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300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A10 미사일 한 발이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준비중이다.
실제 크기로
SA10 미사일 한 발이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준비중이다.

S-300P(С-300П)는 러시아에서 개발한 지대공 미사일이다. 나토에서는 SA-10 그룸벨(Grumble)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중국은 S-300PMU-1을 라이센스 생산하여 Hongqi-10 (HQ-10)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

  • S-300P (나토식 제식명 SA-10 "Grumble"),
  • S-300V (나토식 제식명 SA-12 "Gladiator"/"Giant")
    • 9M83 미사일 (나토식 제식명 SA-12A "Giant")
    • 보다 소형인, 9M82 미사일 (나토식 제식명 SA-12B "Gladiator"}

목차

[편집] 변형

다음의 개조사항에 따라, 여러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 미사일 차이
  • 레이다 성능
  • ECM 방어 성능
  • 사정거리
  • 단거리 탄도탄 대응능력
  • 저고도 비행물체 대응능력

서방의 동급 무기체계로는 패트리어트 시스템이 있다. 패트리어트와 SA-10을 비교하면, SA-10은 보다 대형이고 무겁고 미사일 사정거리가 길다. 둘 다 동시에 여러 목표물을 탐지, 조준할 수 있으며,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위상배열 레이다를 통해 미사일들을 유도하는 것도 같다. 또한, 둘 다 이동식이다. 수명주기 동안 미사일에 대한 정비가 불필요하다는 점도 패트리어트와 동일하다.

[편집] 사용국

사용국은 다음과 같다.

[편집] 미국

미국이 실전배치용인지 연구용인지 등에 대해서는 미확인이나 2000년대초에 러시아에 구매의사를 밝힌 바 있다. MD에 대한 서로의 양해각서에서 미국이 테스트 목적으로 몇 기를 도입을 제시했으나, 러시아에서 거절했다.

[편집] 유도방식과 탄두

이전의 Flap Lid A 레이다는 동시에 4발의 미사일을 유도해서 동시에 4개의 목표물을 요격할 수 있었고 24개의 목표물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었다. Flap Lid B 레이다는 목표물 하나당 두발의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고, 동시에 12개의 목표물을 요격할 수 있다. 최대속도 마하 2.5로 비행하는 목표물들을 요격 가능하며, 회신 버전은 대략 마하 8.5의 목표물을 요격가능하다. 미사일은 매 3초마다 한 발씩 발사될 수 있다. 이동식 제어 센터는 최대 12개의 TEL(이동식 발사대)을 동시에 관리가능하다.

최초의 탄두는 무게가 100 kg (220 lb)이었다. 중거리 탄두는 133 kg (293 lb)이고 가장 최근의 탄두중량은 143 kg (315 lb)이다. 모두 접촉신관과 근접신관을 가지고 있다. 미사일 자체 중량은 1450 kg (3200 lb)에서 1800 kg (3970 lb)정도 된다. 미사일은 발사 튜브에서 로켓 모터가 점화하기 이전에 캐터펄트되어 위로 발사되며, 캐터펄트되는 가속도는 100 G (1 km/s²)이다. 미사일은 처음에 수직으로 발사된 다음에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기에, 발사하기 전에 목표물을 향해 미사일의 방향을 조준할 필요가 없다. 미사일은 날개와 thrust vectoring vanes 를 통해 방향을 조절한다.

[편집] 역사와 업그레이드

  • S-300P이 최초의 시스템이다. 미국방성은 SA-10A이라고 명명했다. 1978년에 5V55K 미사일을 탑재하고서 실전배치되었다. 유효사거리는 5 에사 47 km (3 에서 29 마일), 고도는 25 m 에서 30 km (100 에서 100,000 피트), 미사일의 최대속도는 마하 2.5 속도의 목표물까지 요격가능한, 마하 5 정도이다.
  • 현재의 S-300PMU-2 Favorit (Russian C-300ПМУ-2 "Фаворит" - favourite)은 1997년에 소개되었다. 이것 또한 나토 제식명은 SA-20 이다. (미국방성 제식명 SA-20B) S-300PMU-1와 매우 비슷한데, 48N6E2 미사일을 사용하여, 사거리가 195 km (121 mi)로 훨씬 늘어났다. 이 시스템은 이전처럼 단거리 탄도 미사일만을 요격하는 것이 아니라, 중거리 탄도 미사일 또한 요격할 수 있다. 이 버전은 새로운 96L6 integrated 레이다 시스템을 사용한다. (developed from the naval 'Tomb Stone'?).
  • The S-300PMU-1 9M96 은 1999년에 소개되었다. 최초로, 여러 종류의 미사일을 단일 시스템에서 혼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5V55R, 48n6Ye, 48N6Ye2 미사일 이외에도, S-300PMU-1 9M96 은 9M96E1 과 9M96E2 라는 새로운 두 종류의 미사일을 사용할 수 있다. 두 가지 모두 이전 미사일들 보다 훨씬 소형화되었다. 미사일 중량은 330 과 420 kg (728 과 926 lb)이고, 소형화된 24 kg (53 lb) 탄두를 가지고 있다. 9M96E1은 40 km (25 mi)의 사거리를 가지며, 9M96E2 는 120 km (75 mi)의 사거리를 가진다. 역시 TEL 당 4발을 탑재한다.
  • S-300PMU-3/S-400 Triumf (Russian C-300ПМУ-3/С-400 "Триумф" - triumph, 나토 제식명 SA-X-21)는 1999년에 소개되었다. 이동식 발사대당 두 발을 탑재하는, 새로운, 훨씬 대형의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다. S-400 참조.

