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Acepectif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시 링크: 호몰로지 어린이 제멋대로 카이조 에일리언9 안녕 절망선생

목차

[편집] 안녕하세요

환영합니다!

Acepectif님, 안녕하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위키백과와 함께 해 주셨으면 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또한 처음 오신 분들을 위한 길라잡이가 있습니다. 꼭 읽어 보시기 바라며,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로그인 상태에서 편집 창에 물결표를 이렇게 ~~~~ 네 개 이어서 써 넣으시면 자동으로 서명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안녕하세요. 토론 페이지는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의견을 나누는 곳입니다. --Puzzlet Chung 2005년 12월 17일 (토) 13:20 (KST)

[편집] 언어 계통 및 분류 방법 세우기에 참여 부탁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언어 계통 및 분류 방법 세우기에 참여를 다소 부탁드리고 해서 왔습니다. 해당 내용은 학술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단순히 찬반으로 결정지을 수 없는 문제라서 여러 많으신 분들의 의견 교환과 합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시간을 좀 더 내 주셔서 문제점이나 또는 새로운 제안, 개선안 등의 의견을 달아 주시면 좋겠습니다. - 아이리디 2006년 10월 15일 (월) 17:45 (KST)

[편집] 넘겨주기 문서

안녕하세요. 보통 일반 네임스페이스(‘넘겨주기’)로 위키백과 네임스페이스(‘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로 넘어가는 문서는 백과사전 본문에서 백과사전을 쓰는 사람들이 보는 문서로 링크를 하는 등의 혼동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를 빼면 만들지 않습니다. 백:넘 같은 단축을 만드는 것은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6년 11월 1일 (수) 08:43 (KST)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Acepectif 2006년 11월 1일 (수) 08:49 (KST)

[편집] 세계의 주요 종교

내용이 없는 쪽은 종교 아닌가요? 작업 편의상 목록 항목이 본문보다 먼저 생겼을 뿐입니다. -- ChongDae 2006년 11월 6일 (월) 11:22 (KST)

합병 제안을 지웠습니다. --Acepectif 2006년 11월 7일 (화) 01:57 (KST)

[편집]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언어#어족 색상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언어#어족 색상에서 어족별 색상에 대해 토론 내용을 상정하였습니다. 어족별 색상에 대한 수정/변경/정정 등의 사안에 대해 의견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 ρ 아이리디 (토론) 2006년 11월 18일 (토) 13:24 (KST)

[편집] 샤먼 시스터즈

보시면 아시겠지만 맨 앞부분의 제목 바로 옆에 첨부하면서 뒷부분에 원제를 따로 나열한 것을 지웠습니다. 링크하신 블로그가 문제가 되는 것은 날짜가 아니라 해당 블로그의 주인이 블로그 이전 공지를 몇 달째 띄운 채 이전을 준비중이라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다행히 해당 포스트는 그렇지 않지만, 그 후에 블로그 주인 본인의, 블로그에서의 성적 편파적 발언에 의해 덧글로 논쟁이 붙은 뒤 폐쇄인지 업데이트 중지인지를 선언한 적이 있고 그 후 재개선언 겸 이전 공지가 올라온 채 운영중입니다) 일단 '만화평론가'는 뗍니다. 그 다음은 맡기겠습니다. 그리고 출처 필요 다신 부분은 일본어판에서 가져왔습니다. 농부라고 하면 어감이 나쁜가요? 원문 직역으로 바꿉니다. --히호군 2006년 12월 19일 (화) 00:59 (KST)

저도 전에 이전 공지가 올라온 건 알고 있었는데, 그냥 재개된 줄로 알고 있었습니다. 아직까지 이전 공지가 남아있는 줄은 몰랐군요. 그리고 농부가 딱히 어감이 나쁘다기 보다는, 제 나름대로는 꽤 자세히 읽은 만화인데 처음 보는 내용이 있어서 궁금해서 여쭤본 거였습니다. 아무튼 답변 감사드립니다. --Acepectif 2006년 12월 19일 (화) 07:43 (KST)
이와는 별개로, 제목 부분은 그냥 <>{{lang}} 틀로 처리하면, 일본어를 모르는 사람이라면 '샤먼 시스터즈를 일본어로는 もっけ라고 쓰는구나'라고 생각하지 않을까요? 국내에 들어오면서 제목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좀 더 명확히 명기해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적절한 방법이 없을까요? --Acepectif 2006년 12월 19일 (화) 07:58 (KST)
Acepectif님의 편집으로도 별다를 바 없어 보이는데요. "원제는 못케이다" 라고만 쓰셨으니까요.
원하시는 바대로 일본어를 모르는 사람이 '의미상 샤먼 시스터즈 ≠ もっけ'라는 걸 알게 하고 싶으셨다면 한 줄 더 추가할 때 "원제는 もっけ이다"가 아니라 "원제인 もっけ는 한자로 勿怪 혹은 物怪라 쓰며,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物の怪, 즉 '모노노케' 라고 하는 요괴의 다른 말이다." 라는 식으로 써 주셨어야 하는 게 아닐까요. (저라면 "한국의 '물괴'라는 호칭과 같은 연원이다"라는 말도 붙이겠습니다만 이것까지 붙이긴 좀 그렇죠. 그럼 괴물 설명도 나와야 하고 복잡해지니)
번역되며 제목이 번안되는 미디어는 원래 많습니다(특히 영화, 도서). 가장 유명한 예는 보통 영화 사랑과 영혼(Ghost)을 듭니다. 런어웨이 브라이드는 영화의 주연들(리차드 기어, 줄리아 로버츠)로 인해 동 감독의 전작인 프리티 우먼(주인공 동 캐스팅)의 제목을 따 일본 개봉명이 프리티 브라이드가 됐고요. 최근 인기있던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라는 책의 원제는 Whale Done! 이라고 합니다. 영어를 모르는 사람이라면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말은 Whale Done이구나'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신경도 안 쓰지 않을까요. 이것들과 같은 맥락으로 생각하셨으면 합니다. --히호군 2006년 12월 19일 (화) 13:5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