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아시안 게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 내용은 최근에 벌어진 사건에 대한 것으로, 사건이 진전됨에 따라 내용이 바뀔 수 있습니다.

제15회 아시안 게임2006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되었다. 45개국의 15,000여명의 선수들이 참가해 역대 최대의 아시안 게임이 되었다. 대한민국은 임원을 포함하여 선수단 832명을 파견했다.

목차

[편집] 종목

  • 양궁 (Archery)
  • 기계체조 (Artistic Gymnastics)
  • 육상 (Athlatics)
  • 배드민턴 (Badminton)
  • 야구 (Baseball)
  • 농구 (Basketball)
  • 비치발리볼 (Beach Volleyball)
  • 보디빌딩 (Bodybuildng)
  • 볼링 (Bowling)
  • 복싱 (Boxing)
  • 카누-카약 (Canoe-Kayak)
  • 체스 (Chess)
  • 당구 (Cue Sports)
  • 사이클 (Cycling)
  • 다이빙 (Diving)
  • 승마 마장마술 (Equestrian)
  • 승마 지구력 경기 (Equestrian Endurance)
  • 펜싱 (Fencing)
  • 축구 (Football)
  • 골프 (Golf)
  • 핸드볼 (Handball)
  • 하키 (Hockey)
  • 배구 (Indoor Volleyball)
  • 유도 (Judo)
  • 카바디 (Kabaddi)
  • 가라데 (Karade)
  • 리듬체조 (Rhythmic Gymnastics)
  • 조정 (Rowing)
  • 럭비 (Rugby)
  • 요트 (Sailing)
  • 세팍타크로 (Sepaktakraw)
  • 사격 (Shooting)
  • 정구 (Soft Tennis)
  • 소프트볼 (Softball)
  • 스쿼시 (Squash)
  • 수영 (Swimming)
  • 싱크로나이즈 (Syncronised Swimming)
  • 탁구 (Table Tennis)
  • 태권도 (Taekwondo)
  • 테니스 (Tennis)
  • 트램폴린 (Trampoline)
  • 철인3종경기 (Triathlon)
  • 수구 (Watar Polo)
  • 역도 (Weightlifting)
  • 레슬링 (Wrestling)
  • 우슈 (Wushu)

[편집] 참가국

2006년 아시안 게임에는 OCA 회원 45개 선수단이 모두 참가했다.

[편집] 메달 집계

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순위 나라 금 은 동 합계
1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165 88 63 316
2 대한민국 대한민국 58 53 82 193
3 일본 일본 50 71 77 198
4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23 19 43 85
5 타이 타이 13 15 26 54
6 이란 이란 11 15 22 48
7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11 14 14 39
8 인도 인도 10 18 26 54
9 카타르 카타르 9 12 11 32
10 차이니즈 타이베이 차이니즈 타이베이 9 10 27 46
11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8 17 17 42
12 싱가포르 싱가포르 8 7 12 27
13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8 0 6 14
14 바레인 바레인 7 10 4 21
15 홍콩 홍콩 6 12 10 28
1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 9 16 31
17 쿠웨이트 쿠웨이트 6 5 2 13
18 필리핀 필리핀 4 6 9 19
19 베트남 베트남 3 13 7 23
20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3 4 3 10
21 몽골 몽골 2 5 8 15
22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2 3 15 20
23 시리아 시리아 2 1 3 6
24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2 0 2 4
25 요르단 요르단 1 3 4 8
26 레바논 레바논 1 0 2 3
27 미얀마 미얀마 0 4 7 11
28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0 2 6 8
29 이라크 이라크 0 2 1 3
30 마카오 마카오 0 1 6 7
31 파키스탄 파키스탄 0 1 3 4
32 스리랑카 스리랑카 0 1 2 3
33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0 1 0 1
라오스 라오스 0 1 0 1
35 네팔 네팔 0 0 3 3
36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0 0 1 1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0 0 1 1
예멘 예멘 0 0 1 1
합계 428 423 542 1393

[편집] 한국의 성적

  • 날짜는 모두 현지 시각임.

