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리넷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라리넷(독일어: Klarinette, 영어: clarinet, 이탈리아어: clarinetto)은 이조악기로써 서양고전음악 목관 악기 중 하나이다. 거의 원통모양이며 하나의 리드를 붙히는 나팔꼭지를 사용한다. 악기 이름의 연원은 이탈리아어 "Clarino"에 작은이란 뜻을 주는 접미사 -et가 붙어 만들어진 것으로, 18세기 초 클라리넷이 등장하면서 높은 음역에서 당시 고음악기였던 클라린-트럼펫과 비슷한 소리를 내었고, 이 트럼펫의 대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그렇게 불리게 된 것이다.
클라리넷은 다양한 크기와 음높이를 가져서 24종이 넘는 하나의 커다란 악기족을 이룬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이제는 거의 쓰이지 않거나, 특수한 경우에만 쓰인다. 이런 희귀한 클라리넷을 위해 쓰여진 음악들은 흔히 쓰이는 크기의 클라리넷으로 이조해서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 클라리넷이라고 하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내림나-클라리넷(내림나조/B♭로 맞춰져 있어 악기로 다장조를 연주하면 한 음이 낮은 내림나장조가 소리남)을 가리킨다. 가장조(A)로 맞춰진 가-클라리넷도 자주 쓰이며, 특히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려면 꼭 필요하다.
현대 클라리넷은 마개방식에 따라 운지법이 다르기 때문에 독일식과 프랑스식으로 나뉜다. 독일식과 프랑스식은 마개방식뿐 아니라 관 안쪽의 지름과 모양, 나팔꼭지와 사용하는 리드도 다르기 때문에 음질과 음색이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오늘날 독일식 클라리넷은 거의 독어권 국가에 한해서 쓰인다. 주로 가내수공업에 의존했던 독일의 악기제작자들에 비해, 19세기를 거치면서 중앙집중적인 산업화와 해외 식민지경쟁에서 프랑스가 훨씬 앞서갔기 때문에 지금은 프랑스식 클라리넷이 세계적으로 널리 쓰인다. 악기개량자의 이름을 따서 각각 독일식은 욀러식 클라리넷, 프랑스식은 뵘식 클라리넷이라고 한다. 독일식을 에라 시스템이라고도 부르는데, 그것은 욀러 시스템의 일본식 발음이 한국으로 건너와 잘못 쓰이고 있는 것이다.
목차 |
[편집] 악기구조
비싼 클라리넷은 아프리칸흑단으로 만든다. 다른 종류의 나무로 만들거나, 흔하진 않지만 쇠로 만들기도 한다. 합성수지로 만든 싼 클라리넷은 초보자용으로 널리 쓰인다. 마개들은 니켈이나 은도금/금도금으로 만든다. 내림나-클라리넷은 약 66cm (가-클라리넷은 71cm)이고, 관 안쪽의 지름은 약 13mm 정도이다.
클라리넷은 보통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고, 각 부분의 마디가 코르크로 싸여있어 서로 끼워서 조립한다. 이 점이 클라리넷을 갖고 다니기 편하고, 부분 수리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 나팔꼭지는 매우 딱딱한 경질고무로 만든다. 보통 에보나이트나 아크릴같은 합성수지로 만든 것이 널리 쓰이고, 크리스탈, 나무, 쇠로 만든 것들도 쓰인다. 서로 다른 재질을 섞어서 만든 것들도 있다. 소리를 내는 것은 너비 약 12,5mm인 리드이다. 이 리드를 나팔꼭지에 붙히고 불어서 소리를 내는 것이다. 리드는 갈대(학명: Arundo Donax)로 만드는데 수명이 짧기 때문에, 다른 재질을 이용해서 만드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플라스틱으로 만드는데 성공해서 판매도 되고 있지만 소리가 좋지 않아 널리 쓰이진 않는다. 리드를 나팔꼭지에 붙히는데는 조리개를 사용한다. 조리개의 재질도 다양해서 쇠, 플라스틱, 가죽 등이 사용된다. 독일식 클라리넷을 사용하는 연주자들은 보통 조임줄을 선호한다.
- 통은 클라리넷을 연구하는 음악학자들이 왜 이 부분이 살아남았는지에 의문을 갖을 정도로, 꼭 따로 독립해서 존재할 필요는 없는 구조지만, 섬세한 조율을 하는데 이용한다. 통을 약간 빼면 클라리넷의 전체 음높이가 낮아진다.
