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1950년 6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전쟁 당시 조선인민군1950년 6월 28일 서울을 점령한 뒤 6월 30일까지 한강을 건너 남쪽으로 이동하지 아니한 것에 대한 논란이다.

1950년 6월 28일 새벽 조선인민군의 탱크가 서울 중심부에서 목격되었다. 그러나 조선인민군은 전세가 유리함에도 불구하고,6월 30일이 될 때까지 한강을 건너지 않았다. 이렇듯 서울에서 3일간 머물렀다는 사실에 대해 북조선의 전쟁계획이 남조선 전역을 점령하려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가설이 있다. 즉 조선인민군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만 점령함으로써 전쟁을 끝내려 했다는 것이다. 이를 '제한전쟁설'이라 부르기도 한다.[1]

하지만, 인민군이 서울에서 3일간 머무른 사실에 대해서 공산주의에 동조하는 민중봉기가 일어날 것을 기대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즉, 민중들이 공산주의 운동을 일으키면, 이를 기반으로 남조선을 '해방'시키고자 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민중봉기기대설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수상인 박헌영라디오 방송을 통해, 산업을 마비시키기 위한 파업을 선동한 것이 그 상황증거로 본다. 무엇보다도 북조선에 비해 남한에서 조선공산당남로당공산주의 운동이 활발했던 점과 지주와 소작인간의 대립이 심했다는 점도 북조선 지도부가 공산주의 봉기가 민중들에 의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게 했다. 하지만 유상몰수, 유상분배라는 단점에도 불구, 토지개혁으로 계급갈등은 어느정도 해소된 후였고, '남조선'의 공산주의 운동도 과격성으로 인해 사실상 몰락한 뒤여서 북조선 지도부가 기대한 민중봉기는 일어나지 않았다[2]

러시아 국방부의 군사연구소 연구원 이고르 파포프는 입증 문서는 없다는 걸 전제하면서도 "스탈린은 미국이 굴욕적인 패배를 당하면 원자무기를 사용할지 모른다고 우려해서 김일성의 부산 돌진을 저지시켰다"는 견해를 제시한다.[3]

[편집] 주석

  1. 조선인민군은 전세가~:박태균, 《한국전쟁》 (책과함께, 2005년)
  2. 이덕일,이희근 지음, 《우리역사의 수수께끼》2권, (김영사, 1999년)
  3. 장행훈, 〈소, 미핵(美核)의식 '부산공격'저지:'6·25' 42주 … 러시아 군사연 파포프 연구원 특별인터뷰〉《동아일보》(1992.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