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의 컴퓨터 회사 NeXT는 넥스트 사 문서를 참조하라.
N.EX.T(넥스트)
[[그림:|250px|]]
국적 대한민국
활동 시기 1992년 ~ 1997년
2003년 ~ 현재
장르 헤비 메탈
프로그레시브 록
모던 록
구성 신해철(리드보컬)
김세황(기타)
김영석(베이스)
이수용(드럼)
지현수(키보드)
http://www.nextfan.co.kr/

N.EX.T(넥스트, New EXperiment Team)는 1992년 결성되었다가 1997년 해체된 뒤 오랜 휴식기를 가진 후 2003년에 재결성 되어 현재에 이르는 대한민국의 거대한 락 밴드이다.

N.EX.T는 신해철을 주축으로 정기송(기타), 이동규(드럼)이 뭉쳐, 1992년 1집 《Home》을 발표했다. 당시 <도시인>, <인형의 기사>등이 히트를 치면서 댄스 음악이 주축이던 대중가요계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 이듬해 신해철의 군입대 그리고 대마초 사건 연루로 인하여 잠시 시련을 겪는다. 그러나 그것에 아랑곳하지 않고 1994년 기타리스트에 정기송 대신 임창수를 그리고 다시 김세황을 영입, 그리고 김영석이 추가로 합류한 상태에서 2집 《The Return Of N.EX.T Part1 - The Being》을 발표한다. 이 앨범에서는 '날아라 병아리' 등이 공감가면서도 묵직한 소재를 노래에서 다루면서 호평을 얻었다. 특히 이 앨범에서부터 N.EX.T만의 이미지가 뚜렷히 나타나기 시작한다. 음악적으로는 메탈과 프로그레시브락이 접목된 새로운 시도가 시작되었고, 가사도 신해철이 철학과 출신이라는 것을 반증하듯, 좀더 철학적인 내용으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1995년 드럼을 맡던 이동규가 탈퇴하고 이수용이 드러머로 새로 들어왔다. 이 멤버들로 구성되어 발매된 앨범이 3집 《The Return Of N.EX.T Part2 - World》으로, 역대 넥스트 앨범 중 최대 스케일을 자랑하는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 앨범이다. 신해철의 락 음악을 향한 집념과 함께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를 지적한 가사, 그리고 노래 <Komerican Blues>에서는 국악과 락의 접목을 시도하며 N.EX.T는 대한민국 락계의 제 1인자로 부상한다.

1997년 싱글앨범 《Here, I Stand For You》를 발표한 뒤 곧 그들의 마지막 앨범이 될 뻔 했던 4집 《Lazenca - A Space Rock Opera》를 발표한다. 이 앨범은 애니메이션 영혼기병 라젠카의 사운드 트랙격 앨범으로 대규모 오케스트라와 록 음악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이 앨범 또한 넥스트의 최고 앨범이라 칭해지는 앨범들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그해 신해철은 '한국에서 더 이상 올라갈 것이 없다'라며 갑작스런 해체를 선언, 팬들과 밴드 멤버들을 당혹스럽게 하기도 했다.

이후 신해철은 프로젝트성 밴드 모노크롬을 영국에서 결성하기도 하였고, 한때 비트겐슈타인도 결성하였다. 이중 비트겐슈타인에서 기타리스트였던 데빈과는 이후 재결성된 넥스트에서도 꾸준히 같이 일하게 된다. 그리고 그 밖에 다른 멤버들은 김진표 등과 노바소닉을 결성하여 한국에서 계속 활동한다.

