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Shotgunlee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편집] 영어로 된 넘겨주기 문서

영어로 된 넘겨주기 문서는 되도록 만들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아 현재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Puzzlet Chung 2005년 12월 1일 (목) 20:32 (KST)

예. 제가 초보라서 관례를 몰랐습니다. --Shotgunlee 2005년 12월 5일 (월) 00:24 (KST)

[편집] 무기 관련..

가스직렬식, 회전노리쇠 방식en:Direct impingement, en:Rotating bolt로 연결되어있는데 제대로 연결된 것인가요? 제 생각에는 Rotating bolt는 회전노리쇠라는 부품의 설명인 것 같거든요. --Klutzy 2005년 12월 3일 (토) 23:58 (KST)

가스직렬식, 회전노리쇠 방식이 en:Direct impingement, en:Rotating bolt로 연결되어있는 것은 맞습니다. 영어 버전을 읽어보시면 둘다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임을 알 수 있으실 것입니다.--Shotgunlee 2005년 12월 4일 (일) 00:26 (KST)
지금 다시 보니 en:Rotating bolt는 'method'에 대해 설명하지만, 분류는 '화기 부품'으로 되어있군요. 아무래도 영어 위키피디아의 분류가 잘못된 것 같습니다. --Shotgunlee 2005년 12월 23일 (금) 00:41 (KST)

가스직렬식이란 용어가 세상의 온갖 사물 중에서 "총"에만 해당되는 개념인지, 아니면 보일러나 배관 등에서도 겹칠 수 있는 개념인지도 신경을 쓰면서 문서를 만들어 주셨으면 합니다. xAOs 2005년 12월 4일 (일) 00:00 (KST)

간단하게 '자동화기'에 대한 언급을 넣었습니다. 코멘트 감사드립니다.--Shotgunlee 2005년 12월 4일 (일) 00:26 (KST)

그리고,

환영합니다!

Shotgunlee님, 안녕하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위키백과와 함께 해 주셨으면 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또한 처음 오신 분들을 위한 길라잡이가 있습니다. 꼭 읽어 보시기 바라며,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로그인 상태에서 편집 창에 물결표를 이렇게 ~~~~ 네 개 이어서 써 넣으시면 자동으로 서명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편집] 가스 작동식 관련

아, 그리고 가스작동식과 가스작동식 소총이 따로 분리되어야 할까요? 전 이쪽 방면은 문외한이라서 잘 모르겠습니다. --Klutzy 2005년 12월 4일 (일) 00:01 (KST)

가스작동식과 가스작동식 소총이 따로 분리되어야 할 지에 대해서는... 제 의견으로는 분리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가스작동식을 채용한 무기는 소총뿐만아니라 기관총, 심지어 소수의 권총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생각해 보니 이미 자동소총이 있기 때문에 Klutzy님 의견대로 굳이 분리되어야 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가스작동식 소총'은 가스작동식으로 redirect되게 변경했습니다.Shotgunlee 2005년 12월 4일 (일) 20:41 (KST)

[편집] 저작권

그림:K2a1.jpg의 출처가 어디인가요? 퍼블릭 도메인이 확실한가요? --Puzzlet Chung 2005년 12월 5일 (월) 20:45 (KST)

