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어
日本語(IPA: [nʲihoŋgo])
쓰는 나라들 일본, 괌 섬, 대한민국,조선,마셜 제도, 팔라우, 타이완, 하와이, 브라질 등.
지역 동아시아
언어 인구 1억2700만
사용 순위 8위
언어의 계통 알타이어족(논란 있음)
 일본어족
  일본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일본, 팔라우 안가울
표준 일본 정부
언어 부호
ISO 639-1 ja
ISO 639-2: jpn
ISO/DIS 639-3: jpn

일본어(日本語, にほんご[?])는 언어의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3천만의 인구가 이 언어를 사용한다고 한다. 주로 일본인이 쓰고 있다.

목차

[편집] 일본어의 지위

일본어는 사실상 일본의 공용어이기는 하나 일본 법률상의 공식공용어는 아니다.

언어사용자는 일본외에도 미국캘리포니아, 하와이, 캐나다, 멕시코, 서유럽(영국, 프랑스, 독일, 포르투갈, 몰타), 동유럽폴란드, 러시아, 라트비아, 남아메리카(아르헨티나, 브라질), 기타 아시아지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평양 연안국가(팔라우, 미크로네시아, , 북마리아나 제도, 마셜 제도)와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타이, 인도네시아, 필리핀등지에 언어인구가 있다.

[편집] 역사

[편집] 발음

[편집] 홀소리

  • /a/ - [a][ɑ]의 중간음. [a̟] 혹은 [ɑ̠]. 편의상 [a].
  • /i/ - [i̞]. 편의상 [i].
  • /u/ - [u]보다 덜 원순적이고 [ɯ]보다 덜 평순적이다. [u̜ ̞] 혹은 [ɯ̹ ̞]. 편의상 u 또는 [ɯ].
  • /e/ - [e][ɛ]의 중간음. [e̞] 혹은 [ɛ̝]. 편의상 [e].
  • /o/ - [o][ɔ]의 중간음. [o̜ ̞]. 편의상 [o].

[편집] 닿소리

양순 치조 치조구개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성문
비음 m n     ŋ ɴ  
파열음 p b t d     k g    
마찰음 ɸ (β) s z ɕ ʑ ç      (ɣ)   h   
파찰음   ʦ ʣ ʨ ʥ        
탄음   ɾ          
접근음       j ɰ    

일본어 음소는 /m/, /n/, /p/, /b/, /t/, /d/, /k/, /g/, /s/, /z/, /h/, /r/, /y/, /w/, /N/, /Q/가 있다.

[편집] 악센트

일본어는 고저 악센트를 가진 언어다.

[편집] 문자

일본어 자판
실제 크기로
일본어 자판

일본어에서는 보통 히라가나, 가타카나, 간지(かんじ, 漢字의 일본식 독음.) 이 세가지 종류의 문자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띄어쓰기는 없다. 뿐만 아니라, 구독점에 있어서는 물음표나 느낌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기본이다. (많지는 않지만 요즘 쓰는 이들도 있다.) 이들 중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는 한국어의 한글과 같은 표음문자고, 간지는 한국어에 쓰는 한자와 거의 동일한 표의문자이다.

