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المملكة الأردنيّة الهاشميّة
알 맘라카 알 우르두니야 알 하시미야
요르단의 국기 요르단의 문장
(국기) (문장)
표어: الله، الوطن، الملك
(알라, 알-와탄, 알-말리크)
알라, 조국, 국왕
국가: 우리는 왕을 사랑하네
요르단의 위치
수도 암만
북위 31°57′, 동경 35°26′
공용어 아랍어
정부 형태
군주
총리
입헌 군주제
압둘라 2세
파이살 알 파예즈
독립
 • 독립
영국으로부터 독립
1946년 5월 25일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92,300 km² (111위)
0.01%
인구
 • 2005년 어림
 • 2003년 조사
 • 인구 밀도
 
5,759,732명 (107위)
5,460,000명
62명/km² (106위)
GDP (PPP)
 • 전체
 • 일인당
2005년 어림값
$277억 (100위)
$4,800 (138위)
HDI
 • 2003년 조사

0.753 (90위)
통화 디나르 (JOD)
시간대
 • 여름 시간
(UTC+2)
(UTC+3) 
국가 도메인 .jo
국제 전화 +962

요르단(아랍어: أردنّ 우르두니야)은 중동에 있는 유일한 입헌 군주국이다. 수도는 암만이며, 정식 국명은 요르단 하심 왕국(아랍어: المملكة الأردنيّة الهاشميّة 알 맘라카 알 우르두니야 알 하시미야)이다. 이라크,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와 국경을 접한다.

목차

[편집] 역사

1946년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건국 당시에는 트란스 요르단이라고 불렀으나 후세인 1세가 즉위하고부터 지금의 국명으로 개칭되었다.

[편집] 역대 군주

[편집] 지리

[편집] 행정 구역

[편집] 기후

[편집] 정치

요르단은 중동에서는 유일하게 입헌 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군주의 권력은 그다지 강하지는 않으나 국민들은 왕에 대한 충성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치는 안정되고 있다.

[편집] 정당

[편집] 주민

아랍인이 대다수이며 유대인과 영국인도 존재한다.

[편집] 언어

아랍어공용어이며 필요에 따라 영어도 사용할 수 있다.

[편집] 종교

이슬람교가 다수이며 크리스트교유대교도 소수 존재한다.

[편집] 문화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편집] 산업

요르단은 내륙국이기 때문에 요르단 정부에서는 "IT가 요르단의 생존 방법"이라고 정하고 있다.

[편집] 공휴일

[편집] 군사

요르단은 지원제를 실시한다. 정규군대 10만 명과 예비 군대 3만 5천명을 소유하고 있으며, 왕실 근위병도 소유하고 있다. 요르단의 군대는 강한 편이 아닌데다, 아랍 안보에 대한 평화를 기대하고 있는 나라도 요르단이다.

[편집] 대한관계

대한민국과만 수교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수교하지 아니하고 있다.

[편집] 바깥 고리

아시아의 나라 아시아 대륙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속령
마카오5 | 홍콩5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