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언어학에서 격(格) 또는 자리는 명사에 관련된 문법 범주의 하나로 해당 명사가 문장에서 어떤 통사적 기능을 하는지 표현해 주는 것을 말한다.
서구 언어학의 전통적에서는 명사와 형용사에 관련된 문법 범주로 성, 수, 격이 논의되어 왔다. 이것은 서구어의 특성에서 나온 분석이다. 서구의 고전어인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명사와 형용사는 형태가 변화하여 성, 수, 격의 문법적 의미를 표현했으며 현대의 서구어들에도 이러한 현상이 남아있다. 이러한 명사의 형태 변화를 곡용이라고 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격은 이러한 서구어의 현상에서 보듯이 명사의 곡용을 통해 표현되는 문장에서의 기능, 대표적으로 동사와 맺고 있는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 의미를 말한다.
그러나, 격이라는 용어는 명사의 곡용이 없는 언어에 대해서도 널리 사용된다. 한국어의 조사와 같이 문법적인 관계를 표시하는 표지가 나타나는 경우에도 격으로 지칭하며, 영어의 경우에서처럼 명사의 형태 변화는 전혀 없지만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통사적 기능이 정해지는 경우에도 격이라고 한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외국어들의 경우를 예로 들어 보면:
여기서 더 나아가, 라틴어의 곡용과 같은 형태론적 요소나, 한국어의 조사와 같은 형태-통사론적 요소, 또는 영어의 명사의 위치와 같은 통사론적 요소가 아니더라도 명사의 문장 내에서의 기능 또는 역할을 의미상으로 구분할 수 있을 때 그 문법 의미를 격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편집] 격의 목록
격은 형태와 의미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특히 한국어에 대한 논의에서는 매우 다양한 용어가 사용된다. 격 대신에 자리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전통도 존재하며 남한과 북조선의 학계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 간접격*(間接格)(문화어) =사격* :
- 감목자리* =자격격* :
- 객격*(客格) =목적격* :
- 견줌자리* =비교격* :
- 공동격*(共同格) ≒여동격*(與同格), 함께자리* :
- 관형격*(冠形格) ≒매김자리*, 소유격*, 속격*(屬格) :
- 구격*(具格)(문화어) =부사격* :
- 기구격*(器具格) ≒연장자리*, 조격* :
- 기본격*(基本格)(문화어) =절대격* :
- 기움자리* =보격*(補格) :
- 능격
- 닿을자리* =여격*(與格) :
- 대격*(對格) =목적격* :
- 대비격*(對比格)(문화어) =비교격* :
- 도구격
- 매김자리* =관형격* :
- 명격
- 목적격*(目的格) ≒객격*(客格), 대격*(對格), 부림자리*, 빈격* :
- 보격*(補格) ≒기움자리* :
- 부름자리* =호격*(呼格) :
- 부림자리* =목적격* :
- 부사격*(副詞格) ≒어찌자리* :
- 비교격*(比較格) ≒견줌자리* :
- 비대격
- 비유격*(比喩格)(문화어) :
- 빈격*(賓格) =손님격*; =목적격* :
- 사격*(斜格) : 주격*과 호격* 이외의 모든 격
- 생격*(生格)(문화어) =관형격* :
- 서술격*(敍述格) ≒풀이자리* -> 참조: 주격* :
- 소유격*(所有格) =관형격* :
- 속격*(屬格) =관형격* :
- 어간격*(語幹格)(문화어) =절대격* :
- 어찌자리* =부사격* :
- 여격*(與格) ≒닿을자리* :
- 여동격*(與同格) =공동격* :
- 여위격*(與位格)(문화어) -> 참조: 여격*, 위격* :
- 연장자리* =기구격* :
- 위격*(位格) =처격* :
- 일반격*(一般格)(문화어) =절대격* :
- 임자자리* =주격* -> 참조: 풀이자리* :
- 자격격*(資格格) ≒감목자리* : '으로서'
- 전치격*(前置格)(문화어) :
- 절대격*(絶對格)(문화어) ≒기본격*, 어간격*, 일반격*, 줄기격* :
- 조격*(造格) =기구격* :
- 주격*(主格) ≒임자자리* -> 참조: 서술격* :
- 줄기격*(--格)(문화어) =절대격* :
- 지격*(地格) :
- 직격*(直格) -> 참조: 사격* : 주격*
- 처격*(處格) ≒위격*(位格) :
- 탈격*(奪格) :
- 풀이자리* =서술격* -> 참조: 임자자리* :
- 함께자리* =공동격* :
- 호격*(呼格) ≒부름자리* :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용어는 별표(*)를 붙여 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