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음운학과 훈민정음에서 말하는 치음에 대한 내용은 치음 (음운학)에 있다.
조음 위치
입술소리
양순음
순치음
혀끝소리
설순음
치음
치간음
치조음
설첨음
설단음
치조후음
치조구개음
권설음
혓바닥소리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목구멍소리
인두음
후두개음
성문음
조음 방법
틀 편집

현대 음성학에서 잇소리 또는 치음혀끝 사이에서 조음해서 내는 닿소리이다.

치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쓰면 다음과 같다.

  • 치측 마찰음은 폐의 바람이 혀 쪽이 아닌 이빨 사이로 빠져나가 마찰되는 소리를 말한다.
  • IPA 틀을 넣으면 글꼴이 바뀌는 관계로 통일화 하진 못 했다.
IPA 이름
언어 철자 IPA
치 비음 스페인 onda [od̪a] 물결
무성 치 파열음 스페인 toro [oro] 황소
유성 치 파열음 스페인 donde [on̪e] 어디에
무성 치 치측 마찰음 폴란드 kosa [koa] 사이드(거대한 낫)
유성 치 치측 마찰음 폴란드 koza [koa] 염소
θ 무성 치 마찰음 영어 thing [θɪŋ]
ð 유성 치 마찰음 영어 this [ðɪs] 이, 이것
ð̞ 치 접근음 스페인 kodo [koð̞o] 팔꿈치
치 설측 접근음 알바니아 halla [haɫ̪a] 겨드랑이
ɾ̪ 치 탄음
치 전동음 마셜 제도 Ebadon [ebaon] 에바돈
tʼ̪ 치 방출음
ɗ̪ 치 입파음
ǀ 치 흡착음 코사어 ukúkcola [ukúkǀola] 잘 갈아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