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수도권 1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구로 이남 수도권 1호선의 본선

생각해보면 좀 웃긴 문젭니다. 파란악마님의 편집을 보다가 알아차린 건데, 이걸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 건지 난감하군요.

  1. 역번호는 경인선을 본선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경부선 역변호에 P가 붙음)
  2. 한국철도 영업거리표 등에서, (서울역) - 남영 - 구로는 경부선이며, 경인선의 기점은 구로입니다.

그냥 넘어가자면 넘어갈 수도 있겠지만, 파란악마님의 편집에서는 남영 - 구로가 경인선으로 취급되고 있기에 이상하다 생각해서 써 봅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IRTC1015(·) 2006년 12월 15일 (토) 18:55 (KST)

저는 경부선에 남영~구로를 넣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초기에 제가 편집했을 때는 경인선은 구로부터 인천까지만 써넣었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2월 15일 (토) 19:01 (KST)
IRTC1015님이 이 틀의 윗부분을 바꾸기 전에도 남영-구로가 경인선으로 나왔습니다. 제가 편집하기 이전의 것이었습니다. 어쨌든 남영-구로를 따로 분리하거나 경인선도 공유한다는 설명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6년 12월 17일 (월) 19:01 (KST)
이전 버전이 반드시 옳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경인선도 공유한다는 설명을 해 두자고 하셨는데, 그럼 5호선 마천지선도 본선과 직통한다는 식의 설명을 달아야 하지 않을까요? - IRTC1015(·) 2006년 12월 18일 (월) 13:30 (KST)
마천지선은 이 문서에 설명이 되어 있지만 경인선은 어느 곳에도 설명이 없습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6년 12월 18일 (화) 17:20 (KST)
그렇다면 그것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설명해야 할 것이지, 이 틀에 설명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틀뿐만 아니라 모든 철도 노선 틀에 적용되는 얘기입니다만, 이들 틀은 간략한 노선을 알려주고 역 문서간의 이동을 쉽게 해 주기 위한 것이지 운행 계통을 알려주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용산-광명 셔틀은 좀 애매합니다만) -- IRTC1015(·) 2006년 12월 20일 (목) 18:12 (KST)

[편집] 특급 운행 계통

필요한가요? 틀이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네요. -- ChongDae 2006년 12월 18일 (월) 13:5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