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사정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단사정계(單斜晶系)는 3개의 벡터로 결정 구조를 기술하는 7 결정계 중의 하나이다. 단사정계에서 3개의 벡터는 길이가 서로 다르며, 4면은 직사각형이고 2면은 평행사변형인 사각기둥의 형상을 하고 있다. 세 벡터가 이루는 3개의 각 중에서 2개는 직각이고, 하나(평행사변형을 이루는 각)는 직각이 아니다.
단사정계에는 두 종류의 브라베이 격자가 존재한다. 하나는 단순 격자이고, 다른 하나는 저심 격자(base-centered)이며 각각 직사각형과 마름모꼴의 격자층을 가진다.
단순 단사정계 | 저심 단사정계 |
![]() |
![]() |
아래는 국제 표기법과 쇤플리스 표기법으로 표현된 단사정계에 속하는 점군의 목록이다.
이름 | 국제 표기법 | 쇤플리스 표기법 | 예 |
완면상 단사정계 | ![]() |
C2h | 석고 |
이극상 단사정계 | 2 | C2 | |
반면상 단사정계 | m | C1h | 자당 |
각 결정족은 6, 3, 4개의 공간군을 포함한다.
The three monoclinic hemimorphic space groups are as follows:
- a prism with as cross-section wallpaper group p2
- ditto with screw axes instead of axes
- ditto with screw axes as well as axes, parallel, in between; in this case an additional translation vector is one half of a translation vector in the base plane plus one half of a perpendicular vector between the base planes
The four monoclinic hemihedral space groups include:
- those with pure reflection at the base of the prism and halfway
- those with glide planes instead of pure reflection planes; the glide is one half of a translation vector in the base plane
- those with both in between each other; in this case an additional translation vector is this glide plus one half of a perpendicular vector between the base pla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