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차형 새마을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차형 새마을호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용하는 여객 동차의 이름이다. 영어로는 Diesel Hydraulic Car로 쓰며, 편성의 앞과 뒤에 기관이 있어 Push-Pull로도 부른다.

첫 번째 동차형 새마을호는 1987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새마을호 열차의 속도 향상을 위해 도입되었다. 이후 1994년까지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정공에서 차량을 반입하여 운용중이다.

목차

[편집] 기술 사항

[편집] 편성 정보

동차형 새마을호 차량은 열차의 편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편성 안에서의 차량 번호가 일정하지 않다. 대부분 여객에 투입되는 차량은 7량 1편성 또는 8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 차량 제원

  • 궤간 : 1435mm
  • 최급구배 : 35/1000
  • 최대 속도 : 150Km/h
  • 가속도 : 0.591Km/h/s(D형), 0.62Km/h/s(H형)
  • 감속도 : 3.31Km/h/s
  • 엔진 : MTU 16V 396TC14
  • 견인출력 :1,980HP
  • 동력전달방식 : 디젤-액압식
  • 제동방식 : KbrXI전동식 공기제동
  • 차체재질 : 스테인리스강 전용접구조

[편집] 함께 보기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