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글꼴은 일관성 있게 디자인된 글자 모양들이 이루는 하나의 집합이다.

[편집] 글꼴의 의미

글꼴은 보통 문자, 숫자, 문장 부호 등의 도안으로 이루어진다. 글자의 모양, 선의 굵기, 가로와 세로의 비율, 장식획의 유무 등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글꼴은 표의 문자나 뭔가를 상징하는 기호도 포함할 수 있다. 수식(數式) 글꼴이나 지도 기호 글꼴 같은 것들은 아예 그런 기호들로만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

비슷한 말로 서체라는 말도 있고, 폰트(영어: font)라는 말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최근에는 구분하지 않고 같은 뜻으로 사용하는 일이 많다.

[편집] 컴퓨터 글꼴의 종류

  • 비트맵 서체 : 비트맵 서체는 글자가 점이나 픽셀로 구성된 글꼴을 말한다.
  • 외곽선 서체 : 외곽선 서체는 벡터의 형태로 표현된 글꼴로 글자를 확대해도 선명하다. 대부분 베지에 곡선을 이용하여 외곽선을 나타낸다.
    • 포스트스크립트 서체: 어도비 사가 만든 폰트 포맷으로 Type1,2,3,0등의 조금씩 다른 포맷들이 있다. 화면과 프린터 모두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출판 업계에서 사실상의 표준 서체 포맷이다. 전문 인쇄 출력기 대부분이 포스트스크립트 서체를 지원한다. 베지에 3차 곡선을 사용하여 외곽선을 표현한다.
    • 트루타이프 서체 : 포스트스크립트 서체의 뒤를 이어 애플사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만든 외곽선 서체 포맷. 포스트스크립트 세체와 달리 베지에 2차 곡선을 이용하여 외곽선을 표현하고 포스트스크립트 서체보다 복잡한 힌팅을 표현할 수가 있다.
    • 오픈타이프 서체: 포스트스크립트 서체와 트루타이프 서체의 각각의 장점을 살려서 통합한 포맷.
  • 화면용 서체 : 화면용 서체는 화면에서 보이기 위한 서체로, 출력용 서체가 출력기에 있어야 선명한 출력이 가능하다. 보통 글꼴회사에서 제공하는 서체들은 화면용 서체들이다.
  • 가족서체(Family Fonts) : 비슷한 모양과 느낌을 주는 서체의 모임. 같은 서체 가족에는 모양이 서로 비슷하지만 굵기, 이탤릭, 폭 등에서 차이가 나는 동류의 서체들이 포함된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