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요산 방면 | (138) 신길 | (139) 영등포 | (140) 신도림 | 인천·천안 방면 |
서울 방면 | (133) 서울 | (139) 영등포1 | (P144) 시흥 | 천안 방면 |
용산 방면 | (138) 신길 | (139) 영등포 | (140) 신도림 | 동인천/천안 방면 |
1. 상행(서울 급행) 열차만 당역에 정차함. |
영등포역(永登浦驛)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1가에 있는 경부선 철도의 역이며, 또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이기도 하다. 서울역, 용산역과 더불어 서울특별시의 중추 역 중 하나로, 서울 서남부권의 많은 여행자가 영등포역을 이용한다. 하루에 새마을호 62편과 무궁화호 112편이 정차한다. 또한 민자역사로, 롯데백화점 영등포점과 연결되어 있다.
[편집] 연혁
- 1899년 9월 18일 : 경인선 개통, 영업 개시
- 1936년 4월 1일 : 경부선으로 편입
- 1938년 4월 1일 : 남경성역으로 개명
- 1943년 4월 1일 : 영등포역으로 환원
- 1949년 1월 1일 : 5급역으로 승격
- 1950년 6월 30일 : 역사 소실
- 1965년 1월 12일 : 역사 신축 준공
- 1968년 2월 1일 : 4급역으로 승격
-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 전철 개통, 종로선과 직결 운행 시작
- 1987년 9월 1일 : 민자역사 착공
- 1990년 7월 21일 : 민자역사 준공
- 2006년 5월 1일 : 철도 소화물 취급 중지
- 2006년 7월 1일 : 지역 관리역제 폐지, 보통(1급)역으로 조정
서울 - 용산 - 노량진 - 영등포 - 구로 - 시흥 - 안양 - 군포 - 의왕 - 수원 - 병점 - 오산 - 송탄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직산 - 천안 - 소정리 - 전의 - 전동 - 서창 - 조치원 - 내판 - 부강 - 매포 - 신탄진 - 회덕 - 대전조차장 - 대전 - 세천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각계 - 영동 - 황간 - 추풍령 - 신암 - 직지사 - 김천 - 대신 - 아포 - 구미 - 사곡 - 왜관 - 연화 - 신동 - 지천 - 대구 - 동대구 - 고모 - 가천 - 경산 - 삼성 - 남성현 - 청도 - 신거 - 상동 - 밀양 - 미전 - 삼량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진 - 부산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지하철 1호선: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용산-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경부선 | 서울 영등포구의 전철역 | 수도권 전철 1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