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준(李儁, 1859년 1월 21일 ~ 1907년 7월 14일)은 헤이그 밀사 사건의 밀사 중 한 명으로, 1907년 만국평화회의가 개최된 헤이그에 특사로 파견되었다가 사망한 구한말의 우국지사이다. 아호는 일성(一醒)이다.

함경남도 북청 출생이다. 어려서 한학을 익혔고 성장해서는 고향 부근에서 경학원을 설립, 교육 사업에 종사하다가, 상경하여 박영효 등 개화파 인물들과 교유하면서 한성재판소에서 잠시 근무하기도 했다.

1895년 서재필독립협회에 가담해 활동하였으며, 을미사변으로 일본에 망명했다가 돌아왔다. 일본에서는 와세다 대학에서 수학했고, 돌아와서는 다시 독립협회와 감리교의 상동교회에서 활동했다. 당시 상동교회는 전도사 전덕기를 중심으로 개화파 청년들이 많이 모여든 장소였다.

1902년에는 민영환의 비밀 결사 개혁당에 가담했으며, 1904년 공진회 회장을 지냈다. 공진회 활동으로 유배 생활을 한 뒤, 1905년 국민교육회 회장에 취임하고 보광학교, 오성학교를 설립하는 등 교육 계몽 운동에 힘썼다.

1907년 네덜란드의 수도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가 열린다는 소식을 들은 상동교회의 전덕기, 이동휘 등은 고종의 밀사를 파견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고종에게도 동의를 받아 특사로는 이상설, 이위종과 함께 이준이 정해졌다.

이준은 고종의 신임장을 들고 만주의 이상설, 러시아의 이위종과 차례로 합류하여 헤이그로 향했다. 그러나 을사조약 체결이 일본에 강제에 의한 것이었음을 폭로하려 했던 계획은 일본과 영국의 방해로 뜻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이준은 헤이그에서 객사했는데, 울분을 못 이겨 앓다가 사망한 병사로 알려져 있다. 장지연의 《위암문고(韋庵文稿)》등에서 묘사한 바에 따라 오랫동안 그가 할복 자살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당시 일제의 억압에 대한 반일적 분위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준이 영웅화되면서 항일 의식을 북돋기 위한 할복 자살설이 떠돈 것으로 판단된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 받았으며, 유해는 본래 헤이그에 묻혀 있다가 1963년 봉환되었다.

서울 장충단 공원에 동상이 세워져 있고, 헤이그에는 이준 열사 기념관이 건립되어 있다.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