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사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어사전영어 단어를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사전이다. 영한사전영어 단어를 한국어로 뜻을 풀어 놓은 사전이고, 한영사전한국어 단어를 영어로 뜻을 풀어 놓은 사전이다.

목차

[편집] 영한(한영)사전의 역사

최초의 영한사전 및 한영사전은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집필한 "한영자뎐" 및 "영한자뎐"으로("자"의 "ㅏ"는 아래아) 1890년요코하마에서 간행되었다.[1] 이 사전은 처음에는 한영, 영한을 분리하여 간행되었다가 후에 합본되었다[2]. 한영편은 197면, 영한편은 97면으로 간략한 분량이었다[3]. 두 번째 영한사전은 1891년 제임스 스코트가 서울에서 낸 《English-Corean Dictionary》이며, 1914년 조지 하버 존스가 도쿄에서 낸 《An English Korean Dictionary》도 초창기의 영한사전이다.[4]

한편 서재필이 한국인 최초로 영한사전을 쓰려했지만 미완성으로 끝났으며,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서 류형기 목사가 《신생영한사전》(1946),《신생한영사전》(1947)을 펴낸다. 이후 이양하, 권중희가 《스쿨영한사전》(1949,850면),《스타영한·한영사전》(1957,566+621면),《포켓영한사전》(1954,1366면)을 펴 냈다. 민중서관의 《포켓영한사전》은 1950,60년대에 가장 대표적인 영한 사전이었다.[5]

북조선 최초의 영어사전은 《영조소사전》(1961)이며, 이어 《영조사전》(1972), 《영조대사전》(2002)이 나왔다. 《영조대사전》은 25만 표제어를 3천여쪽에 걸쳐 싣고 있으며, 한자를 완전히 배제한 것이 특징이다. 《조영대사전》은 2002년에 출판되었다.[6]

[편집] 영한사전의 종류

현재 대한민국에서 구할 수 있는 중사전만 표시하였다.

사전명 출판사 현재판(발행) 초판발행 쪽수 비고
엣센스 영한사전 민중서림 10판(2005) 1971년 2920
프라임 영한사전 두산동아 5판(2004) 1971년 2928
e4u 영한사전 시사영어사 초판(2001) 2001년 3168 23만 어휘
엘리트 영한사전 시사영어사 개정판(1995) 1987년 2556
뉴에이스 영한사전 금성출판사 3판(2004) 1986년 2746
그랜드 영한사전 금성출판사 2판(2006) 1987년 3188 26만 어휘
슈프림 영한사전 민중서관 2840
현대 영한사전 교학사 개정판(2000) 1994년 3060
신세기 클래식 영한사전 동화사 2624 16만5천 어휘

현대 영한사전은 1999년 6판이, 2000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편집] 한영사전의 종류

현재 대한민국에서 구할 수 있는 중사전만 표시하였다.

사전명 출판사 현재판(발행) 초판발행 쪽수 비고
프라임 한영사전 두산동아 3판(2002) 1971년 2838
엣센스 한영사전 민중서림 4판(2000) 1972년 2692
e4u 한영사전 시사영어사 초판(2001) 2001년 2674
현대 한영사전 교학사 2580
뉴에이스 한영사전 금성출판사 초판(1994) 1994년 2712

시사영어사의 엘리트 한영사전의 개정판은 e4u 한영사전과 차이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동일하여 위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편집] 영영사전

[편집] 영영한사전

  • 롱맨 영영한사전 (2판, 금성출판사)
  • 옥스퍼드 영영한사전 (교학사)
  • 엣센스 영영한사전 (민중서림)

[편집] 온라인 영어사전

[편집] 참고 문헌

  • ^  《영한사전 비판》, 212-220p, 이재호, 궁리출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