영문 위키백과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Image:K2a1.jpg 영문 위키백과에는 퍼블릭 도메인이라고 나와있습니다.--Shotgunlee 2005년 12월 5일 (월) 21:34 (KST)
이거 저작권 출처가 없네요. 영어위키도 곧 삭제될 거 같습니다. -- WonYong 2005년 12월 29일 (목) 23:14 (KST)
확실한가요? 영어위키에서 출처가 없는 이미지들을 가끔 보았는데요. [1] -- Shotgunlee 2005년 12월 29일 (목) 23:29 (KST)
출처가 없으면 경고태그 붙여주는게 규칙(?)입니다. 그리고 곧 삭제되죠. 아무나 먼저 보면 붙여주면 됩니다. 영어위키에서는 {{no source}}이걸 쓰구요, {{incomplete license}}를 써도 되죠. 후자는 제가 만든거에요. ㅎㅎ -- WonYong 2005년 12월 29일 (목) 23:43 (KST)
굳이 경고태크 붙여서 삭제할 필요가 있을 까요? 이런 사진들 때문에 문제될 거 없을 거 같은 데 말이죠. 이런 사진들 누가 돈 받고 팔겠습니까? 문제가 안 될 듯한 사진들에 대해서는 융통성있게 대처하는 게 좋을 듯 싶습니다. -- Shotgunlee 2005년 12월 30일 (금) 01:03 (KST)
많은 국가들은 사진의 저작권은 찍은 사람한테 있다고 합니다. 그림:K2a1.jpg도 우리가 언제 찍힌지 모르고, 누가 찍었는지 모르는 이상 출처가 불확실하다고 봐야합니다. 영어 위키는 그림의 출처 밝히기를 엄청 중요시 합니다 (주로 또 미국법을 참고하고요). 한국어 위키는 서버가 한국에 있는데, 현재 한국 저작권법이 미국 저작권법이랑 다른게 많아 좀 곤란을 겪고있습니다. (위키피디아는 무료지만 타인의 법적권리는 존중해야 하거든요.)

[편집] 선거운동

님도 혹시 밀매? 전 초보 밀매인데...^^
Shotgunlee님, 저 관리자 되도록, 표하나 찍어주세요. 위키백과:관리자 선거 --WonYong 2005년 12월 17일 (토) 08:44 (KST)
저도 초보 밀리터리 매니아 입니다. ^^ 위키백과에 공헌을 많이 하셔서 관리자로 찍어드리고 싶지만, 활동을 시작하신 지 얼마 안 되셔서 조심스럽군요.. 죄송합니다. --Shotgunlee 2005년 12월 17일 (토) 11:18 (KST)

[편집]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무기체계분류:무기/분류:군사 개편안

토론란 참고해주시고요, 일단 분류는 문서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만들었습니다. 일단 가서 보시고 의견 주십시오. --WaffenSS 2005년 12월 19일 (월) 15:48 (KST)

여기 프로젝트 메인페이지에 님 이름 추가해주세요. ^^ -- WonYong 2005년 12월 21일 (수) 13:31 (KST)
추가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Shotgunlee 2005년 12월 21일 (수) 15:34 (KST)

[편집] 에모토 마사루에 추가한 링크.

본문과 관계없는 링크 아닌가요? -- ChongDae 2005년 12월 22일 (목) 12:50 (KST)

서평과 반론 읽는 데 참고가 되는 자료라서 첨부했는데,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니 삭제하는 게 좋겠군요. --Shotgunlee 2005년 12월 22일 (목) 13:29 (KST)

[편집] catmore

분류에 대한 설명을 간단히 때우는데 쓰이는 템플릿입니다. 이미 설명이 있는 분류에는 굳이 달아줄 필요가 없습니다. -- ChongDae 2005년 12월 23일 (금) 21:26 (KST)

영문 위키피디아의 경우는 ChongDae 님이 말한 방식으로 쓰이지 않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Category:Thought http://en.wikipedia.org/wiki/Category:Abstraction
그리고 현재 한글 위키의 'Catmore에 대한 분류입니다.'는 별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분류 페이지에서 이미 '분류:사항'이라고 명시 되어 있는 것을 굳이 또 말해줄 필요가 있는 지 의문입니다. 영문 위키에서와 같이 분류에 대한 주요 글을 소개하는 것이 훨씬 의미 있다고 생각됩니다. --Shotgunlee 2005년 12월 24일 (토) 12:23 (KST)

분류에 간단한 설명을 달 때, '''생물학'''을 '''[[생물학]]'''으로 바꿔주세요. 그리고 영어나 한자 등은 빼는 게 어떨까요?