[편집] 대한민국의 성적

[편집] 골프

  • 12월 11일
    • 김경태 : 남자 개인전 금메달
    • 김경태, 김도훈 (시니어), 김도훈 (주니어), 강성훈 : 남자 단체전 금메달
    • 류소연 : 여자 개인전 금메달
    • 류소연, 정재은, 최혜영 : 여자 단체전 금메달
      • 남녀 전종목 석권

[편집] 카누-카약

  • 12월11일
    • 문철욱  : 남자 K-1 1000m 동메달

[편집] 레슬링

  • 12월 9일
    • 한태영 :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 금메달
  • 12월 10일
    • 김민철 : 남자 그레코로만형 66kg 금메달
    • 김정섭 : 남자 그레코로만형 84kg 금메달
    • 김광석 : 남자 그레코로만형 120kg 금메달

[편집] 배드민턴

  • 12월 4일
    • 이경원, 이연화, 이현진, 이효정, 전재연, 하정은, 황유미, 황혜연 : 여자 단체전 동메달
  • 12월 8일
    • 손승모, 정재승, 이용대, 황정은, 황지만, 박성환, 이현일, 이재진 : 남자 단체전 은메달

[편집] 보디빌딩

  • 12월 9일
    • 김명헌 : 남자 90kg이하급 은메달

[편집] 볼링

  • 12월 3일
    • 최복음 : 남자 개인전 은메달
  • 12월 4일
    • 최진아, 김유진 : 여자 2인조 은메달
  • 12월 5일
    • 최진아, 강혜은, 김유진 : 여자 3인조 동메달
  • 12월 7일
    • 변호진, 최복음, 조남이, 정승주, 강희원, 박상필 : 남자 5인조 은메달
  • 12월 10일
    • 조남이 : 남자 마스터즈 금메달
    • 최진아 : 여자 전종목 금메달, 여자 마스터즈 금메달
    • 황선옥, 김효미, 남보라 : 여자 3인조 금메달

[편집] 사격

  • 12월 2일
    • 유재철 : 남자 공기소총 개인전 동메달
    • 김혜성, 유재철, 채근배 : 남자 공기소총 단체전 은메달
    • 이명애, 이보나, 이정아 : 여자 공기소총 단체전 동메달
  • 12월 3일
    • 진종오 : 남자 공기권총 개인전 동메달
    • 김병희 : 여자 공기권총 개인전 동메달
    • 김영욱, 이대명, 진종오 : 남자 공기권총 단체전 은메달
    • 박봉덕, 이현태, 전동주 : 남자 소총복사 단체전 은메달
    • 김병희, 부선희, 이호림 : 여자 공기권총 단체전 동메달
  • 12월 7일
    • 박병택, 장대규, 황윤삼 : 남자 25m 스탠더드 권총 단체전 금메달
    • 손혜경 : 여자 더블트랩 개인전 금메달
    • 김미진, 손혜경, 이보나 : 여자 더블트랩 단체전 금메달

[편집] 사이클

  • 12월 3일
    • 박성백 : 남자 개인 도로 동메달
  • 12월 4일
    • 한송희 : 여자 개인 도로 동메달
  • 12월 10일
    • 장선재 : 남자 트랙 개인 추월 금메달
  • 12월 11일
    • 이민혜 : 여자 트랙 개인 추월 금메달
  • 12월 12일
    • 황인혁, 장선재, 김동헌, 박성백 : 남자 트랙 팀 추월 금메달

[편집] 수영

  • 12월 2일
    • 한규철 : 남자 개인 혼영 400m 동메달
    • 류윤지, 신해란, 이남은, 정슬기 : 여자 혼계영 400m 동메달
  • 12월 3일
    • 박태환 : 남자 개인 자유형 200m 금메달
  • 12월 4일

남자 자유형 계주 4x200m 동메달

  • 12월 5일
  • 12월 6일
    • 박태환 : 남자 개인 자유형 100m 은메달
  • 12월 7일
    • 박태환 : 남자 개인 자유형 1500m 금메달
      • 수영 3관왕 달성
    • 성민, 유승헌, 정두희, 박태환 : 남자 혼영 계주 4x100m 동메달
      • 박태환 금3, 은1, 동3 개인 최다 메달 획득

