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펠릭스 3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펠릭스 3세 | ||||||||||||||
![]() |
||||||||||||||
|
교황 펠릭스 3세(라틴어: Sanctus Felix III, 이탈리아어: Papa Felice III)는 제48대 로마 교황(재위: 483년 3월 13일 - 492년 3월 1일)이다.
펠릭스 3세는 로마 고위 성직자단 소속으로 원로원 의원 가문 출신이며 파시올라 신부의 아들이었다. 교황 선출에 있어 간접적으로 오도아케르 왕의 권한을 행사한 최고 행정관 바실리우스의 힘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펠릭스 3세는 공식적으로 자신의 교황 선출을 동로마 제국의 제논 황제에게 알린 첫 교황이다. 대부제 젤라시우스의 도움을 받아 단성론의 위험에 강력히 대처하였다. 알렉산드리아의 정통 총대주교 요한 탈리아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아카치우스가 몬구스를 지지하자 피신하여 펠릭스 3세를 만나 동방의 사건을 상세히 보고하였다. 펠릭스 3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사절들을 보내어 단성론자 총대주교를 추방하라고 요구하였다. 아카치우스를 로마로 소환했으나 그는 이를 받아들이기는커녕 위증을 하여 로마 교회가 헤노티콘을 승인한 인상을 주었다. 484년 7월 28일 로마 교회회의에서 펠릭스 3세는 아카치우스를 파문하고 해임시켰으며 사절들의 업무를 정지시켰다. 그 형벌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정통파 아코이메토이 수도자들이 펼친 과감한 운동을 통하여 전파되었다. 그러자 아카치우스는 펠릭스 3세의 이름을 목록에서 제거하게 했다. 이리하여 시작된 아카치우스 분열은 그 후 35년간이나 지속되어 동서 교회가 처음으로 심각한 분열을 맞게 되었다. 489년 아카치우스가 죽자 동로마 제국의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그 분쟁을 종식시키려 하였으나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펠릭스 3세는 헤노티콘을 부가한 황제를 파문하지는 않았으나 황제에게 보낸 서한에서 통상적인 어투를 벗어난 강한 어투로 경고하였다. 이어서 그는 영적인 일에 있어서는 교회의 우위성을 기탄 없이 강조함으로써 교황과 황제 사이에 장기간 분쟁이 지속되었다.
전 임 심플리치오 |
제48대 교황 483년 3월 13일 - 492년 3월 1일 |
후 임 젤라시오 1세 |
![]() |
이 문서는 교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