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임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라임어이디시어라디노어처럼 유대인이 현지의 언어와 접촉하여 형성된 언어중 하나로, 투르크어군에 속한다. 민족적으로는 투르크족에 속하면서 유대교의 한 분파인 카라이파유대교를 신봉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사용되며, 리투아니아, 크리미아, 우크라이나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현재는 매우 적은 수의 화자만이 남아 있다.

리투아니아에서 사용되는 카라임어는 주로 트라카이(또는 트로키)의 작은 공동체에 의해 사용된다. 트라카이는 리투아니아의 옛 수도였으며, 카라이파들은 1397-1398 년경 비타우타스 대공에 의하여 그곳의 성을 방어하기 위하여 징용되었다. 그곳의 카라임어는 일종의 관광자원으로서 공식적 지원을 받고 있기 때문에, 언어적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트라카이에는 카라이파 공동체에 관한 박물관과 카라이파 음식을 취급하는 식당이 있다.


[편집] 바깥고리

Lithuanian Karaims: Language

서부투르크어
불가르조어(오구르어파) 불가르어* | 추바시어 | 하자르어*
차카타이어파 아이니어 | 차카타이어* | 일리 투르크어 | 로프어 | 위구르어 | 우즈베크어
킵차크어파 바라바어 | 바시키르어 | 크림 타타르어 | 쿠만어* | 발카르어 | 카라임어 | 카라칼파크어 | 카자흐어 | 킵차크어* | 크림착어 | 쿠미크어 | 노가이어 | 타타르어 | 우룸어
오구즈어파 아프샤르어 | 아제르바이잔어 | 크림 타타르어 | 가가우스어 | 호라산 터키어 | 오스만 터키어* | 페체네그어* | 카슈카이어 | 살라르어 | 터키어 | 투르크멘어 | 우룸어
동부투르크어
칼라지어파 칼라지어
북서투르크어파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북동투르크어파 출림어 | 돌간어 | 푸위 기르기스어 | 하카스어 | 북부 알타이어 | 쇼르어 | 토파어 | 투바어 | 서부위구르어 | 야쿠트어
* 사어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