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Yes0song/작업장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 작업장입니다. 거의 저의 전용 모래상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러분들은 가급적이면 이곳의 글을 편집하지 말아 주시고, 문의 사항이나 지적하실 사항이 있으시다면 사용자토론:Yes0song에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편집] 켈트 인의 나라

en:Celtic nations


나라/지역 현지 켈트어 이름 현재 정치적 지위
맨 섬 맨어: Mannin 영국의 왕실령.
브르타뉴 브르타뉴어: Breizh 브르타뉴 레지옹 프랑스레지옹.
루아르아틀랑티크 데파르트망 프랑스 그림:PLlogo.jpg 페이 드 라 루아르 레지옹의 데파르트망.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게일어: Alba 영국홈네이션.
아일랜드 아일랜드어: Éire 아일랜드 공화국 독립국.
북아일랜드 영국홈네이션.
웨일스 웨일스어: Cymru 영국홈네이션.
콘월 콘월어: Kernow 영국 잉글랜드.

[편집] 한국의 이름

메모: 아래는 각 지역/언어별로 학술적, 공식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용어를 정리한 것임(미완성).

국제
(영어)
Korea Korean
language
Korean
people
Korean
history
Korean
Peninsula
Korea
Strait
South
Korea
North
Korea
North and South
Korea
Western Channel
(of Korea Strait)
Tsushima Strait
남한 한국 한국어 한민족 한국사 한반도 대한해협 남한 북한 남북한
부산해협 쓰시마해협
북한 조선 조선어 조선민족 조선사 조선반도 조선해협 남조선 북조선 북남조선
부산해협 쯔시마해협
(쓰시마해협)
중국 대륙
(조선족)
조선 조선어 조선민족 조선사 조선반도 조선해협 한국 조선 조한
(朝韓)
 ?  ?
중국 대륙
(중국어)
朝鲜
(조선)
朝鲜语
(조선어)
朝鲜族
(조선족)
朝鲜史
(조선사)
朝鲜半岛
(조선반도)
朝鲜海峡
(조선해협)
韩国
(한국)
朝鲜
(조선)
朝韩
(조한)
 ?  ?
대만 韓國
(한국)
韓國語
(한국어)
韓族
(한족)
韓國史
(한국사)
(大)韓半島
((대)한반도)
大韓海峡
(대한해협)
南韓
(남한)
北韓
(북한)
南北韓
(남북한)
 ?  ?
일본 朝鮮
(조선)
朝鮮語
(조선어)
朝鮮民族
(조선민족)
朝鮮史
(조선사)
朝鮮半島
(조선반도)
対馬海峡
(쓰시마해협)
韓国
(한국)
北朝鮮
(북조선)
南北朝鮮
(남북조선)
対馬海峡西水道/朝鮮海峡
(쓰시마해협 서수도/조선해협)
対馬海峡東水道
(쓰시마해협 동수도)
베트남 Triều Tiên
(조선)
Tiếng Triều Tiên
(조선말)
? ? Bán đảo Triều Tiên
(조선반도)
? Hàn Quốc
(한국)
Triều Tiên
(조선)
Triều-Hàn
(조한)
 ?  ?

[편집] 전철역 정보표 개편案

소요산 방면 (129) 종로5가 (130) 종로3가
Jongno 3(sam)-ga
鍾路3街
(131) 종각 인천·천안 방면
대화 방면 (328) 안국 (329) 종로3가
Jongno 3(sam)-ga
鍾路3街
(330) 을지로3가 수서 방면
방화 방면 (533) 광화문 (534) 종로3가 (탑골공원)1
Jongno 3(sam)-ga (Tapgol Park)
鍾路3街 (塔骨公園)
(535) 을지로4가 상일동·마천 방면
1. 역명판에는 '(탑골공원·인사동 문화거리)'로 적혀 있다.


외선 순환 (208) 왕십리 (209) 한양대
Hanyang Univ.
漢陽大
(210) 뚝섬 내선 순환


소요산 방면 (118) 월계 (119) 성북 (광운대앞)
Seongbuk (Kwangwoon Univ.)
城北 (光云大앞)
(120) 석계 인천·천안 방면


소요산 방면 (149) 중동 (150) 송내1
Songnae
松內
(151) 부개 인천 방면
용산 방면 (148) 부천 (150) 송내 (152) 부평 동인천 방면
1. 한국철도공사 안내 방송에는 '(한국폴리텍2대학)'을 부역명처럼 병용하고 있다.


