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글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글꼴컴퓨터로 보는 글자들의 모양새를 뜻한다.

목차

[편집] 표시 방식

크게 비트맵 방식과 벡터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크기가 고정된 점으로 이루어진 비트맵 방식의 글꼴들은 처리 속도가 빠르지만, 정해진 크기에서만 제대로 보인다. 벡터 방식의 글꼴들은 크기를 변화시켜도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처리 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


[편집] 폭의 변화

글꼴을 글자들의 폭 변화에 따라 고정폭 글꼴과 가변폭 글꼴로 나눌 수 있다. 고정폭 글꼴은 글자에 상관없이 일정한 폭을 할당하며, 가변폭 글꼴은 W와 같은 글자에는 넓은 폭을 할당하고 i와 같은 글자에는 좁은 폭을 할당한다. 좀 더 세밀하게 모습을 조정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이 도입되었는데, 예를 들어 'LT'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커닝(자간 여백)이 많은 경우 커닝을 직접 지정해 주는 방법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문자들에 따라서 가변폭 글꼴을 많이 쓰지 않거나 아예 쓰기 힘든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한자는 가변폭 글꼴을 만들기 힘들며, 그 영향으로 가나한글 글꼴도 고정폭인 경우가 많다.

[편집] 관련 기술

[편집] 웹 폰트

웹 폰트는 수작업으로 내려받고 설치하는 과정을 웹 브라우저 자체의 기능으로 생략하여 편리하게 만든 폰트이다. 불법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한할 수 있어, 포털 사이트 등에서 제한된 범위로 사용할 한국의 상업용 폰트의 형식으로 많이 쓰인다. 특정 버전 이상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환경에서만 지원된다.

[편집] 클리어타입

클리어타입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기술로, 액정 화면에서 더욱 깨끗하게 글자를 표시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글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한글을 클리어타입으로 처리하면 뭉개진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차기 작품인 윈도우 비스타에 사용될 한글 글꼴 ‘맑은 고딕’은 클리어타입이 적용되는 최초의 한글 글꼴이 될 것이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