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숙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 숙종
[[그림:{{{그림}}}|200px]]
재 위
1674년 ~ 1720년
왕 비 인경왕후
인현왕후
인원왕후
황 후 {{{황후}}}
왕 후 {{{왕후}}}
부 군 {{{부군}}}
앞선 왕 현종
다음 왕 경종
조선의 제19대 국왕

숙종(肅宗, 1661년 - 1720년)은 조선의 제19대 군주이다. 는 순(焞), 는 명보(明普), 시호는 숙종현의광윤예성영렬유모영운홍인준덕배천합도계휴독경정중협극신의대훈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肅宗顯義光倫睿聖英烈裕謨永運洪仁峻德配天合道啓休篤慶正中協極神毅大勳章文憲武敬明原孝大王). 현종(顯宗)과 명성왕후(明聖王后) 김씨(金氏)의 아들이다.

목차

[편집] 생애

1661년 8월 15일에 태어나 1667년 왕세자에 책봉되고 1674년 8월에 즉위하였다.

재위 기간 중에 남인과 서인의 당파 대립 관계가 치열해지고, 1680년대에는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리되어 이들도 서로 당파 싸움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느 한 당파가 다른 당파를 완전히 몰아내고 1당 정치를 하는 환국(換局) 정치가 주된 현상이 되었다. 그 와중에서 희빈 장씨(禧嬪張氏 : 장희빈) 문제, 그 소생인 왕세자(경종) 문제, 왕세자의 이복 동생 연잉군(延礽君 : 영조) 문제가 잇달아 중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무덤은 서오릉 중 하나인 명릉(明陵)이며, 인현왕후, 인원왕후와 함께 묻혀있다.

[편집] 업적

흔히 숙종의 치세를 일컬어 환국정치라고 일컫는다. 그도 그럴 것이 숙종의 재위기간에서만 정계가 한없이 치열하여 무려 3번의 환국이 있었기 때문이다. 숙종은 환국으로 정권을 교체하는 방법으로 붕당 내의 대립을 촉발시켜 신하들 간 정쟁이 격화될수록 그와 동시에 왕권을 강화시켜 군주에 대한 충성심을 유도하였다.

숙종은 환국정치를 통해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민생 안전과 경제 발전에 상당한 업적을 남겼다. 대동법을 전국 단일법으로 만드는 공납개혁을 단행하였다. 또 상업이 성장하자 상평통보(常平通寶)를 통용시켜 통화량을 늘리는 상업개혁을 추진하였으며 동시에 오랜 전쟁으로 부진하던 양전사업을 마무리 짓는데 성공하였다. 그리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후 혼란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 사회를 전반벅으로 수습하고 재정비를 하여 안정기를 구가하는 치적을 남겼다.

노산군(魯山君)을 복위시켜 단종(端宗)으로 묘호를 올리고 사육신을 복관시켰으며 폐서인(廢庶人)되었던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 강씨를 민회빈(愍懷嬪)으로 복위시켰다. 〈선원록 璿源錄〉·〈대명집례 大明集禮〉 등을 간행하고, 〈대전속록 大典續錄〉·〈신증동국여지승람 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을 편찬하였다.

청나라와의 국경 문제는 1712년 함경 감사 이선부(李善溥)로 하여금 백두산에 정계비(定界碑)를 건립하게 하였다. 일본에는 통신사(通信使)를 세 차례나 파견(1682, 1711, 1719)하여 왜은(倭銀) 사용 조례를 확정함으로써 왜관 무역(倭館貿易)을 정비시켰다.

그러나 숙종의 왕권강화정책은 오직 숙종처럼 정치세력들을 철저히 이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기에 그의 사후 절대왕권은 숙종의 치세에서만 끝이 나, 숙종처럼 강력한 왕권을 가진 임금은 나오지 않게 된다.

[편집] 가계

[편집] 읽어보기

조선대한제국역대 국왕
조선: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대한제국: 고종 | 순종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