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Bjh13579/만년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만년필은 펜안에 수성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통이 들어있는 펜이다. 잉크는 중력과 모세관 현상으로 닙으로 공급된다. 만년필의 잉크통에 잉크를 집어넣는 방법은 일회용 잉크 카트리지를 안에 집어넣는 방법과, 만년필안에 있는 작은 병에 넣는 방법과, 일반적으로 잉크를 닙에서 잉크통으로 넣는 방식을 많이 쓴다. 옛날 만년필들은 내부에 고무를 집어 넣고, 압축과 이완을 이용해서 필요한 잉크를 흡입했다. 현대의 펜들은 일회용 카트리지를 사용하거나, 스크류나, 피스톤 방식으로 잉크를 집어 넣을수 있는 잉크통인 컨버터 방식을 많이 쓴다.
목차 |
[편집] 역사
초기의 잉크통이 달린 펜은 10세기에 처음 역사에 등장했다. 이집트의 술탄은 그의 손이나 옷에 묻지 않고, 펜의 잉크가 잉크통에서 닙으로 모세관 현상이나, 중력으로 이동하는 953개의 펜을 주문했다. 이건 만년필과 비슷하지만, 그러나 만년필의 시도는 그 시점에서 더 미래로 와야 한다.
다니엘 슈웬터는 그의 Delicia Physic-Mathematicae에서는 두개의 깃털로 된 펜을 기술한적이 있다. 하나의 깃털은 잉크통에서 안에 있는 다른 깃털로 잉크를 옮겨 주는 구조였다. 잉크는 깃털안에 있는 코르크 안에 봉해져 있었는데, 잉크는 쓸수 있는 자그마한 구멍에 쥐어 짜여서 나왔다. 최초의 남아있는 저장소 있는 펜은 1세기에 나왔다. 그러나, 신뢰성 있는 펜의 발전은 느렸다. 왜 진도가 느렸냐 하면, 기압이 펜을 작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불완전하게 이해를 하였고, 잉크가 매우 부식성이 높고, 많은 찌꺼기를 남겼기 때문이다 1850년경에 만년필 특허와, 만년필 제작이 천천히 가속화 되었다. 그리고 1850년 이후에 만년필이 광범위한 필기도구로 가는 길을 열어 두는 3가지의 중요 발명이 나왔는데, 그 발명은 이리듐도금의 금 닙과, 경화고무, 그리고 잘 흐르는 잉크가 그것이었다. 그리고 미국인인 윌리엄 B. 퍼비스가 잉크 공급 튜브를 발명하고, 그것을 1890년 1월 7일에 그걸 특허함으로써 만년필의 등장에 공헌하였다.
첫번째 만년필은 중요한 구성요소가 나타난 1850년경에 만들어졌다. 파리에 있던 루마니아 학생인 Petrache Poenaru가 만년필을 발명했다; 그 발명은 1827년 5월에 프랑스 정부의 특허를 받았다. 1870년경에 뉴욕에 살던 캐나다인인 던칸 맥키넌과 프로빙스의 알조나 T. 크로스가 로호드 섬에서 속이 비고, 관이 연결된 닙과, 선으로 조정가능한 밸브가 달린 스타로그래픽 펜을 생산하였다. 그 펜은 그 펜이 만들어진 1895년에서 10년동안 대중적으로 설계와 기술도를 그리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건 1880년경 대량생산된 만년필의 새대가 처음으로 도래하게 된 계기었다. 미국 개발자의 주도와 그것에 대한 개척의 시대는 워터맨과 워트가 뉴욕과 펜실베니아의 블룸버그에서 각각 비롯되었다. 워터맨은 곧 워터를 경쟁에서 몰아내었고, 많은 회사들과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는 만년필 시장에 동참했고, 그리고 여전히 1920년대에도 시장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했다.
At this time fountain pens were almost all filled by unscrewing a portion of the hollow barrel or holder and inserting the ink by means of an eyedropper. This was a slow and messy system. Additionally, fountain pens tended to leak inside their caps and at the joint where the barrel opened for filling. Now that the materials problems had been overcome and the flow of ink while writing had been regulated, the next problems to be solved were the creation of a simple, convenient self-filler and the problem of leakage. Self-fillers began to come into their own around the turn of the century; the most successful of these was probably the Conklin crescent-filler, followed by A. A. Waterman's twist-filler. The tipping point, however, was the runaway success of Walter A. Sheaffer's lever-filler, introduced in 1912, paralleled by Parker's roughly contemporary button-filler.
Meanwhile many inventors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problem of leakage. Some of the earliest solutions to this problem came in the form of a "safety" pen with a retractable point that allowed the ink reservoir to be stoppered like a bottle. The most successful of these came from F.C. Brown of the Caw's Pen and Ink Co. and from Morris W. Moore of Boston. In 1907 Waterman began marketing a safety pen of its own that soon became the most widely distributed such pen. For pens with nonretractible nibs, the adoption of screw-on caps with inner caps that sealed around the nib by bearing against the front of the section effectively solved the leakage problem (such pens were also marketed as "safety pens", as with the Parker Jack Knife Safety and the Swan Safety Screw-Cap).
