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패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버스조합 발행 유패스
실제 크기로
버스조합 발행 유패스

유패스는 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서 발행하는 선불식 전자화폐이다. 1996년에 상용화된 서울교통카드와 같은 계열의 카드이다. eB카드에서 발행하는 같은 이름의 카드는, 이 카드의 이름만 라이센스받아 쓰고 있는, 전혀 다른 종류의 카드이다.

목차

[편집] 기술

필립스 사의 MIFARE 기술을 이용하였다. MIFARE 기술은 세계적으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 널리 쓰이고 있다.

[편집] 역사

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1996년 3월, 기존의 회수권과 토큰을 대체할 새로운 버스 요금 지불 수단으로 사용할 교통 카드를 일부 노선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게 된다. 이어서 같은 해 7월부터는 모든 서울 시내버스에서 서울버스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세계 최초로 등장한 교통 카드는 처음 구입할 때 카드값과 선충전비용을 내고 가판대에서 구입하는 것이었다. 충전 또한 가판대에서 할 수 있었으며, 5% 추가 충전 혜택이 있었다. 이러한 5% 충전 보너스제는 1998년도에 폐지되었으며, 1999년에 시행된 카드승차시 요금 할인과 2000년에 시행된 버스-버스, 버스-지하철 환승시 다음 승차 수단의 요금을 할인해 주는 제도로 대체되었다. 이후에는 한빛은행(현재 우리은행)에서도 구입, 충전, 환불받을 수 있게 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 버스간 교통 카드의 종류가 서로 달라서 호환이 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자, 서울-경기는 1998년 4월에, 서울-인천은 1998년 9월에 각각 호환 사용을 시작하였다. 또한 당시 수도권 전철 구간에서 사용하던 후불 신용교통카드(KB 프리 패스)와의 호환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2000년에 모든 종류의 카드를 호환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와 함께 교통 카드의 이름을 서울교통카드로 바꾸어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 동안 시내버스, 좌석버스 및 수도권 전철에서만 이용되던 교통카드는 2002년에 마을버스와 서울시 공영주차장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4년에는 서울시에서 대중교통 체계를 개편하면서, 한국스마트카드에서 새로운 교통카드로 티머니를 출시하였다. 하지만 티머니의 경기, 인천지역 버스에서의 호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많은 사람들이 예전 교통카드를 사용하였다.

2005년에는 기존의 서울교통카드의 이름을 유패스로 바꾸고, 에이캐시의 부도로 마이비에서 새로 맡게 된 강원도 원주 지역의 교통카드로도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편집] 이용

[편집] 사용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원주시의 대중교통 요금 결제
  • 경기도 소속 시외버스의 요금 결제. 버스 출입문 옆에 교통카드 사용가능 스티커가 붙어있는 차량만 해당된다. 버스조합 유패스와 eB 유패스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주의 사항

eB유패스는 원주시에서 이용할 수 없다. 그리고 이 카드는 제주시에서 사용은 가능하지만 충전은 불가능하다. 또 2006년 7월 1일 이후에 제작된 카드는 서울지역의 버스나 지하철, 인천지하철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청소년 할인은 인터넷으로 등록한 뒤, 최대 3일 후부터 적용된다.
경기도 일부지역 마을버스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유패스를 사용할 수 없는 마을버스에서는 마이비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편집] 구입 및 환불

  • 구입: 버스정류장 주변 가판대
  • 환불: 서울시 소재 우리은행 또는 버스조합. 환불시 카드 잔액만 돌려받을 수 있다.

[편집] 관련 항목


[편집] 바깥 고리


대한민국의 교통 카드
대경교통카드(카드넷) - 마이비카드(마이비) - 유패스(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 - 케이캐쉬(금융결제원) - 티머니(한국스마트카드) - 하나로교통카드(하나로교통카드) - 한꿈이카드(비자캐시)

유사 교통 카드 : KB 프리 패스(KB카드) - KTX 패밀리 카드(인터내셔널 패스 앤 커머스)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