- 윗관
- 아랫관
- 나팔은 클라리넷의 제일 끝 부분으로 가장 낮은 음을 내는데 도움을 준다.
[편집] 마개방식
마개방식이란 각 음들을 소리내는데 쓰이는 마개들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클라리넷의 운지를 결정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마개방식에 대한 이해는 클라리넷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현대 클라리넷은 하루 아침에 발명된 것이 아니다. 1700년경 클라리넷이 처음 선을 보인 이래 좀 더 좋은 음질, 정확한 음높이와 음정, 안정적인 억양을 내는 악기로써의 클라리넷을 만들기 위해 부단한 노력이 있어왔다.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는 모든 음들을 손쉽게 낼 수 있는 운지법이었고, 이것을 가능케 하기 위해 연주자들과 악기제작자들이 끊임없이 개량을 거듭하여 현대 클라리넷의 마개방식에 이른 것이다. 마개방식 개량의 역사가 곧 클라리넷 악기발달사 이므로 자세한 것은 역사편에서 다루기로 하고, 여기선 현대 클라리넷에서 주로 쓰이는 마개방식에 대해서만 살펴 보기로 한다.
먼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뵘식 클라리넷은, 플륫연주자이자 악기제작자였던 테오발드 뵘 Teobald Boehm이 1832년 이미 선보였던 새로운 플륫 마개방식을 악기제작자였던 뤼-아구스떼 부페 Louis-Auguste Buffet 가 당시 파리의 클라리넷 명인이자 파리음악원 교사로 일하고 있던 클로제 Hyacinthe Klosé와의 협력을 통해 클라리넷에 적용하는데 성공하여 1839년에 공개한 것이다. 뵘 자신은 클라리넷 개량에 직접 관여한 바는 없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 부페집안은 악기제조를 가업으로 하는 집안으로, 파리에 악기공장을 갖고 있었던 데니스 부페-오거의 공장을 아들이었던 쟝-뤼 부페가 물려받아 창립한 회사가 바로 오늘날 클라리넷 제조로 유명한 부페 크람뽄 회사이다 (뵘식 클라리넷의 발명자 뤼-아구스떼는 바로 쟝-뤼의 삼촌이다). 부페의 뵘식 클라리넷은 윗관과 아랫관의 마개들이 전부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마개만 눌러도 전혀 다른 곳의 구멍까지 막을 수 있는 획기적인 마개방식을 제시했다. '움직이는 반지모양 마개의 클라리넷'으로 소개되면서 판매초부터 주목을 받았고, 협력자였던 클로제가 후에 파리음악원의 중요한 보직을 맡게 되면서 점점 더 많은 사용자들을 얻게 된다. 뵘식 클라리넷은 1889년 파리 만국박람회에도 소개되고, 특히 1900년대 초 미국 시장에서 부페 크람뽄사의 제품들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뵘식 클라리넷이 클라리넷의 세계표준으로 가는 길을 선점했다.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마개 몇 개를 추가할 수 있지만, 현재 표준으로 쓰이는 것은 17마개/6반지모양마개 이다.