좋은 생각인 듯 싶습니다. -- Shotgunlee 2005년 12월 27일 (화) 16:20 (KST)

[편집] 헤클러 코흐사

보통 "헤클러&코흐"라고 쓰지 않습니까? 회사명에도 "&"가 정식으로 들어있는데, 빼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WaffenSS 2005년 12월 24일 (토) 20:57 (KST)

제가 원래 "헤클러 & 코흐"라고 글을 만들었는데, PuzzletChung 님이 "헤클러 코흐"로 이동시켰습니다. 자세히는 모르지만 PuzzletChung 님이 관례 혹은 규정대로 수정했다고 생각됩니다... -- Shotgunlee 2005년 12월 24일 (토) 21:11 (KST)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고유명사에서 and가 들어가 있는 것은 그것을 빼고 대신 띄어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2] 독일 기업이니까 und가 되겠지만 같이 적용이 된다고 생각했고, 구글 검색에서도 '헤클러 코흐'라고 쓴 예가 많이 있어서 기호를 뺐습니다. 만약 & 기호를 쓰는 것이 관례라면 되돌려 놓겠습니다. --Puzzlet Chung 2005년 12월 24일 (토) 22:13 (KST)
제가 보는 군사 관련 잡지등에는 "헤클러&코흐"나 "HK"로 약칭해서 쓰고 있어서요. 그게 맞을 듯 싶습니다. --WaffenSS 2005년 12월 25일 (일) 00:34 (KST)
아 그리고, 헤클러&코흐는 그 자체를 하나의 고유명사로 봐야지, &를 고유명사 2개를 연결하는 것으로 봐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WaffenSS 2005년 12월 27일 (화) 16:53 (KST)

그럼 그렇게 옮기죠. & 사이는 보통 띄어서 쓰나요, 띄어서 쓰지 않나요? --Puzzlet Chung 2005년 12월 28일 (수) 16:29 (KST)

붙여서 쓴 경우를 더 많이 본 거 같습니다.--WaffenSS 2005년 12월 30일 (금) 01:54 (KST)

그렇게 옮겼습니다. --Puzzlet Chung 2005년 12월 30일 (금) 11:58 (KST)

[편집] Template:llang

표제어를 쓰고 옆에 괄호를 치고 다른 언어(주로 그 표제어가 처음 온 언어)의 표기를 적기도 하지요. 그 때는 {{llang}} 템플릿을 쓰시면 좋습니다. 예컨대 '''너클볼'''({{llang|en|Knuckleball}}) 같은 식으로요. 이미 알고 계셨다면 실례했습니다;; --한동성 2006년 1월 12일 (목) 01:26 (KST)

덤으로 굳이 그 표제어의 원래 언어 이름을 밝힐 필요가 없을 경우엔 (너무 뻔해서?) {{lang|en|Knuckleball}} 식으로 하면 됩니다. "영어: Knuckleball"과 "Knuckleball"의 차이죠. -- ChongDae 2006년 1월 12일 (목) 02:09 (KST)
조언 감사드립니다. -- Shotgunlee 2006년 1월 12일 (목) 13:58 (KST)

[편집] 분류:병렬 연산 vs 분류:병렬 컴퓨팅

제가 얼마 전 Parallel computing 분류를 만든거 같아 뒤져보니 저는 분류:병렬 연산으로 만들었고, 님은 분류:병렬 컴퓨팅으로 만드셨네요. 둘을 합치는건 어떨까요? Yuyudevil 2006년 2월 14일 (화) 22:09 (KST)

찬성합니다. 님께서 만드신 병렬 연산이 더 적합한 듯 싶군요. 그런데 합치는 건 어떻게 하는 건가요? 죄송하지만, Yuyudevil님께서 절차를 아신다면 합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Shotgunlee 2006년 2월 14일 (화) 22:33 (KST)
그런데 연산컴퓨팅 통일하기가 좀 애매하군요. 구글에서 병렬 연산병렬 컴퓨팅보다 많지만, 분산 컴퓨팅분산 연산보다 많군요. -- Shotgunlee 2006년 2월 14일 (화) 22:48 (KST)

