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간의 발뼈의 사진
실제 크기로
인간의 발뼈의 사진

는 많은 동물들이 가지는 단단한 연결 조직이다. 뼈는 몸의 구조물을 지지하는 것 이외의 많은 역할을 한다.

다른 동물들 중에 뼈 대신 껍질이나 껍데기, 키틴질을 사용하는 것들도 있다.

목차

[편집] 구조

뼈는 비교적 단단하고 가벼운 합성 물질이며, 수산화인회석이라고하는 인산칼슘으로 대부분으로 이루어진 화학구조이다. 이는 비교적 높은 압축 강도를 가지고 있지만 낮은 인장강도를 가진다. 뼈는 기본적으로 깨지기 쉬우나 자체 유기성분(주로 콜라겐때문)에 눈에 띌 정도의 탄력성을 가진다. 뼈는 내부적으로 망사 구조 이며, 밀도는 장소마다 다양하다.

뼈는 치밀질인곳도 있고 해면질인것도 있다. 겉질뼈(바깥판)은 치밀하며, 골격에서 큰 부분을 차지한다.

[편집] 거시구조

[편집] 미세구조

[편집] 분류

  • 긴뼈 : 관형구조이며(예: 정강뼈) 긴뼈의 가운데 자루를 뼈몸통이라고 한다. 그리고 빈 중앙에는 골수로 찬 골수공간이 있다. 골수공간을 둘러 싸고 있는 것은 또한 골수를 포함하고 있는 얇은 해면뼈 층이다. 뼈의 말단에는 뼈끝이라고 하며, 거의 해면뼈로 이루어져 있고, 치밀뼈의 비교적 얇은 겉질로 덮혀져 있다. 어린이들의 뼈는 적색골수로 차있고 점차 자라면서 황색골수로 대치 된다.
  • 짧은뼈 : 긴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골수공간이 없다.
  • 납작뼈 : 두개의 치밀뼈판으로 구성되며 가운데에 샌드위치처럼 해면뼈가 있다. 이 해면뼈를 판사이층(diploe)이라고 한다.
  • 불규칙뼈 : 앞의 뼈의 어떤 형태에도 속하지 않는 뼈를 말한다.
  • 공기뼈 : 뼈안에 공기가 있는 것을 말한다. (예: 위턱뼈)
  • 혼합뼈 : 위의 뼈 모양이 혼합되어 있는 것들을 말한다.

[편집] 기능

  • 몸의 구조 지지
  • 내부 장기 보호
  • 무기질 저장
  • 혈구형성작용
  • 지렛대 역할

[편집] 형성

[편집] 용어

돌기(process) 비교적 큰 돌출부나 두드러진 융기
관절(articulation) 근접한 뼈가 서로 만나는 곳
관절돌기(articular process) 근접한 뼈가 만나는 돌출부
융기(eminence) 비교적 작은 돌출부나 융기
거친면(tuberosity) 거칠거칠한 면이 돌출되거나 융기된 경우. tuberosity가 거친면이 아니라 결절, 융기의 용어로 쓰일때도 있음
결절(tubercle) 거칠거칠한 면이 돌출되거나 융기된 경우로 거친면(tuberosity)보다 작은경우에 쓰인다.
돌기(trochanter) 넙적다리뼈에 있는 특유의 두 거친면(tuberosity)
가시(spine) 비교적 길고 얇은 돌출부나 융기
봉합(suture) 머리뼈간의 관절
복사(malleolus) 발목에 있는 특유의 두 융기
관절융기(condyle) 크고 둥근 관절돌기
위관절융기(epicondyle) 관절융기(condyle)의 근처에 있는 돌출부, 하지만 관절의 일부는 아님
선(line), 선(ridge) 길고 얇게 튀어나온 돌출부, 종종 거친 면과 함께 있음
능선(crest) 돌출한 선.
면(facet) 작고 부드러운 관절면
구멍(foramen) 뼈에 난 열린 구멍
오목(fossa) 넓고 얇게 패인 지역
관(canal) 길고 터널 같은 구멍으로, 주로 신경이나 혈관의 통로로 사용된다.
길(meatus) 짧은 관
동굴(sinus) 머리뼈에 있는 공간

긴뼈의 특정파트의 이름도 있습니다.

뼈몸통(diaphysis, shaft) 뼈의 길고 비교적 곧은 주요 부분;일차 뼈발생의 장소
뼈끝(epiphyses) 뼈의 끝 부분; 이차 뼈발생의 장소
뼈끝판(epiphyseal plate) 뼈끝과 뼈몸통의 융합의 흔적인 뼈에 난 얇은 판(성인에게만 있음)
머리(head) 뼈의 기부(基部, 몸 중심에 가까운)의 관절 끝
목(neck) 머리와 뼈몸통 사이에 있는 뼈의 부위

[편집]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