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K2 전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XK-2 | |
![]() |
|
종류 | 주력전차 |
형식 명 | 차기전차 흑표(XK-2) |
용도 및 목적 | 대전차전 |
개발국가 | ![]() |
개발사 | 로템 |
배치년도 | 2011년 |
역사 | |
개발년도 | |
생산기간 | |
사용국가 | ![]() |
사용된 전쟁 | 없음 |
개량형 | |
계열 차량 | |
생산량 | |
일반 제원 | |
승무원 | 3명 |
길이 | 10.0m (차체 7.5m) |
높이 | 2.4m ~ 2.5m |
폭 | 3.6m |
중량 | 55.0t |
공격력 | |
주무장 | 120mm |
개발사 | |
사용 포탄 | APFSDS-T,HEAT |
포탄 탑재량 | 40발 |
사통 장비 | |
유효 사거리 | |
장전 방식 | 자동 장전 |
부무장 | |
탄약 수 | |
기동력 | |
엔진 | 수냉식 디젤 |
마력 | 1500hp |
중량 대비 출력 | 27hp |
서스펜션 | |
노상 속도 | 70km/h |
야지 속도 | 50km/h |
항속 거리 | |
변속 | |
등판 능력 | 60도 |
장애물 통과 | |
도하 | |
방어력 | |
전면 장갑 | |
측면 장갑 | |
상부 장갑 | |
증가 장갑 | |
방어 수단 | |
장갑 방식 |
목차 |
[편집] 소개
XK-2 전차는 대한민국 육군이 채용할 차기전차이다. 흑표(黑豹:Black Panther)라는 별칭이 있다.
[편집] 화력
120mm 55구경장 활강포를 채용할 예정이며, 자동장전장치를 채용하여 K1과 같이 사람이 직접 장전하지 아니하고, 기계적으로 장전이 이루어지므로 전차가 몹시 흔들리는 상황에서도 빠르게 후속탄을 장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점으로 인해서 차기전차는 기존의 전차와 같이 4인탑승이 아니라 3인 탑승으로 바뀌었다. 또 자동장전장치의 채용으로 인해서 포탑이 K1이나 K1A1에 비해서 커지게 되었다.
[편집] 방어력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소프트 킬 기능에 속하는 능동 전자방호시스템을 2002년까지 개발하여 당해 11월에 군(軍)사용가 판정을 받았다. 이 시스템은 탐지센서(레이더, 레이저 거리 측정기, 레이저 조사기, 레이저 경보 센서, 적외선 영상 경보 센서가 포함)와 중앙통제기, 대응장치(다영역 차장 연막탄과 발사기)로 구성이 된다. 다영역 차장 연막탄의 경우 밀리미터파, 적외선, 가시광선을 모두 차단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지칭하는것인지 아니면 이것보다 훨씬 발전된 시스템을 지칭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2006년 11월 9일 국방과학연구소는 방어용 이동 레이더 기술을 개발했다고 언론(전자신문)에 공표하였다.
폭발반응장갑, 복합장갑, 그리고 화생방 방어장비로 양압장치를 채용할 예정이다.
[편집] 기동력
기동력 측면 역시 전차의 중요한 부분이다. 차기전차는 수많은 첨단 장비를 탑재하고도 중량이 K1A1 전차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K1A1에 탑재된 1,200마력 엔진보다 강력해진 1,500마력의 엔진이 탑재되어 높은 가속력과 조종에 대한 보다 빠른 응답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전차의 엔진은 현재 두산인프라코어에서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전후좌우로 자유롭고 정밀하게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반능동형 유기압 현수장치가 장착되어 지형이 험난한 전장 환경에서도 우수한 전투력과 기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