미사일 제원:

Model Year 사정거리 최대속도 길이 직경 중량 탄두 유도방식
5V55K 1978 47 km (29 mi) 1700 m/s (3800 mph) 7 m (23 ft) 450 mm 1450 kg (3200 lb) 100 kg (220 lb) command
5V55R/RM 1984 90 km (56 mi) 1700 m/s (3800 mph) 7 m (23 ft) 450 mm 1450 kg (3200 lb) 133 kg (293 lb) SARH
5V55U 1992 150 km (93 mi) 2000 m/s (4470 mph) 7 m (23 ft) 450 mm 1470 kg (3240 lb) 133 kg (293 lb) SARH
48N6/Ye 1992 150 km (93 mi) 2000 m/s (4470 mph) 7.5 m (25 ft) 500 mm 1780 kg (3920 lb) ~150 kg (~330 lb) TVM
48N6E2/Ye2 1992 195 km (121 mi) 2000 m/s (4470 mph) 7.5 m (25 ft) 500 mm 1800 kg (3970 lb) 150 kg (330 lb) TVM
9M96E1 1999 40 km (25 mi) 330 kg (728 lb) 24 kg (53 lb) TVM
9M96E2 1999 120 km (75 mi) 420 kg (926 lb) 24 kg (53 lb) TVM
'big' 2000 400 km (250 mi) TVM

[편집] 한국 언론

러시아의 국영 무기수출 독점회사인 로스보오루제니예의 발렌틴 자페발로프 공보실장은 "s-300이 미국 패트리어트보다 우수하다는 사실은 거의 모든 전문가들이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1]

작동에 필요한 소요시간도 패트리어트가 20~30분인 반면 S-300은 불과 5분이면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러시아는 미사일을 도입할 경우 지상탐지레이더 개발기술을 이전하겠다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2]

북한군황해북도 신계에 숨겨두고 있는 이동식 스커드 B 탄도미사일이 발사된 경우, 신계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는 약 100㎞인데 도달 시간은 불과 3분40초(220초). 대전까지 300㎞를 날아오는 데에는 5분14초(314초), 부산까지 500㎞를 비행하는 데는 6분55초(415초)가 걸린다.[3]

S-400은 사거리가 약 4백㎞로,현재의 S-300보다 성능이 2.5배 좋다고 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이 1999년 5월 18일 보도했다.[4]

[편집] 주석과 참고자료

  1. [몸부림치는 러시아 군수산업](중)중국이 최대고객…중-러 신밀월 [조선일보]1999-07-07
  2. 패트리어트는 한물간 고물? [한겨레21]1997-04-27 847자
  3. 북한의 미사일 게임 [신동아]1999-08-01 22798자
  4. 러 첨단 미사일방공시스템 완성단계 올해안 실전배치 가능성 [세계일보] 1999-05-18 20판 08면 465자

[편집] 참고 뉴스

  • “푸틴, 美와 MD공동개발 표명” [서울신문]2003-01-24
  • 러, 美 MD 구축 조건부 참여…이바노프 국방 밝혀 “경제적 이해... [조선일보]2003-01-15
  • 러, MD 주고 실속 챙기기 [한국일보]2001-08-15
  • 美, MD반대하는 러 '달래기'/16일 정상회담 관계재정립 모색 [세계일보]2001-06-01
  • 美-러 MD처리 벼랑끝 협상 [한국일보]2001-05-30
  • MD돌파구 찾기 러에 손짓 [서울신문]2001-05-29
  • 美 “러 미사일 사주겠다” [서울신문]2001-05-29
  • 러시아 무기 구입추진 [세계일보]2001-05-29
  • "美,MD위해 러무기 구입 제안" [한국일보]2001-05-29
  • 정상회담 의제 준비/美 “러시아 무기 사겠다” MD추진 정지작업인듯 [조선일보]2001-05-29

[편집] 관련항목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