In Europe, the German supplies company which came to be known as Pelikan and was started in 1838, first introduced their pen in 1929, based upon the acquisition of patents for solid-ink fountain pens from the factory of Slavoljub Penkala from Croatia (patented 1907, in mass production since 1911), and the patent of the Hungarian Theodor Kovacs for the modern piston filler by 1925.
The decades that followed saw many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the manufacture of fountain pens. Celluloid gradually replaced hard rubber, which enabled production in a much wider range of colors and designs. At the same time, manufacturers experimented with new filling systems. The inter-war period saw the introduction of some of the most notable models, such as the Parker Duofold and Vacumatic, Sheaffer's Lifetime Balance series, and the Pelikan 100.
During the 1940s and 1950s, fountain pens retained their dominance: early ballpoint pens were expensive, prone to leaks and had irregular inkflow, while the fountain pen continued to benefit from the combination of mass production and craftsmanship. This period saw the launch of innovative models such as the Parker 51, the Sheaffer Snorkel and the Eversharp Skyline, while the Esterbrook J series of lever-fill models with interchangeable steel nibs offered inexpensive reliability to the masses.
By the 1960s, refinements in ballpoint pen production gradually ensured its dominance over the fountain pen for casual use. Although cartridge-filler fountain pens are still in common use in France,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and are widely used by young students in at least one private school in Scotland [1], modern manufacturers (especially Montblanc) now market the fountain pen as a collectible item or a status symbol, rather than an everyday writing tool.
As of 2006, fountain pen manufacturers include Michel Perchin, Montblanc, Lamy, Faber-Castell, Parker, Pelikan, Namiki/Pilot, Caran d'Ache, MacKinnon Pens (UK), Rotring, Visconti, Delta, Aurora, Stipula, Sheaffer, Hero (from China), Cross, and Waterman. Most fountain pen manufacturers also sell their own brand of inks, not necessarily manufactured by themselves, but there are independent manufacturers of fountain pen inks, including Private Reserve, Nathan Tardif's Noodler's Ink, Diamine and J. Herbin. The fountain pen inks of A.T. Cross are made by Pelikan, Bexley's by Private Reserve and Yard-o-Led's by Diamine.
[편집] 만년필의 용도
만년필은 많은 중요한 작가들과, 미술가에게 종이에 잉크로 적거나 쓰는 최고의 도구로 주시하고 있다. 그러나, 만년필이 비싸고, 보관에도 힘들고, 볼펜보다 망가지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미술가나 작가들은 유성이나, 미술가에게 찬사를 받은 입자로된 잉크나, 분량과 잉크의 점성이 낮기 때문에 왼손잡이들은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그 말은 만년필이 볼펜보다 더 낮은 악력을 가져야 되고, 잉크에 닿이는 촉에 더 신경을 써야 된다는 뜻이다. 이것은 오래쓰기 위해서이고, 쓰는데 힘을 덜 들이기 위함이다. 볼펜을 사용하면, 만년필보다 추가적인 악력때문에 더 많은 근육을 사용해서, 만년필보다 더 쓰기 불편해질수 있다.
[편집] 닙
만년필의 닙은 독일 발명가인 Friedrich Soennecken에 의해서 소개 되었다.
요즘, 닙은 보통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금으로 만들며, 14K에서 18K 정도의 금이 들어간 것을 사용한다. 금은 잘 휘어지고, 부식에 강한 최적의 금속으로 간주되었고, 만년필 잉크는 얼마간 산성과, 알카리성 경항을 띠었다. 금 닙은 촉 앞의 전형적으로 백금족에서 닮지 않는 금속에 도금을 하는데, 이 단단한 금속은 대체로 이리듐을 많이 쓴다. 그러나, 소수의 펜제조사들은 여전히 그들의 닙에 금을 쓴다. 강철 닙에는 또한 더 단단한 끝이 있을지도 모른다; 단단하지 않는강철 닙이 종이의 마찰 때문에 좀더 빠르게 뾰족하게 될 것이다. 강철 닙은 자기자신을 사람들의 성향에 따라오는 마모의 정도에 따라서 조정한다. 이것이 일명 사람들이 '길들여진다'고 말하는 것이다.
닙은 대부분 중간에 세로로 자른 홈이 있는데, 이 홈은 잉크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닙의 끝으로 운반해주는 역활을 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홈 끝에 있는 자그마한 구멍은 펜의 저장고에 공기를 넣어주는 역활을 하고 있다. 모든 닙은 폭이 좁은 점으로 잉크를 종이로 운반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닙이 점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Extra Fine, Fine, Medium, Broad), 닙의 구조는 비슷하다.
[편집] 충전 구조
The reservoirs of the earliest fountain pens were mostly filled by eyedropper. This was a relatively awkward and messy process: consequently very few eyedropper-filling pens are made today. However, the absence of complicated mechanisms meant that an eyedropper-filler could hold much more ink than could a self-filling pen of comparable size.
After the eyedropper-filler era came the first generation of mass-produced self-fillers, almost all using a rubber sac to hold the ink. The sac was compressed and then released by various mechanisms to fill the pen.
