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공민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민왕(恭愍王, 1330년 - 1374년,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 31대 군주이다. 초명은 기, 고친 이름은 전, 호는 이재와 익당, 시호는 공민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恭愍仁文義武勇智明烈敬孝大王). 충숙왕의 차남이며, 몽골식 이름은 빠이란티무르이다. 영특하고 다재다능 했으며, 특히 그림과 서예는 당대 최고의 수준이었다고 한다.
[편집] 생애
1344년 (충목왕 원년)에 강릉부원대군(江陵府院大君)에 봉해졌고, 1349년 (충정왕 1년)에 원나라 황족 출신인 노국대장공주를 아내로 맞아들였다.
그러나 충정왕의 어머니 희비 윤씨가 국정을 농단하자, 원나라 황제는 충정왕을 폐위시키고, 강릉부원대군은 노국대장공주와 같이 귀국하여 국왕이 되었다.
공민왕은 당시 원나라와 결탁하며 살고 있었던 기철 일파를 없애고, 신돈을 등용하여, 권문세족에게 빼앗긴 토지를 국민들에게 돌려 주었다.
또한, 반원정책을 써서, 원나라의 쌍성총관부를 없애고, 공영진(공영진의 장소에 대해서는 확실하지가 않음)을 고려의 영토로 귀속시켰다.
그러나 노국대장공주의 갑작스러운 사망, 신돈의 쿠데타 사건으로 더 이상의 개혁 정치를 중단할 수 밖에 없었다. 그는 자제위(子弟衛)라는 기관을 만들어 미소년들을 궁중에 출입하게 하여 날마다 그들과 변태적인 동성애를 즐기다가, 홍륜과 환관 최만생에게 1374년에 칼로 난자당해 살해당했다.
전 임 충정왕 |
제31대 고려왕 1351년 - 1374년 |
후 임 우왕 |
고려의 역대 국왕 |
---|
고려: 태조 | 혜종 | 정종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정종 |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숙종 | 예종 | 인종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 원종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