독일식 클라리넷에 대해 살펴보려면 먼저 이반 뮐러 Iwan Müller 라는 한 인물를 알아야 한다. 역시 클라리넷 명인으로 악기개량을 꾸준히 거듭한 이반 뮐러는 당시로선 가장 수가 많은 13마개 클라리넷을 개발해 낸다. 당시까지는 마개방식의 발달이 충분치 못해 하나의 클라리넷으로 모든 음을 다 연주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클라리넷은 특정한 조성을 연주할 수 있도록 거기에 맞추어 제작될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연주자들은 각각 다른 조성을 연주하기 위해 여러 개의 클라리넷을 사용했다. 뮐러식 클라리넷은 13개로 단순히 마개수만 늘린 것이 아니라 연주가 불가능했던 반음들 모두를 연주할 수 있도록 마개의 디자인을 달리 하고 스프링을 사용해 배치를 교묘히 했으며, 마개 끝에 양털로 채운 가죽패드를 달았고, 소리구멍 위치를 정확히 한, 음질과 억양 측면에서도 획기적인 개선을 이루었다. 거의 현대 클라리넷의 모양을 갖춘 뛰어난 클라리넷이었다. 뭘러의 이 업적은 데너의 악기발명 이후 클라리넷 발달사에 있어 가장 큰 발전이라고 볼 수 있다. 1812년 뮐러는 자신의 새로운 클라리넷을 모든 음들이 연주가능한, 즉 악기 하나로 모든 조성을 연주할 수 있는 ‚다중조성 클라리넷’이라고 소개하면서 당시 클라리넷 교육의 중심지였던 파리 음악원에 심사를 의뢰했지만, 클라리넷 교수였던지만 레퍼브레 Xavier Lefèvre를 필두로 한 심사단은 석연치 않은 이유를 들어 인정하지 않았다. 하나의 클라리넷으로 모든 조성을 연주하게 되면 특성 조성에 맞추어 제작된 각 클라리넷의 고유 음색을 잃어 버릴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어쨌든 여러면에서 획기적인 개선을 이룬 뮐러식 클라리넷은 당대의 클라리넷 제작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독일식 클라리넷의 전형을 제시했다. 알버트는 이 뮐러식을 바탕으로 색소폰의 발명자인 아돌프 색스가 발명한 마개방식을 첨가한 알버트식 클라리넷을 개발하여 영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현재 독일식 클라리넷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욀러식 클라리넷도 베를린 필하모니의 창단발기인이었던 오스카 욀러 Oskar Oehler가 이 뮐러식을 바탕으로 개량한 방식이다.
[편집] 클라리넷 숙련수준표
이 수준표는 학생, 독학자, 취미연주자, 선생님들을 위한 지침서로써 클라리넷 연주자의 연주수준을 가늠해 보는데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연주자가 스스로 자신의 수준에 알맞는 연주곡을 찾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클라리넷 연주곡 난이도 목록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다.
이 표는 음악적인 표현능력보다는 클라리넷에 대한 기능적인 숙련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한국의 클라리넷 교육 현실을 반영해서, 교육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교본, 연습곡, 협주곡을 판단근거로 하였다. 이 근거들은 해당 수준이 요구하는 최소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므로, 실제 클라리넷 교육에 있어서는 각 수준에 상응하는 여러 교재들을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고급수준의 판단근거가 되는 협주곡들은 연주자가 악보의 악구구성(프레이징)대로, 전문연주자들이 녹음한 음반들의 일반적인 속도에 준하여 얼마나 틀리지 않고 연주할 수 있는지를 평가기준으로 한다.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관악합주단 활동은 중급부터, 실내악 합주 활동은 고급1부터 할 것을 권장한다.
[편집] 참고문헌
- Hugo Pinksterboer, "Tipbook Clarinet", 2001 The Tipbook Company
- 말 그대로 클라리넷에 관한 팁을 주는 실용적인 책. 두껍지는 않지만 악기구조에 관한 내용들이 알기 쉽고, 상세히 나와있다. 특히 클라리넷 수리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
- Jack Brymer, "Clarinet", 1976 Kahn & Averill, London, UK
- 영화 Out of Africa에 삽입되었던 모짜르트 클라리넷 협주곡의 연주자로 널리 알려진 영국 클라리넷 연주가 브라이머가 지은 책. 클라리넷의 역사, 음향학, 구조학, 음악미학, 음악교육학 - 전 분야에 걸쳐 놀라운 통찰을 보여주는 저서로 가히 클라리넷의 성경이라 할 만 하다. 책 끝에 지은이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설명이 실린 방대한 클라리넷 연주곡 목록은 읽는 이들을 한 번 더 놀라게 한다.
- Conny Restle, Heike Fricke, "Faszination Klarinette", 2004 Prestel, Deutschland
- 독일에서 출간된 서적으로 브라이머의 책을 능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브라이머의 책이 단 한 사람의 지은이가 쓴 책이라면, 이 책은 클라리넷 각 분야의 전문가가 모여 쓴 글들을 모은 책이다. 방대한 양의 클라리넷 시대별 악기 사진들과 발달연도표를 장점으로 하는, 특히 자료집으로써 그 가치가 높은 책.
[편집] 바깥 고리
- ((영어)) Clarinet acoustics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대학교 물리대학 음악음향학 연구팀의 클라리넷 음향학 사이트
- ((프랑스어/영어/일본어)) Buffet Crampon - 프랑스 부페 크람뽄 회사 사이트로 회사소개와 제품소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