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개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음 위치 |
입술소리 |
양순음 |
순치음 |
혀끝소리 |
설순음 |
치음 |
치간음 |
치조음 |
설첨음 |
설단음 |
치조후음 |
치조구개음 |
권설음 |
혓바닥소리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목구멍소리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조음 방법 |
틀 편집 |
후두개음(喉頭蓋音)은 후두개(울대마개)와 인두벽 사이에서 조음하는 닿소리다.
후두개는 회염(會厭)이라고도 하고 음식물이 후두(울대)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는 움직일 수 있는 뚜껑이다. 이 조음 위치에서는 측면적인 조음도 비음도 생리적으로 할 수 없다. 파열음은 생리적으로 유성음이 되지 못한다.
IPA | 이름 | 예 | |||
---|---|---|---|---|---|
언어 | 철자 | 발음 | 뜻 | ||
ʡ | 후두개 파열음 | 아굴어 | [jaʡ] | 중심 | |
ʜ | 무성 후두개 마찰음 | 아바르어 | [maʜ] | 냄새 | |
ʢ | 유성 후두개 마찰음 | 아바르어 | [maʢ] | 손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