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십자가형(十字架刑)은 고대 로마의 사형방법중 하나로, 본래는 신 아시리아, 페니키아, 페르시아에서 사용하던 처형방법이다.
목차 |
[편집] 십자가형의 역사
로마에서는 기원전 1세기 말, 식민지인들에 대한 처형방법으로 십자가형을 공식채택하였는데, 처음에는 노예들을 나무에 묶어놓고 고통을 주는 가혹한 체벌에 불과했다. 하지만, 기원후 1세기부터 로마 제국에 대항하는 자들에 대한 처형방법으로 성격이 바뀐다. 실례로 70년 티투스 장군은 유대독립전쟁을 진압하면서, 포로들을 매일 500명씩 십자가형에 처했다. 역사학자 요세푸스에 따르면 ‘더 이상 십자가를 세울만한 공간과 나무 십자가를 구할 수 없을 정도'로 십자가에 못박혀 죽은 사형수들이 많았다고 한다. 몰론 로마 제국이 예수를 십자가형으로 죽인 이유도 예수를 로마제국에 반대하는 위협세력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편집] 십자가형과 고고학
십자가형이 고고학을 통해 설명된 것은 1967년 이후이다.
동예루살렘에서 1967년 신약시대의 무덤들과 그중 한 무덤에서 8개의 유골함이 발견된 사건이 그 배경이다. 당시 이 유골함에서는 17구의 유골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유대인들의 장례법에 의한 것이다. 유대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바위를 파서 만든 바위무덤에 시신을 안치했다가, 유골이 되면 유골함에 모시는 방법으로 장례를 치루었다.신약성서에서 예수가 십자가에서 숨을 거두자 아리마태아 사람 요셉이 바위무덤에 모셨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그런데 이중 한 유골의 발뒤꿈치 뼈에 철제 못이 박혀 있는 것을 이스라엘 고고학성에서 확인하면서, 십자가형으로 죽은 사람의 유골이 처음 발견된 것이다. 유골의 손목 뼈에는 날카로운 흠집이 있어서, 십자가형이 사형수의 손과 발이 아닌, 손목과 발뒤꿈치에 못을 박는 방법으로 집행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고고학의 성과는 1978년 대학생선교회(CCC)에서 제작한 선교영화인 영화 예수의 십자가형 장면에 반영되었다. 그리고 무릎 아래의 두 개의 정강이 뼈가 부러져 있음을 발견한 학자들은 십자가형을 집행한 자들이 해가 지기전에 시신을 거둬 매장하기 위해서 사형수의 다리를 부러뜨린 증거로 추정한다.실제로 요한의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와 함께 십자가형을 당한 두 강도들도 안식일이 되기전 시체를 거두기 위해서 다리를 부러뜨렸다. (요한 복음서 19:31∼33)
참고로 유골의 주인은 유골함에 새겨진 이름에 따르면 요한난 벤 하그콜, 즉, 하그콜의 아들 요한난이다. 나이는 24-28세사이로, 무덤을 갖추어 장례를 치를만큼 부유한 집의 청년이었다.
[편집] 십자가형의 잔인성
십자가형은 사람을 질식사 시키는 잔인한 사형 방법으로 사형수는 몸이 처지면서 숨쉬기가 곤란해지며 근육경련과 질식현상으로 수 시간내에 혼수상태에 빠져 곧 죽게 된다. 또한 사형수들이 벌거벗긴 상태에서 처형된다는 점(루가 복음서 23:34), 자기가 못박힐 십자가를 지고 가야 한다는 점(루가 23:26)도 십자가형의 잔인성을 말해준다. 그래서 로마사람들은 십자가형을 매우 혐오했으며, 로마시민권을 가진 자들에게는 십자가형을 집행하지 않았다.
[편집] 참고문헌
- 김성 교수의 성서고고학/김성 지음/동방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