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형칠(金亨七, 1959년 7월 1일~2006년 12월 7일)은 대한민국의 승마 선수이다. 금안회 소속이다.

김형칠은 아버지에게 승마 기술을 배웠고,1976년부터 승마 선수로 활동을 시작했다. 1985년 아시아 선수권에서 우승하였고, 그 이듬해부터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였다.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장애물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종합마술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2006년 12월 7일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2006년 아시안 게임에 참여했으나, 종합마술 크로스 컨트리 경기 도중 5년간 경기를 같이 진행한 애마 벤디에서 떨어져 뇌에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현지 시각 10시 50분경 사망했다. 사고는 모두 스물세 개의 장애물 중 여덟째 장애물을 넘다가 일어났다. 높이 1.1미터인 장애물 상단에 말의 앞발이 걸리면서 말에서 떨어지고, 이어 무게 500킬로그램인 말이 그의 머리와 가슴 부위를 덮친 것이다. 사고로 다리가 부러진 벤디도 안락사 처리될 예정이다. 사고 직후 언론들은 비가 오는데도 경기를 강행한 주최측의 무리한 진행사실을 보도, 김형칠 선수가 비로 인해서 미끄러워진 경기장 환경때문에 낙마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2006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승마 대표팀 참가 선수 중 가장 나이가 많았던 김형칠은 당시가 아시안 게임 다섯 번째 출전이었다. 12월 8일 대한민국 문화관광부는 그에게 체육훈장 맹호장을 추서했다. 유가족으로는 동생, 부인, 1남 1녀가 있다.

[편집] 외부 링크

이 문서는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