그리고 2003년, 넥스트는 다시 재결성되었다. 비록 신해철을 제외한 다른 멤버들은 새로운 멤버들이어서 팬들에게는 약간 낯선 면도 있었고 일부 팬들은 넥스트가 신해철 혼자서 이끌어 나가는 밴드냐는 비판도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곧 5집 《개한민국》을 발표하는데, 이 앨범은 전반적인 대한민국 사회에 대한 노골적 비판, 얼마 되지 않는 돈으로 여러가지의 락 음악들을 선보여 팬들과 일반 대중들을 놀라게 했다. 이러한 앨범 내용으로 인하여, 거의 모든 곡이 각 방송사의 심의에 통과하지 못하는 일도 벌어졌다. 한편, 저비용으로 다양한 음악적 실험이 가능했던 것에 대해 신해철은 이것을 가능하게 한 것은 디지털 음악 제작 방식이라고 했다.

그 뒤 최근, 2006년 초에 기존 멤버 신해철과 데빈에 옛 넥스트의 멤버들이며 노바소닉의 멤버였던 김영석, 이수용, 김세황등이 복귀하고 연기자 겸 가수로 유명한 지현우의 형 지현수가 키보디스트로 참여한 라인업을 완성하여 6인조 거대 록 밴드로 거듭났다. 그리고 이 해 2월 말, 5.5집 《Regame?》을 발매하였다. 이 앨범 제목인 Regame?은 '다시 놀아볼까' 정도로 해석되는, 그러니까 말하자면 이전 멤버들도 복귀한 예전의 넥스트가 완벽히 돌아왔음을 선언하는 그런 앨범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 앨범 제목처럼, 곡들도 예전 노래를 리메이크한 것들로 채워져 있는데, 넥스트의 멤버들은 예전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사운드를 대형 오케스트라 팀을 동원하여 웅장한 음악을 만들어 냈다고 하였다. 그리고 윤도현, 채연, 먼데이 키즈등이 리메이크 앨범에 참여하여 대중적인 면을 보이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한편, 이 리메이크 앨범에 대해 옛 팬들은 옛날의 그 못하다고 느껴지는 사운드가 오히려 추억에 남고 좋다는 의견이 많았음에도 웅장한 음악 등에 대해서는 합격점을 주는 팬들이 많았다.

현재, 여러 콘서트를 계속적으로 엶으로써 왕성한 활동을 보여줌과 동시에, 2006년 7월 28일에는 한국의 세계적 락 페스티벌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공연에도 참가하여 그들의 음악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들이 결성 된 지 14년 만에, 그들은 이성재, 김민정, 엄태웅 주연의 SBS 드라마 《천국보다 낯선》의 사운드트랙 제작에도 참여하여 화제가 되었다. 특히 이 앨범 중 이들이 부르고 연주한 <Stranger Than Heaven>은 그들이 과거 1,2집 때 <인형의 기사>, <날아라 병아리> 등에서 보여주었던 모던 록적인, 감수성을 자극하는 노래라는 점이 특징이다.

하지만 멤버 데빈이 2006년 11월에 넥스트를 떠나기로 결정해 넥스트 6기 라인업이 깨져, 많은 아쉬움을 주었다.

목차

[편집] 역대 멤버

  • 1992 ~ 1994 | 넥스트 1기 신해철, 정기송, 이동규
  • 1994 ~ 1994 | 넥스트 2기 신해철, 임창수, 이동규, 이수용
  • 1994 ~ 1994 | 넥스트 3기 신해철, 김세황, 이동규, 이수용
  • 1995 ~ 1997 | 넥스트 4기 신해철,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 김세황
  • 2003 ~ 2006 | 넥스트 5기 신해철, 데빈, 쌩, 쭈니, 동혁
  • 2006.2 ~ 2006.11 | 넥스트 6기 신해철, 데빈,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 지현수
  • 2006.11 ~ 현재 | 넥스트 7기(?) 신해철,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 지현수

