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분류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통일분류법(統一分類法,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은 공학이나 지질학분야에서 흙을 입자의 크기와 입도분포, 소성성 등의 기준으로 분류하는 체계이다.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토목공학자인 아서 카사그란드 교수가 처음 제안한 뒤 개정을 거쳐 1969년 ASTM에 의해 표준 분류 방법으로 채택되었다.
두 개의 문자를 조합한 기호로 흙을 분류하며, 사용되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문자
- G: 자갈 (gravel)
- S: 모래 (sand)
- M: 실트 (silt)
- C: 점토 (clay)
- O: 유기질 흙 (organic soil)
- 두 번째 문자
- W: 입도분포가 양호함 (well-graded)
- P: 입도분포가 불량함 (poorly-graded)
- M: 소성성이 없음 (non-plastic)
- C: 소성성이 있음 (plastic)
- H: 소성성이 높음 (high plasticity)
- L: 소성성이 낮음 (low plasticity)
- 단독 분류
- Pt: 이탄(peat)
[편집] 분류표
분류 기준 | 토군 기호 | 분류 | |||
---|---|---|---|---|---|
조립토 200번 체에 걸리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상 |
자갈 4번 체에 걸리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상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5 % 이하 | 균등계수(Cu)가 4 이상이고 곡률계수(Cc)가 1 이상 3 이하 | GW |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 |
위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음 | GP |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12 % 이상 | 소성도표의 A선 아래 또는 소성지수(Ip)가 4 이하 | GM | 실트질이 섞인 자갈 | ||
소성도표의 A선 위 또는 Ip > 7 | GC | 점토질이 섞인 자갈 | |||
모래 4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상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5 % 이하 | Cu > 6 이고 1 < Cc < 3 | SW |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 |
위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음 | SP |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12 % 이상 | 소성도표의 A선 아래 또는 Ip < 4 | SM | 실트질이 섞인 모래 | ||
소성도표의 A선 위 또는 Ip > 7 | SC | 점토질이 섞인 모래 | |||
세립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상 |
실트 또는 점토 액성한계(LL)가 50 이하 |
무기질 흙 | ML | 무기질 실트 | |
CL | 무기질 점토 | ||||
유기질 흙 | OL | 유기질 실트 또는 유기질 점토 | |||
실트 또는 점토 LL > 50 |
무기질 흙 | MH | 소성성이 큰 무기질 실트 | ||
CH | 소성성이 큰 무기질 점토 | ||||
유기질 흙 | OH | 소성성이 큰 유기질 점토, 유기질 실트 | |||
유기질 성분이 매우 많은 흙 | Pt | 이탄 |
단, 조립토의 미세 입자(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 비율이 5% 이상, 12 % 이하에 속하거나, 소성도표의 A선 위에 위치하며 4 < Ip < 7인 경우에는 분류 기호를 이중으로 표기하여 분류한다.
[편집] 함께 읽기
- 소성도표
- AASHTO 분류법
[편집] 참고 문헌
- 미국재료시험협회, 1985, D 2487-83, Classification of Soils for Engineering Purposes: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Vol. 04.08, pp 395-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