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6 세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86 세대199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말로, ‘30대, 80년대 학번, 60년대 생인 세대’를 말한다. 주로 1980년대에 학생운동을 통해 민주화운동을 경험한 세대를 통칭한다.

목차

[편집] 용어의 정의

년도별 나이에 따른 386세대
실제 크기로
년도별 나이에 따른 386세대

"386 세대"라는 명칭은 원래, 80년대 이후 널리 사용되었던 인텔 80286 또는 인텔 80386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한 컴퓨터의 명칭이었던 286 컴퓨터, 386 컴퓨터등의 용어에서 비롯된 조어이다.

30대, 80년대 학번, 60년대 생인 세대’라는 용어의 정의를 엄격히 적용하면, 용어의 정의에 "30대"라는 가변적인 나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가 바뀜에 따라 386세대라 불리는 세대는 1990년에 첫 등장하여 2008년에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30대"라는 나이 구분을 제외하고, 시기적으로 제5공화국 때 민주화 투쟁을 했던 대학생 또래들의 세대를 가르킨다. 그래서 1960-70년대 학생운동을 했던 전공투 세대나 유럽 68혁명에 참여했던 68세대와 비교되기도 한다.

북조선 사람이 ‘386 세대’라는 말을 쓴 사례가 있다.[1]

[편집] 특징

386세대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이라는 특유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진보적인 정치 사회의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전 세대보다 휠씬 탈 권위적, 탈 지역적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분배" 또는 국가보안법과 같은 문제에 대해 진보적인 태도를 갖고 정치단체 또는 사회단체에 가장 높은 참여를 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이전 세대에서는 금기시되었던 마르크스주의 또는 사회주의에 상대적으로 경도되었을 뿐만 아니라, 광주민주화운동 당시의 미국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갖게 됨으로써 반미 성향이 표출되기도 했다. 아울러 한반도의 분단 상황에 대한 인식과 결부되어 민족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었다.

[편집] 평가

다른 세대에 비해 정치적 저항의식내지는 비판적 사회의식을 더 많이 갖는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으며, 1980년 후반 대한민국이 민주화를 하는 데 크게 기여한 점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보수 세력은 그들의 좌파 성향으로의 이념 과잉을 문제삼아 비판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2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386 세대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아 노무현이 집권하면서 그들 상당수가 권력 실세로 등장하자, 기존의 보수세력은 지속적으로 "386세대"에 대한 적대적 시각을 나타냈다. 또, 진보세력 내의 일부 세력 또한 "386세대"의 과도한 민족주의 성향 또는 주체사상북조선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편집] 대표적인 386세대

[편집] 참조

[편집] 함께 읽기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