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성음(無聲音)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지 않는 소리다. 안울림소리라고도 한다.

허파로부터 나온 공기가 후두를 통과할 때 2 개의 성대 사이가 열어 있으면 성대는 울리지 않고 호기가 그대로 밖으로 나간다. 여기서 들리는 소리가 무성음이다. 주로 자음에 나타나고 [p], [f], [t], [s], [k] 등이 이에 속한다.

자음 체계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진 언어가 많다. 그러나 한국어중국어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차이로 뜻을 구벌하는 언어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