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 전국 시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의 역사 | ||||||
삼황오제 | ||||||
하 | ||||||
상 | ||||||
주 | ||||||
춘추 | 동주 | |||||
전국 | ||||||
진 | ||||||
전한 | 한 | |||||
신 | ||||||
후한 | ||||||
삼국 시대 | ||||||
서진 | 진 | 십육국 | ||||
동진 | ||||||
남북조시대 | ||||||
수 | ||||||
당 | ||||||
오대십국 | ||||||
북송 | 송 | 요 | ||||
남송 | 금 | 서하 | ||||
원 | ||||||
명 | ||||||
청 | ||||||
중화민국 | ||||||
중화인민 공화국 |
중화민국 |
춘추 전국 시대(春秋戰國時代)는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를 아울러 부르는 말로, 기원전 770년 주(周)왕조의 천도 후부터 기원전 221년 진(秦)나라 시황제(始皇帝)의 통일까지를 말한다.
[편집] 의의
춘추전국시대는 중국에서 지방분권적인 봉건 제도(封建制度)가 해체되고, 진(秦)·한(漢)의 중앙집권적인 군현제가 실시되어가는 과도적인 시기이다. 춘추 시대에는 존왕양이의 정신을 숭상하며 지방 분권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전국 시대에 들어와서 존왕양이의 정신은 쇠퇴하고 오로지 약육강식의 논리만 살아남음으로써 7개의 강국 진(秦)·초(楚)·연(燕)·제(齊)·한(韓)·위(魏)·조(趙)의 전국 칠웅만이 남아 중앙집권적 국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춘추시대의 군주가 후(候;제후의 의미)라고 칭했던 반면, 전국시대의 군주는 왕(王)이라 칭하는등 지방분권에서 중앙집권으로 변모해가는 모습이 나타난다.
[편집] 사회
춘추전국시대에는 최초로 철제농기구가 사용되고 우경이 시작되는 등 경제에 있어서 비약적인 발전을 보였다. 이러한 경제 발전은 사회구조에 변화를 가져왔다. 우선 은(殷)·주(周)로 대표되는 씨족 사회가 사라졌다. 씨족사회가 몰락함에 따라 가문의 배경이 없더라도 본인 자신의 재능으로 활약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평민, 귀족, 왕족에 상관없이 군주들은 나라의 북국강병에 도움이 되는 인재들을 등용하였고, 이러한 사회 흐름에 따라 다양한 사상을 주장하는 제자백가(諸子百家)도 등장하게 되었다.
[편집] 사상
- 유가(儒家)
- 주요 인물 : 공자 맹자 순자
- 주요 사상 : 효제(孝悌) ·인의(仁義) ·예(禮)를 바탕으로 한 정치.
- 도가(道家)
- 묵가(墨家)
- 주요 인물 : 묵자
- 주요 사상 : 가족, 국가를 초월하는 사랑인 겸애(兼愛). 차별애(差別愛)를 주장한 유가를 비판.
- 법가(法家)
- 주요 인물 : 관자(관중) 상앙(공손앙) 한비자
- 주요 사상 : 법치, 절대군주에 의한 부국강병
- 농가(農家)
- 주요 인물 : 허자(허행)
- 주요 사상 : 특권층의 문화생활을 부정하고, 개농주의를 주장.
![]() |
이 문서는 중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문서는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