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법은 언어의 사용과 관련된 규칙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어느 특정 언어와 관련된 규칙들을 그 언어의 문법이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각 언어마다 고유의 문법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문법은 언어의 총체적 연구인 언어학의 일부분이다.
언어학의 하부분야로는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의미론, 화용론등이 있고, 문법은 이 모두를 다룬다. 언어학 외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문법은 구문론을 의미하는 경향이 있다.
[편집] 문법의 종류
- 규정 문법은 특정 언어에 대한 규범을 제시하며, 비표준적인 구문은 지양한다. 규정 문법은 보통 언어집단에서 위세를 지닌 사람들의 방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집단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예를 들면 짜장면, [효꽈], "그리구여" 등등)을 특정하여 비난하곤 한다. 규정 문법은 외국어 교육과 같은 분야에서는 흔히 보이지만, 현대 언어학계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언어 사용의 일부분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 기술 문법은 실제의 언어사용을 기록하며, 규정적 가치판단은 유보하려 한다. 기술 문법은 특정 언어 집단을 다루면서, 그 집단 내부에서 문법적으로 옳다고 여기는 모든 발화에 대해 규칙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한국어의 방언 중 다수에서 두음 경음화 현상은 매우 흔히 찾아볼 수 있지만, 규정적인 한국어 문법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옳지 않은 현상이다. "짜장면"이 바르다고 생각하는 언어 집단에 대한 기술 문법은 "짜장면"이 문법적으로 옳다고 여길 것이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규칙을 마련할 것이다. 격식있는 한국어에 대한 규정 문법은 "자장면"에 대한 규칙을 마련할 것이다.
- 형식 문법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해 정확하게 정의된 문법이다.
- 생성 문법은 자연어의 바른 표현을 "생성"할 수 있는 형식 문법이다. 생성 문법은 언어학 이론의 한 분야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생성 문법은 노엄 촘스키로 인해 유명해졌다. 생성 문법은 변형 문법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촘스키식 방법으로 형성된 자연어 문법을 주로 의미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변형 문법은 약간 더 구체적인 용어인 변형생성 문법과 보통 동의어이다.
![]() |
이 문서는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