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머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소년용 티머니 카드(위:2004년, 아래:2006년)
실제 크기로
청소년용 티머니 카드(위:2004년, 아래:2006년)

티머니(T-money)는 대한민국에서 지하철, 버스, 택시, PC 방, 편의점, 박물관 등에서 결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 화폐이다.

2004년 7월 서울특별시대중교통 체계를 개편하면서 새 교통 카드로 티머니가 처음 도입되었다. 티머니 카드 발급 및 관리는 서울특별시에서 출자하여 설립된 한국스마트카드가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통비 결제 이외에 교통 마일리지 서비스 등 부가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목차

[편집] 역사

  • 2004년 4월 22일 : 하이서울 페스티벌에서의 공개 투표를 통해 신 교통카드의 이름을 '티머니'로 지었다.
  • 2004년 6월 : 티머니를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단말기가 버스와 지하철에 설치되었다. 새로운 단말기에서 많은 오류가 발견되어 새 대중교통 시스템의 시행을 미루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 2004년 7월 1일 : 서울특별시의 새로운 대중교통 시스템이 작동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첫날, 시스템의 에러로 모든 대중교통수단이 무료로 개방되었다.
  • 2004년 12월 15일 : 스마트 티머니를 판매하기 시작함.
  • 2005년 10월 15일 : 인천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스마트 티머니를 이용할 수 있게 됨.
  • 2005년 12월 6일 : 한국스마트카드에서 판매한 티머니에 한해 인터넷 충전 서비스를 시작.
  • 2006년 11월 13일 : 경기도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제한적으로 스마트 티머니를 이용할 수 있게 됨.

[편집] 기술

티머니는 기존 교통 카드와의 호환 면에서 짐작해 보아 MIFARE 기술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 산업 규격 KS X 6923을 따라 설계되었다. ISO 14443을 따르고 있는 다른 교통 카드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 카드 및 단말기 관련 표준이 제정되기 전에 출시되었으므로 다른 부분은 표준을 따르지 않고 있다. 기존에 수도권에서 사용하던 모든 교통 카드와 KTX 패밀리 카드가 이 시스템과 호환된다. 기술적으로는 마이비카드와도 호환이 가능하다.

[편집] 종류 및 기능

티머니 카드에는 보급형 티머니, 스마트 티머니가 있다. 스마트 티머니는 나이에 따라 일반용, 청소년용(13세~18세), 어린이용(7세~12세)으로 구분하여 판매하고 있다. 보급형 티머니는 현재 생산이 중단된 상태이다. 카드별로 그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과 같다.

[편집] 보급형 티머니

단, 경기도 시외버스와 일부 경기도 마을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편집] 스마트 티머니

단, 경기도 시외버스와 일부 경기도 마을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포항, 안동, 통영, 거제, 제주에서 수도권에 사용하고 있는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 지역에서 충전은 불가능하다.

[편집] 같은 이름의 카드

  • 이비 티머니 : 이비카드에서 발행했던 교통카드로, 경기도 및 인천 지역의 가판대에서 구입할 수 있었다. 보급형 티머니와 그 기능이 동일하다.
  • 탑캐시 티머니 : 탑캐시에서 발행하는 티머니 카드. 포항, 안동, 통영, 거제시에서 이용된다. 다만 이 카드는 수도권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편집] 구입

  • 보급형 티머니 / 악세사리형: 더 이상 판매되지 않으며, 연세의료원 의료스마트 제휴카드로 통해서만 볼 수 있다.
  • 스마트 티머니 / 카드형: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가두충전소, 한국철도공사·인천 지하철 구간을 제외한 수도권 전철 역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
  • 스마트 티머니 / 액세서리형: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바이 더 웨이·세븐일레븐·가두충전소에서 구입할 수 있다.

[편집] 충전

수도권 전철 매표소,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가두판매점에서 충전할 수 있다.

[편집] 환불

[편집] 훼손되지 않은 카드

카드 잔액과 빈 카드를 즉시 돌려받을 수 있다. 카드 잔액에서 500원의 환불 수수료를 공제한 금액을 환불받을 수 있다. 다만, 카드 잔액에 따라 환불처가 다르다.

  • 잔액이 2만 원 이하인 경우: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부 지에스25·훼미리마트 에서 환불할 수 있다.
  • 잔액이 2만 원 초과인 경우: 한국스마트카드에서 환불할 수 있다.

[편집] 훼손된 카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부분의 지에스25·훼미리마트 지점에 비치된 환불 봉투에 훼손된 카드를 넣어 접수하면, 나중에 한국스마트카드에서 환불 봉투를 수거한 후, 은행 계좌를 통해 카드 잔액만을 돌려받을 수 있다.

[편집] 관련 항목


[편집] 바깥 고리


대한민국의 교통 카드
대경교통카드(카드넷) - 마이비카드(마이비) - 유패스(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 - 케이캐쉬(금융결제원) - 티머니(한국스마트카드) - 하나로교통카드(하나로교통카드) - 한꿈이카드(비자캐시)

유사 교통 카드 : KB 프리 패스(KB카드) - KTX 패밀리 카드(인터내셔널 패스 앤 커머스)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