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 사우디아라비아의 문장
(국기) (문장)
표어: لا إله إلا الله محمد رسول الله
(라 알라하 일랄라후 무함마두르 라술루 라히)
(알라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고, 무함마드는 예언자이다.)
국가: 아스 알 말리크
사우디아라비아의 위치
수도 리아드
24°39′N 46°46′E
공용어 아랍어
정부 형태
말리크
부총리
전제 군주제
압둘라 이븐 압둘 아지즈
술탄 이븐 압둘 아지즈 알 사우드
독립
 • 오스만 제국
 • 영국
 • 통합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
1922년
1927년
1932년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1,960,582 km² (15위)
0%
인구
 • 2005년 어림
 • 2005년 조사
 • 인구 밀도
 
26,417,600명 (43위)
26,417,600명
13명/km² (169위)
GDP (PPP)
 • 전체
 • 일인당
2004년 어림값
$3,164억 (27위)
$13,955 (49위)
HDI
 • 2003년 조사

0.772 (77위)
통화 리알 (SAR)
시간대
 • 여름 시간
(UTC+3)
+4 
국가 도메인 .sa
국제 전화 +966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아랍어: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알 맘라카 알 아라비야 알 사우디야)은 중동에 있는 전형적인 이슬람교 국가이자 최대 석유 산유 국가이다.

수도와하브 운동의 본거지였던 리야드이며 공용어아랍어이다.

목차

[편집] 국명

사우디란 이 나라를 통치하는 알 사우드 왕조를 뜻하며 아라비아는 그대로 아라비아이다.

[편집] 역사

아라비아의 역사는 오래되었던 것으로 본다. 그 동안 이 나라는 몇 개의 나라로 분열되어 왔다.

1922년 중반기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처음 독립, 1927년영국으로부터 영토 획득, 1932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편집] 지리

대표적인 사막으로는 룹알할리 사막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경지가 적기 때문에 농민의 비율이 적다고 한다.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행정 구역입니다.

수도리야드이다. 그리고 성지메카와 이슬람 대학교가 있는 메디나도 존재한다. 소도시인 담맘도 있다. 최대 도시는 지다이다.

메카는 1980년부터 마카와 메카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그 곳은 아랍인이나 무슬림이 아니면 출입이 불가능하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총 13개 지방으로 나누어져 있다. Al Bahah, Al Hudud ash Shamaliyah, Al Jawf, Al Madinah, Al Qasim, Ar Riyad, Ash Sharqiyah (동부 지방), 'Asir, Ha'il, Jizan, Makkah, Najran, Tabuk

[편집] 기후

건조 기후와 사막 기후가 있다.

[편집] 정치

이 부분의 본문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정치입니다.

이 나라는 말리크가 통치하는 전제 군주제 국가이며 말리크는 칼리프를 임명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총리 제도는 없으며 대신 부총리가 존재한다.

의회는 없고, 대신에 자문 위원회가 존재한다. 구성원은 120명이고 4년마다 선출된다. 의장은 국왕이 임명한다.

2005년에 최초로 지방 선거가 실시되었다.

[편집] 주민

순수 혈통의 아랍인이 이 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외국인들은 과거 경제성장기에 진출한 한국인 건설노동자들처럼 돈을 벌기 위해서 온 노동자들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일부의 오해와는 달리 富의 분배가 공평한 편이라, 노동자들도 자신들의 나라에서보다는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이다.

[편집] 언어

아랍어공용어이다. 외국어 교육을 받은 소수의 무슬림들은 영어프랑스어를 구사할 줄 안다.

[편집] 종교

이 나라는 이슬람교가 국교이며 건국 이념에서도 "유일신 알라 이외의 다른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처럼 다른 종교는 존재할 수 없다. 라마단이 엄격하게 지켜지고, 공항에서 , 음란잡지등은 적발시 압수조치될 정도로 엄격한 이슬람 국가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슬람교 이외의 종교를 인정하지 않으며, 내국인은 물론이고 외국인들도 이슬람교 이외의 종교 집회가 금지된다. 사우디 국민은 이슬람교에서 타 종교로 개종하면 사형되거나 추방조치된다. 실례로 필리핀 선교사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선교활동을 하다가 추방조치된 바 있다.

[편집] 군사

사우디아라비아는 지원제를 실시한다. 이 나라는 군대는 많지 않으나, 미국의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스라엘 못지 않게 남 부럽지 않다.

  • 군대의 수는 다음과 같다.
육군 : 7만 명
해군 : 1만 8천 명
공군 : 1만 8천 명
국경 근처 방위군 : 7만 6천 5백 명
국경해안 방위군 : 1만 5천 명
총계 : 19만 명이 존재한다.

또한 왕실 근위병도 가지고 있다. 이 나라는 중동에서는 유일하게 NDSAP 기를 보유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군사 원조의 대부분을 미국으로부터 받으며, 2000년 당시의 규모는 281억 달러이다. 현재는 무기 국산화 준비를 하고 있다.

[편집] 핵무기 개발

파키스탄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비밀리에 핵무기 개발을 추진중인 것으로 의심되고 있지만, 파키스탄 정부는 이를 부인하고 있다.

[편집] 경찰

경찰은 2만 명이 있으며 메카의 성지를 보호하는 경찰도 있다. 그리고 비밀리에 활동하는 종교 경찰(무타와)도 있다.

[편집] 문화

[편집] 이슬람교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슬람교의 발상지이고 수니파 이슬람교가 국교이다.

이슬람교 종파에 따라 수니파는 전 인구의 90%가 신봉하며, 시아파는 나머지 10%가 신봉한다. 시아파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로부터 차별을 받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석유 자원이 풍부한 동북부 지역에 거주한다.

[편집] 이슬람력

622년, 헤지라 이후 그 날을 이슬람교의 원년으로 삼고 있다. 서기 2006년이슬람력으로는 1427년이다.

[편집] 경제

사우디 아라비아는 오일 수출에 의존을 많이 하고 있다.

[편집] 농업

이 나라는 물이나 석유가 곧 국가 재산이나 다름 없기 때문에 농업은 오아시스 근처에서 행하고 있다. 몇십년 내에 석유가 고갈될 것으로 보는 언론인들이 있다. 그래서, 사우디아라비아 당국에서도 태양열 에너지등의 대체 에너지 자원 개발을 연구 중이라고 한다.

[편집] 바깥 고리

아시아의 나라 아시아 대륙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속령
마카오5 | 홍콩5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