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음 위치
입술소리
양순음
순치음
혀끝소리
설순음
치음
치간음
치조음
설첨음
설단음
치조후음
치조구개음
권설음
혓바닥소리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목구멍소리
인두음
후두개음
성문음
조음 방법
틀 편집

연구개음(軟口蓋音)은 뒤혀(후설)와 연구개(여린입천장) 사이에서 조음해서 내는 닿소리이다. 여린입천장소리라고도 한다.

연구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쓰면 다음과 같다.

IPA 이름
언어 철자 발음
그림:IPA_eng.PNG 연구개 비음 한국어 "강"의 [kaŋ]
그림:IPA k.PNG 무성 연구개 파열음 한국어 "가다"의 [kada]
그림:IPA g.PNG 유성 연구개 파열음 한국어 "아가"의 [aga]
그림:IPA x.PNG 무성 연구개 마찰음 중국어 韩国 (Hánguó) [xan˧˥.ku̯ɔ˧˥] 한국
그림:IPA_gamma.PNG 유성 연구개 마찰음 한국어 "아가"의 1 [aɣa]
그림:IPA_turned_m_with_long_leg.PNG 연구개 접근음 스페인어 pagar [paɰaɾ] 지불하다
그림:IPA_capital_l.PNG 연구개 설측음 Mid-Waghi aʟaʟe [aʟaʟe] 어지러운
ʍ 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 영어 which2 [ʍɪtʃ]
ɧ 무성 치조후 연구개 마찰음 스웨덴어 schal [ɧal] 스카프
w 양순 연구개 접근음 영어 witch [wɪtʃ] 마녀
  1. 한국어 "ㄱ"은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유성 연구개 파열음이 되지만 유성 연구개 마찰음으로 실현될 때도 많다.
  2. whitch과 witch의 발음이 다른, 영어의 스코틀랜드 방언에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