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라브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자라브어
مُزَرَب muzarab
지역 이베리아 반도
사멸 중세 시대말기
언어의 계통 인도유럽어족
 이탤릭어파
  로망스어군
   서 이탈로어
    피레네-모자라브어
     모자라브어
언어 부호
ISO 639-1 (없음.)
ISO 639-2: roa
ISO/DIS 639-3: mxi

모자라브어는 알안달루스 시절이었을 때, 사용되었던 이베리아로망스어족에 속했던 언어였다. 대부분의 로망스어족과는 달랐고, 라틴 문자보다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모자라브어는 9세기에 최초로 기록되었다. 모자라브어로 기록된 음악 제목을 무와시샤(muwashshah)라고 불렸다.

모자라브어는 포르투갈어, 에스파냐어, 발렌시아어에서 차용한 말들이 많이 있다. 많은 단어들이 안달루시아 구어체 아랍어에서 유래되었다. 포르투갈어에서는 모자라브어의 방언이 Lusitano-moçarabe였다.

문화적인 면에서 모자라브어는 라틴어에서 영향을 받았다.

[편집] 간단한 문서 (11세기)

모자라브어: 에스파냐어: 포르투갈어: 영어: 한국어 번역:

Mio sîdî ïbrâhîm
yâ tú uemme dolge
fente mib
de nohte
in non si non keris
irey-me tib
gari-me a ob
legar-te

Mi señor Ibrahim,
¡oh tú, hombre dulce!
vente a mí
de noche.
Si no, si no quieres,
iréme a ti,
dime a dónde
encontrarte.

Meu senhor Ibrâhim,
ó tu, homem doce!
vem a mim
de noite.
Senão, se não queres,
ir-me-ei a ti,
diz-me onde
te encontro.

My lord Ibrahim
oh you sweet man
Come to me
at night.
If not, if you don't want to,
I will go to you,
tell me where
to meet you.

[편집] 참조

[편집] 바깥 고리

로망스어군 편집하기

가스콩어(아란어) | 갈로어 | 갈리시아어 | 건지어 | 나폴리어 | 노르만어 | 달마티아어 | 라디노어 | 라딘어 | 랑그도크어 (렝가도크어)
로레토유카얄리 에스파냐어 | 로망슈어 | 로망스어 | 롬버드어 | 루마니아어(몰도바어, 블래취어)| 리구르어 | 리무쟁어 | 메글렌루마니아어
모나코어 | 모자라브어 | 미란다어 | 베네치아어 | 부르기뇽어 | 사르드니어 | 샹파뉴어 | 샹프어 | 시칠리아어 | 아라곤어
아르피트어(프랑크프로방스어) | 아로메니아어 | 아스투리아스어(아스투르레오넨어) | 에밀리아어(에밀리아로마냐어)
에스트레메뉴어 | 에스파냐어(카스티야어) | 오베르냐어 | 오크어 | 왈론어 | 유대이탈리아어 | 이스트리아어 (이스트리오트어)
이탈리아어 | 유대프로방스어(슈아디트어) | 저지어 | 차르파트어 | 카탈루냐어 (발렌시아어, 벨라어) | 코르시카어(갈류어, 사사레스어)
팔라어 | 포르투갈어 | 포이티뱅상통그어 | 프랑스어 (카준 프랑스어) | 프랑콤어 | 프로방스어 | 프리울리어 | 피에몽트어 | 피카르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