ㄷ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ㄷ(디귿, 문화어: 디읃)은 한글의 닿소리 중 셋째 글자이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치경 파열음으로 소리나며, 뒤따르는 종속적인 형식 형태소의 모음이 ㅣ일 경우 구개음화하여 ㅈ과 같이 소리난다. 낱말 처음이나 받침에 올 경우 안울림소리, 낱말 중간 울림소리 사이에 올 경우 울림소리가 된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ㄷ이 나타내는 소리는 혓소리이며, ㄴ에 획을 더해서 만들어졌다. 훈몽자회에서 디귿(池末: ‘귿’은 末의 뜻을 읽은 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니은, 리을과 같은 이름을 쓰지 않은 것은 한자에 ‘읃’ 자가 없기 때문이다.
종류 | 글자 | 유니코드 | HTML | ||
---|---|---|---|---|---|
한글 호환 자모 | ㄷ | U+3137 | ㄷ |
||
한글 자모 영역 |
첫소리 | ᄃ | ᄃᅠ | U+1103 | ᄃ |
끝소리 | ᆮ | ᅟᅠᆮ | U+11AE | ᆮ |
|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
첫소리 | | | U+F790 |  |
끝소리 | | | U+F880 |  |
|
반각 | ᄃ | U+FFA7 | ᄃ |
한글 낱자 | |
---|---|
현대 한글: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옛한글: | ㅿ | ㆁ | ㆆ | 치두음과 정치음(ᄼ·ᄽ·ᄾ·ᄿ·ᅎ·ᅏ·ᅐ·ᅑ·ᅔ·ᅕ) ㆍ 방점(ᅟ〮·ᅟ〯) |
한글 겹낱자 | 한글 낱자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