う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ゝ」 | 가나 오십음도 | ||||||||||
---|---|---|---|---|---|---|---|---|---|---|---|
ん | わ | ら | や | ま | は | な | た | さ | か | あ | |
っ | ゐ | り | み | ひ | に | ち | し | き | い | ||
ヴ | る | ゆ | む | ふ | ぬ | つ | す | く | う | ||
ヵ ヶ | ゑ | れ | め | へ | ね | て | せ | け | え | ||
ー | を | ろ | よ | も | ほ | の | と | そ | こ | お |
う와 ウ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다. 1음절 1모라를 형성한다. 오십음도에 따르면 あ행 ウ단에 위치한다.
- 오십음 순: 제3위.
- 이로하 순: 제24위. (전은 む, 다음은 ゐ임.)
- 히라가나 'う'의 자형: '宇'의 초서.
- 가타카나 'ウ'의 자형: '宇' 머리의 변형.
- 로마자 표기법: u
- 로마지 입력: u(う), lu 또는 xu(ぅ)
- 대한민국의 외래어 표기법: 우
- 한/글의 한글 입력: 우(う), ㅜ(ぅ)
- 일본어 점자:
- 일본어 통화표: '上野のウ'(‘우에노노 우’)
- 일본어 모스 부호: ··-
[편집] 획순
[편집] う에 관한 여러 사항
- お의ㅣ 뒤에 ‘う’가 놓이는 경우에는 ‘う’로 발음하기보다 모음 /o/를 장음화하여 발음한다. ‘う’로 발음하는 경우는 철자를 인식했을 때의 발음이다.
- 예: ‘構想’=こうそう→コオソオ=コーソー
- 예외적으로 ワ행 5단 동사 ‘追う’ /ou/, ‘酔う’ /jou/ 등에서는 /ou/로 발음하는데, ‘う’의 원순성도 강하다.
- ぅ처럼 작게 쓰는 경우는 요음처럼 직전의 문자와 합해서 한 음을 구성한다. 즉 1모라를 형성한다. 기본적으로 앞의 문자의 모음을 없애고 자음만 가져오거나 모음을 반모음화하여, 여기에 /u/를 더하는 발음이 된다.
- 다만 민간에서 う단의 가나 뒤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크게 쓴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음이 되어 단독으로 1모라를 구성한다.
- 그 밖에 가나 문자 뒤에 ぅ가 오는 경우 독자적인 모라와 음절을 구성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う’의 뒤에 う 이외의 모음을 작게 쓰면 う가 /w/ 음을 나타내어 작게 쓴 문자의 모음과 합하여 1모라를 구성한다.
-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의 어중·어미의 ‘ふ’(‘ウ’로 발음하는 것)은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う’로 쓰게 되었다.
- ‘ヴ’에 관해서는 ヴ를 참조.
- 일본의 인터넷 슬랭에서는 ‘4’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