The Conklin crescent filler, introduced c. 1901, was one of the first mass-produced self-filling pen designs. The crescent filling system employs an arch-shaped crescent attached to a rigid metal pressure bar, with the cresce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pen through a slot and the pressure bar inside the barrel. A second component, a C-shaped hard rubber ring, is located between the crescent and the barrel. Ordinarily, the ring blocks the crescent from pushing down. To fill the pen, one simply turns the ring around the barrel until the crescent matches up to the hole in the ring, allowing one to push down the crescent and squeeze the internal sac.
Following the crescent filler came a series of systems of increasing complexity, reaching their apogee in the Sheaffer Touchdown and Snorkel systems. With the introduction of cartridge pens by Waterman-Jif, though, many of these systems were phased out in favour of convenience (but reduced capacity). Today, most pens use either a piston filler or a cartridge; many pens can use a converter, a device which has the same fitting as the pen's cartridge, but has a filling mechanism and a reservoir attached to it. This enables a pen to either fill from cartridges, or from a bottle of ink.
The piston filler was first introduced in the original Pelikan of 1929 (although the concept was from Croatia). The idea was simple: turn a knob at the end of the pen, and a screw mechanism will draw a piston up the barrel, sucking in ink. While the capacity of these pens was less than that of the better sac systems and eyedropper pens, they were easier to fill. Their limited capacity is due to size of the piston unit: some of the earlier models had to dedicate as much as half of the pen length to the mechanism. The advent of telescoping pistons has improved this.
The Touchdown Filler was introduced by Sheaffer in 1949. It was advertised as an “Exclusive Pneumatic Down-stroke Filler.” To fill it, the cap is unscrewed at the top of the barrel and the plunger is drawn out to its full length. The nib is immersed in bottled ink, the plunger is pushed in briskly, and the cap is screwed on. The nib is kept in the ink for approximately 10 seconds to allow the reservoir to fill. Some of Sheaffer's pens are exclusively Touchdown Fill, but some, such as the Legacy 2, can alternatively use a cartridge.
[편집] 카트리지
많은 유럽의 만년필 상표들 (예를 들어서 카렌다쉬, 파버-카스텔, 펠리칸, 워터맨, 몽블랑, 델타와 로트링)과 몇몇 펜 상표와 타 대륙의 펜 제조회사들(예를들어서 Bexley, Retro51, Tombow and Acura) 들은 "국제적인 카트리지" (별칭은 "유럽 카트리지" 혹은 "표준 카트리지" 혹은 "보편적인 카트리지") 규격을 만들었다. 이건 여러 범위에 대한 표준으로써, 많은 제작자에서 쓰이는 표준 카트리지는 표준 카트리지가 호환하는 모든 만년필을 쓸수 있다. 또한 컨버터도 표준 카트리지로 교체하면 표준 카트리지를 호환하는 모든 만년필에 넣을수 있다.
많은 만년필 제조사들은 많은 시간을 그들의 전매 카트리지를 개발해왔는데, 예를 들면 파커나, 라미, 셰퍼, 크로스 그리고 나미키가 그런 회사이다. 오로라 , 히어로, 듀크와 우라누스 만년필은 여러 카트리지와 컨버터를 파커꺼를 쓸수 있게 만든다. 오로라의 카트리지는 약간 파커하고 다른 카트리지를 쓴다. 히어로와 듀크와 우라누스가 만든 약간의 만년필은 표준 카트리지를 넣을수 있다. 상당한 컨버터는 같은 회사에서 만든 만년필에 넣어서 사용해야 된다. 그리고 약간의 매우 조그마한 만년필은 그 펜을 만든 회사에서 특별히 제작한 카트리지를 필요로 한다. Sheaffer Agio Compact 와 Sheffer Prelude Compact가 그런 종류이다. 이런 펜들은 빈 카트리지에 실린더로 다른 회사의 잉크를 주입하는것이 경제적이다.
만년필 카트리지는 조그마한 플라스틱 공으로 막혀져있는데, 이 공은 아교풀 또는 잉크 구멍 안쪽에 아주 붙드는 얇은 플라스틱 층으로 되어 있다. 펜 안에 있는 카트리지에 작은 핀을 넣어서 공을 누르면 카트리지는 터지게 된다. 그리고 많은 어린애들이 카트리지를 열고, 안에 든 공을 수집하는 예측할만한 드러운 결과를 가져오는 취미를 가지고 있다.
[편집] 예술작품으로써의 만년필
만년필은 종종 예술작품으로써 찬사를 받는다. 화려한 펜은 종종 귀한 금속과 보석으로 이뤄진다; 다른 방법으로는 Maki-e 방법과 같이 칠위에 상감세공을 한느 방법도 있다. 탐욕적인 팬 수집광들의 모임에서는 고대와 현재의 펜을 모으고 옛날의 잉크와 지금의 잉크, 잉크통, 잉크가 잘 나오는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수집가들은 종종 확실하게 그걸 유리 뒤에 놔두고 보는 대신으로 옛날펜을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찬사를 아끼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