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피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넷피아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 업체이다. 1998년 부터 한글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를 시작해 현재는 한글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 사업자 중 점유율이 가장 높다.
[편집] 서비스 방식
넷피아의 한글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주소창에 한글로 된 키워드를 입력하면 (예/청와대),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 엔진 (auto.search.msn.com)으로 전달되는 키워드를 가로채서 넷피아의 키워드 서버에 전달한다. 따라서 오페라나 모질라 파이어폭스 등의 웹 브라우저나 리눅스, 매킨토시 등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넷피아의 한글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는 인터넷 표준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ISP(예/KT)가 넷피아와 제휴를 맺어 넷피아의 키워드 서버를 ISP의 DNS 서버로 운영하거나,
- 넷피아 사이트에서 한글 키워드 도우미/툴바 ActiveX나 관련 프로그램를 설치한 경우,
- 일부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끼워져 있는 넷피아 도우미 프로그램을 함께 설치한 경우
[편집] 다국어 도메인과의 차이점
넷피아에서는 자사의 키워드 서비스를 한글 인터넷 주소라고 홍보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다국어 도메인(IDN)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넷피아의 한글 키워드는 다국어 도메인 표준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 IDN은 점(.)으로 구분되는 계층구조를 갖고 있으며, 영문으로 된 루트 도메인을 사용한다. (예) 한글(넷피아) - 한글.com(IDN)
- IDN은 전세계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넷피아는 기본적으로 KT 등 넷피아와 제휴한 한국 내의 ISP에서만 사용가능)
[편집] 단점
한글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는 편리하지만 여러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특히 키워드 등록 비용이 매우 비싸고, 인터넷 표준과 맞지 않아 DNS 서비스 체계에 혼란을 줄 수 있으며, 여러 유사업체의 난립으로 동일한 키워드에 대해 업체에 따라 서로 다른 사이트로 연결되어 일관성이 없다는 점이 지적된다. 이런 이유로 ISP의 DNS에서 제공되는 넷피아 키워드 서비스나 유사 키워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DNS 서버를 외국 서버 등 넷피아의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는 서버로 설정하거나, 직접 루트서버를 캐싱하는 DNS 서버를 설치해 운영하는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