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소월(金素月) (1902년 8월 6일 - 1934년 12월 24일)은 한국의 시인이다. 본명은 김정식(金廷湜)이고, 호인 소월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본관은 공주이다.
서구문학이 범람하던 시대 민족 고유의 정서에 기반을 둔 시를 쓴 민족시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목차 |
[편집] 생애
1902년 8월 6일에 평안북도 구성(龜城)군에서 태어났다. 1904년 처가로 가던 부친 김성도는 정주와 곽산을 잇는 철도 공사장의 일본인 목도꾼들에게 폭행당한 후 정신 이상자가 되었다. 이후 김소월은 광산을 경영하는 조부의 손에서 컸다. 김소월에게 이야기의 재미를 가르쳐 주어 영향을 끼친 숙모 계희영을 만난 것도 이 무렵이다.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15년 오산학교에서 조만식과 평생 문학의 스승이 될 김억을 만났다. 김억의 격려를 받아 1920년 동인지 《창조》5호에 처음으로 시를 발표했다. 오산학교를 다니는 동안 김소월은 왕성한 작품활동을 했으며, 1925년에는 생전에 낸 유일한 시집인 《진달래꽃》을 발간하였다.
1916년 오산학교 재학 시절 고향 구성군 평지면의 홍단실과 결혼하였다.
3·1 운동 이후 오산학교가 문을 닫자 배재고보 5학년에 편입해서 졸업하였다. 1923년에는 도쿄상업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9월에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이 무렵 서울 청담동에서 나도향과 만나 친구가 되었고 《영대》동인으로 활동했다.
고향으로 돌아간 후 조부가 경영하는 광산일을 도왔으나 일이 실패하자 처가인 구성군으로 이사하였다. 구성군 남시에서 개설한 동아일보지국마저 실패하는 바람에 극도의 빈곤에 시달렸다. 본래 예민했던 김소월은 정신적으로 큰 타격을 받고 술로 세월을 보냈으며, 친척들조차 그를 천시하게 되었다.
1934년 12월 24일 곽산에서 아편을 먹고 음독 자살한 시체로 발견되었다.
1981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으며 서울 남산에 그를 기리는 시비가 있다.
[편집] 작품 경향
[편집] 주요 작품
- <진달래꽃>
- <산유화(山有花)>
- <초혼(招魂)>
[편집] 참고문헌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