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밥티스테 륄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이 문서는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 중입니다. 원문은 글 안에 주석 처리되어 있습니다. 같이 번역해 주세요. |
장-밥티스테 륄리(1632년 11월 28일 ~ 1687년 3월 22일)의 본명은 Giovanni Battista Lulli로 이탈리아 태생의 프랑스 작곡가이다. 륄리는 그의 일생 대부분을 프랑스의 왕인 루이 14세를 위해 일했다.
목차 |
[편집] 일대기
륄리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방앗간 주인의 아들, 혹은 그 자신이 주장한 바에 의하면 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한다. (만약 후자라면 그의 이름인 Lully앞에 귀족을 명칭하는 de가 앞에 붙어야 한다)
륄리는 음악이나 다른 과목에서 거의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기타와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춤을 추는데 천부적인 재능을 가졌다. 1946년, 륄리는 Guise의 대공의 눈에 띄여 프랑스로 따라가게 되고, 거기서 식기실의 일꾼으로 몽팡시에 부인(루이 13세의 동생, 루이 14세의 사촌누이)을 위해 일하게 된다. 이점에 대해 논란이 있으나, 사실 륄리는 부인에게 이탈리아어를 가르치도록 고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몽팡시에 부인의 도움으로 륄리의 음악적 재능이 개화된다. 륄리는 음악 이론을 니콜라스 메투르 밑에서 배운다. 그러나 륄리가 지은 후원자에 관한 상스러운 시로 인해 결국 해고된다.
륄리는 1652년 말, 1653년 초에 무용수로서 루이 14세에게 고용된다. 그는 Ballet de la Nuit를 위한 몇몇 음악을 작곡하여, 왕을 크게 기쁘게 한다. 륄리는 왕을 위한 기악곡 작곡가로 임명되어 프랑스 궁정 실내 악단을 지휘하게 된다.
륄리는 루이 14세와 그 자신이 춤을 추던 1650년대와 60년대에 왕을 위한 많은 발레곡을 작곡하였다. 그는 몰리에르의 희극를 위한 음악- Le Marriage forcé (1664), L'Amour médecin (1665), and Le Bourgeois gentilhomme (1670) - 을 작곡하면서 엄청한 성공을 거두었다. 루이 14세는 점차 나이가 들게 들고, 그의 춤실력이 떨어지게 되면서(왕의 마지막 공연은 1670년이였다), 발레에 대한 관심이 점점 사그라들게 되면서, 륄리는 오페라에 종사하게 되었다. 륄리는 장-밥티스테 Colbert와 왕의 후원으로 Pierre Perrin가 오페라에서 누리던 특권을 차지하게 되었다. 새로운 특권은 기본적으로 륄리에게 그가 죽을 때까지 프랑스에서 모든 음악 상연에 관한 통제권을 가져다 주었다.
륄리는 양성애자와 난봉꾼으로 악명높았다. 1662년 그는 륄리의 친구이자 동료 음악가인 Michel Lambert의 딸인 Madeleine Lambert와 결혼했으며, 아내와의 사이에서 10면의 아이를 가졌다. 자신의 높은 지위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종인 Brunet과의 관계를 의기양양하게 과시함에 있어서 일말의 불안감도 없었다. 륄리의 생애는 비록 빛나는 별처럼 높은 지휘에 있었지만, 그의 소년과 여자들과의 애정행각은 여러차례의 스캔달로 번져서, 루이 14세에게 큰 불쾌감을 불러일으킬 정도였으며, 륄리가 '남색가'라고 불릴만큼 유명하게 되었다.
이런 스캔달에도 불구하고, 륄리는 항상 루이 14세의 위엄을 회복하도록 조욜하였다. 왕은 륄리를 자신의 음악적 여흥에 필수적인 사람이고, 그의 몇 안되는 진정한 친구 중 하나로 생각했다. 1681년 륄리는 루이 14세를 위한 궁정 비서로 임명되면서 귀족이 되었다. 그후에 릴리는 자신의 이름인 장-밥티스테 데 륄리라고 적었고고,'륄리 경'으로 불리게 되었다.
1687년 1월 8일 륄리는 루이 14세의 최근의 병상에서의 회복을 기념하기 위해서 데 테움을 지휘하였다.
그 상처는 회저병으로 커져갔으나, 륄리는 발가락을 잘라내는 것을 거부함에 따라, 그 병이 퍼지면서 결국 3월 22일 륄리의 죽음을 야기했다. 륄리는 그의 마지막 오페라인 Achille et Polyxène을 미완성으로 남겼다.
