하고 슈퍼유저 어카운트가 동일했었던 건가요, 달랐던 건가요? ― Yes0song (談笑 筆跡) 2006년 11월 21일 (수) 21:57 (KST)

[편집] 누구세요?

누구세요? -_- --루스 2006년 11월 24일 (토) 22:07 (KST)

할 말이 없군요. --Hnc197 2006년 11월 24일 (토) 23:20 (KST)

[편집] replace 기능이 뭐죠?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현재 소행성 목록에서 열심히 뛰고있는 이강철입니다. 저도 고등학생입니다.^^ 저는 지금까지 위드 프로세서인 한글 2002의 찾아바꾸기 기능으로 주로 작업했습니다만, replace기능을 이용하셨다기에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이강철 2006년 11월 26일 (월) 18:15 (KST)

Replace는 찾아 바꾸기와 같습니다. ―에멜무지로·· 2006년 11월 26일 (월) 18:21 (KST)
에멜무지로님이 말씀하신 바와 같습니다. 전 Ultraedit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영어 명령 이름이 튀어나왔었군요. --Hnc197 2006년 11월 27일 (화) 17:31 (KST)

[편집] 얼티너티브

안녕하세요. 스매시 마우스 문서의 얼터너티브를 얼티너티브로 고치셨던데, 이게 정확한 표기인건가요? 우선 많이 사용하는 얼터너티브로 사용해왔는데, 얼티너티브가 옳은 표기이면 수정해야 할 것들이 상당히 많아지겠네요.--퍼틴 2006년 12월 14일 (금) 19:35 (KST)

제가 잠시 미쳤나 봅니다. 얼터가 맞습니다-_-; --Hnc197 2006년 12월 15일 (토) 16:16 (KST)

[편집] 그림:RollingStonesCroped.png

그림:RollingStonesCroped.png의 원본인 commons:Image:Rolling-stones-copacabana-18-02-11.jpg를 올린 사용자의 토론을 보니 무제한 사용이 아니네요. 공용에서도 신고만 한다면 곧 삭제될 것이라고 예상하여 삭제하겠습니다. --Klutzy 2006년 12월 19일 (화) 07:12 (KST)

아뿔싸.. 낚였군요-_-. 삭제해 주세요(이미 삭제 되었지만). --Hnc197 2006년 12월 19일 (수) 17:4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