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연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 |
|
유럽연합 언어 |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독일어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몰타어, 스웨덴어 에스파냐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영어 에스토니아어, 이탈리아어 체코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핀란드어, 헝가리어 |
연합본부 | 브뤼셀 |
연합이사 | 브뤼셀 |
연합의회 | 스트라스부르(총회) 브뤼셀 (위원회) 룩셈부르크시(총무회) |
연합법원 | 룩셈부르크시 |
면적 | 총 3,975,000Km² (2004년 5월 1일) |
인구 | 총 4억 5천 5백만명 (2004년 5월 1일) |
인구밀도 | 114명 / Km² (2004년 5월 1일) |
통화 | 유로(Euro) |
시간대 | UTC -1 에서 +2 시간 -4 에서 +4 시간 (해외) |
유럽 연합(유럽 聯合, 문화어: 유럽동맹)은 유럽 25개 나라의 연합이다.
목차 |
[편집] 유럽 연합의 간추린 역사
현재의 유럽 연합의 기원은 1946년 9월 19일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이 스위스의 취리히에서 한 유명한 유럽에 관한 연설에 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연설에서 윈스턴 처칠은 유럽에 국제연합과 유사한 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1950년 5월 9일 장 모네가 구상한 석탄 및 철광석 채굴을 위한 프랑스-독일(서독) 간의 공동 사무소 설치에 관한 계획을 당시 프랑스의 외무부장관 로베르 쉬망이 (그의 이름을 따서 Déclaration Schuman) 공식적으로 건의함으로서 최초로 유럽공동체에 대한 생각이 중앙 유럽국가 간에 토론되기 시작하였다 (이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5월 9일은 유럽일로 축제되고 있다). 1951년 4월 18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6개국은 석탄 및 철광석 채굴에 관한 조약을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ECSC), 체결함으로써 유럽 내의 시장권을 거의 장악하였다.
1956년 3월 25일 위의 6 개국은 이른바 로마 조약을 체결함으로서 유럽 경제 공동체의 (EEC European Economic Community) 발판을 놓았다. 이 조직의 주요 목적은 자유 경제 원칙을 바탕으로 유럽의 시장을 공고히 하며, 특히 농업 생산품의 국경을 초월한 자유 유통과 판매의 촉진 그리고 원자력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에 있었다.
유럽 연합은 1973년 1월 1일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을 새로운 회원국으로 받아 들였다. 1979년 6월 7-10일에는 최초로 연합의회의 직접선거를 실시되었다. 1981년 1월 1일에는 그리스가 유럽 연합에 새로 가입하였으며, 1986년 1월 1일 에스파냐, 포르투갈이 뒤를 따름으로써 회원국의 수는 12 개국으로 증가되었다. 연합회원국의 증가에 따라 연합 계약 조항은 1986 2월 17일 대폭적으로 수정되었으며, 그 수정 골자로는 1993년 까지 유럽 시장의 원활을 도모하며, 학문연구와 첨단기술 그리고 환경보호에 관한 새로운 계획과 이에 따른 담당 부서를 설치하는 데에 있었다. 당시의 연합 이사회 회장이었던 프랑스의 자크 들로르(Jacques Delors)는 유럽 시장의 활력소를 불어넣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오늘날 평가되고 있다.
[편집] 마스트리흐트 조약
약칭은 EU이다. 유럽의 정치등 통합을 실현화 하기위해서 1993년 11월 1일 발표된 마스트리흐트 조약에 의해 유럽 12개국이 참여되었다. 원래 EEC 회원국은 벨기에·프랑스·서독·이탈리아·룩셈부르크·네덜란드였으며 1973년에 덴마크·아일랜드·영국, 1981년에 그리스, 1986년에 포르투갈·스페인, 1995년에 오스트리아·핀란드·스웨덴 등 EFTA 회원국이 모두 가입하였다. 거기에다 2004년 폴란드·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슬로베니아·리투아니아·라트비아·에스토니아·키프로스·몰타 등 10개국이 새로 가입하여 가맹국 수가 총 25개국으로 늘어났다.
[편집] 연합조직과 구성
[편집] 연합회원국
2004년 5월 1일부터 유럽 연합은 25개 회원국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2007년 1월 1일부터는 27개국으로 늘릴 예정이다. 1950년 초대 회원국은 다음 6개 국가이다.
그 후 수차례에 걸친 확장을 통해 9개 국가가 회원국이 되었다.
- 1973년 1월 1일: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
- 1981년: 그리스
- 1986년: 에스파냐, 포르투갈
- 1990년: 동독과 서독의 통일로 유럽 연합의 영토와 인구가 실질적으로 확장됨.
- 1995년: 스웨덴, 오스트리아, 핀란드
- 2004년 5월 1일: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체코, 키프로스, 폴란드, 헝가리
- 2007년 1월 1일(예정): 루마니아, 불가리아
[편집] 연합국가 위원회
[편집] 연합국가 장관회의
[편집] 유럽의회
국가별 연합의회 의원 수 (2004)
![]() |
99 | ![]() |
78 | ![]() |
78 |
![]() |
78 | ![]() |
54 | ![]() |
54 |
![]() |
27 | ![]() |
24 | ![]() |
24 |
![]() |
24 | ![]() |
24 | ![]() |
24 |
![]() |
19 | ![]() |
18 | ![]() |
14 |
![]() |
14 | ![]() |
14 | ![]() |
13 |
![]() |
13 | ![]() |
9 | ![]() |
7 |
![]() |
6 | ![]() |
6 | ![]() |
6 |
![]() |
5 | EU-25 | 732 |
- 연합의회의 정당
[편집] 연합이사회
[편집] 자문기구
- 로마 조약
- 마스트리히트 조약
- 니스 조약
[편집] 같이보기
[편집] 바깥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7년 1월 1일 가입 예정국: ![]() ![]() |
|
가입 후보국: ![]() ![]() ![]() |
![]() |
이 문서는 유럽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