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 중종 | |
---|---|
[[그림:{{{그림}}}|200px]] | |
재 위 | |
1506년 ~ 1544년 | |
왕 비 | 단경왕후 장경왕후 문정왕후 |
황 후 | {{{황후}}} |
왕 후 | {{{왕후}}} |
부 군 | {{{부군}}} |
앞선 왕 | 연산군 |
다음 왕 | 인종 |
조선의 제11대 국왕 |
중종(中宗, 1488년 - 1544년, 재위 : 1506년 ~ 1544년)은 조선의 열 한번째 왕이다. 휘는 역(懌). 자는 낙천(樂天). 시호는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의 아들이다. 1494년 진성대군에 책봉되었다.
목차 |
[편집] 생애
1506년 음력 9월 2일 연산군의 학정에 반발한 성희안(成希顔) · 박원종(朴元宗) · 유순정(柳順汀) 등은 정변을 일으켜 신수근(愼守勤)·신수영(愼守英)·임사홍(任士洪) 등을 죽이고, 연산군을 몰아내고 진성대군(晉城大君)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반정세력에 의해, 왕위에 즉위한 중종은 연산군이 폐제시켰던 모든 법제를 복귀시켰으며 조광조 등 사림을 등용하였다. 이후 조광조의 성리학적 개혁정치에, 중종과 훈구 대신들은 불안감을 느꼈다. 특히 조광조의 반정 공신명부 정리작업으로 다수의 공신들이 명단에서 이름이 삭제되는 일이 벌어지자 훈구파들의 위기감은 극에 달한다. 결국,1519년 중종은 다수의 사림들을 실각시켰으며 조광조 등은 사사되었다(기묘사화/己卯士禍). 그 다음에는 외척 세력이 새로이 등장하였다. 장경왕후의 친척인 윤임(대윤), 문정왕후의 친척인 윤원로, 윤원형 형제(소윤) 등이 그들이다. 대외적으로는 남쪽의 왜구와 북쪽의 야인의 침공에 대비하여 비변사가 설치되었다.
[편집] 업적
과학 분야에서 농업과 관련된 천문 기구를 만들었다.
[편집] 가계
- 왕비: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수근(愼守勤)의 딸): 자식없음
- 왕비: 장경왕후
- 인종, 효혜공주
- 왕비: 문정왕후
- 명종(경원대군), 의혜공주, 효순공주, 경현공주, 인순공주
- 경빈 박씨
- 복성군, 혜순옹주, 혜정옹주
- 희빈 홍씨
- 금원군, 봉성군
- 창빈 안씨
- 영양군, 덕흥대원군, 정신옹주
- 숙의 홍씨
- 해안군
- 숙의 이씨
- 덕양군
- 숙원 이씨
- 정순옹주, 효정옹주
- 숙원 김씨
- 숙정옹주
[편집] 작품 속의 중종
만화영화 장금이의 꿈에서의 중종은 덕망 높고 인자한 군주로 묘사된다.
[편집] 참고 문헌
- 《중종실록》14 집 71 면.
[편집] 같이 보기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국왕 |
---|
조선: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
분류: 1488년 태어남 | 1544년 죽음 | 조선의 왕 | 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