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어
汉语 / 漢語 ; 中文(IPA: [xan˥˩.yˑ˨˩˦] ; [ʈʂʊŋ˥.wən˧˥])
쓰는 나라들 중국, 타이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타이,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싱가포르,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필리핀 & 기타 나라의 중국어 사용 공동체
지역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유럽, 태평양
언어 인구 13억명 이상
사용 순위 1위
언어의 계통 시노티베트어족
 시노타이어파
  한어군
   중국어
공용어/표준
공용어로 쓰는 국가 중국, 중화민국, 싱가포르, 국제 연합
표준 PRC: 국가어언문자공작위원회
RC: 국어추행위원회
언어 부호
ISO 639-1 zh
ISO 639-2: chi (B) zho (T)
ISO/DIS 639-3: variously:
cdo — Min Dong
cjy — Jinyu
cmn — Mandarin
cpx — Pu-Xian
czh — Huizhou
czo — Min Zhong
dng — Dungan
gan — Gan
hak — Hakka
hsn — Xiang
mnp — Min Bei
nan — Min Nan
wuu — Wu
yue — Yue

중국어 방언의 분포.

중국어(中國語; 한어, 화어, 중문)는 중국에서 쓰이는 언어로, 16가지 방언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 수가 13억으로 세계 사용자 수 1위이다. 세계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대언어이다. 어미 변화가 없다. 중국어는 오늘날 많은 언어의 영향을 끼쳤다. 일본어와 한국어는 약 50~55%가 한어적인 어휘로 이루워져 있다.

목차

[편집] 분류

중국어를 역사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상고한어:주나라와 진나라와 한나라의 한어
  • 중고한어:당나라와 육조의 한어
  • 중세한어:송나라와 원나라 명나라의 한어
  • 근대한어:청의 한어
  • 현대한어:지금 중국이 쓰고있는 한어.


[편집] 음운

자세한 발음은 병음을 참조.

[편집] 방언

Ethnologue report for Chinese을 참조.

중국어에는 지역에 따라 여러가지 방언이 있는데, 특징은 서로간에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이 방언들을 방언으로 취급하느냐 아니면 다른 언어로 취급하느냐 하는 데에는 논란이 있다.

중국어 방언의 계통수
실제 크기로
중국어 방언의 계통수

[편집] 바깥 고리

위키백과
중국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