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채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 ~ 1936년 2월 21일)는 독립운동가, 사학자이다. 호는 단재(丹齋)·일편단생(一片丹生)·단생(丹生)이다.

목차

[편집] 약력

[편집] 역사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독립운동가로서 국권을 회복하고자 모든 수단을 강구한 민족주의자로, 국사 연구와 교육을 중시하였다. 기존의 왕과 영웅 중심의 전근대적인 사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민중을 중심으로 하는 사학을 내세웠다. 신채호와 박은식을 통해 정립된 민족사관은 일제에 의한 식민사관을 극복하고 근대적, 주체적 역사관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저서 《조선상고사》에서 특히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 보았다.

[편집] 독립운동가

무정부정의자(아나키스트)로 동방 아나키스트 연맹에 참여하였다. 또한 독립을 위해서는 철저한 비타협적 투쟁과 민중 중심으로 민중을 혁명의 본영으로 규정하고 테러와 폭력을 인정하였다. 말년에는 무정부주의자로 활동하였다.

[편집] 기타

"꿈하늘", "용과 용의 대격전"과 같은 환상적 기법의 우화적 소설을 쓰기도 하였다.

[편집] 저서

  • 《조선사론(朝鮮史論)》
  • 《조선사연구초》
  • 조선상고사
  • 《조선상고문화사》
  • 《조선혁명선언》
  • 《을지문덕》
  • 《이태리건국삼걸전(伊太利建國三傑傳)》

[편집] 바깥 고리

위키자료집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신채호
무오 독립 선언 민족대표 39인
김교헌 김규식 김동삼 김약연 김좌진 김학만 류동렬 문창범 박성태 박용만 박은식 박찬익 손일민
신규식 신채호 안정근 안창호 여준 윤세복 이광 이대위 이동녕 이동휘 이범윤 이봉우 이상룡
이세영 이시영 이탁 이승만 이종탁 임방 정재관 조용은 조욱 최병학 한흥 허혁 황상규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