[편집] 발매 앨범

[편집] 정규 앨범

  • 1집 : Home(1992)
    • 1. 인형의 기사 Part1
    • 2. 인형의 기사 Part2
    • 3. 도시인
    • 4. Turn Off The T.V
    • 5. 외로움의 거리
    • 6. 증조 할머니의 무덤가에서
    • 7. 아버지와 나
    • 8. 집으로 가는 길
    • 9. 아버지와 나 Part2
    • 10. 영원히
  • 2집 : The Return OF N.EX.T Part 1 - The Being(1994)
    • 1. The return of N.EX.T(Instrument)
    • 2. The Destniction of the shell:껍질의 파괴
    • 3. 이중인격자
    • 4. The dreamer
    • 5. 날아라 병아리
    • 6. 나는 남들과 다르다
    • 7. Life Manufacturing(Instrument):생명생산
    • 8. The Ocean : 불멸에 관하여
  • 3집 : The Return Of N.EX.T Part2 - World(1995)
    • 1. 세계의 문
    • 2. Komerican Blues
    • 3. Mama
    • 4. 나는 쓰레기야 Part.1
    • 5. The Age Of No God
    • 6. 나는 쓰레기야 Part.2
    • 7.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
    • 8. Requiem For The Embryo
    • 9. Money
    • 10. 나른한 오후의 단상
    • 11. 아가에게
    • 12. Hope
    • 13. Questions
    • 14. Love Story(Bonus Track)
  • 4집 : Lazenca - A Space Rock Opera(1997) 영혼기병 라젠카 OST
    • 1. Mars, The Bringer Of War
    • 2. Lazenca, Save Us
    • 3. The Power
    • 4. 먼 훗날 언젠가(Original Ver.)
    • 5. 해에게서 소년에게
    • 6. A Poem Of Stars
    • 7. 먼 훗날 언젠가(Evening Star Ver.)
    • 8. The Hero
  • 5집 : 개한민국(2004) CD 1(Track No.01~08)/CD 2(Track No.09~17)
    • 1. 現世地獄
    • 2. 개한민국 (Clean Ver.)
    • 3. 감염 Infested
    • 4. Ssaving Private Jesus
    • 5. <80's Series 01>Ghost Network
    • 6. Dear American (Clean Ver.)
    • 7. Generation Crush (Tired Mix)
    • 8. 서울역 Seoul Station (Frat Mix)
    • 9. Satan's Bride (Full Bet Mix)
    • 10. Growing Up
    • 11. <80's Series 02>Laura
    • 12. I Am Ssang
    • 13. 아들아, 정치만은 하지마
    • 14. Devin's Boogie (Live)
    • 15. Satan's Bride (Royal Alert Mix)
    • 16. 힘을 내!
    • 17. 남태평양 South Pacific
  • 5.5집 : Regame?(2006)
    • 1. 아버지와 나 PartⅠ
    • 2. 아버지와 나 PartⅡ
    • 3. friends
    • 4. 그대에게
    • 5. 날아라 병아리(feat. 윤도현)
    • 6. 눈동자(feat. 채연)
    • 7. The Dreamer
    • 8. 인형의 기사(feat. 먼데이키즈)
    • 9. 우리앞의 생이 끝나갈 때
    • 10. The last love song
    • 11. 영원히

[편집] 싱글 음반

  • Here I Stand For You - Couple With Arirang(1997)
    • 1. Here, I Stand For You(Original Version)
    • 2. Here, I Stand For You(Sihouette Version)
    • 3. Arirang(97동계 유니버시아드 폐막식 음악中)
    • 4. Here, I Stand For You(Instrumental)
    • 5. Arirang(Instrumental)

[편집] 참여 음반

  • 월드컵 응원가 : Go for the Final(2006) 中에서
    • 1. 돌격! 아리랑 Part I.
    • 2. 돌격! 아리랑 Part II.
  • 드라마 사운드트랙 : 천국보다 낯선 OST(2006) 中에서
    • 5. Stranger Than Heaven

※참고로 이 드라마 사운드트랙의 프로듀싱은 넥스트의 멤버 신해철이 맡았다.

[편집] 라이브 음반

  • Live Concert Chapter 1(1995)
  • Live Concert Chapter 2(1995)
  • N.EX.T is ALIVE(1996)
  • The First Fan Service(1997)

[편집] 바깥 고리/관련기사

다른 언어