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귀 약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재귀 약자(再歸略字, recursive acronym)는 원래 문장안에 약자가 그대로 들어있도록 이름을 지은 것이다. 전산학에서 흔히 사용하는 재귀의 관점에서 보면, 재귀 약자에는 재귀를 끝내는 조건이 없기 때문에 '재귀 약자'라고 부르는 것보다 '순환 약자'(循環 略字, circular acronym)라고 부르는 것이 엄밀한 의미에서는 더 정확하다.
[편집] 컴퓨터 관련 예
전산학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은 재귀적 약자를 이용하는 것을 해커다운 전통으로 여겨왔다. 재귀적 약자가 사용된 가장 오래된 예는 1977년 ~ 1978년에 만들어진 MagicSix용 편집기 TINT("TINT Is Not TECO")이다. 이후 MIT 리스프 머신용 편집기 EINE ("EINE Is Not Emacs") 및 ZWEI ("ZWEI Was EINE Initially")도 이런 방식으로 이름을 지으면서 이런 유행이 널리 퍼졌다. (eine과 zwei는 독일어로 '1'과 '2'를 뜻한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