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노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디노어
גודיאו-איספאנייול/Djudeo-espanyol
지역 이스라엘, 터키, 브라질, 프랑스, 그리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멕시코, 쿠라사오 섬
언어 인구 불명
(이스라엘에 10만명,터키에 1만명,그리스에 1천명)
언어의 계통 인도유럽어족
 이탤릭어파
  로망스어군
   Italo-Western
    Gallo-Iberian
     Ibero-Romance
      West Iberian
       라디노어
언어 부호
ISO 639-1 (없음.)
ISO 639-2: lad
ISO/DIS 639-3: lad

라디노어(Ladino)는 15세기 말 에스파냐에서 종교적 박해를 피하여 유럽 각지와 북아프리카·오스만제국으로 피신한 세파르딤(Sephardim)유대인이 사용한 언어이다. 유대에스파냐어라고도 한다. 이 언어는 오늘날에도 추방 당시의 고풍스런 여러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또 유대인이 써왔던 언어인 이디시어에 비하여 히브리어적인 요소가 훨씬 적다. 오늘날 유럽에서 이 언어를 모어(母語)로 삼는 세파르딤은 1만 명 안팎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스라엘에는 그보다 더 많은 모어 인구가 존재한다. 라틴 문자히브리 문자를 표기 문자로 쓴다.

[편집] 바깥 고리

위키백과
라디노어 위키백과
로망스어군 편집하기

가스콩어(아란어) | 갈로어 | 갈리시아어 | 건지어 | 나폴리어 | 노르만어 | 달마티아어 | 라디노어 | 라딘어 | 랑그도크어 (렝가도크어)
로레토유카얄리 에스파냐어 | 로망슈어 | 로망스어 | 롬버드어 | 루마니아어(몰도바어, 블래취어)| 리구르어 | 리무쟁어 | 메글렌루마니아어
모나코어 | 모자라브어 | 미란다어 | 베네치아어 | 부르기뇽어 | 사르드니어 | 샹파뉴어 | 샹프어 | 시칠리아어 | 아라곤어
아르피트어(프랑크프로방스어) | 아로메니아어 | 아스투리아스어(아스투르레오넨어) | 에밀리아어(에밀리아로마냐어)
에스트레메뉴어 | 에스파냐어(카스티야어) | 오베르냐어 | 오크어 | 왈론어 | 유대이탈리아어 | 이스트리아어 (이스트리오트어)
이탈리아어 | 유대프로방스어(슈아디트어) | 저지어 | 차르파트어 | 카탈루냐어 (발렌시아어, 벨라어) | 코르시카어(갈류어, 사사레스어)
팔라어 | 포르투갈어 | 포이티뱅상통그어 | 프랑스어 (카준 프랑스어) | 프랑콤어 | 프로방스어 | 프리울리어 | 피에몽트어 | 피카르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