[편집] 향후 작업 계획

[편집] 인큐베이터 분할론

Wikimedia Incubator는 새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공간으로서, 대개 새로 만들 예정인 위키백과를 시험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현재 문제점은 인큐베이터가 모든 '아기'(준비 중인 개별 프로젝트)들을 똑같은 인큐베이터에 넣어 기르려 한다는 것이다. 구미(歐美)권 위키프로젝트들은 좌→우 가로쓰기, 작은 글씨 크기(8~9pt)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현행 인큐베이터도 그런 규격으로 세팅이 돼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언어권의 경우 불편을 초래한다. 한자문화권 언어의 경우 대개 글씨 크기를 11~12pt로 해놓고, 중동(中東)권 언어의 경우 우→좌 가로쓰기로 하기 때문에, 인큐베이터의 규격과 상충된다. 나중에 세로쓰기로만 써야 하는 언어(몽골문자를 사용한 몽골어 표기, 만주어 등)가 위키백과로 만들어진다면 이것도 문제가 될 것이다.

그래서 나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언어별 상황에 따라서 인큐베이터를 3~4개로 늘리는 것이다.

  • 인큐베이터 1(현재 인큐베이터): 작은 글씨, 좌→우 가로쓰기로 설정. (영어 위키백과처럼)
  • 인큐베이터 2(신설): 큰 글씨, 좌→우 가로쓰기로 설정. (한국어 위키백과처럼)
  • 인큐베이터 3(신설): 작은 글씨, 우→좌 가로쓰기로 설정. (아랍어 위키백과처럼)
  • 인큐베이터 4(향후 미디어위키에서 세로쓰기가 가능해질 때 신설): 작은 글씨, 상→하(행갈이는 우→좌) 세로쓰기로 설정.

향후 새로 준비 과정에 들어가는 프로젝트들은, 해당 프로젝트의 언어 사정에 따라 알맞은 인큐베이터를 고르면 된다.

[편집] 다양한 표기법 지원 모임

사용자:Yes0song/다양한 표기법 지원 모임

다양한 표기법 지원 모임(다지모)는 한국어판 위키프로젝트(위키백과, 위키낱말사전 등)에서 다양한 표기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모색해 보는 모임입니다. 여기서 '다양한 표기 지원'이란 현재 한국어판 위키프로젝트에서 압도적으로 준용되고 있는 '대한민국 어문 규정+한글 전용' 뿐만 아니라 '한글+한자 혼용 표기'나 북한 문화어 표기 등도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재 메타에서는 '한국어 한자 혼용판(ko-hanja:) 위키백과'의 신설이 사용자:Jose77 님에 의해 제안된 상태입니다(시험판: incubator:Test-wp/ko-hanja). 그러나 이에 대해서 한자→한글 자동 변환기를 만들어 기존 한국어판에서 한자를 지원하면 되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나온 상태입니다. 저(사용자:Yes0song)는 그 의견을 보고 ‘그렇다면 한번 구체적으로 한국어판에서의 변환기 도입 방안을 연구해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모임을 제안하게 되었습니다.

이 모임이 구체적으로 어떤 입장을 펼 것인지는 토론 페이지에서 논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의 여러 의견을 기다립니다.

[편집] 모임의 공식 의견

이 섹션은 다지모 토론 페이지에서 모임 회원들의 토론을 거쳐 추인된 공식 의견들을 게시하는 곳입니다. 여기서 ‘공식 의견’이란, 한국어판에서 어떤 표기법들을 사용하는 것을 지원하면 좋을지, 또 자동 변환기(automatic conversion)은 어떤 형태로 만들어 달라고 위키미디어 재단 측에 요청하면 좋을지 등에 관한 것입니다.

아직 공식적인 의견이 없습니다. 토론 페이지에서 토론하여 결정하도록 합시다.

[편집] 모임 참가자

아래에 * ~~~~ 형태로 서명해 주시면 모임의 회원이 됩니다.

[편집] 모임 공지사항

[편집] 영문 번역 담당자 모집

만약 자동 변환기 제작을 공식 의뢰할 경우, 메타에 영문으로 제안서를 넣어야 할 것입니다. 이 때 우리의 의견을 영문으로 번역해서 메타에 알리는 역할을 해주실 분을 모집합니다. 영문 번역 담당자의 자격은 1. 다지모의 회원이고 2. 영어 글 작성을 잘 하실 수 있는 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