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시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노시로(NOXILO, 일본어: ノシロ語)는 미즈타 센타로(水田扇太郎)에 의하여 개발중인 국제보조어이다. SOV, SVO의 두가지 어순의 문형의 병용이 가능하다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문장내에서의 병용이 아니라, 사용자가 SOV 또는 SVO중 어느쪽인가의 어순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공어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어형변화 및 문화적 원인에 따른 악습의 답습이 없다. 노시로어는 이러한 점에서 에스페란토등 다른 국제보조어와 목적을 같이 하고 있다.

노시로어가 에스페란토와 다른 점은 에스페란토가 구조적으로 유럽인들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한 언어인데 반하여 노시로어는 유럽중심을 깨고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보다 평등한 언어가 되도록 배려한 점이다. 노시로어는 1989년경부터 고안되기 시작하여, 1997년에 태류사로부터 《노시로어-일본에서 탄생한 공생시대의 국제간이언어》(ノシロ - 日本で生まれた共生時代の国際簡易言語)라는 제목의 책(현재는 절판되었으며, 일부 공공도서관에서 구할 수 있다)으로 처음 출판되었으며, 이후에는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발표및 개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발음, 문법, 단어, 문자등의 모든 항목에서 매우 선택의 폭이 넓은 언어이며, 이렇게 화자의 자유선택을 권장하는 언어는 국제보조어로서는 그 예를 찾기 힘들다. 발음은 일본어발음에 준하여 발음해도 되며, 영어같은 폐음절의 발음도 허용된다. 단어는 약 300개의 노시로기본단어와 약 4000개의 노시로우호단어, 장래 작성예정인 노시로국제표준단어가 있는데, 이들 노시로단어를 전부 암기할 필요는 없고, 사용자의 모어의 단어와 세계 각국어의 단어를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들어 고안자에 의하여 습득이 용이한 언어라고 소개되어 있지만, 이렇게 단어 선택의 폭이 자유로워질 경우, 서로 다른 모어사이에 노시로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이 불가능 할 수도 있다는 비판이 있다. 선택의 폭이 넓다는 것은 공통적인 규칙이 줄어드는 결점이 되므로, 규칙의 통일을 바라는 의견이 많다.

노시로 우호단어는 널리 동서양의 제 언어(중국어, 힌디어,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독일어, 한국어, 러시아어, 태국어, 아라비아어, 케츄아어등)으로부터 채용하고 있다. 창안자에 의하면 특정 언어권의 화자만이 유리해지거나 불리해지는 불평등이 없다고 소개되어 있다. 구미지상주의, 인종차별, 여성차별등의 불합리한 요소가 없고, 단시간 내의 학습기간내에 습득가능한 언어라고 되어 있다. 또한 각국어로 정확히 번역가능한 언어로서 노시로어를 이용하면 항상 높은 번역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국제 휴대전화및 메일소프트를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소개되어 있다.

문자는 로마문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별도의 노시로문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편집] 노시로 우호단어 숫자의 예

노시로우호단어 발음 어원
0 XUNyA [슈-냐] 산스크리트어
1 WAn [완] 영어
2 NI [니] 일본어
3 SAM [삼] 한국어
4 SII [싀] 태국어
5 LIMA [리마] 말레이어
6 ZEKS [젝스] 독일어
7 SABAA [사바-] 아랍어
8 WIT [윗] 프랑스어
9 KOO [코-] 미얀마어
10 TIO [티오] 스웨덴어
100 STO [스토] 러시아어
1,000 MILA [밀라] 이탈리아어
10,000 MAn [만] 중국어
100,000,000 OK [옥] 한국어
1,000,000,000,000 QO [조] 한국어
10,000,000,000,000,000 kyon [쿈] 한국어

(注)숫자 9는 2004년 2월 25일 nine에서 koo로 변경 숫자 1은 2005년 4월 16일에 II에서 Wan으로 변경.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