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된 군주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역사를 통해서, 군주제(君主制)는 쿠데타나 전쟁 등을 통해서 폐지되어 왔다. 20세기 들어서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터키 등은 1차 대전 뒤에 군주제가 폐지되었고, 불가리아, 알바니아, 이탈리아, 루마니아 등은 2차 대전 후에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1918년 핀란드와 리투아니아에서는 군주제가 계획되었으나, 독일이 1차 대전에서 패전하자 무산되었다. 인도, 탄자니아, 남아프리카 등은 영국으로부터 독립 후 얼마 뒤에 군주제를 폐지했다. 아일랜드는 1920년대에 영국에서 독립하였으나 1948년에 공화정이 되었다. 군주제가 폐지된 가장 최근의 예는 1979년 회교도 혁명에 의해 폐지된 나라인 이란이다.
1997년 알바니아에서는 군주제 부활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가 실시되었으나 1:2로 부결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99년에 군주제의 폐지를 묻는 국민투표가 실시되었으나 캔버라시를 제외한 모든 시에서 군주제 폐지를 반대하였다. 근래 발칸 반도의 나라들에서는 군주제 부활 움직임이 있다. 사실 1946년에 폐위된 불가리아의 전왕 시메온 2세가 불가리아의 전 총리였기 때문이다.
목차 |
[편집] 19세기 후반에 군주제가 폐지된 나라
- 파르마 공국, 1859년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
- 토스카나 대공국, 1860년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
- 양시칠리아 왕국, 1860년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
- 모데나 공국, 1860년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
- 하노버, 1866년 (프로이센에 합병)
- 헤센-카셀, 1866년 (프로이센에 합병)
- 헤센-홈부르크, 1866년 (프로이센에 합병)
- 나사우, 1866년 (프로이센에 합병)
- 멕시코,1867년 (1864년 합스부르크 왕가의 황제가 들어섬)
- 프랑스 (보나파르트 왕조), 1870년
- 타히티 제도, 1880년~1888년 (프랑스에 의한 식민지화)
- 미얀마, 1886년 (영국에 의한 식민지화)
- 브라질, 1889년 (쿠데타)
- 하와이, 1893년 (쿠데타)
- 마다가스카르, 1895년 (프랑스에 의한 식민지화)
[편집] 20세기에 군주제가 폐지된 나라
- 세르비아 왕국, 1908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합병)
- 대한제국, 1910년 (일본의 강제 병합)
- 포르투갈, 1910년 (쿠데타)
- 청 제국, 1912년 (신해혁명에 의해 중화민국으로 바뀜)
- 러시아 제국,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폐위됨)
- 독일 제국, 1918년 (패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1918년 (패전)
- 헝가리, 1918년 (국왕이 없이 1920년 부활하였으며 호르티가 섭정이 됨.)
- (핀란드, 1918년 - 실효 없음)
- (리투아니아, 1918년 - 실효 없음)
- (폴란드, 1918년 - 실효 없음)
- 오스만 제국, 1922년 (칼리프 제도는 1924년에 폐지됨)
- 유고슬라비아, 1941년 - 나치 독일에 점령당하여 여러 국가로 분열됨.
- 아이슬란드, 1944년 (1918년부터 덴마크와 동군연합이었음)
- 베트남 (阮왕조), 1945년
- 이탈리아, 1946년 (국민 투표)
- 헝가리, 1946년 (공산화)
- 알바니아, 1946년 (공산화)
- 루마니아, 1947년 (소련에 의해 왕이 폐위됨)
- 불가리아, 1947년 (소련에 의해 왕이 폐위됨)
- 이집트, 1953년 (쿠데타)
- 튀니지, 1957년 (공화국 선언)
- 이라크, 1958년 (쿠데타)
- 예멘, 1962년 (1970년까지 내전이 일어남)
- 잔지바르, 1964년 (탄자니아에 병합)
- 부룬디, 1966년 (쿠데타)
- 몰디브, 1968년 (공화국 선언)
- 리비아, 1969년 (군사 쿠데타)
- 그리스, 1973년 (쿠데타, 1974년 국민 투표로 공화국이 됨)
- 아프가니스탄, 1973년 (공산 쿠데타)
- 에티오피아, 1974년 (공산 쿠데타)
- 라오스, 1975년 (내전)
- 이란, 1979년 (이슬람 혁명)
[편집] 영연방 내에서 군주제를 폐지한 나라
영연방 내에서 영국 여왕을 모시는 대신에 공화제를 택한 나라는 다음과 같다.
- 인도, 1950년
- 파키스탄, 1956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 (당시 남아프리카 연방), 1961년
- 몰타, 1974년
- 트리니다드토바고, 1976년
- 피지, 1987년 (쿠데타)
- 모리셔스, 1992년
[편집] 폐지된 군주제가 부활한 나라
- 에스파냐 - 1931년 폐지, 1975년 부활 (후안 카를로스 1세는 에스파냐 내의 위협적인 세력을 제거하였고 국민 안정에 힘썼다)
- 캄보디아 - 1960년 폐지, 1993년 부활
- 우간다는 중앙 정부가 공화정이지만 각 지방의 몇몇 왕국들은 1967년에 폐지되고 1993년에 다시 부활했다. 부간다, 토로, 부뇨로, 안콜레 등이 있다.
[편집] 군주제가 부활하기를 바라고 있는 나라
1. 불가리아 (불가리아의 전 총리 시메온 2세가 있었다)
현재 발칸 반도 국가에서는 군주제 부활을 기도하는 움직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