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차차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해 차차웅
[[그림:{{{그림}}}|200px]]
재 위
4년 ~ 24년
왕 비 운제부인
황 후 {{{황후}}}
왕 후 {{{왕후}}}
부 군 {{{부군}}}
앞선 왕 박혁거세 거서간
다음 왕 유리 이사금
신라의 제2대 국왕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 - 24년, 재위 4년 - 24년)은 신라의 2대 왕으로, 박혁거세 거서간와 알영부인의 적자이다. 차차웅이라는 왕호에 대해 삼국사기는 다음과 같은 김대문의 말을 인용하고 있다. "차차웅 혹은 자충(慈充)은 무당을 이른다. 세상 사람들이 무단이 귀신을 섬기고 제사를 받들기 때문에 그를 외경해 마침내 존귀한 어른을 일컬어 자충이라고 하게 되었다." 이는 신라가 아직 샤머니즘적인 부족사회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편집] 생애

즉위 3년에 시조 박혁거세 거서간의 묘를 세웠고, 즉위 5년석탈해를 사위로 받아들였고, 즉위 7년에는 대보(大輔)로 삼아 군사와 국정에 대한 일을 맡겼다.

남해 차차웅의 치세에는 외침이 잦았는데, 즉위 원년에 낙랑군이 금성을 두 겹으로 에워쌌고, 즉위 11년가 민가를 노략하여 6부의 병사들을 내보내 격퇴하는 사이 낙랑 군사들이 다시 쳐들어 왔다가, 유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두려워해 물러났다고 한다.

즉위 16년에 북명(北溟)에서 예왕의 인장(濊王之印)을 발견, 차차웅에게 바쳤다. 삼국지 동이전 부여조에 "그 나라 인장에는 '예왕지인'이라 한 글귀가 있다"라고 했는데, 이것은 신라에서 예나 부여가 그리 멀지 않고 가까운 이름이었음을 나타낸다.

[편집] 가계

[편집] 참고


앞선 왕
박혁거세 거서간
제 2 대
4년 -24년
다음 왕
유리 이사금
신라역대 국왕
신라 : 박혁거세 거서간 | 남해 차차웅 | 유리 이사금 | 탈해 이사금 | 파사 이사금 | 지마 이사금 | 일성 이사금 | 아달라 이사금
벌휴 이사금 | 내해 이사금 | 조분 이사금 | 첨해 이사금 | 미추 이사금 | 유례 이사금 | 기림 이사금 | 흘해 이사금 | 내물 마립간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 자비 마립간 | 소지 마립간 | 지증 마립간 | 법흥왕 | 진흥왕 | 진지왕 | 진평왕 | 선덕여왕 | 진덕여왕
태종무열왕 | 문무왕 | 신문왕 | 효소왕 | 성덕왕 | 효성왕 | 경덕왕 | 혜공왕 | 선덕왕 | 원성왕 | 소성왕 | 애장왕 | 헌덕왕 | 흥덕왕
희강왕 | 민애왕 | 신무왕 | 문성왕 | 헌안왕 | 경문왕 | 헌강왕 |정강왕 | 진성여왕 | 효공왕 | 신덕왕 | 경명왕 | 경애왕 | 경순왕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