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國家保衛非常對策委員會, 약칭 국보위)는 1979년 12·12 군사 반란을 일으킨 전두환의 신군부가 설치한 임시 행정 기구이다.
신군부는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광주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면서, 5월 31일 대통령 최규하를 위원장으로 하는 국보위를 출범시켰다.
국보위는 13개의 분과위원회가 설치된 상임위원회가 실질적인 실세 기구였으며, 보안사령관 겸 중앙정보부장 서리였던 전두환은 상임위원장을 맡으며 권력 인수를 명시화했다.
그해 8월 최규하가 하야하고 전두환이 새 대통령에 선출된 뒤, 10월에 입법권을 가진 국가보위입법회의로 개편되었다.
[편집] 국보위 위원 명단
[편집] 당연직 위원
- 대통령: 최규하 (위원장)
- 국무총리 서리: 박충훈
-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김원기
- 외무부장관: 박동진
- 내부부장관: 김종환
- 법무부장관: 오택근
- 국방부장관: 주영복
- 문교부장관: 이규호
- 문공부장관: 이광표
- 중앙정보부장 서리: 전두환
- 대통령비서실장: 최광수
- 계엄사령관: 이희성
- 합동참모회의 의장: 유병현
- 육군참모총장: 이희성 (겸)
- 해군참모총장: 김종곤
- 공군창모총장: 윤자중
- 국군보안사령관: 전두환 (겸)
[편집] 임명직 위원
- 백석주 (육군 대장)
- 김경원 (대통령 특보)
- 진종채 (육군 중장)
- 유학성 (육군 중장)
- 윤성민 (육군 중장)
- 황영시 (육군 중장)
- 차규헌 (육군 중장)
- 김정호 (해병 중장)
- 노태우 (육군 소장)
- 정호용 (육군 소장)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