[편집] 소총 목록

돌격소총 문서를 보면, 돌격 소총 목록이 나열되어 있는데, 이를 소총 목록이란 문서를 만들어 그곳으로 합치는 게 어떻겠습니까. 기관총 목록을 만든 김에 권총, 기관단총, 소총 각기 목록을 만들 생각을 하고 있는데, 돌격소총 문서에 돌격소총 목록이 있더군요. 영어판에서는 저격용 라이플등을 따로 문서로 해놨지만,굳이 그럴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이 작업을 통해서 화기류의 표준 표제어를 목록을 통해서 했으면 하는 바램이기도 합니다.--WaffenSS 2006년 4월 11일 (화) 21:43 (KST)

WaffenSS님 의견에 찬성합니다. 별도 문서로 만들어서 관리하면 여러 모로 편리할 듯 싶군요. -- Shotgunlee 2006년 4월 11일 (화) 22:43 (KST)
그럼 문서 안에 분류는 어떻께 할까요? 지금 기관총도 그냥 이름 순으로만 정렬했는데, 소총은 볼트액션, 저격용 소총, 스포츠 소총, 돌격소총, 권총은 구경 별로, 기관단총은 특별히 없을 거 같고요. 아니면 그런거 다 무시하고 이름 순으로 할 수도 있겠죠. 뭐가 좋을까요? --WaffenSS 2006년 4월 11일 (화) 23:04 (KST)
전 뭐가 좋을 지 잘 모르겠군요... WaffenSS님이 편리하신 대로 만들면 되지 않을 까요? -- Shotgunlee 2006년 4월 11일 (화) 23:08 (KST)
일단 소총 목록을 만들어봤는데, 일만 크게 벌려놓은듯 ㅡㅡ;; 좀 보시기 바랍니다. -_-; --WaffenSS 2006년 4월 12일 (수) 01:19 (KST)
수고하셨습니다. 틈틈이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 Shotgunlee 2006년 4월 12일 (수) 09:27 (KST)
en:List of firearms가 있군요. 화기 종류 별로 구분하지 않고 알파벳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여길 참조해서 정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총기 회사 사이트를 다 돌아다닐 생각도 했는데, 일이 좀 수월하겠습니다.--WaffenSS 2006년 4월 12일 (수) 11:12 (KST)

[편집] 혹시 권총 구경에 대한 자료 있으신지요?

혹시 권총 구경에 대한 자료 있으신지요? 357, 380, 45, 40, 40SW, 40SIG, 9mm*17, 9mm*19 .... 등등 헷갈리네요. 권총 목록 문서를 봐주시기 바랍니다.--WaffenSS 2006년 4월 13일 (목) 00:35 (KST)

권총 구경에 대한 자료 가지고 있는 게 없네요... en:List_of_handgun_cartridges가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네요. -- Shotgunlee 2006년 4월 13일 (목) 10:29 (KST)
너무 많군요. ㅡㅡ; --WaffenSS 2006년 4월 13일 (목) 13:51 (KST)

[편집] 소총 목록의 반자동소총과 전투소총..

원래 전투소총이 저격용, 전투용 산탄총, 돌격소총, 등등을 다 아우르는 개념아닙니까? 반자동하고 전투소총 항목을 합치는 건 어떨까 합니다. 어차피 역사적으로 M14는 M1의 개량형 소리를 들었고, 사실 M1과 비교했을때 20발 탄창이 추가되고 자동 사격도 가능한 (그나마 다 반자동으로 고정되었지만) 정도였으니 말입니다. 굳이 나누지 말고 합치는 것은 어떻겠습니까? --WaffenSS 2006년 4월 19일 (수) 14:14 (KST)

합치는 것에는 찬성합니다만... 전투소총이 "저격용, 전투용 산탄총, 돌격소총"을 다 아우르는 개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Shotgunlee 2006년 4월 19일 (수) 17:25 (KST)

[편집] M2는 M2고...

