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없음 | |||||
국가: Maamme | |||||
![]() |
|||||
수도 | 헬싱키 북위 60°10′, 동경 24°56′ |
||||
공용어 | 핀란드어, 스웨덴어 | ||||
정부 형태
대통령
총리 |
이원집정부제 타랴 할로넨 마티 반한넨 |
||||
독립 • 독립 선언 • 승인 |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1917년 12월 6일 1918년 1월 3일1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338,145 km² (65위) 9.4% |
||||
인구 • 2005년 어림 • 인구 밀도 |
5,261,008명 (110위) 15명/km² (162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2004년 어림값 $1529.55억 (48위) $29,305 (16위) |
||||
HDI • 2003년 조사 |
0.941 (13위) |
||||
통화 | 유로(€)2 (EUR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EET (UTC+2) EEST (UST+3) |
||||
국가 도메인 | .fi | ||||
국제 전화 | +358 |
||||
1핀란드는 러시아 제국에 지배받았을 때는 러시아령 핀란드 대공국이라고 불렀다. 22002년 이전에는 마르카 |
핀란드(스웨덴어: Finland, 핀란드어: Suomi 수오미[*])는 북유럽에 있는 나라이다. 공식 명칭은 핀란드 공화국(핀란드어: Suomen Tasavalta 수오멘 타사발타[*], 스웨덴어: Republiken Finland 레푸블리켄 핀란드)이다. 서남쪽은 발트 해, 남쪽은 핀란드 만, 서쪽은 보트니아 만 등의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스웨덴과 노르웨이, 러시아와 국경이 닿아 있다. 본토 서남쪽에 위치한 올란드 제도는 핀란드 통치아래 상당한 자치를 누리고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 이 부분의 본문은 핀란드의 역사입니다.
기원전 수천년경에 중앙아시아 지역으로부터 서진을 계속해온 우랄어족 언어를 쓰는 집단인 핀족은 기원후 1세기에 지금의 핀란드 남부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12세기 중엽, 스웨덴 왕 에리크 9세의 십자군이 핀란드에 진입해옴으로써 스웨덴의 핀란드 지배의 윤곽이 잡혔다. 이후 스웨덴의 역대 왕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핀란드에서 스웨덴 영토를 확장했으며 1397년 포메라니아의 에리크가 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의 연합왕으로 즉위할 때 핀란드도 이에 편입되었다.
1523년 구스타브 1세 바사는 스웨덴을 안정된 독립 왕국으로 만들면서 핀란드를 이에 포함시켰다. 이후 스웨덴과 함께 핀란드에서도 루터교로 개종하는 종교개혁이 일어났는데 여기에는 독일 비텐베르크에서 마르틴 루터에게 수학한 미카엘 아그리콜라의 공이 컸다.
17세기초에 스웨덴 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핀란드를 동방 전초 기지로 활용하였다. 크리스티나 여왕은 핀란드에서 문예를 크게 진흥시켜 투르쿠 대학이 이 무렵에 세워졌다.
스웨덴 왕 칼 12세의 무리한 군사정책으로 시작된 북방 대전쟁(1700-1721)에서 핀란드의 국토는 러시아의 대대적 침공으로 일대 타격을 입었다. 구스타브 3세가 러시아와 전쟁(1788-1790)을 하는 틈을 타 핀란드 장교들이 무장봉기하기도 했다.
나폴레옹 전쟁 중에 핀란드 영토를 둘러싼 열강의 외교전이 전개된 끝에 1809년 러시아가 핀란드를 점령하였고 대공국이라는 이름으로 통치하였다. 이에 대항하여 핀란드인들의 국권 회복 운동이 점차 불붙었고 엘리아스 뢴로트는 1835-1849년에 서사시 칼레발라를 저술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말기인 1917년에 핀란드는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본래는 독일의 헤센-카셀가의 공족을 왕으로 하는 왕국으로 독립할 예정이었으나, 독일의 패전으로 공화국으로 출발한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국가의 생존을 걸고 소련과 2차례에 걸쳐 전쟁(겨울 전쟁·계속 전쟁)을 벌였다. 칼 구스타프 만네르헤임 장군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끝내 패배로 끝났다. 이전부터 핀란드의 대소 감정이 좋지 못했는데 이 전쟁으로 한때 악화됐었다. 그러면서도 전후 재건은 점차 이루어졌다.
[편집] 정치
핀란드의 정치제도는 의원 내각제를 기초로 하였지만 대통령에게도 일정한 권한이 있다. 국회가 선출하는 총리로 대표되는 내각이 가장 큰 행정 권한을 지닌다.
