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반(兩班)은 조선에서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관료들과 관료가 될 수 있는 잠재적 자격을 가진 가문, 그리고 사림(士林)이라 불렸던 학자계층까지 포함하는 조선 특유의 사회계급이다.
조선의 법제도는 원칙적으로 노비, 수공업자, 상공업자, 서얼 등의 천인(賤人: 천민 계급)을 제외하고 모든 양인(良人: 평민 계급)에게 과거를 볼 수 있는 자격을 부여했으므로 양반이 될 자격이 모든 양인들에게 있었다. 그러나 지주계층인 양반과 달리 생업을 위해 농사를 지어야 하는 양인들은 과거를 위해 공부할 여건을 만드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했고, 경제적 여유가 있는 관료 가문의 자제들만이 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양반 신분은 구조적으로 세습되었으며, 법제적으로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규정된 계급이었다.
양반들은 정치에 참여하는 관료인 동시에 성리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었고, 경제적으로는 중소지주계급을 대표하였으며 성리학의 이념을 따르는 이상사회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양반 신분을 보장하는 근거는 가문이었으므로 조상에 대한 예를 대단히 중시하였고, 씨족의 역사인 족보를 기록하여 가문의 기원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편집] 어원
본래 국왕이 정무를 볼 때 남쪽을 보고 앉은 국왕을 기준으로 동쪽에 문반(文班)이, 서쪽에 무반(武班)이 늘어섰는데, 이들을 두 개의 반이라는 의미에서 양반이라 하였다. 이렇게 두 반을 나누어 문반과 무반이라 부른 것은 고려 성종 때였으나, 이때는 사회계급으로서의 양반이라는 개념이 세워지지 않았다. 그러나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조선이 세워지면서 양반이라는 용어는 문무반의 관료뿐만 아니라 음직을 통해 관직을 얻을 수 있는 가문의 구성원이나 과거를 준비하는 예비 관료들인 유생들까지 통틀어 가리키는 용어로 발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