[편집] 오십음도

청음
  あ行
ø
か行
k
さ行
s
た行
t
な行
n
は行
h
ま行
m
や行
y
ら行
r
わ行
w
あ段
a
/ ア
[a]
か / カ
[ka]
さ / サ
[sa]
た / タ
[ta]
な / ナ
[na]
は / ハ
[ha]
ま / マ
[ma]
や / ヤ
[ja]
ら / ラ
[ɾa]
わ / ワ
[ɰa]
い段
i
い / イ
[i]
き / キ
[kʲi]
し / シ
[ɕi]
ち / チ
[ʨi]
に / ニ
[nʲi]
ひ / ヒ
[çi]
み / ミ
[mʲi]
い / イ
[i]
り / リ
[ɾʲi]
い / イ
[i]
う段
u
う / ウ
[ɯ]
く / ク
[kɯ]
す / ス
[sɯ̈]
つ / ツ
[ʦɯ̈]
ぬ / ヌ
[nɯ]
ふ / フ
[ɸɯ]
む / ム
[mɯ]
ゆ / ユ
[jɯ]
る / ル
[ɾɯ]
う / ウ
[ɯ]
え段
e
え / エ
[e]
け / ケ
[ke]
せ / セ
[se]
て / テ
[te]
ね / ネ
[ne]
へ / ヘ
[he]
め / メ
[me]
え / エ
[e]
れ / レ
[ɾe]
え / エ
[e]
お段
o
お / オ
[o]
こ / コ
[ko]
そ / ソ
[so]
と / ト
[to]
の / ノ
[no]
ほ / ホ
[ho]
も / モ
[mo]
よ / ヨ
[jo]
ろ / ロ
[ɾo]
を / ヲ
[o]
탁음
  が行
g
ざ行
z
だ行
d
ば行
b
あ段
a
が / ガ
[ga]
ざ / ザ
[ʣa]; [za]
だ / ダ
[da]
ば / バ
[ba]
い段
i
ぎ / ギ
[gʲi]
じ / ジ
[ʥi]; [ʑi]
ぢ / ヂ
[ʥi]; [ʑi]
び / ビ
[bʲi]
う段
u
ぐ / グ
[gɯ]
ず / ズ
[ʣɯ̈]; [zɯ̈]
づ / ヅ
[ʣɯ̈]; [zɯ̈]
ぶ / ブ
[bɯ]
え段
e
げ / ゲ
[ge]
ぜ / ゼ
[ʣe]; [ze]
で / デ
[de]
べ / ベ
[be]
お段
o
ご / ゴ
[go]
ぞ / ゾ
[ʣo]; [zo]
ど / ド
[do]
ぼ / ボ
[bo]
반탁음
ぱ行
p
 ぱ / パ 
[pa]
ぴ / ピ
[pʲi]
ぷ / プ
[pɯ]
ぺ / ペ
[pe]
ぽ / ポ
[po]
비탁음
が行
g
 が / ガ 
[ŋa]
ぎ / ギ
[ŋʲi]
ぐ / グ
[ŋɯ]
げ / ゲ
[ŋe]
ご / ゴ
[ŋo]
요음
  きゃ行
ky
しゃ行
sy
ちゃ行
ty
にゃ行
ny
ひゃ行
hy
みゃ行
my
あ段
a
きゃ / キャ
[kʲa]
しゃ / シャ
[ɕa]
ちゃ / チャ
[ʨa]
にゃ / ニャ
[nʲa]
ひゃ / ヒャ
[hʲa]
みゃ / ミャ
[mʲa]
う段
u
きゅ / キュ
[kʲɯ]
しゅ / シュ
[ɕɯ]
ちゅ / チュ
[ʨɯ]
にゅ / ニュ
[nʲɯ]
ひゅ / ヒュ
[hʲɯ]
みゅ / ミュ
[mʲɯ]
お段
o
きょ / キョ
[kʲo]
しょ / ショ
[ɕo]
ちょ / チョ
[ʨo]
にょ / ニョ
[nʲo]
ひょ / ヒョ
[hʲo]
みょ / ミョ
[mʲo]
  ぎゃ行
gy
じゃ(ぢゃ)行
zy
びゃ行
by
あ段
a
ぎゃ / ギャ
[gʲa]
じゃ(ぢゃ) / ジャ(ヂャ)
[ʥa]; [ʑa]
びゃ / ビャ
[bʲa]
う段
u
ぎゅ / ギュ
[gʲɯ]
じゅ(ぢゅ) / ジュ(ヂュ)
[ʥɯ]; [ʑɯ]
びゅ / ビュ
[bʲɯ]
お段
o
ぎょ / ギョ
[gʲo]
じょ(ぢょ) / ジョ(ヂョ)
[ʥo]; [ʑo]
びょ / ビョ
[bʲo]
ぴゃ行
p
ぴゃ / ピャ
[pʲa]
ぴゅ / ピュ
[pʲɯ]
ぴょ / ピョ
[pʲo]
ぎゃ行
g
ぎゃ / ギャ
[ŋʲa]
ぎゅ / ギュ
[ŋʲɯ]
ぎょ / ギョ
[ŋʲo]
발음
N

