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태준(李泰俊, 1904년 11월 4일 - ? )은 한국의 소설가이다. 아호는 상허(尙虛).

1904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일본 상지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25년 단편 <오몽녀>로 데뷔하였으며 구인회 동인, 잡지 개벽 기자 등을 역임했다. 작품의 경향은 지식인의 고뇌를 그린 작품이 많으며 193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특히 단편 소설의 완성도가 높다해서 '한국의 모파상'이라고 불리운다. 생가터가 민간인 통제 구역 내에 소재하고 있으며, 서울에서 거주하던 성북구의 자택은 서울지방문화재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 전쟁 이전에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였기에 사망 시기가 분명히 알려지지 않았다. 1950년대에 숙청되어 함경남도, 강원도로 좌천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사망 시기도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다양한 설이 있다.

[편집] 작품

위키자료집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이태준
  • 단편소설: <오몽녀> (1925년), <복덕방>, <가마귀>, <밤길>, <영월영감>, <토끼 이야기>, <산월이>, <고향> (1933년), <불우선생> (1933년), <농군> (1939년), <돌다리> (1943년), <해방전후> (1946년)
  • 장편소설: 《제2의 운명》, 《왕자 호동》, 《청춘 무성》, 《황진이》, 《농토》
이 문서는 작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