화기별 목록 작업은 좀 거들어주셔야죠. 지금 보면, 제조사명 + 제식명, 제식명 + 제조사명, 제식명 + 별명(?), 제식명, 등등으로 중구난방입니다. 어느 하나로 정해져야, 나머지 가능한 검색 키워드에 대해 넘겨주기 문서라도 만들던지 할 수 있습니다. --WaffenSS 2006년 5월 8일 (월) 12:44 (KST)

죄송하지만, 저는 목록 만드는 작업에는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화기 명칭 관련해서는 좀 무책임한 의견일지 몰라도, 그냥 영문위키를 따라 하는 게 무난할 듯 싶습니다. -- Shotgunlee 2006년 5월 8일 (월) 14:54 (KST)

[편집] 결론이야 어떻게 나든.

앞으로 화기 분야에서는 손 떼겠습니다. 어차피 샷건님이 총기에 대해서는 저보단 더 많이 아시는 듯하여, 샷건님 등장 이후엔 별로 손을 댄 적도 없긴 하지만, 향후에는 관여하지 않겠습니다. 그럼. --WaffenSS 2006년 5월 8일 (월) 17:04 (KST)

[편집] Redirect 기능

#REDIREC [[A#B]]는 #REDIRECT [[A]]와 같습니다. -- ChongDae 2006년 6월 9일 (금) 14:48 (KST)

[편집] 단락을 미리 나누지 마세요

SIG 550 문서 처럼 단락을 미리 나누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참여자가 많지 않은 한국어판 상황에서, 번역 잡업은 혼자 끝까지 하지 않으면 주우우욱 미완성으로 남을 수 밖에 없습니다. 번역이 완료된 부분부터 우선 채우세요. -- 최담담 2006년 6월 26일 (월) 14:35 (KST)

[편집] afterburner

afterburner의 적당한 우리 말 번역을 아시는 게 있습니까? 애프터버너, 라고 발음 그대로 써놓자니... --WaffenSS 2006년 8월 1일 (화) 15:53 (KST)

항공우주사전에는 '재연소 장치'라고 나와있는데 [3], 위키백과 제트 엔진에는 '후연기'라고 번역이 되어 있군요. 둘 중 어느 것이 더 정확한 번역인지는 전 잘 모르겠습니다... -- Shotgunlee 2006년 8월 1일 (화) 17:17 (KST)
재연소장치가 좀더 의미가 분명한 것 같군요. 그걸로 번역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affenSS 2006년 8월 1일 (화) 22:17 (KST)

[편집] 찬성표 부탁합니다

위키백과:총의를 강제성 없는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자발적 규율인 지침으로 제안하였습니다. 위키백과내에서 사용자들의 다수결을 하는 절차에 대한 규정입니다. 토론란에 투표해주세요. 투표기간은 2006년 8월 18일 24:00 까지로 14일간 입니다. 찬성표 부탁합니다. 꾸벅~!! -- 멀뚱이 (토론 / 기여) 2006년 8월 3일 (금) 15:39 (KST)

'총의'라는 제목이 좀 부적절한 것 같고, 투표 자격에 대해서도 좀 더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찬성표를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 Shotgunlee 2006년 8월 3일 (금) 15:58 (KST)

[편집] 전시 작전통제권

{{fact}}를 추가했습니다. -- 멀뚱이(Talk / Contrib) 2006년 8월 29일 (화) 12:34 (KST)

[편집] SVD

동음이의어랍니다. -- ChongDae 2006년 12월 4일 (월) 00:22 (KST)

그렇군요. -- Shotgunlee 2006년 12월 4일 (월) 00:32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