[N] - さ, しゃ행 앞, 어말에서
[m] - ま, みゃ, ば, びゃ, ぱ, ぴゃ행 앞에서
[n] - た, ちゃ, だ, じゃ행 앞에서
[ŋ] - か, きゃ, が, ぎゃ행 앞에서
비모음 - あ, や행 앞에서
촉음
Q
っ / ッ
[p̚] - ぱ, ぴゃ행 앞에서
[t̚] - た, ちゃ행 앞에서
[k̚] - か, きゃ행 앞에서
[s] - さ행 앞에서
[ɕ] - しゃ행 앞에서
장음
-

-aあ /-aー - [aː]
-iい /-iー - [iː]
-uう /-uー - [ɯː]
-eい /-eー - [eː]
-oう /-oー - [oː]
외래어에만 쓰는 문자
  t d s z
い段
i
ティ
[ti]
ディ
[di]
スィ
[si]
ズィ
[zi]
う段
u
トゥ
[tu]
ドゥ
[du]
   
  y ky sy ty ny hy my ry gy zy by py
え段
e
イェ
[je]
キェ
[kʲe]
シェ
[ɕe]
チェ
[ʨe]
ニェ
[nʲe]
ヒェ
[hʲe]
ミェ
[mʲe]
リェ
[ɾʲe]
ギェ
[gʲe]
ジェ
[ʥe];[ʑe]
ビェ
[bʲe]
ピェ
[pʲe]
  f v ts w
あ段
a
ファ
[ɸa]
ヴァ
[ba]
ツァ
[tsa]
 
い段
i
フィ
[ɸi]
ヴィ
[bi]
ツィ
[tsi]
ウィ
[ɰi]
う段
u
 
[bɯ]
   
え段
e
フェ
[ɸe]
ヴェ
[be]
ツェ
[tse]
ウェ
[ɰe]
お段
o
フォ
[ɸo]
ヴォ
[bo]
ツォ
[tso]
ウォ
[ɰo]

[편집] 일본어의 문법

문법적 구조는 한국어와 유사한 점도 많지만, 아직 그 친족관계는 명확하지 않은 고립된 언어이다.

[편집] 이로하 노래

이 부분의 본문은 이로하 노래입니다.

일본어와 가나를 외우기 위한 방법으로 이로하 노래(いろは歌)가 있다. 여기에는 ‘ん’을 제외한 모든 글자가 한 번씩 들어 갔으며, 일부 변형에는 ‘ん’도 들어가기도 한다. 과거에는 이 노래의 순서대로 가나의 순을 매기기까지 했었고 현재까지도 종종 쓰인다. 이런 문장을 팬그램이라 부르며, 가사의 전체 내용과 그 해석은 다음과 같다.

いろはにほへと ちりぬるを
わかよたれそ つねならむ
うゐのおくやま けふこえて
あさきゆめみし ゑひもせす(きょう・ん)
色(いろ)は匂(にほ)へと 散(ち)りぬるを
아름답게 피는 꽃도 머지 않아 떨어져 버린다.
我(わ)が世(よ)誰(たれ)そ 常(つね)ならむ
우리 인생도 이처럼 덧없는 것이다.
有為(うゐ)の奥山(おくやま) 今日(けふ)越(こ)えて
이 무상한 인생의 험한 산길을 오늘도 넘어가는 것이다.
浅(あさ)き夢見(ゆめみ)し 酔(ゑ)ひもせす
허망한 꿈을 꾸거나 취한 것처럼 멍해 있으면 이 세상의 참모습을 알 수 없다.

그 밖에 이전에도 비슷한 방법으로 천지의 노래나 대위이 노래 등이 있었다.

[편집] 상용어

  • お早う(おはよう) (ohayoo) = 안녕?(아침인사)
  • 今日は(こんにちは) (konnichiwa) = 낮인사
  • 今晩は(こんばんは) (kombanwa) = 밤인사
  • おやすみなさい (oyasuminasai) = 안녕히 주무세요.
  • さようなら (sayoonara) = 안녕히 가세요.
  • ありがとう (arigatoo) = 고마워
  • はい (hai) = 네
  • いいえ (iie) = 아니요
  • お元気ですか。(おげんきですか) (ogenki desu ka) = 잘 지냈어요?
  • 元気か。(げんきか) (genki ka?) = 잘 지냈어?
  • はい、元気です。 (hai, genki desu) = 네, 잘 지냈어요.
  • 元気だよ。 (genki da yo) = 잘 지냈어.

[편집] 바깥 고리

위키백과
일본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