최고 입법기관인 국회(핀란드어: Eduskunta, 스웨덴어: Riksdag)는 단원제로 200명의 의원들로 구성된다. 헌법을 개정하고 내각을 해임시키거나 대통령이 발동하는 거부권을 무효화할 권한이 있다.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이며 개방식 비례 대표제 선거로 뽑힌다. 1906년 보통 선거권이 실시된 이후 핀란드 국회는 우익인 국민연합당, 농민당, 사회민주당, 좌익연합 등의 정당이 지배해왔다. 핀란드는 소련의 영향력이 컸던 냉전 시대에도 민주주의를 유지했다.
핀란드의 헌법에 대해서 특기할 점은 헌법재판소가 없고 대법원에게는 어떤 법률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릴 권한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핀란드 이외에 헌법재판소가 없는 나라는 유럽에선 네덜란드와 성문 헌법이 없는 영국 뿐이다.
[편집] 행정 구역
- 이 부분의 본문은 핀란드의 행정 구역입니다.
오늘날 핀란드는 6개의 주(래니 lääni, 복수 래닛 läänit)로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올란드 제도는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분야에서 상당한 자치를 누리고 있다.
[편집] 지리
핀란드는 호수와 섬의 나라이다. 호수 187,888개와 섬 179,584개가 있다. 사이마(Saimaa) 호수는 유럽에서 5번째로 크다. 핀란드의 지형은 대체로 평평하며 최고봉은 북쪽 사미 주 해발 1,328미터인 할티툰투리 산이다. 핀란드는 호수 이외에도 육지의 68%가 북방침엽수림으로 덮여 있다. 섬들은 대부분 서남쪽에 있다.
핀란드 국토의 4분의 1 정도는 북극권에 있어 여름에는 백야 현상이 관찰된다. 핀란드 최북단에서는 여름에는 73일동안 해가 지지 않고 겨울에는 51일동안 해가 뜨지 않는다.
[편집] 경제
[편집] 인구 통계
민족 비율은 핀란드인이 93%, 스웨덴인이 6%, 사미인, 로마인, 러시아인, 기타 0.1%.
종교는 개신교가 89%, 동방 정교회가 1%, 무종교 9%, 기타(대부분이 이슬람교).
언어는 핀란드어와 스웨덴어가 공용어였지만 지금은 국민어의 지위를 갖을 뿐이다. 사미어는 북부에서 쓰이고, 스웨덴어는 남서부의 올란드 제도에서 쓰인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영어나 독일어를 할 줄 알며, 일부는 러시아어를 쓰기도 한다.
[편집] 문화
최초의 핀란드어 책을 쓰고 신약성경을 핀란드어로 번역한 투르쿠의 주교 미카엘 아그리콜라(1510년-1557년경)는 핀란드 문학의 아버지로 일컬어진다. 19세기에 엘리아스 뢴로트가 집필한 핀란드의 민족서사시 칼레발라는 핀란드 전통 문화에 대한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소설가 프란스 에밀 실란패는 1939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소설가 미카 발타리(Mika Waltari)도 전세계에 알려져 있다.
음악가로는 '핀란디아'를 작곡한 장 시벨리우스가 유명하다. 핀란드 전통 음악에는 하프나 공후와 비슷한 현악기인 칸텔레가 쓰인다.
핀란드는 또 알바르 알토(Alvar Aalto)를 비롯한 유명한 건축가들을 많이 배출하였다.
사우나(sauna)는 핀란드의 전통어이다. '사우나'는 핀란드어 중에서 국제적으로 쓰이는 몇 안되는 낱말 중의 하나이다.
[편집] 기타 주제
[편집] 바깥 고리
- ((핀란드어/스웨덴어/영어)) 핀란드 정부 홈페이지
- ((영어/…)) 핀란드 국가 포털 사이트
- ((영어/…)) Visit Finland
- 주핀란드 대한민국 대사관
- 핀란드
- 해외여행(핀란드편)
- 핀란드 개요
- 핀란드에 대하여
- 핀란드한인회 홈페이지
유럽의 나라 | ![]() |
---|---|
그루지야¹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¹ |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마케도니아 공화국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바티칸 시국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스웨덴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¹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¹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에스파냐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체코 카자흐스탄¹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² | 터키¹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속령 | |
건지 섬 | 맨 섬 | 스발바르 제도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² | 올란드 제도 | 저지 섬 | 지브롤터 | 페로 제도 | |
비독립 국가 | |
나고르노카라바흐¹ | 남오세티아¹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² | 압하스 공화국¹ | 코소보 | 트란스니스트리아 | |
¹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7년 1월 1일 가입 예정국: ![]() ![]() |
|
가입 후보국: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