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보수 우익 정당 정리.

목차

[편집] 대한국민당(1949)

1949년 11월, 국회에서 기존의 대통령 중심제의원내각제로 바꾸는 개헌을 추진하자, 이승만 대통령을 지지하는 세력이 개헌을 저지할 목적으로 창당하였다. 1958년 7월 해산하였다.

[편집] 자유당(1951)

1951년 12월, 이승만 대통령의 신당 조직 의사에 따른 원외의 사회단체가 모여 자유당을 창당하고, 이와 별도로 원내의 공화민정회가 또 다른 자유당을 창당하였다. 자유당 참조.

[편집] 민주공화당 (1963)

[편집] 민주정의당 (1981)

  • 1981년 1월 17일 등록.
  • 1990년 2월 15일 - 삼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되어 소멸.
  • 총재: 전두환대통령직 겸임 ⇒ 권한대행(대표최고의원) 노태우(87.7.11) ⇒ 노태우(87.8.13)


[편집] 신민주공화당 (1987)

  • 1987년 11월 11일 등록.
  • 1990년 2월 15일 - 삼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되어 소멸.
  • 총재: 김종필

[편집] 민주자유당 (1990)

1990년 민주정의당과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하여 창당했다.

[편집] 통일국민당 (1992)

  • 1992년 2월 10일 등록.
  • 1994년 7월 8일 - 신정치개혁당(박찬종)과 함께 신민당으로 신설합당하여 소멸.
  • 1995년 5월 31일 - 신민당은 자유민주연합으로 신설합당.
  • 총재: 정주영 ⇒ 김동길(93.3.19)

[편집] 자유민주연합 (1995)

약칭은 자민련.

  • 1995년 4월 13일 등록.
  • 1995년 5월 31일 - 신민당과 합당하여 자유민주연합으로 신설합당.
  • 2006년 한나라당과 합당
  • 총재: 김종필 ⇒ 박태준(97.11.26) ⇒ 김종필 (재선)⇒ 김학원

[편집] 신한국당 (1995)

  • 1996년 2월 17일 - 민주자유당에서 당명 변경
  • 1997년 11월 24일 - 민주당(조순)과 함께 한나라당으로 신설합당하여 소멸
  • 총재:김영삼⇒ 이회창(97.10.2)

[편집] 국민신당 (1997)

  • 1997년 10월 10일 등록.
  • 1998년 9월 28일 - 정당법에 의해 자진해산하여 소멸.
  • 총재: 이인제

[편집] 한나라당 (1997)

1997년 신한국당과 민주당이 합당하여 창당했다.

  • 1997년 11월 24일 등록
  • 총재: 이회창, 조순 ⇒ 이회창(98.9.18) ⇒ 최병렬 ⇒ 박근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