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 선조 | |
---|---|
[[그림:{{{그림}}}|200px]] | |
재 위 | |
1567년 ~ 1608년 | |
왕 비 | 의인왕후 인목왕후 |
황 후 | {{{황후}}} |
왕 후 | {{{왕후}}} |
부 군 | {{{부군}}} |
앞선 왕 | 명종 |
다음 왕 | 광해군 |
조선의 제14대 국왕 |
선조(宣祖, 1552년-1608년)는 조선의 제 14대 임금이다. 휘는 연(蚣), 시호는 선조소경정륜립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천희운경명신력홍공융업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宣祖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景命神曆弘功隆業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 중종의 손자이며 조선 명종의 조카이고, 덕흥대원군과 하동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 정씨(鄭氏)의 아들이다.
목차 |
[편집] 생애
하성군(河城君)에 봉해졌다가 1567년 명종이 후사 없이 서거하자 명종의 유언에 따라 15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후궁에게서 태어난 서얼 출신이 왕위에 오른 첫 번째 사례였다. 이것은 그만큼 왕실의 권위가 실추하는 것을 예고하는 것으로 41년이라는 재위기간 동안 선조의 가장 큰 열등감이었다.
왕위에 오른 그는 이황, 이이 등 사림을 대거 중용하였다. 이를 통해 시작된 사림 정치는 전자의 학문을 기반으로 김효원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모인 동인, 후자의 학문을 기반으로 심의겸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모인 서인으로 분리되어 라이벌을 이루니 곧 붕당정치가 시작되었다.
선조는 선정(善政)을 베풀려고 많은 노력을 하였다. 특히 《유선록(儒先錄)》, 《근사록(近思錄)》, 《심경(心經)》, 《삼강행실(三綱行實)》 등과 같은 치도(治道)에 관계되는 책을 편찬하게 하여 백성들에게 유교를 장려하였다. 그리고 기묘사화 때 당쟁으로 억울하게 희생된 조광조를 비롯한 수많은 유학자들을 복권시켰으며, 당시 세도가였던 훈구 대신인 남곤, 윤원형의 관작을 추탈하고 삭훈하여 민심을 안정시켰다.
그러나 1519년 왕세자 책봉 문제로 집권한 동인이 다시 남인과 북인으로 나뉘어 선조 자신도 당파 싸움에 휘말려 들어가 조선의 국력은 날로 쇠약해져 갔다.
1583년과 1587년, 두 차례에 걸쳐 여진족이 경원부에 쳐들어오자 신립에게 군대를 이끌고 나아가 여진족을 토벌하게 하였다.
그 후 일본에서 조선 침략의 기미가 보이자, 선조는 1591년 통신사 황윤길과 부사 김성일을 일본으로 파견하여 일본의 정세를 살피고 오게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자기들 개인의 명예에 급급한 나머지 황윤길은 일본이 장차 침략해 올 것으로 보고를 하고, 김성일은 이와 반대로 전혀 침략의 기미가 없다고 보고를 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선조는 자연스레 국방 대책을 세우지 못한 채 1592년 일본군이 부산 상륙을 시작으로 대대적으로 침공하여 임진왜란(1597년부터 정유재란)이 일어나기에 이르렀다.
당황한 조선 정부에서는 여진족의 침략을 물리친 신립에게 희망을 걸었으나, 그가 충주에서 패하여 전세가 불리해지자 선조는 의주까지 피난을 떠났고, 임해군과 순화군은 각각 함경도와 강원도로 보내어 근왕병(勤王兵)을 모집하게 하였다. 백성들은 선조 이하 왕족들과 조정 대신들이 피난길에 오르자 분개하여 길을 막고 소리치며 비판을 하였다. 두 왕자들이 함경도와 강원도에서 근왕병을 모집하였으나, 모병에 응한 자는 거의 없어 왕자들은 결국 일본군의 포로가 되고 말았다.
의주로 피난간 선조는 명나라에 원병을 요청하는 한편, 왕세자로 책봉한 광해군에게 의병과 군사, 식량을 모으도록 하였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이순신이 해전에서 연전연승하고, 육전에서는 곽재우 등의 의병들의 궐기와 명나라의 참전이 합세하여 1593년 10월, 선조는 서울로 환도하게 되었다. 1598년 드디어 조선의 승리로 전쟁의 막이 내려졌다.
전후에는 전쟁 피해의 복구에 주력하였으며 1604년 사명당을 일본에 보내어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협상하고 전쟁 중에 포로로 압송돼갔던 사람들을 데리고 오게 하였다.
그러나 조정 대신들은 동인, 서인, 북인, 남인 등으로 서로 나뉘어 그 싸움이 날로 치열해져만 가서 선조는 왜란과 당쟁의 틈바구니에서 평생동안 큰 시련을 겪어야 했다.
[편집] 가계
- 의인왕후 박씨(懿仁王后)
-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 영창대군(永昌大君)
- 정명공주(貞明公主)
- 공빈 김씨(恭嬪)
- 임해군(臨海君)
- 광해군(光海君)
- 인빈 김씨(仁嬪)
- 의안군(義安君)
- 신성군(信城君)
- 의창군(義昌君)
- 정원군(定遠君): 원종
- 정신옹주(貞愼翁主)
- 정혜옹주(靜惠翁主)
- 정숙옹주(貞淑翁主)
- 정안옹주(貞安翁主)
- 정휘옹주(貞徽翁主)
- 순빈 김씨(順嬪)
- 순화군(順和君)
- 정빈 민씨(貞嬪)
- 인성군(仁城君)
- 인흥군(仁興君)
- 정인옹주(貞仁翁主)
- 정선옹주(貞善翁主)
- 정근옹주(貞謹翁主)
- 정빈 홍씨(貞嬪)
- 경창군(慶昌君)
- 정정옹주(貞靜翁主)
- 온빈 한씨(溫嬪)
- 흥안군(興安君)
- 경평군(慶平君)
- 영선군(永宣君)
- 정화옹주(貞和翁主)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국왕 |
---|
조선: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