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이스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Esperanto flag
에스페란토
언어
에스페란토 | 문법 | 문자 | 어원
역사
역사 | 자멘호프 | 프로토 에스페란토 | 제1서 | 푼다멘토 | 블로뉴 선언 | 프라하 선언
문화
문화 | 에스페란티스토 | 에스페란투요 | ITV | 라 에스페로 | 자멘호프의 날
활동
UEA | 아미케짜 레타 | 파스포르타 세르보 | TEJO | 세계 대회 | 청년 대회
교육
위키백과 | 레르누 넷 | 쿠르소 데 에스페란토
비판과 개선안
비판 | 리이스모 | 에스페란티도 | 이도 | 에스페란토 센 차펠로이 | 에스페란토 센 플렉시오
관련 문서
국제어 | 인공어 |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 | 로즈아일랜드 공화국

리이스모(Riismo)는 양성평등관점에 의해 만들어진 에스페란토 수정안의 한 형태이다.

[편집] 바뀌는 점

'Prezento de Riismo'(프레젠토 데 리이스모)에 따르면:

  • 대명사 ri가 대명사 liŝi를 대처한다.
  • 접미사 -iĉ-를 접미사 -in-와 대등하게 사용한다. 이 두 접미사는 특별히 필요로 할때만, 성(性)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다.
  • 성을 나타내는 접미사 -iĉ-또는 -in-를 사용하지 않은 모든 명사는 중성(양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혼동을 초래할 수 있을 때에는, 중성을 나타내는 접두사 ge-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dentisto(의사)는 dentistiĉo(남의사)또는 dentistino(여의사)를 나타낸다. (ge)patro(부모)는 patriĉo(아버지) 또는 patrino(어머니)를 나타낸다.

[편집]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