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진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진시(靑津市)는 북조선의 3번째로 큰 도시이자 함경북도의 도청소재지로서, 함경북도 북동부에 위치해 있다. 이 곳은 청진포뱃노래로 유명하다. 1945년에 함경북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으며, 1960년대엔 함경북도에서 독립해 청진직할시가 되었다.
목차 |
[편집] 지리
경성만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다. 최고봉은 고성산이다. 반도의 북쪽은 산지를 이룬다. 평야는 수성평야이다. 주요하천은 수성천이다.
[편집] 행정구역
현재 청진시는 7개의 행정구역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82동 16리 1로동자구가 위치해있다.
- 청암구역(青岩區域)
- 포항구역(浦港區域)
- 부윤구역(富潤區域)
- 라남구역(羅南區域)
- 신암구역(新岩區域)
- 송평구역(松坪區域)
- 수남구역(水南區域)
[편집] 산업
화학공업이 발달해 있다. 그리고 바다에 접한 지역은 어업도 발달했다. 그리고 여러 자원들이 풍부하다. 수성천에 위치한 지역에선 쌀과 여러작물들이 생산된다.
[편집] 교육
- 청진기술대학교
- 청진광업대학교
- 청진교육대학교
- 함북농업대학교
[편집] 같이 보기
- 청진항
- 고말반도
- 청진공업지구
- 김책제철련합기업소
- 라남제약공장
- 부윤로동자구
[편집] 참조
- 한국관광용지도(영어,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 Glimpses of a Hermit Nation Los Angeles Times expose from July 3, 2005 on Chongjin and a changing North Korea (Part 1)
- Trading Ideals for Sustenance Second part of Los Angeles Times expose focusing on Chongjin (July 4, 2005)
- ^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한길사, 2004) 27쪽.
함경북도의 행정 구역 |
---|
라선특급시 | 김책시 | 청진시 | 회령시 |
경성군 | 길주군 | 명천군 | 무산군 | 부령군 | 새별군 | 어랑군 | 연사군 | 온성군 | 은덕군 | 화대군 | 화성군 |
분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시 | 청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