[편집] 승마

  • 12월 4일
    • 김동선, 서정균, 신수진, 최준상 : 마장마술 단체전 금메달
      • 아시안게임 3연속 금메달 획득 (1998년 ~ )
  • 12월 5일
    • 최준상 : 마장마술 개인전 금메달

[편집] 양궁

  • 12월 11일
    • 박성현 : 여자 개인전 금메달
    • 윤옥희 : 여자 개인전 은메달
  • 12월 12일
    • 임동현 : 남자 개인전 금메달

[편집] 역도

  • 12월 2일
    • 이종훈 : 남자 56kg급 동메달
  • 12월 3일
    • 김선배 : 남자 69kg급 동메달

[편집] 유도

  • 12월 2일
    • 김나영 : 여자 78kg 이상급 동메달
    • 이소연 : 여자 78kg급 은메달
    • 장성호 : 남자 100kg급 금메달
  • 12월 3일
    • 배은혜 : 여자 70kg급 은메달
    • 공자영 : 여자 63kg급 은메달
    • 황희태 : 남자 90kg급 금메달
  • 12월 4일
    • 이원희 : 남자 73kg급 금메달, 한국유도 사상 최초 그랜드슬램 달성
  • 12월 5일
    • 김성범 : 남자 무제한급 금메달

[편집] 육상

  • 12월 7일
    • 김현섭 : 남자 경보 20km 금메달

[편집] 정구

  • 12월 3일
    • 김재복, 남택호, 위휴환, 유영동, 정영팔 : 남자 단체전 동메달
    • 김경련, 김지은, 민수경, 이경표, 이복순 : 여자 단체전 금메달
      • 아시안게임 4연속 금메달 획득 (1994년 ~ )
    • 김지은, 위휴환 : 혼합복식 금메달
    • 김경련, 유영동 : 혼합복식 은메달

[편집] 조정

  • 12월 7일

[편집] 체조

  • 12월 2일
    • 김대은, 김수면, 김승일, 김지훈, 양태영, 유원철 : 남자 단체전 동메달
  • 12월 5일
    • 김수면 : 남자 안마 개인전 금메달
  • 12월 6일
    • 김대은 : 남자 평행봉 개인전 금메달

[편집] 탁구

  • 12월 3일
    • 곽방방, 김경아, 문현정, 박미영, 이은희 : 여자 단체전 동메달
    • 오상은, 유승민, 윤재영, 이정우, 주세혁 : 남자 단체전 은메달

[편집] 태권도

  • 12월 7일
    • 이용렬 : 남자 72kg급 금메달
  • 12월 8일
    • 유영대 : 남자 58kg급 금메달
    • 권은경 : 여자 51kg급 금메달
    • 황경선 : 여자 67kg급 금메달
  • 12월 9일
    • 김주영 : 남자 62kg급 금메달
    • 김보혜 : 여자 55kg급 금메달
  • 12월 10일
    • 송명섭 : 남자 67kg급 금메달
    • 김학환 : 남자 84kg이상급 금메달
    • 이성혜 : 여자 59kg급 금메달

[편집] 테니스

  • 안재성, 이형택, 전웅선, 정희석 : 남자 단체전 금메달

[편집] 펜싱

  • 12월 10일
    • 박세라 : 여자 개인 에페 금메달
  • 12월 11일
    • 남현희 : 여자 개인 플러레 금메달
    • 서미정 : 여자 개인 플러레 은메달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성적

[편집] 기계체조

  • 12월 3일
    • 김명복, 김은향, 변광선, 차용화, 홍수정, 홍은정 : 여자 단체전 은메달

[편집] 사격

  • 12월 2일
    • 김용복, 박용희, 채혜경 : 여자 공기소총 단체전 은메달
  • 12월 3일
    • 김종수 : 남자 공기권총 개인전 은메달
    • 박현숙 : 여자 역도 58kg급 동메달

[편집] 유도

  • 12월 3일
    • 원옥임 : 여자 63kg급 동메달

[편집] 탁구

  • 12월 3일
    • 고은경, 김미영, 김정, 렴원옥 : 여자 단체전 동메달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