죽음이 가까워진 병상에서 륄리는 'Bisogna morire, peccatore'라고 적었다(넌 죽어야한다. 죄인이여)
[편집] 음악
륄리의 음악은 바로크 음악 중기인 1650–1700년에 위치한다. 일반적인 바로크 음악은 힘을 강조하기 위해서 basso continuo (혹은 간략히continuo)를 사용한다. 프랑스 중기 바로크는 모든 음악에서 예외적으로 도(C)음 위에 라(A)가 가장 낮은 pitch인 392 Hz(현재로는 통상 440 Hz이다)를 사용한다.
륄리의 음악은 힘과 빠른 박자안의 생동감, 그리고 슬픔을 나타내는 악장에서는 깊은 감정의 호소로 유명하다. 륄리의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는 춤곡인 passacaille (passacaglia)와 [[샤콘느]으로 아르미데와 플라톤같이 륄리의 많은 작품에서 보여진다. Sequier 수상의 장례식을 위해 작곡한 [Miserere]]는 뛰어난 작품으로 간주되며, 그의 단조 성가곡 역시 유명하다.
륄리 음악의 영향은 파리 궁정의 춤의 양식에 급진적인 혁명을 양산했다. 그당시까지 유행하던 느리고 위풍당당한 박자대신에, 륄리는 빠른 리듬의 생동감있는 발레 음악을 소개하였다. 그는 관현악의 작곡에서 중요한 개선에 영향을 주었고, 몇몇의 새 음악 악기를 도입시켰다. 륄리는 몰리에르와의 협동으로 연극과 코메디, 발레가 결합된 comédie-ballet라는 새로운 음악 양식을 만들었다.
륄리는 프랑스어가 이탈리아 스타일의 오페라에 맞지 않음을 깨닿고, 프랑스 서정 비극 (tragédie en musique 혹은 tragédie lyrique)를 창조하였다. Quinault안에서 그와 마음에 맞는 시인과 대본작가를 만나게 되면서, 륄리는 많은 오페라와 기타 작품을 작곡하여, 열광적인 호흥을 불러일으켰다. 륄리는 레치타티브와 아리아를 따로 분리하는 이탈리아 오페라 방법을 버리고, 드라마적인 효과를 위해서 그 두개를 합치고, 내용에서 동작을 더 빠르게 해서 프랑스 대중의 취향에 더 부합하게 하였다. 이러한 업적으로 륄리는 프랑스 오페라의 설립자라고 여겨진다.
[편집] 대표 음반 목록
- Amadis, 전주곡과 5막의 서정비극 Hugo Reyne, La Symphonie du Marais, Accord, 3 CD, 2006
- 알테스테, 5막의 서정비극 Jean-Claude Malgoire, La Grande Écurie et la Chambre du Roi.
- Atys, 5막의 서정비극, 윌리암 크리스티와 Les Arts Florissants, Harmonia Mundi, 3 CD, 1987.
- 아르미데, 5막의 서정비극 , 필리페 헤레베헤, Harmonia Mundi, 2 CD.
- Phaéton, 5막의 서정비극 , 마크 민코프스키, Les Musiciens du Louvre, Erato, 2 CD, 1994.
- Persée, 5막의 서정비극 , 크리스토프 루세, Les Talens Lyriques, Naïve, 3 CD, 2001.
- Roland, 5막의 서정비극 , 크리스토프 루세, Les Talens Lyriques, Naïve, 3 CD.
- Isis, 5막의 서정비극, Hugo Reyne, La Symphonie du Marais, Accord, 3 CD, 2005.
- Acis et Galatée, 영웅을 읊은 3막의 목가, 마크 민코프스키, Les Musiciens du Louvre, DG, 2 CD, 1996.
- 11 Petits Motets, 윌리암 크리스티 와 Les Arts Florissants, Harmonia Mundi, 1 CD, 1987.
- Te Deum et Miserere, Jean-François Paillard, Erato, 1 CD, 1976.
[편집] 자료 참조
Scott, R.H.F. Jean-Baptiste Lully. Peter Owen Limited, 1973.
Rosow, Lois. "Lully, Jean-Baptiste" in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ed. Stanley Sadie (London, 1992) ISBN 0-333-73432-7.
[편집] 외부 링크
- 틀:IckingArchive
- Jean-Baptiste Lully Collection at the University of North Texas, including full-text scans of first and early edition scores
-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has a collection of autographs available on-line.
- Public Domain Scores by Lully at IMSLP
- Films on Louis XIV and period[1] Specifically "Le Roi Danse", film by Gerard Corbiau, 2001. Film details Lully's life at court under Louis XIV.
분류: 번역중 | 1632년 태어남 | 1687년 죽음 | 프랑스의 작곡가 | 바로크 시대 작곡가 | 오페라 작곡가 | 이탈리아계 프랑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