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 가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타이 가설은 퉁구스어족, 몽골어족, 투르크어족 등을 포함하는 알타이어족이 존재한다는 가설이다. 이 언어들은 SOV 형식 언어이며, 교착어이다. 몇몇 사람들은 우랄알타이어족이 존재한다고 한다. 우랄어파들이 알타이어파 언어들과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하지만 이 어족의 존재는 의문이다.
목차 |
[편집] 다른 언어와의 연결
[편집] 한국어
일부 알타이어 학자들은 한국어-알타이어간의 연관성을 제안했다. 니콜라이 포페 같은 사람들은 이 제안을 지원했으며, 최소한 거절하지는 않았다. 포페의 가설은 한국어와 알타이어 사이의 관계는 꽤 역사적이라고 한다.
[편집] 일본어
로이 앤드류 밀러 같은 사람들이 이 가설을 제안했다.
[편집] 드라비다어족
드라비다-알타이 가설은 아직까지 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편집] 비판
알타이 가설의 비판은 대개 인도-유럽어족의 조건에서 이루어진다.
[편집] 수사의 차이
인도유럽어족 언어는 수사가 비슷하기 때문에 이 기준을 알타이어족 언어에 적용시키면 맞지 않을 수도 있다. 게다가 오스트레일리아어족 같은 다른 어족의 경우 수사가 잘 발달되어 있지 않다.
[편집] 신체 부위 이름의 차이
이는 그다지 강한 논쟁이 되지 못한다.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같은 어원의 단어가 이미 확인되었다. 많은 단어들이 분화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조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일 수도 있다.
[편집] 어족간 관계
터키어족-몽골어족, 몽골어족-퉁구스어족 사이에는 관계가 있는 것 같지만 터키어족-퉁구스어족 사이의 관계는 잘 밝혀지지 않았다. 이는 지역적인 거리가 멀기 때문에 직접적인 터키어족 인구와 퉁구스어족 인구간의 접촉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왔다. 최근에는 터키어-퉁구스어 간의 관계도 알려져 왔다. 그렇지만 이는 아직까지 널리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이다.
[편집] 고 알타이어
터키어, 몽골어, 퉁구스어는 많이 닮아 있기 때문에 고 알타이어를 다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는 고 우랄어파 뿐만 아니라 인도-유럽어와도 많이 닮아 있기 때문이다.
[편집] 참고 문헌
- Georg, S., Michalove, P.A., Manaster Ramer, A., Sidwell, P.J.: Telling general linguists about Altaic. Journal of Linguistics 35 (1999): 65-98. Online abstract
- LINGUIST Mailing List, 18 Aug 1994, Reinhard F. Hahn
![]() |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