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문화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한자 문화권
실제 크기로
한자 문화권

한자 문화권(漢字文化圈)은 한자를 사용하는 동아시아 지역을 부르는 말이다. 중국, 한국, 일본 등이 해당하며, 넓게는 중앙아시아몽골·티베트동남아시아베트남이나 싱가포르도 포함한다. 벼농사를 짓는 농경민족으로 유교불교 사상의 영향을 받는 등 여러 면에서 문화적인 공통점이 많다.

한자 문화권(漢字文化圈)이란, 한자를 수용한 역사가 있어, 거기에 따라 자국어에 고전 중국어계의 어휘를 대량으로 차용한 동아시아 지역을 가리킨다.

한자 문화권은, 구체적으로는, 한자를 낳은 중국과 베트남·조선·류큐·일본을 가리킨다. 이러한 지역은, 농경 민족이며, 책봉 체제하에 있었다는 특징을 가지지만, 일본은 다른 삼국에 비해 정식적 책봉 기간은 짧았다.덧붙여서, 몽골·티벳 등, 동아시아의 유목민족은, 한자문화권의 주변에 위치하면서 한자를 수용할 것은 없었다.

에도(江戶)시대의 일본에는, 장군이 대신할 때마다 이씨 조선(조선 왕조)으로부터 조선 통신사가 파견되었다.에도의 유학자들은, 한자에 의한 필담으로 조선의 유학자와 유학 논쟁을 주고 받는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고 한다.

1840년의 아편 전쟁으로 청이 패배해, 중국의 구심력이 약해지면, 책봉 체제하에 놓여진 제민족은, 한자 그 자체에 종속의 상징으로서의 의문을 안기 시작해 제이차 세계대전 후는 독립의 상징으로서 한자를 폐지하는 정책을 취하기 시작했다.

한편, 그 외의 한자 사용국에서도, 강희사전체를 간략화하는지 하지 않는 것인지, 한다고 하면 어떻게 하는지는 각국의 사정에 근거해서만 행해져 한자가 동아시아의 국제 문자이다라는 시점은 바로 최근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베트남·중국이 경제성장을 이루어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선진국이 일본만이라고는 할 수 없게 된 현대, 유럽 공동체에 힌트를 얻은 동아시아 공동체도 제창되어 동아시아의 국제 문자로서의 한자의 재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거기서 과거에 한자 문화권에 속하고 있었지만 한자를 버린 나라도 한자 부활을 주창하고 있다.


이 문서는 아시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