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Lietuvos Tarybų Socialistinė Respublika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
|||||
표어: 리투아니아어:Visų šalių proletarai, vienykitės! (전 세계의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 |
|||||
![]() |
|||||
수도 | 빌뉴스 | ||||
공용어 | 사실상 리투아니아어와 러시아어 | ||||
당 서기장 | Vytautas Landsbergis (독립 당시) | ||||
소련에 합병 In the 공화국: - Since - 독립 |
1940년 7월 21일 1940년 8월 3일 1990년, 3월 11일 |
||||
면적 - 합계 - 내수면 비율 (%) |
소련 내 11위 65,200 km² 없음 |
||||
인구 - Total (1989년) - 인구밀도 |
소련 내 11위 3,689,779명 56,6/km² |
||||
통화 | 루블 (rublis) | ||||
시간대 | UTC + 3 | ||||
국가 | 리투아니아 SSR 국가 |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공화국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리투아니아어: Lietuvos Tarybų Socialistinė Respublika, 러시아어: Литовск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은 리투아니아가 소련의 일부였을 때의 명칭이다.
1918년에 독립했던 리투아니아는 1940년 소련에 흡수되었으나, 1990년에 독립했다(이 나라가 독립한 지 1년이 지난 뒤에는 소비에트 연방마저도 해체디었고, 독립국가연합에 가입하지 않았다).
목차 |
[편집] 당 서기장
- 이 부분의 본문은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당 서기장입니다.
[편집] 역사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이었던 이 나라가 소련에 불법 점령을 당하였고 1990년 3월 11일에 독립을 되찾았다.
[편집] 지리
[편집] 당시 언어
[편집] 당시 주민
1970년에 주민조사에서 리투아니아인이 (80.1%), 8.6%가 러시아인, 7.7%가 폴란드인, 1.5%가 벨라루스인, 0.8%가 우크라이나인이었다. 이외에도 라트비아인, 타타르족, 유대인과 기타가 거주하고 있었다.
[편집] 문화
[편집] 바깥 고리
소비에트 연방의 공화국 |
---|
그루지야 SSR | 라트비아 SSR | 러시아 SFSR | 리투아니아 SSR | 몰도바 SSR | 벨로루시 SSR | 아르메니아 SSR | 아제르바이잔 SSR | 에스토니아 SSR | 우즈베크 SSR | 우크라이나 SSR | 카자흐 SSR | 키르기스 SSR | 타지크 SSR | 투르크멘 SSR
단명한 공화국: 카렐리야-핀란드 SSR (1940 - 1956) | 자카프카스 SFSR (1922 - 19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