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통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편집] 역학

응급실에 내원하는 성인 중의 복통호소 비율 44/1000 (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stics)

[편집] 병태생리

  • 내장성 통증

내장이나 고형 장기의 벽에 있는 신경말단의 신전(대부분), 장기의 초기허혈, 염증반응 태생학적 기원이 같은 장기에서 국소화 foregut(, 십이지장, 간담도계): 심와부 통증 midgut(소장, 충수돌기, 결장): periumbilical pain hindgut(대장, 복강 내 비뇨생식기): 하복부 통증 복강내 장기들은 대칭적인 신경지배를 받으므로 해부학적 위치가 Rt.이건 Lt.이건 중심부 통증을 호소 (예: appe의 경우 초기에 periumbilical pain)

  • 신체성 통증

통증 자극의 바로 위 부분의 감각지배 영역에 위치가 한정 기저 질환의 진행에 EK라 내장성 통증은 신체성 통증의 압통과 근성방어 등의 증상 나타냄 연관통 손상기관과 같은편에 위치 발생학적 기원에 따른 통증유형보임(예: 급성 요로 폐쇄에 의한 통증시 동측 고환통) 임상양상

[편집] 분류

  • intraabdominal

88gastrointestinal: appe, biliary tract ds, small bowel obstruction, pancreatitis, diverticulitis

    • genitourinary: renal colic, acute urinary retention, acute scrotum
    • gynecologic: PID, ectopic pregnancy
    • vascular: abd. aortic aneurysm, mesenteric ischemia, ischemic colitis
  • extraabdominal
    • cardiovascular
    • abdominal wall: hernia, other abd. wall SDs
    • toxic-metabolic: toxic(infectious, poisonings), metabolic
    • neurogenic
    • nonspecific abd. pain(응급실 내원환자중 가장 많은수 차지)

[편집] 병력상의 특징

  • 통증의 성질 위치, 양상, 정도, 시작시간, 지속 시간, 악화 또는 완화 요인,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

연관증상

    • 소화기 계통 : 식욕부진. N/V, --non specific
    • 비뇨생식기 계통 : 배뇨기능의 변화(배뇨곤란, 빈뇨, 혈뇨 잔뇨감, 요실금)
    • 부인과 계통: 생리, 성교방법, 질 분비물, 최근의 성교통, 임신횟수, 분만횟수, 유산,
    • 자궁외 임신, 물혹, 섬유종, 골반내 염증 복강경수술여부
    • 혈관 계통: 특히 노인환자에서 MI, 허혈성 심질환, 심근이상, AF, 항응고제상용, CHF, 말초혈관질환, 대동맥류의 가족력

과거병력 이학적 진찰 일반적 요소 복통의 정도는 질환의 경중과는 무관(예: 초기의 장간막 허혈은 막연한 복부 불쾌감) 내장성 통증의 특성을 갖는 산통의 경우 가만히 누워있지 못하지만, 복막염환자들은 움직이지 않으려 한다.

[편집] 생체징후

누운 상태에서 앉아 1분 후 맥박이 30회 이상 증가 or 실신--1L 의 혈액부족, 3L의 등장성 용액의 투여필요 혈압의 변화는 심박출량 유지위한 빈맥으로 보상못할 때 나타나는 후기의 변화이다 복부 시진 : 공기 또는 액체에 의한 팽만의 여부, 흉터, 종괴 청진 : 장음감소나 소실은 임상적으로 유용하지못함(소화성궤양천공 1/2에서 정상 or 증가) 소장폐쇄때 증가된 장음만이 임상적 유용성있음(but 25%에서는 감소 or 소실) 촉진 : 2-3개의 손가락으로 통증부위에서 먼 곳으로부터 부르럽게 만짐 자발적인 복부 근육 강직 완화 - 무릎구부림, 환자손으로 배 누름 최근의 연구에서 몇몇 저자들은 cough pain과는 달리 RT는 무가치결론(비특이적놀람 반응)

  • 급성복통의 원인 : 비특이적복통(34%), 충수돌기염(28%), 담도질관(10%)
  • 50세 이상: 담도질환(21%), 비특이적복통(16%), 충수돌기염(15%)

일반혈액검사 : WBC 11000이상시 appe 확률2배, 이하시 확율 1/2

[편집] 진단

장기에 따른 복강내 진단 소화기계

  • 맹장염

충수돌기염 배제 : RLQ pain 없음, 이전의 유사통증, 전형적인 RLQ로의 통증이동 없음 임상적으로 충수돌기염을 배제하는 것은 없어야 하는 증상혼합 or 상대적으로 강하게 의심되는 다른 진단이 있어야 설득력이 있다.

  • 간담도계질환

응급실 50세 이상에서 가장 흔함 많은 수가 fever 없었고 40%에서 leukocytosis 없었다 식사 후 등쪽으로 방사되는 상복부 통증(but 1/3이상의 환자는 단지 RUQ pain, 2/3은 RUQ 압통, 나머지 대부분은 상복부 미만성통증)

  • 소장폐쇄

이전의 복부 수술, 이따금씩 콕콕 쑤시는 듯한 통증, 복부팽만, 장음증가

  • 급성 췌장염

80%가 술과 담석때문, 꾸준히 그리고 점점 심해지는 통증, 구토 적은경우에서만 통증이 해부학적 위치에 국한, 반수가 상복부을 넘어서 존재( 염증을 한정짓는 막의 부재, 복부 깊숙한 위치, 후 복막을 포함하는 병리를 국소화 시키기 힘듬) 정상 혈중 lipase의 위 한계치의 두배를 양성 검사로 정함으로서 amylase보다 두배 정확

  • 게실염

동통은 하복부 또는 LLQ에 한정되는 경우가 일반적 비뇨생식기

  • 신산통=요관결석, 신결석

한쪽 방향의 옆구리, 갑자기시작, 쿡쿡 쑤시는 통증, 서혜부로 방사, 혈뇨. 요방광접합부의 stone은 RLQ or LLQ pain

  • 급성뇨긴장

하복부 동통과 중앙 복부의 덩어리(방광팽만)--도뇨관삽입

  • 급성음낭

진단의 전략의 초점은 고환의 경색확인하고 제외 염전보다 부고환염에 맞는 특징으로는 열, 오한, 배뇨불편감, 농뇨 고환자체와 분리, 뒤쪽이 부어있고, 동통부 고환의 통증의 지역한정

부인과적통증

  • PID
  • 비정상적인 질 분비물
  • 자궁외임신

파열된 자궁외 임신시 복통이 전체적으로 나타남

  • 혈관성 복통
  • 복부 대동맥류

저혈압, 복통, 등쪽통증, 박동성 복부종괴 (but 3/4이상에서 정상혈압) 복부의 통증과 압통이 없는 경우 우복강으로 실혈을 의미

  • 장간막허혈증

연령과 연관된 이행률,소장허혈시간은 2-3시간,초기증상은 압통이 없이 국소화되지 않는 내장성통증, 경색이 생기면 통증은 순간적으로 감소

  • 허혈성대장염

노인, 전반적인 or 하부의 복통(80%), 설사(60%), 종종 혈변

  • 복강외적인 요인
  • 심폐계통의 요인

상복부 통증 호소시 특히, 압통의 유무와 관계없이 우상복부나 좌상복부에 국한된 통증시 폐실질이나 흉막의 병변여부위한 검사 필요 심와부통증시 심질환 병력청취와 심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